{"response":{"resultCode":1,"resultMsg":"접속성공","resultCnt":1982,"result":[{"contentId":"159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VKIST, 베트남 스마트공장 ODA 사업 협업 기반을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93","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VKIST, 베트남 스마트공장 ODA 사업 협업 기반을 마련하다  - 한·베트남 간 제조혁신 교류협력을 위한 간담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2월 3일(월) ‘베트남 VKIST 교류협력 간담회’를 개최했다. ◦ 이번 간담회는 베트남 대사관과 베트남 과학기술연구원(이하 VKIST)을 비롯해 베트남 기업 Xuan Cau Holdings, IGD 등 총 8인으로 구성된 베트남 대표단을 초청하여 스마트공장 ODA 사업과 양국 교류 증진 및 상호협력을 논의했다. ◦ 안광현 단장은 이번 간담회에서 통해 “그간의 한국 디지털전환 정부 지원 정책 경험과 노하우를 베트남과 공유하고 협력 기반을 마련하여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환영사를 전했다. □ 베트남의 디지털전환 성공적 수행 지원을 위해 한국의 스마트 제조혁신 정책을 소개하고 한·베트남 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 간담회는 ▲ 베트남 스마트공장 ODA 사업 추진현황 ▲ 국내 스마트공장 적용 및 성과 사례 ▲ 한국-베트남 간 스마트제조 분야 협력방안 논의 순서로 진행됐다. □ 그간 추진단은 VKIST와 협의하여 스마트공장 ODA 사업의 지원모델 중 하나인 베트남 데모실증센터 구축을 VKIST 부지를 활용하여 추진하기로 합의했으며, ◦ 올해 베트남 스마트공장 ODA 사업의 세부계획 수립을 구체화하고 이번 간담회를 통해 베트남 데모실증센터 구축을 위한 의사결정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아울러 추진단은 ODA 사업을 위한 현지실사단을 구성하여 2월 말 베트남 방문을 통해 관계기관(베트남 MOST, SATI, 대사관 등) 협의, 현지 조사(기술 및 인프라), 사업설명회(수요발굴)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 추진단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베트남 스마트공장 ODA 사업과 후속 협력 활동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126","atchfileNm":"250204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VKIST,_베트남_스마트공장_ODA_사업_협업_기반을_마련하다.pdf","viewCnt":"23","regDate":"2025-02-04 09:35:24"},{"contentId":"159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김영신 원장, 설 명절 맞아 중소기업에 ‘청렴 서한문’ 발송","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71","contentsKor":"기정원 김영신 원장, 설 명절 맞아 중소기업에 ‘청렴 서한문’ 발송  - 농축수산물 소비 장려 및 선물 신고센터 운영 등 ‘청렴한 명절 보내기’ 캠페인 진행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기정원)은 1월 21일(화), 설 명절을 맞아 지원 중소기업 등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원장 명의의 ‘청렴 서한문’을 일제히 발송하고, ‘청렴한 명절 보내기 운동’ 전개를 통해 공직윤리 실천을 공고히 할 것을 밝혔다. □ 기정원이 추진하는 ‘청렴한 명절 보내기 운동’은 최근 경제심리 위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축어업인들을 위한 우리 농축수산물 소비를 장려하는 운동으로,◦ 동시에 ‘청탁금지법’ 및 ‘임직원 행동강령’을 준수하며 이를 위반하는 경우 신고할 수 있도록 설 명절 동안 ‘선물 신고센터 운영’을 한다는 내용의 기정원 청렴 캠페인이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청렴 서한을 통해 “청렴 실천 의지가 충실히 실현될 수 있도록 지원 기업들의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며◦ “공정하고 투명한 기정원이 되고자 노력하겠다”고 청렴 의지를 강조했다. □ 한편, 기정원은 지난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으로는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지난해 12월에는 사후심사를 통해 동 인증 갱신을 승인받는 등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103","atchfileNm":"250122_보도자료_기정원_김영신_원장,_설_명절_맞아_중소기업에_청렴_서한문_발송.pdf","viewCnt":"76","regDate":"2025-01-22 10:16:22"},{"contentId":"159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하나은행과 설 명절맞이 행복상자 나눔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70","contentsKor":"기정원, 하나은행과 설 명절맞이 행복상자 나눔활동 나서!  - 생활필수품 및 장기 보관 물품으로 구성된 행복상자 200개, 세종시사회복지협의회에 전달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기정원) 김영신 원장을 포함한 기정원 임직원이 을사년 새해를 맞아, 1월 21일(화) 세종 본원에서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행복상자 만들기 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활동은 하나은행 오세진 대전세종영업본부 지역대표와 임직원이 함께 하였으며, 생활필수품과 장기 보관이 가능한 식품으로 구성된 물품 꾸러미를 만드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 이날 행사에서 기정원과 하나은행 임직원은 행복상자를 조립하고, 하나은행과 함께 준비한 즉석식품, 라면, 겨울 담요 등 15종의 생활 필수품을 담아 지역 취약계층의 남은 겨울나기를 위한 행복상자 200개를 완성하였다.◦ 200개의 행복상자는 설 명절을 맞이하여 지역사회 취약계층을 위한 좋은 이웃들, 푸드뱅크사업 등을 운영하는 세종시사회복지협의회에 전달되었으며, 세종시 곳곳 이웃들에게 나눠질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중소기업을 뒷받침하는 R&D 전문기관으로 성장하며,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공공기관의 역할을 잊지 않고 실천하는 한 해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소감을 전했다. □ 한편, 하나은행은 작년 기정원과 함께한 ESG 활동 이후 지속적인 상생가치 실현을 위해 이번 2025년 새해에도 기정원과 나눔 활동을 함께 하며,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금융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100","atchfileNm":"250121_보도자료_기정원,_하나은행과_설_명절맞이_행복상자_나눔활동_나서!.pdf","viewCnt":"89","regDate":"2025-01-21 14:21:58"},{"contentId":"159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김영신 기정원장, 국립대전현충원 참배... “중소벤처기업 혁신 지원에 총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50","contentsKor":"김영신 기정원장, 국립대전현충원 참배...“중소벤처기업 혁신 지원에 총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 및 간부진, 국립대전현충원 참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기정원)은 1월 6일(월) 김영신 원장을 비롯한 간부진들과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순국선열과 호국 영령의 넋을 기리기 위해 참배했다.◦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유일한 R&D 전문기관으로 중소벤처기업의 R&D, 디지털전환, 지역기업육성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진흥기관이다. □ 김영신 원장은 간부진들과 함께 참배한 이후“대내외 불안정성에 대응하기 위해서 더욱 적극적이고 신속한 재정 지원으로 중소벤처기업의 혁신 성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 기정원은 올해 중소벤처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R&D 분야 1조 4,722억원, 비 R&D 분야 3,328억원을 지원하는 등 혁신・네트워크 기술개발 및 제조현장 디지털화 지원에 총력을 다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070","atchfileNm":"250106_보도자료_김영신_기정원장,_국립대전현충원_참배...중소벤처기업_혁신_지원에_총력.pdf","viewCnt":"184","regDate":"2025-01-06 14:07:24"},{"contentId":"159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백년가게와 함께 사랑의 따뜻한 한끼나눔 행사 진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25","contentsKor":"TIPA, 백년가게와 함께 사랑의 따뜻한 한끼나눔 행사 진행  - 중소벤처기업부 동행축제와 연계, 세종시 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해 취약계층에 백년가게 식사권 기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12월 20일(금) 세종시 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해 ‘사랑의 따뜻한 한끼나눔’ 행사를 전개했다고 밝혔다.◦ 사랑의 따뜻한 한끼나눔 행사는 지역의 백년가게 및 착한가게의 식사권을 취약계층에게 기부하는 행사로,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진행하는 12월 동행축제와 연계해 추진된다. □ 이번 행사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TIPA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TIPA는 동행축제 기간동안 임직원과 함께 헌혈 활동을 진행하고, 취약계층이 동절기를 잘 보낼 수 있도록 우수 중소기업 동행제품 (찜질팩, 삼계탕 등)을 기부하는 등 꾸준한 온기 나눔을 실천했다. □ 김영신 원장은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과 연계된 다양한 ESG 실천활동을 지속하겠다”며◦ “이러한 TIPA의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따뜻한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014","atchfileNm":"241220_보도자료_TIPA,_백년가게와_함께_사랑의_따뜻한_한끼나눔_행사_진행.pdf","viewCnt":"232","regDate":"2024-12-20 14:27:14"},{"contentId":"159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5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승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24","contentsKor":"TIPA, 5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승인  - 지역상생활동과 중소기업 제품 기부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 인정받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공동 시행하는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으로 5년 연속 승인 받았다고 19일 밝혔다.◦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는 꾸준히 지역사회 공헌활동을 펼친 기관의 공로를 인정하는 제도이다. □ TIPA는 지역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우수 중소기업 제품을 기부하고, TIPA 임직원과 방문객이 모은 병뚜껑으로 자원순환제품을 만들어 기부하는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TIPA는 최근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진행하는 12월 동행축제와 연계하여 임직원 헌혈 및 동절기 겨울나기 제품 기부 등의 활동도 추진했다. □ 김영신 원장은 “그동안 기관에서 진행한 사회공헌활동으로 5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승인이라는 결과를 받아 뿌듯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ESG 활동을 진행하여 지역과 상생하는 TIPA가 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012","atchfileNm":"241219_보도자료_TIPA,_5년_연속_지역사회공헌_인정기관_승인.pdf","viewCnt":"210","regDate":"2024-12-20 14:24:27"},{"contentId":"158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7년 유지 성과 달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95","contentsKor":"TIPA,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7년 유지 성과 달성!  - 국내 R&D 전문기관 최초 인증 이후 7년 연속 인증 유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국내 R&D 전문기관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국제표준 인증 획득(‘17.12.26) 이후 2024년 12월 인증 심사를 통해 7년 연속 ISO 37001 인증을 유지하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 ISO 37001은 세계 162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표준으로, 2016년 10월에 조직 내 부패 발생 가능성을 시스템으로 방지하기 위해 제정되었고, 국내에서는 2017년 4월부터 인증제도가 시행됐다.◦ 또한, ISO 37001은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부패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조직의 방침, 절차 및 관리에 의한 실행으로 명시함으로써 조직이 부패와 관련된 조치를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 ISO 37001 인증의 지속 유지는 TIPA가 중소기업 R&D 지원의 기획, 평가, 사업지원 등 평가관리 체계와 기관의 공공서비스 전반이 부패방지경영에 관한 국제표준에 맞게 수행되고 있음을 대외적으로 확인받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이번 ISO 37001 인증 지속 유지를 기반으로 청렴하고 투명한 중소기업 지원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와 청렴문화 확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75","atchfileNm":"241218_보도자료_TIPA,_RD_전문기관_최초_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_37001_인증_7년_유지_성과_달성.pdf","viewCnt":"219","regDate":"2024-12-18 09:43:54"},{"contentId":"158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국-페루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의 장을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89","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국-페루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의 장을 마련하다  - 한·페루 간 제조혁신 교류협력을 위한 세미나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12월 10일(화) ‘한국-페루 제조혁신 교류협력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페루 생산부를 비롯해 총리실,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Peru 관계자 및 차차포야스도 도지사, 리마시 산 루이스 구청장 등 8인으로 구성된 페루 정부대표단이 UNDP 서울정책센터의 초청으로 방한하면서 주요 일정 중 하나로 열렸다.◦ 안광현 단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그 간의 한국 디지털전환 정부지원 정책 경험과 노하우를 페루와 공유하고 협력기반을 마련하여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환영사를 전했다. < 한-페루 제조혁신 교류협력 세미나 개요 > (일시/장소) ‘24. 12. 10.(화) 15:00~17:00, 신성이엔지 대회의실 및 공장 (참석자) 페루 생산부 및 지자체, 중기부, 추진단 등 23인 내외 (주요내용) ①한국 지원정책 소개 및 양국 간 교류협력 논의, ②스마트공장 현장 시찰 □ 추진단은 페루의 디지털전환 성공적 수행 지원을 위해 한국의 스마트 제조혁신 정책을 소개하고 한·페루 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협력방안 주요주제는 ▲ 스마트공장 ODA 사업 ▲ 국제협력포럼 ▲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기술교류회에 대한 내용을 다뤘다.◦ 이어서, 디지털 전환으로 모범사례를 창출한 스마트공장(신성이엔지, 용인)의 공장을 시찰하여 한국기업의 제조환경 및 스마트화 수준을 소개했다.□ 추진단은 그간 페루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4년 APEC 장관회의(의장국 : 페루)에 참석하고 페루국립공과대학교(UNI)와 MOU를 체결하여기술세미나 및 포럼을 추진하는 등 협력 활동을 진행했으며, ◦ 이번 세미나를 통해 이러한 협력 활동을 후속적으로 더욱 활성화 할 수 있는 계기로 마련하고자 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63","atchfileNm":"241211_보도자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한국-페루_스마트_제조혁신_교류협력의_장을_마련하다.pdf","viewCnt":"287","regDate":"2024-12-11 10:09:21"},{"contentId":"158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사랑의 헌혈단’ 캠페인 진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57","contentsKor":"TIPA, ‘사랑의 헌혈단’ 캠페인 진행  - 동행축제 기간동안 헌혈 참여 및 기부 활동을 통해 온기 나눠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12월 6일(금) 세종 본원에서 창업진흥원,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사랑의 헌혈단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사랑의 헌혈단 캠페인은 임직원들이 자발적으로 헌혈에 참여하고 헌혈증을 기부하는 대표적인 사회공헌 행사로서, 매년 전 직원이 생명나눔 실천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 특히 동절기에는 휴가, 방학 등의 이유로 안정적인 혈액 공급이 더 어렵기 때문에, 헌혈자 수 감소를 고려하여 매년 겨울에 헌혈 행사를 추진하고 있다. □ 이번 행사는 2024년 동행축제에 맞춰 온 국민과 온기를 나누기 위해 TIPA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TIPA는 동행축제 기간동안 우수 중소기업 제품을 활용한 기부, 백년가게와 상생하는 기부 등의 활동을 통해 온기 나눔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임직원들의 헌혈 참여를 통해 혈액 부족 해결 및 수급 안정화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 “TIPA 임직원의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따뜻한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66","atchfileNm":"241206_보도자료_TIPA,_‘사랑의_헌혈단’_캠페인_진행.pdf","viewCnt":"195","regDate":"2024-12-06 09:00:02"},{"contentId":"158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관계기관 워크숍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53","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관계기관 워크숍 개최  -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 방안」공유 등 ‘25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관계기관 워크숍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12월 5~6일 이틀간 경기도 광주 곤지암 리조트에서 스마트제조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실무자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스마트제조 관련 기관 간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실무자의 업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됐다. < 스마트제조혁신 관계기관 실무 워크숍 개요 >  (장소·일시) 곤지암 리조트, ‘24.12.5(목)~12.6(금) (참석자) 중기부, 추진단, 전국 TP, 지자체, 유관기관 등 (주요내용) 주제 특강, 우수사례 발표, 정책 공유 등① (특강) 스마트제조혁신 성과 및 주요전략, LG생산기술연구원 제조혁신사례② (우수사례 발표) 제조AI센터 구축 및 지역제조혁신센터 우수사례③ (정책 공유) ‘25년 스마트제조혁신 추진방향④ (소통) 애로 및 건의사항 □ 행사는 제조혁신유공자 포상을 시작으로 전문가 특강, 우수사례 발표 세션이 차례로 진행됐다. ◦ 첫 번째 세션인 전문가 특강은 안광현 단장이 ‘新디지털 제조혁신 추진전략’ 및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 방안‘ 등 정부의 스마트제조혁신 주요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서 LG전자 생산기술원의 송시용 상무가 대기업의 제조혁신 사례를 설명했다.◦ 두 번째 세션으로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과 경북 및 전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의 우수사례 발표가 진행되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송병훈 센터장은 지역특화 제조AI 센터 사례 및 제조업의 AI기반 고도화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이어서, 경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송정훈 센터장은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공장 우수 지원사례와 ODA 사업을 발표했다. 전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장승규 센터장은 기초단계 기업 사후조사,기술혁신협의회 운영 등 센터 중점 추진 사업에 대해 발표했다. □ 마지막으로 중기부는 ‘25년 스마트제조혁신 추진방향을 공유하고 애로 및 건의사항 등을 청취·수렴하는 발전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25년도에는 대·내외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중소상생형, 부처 협업형 및 탄소중립형 공장 등 고도화된 스마트공장 구축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기술 공급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클라우드 종합 솔루션과 공급기업 역량진단 사업을 확대하고,◦ 국가 표준정책 연구와 제조데이터 표준화 분야는 올해 대비 100% 이상 지원을 늘려 표준 기반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촉진하고 스마트 제조 생태계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 중기부 김우중 국장은 이번 워크숍에서 “내년에는 고도화 및 표준 기반의 스마트공장과 기술 공급기업의 전략적 육성에 중점을 둘 것”이며,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함께하는 디지털 전환 정책 추진을 위해 관계기관의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20","atchfileNm":"241205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_관계기관_워크숍_개최.pdf","viewCnt":"236","regDate":"2024-12-05 15:26:08"},{"contentId":"158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KBSI 연구 협력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49","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KBSI 연구 협력을 위한 MOU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사업추진단)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양성광, 이하 KBSI)과 12월 4일 (수) KBSI에서 글로벌 의약바이오 스타트업 육성과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 협력 MOU를 체결했다. □ 이번 협약은 의약바이오 분야 창업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후보 물질 발굴에서 사업화까지 아우르는 특화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신약 개발8대 분야에서 연구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주요 협약 내용은 ▲연구장비 공동활용을 통한 연구자 및 기업 지원 확대 ▲연구장비 분석서비스 경험 공유 및 상호 교류 ▲창업기업의 기술 개발과 사업화 지원 협력을 위한 데이터 교류 및 공동연구를 위한 신약 개발 가속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 이번 협약으로 KBSI의 최첨단 연구인프라와 전문성을 활용하여 K-바이오랩허브의 혁신 창업기업 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바이오 창업기업의 기술 혁신과 글로벌 시장 진출이 더욱 촉진될 것으로 기대되며, 양 기관의 협력이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새로운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 한인석 단장은 “이번 협약은 국내 바이오 창업기업들이 글로벌 무대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KBSI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의약바이오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KBSI 양성광 원장은 “KBSI의 세계적 수준의 연구인프라와 기술력, 오랜기간 쌓아온 기업 지원의 경험을 바탕으로 K-바이오랩허브와 협력을 통해 의약바이오 신약 개발 등 창업기업의 기술 혁신과 글보벌 시장 진출을 위하여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10","atchfileNm":"241204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_KBSI_연구_협력을_위한_MOU_체결.pdf","viewCnt":"154","regDate":"2024-12-04 13:26:31"},{"contentId":"158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네트워킹데이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48","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네트워킹데이 성료  - 의약·바이오 분야 스타트업 및 관계기관 다수 참여한 소통의 장 마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사업추진단)은 12월 3일(화), 서울 왕십리 디노체컨벤션웨딩홀에서 「K-바이오랩허브 Networking Day」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의 ‘25년 시범사업 추진을 앞두고, 의약·바이오 스타트업과 관계기관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발전과 협업을 위한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위해 추진됐다.◦ 또한, 한국머크(Merck),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를 비롯하여 90여 개, 150여 명의 스타트업과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등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상호 간 네트워킹, 사업 안내를 통한 의약·바이오 스타트업 중심의 역동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자 진행됐다. □ 사업추진단은 지난 11월 28일(목), 인천 송도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K-바이오랩허브 송도 Networking Day」를 공동 개최하는 등 본 행사의 정례화를 통한 지속적인 협력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인석 단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여러 방면의 협력 기회가 확대된만큼, 앞으로도 K-바이오랩허브가 의약·바이오 분야의 발전을 위한 자리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머크사 김용석 대표는 “K-바이오랩허브와 함께 한국 바이오기업의 성장을 공동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KIMCo 허경화 대표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K-바이오랩허브가 2025년 시범사업을 통해 선발할 바이오벤처사가 국내 제약회사와 공동으로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오픈이노베이션을 구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07","atchfileNm":"241204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네트워킹데이_성료.pdf","viewCnt":"137","regDate":"2024-12-04 10:07:50"},{"contentId":"158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데이터 품질인증 우수 등급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47","contentsKor":"TIPA, 공공데이터 품질인증 우수 등급 획득  - 데이터베이스 품질개선을 통한 양질의 공공데이터 제공 노력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지난 11월 28일(목)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서울 반포동)에서 개최한 「2024년 공공데이터 품질인증 수여식」에서 “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공공데이터 품질인증’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역량 강화 노력, 데이터 오류율, 데이터 개방 활성화 노력 등 13개 항목 심사에서 일정한 기준을 충족한 기관에게 행정안전부가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로 ‘2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 총 679개 공공기관 중 63개 기관이 공공데이터 품질인증을 신청했고, TIPA는 데이터 품질관리 노력을 인정받아 ’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TIPA는 예방적 품질관리 수행, 데이터 표준 적용률 95% 이상, 데이터구조 현행화율 90% 이상, 품질진단 규칙 20개 설정 및 적용, 데이터 오류 0.001% 미만 등 품질개선을 통한 양질의 공공데이터 제공을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 TIPA 사업기반본부 정선욱 본부장은 “국민이 신뢰하고 국민의수요에 부합하는 공공데이터 제공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공공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기관이 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04","atchfileNm":"241203_보도자료_TIPA,_공공데이터_품질인증_우수_등급_획득.pdf","viewCnt":"97","regDate":"2024-12-03 09:37:32"},{"contentId":"158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제2회 한국공공브랜드 최우수상′수상 영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43","contentsKor":"기정원, ‵제2회 한국공공브랜드 최우수상′수상 영예   - 한국공공브랜드진흥원 주관,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분야 공공기관/국가도시지역브랜드 부문 ‘최우수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기정원)은 11월 29일(금) 서울 잠실 광고문화회관에서 개최된‘제2회 한국공공브랜드 대상’시상식에서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분야 공공기관/국가도시지역브랜드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한국공공브랜드 대상은 한국공공브랜드진흥원이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공모전으로, 공공의 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공공브랜드를 개발, 집행, 관리하는 정부 및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 수여하고 있다. □ 기정원은 ‘향기로운 기적, 향기’라는 웹드라마를 제작하여, 주인공이 가족의 사랑과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삶의 역경을 극복하는 이야기를 그려냈다.◦ 해당 영상은 잠재고객들에게 중소기업 R&D사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TIPA의 역할과 가치를 알기 쉽게 감동적으로 전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영상은 TIPA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기정원은 인플루언서와 협업한 웹예능, 우수성과 기업을 홍보하는 똑톡TIPA, 뉴스레터, 국민참여기자단 등 다양한 홍보 콘텐츠를 통해 기관 브랜드 제고와 우수성과 확산을 꾀하였다. □ 기정원 김영신 원장은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아 기쁘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에게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지원 사업들을 다채롭고 쉽게 전달하기 위해 대국민 소통 채널 확대에 힘쓰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99","atchfileNm":"241129_보도자료_기정원,_‵제2회_한국공공브랜드_최우수상′수상_영예.hwp","viewCnt":"134","regDate":"2024-12-02 13:40:03"},{"contentId":"158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38","contentsKor":"TIPA,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  - 지속적인 지역사회공헌 인정 및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11월 27일(수) 서울 드레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2024년 지역사회공헌 인정의 날’ 행사에서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보건복지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는 지역사회의 비영리단체와 협업을 통해 꾸준하게 지역 사회활동을 펼친 기관을 발굴해 그 공로를 인정해주는 제도로, TIPA는 지역사회에 기여 공로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장관상을 수상했다. □ TIPA는 ESG경영을 기반으로한 지역과의 상생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5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을 받기도 했다.◦ 특히, TIPA는 지역의 취약계층 지원을 통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데 앞장섰으며, 우수 중소기업 제품을 활용한 기부활동 등 기관의 고유한 업(業)과 연계한 사회공헌활동을 진행했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수상을 통해 앞으로도 지역과 상생하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TIPA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노력하겠다”며 소감을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89","atchfileNm":"241128_보도자료_TIPA,_‘지역사회공헌_인정제’_보건복지부장관상_수상.pdf","viewCnt":"106","regDate":"2024-11-28 10:50:50"},{"contentId":"158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기술협력 페어 행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37","contentsKor":"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기술협력 페어 행사 개최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R&D)사업을 통한 상생협력 우수성과 공유· 확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과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사무총장 김영환, 이하 상생협력재단)은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R&D)사업을 통한 대·중소기업 간 기술협력 활성화 및 성과 공유·확산을 위해 27일 서울 양재aT센터에서 ‘2024 대·중소기업 상생 기술협력 페어’ 행사를 공동 개최했다.◦ 2022년부터 시작하여 올해 세 번째인 본 행사는 ‘함께하는 기술, 함께가는 미래’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대·중견·중소기업 등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우수사례 발표와 대·중소기업 1:1 연계(매칭)를 통한 구매상담회, 대기업에서 관심갖고 있는 협력 기술 개발 아이템에 대한 설명회 등으로 진행됐다. □ 투자기업 인천국제공항공사, 중소기업 울트라브이는 기술협력으로 우수한 성과를 달성한 공적을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여받은 10개 기업 중 대표로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두 기업은 우수사례 발표를 통해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을 위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R&D)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또한 상생기술 매칭 상담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협력 방안에 대한 밀착 상담을 통해 신규 협력사를 발굴하고 새로운 수요처를 확보하는 등 신규 동반관계(파트너십)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만남의 장으로 진행됐다.◦ 먼저 상생기술 구매 상담에서는 대기업, 중견기업 및 공공기관 35개 사와 중소기업 100여 개 사가 심도 있는 1:1 개별상담을 통해 중소기업 제품의 구매 및 기술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이어서 진행된 ‘대·중소기업 만남의 장’에서는 대한항공, 현대중공업 등 대기업 8개 사가 내년(2025년) 중소기업과 협력을 희망하는 기술개발 아이템에 대해 설명하고, 관심있는 중소기업과 네트워킹을 진행하면서 많은 호응을 얻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R&D사업본부 김현중 본부장은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대·중견·중소기업간 수요에 기반한 기술개발을 통해 동반성장이 가능한 R&D사업”이라면서,◦ “동 사업을 통해 기술개발 역량이 우수한 중소기업이 대기업 등과 파트너십을 통해 미래성장동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부, 상생협력재단과 함께 지원해나가겠다 ”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86","atchfileNm":"241127_보도자료_대·중소기업_상생을_위한_기술협력_페어_행사_개최.pdf","viewCnt":"142","regDate":"2024-11-27 17:55:21"},{"contentId":"158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기술마켓 공공기관-혁신조달기업 매칭데이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35","contentsKor":"TIPA, 중소기업기술마켓 공공기관-혁신조달기업 매칭데이 성료  - 33개 공공기관과 혁신제품 지정기업 등 120개 사가 참가하는 구매 상담회, 우수제품 전시·홍보 등 혁신제품의 공공시장 진출 도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중소벤처기업부 혁신제품 지정기업의 공공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기술마켓 공공기관-혁신제품 매칭데이’를 11월 26일(화) 서울 양재 aT센터 제2전시장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TIPA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기술개발·제조혁신 수행 전문기관으로 중소기업 연구개발(R&D) 결과물의 사업화 성과 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특히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기술개발 중소기업의 공공시장 초기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중소기업기술마켓 참여 공공기관과 연구개발에 성공한 중소기업의 만남의 장인 ‘매칭데이’ 행사는 2021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금년도에는 33개 공공기관과 120여 개사의 중소기업이 적극 참여하여 1:1 구매상담이 이루어졌고, 43개 사의 우수제품 전시·홍보와 16개 사의 혁신제품 피칭이 진행되어 참가자의 이목을 끌었다. □ 사업기반본부 정선욱 본부장은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사업화 성과 창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이번 행사가 우수한 혁신제품을 보유한 중소기업이 공공 조달시장에 진출하고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81","atchfileNm":"241126_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기술마켓_공공기관-혁신조달기업_매칭데이_성료.pdf","viewCnt":"133","regDate":"2024-11-26 14:19:39"},{"contentId":"158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공유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33","contentsKor":"TIPA,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공유회 개최  -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50선’ 포상, 전담은행-우수기업 협약식, 우수성과 사례발표, 혁신제품 전시 등 중소기업 R&D 성과 공유·확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11월 25일(월) aT센터(서울 양재동)에서 「2024년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공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선정기업을 격려하고, 우수성과를 대내외에 알리기 위한 성과공유의 장으로서, ‘23년 행사를 시작으로 올해 두 번째를 맞이했다.□ 올해 선정된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기업 포상에는 중소벤처기업부 김우순 기술혁신정책관이 참석해, 우수성과 50선 선정기업과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유공 기업·개인에게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여했다.◦ 또한, 중소기업 R&D 전담은행인 기업은행·하나은행이 투자를 확정한 올해의 대표 투자 유치기업과의 업무협약식도 진행했다. □ 업무협약식에는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인 TIPA, 중소기업 R&D 전담은행인 기업은행·하나은행, 올해의 대표 투자 유치 기업인 ㈜바질컴퍼니, ㈜인피닉이 함께 앞으로 중소기업 경쟁력 및 금융지원 강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TIPA 김영신 원장은 “우수성과 사례발표, 혁신제품 전시 등을 통해 중소기업 R&D 창출성과를 공유함으로써,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와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73","atchfileNm":"241125_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_RD_우수성과_공유회_개최.pdf","viewCnt":"211","regDate":"2024-11-26 09:10:32"},{"contentId":"158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산·학 협력 네트워킹 자리 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32","contentsKor":"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산·학 협력 네트워킹 자리 마련  - 스마트제조 분야 최신 연구·기술 동향 공유 및 공급기업-학생 간 인적 교류 기회 제공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가천대학교(총장 이길여, 이하 가천대)와 함께 22일(금) 가천대학교 AI공학관에서 『스마트팩토리 네트워킹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본 행사는 스마트제조산업의 최신 연구와 기술 정보를 공유하고, 학생들과 산업계 전문가 간 교류를 통해 산·학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고자 기획됐다. □ 본 행사에 가천대 학생들과 한국자율제조플랫폼협회(KAMPA) 회원사, 산업 관계자 등 약 150여 명이 참석했으며, 특히 학생들은 기업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인턴십 참여 의사를 밝히는 등 산업계 진출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는 지속 가능한 제조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난 10월에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 방안』을 발표하며, 지능형 제조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궁극적으로 중소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는 미래 방향을 제시했다.◦ 이에 본 세미나에서는 가천대 스마트팩토리학과 교수와 학부 연구생들이 주도적으로 수행한 연구 성과들을 선보였으며,◦ 산업계 전문가들은 각 기업에서 보유한 기술과 스마트공장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스마트제조산업 주요 제품·서비스 4대 분류*를 대표할 수 있는 최신 기술들을 소개했다.* ①자동화기기, ②연결화기기, ③정보화솔루션, ④지능화서비스 □ 또한 산·학 인적 네트워킹을 위한 취업 상담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술 공급기업과 우수 인재 간의 연결을 주선하며, 스마트제조 분야의 산·학 협력 네트워킹 초석을 마련했다.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본 세미나를 시작으로 전국의 스마트제조 관련 학과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적이고 확장 가능한 네트워크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향후 비전을 제시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69","atchfileNm":"241122_보도자료_추진단,_스마트제조혁신_생태계_고도화를_위한_산·학_협력_네트워킹_자리_마련.pdf","viewCnt":"144","regDate":"2024-11-25 11:16:25"},{"contentId":"158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2024 한-덴 의약바이오 & CMC 혁신 기술포럼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29","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2024 한-덴 의약바이오 & CMC 혁신 기술포럼 성료  - 전문가 포럼 발표 및 토론을 통한 양국의 협력 방안 제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덴마크 바이오협회(사무총장 요르겐 올슨, 이하 Dansk Bio),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대표 허경화, 이하 KIMCo)과 공동 주관으로 20일(수)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 한-덴 의약바이오 & CMC 혁신 기술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과 덴마크 양국의 협력을 통해 CMC 분야 기술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양국 기업 간 글로벌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컨퍼런스 형식 회의로 진행되었다. □ ‘제약바이오 혁신 및 의약품 개발·제조를 위한 글로벌 협력 CMC(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양국의 CMC 전문가, 바이오 기업 대표 및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본 행사는 각 주관사 대표와 주한 덴마크대사 대리의 환영 인사로 이어졌다. 기조연설자로 주한 덴마크대사관 이노베이션 센터(ICDK) 디테 바이스(Ditte Rønde Veise) 센터장이 ‘덴마크 바이오텍 생태계와 글로벌 협력’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 이어 양국의 전문가 포럼발표에서는 덴마크 전문가대표로 요르겐 올슨(Jørgen Godt Olsen), Dansk Bio 사무총장 겸 NCK A/S 부회장의 ‘합성의약품에서 아웃소싱의 비결’, 프레드릭 레만(Fredrik Lehmann), Sound Bioventures EIR의 ‘바이오제약 부문의 초기 투자 준비 방법’, 바비 소니(Bobby Soni), BioInnovation Institute(BII) CIO의 ‘덴마크 바이오텍의 투자 혁신‘, 헨릭 블로우(Henrik Blou), Gubra CEO의 ’전임상 설계의 중요성‘ 등의 주제 강연이 이어졌다.◦ 또한 한국 전문가대표로는 김종훈, 앱클론 CTO 겸 부회장의 ’품질과 규정 준수를 위한 자동화 제조 방법을 활용한 CAR-T 치료제 개발‘, 황유경 CTX 대표의 ’Off-The Shelf Product : CAR-NK 개발 시 고려사항‘ 주제 강연이 이어졌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한국과 덴마크 기업 간 CMC와 바이오제약의 글로벌 협력 가능성’에 대한 패널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됐다. 양국의 CMC 전문가, 바이오제약 리더, 규제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하여,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CMC 문제 해결 및 새로운 기회 창출 방안’을 주제로 노하우와 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 추진단 한인석 단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CMC 관련 최신 동향 공유 및 토론을 통해 다양한 전략들을 마련하고, 이번 협력을 통해 양국의 의약바이오 기업 간 긴밀한 협업 촉진 및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KIMCo 허경화 대표는 “덴마크는 글로벌 신약개발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파트너 국가인만큼 향후 양국 기업 간 CMC는 물론 신약 연구개발, 투자 등 다각적 분야로 실질적인 파트너십 기회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62","atchfileNm":"241121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2024_한-덴_의약바이오_CMC_혁신_기술포럼_성료.pdf","viewCnt":"188","regDate":"2024-11-21 09:07:29"},{"contentId":"158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육·공군과 중소기업 간 협력을 위한 ‘기술교류회’ 성황리에 마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28","contentsKor":"TIPA, 육·공군과 중소기업 간 협력을 위한 ‘기술교류회’성황리에 마쳐  - 中企-육·공군 간 수요기술 세미나·기술매칭・네트워킹 등 협력의 場마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이 11월 15일(금) 서울 AI허브에서 개최한 ‘민·군 협력 R&D 기술교류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TIPA는 중소기업의 국방분야 진출과 국군의 민간 신기술 적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행사를 마련했으며, 민·군 협력을 강화하고 상호 간의 이해를 위한 수요기술 세미나, 기술 매칭상담 등이 진행되었다.◦ 육군(본부, 교육사령부, 군수사령부 등)과 공군(본부, 군수사령부 등) 및 150여 개의 중소기업 등 300여 명이 참여하여 위상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는 K-국방과 민·군 협력에 대한 관심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 이번 행사 환영사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박성호 실장)은 국방기술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민·군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공군본부(장재만 대령)는 “다양한 군의 수요를 함께 해결해 나갈 중소기업을 만날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되어 기쁘고 민·군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한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172개 중소기업과 육·공군 간 1:1 매칭상담을 진행했으며, 21개 육·공군의 기술수요 세미나를 통해 민·군 기술협력의 방향을 정립하고 상호 간 수요와 공급 기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59","atchfileNm":"241119_TIPA,_육·공군과_중소기업_간_협력을_위한_‘기술교류회’성황리에_마쳐.pdf","viewCnt":"113","regDate":"2024-11-20 10:48:49"},{"contentId":"158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국내 스마트 제조업의 미래를 조명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25","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국내 스마트 제조업의 미래를 조명하다!  - 스마트공장지원사업 우수사례 성과공유 및 시상식 개최 -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11월 15일(금)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2024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우수사례 성과공유 및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ㅇ 이번 행사는 2023년까지 구축 완료된 스마트공장 지원과제 중에 우수사례를 포상하고 홍보함으로써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성과를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성과공유 및 시상식은 '2024 중소기업 기술경영 혁신대전'의 부대행사로 개최되었으며, 중소벤처기업부, 추진단, 우수사례 선정기업, 스마트제조혁신전문가, 유관기관 및 일반참가자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ㅇ 이번 행사는 우수사례 참여기업 및 스마트제조혁신전문가 시상, 사례발표, 정책강연, 네트워킹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스마트공장 구축 관련 최신 기술과 사례, 정부의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에 대해 심도 있는 정보를 접할 수 있다.ㅇ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스마트공장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기업들의 사례발표로, 금년 선정된 기업들의 데이터 관리, 인공지능(AI) 기술 활용, 스마트 자동화 설비를 이용한 제조공정 혁신 등 다양한 사례 발표가 세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있다. 2024년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1 : 중소기업형 AI 가상공장 구축 ㈜태정기공은 자동차 핵심부품 제조 기업으로, 다양한 제조 설비를 보유함. 이로 인해 설비 데이터의 통합·수집·관리에 어려움을 겪어왔음.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인 주식회사 디엠테크컨설팅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을 구축.구축 결과, 부품제조 공정에 AI기반 생산관리 체계를 도입하고, 제품 검사설비에 품질예측 AI모델을 적용하여 생산량이 36.3% 증가하고, 불량률이 약 91% 감소하는 공정개선성과 창출. 2024년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2 : 반도체 부품 공장의 스마트 제조 혁신 ㈜에스와이텍은 반도체 부품제조 기업으로, 2020년 반도체 부품 시장 호황과 대폭 증가한 수요를 소화하고 제조 효율성·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추진하였음. 이 과정에서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인 ㈜더모모스와 협력하여 최신 데이터 관리 시스템과 자동화 설비를 도입. 구축 결과, 시간당 생산량이 약 40% 증가하고, 불량률은 80% 감소하여 수주 출하 리드타임이 기존 7일에서 약 5일로 감소하는 등의 안정적인 생산관리 체계를 갖추게됨. 또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FEMS)을 구축해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하여, ESG 경영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둠. 2024년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3 : 뿌리산업 클러스터의 디지털 전환㈜미보는 자동차 A/S 부품 도장 및 포장을 전문기업으로, 기존 수작업 중심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의 개선과 뿌리산업 클러스터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인 ㈜유플렉스소프트와 스마트공장 디지털클러스터 고도화 사업을 수행.구축 결과, MES 시스템 고도화와 전착도장공정·포장공정 설비 자동화를 통해 제품 생산량이 시간당 550개에서 1,303개로 약 136.9% 증가하였고, 불량률은 92.3% 감소하는 등 유의미한 성과 달성.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 성과공유를 통해 참여기업들의 성과를 널리 알리고, 다른 기업들과의 정보교환과 네트워킹을 통해 추가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ㅇ “추진단은 스마트공장 보급을 통해 중소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고, 스마트공장 도입기업들의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시장에서의경쟁력 확보를 위해 후속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50","atchfileNm":"241115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국내_스마트_제조업의_미래를_조명하다!.pdf","viewCnt":"526","regDate":"2024-11-15 15:24:44"},{"contentId":"158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R&D 과제수행 지원을 위한 기업 맞춤형 교육 및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23","contentsKor":"TIPA, 중소기업R&D 과제수행 지원을 위한 기업 맞춤형 교육 및 설명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수행기업 대상 맞춤형 프로그램 진행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11월 14일(목)~15(금) 대전 KT 인재개발원에서 2024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과제수행 관련 교육 및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하반기 394개 선정과제 수행기관(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통해 Scale-Up 할 수 있도록 수출지향형‧시장확대형‧시장대응형 형태의 혁신역량 단계별로 기업주도형 R&D를 지원한다. □ 설명회는 수행기관의 규정 및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 제고와 효율적인 과제 수행을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 및 1:1 상담부스로 구성되어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R&D 사업 수행 절차, 협약변경 등 과제수행 관련 안내, IRIS 시스템 활용법, 연구비 관리, 과제수행 시 주의사항, 사후관리(정산, 기술료 등) 절차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과제 수행 중 겪는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1:1 상담부스도 교육프로그램과 함께 지원과제 특성을 고려하여 양일간 진행된다. ◦ 또한, 설명회의 마지막 날인 15일에는 제조안전, 해외진출, 후불형 수행기관을 대상으로 각 사업별 특성을 반영한 유관기관과의 사업연계, 해외진출 전략수립 등 특화교육이 추가로 진행된다. □ 김영신 TIPA 원장은 “이번 설명회는 R&D 과제 수행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마련한 자리로, 참여한 기업들이 과제 수행에 필요한 절차와 시스템을 익히고, 궁금한 사항들을 바로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 “앞으로도 이러한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하여, 중소기업들이 연구개발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47","atchfileNm":"보도자료_이미지.png","viewCnt":"180","regDate":"2024-11-14 16:46:12"},{"contentId":"158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제2회 지역혁신대전」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16","contentsKor":"TIPA,「제2회 지역혁신대전」성료!  - 정부·지자체·중소기업이 함께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성과 공유 및 발전방향 제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 송암스포츠타운에서 11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3일간, 중소벤처기업부, 지자체, 전국 테크노파크와 지역 중소기업인 등과 함께 「제2회 지역혁신대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번 「제2회 지역혁신대전」은 ‘혁신성장, 힘차게 도약하는 지역 중소기업’이라는 슬로건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정책지원 성과를 알리고,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목적으로 진행했다. ◦ 첫날 「기념식」행사에서는 중기부, 지자체, 테크노파크, 중소기업 대표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지역 성장에 크게 기여한 유공자 46명에게 그간의 공적을 알리는 포상 수여식과 지역 우수 중소기업의 혁신제품 개발 사례발표를 통해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 또한, 「전시관」에서는 각 지역의 중소기업 혁신제품을 전시하고 체험할 수 있는 지역혁신기업관과 지역혁신생태계 구축, 글로벌화 촉진,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 인력난 해소 등 중소벤처기업부의 주요 정책을 소개하는 정책홍보관을 운영하여 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성과를 대국민에게 홍보했다. ◦ 그 외에도 「지역혁신 컨퍼런스」운영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의 투자활성화를 위한 ‘IR 피칭’, 각 지역의 혁신사례를 공유하는 ‘지역혁신 우수성과 공유회’ 그리고 지역기업 성장전략의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로컬전문가의 명사 특강’ 등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기회의 장을 제공하고, 정책성과 공유와 대안을제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지역의 성장과 지방소멸 대응의 가장 중요한 대응책은 결국 지역 중소기업의 성장에 있다”며, “계속해서 중기부, 지자체, 지역혁신기관들과 협업을 통해 지역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이뤄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34","atchfileNm":"241108_보도자료_TIPA,「제2회_지역혁신대전」성료!.pdf","viewCnt":"130","regDate":"2024-11-11 09:39:16"},{"contentId":"158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 공모전”시상식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10","contentsKor":"“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 공모전”시상식 성료 ESG·중소기업 R&D 성과확산 주제로 총 15작품 포상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세종지역 공공기관 4곳이 공동 주관한 ‘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공모전’시상식이 세종시청자미디어센터 다목적홀에서 성료됐다고 밝혔다. ◦ 이번 시상식은 시청자미디어재단이 주최하고 TIPA를 포함한 △세종경찰청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세종시청자미디어센터 등 세종지역 4개 공공기관이 공동 주관하며 세종특별자치시청과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이 후원했다. 이번 공모전은 특별주제인 △저출산 극복을위한 행복한 일터와 가정 아이디어 △ 17개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를 반영한 ESG경영 및 중소기업 R&D 성과확산 관련 2가지 주제로 작품을 모집했다. ◦ 이번 공모전은 대한민국 국민을 대상으로, 일반부와 학생부(2006년생 이하 출생자)로 나누어 지난 8월 1일부터 9월 20일 자정까지 접수를 받았다. 공모전에는 총 70작품이 접수되었으며 최우수상 3팀, 우수상6팀, 장려상 6팀으로 총 15개 팀이 수상했다. ◦ 이번 공모전 일반부 최우수상은 결혼이주여성 숲해설가의 이야기를담은 ‘무지개숲 재능나눔단’이 수상했다. 학생부 최우수상은 환경보호활동 실천 사례를 잘 담아낸 김도윤 학생이 수상했고, 저출산 극복을 위한 행복한 일터와 가정 아이디어 특별 주제의 최우수상은 박세원님이 수상했다. □ 이번 시상식에는 TIPA 정선욱 본부장을 비롯해 △이승원 세종시경제부시장 △천범산 세종시교육청부교육감 △최철호 시청자미디어재단 이사장 △한원호 세종경찰청장 △심상택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이사장 등이 참석해 우수작에 대한 포상과 격려의 시간을 가졌다. □ TIPA 정선욱 본부장은 “이번 55초 영상 공모전을 통해 실질적인 공공기관 ESG 경영 및 중소기업 R&D 성과확산 아이디어들이 다수 접수돼 향후 기관 운영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히며, “앞으로 TIPA도 ESG 경영과 대국민 소통 채널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소감을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23","atchfileNm":"241107_보도자료_오래오래_지속가능한_세상_55초_영상_공모전_시상식_성료.pdf","viewCnt":"154","regDate":"2024-11-07 19:01:01"},{"contentId":"157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글로벌 진출 돕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786","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글로벌 진출 돕는다!  -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수출입 거래 역량 향상을 위한 2024 수출입 아카데미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10월 30일(수) 서울 하나은행 을지로 본점에서 하나은행과 공동주관으로 '2024 스마트공장 맞춤형 수출입 아카데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행사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총 49개 기업의 임직원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 추진단은 스마트공장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수출입 거래 역량 강화를 목표로 동 행사를 마련하였다. ㅇ 행사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성과확산의 일환으로, 해외 진출을 목표로하는 기업들이 수출입 거래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외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다. □ 아카데미는 ①수출입의 이해 ②수출입 관련 외환거래 ③딜링룸 견학 ④외환시장의 이해와 전망 등의 강연으로 구성된다. ㅇ 본 행사를 통해 참여기업의 수출입 거래 효율성 제고와 외환 리스크 관리 지식 습득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이번 아카데미를 통해 스마트공장 지원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한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이며,ㅇ “앞으로도 수출입과 관련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기업들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759","atchfileNm":"241030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공장_참여기업의_글로벌_진출_돕는다!.pdf","viewCnt":"199","regDate":"2024-10-30 10:17:34"},{"contentId":"157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783","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 정부일반형 등 주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신청접수(~‘25.1.6(월)) 중 - - 통합공고 및 세부사업 안내, 사업별 기업 상담 부스 운영 - < 2025>◇ 행 사 명 : 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 사업설명회◇ 장 소 : 호텔 ICC, 1층 크리스탈볼룸 * 대전 유성구 엑스포로 123번길 55(도룡동 4-29)◇ 일 시 : ‘24. 10. 30.(수), 14:00~◇ 참석대상 : 도입기업 및 공급기업 관계자◇ 주요내용- ‘25년 통합공고 및 세부사업 안내- ‘25년 사업별 상세 지원내용 및 사업절차 변경사항 등 안내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오는 10월 30일(수) 대전 ICC 호텔에서 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의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ㅇ 해당 사업은 제조현장에 적합한 고도화된 수준의 스마트공장을 지원하여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제조혁신을 촉진하는 사업으로, ㅇ 추진단은 사업설명회를 통해 세부 사업내용과 지원방식, 신청방법, 전년 대비 주요변경사항 등을 안내할 예정이며, 질의응답과 사업별 부스를 통한 상담도 진행할 예정이다. ㅇ 또한 추진단은 이번 사업설명회를 시작으로 전국 19개 테크노파크의 제조혁신센터에서 지역별 사업설명회를 개최하여 지역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정부일반형 스마트공장 사업 등에 대한 안내를 진행할 예정이다. □ 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은 신속한 지원을 위해 예년보다 3개월 앞당겨 10월 7일에 통합공고 되었다. ㅇ 통합공고된 사업 중 정부일반형 스마트공장 등 4개 사업은 ‘25년 1월 6일(월)까지 접수 예정이며 나머지 사업들도 순차적으로 공고 예정이다.* 접수 중인 사업 : 정부일반형, 자율형공장, 디지털협업공장 및 탄소중립형 스마트공장 ㅇ 한편, ’25년도 사업부터는 사업 신청 시 도입·공급기업이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하는 등 사업절차가 개선됨에 따라 신청을 희망하는 기업은 세부사업 공고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사업공고 확인 : 사업관리시스템(www.smart-factory.kr)-사업안내-사업공고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기업에 대한 신속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기에 사업 공고를 하였고, 주요 선정·관리 절차를 개선”했으며,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변화에서 국내 제조기업들이 대처할 수 있도록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이번 사업설명회는 온라인 유튜브 중계를 병행하여 현장 참석이 어려운 기업인들의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며,◦ ’25년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설명회 발표자료’는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www.smart-factory.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750","atchfileNm":"241029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2025년_스마트_제조혁신_지원사업_설명회_개최.pdf","viewCnt":"976","regDate":"2024-10-29 09:11:15"},{"contentId":"157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독일과의 기술교류를 위한 2024 한-독 미래차 포럼 및 매칭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733","contentsKor":"TIPA, 독일과의 기술교류를 위한 2024 한-독 미래차 포럼 및 매칭상담회 개최  - 미래차 분야 선도국 독일과 국내 중소벤처기업과의 글로벌 R&D협력 창출 기회 마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I) 스마트카미래포럼과 함께 10월 23일 대구 EXCO에서 「2024 한-독 미래차 포럼 및 매칭상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4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내 DIFA 세션으로 개최 □ TIPA는 국내 자동차·부품 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미래차 분야 기술 선진국인 독일과 기술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동 행사를 마련하였다. ◦ 행사는 한독기업지원협의체 주요 논의 안건 중 한-독 협력 포럼 정례화 추진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고, 상호 간 높은 협력 의지와 함께 3년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행사는 ‘친환경 에너지 대전환을 위한 미래 수소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 전략’를 주제로 한 기술세미나와 B2B 매칭상담회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 기술세미나는 한국교통연구원 박지영 연구위원의 기조연설과 함께, 양국 수소기술 전문가의 주제발표 및 현장 질의응답 세션으로 구성된다.※ 연사: 독일 전문가 2인(대학1, 연구소1), 한국 전문가 3인(대학1, 연구원2) ◦ 매칭상담회에서는 사전 모집 및 매칭된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폭스바겐, 콘티넨탈 등 독일 미래차분야 대기업과 온·오프라인 1:1 상담을 통해 기업 간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 본 행사를 통해 향후 국내 중소기업과 독일의 협력을 통한 국내 수소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 유럽 시장 진출 발판 마련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한-독 간 미래차 분야 기술교류 및 협력의 장을 구축하고, 우수한 기술을 지닌 국내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글로벌 진출 및 기술협력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며, ◦ “스마트카미래포럼과 협력해 미래차 분야의 민관 협력과 소통 역할도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편, 「2024 한-독 미래차 포럼」의 발표자료는 DIFA 홈페이지(https://difa-forum.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676","atchfileNm":"241022_보도자료_TIPA,_독일과의_기술교류를_위한_2024_한-독_미래차_포럼_및_매칭상담회_개최.pdf","viewCnt":"227","regDate":"2024-10-22 13:44:26"},{"contentId":"156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독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의 장을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99","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독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의 장을 마련하다  -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을 위한 세미나 개최 - □ 한국-독일 양국 간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 강화를 위해, 독일대표단 방한에 맞춰 중소벤처기업부, 독일연방경제기후보호부 등이 참석하는 ‘한·독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 세미나’가 10월 15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개최되었다. ◦ 이번 세미나는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이하 BMWK)를 비롯해 독일 대사관 및 IM-X*, LNI4.0**, VDMA*** 등 협회·단체 소속의 18인으로 구성된 독일대표단이 방한하면서 주요 일정 중 하나로 열렸다.* IM-X : 국제 메뉴펙처링 X 협회(International Manufacturing-X Council)** LNI 4.0 : Labs Network Industrie 4.0*** VDMA : 독일 기계공업협회(Verband Deutscher Maschinen- und Anlagenbau)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하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이번 세미나가 양국 간 스마트 제조혁신 관련 정책과 데이터 생태계에 관한 추진현황을 공유하는 등 양국 간 교류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 이번 세미나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추진단이 최근 발표한 ▲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방안 ▲ 제조데이터 표준화 추진현황을 독일 측에 공유했으며, ◦ BMWK의 Markus Hess 국장이 ▲ 독일 데이터 생태계에 대한 정책 범위 및 목표를 공유하는 순서로 양국 정책에 관한 소통이 이뤄졌다. □ 이외에도 추진단-LNI4.0 MOU 후속 실행과제인 한·독 간 협력교류 활동을 알리기 위한 백서 제작, IM-X 국제회의, 합동 포럼 등에 대한 추진계획 공유 및 논의 등 실무협의도 진행됐다. ◦ 추가 안건으로 글래스돔 코리아 윤양진 팀장의 ▲ 자동차 분야 공급망 연계 실데이터 기반 PCF 산출 및 Catena-X 연동 시연과 ▲ 한국-독일의 협력 우수사례 및 사업협력 확장 계획 발표도 이어졌다. □ 추진단은 다가오는 11월 IMX 국제회의(미국) 참석과 ‘25년 합동포럼 등 글로벌 교류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지속 추진할 계획이며, ◦ 이번 교류협력 세미나를 통해 양국 간 스마트 제조혁신 정책과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국내기업의 글로벌 진출 및 원활한 환경규제 대응을 기대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615","atchfileNm":"241016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한-독_스마트_제조혁신_교류협력의_장을_마련하다.pdf","viewCnt":"268","regDate":"2024-10-16 11:19:15"},{"contentId":"156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빅웨이브 프라이빗IR’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90","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빅웨이브 프라이빗IR’성료  - 제약바이오 스타트업에 투자 기회 제공 - □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 인천광역시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함께하는 '빅웨이브 프라이빗IR’(이하 프라이빗IR)이 8일(화) 서울롯데월드타워 SKY31 컨벤션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 이번 행사에서는 제약바이오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투자사와 셀트리온 등 50여 명의 국내 투자사 및 제약사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투자유치를 위한 발표를 진행했다. □ 11: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스타트업들은 이날 행사에서 발표를 통해 제약바이오 분야의 최첨단 기술과 혁신적인 의약품 연구개발 성과를 선보였으며, 투자사 및 제약사 관계자들과의 1:1 미팅을 통해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 한인석 단장은 “미래 성장 가능성과 고용 파급효과가 큰 바이오 분야에서 혁신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맞춤형 투자유치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 추진단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앞으로도 제약바이오 스타트업의 지속적인 투자연계를 위한 후속지원을 이어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88","atchfileNm":"241008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빅웨이브_프라이빗IR’성료.pdf","viewCnt":"274","regDate":"2024-10-08 14:05:27"},{"contentId":"156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국 스마트제조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진출 교두보를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86","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국 스마트제조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진출 교두보를 마련하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베트남 기술혁신청, 스마트 기술교류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과 베트남 기술혁신청(이하 SATI)은 9월 30일(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력의 주요 내용에는 베트남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화실증센터 구축과 현지 전문인력 육성 등 관련 지원 사업의 공동 추진이 포함되어 있으며, 자세한 세부사항은 향후 구체화할 계획이다. < MOU> (협약기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KOSMO) - 베트남 기술혁신청(SATI) (협약기간) 2024. 09. 30. ~ 2027. 09. 29. (3년간) (협약내용) 양국의 스마트화 및 제조혁신 지원을 위한 주요 분야 협력① 양국 기업 간의 기술이전 지원 및 산업기술과 혁신 확산 촉진 ② 스마트공장 분야 양국 기업의 국제 연구개발 협력 및 혁신활동 촉진③ 스마트공장 분야 산업, 기술, 인적지원 및 기술상용화 기회에 관한 정보교환 ④ 베트남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공장 실증센터 및 스마트화 지원 관련 ODA 프로젝트 공동추진 ⑤ 기타 상호 합의한 협력분야□ 이는 국내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의 베트남 진출 촉진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8월에 SATI와 추진단 간에 체결한 협력의향서(LOI, Letter of Intent)의 후속조치이다. ◦ 추진단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 외에도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육성 방안을 준비 중에 있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추진단은 국내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스마트공장 구축시장 진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SATI와 스마트 제조혁신에 대한 한·베트남 스마트제조 기술교류 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이 외, 추진단은 베트남 총리가 참석하는 2024년 베트남 Techconnect & Innovation 행사에 참석하여 베트남 기업을 대상으로 한국 스마트공장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베트남의 스마트공장 저변확대를 위한 활동을하였다. □ 또한, SATI와 추진단이 주관하여, 한국의 스마트제조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진출 견인을 위해 한-베트남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교류 협력회의를 개최하여 양국 간의 협력 기반을 마련하였다. ◦ 협력 회의에서는 베트남 측(SATI 부청장, 베트남 ICT기업 5개), 한국 측(추진단장, 한국 기술 공급기업 3개)이 참여하여 베트남 스마트공장 수요현황, 스마트공장 필요 기술,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 안광현 단장은 “추진단은 앞으로 지난 10여년 간 한국에서 스마트공장 정책 추진 및 지원사업을 통해 축척된 경험과 노하우를 베트남 정부 기관에 전수하고 스마트공장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78","atchfileNm":"241001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한국_스마트제조_기술_공급기업의_베트남_진출_교두보를_마련하다.pdf","viewCnt":"437","regDate":"2024-10-04 16:06:13"},{"contentId":"156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베트남에서 국제 협력의 장을 열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67","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베트남에서 국제 협력의 장을 열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베카멕스 IDC, 스마트 기술교류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및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 행사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과 베카멕스 IDC(베트남 산업단지 및 신도시 개발공사)는 9월 26일(목) 베트남 빈증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력의 주요 내용에는 한국-베트남 간 스마트공장 프로젝트를 촉진하기 위한 협력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번 협약식에는 베트남 팜민찐 총리, 빈증성 정부 관계자 등이 참석하였다. < MOU> (협약기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KOSMO) - 베카멕스 IDC(Becamex IDC) (협약기간) 2024. 09. 26. ~ 2029. 09. 25. (5년간) (협약내용) 양국의 스마트화 및 제조혁신 지원을 위한 주요 분야 협력① 한국-베트남 양국 국제행사를 상호 지원을 위한 협력② 한국-베트남 간 기술, 정보, 인적 교류 활성화를 위한 협력③ 한국-베트남 간 스마트공장 프로젝트를 촉진하기 위한 협력□ 업무협약 체결식과 더불어, 추진단은 베트남 빈증에서 스마트공장 엑스포(‘24.9.25~9.27) 행사를 진행한다. ◦ 스마트공장 엑스포에서는 한-베트남 디지털 제조혁신 포럼, K-스마트제조혁신센터, 한국 기술 공급기업관 등을 운영한다. ◦ 이는 국내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의 베트남 진출 촉진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8월에 SATI와 추진단 간에 체결한 협력의향서(LOI, Letter of Intent)의 후속조치이다. □ 추진단은 한국 스마트공장의 정책·선도 기술·한-베트남 협력 우수사례 홍보를 위해 한-베트남 디지털 제조혁신 포럼을 25일 개최했다. ◦ 주요 연사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 한국의 대표 기술 공급기업인 ㈜에이비에이치 대표, ㈜조앤소프트 대표, ㈜임픽스 연구소장 등이 참여했다. □ 또한 추진단은 한국의 스마트공장 정책 및 사업을 홍보하기 위해 K-스마트제조 혁신센터를 구성하여 베트남의 스마트제조 추진을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 그 외에도 국내 혁신 기술 공급기업의 글로벌 진출 촉진 및 인지도 확보를 위해 37개의 공급기업이 부스 형태로 전시회에 참여하였으며, 현지기업과 수출상담회 등을 진행한다. ◦ 이는 한국의 스마트공장 최신 기술과 솔루션이 한 자리에 모이는 현장으로, 베트남 현지 산업에 매우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할 전망이다. □ 안광현 단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한-베트남 양국 간 스마트공장 프로젝트 촉진을 목적으로 상호 협력할 것”이며, “국내 우수한 기술 공급 기업이 베트남 시장에 진출하여 글로벌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하고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46","atchfileNm":"240927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베트남에서_국제_협력의_장을_열다!.pdf","viewCnt":"480","regDate":"2024-09-27 09:21:16"},{"contentId":"156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 백신·신약 개발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63","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 백신·신약 개발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23일(월) (재)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이사장 설대우, 이하 백신사업단)과 혁신 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MOU는 △백신ㆍ신약 개발 지원을 위한 정책 및 신규 사업 발굴 협력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백신·신약 개발사 및 연구자 교류 협력 △보유시설, 인적자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협력을 골자로 한다. ◦ 이번 협약으로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혁신 네트워크 구축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 한인석 추진단장은 “혁신 바이오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려면 관련 기관 간 협력 방안이 탄탄해야 하며 그 교류와 소통으로 의약바이오 산업의 발전을 앞당길 것”이라고 전했다. □ 백신사업단 설대우 이사장은 “재단은 글로벌 수준의 GMP(우수 제조관리 기준) 시설을 기반으로 바이오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양 기관의 협력을 통해 바이오기업이 신속히 백신과 신약을 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37","atchfileNm":"240924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_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_혁신_창업기업_발굴·육성을_위한_업무협약(MOU)_체결.pdf","viewCnt":"308","regDate":"2024-09-24 10:54:56"},{"contentId":"156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복지사각지대 해소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61","contentsKor":"TIPA,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복지사각지대 해소 나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과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위원장 임준오·신미경)가 9월 23일 반곡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지역사회 복지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복지자원 연계 및 지원,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등 지역 내 소외계층을 지원하고 지역과 상생하기 위한 복지사업을 추진하는데 힘을 모을 계획이다. ◦ 이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김영신 원장과 임직원들이 지역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생활필수품 등을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전달하는 기탁식도 함께 진행하였으며,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이를 취약계층 25가구에 전달할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앞으로 지역사회와 상생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해나가겠다“며 소감을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30","atchfileNm":"240923_보도자료_TIPA,_반곡동_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_복지사각지대_해소_나서!.pdf","viewCnt":"272","regDate":"2024-09-23 15:49:54"},{"contentId":"156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내 공급기업 해외진출 견인을 위한 한-페루 간 국제협력의 장을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52","contentsKor":"국내 공급기업 해외진출 견인을 위한 한-페루 간 국제협력의 장을 마련하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페루국립공대, 스마트 기술교류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및 기술교류 세미나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과 페루국립공과대학교(이하 UNI)는 9월 11일(수) UNI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양국 간의 스마트 기술교류 세미나를 개최했다. ◦ 안광현 단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한-페루 스마트팩토리 협력 로드맵을 설정하고 제조혁신 지원을 위한 스마트공장 ODA 사업과 양국 간 기술교류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상호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 협력의 주요 내용에는 페루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화 실증센터 구축과 현지 전문인력 육성 등 관련 지원 사업의 공동 추진이 포함되어 있으며, 자세한 세부사항은 향후 구체화할 계획이다. ◦ 이외에도 이번 협약식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이대희 실장의 축사와 페루 생산부 Cesar Manuel Qusipe Lujan 차관, UNI Pablo Alfonso Lopez Chau Nava 총장의 축사도 진행됐다. < MOU> (협약기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KOSMO) - 페루국립공과대학교(UNI) (협약기간) 2024. 09. 11. ~ 2029. 09. 10. (5년간) (협약내용) 양국의 스마트화 및 제조혁신 지원을 위해 주요분야 협력① 중장기 페루 스마트팩토리 로드맵 구축 ② 페루 맞춤형 스마트화 실증센터 구축 ③ 페루 기업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적용 지원 ④ 스마트팩토리 전문인력 양성교육 지원 ⑤ 페루의 스마트제조혁신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지원 등 □ 업무협약 체결식에 이어 한-페루 양국 간 공급·수요기술 현황공유 및 교류·협력 확대방안 모색을 위한 스마트 기술교류 세미나도 진행됐다. ◦ 이번 세미나는 ▲ 한국 스마트 제조혁신 조건, 발전 방향 및 기업현황 ▲ 페루 스마트 제조혁신 현황, 이슈 및 기업현황 등 양국의 전문가 발표로 이뤄졌다. ◦ 한국 전문가 발표는 한국자율제조플랫폼협회 이상호 협회장, 조현철 부회장 등 3인이 진행하고, 페루 전문가 발표는 UNI Arturo Talledo 부총장 등 8인이 진행했다. □ 이번 협력을 통해 추진단은 스마트 제조혁신 정책의 추진현황과 성과를 페루와 공유하고 국내 기술 공급기업의 페루 스마트공장 구축시장 진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UNI와 스마트 제조혁신에 대한 기술교류 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00","atchfileNm":"240913_보도자료_국내_공급기업_해외진출_견인을_위한_한-페루_간_국제협력의_장을_마련하다.hwp","viewCnt":"267","regDate":"2024-09-13 13:51:05"},{"contentId":"156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추석맞이 ‘살맛나는 전통시장 가는 날’ 캠페인 펼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49","contentsKor":"TIPA, 추석맞이 ‘살맛나는 전통시장 가는 날’ 캠페인 펼쳐! - 한과세트, 견과류와 한파 대비 이불 25개 세트, 반곡동 소외계층에 전달 - □ 추석 명절을 맞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 김영신 원장을 포함한 TIPA 임직원은 9월 11일(수)에 조치원 세종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 이날 TIPA 김영신 원장과 신입직원들은 명절 음식과 생활필수품, 장기 보관이 가능한 식품으로 구성된 물품들을 온누리 상품권으로 직접 구매한 후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전달한다. □ 또한, 전통시장 내 맛집을 찾아 신입직원들에게 지역 맛집을 소개하고 나누는 활동을 병행하여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의 의의를 더했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추석 명절을 맞아 지역 소외계층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게 되어 뜻깊게 생각하고, 앞으로 지역사회와 상생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해나가겠다“며 소감을 전했다. □ 한편, TIPA는 매년 전통시장을 찾아 활성화 캠페인을 펼치고 있으며, 이번 2024년 추석 명절에는 세종시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해 지역 소외계층에 물품을 전달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482","atchfileNm":"240912_TIPA,_추석맞이_‘살맛나는_전통시장_가는_날’_캠페인_펼쳐!.hwp","viewCnt":"243","regDate":"2024-09-12 10:41:21"},{"contentId":"156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의약바이오스타트업 정책 포럼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44","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의약바이오스타트업 정책 포럼 성료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와 MOU 체결을 통해 바이오벤처의 글로벌화 견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추진단)은 10일(화)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 의약바이오스타트업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 먼저 노형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가 ‘글로벌 허브로서 송도바이오클러스터와 K-바이오랩허브의 역할 및 글로벌 전략’을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 이어 조남훈 케이그라운드벤처스 대표가 ‘글로벌 바이오기업을 위한 정부 및 민간 자금조달정책’, 이원근 한국과학커뮤니케이션연구원 원장이 ‘글로벌화를 위한 의약바이오 정책 분석 및 개선방안’, 한균희 연세대학교 교육부 대학내 산학연협력단지 조성사업 부단장이 ‘글로벌 바이오특구로서의 인천시 강점 및 향후 전략 및 정책’을 각각 발표했다. ◦ 이어진 토론 시간에는 주영섭 서울대학교 특임교수를 좌장으로 의약바이오 종사자 등이 참여하여 바이오벤처의 글로벌화를 위한 정책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 포럼에 이어 추진단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는 의약바이오스타트업지원 프로그램 공동 개발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을 위한 상호 협력을 주제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MOU는 의약바이오 분야의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한 협업체계 구축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공동 개발 및 운영 △정보 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 △전문가컨설팅 그룹 공유 및 연계 지원을 골자로 한다. □ 한인석 단장은 “인천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여 스타트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함께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이한섭 센터장은 "인천은 이미 글로벌 바이오허브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인천이 세계적인 바이오 스타트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스타트업들이 성장하는 데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473","atchfileNm":"240911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의약바이오스타트업_정책_포럼_성료.pdf","viewCnt":"357","regDate":"2024-09-11 09:18:49"},{"contentId":"156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하나은행과 추석맞이 지역 행복더하기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43","contentsKor":"TIPA, 하나은행과 추석맞이 지역 행복더하기활동 나서! - 15종의 생활필수품이 담긴 행복상자 200개, 세종시사회복지협의회에 전달 - □ 민족 대명절 추석을 맞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TIPA) 김영신 원장을 포함한 TIPA 임직원은 9월 9일(월) 세종 본원에서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행복상자 만들기 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 이번 활동은 하나은행 이동열 충청영업그룹 부행장을 포함하여 하나은행 임직원이 함께 하였으며, 생활필수품과 장기 보관이 가능한 식품으로 구성된 물품 꾸러미를 만드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 이날 행사에서 TIPA와 하나은행 임직원은 즉석식품, 라면, 생필품 등 15종의 생활필수품을 담아 지역 취약계층의 행복한 명절나기를 위한 행복더하기상자 200개를 완성하였다. ◦ 완성된 200개의 행복더하기 상자는 TIPA 임직원의 마음을 담아 지역사회 취약계층을 위한 좋은 이웃들, 푸드뱅크사업 등을 운영하는 세종시사회복지협의회에 전달되었으며, 세종시 곳곳 이웃에 나눠질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추석 명절을 맞아 지역 소외계층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며 앞으로도 기관의 ESG실천과 지역상생을 위해 노력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되겠다“며 소감을 전했다. □ 한편, 하나은행은 작년 TIPA와 함께한 ESG 활동 이후 지속적인 상생가치 실현을 위해 이번 2024년 추석 명절에도 TIPA와 마음을 모은 활동을 함께하며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금융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469","atchfileNm":"240909_보도자료_TIPA,_하나은행과_추석맞이_지역_행복더하기활동_나서!.hwp","viewCnt":"194","regDate":"2024-09-10 13:37:33"},{"contentId":"156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유공자 포상 접수 개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36","contentsKor":"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유공자 포상 접수 개시 - 중기부 장관 표창 10점으로, 오는 9월 30일까지 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오는 9월 30일까지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유공자 포상” 신청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 TIPA는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에 대한 중소기업 및 수요처의 관심을 촉진하고,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2022년부터 포상을 시행해 왔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2002년부터 시행되어온 중소벤처기업부 대표 중소기업R&D지원사업으로서, 수요처 및 투자기업의 구매, 투자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포상의 훈격과 규모는 중기부 장관 표창으로 총 10점이다. 신청 분야는 ▲구매연계형 ▲공동투자형 2개 부문으로 진행되며,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은 물론 수요처 및 투자기업도 신청이 가능하다. □ 신청·접수는 공고문에 게시된 제출서류를 준비해 이메일(711@tipa.or.kr)로 접수하고,자세한 신청요건 및 절차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 또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알림마당에서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457","atchfileNm":"240904_보도자료_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_유공자_포상_접수_개시.pdf","viewCnt":"526","regDate":"2024-09-06 09:27:16"},{"contentId":"156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충청·강원권 소재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11","contentsKor":"TIPA, 충청·강원권 소재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 중소기업 R&D 자금예치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충청·강원권 소재 R&D 수행기업의 투자 유치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 중 충청·대전·세종, 강원 지역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자금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업을 다음 달 23일(월)까지 모집한다. ◦ 프로그램 참여 대상은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을 수행 중이거나 완료(성공)한 기업 중 충청·강원지역에 소재한 기업이다.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홈페이지 중소기업 기술 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TIPA는 9월 23일(월)까지 신청 기업 접수 후 요건 검토 절차를 거쳐 중소기업 R&D 전담은행인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에 추천할 예정이다. 이 후 전담은행은 추천 기업 서면 검토 후 약 20개 사 를 선발하여 11월 중 투자 설명회를 진행, 투자 관심 기업을 선 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투자 관심 기업 후속 미팅 및 별도의 투자심사 등을 거쳐 투자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 TIPA는 지난 2021년부터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R&D 수행기업 전용투자자금 마련 등 사업화를 위한 투자 유치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운영하고 있다. 특히, 기술력이 우수하지만 투자시장에서 소외되기 쉬운 비수도권 중소벤처기업 투자 촉진을 위한 투자 유망기업 발굴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TIPA는 올 한 해 4차례에 걸쳐 우수기업 및 비수도권 기업을대상으로 투자 유치 희망기업을 모집하고 지원하였으며, 이번에 모집하는 제5차 투자자금 지원 프로그램이 금년도 마지막 차수이다. □ 김영신 TIPA 원장은 “지난 4차례의 투자자금 지원 프로그램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심에 감사드린다”며, “TIPA는 내년에도 중소기업의 동반자로서 R&D를 수행한 기업에게투자자금 지원을 비롯하여 다양한 사업화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404","atchfileNm":"240828_보도자료_TIPA,_충청·강원권_소재_투자_유망_중소기업_발굴한다.hwpx","viewCnt":"312","regDate":"2024-08-28 09:52:09"},{"contentId":"156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KIMCo, 제약바이오 스타트업 발굴·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06","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KIMCo, 제약바이오 스타트업 발굴·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20일(화) (재)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대표 허경화, 이하 KIMCo)와 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MOU는 △혁신 바이오기업 발굴 및 육성 △바이오헬스 융합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협력 △글로벌 컨퍼런스 및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한 프로그램 구축 △스타트업 바이오기업 혁신 촉진을 위한 공동의 R&D 연구 협력을 골자로 한다. ◦ 이번 협약으로 바이오 스타트업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생태계 혁신 주도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 한인석 추진단장은 “한국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여 창업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 KIMCo 허경화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혁신적인 바이오 창업기업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며, 바이오헬스 분야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385","atchfileNm":"240820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_KIMCo,_제약바이오_스타트업_발굴·육성을_위한_업무협약(MOU)_체결.pdf","viewCnt":"251","regDate":"2024-08-20 16:35:32"},{"contentId":"155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일·가정 양립 우수사례 수기공모전」 우수상 수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554","contentsKor":"TIPA, 「일·가정 양립 우수사례 수기공모전」 우수상 수상 임신, 출산, 양육으로 이어지는 생애주기별 가족친화 지원제도 운영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8월 6일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개최된 「2024년 일·가정 양립 제도 우수사례 수기공모전 시상식」에서 기업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금번 공모전은 출산·육아기에 활용할 수 있는 육아지원제도와 다양한유연근무 활용사례를 발굴·공유하여 일하는 부모의 양육부담을 완화하고 가정친화적 기업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에서 개최하였다. □ TIPA는 이번 공모전에 임직원의 임신, 출산 및 양육으로 이어지는 가족친화 생애주기별 지원제도 운영과 유연근무제도, ‘가족사랑의 날’ 운영 등으로 일‧가정 균형을 위한 기관의 노력을 담은 수기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 세부적으로 TIPA는 ▲난임치료가 필요한 직원에게 ‘난임휴가’, ▲임신 직원 대상 ‘모성보호휴가’, ▲출산 이후 ‘자동 육아휴직’ 등을 통해 생애주기별 지원으로 직원의 일․가정 양립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 ◦ 또한 정시퇴근 문화 안착을 위해 정시퇴근 독려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매주 수요일을 가족사랑의 날로 지정해 가족사랑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으며, 유연근무제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이 외에도 TIPA는 출산의 기쁨을 나누고자 ‘TIPA 베이비키트’(육아용품)를 제공하며, 부모의 건강증진이나 자녀양육에 필요한 물품 구매가 가능한 ‘출산 축하 복지포인트 제도’ 역시 좋은 평가를 받았다. □ 이번 수기에는 TIPA가 지난 6월 21일, 기관 최초로 임직원들의 자녀를 초대하는 ‘TIPA 패밀리데이’ 사례도 담겼다. 사례에는, 이 행사를 통해 TIPA 임직원 자녀가 부모님 일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유대감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는 참여 직원 후기도 포함됐다. ◦ 패밀리데이에 참여한 한 직원은 “기관이 다양한 방법으로 가족친화적직장문화 조성과 일‧가정 양립을 위해서 노력 중이라는 것을 몸소 느끼고 있다”라며 일․가정 양립 문화 조성을 위한 기관 차원의 노력을 체감함을 알렸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성별 구분 없이 자연스럽게 쓰는 육아휴직, 임신 직원이 눈치 보지 않고 쓸 수 있는 모성보호휴가 등 일‧가정 양립제도의 자연스러운 안착은 모두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인식개선의 결과”라며, ◦ “이번 수상은 일‧가정 양립 제도를 서로 이해해주는 우리임직원 모두의 노력이 인정받은 것이고, 앞으로도 다양한 일‧가정 양립 제도의 추진과 가정친화 문화 조성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2016년부터 가족친화기업인증을 받은 TIPA는 일‧가정 양립문화조성을 위해 이번 우수상 수상을 발판으로 제도 고도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322","atchfileNm":"240806_보도자료_TIPA,_일_가정_양립_우수사례_수기_공모전_우수상_수상.pdf","viewCnt":"348","regDate":"2024-08-06 20:04:25"},{"contentId":"155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 공모전 공동주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547","contentsKor":"TIPA, 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 공모전 공동주관 ESG 경영, 중소기업 R&D 성과확산을 위한 세종지역 4개 공공기관 힘 합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8월 1일부터 시작하는 ‘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공모전’의 접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 이번 공모전은 시청자미디어재단이 주최하고 TIPA를 포함한 △세종경찰청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세종시청자미디어센터, 세종지역 4개 공공기관이 공동주관하며 △세종특별자치시청과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이 후원에 참가한다. 이번 공모전은 특별주제인 △저출산 극복을 위한 행복한 일터와 가정 아이디어 △ 17개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를 반영한 ESG경영 및 중소기업 R&D 성과확산 관련 2가지 주제로 운영된다. ◦ 공모전 참여 방법은 55초 내외의 관련 영상을 제작한 뒤 개인 유튜브채널에 업로드 하고, 주최기관 홈페이지 공고문에 게시된 신청서류를 작성한 후 참가 접수 링크를 통해 제출하면 된다. ◦ 이번 공모전은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일반부와 청소년부(2006년생 이하 출생자)로 나누어 9월 20일 자정까지 접수를 받는다. 응모작에 대해서는 최우수상 3작품*을 포함한 총 15 작품을 상을 시상할 예정이며 총 상금은 780만원 상당이다. □ 공모전에 선정된 작품에 대해서는 별도 시상식과 상영회가 진행될 예정이며, 이번 공모전 공동주관 기관 홍보채널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공유될 계획이다. 공모전 참가 관련 세부 문의는 세종시청자미디어센터 홈페이지(www.kcmf.or.kr/sejong) 또는 전화 ☎044) 860-8614 로 하면 된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이번 55초 영상 공모전을 통해 TIPA와 참여 기관의 ESG 경영 관련 아이디어 접수와 중소기업 R&D 성과 확산 채널 확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히며, 성공적인 공모전 운영과 우수작 선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316","atchfileNm":"240801_보도자료_TIPA,_오래오래_지속가능한_세상,_55초_영상_공모전_공동주관.pdf","viewCnt":"325","regDate":"2024-08-01 17:40:10"},{"contentId":"155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영남권 소재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515","contentsKor":"TIPA, 영남권 소재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 중소기업 R&D 자금예치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영남권 소재R&D 수행기업의 투자 유치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수행기업 중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지역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자금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업을 다음 달 2일(금)까지 모집한다. ◦ 프로그램 참여 대상은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수행 중이거나 완료(성공)한 기업 중 영남지역에 소재한기업이다.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홈페이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TIPA는 8월 2일(금)까지 신청 기업 접수 후 요건 검토 절차를 거쳐 중소기업 R&D 전담은행인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에 추천할예정이다. 이 후 전담은행은 추천 기업 서면 검토 후 약 20개 사를 선발하여 9월 중 투자 설명회를 진행, 투자 관심 기업을 선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투자 관심 기업 후속 미팅 및 별도의 투자심사 등을 거쳐 투자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 TIPA는 지난 2021년부터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R&D 수행기업 전용투자자금 마련 등 사업화를 위한 투자 유치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기술력이 우수하지만 투자시장에서소외되기 쉬운 비수도권 중소벤처기업 투자 촉진을 위한 투자 유망기업 발굴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동 프로그램을 통해 2023년 중소기업 R&D 전담은행(IBK기업·하나)은중소기업 R&D 수행기업에게 총 602억 원을 투자하였고, 그 중 영남권 소재 기업 7개 사에게 109.9억 원의 투자가 지원됐다. □ 김영신 TIPA 원장은 “위축된 투자시장 상황에서도 2024년 상반기에R&D 수행기업 중 32개 사가 약 665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라며, “TIPA는 올해 말까지 전담은행과협력하여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중소기업에게 800억 원 이상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271","atchfileNm":"240717_보도자료_TIPA,_영남권_소재_투자_유망_중소기업_발굴한다.pdf","viewCnt":"385","regDate":"2024-07-18 12:59:12"},{"contentId":"154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직원 가족 초청 프로그램 ‘TIPA 패밀리데이’ 열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43","contentsKor":"기정원, 직원 가족 초청 프로그램 ‘TIPA 패밀리데이’ 열어 직원과 가족, 지역어린이집 아동 등 총 221명 참여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6월 21일(금) 세종 본원에서 직원 및 가족 221명이 참여한 「2024년 TIPA 패밀리데이」 행사를 개최하였다. ◦ TIPA 패밀리데이는 직원들이 가족에게 본인의 일터를 소개하며 일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직원들은 사기 진작으로 소속감을 강화하는 차원으로 올해 최초로 개최된 행사이다. ◦ 이번 행사에는 직원들의 가족 외에도 자녀가 다니는 지역 어린이집아동과 선생님까지 참가하여 가족애를 높이는 동시에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기회도 마련하였다. □ 이번 행사 참가자들은 포토존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TIPA에서의 하루를 그림으로 그리는 등 모두가 다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 특히, TIPA 직원들의 자녀들에게는 엄마아빠의 사원증과 똑같이 생긴 명예사원증도 제공하여 참가자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 TIPA는 자녀가 있는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외에도 1인 가구, 비친족가구 등 임직원의 다양한 가족 형태를 존중 및 참여율 제고를 위해 해설이 있는 클래식 음악 교육도 개최하였다. 해당 프로그램 덕분에 기혼여부 및 자녀 유무에 상관 없이 패밀리 데이에 많은 직원이 참가할 수 있었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이번 행사는 임직원과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에감사한 마음을 전달하고 함께 소통하는 기회로써 마련하였다.”라며, “참여한 모든 직원과 그 가족, 지역사회 아동들에게 소중한 경험이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또한“무엇보다 TIPA는 일과 가정의 조화를 이루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가족 참여형 행사를 다양하게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 2016년부터 가족친화기업인증을 받은 TIPA는 앞으로도 다양한 가족친화적인 제도 운영을 통해 일‧가정 양립문화를 조성해나가고자 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70","atchfileNm":"240624_보도자료_기정원,_직원_가족_초청_프로그램_TIPA_패밀리데이_열어.pdf","viewCnt":"515","regDate":"2024-06-27 11:12:03"},{"contentId":"154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中企 R&D 수행 우수기업을 위한 투자유치 역량강화 프로그램 참여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42","contentsKor":"TIPA, 中企 R&D 수행 우수기업을 위한 투자유치 역량강화 프로그램 참여기업 모집 TIPA ValueUP 프로그램 16기 참여기업 모집 공고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 수행 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투자역량 강화 프로그램인 TIPA ValueUP 프로그램의 16기 참여기업을 7월 5일(금)까지 모집한다. ◦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의 민간 투자유치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지원하고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 이번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수행 중이거나 최근 5년 내에 완료(성공)한 기업은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며, 7월 5일(금) 14시까지 인터넷 홈페이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 TIPA ValueUP 16기는 투자전문가들의 평가를 통해 30개 내외 투자 유망기업을 선별할 예정이다. 올해에는 중소기업 R&D 우수 성과 50선 선정기업과 혁신성이 검증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에게는 서면평가를 면제해줌으로써, TIPA의 사업화지원 프로그램 간 연계 및 정책적 지원을 강화한다. □ TIPA ValueUP은 투자 및 기술사업화 전문가가 참여 기업의 내부 역량, 기술성, 시장성, 경영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는 투자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현직 투자심사역의 1:1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도 병행된다. 또한, 각 참여기업의 수요와 투자단계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큐레이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 이 외에도 IR자료 고도화, 피칭스킬 향상 교육, 희망 VC와의 심층 미팅, 월별 정기 투자설명회, 데모데이 및 투자자 네트워킹 등의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 TIPA는 ValueUP 프로그램 통해 2018년부터 현재까지 총 470개의 투자 유망기업을 발굴·육성하였으며, 특히 2023년 한 해 총 14개 기업이 196.5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 김영신 TIPA 원장은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사업화 성공을 위해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본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투자역량을 키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65","atchfileNm":"240621_보도자료_TIPA,_中企_RD_수행_우수기업을_위한_투자유치_역량강화_프로그램_참여기업_모집.pdf","viewCnt":"1618","regDate":"2024-06-24 14:28:19"},{"contentId":"154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호남·제주권역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37","contentsKor":"TIPA, 호남·제주권역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 중소기업 R&D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비수도권 소재 R&D 수행기업의 투자 유치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수행기업 중 전북·전남·광주·제주 지역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자금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업을 이번 달 28일(금)까지 모집한다. ◦ 프로그램 참여 대상은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 중이거나 완료(성공)한 기업 중 호남·제주지역에 소재한 기업이다.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홈페이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TIPA는 6월 28일(금)까지 신청 기업 접수 후 요건 검토 절차를 거쳐 중소기업 R&D 전담은행인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에 추천할 예정이다. 이후 전담은행은 자체 서면 검토 후 약 20개 사를 선발해 8월 중 투자설명회를 진행한다. 투자설명회를 통해 전담은행은 관심 기업을 선별할 계획이며, 후속 미팅 및 별도의 투자심사 등을 거쳐 투자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 TIPA는 지난 2021년부터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R&D 수행기업 전용 투자자금 마련 등 사업화를 위한 투자 유치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기술력이 우수하지만 투자시장에서 소외되기 쉬운 비수도권 중소벤처기업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투자 유망기업 발굴도 나서고 있다. ◦ 동 프로그램을 통해 2023년 중소기업 R&D 전담은행(IBK기업·하나)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에게 총 602억 원을 투자하였다. 그 중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에게 140억 원을 지원하였고, 이번 프로그램 대상 지역 기업에는 10억 원을 투자 완료 했다. □ 김영신 TIPA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넘어, R&D 수행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라며, “특히, 지역균형 발전 및 원자력 발전, 탄소저감 등 핵심 기술분야 기업의 발굴·지원에 힘쓰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62","atchfileNm":"240620_보도자료_TIPA,_호남·제주권역_투자_유망_중소기업_발굴한다.pdf","viewCnt":"463","regDate":"2024-06-21 16:17:11"},{"contentId":"154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민이 제안하고, TIPA가 실천하는 2024년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34","contentsKor":"국민이 제안하고, TIPA가 실천하는 2024년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 개최 혁신·ESG·열린 경영 관련 아이디어 총 300만원 규모 시상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오는 7월 19 일 금요일까지 ‘2024년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한다. ◦ TIPA는 2020년도부터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기관 경영과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지원에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혁신에 앞장서고 있다. ◦ 올해, 5회를 맞는 이번 공모전은 기관의 경영전략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국민의 목소리가 경영에 직접 반영될 수 있도록 △혁신 경영 △ESG 경영 △열린 경영 총 3개 분야의 대국민 아이디어를 모집한다. ◦ 기관 경영에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TIPA홈페이지 및 상생누리 사이트에서 참가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성한 후, 상생누리 사이트(www.winwinnuri.or.kr)로 제출하면 된다. * 사이트 회원가입 후 로그인(개인 또는 기업) → [동반성장 프로그램] → [프로그램 검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검색 → ‘공모전’ 신청 버튼 □ 접수된 아이디어는 구체성, 업무부합성, 창의성, 실행가능성, 국민체감 성과창출 가능성 등의 기준으로 심사하며, 1차 전문가심사 및 2차 대국민 투표를 통한 최종 9작(대상 분야별 1작, 우수 3작, 장려 3작)의 혁신아이디어를 선정한다. 대상에는 50만원 상당 온누리상품권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 이번 공모전에서 선정된 우수 혁신아이디어는 내부 구체화 단계를 거쳐 경영혁신과제 반영 등 체계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고객의 경험에서 오는 참신한 아이디어는 기관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고객중심 서비스 혁신에 중요한 요소” 라며 “TIPA가 실천해주었으면 하는 다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58","atchfileNm":"240619_보도자료_국민이_제안하고,_TIPA가_실천하는_2024년_대국민_혁신아이디어_공모_개최.pdf","viewCnt":"455","regDate":"2024-06-19 15:51:13"},{"contentId":"154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 청렴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32","contentsKor":"TIPA, 윤리경영 청렴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 청렴자율 실천과제 38개 선도적으로 발굴해 연내 추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사적 차원의 ‘청렴자율 실천과제’를 발굴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 ‘24년도 ‘청렴자율 실천과제’로 4개 분야* 38개 과제가 발굴됐으며, TIPA 전체 부서가 참여해 연내 1개 이상의 실천과제를 전담하게 된다. *① 청렴교육(27건), ② 정보공개(4건), ③ 홍보활동(2건), ④ 기타활동(5건) ◦ 대표적으로 △중소기업 R&D사업 수행기관 및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담당자 청렴교육 실시, △법인카드 사용규정 준수를 통한 청렴실현, △청렴한 정보화 용역 사업 진행을 위한 평가위원 POOL 구성, △제재조치위원회 평가위원 청렴서약서 작성 등이 실천과제로 발굴됐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올해 청렴자율 실천과제 추진을 통해, 취약분야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정부패가 발생할 수 있는 제도나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TIPA는 2017년 국내 R&D전문기관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 ISO 37001 인증’을 획득하고, 지난 해 12월에는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운영지침에 따른 내부 심사 및 인증심사 절차를 통해 인증을 갱신하여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54","atchfileNm":"240617_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청렴실천_프로그램_전사적_가동.pdf","viewCnt":"415","regDate":"2024-06-18 15:12:16"},{"contentId":"154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테크노파크 역할 강화를 위한 간담회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24","contentsKor":"TIPA, 테크노파크 역할 강화를 위한 간담회 성료 TIPA, 순회 현장간담회를 통해 TP·중소기업 현장 목소리 청취-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지역혁신 거점기관인 테크노파크(이하 TP) 역할 강화를 위해 전국 19개 TP를 대상으로‘권역별 순회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 이번 간담회는 TIPA 김영신 원장 취임 이후 TP와의 첫 소통행보로, 지역혁신기관·중소기업 현장의 목소리 청취를 통해 지역특화산업 관련 제도와 정책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 김영신 원장은 지난 △3월 26일 영남권 TP 6곳(경남, 경북, 대구, 부산, 울산, 포항)을 시작으로 △4월 11일 충청·강원권 5곳(충남, 충북, 대전, 세종, 강원) △4월 23일 호남·제주권 4곳(전북, 전남, 광주, 제주) △6 월 11일 수도권 4곳(인천, 서울, 경기, 경기대진) 등 총 4개 권역, 19개 TP 원장단 간담회 및 현장 방문을 진행했다. ◦ TIPA는 그간 인구소멸 등 비수도권 지역 현안에 집중 대응해왔으나, 수도권 내 중소기업 지원 정책 마련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던 점을 고려하여 수도권 TP 간담회도 추진했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TP원장단 간담회를 통해, 지역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지원을 위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책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 전국 TP의 공통적인 건의사항은 TP의 지역중소기업 지원기능 및 역할 강화를 위한 신규사업기획 및 예산확대였다. ‘23년 대비 R&D국비 예산축소에 따라, 지역별 주축산업 관련 기업 육성 및 성장 동력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책 구현을 요구했다. ◦ 또한,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시·도내 위기지역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역차별도 완화하여 수도권TP의 기능과 역할도 강화할 것을 요청했다. ◦ 이 외에도 △TP경영실적평가 절차의 효율화,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체계 개선, △중소기업연구인력지원사업 확대, △스마트공장구축사업 고도화, △글로벌 거점역할 강화 등의 건의가 이어졌다. ◦ 이번 간담회의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TIPA는 전국 TP와 지속적 협업체계를 마련하여, 그간 건의된 내용들을 종합 검토하여 실질적 대책 마련을 수립할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지역 주력산업 혁신 및 일자리 창출기반 강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중소기업 혁신생태계 조성이 필수”라며, “지역산업육성의 거점기관인 TP가 지역성장의 중심축으로서, 지역혁신기관들의 역량을 결집하고 민관협업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42","atchfileNm":"240613_보도자료_TIPA,_테크노파크_역할_강화를_위한_간담회_성료(배포).pdf","viewCnt":"491","regDate":"2024-06-13 16:03:15"},{"contentId":"154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공영홈쇼핑 입점 돕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22","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공영홈쇼핑 입점 돕는다!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판매 촉진을 위해 공영홈쇼핑 입점 코칭 상담회(6.11~12)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공영홈쇼핑(대표이사 조성호)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참여한 41개 기업을 대상으로 '공영홈쇼핑 입점 코칭상담회'를 2024년 6월 11일부터 이틀간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담회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이 공영홈쇼핑에 입점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판매 촉진을 돕기 위해 마련되었다. □ 추진단은 이번 상담회를 통해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판로지원을 통해매출성과를 제고하고자 한다. 상담회는 공영홈쇼핑의 입점 절차와 요건을 이해하고, 전문가의 코칭을 통해 성공적인 입점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공영홈쇼핑 입점 절차와 요건에 대한 설명, 전문가와 1:1 맞춤형 상담을 통해 입점 전략을 수립하는 코칭 세션, 그리고 실제 입점 심사와 유사한 상황을 재현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실전 피칭 등이 포함된다.  ◦ 이번 상담회를 통해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참여기업들은 공영홈쇼핑에성공적으로 입점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 판매 촉진을 통해 사업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업 간의 정보 교류와 네트워킹을 통해 상호 협력과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전문가코칭 상담을 통해 소비시장 내 제품의 경쟁력을 파악하고 판로 확보를 위한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우수혁신제품을 발굴하여 방송매체 및 온라인 판로 진입을 위한 추가적인 지원도 제공될 예정이다.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이번 상담회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참여기업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공영홈쇼핑과의 협력을 통해 더 많은 중소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입점하여 판매를 확대하고, 나아가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추진단은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상담회는 그 일환으로,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여 공영홈쇼핑 입점을 통해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37","atchfileNm":"240611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공장_참여기업_공영홈쇼핑_입점_돕는다!.pdf","viewCnt":"512","regDate":"2024-06-12 09:46:10"},{"contentId":"154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전 직원 대상 ‘이해충돌방지법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19","contentsKor":"TIPA, 전 직원 대상‘이해충돌방지법 교육’실시 이해충돌방지법, 청탁금지법, 공직자 행동강령 등 중심으로 강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6월 4일(화) 본원 대회의실과 컨퍼런스홀에서 기관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2024년 이해충돌방지법」교육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번 교육은 TIPA 간부직 및 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공직자의 이해충돌 상황을 인식하는 민감성을 높이고, 갑질 행위 를 방지하며 청렴하고 공정한 직무수행을 위해 마련되었다. □ 이날 교육은 청렴인권연구소 김효광 청렴 전문 강사의 강의로 진 행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직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 해충돌 방지를 위한 10가지 행위기준 △이해충돌방지법 및 청탁금 지법 위반행위 △갑질 방지를 위한 공직자 행동강령 등이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직원들의 청렴에 대한 의식과 감수성을 함양 할 수 있는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 교육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청탁금지법 및 이 해충돌방지법을 준수하며 사회적 책임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TIPA는 2017년 국내 R&D전문기관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 ISO 37001 인증’을 획득하고, 지난 해 12월에는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운영지침에 따른 내부 심사 및 인증심사 절차를 통해 인증을 갱신하여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29","atchfileNm":"240605_보도자료_TIPA,_전_직원_대상_이해충돌방지법_교육_실시.pdf","viewCnt":"404","regDate":"2024-06-10 17:36:10"},{"contentId":"154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성공모델 확산을 위해 공유의 장 열기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03","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성공모델 확산을 위해 공유의 장 열기로! 스마트공장 도입·공급기업 대상 우수사례 콘테스트 7월 3일까지 접수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참여한 도입기업(제조기업)과 공급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우수사례 콘테스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콘테스트는 스마트공장 도입 및 운영 사례를 공유하고 우수한 사례를 발굴하여 스마트 제조혁신의 성공모델을 확산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 추진단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의 성과를 홍보하고 기업 간 교류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이번 콘테스트를 기획했다. 선정된 기업에게는 포상 등을 부여하여 경영개선 성과를 확산시키고자 한다. 모집 대상은 2021년도 이후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서 성공 판정을 받은 과제의 참가기업으로, 도입기업과 공급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참여할 수 있다. ◦ 이번 콘테스트의 주된 목적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의 성과를 보다 널리 알리고, 기업 간의 성공적인 도입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상호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 제조혁신의성공 모델을 확산시키고, 다른 기업들이 이를 벤치마킹하여 더욱 효과적인 스마트공장 도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 ◦ 신청을 희망하는 기업은 6월 3일부터 7월 3일까지 접수 가능하며,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사이트(www.smart-factory.kr)을 통해 공고를 확인할 수 있다. 서류심사, 서면 평가 등을 통해 우수사례 공유 대상을 선정하고, 11월 중에 우수사례 공유의 장을 개최할예정이다. 해당일에는 우수사례 시상 및 발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최신 스마트팩토리 트렌드와 성공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 우수사례로 선정된 기업들에게는 해외 전시회 참여와 TIPAValue-up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선정기업들은 해외 전시회에 참가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또한, 투자 IR, VC 매칭, 멘토링, 네트워킹 등 다양한 TIPA Value-up 프로그램을통해 기업의 투자 역량을 강화하고, 스마트공장 전담은행(하나은행)의펀드 투자를 통해 추가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스마트공장 구축기업들이 이번 콘테스트를 통해 서로의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며, 스마트 제조혁신의 성공 모델을확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우수사례로 선정된 기업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혜택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스마트제조 혁신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추진단은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공장 도입기업 및 공급기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콘테스트를 통해 공급기업은 투자유치 및 해외 판로개척 기회 등을 지원받아 신기술 개발 등 기업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093","atchfileNm":"240603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제조혁신_성공_모델_확산을_위해_공유의_장_열기로!.pdf","viewCnt":"501","regDate":"2024-06-04 17:02:28"},{"contentId":"153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전담은행과 함께 중소벤처기업 투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341","contentsKor":"TIPA, R&D 전담은행과 함께 중소벤처기업 투자 지원 전략기술 분야 중소기업 대상 투자설명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5월 29일, 30일 양일간 서울 여의도 소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수도권평가실에서 ‘2024년 제2차 중소기업R&D 전담은행 투자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번 투자설명회는 TIPA가 중소기업 R&D 자금예치 전담은행인 IBK기업은행·하나은행과 함께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전담은행 투자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3년간(‘22~’24년) 총 2,600억원 투자 예정 ◦ 특히 이번 투자설명회는 12대 국가전략기술 및 중소벤처기업부 중점 지원 기술* 보유 기업 중 16개 유망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해당 기업들은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 투자담당자를 대상으로 대면 투자설명(IR)을 진행한다. 이후 투자담당자 관심 기업에 대해서는 후속 미팅 등을 통해 최종 투자 여부가 결정된다. *12대 국가전략기술 : ①반도체‧디스플레이, ②이차전지, ③ 첨단 모빌리티, ④차세대 원자력, ⑤첨단 바이오, ⑥우주항공‧해양, ⑦수소, ⑧사이버 보안, ⑨인공지능, ⑩차세대 통신, ⑪첨단 로봇 제조, ⑫양자 중소벤처기업부 중점 지원 기술 : 탄소저감 □ 김영신 원장은 “R&D를 수행한 우수 중소기업의 투자 유치를 위한 프로그램을 지속 운영하고 있으며, 전략기술을 보유한 우수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국가 R&D 경쟁력 향상이 기대된다.”고 말하며, “R&D 중소기업을 위한 전담은행의 노력에도 깊은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030","atchfileNm":"240530_보도자료_TIPA,_RD_전담은행과_함께_중소벤처기업_투자_지원.pdf","viewCnt":"525","regDate":"2024-05-31 16:38:31"},{"contentId":"153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회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에서 대한민국 스마트공장 우수 성과 알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322","contentsKor":"제1회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에서 대한민국 스마트공장 우수 성과 알린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코엑스 업무 협약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과 코엑스는 5월 22일(수) 코엑스 스튜디오 159에서 ’제1회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 개최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 양 기관은 오는 9월 25일부터 3일 간 베트남 빈증무역센터 전시장 에서 열리는 ’제1회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의 성공적인 개최를 통한 우리나라 스마트공장 지원정책 사례 및 성과 공유, 스마트공장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진출을 견인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하였다. □ 제1회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에는 베트남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중소·중견 스마트공장 기술 공급기업 약 55개 기업이 추진단 지원을 통해 참가해, 기술 공급기업의 해외진출 교두보 마련에 나선다. ◦ 추진단은 베트남 진출을 희망하는 스마트공장 기술 공급기업을 대상으로 부스설치, 물류, 통역비 등 전시회 참가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 전시회 참여 기업 모집 기간은 오는 5월 22일부터 6월 28일까지이며,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automationworld.co.kr/fairDash.do)에서 공고 확인 및 지원할 수 있다. □ 추진단은 이번 엑스포에서 국내 중소·중견 기술 공급기업이 참여하는 ’K-스마트제조혁신 기술 공급기업관‘을 설치하고 스마트공장 구축 사례, 솔루션 소개 및 시연 등을 진행하여 국내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스마트공장 구축시장 진출을 위한 토대를 지원한다. ◦ 그 외, 이번 엑스포에는 삼성, LG 등 유수의 현지 진출 대기업 협력사와 전시회 참여 기업 간의 1:1 비즈매칭을 포함한 수출상담회와 스마트제조혁신 포럼 등 다채로운 비즈니스 행사가 열려 국내외 업계 전문가들이 활발히 교류하는 네트워킹의 장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된다. □ 안광현 추진단장은 ’’베트남 시장에 진출하여 성과창출이 기대되는 국내 스마트공장 기술 공급기업을 선발하여 글로벌 비즈니스 영역을확장하고 성장을 지원할 것‘‘이며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스마트공장 추진에도 크게 기여할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 이동기 코엑스 사장은 “글로벌 생산 거점인 베트남의 적극적인 제조업 디지털화에 발맞춰 올해부터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를 개최하게 되었다”며 “코엑스의 해외 전시회 개최 노하우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의 베트남 진출을 위한 수출플랫폼으로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985","atchfileNm":"240522_보도자료_제1회_베트남_스마트공장_엑스포에서_대한민국_스마트공장_우수_성과_알린다(최종).pdf","viewCnt":"608","regDate":"2024-05-22 13:25:57"},{"contentId":"153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의약‧바이오 분야 미래 혁신 기업 육성을 위해 3개 기관 뭉쳤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305","contentsKor":"의약‧바이오 분야 미래 혁신 기업 육성을 위해 3개 기관 뭉쳤다.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ㆍ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ㆍ서울바이오허브, MOU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10일(금)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서울바이오허브와 우수 연구자‧ 전문가 활용 촉진 및 K-바이오랩허브의 안정적 추진과 상호 발전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MOU는 △글로벌 미래 혁신기업 육성을 위한 연계 △혁신 기술 보유 기업 연계에 관한 협력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한 의약‧바이오 혁신 생태계 구축 및 사업화 촉진 △바이오 기술창업 활성화 정책 발굴 및 스타트업 프로그램 협력 △의약‧바이오 벤처기업 지원프로그램 활용 및 개발 상호협력을 골자로 한다.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서울바이오허브는 의약‧바이오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하는 기관으로 이번 MOU를 통해 관련 분야 우수 연구자‧전문가 활용 등 다방면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 한인석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장은 “이번 MOU로 의약‧바이오산업 인프라 확대뿐만이 아닌 의약‧바이오 스타트업의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발판이 될것이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 이날 MOU에 참가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제진수 미래성장 이사는 “바이오산업체와 인력이 50%이상 밀집되어 있는 수도권이 협력하여 글로벌 혁신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해 적극 협력하면 대한민국 바이오 스타트업의 글로벌 혁신기업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말했다. □ MOU 협약 기관인 서울바이오허브 김현우 단장은 “세계 시장서 경쟁력 있는 스타트업을 지원하려면 바이오클러스터 스스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번 협력이 유니콘 바이오 스타트업을 길러내는 개방형 혁신 클러스터를 향한 첫걸음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945","atchfileNm":"240510_보도자료_의약ㆍ바이오_분야_미래_혁신_기업_육성을_위해_3개_기관_뭉쳤다_배포_(최종).hwp","viewCnt":"610","regDate":"2024-05-10 15:31:37"},{"contentId":"152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도 앞장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97","contentsKor":"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도 앞장서다 -김영신 원장,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 참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 김영신 원장은 5월 2일(목),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류광수 이사장님의 지명을 받아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은 2023년 8월 환경부가 시작한 캠페인으로 ‘일상에서의 플라스틱 사용 절감을 위한 범국민 실천 운동 제고’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은 중소벤처기업부 오영주 장관, 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 등이 동참했으며, 플라스틱 사용 절감의 중요성을 환기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 TIPA 김영신 원장도 이러한 취지에 적극 공감하며, 이번 캠페인에 참가했다. 김영신 원장은 “플라스틱 사용 절감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시대다.”라고 밝히며, “기관의 대내외 행사 및 업무에 플라스틱 줄이기에 적극적으로 나서, 공공기관으로서의 ESG경영을 실천하는 TIPA임직원이 되겠다.”고 말하며 이번 캠페인 소감을 밝혔다. ◦ 김영신 원장은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 후속 주자로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이상훈 회장과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박승기 원장을 지목해 캠페인을 이어 나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920","atchfileNm":"240503_보도자료_플라스틱_줄이기,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도_앞장서다.pdf","viewCnt":"551","regDate":"2024-05-03 16:17:07"},{"contentId":"152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혁신센터 4곳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94","contentsKor":"중소기업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혁신센터 4곳 선정 ‘24년도 「중소기업 연구인력 현장맞춤형 양성지원사업」 연구인력혁신센터(R&D Brain Care Center) 4곳 최종 선정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기정원)은 지난 4월 중소기업 연구인력 현장맞춤형 양성을 위해 올해 48.3억 원을 시작으로 최대 3 년간 총 144.9억 원을 지원하는 연구인력혁신센터(R&D Brain Care Center) 4개 기관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연구인력 현장맞춤형 양성지원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기정원이 전담하는 사업으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연구인력을 핵심R&D인력으로 양성하여 기업과 인력이 ‘함께 성장’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이다. 선정된 전북대학교, 호서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는 중소기업의 연구인력 양성 및 공급을 위하여 기술애로 해결 및 연구인력 수요를 기반으로 중소기업과 연구인력을 매칭하고, 현장맞춤형 단계별프로그램 운영, 채용연계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또 연구인력혁신센터(R&D Brain Care Center)는 매년 400여명의 예비연구자와 160여명의 신진연구자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연구장비, 입주시설, 기술지도 등 센터만의 특화된 연구 인프라와 연계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제고에 기여할 계획이다. 기정원 오주환 본부장은 ”디지털 경제 전환 등 기업의 기술‧경영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기술혁신의 핵심은 전문 연구인력“이라며, ”이 사업을 통해 연구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기술혁신의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915","atchfileNm":"240430_중소기업_연구인력_양성을_위한_혁신센터_4곳_선정_지역정책기획실.pdf","viewCnt":"665","regDate":"2024-05-02 19:25:29"},{"contentId":"152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바이오헬스 연구 강원 지역 거점 마련을 위한 노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69","contentsKor":"바이오헬스 연구 강원 지역 거점 마련을 위한 노력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한림대학교 업무협약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지난 17일(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한림대학교 산학협력관에서 한림대학교와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 일 발표했다. ◦ 이번 한림대학교와 업무협약은 광역을 아우르는 전국적 네트워크 구축과 한국형 K-바이오랩허브사업 안착을 위한 성장과 발전의 발판 마련을 위해 추진됐다. □ 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K-바이오랩허브 사업의 추진 및 기획 사항 △바이오 분야의 교과과정 개발과 취업 및 기술 정보 교환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협의했다. □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한인석 단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의과대학을 포함해 생명과학분야의 우수한 인력과 인프라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한림대와 산·학·연·병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성과 창출에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한림대 최양희 총장은 “한림대는 K-바이오랩허브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지-산-학을 연계한 공유 협업에 강점을 활용, 바이오, 신약, 의료 등 관련 분야에서 한림대가 강원지역 거점으로 발전하는 좋은 계기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856","atchfileNm":"240419_보도자료_바이오헬스_연구_강원_지역_거점_마련을_위한_노력.pdf","viewCnt":"589","regDate":"2024-04-19 14:42:33"},{"contentId":"152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스마트공장 교육협력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66","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스마트공장 교육협력을 위한 MOU 체결 - 중소·중견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운영 협업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18일 세종에 소재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본원에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과 스마트공장 교육과정 운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이번 추진단-중진공 간의 교육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은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문성을 갖춘 기업을 육성하여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체결 됐다. ◦ 주요 협약 내용으로 추진단은 제조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경쟁력 제고 목적의 사업기획 및 우수기업 발굴 등을 지원하고, 중진공은 스마트공장 사업에 선정된 기업에 대해 체계적인 사업운영교육과 기술교육 진행 등이 포함됐다. ◦ 이날 협약식에는 추진단 안광현 단장, 중진공 조한교 인력성장 이사 등 관계자 10명이 참석하여,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이해도 향상과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심도있는 논의도 함께 진행되었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추진되는 스마트공장 교육과정은 사업관리교육, 기술교육, 전문가교육의 3가지 과정으로 진행된다. ◦ 사업관리교육은 스마트공장 선정기업 대상으로 진행되며, 사업 전반의 수행방법과 지침, 규정, 유의사항 등을 교육 예정이다. ◦ 기술교육은 스마트공장에 대한 전문적 기술역량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으로 스마트공장의 운영관리와 현장적용방법 등을 구축 수준별로 맞춤 교육을 진행한다. ◦ 전문가교육은 스마트공장 전문가가 구축기업의 활용현황 진단, 애로사항 해결, 고도화 기획지원 등 수요 맞춤형 컨설팅을 위한 전문가 역량강화 교육이다. □ 한편, 추진단은 ’14년부터 ’22년까지 3만개 스마트공장의 구축 하였으며, 지역·민간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27년까지 디지털 제조혁신기업 2.5만개 육성을 추진 중에 있다. ◦ 올해에는 AI·디지털트윈 기반의 ‘자율형공장’과 데이터 상호연결을 통한 시너지를 창출하는 ‘디지털협업공장’ 등 선도모델을 제시하는고도화 기업 육성을 중점 추진 중이다. □ 안광현 추진단장은 “스마트공장의 성공적 구축을 위해서는 ‘스마트공장에 대한 이해’, ‘기술역량을 갖춘 전문인력’, ‘기업에 맞는 전문가컨설팅’ 3가지 요소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며 “스마트공장 사업의 내실화와 제조업의 역량강화를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853","atchfileNm":"240418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_스마트공장_교육협업을_위한_MOU_체결.pdf","viewCnt":"618","regDate":"2024-04-18 15:52:09"},{"contentId":"152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 '최우수 등급' 달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65","contentsKor":"TIPA, ‘ ’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 최우수 등급 달성 -다각적인 동반성장 활동 작년 대비 단계 상승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 김영신 이하 TIPA) 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3년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 에서 최우수 등급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2023년도 평가 기관은 총 134개로 기관별 동반성장 추진 실적 및 협력 업체 대상 체감도 조사결과를 합산하여 5가지 등급 으로 평가됐다. TIPA는 지난 2020년부터 동반성장 평가 기관으로 지정 4년 만에 최우수 등급을 달성했다. 지난해 양호 등급에서 2단계 상승했다. TIPA는 동반성장 관련 주요 활동으로 협력사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사업화 자금 지원, 협력사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부처 협업형 스마트공장 사업 추진, 공정거래질서 확립을 위한 납품 대금 연동제 동행기업 신청 및 상생결제 이용 활성화 노력 등 다 방면으로 동반성장 생태계 확대에 주력했다. TIPA 김영신 원장은 이번 최우수 등급 달성은 우리 원의 지속적인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력과 중소기업과의 협력에 대한 성과 라고 밝히며 앞으로도 는 중소벤처기업의 동반성장 파트너로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공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 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851","atchfileNm":"240417_보도자료_TIPA,_공공기관_동반성장_평가_최우수_등급_달성.pdf","viewCnt":"575","regDate":"2024-04-18 15:48:16"},{"contentId":"152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한-독 디지털 제조혁신 컨퍼런스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37","contentsKor":"한-독 디지털 제조혁신 컨퍼런스 개최 - 글로벌 제조데이터 표준화 동향 및 환경 규제 대응 등 사례 공유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추진단)은 3월 27일(수) ‘한-독 디지털 제조혁신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 ’한-독 디지털 제조혁신 컨퍼런스‘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한 ’2024년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제 8회)‘에 추진단이 공동 주관사로 참여하면서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로 열렸다. ◦ 안광현 단장은 이번 컨퍼런스가 “한국과 독일 전문가가 참여해 제조업의기업환경 변화와 디지털 제조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글로벌 제조데이터 표준화 동향 및 환경규제 대응 사례 공유 및 확산”을 목적으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 한-독 디지털 제조혁신 컨퍼런스 개요 >  (일시/장소) ‘24. 3. 27(수) 14:30~17:30,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 300호  (참석자) 독일 제조혁신 협단체, 중기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및 산학연 등 100인내외  (주요내용) 글로벌 제조데이터 표준화 동향 및 환경규제 대응 등 사례 공유 □ 이번 컨퍼런스는 ▲ 디지털 제조혁신 트렌드, ▲ 글로벌 제조데이터 표준화, ▲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등 3개 분야 관련 전문가 발표로 이뤄졌다. ◦ 독일 전문가로는 IM-X*의 Thomas Hahn 의장, LNI4.0**의 DominikRohmus 연구소장, VDMA***의 Reinhard Heister 전무이사 등 3인이 발표를 진행했다. 한국 전문가는 안광현 추진단장을 비롯해 KPC 이정철팀장, 경남대 유남현 교수, KAIST 장영재 교수 등 7인이 관련 주제 발표에 나섰다. *IM-X : 국제 메뉴펙처링 X 협회(International Manufacturing-X Council) ** LNI 4.0 : Labs Network Industrie 4.0 *** VDMA : 독일 기계공업협회(Verband Deutscher Maschinen- und Anlagenbau) ◦ 이외에도 이번 컨퍼런스에는 중소벤처기업부 김우중 국장의 환영사와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BMWK)의 Markus Hess 국장의 비대면(영상) 축사가 진행됐다. □ 추진단은 이번 포럼 전에도 2020년부터 한국과 독일 전문가가 참여하는 제조혁신 및 제조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관련 주제로 총 3회 진행된 포럼은 제조데이터 표준 등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 창출에 밑거름이됐다. ◦ 앞으로도 추진단은 디지털 제조혁신에 대한 글로벌 협력사업과 활동을지속적으로 강화하고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KOSMO)은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제조혁신 지원과제조데이터 활용 촉진 등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제조혁신 추진·전문기관입니다. 한·독 민간 차원의 스마트제조 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과 LNI4.0은 ‘20년 12월 MOU 체결 및 ’23년 11월 MOU 갱신을 통해 국제표준(AAS) 개발, 디지털전환 플랫폼 협력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781","atchfileNm":"240327_보도자료_한-독_디지털_제조혁신_컨퍼런스_개최_배포.pdf","viewCnt":"757","regDate":"2024-03-27 12:53:21"},{"contentId":"152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인하공업전문대학 업무협약(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22","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인하공업전문대학 업무협약(MOU)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15일(금) 인하공업전문대학과의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발표했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추진단은 인하공업전문대학과 한국형 K-바이오랩허브 사업 안착 및 인력 양성을 위한 사업 추진 및 학생의 취업 정보 교환 및 교육 등에 관한 상생 협력을 추진한다. □ 협약식에는 K-바이오랩허브 추진단 한인석 단장, 인하공업전문대학 김성찬 총장을 비롯한 관계자 13명이 참석하여, 상생협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도 함께 진행했다. □ 추진단 한인석 단장은 이번 인하공업전문대학과의 협약으로 “미래 핵심 분야인 의약 바이오 산업의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산·학·연·병 협력 네트워크 및 인프라 구축의 선순환적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746","atchfileNm":"240319_보도자료_K-바이오_랩허브_사업추진단x인하공업전문대학_업무_협약_체결.pdf","viewCnt":"620","regDate":"2024-03-19 20:09:38"},{"contentId":"151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 5년 연속‘우수’등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190","contentsKor":"TIPA,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 5년 연속‘우수’등급 -99.47점으로 전체기관 평균 63.1점 대비 탁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23년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에서 5년 연속으로 최고 등급인 ’우수‘ 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점검 평가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행정기관,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등 총 696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관리체계, △개방, △활용, △품질 등 네 가지 영역을 평가한다. □ TIPA는 대국민 대상 고품질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을 위해 △공공데이터 관리체계 마련, △직원 대상 공공데이터 교육 확대, △대국민 데이터 개방수요 발굴, △체계적 데이터 품질관리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 사용자의 공공데이터 활용 편의성을 위해 제공 데이터의 오픈 포맷 비중을 99%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공공데이터 담당자 지정을 통해 최신화 및 오류 신고에 대해 적기 처리를 준수하고 있다. ◦ 또한, 품질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관리체계와 데이터 값 관리 평가지표에서도 우수한 점수를 달성했다.  □ 80점 이상이면 ’우수‘ 등급을 받는 이번 평가에서 TIPA는 99.47점을 획득했으며, 이는 전체 696개 기관의 평균 점수 63.1점을 월등히 상회하는 점수이다. □ 김영신 원장은 "공공데이터의 적극적 개방과 활용을 통해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을 선도하고,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고품질의 데이터를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사회와 경제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 또한 "우리 기관은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품질 관리에 더욱 집중해, 데이터를 통한 신규 가치 창출과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682","atchfileNm":"240308_보도자료_TIPA,_공공데이터_제공운영_실태평가_5년_연속‘우수’등급.pdf","viewCnt":"760","regDate":"2024-03-07 18:33:30"},{"contentId":"151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LG전자 디지털전환 지원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189","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LG전자 디지털전환 지원 위한 MOU 체결 - 상생협력기반 제조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DX)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추진단)은 6일 추진단에서 LG전자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추진단은 중소·중견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상생협력 기반의 사업기획·실행계획 수립 등을 지원하고, LG전자는 중소·중견기업의 제조현장 기술지원을 통해 산업전반의 제조경쟁력향상과 협력사 참여확대를 통한 상생협력을 추진한다. □ 협약식에는 추진단 안광현 단장, LG전자 김병수 동반성장담당 등 관계자 10명이 참석하여, 지역 산업기술 고도화 및 신성장산업 육성등의 지원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도 함께 진행되었다. ◦ LG전자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에참여하여, ‘19년~’22년까지 100억원을 출연하여 186개사 중소기업의디지털 제조혁신을 지원하였으며 ’23년도부터 ’27년까지 125억을 추가로 출연하여 상생협업기반의 제조생태계 구축을 선도하고 있다.  □ 안광현 단장은 “제조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DX)을 위해서는 대·중소기업 간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대기업의 제조기술노하우 전수뿐만 아니라 네트워킹을 활용하여 판로개척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680","atchfileNm":"240306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LG전자_디지털전환_지원을_위한_MOU_체결_배포.pdf","viewCnt":"665","regDate":"2024-03-07 18:29:44"},{"contentId":"151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평가 2년 연속 ‘우수’ 등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149","contentsKor":"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평가에서  평가 최고 등급인 우수등급을 획득한 TIPA 평가 결과에 대한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608","atchfileNm":"240220_보도자료_TIPA,_데이터기반행정_실태점검_평가_2년_연속_‘우수’_등급.pdf","viewCnt":"663","regDate":"2024-02-20 10:01:37"},{"contentId":"151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벤처기업 IP역량 강화를 위해 KIPRO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15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한국특허기술진흥원의 업무협약에 대한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610","atchfileNm":"240219_보도자료_기정원,_중소벤처기업_IP역량_강화를_위해_KIPRO와_업무협약_체결★.pdf","viewCnt":"570","regDate":"2024-02-19 10:03:34"},{"contentId":"151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한인석 단장 임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118","contentsKor":"TIPA의 한시 조직으로 출범한 K-바이오 랩허브 사업추진단 초대 단장 임명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553","atchfileNm":"240205_보도자료__TIPA,_K-바이오_랩허브_사업추진단_한인석_단장_임명.pdf","viewCnt":"811","regDate":"2024-02-05 09:34:37"},{"contentId":"150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하나은행과 함께 한파를 이겨낼 지역상생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98","contentsKor":"TIPA에서 하나은행과 함께 진행한 지역상생활동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507","atchfileNm":"240129_보도자료_TIPA,_하나은행과_함께_한파를_이겨낼_지역상생활동_나서!★.pdf","viewCnt":"825","regDate":"2024-01-29 13:03:32"},{"contentId":"150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전문기관 최초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갱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99","contentsKor":"R&D 전문기관 최초, TIPA의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갱신 내용의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509","atchfileNm":"240116_보도자료_TIPA,_RD_전문기관_최초_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_37001_인증_갱신★★.pdf","viewCnt":"786","regDate":"2024-01-16 13:04:41"},{"contentId":"150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국립대전현충원 참배...“현장의 목소리 경청할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7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현충원 참배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56","atchfileNm":"240104_보도자료_TIPA,_국립대전현충원_참배...“현장의_목소리_경청할_것”★★.pdf","viewCnt":"753","regDate":"2024-01-04 16:07:04"},{"contentId":"150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EIT-IITP, 국제협력 활성화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7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58","atchfileNm":"231228_보도자료_TIPA-KEIT-IITP,_국제협력_활성화_위한_다자간_업무협약_체결★.pdf","viewCnt":"755","regDate":"2023-12-28 16:09:16"},{"contentId":"150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지역사회와 동행하는 TIPA, 따뜻한 식사 나눔 실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7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지역소외계층 대상 식사권 기부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60","atchfileNm":"231226_보도자료_지역사회와_동행하는_TIPA,_따뜻한_식사_나눔_실천.pdf","viewCnt":"611","regDate":"2023-12-26 16:10:08"},{"contentId":"150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의 따뜻한 동행, 4년 연속 지역사회로부터 인정받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59","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4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승인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34","atchfileNm":"231221_보도자료_TIPA의_따뜻한_동행,_4년_연속_지역사회로부터_인정받아.pdf","viewCnt":"598","regDate":"2023-12-21 15:35:28"},{"contentId":"150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눈꽃 동행축제와 함께 40℃ 온기나눔 온열기구 기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5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진행한 기부행사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32","atchfileNm":"231218_TIPA,_눈꽃_동행축제와_함께_40℃_온기나눔_온열기구_기부.hwp","viewCnt":"556","regDate":"2023-12-18 11:34:49"},{"contentId":"150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하나은행,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지원 위해 하나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57","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에서 하나은행과 체결한 전담은행 업무협약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30","atchfileNm":"231215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하나은행,_중소기업_스마트제조혁신_지원_위해_하나로!★.hwp","viewCnt":"594","regDate":"2023-12-15 12:33:49"},{"contentId":"150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온 국민과 온기를 나누기 위한 헌혈 캠페인 동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53","contentsKor":"TIPA에서 개최한 '헌혈 캠페인'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24","atchfileNm":"231211_보도자료_TIPA,_온_국민과_온기를_나누기_위한_헌혈_캠페인_동참.hwp","viewCnt":"536","regDate":"2023-12-11 11:16:09"},{"contentId":"150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판소리와 샌드아트 공연으로 청렴 의식을 함양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51","contentsKor":"TIPA에서 개최한 청렴 교육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22","atchfileNm":"20231204_(보도자료)_TIPA,_판소리와_샌드아트_공연으로_청렴_의식을_함양하다.hwpx","viewCnt":"533","regDate":"2023-12-04 10:15:36"},{"contentId":"150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기관 혁신은 국민의 아이디어로부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43","contentsKor":"TIPA에서 개최한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 결과'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06","atchfileNm":"231128_보도자료_TIPA,_기관_혁신은_국민의_아이디어로부터.hwp","viewCnt":"677","regDate":"2023-11-28 09:48:34"},{"contentId":"150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트렌드코리아2024 특강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40","contentsKor":"TIPA에서 개최한 트렌드코리아 2024 특강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98","atchfileNm":"보도자료_TIPA_지역주민과_함께하는_트렌드코리아2024_특강개최_231123.pdf","viewCnt":"686","regDate":"2023-11-23 11:18:24"},{"contentId":"150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 정착 위해 전직원 동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39","contentsKor":"TIPA의 윤리경영 정착 위해 전직원이 동참하여 추진하는 청렴자율 실천과제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96","atchfileNm":"231116_(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정착_위해_전직원_동참★.hwp","viewCnt":"511","regDate":"2023-11-16 08:17:07"},{"contentId":"150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제5회 스마트공장·생산자동화전 행사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17","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기관으로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고도화를 지원하는 기관입니다. 추진단에서 참가하는 제5회 스마트공장·생산자동화전 행사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69","atchfileNm":"231108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제5회_스마트공장·생산자동화전_행사_참가★.pdf","viewCnt":"638","regDate":"2023-11-08 11:31:00"},{"contentId":"149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민이 제안하고, TIPA가 실천하는 2023 TIPA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62","contentsKor":"TIPA에서 진행 중인 2023 TIPA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관련 보도자료입니다.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TIPA 혁신아이디어 공모 내용으로 신청, 접수는 10월 31일까지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45","atchfileNm":"보도자료_국민이_제안하고,_TIPA가_실천하는_2023_TIPA_대국민_혁신아이디어_공모전_개최_231006(배포).pdf","viewCnt":"794","regDate":"2023-10-06 09:50:51"},{"contentId":"149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대기업 상생 협력을 위한 연구개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64","contentsKor":"TIPA에서 진행한 2023년 구매조건부 상생협력기반 혁신형 도전과제 공고 관련 보도자료입니다.수요처의 기술개발 제안과제를 중소기업이 개발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신청, 접수는 9월 27일부터 10월 26일까지 진행 중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4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대기업_상생_협력을_위한_연구개발_지원_231004.pdf","viewCnt":"1059","regDate":"2023-10-05 09:32:24"},{"contentId":"149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추석 선물 행복상자 기부로 지역사회와 동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43","contentsKor":"TIPA에서 진행한  TIPA*하나은행 행복상자 나눔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TIPA와 하나은행은 추석 명절 맞이 이웃 돕기 활동 일환으로  TIPA R&D 지원사업 참여 우수제품, 전통시장 구매 물품을 활용해 명절 선물상자를 만들어 기부했습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00","atchfileNm":"보도자료_TIPA_추석_선물_행복상자_기부로_지역사회와_동행_230926(배포).pdf","viewCnt":"718","regDate":"2023-09-26 09:55:58"},{"contentId":"149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임직원 전통시장 氣 살리기 동행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40","contentsKor":"TIPA에서 진행한 전통시장 氣 살리기 동행 캠페인 행사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세종 대표 전통시장인 조치원 시장을 통해 추석맞이 이웃나눔 활동 물품을 구매하는 등  전통시장 활용과 기업의 사회적 가치 나눔 활동을 결합한 캠페인 이었습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95","atchfileNm":"230920_(보도자료)_TIPA_임직원_전통시장_氣_살리기_동행.pdf","viewCnt":"755","regDate":"2023-09-20 18:48:17"},{"contentId":"149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UN산업개발기구 및 인도, 필리핀 정부 관계자에게 스마트공장 선진사례 선보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39","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TIPA 부설기관으로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고도화를 지원하는 기관입니다.  추진단에서 진행한 개발도상국 정부 관계자 대상 스마트공장 현장 방문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93","atchfileNm":"230914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UN산업개발기구_및_인도,_필리핀_정부_관계자에게_스마트공장_선진사례_선보여.pdf","viewCnt":"733","regDate":"2023-09-14 17:46:27"},{"contentId":"149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혁신 선도기업 역량 강화 아카데미 성황리에 마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29","contentsKor":"TIPA에서 진행한   지역혁신 선도기업 역량 강화 아카데미 행사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지역 대표기업의 자긍심 고취 등을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맞춤형 강연을 제공한 올해 마지막 행사였습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75","atchfileNm":"230914_(보도자료)_TIPA,_지역혁신_선도기업_역량_강화_아카데미_성황리에_마쳐.pdf","viewCnt":"651","regDate":"2023-09-14 15:13:07"},{"contentId":"149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8대 김영신 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2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8대 김영신 원장 취임 관련 보도자료를 공유드립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50","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제8대_김영신_원장_취임_230901.pdf","viewCnt":"1032","regDate":"2023-09-01 15:12:48"},{"contentId":"148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中企R&D사업비 집행 애로 해결에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74","contentsKor":"TIPA는 중소기업 R&D지원사업 수행기관(기업)을 위해 `20년부터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2023년 하반기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 관련 보도자료를 공유드립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98","atchfileNm":"보도자료_TIPA,中企RD사업비_집행_애로_해결에_나선다_230821..pdf","viewCnt":"993","regDate":"2023-08-21 11:08:26"},{"contentId":"148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동남·대경권 소재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73","contentsKor":"TIPA는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지원을 위해 `21년부터 3년 간 1,300억원의 투자 자금을 마련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올해 마지막 투자 유망기업 모집  관련 보도자료를 공유드립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96","atchfileNm":"20230816_(보도자료)_TIPA,_동남·대경권_소재_투자_유망_중소기업_발굴.pdf","viewCnt":"711","regDate":"2023-08-16 11:06:48"},{"contentId":"148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기R&D 수행 우수기업을 위한 투자역량 강화 프로그램 참여기업 올해 마지막 선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64","contentsKor":"'TIPA ValueUP 프로그램 14기 참여기업 모집'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87","atchfileNm":"20230808_(보도자료)_TIPA,_중기RD_수행_우수기업을_위한_투자역량_강화_프로그램_참여기업_올해_마지막_선발.pdf","viewCnt":"830","regDate":"2023-08-08 10:53:14"},{"contentId":"148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핵심미션을 통한 도전적 R&D 확산에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59","contentsKor":"'`23년 기술혁신개발사업 후불형 R&D 추진'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77","atchfileNm":"20230807_(보도자료)_TIPA,_핵심미션을_통한_도전적_RD_확산에_나선다.hwp","viewCnt":"951","regDate":"2023-08-07 09:36:01"},{"contentId":"148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사우디 NIPST Team, 중소기업 R&D지원정책 벤치마킹을 위해 TIPA에 방문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58","contentsKor":" '사우디 NIPST Team의 중소기업 R&D지원정책 벤치마킹 위한 TIPA 방문'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75","atchfileNm":"20230803_(보도자료)_사우디_NIPST_Team,_중소기업_RD지원정책_벤치마킹을_위해_TIPA에_방문하다!.hwp","viewCnt":"726","regDate":"2023-08-03 09:34:32"},{"contentId":"148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상공인 디지털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및 실증 지원, 소상공인 스마트기술 육성 R&D 사업 공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07","contentsKor":" '소상공인 디지털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및 실증 지원, 소상공인 스마트기술 육성 R&D 사업 공모'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21","atchfileNm":"20230724_(보도자료)_소상공인_디지털전환을_위한_기술개발_및_실증_지원,_소상공인_스마트기술_육성_RD_사업_공모.pdf","viewCnt":"927","regDate":"2023-07-24 17:28:46"},{"contentId":"147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공장 구축자금대출 총 5,000억원으로 확대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97","contentsKor":" '스마트공장 구축자금대출 총 5,000억원으로 확대 운영'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01","atchfileNm":"20230719_(보도자료)_스마트공장_구축자금대출_총_5,000억원으로_확대_운영(배포★).pdf","viewCnt":"1050","regDate":"2023-07-19 13:44:43"},{"contentId":"147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민 체감 분야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해 5개 부처가 뭉쳤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95","contentsKor":" '국민 체감 분야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해 5개 부처가 뭉쳤다'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97","atchfileNm":"20230717_(보도자료)_국민_체감_분야_중소기업_디지털_전환을_위해_5개_부처가_뭉쳤다(배포).pdf","viewCnt":"849","regDate":"2023-07-18 09:08:44"},{"contentId":"147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혁신 선도기업에 수출, 경영전략 등 노하우 전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90","contentsKor":" 'TIPA, 지역혁신 선도기업에 수출, 경영전략 등 노하우 전수'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92","atchfileNm":"(보도_참고사진)_행사_포스터.jpeg","viewCnt":"794","regDate":"2023-07-13 13:59:07"},{"contentId":"147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기술혁신 중소벤처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89","contentsKor":" 'TIPA, 기술혁신 중소벤처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 지원'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89","atchfileNm":"20230713_(보도자료)_TIPA,_기술혁신_중소벤처기업의_인도네시아_진출_지원(배포).pdf","viewCnt":"788","regDate":"2023-07-13 10:49:50"},{"contentId":"147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통합정보시스템 오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78","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통합정보시스템 오픈'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70","atchfileNm":"20230706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공장_통합정보시스템_오픈(배포).pdf","viewCnt":"1161","regDate":"2023-07-06 17:33:06"},{"contentId":"147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지정회계법인 제도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77","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지정회계법인 제도 운영'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68","atchfileNm":"20230629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지정회계법인_제도_운영(배포).pdf","viewCnt":"852","regDate":"2023-06-29 17:30:59"},{"contentId":"147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제12회 스마트테크코리아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76","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제12회 스마트테크코리아 참가'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66","atchfileNm":"20230627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제12회_스마트테크코리아_참가(배포).pdf","viewCnt":"705","regDate":"2023-06-28 17:30:02"},{"contentId":"147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3년 제조데이터 AI 문제해결 솔루션 실증사업 본격 추진 위한 사업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60","contentsKor":" '2023년 제조데이터 AI 문제해결 솔루션 실증사업 본격 추진 위한 사업설명회 개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39","atchfileNm":"20230621_(보도자료)_2023년도_제조데이터_AI_문제해결_솔루션_실증사업_본격_추진_위한_사업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806","regDate":"2023-06-22 17:42:59"},{"contentId":"147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미래 제조현장 혁신의 중심 '메타버스팩토리' 시범사업 착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43","contentsKor":" '미래 제조현장 혁신의 중심 '메타버스팩토리' 시범사업 착수'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04","atchfileNm":"20230613_(보도자료)_미래_제조현장_혁신의_중심_메타버스팩토리_시범사업_착수(배포)(★).pdf","viewCnt":"847","regDate":"2023-06-13 10:33:52"},{"contentId":"147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호남, 제주권역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37","contentsKor":" 'TIPA, 호남, 제주권역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96","atchfileNm":"20230608_(보도자료)_TIPA,_호남,_제주권역_투자_유망_중소기업_발굴한다(배포).pdf","viewCnt":"824","regDate":"2023-06-08 09:33:11"},{"contentId":"147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환경부 주관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참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36","contentsKor":" 'TIPA, 환경부 주관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참여'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94","atchfileNm":"20230607_(보도자료)_TIPA,_환경부_주관_일회용품_제로_챌린지_참여(배포).pdf","viewCnt":"859","regDate":"2023-06-07 09:32:20"},{"contentId":"147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35","contentsKor":" 'TIPA,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92","atchfileNm":"20230601_(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실천_프로그램_전사적_가동(배포).pdf","viewCnt":"704","regDate":"2023-06-01 09:31:11"},{"contentId":"147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3년 제2차 중소기업R&D 전담은행 투자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34","contentsKor":" 'TIPA, 2023년 제2차 중소기업R&D 전담은행 투자설명회 개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90","atchfileNm":"20230531_(보도자료)_TIPA,_2023년_제2차_중소기업RD_전담은행_투자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973","regDate":"2023-05-31 09:30:10"},{"contentId":"147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한-태국 기술교류 상담회 성황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21","contentsKor":" 'TIPA,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한-태국 기술교류 상담회 성황리 개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55","atchfileNm":"230526_(보도자료)_TIPA,_중소벤처기업_해외진출_지원을_위한_한-태국_기술교류_상담회_성황리_개최(배포).pdf","viewCnt":"941","regDate":"2023-05-26 09:03:45"},{"contentId":"147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우수 R&D 수행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투자유망 중소벤처기업 선발 육성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20","contentsKor":" 'TIPA, 우수 R&D 수행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투자유망 중소벤처기업 선발 육성한다'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53","atchfileNm":"20230525_(보도자료)_TIPA,_우수_RD_수행기업의_투자_활성화를_위해_투자유망_중소벤처기업_선발_육성한다(배포).pdf","viewCnt":"779","regDate":"2023-05-25 09:02:22"},{"contentId":"147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ESG 경영 실천, 임직원 플로깅 봉사활동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16","contentsKor":" 'TIPA, ESG 경영 실천, 임직원 플로깅 봉사활동 시행'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49","atchfileNm":"20230524_(보도자료)_TIPA,_ESG_경영_실천,_임직원_플로깅_봉사활동_시행(배포).pdf","viewCnt":"925","regDate":"2023-05-24 14:46:51"},{"contentId":"147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세계은행, 5개국과 스마트공장 현장방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15","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세계은행, 5개국과 스마트공장 현장방문'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47","atchfileNm":"20230522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세계은행_5개국_대표단과_스마트공장_현장방문(배포).pdf","viewCnt":"846","regDate":"2023-05-22 14:45:23"},{"contentId":"147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3년도 R&D멘토링 참여 중소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04","contentsKor":" 'TIPA, 2023년도 R&D멘토링 참여 중소기업 모집'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27","atchfileNm":"20230518_(보도자료)_TIPA,_2023년도_RD멘토링_참여_중소기업_모집(배포).pdf","viewCnt":"979","regDate":"2023-05-18 10:11:00"},{"contentId":"147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국민 목소리로 ESG 확산 방안 찾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00","contentsKor":" 'TIPA, 국민 목소리로 ESG 확산 방안 찾는다'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22","atchfileNm":"20230517_(보도자료)_TIPA,_국민_목소리로_ESG_확산_방안_찾는다!(배포).pdf","viewCnt":"793","regDate":"2023-05-17 10:42:15"},{"contentId":"146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3년 지역별 1대1 R&D 사업비 맞춤상담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99","contentsKor":" 'TIPA, 2023년 지역별 1대1 R&D 사업비 맞춤상담회 실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20","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3년_지역별_1대1_RD_사업비_맞춤상담회_실시(배포).pdf","viewCnt":"823","regDate":"2023-05-16 20:52:40"},{"contentId":"146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한-베트남 기술교류 상담회 성황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80","contentsKor":" 'TIPA,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한-베트남 기술교류 상담회 성황리 개최'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94","atchfileNm":"230511_(보도자료)_TIPA,_중소벤처기업_해외진출_지원을_위한_한-베트남_기술교류_상담회_성황리_개최(배포).pdf","viewCnt":"838","regDate":"2023-05-11 14:47:39"},{"contentId":"146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소상공인 스마트기술 육성 R&D사업 공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27","contentsKor":" 'TIPA, 소상공인 스마트기술 육성 R&D사업 공모'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18","atchfileNm":"20230421_(보도자료)_소상공인_스마트기술_육성_RD사업_공모(배포).pdf","viewCnt":"1205","regDate":"2023-04-21 10:48:43"},{"contentId":"146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 R&D 전담은행 투자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23","contentsKor":" 'TIPA, 중소기업 R&D 전담은행 투자설명회 개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04","atchfileNm":"20230418_(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_RD_전담은행_투자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1131","regDate":"2023-04-18 09:29:43"},{"contentId":"146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사업, 경기도와 2차년도 사업 추진 협약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17","contentsKor":" '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사업, 경기도와 2차년도 사업 추진 협약식 개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94","atchfileNm":"20230412_(보도자료)_2023년_지역특화_제조데이터_활성화_경기_2차년도_협약식_개최(배포).pdf","viewCnt":"1192","regDate":"2023-04-12 17:53:07"},{"contentId":"146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일회용컵 없는 커피차 운영으로 친환경경영 의지 다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16","contentsKor":" 'TIPA, 일회용컵 없는 커피차 운영으로 친환경경영 의지 다져'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83","atchfileNm":"20230411_(보도자료)_TIPA,_일회용컵_없는_커피차_운영으로_친환경경영_의지_다져(배포).hwp","viewCnt":"985","regDate":"2023-04-11 13:59:29"},{"contentId":"145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인증 6년 유지 성과 달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68","contentsKor":" 'TIPA,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인증 6년 유지 성과 달성'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80","atchfileNm":"20230307_(보도자료)_TIPA,_부패방지경영시스템_인증_6년_유지_성과_달성(배포).pdf","viewCnt":"1193","regDate":"2023-03-07 16:12:19"},{"contentId":"145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자동화 산업전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67","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자동화 산업전 참가'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78","atchfileNm":"20230307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공장_자동화_산업전_참가(배포).pdf","viewCnt":"1244","regDate":"2023-03-07 16:11:16"},{"contentId":"145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3년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참여기업(기관)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37","contentsKor":" 'TIPA, 2023년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참여기업(기관) 모집'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45","atchfileNm":"20230302_(보도자료)_TIPA,_2023년_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_참여기업(기관)_모집(배포).pdf","viewCnt":"1280","regDate":"2023-03-02 16:12:41"},{"contentId":"145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판로 지원을 위한 우수 R&D 혁신제품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35","contentsKor":" 'TIPA, 공공판로 지원을 위한 우수 R&D 혁신제품 모집'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41","atchfileNm":"20230224_(보도자료)_TIPA,_공공판로_지원을_위한_우수_RD_혁신제품_모집(배포).pdf","viewCnt":"1321","regDate":"2023-02-24 10:04:07"},{"contentId":"145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3년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역량진단 사업 운영기관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22","contentsKor":" '2023년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역량진단 사업 운영기관 모집'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13","atchfileNm":"(☆)20230220_(보도자료)_2023년_스마트공장_공급기업_역량진단_사업_운영기관_모집(배포).pdf","viewCnt":"1320","regDate":"2023-02-20 09:40:33"},{"contentId":"145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3년도 핵심미션' 발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02","contentsKor":" 2.6(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3년도 핵심미션' 발표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63","atchfileNm":"20230206_(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2023년도_핵심미션_발표(배포).pdf","viewCnt":"1464","regDate":"2023-02-06 17:19:46"},{"contentId":"144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하나은행과 신년맞이 지역상생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83","contentsKor":"    'TIPA, 하나은행과 신년맞이 지역상생활동 나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45","atchfileNm":"보도자료_사진.jpg","viewCnt":"1144","regDate":"2023-01-26 14:32:20"},{"contentId":"144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비상임이사 및 노동이사 신규 선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74","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비상임이사 및 노동이사 신규 선임'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24","atchfileNm":"20230117_(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비상임이사_및_노동이사_신규_선임(배포).pdf","viewCnt":"1265","regDate":"2023-01-17 11:20:08"},{"contentId":"144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기 R&D 수행 중소기업 투자유치를 위한 2023 TIPA ValueUP 본격 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72","contentsKor":" TIPA, 중기 R&D 수행 중소기업 투자유치를 위한 2023 TIPA ValueUP 본격 시동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20","atchfileNm":"20230113_(보도자료)_TIPA,_중기_RD_수행_중소기업_투자유치를_위한_2023_TIPA_ValueUP_본격_시동(배포).pdf","viewCnt":"1199","regDate":"2023-01-16 14:40:41"},{"contentId":"144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국립대전현충원 참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64","contentsKor":" 1.4, '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국립대전현충원 참배'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04","atchfileNm":"★20230104_(보도자료)_이재홍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_국립대전현충원_참배(배포)_(1).hwp","viewCnt":"1193","regDate":"2023-01-04 14:03:18"},{"contentId":"144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3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에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58","contentsKor":" 'TIPA, 3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에 선정'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93","atchfileNm":"20221228_(보도자료)_TIPA,_3년_연속_지역사회공헌_인정기관에_선정(배포).pdf","viewCnt":"1108","regDate":"2022-12-28 14:49:01"},{"contentId":"144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부문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활용 우수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57","contentsKor":" 'TIPA, 공공부문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활용 우수기관 선정'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91","atchfileNm":"★20221227_(보도자료)_TIPA,_공공부문_개방형_클라우드_플랫폼_구축_활용_우수기관_선정(배포).pdf","viewCnt":"1382","regDate":"2022-12-28 14:47:40"},{"contentId":"144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기술혁신센터 개소 6주년 맞아 첫 성과공유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51","contentsKor":" TIPA, 기술혁신센터 개소 6주년 맞아 첫 성과공유회 개최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84","atchfileNm":"20221220_(보도자료)_TIPA,_기술혁신센터_개소_6주년_맞아_첫_성과공유회_개최(배포).pdf","viewCnt":"1160","regDate":"2022-12-23 15:16:58"},{"contentId":"144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2년 올해의 광고PR상 수상 영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26","contentsKor":" 2022.12.05 보도자료 TIPA, 2022년 올해의 광고PR상 수상 영예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54","atchfileNm":"20221205_(보도자료)_TIPA,_2022년_올해의_광고PR상_수상_영예(배포).hwp","viewCnt":"1295","regDate":"2022-12-07 17:54:17"},{"contentId":"144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CL 중소벤처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및 기술규제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25","contentsKor":" 2022.12.02 보도자료 TIPA-KCL 중소벤처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및 기술규제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53","atchfileNm":"20221202_(보도자료)_TIPA-KCL_중소벤처기업_기술경쟁력_강화_및_기술규제_대응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배포).hwp","viewCnt":"1182","regDate":"2022-12-07 17:53:34"},{"contentId":"144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UAE 식량안보 및 ICT 기술 웨비나 및 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24","contentsKor":" 2022.11.30 보도자료 TIPA, 한-UAE 식량안보 및 ICT 기술 웨비나 및 상담회 개최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52","atchfileNm":"20221130_(보도자료)_TIPA,_한-UAE_식량안보_및_ICT_기술_웨비나_및_상담회_개최(배포).hwp","viewCnt":"1168","regDate":"2022-12-07 17:51:56"},{"contentId":"144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 고강도 실천프로그램 연내 적극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22","contentsKor":" 2022.11.29 보도자료 TIPA, 윤리경영 고강도 실천프로그램 연내 적극 추진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47","atchfileNm":"20221129_(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고강도_실천프로그램_연내_적극_추진(배포).hwp","viewCnt":"1183","regDate":"2022-12-07 17:48:18"},{"contentId":"144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안전한 출근길 만들기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21","contentsKor":" 2022.11.17 보도자료 TIPA, 안전한 출근길 만들기 나서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50","atchfileNm":"20221117_(보도자료)_TIPA,_안전한_출근길_만들기_나서(배포).hwp","viewCnt":"1122","regDate":"2022-12-07 17:45:09"},{"contentId":"1440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사랑의 헌혈 캠페인으로 동절기 혈액 수급 돕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01","contentsKor":" 11.14(월) 보도자료 ㅇ TIPA, 사랑의 헌혈 캠페인으로 동절기 혈액 수급 돕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94","atchfileNm":"20221114_(보도자료)_TIPA,_사랑의_헌혈_캠페인으로_동절기_혈액_수급_돕는다(배포).pdf","viewCnt":"1194","regDate":"2022-11-14 10:57:56"},{"contentId":"143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비수도권 지역 중소기업 육성에 참여할 지자체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364","contentsKor":" 11.2(수), 비수도권 지역 중소기업 육성에 참여할 지자체 모집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44","atchfileNm":"20221102_(보도자료)_비수도권_지역_중소기업_육성에_참여할_지자체_모집(배포).pdf","viewCnt":"1185","regDate":"2022-11-02 09:32:25"},{"contentId":"143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 중소기업에 2년 연속 안전패키지서비스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353","contentsKor":"2022.10.27, TIPA, 지역 중소기업에 2년 연속 안전패키지서비스 지원","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23","atchfileNm":"20221027_(보도자료)_TIPA,_지역_중소기업에_2년_연속_안전패키지서비스_지원(배포).pdf","viewCnt":"1324","regDate":"2022-10-27 13:01:03"},{"contentId":"143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2년 K-인공지능(AI)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332","contentsKor":"“2022년 K-인공지능(AI)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개최” 중소기업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인공지능으로 해결  10월 11일부터 KAMP포털을 통한 온라인 참여, 총 8개 팀 선발·수상 □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과학기술원 주관으로 메타버스 상에서 제조 인공지능 모델 개발 능력을 겨루는「2022년 K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ㅇ「2022년 K-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는 중소 제조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해 중소 제조기업이 직면할 수 있는 공통문제*를 인공지능 분석모델 개발을 통해 해결하고자 개최하는 대회이며,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이하 ‘KAMP’)을 통해 진행한다. * (예) 장비이상 조기탐지, 품질 이상탐지/진단, 공정운영 최적화 등 ㅇ KAMP는 중소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한국과학기술원-NHN 등과 협업하여 구축한 민-관 합동 중소제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이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스마트공장에필요한컴퓨팅인프라, 분석·개발도구, 인공지능데이터셋, 우수사례, 교육자료등□ 본 대회는 KAMP 포털 알림마당을 통해 참가규모, 시상규모 및 진행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ㅇ 이번달 11일부터 21일까지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이하 ‘KAMP’)에서참가팀을 모집하며, AI 알고리즘 개발과 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개인 또는 3인 이하의 팀을 구성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ㅇ 과제는 KAMP 포털 내 등재된 제조AI데이터셋 24종 중 무작위로 선정하여 출제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1차 서면평가 후, 2차 발표평가를 메타버스 상에서 진행한다. ㅇ 또한 우수한 결과를 도출한 8개 팀을 선발하여 총 상금 2,900만원 규모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상, 한국과학기술원총장상 등을 시상할 예정이며, 시상식은 `22.12.6. 개최될 제조혁신대회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ㅇ 한편 이번 경진대회는 작년에 이어 2회째 개최되며, 지난해에는 사출성형기 제조AI데이터셋 기반의 출제문제에 대해 153개 팀 355명이 참가하여 기량을 거두었다. ㅇ 본 대회의 구체적인 사항은 KAMP 포털(kamp-ai.kr) 알림마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177","atchfileNm":"20221014_(보도자료)_2022년_K-인공지능_제조데이터_분석_경진대회_개최(배포).pdf","viewCnt":"1501","regDate":"2022-10-13 19:09:35"},{"contentId":"143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조 중소기업 비즈니스 혁신 아이디어 공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331","contentsKor":"제조 중소기업 비즈니스 혁신 아이디어 공모 ⃟ 제조데이터 활용・분석을 기반으로 제조 중소기업 제품의 서비스화 위한‘제1회 서비타이제이션* 아이디어 발굴 공모전 개최’, 내달 31일까지 접수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 전통 제조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융합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가 가능한 사업화 모델을 발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KOSMO’)이 9월 30일(금)부터 10월 31까지 전통 제조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융합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가 가능한 서비스 사업화(Servitization) 모델 발굴을 위한「제조데이터*를 활용한 서비타이제이션 아이디어 발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제조데이터를 활용한 서비타이제이션 아이디어’ 공모를 원하는 참가자는 10월 31일까지 신청서를 작성하여 이메일(servitization@tipa.or.kr)로제출하면 된다. 서면심사를 거쳐 대면 심사(순위 결정) 과제를 선정하며 대면 심사는 오는 12월 6일 제조혁신대회 당일 발표를 통해 시상 순위를 결정할 예정이다. 참가 자격은 제조데이터 분석 기반의 서비타이제이션에 대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만 19세 이상 국민(팀장 포함 3인 이하, 개인, 중소(중견)기업의 팀 단위 참여 가능)으로 대상(1천만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 1명(팀), 최우수상(5백만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상) 1명(팀), 우수상(3백만원) 2명(팀)에게 상과 상금을 수여한다. 또한, 시상자가 중소기업인 경우 2023년도 스마트서비스화 사업에 가점 연계를 통해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공모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 (www.tip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부경로 : 홈페이지(www.tipa.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 KOSMO 박한구 단장은 “본 공모전에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있는 국민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리며, 제안해 주신 아이디어를 기반으로중소 제조기업이 성장하고 혁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175","atchfileNm":"20220930_(보도자료)_제조_중소기업_비즈니스_혁신_아이디어_공모(배포).pdf","viewCnt":"1340","regDate":"2022-10-13 19:07:12"},{"contentId":"142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문가, 일반인이 참여하는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재밍) 열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210","contentsKor":" 전문가, 일반인이 참여하는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재밍) 열린다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930","atchfileNm":"20220809_(보도자료)_전문가_일반인이_참여하는_온라인_브레인스토밍(재밍)_열린다(배포).pdf","viewCnt":"1931","regDate":"2022-08-10 14:02:47"},{"contentId":"142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조데이터 촉진자 양성과정 교육생(2차)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208","contentsKor":" 제조데이터 촉진자 양성과정 교육생(2차) 모집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928","atchfileNm":"20220809_(보도자료)_제조데이터_촉진자_양성과정_교육생(2차)_모집(배포).pdf","viewCnt":"1805","regDate":"2022-08-10 14:02:15"},{"contentId":"142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대표 우수사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207","contentsKor":" TIPA,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대표 우수사례 선정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927","atchfileNm":"20220728_(보도자료)_TIPA,_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_대표_우수사례_선정(배포).pdf","viewCnt":"1962","regDate":"2022-08-10 14:01:34"},{"contentId":"142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연구개발 초기 중소기업 멘토링 프로그램 본격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206","contentsKor":" TIPA, 연구개발 초기 중소기업 멘토링 프로그램 본격 시행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926","atchfileNm":"20220728_(보도자료)_TIPA,_연구개발_초기_중소기업_멘토링_프로그램_본격_시행(배포)(★).pdf","viewCnt":"1877","regDate":"2022-08-10 14:00:51"},{"contentId":"142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AR 분야 혁신제품 지원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205","contentsKor":" TIPA, AR 분야 혁신제품 지원나서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925","atchfileNm":"★_20220725_(보도자료)_TIPA_AR분야_혁신제품_지원나서(배포).pdf","viewCnt":"1897","regDate":"2022-08-10 13:59:56"},{"contentId":"141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산학연 플랫폼기관과 혁신 중소기업 R&D 지원 본격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4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올해 ‘산학연플랫폼 협력기술개발’ 과제를 수행할 180개 중소기업을 최종 선정하고, 본격 적인 연구개발 지원에 나선다. ‘산학연플랫폼 협력기술개발’ 사업은 5개 대학과 4개 연구기관을 ‵산학연 플랫폼기관′으로 지정하고, 각 플랫폼 기관이 보유한 특화 분야에서 잠재력을 갖춘 혁신역량 초기 중소기업을 발굴해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신규 선정된 혁신 중소기업은 이달부터 매칭된 산학연 플랫폼기관과 함께 총 20개의 공동연구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금오공대(스마트제조), 조선대(바이오·헬스), 창원대(스마트제조), 한국공대(기계·소재), 한서대(미래교통), 안전성평가연(바이오·헬스), 한국기계연(기계·소재), 한국재료연(기계·소재), 한국전자기술연(전기·전자) 주요 선정 과제에는 최근 확대되고 있는 무인카페 시장 대응 관련, ‵1억 개의 레시피에 따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로봇솔루션 개발’ 및 ‵치과 원격진료 플랫폼’, ‵단백뇨 진단기기’, ‵자율 환기조절 시스템’ 등 IT와 바이오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생활의 질 개선 과제까지 국민생활 밀착형 연구과제가 다수 선정되어 더욱 더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맞춤 밀키트 제조, 홈 뷰티케어 디바이스, 테라퓨틱스 펫하우스 등과 같은 최근의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한 신시장 창출을 목표로 하는 연구과제와 IoT센서모듈용 에너지 하베스팅 전원, 소형 모듈원자로(SMR) 소재 등의 첨단산업기술 및 천식치료제, 난소암 치 료제, 뇌신경 치료제 등 차세대 바이오기술을 활용한 연구과제도 다 수 포함되어 있어 연구성과에 대한 기대도 크다. 본 사업은 다른 국가R&D과제와는 달리 산학연 공동연구뿐 아니라, TIPA와 협약된 플랫폼기관이 연구지원, 컨설팅, 성과확산, 타사업 연 계지원 등 다양한 협력모델을 지원하게 된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의 성공률을 높이고, 기술사업화 등 성과확산을 통해 후속연구 기획의 선순환 사이클의 전주기를 중소기업과 플랫폼 기관이 협업을 하게 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올해 지정된 9개 산학연플랫폼을 통해 우수 한 신규과제를 선정할 수 있었으며, 플랫폼에 자율성과 책임성을 부 여하는 한편 TIPA와의 협력체계도 구축·운영할 계획이다.”라며, “연 구활동과 협력모델의 시너지로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플랫폼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여 사업을 확대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852","atchfileNm":"★_220722_(보도자료)_산학연_플랫폼기관과_혁신_중소기업_RD_지원_본격화(배포).pdf","viewCnt":"2168","regDate":"2022-07-22 09:11:22"},{"contentId":"141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 연고산업 경쟁력 키운 우수 과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39","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시군구 연고사업을 수 행 중인 33개 연구과제를 대상으로 연차평가를 실시하고, 최우수 과 제를 선정해 발표했다. 이번에 선정된 최우수 과제는 충남 청양지역의 ‘구기자 경쟁력 강화 사업화 지원’ 과제로써, 이는 청양지역 특화자원인 구기자 관련 기업의 열매를 활용한 분말, 차, 주류 등 단순 원물 제품 제조 방식을 탈피하여 제품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품질경쟁력 강화, ICT 첨단화 지원 등 기존 한계 극복을 위해 추진 중에 있다. 지난 1년간 청양군 지원기업에서 13명의 고용창출 및 매출액 11억 원 증가, 창업 2건, 제품개발 5건의 성과가 창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제품의 표준화, 식약처 기준에 맞춘 규격화, 첨가제로의 활용성 향상 등 지역 구기자 산업 활성화 및 인식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 동 사업에 지원받은 함지박(주) 장창순 대표는 “이번 사업 지원으로 판로개척과 제품포장 디자인 개발 지원을 받아 판매매장 23개 증가 및 중국 수출 재개와 코로나 19로 감소되었던 매출의 회복에 크게 도움이 되 었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청양구기자원예농업협동조합의 복영수 조합장은 “해당 사업 으로 제품 디자인을 트렌드에 맞추어 개선하여 젊은층을 타겟으로 한 구기자 제품 인식 개선에 성공하였다.”라고 밝혔다. 한편 시군구연고사업은 ‘19년부터 3년 동안 56개 시군구 기초지자체에 410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해당 지역의 특화자원 활용 및 자생적으로 발생된 산업군 영위 기업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목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시군구연고사업을 통해 광역지자체뿐만 아니라 기초지자체의 특산자원 및 특화된 기술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영위하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850","atchfileNm":"20220720_(보도자료)_TIPA,_지역_연고산업_경쟁력_키운_우수_과제_선정(배포)(최종).pdf","viewCnt":"1789","regDate":"2022-07-20 13:53:59"},{"contentId":"141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테크노파크 장비 고도화로 지역 주력산업 성장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3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테크노파크가 보유 중인 노후 생산장비를 고도화하여 지역주력산업 중소기업의 실질적 기술사업화를 위해 “테크노파크 생산장비 고도화사업”의 장비구축 완료를 앞두고 있다. 테크노파크 생산장비 고도화사업은 지역 중소기업에 필요한 기업 지원 서비스(시제품제작, 제품고급화 등)를 위하여 노후화된 장비의 성능향상 또는 신규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5개 시・도 지역(부산, 대전, 대구, 울산, 충 북) 대상 총 54.5억원 규모로 추진 중인 사업이다. 이번에 구축되는 장비는 총 18종(신규 14종, 수리 4종)으로 각 지역 주 력산업별 특성에 맞는 장비로 구축 중이다. 더불어 △장비코디네이 터를 지원하여 기업지원 서비스 질 향상을 목적으로 장비운영의 오퍼레 이터의 전문 역량 강화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대전테크노파크 지능형로봇센터 이재영 센터장은 “테크노파크 생산 장비 고도화사업을 통해 4차 산업 핵심 분야 중 하나인 3D프린팅 장비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이를 바탕으로 로봇기업 수요 부품들의 디지털 제조 및 지역주력산업 전·후방 중소기업의 실질적인 기술 사업화 애로 해소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지역 중소기업이 개발제품을 생산하는데 장비는 필수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번에 구축 되는 장비로 주력산업 기업의 사업화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지역의 중소기업은 테크노파크에 장비 구축이 완료되면 늦어도 내달부터는 장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구축된 생산 장비 활용 방법은 각 지역별 테크노파크를 통해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822","atchfileNm":"20220715_(보도자료)_TIPA,_테크노파크_장비_고도화로_지역_주력산업_성장_지원(배포).pdf","viewCnt":"1877","regDate":"2022-07-15 09:28:35"},{"contentId":"141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2년 수출지원프로그램 공고...수출초보기업 역량 강화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34","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기 R&D 수행기업의 수출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2022년도 수출지원프로그램 공고’를 통해 7월 7일(목)부터 8월 8일(월)까지 참가기업 모집에 나선다. ◦ 수출지원프로그램은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수출초보 R&D 수행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TIPA와 한국무역보험공사가 협업하여 수출역량 강화를 위한 수출리스크 관리, 수출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 동 프로그램은 ’19.11월 TIPA와 한국무역보험공사의 업무협약(MOU)을 기반으로 2020년부터 시행했으며, 지난 ’21년에는 총 2회에 걸쳐 총 86개 중소기업을 지원했다. □ 올해는 2회에 걸쳐 총 100개사 내외의 기업 지원을 계획하고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현재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거나, 3년 이내에 R&D “성공(완료)” 판정을 받은 기업으로 향후 1년 내 수출계획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 TIPA는 한국무역보험공사(무보)와 협력하여 △수출대금 미회수 위험감소를 위한 단체보험 지원, △수출기업을 위한 1:1 수출컨설팅, △해외기업 신용조사에 대한 보고서 제공 △수출이행자금 확보 및 수출채권 유동화를 위한 보증 지원 등 개별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다양한 세부지원 프로그램을 기업 맞춤형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 단, 수출실적 보유 여부 등에 따라 기업별 지원내용이 결정되며, 보험·보증 심사 과정에서 결격 사유 발견 시 지원이 제한될 수 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글로벌 시대에 맞춰 해외 시장 진출을 희망 하는 중소기업이 늘고 있지만 수출대금 확보 및 현지 시장 정보 부족 등의 애로사항으로 인해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많다.”며 “TIPA는 동 프로그램을 통해 R&D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기업들의 수출역량을 제고함으로써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참가신청은 8월 8일(월) 18시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의 모집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확인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820","atchfileNm":"20220714_(보도자료)_TIPA,_22년_수출지원프로그램_공고...수출초보기업_역량_강화_지원(배포).pdf","viewCnt":"1975","regDate":"2022-07-14 09:27:29"},{"contentId":"141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AIST GCC, 中企 글로벌기술사업화 지원 파트너쉽 강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17","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한국과학기술원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센터장 최문기, 이하 KAIST GCC)와 12일(화), KAIST 문지캠퍼스 수펙스홀에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기술수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 글로벌 협력사업과 공동행사 추진, △ 국내외 인프라 및 인적자원 교류, △ 글로벌 시장 및 기술 동 향정보 공유, △ 주요 사업의 대외홍보 지원 등 협업을 점차 강화 해나갈 예정이다. ◦ 우수한 기술력을 개발하고도 해외판로 확대와 성과확산에 어려움 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에게 해외 협력 네트워크 발굴 및 필수정보 확보를 위한 지원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양 기관은 협약식에 이어 2022년 1차 한-중 기술사업화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중국국제금융유한회사(CICC), 중한 산업기술창신연구원(ITIRI) 등이 참여했으며, 양 국의 바이오, 신소재 분야 총 12개 기업 간 보유기술 발표 및 저명인사들의 주제별 특강이 진행되었다. ◦ 컨퍼런스 이후에는 한-중 참가기업 간 기술협력 및 기술사업화 관련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온라인 기술교류 상담회를 실시했다. 양 기관은 오는 11월에 2차 한-중 컨퍼런스도 개최할 예정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해외기술사업화 지원 전문역량을 갖춘 KAIST GCC와 공식적인 협약을 체결하여 양 기관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게 되어 기쁘다”며, ◦ “양 기관이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한-중 B2B 기술협력 행사를 점차 확대하여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기술사업화와 글로벌 기술협력 활성화를 위해 더욱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 KAIST GCC 최문기 센터장은 “KAIST GCC의 8년간 글로벌 기술 사업화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에 적극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고 있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협력하여 다양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사진 1 : TIPA 이재홍 원장(왼쪽)과 KAIST GCC 최문기 센터장(오른쪽)이 12일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기술수출 촉진'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2 : TIPA 송재철 PM이 12일 '한중 기술사업화 컨퍼런스'에서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797","atchfileNm":"20220712_(보도자료)_TIPA-KAIST_GCC,_中企_글로벌기술사업화_지원_파트너쉽_강화(배포)(★).pdf","viewCnt":"2247","regDate":"2022-07-13 11:10:54"},{"contentId":"141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해외진출 준비 中企에 기술사업화 역량 강화 지원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02","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회장 박희재, 이하 KAITS)이 지난 6일(수) 코엑스에서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기술역량 강화 관련 전문컨설팅 프로그램을 개최하였다. □ 이번 프로그램은 국내 중소벤처기업에서 보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판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TIPA 해외기술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 컨설팅은 △특허전략, △시험·인증, △기술사업화(일반), △기술 보호 등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기술사업화를 위한 주요 4대 분야로 나누어 진행되었고, 변리사, 교수 등 각 분야 전문가로 자문그룹을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 행사에 앞서 해외기술교류사업 참가기업 등을 대상으로 컨설팅 희망기업을 모집하였으며, 7: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총 10개 기업은 분야별 컨설턴트와의 상담을 통해 자사의 취약사항 점검, 애로사항에 대한 해결방법, 중·장기적인 전략 수립 등 해외진출 준비 및 진행과 관련하여 자문을 받았다. □ 또한 사후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컨설팅에 참가한 기업에서 희망 하는 경우, TIPA 하반기 해외기술교류 상담회 참가 및 KAITS 기술 보호 솔루션 제공 등 각 기관의 지원프로그램을 연계지원할 예정이며, 오는 9월에도 컨설팅 프로그램을 추가로 개최할 계획이다. □ 한편, TIPA는 2020년부터 “해외기술교류사업”을 통해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해외 현지 기업과의 기술협력이나 기술수출을 희망 하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이 보유한 기술에 대해 수요가 있는 해외 기업을 직접 발굴하여 매칭하고, 1:1 상담에 필요한 사전준비 및 기타 제반 사항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또한, 국제기구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국가별 진출전략 세미나, 온라인 교육 이수 등 중소벤처기업의 기초역량 및 정보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글로벌 경제생태계가 악화되고 팬데믹이 지속 되면서, 기업별로 직면하는 다양한 상황을 정밀 진단하고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컨설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 “TIPA와 KAITS는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우수한 기술력이 글로벌 시장으로 확산되고 글로벌 기술협력을 통해 강소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더욱 긴밀히 협력하며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사진 : '해외진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컨설팅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소벤처기업 관계자가 컨설턴트와의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739","atchfileNm":"기술보호_컨설턴트(왼)-기업(오).jpg","viewCnt":"1892","regDate":"2022-07-06 15:04:53"},{"contentId":"141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그린오피스 만들기 캠페인 전개...ESG 실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0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ESG경영 선포 2년차를 맞아 전 직원 참여형 그린오피스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번 그린오피스 캠페인은 지난 3월 최장기간 이어진 울진-삼척 산불 피해로 인해 대두된 기후변화의 영향,산림보호의 중요성에 따라 ‘희망의 숲 가꾸기’라는 부제로 진행되었으며,직원들이 반려나무를 한 달 간 양육 후 기부하는 콘텐츠로 꾸려졌다. ○ 지난 5월부터 TIPA 직원들은 트리플래닛이라는 환경 소셜벤처로부터 3가지 종류의 30개 반려나무를 분양받아 양육해왔다. 반려나무 구매 비용이 강원도 민둥산 산림회복 프로젝트에 기부되는 트리플래닛 플랫폼과의 협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양육한 반려나무는 미세먼지 취약 계층 건강보호를 위해 기부할 예정이다. ○이번 반려나무 양육 활동을 통해 직원들은 사무실 내 에코힐링 기회를 가질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정보 공유를 통해 인지한 환경피해와 대기 문제 해소에 기여할 수 있었다는 소감을 전했다. □ 한편, 그린오피스 캠페인은 ‘국민 삶에 가치를 더하는 지속가능 혁신 기관’이라는 TIPA의 ESG 비전 실현을 위해 매년 다른 콘텐츠로 추진하고 있는 전 직원 대상 캠페인이다. 21년 1차 캠페인은 플라 스틱컵 ZERO화를 위한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 이번 캠페인은 지난 4월 추진한 울진지역 산불피해 이재민 구호를 위 한 간편식 식품꾸러미 지원에 이어, 올해로 두 번째 추진되는 캠페 인으로써 강원도 산불피해 극복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729","atchfileNm":"20220705_(보도자료)_TIPA,_그린오피스_만들기_캠페인_전개...ESG_실천(배포).pdf","viewCnt":"1805","regDate":"2022-07-05 14:20:56"},{"contentId":"140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안전경영 박차, 긴급 재난상황 대응 모의훈련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89","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 6월 30일 세종 본원 근무자(협력업체 포함)를 대상으로 화재 등 긴급 재난상황 발생 시 안전사고 및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피난동선에 따른 대피, 심폐소생교육 등 모의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세종 신청사 입주 후 최초로 실시하는 집체훈련으로, TIPA전 직원 및 협력업체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함양하고, 코로나19 완화에 따라 증가 될 하반기 중소기업 R&D평가 내방객 안전과 긴급 상황에 대한 초기대응 역량을 강화한다는 취지에서 실시되었다. 훈련은 화재경보 발생 시 계단을 통한 신속한 이동 및 집결지로의 대피 후 인원파악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집결 이후 자위소방 대 내 구조구급반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과 소화기 사용법 교육 을 진행하였다. 추가로 임직원의 긴급상황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1층 로비에 소화기 사용과 심폐소생술을 실습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설치하였다. 훈련을 진행한 황대용 소방안전관리자는 “본 훈련을 통해 임직원의 안전의식을 제고하였으며, 교육을 통한 내방객의 안전과 긴급상황 초기대응체계를 확립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청사 안전을 위해 긴장 을 늦추지 않고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703","atchfileNm":"(보도자료)_TIPA,_안전경영_박차,_긴급_재난상황_대응_모의훈련_실시.pdf","viewCnt":"1376","regDate":"2022-07-04 09:17:56"},{"contentId":"140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위기의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기술개발사업 전통시장 상점가 R&D 공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8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전통시장·상점가의 경쟁력을 회복하고,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스마트전통시 장·상점가 R&D 지원사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지난 3월 공고 후, 3개월 여에 걸쳐 평가를 진행하였으나, ‘전통시장·상점가 R&D’라는 사업특성을 반영한 과제가 발굴되지 아니 하였다. 따라서, 재공고를 통하여 사업취지에 부합하고, 전통시장·상점가를 찾는 고객과 소상공인에게 더 많은 가치(Value)를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과제를 선발하기로 하였다. 그간, 전통시장은 COVID-19로 인한 디지털·비대면 경제의 촉발과 대형 마트와의 경쟁으로 그 입지가 점점 약화되어, 지역경제의 활력을 제고 측면 에서 지원이 절실하였다. 이에, 동 사업은 혁신역량을 보유한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이 전통 시장 및 상점가의 수요와 특성을 분석하여, 해당 시장에 필요한 ‘종합 맞춤형 서비스’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것을 지원하고자 한다. 지원 규모는 총 40억 원으로 2개 내외 과제를 선정하며, 2년간 과제 당 최대 20억 원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시장·상점가의 수익 창출에 직접 기여하는 운영/관리, 물류/유통 분야, 소비자 불편 사항 개선 및 환경 공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편의/안전 등의 분야에 ICT를 접목한 「종합 맞춤형 서비스」의 개발·구축이 지원 대상이다. 기술의 ‘개발’에서 그치지 않고, ‘실증’까지 연결되는 것이 사업의 특징 으로, 신청 기업은 연구개발계획서에 개발과 실증에 대한 계획(할당 기간, 예산, 전략 등)을 각각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중소기업(주관연구개발기관)은 반드시 대학 또는 연구기관(위탁연구개발 기관)과 함께 신청해야하며, 각 중소기업·대학·연구기관은 과제 1개에 한하여 신청 가능하다. 또한 신청 시 스마트 전통시장·상점가의 실증모델이 될 시장·상점가 (상인회 60% 이상) 동의서를 필수 제출해야하며, 연구개발결과물이 해 당 시장·상점가에 가장 먼저 도입될 수 있도록 하여 협조에 따른 혜 택을 제공한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되는 중소기업은 협약 기간 종료일 로부터 1년간 시범 도입된 결과물이 현장(시장·상점가)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사후관리를 이행하고, 이행보증보험증권 발행해야 한다. 더불어 시장·상점가 소재지의 지방자치단체가 일정 비율 이상의 지방 비를 지원한다는 확약서를 제출할 시 가점을 부여한다. 스마트전통시장‧상점가R&D 지원은 6월 29일 공고부터 7월 29일까지 접수 예정이며, 선정평가를 거쳐 최종 2개 내외 과제를 지원한다. 본 사업은 일반 연구개발사업과 달리, 기술 분야별 산·학·연 전문가 뿐만 아니라 시장 전문가를 포함하여 연구개발과제평가단을 구성하고, 개발 과제가 적용될 현장을 직접 방문한 뒤 현장 수요와 실증 가능성 등을 점검하여 현장 대면평가*를 실시한다.* 1차 공고 시, 旣 방문 시장은 현장방문 제외 이재홍 기정원장은 “스마트전통시장·상점가 R&D 지원을 통해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경쟁력이 강화된다면, 위축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지원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 문의가 가 능하며, 6월 29일부터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을 통 해 사업의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기업기술정보 진흥원 수도권업무지원실 윤경순 책임(☎02-2280-040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690","atchfileNm":"20220630_(보도자료)_위기의_소상공인_지원을_위한_기술개발사업_전통시장_상점가_RD_공모(배포).pdf","viewCnt":"1561","regDate":"2022-06-30 09:37:56"},{"contentId":"140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메타버스에서 지역 중소기업 수출 판로 개척 역량 키운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7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역 주력산업 중소 기업에 메타버스 환경을 기반으로 해외 판로 개척을 지원할 2개 지역을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역주력 수출기업 Biz 플랫폼 구축 지원사업』은 TIPA가 ‘22년 부터 신규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2년간 2개 지역에 국비 86억 원을 투입 한다. 이는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 가상화된 기업 수출 희망 제품의 전시와 시연을 통해 해외 바이어와 시간 및 장소의 제약 없이 수출 비즈니스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은 충청북도와 대구광역시로 각 지역의 테크노파크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하여 맞춤형 기업지원과 수출에 축적된 노하우 및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기업의 수출무역 활성화에 이바지할 예정이다. 충북 지역은 IT 부품, 바이오헬스, 수송기계분야를, 대구광역시는 디지털 헬스 케어, 고효율 에너지, 수송기계 분야의 수출확대를 중점 수행한다. 본 사업을 통해 △지역별 독자적인 수출 비즈니스 메타버스 플랫폼 설계 및 운용, △주력산업 수출기업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업의 메타 버스 활용 교육 및 컨설팅 등 메타버스 기반 해외 판로개척에 200개 내외의 지역 주력산업 영위기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본 사업이 전통 수출 마케팅의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무역으로 탈바꿈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지역 주력기업의 수출 저변을 넓혀나가는데 일조하길 바라며, 중소기업의 무역, 투자 미래를 선도하는 플랫폼으로 거듭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한편, 오는 7~8월 중 지역별 수출 서비스를 지원받을 중소기업 모집 공고를 추진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충북 및 대구 테크노파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679","atchfileNm":"20220627_(보도자료)_메타버스에서_지역_중소기업_수출_판로_개척_역량_키운다(배포)★.pdf","viewCnt":"1706","regDate":"2022-06-24 09:00:05"},{"contentId":"140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상반기 지역별 1대1 R&D 사업비 맞춤상담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7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 기업을 대상으로「2022년도 상반기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를 실시*한다. *대면상담(’22.7.4~6(1차), 7.11~12(2차) / 5일간), 온라인 상담(6.27~7.8 / 2주간) TIPA는 지난해* 상반기 수도권 지역, 하반기 4개 지역 맞춤상담회를 실시한 결과, R&D 수행기업들의 높은 만족도 및 재개최 수요가 많아, 이번 상담회 역시 R&D 사업비 상담요청이 많은 지역 중심으로, 지정 회계법인**의 담당회계사와 함께 1:1 맞춤형 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다. *반기별 : (’21.상) 수도권(서울, 경기) / (‘21.하) 수도권(서울, 경기), 대구, 대전 ** 중소기업R&D지원사업 사업비 정산을 위해 TIPA가 지정·운영하는 회계법인 이번 맞춤상담회는 대면상담 외에 온라인 상담을 시범 도입할 예정으로 R&D 수행기업이 집중된 수도권(서울, 경기 등) 지역 기업은 대면상담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대면 참석이 어렵거나 그 외 지역소재 기업 등은 신청을 받아 회계법인 담당회계사가 온라인 상담으로 1:1 맞춤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다. 온·오프라인 상담을 병행하여 R&D 수행기업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1:1 방식의 면밀한 상담을 실시함으로써, 中企 R&D 사업비 집행 규정 이해도 향상, 지정회계법인 상시점검 후속조치, 사업비 정산결과 주요 불인정 사례 등 사업비 집행 전반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 상담회를 통해 R&D수행기업들의 사업비 집행과정에서의 불인정 사례를 최소화하고 더불어 국가 R&D 자금의 부정사용 방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사업비 집행에 궁금한 점이 있는 R&D수행기업은 과제 진행 시 배정된 담당 지정회계법인을 통해 문의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이번 맞춤상담회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R&D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671","atchfileNm":"20220624_(보도자료)_TIPA,_상반기_지역별_1대1_RD_사업비_맞춤상담회_실시(배포)★★.pdf","viewCnt":"1651","regDate":"2022-06-23 09:02:08"},{"contentId":"140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비수도권 R&D 기업 투자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6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벤처캐피탈 협회(회장 지성배, 이하 KVCA), 한국벤처투자(대표 이영민, 이하 KVIC)가 비수도권 소재 R&D기업의 벤처투자유치를 위한 투자설명회를 6월 17일(금) 팁스타운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TIPA, KVCA, KVIC은 지난해 6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추진했다. ㅇ 이번 행사는 비수도권 소재 R&D 기업과 지역뉴딜 모태펀드를 연계 하여 지역소재 우수기업들이 벤처투자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세 기관이 힘을 합쳐 추진하는 행사이다. □ 최근 벤처투자 시장의 현황을 보면, 바이오·ICT 등 특정 분야와 함께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에 투자가 편중되는 경향이 많아 지역 소재 중소기업들은 벤처투자를 받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ㅇ 모태펀드에서는 이러한 투자소외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지역뉴딜 펀드가 결성되었고, 세 기관은 비수도권 R&D기업과 해당 펀드를 연결하기 위해 힘을 합쳐 이번 투자설명회를 준비했다. □ ’비수도권 R&D 수행기업 투자설명회‘는 지역 소재 투자유망기업 8개사와 지역뉴딜 펀드 등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에 관심있는 10명 내외의 투자심사역들이 참여한다. ㅇ 이번 투자설명회에는 모나일렉트릭 주식회사, ㈜씨엘, ㈜인터텍, ㈜우주라컴퍼니 등 8개 기업이 참여하며, 15분 간 기업의 기술력과 장점을 집중 설명하는 발표와 투자심사역(VC)의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을 어필할 수 있게 된다. ㅇ 행사에 참여하는 기업은 VC 대상 IR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시 및 네트워킹 공간을 활용하여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여러 투자사와의 만남을 통해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 모나일렉트릭 주식회사 장익황 대표는 “자사는 지역투자에 기반한 모태펀드를 통해 투자를 유치하길 원하지만 지방기업들은 개별적 으로 모태펀드를 운영하는 투자자를 만나기가 어렵다.” 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모태펀드 운영 투자사에게 자사의 성장가능성을 어필 하고,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 이재홍 TIPA원장은 “최근 벤처투자가 수도권기업에 편중되는 현 상이 지속되고 있다.”며, “TIPA는 투자시장에서 소외되고 있는 비 수도권 소재 기업과 전통제조기업 등의 투자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고민하겠다.”고 전했다. ㅇ 본 행사는 오프라인 투자설명회 뿐아니라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행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VC들도 실시간으로 발표기업의 IR피칭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664","atchfileNm":"20220617_(보도자료)_TIPA,_비수도권_RD_기업_투자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1693","regDate":"2022-06-17 13:34:32"},{"contentId":"140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테크코리아에서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 및 정책 소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33","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은 8일부터 10일까 지 3일 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 11회 ’스마트테크코리아‘에 참가한다. ◦ 엑스포럼, KOTRA 등이 주최하는 ’스마트테크코리아‘는 스마트제조, 인공지능, 로봇, 클라우드, 디지털 유통, 메타버스 등 디지털시대 최첨단 기술과 세계적인 기술 트렌드를 볼 수 있는 기술 향연의 장이다. □ 중소·중견 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지원해온 추진단은 본 행사에 스마트제조혁신 부문에 참여, 참관객들에게 중소․제조기업의 스마트공 장 구축 우수사례, 스마트제조혁신 성과 및 정책을 소개할 계획이다.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조 현장에 ICT 기술을 융합하여 제조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을 개선하거나 제어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추진단은 올해 말까지 스마트공장 3만 개 보급을 목표로 삼고, 중점 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작년 말까지 약 2.5만 개가 보급되었고 올해는 5 천 개 이상을 보급할 계획이다. □ 박한구 추진단장은 “이번 스마트테크코리아 행사의 5개 부문 중 스 마트 기술 산업전에서 스마트제조, 스마트센서 등 스마트공장과 관련된기술들을 심층적으로 관람할 수 있는 기회”라고 덧붙였다. ◦ 이 밖에도 ‘스마트테크코리아’는 다양한 부대행사 또한 마련되어 있 다. ‘온·오프라인 비즈니스 상담회’를 비롯해 첨단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Smart Daily Life Zone‘ 등을 통해 기업 고객들에게 탁월한 비 즈니스 기회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22년에 11회를 맞는 이번 전시회는 '미래를 연결하다'라는 주제로 ’스마트테크 쇼(Smart Tech Show)‘, ’인공지능&빅데이터 쇼(AI&Big Data Show‘, ’리테일 테크 쇼(Retail Tech Show)‘, ’로봇 테크 쇼(Robot Tech Show)‘, ’메타버스 쇼(Metaverse Show)‘ 등 5개 전시회로 구성되 며, 약 250개사가 참여하여 제조혁신 기술력을 선보인다. ◦본 행사는 진행 기간 내 10시부터 17시까지 서울 코엑스 3층 전관에 서 만나 볼 수 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등록*이 가능하다. *사전등록(홈페이지) : http://www.smarttechshow.co.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625","atchfileNm":"220608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테크코리아에서_스마트공장_구축_우수사례_및_정책_소개TIPA.pdf","viewCnt":"2079","regDate":"2022-06-08 15:32:47"},{"contentId":"140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2년 일반직·전문위원·청년인턴 등 42명 공개 채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1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 지원의 주역으로 성장할 창의적인 인재 42명을 채용한다. TIPA는 5월 24일(화) 채용 공고를 게시하고, 채용 자격요건에 해당 하는 입사지원 희망자를 대상으로 오는 6월 8일(수) 18시까지 온라인 입사지원시스템(https://tipa.scout.co.kr/)을 통해 신청・접수받을 예 정이다. 모집 분야 및 규모는 일반직 17명(▲사업관리(일반직 4급 16명), ▲ 정보시스템관리(일반직 4급 1명)), 무기계약직 6명(▲R&D평가관리(연 구지원직) 국가유공자 3명, 장애 3명), 휴직대체 3명(R&D평가관리(연 구지원직)), 전문위원 1명(회계/세무), 체험형 청년인턴 15명으로 구분 되며, 각 전형단계를 거쳐 7월 및 8월에 임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TIPA는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가치 실현에 앞장서기 위해, R&D평가관리 분야(연구지원직)를 각각 국가유공자 3명 및 장애인 3명 제한경쟁으로 모집한다. 또한 사업관리 분야(일반직 4급)의 경우 이전 지역인재(대전·세종·충청) 채용목표제를 실시하여 지역 내 청년고용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금번 채용은 직무역량이 높은 우수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일반직 및 연구지원직에 한해 서류전형 평가 신규 도입하고 역량면접 시 직무 평가 요소를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전 채용 과정은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각 분야 직무별 자격요건 등 자세한 내용은 TIPA 홈페이지(www.tipa.or.kr) 및 입사 지원 홈페이지(https://tipa.scout.co.kr/)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신정부의 국정과제인 성과창출형 혁신성장에 따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및 스마트 제조혁신이 중요성이 더해 지고 있다”면서,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역동적인 인재를 채용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96","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2년_일반직·전문위원·청년인턴_등_42명_공개_채용.hwp","viewCnt":"2060","regDate":"2022-05-25 13:02:44"},{"contentId":"140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 추진.. 윤리경영 확산 가속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0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22년도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는 자발적 반부패 의지 노력으로 다양한 청렴활동에 참여한 직원에게 청렴포인트 점수를 부여해 청렴 우수자 에게 포상을 실시하는 TIPA의 청렴 인센티브 제도이다. 이 제도는 크게 △행동강령 규정 준수와 관련된 행동강령 분야, △청렴 교육과 청렴제안이 포함된 반부패 청렴활동 분야, △청렴자율실천과 제 추진과 관련된 윤리경영실천추진반 분야로 구분되어 운영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 추진을 통해, 직원들의 청렴의식을 높이고 기관 윤리경영 문화가 정착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고 청렴실천 의지를 전했다. 한편, TIPA는 지속적인 부패방지 모니터링 및 청렴활동을 추진한 결과,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패방지 시책평가 에서 1등급을 획득하여 청렴활동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92","atchfileNm":"20220524_(보도자료)_TIPA,_청렴활동_우수자_포상제도_추진.._윤리경영_확산_가속화(배포).hwp","viewCnt":"1557","regDate":"2022-05-25 09:23:33"},{"contentId":"139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2년 한・독 中企 기술교류 웨비나 및 매칭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94","contentsKor":"‘22년 한・독 中企 기술교류 웨비나 및 매칭상담회 개최 ◇ TIPA-WFS(독일 작센주 경제개발공사) 간 중소기업 기술교류 협력 MOU 체결 ◇ 양국 간 중소기업 기술교류 활성화 및 中企 기술개발 애로 해결에 앞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원장 이재홍, 이하 TIPA) 독일 작센주 경제개발공사와 ‘22년도 한·독 기술교류 웨비나를 개최하고 양국 중소기업 육성 및 주력산업 분야 협력을 약속했다. < 행사 개요 > ◾행 사 명 : ‘22년도 한·독 기술교류* 웨비나 및 매칭상담회 *기술분야 : 기계공학·ICT융합(디지털트윈,AR/VR), 미래차(E-모빌리티 경량화 소재 및 수소기술) (영문) Virtual business event and workshop with cooperation opportunities to Korea and Germany ◾ 일 시 : ‘22년 5월 17일(화) ~ 18일(수) 15:30 ~ 18:00 * 1일차 : 한·독 기술교류 웨비나(오프라인), 2일차 : 1:1 기업 매칭 상담회(온라인) ◾ 장 소 :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17일), 온라인플랫폼(18일) ◾ 진행방식 :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 내 용 : ① (개회식) 양 기관 대표인사의 개회사, 환영사 ② (LOI체결) TIPA-독일 작센주 경제개발공사 간 업무협약③ (기술세미나) 양국 기술동향 및 기업·연구소 보유기술 소개④ (매칭상담회) 기업 간 기술개발 애로사항 해결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독일 작센주 경제개발공사(대표 토마스 호른, 이하 WFS)는 17일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22년도 한·독 기술 웨비나 행사에서 한독 간 중소기업 기술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LOI)을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체결했다. ○ 독일과의 정보, 기술 교류를 바탕으로 양국 중소기업 육성 및 주력산업 분야 협력을 위해 양 기관은 상호 홍보 및 협력을 약속했다. ○ 첨단 기술 추천, 도입 및 양 기관 간 인프라 활용을 통한 상호 산학연 연계 지원 및 기술 이전 및 기술 정보 교환 촉진을 위한 합동세미나 개최도 협약 내용에 포함됐다. □ 이번 업무협약은 앞서 2020년 9월 한-독일 기술교류 업무 1차 협의에서 열린 TIPA와 작센주경제개발공사의 비대면 회의를 시작으로 올해 3월 TIPA-WFS 업무협약(LOI) 체결 관련 온라인 회의에서 논의를 거쳐 체결하게 되었다. ○ 2022년 초 작센주 경제개발공사와 독일 현지에서의 업무협약식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팬데믹 상황으로 연기되고,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종내에는 업무협약을 맺고,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행사를 개최하게 되었다. ○ 독일 작센주 정부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이번 행사에는 BBA 프로젝트 예산이 투입되었다. ○ 오늘 LOI가 체결됨에 따라 독일 소부장, 제조혁신 및 ICT 연구 특화지역인 작센주 경제개발공사와 양국기업 기술교류 협력이 본격 추진된다. □ 행사 목적은 한-독일 간 협업 상승 효과가 큰 ICT‧기계 융합 및 자동차 분야(E-모빌리티, 경량화 소재 및 수소기술)의 우수한 연구소 및 기관의 기술 사례 발표를 통한 양국 기술교류 활성화다. □ 협약 체결식 후 양국의 ▲디지털트윈 ▲시뮬레이션 ▲디지털화 ▲AR/VR을 포함한 기계공학산업에서의 게이밍 기술과 ▲자동주행 ▲e-모빌리티 ▲경량화 소재를 포함한 미래차 기술에 대한 전문가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술세미나가 열렸다. ○ 기조연설로 나선 작센자동차공급업체네트워크 Dirk Vogel 네트워크 매니저는 “이동성 미래와 자동차 산업”에 대해 발표했다. ○ 주식회사 아이투 이순열 대표이사는 “국내 제조산업에서의 AR/VR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사례”에 대해 설명했고, ○ 드레스덴 응용과학대학(Fachhochshule Dresden(FHD))의 Marius Brade 교수는 “VR을 이용한 노하우 전수”에 관해 발표했다. ○ 이어 수소융합얼라이언스 권낙현 센터장이 연사로 나서 “국내 수소산업과 모빌리티 현황”에 대해 발표해 이목을 끌었다. ○ 다음 발표자로 주식회사 FDTech 창업자이자 CTO인 Bert Auerbach는 “프로토타입의 개념부터 준비-생산의 통합과정에 이르는 모빌리티 솔루션을 위한 자동화된 구동 기능”에 대해 설명했다. ○ 마지막으로 주식회사 Tracetronic의 CEO인 Rocco Deutschmann는 “자동차산업에서의 자동화와 디지털화”와 “소프트웨어로 정의되는 미래자동차에 대한 Tracetronic의 나아갈 방향과 한국과의 관계”를 주제로 발표했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TIPA는 한국과 독일 간의 지속가능한 협력을 위해 작센경제개발공사와의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양 국가 간 성장 잠재력이 있는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협력 및 미래 먹거리를 발굴 - 4 - 하는 데 있어서 연계방안을 모색하고, 국내 중소기업의 유럽시장 진출을 위해 꾸준히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 Thomas Richter WFS 부대표는 “한·독 기술 웨비나에 참여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소감을 전한 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인해 국제적 위기에 직면한 지금, 아시아와 독일 간의 교류의 중요성은 매우 커졌다. 양국 간 무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협력에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 □ Stephan Brauckmann 작센주 경제부 국장은 “작센주에서 대외무역을 담당한 이래 한국과 많은 교류를 진행했다. 이러한 성공적인 협업은 모든 분야 전문가가 함께 이뤄낸 것”이라며, “이번 행사로 양국 간 협력이 확대될 것이며, 자동화와 미래차 등 여러 산업 분야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 Peter Winkler 주한독일대사관 부대사는 “두 국가 모두 원자재가 부족한 국가이기 때문에 혁신 능력과 지식은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이번 행사로 미래 산업분야에 대한 양국 간 교류가 더욱 긴밀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한편, 행사 둘째 날인 오늘, 온라인 상으로 1:1 기업 매칭 상담회가 열린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수행 경험, 계획이 있는 기업 중 독일과 상담회를 희망하는 중소기업들은 이번 상담회를 통해 기업 간 기술개발 관련 애로사항 해결을 지원받을 수 있고, 공동 시장 진출 기회도 제공 받을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46","atchfileNm":"행사사진2.JPG","viewCnt":"1691","regDate":"2022-05-18 14:21:43"},{"contentId":"139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 고강도 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9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사적 차원의 ‘청렴자율 실천과제’를 발굴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22년도 ‘청렴자율 실천과제’로 4개 분야* 48개 과제가 발굴됐으며, TIPA 전체 부서가 참여해 연내 1개 이상의 실천과제를 전담하게 된다.* ① 청렴교육(39건), ② 정보공개(3건), ③ 제도개선(1건), ④ 기타 활동(5건) 대표적으로 △중소기업 R&D사업 수행기관 및 사업담당자 청렴교육 실시, △채용 과정에서의 투명성・신뢰성 제고를 위한 채용 현황정보 공개, △법인카드 사용규정 준수를 통한 청렴실현, △보조금 지원 관리 투명성 확보 등이 실천과제로 발굴됐다. 한편, TIPA는 지난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으로는 최초로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지난 해 12월에는 동 인증 갱신을 승인받는 등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올해 청렴자율 실천과제 추진을 통해, 취약분야 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정부패가 발생할 수 있는 제도 나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42","atchfileNm":"20220516_(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고강도_실천_프로그램_전사적_가동(배포).pdf","viewCnt":"1530","regDate":"2022-05-18 11:22:13"},{"contentId":"139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아마존 코리아 협업으로 글로벌 e-커머스 입점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84","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아마존코리아와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을 위한 “글로벌 e-커머스 플랫폼(아마존) 입점설명회”를 5월 12일(목)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ㅇ 그 간 TIPA는 중소기업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위해 자금, 판로, 수출, 인력 등 다양한 방식의 사업화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ㅇ 특히, 아마존 입점 설명회는 평소 해외시장 진출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입점과정 및 방법, 해외 물류배송 등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업들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이다. ㅇ 동 프로그램은 매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추진하고 있으며, ’20년 이후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 중 9개사가 아마존 코리아에 입점 하였으며, 약 18만 달러(약 2.3억원)의 매출이 발생하였다. □ 이번 ’22년 상반기 글로벌 e-커머스 플랫폼(아마존) 입점설명회는 온라인 설명회(웨비나)로 예정되어 있으며, 전자상거래 최근 트랜드 및 입점 절차 안내 등을 포함한 기본과정으로 진행된다. ㅇ 기본과정 종료 후 참여기업 수요에 따라 아마존 제품 등록 방법 및 주문처리, 제품 배송 방법 안내 등에 관한 심화과정을 5월 말~6월 중 온라인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아마존 입점 온라인설명회 참여신청은 5월 12일 12시까지 온라인 으로 접수가 가능하며, 아마존 웨비나 시스템(http://amzn.to/tipa22)을 통해 참여신청과 설명회 참여가 가능하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설명회가 온라인 커머스를 통해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 된다.”라며 “앞으로도 R&D 기업의 사업화 애로해소를 위해 다양한 사업화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24","atchfileNm":"20220511_(보도자료)_TIPA,_아마존_코리아_협업으로_글로벌_e-커머스_입점_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1590","regDate":"2022-05-11 15:26:13"},{"contentId":"139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11일 글로벌 밸류업라운드 열어 中企 해외 사업화 돕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8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TIPA ValueUP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1일 글로벌 투자설명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초기창업 중소벤처기업들이 개발한 우수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지원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난 ’18년도부터 운영 중에 있으며, ㅇ 매년 100개사의 투자유망기업을 선정하고, 참여기업들에게 투자 유치를 위한 교육과 투자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프로 그램을 통해 투자유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ㅇ 또한, TIPA는 참여기업을 산업별·투자단계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고, 개별기업 맞춤형 교육과 펀드연계를 통해 ’18년부터 ’22년 3월까지 총 46개 기업이 약 471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TIPA는 참여기업에게 보다 많은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투자 뿐만 아니라 해외 투자에 관심을 가지는 참여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해외 VC대상 글로벌 투자설명회를 마련했다. □ TIPA는 이번 글로벌 IR 추진을 위해 다양한 해외투자자와 접촉하 였고, 미국(Mind the bridge), 룩셈부르크(Foundry Europe), 스위스 (ETH Zurich), 중국(Make021 Hacker Space), 싱가포르(Quest Venture), 필리핀(Tech Shake) 등 6개국의 해외 벤처캐피탈 소속 현지 심사역이 온라인으로 참가할 예정이다. ㅇ 글로벌 IR 참여기업은 총 7개사로 ㈜지비에스커먼웰스(의료기기, Spinal instruments), 주식회사 딥센트(후각자극 융복합 디지털치료 솔루션), 모빌리오(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활용 자율 배달 서비스), 드라이브텍㈜ (가변형 물류차량의 개조식 자율주행 플랫폼) 등이며,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여 IR 피칭을 진행하게 된다. □ ㈜지비에스커먼웰스 안경기 대표이사는 “자사는 제품 특성상 미국 시장 진출을 목표로 기업을 설립했다.”라며, “TIPA ValueUP 프로 그램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고 있으며, 이번 글로벌 IR을 통해 해외 자본 유입과 함께 자사의 검증된 기술력과 성장성을 투자사들에게 보여 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참여기업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라며 “동 프로그램을 통해 발굴한 우수기업들이 국내 벤처투자 뿐만 아니라 해외 투자 유치를 통한 해외진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20","atchfileNm":"20220510_(보도자료)_TIPA,_11일_글로벌_밸류업라운드_열어_中企_해외_사업화_돕는다(배포).pdf","viewCnt":"1947","regDate":"2022-05-10 10:55:16"},{"contentId":"139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청렴 및 반부패 활동 강화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7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청렴 및 반부패 활동에 중점을 둔 윤리경영 추진 계획을 수립했다고 28일 밝혔다. TIPA의 윤리경영 추진계획은 ‘부패 유발요인 선제적 대응’ 및 ‘부패 방지경영시스템 운영 공고화’ 등 5개의 추진전략과 15개의 추진과제 를 담고 있다. 구체적인 전략 이행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내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TIPA는 다음달 정부의 이해충돌방지법 시행을 앞두고 내부 운영 지침을 마련하였다. TIPA의 이해충돌방지제도 운영지침은 4월 19일 제정 및 배포되었으며, 이 지침은 이해충돌방지 및 신고를 위한 세부 절차와 징계양정기준, 이해충돌방지 담당관 지정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한편, TIPA는 지난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으로는 최초로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지난 해 12월에는 동 인증을 지속 유지하여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올해 반부패 활동 중심의 윤리경영 추진계획 수립을 통해, 취약분야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정부패가 발생할 수 있는 제도나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공 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07","atchfileNm":"20220428_(보도자료)_TIPA,_청렴_및_반부패_활동_강화_나선다(배포)★.pdf","viewCnt":"1497","regDate":"2022-05-02 09:31:07"},{"contentId":"139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비수도권 R&D기업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2022 TIPA ValueUP 데모데이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6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2022년 상반기 “TIPA ValueUP 데모데이”를 28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들이 개발한 우수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지원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난 ’18년도부터 운영 중에 있으며, ㅇ 매년 100개사의 투자유망기업을 선정하고, 기업맞춤형 IR교육과 함께 보다 많은 투자유치 기회제공을 위해 국내·외 VC를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ㅇ 그 결과, ’21년 한 해 총 24개 기업이 242.6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 ’18년~’21년 누적 41개사, 388억원 투자유치 ㅇ 특히, ’20년 선정된 ㈜이00의 경우 동 프로그램을 통해 ’21년 한해 20억원의 투자자금을 유치하고, 타 부처 사업연계 및 해외진출 등 다양한 사업화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 이번에 개최되는 “TIPA ValueUP 데모데이”는 비수도권 소재 중소 기업 9개사를 포함하여 총 12개 R&D기업과 10명의 벤처투자자들이 참여하며,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진행된다. ㅇ 참여기업은 셀라이온바이오메드(난치성 섬유화 질환 치료제), 주식회사 딥센트(향기와 기술을 융합한 디지털 후각솔루션), ㈜파인나노(디스플레 이용 금속나노 전도성잉크) 등이며, 행사당일 투자자를 대상으로 현장 에서 IR 피칭을 진행하게 된다. ㅇ “2022 TIPA ValueUP 데모데이”에 참가하는 투자유망기업은 VC 대상 IR 뿐만 아니라 네트워킹 시간을 별도로 마련하여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다양한 투자기관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이재홍 TIPA 원장은 “TIPA ValueUP프로그램을 통해 좋은 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라며 “특히 올해는 비수도권에 소재한 중소벤처기업이 투자유치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00","atchfileNm":"보도자료_TIPA,_비수도권_RD기업_투자유치_활성화를_위한_2022_TIPA_ValueUP_데모데이_개최.pdf","viewCnt":"2122","regDate":"2022-04-28 15:43:38"},{"contentId":"139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주력 산업별 中企 지원할 혁신기관 82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6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2년 지역특화산업육성 사업의 주력산업 기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82개 지역혁신기관을 선정 했다고 26일 밝혔다.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주력산업기업지원)은 지역혁신기관을 통해 비수도권 14개 시·도의 주력산업 영위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지원(시제품제작, 특허 지원 등), △사업화 지원(마케팅, 컨설팅 지원 등), △역량강화(전문인력 양성 등)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1월 TIPA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KIAT)로부터 사업을 이관받아 수행 중인 사업이다. TIPA는 올해 1월 지역주력 산업별 중소기업을 지원할 지역혁신기관 모집 공고를 실시한 결과, 122개 기관이 신청・접수되었으며, 각 지역별 지역사업평가단의 선정 평가과정을 거쳐 82개 기관이 선정됐다. 앞으로 지역혁신기관이 보유한 자원을 활용해 기업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올해 1,500개 내외의 지역 중소기업을 지원할 예정이며, 지역혁신기관의 역량에 따라 지원분야 및 내용은 상이할 수 있다. *지역혁신기관 : 대학, 연구소, 특화센터, 협회 등 중소기업에 사업화 지원 및 역량 강화 등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 또는 기업유형 이번에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재)영월산업진흥원의 소재융합사업팀의 배병서 선임은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노력, 디지털 전환 시대 등 산업환경 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서는 R&D 전문인력 및 경험이 부족한 강원 지역 기업에 대한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진흥원이 보유한 장비 및 인프라를 활용하여 기업이 필요한 시제품 제작 등을 직접 지원하여, 강원 지역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금년도부터 TIPA가 지역사업 지원기능을 전담 하는 만큼 지역의 주력산업과 관련 기업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지역 기업의 사업화 및 판로개척을 지원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일조 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오는 5~6월 중 지역혁신기관의 기업 서비스를 지원받을 중소기업 모집 통합공고를 추진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각 지역별 테크노 파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498","atchfileNm":"20220426_(보도자료)_TIPA,_지역주력_산업별_中企_지원할_혁신기관_82개_선정(배포)(★★).pdf","viewCnt":"2093","regDate":"2022-04-26 14:02:35"},{"contentId":"139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2년 지역R&D 온라인 협약설명회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4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2년 지역산업육성 사업(R&D) 선정과제를 대상으로 과제 수행절차 및 올바른 사업비 사용방법 등 R&D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도 고취를 위해 2022년 4월 21일(목) 온라인 협약설명회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설명회는 선정기업의 입지 및 수요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전문기관(TIPA) 및 관리기관(지역사업평가단)을 비롯해 회계사, 실시간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이하 RCMS) 담당자, ‘22년 신규 선정기업 책임자 및 참여연구자 등 약 600여명이 참 여할 예정이다. □ 2022년 지역R&D는 「지역특화산업육성+(R&D)」와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R&D」사업으로 지원한다. ㅇ 지역특화산업육성+(R&D)는 14개 시·도, 48개 지역주력산업분야 및 지역스타기업의 글로벌 강소기업 성장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 원하며,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R&D는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 의 혁신성장 및 협업 촉진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ㅇ ’22년도 1월 지역산업육성사업(R&D) 신규과제를 지원하기 위한 공고 후, 지난 3월 지역별 선정평가 단계를 거쳐 지원과제를 선정 하였다. □ 본 설명회는 유튜브 중계 플랫폼을 통해 LIVE로 진행되며, 실시간 댓글기능을 활용한 질의응답이 진행된다. ㅇ TIPA는 사업수행 체계, SMTECH(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전자협약 체결 방법, 중소기업 R&D 사업화지원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R&D사업 전반에 대해 안내한다. ㅇ 이어서,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관련 규정 및 불인정 사례와 RCMS를 통한 사업비 집행, 정산금 및 기술료 납부 등 사 후관리 안내가 이뤄진다. ㅇ 마지막으로, 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자를 위한 청탁금지법 이해 및 행동강령 위반사례를 소개하며 청렴교육을 시행한다. □ 본 설명회를 통해 지원 중소기업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협약체결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기관)은 아래 링크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b4RClzD8GelAl_fEJ6lF-Q/featured","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470","atchfileNm":"20220420_(보도자료)_TIPA,_2022년_지역RD_온라인_협약설명회_추진(배포).pdf","viewCnt":"1635","regDate":"2022-04-21 10:48:21"},{"contentId":"138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그린뉴딜 성과, 한국판 뉴딜 정부 포상 받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95","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획재정부로부터 ‘한국판 뉴딜 추진 유공자 정부포상’ 관련 ‘경제부총리 표창장’을 받았다고 밝혔다. □ ‘한국판 뉴딜 추진 유공자 정부포상’은 지난해 11월, 한국판 뉴딜 추진에 기여한 유공자 및 기관을 대상으로 심사가 진행되었으며, ◦ TIPA는 3년간 총 사업비 3,000억 규모의 프로젝트인「그린유망벤처 기업100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표창을 수상했다. ◦「그린유망벤처기업100 프로젝트」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환경부가 협업하여 환경문제 관련기술을 개발하는 중소벤처기업을 육성· 발굴하고 사업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서, ◦ 해당 사업은 약 12:1 이상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 환경 문제 해결 및 탄소중립 실현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 중소벤처기업의 높은 참여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선정 단계에서는 지원 기업의 성장 및 사업화 가능성을 고려한 평가를 진행하여 아기유니콘 등 우수기업이 다수 선정되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업성과에 대한 기대를 높이게 하였다. ◦ TIPA는 지속적인 그린뉴딜 선정기업 관련 행사 및 홍보를 통하여 대국민 관심도 제고와 해당기업의 투자유치 지원을 위해 노력하 였으며 특히, 기관장이 직접 선정 기업 현장 방문하여 사업관련 애로 및 건의 사항을 직접 청취·해소하는 활동을 펼친 바 있다. □ 이재홍 원장은“TIPA의 한국판 뉴딜의 성공적 이행과 노력을 인정 받아 영광”이라고 밝히면서“대한민국 중소벤처기업이 탄소중립 2050을 비롯한 환경관련 난제를 기술개발을 통해 극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425","atchfileNm":"20220415_(보도자료)_TIPA_그린뉴딜_성과,_한국판_뉴딜_정부_포상_받아(배포).pdf","viewCnt":"1643","regDate":"2022-04-15 13:34:55"},{"contentId":"138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수요처간 상생 발전 R&D과제 정부가 최대 12억 원까지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83","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수요 및 투자 기반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022년 구매조건부신제품 개발사업 자유공모 2차 과제를 모집 공고한다고 밝혔다.□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2002년도부터 중소기업 R&D를 지원한 대표 사업으로,◦ 중소기업-수요처(투자기업) 간의 R&D를 통한 상생협력 활동을 촉진 하여 가치(공급)사슬의 경쟁력 확보 및 자립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수요처 및 투자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의사를 밝히고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에 대해 해당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본 사업은 중소기업이 자체 아이디어와 개발기술을 수요처에 제안 하여 ‘구매동의서’ 또는 ‘구매계약서’를 받아 과제를 신청하는 구매연계형과 중소기업이 투자기업에 과제를 제안하여 ‘투자 동의서’를 받아 과제를 신청하는 공동투자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공동투자형은 투자기업과 중소기업이 신시장 개척 및 새로운 사업 진출을 위한 도전적 R&D과제를 함께 추진할 수 있도록 구매 계약을 면제하고 지원 규모도 최대 3년에 24억 원까지 지원한다.□ 이번 2차 사업 공고는 구매연계형 과제 총 241개 과제에 대하여 296억 원, 공동투자형 총 36개 과제, 54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며, 세부 지원분야로는 일반 R&D, 조달혁신, 소재·부품·장비, BIG3 등으로 나누어 지원한다.□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자유공모 1차에서는 227개, 430억 원 지원을 목표로 평가를 완료하였으며, 과제를 선정하여 4월중 지원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본 사업은 중소기업과 수요처가 힘을 합쳐 기술개발을 통해 value chain의 경쟁력 확보 및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형성할 수 있어, 사업 주체간 상생 협력의 원동력이 되는 사업”이라 평가하면서 “앞으로도 우리 중소기업이 대기업이나 공공기관과 가치 있는 동행을 할 수 있는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TIPA가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을 약속하였다.□ 구매조건부신제품기술개발사업은 하반기 지원을 위한 2차 자유공모 과제를 5월 10일까지 모집 중에 있으며, 이후 2차 지정공모 과제 모집을 계획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로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417","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수요처간_상생_발전_RD과제_정부가_최대_12억_원까지_지원.pdf","viewCnt":"1680","regDate":"2022-04-12 11:31:17"},{"contentId":"138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데이터 제공 활용 평가 3년 연속 최고 등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6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가 행정안전부 ‘2021년 공공데이터 제공‧운영실태 평가’에서 3년 연속 최고등급인 우수를 획득했다. ○ 평가는 대국민 고수요‧고활용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노력을 △관 리체계 △개방 △활용 △품질 △기타(가감점) 영역으로 나누어 중앙행정기관, 지차체, 공공기관 등 총 548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 TIPA는 全영역에서 타 공공기관 대비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데이터 관리체계 영역에서 만점을 획득하였다. 특히, 데이터 품질 분야는 98.69점을 획득해 공공기관 평균 점수인 56.32점을 크게 상 회하여 기관 데이터 관리의 수준 높은 역량을 증명했다. □ 평가 의견에 따르면 △일자리, 안전 등 사회현안과 밀접한 데이터 개방 △개방완료 데이터의 활용성 제고 노력 면에서 긍정적인 평 가를 받았다.○ TIPA는 대국민 공모전, 상시 의견수렴 창구 신규운영 등의 노력을 통해 20년도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던 데이터 개방 의 적극성 부문에서 만점을 획득하였다. ○ 특히, 영세 중소제조기업이 자체역량으로 구하기 어려운 AI기반 제 조데이터셋을 원천데이터 형태로 개방 등 노력을 통해 중소제조 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 및 신규 비즈니스 창출에 기여하였다. □ 이러한 성과의 배경으론 기관의 선제적인 데이터 품질관리 노력이 있다. TIPA에서 운영 중인 종합관리시스템(SMTECH)은 중소벤처기업 R&D관련 방대한 데이터를 담은 대표 시스템으로 작년 데이터 품질인 증(DQC-V) 최고품질(플래티넘) 획득을 통해 오류율 0.0227% 달성했다. □ TIPA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대국민 소통을 위한 대국민 공 모전‧경진대회 등을 진행하고 적극적인 타기관 협업과 선제적인 데이터 품질관리 등 대국민의 공공데이터 편의성 향상을 위한 아낌없는 지원을 할 예정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TIPA의 데이터경제 활성화 및 디지털 플랫폼 구현에 앞장서기 위한 공공데이터 관리 노력을 인정받아 기쁘다”며 “올해는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기관 공공데이터의 질적 제고에 더욱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78","atchfileNm":"(보도자료)_TIPA,_공공데이터_제공_활용_평가_3년_연속_최고_등급.pdf","viewCnt":"1527","regDate":"2022-04-05 16:17:24"},{"contentId":"138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육·해·공군, 국방 협력체계 추진을 위한 정례협의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6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는 지난 3월 31일 TIPA 세종 본원 대회의실에서 ‘2022년 제1차 국방 협력기관 정례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TIPA는 지난 2월까지 육·해·공군과 각각 MOU를 체결하고,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와 각 군의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였다. ○ TIPA의 국방 협력기관 정례협의회는 각 군과의 협력현황을 점검 하고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자 정기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 이날 협의회에는 육·해·공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등 각 기관 관계자 15명이 참석하였으며,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세를 고려하여 철저한 방역수칙 준수 하에 진행되었다. □ 정례협의회는 ▲2021년 협력체계를 통한 주요 실적 및 성과 보고, ▲민-군 협력R&D 지원체계 추진현안 검토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 특히, 육·공군에서 자체적으로 발굴한 기술·제품 수요를 기반으로 최근 2년 간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이하 구매조건부사업) 구매연계형 과제에 선정되어 정부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받는 총 36개 민-군 협력R&D과제의 진행현황을 점검하였다. - 향후 기술개발이 완료되면 각 군에서 해당 기술·제품을 구매하고, TIPA와 함께 민-군 기술사업화 성과 확산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 또한, 2023년 구매조건부사업 구매연계형 과제 발굴을 목표로 각 군의 기술수요를 선제적으로 공개하고,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협력 아이디어를 수집하고자 기술교류회 등을 통해 민-군 협업을 희망 하는 기업을 모집하고 사전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 민-군 원활한 협의를 위해 필요시 군의 테스트베드 인프라를 개방 하여 기술실증 환경을 제공하거나, TIPA의 멘토링 프로그램 연계를 검토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 TIPA와 육·해·공군은 앞으로도 정례협의회와 상시 실무회의를 통해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지원과 각 군의 민간 우수기술 도입 확대를 위해 적극 협력하고, ○ 구매조건부사업 구매연계형 과제의 경우, 국방 분야 과제를 대상 으로 올해부터 개발기간 최대 3년, 개발비 10억원 이내의 조건으로 지원범위가 확대된 만큼 향후 민-군 협력 기술개발 활성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정례협의회는 민-군 상생발전과 기술협력 촉진을 위한 각 기관의 협력의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 “TIPA와 육·해·공 전군(全軍) 간 협력 생태계를 더욱 활성화시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국군의 기술력 강화를 위해 의미 있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해나가겠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51","atchfileNm":"(보도자료)TIPA-육·해·공군,_국방_협력체계_추진을_위한_정례협의회_개최.pdf","viewCnt":"1743","regDate":"2022-03-31 16:25:56"},{"contentId":"138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상반기 해외 기술교류 상담회 참가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59","contentsKor":"□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오는 6월 24일까지 해외진출 및 기술 사업화를 희망하는 중소벤처 기업을 대상으로 상반기 4개국 해외기술교류 상담회 참가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 해외기술교류 대상국은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말레 이시아 등 총 4개국으로, 국내기업과 현지 바이어를 매칭하여 온·오프라인 상담회를 진행하고 해외 기술이전 등을 지원한다. ○ 각 국에서 국내기업의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기 때문에, 해당국을 대상으로 판로개척과 기술수출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에게 있어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이번에 참가기업으로 선정되면 상담회 뿐만 아니라 해외진출을 위한 맞춤형 기술역량 강화 및 대외홍보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 먼저, 상담회 참가시 상담통역사 지원, 국내기업 보유기술에 대한 전문가 현장진단, 기술 소개자료 번역, 계약서 법률자문·통번역, 맞춤형 후속지원 등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받게 된다. ○ 또한, 상담회 이외에도 IP, 기술보호, 시험·인증 등 분야별 전문가 와의 전략컨설팅 프로그램 초청, 비대면 교육 상시수강 환경 지원, 기술유출방지 솔루션 무료 지원, 국제기구 기술DB 등재를 통한 보유기술 홍보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모집규모는 최종 선정기업 기준 총 30개 내외로 선착순 지원하며, 교류국은 기업당 최대 2개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 신청기간 중에는 상시 접수가 가능하지만 해외 현지상황과 접수 현황에 따라 조기마감될 수 있으며, 신청기업은 정기·수시 평가를 통해 선정여부를 별도로 안내받게 된다. □ 오는 5월 말에 가장 먼저 상담회를 개최하는 중국(쑤저우) 상담회는 4월 초까지 신청마감되는 점을 유의해야 하며, 인도네시아(반둥) 상담회는 현지 대면교류회로 진행될 예정이다. ○ 그 외 국가별 상담회는 국내기업과 현지 바이어가 매칭완료되는 대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한편, TIPA는 2020년부터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통한 국가 간 기술협력 및 기술수출 활성화를 위해 ‘해외기술교류 사업’을 운영 중이며,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한국특허전략개발원(KISTA), 한국 과학기술원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KAIST GCC) 등 다양한 협력 기관을 통해 국내기업의 해외 기술교류 상담회와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여 지원하고 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글로벌 팬데믹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해외 판로확보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뛰어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해외진출을 도모하고 있다”며, ◦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최고의 R&D파트너로써, 우리 기업의 해외교류 활성화와 기술역량 강화를 통해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을 지원하고자 더욱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자세한 내용은 ‘해외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g-tep.or.kr)’과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 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47","atchfileNm":"(보도자료)TIPA,_상반기_해외_기술교류_상담회_참가기업_모집.pdf","viewCnt":"2026","regDate":"2022-03-30 15:38:05"},{"contentId":"138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OSMO, 영세기업을 위한 저비용의 공동활용 솔루션 구축 성과 발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58","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은 3월 29일(화) 오후, 세종 본원에서 2021년도 ‘클라우드기반 솔루션개발사업’의 공동활용 솔루션 구축 지원과제에 대한 성과발표회를 개최하였다. 성과발표회는 동 사업의 지원을 받은 기관에서 참여해 솔루션별 구축 지원 성과와 확산방안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로써 솔루션 관리 협·단체 (회원사) 및 공급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추진단은 동 사업을 통해 협·단체 및 영세기업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 저비용의 공동활용 솔루션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클라우 드 인프라(HW, SW, NW)와 운영관리를 제공해 다수의 중소기업들이 손쉽게 데이터를 관리 할 수 있도록 도우며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촉진에 기여 하고 있다. 솔루션 지원과제는 도축업 회원사의 도축가공 데이터 관리를 위한 ‘①도축장 스마트HACCP 솔루션’, 공기압축기 사용업무에 대한 모바일 연동과 실시간 관리를 지원하는 ‘②공기압축기 유지관리 공동활용 솔루 션’, 디지털 인공치아보철물 제작 및 공정관리를 위한 ‘③치아보철물 제작관리 솔루션’, 금속산업의 도면 및 견적 관리를 위한 ‘④금속가공업종 주문관리·공유 솔루션’, 중소기업의 구매발주 자동화를 위한 ‘⑤중소기업협업 ERP 솔루션’, 반월표면처리사업협동조합 업무의 통합 관리를 위한 ‘⑥반월표면처리공단 통합정보 솔루션’ 으로 총 6개의 업종별 공동활용 솔루션을 구축했다. 특히 추진단은 영세기업들이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식육포 장처리(‘19), 떡 가공(’20), 축산·도축(’21) 등 업종별 스마트HACCP 공동활용 솔루션 개발을 지원했으며, 적은 비용으로 HACCP 데이터를 쉽게 관리 할 수 있게 되어 업무 개선, 생산성 증대 등의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동 사업을 통해 다수의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활용 가능한 업무용 솔루션 개발과 운영관리를 지원해 중소 기업 경영·생산 효율화 및 디지털 경영 저변 확산을 지원하였으며, 앞 으로도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45","atchfileNm":"220325_보도자료_KOSMO,_영세기업을_위한_저비용의_공동활용_솔루션_구축_성과_발표.pdf","viewCnt":"1813","regDate":"2022-03-30 15:36:48"},{"contentId":"138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중소기업중앙회 R&D 사업화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 협력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5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중소기업중앙회는 우수 연구개발 및 사업화 성공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ㅇ 양 기관은 25일(금) 11시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이재홍 중소기업기 술정보진흥원 원장, △정윤모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ㅇ 양 기관은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한 중소기업 해외 진출 협력, △ 해외 정부 등의 기술 및 기업진출 수요에 대한 공동협력 및 대응 등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 정윤모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은 “지난해 중소기업의 수출은 무역 역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 등 해외에서 우리 중소기업을 찾는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양 기관 간 협력을 통해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기회가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은 “팬데믹 상황의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19 관련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 실적은 유래 없는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며, “이는 중소기업이 R&D 지원을 통해 꾸준한 연구개발에 매진한 결과로, 기정원은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과 예측 불가능한 상황의 출현으로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의 빠른 회복과 도약을 위해 중기중앙회와 협력하여 ➀R&D→➁상용화 →③해외시장 진출이라는 성공 사례를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34","atchfileNm":"20220325_(보도자료)_TIPA-중소기업중앙회_RD_사업화_중소기업_해외진출_지원_협력_추진.pdf","viewCnt":"1705","regDate":"2022-03-25 15:00:27"},{"contentId":"138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산림바이오 및 정원기반 분야 중소기업 육성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40","contentsKor":"산림바이오 및 정원기반 분야 중소기업 육성 업무협약 체결 ○ 3.22(화), TIPA-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업무협약(MOU) 체결 ○ 산림바이오, 정원기반 분야 중소벤처기업 발굴을 통해 한국판 그린뉴딜 정책에 앞장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수목원정원 관리원(이사장 류장수, 이하 한수정)이 산림바이오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육성과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 TIPA와 한수정은 3월 22일(화) 국립세종수목원에서 산림바이오관련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역량 강화와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우수 기술을 보유한 관련 분야 중소벤처기업 발굴 및 협업 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 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양 기관 간 국내외 보유 인프라와 인적자원 교류, ▲ 기술동향 정보 공유 및 홍보 등을 지원하는데 협력하기로 하였다. ○ 특히, 이번 협약을 통하여 임․농업 분야 창업기업을 발굴해낼 뿐만 아니라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해 ESG 경영활동을 함께 진행하는 등 지역복지 사회공헌 활동에 앞장설 예정이다. ○ TIPA와 한수정은 관련분야 중소벤처기업의 R&D지원사업 참여 지원을 통해 우수 기업 발굴과 기술사업화 확산을 위해 함께 노력할 예정이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임․농업, 정원기반, 산림생물 등 관련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판로를 개척 등을 통하여, 신재생 에너지, 자원순환 등 그린뉴딜 분야의 기술사업화를 위해 협력할 것으로 기대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TIPA는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력 강화를 위해 앞장서고, 미래가치 분야의 사업을 지원하고 있 다”며, “한수정이 보유한 산림정원기반 자원과 인프라 까지 더해진다면 중소벤처기업이 생물자원을 활용한 산림바이오, 친환경, 등 정부의 그 린뉴딜 정책에 앞장서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23","atchfileNm":"20220323_(보도자료)_TIPA-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_산림바이오_및_정원기반_분야_중소기업_육성_MOU_체결(배포).pdf","viewCnt":"1810","regDate":"2022-03-22 15:03:04"},{"contentId":"138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2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현장형R&D 2차 모집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37","contentsKor":"2022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현장형R&D 2차 공고□ 제조 중소기업 공장의 생산성 향상(불량률 감소・원가 절감 등)을 위해 제조 공정 자동화・지능화・효율화 등 공정개선 기술개발 및 실증지원□ 현장형R&D(과제당 1년, 5천만원 이내 지원) 참여 중소기업 모집(공고기간 : 3. 15.(화) ~ 4. 13.(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자금력이 부족한 국내 제조 중소기업 공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3월 22일(화)부터 4월 13일(수)까지 2022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현장형R&D 2차 참여 중 소기업을 모집한다.(사업공고 : 3월 15일(화)) 중소기업 공장의 단기 애로기술 해결 수준의 공정개선 기술개발 및 실증 지원을 통해 제조 중소기업의 생산성향상(불량률감소, 원가절감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중 직접생산확인증명서 또는 공장등록증을 보유한 최근 3년 평균 매출액 120억 이하 중소기업이다. ‘22년 동 사업 2차 신규과제 지원규모는 38.8억원, 155개 과제이며, 과제당 정부출연금 80% 이내에서 지원한다. 동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의 기관부담 연구개발비(현금+현물) 비중을 완화(10%)하고, 이 중 현금부담 비중(10%)으로 낮추었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종합관리 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사업공고] → [2022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현장형R&D 2차 시행계획 공고] ‘22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현장형R&D 사업 개요 □ 사업목적◦국내 중소기업 공장의 생산성 향상(불량률 감소・원가 절감 등)을 위해 제조 공정 자동화・지능화・효율화 등 공정개선 기술개발 지원 □ 지원규모(2차) : 38.8억원, 155개 과제 □ 지원유형 : 자유공모 □ 지원대상◦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중 직접생산확인증명서 또는 공장등록증을 보유한 최근 3년 평균 매출액 120억 이하 중소기업 □2차 공고기간 : 2022. 3. 15.(화) ~ 2022. 4. 13.(수)※ 접수기간 : 2022. 3. 22.(화) ~ 2021. 4. 13.(수) 18:00까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21","atchfileNm":"20220322_(보도자료)_2022년_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_현장형RD_2차_모집_공고(배포).pdf","viewCnt":"2034","regDate":"2022-03-22 13:40:04"},{"contentId":"138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위기지역 중소기업 스케일업 R&D 모집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25","contentsKor":"2022년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R&D 사업 공고(2차) □ 위기지역 및 위기업종 중소기업의 현장맞춤형 기술애로 솔루션 지 원 및 Scale-up R&D 연계지원을 통한 기업의 지속성장 지원 □ 현장수요형 R&D(1단계) 과제(과제당 2개월, 4백만원 이내), Scale-up R&D(2단계)과제(과제당 1년,1억원 이내)참여 중소기업 모집(2차 공고기간 : 3. 10.(목) ~ 4. 21.(목), 2단계 접수기간 : 4. 7.(목) ~ 4. 21.(목))* 현장수요형 R&D(1단계) 진행 일정에 따라 향후 Scale-up R&D(2단계) 접수일정 변경 가능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위기지역 및 위기업종의 중소벤처기업의 지원을 위해, 2022년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2차 공 고를 지난 3월 10일(목) 실시하고, 4월 21일(목)까지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R&D 사업은 현장수요형 R&D(1단계)에서 Scale-up R&D(2단계)사업으로 연계하여 지원한다.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R&D 사업은 위기지역 및 위기업종 중소기 업의 현장맞춤형 기술애로 솔루션 지원 및 Scale-up R&D 연계지원을 통한 기업의 신제품 개발, 제품고도화 등 지속성장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대상은 아래 내용 중 하나에 해당하는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이다. ①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소재 시·도(4개, 전북, 전남, 경남, 울산) 내 위기업종(조선·자동차) 중소기업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6개) : 전북 군산시, 전남 목포시·영암군·해남군, 경남 거 제시, 경남 통영시·고성군, 창원시 진해구, 울산 동구 ② 특별지원지역 :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소재 중소기업 - 강원(북평국가, 북평일반)- 전북(김제지평선일반, 정읍첨단)- 전남(나주일반, 장흥바이오식품, 강진환경일반, 나주혁신, 담양일반, 영광대마 전기자동차일반, 동함평일반산단, 세풍일반산단, 목포대양산단)- 충남(보령 주포제2농공단지) ‘22년 동 사업 신규과제 지원규모는 54억(1단계 4억, 2단계 50억), 150개 과 제이며, 1단계는 정부출연금 100% 지원, 2단계는 총사업비(정부출연금+ 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90%이내에서 지원한다. (1단계) 현장수요형 R&D → (2단계) Scale-up R&D 연계지원 (1단계) 현장수요형 R&D는 산학연 전문가 및 관련 기관(업) 매칭을 통한 맞춤형 지원합니다.* 기업이 요구하는 특허분석, 시장분석, 수요처 발굴·분석(수요처 연계 제품개발), 사업다각화 타당성 조사, BM모델 개발, 기술개발 사전기획 타당성 진단 등(2단계) Scale-up R&D는 지역 중소기업의 위기 극복 및 자생력 강화 를 위한 신제품 개발, 제품고도화 관련 기술개발을 지원합니다. 코로나-19 등 위기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 부담완화 동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의 기관부담 연구개발비(현금+현물)  비중을 완화(10%)하고,  이 중 현금부담 비중(10%)으로 낮추었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업 신청 경로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 [사업정보] → [사업공지] → [사업공고]","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06","atchfileNm":"(보도자료)_위기지역_중소기업_스케일업_RD_모집_공고_최종v2.pdf","viewCnt":"2415","regDate":"2022-03-14 10:17:54"},{"contentId":"138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년 연속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1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한국능률협회컨설팅 (KMAC)이 발표한 2022년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 조사 결과 ’중소기업 진흥‘ 부문 우수기관으로 2년 연속 선정됐다고 밝혔다. TIPA는 2022년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 공공 부문 중소기업 진 흥 산업에서 혁신능력, 주주차기, 직원가치, 고객가치, 사회가치, 이미지 가치 등 6대 가치 항목에 좋은 평가를 받아 2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얻 었다. 올해로 출범 20주년을 맞이하는 TIPA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R&D 지원 및 스마트 공장 보급 확산 전문기관으로 중소벤처기업의 R&D 를 통한 혁신 성장과 기술 경쟁력 강화, 제조 경쟁력 제고를 지원하 는 준정부기관이다. 또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다양한 국가 및 협력기관과 공동 프로그램을 마련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 로 성장하도록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TIPA 관계자는 “TIPA 임직원은 기관의 중소벤처기업 지원 정책이 단순 일회성 지원에 끝나는 것이 아닌, 기업 성장의 전주기에 자양분 역할 수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공공기관으로서 지역 내 취약 계층 지원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도 꾸준히 추진해오는 등 기관의 ESG 경영 노력이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으로 선정되는데 기 여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올해로 19회째를 맞이한 KMAC의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 조사는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산업계 종사자, 일반 소비자 등 총 1만 2천여명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해 선정됐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272","atchfileNm":"(보도자료)_TIPA,_2년_연속_한국에서_가장_존경받는_기관_선정.pdf","viewCnt":"2290","regDate":"2022-03-04 09:07:24"},{"contentId":"138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TP, 지역중소기업 육성 및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1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 1월 25일(화)부터 2월 11일(금)까지 지역중소기업 육성 및 협력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 테크노파크(이하 TP) 대상으로 ‘권역별 순회 간담회’를 개최했다.  「산업기술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 개정(‘22.2.28.)으로, 중기부의 TP 관리 업무 등을 위탁 수행하는 기관이 TIPA로 변경 이번 간담회는 금년부터 TIPA가 중기부의 지역사업 전담기관으로 변경 지정됨에 따라, TIPA-TP간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나가는 정기 협의체 운영을 위한 첫 상견례 겸 Kick-off 회의로서 마련됐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영남권, 충청·강원권, 수도권, 호남·제주권 총 4개 권역별로 직접 TP 원장단을 찾아가, △TIPA・TP 간 협력 모델 발굴, △TP별 주요현안 공유 및 대응방안 마련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TIPA는 지역 생태계 조성을 위한 R&D 및 스마트공장사업 확대 필요성, 지역사업 운영방안, TP 장비 고도화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으며, 3월 중 TP의 정책기획단장 및 실무자 간담회 등을 추진하여 후속 조치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양 기관은 한국판 뉴딜을 뒷받침할 ‘지역 중소기업 육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인 협업체계를 가동하여 지역별 현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내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는 등 실효성 있는 지원사업을 함께 만들어갈 계획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금년도 지역사업을 포함하여 예산이 약 2조원 가량 확대됨에 따라, 위기를 혁신으로 바꾸는 강한 중소·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TIPA의 역할이 강화됐다“며, ”TP는 지역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중요한 파트너로서,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정보교류 및 협력을 강화해 주요 현안들에 대해 발 빠르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269","atchfileNm":"(보도자료)_TIPA-TP,_지역중소기업_육성_및_협력체계_강화를_위한_간담회_개최.pdf","viewCnt":"2351","regDate":"2022-03-02 10:27:49"},{"contentId":"138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해군,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03","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대한민국 해군(이하 해군)이 2월 21일(월)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와 해군의 4차 산업혁명 지능정보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TIPA 세종 본원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TIPA 이재홍 원장, 해군 정보화기획참모부장 유근종 소장, 중소벤처기업부 원영준 기술혁신 정책관 등 관계자 10명이 참석했다. □ 이번 협약은 ① 民·軍 협력기술개발 과제발굴·지원, ② 중소벤처 기업의 기술실증을 위한 해군 테스트베드 개방, ③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관련 행사 참여·협력 등을 주요 골자로 한다. ① 해군의 해양전 수행능력 향상 및 첨단과학기술군 도약을 위해 필요한 기술과 제품의 개발수요를 자체적으로 발굴하고, TIPA는 이를 수행할 중소벤처기업을 모집·평가하여 선정된 기업에게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 기술개발자금은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의 구매조건부신제품 개발 구매연계형 과제를 통해 제공되며, 특히 국방 분야 과제의 경우 올해부터 개발기간은 최대 3년, 개발비는 10억원 이내의 조건 으로 지원범위가 확대되었다. - 기술개발이 완료되면 해군에서 해당 기술·제품을 구매하고, TIPA와 함께 民·軍 기술사업화 성과 확산을 지원하는 등 양 기관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 전주기 지원을 위한 협력을 추진한다. ② 또한, 기술실증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을 돕고, 국방 분야 民·軍 협력기술개발 과제 발굴 등을 위해, 해군이 보유한 테스트 베드 인프라를 민간에 개방하고 기술실증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③ 더불어, 해군 지능정보화정책발전 세미나 등 양 기관에서 중소벤처 기업의 기술혁신과 관련하여 개최하는 주요 행사의 운영 및 홍보를 위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한편, TIPA는 이번 협약에 앞서 공군본부(’20.5월), 육군본부(’21.5월)와도 중소벤처기업 지원 협력 및 국군의 신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였으며, 이번 해군과의 협약을 계기로 대한민국 육·해·공 전군(全軍)과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지원 협력체계를 구축하였다. ○ 이를 통해 기술 실증 및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어온 중소벤처기업이 국군의 실증환경을 활용하여 국방 수요에 연계한 아이디어를 창출 하고, 개방형 혁신 기술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등 民·軍 협력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국방 조달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던 중소벤처 기업의 판로확대 및 혁신성장을 지원하고, 동시에 영해를 수호하는 대한민국 해군의 민간 우수기술 도입을 확대하기 위한 뜻깊은 계기가 마련되었다”며, ○ “TIPA는 육·해·공군과의 긴밀한 협력모델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우리나라의 국방력 강화를 위해 유의미한 성과를 창출 하고자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해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유근종 소장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원하는 우수 중소·벤처기업이 해군력 발전에 참여하고, 기술혁신과 성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추진함으로써 민·관·군 상생의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235","atchfileNm":"220221_TIPA-해군,_국방_분야_중소벤처기업_육성_활성화를_위한_업무협약_체결.pdf","viewCnt":"2795","regDate":"2022-02-22 10:17:48"},{"contentId":"137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원장,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 생태계 강화할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776","contentsKor":"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유일한 R&D 전담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2월 16일(수) 서울 수도권업무지원실에서 20주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 기관 핵심추진과제와 성과,  2022년 신규 사업,  지역 R&D 등 그간의 발자취와 올해 기관이 중점 추진할 정책 지원내용을 발표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술혁신(R&D) 및 스마트공장 보급・확산・고도화 지원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신산업 창출을 중점 지원하는 기관‘으로, 올해로 기관 출범 20주년, 직원은 300명, 예산 2조원 시대를 열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기관이 그동안 외형적으로 많이 성장했다.”라며, “앞으로 내부적으로는 시스템을 외부적으로는 네트워크 역량들을 키워 내적・외적으로 성숙한 기관으로 성장하여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든든한 혁신성장 동반자로 발돋움 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올해 8개 신규 사업에 대한 소개도 병행됐다. 먼저, 기후위기대응과 미래 유망 그린기업 육성을 위해 ❶넷 제로(Net-zero) 기술혁신개발사업, ❷탄소중립선도모델 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지원한다. 또한, 스마트대한민국 실현과 프로젝트형 지원으로 ❸건강기능식품개발과 ❹리빙랩 활용 기술개발, ❺스마트 전통시장상점가R&D를 신규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인프라를 활용한 기술개발 촉진과 제조혁신 지원을 위해 ❻성과공유형 공통기술개발, ❼산학연플랫폼협력기술개발, ❽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도 신규로 지원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지역혁신과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을 위한 지역특화 산업육성, 산업단지대개조지역기업 지원, 위기대응지역기업 지원 등 지역산업 R&D 기획・평가・관리 기능을 TIPA가 전담 운영하게 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등 중소벤처기업을 둘러싼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의 불확실성이 크고, 코로나19로 4차 산업혁명이 더 가속화되면서 과거의 ’Big fish‘(덩치가 큰 기업)보다는 빠르고, 민첩한 ’Fast fish’(변화의 흐름을 읽고 빠르게 대처하는 기업)의 중요성이 커졌다.”라며, “올해는 이러한 중소벤처기업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먹거리 선점을 위한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적극 발굴해 혁신생태계 중심의 지원을 강화하는 데 업무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으로부터 △신뢰받고 소통을 중시하는 TIPA,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TIPA, △외부와의 협력 브릿지 역할을 통해 상생・ 협력・발전하는 TIPA, △업무 전문성을 키우고, 공정성을 실천하는 TIPA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195","atchfileNm":"(보도자료)_이재홍_원장,_중소벤처기업의_혁신성장_생태계_강화할_것.pdf","viewCnt":"2900","regDate":"2022-02-16 18:06:57"},{"contentId":"137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 성장기반 기술분야의 창업기업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77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는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중 성장 기반 분야의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1차 (상반기) 전략형(성장동력) 시행계획‘ 재공고를 통해, 지난 2월 14(월) 부터 3월4일(금)까지 약 3주간 참여 중소기업을 추가로 모집한다고 밝혔다. 지원분야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이정표를 제시하는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중 ’성장기반 분야‘로 ①유기소재, ②세라믹, ③금속, ④복합 소재, ⑤섬유, ⑥전기전자부품, ⑦반도체·디스플레이장비, ⑧정밀기계, ⑨일반기계 등 총 9개 분야 및 46개 품목([참고2])이며 유망기술 성장의 기초가 되는 분야이다. ’코로나-19 특별지침‘*으로 총 연구개발비의 90%를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최대 2년간 3억원을 지원하며, 대상은 창업 7년 이하 및 최근 년도 매출 20억원 미만에 해당하는 창업기업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중소기업 R&D 부담완화를 위한 특별지침 사업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제출해야하는 필수 서류 중 창업기업확인서의 경우, 발급을 받기 위해선 최소 10일정도 소요되어 미리 준비해야 한다. 창업기업확인서의신청및발급은’창업기업확인시스템(cert.k-startup.go.kr)‘에서 가능하며,기타 제출 서류는 공고문에 안내되어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성장기반 분야 R&D 지원을 통해 미래유망기술의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동력이 확보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업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 (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종합관리시스템*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193","atchfileNm":"220216_보도자료_성장동력_재공고_관련.pdf","viewCnt":"2652","regDate":"2022-02-16 18:03:54"},{"contentId":"137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기 R&D 수행 중소기업 투자유치를 위한 2022 TIPA ValueUP 본격 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774","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투자역량 강화 프로그램인 “TIPA ValueUP” 프로그램의 ’22년 1차 참여기업을 다음달 8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ㅇ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들이 개발한 우수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지원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난 ’18년도부터 운영 중에 있으며, ㅇ ’21년 한 해 총 24개 기업이 242.6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R&D 수행 중소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 TIPA는 R&D 수행기업의 투자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100개사 내외의 투자유망기업을 발굴·육성하고 있으며, ’22년 현재까지 240 여개 기업이 TIPA ValueUP을 통해 투자 관련 지원을 받았다. ㅇ 특히, ’21년에는 총 28회의 국내·외 투자설명회와 함께 유관기관 투자지원 프로그램과 연계를 통해 다양한 방식의 투자유치를 지원 하여 다수의 기업이 VC 등을 통한 투자유치 성과를 이루었다. □ ‘22년도 1차 TIPA ValueUP 프로그램(9기)은 30개사 내외의 투자유망 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며, 특히 투자시장에서 실질적인 투자유치를 받기가 어려운 비수도권 소재 중소벤처기업을 우대하여 선발한다. ㅇ 선발된 기업은 개별기업 현황분석을 위한 진단컨설팅과 IR자료의 고도화를 위한 1:1 VC 투자컨설팅 등의 교육과 함께 매월 진행 되는 분야별 투자유치 설명회 등의 프로그램을 지원받게 된다. ㅇ 더불어 TIPA ValueUP 프로그램 참여기업은 추천을 통해 민간은행 자금을 통한 투자유치 기회와 TIPA-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모태펀드 연계 투자설명회 등의 참여기회도 부여받을 수 있게 된다. □이재홍 TIPA 원장은 “TIPA ValueUP프로그램을 통해 좋은 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라며 “특히 올해는 비수도권에 소재한 중소벤처기업이 투자유치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참가 신청은 3월 8일(화) 18시 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 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확인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 관련 공지사항]","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191","atchfileNm":"20220209_(보도자료)_TIPA,_중기_RD_수행_중소기업_투자유치를_위한_2022_TIPA_ValueUP_본격_시동.pdf","viewCnt":"2340","regDate":"2022-02-09 18:01:09"},{"contentId":"137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한 혁신제품 지원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71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 1월 25일(화),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에 방문하여 현장을 둘러보고 기업과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다. *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 중소기업 : R&D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 중 기술혁신성과 공공성이 우수한 제품을 지정하여 공공부문과 수의계약을 지원하는 제도 코로나-19 특별 방역대책에 따라, 방역당국의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최소한의 인원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진행됐다. 이번 현장방문은 중소기업 R&D를 통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 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노고를 격려하고자 마련되었다.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혁신제품 지정기업인 什네트워크코리아는 중소기업 R&D지원사업(산학연R&D)을 통해 전통시장 사업장 등 소상공인의 전기 안전 사각지대 해소가 가능한 전력수집 장치 및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최근 화재에 취약한 전통시장, 소상공인 상점가는 안전한 시장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노후 설비, 전문가의 상시방문 및 측정 등의 한계로 전기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특히 복잡한 구조와 좁은 통로 등으로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진압이 어려운 만큼 사전에 다양한 전기안전 문제를 진단하고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다. 이에 什네트워크코리아에서 개발한 혁신제품은 전문가 없이도 과부하, 누전 등 이상전력을 분석?탐지하여 알리고 부하조절, 전력통제 등을 통 해 돌발 상황을 예방하는 기능을 갖추었다. 또한 설비별 에너지 효율, 낭비전력, 사용전력 분석을 통해 적정한 계약 전력을 추천하여 사용자 측면에서는 전기요금 절약, 환경 측면에서는 에너지 절약을 통한 탄소중립 실천이 가능한 셈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전기안전,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의 관심 부족 등으로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 R&D를 통한 혁신제품이 전통시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공부문에 널리 적용되어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의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전통시장 등 실사용자의 인식제고를 통해 혁신제품의 필요성을 인지 하고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혁신제품 지정제도와 제품을 지속 적으로 홍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설명] TIPA 이재홍 원장(오른쪽)이 (주)네트워크코리아 대표의 혁신제품 설명을 듣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095","atchfileNm":"사진자료_TIPA,_소상공인_디지털_전환_위한_혁신제품_지원_나서.jpg","viewCnt":"2642","regDate":"2022-01-28 11:16:16"},{"contentId":"136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ISTI, 데이터 기반 지원역량 강화를 위해 손잡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87","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장 김재수, 이하 KISTI)는 1월 20일(목), TIPA 세종 본원에서 업무협약 (MoU)을 체결하고 상호 협력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디뎠다. 중소기업 R&D 대표 전문기관인 TIPA와 국가과학기술 지식정보 대표 출연(연)인 KISTI가 전략적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효과적 으로 지원하는 데에 이번 MOU의 목적이 있다. TIPA는 그간에 축적된 중소기업 R&D지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능형 스마트평가시스템을 구축 중이며,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있 다. KISTI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 기반 기 술사업화 지원플랫폼(Smart K2C)’, ‘지능형 산업·시장분석 시스템(K-MAPs)’ 등 다양한 기술·시장 분석 시스템을 구축·운영 중이다. TIPA와 KISTI는 업무협약을 통해 미래유망 품목·기술 분석, 중소기업 데이터 분석, 지능형 사업화 분석·예측모델 개발 등의 분야에서 양 기 관의 경험을 공유하고 협업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주요사업의 홍보 및 협업 활동, 신규사업 발굴 등에서도 협조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데이터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TIPA와 KISTI가 협업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사업 화와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056","atchfileNm":"20220120_(보도자료)_TIPA-KISTI_데이터를_기반으로_중소기업_지원_역량을_강화하기_위해_손잡다.pdf","viewCnt":"2225","regDate":"2022-01-20 17:47:17"},{"contentId":"136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데이터 품질인증(DQC-V) 최고등급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7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한 ‘2021 데이터 품질인증 심사’에서 중소기업 R&D데이터 품질 관리의 공로를 인정받아 최고등급인 ‘플래티넘’을 획득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데이터 품질인증(DQC-V, Data Quality Certification-Value)은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구축ㆍ활용 중인 데이터의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이다. 심사 결과에 따라 플래티넘, 골드, 실버 3개 등급으로 나눠지며, 최고등급인 플래티넘 등급은 정합률이 99.977% 이상인 경우 획득이 가능하다. 이번에 최고등급을 획득한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SMTECH)는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지원사업의 효율적인 과제관리를 위한 온라인 종합 사업관리시스템으로 ▲사업공고 ▲과제접수 ▲전자평가 ▲전자협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SMTECH는 이번 심사에서 49억건의 데이터 중 정합률 99.977%를 확보했다. 이재홍 TIPA 원장은 “지속적인 데이터 품질향상 활동을 통해 우리나라 경제와 산업의 근간인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에 기여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036","atchfileNm":"20220111_(보도자료)_TIPA,_데이터_품질인증_최고등급_획득.pdf","viewCnt":"2307","regDate":"2022-01-13 16:04:00"},{"contentId":"136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국립대전현충원 참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6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이 1월 4일(화) 이재홍 원장을 비롯한 간부진들과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현충탑에 참배하며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넋을 기렸다. 이어 이재홍 원장은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을 힘껏 지원하겠습니다.”라고 방명록을 남겼다.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최소한의 인원만 참여해 진행됐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유일한 R&D 전담기관으로서 2022년 임인년 새해를 시작으로 기관 설립 20주년을 맞이했다. 특히, 올해는 디지털 전환 등 중소벤처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혁신(R&D) 및 스마트공장 보급・고도화 분야에 2조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벤처 기업의 혁신생태계 조성과 성장동력 확보 지원에 총력을 다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024","atchfileNm":"20220104_(보도자료)_이재홍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_국립대전현충원_참배(배포).pdf","viewCnt":"2151","regDate":"2022-01-04 17:16:37"},{"contentId":"136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연말 각계각층 희망나눔으로 지역사회 온정 나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5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연말 지역 사회의 취약계층 및 취약지 근무자들과 마음 나누기 활동을 이어갔다. 이번 활동은 지난 12월 16일부터 약 일주일에 걸쳐 소수의 담당자가 필요 계층에 직접 물품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 12월 16일에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과부하가 걸린 대전과 세종 선별진료소의 의료진, 자원봉사자 대상 핫팩, 생수, 간식거리로 이루어진 위문물품을 전달했다. 이번 위문물품은 환경보전에 기여 하기 위해 종이팩 생수, 친환경 대나무 빨대 등으로 구성됐다. 또한, 12월 23일에는 지역 독거노인가정 지원 사업을 운영하는 대전 유성구 노인복지관과 지역 취약계층을 위한 푸드뱅크 등을 운영하고 있는 세종시 사회복지협의회에 총 400만원 상당의 온누리상품권을 전달했다. TIPA가 전달한 온누리상품권은 대전 독거노인가정의 겨울나기 지원 및 세종시 전역의 취약계층 가정을 위한 지원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의 급격한 재확산으로 인해 일상 회복을 잠시 미루고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지역 사회와의 마음 나누기 활동이 멈춰서는 안된다.”며, “새해에는 공공기관으로서 더 다양한 곳의 취약계층에 더 세심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소회를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000","atchfileNm":"20211228_(보도자료)_TIPA,_연말_각계각층_희망나눔으로_지역사회_온정_나눠(배포).pdf","viewCnt":"2240","regDate":"2021-12-28 09:23:31"},{"contentId":"136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년 인사혁신 이끈 우수 공공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2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인사혁신을 이끈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9일 인사혁신처가 주관한 ‘2021 인사혁신 우수 사례 경진대회’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TIPA는 여성근로자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장기근속 환경을 조성코자 기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TIPA 생애주기별 맞춤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해 일과 가정의 균형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한 공로를 인정받았다.동 프로그램은 여성근로자가 임신부터 출산, 육아까지 생애주기별로 근무 과정에서 맞춤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임신기 근로자에게는 근로시간을 단축(8시간→6시간)하고, 태아 검진을 위한 월 1일 유급 휴가를 부여한다. 출산한 직원에게는 체온계, 모빌, 아기띠 등 육아에 필요한 베이비 키트를 제공하고, 복지 포인트를 부여 함으로써 출산의 기쁨을 기관이 함께 나누는 문화를 조성했다. 또한, 육아기 휴직 중인 직원들이 공백감을 느끼지 않도록 기관의 소식을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TIPA 소통채널’도 운영하고 있다.아울러, 실효성 있는 제도 운영을 위해 제도 개선도 함께 추진했다. 모성보호 목적의 근태처리 권한을 획기적으로 하향 조정하여 본인이 기안에서 결재까지 처리하는 자동결재 시스템을 구축했고, 일・가정 양립을 위해 업무시간을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시차출퇴근 신청기준(최소 1개월 → 1주일)도 개편했다.그밖에, 지난해 조직 내 능력 있는 핵심인재를 발굴하고, 직원의 사기 진작을 위해 기관 운영 이래 최초로 ‘특별승진 제도’를 도입・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장기휴직자 및 파견 복귀자가 변화된 기관 제도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으며, 자기계발 지원을 위한 어학 및 자격증 교육 강좌 지원, 근로자의 스트레스 관리를 지원하는 전문 심리상담사와의 1:1 심리상담 프로그램 운영 등 인사 행정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인사혁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한편, 지난 2006년 이래 올해로 16회째를 맞은 ‘인사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는 국민이 체감하는 인사제도와 공직문화 개선 성과를 공유 하고, 공직사회 전반에 확산코자 개최됐으며, TIPA는 기관 운영 이래 최초로 우수기관 선정의 영예를 안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76","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1년_인사혁신_이끈_우수_공공기관_선정(배포).pdf","viewCnt":"2285","regDate":"2021-12-14 14:35:17"},{"contentId":"136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22","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산업기술보호 협회(회장 박희재, 이하 KAITS)이 지난 3일(금) KAITS 본관에서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개발 및 기술보호 종합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 중소벤처기업 신규 지원사업 기획 및 운영, △ 기관 간 중소벤처기업 지원사업 연계 및 협력, △ 중소벤처 기업 기술개발 및 기술보호 관련 동향, 정보 공유 등이다.◦ 이에 따라 핵심기술 보호에 어려움을 겪는 많은 중소벤처기업이 자체적인 보안시스템과 전문역량을 갖추고, 기술개발 결과물을 성공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한 다양한 맞춤형 지원정책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양 기관은 협약내용 세부이행을 위한 실무논의를 거쳐 중소 벤처기업의 국내외 판로확보 및 기술거래 촉진을 위한 수요 중심의 핵심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발굴하고 추진할 예정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혁신성장을 위해선 연구역량 뿐만 아니라 충분한 기술보호 역량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양 기관이 더욱 긴밀히 협력하여, 중소 벤처기업 R&D 지원 생태계 조성과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신기술 개발 및 고도화를 위해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KAITS 우한곤 상임부회장은 “TIPA와의 상호협력을 통해 우리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유출을 사전에 차단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기술보호 지원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73","atchfileNm":"211203_(보도자료)_TIPA,_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와_중소벤처기업의_기술혁신_촉진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pdf","viewCnt":"2054","regDate":"2021-12-03 16:40:50"},{"contentId":"136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산학연 간 기술교류 협력 매칭데이 성황리 마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2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지난 11월 29일(월) 부터 3일간 개최한 ‘산학연 매칭데이’ 행사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TIPA는 중소기업의 R&D역량을 강화하고, 산학연 간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행사를 마련했다. 사전에 발굴된 중소 기업의 수요기술과 대학・연구소 등 기술혁신기관의 수요기술 263개 기술을 대상으로 기술 세미나, 기술 매칭 상담 지원 등이 진행됐다.행사기간 내 기술 분야별로 35번의 기술 세미나를 통해 기술혁신기관이 보유한 기술과 공동R&D 희망기술이 소개됐고, 기술 매칭・상담을 통해 중소기업과 대학, 연구소 간 200여개의 기술매칭이 진행됐다.행사 개막식에서 이재홍 TIPA 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산학연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중소벤처 기업부가 추진하는 협력형 R&D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설명했다.또한, 내년에는 참여 중소기업과 대학, 연구소 대상을 확대·개편하여 지역 권역별 행사 개최를 추진해 산학연 매칭데이가 산학연 공동연구와 협력을 통한 개방형 혁신의 시작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72","atchfileNm":"211203_(보도자료)_TIPA,_산학연_간_기술교류_협력_매칭데이_성황리_마쳐(배포).pdf","viewCnt":"1901","regDate":"2021-12-03 16:38:45"},{"contentId":"136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이해충돌방지법 시행 앞두고 선제적 모의신고훈련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1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지난 22일부터 26일 까지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의 안정적인 시행과 조직 전반의 윤리문화 확산을 위한 ‘이해충돌방지 모의신고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은 공직자의 부정한 사익 추구 행위를 막고 직 무수행의 공정성을 담보하고자 이해충돌상황을 적절히 관리·통제함으로써 부패를 사전에 예방할 목적으로 제정된 법령이다.TIPA ‘이해충돌방지 모의신고훈련’은 임직원의 청렴의식을 제고하고 이해 충돌방지법의 이해도를 높여 공공기관의 윤리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실시됐다.모의훈련은 부서별 윤리경영실천추진반(24명)에게 이해충돌상황을 전파하여 △훈련 상황전파 △개별 위반사례 상담 및 신고(이해충돌 확인·조치내역서) △신고 사무처리 △훈련 평가 및 환류 △전파교육의 순서로 진행됐다.또한, TIPA는 내년 이해충돌방지법 시행(2022.5.19.)을 앞두고 이해충돌방지 대응 추진체계를 구성하고, 전 직원 대상 이해충돌방지법 온·오프라인 교육 실시 및 ‘이해충돌방지 서약서’를 징구하는 등 이해충돌상황에 대한 선제 적 대응방안을 마련하였다.이재홍 원장은 “내년 5월부터 이해충돌방지법이 시행되는 만큼, TIPA 는 전 직원이 이해충돌 상황을 선제적으로 관리․통제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든 공공기관의 모범이 되겠다.” 고 청렴실천 의지를 강조했다. 한편, TIPA는 지속적인 부패방지 모니터링 및 청렴활동을 추진한 결과금 년도 10월 말,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패방지 시 책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하여 청렴활동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또한, TIPA는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이후 윤리경영과 준법경영 을 위해 꾸준히 노력한 결과 지난해 ISO 37001 인증 갱신에 성공하였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70","atchfileNm":"211130_(보도자료)_TIPA,_이해충돌방지법_시행_앞두고_선제적_모의신고훈련_실시★.pdf","viewCnt":"3924","regDate":"2021-11-30 16:35:38"},{"contentId":"136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VC 투자 받기 어려운 비수도권 혁신기업 투자설명회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1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벤처투자를 받기 어려운 비수도권에 소재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지원을 위한 ’비수도권 R&D 수행기업 투자설명회‘를 12월 2일부터 3일까지 이틀간 진행한다고 밝혔다.ㅇ 올해 초 TIPA는 우수한 기술력과 혁신적인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유망기업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중기 R&D 자금을 전담하여 예치하는 전담은행인 기업은행, 하나은행과 협력하여 R&D 수행기업 대상 투자자금 1,300억원을 마련했다.ㅇ 이번 설명회는 지난 5월, 8월에 이어 R&D 전담은행의 투자자금을 투자유망기업에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는 세 번째 투자설명회다.□ 최근 벤처투자 현황을 보면, 바이오·ICT 등 특정 분야와 수도권 기업에 투자가 편중되는 경향이 많아 비수도권에 소재한 제조기업들은 벤처투자를 받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ㅇ TIPA와 전담은행은 실무협의회를 통해 비수도권에 소재한 투자 유망기업을 발굴하여 투자자금을 지원하기로 계획하고,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R&D기업을 발굴하여 전담은행 사전검토를 통해 투자설명회 대상기업을 선발했다.□ 참여기업은 ㈜파인나노, ㈜제라브리드, ㈜네이처모빌리티 등 32개사이며, 20분 동안 발표·질의응답을 통해 자신들의 기술력과 장점을 집중 설명해 투자심사역(VC)에게 기업을 어필한다.ㅇ 투자설명회 이후 참여기업은 전담은행의 별도 투자심사 등을 통해 투자자금의 지원여부가 최종적으로 결정되며, 투자된 자금은 개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 자금으로 활용하게 된다.□ ㈜제라브리드 송승원 대표는 “자사는 다수의 고객사들이 해외에 있어 코로나로 인해 수출실적 등 투자사들의 관심을 끌만한 실적 창출이 늦어진 상황이었다.” 라며 “이번 비수도권 기업들을 위해 마련된 투자설명회가 자사의 검증된 기술력과 성장성을 투자사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재홍 TIPA원장은 “투자시장에서 비수도권에 소재한 기업이나 전통제조기업들은 상대적 약자이다.”며, “TIPA는 앞으로도 이러한 투자소외 분야에 속하는 중소벤처기업들이 투자유치를 통해 성장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9","atchfileNm":"211130_(보도자료)_TIPA,_VC_투자_받기_어려운_비수도권_혁신기업_투자설명회_추진★.pdf","viewCnt":"2049","regDate":"2021-11-30 16:33:04"},{"contentId":"136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신산업 분야 中企 지원 위한 기술교류의 장 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0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29일(월), ‘한-독 경량화 기술 및 복합소재 디자인 온라인 세미나’를 한독상공회의소 (KGCCI)와 공동 개최했다.< 행사 개요 >◾ 행 사 명 : 한-독 경량화 기술 및 복합소재 디자인 온라인 세미나◾ 일 시 : 2021. 11. 29(월), 16:00~18:30◾ 장 소 : 온라인 (동시통역 제공)◾ 주 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독상공회의소◾ 진행방식 : 온라인 세미나 (Zoom 프로그램 활용)◾ 규 모 : 100개사(한국기업 50개사, 독일기업 50개사)□ ‘한-독 경량화 기술 및 복합소재 디자인 온라인 세미나’는 세계 각국 환경규제 강화와 에너지효율성 제고로 자동차 산업, 항공 산업 등 경량화 기술과 복합소재 사용량이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한국과 독일 양국 간 기술교류에 대한 수요와 각 기업의 기술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마련되었다.□ 앞서 TIPA는 한독상공회의소와 2020년 1월 6일 다자간 업무협약을 맺고 지난해 9월, 올해 2월 한독일 기술교류 업무 협의를 가졌다. 이후 지난 9월부터 한독 세미나 공동개최에 대한 세부 논의를 거쳐 이번 행사를 개최하게 되었다.□ 행사 목적은 한국과 독일 간 경량화 시스템 및 복합소재 디자인 분야의 연구소 및 기업의 우수한 기술정보를 제공하여 양국 기술교류 활성화 및 국내 중소기업의 관련 기술개발 애로사항 해결 지원이다.□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양국의 산·학·연 소속으로 국내 중소기업과 독일 기업을 대상으로 경량화 기술과 복합소재 디자인에 대한 최신 기술에 대해 발표했다.○ 먼저 독일의 CU(Composite United)는 섬유 기반 복합재료 경량 구성을 위한 세계 최대 네트워크 중 하나로, CU의 집행위원회 대변인이자, 인데코(InDeKo)의 대표이며 독일 드레스덴공대 교수인 후버트 예거(Hubert Jäger)가 “경량화가 기술이 글로벌 에너지 시나리오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 방안”에 대해 발표 했고,○ 복합소재와 적층 가공의 획기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혁신 중심의 엔지니어링 기업인 치코니(CIKONI GmbH)의 파보드 네자미 박사(Dr. Farbod Nezami)가 “독일의 선도적인 복합소재 솔루션 공급업체의 수소 저장 및 구조적 CFRP 디자인 사례를 중점으로 발표 했다.○ 다음으로 한국측에서는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융복합연구본부의 문민석 박사가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신호등 프레임 개발”에 대해 발표 하고,○ 마지막으로 대한항공 신도훈 부장으로부터 “항공기용 복합재 부품 적용 공정 개발 현황”에 대해 듣고 발표세션이 마무리되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애로사항에 대해 전문가들이 직접 심도 있는 답변을 하는 소통의 자리도 마련됐다.□ 이번 온라인 세미나를 통하여 참여기업들이 세계 경량화 기술 및 복합 소재 디자인 시장의 현황과 성장 가능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적용 사례 등을 확인할 수 있어 각 기업의 역량강화가 기대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한-독 경량화 기술 및 복합소재 디자인 온라인 세미나」를 계기로, 경량화기술과 복합소재 디자인 등 신산업 분야에서의 한국과 독일의 활발한 기술교류의 발판을 마련하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중소 기업이 경량화기술 및 복합소재 분야의 핵심 기업으로서 산업분야를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하겠다.” 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58","atchfileNm":"211130_(보도자료)_TIPA,_신산업_분야_中企_지원_위한_기술교류의_장_마련.pdf","viewCnt":"1758","regDate":"2021-11-30 16:18:47"},{"contentId":"136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 벤처 소상공인 서비스 향상 위한 아이디어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1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11월 25일(목)부터 12일간 중소벤처기업 및 소상공인들이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지능형 분석서비스 발굴을 위한「중소벤처24 지능형 분석서비스 모델 발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중소벤처24'(www.smes.go.kr)는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처리할 수 있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TIPA는 중소벤처24 운영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TIPA는 △중소벤처24 데이터 활용 지능형 분석서비스 모델 제안, △공공데이터 활용 지능형 분석서비스 모델 제안, △중기부 관련사이트 서비스 활용 지능형 분석서비스 모델 제안, 총 3가지 주제분야로 아이디어를 공모해 지능형 분석서비스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중소벤처24 지능형 분석서비스 모델 발굴’ 공모를 원하는 참가자는 12월 6일까지 신청서를 작성하여 이메일(smeshelp@tipa.or.kr)로 제출하면 된다. 서면평가와 선정과제 검증을 거쳐 심사결과는 12월말에 중소벤처24(www.smes.go.kr)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개인 또는 팀으로 참가 가능하며 최우수상(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 1명(팀), 우수상(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상) 2명(팀), 장려상(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상) 5명(팀)에 상을 수여한다.본 공모전을 통해 참가자가 받을 수 있는 혜택도 다양하다. 최우수상에는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과 상금 500만원을 1명(팀)에게 수여하며, 우수상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상과 상금 200만원을 2명(팀)에게 수여하며, 장려상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상과 상금 50만원을 5명(팀)에게 수여한다.선정된 아이디어는 중소벤처24 지능형 분석 서비스에 반영되어 ‘22년도에 시범서비스로 구현될 계획이다. 공모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벤처24(www.sme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TIPA 이재홍 원장은 “지능형 분석 서비스 모델 공모전에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있는 일반 국민께서 많이 참여해 주시기 바라며, 제안해주신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중소벤처24를 이용하는 중소벤처기업 및 소상공인들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8","atchfileNm":"20211125_(보도자료)_TIPA,_중소_벤처_소상공인_서비스_향상_위한_아이디어_모집(배포).pdf","viewCnt":"1608","regDate":"2021-11-25 16:30:49"},{"contentId":"136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KAIST GCC 중국 강소성 과학기술청과 한중 바이오 기술사업화 컨퍼런스 성황리에 마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05","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KAIST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센터장 최문기, 이하 GCC), 중국 강소성 과학기술청(JSTD)등과 마련한 “한-중 바이오 기술사업화 컨퍼런스”가 11월 23일(화),KAIST 문지캠퍼스 수펙스홀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TIPA와 GCC는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에 따라 바이오헬스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는 상황에서, 국내 바이오 분야 중소벤처기업이 중국 기업과의 협력관계를 모색하고, 중국 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본 행사를 마련했으며,◦ 세계 바이오산업 규모를 갖춘 중국 강소성의 과학기술청, 창삼각 국가기술혁신중심, 강소성 국제기술이전센터, 산동성 옌타이하이테크 산업개발구와 중한산업기술창신연구원 등 현지 유관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환영사 및 축사, △한-중 바이오 분야 주요 국가 정책 및 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Special Talk(발제), △한-중 바이오 기술협력 증진을 위한 전문가 심층토론, △양국 바이오 우수기업의 기술발표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GCC 최문기 센터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TIPA 장현성 협력사업 본부장, 중국 강소성 과학기술청 쨔오 양웨이 대외협력처장, SIP(Suzhou Industrial Park) 쒸 원칭 서기가 축사자로 나서 한·중 기업 및 유관기관 간 지속적인 협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전했다.□ 컨퍼런스 발제자로 나선 대전대학교 현병환 교수는 △한국 바이오 산업의 동향, △한국 바이오 기업 현황, △정부의 바이오 산업 및 기업 지원정책 등의 순서로 발표하였으며, 이어 강소성 과학기술청 사회 발전 및 기초연구처 쮸 비윈 실장이 △강소성의 바이오 산업과 기업 현황 △중국 정부와 강소성의 바이오 산업 및 기업 지원정책, 등을 주제로 발제하였다.□ 이후 한·중 바이오 분야 전문가 7인이 양 국의 바이오 산업의 세부적인 현안에 대해 토론하고, 기업의 자체적인 협력과 더불어 정부 주도로 국가 바이오 클러스터 간 교류를 확대하는 등 바이오 분야 중소벤처 기업 간 글로벌 협력생태계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하였다.◦ 특히 양국 정부에서 바이오 산업에 대한 육성 의지가 강하고 민 간 차원에서의 투자와 기업의 R&D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바탕으로, 현재 선진국이 점유하고 있는 전 세계 바이오 시장에서 각 국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상호 적극적인 네트워킹과 협업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마지막으로 진행된 기업별 기술발표 세션에서는 의약품, 의료기기, 진단기기 등 주요 분야별 양국 기업 총 20개社가 참가해 핵심기술 을 소개했다. 이후, 사전 매칭된 한·중 바이오 분야 기업 간 참가 기업 간 기술협력 및 기술사업화 관련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온라 인 비즈니스 미팅이 진행됐다.□ 한편, TIPA는 2020년부터 “해외기술교류사업”을 통해 러시아, 베트남, 중국 등 해외기업과의 기술협력이나 기술수출을 희망하는 국내 중소 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 GCC에서도 2015년부터 해외 40여개국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 현지 수요에 대응되는 국내 우수기업 및 기술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행사에 참석한 TIPA 장현성 본부장은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을 주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중국 기업과의 기술협력을 도모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GCC를 비롯한 유관기관과 더 긴밀히 협력하여,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기술사업화와 글로벌 기술협력 생태계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2","atchfileNm":"211125_(보도자료)_TIPA,_KAIST_GCC_중국_강소성_과학기술청과_한중_바이오_기술사업화_컨퍼런스_성황리에_마쳐(배포).pdf","viewCnt":"1832","regDate":"2021-11-25 16:13:43"},{"contentId":"1361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년 산학연 간 기술교류 협력 매칭데이 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12","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29일(월)부터 12월 1일(수)까지 3일간, 대전 호텔 인터시티에서 산학연 협력 활성화를 위해 TIPA 주관으로 ’산학연 매칭데이’를 연다.ㅇ 산학연 매칭데이는 중소기업의 R&D역량 강화와 산학연 간 공동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으며, 행사 기간동안 기술 분야에 따라 기술 매칭상담, 기술세미나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ㅇ 특히, 참여 대학 및 연구소로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정한 산학협력 거점대학 5곳(금오공대, 전북대, 창원대, 한국산업기술대, 한밭대)과 중소기업 지원 선도연구기관 5곳(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전자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이며, 중소기업과의 기술 상담과 미래유망 기술세미나를 진행한다.□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산학연 매칭데이를 계기로 산학연 공동 연구와 협력이 활성화되어 중소기업의 R&D 역량 강화와 개방형 혁신의 기폭제 역할이 되길 바란다.“며, ”더 나아가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내년에는 참여 중소기업과 대학, 연구소를 더욱 확대해 지역・권역별로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산학연 협력이 더욱 확대되어 중소기업의 기술수요가 실제 공동R&D로 연결될 수 있도록 중간 매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상호 교류와 기술 매칭을 위해 대면 방식으로 회의를 개최하는 만큼, 방역당국의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 안전하게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ㅇ 먼저, 방역수칙에 따른 인원 분산을 위해 기술 분야별로 개최일을 구분해 운영한다. 11월 29일은 ‘기계·소재, 바이오·의료’, 11월 30일은 ‘정보통신, 지식서비스’, 12월 1일은 ‘에너지·자원, 전기·전자, 화학’을 중심으로 기술매칭과 상담 및 기술세미나를 진행한다.ㅇ 또한, 사전 신청을 하지 않은 현장 참석자의 기술 상담과 매칭도 가능하며, 기술매칭에 관심이 있으나 현장 참여가 어려운 중소 기업을 위해 행사 이후에도 온라인으로 별도의 기술 상담과 매칭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산학연 매칭데이 행사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과 기술보증기금 테크브릿지 홈페이지(tb.kibo.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공동연구 매칭신청, 기술 수요조사 참여, 기술세미나 참석 신청도 진행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6","atchfileNm":"20211124_(보도자료)_TIPA,_2021년_산학연_간_기술교류_협력_매칭데이_연다.pdf","viewCnt":"1549","regDate":"2021-11-24 16:28:54"},{"contentId":"136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탄소중립 기술혁신 협력 위해 4개 R&D 유관기관과 MOU","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1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23일(화) 서울 코엑스에서 탄소중립의 공동 목표 실현을 위해, 기업부설연구소 대표기관, 출연연구소 대표기관, 주요부처 R&D 전문 기관과 산학연 공동 R&D지원 및 정보교류 등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에 나섰다.□ 이날 TIPA는 민관 R&D 혁신 포럼에 참가하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이하 산기협),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연구회), 한국연구재단(이하 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하 평가원)과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기술혁신 협력 MOU’를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TIPA 이훈희 전략기획 본부장과 산기협 구자균 회장, 과기회 김태우 경영본부장, 연구재단 김영철 사무총장, 평가원 한종석 산업기술전략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TIPA는 협약을 통해 기업의 수요와 의견을 반영해 고탄소 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의 탄소배출 저감에 필요한 각종 연구개발지원에 적극 협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IPA 이훈희 본부장은 “이번 부처간 협업으로 고탄소 산업의 탄소배출 저감 기술개발에 필요한 지식, 정보, 노하우 등의 상호 교류를 촉진하고, 인적·물적 네트워크 공휴 협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4","atchfileNm":"20211123_(보도자료)_TIPA,_탄소중립_기술혁신_협력_위해_4개_RD_유관기관과_MOU(배포).pdf","viewCnt":"1546","regDate":"2021-11-23 16:26:54"},{"contentId":"136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KAIST GCC와 한중 바이오기업 위한 기술사업화 컨퍼런스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08","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에서 KAIST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센터장 최문기, 이하 GCC)와 함께 오는 11월 23일(화) 오전 10시부터 한-중 바이오 기술사업화 컨퍼런스를 KAIST 대전 문지캠퍼스 수펙스홀에서 공동으로 개최한다.□ 본 행사는 전 세계적인 팬데믹 위기로 인해 바이오헬스 분야의 기술 수요와 R&D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우수 기술을 보유한 국내 바이오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중국 시장 개척을 돕고, 혁신성장을 위한 기반 구축을 지원하고자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TIPA와 GCC는 중국 과학기술부를 비롯하여, 행사를 공동 주관하는 ITIRI(한중산업기술창신연구원) 등 현지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업하여 컨퍼런스를 준비하였으며, 본 행사를 계기로 향후에도 한-중 B2B 기술교류를 통한 네트워크 발굴 및 기술협력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컨퍼런스는 △한-중 바이오 분야 주요 국가정책 및 기업 지원 정책에 대한 Special Talk(발제), △한-중 바이오 기술협력 증진을 위한 전문가 심층토론, △양국 바이오 우수기업의 기술발표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특히 기업별 기술발표 세션에서는 의약품, 의료기기, 진단기기 등 주요 분야별 양국 기업 총 20개社가 참가하여 기술 및 역량을 소개하고, 행사 이후에는 사전에 매칭된 한-중 기업 간 온라인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상호 교류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개별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TIPA와 GCC는 위드코로나 방침에 따라 오프라인 참가자를 100명 미만으로 11월 22일(월)까지 선착순 모집하되, 방역절차를 철저히 준수하여 안전한 행사가 되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본 행사는 Zoom을 활용해 온라인으로도 실시간 중계될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GCCW 사전등록 페이지(https://www.gccw.co.kr)를 참고하면 된다.□ 지난 7월에 개최한 한-중 바이오 컨퍼런스에도 양 국의 총 17개 기업이 참가하였으며, 이후 GCC를 통해 기술이전 등을 위한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구체적인 성과창출을 목표로 후속지원을 제공받고 있다.□ 한편, TIPA는 2020년부터 “해외기술교류사업”을 통해 러시아, 베트남, 중국 등 해외기업과의 기술협력이나 기술수출을 희망하는 국내 중소 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 GCC에서도 2015년부터 해외 40여개국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 현지 수요에 대응되는 국내 우수기업 및 기술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및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양 기관이 협력하여, 중국의 유관기관과 함께 바이오 분야 글로벌 기술협력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였다”며,◦ “한-중 바이오 기술의 발전과 기업 간 협력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에, 많은 중소벤처기업 및 관계자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0","atchfileNm":"20211118_(보도자료)_TIPA,_KAIST_GCC와_한중_바이오기업_위한_기술사업화_컨퍼런스_개최.pdf","viewCnt":"1414","regDate":"2021-11-18 16:23:40"},{"contentId":"135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한국교통안전공단(TS),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9","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한국교통안전공단(TS),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내년 상반기,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참여 중소기업 대상 R&D 연계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16일 (화),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권용복 , 이하 ‘TS’)과 TS 본원에서 ’한국교통안전공단 수요기반 중소기업 기술개발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이슈 발굴 및 개선, ▲중소기업 기술사업화를 위한 판로지원 강화, ▲개발기술 실증을 위한 시험시공(Test-bed) 활용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의 발전과, 기술경쟁력의 강화를 위한 공동이슈를 발굴하고 협력이 필요한 영역을 서로 보완 및 강화추진 하는 등 이번 협약으로인해 첨단 미래교통 – 중소기업의 새로운 분야의 판로를 개척함에 따라 동반성장이 기대되는 바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공공기관의 혁신조달구매 및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구매조건부 R&D 사업공고를 통해, 신제품개발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 연계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구매조건부 R&D사업은 수요처가 협력의사를 밝히고 개발을 제안한 과제에 대해 자금을 지원하는 맞춤형 기술개발로 중소기업에게는 기술 경쟁력 확보와 안정적인 판로수익을 얻는다는 것에 큰 장점이 있다. 이번 양 기관의 업무협약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개척과 첨단 미래교통 환경 구축 등에 협력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선정된 수요기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판로지원, ▲개발기술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Test-bed) 시공 등의 기술개발 지원 사업의 발전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아낌없는 상호협력 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안전한 도로교통의 중심인 TS와의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수요에 기반하여 기술경쟁력을 가진 우리나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 사업연계 및 새로운 기술 발굴, 나아가 기술사업화 판로를 개척함으로써 혁신적 미래교통의 발달과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를 기대한다. 앞으로도 다양한 업무협업을 통해 TIPA의 중소기업 지원정책과 기술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 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60","atchfileNm":"2021116_(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한국교통안전공단_업무협약_체결(배포).pdf","viewCnt":"2104","regDate":"2021-11-17 09:08:53"},{"contentId":"135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기술혁신 기반 중소벤처기업 지식재산 경쟁력 높인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8","contentsKor":"TIPA, 기술혁신 기반 중소벤처기업 지식재산 경쟁력 높인다 TIPA・한국발명진흥회간 中企 기술혁신 촉진 및 역량강화 MOU 체결(11.15)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발명진흥회(상근부 회장 고준호, 이하 KIPA)는 11월 15일(월), TIPA 본원 대회의실에서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촉진과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중 소벤처기업 R&D지원사업 발전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특별 방역지침에 따라 진행된 이번 MOU는 TIPA의 중소벤 처기업 R&D지원 사업과 KIPA의 IP전주기 교육프로그램 컨텐츠를 공 유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체결되었다.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중소벤처기업의 지식재산권 기반 연구개발(IP-R&D) 확대′를 위해, R&D지원사업 참여 중소벤처기업과 예비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KIPA가 보유한 IP창출부터 보호・활용까지 총 179개 과정의 IP전주기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실있는 업무 교류· 협력 활성화 방안 마련하기 위하여, ▲ 중소벤처기업 R&D 지식재산 역량 강화 방안 기획 및 발굴 ▲중소벤 처기업 R&D 수행기업 및 연구자 대상 지식재산 교육 ▲중소벤처기업 및 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상호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하여 양 기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은 중소벤처기업이 R&D 수행과정 에서 IP-R&D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KIPA와 공고한 협조로 전주기 IP-R&D 교육지원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IP역량을 강화시키는데 의의가 있다며 특히, KIPA의 다양한 IP 관련 교육 컨텐츠를 토대로 중소벤처 기업들이 IP-R&D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더 효율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58","atchfileNm":"211116_(보도자료)_TIPA,_기술혁신_기반_중소벤처기업_지식재산_경쟁력_높인다(배포)(★).pdf","viewCnt":"2183","regDate":"2021-11-16 20:46:01"},{"contentId":"135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ESG경영위원회 출범...지속가능한 中企지원 강화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7","contentsKor":"TIPA, ESG경영위원회 출범...지속가능한 中企지원 강화한다 출범식 및 1차 회의 개최해 ESG기반 경영체계 추진전략 논의(11.11)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지난 11월 11일(목), ESG경영위원회 출범식을 가지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TIPA는 ESG기반 경영체계를 강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창출 체계를 구축하는 등 ESG 경영을 본격화하고자 ESG경영위원회를 신설했다. ESG경영위원회는 ESG전략 방향 설정 및 계획에 대한 심의・ 의결과 추진과제 이행 결과에 대한 성과 평가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날 진행된 회의에서는 지난 10월 내부에서 수립한 ESG경영전략을 심의했다. ESG경영 전략체계는 E(환경경영), S(사회적책임경영), G(거버넌스・ 투명경영) 3개 분야에 대한 3대 추진방향, 10대 추진과제로 이루어졌다. 대표적으로 ‘환경부문’에서는 녹색 R&D지원을 통한 그린벤처 육성, ‘사회적가치 부문’에서는 선제적 안전기술 R&D 지원과 유망 기술 분야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한 사회안전망 강화, ‘거버넌스 부문’에서는 국민 소통 활성화를 통한 혁신역량 강화 등이 전략과제로써 추진된다. TIPA ESG경영위원회 외부위원으로는 서강대 문성욱 교수, 명지대 김재구 교수, 신한대 이현 교수, 코드게이트보안포럼 조현숙 이사장이 위촉됐고, 내년 12월 31일까지 TIPA의 ESG경영체계의 주요 현안 검토와 발전방향 제시 등 내부 위원들과 함께 활동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ESG경영은 TIPA와 같은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全 사회에 확산되어야 하는 글로벌 어젠다이지만, 우리나라 산업 생태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ESG경영은 버거운 목표인 것이 현실”이라며, “이번 ESG경영위원회 신설을 통해 중소기업의 ESG경영 역량강화를 지원하고, TIPA도 ESG경영을 본격화 하여 사회적가치를 실현하는 책임경영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56","atchfileNm":"20211115_(보도자료)_TIPA,_ESG경영위원회_출범...지속가능한_中企지원_강화한다(배포).pdf","viewCnt":"2307","regDate":"2021-11-15 20:24:24"},{"contentId":"135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 R&D 연계 지식재산 전략 수립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6","contentsKor":"TIPA, 중소벤처기업 R&D 연계 지식재산 전략 수립 지원 TIPA・한국특허전략개발원, 中企 기술혁신 지원 위한 MOU 체결(11.11)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특허전략개발원 (김태만 원장, 이하 KISTA)이 11월 11일(목) KISTA 본원에서 ‵중소벤처 기업의 기술혁신 촉진과 역량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R&D)지원사업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TIPA의 R&D지원사업과 KISTA의 IP-R&D 연계 지원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공고히 했다. 그간 TIPA와 KISTA는 R&D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기술혁신개발사업 등 R&D사업과 연계하여 IP 전략수립을 지원해왔다. 양 기관은 체계적인 업무 교류와 협력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앞으로 ▲중소벤처기업 R&D 사업 연계 지식재산 전략(활용·창출 등) 수립 지원 ▲중소벤처기업 R&D 인력 지식재산 역량 강화 교육 공동 기획·운영 ▲중소벤처기업 수출경쟁력 및 해외 기술 교류 협력 지원 ▲기타 중소벤처기업 및 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상호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하여 양 기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MOU 체결은 IP-R&D 전략수립 지원을 통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촉진과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KISTA와 협조 체계를 공고히 하는데 의의가 있다"라며, "특히, KISTA의 IP-R&D지원 경험과 역량들을 토대로 중소벤처기업들이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54","atchfileNm":"211112_(보도자료)_TIPA,_중소벤처기업_RD_연계_지식재산_전략_수립_지원(배포).pdf","viewCnt":"2092","regDate":"2021-11-15 20:22:59"},{"contentId":"135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상호존중 캠페인 일환 ‵장애인 인식개선 콘서트′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5","contentsKor":"TIPA, 상호존중 캠페인 일환 ‵장애인 인식개선 콘서트′개최 시각장애인 연주단 한빛예술단 초청 공연 등 문화체험형 인식개선 교육(11.11)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11일(수) 세종 본원 컨퍼런스홀(B1)에서 직장 내 상호존중 캠페인 활동의 일환으로 ‵장애인 인식개선 콘서트′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TIPA는 올해부터 직장 내 구성원 간의 상호 존중 및 배려하는 조직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전 직원이 참여하는 ‵상호존중 캠페인′을 신규로 구성하고, 상호 존중 실천과제 10개를 선정해 운영하고 있다. 이번 장애인 인식개선 콘서트는 상호 존중 실천과제 중 ‘차별 없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기’, ‘내부직원 상호 보호하기’ 과제를 실천하기 위한 노력으로써, 시각장애인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과 더불어 시각장애인 전문연주단인 ‘한빛예술단’을 초청하여 시각 장애인과 자연스럽게 직‧간접적으로 소통・교류하는 기회를 마련하고, 문화체험 활동을 통해 장애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한빛예술단의 공연을 계기로, 직장 내에서도 장애라는 이유로 차별 받지 않고, 조직 내 구성원으로서 행복한 직장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세계 유일, 시각장애인 전문연주단 ‘한빛예술단’은 장애를 극복한 삶과 연주를 통해 장애인식개선 뿐 아니라 존중과 배려, 나눔의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일더하기WE’ 문화체험형 교육을 펼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52","atchfileNm":"20211111_(보도자료)_TIPA,_상호존중_캠페인_일환_장애인_인식개선_콘서트_개최(배포).pdf","viewCnt":"2122","regDate":"2021-11-15 20:21:42"},{"contentId":"135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전남 中企조선업계 혁신 생태계 조성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2","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전남 中企조선업계 혁신 생태계 조성 나선다 전남유틸리티자원공유센터 구축하여 中企 조선소에 첨단 장비지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은 전남유틸리티자원공유센터(이하 전남공유센터) 구축을 통해 전남 지역의 중소조선업계 지원에 나섰다.중소벤처기업부, 산업위기대응 지역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유틸리티성 자원공유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총사업비 198억원(국비, 지방비 포함)이 투입되는 가운데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고용·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된 전남 목포, 울산 지역 내에 중소기업 스마트화 혁신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개별적으로 구축하기 어려운 고가의 유틸리티성 공유장비 및 교육시스템 도입 등 지역 공유센터(2개소)를 조성하여 공유 인프라 장비 제공, 기술지원, 현장 맞춤형 교육 등 다양한 지원사업 추진 추진단은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함께 지난 ‘19년부터 전남 목포에99억원을 투자해 전남공유센터를 조성했다. 조선·해양 관련 ▲조선 설계 SW ▲3차원 로봇형상가공기 ▲레이저절단기 및 용접기 ▲CNC 절곡기 등 설계부터 가공까지 모두 가능한 생산설비를 도입하여 지역 내 기업이 자유롭게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중소형 조선소·조선부품 기업 22개사는 전남공유센터를 통해 지난 1월부터 공동활용 생산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있다. 향후 다양한 중소조선업체에서 선박 및 조선 부품 시제품 제작과 긴급물량에 대한 제품생산이 가능해져 조선·해양 분야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특히 지난 4월부터 공유센터의 3차원 로봇형상가공기 및 절단기 등 공유센터 장비를 활용하고 있는 중소조선업체 박정현 ㈜미주산업 대표는 “긴급 생산물량 처리로 매월 약 1,000만원 이상 매출이 증가했으며, 업무 생산성이 향상되어 생산 및 물류 관리를 위한 신규인력을 채용할 수있었다”라며, “시제품 제작과 긴급물량 작업관리에 큰 도움이 됐다” 고 말했다. 또한, 전남공유센터는 채용연계형 조선 설계(AM CAD 활용 등) 교육프 로그램을 운영하여 교육 수료자 중 3명이 인근 조선업계에 고용되는 연계 효과도 창출했다.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유틸리티성 공유자원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기 힘들었던 고가의 시스템 및 장비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원가 절감뿐만 아니라 신규 고용을 창출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위기 지역 중소업체의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기타 공유장비 이용관련 자세한 사항은 전남공유센터 홈페이지(www.jciautillity.or.kr)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47","atchfileNm":"(보도자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전남_중소조선업계_도약_지원(배포).pdf","viewCnt":"1819","regDate":"2021-11-15 09:32:58"},{"contentId":"135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신청 中企에 온라인 증빙서류 제출 서비스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1","contentsKor":"TIPA, R&D 신청 中企에 온라인 증빙서류 제출 서비스 시행 사업 신청에 필요한 기본 증빙서류 발급부터 제출까지 One-stop 제공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R&D지원 사업에 신청하는 중소기업의 기본 증빙서류* 제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온라인 증빙서류 제출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등 사업 신청에 필요한 기본 증빙서류 이번 서비스는 ㈜한국기업데이터(KED)와 협업하여 중소기업이 R&D 사업 신청과정에서 필요한 증빙서류를 온라인 서류 발급부터 제출까지 One-stop으로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현됐다. 이로써, 그간 사업에 신청하는 중소기업들이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등 기본 서류를 스캔해 시스템에 업로드하는 방식의 행정 불편사항을 해소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또한, 제출한 재무정보의 DB화로 효율성과 신뢰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종이가 아닌 DATA로 자료를 관리하게 되어 탄소배출량을 감축하고 환경보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앞으로도 중소기업 지원 정책 집행과정에서 중소기업들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서비스 이용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 시스템(smtec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확인경로 : [smtech]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사업 관련 공지사항]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45","atchfileNm":"(보도자료)_TIPA,_RD_신청_中企에_온라인_증빙서류_제출_서비스_시행(배포).pdf","viewCnt":"1848","regDate":"2021-11-09 18:39:39"},{"contentId":"135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년 하반기 2차 신입・개방형직위・전문위원・ 체험형 청년인턴 등 44명 공개 채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30","contentsKor":"TIPA, 2021년 하반기 2차 신입・개방형직위・전문위원・체험형 청년인턴 등 44명 공개 채용 국가유공자, 고졸전형 등 사회형평성 고려한 채용 공고(11.4.), 19일까지 모집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 지원의 주역으로 성장할 창의적인 인재 44명을 채용한다.TIPA는 11월 4일(목) 채용 공고를 게시하고, 채용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입사지원 희망자를 대상으로 오는 11월 19일(금) 18시까지 온라인 입사지원시스템(tipa.recruiter.co.kr)을 통해 신청・접수받을 예정이다. 모집 분야 및 규모는 일반직 19명(▲지역사업운영 총괄(2급 1명),▲지역사업관리(3급 2명), ▲사업관리(4급 16명), 무기직 6명(▲R&D평가관리(연구지원직 3명), ▲사무원(공무직 3명)), 개방형직위 1명(법무TF팀장), 전문위원 3명(▲사업기획 및 운영(1명), 회계/세무(2명)), 체험형 청년인턴 15명으로 구분되며, 각 전형단계를 거쳐 12월 또는 ‘22년 1월 임용할 예정이다. 특히, ’22년 예정되어 있는 기관별 기능조정을 통해 지역사업 업무를 TIPA에서 관리하면서 지역사업관리 관련 경력직원을 모집하는 것이 눈에 띈다. 일반직 2급 지역사업운영 총괄, 3급 지역사업관리 부문은 지역산업 및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과 관련한 업무 경력자에 한해서만 신청할 수 있다.아울러, TIPA는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가치 실현에 앞장서기 위해, 무기직 중 R&D평가관리 분야(연구지원직) 3명을 국가유공자 제한경쟁 으로 모집하고, 사무원 분야(공무직)를 고졸인재에 할당하여 3명을 모집한다. 또한 사업관리 분야(일반직 4급)의 경우 이전지역인재(대전·세종·충청) 채용목표제를 실시하여 지역 내 청년고용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전 채용 과정은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각 분야 직무별 자격요건 등 자세한 내용은 TIPA 홈페이지(www.tipa.or.kr) 및 입사 지원 홈페이지(tipa.recruiter.co.kr)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신규채용을 통해 2022년 예정되어 있는 지역사업 이관 절차에 차질이 없도록 할 것”이며 “풍부한 경험과 창의적 인재 채용을 통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연구관리 전문기관으로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산업을 이끌어갈 핵심 인재로 육성할계획이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26","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1년_하반기_2차_신입_개방형직위_전문위원_체험형_청년인턴_등_44명_공개_채용.pdf","viewCnt":"1955","regDate":"2021-11-05 13:50:21"},{"contentId":"135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수소연료전지 분야 혁신 中企 현장 애로 발굴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29","contentsKor":"TIPA, 수소연료전지 분야 혁신 中企 현장 애로 발굴 나서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기업 현장 찾아 中企지원방안 점검(11.3~4)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3일(수)부터 4일 (목)까지 양일간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에 소재한 ‵수소 연료전지 분야′혁신 중소기업인 ㈜에스아이에스(11.3)와 ㈜윈테크(11.4)에 방문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5일 밝혔다. 울산은 전국 수소 생산량의 50% 수준(82톤)에 달하는 국내 최대 부생 수소 생산량과 120km가 넘는 수소 배관망이 구축된 수소 유통지로, 수소 이용과 관련한 전・후방 연계 산업이 발달돼 있고, 사업화 검증 단계인 실증 여건이 우수해 ‘19.12월 ‘수소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 TIPA는 이날 울산 규제자유특구 사업 주관기관인 울산 테크노파크 수소연료전지 실증화센터에 방문해 수소 분야 중소기업의 실증지원 현황을 점검했다. ‘18년 10월 완공된 센터는 대용량 수소연료전지 실증이 가능한 수소배관 공급방식(수소 자체를 배관망을 통해 직접 공급) 특화시설로, 현재 중소기업에서 중견・대기업에 이르기까지 20여개 수소연료전지 기업이 협력해 신제품에 대한 평가와 실증을 진행 중이다. 특히, 참여 중소기업 중 ‘수소연료전지 실내물류 운반기계 개발’ 분야 ㈜에스아이에스(SIS)와 ‘수소연료전지용 개질기 개발’ 분야 ㈜윈테크를 차례로 방문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책 지원방안을 점검했다. 현재 ㈜에스아이에스(SIS)는 지게차, 무인운반차 등에 수소연료전지를 장착한 산업용 무인 실내물류 운반기계 운행 실증을 진행 중에 있으며, ㈜윈테크는 도시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을 수소로 전환시켜 스택(수소와 공기 중 산소를 결합해 전기를 만드는 장치)에 공급하는 장치를 개발 중이다. 현장 간담회에서 기업 관계자는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통한 신제품의 실증이 완료된 이후 실제 사업화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계 지원방안이 절실하다”며, “신뢰성을 검증받은 실증 결과물에 대해 기업 현실에 맞는 다양한 판로 지원 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건의했다. 특히, “지방 중소기업의 경우, 참여 연구인력에 대한 미스매칭 현상과 인력 이탈 문제가 심각하다”며, “현재 정부 차원의 인력 지원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추가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수소는 미래 신산업을 대표할 에너지원으로써 수소 분야 혁신 중소기업이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수요자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 정책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라며, “생태계적 측면에서 진단부터 R&D, 기술사업화까지 패키지형 지원 방식을 계속 확대해 현장에서 실증에 대한 성과가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수요자 맞춤형 지원 정책 발굴에 역량을 집중 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24","atchfileNm":"(보도자료)TIPA,_수소연료전지_분야_혁신_中企_현장_애로_발굴_나서.pdf","viewCnt":"2419","regDate":"2021-11-05 13:49:10"},{"contentId":"135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해외기술교류 희망 中企 대상 온라인 맞춤형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27","contentsKor":"TIPA, 해외기술교류 희망 中企 대상 온라인 맞춤형 교육 실시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기술교류 위한 全주기 핵심노하우 무료 전수(11.5)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에서 오는 11월 5일(금) 오후 2시부터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과 기술수출을 위한 온라인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 전세계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면서 해외 현지방문을 통한 기존의 기업 간 대면협상 방식이 제한되고, 이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해외 시장 공략과 기술교류 추진전략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TIPA는 해외진출 시 비대면 방식을 활용해야 하는 새로운 트렌드에 발맞춰, 이번 행사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이 해외기술교류 전주기 과정에서 필요한 핵심정보와 실제사례를 전달할 예정이다. □ 이를 위해 지원기업의 실제 애로사항을 반영하여 해외 기술수출과 기술사업화 관련 교육 컨텐츠를 구성하였으며, ①사전 준비와 온라인 기술상담 방법, ②B2B 정보교류 및 해외 기술탈취 예방 전략, ③기술거래 및 계약 실무, ④ 실제 해외기술교류 참가 경험 및 노하우 등의 순서로 분야별 전문가 강연을 진행한다. ○ 본 강연은 유튜브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Live Streaming” 채널에서 온라인 실시간 중계되며,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의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사전 등록한 기업에 한하여 중계 현장에서 전문가와의 개별상담도 진행된다. □ 한편, TIPA는 2020년부터 “해외기술교류사업”을 통해 러시아, 베트남, 중국 등 외국 기업과의 기술협력이나 기술수출을 희망하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이 보유한 기술에 대해 수요가 있는 외국 기업을 직접 발굴하여 매칭하고, 1:1 상담에 필요한 사전준비 및 기타 제반사항은 물론,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전 세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해외 바이어 섭외와 기술수출을 위한 협의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현장에서 꼭 필요한 필수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의미있는 행사를 준비하였다”며, ○ “앞으로도 TIPA는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을 적극 개척하고 글로벌 협력을 통해 혁신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22","atchfileNm":"(보도자료)_TIPA,_해외기술교류_희망_中企_대상_온라인_맞춤형_교육_실시(배포).pdf","viewCnt":"2172","regDate":"2021-11-05 09:03:30"},{"contentId":"135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 혁신성과 알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13","contentsKor":" 中企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 혁신성과 알린다 11.3(수)부터 10일간 ‘2021 정부혁신박람회 참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중소벤처기업 혁신제품의 초기 판로시장 지원을 위해 운영 중인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가 2021년 정부혁신박람회 '혁신사례'로 선정되어 온라인 박람회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2021 정부혁신박람회'(부제:같이 하는 혁신, 함께 여는 미래)는 국민과 약속한 그간의 정부성과를 전시, 영상, 부대행사 등 다양한 국민 참여프로그램을 통해 공유하고 새로운 목표를 제시하는 등 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박람회이다. 특히, 現 정부 출범 이후 세 번째로 열리는 행사로 지난 4년 반 정부의 혁신성과를 종합하고 혁신사례를 국민과 함께 공유하며 정부혁신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이번 행사는 11월3일(수)에 시작하여 11월12(금) 10일 간 운영되며 코로나 19 상황을 고려하여 웹페이지 온라인 전시관과 가상공간에 3차원(3D) 그래픽으로 구현한 메타버스* 전시관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메타’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의 합성어로 현실 세계와 같은 사회ㆍ경제ㆍ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 중기부와 TIPA는 '혁신제품 도입을 통한 공공서비스 품질 향상'이라는 주제로 전시에 참여하여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를 소개한다.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란 중소기업 R&D사업을 바탕으로 개발된 혁신제품을 공공부문이 구매ㆍ적용함으로써 혁신적인 공공서비스개선과 중소기업의 성장 및 상생을 지원하는 제도로 작년에 도입되었다. 제도 도입 이후 의료, 안전, 에너지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162개의 혁신제품이 선정되었고 약 551억원('21. 9월말 기준)의 공공매출을 기록하였으며 124개 지자체, 26개 중앙기관, 69개 공공기관에 적용되어 공공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하였다. 해당 전시관에는 혁신제품에 대한 국민들의 공감과 이해력을 높이고 자 스토리 중심의 혁신제품 제도소개 영상을 비롯하여 실제 공공분야에 적용된 혁신제품 사례영상(①전기전자생성솔루션, ②스마트 횡단보도 철주)을 만나 볼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내 전시관에서는 실시간 상담 기능이 구현되어 혁신제품 담당자와 가상세계에서 일대일 대면하여 언제든지 채팅 상담ㆍ문의가 가능하다. TIPA 이재홍 원장은“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중소벤처기업에게 초기 시장확보의 기회를 제공하는 좋은 제도이다”라며 "이번 2021 혁신박람회 참여를 통해 해당 제도를 국민에게 알리고, 우수한 혁신제품을 지속해서 선정하여 다양한 공공서비스 분야에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2021정부혁신박람회는 총 5개의 전시관으로 운영되며 그 중 혁신제품은 '함께하는 한국' 전시관에 위치해있다. 행사 참여는 2021정부혁신박람회 홈페이지*를 통해 접속 가능하며, 메타버스 전시관의 경우 회원가입과 메타버스 프로그램 다운로드의 절차가 필요하다.* 전시관 URL : www.innoexpo.co.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98","atchfileNm":"(보도자료)_中企_우수연구개발_혁신제품_지정제도_혁신성과_알린다(배포).pdf","viewCnt":"1796","regDate":"2021-11-03 17:57:03"},{"contentId":"135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사업비 집행 中企현장 애로 해결에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11","contentsKor":"TIPA, R&D 사업비 집행 中企현장 애로 해결에 나선다 11.8(월) 시작으로 4개 지역(서울, 경기, 대전, 대구) 찾아가는 순회 상담회 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오는 11월 8일(월)을 시작으로 중소기업 R&D 수행기업 대상「2021년도 하반기 지역별* 1:1 R&D 사업비 집행 맞춤 상담회」를 실시한다.* 서울(11.8~9), 경기(11.16~17), 대전(11.23), 대구(11.25) TIPA는 지난해 하반기 6개 지역*, 올해 상반기 2개 지역* 맞춤 상담회를 실시한 결과, R&D 수행기업들의 높은 만족도와 수요가 많아, 이번 상담회 역시 R&D 사업비 상담요청이 많은 지역 중심으로, 지정회계법인**의 담당회계사와 함께 1:1 맞춤형 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다. * (‘20.하) 부산, 대구, 수원, 광주, 대전, 수도권 / (’21.상) 서울, 경기** 중소기업R&D지원사업 사업비 정산을 위해 TIPA가 지정·운영하는 회계법인 코로나19로 인하여 R&D과제 수행 관련 각종 설명회 등이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이번 상담회는 정부방역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여 R&D 수행기업 정산담당자를 대상으로, 정해진 상담 시간대별 개별 기업 1:1 대면상담 방식을 통해 진행된다. 특히, 금년부터 시행된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른 中企R&D 사업비 집행 규정 이해도 향상, 지정회계법인 상시모니터링 후속조치 등을 통해 R&D 수행기업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금번 상담회를 통해 사업비 오집행을 미연에 방지해 사업비 집행과정에서의 불인정 사례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정부 R&D 자금 부정사용 방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사업비 집행에 궁금한 점이 있는 R&D수행기업은 과제 진행 시 배정된 담당 지정회계법인을 통해 문의할 수 있다.TIPA 이재홍 원장은“금번 맞춤상담회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 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하여 R&D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중소기업이 한층 더 성장할 수 있은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93","atchfileNm":"(보도자료)_TIPA,_RD_사업비_집행_中企현장_애로_해결에_나선다(배포).pdf","viewCnt":"1852","regDate":"2021-11-03 14:15:17"},{"contentId":"135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VCA·KVIC, 친환경 R&D기업 투자설명회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08","contentsKor":"TIPA·KVCA·KVIC, 친환경 R&D기업 투자설명회 추진 친환경 분야 R&D기업과 그린뉴딜 펀드 매칭을 위한 만남의 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벤처캐피탈 협회(회장 지성배, 이하 KVCA), 한국벤처투자(대표 이영민, 이하 KVIC)가 친환경·에너지 분야 R&D기업의 벤처투자유치를 위한 투자설명회를 10월 29일(금) 팁스타운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TIPA, KVCA, KVIC은 지난 6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추진했다. ㅇ 이번 행사는 R&D를 수행한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이 벤처투자를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세 기관이 힘을 합쳐 본격 적으로 추진하는 첫 번째 행사이다. □ 최근 벤처투자 현황을 보면, 수도권 소재기업이나 바이오·ICT 등 특정 분야에 투자가 편중되는 경향이 많아 제조업이 다수인 친환경 분야의 R&D기업들은 벤처투자를 받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ㅇ 모태펀드에서는 이러한 투자소외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그린뉴딜 펀드가 결성되었고, 세 기관은 친환경분야 R&D기업과 해당 펀드를 연결하기 위해 힘을 합쳐 이번 투자설명회를 준비했다. □ ’친환경 분야 R&D 수행기업 투자설명회‘는 탄소저감 및 에너지 분야의 투자유망기업 10개사와 그린뉴딜 펀드 등 친환경 분야에 관심있는 5인 내외의 투자심사역들이 참여한다. ㅇ 참여기업은 소무나 주식회사, ㈜킴스테크, ㈜에프엠에스코리아 등 10개사이며, 15분 동안 발표·질의응답을 통해 자신들의 기술력과 장점을 집중 설명해 투자심사역(VC)에게 기업을 어필한다. ㅇ 행사에 참여하는 기업은 VC 대상 IR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시 및 네트워킹 공간을 활용하여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여러 투자자와 의 만남을 통해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 ㈜킴스테크 김진규 대표는 “최근 대부분의 투자사들은 제조기업에 대한 관심이 적어 자사와 같은 지방 제조기업들은 벤처투자를 받기 힘든 상황이다.” 라며 “개별적으로 투자자를 만나기가 너무 어려운 친환경 관련 업체들을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가 자사의 검증된 기 술력을 투자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 이재홍 TIPA원장은 “최근 벤처투자가 수도권과 ICT, 바이오 등 특정분야로 편중되는 경향이 유지되고 있다.”며, “TIPA는 앞으로 도 비수도권 소재기업과 전통제조기업 등 투자소외 분야에 속하 는 중소벤처기업들도 투자유치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지원방안 을 지속적으로 고민하겠다.”고 전했다. ㅇ 본 행사는 오프라인 투자설명회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기술정보진 흥원 라이브 유튜브 생중계(https://url.kr/yovim9)를 통해 행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VC들도 실시간으로 발표기업의 IR피칭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88","atchfileNm":"(보도자료)_TIPA,_KVCA,_KVIC_친환경_RD기업_투자설명회_추진.pdf","viewCnt":"1918","regDate":"2021-11-01 19:41:24"},{"contentId":"135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07","contentsKor":"“K-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개최” 인공지능과 제조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소 제조기업이 직면하는 공통문제 해결  10월 26일부터 KAMP포털을 통한 온라인 참여, 총 8개 팀 선발·수상 □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과학기술원 주관으로 온라인상에서 제조 인공지능 모델 개발 능력을 겨루는 「K-인공지능 (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ㅇ 「K-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는 중소 제조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해 중소 제조기업이 직면할 수 있는 공통문제*를 인공지능 분석모델 개발을 통해 해결하고자 개최하는 대회이며,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이하 ‘KAMP’)을 통해 진행한다. * (예) 장비이상 조기탐지, 품질 이상탐지/진단, 공정운영 최적화 등 ㅇ KAMP는 중소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한국과학기술원-NHN 등과 협업하여 구축한 민-관 합동 중소제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이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스마트공장에필요한컴퓨팅인프라, 분석·개발도구, 인공지능데이터셋, 우수사례, 교육자료등 ㅇ 이번 경진대회 개최를 통해 선정될 우수 분석모델들도 KAMP 포털 (kamp-ai.kr)에 업로드하여 중소 제조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 대회는 KAMP 포털을 통해 공지되며 여기서 참가규모, 시상규모 및 진행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ㅇ 주제는 KAMP의 제조 AI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제조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의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사항은 참가자 모집 이후에 공개할 예정이다. ㅇ 서면평가와 모델 구축과정 발표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8개 팀을 선정하여 총상금 2,900만원 규모로 포상할 예정이다. ㅇ 시상식은 12월중 메타버스 공간에서 진행하며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한국과학기술원총장상,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상 등을 수여할 예정이다. ㅇ 대회는 제조데이터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 참가를 희망한다면 10월 26일부터 11월 09일까지 ‘KAMP 포털 (kamp-ai.kr)’에 공지된 담당자의 이메일로 참가신청서 등을 제출하면 된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박한구 단장은 “이번 경진대회를 통해 제조관련 인공지능 기술 인력의 저변을 확대하고, 나아가 제조업의 인공지능 제조혁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86","atchfileNm":"(보도자료)_K-인공지능_제조데이터_분석_경진대회_개최(배포).pdf","viewCnt":"1873","regDate":"2021-11-01 19:38:45"},{"contentId":"134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中企-연구기관간 협력 우수연구개발 사례 공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98","contentsKor":"TIPA, 中企-연구기관간 협력 우수연구개발 사례 공개 ‘21년 선도연구기관 운영 통한 산・연 협력R&D사업 성과공유회 개최(10.28)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오는 10월 28일(목), 서울 강남구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SETEC)에서 ‘중소기업 지원 선도연구기관 협력R&D사업’의 그간 운영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성과공유회)를 마련한다. TIPA는 ‘선도연구기관 협력R&D사업’의 전문기관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과 혁신역량 제고를 위해 ‘19년부터 사업을 운영 중이며, 중소기업 지원 전담조직을 보유하고, 연구역량이 우수한 출연연·전문연 중 5개 기관*을 선도연구기관으로 지정・협력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R&D) 전 주기(기업진단→기술개발→기술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특히, 선도연구기관은 △연구기관이 보유한 우수 인력, 연구 장비 등 인프라를 활용한 기업 진단부터 △중소기업과 선도연구기관간 협력을 통한 가치창출형 기술개발(R&VD) 지원, △시장맞춤형 기술 사업화 지원까지 단계별 패키지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전주기를 지원한다. 아울러, 산·연 협력 기술개발의 활성화와 성과창출, 정책수립을 위한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선도연구기관 협의체도 활발히 가동 중이다. 이번 성과공유회는 그간 선도연구기관의 중소기업 지원 노력과 협력 우수 사례에 대해 대외적으로 알림으로써, 산·연 협력 기반 조성과 성과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열간전단 공정에서 신뢰성 확보를 통한 기술고도화, △증강현실 기반 스마트공장 관리/작업 지원 서비스 플랫폼 개발, △ 대기용 활성탄 재생을 위한 기술개발, △SoC를 적용한 PTC 히터용 제어기 개발, △선형 이온빔 표면처리 기술이전을 통한 이종소재간 융합부품 개발 등 각 연구기관의 특성에 맞는 협력사례를 엿볼 수 있다. 선도연구기관 한 관계자는 “각 기관 담당자들의 열정과 의욕이 대단 하다. 특히 고용창출, 매출증대 등 협력의 성과가 이제야 가시적으로 드러나고 있는데 내년 사업 종료를 앞두고 있어 아쉬움이 크다.”라며, 산·연 협력을 통한 괄목할만한 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정부 지원을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보유 인프라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에게 협력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우수한 기술력과 연구 환경을 보유한 연구기관 등과의 협력을 지속 촉진하기 위해 기획하고 있는 신규 사업을 반드시 통과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성과공유회 시청을 원하는 경우, 오는 28일(목) 누구나 ITS 2021 홈페이지 (https://www.innotech.or.kr/main/)를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행사 당일 우수 산·연 협력 기여자에 대한 TIPA 원장상 포상식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75","atchfileNm":"(보도자료)_TIPA,_中企-연구기관간_협력_우수연구개발_사례_공개(배포).pdf","viewCnt":"1981","regDate":"2021-10-28 08:59:06"},{"contentId":"134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 융복합 기술협력 세미나로 중소벤처기업의 개방형 혁신 성과 공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97","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산업 혁신 주체 간 협력 성과를 공유하는 ‘2021 융복합 기술협력 세미나’를 제22회 중소기업 기술혁신대전(ITS2021)에서 오는 28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SETEC 제2전시관 특설무대 □ TIPA는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으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및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위해 연구기관의 전문 연구인력 등을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의 공동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선도연구기관 협력기술개발사업’과 대·중소기업, 대학·연구소 등 혁신주체 간 협력 네트워크(i-CON) 구축을 통해 창의·혁신과제 발굴, 투자연계 등 성과창출을 지원하는 ‘융복합기술교류촉진사업’을 지원 중이다. □ 이번 세미나에서는 두 사업의 목적인 산·학·연 등 산업혁신 주체 간 협력을 통해 달성한 개방형 혁신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선도연구기관 협력기술개발사업’을 통해 도출된 우수 기술개발 사례와 ‘융복합기술교류촉진사업’을 통해 지원한 스마트제조·서비스 및 바이오·헬스,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기술융합 주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또한, 가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메타버스 시대가 가속화됨에 따라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 및 중소벤처기업 지원 전략과 개방형 혁신 활성화를 위한 지역혁신 생태계 강화 방안에 대한 기조 강연도 있을 예정이다. □ 이번 ITS2021에서는 소재·부품·장비, 디지털뉴딜, 그린뉴딜 등 기술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되거나 혁신성이 우수한 2백여 기업의 기술 및 제품이 온라인을 통해 전시 예정으로, TIPA의 R&D 프로그램을 지원받은 중소 벤처기업이 다수 참여할 계획이다. □ TIPA 관계자는 “코로나19 이전과 동일한 일상으로 돌아가기는 어렵겠지만 ‘위드 코로나’로 지속 가능한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개방형 혁신 지원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73","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1_융복합_기술협력_세미나로_중소벤처기업의_개방형_혁신_성과_공유(배포).pdf","viewCnt":"2287","regDate":"2021-10-27 09:06:49"},{"contentId":"134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 중소기업 대상‘안전패키지서비스’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88","contentsKor":"TIPA, 지역 중소기업 대상‘안전패키지서비스’지원 대전‧세종 소재 공공기관과 혁신네트워크 구성해 안전점검・교육・물품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10월 18일(월) 지역 중소기업의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공공기관과 협업하여 ‘안전패키지서비스’ 지원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 안전패키지서비스는 안전사고에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안전 점검 지원 대상 수요 발굴부터 안전점검‧교육‧안전물품 기부까지 한 번에 지원하는 사업으로, 대전‧세종 소재 지역 공공기관과 ‘혁신네트워크’를 구성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 TIPA는 금번 지원업체로 대전시 소재 지역 중소기업인 ㈜지엘테크에 방문했다. ㈜지엘테크(대표 김호환)는 반도체 측정장비 제조업체로 TIPA가 지원하는 시장친화형기능개선R&D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 TIPA는 금번 안전패키지서비스를 통해 산업안전보건법 시행 적용이 임박한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현장 방문을 통해 제조업 근로종사자를위한 산업용 구급상자를 기부하였다. ○ 또한, 한전원자력연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함께 ㈜지엘테크를 방문해 현장 안전점검과 종사자 대상 응급처치‧심폐소생술 교육을 진행했다. 아울러 ‘안전패키지서비스’에 참여하는 혁신네트워크 협업기관*과 함께 소화기, KF94마스크, 손소독제 등 산업안전‧소방‧방역 관련 물품 기부를 통해 안전문화 확산에 동참했다.* 안전패키지 참여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원자력연료(주), 연구개발특구 진흥재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연구재단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수혜업체 대다수가 안전에 취약한 중소제조업체로써, 앞으로도 ‘아차사고’ 예방 및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 공공기관과 협업하여 지원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라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55","atchfileNm":"(보도자료)_TIPA,_지역_중소기업_대상_안전패키지서비스_지원.pdf","viewCnt":"2318","regDate":"2021-10-21 09:05:22"},{"contentId":"134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온라인 주니어보드 첫 회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86","contentsKor":"TIPA,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온라인 주니어보드 첫 회의 개최 -20명 규모 젊은 리더들이 기관의 정책 결정에 참여, 수평적 조직문화 확산 기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청년들로 구성된 주니어보드를 출범하여 15일 첫 회의를 개최했다.TIPA에 따르면 주니어보드는 MZ세대 젊은 직원들을 주축으로 20명 규모의 위원회를 통하여 운영되었다.TIPA 주니어보드는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원장과 직접 소통한다. 특히, 15일 첫 회의부터 특별승진, 사내벤처 등 기관 주요 이슈를 논의하면서 기관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들은 ▲기관정책, ▲근무환경 개선, ▲조직문화 혁신 등 기관운영 전반에 걸친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여 원장의 주요 의사결정 파트너로서 자리매김해 나갈 예정이다.또한 TIPA는 금번 첫 회의를 메타버스 플랫폼(Ifland)을 활용하여 개최했다고 밝혔다. TIPA는 차세대 리더들이 가상세계에서의 자유로운 소통문화와 메타버스라는 기술의 메가트렌드를 경험하여 수평적인 조직 문화를 조성하고, 기관의 혁신을 이끌어 나갈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관의 새로운 제도가 메타버스 플랫폼과 성공적으로 결합되어 안착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주니어보드 제도를 도입하여 급변하는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젊은 리더들을 양성하여 중장기적으로 기관이 더욱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48","atchfileNm":"(보도자료)TIPA,_메타버스_플랫폼_활용_온라인_주니어보드_첫_회의_개최.pdf","viewCnt":"2266","regDate":"2021-10-19 16:48:33"},{"contentId":"134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온라인 채용관 열어 中企 기술인재 채용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56","contentsKor":"TIPA, 온라인 채용관 열어 中企 기술인재 채용 지원 사람인 채용시스템 내 전용공간 마련해 ‘22년 7월까지 참여 중소기업 상시모집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R&D 및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 중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인재 채용 지원에 나선다. 기술인재 채용관 참여 신청 시점 기준 R&D 및 스마트공장 사업 수행 중인 기업 TIPA는 청년들이 취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반면 중소벤처기업은 우수 기술인력 구인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지난 8일 ‵기술인재 채용관′을 열었다. 동 채용관은 사람인 채용시스템과 연계해 ‵19년도부터 매년 지속적으로 운영 중이며, ‵21년 9월 현재 1,002개 중소기업이 참여해 채용공고 무료 등록 등의 혜택을 지원받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어려움에도 지난해 1,197명의 기술인재 채용을 지원했고, 올해도 685 명의 인재 채용을 지원함으로써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다. 기술인재 채용관에 가입 및 입점한 중소기업은 기술인재 채용 공고를 ‵사람인′홈페이지 첫 화면 ‵기술인재 채용관′에 상시 노출하는 것은 물론, 채용공고 건수 제한 없이 전액 무료로 채용공고를 등록할 수 있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채용 지원자의 적합성을 선별해 주는 유료 서비스인 ‵MUST′를 무료로 지원할 예정이며 기업이 원하는 입사 지원자가 없더라도 전체 구직자 중에서 기업에게 적합한 인재를 추천해주는 ‵인재 Pool′서비스 지원도 확대해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작년 9월부터 채용관을 이용하여 기술인재 20명을 채용한 에이텍에이 피의 박응민 대표는 “기술인재 채용관으로 많은 구직자에게 기업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자사에서 원하는 기술인재을 채용 할 수 있게 되어 자사에 큰 도움이 되었다. 특히 유료로 이용하던 채용 공고 등록을 제한 없이 무료로 등록 할 수 있어 채용에 소요되는 많 은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었다.”고 전하였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는 우리나라 중 소기업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며 “R&D 수행기업 의 인재 채용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 위해 온라인 채용관을 지속 적으로 확대·운영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기술인재 채용관은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수행중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현재 참여기업을 모집 중으로 ‵22년 7월까지 수시 모집을 할 계획이다. 기술인재 채용관 입점을 희망하는 중소기업들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www.smtech.go.kr)*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SMTECH)]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기타 공지사항]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1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온라인_채용관_열어_中企_기술인재_채용_지원(배포).pdf","viewCnt":"2585","regDate":"2021-10-13 09:00:37"},{"contentId":"134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청렴 버킷챌린지로 윤리경영 문화 확산에 앞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51","contentsKor":"TIPA, 청렴 버킷챌린지로 윤리경영 문화 확산에 앞장 청렴직원 2호 선정, 매월 1명씩 릴레이 방식 선정해 전직원 반부패 의지 제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청렴 버킷챌린지’를 통해 전사적 윤리경영 문화 정착과 전직원 반부패 의지 제고에 앞장서고 있다. ‘청렴 버킷챌린지’는 2021년도 중소벤처기업부 청렴사회실천협의회 청렴 확산 활동의 일환으로, 직원들의 청렴 의식 제고를 위해 TIPA가 마련한 사내 캠페인이다. TIPA는 지난 8월 ‘청렴 버킷챌린지’ 캠페인을 신규 도입한 이래, 청렴직원 2호 주인공을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매달 1 명씩 ‘이달의 청렴직원’을 릴레이 형식으로 선정해 기념패와 청렴인센 티브를 제공하는 등 즐겁고 유익한 청렴 문화 확산 활동을 펼치고 있다. 청렴직원 2호 주인공은 TIPA 기획조정본부 사회적가치혁신실 이수지 주임으로 선정됐다. 이 주임은 대내외적으로 기관 포상 및 공모전 추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상호 업무처리에 있어 투명하고 공정하게 업무처리를 하여 기관 청렴도 제고에 기여한 점 등을 인정받았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청렴 버킷 챌린지의 지속적인 운영을 통해, 즐겁고 유익하게 내부 청렴의식을 높이고, 윤리경영 문화가 정착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고 청렴실천 의지를 강조했다. 한편, TIPA는 지속적인 부패방지 모니터링 및 청렴활동을 추진한 결과,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패방지 시책평가 에서 1등급을 획득하여 청렴활동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10","atchfileNm":"(보도자료)_TIPA,_청렴_버킷챌린지로_윤리경영_문화_확산에_앞장(배포).pdf","viewCnt":"2345","regDate":"2021-10-07 09:04:36"},{"contentId":"134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혁신조달 중소기업 10개사에 미주 조달시장 개척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42","contentsKor":"TIPA, 혁신조달 중소기업 10개사에 미주 조달시장 개척 지원 조달청과‘혁신조달기업의 온라인 미주 조달시장 개척단’공동 개최(9.13~17)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13일(월)부터 9월 17일(금)까지 5일간, TIPA 판교 기술혁신센터 온택트홀에서 ‘혁신조달 기업 온라인 미주 조달시장 개척단’ 행사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 행사 개요 > ◾ 행 사 명 : 혁신조달기업 온라인 미주 조달시장 개척단 ◾ 일 시 : 2021. 9. 13(월) ~ 9. 17(금) (5일간) ◾ 장 소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혁신센터(판교) ◾ 개최방식 : 코로나 19 재확산에 따른 온라인 포럼 개최 미주 조달시장 개척단은 정부조달협정 회원국이면서 구매력이 높은 미국, 캐나다를 중심으로 한 미주 지역(인근 중남미 국가 포함)의 조달 벤더와 국내 혁신조달기업 간에 1:1 매칭 주선을 통해 해외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부터 처음 가동됐다. 이번 행사는 올해 4월 TIPA와 조달청간 체결한 업무협약(MOU) 이후 후속 협력 사업으로써, TIPA의 R&D 지원을 받아 기술개발에 성공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 5개사와 조달청이 선정한 5개사 등 혁신조달기업 10개사 대상으로 해외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조달청과 공동으로 추진했다.  본 행사는 북미 캐나다, 미국의 해외조달시장 진출 설명회와 함께 각 해당국 조달관과 조달벤더와의 매칭 상담회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설명회에 참여한 ㈜알파오 이영환 대표는 “이번 행사를 통해, 미주 조달시장의 트렌드, 각 해당국의 개방 조건 등 진출 전략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혁신조달 중소기업이 해외 조달시장을 무대로 판로를 개척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행사 2일차부터는 혁신 조달기업 10개사를 대상으로 각 기업별 3개 이상의 바이어를 매칭해 총 30건 이상의 미주 지역 조달수출상담이 이루어졌으며, 이중 4개사는 미정부조달 프라임벤더바이어인 Luceque Global LLC의 요청으로, 미국과 멕시코, 파나마에 정부기관 납품 테스트용 샘플 수출과 미 규격제품의 인증 공동 진행으로 해외 공공 조달을 위한 우선 초기 납품실적을 확보하는 성과도 있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혁신조달기업의 온라인 미주 조달시장 개척단 행사를 계기로, 국내의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 및 혁신 조달기업이 국내 조달시장 진출에 이어, 10조 달러 규모의 초거대 시장인 해외조달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수출이 촉진 될 수 있도록 행사 이후 후속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688","atchfileNm":"(보도자료)_TIPA,_혁신조달_중소기업_10개사에_미주_조달시장_개척_지원(배포).hwp","viewCnt":"2588","regDate":"2021-09-28 17:10:29"},{"contentId":"134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년 하반기 신입・개방형직위 등 26명 공개 채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41","contentsKor":"TIPA, 2021년 하반기 신입・개방형직위 등 26명 공개 채용 장애인・고졸전형 등 사회형평성 고려한 채용 공고(9.17), 내달 5일까지 모집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 지원의 주역으로 성장할 창의적인 인재 26명을 채용한다. TIPA는 지난 9월 17일(금) 채용 공고를 게시하고, 채용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입사지원 희망자를 대상으로 오는 10월 5일(화) 18시까지 온라인 입사지원시스템(tipa.recruiter.co.kr)을 통해 신청・접수받고 있다.  모집 분야 및 규모는 일반직 17명(▲지역사업관리(5명), ▲경영일반(기록물 관리, 1명), ▲경영지원(회계, 2명), ▲R&D 및 스마트 사업관리(9명)), 무기직 8명(▲R&D평가관리(4명), ▲시설원(1명), ▲사무원(3명)), 개방형직위 1명 (법무TF팀장)으로 구분되며, 각 전형단계를 거쳐 11월 임용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기관별 기능조정을 통해 내년부터 지역사업 업무를 TIPA에서 관리하면서 지역사업관리 관련 경력직원을 모집하는 것이 눈에 띈다. 지역사업관리 부문은 지역산업 및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과 관련한 업무 경력이 1년 이상인 지원자에 한해서만 신청할 수 있다.  아울러, TIPA는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가치 실현에 앞장서기 위해, 무기직 중 연구지원직(R&D평가관리 분야) 4명을 국가유공자 제한경쟁 으로 모집하고, 공무직(사무원 분야)을 장애 인재 1명, 고졸 인재 2명 으로 할당하여 모집한다. 전 채용 과정은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각 분야 직무별 자격요건 등 자세한 내용은 TIPA 홈페이지(tipa.or.kr) 및 입사지원 홈페이지(tipa.recruiter.co.kr)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채용과정에서 무엇보다 정부의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지원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할 것”이며 “더불어 사회적으로 배려가 필요한 대상자를 우대하여 다양한 계층의 능력 있는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TIPA는 기존의 R&D 및 스마트공장 보급・고도화 사업 외 내년에는 지역사업 이관을 통해 사업 지원 예산이 2조원(예정)에 육박하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연구관리 전문기관으로서 각 분야 경험이 풍부 하고 열정있는 인력을 채용해 기관의 전문성을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686","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1년_하반기_신입,_개방형직위_등_26명_공개_채용(배포).hwp","viewCnt":"2536","regDate":"2021-09-28 17:07:38"},{"contentId":"134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이재홍 원장, 추석 맞아 중소기업에‘청렴서한문’발송","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30","contentsKor":"TIPA 이재홍 원장, 추석 맞아 중소기업에‘청렴서한문’발송 지원 중소기업 대상 추석 명절 맞이 기관장 청렴 서한문 발송 추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6일 추석 명절을 맞아 지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원장 명의의 ‘청렴서한문’을 일제히 발송하고, ‘청렴한 명절 보내기 운동’ 전개를 통해 공직윤리 실천을 공고히 할 것을 밝혔다. TIPA가 추진하는 ‘청렴한 명절 보내기 운동’은 최근 가뭄, 폭염, 홍수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축 어업인들을 위한 우리 농축 수산물 소비를 장려하는 운동임과 동시에 ‘청탁금지법’ 및 ‘임직원 행동강령’을 준수하며 이를 위반하는 경우 신고할 수 있도록 추석 명절 기간동안 ‘선물 신고센터 운영’을 한다는 내용의 TIPA 청렴 캠페인이다. 이번 청렴 서한을 통해 TIPA 이재홍 원장은 “청렴 실천 의지가 충실히 실현될 수 있도록 지원 기업들의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투명하고 공정한 TIPA가 되고자 노력하겠다”고 청렴 의지를 강조했다. 한편, TIPA는 지난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으로는 최초로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지난 해 12월에는 동 인증 갱신을 승인받는 등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668","atchfileNm":"(보도자료)_TIPA,_추석_맞아_중소기업에_청렴서한문_발송(배포).pdf","viewCnt":"2538","regDate":"2021-09-17 17:57:15"},{"contentId":"134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도전적 R&D지원 강화해 혁신성장 이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21","contentsKor":"중소기업의 도전적 R&D지원 강화해 혁신성장 이끈다 TIPA, ‘21년 2차 후불형R&D 사업 공고(9.13), 내달 12일까지 접수(기업당 최대 6억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2021년 2차 ‘후불형 R&D’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 동 사업은 R&D 수행기업에게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기술개발을 독려하고, 과제 수행의 책임감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도입돼 시행 중인 ‘후불형 방식의 중소기업 R&D 지원 프로그램’이다. 후불형 방식은 기존의 R&D 지원 방식과는 다르게 정부가 R&D 수행 기업에게 총 연구개발비의 25%를 우선 지급하고, 나머지 75%는 사업 수행 이후, 최종평가 결과에 따라 지급하는 ‘先수행 後지원’ 방식이다. R&D 수행기간 기업은 자체 재원을 활용하여 R&D를 수행하게 된다. 이로써, 중소벤처기업이 자율적으로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과제 수행과정에서 사업비 오집행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시 점검과 컨설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후불형 R&D 우수기업에 대해서는 기술료 면제 혜택을 부여하고,기술보증 및 후속과제 연계지원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부여된다. 지원 분야는 4차 산업혁명(4IR), BIG3(미래자동차, 시스템반도체, 바이오 헬스), 비대면·서비스 분야이며, 신속한 R&D지원을 위해 선정평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대면평가를 거쳐 최종 지원과제를 선정하게 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우수한 기술력과 연구 환경을 갖춘 중소·벤처 기업들의 혁신적이고 과감한 연구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지원방식이 필요하다."라며, ”후불형 R&D 지원이 시장을 주도하는 혁신기업 성장의 마중물로써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업 신청은 10월 12일(수) 18시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 누리집(www.smtech.go.kr)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651","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의_도전적_RD지원_강화해_혁신성장_이끈다최종★.pdf","viewCnt":"2850","regDate":"2021-09-15 19:29:36"},{"contentId":"134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진천군 아프간인 수용에 따른‘희망마스크’기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20","contentsKor":"TIPA, 진천군 아프간인 수용에 따른‘희망마스크’기탁 아동‧노인 등 방역취약계층에 KF94 마스크 2,600장 기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0일 진천군 덕산읍에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수용에 따른 희망마스크 2,600매를 기탁했다.○ 진천 국가인재개발원에 수용중인 아프간 특별기여자 383명의 자가격리가 지난 10월 해제되었다. 이에 발맞춰 TIPA는 특별기여자및 진천군민 대다수가 방역 취약계층인 아동‧노인인 점을 고려해 아동용 1,600매, 성인용 1,000매 총 2,600매의 KF94 보건용 마스크를 전달하였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특별기여자들의 지역사회에 희망적인 정착을 응원함과 동시에 지역 사회의 방역 증진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전했다.□ 한편, TIPA는 중소기업R&D지원 전문기관으로 이번 기탁품을 대중소기업 동반상생 플랫폼인 동반성장몰에 입점한 중소기업 제품으로 구매함으로써 지역 중소기업의 판로확대와 지역사회 나눔활동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649","atchfileNm":"(보도자료)TIPA,_진천군_아프간인_수용에_따른_희망마스크_기탁.pdf","viewCnt":"2399","regDate":"2021-09-15 19:28:33"},{"contentId":"133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투자형 R&D(스케일업 팁스) 운영사 모집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82","contentsKor":"TIPA, 투자형 R&D(스케일업 팁스) 운영사 모집 설명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13일(월)에 서울 역삼동 TIPS타운 홀에서, 투자형 R&D 전용트랙(스케일업 팁스* )에 참여 하는 운영사를 모집하기 위한 설명회를 개최한다. * 스케일업 팁스 (TIPS, Tech Investor Program for Scale-up)와 스타트업 팁스 (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는 구분 □ TIPA 이재홍 원장은 설명회를 통해, “투자기반의 기술개발(R&D) 혁신 생태계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많은 운영사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길 바라며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에 대한 혁신·도전형 투자가 확대 될 수 있도록 TIPA가 더욱 노력 할 것” 이라고 밝혔다. □ 투자형 R&D 전용트랙“스케일업 팁스”는 벤처캐피털(VC), 연구 개발서비스 기업 등 민간전문역량을 활용하여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하고 민간투자와 연계한 정부 매칭 투자 및 R&D 지원을 통해 스케일업 육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으로, ◦ 그간의 경직된 출연 위주의 R&D를 탈피하여 스케일업 단계에 있는 하드웨어·제조분야 유망 중소벤처에 집중해 투자방식의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 TIPA에서 진행하는 금일 운영사 모집 설명회는 코로나19 방역 수칙을 준수해 온라인(유튜브), 오프라인으로 병행하여 실시한다. □ 설명회는 중소벤처기업부와 TIPA 담당자가 정책방향, 개편내용 등 투자형 R&D 확대 방안에 대한 설명과 운영사 모집에 대한 자세한 가이드를 제시 한 후,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 한다. ◦ 설명회 내용과 진행하며 나온 모든 질문과 그에 따른 답변은 TIPA 공식 유튜브를 통해 언제라도 다시 보기가 가능하다. □ 운영사는 2021년 9월 6일(월) 부터 10월 1일(금) 까지 공고하여 신청·접수 받으며, 연구개발서비스기업 등 기술역량 민간회사와 투자 안목을 갖춘 벤처캐피탈로 구성된 5개 내외 운영사를 10월 중에 우선 선정하고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 할 계획이다. □ 기타 설명회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 문의하거나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94","atchfileNm":"(보도자료)_TIPA,_투자형_RD_운영사_모집_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2524","regDate":"2021-09-13 14:16:10"},{"contentId":"133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가위 앞두고 지역사회 희망 나눔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81","contentsKor":"TIPA, 한가위 앞두고 지역사회 희망 나눔 나서 지역 전통시장과 업무협약 체결(9.9) 후 장보기 행사 열어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지난 9일 추석 명절을 앞두고 지역 전통시장을 응원하기 위해 나섰다. 이번 활동은 TIPA가 5월 이전해 온 세종시 조치원에 위치한 세종 전통시장에서 진행됐다. 이번 전통시장 방문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소상공인을 격려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되기 위해 개최됐다. TIPA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방역 수칙을 준수하며 명절 준비에 필요한 지역사회 농산물을 구매하는 장보기 활동을 진행했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유기적인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세종전통시장 상인회와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지역사회와의 상생가치 실현이 중요해지면서 소상공인에 대한 다양한 지원활동들이 있지만, 지원 유무만큼 중요한 것이 지속성과 신뢰 관계라고 생각한다”라며, "이번 MOU를 TIPA가 지역사회와 창출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가치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로 삼겠다”며, 소감을 밝혔다. 한편, 이번 장보기 행사로 구매한 과일, 건어물 등의 물품은 세종지역 내 취약계층 지원을 지원하고 있는 세종시 사회복지협의회의 푸드마켓에 기탁했으며, 추석을 앞두고 도움이 필요한 가정에 전달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92","atchfileNm":"(보도자료)_TIPA,_한가위_앞두고_지역사회_희망_나눔_나서(배포).pdf","viewCnt":"2407","regDate":"2021-09-13 14:14:57"},{"contentId":"133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기업이 주도하는 사회문제해결형R&D 사업 신규 지원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79","contentsKor":"창업기업이 주도하는 사회문제해결형R&D 사업 신규 지원 나선다 □ 환경‧재난안전 등 국민적 수요가 큰 9개 분야 사회문제를 해결해나갈 20개 창업기업 선정(9.7), ‘22년까지 총 24억원 지원(기업당 최대 1.5억원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올해 신규 도입한 ‘사회문제해결형 기술개발사업(R&D)’ 지원을 통해, 환경・재난안전 등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 9개 분야 사회문제를 발굴해 해결해나갈 20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사회문제해결형 기술개발사업(R&D)는 사회가 직면한 각종 문제해결*에 창업기업이 직접적으로 기여하는데 앞장설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올해 신규 지원하는 사업으로, 설립 7년 미만 전년도 매출액 20억 이하의「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한다. 예시 : 코로나맵, 코로나 마스크 제고 알리미 등 어플리케이션 개발 등  특히, 동 사업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중 올해 최초 지원하는 분야로, 그간 정부는 국가 R&D 투자에 있어 사회 문제해결 비중을 점차 확대*해왔으며, 선진국 추격형 R&D 구조에서 탈피해 국민 실생활을 개선하는데 R&D가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투자·성과 검 증 체계를 혁신해왔다. 사회문제해결R&D 중앙행정기관 투자 예산 증가 추이(‘2021.7, KISTEP) : 2018년, 1조2,258억원 / 2019년 1조3,141억원 / 20202년 1조 4,572억/ 2021년 1조 6,000억)  또한, 타 부처에서 추진 중인 ’사회문제해결 R&D‘ 지원과 차별화 될 수 있도록 ’중소(창업)기업 전용R&D 후보품목‘을 개설하는 등 창업기업이 해결해야하는 R&D 지원 방향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❶기획단계부터 일반시민(국민평가단) 참여를 통한 사회문제(품목) 결정·평가 ❷중소(창업)기업 전용 R&D품목 개설, ❸사회 문제해결도 성과 측정(자체미션)  금번 지원되는 사회문제 분야로 ▲사회통합 8개(의료격차 6, 정보격차 2) ▲환경 8개(생활폐기물 4, 실내공기오염 2, 미세플라스틱 2) 분야가 주를 이루 었으며, ▲생활안전 2개(사이버범죄 2), ▲주거/교통 2개(교통안전 및 교통 혼잡 2)의 20개 과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22년까지 지원된다.  주요 과제 중에서는 배달음식 증가에 따른 일회용 플라스틱 배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포장 용기와 처리되는 이력 관리 까지 가능한 개발 등이 진행되며, 사이버범죄 증가에 따른 대표적인 사 회문제로 불법 동영상 유포 차단, 불법 촬영 카메라 탐지 개발이 있다.  이와 함께 사회적으로 대두되는 횡단보도(건널목) 어린이 보행자 교통안 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는 운전자의 속도안내 판 연계 장치, 횡단보도 보행자 감지 시스템 개발이 지원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최근 코로나 이후 사회가 직면한 각종 문제해결을 위한 R&D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국가연구개발(R&D) 지원도 사회 문제 영역을 대상으로 강화해나가야 한다.”라며, “R&D의 초점을 ’ 기술 공급과 산업 혁신‘ 뿐만 아니라 ’국민 삶의 질 문제 관련 현안 을 해결하는 기술개발 형태‘로 적극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90","atchfileNm":"(보도자료)_창업기업이_주도하는_사회문제해결형RD_사업_신규_지원_나선다(배포★).pdf","viewCnt":"2588","regDate":"2021-09-13 10:57:16"},{"contentId":"133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중소기업 정책 포럼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74","contentsKor":"TIPA,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중소기업 정책 포럼 참가 APEC 회원국 간 국제협력 확대로 중소기업 지원 정책 발굴에 역할 강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7일(화)부터 9일 (목)까지 3일간, APEC 중소기업워킹그룹(SMEWG)에서 후원하고, 말레이시아기업협력개발부(MEDAC)의 산하기관인 SME Corp에서 주관 하는 온라인 방식의 ‘APEC 중소기업 정책 포럼*’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APEC 경제협력체가 채택할 포괄적인 △중소기업과 기업가 정신 관련 정책 발굴, △APEC 경제 의제 지원을 위한 기업가 정책 개발 및 프로그램 역할 조정・조화, △APEC 경제협력체 간 중소기업 및 기업가 정신 관련 생태계 조성 등을 목적으로 마련됐다. 본 행사는 포럼(1일차), 소그룹 세션(2일차), 라운드테이블 회의(3일차)로 구성돼 진행됐으며, △혁신과 기술 채택, △인적자본 개발, △금융에 대한 접근, △시장 접근, △법률 및 규제환경, △사회기반시설 등 APEC 경제협력체 및 기업이 직면한 6가지 과제를 중심으로 논의됐다. 특히, 포럼 1일차 ‘혁신과 기술 채택’ 세션에서는 TIPA 이재홍 원장이 연사로 참여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응 전략으로써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관한 주제로 직접 발표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의 개념 및 사례 소개, 우리 정부의 중소기업 디지털 가속화를 위한 스마트팩토리 관련 지원 정책 등을 알림으로써 한국의 대응 전략 방안에 대해 APEC 경제협력체에 공유했다. 또한, 발표에 이어 Q&A 세션에 참여하여 중소기업의 디지털화 가속화 방안과 기술채택의 필요성, 정부정책 방향과 중소기업 수용 간의 차이, 기술도입에 관한 효과적인 재정 전략 등에 대해 의견을 전달했다. 그밖에, 소그룹 세션과 라운드테이블 회의에는 TIPA 글로벌협력팀이 참여해 중소기업과 기업가정신 관련 정책 아이디어 발굴에 동참했다.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APEC 중소기업 및 기업가 정신 프레임 워크에 대한 정책 대담을 계기로, APEC 회원국 간 협력을 통한 경험과 사례 공유가 활발해지고 더 나아가 중소기업을 위한 지속적인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APEC 국제포럼 참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82","atchfileNm":"(보도자료)_TIPA,_APEC(아시아_태평양_경제협력체)_중소기업_정책_포럼_참가.pdf","viewCnt":"2066","regDate":"2021-09-10 10:39:45"},{"contentId":"133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즐거운 청렴 문화 확산 위해 ‵청렴 버킷 챌린지′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50","contentsKor":"TIPA, 즐거운 청렴 문화 확산 위해 ‵청렴 버킷 챌린지′운영 매월 릴레이 형식으로 ‘이달의 청렴 직원’ 선정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즐겁고 유익한 청렴 문화 확산과 기관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21년도 ‘청렴 버킷 챌린지’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청렴 버킷 챌린지’는 2021년도 중소벤처기업부 청렴사회실천협의회 청렴 확산 활동의 일환이며, 직원들의 청렴 의식 제고를 위해 운영하는 TIPA 청렴 캠페인이다. TIPA는 매월 둘째 주 월요일에 ‘이달의 청렴 직원’을 한명씩 선정해 릴레이 형식으로 기념패와 청렴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즐겁고 유익한 청렴 문화 확산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제1호 ’이달의 청렴 직원‘으로 TIPA 부설기관인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이상윤 주임연구원이 선정됐다. 이상윤 주임은 작년 한해 청렴실천추진반원으로 참여하며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37001) 내부 심사원으로 활동하는 등 기관의 청렴문화 확산과 부패방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 점 등을 인정받았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청렴 버킷 챌린지 운영을 통해, 즐겁고 유익하게 내부 청렴의식을 높이고, 윤리경영 문화가 정착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고 청렴실천 의지를 강조했다. 한편, TIPA는 지속적인 부패방지 모니터링 및 청렴활동을 추진한 결과,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패방지 시책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하여 청렴활동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50","atchfileNm":"(보도자료)_TIPA,_즐거운_청렴_문화_확산_위해_청렴_버킷_챌린지_운영(배포).pdf","viewCnt":"2261","regDate":"2021-08-31 17:28:41"},{"contentId":"133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매립지 가스를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는 힘...그린뉴딜 유망기업으로 주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49","contentsKor":"매립지 가스를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는 힘...그린뉴딜 유망기업으로 주목 -‵20년 그린뉴딜 유망기업 선정, 세계 최초 플라즈마를 활용한 수소 생산 시스템 개발 박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 8월 19일(목) 대전광역시 소재 ‵그린뉴딜유망기업*′ ㈜인투코어테크놀로지를 방문하여 기업의 애로 및 건의사항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그린뉴딜유망기업 :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그린벤처프로그램의 선정기업으로 중기부와 환경부는 22년까지 100개의 그린뉴딜 유망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인투코어테크놀로지는 KAIST 박사 출신의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플라즈마 전문기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독자적인 플라즈마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반도체는 물론 환경에너지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제조하고 있다. 특히, ㈜인투코어테크놀지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플라즈마 기술은 단위 모듈당 4Nm3/h의 가스를 처리할 수 있고, 에너지 전환효율이 70%에 달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대용량 고효율 플라즈마 제조기술로 GTL(Gasto Liquid) 기술 혹은 수소를 정제하는 기술과 연계를 통해 메탄올, 항공유, 수소 등과 같은 다양한 에너지원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플랫폼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인투코어테크놀로지는 ‵20년 그린뉴딜유망기업에 선정되어 플라즈마를 이용해 매립가스로 다양한 에너지원을 만들어내는 기술로 사업화를 구상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그린벤처프로그램 사업을 통해 탄소중립 분야의 한축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는 유망기업들을 격려하고,현장의 애로와 건의사항을 청취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날 기업 관계자는 “그린뉴딜유망기업 선정 후 그린벤처사업화 과제와 관련 많은 곳에서 관심을 받고 있어 기쁘다”라며, “하지만 성공적인 그린뉴딜사업화를 위해 관련 기업, 기관 등과의 네트워크가 필요한데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네트워크 형성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애로사항을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러한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비대면 네트워크 행사 개최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그린뉴딜유망기업이 R&D 및 사업화 과제를통해 그린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도 올바른 정책은 현장과 소통에서 나온다는 신념으로 현장 방문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 기업 현장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애로・건의사항에 대해 소통을 확대해, 그린뉴딜유망기업의 혁신을 적극 지원해나가 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중소벤처기업부와 TIPA는 지난 해 그린뉴딜 유망기업 20개사를 선정한 데 이어, 올해 5월에는 15개사가 추가 선정됐고, 지난 7월 9일 그린벤처 유망기업 선정서 수여식을 마쳤다. 2022년까지 환경부와 함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개사를 선정하고, 그린분야 R&D 및 사업화 지원을 계속 이어나갈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48","atchfileNm":"(보도자료)_매립지_가스를_친환경_에너지로_전환하는_힘...그린뉴딜_유망기업으로_주목(배포).pdf","viewCnt":"2316","regDate":"2021-08-31 17:27:03"},{"contentId":"133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R&D 기획의 나침반, R&D PM제도 1주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35","contentsKor":"중기부 R&D 기획의 나침반, R&D PM제도 1주년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 R&D PM 간담회 개최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8월 23일(월) TIPA 세종 본원에서 중소기업 R&D PM(Project Manager)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중소기업 R&D PM제도 도입 1주년을 맞아, 그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중소벤처 기업부 권칠승 장관이 참석하였다.  중소기업 R&D PM제도는 중소기업 R&D 기획 기능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민간 전문가를 활용하는 제도로 2020년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현재 중소기업 R&D PM은 총 6명으로, 6대 기술 분야*별로 한 명씩 담당하고 있다. 기술분야 : 혁신서비스, 전자부품·장비, 바이오헬스, 환경·에너지, 화학·전자소재, 그린뉴딜  지난 1년여 간 중소기업 R&D PM은 △예타사업과 같은 중장기 사업 기획, △단기 신규사업 기획,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기획, △소재· 부품·장비 과제 기획 및 검증 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특히, ‘K-Bio Lab-Hub’ 구축 사업 등을 포함하여 현재 5개의 예타 사업을 기획 중에 있으며, 총 5개*의 ‘22년 신규 사업을 기획하여 182.5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총 18개 단기 신규 사업을 기획하여 그 중 5개 사업(182.5억) 과기부 심의 통과  또한 ’21년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기획과정에 참여하여 기술·시장 정보 분석, 전략품목 검증, 동영상 강의 제작 등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날 간담회에서는 이재홍 TIPA 원장의 “PM 제도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계획” 발표를 시작으로, PM 제도 개선 및 향후 기획 방향이 논의됐다.  PM들은 1년간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기획하며 민간에 서의 풍부한 현장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R&D 사업을 기획하는 데에 보람을 느꼈다고 답하였다. 다만 현행 6대 분야만으로 다양한 기술 분야의 업무대응이 어려우며, 최대 3년의 임용기간으로는 본격적 업무수행을 위한 적응 기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중기부-TIPA-PM그룹 간 원활한 소통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권칠승 중기부 장관은 “PM이 민간에서의 경험을 마음껏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고, 체계적으로 제도 개선점을 보완하여 중소기업 R&D 발전에 토대를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재홍 TIPA 원장은 “PM 인원 확충, 협업체계 강화 등을 통해 PM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고, 보다 전문적인 기획을 통해 R&D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35","atchfileNm":"20210825_(보도자료)_중기부_RD_기획의_나침반_RD_PM제도_1주년(배포).pdf","viewCnt":"2624","regDate":"2021-08-26 09:16:39"},{"contentId":"133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기업 투자유치 지원을 위한 ‵TIPA ValueUP 데모데이′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32","contentsKor":"TIPA, R&D기업 투자유치 지원을 위한 ‵TIPA ValueUP 데모데이′개최 탄소저감·에너지 등 투자유망기업과 VC가 참여하는 온라인 투자설명회 추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 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2021년 하반기‵TIPA ValueUP 데모데이′를 오는25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TIPA ValueUP 데모데이는 탄소저감 및 에너지, 제조 분야 등 투자유망기업 9개사와 10인 내외의 투자자들이 참하며, 코로나19 재확산 상황을 고려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참여기업은 ㈜이유씨엔씨(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하는 친환경 수성 단차열 도료), 주식회사 조에(에너지 소비제품으로 새로운 에너지를 생산하는 제품), ㈜리오에너지 (흘려버리는 물을 이용한 유속 증속형 소수력 발전장치), ㈜포어시스(스마트 해양 쓰레기 수집/수거 서비스) 등이며, 행사당일 온라인 스트리밍을 활용하여 투자자 대상 IR 피칭을 진행한다. TIPA ValueUP 데모데이에 참여하는 기업은 VC 대상 IR 뿐만 아니라 온라인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여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다양한 투자자와의 네트워킹 시간을 갖는다. 또한, 행사 당일 웨비나플랫폼(https://gabinlive.com/2021tipavalueup)에 접속 하면 누구나 실시간으로 발표기업의 IR피칭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투자기관에게는 기업 IR자료를 제공한다. 주식회사 이유씨엔씨 최장식 대표는 “녹색건축법 개정으로 에너지절감 재료 분야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라며 “다양한 투자자와의 만남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시장에 선도적으로 진출해있는 우리 기업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재홍 TIPA 원장은 “R&D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방식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를 통한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TIPA ValueUP은 중소벤처기업들이 R&D를 통해 개발한 혁신제품과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투자유치 역량강화 지원 프로그램으로 ’18년도부터 현재까지 총 159개 기업을 발굴해 육성하고 있다. TIPA ValueUP 참여기업에게 보다 많은 투자유치 기회제공을 위해 국내 VC를 대상으로 한 투자설명회인 ‵밸류업라운드′와 해외투자자 대상 ‵글로벌 투자설명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TIPA는 이처럼 다양한 노력을 통해 ’18년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총 34개 기업이 약 3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21","atchfileNm":"(보도자료)_TIPA,_RD기업_투자유치_지원을_위한_TIPA_ValueUP_데모데이_개최(★).pdf","viewCnt":"2434","regDate":"2021-08-24 10:46:03"},{"contentId":"133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OSMO, 떡 제조中企 대상 국내 최초 ‵스마트HACCP′인증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04","contentsKor":"KOSMO, 떡 제조中企 대상 국내 최초 ‵스마트HACCP′인증 지원 클라우드기반 솔루션개발사업 통해 11개 영세 떡 제조中企 디지털화 지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이 국내 최초로 떡 제조 중소기업의 스마트HACCP* 인증을 지원하는 성과를 냈다. 스마트HACCP : 식품제조공정에 사물인터넷(IoT)기술과 스마트공장을 적용해 기존 HACCP 운영관리 중요 관리항목을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자동 기록관리를 통한 식품안전관리 인증 추진단은 ‵클라우드기반 솔루션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떡 제조 HACCP 솔루션′에 대해 11개 영세 떡 제조 중소기업 현장에 보급을 마쳤다. 특히, 이 중 ‵농업회사법인 마음이가(주)′는 떡 제조 업계 에서는 국내 1호로 스마트HACCP 인증을 등록하는 성과를 냈다. ‵떡 제조 HACCP 솔루션′은 ICT장비 및 온도센서를 도입해 제조공정 내 금속검출, 온도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관리자에게 전송이가능하며, 또한 보고서 자동 출력서비스를 통해 태블릿 PC등을 이용해 언제 어디서든 공정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 가능한 기능을 제공한다. 동 솔루션 도입기업 ‵농업회사법인 마음이가(주)′ 박현철 대표는 ‶시스템 도입 후, HACCP 관리를 위한 수많은 서류작성을 전자문서로 대체되고, 실시간으로 공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공정의 정확성이 높아졌고, 이를 통해 업무 생산성이 향상되어 솔루션 도입 전 대비 매출액이 37% 상승했다″며, ‶퇴근 후에도 냉동보관창고 작동 여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공정상태 관리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한편, 추진단은 지난해부터 클라우드기반 솔루션개발사업을 통해 다수의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활용 가능한 클라우드형 업무솔루션 구축을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도 ‵도축장 스마트HACCP 솔루션 구축′ 등 6개 분야의 과제를 지원하고 있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영세 식품제조가공업체들이 복잡하고 어려운 HACCP인증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으며, 국내 식품제조 및 가공업 영세기업도 스마트화에 가속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487","atchfileNm":"KOSMO,_떡_제조中企_대상_국내_최초_스마트HACCP_인증_지원(배포★).pdf","viewCnt":"2084","regDate":"2021-08-17 10:42:02"},{"contentId":"132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재부품장비 전략협력 기술개발사업 참여 중소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253","contentsKor":"소재부품장비 전략협력 기술개발사업 참여 중소기업 모집 □ 소부장 전략협력 기술개발사업 ‘R&D 공동기획’ 참여 중소기업 모집ㅇ 운영기관·소부장기업 협력 R&D 과제에 최대 2개월간 15백만원(1단계), 최대 3년간 12억원(2단계) 지원(공고 및 접수기간 : 8.4(수) ∼ 8.23(월) 18시까지 접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1년 소재부품장비 전략협력 기술개발사업(이하 전략협력R&D) 중 1단계 과정인 ‵R&D 공동기획′ 과제를 수행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 동 사업은 소재·부품·장비 분야(이하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이 대학・연구 기관들이 보유한 기술・인프라・인력을 기업의 기술개발 과정에 자유롭게 활용하고, 상호 간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금년도에 신설된 사업이다. 1단계‵R&D 공동기획′과제를 수행할 중소기업은 30개 내외로 선정할 예정이며, 선정된 기업은 2개월간 운영기관*과 공동으로 2단계(전략협력 R&D) 과정에 지원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기획하게 된다.* 전략협력R&D 사업 운영기관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중소기업・운영기관 간 ’R&D 공동기획‘이 완료되면 기술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전략협력R&D(최대 3년, 12억원)를 수행할 중소기업 20개 사를 최종 선정하게 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산・학・연 협력체계를 견고하게 다져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 소부장 산업의 신속한 기술자립 실현을 위한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청은 8월 4일(화)부터 8월 23일(월) 18시까지 20일간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www.smtech.go.kr)을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426","atchfileNm":"(보도자료)_소부장_전략협력_기술개발사업_참여_중소기업_모집(배포).pdf","viewCnt":"2451","regDate":"2021-08-10 15:52:09"},{"contentId":"132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사회 에너지 취약계층에 냉방용품 기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252","contentsKor":"TIPA, 지역사회 에너지 취약계층에 냉방용품 기부 여름철 무더위로 어려움 겪는 대전지역 30개 가정에 서큘레이터 전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 8월 6일(금) 대전 유성구 노인복지관을 방문해 지역사회 에너지 취약계층의 여름나기 지원에 나섰다. 이번 활동은 최근 급격한 코로나 확산세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되어 복지기관의 지원 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대전지역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TIPA는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오랫동안 교류 해왔던 동 노인복지관과 협력해 에너지 취약계층 30개 가정에 서큘레 이터와 오는 10일 말복을 맞아 즉석조리가 가능한 삼계탕을 전달했다. 대전 유성구 노인복지관 관계자는 “그간 코로나로 인해 기관을 폐쇄 하였다가 제한적으로 개관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다시 폐쇄하며, 지역 내 취약계층을 지원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작년 인견 이불에 이어 올해의 지원물품 역시 지역 어르신들이 무더위를 견디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며 소회를 전했다. 한편, TIPA는 매년 지역 내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해, 하절기·동절기 냉방용품 전달과 연탄 배달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왔으며, 코로나 발생 이후 다중집합시설 방역물품 전달, 피해지역 구호물자 지원 등 지역 사회의 회복을 위한 활동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활동을 추진하며, ‶지난 5월 세종 청사로 이전하기 전까지 9년여의 시간을 대전에서 보냈다″며, ‶기관 이전 이후에도 세종시는 물론 대전시와의 소통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과 상생을 위해 더 큰 노력을 이어 나가겠다″며 소감을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424","atchfileNm":"(보도자료)_TIPA,_지역사회_에너지_취약계층에_냉방용품_기부(배포).pdf","viewCnt":"2121","regDate":"2021-08-10 15:43:25"},{"contentId":"132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대학 간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251","contentsKor":"TIPA, 중소기업・대학 간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8월 5일(목) TIPA 본원에서 전국 대학 산학협력단장・연구처장 협의회 임원진과 산학협력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동 간담회는 TIPA와 대학 간에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나가는 정기 협의체 운영을 위한 첫 Kick-off 회의로서, 5개 대학 산학협력단장*이 참여해 전국 대학 네트워크를 활용한 △중소기업・대학 간 협력 모델 발굴, △신규 R&D 지원사업 발굴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 단국대, 동의대, 전남대, 부산대, 이화여대 산학협력단장(전국 대학 산단장・연구처장협의회 임원진)  양 기관은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공동 워크숍 개최 등 교류・협력 네트워킹 기반을 구축하고 또한, 지역중소기업 혁신, 기술이전, 인력양성 등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 방안 마련을 위해, 권역별 ‵중소기업・대학 간 협력사업′공동 발굴 등 지속적인 협업 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대학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중요한 파트너로서,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중소기업 지원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앞으로 대학과 정보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42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_대학간_협력체계_강화를_위한_간담회_개최(배포).hwp","viewCnt":"2139","regDate":"2021-08-10 15:41:57"},{"contentId":"131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부장 분야 40개 우수 공공 특허기술 중소기업에 대공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99","contentsKor":"소부장 분야 40개 우수 공공 특허기술 중소기업에 대공개 Tech-Bridge활용 상용화 R&D지원사업과 연계해 ‵공공기술 이전 → R&D → 사업화 자금′까지 패키지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과 협력해, 기술 이전에 관심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대학·출연연 등에서 개발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 우수 공공기술′을 온라인을 통해 공개한다고 30일 밝혔다. TIPA는 기보에서 운영 중인 기술이전 플랫폼 ‵Tech-Bridge′를 통해 소부장 분야 공공기술 중 우수한 특허기술 약 40개를 발굴했으며, 각각의 기술 소개 영상을 제작해 SNS 홍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공공기술 이전에 관심있는 중소기업에서는 TIPA 공식 유튜브 채널 (https://bit.ly/2QOMRIu)과 기보의 테크브릿지 홈페이지(https://tb.kibo.or.kr)를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오는 7월 30일부터 순차적으로 공개*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앞으로 TIPA는 우수한 공공기술과 그 기술을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하고, 또한, 소부장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기술이전부터 R&D, 사업화′까지 지속적인 R&D지원에 더욱 힘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TIPA는 지난 해부터 대학·연구소의 소부장 분야 핵심기술을 이전받은 중소기업이 이전기술의 후속 상용화 성공할 수 있도록 R&D 자금과 금융지원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Tech-Bridge* 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소부장 분야 조기 국산화를 지원해 오고 있다. TIPA는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에서부터 디스플레이, 신재생에너지,기초화학 분야 등 소부장 전 분야에 걸쳐 산업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올해 238억원 규모로‵Tech-Bridge 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27년까지 총 2,525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61","atchfileNm":"(보도자료)_소부장_분야_40개_우수_공공_특허기술_중소기업에_대공개(배포)(★).hwp","viewCnt":"2657","regDate":"2021-07-30 17:25:45"},{"contentId":"131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가동...공공기관 윤리경영 가속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98","contentsKor":"TIPA,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가동...공공기관 윤리경영 가속화 자발적 윤리 실천의 일환으로 전직원 참여, 청렴 우수자에게 최대 100만원 상당 포상 지급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21년도‘청렴활동 우수자 포상 제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는 자발적 반부패 의지 노력으로 다양한 청렴활동에 참여한 직원에게 청렴포인트 점수를 부여해 청렴 우수자 에게 포상을 실시하는 TIPA의 청렴 인센티브 제도이다. 이 제도는 크게 △행동강령 규정 준수와 관련된 행동강령 분야, △청렴교육과 청렴제안이 포함된 반부패 청렴활동 분야, △청렴자율실천과제 추진과 관련된 청렴실천추진반 분야로 구분되어 운영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 추진을 통해, 직원들의 청렴의식을 높이고 기관 윤리경영 문화가 정착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고 청렴실천 의지를 전했다. 한편, TIPA는 지속적인 부패방지 모니터링 및 청렴활동을 추진한 결과,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패방지 시책평가 에서 1등급을 획득하여 청렴활동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5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청렴활동_우수자_포상제도_가동..공공기관_윤리경영_가속화(배포).hwp","viewCnt":"2353","regDate":"2021-07-30 17:16:48"},{"contentId":"131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KAIST 총장 초정 강연 열어... 21세기는 기정학이 대세될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97","contentsKor":"TIPA, KAIST 이광형 총장 초청 강연 열어...21세기는 기정학이 대세 될 것 과학기술이 선도하는 대전환 시대 맞아, 中企R&D지원 조직원의 직무역량 강화 도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7월 27일(화) TIPA 본원에서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 이광형 총장을 초청해 조직원의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명사 초청강연 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TIPA는 직원들이 업무 수행과정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망기술, △핵심기반기술, △디지털 경제 등 ‘일하면서 공부하는 학습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기술 분야별 교육 훈련과정을 개설해 운영 중이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한 펜데믹 시대를 극복하고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의 직원으로써 갖춰야할 직무 역량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인 KAIST 이광형 총장을 모셨다. 이 총장은 이번 강연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속에 인류 사회는 과학 기술이 선도하는 대전환의 시대를 맞았다”며 “과거 국제질서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영향을 받는 지정학(地政學)에 따랐지만, 21세기는 과학 기술에 바탕을 둔 기정학(技政學)이 대세가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감염병, △인구절벽,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국제정치 등 국제적으로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선도적 역할을 담은 미래전략을 제시하였다.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강연을 통해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라 업무침체에 대한 불안감과 다양한 고민이 있겠지만 ‘대전환의 시대’를 이해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업무를 살펴보기 바란다”며, “중소기업 R&D전문기관의 직원으로써 우리 중소기업이 전 세계적으로 선도적 역할을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앞으로 개인의 역량을 마음껏표출하고 도전하라”고 직원들을 위한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한편, TIPA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정부의 방역수칙을 적용하여 오프라인 참여인원을 50명 이내로 제한하였으며, 직원들의 청강 수요 충족을 위해 온라인으로 동시진행 하였다.더불어, 오프라인 참여인원은 강연장 입장 전 발열체크, 손 소독 의무화 등을 통해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키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지정 좌석제로 안전하게 진행됐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57","atchfileNm":"(보도자료)TIPA,_KAIST_이광형_총장_초청_강연_열어...21세기는_기정학이_대세_될_것(배포).hwp","viewCnt":"2293","regDate":"2021-07-30 17:15:38"},{"contentId":"131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개최...5개 과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96","contentsKor":"TIPA,“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개최...5개 과제 선정 ‘中企R&D 실패사례 대상 공공데이터 제공’ 아이디어가 최우수상 영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국민이 함께하는혁신과제 발굴과 혁신성과 창출을 위해 실행한 “2021년 TIPA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을 발표했다. 올해의 공모주제는 정부의 공공기관 3대 혁신방향을 반영한 ▲사회적가치를 실현하는 TIPA, ▲중소기업 혁신성장 파트너 TIPA, ▲국민 신뢰를 받는 TIPA로써, 지난 6월 8일부터 6월 22일까지 약 2주의 공모 기간 동안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국민 아이디어 총 57건이 접수됐다. 시민참여혁신단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블라인드 심사를 통해 제안 내용의 창의성·실행가능성·부합성·시의성·국민체감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최종 5건을 선정했다. 부상으로 최우수상 수상자 1명에게는 100만원, 우수상 2명에게는 각각 50만원, 장려상 2명은 각각 10만원의 온누리상품권과 상장이 수여된다. 대표적인 수상작으로는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실패사례 공공 데이터 제공, ▲스마트공장 DB기반의 자원공유플랫폼 구성, ▲R&D성과 창출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기업발굴 및 네비게이션 서비스 등이 있다. 과제 선정평가위원회 위원단은 총평을 통해, “올해는 코로나상황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고민을 담아 중소벤처기업 및 스마트공장 지원에 관한 참신한 아이디어가 많았다”고 밝혔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한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에 관심을 갖고 소중한 의견을 주신 많은 분들에게 진심어린 감사를 드린다“며, ”앞으로도 국민 누구나 TIPA의 기관운영 전반에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열린)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TIPA는 이번에 선정된 혁신아이디어의 이행을 위해, 세부적인 계획 수립 후 중·장기적인 기관 혁신과제로 실행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55","atchfileNm":"(보도자료)_TIPA,_대국민_혁신아이디어_공모전_개최..최종_5개_과제_선정(배포)(★).pdf","viewCnt":"2200","regDate":"2021-07-30 17:13:43"},{"contentId":"131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소부장 분야 中企 기술개발 전 주기 지원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73","contentsKor":"TIPA, 소부장 분야 中企 기술개발 전 주기 지원 나서 TIPA-KAIST-KETI,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 촉진 위한 운영기관 협약 체결 (7.27)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7월 27일(화) 오전 10시 20분부터 TIPA 세종 본원에서 2021년도 ‘소·부·장 전략협력 R&D’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하 ‘KETI’)과 함께 ‘소재·부품·장비분야 기술개발 전주기 지원의 상호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소·부·장 전략협력 R&D’는 소부장 분야의 기술‧인프라‧인력을 보유한 대학‧연구기관을 운영기관으로 선정(플랫폼화)하여, 소부장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수요에 맞는 맞춤형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올해 신규 도입해 시범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KAIST와 KETI는 운영기관으로서 시장에 필요한 기술을 직접 발굴하여 기술제안요청서(RFP)를 기획하고, 소부장 분야 중소벤처기업과 공동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등 R&D 민간 플랫폼으로써 기술개발 수요에 따라 기업별 맞춤형 지원을 수행할 예정이다. 본 지원사업이 기존의 산학연협력 R&D지원사업과 차별화되는 점은 플랫폼으로 선정된 운영기관(대학·출연연)을 중심으로 자율과 책임성을 최대한 부여하는 ‘민간주도적 사업’이라는 점이다. 또한, 기술개발과정에서 현장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해 시장 수요기술을 발굴(Bottom→Up)하고, 중소벤처기업이 인적ㆍ물적ㆍ지적 인프라*등 대학ㆍ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개발 인프라를 자유롭게 활용하고, 공동으로 협력하는 환경이 조성되어 시너지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인적 인프라) 기술전문가, 협력 전문인력 등 / (물적 인프라) 연구시설, 연구장비, 연구공간, 특허 등 / (지적 인프라) 지식재산권, 교육과정 등 인력양성 Track 등 TIPA 이재홍 원장은 “금일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개발 인프라를 중소·벤처기업이 자유롭게 활용하고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앞으로 좋은 시너지가 기대된다“라며,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세계적인 소·부·장 기술력을 확보하고 자립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26","atchfileNm":"(보도자료)_TIPA,_소부장_분야_中企_기술개발_전_주기_지원_나서(배포)(★).pdf","viewCnt":"2155","regDate":"2021-07-27 20:00:34"},{"contentId":"131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고강도 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72","contentsKor":"TIPA, ‵윤리경영′고강도 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 청렴서한 발송 등 청렴자율 실천과제 41개 선도적으로 발굴해 연내 추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사적 차원의 ‘청렴자율 실천과제’를 발굴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상반기까지 ‘청렴자율 실천과제’로 4개 분야* 41개 과제가 발굴됐으며, TIPA 전체 부서가 참여해 연내 1개 이상의 실천과제를 전담하게 된다.* ① 청렴교육(23건), ② 정보공개(6건), ③ 제도개선(2건), ④ 기타 활동(10건) 대표적으로 △부패방지를 위한 TIPA 익명신고시스템 운영・홍보, △채용 과정에서의 투명성・신뢰성 제고를 위한 채용 현황정보 공개, △임직원 출장 관련 제도 개선을 통한 가이드라인 마련 및 출장비 과다수령 방지, △선정평가 공정성 제고 등이 실천과제로 발굴됐다. 한편, TIPA는 지난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으로는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지난 해 12월에는 동 인증 갱신을 승인받는 등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올해 청렴자율 실천과제 추진을 통해, 취약분야 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정부패가 발생할 수 있는 제도나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24","atchfileNm":"(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고강도_실천_프로그램_전사적_가동(배포).hwp","viewCnt":"1959","regDate":"2021-07-27 19:58:52"},{"contentId":"131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국판뉴딜′이끌 27개 창업기업 발굴...2년간 10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68","contentsKor":"TIPA, ‵한국판뉴딜′이끌 27개 창업기업 발굴...2년간 100억원 지원 그린뉴딜 분야(8社, 29억원), 디지털뉴딜 분야(19社, 71억원) 지원 나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7월 14일(수) 한국판 뉴딜 분야 혁신역량이 우수한 기술창업기업 27개社를 발굴하고, 지원에 나선다.’21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전략형“ 과제모집을 통해 발굴된 동 27개社는 최대 2년간 총 100억원 규모*의 R&D 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그린뉴딜 분야 : 8社, 29억원 / 디지털뉴딜 분야 : 19社, 71억원* 기업당 지원규모는 최대 2년간 최대 4억원 이내 (연 최대 2억원 이내) TIPA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에 대응해, 지난 해부터 기술 기반의 창업기업이 ‘녹색기술분야 혁신’과 ‘디지털 新제품·서비스 창출’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동 사업을 신설해 지원하고 있다. 특히, 그린뉴딜 분야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화두인 탄소중립과 같은 환경문제를 대응하는 데 밑거름이 될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소재, △자원순환 등 녹색산업 분야를 영위하는 기업이 주로 선정됐다. 현재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경우, △옥외조망이 가능하도록 투과율조정이 가능한 창호형 투명 태양광 모듈 기술개발, △친환경 자원순환용 지능형 플라스틱선별 로봇시스템 개발, △전자제어식 분산형 에어튜브 구조를 갖는 Bladeless 소형 풍력발전기 등의 R&D 과제가 진행 중이다. 친환경 소재 및 자원순환 분야의 경우, △친환경 자원순환용 지능형 플라스틱선별 로봇시스템 개발, △알루미늄파우치포장재를 신재생에너지 용도로 오일화하는 기술 개발, △폐지를 재활용하여 입체무늬가 있는 자원순환형 종이 직물벽지 개발, △굴패각 생분해성 소재 기반 인조패각 조성물 및 채묘연 자동조립장치 개발 등의 R&D 과제가 진행 중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친환경·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녹색기반을 마련하는데 그린뉴딜 유망기업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번에 선정된 기술창업기업이 그린 분야 글로벌 기후대응을 선도하는 핵심 주체가 되도록 적극 지원에 나설 것이며, 하반기에도 그린뉴딜 분야 유망기업 추가 모집을 통해 기술개발 지원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동 사업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 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 통합콜센터 (국번없이 1357) 또는 TIPA 창업성장사업실을 통해 문의가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14","atchfileNm":"(보도자료)_TIPA,_한국판뉴딜_이끌_27개_창업기업_발굴...2년간_100억원_지원(배포).pdf","viewCnt":"2697","regDate":"2021-07-23 10:47:42"},{"contentId":"131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수출유망中企′역량강화 지원 나선다...내달 17일까지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65","contentsKor":"TIPA, ‵수출유망中企′역량강화 지원 나선다...내달 17일까지 모집 무보와 협력해 R&D 수행기업 대상 ‘2021년 수출지원프로그램’ 공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R&D 수행기업의 수출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21년도 수출지원프로그램 공고‘를 7월 20일(화) 시행하고, 7월 29일(목)부터 8월 17일(화)까지 참가기업 모집에 나선다. 동 프로그램은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나 글로벌 역량이 부족한 수출 유망기업을 발굴·지원하여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됐다. 특히, 선정된 기업은 해외 수출 시에 발생될 수 있는 △수출대금 미회수 위험, △수출이행자금 부족 문제, △바이어 신용도 검증 어려움 등 개별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지원받을 수 있다. 지난 해 동 프로그램을 통해, 169개사를 발굴해 ①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 (단체보험 가입, 보험료 할인), ② 신용조사 지원(해외수입자 신용조사 보고서 지원), ③ 수출컨설팅 ④ 수출이행자금 및 수출대금 조기 현금화를 위한 보증지원 등 다양한 방식의 수출지원이 진행됐다. 올해는 지원규모를 확대해 총 200개사 내외의 기업 지원을 계획하고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현재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수행중이거나, 2016년 1월 1일 이후 R&D “성공”판정을 받은 기업으로 향후 1년 내 수출계획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프로그램에 선정된 기업은 한국무역보험공사(무보)와 협력하여 △수출에 따른 대금미회수 위험 경감을 위한 단체보험, △수출초보기업을 위한 1:1 수출컨설팅, △해외기업 신용조사에 대한 보고서 제공 등 다양한 세부지원 프로그램을 기업 맞춤형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단, 수출실적 보유 여부 등에 따라 기업별 지원내용이 결정되며, 보험·보증 심사 과정에서 결격 사유 발견 시 지원이 제한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R&D 수행기업이 수출을 시작할 때 정보와 전문성 부족으로 어려운 상황을 겪지만, 동 프로그램 지원으로 수출 역량 제고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참가신청은 8월 17일(화) 18시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 누리집(www.smtech.go.kr)의 모집 공고문을 통해 볼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1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수출유망中企_역량강화_지원_나선다...내달_17일까지_모집(배포).hwp","viewCnt":"2424","regDate":"2021-07-20 20:57:32"},{"contentId":"131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우수 R&D 수행기업 투자유치 역량강화 프로그램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62","contentsKor":"TIPA, 우수 R&D 수행기업 투자유치 역량강화 프로그램 공고 TIPA ValueUP 프로그램(7기)을 통해 투자유망 중소벤처기업 발굴ㆍ육성  □ 7월 30일(금)까지 ‘21년 2차 참가 중소기업 모집, 40개사 내외 선정 예정 □ ESG 경영 문화 확산을 위해 친환경 분야 중소벤처기업 우대 선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인 “TIPA ValueUP” 프로그램의 ‘21년도 2차 참가기업을 이번달 13일부터 30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ㅇ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들이 개발한 우수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지원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난 ’18년도부터 운영 중에 있으며, ㅇ 중소벤처기업이 동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는 TIPA ValueUP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운영한다. □ TIPA는 R&D 수행기업의 투자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부터는 매년 100개사 내외 투자유망기업을 발굴·육성하고 있으며, 현재 약 160여개 기업이 TIPA ValueUP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ㅇ 또한, ‘21년 6월까지 34개 기업이 3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R&D 수행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 ‘21년도 2차 TIPA ValueUP 프로그램(7기)은 40개사 내외의 투자유망 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며, 특히 현재 글로벌 경영 화두인 ESG 경영 문화 확산을 위해 친환경 분야 중소벤처기업을 우대하여 선발한다.ㅇ 선발된 기업은 개별기업 현황분석을 위한 진단컨설팅과 IR자료의 고도화를 위한 1:1 VC 투자컨설팅 등의 교육과 함께 매월 진행되는 분야별 투자유치 설명회 등의 프로그램을 지원받게 된다.ㅇ 더불어 TIPA ValueUP 프로그램 선발기업은 추천을 통해 민간은행 자금을 통한 투자유치 기회와 TIPA-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모태펀드연계 투자설명회 등의 참가기회도 부여받을 수 있게 된다. □ TIPA ValueUP 6기 참가기업인 ㈜큐프럼 서종현 대표는 “TIPA ValueUP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IR자료 를 보다 고도화 할 수 있었고, 참여기업 간 네트워킹을 통해 혁신적인 아이템의 발굴과정과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어 투자유치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TIPA ValueUP프로그램을 통해 좋은 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라며 “보다 실질적인 투자유치 지원을 위해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발굴하여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성장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참가 신청은 7월 30일(금) 18시 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0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우수_RD_수행기업_투자유치_역량강화_프로그램_공고(배포).pdf","viewCnt":"2623","regDate":"2021-07-16 17:58:43"},{"contentId":"131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中企 R&D 연계 특허전략 수립 지원에 박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61","contentsKor":"TIPA, 中企 R&D 연계 특허전략 수립 지원에 박차 TIPA-KISTA와 공동으로 R&D연계 IP 전략수립 수행기관 간담회 개최(7.8)  □ R&D연계 IP 전략수립 연계지원 성과 공유, 수행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 추진 등 IP-R&D연계 정책 지원 제도 개선방안 논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특허전략개발원(원장 김태만, 이하 KISTA)은 지난 7월 8일(목) 오후 3시부터 콘래드 서울(여의도 소재)에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R&D 연계 ‶지식재산(IP) 전략수립 지원 사업”에 참여한 4개社와 공동으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TIPA는 `20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수출지향형ㆍ시장확대형ㆍ시장대응형)에 선정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특허환경 분석, △IP 포트폴리오 수립, △IP 확보방안 수립 등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최적의 R&D 방향 제시, △특허확보 및 회피전략 등 R&D 정교화를 통한 기술적 성과창출 강화를 위해, 동 사업을 ‘전주기IP형’과 ‘IP패키지형’으로 구분하고, 연계되는 R&D 사업 또한 확대(3개→6개*)해 지원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동 사업의 그간 운영 성과와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기업이 요구하는 현장의 목소리를 심도 깊이 청취하여 향후 사업계획 수립 시, 이를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가한 기업 관계자들은 ‘글로벌 경쟁 기업들의 특허 공세가 점점 거세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동 사업은 IP(지적재산권) 개념이 부족한 중소벤처기업에게 매우 유효한 지원 정책이며, 추가적인 사업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지원기간이 2~3개월 내외로 짧은 점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라며 향후 제도 개선을 건의하였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이 핵심·원천 특허를 선점할 수 있도록 R&D연계를 통한 IP 전략수립을 지원해 강한 특허로 무장한 글로벌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라며, “이를 통해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도록 기업의 니즈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맞춤 프로그램 운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국특허전략개발원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방면으로 연계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07","atchfileNm":"(보도자료)_TIPA,_中企_RD_연계_특허전략_수립_지원에_박차(배포).hwp","viewCnt":"2269","regDate":"2021-07-16 17:55:39"},{"contentId":"131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하반기(2차) 신청·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35","contentsKor":"TIPA,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하반기(2차) 신청·접수 공공부문 수의계약 자격부여로 공공조달 마중물 역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R&D 혁신제품에 대한 공공판로 지원을 위해 지난 7월 8일(목)부터 8월 9일(월)까지 ‘2021년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이하 혁신제품) 하반기(2차) 모집’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동 제도는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 중 기술혁신성과 공공성이 우수한 제품을 혁신제품으로 지정하여 공공부문과 수의계약을 지원함으로써 초기 공공시장 진입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TIPA는 지난 ‘20년부터 동 제도를 통해 상·하반기 연 2회에 걸쳐 혁신제품을 지속 발굴하고 있으며, ‘21년 6월, 상반기(1차) 운영을 통해 64개의 혁신제품을 신규 지정하여 현재까지 총 159개의 혁신제품 지정을 완료하였다. 지정사례로는 ㈜에이피소프트의 시각장애인에게 편리하게 홈페이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점자 생성 솔루션’, 주식회사 유핏의 스마트 펜과 종이를 이용하여 스마트 스쿨 및 오피스 구축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습장치’가 있다. 이외에도 국민편의 증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혁신성과 사회적 필요성이 우수한 혁신제품들이 지정된 바 있다. 한편, TIPA는 하반기(2차) 혁신제품 발굴을 위해 오는 8월 중, 신청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의 혁신성, 시장성, 사회적 필요성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12월까지 지원대상을 최종 선별할 예정이다.* 신청접수(7.8~8.9) → 기술혁신성 평가(8월) → 조달적합성 검토 및 심의예정공고 (9~10월) → 종합심사(11월) → 혁신제품 최종지정(11~12월) 신청자격은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최근 5년 내 완료(성공)하고 그 기술을 사업화한 제품을 대상으로 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아울러, 혁신제품 지정 이후에는 혁신장터(ppi.g2b.go.kr) 물품등록을 통해 수의계약이 가능하며, 공공부문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정제도 및 혁신제품의 소개자료를 배포하여 공공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홍보할 계획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동 제도가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였음에도 초기 시장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에게 공공조달의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양질의 혁신제품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중소벤처기업의 공공시장 진입 지원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77","atchfileNm":"(보도자료)_TIPA,_우수연구개발_혁신제품_하반기(2차)_신청_접수(배포).pdf","viewCnt":"2148","regDate":"2021-07-13 17:50:10"},{"contentId":"131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수행 우수 中企 발굴...3년간 최대 1,300억원 규모 투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27","contentsKor":"TIPA, R&D 수행 우수 中企 발굴...3년간 최대 1,300억원 규모 투자 지원 R&D 자금예치 전담기관 기업은행ㆍ하나은행과 협력해 투자자금 최초 조성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기 R&D 자금을 전담하여 예치하는 전담은행인 기업은행, 하나은행과 협력하여 중소 기업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 TIPA는 R&D 수행기업의 사업화지원을 위해 저리 융자지원, 수출 및 판로, 기술인재 채용 등 다양한 사업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사업화를 위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초기 중소벤처기 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했다. ○ 올해부터 TIPA는 R&D 기반 중소벤처기업의 자금조달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투자활성화를 핵심정책으로 설정하고, ○ 우수한 기술력과 혁신적인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안정적이지 못한 재무상태로 인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은행, 하나은행과 협력하여 향후 3년간 R&D 수행기업 대상 투자자금 1,300억원을 마련했다. □ TIPA와 기업은행, 하나은행은 올해부터 성장가능성이 높은 투자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하고 투자자금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투자를 희망하는 R&D 수행기업을 발굴·선별하여 투자설명회(IR)로 연계한다. ○ 이를 위해 각 기관 실무진으로 구성된 투자자금운영협의회를 구성· 운영하여 투자지원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 지난 5월 1차 투자설명회를 시작으로 중기R&D를 수행한 투자유망 기업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투자설명회를 추진하여 7월 중순에 2차 투자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 투자설명회를 통해 발굴된 투자유망기업은 민간은행의 별도 투자 심사를 거쳐 투자자금을 지원받아 R&D를 통해 개발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 자금으로 활용하게 된다. □ 1차 투자설명회에 참여한 ㈜웰스케어 이성원 대표이사는 “자사와 같은 스타트업은 기업의 성장가능성과 비즈니스 모델의 우수성을 벤처투자를 통해 나타낼 수 있기를 원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 에서 민간은행을 통한 투자유치 기회는 스타트업의 성장에 많은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기업은행, 하나은행의 도움으로 R&D를 수 행한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자금 조달을 위한 투자자금을 직접적 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중소벤처기업의 신산업 창출을 통한 성장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사업화를 위한 지 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59","atchfileNm":"(보도자료)_TIPA,_RD_수행_中企_발굴...3년간_최대_1,300억원_규모_투자_지원.pdf","viewCnt":"2478","regDate":"2021-07-09 18:24:49"},{"contentId":"131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 소부장 분야 51개 창업기업 선정, 2년간 189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26","contentsKor":"TIPA , 소부장 분야 51개 창업기업 선정, 2년간 189억원 지원 ‘21년 창업성장R&D(전략형 소부장 과제) 선정 (기업당 평균 3.7억원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립화, 미래 신산업 지원을 위해 7월 7일(수) 51개 창업기업이 기술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ㅇ 이번에 선정된 51개사는 최대 2년간의 협약기간동안 총 189억원을 지원받아 기술개발을 진행한다.ㅇ 또한, 하반기 접수된 창업기업 중 25개사를 선정하여 기술개발자금을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중 소재·부품·장비 분야를 전략적으로 지원 하는 전략형(소부장) 사업은 창업 7년이 지나지 아니하고 직전년도 매출 20억원 미만인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중소벤처기업부 대표 사업으로, 전년대비 2배 이상 지원규모를 확대하여 ’21년 총 285억 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ㅇ 지원분야는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통해 도출된 기계·금속 등 9개 전략분야의 99개 품목으로, 상반기 8개 전략분야의 40개 품목에서 51개 과제가 최종선정 되었다. □ 기술 분야별로 전기·전자 23.6%(12개), 기계·금속 19.6%(10개), 기초화학 17.7%(9개), 반도체 9.8%(5개), 환경 7.8%(4개), 자동차 7.8%(4개), 디스플레이 7.8%(4개), 바이오 5.9%(3개) 순으로 선정되었으며, 전기·전자, 기계·금속, 기초화학 분야에 우수한 과제가 많이 선정되었다. □ 선정된 과제 중, 전기·전자분야에선 6W/mK급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실리콘 기반 방열 갭필러 개발과제는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시장성을 고려할 때 사업화 성공률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ㅇ 기계·금속분야 선정과제 중, 스마트 수압기반 전기-액압 액추에이터 EHA개발과제는 정교함과 정밀성을 요하는 액추에이터 시장에서 내구성과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성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ㅇ 기초화학분야 선정과제 중, 탄소섬유 토우프리프레그 적용을 위한 고내열(Tg 150℃), 고강도(인장강도 60MPa) 에폭시 수지 시스템 개발과제는 기존 섬유기술의 해외의존도를 낮추고 시장경쟁력을 높이는 기술 중의 하나로 전망된다. □ TIPA에서 ’20년도 지원한 117개 창업기업에 대해 자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20년도부터 ’21년도 5월말까지 관련 매출 18억원, 투자 48억, 고용 132명, 특허출원 54건이 발생하였다고 밝히며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기술지원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리스크는 크지만 신시장 창출 및 고성장이 기대되는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기술개발(R&D) 지원을 창업기업에도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며 창업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1357) 또는 TIPA 창업성장사업실을 통해 안내가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57","atchfileNm":"(보도자료)_TIPA,_소부장_분야_51개_창업기업_선정...2년간_189억원_지원(배포).pdf","viewCnt":"2269","regDate":"2021-07-09 18:22:40"},{"contentId":"131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위기술 전략품목 기술개발, 기업당 최대 6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25","contentsKor":"중위기술 전략품목 기술개발, 기업당 최대 6억원 지원 □ 제조중소기업 글로벌 역량강화(R&D) 하반기 품목지정 과제(2년간 최대 6억, 총 15개 과제)에 참여할 중소기업 모집 (접수 : 7.19(월) ~ 8.2(월))□ 중위기술 업종 제조중소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진입을 위한 주력제품 고도화 및 신제품 개발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7월 2일(금) ‘2021년 제조중소기업 글로벌 역량강화(R&D)사업’ 하반기 품목지정 과제의 시행 계획을 공고하고, 오는 7월 19일(월)부터 8월 2일(월)까지 모집에 나선다. 동 사업은 최근 코로나-19로 글로벌 공급라인(Supply chain)이 급변하고 중위기술 분야 기술경쟁이 가속화 되는 가운데 국내 제조 중소기업의 주력제품 고도화 및 신제품 개발을 위해 2021년 신설된 사업으로, 중위기술 전략품목 기술개발, 기업당 최대 6억원 지원 중위기술 업종*의 중소기업이 자유롭게 기획한 관련분야 과제를 지원하는 “자유공모 과제(상반기, 20개 내외)”와, 전문적 분석을 통해 발굴된 전략품목을 중점 지원하는 “품목지정 과제(하반기, 15개 내외)”로 구분 하여 운영된다. 중위기술 분야 업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이 자유롭게 과제를 기획하여 참여할 수 있는 ’자유공모 과제‘는 지원목표 19개 과제 대비 101개 중소기업이 지원하여 5.32:1의 경쟁률을 보이며, 중위기술 관련 제조중소기업들의 각별한 관심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번에 모집하는 ‘품목지정 과제*’도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중위기술 업종 생산품목의 전업률**이 50%이상인 기업은 규모나 업력에 관계없이 지원 가능하나, 전략품목(106개) 관련 기술개발에 대해서만 지원한다는 점이 다르다. 전략품목의 지원은 중위기술 분야 품목(HSK기준) 가운데, 수입의존도가 높거나 GVC(글로벌벨류체인) 경쟁력이 저조한 중위기술 위기 품목을 제시하고, 전략적 R&D 추진을 통한 글로별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제는 더 이상 과거의 제조업 체제에 머물지 않는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며, 중위기술 전용R&D인 제조중소기업 글로벌 역량강화사업을 통해 한국경제의 근간인 중소기업이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희망 한다“고 밝혔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www.mss.go.kr) 및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7.19(월)부터 8.2(월) 18시까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로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55","atchfileNm":"(보도자료)_중위기술_전략품목_기술개발,_기업당_최대_6억원_지원(배포).pdf","viewCnt":"2053","regDate":"2021-07-09 18:20:16"},{"contentId":"131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 현장 소통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20","contentsKor":"TIPA,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 현장 소통 나서  금융사기 탐지 AI 솔루션, 스마트스쿨 구축 장치 등 AI분야 혁신기업 방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올해 6월초 신규로 혁신 제품으로 지정된 기업의 현장을 방문하여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원활한 공공판로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TIPA는 지난 2월 혁신제품 모집을 시작으로 접수된 178개 제품에 대해 기술혁신성 및 공공성 평가, 조달적합성 검토 등을 추진하여 6월 초 중기부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64개 제품이 지정된 바 있다. 이번에 현장방문한 기업은 스마트 스쿨 구축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습 장치를 개발한 주식회사 유핏, 딥러닝 모형 및 룰과 AI 기술을 접목한 금융사기 관련 이상징후 탐지 솔루션을 개발한 인피니그루 등 2개 기업으로 연구·생산현장을 둘러보고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그간 중소기업은 우수기술 기반 혁신제품을 개발하여도, 공공기관이 시장에서 이미 검증된 제품 위주로 구매하여 초기시장 창출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나,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중기부등 정부에서 마련한 제도로, 지정된 혁신제품에 대해서는 수의계약 허용, 일정 금액이상 물품구매시 공공기관 가점 적용 등으로 공공기관에 대한 초기판로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제도이다. 중기부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은 ‘20년~’21년 상반기까지 총 159개 제품이 지정되어, 올해 5월말 기준 48개 제품이 공공조달 진입에 성공하여 약 316억원의 공공매출 성과가 발생하는 등 정책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현장방문 기업 중 주식회사 유핏 안동철 대표는 “종이와 펜만으로 60명의 학생들과 교사가 실시간 쌍방향으로 수업할 수 있는 멀티미티어 학습 장치를 만들었으나, 조달등록 과정에서 기존에 없던 제품군의 신규 등록으로 인하여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며 “이번 혁신제품 지정을 통해서 공공시장에 남품이 가능함으로써, 그동안 구매를 기다리셨던 학교에 마음껏 공급할 수 있어서 기업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피니그루 유경식 대표는 “딥러닝 모형 및 룰과 AI기술을 접목하여 이상징후 탐지 솔루션을 개발한 스타트업 회사로써 그동안은 제품 및 서비스 연구개발 중심이었지만 혁신제품 지정을 계기로 판로개척 및 영업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해외수출에도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 R&D 지원을 통해 개발된 혁신제품이 국내·외 민간시장 진출에 어려움이 많았지만 혁신제품 지정제도를 통해 공공기관의 초기 구매시장 마중물 역할이 기대된다.”며 “혁신제품의 공공기관 구매확대를 적극 지원하고 지속적인 간담회, 현장방문 등을 통해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4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우수연구개발_혁신제품_지정기업_현장_소통_나서(배포).pdf","viewCnt":"2288","regDate":"2021-07-05 21:21:48"},{"contentId":"131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중심의 방역물품 기기 R&D 지원 이어간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19","contentsKor":"중소기업 중심의 방역물품 기기 R&D 지원 이어간다 2021년 현장수요맞춤형 방역물품기술개발사업 하반기 사업 공고  □ 현장수요맞춤형 방역물품기술개발사업(36억원, 26개 과제) 하반기 과제에 참여할 중소기업 모집 (접수기간 : 7.14(수) ~ 8.2(월)) □ 중소기업 중심의 방역물품‧기기 R&D를 통해 대한민국 K-방역 성과 확산 및 중소기업의 방역물품 및 기기 기술혁신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021년 현장수요맞춤형방역물품기술개발사업 하반기 지원 과제 모집을 위해, 6월 30일(수) 사업공고를 시행하고, 오는 7월 14일(수)부터 8월 2일(월)까지 모집에 나선다. 본 사업은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을 대비하기 위해 ‘감염병 대응 현장의 애로사항을 중소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로 해결하는 방역물품 및 기기 기술개발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방역물품·기기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제고와 K-방역 성과의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021년 현장수요맞춤형방역물품기술개발사업 하반기 지원 과제 모집을 위해, 6월 30일(수) 사업 공고를 시행하고, 오는 7월 14일(수)부터 8월 2일(월)까지 모집에 나선다. 본 사업은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을 대비하기 위해 ‘감염병 대응 현장의 애로사항을 중소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로 해결하는 방역물품 및 기기 기술개발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방역물품·기기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제고와 K-방역 성과의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며, “방역물품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우수한 중소기업의 방역물품이 K-방역체계 중심 역할뿐만 아니라, 글로벌 방역체계의 중심이 되도록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인 TIPA가 든든한 지원군이 되겠다”고 밝혔다.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7월 14일(수)부터 8월 2일(월)까지 신청·접수가 가능하며, 6월 30일(수)부터 관련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로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47","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중심의_방역물품기기_RD_지원_이어간다(배포).pdf","viewCnt":"1963","regDate":"2021-07-05 21:19:45"},{"contentId":"131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출범 2주년, "제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앞장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18","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출범 2주년, "제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앞장선다" 2만개 스마트공장 구축 발판으로 데이터·AI 기반 고도화 사업 집중 추진  “2만개 이상의 국내 제조기업이 참여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바탕으로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고도화 사업을 성공리에 추진해 제조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앞장서겠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박한구 단장, 이하 추진단 KOSMO)은 2일 출범 2주년을 맞아 그 간의 성과와 향후 전략에 대해 밝혔다. 추진단은 지난 19년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으로 공식 출범한 이후 국내 스마트공장 저변을 크게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추진단은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해까지 총 19,799개의 보급을 진행한바 있다. 이는 지난해 누적 목표 건수(17,880개)를 훌쩍 넘어서는 숫자다.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했던 이유는 주변 기업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목격하면서 ‘스마트공장 효과’를 체감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최근 5년간(‘14~’18년)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7903개 기업의 변화를 수치로 살펴보면 평균적으로 생산성 28.5% 증가, 품질 42.5% 향상, 원가 15.5% 절감, 납기 준수율 16.4% 향상 등의 성과를 보였다. 게다가 스마트공장에서 산업재해율이 감소(6.2%↓)하고 고용은 증가(2.6명↑)했다는 사실을 주목할 만하다. 이는 중소 제조기업 취업을 꺼리는 요인 중 하나인 기존 단순·반복 작업이 디지털로 전환되며 긍정적인 근로 문화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저변 확대를 넘어서 스마트공장 고도화율도 높아지고 있다. 추진단에 따르면 누적 고도화율 역시 지난해 22.1%까지 올라 산업 전반에서 스마트공장 도입의 보편화 및 활성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올해 사업 평균 경쟁률을 살펴봤을 때, 고도화2 사업의 평균 경쟁률이 4.88:1(K-스마트등대공장 포함)로 구축수준이 높을수록 경쟁률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제조기업 뿐 아니라 공급기업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도 돋보인다. 지난해 11월 추진단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선정되면서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으로 4,341억원을 확보했다. 공급기술 고도화 촉진을 위한 제조혁신 전용 R&D예산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추진단은 이와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특징을 가진 고도화 기 업을 발굴, 지원해 선도 사례를 확산할 방침이다. 특히 중기부와 함께 진행 중인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 과 ▲디지털 클러스터** ▲K-스마트등대공장***을 중점 사업으로 지정, 제조업이 사물인터넷(IoT)과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지난 2년여를 돌아봤을 때 수치로 드러난 성과도 있지만, 무엇보다 스마트공장에 대한 제조업계의 인식이 달라진 점을 가장 기쁘게 생각한다”며 “제조업계의 현장 목소리를 담아 실효성 높은 중장기 계획으로 보답하겠다.”고 강조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45","atchfileNm":"(보도자료)_KOSMO_출범_2주년,_제조업_디지털_트랜스포메이션_앞장선다(배포).pdf","viewCnt":"1977","regDate":"2021-07-05 21:16:59"},{"contentId":"131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신재생에너지 혁신제품 기업 애로해결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11","contentsKor":"TIPA, 신재생에너지 혁신제품 기업 애로해결 나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5개) 간담회 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신재생에너지 혁신제품 지정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간담회를 30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중기부 및 TIPA가 개최한 “에너지 공공기관 – 혁신제품 매칭데이”에 참여하는 중소기업 중 에너지 관련 혁신제품을 개발한 기업과 함께 하였다. 최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P4G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는 등 친환경 및 탈탄소 등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R&D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에너지 혁신제품이 공공기관에 활발하게 적용되어 공공기관이 선도적으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도록 공공판로 확대 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였다. 혁신제품 지정절차 및 일정지연 등의 애로사항 뿐아니라 향후 공공기관과 혁신제품 기업의 접점을 확대하여 공공조달에 진입하는 방안 등 이 활발하게 토론하는 자리가 되었다.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지능형 태양광발전장치 개발업체 이에스테크주식회사 김희문 대표는 “올해 6월초 혁신제품 지정이 확정되어 향후 공공기관의 판로 확대가 기대된다”며 “이번 매칭데이와 같이 공공기관이 혁신제품에 관심을 가질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TIPA의 역할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ESG, 그린뉴딜, 탄소중립 등 에너지·환경에 대한 공공현안의 적극적인 해결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며 “에너지 공공기관의 능동적인 혁신제품 도입을 통해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34","atchfileNm":"(보도자료)_에너지_공공기관_혁신제품_매칭데이_간담회.pdf","viewCnt":"1987","regDate":"2021-07-01 19:44:39"},{"contentId":"130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中企 R&D 초기단계 ‵인증․시험․성능분석′지원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90","contentsKor":"TIPA, 中企 R&D 초기단계 ‵인증․시험․성능분석′지원 나서 TIPA-KTL간 협업을 통해 5개월간 20개사 대상 中企R&D 인증연계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원장 김세종, 이하 KTL)과 ‵중소기업 R&D 수행기업 인증연계프로그램′을 가동해 20개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화 지원에 나섰다. 동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이 제품개발 과정에서 기술규제 및 인증 등의 인허가 사항을 고려하지 못해 기술개발 완료 이후에도 신제품의 시장 출시가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됐다. TIPA는 지난 해 6월 KTL과 ‘중소기업의 R&D 초기부터 기술규제 해결 및 인증지원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지난 해 말부터 약 5개월간 20개 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매칭해 신제품 출시를 위해 필수사항인 △국내․외 인증획득 컨설팅, △시험․분석․성능평가, △신기술․신제품 인증 프로세스 개발 지원 등을 R&D 시작 단계부터 컨설팅해주는 동 프로그램을 기획해 지원해왔다. 그 결과, 국내 인증획득 컨설팅 14개 제품, 해외 인증획득 컨설팅 2개 제품, 시험분석 프로세스 개발 16개 제품 등을 지원하는 성과를 냈다. KTL이 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인증에 관한 이해도 수준을 조사ㆍ분석한 결과, 동 프로그램 운영 이전과 대비해 ‘인증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는 수준은 25% 상승’했고, ‘인증에 대해 일부 인지하는 수준은 4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식회사 모아기술 장예지 대표는 “입자성 미세먼지 촉매 결합 방식의 하이브리드 싸이클론 집진 시스템 개발을 하였으나, 인증에 대한 전문가 부재로 성능평가에 어려움을 겪다가이번 인증연계 프로그램을 알게됐다“라며, “개발 제품의 사업화를 위해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성능 시험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받을 수 있어 좋았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에너파이브 김은태 대표는 “그간 홈 IoT 기반 전력 원격제어용 스마트 분전반 시스템을 개발하여 인증을 준비했으나 개발 제품이 융복합 기술 및 새로운 규격 등에 대한 인증 절차가 없어 시험설비, 측정방법, 데이터 분석 등과 같은 자체적인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라며, “동 프로그램을 통해 모의시험, 전자파 인증 등 필요한 인증 준비를 함께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이 초기 개발단계부터 인증의 중요성을 알고, 미리 준비한다면 사업화 준비에 큰 힘이 될 것” 이라면서, “앞으로도 중소기업이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한 층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 마련을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TIPA는 올해에도 계속해서 동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이어나갈 계획이며, 자세한 사항은 추후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 누리집(www.smtech.go.kr)을 통해 참가기업을 모집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07","atchfileNm":"(보도자료)_TIPA,_中企_RD_초기단계_‵인증․시험․성능분석′_지원_나서.hwp","viewCnt":"2353","regDate":"2021-06-25 17:57:17"},{"contentId":"130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1 참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85","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1 참여 - AI·데이터 기반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 집중 소개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 KOSMO)은 23일(수)부터 25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1’에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스마트제조혁신관을 운영하는 추진단은 중소·중견 기업 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적극 지원해온 사례를 바탕으로 스마트제조 1.0의 성과를 알림과 동시에 우수 구축 기업을 소개하고, AI·데이터 기반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을 안내할 계획이다. 특히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제조기업의 고도화 및 업종 별 선도적인 스마트공장을 발굴, 확산하기 위해 진행 중인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 과 ▲디지털클러스터** ▲K-스마트등대공장*** 지원사업을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추진단은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해까지 총 19,799개의 보급을 진행하며 기업의 제조혁신 저변을 크게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지난해 누적 목표 건수(17,880개)를 넘어서는 숫자다. 저변 확대를 넘어서 스마트공장 고도화율도 높아지고 있다. 추진단에 따르면 누적 고도화율 역시 지난해 22.1%까지 올라 산업 전반에서 스마트공장 도입의 보편화 및 활성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국내 제조산업에서 스마트제조가 보편화되고 이를 통해 생산성 증가를 넘어 신규 사업 진출 등 다양한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더욱 다양한 고도화 정책을 발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이번 행사는 스마트기술산업전, 지능정보 산업전, 디지털 유통 산업전, 비주얼 테크쇼로 구성해 미래 핵심 스마트 기술과 산업 트렌드를 소개할 예정이다. 온라인 사전 등록자는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199","atchfileNm":"(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테크_코리아_2021_참여.hwp","viewCnt":"2608","regDate":"2021-06-23 08:51:27"},{"contentId":"130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우수 국방기술을 활용한 中企 기술혁신 지원에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67","contentsKor":"TIPA, 우수 국방기술을 활용한 中企 기술혁신 지원에 나서 TIPA-ADD-기보-창진원, 중소벤처기업의 국방기술 활용 혁신성장 지원 MOU체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6월 15일(화), 대전 국방과학연구소(이하 ‘ADD’)에서 중소벤처기업부 권칠승 장관과 방위사업청 강은호 청장이 참여한 가운데 ADD,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 창업진흥원(이하 ‘창진원’) 4자간 ‘중소벤처기업의 국방기술 활용 혁신성장지원’의 상호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의 국방 관련 기술이전 및 기술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국방 분야 기술의 원천인 국방과학연구소, ▲중소기업 기술이전 플랫폼(Tech-Bridge) 운영기관인 기술보증기금, ▲창업 지원 전문기관인 창업진흥원이 협약 당사자로 참여하였다. 이번 협약을 통해, ▲TIPA는 ADD가 추천한 우수 과제를 대상으로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R&D) 가점 부여 및 ADD 우수 인력을 중소기업 R&D 사업 평가위원으로 참여, ▲ADD는 우수 국방기술의 민간 기술이전, 국방 R&BD 후속 지원 및 ADD 보유 기술을 활용한 창업지원, ▲기보는 온라인 기술거래 플랫폼인 Tech-Bridge에 ADD 보유 특허를 연계하여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전국 68개의 영업점을 통해 기술이전 수요 발굴, 기술거래중개 및 후속 R&D를 지원, ▲창진원은 ADD 창업경진대회 수상 기업을 부처 합동 창업경진대회(도전! K-스타트업) 본선으로 연계하고, ADD의 추천을 받은 국방 분야 전문가의창업 멘토링을 제공하기로 하였다. 동 행사에는 아이쓰리시스템(주) 정한 대표이사의 국방 관련 기술이전ㆍ사업화 성공사례 발표도 있었다. 아이쓰리시스템(주)는 국방과학연구소로부터 비냉각 적외선 검출 기술*등을 이전받아 적외선검출기, 열상 탐색기, 적외선 카메라 등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이다. 정한 대표는 、14년 이후 기술이전과 연계된 누적(、14년~、20년) 매출총액이 527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참여한 기관장들은 “국내 국방과학 기술은 세계 방산시장에서도 우수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는 만큼,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성장에도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입을 모았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금일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이 그동안 접근이 어려웠던 우수 국방기술을 손쉽게 살펴보고,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중소벤처기업이 국방기술을 활용한 R&D를 통해 성장해 나가는 데 적극 지원에 나서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16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우수_국방기술을_활용한_中企_기술혁신_지원에_나서(배포)(★).pdf","viewCnt":"2156","regDate":"2021-06-16 18:35:26"},{"contentId":"130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ESG 실행 과제 발굴해 실천에 옮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66","contentsKor":"TIPA, ESG 실행 과제 발굴해 실천에 옮겨 그린 오피스 만들기 캠페인 전개, 생활 ESG 실천으로 지속가능경영 강화 다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2021년을 ESG 경영 추진 원년으로 선포하고, 6월 10일 TIPA 본원에서 내부 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기 위한 ESG 실천 캠페인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TIPA ESG 실천 캠페인은 E(그린 오피스 캠페인), S(상호존중캠페인), G(청렴실천 추진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번 캠페인은 6월 환경의 달을 맞아 그린 오피스 캠페인으로 진행되었다. ○ 이번 캠페인은 일회용품 사용을 절감하고, 다회용품 사용 분위기를조성하고자, ‘일회용 컵 없는 커피차’ 콘셉트로 진행되었고, 이재홍 원장은 아침부터 직원들에게 직접 음료를 전달하며 다회용품 사용을 독려하였다.○ TIPA는 이 외에도 그린 오피스 캠페인을 위해 6가지 실행 과제를 발굴하였다. 해당 과제는 다회용품 사용하기, 미사용 전력 차단하기, 에코폰트 사용하기, 업무 추진 시 Less waste 실천하기 등이다. □ TIPA는 내부 친환경 경영 실천과 함께 환경위기와 기후변화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인 노력을 추진해왔다.○ 친환경 기술을 보유한 유망 그린벤처 지원 사업 신설을 통해 정부의 그린뉴딜정책 이행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했으며, 기후 위기에 대한 선제적 문제 인식으로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사업을 신설하여 20년도 71개의 미세먼지저감 R&D를 지원하였다. □ 이와 더불어 외부 이해관계자들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행 및 기관의 선제적인 ESG·지속가능경영 성과 확산을 위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차주 내 외부 공개를 앞두고 있다. □ 이재홍 원장은 오늘 행사를 마무리하며, “ESG·지속가능경영은 공공기관으로서 적극적으로 끌고 가야 할 가치”라면서, “직원들의 작은 실천과 기관이 보유한 역량을 충실히 활용하여 ESG 성과 창출에 노력할 것이며 나아가 중소기업의 ESG경영 실현을 위한 지원 방안에도 힘쓰겠다”며 소감을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167","atchfileNm":"(보도자료)_TIPA,_ESG_실행_과제_발굴해_실천에_옮겨(배포)(★).pdf","viewCnt":"2653","regDate":"2021-06-16 18:32:57"},{"contentId":"130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신임 비상임이사 공개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60","contentsKor":"TIPA, 신임 비상임이사 공개 모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최고의사 결정 기구인 이사회 비상임이사를 6월 11일부터 18일까지 공개 모집 한다고 밝혔다. ◦ 공공기관의 비상임이사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24조 에서 정한 임원으로서 경영목표, 예·결산, 내규 등 주요 경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한다. ◦ 또한, 비상임이사가 보유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기관 경영 뿐만 아니라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진흥 및 제조혁신을 위한 각종 지원사업에서도 자문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 TIPA는 “ESG 경영, 고객만족 경영 등을 통해 국민에게 신뢰받는 공공기관으로 이끌어 가실 많은 분들의 참여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 신청 방법, 지원서류 양식 등은 TIPA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15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신임_비상임이사_공개_모집(배포).pdf","viewCnt":"2392","regDate":"2021-06-14 19:24:08"},{"contentId":"130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中企 R&D 지원을 넘어 사업화 성공까지 지원 확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54","contentsKor":"TIPA, 中企 R&D 지원을 넘어 사업화 성공까지 지원 확대 TIPA-KVIC-KVCA,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 위한 MOU 체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벤처투자(대표이영민, 이하 KVIC), 한국벤처캐피탈협회(회장 지성배, 이하 KVCA)가 중소기업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6월 9일(수) TIPA 세종 본원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중소벤처기업은 우수한 기술력과 좋은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에 관한 정보부족과 자금조달의 어려움으로 인해 R&D 이후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간 TIPA는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지원을 위해 민간은행과 협력을 통한 융자지원, 수출 및 판로, 기술인재 채용 등 다양한 사업화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올해 사업화지원의 핵심정책은‘투자활성화’로 설정하여 1분기에  「R&D 수행기업 투자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고, 벤처투자에 전문성을 보유한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이번 업무협약을 추진하게 되었다. 디지털전환, ESG, 탄소저감 등 그린뉴딜 분야와 소재·부품·장비, 4차 산업혁명 등 연간 5,000여개사 이상 다양한 분야의 중소벤처기업 R&D를 지원하는 TIPA와 모태펀드를 운영하고 있는 KVIC, 우리나라 VC들을 대표하는 KVCA의 협력은 우수한 중소벤처기업이 투자유치를 통해 Scale-up하여 유니콘기업으로의 성장을 견인하는 가교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세 기관은 투자유망기업과 민간펀드에 대한 정보를 상호 활용하고, 투자시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의 투자 유치 관련 정보부족 해소와 함께 R&D기업의 벤처투자를 통한 사업화 성공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투자와 관련한 전문성을 보유한 KVIC, KVCA의 축적된 지원역량과 힘을 합친다면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중소벤처기업의 신산업 창출을 통한 성장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사업화를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140","atchfileNm":"(보도자료)_TIPA,_中企_RD_지원을_넘어_사업화_성공까지_지원_확대(배포).pdf","viewCnt":"2351","regDate":"2021-06-10 10:37:01"},{"contentId":"129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기업 대상 ‵R&D 사업계획서 코칭프로그램′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79","contentsKor":"창업기업 대상 ‵R&D 사업계획서 코칭프로그램′운영 창업성장R&D(‘21년 1차 첫걸음) 선정평가 탈락기업 대상 1:1코칭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초기 창업기업이 R&D 과제 기획 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사업계획서 작성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R&D 사업계획서 코칭프로그램’을 시범 도입한다. 지난 2월에 시작한 ’21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1차 첫걸음)의 경우 예상을 뛰어넘어 2,678개 기업이 신청하여 약 15:1이라는 목표 경쟁률을 기록, 많은 창업기업이 아쉽게 사업 참여에 제외되어 향후 여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참여 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동 프로 그램을 기획하게 되었다. ‘R&D사업계획서 코칭프로그램’이란, 창업기업에게 R&D기획 서비스를 제공하여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참여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 R&D 역량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TIPA가 주관하는 ‘21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1차 첫걸음) 기업 중 평가에서 탈락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모집하며, 이 중 무작위 추첨*을 통해 50개社를 지원한다.* 추진목적, 형평성, 신청수요 등을 고려하여 무작위 추천방식을 적용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060","atchfileNm":"(TIPA)_창업기업_대상_RD_사업계획서_코칭프로그램_운영(배포).pdf","viewCnt":"2586","regDate":"2021-06-03 10:53:43"},{"contentId":"129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독일 우수기술 도입 촉진을 위한 온라인 기술협력 세미나 및 매칭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78","contentsKor":"TIPA, 독일 우수기술 도입 촉진을 위한 온라인 기술협력 세미나 및 매칭상담회 개최 -소재·부품·장비 분야 선도국과 국내 중소·벤처기업와의 글로벌 R&D협력 창출 기회 마련-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독일 프라운호퍼 한국대표사무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오는 6월 7일에서 8일까지 온라인 기술 설명회 및 1:1 기술 매칭 상담회를 더케이호텔에서 개최하고 TIPA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중계한다. □ TIPA는 전 세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협력이 어려운 상황에서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기술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동 행사를 마련하였다. ◦ 독일 산업기술협력 저명인사인 권문식 한독동문네트워크 이사장의 기조강연과 함께, 프라운호퍼 연구소 기술 세미나 및 기술-기업 간 1:1 매칭 상담회로 구성되었다. ◦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우수원천기술을 보유한 유럽최대의 응용과학연구소로, 동 행사에서는 프라운호퍼 한국대표사무소에서 참여하였다. ◦ 특히, 이번 행사에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을 고려 하여 행사 전반은 온라인으로 실시간 송출될 예정이며, 양국 협력 촉진을 위해 동시통역으로 진행된다. □ 공동 주관하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프라운호퍼 한국대표 사무소에서는 우리 중소기업에 이전이 가능한 소재·부품분야 우수 기술을 발굴하고, 기술협력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사전 매칭하였다. ◦ 행사 1~2일차에 거쳐 양국 간 구체적인 기술협력 방안을 협의할 수 있도록 1:1 개별심층상담을 지원하며, ◦ 행사 2일차에는 우리 중소기업의 협력수요가 많은 우수기술(11개)을 프라운호퍼 연구자가 직접 발표한다. 이에 관심있는 중소기업은 자유롭게 참관할 수 있도록 동시통역, 온라인 송출이 진행된다. □ 행사 참관 신청은 6월 6일까지이며, 신청링크와 프라운호퍼 연구자의 기술개요서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전 세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협력이 어려운 상황에서 본 행사를 추진하여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기술협력을 촉진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며,  ◦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이하며, 다방면으로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해외 R&D 협력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058","atchfileNm":"(보도자료)TIPA,_독일_우수기술_도입_촉진을_위한_온라인_기술협력_세미나_및_매칭상담회_개최-최종.pdf","viewCnt":"2250","regDate":"2021-06-03 10:51:06"},{"contentId":"129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 미래 위해 산학연 전문가 머리 맞댄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77","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 미래 위해 산학연 전문가 머리 맞댄다 KOSMO, 한국IT서비스학회 춘계학술대회 특별세션 운영  □ 스마트제조혁신사업 현황점검 및 방향성 논의□ 스마트공장 사례 및 KAMP기반 제조기술 트렌드 발표□ “저변확대에서 고도화로 가는 중요한 시점, 전문가 의견 모아 성과 낼 것” 국내에서 진행 중인 스마트제조혁신사업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방향성을 논의해보는 특별한 행사가 개최된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 KOSMO)은 2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에 관한 미래 방향성 모색’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한국IT서비스학회에서 진행하는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의 특별 세션으로 마련됐다. 전 세계적으로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이 주목을 받고 있는 만큼, 학회 측에서 특별히 주제 발표 및 토론을 기획한 것.* 춘계학술대회 : ‘글로벌 리스크 극복을 위한 디지털 서비스 혁신’을 주제로 IT협력 생태계 조성 및 발전을 논의하기 위한 학술행사 이번 행사에서 추진단은 현재 진행 중인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진행 현황을 공유하고 인공지능·데이터 중심의 고도화 사업 추진에 대해 설명한다. 이후 사업 참여기업이자 공급기업으로도 활동 중인 텔스타-홈멜에서 스마트공장을 통한 기업성과 및 향후 전략에 대해 발표한다.현재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Korea AI ManufacturingPlatform)* 운영기관을 맡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도 KAMP 소개 및 AI·빅데이터 기반 제조기술 트렌드에 대한 연구 발표를 진행한다.  발표자와 산학연 전문가들이 함께 진행하는 질의응답 시간도 마련돼 있다. 발표 내용을 중심으로 중소 제조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 방향과 기업의 자립을 위한 기술력 확보에 관해 공통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모든 행사는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참여 가능하다. 사전등록 신청(koreasi.nayana.kr/2021/conferrence_0602.html) 시 온라인 생중계 접속코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국내 스마트제조혁신사업이 저변확대를 넘어 인공지능·데이터를 활용한 고도화로 나아가는 중요한 시점에 전문가들과 함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됐다“며, ”행사에서 나온 의견을 검토해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에 더욱 성과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056","atchfileNm":"KOSMO_스마트제조혁신_미래_위해_산학연_전문가_머리_맞댄다(배포).pdf","viewCnt":"2280","regDate":"2021-06-03 10:43:42"},{"contentId":"129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육군,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68","contentsKor":"TIPA-육군,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육군의 수요기반 民·軍 협력기술개발, 실증, 공공구매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육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이하 육군)이 지난 28일(금) 계룡 육군본부에서 중소벤처기업의 육성 활성화와 육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① 民·軍 협력기술개발 과제발굴·지원, ② 중소벤처기업의 육군 테스트베드 활용수요 발굴·지원, ③ 상호주관하는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행사 홍보 및 정보 공유 등이다. ① 육군이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개발수요를 발굴하면 기정원은 이를 수행할 중소벤처기업을 모집 및 선정하여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기술개발자금은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의 구매조건부신제품 개발 조달혁신 과제에 연계하여 최대 2년, 5억원 이내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며, 육군은 기술개발이 완료된 제품의 구매 및 확산에 도움을 주는 등 양 기관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 전주기 지원을 위한 협력을 약속하였다. ② 또한,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民·軍 협력기술개발 과제 발굴 및 원활한 과제수행을 위해 육군의 테스트베드를 개방하여 기술 실증환경 및 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이다. ③ 아울러, 육군 디지털 문화혁신 발전 세미나 등 양 기관에서 상호 주관하는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관련 세미나, 포럼 등 행사의 홍보와 기타 정보 교류를 위한 협력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그간 기술 실증과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어온 중소벤처기업이 육군의 실증환경을 활용하여 국방 수요에 연계한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개방형 혁신 기술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등 民·軍 협력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양 기관은 협약내용 세부이행을 위한 실무논의를 거쳐 기업 지원 방법 및 절차를 연내 구체화할 계획이다. 한편, TIPA는 작년 5월 공군과도 중소벤처기업 및 공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으며, 공군이 보유한 실험환경을 활용하여 「과제발굴-기술개발-사업화-공공구매」에 이르는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 전주기 지원 협력체계를 연내 본격 실시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이 접근에 어려움을 토로해온 국방조달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육군이 기술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의미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며, “양 기관의 협력 모델이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의 마중물이 되어 국가 과학기술과 국방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육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 이경일 소장은 “이번 TIPA와 업무협약을 계기로 민간의 신기술을 군에 조기 도입하고 육군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확대하여 민·군 상생을 통한 과학기술발전과 육군이 첨단과학 기술군으로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민간 신기술을 軍에 지속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각종 법규·규제 개선과 예산 지원, R&D 기술개발 등 관련 民·官·産·學·硏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추동력을 유지하고 첨단 과학기술군 구축의 목표를 조기에 실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041","atchfileNm":"(보도자료)TIPA-육군,_국방_분야_중소벤처기업_육성_활성화를_위한_업무협약_체결(배포).pdf","viewCnt":"2217","regDate":"2021-05-31 17:07:41"},{"contentId":"129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친환경 캠페인 동참으로 ESG 경영 실천 의지 다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39","contentsKor":"TIPA, 친환경 캠페인 동참으로 ESG 경영 실천 의지 다져 탈(脫) 플라스틱 릴레이 캠페인 ‵고고챌린지′동참 (5.24(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은 이재홍 원장이 5월 24일(월) TIPA 세종 본원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릴레이 캠페인인 ’고고챌린지‘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이재홍 원장은 조봉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의 지명을 받아 이번 캠페인 주자로 나섰다. ’고고챌린지‘는 실생활 속에서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기관에서 정한 ’하지 말아야할 1가지 행동‘과 ’할 수 있는 1가지 행동‘ 슬로건*이 담긴푯말을 들고, 챌린지 인증 사진을 촬영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게시하고, 다음 참여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일회용품 사용 멀리하고(하지 말아야할 행동), ESG경영 앞당기고(할 수 있는 행동) TIPA는 그간에 미세먼지 저감 실용화 기술개발 지원 등을 통해 미래기후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인 노력을 이어왔다. 이와 함께, 지난해 12월에는 전사적 녹색경영 추진을 위한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을 도입했으며, 현재 환경의 주간을 맞아 그린오피스 구현을 위한 실천 캠페인을 앞두고 있다. 이재홍 원장은 “TIPA는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을 통해 친환경 기술을 보유한 유망 그린벤처 육성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부터는소상공인ㆍ자영업자 생활혁신형 기술개발사업 내 친환경 포장재 개발 보급 과제를 신설해 소상공인도 플라스틱 저감 정책에 동참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라며, “이번 캠페인을 계기로 전사적인 환경보전 활동과 함께 ESG 경영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재홍 원장은 다음 주자로 창업진흥원 김용문 원장, 이노비즈협회임병훈 회장을 지명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035","atchfileNm":"(보도자료)TIPA,_친환경_캠페인_동참으로_ESG_경영_실천_의지_다져(★).pdf","viewCnt":"2913","regDate":"2021-05-27 19:22:36"},{"contentId":"129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뿌리산업 제조 중소기업 현장의 목소리 청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08","contentsKor":"TIPA 뿌리산업 제조 중소기업 현장의 목소리 청취  R&D 및 스마트공장 우수 강소기업 새한㈜ 현장 방문 (5.11 (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5월 11일(화) 충북 충주 소재 ‵금속단조 제품 제조업 분야′뿌리기업*인 새한㈜를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애로 및 건의사항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13일 밝혔다. *뿌리기업 : 주조, 금형, 용접, 소성가공, 표면처리, 열처리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새한㈜ 정순일 대표는 지난 45년간 성형사출과 단조(프레스 공정), 전ㆍ단조(스크류 공정) 등 부품 제조 산업의 기반이 되는 전통 뿌리 산업을 이끌어 왔으며, 동 기업은 지난 2019년에는 뿌리기술 전문 기업으로 지정됐다. (핵심기술 : 무(無)열처리 고강도 소재 성형기술) 또한, 그간 지속적인 R&D를 통해 축적해온 자사만의 뿌리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위기를 기회로 극복해왔으며, 2020년에는 스마트공장 시범공장으로 선정된 이후 현재 고도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방문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이 급격히변화하는 상황에서 자금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는 뿌리기업을 격려하고,현장의 애로와 건의사항을 청취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날 기업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우수인력 수급, 자금 확보 등 뿌리기업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전통 제조 기업이 연구개발을 통해 우수한 기술역량을 확보해나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우리나라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 중소기업이 기술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라며, “앞으로도 올바른 정책은 현장과 소통에서 나온다는 신념으로 현장 방문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 기업 현장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애로・건의사항에 대해 소통을 확대해, 전통 중소기업과 지역 중소기업의혁신을 적극 지원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TIPA는 올해부터 제조업의 허리, 중위기술 분야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제조중소기업 글로벌 역량강화사업′을 신규 지원하고 있으며, 5월 중(예정) 하반기 사업 공고를 시행할 계획이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 (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지원 자격 등을 확인한 후,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90","atchfileNm":"(보도자료)_TIPA,_뿌리산업_제조_중소기업_현장의_목소리_청취.pdf","viewCnt":"2445","regDate":"2021-05-14 10:28:04"},{"contentId":"129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중진공,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 및 기술수출 촉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07","contentsKor":"TIPA·중진공,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 및 기술수출 촉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맞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사장 김학도, 이하 중진공)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와 기술수출 촉진 등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 TIPA와 중진공은 5월 13일(목) TIPA 세종 본원에서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사업화와 기술수출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우수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촉진을 위한 협업 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정책지원 성과의향상을 위한 국내외 보유 인프라와 인적자원 교류, 글로벌 시장 및 국내외 기술동향 정보 공유 등을 지원하는 데 협력키로 했다. ○ 특히, 기술 수출 촉진을 위해 중진공 해외 거점 및 기술교류센터와 협력하고, Pre-BI* 추천 권한을 부여하는 등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강화하기 힘쓸 예정이다.* 수출인큐베이터(BI) 입주 전 3개월 간 바이어 매칭, O2O상담회, 제품 홍보 기회 제공 등 수출 및 현지 진출 준비를 지원하는 사업 ○ TIPA 역시 중진공 해외기술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한 우수기업에 R&D지원사업 참여 시 우대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맞춤형 상담을 지원하는 등 성과 연계와 확산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 그간 중소벤처기업은 우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네트워크 및 기술과 시장 정보 부족 등으로 기술사업화와 해외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에서 발행하는 해외 기술정보 및 글로벌 시장 동향 자료 등을 상호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의 정보 부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협력할 계획이며, 기술개발 지원과 정책자금 지원 사업이 보다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우수 기업에 대한 우대 혜택도 점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작년부터 전담부서 신설 및 글로벌 사업 신규기획 등을 추진하고 있다”며, “중진공이 보유한 해외 지원 역량과 인프라까지 더해진다면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사업화를 위한 새로운 협력모델을 만드는데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89","atchfileNm":"(보도자료)TIPAㆍ중진공,_중소벤처기업의_기술사업화_및_기술수출_촉진_지원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pdf","viewCnt":"2367","regDate":"2021-05-14 10:24:32"},{"contentId":"128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세종시대′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9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세종시대′연다   5월 3일부터 업무 시작,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 포부 밝혀 -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유일한 R&D 전담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5월 3일부터 세종 신청사에 새둥지를 트고 업무를 시작한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술혁신(R&D) 및 스마트공장 보급・고도화 지원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벤처기업의 신산업 창출을 중점 지원하는 준정부기관‘으로, 올해로 19년째 중소벤처기업 정책 집행의 최일선에서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TIPA 신청사는 세종시 4-2생활권 집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하 1층, 지상 7층으로 업무공간과 평가공간으로 구성돼있다. 5월 1일부터 2일까지 이전이 진행되며, 입주 규모는 TIPA 본원 직원 200여명과 2019년 산하 조직으로 출범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직원 48명 등 약 260명 규모다.   그동안 부족했던 업무공간과 기업 평가 공간 등의 확충으로 업무 효율성 증대와 중소벤처기업 대상 서비스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또한, TIPA 인근에 먼저 자리 잡은 창업진흥원 등 유관기관과 지식산업센터 입주 기업들과의 교류・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그간 TIPA는 우리나라 경제와 산업의 근간인 중소벤처기업이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혁신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왔다.   올해 기준 TIPA가 전담하는 전체 예산은 약 1조 8천억원 수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담당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인력 규모가 약 40% 증가하는 등 명실상부한 중소벤처기업 지원 공공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세종에서의 새로운 시작은 TIPA가 새롭게 도약하는 기회이다.”라며, “앞으로도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생태계적 중심의 지원 체계 강화에 업무 역량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으로부터 △신뢰받고 소통을 중시하는 TIPA,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TIPA, △외부와의 협력 브릿지 역할을 통해 상생・협력・발전하는 TIPA, △업무 전문성을 키우고, 공정성을 실천하는 TIPA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72","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_세종시대_개막(★).pdf","viewCnt":"3390","regDate":"2021-04-30 11:02:29"},{"contentId":"128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상반기 지역별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69","contentsKor":"TIPA, 상반기 지역별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오는 4월 22일(목)부터 23일(금)까지 서울지역에서, 5월 11일(화)부터 22일(수)까지 경기지역에서, 각각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을 대상으로「2021년도 상반기 지역별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를 실시한다.   ◦ TIPA에서 진행하는 금번 맞춤상담회는 지난해에 부산 등 5개 지역에서 실시한데 이어 두 번째로 실시하는 상담회로서 R&D 수행기업들의 수요도 많고 상담회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이번에는 R&D 수행기업이 많은 서울, 경기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지정회계법인*의 담당회계사가 1:1 맞춤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며, 하반기에는 상담회 수요를 감안하여 11월 중 실시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R&D지원사업 사업비 집행 안내 및 정산을 위해 TIPA가 지정·운영하는 회계법인   □ 특히 코로나19로 인하여 R&D 수행 관련 설명회 등이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있어, 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이 있는 신규 R&D 수행기업의 정산담당자를 대상으로 1:1 대면상담을 추진함으로써,   ◦ 中企 R&D 사업비 집행 규정 이해도 향상, 지정회계법인 상시점검 후속조치, 사업비 정산결과 주요 불인정 사례 등 사업비 집행 전반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아울러 금번 상담회를 통해 사업비 오집행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업비 집행과정에서의 불인정 사례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국가 R&D 자금의 부정사용 방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사업비 집행에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행기업은 담당 지정회계법인을 통해 신청이 가능하며, 시간별로 개별기업 상담을 실시함으로써 밀집도를 최소화하는 등 정부방역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여 실시할 예정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금번 맞춤상담회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R&D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2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상반기_지역별_1대1_RD사업비_맞춤상담회_실시(배포)(★).pdf","viewCnt":"3016","regDate":"2021-04-21 13:10:43"},{"contentId":"128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사회적경제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첫발 내딛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61","contentsKor":"TIPA, 사회적경제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첫발 내딛어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KoSEA) MOU 체결 -   □ 올해 하반기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기관추천 트랙) 과제 공고(5월 예정)를 통해 R&D 자금 연계 지원 (기업당 최대 1년, 1.5억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4월 15일 (목), TIPA 본원에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원장 김인선, 이하 KoSEA)과 ’사회적경제기업의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네트워크 및 정보 공동 활용, ▲우수 사회적경제기업 대상 R&D 지원사업 연계, ▲공공부문 사회적가치 실현 정책 수행 등 사회적기업 및 소셜벤처 기업의 지속 성장 지원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 과제(기관추천 트랙)‘ 공고(5월 공고 예정)를 통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R&D사업 경험이 부족한 사회적경제기업 전용 R&D 연계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 과제(기관추천 트랙)는 TIPA가 지정한 연계 추천기관이 별도의 사전 평가를 시행한 후, 추천하면 TIPA가 평가 절차를 거쳐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사회적경제기업을 선정 및 연속적인 R&D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또한, 선정된 사회적경제기업을 대상으로 ▲수출지원,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 등의 후속 지원 정책과도 연계하여 기술개발제품의 사업화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사회적기업 전문기관인 KoSEA와의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사회적경제기업을 대상으로 R&D 연계 및 후속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경제기업의 기술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방면으로의 업무협업을 통해 TIPA의 사회적경제기업 지원 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 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06","atchfileNm":"(보도자료)_TIPA,_사회적경제기업의_경쟁력_강화를_위한_첫발_내딛어(배포)(★).pdf","viewCnt":"2949","regDate":"2021-04-19 13:20:47"},{"contentId":"128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인공지능 제조플랫폼(KAMP) 고도화를 위한 킥오프 회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60","contentsKor":"인공지능 제조플랫폼(KAMP) 고도화를 위한 킥오프 회의 개최 - KOSMO, 인공지능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한 KAMP 2차년도 추진계획 논의 -   □ 1차 년도 주요성과 공유, 기관별 2차년도 계획 논의 및 현황점검 진행 중소 제조기업의 인공지능 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 사업이 2차년도 추진의 닻을 올렸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 KOSMO)은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 고도화를 위한 킥오프 회의‘를 14일 오전 10시 30분 대전 본원에서 개최했다.   이날 개최된 회의에는 주무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와 추진단을 비롯해, 지난 12월 발족한 한국인공지능제조이니셔티브(KAMP.AI)와 NHN, 한국과학기술원(KAIST),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자리를 함께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 이하 ‘KAMP’)의 1차년도 주요성과를 공유하고, 기관별 2차년도 추진계획 논의 및 현황점검을 하였다.   KAMP는 중소제조기업의 데이터 수집·분석부터 AI솔루션 개발까지 지원하는 민간 클라우드 기반 제조AI 특화 플랫폼으로 지난해 12월 오픈했다. 현재 KAMP는 포털(www.kamp-ai.kr)을 통해 GPU등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뿌리, 식품 분야 중심의 핵심설비별 제조 데이터셋* 12종을 제공하고 있다.   * 제조 데이터셋: AI 분석을 목적으로 제조 현장에서 실제 설비·공정 데이터를 수집·정제한 데이터 집합체   이와 더불어 데이터 분석 체험, 분석 교육을 위한 동영상 강의 그리고 AI 솔루션을 도입한 제조기업의 우수 사례들을 제공하여 제조AI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   KAMP에서는 2차년도부터 본격적인 ‘솔루션스토어’ 구축에 나선다. 제조 기업이 다양한 공급기업의 AI 솔루션을 직접 한 곳에서 비교해보고 구매할 수 있도록 만들어 제조업의 인공지능 도입을 확산시킬 예정이다.   동시에 서비스포털 고도화를 통해 정밀공정에 특화된 데이터셋 10종, 분석 알고리즘, 교육 동영상 추가 등 사용자 편의성도 강화할 예정이다.   박한구 추진단장은 ”인공지능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중소제조기업의 우수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홍보하고, KAMP의 고도화·확대를 통해 인공지능을 통한 중소제조기업의 혁신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04","atchfileNm":"(보도자료)_KOSMO,_인공지능_제조플랫폼(KAMP)_고도화를_위한_킥오프_회의_개최(배포).pdf","viewCnt":"2833","regDate":"2021-04-19 13:19:54"},{"contentId":"128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조달청-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혁신 조달 기업의 해외 조달 시장 진출 위한 업무 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53","contentsKor":"조달청-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혁신조달기업의 해외조달시장 진출 위한 업무협약 체결 혁신조달기업 지패스 확대, 해외인증규격 적합제품 개발 지원, 해외 수요처 발굴 등 상호 협력  □ 조달청(청장 김정우)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13일 ‘혁신조달기업의 해외조달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혁신조달기업의 국내조달시장 진출 지원에 이어 해외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해 ‘기술개발(R&D)→국내조달→해외수출’로 이어지는 성공사례를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 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혁신조달기업의 조달청 지패스(G-PASS)* 지정 확대, ▲해외인증·규격 적합 제품 개발 지원, ▲해외 수요처 발굴 등 해외조달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 지패스(G-PASS, Government Performance ASSured)기업은 조달물품의 품질, 기술력 등이 우수한 조달기업 중 조달청이 해외조달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지정한 중소·중견기업이다.   ○ 올해 하반기에는 ‘혁신조달기업의 해외조달 시장 개척단 파견과 수출상담회 행사’를 공동 개최하기로 했다.   □ 김정우 조달청장은 “기업의 혁신기술이 사장되지 않게 도입한 혁신조달 제도가 해외조달시장까지 뚫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 “특히 해외 진출 선결요건인 인증·규격 적합성 문제를 기정원과 협력해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이재홍 기정원장은 “코로나 상황 장기화로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의 빠른 회복과 도약을 위해 조달청과 협력하여 해외조달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 “조달청이 보유한 해외 네트워크와 해외조달시장 진출 지원 노하우를 활용하여 혁신 조달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조달시장 진출 성공사례를 공동으로 만들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879","atchfileNm":"(보도자료)_혁신조달기업의_해외조달시장_진출_위한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2944","regDate":"2021-04-13 13:21:56"},{"contentId":"128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상호존중 선언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47","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상호존중 선언식 개최 - 건전한 상호존중 문화 조성을 위해 노·사 함께 노력할 것을 대내외 선포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4월 8일(목) 「TIPA 상호존중 선언식」을 개최하고, 존중과 배려의 조직문화 정착을 위한 실천의지를 다짐했다.   노·사 공동으로 진행된 이 날 선언식은 TIPA 이재홍 원장과 장상민 노조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상호존중 선언문을 낭독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10대 실천과제를 대내외에 선포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상호존중 선언문에는 ▲차별 없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기 ▲부당하고 사적인 업무를 지시하지 않기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친절히 응대하기 등의 내용을 담았다.   또한 앞으로 매월 11일을 상호존중의 날로 지정하고 상호존중 우수사례 발굴 등 상호존중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다.   이재홍 원장은 “직원간에 업무수행은 물론 고객응대에 있어서도 상호존중과 배려를 통해 국민에게 사랑받고 신뢰받는 기관으로 더욱 거듭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872","atchfileNm":"보도자료_2021년_TIPA_상호존중_선언식_개최..pdf","viewCnt":"3053","regDate":"2021-04-09 11:41:38"},{"contentId":"128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R&D멘토링’ 제1기 수료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3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R&D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한 41개 기업들에 대해 4월 1일(목) 비대면 수료식을 진행하고 우수사례 공유 및 시상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 ‘R&D멘토링’은 중소기업 R&D과제 기획을 밀착 지원할 목적으로, 연구개발 초기단계에 있는 중소기업과 고경력 기술전문가(멘토)가 분야 별로 소모임을 구성하여 R&D 과제 기획 및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산․학․연 멘토링 프로그램이다.   ◦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수료기업들 대표와 R&D 멘토들, 우수사례 기업 등 60여 명이 온라인으로 참여했다.   □ TIPA 산하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이하 ‘기술혁신센터’)는 지난 해 7월 R&D 과제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_업들 152개 기업을 모집하여 6개월동안 사업계획서 작성실습, 기술애로 맞춤형상담, 네트워킹, 모의대면평가 등 다양한 산학연 연계 멘토링 활동을 실시했다.   ◦ 기술혁신센터 양훈화 센터장은 “2019년 시범사업에서 R&D과제를 도출한 16개 기업 중에 지난 해 중기부 R&D지원사업에 선정된 기업이 8개(15개 과제)나 된다”며, “R&D멘토링과 정부 R&D사업 선정 간의 연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아울러, 멘토링 우수사례 소개, 우수 기업 및 멘토에 대한 시상 등도 진행되어 그간의 활동 성과를 공유했다.   ◦ 이날 행사에는 ‘R&D멘토링’을 통해 R&D과제 도출을 완료한 41개 기업이 최종 수료기업으로 선정되었고, ㈜페로카는 최우수기업상을, 황경현 멘토가 최우수멘토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누렸다.   ◦ 제3의청춘㈜, 비케이엠㈜, 리얼룩앤컴퍼니㈜ 등 우수사례로 소개된 4개 기업은 공통적으로 “기술상담과 네트워킹을 활용하여 자체 해결이 어려운 기술애로를 해소하고, R&D의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됐다”, “대면평가 등 정부 R&D사업 프로세스를 사전에 경험하여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TIPA 협력사업본부 장현성 본부장은 “끊임없이 문제해결과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다양한 시각과 기술역량을 가진 산․학․연 구성원들이 협업하여 R&D 협력과 애로기술을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R&D멘토링과 같은 기술협력 플랫폼을 적극 활용한다면 더 빠르고 더 효과적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한편, 이번 수료기업에게는 중기부 R&D사업에서 서면평가 면제나 기관추천 과제로 추천되는 ‘기술혁신센터 기술교류 연계과제’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고, 하반기 공고되는 ‘네트워크형 R&BD과제’ 신청 시 우대가점이 부여된다. ◦ 제2기 ‘R&D멘토링’은 올해 6월에 참여기업을 모집할 계획이다. R&D 초보기업이나, R&D 애로를 겪고 있는 연구개발형 기업들은 누구나 지원할 수 있고, 세부사항은 오는 6월에 TIPA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847","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_RD멘토링_제1기_수료식_개최(배포).pdf","viewCnt":"3429","regDate":"2021-04-02 10:41:12"},{"contentId":"128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도전적 R&D 과제 정부와 투자기업이 최대 24억원 공동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17","contentsKor":"중소기업의 도전적 R&D 과제 정부와 투자기업이 최대 24억원 공동지원 100억 원 규모, 구매조건부사업 공동투자형R&D, 5월 7일까지 과제 모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021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공동투자형(구,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 자유응모 과제를 4월 1일부터 모집 공고한다고 밝혔다.   □ 공동투자형 사업은 투자기업이 필요한 혁신제품을 정부와 공동으로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여 중소기업이 개발하는 사업으로 투자기업과 중소기업간 가치사슬의 경쟁력 확보 및 장기적인 파트너십 형성에 목적을 두고 있다. * 투자기업 : 중소기업 R&D 지원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투자협약을 체결한 대·중견기업, 공공기업/기관 등(투자기업 관리기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 02-368-8750)   □ 기존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은 과제 신청 시 투자기업과 반드시 구매계약을 체결해야 했으며 지원 규모도 최대 2년에 10억 원까지 지원하였다. 2020년 공동투자형으로 개편하면서 보다 도전적 과제를 지원하고자 구매계약을 면제하고 지원 규모도 최대 3년에 24억 원까지 확대 지원하여, 투자기관과 중소기업이 R&D를 중심으로 상생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올해 공동투자형사업은 신규 과제를 선정하여 예산 100.5억 원을 지원할 예정으로, 중소기업이 투자기업에게 과제를 제안하는 형식인 자유응모 형식과 투자기업이 제안한 과제의 R&D를 수행할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지정공모 형식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 공동투자형 사업은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 사업으로도 큰 의의가 있지만, 실제 시장에서도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그중 주목할 만한 중소기업으로 ㈜필옵틱스(대표이사 한기수)가 있다. ㈜필옵틱스는 인쇄회로기판 공정의 필수 장비인 노광기를 국산화 하는데 성공한 기업으로, 2012년 총 5.4억 원의 R&D 자금을 정부와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지원받아, OLED 디스플레이 레이저 가공설비 개발을 본격화하였고, 2014년 세계최초로 Flexible OLED laser cutting 장비를 출시하였다.   ○ 이를 기반으로 5년 동안 약 3,800여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고, 이는 최초 투자기업 구매예상액인 630억 원 대비 600%, 투자금액 대비 70,000% 이상 초과하는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 이후 ㈜필옵틱스는 2017년 KOSDAQ에 상장되었으며 그해 12월 7천만불 수출의탑 수상, 일자리창출유공 산업포상 대통령상 수상, 2019년 중소기업인대회 대통령 표창 수상,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대통령 인증 수상 등 첨단 장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본 사업은 정부와 투자기업이 힘을 합쳐 중소기업 R&D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사업 주체간 상생 협력의 원동력이 되는 사업”이라 평가하면서 “앞으로 우리 중소기업이 대기업이나 공공기업과 R&D의 동등한 동반자로 발전할 수 있도록 TIPA가 전심전력을 다해 지원할 것”을 약속하였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기술개발사업 공동투자형 R&D지원은 지정공모 과제는 4월 15일까지 모집 중에 있으며 이후 지정공모(7월 예정) 및 자유응모(9월 예정) 과제 모집 공고가 추가로 예정되어 있다.   ○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로 문의하면 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829","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의_도전적_RD_과제,_정부와_투자기업이_최대_24억원_공동지원.hwp","viewCnt":"3099","regDate":"2021-03-31 17:11:48"},{"contentId":"128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 지원방안 모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02","contentsKor":"TIPA,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 지원방안 모색 - R&D 수행기업 4개社 관계자들과 현장 간담회 개최 -   □ 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 방향을 모색하고,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 지원방안 마련을 위해 현장의 목소리 청취, 정책 수요 발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 창업과제 내 소셜벤처 전용 R&D 과제”에 선정된 4개 기업 대표자와 함께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본 간담회는 공공기관으로서 TIPA의 사회적 가치 실현 방향을 모색하고,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 지원방안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TIPA는 2019년부터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 창업과제 내 소셜벤처 전용 R&D 과제를 신설하여, 창업 7년 이내의 소셜벤처 및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R&D 및 사업화 자금(1년, 최대 1.5억원)을 지원해 왔다.   특히, 올해부터는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의 신속한 R&D 연계지원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기술보증기금,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을 추천기관으로 하는 ‘기관추천 트랙’을 신설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확대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 (19년) 7개 과제(6억) → (20년) 41개 과제(29억) → (21년 계획) 26개(3:1 경쟁률 기준)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4개社 관계자는 소셜벤처 및 사회적 기업 지원을 위한 TIPA의 역할과 함께 현장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 등 다양한 정책적 의견을 제시하였다.   < 간담회 주요 의견 > 참여 기업 주요 의견 ❶ 해양오염처리 로봇개발기업 A社 사회적 가치 보다는 경제적 가치에 비중이 큰 중기부 R&D지원사업에 사회적 가치가 큰 기업들에 대해 가점사항 추가 등 우대지원정책 방안 마련이 필요함. ❷ 사회복지정보화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B社 지역 내 사회적 현안을 해결하는 사회적 기업의 경우, 민간업체 단독으로 사업화를 하기 어렵고, 시장규모가 타 창업기업과는 다르기 때문에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중 사업화 부분을 다르게 적용해야 함. ❸ 점자 디지털 인프라 구축 솔루션 개발기업 C社 소셜벤처 및 사회적 기업이 창업 후 가장 많은 정보를 얻는 곳이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교육 사업이므로, 해당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유기적인 R&D 연계 지원이 필요함 ❹ 시각장애인용 태블릿 PC개발 D社 디딤돌 과제에만 세부 유형으로 지원되는 소셜벤처 유형을 전략형, TIPS 과제에도 추가 신설하여 소셜벤처 및 사회적 기업의 연속적인 R&D지원이 필요함.   TIPA 이재홍 원장은 위 의견에 대해, “추후 진행될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소셜벤처·사회적기업 우대 방안 및 연구개발계획서 양식의 다양화에 대한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면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의 MOU(4월 예정)를 통해 다수의 사회적 창업기업에 교육, R&D, 사업화 등 다양한 방면으로 연계 지원할 예정이며, 사업간 연계·묶음 지원방식을 통해 연속적 R&D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고 안내했다.   이 밖에도, TIPA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 성과 창출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적극 추진해오고 있다.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대기업과의 협력형 기술개발 지원, △R&D 지원을 통해 산업위기 지역의 성장 지원, △공공분야 자원 공유를 통해 기술개발 지원 등이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80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소셜벤처_및_사회적기업_지원방안_모색(배포).pdf","viewCnt":"3060","regDate":"2021-03-24 09:18:52"},{"contentId":"127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위한 AI·데이터 공동 활용 플랫폼 솔루션 개발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75","contentsKor":"中企위한 AI·데이터 공동 활용 플랫폼 솔루션 개발 추진   - KOSMO, 中企 ‘제조데이터 공동활용 플랫폼 R&D’ 올해 신규 지원 -   (기업당 최대 21억원까지 지원, 접수기간 : 3.26(금) ~ 4.9(금), 18시까지)   □ 제조현장에서 다수 사용 가능한 AI 공동활용 모델 확보를 위해 연구소・대학의 전문 인력과 중소기업의 공동 R&D 추진   □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인프라 활용 지원 국내 중소 제조현장에서도 인공지능(AI)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수가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공동 활용 플랫폼* 및 솔루션 개발 지원이 본격 추진된다.   * 공동활용플랫폼 : AI공동활용모델들의 개발·제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공통·공용의 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틀이 되는 기술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KOSMO)은 다음 달 9일(금)까지 제조데이터 공동활용 플랫폼 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할 컨소시엄을 모집한다.   이번 사업은 연구소·대학의 전문 인력(주관 연구개발 기관)과 중소기업(공동 연구개발 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할 수 있으며, 올해 지원 예산은 44.51억원 규모이다. KOSMO는 기술수요조사 및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과제기획위원회의 기획을 거쳐 사업성·기술성 측면에서 파급력이 큰 기술 품목을 도출했다.   참여를 희망하는 컨소시엄은 사업 공고에서 제시된 품목 내에서 자유롭게 과제를 선정(품목 지정형)*해 공모할 수 있다.   * 품목 지정형 : 품목을 지정하되 제시된 품목 내에서 자유응모 방식으로 과제를 선정하는 방식   특히 이번 사업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특별지침에 따라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 비율이 75%에서 80%로 상향됐으며, 중소기업의 현금 부담 비중을 40%에서 10%로 낮췄다. 과제 당 개발 기간은 최대 21개월 이내, 지원한도는 21억원이다. 또한, 현재 중소벤처기업부와 KOSMO는 스마트공장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분석·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스마트공장화를 지원하는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을 구축하여 운영 중이다.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컨소시엄은 KAMP 플랫폼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개발된 시스템 또한 KAMP를 통해 확산할 예정이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4.9(금)까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다.   박한구 KOSMO 단장은 “AI 기술을 사용해 파급 효과가 큰 뿌리업종, 기계부품, 정밀가공 등의 분야에 관련 기술을 적용하여 해당 분야의 스마트공장 AI 공정 솔루션을 확산하고 고도화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58","atchfileNm":"(보도자료)_KOSMO,_中企_위한_AI·데이터_공동_활용_플랫폼_솔루션_개발_추진.pdf","viewCnt":"3456","regDate":"2021-03-15 09:00:58"},{"contentId":"127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2021 TIPA 국민기자단」 발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73","contentsKor":"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2021 TIPA 국민기자단」 발족 SNS 리포팅 분야 6명, 영상 크리에이터 분야 4명으로 구성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3월 11일(목) SNS 리포팅 분야(6명)과 영상 크리에이터(4명)로 구성된 TIPA 국민 기자단인 ‵더 브릿지(The Bridge)′* 1기 발대식을 개최하였다.   * 더 브릿지(The Bridge) : TIPA가 추진하는 사업 및 정책 등 역할을 보다 더 국민의 시선에서 쉽고, 객관적으로 알린다는 의지를 담고 있음   기자단은 지난달 1일(월)부터 약 3주간의 공개모집을 통해 총 10명을 선발했으며, 20대부터 40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됐다.   특히, 선발 과정에서 SNS 기자단의 경우, 약 7: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중소벤처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를 가늠할 수 있었다.   기자단은 페이스북・블로그・카카오플러스 등 다양한 공식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TIPA의 주요 정책 등을 국민의 시선에서 쉽게 알리고, 또한, 국민이 알고 싶은 콘텐츠를 발굴하는 등 국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 TIPA의 정책에 반영하는 가교 역할을 하게 된다.   세부적으로는 △TIPA가 추진하는 정책 소개, △우수기업 성과 홍보 등을 통해 홍보 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만족도를 높이고, 정책 고객 대상으로 쉽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목표로 운영할 계획이다.   TIPA 관계자는 “발대식 이후, 기자단 활동이 본격 가동될 예정이며, 국민 참여 기자단을 통해 홍보 품질 향상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향후 기자단 활동 사항, TIPA 홍보 소식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공식 누리소통망(S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기관 운영 이래 최초로 도입하는 국민 기자단을 통해 TIPA가 중소벤처기업의 No.1 정보 알림이로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TIPA는 대국민 홍보 서비스 품질을 더욱 높이고, 실효성 있는 정보 전달을 위해 전사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발대식 행사는 방역당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 준수를 위해 온라인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발대식 행사 진행과정과 발대식에서 밝힌 기자단 10명의 활동 포부를 담은 영상을 별도 제작해 3월 중 SNS채널에 공개할 예정이다.","viewCnt":"2895","regDate":"2021-03-12 11:25:55"},{"contentId":"127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년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72","contentsKor":"TIPA, 2021년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선정 한국능률협회 컨설팅 조사, 공공 부문에서 ‘중소기업 진흥’ 역할 톡톡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발표한 2021년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 조사 결과 ’중소기업 진흥‘ 부문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TIPA는 혁신능력, 경영진의 경영능력, 고객서비스 품질, 사회공헌 활동 등 12개 세부평가항목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기관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항목에서 상위 4개 기관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기관으로서 ’20년에는 R&D 및 스마트공장 보급・고도화 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사업화 지원을 강화해, 사업화하고자 하는 기업이 인증・수출・판로・투자・자금연계 등 다양한 방식의 패키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해왔다.   또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국가 및 협력기관과 공동 프로그램을 마련해나가는 등 파트너쉽을 구축하여, 우수한 기술과 사업화 역량을 보유한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계속 강화해나가고 있다.   TIPA 관계자는 “TIPA 임직원들이 지원하는 중소벤처기업 지원 정책 하나하나가 일회성 정책이 되지 않고, 지속적이면서 현장에서 기업이 실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혁신하고 있으며,   또한, 공공기관으로서 지역 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도 꾸준히 추진해오는 등 기관의 노력이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으로 선정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은 매년 끊임없는 혁신활동을 통해 다져온 우수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혁신능력, 주주가치, 직원가치, 고객가치, 사회가치, 이미지 가치 등 6대 가치를 증대해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존경을 받고 있는 기관을 ‘가장 존경받는 기관’으로 선정해왔다.   동 조사는 올해로 18회째를 맞이했으며,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해당 산업에 근무하는 기업의 임원진 및 증권사 애널리스트,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문면접 등을 실시하여 평가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54","atchfileNm":"(보도자료)_2021년_한국에서_가장_존경받는_기관_조사(★).pdf","viewCnt":"3136","regDate":"2021-03-12 11:23:51"},{"contentId":"127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세계 수준의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64","contentsKor":"TIPA, 세계 수준의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 나선다 2021년 글로벌 창업기업 기술개발사업 신규 추진   (접수기간 : 3.12(금) ~ 3.25(목), 18시 까지 접수)   □ 창업 초기단계 수출가능성 높은 우수기업 중점 지원, 해외시장 진출 목표 기반의 미션 지향형 사업관리, 수출 연계프로그램 후속 지원   □ 2021년 글로벌 창업기업 신규과제 모집 공고(기업당 최대 2년, 4억원 이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세계시장에 도전하는 글로벌 창업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2021년도 글로벌 창업기업 기술개발사업’을 신규 지원한다.   글로벌 창업기업 기술개발사업은 해외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창업 1년 미만의 초기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수준의 R&D 지원을 통해 수출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출 유망 기술을 보유한 「한국형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을 목표로 지원한다.   동 사업은 올해부터 최초로 지원하는 사업으로써, 그 동안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창업하는 본 글로벌(Born Global)* 기업에 대한 지원 필요성은 계속 강조 되어왔다.     * 본 글로벌 기업(Born Global, 태생적 글로벌) :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는 부가가치 높은 기업 시사(맥킨지 그룹, 1993)   특히, 올해부터는 동 사업을 신규 지원함으로써, 그 동안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과 더불어 우수 창업기업의 정부 R&D 지원 폭을 한층 넓혔다. * 정량적 목표성과 : ❶해외 매출계약 또는 국내・해외 투자유치, ❷해외 특허 출원 또는 등록 2건 이상, ❸해외 2개국 이상 수출 실적 달성, ❹해외 현지법인 및 사무소 설립 등 일정 비율 이상 제시한 성과목표 달성 시 사업 완료(미션 달성제)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개발(R&D) 자금 지원 ▲지원기업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수출 전문가 컨설팅 ▲향후 중기부內 수출 지원프로그램 후속 연계* 등에 대해서 후속지원 한다.     * 코리아스타트업센터(KSC), 수출바우처, 전자상거래활용수출사업 등 가점 부여   사업 신청은 3월 12일(금)부터 3월 25일(목)까지 신청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글로벌 창업기업 기술개발사업은 수출 유망한 초기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을 중점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라며, “2030년 4대 수출 강국 도약의 핵심이 될 글로벌 강소기업 발굴 및 예비 유니콘기업 육성을 목표로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출발 단계부터 패스트 트랙 형태로 기술개발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44","atchfileNm":"(보도자료)_TIPA,_세계_수준의_글로벌_창업기업_육성_나선다(★).pdf","viewCnt":"3016","regDate":"2021-03-10 09:20:03"},{"contentId":"127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1 한국-캐나다 R&D 네트워킹 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59","contentsKor":"2021 한국-캐나다 R&D 네트워킹 상담회 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주한캐나다대사관 공동 주관  ◈ [포럼-정책발표] 캐나다 국가 연구위원회(NRC) 및 한국 TIPA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에서 스마트제조 분야 주요 중소기업 지원정책 소개 ◈ (포럼-기업홍보) 캐나다 13개사, 한국 22개사에서 기업정보 및 보유기술 소개 ◈ (B2B 상담회) 캐나다 현지기업과 한국 중소기업 간 1:1 비대면 상담회 진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3월 9일(화)부터 11일(목)까지 3일 간, 서울 양재 엘타워와 TIPA 수도권 스마트워크오피스에서 ‘한국-캐나다 R&D 네트워킹 상담회-첨단제조 및 스마트팩토리’ (Korea-Canada R&D Networking Conference – Advanced Manufacturing & Smart Factory)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행사는 TIPA와 주한 캐나다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을 위한 한국-캐나다 간 첨단제조 및 스마트 팩토리 분야 공동 R&D 및 발전방향 모색’을 주제로 진행되며,   ㅇ 첨단제조 및 스마트팩토리 기술에 대한 한국, 캐나다의 국가 정책, 지원체계 및 현황과 한‧캐나다 양국 중소기업의 최신 스마트팩토리 기술 사례의 상호 교류를 통한 기술 수준 및 공동 R&D 분야를 제고할 수 있는 논의의 장으로 마련된다.   □ 특히, 코로나 19로 인하여 대면행사 진행이 어려운 만큼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운영되고,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 할 예정이다. 캐나다와의 시차를 고려하여 비대면 온라인 전용 사이트를 구축하여 일정기간 동안 오픈하여 많은 캐나다 중소기업 및 유관기관이 참관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ㅇ 현장 참여가 어려운 해외연사의 강연은 사전 녹화를 통하여 당일에 송출하게 되며 기업발표를 할 캐나다 중소기업들은 사전 녹화 영상 또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이원중계로 발표에 참여하게 된다.   □ 본 행사는 크게 포럼과 B2B상담회로 구성되어 진행되며, 한국과 캐나다 양 국의 정책 소개, 기업 홍보 및 기업 간 해외기술교류 상담회 등 다양한 논의의 장을 제공한다.   ㅇ 먼저 3월 9일(화)에 진행하는 포럼에서는, 캐나다 국가연구위원회(NRC)에서 ‘Advanced and Smart Manufacturing Sector in Canada’이라는 주제로 캐나다의 첨단제조 및 스마트 팩토리 분야 정책에 대해 소개하고,   ㅇ 이어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이 ‘한국 스마트제조혁신 추진전략 및 현황’이라는 주제로 한국의 첨단제조 및 스마트 팩토리 분야 동향 및 정책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ㅇ 또한, 첨단제조 및 스마트팩토리 기술과 관련한 13개의 캐나다 기업과 한국 중소기업 22개사가 각 기업정보 및 보유기술을 소개하여 양 국의 기술협력을 위한 정보를 공유한다.   ㅇ 이후 3월 10일(수)부터 11일(목)까지 이틀간 진행되는 한-캐나다 B2B 온라인 기술교류회에서는, 사전에 매칭된 양 국의 기업이 1:1 비대면 상담회를 진행하며, 스마트 제조혁신을 위한 연구·실증 사례 및 우수 성과 공유, 공동 R&D협의 등 기술협력을 위한 심층논의를 실시할 예정이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한-캐나다 R&D 네트워킹 상담회를 계기로 한국과 캐나다 간 관련 기술교류 및 협력을 통한 경험과 사례 공유가 활발해지길 바란다”며, “더 나아가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포럼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준 중소기업 간 협력이 향후 성과로 이루어지고 국가 간 비대면 스마트 제조혁신 회의를 개최하여 스마트 제조혁신이 미래 지향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중간 매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35","atchfileNm":"(보도자료)_2021_한국-캐나다_RD_네트워킹_상담회_개최(★).pdf","viewCnt":"2882","regDate":"2021-03-08 10:17:53"},{"contentId":"127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재홍 원장 ‘고맙습니다 필수노동자’릴레이 응원 캠페인 동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5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재홍 원장 ‘고맙습니다 필수노동자’릴레이 응원 캠페인 동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은 이재홍 원장이 ’고맙습니다 필수노동자‘ 릴레이 응원 캠페인에 동참했다고 5일 밝혔다.   ’고맙습니다 필수노동자‘ 릴레이 응원 캠페인은 코로나19 감염의 위험을 무릅쓰고 대면 노동을 펼치고 있는 보건의료, 사회복지, 돌봄서비스, 환경미화 종사자들을 격려하고 응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동 캠페인은 지명을 받은 참가자가 ’필수노동자 공식 이미지‘에 손글씨로 ’고맙습니다. 필수노동자 여러분!‘이라는 응원의 메시지를 담아 소셜미디어 채널에 게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재홍 원장은 류찬수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원장의 지명을 받아 이번 캠페인 주자로 나섰다.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사회 기능 유지를 위해 이바지하는 필수노동자분들의 노고에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라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도 정부의 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당국의 방역지침을 철저하게 준수함으로써,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최일선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고 말했다.   이재홍 원장은 다음 주자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조봉환 이사장, 창업진흥원 김광현 원장을 지명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33","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이재홍_원장,_고맙습니다_필수노동자_릴레이_응원_캠페인_동참.pdf","viewCnt":"2514","regDate":"2021-03-08 10:15:32"},{"contentId":"127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선정방식에 전문성・공정성 강화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45","contentsKor":"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선정방식에 전문성・공정성 강화한다   □ 기관추천 방식 확대, 원스톱 평가 도입 등 선정과정에서 전문성을 강화하고, 여성기업, 소셜벤처 등 참여 유형 확대하여 공정성 강화   □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內 디딤돌 사업 中 기관추천 과제 신규 공고   (‘21년 상반기 전체 지원 규모 : 80개, 96억원, 기업당 : 최대 1년, 1.5억원 이내)   (공고기간 : 2.26(금) ∼ 4.5(월), 접수기간 : 3.22(월) ~ 4.5(월), 18시 까지 접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1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 사업 中 기관추천 과제* 모집을 위한, 신규 공고를 2월 26일(금) 실시하고, 오는 3월 22일(월) 부터 4월 5일(월)까지 약 40일간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 기관추천 과제 : 세부 공고에서 정하는 연계유형별 추천기관으로부터 추천받은 창업기업   기관추천을 통한 과제 선정 방식은 작년 대비 올해 확대(5개 → 7개) 시행되며, TIPA가 지정한 연계유형별 추천기관*이 별도의 사전 평가를 시행하고, 추천기관이 추천한 우수 기업에 대해서 R&D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 연계유형별 추천기관 현황 및 추천기준은 [3P 참고 자료] 참조   TIPA는 그간 연계유형별 추천기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추천된 우수 기업을 대상으로, △서면평가 면제, △가점 부여 등 우대 지원해왔다. 그 결과, 추천기관에서 추천한 우수 기업 446개 중 119개 기업(27%)이 최종 선정되어 약 165억원 규모의 R&D 자금을 지원받는 성과를 냈다.   올해부터는 디딤돌 사업 선정방식에 전문성・공정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연계유형별 추천기관을 확대(5개 → 7개) 운영하고, 추천기준도 다양화해 다양한 유형의 우수 창업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폭을 넓혔다.   이를 통해 다양한 추천기관의 우수기업 선별 기능을 활용, 민간에서 기술성과 시장성을 한차례 검증받은 우수 창업기업을 발굴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또한, 기존 선정평가 방식으로 활용되던 단계별 평가(2단계(서면+대면))방식에서 원스톱 평가 방식(1단계)으로 변경하여, 추천된 선별 기업이 보다 신속한 R&D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평가 절차를 개선했다.   사업 신청은 3월 22일(월)부터 4월 5일(월) 18시 까지 추천기관으로부터 추천 받은 기업에 한해 신청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19","atchfileNm":"보도자료_창업성장_기술개발사업_선정방식에_전문성_공정성_강화한다.pdf","viewCnt":"2618","regDate":"2021-03-02 15:18:52"},{"contentId":"127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TR, 코로나 이후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41","contentsKor":"TIPA·KTR, 코로나 이후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규제정보 제공, 기술성능 인증, 해외 네트워크 공동 활용 등 상호 협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권오정, 이하 KTR)이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코로나 이후 급증할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수요에 선제대응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 TIPA와 KTR은 2월 26일(금) KTR 과천 본원에서 중소벤처기업 R&D 지원과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협업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에 지원 가능한 신규 R&D 사업을 공동으로 기획하고, R&D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수출 희망국의 인증·인허가 등 규제관련 통합 정보제공과 R&D 성능인증, 시험검증, 기술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데 협력키로 했다.   ○ 또한, 양 기관은 KTR의 독일, 베트남, 중국지사 등 해외거점을 공동 활용해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신시장 진출 및 기술수출 촉진을 위한 현지 기술·산업 동향 조사 및 기술교류회 운영 등도 협력하기로 했다.     □ 그간 중소벤처기업은 개발된 제품의 판로 확보 과정에서 해외 기술규제 및 인증 정보 부족 등으로 R&D 성과물의 사업화와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R&D에서 인증‧규제 극복까지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에 필요한 제반 업무를 ‘원스톱’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에 따라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은 양 기관의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시간과 비용 부담을 줄이는 등 보다 효율적인 해외진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 상황 장기화로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의 빠른 회복과 도약을 위해 KTR과 협력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며, “KTR이 보유한 해외 네트워크와 인증·규제 대응역량은 중소벤처기업 R&D 사업화와 해외 시장 개척을 한층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이어서, KTR 권오정 원장은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중소벤처기업들이 하루빨리 활기를 되찾을 수 있도록 TIPA와 함께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특히 TIPA가 추진중인 산학연플랫폼 기술개발사업 등에도 적극 참여해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을 더욱 도울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99","atchfileNm":"210226_(보도자료)_TIPA-KTR_코로나_이후_중소벤처기업_해외진출_지원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배포용).hwp","viewCnt":"2635","regDate":"2021-03-02 09:41:24"},{"contentId":"127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15명 신규채용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40","contentsKor":"TIPA, 15명 신규채용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 □ 코로나 등 채용한파 속에서 공공기관의 사회적인 책임 이행   □ 상반기 15명 채용 시작으로 올해 정규직 신입 총 26명 채용 예정   □ 2월 26(금)부터 원서접수 시작, 5월 중 최종 합격자 발표 예정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월 26일(금) 상반기 채용공고를 시행하고, 오는 3월 5일(금)부터 3월 12일(금) 18시까지 공개 모집을 통해 신규직원 15명을 채용한다고 밝혔다.   TIPA(‘21년 5월 세종이전)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의 준정부기관으로 이번 신규채용을 통해, 공공기관으로서 청년 구직난을 해소하는 데 동참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올해는 정규직 신규 채용인원을 기관 정원(262명)의 10%인 26명을 계획하고 있으며, 상반기 1차 공고를 통해 15명을 우선 채용한다.   모집분야는 △R&D 정책기획, △데이터 분석, △R&D 평가관리 등 3개 분야이며, 채용 규모는 일반직 13명, 연구지원직(무기직) 2명이다.   채용절차는 2월 26일(금) 채용공고를 시작으로 3월 5일(금)부터 3월 12일(금) 18시까지 응시원서를 접수(온라인)하고 ❶서류전형, ❷필기전형, ❸역량면접, ❹최종면접 등 4단계를 거쳐 5월 중 최종 임용할 계획이다.   모든 채용과정은 NCS기반 블라인드 채용기준을 준수하며,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 및 공공성 확보를 위해 이전지역인재(대전, 세종, 충청)에 선발 할당제를 적용하고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등 취약계층에 대한 우대배점을 적용하며, 연구지원직은 장애인 제한경쟁으로 진행한다.   아울러, 코로나19 감염 위험 방지를 위해 방역당국의 방역수칙을 엄수하여 면접자 대상 손소독제, 마스크, 가림막을 구비하고, 발열자 발생에 대비하여 화상면접도 준비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상반기 채용공고를 시작으로 공무직, PM, 전문위원 등 다양한 분야의 직원 채용을 통해 분야별 전문성과 조직 역량을 강화하고, 청년인턴 채용도 확대하여 코로나19 장기화로 침체된 고용시장에 활력을 보태고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신청 방법, 채용 일정 등 상세내용은 TIPA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R&D 및 스마트공장 지원을 전담하는 공공기관으로서, 올해는 역대 최대규모인 1.8조원 규모로 지원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97","atchfileNm":"20210226_(보도자료)_TIPA,_15명_신규채용으로_청년_일자리_창출(★).hwp","viewCnt":"2157","regDate":"2021-03-02 09:38:56"},{"contentId":"127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 R&D 사업화 성공사례 발굴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39","contentsKor":"TIPA, 중소벤처기업 R&D 사업화 성공사례 발굴 나선다   □ R&D 사업화 성공요인 탐색을 위해, 6개 중소벤처기업 관계자들과 온라인 비대면 간담회 추진   □ 사업화 성공 사례, 사업화 추진과정, 애로사항, 건의사항 등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향후 R&D 사업화 지원 제도 개선에 활용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월 25일(목), 4차 산업혁명 분야* R&D 성공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R&D 사업화 성공요인 탐색을 위한, 온라인 비대면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 : 빅데이터, AI, 사물인터넷(IoT), 머신러닝, 핀테크 등   이번 간담회는 R&D 수행 이후, 실제로 사업화에 성공한 기업을 대상으로 성공 사례를 발굴하고,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었던 노하우 등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여 향후, 정부 R&D 사업화 지원 제도 개선에 활용하고, 향후 ‵사업화 성과 제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R&D 사업화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애로사항, 정책적 건의사항 등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고, 준비된 안건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함으로써, 신속히 정책에 반영・개선하고자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R&D를 통해, 비정형 데이터 수집・분석 등 알고리즘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 재고를 자동으로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사업화에 성공한 ㈜소나클로의 최우인 대표 등 4차 산업혁명 분야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화까지 성공한 6개 중소벤처기업이 참여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중소벤처기업 관계자들은 △사업화 자금 확보 문제, △기업 내 사업화 전문 인력 수급 문제, △판로 및 시장 개척 문제 등을 사업화 추진과정에서 겪는 대표적인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또한, △사업화 자금 확보를 위한 민간투자 유치 연계지원, △시장분석, 사업성조사와 같은 컨설팅 지원 등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화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여건이 불리한 중소벤처기업의 자금 및 판로 지원 강화를 위해, 정부에서 실질적인 지원제도를 강구해줄 것을 요청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간담회에서 ”TIPA는 현재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를 통해 우수한 중소벤처기업이 공공판로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해외 인증・규격 적합제품 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는 등 R&D 성과를 통해 사업화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인증・수출・판로・투자・자금연계 등 다양한 방안으로 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TIPA는 R&D를 통해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사업화 성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생태계적 관점에서의 지원 체계 마련을 더욱 강화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95","atchfileNm":"20210225_(보도자료)_TIPA,_중소벤처기업_RD_사업화_성공사례_발굴_나선다(★★).hwp","viewCnt":"2370","regDate":"2021-03-02 09:31:08"},{"contentId":"127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1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38","contentsKor":"TIPA, `21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추진 - 미세먼지저감 실용화 기술개발사업(75억원, 30개 과제) 공고 -   국민 건강에 밀접한 미세먼지 배출 및 노출 저감분야의 실용화 R&D 지원(최대 1년, 2.5억원 이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미세먼지 저감 실용화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5일부터 3월 29일까지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의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사회적 문제해결 및 대기환경산업분야의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20년에 신설되어 최대 1년, 2억 5천만원 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20년에는 오염물질 배출량이 연간 10톤 미만*인 중소제조사업장과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적용받는 25개 다중이용시설, 학교, 음식점 등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총 43개 과제, 103억원을 지원하고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에 따른 업종별 사업장 분류 기준   특히, 코로나19에 따른 실내생활 확산에 따라 다중 이용 밀접공간 등 실내 공기정화 및 환기를 위한 과제* 등을 지원하였다.   * 요양원, 병원 등 다중 생활 공간의 미세먼지, 바이러스,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기술 개발   아울러, 개발된 과제가 국민이 실생활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국민 눈높이가 반영된 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국민평가단제도*를 도입하여 국민이 공감하는 과제 위주로 선정한 바 있다.   * R&D사업의 공감대 확산 및 국민눈높이를 반영한 국민생활 밀접 과제 선정을 위해 국민이 직접 평가에 참여   올해 `21년은 코로나19 장기화,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화 등에 따라 3밀(밀접·밀폐·밀집) 공간의 공기질 개선 및 코로나19 등 공기를 통한 감염병 전파 예방 등을 위한 과제를 우대 지원하고,   이동오염원 및 비산먼지 분야 등 미세먼지(PM10) 및 초미세먼지(PM2.5) 배출 비중이 높은 분야 등 세부 기술분야를 기존 6개에서 12개로 확대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민간부담 비율을 기존 25% 이상에서 20% 이상으로 낮춰 중소기업 부담을 완화를 추진한다.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다음달 29일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미세먼지 배출 및 노출 저감분야의 실용화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대기환경분야 중소기업 육성과 함께 국민생활 및 건강 증진에 기여하길 바라며,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R&D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기획하겠다.” 라고 밝혔다.   ‘미세먼지저감 실용화 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93","atchfileNm":"20210225_(보도자료)_TIPA,_21년_미세먼지_저감을_위한_기술개발_지원_추진(★).hwp","viewCnt":"2121","regDate":"2021-03-02 09:29:26"},{"contentId":"127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지원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37","contentsKor":"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지원을 위한 MOU 체결 - TIPA・KEPCO・KPX・KORAD 4자간 업무협약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지원을 위해, 한국전력(대표이사 김종갑, 이하 KEPCO), 전력거래소(이사장 조영탁, 이하 ‘KPX’),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사장 차성수, 이하 ‘KORAD’)과 손을 맞잡았다.   ◦ TIPA와 KEPCO 등 3개 에너지 공공기관은 2월 25일(목),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전력연구원에서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중소기업 에너지 기술마켓」의 효율적 운영과 참여기관간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이번 MOU는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 혁신제품의 공공조달 진입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 한국판 뉴딜 이행과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의 성공적인 이행과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 혁신제품의 공공조달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 TIPA가 보유한 인적, 물적 자원과 우수한 평가시스템 등을 적극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 한편 ‘중소기업 에너지 기술마켓’은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우수 기술·제품의 조기 상품화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2020년 10월, 한국전력을 주관기관으로 14개 에너지 관련 공공기관의 참여로 출범하였으며,   ◦ 이번 MOU를 통해서 TIPA는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우수기술 및 제품 추천, △우수기업 - 에너지 공공기관과의 매칭데이 개최 등을 통해, 해당 기술 및 제품이 에너지 공공기관의 공공조달 진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할 계획이다.   □ TIPA 장인성 기획조정본부장은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들의 우수한 혁신기술 및 제품이 공공조달로 이어질 수 있도록 KEPCO, KPX, KORAD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에너지 분야 혁신 제품의 공공조달 확대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91","atchfileNm":"20210225_(보도자료)_에너지_분야_중소기업의_혁신성장_지원을_위한_MOU_체결(★).hwp","viewCnt":"2053","regDate":"2021-03-02 09:27:31"},{"contentId":"127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 전문위원회′발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36","contentsKor":"TIPA,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 전문위원회′발족   □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 협력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 전반 자문부터 ODA 사업 자문까지 정책 씽크탱크로서 역할 수행 기대   □ 사업 전반을 자문하는 ‘사업 자문단’과 ODA 사업 추진에 대해서 자문하는 ‘ODA 자문단’ 2개 분과로 구성하여 운영   □ 글로벌 기술 협력 관계분야 전문가 9명으로 구성, 2년 임기제로 운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 협력 지원을 촉진하기 위해, 2월 24일(수), TIPA 기술혁신센터에서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 전문위원회‘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동 위원회는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의 체계적이고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사업 기본계획 수립 자문, △생태계 중심의 해외기술개발협력사업 지원 체계 마련 등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 전반에 대한 정책을 자문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IPA는 동 위원회를 통해 △다양한 국가와의 글로벌 기술 협력 네트워크를 조성하고, △글로벌 R&D 사업 추진 근거 마련, △사업 추진 타당성 검증 등 글로벌 기술 협력 사업 추진체로서의 역할을 견고히 하여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동 위원회 內 분과위원회로써 ’ODA 자문단‘을 추가 운영하여 R&D 기반 국내 우수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해외 공공판로 개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ODA 사업 자문 기능도 수행할 계획이다.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이나 국제기관에 하는 원조   또한, 동 위원회는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ICA(국제협력단) 등 글로벌 협력 기관에서 활동하거나 관련 분야에 참여 경험이 많은 유관 공공기관, 학계, 출연연 등 각 분야의 전문가 9명이 위원으로 위촉돼 격월 단위(1년에 6회 예정)로 활동하며, 전문위원회 격인 ’사업 자문단‘과 분과위원회 격인 ’ODA 자문단’ 2개 분과로 구성해 수시 운영할 계획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TIPA는 지난 해부터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협력기관 발굴 및 협력을 강화해왔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 전문위원회를 통해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역량 증대 및 해외 신시장 진출 지원을 적극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89","atchfileNm":"20210225_(보도자료)_TIPA,_글로벌_기술_협력사업_전문위원회_발족(배포)(★).hwp","viewCnt":"1960","regDate":"2021-03-02 09:21:57"},{"contentId":"127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한국도로공사,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26","contentsKor":"TIPA·한국도로공사,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 MOU 체결 - R&D 구매연계 강화 및 성과확산 협조체계 구축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도로공사(사장 김진숙, 이하 도공)는 중소기업과 상생의 길을 열고 동반성장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겠다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손을 맞잡았다.   ◦ TIPA와 도공은 2월 23일(화) 경상북도 김천시에 위치한 한국도로공사 본사에서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상호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특별 방역대책에 따라 진행된 이번 MOU는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TIPA R&D지원 사업과 도공의 도공 기술마켓 간 관련 이슈를 공유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체결되었다.   ◦ TIPA는 2002년부터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공공기관, 대기업 등 수요처와 구매협약을 기반으로 개발하는 혁신 기술과제에 대해 R&D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 도공은 2011년부터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도공 기술마켓*” 제도를 만들고 ‘19년부터 기술심사처를 통해 본격적으로 지원한 결과, 최근 2년간 22건, 134억원에 해당하는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하여 기술제안, 공모, R&D 등을 지원하는 한국도로공사의 온라인 플랫폼   □ 양 기관은 단순 지원사업 참여를 넘어서, 상호협력을 더욱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이슈의 발굴 및 개선, ▲중소기업 기술사업화를 위한 판로지원 강화, ▲개발기술 실증을 위한 시험시공(Test-bed) 확대, ▲기술개발 지원사업 발전을 위한 정기적인 실무협의체 운영 등을 추진하여 양 기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MOU 체결은 코로나-19의 어려운 경제상황을 혁신적인 기술개발로 극복하려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도로공사와 협조 체계를 공고히 하는데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 “특히, 기술개발을 성공한 중소기업이 한국도로공사 같은 공공기관에 납품한 실적을 바탕으로 판로를 더욱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viewCnt":"2166","regDate":"2021-02-24 09:10:56"},{"contentId":"127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공장 고도화 위한 R&D 기술수요조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25","contentsKor":"스마트공장 고도화 위한 R&D 기술수요조사 실시 -KOSMO, 『스마트제조혁신 R&D』(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상세기획 착수 -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KOSMO)은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한 범부처 R&D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을 위해, 기술수요조사를 실시한다.   ㅇ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 총 사업비 4,341.25억원(국비 3,287.93억원 등) 규모로 추진*된다고 밝혔다. □ KOSMO는 올해 말 국회에서 ‘22년도 예산이 확정됨과 동시에 동 사업의 원활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내년도 지원과제 상세기획을 위해 기술수요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ㅇ 특히 이번 수요조사의 항목 중 세부기술품목 발굴을 위해 제안 기술명, 키워드, 스마트제조 핵심기술분야, 개발필요성, 개발목표와 내용, 기대효과 등으로 상세히 구분해 실질적인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ㅇ 스마트 제조혁신 R&D 사업에 관심이 있고 참여의사가 있는 기업, 대학 및 연구소, 학회/협회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ㅇ 수요조사를 통해 취합된 자료는 스마트제조 핵심기술인 △첨단제조 △유연생산 △현장적용기술의 세부품목기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ㅇ 조사는 오는 2월 24일(수)부터 4월 20일(화)까지 진행되며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 박한구 KOSMO 단장은 “이번 예타 통과 및 ‵22년 사업 착수로 인공지능·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제조 2.0 전략′을 제조업 전반에 확산, 전격 실행하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라며, “본 수요조사를 통해 제조현장 맞춤형 기술품목 지정 및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65","atchfileNm":"보도자료_KOSMO,_스마트_제조혁신_기술개발사업_예타통과_및_기술수요조사_실시(★).pdf","viewCnt":"2332","regDate":"2021-02-23 16:14:05"},{"contentId":"127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OSMO, 스마트센서 선도프로젝트 기술개발사업 참여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07","contentsKor":"KOSMO, 스마트센서 선도프로젝트 기술개발사업 참여기업 모집 (접수기간 : 2. 15. (월) ~ 3. 18. (목), 18시) 스마트공장 공급기술 고도화를 위한 스마트센서 R&D사업 추진  □ 국내 제조현장에 적합한 맞춤형 스마트센서 기술 개발 사업이 시작된다.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KOSMO)은 ‘스마트센서 선도 프로젝트 기술개발 사업’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 스마트 센서 : 기존 센서에 데이터 처리, 자동보정, 자가진단, 의사결정기능이 결합된 고기능, 고정밀, 고편의성의 고부가가치 센서   ㅇ 스마트센서 선도프로젝트 기술개발사업은 스마트공장의 제조환경에 적합한 ‘제조현장 맞춤형 스마트센서 개발’을 목표로 하며 올해 지원 예산은 109.98억원이다.   ㅇ 예산 내에서 25개 과제 내외를 선정평가를 통해 선발할 예정이며 개발기간은 최대 2년 이내다.   ㅇ 이번 사업은 주관연구개발기관(공급기업)과 공동연구개발기관(도입기업)이 컨소시엄 형태로 신청 할 수 있으며 공동연구개발기관인 도입기업의 공장보유확인(공장등록증 또는 직접생산증명서 등 제출)을 통해 중소기업을 확인받아야 신청 할 수 있다.    □ 이번 사업은 스마트공장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스마트센서 기술을 개발해 스마트제조혁신의 핵심 부품과 솔루션의 경쟁력을 키우고자 추진된다. ㅇ 1차 평가는 신청 기업의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2장 내외 분량의 개념기술서를 통해 서면 평가로 진행되며, 선정기업에 한해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는다. 사업기간 내 기술개발 결과물의 검증 및 현장 적용이 반드시 수행돼야 한다. 관련 실증 비용은 사업비로 계상 가능하며, 정부지원연구개발비는 최대 80%(최대 6억원)까지 지원된다.   - 연구개발(R&D) 사업 신청 시 제출하는 비목별 소요명세서의 경우, 기존의 집행 상세(예정)내역까지 작성하던 방식을 인건비, 시설‧장비비 등 비목별 총액만 작성하도록 변경했다.   ㅇ 사업 신청은 3월 18일까지 진행된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www.smtech.go.kr)에서 확인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40","atchfileNm":"보도자료_KOSMO,_스마트센서_선도프로젝트_참여기업모집(최종).hwp","viewCnt":"1881","regDate":"2021-02-17 15:58:32"},{"contentId":"127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스마트한 기술인재 채용관’ 운영을 통해 위축된 고용시장에서 584명 채용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03","contentsKor":"TIPA,‘스마트한 기술인재 채용관’운영을 통해 위축된 고용시장에서 584명 채용 지원 -온라인 채용관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인재 채용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해 9월 중소벤처기업의 구인애로해소 지원을 위해 구축한 “스마트한 기술인재 채용관”이 성황리에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 해당 채용관은 청년들이 취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동시에 우수기술인력 구인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 완화를 위한 온라인 전용 채용관으로,   ○ 채용관 입점, 프리미엄 공고비용 등을 전액 무료로 지원하여 중소벤처기업에서 개별적으로 취업사이트를 통해 구인활동을 할 때 발생하는 약 300만원 상당(1회 공고당)의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 또한, 청년인력 채용이 의무화 되어있는 4억원 이상 고액 R&D 과제를 수행하는 중소벤처기업이 채용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했다,   □ 특히,‘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경영에 어려움을 겪은 다수의 기업이 채용을 미루거나 인원을 감축하는 등 위축된 고용시장 속에서 584명이 취업에 성공하며 성황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 지난해 9월 1일 런칭 이후 12월 말까지 단 4개월 만에 809개사가 참여해 6,421건의 채용공고를 게재하여 101,000여건의 입사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약 350만 건에 달하는 조회 수를 기록했다.   □ 채용관 입점 이후 무려 26명의 인재를 채용한 ㈜드림아이디어소프트의 이제환 대표는 “무료 채용공고 등록 건수의 제한이 없어 활발한 구인활동을 추진할 수 있었다”며 “스마트한 기술인재 채용관 덕분에 기업 이미지 제고와 인지도 개선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전했다.   □ 해당 채용관에 대한 입점기업의 만족도가 높고 상당한 활용 효과에 힘입어 TIPA는 올해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 밝혔다.   ○ 또한, 기업과 구직자에게 정보를 양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재 Pool을 제공하여 구인·구직자의 원활한 매칭 환경을 조성하는 등 채용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추가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고용시장이 위축되며 구인기업과 구직자 모두가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며 “앞으로도 온라인 채용관의 지속적인 운영을 통해 R&D과제를 수행하는 중소벤처기업이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채용할 수 있도록 도와 우수인력을 적극 활용해 사업화 성공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36","atchfileNm":"보도자료_TIPA,_스마트한_기술인재_채용관_운영을_통해_위축된_고용시장에서_584명_채용_지원.pdf","viewCnt":"2095","regDate":"2021-02-16 20:14:18"},{"contentId":"127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재홍 원장 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캠페인 동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0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재홍 원장 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캠페인 동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은 이재홍 원장이 ’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캠페인‘에 동참했다고 17일 밝혔다.   ’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캠페인‘은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어린이 보호를 최우선 문화로 확산하기 위해 정부-지자체-공공기관이 앞장서자는 취지로 행정안전부가 주관해 마련됐다.   캠페인은 행정안전부에서 진행한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선정된 ’1단 멈춤! 2쪽 저쪽! 3초 동안 4고 예방‘ 슬로건*이 담긴 푯말을 든 인증 사진을 SNS에 게시한 후 다음 주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어린이는 횡단보도를 건너기 전 일단 멈춰서 도로 양쪽을 살펴보고, 잠깐 대기한 후 건너는 방어보행 습관을, 운전자는 횡단보도 앞 정지선에서 무조건 멈춰서고, 주위를 살핀 뒤 조금 늦게 출발하는 안전운전 습관을 생활화하자는 뜻이 담겨 있음.   이재홍 원장은 조봉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의 지명을 받아 이번 캠페인 주자로 나섰다.   이재홍 원장은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교통문화 정착을 위해 TIPA도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확산돼 우리나라의 미래인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등하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재홍 원장은 다음 주자로 창업진흥원 김광현 원장, 중소기업유통센터 정진수 대표이사를 지명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34","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이재홍_원장,_어린이_교통안전_릴레이_캠페인_동참.pdf","viewCnt":"1943","regDate":"2021-02-16 20:13:13"},{"contentId":"126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국민과 함께한다, ‵국민 참여 기자단(1기)′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88","contentsKor":"TIPA, 국민과 함께한다, ‵국민 참여 기자단(1기)′모집 □ 2월 19일(금)까지 이메일 접수, 활동 기간은 3월 2일(화)부터 약 10개월간   □ 참여자에 대해서는 TIPA 명예기자증 및 명함 지급 등 활동 혜택까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오는 2월 19일(금)까지 2021년 제1기 국민 참여 기자단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TIPA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키우고,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과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전담하고 있다.   이번 기자단 모집 명칭은 ‵더 브릿지(The Bridge)′로, 앞으로 기자단 운영을 통해, TIPA가 추진하는 사업 및 정책 등 역할을 보다 더 국민의 시선에서 쉽고, 객관적으로 알린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기자단이 본격 가동되면 보다 더 국민의 입장에서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만드는 데 반영하고, 수요자 중심의 홍보 품질 향상이 기대된다.   모집 인원은 총 10명 규모이며, △블로그 등 글쓰기에 관심 있는 리포팅 분야 6명, △유튜브 등 영상 촬영과 편집에 관심 있는 영상 제작 분야 4명으로 구성된다.   활동 내용은 △TIPA가 지원하고 있는 사업 소개, △우수기업 성과 홍보 등으로, TIPA가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 상승과 정책 고객 대상 쉽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류 접수가 완료 되면, 서류 통과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화상면접을 실시하고, 최종 합격자는 2월 26일(금)에 발표할 계획이다. 활동 기간은 3월 2일(화)부터 12월 1일(수)까지 약 10개월이다.   활동 혜택은 TIPA 명예기자증 및 명함이 지급되며, 활동 종료 이후 수료증 수여 및 우수 기자 시상이 예정돼 있다. 매달 소정의 원고료가 지급되며, 활동 우수자를 대상으로 기관장 포상도 준비 중이다.   기자단 모집 공고 등 자세한 내용은 TIPA 홈페이지(www.tipa.or.kr) 및 공식 블로그(https://blog.naver.com/tipa_on)에서 확인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기관 운영 이래 최초로 도입하는 국민 참여 기자단 모집을 통해 TIPA가 중소벤처기업의 No.1 정보 알림이로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TIPA는 대국민 소통 채널을 더욱 강화하고, 수요자 입장에서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21","atchfileNm":"(보도자료)_TIPA,_국민과_함께한다,_국민_참여_기자단(1기)_모집(최종)(★★).hwp","viewCnt":"2039","regDate":"2021-02-16 11:40:27"},{"contentId":"126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설 명절 맞아 지역 전통시장 희망 나눔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83","contentsKor":"TIPA, 설 명절 맞아 지역 전통시장 희망 나눔 나서! 소상공인 매출 회복 지원을 위해 장보기 진행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월 9일(수) 대전 한민시장에 방문해 설 명절을 앞두고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에 나섰다.   코로나-19 특별 방역대책에 따라, 방역당국의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최소한의 인원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진행됐다.   이번 방문은 한민시장 상인회와의 간담회를 통해 애로사항을 점검하고, 그 간에 위축된 소상공인 매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 이후, TIPA 임직원들은 온누리 상품권을 활용해 지역 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장보기에 나섰다. 구매 물품은 유성구 노인복지관, 성심보육원 등 지역 독거노인 가정과 소외아동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통시장의 방역관리 지원을 위해, △마스크 1,000장, △휴대용 손소독제 100개 등 방역물품을 기부하기도 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 날 행사 후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전통시장 상인들은 물론 지역 취약계층의 부담이 가중되는 시기이지만, 이번 활동을 통해 조금이나마 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라며, “앞으로도 철저히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지역사회 활력 제고를 위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16","atchfileNm":"(보도자료)_TIPA,_설_명절_맞아_지역_전통시장_희망나눔_나서.hwp","viewCnt":"2297","regDate":"2021-02-09 20:12:56"},{"contentId":"126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 및 스마트공장 사업 정보도 ‵중소벤처24′에서 손쉽게 확인 하세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82","contentsKor":"중소기업 R&D 및 스마트공장 사업 정보도 ‵중소벤처24′에서 손쉽게 확인 하세요   -R&D, 스마트공장 사업공고 조회부터 신청까지 한 번에 해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벤처24(www.smes.go.kr)를 통해, ‵2021년 중소기업 R&D 및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에 대한 공고 조회부터 신청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소벤처24에서 지원사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선, 회원가입 절차가 필요하며, 홈페이지 내 ‘회원가입*’ 메뉴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참고로, 한 번의 회원가입(하나의 아이디)으로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25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 세부 경로 : [중소벤처24 소개] → [이용방법 안내] → [회원 서비스] 또는 상단의 회원가입 메뉴   홈페이지 상단의 「지원사업 신청」메뉴에서 「사업공고 조회·신청」메뉴를 선택하고, 사업유형 하위 메뉴에서 ‘기술개발지원’ 또는 ‘스마트공장 지원’으로 조회하면 사업 정보 확인 및 신청까지 가능하다.   지원사업 신청 시 가점을 받기 위해서 필요한 여성기업 확인서, 벤처기업인증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인증서, 경영혁신형(MAIN-BIZ)인증서, 장애인기업 확인서 등은 기업회원으로 가입 후「증명서 발급」 메뉴에서 바로 발급 받을 수 있다.   한편, TIPA*는 ‵중소벤처24′서비스 전담 운영기관으로써 지난해 8월에 정식으로 서비스를 개시한 후,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이 정부의 지원 정책을 이용하는 데 수월성 관점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중소벤처24의 주요 서비스 내용 및 이용방법은「중소벤처24 소개」메뉴에서「이용방법 안내」를 선택하면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 그 밖의 궁금한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중소벤처24 고객상담 창구인 ‘중소기업통합콜센터(☎1357)’ 혹은 ‘카카오톡플러스 친구(1357 중소기업통합콜센터 채널)’을 통해 문의 가능   TIPA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들이 정책지원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함으로써, 경영안정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서비스 개선에 대한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현장에서 필요한 서비스 수요를 적극 발굴해 서비스 이용 편의성과 품질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14","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RD_및_스마트공장_사업_정보도_중소벤처24에서_손쉽게_확인_하세요_최종본_-_복사본.hwp","viewCnt":"2301","regDate":"2021-02-09 20:11:40"},{"contentId":"126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1년 산학연 Collabo R&D 사업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81","contentsKor":"2021년 산학연 Collabo R&D 사업 공고 □ 산학연 협력R&D 활성화를 통한 중소기업 혁신성장 지원   □ 1단계(예비연구) 과제(8개월, 50백만원 이내), 2단계(사업화R&D) 과제(2년, 4억원 이내) 참여 중소기업 모집 (공고기간 : 1.28(목) ∼3.15(월), 1단계(예비연구) 접수기간 : 2.15(월) ~ 3.15(월)까지, 2단계(사업화R&D) 접수기간 : 3.2(화) ~ 3.10(수)까지 접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벤처기업의 산학연 협력R&D 지원을 위해, 2021년 산학연 Collabo R&D 사업 공고를 지난 1월 28일(목) 실시하고, 오는 2월 15일(월)부터 3월 15일(월)까지 참여 중소기업 및 대학・연구기관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산학연 Collabo R&D 사업은 산학협력 과제(1단계 예비연구・2단계 사업화R&D) 및 산연협력 과제(1단계 예비연구・2단계 사업화R&D) 등 2개의 내역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산학연 Collabo R&D 사업은 기술개발 인력 및 장비가 부족한 중소기업에 대학 또는 연구기관의 전문가 및 연구 인프라를 활용하여 협력R&D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21년 동 사업 신규과제 지원규모는 215억(1단계(예비연구) 72억, 2단계(사업화R&D) 143억), 290개 과제이며, 총사업비(정부출연금+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80%이내에서 지원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12","atchfileNm":"(보도자료)_산학연_Collabo_RD_사업_공고(최종)(★).hwp","viewCnt":"2411","regDate":"2021-02-09 20:09:52"},{"contentId":"126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신청 더 쉽고 빨라진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80","contentsKor":"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신청 더 쉽고 빨라진다. □ 신청서류 간소화, 선정평가 시 비대면 원스톱 평가 최초 도입   □ 디딤돌(첫걸음) 과제(기업당 최대 1년, 1.5억원), 전략형(4IR・소부장) 과제(기업당 최대 2년, 4억원) 규모로 지원 (접수기간 : 2.9(화) ∼ 2.25(목))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의 성장 촉진을 지원하기 위해, ‘21년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1차 공고를 지난 1월 26일(화) 실시하고, 오는 2월 9일(화)부터 2월 25일(목)까지 약 20일간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은 디딤돌(첫걸음) 과제 및 전략형(4IR*・소부장**) 과제 등 2개의 내역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 4IR : 4차 산업혁명 분야 / ** 소부장 : 소재・부품・장비 분야   동 사업은 업력 7년 이하, 전년도 매출액이 20억원 미만인 창업기업 중 과제별 자격기준을 충족하는 중소기업이면 신청할 수 있다. 올해부터는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을 신청하는 중소기업의 행정 부담을 대폭 완화하기 위해 △신청서류 간소화, △비대면 원스톱 평가 최초 도입 등 평가의 효율성・공정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R&D 사업 신청 시 제출하는 비목별 소요명세서의 경우, 기존의 집행 상세(예정)내역까지 작성하던 방식을 인건비, 시설・장비비 등 비목별 총액만 작성하도록 변경하는 등 기업의 신청 부담을 개선했다.   특히, 기존의 선정평가 방식인 단계별 평가 (2단계(서면+대면평가))에서 제출된 서류에 대한 서면(온라인) 검토 후 필요한 정보에 대해 비대면으로 발표를 진행하는 원스톱 평가 (1단계)로 개선한다.   신청기업은 단계별 서류제출의 부담이 줄고 단계별 결과를 기다릴 필요 없이 한 번에 평가를 받아 편리해지며, 코로나 시대에 부합하는 비대면방식 평가를 통해 예년 대비 빠른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스톱 평가 방식은 초기 창업기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디딤돌과제(첫걸음)에 우선 도입되며, 추후 수요에 따라 세부과제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사업 신청은 2월 9일(화)부터 2월 25일(목)까지 신청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10","atchfileNm":"(보도자료)_창업성장_기술개발사업_신청_더_쉽고_빨라진다(최종)(★).hwp","viewCnt":"2167","regDate":"2021-02-09 19:38:17"},{"contentId":"126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1년 연구기반 활용플러스 사업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74","contentsKor":"2021년 연구기반 활용플러스 사업 공고   □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연구개발 기반조성을 위하여 대학·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연구시설·장비 및 서비스의 공동활용 촉진   □ 기업선도형 과제(기업당 최대 1년, 10백만원), 기반플러스형(기업당 최대 1년, 50백만원) 참여 중소기업 모집 (공고기간 : 1.28(목) ∼11.30(화), 주관 연구개발기관 접수기간 : 2.24(수) ~ 11.30(화), 운영기관 접수기간 : 2.10(수)부터 상시 접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개발 기반 조성을 위해, 2월 24일(수)부터 11월 30일(화)까지 2021년 연구기반 활용플러스사업공고를 시행한다 밝혔다.   동 사업은 ’21년 신규사업으로 총 지원 예산은 83억원(기업선도형 20억원, 기반플러스형 63억원)이며, 바우처 형태로 이용료를 지원한다. 그간 중소기업 연구시설·장비 공동활용 지원을 통해 경제적·기술적 성과 등 다양한 우수성과를 창출해 왔다.   ㅇ ㈜테토스는 ’19년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집속이온빔장비(FIB-SEM), X선광전자분광기(XPS) 등의 공동활용 연구장비를 활용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기술을 확보하였으며, 매출액 증가 및 고용창출 성과를 거두었다.   * 매출액 : (´18) 64억원 → (´19) 100억원, 고용창출 : (´19) 6명(직접 2명, 간접 4명)   ㅇ ㈜옵토레인은 ’19년 한국나노기술원의 자동 자외선 노광기(8inch) 등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공동활용 연구장비를 활용하여 체외진단기기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실시간유전자증폭(PCR) 검사기기를 국산화하는데 성공하였다.       2021년 연구기반활용플러스 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소기업 선택 폭 확대를 위한 연구시설·장비 서비스 강화   ➊ 중소기업이 원하는 연구시설·장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구장비관리시스템(ZEUS, 과기부)에 등록된 모든 공동활용 연구장비*를 바우처와 연계하여 활용한다.   * 연구장비관리시스템(ZEUS) 등록 연구장비 : 33,745점 (‘20.10 기준)   ➋ 중소기업은 첨단기술개발을 위해 첨단연구장비(슈퍼컴퓨터, 방사선가속기 등)를 보유하고 있는 대학·연구기관과 연계하여 첨단 인프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첨단연구장비 보유 기관 현황 - 슈퍼컴퓨터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동명대학교 - 방사선가속기 : 포항가속기연구소   연구장비 접근성 확대 및 효율적인 바우처 사용 지원   ➊ 연구장비 공동활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중소기업을 위해 ‘R&D 인프라 연계 지원단’을 구성하여 중소기업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공동활용 연구장비 발굴 및 사용 등 애로사항을 해소한다.   * R&D 인프라 연계 지원단은 연구시설·장비를 보유한 운영기관의 사업 및 장비 담당자로 구성되며, R&D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보 중소기업 발굴 및 사업 홍보, 장비 보유기관추천, 연구장비 사용(시험·분석 등)에 관한 컨설팅 등을 지원   ➋ 실수요가 있는 중소기업이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 유효기간을 45일로 조정하고, 바우처를 50% 이상 환불한 기업은 차년도 사업 참여 제한을 통해 바우처 순환을 촉진한다.   ➌ 중소기업이 필요한 시기에 바우처를 활용할 수 있도록 상·하반기에 분할 발행*하여 바우처 조기소진을 방지하고 하반기 중소기업 수요를 충족한다.   (상반기) 총 예산의 70%, (하반기) 총 예산의 30% 사업 신청은 2월 24일(수)부터 11월 30일(화)까지 신청 가능(신청 기간 내 예산 소진 시 지원 종료)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및 연구기반공유시스템(https://rss.auri.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96","atchfileNm":"(보도자료)_2021년_연구기반_활용플러스_사업_공고(최종)(★).pdf","viewCnt":"2823","regDate":"2021-02-08 15:34:20"},{"contentId":"126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0년 공군을 빛낸 단체상' 수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7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0년 공군을 빛낸 단체상’수상   공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와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 등 상호협력 활동에 대한 공로 인정받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2020년 공군을 빛낸 단체로 선정되어 공군 참모총장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 공군은 2001년부터 매년 공군 발전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선정하고 있으며, TIPA는 부문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하였다.   ◦ 당초 공군에서 대면시상식을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지난 8일 공군 진영승 정보화기획참모부장이 직접 TIPA를 방문하여 상을 전달하였다.   □ TIPA는 지난 2020년 5월, 공군과 상호협력 합의서를 체결한 이후 공군에 정책자문을 제공하고 중소기업 기술개발 관련 공동 지원체계를 수립하는 등 공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와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   ◦ 특히,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과 공군 간 협력기술개발을 위한 「과제발굴-기술개발-사업화-구매」, 전주기 지원을 위한 공동 협력체계를 수립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 이를 위해 중소벤처기업이 보유기술의 실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공군의 실험환경을 개방하여, 기술개발 아이디어 창출 및 개발제품의 신뢰성 제고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 이날 시상식에서 TIPA 이재홍 원장은 “공군과의 협력과 교류를 통해 큰 상을 받게 되어 영광이다”며, “중소벤처기업이 국방 분야 협력기술개발을 통해 많은 성과를 창출하고, 공군이 스마트국방을 목표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94","atchfileNm":"(보도자료)_공군을_빛낸_단체상_수상.pdf","viewCnt":"1951","regDate":"2021-02-08 15:33:09"},{"contentId":"126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이 해외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신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국제협력 R&D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72","contentsKor":"TIPA,  중소기업이 해외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신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국제협력 R&D 지원  - 러시아 원천기술 활용 R&D 과제 신청·접수 - (공고기간 : 1.27(수) ∼4.21(수), 접수기간 : 3.8(월) ~ 4.21(수), 18시까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원천기술 확보 및 신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21년 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사업 공고를 실시하고, 오는 3월 8일(월)부터 4월 21일(수)까지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 해당 사업은 정부의 신북방 정책에 따라 지난 해 신규 추진된 사업이며,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러시아의 수요·공급기술을 활용하여 사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기술개발 지원 사업이다.   ㅇ 러시아의 원천기술을 이전받아 국내 중소기업이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는 공급기술 개발형과 러시아 현지의 수요에 따른 맞춤형 기술을 개발하는 수요기술 개발형으로 유형이 구분되어 있다.   ㅇ 지원 자격은 공고문과 함께 공지된 수요·공급기술을 보유한 러시아 기업으로부터 기술협력의향서*를 확보한 중소벤처기업으로, 선정평가 절차를 거처, 최종 선정된 기업은 최대 2년간 4억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 국내 중소기업과 러시아의 기관(기업) 간에 기술이전, 도입 및 제품·기술의 구매 등을 위한 의지를 표명한 문서   ㅇ아울러 중소벤처기업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되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특별지침」에 따라, 민간 부담금이 총 사업비의 35%에서 20% 이내로 축소되었다.   □ 또한, 올해는 러시아 수요·공급기술 개요서를 영/국문으로 동시 제공하여 원활한 기술 탐색을 지원하고 있으며, 한-러 간 언어장벽에 따른 기술협력 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상용화지원기관(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러혁신센터)을 통한 의사소통도 지원할 예정이다.   □ 뿐만 아니라 COVID-19 상황과 국제협력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소기업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한 달 내외의 공고기간을 약 12주로 확대하였다.   ㅇ 사업 관계자는 한-러 간 기업문화 차이에 따라 협의기간이 예상보다 오래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서는 조속히 수요·공급기술을 탐색하고 세부 기술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하기를 권장하였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10월에 개최한 러시아 현지 과학기술 행사인 오픈이노베이션 포럼에서 지원기업의 기술이전 계약을 비대면으로 지원하기도 했다”며,   ㅇ “COVID-19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경제 활동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중소벤처기업의 새로운 도전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만드시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TIPA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의 수요 기반의 국제협력 사업 확대를 위한 수요조사도 함께 진행 중이며,   ㅇ 동 사업에 대한 안내자료 및 수요조사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수요조사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R&D사업 관련 공지사항] → [(3013번 게시글) ‘중소기업 글로벌 기술협력 R&D사업 기획을 위한 수요조사, ~2.26까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9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이_해외원천기술을_확보하고_신시장에_진출할_수_있도록_국제협력_RD_지원(최종)(★).pdf","viewCnt":"2130","regDate":"2021-02-08 10:08:57"},{"contentId":"126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1년 중소기업 Tech-Bridge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 상반기 과제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67","contentsKor":"’21년 중소기업 Tech-Bridge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 상반기 과제 공고 □ Tech-Bridge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95억원, 20개 과제)상반기 과제에 참여할 중소기업 모집 (접수기간 : 2.16(화) ~ 3.2(화))   □ 소재‧부품‧장비의 조기 국산화를 위해 대학·연구소에서 보유한 핵심기술의 중소기업 기술이전 및 상용화 기술개발 지원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자립과 조기 국산화를 위해 소부장 전용 기술이전 및 후속 상용화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1월 29일(금)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21년 상반기 중소기업 Tech-Bridge*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을 1월 29일(금)부터 3월 2일(화)까지 공고한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및 조기 국산화를 위해 ‘19년 8월 국무회의에서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된 사업이다.   ’27년까지 총사업비 2,525억원(정부 1,912억원, 민간 613억원)으로 240개 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며, ‘20년에는 50개 과제를 발굴하여 125억원을 지원하였고, ’21년에는 상·하반기 모두 40개 과제, 9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상반기 지원대상 과제는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발굴된 과제 중 산·학·연 전문가 검토를 통해 확정한 202개 공모과제(RFP, Request For Proposal)이다. 중소기업이 공모과제에 대해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평가하여 20개 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의 상용화 기술개발 과정에는 기술을 이전한 대학·연구소가 반드시 참여함으로써 이전기술 노하우를 전수하고 기술개발을 신속하게 추진하도록 한다.   기술개발 자금지원 외에도 기술보증기금에서 운영 중인 IP인수 보증* 및 사업화 보증**과 연계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이전 부담을 완화하고 사업화 성공률을 높일 예정이다.   * (IP인수 보증) IP 인수 추진 기업에게 IP인수를 위한 자금(착수금, 기술료 등) 보증 ** (사업화 보증) R&D 완료 후 양산에 소요되는 운전, 시설자금 보증   또한, 코로나19에 따른 기업의 부담경감을 위해 중소기업 기술개발(R&D)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의 민간부담금 비중과 현금부담 비중을 낮추고 기술료 납부를 연장(최대 2년)한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2.16일부터 3.2일까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84","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1년_Tech-Bridge활용상용화기술개발사업.pdf","viewCnt":"2121","regDate":"2021-02-05 09:49:18"},{"contentId":"126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1년 1차 중소기업 공정ㆍ품질 기술개발사업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63","contentsKor":"‵21년 1차 중소기업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 공고   □ 혁신형R&D 일반과제(40억원, 54개 과제), 현장형R&D(107억원, 215개 과제) 참여 중소기업 모집 (공고기간 : 1.29(금) ∼3.2(화), 접수기간 : 2.15(월) ~ 3.2(화))   □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을 감안해 연구비 부담비율 대폭 완화 - 총 사업비 중 민간부담금 : (기존) 25~35% → (개선) 20% 수준 민간부담금 중 현금 비중 : (기존) 50% → (개선) 10% 수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의 제조 경쟁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2021년 제1차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공고를 실시하고, 오는 2월 15일(월)부터 3월 2일(화)까지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은 혁신형R&D 일반과제 및 현장형R&D 등 2개의 내역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혁신형R&D 일반과제는 스마트공장을 구축하였거나 구축예정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산・학・연 기관과의 협업 지원을 통한 공정혁신 R&D를 지원하며, 기업당 최대 2년간 2억원 이내의 규모로 지원한다.   현장형R&D는 자금력이 부족한 제조 소기업을 대상으로 △불량률 감소, △원가절감 등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현장 맞춤형 공정 R&D를 지원하며, 기업당 최대 1년간 5천만원 이내의 규모로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에 따른 중소기업의 자금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동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총 사업비 중 민간부담금 비중 완화(25~35% → 20%로 개선), 민간부담금 중 현금 비중 완화(50% → 10%로 개선) 등 연구비 부담을 대폭 완화했다. 한편, 올해 1월 1일부터 시행된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라 자율적이고 책임 있는 연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연구자의 행정 부담을 대폭 개선한다. 사업 신청 시 제출하는 비목별 소요명세서 등 구비서류 및 절차를 대폭 간소화했다.   아울러, 동 사업은 제조 현장의 공정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등 제조 중소기업의 성장에 지속적으로 기여해 왔다.   동 사업에 참여했던 A社의 경우, 제조공정 혁신을 통해 제품 생산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여 기술개발 기간 종료 이후, △고용은 24명 증가(34명→58명), △제품 매출은 약 200억원 달성(연평균 매출 14.6% 성장), △원가절감은 11억원을 달성하는 등 실효적 성과를 얻기도 하였다.   사업 신청은 2월 15일(월)부터 3월 2일(화)까지 신청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90","atchfileNm":"(보도자료)_21년_1차_중소기업_공정_품질_기술개발사업_공고(최종)(★★).pdf","viewCnt":"2239","regDate":"2021-02-04 11:49:01"},{"contentId":"126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1년 중소기업이 주목해야할 39개 핵심기술분야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61","contentsKor":"2021년 중소기업이 주목해야할 39개 핵심기술분야 선정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공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대기업에 비해 연구개발 여건이 불리한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매년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을 수립해 발표하고 있다.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은 미래유망 기술 분야 및 전략제품을 선정하여 공표함으로써, 중소기업이 미래 신산업을 발굴하고, 신비즈니스로 연결하는 통찰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타 부처 기술로드맵과는 달리,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기술의 미래성장 방향성을 고려하여 중소기업에 맞춤화된 단기(3년 단위) 중심의 상용화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즉시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기술로드맵에서는 ’21년부터 ‘23년까지 3년간 향후, 중소기업의 기술개발(R&D) 역량을 촉진할 39대 분야, 296개 전략제품을 신규 발굴*해 공개했다.   * 4차 산업혁명분야 (20대 분야, 138개 전략제품), 중소기업성장분야 (10대 분야, 59개 전략제품), 소재·부품·장비 분야 (9대 분야, 99개 전략제품) 으로 구성 (붙임 참조)   특히, TIPA는 `20년부터 전략기술로드맵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기업 현장의 수요를 정확하고, 적시성 있게 반영하기 위한 노력으로, 일부 품목에 R&D 수요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국민 참여형 방식’을 도입했다.   이는 그동안 소위 ‘위원회’ 중심의 소수 전문가 의견을 기반으로 도출되던 방식을 개선하여, 여러 이해관계자(전문가, 국민 등)의 다양한 기술 수요를 종합적으로 수렴 및 분석하여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작년부터 비대면 방식의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재밍, Jamming) 방식을 통해, 인공지능 분야에 시범 적용하였으며, 현장 니즈를 반영한 유망한 기술과 제품을 발굴하는 데 적용했다. 또한, 온라인 기술수요조사를 상시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 밖에, 심사 과정에 있어서도, 시장성 검증이 필요한 분야에 대해서는 국민평가단, VC(투자심사역) 등 100명으로 구성된 ‘전략제품 시장성 검증위원회’를 통해 국민이 제안한 유망기술의 시장성 평가 결과를 전략제품 선정과정에 반영했다.   각 분야별 분석보고서, 소개 영상 등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홈페이지(smroadmap.smtech.go.kr)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유튜브 채널(https://url.kr/hyzwok)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   아울러,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을 통해 발굴된 △4차 산업혁명 분야, △중소기업 성장분야, △소재・부품・장비 분야 전략제품을 ‘21년 R&D 과제 공모 시 품목지정 연계사업을 통해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사업별 공고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올해 2월부터 로드맵 기획 과정에서 국민 참여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재밍, Jamming) 적용 분야를 확대하고, 위키피디아(온라인 사전)*와의 연계 등을 통해 수요자 중심으로 제작해나갈 계획이다.   * 위키피디아 방식 : 다양한 민간전문가의 집단지성을 활용하는 인터넷 백과사전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은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중소벤처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전략적인 나침반 같은 역할을 할 것“이라며, ”중소기업이 올바른 방향으로 R&D를 수행해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72","atchfileNm":"(보도자료)_2021년_중소기업이_주목해야할_39개_핵심기술분야_선정(★).pdf","viewCnt":"3580","regDate":"2021-02-03 19:45:16"},{"contentId":"125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1년 중소기업 기술혁신·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상반기 과제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596","contentsKor":"’21년 중소기업 기술혁신·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상반기 과제 공고   □ 기술혁신(527억원, 248개 과제), 창업성장(620억원, 443개 과제) 사업상반기 과제에 참여할 중소기업 모집 (접수기간 : 2.9(화) ~ 2.25(목))   □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을 감안해 민간부담금 경감, 행정지원을 위한 전담 상담자 연결 등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부담완화 2021년 중소기업 기술혁신·창업성장 기술개발 사업의 자세한 내용은 붙임 자료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04","atchfileNm":"2021년_창업성장_기술혁신_기술개발지원사업_공고.hwp","viewCnt":"2228","regDate":"2021-01-26 14:23:59"},{"contentId":"125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0년 중소기업 R&D 지원사업 우수기업 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595","contentsKor":"TIPA, ‘2020년 중소기업 R&D지원사업 우수기업 사례집’ 발간 -50개社의 생생한 성장스토리를 전달하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50개 기업의 생생한 성장과정을 담은 사례집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 본 사례집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15,800여개 기업 중 기술적, 사업적 성과가 탁월한 기업의 사례와 미래기술을 준비하는 중소기업의 사례를 발굴하여 추진되었다.   □ 이번 우수사례로 선정된 50개 기업은 세계시장 선도, 고도화‧원가절감, 국산화‧수입대체 등의 기술적 우수성을 갖춘 중소기업 및 친환경 기술, 정보통신 기술융합, K-의료산업‧비대면 등 미래유망 기술을 개발하는 중소기업으로,   ◦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기술혁신으로 기업성장을 이룩한 과정을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담아내어 사례집을 구성하였다.   ◦ 이를 위해 중소기업 사전 설문조사, 대표이사 인터뷰 등을 추진하고, 사례집에는 회사 및 기술개발 제품 소개, 기업 성장과정 및 성공요인, 사업화 성과 등 기업의 성장스토리를 비롯한 기업 현장사진까지 수록하여 생생함을 더했다.   □ 특히, ㈜화인은 기존 협력하던 고객사의 경쟁력 하락으로 관련 사업 부문의 존폐 기로에서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바꾸어 짧은 기간에 회사를 안정화하고 30억원 매출증대라는 긍정적 효과를 이끌어냈다.   ◦ 또한, ㈜디알젬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2012년 당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모바일 DR시스템* 개발에 뛰어들었다. 성공적인 개발로 국산화에 성공하여 `15~16년 터키 보건성 1,000만달러 입찰 수주를 발판으로 해외시장을 적극 개척하고 `20년도 도미니카공화국, 영국에도 수십억 원 상당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쾌거를 이루었다. *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포터블 고화질 X-Ray 촬영기술   □ '2020년 중소기업 R&D지원사업 우수기업 성장스토리’는 사례집 책자 외에도 E-Book, 카드뉴스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TIPA의 SNS채널(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블로그)과 웹진, 뉴스레터를 통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대국민 접근성을 높였다.   ◦ 또한, TIPA 기관 대표 홈페이지(www.tipa.or.kr)와 함께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www.smtech.go.kr)에도 우수사례집을 등록해 상시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발간한 우수기업 성장스토리 사례집을 통해 그간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의 역할과 참여가 생소하다고 느끼셨을 국민과 중소기업인에게 많이 알려지기를 바란다”고 밝히고,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된 R&D 지원을 통해 더 많은 우수성과가 지속 발굴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02","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0년_중소기업_우수_기업_사례집_발간.pdf","viewCnt":"2883","regDate":"2021-01-25 17:39:41"},{"contentId":"125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과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전력을 다하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561","contentsKor":"TIPA,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과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전력을 다하겠다.” -이재홍 원장, 주요 간부진과 함께 대전현충원 참배하며 새해 각오 다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재홍 원장을 비롯한 임직원 대표 10여명은 1월 5일(화)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현충탑에 참배하며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넋을 기렸다.   □ 이재홍 원장은 방명록에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과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전력을 다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2021년 기준 중소기업 기술혁신 R&D 예산 1조 3,600억원, 스마트공장 예산 4,400억원 규모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명실상부한 중소벤처기업 지원 핵심기관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 이날 현충원 참배는 코로나 19 확산세에 따라 참여인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요 임직원만 동행했으며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진행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431","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벤처기업_기술혁신과_스마트공장_고도화에_전력을_다하겠다_수정.pdf","viewCnt":"2429","regDate":"2021-01-08 20:34:20"},{"contentId":"124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소상공인R&D(BM개발)사업 지원기업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95","contentsKor":"TIPA, 소상공인R&D(BM개발)사업 지원기업 간담회 개최 -소상공인 디지털화 지원제도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제도 개선 의견을 반영하여 후속 지원 활동에 적극 반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이 18일(금) 판교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에서 “소상공인생활혁신형R&D사업(이하 소상공인R&D사업) BM개발과제”에 선정된 10개 기업 대표자와 함께 그간의 사업추진 주요경과를 공유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비대면 화상 간담회를 개최했다.   □ ”소상공인R&D사업 BM개발과제“는 최근 온라인 쇼핑의 증가,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따른 소비․유통트렌드 변화에 소상공인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서비스 혁신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소상공인 서비스 혁신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을 발굴하여 BM기획 과정(7~11월)을 거친 후에 10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였고, 향후 2년 동안 최대 4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한다.   □ 이번 비대면 화상 간담회를 통해 소상공인R&D사업의 활성화 및 현장 보급 확산을 위한 중소기업들의 건의와 개선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 (마케팅 플랫폼 관련 A대표) 소상공인 매장들간의 협업 사례와 대표적인 우수 성과를 정부 차원에서 발굴하여 홍보함으로써 다른 소상공인 업종으로 파급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   ◦ (AI 무인판매 관련 B대표) 개발 완료된 기술과 서비스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소상공인들의 초기 도입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필요한데 정부 차원의 후속 지원 사업이 중요할 것임   ◦ (스마트 POS 관련 C대표) 지역화폐, 상거래, 결제 등 유통 관련 디지털 인프라를 활용한 사업모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자체나 정부 기관의 관심과 협조가 필수적임   □ 본 사업으로 개발된 제품과 서비스가 소상공인들에게 성공적으로 보급 확산되기 위해서는 관련 공공 기관들의 협조, 사업화자금 추가 지원 등 후속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   ◦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 등 다양한 소상공인 지원사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부와 협의하여 우수한 기술개발 결과물이 소상공인 현장에 보급되도록 노력하고   ◦ 기술보증기금과 협력하여 추가 기술개발비 및 기술개발이 끝난 후 사업화자금을 보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내년부터 도입하고, 보증 심사 과정에서 우대조건*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대출금리 인하(1~2%p), 보증료 감면(0.3%p), 보증금액 상향 등   □ 기정원과 간담회 참여 중소기업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최하는 ’2020 크리스마스 마켓‘ 행사에 적극 동참하여 어려움에 처한 소상공인을 돕고, 소상공인 디지털화 전환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 이번 행사는 성탄 소비 주간을 겨냥해 온라인플랫폼 30여개, 전통시장 300개 및 동네슈퍼 2500여개, 소상공인․중소기업 1만21천개 등이 참여하는 대대적 할인 판촉행사로, 올해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가치삽시다 플랫폼, 네이버, 카카오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라이브 마켓으로 진행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이재홍 원장은 “본 지원사업은 어려운 소상공인이 새로운 미래 먹거리가 될 가능성이 높은 비즈니스모델을 발굴하는 중요한 사업” 이라고 강조하면서, ”아이디어와 R&D지원만으로 끝나지 않고 실제 소상공인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기정원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337","atchfileNm":"보도자료소상공인RD지원기업_비대면_간담회.pdf","viewCnt":"2662","regDate":"2020-12-22 21:43:12"},{"contentId":"124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0 ‘기술창업기업 IR데모데이’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60","contentsKor":"2020 ‘기술창업기업 IR데모데이’ 개최 - 10명의 투자자와 함께 기술창업기업 12개사의 IR데모데이 진행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사)한국엔젤투자협회가 기술창업기업의 투자유치 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12월 16일(수) 서울 역삼동 강남스타트업센터에서 ‘2020 기술창업기업 IR데모데이’를 공동 개최한다.   * 일시 : 2020년 12월 16일(수) 14:00 ~ 17:30 장소 : 강남스타트업센터 5층 이벤트홀 (강남구 역삼로 177 소현빌딩)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기술개발에 성공한 경험이 있는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R&D 이후 투자유치 등 사업화 지원을 위해 추진하는 대회이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 창업기업(7년 이내, 매출액 20억 미만)을 대상으로 1~2년 동안 1.5~5억 원을 지원하는 국내 기술창업R&D 지원의 대표 사업   □ 본 대회에 참여하는 기술창업기업 12개 사는 11월부터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통해 투자 기초교육 및 상담회, 집중 컨설팅을 진행하여 최종 무대인 IR데모데이에 오르게 된다.   * 투자유치대회 참가기업(발표 순) : △고려생활과학(전성훈 대표), △(주)리츠(강경욱 대표), △주식회사 에이엘에이엔(류동하 대표), △길재소프트 주식회사(이상림 대표), △(주)세이프인(박종민 대표), △(주)천년미인(박인주 대표), △엑사비스 주식회사(이시영 대표), △(주)라온에이엔씨(조연수 대표), △주식회사 마스터비디(이태완 대표), △㈜엘스텍엔바이런먼트(박승일 대표), △비단바이오테크(김금성 대표), △(주)리플레이(이도엽 대표) □ 심사위원 전원을 팁스 운영사로 배치하여 참여기업들이 향후 팁스 창업기업에 선발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특강으로는 ‘기술벤처 동향 및 투자유치 전략’이라는 주제로 인라이트벤처스 김용민 대표가 기술창업기업에게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 IR데모데이 심사 결과 우수기업 3개 팀에게는 총 이백만원 상당의 상품이 지급되며, 본 대회 참가기업 12개사의 IR자료는 팁스 운영사와 공유하여 투자유치 검토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이재홍 원장은 “이번 2020 기술창업기업 IR데모데이가 기술창업기업과 투자자간의 네트워킹 및 적극적인 투자유치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창업기업을 위해 지속적이고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행사 참가신청은 온오프믹스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며 본 행사 한국엔젤투자협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 생중계 진행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오프라인 참관객 모집은 받지 않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313","atchfileNm":"보도자료2020_기술창업기업_IR데모데이_개최.hwp","viewCnt":"2579","regDate":"2020-12-16 09:11:35"},{"contentId":"124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기부 산하기관 최초 인권경영시스템 인증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5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12월 14일,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 최초로 인권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인권경영시스템 인증제도는 조직의 인권경영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우수성을 평가 후 적합한 기관에게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 TIPA는 지난 9월부터 12월 초까지 이어진 한국경영인증원의 인권경영시스템 인증심사를 거친 후 최종 승인되었다.   □ TIPA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경영매뉴얼에 따라 2019년도 시스템 본격 도입 후 올 한 해 동안 시스템 고도화 및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인권존중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해왔다.   ◦ 특히 협력업체의 인권의식 내재화 노력을 위한 인권존중서약서 도입, 공정한 계약제도의 운영, 외부 인권조사관 선임을 통한 인권구제절차제도 운영 성과 등을 인정받았다.   ◦ 이 밖에도 기관운영 및 주요사업에 대한 정기적인 인권영향평가 실시와 인권경영위원회를 통한 개선과제 이행 실적 점검, 내부 인권경영지수의 고도화 등 지속적인 환류체계 고도화 노력을 높게 평가받았다.   □ 이재홍 원장은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권경영체계의 안정적인 운영이 선결되어야한다”며, “앞으로도 내‧외부 이해관계자의 인권증진을 위한 노력을 거듭하여 인권경영 선도기관으로 나아가겠다”며 소감을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31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기부_산하기관_최초_인권경영시스템_인증_획득.hwp","viewCnt":"2658","regDate":"2020-12-16 09:10:07"},{"contentId":"124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지원사업, 코로나 위기 속 글로벌 도약의 원동력이 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52","contentsKor":"중소기업 R&D지원사업, 코로나 위기 속 글로벌 도약의 원동력이 되다. -TIPA,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한 코로나19 체외진단기기 제조·수출기업의 `20년 매출이 2조원을 넘을 것으로 밝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코로나19 체외진단기기 제조 및 수출기업(이하 체외진단기업)”*중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한 기업의 성과를 조사한 결과, 2020년 매출(추정)이 2조 314억원(평균 423.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출처)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 제조 및 수출기업 정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산업종합정보시스템(KHIDI), ’20.7.03 기준   ◦ 이 결과는 체외진단기업(66개사, `20.7.03) 중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한 52개사(78.8%, 52/66개)를 대상으로 한 성과조사(응답률 92.3%)에서 확인되었다.   ◦ 이 조사에서는 체외진단기업이 매출, 수출, 일자리 측면 모두에서 괄목할만한 성과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매출) ’20년 매출액 합계(추정)는 2조 314억원(평균 423.2억원)으로 ’19년 매출액 합계 7,198억원(평균 149.9억원) 대비 2.8배 증가 되었으며, - (수출) ’20년 수출액 합계(추정)는 1조 4,391억원(평균 299.8억원)으로 ’19년 수출액 합계 3,470억원(평균 72.3억원) 대비 4.1배 증가 하였다. - (일자리) 일자리 부분에서도 전년대비 약 18.4%(768명)의 인력을 추가 고용하여 일자리창출에도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 ’19년 4,159명(평균 86.6명) → ’20년 4,927명(평균 102.6명) 채용, 18.4% 증가   □ 이러한 중소기업의 도약에는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체외진단기업 48개에게(응답기업) 평균 3.8개 과제, 평균 10억원의 R&D자금을 지원하였으며, 선제적으로 연구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코로나19 위기를 맞아 민첩하게 대응 할 수 있었다.   ◦ 특히, 기술혁신개발사업과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수행하여 면역진단키트 개발기술을 확보한 A사는 코로나19 간편진단키트를 개발하여 `19년 매출액 0.3억원에서 `20년 1,000억 매출 달성(약 3,300배 증가)을 기대하고 있다.   - 또한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검체채취키트 생산성을 향상시킨 B사는 수출액이 `19년 3억원에서 `20년 700억원(약 230배 증가) 달성이 예상되는 등 다수의 기업이 코로나19라는 위기를 기회삼아 도약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체외진단기업에게 코로나19 체외진단 제품개발에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이 도움되었는지 문의한 결과 응답기업의 81.3%(39/48개)가 체외진단제품 출시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 지원된 R&D예산은 ①연구개발비 활용(43.3%), ②연구인력 채용(28.9%), ③기술전문가 활용(13.3%), ④연구장비·시설 구축(12.2%) 등에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K-방역의 핵심인 체외진단기기의 79%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선제적으로 개발되고 탁월한 성과를 거둔 것은 중소벤처기업 R&D지원 방향이 미래사회의 변화를 고려한 결과라면서   ◦ “앞으로 닥쳐올 예측 불가한 미래에 중소벤처기업이 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R&D지원 뿐만 아니라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300","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RD지원사업,_코로나19_위기_속_글로벌_도약의_원동력이_되다.pdf","viewCnt":"3061","regDate":"2020-12-07 18:18:53"},{"contentId":"124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그린벤처 프로그램 지원기업 비대면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5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그린벤처 프로그램 지원기업 비대면 간담회 개최   4일(금) 판교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에서 그린벤처 프로그램 지원기업 20개사 대상으로 향후 개선방향 논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이 4일(금) 판교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세미나실에서 `20년 그린벤처 프로그램에 선정된 20개 기업 대표자와 함께 그간의 주요경과 공유 및 향후 사업 개선방향 논의를 위해 비대면 간담회를 개최했다.   □ ”그린벤처 프로그램 지원사업“은 미래 기후변화 및 환경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환경부가 협업하여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선별해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프로그램으로,   ◦ 올해 3차 추경예산(205억원)으로 20개사를 선정하여 기술개발과 사업화 자금을 최대 3년에 30억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 사업 상세내용은 붙임(사업소개) 참조   □ 이날 간담회에서는 그린벤처 프로그램 지원사업의 추진경과 공유와 지원기업 대표자에게 그린뉴딜의 정책적 이해도 제고를 위해 ”그린뉴딜 정책동향과 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비대면 강의(녹색전환연구소 이유진 이사)도 함께 진행하였다.   ◦ 이유진 이사는 정책적 제언으로, “탄소중립사회기반 구축 법 제도 마련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한 투명하고 참여적인 방법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지원기업과의 간담회를 통해 그린벤처 프로그램 활성화 및 유망기업 발굴·육성을 위한 건의, 개선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였으며 사업의 만족도 제고 및 지원을 강화해나가는데 활용할 계획이다.   ◦ (냉난방기기개발 관련 A대표) 그린벤처 R&D 및 사업화 결과물에 대한 판로개척을 위해 정부기관 또는 투자자 등 교류의 장이 마련되면 좋을 것으로 생각   ◦ (농업관련 B대표) 그린벤처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력의 국·내외 지식재산권 확보를 위한 컨설팅 지원 필요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이재홍 원장은 “향후 2050 탄소중립의 시대를 선도적으로 개척해 나가기 위해 그린뉴딜 유망 기업의 육성과 지원이 중요하며, 앞으로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정부의 목표에 맞춰 그린 분야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선도하고 혁신 창업·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94","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그린벤처_프로그램_지원기업_비대면_간담회_개최.hwp","viewCnt":"2752","regDate":"2020-12-07 10:24:18"},{"contentId":"124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창업진흥원 등 중기부 산하기관 안전문화 확산 공동협약","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4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진흥원 등 중기부 산하기관 안전문화 확산 공동협약 -공공기관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문화 확산에 발벗고 나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과 창업진흥원(원장 김광현)은 12.1(화)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인 중소기업연구원, 신용보증재단중앙회, 한국벤처투자, 중소기업유통센터,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와 공동협약을 체결하고,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발벗고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창업e-음시스템을 활용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체결된 이번 공동협약은 7개 중기부 산하기관이 지역사회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공동 캠페인을 전개하고, 안전사고 취약계층에 대한 물품지원 등 사회적 안전가치 실천에 적극 협력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협약에 참여한 기관들은 안전관리자 협의체를 구성해 안전문화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우수기관 벤치마킹 등을 통해 공공기관의 안전문화를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이재홍 원장은 “사람 존중의 가치가 전 사회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 경영의 제1 원칙이 생명과 안전이 되어야 한다.”고 사회적 안전가치 실천의지를 피력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90","atchfileNm":"보도자료안전문화_확산_온라인_공동협약.pdf","viewCnt":"2359","regDate":"2020-12-02 11:24:41"},{"contentId":"124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BIG 3(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중기부 R&D 847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43","contentsKor":"BIG 3(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중기부 R&D 847억원 지원   □ 기술혁신개발사업 등 3개 사업을 통해 642개 과제, 847억원 지원   * 바이오헬스 432개(67.3%), 미래자동차 144개(22.4%), 시스템반도체 66개(10.3%) 순   □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치료제, 구간 자율주행(L4)을 위한 위험상황 인지기술 및 SoC(System on Chip) 저전력 설계 기술 등 지원   □ BIG3분야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지원규모 지속·확대   기업당 3년 간 최대 12억원 R&D 지원, ‘21년 1,949억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혁신성장 3대 신산업(BIG3)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가속화를 위해 ’20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등 3개* 사업에서 642개 과제를 선정, 총 847억원을 지원하였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창업성장기술개발,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중기부는 ‘20년부터 바이오헬스, 미래자동차, 시스템반도체 등 신산업 3대 분야 중소기업을 중점 지원하기 위한 ’BIG3 전용‘ R&D 과제를 편성하였으며, 선정기업에는 최대 3년간 12억원까지 지원하게 된다.   `20년 R&D 선정결과   BIG3 과제는 중소기업이 자율적으로 과제를 제시하여 평가받는 일반공모 방식과 중기부에서 정책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과제를 지정하여 지원하는 정책지정방식을 통해 선정되었다. 중기부에서는 BIG3 기업 250개사*는 선정평가 당시 기술개발 필요성 등을 이미 평가받은 기업이며, 3:1 이상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기업인 만큼 기술개발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만 추가 점검하여 즉시 지원하였다.   * “BIG3분야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 지원전략”을 통해 선정한 혁신성장 지원기업 : (참고 1)   이는 중기부에서 정책지정 방식을 첫 도입한 사례로, 역량을 검증받은 유망기업은 불필요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즉시 지원하여 기업이 신속하게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야별로는 바이오헬스 432개(67.3%), 미래자동차 144개(22.4%), 시스템반도체 66개(10.3%) 과제 순으로 선정됐다.   【`20년 BIG3 분야별 R&D 지원현황】   (단위 : 개, 백만원) 사업 바이오헬스 미래자동차 시스템반도체 합계 과제 출연금 과제 출연금 과제 출연금 과제 출연금 기술혁신 189 28,704 78 11,487 37 5,635 304 45,826 창업성장 179 20,095 46 4,713 25 2,754 250 27,562 상용화 64 7,604 20 3,260 4 422 88 11,286 합계 432 56,403 144 19,460 66 8,811 642 84,674   BIG3 분야별 과제 선정사례 (참고 2)   바이오헬스분야는 3개 분야 중 중소기업 지원수요가 가장 높으며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유틸렉스), 항암제((주)바이로큐어), 호흡기질환 치료물질(MD헬스케어), 분자진단(제노헬릭스) 등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과제를 중점 지원한다.   미래자동차분야는, 국내 최초 자율주행 서틀 서비스를 시작한 스프링클라우드社 등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 지능형 운전자 보조시스템(ADAS) 등 친환경 및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과제들을 선정하였고,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고가의 설계·검증도구, 반도체 설계자산(IP)확보 등이 필요한 SoC(System on Chip)을 중심으로 반도체 저전력 설계, 후공정 기술개발 등 다양한 영역의 기술개발 과제가 선정됐다.   이중 3개 기업*은 Arm(英)과 협업하여 CPU·GPU 등 IP 무료이용 및 기술지원을 받고 있어 기술개발 결과 글로벌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주)딥엑스, 주식회사 모빌린트, 지앨애스(주)   `21년 지원계획   중기부는 BIG3분야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소재부품장비, 한국판뉴딜, 4차 산업혁명분야 등 중점 전략 지원분야와 함께 BIG3분야*의 지원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기업당 3년간 최대 12억원 R&D 지원, ‘21년 1,949억원   또한 보증, 인증, 인력지원 등 사업화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투자설명회(IR) 등을 개최하여 민간투자 유치기회를 제공하는 등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전주기 맞춤형 지원을 신속하게 제공할 예정이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리스크가 크지만 신시장 창출 및 고성장이 기대되는 BIG3 분야에 R&D 지원을 통해 성장잠재력을 가진 중소벤처기업이 기술개발에 매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앞으로 중소벤처기업부는 BIG3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이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84","atchfileNm":"보도자료_BIG3분야_중소벤처기업_RD_847억원_지원(최종안).pdf","viewCnt":"2690","regDate":"2020-12-01 16:50:09"},{"contentId":"124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0년 지역 사회공헌 인정기업 승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3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11월 30일, 2020년도 보건복지부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으로 최종 승인됐다고 밝혔다.   ◦ TIPA는 9월부터 11월 초까지 이어진 1‧2차 지역, 중앙심사를 거친 뒤 인정심사위원회 심의를 통해 인정기업으로 선정되었다.   □ TIPA는 심사 과정에서 지역기업, 소상공인, 지자체 등 다양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과 지속적인 공헌활동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았다.   ◦ 특히, 올해 코로나 극복활동에 대한 가점이 적용된 만큼 연초부터 지속적으로 시행한 마스크 기부, 착한 소비캠페인, 임직원 성금모금 활동 등 코로나-19 피해를 위한 노력이 빛을 발했다.   □ 이재홍 원장은 “지역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기반으로 수혜자 맞춤형 활동을 위해 노력해 온 덕분”이라며, “지역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소통으로 신뢰받는 기관으로 성장하겠다”며 소감을 밝혔다.   □ 한편,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는 비영리단체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을 위해 지속적인 공헌활동을 펼친 기업과 기관의 공로를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공동으로 인정해 주는 제도이다.   ◦ 2019년 처음 시행되었으며, 사회적가치 실현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로 변화한 사회공헌 패러다임에 맞춰 민간‧공공부문에 지역기반 공유가치 창출을 촉진 시키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77","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0년_지역_사회공헌_인정기업_승인.pdf","viewCnt":"2434","regDate":"2020-11-30 17:26:06"},{"contentId":"124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연탄 기탁으로 지역사회 겨울나기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35","contentsKor":"TIPA, 연탄 기탁으로 지역사회 겨울나기 지원 □ 11월 25일(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에서 기탁한 연탄이 대전 동구에 전달되었다.   ◦ 이번 연탄기부활동은 TIPA에서 매년 이어오던 나눔 활동으로 지역사회 이웃의 동절기 대비를 지원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 이 날 활동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직접 배달이 아닌 기탁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TIPA는 이 날 대전 동구청 협조로 연탄 지원이 필요한 4개 가구에 필요한 연탄 1,200장을 기부하였다.   ◦ 이재홍 원장은 “강화된 방역조치로 인해 직접 이웃들을 살피고 연탄을 전달할 수 없어서 아쉬웠다”며, “이번 작은 나눔이 이웃들의 겨울을 따뜻하게 만들 수 있는 마음이었길 바란다.”며 소감을 전했다.   □ 한편, TIPA는 지난 여름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냉방용품 지원, 코로나-19 피해 극복을 위한 성금기탁 등 지역사회 상생협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67","atchfileNm":"보도자료_TIPA,_연탄_기탁으로_지역사회_겨울나기_지원.pdf","viewCnt":"2212","regDate":"2020-11-27 18:31:52"},{"contentId":"124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세계적 기술강국으로의 도약,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출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34","contentsKor":"세계적 기술강국으로의 도약,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출범   □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 출범식 개최, ‘21년 지원계획 발표   ㅇ 강소기업 전용 기술개발 사업 신설,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추천 등   □ 강소기업 100 협의회 발족, 소부장 엔젤투자기금* 조성 업무협약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기업생태계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   ’21.1분기까지 20억원 조성, ‘22년말까지 100억원 규모로 점진적 확대 추진 그간 국민적 관심 속에 치열한 심사를 거쳐 17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선발된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대표들이 온・오프라인으로 모두 모였다.*   * 대면 참여 50개사, 비대면 참여 50개사 (유튜브 실시간 중계) https://youtube.com/user/bizinfo1357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11월 26일(목) 서울 강남구 소재의 팁스타운 팁스홀에서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 대표와 유관기관이 모여 ’강소기업 100 출범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강소기업 100은 글로벌 밸류체인의 급변에 대응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분야 전문 중소벤처기업을 집중 육성하는 프로젝트로 ‘19년 1차 선정에 이에 지난 10월에 2차로 46개사를 추가 선정했다. (총 100개사) 한편, 말미에 진행된 강소기업 100 간담회에서는 대표들이 지난 1년간 강소기업 프로젝트를 경험하면서 현장에서 느낀 개선사항을 건의했으며 즉석에서 전담지원단을 통한 맞춤형 안내도 병행됐다.   이번 행사는 지난 24일부터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참석인원 최소화, 참석자 간 거리유지 등 철저한 방역 관리 속에서 개최됐다   코로나19 등으로 참석하지 못한 강소기업과 참관을 희망하는 국민들을 위해 비대면 방식도 병행해 중기부와 케이티브이(KTV)방송의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중계됐다. 중기부 박영선 장관은 ”한국을 대표하는 소·부·장 강소기업들이 기술독립을 선도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앞으로 물심양면으로 뒷받침해 갈 것”이라고 하면서,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성과를 공유하며 함께 성장해가는 문화는 앞으로 우리의 기업 생태계가 건강하게 발전해 가는데 소중한 경험으로 중기부도 이를 적극 응원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65","atchfileNm":"중소벤처기업부_보도자료소재부품장비_강소기업_100개사_본격_출범.pdf","viewCnt":"2557","regDate":"2020-11-27 18:29:32"},{"contentId":"124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2020 APEC 중소벤처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포럼』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28","contentsKor":"『2020 APEC 중소벤처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포럼』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24일 1일 간 서울 글래드 호텔 블룸에서 ‘2020 APEC 중소벤처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포럼’(2020 APEC SMEs Smart Factory Forum)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포럼 행사는 중소벤처기업부와 APEC에서 주최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중보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공동으로 주관하여 진행된다.   ㅇ APEC 회원국 중소기업의 스마트 제조혁신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도를 제고하고, 스마트공장의 보급‧확산을 도모하며, 우수 구축기업과 공급기업 사례 공유를 목적으로 개최된다.   □ 이번 포럼은 방역수칙 준수를 위해 대면‧비대면 통합방식으로 운영되어 서울에서 진행되는 행사를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APEC 역내 회원 국가들뿐만 비회원 국가에도 생중계 할 예정이다.   ㅇ 적정 수준의 인원을 고려하여 포럼 장소에 50인 미만의 관계자를 참가대상으로 한정하여 당일 현장행사를 진행하게 된다.   ㅇ 현장 참여가 어려운 해외연사의 강연은 사전 녹화하여 당일에 송출하게 되며 해외 토론참석자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이원중계로 토론에 참여하게 된다.   □ 이번 포럼은 스마트 제조혁신을 주제로 관련 기술과 동향, 국내외 정책분석, 우수기업 사례 공유 등으로 분야를 세분화하여 논의의 장을 마련한다.   ㅇ 지멘스 카를로스 알베스 이사는 기조연설을 통해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을 위한 디지털 변환’이라는 주제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전과 기회에 대해 강조할 예정이다.   ㅇ 기술 분야에서는 카이스트 장영재 교수가 스마트 공장과 인공지능에 대한 강연을, SK인포섹 문병기 그룹장은 OT/ICS 기술동향 및 보안강화 방안 강연을 펼친다. 또한, UNIST 김동섭 대학장이 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사례를 전달하고, 독일 드레스덴 공대의 스테펜 교수는 가상-물리적 시스템을 통한 새로운 생산체계라는 주제로 특별 강연에 참여한다.   ㅇ 정책 분야에서는 스마트 제조혁신추진단 박한구 단장이 한국 스마트제조혁신 추진전략 및 추진현황을 설명하고, 베트남 국립 바코드센터의 칵 트란 박사가 베트남 스마트공장 추진정책에 대해 전달한다. 캐나다 윈저대학 Azab 박사와 Baki 박사는 캐나다의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소개한다.   ㅇ 사례 분야에서는 국내기업인 ㈜파버나인, ㈜아주화장품, ㈜화신정공의 기업소개 영상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단계별 우수 스마트공장 구축 사례를 공유하며, APEC 회원국 기업으로 캐나다 i50社, 베트남 TH Milk Food Joint Stock Company社, 중국 Sunwoda Electronic社의 우수 구축 사례 및 공급사례를 소개한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2020 APEC 중소벤처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포럼을 계기로 APEC 회원국 간 관련 기술교류, 국제협력을 통한 경험과 사례 공유가 활발해지고 더 나아가 일회성 포럼으로만 그치지 않고 포럼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준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브루나이, 태국 등의 APEC 회원국과 스페셜 국가로 참가한 독일 등의 비회원국과도 추후 포럼 교류 협력을 통해 국가 간 비대면 스마트 제조혁신 회의를 개최하여 스마트 제조혁신이 미래 지향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중간 매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54","atchfileNm":"보도자료2020_APEC_중소벤처기업_스마트_제조혁신_포럼_개최.pdf","viewCnt":"2620","regDate":"2020-11-24 15:35:07"},{"contentId":"124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0 부산·울산·경남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 엑스포’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14","contentsKor":"TIPA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0 부산·울산·경남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 엑스포’ 참가 - 스마트제조 1.0 성과 및 스마트제조 2.0 고도화 전략 소개 -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이 18일(수)부터 20일(금)까지 3일 간 부산 벡스코(BEXCO) 제2전시장에서 개최되는 ‘2020 부산·울산·경남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 엑스포’에 참가한다.   ◦ 한국스마트팩토리CEO협의회가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국내 스마트공장 최신 트렌드 및 구축 사례를 공유함과 동시에 참관객과 공급기업 간 실무적인 상담회를 개최하는 등 중소기업의 고도화 및 글로벌화를 위한 정보 공유의 장이 될 전망이다. □ 본 행사에서 스마트제조혁신관을 운영하는 추진단은 중소·중견 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적극 지원해온 사례를 바탕으로 스마트제조 1.0의 성과를 알림과 동시에 우수 구축 기업을 소개하고, 지난 7월 정부에서 발표했던 AI·데이터 기반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을 안내할 계획이다.   ◦ 추진단은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해까지 총 12,660개의 보급을 진행하며 기업의 제조혁신 저변을 크게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스마트제조 2.0에서는 스마트제조 고도화 정책을 소개한다. 이 정책의 가장 핵심이 되는 KAMP(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는 국내 최초 인공지능(AI) 제조 플랫폼이다. 중소 제조기업이 갖추기 어려운 데이터 저장·분석 인프라, 인공지능(AI) 전문가, 실증 서비스 등을 한 곳에 모아, 인공지능(AI)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정책으로 지난 9월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로 NHN, KT 컨소시업*이 선정된 바 있다.   * NHN, KT(인프라), T3Q, 아이브랩(플랫폼), 스코인포(소프트웨어), 경남TP(기업 지원) □ 아울러 박한구 추진단장의 강연도 진행된다. 행사 첫째 날인 18일(수) 오후 2시 10분에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제조혁신 전략과 AI’를 주제로 발표가 준비돼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제조혁신 전략과 더불어 추진단의 지향점을 소개할 예정이다.   □ 본 행사는 3일간(18일~20일) 10시부터 17시까지 부산 벡스코(BEXCO) 제2전시장에서 관람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 참관 사전등록*이 가능하다. 코로나19 방역 대책의 일환으로 전시 및 콘퍼런스 참관 인원은 선착순 제한된다. 체온측정 및 자가진단 설문지 작성, 전자출입명부 작성과 마스크·비닐장갑 착용까지 4단계 확인을 걸쳐야 출입할 수 있다.   * 사전등록: https://www.smartfactorykorea.com   □ 한편 이번 행사에는 제조공장 및 스마트팩토리 관련 담당자 1만 명 이상이 참관할 예정이다. 머신비전 전문가, 3D 프린팅 전문가, 스마트 ICT 전문가, 스마트센서 전문가가 강연하는 ‘2020 스마트팩토리 전문가 과정’과 함께 ‘2020 대한민국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제품 전시회’ 및 ‘장비 시연회’ 등을 주요 프로그램으로 만나볼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18","atchfileNm":"보도자료_TIPA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2020_부산·울산·경남_스마트팩토리_컨퍼런스_엑스포_참가.pdf","viewCnt":"2412","regDate":"2020-11-17 17:32:23"},{"contentId":"124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선도연구기관, 중소기업 가치창출형 기술개발 성과공유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0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선도연구기관, 중소기업 가치창출형 기술개발 성과공유회 개최  - 19일(목)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중소기업과 선도연구기관의 산연협력기술개발 우수사례 등 소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이 5개 출연연·전문연 기관들로 구성된 “중소기업 지원 선도연구기관 협의회”(이하 ‘협의회’)와 함께 ‘가치창출형 기술개발(R&VD) 성과공유회’를 오는 2020년 11월 19일(목) 14시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개최ㅅ한다.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지원 선도연구기관 협력기술개발사업(이하 ‘선도연구기관 사업’)”은 산·연 협력기술개발 전주기(기업진단→기술개발→기술사업화)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사업 상세내용은 붙임(사업소개) 참조   ◦ 이를 위해 ‘19년부터 총 5개의 선도연구기관*이 지정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전문기관으로써 기획·평가·관리 등 해당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재료연구소   ◦ 또한, 선도연구기관 사업의 활성화를 통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제고를 위해 선도연구기관의 관계자로 구성된 협의회가 운영되고 있다.   □ 이번 성과공유회는 앞서 진행된 ‘19년 선도연구기관 사업의 가치창출형 기술개발 결과 소개와 더불어, ’20년 선도연구기관 사업의 신규 참여기업을 위한 교육 및 상담도 진행되며,   ◦ 행사 당일에는 ‘20년 선도연구기관 사업의 가치창출형 기술개발 선정과제 연구책임자 및 기업 관계자 등 총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특히, ’19년 지정된 선도연구기관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 3개 연구소가 지난 1년 간 중소기업과 진행한 산연협력 기술개발 우수사례 등을 소개한다.   ◦ 이후 연구노트 작성법, 사업비 집행·정산 관련 실무교육, 범부처 연구비통합관리시스템(RCMS) 활용법 소개 등 중소기업이 선도연구기관 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필수 정보를 안내한다.   ◦ 이 밖에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각 선도연구기관이 행사장에 설치된 상담부스를 통해 참석자들을 위한 실시간 상담 및 질의응답을 진행한다.   □ 이번 성과공유회는 올해 신규과제 참여자들을 위한 참고사례 및 지침을 제공하고, 중소기업과 선도연구기관 간 소통 및 협력을 더욱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협의회는 급변하는 대내외 경쟁환경 속에서 개방형 혁신 기술개발 생태계 조성을 통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및 경쟁력 제고를 적극적으로 지원해나갈 예정이며,   ◦ 특히, 산연협력 가치창출형 기술개발 성과물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한 시장 맞춤형 사업화전략 수립, 제품·기술홍보 등 중소기업의 수요에 부합하는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이재홍 원장은 “우수한 연구인력 및 기반을 갖춘 선도연구기관과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창출한 기술개발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선도연구기관과 함께 중소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을 강화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하고자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13","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선도연구기관,_중소기업_가치창출형_기술개발_성과공유회_개최.pdf","viewCnt":"2432","regDate":"2020-11-17 08:40:51"},{"contentId":"124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언론보도] 세계가 극찬 'K 방역', 든든한 지원군 있었다.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07","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11","atchfileNm":"20201112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세계가_극찬_K-방역,_든든한_지원군_있었다_아시아경제_지면.jpg","viewCnt":"2450","regDate":"2020-11-16 15:00:00"},{"contentId":"123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 단계별 이행안(로드맵)」 전략제품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93","contentsKor":"□ 중소기업, 국민 등의 기술개발 수요를 반영하여 ‘30개 분야, 197개 전략제품’ 선정   □ 중기부는 전략제품별 요소기술 도출, 개발목표설정 등 「중소기업 기술 단계별 이행안」을 수립하고 기술개발사업 연계지원(연간 1,500억원 이상)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중소기업의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21~’23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단계별 이행안(이하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으로 ‘30개 분야, 197개 전략제품’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10년부터 중소기업, 대기업(수요처)의 기술수요를 기반으로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등의 전략 기술개발 과제로 지정하고 있으며, 선정된 과제에 대하여 연간 약 1,50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일반 국민 대상의 ‘대국민 기술수요조사’, ‘온라인 자유토의’ 등을 추가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일반 국민 의견 1,326건을 포함한 8,563건*의 기술개발 의견을 받았다.   * 일반 국민 1,326건, 중소기업 7,183건, 대기업 54건, 총 8,563건   기업대표, 교수, 벤처투자자 등으로 구성된 산·학·연 전문가(96명) 위원회에서 제안 받은 기술개발 제품에 대해 ‘중소기업 기술개발 적합성, 시장성, 수입 의존성’ 등을 중점 평가하고 기존 전략제품과의 조정·통합 과정을 거쳐 ‘30개 분야, 197개 전략제품’을 최종 선정하였다.   이번 선정된 전략제품의 주요 특징은 올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의료기기’분야가 추가되고, 자연재난, 그린뉴딜 정책 등으로 ‘재난·안전’, ‘전기·수소차’, ‘친환경·자원순환’,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등 5개 분야가 신규로 선정되었다.   < ‘21~’23년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 * 밑줄 : 신규 4차 산업혁명(20개) 중소기업 성장기반(10개) ①빅데이터 ②블록체인 ③5G+ ④인공지능 ⑤서비스플랫폼 ⑥실감형콘텐츠 ⑦드론 ⑧지능형로봇 ⑨스마트제조 ⑩자율주행차 ⑪시스템반도체 ⑫재난·안전 ⑬스마트시티 ⑭IoT ⑮바이오 ⑯의료기기 전기·수소차 이차전지 신재생에너지 친환경·자원순환 ①유기화학 ②무기화학 ③금속 ④전기전자부품 ⑤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⑥정밀기계 ⑦일반기계 ⑧조선 ⑨식품 ⑩섬유   향후, 중기부는 선정된 197개 전략제품에 대해 국내외 기술시장·특허 등 분석을 통해 요소기술을 도출하고 요소기술별 3개년(‘21~’23) 개발목표를 설정하여, 중소기업의 전략적 기술개발 투자를 위한 나침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최종 수립된 기술로드맵은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누리집*’을 통해 제공할 예정(’21.1월)이며, 현재 선정된 ‘30개 분야, 197개 전략제품’의 상세한 목록은 동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누리집(smroadmap.smtech.go.kr)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올해 시범으로 운영한 ‘국민 수요조사’에서 생활에 밀접한 기술 아이디어를 많이 발굴하여 앞으로 기술로드맵 수립과정에 국민 참여 기회를 늘려갈 것”이며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투자를 뒷받침하고자, 연계지원하고 있는 기술개발 과제의 사업규모(약 1,500억원)도 확대 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93","atchfileNm":"21~23년도_기술로드맵_전략제품_목록.hwp","viewCnt":"2589","regDate":"2020-11-11 15:11:55"},{"contentId":"1239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0 사랑받는 공공기관 장관상 수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9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0 사랑받는 공공기관 장관상 수상 -경영혁신・사회공헌 등 5개 全 분야 성과 창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11일(수) 아시아경제 주최로 열린 ‘2020 사랑받는 공공기관 대상 시상식’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 2018년 시작하여 올해로 3회를 맞은 ‘사랑받는 공공기관 대상’은 국민의 편익 및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공기업・공공기관을 선정하여 시상하기 위해 기획됐다.   ○ 올해는 269개(146개 공기업, 123개 공공기관) 공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경영혁신・사회공헌 등 총 5개 분야에 기관 공적조서를 접수받아 교수, 각 부처 과장, 아시아경제 부장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심사를 거쳐 최종 5개 공공기관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 각 부처 장관상(3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중소벤처기업부), 한국가스공사(산업통상자원부), 한국해양진흥공사(해양수산부) / 5개 全 분야 * 아시아경제사장상(2점) : 한국지역난방공사(경영혁신분야), 한국산업인력공단(사회공헌분야)   □ TIPA는 심사대상 분야 총 5개 全 분야(경영혁신・사회공헌・리더십・일자리창출・경제기여도)에 걸쳐 높은 성과를 인정받았다.   ○ 경영혁신 분야에서는 코로나19 사태로 급변하는 기술・시장 환경에 중소기업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정책 대안을 마련해 나가기 위해, 올해 7월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을 출범하는 등 새로운 방식의 경영혁신을 통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데 TIPA의 역할을 더욱 강화해왔으며,   ○ 사회공헌 분야에서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노・사 간 협력 과정을 거쳐 TIPA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경영평가성과급 일부 온누리상품권 지급」캠페인을 통해 지역경제 위기극복에 적극 동참했다.   ○ 리더십 분야(윤리・책임경영)에서는 올해 7월 기관 경영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이사회에 근로자 대표가 참관하는 「근로자 이사회 참관제」를 선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공공기관으로써 기관 경영 상에 투명성과 공익성을 확보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 일자리 창출 분야에서는 올해 8월 중소기업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 중인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기술인재 채용관」을 오픈하여 중소벤처기업이 우수인력을 확보하는 창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 경제기여도 분야에서 TIPA는 중소기업 R&D 지원을 통해 K-방역을 선도하는 등 예측 불가한 미래에 중소벤처기업이 위기를 기회로 삼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데 일조했다.   *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 제조・수출 기업 66개 社(82개 제품) 중 52개 社(65개 제품), 약 80%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R&D 지원 자금을 통해 기술력을 키움   □ 이재홍 원장은 이번 수상을 계기로,   ○ ”TIPA가 국민에게 신뢰받는 공공기관으로써 모범적인 선례로 오래 기억될 수 있도록 국민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며,   ○ 또한, ”앞으로도, 대국민 업무 수행 과정에서 공공성과 경영효율성을 높이는 등 대국민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써, 중소기업 대상 R&D 및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등을 지원하고 있다.   ○ 이번 수상 이외에도, 2019년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 부패방지 시책평가 1등급 기관 선정, 2020년에는 공공기관 통합공시 우수공시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공공기관으로써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89","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2020_사랑받는_공공기관_장관상_수상(★).pdf","viewCnt":"2446","regDate":"2020-11-10 15:43:18"},{"contentId":"123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한국-우크라이나 기술협력 비대면 교류회·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8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한국-우크라이나 기술협력 비대면 교류회·상담회 개최 -양국 간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협력 방안 모색하는 발판 마련-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 이하 산기협)와 오는 11월 5일 서울 엘타워에서 한국과 우크라이나 간 기술협력 웨비나 및 1:1 기술 매칭 상담회를 개최한다.   ◦ 특히, 행사를 공동주관하는 우크라이나 “프란체비치 소재문제 연구소(이하 ‘프란체비치 연구소’)”와 “파톤 전기용접 연구소(이하 ‘파톤 연구소’)”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우수 원천기술을 보유한 국립 과학 아카데미 산하 기관이다.   ◦ 우크라이나는 항공, 우주 등 기초분야의 우수한 과학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사업화 역량이 뛰어난 국내 기업과 기술 협력을 통해 다양한 사업화 성과를 창출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행사에는 120여 개 기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하고, 특히 16개 기업은 구체적인 기술협력을 위한 1:1 기술 매칭 상담회를 현장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 기술협력 웨비나에서는 프란체비치 연구소가 티타늄 합금 시스템, 경량 고온 복합재 설계 기술 등 7개 보유 기술을, 파톤 연구소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플라즈마 및 전기물리 기술, 부품 용접 관련 응용제어 기술 등 4개 기술을 소개한다.   ◦ 또한, 1:1 기술매칭 상담회에는 LS전선,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 등 대기업을 비롯하여 소재·부품·장비 분야 16개 기업이 사전 실시된 기술 검토 결과를 토대로 우크라이나 연구소와의 구체적인 기술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 전 세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협력이 어려운 상황에서 기술교류가 활성화 되지 않은 우크라이나와 비대면 방식의 기술세미나 및 실시간 상담회를 선도적으로 개최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 한편, 양 기관은 같은 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및 기술협력 촉진을 위해 사업 연계·협력, 정보 공유 및 성과 확산 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으로,   ◦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R&D 협력 기회를 새롭게 창출하고, 기업의 혁신역량 강화 및 질적 성장 제고에 기여하기 위해 상호 협력을 통해 본격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우크라이나는 우수한 원천기술을 다수 보유한 신북방정책의 주요 대상국으로, 이번 행사가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역량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TIPA는 산기협과 함께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해외 기술교류를 통해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갖춘 강소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69","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_한국-우크라이나_기술협력_비대면_교류회·상담회_개최.pdf","viewCnt":"2314","regDate":"2020-11-04 17:15:40"},{"contentId":"123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맞춤형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공학컨설팅센터」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79","contentsKor":"맞춤형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공학컨설팅센터」 모집    □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애로 해결을 위하여 지원역량이 우수한 대학 및 출연연을 공학컨설팅센터로 모집   ㅇ 선정된 공학컨설팅센터는 2021년부터 2년간 운영되며, 기술전문가 매칭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맞춤형 기술개발 및 기술역량 강화를 지원   □ 공학컨설팅센터를 통해 산학연협력 생태계 활성화 기반 마련 및 지역균형발전에 기여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벤처기업 지원역량이 우수한 ‘공학컨설팅센터’ 모집을 진행 한다고 밝혔다.   ○ 이번 모집 공고를 통해 5개 권역별 9개 대학 및 2개 출연연을 ’공학컨설팅센터’로 선정할 계획이다.   * ①서울·경인·강원(3개), ②대구·경북(2개), ③부산·울산·경남(1개), ④대전·충청·세종(1개), ⑤호남·제주(2개) ⑥출연연(권역에 관계없이 2개)   □ 맞춤형기술파트너지원사업은 공학컨설팅센터의 기술전문가를 활용하여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TIPA는 2017년부터 사업을 운영하는 공학컨설팅센터를 지정하여 중소벤처기업의 맞춤형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 2019년에는 공학컨설팅센터 수를 확대하고 출연연을 추가 지정하여 중소벤처기업의 다양한 기술수요에 대응해 나가고 있으며,   ○ 이번 공고를 통해, 2021년 공학센터 수를 더욱 확대하여 중소벤처기업의 보다 다양한 전문기술에 대한 수요 충족을 통해 기술애로 해소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공학컨설팅센터 지정현황 : (‘17~’18) 6개 대학 → (’19) 8개 대학 및 1개 출연연 → (‘21 계획) 9개 대학 및 2개 출연연 선정예정    □ 신청기관에 대한 선정절차는 현장조사와 대면평가를 통해 진행되며, 대면평가 시 운영계획서와 발표내용을 토대로 권역별 선정규모에 따라 선정할 계획이다.   □ 선정된 공학컨설팅센터는 2021년부터 2년간 운영되며,   ○ 권역별 신청‧접수, 전문가 매칭, 기술애로 해결계획서 제출, 과제 추천 및 관리 등 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한다.   ○ 또한, 공학컨설팅센터의 다양한 인프라(연구인력, 연구장비 등) 및 비R&D지원사업(기술상담‧지도, 교육, 특허지원 등)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 성과제고에 기여해 나갈 것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다양한 수요에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혁신 R&D 생태계 구축이 필수적” 이라고 밝히며,   ○ “이를 위해 공학컨설팅센터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앞으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애로 해소와 권역별 공학컨설팅센터 확대지정을 통해 지역균형발전에 기여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60","atchfileNm":"보도자료맞춤형_기술애로_해결을_위한_공학컨설팅센터_모집_공고.pdf","viewCnt":"2457","regDate":"2020-11-04 09:52:35"},{"contentId":"123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해외 인증/규격 취득에 특화된 중소기업 R&D 자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78","contentsKor":"TIPA, 해외 인증/규격 취득에 특화된 중소기업 R&D 자금 지원 - 해외 인증/규격적합제품기술개발사업을 통한 과제지원 시작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해외 수출 및 인증취득을 위해 기술개발이 필요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해외 인증규격 적합제품 기술개발사업(이하 ‘해외인증규격사업’)에 93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고, 총 139.5억 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본 사업은 해외진출의 보이지 않는 장벽 역할을 하고 있는 각국의 인증 및 규격을 극복하고자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부터 시작된 사업으로,   ○ 중소기업이면 누구나 지원가능하며, 기업 당 최대 1년, 1.5억 원 이내로 R&D 자금을 지원한다.   □ 이번에 선정된 기술과제는 전기·전자 분야(30.1%, 28개)가 가장 많고 기계·소재, 바이오의료 순으로 선정과제수의 비율이 높았으며,   ○ 이중 바이오인식 시스템 및 솔루션 판매가 주력인 ㈜슈프리마는 미국의 FCC 인증 취득을 통해 무선통신 적합성 규격을 만족시키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신청하였다. 본 과제를 통해 기술경쟁력 우위를 선점하여 유럽, 미국 등 글로벌 매출 확장을 기대하고 있다. ※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미연방통신위원회   ○ 에이비메디컬(주)의 경우 혈액을 채취하고 보관하는데 필요한 진공채혈관을 개발하여 FDA 인증을 취득할 예정이며, 원가경쟁력을 확보하여 미국 시장의 독점공급사들과 치열한 경쟁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미식품의약국   □ TIPA 이재홍 원장은 “본 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수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특히, 수출을 목표로 하는 국가의 해외인증/규격을 제품 기획단계에서 인지하고, 맞춤형 기술개발을 통해 사업화 성공률을 향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라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 혹은 TIPA 기업협력사업실로 문의하면 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58","atchfileNm":"보도자료TIPA,_해외_인증규격_취득에_특화된_중소기업_RD_자금_지원.pdf","viewCnt":"2257","regDate":"2020-11-04 09:45:40"},{"contentId":"123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0 그린뉴딜 엑스포’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59","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0 그린뉴딜 엑스포’ 참가 - 한국형뉴딜 핵심인 디지털뉴딜 분야 대표로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소개 -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이 28일(수)부터 30일(금)까지 3일 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되는 ‘2020 그린뉴딜 엑스포’에 참가한다.   ◦ 국회수소경제포럼이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경제 부흥을 이끌 한국형 뉴딜 정책의 한 축인 그린뉴딜 정책 및 사업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수소 생태계 구축과 그린에너지의 미래 가능성을 제시한다. □ ‘그린뉴딜’과 함께 한국형 뉴딜의 핵심 축으로 인정받는 ‘디지털뉴딜’의 중심에서 중소·중견 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지원해온 추진단은 이번 행사에 참여해 한국형 뉴딜을 향한 뜻을 함께한다.   ◦ 추진단은 스마트제조 1.0의 성과, 스마트제조 2.0으로의 도약 및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 기업을 소개할 계획이다.   ◦ 스마트제조 1.0은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에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목표로 기업 맞춤형 스마트공장을 보급하는 전략이다. 추진단은 2019년까지 총 12,660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했으며 이를 통해 제조 디지털화의 저변을 크게 확장했다. ◦ 스마트제조 2.0에서는 스마트제조 고도화 정책을 소개한다. 이 정책의 가장 핵심이 되는 KAMP(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는 국내 최초 인공지능(AI) 제조 플랫폼이다. 중소 제조기업이 갖추기 어려운 데이터 저장·분석 인프라, 인공지능(AI) 전문가, 실증 서비스 등을 한 곳에 모아, 인공지능(AI)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정책으로 지난 9월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로 NHN, KT 컨소시업*이 선정된 바 있다.   * NHN, KT(인프라), T3Q, 아이브랩(플랫폼), 스코인포(소프트웨어), 경남TP(기업 지원)   □ 본 행사는 진행 기간 내 10시부터 17시까지 서울 DDP 지하 2층 알림터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 참관 사전등록*이 가능하다. 코로나19 방역 대책의 일환으로 전시 및 콘퍼런스 참관 인원은 선착순 제한된다.   * 사전등록: https://www.khexpo.co.kr/page/?pid=khe_d4   □ 박한구 추진단장은 “그린뉴딜과 디지털뉴딜은 한국형뉴딜 정책의 핵심이자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정책”이라며 “디지털뉴딜의 중심에 있는 스마트공장이 ‘2020 그린뉴딜 엑스포’를 통해 참관객들에게 더욱 관심받길 바란다.”고 전했다.   □ 한편, ‘2020 그린뉴딜 엑스포’는 민관학 핵심 주체에게 혁신기술 정보 공유의 장을 제공함과 더불어 친환경 등 그린뉴딜 핵심 내용으로 구성한 콘퍼런스를 운영해 한국 경제의 새로운 미래를 선보인다. 또 과학 및 환경 관련 크리에이터도 행사장을 직접 방문해 전시관 소개 및 체험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38","atchfileNm":"보도자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2020_그린뉴딜_엑스포’_참가.pdf","viewCnt":"2688","regDate":"2020-10-27 15:28:25"},{"contentId":"123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IITP, R&D사업 연계·협력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57","contentsKor":"TIPA·ITP, R&D사업 연계·협력을 위한 MOU 체결 -ICT-중소기업 R&D 협력체계 구축 등 한국판 뉴딜 이행과 중소벤처기업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 공동 협력하기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석제범, 이하 IITP)은 ICT·중소기업 R&D사업 연계·협력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 TIPA와 IITP는 10월 27일(화)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한 IITP 본관 대회의실에서 ICT·중소기업 R&D사업 연계·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한국판 뉴딜 이행과 중소벤처기업 디지털 전환 촉진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이번 MOU는 IITP의 정보통신기술(ICT) R&D 사업과 TIPA의 중소기업 R&D 사업 간 관련 이슈를 공유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기 위해 추진되었으며,   ◦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양 기관이 보유한 인적, 물적 자원과 우수 평가위원 풀 등을 적극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 이를 위해, 양 기관은 ▲중소기업 R&D와 ICT R&D 간 기획 및 수행과정에서의 협력과제 발굴, ▲제도 및 규제 개선 방안 공동 마련, ▲인프라 공유 및 인력교류 등의 연계·협력을 통하여 R&D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한국형 뉴딜에서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IITP와 함께 하는 뜻깊은 자리로, 각 기관의 ICT-중소기업 R&D 지원 역량과 노하우를 긴밀하게 연결하는 계기가 되었다.”면서 “양 기관이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중소기업의 기술 역량을 한 단계 높이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 이어서, IITP 석제범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은 ICT R&D와 중소기업 R&D간 융합 R&D의 본격적인 시작점이 될 것이며, 디지털 뉴딜과 중소벤처기업 디지털 전환 관련 융합 R&D사업 추진이 실질적인 성과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호 노력 하겠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33","atchfileNm":"보도자료TIPA-IITP_RND사업_연계_협력을_위한_MOU_체결_IITP공동.pdf","viewCnt":"2548","regDate":"2020-10-27 14:54:06"},{"contentId":"123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R&D인증 패키지 지원으로 제품출시 걸림돌 최소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55","contentsKor":"R&D인증 패키지 지원으로 제품출시 걸림돌 최소화 - 중소기업R&D 인증패키지 지원프로그램 신청접수 개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R&D 인증패키지 지원프로그램 신청기업을 10월 28일(수)부터 11월 18일(수)까지 약 20일간 모집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R&D 인증패키지 지원은 중소기업이 제품개발 과정에서 기술규제 및 인증 등의 인허가 사항을 고려하지 못해 제품개발 완료 후에도 신제품의 시장출시에 발생하는 애로 해소를 위해,   ◦ 제품출시를 위해 필수사항인 성능분석, 인증획득 등을 R&D수행 초기부터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지난 6월 TIPA는 중소기업이 사업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성능분석, 인증획득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산업기술시험원(원장 정동희,이하 KTL)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 중소기업R&D 인증패키지 지원은 업무협약의 첫 번째 결과로서 중소기업들은 R&D수행 초기부터 시험·분석·성능평가·인증획득 컨설팅을 지원받아 R&D의 효율성 제고와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 중소기업 R&D지원프로그램의 세부 지원내용은 ① 국내·외 인증획득 컨설팅 ② R&D성과물 시험·분석·성능평가 ③ 신기술·신제품 인증 프로세스 개발 지원으로 구성된다. ① 국내외 인증획득 컨설팅   - (국내) KC, KCs, GS, 고효율기자재, 항공보안장비 성능인증 등 국내 인증 획득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 (국외) IECEE-CB, CE, UL, CCC 등 북미, 유럽 및 아시아 국가 해외인증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② R&D 성과물 시험·분석·성능평가   - 소재·재료분석, 기계 및 부품 역학·인장·내환경·신뢰성시험, 이차전지 성능평가, EMC, 의료용품 성능시험 및 열효율 시험 등 시험평가 컨설팅   ③ 신기술·신제품 인증 프로세스 개발 지원   - 신기술·신제품에 대한 시험규격 개발 등 인증 프로세스 개발 지원   □ 중소기업R&D 인증패키지 지원은 `20년 하반기 20개사 지원을 계획하고 있으며,   ◦ 프로그램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신청접수 마감일을 기준으로 중소기업 R&D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어야 하며, 잔여 과제기간이 반기 이상 남아있어야 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이 제품판매를 위해 필수로 취득해야 하는 안전·성능·환경 관련 인증들을 기술개발 단계부터 고려하여 향후 기술규제로 인한 제품화 지연, 시장진입 지연 등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었다”며,   ◦ “R&D인증 패키지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와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한층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29","atchfileNm":"RD인증_패키지_지원으로_제품출시_걸림돌_최소화.pdf","viewCnt":"2661","regDate":"2020-10-26 18:40:00"},{"contentId":"123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수교 30주년 기념 “2020 한-러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성황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50","contentsKor":"TIPA, 수교 30주년 기념 “2020 한-러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성황리 개최 -양국 간 기술이전 계약 등 실효적 성과 창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2020 한-러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Open Innovation Forum)”을 개최하였다.   ㅇ TIPA는 관계 기관과 함께 한-러 혁신 협력의 성과를 조명하고, 한-러 혁신플랫폼에 기반하여 양국의 기술협력, 스타트업 교류 및 현지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행사를 러시아와 이원 중계로 운영하였다.   ※ 동 행사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장내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 및 양국 간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비대면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이번 행사를 통해 한-러 기업 간 기술교류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매칭, 기술이전 계약 체결 등 러시아 현지 기술협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상호 협력을 위해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ㅇ 먼저, 19일에는 국내 중소기업 보유 우수 기술의 현지 수출 등 기술무역 활성화를 위한 한-러 온라인 기술교류회가 개최되었으며, 총 14건의 상담을 통해 구매의향 및 계약 체결 2건이 발생했다.   ㅇ 개회식이 개최된 20일에는 이재홍 TIPA 원장의 환영사가 이루어졌으며, 중소벤처기업부 “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 사업 지원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정보통신, 첨단소재, 인공지능 분야의 양국 기업 간 기술협력을 통한 실시간 온라인 기술이전 계약 3건이 체결되었다.   ㅇ 또한 양국 간 혁신 협력을 논의하는 “제4차 한-러 기술의 날”에 오창석 책임연구원이 연사로 참가하여 ‘한-러 중소기업 간 기술협력을 위한 정부 지원 방안’을 발표하였으며, 상호 호혜적 협력을 위한 단일화된 소통채널 구축을 제안하였다.   ㅇ 마지막 날은 국내 중소기업의 러시아 원천 기술 도입 및 등 한-러 양국 기업 간 개방형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 기술 수요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업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였다.   ㅇ 아울러, 러시아와 기술협력 및 시장진출 희망 기업들의 홍보자료를 “온라인 한국관”을 통해 전시하고, 러시아 현지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 행사의 실황 중계를 3일간 진행하였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금번 “2020 한러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 개최를 발판으로 중소기업 중심의 양국 간 국제협력 기술개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신북방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20","atchfileNm":"보도자료TIPA_수교_30주년_기념_2020_한러_오픈_이노베이션_포럼_성황리_개최.hwp","viewCnt":"2389","regDate":"2020-10-23 16:22:59"},{"contentId":"123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찾아가는 1:1 R&D 사업비 집행·정산 상담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31","contentsKor":"TIPA, 찾아가는 1:1 R&D 사업비 집행·정산 상담회 실시 -5개 지역(부산, 대구, 수원, 광주, 대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오는 10월 20일(화)부터 11월 25일(수)까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2020년 지역별 1:1 R&D 사업비 집행·정산 맞춤상담회」를 실시한다.   ◦ 금번 맞춤상담회는 지정회계법인*의 과제별 담당회계사가 사업비 집행에 애로사항이 있는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해당 수행기업이 소재한 지역에서 1:1 상담 및 맞춤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R&D지원사업 사업비 정산을 위해 TIPA가 지정·운영하는 회계법인   □ 특히 이번 상담회는 그간 대면 방식으로 진행되던 사업비 집행 관련 교육이 코로나-19로 인하여 온라인 설명회 및 동영상 교육으로 대체 됨에 따라, 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이 있는 신규 R&D 수행기업의 정산담당자를 대상으로 1:1 상담을 추진함으로써,   ◦ 中企 R&D 사업비 집행 규정 이해 및 적용, 지정회계법인 상시점검 조치 및 활용, 사업비 정산 결과 주요 불인정 사례 등 사업비 집행 전반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상담회 일정은 부산·울산 등 5개 지역*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지역별 2일씩 진행할 예정으로, 관심이 있거나 사업비 집행에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행기업은 담당 지정회계법인을 통해 신청이 가능하며, 감염예방 수칙사항 준수 및 밀집도를 최소화하는 등 안전에 유의하여 개최할 예정이다.   * 부산·울산(10.20.~21.), 대구·경북(11.3.~4.), 경기(11.10.~11.), 광주·전남(11.17.~18.), 대전·충청(11.24.~25.)   □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러한 상담회의 지속적인 개최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여 사업비 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함으로써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76","atchfileNm":"201019_TIPA_찾아가는_일대일_RD_사업비_집행_정산_상담회_실시.pdf","viewCnt":"2647","regDate":"2020-10-19 08:31:11"},{"contentId":"123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2020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에 주빈국 자격으로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30","contentsKor":"TIPA,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2020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에 주빈국 자격으로 참가 ◈ [주빈국 참여] 주빈국 수석대표 국무총리 기조연설 ◈ (기술협력) 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사업 기술이전 계약식 ◈ (시장진출) 융복합기술교류촉진사업(해외기술교류) 비대면 B2B 상담회 ◈ (네트워킹) 한-러 기술의 날 연사 발표 및 온라인 한국관 운영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개최되는 러시아 최대 혁신 행사,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Open Innovation Forum)에 주빈국 자격으로 참석한다고 밝혔다.   ㅇ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은 신기술 개발 및 상용화, 혁신 기술의 홍보, 혁신 분야 국제협력 방안의 논의를 위해 러시아 연방 정부 주도로 개최되는 러시아 최대 혁신 행사로써, 주빈국 초청을 통해 해당국 정상급 인사와 기업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ㅇ 정세균 국무총리는 온라인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의 코로나-19 방역과 디지털 뉴딜 정책을 소개하고, 코로나-19로 가속화된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양국의 혁신 협력을 강조할 예정이다.   □ TIPA는 관계 기관*과 함께 한-러 혁신 협력의 성과를 조명하고, 한-러 혁신플랫폼에 기반하여 양국의 기술협력, 스타트업 교류 및 투자 유치 그리고 현지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별도 국내 행사를 러시아와 이원 중계로 운영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한-러혁신센터), 한국연구재단(한-러과학기술협력센터),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창업진흥원, 이노비즈협회   ㅇ 먼저, 19일에는 우리 중소기업 보유 우수 기술의 현지 수출 등 기술무역 활성화를 위한 한-러 온라인 기술교류회가 개최한다. 또한 양국 혁신 기업과 투자사가 참여하는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하고, 한-러 스타트업 간 혁신 기술 공유와 기업설명회(IR 피칭)를 통해 투자 유치 및 네트워킹 등 현지 사업화를 지원한다.   ㅇ 20일에는 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 사업 지원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인 정보통신, 첨단소재, 인공지능 분야의 양국 기업 간 기술협력을 위한 온라인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한-러 기술의 날 연사 발표와 관계 기관 협력을 통한 양해각서 체결(MoU) 및 공동 투자협약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ㅇ 마지막 날은 한-러 양국 기업 간 상호 호혜적 기술협력을 위한 현장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러시아 혁신 기술 도입 등 국제협력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한편, 민간 부분 협력을 위한 한-러 민간협의체를 개최하여 양국 간 개방형 혁신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ㅇ 아울러, 러시아와 기술협력 및 시장진출을 희망하는 30개 기업의 홍보자료를 “온라인 한국관”을 통해 전시하고, 러시아 현지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 행사의 실황 중계를 3일간 진행한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금번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 참가를 발판으로 중소기업 중심의 양국 간 국제협력 기술개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신북방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74","atchfileNm":"201019_TIPA_한러_수교_30주년을_기념하여_2020_오픈_이노베이션_포럼에_주빈국_자격으로_참가.pdf","viewCnt":"2292","regDate":"2020-10-19 08:27:48"},{"contentId":"123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 표준 선점을 위한 한독 공동 온라인 포럼 성황리에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29","contentsKor":"스마트제조 표준 선점을 위한 한독 공동 온라인 포럼 성황리에 개최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독일과 AAS 표준 현황 공유 및 정책 협력 다짐 - □ 한국과 독일이 스마트제조 분야 국제 표준을 선점하기 위한 양국의 견고한 협력을 다짐했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은 2020년 10월 13일(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한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한-독 공동 AAS* 표준 기반 스마트 제조 데이터 수집/저장 포럼」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 AAS(자산관리쉘, Asset Administration Shell) : 장비/설비 정보를 디지털로 표현하기 위한 표준방식으로 기기 간 소통·상호 운용·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데이터 표준 체계(안)   ◦ 이번 포럼은 AAS 표준 기반 제조, 시험, 활용에 대한 한국 및 독일의 현황 공유를 위해 마련됐다.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된 포럼에서 양국의 전문가 및 관련 분야 담당자 약 300명이 참석해 스마트제조분야 국제 표준에 대한 국내외 뜨거운 관심을 실감케 했다.   □ 이번 포럼에서는 국제 표준이란 주요 논의 사항에 걸맞게 양국의 정책을 수립하는 부처의 담당자들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 한국의 이홍열 중소벤처기업부 사무관은 인사말에서 “한국 정부는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장비와 데이터의 상호 호환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독일과 함께 논의 중인 AAS 기술이 스마트공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 이에 대해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의 프리드리히 그뢰테케 박사(Dr. Friedrich Gröeteke)는 “현재 유럽에서 GAIA-X 프로젝트가 진행 중으로 AAS는 GAIA-X*와 연계할 수 있는 좋은 아키텍처 모델이 될 것으로 생각하기에 매우 중요한 기술로 생각한다”며 “오늘 포럼에 참석해주신 양국 전문가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 GAIA-X: 개방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유연한 데이터의 교환 및 처리를 지원하는 기반기술 개발 프로젝트   □ 이후 진행된 포럼에서는 박한구 추진단장의 △한국 스마트제조 기술 보급·확산 전략 및 실행계획을 필두로 △AAS 기반 클라우드 데이터 수집/저장 파일럿 프로젝트 소개 △국내 시범 공장 AAS 모델 구현 및 적용 사례 △한·독 스마트 제조 상호 운용성 테스트베드 구축 제안이 차례로 발표됐다.   ◦ 국내 중소기업의 AAS 기반 클라우드 데이터 수집/저장 파일럿 프로젝트를 소개한 김유철 네스트필드 대표는 4차 산업의 최종 목표인 자율생산 구현을 위해 기반이 될 기술로 AAS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으며 국내 시범공장의 AAS 모델 적용 사례를 소개한 이주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AAS 실증 진행 시 구현 과정에 대해 말했다. 독일의 연사로 참석한 LNI4.0 CTO 도미니크 로무스 박사(Dr. Dominik Rohrmus)와 SCI4.0 CEO 젠스 가이코 박사(Dr. Jens Gayko)는 독일의 AAS 테스트베드에 관하여 소개하고 4차 산업혁명 구현에 있어 양국의 협조를 강조했다.   □ 박한구 추진단장은 “현재 양국이 스마트공장에서 발생한 제조데이터의 활용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표준 기반 제조데이터 수집/저장을 위한 정책 마련에 협력하는 중”이라며 “국내에서는 관련 실증 결과를 향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에 연계하여 제조기업 데이터 활용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하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72","atchfileNm":"201015_스마트_제조_표준_선점을_위한_한독_공동_온라인_포럼_성황리에_개최.pdf","viewCnt":"2617","regDate":"2020-10-19 08:26:06"},{"contentId":"12326","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내 유일 민수분야 항공기 체계수준의 전자파 시험기관, 항공전자기술센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2326","contentsKor":" 웹진 바로가기","viewCnt":"292","regDate":"2020-10-14 17:19:10"},{"contentId":"123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공공조달로 날개 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16","contentsKor":"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지난 7월 21일 1차로 지정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에서 1개월여* 만에 18억원의 공공조달 성과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 ‘20년 8월초 혁신장터 등록 후~ 9월 17일까지 공공조달 성과 발생 금액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중기부의 기술개발(R&D) 지원을 받아 기술개발에 성공한 제품 중에서 혁신성과 공공성이 우수한 제품을 별도로 지정해 공공기관과의 수의계약을 통해 초기시장 확보를 지원하는 제도로 올해 처음 도입됐다.   【 공공조달을 통한 도약 기회 제공 】   중기부는 1차로 지정된 44개 혁신제품이 공공조달을 기반으로 본격 성장할 수 있도록 제품 홍보와 수요 공공기관과의 매칭을 지원 중으로 지정된 지 한 달 보름이라는 짧은 기간에도 9개 제품에서 18억원의 공공조달 성과가 나타난 것이다.   주식회사 제브라앤시퀀스는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과 실종자 얼굴인식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 횡단보도‘를 한국공항공사와 경기도 시흥시에 8억원 규모로, ㈜프로컴시스템은 ’전력계통의 고장 진단 및 자동 통보 시스템‘을 한국수자원공사에 1억3,000만원에 공급하는 계약을 각각 체결했다.   이밖에도 리셋컴퍼니㈜는 ’태양광패널 무인청소로봇‘을 인천국제공항공사에, ㈜제이오텍은 ’인화성 물질 보관함‘을 한국가스기술공사에, ㈜이오렉스는 ’부식억제장비‘를 전주시청에 각각 공급했고,   ㈜솔지는 ’사용유의 수분 오염물을 제거하는 정유기‘를 한국남부발전에, ㈜포웰은 ’소형화 경량화된 아크 용접기‘를 해군 군수사령부에, 달마시안 제충국은 ’해충방제 친환경 살충제‘를 농촌진흥청에 공급하는 등 잇따라 성과가 확인됐다.   【 2차 혁신제품 지정 추진 】   9월 14일 접수 마감된 제2차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모집에는 1차에 비해 50% 증가한 총 156개 중소벤처기업이 신청을 해 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야별로 보면 기계소재 28.8%(45개), 정보통신 23.7%(37개), 전기전자 20.5%(32개), 바이오의료 10.8%(17개), 화학 8.9%(14개) 등 다양한 분야의 중소벤처기업들이 지원했다.   중기부는 서면평가, 현장평가 등을 거쳐 기술혁신성과 공공 활용성을 심사해 11월 중 혁신제품 지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 모집공고(’20.8.13~9.14) → 기술혁신성・공공성평가(서면평가(9월)▶현장평가(10월)▶조달적합성평가(10월)▶종합심의(11월) → 지정예정 공고(11월) → 혁신제품 지정(11월)   【 성과 확산을 위한 정보공유 네트워킹 활성화】   앞으로 중기부는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이 수요 공공기관을 찾아 원활하게 공급돼 구매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의 수요제품 조사, 공공기관 구매 담당자와의 매칭데이 추진 등 혁신제품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20년부터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에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제품 구매실적이 가점으로 적용돼 동 제도에 대한 기대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우수한 기술 성과를 달성했음에도 판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의 초기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혁신제품 지정제도가 공공기관의 협력 속에서 빠르게 성과를 확산해 나가고 있다”며,   “이러한 성장의 모멘텀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공공부문의 서비스 품질 향상으로 선순환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중기부는 다각적인 지원을 지속해 가겠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58","atchfileNm":"보도자료우수연구개발_혁신제품_공공조달로_날개를_달다(기술개발과).hwp","viewCnt":"2808","regDate":"2020-10-05 14:37:14"},{"contentId":"123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기관 산업 현장 탐방 프로그램 발굴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9","contentsKor":"TIPA, 공공기관 산업 현장 탐방 프로그램 발굴 추진 - 全 과정 영상 지원하여 비대면 시청 가능하도록 구성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28일(월) TIPA 본원에서 공공기관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TIPA 공공기관 산업 현장 탐방 프로그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 본 프로그램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일상에 큰 변화가 닥치면서, 소위 코로나 블루(코로나19와 우울감이 합쳐진 신조어) 등 공공기관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의 떨어진 사기를 진작하고,   ○ 공공기관으로써, ‘일자리 창출’을 실천하는 차원에서 취업 노하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하였다.   □ 주요 커리큘럼으로는 △TIPA 및 공공기관 소개, △취업 토크 콘서트, △선・후배간의 1:1 취업 상담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제한된 인원이 참석한 만큼 프로그램 全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본 프로그램이 끝난 이후에도,   ○ 참석 인원 외 취업준비생들이 비대면으로 프로그램을 경험하고, 취업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 본 프로그램에 참가한 한민엽 가톨릭대학교 경영대학 학생회장은,   ○ ‘공공기관 현장에 직접 찾아와 실무 환경을 경험하고, 토크 콘서트를 통해 궁금증을 바로 해결할 수 있어서 좋았다며,   ○ 향후, 학교 동료들에게 영상 촬영본을 전파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 이재홍 원장은 앞으로도, 코로나-19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보건당국의 방역 지침을 준수하는 수준 하에서,   ○ ‘본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51","atchfileNm":"(보도자료)_TIPA,_공공기관_산업_현장_탐방_프로그램_발굴_추진(★).pdf","viewCnt":"2455","regDate":"2020-09-29 08:56:34"},{"contentId":"123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 지원체계 혁신을 위한 산․학․연 협력 기반 조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8","contentsKor":"TIPA, 중소기업 지원체계 혁신을 위한 산․학․연 협력 기반 조성 -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MOU협력기관 온라인 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24일(목),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의 25개 MOU협력기관과 온라인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확산으로 전방위 산업의 온라인 플렛폼화, 언텍트‧온텍트, 4차 산업혁명의 가속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중소기업 지원체계 혁신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 각 기관 간 협력업무 진행현황을 공유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여 중소기업 지원전략 및 TIPA와의 협력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 TIPA는 2017년부터 판교지역에 산‧학‧연 기술인력 간 인적교류 거점인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R&D기획역량강화 및 우수과제 발굴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오픈오피스(사무공간, 회의실, 캐비닛 등), 기술‧전문상담, 기술전문교육, 기술교류회, R&D멘토링캠프, 기술교류 연계과제 등   ◦ 그간의 협력활동으로 기술상담(2,078건) 후속 매칭으로 이어지는 우수 연구인력과의 네트워크 구축 195건, 중소기업 기술‧기획역량 강화를 위한 공동교육 프로그램 운영 78회, 우수기술 소개 및 거래를 위한 기술교류회 37회 개최, 기술교류를 통한 협력형R&D과제 발굴 73건(74억 원), 기술이전 13건(3.8억원) 등의 협력성과를 이루었다. □ 이번 간담회 역시, TIPA의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와 함께 힘을 합쳐 국내 기업들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적극 지원하기로 약속한 25개 MOU협력기관과 함께 아이디어와 전략을 공유할 예정이다.   ◦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20년 3월 서면으로 협약식을 진행한 이후, 비대면 방식으로 의견을 교환하고자 온라인 간담회를 준비하였고 처음으로 25개 협력기관이 모두 한 자리에 모인다.   ◦ 그간 기관 별 업무 담당자간 개별연락을 통해 협력업무를 조율해 왔으나, 온라인으로나마 25개 협력기관의 의사결정자가 한자리에 모여 중소기업 지원에 대한 고민과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는 데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MOU협력기관(25개) ▪ 공공연구기관(14개) :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국가핵융합연구소, 안전성평가연구소, 전자기술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광기술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니노기술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 대학(8개) : 가천대학교, 강남대학교, 경기대학교, 국민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명지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 기타공공기관(3개) : 한국발명진흥회, 부산테크노파크,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TIPA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로 디지털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산업구조가 급격하게 재편되는 혼란 속에서 중소기업이 중심을 잃지 않고 그 속의 보물과 같은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연구 역량을 갖춘 기관 간 협력과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 “이번 간담회는 그 협력 기반과 생태계를 견고히 하는 데에 의미가 아주 크며 향후에도 비약적인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며,   ◦ “TIPA는 향후에도 중소기업이 대학‧공공연구기관의 우수한 인적자원과 기술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상생협력 기반조성을 위해 역량 있는 기관들과 협력을 확대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47","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_지원체계_혁신을_위한_산학연_협력_기반_조성.pdf","viewCnt":"2552","regDate":"2020-09-25 14:56:09"},{"contentId":"123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산학 협력R&D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7","contentsKor":"TIPA,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산학 협력R&D 추진 - 권역별 거점대학 선정을 통해 중소기업 밀착·종합지원 환경 조성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23일(수),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권역별 거점 5개 대학*으로 구성된 ‘20년 산・학협력 거점형플랫폼(R&D) 운영기관’과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금오공과대학교, 전북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밭대학교   ○ 산・학협력 거점형플랫폼(R&D) 사업은 지역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권역별 거점 5개 대학을 지정하고, 대학 內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산학협력 거점으로 개방・활용하도록 지원해주는 사업으로,   산학협력 거점형 플랫폼(R&D) 사업 개요   □ (개요) 대학에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지역중소기업에 개방, 산학협력 거점으로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의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기술 수준 향상 지원 □ (예산) ’20년 62억원 □ (지원내용) 기술역량 분석→맞춤형 R&D지원의 총 2단계 지원 - 1단계(중소기업 기술역량 분석) : 전문가 매칭, 컨설팅을 수행하고, 중소기업-전문가 공동으로 중소기업별 맞춤형 지원전략 기획 (1개월, 2백만원) - 2단계(맞춤형 R&D지원 프로그램) : 1단계에 수립된 맞춤형 지원계획을 파견 인력과 대학 과제책임자를 중심으로 종합 지원 (2년, 3억원)   ○ 이번 간담회를 통해, △운영기관 역할 논의, △개방형 혁신 R&D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① (운영기관 역할 논의) 거점대학에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지역 중소벤처기업에 개방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 및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산학협력 거점으로서 운영기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② (R&D 생태계 조성방안) R&D 지원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방안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와 다양한 주체 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정보교류 활성화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 이번 간담회를 통해 개방형 R&D를 위해서는 지역 거점대학 중심의 플랫폼 조성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향후 이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 향후 중기부-대학-기업-TIPA 등 기관들 간 긴밀한 협의를 통해 소통채널을 강화하여 개방형 협력 R&D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다양한 수요에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 및 기술 기반의 거점(플랫폼) 중심의 개방형 혁신 R&D 생태계 구축이 필수적” 이라고 밝히며,   ◦ “이를 위해 지역의 거점이 되는 운영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앞으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역량이 강화될 수 있는 산학연간 협업 파트너 네트워킹 조성에 박차가 가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붙 임 산학협력 거점형 플랫폼(R&D) 사업 개요   □ 사업목적 : 거점대학*에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혁신역량이 부족한 지역 중소벤처기업에 산학협력 거점으로 개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향상   * ‘20년 선정 운영기관(거점대학) : 금오공과대학교, 전북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밭대학교   □ 지원규모 : ‘20년 62억원   □ 지원대상 : 사업기간 동안 연구실에 연구인력을 1인 이상 파견이 가능한 기업부설연구소 미보유 중소기업   □ 지원내용   ◦ 기업은 사업수행 기간 대학 연구실에 1인 이상을 파견하고, 대학은 실험실·연구인력·장비·기술이전·교육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    - 1단계(중소기업 기술역량 분석) : 전문가 매칭, 컨설팅을 수행하고, 중소기업-전문가 공동으로 중소기업별 맞춤형 지원전략을 기획   - 2단계(맞춤형 R&D지원 프로그램) : 1단계에 수립된 맞춤형 지원계획을 파견 인력과 대학 과제책임자를 중심으로 종합 지원   □ 지원조건 : 사업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단계별로 지원한도를 차등하고, 2단계 정부출연금은 총 사업비의 75% 이내   < 단계별 지원대상 및 지원규모> 구 분 지원대상 지원과제수 지원기간 및 지원한도 (1단계) 중소기업 기술역량분석 대학에 1인 이상 파견 가능한 기업부설연구소가 없는 중소기업 200개 내외 1개월, 2백만원 (2단계) 맞춤형 R&D지원 프로그램 1단계 기술역량분석을 받은 중소기업 중 종합지원이 필요한 기업을 선별 75개 내외 2년, 3억원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45","atchfileNm":"(보도자료_배포)_TIPA,_개방형_혁신_생태계_조성을_위한_산학_협력RD_추진.pdf","viewCnt":"2653","regDate":"2020-09-25 14:52:51"},{"contentId":"123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가위 앞두고 전통시장 장보기 캠페인 전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6","contentsKor":"TIPA, 한가위 앞두고 전통시장 장보기 캠페인 전개 -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마스크 나눔으로 안전 선물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9월 23일(수), 추석 명절을 앞두고 기관 자매결연 시장인 한민시장 활성화 캠페인에 나섰다.   ◦ 이번 활동은 추석 명절을 맞아 지역경제 활성화와 전통시장 이용을 독려하기 위한 장보기 행사로 이루어졌다.   □ TIPA 이재홍 원장과 직원들은 2개 조로 나뉘어 한민시장 곳곳에서 온누리상품권을 활용하여 지역 나눔활동을 통해 기부할 물품들을 구매하였다.   □ TIPA는 장보기 행사와 함께 정부의‘추석 특별 방역기간’운영에 맞춰 시장 방역체계 구축과 주민 안전을 위해 시장 상인들에게 마스크 1,800장을 전달하기도 하였다.   ◦ 이 날 행사에 앞장 선 이재홍 원장은 마스크 전달 후 “코로나-19, 폭우 등으로 명절을 앞두고도 시장 상인들의 어려움이 많은 시기일 것”이라며, “그 어느 때보다 안전과 지역 상생을 위한 노력을 다하겠다”며, 소회를 밝혔다.   □ 한편, TIPA는 지역 복지기관이 추석 명절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였으며, 이를 유성구 노인복지관과 성심보육원에 전달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43","atchfileNm":"보도자료TIPA,_한가위_앞두고_전통시장_장보기_캠페인_전개.pdf","viewCnt":"2617","regDate":"2020-09-25 14:48:04"},{"contentId":"123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퇴직과학기술인과 합심해 R&D과제기획 본격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5","contentsKor":"중소기업, 퇴직과학기술인과 합심해 R&D과제기획 본격 추진! -TIPA, R&D멘토링 온라인 오픈데이 행사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R&D과제기획을 밀착 코칭하는 ‘중소기업 R&D멘토링’의 본격 추진을 위해, 오는 9월 22일에 ‘온라인 오픈데이(Orientation)’ 행사를 개최한다.   ◦ ‘R&D멘토링’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를 통해 추천받은 퇴직과학기술인 총 12인이 R&D멘토가 되어 R&D과제기획 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해 마련되었으며,   ◦ 기술분야별로 총 12개의 소분과(분과당 20개사 이내)를 구성하여, ‘사업계획서 작성실습’, ‘모의대면평가’, ‘기술애로 맞춤형상담’, ‘네트워킹’ 등을 지원한다.   □ 9월 22일에 진행되는 오픈데이’ 행사는 TIPA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를 통해 참여기업으로 선정된 152개사를 대상으로   ◦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오리엔테이션’으로서,   ◦ ‘R&D멘토링 세부 지원내용 및 절차’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주요 지원사업’과 ‘기술교류연계과제’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 ‘R&D멘토링’은 풍부한 R&D경험을 갖춘 고경력 퇴직과학기술인에게는 중소벤처기업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사회공헌 기회를 제공하며, ◦ 중소벤처기업에게는 새로운 신사업 창출에 도전할 수 있는 R&D기획역량을 강화하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금번 오픈데이 행사를 통해 R&D멘토링이 중소벤처기업의 협력과 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하며, 중소기업이 보다 나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첫 단추가 되길 바란다”며, ◦ ”앞으로도 TIPA는 우수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신시장 개척을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41","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퇴직과학기술인과-합심해-RnD과제기획본격추진.pdf","viewCnt":"2329","regDate":"2020-09-25 14:28:57"},{"contentId":"123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엔젤투자협회 기술창업기업 성과확산 협력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4","contentsKor":"TIPA – 엔젤투자협회 기술창업기업 성과확산 협력 MOU 체결 - 기술창업기업 R&D후속지원 강화 및 성과확산 도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사단법인 한국엔젤투자협회(회장 고영하, 이하 ‘엔젤투자협회’)는 기술창업기업의 R&D 후속지원을 강화하고, 성과확산 도모를 위해 손을 맞잡았다.   ◦ TIPA와 엔젤투자협회는 18일(금)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팁스 타운에서 ‘기술창업기업의 성과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상호 유기적인 기술창업기업의 성과확산을 지원하는데 협력키로 했다고 밝혔다.   □ “팁스”는 성공 벤처인, 선도 벤처 등 민간이 주도하는 액셀러레이터(엔젤투자‧보육 전문회사)를 통해 유망 기술창업팀을 선별하고 엔젤투자와 연계한 정부 R&D 등 지원을 집중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향하는 창업팀을 육성하고,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으로,   * 팁스(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프로그램)   ◦ ’13년부터 현재(‘20.8월)까지 총 1,044개 창업팀에 대해 민간 엔젤투자 2,253억원에 매칭하여 R&D 4,464억원, 사업화 및 해외마케팅 1,014억원을 지원하였으며, ’22년에는 년 500개의 신규 창업팀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외연의 확대와 함께 괄목한 만한 성과창출을 통해 중기부의 대표 초기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으로 자리 매김하였다. □ 정부와 민간의 체계적 지원을 통하여 팁스 창업팀은 민간투자 유치, 신규 고용창출, 고급기술인력의 도전적 창업 지원 등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ㅇ 팁스 창업팀은 초기 엔젤투자 유치(2,253억원)와 더불어 팁스 선정 후 2조 8,280억원의 민간 후속투자 유치를 통하여 정부지원금 대비 약 5.6배의 민간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달성하였고,   ㅇ 또한, 팁스 과제 기간(R&D기준, 최대 2년) 동안 기업 당 평균 약 14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하는 등 질좋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ㅇ 팁스 창업팀의 주요 창업자 중, 석‧박사 58%, 국내외 대기업 출신 29%, 전문직 11%로 고급기술인력의 도전적 창업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뿐만 아니라, 팁스 창업팀 중 약 25%가 해외법인을 설립하였으며, 기업공개(IPO) 2개팀, M&A 19개 팀이나 되는 등 팁스 선정 당시 업력이 평균 2년 미만인 것을 감안할 때, 괄목한 만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 그간, 팁스(R&D)에 TIPA-엔젤투자협회로 추진 체계가 분리 운영되어 창성R&D사업 內성과공유가 미흡했던 부분이 있었으나,   ◦ 금일 업무협약식을 시작으로 미흡한 부분을 해소하고, 고급기술 인력의 기술창업 도전과 창업 활성화를 위해 상호 교류하기로 하였다.   □ 업무협약서의 주요 합의 내용을 보면,   ◦ TIPA는 ▲TIPS 수행기업의 사업화성공 지원을 위한 자금융자 연계 ▲수출이행자금 확보 지원 등 수출연계 프로그램 제공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인증 ▲수요처 및 투자처가 있는 기업의 상용화R&D 사업으로의 후속지원을 유도 하고,   ◦ 엔젤투자협회에서는 중소기업 R&D 성공기업을 대상으로 ▲IR역량 강화 교육 ▲투자유치 VC초청 및 네트워킹 등을 추진하여 양 기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COVID-19로 더욱 어려운 경제상황이지만, 잠재력 높은 기술창업기업의 R&D 후속지원, 투자, 판로개척 등 성과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엔젤투자협회와 함께 하는 뜻 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 “또한,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 측면에서는 창업기업이 개발된 기술을 통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수 년간의 기업 엑셀레이터 노하우와 투자심사 역량을 보유한 엔젤투자협회와 함께 만들어 갈수 있어서 더욱 의미가 깊다”라고 밝혔다.   □ 고영하 엔젤투자협회 회장은 “이번 협약은 엔젤협회의 벤처투자연계 네트워크와 TIPA의 R&D지원 역량이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계기가 됐다”면서 “양 기관의 장점을 융합한 성과확산 협력모델을 구축해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39","atchfileNm":"보도자료TIPA-엔젤투자협회_기술창업기업_성과확산_협력_MOU_체결.pdf","viewCnt":"2853","regDate":"2020-09-25 14:27:02"},{"contentId":"122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투자형・후불형R&D(금년에 신규 도입) 본격 활성화 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96","contentsKor":"□ 투자형・후불형R&D(금년에 신규 도입) 본격 활성화 된다.   ◦ 투자형・후불형R&D 운영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벤처투자, 기술보증기금) 선정평가 및 지원사업 연계 강화 위해 업무협약 체결 □ 투자형R&D와 후불형R&D 사업 추진이 본궤도에 오른다. 동 사업 운영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벤처투자, 기술보증기금, 이하 3개 기관)은 원활한 R&D 선정 평가 및 성과 확산을 위해 상호 전문 역량을 공유하고 지원사업 연계를 강화한다.   ◦ 3개 기관은 기존 출연방식 위주 중소벤처기업 R&D지원 환경을 개선하여 중소벤처기업의 도전적이고 과감한 기술혁신 시도를 뒷받침하도록 중기부가 지난 7월 새로 도입한 투자형・후불형R&D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하였다. □ 먼저, 3개 기관은 투자형R&D 대상 선정에 기관별 전문역량을 활용하기 위해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9월 18일 체결하였다.   ◦ 한국벤처투자는 투자형R&D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 평가와 지원 사업을 총괄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과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은 R&D 지원 및 기술평가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투자 대상기업의 기술성, 사업성, 시장성을 평가한다.   □ 투자형R&D*는 민간 벤처캐피탈이 선별해 미리 투자한 기업에 대해 정부가 매칭투자 방식으로 지원하는 새로운 R&D사업으로 올해 7월 신규 도입되었다. 1차 접수(9.1~9.10)에서 10개 기업이 총 108억원의 매칭 투자를 신청하였다.   * 투자형R&D 개요(‘20.7월 신규 도입) :  편드규모 165억원 (존속기간 8년, 투자기간 3년)→ ’21년초까지 335억원 추가   - 지원대상은 소재부품장비분야, 비대면분야로 한정되며, 투자건당 최대 1배수, 20억원 지원(강소기업100은 최대 2배수, 30억원 한도)   - 투자금액 50%까지 R&D사용 의무화, 나머지는 양산자금, 판로, 운영비 등 허용 성과우수기업에게 콜옵션 부여, VC 손실발생 시 정부가 10%까지 우선손실충당   ◦ 앞으로 3개 기관의 평가를 종합하여 오는 10월중 최종 투자 지원 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며, 2차 접수(11.1~10)도 진행할 예정이다. □ TIPA와 기보는 그간 先지급 출연방식에서 탈피하여 기업이 자체 자금으로 R&D를 먼저 수행하고 R&D 성공 시 출연금을 나중에 돌려받는 후불형 R&D*도 협력을 강화한다.   * 후불형R&D 개요 기업이 先 지급된 25%의 출연금과 자체 재원으로 먼저 R&D를 진행하고 성공 판정 후 정부로부터 출연금의 나머지(75%)를 지원받는 방식   - (참여기업 인센티브) 사업화 우수기업에 ➊기술료 면제, ➋연구개발 자금 및 사업화 자금 보증연계, ➌후속과제 필요 시 즉시 지원, ➍졸업제 등 적용 제외   ◦ 후불형 R&D는 지원기업의 책임성을 대폭 강화하는 대신, R&D 우수 성과 기업에 대해서는 TIPA와 기보가 협업하여 기술료 면제, 후속 R&D 지원 및 전용 사업화자금을 보증하는 인센티브를 주며, 서면평가로 지원대상을 원스탑(One-stop) 선정한다.   ◦ 8월말 후불형R&D 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122개 과제가 접수(경쟁률 5:1) 되어 기업 현장의 높은 관심이 확인되었다.   BIG3 분야 28개(바이오헬스 19, 미래자동차 5, 시스템반도체 4), 소재·부품·장비분야 94개(전기전자 37, 기계금속 27, 기초화학 11, 자동차 10)   □ 3개 기관은 이번 상호 협업을 통해 동 R&D사업 지원절차가 더욱 원활하게 되고 사업화 성과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상호간 전문성을 공유하여 협업 범위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25","atchfileNm":"보도자료투자형_후불형RD_본격_활성화_된다.hwp","viewCnt":"3063","regDate":"2020-09-18 16:30:14"},{"contentId":"122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해외기술교류 온라인 상담회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95","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수출 기반 조성과 기술교류 지원을 통한 해외시장 진출 촉진을 위하여 ‘해외기술교류 사업’을 진행 중 이라고 밝혔다.   ◦ 해외기술교류 사업은 대상국 현지 수요기업과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 중소기업의 기술교류와 협력을 통해 기술이전, 기술수출 등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와 함께 추진 중이다.   □ 본 사업은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은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며, 보유 기술의 이전 가능여부에 대한 진단 및 해외 현지 수요기술조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원기업을 선정한다.   ◦ 선정기업은 현지기업과의 1:1 비대면 온라인 기술교류 상담회를 원하는 장소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TIPA는 현지어 통역 및 온라인 상담을 위한 인프라 제공, 기술 소개자료 번역 교정 등 상담회 운영 및 기술협력 및 수출 등을 위한 제반사항을 지원한다. □ TIPA는 올해 베트남, 말레이시아, 독일, 러시아 국가와의 기술교류를 희망하는 참여기업을 모집 완료하였으며, 중국은 이달 21일까지 해외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G-TEP)을 통해 모집 중이다.   * 베트남(36개사), 말레이시아(5개사), 독일(5개사), 러시아(15개사) 지원 예정   ◦ 특히, 말레이시아와의 기술교류 상담회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5개사 모집에 37개사가 지원하여 7.4:1의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수요-공급 매칭을 통해 순차적으로 온라인 상담회를 진행 중이다.   □ 금년에는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온라인 상담회로 운영되고 있지만, 국내외 여건이 개선되는 대로 현지국을 방문하여 기업이 직접 교류할 수 있도록 추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또한, 기술교류 상담회 이후에도 참여기업의 성과 창출을 위해 후속 모니터링 및 사후지원에도 힘쓸 계획이다.   □ 이 밖에도 TIPA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우수기술을 보유한 해외 국가와의 기술교류 및 협력 기회 확대를 위해 노력해오고 있으며,   ◦ 항공우주, 소재 분야의 우수기술을 보유한 우크라이나 국립과학 아카데미 산하 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해 온라인 기술세미나 및 심층 상담회를 오는 11월 초 개최할 예정이다.   * 프란체비치 소재문제 연구소, 파톤 전기용접 연구소   ◦ 이를 위해, 지난 8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해당 연구소와의 협력 희망 기술 수요조사를 완료하였으며, 수요를 기반으로 현지와 기술협력 가능 여부를 지속 논의 중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우수기술을 보유했지만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에게 TIPA가 훌륭한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대내외 악조건 속에서도 우리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약속하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24","atchfileNm":"보도자료TIPA,_해외기술교류_온라인_상담회로_중소벤처기업의_해외시장_진출을_적극_지원한다.hwp","viewCnt":"2439","regDate":"2020-09-17 09:12:24"},{"contentId":"122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공군, 국방 분야 중소기업의 R&D 전주기 지원 공동 협력체계 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87","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공군이 국방분야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R&D) 및 사업화 지원을 위한 공동 협력체계를 수립하여 추진한다고 밝혔다.   □ 협력체계의 기본방향은 공군이 보유한 실험환경(Test Bed)을 중소벤처기업에 개방하여, R&D과제 발굴 및 지원을 통해 사업화, 공공구매에 이르는 전주기 지원을 골자로 한다.   ◦ 공군은 항공작전, 항공기 정비, 기지방호, 작전지원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실험환경을 제공하며, 중소벤처기업은 이를 활용하여 신규 기술개발 과제 도출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업화를 위한 실전데이터를 확보를 통해 개발제품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다. ◦ 이로써, 중소벤처기업이 공군에서 제공하는 실험환경 및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하여, 국방 수요에 연계한 아이디어 창출 및 개방형 혁신 R&D 과제 발굴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TIPA는 지난 5월 26일 공군과『국방 분야 중소기업 및 공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으며,   ◦ 업무협약 이후 공군과 협업을 통해 발굴된 총 6건의 협력 R&D 과제를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 사업을 통해 연내 지원할 계획이며, 향후 지원 규모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조달혁신과제 신규지원 예산(’20년 155억원, → ‘21년 197억원)   □ TIPA는 앞으로 공군과의 협력이 공공혁신조달의 우수사례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며, 대국민 인식제고 및 확산을 위한 홍보활동을 추진 할 예정이다.   ◦ 또한, 향후 타 기관 등이 보유한 인프라 활용을 통해 맞춤형 중소벤처기업 지원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COVID-19로 인해 중소기업의 경제 활동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 스마트 국방을 추구하는 공군과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의 협력 R&D 활성화와 공공구매 연계를 통한 성과창출을 위한 계기가 마련되어 기쁘다”라고 밝혔다.   □ 공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이영수 소장은 “우수한 ICT 인프라를 구비한 공군의 실험환경을 중소벤처기업에 제공하여 혁신기술 개발과 판로 개척에 기여하고, 공군에 신기술·체계 도입을 확대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와 Spin-Up 정책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발전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09","atchfileNm":"보도자료TIPA·공군,_국방_분야_중소기업의_RD_전주기_지원_공동_협력체계_마련.hwp","viewCnt":"2363","regDate":"2020-09-11 09:17:58"},{"contentId":"122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의 신북방 시장 진출을 위해 국제협력 기술개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77","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중소벤처기업의 신북방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협력 기술개발 사업을 신설했다.   ㅇ 금년 초부터 지원중인 ‘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 사업’은 러시아 공공기관·기업 등이 보유한 핵심기술의 국내 도입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중심의 후속 기술개발 및 전문가와 기술협력에 기반한 기술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사전기획을 통해 러시아 공공기관·기업 등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양국 기술협력 수요·공급기술 및 원천·핵심기술을 보유한 전문가를 발굴하였으며, 이에 기반하여 ‘20년 총 38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ㅇ 지난 8월, 러시아가 보유한 핵심 기술의 도입 등을 통한 후속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상용화기술개발’ 과제 13개를 선정 완료 하였으며, 9월중 협약을 통해 과제당 최대 2년간 4억 원을 지원한다.   ㅇ 또한 러시아 전문가를 활용하여 기술개발·제조공정 관련 애로해결 등을 위한 ‘기술진단·기획’ 과제는 총 25개를 선정하고 과제당 최대 3천만 원을 지원할 예정으로, 이달 14일까지 신청·접수를 진행한다.   □ 특히,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협력 애로를 고려하여 비대면 방식의 과제를 지원한다.   ㅇ 러시아 전문가와의 원활한 비대면 회의 운영을 위해 관련 절차 및 인프라 활용이 가능하도록 사업관리지침 등을 개정하였다.   ㅇ 향후, 지속적인 현장 의견 청취를 통해 코로나-19에 따른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과제 수행 관련 불편사항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 동 사업을 통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단기 상용화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기술협력 대상국의 수입 대체산업을 선제적으로 공략하여 해외시장 진출을 견인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기술협력 체계 구축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ㅇ 또한, 4차 산업혁명의 글로벌 확산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기술 선도국 등으로 신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향후 기술협력 대상 국가를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TIPA는 기술협력 대상국 및 신규 수요·공급기술 발굴을 위한 사전 수요조사를 연내(9~11월) 실시할 계획으로, 사업관련 자세한 정보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87","atchfileNm":"보도자료TIPA,_중소벤처기업의_신북방_시장_진출을_위해_국제협력_기술개발_지원.hwp","viewCnt":"2394","regDate":"2020-09-07 08:20:33"},{"contentId":"122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벤처기업 연구개발 혁신제품 ‘20년도 수출촉진지원 프로그램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7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연구개발과제 수행 기업 혁신제품의 수출역량 강화를 위해 금년도에 신설한 “수출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제2차 지원기업 모집을 완료하여 9월 중순부터 지원할 예정이다.   ㅇ 동 프로그램은 지난해 11월 기정원과 한국무역보험공사간 협업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연구개발(R&D) 혁신제품이 해외시장 개척 등을 통한 글로벌 기업화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하였으며,   ㅇ 연구개발 과제 수행 중소벤처기업 중에서 해외시장 개척 경험이 없거나 초기인 기업이 많으며,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출대금 회수 위험, 수출이행자금 부족 문제, 바이어 신용도 검증 어려움 등 개별기업 차원에서는 해소하기 어려운 부문에 대해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 이번 2차 신청을 통해 66개 기업을 선정하였으며, 금년 2월 1차 선정된 39개 기업 포함시 총 105개 기업을 선정하였고, 향후 11월경에도 추가로 신청을 받아 지원할 예정이다.   ㅇ 선정된 기업은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제공하는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 등 다양한 세부지원 프로그램을 맞춤형 우대조건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ㅇ 세부 지원 프로그램은 ①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단체보험 지원, 보험료 할인), ② 수출이행자금 및 수출대금 조기 현금화를 위한 보증지원, ③ 신용조사 및 판로 지원(해외수입자 신용조사보고서 지원, 우량수입자 상담기회 제공), ④ 수출컨설팅 및 무역보험아카데미 지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금번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는 (주)릴리커버 안선희 대표는 “해외 바이어의 신용사기, 수출대금 미송금, 연락 두절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금번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바이어 신용조사 지원을 받으면 진성바이어 선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ㅇ 에이스기계(주) 이철 대표는 “해외 매출이 대부분 미국에 집중되고 있어 수출다변화가 시급하지만, 인력 부족 및 정보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상황에서 수출컨설팅 등의 지원을 받아 해외 거래선 다변화가 가능할 것“ 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코로라19로 인해 우리나라 수출이 감소되고 있는 어려운 여건이지만, 정부지원 연구개발사업 참여를 통해 개발된 혁신제품이 국내시장 보다는 해외시장 개척에 과감하게 나설 수 있도록 무역보험 등 기업별 맞춤형 지원을 함으로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85","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중소벤처기업_연구개발_혁신제품_‘20년도_수출촉진지원_프로그램_시행.hwp","viewCnt":"2360","regDate":"2020-09-04 10:21:44"},{"contentId":"122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소상공인 스마트화 지원을 위한 BM모델 발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74","contentsKor":"기정원, 소상공인 스마트화 지원을 위한 BM모델 발굴 -비즈니스모델 20개 기획에 3.3억원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소상공인ㆍ자영업자를 위한 비즈니스모델 개발지원을 위해 1단계 비즈니스모델기획(BM기획)과제 20개가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 지난 5.28일 사업공고 이후 6.11~6.30 동안 과제 접수 과정을 거쳐 총 213개가 신청되어 10.7: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 이번엔 선정된 과제들은 3개월 동안 과제당 약 1,500만원(총 예산3.3억원)을 지원받아 소상공인 서비스혁신을 위한 비즈니스모델기획을 진행할 예정이다.   ○ BM기획이 완료된 과제 중 소상공인의 4차 산업혁명 시장변화 대응력 및 보급·확산에 파급효과가 높은 우수한 10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여 2년 동안 최대 4억원의 R&D 자금이 지원된다.   □ 비즈니스모델 과제는 최근 온라인 쇼핑의 증가,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따른 소비․유통트렌드 변화에 소상공인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서비스 혁신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이번 ‘BM기획과제’는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생활혁신형 기술개발사업’ 중 하나인 ‘BM개발과제’의 기술개발 비용을 지원하기 전 우수한 과제를 발굴하는 것이 목적이다.   ○ 선정된 20개 과제*는 무인상점, 고객 마케팅, 주문ㆍ결제ㆍ거래지원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비즈니스모델로 실제 소상공인 현장에 적용되어 소상공인 스마트화, 서비스 혁신을 통한 매출 향상이 기대된다. * AI기반의 무인판매 시스템, 비대면 패션 미디어숍, 영수증 기반 집객 유도, 광고 공유 마케팅 플랫폼, 홍보 컨텐츠 제작, 스마트상점용 경량화 보안플랫폼, 스마트매장 플랫폼, 포토 중개 플랫폼 등   □ 이번 1단계 BM기획 과정을 통해 소상공인의 이익창출 및 서비스혁신이 가능하도록 사업화 추진계획을 구체화하고, 실제 소상공인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보완할 계획이다.   ○ 소상공인은 적은 인력과 자본력 부족 등으로 비즈니스모델을 직접 기획해 개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관련 전문성을 갖춘 중소기업 및 기획기관이 참여하여 추진하게 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본 지원사업을 통해 소상공인·자영업자의 4차 산업혁명 스마트화 혁신 동력 확보의 시발점이 될 것이며 특히, 소상공인에게 더욱 가혹한 대내외적 악재를 극복할 수 있는데 힘을 보태줄 수 있도록 기정원이 최선을 다해 지원 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84","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소상공인_스마트화_지원을_위한_BM모델_발굴.hwp","viewCnt":"2385","regDate":"2020-09-03 15:55:24"},{"contentId":"122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기정원장, 스마트 R&D평가로 비대면 스타트업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73","contentsKor":"[편집자] 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은 포스트 코로나는 '비대면 시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온라인 비대면 생태계에 신속하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적극적인 투자와 중소기업의 공격적인 기술 개발이 융합돼야 한다고 바라봤다. 그 중심에서 기술과 정보를 진흥하겠다고 공언한 이재홍 원장을 가 만났다. [서울=뉴스핌] 박영암 이서영 기자 = "코로나19로 예상보다 빠르게 비대면 경제 생태계로 전환되고 있다. 이 시기 대기업 역할은 적극적인 투자이고, 중소기업은 도전적인 기술개발에 뛰어드는 것이다." 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원장은 최근 서울 여의도 사무실에서 월간 ANDA와 만났다. 이 원장은 제조 생태계의 밑단이 성장하지 않으면 결국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도 힘들어진다며 협업체제에 기반한 중소기업의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개발(R&D)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재홍 원장은 지난 2월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에서 기정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에서 R&D 관련 직무를 두루 경험했다. 공직에 입문하기 전 현대자동차에서 다년간 일하기도 했다. 이 원장은 코로나19로 비대면 시대가 한 발짝 빨리 다가왔다고 보고 있다. 다가올 비대면 경제를 주도하기 위해서는 기술 기반 중소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도전적 R&D를 이끌어내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도전적 R&D는 한 단계가 아니라 서너 단계를 뛰어넘는 도전적인 연구개발을 말한다"며 "비대면 생태계 조성을 위해 '스마트 서비스 보급사업' 관련 R&D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이 기술기반 중소기업 육성과 함께 주요 과제로 꼽은 것은 민간 투자 활성화다. 특히 그는 "대기업의 역할은 투자"라고 언급할 만큼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Corporate Venture Capital) 등을 통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강조했다. 그는 "오늘날 대기업은 혁신벤처와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것이 곧 스스로(대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길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며 "때문에 아무리 규제가 있어도 국내 기업 중 투자를 잘하는 곳은 이미 잘한다"고 말했다.1962년 전남 진도에 출생한 이 원장은 서강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했다. 영국 맨체스터대학 경영대학원에서 과학기술정책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술고시 27회에 합격한 후 1992년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 "'스마트 R&D평가체계'로 비대면 생태계 전환" Q.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잘 모르는 국민이 많다. 주요 역할을 소개해 달라. A. 기정원은 중기부 내의 유일한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이다. 비유하자면, 중소기업이 클 수 있도록 씨앗을 뿌리는 역할부터 잉태시키고 이후 더 큰 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곳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스마트 대한민국'이라는 비대면 시대의 생태계 전환을 이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실제로 코로나19라는 생각지 못한 역경을 겪고 있지만, 그 안에서 한국 정부 대응이 모범 사례로 세계의 주목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탄탄한 중소기업의 기술력 덕분이다.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와 제조수출 기업 41개사 중 75%에 이르는 31개사가 기정원의 중소기업 R&D를 지원받았다. 앞으로 기정원은 코로나19로 촉발된 비대면 시대를 대비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즉 중소기업 R&D와 스마트 공장 보급 및 고도화 등을 지원해 중소기업 제조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 Q. 올해 중기부 R&D 예산 1조4000억 원 중 1조2000억원이 기정원을 통해 집행되고 있다. 국민 세금이 '눈먼 돈'이 안 되도록 검증장치가 필요할 것 같다.A. 그 같은 우려를 잘 알고 있다. 지금까지는 개별 기업을 중심으로 지원해 왔다. 이를테면 공고를 내고, 기업체에서 신청을 하면 평가 후 선정하고 줄 세워서 지원금을 주는 식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코로나19로 급부상한 '비대면 경제' 환경 속에서 R&D 및 스마트 공장 지원 분야도 생태계를 육성하고 지원하는 정책으로 바꿀 계획이다. 비대면 생태계 전환을 이끌기 위해 기정원에 꼭 필요한 장치가 바로 '스마트 R&D평가체제'다. 한마디로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평가체계다. 스마트 R&D평가체계를 도입하게 된 배경은 두 가지다. 첫째가 대기업은 장기간의 R&D 투자가 가능한 반면 중소기업은 시장에 민감하고 분야가 다양해 특정 사업에 매칭이 어렵다. 특히 단기간에 사업화가 가능한 연구개발 자금이 필요한데 공고된 사업에 맞추다 보니 여러 어려움이 따랐던 것이 사실이다. 둘째는 기술이 점점 다각화되고 고도화되면서 이를 커버할 수 있는 전문가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그간 R&D 평가의 공정성과 수월성 그리고 신뢰성 문제가 종종 지적돼 왔다. 스마트 R&D평가체계를 도입해 중소기업을 세계적 기술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사업화에 성공토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평가자원의 데이터화부터 평가모델 구축" Q. 스마트 R&D평가체계를 도입해서 기대하는 성과는 무엇인가. A. 지원자들의 '도전적 R&D'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진행돼 온 '기업중심 지원방식'은 개별 중소기업에 씨를 쫙 뿌린다는 자체는 의미가 있을지 모르지만 전체적인 산업 성장 환경을 조성하지는 못한다. 개별 기업의 도전적인 R&D를 이끌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도전적 R&D는 단순히 한 단계 수준의 성장이 아니라 서너 단계를 뛰어넘는 도전을 의미한다. 기존 방식으로는 이미 기술 개발을 마친 기업이 이를 숨기고 신청해서 지원금을 타가더라도 적발할 수가 없었다. 이런 기업이 많으면 국민의 세금이 정작 필요한 곳에 가지 못하게 되는 악순환이 되기 때문에 고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스마트 R&D평가체계는 중소기업의 R&D 연구과제에 대해 ▲사업화 ▲기술수준 ▲기업역량 중심으로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제시하고 빅데이터, AI 기반 지능형 평가모델로 과제평가를 자동화해 R&D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개별 기업이 '도전적 R&D'에 뛰어들려는 의지가 있는지를 확실히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물론 아직 한계는 있다. 해당 평가체계를 가동하기 위해 현재로서 가장 필요한 것은 '평가자원의 데이터화'다. 평가자원은 사업계획서,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 연구노트 등 평가와 관련된 모든 것을 의미한다. 현재는 평가자원이 데이터화돼 있지 않아 분석도 어렵고 지능형 평가모델을 구축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내년부터 시범 기능을 구축해 3년째인 2022년에는 전체적인 기능을 완성할 예정이다.덧붙여서 설명하자면, 내년 3월 세종시로 청사를 이전하면 평가장에 AI 기반 녹음 시스템을 도입할 구상이다. 녹음을 하면 바로 텍스트로 전환해 데이터화하고, 알고리즘을 통해 주요 데이터를 요약하는 기능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Q. 기정원장 취임 후 정부 R&D 정책에 민간 전문가를 참여시키는 프로젝트매니저(PM) 제도를 새로 도입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A. PM(Project manager) 제도는 민간 전문가들이 중소·벤처기업 R&D 정책 수립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제도다. 연간 1조원이 넘는 중소·벤처기업 R&D 예산을 집행하는 정책 기획 및 수립 과정에 민간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R&D 투자성과를 높이자는 취지다.앞으로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 혁신서비스, 전자부품장비 등 정부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 중인 4대 분야에서 7월부터 PM 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미 4개 분야의 민간 전문가를 채용했다. 이들은 관련 분야 경험과 역량이 풍부하고 중소·벤처기업 R&D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앞으로 PM들은 중소·벤처기업 R&D 사업의 전략 방향 제시 등 정책 수립 지원과 유망 신사업 발굴 등 사업기획, 예산 전략 등을 담당하게 된다. 민간 전문가의 현장 경험과 안목을 활용해 중소·벤처기업 R&D 정책을 보완·개선할 뿐만 아니라 성과 제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그린 뉴딜 및 스마트공장 분야에서도 기술전문가를 채용할 계획도 있다. Q.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술보증기금과 제휴를 통해 R&D를 지원한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A. 지난 6월 기술보증기금과 중소기업 R&D평가시스템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맺었다.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소·부·장 분야의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스마트 R&D평가시스템' 혁신에 대해서도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기보에서 운영 중인 '온라인 기술유통 플랫폼'인 Tech-Bridge를 활용해 대학이나 연구기관이 보유한 우수 기술을 중소기업에 이전하고 상용화 기술 개발을 지원해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의 자립을 도울 방침이다. 양 기관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받을 중소기업을 제대로 발탁하기 위해 기정원의 스마트 R&D평가시스템과 함께 기보의 기술평가시스템도 활용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R&D평가시스템 측면에서 4차산업혁명에 걸맞게 빅데이터, AI 등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평가 혁신'을 기보와 함께 만들어 갈 수 있어 의미가 깊다고 생각한다. ◆ R&D 사업화 위해 CVC 도입 고려해야 Q. 도전적 R&D로 혁신기술을 기진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이를 대기업에 적기에 매각하는 것도 비대면 생태계 조성에 필요하다. 최근 정부와 정치권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규제완화 흐름에 대해 평가해 달라.A.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CVC는 허용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CVC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펀드를 조성해 기술 기반 스타트업에 전략적으로 투자한 후 인수합병(M&A)을 통해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추구한다. 때문에 벤처기업가 입장에서도 코스닥 상장 등을 거치지 않으면서 M&A를 통해 회사를 자유로이 매각할 수 있다. 실제로 세계 벤처투자의 30%가량이 CVC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구글도 대표적인 글로벌 CVC다. 이처럼 한국도 대기업들의 투자 활로를 뚫어주는 차원에서 CVC는 검토해 봐야 한다고 본다. 사실 이미 대기업들은 지난해 일본의 수출 규제 당시 한국에 바로 대체 가능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업이 없었다는 점에서, 소·부·장같이 제조업 밑단이 힘들면 결국 대기업이 어려워진다는 것을 학습했다. 이미 혁신 기업 중에서 네이버 같은 IT 기업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기술 기반 기업들을 대상으로 투자를 하고 있지만, 투자가 한 곳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체로 흐르게 할 필요성이 있다.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 등에 관한 규제를 푸는 것을 고려해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Q. 기정원의 핵심 사업인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이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얼마나 기여했나. 지원하는 예산에 비해 생산성 향상 등 성과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A . 국민들이 알고 있는 스마트공장은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스마트공장이 한 번에 고도화되는 것이 아니라, 낮은 수준인 1~2단계를 거쳐 궁극적으로는 5단계로까지 점진적으로 성장한다는 점이다. 레벨5가 되기까지는 최소 5~6년 정도가 걸린다.지난해 말까지 스마트공장은 총 1만2660개가 보급됐다. 올해 목표는 5600개 증설이다. 이 중 3800개는 스마트공장 추진단이 맡고 나머지 1800개는 삼성 같은 대기업이 주도한다. 하지만 현재 기정원의 최대 관심은 스마트공장 고도화다. 우선은 20% 수준에 머물러 있는 레벨3 이상 공장을 25%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그리고 레벨3 공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 형태로 함께 수준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본다. 쉽게 설명해서 전기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부품공장과 제조공장 등 여러 기업의 협력이 필요하다. 때문에 전기자동차 생산 공장만 스마트공장화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부품 업체들도 함께 커넥트돼야 한다. 그래야 높은 수준의 스마트공장을 기대할 수있다. Q. 실리콘밸리 파견근무 경험을 토대로 출간한 '4차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의 기회'란 책이 공무원은 물론 기업, 일반 독자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됐는데 얼마나 팔렸나. A. 지난 2015년 실리콘밸리에 1년간 국장급 파견을 다녀왔다. 처음부터 책을 쓰려고 한 것이 아니라, 짧은 기간에 여러 사람을 만나고 많은 것을 경험하다 보니 정리를 해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년 동안 작업을 했는데, 당시 4차산업혁명이 화두로 떠올랐고 '혁명'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책을 써보자는 결심을 하게 됐다. 한국에 돌아온 뒤 출판사와 연이 닿아 출간하게 됐다.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된 것은 시점과 타이밍이 잘 맞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책을 출간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겨냥해 써야 하는데, 나 자신이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스스로가 알아들을 수 있는 수준에서 알기 쉽게 쓰기 위해 노력했다. 누구나 알아듣기 쉽게 4차산업혁명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앞으로 다가올 문제와 해결책 등을 제시했다. 결국 쉽기 때문에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됐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현재 2500권 정도가 고등학교 도서관에 보내졌고, 고등학생들에게 이 책이 4차산업혁명 종합 텍스트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83","atchfileNm":"200902_이재홍_기정원장,_스마트_RD평가로_비대면_스타트업_지원_뉴스핌(★).pdf","viewCnt":"2843","regDate":"2020-09-02 12:14:50"},{"contentId":"122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 국민과 함께 만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64","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 국민과 함께 만든다 박영선 줃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의료·바이오분야 혁신기업 온라인 IR'을 진행하고 있다(구루미 영상플랫폼 갈무리)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R&D) 전략을 세우는데 국민들의 의견을 듣는다. 중기부는 2일 매년 수립해 오고 있는 ‘중소기업 기술 로드맵’에 온라인 자유 토론 시스템(jamming)을 구축하고 오는 4일부터 6일까지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온라인 자유토론 시스템을 뜻하는 재밍(jamming)은 IBM에서 미래기술예측을 위해 활용하는 방법이다. 유망기술과 관련된 문제들을 자유롭게 토의하여 해결책을 찾아가는 개방형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의 한 형태이다.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최신 기술개발 트렌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중소기업 기술개발(R&D)의 투자 전략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지난해 기술 로드맵에서는 인공지능 등 27대 분야의 216개 전략제품이 제시됐고 중기부는 이들 분야에 연간 약 150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연계해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기업과 전문가 중심으로 시장 동향을 분석해 오던 방식에서 벗어나 시범적으로 업계와 대중의 관심도가 높은 ‘인공지능(AI)’ 등 2개 분야에 수요자인 일반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온라인 토의는 ‘중소기업기술로드맵’ 누리집의 ‘재밍’ 메뉴에서 관련 분야 전문가의 진행으로 운영되며,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 중기부 관계자는 “국민이 참여하는 ‘재밍’을 도입함으로써 수요자 의견이 반영된 기술개발 사업화로 중소기업의 매출 증대 등 성과가 신속히 도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이번 시범 운영 결과를 분석하여 확대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60","atchfileNm":"20200803_중소기업_기술,_국민과_함께_만든다.pdf","viewCnt":"2629","regDate":"2020-08-28 15:40:19"},{"contentId":"122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집중육성 품목에 국민 참여형 제도 도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63","contentsKor":"중기부, 집중육성 품목에 '국민 참여형 제도' 도입 중소벤처기업부는 R&D 기획 단계부터 국민의 아이디어가 반영될 수 있는 길을 확대한다고 17일 밝혔다. 중기부는 기술로드맵 집중육성 품목의 기획과정을 R&D 수요자 중심에서 ‘국민참여형 도출방식’으로 개선한다. ‘대국민 기술수요조사’, ‘재밍(Jamming·온라인 브레인스토밍)’, ‘사업성 평가단’ 제도가 신규 도입된다. 우선 국민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신기술 및 제품개발에 대한 아이디어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국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술수요조사가 기술로드맵 누리집(smroadmap.smtech.go.kr)을 통해 4월30일까지 실시된다. 실생활에 필요한 제품 아이디어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개발기술에  관심 있는 국민은 누구나 자유롭게 제안이 가능하다. 또 IBM이 미래기술예측과 기술로드맵 수립에 활용해 온 재밍(Jamming)을 도입한다. 재밍은 온라인 으로 진행되는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유망기술과 관련된 문제들을 일반인이 자유롭게 토론해 해결책을 찾아가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기술로드맵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어 국민이 제안한 유망기술은 R&D 국민평가단, VC(투자심사역) 등 10여명으로 구성된 ‘집중육성 품목 사업성 평가단’을 통해 실용성, 시장성 등을 평가받는다. 사업성이 우수한 과제는 2021년 중소기업 R&D 지원품목 후보로 추천된다. 기술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위원회에서 집중육성 품목으로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또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을 통해 발굴된 4차 산업혁명 분야 및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집중육성 품목과 전략기술에 대해 중기부는 2021년 R&D과제 공모 시 품목지정 방식으로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61","atchfileNm":"20200317_중기부,_집중육성_품목에_국민_참여형_제도_도입.pdf","viewCnt":"2363","regDate":"2020-08-28 15:39:02"},{"contentId":"122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수립에 국민 기술 1,300여건 제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62","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수립에 국민 기술 130여건 제안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기술전략 품목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국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올해 첫 도입한 ‘국민 수요 조사’에 130여건의 기술 제안이 이뤄졌다고 21일 밝혔다. 중기부는 지난 2010년부터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통해 중소기업에게 적합한 기술개발 집중육성 품목을 지정하고, 중소기업이 이들 품목을 개발할 수 있게 연간 150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연계 지원하고 있다.그동안 중소기업 집중육성 품목 지정 시 개발기업의 기술개발 수요를 중점적으로 반영해 왔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기술개발 지원 효과의 국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국민참여 방식의  ‘온라인 설문’과 ‘재밍’을 시범 도입했다. 이번 ‘온라인 수요 조사’에는 일반 국민은 51건의 기술을 제안했다. 온라인 자유 토론 시스템인 ‘재밍’에는 625명이 참여해 815건의 기술 제안과 7370건의 토의가 이뤄졌다. 기술 제안만 총 1326건이 접수됐다.중기부 관계자는 “수요 조사에 참여한 중소기업은 보안기술, 자율주행 로봇 등 산업 현장에 접목이 가능한 기술을 많이 제안했다”며 “일반 국민들은 치매·독거 노인을 위한 지원기술, 지능형 디지털 범죄 예방 등 실생활과 밀접한 기술을 주로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질병 진단 플랫폼 기술 등 원격진료와 관련된 생명건강관리(바이오헬스케어) 분야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중기부는 이번 국민 기술 수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집중육성 품목을 선정하고 기술성, 시장성 등을 면밀히 분석해 ‘2021년~2023년도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오는 12월에 발표할 예정이다. 조희수 중기부 기술정책과장은 “최종 수요자인 국민의 기술수요가 중소기업 기술개발 제품에 반영됨에 따라 신속한 사업화가 기대된다”며 “올해 시범 도입한 국민 참여방식의 정책 수립에 일반 국민의 호응이 높아 이를 정책화하고 국민 생활과 밀접한 다른 분야의 정책수립 과정에도 적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59","atchfileNm":"20200821_중소기업_기술로드맵_수립에_국민_기술_1,300여건_제안.pdf","viewCnt":"2419","regDate":"2020-08-28 14:46:48"},{"contentId":"122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스테이 스트롱 릴레이 캠페인 참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6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8월 28일(금) 기정원 본원에서 이재홍 원장, 장상민 노조위원장 및 임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스테이 스트롱’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 스테이 스트롱(Stay Strong) 캠페인은 지난 3월 외교부를 시작으로, 코로나19 극복 및 조기 종식을 응원하는 캠페인으로,   ○ 공식 로고에 담긴 메시지(철저한 개인위생 관리를 통한 코로나19 극복)를 든 인증 사진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전파하는 것을 의미한다.   ○ 기정원은 노(勞)・사(使)가 협력하여, 캠페인 공식 로고와 더불어 ‘기정원도 코로나19 극복에 함께합니다’ 라는 메시지와 함께 응원의 메시지를 전했다.   □ 기정원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사회공헌 활동도 지속해왔다.   ○ 지난 3월에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지역희망 나눔활동’을 통해 지역 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재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전통시장 마스크 기부, △노사공동 성금전달 등 위기 극복에 적극 동참해왔다.   □ 이재홍 원장은 스테이 스트롱 캠페인 참여를 통해,   ○ 앞으로도, 대국민 업무 수행 과정에서, ‘코로나19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보건당국의 방역 지침 준수에 만전을 기할 것’이며,   ○ ‘지금 이 시간에도 코로나19에 고군분투하고 있는 현장의 의료진분들과 더불어, 경영 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 관계자 여러분께 깊은 위로와 격려의 말씀을 드린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58","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스테이_스트롱_릴레이_캠페인_참여.hwp","viewCnt":"2424","regDate":"2020-08-28 14:02:32"},{"contentId":"122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벤처기업 우수기술인재 채용지원을 위한 "온라인 채용관" 오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6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중인 중소벤처기업 대상으로 기술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기술인재 채용관’을 지난해에 이어 오는 9월부터 오픈하여 내년 7월까지 운영할 계획임을 밝혔다.   ◦ 기정원은 현재 청년들이‘코로나19’ 등으로 인하여 취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중소벤처 기업들은 역으로 우수기술 인력 구인난을 겪고있는 실정이어서, 이러한 구인·구직 미스매칭 해소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동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 ‘기술인재 채용관’운영사로 국내 최대 리크루팅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사람인에이치알’을 지난 7월 선정하였으며, 동 채용관은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 플랫폼 내에 구축하여 1,000개 내외 우수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채용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 ‘사람인’은 인공지능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인별 맞춤형 일자리와 최적의 인재를 찾아주는 선도 취업 플랫폼으로, ‘기술인재 채용관’을 통해 인력 채용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에게 무료로 채용공고 등록 지원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 참고로‘기술인재 채용관’을 통해 우수기술 인력 채용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들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 (www.smtech.go.kr)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특히, 금년에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청년들이 취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금번에 개설한 ‘사람인 포털내 기술인재 채용관’플랫폼을 통하여 취업난 해소 지원과 더불어,   ◦ 중소벤처기업들은 우수인력 확보 창구로서 적극 활용되어 기업의 국내외 경쟁력 제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57","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중소벤처기업_우수기술인재_채용지원을_위한_온라인_채용관_오픈.hwp","viewCnt":"2394","regDate":"2020-08-28 13:54:00"},{"contentId":"122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연말까지 '스마트공장 표준' 만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51","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50","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연말까지_스마트공장_표준_만든다.jpg","viewCnt":"2219","regDate":"2020-08-25 08:23:36"},{"contentId":"122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우수 연구개발 지정혁신제품 공공기관 구매 지원을 위해 현장 방문 나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5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중소기업 연구개발사업 과제를 통해 개발된 제품 중 혁신성과 공공성이 뛰어난 제품의 공공기관 판로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 8월 중순 현장방문에 나섰다.   ㅇ 현장 방문 대상 업체는 금년에 신설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이하 혁신제품 지정제도)’를 통해 지정된 44개 제품(‘20.7월 선정) 중 당뇨로 인해 매일 주사바늘 채혈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 등을 위해 통증 없는 ‘레이저 채혈기’ 제품을 제조하는 ㈜라메디텍 등 3개 업체를 방문하여 생산현장을 둘러보고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그간 중소기업은 우수기술 기반 혁신제품을 개발하여도, 공공기관이 시장에서 이미 검증된 제품 위주로 구매하여 초기시장 창출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나,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를 위해 중기부 등 정부에서 마련한 제도로서,   ㅇ 지정된 혁신제품에 대해서는 수의계약 허용, 일정 금액이상 물품구매시 공공기관 가점 적용 등으로 공공기관에 대한 초기판로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현장방문 업체 중 ㈜라메디텍 최종석 대표는 “지난 ‘2012년 창업이래 오랜 기간 연구개발을 통해 통증 없는 채혈기인 ’레이저 채혈기‘를 개발하였지만 공공기관 납품실적이 없어 해외시장 개척에 어려움이 많았는데, 금번 혁신제품 지정제도 활용을 통해 공공시장에 납품하게 됨으로써,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으며,   ㅇ ㈜코위드원 윤상조 대표는 “’2011년 창업 이래 연구개발을 통해 지하 매설배관 안전관리시스템인 싱크볼(실시간 감지센서) 및 원격감시장치로 구성된 ’Sink Tree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나, 주 수요처인 지방자치단체 구매실적 저조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지만 금번 제도로 인해 구매 확대가 기대되고 해외진출에도 탄력을 받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ㅇ ㈜제이오텍 김상용 공동대표는 “연구실험실 및 산업현장 등에서 인화성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외부 화염에 90분이상 견디는 고내화 성능을 보유한 보관함을 국내최초로 개발하여 수입대체 등을 하였으나, 인화성 물질 취급 공공기관의 구매가 미미하였지만, 동 제도를 통한 공공기관 납품확대가 기대되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의 사전예방이 크게 개선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그간 “중소기업 R&D 지원을 통해 우수한 혁신제품을 개발하고도 국내시장과 글로벌시장 진출에 어려움이 많았지만, 금번 제도를 통해 공공기관이 초기 구매시장 마중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구매확대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현장방문을 통해 소통을 강화해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49","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중소기업_우수_연구개발_지정혁신제품_공공기관_구매_지원을_위해_현장_방문_나섰다.hwp","viewCnt":"2144","regDate":"2020-08-24 17:14:27"},{"contentId":"122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통한 중소기업 R&D 자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4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2020년 상반기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의 구매연계형 및 공동투자형 자유응모 에 총 408개 과제가 신청되었고, 이중 165개 과제가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 이번엔 선정된 과제들은 과제기간동안 정부출연금 총 635억 원, 과제당 평균 3.8억 원을 지원받아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올해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국내외 수요처 협약을 기반으로 하는 ‘구매연계형사업’(최대 2년, 5억 원)과, 정부와 투자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는 ‘공동투자형사업’(최대 3년, 12억 원)으로 지원 규모를 확대하여 중소기업을 지원한다.   ○ 지원분야도 ‘일반과제’ 뿐만 아니라 수요처가 국내 공공수요처(정부·지자체·공공기관)인 ‘조달혁신’, 일본 수출 규제 극복을 위한 ‘소·부·장’,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형자동차 분야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BIG3’ 등으로 세분화하여 지원한다. □ 기술분야별 선정률은 기계·소재 37.6%(62개), 전기·전자 20.6%(34개), 정보통신 15.2%(25개), 화학 12.1%(20개), 바이오의료 9.1%(15개), 지식서비스 3.6%(6개), 에너지자원 1.8%(3개)의 순으로 기계·소재, 전기·전자, 정보통신 분야가 강세를 나타냈다.   □ 선정된 과제 중, 조달혁신분야에선 천연기념물(동물)의 효율적 생태 연구를 위한 초소형·초경량 위치추적장치 개발과제는 그동안 연구가 어려웠던 조류와 같은 소형 동물의 위치추적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소·부·장 분야 선정과제 중, 동합금 분말야금법과 이종소재 접합 기술을 적용한 건설기계 유압모터용 고성능 밸브 플레이트 개발과제는 기존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과 내구성 향상이 기대된다.   ○ BIG3 분야 과제 중, 스마트 헬스케어 허브 및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멀티센서 상황인식 기반 Smart Medical Alert System 개발과제는 노인 등 복지 취약 계층의 위기상황 발생 시 보호자 및 복지기관에 즉각 알림을 주어 발빠르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본 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과 수요처 모두 Win-Win할 수 있는 최적의 장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특히, 중소기업에게 더욱 가혹한 대내외적 악재를 극복할 수 있는데 힘을 보태줄 수 있도록 기정원이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추가적으로 하반기 신청이 완료되었으며, 8월 20일부터 평가를 통해 35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 혹은 기정원 기업협력사업실로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48","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_통한_중소기업_RD_자금_지원.hwp","viewCnt":"2300","regDate":"2020-08-24 11:12:16"},{"contentId":"122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경영평가성과급 일부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 “지역경제 위기극복 참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48","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지원 방안의 일환으로, 경영평가성과급 10% 내외를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하는데 노․사간 합의하였다.   - 기정원은 지난 10일 전년도 경영평가성과급 지급과 관련하여 노․사 합의를 진행하였으며, 경영평가성과급의 일부를 개인별 참여 의사에 따라 최소 5만원에서 최대 30만원까지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할 계획이다.   - 직원들의 자발적 참여로 지급되는 온누리상품권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전통시장 및 지역사회 등에서 사용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 및 자연재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사회의 고통을 분담하고,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앞서 이재홍 원장은 최근 4개월간 매월 급여의 30%를 대한적십자사에 기부함으로써 코로나19 극복에 동참한 바 있으며, 기정원은 지역 농산물 및 전통시장 물품 구매를 통한 기부활동 등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노력을 기울여 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47","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경영평가성과급_일부_온누리상품권으로_지급_“지역경제_위기극복_참여”.hwp","viewCnt":"2018","regDate":"2020-08-24 08:41:54"},{"contentId":"122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테크브릿지 활용 상용화 R&D사업 1차 모집에 31개 소부장 과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47","contentsKor":"테크브릿지 활용 상용화 R&D사업 1차 모집에 31개 소부장 과제 선정 -대학·연구소 기술이전 中企에 2년간 최대 8억 지원-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의 기술 이전부터 상용화까지 일괄 지원하는 '테크브릿지 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 지원과제 1차 모집에 31개 과제를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이 사업은 소재·부품·장비의 조기 국산화를 위해 대학과 연구소가 보유한 핵심 기술을 이전받은 중소기업에 2년간 최대 8억원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기술보증기금이 협력해 기술평가시스템(KTRS) 연계평가, 토론식 대면평가, 전문가와 일반 국민 78명이 참여하는 국민평가단 심사를 거쳐 사업화 역량이 높은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선정된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게 될 대학과 연구소는 공동개발기관으로서 기술개발에 참여해 노하우를 전수하고 함께 기술개발을 하게 된다. 또 기술개발 자금지원 외에도 기술보증기금이 운영하는 지적재산권(IP) 인수 보증과 사업화 보증을 연계해 중소기업의 기술이전 부담을 덜고 사업화 성공률을 높일 예정이다.선정 기업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전기전자 15개, 화학 7개, 기계소재 7개, 바이오의료 1개, 에너지자원 1개 등이다. 공동개발기관으로는 12개 대학과 19개 연구소가 참여한다.선정 기업 중 지투파워는 특허 67건 등 전력 개폐장치 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기술이전 후 태양광 발전 분야와 에너지 저장장치(ESS) 분야 등에서 신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제엠제코는 파워반도체 핵심부품 중 하나인 '클립'(Clip)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기업이다. 향후 수입 의존도가 큰 국내 파워반도체 산업의 기술자립과 국산화에 기여하고, 전기자동차·로봇·스마트공장 등 다양한 산업으로의 시장 확대도 예상된다. 출저 : 뉴스원(https://www.news1.kr/articles/?4033588)","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46","atchfileNm":"보도자료테크브릿지_활용_상용화_RD사업_1차_모집에_31개_소부장_과제_선정.pdf","viewCnt":"2954","regDate":"2020-08-24 08:38:12"},{"contentId":"12220","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 현안을 논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2220","contentsKor":" ","viewCnt":"466","regDate":"2020-08-18 16:34:57"},{"contentId":"1221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AI로 차세대 보안을 주도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2219","contentsKor":" ","viewCnt":"359","regDate":"2020-08-18 16:34:13"},{"contentId":"122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그린벤처 프로그램'에 290개사 지원…경쟁률 14.5:1","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08","contentsKor":"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을 선도할 '그린벤처' 프로그램이 14.5: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아울러 신청기업들은 서면평과 통과 이후 토론식 심층평가를 거쳐 최종 선발될 예정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0일 접수를 마감한 '2020년도 그린벤처 프로그램'에 중소벤처기업 290개 사가 접수해 14.5: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중기부 기술개발 사업의 평균경쟁률인 4.4:1(2019년 기준)의 3배를 훌쩍 넘기는 수치로, 그린뉴딜 정책에 대한 기업의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프로그램은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미래 기후변화와 환경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선별해 집중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중기부는 그린벤처를 지원하기 위해 2020년도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 205억원의 예산을 반영한 바 있다. 이번 프로그램에 선정된 기업은 전용사업을 통해 기술개발(R&D)과 사업화 자금을 최대 3년에 걸쳐 30억원 가량 지원받을 수 있다. 현재 그린벤처 신청현황을 살펴보면 환경보호・보전이 23.8%(69개), 그린 정보통신기술(IT)이 23.1%(67개), 신재생에너지가 10.7%(31개) 순으로 지원이 많았다. 업력별로는 신청기업의 절반 정도가 창업 7년 미만의 스타트업이었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20억원 미만 기업이 49.7%에 해당했다. 해당 기업들은 향후 서면평가 이후 토론식 심층평가를 거쳐 최종 선발에 이른다. 선정평가는 신청당시 기업들이 제출한 성장전략서를 바탕으로 서면평가를 진행하고, 통과기업에 대해 기술개발(R&D)과 사업화 계획을 보완해 토론식 심층평가를 통해 최종 선정한다. 토론식 심층평가는 산학연 전문가, 사업화 전문가가 참여하며, 국민평가단도 참여해 평가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의견도 제시하는 등 국민이 실생활에서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과제가 선정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그린벤처 국민평가다는 오는 19일부터 중소기업종합관리시스템에서 신청을 받는다. 관심있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중기부 윤세명 기술개발과장은 "이번에 선정되는 그린벤처 기업이 미래의 신성장동력인 '그린뉴딜'을 이끌어 갈 주역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추경예산으로 긴급 추진하는 만큼 신속하게 선정절차를 마무리해 9월중에 최종 선정기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출저 : 뉴스핌(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818000056)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31","atchfileNm":"스크랩중기부_그린벤처_프로그램에_290개사_지원...경쟁률_14.5대1.pdf","viewCnt":"3174","regDate":"2020-08-18 14:13:56"},{"contentId":"122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산학연 손잡고 공정 자동화 통한 스마트 리쇼어링 추진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00","contentsKor":"산학연 손잡고 공정 자동화 통한 스마트 리쇼어링 추진한다   - 산․학․연 중심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 출범 -   □ 산업․기업․공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말까지 공정개선 시 유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유턴 아이템’ 30개 이상 발굴   □ ‘공정혁신 기술개발(R&D)’을 활용해 노동집약적 공정의 자동화·스마트화를 지원하고 시급한 3개 분야는 올해 시범 추진   ※ 복잡한 공정도 자동화할 수 있도록 과제당 지원금 대폭 상향(2억원→10억원) ------------------------------------------------------------------------------------------------- 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유턴 활성화를 위해 산․학․연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8월 13일(목) 서울 중구 소재의 LW컨벤션에서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를 출범하고, 공정 자동화를 통한 스마트 리쇼어링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는 지난 7월 발표한 ‘소부장 2.0 전략‘과 ’인공지능(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의 후속으로 출범했으며 민간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과 맹수석 충남대학교 교수 중심의 민간 공동팀장 체제로 운영된다.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는 산하에 테스크포스(TF) 실무 지원하는 3대 분야(자동차, 전기전자, 뿌리․생활 등)의 ‘분과위원회’를 둔다. ‘분과위원회’가 ‘예비 유턴 아이템’ 리스트를 발굴하면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는 리스트 중에서 우선 순위에 따라 ‘유턴 아이템’을 확정하는 방식으로 역할을 분담한다.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와 ‘분과위원회’는 산업․기업․공정 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협․단체, 연구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유턴 아이템 발굴 성과를 높이기 위해 협․단체는 분야별 대․중소기업과 접촉하면서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산업연구원 등은 업종․산업 현황을 분석하며 분야별 전문 연구원은 공정별 자동화․스마트화 가능성을 분석하는 등 분업적 협업을 수행한다.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는 유턴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올해 말까지 기업 수요 등을 고려해 ‘유턴 아이템’ 30개 이상을 발굴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유턴 아이템’의 노동집약적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전환하는 ‘공정혁신 기술개발(R&D)’을 연계 지원하고 이를 토대로 유턴기업 등에 대해 스마트공장과 제조로봇을 후속 지원하는 등 스마트 리쇼어링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특히 성공사례를 신속히 창출하기 위해 자동화공정 구현이 시급한 3개 분야 과제를 선정해 하반기부터 기술개발을 시범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와이어링 하네스’ 등 수작업 위주의 복잡한 공정도 개선할 수 있도록 기존 2억원 수준인 과제당 지원금을 10억원까지 대폭 상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오는 9월 공고 예정인 ‘공정·품질기술개발(혁신형 R&D)’ 사업 공고문을 참고하면 된다.   중기부 차정훈 창업벤처혁신실장은 “코로나19로 신흥국 공장이 멈추면서 글로벌 분업구조가 흔들리고 있다”면서, ”민간과 힘을 모아 기존 수작업 공정을 첨단 자동화․스마트 공정으로 전환해 나간다면 유턴이 활성화 되면서 대한민국이 ‘세계공장’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차 실장은 ”유턴 기업의 신규 공장 증설 등 설비투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스마트공장’과 ‘제조 로봇’을 연계 지원하는 등 스마트 리쇼어링을 활성화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공정 개선 가능성을 타진해보고 기술개발 성과물이 조기에 확산될 수 있도록 업계와 면밀히 소통할 계획“이라며, ”36년간 민간에서 얻은 공정 자동화․스마트화 경험을 살려 성공사례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27","atchfileNm":"보도자료산학연_손잡고_공정_자동화_통한_스마트_리쇼어링_추진한다(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hwp","viewCnt":"2462","regDate":"2020-08-13 17:07:38"},{"contentId":"121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혁신제품에 공공조달 연결 본격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96","contentsKor":" 중기부, 혁신제품에 공공조달 연결 본격화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2차 접수 시작(8.13~9.14) -   □ ’20년 상반기 지정(1차)된 44개 혁신제품에 대해 기업과 공공기관 구매담당자간 피칭데이 추진 (9월 예정)   □ 중기부 R&D 지원 제품 중 혁신성・공공성이 인정되는 제품을 혁신제품으로 지정해 3년간 공공기관과 수의계약 허용 등 초기 시장진출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혁신적인 기술개발 제품에 대한 공공조달 연계 확대를 위해 지난 7월 1차로 44개 혁신제품을 지정한데 이어, 제2차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을 위한 신청기업을 8월 13일(목)부터 9월 14일(목)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중기부의 연구개발(R&D) 지원에 성공 판정을 받은 제품 중 혁신성과 공공성이 뛰어난 제품을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이하 혁신제품)‘으로 지정해 초기 판로를 지원하는 것이다. : (참고1)   중기부의 R&D 지원을 통해 우수한 기술적 성과를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판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과 혁신제품에 대해 구매 수요가 있는 공공부문을 연계하여 지원한다. 혁신제품에 대한 정보는 조달청 전자조달시스템에 등록되며, 지정 후 3년간 공공기관과의 수의계약을 통한 공공조달 참여가 가능하다.   * (공공부문 평가) 기관별 물품구매액의 1%를 혁신제품 구매에 활용, 달성도 평가 □ '20년 상반기(1차) 지정 결과   중기부는 2020년 상반기 1차로 기술개발(R&D)지원 기업을 대상으로 103개 제품(1,007개 품목)을 접수 받아 평가를 거쳐 이 중 44개 제품을 우수 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지정*했다.: (참고2)   * 모집공고(2.26~4.8) → 선정 평가(혁신성평가▶현장실태조사▶조달적합성평가▶ 종합심의, 4~6월) → 지정예정 공고(7월) → 혁신제품 지정(7.21)   지정된 제품의 기술분야별로는 기계·소재 14개, 전기·전자 11개, 정보·통신 9개, 화학 4개, 바이오·의료 3개, 에너지·자원 분야 3개 순으로 선정됐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가능성을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의료 분야에서는 감염환자 이송용 음압캐리어를 개발한 ㈜웃샘, 2차 감염방지와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레이저 채혈기를 개발한 라메디텍, 환자 병상의 시스템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멀티미디어와 치료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아이티아이테크놀로지 등 창의적 아이디어 제품이 지정됐다.   지반침하 초기감지로 싱크홀 예방시스템을 개발한 ㈜코위드원, 상하수도 배관 내부의 부식 억제장치를 개발한 ㈜이지스솔루션, 산업현장 추락사고 시 인명피해를 줄이는 산업용 추락 보호 에어백을 개발한 세이프웨어㈜ 등 기술력과 공공 현안 해결을 위해 사회적 필요성을 갖춘 다양한 중소벤처 혁신제품이 지정됐다. □ '20년 하반기(2차) 추진 계획 중기부는 올해 상반기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지정 제도 운영을 본격화하기 위해 2차로 혁신제품을 모집한다. 중기부의 기술개발(R&D) 지원사업에 참여해 최근 5년 이내 성공 판정을 받은 제품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신청대상으로, 기술의 혁신성, 시장성, 사회적 필요성 등 3개 분야에 대해 7개 항목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지원기업을 선정한다. : (참고3)   * 기술혁신성 30점 (제품의 신규성, 제품의 탁월성) 시장성 30점 (시장규모 및 점유율 확보 가능성, 공공·민간시장 파급효과) 사회적 필요성 40점 (공공현안 해결 및 사회적 가치 창출, 현안의 시급성, 공공구매 필요성)   이와 함께 지정된 혁신제품 수요 공공기관을 찾아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해당 기업과 공공기관의 혁신제품 구매담당자와의 피칭데이를 개최하고 우수 기업에 대한 홍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20.9월 예정)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기부는 중소벤처의 기술개발이 공공 서비스의 혁신을 창출하고 제품구매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시장진출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공공부문의 혁신제품에 대한 수요가 초기 판로 확대를 넘어 혁신에 대한 근본적인 동기 유발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혁신제품 지정은 8월 13일부터 9월 14일까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세부내용을 확인 및 접수할 수 있으며,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로 문의도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24","atchfileNm":"보도자료중기부,혁신제품에_공공조달_연결_본격화.hwp","viewCnt":"2297","regDate":"2020-08-13 11:26:30"},{"contentId":"121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벤처기업 산학연협력 기반조성을 위한 '코디네이터 양성' 교육 프로그램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88","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 협력 R&D의 지원기반을 확립하고자 ‘산학연협력 코디네이터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8월부터 본격 운영할 계획임을 밝혔다.   □ 이를 위해, 지난달(7월) ‘한국산학연협회’를 교육기관으로 선정하고, 기술혁신기관 및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중소기업 지원 전담인력에 대한 역량강화 교육 및 코디네이터 자격제도를 운영할 계획이다.   □‘코디네이터’는 대학․연구기관의 중소기업 지원 전담조직에 상주하며 중소벤처기업과 대학ㆍ연구기관의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 특히, 산학연협력사업은 협력 주체들의 소통과 신뢰를 바탕으로 혁신을 창출하는 사업으로 협력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코디네이터의 역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 올해 ‘산학연협력 코디네이터 양성 교육’은 기술혁신 지원기관 및 중소벤처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지원하여, 대학·연구기관, 중소벤처기업 내 협력R&D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 기술혁신 지원기관 : 대학, 연구기관, 기술전문기업 등   ◦ 교육 지원내용으로는 코디네이터 자격 취득을 희망하는 기술혁신기관 및 중소벤처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종합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자격시험을 통해 코디네이터 자격부여 및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기술혁신 기관 및 중소벤처기업의 협력R&D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한 개방형 협력R&D의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19","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중소벤처기업_산학연협력_기반조성을_위한_코디네이터_양성_교육_프로그램_운영.hwp","viewCnt":"2423","regDate":"2020-08-11 17:27:12"},{"contentId":"121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에 기생하는 'R&D 불법브로커' 솎아낸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78","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13","atchfileNm":"보도자료中企에_기생하는_RD_불법브로커_솎아낸다.jpg","viewCnt":"2710","regDate":"2020-08-07 09:11:56"},{"contentId":"121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中企 R&D 지원 제품으로 성심원 놀이치료실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6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8월 4일(화), 대전시 동구에 위치한 아동보육시설인 성심원 원생들을 위한 놀이 치료실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성심원 놀이치료실’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더욱 악화된 지역 취약계층 아동의 놀이권․발달권 보장 지원을 위해 성심원 원생들이 다양한 교구를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해준 사회공헌활동이다.   ◦ 성심원은 약 40여명의 아동과 청소년을 양육하고 있는 복지 시설로, 보호가 필요한 아동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건전한 성인으로 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이번 성심원 놀이치료실은 기정원의 R&D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의 제품을 활용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기정원은 아동심리 미술교육을 기반으로 교구를 제작하는 해당 중소기업의 모래놀이세트, 블록 등을 비치하였다.   ◦ 성심원 원장은 “놀이치료 활동을 위한 교구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방문강사님의 것을 활용하고 있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놀이치료 강사님의 방문이 몇 달째 중단된 상태였다”면서, “아이들이 집에서도 안전하고 자유롭게 창의적인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해주셔서 감사하다”며 소감을 전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지역사회 곳곳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지속적인 협력과 우리 중소기업 R&D 제품의 우수성을 홍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0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中企_RD_지원_제품으로_성심원_놀이치료실_지원.hwp","viewCnt":"2734","regDate":"2020-08-05 13:19:41"},{"contentId":"121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스마트공장, 아태 국가 '제조표준' 노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66","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05","atchfileNm":"보도자료K-스마트공장_아태국가_제조표준_노린다.jpg","viewCnt":"2653","regDate":"2020-08-04 10:50:13"},{"contentId":"121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청년 신규 채용하는 중소기업에 1만1,700명 인건비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64","contentsKor":"청년 신규 채용하는 중소기업에 1만1,700명 인건비 지원-청년 디지털 일자리 및 일경험 지원 사업 신청・접수 중 -□ 8월부터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인공기능(AI), 소프트웨어, 스마트 서비스 등 분야의 중소기업에 인건비 등 월 최대 190만원을 최대 6개월까지 지원 □ 참여희망 기업은 7월 30일부터 온라인(www.work.go.kr/youthjob) 으로 중기부 특화분야 담당 운영기관에 신청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고용노동부와 협업해 지난 7월 30일부터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과 ‘청년 일경험 지원 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과 ‘청년 일 경험 지원 사업’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청년층 고용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 중기부가 추천한 특화분야 운영기관을 통해 총 1만1,700명의 청년 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두 사업은 청년에게는 경력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회를 제공해 정보기술(IT)분야 실무경험을 쌓아 관련 분야에 취업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중소기업에는 일하고 싶은 청년을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하여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은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직무에 청년을 채용한 기업에 대해 월 최대 180만원의 인건비와 간접노무비 10만원을 최대 6개월까지 지원한다. ‘청년 일경험 지원 사업’은 청년에게 일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기업에 대해 월 최대 80만원의 인건비와 관리비를 8만원 한도 내에서 6개월까지 지원한다. 사업별 상세내용은 워크넷 누리집 (www.work.go.kr/youthjob)과 운영기관별 사업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이 두 사업을 통해 중기부는 청년을 신규로 채용하는 5인 이상 중소기업 중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스마트 서비스 등 분야의 기업, 창업·벤처기업, 이노비즈 기업, 스마트공장 도입기업 등을 특화분야로서 중점 지원한다. * 5인 미만 기업은 벤처기업, 청년창업기업, 지식서비스산업, 문화콘텐츠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분야 관련 업종, 성장유망업종 등에 해당하면 참여할 수 있다. 중기부가 추천한 특화분야 운영기관은 창업진흥원, 벤처기업협회, 지능정보산업협회 등 총 10개 기관으로 13개 분야(붙임자료 참조)에 총 11,700명의 청년 채용을 지원할 계획으로 이는 부처별 특화분야 중 가장 큰 규모*이다. * 11개 부처, 43개 특화분야・25,152명 중 중기부는 13개 특화분야・11,700명 지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워크넷 누리집(www.work.go.kr/youthjob)에서 특화분야 운영기관을 지정하여 신청해야 하며, 운영기관은 신청기업의 자격을 심사해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 중기부의 특화분야에 해당하는 중소기업은 우선 해당 특화분야 운영기관에 문의하여 관련 내용에 대해 안내받을 수 있다. 중기부 최원영 일자리정책과장은 “최근 취업절벽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청년층의 고용상황이 좋지 않은데 이번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등 유망 기술 분야의 벤처·스타트업과 제조 중소기업 등이 청년 채용 여력을 확보해 디지털 전환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관련 직무에 적합한 청년 채용을 위한 기업의 구인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청년들도 구인 사이트 등 기업의 채용정보를 관심있게 찾아볼 것을 권한다”라고 강조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04","atchfileNm":"보도자료특화분야_청년_일자리사업(일자리정책과).hwp","viewCnt":"2701","regDate":"2020-08-04 08:48:49"},{"contentId":"121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 전략 방향, 국민과 함께 만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60","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 전략 방향, 국민과 함께 만든다    - ‘중소기업 기술개발(R&D) 투자 전략’에 일반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온라인 자유 토론 시스템(jamming)’ 추진(8.4~6)-    - 수요자 중심의 전략제품 개발로 신속한 성과 창출 기대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중소기업의 전략적 기술개발을 위해 매년 수립해 오고 있는 ‘중소기업 기술 로드맵’에 일반 국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온라인 자유 토론 시스템(jamming)을 구축하고 8월 4일(화)부터 8월 6일(목)까지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최신 기술개발 트렌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기술개발 필요성이 높은 유망기술과 전략제품을 선정함으로써 중소기업 기술개발(R&D)의 투자 전략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19년 기술 로드맵에서는 인공지능 등 27대 분야의 216개 전략제품이 제시됐고 중기부는 이들 분야에 연간 약 1,500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연계해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기업과 전문가 중심으로 시장 동향을 분석해 오던 방식에서 벗어나 시범적으로 업계와 대중의 관심도가 높은 ‘인공지능’과 분산된 정보의 연결 기술인 ‘그리드 컴퓨팅’ 2개 분야에 수요자인 일반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온라인 토의는 ‘중소기업기술로드맵’ 누리집의 ‘재밍’ 메뉴를 통해 8월 4일(화)부터 6일(목)까지 3일간(24시간 운영), 관련 분야 전문가의 진행으로 운영되며,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   총 3일의 토의 기간 중 1~2일차는 관련 주제에 대한 자유토의를 실시하고, 3일차에는 중소기업 유망기술과 제품에 대한 집중 토의를 실시한 후 빅데이터 분석(키워드, 연관성 등)을 통해 전략제품의 후보군으로 선정된다. 중기부 관계자는 “국민이 참여하는 ‘재밍’을 도입함으로써 수요자 의견이 반영된 기술개발 사업화로 중소기업의 매출 증대 등 성과가 신속히 도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이번 시범 운영 결과를 분석하여 확대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99","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_기술로드맵_수립을_위한_국민_수요_발굴(기술정책과).hwp","viewCnt":"2480","regDate":"2020-08-03 09:08:04"},{"contentId":"121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기 R&D 수행기업을 위한‘연구보안 컨설팅’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49","contentsKor":"기정원, 중기 R&D 수행기업을 위한‘연구보안 컨설팅’추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R&D 성과물 보호 및 유출 예방을 위한 연구보안 컨설팅을 8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 연구보안 컨설팅은 R&D 기획, 수행, 성과창출 단계 등 R&D 全 주기에서 발생된 연구 성과물의 보호 및 유출 예방을 위해 중소기업의 취약한 보안기능을 사전에 점검하고 조치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ㅇ 기정원은 2018년도에 R&D지원 사업의 고객정보 보호를 위해 정보보호 경영체계 국제표준인 ISO27001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ㅇ 기정원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중소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보안조치 사항을 이행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의 취약점 발굴, 연구보안 매뉴얼 제작 지원, 캠페인 자료 배포, 연구보안 교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연구보안의 인식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ㅇ 신청자격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 하였거나 수행 중이어야 하고,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의 정보마당-기타공지사항-‘연구보안 컨설팅 기업모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중기 R&D 수행기업에게 연구보안 지원체계를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지능화․고도화되는 정보위협 등에서 안전하게 R&D성과물을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84","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중기_RD_수행기업을_위한‘연구보안_컨설팅’추진.hwp","viewCnt":"2794","regDate":"2020-07-30 13:15:07"},{"contentId":"121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하반기 구매연계형 공공조달 부문 중소기업 R&D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30","contentsKor":"기정원, 하반기 구매연계형 공공조달 부문 중소기업 R&D 지원 -8월 14일까지 과제제안서(RFP) 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이 개발한 신기술・신제품의 초기시장 진출 및 시장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20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구매연계형 3차 과제제안서(RFP)」를 오는 8월 14일까지 접수받는다고 밝혔다.   □ 특히, 이번 3차 과제제안서(RFP) 모집공고는 공공수요처(정부, 지자체, 공공기관)로 한정하여 접수하며, 이를 토대로 하반기 기술개발 중소기업을 모집・선정하여 지원할 계획이다.   ○ ’20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공공수요처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의 중소기업 R&D를 지원하기 위해 「공공부문 조달혁신」분야에 대해 과제 당 최대 2년, 5억원(연간 2.5억원) 이내로 지원한다.   □ 올해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공공부문 조달혁신」분야에는 총 286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며, 상반기 공공수요처로서 지자체 6곳, 공공기관 19곳의 과제가 선정되거나, 평가 중에 있다.   ○ ’20년 1차 모집에는 19개 과제가 선정되었으며, 2차 모집에는 51개 과제에 대해 선정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 대표적인 상반기 선정 과제로는 “천연기념물의 위치 추적 장치 개발”,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개발”, “누수탐사장비 국산화 개발” 등 공공수요처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술개발분야를 지원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본 지원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R&D 결과가 즉시 공공부문 혁신조달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공공부문 수요처 확보와 판로지원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중소기업들이 사업화 성공의 기회로 활용하셨으면 하며, 기정원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 혹은 기정원 기업협력사업실로 문의하면 된다.   ※ 과제제안서(RFP)는 아래의 경로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 과제신청 → 과제기획 → 온라인수요조사신청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66","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하반기_구매연계형_공공조달_부문_중소기업_RD_지원.hwp","viewCnt":"2633","regDate":"2020-07-29 09:01:45"},{"contentId":"121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공장 고도화에 3년간 총 3천억원 저리 대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13","contentsKor":"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7월 28일(화) 서울 을지로 소재 하나은행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 테크노파크진흥회(회장 안완기), 하나은행(은행장 지성규)과 함께 스마트공장의 제조혁신과 고도화를 지원하기 위한 금융지원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협약식 행사 개요 >◈ (일시‧장소) ’20. 7. 28(화) 15:00, 하나은행 본점(서울 중구 을지로)◈ (협약 기관) 중기부-기정원-TP진흥회-하나은행◈ (주요 참석자) 조주현 중기부 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장, 이재홍 기정원장 및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 안완기 TP진흥회장, 지성규 하나은행장 등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중기부의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의 자금(연 4,000여억원 규모)을 집중 예치할 전담은행으로 민간의 하나은행을 선정하고 전담은행은 스마트공장 등을 위한 전용 대출자금을 신설해 저리로 융자한다는 것이다. *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은 생산성 30.0% 향상, 불량률 43.5% 감소, 원가 15.9% 절감, 납기 준수율 15.5% 향상, 산업재해도18.3% 감소(’19년 5,003개사 조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즉, 전담은행은 향후 3년간 총 3,000억원(연간 1,000억원) 규모로 스마트공장 등을 지원하는 저리의 대출 우대상품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관련기업은 일반기업보다 1.8%p 낮은 우대금리로 최대 40억원의 시설·운전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다. 지원대상은 스마트공장을 도입했거나 구축 중에 있는 기업 등 총 1만6,594개사가 해당된다. 또한, 스마트 리쇼어링을 위한 ‘공정혁신 R&D*’에 참여하는 기업도 포함할 예정이다. * 저렴한 인건비를 찾아 해외로 떠난 기업들의 유턴을 가속화하기 위해 노동집약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9월 공고 예정 < 스마트공장 저리 자금대출 지원개요 >◈ (우대상품명)  하나은행 스마트공장 지원 자금대출◈ (금리우대)  기업당 은행 산출금리 기준 1.8%p 이상 감면◈ (대출한도)  기업당 운전자금 10억원, 시설자금 30억원 등 최대 40억원 이내(은행이 산정한 범위내)(총 규모는 연간 1,000억원, 3개년 총 3,000억 한도내)◈ (대출기간)  운전자금 1년 이내(최장 3년 범위내 1년 단위 연장 가능), 시설자금 3년 이내◈ (상환방법)  만기 일시상환 또는 분할상환◈ (신청방법)  전국 하나은행 영업점 방문신청(‘20.8.1~) 또한, 전담은행은 저리 대출뿐만 아니라 은행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인력, 금융 인프라를 활용해 스마트공장 제품의 홍보, 판로, 수출입, 투자유치 등 다양한 기업경영 컨설팅 지원을 비롯해 각종 수수료* 감면도 지원한다. * 수입신용장 발행수수료 0.4%p 감면, 수출환어음 매입수수료 0.5%p 감면 등 이날 행사에서 중기부 조주현 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장은 “정부는 한국판 뉴딜의 후속 조치로 데이터 기반 플랫폼을 마련해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하겠다는 청사진인「인공지능(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을 최근에 발표했다”고 밝히면서, “민간 차원에서 이러한 정부 정책에 동참해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관련한 자금을 저금리로 지원함으로써 기업의 투자부담 완화 등에 단비와 같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재홍 기정원장은 “우리 중소·중견기업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제조기업의 스마트 리쇼어링과 스마트공장 제조혁신·고도화 촉진을 위해서는 적기에 자금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이 스마트 리쇼어링과 고도화에 이어 수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54","atchfileNm":"MOU_행사_사진2.jpeg","viewCnt":"3084","regDate":"2020-07-28 17:23:53"},{"contentId":"1209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에너지 취약계층 여름나기 지원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91","contentsKor":"기정원, 지역 에너지 취약계층 여름나기 지원 나서 - 지역 독거노인 가정에 냉방용품 전달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이 7월 27일(월), 하절기 폭염 취약계층의 여름나기를 위한 지역 희망 나눔 활동에 나섰다.   □ 이번 활동은 지난 6월부터 발생한 코로나-19 지역감염으로 인해 기존 폭염 대비책 중 하나인 실내 무더위 쉼터 운영이 중단됨에 따라 무더위 취약계층 집중 보호를 위한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 특히 이번 활동은 실내 쉼터를 운영하는 노인복지기관의 휴관으로 혹서기에 더욱 취약한 노인층의 온열질환을 예방하고자 독거노인 가정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 앞서 기정원은 복지기관을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했으며, 그 결과 인견이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기정원은 유성구 노인복지관을 통해 이 날 대전 중앙시장에서 구매한 인견이불을 35개 독거노인가정에 전달하였다.   ◦ 전달식에 참여한 유성구 노인복지관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복지기관이 재개관하더라도 무더위 쉼터와 같은 밀집 가능성이 높은 시설은 제한적으로 운영될 전망이다”라며, “지역 어르신들이 댁에서도 더위를 잘 이겨내실 수 있도록 함께 해주셔서 감사하다”고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활동을 비롯하여 소상공인 마스크 기부, 성금모금, 지역 농산품 소비 활동, 소상공인 활성화 캠페인 등 코로나-19 극복과 지역 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38","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에너지_취약계층_여름나기_지원_나서.hwp","viewCnt":"2483","regDate":"2020-07-28 10:21:06"},{"contentId":"120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겸「제1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89","contentsKor":"□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7.23.(목) 08:00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1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였음 ㅇ 금번 회의에서는 ①‘20.2/4분기 경제상황 평가 및 대응 방향, ②한국판 뉴딜 사업 등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 ③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 ④한국판 뉴딜 추진체계 및 운영방안 안건이 논의되었음","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37","atchfileNm":"(별첨3)_AI_데이터_기반_중소기업_제조혁신_고도화_전략☆.hwp","viewCnt":"2588","regDate":"2020-07-27 18:54:08"},{"contentId":"120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인공지능(AI)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제조 2.0 시대를 열어갑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81","contentsKor":"정부가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 구축을 통해 마이제조데이터 시대를 열게 되었다.   7월 23일(목) 「제1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1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인공지능(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한국판 디지털 뉴딜의 제조업 디지털화 핵심 후속조치로서 중소벤처기업부가 기존 디지털 저변 확대 차원에서 추진해 오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한 차원 높이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번 전략은 공장 내에 머물러 오던 스마트공장의 데이터를 마이데이터로 전환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 데이터가 수익을 창출하는 ‘마이제조데이터’ 시대를 열겠다는 계획을 담고 있어 한층 주목된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은 스마트공장에서 생성되고 있는 제조데이터를 활용하고, 그 이익을 데이터 생산 제조기업에 환원하는 ‘마이제조데이터’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히면서 본 전략에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전략은 인공지능(AI)·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제조를 더욱 고도화하고, 이를 뒷받침할 공급기업을 육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추진 방향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31","atchfileNm":"AI데이터기반제조혁신고도화전략(보도자료)최종.hwp","viewCnt":"2814","regDate":"2020-07-24 11:01:32"},{"contentId":"120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새로운 R&D방식 도입해 혁신과 도전 이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79","contentsKor":"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앞으로 중소벤처기업 R&D 지원을 그간 출연방식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신개념 방식인 투자형 및 후불형 R&D 사업을 도입한다고 7월 24일 밝혔다.   출연방식은 자금과 기술력이 취약한 중소벤처기업의 성장과 기술력기반 구축에 기여하였으나, 엄격한 선정절차와 경직된 집행구조로 인해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서 시장의 R&D 수요를 신속하게 반영하고 중소벤처기업의 능동적 혁신을 이끌어내는 도전적 모험적 기술개발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중소벤처기업이 자율적으로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과감하게 도전하도록 새로운 지원 방식인 투자형 R&D, 후불형 R&D를 도입한다.   특히 경제적 효과가 높을 것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투자와 장시간이 소요되는 위험성으로 인해 그간 투자 시장에서 외면받아 온 소재․부품․장비분야 등에 기업과 투자자의 과감한 R&D 참여를 유도한다. (참고1)   먼저 민간 벤처캐피탈이 선별해 先 투자한 기업에 대해 정부가 後 매칭으로 투자하는 지원방식인 투자형 R&D를 도입한다. 기업 선별 및 보육역량, 자본력 등 시장의 장점에 투자방식의 유연성을 결합하여 R&D를 지원하는 것으로 금년에 165억원 규모로 우선 시작한다.   민간 벤처캐피탈이 투자한 기업에 정부가 1배수, 20억원까지 매칭 투자하며, 소재・부품・장비* 및 비대면 분야 중소벤처기업이 지원대상이다.   * 강소기업 100 선정기업에는 최대 2배수, 30억원까지 투자   민간투자자의 보수적인 투자를 방지하고 과감한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도전적인 R&D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한 경우 정부투자의 최대 10%까지 우선손실충당을 허용한다. 우수 성과 중소벤처기업에게 정부 투자 지분의 최대 60%까지 매입권한(콜옵션)을 인센티브로 부여한다.   정부 지원금액은 50%이상 R&D에 사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시제품 제작 등까지 지출범위를 확대하여 자율성을 부여하고,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양산자금 등으로 사용을 허용하여,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일관 방식으로 지원한다.   (참고2)   아울러 R&D 참여기업의 자발적 책임성을 높일 수 있는 후불형 R&D도 시작한다. 기업은 자체 재원으로 먼저 R&D를 진행하고 성공 판정 후 정부로부터 출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4차 산업혁명분야, 소재․부품․장비, BIG3* 분야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기업이 자체 재원을 먼저 투입하여 R&D를 수행하는 만큼 기본요건 검토와 서면평가만으로 선정되도록 절차를 간소화 (기존, 선정평가에 3개월 소요 → 1개월 이내)하여 원스톱 평가를 진행한다.   *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 선정된 기업에게는 정부 지원금 25%를 우선 지급하며, R&D 성공판정 후 나머지를 지원받을 수 있다. 후불형 R&D 우수 기업에는 기술료 면제, 사업화 자금 보증 연계(기술보증기금), 필요시 후속 R&D 지원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부여된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기부는 중소벤처기업이 과감하게 혁신에 도전할 수 있도록 금년부터 R&D 체계를 혁신하여 기존 단기・소액위주에서 벗어나 4년, 최대 20억까지 지원규모를 확대했다”며, “이번 투자형, 후불형 R&D 도입으로 보다 시장친화적인 방식으로 기업들의 혁신 수요를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투자형 R&D는 7월 27일부터, 후불형 R&D는 7월 24일 공고를 시작하며 앞으로 성과를 점검하여 새로운 방식의 R&D 지원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은 중기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사업별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로 문의가 가능하다. 투자형 R&D에 대한 세부내용은 7월 27일부터 한국벤처투자(www.k-vic.co.kr)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30","atchfileNm":"200722__보도자료(투자형_후불형R_D_사업공고)_최종본.hwp","viewCnt":"2311","regDate":"2020-07-24 10:59:40"},{"contentId":"120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TIPA), 민간전문가(PM) 추가 채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4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포스트코로나 및 디지털경제 시대를 대비한 중소기업 지원전략 수립을 담당할 프로젝트매니저(PM:Project Manager)를 추가 모집한다고 7월 21일(화) 밝혔다.   이번에 추가로 공모를 추진하는 민간전문가는 중소기업 R&D PM 4개 분야(미래자동차, 화학ㆍ전자소재, 환경에너지, 지능정보) 및 스마트제조혁신 PM 2개 분야(데이터ㆍAI, 제조혁신 R&D) 등 총 6개 분야이다.   중소기업 R&D PM은 기술분야별로 중소기업에 적합한 신산업 및 고부가가치 분야에 대한 R&D 사업기획을 전담하게 되고,   스마트제조혁신 PM은 데이터․AI 기반 플랫폼 로드맵 수립 및 제조혁신 투자전략 기획을 전담할 예정이다.   이재홍 원장은 “신규 6개 분야의 민간전문가(PM) 추가 채용을 통해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R&D 및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코로나이후의 디지털, 그린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추진되는 한국판 뉴딜의 성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선정절차는 서류전형과 면접전형으로 구성되며, 서류전형을 통해 후보자 4배수를 선발하고, 대상자에 대한 면접전형(2단계)을 통해 직무수행계획, 조직적응력, 의사소통능력, 전문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선정한다.   지원서 접수는 7월 21일부터 8월 3일까지이며, 8월 18일 역량면접, 8월 27일 최종면접을 거쳐 8월 31일 최종합격자가 발표 될 예정이다.   채용일정, 지원서접수 방법 등 상세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에서 조회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0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TIPA),_민간전문가(PM)_추가_채용.hwp","viewCnt":"2734","regDate":"2020-07-22 14:13:38"},{"contentId":"120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구난방 정부 지원사업 통합한 '중소벤처 24' 22일 시범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20","contentsKor":"정부가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여러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한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포털 사이트를 시범 운영한다.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30여개 웹사이트에서 나눠서 제공하던 정보와 서비스를 모은 통합창구 ‘중소벤처24(www.smes.go.kr)’ 서비스를 오픈해 22일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중기부는 지원 업무 특성상 정책 영역과 지원 대상이 넓어 창업, 연구개발(R&D), 정책자금, 스마트공장, 판로개척·소상공인 등 분야별 지원을 위해 30여개 웹사이트를 별도로 운영했다. 이 때문에 기업이나 소상공인은 사업정보를 얻거나 지원사업을 신청할 때 개별 사이트에 일일이 회원가입하고 로그인 해야 하는 불편을 겪어야 했다.◇63개 지원사업 신청, 8종 증명·확인서 발급을 한 곳에서중기부는 이런 애로사항을 해소하고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함께 개별시스템을 통합 운영하는 중소벤처 24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중소벤처 24는 그간 개별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던 63개 지원사업 신청과 8종의 증명·확인서 발급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게 된다.이와 함께 그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재단중앙회 등 기관별로 제공하던 각종 정책자금 관련 융자와 보증 등에 대한 정보도 중소벤처24에서 한 번에 찾아볼 수 있게 된다. 궁금한 사항은 해당기관 전문가에게 온라인으로 상담 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중기부는 “코로나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로 이용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출처 : 조선일보(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1/2020072101566.html)","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81","atchfileNm":"보도자료중구난방_정부_지원사업_통합한_중소벤처_24_22일_시범운영.pdf","viewCnt":"2752","regDate":"2020-07-21 14:55:30"},{"contentId":"120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노사 간 협력적 소통문화 형성과 포용적 경영을 위해 ‘근로자 이사회 참관제’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10","contentsKor":"기정원, 노사 간 협력적 소통문화 형성과 포용적 경영을 위해 ‘근로자 이사회 참관제’ 시행□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과 노동조합(위원장 장상민)은 기관 경영의 최고의사결정 기구인 이사회를 근로자 대표가 참관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 기정원이 도입한 ‘근로자 이사회 참관제’는 이사회에서 의결되는 안건을 사전에 근로자가 확인할 수 있고, 비록 의결권은 없지만 발언권을 얻어 근로자 입장에서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 기정원과 노동조합은 지난 6월 노사협의회에서 참관제 도입을 논의하였고, 논의를 시작한지 1개월 만에 근로자와 함께하는 이사회를 개최하였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경영 패러다임을 근로자와 함께 소통하고 고민하여 상생과 협력의 문화로 전환하고자 근로자 이사회 참관제를 도입하였고, 기관의 발전과 문제해결을 위해 제도적으로 적극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아울러, 기정원 노동조합 장상민 위원장은 “참관제를 통해 기관은 경영의 투명성과 공익성을 확보하게 되고, 기정원 근로자는 지금보다 더 강한 소속감을 갖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viewCnt":"2369","regDate":"2020-07-20 08:58:17"},{"contentId":"120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환경부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개 육성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06","contentsKor":"중소벤처기업부와 환경부는 미래 기후변화와 환경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선정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프로젝트는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2022년까지 100개사를 선정해 육성할 계획이다.두 부처는 이번 공고를 통해 그린뉴딜 유망기업 40개사를 우선 선정할 계획으로, 7월 20일부터 8월 10일까지 참여 희망기업의 접수를 받은 후 평가를 거쳐 9월 중 최종 선정한다.선정기업에는 향후 3년간 기술개발과 사업화 자금으로 최대 30억원을 지원하며, 이를 위해 두 부처는 올해 제3차 추경으로 총 407억원의 예산을 반영했다.중소벤처기업부는 연구개발(R&D) 지원 중심의 `그린벤처 프로그램`을 통해 녹색기술 분야 혁신형 중소기업을 중점 지원하고 환경부는 사업화 지원 중심의 `녹색혁신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녹색산업 5대 선도 분야(①청정대기, ②자원순환(포스트 플라스틱 포함), ③생물, ④스마트 물, ⑤수열에너지 등 기타분야) 중소기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두 부처의 이번 프로그램은 그린 뉴딜 3대 분야 중 하나인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추진되는 과제이다.출저 : 매일경제(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7/737361/)","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73","atchfileNm":"보도자료중기부-환경부_그린뉴딜_유망기업_100개_육성한다.pdf","viewCnt":"3035","regDate":"2020-07-20 08:55:31"},{"contentId":"119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공계 연구인력 채용시 인건비 50% 지원..."중소기업 R&D 강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96","contentsKor":"정부가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공계 연구인력 채용을 지원하고 나섰다. 이공계 연구인력 채용시 인건비의 50%까지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2020년 하반기 연구인력 지원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내달 10일부터 28일까지 모집한다고 13일 밝혔다. 이공계 학사이상 연구인력을 채용하거나 공공연구기관에서 연구인력을 파견받을 경우 인건비의 50%를 최대 6년간 지원한다. 하반기 지원규모는 270명이다.  먼저 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이 최근 5년안에 학사 이상 학위를 취득한 연구인력을 신규채용할 경우 기준연봉의 50%를 지원한다. 기업당 최대 2명까지 3년간 가능하다. 올해 하반기 지원규모는 190명이다. 경력자 채용때도 인건비의 최대 50%를 지원한다. 학사학위 취득후 10년, 석사 7년이상, 박사 3년이상 경력자를 채용할 경우에도 기업별 1명까지 최대 3년간 지원한다. 업체당 5000만원 한도이며 하반기 지원규모는 80명이다.  공공기관 재직 연구원이 중소기업에서 파견근무할 때도 업체당 1명씩, 최대 6년 이내에서 기준연봉의 50%를 지원한다.  중기부는 특히 강소기업100 선정기업과 협력·상생모델 승인기업에 대해 신진 및 고경력 연구인력 채용지원사업에 동시에 참여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연구인력 파견사업도 지원인력 한도를 1명에서 2명으로 확대해 우대 지원하기로 했다. 자세한 정보는 중기부 홈페이지(www.mss.go.kr) 또는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출저 : 뉴스핌(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713000446)","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46","atchfileNm":"보도자료이공계_연구인력_채용시_인건비_50%_지원...중소기업_RD_강화.pdf","viewCnt":"3218","regDate":"2020-07-17 08:41:36"},{"contentId":"119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TIPA), 신규직원 24명 채용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76","contentsKor":" 기정원(TIPA), 신규직원 24명 채용 공고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2020년 1차 채용공고를 통해 신규직원을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ㅇ 기정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침체된 고용시장에 활력을 보태고자 하반기 시작과 함께 신규직원 채용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 스마트제조혁신(정책연구, 사업관리), R&D평가관리, 홍보전략, 안전관리, 운전원 등 총 6개 분야에 걸쳐 24명을 채용하며, 7월 6일(월)부터 16일(목)까지 응시원서를 접수하고 서류전형, 필기전형, 면접전형 등을 거쳐 최종 선발한다.   □ 이재홍 원장은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의무를 다하기 위해 채용인원의 일정부분을 사회취약계층(장애인재) 및 지역인재(대전‧세종‧충청)로 선발할 예정이며, 신종코로나 확산방지를 위해 철저한 대비를 하여 채용전형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ㅇ 접수방법, 채용일정 등 상세내용은 기정원 홈페이지(www.tipa.or.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17","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TIPA)_신규직원_24명_채용_공고.hwp","viewCnt":"2777","regDate":"2020-07-06 09:03:51"},{"contentId":"119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 출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75","contentsKor":"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이 출범했다. 2일 중기부는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제1회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포럼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지원을 위해 기업, 대학, 연구소, 협단체, 정부 등 다양한 혁신주체를 연결하고 협업을 촉진하는 역할 수행한다. 이번 포럼에는 포럼 공동 의장인 신성철 카이스트 총장, 이장섭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이정동 대통령비서실 경제과학특별보좌관, 중소기업 유관 기관장 및 관련 협회장, 스타트업 대표 등 80여명이 참석했다.이날 열린 포럼의 주제는 최근의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고 ‘비대면, 플랫폼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이며, 2건의 주제발표와 전문가 패널토론이 진행됐다.먼저, 첫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이정동 대통령비서실 경제과학특별보좌관은 ‘비대면 제품·서비스 분야에서 혁신 구매자로서의 정부 역할’을 주제로 혁신조달 정책의 성공을 위한 정부와 기업의 역할을 강조했다.두 번째로는 바이오의료 분야에서 AI 소프트웨어 개발 스타트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주)뷰노의 김현준 대표가 ‘혁신 서비스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플랫폼화 전략’을 자사 비즈니스 경험을 토대로 설명했다.이어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이정원 STEPI 선임연구위원, 김재현 (주)살린 대표, 서울대 강진아 교수, 박종흥 ETRI 본부장, 박희재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회장, 차정훈 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장 등 산·학·연·협회·정부 소속 전문가가 참여해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경제에서 플랫폼 비즈니스 전략의 성공요건과 이를 뒷받침하는 정부의 생태계 조성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이번 행사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 참석자 간 거리유지 등 철저한 방역 관리 속에서 진행됐다. 현장에 참석하지 못한 국민들을 위해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중계하는 등 비대면 방식을 적극 동원했다.한편,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은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와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통한 대응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출범하게 됐다.포럼의 의장은 중기부 장관과 민간 의장이 공동수행하며, 중기부 유관기관, 연구기관, 관련 협회 등이 운영위원회 기관으로 참여한다. 운영위원회 아래에는 전문분과(기술, 생태계, 사회현안, 글로벌화)를 두고 산학연 소속의 분과위원들이 정책 의제 발굴과 정책 대안 도출 등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벌일 예정이다.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포럼이 출범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중기부의 대표적인 정책 싱크탱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출처 : 산학뉴스(http://www.sanhak.co.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11","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_혁신_네트워크_포럼_출범.pdf","viewCnt":"3084","regDate":"2020-07-03 10:37:04"},{"contentId":"119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무보와 협력으로 중기 R&D 수행기업을 위한 수출지원 프로그램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73","contentsKor":"기정원, 무보와 협력으로 중기 R&D 수행기업을 위한 수출지원 프로그램 시행 -2020년 하반기 수출지원프로그램 신청기업 모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수출역량 강화를 위한 수출지원 프로그램 하반기 신청기업 모집을 7월 2일(목)부터 7월 31일(금)까지 약 한달 간 시행한다고 밝혔다.   ㅇ 수출지원 프로그램은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나 글로벌 역량이 부족한 수출기업을 발굴·지원하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 지난해 11월 기정원은 해외진출이 필요하지만 수출대금 미회수에 대한 위험, 해외바이어 발굴 및 전문인력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무역보험공사(사장 이인호, 이하 무보)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ㅇ 기정원-무보 간 협무협약의 일환으로 마련된 수출지원 프로그램은 중소기업 R&D를 수행한 글로벌 진출 희망기업이 일반 중소기업보다 나은 우대조건으로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상반기에 1차 공고를 통해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다.   □ 수출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지원내용은,   ①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단체보험 가입, 보험료 할인), ② 신용조사 및 판로지원(해외수입자 신용조사보고서 지원, 우량수입자 상담기회 제공), ③ 수출컨설팅, 무역보험아카데미, 거시 경제 세미나 ④ 수출이행자금 및 수출대금 조기 현금화를 위한 보증지원 등으로 구성된다.   ㅇ 단, 수출실적 보유 여부 등에 따라 업체별 지원내용이 결정되며, 보험·보증 심사 과정에서 결격 사유가 발견될 경우에는 지원이 제한될 수 있다.   □ 수출지원 프로그램은 ’20년 총 300개사의 지원을 계획하고 있으며,   ㅇ 해당 프로그램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현재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수행중이거나, 접수마감일 기준 최근 3년 이내에 R&D “성공”판정을 받은 기업이 향후 1년 내 수출계획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중기 R&D 수행기업에 R&D부터 해외진출 지원까지 일괄지원이 가능하게 되어,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공고문 1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0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무보와_협력으로_중기_RD_수행기업을_위한_수출지원_프로그램_시행.hwp","viewCnt":"2908","regDate":"2020-07-03 10:30:36"},{"contentId":"119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데이터·인공지능 활용 스마트공장으로 중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62","contentsKor":"데이터·인공지능 활용 스마트공장으로 중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나선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출범 1주년 기념 성과 공유 및 비전 밝혀 - □ “정부의 중점과제인 3만개 스마트공장 보급과 더불어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고도화 사업에도 매진해 국내 중소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는데 앞장서겠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하 추진단)이 2일 출범 1주년을 맞아 감사 인사를 전하고 그 간의 성과 공유와 함께 비전을 밝혔다.   ◦ 추진단은 지난해 7월 2일, 스마트공장 구축 등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내 부설기관으로 공식 출범했다.   □ (지원체계 단일화) 기존 재단법인 민관합동 스마트공장추진단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내 스마트기업지원실로 이원화 돼 운영되던 스마트공장 사업은 추진단의 설립으로 단일화 됐다.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과 함께 정책기획·연구, 스마트공장 R&D, 표준화 등 스마트공장 관련 다양한 사업을 총괄해 수행 중이다.   □ (지역 확산 기반 구축) 추진단 출범 후 전국 19개 테크노파크(TP)내 스마트제조혁신센터 구축을 지원해 지역 중심의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 체계도 마련됐다. □ (민간 참여 확대)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도 크게 확대 됐다. 지난 2018년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4개 기업의 참여로 시작됐던 사업은 대기업의 참여가 2배 이상 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대표적인 상생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 (’18) 4개사(총 117.1억원, 597개 보급) → (’19) 10개사(총 213.2억원, 1,023개 보급)   □ (보급·확산) 이와 같은 노력 끝에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참여도 더욱 확대 됐다. 지난해 추진단을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받은 공장은 총 4,757개로 지금까지 누적 1만2260여개 지원을 달성했다. 올해는 5,600개 공장의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 (보급사업 다변화) 보급모델도 다변화 한다. 이를 위해 유사 제조공정·업종 등을 가진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공통 솔루션 구축을 지원 하고 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공장을 시범 추진 중이다.   □ (고도화 강화) 특히 추진단은 올해 지금까지의 보급사업을 발판으로 한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추진단은 정부와 협업해 중소기업들도 대기업 수준으로 데이터를 분석, 활용하고 인공지능(AI) 중심의 스마트공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는 인프라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밀리지 않는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 박한구 추진단장은 출범 1주년 기념 뉴스레터를 통해 “스마트공장은 국제 무역 분쟁 및 코로나19를 통해 부각된 리쇼어링(제조업의 본국 회귀) 문제의 유일한 대안이자 제조 환경의 개선을 통한 청년 근로자 유입 및 일자리 창출의 해법이다”며 “코로나19라는 큰 어려움 속에서도 경영을 유지하기 위해 애쓰고 계신 많은 기업인 및 근로자 분들이 스마트공장을 통해 역경을 해쳐나갈 수 있도록 조력자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79","atchfileNm":"보도자료데이터인공지능_활용_스마트공장으로_중기_글로벌_경쟁력_강화_나선다.hwp","viewCnt":"3031","regDate":"2020-07-02 09:44:48"},{"contentId":"119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성과 제고를 위한 생태계 조성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54","contentsKor":"□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한 개방형 협력R&D 생태계 조성에 박차가 가해질 것으로 보인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5개 출연연·전문연 기관들과 지난 6월 26일(금) LW컨벤션(서울)에서 “선도연구기관 협의회”(이하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날 협의회에는 기정원 이재홍 원장을 비롯하여 올해 6월 선도연구기관으로 지정된 5개 연구기관*의 기관장 등이 참석하였으며,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재료연구소, 한국자동차연구원   ◦ R&D 지원성과 제고를 위한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방안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와 이를 위한 향후 선도연구기관들의 역할 등에 대해 논의했다.   □ 4차 산업혁명 도래와 소재부품장비 R&D 중요성의 증대, 포스트코로나로 인한 수요기술변화 등으로 인해 기업경쟁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개별 기업단위의 지원보다 대학·연구기관과의 협력R&D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 이에 발맞춰 기정원은 2019년부터 4개의 협력모델을 적용한 4개 사업(‘20년 521억원)*을 마련하여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 산학연CollaboR&D(329억), 지역중소기업공동수요기술개발R&D(65억), 중소기업지원선도연구기관협력기술개발(65억), 산학협력거점형플랫폼R&D(62억)   ◦ 이중 “중소기업 지원 선도연구기관협력기술개발사업”은 선도연구기관을 지정·운영하며, 기업진단·R&VD·시장맞춤형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기술중심의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으로, ◦ 2019년 3개 선도연구기관에서 소재·부품·장비 분야 지원을 위해 관련 전문 연구기관인 2개 기관을 추가 지정, 총 5개 선도연구기관을 통해 협력R&D를 지원하고 있다.   □ 협의회는 개방형 R&D를 위해서는 지역·기술 기반의 거점(플랫폼)생태계 조성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향후 위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 지역·기술 기반 거점플랫폼은 각 지역의 우수대학으로 구성된 지역중심의 플랫폼과, 분야별 전문 연구기관 중심의 플랫폼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수요·역량 등에 맞춤형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을 위한 모델이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다양한 수요에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 및 기술 기반의 거점(플랫폼) 중심의 개방형 혁신 R&D 생태계 구축이 필수적” 이라고 밝히며,   ◦ “이를 위해 선도연구기관 협의회를 운영하게 된 것은 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다방면의 고민과 연구를 진행하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역량이 강화될 수 있는 생태계가 하루빨리 조성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55","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RD성과_제고를_위한_생태계_조성_나선다.hwp","viewCnt":"3098","regDate":"2020-06-29 11:34:55"},{"contentId":"119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사회 활력 제고 위한 희망나눔 이어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53","contentsKor":"기정원, 지역사회 활력 제고 위한 희망나눔 이어가 - 코로나-19 지역감염으로 위축된 전통시장·복지기관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이 6월 26일(금),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희망 나눔 활동에 나섰다.   □ 이번 활동은 지난 16일부터 발생한 코로나-19 지역감염 확산으로 방문객이 급감한 기관 자매결연 시장인 한민시장(대전 서구)의 소상공인들에게 힘을 보태기 위한 장보기 행사로 진행되었다.   ◦ 이번 소비 캠페인은 빠른 시일 내에 소비되어야 하는 식품점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 기정원은 유성구 노인복지관을 통해 이 날 구매한 식품으로 도시락을 구성하여 복지기관 장기휴관으로 식사 지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50개 독거노인가정에 전달하였다.   ◦ 전달식에 참여한 유성구 노인복지관 관계자는 “갑작스러운 지역감염으로 휴관이 무기한 연장되고 있어 어르신들 돌봄 활동에 어려움이 있었다. 기정원이 모아준 마음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활동과 더불어 내수 진작을 위해 기획된“대한민국 동행세일”홍보와 참여에 힘쓰는 등 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53","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사회_활력_제고_위한_희망나눔_이어가.hwp","viewCnt":"2780","regDate":"2020-06-26 15:42:15"},{"contentId":"119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코로나 19 극복기원 캠페인 동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5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코로나 19 극복기원 캠페인 동참 - 의료진과 사회적경제기업인들을 응원하기 위해 ‘덕분에’, ‘핸드인핸드’캠페인 참여-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지난 23일에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의료진과 사회적경제기업을 격려하고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덕분에 챌린지’와 ‘핸드인핸드’ 캠페인에 참여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과 임직원들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최일선에서 활약하고 있는 의료진과 선제적 기술개발로 대응하고 있는 중소기업인들에 존경과 감사의 뜻을 담은 수어를 하고 ‘덕분에 챌린지’에 동참했다.   ◦ 동시에 사회적경제기업의 상품을 릴레이식으로 구입하는 소셜릴레이 ‘핸드인핸드’캠페인에 참여했다.   □ 캠페인 메시지는 기정원 대표 SNS를 통해 공유하고 이어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연구원,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를 지목했다.   □ 이재홍 기정원장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고생하는 의료진에게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기정원도 본연의 업무인 중소기업 R&D 역량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52","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코로나_19_극복기원_캠페인_동참200623.hwp","viewCnt":"2751","regDate":"2020-06-26 15:40:43"},{"contentId":"119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 PM(Project Manager)제도 본격 가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50","contentsKor":"□ 중소벤처기업 R&D사업의 성과제고를 위해 민간의 기술전문가가 정책 수립 과정에 직접 참여하고 기획하는 PM 제도가 운영에 들어간다.   ㅇ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4대 기술분야에 채용된 PM이 7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고 발표했다.   □ PM(Project Manager) 제도는 R&D 전략수립, 사업기획, 성과관리・확산 등 R&D 전 과정에 민간의 기술전문가 참여하는 제도로서,   ㅇ 미국 NSF, DARPA 등 해외기관 뿐만 아니라 국내 연구관리전문기관에서도 활용 중인 제도이나, 기정원에서는 이번에 최초로 도입하였다.   ㅇ 기정원은 지난 4월 PM 채용공모를 시작으로, 전문성 등 역량검증을 거쳐 혁신서비스,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 전자부품장비 등 정부의 미래성장동력 분야 기술전문가 4명의 채용을 확정했다.   ㅇ 높은 경쟁(평균 경쟁률 12:1)을 통해 선발된 PM들은 관련분야 경험과 역량이 풍부하고 중소벤처기업 R&D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분들로 구성되었다. □ 이번에 채용된 R&D PM은 중소벤처기업 R&D 사업의 전략 방향 제시 등 정책 수립 지원과 유망 신사업 발굴 등 사업기획, 예산 전략 등을 중점 담당할 예정이다.   ㅇ 우선, 4차 산업혁명 확산, 코로나19의 발발, 소재부품장비 수출 규제, 한국판 뉴딜 등 복잡하고 급박하게 변하는 글로벌 산업 환경 속에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방향을 제시하고 신사업 발굴・기획에 착수한다.   ㅇ 아울러, 중소벤처기업 R&D 지원방향이 개별기업의 요소기술 지원에서 생태계 조성으로 전환됨에 따라, 생태계 육성 전략도 마련할 계획이다. 기정원이 역점사항으로 추진하려는 글로벌비즈니스 플랫폼 생태계 창출, 밸류체인 관련 기술생태계의 보완, 전문인력 등 생태계 인프라 구축 등이 해당된다. 이를 위해 우수 대학 및 선도출연연구기관 등과 코디네이팅하고, 기술사업화와 해외 진출을 위해 프라운호퍼 등 해외기관과의 네트워킹도 확대한다.   □ PM의 임기는 2년을 기본으로 보장하되 1년 연임이 가능토록 하여 정책수립의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PM제도 운영을 통해 민간전문가의 현장 경험과 안목을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의 R&D 정책을 보완・개선함으로써, R&D 사업의 성과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ㅇ 또한, 이미 채용한 4개 기술분야 외에도 현재 정부에서 중점 추진하는 그린 뉴딜 및 스마트공장 등의 유망분야로 전문가 채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임을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50","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RND_PM제도_본격_가동_최종.hwp","viewCnt":"3208","regDate":"2020-06-25 17:05:00"},{"contentId":"119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벤처기업 R&D에 모태펀드 투자한다...'최대 2년간 30억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37","contentsKor":"모태펀드에서 중소기업 기술개발(R&D)사업에 투자할수 있게됐다.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R&D 과제에 최대 2년간 6억원을 지원한다. 정부지원을 받는 R&D사업에 대한 기업부담도 대폭 줄어든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1800억원 규모의 '2020년 하반기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을 23일 공고했다. 이번 하반기 R&D사업은 ▲기술혁신 ▲창업성장 ▲투자형 ▲예비가젤형 등 총 11개 사업에 1643개 신규 과제를 선정해서 1800억원을 지원한다.  올해 하반기 R&D사업은 기술자립화를 앞당길 소재·부품·장비 분야와 포스트코로나를 이끌 비대면 미래혁신분야를 집중 지원한다. 지원금액은 ▲소재·부품·장비분야 260억원 ▲바이오헬스 등 BIG3(바이오헬스·미래형 자동차·시스템 반도체) 분야 203억원 ▲AI분야 75억원 등이다. 중기부는 특히 이번 하반기 R&D사업을 통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보유한 국내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터 '누리온'을 활용한 신산업 분야의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대상은 창업 7년이상인 중소·벤처기업이고 최대 2년간 6억원을 지원한다. 또한 3년 연속 매출액이 10%이상 증가하는 고성장 기업 일명 '가젤형 R&D사업'도 새로 지원한다. 최대 2년간 6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R&D 지원방식에 변화를 꾀했다. 기존의 단순 출연·보조방식에서 벗어나 '투자형 R&D'와 '후불형 R&D'를 새로 도입한다. 투자형 R&D 지원방식은 민간 벤처캐피탈(VC)이 먼저 투자한 중소·벤처기업에 정부가 운용하는 모태펀드에서 최대 2배수, 30억원까지 후매칭방식으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R&D 성과 우수기업에 대해서는 모태펀드 투자지분에 대해 최대 60%까지 매수할 수 있는 콜옵션을 부여할 계획이다. 후불형 R&D는 기업이 R&D 재원의 일부를 선투입하여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성공판정 후 나머지 출연금을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후불형 R&D를 통해 창출된 사업화 성과에 따라 ▲기술료 감면 ▲후속 사업화 자금 ▲R&D지원을 연계한 인센티브 등을 추가로 제공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하반기 R&D사업을 공고하면서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의 부담을 덜어줬다. 기존 R&D 사업 부담비율을 최대 35%에서 20%로 낮췄다. 여기다 기업부담금중 현금비율을 최대 60%에서 10%까지 대폭 하향조정했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소·벤처기업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이 많지만 기술혁신을 통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선투자·후불형 등 새로운 방식의 R&D 지원을 통해 현장의 다양한 R&D 수요를 반영하고 사업화 성과도 높이겠다"고 밝혔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은 중기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사업별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청기간은 이달 24일부터 내달 31일까지다.  출저 : 뉴스핌(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62300016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47","atchfileNm":"보도자료중소벤처기업_RD에_모태펀드_투자한다_최대_2년간_30억원.pdf","viewCnt":"3519","regDate":"2020-06-24 10:40:45"},{"contentId":"119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1800억원 규모 하반기 중소·벤처 R&D지원 모집… 7월 31일까지 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36","contentsKor":"중기부가 올해 하반기 중소·벤처 R&D지원을 24일부터 7월 31일까지 모집한다. 예산은 총 1800억원 규모로 기술혁신, 창업성장에 총 11개 R&D사업 1643개 신규과제를 지원한다.과제에는 소재·부품·장비분야 260억원, 바이오헬스·미래형자동차·시스템반도체(이하 ‘BIG3’) 203억원, AI분야 75억원 등 유망기술 분야도 포함됐다. ■기술혁신 생태계 지원=최근 코로나19 위기상황에 대응하고자 주요 선진국들은 신속한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을 위해 자국이 보유 중인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후보물질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집중 지원하고 있다.중기부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협업을 통해 국내 보유 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터 누리온을 활용한 신산업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한다.KISTI에서 발굴한 유망 중소벤처에 R&D 서면평가를 면제하고, KISTI는 중기부 지원과제에 슈퍼컴퓨터 수수료 면제, 전문가를 통한 맞춤형 활용을 지원해 치료제, 백신 등 기술개발 뒷받침할 계획이다.또한 3년 연속 매출액 10%이상 성장한 성장잠재력이 높은 후보기업군을 대상으로 유망품목을 발굴해 R&D를 지원하는 ‘예비 가젤형 기술개발사업’도 신규로 지원한다.R&D 초보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시장분석, 기술개발·사업화 전략 수립, 특허전략 수립 등 기술개발 기획을 지원하는 기획지원사업과 기업애로 사항을 공과대학 교수들이 직접 원포인트 지원하는 맞춤형 기술파트너 사업도 함께 신청을 받는다.■R&D지원방식 다양화=중기부는 도전·혁신형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R&D 참여기업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방식을 다양화한 ‘투자형 R&D’와 ‘후불형 R&D’가 신설되며 내달 2주에 별도 공고될 예정이다.우선 소재·부품·장비 및 언택트 등 분야의 과감하고 도전적인 기술개발을 뒷받침하기 위해 단순 출연·보조방식에서 벗어나 투자방식의 R&D를 신규로 지원한다.민간 VC가 선별하여 선투자한 기업에 대해 정부가 최대 2배수, 30억원까지 후매칭 투자하고 성과 우수기업에 대해서는 정부의 투자지분에 대해 최대 60%까지 콜옵션도 부여한다.후불형 R&D는 출연금의 25% 선지급, 성공판정 후 잔액 지급을 하며. 기업이 R&D 재원의 일부를 선 투입하여,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성공판정 후 나머지 출연금을 정부로부터 지급받게 된다. 후불형 R&D를 통해 창출된 사업화 성과에 따라 기술료 감면, 후속 사업화 자금, R&D지원을 연계한 인센티브도 추가로 제공된다.■기업 R&D부담 완화 지속 추진=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고자 시행하고 있는 R&D 참여기업의 민간부담 및 현금부담 비율에 대한 완화 조치는 하반기 지원사업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하반기 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하는 중소·벤처기업은 민간부담 비율을 최대 35%에서 20%까지*, 현금부담 비율을 최대 60%에서 10%까지 하향하여 적용 받을 수 있으며,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은 10%까지 추가 완화된다.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소·벤처기업이 코로나19로 움츠린 시기를 극복하고 기술혁신을 통해 새로운 힘을 응집해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특히 새로운 방식의 R&D 지원을 통해 현장의 다양한 R&D 수요를 반영하고 사업화 성과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출처 : 산학뉴스(http://www.sanhak.co.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45","atchfileNm":"보도자료중기부_1800억원_규모_하반기_중소벤처RD지원모집...7월31일까지접수.pdf","viewCnt":"3965","regDate":"2020-06-24 10:33:51"},{"contentId":"119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 기보 소‧부‧장 중소기업 지원 협력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34","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과 기술보증기금(이사장 정윤모, 이하 ‘기보’)이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중소기업 R&D 평가시스템 혁신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 기정원과 기보는 지난 22일(월)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한 기정원 본원에서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 사업화 촉진 및 평가시스템 혁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중소기업 R&D지원을 강화하는데 협력키로 했다고 밝혔다.   □ 우선, ‘Tech-Bridge 활용 상용화 R&D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Tech-Bridge 활용 상용화 R&D사업’은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우수기술을 중소기업으로 이전하고 후속 상용화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의 자립기술 확보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기보는 Tech-Bridge플랫폼*을 통해 소·부·장 분야 기술을 기업에 이전 및 양산자금을 지원하고, 기정원은 기술이전 받은 중소기업에 후속 상용화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한다.   *기보에서 운영 중인 온라인 기술유통 플랫폼으로 기술의 수요·공급 정보를 기업에게 맞춤형으로 제공   □ 그리고 소부장 강소기업 100 기업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과 사업화를 위한 금융 보증 등에 대해 협력하기로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차세대 R&D 평가시스템의 혁신을 위하여 기보의 기술평가시스템 활용 등에 대해서 상호 교류하기로 하였다.   □ 주요합의 내용을 보면 ▲소·부·장 분야 이전기술 과제 발굴 ▲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보 교류 ▲R&D지원 및 선정기업의 인수보증·사업화자금 지원 ▲소부장 강소기업 100 기업 지원 ▲스마트R&D 평가시스템의 혁신 등에 대해서도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 이재홍 기정원 원장은 “일본 수출규제에 이어 COVID-19로 더욱 어려운 경제상황이지만, 우리의 약한 부분을 보완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소부장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기보와 함께 하는 뜻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 “또한, 중소기업 R&D평가 시스템 측면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걸맞게 빅데이터, AI 등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평가 혁신을 기보와 함께 만들어 갈수 있어서 더욱 의미가 깊다”라고 밝혔다.   □ 정윤모 기보 이사장은 “이번 협약은 기보의 기술이전, 기술금융, 기술평가시스템과 기정원의 R&D지원 역량이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계기가 됐다”면서 “양 기관의 장점을 융합한 스마트 협력모델을 구축해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44","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기보_소부장_중소기업_지원_협력_MOU_체결_20200623_최종.hwp","viewCnt":"2644","regDate":"2020-06-23 09:30:39"},{"contentId":"119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 지원하니 수출액 5배 ‘껑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33","contentsKo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42","atchfileNm":"20200622아주경제(중소기업RD지원성과...수출액5배껑충).jpg","viewCnt":"2415","regDate":"2020-06-23 09:25:22"},{"contentId":"119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AI기업 50곳 선정 3억원내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32","contentsKor":"AI기반 고부가 신제품 기술개발 사업 시행...7월 17일까지 접수 #사례1: 장애물이 없는 외벽에만 그림을 그릴 수 있던 로봇에 AI 기술을 입혀 유리창 같은 장애물이 있는 곳도 자동으로 도장할 수 있도록 개발(제품금액 1840만원 → 4200만원, 128% 상승 기대) #사례2: 식품 등의 이물질 검출을 위해 엑스레이(X-ray)를 육안으로 검사하는 방식에서 영상자료를 딥러닝으로 자동 판독하는 검사시스템 개발(제품금액 6000만원 → 1억원, 67% 상승 기대) 중기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한 신제품 개발에 중소기업 50곳을 선정, 과제당 1년간 최대 3억원 이내를 지원한다. 중기부는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해 올해 신규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AI기반 고부가신제품 기술개발사업‘의 하반기 과제를 6월 22일부터 7월 17일까지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중소기업이 이미 판매하고 있는 제품이나 개발 완료 단계 시제품에 AI기술을 접목시켜 고부가가치 신제품으로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하반기 공고에서는 특히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BIG3 분야(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과제를 우대 지원한다. 오는 9월 중 최종 50개 과제를 선정해 과제당 3억원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상반기에는 26개 과제가 뽑혔다. 경쟁률이 12:1에 달했다. 상반기 선정 과제를 보면, 헬스케어와 의료진단기기 등에 AI를 접목시켜 기존제품을 스마트화하거나 제조공정 등에 사용되는 검사장비 또는 제어장비에 AI 기술을 입혀 위험성은 낮추고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과제가 주를 이뤘다. 하반기 과제 신청기업은 이달 29일부터 7월 17일까지 기술개발사업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에 접수하면 된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코로나19로 더욱 빠르게 진행하는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에서 중소기업들이 AI기술을 활용해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AI 대중화도 한발 빨라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출저 : ZDNet Korea(https://www.zdnet.co.kr/view/?no=20200621123825)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41","atchfileNm":"보도자료중기부_ai기업_50곳_선정_3억원내_지원.pdf","viewCnt":"3312","regDate":"2020-06-23 09:20:46"},{"contentId":"118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KTL R&D 초기부터 기술규제 해결 및 인증지원 협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85","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이 R&D 수행 단계부터 인증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국산업기술시험원(원장 정동희, 이하 KTL)과 협력하기로 하였다.   ◦ 기정원은 6월 17일(수) 기정원 대전본원에서 중소기업 R&D제품의 인증 연계지원을 위해 기정원-KTL간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번 협력은 중소기업이 제품개발 과정에서 기술규제와 인증 등의 인허가 사항을 고려하지 못해 제품개발 완료 후에도 신제품의 시장출시에 많은 애로가 있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중소기업 제품개발과정에서 기술규제 애로사항 조사’(‵19. 12, 기정원) 결과 인증·시험·검사 등 마케팅 기술규제(41.3%) > 제품생산 기술규제(27.6%) > 기술개발 규제(17.4%) 順 으로 조사   ◦ 이를 위해 중소기업 R&D 수행 초기부터 전 주기에 걸친 인증컨설팅·시험·분석 등 R&D인증 패키지 지원을 협력하여 추진하고   ◦ 향후 중소기업이 제품개발 및 사업화시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는 기술규제와 인증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중소기업 R&D 지원 신규사업을 공동기획하기로 하였다.   ◦ 또한 개발된 제품의 수출지원을 위해 KTL에서 구축 중인 해외 인증 정보를 R&D 중소기업에게 제공하여 수출활성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해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을 약속하였다.   □ 이로써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R&D인증 패키지 지원, 혁신기술 규제 해결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와 사업화 성공을 지원하게 되며,   ◦ 중소기업은 제품판매를 위해 필수로 취득해야 하는 안전·성능·환경 관련 인증들을 기술개발 단계부터 고려할 수 있게 되어 향후 기술규제로 인한 제품화 지연, 시장진입 지연 등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기정원과 KTL 간 협업으로 신제품을 개발하는 중소기업이 R&D 초기부터 기술규제와 국내·외 인증정보를 고려 할 수 있어 제품 사업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 ‶앞으로도 중소기업이 규제·인증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도록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15","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KTL_RD_초기부터_기술규제_해결_및_인증지원_협력.hwp","viewCnt":"2332","regDate":"2020-06-18 09:28:05"},{"contentId":"118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진공·기보·기정원, 소부장 강소기업 지원 늘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30","contentsKor":"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강소기업 성장을 뒷받침할 추가 지원계획을 발표했다.중소벤처기업부는 15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강소기업 전담지원단, 소재·부품·장비 분야 강소기업100, 한국거래소와 '강소기업 100 함께성장 마중물 선언식'을 가졌다. 강소기업 전담지원단에는 중진공, 기보, 기정원 등 8개 유관기관이 있다.이 자리에서 기정원은 오는 6월부터 강소기업이 연구개발(R&D) 사업 참여 때 별도 가점 5점을 부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오는 7월부터는 투자형 R&D를 지원한다.강소기업에는 최대 2배수 이내 30억원까지 매칭투자 한다. 일반기업은 최대 1배수 이내 20억원까지다. 콜옵션 부여와 우선손실충당 등도 허용한다. 내년에는 강소기업 전용 R&D를 신설하기로 했다기보는 올해 3월부터 강소기업 보증 우대 한도를 30억원으로 상향했다. 일반기업은 15억원이다. 또 예외적으로 강소기업이 신보와 기보의 보증을 중복으로 받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 강소기업 기술혁신지원단도 운영하기로 했다.중진공은 강소기업 전용자금 운용, 수출지원사업 참여 우대 등을 지원한다.이날 행사에서 기보는 한국거래소와 비상장 강소기업 38개사의 상장지원을 위해 업무협약을 맺었다.한국거래소는 비상장 강소기업에 성장 단계별 1:1 맞춤형 상장 컨설팅·상장설명회, 기업설명회(IR) 등을 제공해 증권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다.강소기업 대표들은 정부 지원으로 얻은 성과를 후배 기업 기술자문, 지역사회 공헌, 고용 창출 등을 통해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공동 선언하기도 했다.이날 행사에는 '소부장 분야 강소기업100' 55개사 대표들이 온·오프라인을 통해서 모였다. 37개사는 대면, 18개사는 중기부와 KTV 방송의 유튜브 라이브 중계를 통한 비대면 참여를 했다.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소부장 분야 강소기업들이 기술독립을 선도하고 글로벌 명장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전폭적인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news.einfomax.co.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09","atchfileNm":"보도자료중진공-기보-기정원_소부장_강소기업_지원_늘린다.pdf","viewCnt":"2582","regDate":"2020-06-15 15:49:11"},{"contentId":"118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스마트 R&D 평가체계로 中企 혁신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29","contentsKor":"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연구개발(R&D)도 이제는 비대면(언택트) 시대에 맞게 완전히 바뀌어야 합니다. 중소기업이 기술혁신과 R&D를 통한 혁신을 가장 가까이에서 돕는 역할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하겠습니다.”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은 지난 2월 취임했다. 지난 2일 취임 100일을 맞았다. 취임 이후 100일간 이 원장이 가장 공을 들인 분야는 기존 R&D 평가체계의 대대적 개편이다. 기존 R&D 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빅데이터와 AI 등을 적용한 데이터 기반 '스마트 R&D 평가체계'를 도입한다.이 원장은 임기 3년간 핵심 과제로 스마트 R&D 평가체계로의 안정적인 전환을 비롯한 스마트공장 고도화, 국내 제조업체의 리쇼어링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이를 위해 최근 기정원은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R&D 생태계 조성을 담당할 프로젝트매니저(PM) 그룹을 신설하고,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R&D 평가체계 도입을 위한 전담 부서도 만들었다. 핵심 과제 추진을 위한 준비 작업이 모두 마무리된 셈이다.이 원장은 “중소기업 R&D 지원의 선두에서 중소기업의 혁신성장과 스마트공장의 보급·확산 및 고도화를 지원해 디지털 경제 전환과 스마트 대한민국 구현이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대담=김승규 벤처유통부장-기정원장에 취임한지 100일 정도 됐는데, 소회는.▲공무원 경력을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거쳤다. 특히 기술혁신, 연구개발(R&D) 분야에 집중했던 것 같다. 기정원을 이전과는 차별화할 수 있으면서도 세상의 트렌드와 변화에 맞춰 중소기업이 경쟁력 가질 수 있는 혁신 분야에 대한 노력을 많이 해야겠다고 생각했다.기정원이 2002년 중소기업경영정보원으로 개원한 이래 20년 조금 안되는 시간 동안 팽창을 많이 했다. 예산도 올해 약 1조6500억원을 집행하며 규모로는 R&D 전문기관 중 4번째에 위치하는 등 압축적인 성장을 이뤄냈다. 몸집은 많이 커졌지만 아직 부족하다. 기정원을 성숙한 어른으로 만들기 위해 부족한 부분을 메꾸는 기관장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중소기업 예산이 계속 늘고 있다. 기정원 위상도 커지고 있다. 가장 중점을 두는 분야는.▲중소기업 R&D 중요성은 갈수록 더 커질 수밖에 없다. 대기업 위주 성장은 이제 한계가 왔다. 혁신 벤처·스타트업 포함한 중소기업의 역할이 우리 경제에서 더욱 커지고 있다. 이들이 우리 경제를 이끌어가는 큰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정부와 공공기관 역할이다.R&D도 과거와는 다르게 생태계 중심으로 움직여야 한다. 과거 개별 기업 단위로 R&D를 지원 했다면 이제는 전체적 생태계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성장해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있다.혁신 주체가 참여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생태계를 창출해 내는 것이 역시 첫 번째 과제다. 두 번째 과제는 기존 생태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물론 이미 정부가 하던 정책이 많다. 하지만 분절됐거나 산재되어 있는 정책이 많아서 연결하고 부족하고 그런 부분을 메꾸는 것이 필요하다.마지막으로 정부가 생태계 측면에서 채워줘야 하는 것이 바로 인프라다. 개별 지원에서 생태계 중심 전환을 위해 필요한 것이 인프라 조성이다.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사회 변화 예측과 스타트업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스마트 서비스를 집중 지원하고,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디지털 경제를 뒷받침하겠다. 제조기업의 리쇼어링을 위한 스마트공장 및 R&D 지원 방안도 같이 모색할 계획이다.-최우선으로 생태계와 인프라 조성을 강조했다. R&D 체계 개편과 연결되는 구상으로 보인다.▲변화가 빠르다.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미래는 더욱 빠르게 변할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경제가 무척 중요해졌다. 위기이자 기회다. 어쩌면 우리에게는 위기보다는 기회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비대면 경제 시대에 중소벤처기업이 제대로 혁신할 수 있는 R&D를 지원하자는 목표로 지원 체계를 바꾸려 하고 있다. 과거에도 그런 생각은 있었지만 개선이 어려웠다. 10~20년전 평가 체계를 그대로 이어왔다. 하지만 이제는 기술발전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시기가 왔다.이제는 AI나 빅데이터가 상용화돼 쓰이고 있는 시대다. 새로운 기술을 중소기업 R&D에도 접목해야 하는 시기다. 이제는 기술력이 부족하진 않다. 어떻게 체계를 만드느냐가 숙제다.차세대 스마트 R&D 평가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기존 R&D 체계의 문제 가운데 하나가 평가 위원에 대한 문제였다. 평가 위원이 굉장히 많은 기술을 평가하는데 그걸 전부 알고 있는 평가 전문가는 없다. 이런 측면에서 공정성과 수월성, 신뢰성 등을 과연 믿을 수 있느냐는 우려도 있었다.그래서 데이터 기반으로 R&D를 평가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취임 이후 3개월간 의논해가면서 기초를 닦았다. 단순한 정보시스템 도입이 아니라 중소기업 R&D 사업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과 새로운 개념의 평가방식, 스마트하게 일하는 방법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융합된 결과물이다.지능형 평가모델, 빅데이터 기반 포트폴리오, 스케줄러 기반 협업관리 등 7가지의 연계된 핵심 기능을 설계했다. 차세대 평가체계는 시장에서 중소기업이 제시한 과제를 통해 실시간으로 시장과 기술에 대해 업데이트해 판단과 예측이 가능한 포트폴리오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객관적 평가 지표와 평과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중소기업 R&D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평가체계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이 화두다. 스마트공장 관련 고도화 업무 등도 기정원이 실무를 맡고 있다.▲스마트공장을 비판적 시각에서 보는 사람도 있다. 스마트공장 도입이 너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지 않느냐는 지적이다. 하지만 이것은 스마트공장이 한 번에 되는 것이 아니라 단계별로 구축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한 부분이다.스마트공장 수준이 단번에 5단계로 가는 것이 아니다. 레벨1을 거쳐 2~4를 지나 레벨5가 되는 것이다. 레벨5까지 완성하는 데 5~6년이 걸린다.정부에서는 스마트공장의 확산과 고도화라는 두 가지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총 12660개가 보급됐다. 양적 확산이 하나의 목표다. 2022년까지 3만개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또 다른 하나는 고도화 정책이다. 3만개의 스마트공장 가운데 25%를 수준 3단계 이상으로 올리기 위해 제조 과정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기업의 질적 성장을 돕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레벨1~2단계가 의미가 없는 것이 아니다. 레벨1~2가 있어야지만 레벨3도 레벨4도 갈 수 있다.10억원 매출하던 기업이 갑자기 1000억원까지 오르는 것은 불가능하다. 단계도 거쳐야 한다. 스마트공장 기업 가운데 소기업도 있고 수백억짜리도 있다. 저는 특히 소기업이나 매출 10억원 안팎의 기업에서 스마트공장을 통한 제조혁신을 이룰 때 성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고 여긴다. 식품공장과 같이 해외로 나가지 않고서는 인건비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던 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많은 도움을 받는 것을 볼 수 있었다.선도형 스마트공장도 하루 빨리 늘어나야 한다. 대표 사례가 포스코의 스마트공장이다. 1호 등대공장으로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뽑혔다. 등대처럼 선도적 역할을 한다는 의미다. 중소기업 가운데서도 등대공장을 만들어 내는 것이 목표다. 다른 중소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공장의 기준을 만들고 싶다.스마트공장 역시 생태계가 필요하다. 공급사슬가치가 연결되는 생태계적 측면에서 스마트공장을 한꺼번에 함께 가려고 하는 것이다. 이런 방식의 시스템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도화 역시 레벨을 하나씩 올리는 것과 동시에 등대공장도 만들고 기업 단위의 공급사슬을 묶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이 코로나19로 인해 주춤했다는 평가도 있다. 중소기업에게 4차 산업혁명은 어떻게 다가오고 있나.▲코로나19는 오히려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시켰다고 본다. 비대면 전환은 더욱 빨라져 플랫폼 비즈니스로 가게 돼 있다. 여기에 적응하지 못하면 문을 닫아야 하는데, 소상공인이 가장 충격이 빠르다.양극화가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본다. 누군가는 자신이 했던 일을 뺏기고 누군가는 더욱 돈을 잘 벌게 될 것이다. 또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일자리도 탄생하게 될 것이고, 그러면 정부는 일자리를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기술혁신 역시 마찬가지다.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서로 경계를 허문 산업과 기술이 융합하고 변화해서 전에 없던 새로운 것이 태어나는 시대라는 점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언택트 경제 등 새로운 비즈니스가 출현할 것이다. 이러한 비대면 경제의 특징은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AI, 빅데이터, 스마트 서비스 관련 분야가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차세대 R&D 평가체계 마련도 코로나19 이후 빠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측면으로 해석된다.▲이전에는 나눠주기 방식으로 R&D를 실시했다. 물론 나눠주기 방식도 필요하다. 많이 뿌리면 잘하는 기업도 있고 못하는 기업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개별 기업 중심으로 가는 것은 문제라고 본거다.창업단계에 필요한 R&D와 성장 단계에 필요한 지원이 따로 있다. 성장 단계에 따라 다양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과거에는 과제를 모아보면 다들 성공 가능성 큰 과제를 들고 왔다. 중소기업이라면 도전적인 과제를 해야 하는데 정작 도전적인 과제를 하다 실패하면 R&D 지원에 페널티를 줬다.소재·부품·장비 분야가 대표 사례다. 일본과 문제가 생기기 이전에는 R&D로 만들어 봐야 수요기업이 사주질 않았다. 제품 신뢰성이 중요하니까. 조금이라도 문제 생길 가능성이 있으면 수입했다.산업부에서 소재부품 관련 사무관을 하면서 느낀 것이 있다. 처음에는 믿을 수 없지만 10년을 계속하니 믿을만해졌다. 국산화되는 성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부·장 관련 강소기업100, 스타트업100과 같은 사업을 R&D와 연계해 추진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다. 우리가 급소인 부분을 특화해 지원하고, 미래에 준비할 수 있는 기술도 확인하고 그러는 것이 필요했다.스마트 R&D 평가체계도 거기에 맞춰 움직일 예정이다. 평가위원의 주관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데이터를 빅데이터와 AI로 추려 제공할 계획이다. 예컨대 사업화, 기술수준, 기업역량 수준 3가지를 데이터화해서 보여주는 식이다.취임 기간 장기과제로 스마트 R&D 평가체계를 3년간 고도화할 계획이다. 데이터를 많이 축적해 다른 R&D 기관과도 공유하는 것이 목표다. -제조업 분야 리쇼어링 화두다. 스마트 제조혁신과 연계한 아이디어가 있나.▲주요 선진국은 자국 기업의 리쇼어링을 위한, 민관합동 차원의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유턴 지원확대 방안 발표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기정원에서는 특히 유턴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 공장 우선지원 및 지원 규모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로봇 보급사업과도 연계 지원해 설비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노동 집약적인 공정을 기술 집약적인 공정으로 스마트화해 유턴을 유도하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전기전자, 기계금속, 자동차 등 주력산업 중심의 제조 공정을 대상으로 유턴아이템을 발굴할 예정이다. 관련 분야 산학연 전문가의 의견수렴과 검토 절차를 거쳐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리쇼어링을 이끌기 위해서는 강력한 지원이 필요하다. 기업 대 기업 차원으로 어려움을 접근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 역시 중요한 과제다.-기정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한말씀 달라. 원장의 경영철학이 있다면.▲그간 기정원이 공급자 시각에서 R&D를 지원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직원에게 많이 이야기 한다. 우리가 중소기업 연구자라고 생각하고 기정원의 과제와 절차, 방식을 들여다보면 불편하고 불친절했던 점이 많았다.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연구원은 출연연이나 대학처럼 연구만 하는 것이 아니다. 여력이 없다. 앞으로는 더욱 친절하게 컨설팅하듯 직원들이 중소기업 직원이라고 생각하고 과제와 프로젝트를 밀착 관리하자는 것이 첫 번째 철학이다.두 번째는 중기부의 비전인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 스마트 대한민국'을 적극 지원하는 것이다.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의 트랙에 빠르게 올라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우리가 먼저 전략을 갖춰 중소기업을 돕겠다.세 번째는 기정원이 아직까지 모두가 R&D 평가기관이라고 여긴다. 이제는 단순히 선정하고 관리하는 기관으로만 머물러서는 안된다. 산업부에는 관리원 따로 진흥원 따로 평가원이 따로 있다. 3개 기관이 종합적으로 모두 함께 모여 전체 혁신 정책을 새롭게 만들어 낸다.기정원도 그런 역할을 차차 갖춰 나가야 한다. 언제까지 평가관리만 할 수 없다. R&D 기획 기능을 강화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창의성과 전문성이 강한 기관이 되자고 늘 이야기 한다. 창의적인 마인드 없이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 ○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은...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은 서강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기술고시 27회로 공직 입문했다. 산업자원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해 산업혁신과장, 지식경제부 기계항공시스템과장, 원자력산업과장, 산업기술정책과장을 거쳐 미래창조과학부 우정사업정보센터장을 지냈다. 2017년 중소벤처기업부 승격 이후 벤처혁신정책관으로 합류해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과 소상공인정책실장 등을 맡았다.실리콘밸리 파견 시절 쓴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의 기회'라는 책은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돼 전국 고등학교에 보급되기도 했다.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전문성을 갖춘 정통 기술 관료로 꼽힌다. 그는 지난 2월 제7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으로 취임했다. 출저 :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00611000154)","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08","atchfileNm":"보도자료이재홍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__스마트_RD_평가체계로_中企_혁신_지원__-_전자신문.pdf","viewCnt":"5087","regDate":"2020-06-12 10:52:16"},{"contentId":"118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대한적십자사 대전세종지사, 선별진료소에 응원 물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28","contentsKor":"대한적십자사 대전세종지사는 코로나19로 고군분투하는 의료진과 방역 종사자를 위한 응원용 생수와 빵 등을 전달했다고 10일 밝혔다.생수 1만 4000병과 ‘적십자 든든 한끼 Bread’ 420세트가 지원됐으며 지난 4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임직원과 노조원들이 기탁한 성금으로 마련됐다.구호성금은 선별진료소 지원 활동 외에 관내 취약계층 등을 위한 각종 인도주의 활동에도 사용될 예정이다.박경용 대전시 서구보건소장은 “비말 감염 등이 우려되어 정수기나 공용식수대를 사용하기가 꺼려져 생수를 구입하고 있었는데 적절한 때에 적십자를 통해 생수를 공급받게 돼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출처 : 충청투데이(http://www.cctoday.co.kr)","viewCnt":"2532","regDate":"2020-06-11 18:04:00"},{"contentId":"118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주요 관리직 민간에 개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2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주요 관리직 민간에 개방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통계분석팀장 등 주요 관리직 3개를 개방형직위로 지정하고, 공개모집을 통해 민간전문가를 선발한다고 8일 밝혔다.   ◦ 기정원은 지난 8일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으로서 기획 기능을 강화하고 통계분석, 글로벌협력, 홍보기능 등 분야별 전문성 제고를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한 바 있으며, 이번 개방형 직위 모집은 그에 따른 후속조치로 추진된다.   □ 이번에 신규로 채용하려는 민간전문가는 통계분석팀장, 글로벌협력팀장,홍보전략팀장 3개 직위이다.   ◦ 홍보전략팀장은 미디어를 통한 성과확산, 代언론대응, 방송·인터뷰·기고, 보도자료 배포 등 기관의 성과 홍보 업무를 총괄하게 되고,   ◦ 통계분석팀장은 중소기업R&D 사업성과 조사·분석, 데이터 관리 및 분석 등 기관의 사업통계 및 현황분석 업무를 총괄하게 되며,   ◦ 글로벌협력팀장은 국외 정부기관, 대학, 연구소 등 협력 네트워크 구축, 해외사무소 구축, 국제기구 연계 ODA 추진 등 기관의 글로벌협력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우수한 민간전문가 초빙을 위해 이번에 선발되는 개방형 관리자들에게 선발예정직급 기본급의 최대 120%의 보수를 지급할 계획이며, 향후 민간 출신의 전문성과 경험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는 민간전문가 전담직위를 점차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지원서 접수는 6월 9일부터 6월 19일까지이며, 서류전형과 면접전형을 통해 직무수행계획, 조직적응력, 의사소통능력, 전문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여 최종 선발한다.   ◦ 채용일정, 입사지원서 양식 등 상세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04","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주요_관리직_민간에_개방.hwp","viewCnt":"2780","regDate":"2020-06-11 18:00:00"},{"contentId":"118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략적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조직개편 단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22","contentsKor":"기정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략적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조직개편 단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전략적이고 민첩하게 중소기업 R&D를 지원할 수 있도록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 우선, 중소벤처기업의 내외부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술혁신 전략 수립, R&D 생태계 조성, 유망기술 발굴 등을 전담할 PM*그룹을 신설하였다.   * PM(Project Manager) :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의 정책수립, 조사연구, 기술발굴, 대외협력, 성과확산 등 중소기업 기술혁신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기획하는 전문가 집단   ◦ 아울러, 코로나-19로 변화되고 있는 산업 구조, 비즈니스 생태계를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주도할 수 있도록 국내외 다양한 주체와의 협력을 지원할 ‘대외협력기획실’과 ‘글로벌협력팀’을 가동한다.   ◦ 특히, R&D 지원대상 선별을 평가위원 역량에만 의존하던 방식에서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R&D평가체계로의 전환, 데이터 기반의 투자계획 수립 등 전반적인 평가와 관리역량 향상을 위해 ‘평가총괄기획실’과 ‘통계분석팀’도 신설하였다.   ◦ 반면,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국민의 잣대가 엄격해 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부정사용 방지대책 수립 및 점검, 불법 브로커 방지를 전담할 ‘부정사용신고센터’를 R&D전문기관 중에서는 최초로 조직하였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혁신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밸류체인, 한국형 뉴딜에서 주역이 될 수 있도록 가장 가까이에서 항상 살펴보고 지원하는 중소기업 R&D전문기관이 되겠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90","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포스트_코로나_시대_전략적_중소기업_지원을_위해_조직개편_단행200609.hwp","viewCnt":"3010","regDate":"2020-06-09 17:17:44"},{"contentId":"118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기정원장의 꿈…"中企에서도 등대공장 나오도록 도울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20","contentsKor":"◇ "中企에서도 등대공장"…기정원 3개년 계획 핵심, '생태계'·'스마트'·''시스템'·'사후관리'이재홍 원장의 3개년 계획은 '생태계·스마트·시스템·사후관리' 4가지 단어(키워드)로 요약된다.  이 원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부각되고 있는 언택트(비대면) 시대에 '중소기업들이 생존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 중소기업들의 스마트 공장·스마트 서비스를 지금보다 한 층 더 고도화하겠다는 구상이다.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중소기업들이 연구개발(R&D) 자금 지원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 R&D평가 시스템'(가칭)을 도입하고, R&D 자금을 지원받은 기업들이 계속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지 A/S(에프터 서비스)까지 도입하겠다는 계획이다.특히 이 원장은 임기 중에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도 '등대공장'이 탄생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역설했다.그는 "원장이 되고 보니까 현재 정부의 R&D관리 평가 관리 체계가 과거와 큰 변화가 없다. 그렇지만 세상은 빠르게 바뀌고 있다"며 "(변화한 세상에 알맞게) 새로운 '차세대 스마트 R&D평가 시스템'(가칭)을 임기 중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정부와 기업이 열심히 예산과 노력을 들여서 스마트 공장을 구축해 놓고 잘 운영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며 "특히 사후 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쓰겠다"고 설명했다. 또 "전 세계에서도 대부분 대기업에서 등대공장이 탄생하고 있다"며 "하지만 앞으로 경제 생태계에서는 대기업과 함께 중소기업들도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고,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도 '등대공장'을 탄생할 수 있도록 해보고 싶다"고 강조했다. ◇ "中企에서도 등대공장"…기정원 3개년 계획 핵심, '생태계'·'스마트'·''시스템'·'사후관리'이재홍 원장의 3개년 계획은 '생태계·스마트·시스템·사후관리' 4가지 단어(키워드)로 요약된다.  이 원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부각되고 있는 언택트(비대면) 시대에 '중소기업들이 생존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 중소기업들의 스마트 공장·스마트 서비스를 지금보다 한 층 더 고도화하겠다는 구상이다.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중소기업들이 연구개발(R&D) 자금 지원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 R&D평가 시스템'(가칭)을 도입하고, R&D 자금을 지원받은 기업들이 계속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지 A/S(에프터 서비스)까지 도입하겠다는 계획이다.특히 이 원장은 임기 중에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도 '등대공장'이 탄생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역설했다.그는 "원장이 되고 보니까 현재 정부의 R&D관리 평가 관리 체계가 과거와 큰 변화가 없다. 그렇지만 세상은 빠르게 바뀌고 있다"며 "(변화한 세상에 알맞게) 새로운 '차세대 스마트 R&D평가 시스템'(가칭)을 임기 중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정부와 기업이 열심히 예산과 노력을 들여서 스마트 공장을 구축해 놓고 잘 운영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며 "특히 사후 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쓰겠다"고 설명했다. 또 "전 세계에서도 대부분 대기업에서 등대공장이 탄생하고 있다"며 "하지만 앞으로 경제 생태계에서는 대기업과 함께 중소기업들도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고,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도 '등대공장'을 탄생할 수 있도록 해보고 싶다"고 강조했다.. ◇ 스마트공장·서비스 성공 위해 필요한 3단계…'CEO교육→성공 사례 발굴→테스트 베드'이재홍 원장은 스마트공장·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선 최고경영자가 스마트공장과 스마트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확고해야 한다고 역설했다.또 이 원장은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성공한 기업들을 발굴하고 다른 기업들이 그 기업에 가서 직접 보고 경험할 수 있도록 테스트 베드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렇게 된다면 중소기업들이 스마트공장과 스마트서비스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도전할 것이라고 진단했다.이 원장은 "많은 기업들이 스마트공장, 스마트서비스가 중요한지는 인식하지만, 문제는 '어떻게'(HOW) 도입해야 할 지 모르는 것"이라며 "우선적으로 한 기업의 최고경영자(CEO)가 스마트공장과 스마트 서비스에 대해 인지하는 것이 첫 출발점"이라고 말했다.이어 "성공한 스마트공장을 보면 대부분 CEO들의 의지가 굉장히 강하다"며 "어떤 한 기업이 스마트공장을 성공하기 위해선 정부에서 지원하니까 한 번 해봐야지가 아니라 정말 생존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봐야겠단 생각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이재홍 원장은 이같은 CEO의 의지가 확고히 선 후에는 성공 사례를 직접 볼 수 있는 환경, 직접 도전해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 원장은 "스마트 공장과 스마트 서비스가 좋으니까 한 번 해보라고 말로만 하는 정책으로 가면 안 된다"며 "등대공장, 선도적인 스마트공장 등을 직접 보여주면서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또 "(테스트 베드 조성을 통해) 스마트공장·스마트서비스를 도입하는 중소기업이 직접 본인의 공장과 사업 공간에 소화하고 받아들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준비된' 기정원장, 4차 산업혁명 저서도이 원장은 제27회 기술고시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했다. 이후 △산업자원부 산업혁신과장 △지식경제부 산업기술정책과장 △중기부 벤처혁신정책관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지난 2017년 공직생활을 통해 쌓인 지식과 경험을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의 기회'라는 저서에 녹여냈다. 중기부는 물론 기정원 안팎에서 '준비된' 기정원장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그동안 기정원장은 국장급이 임명됐지만 실장급은 그가 처음이다. 이 원장은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으로 변화를 하고 싶거나, 스마트 서비스 등을 도입하고 싶을 때 우리 기관을 두드리면 된다"며 "기정원은 중소기업이 변화를 통해 미래 먹거리를 준비할 때 찾는 기관"이라고 강조했다.기정원은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자금 및 관련 사업을 실질적으로 집행 곳으로 중소기업과 업계에서 이미 많이 알려졌다. 하지만 일반 국민들 가운데는 제대로 아는 경우가 드물다. 그는 "일부 국민들 중에서는 기정원이 국정원과 이름이 유사해서 정보 기관으로 알고 계신 분도 있다"며 웃었다. 이 원장은 2시간에 가까운 긴 인터뷰를 마치며 "스마트공장, 스마트서비스를 고민하고 있다면 언제든 기정원으로 오세요"라고 재차 강조한 이유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86","atchfileNm":"이재홍_기정원장의_꿈…中企에서도_등대공장_나오도록_도울_것.pdf","viewCnt":"2989","regDate":"2020-06-08 16:51:31"},{"contentId":"1180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에서 해답을 찾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809","contentsKor":"  ","viewCnt":"640","regDate":"2020-06-03 14:33:51"},{"contentId":"118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4인4색 중기 산하기관장, 협업 확대로 유니콘 키우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06","contentsKor":"4인4색 중기 산하기관장, 협업 확대로 유니콘 키우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의 기관장 자리가 전부 채워졌다. 각기 다른 부처에서 경력을 보냈던 고위 관료들로 산하 주요 공공기관의 수장 진용이 꾸려지면서 중기부의 정책 집행에도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1일 중기부에 따르면 지난달 김학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 취임을 끝으로 11개 산하 공공기관의 기관장 자리가 모두 채워졌다. 특히 중진공을 필두로 기보, 소진공, 기정원 등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의 예산을 집행하는 4개 기관장은 산업부·기재부·과기부 등 저마다 각기 다른 부처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한 고위급 관료로 채워져 향후 운영 방향에도 기대가 커지고 있다.김 이사장의 최우선 과제는 중기부 정책과 중진공 현장 지원을 긴밀하게 연결하는 역할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이사장은 “초기단계 정책자금, 창업, 마케팅, 수출 등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모든 도구를 갖췄음에도 분절적으로 지원되고 연결이 되지 않았다”면서 “각각의 성장단계와 기능별 연결이 될 수 있게 패키지로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개편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실제 중진공은 김학도 이사장 취임 이후 총 경영혁신·사업혁신·금융혁신 등 4개의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기존 업무를 대대적으로 개편한다는 계획이다. TF를 통해 주요 과제를 선별해 취임 100일 안팎으로 발표할 혁신 방안에 반영하는 것이 목표다.이 과정에서 신산업 육성, 포스트코로나, 지역정책 지원 등을 다양한 부처와 연계해 체계화하는 것이 중진공의 주요 과제다.직전까지 중기부 차관으로서 중기부 정책을 직접 챙겼을 뿐만 아니라 산업부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만큼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개별 산업과 중소기업 간 협업도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실제 기정원의 경우 연초 신임 기관장 취임 이후 본격적인 신규 업무 발굴에 들어갔다. 지난 2월 취임한 이재홍 기정원장은 직전까지 중기부에서 소상공인정책실장을 역임했고 이전에는 미래창조과학부, 지식경제부 등에서 주요 보직을 거쳤다.중소기업 연구개발(R&D)을 총괄하고 있는 기정원의 업무 특성상 4차산업혁명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에 대한 이 원장의 높은 이해도가 상승 작용을 내고 있다는 평가가 적잖다. 실제 기정원은 기존 중소기업 R&D 관련 업무 외에도 스마트공장 제조혁신, 제조업체 리쇼어링387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무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기술보증기금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 여타 기관도 관료 출신 이사장이 임기가 1년을 훌쩍 넘긴 만큼 신규 업무가 제 궤도를 찾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특히 기보는 중기부 승격과 함께 금융위원회에서 중기부로 이관된 이후 신규 업무가 급증하고 있다. 예비유니콘431 특별보증부터 특허평가시스템에 기반한 연계보증과 투자까지 다양한 업무를 신규 추진하고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정윤모 기보 이사장이 중기청 차장부터 중기부 기획조정실장까지 중기부의 주요 정책을 사실상 모두 파악하고 있는 만큼 산하 기관 차원에서 중기부 정책에 어떤 점이 부족한지에 대한 사항을 모두 알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소진공 역시도 코로나19로 인해 개시한 소상공인 직접대출이 비교적 초기에 안정세를 찾을 수 있었던 이유를 기재부에서 관련 업무를 다년간 수행해 온 조봉환 이사장의 안정적인 경영이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중기부 관계자는 “중기부가 청에서 부로 승격된 이후 중기부 본부 차원에서는 상당 부분 승격에 걸맞은 보완이 이뤄졌지만 산하기관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면서 “무게감 있는 기관장이 자리를 채운 만큼 각 공공기관도 업무 중복을 줄이고 정책과 연계할 수 있는 체계를 꾸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70","atchfileNm":"4인4색_중기_산하기관장,_협업_확대로_유니콘_키우자.pdf","viewCnt":"2951","regDate":"2020-06-01 14:04:34"},{"contentId":"118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42개 중소기업 지역특화 R&D사업 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05","contentsKor":"42개 중소기업 지역특화 R&D사업 뜬다 지역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지역 중소기업과 조합, 대학·연구기관이 공동 개발·보급한다.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병해충 진단 챗봇, 가상현실409(VR409) 기반 헬스케어 기기 등 지역 중소기업에 공동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보급될 예정이다.31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최근 '2020년 지역중소기업 공동수요 R&D' 사업의 과제기획 지원 과제에 참여할 컨소시엄 42개를 선정했다.지원 대상에 선정된 42개 컨소시엄은 6개월 동안 수요기술 개발 과제를 기획해서 연말께 최종 심사를 받게 된다. 여기서 뽑힌 총 21개 컨소시엄은 2년 일정으로 최종 연구개발(R&D)에 착수하게 된다. 도출된 결과물은 2023년부터 사업화 R&D 등을 거쳐 보급 확산에 들어간다.이 사업은 중소기업과 조합, 대학·연구기관이 협업을 통해 수요기술을 개발하는 첫 시도다. 그동안 중소기업 R&D 사업에서 주된 문제점으로 지적된 수요 중소기업과 공급 연구기관 간 기술 미스매칭을 줄이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실제 과제기획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42개 컨소시엄은 각 지역 및 업종 특성에 맞는 수요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예컨대 특장차 산업을 지역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전북에서는 전북특장차산업발전협의회가 전자부품연구원과 함께 '전기전장 및 센서 데이터 기반의 특장차 지능제어 기술'을 개발한다. 대형 특장차에 전기구동 제어 기술, 경로 탐색 리프트 제어와 같은 기술을 지역 중소기업에 공동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대구·경북 역시 지역 기계 산업 발전을 위해 대구경북기계공업협동조합과 대구기계부품연구원이 공동으로 '공작기계의 핵심 유닛 복합 다기능 주축시스템' 개발을 추진한다. 지역 금속절삭가공기계를 비롯한 유닛 모듈을 만드는 중소기업의 기술을 단기간에 집중 지원,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R&D다.지역별로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8개, 강원 2개, 광주·전남·제주 5개, 대구·경북 11개, 대전·세종·충남 3개, 부산·울산·경남 4개, 전북 8개, 충북 1개 등 42개 컨소시엄이 6개월 기간의 공동수요 R&D 과제기획 대상에 선정됐다.중소기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R&D 지원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지역 특화 산업에 대한 지원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중기부 관계자는 “지역기업에 대한 R&D부터 투자까지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라면서 “온라인 기업설명회(IR)도 활성화되고 있는 만큼 R&D뿐만 아니라 지역기업에 대한 투자 역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69","atchfileNm":"42개_중소기업_지역특화_RD사업_뜬다.pdf","viewCnt":"3038","regDate":"2020-06-01 14:02:25"},{"contentId":"117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상공인의 서비스 혁신을 통해 스마트화 앞당긴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98","contentsKor":"소상공인의 서비스 혁신을 통해 스마트화 앞당긴다   - 소상공인의 경영·서비스 혁신을 위한 비즈니스모델 20개를 발굴해 우수한 10개 과제는 2년간 최대 4억원의 개발비용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은 소상공인의 경영과 서비스 혁신으로 매출을 높이기 위한 비즈니스모델(BM) 기획과제를 6월 11일부터 6월 25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비지니스모델 기획과제는 소상공인의 자생력 강화와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처음 시작되는 ‘20년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생활혁신형 기술개발사업’ 중 하나인 BM개발과제의 기술개발 비용을 지원하기 전 우수과제 발굴을 위한 기획단계이다.   지난 3월에 진행한 소상공인 현장의 수요조사를 통해 선정된 24시간 영업지원이 가능한 인공지능 판매시스템 등 14개 지정 공모과제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플랫폼 등 3개 분야의 자유공모 과제로 진행되며 최종 20개 과제를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선정된 20개 과제는 3개월간 최대 1,660만원 한도의 기획비용이 지원되고, BM기획이 완료된 과제 중 소상공인 수요가 많고 보급·확산에 파급효과가 높은 우수한 10개 과제는 10월말 최종 선정돼 2년 동안 최대 4억원의 R&D 비용이 지원된다.   다만, 소상공인은 적은 인력과 자본력 부족 등으로 비즈니스모델을 직접 기획해 개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관련 전문성을 갖춘 중소기업 등이 주관해 기획하고 개발을 추진한다.   개발에 성공한 과제는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기술보급 사업’ 등과 연계해 소상공인에게 보급하고 코로나19 이후 급격한 소비유통 환경의 비대면과 디지털화에 대응해 소상공인이 혁신동력 확보의 기회로 삼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업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http://www.smtech.go.kr)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오는 6월 11일(목)부터 25일(목) 18시까지 동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과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우수한 비즈니스모델 발굴하겠으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의 스마트화를 통한 비용 부담 완화, 서비스 혁신을 통한 매출 향상 등 자생력을 키울 수 있는 정책개발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80","atchfileNm":"200528_소상공인을_위한_비지니스모델_개발_지원(스마트소상공인육성과).hwp","viewCnt":"3157","regDate":"2020-05-28 11:15:09"},{"contentId":"117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하나은행, 코로나19 위기 극복 위한 중소기업 금융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60","contentsKor":"하나은행, 코로나19 위기 극복 위한 중소기업 금융 지원 하나은행(은행장 지성규)은 5월 17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과 함께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수행 기업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특별 금융 지원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2017년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R&D 사업화 전담은행’으로 선정한 하나은행은 중소기업 R&D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업체를 대상으로 신기술·신제품 사업화를 위한 저금리 금융 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R&D 수행 기업에게 하나은행은 총 1100억 원 한도로 업체당 5억 원 이내 경영안정 특별자금을 새로 지원하고, 최대 1.83%의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하나은행은 중소기업 R&D 사업화 전담은행으로서 참여 기업의 안정적인 경영환경을 위해 특별자금을 지원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긴밀히 협력해 중소기업이 기술 개발에 매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영안정 특별자금 신청을 희망하는 중소기업 R&D 수행 기업은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직접 신청할 수 있으며, 지원 한도 소진 시까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수시로 접수해 지원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18","atchfileNm":"하나은행,_코로나19_위기_극복_위한_중소기업_금융_지원.pdf","viewCnt":"3101","regDate":"2020-05-27 11:22:51"},{"contentId":"117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 서‘우수’등급 받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59","contentsKor":"기정원,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 서‘우수’등급 받아   - 공공데이터 개방으로 국민 신뢰 제고와 함께 데이터 경제 활성화에 기여-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이 5월 26일(화),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한 `2019년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이하 공공데이터 평가)‘ 결과, ’우수‘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 공공데이터 평가는 행정안전부에서 총 520개 중앙행정·지자체·공공기관의 공공데이터 관리체계, 개방정도, 활용도, 품질수준 등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 이번 평가에서 우수 등급을 받은 기관은 120개(23.1%), 보통 등급은 175개(33.6%), 미흡 등급은 225개(43.3%)이다.   □ 기정원은 공공데이터 조직/예산/인력 등 관리체계 운영, 신규 데이터 발굴 및 개방 노력, 공개된 데이터에 대한 품질관리 노력이 우수함을 인정 받아, 대부분의 세부 지표에서 1등급을 받았다.   ◦ 기정원은 작년 공공데이터 실수요자들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민이 원하는 데이터 수요와 품질 개선 분야를 발굴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데이터 개방 활동 노력을 전개해 왔다.   ◦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통해 공개한 기정원의 데이터를 국민들이 이용한 건수가 전년대비 300%이상 증가하는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났다.   □ 기정원 관계자는 ‘현재는 미래 산업의 원유가 될 데이터를 축적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앞으로도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가치 있는 데이터를 지속 발굴 및 민간에 개방함으로써 데이터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1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공공데이터_제공·운영_실태평가_서_‘우수’등급_받아.hwp","viewCnt":"2600","regDate":"2020-05-26 10:40:57"},{"contentId":"117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공군, 국방분야 中企 혁신성장 위해 맞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58","contentsKor":"기정원·공군, 국방분야 中企 혁신성장 위해 맞손   - 공군의 스마트비행단 구축 수요기반 기술개발, 실증, 초기구매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과 공군이 국방분야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 기정원은 5월 26일(화) 계룡시에 위치한 공군본부에서 중소기업 및 공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기정원-공군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이번 협력은 양 기관이 스마트 국방 실현을 뒷받침할 방위산업을 육성하고 국방분야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 이날 체결식에는 기정원장(이재홍), 공군참모총장(원인철), 창업진흥원장(김광현) 및 이하 관계자 총 14명이 참석하였다.   □ 주요합의 내용은 공군의 스마트비행단 구축 수요를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실증, 초기구매 등을 지원한다.   ◦ 이를 위해, ① 스마트비행단 구축 과제 발굴·R&D지원, ② 中企의 공군 납품수요 발굴 및 테스트베드 지원을 추진한다.   ① 공군이 스마트 비행단 구축을 위한 개발수요를 발굴하면 기정원은 기술개발 과제의 구현 가능성을 검토하고, 수행할 중소기업을 공모하여 R&D 자금을 지원한다.   - 기정원은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조달혁신 과제로 최대 2년, 5억원 이내로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며,   * 동 사업을 통하여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과제를 성공할 경우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 26조 1항 3호 의거하여 수의계약이 가능   - 공군은 실험환경 및 데이터를 제공하고, 개발 완료제품의 실증테스트 및 구매로 이어지는 전 방위적인 협력을 약속하였다.   ② 아울러, 기정원은 공군의 실증용 테스트베드 활용 및 납품을 희망하는 中企의 수요를 발굴하여 공군과 연결될 수 있는 사업화 브릿지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 “COVID-19로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스마트 국방으로의 선제적 전환을 시도하는 공군과 디지털경제의 주역인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는 기정원과 처음으로 협력하는 매우 뜻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 “국방 시장특성상 독자적으로 中企이 참여하는데 걸림돌이 있었다는 점에서 이번 협약이 국방 조달시장에 中企의 문턱을 낮추고 4차 산업 혁신역량 강화와 함께 국방 스마트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1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공군,_국방분야_中企_혁신성장_위해_맞손.hwp","viewCnt":"2635","regDate":"2020-05-26 10:20:30"},{"contentId":"117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에서 해답을 찾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39","contentsKor":"[기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에서 해답을 찾다 생각지 못한 코로나19가 겨우내 우리 모두를 얼어붙게 만들었지만 따뜻한 봄이 완연해진 지금에는 우리 정부의 대응이 모범 사례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같은 주목엔 신속한 검진과 대응 체계 마련을 뒷받침한 진단키트, 진단시약, 워크스루 장비 등의 공헌을 빼놓곤 논할 수 없다. 국내 기업에서 개발한 '작은 영웅'은 글로벌 무대 곳곳에서 환영받으며 대한민국 중소기업 기술의 저력을 만방에 떨쳤다. 필자가 몸담고 있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은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지원의 선두에서 디지털 경제 전환과 스마트 대한민국 구현에 힘을 쏟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가운데 유일한 R&D 전담 기관으로, 중소기업의 혁신 성장과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및 고도화를 지원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서 공개한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 제조·수출 기업 41개사 가운데 75%인 31개사가 기정원의 중소기업 R&D 수혜 기업이다.여기서 만족할 수 없다. 코로나19 여파 이후 세상이 전과 전혀 다른 기준으로 돌아가기 시작하면서 바야흐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서막이 오르고 있다. 인터넷 기반 온라인 비즈니스와 비대면 경제가 인류의 삶과 공동체 영역 전반을 뒤바꿀 것으로 전망되는 현 시점에서 중소기업은 혁신 기술을 디딤돌 삼아 도약할 준비에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 R&D 역시 혁신이 필요하다.첫째 개별 기업 중심에서 생태계 중심 R&D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미래 산업 육성과 주력 산업의 밸류체인 강화를 위해서는 밸류체인 상의 키플레이어 과제를 공동 기획하고 협업을 통한 컨소시엄 R&D를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 또 4차 산업혁명, 혁신 성장동력 등 산업 생태계 분석을 통해 분야별로 취약한 요소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 생태계 전반에 걸쳐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둘째 기술 혁신의 사업화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기술 규제나 인증을 R&D 단계부터 지원해 나가고, R&D 지원 자금 이외에 금융이나 투자펀드와 연계한 지원이 필요하다. 대기업의 수요를 전제로 하는 구매조건부 R&D는 효율 높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R&D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와 연계해서 지원할 예정이다.셋째 스마트 공장 고도화와 제조기업의 리쇼어링387은 스마트 대한민국에 이르는 지름길이다. 와이어링 하네스 부품 하나로 국내 자동차 공장이 멈추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노동집약형 업종의 스마트화, 공급기업의 얼라이언스463, 스마트공장 R&D, 표준화, 데이터센터 구축 등을 통한 스마트공장 고도화 등이 필요하다. 또 리쇼어링 기업을 위한 스마트 공장, R&D 등 전반에 걸친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넷째 스마트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상용화된 기술·솔루션 보급 중심에서 벗어나 정보통신기술(ICT) 솔루션 기술 개발, 인력 양성 교육, 데이터 활용과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한 신시장·신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개발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마지막으로 빅데이터78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포스트 코로나 뉴딜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의 신속한 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해 데이터 관리 체계 전반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단기로는 교육 및 컨설팅을 통해 기업의 인식 전환을 유도하고,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스타트업 R&D를 지원해야 한다. 나아가 기업 수준을 고려한 AI 솔루션 도입 및 활용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탄탄한 지반에 뿌리 내린 나무는 거센 태풍에 흔들리지 않는 법이다. 중소기업 또한 마찬가지다. 정책과 제도가 중소기업을 튼튼하게 성장할 수 있게 지지하면 올해 코로나19라는 역경을 이겨낼 희망의 증거를 중소기업이 보여 줬듯이 종래엔 무성한 가지를 드리워서 한여름에 쏟아지는 햇빛을 가려 주는 시원한 그늘을 마련해 줄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88","atchfileNm":"기고_포스트_코로나_시대,_중소기업에서_해답을_찾다.pdf","viewCnt":"3008","regDate":"2020-05-22 13:07:24"},{"contentId":"117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평가위원에 의존하던 中企 R&D 평가, '빅데이터-AI-RPA'로 대전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36","contentsKor":"평가위원에 의존하던 中企 R&D 평가, '빅데이터-AI-RPA'로 대전환 중소기업 연구개발(R&D) 평가체계 대개편이 이뤄진다. 평가위원 중심의 기존 R&D 평가체계가 빅데이터78·인공지능(AI)·로봇처리자동화(RPA) 기반으로 바뀌는 게 핵심이다. 현행 중소기업 R&D 평가의 고질병으로 지적받고 있는 평가위원의 전문성 부족과 부진한 사업화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다. 내년 시범 사업을 거쳐 2022년까지 중소기업 R&D 전체 사업에 확산하는 것이 목표다.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한 '차세대 스마트R&D평가체계 프로토타입 추진' 방안을 최근 중기부 장관에게 보고했다.기정원이 추진하는 스마트R&D평가체계는 기존 평가위원이 수작업으로 실시하던 R&D 평가를 빅데이터, AI, RPA 등에 기반을 둔 평가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이를 위해 우선 내년 2월까지 지능형 평가 모델을 구축해 중소기업 R&D 사업계획의 비즈니스 영역별 사업화 모델과 기술분류별 기술 수준, 기업 역량 등을 자동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중기부 관계자는 “중소기업 R&D의 가장 큰 문제는 평가위원의 전문성 부족과 혁신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이라면서 “기존 R&D 사업과는 다른 관점에서 중소기업 R&D 평가 방식을 수립해 보겠다”고 말했다.그동안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은 줄곧 투자에 비해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실제 중기부의 R&D 예산은 1997년도 381억원에서 올해 1조원 이상으로 30배 가까이 늘었지만 뾰족한 성과물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018년 기준으로 중소기업 R&D 기술개발 성공률은 90.7%에 이르는 반면에 사업화 성공률은 50.5%에 그쳤다. 주로 평가위원 판단에 의존하고 있는 평가 방식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문제도 중소기업 R&D 지원의 단골 지적 사항으로 꼽힌다.중기부에서는 이번 빅데이터 중심 평가체계 개편으로 중소기업 R&D 전반에 대한 지원 효과 역시 전략 성격을 띠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과거 소액다수 방식으로 많은 중소기업을 지원한 결과가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기존 사업계획서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타깃이 더 명확한 지원 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차정훈 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초연구, 산업통상자원부는 큰 산업 고도화를 위한 R&D에 집중하는 것과 달리 중소기업 R&D는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면서 “기술보증기금의 AI를 활용한 특허가치평가시스템(KPAS)은 물론 스마트제조혁신센터의 데이터와도 연계, 중소기업 R&D의 효율성을 더 높여 가겠다”고 말했다.중기부는 내년 중으로 지능형 평가모델 등을 우선 구축한 후에는 빅데이터 기반 포트폴리오, 과제 이상관리 시스템 구축 등으로 범위를 넓혀 나갈 방침이다. 기정원의 대표 R&D 지원 사업에 새로운 평가체계를 우선 시범 도입하고 추가 예산을 확보, 전 사업으로 적용을 확산하는 것이 목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83","atchfileNm":"평가위원에_의존하던_中企_RD_평가,_빅데이터-AI-RPA로_대전환.jpeg","viewCnt":"3059","regDate":"2020-05-21 09:48:23"},{"contentId":"117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데이터 기반 中企 R&D 정착되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35","contentsKor":"데이터 기반 中企 R&D 정착되길   중소기업 연구개발(R&D) 평가가 빅데이터78·인공지능(AI)·로봇처리자동화(RPA) 기반으로 바뀐다. 평가위원의 전문성 부족과 부진한 사업 성과를 높이기 위해 데이터와 정보통신기술(ICT)이 사용된다.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이 스마트 R&D 평가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그동안 중소기업 R&D 평가가 있을 때마다 평가위원의 전문성 부족에 대한 지적이 높았다. 주로 평가위원 판단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말미암아 신뢰도는 점점 하락했다. 평가 인력 전문성이 부족하고 특정 분야에 편중됐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학계 출신이 많아 현업 이해가 부족하다는 불만도 컸다. 또 평가단이 자주 교체되면서 전문성과 책임감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사업 성과도 낮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됐다.기정원이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차세대 스마트R&D 평가체계 프로토타입 추진' 방안을 중소벤처기업부에 보고했다. 기정원은 내년 2월까지 지능형 평가 모델을 구축해 중소기업 R&D 사업계획의 비즈니스 영역별 사업화 모델과 기술 분류별 기술 수준, 기업 역량 등을 자동 평가할 계획이다.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은 투자에 비해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실제 중기부의 R&D 예산은 1997년도 381억원에서 올해 1조원 이상으로 30배 가까이 늘었지만 뚜렷한 성과물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중기부는 데이터 기반 평가체계로 개편해 중소기업 R&D 지원효과 개선을 노린다. 중소기업이 낸 사업계획서를 분석해 효율성 있는 지원 전략을 짤 계획이다. 중기부는 내년에 지능형 평가모델을 만든 후 과제 이상관리 시스템 등으로까지 확대할 방침이다.정부가 데이터 기반의 R&D 지원 사업 효율화를 꾀하는 것을 환영한다. 평가위원의 전문성과 신뢰성 문제를 잠재우고 중소기업 R&D 장기 방향을 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게 된다. 중소기업은 이제 이에 맞춘 R&D 평가를 준비해야 한다. 체계적인 R&D 계획안을 세우지 못하고 심사위원의 입맛에 맞는 내용만 담던 것에서 탈피해야 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81","atchfileNm":"데이터_기반_中企_RD_정착되길.hwp","viewCnt":"2652","regDate":"2020-05-21 09:44:44"},{"contentId":"117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정책 수요기업을 위한 범부처 중소기업지원사업 종합 정보서비스 개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3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R&D정책 수요기업을 위한 범부처(중앙부처, 지자체)  중소기업지원사업 종합 정보서비스 개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R&D정책 수요자인 중소벤처기업을 위해 중앙부처, 지자체가 시행하는 중소기업지원사업 정보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ㅇ 중소기업지원사업은 중앙부처, 지자체 등에서 다양하게 시행 중이나, 이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없어 정보획득의 불균형 문제가 있었다.   ㅇ 특히,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은 기술개발 이후 안정적인 사업화를 위해서 시설 및 운전자금, 판로, 인력지원 등이 적시에 연계되어야 하나, 지원사업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기 어려워 계획 수립이 원활하지 못한 실정이였다.   ㅇ 기정원은 이러한 현장의 문제에서 착안하여 중소기업지원사업 종합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 본 정보서비스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관리시스템(www.smtech.go.kr)’ 정보마당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현재 1,719건(중앙부처 564건, 지자체 1,155건)의 지원사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ㅇ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이 지원사업을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고, 언제 지원사업을 신청할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 경영활동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ㅇ 아울러, “지원사업은 연중 변경 또는 신설될 수 있으므로 계속 정보를 갱신할 것이며, 사용자 이용량 및 만족도 측정, 개선의견 수렴 등을 통해 서비스 편의성도 향상시킨다.”는 계획도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69","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범부처_중소기업지원사업_정보서비스_개시.hwp","viewCnt":"3043","regDate":"2020-05-19 09:38:15"},{"contentId":"117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코로나 시대 中企 생존법]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 “스마트공장 도입 리쇼어링 기업, 지원 늘릴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27","contentsKor":"[코로나 시대 中企 생존법]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 “스마트공장 도입 리쇼어링 기업, 지원 늘릴 것” “스마트공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조업 위기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더 많은 관심을 받을 것입니다. 정부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외 진출 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을 통해 국내 복귀가 가능하도록 지원을 늘릴 예정입니다.”국내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총괄하는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박한구 단장은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원격·재택근무가 보편화되는 만큼, 이와 같은 근무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설비 스마트화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박 단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세계 각국의 제조기업은 생산·자재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스마트공장이 리쇼어링(제조업의 본국 회귀)의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생산 차질을 빚은 많은 제조업체들이 위기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스마트공장 시스템 도입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다.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과 스마트제조 R&D까지 국내 스마트제조 관련 지원사업을 총괄 실행하는 기관으로 지난해 7월 출범했다.기업이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면 원가와 산업재해는 각각 15.9%, 18.3% 감소하고, △생산성(30%) △품질(43.5%) △납기준수율(15.5%) 등이 증가해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 목표를 세우고,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특히, 최근 코로나19 이후 제조업이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에 대처하고 기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열쇠로 스마트공장이 제시되면서 각국에서 도입·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다음은 박 단장과의 일문일답.Q. 코로나19 사태로 타격을 입은 국내 중소 제조기업의 위기극복 대안으로 스마트공장이 주목받고 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전 세계 제조업에서 생산 및 자재 조달 등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스마트공장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제조업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더욱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우선, 이번 사태를 통해 부각된 리쇼어링(제조업의 본국 회귀) 문제의 해법이 될 수 있다. 생산 단가와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 해외로 진출한 기업들이 코로나19와 같은 각종 전염병으로 위기를 겪는 데다, 최근엔 외자기업의 혜택 감소 및 인건비 증가로 진퇴양난에 빠진 경우가 많다. 정부에서도 스마트공장 도입기업의 평균 생산성이 30%나 늘어나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외 진출 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을 통해 국내 복귀가 가능하도록 지원을 늘릴 예정이다.또한 예기치 못한 상황을 통해 생산의 차질을 빚은 많은 제조업체들이 위와 같은 위기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스마트공장 시스템 도입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원격·재택근무가 보편화되는 만큼 이와 같은 근무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설비 스마트화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이다. 생산현장에 직접 나가지 않아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면서 필요 시 원격으로 조작하고 생산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많은 가정과 기업, 공장에 클라우드, AI(인공지능), 5G, 빅데이터 등의 보급이 활성화되면 제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도 더욱 보편화 될 것이다.”Q.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무엇을 하는 기관인가.“독일을 선두로 미국, 일본, 중국 등 제조 선도 국가들마다 각국의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만들기 시작했고 우리나라 역시 이에 발 맞춰 다양한 정책이 기획됐다. 정부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을 총괄하는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2019년 7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과 스마트제조 R&D까지 국내 스마트제조 관련 지원사업을 총괄 실행하는 기관으로써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을 만들었다.현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진행하고 있는 사업은 크게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스마트제조 R&D사업 △스마트제조 기반구축 사업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사업인 스마트공장 신규구축 및 고도화 사업은 정부의 국정과제인 ‘2022년까지 국내 제조기업 3만개 스마트화’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으며 2019년까지 누적 1만2660개를 지원한 상태다.이와 더불어 스마트공장 수준 5단계 중 3단계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고도화 사업도 집중 지원해 스마트공장 기초단계부터 고도화 단계까지 질적 성장을 기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다.” Q. 추진단 출범 이후 성과는.“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가장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추진단 출범 전(2014년~2018년)까지 중소·중견기업 7903개사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했다. 추진단 출범 이후 2019년에는 신규구축 2122개, 고도화 사업 663개, 시범공장 35개, 대중소상생형 사업 1023개, 업종별 특화사업 440개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4757개사의 스마트공장을 지원해 총 1만2660개사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했다.또한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의 성과를 살펴보면, 생산성은 30% 증가와 불량감소로 인한 품질이 43.5%로 향상됐고, 원가는 15.9% 감소, 납기 준수율은 15.5% 향상, 산업재해도 18.3% 감소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확인했다. 단순 반복적인 업무가 데이터 중심의 업무로 바뀌면서 업무 환경에도 조금씩 변화가 생겼다.추진단 출범 이후 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 이원화돼 추진됐던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이 통합 관리된다는 점도 주요 성과라 할 수 있다. 추진단을 통해 모든 스마트공장 사업을 신청할 수 있다.”Q. 올해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 및 역점사업은.“추진단은 올해 국내 스마트공장 양적 확대와 더불어 질적 성장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우선, 올해 5600개의 스마트공장 보급을 통한 국내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혁신을 위해 보급·확산 사업 모델 다변화 및 민간의 자발적 참여 활성화를 확대한다.이를 위해 전자, 기계, 부품소재, 식품 등 유사 업종·제조공정을 가진 기업들의 업종별 공통 스마트 솔루션 구축을 지원하며, 제조현장에서 양질의 데이터 수집하고 이를 통해 제조공정, 공장운영, 제품개발에 대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도록 AI·빅데이터 등 제조데이터 분석 솔루션 도입 및 자동화 정비·제어기·센서 구축을 지원한다.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육성 및 국제기관과의 제조데이터 표준화 방안 도모도 주요 목표 중 하나다. 독일의 관련 기관과 협업해 생산현장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데 있어 장치별 데이터 속성 및 수집 저장 체계를 국제표준 기반으로 표준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또한,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스마트센서 선도프로젝트 기술개발 등을 통해 스마트공장 고도화 촉진을 위한 공급기술 확보에 힘쓸 예정이다. 스마트제조 관련 글로벌 기구와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민관합동 기술교류 및 협력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등 정책 연구도 추진하겠다.마지막으로 스마트공장을 통해 생성된 제조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해 중소기업의 공정·품질 개선, 제품개발 등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데이터 센터와 플랫폼 구축을 통해 분석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Q. 제조데이터 센터와 플랫폼 구축 계획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해 달라.“현재 자금,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스마트공장을 도입 후 생성·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활용하기 위한 IT 전문 인력, 데이터과학자(Data Scientist) 채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스마트공장 구축 이후 제조데이터 활용성 제고를 위해 중소벤처기업 전용 제조데이터 플랫폼 센터를 올해부터 구축해 기업을 지원하고자 한다.이를 통해 공장 내 보유한 데이터를 중소기업이 활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도록 정제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불량 원인분석과 품질 최적화 등 수요자 맞춤형 분석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중소 제조기업에 솔루션을 공급하고 개발하는 스타트업을 위해서는 제조데이터 플랫폼에서 빅데이터, AI, AR/VR 등을 활용해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처리, 각종 알고리즘, 모델링, 시뮬레이션, 시각화 등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개발 업체에서 이미 검증된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제조현장에 검증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를 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하고자 한다. 현재 관련 내용을 계획 중이다.”Q. 스마트공장 확산에 가장 큰 어려움·걸림돌은.“우선, 중소기업들이 스마트공장 구축에 대한 망설임 혹은 두려움을 갖지 않는 것 중요하다. 기업을 경영하는 수많은 대표께서는 스마트공장 구축 투자를 통해 그만큼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 많은 고민을 할 것이다. 그러나 정부와 추진단은 지금까지 스마트공장 구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생산성 30% 향상, 불량률 43.5% 감소, 원가 15.9% 절감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확인했다.또한, 전국 19개 테크노파크 내 스마트 제조혁신센터를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에 대한 교육/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기업의 역량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려는 도전의식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기업과 맞서야 한다.둘째는 스마트공장을 추진하기 위한 투자 자금과 전문가 인력 부족 문제를 들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추진단에서는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해 정부 지원 외에도 지자체 협력을 통한 지방비 예산 확보 및 대기업과의 상생 예산 매칭 등을 통해 기업 부담금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 중이며 금융지원 프로그램 또한 운영 중이다.그 외에도 스마트공장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한 기업을 위해 스마트화 역량강화 및 스마트 마이스터 지원사업을 통해 스마트 마이스터가 기업의 역량 및 수준 등을 고려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앞으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많은 기업들이 좀 더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필요한 솔루션을 이용하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도 마련 중이다.처음부터 고도화 단계를 고민할 필요는 없다. 기업의 환경과 역량에 따라 단계별로 구축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공장 구축을 망설이거나 상담을 원한다면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또는 지역 내 있는 스마트제조혁신센터로 연락해 달라. 언제든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중소기업에 대한 도움을 아끼지 않겠다.”Q. 정부의 방침이 스마트공장의 양적 확대에만 집중한다는 지적이 있다.“스마트공장은 목표가 아닌 수단으로써 기업이 원하는 생산성과 영업이익을 창출하고 새로운 제품가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우리 중소기업의 작업환경, 업무방식, 시스템을 바꿔 새로운 제조업 패러다임으로 가는 연결고리로서 국내 중소기업들이 제조업 전쟁에서 살아남게 하는 필수적인 수단인 것이다. 더 많은 국내 중소 제조기업이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하고 기업의 수준에 맞게 단계적으로 시작해나가야 그 기반을 바탕으로 고도화로도 나갈 수 있다.정부에서는 국내 스마트공장의 보급 및 고도화를 위해 투 트랙의 정책을 마련해 운영 중이다. 첫 번째가 2022년까지 3만개 스마트공장 구축이며 두 번째가 바로 고도화 정책이다. 3만개 스마트공장 중 25% 기업을 스마트공장 수준 3단계 이상의 고도화 수준으로 올리기 위해 제조 과정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 기업의 질적 성장을 돕기 위한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있다.우선, 제조현장에서 양질의 데이터 수집하고 이를 통해 제조공정, 공장운영, 제품개발에 대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도록 AI·빅데이터 등 제조데이터 분석 솔루션 도입 및 자동화 정비·제어기·센서 구축 등을 지원하고 있다.아울러 현재까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제조데이터 수집 기반이 마련됐다면 이를 활용해 더 많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생성된 제조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해 중소기업의 공정·품질 개선, 제품개발 등을 지원하는 제조데이터 센터와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Q. 스마트공장 도입에 따른 제조업 인력 변화에 일각에선 우려의 목소리를 낸다.“스마트공장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의 생산 과정을 컨트롤하고, 개선해 나가는 지능형 공장을 말한다. 즉 최소 비용·시간으로 최적의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으로의 전환을 지향하기 때문에 단순 반복적인 작업을 하던 근로자들을 지식근로자로 전환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 맞는 인재로 탈바꿈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 할 수 있다.우리나라 젊은 층이 중소기업을 기피 하는 근본 원인은 적은 급여만큼이나 3D(Dirty, Dangerous, Difficult)로 대변되는 생산 환경 및 단순 작업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으로 전환된다면 그만큼 근무 환경 및 근로자의 품격이 높아진단 것으로 젊은 인재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스마트공장을 통해 산업 재해율이 줄어들면서 고령의 직원들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는 것도 큰 장점일 것이다.스마트공장을 도입한 한 기업은 단순 반복 업무를 담당하던 외국인 근로자들 대신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로봇 운영 등이 가능한 국내 지식 근로자를 채용했다. 경북의 한 기업은 스마트공장 도입 후 단순 반복 작업이 줄어들고 일하기 편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고령의 직원들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고 청년들이 다시 찾는 직장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이 제조업의 인력 및 근무환경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64","atchfileNm":"보도자료_코로나_시대_中企_생존법박한구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_“스마트공장_도입_리쇼어링_기업,_지원_늘릴_것”.pdf","viewCnt":"3241","regDate":"2020-05-18 13:37:36"},{"contentId":"117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코리아스타트업포럼, 생체 데이터 활용 AI 경진대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21","contentsKor":"코리아스타트업포럼, 생체 데이터 활용 AI 경진대회 개최 사단법인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의장 김슬아 안성우 이승건)은 데이터 사이언스 플랫폼 기업 '데이콘'과 함께 '생체 광학 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코스포는 중소벤처기업부의 개방형 혁신 네트워크 사업 i-CON의 AI 분야 운영기관으로 선정돼 네트워크 구축 및 기술교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번 경진대회 역시 'AI i-CON' 사업 일환으로 추진된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바이오 분야 우수한 알고리즘을 발굴하기 위해 기획됐다. 신체를 투과한 빛을 포집하면 피부 상처 없이 체성분 검사가 가능하다는 아이디어로부터 시작됐다.대회는 5월 15일부터 6월 26일까지 온라인 AI 대회 플랫폼을 통해 진행된다. AI와 생체 광학 데이터에 관심 있는 일반인, 학생, 기업 등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데이콘이 제공하는 가상의 생체 광학 데이터를 활용해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개발 아이디어를 공모하는 방식이다.참가자들이 개발한 AI분석 알고리즘은 모의 데이터 분석 및 성능 비교를 통해 순위가 결정된다. 우수한 진단 알고리즘을 도출한 10개 팀을 선발해 상금을 수여한다. 총 360만원 상당 상금이 걸려 있다. 경진대회에 참가 및 자세한 사항은 데이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최성진 코스포 대표는 “올해 운영 2년차에 접어든 AI i-CON을 'AI활용 사례 및 우수과제 발굴', '글로벌 협력 확대', '정책과제 제안' 중심으로 운영할 계획”이라며 “이번 대회를 통해 AI기술 활용의 우수 사례가 발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김국진 데이콘 대표는 “피부 상처 없이 체성분 검사가 가능한 방법은 안전하고 고무적인 기술로 평가된다”며 “이번 대회를 통해 광학 데이터로 체성분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알고리즘이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53","atchfileNm":"코리아스타트업포럼,_생체_데이터_활용_AI_경진대회_개최.pdf","viewCnt":"2411","regDate":"2020-05-14 09:44:48"},{"contentId":"117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스마트화’ 원하는 중소ㆍ벤처기업 150개사에 6000만 원씩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20","contentsKor":"중기부, ‘스마트화’ 원하는 중소ㆍ벤처기업 150개사에 6000만 원씩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빅데이터ㆍAI 등 첨단 ICT를 활용해 서비스의 스마트화를 지원하는 ‘중소기업 스마트서비스 지원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 중기부는 이달 21일부터 내달 12일까지 스마트화를 지원하는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3일 밝혔다. 스마트서비스는 2005년 미국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처음 제시된 용어다. 빅데이터·AI 등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예측적 서비스이며, A/S와는 대비되는 개념이다. 이 사업은 중기부가 스마트공장, 스마트상점과 함께 ‘스마트 대한민국’의 구현을 위해 올해 신규로 선보이는 사업이다. 중소·벤처기업이 스마트서비스 창출에 필요한 빅데이터·AI 등 첨단 ICT 솔루션을 도입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기업당 사업비의 50% 이내에 최대 6000만 원까지 지원한다. <iframe width="100%" height="100%" data-mce-fragment="1" hspace="0" vspace="0" class="ip-engine" scrolling="no" marginheight="0" marginwidth="0" frameborder="0"></iframe> 지원 대상 기업은 총 150개 이상이며, 지원 총 규모는 93억 원이다. 지원 분야는 기업 혁신 서비스, 온라인 경제 서비스, 공공서비스 등 총 3개 분야다. 우선, 기업 혁신 서비스 분야는 비대면 고객 응대를 위한 챗봇, 단순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는 프로세스 자동화(RPA), 비대면 업무 솔루션 등을 활용해 서비스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는 분야이다. 온라인 경제 서비스 분야는 첨단 ICT를 활용해 신선식품 새벽 배송 등 온라인 식품 배달, 원격의료 및 온라인 교육 등의 서비스와 같이 온라인화로 고부가가치화 및 신규 BM 창출을 지원하는 분야이다. 마지막으로 공공서비스 분야는 코로나맵·마스크맵과 같이 사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거나 협동조합 등 동일 업종의 기업들이 업종 특화 플랫폼을 공동으로 도입하는 것이다. 다수의 기업, 국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분야이다. 사업 신청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은 솔루션 공급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거나 단독으로 신청할 수 있다. 사업 신청 뒤에는 사업 수행기관의 서면 및 현장 평가와 전담기관의 최종 평가로 지원과제를 최종 선정한다. 전담 기관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며 수행기관은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스마트컨설팅협회, 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 등이다. 사업계획서 양식 등 상세 내용은 중기부 홈페이지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개발사업 관리시스템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52","atchfileNm":"중기부,_‘스마트화’_원하는_중소ㆍ벤처기업_150개사에_6000만_원씩_지원.pdf","viewCnt":"2847","regDate":"2020-05-14 09:39:49"},{"contentId":"117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복대, 코로나19 예방용품 기증한 이글루시스템즈에 감사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19","contentsKor":"경복대, 코로나19 예방용품 기증한 이글루시스템즈에 감사패 경복대학교는 지난 7일 남양주캠퍼스에서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인 ㈜이글루시스템즈(대표이사 최승일)에 감사패를 증정했다.     ㈜이글루시스템즈는 지난 3월 10일 코로나19에 대응한 학교차원의 마스크 구매에 어려움을 알고 미국 거래처를 통해 미국산 마스크를 구매해 교직원의 보건위생과 건강관리를 위하여 마스크를 기증한바 있다.   변상석 경복대 창업보육센터장은 “미국 협력사를 통해 교직원 건강을 염려한 최승일 대표의 마스크 기증에 깊이 감사드린다”며,“앞으로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과 상호 상생협력을 통해 윈윈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글루시스템즈는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스타트업 기업으로 2015년 경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해 센터의 사업화지원과 네트워크 활동 등 밀착된 맞춤형지원으로 성장하고 있는 벤처기업이다.     이글루시스템즈는 2017년 벤처기업인증과 정부지원사업인 한국지식재산보호원의 국제지재권분쟁예방컨설팅 업체에 선정됐고, 2018년에는 수출성공패키지사업에 선정되어 미주지역에 S/W 1만불 수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되어 R&D자금을 유치, 소프트웨어 개발로 국산화 보급률을 높이고 해외로열티를 절감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공로로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상을 수상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51","atchfileNm":"경복대,_코로나19_예방용품_기증한_이글루시스템즈에_감사패.pdf","viewCnt":"2280","regDate":"2020-05-13 17:07:37"},{"contentId":"117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방역의 힘 중소기업 R&D지원으로 시작되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18","contentsKor":"K-방역의 힘 중소기업 R&D지원으로 시작되었다.  - 기정원, 코로나19 체외진단기기 수출기업의 75%가 중기부 R&D지원사업 수행기업임을 밝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 제조 및 수출기업”* 45개社 중 34개社가(75.6%)가 중소벤처기업부 R&D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임을 밝혔다. * (출처)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 제조 및 수출기업 정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산업종합정보시스템(KHIDI), ’20.4.29 기준   ◦ 개발제품은 검체채취키트, PCR장비, 진단시약 등으로 개발업체들은 사스, 메르스 등 감염성 호흡기질환을 경험한 후 중기부 R&D지원을 통해 연구개발에 매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식약처의 긴급사용승인(PCR)을 받은 5개 기업 중 4개 기업(㈜씨젠, 솔젠트㈜, ㈜코젠바이오텍, ㈜바이오세움)이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한 이력이 있으며,   - 검체채취키트를 판매하는 ㈜노블바이오는 ’17년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으로 검체배지의 생산성을 높이는 연구를 성공하여 코로나19로 인한 검체채취키트의 폭발적인 글로벌 수요를 대비할 수 있었다.   ◦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한 체외진단기기 제조·수출기업 34개는 평균 902백만원의 중기부 R&D자금이 지원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감염병에 대비 할 수 있었다.   □ 식약처의 수출용허가를 받은 45개 기업은 유럽과 미국시장 진출을 위해 CE인증, FDA 인증을 승인받거나 승인대기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현재 승인받은 기업은 25개사(CE인증 20개, FDA인증 5개)이며, 이외에도 UN조달기구 공급업체로 등록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K-방역으로 코리아프리미엄을 높이고 있는 진단장비의 75%가 중소기업R&D지원을 통해 선제적으로 개발된 것은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R&D지원 방향이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필요에 부응한 결과라면서   ◦ “앞으로도 예측 불가한 미래에 중소벤처기업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힘을 갖출 수 있도록 R&D지원과 성과확산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50","atchfileNm":"보도자료_K-방역의_힘_중소기업_RD지원으로_시작되었다..hwp","viewCnt":"2645","regDate":"2020-05-13 16:56:02"},{"contentId":"117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특화 AI기반 신기술 R&D에, 500억원 이상 지원...AI 고도화 예타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13","contentsKor":"중소기업 특화 AI기반 신기술 R&D에, 500억원 이상 지원...AI 고도화 예타 추진 정부가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신제품 고도화를 위한 500억원 이상 규모의 대형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한다. 내년부터 시범 사업을 반영하는 동시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늦어도 2022년부터는 본 사업에 착수하는 것이 목표다. AI를 비롯한 4차산업혁명 전략 기술분야에 대한 예산 투입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6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중소기업기술정보원(이하 기정원)은 AI기반 신제품 R&D 고도화 및 예비타당성조사 연구 수행을 위한 사업자 모집에 들어갔다. 기정원은 연구용역을 통해 AI R&D사업 대상 중소기업군의 기업 현황을 조사하고 발굴 기업의 기술수요와 예산 규모를 파악해 예비타당성조사에 대비한다는 계획이다.중기부가 이번 예타를 추진하는 이유는 앞으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AI R&D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서다. 중기부는 올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AI기반 고부가 신제품 기술개발사업 R&D 사업을 총 149억원 규모로 실시하고 있다. 지난 3월 75억원을 투입해 25개 기업을 선정했고, 7월부터 나머지 74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중기부 관계자는 “앞서 중소기업 R&D 지원체계 혁신방안에서 밝힌 대로 AI는 모든 산업과 연결되는 범용기술이고 산업 전반 혁신을 좌우하는 핵심 수단인 만큼 R&D 수요를 충분히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중기부는 이번 용역을 통해 중소기업의 AI기반 신제품 R&D가 시급한 분야와 수요 등을 파악하고 장기 차원에서 정책 지원이 필요한 분야를 파악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AI 관련 핵심기술 보유현황, 기업규모, 수출액 특성 등 수요 중소기업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한 파악도 이뤄질 예정이다.실제 통상 예타 추진 과정에서는 사업 추진에 필요한 예산 규모와 상위 정책과의 연계성, 관련 사업의 차별성·연계·협력 방안 등을 들여다본다. 50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지원에 따른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다.중기부 관계자는 “사업 예산 규모와 범위는 추가 연구를 통해 정하게 될 것”이라면서 “시범사업을 우선 개시한 이후 본 사업을 시작할지 여부 등은 연구 과정에서 조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이번 예타 조사를 시작으로 중기부 차원의 R&D 지원도 대형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중기부는 AI 고도화 예타 외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동으로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 관련 예타를 진행 중이다.중소기업계 관계자는 “그간 중소기업 분야에 대한 정부의 R&D 지원은 소액 살포식으로 이뤄진 경향이 있었다”면서 “중소기업·스타트업 혁신을 위해 필요한 분야를 선정해 집중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44","atchfileNm":"중소기업_특화_AI기반_신기술_RD에,_500억원_이상_지원...AI_고도화_예타_추진.pdf","viewCnt":"3009","regDate":"2020-05-07 10:13:15"},{"contentId":"117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小기업까지 자금지원… R&D기업 최대 5억 1%p 우대금리 대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00","contentsKor":"小기업까지 자금지원… R&D기업 최대 5억 1%p 우대금리 대출 IBK기업은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물론이고 소기업까지 지원하고 있다. 가장 먼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손길을 내밀었다. 중소벤처기업부·신용보증재단중앙회와 업무협약을 통해 초저금리특별대출 간편보증에도 적극 나섰다. 중소기업중앙회를 통해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한 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도 금융권에서 유일하다. 윤종원 행장은 코로나19로 직접적인 어려움을 겪은 거래 중소기업을 방문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도 했다.IBK기업은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물론이고 소기업까지 지원하고 있다. 가장 먼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손길을 내밀었다. 중소벤처기업부·신용보증재단중앙회와 업무협약을 통해 초저금리특별대출 간편보증에도 적극 나섰다. 중소기업중앙회를 통해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한 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도 금융권에서 유일하다. 윤종원 행장은 코로나19로 직접적인 어려움을 겪은 거래 중소기업을 방문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도 했다.기업은행은 올해 중소기업 대출공급 목표를 당초 49조원에서 59조원으로 10조원 확대하고, 소상공인 초저금리 특별대출 지원 한도도 1.2조원에서 5.8조원으로 대폭 증액했다.기업은행은 코로나19 발발 초기인 2월4일부터 피해기업의 금융애로 상담과 해소를 위해 전국 영업점에 '금융애로 상담창구'를 운영했다.2월7일부터는 코로나19로 영업, 매출 등에 피해를 입거나 중국 대상 수출입 지연으로 생산차질, 결제지연 등의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특별지원자금, 대출 만기연장 등 특별금융지원을 실시했다.총 1000억원, 한 기업당 5억원 한도로 피해 기업의 신규 유동성 지원을 위해 신규 특별지원자금을 지원하고 만기가 돌아오는 대출이나 할부금은 상환 없이 연장해줬다. 최대 1.0%포인트 대출금리도 감면했다. 수출입금융 특례운용을 통해 수출환어음 매입대급 입금 지연이자를 감면해주고, 수입신용장 결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게는 이자를 감면해주고 만기도 연장해줬다.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협력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연구개발(R&D) 수행기업에 특별자금을 지원하기도 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추천한 R&D 기업을 대상으로 총 한도 1400억원, 한 기업당 5억원을 1.0%포인트 우대금리로 지원한다. 윤종원 기업은행장은 중소기업의 파트너로서 현장을 직접 방문해 힘을 보탰다.윤종원 행장은 3월17일 시화공단에 있는 금속절삭기계 제조업체 휴텍엔지니어링(대표자 유재규)을 찾았다. 휴텍엔지니어링은 중국이 주요 수출거래국이다 보니 코로나19로 납품대금 결제가 지연되면서 자금 흐름이 원활하지 않았다.기업은행은 일시적인 유동성 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해 특별지원자금 8억원을 지원했다. 덕분에 휴텍엔지니어링은 저금리 특별자금을 지원받아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4월 들어서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신속 지원을 위해 상담 홀짝제, 간편서류 발급 등을 위한 총력 지원 체제를 구축했다.4월2일부터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초저금리특별대출' 신속지원을 위해 '상담 홀짝제', '대상여부 사전확인 비대면 서비스'를 실시했다. '상담 홀짝제'는 대표자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상담·방문일자를 분산하는 2부제다. 기업은행은 대표자의 생년 끝자리가 홀수면 홀수일, 짝수면 짝수일에 방문을 유도해 고객 대기와 혼잡을 줄인다. 또 경영지원 플랫폼 박스(BOX)를 활용해 '대상여부 사전확인 비대면 서비스'를 시행했다. 시행 첫날인 4월1일에만 BOX 대출 대상 조회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이 7700여명에 이를 정도로 영업점 방문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실질적 도움을 제공했다.BOX 비회원, 기업은행 미거래 고객도 간편보증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대출 대상으로 확인되면 필요 서류는 기관 방문 없이 BOX에서 발급 가능하다.4월6일부터는 신속한 금융지원을 위해 15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상담, 서류접수, 현장실사 업무 대항, 보증서 심사·발급, 대출을 은행에서 원스톱으로 진행하는 '초저금리특별대출 간편보증 업무'를 도입했다. 상담 수요 증가로 인한 창구 쏠림을 방지하고 신속한 상담 진행을 위한 지원 제도다.기업은행은 업무협약을 통해 지역신보의 보증서 심사·발급을 대행하고, 고객 제출서류를 최대 10여개에서 4개로 축소한다. 또 현장실사를 생략해 보증서 발급을 위한 프로세스를 간소화한다. 보증업무 위탁에 따른 초기 업무 쏠림에 대비해 신청 예약제를 도입하고, 임금피크 직원 143명을 영업점에 배치하고 본부 직원 368명을 추가 배치해 지원이 절박한 소상공인이 신속하게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보증업무 위탁만이 아니다. 4월말에는 중소기업중앙회와 손잡고 소상공인 금융지원을 위한 협약대출에도 나섰다.기업은행은 4월21일 중소기업중앙회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기업은행은 중소기업중앙회가 위탁한 1000억원을 재원으로 1500억원 규모의 협약대출을 지원한다.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한 소기업·소상공인 중에서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기업을 대상으로 자금을 지원한다. 최대 1억원을 한도로 0.75%포인트 대출금리를 자동감면하고, 거래기여도와 신용등급에 따라 추가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기업은행은 코로나19로 직접적인 어려움을 겪은 대구·경북 지역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금융지원에 나서기도 했다. IBK기업은행은 지난 4월24일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에서 한국가스공사(사장 채희봉)와 '코로나19 극복 및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동반성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기업은행은 한국가스공사가 예탁한 200억원을 재원으로 400억원 규모의 저금리 동반성장 협력대출을 지원한다. 대출대상은 대구·경북 지역에 소재한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이나 일자리 창출 기업이다. 대출한도는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은 최대 2억원, 일자리 창출 기업은 최대 5억원이다. 기업은행은 이들 기업에 0.92%포인트 대출 금리를 자동 감면하고, 거래기여도와 신용등급에 따라 추가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기업은행은 민간 기업과도 협력해 코로나19 극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업무협력에 나서기도 했다. 기업은행은 3월12일 롯데GRS(대표이사 남익우)와 '코로나19 극복 및 일자리창출을 위한 동반성장 협력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롯데GRS는 기업은행에 100억원을 무이자 예탁하고, 기업은행은 이를 재원으로 100억 규모의 저금리 '동반성장협력대출'을 지원하는 방식이다.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롯데GRS 가맹점 소상공인과 중소·중견기업에 자금을 지원했다. 대출기업은 대출금리 1.75%포인트를 자동 감면받고, 신용도에 따라 최대 3.15%포인트를 감면받을 수 있다. 앞서 2월에는 예금보험공사와 업무협약을 맺고 코로나19 피해기업 지원과 동반성장 지원에 나섰다.금융지원 외에 임대료 인하, 생활치료센터로 연수원 제공, 소상공인 방역용품 제공, 피해기업 등 근로자 자녀 장학금 수여 등 상생을 위한 비금융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2월23일부터 '착한 임대인 운동'에 동참해 기업은행이 보유한 건물의 임대료를 6개월간 30%(대구·경북지역 50%) 인하하고 있다.3월4일에는 전국 영업점을 통해 코로나 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중소기업에 손세정제·살균소독제를 무료로 제공했다. 총 지원량은 손세정제, 살균소독제 약 6만 4300개(4.7억원)다. 피해가 심각한 대구·경북 지역에는 약 9000개를 배부했다.졸업· 입학식 축소로 어려움을 겪은 화원과 화훼농가를 돕기 위한 '꽃 드림(Dream) 행사'를 통해 화훼농가, 화원에서 꽃, 화분 2억원어치를 구입해 전국 영업점을 통해 고객에게 증정했다. 또 기업은행에서 사용하는 고객용 사은품, 사무용품 등의 구매 시기를 앞당겨 올 2분기 이후 집행 예정인 구매 예산을 3월부터 조기 집행했다. 고객용 사은품은 소상공인을 통해 판매 중인 중소기업 제품만 구입하기도 했다.또한 IBK연수원을 생활치료센터 및 해외입국자 임시격리시설로 제공했다.어려운 형편에도 학업성적이 우수한 중소기업 근로자 자녀 402명에게는 장학금(9억원)도 전달했다. 특히 올 상반기엔 대구·경북 지역을 포함해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국 영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근로자 자녀를 우선 선발했다. 기업은행은 지난 2006년 이후 '중소기업 근로자 가족 장학금 지원을 통한 미래인재 양성'을 목표로 총 8500여명에게 145억원의 장학금을 후원했다. 장학생으로 선발된 대학생들은 소외계층 아동들에게 학습지도 봉사활동을 하는 'IBK멘토링'에도 참여한다. 장학금을 받은 학생들이 혜택을 받은 것에 그치지 않고 기부 릴레이에 참여하는 것이다. 기업은행은 IBK행복나눔재단을 통해 희귀·난치성 질환자 2500여명에게 112억원의 치료비를 후원하는 등 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이 외에도 기업은행은 코로나19 발생 초기인 2월5일 IBK중국법인을 통해 중국 우한적십자회에 200만 위안을 기부하고, 국내 지방자치단체에 이재민용 구호키트 400개를 지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25","atchfileNm":"小기업까지_자금지원…_RD기업_최대_5억_1%p_우대금리_대출.pdf","viewCnt":"2793","regDate":"2020-05-06 10:28:59"},{"contentId":"116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조혁신 나선 中企]②'제조업 4강' 보급보다 고도화로 달성해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99","contentsKor":"[제조혁신 나선 中企]②'제조업 4강' 보급보다 고도화로 달성해야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모든 공정과정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수집·활용해 생산성 향상과 불량률 감소를 이뤘습니다. 그 덕분에 이전에 망설였던 알리바바 입점 기회도 다시 잡았습니다.”강원도 춘천시에 있는 침구 제조업체 도아드림. 이 회사는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 삼성전자가 지원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가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시작했다. 약 1억원을 들여 자동화 설비와 MES(제조실행시스템) 등을 도입하자 제품 불량률이 4.5%에서 0.7%로 개선됐다. 제조 리드타임(발주부터 납품까지 시간)은 38시간에서 35시간으로 줄었다. 이를 바탕으로 올 초 도아드림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 입점에도 성공했다. 현재는 미국 진출도 준비하고 있다. 전영환 도아드림 대표는 “중소기업에게 스마트공장 구축 비용은 당장 부담이겠지만, 그럴수록 멀리 봐야 한다”며 “향후 SCM(공급망관리) 도입 등 스마트공장 수준을 고도화할 준비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2030년까지 제조업 4대 강국 진입”정부의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에 힘입어 국내 중소기업들의 ‘스마트화’가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보급률 100%를 달성하고 제조업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8년 12월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을 발표했다. 2022년까지 국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도입을 기존 2만 개에서 3만 개로 늘리고, 스마트공장 전문 인력 10만 명을 육성하기로 했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세계 국가들이 벌이고 있는 제조업 혁신 경쟁의 열쇠는 스마트공장”이라며 “제조혁신의 관건은 중소기업”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6월에는 2030년까지 ‘제조업 4대 강국’ 달성을 목표로 하는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도 내놨다.   주무 부처인 중기부는 안정적인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을 위한 조직 개편에 착수했다. 지난해 7월 산하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을 통합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을 발족했다. 지난 1월에는 중기부 차관 직속으로 ‘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을 설치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도입 사업에 필요한 예산과 기획 업무를 담당하는 ‘컨트롤타워’도 역할을 맡겼다. 지속적인 정책 추진을 위해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연구용역도 발주, 법제화도 추진 중이다. 정부의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은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중기부 조사에 따르면 정부 지원 사업으로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의 평균 생산성은 약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생산 원가는 15.9% 감소했고, 납기 준수율은 15.5% 늘었다. 기업당 고용도 평균 3명이 증가했고, 산업 재해는 17.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 中企 스마트공장 초기 단계…고도화·전문화 필요다만 문제는 여전히 국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정부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한 3611개 중소·중견기업의 평균 스마트공장 수준은 전체 5단계에서 평균 1.21단계로 나타났다. 이 단계에서는 실시간으로 생산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제조데이터를 분석, 불량률을 낮추거나 납기 시간을 줄이는 등 생산 효율화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품 기술력 향상이나 품목 다변화, 수요 맞춤형 유연 생산 방식으로의 진전은 어렵다. 즉, ‘제품 기획부터 생산, 판매까지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첨단 지능형 공장’이라는 본래 스마트공장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는 뜻이다.한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대표는 “제조데이터를 생성하고 분석, 활용해 공장을 시장의 요구에 맞춰 최적화하는 것이 진정한 스마트공장의 개념”이라며 “국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은 생산량을 늘리고 불량률을 낮추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스마트공장 성과를 좌우하는 제조데이터 신뢰도 역시 매우 낮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스마트공장 구축에 드는 비용도 영세 중소기업에게는 부담이다. 중기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비용은 평균 1억5100만원으로 나타났다. 현재 정부는 스마트공장 구축 비용 50%를 최대 1억원(고도화 1억5000만원) 한도로 지원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중소기업들은 투자 비용을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84.4%는 스마트공장 도입 의사가 있다고 답했으나, 이 중 77.8%는 ‘시설투자 비용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사업 예산을 확대하고, 고도화를 위한 유인책 및 인프라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지적한다.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에 연구개발(R&D)이나 마케팅, 판로 지원책을 연계하고, PLM(제품수명주기관리)·SCM(공급망관리) 등 보다 고도화한 솔루션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스마트공장 제조데이터 수집·활용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데이터센터 및 플랫폼 구축도 시급한 과제다. 박정수 성균관대 스마트팩토리 융합학과 겸임교수는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이 1만개 이상 보급되면서 제조업 혁신을 위한 기초는 마련했다고 본다”면서도 “스마트공장을 통해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이라는 산업 구조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업종별 전문화, 고도화에 초점을 맞춘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24","atchfileNm":"제조혁신_나선_中企②제조업_4강_보급보다_고도화로_달성해야.pdf","viewCnt":"3454","regDate":"2020-05-06 10:08:05"},{"contentId":"116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망 기술벤처가 이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98","contentsKor":"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망 기술벤처가 이끈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5.4(月) 오후 2시, 팁스타운(서울 역삼동 소재)에서 중소벤처 대표들을 만나 코로나 이후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른 중소벤처의 역할과 대응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애로사항을 청취하였다.   이 자리에는 그간 중기부 R&D를 통해 기술역량을 축적한 유망 중소벤처기업으로, 코로나 위기극복에 앞장서고 있는 방역・진단분야 5개사와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선도할 언택트분야 3개사가 참석하였다. :   간담회는 바이오 진단분야 전문가인 ㈜진매트릭스 김수옥대표가 “POST 코로나 전망과 중소벤처의 대응방향” 발제 후, 성과 공유 및 제품 시연, 애로사항 청취 해소방안 논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축적된 기술력으로 신속한 대응을 통해 방역물품분야에서 코로나 위기 극복을 주도하고 있는 유망 중소벤처들이 함께 했다. 세계적으로 공급이 부족한 인공호흡기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개발 생산하며 20년간 외길을 걸어 온 ㈜멕아이씨에스 김종철 대표는 故이민화 회장이 창업한 ㈜메디슨에서 연구수석을 역임한 의료기기 개발통이다.   지난달 미국 FDA의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으며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외국 정부와 수백억원 규모의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등 그간 연구로 축적된 기술력을 전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또,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개발에 착수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음압캐리어의 국산화에 성공한 ㈜웃샘 이명식 대표는 최근 지자체, 소방방재청, 일선 보건소에 음압캐리어 500여대를 공급하는 등 전략물자로서 방역물품 개발 생산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정확도가 높은 디지털 기반 바이러스 정량검출기(리얼타임 PCR)를 개발하여 유럽 인증(CE-IVD)을 획득한 ㈜옵토레인 이도영 대표, 플라즈마 바이오 살균기를 개발하여 의료기관과 구급차량에 공급한 ㈜다우코리아 배준형 대표, 대기업에서의 백신개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 백신 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인테라 최덕영 대표가 참석하여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였다.     또한 코로나로 인한 사회환경 변화의 급랑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가고 있는 언택트분야 유망 중소벤처들도 함께 했다.   ㈜링크플로우 김용국 대표는 360도 VR 전송이 가능한 웨어러블 카메라를 개발하여 중국 우한의 코로나 병상에서 의료진이 원격환자 회진에 사용하여 비대면 솔루션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살린 김재현 대표는 VR을 이용한 교육용 증강현실 플랫폼을 개발하여 일본 소프트뱅크의 Innovation Program VR 부분에 선정되었다. 테크하임㈜ 이원용 대표는 진단장치로 촬영한 영상을 디지털로 전송하여 원거리에서 신속하게 판독·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전국 의료기관에 공급 중이다.   한편 참석자들은 이 자리에서 기술개발 제품에 대한 설명과 함께 직접 시연*을 해보면서 제품의 기술 및 성과를 확인하였다. :   * ㈜멕아이씨에스 (인공호흡기), ㈜링크플로우 (360도 VR카메라), ㈜살린 (VR가상 강의실), ㈜웃샘 (음압 캐리어), ㈜옵토레인 (코로나 진단기기), ㈜다우코리아 (플라즈마살균기)   이어, 참여기업 대표들은 중소벤처 혁신제품이 사업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후속 R&D, 스마트공장, 양산자금, 수출 등* 정책 지원과 질병관리본부 등 공공부문의 적극적 비축 및 제품 구매를 요청하였다.   * 일선 교육현장에서 비대면방식을 실제 교과과정에 적용하는 시범 서비스 추진   박영선 장관은 “금년부터 중기부는 기술개발 우수제품을 혁신제품으로 지정하여 공공기관이 수의계약하는 제도를 시행 중이며, K바이오, 브랜드-K 등을 적극 활용해 국내외 마케팅을 대폭 강화하는 등, 유망한 R&D기업이 스케일업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며,   “코로나 위기로 인한 디지털경제로의 급격한 변화는 도전정신과 신속한 적응력을 DNA로 탑재한 우리 중소벤처들이 글로벌 주인공으로 도약하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23","atchfileNm":"20200504_141951.jpg","viewCnt":"3729","regDate":"2020-05-04 15:47:34"},{"contentId":"116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11개 산하기관과 836개 음식점에 2억 5000만 원 선결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96","contentsKor":"중기부, 11개 산하기관과 836개 음식점에 2억 5000만 원 선결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도움이 되고자 진행하고 있는 ‘착한 선결제 대국민 캠페인’이 민간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선결제 캠페인에 국민·신한은행 등 시중은행에서도 참여가 확산되고 있으며, 영화배우 안성기·유준상에 이어 개그맨 조문식 등 연예인들도 다수 참여하고 있고, 공무원 노조와 업무협약을 통해 공무원 사회에서도 선결제 참여확산을 촉진하고 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 지원 주무부처로서 정부부처 최초로 적극행정위원회를 통해 결제방법 및 이용방식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했고 산하 공공기관과 함께 836개 식당에 약 2억5,000만원의 선결제를 완료했다.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진흥원, (재)중소기업연구원, 신용보증재단중앙회, 한국벤처투자㈜, ㈜중소기업유통센터, ㈜공영홈쇼핑,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함께 참여했다.박영선 장관은 “선결제가 민간에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세제지원과 경품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고, 다양한 온오프라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 하겠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19","atchfileNm":"중기부,_11개_산하기관과_836개_음식점에_2억_5000만_원_선결제.pdf","viewCnt":"2866","regDate":"2020-05-04 11:31:26"},{"contentId":"116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로 개발·판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81","contentsKor":"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로 개발·판로 지원   대전·세종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수요처의 구매 수요가 있는 구매연계형 R&D와 투자기업의 구매 수요가 있는 공동투자형 R&D를 지원하는 ‘2020년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내달 4일까지 신청받는다고 26일 밝혔다.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국내·대·중견기업, 공공수요처(정부·지자체·공공기관) 등의 구매 수요가 있는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기술개발 성공 후 조기에 기업 매출이 실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번 사업의 ‘구매연계형’은 중소기업이 자체 아이디어와 기술개발을 수요처에 제안해 ‘구매동의서’ 또는 ‘구매계약서’를 받아야 과제 신청이 가능하며 지원 규모는 567억 원으로 총 사업비의 65% 한도 내에서 최대 2년, 5억 원(연 2.5억 원) 이내로 지원된다.공동투자형’도 중소기업이 투자기업에 과제를 제안해 ‘투자동의서’를 받아야 과제 신청이 가능하며, 지원 규모 297억 원으로 총 사업비의 65% 한도 내에서 최대 3년, 12억 원 이내로 지원한다.자세한 내용은 사업 공고문과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종합통합콜센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업협력기술평가실)에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01","atchfileNm":"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로_개발·판로_지원.pdf","viewCnt":"3762","regDate":"2020-04-26 15:03:30"},{"contentId":"116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대전·세종중기청, 코로나19 대비 중소기업 R&D 부담금 완화 특별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82","contentsKor":"대전·세종중기청, 코로나19 대비 중소기업 R&D 부담금 완화 특별지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중소벤처기업의 R&D 어려움을 경감하고 기술개발을 지속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합동 지원방안 마련으로 중소기업 R&D사업 특별지침을 제정했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 R&D사업 특별지침(중기부고시 제2020-38호)   이번 대책은 코로나19로 인한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에서 기업이 안정적으로 연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금년도 중기부 R&D 신규과제를 수행하는 중소벤처기업 또는 계속과제 중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까지 민간부담금 납부 의무가 발생하는 R&D 과제를 수행하는 중소벤처기업이 적용 대상이다. 지원내용에는 중기부R&D에 참여하는 기업이 부담해야 하는 연구비 민간 부담금 비율을 축소하고, 민간부담금 중 현금비중도 대폭 완화한다. * 총 사업비중 민간부담금 비중 : 35%→20%, 민간부담금 중 현금비중 : 60%→10% R&D사업 중 창업 7년 이하의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R&D,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위한 생활혁신형 기술개발사업의 경우 민간부담금 비중을 10%까지 추가 완화한다. 현재 신규채용 외 기존인력 인건비는 기업부담(현물) 원칙이나, 기존 연구인력 인건비도 정부지원금 사용을 허용했다. 중소기업 R&D지원 사업으로 매출이 발생할 경우 납부하는 정부납부기술료의 납부기간을 최대 2년간까지 유예한다. R&D사업의 출연금 지급시기를 당겨서 R&D 자금을 최대 3개월까지 조기 집행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신규과제에 대해 정부출연금을 협약 즉시 선지급(최대 50%)하고, 계속과제에 대해서도 진도점검 전이라도 출연금 조속 지급 민간 부담 경감 대상기업에 대해서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별도 안내가 진행되고 있으며,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신청절차 및 상세한 내용에 대해 문의가 가능하다. 대전·세종중기청 유환철 청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R&D를 수행하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급격한 매출감소 등 경영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히며, 이번 특별지침에 따라 즉시 R&D참여기업들이 지원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02","atchfileNm":"대전·세종중기청,_코로나19_대비_중소기업_RD_부담금_완화_특별지원.pdf","viewCnt":"3904","regDate":"2020-04-24 15:06:36"},{"contentId":"116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사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84","contentsKor":"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러시아의 원천‧혁신기술과 우리나라의 ICT‧생산기술을 결합해 후속 상용화 제품 및 해외 신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이 사업은 러시아 수요‧공급기관과 공동으로 연구하는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이 아닌, 주관기관이 러시아로부터 기술 도입 후 후속 기술개발을 하거나, 러시아 수요기술에 대한 맞춤형 기술개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내 중소기업 주도의 기술개발 사업이다. 사업은 최대 2년 이내로 진행되며 총 사업비는 정부출연금 65% 이내, 민간부담금 35% 이상으로 구성된다.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은 6월 24일까지 온라인(www.smtech.go.kr)으로 접수하면 된다.   문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전화 : 042-388-0171 메일 : global@tipa.or.kr 홈페이지 : www.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05","atchfileNm":"해외원천기술상용화기술개발사업.pdf","viewCnt":"3590","regDate":"2020-04-23 15:12:19"},{"contentId":"116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시각장애인의 민원 정보 이용 실태와 요구 조사 발표.. 전자점자 솔루션 필요성 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83","contentsKor":"시각장애인의 민원 정보 이용 실태와 요구 조사 발표.. 전자점자 솔루션 필요성 커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21권 제1호에 순천향대학교 박순희 교수와 김정훈(박사과정) 연구원의 논문이 게재됐다. 해당 논문은 <시각장애인의 민원 정보 이용 실태와 요구 조사>를 주제로 실시한 조사지의 문항별 기술통계를 분석한 내용이다. 시청각장애인이 공공기관에서 민원문서를 발급 받을 시 접근성이 떨어지고 개인정보 노출의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장애인차별금지및권리보장에 관한 법률을 보면, 장애인의 정보접근과 의사소통을 위한 정당한 편의제공 수단 중 하나로 점자가 명시되어 있다. 또 장애인이 요구할 경우 모든 법인이 그 편의수단을 제공토록 해야 한다. 또한 점자법에서는 ‘공공기관 등은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사용하여 모든 정보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책을 수립 및 시행하여야 하고, 시각장애인이 요구하는 경우 일반 활자 문서를 동일한 내용의 점자(전자점자) 문서로 제공하여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시각장애인의 민원 정보 이용 실태와 요구 조사>의 상세 내용을 보면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민원 문서로 가장 많은 것은 은행 통장 내역?거래 내역서와 장애인증명서?주민등록 등초본?납세증명원 등 민원24 증명서(89명, 7.3%)였으며 ▲발급된 문서의 정보접근과 처리 방법으로 ‘가족이나 친지를 통한 대독’이 절반 이상(73명, 54.5%)을 차지하였다.▲‘타인 대독 시 개인정보 누출에 대한 염려가 되지만 어쩔 수 없다’라는 대답은 87명(80.6%)에 이르렀고 ▲이 중 실제로 ‘개인정보 누출로 인한 피해의 경험이 있다’고 28명(25.9%)이 답하였다. 이에 대해 순천향대학교 박순희 교수는 “중증시각장애인, 시청각장애인이 민원문서 발급 시 가족이나 친지의 음성을 통해 문서의 정보를 접근하고 처리하는 비중이 높았다. 개인정보 누출 및 사생활 노출이 생길 수 있는 것”이라면서 “전자적 형태의 발급과 제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시각장애인 스스로 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자점자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보 접근 시 활용하는 매체로는 음성(69명, 63.9%), 점자(20명, 18.5%), 화면 확대(18명, 16.7%)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점자 활용 가능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가능하다’는 답이 92명(85.2%), ‘불가능하다’는 답이 16명(14,8%)으로 대부분 점자 활용이 가능했고 ▲‘점자정보단말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비중은 70명(64.8%)에 이르러 중증시각장애인의 점자와 점자정보단말기 활용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공기관 등에 점자 자료 요청을 한 적 있는 사람은 87명(80.6%)이었고 ▲전자점자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92명(85.2%)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 전자점자로 제공된다면 배울 의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64명(59.3%)이 긍정 답변했다. 연구의 주저자인 김정훈(순천향대학교 박사과정)은 “편리한 민원 해결 및 개인정보 누출 방지를 위해 기관의 전자점자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며, 새로운 전자점자 솔루션에 대한 기대감도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설명하면서 “다만 시각장애인들이 전자점자 솔루션에 대해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에 대한 요구도 많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 민원문서의 정보를 실시간 점자로 변환해주는 솔루션이 없었던 탓에 민원문서가 점자로 제공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던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자점자가 제공된다면 점자를 배울 의사가 있다는 답변이 많았는데, 문서를 정확히 읽고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자점자 사용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전자점자는 점자정보단말기에 저장하고 검색하여 다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민원문서 전자점자 생성 솔루션 ‘이닷익스프레스’ 등이 개발되어 이 같은 문제의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각장애인의 민원 정보 이용 실태와 요구 조사> 역시 이닷익스프레스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닷익스프레스는 2019년 중소벤처기업부 청년창업사관학교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에이티소프트가 ㈜엠투소프트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한 것으로, 제7회 공공데이터활용 창업경진대회 대통령상을 수상한 바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04","atchfileNm":"시각장애인의_민원_정보_이용_실태와_요구_조사_발표.._전자점자_솔루션_필요성_커.pdf","viewCnt":"3250","regDate":"2020-04-23 15:10:31"},{"contentId":"116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I 신제품 · 빅데이터 서비스 R&D 신청 열기 후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68","contentsKor":"AI 신제품 · 빅데이터 서비스 R&D 신청 열기 후끈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올해 신규로 도입한 ‘AI기반 고부가 신제품 R&D사업’(이하 AI 신제품 개발사업)과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개발 R&D사업‘(이하 빅데이터 서비스 개발사업)의 4월 10일까지 접수 결과 각각 경쟁률이 12:1과 10:1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두 사업은 중기부가 올해 역점 추진 중인 ‘스마트 대한민국 구현’을 위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DNA(데이터, 네트워크, AI)분야 기술개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새롭게 선보인 사업이다.   ‘AI 신제품 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이 생산하고 있는 기존 제품에 AI 기술을 적용해 기존 제품과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신제품으로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고 ‘빅데이터 서비스 사업’은 중소기업이 민간과 공공의 다양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새롭게 도입된 두 사업의 경쟁률은 ’19년도 중기부 R&D사업 평균 경쟁률인 4.4:1과 비교해 볼 때 2배가 훌쩍 뛰어 넘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코로나19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신청 열기가 뜨거웠던 걸로 나타났다.   또한, 접수된 과제 중에는 ‘미세먼지 등 환경개선 과제’, ‘인공지능 로봇 개발’, ‘질병을 예측하고 진단하는 과제’, ‘언택트(비대면) 서비스 과제’ 등의 신청과제가 접수돼 코로나19 이후 펼쳐질 경제 변화에 중소기업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기부도 이들 사업을 통해 개발된 과제가 국민이 실생활에서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국민 눈높이가 반영된 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R&D 국민평가단’ 제도를 도입해 전문가 평가와 함께 ‘국민평가단’이 평가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신청 과제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게 할 계획이다.   한편, 중기부는 지난 8일에 발표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정부R&D 기업부담 경감조치’에 따라,   두 사업에 대해도 기업부담금을 30%에서 20%로 인하하고 기업부담금 중 현금비중을 40%에서 10%로 대폭 하향하기로 해 중소기업의 부담이 크게 줄여질 것으로 기대된다.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상을 비롯한 직장생활의 변화가 이미 시작되었고 AI·빅데이터 산업을 활성화하는 계기로 작용했다”며,   “AI·빅데이터 기반 R&D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 수준이 높아지고 국민이 직면한 사회문제들이 많이 해결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I 신제품 개발사업’은 올해 하반기에도 과제를 접수할 예정이며, 두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87","atchfileNm":"200420_AI_신제품_및_빅데이터_서비스_RD_사업_신청_결과(기술정책과).hwp","viewCnt":"4054","regDate":"2020-04-20 15:09:47"},{"contentId":"116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충북중기청, 5월 4일까지 혁신형R&D 과제 추가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86","contentsKor":"충북중기청, 5월 4일까지 혁신형R&D 과제 추가모집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오는 5월 4일까지 공정·품질개선 기술개발사업 혁신형R&D 지원과제를 추가로 모집한다고 밝혔다.혁신형 R&D는 총사업비 중 최대 65%(2억 원 한도)를 2년간 정부출연금의 형태로 스마트공장의 공정개선을 위해 지원하는 사업이다.스마트공장을 구축했거나 스마트공장 수준확인서를 보유한 기업이라면 최대 2억 원을 지원받아 획기적인 공정개선을 진행할 수 있다.상반기 추가모집 공고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신청 접수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042-388-0763)에 문의하면 된다.박선국 충북중기청장은 "코로나19로 얼어붙은 중소기업 현장이 중소벤처기업부의 R&D 사업으로써 조금이나마 해소되기를 희망한다"며 "충북 지역 중소기업의 많은 관심과 신청을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06","atchfileNm":"충북중기청,_5월_4일까지_혁신형RD_과제_추가모집.pdf","viewCnt":"3022","regDate":"2020-04-19 15:16:02"},{"contentId":"116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 농가 위한 착한 소비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67","contentsKor":"기정원, 지역 농가 위한 착한 소비활동 나서   - 지역농산물 구매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소외계층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이 4월 17일(금), 지역 농산물 소비 촉진 활동으로 다시 한 번 지역사회의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나섰다고 밝혔다.   □ 이번 활동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대책의 일환으로 어린이집과 사립 유치원의 휴원이 연장됨에 따라 납품이 불가능해진 지역 농가들의 농산물을 구매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 해당 농산물은 패키지 형태로, 대전지역 농가에서 재배된 오이, 쌈채소, 버섯, 아욱, 딸기로 구성되었다.   □ 또한, 기정원은 구매한 농산물 꾸러미 100개를 유성구 노인복지관에 전달하여, 독거 어르신들에게 원활한 도시락 공급이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했다.   ◦ 이 날 전달식에 함께 한 유성구 노인복지관 관계자는 “지역 복지관의 휴관도 길어짐에 따라 지역 어르신들의 식사 문제가 큰 걱정거리”라며, “보내주신 마음이 어르신들께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지난 3월부터 소상공인 마스크 기부, 대구지역 구호물자 지원과 노사공동 성금 전달 등 코로나19의 조기 극복을 위한 나눔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8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_농가_위한_착한_소비활동_나서.hwp","viewCnt":"3240","regDate":"2020-04-17 15:08:30"},{"contentId":"116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 분야별 책임자가 전주기 관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42","contentsKor":"중소기업 R&D, 분야별 책임자가 전주기 관리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사업의 전략성을 강화하기 위해 분야별 프로젝트매니저(PM:Project Manager)을 4월 10일(금) 공모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R&D 분야에 특화된 PM 도입은 최초이며, 선발된 PM은 기업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전략 수립 및 신기술의 출현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기술 기반의 사업관리 기능을 보강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   이번에 신규로 채용하려는 PM은 크게 기업성장, 상생협력, 기술기획 3개 유형의 7개 분야로 구분된다.   우선, 기업성장 유형은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투자 중소기업의 스케일업을 지원하고 투자연계 및 글로벌 진출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생협력 유형은 기업 간, 산학연 간 협력을 위한 상생협력 프로그램 및 기술협력 플랫폼을 기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기술기획 유형는 혁신서비스,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 전자부품장비, 화학전자소재 등 총 5개 기술 분야별 중소기업에 적합한 신산업 및 고부가가치 분야에 대한 R&D 사업기획을 담당한다.   그간 과기부, 산업부 등에서 기술분야에 국한해 민간전문가 제도를 운영 중인 것과 달리 이번에 모집하는 중소기업 R&D PM은 ‘기업’과 ‘기술’을 아울러 창업-중소-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기업생태계 관점에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차별화 된 점이다.   기정원은 이번에 선발된 PM을 원장 직속 조직으로 별도 운영해 중기부-기정원-PM간 유기적이고 즉각적인 정책대응 및 사업기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원서 접수는 4월 17일부터 4월 24일까지이며, 서류전형과 면접전형을 통해 직무수행계획, 조직적응력, 의사소통능력, 전문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여 최종 선발한다. 채용일정, 입사지원서 양식 등 상세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59","atchfileNm":"중소기업_RD,_분야별_책임자가_전주기_관리.hwp","viewCnt":"3771","regDate":"2020-04-13 15:16:37"},{"contentId":"116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19년도 공공기관 통합공시 우수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4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19년도 공공기관 통합공시 우수기관 선정  - 3년 연속 벌점 감소를 통한 무결점 공시 이뤄내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이 기획재정부에서 실시한 2019년도 공공기관 통합공시 점검 결과 우수공시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 경영정보 통합공시는 공공기관의 경영정보를 국민들에게 공개하고 이를 통해 투명성 있고 신뢰성 높은 공공운영을 지속하도록 하는 제도로써, 매년 상ㆍ하반기 2회에 나누어 각 기관이 얼마나 투명하고 성실하게 정보를 공시하는지 점검하고 있다.   ○ 이번 점검은 총 331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이 중 22개 기관이 우수공시기관으로 선정되었다.   □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 중 유일하게 2019년도에 무결점 공시를 이뤄내 우수공시기관으로 선정되었다.   ○ 이재홍 원장은 “통합공시를 통해 국민들이 공공기관을 알아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정원은 앞으로도 투명하고 정확한 경영정보 제공을 통해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5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9년도_공공기관_통합공시_우수기관_선정.hwp","viewCnt":"3537","regDate":"2020-04-03 15:10:11"},{"contentId":"11623","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4차 산업혁명을 이끌 미래성장동력, 의료기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623","contentsKor":"  ","viewCnt":"639","regDate":"2020-04-01 09:14:37"},{"contentId":"116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희망 나눔활동 이어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08","contentsKor":"기정원,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희망 나눔활동 이어가  - 마스크·구호물품 이어 노사공동 성금 기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3월 31일(화),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된 지역사회의 어려움을 나누고, 조기 극복을 지원하기 위한 노사공동 성금 전달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 기정원 임직원 및 노조원들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역사회의 위기가 지속됨에 따라 자발적으로 성금 모금에 나섰으며, 이번 활동으로 인해 총 6,570,000원의 성금이 모금되었다. 기정원 노동조합에서는 노동조합비 한 달치 금액 전액을 기부하였으며, 이재홍 원장과 부설기관(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박한구 단장(임원급) 역시 4개월간 각각 급여의 30%, 10%를 지역사회 어려운 이웃을 위해 기탁하기로 했다.   ◦ 이번 모금활동에 참여한 노조원은 “모두가 어렵고 힘든 때에 나눌 수 있어 다행이다. 작은 희망들이 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발판이 되길 희망한다”며 소감을 전했다.   □ 기정원의 원장, 임원 및 노사 공동 성금은 코로나19 피해 극복을 위해 지역소외계층 지원 및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사용될 예정이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활동에 앞서 지난 3월 13일 대전 한민시장에 마스크 1,550장, 대구 의료시설과 생활치료시설에 구호물품을 전달하는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나눔 활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 이재홍 원장은“주변 이웃을 위해 기꺼이 마음을 나눈 노동조합과 직원들 모두 감사드리고, 어려운 이웃이 하루 빨리 일상을 회복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0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코로나19_극복을_위한_희망_나눔활동_이어가.hwp","viewCnt":"4193","regDate":"2020-03-31 11:09:43"},{"contentId":"116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1만2660개 중소기업의 제조 공장 스마트화 선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04","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02","atchfileNm":"★최종파일_v1.jpg","viewCnt":"4042","regDate":"2020-03-30 14:38:55"},{"contentId":"116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 R&D 애로 맡기세요"…기정원 '기술혁신센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43","contentsKor":""中企 R&D 애로 맡기세요"…기정원 '기술혁신센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이 운영하는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가 연구개발(R&D) 기술협력과 현장애로를 해소하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중소기업을 위한 상시 기술상담 체계 구축과 기술교류 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26일 기정원에 따르면 기술혁신센터 개소 이후 지난해까지 중소기업 기술상담건수는 1726건(3년 누계)으로 집계됐다. 개소 첫 해인 2017년 310건에서 2018년 642건, 지난해 774건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기술상담은 기술전문가와 기업의 기술적 애로 및 사업화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면서 해답을 찾는 역할을 한다. 기술혁신센터는 2017년 1월 경기 성남 삼평동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내에 문을 열었다.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 간의 교류 협력 인프라를 조성해 연구개발(R&D) 및 인적교류 기반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었다. 그동안 기술혁신센터의 교육·세미나, 기술마켓, 기술교류회, 기술커뮤니티 등 프로그램 운영 횟수는 135회로 총 6384명이 참석했다. 기술혁신센터 기술교류 관련 프로그램 운영 횟수와 참석자 수는 2017년 45회·1914명, 2018년 29회·1490명, 지난해 61회·2980명으로 늘고 있다. 참석자들은 기술 및 사업분야에 대한 세미나를 통해 사업아이템 발굴 기회를 제공받고 있다. 또 기술마켓을 통해 대학·연구기관·기업의 보유기술 소개와 상담을 통해 기술거래에 참여했다. 기정원은 기술혁신센터 프로그램을 통해 발굴·기획된 산학연 우수과제에 대해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등 R&D 지원을 연계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기술혁신센터 추천과제 중 협약이 완료돼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은 건수는 총 63건이다. 지난해는 R&D 사업 연계를 통해 총 18개 과제, R&D 협약금액으로 18억2000만원의 지원 성과를 냈다. 이러한 성과 속에 '멤버십기업' 신청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기술혁신센터 멤버십기업 수는 2017년 874개, 2018년 989개, 지난해 1165개로 해마다 늘어 누적 3028개가 참여했다. 멤버십기업에 가입한 중소기업은 기술혁신센터가 운영하는 교육과 세미나 R&D 멘토링 캠프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우선 참여할 수 있는 지원 혜택을 받는다. 기정원은 앞으로도 기술혁신센터를 통해 중소기업 기술애로 해소 지원과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협력기반 구축과 지원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기정원은 올해 대학과 공공기관, 공공연구기관 등 25개 협력기관과 기술혁신센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기관들은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및 기술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포괄적 협력관계를 2년간 구축한다. 이재홍 기정원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벤처기업의 신산업 창출을 중점 지원하는 전문기관이 되도록 정책 현안 대응 및 전략 기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협력기관들과의 기술이전, 기술애로 상담, 협력 R&D 발굴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60","atchfileNm":"中企_RD_애로_맡기세요…기정원_기술혁신센터.pdf","viewCnt":"3528","regDate":"2020-03-26 15:24:14"},{"contentId":"115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코로나19 극복 위한 희망나눔활동 전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598","contentsKor":"기정원, 코로나19 극복 위한 희망나눔활동 전개   - 대전지역 소상공인에 마크스, 대구지역에 구호물품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3월 12일(목),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지역사회를 지원하기 위한 나눔활동에 나섰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최근 모든 대면평가를 온라인평가로 전환함에 따라 코로나 초기 중소기업 평가 대응을 위해 구비한 마스크 1,500개를 마스크 품귀현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전 한민시장에 전달했다.   ◦ 한민시장 관계자는“한민시장에서 근무하는 상인이 400여 명에 달하는데, 확보한 마스크는 100여 장에 불과했다”며, “힘들고 어려운 시기에 보태어 준 따뜻한 마음이 코로나19를 극복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과 실무자는 침체된 지역경제에 보탬이 되고자 이 날 한민시장에서 대구지역에 전달할 긴급구호물품을 직접 구매하기도 했다.   ◦ 구호물품은 대구지역 의료진에 전달될 생활필수품과 자가 격리 중인 생활치료가정에 전달될 즉석밥, 라면 등 장기보존식품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대한적십자사 대구지사를 통해 필요 시설에 전달될 예정이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구호물품 전달 후“그 어느 때보다 공공기관의 선제적 나눔 문화가 실천되어야 하는 때”라며, “지역 현안을 함께 해결하는 상생협력에 더욱 더 동참하겠다”고 소회를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289","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코로나19_극복을_위한_희망나눔활동_전개.hwp","viewCnt":"4185","regDate":"2020-03-25 13:28:36"},{"contentId":"115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5개 협력기관과 함께 중소기업기술경쟁력 강화에 앞장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597","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5개 협력기관과 함께 중소기업기술경쟁력 강화에 앞장서  -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와 25개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과 대학· 및 연구기관간 기술교류 협력체 구축을 위해 25개 협력기관과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업무협약(MOU)을 3월 20일(금) 체결한다.   <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협력기관 명단 > - 대학(8개) : 국민대학교, 가천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명지대학교, 경기대학교, 강남대학교   - 공공연구기관(14개)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핵융합연구소,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광기술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 공공기관(3개) : 한국발명진흥회, 부산테크노파크,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금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 기정원과 협력기관은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및 기술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포괄적인 협력관계를 2년간 구축하게 된다.   ○ 구체적인 협력내용은 ①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지원, ② 협력기관과 중소기업간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 지원, ③ 중소기업 재직자에 대한 기술교육 및 기술동향 정보제공, ④ 중소기업 R&D과제 발굴 및 기획 지원 등이다. □ 기정원은 협력기관의 모집을 위해,   ㅇ 지난 1월 22일부터 2월 11일까지 기정원 홈페이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 등을 통해 공지하였으며, 총 25개 기관(대학 8개, 공공연 10개, 기타 공공기관 3개)이 신청하였다.   ㅇ 기관별 세부 협력내용은 신청기관과의 1대1 협의*(면담, 전화 등)를 통해 확정하였으며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예방을 위해 협약식은 서면으로 대체하였다.   *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위기경보가 ’심각‘으로 격상됨에 따라, 당초 대면협의에서 유선협의로 추진(대구·경북지역의 경우 유선협의로 추진)   □ 그간 기정원은 2017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의 ’국내기술교류사업‘을 활용해 우수한 연구인력을 보유한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 등과 중소기업간의 기술교류·협력을 지원하는 교두보 역할로써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ㅇ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협력기관과의 기술이전, 기술애로 상담, 전문기술교육, R&D역량 강화 및 협력R&D 발굴 등을 통해 우리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ㅇ “향후에도 기정원은 4차 산업 혁명시대의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제고 및 신성장동력 확보에 기여하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28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5개_협력기관과_함께_중소기업기술경쟁력_강화에_앞장서.hwp","viewCnt":"4795","regDate":"2020-03-24 17:31:16"},{"contentId":"115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기R&D 수행기업의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해 경영안정 특별자금 2,50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596","contentsKor":"기정원, 중기R&D 수행기업의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해 경영안정 특별자금 2,500억원 지원  - 중기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 통해 ’20.3.17(화) ∼ 한도 소진 시 까지 모집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기R&D 수행기업의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경영안정 특별자금 2,50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이는 중기부 사업화전담은행(기업은행, 하나은행)의 협조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중인 기업의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위해 마련되었다.   □ 중소기업 R&D를 수행하고 있는 기업은 경영안정을 위한 운전자금이 필요할 경우, 기업은행과 하나은행을 통해 최대 1.83%의 우대금리가 적용되어 평균금리 2.2%(’19년 기준) 수준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신용보증, 기술보증 등 보증서 발급이 없이도 타 긴급경영안정자금 수준의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어 긴급 자금수혈이 필요한 R&D수행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별 대출 한도는 최대 5억원 이내에서 신규대출이 가능하며, 민간은행의 대출심사에 따라 기업별로 적용금리 및 대출가능 금액이 달라질 수 있다. □ 그간 기정원은 중기 R&D 지원사업 종료(성공)기업을 대상으로 신기술, 신제품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연간 6,700억원의 저리 자금융자를 지원하고 있었으나, 그간 지원대상에서 제외된 중기 R&D지원사업을 수행 중인 기업에게도 한시적으로 2,500억원을 특별 지원함으로써 코로나19 위기에서도 원활한 R&D 수행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 이로써 기정원은 ‘20년도에 중기 R&D 지원사업 참여 중소기업에게 전체적으로 9,200억원의 사업화 및 경영안정 자금을 저리 융자 지원할 예정이다.   □ 신청을 희망하는 중기 R&D 수행기업은 중기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3월 17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지원 한도금 소진시 까지 수시 접수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 사업화전담은행(기업은행, 하나은행) : 신용, 담보 평가 등 대출심사 후 자금융자 실행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중기 R&D 수행기업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자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키로 결정하였다”며, “앞으로도 기정원과 사업화전담은행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R&D에 매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28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기RD_수행기업의_코로나19_위기극복을_위해_경영안정_특별자금_2,500억원_지원.hwp","viewCnt":"4345","regDate":"2020-03-24 17:29:14"},{"contentId":"11513","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소음·진동연구, 인공지능을 더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513","contentsKor":"  ","viewCnt":"452","regDate":"2020-03-03 15:14:20"},{"contentId":"11512","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인공지능을 가장 잘 활용하는 국가가 되는 길:AI+X","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512","contentsKor":"  ","viewCnt":"406","regDate":"2020-03-03 15:13:25"},{"contentId":"11511","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세상을 바꾸는 과학기술, 사람을 생각하는 정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511","contentsKor":"  ","viewCnt":"396","regDate":"2020-03-03 15:12:35"},{"contentId":"11510","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업부설연구소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연구실 안전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510","contentsKor":"  ","viewCnt":"404","regDate":"2020-03-03 15:11:21"},{"contentId":"1150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시티,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접목하여 도시 집중화 문제를 해결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509","contentsKor":"  ","viewCnt":"396","regDate":"2020-03-03 15:10:18"},{"contentId":"114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 7대 이재홍 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48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7대 이재홍 원장 취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제 7대 원장에 이재홍(59세) 前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이 취임하였다.   □ 이재홍 원장은 기술고시 27회로 1992년 공직에 입문, 2006년 산업자원부 산업혁신과장, 산업기술개발과장, 지식경제부 기계항공시스템과장, 산업기술정책과장, 미래창조과학부 국제협력관을 거쳐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혁신정책관, 광주전남지방중기청장과 소상공인정책실장 등 주요 보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 이재홍 원장은 취임사를 통해,   ◦ “기정원을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키우는 R&D 및 스마트공장 지원 전문기관으로 육성하여, 중소벤처기업부가 구상하는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을 통한 스마트 대한민국 실현에 앞장서는 기관이 되도록 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벤처기업의 신산업 창출을 중점 지원하는 전문기관으로서 기정원의 정책현안 대응 및 전략기능을 강화하고, R&D평가관리체계도 보다 과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전문성 향상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직원들에게는 “대한민국의 경제와 고용의 중추인 중소벤처기업이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되길 원하고, 어떤 결과가 이루어지길 바라는지 같이 고민하고 함께 일할 수 있도록 임할 것”을 주문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103","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제7대_이재홍_원장_취임.hwp","viewCnt":"6901","regDate":"2020-02-24 15:23:42"},{"contentId":"114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설 명절 맞아 지역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열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445","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월 21일(화), 설 명절을 앞두고 대전시 서구에 위치한 한민시장에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을 개최했다.   ◦ 이번 시장은 설 명절을 맞아 지역경제 활성화와 전통시장 이용 독려를 위해 장보기 행사와 먹거리 투어로 진행되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직원들은 2개 조로 나뉘어 한민시장 곳곳에서 온누리 상품권으로 지역 복지기관에 전달할 물품들을 구매하였다.   ◦ 최철안 원장은 “지역사회와 협력하고 상생하기 위한 노력은 사회적 책임의 기본이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해나가겠다”며 소감을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지역 복지기관이 설 연휴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였으며, 이를 유성구 노인복지관과 성심보육원에 전달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02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설_명절_맞아_지역_전통시장_활성화_캠페인_열어.hwp","viewCnt":"5943","regDate":"2020-01-30 15:07:50"},{"contentId":"113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협력업체와 함께하는 안전경영위원회 출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388","contentsKor":"기정원, 협력업체와 함께하는 안전경영위원회 출범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국제표준 인증 획득으로 전사적 안전 관리체계 구축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12월 26일(목) 협력업체 및 안전전문가가 참여하는 안전경영위원회를 출범하고, 안전보건분야 최고 수준의 국제표준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ISO45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ISO45001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최적의 작업환경을 조성·유지할 수 있도록 모든 직원과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전사적으로 관리하는 경영시스템으로 세계 유수의 표준화 기구 및 인증기관이 참여해 제정한 국제인증이다.   □ 기정원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난 9월부터 노사공동으로 11명의 안전담당자를 지정해 TF를 운영해 왔다.   ◦ 특히, 안전에 취약한 여직원을 중심으로 TF를 운영하여 사업장 내 위험요소를 진단하고, 안전보건경영방침을 수립하는 등 안전이 경영의 최우선가치가 될 수 있도록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 이러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정원은 소방안전분야 최고의 전문가인 우송정보대 허만성 교수를 위원장으로 위촉하고, 근로자 대표, 협력사 근로자, 외부전문가 등 10명으로 구성된 안전경영위원회를 본격적으로 출범시켰다.   ◦ 위원회는 앞으로 기정원의 안전기본계획을 비롯해 중대 재해 발생 시 원인분석 및 재발방지대책 등 안전경영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할 계획이다.   □ 기정원 안전관리책임자 장인성 본부장은 “안전에는 노사가 따로 없고, 원하청이 따로 없는 사람 존중의 가치를 실현시키는 일”이라고 밝히고, “국제수준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구축되고 안전경영위원회가 출범함에 따라 본격적으로 중소기업의 안전문화를 선도하는 안전하고 건강한 R&D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924","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협력업체와_함께하는_안전경영위원회_출범.hwp","viewCnt":"8132","regDate":"2019-12-27 14:06:55"},{"contentId":"113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 내 비인가 경로당에 소화기 기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387","contentsKor":"기정원, 지역 내 비인가 경로당에 소화기 기부  - 12월 20일(금), 동구 노인 복지시설에 소화기 기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2월 20일 대전광역시 동구와 유성구에서 연말을 맞아 지역희망나눔활동을 펼쳤다.   □ 기정원은 이번 지역공헌 활동에서 대전 동구청의 도움으로 안전장비 등이 부족한 비인가 경로당을 포함한 20개의 지역 복지시설에 소화기를 기부했다.   ◦ 동구 복지정책과 관계자는 “비인가 경로당 뿐 아니라 등록 경로당도 일정 부분의 연료비만 지원될 뿐이라 소화기같은 기본 안전 장비들이 많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이번 활동으로 여러 시설들의 안전 관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소화기 기부와 함께 유성구노인복지관과 성심보육원에 온누리상품권을 전달함으로써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923","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_내_비인가경로당에_소화기_기부.hwp","viewCnt":"7923","regDate":"2019-12-20 14:05:51"},{"contentId":"113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2019 가족친화인증’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38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2019 가족친화인증’획득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최근 여성가족부가 주관하는 2019년 가족친화인증 심사에 통과하여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가족친화 인증제도는 자녀출산, 양육지원, 유연근무제도 등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 기정원은 2016년 가족친화인증을 최초 취득했으며, 금번 취득으로 인해 인증 유효기간이 2021년까지 연장된다.   ◦ 특히, 기정원은 가족친화 직장문화 조성을 위해 모성 보호휴가 및 유연근무제를 확대하고 정시퇴근의 날, 가족과 함께하는 날 등을 지정하여 직원들의 저녁 있는 삶을 지향하는 등 일․가정 양립문화를 조성하고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앞으로도 직원들이 일․생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유연근무제 및 모성보호 휴가 사용을 적극 장려하고 가족친화제도를 확대 운영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922","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9_가족친화인증_획득.hwp","viewCnt":"7919","regDate":"2019-12-18 14:04:26"},{"contentId":"113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1:1 사업계획서 작성법 및 멘토링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385","contentsKor":"기정원,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1:1 사업계획서 작성법 및 멘토링 교육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탈락과제 150여개 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2019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사업계획서 작성법 및 멘토링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 금번 교육은 신청기업의 입지와 수요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도권 및 비수도권역별로 1회씩 진행되어, 대전 KW컨벤션(12.05), 서울 와우파 강의실(12.06)에서 각각 개최되었다.   □ 공정품질기술개발 사업은 중소기업의 제조공정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여 기존 제품의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제조공정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멘토링 프로그램은 탈락과제의 맞춤형 멘토링을 통해 우수 기술과제를 발굴하고, R&D기획 역량 제고를 위한 시간으로 진행 되었다.   ○ 멘토링 교육은 신청기업을 멘토링 분야별로 구분하여 맞춤형 전문가를 매칭하고, 현장평가 위원 교육을 수료한 전문가를 선정하여 평가 시 중요 포인트를 잡아 컨설팅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 교육은 체계적인 R&D 멘토링을 통해 탈락 요소에 대한 보완 및 R&D 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 개선과제 도출 부분에서는 연구개발이 필요한 연구주제에 대해 성능과 기능의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도출된 기술개발 내용 및 방법 등에 대한 유기적인 내용을 보완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또한, SMTECH시스템의 이용방법 및 관리지침에 적합한 사업계획서 작성법 교육에서는, 기업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사업비 소요명세서 부분의 R&D사업비 비목 구성 및 계상 기준에 부합하는 사업비 산정방법에 대해 멘토링 교육을 진행하였다.   □ 기정원 장현성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금번 교육을 통해 R&D 사업 신청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돕고, 더 많은 기업들이 국가 R&D 지원을 원활하게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한편, 교육 종료 후 참석한 기업 대표들은 “이번 교육을 통해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을 비롯한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에 지원할 수 있는 R&D 사업 지원역량을 제고할 수 있었다.”며 만족스러워 하였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921","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_1대1_사업계획서_작성법_및_멘토링_교육_실시.hwp","viewCnt":"7233","regDate":"2019-12-09 14:03:18"},{"contentId":"113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재정정보원, 사이버위협 대응 협력 및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384","contentsKor":"기정원-재정정보원, 사이버위협 대응 협력 및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한국재정정보원(원장 김재훈, 이하 ‘재정정보원‘)은 12월 3일(화) 사이버위협 대응 기술협력과 중소기업 정보보안 지원 등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ㅇ 주요 협력 사항은 정보보안 침해 대응 기술공유와 이전, 사이버위협 탐지·분석·대응을 위한 정보 공유, R&D 수행 중소기업에 대한 보안컨설팅 등이다.   ㅇ 이번 협약을 계기로 기정원과 재정정보원간 사이버 위협 대응 기술과 노하우 등에 대한 공유체계가 구축됨으로써 양 기관의 정보보안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이번 협약은 보안업무 협력과 함께 정보보안 수준과 인식이 부족한 R&D 수행 중소기업에게 보안컨설팅 등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ㅇ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침해대응센터에 따르면 사이버 침해사고 신고·조사건의 97%가 영세·중소기업에서 발생한다. 또한, ‘중소기업 기술보호 수준 실태조사’에 의하면 해킹 공격으로 인한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피해금액은 2015~2017년 3년간 3,021억원에 달한다.   ㅇ 이런 점에서 양 기관이 보유한 정보보안 역량과 자원을 중소기업에게 지원하게 되면 산업기술 유출 예방과 보안인식 개선 등에 효과가 있을 거라 예상된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재정정보원과 긴밀히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지능화되는 사이버 위협을 보다 전문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라고 밝혔다.   ㅇ 아울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소재·부품·장비와 제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중소기업에게 다양한 정보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확대할 예정이다.” 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92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재정정보원,_사이버위협_대응_협력_및_사회적_가치_실현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7154","regDate":"2019-12-03 14:02:18"},{"contentId":"112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R&D 유공기업 포상식 및 협의회 출범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69","contentsKor":"중소기업R&D 유공기업 포상식 및 협의회 출범식   - 기정원, R&D 우수성과 기업 포상 및 기업 간 개방형 혁신을 위한 우수기업협동협의회 출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11월 28일(목) 오후 2시 서울 중소기업 DMC타워에서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기업을 대상으로 ‘2019년도 중소기업 R&D 우수기업 유공자 포상 및 협의회 출범식’을 개최하였다.   □ 이날 1부 행사에서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한 연구개발 및 사업화 성과를 창출하여 중소기업의 발전에 기여한 기업 19개사를 대상으로 포상 수여식을 진행하였다.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표창은 ㈜천보 등 5개사가, 기정원장 표창은 ㈜서우테크놀로지 등 9개사가, KEB하나은행장 표창은 ㈜코웰 등 5개사가 각각 수상하였다.   ◦ 장관 표창을 수상한 종합정밀화학 소재기업인 ㈜천보는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2차전지 유기전해질 주요 첨가제 개발, 2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개발’등에 힘입어 창업 12년만인 지난 2018년도에 매출 1,000억 원을 달성하였고 금년에는 코스닥에 상장하는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소재기업으로 성장하였다.   ◦ 또한, 애드테크 마케팅 플랫폼업체인 ㈜텐핑은 지난 2015년도에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당해연도에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자금을 지원받아‘가상 URL과 알고리즘을 이용한 모바일 메신저 및 SNS 최적화 광고 기술’을 개발하여 2016년도에 매출 16억 원에서 2018년도에 130억 원으로 대폭 증가하는 등의 우수한 성과로 장관표창을 수상하였다.   □ 2부 행사에서는 우수 중소기업 간 기술교류 활성화 등을 통한 혁신성장을 도모하기 위해‘R&D 우수 중소기업 협동협의회(가칭)’출범식을 개최하였다.   ◦ 협의회의 주요 역할은 중소기업 R&D사업 개선 및 사업화율 제고를 위한 정책자문, 규제・애로 사항 등 대정부 건의, R&D 우수기업 브랜드 구축 및 홍보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회원사는 ㈜영광YKMC, ㈜제이엠테크 등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성과를 창출한 63개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매년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 등이 지속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창의적 혁신과 도전적 연구개발 지원하는 중소기업의 성장 파트너로서, R&D 우수성과로 표창을 수상한 기업들처럼 앞으로 많은 기업들이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을 통해 성장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60","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RD_유공기업_포상식_및_협의회_출범식.hwp","viewCnt":"8049","regDate":"2019-11-28 15:52:06"},{"contentId":"112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독거노인 사랑의 연탄 나눔활동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49","contentsKor":"기정원, 독거노인 사랑의 연탄 나눔활동 실시  -11월 21일(목), 노사합동으로 대전 원도심지역 사회공헌 활동 진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1월 21일 대전광역시 동구 중동 일대에서 “노사합동 사랑의 연탄나눔활동”을 진행했다.   ◦ 기정원 임직원은 대전시 동구 중앙동 주민센터의 도움을 받아 중동 일대 독거노인 가정에 겨울나기용 연탄을 기부하는 활동을 벌였다. 이번 행사에는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노동조합 장상민 위원장이 함께 참여한 노사공동 행사로 진행되었다.   □ 기정원 임직원 20여명은 4개 가정에 총 1,000장의 연탄을 직접 전달하면서 추운 날씨 속에서 굵은 땀방울을 흘렸다.   ◦ “흔히 연탄을 여전히 가장 싼 난방 수단으로 생각하지만 매년 가격이 올라 이제는 연탄도 부담스러워 지고 있다. 이번 행사로 지원 가정 입장에서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민센터 관계자는 전했다. 2019년 11월 기준 대전 지역 연탄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00원이 오른 760원이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지역사회 참여 또한 공정사회 구현에 앞장서야 할 공공기관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고 말하며, “지역사회 이웃 모두가 따뜻한 겨울을 나시기를 기원한다”라는 말을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연탄나눔 외에도 지역내 보육원과 복지관 후원활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대전사회혁신플랫폼에 참여하여 대전시, 시민사회와 함께 지역 청년 고민 해결, 학교밖 청소년 돕기 등 지역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39","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독거노인_사랑의_연탄_나눔활동_실시.hwp","viewCnt":"7780","regDate":"2019-11-25 11:19:19"},{"contentId":"112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9년 3차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협약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48","contentsKor":"기정원, 2019년 3차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협약 설명회 개최  - 373개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에 98.5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2019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 3차 협약설명회”를 11월 21일(목), 22일(금) 양일간 개최하였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선정기업의 입지 및 수요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도권 및 비수도권역별로 1회씩 진행되어, 서울역 우리센터(11.21), 대전통계교육원(11.22)에서 각각 개최되었다.   □ 공정품질기술개발 사업은 중소기업 생산제품의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존 제품의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제조공정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제품공정개선 336개 과제(81억원), 뿌리기업공정 37개 과제(17.5억원)를 각각 지원할 계획이며, 선정 기업은 1년이내 5,000만원(제품공정개선)에서 1억원(뿌리기업공정)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 받을 수 있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 대표자와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방법 등 설명과 연구개발(R&D)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청렴교육을 진행하였다.   ○ 협약변경 방법 및 사후관리, 청렴문화 확산 교육 등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기업의 궁금증 해소를 위해 기정원 담당자 상담부스를 마련해 관련 일대일 상담시간도 가졌다.   □ 기정원의 장현성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동 사업을 통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소재·부품·장비 개발을 돕고, 지원 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 물결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3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9년_3차_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_협약설명회_개최.hwp","viewCnt":"7962","regDate":"2019-11-25 11:17:59"},{"contentId":"112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中企 R&D 사업비 집행 지역별 순회 현장컨설팅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47","contentsKor":"기정원, 中企 R&D 사업비 집행 지역별 순회 현장컨설팅 실시   - 중소기업 소재지역으로 직접 찾아가 면대면 컨설팅 진행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오는 11월 18일(월)부터 11월 20일(수)까지 3일간, 中企 R&D 수행기업 중 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2019년 사업비 집행 관련 지역별 순회* 현장컨설팅」을 실시하였다.   * 인천(11.18.월), 강원(11.19.화), 경남(11.20.수) 지역   ◦ 현장컨설팅 진행 방식은 전문기관(기정원) 및 지정회계기관* 정산 담당 회계사가 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 소재 지역으로 직접 찾아가 컨설팅을 실시했으며, 대상기업 선별은 상시점검**을 수행하는 회계법인에서 평소 질의가 많은 기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거쳐 선정하였다.   * 사업비의 효율적 회계감사를 위해 전문기관이 지정한 회계법인 ** 회계법인에서 담당 과제의 사업비 집행내역, 관련증빙 등을 시스템을 통해 상시적으로 점검하고, 점검 의견을 수행기업에 제공   ◦ 특히, 이번 현장컨설팅은 정산 업무 과정에서 평소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중소기업의 정산담당자를 대상으로 △ 中企 R&D 사업비 집행 규정, △ 지정회계기관 상시모니터링 기능 활용 방법, △ 사업비 정산 결과 불인정 사례 안내 등을 주제로 하여 사업비 집행 전반에 대하여 면대면 컨설팅을 진행하였으며,   ◦ 공식 일정 이후에는 사업비 집행 전반의 궁금증에 대해 자유롭게 질의하고, 응답하는 1:1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으로써, 이번 기회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어려움과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참고로, 이번 현장컨설팅은 지난 9월 4개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장컨설팅 이외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 광주・전남(9.17.화), 전북(9.18.수)), 대구·경북(9.25.수), 부산·울산(9.26.목) 지역   ◦ 기정원 사업지원본부 정영훈 본부장은 “지난 9월 실시한 현장컨설팅 이후, 사업비 오집행에 따른 불인정금액 발생이 감소하는 등 중소기업 입장에서 정산 부담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어,   ◦ 향후에도 中企 R&D 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현장컨설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3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中企_rD사업비_집행_지역별_순회_현장컨설팅_실시.hwp","viewCnt":"6652","regDate":"2019-11-21 11:17:04"},{"contentId":"112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중기R&D수행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46","contentsKor":"기정원,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중기R&D수행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MOU 체결!  - 글로벌 진출 희망기업을 위한 수출지원 프로그램 도입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1월19일(화),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사업화성공률 제고와 수출지원을 위해 한국무역보험공사(사장 이인호, 이하 무보)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그간 중소기업은 해외진출이 필요하나 수출에 따른 대금 미회수에 대한 위험, 해외바이어 발굴, 자금 및 무역 전문인력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 이에 따라 기정원은 무보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에 대한 해외진출 촉진을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기로 했다.   □ 협약에 따른 주요지원 내용은,   ①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단체보험 가입, 보험료 할인), ② 수출이행자금 및 수출대금 조기 현금화를 위한 보증지원, ③ 신용조사 및 판로지원(해외수입자 신용조사보고서 지원, 우량수입자 상담기회 제공), ④ 수출컨설팅, 무역보험아카데미, 거시 경제 세미나 등으로 구성된다. ◦ 이와 같은 기정원-무보 업무협약에 따라 중소기업 R&D를 수행한 글로벌 진출 희망기업은 일반 중소기업보다 나은 우대조건으로 한국무역보험공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기정원과 무보의 협업으로 해외경쟁력을 갖춘 신제품개발(R&D)부터 해외진출 지원(판로 개척, 생산자금 확보, 수출리스크 관리)까지 연계하여 일괄지원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진출 희망기업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보다 많은 중소기업이 우수한 신제품을 개발하여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확대하여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3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무보와_중기RD수행기업의_글로벌_진출을_위한_MOU체결.hwp","viewCnt":"5953","regDate":"2019-11-19 11:15:44"},{"contentId":"112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대전지역사회와 함께 「퇴퇴캠프」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50","contentsKor":"기정원, 대전지역사회와 함께 「퇴퇴캠프」* 운영 (* 퇴퇴캠프 : 퇴근과 퇴사를 고민하는 청년들을 위한 힐링캠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11월 16일, 17일 양일간 대전 인근의 동학사에서 퇴근과 퇴사 사이를 고민하는 지역사회 청년들을 위한 마음건강 챙기기 프로그램인 ‘퇴퇴캠프 in 대전’ 행사를 처음으로 개최했다.   ◦ 직장 내 갑질, 스트레스로 인한 청년들의 퇴사 고민 해결은 대전 시민들에 의해 ‘다음세대와의 지속가능성 과제’ 2위로 선정될 만큼 관심이 크다.   ◦ 기정원은 대전광역시가 주관하는 대전사회혁신플랫폼에 지난 6월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퇴퇴캠프는 기정원의 첫 번째 대전사회혁신플랫폼 참여 과제이다. 이번 ‘퇴퇴캠프 in 대전’ 행사는 기정원이 혁신청, C-Lab 등 대전 지역 사회적협동조합과 공공기관인 한국가스기술공사와 협업하여 5개월여간의 준비 끝에 마련하였다.   □ ‘퇴퇴캠프 in 대전’은 마음치유를 위한 상담과 함께 새로운 내일을 설계하기 위한 적성검사, 진로탐색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 ‘나 돌봄 워크숍’ 시간은 명상을 통해 마음 다스리는 법을 배우고, 참여자간 대화카드를 통해 서로의 마음을 공감했다.   ◦ ‘경험 속의 나’ 시간에서는 자신의 성격과 적성을 탐색해보고, 더 나은 미래를 설계했다. ‘노무사와의 대화’에는 회사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민과 문제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 캠프에 참여했던 20여명의 청년들은 이번 캠프가 신선한 마음의 위안이 되었다면서, 앞으로도 퇴사에 대한 고민과 두려움을 갖고 있는 많은 청년들이 참여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퇴퇴캠프’ 외에도 학교 밖 청소년 등 그간 관심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사회적 약자들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꾸준히 실행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4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대전지역사회와_함께_「퇴퇴캠프」_운영.hwp","viewCnt":"4166","regDate":"2019-11-18 11:20:24"},{"contentId":"112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우수 R&D 제품 아마존 입점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45","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우수 R&D 제품 아마존 입점설명회 개최  - 11.7~11.12 서울, 부산, 광주 등 권역별 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우수한 R&D 성공기업들에게 아마존 플랫폼을 통해 해외 진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우수 R&D 제품 아마존 입점설명회`를 11.7(목)~11.12(화)까지 서울(2회), 부산(1회), 광주(1회) 등 권역별로 총 4회* 개최한다고 밝혔다. * 서울(11.7(목)~8(금) 10:00~, 서울 아마존코리아 본사), 부산(11.11(월) 13:00~, 부산 창조경제혁신센터), 광주(11.12(목)13:00~, 광주 송정역 내 무등산실) ◦ 기정원은 평소 해외 시장 진출에 관심은 많지만 입점과정 및 방법, 해외 물류배송 등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업들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아마존*코리아와 협업하여 진행되는 금번 행사를 통해 R&D 수행기업들의 해외 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아마존 플랫폼) 18개국에서 Market place(웹사이트) 운영, 180개 이상 국가, 3억명 이상의 사용자 사용 중 ◦ 상반기에 이미 1차례 설명회가 개최 되었고, 보다 많은 중소기업들이 미국 온라인 플랫폼 시장에 도전할 수 있도록 4회로 확대하여 개최 할 예정이다.   □ 이번 설명회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최근 트랜드, 아마존 소개 및 아마존을 통한 해외 진출 전략, 아마존 입점방법 등을 소개하여 온라인커머스를 통해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3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_우수_RD제품_아마존_입점설명회_개최.hwp","viewCnt":"4125","regDate":"2019-11-07 11:13:16"},{"contentId":"111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개발 중소기업을 위한 ‘R&D 생생 캠퍼스’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15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개발 중소기업을 위한 ‘R&D 생생 캠퍼스’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0월 30일(수) 대전 본원에서 중소기업 R&D 지원사업 참여기업들의 원활한 과제 수행을 위한 교육·상담 프로그램인 ‘R&D 생생 캠퍼스’ 행사를 개최했다.   ◦ 생생한 R&D 정보들을 직접 전달한다는 목적으로 올해 처음 개최된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인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띈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 ‘R&D 생생캠퍼스’는 1부 ‘R&D 수행단계별 전문교육’, 2부 ‘기술개발 과정에서의 애로사항 상담’ 순서로 진행됐다.   ◦ 1부는 그간 중소기업인들이 과제를 수행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사업비 집행 및 정산 ▲협약 변경 ▲최종평가 및 사후관리에 대한 절차 및 방법을 기정원 담당자가 직접 교육했다.   ◦ 2부에서는 기술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소기업 현장의 애로사항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기정원 담당자들과 일대일 면담했다.   □ 행사에 참여한 중소기업 연구책임자는“중소기업 R&D지원사업에 처음 참여해봐서 모든 게 어려웠는데 이번 R&D 생생 캠퍼스가 큰 도움이 됐다. 앞으로도 이런 기회가 자주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한편, ‘R&D 생생캠퍼스’는 매분기마다 개최하고, 이번 행사 참여자들의 개선의견을 수렴하여 프로그램들을 추가해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630","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기술개발_중소기업을_위한_‘RD_생생_캠퍼스’개최.hwp","viewCnt":"5571","regDate":"2019-10-30 13:40:45"},{"contentId":"111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제1차 인권경영위원 위촉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153","contentsKor":"기정원, 제1차 인권경영위원 위촉식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0월 14일, 대전 본원에서 인권경영위원 위촉식과 1차 인권경영위원회 회의를 개최하였다.   ◦ 인권경영위원회는 기획조정본부장을 위원장으로 내부위원 3명, 외부위원 4명으로 꾸려졌으며, 외부위원은 인권전문가·노무사·환경단체 활동가·기업인으로 구성되었다.   □ 이번 인권경영위원회에서는 기정원 경영관리 전반의 인권 사항에 대한 인권영향평가 심의와 평가 결과를 반영한 개선과제 도출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 인권영향평가는 ▲인권경영체제의 구축 ▲고용상의 비차별 ▲책임있는 공급망 관리 등 기관 경영 활동 전반의 10개 분야에 대해 진행되었다.   □ 첫 회의 진행 후 인권경영위원장인 장인성 본부장은“이번 위원회를 시작으로 내부 직원은 물론 외부 고객과 지역주민의 인권 보호까지 인권경영 성과가 확산될 수 있도록 여러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고 노력하겠다”며 소감을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629","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제1차_인권경영위원회_위촉식_개최.hwp","viewCnt":"5056","regDate":"2019-10-16 13:40:05"},{"contentId":"111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9 행안부 정보공개 평가 ‘최우수’등급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152","contentsKor":"기정원, 2019 행안부 정보공개 평가 ‘최우수’등급 획득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한 ‘2019 정보공개 종합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 올해 처음으로 실시된 2019년 정보공개 종합평가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공기업 등 577개 주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 평가는 사전정보공표, 원문정보공개, 정보공개 청구처리, 고객관리 등 4개 분야에서 8개 세부지표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 기정원은 전문가와 일반 국민이 함께 참여한 ‘2019 정보공개 종합평가’에서 공공기관 평균(81.9점)을 넘는 90.4점을 받아 최우수등급을 획득했다.   ◦ 특히 기정원은 종합평가에서 사전정보 등록건수, 고객수요분석 및 반영 실적에서 만점을 받았다.   □ 기정원 관계자는“정보공개는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국민의 국정참여와 국정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제도로 앞으로도 적극적인 정보공개와 사전정보공표 등을 통해 투명하고 청렴한 기관운영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62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9_행안부_정보공개_평가_최우수등급_획득.hwp","viewCnt":"5325","regDate":"2019-10-08 13:39:14"},{"contentId":"1098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융복합 혁신기술은 미래농업을 어떻게 바꾸는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984","contentsKor":" ","viewCnt":"798","regDate":"2019-10-02 14:55:08"},{"contentId":"109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베트남 진출 파트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952","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베트남 진출 파트너!  - 제2차 한-베트남 중소기업 기술 상담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권오정, 이하 KTR)은 9월 24일(화)/26일(목) 이틀간 베트남에서 한국과 베트남 양국 기업 간 기술 교류와 국내 중소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 지원을 위한 “제2차 한-베트남 기술 상담회”를 개최하였다.   * 제1차 한-베트남 기술 상담회는 9월 4일(하노이) / 6일(호치민) 개최   ㅇ 기정원이 주최한 이번 기술 상담회에서는 국내 화장품 및 뷰티케어 분야 중소기업 10개사*와 베트남 100여개 기업이 참여하여 상호 교류하는 기회를 가졌다.   * 기정원은 융복합기술교류사업을 통해 국내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   ㅇ 기술 상담회에 앞서 열린 기술 세미나에서는 영남이공대학교 이수비 교수가 ‘한국 코스메틱과 SPA 사업의 최신 트렌드’를 주제로, K-Beauty에 대한 국내외 수요 및 베트남 현지 진출 전략 등에 대해 소개하였다.   □ 이번 행사를 통해 한-베 기업 간 기술교류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매칭, 계약 체결 등 베트남 현지 판로 개척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상호 협력을 위해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ㅇ 특히 제1차 기술상담회에 이어 이번 행사에서도 한국-베트남 기업 간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기술이전 및 수출계약이 다수 체결되는 등 높은 성과를 달성하였다.   □ 한-베트남 양국 간 정상회담(‘18.03)의 결과로 2020년까지 베트남과의 총 교역액 1,000억달러 달성을 위한 액션플랜이 실시되는 등 양국 경제협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중소기업 기술 상담회를 통해 중소기업의 베트남 진출이 더욱 탄력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기술 상담회는 한국 코스메틱 산업에 대한 베트남 현지의 높은 관심을 확인하고, 우리 중소기업의 현지 진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중요한 행사였다“면서, “기정원은 앞으로도 우리 중소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유의미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392","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_베트남_진출_파트너!.hwp","viewCnt":"5733","regDate":"2019-09-27 11:27:53"},{"contentId":"109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시장성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에 7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944","contentsKor":"기정원, 시장성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에 70억원 지원!  - 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9월 26일(목) 오후 1시,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2019년 창업성장기술 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 2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는 민간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기업 중 연계기관*의 추천을 받은 창업 7년 이하 기업의 기술창업 활성화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과제이며, * 창조경제혁신센터, (사)한국엔젤투자협회, D.CAMP, IBK기업은행   ○ 기존 1차 공고에서는 2개 연계기관(창조경제혁신센터, (사)한국엔젤투자협회)으로부터 창업기업을 추천받았으나, 2차 공고에는 기관 업무협약을 통해 2개 기관(D.CAMP, IBK기업은행)을 추가, 창업기업이 추천받을 수 있는 연계기관을 4개로 확대하여 우수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사업 참여도를 높였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지난 6월 21일 공고를 통해 사업계획서 등을 제출한 후 서면평가․현장조사․대면평가를 거쳐 협약대상 과제로 최종 선정된 74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 기정원 사업 담당자는 원활한 과제 추진을 위한 사업수행 주요사항, 온라인 전자협약 체결방법, 기술임치제도 등 제반사항을 설명할 예정이다.   ○ 또한, 기존 SMTECH 사업비 포인트제에서 산업부의 RCMS로 연구비 사용이 통합되어 연구비 집행 및 관리가 통합RCMS를 통해 진행됨에 따라 이에 관련한 변경 사항과 사용 방법 및 연구노트 관련 규정을안내함으로써 주관기관의 기술개발 진행과정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시간과,   ○ 지정회계법인의 정산 담당 회계사를 초빙하여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기업들에게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는 시간을 마련한다.   □ 더불어 협약 대상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담당자와 기정원 사업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 추진 중 발생하는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 본 설명회 이후 창업과제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최대 2년간 4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4차 산업혁명 분야*를 중심으로 고기술·유망기술에 해당하는 신제품․신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     ○ 이번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의 지원을 통하여 시장성이 검증된 기술우수 창업기업에게 기술개발에 필요한 R&D자금 지원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성과 사업성이 모두 검증된 창업기업의 육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381","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시장성_검증된_기술창업기업에_70억원_지원!.hwp","viewCnt":"5633","regDate":"2019-09-25 11:16:46"},{"contentId":"109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추석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위한 캠페인 펼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943","contentsKor":"기정원, 추석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위한 캠페인 펼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9월 9일(월), 추석 명절을 앞두고 대전시 서구에 위치한 한민시장에서 전통시장 활성화와 지역사회 나눔을 위한 행사를 개최하였다.   ◦ 이번 캠페인은 전통시장 이용 독려 외에도 추석 명절을 앞두고 발생한 태풍으로 인한 피해 여부 확인을 위한 사후 시설 점검 및 환경 정화 활동을 위해 진행되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 및 직원 20여 명은 2개 조로 나뉘어 한민시장 곳곳에서 시장 이용객들의 편의성 제고를 위한 시설 점검과 환경 정화 활동을 진행한 후, 온누리 상품권으로 지역 복지기관에 기부할 물품을 구매하였다.   ○ 이날 활동에 함께한 최철안 원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을 실천할 것이며,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더욱 노력 하겠다”며 소감을 밝혔다.     □ 한편, 기정원은 이날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추석 명절 위문품을 유성구 노인복지관과 성심보육원에 전달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38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추석맞이_전통시장_활성화_위한_캠페인_펼쳐.hwp","viewCnt":"5322","regDate":"2019-09-10 11:15:35"},{"contentId":"1084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실버케어,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떠오르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849","contentsKor":" ","viewCnt":"784","regDate":"2019-09-09 12:03:46"},{"contentId":"109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베트남 신시장 개척, 기정원이 함께 합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942","contentsKor":"중소기업 베트남 신시장 개척, 기정원이 함께 합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베트남에서 중소기업 기술 상담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권오정, 이하 KTR)은 9월 4일(수)/6일(금) 이틀 간 베트남에서 한국과 베트남 양국 기업 간 기술 교류와 국내 중소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 지원을 위한 한-베트남 기술 상담회를 개최하였다.   ※ 한-베트남 기술상담회는 2회에 걸쳐서 시행되며, 다음 기술 상담회는 9월 24일(화, 하노이) / 26일(목, 호치민) 개최 예정   ㅇ 기정원과 베트남 과학기술부의 주최가 되어 개최한 이번 기술 상담회에서는 국내 중소기업 10개사*와 베트남 100여개 기업이 참여하여 상호 교류하는 기회를 가졌다.   * 2019년 국내 융복합기술교류사업 참여기업 모집 공고를 통해 선정된 기업임   □ 이번 행사를 통해 한-베 기업 간 기술교류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매칭, 계약 체결, 판로 개척까지 제품 전주기를 상호 협력해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ㅇ 현장에서는 한국-베트남 기업 간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기술이전 및 수출계약이 체결되는 등 높은 성과를 달성하였으며, 특히 본 행사를 통해 ㈜엠케어코리아(한국)와 ㈜헝탄(HUNGTHANH, 베트남)은 기술 이전을 통한 공장 설립 및 현지 생산을 추진하기 위해 약 30만불의 계약을 체결했다.   ㅇ 베트남 세무제도 소개(베트남 재무부), 한-베 의료기기 시장 동향 소개(베트남 보건부) 등 기업 대상 교육을 실시하고, 베트남 진출기업을 위한 금융컨설팅(하나은행) 등 현지 전문가 상담과 지원 서비스를 함께 제공해 기업 간 교류 성공을 지원하였다.   ㅇ 특히 한-베트남 양국 간 정상회담(‘18.03)의 결과로 2020년까지 베트남과의 총 교역액 1,000억달러 달성을 위한 액션플랜이 실시되는 등 양국 경제협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중소기업 기술 상담회를 통해 한-베 경제 협력 관계가 더욱 강화될 것을 기대되고 있다.   □ 함께 6일(금) 오전, 기정원과 베트남 중소기업지원센터(SMEDEC2)*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베트남 과학기술부(MOST) 산하기관으로 베트남 내 중소기업의 진흥을 목표로 설립됨   ㅇ 양 기관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한국-베트남 중소기업의 시장 개척을 위한 상호 협력과 수요기술 발굴 및 정보공유, 기술교류 지원, 공동세미나 개최 등을 약정하였다.   ㅇ 그간 국내 중소기업의 對베트남 수출은 원자재 또는 제품이 대부분이었으나, 기업 간 기술 교류를 활성화하여 베트남 시장 진출의 확대와 다각화를 이끌어 내고자 하며,   ㅇ 기술판매, 기술실시권 라이센싱, 기술이전협상 등의 자문과 해외규격인증획득 및 관련 컨설팅을 지원하는 등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위한 사후관리를 지원할 예정이다.   □ 이날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한류 등에 힘입어 화장품, 식품, 의료기기 등 한국 제품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우리기업의 베트남 진출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한-베 중소기업의 기술 교류를 통해 우리 중소기업이 베트남 시장 진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협력체계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379","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베트남_신시장_개척,_기정원이_함께_합니다.hwp","viewCnt":"5412","regDate":"2019-09-09 11:14:40"},{"contentId":"108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제품 판로 확대에 앞장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825","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제품 판로 확대에 앞장서다!    - 중소기업유통센터·대중소농어업협력재단과 업무협약을 맺고, ‘동반성장몰’본격 도입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우수한 제품들을 구매하여 중소기업 판로 확대를 지원할 수 있도록 “동반성장몰”을 도입한다.   ◦ 기정원은 동반성장몰 도입을 위해 중소기업유통센터(대표이사 정진수) 및 대중소농어업협력재단(사무총장 김순철)과 23일(금) 대전 도룡동 소재 기정원 본원에서‘중소벤처기업 판로확대 및 동반성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30일(금)부터 사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동반성장몰의 활성화를 통한 중소기업 판로지원 강화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 “동반성장몰”은 우수 중소기업 제품들을 온라인에서 판매하기 위해 유통센터에서 구축한 폐쇄형 온라인쇼핑몰로서 공공기관‧기업 등의 직원들이 복지포인트 등을 통해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 협약에 따라 기정원은 소속 임직원이 자율적으로 동반성장몰 내 중소기업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내부 전산망에 동반성장몰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기정원을 통해 추천받은 중소기업 상품의 입점 및 판매를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판로확대를 통한 동반성장에 기여하기로 했다.   ◦ 최철안 기정원장은 “중소기업 지원 기관으로서 임직원들이 중소기업 제품 구매에 앞장서게 된 점을 뜻깊게 생각하고, 그간 기정원이 힘써 온 중소기업 기술개발 제품 판로지원 또한 이번 협약을 계기로 탄력을 받게 되리라 기대한다”라고 전하며, “앞으로도 중소기업이 개발한 우수제품들의 판로가 확대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25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_제품_판로_확대에_앞장서다!.hwp","viewCnt":"7095","regDate":"2019-08-30 10:40:46"},{"contentId":"108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공장 구축부터 금융지원까지 원스톱 상담 부스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810","contentsKor":"스마트공장 구축부터 금융지원까지 원스톱 상담 부스 운영”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참여 -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은 8월 26일(월)부터 28일(수)까지 코엑스 C홀에서 열리는 제 20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에서 스마트공장 구축 및 금융지원 상담을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스마트제조혁신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 추진단은 지난 5월, 스마트공장 보급 및 구축 등 대한민국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민관합동 스마트공장추진단과의 통합을 통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기관으로 설립됐다.   □ 스마트제조혁신관은 △정책소개 △우수사례 △구축상담 △자금상담 등 총 4개의 테마로 구성돼 있으며 정부의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및 정책 안내뿐만 아니라 행사장에서 사업 참여를 위한 구축 상담과 자금 상담까지 one-stop으로 문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 특히 자금상담존의 경우, 스마트공장 도입기업과 공급기업 대상 융자․투자 상품을 운영 중인 7개의 금융 기관 담당자가 직접 참여하여 관람객이라면 누구든 각 기관별 금융 상품 내용을 한자리에서 비교해 볼 수 있다.  * 참여 기업: 기술보증기금,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신한은행, 이엔벤처파트너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코리아에셋투자증권   □ 박한구 추진단장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총 7,903개의 기업이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에 참여했지만 아직도 어떻게 구축해야할지 감을 잡지 못하는 중소기업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우수구축 사례를 확인하고 구축부터 자금까지 one-stop 상담을 받아 스마트공장 도입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한편, 이번 행사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R&D 수행기업이 사업화를 위한 투자자금을 유치할 수 있도록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는‘중소기업 투자유치 로드쇼(26일, 월)’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따른 대응책 마련을 위한‘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자립화 세미나(27일, 화)’를 개최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241","atchfileNm":"보도자료_스마트공장_구축부터_금융지원까지_one-stop_상담_부스_운영.hwp","viewCnt":"7085","regDate":"2019-08-26 13:46:18"},{"contentId":"108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Tech up ! 2019 ”IR 행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808","contentsKor":"“ Tech up ! 2019 ”IR 행사 개최   - 8월 26일, 제20회 중소기업 기술혁신대전 IR행사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기술혁신대전에서 중소기업의 투자 유치를 통한 사업화를 지원하고자 8월 26일 “Tech up! 2019”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2019년 8월 26일(월) 14시, COEX(서울 삼성동 소재) 3층, Hall C 세미나실 ◦ 기정원은 “Tech up! 2019”를 통해 성장가능성이 높은 중소기업의 투자 자금 유치를 위한 IR 행사를 개최한다. ◦ “Tech up! 2019”는 중소기업 R&D를 통해 신기술, 신제품을 개발한 투자 유망 중소기업을 VC 등 투자자에게 소개하여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 VC 등 투자자 약 100여명 참석 예정 - 중소기업 R&D를 수행한 기업 중 55개 기업이 신청하였으며 기업역량 및 제품의 혁신성 등을 평가하여 18개 기업을 1차적으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기업은 IR 소양교육, 피칭 스킬 세미나, 원포인트 레슨, 투자심사역 1:1 멘토링 등 IR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역량을 다졌다. - IR 역량 강화 교육을 수료한 기업 중 기술성 및 투자 유치 가능성 등을 평가하여 투자 유망 우수기업 10개사*를 최종 선별하였고, 선별된 기업은 본 행사에서 투자 유치를 위한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 기계소재, 바이오의료, 정보통신, 전기전자 분야로 구성 ◦ 향후에는 하반기 Tech up프로그램을 통해 투자 유망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239","atchfileNm":"별첨_투자_유망기업_소개자료.pdf","viewCnt":"6620","regDate":"2019-08-23 13:36:37"},{"contentId":"108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퇴직과학기술인과 손잡고 R&D기획역량강화 쑥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809","contentsKor":"중소기업, 퇴직과학기술인과 손잡고 R&D기획역량강화 쑥쑥! - 기정원, 국내기술교류 커뮤니티 오픈데이 행사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기획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8월 22일(목) 14시에 판교 제2 테크노밸리에서 “2019 기술커뮤니티 오픈데이(Open Day)” 행사를 개최한다.   ◦ 기술커뮤니티란, 기정원 기술혁신센터가 정부R&D사업에 관심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일회성 지원’이 아닌 ‘지속적인 교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으로,   ◦ 중소기업은 퇴직과학기술인과 소규모 학습그룹을 구성하여, 과제기획 및 발굴을 위한 기술상담, 세미나, 모의평가 등 다양한 R&D기획역량강화 활동을 지원받는다.   □ 이번 행사는 현재 상시 모집 중인 커뮤니티 운영계획을 안내하고, 중소기업과 퇴직과학기술인(PM)간의 네트워킹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중소기업은 퇴직과학기술인과의 1:1 상담을 사전에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여 커뮤니티 가입 및 활동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으며, 향후 프로그램 운영방향에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혁신성장을 위해서는 협업이 해답이다”며, “산업과 학계, 연구기관간 국내외 기술교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혁신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240","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퇴직과학기술인과_손잡고_RD기획역량강화_쑥쑥!_(기술혁신센터).hwp","viewCnt":"5128","regDate":"2019-08-20 13:43:29"},{"contentId":"108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대전지역 공공기관과 손잡고 전통시장 활성화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807","contentsKor":"기정원, 대전지역 공공기관과 손잡고 전통시장 활성화 나서   - 대전지역 6개 공공기관,‘전통시장 찾기 캠페인’가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이 지역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8일(목) 오전, 대전 공공기관 전통시장 찾기 캠페인을 대전 중앙시장 활성화 구역에서 진행했다.   ◦ 이 날 캠페인은 기정원을 포함한 6개 기관 임직원 100여 명이 참석하였으며, 환경 정화 활동과 장보기 행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장보기 행사 후에는 시장 내 먹거리 골목에서의 점심 식사가 이어졌다.   □ 기정원은 매년 자매결연을 맺은 대전 지역 전통시장에서 명절 장보기 행사, 겨울철 소화기 기부 등 지역시장을 위한 지원 활동을 활발히 이어왔다. 이번 행사는 공공기관 전반에 이 같은 “1기관 – 1시장 지원”확산을 위해 기획되었으며, 기정원 역시 대전 지역 공공기관들과 함께 힘을 모았다.   □ 행사에 참여한 기정원 장인성 본부장은 “기정원은 다가오는 추석에도 자매결연을 맺은 한민시장에서 활성화 캠페인을 이어 가겠다”며, “앞으로도 지역 시장 대상의 공헌 활동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23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대전지역_공공기관과_손잡고_전통시장_활성화_나서.hwp","viewCnt":"5209","regDate":"2019-08-08 13:33:15"},{"contentId":"1073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기업의 핵심시스템을 운영하는 컴퓨팅으로 대변혁을 일으키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735","contentsKor":" ","viewCnt":"834","regDate":"2019-08-02 13:41:23"},{"contentId":"1073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공장화, 중소기업 제조혁신의 초석이 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734","contentsKor":"  ","viewCnt":"756","regDate":"2019-08-02 10:12:57"},{"contentId":"107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포용적 혁신성장 위해 국민과 머리 맞댄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718","contentsKor":"기정원, 포용적 혁신성장 위해 국민과 머리 맞댄다  - 국민과 함께하는 혁신을 위한 시민참여혁신단 2기 출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22일 대전 본원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시민참여혁신단 2기’ 첫 회의를 진행했다.   ○ 지난해 7월, 1기 출범 이후 새롭게 구성된 이번 ‘시민참여혁신단 2기’는 그간 서비스 사각지대에 있었던 국민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기 위해 여성 기업인, 재도전 기업인, 환경운동가, 지역시민단체 등 다양한 분야의 국민들로 새롭게 구성했다.   ○ 앞으로 ‘시민참여혁신단’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지원과 포용적 공공서비스 강화 방안을 함께 발굴하고 실행 과정에도 직접 참여할 예정이다.   □ 이날 시민참여혁신단 회의는 ▲위촉장 수여식 ▲그간의 기정원 혁신 추진성과 공유 ▲기정원 중장기 혁신계획 발표 및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 회의에 참석한 위원들은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중소기업 혁신성장 지원’ 등 기정원의 8대 혁신과제에 대해서 경제성과 공공성을 균형 있게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앞으로 시민참여혁신단을 통해 국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국민 삶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혁신 성과를 창출하고 ‘혁신적 포용국가’ 달성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11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포용적_혁신성장_위해_국민과_머리_맞댄다.hwp","viewCnt":"6949","regDate":"2019-07-25 10:00:13"},{"contentId":"107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을 위한 ‘포용적 혁신성장’ 지원 결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717","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을 위한 ‘포용적 혁신성장’ 지원 결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경영혁신 워크숍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지난 11일 중소기업 R&D 지원 및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과 관련하여 혁신성장 선도와 포용적 서비스 강화를 위한 과제를 발굴하는 워크숍을 개최했다.   ○ 이번 워크숍은 그간 기정원의 혁신성과를 분석하고, 올해 정부정책 방향에 발맞춰 임직원간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의 포용적 혁신성장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실행과제를 발굴하고자 마련됐다.   ○ 이날 워크숍은 최철안 원장을 비롯한 본부장, 실장 등 핵심인력 50여 명이 참석했으며, 그간의 혁신성과 발표, 전문가 특강, 분임토의 순으로 진행됐다.   □ 밤 늦게까지 이어진 분임토의에서는 ‘혁신성장 지원’, ‘사회적가치’, ‘일자리 창출’, ‘업무효율 및 서비스 개선’ 등 4개의 핵심 테마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행과제를 도출했다.   ○ 특히, 사업 실패를 딛고 재도전하는 중소기업이나 경력단절여성, 청년미취업자 등을 포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 이외에도 공공기관 혁신 전문가를 초청하여, 정부의 포용적 혁신성장 정책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기관 경영전략에 내재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 이날 토의한 내용은 국민 의견 수렴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8월말 경영개선 100대 혁신과제로 공표할 예정이다.   □ 최철안 원장은 “포용성은 서로 다름을 이해하고 감싸준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중소기업인에게 기정원은 든든한 R&D 파트너로서 포용적 혁신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11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을_위한_‘포용적_혁신성장’_지원_결의.hwp","viewCnt":"5099","regDate":"2019-07-15 09:59:05"},{"contentId":"107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현장 중심 중소기업 R&D 정책 지원을 위한 제2기 정책자문위원회 자문단 위촉식 및 1차 회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715","contentsKor":"현장 중심 중소기업 R&D 정책 지원을 위한  - 제2기 정책자문위원회 자문단 위촉식 및 1차 회의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정책의 수립 및 서비스 개선과정에서 민간의 역량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제2기 정책자문위원단을 구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 정책자문위원회는 중소기업 등 민간의 시각에서 기정원의 중소기업 R&D 지원정책을 검토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 위원은 기정원장을 포함하여 총 12명이며, 현장에서 통하는 정책 자문을 위해 산업계 위원 위주로 구성*하였다.   * 당연직(기정원장 1명), 민간위원(산업계 5명, 학계 3명, 연구계 2명, 시민단체 1명) ◦ 자문회의는 분기별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시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며, 위원임기는 1년 6개월로 하되 연임이 가능하다.   <제2기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현황>   □ 본 회의는 위촉식과 안건 토의로 이루어졌다.   ◦ 위촉식에서는 기정원장이 민간위원 11명 중 회의에 참석한 9명의 위원에게 위촉장을 전달하였다.   ◦ 위촉식 직후 진행된 1차 회의에서는 안건 총 2건의 안건을 보고하고, 위원간에 집중토론이 진행되었다.   * 논의안건 : ①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추진방향, ② 기정원 고객만족도 제고방안   □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점에서 각계 전문가들과 중소기업 R&D 정책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하는 자리가 되었다”고 하면서,   ◦ “민간 전문가들의 경험과 시장의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중소기업 R&D 지원정책을 개선하고, 고객인 중소기업이 만족하는 정책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11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전략적_RD_지원을_위한_정책자문위원회_개최.hwp","viewCnt":"5015","regDate":"2019-07-08 09:52:25"},{"contentId":"107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스마트공장 제품으로 성심원 책쉼터 만들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716","contentsKor":"기정원, 스마트공장 제품으로 성심원 책쉼터 만들어  - 7월 4일(목), 성심원 책쉼터 개소식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7월 4일 대전시 동구에 위치한 아동보육시설인 성심원 원생들을 위한 책쉼터를 개소했다.   ◦ ‘성심원 책쉼터 만들기’는 도심 지역과 떨어져 있어 다양한 공공시설을 누리기 어려운 성심원 원생들이 방과 후에도 책을 가까이 할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해준 사회공헌활동이다.   ◦ 성심원은 약 40여명의 아동과 청소년을 양육하고 있는 보호 시설로, 원생들이 자신의 권리를 존중받고, 건전한 성인으로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이번 성심원 책쉼터는 기정원의 지원을 통해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기업인 ㈜크로바가구의 테이블, 의자, 책장 등을 구매하여 배치하였다. 또한, 책쉼터 책꽂이의 빈자리는 기정원 임직원들이 기부한 도서들로 채웠다.   ◦ 성심원 원장은“지난 해 희망의 공부방부터 책쉼터까지 꾸준한 지원으로 아이들이 책을 가까이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감사하다”고 전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기정원이 지원한 중소기업들의 제품을 활용한 지속적인 사회공헌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상생과 우리 중소기업 제품의 우수성을 홍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 기정원은 책쉼터 개소식 이외에도 지속적으로 지역 내 사회공헌활동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11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스마트공장_제품으로_성심원_책쉼터_만들어.hwp","viewCnt":"5002","regDate":"2019-07-05 09:57:52"},{"contentId":"107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기술개발사업 본격 착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714","contentsKor":"기정원,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기술개발사업 본격 착수 - 현장수요 중심의 스마트공장 R&D 전방위 밀착 지원, ‘스마트공장 기술전문가 그룹’발족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현장수요 중심의 스마트공장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하는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에 착수했다.   ◦ 기정원은 6월 27일(목) 인터시티 호텔(대전 유성구 소재)에서「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착수 보고회를 갖고 최종 선정된 15개 과제에 대한 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 한다고 밝혔다.   □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은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주관기관)과 제조공장을 보유한 중소기업(참여기업)이 컨소시엄을 이루어 진행하는 기술개발사업으로, 최대 2년간 6억원 이내(총 사업비의 65%)의 정부출연금을 지원한다.   ◦ 금번 착수하는 기술개발 과제는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솔루션들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의 편리성과 비용절감 효과가 우수한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 기술개발은 물론 IoT(사물인터넷) 및 빅데이터, 디지털트윈, AR·VR 등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개발이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가능해진 것이다.   □ 청년들의 제조업기피로 인해 기술단절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기술이 개발되게 되면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작업환경이 구현되고, 가상공장에서 제조현장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관리 및 원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 또한 동 사업을 통해 개발된 솔루션은 사업 기간 중 참여기업의 제조라인에 적용시켜 상용화 가능여부를 직접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된 솔루션은 동종업계 및 지역으로 확대되어 높은 파급효과 및 제조현장의 혁신적 변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 된다.   □ 한편, 이날 착수보고회에는「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의 기술개발 전주기를 모니터링 하고 지원하는 ‘스마트공장 기술 전문가 그룹*’이 발족 하였다. * 스마트공장 전문가 그룹 : 단순 자금지원 R&D에서 벗어나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전주기를 모니터링 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제조혁신 전문가 그룹(총 11명)   ◦ 제조혁신 전문가로 구성된 ‘스마트공장 기술 전문가 그룹’은 동 사업 선정과제를 대상으로 R&D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사업화 애로를 전방위 밀착 지원하게 된다.   □ AI․빅테이터 및 AR․VR 등 요소기술 전문가 외에도 보안, 공정개선, 표준화, 특허 관련 전문가를 위촉하여 기술개발 전주기를 모니터링 하고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적 열위를 상쇄할 예정이다. 이는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최초로 맞춤형 기술지원이 도입된 사례로 보다 혁신적인 성과창출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 아울러 최근 랜섬웨어를 비롯한 스마트공장 사이버 위협이 현실화 되고 있는 만큼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114","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현장수요형_스마트공장기술개발사업_본격_착수.hwp","viewCnt":"5886","regDate":"2019-06-27 09:49:59"},{"contentId":"106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을 키워드립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33","contentsKor":"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을 키워드립니다.   - 기정원,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탈락과제 대상 멘토링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9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 탈락기업을 대상으로 6월 27일(목) 대전 KW컨벤션센터와 28일(금) 서울 이룸센터 누리홀에서 R&D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멘토링 및 교육을 진행한다.   ◦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생산제품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존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제조공정의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여러 차수*를 통해 올해 약 757개 과제(327억원)를 지원할 계획이며,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간, 1억원**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 제품공정개선(1차 2월, 2차 4월, 3차 7월), 뿌리기업공정개선(1차 2월, 2차 7월) ** 제품공정개선(최대 1년, 5천만원), 뿌리기업공정개선(최대 1년, 1억원)   □ 동 사업 모집공고를 통해 제품․공정개선과제 1~2차 및 뿌리기업공정개선 1차 신청․접수를 진행한 결과, 중소기업의 높은 수요로 지원예산 대비 2.9: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였으며,   ◦ 이로 인해 R&D 기획 및 사업계획서 작성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기업들은 지원기회를 놓칠 수 밖에 없었다. □ 기정원은 이와 같은 탈락기업의 R&D 기획역량 강화 및 적극적인 기술개발 참여․유도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멘토링을 신청한 70여개 기업 대상으로   ◦ R&D기획의 주요 요소별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및 노하우 등을 교육하는 집체교육과 함께,   ◦ 신청 시 제출했던 사업계획서와 해당 사업계획서에 대한 평가의견을 중심으로 보완사항 도출 및 보완방법 등을 지도하는 맞춤형 컨설팅 프로그램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 기정원 조기영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탈락기업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사업 참여기회를 놓친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기술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51","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의_RD기획역량을_키워드립니다..hwp","viewCnt":"5734","regDate":"2019-06-26 10:48:12"},{"contentId":"106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 업무협약(MOU)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3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 업무협약(MOU)체결 -“한-러 혁신플랫폼”협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 글로벌 기술경쟁력 강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와 한국과 러시아 양국 기업간 기술협력 협업제공, 대학 및 연구기관과 체계적 협력 지원 등을 강화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ㅇ 협약식은 한-러 혁신 플랫폼을 활성화를 위한 “한-러 혁신센터 개소식”에서 진행되었으며, 개소식은 6.21일(금) 14시 송도 G타워에서 개최되었다.   ㅇ 이날 개소식에는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기정원 등 우리정부 기관 및 산하기관과 러시아대사관, 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 러시아 국립광공업환경안전연구센터, 유라시아금융협회 상임이사 등 양국 협력기관 관계자 총 20여명이 참석하였다.   ㅇ 개소식에 이어 기정원과 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한 양기관과 관련 기업의 상호협력 의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러시아 협력주체와의 네트워킹 기회를 확대하여 ①기술협력 성과가 유망한 기업간 협력을 위해 러시아의 다양한 기술공급·수요기업의 발굴, 정보제공, 교류기회 제공 등 논의 ②지속가능한 기업간 협력을 위해 러시아 기업에 대한 최소 수준의 검증(재무여건 등) 요청 ③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협력 관계 구축이 어려운 대학 및 연구기관과 체계적 협력 지원 등에서 포괄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였다.   □ 이날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유라시아 통합경제연구소와 업무협약을 통해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러시아 원천기술 발굴, 수요기업 매칭, 기술이전, 시제품 지원 등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제고가 기대되며,   ㅇ 현 정부의 핵심 대외정책인 신북방정책의 활성화 및 한반도·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에 기여하고, 우리 기업의 시장다변화, 4차 산업혁명 기술협력, 에너지·물류망 구축 등 신성장동력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고 밝혔다.   ㅇ 아울러, 한국과 러시아 양국의 기술협업을 통해 기술교류·수출을 활성화 할 방침이다.   □ 한편, 오를로프 키릴(Kirill A Orlov) 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 상임대표는 ”러시아는 언어장벽, 열악한 비즈니스 환경, 서방의 대러 제재 등 투자리스크가 높아 해외 기술교류가 활발하지 않았으나,   ㅇ 최근 급속한 기업환경 개선추세와 북방지역 국가의 수입대체 산업육성 정책 등을 통해 시장변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기정원과 업무협약 기점으로 양국의 활발한 기술협력(협업) 및 가시적 성과를 위해 지속적인 협력과 관심을 부탁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5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유라시아_통합연구센터_업무협약(MOU)_체결.hwp","viewCnt":"5672","regDate":"2019-06-24 10:45:59"},{"contentId":"106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혁신성장을 선도할 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하반기 기술수요조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31","contentsKor":"혁신성장을 선도할 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하반기 기술수요조사 실시 - 8대 혁신성장 분야 및 311개 핵심요소기술에 대한 과제 제안서 발굴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19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內 선도형 창업과제(지정공모) 지원을 위한 기술수요조사를 7월 2(화)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 기술수요조사는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이 성과창출 및 창업진출이 유리한 분야의 기술개발과제가 기획되어 기술창업 활성화와 성과창출이 극대화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 관련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과제기획위원회의 검토를 통해 ‘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하반기 선도형 창업 과제의 기술개발 지정공모과제로 공고될 예정이다.   □ 금번 시행하는 기술수요조사는 8대 혁신성장분야 중 창업기업에 적합한 311개의 핵심요소 기술을 기반으로 실시하며,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8대 혁신성장 분야 : 초연결 지능화, 정밀의료, 고기능 무인기, 스마트 농림수산, 지능형 로봇, 자율주행차, 신재생 에너지, 스마트 시티   ◦ 제안된 수요조사서는 기 개발 여부, 개발목표의 적정성 등에 대한 산·학·연 전문가의 검토 및 과제기획 절차를 통해 ‘19년 7~8월부터 본 사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 접수기간은 7월 2일(화) 18시까지이며, 중소기업 기술개발에 관심 있는 기관(기업) 및 개인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9","atchfileNm":"보도자료_혁신성장을_선도할_창업기업_지원을_위한_하반기_기술수요조사_실시.hwp","viewCnt":"5615","regDate":"2019-06-24 10:44:31"},{"contentId":"106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 제조기업 경쟁력 향상 및 고도화를 위한 제품·공정기술개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30","contentsKor":"중기부·기정원, 제조기업 경쟁력 향상 및 고도화를 위한 제품·공정기술개발 지원  - 중기부·기정원,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 2차 선정기업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벤처기업부(박영선 장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9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 제품·공정개선과제(2차) 140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6월 24일 대전 KW컨벤션센터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제품·공정개선 기술개발과제는 중소기업의 생산제품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존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제조공정의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총 3차*에 걸쳐 올해 약 660개 과제(249억원)를 지원할 계획이며,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간, 5천만원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 제품공정개선 모집시기 : 1차 2월, 2차 4월, 3차 7월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및 전자협약 방법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의 설명과 함게, R&D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청렴교육이 진행되며,   ○ 기업의 추가적인 궁금증 해소를 위해 기정원 담당자 상담부스가 마련될 예정으로, 기업은 협약체결 및 사업수행 관련 1:1 상담시간을 가질 수 있다.   □ 기정원 조기영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동 사업을 통해 최근 핵심 화두인 중소 제조기업의 제조혁신 및 4차 산업혁명 물결에 대응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8","atchfileNm":"보도자료_제조기업_경쟁력_향상_및_고도화를_위한_제품공정기술개발_지원.hwp","viewCnt":"5703","regDate":"2019-06-20 10:43:16"},{"contentId":"106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4개 창업기업에 374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29","contentsKor":"기정원, 204개 창업기업에 374억원 지원!  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6월 20일(목) 오후 1시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2019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디딤돌 창업과제(2차) 및 선도형 창업과제(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디딤돌 창업과제는 자유공모를 통해 최대 1.5억 원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며,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나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 후 7년 이하 중소기업의 성장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본 과제는 디딤돌 창업과제(1차)를 통해 지난 5월 말, 213개 기업에 300억 원을 지원하였고, 이번 디딤돌 창업과제(2차)에서는 133개 기업에 188억 원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 선도형 창업과제는 4차 산업혁명 분야 중 성과창출 및 창업기업 진출이 유리한 틈새 분야를 발굴하여 지원하기 위해 올해 신설한 사업이다.   본 과제는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발굴된 분야에 대해 지정공모 방식으로 최대 3억원 이내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며, 기술사업화 평가를 통해 창업기업의 기술성과 사업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71개 기업에 186억 원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 이번 협약설명회에는 선정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된 204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가 참석하였으며, 과제수행에 대한 제반사항을 안내하였다.   ○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체결, 사업비 사용, 연구노트 작성, 기술임치제도,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 등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한 주요 내용을 안내하며, 사업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 본 설명회에서 안내된 내용을 토대로 전자협약체결이 실시될 예정이며, 선정기업들은 제안한 사업계획서를 기반으로 최대 1년간 기술개발 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4개_창업기업에_374억원_지원!.hwp","viewCnt":"5455","regDate":"2019-06-20 10:40:40"},{"contentId":"106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스마트공장 솔루션 기술에 81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28","contentsKor":"기정원, 스마트공장 솔루션 기술에 81억원 지원!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6월 4일(화)〜5일(수) 양일간 대전 인터시티호텔 라벤다홀에서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15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했다.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 현장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으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플랫폼 개발사업(7개 과제)” 과 “K-앱시스트 기술개발사업(8개 과제)”으로 나누어 지원한다.   ◦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플랫폼 개발사업”은 국내 제조 중소기업 현장에 적합한 클라우드 기반의 특화솔루션(SW)을 개발하는 사업이며, “K-앱시스트 기술개발사업”은 생산현장 노하우를 디지털화하고 스마트 공장 정보를 연계한 보조·지원 솔루션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 금년에는 2월 21일 공고이후 3월 25일까지 사업 신청·접수를 통해 15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선정기업은 2년간 최대 6억원 이내(총 사업비의 65%)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기술개발에 착수한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스마트공장의 확산이 기초단계의 생산정보 디지털화, 생산 이력관리에 머무르지 않고 생산성향상과 더불어 근로환경이 개선되는 ‘사람중심’의 4차혁명으로 진화하고 있는 만큼, AI·VR,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이 스마트공장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 강조 했다.   □ 본 협약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약절차, 규정 등을 안내하고, 실무담당자와 기정원 사업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추진과 관련된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또한 사업계획서를 현장에서 수정·보완 할 수 있도록 전문가 자문이 이루어져 기업의 큰 호응이 있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스마트공장_솔루션_기술에_81억원_지원!.hwp","viewCnt":"3674","regDate":"2019-06-05 10:24:46"},{"contentId":"106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사업화 자금 민간투자유치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27","contentsKor":"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사업화 자금 민간투자유치 지원 - 기정원,“Tech UP 프로그램”사업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6월 4일 오후 2시 대전 대덕테크비즈센터에서 R&D 수행 중소기업을 대상으로‘2019년 Tech Up 프로그램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 Tech Up 프로그램은 R&D 수행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 자금 투자 유치를 위해 VC 투자유치 교육, 1:1 멘토링, 데모데이 등을 무료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 본 사업설명회에서는 에트리홀딩스(주) 조병식 대표의 투자유치 특강과 함께 2019년도 운영 계획을 안내할 예정이다.   □ 작년도 동일 프로그램에서 19개의 참여기업 중 3개 사에서 51.7억 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에 기정원은 올해부터 참여기업 규모를 2배로 확대하고 후속지원을 강화하는 등 노력을 진행할 예정이다.   □ ‘2019년 Tech Up 프로그램’은 2차에 나눠 참여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다. 2019년 5월 27일(월)부터 2019년 6월 14일(금)까지 1차 참여기업을 모집하며, 2019년 8월 1일(목)부터 당월 16일(금)까지 2차 참여기업을 모집한다.   □ ‘2019년 Tech Up 프로그램’은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 사업을 수행 중이거나 최근 3년 이내 성공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 공지사항(https://www.smtech.go.kr)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5","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연구개발-사업화_자금_민간투자유치_지원.hwp","viewCnt":"3775","regDate":"2019-06-03 10:23:28"},{"contentId":"10543","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자율주행, '교통사고 제로' 궁극의 기술에 도전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543","contentsKor":"  ","viewCnt":"856","regDate":"2019-05-31 16:46:37"},{"contentId":"106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시장성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에 33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26","contentsKor":"시장성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에 33억원 지원! -기정원, 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 협약설명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5월 31일(금) 오후 1시, 대전 대덕테크비즈센터(1층 콜라보홀)에서 2019년 창업성장기술 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 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했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는 민간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기업 중 연계기관*의 추천을 받은 창업 7년 이하 기업의 기술창업 활성화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과제이다. * 연계기관 : 창조경제혁신센터, (사)한국엔젤투자협회   □ 금번 협약설명회는 지난 2월 28일 공고를 통해 사업계획서 등을 제출한 후 서면평가․현장조사․대면평가를 거쳐 협약대상 과제로 최종 선정된 23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 특히 기존 SMTECH 사업비 포인트제에서 산업부의 RCMS로 연구비 사용이 통합되어 연구비 집행 및 관리가 통합RCMS를 통해 진행됨에 따라 이에 관련한 변경 사항 및 사용 방법을 기업에게 안내하고,   ○ 지정회계법인의 정산 담당 회계사가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기업들에게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 본 설명회 이후 창업과제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최대 2년간 4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4차 산업혁명 분야*를 중심으로 고기술·유망기술에 해당하는 신제품․신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     ○ 이번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의 지원을 통하여 시장성이 검증된 기술우수 창업기업에게 기술개발에 필요한 R&D자금 지원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성과 사업성이 모두 검증된 창업기업의 육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4","atchfileNm":"보도자료_시장성_검증된_기술창업기업에_33억원_지원!.hwp","viewCnt":"3813","regDate":"2019-05-31 15:02:25"},{"contentId":"105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532","contentsKor":"기정원, 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창업과제 선정된 213개 기업에 300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5월 29일(수) 오후 1시 서울 전문건설회관에서 2019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디딤돌 창업과제(1차) 및 여성참여소셜벤처과제(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 후 7년 이하의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지난 1월 31일 공고를 통해 사업계획서 등을 제출한 후 서면평가․대면평가․현장평가를 거쳐 협약대상 과제로 최종 선정된 213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 아울러 본 설명회에서는 원활한 과제 추진을 위한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체결,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연구노트 작성, 기술임치제도 등 제반사항을 안내하고,   ○ 정산 담당 회계사를 초빙하여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기업들에게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는 시간을 가진다. □ 또한 협약 대상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담당자와 기정원 사업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 추진 중 발생하는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 본 설명회 이후 창업과제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최대 1년간 1.5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신제품․신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76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9년_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_협약설명회_개최.hwp","viewCnt":"5404","regDate":"2019-05-30 15:13:25"},{"contentId":"105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정책에 당신의 아이디어를 제안하세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517","contentsKor":"- 중소기업 R&D정책에 당신의 아이디어를 제안하세요 - R&D 아이디어 제안 ‧ 참여 포털‘R&D 1번가’오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는 중소기업 기술개발(R&D) 정책 온라인 포털인 ’R&D 1번가‘(1st.tipa.or.kr)를 구축하고 운영을 시작한다.   □ ’R&D 1번가‘는 정부와 기업을 개하는 중소기업 R&D 정책 관련 개방형 소통 플랫폼으로, 기업은 1번가를 통해 본인이 가지고 있는 정책의견을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다.   □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인 기정원은 중소기업 현장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고 기업이 원하는 제도를 수립하기 위하여 이번에 ’R&D 1번가‘를 개설하게 되었다   □ 중소기업은 ’R&D 1번가‘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R&D 정책수립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 우선, 아직 시행되지는 않고 있으나 정책효과가 클 것으로 보이는 신규 정책 아이디어나 제도개선 사항을 제안할 수 있다.   ◦ 다음으로, 이미 시행중에 있는 정책과 관련하여 시행 과정에서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이나 보완 사항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 또한, 국가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중소기업 R&D 관련 현안사항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의견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발굴해 내는 토론의 장에 참여할 수 있다.     ① (제안하기) · 중소기업 R&D정책 아이디어(제도개선, 건의사항 등) 제안 · 기술개발과제 수요 제안 등   ② (열린토론) · 정책 현안에 대한 토론 및 시사점 발굴   ③ (정보마당) · 각 그룹별(정책제안, 과제제안 등) 참여자간 소통 · R&D정책정보 제공   □ 기정원 이훈희 R&D전략본부장은 기정원이 ‘R&D 1번가’를 통해 기업과의 상시 소통체계를 운영함으로써,   ◦ 기업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적기에 제공하고 현장의 애로를 신속하게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아울러, 1번가 운영과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하였다.   □ ‘R&D 1번가’ 사이트는 기정원 홈페이지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 등을 통해서도 접속이 가능하다.   * R&D 1번가 ☞ http://1st.tipa.or.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 중소기업 R&D사업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749","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RD정책에_당신의_아이디어를_제안하세요.hwp","viewCnt":"5768","regDate":"2019-05-27 14:43:37"},{"contentId":"105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 강화를 위한 R&D기획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516","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 강화를 위한 R&D기획 지원  -5월 14일(화), 2019년 R&D기획지원사업 1차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5월 14일(화) 오후 2시 대전 KW컨벤션센터에서 2019년도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해 개발 타당성 분석, 시장성 조사, 성공 가능성 평가 등의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금년에는 2월 8일 1차 공고 이후 3월 11일까지 사업 신청·접수를 통해 141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21억원을 지원한다.   □ 특히, 금년에는 정부R&D사업 참여 경험이 없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과제와 1~2개 분야에 대해 집중적인 기획지원을 진행하는 멘토링 과제로 지원분야를 이원화 하는 등 R&D 지원이력에 따른 맞춤형 기획을 지원한다.   ◦ 최종 선정기업은 기획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2~4개월간 R&D기획지원을 수행하며, 정부출연금은 최대 2,550만원(총 사업비의 75%)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 과제 종료 후 연계지원 평가위원회에서 선정된 우수과제(전략과제)에 대해 R&D사업 신청 시 사업별로 1회에 한하여 우대할(서면평가 면제 또는 가점 적용)* 예정이다. * 창업성장기술개발 및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일부   ◦ R&D기획지원 2차 사업은 지난 4월 24일(수)부터 5월 23일(목)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신청·접수가 가능하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8월 중에 과제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사업에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협약체결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아울러 기술보증기금 등 10개 기획기관이 참여하여 기관소개 및 상담을 제공하고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된 내용을 전달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R&D기획지원사업을 통하여 기술력 있는 R&D 초보기업이 R&D기획역량을 강화하여 성공적인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사업화까지 실현하길 기대한다.”며,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기업에게 궁금증을 해소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74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의_RD기획역량_강화를_위한_RD기획_지원.hwp","viewCnt":"3790","regDate":"2019-05-27 14:41:35"},{"contentId":"105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기술로드맵(`20-`22) 기술수요조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515","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기술로드맵(`20-`22) 기술수요조사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이 ‘2020~2022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수립을 위해 5월 17일(금)까지 ‘R&D 1번가’를 통해 기술수요조사를 실시한다.   ◦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은 중소기업 맞춤형 유망기술에 대한 단기(3년) 로드맵 수립과 중소기업 R&D사업의 전략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 중소기업에게는 유망기술의 국내외 정책, 시장․기술 환경, 주요 기업의 동향 등 생태계 분석 정보를 제공하고, 핵심요소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전략을 제공하며,   -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R&D투자 방향성 수립에 활용되는 중요 정책자료로, 중소기업 R&D사업 공고시 전략분야 및 기술개발 테마가 활용되는 등 전략적 R&D 투자에 활용된다.   ◦ 이번 기술수요조사는 중소기업 R&D 소통플랫폼인 ‘R&D 1번가’ (https://1st.tipa.or.kr, 제안하기>기술수요조사)를 통해 5월 17(금)까지 참여할 수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이 중소기업 R&D의 투자전략인 만큼, 중소기업에게 적합한 유망기술이 도출될 수 있도록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74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_기술로드맵(20-22)_기술수요조사_실시.hwp","viewCnt":"4230","regDate":"2019-05-27 14:40:20"},{"contentId":"105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디캠프와 손잡고 기술우수 창업기업 성장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514","contentsKor":"기정원, 디캠프와 손잡고 기술우수 창업기업 성장지원! 기술우수 창업기업 성장지원을 위한『기정원-D.CAMP 업무협약』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재단법인 은행권청년창업재단(이하 D.CAMP)은 5월 13일(월), 시장성이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의 R&D 지원 활성화를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협약을 통하여 기술우수 창업기업 중 D.CAMP 추천 기업에게 기정원 R&D지원사업이 연계가능하게 됨으로써, 창업기업에 대한 R&D자금 지원 혜택을 증진할 수 있게 됐다.  □ 협약의 주요내용은,  ① D.CAMP가 기술우수 창업기업을 기정원의 중소기업 R&D지원 대상에 추천하며,   ② 기정원은 위 추천기업 중 평가를 거쳐 선정된 기업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로 지원한다.   ③ 또한, 우수 기술창업기업 대상 설명회 지원, 기타 정보 교류·홍보 등 각 기관의 필요사항을 협력하게 된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는 민간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기업 중 연계기관*의 추천을 받은 창업 7년 이하 기업의 기술창업 활성화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과제이며, * 창조경제혁신센터, (사)한국엔젤투자협회, D.CAMP 등   ○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에 선정되면 중소기업은 최대 4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고,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된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www.mss.go.kr)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www.tipa.or.kr)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D.CAMP와의 협업을 통하여 시장성이 검증된 창업기업에 정부 R&D 지원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시장성과 기술성을 모두 검증받은 창업 기업을 육성하고자 하며, 인지도 높은 민간기관과의 업무 연계지원을 확대함으로써 시장이 先 검증한 혁신적 기술창업기업에게 보다 많은 R&D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74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디캠프와_손잡고_기술우수_창업기업_성장지원!.hwp","viewCnt":"3860","regDate":"2019-05-27 14:33:15"},{"contentId":"10497","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한국 조선해양산업, 부활의 뱃고동을 울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497","contentsKor":"  ","viewCnt":"675","regDate":"2019-05-16 14:19:12"},{"contentId":"104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정부지원사업 5,000명 일자리 잡코리아에서 잡아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462","contentsKor":"중기부 정부지원사업 5,000명 일자리 잡코리아에서 잡아라!!!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잡코리아, 스마트한 R&D 우수기업채용관 오픈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중소기업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의 해결을 위해 ‘2019년 스마트한 R&D 우수기업채용관’을 4월 29일 오픈한다.   - 중소기업 일자리 홍보와 중소기업에 대한 올바른 정보 확산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중소기업R&D지원사업과 스마트공장지원사업의 구직자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기정원이 1년 전부터 야심차게 준비했다.   - 채용관은 청년구직자의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중소기업 일자리를 제공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상세한 정보제공으로 중소기업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를 해결하며, 청년과 함께 미래비전을 공유한다. 기정원의 ‘2019년 스마트한 R&D 우수기업채용관’이 그 해결을 위해 출사표를 던졌다.   □ 기정원은 최대한 많은 청년구직자에게 우수중소기업들의 채용정보를 노출하기 위해 잡코리아와 공동으로 채용관을 구축하였다. 특히 잡코리아, 알바몬의 최상단 배너광고를 통하여 채용공고를 지속적으로 노출해서 입사지원의 효과를 상승시키겠다는 전략이다.   - 참여기업에게는 ▲잡코리아 內 기업채용공고 등록 ▲전국 대학별 취업지원센터 메일링 ▲잡코리아, 알바몬을 통한 온라인 광고 ▲구직자 수요가 높은 취업사이트 타겟광고 등이 전액 무료로 지원될 예정이다.   □‘2019년 스마트한 R&D 우수기업채용관’(URL: http://www.jobkorea.co.kr/Theme/tech)은 2019년 4월 29일 오픈을 시작으로 2020년 4월 28일까지 1년간 운영되며 4차에 나눠서 대상기업을 모집한다.   - ▲1차 모집(~ ‘19.4.25), ▲2차 모집( ‘19.5.27 ~ 6.27), ▲3차모집( ‘19.8.26 ~ 9.26), ▲4차모집( ‘19.11.26 ~ 12.26)   □ 이번 ‘2019년 스마트한 R&D 우수기업채용관’은 중기 R&D지원사업 및 스마트공장지원사업 정보화지원사업을 수행 및 성공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 (https://www.smtech.go.kr)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665","atchfileNm":"붙임_중기부_정부지원사업_5,000명_일자리_잡코리아에서_잡아라!.hwp","viewCnt":"5234","regDate":"2019-04-29 17:27:11"},{"contentId":"10333","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항공산업, 미래 블루오션의 상승기류를 타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333","contentsKor":" ","viewCnt":"734","regDate":"2019-04-16 22:23:38"},{"contentId":"1033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금속과 세라믹 소재 산업의 좌표를 묻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335","contentsKor":"  ","viewCnt":"687","regDate":"2019-03-29 22:26:36"},{"contentId":"101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18년도 공공기관 협업과제 최우수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199","contentsKor":"기정원, 18년도 공공기관 협업과제 최우수기관 선정  - 기획재정부‘공공기관 협업과제 평가’최우수(1등) 달성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기획재정부에서 주최한「2018년 공공기관 협업과제 최종평가」에서 “창업기업의 기술을 지키는 R&D+특허패키지” 과제를 추진하여 협업분야 최우수기관으로 선정 되었다.   ○ 그동안 창업기업이 어렵게 개발한 기술이 기술탈취, 특허분쟁으로 시장에 출시되기도 전에 사장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여 문제로 지적되고 있었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정원은 지난 해 한국특허전략개발원과 협업하여 기술개발 중인 기업에게 특허전략 수립 컨설팅을 동시에 진행하여 창업기업의 기술을 보호하는 과제를 추진하였다.   □ 본 과제는 양 협업기관이 각기 전문성을 발휘하여 창업기업의 ‘기술개발과 기술보호문제 해결’을 동시에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 창업기업이 한번만 신청하여 선정되면 R&D지원과 합께 연계 정책지원(IP전략수립)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설계되어있고,   ○ 기술개발 중인 창업기업이 지식재산권 전략수립을 위한 컨설팅과 함께 R&D지원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 또한, 기술 창업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전문 분야가 각기 다른 2개의 공공기관(기정원, 특허전략개발원)이 협업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 기정원은 창업기업의 R&D를 위한 과제발굴, 평가 및 과제관리의 다년간의 경험을 토대로 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주도하였고,   ○ 협업기관인 한국특허전략개발원은 지식재산권 전략 수립을 위한 전문인력과 실무 경험을 갖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협업성과 제고에 기여하였다.   □ 18년 한해 본 과제를 통해 40개 창업기업이 선정되어 R&D연구비를 지원받고 기업의 기술보호 역량이 제고되는 성과가 있었다.   ○ 창업기업은 개발 기술에 대한 특허 침해를 사전에 예측하여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재산권 대응전략(260건)을 수립하였고,   ○ 기술개발 시작단계부터 기존의 특허와 충돌되지 않도록 기술을 개발하여 국내외 27건의 신규 특허를 출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아울러 기업 눈높이에서 신청 및 평가절차를 간소화하여 정부예산과 기업의 부담을 줄인 성과를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예산절감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 공공기관 협업과제 평가란 공공기관 협업을 통해 경영혁신과 사회적 책임성이 우수한 과제를 선정하는 제도로, 기정원은 이번 평가 결과로 2018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가점이 부여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38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18년도_공공기관_협업과제_최우수기관_선정.hwp","viewCnt":"6220","regDate":"2019-03-28 14:54:35"},{"contentId":"1033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화학·섬유소재 산업의 新 실크로드를 개척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334","contentsKor":"    ","viewCnt":"735","regDate":"2019-02-28 22:25:18"},{"contentId":"76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혁신성장을 선도할 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기술수요조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656","contentsKor":"혁신성장을 선도할 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기술수요조사 실시 - 8대 혁신성장 분야 및 311개 핵심요소기술에 대한 과제 제안서 발굴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19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內 선도형 창업과제(지정공모) 지원을 위한 기술수요조사를 2월 25(월)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 기술수요조사는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의 성과창출 및 창업진출이 유리한 분야의 기술개발과제가 기획되어 기술창업 활성화와 성과창출이 극대화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 관련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과제기획위원회의 검토를 통해 ‘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선도형 창업 과제의 기술개발 지정공모과제로 공고될 예정이다.   □ 이번에 실시되는 기술수요조사는 8대 혁신성장분야 중 창업기업에 적합한 311개의 핵심요소 기술을 기반으로 실시하며,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8대 혁신성장 분야 : 초연결 지능화, 정밀의료, 고기능 무인기, 스마트 농림수산, 지능형 로봇, 자율주행차, 신재생 에너지, 스마트 시티   ◦ 제안된 수요조사서는 기 개발 여부, 개발목표의 적정성 등을 산·학·연 전문가의 검토 및 과제기획 절차를 통해 ‘19년 3월부터 본 사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 접수기간은 2월 1일(금)부터 2월 25일(월)까지이며, 중소기업 기술개발에 관심 있는 기관(기업) 및 개인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217","atchfileNm":"[보도자료]_혁신성장을_선도할_창업기업_지원을_위한_기술수요조사_실시.hwp","viewCnt":"6907","regDate":"2019-02-13 15:46:18"},{"contentId":"75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R&D·정보화 지원사업 우수사례 선정기업 세계로 비상할 준비 완료”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551","contentsKor":"중기R&D·정보화 지원사업 우수사례 선정기업 세계로 비상할 준비 완료” - 2018년 중기R&D·정보화 우수사례 선정기업 수상식 - 중소기업 R&D·정보화 지원사업 우수기업 25개 선정(최우수 3건, 우수 22건)   □ 최철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이하 기정원)은 27일 중소기업R&D·정보화 우수사례 선정기업 수상식에서 최우수 기업(영광YKMC, 만나CEA, 라파스)과 우수기업(22개)*을 표창하고 R&D·정보화 우수기업 현판을 전달했다.   *㈜동광, 명성티엔에스㈜, ㈜비앤디네트웍스, 새한용사엔지니어링, ㈜셀젠텍, ㈜애니젠, ㈜진성테크템, 한국공예협동조합연합회, ㈜현대프로스, 아람휴비스㈜, ㈜아스플로, ㈜시지바이오, ㈜더블에이치, 에리슨제약㈜, 이노진, ㈜마린테크노, ㈜뉴로메카, ㈜앤앤에스피, ㈜오믹시스, ㈜플렉센스, 로보프린트, 베트올㈜   ◦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정보화역량 강화를 위해 매년 7,000여개 기업의 R&D·정보화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기업 중 4차 산업혁명, 일자리창출, 사회적기업 등 5개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창출한 기업을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표창과 함께 성과확산 프로그램(자금조달, 판로개척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 금번에 선정된 기업의 기술수준은 세계 유수의 기업과 비교해도 결코 손색이 없고,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진출에 성공하여 우리나라 중소기업도 할 수 있다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최철안 원장은 “기정원이 대한민국 중소기업의 R&D·정보화 지원을 통해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양질의 일자리창출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우수한 중소기업을 발굴·지원하는데 최선을 다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131","atchfileNm":"[보도자료]_중기RD·정보화_지원사업_우수사례_선정기업_서계로_비상할_준비_완료.hwp","viewCnt":"6661","regDate":"2018-12-27 10:40:29"},{"contentId":"75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국제표준 정보보호경영체계(ISO 27001) 인증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55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국제표준 정보보호경영체계(ISO 27001) 인증 획득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관리하는 R&D전문기관 최초로 정보보호경영체계 ISO 27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ISO 27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제정한 정보보안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표준 인증이다.   ○ 보안정책, 물리적 보안, 접근통제, 통신 및 정보시스템 보안 등 총 114개 통제항목을 만족해야 인증이 부여되므로 정보보호 관리체계의 적정성과 기술적 안전성에 대해 국제 공인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연간 약 6천여개 R&D과제를 지원하는 공공기관으로 업무 과정에서 수집, 관리되는 개인 및 기업정보와 각종 행정정보의 체계적인 보호를 주요 경영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 이에, 정보보안에 대한 강력하고 지속적인 추진 동력과 세밀한 관리기준을 확립하기 위해 ISO 27001 도입을 결정하였으며, 약 6개월에 거쳐 실무 TFT 운영, 표준 통제항목과의 부합성 검증, 각종 보안규격서 수립, 내부감사 등을 수행하여 인증을 획득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기관 정보보안 거버넌스로써 ISO 27001을 모든 업무에 정착시킬 예정이며, 고객이 우리에게 맡긴 소중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기정원은 2015년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을 시작으로 2017년 ISO 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 2018년 ISO 27001(정보보호경영체계)까지 경영전반에 국제 표준체계를 적용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13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국제표준_정보보호경영체계_인증_획득.hwp","viewCnt":"6738","regDate":"2018-12-27 10:38:56"},{"contentId":"754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건설기계 기술혁신의 거멀못이 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7545","contentsKor":" ","viewCnt":"754","regDate":"2018-12-17 13:38:23"},{"contentId":"74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기 R&D정책세미나 및 스마트공장 네트워킹 행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424","contentsKor":"기정원, 중기 R&D정책세미나 및 스마트공장 네트워킹 행사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12월 19일(수) 서울 엘타워에서 ‘중소기업 R&D 정책세미나와 스마트공장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한다.   ◦ 주요 내용은 중소기업 R&D의 효과적 지원을 위한 정책연구결과 발표와 스마트공장 수요-공급기업 간 협업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킹 지원이다.   □ 1부에서는 중소기업에 적합한 미래 유망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방향을 안내하는 2019년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의 방향을 발표하고,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사회적경제 R&D 지원사업의 타당성 분석, 중소기업 R&D지원 기업의 경제적 성과 분석, 중소기업 R&D의 효과적 지원을 위한 투·융자방식 R&D 프로그램 연구 등으로 구성된 정책연구회 연구내용을 중점적으로 발표한다.   □ 2부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스마트공장의 국내외 기술동향을 발표하여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고도화 및 업그레이드를 도모하고,   ◦ 공급기업의 구축솔루션 발표와 수요기업의 우수 성과를 공유하여 3부에서 이어지는 중소기업과 솔루션 공급기업 간 네트워킹을 지원한다.   □ 본 행사는 12월 17일(월) 18시까지 진행되는 사전등록을 통해 무료로 참석 가능하며,   ◦ 신청 방법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과 기정원 홈페이지 내 공지사항을 참조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410","atchfileNm":"창성_설명회.jpg","viewCnt":"5585","regDate":"2018-12-17 10:30:54"},{"contentId":"74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한 계약제도 개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423","contentsKor":"기정원,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한 계약제도 개선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12월 4일(화) 사회적약자기업 관계자들과 계약제도 개선 간담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이번 간담회는 사회·경제적 약자의 경제활동 지원 및 공정경제 실현을 뒷받침 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 구매·계약제도 전반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사회적 책무를 충실히 이행하고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등을 위해 주요내용을 검토하였다.   □ 준비기간을 거쳐 `19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계약제도 개선의 주요내용으로는,   ○ 사회적기업, 여성·장애인기업 등에 대한 가점을 입찰 참여시 제공하고, 선금지급 확대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금 흐름을 지원하며,   ○ 입찰 참가에 필요한 실적과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소기업 등에 대한 진입장벽을 완화하기 위한 실적제한 기준을 개선한다.   ○ 또한, 고시금액 이하의 입찰계약은 실적요청을 금지하고, 고시금액 이상의 실적기간은 현행 3~5년에서 7년으로 확대하여 실적일몰 등의 평가 불이익을 최소화한다.   □ 기정원은 3년전부터 거래 업체에 대한 결제방식을 신용카드에서 거래업체의 은행계좌이체 방식과 체크카드로 모두 변경하여 운영하는 등   ○ 영세 중소업체에 대한 수수료 경감을 선도적으로 시행하여 지역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 최철안 원장은 “계약제도 개선을 통해 사회 소외계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면서,   ○ 본 제도가 ”사회 전체로 확산되어 지역민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제도로 발전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대전시에서 주최하는 ‘1사 1사회적경제기업 결연’(`18.12.12)을 통하여 사회적기업의 성장촉진 및 지역의 사회적경제 활성화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409","atchfileNm":"34통섭연단2.jpg","viewCnt":"4645","regDate":"2018-12-05 10:29:01"},{"contentId":"73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NTIS 데이터 품질평가 최우수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368","contentsKor":"기정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NTIS 데이터 품질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내 17개 R&D대표전문기관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2018년도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이하 NTIS) 데이터 품질평가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서 서비스하는 지식포털(www.ntis.go.kr)   ○ 데이터 품질평가는 2018년 기준 19.7조원에 이르는 정부R&D예산의 범부처 정보 공유 및 활용, 국민개방을 위해 NTIS에 제공하는 데이터의 표준 준수 상태를 측정하는 평가이다.   ○ 기정원은 데이터 연계 상태에 대한 정량평가와 품질향상 노력에 대한 정성평가에서 모두 만점을 받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 기정원은 연간 약 1조원 규모의 중소벤처기업부 R&D지원사업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으며, 보다 우수한 품질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전담 품질관리팀을 운영하고 업무과정에서 발생하는 휴먼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상시점검을 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정부 R&D예산의 투자효율성과 연구생산성 향상을 위해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품질제고에 적극 노력하겠다.” 라고 밝혔다.   □ 기정원은 2016년에 이어 올해에도 품질평가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고, 2018년 코리아 빅데이터 어워드에서도 공공기관부문에서 수상함으로써 데이터 품질관리 역량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354","atchfileNm":"신생아_모자뜨기_기부활동-2.JPG","viewCnt":"5063","regDate":"2018-12-04 14:53:59"},{"contentId":"73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연탄나눔활동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367","contentsKor":"기정원,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연탄나눔활동 실시  - 11월 21일(수), 노사합동으로 대전지역 저소득층 가정에 연탄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11월 21일 대전광역시 동구 효동 일대에서 “노사합동 사랑의 연탄나눔활동”을 진행했다.   ◦ 대전시 동구 주민센터에서 추천받은 저소득층, 독거노인 등 소외된 이웃에 겨울나기용 연탄을 무료로 지원하는 이번 활동은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노동조합 장상민 위원장 등 임직원 20여명이 참여했다.   □ 올해 들어 가장 추웠던 날씨에도 불구하고 기정원 임직원들은 4개 가정에 총 1,000장의 연탄을 직접 전달하면서 굵은 땀방울을 흘렸다.   ◦ 연탄을 지원받은 한 가정은 올해 연탄 가격이 개당 105원 가량 크게 올라 부담됐는데 이렇게 지원받은 덕분에 걱정을 한시름 덜었다면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지역사회와의 상생은 공공기관으로서 기본적인 책임”이라면서 “연탄나눔을 통해서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올겨울을 따뜻하게 보내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지역사회와 상생을 위하여 매년 연탄나눔활동 외에도 지역 관광명소 환경정화, 방과 후 소외아동을 위한 공부방 만들기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353","atchfileNm":"신생아_모자뜨기_기부활동-1.JPG","viewCnt":"4895","regDate":"2018-11-23 14:52:49"},{"contentId":"73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제품경쟁력 강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품질 R&D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366","contentsKor":"중소기업의 제품경쟁력 강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품질 R&D지원 - 선정 309개 과제에 149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8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의 제품공정개선과제(3차) 309개 기업을 선정하고, 기술개발을 위한 149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제품공정개선과제는 기존 제품의 성능 및 품질 향상 등의 제품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 제품개선과제와 제조현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제품생산 시간·비용 절감 및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공정개선과제로,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 이내, 5천만 원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는다.   □ 기정원은 선정된 기업 대상으로 11월 23일에 대전정부청사 후생동 대강당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여, ① R&D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청렴교육 ② 사업추진체계 이해를 위한 추진절차 및 규정 설명 ③ 과제 수행을 위한 수정사업계획서 작성법 교육 ④ 전자협약을 위한 SMTECH 업로드 및 협약사항 안내 ⑤ 수행 과제 관리를 위한 SMTECH 및 포인트시스템 소개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교육하였다.   ◦ 또한, 협약변경, 연구노트 작성 및 최종보고서 제출, 연구비 사용 등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 진행 관련 궁금한 사항을 해소하였다.   □ 기정원 조기영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이번 제품 및 공정 개선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기존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개발공정을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352","atchfileNm":"지역희망나눔사진-2.JPG","viewCnt":"5052","regDate":"2018-11-23 14:50:56"},{"contentId":"73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8년 산학연협력R&D를 통한 중소기업 본격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365","contentsKor":"기정원, 2018년 산학연협력R&D를 통한 중소기업 본격 지원  - 첫걸음·도약과제(2차) 542개 과제 467억원 지원 -   □ 중소벤처기업부(홍종학 장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2018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의 첫걸음·도약과제(2차) 542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11월 20일(화) 정부대전청사 후생관 대강당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의 협력 R&D를 지원해온 사업으로,   ◦ 국가 R&D 사업에 처음 참여하거나 기업부설연구소를 신규설치하려는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첫걸음R&D와 기술적 우위 선점 또는 기술보완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도약R&D로 구성되어 있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 대표자, 과제책임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와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협약변경, 사후관리 등 사업 추진 시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질의응답 등을 통해 사업추진 시 실수가 없도록 상세히 안내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기술기반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산학연협력 R&D를 통해 탄탄한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를 바라며, 정부지원금이 올바르게 사용될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갖고 사업수행 및 연구비집행에 만전을 다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351","atchfileNm":"지역희망나눔사진-3.JPG","viewCnt":"3162","regDate":"2018-11-21 14:49:28"},{"contentId":"754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의료기기 산업, 글로벌진출을 위한 닻을 올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7544","contentsKor":" ","viewCnt":"413","regDate":"2018-11-19 13:36:19"},{"contentId":"72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공공연구기관과 함께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선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244","contentsKor":"기정원-공공연구기관과 함께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선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테크노파크와 함께 부산지역과 대구지역 유망 중소기업의 성장·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11월 12일(월)과 14일(수) 이틀간 부산과 대구에서 공공연구기관-지역 중소기업 기술교류회를 개최한다.   ○ 부산지역 기술교류회는 부산테크노파크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12개 공공연구기관이 참여하며, 대구지역 기술교류회는 대구테크노파크와 한국기계연구원 등 10개 공공연구기관이 참여한다.   ○ 본 행사는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상담과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중소기업이 상용화할 수 있도록 기술이전 발표와 개별상담을 진행하며,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 간 오픈이노베이션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인적 네트워킹 교류도 함께 진행한다.     □ 기정원은 금년에만 총 4차례의 지역 기술교류 행사를 진행하여 왔으며, 이번 행사는 특히 해당 지역산업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는 지역 테크노파크와 협업하여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수요를 찾아내 사전에 매칭하는 등 맞춤형 기술교류회로 추진하여 성과가 많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기술 교류회를 통해 부산 및 대구 지역 경제가 자동차, 조선, 섬유 등 주력 산업의 성장 둔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 “지역 중소기업의 매출이 더욱 증대되고 일자리 창출로 연결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요한 행사가 될 것”이라 말하고, “내년에는 더욱 많은 권역으로 확대하여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번 행사는 11월 12일(월) 오후 1시 부산서면롯데호텔과 14일(수) 오후 1시에 대구 노보텔엠베서더에서 개최하며, 사전신청은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 홈페이지(http://bridge.smtech.go.kr) 공지사항을 통해 접수받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230","atchfileNm":"제5차_통섭연단-4.jpg","viewCnt":"3558","regDate":"2018-11-07 10:56:25"},{"contentId":"72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 뿌리기술 경쟁력 향상 및 고도화를 위한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243","contentsKor":"중기부·기정원, 뿌리기술 경쟁력 향상 및 고도화를 위한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 지원 - 57개 뿌리기업에 53억원 지원 -   □ 중소벤처기업부(홍종학 장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8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의 뿌리기업공정과제(2차) 57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10월 30일 대덕테크비즈센터 콜라보홀(대전 도룡동 소재)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뿌리기업공정과제는 뿌리기술의 적용범위 확대를 위한 제품 적용기술 및 뿌리기술 고도화를 위한 공정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 이내, 1억 원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및 전자협약 방법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협약변경 방법 및 사후관리, 청렴문화 확산 교육 등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질의응답을 통해 사업을 문제없이 완료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 기정원 협력기술평가본부 최광문 본부장은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높은 핵심 뿌리기술을 보유한 뿌리기업의 생산성·부가가치 향상 및 제품경쟁력 강화 등 뿌리기업공정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229","atchfileNm":"제5차_통섭연단-3.jpg","viewCnt":"2798","regDate":"2018-10-31 10:54:12"},{"contentId":"72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 2018년 중소기업 성장동력 발판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242","contentsKor":"중기부·기정원, 2018년 중소기업 성장동력 발판마련  - 산연전용·연구마을 148개 중소기업에 87억원 지원 -   □ 중소벤처기업부(홍종학 장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2018년도 하반기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산연전용·연구마을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148개 중소기업에 87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전략협력’ 지원사업은 특정 산업·기술분야의 R&D 거점의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유망 중소기업을 고성장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으로서,   - 연구기관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산연전용(1년, 1.5억원 이내 지원)과,   - 중소기업의 연구기능(기업부설연구소)을 대학 내 공간에 집적화하여 상시 기술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연구마을(2년, 2억원 이내 지원)로 구성되어 있다.     □ 기정원은 포항공대, ETRI 등 21개 운영기관을 통해 자체 모집된 313개 과제 중, 선정평가를 거쳐 148개 중소기업을 최종 선정하고, 지난 10월 25일 정부청사 후생동에서 중소기업과 공동개발기관(대학·연구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기정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사업에 선정된 모든 중소기업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주관기관 및 공동개발기관과 조속한 협약체결을 통해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원활히 착수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228","atchfileNm":"제5차_통섭연단-2.jpg","viewCnt":"2501","regDate":"2018-10-29 10:52:27"},{"contentId":"716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바이오산업의 생태계 안에 집을 짓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7169","contentsKor":" ","viewCnt":"561","regDate":"2018-10-22 21:38:17"},{"contentId":"71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강원도 원주로 찾아가 中企 R&D 사업비 집행·정산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164","contentsKor":"기정원, 강원도 원주로 찾아가 中企 R&D 사업비 집행·정산 설명회 개최 강원 지역 R&D 수행기업 기술개발 측면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오는 10월 25일(목) 오후 1시에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강원도경제진흥원에서 강원지역 중소기업 R&D 지원기업 대상으로 「중소기업R&D 사업비 집행·정산 설명회」를 개최하여,   ㅇ 강원지역 유망 중소기업의 신제품·신기술 기술개발을 측면 지원할 계획이다.   □ 동 설명회에서는 `17년~`18년 중소기업 R&D 과제 수행 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R&D 사업비 집행 규정, 자금 집행·관리시스템 이용법, 정부출연금 부정사용 사례 등 사업비 집행 전반에 대하여 기업 실무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할 계획이며,   ㅇ 설명회 종료 후에는 강원지역의 중소기업 R&D 사업비 정산을 담당하는 공인회계사가 기업들의 사업비 집행 관련 궁금증을 1 : 1로 해결해 주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 참석 대상 :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R&D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강원도 소재 중소기업·대학·연구소     □ 기정원 사업지원본부 정영훈 본부장은 “그 간 사업비 설명회는 주로 수도권, 대전권 지역 중심으로 개최하여 강원지역 기업들이 원거리로 인해 참석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지만,   ㅇ 이번 기회를 통해 강원지역 중소기업 R&D 수행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여 사업비 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함으로써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77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강원도_원주로_찾아가_中企_RD_사업비_집행정산_설명회_개최.hwp","viewCnt":"2736","regDate":"2018-10-22 13:41:38"},{"contentId":"71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혁신센터, 실리콘밸리의 4차 산업혁명 분야 현지 중계 강의로 생생한 기술 트렌드를 전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16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혁신센터, 실리콘밸리의 4차 산업혁명 분야 현지 중계 강의로생생한 기술 트렌드를 전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혁신센터는 한국표준협회와 함께 오는 10월 24일부터 매주 수요일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에서 ‘살아있는 실리콘밸리 미국 현지 실황중계 교육’을 총 8회 실시한다.   ○ 이번 교육은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의 관장과 실무담당자들이 전하는 생생한 현지 이야기와 실리콘밸리 내 기업 전문가를 통해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동향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교육 내용은 실리콘밸리 현황, 인공지능·블록체인·자율주행·가상현실(AR/VR)·로봇 등 4차 산업혁명 최신 기술동향에 관심있는 중소기업의 CEO, CTO 및 임직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에서는 실리콘밸리의 중심 기지로서의 역할과 마케팅, 스타트업 투자유치 사례, 한국기업 지원사업 등을 통해 실리콘밸리의 현황 및 진출 전략 등을 소개하며,   ○ 실리콘밸리 내 4차 산업혁명 분야 기술창업기업 대표 등이 직접 인공지능·블록체인·자율주행·가상현실(AR/VR)·로봇 등 해당 산업에 대한 기술 현황과 미래 전망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공유경제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 또한, 강연 후 국내 전문가의 심층 질의응답을 통한 코칭프로그램 및 교육 참가자들 간의 네트워킹 기회도 제공할 예정이다.   ○ 이번 교육은 오는 10월 24일부터 12월 19일까지 매주 수요일 오전 9시 판교 기업지원허브 6층에서 진행되며, 기술혁신센터 멤버십기업에게는 회차별 선착순 무료 강의 수강을 지원한다.   ○ 최철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4차산업 관련 분야의 기업을 경영하는 CEO 등의 생생한 경험담을 통해 기술동향 파악은 물론 해외진출과 비즈니스 아이디어 등을 얻을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교육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 홈페이지(bridge.smtech.go.kr) 또는 한국표준협회 교육홈페이지(www.oks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148","atchfileNm":"(2016.10_.25)_중소기업과_기정원_담당자_애로사항_간담회__.jpg","viewCnt":"2952","regDate":"2018-10-19 10:30:48"},{"contentId":"70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18년도 신입직원 15명 임용장 수여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025","contentsKor":"TIPA, 2018년도 신입직원 15명 임용장 수여식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9월 21일 2018년도 1차 채용을 통한 신입직원 15명의 임용장 수여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번에 임용된 신입직원은 R&D정책연구분야 3명, R&D평가관리 분야 5명, 중소기업스마트화지원분야 2명, 경영일반 및 지원 분야 4명, 정보시스템지원분야 1명이다.   □ 기정원의 이번 채용은 차별 없는 채용문화 정착을 위해 성별, 출신학교 등의 차별적 요소를 전면 베재한 ‘블라인드 채용’으로 진행되었으며,   ○ 각 채용분야별 직무능력증심(NCS) 기반의 서류전형, 필기전형, 면접전형 등 총 3단계로 진행되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높은 경쟁률을 뚫고 합격한 신입직원 모두를 격려하며, 기관의 새로운 활력이 되어주길 기대한다”고 하며 “준정부기관 직원으로서의 청렴하고 공정한 근무자세와 중소기벤처기업부 산하 R&D전문기관으로서 업무 전문성 함양에 노력할 것”을 당부했다.   ○ 한편, 기정원은 지난 1차 채용에 이어 2차 채용(‘18.8.29 공고)을 통해 10명의 신입직원(R&D평가관리 9명, 중소기업스마트화지원 1명)을 추가로 선발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646","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18년도_신입직원_15명_임용장_수여식_개최.hwp","viewCnt":"3383","regDate":"2018-09-21 15:05:15"},{"contentId":"70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 청년일자리 문제 해결 위해 적극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024","contentsKor":"기정원, 지역 청년일자리 문제 해결 위해 적극 나선다  -기정원-대전지역 3개 대학교 청년일자리 연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맺어-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9월 19일 대전 본원에서 대전 지역 3개 대학교(배재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밭대학교)와 업무협약식을 갖고, 대전·충청지역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동 협업하기로 뜻을 모았다.   ◦ 이날 협약식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획조정본부 조기영 본부장과 배재대학교 대학일자리본부 이채현 본부장을 비롯한 3개 대학의 대학 일자리본부장이 참석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올해 6월 기준 대전지역 청년고용률*이 37.0%로 전국 평균인 42.5%보다 5%p 가량 낮은 수치를 보임에 따라, 대전에 위치한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추진됐다.   * 청년고용률 측정 기준: 15∼29세의 청년 취업자,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주요 협력분야는 △청년 취업지원 프로그램 공동운영 △채용여력이 있는 우수 중소기업 정보 공유 △기타 협업방안 발굴 등이다.   ◦ 기정원은 연간 약 6,000여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들 중소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인력 정보를 지역 대학교의 청년구직자들에게 소개하고 취업연계를 추진하여 중소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기정원과 3개 대학은 우선 「청년인재와 함께하는 중소기업 현장탐방」프로그램을 공동 운영 및 확대해나가기로 합의했다.   ◦ 「청년인재와 함께하는 중소기업 현장탐방」은 청년구직자와 함께 기정원이 지원하고 있는 기술개발 우수 중소기업을 찾아가서 기술개발 현장 견학 및 채용면담을 연계하는 프로그램으로,   ◦ 참여한 청년구직자의 70% 이상이 “중소기업 채용에 지원하겠다”고 응답하였으며, 90% 이상이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고 응답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내고 있다.   □ 이날 협약식에 참가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조기영 기획조정본부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지역사회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 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적 문제들을 지역사회와 함께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발굴해나가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64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_청년일자리_문제_해결_위해_적극_나선다(즉시_배포_요청).hwp","viewCnt":"3312","regDate":"2018-09-21 15:04:28"},{"contentId":"7166","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에너지 백년대계, 중소기업의 역할을 묻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7166","contentsKor":" ","viewCnt":"436","regDate":"2018-09-17 17:13:43"},{"contentId":"69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부산시·공공연구기관과 함께 부산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선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965","contentsKor":"기정원·부산시·공공연구기관과 함 께부산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선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6개 공공연구기관이 부산지역 우수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선도를 통한 성장과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함께 나섰다.   ○ 기정원은 지난 9월 14일(금) 부산롯데호텔에서 부산시와 공동으로 ‘중소기업-공공연구기관 부산지역 기술교류회’를 개최했다.   ○ 이번 기술교류회는 부산소재 우수 중소기업의 신기술·신제품 개발 혁신역량 강화와 기술협력 교류 지원을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광기술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6개 공공연구기관이 참여하여,   ○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중소기업에 이전하여 신제품 개발 등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이전 분야에 대한 발표와 개별 상담을 진행하였으며,   ○ 아울러, 이들 기관과 참여 중소기업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기술혁신협력 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네크워킹 행사도 병행해서 추진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부산지역 기술교류회 행사를 통하여 지역 우수 중소기업과 우수한 기술, 인력, 장비 등을 보유한 공공연구기관과의 기술혁신 협력 활동이 보다 활발해지길 바란다”며,   ○ “기업성장의 디딤돌이 되어,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산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창출에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 또한, 향후에도 동 기술교류 행사가 지역 중소기업 기술혁신 활동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만큼, 비수도권 지역 위주로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58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부산시·공공연구기관과_함께_부산지역_중소기업의_기술혁신_선도.hwp","viewCnt":"3415","regDate":"2018-09-14 09:14:37"},{"contentId":"69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스마트산단 조성에 적극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96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스마트산단 조성에 적극 나선다 - 반월·시화 스마트산업 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체결 -   □ 첨단 제조업 중심의 스마트산단 조성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한국산업단지공단(이사장 황규연, 이하 산단공), 민관합동 스마트공장추진단(단장 배경한, 이하 추진단), 반월‧시화 스마트허브 경영자협회(회장 배오수, 이하 경영자협회), 포스코 ICT 컨소시엄(포스코 ICT, KT, 한국전력공사, 장우기계, 이하 컨소시엄)과 함께 9월 12일(수) 반월‧시화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생산‧경영‧에너지 효율화를 지원하는 '민간 선투자방식의 스마트산업단지 상생협력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번 협약은 민간 대기업의 생산효율화 기술을 중소·중견기업에 적용하여 자생적 스마트공장 확산모델을 처음으로 구현함으로써 산단 스마트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지난 6월 산단공에서는 반월·시화산단 대상 스마트 생산‧경영‧에너지 효율화를 추진하는 시범사업 사업자로 국내 분야별 최고 전문기업인 포스코 ICT, KT, 한국전력, 장우기계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선정하여 2천만원 상당의 무료 컨설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22년까지 총 600억 규모의 민간투자를 통해 반월‧시화산단 입주기업의 스마트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 기정원은 ‘민관 상생협력형 지원모델’을 만들어 시너지 효과를 제고할 예정이다.   ◦ 이번 지원모델은 산단 내 중소·중견기업에 민간 대기업이 선투자하고, 투자기업에게 정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연계하는 새로운 모델로 지원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운영모델이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 기정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중소기업 최대 집적지인 반월‧시화단지에 민간 대기업의 혁신기술과 자금, 정부의 지원, 공단의 플랫폼이 결합하여 산업단지 중소기업 스마트화를 활성화하면 현재 침체되고 있는 우리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역량 제고와 스마트산업단지로의 전환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585","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스마트산단_조성에_적극_나선다.hwp","viewCnt":"3397","regDate":"2018-09-12 18:32:52"},{"contentId":"69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지역 스마트팩토리 활성화 견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96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지역 스마트팩토리 활성화 견인 -『2018 경남창원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엑스포』개최 -   지역중심의 스마트팩토리 보급·확산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FA저널, 경남테크노파크 등 유관기관과 함께 “2018 경남 창원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엑스포”를 공동 주관한다.   □ 이번 행사는 스마트팩토리 산업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행사로 9월 5일(수) ~ 9월 7일(금) 3일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며, 창원·구미·포항·울산 등 경남지역에 소재한 제조기업 3,000여명의 참관객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 세부적인 행사내용을 살펴보면, 정밀기기‧자동차부품‧석유화학 등 다양한 업종의 스마트팩토리 최신 트렌드와 구축 사례가 소개되는 컨퍼런스가 열리고,   ◦ 참가기업의 전시부스와 바이어상담회 등을 통해 스마트팩토리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 질 것으로 보인다.   □ 또한, 기정원은 중소기업이 스마트팩토리 관련 정부 지원사업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홍보관”을 3일간 운영한다.   ◦ 이번 홍보관을 통해 올해 중소기업들이 지원받을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 관련 다양한 지원사업에 대해 안내하고,   ◦ 스마트팩토리 ’전문가 상담존‘을 운영하여 중소기업들이 현장에서 고민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관련 애로사항 해결을 지원한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과거부터 제조기업 성장의 중심이었던 경남지역에서 이번 행사를 개최하게 된 것은 큰 의미가 있으며, 이번 행사를 계기로 많은 중소기업들이 상호교류와 다양한 정보수집을 통해 4차 산업혁명 대응역량이 강화되길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지원정책 방향에 맞추어, 지역중심의 스마트팩토리 보급·확산과 중소기업 현장여건을 반영한 스마트공장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583","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_스마트팩토리_활성화_견인.hwp","viewCnt":"3064","regDate":"2018-09-07 18:30:10"},{"contentId":"69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 內 기술전문서비스파크 입주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963","contentsKor":"기정원,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 內 기술전문서비스파크 입주기업 모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18년 8월 20일(월)부터 9월 14일(금)까지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 내 기술전문서비스파크에 입주할 기술전문기업(K-ESP)을 모집한다.   ○ 기술전문기업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정한 설계·해석, 시험·분석 등 기술분야별 전문역량을 보유한 기업으로, 중소기업에게 R&D 단계별 전문 기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일컫는다.   ○ 기술전문서비스파크는 현재 11개 기술전문기업 및 예비기술전문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기업지원허브 내 중소(창업)기업 뿐만 아니라 인근 테크노밸리의 다양한 산업, 기술 간 협력을 통해, 기업의 개방형 혁신을 촉진하는 R&D 허브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 이번 모집 대상은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기술전문기업으로 지정된 기업(166개사)과 일정 기준을 충족하고 향후 기술전문기업 신청 예정인 예비기술전문기업으로, 총 9개 기업을 모집한다.   ○ 예비기술전문기업은 총 매출 중 기술전문서비스로 발생한 매출액이 1억원 이상 또는 비중이 50% 이상(직전연도 또는 3개 사업연도 평균)이어야 하고, 이공계 전문인력을 2인 이상 보유해야 한다. ○ 신청기업에 대해서는 10월 중 기술 전문성, 창업(중소)기업 지원역량 및 성장 가능성 등을 심사해 선정하며, 최종 선정된 기업은 11월 경 입주하게 된다.   □ 기술전문서비스파크에 입주하면 입주기업과 창업(중소)기업 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기술커뮤니티, 네트워킹 등 다양한 교류협력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 기업지원허브 창업존 내 조성된 3D 제작보육실, 시제품 제작터, 통번역센터, 미팅룸 등 기업 지원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   □ 신청방법 및 향후 일정 등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584","atchfileNm":"[보도자료]_판교_제2테크노밸리_기업지원허브_내_기술전문서비스파크_입주기업_모집.hwp","viewCnt":"3416","regDate":"2018-08-21 18:31:33"},{"contentId":"6956","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홈, 인공지능 플랫폼 타고 훨훨 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956","contentsKor":"  ","viewCnt":"579","regDate":"2018-08-21 14:25:35"},{"contentId":"679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SNS채널 확대 오픈!“다양한 중소기업 R&D 정보를 실시간으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792","contentsKor":"기정원, SNS채널 확대 오픈! “다양한 중소기업 R&D 정보를 실시간으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R&D에 관심 있는 국민 누구에게나 중소기업 R&D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채널을 확대 오픈한다.   ○ 기정원은 기존에 서비스하던 ‘TIPA 웹진’에 더해 고객과의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고 국민들의 활용도가 높은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등 4개의 SNS채널을 추가 오픈하여 국민과의 접점을 늘렸다.   □ 신규 오픈한 SNS채널에서는 지원설명회 등 행사스케치 영상, 카드뉴스, 인포그래픽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춘 R&D 정보를 제공한다.   ○ 또한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려주기 위해 실제 R&D 지원사업에 참여한 우수기업 인터뷰 및 탐방 영상도 제공하고,   ○ R&D 퀴즈, 좋아요 이벤트 등을 통해 고객과의 소통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 ‘TIPA웹진’은 개편을 통해 사용자 관점으로 웹진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모바일 환경에서도 불편함 없이 웹진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TIPA웹진은 매주 중소기업 R&D지원사업 지원일정 및 방법 등을 안내하고, 다양한 기술분야의 정보들도 제공하고 있어서 중소기업의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으며 기술개발에 관심 있는 중소기업인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 TIPA 웹진은 전용 홈페이지(http://webzine.tipa.or.kr)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를 통해서도 손쉽게 구독신청이 가능하며,   ○ SNS 채널에서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또는 ‘기정원’으로 검색하면 만나볼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44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SNS채널_확대_오픈,_“중소기업_RD_정보를_실시간으로”.hwp","viewCnt":"3149","regDate":"2018-08-01 14:28:55"},{"contentId":"679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혁신의 방향타, 국민과 함께 쥐고 나간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791","contentsKor":"기정원 혁신의 방향타, 국민과 함께 쥐고 나간다. - 국민과 함께하는 혁신을 위한 시민참여혁신단 출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R&D 지원을 비롯한 고유업무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시민참여혁신단’을 공식 출범했다.   ○ 기정원은 7월 27일 대전 본원에서 ‘시민참여혁신단’ 위촉식을 갖고 시민참여혁신단 단장으로 목원대학교 신열 교수를 임명하고, 중소기업인, 시민단체 대표, R&D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시민 7명을 시민참여혁신단 위원으로 임명했다.   □ ‘시민참여혁신단’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기정원의 고유업무에 대한 혁신의 방향을 정하고, 이를 국민과 함께 추진해 나가고자 구성하였다.   ○ 시민참여혁신단은 앞으로 ‘R&D지원을 통한 중소기업 혁신성장 뒷받침’, ‘대·중소기업간 공정경제 기반 구축’ 등 기정원 7대 혁신과제를 중심으로 고유업무의 공공성을 보다 강화해 나가는 혁신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 ‘시민참여혁신단’은 위촉식 직후 가진 첫 공식회의에서 기정원의 올바른 혁신 추진방향 설정을 위한 토론을 진행했다.   ○ 토론을 통해서 기정원은 앞으로 국민과의 소통과 참여를 통해 자율적이고 지속가능한 혁신을 추진해야한다는 것에 의견을 같이 했다.   ○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에 시작될 온라인 정책제안 플랫폼 ‘중소기업 R&D 1번가’를 통해 중소기업 R&D에 대한 국민 아이디어를 적극 수렴하고,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서 실제 정책 개선으로 이어 나가기로 했다.   ○ 또한 자체적인 혁신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혁신동아리를 운영하여 혁신성과를 낸 직원에게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자율적인 혁신 문화 확산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시민참여혁신단과 함께 국민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자율적인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R&D 지원의 고유기능과 공공성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44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혁신의_방향타_국민과_함께_쥐고_나간다.hwp","viewCnt":"2941","regDate":"2018-07-31 14:24:05"},{"contentId":"67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기술개발지원 중소기업과 함께 희망의 공부방 만들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790","contentsKor":"기정원, 기술개발지원 중소기업과 함께 희망의 공부방 만들어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7월 25일, 대전시 동구에 위치한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에서 지역 소외아동들을 위한 학습공간인 ‘희망의 공부방’ 개소식을 가졌다.   ○ ‘희망의 공부방’은 지역 소외아동들의 열악한 교육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공간을 조성해주는 활동으로, 기정원 임직원들의 매월 급여 중 일정금액을 모금하여 진행됐다.   ○ 성심원은 가정이 해체되어 보호가 필요한 약 40여명의 아동들을 양육하고 있으며, 그간 도심지와 떨어진 위치 탓에 방과 후 아동들의 교육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 ‘희망의 공부방’은 기정원이 기술 개발을 지원했던 중소기업들이 생산한 제품들로 꾸몄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로보로보의 아동용 창의력 학습도구인 ‘로봇 키트’와 ㈜모두시스의 국산 노트북 ‘트윙글’, ㈜대영전자의 공기청정기 ‘빈트(VVINT)’가 대표적이다.   ○ 이날 아이들은 로봇키트를 직접 조립해보고 노트북도 만져보면서 기정원과 중소기업이 함께 만들어 준 선물에 즐거워했다.   □ 또한 기정원 직원들은 직접 아이들이 맨발로 다닐 수 있는 바닥재를 설치하고, 책상·도서·학용품 등도 함께 지원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학습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 이날 개소식에 참여한 기정원의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기정원이 기술개발을 지원한 중소기업이 다시 아이들에게 꿈을 심어주는 선순환을 만들었다.”면서, “희망의 공부방에서 아이들이 소중한 꿈을 키워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희망의 공부방 만들기를 비롯해 청년구직자와 중소기업간 채용연계, 지역 관광명소 환경정화활동 등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을 계속해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44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기술개발지원_중소기업과_함께_희망의_공부방_만들어.hwp","viewCnt":"2974","regDate":"2018-07-27 14:22:11"},{"contentId":"695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로봇은 4차 산업혁명의 실현 주체입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955","contentsKor":"  ","viewCnt":"477","regDate":"2018-07-20 13:55:49"},{"contentId":"65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경제 돕기 위해 대전지역 관광명소 환경정화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96","contentsKor":"기정원, 지역경제 돕기 위해 대전지역 관광명소 환경정화활동 나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18일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대표적 관광명소인 장태산 자연휴양림을 찾아 환경정화활동을 실시했다.   ○ 대전시 서구 장안로에 위치한 장태산 자연휴양림은 국내 유일의 메타세콰이아 숲이 울창하게 형성되어 이국적인 경관과 더불어 가족단위의 이용객이 산림욕을 즐길 수 있어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 기정원과 대전광역시 공원관리사업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이번 활동은 본격적인 여름휴가철을 맞아 휴양림을 찾는 방문객들이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휴양을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취지로 진행됐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 및 임직원 20명은 30도가 넘는 폭염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정문 안내소에서부터 메타세콰이아 산림욕장까지 1km가 넘는 산책로를 청소하고 안내팻말을 정비하는 등 구슬땀을 흘렸다.   ○ 이날 환경정화활동에 참여한 기정원 직원은 “날씨가 많이 무더워 힘들었지만 깨끗해진 휴양림을 보니 몸과 마음도 깨끗해지는 것 같다”면서, “앞으로 여름휴가 기간에 국민들이 장태산 자연휴양림을 비롯한 대전지역 관광명소를 많이 찾아 지역 경제에도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223","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경제_돕기_위해_대전지역_관광명소_환경정화활동_나서.hwp","viewCnt":"3485","regDate":"2018-07-19 09:48:59"},{"contentId":"65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끝장토론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88","contentsKor":"기정원,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끝장토론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지원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방안을 마련하고자 임직원 끝장토론(해커톤)을 개최하였다.   ○ 7월 12일 대전 유성구 삼성화재연수원에서 개최된 이번 토론회에는 최철안 원장을 비롯한 본부장, 실장 등 핵심인력 40명이 참석하였다.   ○ 참석자들은 기정원의 고유업무인 중소기업 R&D 지원 업무 수행을 통해 창출해 낼 수 있는 사회적 가치를 발굴하고 중소기업과 시민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나가는 토론을 진행하였다.   □ 밤 10시가 넘도록 늦게까지 이어진 토론을 통해 R&D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제적 불균형 해소, R&D 지원 과정의 투명성․공정성 강화 방안 등 7대 혁신 과제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안을 도출하였다.   ○ 중소기업의 경제적 불균형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중소기업 개발 기술 보호를 위한 유관기관과의 협력, 재창업기업 등 취약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였으며,   ○ 투명하고 공정한 R&D 지원을 위해서는 특정 중소기업에 대한 편중 방지를 위한 관리 강화, 평가위원 질적 수준 제고, 연구비 정산 인력의 역량 강화 방안 마련 등의 토론을 지속해 나갔다.   ○ 이외에도 기정원과 협력기업간의 상생을 위한 선금 지급률 확대, 표준계약서 활용 등을 내용으로 하는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계약제도 개선 방안‘ 등도 논의하였다.   □ 이 날 토론은 중소기업과 시민들이 제안한 아이디어 풀을 근간으로 진행되었으며, 토론의 주제인 혁신방향에 대한 전문가 진단 결과도 함께 발표하였다.   ○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소속의 공공기관 혁신 전문가를 초빙하여 실시한 진단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연결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권고 받고, 향후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협력 방안’에 대하여 추가적인 토론을 진행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앞으로 기정원은 중소기업에 대한 R&D, 정보화 지원이라는 본연의 임무를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을 강화해 나갈 것이며, 이 과정에 중소기업, 시민, 전문가 참여를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 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214","atchfileNm":"[붙임]_기정원,_사회적_가치_창출을_위한_끝장토론_개최.hwp","viewCnt":"3160","regDate":"2018-07-18 14:51:09"},{"contentId":"65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능력중심의 경력 및 신입사원 블라인드 채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65","contentsKor":"기정원, “능력중심의 경력 및 신입사원 블라인드 채용” - R&D정책연구 등 총 6개 직무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중소기업 R&D평가관리와 스마트화를 이끌어 갈 경력 및 신입사원을 채용한다.   ○ 2002년 개원 이래,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R&D 및 정보화사업 전문기관(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서 역할해온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스마트화를 촉진하고 나아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모집한다.   ○ 금회 채용은 2018년 7월 11일(수) ~ 26(목), 18시까지 접수를 진행하고 서류, 필기, 면접 전형을 거쳐 9월 이내에 채용절차를 마무리 한다.   ○ 총 6개 직무(R&D정책연구(3), R&D평가관리(7), 중소기업스마트화지원(3), 경영일반(3), 경영지원(1), 정보시스템관리(1))에 걸쳐 학력과 스펙에서 벗어나 기정원에 가장 필요한 최적의 인재 18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 ( )안의 숫자는 직무별 채용예정 인원   ○ 응시자격 및 직무설명서 등 상세한 내용은 기정원 홈페이지(www.tipa.or.kr)에서 확인 가능하다.   □ 기정원은 금년 채용을 앞두고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이라는 정부 정책기조에 발 맞춰 블라인드 채용방식을 본격 도입하였다. 동시에 기존에 시행해 온 NCS 제도를 고도화 하는 등 채용제도를 재정비 하였다.   ○ 재정비 된 채용절차, 일정, 직무 등에 대해 응시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오는 7월 17일, 19일 양일간 설명회를 개최한다.   ○ 설명회는 7월 17일 서울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진행 후 지방 거주 취업준비생의 편의를 고려하여 7월 19일 대전 통계교육원에서도 진행한다. 현재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참석자 신청을 받고 있다.   ○ 설명회 관련 자세한 세부사항은 신청자에 한해 개별 안내(SMS) 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93","atchfileNm":"[붙임]_기정원,_“능력중심의_경력_및_신입사원_블라인드_채용”.hwp","viewCnt":"3918","regDate":"2018-07-17 14:55:15"},{"contentId":"65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뿌리기술 고도화를 위한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 신청․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62","contentsKor":"기정원, 뿌리기술 고도화를 위한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 신청․접수 - 2018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 뿌리기업공정 사업설명회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2018년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중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업설명회를 7월 12일(목) ~ 13일(금) 양일간 진행하고, 오는 7월 23일(월)까지 사업 신청․접수를 받는다.  ○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사업은 뿌리기술의 적용범위 확대를 위한 제품 적용기술 및 뿌리기술 고도화를 위한 공정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 본 사업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중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제15조에 의거, 지정된 뿌리기술 전문기업 또는 뿌리기업 확인서 발급기업*을 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에 1년 이내, 최대 1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뿌리기술 전문기업 또는 뿌리기업 확인서 발급여부는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에서 확인 가능하며,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정보마당-사업공고)에서 사업 신청․접수가 가능하다   □ 7월 12일(목) ~ 13일(금) 양일간 진행되는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 사업설명회는 뿌리산업 입지 및 수요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 수도권 및 비수도권역별로 1회씩 진행되고, 수도권은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7.12, 경기도 수원), 비수도권은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7.13, 부산 강서구)에서 각각 개최된다.  ○ 설명회에서는 신청접수 및 지원내용, 선정절차 등에 대해 안내할 예정이며, R&D 사업계획서 작성법 교육과 개별 상담도 진행된다. □ 기정원 담당자는 “뿌리산업은 공정혁신 부가가치를 비롯하여,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만큼 많은 기업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91","atchfileNm":"[붙임]_기정원,_뿌리기술_고도화를_위한_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_신청접수.hwp","viewCnt":"3198","regDate":"2018-07-10 10:30:36"},{"contentId":"65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정책의 나침반, 정책자문위원회의 시작을 알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59","contentsKor":"중소기업 R&D정책의 나침반, 정책자문위원회의 시작을 알리다   □ 중소기업 R&D지원 정책 수립 시, 각계 각층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에서 「정책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 정책자문위원회는 중소기업 R&D지원의 성과를 제고하고자 현장 중심의 사업 개선, 사업화 지원 방향, 평가전문성 강화 등에 대한 정책 수립과 추진방향을 자문한다.   ◦ 위원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을 포함하여 총 13명이며,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 가치를 중점으로 위원회를 운영하고자 시민단체 대표를 포함한 각계 전문가로 구성했다.   * 당연직(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1명, 민간위원(산업계 4명, 학계 4명, 연구계 2명, 시민단체 2명) 12명 * 학계, 연구계, 산업계, 시민단체 구분(가나다순)   ◦ 자문단 회의는 분기별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시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며, 위원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이 가능하다.   □ 회의에서는 위촉식과 함께 안건 토의가 함께 이루어졌다.   ◦ 위촉식 직후 진행된 1차 회의에서는 기정원의 주요 추진 업무계획을 보고하고, 중소기업과의 소통 활성화 방안, 중기R&D 투자방향, 사업성 평가 강화 방안, 사업화 성과 제고 방안 등 R&D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자유토론이 진행되었다.   ◦ 최철안 기정원장은“각계각층의 전문가분들과 토론을 하며 소통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다”면서, “중소기업의 목소리에도 더 귀기울일 수 있는 다양한 소통창구를 만들어가겠다”고 했으며,   - “정부의 중소기업 R&D지원 목적을 되짚어보며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중소기업 R&D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개선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88","atchfileNm":"[붙임]_중소기업_RD정책의_나침반,_정책자문위원회의_시작을_알리다.hwp","viewCnt":"2691","regDate":"2018-07-06 10:10:35"},{"contentId":"65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일자리를 위해 지역 청년인재와 강소기업간의 만남의 자리 만들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57","contentsKor":"기정원, 일자리를 위해 지역 청년인재와 강소기업간의 만남의 자리 만들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이 대전․충남지역의 청년 구직자와 우수 중소기업과의 매칭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선다.   ○ 기정원은 지난 28일 청년 구직자 및 대학생 10여명과 함께 ‘청년인재와 함께하는 중소기업 현장탐방’을 실시했다고 29일 밝혔다.   ○ 이날 탐방 업체는 ㈜코렌텍으로 인공고관절 제조시장 점유율 1위의 대표적인 강소기업이다. 또한 기정원의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에도 다수 참여할만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 이번 매칭 행사는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코렌텍 본사에서 이뤄졌으며, 행사에 참여한 청년들은 기업의 실제 생산현장을 체험하고 인사담당자와의 채용면담을 가졌다.   ○ 기술 기반의 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현장방문을 통해 청년구직자에게 양질의 일자리와의 매칭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중소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기정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중소기업 현장탐방을 비롯해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활동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86","atchfileNm":"[붙임]_기정원,_일자리를_위해_지역_청년인재와_강소기업간의_만남의_자리_만든다.hwp","viewCnt":"2573","regDate":"2018-06-29 10:07:45"},{"contentId":"65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EV용 배터리·ESS·연료전지 분야 글로벌 종합 에너지 기업, 신흥에스이씨㈜ ’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56","contentsKor":"EV용 배터리·ESS·연료전지 분야 글로벌 종합 에너지 기업, 신흥에스이씨㈜ ’ “xEV용 원통형 리튬이온배터리 일체형 CID 개발” 신흥에스이씨㈜, EV용 원통형 리튬이온배터리(LIB) 일체형 CID 국산화 일본 기업들이 선점한 EV용 원통형 LIB의 글로벌 수출 발판 마련   □ 세계 전기차 시장은 오는 2025년이면 전체 자동차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R&D)로 전기차용 리튬이온배터리(LIB)의 안전을 책임지는 핵심 부품을 국산화해 수출 및 수입대체를 꾀하고 나선 우리 중소기업이 있어 주목된다.   □ 경기도 오산시 소재 신흥에스이씨㈜(공동대표 황만용·김기린)는 최근 전기차(EV) 등 미래 친환경차(xEV)에 빠른 적용 확대가 예상되는 ‘EV용 원통형 리튬이온배터리(LIB) 일체형 CID’의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고 이르면 올해 안에 상용 공급에 나설 계획이다.   ◦ 전기차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xEV용 이차전지 가운데 70% 수준인 것으로 추산되는 LIB는 비수계 전해질을 사용하므로 수분과 접촉을 거의 완벽하게 막을 수 있는 콘테이너(Container)와 캡 어셈블리(Cap Ass'y) 등의 셀 패키지, 터미널(terminal) 부품이 필요하다.   ◦ LIB는 과충전 및 과전류가 유입되면 셀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누액, 폭발 발화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부품 내에 다수의 보호장치 장착이 필요하다.   ◦ ‘CID(current interupt device)’는 리튬이온전지 셀에 장착되는 대표적인 보호장치로, 과충전시 압력을 감지해 셀내부 압력을 제거하는 세이프티 벤트(Safety Vent)와 함께 전류흐름의 차단과 셀내부 압력 감소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부품이다.   □ 신흥에스이씨㈜는 해당 기술개발을 위해 지난 2015년부터 2년여에 걸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R&D 지원사업(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된 「차세대 xEV용 원통형 LIB 18650/21700 일체형 CID 개발」과제를 수행했다. ◦ 앞서 신흥에스이씨(주)는 「원통형 2600mAh LIB 보호소자 Top Cap 일체형 폴리머 PTC 캡어셈블리 소자 개발」(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2011), 「ESS용 이차전지 캡커버 어셈블리 고효율 자동화 제조기술 개발」(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 2012), 「미래 혁신형 xEV용 차세대 캡어셈블리 기술개발」(WC300 R&D, 2014) 등의 정부 R&D 과제를 수행하며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국내 대표 중소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 xEV에 채용되는 LIB는 패키지에 따라 크게 △파우치를 적용한 리튬이온폴리머배터리(LIPB) △원통형 18650·21700 셀 △캔을 적용한 각형 대용량 LIB 등 3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 일본 닛산, 미국 GM, 국내 현대·기아 등의 자동차 메이커들은 파우치 방식의 전지를 채용중이며 유럽의 폭스바겐·BMW, 일본 토요타, 미국 포드 등은 각형 LIB 적용을 선호하고 있다.   ◦ 하지만 최근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원통형 18650 방식을 채용하면서 향후 원통형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실제로 북미 EV시장에서는 원형 방식이 가장 많다. 전기차 1대에 필요한 원통형 18650 셀은 7,000~8,000개 정도로 수요가 매우 크다. 원통형 21700은 이보다 용량이 더 크다.   ◦ 전체 xEV(BEV·PHEV·HEV 등)에 적용되는 LIB 시장에서 원통형 18650 방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5%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그동안 테슬라에는 일본 기업이 LIB와 부품을 전량 독점 공급해 왔다.   □ 신흥에스이씨㈜는 향후 5년 뒤 전체 xEV용 LIB 캡 어셈블리(CID 포함) 부품 시장이 3조 원 이상 규모로 급성장이 예상되는만큼 이번 원통형 CID 개발을 계기로 글로벌 고성능 전지 분야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간다는 계획이다.   ◦ 향후 글로벌 시장 공급이 본격화하면 2023년께 연간 3,000억 원 이상의 수출증대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32조 원 이상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LIB 전방산업에서 국내 전지 업계의 원가 및 시장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 지난 2009년 설립된 신흥에스이씨㈜는 지난해 매출액 1000억 원 선을 돌파한데 이어 올해 약 1700억 원을 내다 보는 등 가파른 성장세에 있다. 620여 명의 임직원이 연구개발(R&D) 부문과 생산라인을 갖춘 오산 본사와 양산 공장으로 나뉘어 제품 개발 및 생산에 나서고 있다.   ◦ 창업 초기 브라운관 TV 부품으로 성장해온 이 회사는 2차 전지 분야 부품을 중심으로 한‘에너지’분야를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 소형 리튬이온배터리 및 리튬이온폴리머전지를 축으로 성장해 왔으며 전기 자동차용 대형 리튬배터리를 중심으로 신규 제품 개발 및 시장공급에 매진중이다. EV용 배터리와 함께 신재생에너지(ESS)와 연료전지 분야에도 진출, 글로벌 종합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을 꿈꾸고 있다.   황만용 대표는 “미래가 불투명한 전기자동차 시장에 아무도 투자를 하지 않으려고 하던 8년 전 신흥에스이씨는 과감한 투자와 민관 R&D 협력을 통해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해 왔다”며 “향후 새로운 연구와 혁신을 지속해 산학연 저변 기술 및 관련 인력 확대, 시장 점유율 확대를 실현하는 한편 고용창출,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85","atchfileNm":"[붙임]_EV용_배터리·ESS·연료전지_분야_글로벌_종합_에너지_기업,_신흥에스이씨(주).hwp","viewCnt":"4316","regDate":"2018-06-29 10:06:23"},{"contentId":"65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위해 기정원-출연연 발벗고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60","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위해 기정원-출연연 발벗고 나선다.   □ 기술개발의 한계점에 봉착한 중소기업을 위해 기정원과 국가 출연연구원들이 발벗고 나섰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기술의 애로사항을 해결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출연연과 협력해 TIPA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한다.   ○ 이 행사는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상담, 출연연과의 협업, 기술이전을 위해 참가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중점 연구분야, 보유기술 등을 소개하고 중소기업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목적으로 개최한다.   □ 특히 이번 행사에 참여하는 출연연은 각 기관에서 중점기술을 개발한 연구원들이 직접 참석하여 발표와 상담을 통해 기업의 이해를 돕고   ○ 사업화 지원과 기술이전 담당자들이 참석해 기술전문가 매칭 및 사후 미팅 등 실질적인 교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준비했다.   ○ 기정원은 올해 다양한 출연연과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며, 이 행사를 통해 평소 교류하기 힘들었던 출연연과 중소기업의 기술교류를 통해 기술신장과 애로기술 해결의 좋은 모델이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 본 행사는 6월 26일(화) 서울 반포에 위치한 반포원 하모니홀에서 13시부터 개최되며 참가를 원하는 기업은 별도의 참가신청이나 비용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89","atchfileNm":"[붙임]_중소기업_기술애로_해결을_위해_기정원-출연연_발벗고_나선다.hwp","viewCnt":"2807","regDate":"2018-06-25 10:13:19"},{"contentId":"65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초고층 외벽 청소용 로봇 시스템 개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61","contentsKor":"‘ 캔버스의 제약을 뛰어 넘은 로봇 페인팅 기술 기업, ㈜로보프린트 ’ “초고층 외벽 청소용 로봇 시스템 개발” ㈜로보프린트, 정부 연구개발(R&D) 지원사업 통한 고층건물 외벽 청소용 로봇 시스템 개발 완료 로봇 페인팅 시스템 토대로 완성...건물 외 전기전자·조선 등 적용분야 확대와 해외진출 추진   □ 로봇 및 프린팅 기술, 그리고 IT를 접목한 혁신적 시스템과 디자인, 스토리로 우리 주변 건물 외벽과 길거리의 문화적 재탄생을 이끌고 있는 국내 한 중소기업이 화제가 되고 있다.   □ 대구광역시 소재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로봇혁신센터에 자리잡은 ㈜로보프린트(대표 박정규)는 최근 초고층 빌딩, 아파트 등 대형 건축물의 외벽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청소할 수 있는 자동화 로봇 시스템을 개발했다.   ◦ 이번에 개발된 외벽 청소 로봇 시스템은 로봇과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신기술 및 서비스로 건축 분야를 중심으로 한 `로봇페인팅`이라는 신시장을 개척해 온 ㈜로보프린트의 연구개발(R&D)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미리 입력한 데이터 값과 4웨이(way) 노즐 (물)분사 체계를 토대로 극세사 브러시가 건물 유리외벽 등을 3축(X, Y, Z축)으로 오가며 청소 작업을 진행한다.   ◦ 그동안 초고층 빌딩의 유리창 청소는 생명선에 의지해 숙련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외에도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는 부담이 있었다.   □ ㈜로보프린트는 해당 시스템의 연구개발을 위해 지난 2016년부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R&D 지원사업으로 선정된 「3축 제어 위치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 청소용 로봇 시스템 개발」과제를 수행했다.   ◦ 2개년에 걸친 R&D를 거쳐 ㈜로보프린트는 최근 고층빌딩의 유리 외벽 등의 청소를 위한 제품개발을 완료했으며 이르면 내년부터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설 예정이다.   ◦ 앞서 이 회사는「원격으로 제어하는 벽화로봇 이동매커니즘의 통합 콘트롤 시스템 개발」(도약기술개발사업, 2016),「아트봇의 고층건물 외벽 대형실사 작업을 위한 수평구조물 및 안정화 장치 개발」(재창업전용기술개발사업, 2015),「고층 작업용 도장 로봇을 위한 MCU 기반 통합 콘트롤 전자제어기 개발」(첫걸음기술개발사업, 2014) 등 지원과제를 수행하며 외벽 청소용 로봇 시스템 개발의 근간을 마련했다.   □ ㈜로보프린트는 2010년 설립(법인전환) 당시부터 건축물 로봇 페인팅 시스템 및 서비스로 두각을 나타내며 건설 업계는 물론이고 로봇, IT 등 테크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 ‘아트봇(ARTBOT)’으로 불리는 이 시스템은 대형 건축물이나 아파트 외벽, 길거리 담벼락 등에 다양한 이미지를 프린트하듯 도색할 수 있는 자동화 로봇 시스템으로 무인 원격제어가 가능해 수작업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도 안전하고 정교하게 도색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한번에 최대 4.5×2.7미터(m) 너비의 구간 도색을 수행할 수 있고 다중분할 이미지 결합 시스템을 활용해 여러 구간을 결합하면서 아파트 외벽 등의 초대형 도색을 완성한다. 더욱이 X, Y 축은 물론 Z축 페인팅까지 가능해 곡면이나 요철면도 정교하게 도색할 수 있는게 특징이다.   ◦ 아파트 외벽 벽화 제작시 통상 10일이 소요된다면 아트봇 활용시 2~3일로 단축하고 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무엇보다 수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도료 날림 방지, 정교한 도색 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 로봇페인팅 서비스는 관급자재 등록, 건축도장 분야 최초 건설 신기술 등록으로 품질과 혁신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 회사는 각종 경관사업, 도시재생사업 등의 벽화 페인팅에 단순 시공을 넘어 디자인과 스토리까지 제공하는 등 토털 콘텐츠 및 디자인 기업으로 비전을 확대하고 있다.   ◦ 지난해 경북 경산 부적리 벽화마을에 시공된 골목벽화에는 마녀를 물리치고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간다는 스토리를 모티브로 삼은 범죄예방환경디자인(CPTED)을 구현, 관심을 모았다.   ◦ 아트봇은 또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개폐회식장, 슬라이딩센터, 조직위사무소 등 경기장 시설 곳곳에 정교한 벽화 작업을 진행해 관람객들의 발걸음을 붙들어 세웠다.   ◦ 이 밖에 이육사, 이상화 등 인물의 초상과 시구를 반영한 대구 수성구 소재 아파트 외벽, 경산 부적리 벽화마을, 청도군청 인근 환경개선 프로젝트, 대구 내서초등학교 옹벽 등 골목 벽화 시공을 통한 환경개선 사업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 최근 미국 현지법인(LEO D)을 세우며 해외시장 공략을 본격화한 ㈜로보프린트는 해외 아파트 페인팅과 건물외벽 광고 시장 수요 흡수를 꾀하고 있다.   ◦ 이미 지난 5월 캘리포니아 소재 자동차공장 외벽에 아트봇을 성공적으로 시연한 ㈜로보프린트는 이를 계기로 외벽·광고 페인팅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 싱가포르도 타깃 시장으로 주목하고 있다. 아파트 중심의 라이프스타일이 일반적인 싱가포르는 법적으로 7년 이내 아파트의 재도색이 규정돼 있기 때문이다. 로보프린트는 하반기에 현지 아파트에서 시험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 2004년 현수막 출력 1인 기업을 모태로 설립된 ㈜로보프린트는 지난해 19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데 이어 올해는 두배 이상인 40억 원을 기대하고 있다. 오는 2020년에는 200억 원 달성을 목표하고 있다.   박정규 대표는“어느날 건물 외벽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위태롭게 진행되는 도색작업을 보고 이를 자동화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 사업을 구상했다”며“경영에 어려움도 겪었지만 정부 지원과제 등을 통해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기술개발에 나선 것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인정받은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90","atchfileNm":"[붙임]_초고층_외벽_청소용_로봇_시스템_개발.hwp","viewCnt":"2993","regDate":"2018-06-22 10:28:03"},{"contentId":"65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기업의 데스밸리(Death Valley) 극복을 위해 패키지 방식의 R&D지원 프로그램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58","contentsKor":"기정원, 창업기업의 데스밸리(Death Valley) 극복을 위해 패키지 방식의 R&D지원 프로그램 실시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8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R&D+창업도약패키지과제’(1차)」의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6월 15일(금) 오후 1시 30분 대전 무역회관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혁신R&D+창업도약패키지과제」는 창업 후 3년 이상 7년 이하의 창업 도약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개발 비용과 사업화 자금을 창업진흥원과 함께 동시에 지원하는 패키지 방식의 사업이다.  ○ 이와 같은 패키지 방식의 과제를 통해 창업기업은 한 번의 신청․접수 및 통합 평가로 최대 2.5억 원의 기술개발자금 및 창업도약패키지사업을 지원받을 수 있다. □ 본 설명회에는 40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가 참석하였으며, 총 69억 원의 기술개발비를 지원받아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중점 투자분야’*를 중심으로 신제품․신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 AI/빅데이터, AR/VR, 바이오, 안전 등  ○ 기술개발비 지원과 더불어 중기부 창업도약패키지 사업을 통해 최대 5천만 원 이내를 지원받아 기술이전 교육‧멘토링 및 공정구축 등의 사업화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기술기반의 창업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 위와 같이, 중기부의 기술개발사업을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기정원은 특허청, 창업진흥원 등 국내 창업 지원기관과 협업하여 창업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효율적인 방식으로 지원하기 위한 패키지 과제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창업기업의 기술을 지키는‘혁신R&D+IP전략과제’   - 기술탈취 및 특허분쟁에 취약한 창업 후 7년 이하의 중소기업을 위해 R&D지원과 IP* 전략 컨설팅을 한국특허전략개발원과 함께 패키지 형태로 지원한다.    * R&D 초기부터 특허전담팀(특허전략전문가(PM) + 특허정보분석기관)이 특허정보를 분석하여 해외기업 핵심특허 대응, 공백기술에 대한 우수특허 확보 등 기업 맞춤형 특허전략을 지원   - 기술개발 단계에서부터 지적재산권 전문가(PM)와 특허정보분석기관이 팀을 구성하여 경쟁사 핵심특허 대응, 우수특허 창출,  R&D 방향 제시등의 전략수립 및 지원을 동시에 지원받을 수 있어 기술변화의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② 창업기업의 사업화까지 지원하는‘혁신R&D+창업도약패키지’   - 창업 후 3년 이상 7년 이하의 창업 도약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 비용 및 성과창출을 위한 사업화 자금을 창업진흥원과 함께 동시에 지원한다.   - 연구개발과 동시에 창업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사업모델(BM)개선, 사업아이템 검증 등을 위한 사업화자금을 지원하고, 핵심 분야의 사업성 검증 및 교육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여 기술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 패키지 과제는 연간 298억원의 예산으로 ‘혁신R&D+IP전략과제’에 40개 내외의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며, ‘혁신R&D+창업도약패키지과제’는 100개 내외의 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 사업공고 시기는 연 2회(2월, 5월)로 하고, 평가절차로 3단계(서면→대면→현장조사)를 2단계(대면→현장조사)로 단축하여 선정절차도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 ‘혁신R&D+IP전략과제’와 ‘혁신R&D+창업도약패키지과제’는 6.18.(목)부터 7.2.(월)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2차 신청‧접수를 한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www.mss.go.kr)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87","atchfileNm":"[붙임]_기정원,창업기업_데스밸리_극복을_위해_패키지방식의_RnD지원_프로그램_실시.hwp","viewCnt":"2847","regDate":"2018-06-18 10:08:49"},{"contentId":"695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혁신 기술 담은 화장품, 14억 중국시장을 매혹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954","contentsKor":" ","viewCnt":"433","regDate":"2018-06-15 13:42:35"},{"contentId":"63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개인화된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플랫폼, 잡플래닛 ’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397","contentsKor":"‘ 개인화된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플랫폼, 잡플래닛 ’ - “국가와 지역을 넘어 당신의 천직(天職)을 찾아 드립니다.” -     □ 창의적인 인재확보가 필요한 중소기업과 양질의 일자리를 찾는 전현직 직장인과 취업 준비생의 구인·구직 활동은 각 주체들에게‘영속적 기업의 생존과 성장’,‘풍요로운 삶의 영위’라는 목표를 향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 하지만 우수 인재확보를 위한 지원자 모집과 평가는 중소기업에 녹록치 않은 과제이며 구직자들에게도 관심기업에 대한 정보 부재가 취업의 걸림돌이 되는게 현실이다.   □ 지난 2012년 8월 설립된 ㈜브레인커머스(대표 황희승·윤신근)는 구인구직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정보의 비대칭을 해소하고 유망기업과 우수 인재가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업정보 및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플랫폼‘잡플래닛’으로 주목받고 있다.   ◦ 잡플래닛은 2014년 4월 기업내 전현직 임직원들이 작성하는 익명기반 기업평가, 연봉정보, 면접정보 등을 제공하는 기업정보 소셜미디어로 시작됐다.   ◦ 실제로 해당 기업을 다녀본 사람들이 남기는 구체적 정보와 소감은 취업과 이직을 희망하는 사람들의 갈증을 해소하며 인기를 모았다. 서비스 개시 한달여 만에 8,000개 이상의 기업정보와 약 2만 개의 리뷰가 올라 왔고 페이지뷰는 700만회에 달했다. □ 잡플래닛은 서비스 개시 6개월만에 또 한차례 진화를 모색했다. 기업정보 소셜 미디어를 넘어 최적의 커리어 매칭이 이뤄지는 기업 및 구직자간 가교로 영토 확장에 나섰다.   ◦ 확장된 서비스의 키워드는‘개인화’에 맞춰졌다. 기업 규모·업종·직종·연봉 등을 단순 범주화해 제공하는 필터링 수준을 넘어 각 개인과 기업에 가장 걸맞는 옷을 찾아 매칭하는 것이 구인구직 서비스의 핵심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 이 같은 전략을 충족하기 위해 보다 정교한 데이터 관리·분석 등 기능을 포함한 시스템 연구개발(R&D)이 필요해진 잡플래닛은 2014년 11월 중소기업벤처부의‘글로벌시장형 창업사업화기술개발사업(TIPS)’에 지원, 선정됐다. * 팁스(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글로벌시장형 창업사업화R&D사업 또는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프로그램을 일컫는다. 성공 벤처인, 기술 대기업 주도로 유망 창업팀을 선별하고 엔젤 투자에 연계하는 정부 R&D 지원사업이다.   ◦ 총 5억원의 R&D자금을 지원받아 2개년에 걸쳐 진행한「개인화된 구인구직 플랫폼‘잡플래닛’」과제로 오늘의 대표적인 기업정보 및 구인구직 서비스 플랫폼으로 안착한 잡플래닛의 근간이 완성됐다.   ◦ 잡플래닛은 과제수행으로 개발된‘자비스(Xarvis)’를 통해“모든 국가, 모든 지역에서 천직을 찾아 주다”라는 비전을 구체화했다. 기존의 기업정보와 리뷰에 구직·이직 희망자(회원)의 관심사, 경(이)력, 전공, 희망직종 관련 기업의 채용정보, 다른 기업 및 회원 그룹과의 유사도 등 축적된 데이터에 대한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 분석을 적용, 더욱 정교한 개인화된 매칭 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했다. 자비스의 가동으로 평균 2개월 이상 소요되던 이력서 추천 프로세스는 1~2일 이내로 단축됐다.   ◦ 이와 함께 ∆기업문화 ∆의료비·학비·기숙사 지원 등과 같은 복지제도 ∆자기계발 ∆경영진 등 급여 외 정보까지 제공하는 기업분석 정보 서비스도 제공해 특정 조건이 비슷한 기업들간 보이지 않는 차이도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서비스 확장 및 고도화를 위한 잡플래닛의 노력은 후속 투자로도 이어졌다. 2014년 본엔젤스, 더벤처스 등으로부터 23억 원의 초기 투자를 유치한 브레인커머스는 이듬해 초 퀄컴벤처스, 알토스벤처스, 본엔젤스 등 3개 투자사로부터 90억 원의 투자를 받았다. 그리고 중소벤처기업부 R&D 과제가 종료된 직후인 2016년 말 80억 원의 후속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 잡플래닛은 또 2017년 상반기부터 헤드헌팅 서비스 분야에도 진출해 서비스 차별화와 수익화를 꾀하고 있다. 내부 전담조직 및 헤드헌팅 자회사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기업의 구인 요구와 최적의 매칭이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 이와 함께 기본적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며 인재를 흡수할 수 있는‘좋은 회사’가 많아져야 한다는 판단에 기업을 대상으로 인사, 기업문화, 평판 등 분야를 아우르는‘좋은 회사 만들기(HR LABS)’컨설팅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50명 가까운 임직원들이 회원과 기업의 천직찾기와 인재확보를 돕고 있는 잡플래닛은 올해 처음으로 손익분기점(BEP) 달성을 내다보고 있다.   ◦ 윤신근 대표는 “서비스 오픈 이후 지속적인 R&D로 기업 리뷰에서 개인화된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로 진화한 잡플래닛은 앞으로도 국가와 지역을 넘어 좋은 회사와 좋은 인재가 만나 모두가 성장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035","atchfileNm":"[붙임]우수사례3._잡플래닛.hwp","viewCnt":"3420","regDate":"2018-06-11 15:47:55"},{"contentId":"63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8년 산학연협력R&D지원 본격 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398","contentsKor":"기정원, 2018년 산학연협력R&D지원 본격 시동  -첫걸음·도약과제(1차) 331개 과제 252억원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가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주최한 「2018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의 첫걸음·도약과제(1차) 협약설명회를 5월 31일(목) 정부대전청사 후생관 대강당에서 331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개최하였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 협력 R&D를 지원해온 사업이다.   ◦ 정부 R&D 사업에 신규로 참여하거나 기업부설연구소를 신규설치하려는 기술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동R&D를 지원하고,   ◦ 기술적 우위 선점 또는 기술보완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의 공동 R&D도 함께 지원한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 대표자, 과제책임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기술개발을 위한 사업추진체계와 절차 등의 제반사항을 설명하였다.   □ 기정원 협력기술평가본부 최광문 본부장은 “산학연협력 R&D를 통해 기술기반이 취약한 중소기업이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소기업이 대학·연구기관의 우수한 연구 인프라와 기술을 잘 활용하여 튼튼한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03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2018년_산학연협력RD지원_본격_시동.hwp","viewCnt":"2704","regDate":"2018-06-01 15:50:42"},{"contentId":"63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천연소재 연구개발(R&D)로 인체 유해성 제로 겨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396","contentsKor":"천연소재 연구개발(R&D)로 인체 유해성 제로 겨냥 - “천연·한방 소재로 K뷰티, 또다른 비상을 꿈꾸다.” -       □ 천연 및 건강 친화적인 제품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천연 한방 소재 및 화장품에 대한 꾸준한 연구개발(R&D)로 ‘K뷰티’의 잠재력을 키워가는 중소기업이 있어 화제다.   □ 천연·한방 화장품 전문 기업 ㈜사임당화장품(대표 이형규)은 최근 동의보감에 기록된‘신효탁리산(神效托裏散)’처방을 활용한 다기능 안티에이징(anti-aging) 항노화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 신효탁리산 : 조선시대 최고 의서인‘동의보감’과 중국 송나라 때 발행된‘태평혜민화제국방’등에 기록된 처방으로 외과적 상처를 치료하고 기혈을 돋우고 새살을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다.   ◦ 이번에 개발된 항노화 소재는 황기·당귀·금은화·감초 등 4종의 약재 추출물로 구성된 한방복합체 ‘ST-M Complex’로 주름개선, 미백, 혈행개선 등 안티에이징에 효과가 기대된다.   ◦ ST-M Complex’는 사임당화장품이 지난 2년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기술혁신개발사업에 선정된 「신효탁리산 처방을 활용한 다기능 안티에이징 글로벌 소재 개발 및 화장품 사업화」(2016. 6~2018. 6) 과제 수행을 통해 개발됐다.   ◦ ㈜사임당화장품은 사로매 등 자사 화장품 브랜드는 물론 OEM/ODM 등을 통한 소재(원료) 공급에도 나서는 등 보급 확산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또 신효탁리산이 동양인에게는 친숙한 처방이 될 것으로 보고 내수는 물론 중국, 일본 등 해외 시장을 겨냥한 다기능 글로벌 화장품 소재로 포지셔닝해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 ㈜사임당화장품 측은“올해 2분기부터 해당 소재가 적용된 헤어 샴푸가 일본 홈쇼핑을 통해 공급되기 시작했다”며“두피의 혈행을 개선함으로써 피부 세포 및 모유두 세포에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사임당화장품은 또 최근 들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항균제 ‘트리클로산’을 대체할 천연 소재인 ‘NAC(Natural Antimicrobial Complex)’개발에도 성공했다.   * 트리클로산 : 화장품·샴푸·치약 등 인체 세정용 제품류에 사용돼 온 항균제(방부제) 성분의 하나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사용 후 씻어 내는 인체세정용 제품류에 한해 트리클로산의 최대 허용치를 0.3%로 규정하고 있으며 화장품 등 다른 제품과의 누적 노출을 고려해 사용제한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해외에서도 트리클로산의 환경오염, 인체 유해성(발암, 생체 축적, 환경호르몬 작용, 알레르기 유발, 항생제 내성 유발 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이 같은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사임당화장품은 「트리클로산 대체 천연 항균제 개발 및 한방 화장품 개선」을 위한 정부 R&D 과제를 통해 천연물로 구성된 항균 한방복합체‘NAC’를 개발, 트리클로산의 대체에 나섰다.   ◦ 1년여 R&D를 거쳐 대황·오배자·자단향·정향·지유 등 천연물의 배합으로 완성된 NAC는 사임당화장품의 ‘사임당 크린싱젤’, ‘사임당 신윤바디폼’, ‘사임당 신윤아쿠아샤워’ 등 세정 제품에 적용돼 상용화에 이르렀다.   ◦ 김창용 사임당화장품 전무는“사임당화장품은 한국에 특화된 자연·한방 재료 기반 화장품 원료화 사업 확대를 위해 정부의 R&D 지원사업을 통한 소재개발을 지속해 왔다”며“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동남아 등에서 불고 있는 K뷰티 붐을 겨냥한 해외시장 공략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앞서 ㈜사임당화장품은 「피지테라피를 이용한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 개발」(2016년), 「글루코시데이즈 저해효과를 갖는 천연물 미백제 개발 및 제품화」(2011~2013년), 「천연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소재 개발」(2010~2011년) 등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R&D 과제를 수행하며 꾸준히 기술 및 제품 혁신을 모색해 왔다.   □ 지난 1995년 설립된 사임당화장품은 한방·천연 소재를 활용한 기초 한방 화장품 전문 기업으로 방문판매 방식을 중심으로 한 밀착 유통으로 성장을 거듭해 왔다. 최근에는 원료사업과 온라인 연계판매, 해외시장 공략 등으로 시장전략을 다변화하고 있다. ◦ 월 100만개 제품 생산력의 충북 오창과학산업단지 내 본사 공장(약 1만7000m2 규모), 약 60종의 특허, 청정 소재 개발을 위한 제주연구소 등을 갖춘 ㈜사임당화장품은 지난해 12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올해 15~20%의 성장세를 기대하고 있다.","viewCnt":"3268","regDate":"2018-05-31 15:45:59"},{"contentId":"6347","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미래형 자동차의 혁신, 중소기업의 두손에 달렸습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7","contentsKor":" ","viewCnt":"840","regDate":"2018-05-18 13:57:05"},{"contentId":"63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더 얇게 , 더 가볍게 ...” 디스플레이 혁신, 우리가 책임집니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306","contentsKor":"“ 더 얇게 , 더 가볍게 ...”  디스플레이 혁신, 우리가 책임집니다.   - 경기 부천 소재 은성산업㈜, 0.4mm 피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국내 기업 첫 개발 -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지원사업 수행 통한 역량 확보와 투자로 TV 등 전자제품 경량화, 소형화, 슬림화에 기여     “디스플레이 슬림화, 소형화를 향한 부품의 한 길로...”   □ 반도체와 함께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오늘날 국내 TV산업의 위상에는 삼성과 LG 등 대기업과 상생 협력하며 기술혁신과 생산성 제고를 실현한 수많은 중소기업들의 땀과 노력이 베어 있다.   □ 지난 1994년 설립된 은성산업㈜(대표 윤상보 www.eunsung-ind.com)은 디스플레이 산업현장에서 묵묵히 TV강국 코리아의 명성에 기여해 온‘작지만 강한’중소기업이다.   경기도 부천시 소재 본사와 중국 현지(텐진) 공장을 통해 TV 등 디스플레이용 부품을 생산, 공급하며 지난해 약 44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2012년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거두고 있다.   □ 은성산업㈜은 지난 1997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이하 FFC)’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이래 해당 분야에서 국내 중소기업 가운데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FFC는 주로 TV 등 디스플레이 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박막형 절연 케이블로 납작하게 가공된 연질 동선이 0.5/1.0/1.25 mm의 폭(피치)으로 일정하게 절연체 필름 사이에 배열된 뒤 라이네이팅이라는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 특히, 이 회사는 지난 2011년부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지원하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양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기술혁신개발사업(LED 패널용 분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수행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통한 신제품 개발을 마치고 LG 등 대기업의 제품 개발을 위한 납품을 진행하는 등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타깃시장의 기술혁신과 연계해 실매출로 이어가는 성과를 거두고 있어 주목된다.   □ 지난해부터 수행한 ‘0.4mm 피치 부분압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개발’과제(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의 성과는 이 회사에 ‘국내 유일’의 타이틀을 안겼다.     ◦ 과제수행을 통해 개발된 FFC의 0.4mm 피치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은성산업이 구현한 너비이다. 은성산업㈜은 이 제품이 적용된 제품이 오는 2020년께 출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앞서 2013년 ‘LED패널용 분핀(절개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제 수행으로 개발한 FFC도 은성산업의 특허자산으로 자리 잡으며 효자 품목이 되고 있다.   ◦ LED 패널용 분핀 FFC는 기존의 박형 FFC를 여러 가닥으로 나눠 한 묶음으로 배열함으로써 TV내 부품을 더욱 공간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했다. 이를 통해 TV 제조사들은 TV모델마다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을 새 모델에도 자유롭게 배치, 활용함으로써 부품 활용도와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됐다.   윤상보 대표는 "IMF 직전 FFC 사업에 뛰어 들어 2000년 초부터 PDP·LCD TV 등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연구개발과 공급에 나서 TV 슬림화에 나름의 기여를 했다”며 “FFC는 생산인력의 수작업이 필수적인만큼 기술개발과 자동화 시스템, 작업자 환경간 조화가 전사적 생산성 제고와 품질 안정화로 이어지도록 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은성산업㈜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기술혁신개발사업~구매조건부사업 등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핵심사업에 결합, 수행하며 최근 3개년 매출액에서 약 37%의 신장세(약 120억원)를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의 사다리를 딛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82","atchfileNm":"[붙임]_우수성과사례2._더_얇게,_더_가볍게..디스플레이_혁신,_우리가_책임집니다..hwp","viewCnt":"4110","regDate":"2018-05-17 10:10:02"},{"contentId":"63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 엔진으로 세계‘선박평형수처리장치(BWTS)’시장을 향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300","contentsKor":"중소기업 R&D 엔진으로 세계‘선박평형수처리장치(BWTS)’시장을 향하다  - 청주산업단지 내 ㈜테크윈, 선박평형수처리장치로 세계시장 노크  - IMO 선박평형수관리협약 발효에 따른 처리장치 특수 조준  - 연구개발(R&D) 지원사업 수행 통한 역량 확보와 투자로 기술 차별화 및 사업다변화 지속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2002년부터 대-중견-중소기업 협력에 기반한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 및 동반성장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 사업은 국내·외 수요처(공공기관, 대·중견기업 등) 및 투자기업으로부터 기술개발 요청을 받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지난 1999년 설립된 중소기업 테크윈은 해당 사업을 통해 △기술개발과제의 초기시장 확보 △일정규모 이상의 구매 담보를 통한 기술개발 위험 최소화 △매출액 증대 등을 꾀하며 새로운 도약에 나서고 있다.   □ 지난해 9월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평형수관리 협약이 발효됨에 따라 이를 충족하기 위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시장이 전세계 조선 업계의 새로운 화두로 부상했다.   * 선박 평형수(Ballast Water) ; 배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화물을 탑재하지 않을 때 채워 넣는 물. 반대로 배에 화물이 적재되면 배출된다.   ◦ 다른 해양의 평형수 속에 담겼던 미생물 등 바닷속 환경이 고스란히 목적지 항구에 옮겨 지면서 해양 생태계의 교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자 국제사회가 이 문제에 주목하게 됐다. IMO는 2004년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을 발표하고 선박의 선박평형수처리장치(BWTS) 의무설치를 규정했다.   * BWTS(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 선박 평형수가 배출되기 전 그 속에 담겨 있던 유기물을 제거 또는 소독하는 설비 또는 시스템.   ◦ 이 협약의 발효로 신규 건조 선박은 즉시, 기존 선박은 향후 5년 이내에 관련 설비를 갖춰야 한다.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수십 조 원 규모에 달하는 BWTS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추산되며 이 시장을 겨냥한 국가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 BWTS 분야는 국내 업체들의 기술력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꼽힌다. 이 시장에 국내 중소기업이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한 신제품으로 출사표를 던져 관심을 모으고 있다.   ◦ 충북 청주산업단지에 자리잡은 ㈜테크윈(대표 정붕익 www.techwin.co.kr)은 지난 1999년 LG화학의 설비 유지보수 관리하는 공무 부서의 기술인력 60여명이 분사해 설립돼 토털 엔지니어링 기업을 표방하고 있는 유망 중소기업이다.   ◦ 특히 전극 소재와 전기 분해 분야에서 보유한 기술은 도금·제련 분야, 소독·정화 분야에서 탄탄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력과 경험이 IMO가 규정한 BWTS 탑재 의무화로 또 다른 도약의 전기를 맞았다. 테크윈이 보유한 정수처리 기술이 BWTS에서도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테크윈은 정수시설에서 염소를 이용해 소독하는 방식과 달리 소금물을 전기분해해 발생하는 액체 상태의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생성 기술과 장치를 공급하고 있다. 이 기술과 장치를 이용하면 기체 상태의 염소 사용에 따른 누출과 오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이러한 기술이 선박의 평형수 정화에 활용되면 비용과 공정 효율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보고 테크윈은 이 시장의 수요에 주목했다. 테크윈의 연구팀 관계자는 “기존 방식이 오존이나 자외선, 약품, 필터 등을 활용한다면 테크윈은 해수의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평형수 내 유기물을 소독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인 솔루션이 된다”고 강조했다. 테크윈은 이 같은 특장점을 부각해 IMO 협약 발효에 따른 해외시장 수요를 적극 흡수해 간다는 목표다.   □ BWTS 시장 개척을 위한 테크윈의 노력은 전해 시스템 및 전해공정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축적한 기술과 경험 외에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사업도 밑거름이 됐다.   ◦ 이 회사는 지난 2006년 이후 10여 차례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의 R&D 지원과제를 수행하며 성장의 사다리를 한 단계씩 높여가고 있다.   ◦ 지난 2015년부터 중기부 구매조건부사업을 통해 ‘원수 열원을 이용한 물대물 방식의 히트펌프 시스템 개발’ 과제(구매조건부사업) △아연 생성 및 제련시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는 성과를 낳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련 시스템 및 스마트 전극 개발 과제’(〃) △ 수입대체 효과를 겨냥한 ‘동 도금용 불용성 전극 소재의 핵심 기술 개발’ 과제(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 △ ‘선박 평형수를 이용한 풀브리지 절연형 컨버터 연구개발’ 과제(연구장비공동활용) 등을 수행한 바 있다.   □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태양광 분야에서도 테크윈의 연구개발과 시장 창출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 테크윈은 수년 전부터 물 위에 태양광 모듈을 지탱할 수 있는 부력재 기술을 확보하고 수상 태양광 분야에 진출했다. 수상 태양광은 육상에 비해 발전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오창 저수지 등 10개 사이트에 관련 설비를 공급했으며 올해 말까지 생산설비의 완전 자동화 체계 구축을 추진중이다.   □ 테크윈의 이 같은 성장은 중소기업임에도 불구하고 꾸준하게 R&D 역량을 확대하며 지속적인 신규사업 발굴에 나서온 데 기인한다.   ◦ 이 회사는 자녀 학자금 지원 등 대기업 수준의 복지수준을 지향하며 인재영입에 매진해 왔다. 전 직원 가운데 R&D 인력의 비중이 25%에 달하며 이들 인력의 대부분(약 40명)은 석사 이상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다.   ◦ 2015년 매출액 638억 원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 1000억 원 선을 돌파한 테크윈은 올해에는 상반기에만 1000억 원이 넘는 매출고를 기대하고 있다. 정붕익 테크윈 대표는 “R&D 투자가 탄력을 받으며 성과로 나타나기까지는 오랜 시간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10년 전에 2020년 매출 목표로 5000억원을 삼은 것도 R&D의 가치에 대한 확신과 믿음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5","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성과우수사례(테크윈).hwp","viewCnt":"4329","regDate":"2018-05-10 15:03:28"},{"contentId":"62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개방형 혁신의 시작점, 제4차 TIPA 네트워킹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299","contentsKor":"중소기업 개방형 혁신의 시작점, 제4차 TIPA 네트워킹 - 中企간 동반협력을 위한 매칭데이(협력R&D편)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과 기술전문기업의 동반협력을 위한 ‘4차 TIPA 네트워킹 행사(협력R&D편)’를 오는 5월 10일 서울 반포원에서 개최한다.   ㅇ ‘TIPA 네트워킹’은 기정원(TIPA)이 주관하는 산학연간 교류 프로그램으로 금번에는 중소기업과 기술전문기업간 협력기술 탐색 및 과제발굴을 위한 자리로 마련하였다.   □ 그동안의 중소기업간 R&D협력은 상호간 정보 및 신뢰부족, 공급과 수요의 불일치 등으로 인해 자발적 형성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었다.   ㅇ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가 함께 발간한 '2017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은 외부와의 협력 장애요인으로 관련정보 및 적합 파트너 부족(28%), 의사소통 어려움(13%)을 손꼽았다.   □ 이번 행사에서는 사전접수를 통하여 1분 토크, 중소기업간 매칭 및 1:1 상담, 지원사업 소개 등 심층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ㅇ 더욱이, ‘기술전문기업(K-ESP) 협력기술개발사업 사업소개’ 및 ‘사업계획서 작성법 안내’는 K-ESP협력 R&D사업 과제신청을 준비하는 기업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 기정원 기업협력기술평가실 함정우 실장은 “이번 행사가 혁신성장의 첨병인 중소기업과 기술전문기업간 자발적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 고 밝혔다.   □ 기정원은 연구수행 주체간 교류활성화를 위하여 중소기업 중심의 TIPA 네트워킹 행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4","atchfileNm":"[붙임]_중소기업_개방형_혁신의_시작점,_제4차_TIPA_네트워킹.hwp","viewCnt":"3165","regDate":"2018-05-09 14:59:42"},{"contentId":"62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기 제품 품질향상 및 공정개선을 위한 공정품질R&D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298","contentsKor":"기정원, 중기 제품 품질향상 및 공정개선을 위한 공정품질R&D 지원 - 215개 제품공정개선과제 선정기업에 102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8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의 제품·공정개선과제(1차) 215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5월 4일 대전 충남대 백마홀과 서울 IBK파이낸스타워 두군데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제품·공정개선과제는 기존 제품의 성능 및 품질 향상 등의 제품경쟁력 강화, 제품생산 시간 및 비용 절감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 이내, 5천만원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협약변경 방법, 사후관리 등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과 질의응답을 통해 사업을 문제없이 완료할 수 있도록 상세히 안내하였다.   □ 기정원 협력기술평가본부 최광문 본부장은 “금번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제품경쟁력 강화 및 생산성 향상 등 제품·공정개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3","atchfileNm":"[붙임]_기정원,_중기_제품_품질향상_및_공정개선을_위한_공정품질RD_지원.hwp","viewCnt":"3208","regDate":"2018-05-09 14:57:37"},{"contentId":"62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공공연구기관의 협력 네트워크 기회를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297","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공공연구기관의 협력 네트워크 기회를 마련하다! 4월 25일(수), “제3차 TIPA 네트워킹 행사” 성황리에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TIPA))은 4월 25일(수) 쉐라톤 서울 팔래스에서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과의 협업 과제 발굴을 위한 제3차 TIPA 네트워킹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 사전 신청을 통해 공공연구기관과 매칭된 중소기업과 현장 상담을 희망하는 중소기업,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자, 사업화 지원 관련 기관등 180여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 1부는 중소기업 R&D 지원 방향에 대한 안내와 중소기업, 공공연구기관의 협력 필요성을 제시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마련된 시간으로,   ◦ 중소벤처기업부 이창연 사무관이 중소기업 R&D 지원의 효율성을 제고하는“중소기업 R&D 혁신방안”을 발표하고, 한국기계연구원 김학준 박사가 “정전기학 공기청정 기술을 적용한 실내공기질과 배기가스 정화 기술”을 소개했다.   ◦ 이어서 중소기업 대표로 지트로닉스㈜의 박지황 대표, 비클시스템㈜의 조범연 연구소장, ㈜인지네트워크의 신오섭 연구자가 공공연구기관과의 협력 필요성과 협력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 2부는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광기술원, 자동차부품연구원 등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와 중소기업이 기술자문, 기술이전, 협력과제 상담 등을 진행했다.   ◦ 사전에 매칭된 중소기업은 정해진 부스에서 연구자와 상담하였으며, 현장에서 상담을 희망한 기업도 추가 매칭을 통해 상담을 할 수 있었다.   □ 기정원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리스트를 추가 확보하고 이와 같은 네트워킹 행사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2","atchfileNm":"[보도자료]_제3차_TIPA_네트워킹_행사_보도자료.hwp","viewCnt":"3427","regDate":"2018-04-27 14:55:26"},{"contentId":"62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지역 소외아동을 위한 텃밭 일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29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지역 소외아동을 위한 텃밭 일군다 - 4월 26일(목), 성심원을 찾아 각종 모종심기 사회공헌활동 진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4월 26일(목) 대전지역 아동복지시설 ’성심원‘을 방문하여 먹거리 모종심기 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 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로에 위치한 성심원은 가정이 해체되어 보호가 필요한 약 40여명의 아동들을 양육하고 있으며,   ◦ 기정원은 2014년부터 매년 성심원을 찾아 지속적으로 봉사 및 기부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 이날 행사에는 최철안 원장과 임직원 15명이 참여하였으며, 성심원 마당에 텃밭을 조성하고 토마토, 오이, 상추, 가지 등 10여종의 모종을 심는 시간을 가졌다.   ◦ 또한 시설 곳곳에 패랭이꽃 등 꽃모종들도 함께 심고 주변 환경정비를 하며 모자란 일손을 도왔다.   ◦ 이번에 심은 모종은 성심원 아동들이 직접 가꾸며 자연을 배우고, 향후 수확해서 아동들을 위한 건강한 식재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봉사활동은 봄을 맞이하여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것에 의미가 있었다.”라고 말하면서, “2018년에도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한 봉사활동을 추진하며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무를 적극적으로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1","atchfileNm":"[붙임]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지역_소외아동을_위한_텃밭_일군다.hwp","viewCnt":"2957","regDate":"2018-04-27 14:53:20"},{"contentId":"62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산업단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대폭 확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295","contentsKor":"산업단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대폭 확대 - 기정원, 한국산업단지공단과 MOU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한국산업단지공단(이사장 황규연, 이하 “산단공”)과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4월 24일(화) 산단공 본사에서 체결하였다.   □ 양 기관은 MOU를 통해 산단 입주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보급·확산과 R&D지원사업의 홍보, 스마트공장 저변 확대를 위한 교육 및 컨설팅, 정보교류 및 네트워크 활동 활성화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다양한 공동협력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하여 산단 내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 구축 등 4차 산업혁명 대응역량이 강화되기를 희망”하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보급 및 고도화에 더욱 많은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 또, 황규연 산단공 이사장은 “금년을 산업단지 스마트공장 확산 구축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이를 위해 전담부서를 신설하였으며, 협력사업 다원화를 위해 ① 기존 발전사와의 대중소협력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을 확대하고, ②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을 산업단지내 적극 유치하며, ③ 공동네트워크를 활용한 차별화된 스마트공장 구축 모델을 추진 하겠다”고 강조했다.   □ 향후 양 기관은 스마트 공장 보급‧확산 사업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인 상호협력을 추진하여,   ◦ 산업단지를 우리나라 4차 산업혁명의 전초기지로 적극 육성하는 등 정부 국정과제인 「2022년 스마트공장 2만개 보급」, 「스마트 산업단지 구축」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0","atchfileNm":"[붙임]_산업단지_스마트공장_구축_지원_대폭_확대.hwp","viewCnt":"2963","regDate":"2018-04-24 14:49:57"},{"contentId":"6346","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과 손잡고 일궈나가는 스마트 사전의 빛나는 미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6","contentsKor":" ","viewCnt":"667","regDate":"2018-04-20 13:55:39"},{"contentId":"61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의 Open Innovation을 위해 공공연구기관과 함께 네트워킹 행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171","contentsKor":"  기정원, 중소기업의 Open Innovation을 위해 공공연구기관과 함께 네트워킹 행사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TIPA))은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과의 협업 과제 발굴을 위해 4월 25일(목) 오후 2시부터 쉐라톤 서울 팔래스에서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한다.   □ 본 행사는 공공연구기관과 중소기업이 협업하여 수행할 수 있는 과제를 발굴하고, 나아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개최된다.   □ 기정원은 공공연구기관과의 정기 간담회를 통해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한 기술리스트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공공연구기관과의 네트워킹 행사는 4월 25일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정기적으로 개최할 계획이다.   □ 이번 행사에서는 현재까지 확보된 한국기계연구원(164개), 한국광기술원(76개), 자동차부품연구원(13개), 화학연구원(10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53개) 등의 기술리스트 316개가 공개되었다.   ◦ 해당 기술리스트를 기준으로 중소기업의 참여 신청을 받고 있으며, 기술 상담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자와 매칭하여 1:1 상담도 지원한다.   □ 1부에서는 중소기업 R&D 지원방향 안내와 한국기계연구원의 주요 기술 설명, 중소기업이 제시한 협업 과제 소개가 예정되어 있으며,   ◦ 2부에서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술 상담 부스와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 안내를 위한 기정원 부스, 사업화 지원 상담을 위한 하나은행 부스가 별도 마련되어 자유로운 상호 교류 활동이 예정되어 있다.   □ 이번 행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선착순 100명을 연구자와 우선 매칭하여 상담 시간을 부여하며, 신청·접수는 4월 13일(금) 24시까지이다.   ◦ 신청 방법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 내 공지사항을 참조(http://www.smtech.go.kr)하면 된다.   □ 기정원 관계자는 네트워킹 활동을 통해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을 기대한다며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 간 협업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고,   ◦ 향후 개최되는 TIPA 네트워킹 행사에서는 더 많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리스트를 확보하여 매칭을 진행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865","atchfileNm":"보도자료_20180412.hwp","viewCnt":"3901","regDate":"2018-04-12 18:13:45"},{"contentId":"61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뭉치면 강한 중소기업’육성에 본격 박차를 가하는 기정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170","contentsKor":"‘뭉치면 강한 중소기업’육성에 본격 박차를 가하는 기정원  - 中企간 교류와 협력의 장, 2018 기술전문기업 네트워킹 행사(K-ESP편)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과 기술전문기업의 동반협력을 위한 ‘기술전문기업 네트워킹 행사’를 오는 4월 5일 서울 팔레스 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기술전문기업 네트워킹 행사’는 기술전문기업과 중소기업이 상호 기업 정보교류 및 협력기술 탐색 등을 통해, 기술개발 아이템 발굴과 신규 사업 기회를 마련할 수 있는 교류와 협력의 장(場)이다.   ㅇ 기술전문기업(K-ESP; Korea Engineering Service Provider)은 설계·해석, 시험·분석 등 기술 분야별 전문역량을 보유하고, 중소기업에게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 기정원은 금년 60개 기업을 추가하여, 서비스 제공기관을 167개로 대폭 확대하였다.   ㅇ 이번 행사에는 기업간 매칭상담과 더불어, 금년에 선정된 기술전문기업 지정서 수여 및 협력 R&D 우수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ㅇ 또한, 기술전문기업이 ‘기업소개, 연구개발 영역, 보유 기술’등에 대하여 소개할 수 있는 참여자 중심 ‘1분 토크’를 진행한다.    ㅇ 기술전문기업과 매칭된 중소기업은 기술전문기업 협력 R&D 지원 대상이 되며, 4월 중순 공고 예정인 사업설명 및 1:1 맞춤형 상담도 진행한다.   □ 기정원 기업협력평가실 함정우 실장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술전문기업과 기술개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이 뭉쳐서 강한 경쟁력을 갖는 스몰 자이언츠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ㅇ 아울러, 다가오는 5월에는 기술전문기업과 협력R&D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이 기술전문기업을 찾는 수요자 중심의 네트워킹 행사를 추가로 개최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864","atchfileNm":"보도자료_20180404.hwp","viewCnt":"3816","regDate":"2018-04-04 18:06:54"},{"contentId":"61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4차 산업혁명 대응하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위한 교류의 장 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169","contentsKor":"제4차 산업혁명 대응하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위한 교류의 장 마련! -기정원, 3월29일(목), 2018 스마트제조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대한 수요‧공급기업의 협업관계 구축 지원을 위하여 3월 29일 오후 2시 서울 코엑스에서『2018 스마트제조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를 개최했다.   ◦ 올해 2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상한 스마트제조 우수기업인 ㈜세창, ㈜미트뱅크, ㈜유플렉스소프트를 비롯해 스마트공장 수요‧공급기업 200여 업체가 참석하는 등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 이번 행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기업들의 스마트공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 수상 기업의 지원 성과와 우수사례들을 공유하여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에 대한 중소 제조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 스마트공장 고도화 및 업그레이드 중심으로 개편된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 개요와 지원 절차에 대해 안내하였다.   □ 설명회 이후에는 수요‧공급기업의 원활한 상호 교류가 진행될 수 있도록 참여 기업소개, 공급기업의 상담석, 전문가 자문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수요기업이 스마트공장 구축 시 겪는 애로사항을 전문가와 공급기업과의 컨설팅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 수요‧공급기업간 사후 교류를 위해 기업 현황 및 필요 시스템과 구축 가능 시스템 등의 내용이 수록된 기업소개집을 제작하여 온·오프라인으로 배포하였다.   □ 기정원의 최철안 원장은 이번 매칭데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수준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실행 방안에 대한 정보를 얻기를 희망하며”   ◦ “중소 제조기업 스마트공장 고도화 및 보급 활성화를 위해 기업, 정부, 학계 각 분야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863","atchfileNm":"[보도자료]_2018_스마트제조_수요_공급기업_매칭데이_개최.hwp","viewCnt":"3736","regDate":"2018-03-29 18:04:57"},{"contentId":"61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임직원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공공상생연대기금 출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16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임직원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공공상생연대기금 출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노동조합(이하 노동조합)은 상생과 협력의 정신을 바탕으로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반납한 ‘성과연봉제 조기 이행 인센티브’를 29일 공공상생연대기금에 전액 출연했다.       □ 기정원 노사는 성과연봉제 조기이행 인센티브 반납 방법과 시기에 대한 충분한 합의 과정을 거쳐 비정규직 직원의 처우 개선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공익목적에 활용하는 것으로 공공상생연대기금 재단에 출연했다고 밝혔다.   □ 이번 출연금은 앞으로 △비정규직 처우개선 △양질의 일자리 창출 △청년 취업난 해소 등 사회적 가치 실현 및 공공부문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연대를 위한 지원 사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 최철안 기정원 원장은 “비정규직이나 일자리 문제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서는 노사의 상생과 협력이 가장 중요하다”며 “기정원 임직원의 한 뜻을 모아 공공상생연대기금 출연에 동참한 만큼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성실히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장상민 노조위원장은 “이번 기부한 출연금이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겪는 차별을 해소하고 노동자들의 권익을 위해 쓰이게 되어 뜻깊다”며 “앞으로도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노사가 함께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 또한 기정원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관련 지난해 12월 31일부로 기간제 및 파견직 근로자 20명 전원에 대해 정규직 전환을 완료하는 등 공공기관으로서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사회 양극화 완화, 비정규직 고용관행 해소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862","atchfileNm":"보도자료_20180329.hwp","viewCnt":"3778","regDate":"2018-03-29 18:01:29"},{"contentId":"61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운영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167","contentsKor":"기정원,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운영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   - 13개 조합‧단체와의 소통간담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3개 협회‧단체와 3월 20일(화) 오후 14시 팔래스 강남 호텔에서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소통 간담회를 가졌다.   □ 이번 간담회는 13개 협‧단체 대표가 참석하여 클라우드 기반 경영혁신플랫폼의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및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협조방안 등을 모색하고 우수사례 공유 및 협‧단체의 책임성 강화 방안 등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 간담회에 참석한 한국쌀가공식품협회 이성주 전무이사는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은 솔루션 운영 역량이 현저히 부족하여, 시스템 보완 및 업그레이드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이에 따라 기정원에서는 특화솔루션 이용 협·단체간 권리와 의무 범위를 규정한 운영협약을 체결하여 솔루션 운영 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을 활용하여 업무처리시간 단축 등 업무효율성이 향상되고 기업 운영분담을 최소화하는 등 클라우드 기반 시장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또한 “향후에도 교육지원 및 전담인력과의 만남을 위한 정기적인 간담회를 통해 사업 참여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것”이라며 솔루션 활성화 및 소통경영 행보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861","atchfileNm":"[붙임]_보도자료_20180322.hwp","viewCnt":"3802","regDate":"2018-03-22 17:59:12"},{"contentId":"634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4차 산업으로 강화한 콘텐츠디자인의 지평, 중소기업이 열어야 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5","contentsKor":" ","viewCnt":"797","regDate":"2018-03-16 13:54:29"},{"contentId":"634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우수 기술로 가득 채운 지식 발전소를 꿈꾼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4","contentsKor":" ","viewCnt":"705","regDate":"2018-02-09 13:52:16"},{"contentId":"59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포항지역 중소기업과의 간담회 및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78","contentsKor":"기정원, 포항지역 중소기업과의 간담회 및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19(금) ‘포항지역 중소기업들과의 간담회 및 찾아가는 사업설명회’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 포항 파인비치 호텔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오전에는 포항지역 중소기업들과의 간담회를 오후에는 사업설명회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중소기업 대표자 등 40여명이 참석하였다.   □ 오전에 실시된 중소기업과의 간담회에서는 기술개발과제 수행중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술개발 추진 방향 및 최근 이슈사항 등에 대해 안내하고 상호소통하며 건의사항 등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 간담회 주요내용은 자유공모 확대, 평가프로세스 개선, 선정평가 결과 공개, 사업비 집행, 최종평가 및 포항지역 기업경영 환경 및 애로사항 청취 였다.   □ 오후에 실시된 사업설명회는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사업 안내와 사업계획서 작성 및 온라인 신청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 2018년도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방향, 기술개발사업 및 기술로드맵을 설명하였다.   ○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추진체계, 사업계획서 작성 및 온라인 신청방법을 설명하였다.   ○ 그리고 질의응답 및 별도의 상담창구를 마련하여 중소기업들의 궁금한 사항들을 해소해 주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들에게 제도개선에 대한 의견을 주기적으로 수렴하고 이를 반영하여 중소기업들이 기술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고 하면서, “포항지역 중소기업들을 위해 기술개발사업 및 사업계획서 작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시간을 마련하였으니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기정원을 활용하여 해결해 주시기 바랍니다.” 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77","atchfileNm":"[보도자료]_-_포항지역_중소기업과의_간담회_및_찾아가는_설명회실시.hwp","viewCnt":"3851","regDate":"2018-02-08 15:54:30"},{"contentId":"6343","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팩토리, 중소기업의 미래를 이야기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3","contentsKor":"  ","viewCnt":"729","regDate":"2018-01-19 13:50:30"},{"contentId":"59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혁신창업 활성화를 위한 R&D 자금 2,727억 지원!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9","contentsKor":"중기부, 혁신창업 활성화를 위한 R&D 자금 2,727억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1.15(월) 1차 신청·접수를 시작으로 『2018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기술개발활동을 촉진하여 기술창업 활성화 및 창업기업 성장 촉진을 위한 R&D사업으로,   - 2009년부터 10년간 1조 502억원의 R&D자금으로 7,911개의 과제를 지원하였다.   □ 2018년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전년대비 751억원 증액된 2,727억원(38%↑) 예산을 지원한다.   ○ 아울러, 평가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평가기간을 단축하고, 신청서류 및 제출방법 간소화를 통해 중소기업의 신청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 2018년 주요 변경 및 개선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4차 산업혁명분야 및 일자리 창출기업 지원 강화   - 창업기업의 혁신성장 및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22년까지 4차 산업혁명분야의 R&D지원 비중을 50%까지 단계별로 확대할 계획이다. - 또한, 기술창업 활성화 및 성과제고를 위해 창업기업내에 혁신창업과제(붙임 참조)를 신설한다.   - 이와 함께 R&D 지원을 통한 고용성과 제고를 위해 대면평가 시 고용친화도 평가비중을 확대(10%→15%)한다.   ② 수요자 중심으로 R&D제도 선진화   - 수요자 중심의 신속한 R&D 과제수행을 위해 ‘①접수시기 확대(연4회→연5회) ②선정평가절차 개선에 따른 평가기간 단축 (4개월→2.5개월) ③신청서류 및 제출방법 간소화*’ 등 평가 절차 및 방법을 개선하였다   * 신청서류 분량을 10페이지 내외로 축소, 가점확인 증빙서류는 온라인으로 접수   ③ 기술·사업화 기획지원 제도 도입   - 중기부 R&D에 처음 참여하고 업력이 1년 이하인 창업기업을 주요 지원대상으로 R&D역량에 대한 애로해결과 R&D 및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기술·사업화 기획지원 제도 도입하며,   - R&D기획역량강화교육 → 기술․사업화 기획지원을 통해 R&D 전과정(기획-R&D-사업화)에서 창업기업의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④ TIPS과제 바이오 분야 지원한도 상향 및 과제 관리·점검 강화   - 많은 시간과 투자가 필요한 신약‧의료기기 등 바이오분야에 대해 TIPS과제의 정부지원금 한도를 상향(5억원→7억원)하고 바이오분야 운영사 및 창업팀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 아울러, 도덕적 해이 방지를 위해 운영사․창업팀의 관리 및 점검을 강화할 계획이다.   - 운영사는 정기점검(매년) 결과를 중간 및 최종평가에 반영하고, 부실운영사의 경우 조기퇴출체계를 신설한다. - 창업팀은 과제 종료 후 실시되는 사업비 정산은 연차별로 확대하며, 기술개발 목표를 도입하여 최종평가 시 반영할 계획이다.   □ 2018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1차 시행계획 공고를 통해 창업기업과제 내에 디딤돌 창업과제를 2.1(목) ~ 2.12(월)까지 신청·접수를 진행한다.   ○ 346억원의 예산으로 250개 내외의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며,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창업 후 7년 이하인 기업이다.   ○ 이번 1차 공고를 시작으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과 관련한 사업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www.mss.go.kr) 및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기정원 이훈희 R&D전략본부장은 “그 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창업기업의 R&D 저변확대 기여에 큰 역할을 해왔으나,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R&D 혁신역량이 우수한 기술기반 창업기업으로 지원확대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기술인력의 창업 활성화를 통해 혁신창업을 촉진하고 일자리창출에 기여하는 사업으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12","atchfileNm":"보도자료_20180116.hwp","viewCnt":"5418","regDate":"2018-01-16 13:54:14"},{"contentId":"59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 R&D 전략기획 기능 강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8","contentsKor":"“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 R&D 전략기획 기능 강화”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직제 개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연구관리 전문기관으로서의 책임성을 제고하고 중소기업 R&D전략 및 사업기획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5본부 18실 1센터로 직제를 개편했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 R&D 전략 및 대외협력과 사업별 기획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R&D전략본부’을 신설하여,   ◦ 중소기업 R&D 기획을 총괄하는 ‘R&D기획실’, 정책연구 등 중장기 기획을 담당하는 ‘정책연구실’, 개별 사업의 기획 및 신규사업 발굴을 담당하는 ‘성장기술기획실’과 ‘협력기술기획실’을 설치하였다.   □ 한편, R&D 성공과제의 사업화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R&D 결과물의 사업화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전담부서로 ‘사업화성과혁신실’을 사업지원본부에 신설하였다.   □ 또한, 정부의 스마트공장 지원정책 강화 등의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종전의 정보화사업 담당부서를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고도화사업을 전담하는 ‘스마트기업지원실’로 재편하였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직제개편을 토대로 중소기업 R&D 전략기획 기능을 강화하여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과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11","atchfileNm":"보도자료_20180111.hwp","viewCnt":"4350","regDate":"2018-01-11 13:51:49"},{"contentId":"59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7","contentsKor":"기정원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획득!  -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 최초 부패방지경영 국제표준 인증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국내 R&D 전문기관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받았다.   ◦ 인증서 전달식은 2018년 1월 9일 기정원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6층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 ISO 37001은 세계 162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표준으로, 조직 내 부패 발생 가능성을 시스템으로 방지하기 위해 2016년 10월 제정되었고, 국내에서는 2017년 4월부터 인증제도가 시행되었다.   ◦ ISO 37001은 모든 조직에서 뇌물수수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조직의 방침, 절차를 명시함으로써 조직이 뇌물수수와 관련된 조치를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지원 전문기관으로써 국제수준의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전담 추진조직 구성과 직원교육을 진행하였으며, 2단계에 걸친 인증심사를 거쳐 ISO 37001 인증을 획득하였다.   □ 이번 기정원의 ISO 37001 인증은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 중 최초의 사례이며, ◦ 중소기업 R&D지원의 기획, 평가, 사업지원 등 평가관리 체계와 기관의 공공서비스 전반이 부패방지경영에 관한 국제표준에 맞게 수행되고 있음을 대외적으로 확인받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ISO 37001 인증 획득으로 고객인 국민과 중소기업이 만족하는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 R&D 전문기관으로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고 앞으로도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10","atchfileNm":"보도자료_20180110.hwp","viewCnt":"4208","regDate":"2018-01-10 13:48:47"},{"contentId":"59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정규직 전환대상자 20명 전환 완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6","contentsKor":"기정원, 정규직 전환대상자 20명 전환 완료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전환 가이드라인’에 따라 지난 1일자로 비정규직 근로자 20명에 대한 정규직(무기계약직) 전환을 완료했다.   ○ 기정원은 지난해 7월 정부 정규직전환 가이드라인 발표 직후부터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 및 ‘노·사·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해 투명하고 합리적인 정규직전환을 추진해왔다.   □ 이번 정규직전환 과정에는 노동조합, 파견근로자 대표 및 외부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고 인사위원회의 최종심의 절차를 통해 확정하였으며,   ○ 직무수행능력평가, 면접 등 합리적인 전환평가 절차를 통해 비정규직 20명(기간제근로자 2명, 파견근로자 18명) 전원을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였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노사의 충분한 합의과정을 거쳐 정규직 전환절차를 진행한 것은 기존 정규직 직원과의 원만한 통합에 원동력이 될 것”이며, “공공기관으로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사회 양극화 완화, 비정규직 고용관행 해소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09","atchfileNm":"보도자료_20180105.hwp","viewCnt":"4103","regDate":"2018-01-05 13:47:29"},{"contentId":"59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이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한 해가 되도록 하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5","contentsKor":"“중소기업이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한 해가 되도록 하겠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 대전 현충원 참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4일 오전 간부 직원 20여명과 함께 국립대전현충원을 방문해 현충탑에 헌화 분향을 하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참배했다.   □ 최철안 원장은 분향 후 방명록에 “2018년에도 국민과 중소기업이 더 행복해지도록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라고 적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2018년도에 중소기업이 R&D를 통한 기술혁신과 기술경쟁력 확보로 성장의 기반을 갖출 수 있도록 여러 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수요에 대한 적기 대응과 신속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수요자·현장 중심으로 평가관리 방식을 개편하고,   ◦ 중소기업 현장과의 소통을 활성화하여 지원의 효율성 및 실효성을 제고하고, 기술혁신 성과의 사업화 지원을 강화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08","atchfileNm":"보도자료_20180104.hwp","viewCnt":"3061","regDate":"2018-01-04 13:46:10"},{"contentId":"59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R&D사업비 집행 가이드 북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4","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R&D사업비 집행 가이드 북 발간  사업비 집행 부담은 낮추고, 기술개발 집중도는 높이고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2월 29일(금), 중소기업R&D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을 위한 사업비 집행 가이드 북(원제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비 집행 가이드 북’)을 발간하였다.   □ 이번에 발간된 가이드 북은 그간 별개로 제공되던 사업비 산정 기준, 불인정 사례, Q&A, 사업비 집행 시스템(www.smtech.go.kr) 이용 방법 등을 한 권으로 묶었다. 이로 인해 사업비 집행을 위해 번거롭게 여러 자료들을 확인해야 했던 연구자들의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 특히, 내부 회계서식이 구비되지 않아 사업비 증빙서식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을 위해 다양한 예시 서식을 수록하였다.   ○ 또한, 장별로 측면 인덱스를 추가하여 필요한 부분을 곧바로 찾을 수 있게 하는 등 사소한 부분까지 사용자들의 입장에서 제작하였다.   □ 기정원 R&D혁신본부 김성태 본부장은“본 가이드 북이 중소기업인들이 사업비를 집행하는 데 들이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키고, 기술개발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이번 가이드 북은 중소기업R&D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온라인으로 배포하게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07","atchfileNm":"보도자료_20171229.hwp","viewCnt":"4295","regDate":"2017-12-29 13:44:30"},{"contentId":"59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간 시장지향형 협력R&D 본격 궤도 진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3","contentsKor":"중소기업 간 시장지향형 협력R&D 본격 궤도 진입 - 과제기획에서 사업화까지, 시장 지향형 기술개발사업 34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간 수평적 협력을 통해 공동기술개발과 사업화 지원을 병행하는 「중소기업 네트워크형 기술개발사업」으로 34개 과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은 혁신형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간 수평적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중소기업이 단독으로 기술개발을 할 때 우려되는 위험 및 개발비 부담을 완화하고,    - 상호협력표준계약서를 마련하여, 공동개발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술유출 우려, R&D 성과물 배분 및 활용에 대한 합의 등 다양한 갈등 요인을 사전에 조율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기술개발 위주의 기존 기술개발사업과는 달리, 기술개발과정에 수출, 마케팅, 디자인 등을 담당하는 사업화 지원기업을 필수적으로 참여하게하여 시장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써    - 혁신형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의 주체가 되고, 공동기술개발을 수행하는 중소기업과 사업화 기업 등 3개 이상의 기업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공동으로 기술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벤처기업, 기업 부설연구소 등록기업  ◦ 동 사업은 사전기획을 지원하는 ① 네트워크 기획지원과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② R&BD지원으로 구성되며,    ① 네트워크 기획지원은 혁신형 중소기업이 제시한 우수 아이디어를 고도화하여 기술개발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     - 혁신형 기업의 협력파트너 매칭, 사전특허분석, 기술성 및 경제성 분석, 해외시장조사, 사업화 전략 수립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② R&BD지원은 네트워크 기획지원을 완료한 과제 중 우수과제를 대상으로 2년간 6억원(연간 지원한도 없음) 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한다. □ 기정원 협력기술평가본부 최광문 본부장은 ‘네트워크형기술개발사업’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여 중소기업 주도의 협력생태계 조성을 촉진하고, 중소기업간 우수역량의 결집으로 협력 시너지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특히, 중소기업 주도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시도하는 점과 공동기술개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오던 수익배분 등의 문제를 사전에 조율하는 형태가 더욱 건전하고 효과적인 네트워크 조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18년도 신규사업에 153억원의 예산이 배정 되었으며, 과제신청은 ’18.2월중 온라인 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서만 신청 가능하다.  ◦ 예산규모 및 지원내용 등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2017. 12. 26일 ‘2018년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 공고'에서 확인 가능하며, 해당사업의 세부 공고는 2018. 2월중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 또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06","atchfileNm":"보도자료_20171227.hwp","viewCnt":"3367","regDate":"2017-12-27 13:43:12"},{"contentId":"6342","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열어갈 빛의 신세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2","contentsKor":" ","viewCnt":"588","regDate":"2017-12-15 13:47:17"},{"contentId":"57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 수행기업에 맞춤형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76","contentsKor":"기정원, R&D 수행기업에 맞춤형 교육 실시! - 12월 15일(금), 중기 R&D수행기업 대상 사업관리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12월 15일(금)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2017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제품서비스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담당자를 대상으로「R&D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 ‘R&D 맞춤형 교육’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을 진행 중인 기업들의 성공적인 R&D수행과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마련되었다.   □ 이번 교육에서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지침, 사업관리 시스템(SMTECH) 사용방법, 연구노트 작성법, 과제진행 절차 등 사업 수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명할 예정이다.   ◦ 특히, 전문회계사를 통해 중소기업이 사업수행에 있어 가장 어려움을 겪는 ‘사업비 정산 및 집행’ 교육시간을 마련하였다.   ◦ 또한, 중소기업 R&D 궁금증 해결을 위한 1:1 상담부스를 마련하여, 사업 수행 과정에서 생기는 애로사항, 사업별 특이사항 상담을 통해 R&D수행 과정에서 발생했던 궁금증을 해결에 나선다.   □ 이번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전화나 이메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사전신청을 하지 못한 기업의 경우 현장신청*도 가능하다. * 단, 현장신청은 상황에 따라 수용 인원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문의 및 교육신청 : (전화) 042-388-0323 (E-mail) 311@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86","atchfileNm":"보도자료_20171215_2.hwp","viewCnt":"3763","regDate":"2017-12-15 12:36:09"},{"contentId":"57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구매조건부 1:1 맞춤형 협약컨설팅 서비스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72","contentsKor":"구매조건부 1:1 맞춤형 협약컨설팅 서비스 실시  -12월 12일(화), 3차 수요조사 26개 선정기업 대상 1:1 협약컨설팅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2017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3차 수요조사 선정 26개 기업을 대상으로 「1:1 맞춤형 협약컨설팅 서비스」를 12월 12일(화) 실시한다고 밝혔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 이번 컨설팅 설명회는 중소기업이 작성한 협약서류를 담당자가 사전 검토 후, 협약서류 보완사항 전달, 협약 체결 유의사항 뿐 아니라, 과제 수행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기업별로 40분동안 자유롭게 질문하고 답변하는 컨설팅 형태로 진행된다.   □ 기정원은 기존 강의식 협약설명회와는 달리, 협약담당 직원과 선정기업간 1:1로 협약서류 작성 및 제출 서류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을 통해,   ◦ 중소기업의 애로사항 및 궁금증을 즉시 해결하여 협약기간을 대폭 단축 할 수 있으며, 과제수행에 대한 전반적 컨설팅을 병행하여 중소기업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으며,   ◦ 이번 1:1 맞춤형 협약컨설팅에 대한 효과 분석,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제도 개선 및 확대 실시 등을 검토 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81","atchfileNm":"보도자료_20171212.hwp","viewCnt":"3498","regDate":"2017-12-12 10:43:52"},{"contentId":"57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산학연R&D 3차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71","contentsKor":"기정원, 2017년 산학연R&D 3차 협약설명회 개최  - 11월 29일(수), 412개 첫걸음·도약과제 선정기업에 410억원 지원! -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가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첫걸음·도약과제 3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11월 29일(수) 오후 1시 대전 한남대학교 56주년 기념관 서의필홀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 협력 R&D를 지원해온 사업으로,   ◦ 주요 지원내용은 정부 R&D 사업에 신규로 참여하거나 기업부설연구소를 신규설치하려는 기술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동R&D를 지원하며, 기술적 우위 선점 또는 기술보완을 희망하는 기술력이 있는 중소기업의 공동 R&D도 함께 지원한다.   □ 이번 설명회는 선정기업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와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며,   ◦ 협약변경, 사후관리 등 사업 추진 시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질의응답 등을 통해 사업추진 시 실수가 없도록 상세히 안내한다.   ◦ 특히, 차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의 다양한 의견도 수렴할 예정이다. □ 3차 첫걸음·도약과제 선정기업은 1년의 사업기간 동안 총 1억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대학·연구기관과 공동 기술개발을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7월말부터 8월 중순까지 신청한 1,700개 과제를 대상으로 서면, 현장, 대면평가 등 선정절차를 통해 412개를 최종 선정하여 41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오주환 산학연기술평가부장은“산학연협력 R&D를 통해 기술기반이 취약하거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소기업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한 공동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80","atchfileNm":"보도자료_20171129.hwp","viewCnt":"3253","regDate":"2017-11-29 10:40:52"},{"contentId":"57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참여 저조지역 찾아가는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70","contentsKor":"기정원, R&D참여 저조지역 찾아가는 설명회 개최 - 참여율 저조지역 4개 권역 찾아가는 설명회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1년간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신청현황을 분석하여 참여저조지역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설명회를 실시한다.   ◦ 이번 설명회는 총 4개 지역(광주, 경남, 강원, 전북)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정부과제의 정보가 부족한 지역 중소기업에 중소기업 R&D사업을 알려 참여를 독려함을 목적으로 한다.   □ 기정원은 23일 광주광역시를 시작으로 경남(27일), 강원(29일), 전북지역(12/5일)에 총 4회에 걸쳐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으며, 본 설명회는 사전 신청없이 누구나 참여하여 설명회를 들을 수 있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각 지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사업 소개 및 지원방법 외 기업에서 궁금해하는 각종 R&D사업 정보를 전달한다.   ◦ 본 설명회를 통해 참석한 지역 중소기업 관계자는 해당 지역에서 이러한 설명회가 개최되어 참여의 편의성과 중소기업 R&D사업의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음에 만족감을 표시했다 또한 이러한 설명회가 지역에서도 자주 개최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 기정원 담당자는 참여율이 저조한 지역을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 분포가 많음에도 신청률이 낮은 것은 본 사업을 모르는 중소기업이 많다고 판단되어 이러한 찾아가는 설명회를 실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또한 소외된 지역의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설명회를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계속해서 참여저조 지역을 분석하여 균등한 기회제공을 위해 본 기관의 R&D사업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9","atchfileNm":"보도자료_20171127_2.hwp","viewCnt":"3596","regDate":"2017-11-27 10:39:42"},{"contentId":"57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 중소기업 수출 경쟁력 강화의 징검다리를 놓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69","contentsKor":"'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 중소기업 수출 경쟁력 강화의 징검다리를 놓다 !  -수출초보, 수출유망, 글로벌강소 267개사, 1,240억원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을 위해 수출역량 단계별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올해 총 267개사, 1,240억원을 지원 하였다.   ◦ 본 사업은 글로벌 시장의 유망분야에 대한 선도적 투자를 통해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기술개발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수출유망 품목 468개를 대상으로 자유공모 방식으로 지원하였다.   □ 이번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의 선정된 대표적인 과제들을 살펴보면,   ◦‘글로벌 정보보안 기술개발과제’로 지원한 소○○社 는 글로벌 수준의 솔루션 개발 및 개선으로 국가별 차별화 전략을 통해 기존 시장인 미국을 넘어 중남미, 동남아 등으로 수출 가능성이 높아 수출초보기업 과제로 선정되었으며,   ◦‘치과 및 산업용 실시간 3D 스캔 모듈 개발과제’를 지원한 메○○社는 3D스캐너의 데이터 획득 및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고, 경쟁업체 대비 저가의 고품질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시장 점유율 상승과 파급효과가 높아 글로벌강소기업 과제로 선정되었다.   □ 기정원 담당자는 이번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지원을 통해 수출초보기업은 수출역량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한 발판을 확보하고,   ◦ 수출유망 및 글로벌 강소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기술 개발을 통해 수출시장 확대 및 수출역량 강화 계기로 작용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8","atchfileNm":"보도자료_20171127.hwp","viewCnt":"3424","regDate":"2017-11-27 10:34:24"},{"contentId":"57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68","contentsKor":"기정원,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협약설명회 개최 - 3차 기업제안 155개 선정기업에 547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최철안 원장)은 11월21일(화) 오후 2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대강당에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이하 ’구매조건부‘)」기업제안과제(3차) 155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성공하면 수요처에서 일정기간 개발제품을 구매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본 설명회에서는 3차 기업제안과제 선정 155개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약절차, 규정 등 과제 진행과 관련된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자주 발생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과 관련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본 설명회 이후 구매조건부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기술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7","atchfileNm":"보도자료_20171122.hwp","viewCnt":"3475","regDate":"2017-11-22 10:32:59"},{"contentId":"57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에 다양한 R&D정보 제공을 위한 웹진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67","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에 다양한 R&D정보 제공을 위한 웹진 발간  - 중소기업 R&D사업 안내 및 R&D수행기업 소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에 R&D관련 정보를 보다 손쉽게 받아 볼 수 있도록 웹진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 지난 ‘17년 9월 첫 발간된 웹진은 R&D사업공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포럼, 설명회 등 각종 행사 및 실제 R&D사업 수행기업의 현장사례 등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 또한, 기술분야별 전문가의 자문을 통하여 해당기술의 소개와 설명 및 R&D 방향성을 제시하는 커버스토리를 운영하여 새로운 지식의 장도 제공한다.   □ 기정원 웹진은 웹진 홈페이지(http://webzine.tipa.or.kr)와 기정원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서도 구독이 가능하며 구독신청을 하게 되면 매주 R&D지원사업 뉴스레터와, 매달 발간되는 웹진을 신청한 메일로도 받아볼 수 있다.   ○ 또한 기정원 웹진은 기존의 뉴스레터 형식에서 구독자의 편의를 위해 모바일 환경에서도 구독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에 도움이 되는 R&D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기업이 다양한 기회를 접하고 성장하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6","atchfileNm":"보도자료_20171120.hwp","viewCnt":"2922","regDate":"2017-11-20 10:30:01"},{"contentId":"6341","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재난,사고, 범죄로부터 인류를 구할 신기술이 온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1","contentsKor":" ","viewCnt":"585","regDate":"2017-11-17 13:45:28"},{"contentId":"57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열린혁신으로 사회적가치 실현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2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열린혁신으로 사회적가치 실현 나선다 - “중소기업 R&D 1번가”개설, 국민 참여 혁신과제 공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국민과 함께 하겠다”는 정부의 국정철학에 발 맞추어 국민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및 사회적 가치 실현에 앞장서고자 ‘TIPA 열린혁신 추진단’을 구성했다.   ○ ‘열린혁신’이란 기관 중심의 일방향적 서비스 제공에서 벗어나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디자인하는 서비스 혁신 패러다임을 의미하며,   ○ 사회문제를 시민의 힘으로 해결하는 ‘사회혁신’ 및 기관의 공공서비스를 개선하는 ‘정부혁신’으로 구성되어있다.   □ ‘TIPA 열린혁신 추진단’은 혁신 책임관인 기획조정본부장을 중심으로 혁신총괄부서 및 5개의 혁신과제 실행부서로 구성되었으며, 앞으로 다양한 혁신과제 발굴 및 추진활동을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 이를 위해, 다양한 시민사회와 유관 공공기관과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시민이 직접 사회혁신 및 기관혁신 과제를 발굴하고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 ‘TIPA 열린혁신 추진단’은 첫 번째 활동으로 국민 참여창구인 ‘중소기업 R&D 1번가’를 개설하고, 오는 26일까지 국민들에게 직접 열린혁신 아이디어를 공모 받는다.   ○ 공모내용은 기정원의 중소기업 R&D 및 정보화 지원 서비스의 혁신 및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한 아이디어이며,   ○ 국민 누구나 기정원 홈페이지(www.tipa.or.kr) 및 기정원 웹진(http://webzine.tipa.or.kr)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 기정원은 우수 아이디어 제안자에 대해서는 소정의 상금을 수여하고 실제 정책 수립 및 서비스 개선활동을 함께할 예정이다.   □ 기정원의 최철안 원장은 “기정원은 앞으로 시민사회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열린혁신 활동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32","atchfileNm":"보도자료_20171117.hwp","viewCnt":"3660","regDate":"2017-11-17 13:09:42"},{"contentId":"57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155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66","contentsKor":"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155억원 지원!  - 팁스 프로그램(7차), 31개 창업팀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7년도 팁스 프로그램* 7차에 31개** 창업팀을 선정하고 2년간 155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기술분류 : 정보통신(16), 바이오의료(7), 지식서비스(3), 기계소재(2), 전기전자(2), 화학(1)   □ 팁스는 민간의 투자가치 판단능력을 활용하여 유망기술 창업팀을 육성하고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엔젤투자자 및 초기전문 VC 등으로 구성된 민간 운영사가 발굴한 창업팀에 정부의 R&D 지원을 연계한다.   ◦ 선정된 창업팀은 운영사로부터 1억 원 내외의 투자금과 정부 R&D 자금 5억 원, 후속지원 4억 원* 등 최대 10억 원을 지원받으며,   - 운영사로부터 체계적인 창업 노하우와 보육공간을 제공받는다.   * 창업사업화자금 1억 원, 해외마케팅자금 1억 원, 엔젤매칭펀드 투자금 2억 원 □ 이와 함께 기정원과 한국엔젤투자협회는 선정된 31개 창업팀과 운영사를 대상으로 11월 17일(금) 오후 3시 팁스타운(역삼)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본 설명회는 선정된 기업의 과제책임자 및 운영사 코디네이터의 원활한 협약체결 및 과제수행을 돕기 위해 개최되며,   ◦ 협약에 필요한 제반사항 및 협약변경의 절차, 최종평가 및 사업비 집행 및 정산 방법 안내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 한편 팁스 프로그램은 현재 진행 중인 8차(11월) 평가를 통해 2017년 창업팀 지원을 마감할 계획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5","atchfileNm":"보도자료_20171117_2.hwp","viewCnt":"3042","regDate":"2017-11-17 10:27:15"},{"contentId":"57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사회 소외된 이웃들에게 연탄나눔활동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65","contentsKor":"기정원, 지역사회 소외된 이웃들에게 연탄나눔활동 실시  - 11월 16일(목), 대전지역 저소득층에 노사합동으로 연탄나눔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1월 16일 목요일 대전지역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노사합동 사랑의 연탄나눔활동을 진행하였다.   ◦ 이날 사회공헌활동은 대전 동구청의 추천을 받아 선정한 저소득층 10가정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노동조합 장상민 위원장 등 임직원 30여명이 참여하였다.   □ 기정원은 이날 대전시 동구 판암동 일대에 총 3,000장의 연탄을 전달하였으며 지원받은 가정은 대부분 독거노인, 저소득층 등 소외된 이웃들이었다.   ◦ 이번 사회공헌활동은 연탄가격이 작년 550원에서 660원으로 크게 오른 상황에서 소외된 이웃들의 겨울나기에 도움을 주고자 노사가 합동으로 추진하게되었다.   □ 기정원의 최철안 원장은 “소외계층과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면서 이번 활동으로 지역사회 이웃들이 추운 겨울을 조금이나마 따뜻하게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 또한 “소외계층과 지역사회에 적재적소에 도움을 주는 기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기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4","atchfileNm":"보도자료_20171117.hwp","viewCnt":"3011","regDate":"2017-11-17 10:25:20"},{"contentId":"56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혁신형 중소기업을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시킨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90","contentsKor":"혁신형 중소기업을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시킨다!!   # 창업초기부터 중기부의 R&D 지원을 통해 기술개발 역량을 키워 온 무선통신단말기 전문 벤처기업 알OO社는 IOT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하고 Wave 통신기술의 국산화 기술개발을 통해 해외시장 개척과 수출기반을 마련할 계획을 가지고, `16년에 이어 `17년 혁신형기업 기술개발사업에 신청하여 선정되었다.   - 알OO社가 이번 과제에 성공할 경우 이 분야의 새로운 시장창출은 물론 기술수준의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 ‘혁신형기업기술개발사업’은 ICT, 빅데이터, 3D 프린팅 등 新 시장 창출 및 기존 제조업 기반의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해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기업의 핵심기술역량을 키워 글로벌시장의 전문기업으로 성장을 유도하는 사업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올해 혁신형기업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총 304개사를 선정하여 526억원 지원을 완료하여 선정된 중소기업은 최대 2년간, 정부출연금 최대 5억원(총 사업비의 65%)을 지원받아 R&D를 수행한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올해도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선정평가를 진행했으며, `17년 선정된 과제의 특징을 살펴보면,   ◦ 정보통신 및 전기전자 등 ICT 분야가 51.9%(158개)지원 되었으며, 지원대상 품목 중 60.4%에 해당하는 183개 과제가 4차 산업혁명과 관련성이 높은 신성장 동력분야에 집중 지원되었다. * 신성장 동력분야 : 데이터인텔리전스, 스마트홈/비즈니스, 차세대 방송통신, 스마트 미디어기기, 로봇, 차세대 자동차, 스마트 팩토리 등   ◦ 지원과제의 39.5%(120개)가 업력 8년 내외의 ICT 관련* 벤처기업으로, 창업 후 3~7년의 데스벨리를 지나 본격적인 성장의 기로에 놓인 상태이며, 후속 제품의 연구개발, 시장진입을 위한 마케팅 비용 등 외부 투자가 절실한 시기에 금번 R&D 자금이 지원되었다. * ICT 관련업종 : S/W 개발 및 자문업, 전자기기 제조업, 통신기기 제조업 등   ◦ 선정된 기업의 총 고용인원 9,158명 中 571명(6.23%)이 신규 고용예정인 참여연구원으로, 중소기업의 평균 고용증가율*이 2.73%인 것을 감안했을 때 고용창출 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 e-나라지표「중소기업 일반현황」참고   □ 이번 혁신형기업기술개발과제의 대표적인 선정된 과제는,   ◦ ‘차세대 RSE 기술개발과제(알OO社로)’로 국제표준(IEEE)를 적용한 통신기술 개발로 향후 철도간 통신, 로봇간 그룹 통신에 활용이 가능해 IoT 등 4차 산업혁명에 꼭 필요한 기술로 평가되어 높은 점수로 지원과제로 선정되었다.   □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은 `97년 지원을 시작하여, 많은 중소기업에게 힘이 되어왔다. 특히, 창업 이후 성장기를 거쳐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하기 위한 과정에서 중요한 발판 역할을 해왔다.   ◦ `13년 본 사업을 수행한 ㈜미라지웍스는 악성코드의 다양화와 국내 백신시장의 포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던 시기에 R&D과제를 통해 차별화된 보안솔루션을 개발하게 되었고,   - 품질인증(GS) 및 국제공통평가기준(CC)인증을 획득은 물론 총 14건의 관련기술의 특허를 인정받아, 매출로 이어지게 되었다. 현재 과제 수행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통해 국내뿐 만 아니라, 해외시장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미라지웍스의 남승우 대표는 ‘기술혁신이 필요한 시기에 R&D를 지원받게 되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면서, 앞으로도 기술혁신을 필요로 하는 벤처기업에게 큰 힘이 되어달라고 당부했다.   □ 기정원은 이번 지원결과를 바탕으로 신청이 저조한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 등 홍보활동을 통해 신청기업을 확대하는데 노력하고,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지원을 통해 4차 산업혁명 대응에 적극적으로 앞장서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9","atchfileNm":"보도자료_20171103.hwp","viewCnt":"3492","regDate":"2017-11-13 10:39:57"},{"contentId":"56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R&D수행기업 교육」으로 기술개발 성공률 높인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89","contentsKor":"기정원,「R&D수행기업 교육」으로 기술개발 성공률 높인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0월 31일(화) 오후 2시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대덕테크비즈센터(1층 콜라보홀)에서 「20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수행기업 교육」을 실시했다.   ○ 이번 교육은 ‘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되어 현재 사업을 추진 중인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 6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수행기업 교육은 창업 초기 기업들이 과제 수행 중 공통적으로 어려워하는 ▲협약변경 시스템 사용법, ▲사업비 집행 시 주의사항 등을 중점 설명하는 자리이다.   □ 이번 교육은 총 5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협약변경 시스템 사용법을 안내하고, 두 번째 세션에는 성공적인 기술개발을 위한 협약변경 사례를 설명하였다.   ○ 세 번째 세션에는 바우처* 활용방법 및 사용 시 유의사항을 전달하였으며, 네 번째 세션에는 업체들이 질의한 내용들을 토대로 상담하였다. *연구전문기관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2016년도부터 도입된 제도 ○ 마지막 세션에는 정산 담당 회계사를 초빙하여 사업비 집행 시 유의사항 및 사업비 정산 시 주요 환수사례들을 설명하였다.   □ 또한 이번 교육에는 사업담당자와 1:1 상담부스도 마련하여 사업 추진 중 발생한 궁금한 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담당자는 “창업기업들이 과제 수행 중 발생하는 어려움을 교육을 통해 해소함으로써, 자신들의 역량을 기술개발에 몰입하고, 이를 통해 기술개발을 성공적으로 마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8","atchfileNm":"보도자료_20171101.hwp","viewCnt":"2942","regDate":"2017-11-01 10:38:08"},{"contentId":"56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국을 순회하며 찾아가는 컨설팅 서비스 신청·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88","contentsKor":"전국을 순회하며 찾아가는 컨설팅 서비스 신청·접수  -11월 10일(금)까지 11개 지역에서 진행하는 맞춤형 1:1컨설팅 사전 접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원 원장, 이하 기정원)은 전국 11개 지역에서 지방중소벤처기업청과 함께 실시하는「2017 찾아가는 R&D 컨설팅 서비스」를 10월 30일(월)부터 11월 10(금)까지 사전 신청·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R&D 관심기업(선정탈락 및 과제종료, 과제신청 예정기업 등)을 대상으로 현장 애로요인을 해소하고 맟춤형 서비스를 위해 본 컨설팅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 이번 컨설팅은 중소기업과 기정원 담당자 간의 1:1방식으로, 기업의 사전 문의사항에 대해 40분간 질의·응답을 갖는다.   ☞ 대상사업 : 기술혁신기술개발사업, 제품서비스기술개발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중소중견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파트너십사업, 창조혁신형 재도전 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상용화 기술개발사업   ◦ 과제를 수행 중인 기업은 사업관련 규정 및 사업비 집행방법, 협약변경 시 발생하는 문의사항 등에 관한 맞춤상담이 진행되며,   ◦ 과제신청 후 탈락한 기업을 대상으로는 제출한 사업계획서 및 발표자료 등의 보완사항 및 대면평가 발표 방법 등을 집중적으로 안내한다.   □ 컨설팅 서비스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11월 10일(금)까지 아래 사업별 담당자 이메일로 신청하면 참석이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7","atchfileNm":"보도자료_20171031.hwp","viewCnt":"3228","regDate":"2017-10-31 10:36:46"},{"contentId":"56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의 R&D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85","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의 R&D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실시! - 11월 6일까지, 11월 교육 신청․접수 중 -   □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11월 ’R&D기획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한다.   ◦ 동 과정은 R&D기획 전 주기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위한 내용으로, 사업계획서 작성준비부터 기술개발, 사업화에 이르는 전 과정을 아우르고 있다.   □ ’R&D기획역량강화 교육‘은 온/오프라인 무료교육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을 높임으로써 자발적이고 자생적인 기획활동을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11월 교육은 올해 마지막 오프라인 교육으로 전주(4~5일)와 대전(9~10일)에서 2일 과정으로 운영되며, 현재 신청․접수를 받고 있다.   * 교육신청 : 한국산학연협회 홈페이지 http://plus.auri.or.kr → 교육 → 수강신청   ◦ 온라인 교육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 온라인 교육 : http://www.smtech.go.kr → 고객지원 → 온라인 매뉴얼 → 동영상 강의 → R&D기획역량강화 교육 □ 기정원의 양국석 부장은 “본 교육이 R&D 기획역량을 제고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며, “향후에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중소기업의 기획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5","atchfileNm":"보도자료_20171026.hwp","viewCnt":"3186","regDate":"2017-10-26 10:32:29"},{"contentId":"56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재창업기업 심화 R&D지원 설명회 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87","contentsKor":"기정원, 재창업기업 심화 R&D지원 설명회 개최  - 창조혁신형 재도전 기술개발사업 완료기업 당 최대 5천만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0월 25일(수) 오후 1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중앙로캠퍼스에서 창조혁신형 재도전 기술개발사업 심화 R&D지원 설명회를 개최한다.   □ 금번 설명회는 창조혁신형 재도전 기술개발사업(‘13~’16년)의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심화 R&D 지원내용, 사업 계획서 작성법 등 사업 개요와 사업 설명 및 질의응답이 진행될 예정이다.   ○ 지원 대상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담당자는 기정원 사업담당자 간의 개별상담을 통해 과제 추진 시 발생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 동 사업은 성장 잠재력이 우수하여 사업화 등 성공 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지원하여 재도전 기업의 추가 도약을 제고하는 사업으로서   ○ 선정된 기업들은 최대 5천만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기존 제품‧기술을 중심으로 사업화 수요에 부합하는 성능 및 고도화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6","atchfileNm":"보도자료_20171025.hwp","viewCnt":"3108","regDate":"2017-10-25 10:35:03"},{"contentId":"5680","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인공지능의 시대, 에듀테크가 지식 서비스 분야의 만능열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680","contentsKor":" ","viewCnt":"1711","regDate":"2017-10-20 13:32:37"},{"contentId":"56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재창업기업 추가도약을 위해 R&D 자금 지원”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84","contentsKor":"기정원,“재창업기업 추가도약을 위해 R&D 자금 지원”시행 - 11월 2일까지, 심화 R&D지원 신청·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13~’16년 재창업 전용 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재창업 전용 기술개발사업 심화 R&D지원 신청·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 동 사업은 재창업전용 기술개발사업(‘13~’16년) 완료기업 중 사업화 등 성공 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지원하여 재도전 기업의 추가 도약을 제고하는 사업이다.   □ 신청·접수기간은 2017년 10월 18일(수)부터 11월 2일(목)까지 이며, 지원대상은 기정원에서 실시한 재창업 전용 R&D(‘13~’16년)를 수행하여 성공한 과제를 대상으로 한다.   ◦ 선정기업은 정부출연금 최대 5천만원을 지원받아 기존 제품‧기술의 사업화, 고도화에 필요한 후속 R&D, 교육, 전문가 멘토링 등의 추가지원을 받게 된다.   □ 기정원의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금번 창조혁신형 재도전 기술개발사업 심화 R&D지원을 통해 우수한 기술력‧경영노하우 를 보유한 재창업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산업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정보마당-사업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4","atchfileNm":"보도자료_20171019.hwp","viewCnt":"2742","regDate":"2017-10-19 10:30:41"},{"contentId":"56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기업 금융지원을 위한『기정원-국민은행 업무협약』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39","contentsKor":"창업기업 금융지원을 위한『기정원-국민은행 업무협약』체결 - 창업성장 R&D 성공기업을 대상으로 금융상품 연계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KB국민은행(은행장 윤종규)은 9월 28일(목) 창업성장R&D를 수행하는 창업기업에 금융지원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 이번 협약으로 ‘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된 760여개의 창업기업(’17년 9월말 기준)은 KB국민은행 여신심사를 통해 금융 지원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① 기정원이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KB국민은행에 금융지원 후보기업으로 추천하게 되며,   ② KB국민은행은 추천받은 대상기업에 대한 심사과정을 거쳐 여신지원, 종합컨설팅, 지분투자 등 대상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금융상품을 연계지원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우수 창업기업의 원활한 사업화를 위해 금융지원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 민간 금융기관과의 업무 연계지원을 확대함으로써 금융지원이 필요한 창업기업에게 보다 많은 R&D참여를 도모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51","atchfileNm":"보도자료_20171013.hwp","viewCnt":"4072","regDate":"2017-10-13 09:28:58"},{"contentId":"56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4차) 55개 과제 6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40","contentsKor":" -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4차) 55개 과제 6억원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의 4차 총 55개 과제를 선정하고 6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은 국‧공립대학의 고급인력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애로해결 및 R&D역량 제고,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한다.   ◦ 본 사업은 2017년 총 4회차에 걸쳐 신청·접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지난 6월 중순에 신청·접수된 124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55개 과제 6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지원을 위해 대학의 우수한 교수를 매칭하여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기술애로해결 및 신기술 사업화 자문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한다.   □ 중소벤처기업부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통해 전국 5개* 권역에 6개** 국‧공립대학을 공학컨설팅센터로 선정하고 다양한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 (5개 권역) ①서울․경인․강원, ②대구․경북, ③부산․울산․경남, ④대전․충청, ⑤호남․제주   ** (6개 기관) 서울․경인․강원 2개, 그 외 4개 권역은 1개   - 공학컨설팅센터란 권역별 과제 신청·접수, 전문가 매칭, 기술애로 해결계획서 제출, 지원과제 추천(심의조정위원회)등 과제를관리하는 국·공립 공과대학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협력기술평가본부장 최광문 본부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과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52","atchfileNm":"보도자료_20171012.hwp","viewCnt":"4882","regDate":"2017-10-12 09:30:49"},{"contentId":"56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여성인력 경제참여 확대 위해 R&D 자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38","contentsKor":"기정원, 여성인력 경제참여 확대 위해 R&D 자금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0월 13일(금) 오후 1시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대덕테크비즈센터(1층 콜라보홀)에서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여성참여활성화과제(2차)에 선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여성창업기업 , ▲경력단절여성채용창업기업, ▲예비창업팀(창업팀의 50%이상 경력단절여성 및 여성과학기술인)의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제고시키고자 하는 사업으로, 2017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111개의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총 4개 세션으로 구성하여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여성참여활성화과제 협약설명회가 진행된다.   ○ 첫 번째 세션에는 R&D 청렴문화 확산 교육을 하고,   ○ 두 번째 세션에는 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수정사업계획서 및 연구노트 작성, 협약변경 방법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 세 번째 세션에는 SMTECH(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담당자가 연구비관리시스템 활용방법을 전달하며,   ○ 마지막 세션에는 정산 담당 회계사를 초빙하여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기업들에게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유도한다.   □ 본 설명회 이후 여성참여활성화과제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최대 1년간 1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50","atchfileNm":"보도자료_20171012.hwp","viewCnt":"3989","regDate":"2017-10-12 09:26:27"},{"contentId":"56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기정원-산내종합사회복지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37","contentsKor":"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기정원-산내종합사회복지관 업무협약』 체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 업무협약-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과 산내종합사회복지관(관장 이강현)은 9월 27일 대전 산내종합사회복지관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산내종합사회복지관(이하 복지관)”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본 협약을 통해 기정원은 따뜻한 지역 만들기의 일환으로 취약계층에 대한 후원 나눔활동과 재능 기부를 통한 봉사활동 등 지속적인 상호협력을 통한 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하게 된다.   ◦ 업무협약을 체결한 산내종합사회복지관은 대전지역 최초로 세워진 3개의 사회복지관 중 하나로서 저소득층의 자립능력 배양과 사회의 제반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아동부터 노인까지 종합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취약계층을 위한 후원 나눔활동 지원   ② 재능 기부를 위한 봉사활동 지원   ③ 기타 관내지역의 어려움 발생 시 문제해결을 위한 상호 협력   □ 기정원의 최철안 원장은 “지속적인 사회공헌과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은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임을 강조하며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부터 시작”이라고 말하며   ◦ 또한 향후 다양한 활동모습으로 지역사회와 사회적 약자를 위해 헌신하는 기관으로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49","atchfileNm":"보도자료_20170928.hwp","viewCnt":"4433","regDate":"2017-09-28 09:24:55"},{"contentId":"56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추석명절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36","contentsKor":"기정원, 추석명절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실시  - 9월 26일(화), 대전지역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및 사회복지시설 위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추석 명절을 맞이하여 노사공동으로 9월 26일(화) 오전 법동시장(대전시 대덕구)에서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 이날 행사에는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임직원 20여명이 참여하였으며, 임직원들은 추석명절을 맞아 전통시장 이용 활성화를 위해 장바구니를 나눠주며 캠페인을 진행했다.   □ 또한, 기정원은 이날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추석명절 위문품을 지역 소외계층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복지시설 2곳에 전달하였다.   ◦ 대상기관은 종합복지시설인 “산내종합사회복지관”과 노인복지시설인 “유성구 노인복지관”이며, 해당 기관에 필요한 위문물품을 전달하였다.   □ 기정원의 최철안 원장은 “소상공인, 중소기업이 살아야 국가 경제가 활성화됨을 강조하면서 이번 캠페인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에 작은 기여가 되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 또한 “소외계층과 사회적 약자에 지속적인 관심과 후원은 공공기관으로써 당연한 사회적 책임으로 앞으로도 애정과 도움을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다양한 모습으로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48","atchfileNm":"보도자료_20170927.hwp","viewCnt":"4029","regDate":"2017-09-27 09:22:14"},{"contentId":"56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성장 R&D에 성공하고 투자도 받자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35","contentsKor":"창업성장 R&D에 성공하고 투자도 받자 ! - 기정원, 창업R&D성공기업에 엔젤, VC참가하는 매칭데이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9월 26일(화) 오전 10시 팁스타운(역삼 명우빌딩 B1)에서 창업R&D 성공기업과 VC 및 TIPS 프로그램* 운영사가 참가하는 매칭데이를 개최하였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이번 행사는 창업R&D 과제를 우수하게 수행한 초기 창업기업의 후속투자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었으며,   - 중소기업의 IR과 엔젤투자자 및 초기전문 VC와의 1:1 투자상담을 통해 정부 R&D과제 성공기업들의 사업화 성공의 기틀을 마련했다.   □ 이번 매칭데이 IR에 참가하는 창업R&D성공기업들은 17개 업체로,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전략 우수 유망기술에 대해 소개하였고   ◦ 창업팀 발굴과 투자에 앞장서는 KB인베스트먼트, 마그나 인베스트먼트, 코맥스벤처러스 등의 TIPS 프로그램의 신규 운영사도 대거 참가하여   ◦ 우수 기업들의 투자가능성을 심도 있게 검토하였다.   □ 참가기업들의 IR 행사 종료 후, 사전매칭을 통해 연결된 중소기업과 투자자의 1:1 투자상담회를 개최하여 업체와 투자자간의 본격적인 네트워크 장을 마련하였다.   ◦ 이를 통해 정부R&D 과제 성공 후에 창업팀들이 겪는 투자자와의 접근성 문제가 대폭 해소될 것으로 보여진다.   □ 기정원은 앞으로도 걸음마 단계의 창업기업들의 R&D 지원을 통한 도약과 더불어 사업화 성공을 도와, 기술개발과제 성공과 사업화를 위한 후속투자가 연계되러 선순환이 구축되는 중소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47","atchfileNm":"보도자료_20170926.hwp","viewCnt":"3408","regDate":"2017-09-26 09:20:24"},{"contentId":"55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청렴도 향상을 위한 청탁금지법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73","contentsKor":"기정원 청렴도 향상을 위한 청탁금지법 교육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9월 20일(수) 오후 4시 대전 본원에서 전직원을 대상으로 ‘청렴도 향상을 위한 청탁금지법 교육’을 실시하였다.   ○ 기정원은 청탁금지법 시행 1년을 맞이하여 청탁금지법 바로알기 교육 실시를 통해 기정원 임직원의 청렴도 향상 및 청렴한 추석명절 보내기 운동의 일환으로 실시하였다.   ○ 이번 교육은 사단법인 한국청렴운동본부 이지문 본부장을 강사로 초청하여 청탁금지법의 취지와 오해하기 쉬운 사례를 중심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청렴이 실천되어질 수 있도록 교육이 진행되었다.   □ 기정원 임직원은 이번 교육를 통하여 청탁금지법의 취지와 내용에 대하여 자세히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교육으로 청탁금지법의 취지를 바로 이해하고 준수하여 기정원이 최고의 청렴 R&D 전문기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아울러, 기정원 임직원은 추석 명절을 맞이하여 청탁금지법 준수 범위 내에서 올해 가뭄, 홍수, AI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축어업인들을 위한 우리 농축산물 위주의 선물을 준비하는 “청렴한 명절 보내기 운동”을 전개 할 것을 다짐하였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80","atchfileNm":"보도자료_20170921.hwp","viewCnt":"3426","regDate":"2017-09-21 14:10:17"},{"contentId":"55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 수행기업에 맞춤형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72","contentsKor":"기정원, R&D 수행기업에 맞춤형 교육 실시!  - 9월 28일(목), 중기 R&D수행기업 대상 사업관리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9월 28일(목) 정부대전청사 후생동 대강당에서 ‘2017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제품서비스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담당자를 대상으로「R&D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 ‘R&D 맞춤형 교육’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을 진행 중인 기업들의 성공적인 R&D수행과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마련되었다.   □ 이번 교육에서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지침, SMTECH 사용방법, 연구노트 작성법, 과제진행 절차 등 사업 수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명할 예정이다.   ◦ 특히, 중소기업이 사업수행에 있어 가장 어려움을 겪는 ‘사업비 정산 및 집행’과 관련하여 전문회계사를 통한 교육시간을 마련하였다.   □ 또한, 중소기업 R&D 궁금증 해결을 위한 1:1 상담부스를 마련하여,   ◦ 사업 수행 과정에서 생기는 애로사항, 사업별 특이사항 상담을 통해 R&D수행 과정에서 발생했던 궁금증을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 멘토링 기관도 1:1상담 부스를 마련하여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해 기업별 상담을 진행한다. □ 이번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9월 22일(금)까지 전화나 이메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사전신청을 하지 못한 기업의 경우 현장신청*도 가능하다. * 단, 현장신청은 상황에 따라 수용 인원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또한, 기정원에서는 2차 교육(‘17년 11월)도 실시할 예정으로, 이번 교육에 참여가 어려운 기업은 2차 교육에 참여하면 된다.   ※ 문의 및 교육신청 ◦ (전화) 042-388-0323 (E-mail) 311@tipa.or.kr ◦ (신청 URL) https://goo.gl/forms/o5V6jtn5VTiPgCIx2","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79","atchfileNm":"보도자료_20170920.hwp","viewCnt":"3835","regDate":"2017-09-20 14:08:57"},{"contentId":"55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4차 산업혁명 관련 468개 전략제품 후보군 발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52","contentsKor":"기정원, 4차 산업혁명 관련 468개 전략제품 후보군 발표 -「2017년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공청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9월 15일에 코엑스 Hall A 전시장에서 "2017년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 이번 공청회는 전략제품 후보군을 발표하고, 중소기업, 연구기관 및 대학 등 각계 각층의 의견 수렴을 통해 전략제품 선정(안)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은 중소기업이 제4차 산업혁명, 일자리 창출, 글로벌화 등 환경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R&D 투자 유망 품목을 매년 제시하고 있다.   ◦ 기정원은 제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27개 분야 및 고용유망분야 6개 등 총 33개의 전략분야를 도출하였으며,   - 총 네 차례의 기술수요조사와 `16년 기술로드맵 전략제품에 대한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468개의 전략제품 후보군을 선정하였다.   ◦ 기정원은 이번 공청회를 통해 수렴한 중소기업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전략제품 후보군을 추가, 조정, 삭제하고, 중소기업 현장에 적합한 전략제품을 도출할 계획이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이 창의적 혁신과 도전적 연구개발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여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 ”이번 공청회를 통해 보다 실효성 높은 중소기업 현장 중심의 기술로드맵을 구축하여,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선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59","atchfileNm":"보도자료_20170915_2.hwp","viewCnt":"4191","regDate":"2017-09-15 14:06:00"},{"contentId":"55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에 21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51","contentsKor":"기정원,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에 210억원 지원 - 산연전용, 연구마을 137개 중소기업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벤처기업부(차관 최수규, 이하 중기부)에서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시행하는 2017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전략협력(산연전용, 연구마을) 하반기 과제 137개가 최종 선정되어 사업수행에 들어간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전략협력’은 특정 산업·기술분야의 전략적 산학연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고성장기업으로 육성지원하는 사업으로   ◦ 연구기관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산연전용과(1년, 1.5억원 이내 지원),   ◦ 중소기업의 연구기능(부설연구소)을 대학 내 공간에 집적화하여 상시 기술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연구마을(2년, 2억원 이내 지원)로 구성되어 있다.   □ 기정원은 하반기 산연전용, 연구마을사업에 신청한 기업(299개)을 대상으로 우수과제 선정을 위하여 2단계의 심층평가 과정(운영기관 자체평가, 기정원 대면평가)을 거쳐 137개 과제, 210억원 지원을 결정하였다.   □ 한편, 기정원은 상반기 산연전용·연구마을 과제에 선정된 주관기관(중소기업)과 공동개발기관(대학·연구기관)을 대상으로 9월 15일(금)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1층 동해홀(과천 본원)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한다.   ◦ 또한 R&D청렴수행, 연구비 관리방법 등 주의사항 안내와 사업담당자와의 질의응답을 통해 사업추진 시 혼선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 기정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상반기에 산연전용과 연구마을사업에 참여하는 모든 중소기업이 대학·연구기관의 전략적 지원프로그램을 잘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 산연전용, 연구마을은 2017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300여개에 달하는 지원과제를 선정하였으며, 하반기 과제 선정을 끝으로 금년도 지원 사업을 마무리 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58","atchfileNm":"보도자료_20170915.hwp","viewCnt":"3642","regDate":"2017-09-15 14:00:03"},{"contentId":"567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는 연구개발(R&D) 파트너가 되겠습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679","contentsKor":" ","viewCnt":"1175","regDate":"2017-09-15 13:31:41"},{"contentId":"55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역량강화 사업”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45","contentsKor":"중기부-기정원,“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역량강화 사업”시행 - 9월 26일까지, 시장친화형 기능개선(R&D) 추천과제 신청·접수 -   □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기정원’)은 R&D 성공 후 사업화되지 않은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 대상 기술사업화 역량강화사업일환으로 2017년도 시장친화형 기능개선(R&D) 추천과제 신청·접수를 9월 26일(화)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동 사업은 R&D 성공과제 중 기술․사업화 역량 및 시장성이 높은 과제를 중심으로 상용화 후속 R&D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금번 공고를 통하여 정부출연금 약 30억원(30개 과제 내외)이 지원될 예정이다.   □ 신청·접수기간은 2017년 9월 11일(월)부터 9월 26일(화) 18시까지이며,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중소기업진흥공단으로부터 R&D 성공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진단을 통해 “기술성 보완 필요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이다.   ◦ 선정기업은 최대 1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기 개발된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필요한 성능향상 및 기능개선 후속 R&D를 1년 동안 추진하게 된다.   □ 기정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금번 시장친화형 기능개선(R&D) 과제를 통해 창의·도전적으로 이룩한 기술혁신이 사업화에 성공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 및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정보마당-사업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52","atchfileNm":"보도자료(20170914).hwp","viewCnt":"3960","regDate":"2017-09-14 14:38:19"},{"contentId":"55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 중소기업정보화역량강화사업 3차 공고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31","contentsKor":"□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의 생산현장 스마트화 및 경영혁신 등을 위해서 2017년도 중소기업정보화역량강화사업 3차 공고를 시행(‘17. 9. 6)하였다.   ◦ 정보화역량강화사업은 중소기업의 경영·생산현장에 ICT를 접목하여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고 스마트공장 통합시스템 구축․개발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이다.(참고1)   □ 이번 3차 공고에서는, 클라우드기반솔루션개발사업 기존 특화솔루션 추가 지원과 함께, 전략솔루션을 신규 발굴하여 추진한다.   ◦ 전략솔루션은 협·단체들의 공통 업무에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솔루션으로서, 금년도 사업을 통해 협·단체 오프라인 행사지원 솔루션을 지원할 예정이다.(참고2)   □ 또한,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의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Pool을 추가 모집하여 수요기업의 보다 다양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의 경우, 신청기회를 놓치는 중소기업 의견을 반영하여 수시모집 방식으로 예산소진시까지 신청 접수를 진행 중이다.   □ 중소기업정보화역량강화사업은 온라인(it.smplatform.go.kr)으로 신청가능하며 사업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위해 지역별 설명회에 대한 사전수요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사업에 대한 문의 및 지역별 설명회 일정(잠정)은 참고 2. 참조","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32","atchfileNm":"보도자료_20170908.hwp","viewCnt":"3264","regDate":"2017-09-08 14:12:25"},{"contentId":"55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24","contentsKor":"기정원, 20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창업과제 선정된 159개 기업에 289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8월 31일(목)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2층 강당)에서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3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 후 7년 이하의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지난 4월 19일 공고를 통해 사업계획서 등을 제출한 후 서면평가․현장평가․대면평가를 거쳐 협약대상 과제로 최종 선정된 159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 아울러 본 설명회에서는 원활한 과제 추진을 위한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체결,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연구노트 작성, 기술임치제도 등 제반사항을 안내하고,   ○ 정산 담당 회계사를 초빙하여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기업들에게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는 시간이 마련될 예정이다. □ 또한 협약 대상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담당자와 기정원 사업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 추진 중 발생하는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 본 설명회 이후 창업과제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최대 1년간 2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신산업 및 주력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창업유망품목에 해당하는 신제품․신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데이터 인텔리전스, 스마트홈/비즈니스, 로봇, 스마트팩토리 등","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2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7년_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_협약설명회_개최.hwp","viewCnt":"3240","regDate":"2017-08-31 13:15:47"},{"contentId":"5510","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넓고 깊은 정보 보안의 세계, 가능성을 안고 도전하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510","contentsKor":"","viewCnt":"1275","regDate":"2017-08-25 16:13:07"},{"contentId":"55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17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2차 첫걸음 및 도약협력 362개 선정기업에 341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08","contentsKor":"2017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2차 첫걸음 및 도약협력 362개 선정기업에 341억원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의 2차 첫걸음·도약협력 총 362개 중소기업을 선정하고 341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 ‘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 협력 R&D를 지원해온 사업으로,   ◦ 대학․연구기관과의 공동 R&D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최대 1년간 총 사업비의 75%(1억원 한도)를 지원하고 있다.   ◦ 주요 지원내용은 정부 R&D 사업에 신규로 참여하거나 기업부설연구소를 신규설치하려는 기술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동R&D를 지원하며, 기술적 우위 선점 또는 기술보완을 희망하는 기술력이 있는 중소기업의 공동 R&D도 함께 지원한다.   ◦ 특히, 올해는 중소기업이 원하는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할 최적의 기술전문가를 매칭하는 복수의 전문기관을 운영하여 비매칭 신청과제 중소기업에게 복수의 전문인력을 추천하고 중소기업은 추천된 전문인력 중 신청과제 기술개발에 최적의 전문가를 선택하여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이번 수혜기업은 지난 4월에 신청한 1,105개 기업 중에 서면, 현장, 대면평가 등을 선정절차를 통해 최종 선정되어 341억원을 지원받을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오주환 산학연기술평가부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인적·물적인프라를 활용한 공동연구를 통한 중소기업의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13","atchfileNm":"보도자료-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2차_첫걸음_도약)_선정과제.hwp","viewCnt":"4641","regDate":"2017-08-25 13:11:41"},{"contentId":"55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3차 65개 과제 13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07","contentsKor":"-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3차 65개 과제 13억원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의 3차 총 65개 과제를 선정하고 13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은 국‧공립대학의 고급인력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애로해결 및 R&D역량 제고,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한다.   ◦ 본 사업은 2017년 총 4회차에 걸쳐 신청·접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지난 5월 중순에 신청·접수된 132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65개 13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지원을 위해 대학의 우수한 교수를 매칭하여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기술애로해결 및 신기술 사업화 자문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한다.   □ 중소벤처기업부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통해 전국 5개* 권역에 6개** 국‧공립대학을 공학컨설팅센터로 선정하고 다양한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 (5개 권역) ①서울․경인․강원, ②대구․경북, ③부산․울산․경남, ④대전․충청, ⑤호남․제주   ** (6개 기관) 서울․경인․강원 2개, 그 외 4개 권역은 1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오주환 담당부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필요한 지원을 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12","atchfileNm":"보도자료-맞춤형_기술파트너_지원사업_3차과제_선정.hwp","viewCnt":"4300","regDate":"2017-08-25 13:08:47"},{"contentId":"55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 초보기업의 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자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03","contentsKor":"기정원, R&D 초보기업의 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자금 지원! - 2차 R&D기획지원사업, 89개사 선정 23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최철안원장)은 2017년도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으로 지난 4월(1차)에 이어 89개사를 선정하고 8월 24일(목) 협약을 체결한다.   ◦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해 개발 타당성 분석, 시장성 조사, 성공 가능성 평가 등의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이다.   ◦ 동 사업에 선정된 기업은 기획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4개월간 R&D기획을 수행하며, 정부출연금은 최대 2,550만원(총 사업비의 75%)까지 지원된다.   □ R&D기획지원사업은 R&D기획지원 종료 후 최종평가와는 별도로 연계지원 평가를 실시하며, 우수과제는 중소벤처기업부의 R&D사업에 연계지원 대상과제로 추천된다.   ◦ 추천과제는 연계되는 R&D사업별로 각 1회에 한하여 우대된다(서면평가 면제 또는 가점 적용)*.   * 서면평가 면제 : 창업성장기술개발 및 기술혁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일부(첫걸음협력, 도약협력), 상용화기술개발사업 일부(기술전문가협력)   * 현장평가 가점 :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일부(제품개선)   □ 한편, 기정원은 R&D 초보 중소기업의 재직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R&D기획역량강화교육도 매월 운영하고 있는데,   ◦ 이 교육은 온·오프라인 교육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에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http://plus.auri.or.kr 에서 신청하며 된다.   * 온라인교육 : http://plus.auri.or.kr , “R&D기획역량강화 교육”   * 오프라인교육 : http://plus.auri.or.kr , “교육-수강신청”   □ 기정원의 양국석부장은 ”기술력 있는 R&D 초보기업이 “R&D기획지원 사업을 통하여 성공적인 기술개발과 사업화가 실현되길 기대한다”며, “향후에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R&D초보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07","atchfileNm":"보도자료-RnD초보중소기업의_기획역량_강화에_23억원지원.hwp","viewCnt":"5097","regDate":"2017-08-24 10:03:24"},{"contentId":"55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02","contentsKor":"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0억원 지원! - 팁스 프로그램(5차), 18개 창업팀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7년도 팁스 프로그램* 5차에 18개** 창업팀을 선정하고 2년간 90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한다고 8월 23일(수) 밝혔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바이오의료(5), 정보통신(8), 전기전자(3), 지식서비스(1), 화학(1) 포함 총 18개 창업팀   □ 팁스는 민간의 투자가치 판단능력을 활용하여 유망기술 창업팀을 육성하고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엔젤투자자 및 초기전문 VC 등으로 구성된 민간 운영사가 발굴한 창업팀에 정부의 R&D 지원을 연계한다.   ◦ 선정된 창업팀은 운영사로부터 1억 원 내외의 투자금과 정부 R&D 자금 5억 원, 후속지원 4억 원* 등 최대 10억 원을 지원받으며,   - 운영사로부터 체계적인 창업 노하우와 보육공간을 제공받는다.   * 창업사업화자금 1억 원, 해외마케팅자금 1억 원, 엔젤매칭펀드 투자금 2억 원   □ 이와 함께 기정원과 한국엔젤투자협회는 선정된 18개 창업팀과 운영사를 대상으로 8월 23일(수) 오후 3시 팁스타운(역삼)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본 설명회는 선정된 기업의 과제책임자 및 운영사 코디네이터의 원활한 협약체결 및 과제수행을 돕기 위해 개최되며,   ◦ 협약에 필요한 제반사항 및 협약변경의 절차, 최종평가 및 사업비 집행 및 정산 방법 안내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 팁스 프로그램은 지난 8월 4일 공고를 시작으로 상시 접수 중이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06","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민간투자주도형_기술창업과제에_90억원_지원_20170823.hwp","viewCnt":"3980","regDate":"2017-08-23 10:01:26"},{"contentId":"550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01","contentsKor":"기정원, 2017년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8월 21일(월), 글로벌강소과제 33개 기업 대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은 8월 21일(월) 13시 30분 대전 서구에 소재한 통계교육원(1강의실)에서 2017년도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글로벌강소과제(2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수출역량이 우수한 “글로벌강소기업 육성사업(중기부)” 선정기업의 글로벌 유망 R&D를 지원하여 한국형 히든챔피언으로 성장을 촉진하는 사업이다.   ◦ 금번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글로벌강소과제(2차) 협약대상 선정기업은 33개 이며, 2년간 최대 6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는다.   □ 본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사업 관리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 아울러,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공유하고,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담당자는 “이번 설명회가 선정과제의 원활한 사업수행에 도움이 되고,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붙임 : 2017년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협약설명회(2차)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05","atchfileNm":"보도자료_20170816.hwp","viewCnt":"3536","regDate":"2017-08-16 09:55:13"},{"contentId":"548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더 선명하게, 더 실감 나게! 현실을 능가하는 실감미디어가 온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489","contentsKor":"","viewCnt":"1227","regDate":"2017-08-11 16:33:55"},{"contentId":"54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 중소기업 107개 기업 정보시스템 구축지원 시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466","contentsKor":"중기부·기정원, 중소기업 107개 기업 정보시스템 구축지원 시작 -중소기업 정보화역량강화사업 1차 협약완료 및 2차 수시 모집 진행-   □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17년 중소기업 정보화역량강화사업 1차 선정기업 대상으로 온라인 협약체결을 완료했다.   ◦ 협약기업은 총 107개 기업이며,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 77개사와 기술유출방지시스템구축사업 30개사이다.   -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은 제조기업 스마트化를 위한 생산정보시스템(POP, MES)과 원산지증명시스템을 구축·지원하는 사업이며   - 기술유출방지시스템구축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유출방지 및 핵심기술 보호를 위한 기술유출방지시스템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협약 완료된 과제는 시스템구축을 수행하는 IT공급기업과 함께 최대 6개월간 해당 시스템 구축을 진행한다.   □ 또한 중기부와 기정원은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 2차 사업공고부터 모집방식을 수시모집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 이는 사업신청기간을 놓친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선정프로세스 소요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안이다.   ◦ 나아가 지난 7월 21일 ’스마트제조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를 개최하는 등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의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매칭데이는 스마트제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수요-공급기업의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요-공급기업 177여명이 참석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 관련기사 링크 :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197828&thread=10r03   □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 2차 모집은 각 과제별 예산소요시까지 수시로 진행되며, 정보화사업종합관리시스템(it.smplatform.go.kr)에서 간단한 사업계획서와 함께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168","atchfileNm":"[붙임]보도자료(2017.08.02).hwp","viewCnt":"3735","regDate":"2017-08-02 09:54:21"},{"contentId":"54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뿌리기술 전문기업”전용 기술개발사업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465","contentsKor":"“뿌리기술 전문기업”전용 기술개발사업 시행! - 8월 21일까지, 뿌리기업공정 기술개발사업 3차 신청·접수 -   □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뿌리기술전문기업의 기술개발지원을 위해 2017년도 뿌리기업공정 기술개발사업 3차 신청·접수를 8월 21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이 사업은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높은 핵심 뿌리기술을 보유한 뿌리기술 전문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뿌리기업 공정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금번 3차 공고를 통하여 40개 내외 과제(27억원)를 선정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2017년 총 75개 과제, 62.4억원 지원 예정)   □ 3차 신청·접수기간은 2017년 8월 1일(화)부터 8월 21일(월)까지 이며,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뿌리기술 전문기업’으로 지정받은 기업이다.   ◦ 3차 선정기업은 최대 1억 원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뿌리기술의 적용범위 확대를 위한 제품적용기술 및 공정기술 고도화 개발을 1년의 기간 동안 추진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금번 뿌리공정 과제를 통해 생산리드타임 단축, 불량률 저감 등 뿌리기술 전문기업이 제품·공정혁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 및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정보마당-사업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166","atchfileNm":"[붙임]보도자료(2017.08.01).hwp","viewCnt":"3827","regDate":"2017-08-01 13:47:08"},{"contentId":"545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글로벌 콘텐츠 시장의 문, 중소기업에 열려 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454","contentsKor":"","viewCnt":"1030","regDate":"2017-07-28 14:42:19"},{"contentId":"54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제조스마트化 수요-공급기업 협업관계 구축과 공급시장 활성화 견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449","contentsKor":"기정원, 제조스마트化 수요-공급기업 협업관계 구축과 공급시장 활성화 견인 -7월21일(금), 스마트제조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 제조 스마트화 수요-공급기업의 협업관계 구축 지원과 공급시장 활성화 견인을 위하여 7월 21일 오후 1시30분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스마트제조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를 개최했다.   ◦ 이번 행사는 시스템 구축을 해주는 공급기업과 이를 필요로 하는 수요기업이 교류할 수 있는 만남의 장을 제공했으며,   - 수요, 공급기업 110여개 기업, 160여명이 참석하여 제조현장 스마트화를 위한 교류시간을 가졌다.   ◦ 기정원은 원활한 상호 교류가 될 수 있도록   - 1분 기업소개, 공급기업 상담테이블 지원, 전문가 자문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으며,   ◦ 스마트제조 수요-공급시장 활성화를 위해   - 기업 및 제품소개, 구축 시스템 범위 등의 내용이 수록된 기업소개집을 제작하여 온·오프라인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 최철안 기정원장은 이번 매칭데이를 통해,   ◦“자기 기업에게 어떤 시스템이 필요한지, 또 어디서 이런 시스템 구축을 해줄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중소제조기업의 애로사항이 해결되기를 희망”하며,   -“앞으로도 제조 스마트화를 위한 제조기업 스마트공장 지원과 관련 공급시장이 활성화 될 수 있는 최선의 지원을 다할것”이라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167","atchfileNm":"20170724_매칭데이_행사_보도자료.hwp","viewCnt":"3643","regDate":"2017-07-26 10:37:55"},{"contentId":"54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2차과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448","contentsKor":"-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2차 83개 과제 17억원 지원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의 2차 총 83개 과제를 선정하고 17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은 국‧공립대학의 고급인력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애로해결 및 R&D역량 제고,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한다.   ◦ 본 사업은 2017년 총 4회차에 걸쳐 신청·접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지난 4월 중순에 신청·접수된 170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83개 17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지원을 위해 대학의 우수한 교수를 매칭하여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기술애로해결 및 신기술 사업화 자문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한다.   □ 중소기업청은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통해 전국 5개* 권역에 6개** 국‧공립대학을 공학컨설팅센터로 선정하고 다양한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 (5개 권역) ①서울․경인․강원, ②대구․경북, ③부산․울산․경남, ④대전․충청, ⑤호남․제주   ** (6개 기관) 서울․경인․강원 2개, 그 외 4개 권역은 1개   - 공학컨설팅센터란 권역별 과제 신청·접수, 전문가 매칭, 기술애로 해결계획서 제출, 지원과제 추천(심의조정위원회)등 과제를관리하는 국·공립 공과대학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필요한 지원을 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141","atchfileNm":"맞춤형_기술파트너_지원사업_2차과제_선정(2017.07.21보도요청).hwp","viewCnt":"4086","regDate":"2017-07-21 10:14:46"},{"contentId":"542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세계를 놀라게 할 차세대 로봇 산업 발전 중소기업에 달렸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425","contentsKor":"","viewCnt":"1216","regDate":"2017-07-14 13:26:47"},{"contentId":"5387","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에 더욱 집중해야 할 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387","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203\/file_down\/id\/5077","atchfileNm":"TIPA커버스토리_64호.jpg","viewCnt":"1221","regDate":"2017-06-28 17:55:56"},{"contentId":"53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성장잠재력 보유한 中企 대상‘창업과제’신청·접수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8","contentsKor":"                                      기정원, 성장잠재력 보유한 中企 대상‘창업과제’신청·접수                                   - 7월 13일까지, 창업과제 및 여성참여활성화과제 온라인 접수 가능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4차)’와 ‘여성참여활성화과제(2차)’ 신청·접수를 오는 6월 28일부터 7월 13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창업과제는 성장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성장을 촉진하는 사업이며,   ○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여성창업기업 및 여성과학기술인 50% 이상으로 구성된 예비창업팀 등의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사업이다.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창업 후 7년 이하인 기업이라면 신청가능하며, 기정원은 금번 공고를 통해 27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하여 248억 원(여성참여활성화과제 포함)을 지원할 예정이다.   ○ 단,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여성창업기업 ▲경력단절여성채용기업 ▲예비창업팀으로 유형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사업 신청 전 유형별 신청자격을 확인해야 한다.    □ 아울러 ‘창업과제 및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공급자 중심의 지원정책이 아닌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16년도부터 ‘바우처 제도’를 적용하여 추진되며,   ○ 본 과제에 선정된 중소기업은 자체개발 위주의 폐쇄형 R&D에서 나아가, 바우처를 활용함으로써 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의 역량을 활용하여 연구개발을 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올해 상반기 창업과제 1·2차 378개 및 여성참여활성화과제 1차 46개를 지원하였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9","atchfileNm":"기정원,_성장잠재력_보유한_中企_대상‘창업과제’신청·접수(2017.06.22보도요청).hwp","viewCnt":"4307","regDate":"2017-06-22 10:50:35"},{"contentId":"53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7","contentsKor":"        기정원, 2017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6월 21일(수), 혁신형 및 수출기업기술개발 279개 기업 대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최철안 원장)은 6월 21일(수) 13시 대전 서구에 소재한 KT인재개발원(1연수관)에서 2017년도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은 수출․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미래 성장유망 분야 기술개발(R&D) 지원으로 한국형 히든챔피언으로 성장을 촉진하는 사업이다.   ◦ 금번 협약대상은 혁신형기업기술개발(2차) 및 글로벌 스타벤처 육성 기술개발, 수출기업기술개발(2차) 선정 279개 기업이며,   ◦ 선정기업은 2년간 최대 6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혁신형 및 글로벌스타벤처는 최대 5억원)   □ 본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사업 관리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 아울러,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공유하고,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정진원 성장기술평가본부장은 “이번 설명회가 선정과제의 원활한 사업수행에 도움이 되고,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붙임 : 2017년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협약설명회(2차)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8","atchfileNm":"기정원,2017년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협약설명회개최(2017.06.20조간보도요청).hwp","viewCnt":"3798","regDate":"2017-06-20 10:47:34"},{"contentId":"53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3","contentsKor":"                                         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0억원 지원!                                      - 팁스 프로그램(3차), 18개 창업팀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7년도 팁스 프로그램* 2차에 18**개 창업팀을 선정하고 2년간 90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한다고 6월 15일(목) 밝혔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의약바이오(9), 정보통신(5), 전기전자(2), 지식서비스(2) 등 총 18개 창업팀 지원   □ 팁스는 민간의 투자가치 판단능력을 활용하여 유망기술 창업팀을 선별해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으로,   ◦ 엔젤투자자 및 초기전문 VC 등으로 구성된 민간 운영사는 발굴한 창업팀에 체계적인 창업 노하우와 보육공간을 제공하고, 정부는 R&D자금을 지원한다.   ◦ 작년에는 85개 창업팀에 총 470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했으며, 올해는 7차에 걸쳐 약 200여개 창업팀에 59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선정된 창업팀은 1억 원 내외의 운영사 투자금과 정부 R&D자금 5억 원, 후속지원 4억 원*을 통해 최대 10억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 창업사업화자금 1억 원, 해외마케팅자금 1억 원, 엔젤매칭펀드 투자금 2억 원 □ 한편, 기정원 및 한국엔젤투자협회는 선정된 18개 창업팀과 13개의 운영사를 대상으로 6월 16일(금) 오후 13시 30분 팁스타운(역삼)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본 설명회는 선정된 기업의 과제책임자 및 운영사 코디네이터의 원활한 협약체결 및 과제수행을 돕기 위해 개최되며,   ◦ 협약에 필요한 제반사항 및 협약변경의 절차, 최종평가 및 사업비 집행 및 정산 방법 안내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 팁스 프로그램은 지난 1월 19일 공고를 시작으로 상시 접수 중이며, 현재 3차과제의 선정평가를 앞두고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 임 : 1. TIPS 사업개요. 2. 2017년 팁스(TIPS) 프로그램 창업팀 지원계획 공고 1부. 3. ‘17년 팁스선정 창업팀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안)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6","atchfileNm":"기정원,민간투자주도형기술창업과제에90억원지원(6월16일조간보도요청).hwp","viewCnt":"3950","regDate":"2017-06-16 11:03:18"},{"contentId":"53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여성경제인협회,「중소중견기업 R&D 설명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2","contentsKor":"                                       기정원-여성경제인협회,「중소중견기업 R&D 설명회」개최                                                     - 6.14(수)부터 서울 등 5개 권역에서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과 한국여성경제인협회(회장 한무경) 는 공동으로 6월 14(수)부터 6.29(목)까지 5개 권역에서 「여성기업을 위한 중소·중견기업 R&D 설명회」를 개최한다.   ◦ 이번 설명회는 여성기업 R&D 참여확대와 R&D기획력 제고를 위해 마련되었으며 상담창구도 같이 마련되어 맞춤형 소통의 장으로 운영된다.   □ 6.14(수) 서울을 시작으로 충북(6.15(목)), 전남(6.21(수)), 경남(6.22(목)), 대구·경북(6.29(목)) 등 5개 권역에서 사업설명회를 실시한다.   ◦ 사업설명회 세부일정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www.tipa.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다.     □ 사업설명회에서는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는 R&D사업설명, 사업계획서 작성 및 온라인 신청요령, 정보화역량강화사업 및 지식재산활용전략지원사업을 설명한다.   ◦ 중소기업들이 어려워하는 사업계획서 작성에 대한 상세설명 및 상담으로 R&D 기획력을 높이는 자리이다.   ◦ 기술개발 뿐만 아니라 정보화 및 지식재산활용을 위한 지원 등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알려 참여하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자리이다.   □ 참고로 이번 사업설명회에 참석하지 못한 여성기업인은 관련 자료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www.tipa.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김성태 R&D혁신본부장은 “중소기업의 한 축인 여성기업인들이 많이 참여하여 기술개발에 대한 기획력 강화 및 지원확대의 기회가 되었으면 하며 여성기업들의 활동 촉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참고 : 여성기업을 위한 중소중견기업 R&D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계획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4","atchfileNm":"기정원-여성경제인협회중소중견기업RD설명회개최(2017.06.15조간보도요청).hwp","viewCnt":"3946","regDate":"2017-06-15 11:00:46"},{"contentId":"53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사업 신청·수행시 궁금증 해결을 위한 동영상 서비스 오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1","contentsKor":"                             기정원, R&D사업 신청·수행시 궁금증 해결을 위한 동영상 서비스 오픈                                             - R&D지원사업 소개 등 온라인 강의 39개 강좌 개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시간‧장소 제한 없이 상시 접근하여 사업신청 및 수행시 궁금한 부분을 해결할 수 있도록 온라인과 모바일로 동영상 강의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온라인강의는 중소기업이 R&D사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참여를 돕기 위해 크게 3가지 강좌, 총 39개 세부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ㅇ 첫째, R&D지원사업의 개요, 신청자격, 주요 Q&A등을 설명하는 17개 강좌, ㅇ 둘째, 신청기업 및 사업수행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사업계획서 작성, 온라인과제신청, 사업비 집행, 협약변경, 최종평가 등을 설명하는 13개 강좌, ㅇ 셋째, R&D 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R&D기획의 방법·프로세스, R&D 과제수행 기획 등을 설명하는 9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 본 강의는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화면의 고객지원>온라인매뉴얼>동영상강의로 이동하면 온라인 동영상 강의를 청취할 수 있고, 디지털북 다운로드 및 모바일동영상 보기를 이용할 수 있다.   - 특히 본 강의는 단순한 사업별 안내자료 배포형식을 벗어나 개정된 사업별 규정내용을 반영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대면평가 준비방법, 협약체결 및 변경, 사업비지급 및 집행, 최종평가 등 사업신청 및 집행 단계별로 다양한 Q&A를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사업신청 및 수행시 궁금한 부분을 해결 가능하도록 하였다.   □ 또한 과제신청, 협약체결, 보고서 제출, 연구비 집행 등, 이용자가 어려워하는 업무에 대해서는 실제 진행하기 전에 미리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김성태 R&D혁신본부장은 “R&D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제작한 동영상 강의 서비스를 많은 중소기업들이 활용하여 기술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고 밝혔다.     참고 :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프로그램 추진계획 및 온라인강좌 현황.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3","atchfileNm":"기정원,RD사업신청_수행시궁금증해결을위한동영상서비스오픈(2017.06.15조간보도요청).hwp","viewCnt":"3827","regDate":"2017-06-15 10:59:02"},{"contentId":"53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기업의 R&D개발에 25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0","contentsKor":"                                            기정원, 창업기업의 R&D개발에 250억원 지원!                                  -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2차)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06월 15일(목) 오후 1시 대전 유성구에 소재한 대전교통문화연수원 다목적홀에서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2차에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를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창업과제 2차는 지난 1월 16일 공고이후 서면평가, 현장조사, 대면평가를 거쳐 141개 과제를 최종 선정했으며, 창업과제에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 간 2억 원이내의 R&D 자금을 지원받는다.   ◦ 이를 통해 창업기업에 유망한 빅데이터·인공지능기반 등의 소프트웨어, 가상/증강 현실 등의 콘텐츠, 바이오·의료기기 등 신산업 및 주력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을 하게 된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명할 예정이며,   ◦ 과제 수행 시 자주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기업인들과 기정원 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 수행의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 또한, 본 설명회에서는 연구비 부정사용 등을 사례별로 공유하고 R&D 청렴문화 및 윤리경영을 교육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고자 한다.   □ 기정원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담당자는 “과제수행에 앞서 열리는 이번 협약설명회가 수행기관에게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유의미한 장이 되길 바란다”며   ◦ “앞으로도 우리 원은 창업기업이 성장유망 분야에 대한 선도적인 기술 및 제품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든든한 지원군이 되고자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붙임 1. 20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2차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2","atchfileNm":"기정원,창업기업의RD개발에250억원지원(2017.06.15조간보도요청).hwp","viewCnt":"2870","regDate":"2017-06-15 10:56:21"},{"contentId":"53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술개발 애로 해소를 위한 사무공간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29","contentsKor":"          기술개발 애로 해소를 위한 사무공간 지원                                          -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센터 개방형 사무공간 활용기업 모집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과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이하 기술혁신센터)는 R&D 과제를 해결하려는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개방형 사무공간 활용기업을 모집한다고 6월 12일(월) 밝혔다.   ◦ 기술혁신센터는 중소․중견기업과 대학․연구기관 간 교류․협력의 거점을 마련하여, 산업생태계 중심 R&D 및 인적교류 기반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판교 테크노밸리에 설립된 기관이다.   * 주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45번길 12   □ 신청자격은 종사자수 5인 이상이거나, 매출액 5억원 이상인 중소․중견기업이며, 선정기업은 개방형 사무공간 외에 공용 사무용품(복사기, 프린터 등), 센터 영상회의실 및 상담실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 또한, 대학‧연구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기술애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정부출연 연구기관과의 기술 수요 매칭지원 및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도약협력 R&D 지원시 서면평가 면제 혜택을 지원받을 수 있다.   * 선정규모 : 44개 이내 선정 / 제공기간 : 6개월(최대 2년까지 연장 가능)   □ 지원대상 선정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통해 평가가 이뤄지며, 선정기업은 내달 1일부터 센터에 입주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업선정시 순위제를 적용하여 타 신청기업과 공통적인 기술 수요가 있는 기업, 대학․연구기관과 협력하여 R&D과제를 기획․수행하는 등 기술애로를 해소코자 하는 기업 순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 개방형 사무공간 활용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은 홈페이지(www.smtech.go.kr)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뒤 6월 23일(금)까지 이메일(rndcenter@tipa.or.kr)로 제출하면 된다.   ◦ 모집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센터 전화(031-739-6911) 또는 홈페이지(www.smtech.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임 :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센터」 개방형 사무공간 활용기업 모집 공고문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1","atchfileNm":"기술개발애로해소를위한사무공간지원(2017.06.14조간보도요청).hwp","viewCnt":"3158","regDate":"2017-06-14 10:53:39"},{"contentId":"52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2017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협약설명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95","contentsKor":"                                    기정원,‘2017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협약설명회’개최                                         - 6월 2일(금), 173개 기업 대상, 중소기업중앙회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최철안 원장)은 6월2일(금) 오후 2시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2017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1차 기업제안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 2월말 까지 1차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173개 기업을 선정하여 607억 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한편, 1차와 더불어 지난 4월말에 마감한 2차 접수에서도 많은 신청을 받아 7월 중 지원 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며, 3차 접수는 6~7월 말까지 모집할 계획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1차 기업제안 과제에 선정된 173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사업 관리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자들에게 윤리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이 국가 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길 바란다”며 “특히 처음으로 R&D를 수행하는 중소기업들이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이 되길 바란다” 고 밝혔다. (끝)     별첨 : 2017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협약설명회(1차 기업제안과제) 개최 계획 1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988","atchfileNm":"기정원,2017년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협약설명회개최_(20170602조간보도요청).hwp","viewCnt":"3396","regDate":"2017-06-02 19:05:38"},{"contentId":"529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새 정부의 스타트업 강화정책에서 희망을 보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299","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203\/file_down\/id\/4991","atchfileNm":"cover_170602.jpg","viewCnt":"1329","regDate":"2017-06-02 16:46:13"},{"contentId":"52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에 247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94","contentsKor":"                                        기정원,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에 247억원 지원                                      - 산연전용, 연구마을 161개 중소기업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 이하 중기청)에서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이 시행하는 2017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전략협력(산연전용, 연구마을) 상반기 과제 161개가 최종 선정되어 사업수행에 들어간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전략협력’은 특정 산업·기술분야의 전략적 산학연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고성장기업으로 육성 지원하는 사업으로,   ◦ 연구기관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산연전용과(1년, 1.5억원 이내 지원),   ◦ 중소기업의 연구기능(부설연구소)을 대학 내 공간에 집적화하여 상시 기술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연구마을(2년, 2억원 이내 지원)로 구성되어 있다.   □ 기정원은 상반기 산연전용, 연구마을사업에 신청한 기업(346개)을 대상으로 우수과제 선정을 위하여 2단계의 심층평가 과정(운영기관 자체평가, 기정원 대면평가)을 거쳐 161개 과제, 247억원 지원을 결정하였다.   □ 한편, 기정원은 상반기 산연전용, 연구마을 과제에 선정된 주관기관(중소기업)과 공동개발기관(대학·연구기관)을 대상으로 6월 1일(목) 충북대학교 개신문화관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협약변경, 사후관리 등 사업 추진 시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질의응답 등을 통해 사업추진 시 실수가 없도록 상세히 안내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상반기에 산연전용과 연구마을사업에 참여하는 모든 중소기업이 대학·연구기관의 전략적 지원프로그램을 잘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 산연전용, 연구마을은 2017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지원과제를 선정하고 있으며, 하반기 과제모집은 6월 중 산연전용, 연구마을 운영기관`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붙임> 1.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 운영기관 목록 2.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 상반기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 1부 3.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 시행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987","atchfileNm":"기정원,2017년산연전용연구마을에247억원지원(2017.06.01조간부터보도요청).hwp","viewCnt":"3676","regDate":"2017-06-01 19:03:59"},{"contentId":"52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산학연R&D 1차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93","contentsKor":"기정원, 2017년 산학연R&D 1차 협약설명회 개최                                - 5월 31일(수), 446개 첫걸음·도약과제 선정기업에 400억원 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첫걸음·도약과제 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5월 31일(수) 오후 2시 대전 정부청사 내에 후생관 대강당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협약변경, 사후관리 등 사업 추진 시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질의응답 등을 통해 사업추진 시 실수가 없도록 상세히 안내한다.   ◦ 특히, 산학연협력기술개발지원사업의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에 대한 다양한 의견도 청취할 예정이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의 첫걸음, 도약과제 선정기업은 사업기간 1년 동안 1억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대학·연구기관과 협력하여 공동 기술개발을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1월 신청한 1,115개 과제를 대상으로 서면, 현장, 대면평가 등을 통해 446개를 최종 선정하여 400억 원을 신규 지원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광문 본부장은 “산학연협력 R&D를 통해 기술기반이 취약한 중소기업이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소기업이 대학·연구기관의 우수한 연구 인프라와 기술을 잘 활용하여 튼튼한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986","atchfileNm":"기정원,2017년산학연RD1차협약설명회개최(2017.05.31조간보도요청).hwp","viewCnt":"3252","regDate":"2017-05-31 18:56:15"},{"contentId":"52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초석 마련을 위한 R&D자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81","contentsKor":"          기정원,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초석 마련을 위한 R&D자금 지원!                                    - 2017년도 창업과제와 여성참여활성화과제 선정기업에 461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05월 25일(목) 오후 1시 서울 상암동 소재한 누리꿈스퀘어(3층 국제회의실)에서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및 여성참여활성화과제 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창업과제는 창업 후 7년 이하인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며,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여성기업 및 경력단절여성 연구인력 채용기업, 여성예비창업팀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과제이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안내하며,   ◦ 과제 수행 시 발생하는 문제점 및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이다.   ◦ 특히,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고자 마련하였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1차)와 여성참여활성화 과제의 선정기업은 지난 1월 16일 공고를 이후 서면평가, 현장평가, 대면평가를 거쳤으며,   ◦ 창업과제에 선정된 233개 기업은 총 418억 원을 지원받고, 여성참여활성화과제에 선정된 46개의 기업은 총 42.6억 원을 지원받아 신제품·신기술 개발을 최대 1년 동안 진행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본 과제의 지원을 통해서 창업기업들이 기술개발을 원활히 수행하고, 나아가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까지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우리나라 창업기업들이 글로벌강소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붙임 1. 20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1차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972","atchfileNm":"기정원,창업기업의기술개발초석마련을위한RD자금지원(20170525조간보도요청).hwp","viewCnt":"3387","regDate":"2017-05-25 10:15:45"},{"contentId":"52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자신문(5.16일자) 보도관련 해명자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46","contentsKor":"                     중기기술정보진훙원, 독립사옥 건립 ‘제동’ 기재부, 예산승인 불허에 대한 해명   □ 보도내용(5.16, 전자신문)   ① 기정원은 6월에 착공하려던 사옥건립계획을 전면 철회   ② 정부가 경제사정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비가 당초 계획안을 초과, 자칫 호화사옥논란에 휩싸일 것을 경계해 사옥건립 예산승인 불허   □ 기사내용에 대한 해명   ① 기정원은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시책에 동참하여 ’13.3월 서울(여의도)에서 대전으로 이전하였으며,   ㅇ 서울사옥 매각금 등의 재원을 활용하여 이전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 수립 지침을 준수해 ‘14년 말부터 대전지역에 독립사옥건립을 추진함   ㅇ 사옥건립 추진 과정에서 정부의 공공기관 기능조정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한국산학연협회의 중소기업 R&D지원업무가 기정원으로 일원화되어 사업규모가 (기능조정 전) 4,200억원 → (기능조정 후) 9,000억원으로 크게 증가함에 따라,   ㅇ 확대된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사무공간 및 R&D평가장을 확대하고, 평가에 참여하는 평가위원 및 중소기업의 편의를 위해 주차시설의 확대설치가 불가피한 상황임   ㅇ 이에, 당초 계획된 건축계획을 변경해 건축규모 확대 또는 외부 R&D평가장 추가확보, 대체부지 확보 등 원활한 R&D지원업무 수행을 위해 다각도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중으로 사옥건립계획의 전면 취소는 사실과 다름   ② 기정원 사옥건립계획의 단위면적당 건축비는 143만원/m2으로 정부의 이전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 수립지침에 따른 건축비 기준 230만원/m2의 62% 수준에 불과해 기사내용과 같이 호화사옥 논란에 휩싸일 것을 경계했다는 부분은 사실과 다름    ※ 자세한 사항은 재무회계팀 한명수 팀장(042-388-0144)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898","atchfileNm":"전자신문_보도해명(2017.05.16).hwp","viewCnt":"3377","regDate":"2017-05-16 13:47:41"},{"contentId":"52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5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72","contentsKor":"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5억원 지원!                                           - 팁스 프로그램(2차), 19개 창업팀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7년도 팁스 프로그램* 2차에 19**개 창업팀을 선정하고 2년간 95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한다고 5월 11일(목) 밝혔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정보통신(9), 의약바이오(9), 로봇(1) 등 총 19개 창업팀 지원   □ 팁스는 민간의 투자가치 판단능력을 활용하여 유망기술 창업팀을 선별해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으로,   ◦ 엔젤투자자 및 초기전문 VC 등으로 구성된 민간 운영사는 발굴한 창업팀에 체계적인 창업 노하우와 보육공간을 제공하고, 정부는 R&D자금을 지원한다.   ◦ 작년에는 85개 창업팀에 총 470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했으며, 올해는 6차에 걸쳐 약 200여개 창업팀에 59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선정된 창업팀은 1억 원 내외의 운영사 투자금과 정부 R&D자금 5억 원, 후속지원 4억 원*을 통해 최대 10억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 창업사업화자금 1억 원, 해외마케팅자금 1억 원, 엔젤매칭펀드 투자금 2억 원 □ 한편, 기정원 및 한국엔젤투자협회는 선정된 19개 창업팀과 11개의 운영사를 대상으로 5월 12일(금) 오후 3시 팁스타운(역삼)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본 설명회는 선정된 기업의 과제책임자 및 운영사 코디네이터의 원활한 협약체결 및 과제수행을 돕기 위해 개최되며,   ◦ 협약에 필요한 제반사항 및 협약변경의 절차, 최종평가 및 사업비 집행 및 정산 방법 안내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 팁스 프로그램은 지난 1월 19일 공고를 시작으로 상시 접수 중이며, 현재 3차과제의 선정평가를 앞두고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 임 : 1. TIPS 사업개요. 2. 2017년 팁스(TIPS) 프로그램 창업팀 지원계획 공고 1부. 3. ‘17년 팁스선정 창업팀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안)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944","atchfileNm":"기정원,_민간투자주도형기술창업과제에_95억원지원(17.05.12조간보도요청).hwp","viewCnt":"3544","regDate":"2017-05-12 17:31:21"},{"contentId":"52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매일경제TV 경세제민 촉] 최철안 원장님 인터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71","contentsKor":"국내 각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경제현안을 짚어보는 프로그램인 매일경제TV ‘경세제민 촉’과 최철안 원장님과의 대담이 지난 5월 7일 방송되었습니다.   이번 대담에서는 기정원의 기능과 역할, 재임기간 중점을 두는 부분과 지원 대상자 선정시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또한, 다가올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기정원은 R&D지원, 정보화 지원을 통하여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끝으로 최철안 원장님은 중소기업들이 중소기업 기술개발 자금을 사명감을 갖고 활용해줄 것을 당부하고, 현재의 경제위기를 기회로 삼아 적극적으로 나아가기를 강조하며 대담을 마쳤습니다.   - 프로그램명 : 매일경제TV 경세제민 촉 - 방영날짜 : 2017년 5월 7일 방송 - 사이트 : 바로보기  ","viewCnt":"3839","regDate":"2017-05-07 16:08:25"},{"contentId":"522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수출 지원, 사각지대 없앤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224","contentsKor":"","viewCnt":"1353","regDate":"2017-04-27 20:13:23"},{"contentId":"52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봄맞이 아동복지시설 꽃모종심기 봉사활동 추진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31","contentsKor":"                                                                                  기정원, 봄맞이 아동복지시설 꽃모종심기 봉사활동 추진                                           - 4월 27(목), “성심원” 꽃모종심기 사회공헌활동 추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봄을 맞이하여, 4월 27일(목)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을 방문하여 꽃모종심기 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 이번 꽃모종심기 봉사활동은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이날 행사는 최철안 원장과 임직원 12명이 참여하였으며, 성심원 앞마당에 꽃길 조성을 위해 다양한 꽃모종을 심는 봉사활동으로 추진되었다.   ◦ 성심원(대전시 동구)은 기정원이 ‘13년 대전으로 이전한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봉사 및 기부활동을 펼쳐온 단체이며, 올 초에도 설명절을 맞이하여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이웃희망나눔 기부물품을 전달한 바 있다.   ◦ 이외에도 기정원은 지역사회 소외계층과 함께 하기 위해 아동보육시설, 장애인지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및 외국인지원시설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2017년에도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무이행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 기정원 봄맞이 성심원 꽃모종심기 봉사활동 사진.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882","atchfileNm":"기정원,_아동복지시설_꽃모종심기_봉사활동추진(2017.04.28조간보도요청).hwp","viewCnt":"3197","regDate":"2017-04-27 14:40:11"},{"contentId":"52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기업의 신성장동력분야 기술개발에 15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10","contentsKor":"                         기정원, 창업기업의 신성장동력분야 기술개발에 150억원 지원!             - 5월 25일까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창업과제’3차 신청·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창업기업의 아이디어 발굴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 3차 신청·접수를 5월 25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번 3차 공고를 통해 19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하여 15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3차 신청·접수기간은 2017년 5월 10일(수)부터 5월 25일(목)까지이며,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창업 후 7년 이하인 기업이다.   □ 3차 공고는 2차 공고와 마찬가지로,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에 기반한 신산업 및 주력산업 40대 전략분야 중 창업기업에게 유망한 전략품목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 이는 창업기업의 다양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헬스케어 및 차세대자동차 등 40대 전략분야의 국가 신성장동력 분야를 확대시키고자 하는 취지이다.   □ 창업과제 3차 선정기업은 최대 2억 원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수익창출이 가능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1년 동안 추진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금번 창업과제를 통해 창업기업이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에 더욱 집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장기적으로 창업기업이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845","atchfileNm":"기정원,창업기업의_신성장동력분야_기술개발에_150억원_지원!(20170420보도요청).hwp","viewCnt":"3244","regDate":"2017-04-20 16:22:33"},{"contentId":"52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2017년 R&D기획지원사업 1차 협약설명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09","contentsKor":"  기정원,‘2017년 R&D기획지원사업 1차 협약설명회’개최 - 4월 20일(목), 90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 안내 및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4월 20일(목) 오후 2시 서울 중소기업DMC타워(상암) DMC홀에서 2017년도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해 개발 타당성 분석, 시장성 조사, 성공 가능성 평가 등의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금년에는 1월 11일 1차 공고 이후 2월 21일까지 사업 신청·접수를 통해 90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23억원을 지원한다.   □ 특히, 금년에는 창업초기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자 총 정부지원금의 60%를 창업과제에 배정하였다.   ◦ 최종 선정기업은 기획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4개월간 R&D기획지원을 수행하며, 정부출연금은 최대 2,550만원(총 사업비의 75%)까지 지원된다.   ◦ 특히, 금년부터는 종료 후 연계지원 평가위원회에서 선정된 우수과제에 대해 R&D사업 신청 시 사업별로 1회에 한해서 우대할(서면평가 면제 또는 가점 적용)* 예정이다.   * 창업성장기술개발 및 기술혁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일부, 상용화기술개발사업 일부,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일부   ◦ 한편, R&D기획지원사업 2차 공고는 4월말에 진행되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8월 중에 1차 90개를 포함하여 180개 내외의 과제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사업에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협약체결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기획기관 소개, R&D기획역량강화교육 운영 등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된 내용을 전달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R&D기획지원 사업을 통하여 기술력 있는 R&D 초보기업이 성공적인 기술개발 및 이를 통한 사업화가 실현되길 기대한다.”며,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기업에게 궁금증을 해소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기획기관과 중소기업의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붙 임 : 2017년 R&D기획지원사업 협약설명회(1차)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843","atchfileNm":"2017년_RD기획지원사업_1차_협약설명회_개최_보도자료(20170420즉시보도요청).hwp","viewCnt":"3251","regDate":"2017-04-20 16:19:03"},{"contentId":"51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술개발 우수기업 지원을 위한 『기정원-KEB하나은행-기업데이터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63","contentsKor":"기술개발 우수기업 지원을 위한 『기정원-KEB하나은행-기업데이터 업무협약』 체결 -R&D우수기업에 대한 기술신용평가 후 여신 심사를 통해 금융지원 제공-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KEB하나은행(은행장 함영주), 한국기업데이터(대표이사 조병제)는 4월 4일 서울 하나은행에서 “기정원-하나은행-기업데이터”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본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은 신용평가 전담기관인 기업데이터에 의한 기술신용평가를 받고, 하나은행 여신심사를 통해 지원기업으로 최종 선정되면 자금 대출을 받게 된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기정원은 중기청 R&D지원사업에 참여한 기업 중 우수기업을 분기별로 선정*하여 KEB하나은행에 지원 후보기업 추천하며     * 개발된 R&D과제의 우수성 및 육성 필요성, R&D투자활동 등을 기준으로 선정    ② 기업데이터는 KEB하나은행의 의뢰에 따라 R&D우수기업에 대한 기술신용평가* 전담하고,     *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력 및 신용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므로 기술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    ③ 하나은행은 추천받은 기업에 대한 여신 심사를 통해 지원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자금 대출 실시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우수 중소기업의 R&D사업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사업화 자금을 공급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 “민간 금융기관 및 기술평가기관과 협약을 통해 연계지원 활성화를 실시하여 4차 산업혁명 선도의 마중물 역할을 함으로써    ◦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 아이디어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이 탄생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752","atchfileNm":"기정원_KEB하나은행_기업데이터업무협약체결(2017.04.06조간보도요청).hwp","viewCnt":"3795","regDate":"2017-04-06 18:45:19"},{"contentId":"51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데일리TV 이데일리초대석] 최철안 원장님 인터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72","contentsKor":"지난 3월 28일 최철안 원장님이 이데일리TV 이데일리 초대석과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최철안 원장은 취임 소감과 함께 현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지원하고 있는 사업과 지원 분야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2017년 기정원은 R&D 지원, 정보화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지원할 계획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기업들을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끝으로, 현재의 어려운 경제상황을 기회로 삼고 글로벌시장으로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정원과 중소기업이 다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의지를 피력하였습니다.   - 프로그램명 : 이데일리TV 이데일리 초대석   - 방영날짜 : 2017년 4월 3일(월) 오후 5시 30분   - 사이트 : 바로보기 ","viewCnt":"4011","regDate":"2017-04-03 14:15:45"},{"contentId":"51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임직원 청렴실천 서약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21","contentsKor":"  기정원 임직원 청렴실천 서약 실시 - 노·사가 함께 청렴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 새롭게 다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3월 30일(목) 기정원 대전 본원에서 ‘2017년 청렴실천 서약식’을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이번 청렴 서약식에서는 노·사의 대표가 한자리에 모여 기정원의 임직원으로서 중소·중견기업지원을 위한 투명하고 공정한 행정서비스 제공과 청렴한 기관 만들기에 앞장 설 것을 결의하였다.   □ ‘청렴 서약식’을 시작으로 기정원 전 직원들은 ‘청탁금지법 준수’, ‘공정한 직무 수행’ 등을 통해 기관의 청렴·윤리경영에 적극 동참하고, 위반 시에는 어떠한 처벌이나 불이익도 감수하겠다는 ‘청렴실천 서약서’에 서명하였다.   □ 최철안 원장은 “이번 청렴 서약식을 통해 직원들의 청렴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를 새롭게 다짐하였다”며 “고객인 국민과 중소·중견기업이 만족하는 청렴 R&D지원 전문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앞으로도 기정원은 ‘기관장 청렴서한 발송’, ‘청렴 자율실천 과제 발굴’ 등을 통해 기관의 청렴의지를 전파하고, 청렴문화 확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90","atchfileNm":"기정원,임직원청렴실천서약실시(2017.03.31조간보도요청).hwp","viewCnt":"3336","regDate":"2017-03-31 17:39:23"},{"contentId":"51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20","contentsKor":"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    - 4.3일(월)부터 5개 광역별 사업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는「‘17년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며,   ○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성공하면 수요처에서 일정기간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 동 설명회는 4.3일 천안의 충남스마트워크센터를 시작으로 4.7일 까지 5개 지역에서 순회 설명회를 개최*   * 4.3(월) 천안, 4.4(화) 나주, 4.5(수) 춘천, 4.6(목) 인천, 4.7(금) 창원   ○ ‘17년 주요 사업내용, 사업계획서 작성 및 SMTECH* 입력방법, 기술임치 등에 대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중소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 한편, 기정원은 제2차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신청을 3.20일(월)부터 4.28일(금)까지 온라인 시스템(SMTECH)을 통해 받을 예정이며,   ○ 산학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7월 중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는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통해 기술개발 제품의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우수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중소기업의 지속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및 기정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 임 1. 2017년도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사업설명회 계획 1부 2. 2017년도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공고문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88","atchfileNm":"붙임2.17년도_구매조건부신제품기술개발사업_시행계획_공고.hwp","viewCnt":"3597","regDate":"2017-03-30 17:33:43"},{"contentId":"51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105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17","contentsKor":"             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105억원 지원!                                                       - 팁스 프로그램(1차), 21개 창업팀 선정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7년도 팁스 프로그램* 1차에 21**개 창업팀을 선정하고 2년간 105억원의 R&D자금을 지원한다고 3월 29일(수) 밝혔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S/W솔루션(12), 의약바이오(6), 반도체소재(3) 등 총 21개 창업팀 지원 (단위 : 개) 분야 S/W 솔루션 의약바이오 반도체소자 플랫폼구축 시스템개발 치료제개발 시스템개발 소재개발 기업수 6 6 2 4 3   □ 팁스는 민간의 투자가치 판단능력을 활용하여 유망기술 창업팀을 육성하는 사업으로, 엔젤투자 및 초기전문 VC 등으로 구성된 운영사가 발굴한 창업팀에 정부의 R&D 지원을 연계하여 글로벌 창업팀 육성과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이다.   ◦ 작년에는 85개 창업팀에 총 470억원의 R&D자금을 지원했으며, 올해는 6차에 걸쳐 약 200여개 창업팀에 59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선정된 창업팀은 기술개발자금 5억원과 추가 연계지원 5억원(창업자금 1억원, 엔젤투자매칭펀드 2억원 및 해외마케팅 1억원)을 통해 최대 10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운영사로부터 체계적인 창업 노하우와 보육공간 등을 제공받는다. □ 올해는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은 기술창업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역량 심사를 강화하고,   ◦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통해 도출된 40대 전략분야에 해당될 경우 가점을 부여하고, 바이오분야에 특화된 신규운영사를 확충하여 고부가가치의 바이오의료 창업팀 발굴을 유도하는 등 전략적으로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지원으로 유망 기술을 보유한 창업팀들에 체계적인 보육서비스와 R&D자금을 지원함으로써 중소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팁스 프로그램은 지난 1월 19일 공고를 시작으로 상시 접수 중이며, 현재 2차과제 선정평가를 앞두고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 임 : 1. TIPS 사업개요 2. 2017년 팁스(TIPS) 프로그램 창업팀 지원계획 공고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84","atchfileNm":"기정원,민간투자주도형_기술창업과제에_105억원_지원(2017.03.31조간보도요청).hwp","viewCnt":"3330","regDate":"2017-03-30 17:22:16"},{"contentId":"51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정부 3.0 우수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13","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정부3.0 우수기관 선정                                  -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노력을 인정 받아 행자부 장관 표창 수상-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이 지난 3월 28일 행정자치부가 발표한 ‘2016년도 공공기관 정부3.0 실적평가 결과’에서 최고 수준인 우수등급을 획득했다.   ○ ‘공공기관 정부3.0 실적평가’는 행정자치부가 지난 한 해 동안 전국 119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정부3.0 추진실적을 종합 평가하는 것으로써 기정원을 비롯한 31개 공공기관이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 그중에서도 기정원은 상위 16개 기관에게만 수여하는 행정자치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다.   □ 기정원은 지난 2014년 12월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 통합된 이래, 중소기업 R&D지원 강화를 위하여 맞춤서비스 발굴, 기관간 협업, 데이터 개방 등 정부3.0 분야별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 먼저 맞춤서비스의 일환으로 R&D 과제에 지원하는 중소기업이 사업규모및 목적에 따라서 맞춤 평가방식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 이를 통해 R&D 지원 사각지대에 놓였던 창업초기기업의 유입이 크게 늘어났으며 고객 서비스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 그리고 가스판매업, 쌀가공식품업 등 28개 중소기업 업종별로 정보화 업무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그 결과 총 15,257개의 중소기업이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 또한, 정책금융기관 및 민간금융기관에게 R&D 성공 중소기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사업화 자금 융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협업체계를 구축하였다.   ○ 이를 통해 중소기업이 직접 자금지원기관을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나, 원스톱서비스로 자금을 지원받아 기술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 뿐만 아니라, 기술시장동향 및 성장성을 분석한 기술로드맵 데이터를 개방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특히, 기술로드맵 데이터에서 도출된 유망기술을 실제로 개발할 수 있도록 총 358개 중소기업에게 655여억원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성과는 그간 기정원 전 직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고객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면서, “앞으로도 모든 업무에 정부3.0 가치를 접목하여 중소기업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R&D 지원 서비스를 제공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2016년도 공공기관 정부3.0 평가 결과.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78","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정부3.0우수기관선정(2017.03.30조간보도요청).hwp","viewCnt":"3228","regDate":"2017-03-29 16:46:21"},{"contentId":"50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17년 산연전용 운영기관 신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98","contentsKor":"  2017년 산연전용 운영기관 신규 선정                                - 14개 운영기관 신규선정, 1년간(최대 1.5억원) 298억원 지원 예정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이 시행하는 ‘2017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산연전용’의 운영기관으로 14개 연구기관이 최종 선정되어 사업수행에 들어갔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의 산연전용과제는 중소기업의 기술능력 제고 등을 위해 산연협력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을 선정하여 각 기관이 중소기업 R&D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사업으로,   - 중소기업들은 산연전용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연구기관들과 협력하여, 공동기술개발을 통한 기술혁신역량 강화와 사업화를 수행하게 된다.   - 이번에 선정된 산연전용 운영기관은 2016년 12월 공고, 2월 신청접수 후 심층평가 과정을 거쳐 14개의 운영기관이 선정되었다.   □ 선정된 산연전용 운영기관은 기관마다 지정된 특화기술분야*에 맞추어 지원과제를 모집하고 자체평가를 통해 상·하반기(5월, 8월) 2회에 걸쳐 전문기관(기정원)에 추천하며,   * 특화기술분야 : 전략적 산학연협력을 위한 품목지정(신산업 20개, 주력산업 20개)에 따라 산연전용 운영기관이 고유의 기술분야를 고려하여 지정   ◦ 전문기관은 추천받은 과제를 대상으로 대면평가 후 최종지원과제를 선정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산연전용을 통해 중소기업-연구기관 간 전략적 협력의 활성화 및 산연협력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더불어 “산연협력을 통해 유망중소기업이 고성장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2017년 산연전용 지원과제 모집은 3월, 6월 2회에 걸쳐 운영기관*을 통해 진행하게 된다. 동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특화기술분야와 지원자격 등을 확인 후 운영기관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 운영기관 목록, 특화기술분야 및 연락처는 SMTECH 공지사항 참조     (관련문의 : 기술정보진흥원 042-481-0742, 0743)   <붙임> 1. 산연전용 운영기관별 특화기술분야 및 문의처 1부.            2. 2017년 산연전용 시행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58","atchfileNm":"기정원_2017년산연전용운영기관신규선정(2017.03.23조간보도요청).hwp","viewCnt":"3557","regDate":"2017-03-23 15:30:06"},{"contentId":"50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산업방송 채널i]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 소개 관련 장건오 센터장 인터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88","contentsKor":"지난 2월 28일 장건오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장이 센터 소개를 위해 산업방송 채널i 산업뉴스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판교에 위치한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는 지난 1월 23일 개소하여, 많은 관심 아래 기술애로를 겪는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협력을 위한 거점으로 자리 매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9개 상주기업 중 하나인 ㈜디앤씨 대표의 인터뷰를 통해 실제 중소기업이 겪는 어려움과 기술혁신센터에 거는 기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끝으로, 장건오 센터장은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가 협력 R&D 과제 발굴에 그치지 않고, 중소·중견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고 성공적인 사업화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든든한 지원군이 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 프로그램명 : 산업방송 채널i 산업뉴스 - 방영날짜 : 2017년 2월 28일 화요일 - 사이트 : 바로보기","viewCnt":"4428","regDate":"2017-02-28 17:27:26"},{"contentId":"505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을 위한 정부 R&D자금 정산 노하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059","contentsKor":"","viewCnt":"1926","regDate":"2017-02-28 15:37:49"},{"contentId":"50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술개발을 공동수행할 기술전문가를 찾아준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57","contentsKor":"                                              기술개발을 공동수행할 기술전문가를 찾아준다!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기술전문가 매칭기관 운영-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이 시행하는 2017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의 기술전문가 매칭기관에 2개 기관이 최종 선정되어 운영에 들어간다.   * 기술전문가 매칭기관은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신청 과제 중 중소기업과 기술개발을 공동개발할 전문인력을 비매칭하여 신청한 과제에 대해서 최적의 기술전문가를 매칭시켜주는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 ‘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 협력 R&D를 지원해 온 사업이다.   □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에 신청하였지만,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협력하여 수행할 공동개발기관을 찾지 못해 사업 추진에 애로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었다.   □ 이에, 2017년부터 중소기업이 원하는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할 최적의 기술전문가를 매칭하는 전문기관을 선정·운영하여 기업의 매칭부담을 덜고 중소기업 중심의 연구수행 문화 확산 및 기술개발 결과물을 활용한 사업화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첫걸음·도약협력 과제에 적용․운영되며, 기술매칭 전문기관은 비매칭 신청과제 중소기업에 복수의 전문인력을 추천하고 중소기업은 추천된 전문인력 중 신청과제 기술개발에 최적의 전문가를 선택하여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면 된다.   □ 올해 선정된 기술매칭 전문기관은 산학연R&D에 참여 가능한 대학 및 연구기관의 기술전문가 정보와 적시에 매칭업무 수행이 가능한 인력과 인프라를 보유한 기관을 평가를 통해 2개 기관을 선정하였다.   * 기술매칭기관 : (사)한국산학연협회, (사)대학산업기술지원단 등 2개 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에 최적의 기술전문가 매칭을 수행하는 기술전문가 매칭기관을 도입하여 중소기업의 매칭 부담을 덜고 기술개발에 전념하여 기업의 기술개발 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아울러 “중소기업 기술개발에 우수전문인력이 매칭될 수 있도록 매칭서비스 향상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붙임> 2017년도 첫걸음·도약협력과제 시행계획. 1부.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25","atchfileNm":"기정원_기술개발을공동수행할기술전문가를찾아준다(2017.02.23조간보도요청).hwp","viewCnt":"4145","regDate":"2017-02-23 10:43:57"},{"contentId":"50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한 첨단 연구장비를 한층 편리하게 활용하세요!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48","contentsKor":"                                                 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한 첨단 연구장비를                                                                한층 편리하게 활용하세요!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이 시행하는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이 수요자가 보다 편리하게 대학․연구기관 등의 연구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개편되어 시행된다.   ◦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은 2007년부터 중소기업의 장비부족 문제해소와 국가R&D재원이 투입된 대학·연구기관 등의 연구장비 공동활용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 지원규모는 153억원으로 중소기업이 170여개 대학․연구기관 등의 연구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경우, 장비이용 바우처(쿠폰)를 통해 장비이용료의 60~70% 이내로 최대 7천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 2017년도에는 사업 신청 간소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조기 장비 지원을 위하여 정부출연금 5백만원 이하의 신청기업은 FAST-TRACK으로 진행한다.   ◦ 기존 2단계 참여기업 선정절차를 1단계로 간소화하여 긴급한 장비이용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이 적시에 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또한, 권역별로 우수한 인프라를 보유한 대학·연구기관을 “선도형 공동활용 지원기관”으로 선정하여 운영한다.   ◦ 선도형 공동활용 지원기관은 중소기업의 장비지원 뿐만 아니라 장비 운영 인력 교육, 장비이용 애로 기업 발굴·추천 등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수행한다.   * 선도형주관기관 : 한국나노기술원,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재)충북테크노파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재)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나노종합기술원, 공주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재)부산테크노파크,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등 11개 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이 대학․연구기관의 연구장비를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의 기술개발 역량이 강화 뿐만 아니라 대학·연구기관 등의 연구장비 공동활용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아울러 “선도형기관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장비활용지원 등 연구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수혜를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붙임> 2017년도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17","atchfileNm":"기정원_대학_및_연구기관이_보유한_첨단연구장비를_한층_편리하게_활용하세요(20170221조간보도요청).hwp","viewCnt":"3315","regDate":"2017-02-21 13:12:57"},{"contentId":"504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2월 인터뷰)기정원 신임 최철안 원장에게 듣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045","contentsKor":" ","viewCnt":"1208","regDate":"2017-02-17 09:33:49"},{"contentId":"50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공학컨설팅센터 선정, 15일부터 기업신청 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44","contentsKor":"  -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      공학컨설팅센터 선정, 15일부터 기업신청 접수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이 시행하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의 권역별 사업 수행 전담 6개 공학컨설팅센터가 최종 선정되어 운영에 들어갔다.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은 국‧공립대학의 고급인력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R&D역량 제고 및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한다.   ◦ 지원규모는 50억원 300개 과제이며 지원조건은 업력에 따라 총 사 업비의 50~75% 이내, 사업기간은 9개월 이내, 자유공모 방식이다.   ◦ 중소기업이 지역적인 한계로 참여를 못하거나 기술전문가 매칭에 실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국 5개* 권역에 6개** 국‧공립대학을 공학컨설팅센터로 선정하여 다양한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 (5개 권역) ①서울․경인․강원, ②대구․경북, ③부산․울산․경남, ④대전․충청, ⑤호남․제주   ** (6개 기관) 서울․경인․강원 2개, 그 외 4개 권역은 1개   - 공학컨설팅센터란 권역별 과제 신청·접수, 전문가 매칭, 기술애로 해결계획서 제출, 지원과제 추천(심의조정위원회) 및 관리 등 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국·공립 공과대학   □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에 따라 공학컨설팅센터를 통해 2월 15일부터 신청과제를 접수하며 총 4회차(2월, 4월, 6월, 7월)에 걸쳐 신청·접수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50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지원을 위해 대학의 우수한 교수를 매칭하여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기술애로해결, 신기술 사업화 자문, 기술교육, 특수감정 등의 다양한 분야의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국‧공립 대학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인프라를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더불어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의 자금을 지원받는 기업들의 원활한 사업수행 및 체계적인 사업관리를 위해 공학컨설팅센터를 활용, 중소기업의 지속적 지원에 노력 하겠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붙임>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16","atchfileNm":"맞춤형_기술파트너_지원사업_공학컨설팅센터_선정보도자료(20160216조간보도요청).hwp","viewCnt":"4026","regDate":"2017-02-16 10:23:00"},{"contentId":"50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TIPS프로그램 사업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32","contentsKor":"                                                              기정원, 2017년 TIPS 프로그램 사업설명회 개최!                                        -2월 10일(금), 창업팀․운영사간 네트워크 기회 마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2월 10일(금) 오후 1시 30분 서울 역삼동 해성빌딩 팁스 홀에서 팁스(TIPS*) 프로그램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 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본 설명회는 팁스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예비)창업팀에게 사업 안내와 더불어 운영사와 창업팀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목적으로 개최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및 한국엔젤투자협회는 ‘17년 지원계획에 따른 주요 사업내용 및 지원자격 등을 설명하고, 운영사는 자사의 주요 투자분야 및 창업팀 보육방안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는다.   - 특히 이번 사업설명회는 최근 선정된 6개의 신규 운영사(‘16.11월)를 포함해 역대 최다인 17개의 운영사가 참가할 예정이다.   □ 팁스 프로그램은 성공벤처(운영사)와 같은 민간이 주도하여 유망 기술창업팀을 선별하고 여기에 정부의 R&D 지원을 연계하여, 글로벌 창업팀 육성과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이다.   ◦ 올해부터는 대폭 확대된 예산으로 200개 과제를 선정해 총 740억원을 지원하며, 창업팀 선정 절차는 아래와 같다. ①신청‧접수 ▶ ②투자심사 ▶ ③창업팀 추천 (1.5배수 이내) ▶ ④사전검토 (투자계약, 신청자격 등) 창업팀→운영사 운영사 운영사→관리기관 전문/관리, 연계기관             ▼ ⑧추가연계 (해외마케팅 등) ◀ ⑦협약 ◀ ⑥심의조정위원회 ◀ ⑤서면/대면평가 관리/연계기관 (R&D) 창업팀-운영사-전문/관리기관 (창업사업화) 창업팀-관리/연계기관 전문기관 (R&D) 전문/관리기관(창업사업화)연계기관     * (관리기관) 한국엔젤투자협회, 창업진흥원 (전문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연계기관) 창업진흥원(창업사업화, 해외마케팅), 한국벤처투자(엔젤투자매칭펀드)     ◦ 선정된 창업팀은 운영사로부터 엔젤투자, 보육, 멘토링을 제공 받으며, 기술개발자금과 추가 연계지원을 통해 최대 10억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사업설명회를 통해 팁스 프로그램의 도입 취지인 시장의 역동성과 참여주체의 책임성을 확인할 수 있는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 팁스가 ‘글로벌 No.1 기술창업 육성 플랫폼’으로 도약하여 선순환적 창업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기를 기대해 본다”고 밝혔다.   □ 팁스 프로그램은 1월 19일 공고를 시작으로 현재 상시 접수 중이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 임 : 2017년 TIPS 사업설명회 개최 계획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98","atchfileNm":"(기정원보도자료)2017년TIPS프로그램사업설명회개최(20170210조간보도요청).hwp","viewCnt":"3533","regDate":"2017-02-10 13:32:57"},{"contentId":"50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창업초기 기업의 R&D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16","contentsKor":"                                    -------------------------------------------------------------------------                                                  기정원, 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창업초기 기업의 R&D 지원!                                - 2월 28일까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2차 신청․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창업초기 기업의 아이디어 발굴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 2차 신청·접수를 2월 28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번 2차 공고를 통해 15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하여 25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2차 신청·접수기간은 2017년 2월 13일(월)부터 2월 28일(화)까지이며,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창업 후 7년 이하인 기업이다.   ○ 특히 금번 2차 공고는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에 기반한 신산업 및 주력산업 40대 전략분야 중 창업기업에게 유망한 전략품목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 이는 창업기업의 다양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첨단신소재부품 및 에너지산업 등 40대 전략분야의 국가 신성장동력 분야를 확대시키고자 하는 취지이다.     ○ 창업과제 2차 선정기업은 최대 2억 원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수익창출이 가능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1년 동안 추진하게 된다.   ○ 아울러 ‘창업과제’는 공급자 중심의 지원정책이 아닌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16년도부터 ‘바우처 제도’를 적용하여 추진되며,   - 본 과제에 선정된 중소기업은 바우처를 활용하여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 추진절차도 >      신청․접수 (주관기관/온라인) 신청․접수 (주관기관/온라인) 신청․접수 (주관기관/온라인) 대면평가 (전문기관) 최종평가/ 사후관리 (전문기관) 과제관리/ 최종점검 (관리기관) 협약·자금지원 (주관/전문기관) 지원과제 선정 (심의조정위원회)   * (주관기관) 과제신청기업, (관리기관)지방중소기업청, (전문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77","atchfileNm":"기정원,성장잠재력이_우수한_창업초기기업의_RD지원(20170203조간보도요청).hwp","viewCnt":"3220","regDate":"2017-02-03 10:18:57"},{"contentId":"49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6대 최철안 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990","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6대 최철안 원장 취임                                                    - 취임 첫 외부행사로, 설명절맞이 전통시장 물품구매 및 아동복지시설 위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제6대 원장에 최철안(崔哲安) 전(前) 중소기업청 생산기술국장이 취임했다.   ◦ 최철안 신임 원장은 1월 25일(수) 대전 본원에서 취임식을 갖고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임기는 2020년 1월까지 3년이다.   □ 최철안 원장은 취임후 첫 외부행사로, 법동시장(대전시 대덕구)에서 온누리 상품권으로 설명절 필요물품을 구매하는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 이날 행사에는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직원 등 33여명이 참여하였으며, 설명절 직원들이 가정에서 사용할 물건과 설명절 위문물품을 구매하였다.   ◦ 기정원은 이날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설명절 위문품을 지역 소외계층인 장애인 보호시설인 “하늘품장애인단기보호시설”에 1월 25일 오후에 전달하고,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에는 1월 26일 전달할 예정이다.   ◦ 최철안 원장은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넉넉하고 풍요로운 설명절을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며,   - “앞으로도 지속적인 애정과 따뜻한 손길을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기부 및 봉사활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최철안 원장은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에 앞서 취임사를 통해,   ◦ “기정원이 단순한 R&D 지원기관이 아닌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키우는 R&D 전담기관으로 육성하여, 향후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기관이 되도록 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 또한, “기정원의 필수 기능인 평가관리체계도 보다 과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전문성 향상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직원들에게는 “대한민국의 경제와 고용의 중추인 중소기업이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되길 원하고, 어떤 결과가 이루어지길 바라는지 항상 염두에 두고 일할 것”을 주문했다.   □ 최철안 신임 원장은 부산대에서 기계공학, 기술사업정책학을 전공한 국가과학기술정책 분야 전문가이다.   ◦ 중소기업청에서 생산기술국장, 부산울산지방청장, 지식서비스과장 등의 경력을 보유하여 중소기업의 경영환경과 연구개발 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조직운영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 특히, 중소기업 R&D지원정책분야에서는 「중소기업 기술혁신 5개년 계획」, 「중소․중견기업 R&D정책 패러다임 전환」, 대기업 등과 약 7,500억원 규모의 R&D협력펀드 조성 등 실무 중심의 실효성 높은 R&D정책을 총괄한 경험을 갖고 있다.     붙임. 취임식 및 설명절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사진 1부.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49","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제6대_최철안원장_취임수정안(2017.01.26조간보도요청).hwp","viewCnt":"3232","regDate":"2017-01-25 14:29:54"},{"contentId":"49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인사동정) 기정원, 최철안 신임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988","contentsKor":"                                                        ------------------------------------------------------------------------------------------------                                                           (인사동정) 기정원, 최철안 신임원장 취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의 제6대 원장으로 최철안(崔哲安, 56세) 전 중소기업청 생산기술국장이 취임한다.   ◦ 최철안 신임 기정원장은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29조에 따라 임원추천위원회를 통해 선발된 복수의 후보자 중에 선임되었으며, 임기는 2017년 1월 25일부터 2020년 1월 24일까지(3년)이다.   * 최철안 신임 기정원장의 취임식은 2017년 1월 25일(수) 10시에 개최할 예정임   □ 최철안 기정원장은 제 27회 기술고시에 합격한 후, 중소기업청 경남지방청장(2009.02~2010.07), 미국 SBDC NEC SBDC 연구자(2010.07~2012.01), 중소기업청 지식서비스과장(2012.01~06), 중소기업청 부산울산지방청장(2012.06~2014.03), 중소기업청 생산기술국장(2014.03~2017.01)을 역임하였다.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38","atchfileNm":"(인사동정)기정원장_최철안_신임원장_취임(수정).hwp","viewCnt":"3190","regDate":"2017-01-25 14:19:25"},{"contentId":"49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다음달 9일까지 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951","contentsKor":"               ------------------------------------------------------------------------------------------------                                    기정원,‘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다음달 9일까지 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오는 2월 9일까지 ‘중소기업R&D기획지원사업(1차)’을 신청접수 받는다.   ◦ 이 사업은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신제품에 대해 기획단계에서 필요한 기술성․시장성․경제성 분석, 진단후 기술개발 및 사업화 전략 수립 등의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으로,   ◦ 올해는 총 2차에 걸쳐 46억원, 180개 과제 내외를 선정․지원할 계획이며, 1차에서는 23억원, 90개 과제 내외를 선정할 예정이다.   ◦ 선정된 기업은 기획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4개월간 R&D기획을 수행하며, 정부출연금은 최대 2,550만원(총 사업비의 75%)까지 지원된다.   □ 특히, 그동안 창업기업(창업과제)과 혁신형기업(벤처, 이노비즈기업)만 이사업에 신청할 수 있었지만, 금년에는 일반 중소기업(일반과제)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기획지원이 필요한 중소기업이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해졌으며,   < 과제별 연계 R&D사업 >   ’16년(2개사업, 2개내역) 창업과제   창업성장R&D (내역 1개) 혁신과제   기술혁신R&D (내역 1개)   ’17년(5개사업, 8개내역) 창업과제 창업성장R&D 전체 기술혁신R&D 전체 산학연협력R&D(내역 2개) 상용화R&D(내역 1개) 공정품질R&D(내내역 1개) 일반과제   ◦ 기획지원 후 우수한 과제는 중소기업청 R&D사업 신청(해당 사업별로 1회에 한함)시 서면평가를 면제하거나 가점 부여 등의 우대를 통해,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도모하도록 하였다.   ① 서면평가 면제 : 창업성장기술개발 및 기술혁신개발사업 전체,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일부(첫걸음, 도약협력), 상용화기술개발사업 일부(기술전문기업협력) ② 현장평가 가점 :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일부(제품개선)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담당자는 “R&D기획은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시 실패와 위험을 줄여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매우 중요한 만큼, 동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기술개발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자체 R&D기획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 기술개발수행 중소기업의 R&D 성공요인(’16.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보고서) : 관련 기술정보 확보, 충분한 사전탐색 및 기획(43.2%), 자체 기술개발 관리능력(18.7%), 기술개발 인적자원 (17.3%), 충분한 자금 지원(8.9%) 순   ◦ 과제 신청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기정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 사업 관련한 궁금한 사항은 국번없이 1357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별첨): 공고문 1부.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35","atchfileNm":"붙임_(공고문)2017년도_중소기업_RnD기획지원사업_1차_시행계획_재공고.hwp","viewCnt":"3031","regDate":"2017-01-24 18:38:54"},{"contentId":"4946","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1월 인터뷰)탄탄한 성장사다리 만드는 2017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4946","contentsKor":" ","viewCnt":"1185","regDate":"2017-01-20 17:11:27"},{"contentId":"49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립 15주년 맞아 중장기 발전방향 토론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947","contentsKor":"---------------------------------------------------------------------------------------------------------------------------------------------------------------                                          기정원 창립 15주년 맞아 중장기 발전방향 토론회 개최                                               - 중소기업R&D 전담기관 위상강화를 위한 전략과제 제시                                                   - 창립 15주년 기념식 대신 여수 수산시장 피해복구 성금 전달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창립 15주년을 맞아 ’중소기업R&D 전담기관으로서의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18일 직원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본 연구는 2016년 8월부터 약 5개월간 기정원과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이 공동으로 수행하였다.   ◦ 연구내용은 국가과학기술정책과 국내외 유사기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중소기업이 기정원에 바라는 역할 및 가치 등을 반영한 전략적 추진과제 발굴로 구성되었다.   □ 기정원이 추진할 주요과제로는 중소기업R&D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개발, 기술가치평가모델 도입 및 사업화연계, KOSBIR* 성과관리 플랫폼 구축, 설립근거법인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개정 등이 제시되었다.   * KOSBIR(Korea 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rch Program, 중소기업기술혁신지원제도) :연간 300억원 이상의 R&D예산을 운영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은 일정비율 이상을 중소기업에게 의무지원(미국 SBIR 제도를 벤치마킹하여 1998년 도입)   ◦ 특히, 빅데이터를 활용한 선정평가지표 변별력 및 평가위원 역량 측정, 현재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없었던 KOSBIR 성과정보 제공 등은 향후 기정원만의 차별성 확보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여러 부처에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R&D지원사업을 다양하게 수행한다. 지원성과 및 수요자 편의성 제고 측면에서 이제는 단일정책과 관리기준이 필요하며, 그 역할을 중소기업청과 기정원이 주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현재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어려운 여건을 감안하여 당초 계획했던 15주년 기념식을 직원 토론회로 간소화하고, 대구 서문시장에 이어 여수 수산시장 피해복구에도 성금을 지원함으로써 기념식 의미를 대신했다.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32","atchfileNm":"기정원창립15주년맞아중장기발전방향토론회개최(수령즉시보도요청).hwp","viewCnt":"2822","regDate":"2017-01-18 18:22:00"},{"contentId":"48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중기청보도자료) 중소중견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기청-kEB하나은행-기정원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885","contentsKor":"      ===============================================================  중소・중견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기청-KEB하나은행-기정원 업무협약" 체결  - 'R&D기업 사업화 자금 대출' 신설하여 3년간 6,000억원 공급 및 외국환 수수료 우대 등 금융지원 -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 KEB하나은행(은행장 함영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1월 11일 서울 하나은행에서 “중기청-하나은행-기정원”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본 협약을 통해 하나은행은 중기청의 연구개발(R&D)자금을 예치·운용하며 R&D사업화 과정 중 가장 큰 장애물인 ‘자금애로’를 해소하고, 컨설팅 등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게 된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중기청과 중기청 R&D전담기관인 기정원은 3년간 약 2조 7,000억원(‘17년 기준 9,158억원)의 연구개발(R&D)자금을 하나은행에 예치하고 하나은행은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② 하나은행은 예치금을 활용하여 R&D 성공기업(3년 이내)을 대상으로, 3년간 총 6,000억원(연간 2,000억원)의 ‘중소기업청 R&D기업 사업화 자금 대출’을 신설한다.   - 특히 이번 대출상품은 하나은행의 신용대출 평균금리보다 약 1~2%까지 낮은 금리로 운용되어 기업의 금융비용이 크게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 신용대출 : 1~6등급 평균금리 2.89%(기존 하나은행 4.88% 대비 1.99%p 인하)   ③ R&D 성공기업의 사업화지원을 위해 외국환 수수료를 감면하고, 외환컨설팅·환리스크 관리 등 3천만원 상당의 1:1 해외진출 맞춤컨설팅을 무료로 제공하는 등 우대지원한다. * 수입신용장 발행수수료 0.4%p 감면, 수출환어음 매입수수료 1%p 감면   - 또한,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화 및 수출증대를 위해 수출 중소·중견기업*도 동일하게 우대지원한다. * 한국형 히든챔피언 후보군, 글로벌 강소기업 참여기업, 차이나하이웨이 참여기업     □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R&D사업화와 글로벌 진출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적재적소에 자금을 공급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 “이번 협약은 재정 효율성 개선 및 성과 창출 등을 위한 민간은행과의 17년 첫 업무협약으로써,   ◦ 우리 중소·중견기업들의 R&D투자 → 사업화 → 수출로 이어지는 성장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며, 올해에도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468","atchfileNm":"중기청-하나은행-기정원_MOU_보도자료(17.1.12).hwp","viewCnt":"3071","regDate":"2017-01-12 14:19:14"},{"contentId":"4807","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기회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4807","contentsKor":" ","viewCnt":"1066","regDate":"2017-01-05 14:50:57"},{"contentId":"47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공공기관 창업지원 안내집」에서 창업 희망을 얻어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98","contentsKor":"==================================================================================                                                    「공공기관 창업지원 안내집」에서 창업 희망을 얻어요!                             -17개 공공기관의 창업지원 프로그램 정보를 담은 안내집 발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 17개 기관이 참여하는 ‘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는 지난해 12월 29일 각 기관별 창업지원 프로그램 정보를 담은 ‘공공기관 창업지원 안내집’을 발간했다.   ○ ‘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는 산업·R&D·관광·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공공기관이 참여했으며, 기관 간 협업을 통한 대국민 창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9월 결성됐다.   □ 이번 ‘공공기관 창업지원 안내집’은 신용보증기금의 ‘창업 액셀러레이팅’ 및 유망기술 정보를 담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기술로드맵 데이터 개방’ 등 각 기관의 대표적인 창업지원 프로그램 정보를 담고 있다.   ○ 뿐만 아니라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지원내용, 신청자격 및 선정기준 등 자세한 지원정보와 함께 창업지원 우수 사례까지 담음으로써,   ○ 다양한 분야의 창업을 희망하는 국민들에게 좋은 창업 길라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정부3.0 공공기관 창업지원 안내집은 ‘정부3.0 서비스 알리미’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협의회 간사기관인 기정원 관계자는 “앞으로 창업지원 협의회를 통하여 안내집 발간은 물론 창업 관련 설명회 공동 개최 및 공공데이터 연계 등 창업 지원에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붙임] ‘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 참여 기관 명단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기술보증기금, 산업단지공단, 신용보증기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한국관광공사,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상 총 17개 기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456","atchfileNm":"[참고]_정부3.0_공공기관_창업지원_안내집_제1호.pdf","viewCnt":"3121","regDate":"2017-01-04 15:32:37"},{"contentId":"4791","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특별인터뷰)2016년 기정원, 밝게 빛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4791","contentsKor":" ","viewCnt":"1153","regDate":"2016-12-29 16:18:57"},{"contentId":"47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중소기업기술개발 사업비 부정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90","contentsKor":"=============================================== 기정원,「중소기업기술개발 사업비 부정사례집」발간! - 기술개발의 첫걸음, 올바른 사업비 사용’부터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12월 30일(목),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사업비 부정사용 방지를 위한 부정사례집(원제 ‘기술개발의 첫걸음 정정당당 R&D')을 발간하였다.   □ 이번에 발간된 부정사례집은 그간 적발된 대표적인 부정사례 8가지와이에 대한 불이익 조치 및 올바른 사업비 사용방법을수록하였다.   ○ 특히, 사례집은 일반 중소기업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화형식으로 제작되어 정부지원자금의 부정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부정사례집은 신규로 지원받는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이미 기술개발을 수행 중인 중소기업에도 배포할 예정이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를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국민의 혈세로 지원되는 기술개발지원금이 보다 투명하게 집행되기 위해서는사전 예방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앞으로도 중소기업들이 정부지원금 부정사용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다양한 사전예방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423","atchfileNm":"기정원,「중소기업기술개발_사업비_부정사례집」_발간.hwp","viewCnt":"3140","regDate":"2016-12-29 15:57:12"},{"contentId":"47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청보도자료) 2017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통합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62","contentsKor":"=============================================== 2017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공고 - 중소기업청, 중소・중견기업 R&D에 9,517억 원 지원 - =========================================================       □ 2017년 중소・중견기업의 성장단계별 기술혁신 및 글로벌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9,517억 원의 기술개발(이하 R&D) 자금이 지원된다.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은 2017년도 중소・중견기업 R&D 지원사업의 내용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통합공고를 통해 주요 지원내용 및 일정 등을 발표하였다.   ◦ 이번 공고에서 안내하는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은 총 21개(내역사업 기준)이며, 예산규모는 9,517억 원으로 2016년의 9,429억 원 대비 0.9% 증가하였다.     □ 2017년 중소기업청 소관 기술개발 지원사업은 기존에 발표한 「중소・중견기업 R&D 정책 개편방안(‘16.3)」의 방향성을 유지한다.   ◦ 우선, R&D 사업 포트폴리오를 ‘기업성장 촉진’과 ‘산업생태계 활성화’의 양대 축으로 재편하였다.   ◦ 각 포트폴리오 내에서 성과 중심의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성장동력과 수출 분야에 중점을 두고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경쟁력 견고화, 시장 확대를 도모하였다.   ◦ 수시 R&D 지원, 평가 전문성 강화 등 기업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사업신청 횟수를 연 1~2회 신청에서 연 2~4회 또는 수시 신청으로 확대하고, 산업계 평가위원의 비율을 대폭 확대하였다.     □ 내년도 중소・중견기업 R&D 사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성과 중심의 기업지원 강화   - (글로벌 역량) 수출실적 유무보다는 글로벌화 가능성, 수입대체 효과 등을 고려하여 글로벌 역량을 보유한 기업을 우대   - (고용성과) 신규고용・고용유지 등 고용성과를 지속 창출하는 기업 및 R&D 성과를 근로자와 공유*하는 기업 우대   * 성과공유 제도 보유, 스톡옵션, 직무보상발명제도, 성과보상기금 가입 등   - (신성장동력) 주력산업의 고도화・신시장 창출 등 유망품목 범위 內 기업이 R&D 과제를 자유롭게 제안하는 ‘전략적 자유응모’ 사업 확대  * 2016년 혁신형기업, 시장창출형 사업 → 2017년 창업과제, TIPS 등 10개 사업   ② 사업계획서 간소화   - 사업계획서 작성 항목을 축소하고 작성 분량을 한정(5~10페이지)하되, 성장단계별 체계를 고려하여 차등화 운영   ③ 신청횟수 확대, 총량제 완화 등 제도개선   - 신청횟수를 연 1~2회 신청에서 연 2~4회 또는 수시 신청으로 전환하여 시장이 필요로 하는 시기에 R&D 지원   - 과제접수시기 확대에 따라 동일사업(내역 또는 내내역 기준)에 대한 연간 과제신청 횟수를 1회에서 2회로 확대   - 연간 동시수행 과제수를 2개로 제한하는 ‘총량제’ 적용 예외사업을 2개에서 6개로 증가시켜 R&D 역량강화 참여기회 확대   - 총량제가 적용되는 사업의 진행과제라도 종료기한이 6개월이내(기존 4개월 이내)인 과제는 총량제 계산시 제외     □ 중소기업청은 이번 통합공고를 시작으로 내역사업별 공고를 통해 지원대상, 지원내용, 지원조건 등을 상세히 발표할 예정이며,   ◦ 2017년 1월부터 미래창조과학부 주관의 관계부처 합동설명회 및 지방중소기업청을 통한 지역순회 설명회, 온라인 설명회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 통합공고 및 후속 세부사업 공고 등의 내용은 중소기업청 홈페이지(www.smba.go.kr), 기업마당(www.bizinfo.go.kr),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에도 문의가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405","atchfileNm":"2017년도중소중견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통합공고.hwp","viewCnt":"3527","regDate":"2016-12-12 21:56:50"},{"contentId":"47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융복합기술개발사업’25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57","contentsKor":"======================================================================                                                     기정원,‘융복합기술개발사업’250억원 지원                                     - 12월 13일(화), 184개 기관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 개최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12월13일(화) 오후 2시 호텔 ICC(대전)에서 2016년도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이하 융복합’) 184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구성한 개방형 R&D 협력체(산·연, 산·학, 산·산)의 융합R&D를 통하여 창의적 신기술·신제품 창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금번 협약대상인, ‘현장기획과제’는 전국 118개 ‘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를 통해 발굴·기획된 융합기술분야 과제를 대상으로 92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여 250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6억원 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본 설명회에서는 융복합 선정 184개(주관기관, 공동개발기관)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약절차, 규정 등 과제 진행과 관련된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자주 발생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과 관련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의 신기술, 신제품 창출을 활성화하고, 사업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끝)         별 첨 : 2016년 융복합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400","atchfileNm":"기정원_융복합기술개발사업_250억원_지원(2016.12.13조간보도요청).hwp","viewCnt":"2793","regDate":"2016-12-12 14:18:41"},{"contentId":"47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청렴도 ‘우수’ 기관으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55","contentsKor":"=========================================================================================                                                                          기정원 청렴도 ‘우수’ 기관으로 선정                                               -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전사적인 노력으로 2년 연속 우수등급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실시한 ‘2016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2등급(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고 12월 7일(수) 밝혔다.   ○ 기정원은 올해 종합청렴도 8.46점으로 공직유관기관 평균 8.17점 보다 0.29점 높은 점수를 받으면서 2등급(우수)을 달성하였다.   □ 그동안 기정원은 부패행위 처벌규정 강화, 익명신고센터 마련, 전직원 청렴서약, 선물 안주고 안받기 운동, 중소기업 대상 청렴문화 확산 설명회 개최 등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꾸준히 추진해왔다.   ○ 그 결과, 2014년은 3등급(보통), 2015년 2등급(우수), 2016년 2등급(우수)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우수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 양봉환 원장은 “오늘의 성과는 깨끗한 기정원을 만들기 위해 임직원 모두가 마음을 하나로 모아 적극적으로 노력한 결과이다.”라며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으로서 청렴문화 정착 및 확산에 앞장 설 것”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98","atchfileNm":"기정원,_청렴도_‘우수’_기관으로_선정(배포즉시보도요청).hwp","viewCnt":"2793","regDate":"2016-12-09 15:48:53"},{"contentId":"47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안내 및 수행관리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56","contentsKor":"===========================================================================                            기정원,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안내 및 수행관리 설명회 개최                                    - 12월 9일(금), 상용화 및 융복합기술개발사업 수행기업 대상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2월 9일(금) 오후 12시 30분 서울 역삼동 GS타워 아모리스홀에서 상용화 및 융복합기술개발사업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안내 및 수행관리 설명회」를 개최한다.   □ 설명회 대상 사업은 중소기업 R&D “상용화기술개발사업” 및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이며,   ◦ ‘16년 이전에 협약하여 과제 수행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 기업 관계자라면 누구나 사전신청 후 설명회에 참석할 수 있다.   □ 본 설명회는 R&D수행 중소기업들이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최종평가 준비사항 및 차년도 R&D 사업 등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할 계획이다.   ◦ 설명회 참석 기업들에게는 사업관련 규정 및 사업비 집행방법, 협약변경 시 발생하는 문의사항 등에 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 특히, 과제 최종평가를 앞둔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최종 보고서 작성요령 및 최종평가 일정, 최종점검 시 기업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한 설명도 있을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기업들이 기술개발과제를 진행하면서 생기게 되는 어려움이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없어 애로사항을 토로해 왔는데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안내 및 수행관리 설명회」가 기업들의 원활한 기술개발 수행을 위한 정보교류 및 궁금증 해소의 장이 되길 바란다”며,   □ “향후에도 R&D사업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설명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중소기업들이 R&D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안내 및 수행관리 설명회 개최개요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99","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_사업안내_및_수행관리_설명회_개최(20161209조간보도요청).hwp","viewCnt":"2808","regDate":"2016-12-09 14:13:13"},{"contentId":"475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우리나라 LED 조명 산업, 긴 호흡이 필요하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4754","contentsKor":" ","viewCnt":"1268","regDate":"2016-12-09 11:16:42"},{"contentId":"47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정부3.0으로 중소기업 맞춤 서비스 추진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46","contentsKor":"=========================================================================================                                            기정원, 정부3.0으로 중소기업 맞춤 서비스 추진한다                                                  - 전 직원을 대상으로 맞춤 서비스 분야 전문가 초청 교육 실시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지난 11월 30일, 대전 본원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정부3.0 교육을 실시했다.   ○ 이번 교육은 직원들이 정부3.0의 의미와 가치를 습득하고, 이를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 서비스 구축으로 연계시키기 위해서 마련됐다.   □ 이날 교육은 행정자치부 정부3.0 전문강사단 겸 맞춤서비스 분야 전문강사인 박진섭 대전대학교 교수를 초빙하여 △정부3.0의 의미와 비전 △맞춤서비스의 목표 △주요 우수사례 공유 등의 내용으로 진행됐다.   ○ 박 교수는 강연에서 중소기업 중심의 R&D 지원 맞춤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요자의 참여를 확대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제적이고 능동적인 서비스를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 기정원은 정부3.0 맞춤 서비스의 일환으로, R&D 과제에 지원하는 중소기업이 사업규모 및 목적에 따라서 맞춤 평가방식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가령 단기·소형과제의 경우 평가방식을 간소화하고, 유망기술개발이 목적인 과제는 사업성을 심층적으로 평가하는 등 신속하고 공정한 평가를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의 요구에 부응하였으며,   ○ 연초에 집중되었던 R&D 과제 모집을 상시 접수 방식으로 확대함으로써 R&D 수요가 많은 중소기업들의 큰 만족을 얻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85","atchfileNm":"기정원,_정부3.0으로_중소기업_맞춤_서비스_추진한다(배포즉시보도요청).hwp","viewCnt":"2724","regDate":"2016-12-02 14:14:16"},{"contentId":"47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조선기자재 중심의 전략형 연구마을 31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45","contentsKor":"=========================================================================================   조선기자재 중심의 전략형 연구마을 31억원 지원!                                                    - 2016년 조선기자재 전용 연구마을 31개 과제 지원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조선기자재 관련 기술분야의 R&D 지원을 위해 조선기자재 중심의 전략형 연구마을 3개를 선정하고 31개 관련 과제에 31억원을 지원한다고 12월 2일 발표했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연구마을 과제는 지역별로 거점형 기관(대학·출연연 등)을 선정하여 각 기관이 중소기업 R&D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사업으로,   - 조선기자재 중심의 전략형 연구마을은 올해, 조선업 침체에 따른 국가주력산업의 위기상황 극복에 도움을 주고자 관련 기술분야 과제를 집중지원하기 위해 추진되었으며,   - 조선기자재 관련 중소기업이 밀집된 지역에 위치한 조선기자재 중심의 전략형 연구마을 3개 기관* 23개 중소기업과제와 기존 연구마을을 운영하고 있는 4개 기관 8개 과제를 포함하여 총 31개의 중소기업 과제를 선정하고 지원하기로 하였다.   * 조선기자재 전략형 연구마을 선정기관 : 부산대, 경성대,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기정원은 금번 선정된 31개 조선기자재 전용 연구마을 지원과제가 투명한 R&D 자금 집행과 함께 원활히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조선기자재 연구마을 지원이 조선업 침체를 극복하고 세계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강소형 중소기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 고 말했다.   ◦ 더불어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자금을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이 원활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며, 나아가 중소기업을 위한 산학연협력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84","atchfileNm":"기정원_조선기자재_중심의_전략형_연구마을_31억원_지원(20161202보도요청).hwp","viewCnt":"2993","regDate":"2016-12-01 17:06:01"},{"contentId":"46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공공기관간 정부3.0 협업으로 창업지원 활성화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98","contentsKor":"========================================================= 공공기관간 정부3.0 협업으로 창업지원 활성화 나선다 -17개 공공기관이 참여하는‘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결성-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술보증기금·한국정보화진흥원 등 17개 공공기관은 협업을 통한 대국민 창업지원 활성화를 위하여 지난 9월, ‘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를 조직하였다.   ○ ‘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는 산업·R&D·관광·금융 등 창업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17개 공공기관이 참여했으며,   ○ 각 기관이 추진 중인 창업지원 프로그램·데이터를 공유·개방함으로써 대국민 창업지원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성됐다.     □ 협의회 활동의 일환으로 지난 11월 18일에는 기정원을 비롯한 8개 기관이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운영하는 ‘청년 창업샘터’를 직접 방문하고, 이를 각 기관에 적용할 수 있도록 벤치마킹하는 시간을 가졌다.   ○ 이날 벤치마킹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비롯해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8개 기관이 참여하였으며,   ○ ‘청년 창업샘터’는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청년 소셜벤처기업에게 업무공간을 제공하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의 대표적인 창업지원 사업이다.     □ 이어진 협의회 정기회의에서는 창업을 희망하는 국민들에게 길라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각 기관의 창업지원 사업 정보를 담은 안내집을 발간하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 또한, 창업 지원 설명회와 경진대회를 공동으로 개최하고 창업관련 공공데이터를 연계하는 등 기관 간 협업 활동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 협의회 간사기관인 기정원 관계자는 “앞으로 공공기관간 협업을 통하여 창업을 희망하는 국민들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창업지원 활동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65","atchfileNm":"공공기관간_정부3.0_협업으로_창업지원_활성화_나선다(16.11.24_조간보도요청).hwp","viewCnt":"3181","regDate":"2016-11-23 16:17:08"},{"contentId":"46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혁신, 창조경제의 성공 패러다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97","contentsKor":"================================================ 중소기업 기술혁신, 창조경제의 성공 패러다임 - 11월 22(화),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 세미나” 개최 - ================================================   □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중소기업학회 공동주관으로 엘타워 그랜드홀에서 11월 22일(화) 오후 2시30분부터   ◦ “중소기업 R&D 혁신을 통한 창조경제 구현”이라는 주제로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 세미나를 개최한다.     □ 이번 행사는 정책연구회 운영을 통해 도출된 중소기업 R&D 전략적 지원을 위한 포지셔닝 분석, 사업성 심층평가 연구 등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 중소기업 및 대학 등 기술혁신 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올바른 지원정책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번 정책세미나 행사는 김기찬 교수(카톨릭대학교)의 ‘중소기업 지속성장을 위한 기업가정신 3.0’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 △김선하 이사(크리액티브)의 ‘중소기업 R&D 전략적 지원을 위한 포지셔닝 분석’의 발표 이후, △경종수 교수(선문대학교)의 ‘전략기술분야 R&D투자 우선순위 분석’, △성웅현 교수(선문대학교)의 ‘사업성 심층평가제도 방안’ 순으로 진행된다.     □ 양봉환 원장(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원천이 확대되어 ‘중소기업 기술혁신이 창조경제의 성공 패러다임’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 “이를 위해 중소기업학회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중소기업 기술혁신 기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64","atchfileNm":"중소기업기술혁신_창조경제의성공패러다임_중소기업기술혁신정책세미나개최(배포즉시보도요청).hwp","viewCnt":"2764","regDate":"2016-11-22 16:03:14"},{"contentId":"46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노사가 함께하는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96","contentsKor":"============================================================== 기정원, 노․사가 함께하는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 추진! - 11월 18(금), 대전시 동구 일대 저소득층 대상 연탄나눔 봉사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11월 18일(금) 오후에 대전시 동구 일대에서 “노․사가 함께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을 전개하였다.     □ 이번 봉사활동에는 기정원 임직원 16명이 참여하였으며, 대전시 동구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10개 가구에 3,000장의 연탄을 지원하는 봉사활동으로 추진되었다.   ◦ 대상가구는 대전시 동구노인종합복지관의 연탄나눔운동의 추천을 받아 선정하였으며, 가구당 300장씩 연탄을 지원하였다.   ◦ 연탄나눔 기금 재원은 임직원의 성금 및 기정원 방문고객 성금 등을 통해 마련되었다.     □ 이번 연탄나눔 봉사활동은 기정원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나눔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연탄나눔이 지역사회 저소득계층의 따뜻한 겨울나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며, “특히 기정원은 2015년 이래 노사가 함께 연탄나눔 봉사활동을 추진하며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무이행을 다짐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더 크다”고 밝혔다.   ◦ 또한 “기정원은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추진하여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사회 만들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13년 대전 이전 이래 지역사회 소외계층과 함께하기 위해 아동보육시설, 장애인지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및 외국인지원시설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 기정원은 지난해에 이어 연말까지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과 함께하는 기부활동 추진”과 “신생아살리기모자뜨기 캠페인 참여”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63","atchfileNm":"기정원-노사가함께하는사랑의연탄나눔봉사활동추진(20161121조간보도요청).hwp","viewCnt":"2653","regDate":"2016-11-18 15:54:07"},{"contentId":"46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찾아가는 R&D컨설팅으로 사업성공률을 높인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5","contentsKor":"    ====================================================================== 기정원, "찾아가는 R&D컨설팅"으로 사업성공률 높인다! - 11월 23일(수)까지 11개 지역에서 R&D 중소기업 맞춤형 1:1 컨설팅 진행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1월 9일(수), 서울을 시작으로 23일(수)까지 전국 11개 지역에서 각 지방중소기업청과 함께 「2016 찾아가는 R&D컨설팅」을 실시하고 있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들이 R&D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보고서 작성요령 및 최종평가 시 준비사항 등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시키고자 ‘15년도부터 「찾아가는 R&D컨설팅」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이번 컨설팅은 ‘기업맞춤형 1:1방식’으로, R&D수행 중소기업과 기정원 평가담당간사들이 기업의 사전 문의사항에 30분씩 질의·응답을 갖는다.  ☞ 컨설팅 대상사업 : 기술혁신개발사업 및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 특히, 컨설팅에 참여한 중소기업들은 ‘R&D과제 추진단계별’로 생기는 어려운 점을 상담을 통해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과제를 수행 중인 기업은 사업관련 규정 및 사업비 집행방법, 협약변경 시 발생하는 문의사항 등에 관한 맞춤상담이 진행되며,   ◦ 과제 최종평가를 앞둔 기업에게는 최종 보고서 작성요령 및 최종평가 일정, 최종점검 시 업체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한 설명이 제공된다.   ◦ 또한, ‘16년도 과제신청 후 탈락한 기업을 대상으로는 제출한 사업계획서 및 발표자료 등의 보완사항 및 대면평가 발표 방법 등을 집중적으로 안내한다.     □ 9일 서울에서 진행된 컨설팅에 참여한 ㈜디오시스엠엔엠의 실무담당자는 “올해 R&D사업에 지원했지만 대면평가 단계에서 아쉽게 떨어졌다”며, “1:1상담을 통해 대면평가 요령을 얻을 수 있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전했다.     □ 10일 경기에서 진행된 컨설팅에 참여한 에드론(Adrone)의 대표는 “R&D사업 수행이 처음이다 보니 어려움이 많았다”며, “이번 컨설팅에서 목표달성도 및 평가지표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어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전했다.     □ 「2016 찾아가는 R&D컨설팅」은 서울·경기를 제외한 9개 지역의 경우 해당지역 순회 컨설팅 전날까지 추가 신청*하면 참석 가능하다.  *추가 신청 및 관련 내용은 사업담당자에게 이메일로 문의 jhw2342@tipa.or.kr(기술혁신), hank@tipa.or.kr(창업성장)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21","atchfileNm":"기정원_찾아가는RnD컨설팅으로사업성공률높인다(2016.11.14조간부터보도요청).hwp","viewCnt":"3056","regDate":"2016-11-11 19:58:56"},{"contentId":"46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 방산업체의 기술보호를 위한 시스템 구축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4","contentsKor":"    =========================================================  중소 방산업체의 기술보호를 위해 시스템구축 지원!  - 11월 10일(목), 기정원 방사청간 중소 방위산업기술 보호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방위사업청(청장 장명진, 이하 “방사청”)과 11월 10일 오후 15시 기정원에서 ‘방위산업 기술보호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   ◦ 금번 업무협약은 방산관련 중소기업의 기술보호를 위해,   - 기정원의 중소기업 기술유출방지시스템 구축 지원의 노하우를 방사청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추진할 예정임   * 기정원 2005년부터 중소기업기술 보호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256개(2016년 10월 기준) 업체의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였음     □ 기정원과 방사청은 이번 협약을 통해   ◦ 방위산업 기술유출방지시스템 구축 사업의 지원업체 선정을 위한 전문가 지원, 평가 관리 등 선정에 대한 노하우를 지원하며,   ◦ IT지원기관 및 원가계산․감리기관 지원을 통해, 원활한 시스템 구축·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임     □ 금번 협약은 방산관련 중소기업의 기술보호체계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방산관련 중소기업의 기술보호 역량이 강화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희망”하며,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중소 방산업체의 기술보호 체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힘   ◦ 신양재 방산기술 통제관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보호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을 위하여 지속적인 논의가 시작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희망”하며, 방사청은 ”중소기업 지원사업 추진시 방산 관련 기업의 참여 확대를 위해 중소기업청․기정원과 지속적으로 협력체계를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힘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18","atchfileNm":"(2016.11.10)중소방산업체의기술보호를위한시스템구축지원(배포즉시보도요청).hwp","viewCnt":"2754","regDate":"2016-11-11 19:44:12"},{"contentId":"46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기청 주관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장려상 수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3","contentsKor":"============================================================= 기정원, 중기청 주관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장려상 수상 - 중소기업 맞춤형 정보화 지원을 통한 고객 편의성 증대를 인정받아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지난 11월 3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중소기업청 주관 ‘2016년도 정부3.0 및 정상화과제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클라우드 기반 맞춤형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 성과를 인정받아 정부3.0 부문 장려상을 수상했다.   ○ 이번 대회는 중소기업청 및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서면심사를 거쳐 본선에 오른 8개의 우수사례에 대해 외부전문가 등 현장평가단 100여명의 평가를 거쳐 순위를 결정했다.     □ “클라우드 기반 맞춤형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인터넷 접속만으로 중소기업이 필요한 업종별 정보화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 서비스를 의미한다.   ○ 기존의 예산·인력의 한계로 소수만 가능했던 서비스 수혜 중소기업 수를 클라우드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14,752개 중소기업(’16년 10월말 기준)으로 크게 확대 했으며,   ○ 특히 28개의 업종별 정보시스템을 맞춤 서비스하여 중소기업이 별도의 비용 부담 없이 업무생산성을 크게 증가시킨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수상은 어떻게 하면 고객이 더욱 만족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지 고민한 결과물”이라면서 “앞으로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부3.0 성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17","atchfileNm":"(2016.11.10)기정원_중기청주관정부3.0_우수사례경진대회장려상수상(16.11.10조간보도요청).hwp","viewCnt":"2644","regDate":"2016-11-10 19:38:29"},{"contentId":"46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융복합 신개발 의료기기 신속제품화 지원 범부처 공동워크숍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2","contentsKor":"=========================================================================== 기정원, 융․복합 신개발 의료기기 신속제품화 지원 범부처 공동워크숍 개최 - 11월 10일(목), 의료기기 제품화 사례 및 R&D지원방향 설명 6개 기관 공동으로 추진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11월 10일(목) 오후 2시 한국기술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융․복합 신개발 의료기기 신속제품화 지원 범부처 공동워크숍’(이하 범부처 공동워크숍)이 개최한다고 밝혔다.     □ 범부처 공동 워크숍은 융복합 신개발의료기기가 시장에서 신속하게 제품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R&D정책 및 정부3.0에 발맞추어 전방위 협조체계를 구축하고자,   ○ 각 부처(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술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공동으로 준비하였다.     □ Session 1에서는 ‘체외진단 의료기기 제품의 개발 및 제품화’ 발표를 시작으로 특허전문가의 ‘중소기업 IP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특강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의료기기 개발 및 IP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 Session 2에서는 각 기관 별로 부처별 2017년 R&D 지원방향 및 지원사업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으로 진행되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보건복지부 R&D 지원방향 및 지원사업을 발표하고,   ○ 이후에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산업통상자원부 R&D 지원방향 및 지원사업 발표를, 한국연구재단에서 미래창조과학부 R&D 지원방향 및 지원사업 발표를,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중소기업청 R&D 지원방향 및 지원사업 발표를 통해 각 부처의 의료기기 기술개발의 지원방향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 Session 3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3D 프린팅 의료기기의 허가심사 방안’에 대해서 마지막으로는 의료기기정보기술센터에서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의 전주기 지원 사업에 대해 소개를 통해 3D 프린팅으로 변화되는 의료기기분야 대응방안 및 의료기기 업체들을 지원사업들을 알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16","atchfileNm":"기정원_융복합_의료기기_신속제품화지원_범부처_공동워크샵개최(2016.11.10조간보도요청).hwp","viewCnt":"2654","regDate":"2016-11-10 19:29:34"},{"contentId":"46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6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6","contentsKor":"====================================================================== 기정원, '2016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 10/25(화) ~ 11/19(금), R&D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 실시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평가 역량 강화를 위해 “2016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10월25일(화)부터 ~ 11월 19일(토)까지 운영하고 있다.   ◦ 기정원은 올해로 7번째* 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평가위원들의 폭넓은 참여를 위해 지난해보다 세분화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기정원은 2012년 이래 평가위원 교육을 추진하였으며, 2015년부터 단계별 과정으로 확대․개편하여 추진하고 있음   ◦ 2016년 평가위원 역량강화 교육은 총 4단계의 교육과정이며, 각 과정별로 2~3차에 나누어 총 600여명을 교육한다.    * 교육신청․접수, 운영은 중소기업연수원과의 협업을 통해 진행     □ 본 교육과정은 신규평가위원을 위한 기본 강의에서부터 사업성 심층평가 전문가과정까지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금년에는 사업성심층평가 과정을 세분화하여,   ◦ 사업성 심층평가위원 과정은 사업성평가 전문성을 보유한 평가위원을 양성을 위해 사업성 심층평가 제도 및 사례, 기술가치 및 기업가치 평가방법 등을 교육하고 중소기업 R&D지원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분임토의(3개 분과)를 운영하고 있다.   ◦ 사업성 심층평가전문가 과정은 투자전문성을 보유한 R&D 평가위원 양성에 목적이 있으며, 중소기업 R&D 정책, 평가윤리, 사업성 심층평가 제도 등을 교육한다.   ◦ ‘사업성 심층평가위원 과정’에 참여한 이장성((주)루트파트너스 대표) 위원은 “사업성 심층평가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며, “본 교육을 통해 사업성 심층평가의 절차 및 평가 노하우를 배울 수 있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고 전했다.     □ 전년도와 동일한 과정으로,   ◦ 신규위원 과정은 신규위원의 평가 실무능력 함양을 통한 평가품질 제고에 목적이 있으며, 중소기업 R&D 정책에 대한 이해, 평가윤리, 평가위원의 역할 및 평가의견서 작성 방법 등을 교육한다.   ◦ 평가위원장 과정은 평가제도 및 평가운영 전반에 대한 이해를 보유한 우수위원 확보에 목적이 있으며, 평가윤리, 평가위원장 역할 및 문제과제처리 등을 교육하고 중소기업 R&D지원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분임토의(3개 분과)를 운영하고 있다.     □ 기정원은 이번 교육과정을 이수한 평가위원을 ‘16년 하반기부터 선정평가위원 및 사업성 평가위원으로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평가위원 역량강화 교육이 평가위원의 사업성평가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개발 성공과 사업화 성공간 간극을 해소하는 등 R&D투자의 효율성 제고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평가위원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22","atchfileNm":"기정원_2016년평가위원등급별맞춤형교육과정운영(2016.11.09조간홍보요청_수정).hwp","viewCnt":"3083","regDate":"2016-11-09 21:12:10"},{"contentId":"46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하반기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366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41","contentsKor":"  ============================================================  기정원, 하반기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366억원 지원!  - 첫걸음, 기업부설 및 도약 과제(2차) 441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2016년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첫걸음, 기업부설 및 도약과제(2차) 총 441개 과제를 선정하고 366억원을 지원한다고 11월 8일(화) 밝혔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 ‘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 협력 R&D를 지원해온 사업으로,   ◦ 정부 R&D에 처음 참여하는 중소기업 등 대학․연구기관과의 공동 R&D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최대 1년간 총 사업비의 75%(1억원 한도)를 지원하고 있다.     □ 이번 하반기 지원사업은 “2016년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공고”에 따라 총 3회 걸친 과제 신청·접수 중 2차 신청 1,374개 과제로, 선정평가 과정을 거쳐 총 441개 366억원을 지원한다.     □ 특히, 이번 지원과제는 주관기관을 기존 대학·연구기관에서 중소기업으로 변경하여 중소기업이 원하는 실용기술 개발이 촉진하고자 `16년 하반기 시행계획 변경공고(`16.6월)한 내용을 적용한 과제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인적·물적인프라를 활용한 공동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 기술인정보시스템 : http://techin.sanhak.net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80","atchfileNm":"기정원_하반기산학연협력기술개발366억원지원결정(20161108조간보도요청).hwp","viewCnt":"3269","regDate":"2016-11-07 12:58:00"},{"contentId":"46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어려운 시기에 기술혁신기업에 R&D자금 단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39","contentsKor":" ========================================================= 어려운 시기에 기술혁신기업에 R&D자금 단비! - 11월 7일(월), 기정원 하반기 R&D자금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1월 7일(월) ‘2016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 하반기 혁신형기업과제’와 ‘2016년도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협약설명회 : KT인재개발원(대전 서구), 오후 1시 30분 개최     □ 이번 설명회는 2016년도 하반기 혁신형기업과제와 수출유망과제에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이 대상이며,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명할 예정이다.   □ 설명회에서는 특히 자주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이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으며,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을 사례별로 공유하고 R&D 청렴문화 및 윤리경영을 교육할 예정이다.     □ 기술혁신개발사업의 하반기 혁신형기업과제 선정기업은 최대 5억원(연 2.5억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빅데이터, IoT(사물인터넷) 등 미래 성장 유망 전략분야의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7월 18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과제를 현장평가, 대면평가 등을 통해 58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2년 간 243억 원을 지원하게 된다.     □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의 하반기 수출유망과제 선정기업은 최대 6억원(연 3억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수출유망 전략분야의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되는데,   ◦ 수출유망과제는 지난 7월 14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과제를 현장조사,사업성심층평가, 대면평가 등을 통해 13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2년 간 59억 원을 지원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들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미래 성장유망 분야에 대한 선도적인 기술개발을 도모하고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78","atchfileNm":"어려운시기에_기술혁신기업에_RD자금_단비(20161107조간보도요청).hwp","viewCnt":"2462","regDate":"2016-11-07 08:27:34"},{"contentId":"46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 기업에게 맞춤교육과 1:1상담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1","contentsKor":"============================================================= 기정원, R&D기업에게 맞춤교육과 1:1상담 실시! - 11월 8일(화), 중기 R&D수행기업 대상 하반기 교육 대전에서 실시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1월 8일(화) 대전 동구에 위치한 선샤인호텔에서 ‘2016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과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R&D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 ‘R&D 맞춤형 교육’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을 진행 중인 기업들의 성공적인 R&D수행과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마련되었으며, 지난 6월 상반기 교육에 이어 하반기 협약과제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교육이다.     □ 이번 교육에서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지침, SMTECH 사용방법, 연구노트 작성법, 과제진행절차 등 사업 수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명할 예정이다.   ◦ 특히, 중소기업이 사업수행에 있어 가장 어려움을 겪는 ‘사업비 정산 및 집행’과 관련하여 전문회계사를 통한 교육시간을 마련하였다.     □ 또한 중소기업 R&D과제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멘토링 기관과 기업의 1:1상담 부스를 마련하여 진행하는 한편,   ◦ 기정원 담당자와 기업별 맞춤형 상담시간도 마련하여, R&D수행 과정에서 발생했던 어려움을 질의응답을 통해 해소하도록 하였다.     □ 이번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11월 4일(금)까지 접수 가능하며, 사전신청을 하지 못한 기업의 경우 현장신청*도 가능하다.   * 현장신청은 상황에 따라 업체별 접수 인원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선착순 마감될 수 있음.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중소기업은 과제수행 중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사업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사전신청 및 교육관련 내용은 이메일로 문의 say09321@tipa.or.kr(기술혁신), rnd19@tipa.or.kr(창업성장)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15","atchfileNm":"(20161104보도요청)기정원,RD기업에게_맞춤교육과_상담_실시(수정본).hwp","viewCnt":"2514","regDate":"2016-11-04 19:15:43"},{"contentId":"46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기업 R&D 촉진을 위한 381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38","contentsKor":"========================================================= 기정원, 창업 기업 R&D 촉진을 위해 381억원 지원! - 11월 4일(금)/7일(월), 248개 창업과제 2차 선정기업 대상 협약설명회 개최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2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한 협약설명회를 11월 4일(금)과, 7일(월)에 서울과 대전에서 각각 개최한다고 밝혔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성장 잠재력이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에게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지난 6월 1차로 251개 379억을 지원한데 이어, 금번 2차에는 1,623개 신청기업을 대상으로 서면, 현장, 대면평가 등을 통해 248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381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된 중소기업은 평가결과에 따라 최대 2억원까지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사업화 수익창출을 위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사업 기간 동안(최대1년) 추진하게 된다.    ◦ 아울러 금번 협약설명회는 선정된 중소기업의 지역별 분포를 고려한 접근편의성을 위해 서울(상암동 누리꿈스퀘어)과 대전(괴정동 KT인재개발원)에서 각각 개최할 예정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 관련자를 대상으로, 협약체결 및 사업 추진에 필요한 전반적인 사항을 안내한다.    ◦ 전자협약 체결과 연구노트 작성 및 사업비 사용방법, 협약변경신청 방법, 최종평가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R&D 청렴문화 확산 및 윤리경영 교육 등을 실시한다.    ◦ 또한, 기술개발의 효율성과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해 금년 도입된 ‘바우처 제도’의 주요내용 및 개선사항도 설명한다.      ※ R&D 바우처 제도란?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있어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인력, 시설․장비 등을 활용하여 신제품, 공정,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기업에게 제공하는 소규모 신용한도(쿠폰)를 의미함.     □ 한편, 이번 2차 지원을 끝으로 금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지원은 마감되었으며, 향후 동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오는 12월 공고 예정인 2017년도 지원계획을 참조하면 된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이번 협약설명회가 창업 초기기업의 원활한 기술개발수행을 위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길 바란다”며,   ◦ “기정원은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성장 촉진 및 기술창업활성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77","atchfileNm":"기정원_창업기업_RnD촉진을_위해_381억원지원(20161104보도요청).hwp","viewCnt":"2696","regDate":"2016-11-04 18:54:19"},{"contentId":"46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기정원, 이공계전문가가 중소․중견기업 생산현장의 기술애로를 해결할 수 있도록 12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32","contentsKor":"=========================================================================    기정원, 이공계전문가가 중소․중견기업 생산현장의 기술애로를 해결할 수 있도록 12억원 지원! -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 해결과제(3차), 70개 기업 지원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해결과제(3차) 총 70개 과제를 선정하고 12억원을 지원한다고 11월 3일(목) 밝혔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이 생산현장에서 직면하는 기술애로를 단기에 해결할 수 있도록 최적의 기술파트너(이공계전문가)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기점으로 총 3회차에 걸쳐 해결과제 신청·접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지난 8월 초에 신청·접수된 181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70개 12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개발 중심으로 발생하는 생산공정 또는 제품성능 개선, 제품표준화 또는 시제품의 제품화 추진 시 발생하는 기술애로 개선, 융·복합 기술애로 해결 및 기타 기술애로 해결 등이다.     □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필요한 지원을 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인프라를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 기술인정보시스템 : http://techin.sanhak.net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67","atchfileNm":"기정원_이공계전문가RnD사업해결과제_12억원_지원(2016.11.03조간보도요청).hwp","viewCnt":"3770","regDate":"2016-11-02 14:30:26"},{"contentId":"45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수행기업 대상으로 지역별 현장 컨설팅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587","contentsKor":"기정원, R&D수행기업 대상으로 지역별 현장 컨설팅 개최! - 11월 9일(수)부터 23일(수)까지 각 지방중소기업청과 함께 업체별 1:1컨설팅 진행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1월 9일(수)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 11개 지역에서 각 지방중소기업청과 함께 「2016 찾아가는 R&D컨설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R&D수행 중소기업들이 기술개발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보고서 작성요령 및 최종평가 시 준비사항 등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15년도부터 「찾아가는 R&D컨설팅」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컨설팅 대상 사업은 중소기업 R&D “기술혁신개발사업” 및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이며,      ◦ ‘16년 신규 선정된 기업과 과제 수행 중인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 업체 관계자라면 누구나 사전신청 후 컨설팅에 참석할 수 있다.      □ 본 컨설팅은 “기업맞춤형 1:1”방식으로, R&D수행 중소기업과 기정원 평가담당간사들이 업체의 사전 문의사항을 기반해서 30분씩 질의·응답을 갖는 자리이다.      ◦ 컨설팅 참여기업들에게는 사업관련 규정 및 사업비 집행방법, 협약변경 시 발생하는 문의사항 등에 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 특히, 과제 최종평가를 앞둔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최종 보고서 작성요령 및 최종평가 일정, 최종점검 시 업체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한 설명도 있을 예정이다.      □ 「2016 찾아가는 R&D컨설팅」은 10월 28일(금)까지 사전 신청접수를 받으며, 서울지역을 제외한 10개 지역의 경우 해당지역 순회 컨설팅 전날까지 추가 신청*하면 참석 가능하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2016 찾아가는 R&D컨설팅」에 참석한 업체들이 과제 수행 중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소함으로써 과제성공률 및 성과를 향상시키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며,      ◦ “향후에도 R&D사업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개최하여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이를 R&D정책 및 정부3.0 맞춤 서비스에 반영하고자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추가 신청 및 관련 내용은 사업담당자에게 이메일로 문의 jhw2342@tipa.or.kr(기술혁신), hank@tipa.or.kr(창업성장)","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39","atchfileNm":"(2016.10.26)기정원,RD수행기업_대상으로_지역별_현장_컨설팅_개최(붙임수정).hwp","viewCnt":"3181","regDate":"2016-10-25 11:10:39"},{"contentId":"45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6년 글로벌 강소기업과제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582","contentsKor":"기정원, 2016년 글로벌 강소기업과제 협약설명회 개최 - 10월 21일(금), 40개 글로벌강소기업과제 선정기업에 88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0월 21일(금) 오후 2시 대전 유성구에 소재한 대덕테크비즈센터(1층 콜라보홀)에서 2016년도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중 글로벌강소기업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 특히,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에 대해 사례별로 유의사항 등을 공유하고 R&D 청렴문화 및 윤리경영을 교육한다.      □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의 글로벌강소기업과제 선정기업은 최대 6억원(연 3억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5월 26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104개 과제를 대상으로 사업성심층평가, 대면평가를 통해 40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88억 원을 신규 지원하게 되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글로벌 강소기업과제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글로벌강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32","atchfileNm":"(2016.10.21)_기정원_2016년_글로벌강소기업과제_협약설명회_개최.hwp","viewCnt":"3252","regDate":"2016-10-20 09:17:24"},{"contentId":"45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정보화 활용전략 교육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576","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정보화 활용전략 교육실시 - ‘클라우드 컴퓨팅’전문가특강 및 사례발표로 新기술 배운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10월 12일(수), 서울 aT센터(서초구 강남대로)에서「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중소기업 비즈니스 전략교육」을 실시한다.      ○ 이는 8대 핵심 스마트 기반기술로 선정된 ‘클라우드 컴퓨팅’관련 교육을 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 인식제고 및 역량을 강화하기 위함이며,      ○ 중소기업 대표 및 담당자 등 50여명이 교육에 사전신청하였다.      □ 교육은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전략 관련 전문가 특강과 비즈니스 사례발표로 이루어진다.      ○ (전문가 특강) 심재훈 BSA한국대표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도입의 장점과 각국의 클라우드 컴퓨팅 정책 및 S/W자산관리에 대한 강연에 이어,      ○ (비즈니스 사례발표) ㈜자이오넥스 류동식 대표이사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을 통해서 유연하고 신속한 IT시스템으로 글로벌 경영 경쟁력 확보’라는 주제의 사례발표가 있다. □ 기정원은 정부3.0 맞춤형 서비스 일환으로 업종별 공동활용이 가능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중소기업에 제공하고 있으며,      ◦ 2014년 6월 서비스 오픈 이후 28개 단체, 총 14,665개 기업(‘15년 9월말 기준)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4개 단체를 선정하여 특화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新IT기술을 중심으로 융합되는 컨버젼스 시대를 맞아, 우리 중소기업들은 이를 활용한 성공전략을 모색하야 할 때”라며,      ○ “기정원은 교육 및 지원사업 등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를 위한 파트너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25","atchfileNm":"(2016.10.12)_기정원__중소기업_정보화_활용전략_교육실시.hwp","viewCnt":"3054","regDate":"2016-10-13 09:11:51"},{"contentId":"44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추석명절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94","contentsKor":"기정원, 추석명절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실시! - 9월 8일(목)~9일(금), 대전지역 전통시장 물품구매 및 아동복지시설 위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추석 명절을 맞이하여,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9월 8일(목) 오전 법동시장(대전시 대덕구)에서 온누리 상품권으로 추석명절 필요물품을 구매하는 행사를 진행하였다.      ◦ 이날 행사에는 기정원 양봉환 원장과 임직원 30여명이 참여하였으며, 추석 명절 직원들이 가정에서 사용할 물건과 추석 명절 위문물품을 구매하였다.      □ 또한, 기정원은 이날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추석명절 위문품을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에 9월 8일(목)~9일(금)에 전달하였다.         ◦ 대상기관은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9월8일(목))과 장애인아동보호시설인 “하늘품장애인단기보호시설”(9월9일(금))이며,       ◦ 위문품은 아동복지시설에서 추석명절에 필요하다고 요청한 물품 (쌀, 과일, 건어물, 생필품 등)이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넉넉하고 풍요로운 추석을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며,      ◦ “앞으로도 지속적인 애정과 따뜻한 손길을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기부 및 봉사활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141","atchfileNm":"기정원_추석명절맞이_전통시장_활성화_캠페인_실시_(20160909_보도요청).hwp","viewCnt":"3074","regDate":"2016-09-08 18:53:07"},{"contentId":"44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고성장기업 기술개발에 6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93","contentsKor":"기정원, 고성장기업 기술개발에 60억원 지원! - 9월 8일(목), 34개 고성장기업과제 선정기업 대상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9월 8일(목) 오후 2시 대전 유성구에 소재한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대덕홀)에서 2016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의 고성장기업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 특히,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에 대해 사례별로 유의사항 등을 공유하고 R&D 청렴문화 및 윤리경영을 교육한다.      □ 기술혁신개발사업의 고성장기업과제 선정기업은 최대 5억원(연 2.5억)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글로벌진출 토대 마련을 위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5월 16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92개 과제를 대상으로 현장평가, 토론식 대면평가를 통해 34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60억원을 지원하게 되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고성장기업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고성장 유지 및 신규고용창출, 글로벌진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140","atchfileNm":"(2016.09.08)_기정원_고성장기업의_기술개발에_60억원_지원.hwp","viewCnt":"3088","regDate":"2016-09-08 08:53:59"},{"contentId":"44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긴급R&D 22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81","contentsKor":"기정원,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긴급R&D 22억원 지원!     - '16년 4개 연구기관 보유기술을 중소기업과 연계하는 R&D에 21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출연연, 전문연의 기술과 중소기업의 긴급 기술수요를 연계하여 기술사업화 성공을 지 원하고자 긴급R&D과제 21개를 선정하고 22억원을 지원한다고 9월 1일 발표했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긴급R&D 과제는 사업화 성공을 위해 출연연, 전문연의 보유기술을 중소기업과 연계하는 사업으로 금년에 시범사업으로 추진하였다.        - 지원대상은 시장요구에 긴급히 대응하고자 연구기관과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사업화 추진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이며,        - 2016년 1월 공고, 7월 신청접수 후 평가를 거쳐 21개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16년 긴급R&D에 참여하는 연구기관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광기술원, 전자부품연구원 4개 기관으로,        - 중소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기술이전, 공동기술개발, 마케팅 지원을 하며, 자체비용으로 민간부담금의 50%를 분담하는 등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공을 위해 적극 참여하고 있다.      □ 기정원은 금번 선정된 21개 긴급R&D 수행기업들이 기술사업화를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긴급R&D는 중소기업과 연구기관 간 상호협력을 통한 기술사업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이를통해 세계기술을 선도하는 강소형 중소기업 육성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다.” 고 말했다.      ◦ 더불어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자금을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이 원활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을 위해 노력할 것이며, 나아가 중소기업을 위한 산학연협력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122","atchfileNm":"(2016.09.01)_기정원_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긴급RnD22억원_지원.hwp","viewCnt":"3352","regDate":"2016-08-31 13:21:54"},{"contentId":"44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기부활동) 나눌수록 커져가는 ‘사랑의 국수 나눔’ 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72","contentsKor":"(기정원 기부활동) 나눌수록 커져가는 ‘사랑의 국수 나눔’ 활동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은 2016년 8월 26일 세종 사랑의 국수나눔터에서 국수 나눔 사회공헌을 실시하였습니다.      오늘 행사는 기정원 임직원의 지역 소재 어르신들에 대한 공경과 나눔 활동을 기관 차원에서 추진하였습니다.      20kg의 밀가루가 밑반죽 되어 있는 것을 600g씩 자르고, 기계에 넣어 반죽을 펴고, 국수가 나오면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국수 나눔 봉사활동에는 2016년 신입직원들이 주축이 되어 추진되었습니다.      포장한 생면 국수는 대한적십자사 대전∙세종∙충남 지사를 봉사회를 통해 세종시 장군면, 연서면 경로당에 나눠드렸습니다.      기정원은 앞으로도 지역사회의 어려운 이웃들과 함께하는 나눔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입니다.      사랑의 국수 나눔에 참여해 주신 연구원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viewCnt":"3253","regDate":"2016-08-26 17:47:20"},{"contentId":"44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기술혁신기업 기술개발에 55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67","contentsKor":"기정원, 기술혁신기업 기술개발에 550억원 지원! - 8월 24일(수), 129개 혁신기업과제 선정기업 대상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8월 24일(수) 오후 2시 대전 서구에 소재한 통계교육원 대강당에서 2016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의 혁신형기업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 특히,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에 대해 사례별로 유의사항 등을 공유하고 R&D 청렴문화 및 윤리경영을 교육한다.      □ 기술혁신개발사업의 혁신형기업과제 선정기업은 최대 5억원(연 2.5억)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사업화 수익창출을 위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3월 30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623개 과제를 대상으로 서면평가, 현장평가, 대면평가를 통해 129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550억원(1차년 281억원, 2차년 269억원)을 지원하게 되었다.      □ 한편, 지난 7월 18일에 기술혁신개발사업 혁신형기업과제 하반기 공고가 있었으며, 8월 17일까지 신청․접수를 받아 서면 및 대면평가 등을 거쳐 11월 중 지원과제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100","atchfileNm":"(2016.08.24)_기정원,_기술혁신기업기술개발에550억원지원.hwp","viewCnt":"3173","regDate":"2016-08-23 11:35:42"},{"contentId":"44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초기기업 R&D추진 위해 268개사에 203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61","contentsKor":"기정원, 창업초기기업 R&D추진 위해 268개사에 203억원 지원! - 8월 19일(금),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 대상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8월 19일(금) 오후 1시 30분, 대전에 소재한 충남대학교 백마홀에서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성장 잠재력이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에게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금번 협약설명회 대상기업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1인 창조기업과제(1차) 및 창조경제연계과제 등에 최종 선정된 중소기업이다.      ◦ ‘1인 창조기업과제’는 신기술 또는 신제품 개발이 가능한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1인 창조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과제로 금년에는 2회에 걸쳐 지원될 예정이며,         - 이번 협약대상은 1차 지원 대상과제로, 지난 3월 공고를 통해 접수된 527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평가를 통해 총 157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약 94억원을 지원한다.      ◦ ‘창조경제연계과제‘는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창조경제타운을 통해 추천된 177개 과제를 대상으로, 온라인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된 총 103개 과제에 대해 약 97억원을 지원한다. ◦ ‘전문엔젤 주도형 고급기술 창업프로그램‘은 전문엔젤 투자자에게 투자액을 받은 19개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된 8개 기업에게 총 12억원을 지원한다.      □ 본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사업수행 견인을 위해 협약체결 및 사업 추진에 필요한 전반적인 사항을 안내한다.      ◦ 전자협약 체결과 연구노트 작성 및 사업비 사용방법, 최종평가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R&D 청렴문화 확산 및 윤리경영 교육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이번 협약설명회를 통해 창업초기기업의 윤리 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여, 이를 기반으로 투명하고 원활한 과제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 아울러 “기정원은 창업초기기업의 성공적인 R&D 수행과 이를 통한 사업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096","atchfileNm":"(2016.08.19)_기정원_창업초기업기업RnD추진위해268개사에203억원지원.hwp","viewCnt":"3202","regDate":"2016-08-18 14:03:08"},{"contentId":"44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R&D사업 성공률 제고를 위한 최종평가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45","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R&D사업 성공률 제고를 위한 최종평가 설명회 개최! - 8월 11일(목), 최종 및 단계평가 실시 대상 41개 기업을 대상으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적합업종기업 R&D 지원사업 및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 최종 및 단계평가 기업을 대상으로 8월 11일(목) 오후 여의도소재 금융투자교육원에서 최종평가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설명회 참석자는 “적합업종기업 R&D 지원사업” 최종평가 대상 21개 기업과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 단계평가 등 대상 20개 기업의 51명이며,          ○ 보고서 작성 요령, 사업비 정산, 최종점검 등에 관해 R&D 수행 중소기업에게 설명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동 설명회에서는 질의․응답을 통해 R&D수행 중소기업들이 기술개발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사항 등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기회도 제공되었다.        ○ 또한, 최종(단계) 보고서 작성 요령과, 투명한 R&D 사업 수행의 사업비정산 사례, 연구비 부정사용방지 청렴교육, 평가일정, 최종점검 시 업체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해 해당 분야 전문가가 직접 설명하였다.    ○ 설명회에 참여한 넥썸 기업은(기계소재) “최종점검 및 최종평가를 준비하는 데 심적으로 부담이 있었다”며, “특히 최종보고서 작성 시 유의사항에 대해 안내를 받을 수 있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고 전했다.      □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적합업종기업 R&D지원사업과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으로 한해에 80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최종평가 및 단계평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최종평가 설명회를 개최하여, 중소기업들이 R&D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079","atchfileNm":"(2016.08.12)_기정원,_중소기업_RD사업_성공률_제고를_위한_최종평가_설명회_개최!.hwp","viewCnt":"3111","regDate":"2016-08-12 16:01:12"},{"contentId":"43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70","contentsKor":"기정원,「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 - 7월 25일(월) ~ 7월 29일(금), 5개 광역별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는「‘16년도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며,      ○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성공하면 수요처에서 일정기간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 동 설명회는 7.25일부터 5대 주요 광역별*로 개최되며,         * 7.25(월) 대구, 7.26(화) 대전, 7.27(수) 광주, 7.28(목) 부산, 7.29(금) 서울      ○ ‘16년 주요 사업내용, 사업계획서 작성 및 SMTECH* 입력방법, 기술임치 등에 대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중소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 한편, 기정원은 제2차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하반기 신청을 7.8일(금)부터 9월까지 수시로 온라인 시스템(SMTECH)을 통해 접수 중이며,      ○ 산학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경영안정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며,      ○ “지난해 중소기업 R&D 지원기능을 통합한 기정원도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지속성장 동력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공고문과 중기청 및 기정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005","atchfileNm":"(2016.07.26)_기정원,상용화기술개발사업_찾아가는사업설명회_개최.hwp","viewCnt":"3360","regDate":"2016-07-26 09:55:23"},{"contentId":"43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아이비케이(IBK) 기업은행, 중소․중견기업 성장사다리 구축에 힘 보태기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72","contentsKor":"아이비케이(IBK) 기업은행, 중소․중견기업 성장사다리 구축에 힘 보태기로!!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및 IBK기업은행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및 IBK기업은행(행장 권선주, 이하 기업은행)은 7.22(금)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이하 R&D) 자금 수탁 관리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협약식 행사 개요 >   ◦ (일시) ‘16. 7. 22(금) 10:00      ◦ (장소) IBK기업은행 본점(서울 중구 을지로) 9층 대회의실      ◦ (주요 참석자) 주영섭 중소기업청장,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권선주 IBK기업은행장      ◦ (협약 주요내용) R&D자금관리시스템 고도화, R&D 성공기업 사업화 촉진, 영세 수출기업에 대한 수출금융 지원   ◦ 기업은행은 ’09년부터 중소기업청 R&D 자금을 수탁관리하면서, 정부 최초로 중소기업청 R&D 사업에 “실시간 R&D 자금 관리 시스템*”을 도입·운영 중이다.           * 중소기업청 R&D 사업에 선정된 기관에게 R&D 사업비를 일괄지급하지 않고, 사업비 사용건별로 실시간 집행하는 시스템 ◦ 금번 협약을 계기로 기업은행은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정부정책 흐름에 본격 합류하게 되었고, 중소기업청 R&D 자금 수탁 기간도 ’19.7월까지 연장*하기로 하였다.           * 기존 R&D 자금 수탁은행 협약(’13.6월 체결)은 ’16.6월 만료         - 특히, 그간 기업들이 제기하였던 불편사항* 개선 등을 위해서 “실시간 R&D 자금 관리시스템”을 고도화(∼’16.12)하고           * 단일 은행 및 카드 사용, 모바일 서비스기능 미흡 등         - 중소기업의 고용 및 사업화 부담 완화를 위한 금융 혜택과 함께 수출 중소기업 우대 방안도 신규 추진하기로 하였다.      □ 중소기업청과 기업은행간 주요 협업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실시간 R&D자금 관리시스템 고도화      ◦ 먼저,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수렴하여 R&D 수행기관(기업, 대학, 연구기관) 편의를 제고하기 위한 시스템 개선을 추진한다.         - 기업이 R&D사업비 집행시 이용 가능한 은행(카드)를 전면 확대하고           * (현행) 기업은행/BC 카드 → (개선) 모든 은행/카드사         - 중소기업청의 “실시간 R&D 자금관리시스템”과 자체 회계시스템을 연계한 대학·연구기관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현행) 18개 기관 → (개선) 100개 기관      * 기관 자체 회계시스템에 자금소요내역 입력 시 R&D자금관리시스템에 자동 등록         - 아울러, 모바일 서비스를 통한 정보 제공기능 신설한다.           * 실시간 연구비 집행현황(과제별, 비목별), 환원‧정산‧환수금 및 기술료 납부현황 등에 대한 모바일 조회 기능 신설   ◦ 다음으로, R&D 자금 부정사용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 R&D 자금 집행증빙 검증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할 것이다.           * 전자세금계산서 중복사용 검증, R&D 사업비 정산 회계법인(중기청이 지정)을 통한 연구비 집행내역 상시 점검 기능 등 구현      < R&D 자금관리시스템 고도화 기능개선 >   ② R&D수행 기업의 고용‧사업화 지원 강화      ◦ 고용창출에 기여한 R&D수행 기업에게 이자 부담을 완화*하고, R&D 이후 사업화 성공을 위한 무료 컨설팅**도 지원한다.           * 정규직 1인 채용(6개월 이상 계속고용)시 이자비용 50만원 감액(기업당 최대 1억원)     ** 자체 보유 전문가를 기업별 1개월간 투입, 종합 컨설팅 서비스 제공(연 최대 10개사)      ◦ 아울러, R&D기업 중 근로자(가족)의 질환 치료비 및 장학금 지원할 예정이다.           * 중증‧희귀‧난치질환 치료비(연 1천만원 한도), 장학금(대학생 2백만원, 고교생 1백만원)      ③ 영세 중소기업의 수출 촉진      ◦ 수출 활로를 모색하는 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위해 지역신보 특례보증을 7월부터 저금리(1년:2.6%, 5년:2.8%) 조건으로 지원하고, 보증업체에 대해 보증서 담보외에 10~20% 수준에서 추가 신용대출할 계획이다.      ◦ 외국환 거래비용도 우대(60%~70%)하고, 기업은행 지점망을 통해 수출중소기업 육성정책 홍보도 함께 할 예정이다.           * 기업은행의 전국 지점 기업 상담창구에 정부 수출지원정책 안내 자료(브로셔, 정책자료집 등) 비치 등      □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우리경제 도약을 위해서는 중소·중견기업의 경제주역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화와 기술혁신에 전념할 수 있는 경영여건 조성이 필수”라고 하면서,      ◦ “이번 협약을 통한 실시간 R&D 자금관리 시스템 개선은 중소·중견기업이 R&D 자금 집행 시 신경써야할 행정절차 부담을 줄여줘, R&D에만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강화해 줄 것“이고,      ◦ “기업은행의 사업화 및 수출 금융 지원은 R&D 이후 사업화 과정을 든든하게 받쳐주어, 중소·중견기업의 도전적 경영환경도 더 굳건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008","atchfileNm":"(2016.07.22)_아이비케이(IBK)_기업은행,_중소․중견기업_성장사다리_구축에_힘_보태기로.hwp","viewCnt":"3930","regDate":"2016-07-22 16:43:36"},{"contentId":"43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이공계 전문가가 중소․중견기업에 상주하면서 현장의 기술 애로를 해결할 수 있도록 9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62","contentsKor":"기정원, 이공계 전문가가 중소․중견기업에 상주하면서 현장의 기술 애로를 해결할 수 있도록 9억원 지원! - 이공계전문가기술개발 서포터즈 전담과제, 33개 기업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전담과제 총 33개 과제를 선정하고 9억원을 지원한다고 7월 21일(목) 밝혔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이 생산현장에서 직면하는 기술애로를 단기에 해결할 수 있도록 최적의 기술파트너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전담과제는 연구년으로 지정받은 이공계분야 전임교원이 중소·중견기업에 상주하면서 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는 점이 특징이다.      □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기점으로 지난 5월 초에 신청·접수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33개 9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개발 중심으로 발생하는 기술애로 해결, 사업화지원(제품화 추진, 시제품 제작, 신기술 적용 검토 등), 교육지원(기술교육, 정보 및 자료 제공, 신규사업 아이템 기획 등) 등이다.      □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필요한 지원을 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인프라를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98","atchfileNm":"(2016.07.21)_기정원_이공계전문가_중소중견기업상주_현장기술애로해결_9억원지원.hwp","viewCnt":"3074","regDate":"2016-07-20 17:34:34"},{"contentId":"43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경력단절여성 채용 창업기업 등에 대한 R&D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34","contentsKor":"기정원, 경력단절여성 채용 창업기업 등에 대한 R&D지원! - 2016년도 창업성장 여성참여활성화과제 2차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여성참여활성화’ 2차 과제 신청·접수를 8월초까지 받고 있다고 밝혔다.      ○ ‘여성참여활성화 과제’는 여성의 창조적인 아이디어 발굴 및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사업화 기회 창출 및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에는 102억원의 예산으로 100개 내외의 기업을 지원할 예정으로 총 2회에 걸쳐 추진한다.         - 1차 과제는 5월말에 완료되었으며, 2차 과제의 신청․접수는 오는 8월 4일까지 진행된다.      < 추진절차도 > 사업공고 (중기청) → 신청․접수 (주관기관/온라인)   →   온라인 평가 (전문기관) → 지원과제 선정 (심의조정위원회) ↓ 사후관리 (전문기관)  ←    최종평가(전문기관)  ←       과제관리 (관리기관)  ←    협약. 자금지원 (전문기관) * (주관기관) 과제신청업체, (관리기관)지방중기청, (전문기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금년부터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일자리창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용창출 계획에 대한 작성 내용을 추가하였으며,         - 신청자격 조건도 ‘여성기업’에서 ‘신규R&D인력 고용(예정) 여성기업‘으로 강화하였다.           - ’경력단절여성을 고용(예정)한 창업기업‘ 또는 ’경력단절여성 등이 포함된 예비창업팀(2인이상)‘에 대한 지원은 전년도와 동일하다.      ○ 과제선정은 1차 공고와 동일하게 ‘온라인 클린평가 시스템’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 온라인 클린평가 시스템이란 선정평가의 전문성, 공정성, 투명성,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현행 오프라인 평가(폐쇄형)를 온라인(개방형)으로 전환하여 평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 동 사업은 기술개발의 효율성과 중소기업의 주도적인 R&D지원을 위해 ‘R&D 바우처 제도’를 적용하여 추진하고 있다.         - 바우처는 정부가 중소기업 R&D사업 등을 위해 기업에 지급한 자금 중에서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을 이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에게 제공하는 신용한도(포인트, 쿠폰)를 의미한다.         - 다만, 산업기술분류 7대 분야 중 인력을 활용한 기술개발 비중이 높은 기술분야의 개발과제에 한하여 바우처 의무사용이 제외된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본 사업을 통해 여성 창업기업이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성공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경력단절여성 채용기업 등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과제 신청은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72","atchfileNm":"(2016.07.20)_기정원,_경력단절여성_채용_창업기업_등에_대한_RD지원!.hwp","viewCnt":"3182","regDate":"2016-07-19 10:14:05"},{"contentId":"43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정부3.0 협업으로 중소기업 R&D 지원 강화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28","contentsKor":"기정원, 정부3.0 협업으로 중소기업 R&D 지원 강화 나선다! - 7월 13일, 전 직원을 대상으로 정부3.0 협업 관련 전문가 초청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지난 7월 13일, 대전 본원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정부3.0 교육을 실시했다.   ○ 이번 교육은 직원들의 정부3.0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과 동시에, 유능한 정부 및 협업을 통해 기정원이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R&D 지원 서비스의 개선점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 이날 교육은 행정자치부 정부3.0 전문강사단 겸 유능한 정부 분야 전문강사인 곽현근 대전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를 초빙하여 △정부3.0의 이해 △유능한 정부와 협업 △주요 성과 사례 공유 등의 내용으로 진행됐다.   ○ 김 교수는 강연에서 중소기업 R&D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공공정보를 적극 개방하여 국민과 공유하고, 부서간·기관간 소통을 통한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한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기술 개발에 성공한 중소기업 정보를 공유하여 민간금융기관 및 유관 공공기관으로부터 기술 사업화 자금 지원 등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기관간 협업 체계를 구축하여 시행 중에 있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교육을 바탕으로 정부3.0의 가치를 중소기업 R&D 지원 서비스와 접목하여, 보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67","atchfileNm":"(2016.07.15)_기정원,_정부3.0협업으로중소기RnD업지원강화나선다.hwp","viewCnt":"2855","regDate":"2016-07-14 10:18:56"},{"contentId":"43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16년 노사문화우수기업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1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16년 노사문화우수기업 선정 - 협력적 노사관계로 상생의 노사문화를 모범적으로 실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기정원)은 고용노동부로부터 2016년 노사문화우수기업에 선정되었다고 7월 11일 밝혔다.        * 고용노동부는 상생협력의 우수한 노사문화를 사회저변에 확산시키기 위해 ‘96년부터 노사문화우수기업을 선정하고 있으며, ’16년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 공공기관 7개, 중소기업 32개, 대기업 21개 등 60개 사업장을 노사문화우수기업으로 선정함      □ 기정원은 지난 ‘13.12월 제5대 양봉환 원장 취임이후 지방이전으로 야기된 노사갈등을 치유하고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위해 열린경영을 실천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 양봉환 원장은 취임 시 노사상생의 소통경영 의지를 밝히고 분산된 구성원의 역량 결집을 위해 기관의 미션․비전을 노사공동의 노력으로 재정립하고, “훌륭한 기정원 만들기, 1사원 1아이디어 경진대회”, “부탁드립니다. 건의함” 등 직원들의 작은 의견 하나에도 귀 기울여 왔다.      ◦ 특히, 지난 2년간 양봉환 원장은 직접 직원들과 50회가 넘는 소통의장을 마련하여, 식사, 영화관람 등을 함께하며 고민을 나누고, 직원 생일축하 이벤트를 개최하였으며, 칭찬릴레이, 부서 간 크로스미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왔다.         ◦ 또한, 매월 통섭연단을 개최하여 명사초청 강연을 통해 직원들에게 자기개발 및 교양함양의 기회를 제공하고, 칭찬사원 포상, 기관 및 직원 개인소식 공유, 다양한 이벤트 개최 등을 실시하고 있다.      □ 이러한 노력으로 기정원은 정부의 방만경영 정상화 운용지침, 공공기관 기능조정, 임금피크제, 성과연봉제 등 노사 간 민감한 경영현안을 노사합의로 합리적으로 추진하여 왔으며, 지난달 발표된 2015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우수등급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직원이 행복해야 기관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12년 공공기관 경영평가 C등급에서 3년만에 A등급을 획득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노사화합에 있다”며      ◦ “기정원은 앞으로도 노사상생의 조직문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열린경영을 적극 실천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기정원노동조합 장상민 위원장은 “‘12년 말 노동쟁의가 발생하는 등 노사 간의 갈등이 심각한 상황이었다. 기관발전을 위해 노사가 하나가되어 추진했던 3년 간의 노력이 결실을 맺게 되어 기쁘다”며,      ◦ “노동조합도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정원이 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52","atchfileNm":"(2016.07.11)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2016년_노사문화우수기업_선정.hwp","viewCnt":"3022","regDate":"2016-07-08 17:53:48"},{"contentId":"43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융복합 및 상용화 기술개발에 294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05","contentsKor":"기정원, 융복합 및 상용화 기술개발에 294억원 지원! - 6월 24일(금), 212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6월24일(금) 오후 2시 충남대학교 백마홀에서 2016년도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이하 융복합’) 및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이하 상용화’) 212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구성한 개방형 R&D 협력체(산·연, 산·학, 산·산)의 융합R&D를 통하여 창의적 신기술·신제품 창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융합전략과제’는 기술수요조사 등을 통해 발굴된 과제를 대상으로 융복합(산-연, 산-학, 산-산 등) 공동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1월 29일 공고 이후 3월 3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63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여 172억원을 지원한다.      ◦ ‘현장기획과제’는 전국 63개 ‘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를 통해 발굴·기획된 융합기술분야 과제를 대상으로 33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여 88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6억원 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받는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은 수요처(공공기관, 대기업)의 구매를 조건으로 중소기업의 국산화 제품개발 및 신기술 제품개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여 34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 과제는 2년, 10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받는다.       □ 본 설명회에서는 융복합 선정 192개(주관기관, 공동개발기관) 및 상용화 선정 20개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약절차, 규정 등 과제 진행과 관련된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자주 발생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과 관련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융복합 및 상용화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의 신기술, 신제품 창출을 활성화하고, 사업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32","atchfileNm":"(2016.06.24)_기정원,_융복합_및_상용화_기술개발에_294억원_지원!.hwp","viewCnt":"3126","regDate":"2016-06-24 14:14:56"},{"contentId":"43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거점형 연구과제 322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04","contentsKor":"기정원,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거점형 연구과제 322억원 지원!     - 2016년 산연전용, 연구마을 277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개발 인프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능력 제고 및 혁신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산연전용 및 연구마을 지원과제에 277개 과제를 선정하고 322억원을 지원한다고 6월 23일(목) 발표했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산연전용 과제와 연구마을 과제는 지역별로 거점형 기관(대학·출연연 등)을 선정하여 각 기관이 중소기업 R&D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사업으로,        - 지원대상은 대학·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연구개발을 수행하여 기술혁신, 사업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이며,        - 2016년 1월 공고, 4월 신청접수 후 대면평가를 거쳐 산연전용 183개, 연구마을 94개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기정원은 금번 선정된 277개 산연전용 및 연구마을 과제 수행자들이 투명한 R&D 자금 집행과 함께 원활히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각 지역의 거점형 연구기관이 중소기업 R&D의 전진기지가 되어 세계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강소형 중소기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 고 말했다.       ◦ 더불어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자금을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이 원활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며, 나아가 중소기업을 위한 산학연협력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29","atchfileNm":"(2016.06.23)_기정원,_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_거점형_연구기관에_322억원_지원.hwp","viewCnt":"2950","regDate":"2016-06-23 17:18:01"},{"contentId":"42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이공계전문가 R&D사업 해결과제 1차 11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62","contentsKor":"기정원, 이공계전문가 R&D사업 해결과제 1차 11억원 지원! - 이공계전문가기술개발 서포터즈 해결과제(1차) 63개 기업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해결과제(1차) 총 63개 과제를 선정하고 11억원을 지원한다고 6월 24일(금) 밝혔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이 생산현장에서 직면하는 기술애로를 단기에 해결할 수 있도록 최적의 기술파트너(이공계전문가)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기점으로 총 3회차에 걸쳐 해결과제 신청·접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지난 4월 초에 신청·접수된 196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63개 11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개발 중심으로 발생하는 생산공정 또는 제품성능 개선, 제품표준화 또는 시제품의 제품화 추진 시 발생하는 기술애로 개선, 융·복합 기술애로 해결 및 기타 기술애로 해결 등이다.      □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필요한 지원을 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인프라를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 기술인정보시스템 : http://techin.sanhak.net","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73","atchfileNm":"(2016.06.23)_기정원_이공계전문_RnD사업_해결과제_11억원_지원_발표.hwp","viewCnt":"3516","regDate":"2016-06-23 13:52:57"},{"contentId":"42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사업, 언제 어디서나 궁금증 해결하세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60","contentsKor":"중소기업 R&D사업, 언제 어디서나 궁금증 해결하세요! - 기정원,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 강의 34개 강좌 개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시간‧장소 제한 없이 상시 접근하여 사업신청 및 수행시 궁금한 부분을 해결할 수 있도록 온라인과 모바일로 동영상 강의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6월 23일(목) 밝혔다.      □ 온라인강의는 중소기업이 R&D사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참여를 돕기위해 크게 3가지 강좌, 총 34개 세부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ㅇ 첫째, R&D지원사업의 개요, 신청자격, 추진절차 등을 설명하는 16개 강좌,      ㅇ 둘째, 신청기업 및 사업수행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사업계획서 작성, 온라인과제신청, 사업비 집행, 협약변경, 최종평가 등을 설명하는 12개 강좌,      ㅇ 셋째, R&D 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R&D기획의 방법·프로세스, R&D 과제수행 기획 등을 설명하는 6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 본 강의는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화면의 온라인매뉴얼>동영상강의로 이동하면 온라인 동영상 강의를 청취할 수 있고, 디지털북 다운로드 및 모바일동영상 보기를 이용할 수 있다.      ㅇ 특히, 본 강의는 단순한 사업별 안내자료 배포형식을 벗어나 개정된 규정내용을 반영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협약 및 사업비집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ㅇ 중소기업의 사업신청 및 수행시 궁금한 부분을 해결 가능하도록 사업신청 및 수행단계별로 멀티미디어 북 학습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 모바일 서비스는 동영상 강의와 디지털북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북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강의를 e-book형태로 다운로드 받아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 온라인 강의 콘텐츠 기능 강화를 위해 ‘15년도부터 모바일 서비스기능을 추가제공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이용자수가 전년대비 15% 증가하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86","atchfileNm":"(2016.06.23)_중소기업_RnD사업,_언제_어디서나_궁금증_해결하세요.hwp","viewCnt":"3091","regDate":"2016-06-22 13:36:05"},{"contentId":"42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설립 이래 최초 경영평가 A등급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58","contentsKor":"기정원, 설립 이래 최초 경영평가 A등급 획득 - 사업성과 제고, 경영혁신을 통해 최근 3년간 매년 1등급씩 상승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6월 16일 발표된 ‘2015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에서 강소형 준정부기관 최고 수준인 우수등급(A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ㅇ 이번 평가 결과는 중소기업 R&D 지원 기능 통합 이후 R&D 지원체계 혁신과 임금피크제 등 정부정책에 적극 부응한 노력이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ㅇ 기정원은 기획재정부 주관 경영평가를 받게 된 2009년 이후 2015년 처음으로 A등급을 받게 되었다.      □ 2014년 12월 기획재정부의 중소기업 분야 기능조정에 의해 중소기업 R&D 지원 기능이 기정원으로 통합되었다. 통합 이후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지원 기능 전주기에 걸쳐 혁신을 단행하였다.      ㅇ 먼저, 기술성 중심의 R&D 지원사업 선정 평가를 사업성과 조화를 이루도록 평가체계를 혁신하였다. 이를 위해 사업성 평가 전문가 양성과정을 개발하고, 222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였다.      ㅇ 그리고, R&D 완료 기업이 기술사업화 자금 융자를 받을 수 있도록 금융기관과 협업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100개 이상의 중소기업이 기술금융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ㅇ 그 외에도 온라인 평가 시스템을 신규로 도입하고, 평가서비스 전반에 대한 품질경영 체제 인증을 획득하는 등 업무 전반에 대한 품질수준을 제고하였다.      □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에 있어서도 경영혁신 플랫폼 서비스를 정착시켜, 이용기업 수가 ’14년 1,898개에서 ’15년 12,727개로 대폭 증가하였다.      ㅇ 기정원은 이를 위해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들과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서비스 솔루션도 7개에서 28개로 확대하였다.      ㅇ 특히, 경영혁신 플랫폼 도입을 통해 정보화 자원과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IT 시스템을 개별 구축해 주는 방식 대신 중소기업이 적은 노력으로 IT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전환하고자 한 노력이 평가단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 방만경영 해소, 임금피크제 도입 등 경영혁신 부문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ㅇ 방만경영 정상화를 조기 완료(’14.6)하였고, 중소기업청 산하 기관 최초로 임금피크제(’15.7) 도입과 성과연봉제 확대(’16.4)에 노사가 합의하였다.      ㅇ 또한, 경영효율화를 통해 노동생산성을 3년 연속 향상시켰으며, 관리업무비는 전년 대비 10% 절감하는 성과를 보였다.      □ 이러한 노력들이 성과를 거두어 경영평가 등급이 (’13) C등급 → (’14) B등급 → (’15) A등급으로 매년 한 등급씩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기관장이 주도한 경영혁신 노력이 대내외적으로 인정받는 것으로 평가된다.      □ 양봉환 원장은 이번 경영평가에 대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임직원들이 한마음으로 R&D 지원체계를 혁신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 기정원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85","atchfileNm":"(20160622)기정원_설립이래최초경영평가_A등급_획득.hwp","viewCnt":"2974","regDate":"2016-06-21 13:13:15"},{"contentId":"42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 초기기업의 기술개발에 38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56","contentsKor":"기정원, 창업 초기기업의 기술개발에 380억원 지원! - 6월 21일(화), 254개 창업과제 1차 선정기업 대상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6월 21일(화) 오후 1시 서울 상암동에 소재한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1차 창업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성장 잠재력이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에게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창업과제 선정기업은 평가결과에 따라 최대 2억원까지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사업화 수익창출을 위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사업 기간 동안(최대1년) 추진하게 된다.      ◦ 동 사업은 2회에 걸쳐 창업과제를 지원하는데, 이번 1차 지원은 지난 1월 25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1,754개 과제를 대상으로 서면, 현장평가, 대면평가를 통해 254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380억원을 지원한다.      □ 본 설명회에서는 원활한 사업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협약체결 및 사업 추진에 필요한 전반적인 사항을 안내한다.       ◦ 특히, 본 설명회에서는 기술개발의 효율성과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금년부터 도입된 ‘바우처 제도’의 수행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 R&D 바우처 제도란?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있어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인력, 시설․장비 등을 활용하여 신제품, 공정,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기업에게 제공하는 소규모 신용한도(쿠폰)를 의미한다.   ◦ 아울러, 전자협약 체결, 연구노트 작성 및 사업비 사용방법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R&D 청렴문화 확산교육 및 윤리경영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 한편, 금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2차 신청․접수는 지난 6월 1일에 공고되었으며, 6월 30일까지 신청․접수를 받아 서면 및 대면평가 등을 통해 10월 중 지원과제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협약설명회가 창업 초기기업에게 윤리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원활한 기술개발 수행을 위한 정보교류 및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장이 되길 바란다”며,      ◦ “기정원은 창업 초기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기술개발과 이를 통한 사업화 수익창출의 계기가 마련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77","atchfileNm":"(2016.06.21)_기정원,_창업_초기기업의_기술개발에_380억원_지원.hwp","viewCnt":"2843","regDate":"2016-06-20 10:51:03"},{"contentId":"42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스타트업 기업에 필요한 업무관리 솔루션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54","contentsKor":"기정원, 스타트업 기업에 필요한 업무관리 솔루션 교육 실시 - 6월, 호남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혁신플랫폼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6월 20일(월)전북과 6월 23일(목) 광주, 2회에 걸쳐 호남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활용교육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금번 교육대상은 호남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 창업지원단 지원기업 및 광주 지역 조합·단체 회원사*이다.       * 교육대상 :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순천대·원광대·전북대·전주대·조선대 창업지원단, 광주광역시식자재공급업협동조합 지원기업      ◦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경영혁신플랫폼 활용교육은 지난 1월 대전을 시작으로, 인천(4월), 서울(4월), 대구(5월)에서 실시하였으며, 연말까지 전국에서 순차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 금번 교육은 창조경제 활성화 및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기정원과 대학 창업지원단,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맺은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업무협약”의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실시하고 있다.        * 기정원은 15년 1월 “28개 대학 창업지원단과의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16년 4월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음      □ 교육 내용은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사업의 소개, 매출 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등 경영혁신플랫폼 기본솔루션* 활용방법에 대한 시연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경영혁신플랫폼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저비용·고효율의 공동활용시스템(플랫폼)으로 정부에서 구축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전담인력, 유지보수, 기능개선 등의 부담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 경영경영혁신플랫폼 기본솔루션 서비스는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 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을 제공한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경영혁신플랫폼 교육을 통해 스타트업 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 “경영혁신플랫폼 상담센터(☎1644-1736)을 통해서도 언제든지 이용방법 안내 및 원격교육을 지원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74","atchfileNm":"(2016.06.20)_기정원_스타트업기업에_필요한_업무관리솔루션_교육_실시.hwp","viewCnt":"2966","regDate":"2016-06-17 16:46:51"},{"contentId":"42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맞춤형 교육으로 R&D 궁금증 풀어준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53","contentsKor":"기정원, ‘맞춤형 교육으로 R&D 궁금증 풀어준다' - 6월 21일(화), 중기 R&D수행기업 대상 상반기 교육 대전에서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올해 상반기 중기 R&D에 선정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R&D 수행과정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사업비 집행방법을 설명하고, 애로사항에 대해 1:1 상담하는 맞춤형 교육을 6월 21일(화) 대전 통계교육원에서 실시한다.      ◦ 이번 교육은 R&D 수행 중 꼭 필요한 사항인 ‘사업 관리지침, 시스템 사용방법 등에 대한 맞춤형 교육으로, 중소기업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사업비 집행 방법과 정산방법에 대한 교육도 전문회계사를 통해 진행된다.   ◦ 특히, 금번 교육에서는 R&D과제 수행 중소기업의 궁금증, 애로사항, 유의사항 및 과제별 특이사항 등에 대한 맞춤형 상담을 위한 1:1 상담부스도 운영할 예정이다.   ◦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중기 R&D 수행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담당자(042-388-0324)에게 신청하면 된다.       ※ 교육신청은 6월 7일부터 담당부서에서 접수를 받고 있음   □ 기정원은 하반기(‘16년 11월)에도 R&D 과제 수행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 기정원의 장인성 부장은 “이번 교육이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R&D 추진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73","atchfileNm":"(20160620)_기정원_맞춤형_교육으로_RD_궁금증_풀어준다.hwp","viewCnt":"2855","regDate":"2016-06-17 14:42:44"},{"contentId":"42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중견기업 R&D 지원 전주기적 혁신 본격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45","contentsKor":"기정원, 중소․중견기업 R&D 지원 전주기적 혁신 본격 추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중소기업청의 글로벌 기업 “육성” 전략으로 전환하는 중소·중견기업 R&D 정책개편에 따라 기획․평가․사업화 등 R&D 지원 전주기에 대한 혁신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청은 그간 씨뿌리기 차원의 저변확대 “지원”에서 글로벌 기업 “육성” 전략으로 혁신하는 중소·중견기업 R&D 정책 개편 방안을 발표(‘16.3.31)하였다.           * 중소․중견기업 R&D 정책개편방안 주요내용 : 참고 1 참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중소․중견기업 현장에서 R&D 정책 개편결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세부계획을 수립하였다.      □ 이번 세부계획은 중소기업청의 R&D 정책 패러다임 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1. 신성장동력 분야 집중을 위한 기술로드맵-사업간 연계 강화   ◦ 중소·중견기업 R&D 투자 포트폴리오가 신성장동력 등 성과 창출 분야를 중심으로 개편됨에 따라, 기정원은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의 전략성 및 R&D 사업과의 연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먼저,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개발시 산업부 R&BD 전략 등 타부처 정책과의 일관성을 강화하고, 기술로드맵을 통해 도출된 신성장동력 분야의 전략품목을 집중 투자하는 품목지정형 사업을 기존 2개 → ’17년 8개 사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2. 수출초보기업 전용 R&D 등 맞춤형 신규사업 발굴      ◦ 수출초보기업 전용 R&D 등 중소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신규사업을 추진하고, 디자인, 시험․평가 등 분야별 기술전문기업을 발굴․육성함으로써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3. 기술사업화를 위한 정책자금, 판로 연계 지원      ◦ R&D 성공기업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중진공, 은행연합회, 민간은행 등에 R&D 성공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정책자금 우선 지원, 전용대출상품 신설 등을 추진한다.      ◦ 또한, 성공기업 중 B2C 기업은 창조혁신제품통합유통플랫폼 등록('16년 250개 목표)시켜 판로개척을 지원할 계획이다.      4. 민간 주도형 R&D 기획 및 수시 시행체계 도입      ◦ 중소․중견기업 R&D 정책연구 결과 검증 및 정책이행 효율화를 위해 기정원에 ‘전략연구단‘ 구성․운영하고, 적기에 R&D 지원하기 위해 연중 수시접수․평가하는 수시 시행체계를 ‘16년 시범운영 후 ’17년부터 본격 도입할 예정이다.      5. 산업계 등 민간 평가역량 활용을 통한 평가 전문성 제고      ◦ 기존 28% 수준에 불과한 산업계 평가위원을 최소 50% 이상 활용하여 평가위원회를 전문성․사업성 중심으로 대폭 개편하고, 평가위원장은 우수위원 중에 사전 지정함으로써 평가 품질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      ◦ 또한, R&D 과제평가시 TCB 등 민간의 기술금융평가결과를 반영하고, 사업 특성에 따라 사업계획서 간소화(제품공정개선과제), 토론식 평가(고성장기업과제) 등 평가절차를 차별화하여 평가결과에 대한 중소기업의 신뢰도를 제고해나갈 계획이다.      6. 평가 집중도 제고를 위한 평가 분위기 혁신      ◦ 평가시간을 기존 과제당 40분(발표 20분, 질의응답 20분) → 과제당 60분(발표 30분, 질의응답 30분)으로 확대하여, 심층적인 과제 검토가 가능토록 개선하였으며, 평가위원에게 청렴윤리서약서를 징구하고, 불공정행위자에 대해서는 즉시 퇴출하는 등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 또한, R&D 패러다임의 주요내용을 전파 및 공유하기 위해 6월 9일 우수 평가위원 대상으로 R&D 평가혁신 워크샵을 개최하였으며, 모든 평가위원회 개최시 평가위원에게 안내함으로써 R&D 패러다임 혁신방안이 조속히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정부 R&D 서비스에 대한 중소기업의 눈높이가 매우 높아졌다”면서, “금번 R&D 패러다임 혁신을 계기로 기획․평가․사업화 등 R&D 지원 전주기를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하여 중소기업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 양원장은 R&D 지원 전주기적 혁신을 위해,         - “기술로드맵, 사업기획 등 정책적인 분야 뿐 아니라, 우수 평가위원 확충, 선진 R&D평가체계 도입 등 제도적 개선을 중기청과 협의하여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54","atchfileNm":"(2016.06.17)_기정원,_중소중견기업_RnD지원_전주기적_혁신_본격추진.hwp","viewCnt":"2991","regDate":"2016-06-16 16:44:31"},{"contentId":"43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16년 하반기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03","contentsKor":"‘16년 하반기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공고 - 중소기업 중심으로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개편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은 6월 13일(월), 우수한 연구개발 인프라를 보유한 대학․연구기관과 중소기업간 공동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의 2016년 하반기 시행계획을 공고하고, 2차례(7월,  9월)에 걸쳐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 정부 R&D에 처음 참여하는 중소기업 등 대학․연구기관과의 공동 R&D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최대 1년간 총 사업비의 75%(1억원 한도)를 지원하며,      ◦ 부설연구소를 처음 설치하는 중소기업중 대학·연구기관 내에 기업부설연구소를 설치하여 대학․연구기관과 공동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기업에게는 최대 2년간 총 사업비의 75%(2억원 한도)를 지원한다.          * ‘16년 하반기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지원액 : 370억원      □ 특히, ‘16년 하반기 지원과제부터는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의 주관기관을 기존 대학․연구기관에서 중소기업으로 변경하여, 중소기업이 원하는 실용기술 개발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의 기술개발 범위에 따라 당사자간 합의로 사업비를 자율 배분토록 하여, 기술개발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 (현행) 중소기업에 배분되는 사업비는 총 직접비의 40% 이내로 제한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수요에 대해 적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사업 신청기회를 연 2회에서 3회로 확대하였다.         * `16년 신청기간 : (당초) 2월, 6월 → (변경) 2월, 7월, 9월      □ 중소기업청은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의 전문기관(中企기술정보진흥원) 및 관리기관을 통해 5개 권역별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중소기업 R&D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및 중기청 홈페이지(www.smba.go.kr)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안내할 예정이다.      ◦ 사업에 참가하고자 하는 기업은 7.1(금)~7.13(수) 또는 9.1(목)~9.12(월) 중에 온라인(http://smtech.go.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28","atchfileNm":"(2016.06.13)_2016년_하반기_산학연협력_기술개발사업_공고.hwp","viewCnt":"2784","regDate":"2016-06-13 18:35:31"},{"contentId":"42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지원사업 수행기관 청렴윤리 실천 협약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38","contentsKor":"중소기업 지원사업 수행기관 청렴윤리 실천 협약 실시 - 6월 10일(금), 기정원·관리기관 청렴윤리 실천 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6월 10일(금) 서울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기업 지원사업 수행기관 청렴윤리 실천 협약식’을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이번 청렴 협약식에는 중소기업 지원사업 전문기관인 기정원과 업무협력관계에 있는 6개 관리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중소기업 지원분야의 공정한 행정서비스 제공과 청렴한 기관 만들기에 앞장 설 것을 협약하였다.   □ ‘청렴윤리 실천 협약식’을 시작으로 기정원과 관리기관은 중소기업 지원과정에 청렴과 윤리를 최우선 순위에 두고 업무를 추진하며, 주무부처인 중소기업청과 함께 ‘중소기업 청렴문화 확산’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아갈 것을 다짐하였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R&D 협력기관의 공동된 노력으로 우리나라 R&D 지원 분야에서 고객인 중소기업과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앞으로 기정원을 비롯한 중소기업 지원사업 수행기관은 청렴한 업무수행으로 중소기업 청렴문화 확산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22","atchfileNm":"(2016.06.13)_중소기업_지원사업_수행기관_청렴윤리_실천_협약_실시.hwp","viewCnt":"2643","regDate":"2016-06-13 09:15:38"},{"contentId":"42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中企 R&D 민간 전문가 확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37","contentsKor":"기정원, 中企 R&D 민간 전문가 확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6월 10일(금), 중진공, 한국벤처투자, 중기유통센터와의 협업 추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진흥공단(이사장 임채운, 이하 “중진공”), 한국벤처투자(주)(대표이사 조강래, 이하 “한국벤처투자”) 및 중소기업유통센터(대표이사직무대행 이해영, 이하 “유통센터”)와 6월 10일 오전 9시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중소․중견기업 R&D 평가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      ◦ 금번 업무협약은 중소기업청의 중소・중견 R&D 혁신방안의 후속조치로서, 기정원은 중진공 등이 보유하고 있는 분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 중소・중견기업 R&D 사업의 평가위원단에 등록 및 활동할 수 있도록 공동홍보 등 상호 협업을 추진할 예정임      ◦ 기정원은 중소・중견기업 R&D 사업의 평가를 위해 1만 9천여명의 전문가로 평가위원단을 구성․운영하여 왔으나,         - 기술 분야 전문가를 중심으로 운영되어, 수출, 투자, 마케팅 등 개발기술의 사업화에 필요한 전문가가 부족한 실정이었음         - 이번 협약을 계기로 수출(중진공), 투자(한국벤처투자), 마케팅(유통센터) 등 기관별로 보유한 전문가를 중소・중견기업 R&D 사업의 평가위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업화 가능성 중심의 R&D 평가 및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임      □ 이번 업무협약은 중소기업 지원 전문성 제고를 통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라는 정부3.0 가치 실현을 위해 중소기업청 소관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협력하여 추진하는 것으로,      ◦ 기관별로 보유한 전문가 정보를 공동 활용하는 협업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이와 관련하여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중소기업청 산하 공공기관들이 보유한 민간 전문가를 활용하기 위한 계기가 마련됨에 따라 중소․중견기업 R&D 지원사업의 평가체계 혁신 및 개발기술의 사업화 지원에 큰 효과를 낼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힘","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47","atchfileNm":"(2016.06.13)_기정원,_中企_RD_민간_전문가_확충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2663","regDate":"2016-06-13 09:11:09"},{"contentId":"42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평가위원 대상 ‘R&D 평가혁신 워크샵’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31","contentsKor":"기정원, 평가위원 대상‘R&D 평가혁신 워크샵’개최 - 6월 9일(목), 우수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평가혁신방안 전파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R&D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중소・중견 R&D 혁신방안에 따른 주요 평가체계 개편내용을 안내하고, 평가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워크샵을 6월 9일(목) 오전 서울 L타워에서 개최하였다.       ◦ 본 교육과정은 평가위원장 등 우수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청이 발표한 중소・중견 R&D 혁신방안의 주요내용을 전파하여,       ◦ 중소기업 R&D사업 평가 현장에서 사업성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워크샵은 중소ㆍ중견기업 R&D 정책 개편 방안 안내, 기정원의 R&D 평가체계 개편 및 평가분위기 혁신방안, 주요사업별 개선사항 분임토의 등 3부로 진행되었다.      ◦ 1부에서는 중소ㆍ중견기업 R&D 정책 개편 방안의 주요내용을 소개하고, 국내외 R&D 평가체계 동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함으로써 평가위원들의 중소ㆍ중견기업 R&D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2부는 기정원의 R&D 평가체계 개편 및 평가분위기 혁신방안과, 사업화 가능성 중심의 선정평가를 위해 도입한 사업성 심층평가기법에 대한 실무적인 사항을 교육하였다.      ◦ 마지막 3부에서는 워크샵에 참석한 평가위원들이 기술혁신, 상용화, 창업성장 등 대표적인 R&D 지원사업의 제도개선방향에 대해서 자유롭게 토의하는 분임토의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R&D 평가혁신 워크샵을 통해 평가위원들이 좀더 정부의 정책방향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사업성 중심의 평가가 실현되기 위한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평가위원의 사업성평가 역량을 강화하고, 평가위원의 의견을 수렴하여 중소․중견기업 R&D사업의 평가체계를 개선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41","atchfileNm":"(2016.06.10)_기정원_평가위원대상_RnD_혁신워크샵개최.hwp","viewCnt":"3246","regDate":"2016-06-09 09:33:50"},{"contentId":"42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사업화 성공을 높이기 위한 中企 R&D기획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28","contentsKor":"기정원, 사업화 성공을 높이기 위한 中企 R&D기획 지원! - 2016년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 시행계획 2차 공고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R&D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을 지난 1월 1차 공고에 이어 2차 신청·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 R&D 기획은 중소기업이 기술을 사업화하는 全단계(기획→개발→사업화)에서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기술개발 지원과 더불어 정책적 지원이 중요한 단계이다.      ◦ ‘R&D기획지원사업’은 기획 전문기관이 중소기업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한 기술성․사업성 등을 분석하고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며, 우수과제를 선정하여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사업에 연계․지원한다.        - 지난해에는 240개 과제의 R&D기획을 지원하였으며, 2014년도에 기획지원 받은 우수과제 92개를 선정하여 2015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등에 연계하였다.      □ 기정원은 이번 2차 시행계획 공고를 통해 9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하여 창업과제와 혁신과제에 2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창업과제는 총 사업비의 80%이내에서 최대 2,720만원까지 지원하며,         - 벤처·이노비즈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하는 혁신과제는 총 사업비의 70% 이내에서 최대 2,380만원까지 기획기관을 통해 지원한다.      < ’16년도 R&D기획지원사업 신청자격 및 지원조건 > 구분 신청자격 지원내용 수행기간 및 지원한도 창업 과제 창업 후 7년 이하이고, 상시근로자수 50인 이하 또는 매출액 50억원 이하인 중소기업 사업화 실현 가능성 및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제품 개발 기술 최대 4개월, 2,720만원 이내 혁신 과제 벤처기업, 이노비즈기업, 기업부설연구소 보유기업 중 하나에 해당하는 기업 미래 성장유망 20대 전략분야의 시장초기기술 또는 고위험․고수익이 기대되는 기술 최대 4개월, 2,380만원 이내   ◦ 과제 신청·접수 기간은 5월 30일(월)부터 6월 23일(목)까지이며, 과제 신청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기정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R&D기획지원 사업이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의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제고를 통한 사업화 성공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37","atchfileNm":"(2016.06.09)_기정원_사업화성공을높이기위한중기RnD기획지원.hwp","viewCnt":"2702","regDate":"2016-06-08 13:20:49"},{"contentId":"42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초기기업을 위한 R&D사업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2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초기기업을 위한 R&D사업 지원! -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창업과제’2차 신청․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창업초기 기업의 아이디어 발굴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 2차 신청·접수를 6월 30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번 2차 공고를 통해 250개 내외의 기업을 선정하여 38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2차 신청·접수기간은 2016년 6월 7일(화)부터 6월 30일(목)까지이며, 지원대상은 창업 후 7년 이하인 중소기업으로서, 상시근로자 수 50인 이하 또는 매출액 50억원 이하인 중소기업이다.       < 추진절차도 >   신청․접수 (주관기관/온라인) → 서면/대면평가 (전문기관) → 현장조사 (관리기관) → 지원과제 선정 (심의조정위원회)                                      ↓ 사후관리 (전문기관) ← 최종평가 (전문기관) ← 과제관리 (관리기관) ← 협약·자금지원 (전문기관)   * (주관기관) 과제신청업체, (관리기관)지방중소기업청, (전문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특히 ‘창업과제’는 공급자 중심의 지원정책이 아닌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금년부터 ‘바우처 제도’를 적용하여 추진된다.        - 바우처는 정부가 중소기업 R&D사업 등을 위해 기업에 지급한 자금 중에서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을 이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에게 제공하는 신용한도(포인트, 쿠폰)를 의미한다.         - 다만, 산업기술분류 7대 분야 중 인력을 활용한 기술개발 비중이 높은 기술분야*의 개발과제에 한하여 바우처 의무사용이 제외된다.     * 산업기술분류 상 대분류가 ‘지식서비스’ 분야 및 소분류가 ‘S/W․설계기술 등’ 분야      ○ 아울러 금년부터는 현장조사를 대면평가 이후에 실시하여 평가기간을 단축하였으며, 사업계획서 작성서식을 간소화 하여 신청기업의 부담을 완화하는 등 수요자 중심으로 사업을 개편하였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창업 수요에 부응하여 잠재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창업 초기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R&D지원을 통해 창업기업의 사업화성공률 제고 및 성장기반 강화를 기대해본다”며 “앞으로도 창업초기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을 통한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해 우리 원에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과제 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34","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창업초기기업을_위한_RD사업_지원!(20160607보도요청.hwp","viewCnt":"2823","regDate":"2016-06-03 13:19:22"},{"contentId":"42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도전적 R&D 수행을 통한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 55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21","contentsKor":"기정원, 도전적 R&D 수행을 통한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 55억원 지원 - ‘16년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으로 19개사 대상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창의·도전적인 과제를 지원하고 실패를 용인함으로써 신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개발을 지원·육성하기 위해 ‘16년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에 19개 기업(신규 5개, 계속 14개), 55억 원을 지원한다고 6월 3일(금) 밝혔다.       ◦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은 실패 위험성은 높으나, 창의·도전적인 기술혁신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R&D 성공시 고수익 창출이 가능한 미래유망 기술개발 과제를 지원·육성하는 사업이다.      ◦ 동 사업은 2월 23일 공고 이후, 3월 24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받아사업성 심층평가, 대면평가를 통해 신규 5개 기업을 선정하여 13.5억원을 지원하며, 계속과제 14개에 대해서는 41.5억원을 지원한다.   □ 동 사업은 특히 R&D 역량 우수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율이 3% 이상인 기술혁신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 신청자격을 강화하였고,       ◦ 시장확보 가능성, 수출·고용촉진 등 경제적 성과를 중점적으로 검토하여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우수과제를 선별하기 위해 기존 서면평가 대신 사업성 심층평가를 실시한 바 있다.      □ 기정원은 동 사업의 ‘16년 5개 신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는 협약설명회를 6월 3일(금) 오후 2시 해성빌딩 팁스홀(서울)에서 개최한다.      ◦ 특히, 본 설명회에서는 올해부터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과 더불어 1년 이상 수행되는 모든 사업으로 확대 적용되는 무빙타겟제에 대해서도 안내한다.       * 무빙타겟제(연구목표 변경)란? ◦ 연구개발사업은 협약 당시의 사업계획서를 기준으로, 진행 후 시장 및 트렌드 변화에 따른 Risk 존재(블루오션 등의 이동) ◦ 이에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도전적 연구의 지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무빙타겟제’(연구목표 변경) 도입 필요   * '15년 1개 사업(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 → '16년 개발기간 1년 이상 全 사업 확대   ◦ 아울러 사업을 진행하며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할 예정이다.      □ 양봉환 원장은 “동 사업을 통해 선정된 기업이 신시장 개척과 고수익 창출로 신시장을 선도해 나가길 바란다”며 “기정원도 중소기업이 창의·도전적으로 기술개발에 나설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71","atchfileNm":"(20160603)_기정원_도전RnD적수행을통한시장창조원창조기술개발55억지원.hwp","viewCnt":"3043","regDate":"2016-06-02 10:30:15"},{"contentId":"42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적합업종 기업 R&D지원에 21.5억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20","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적합업종 기업 R&D지원에 21.5억 지원 - 6월 3일, 17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6월3일(금) 오후 2시 해성빌딩 팁스홀(서울)에서 2016년 적합업종기업 R&D 지원사업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동 사업은 중소기업 적합업종*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 중소기업 적합업종은 대기업의 무분별한 진출로 인해 중소기업이 경영 악화 등을 겪게 되는 경우 사회적인 합의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이다.(2016년 108개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 동 사업은 금년 2월 15일 공고 이후, 3월 15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서면, 현장조사, 대면평가를 통해 17개 기업을 선정하여 21.5억원을 지원 육성한다.   □ 본 설명회에서는 적합업종기업 R&D에 선정된 17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양봉환 원장은 “이번 설명회가 적합업종 영위기업에 대한 기술개발의 집중적인 지원을 통하여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의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며, “기정원도 R&D를 수행하는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개발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31","atchfileNm":"(2016.06.03)_기정원_중소기업적합업종기RnD기업지원에21억지원.hwp","viewCnt":"2684","regDate":"2016-06-02 10:25:48"},{"contentId":"42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全 직원 청렴R&D 실천 서약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11","contentsKor":"기정원 全 직원 청렴R&D 실천 서약 실시 - 노·사 함께 청렴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 새롭게 다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5월 27일(금) 천안 재능교육연수원에서 ‘TIPA 청렴R&D 실천다짐 청렴 서약식’을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이번 청렴 서약식에서는 노-사의 대표가 한자리에 모여 기정원의 임직원으로서 중소기업지원을 위한 투명하고 공정한 행정서비스 제공과 청렴한 기관 만들기에 앞장 설 것을 결의하였다.   □ ‘청렴 서약식’을 시작으로 기정원 전 직원들은 ‘금품·향응 수수 금지’,  ‘공정한 직무 수행’,  ‘고객만족’  등을 통해 청렴·윤리경영에 적극 동참하고, 위반 시에는 어떠한 처벌이나 불이익도 감수하겠다는 ‘청렴실천 서약서’에 서명하였다.   □ 양봉환 원장은 “이번 청렴 서약식을 통해 직원들의 청렴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를 새롭게 다짐하였다”며 “고객인 국민과 중소기업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청렴문화 정착에 앞장 서는 기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앞으로도 기정원은 ‘기관장 청렴서한 발송’,  ‘중소기업 R&D지원 운영기관들과의 청렴협약’ 등을 통해 기관의 청렴의지를 전파하고, 청렴문화 확산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29","atchfileNm":"(2016.05.27)_기정원_전_직원_청렴서약_실시(.hwp","viewCnt":"2679","regDate":"2016-05-26 19:10:54"},{"contentId":"419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히든챔피언 : 특허가 경쟁력이다] 중소기업 기술사업화(특허전략) 지원 기관장 인터뷰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92","contentsKor":"[YTN](히든챔피언 : 특허가 경쟁력이다) 반도체 패키징 전문업체 관련 기관장 인터뷰      지난 5월 11일 YTN TV “히든챔피언-특허가 경쟁력이다” 반도체 패키징 전문업체 편에 원장님께서 출연해서 "우리원의 중소기업 기술사업화(특허전략) 지원“에 대한 기관장 인터뷰 내용이 방송되었습니다.      이달 방송된  반도체 패키킨 전문업에인 “넷피스”는 우리원에서 한국지식재산전략원를 통해 지원한 2015년 기술혁신형 IP통합솔루션 지원사업 통해 지원한 업체이다.   기술혁신형 IP통합솔루션 지원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선제적 IP 분쟁 대응력 강화 및 미래 신사업 발굴을 위한 지식재산 관점의 통합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1세기 성장 동력이자 우리나라 수출 품목 1위인 반도체 산업!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70%에 달하는 비메모리 분야에 뛰어들어 세계에 우뚝 선 '히든챔피언'이 있다! 반도체 패키징 전문업체, 네패스. 특허받은 공정으로 매출 4천억의 글로벌 회사로 성장한 반도체 패키징의 IP 리더! 히든챔피언, 특허가 경쟁력이다! 그 성공전략을 함께 확인해보자.          - 프로그램 : [YTN]히든챔피언 특허가 경쟁력이다(1회 : 반도체 패키징 전문업체(넷피스))     - 방송일자 : 2016년 5월 11일     - 사이트 :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46&s_hcd=&key=201605111537027587","viewCnt":"3802","regDate":"2016-05-26 13:09:23"},{"contentId":"41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데이터 개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9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데이터 개방 - 공공데이터 적극 개방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 수립에 활용-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정부3.0 추진 활동의 일환으로 중소기업기술로드맵 데이터를 개방했다고 5월 27일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로드맵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기술시장동향 및 기술성장성 등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미래기술개발 가이드라인으로,      ○ 대기업에 비해 연구개발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2010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      □ 기정원은 공공기관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개방하여 민간의 활용을 추진하는 정부3.0의 취지에 따라, 중소기업의 활용도가 높은 “2015년 중소기업기술로드맵 데이터”를 우선 개방하였다.      ○ 금번에 개방하는 중소기업기술로드맵 데이터는 20대 전략기술 분야별 세계시장, 국내시장, 유망시장 규모 현황을 2013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분석한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 중소기업은 이 데이터를 통해 파급효과가 큰 기술 분야에 전략적으로 집중할 수 있고, 진출하고자 하는 기술 시장을 분석하여 기술개발 방향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또한, 올해 상반기 내에 기술로드맵 데이터 중 “무역규모 현황” 및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자료” 등도 추가로 개방할 계획이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향후에도 국민의 수요와 활용도가 높은 양질의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정부3.0가치 확산에 기여하고 중소기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공개된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털(www.data.go.kr) 또는 기정원(www.tipa.or.kr)에서도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문의처         - 데이터 관련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로드맵 사업담당자(042-388-0241)    - 개방 관련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공공데이터 실무담당자(042-388-0134)","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07","atchfileNm":"(2016.05.27)_기정원_중소기업기술로드맵_공공데이터_개방.hwp","viewCnt":"3809","regDate":"2016-05-25 18:14:40"},{"contentId":"41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中企 맞춤형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63","contentsKor":"기정원, 中企 맞춤형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업무협약 체결 - 4개 조합·협회 중소기업에 특화솔루션 지원하기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5월 17일(화) 오전, 중소기업중앙회(서울 여의도)에서 ‘2016년도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지원 협약식’을 개최했다.      ◦ 협약대상은 기정원과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개발과제에 선정된 광주광역시식자재공급업협동조합, 서울특별시마을버스운송사업협동조합,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한국수입협회 등 4개 중소기업 조합·협회이며,      ◦ 특화솔루션 개발과제에 대한 당사자 간의 권리와 의무 등의 제반사항과 상호 협력관계를 구축하는데 뜻을 같이 하면서 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날 행사에는 기정원 양봉환 원장을 비롯해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조합·협회의 기관장 및 소속 회원사 대표 등 20여 명이 참석하였다.      □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맞춤형 4개 특화솔루션이 개발되면, 조합·협회 및 해당 업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은 내년부터 플랫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 경영혁신플랫폼 기반 정보화 지원사업은 개발과제에 선정된 업종을 대상으로 특화된 솔루션을 개발하여 중소기업 조합·단체 소속 회원사들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 가스판매협회, 쌀가공식품협회 등 28개 특화업종을 선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13,091개(‘16. 5. 15일 기준) 중소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을 가입하여 이용하고 있다.      ◦ 가스판매협회의 경우, 4,853개사가 플랫폼을 이용중에 있으며, 서비스 이용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 향상과 업무의 자동화 수준이 20%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플랫폼활성화방안연구보고서(한국경영정보학회, '14. 12)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이날 협약식에서      ◦ “운영인력부족, 유지보수 부담 등의 이유로 정보화 환경구축에 부담을 느꼈던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을 제공하여,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하며,      ◦ “중소기업의 정보화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협약식에 참석한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소속 중소기업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 “그동안 통계자료를 수기로 입력·보고하였는데, 플랫폼이 제공되면 보고가 수월해 질 뿐 아니라 공작기계 수출·입 동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사업을 체계적으로 구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78","atchfileNm":"(2016.05.17)_기정원,_中企_맞춤형_경영혁신플랫폼_지원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2756","regDate":"2016-05-17 14:42:06"},{"contentId":"41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52","contentsKor":"기정원, ‘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5월 9일(월), 40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 안내 및 교육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5월9일(월) 오후 2시 대전인터시티호텔 3층 파인A홀에서 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해외수요처과제 선정기업 및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이관 공공구매조건부 기술사업화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해외수요처과제’는 해외수요처로부터 신제품개발을 요청받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 1월 15일 공고 이후 2월 25일까지 1차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34개 기업을 선정하여 93억원을 지원한다.          * 해외수요처 범위 : 외국정부, 국제기구, 외국기업, 해외 도·소매 유통 체인 등 해외 현지법인(신청 주관기관과 상호 출자지분이 없는 경우)      ◦ ‘공공구매조건부 기술사업화’ 과제는 국토부에서 수행하던 사업을 정부 R&D 유사·중복 조정에 따라 ‘16년부터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에 통합되어 추진하며, 금번에는 6개 계속과제를 선정하여 13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본 설명회에서는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해외수요처 과제에 선정된 34개 기업 및 공공구매조건부 기술사업화과제 수행 6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해외수요처과제는 2차 사업계획서 접수시부터 수시접수 방식으로 변경(기존 4월과 8월 접수)하여 진행 중이며(2016년 4월~8월), 산·학·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5월 중 2차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해외수요처과제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의 수출을 촉진하고,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길 바란다”며 “특히 처음으로 R&D를 수행하는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79","atchfileNm":"(2016.05.06)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_협약설명회개최.hwp","viewCnt":"2790","regDate":"2016-05-04 16:50:57"},{"contentId":"41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가정의 달 맞이 아동복지시설 꽃길 조성 봉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46","contentsKor":"기정원, 가정의 달 맞이 아동복지시설 꽃길 조성 봉사 실시 - 4월 28(목), “성심원” 꽃모종심기 봉사활동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4월 28일(목)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을 방문하여 꽃모종심기 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 이번 꽃모종심기 봉사활동은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이날 행사는 기정원 양봉환 원장과 임직원이 참여하였으며, 성심원 앞마당에 꽃길 조성을 위해 패랑이꽃 모종을 심는 봉사활동으로 추진하였다.       ◦ 성심원(대전시 동구)은 기정원이 ‘13년 대전으로 이전한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봉사 및 기부활동을 펼쳐온 단체이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2016년에도 지역사회 소외계층과 함께하기 위해 아동보육시설, 장애인지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및 외국인지원시설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67","atchfileNm":"(20160429)기정원-가정의달맞이아동복지시설꽃길조성봉사실시.hwp","viewCnt":"2890","regDate":"2016-04-29 09:55:46"},{"contentId":"41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2016년 R&D기획지원사업 협약설명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43","contentsKor":"기정원, ‘2016년 R&D기획지원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4월 28일(목), 97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 안내 및 교육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4월28일(목) 오후 2시 대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컨퍼런스홀에서 2016년도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 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해 개발 타당성 분석, 시장성 조사, 성공 가능성 평가 등의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금년에는 1월 20일 1차 공고 이후 2월 22일까지 사업 신청·접수를 통해 97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24.9억원을 지원한다.      ◦ 최종 선정기업은 기획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4개월간 R&D기획지원을 수행하며, 정부출연금은 창업과제의 경우 최대 2,720만원(총 사업비의 80%), 혁신과제는 최대 2,380만원(총 사업비의 70%)까지 지원된다.      ◦ 한편, 금년도 R&D기획지원사업 2차 공고는 5월 중에 진행되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7월 중에 90개 내외의 과제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사업에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기획기관 소개, R&D기획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된 내용을 전달할 예정이다      ◦ 사업개요 및 추진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사용 등 협약체결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아울러, 중소기업의 재직자에 대한 R&D기획역량 내재화 및 자발적 R&D기획 활동 촉진을 위한 R&D기획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운영과 세부일정 등도 안내한다.      □ 2016년에는 지원과제에 대한 기획품질 향상 및 일부 분야의 기술전문가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 기획기관에 대한 수행능력 평가 및 신규 기획기관 모집을 통해 전년보다 2개 기획기관이 추가된 6개 기획기관으로 운영한다.      <2016년도 기획기관 지정현황> 기 관 명 연락처 비고 기술보증기금 02-2155-377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02-3299-6037      특허법인 프렌즈드림 02-563-4593      특허법인 다나 02-556-5548 신규 기획기관 ㈜윕스 02-726-9844 신규 기획기관 ㈜이지펙스 02-565-9930 신규 기획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R&D기획지원 사업을 통하여 기술력 있는 R&D초보기업이 성공적인 기술개발 및 이를 통한 사업화가 실현되길 기대한다.”며,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기업에게 궁금증을 해소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기획기관과 중소기업의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80","atchfileNm":"(2016.04.28)_기정원_2016년RnD기획지원사업_협약설명회개최.hwp","viewCnt":"3193","regDate":"2016-04-27 11:04:07"},{"contentId":"41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초기기업을 위한 R&D사업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2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초기기업을 위한 R&D사업 지원! - 2016년도 1인 창조기업 및 여성참여활성화 과제 1차 신청․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2016년도 ‘1인 창조기업’ 및 ‘여성참여활성화’ 과제의 기술개발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이에 따라 창업초기기업의 아이디어 발굴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과제의 1차 신청·접수를 5월초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1인 창조기업 과제’는 신기술 또는 신제품 개발이 가능한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1인 창조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196억원의 예산으로 300개 내외의 기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 특히, 금년에는 시장 수요의 적기 대응 및 과제신청의 편의성을 위하여 2회에 걸쳐 신청․접수를 받는다. 1차 접수기한은 5월 2일(월)까지이며, 2차는 6월 15일에서 7월 22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 1차 접수기간 : 2016.3.28~2016.5.2, 2차 접수기간 : 2016.6.15~7.22(예정)      - 금년부터는 R&D사업을 통한 고용창출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여성창업기업 등에 대한 고용창출 요건이 추가되었으며, 선정평가의 공정성 및 기업의 편리성 제고를 위해 과제 평가를 ‘온라인 클린평가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실시할 예정이다.     * 신청자격 : (기존) 여성기업 → (현행) 신규 R&D인력 고용(예정)+여성기업   ○ 아울러 ‘1인 창조기업’ 및 ‘여성참여활성화’ 과제는 공급자 중심의 지원정책이 아닌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금년부터 ‘바우처 제도’를 적용하여 추진된다.     - 바우처 제도는 정부가 중소기업 R&D사업 등을 위해 지급한 자금 중에서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을 이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에게 제공하는 신용한도(포인트, 쿠폰)를 의미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사업이 1인 창조기업 및 여성창업기업 등에게 성공적인 R&D 수행을 위한 디딤돌이 되었으면 한다”며 “앞으로도 창업초기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을 통한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해 우리 원에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과제 신청은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37","atchfileNm":"(2016.04.20)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창업초기기업을위한RnD사업_지원.hwp","viewCnt":"3174","regDate":"2016-04-20 14:06:10"},{"contentId":"41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17","contentsKor":"기정원,‘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개최 - 4월 15일(금), 35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 안내 및 교육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4월15일(금) 오후 2시 대전역(KTX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5층 인경실에서 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국내수요처 및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 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 1월 15일 공고 이후 2월 15일까지 1차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35개 기업을 선정하여 73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한편, 동 사업에서는 2차 사업계획서를 현재 접수 중이며(2016년 4월4일~5월 3일), 산학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5월 중 최종 지원과제를 2차 확정할 계획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국내수요처 및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 과제에 선정된 35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자들에게 윤리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미래 국가 경제 발전의 기반이 되길 바란다”며 “특히 처음으로 R&D를 수행하는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12","atchfileNm":"(2016.04.15)기정원_2016년_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_협약설명회개최.hwp","viewCnt":"3053","regDate":"2016-04-15 10:44:59"},{"contentId":"41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中企 정보화 전략적으로 지원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1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中企 정보화 전략적으로 지원한다. -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업무협약 체결 - - 2,600여 중소기업에 맞춤형 생산현장 스마트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기업 정보화를 위해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업 맞춤형 스마트 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등 전략적 중소기업 육성에 나선다.      □ 기정원(원장 양봉환)과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센터장 대표 김선일)는 4월7일(목),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대구 동구)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업해 나가기로 했다.         * 부산(‘15.3.18), 대전(‘15.11.17), 인천(‘16.2.26), 광주(‘16.3.18), 서울(‘16.4.6) 협약체결         ** 강원, 경기, 경남, 경북, 대구, 세종, 울산,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 포항센터와 금일 협약체결      □ 이번 업무협약은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이하 특화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여 창조경제 활성화 및 지역경제 혁신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 이를 통해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클라우드 자원 : 개발을 위한 플랫폼 구축을 할 필요없이 개발 요소들을 빌려 쓸 수 있게 하는 서비스      □ 기정원과 창조경제혁신센터는 특화분야 중소기업이 편리하게 경영혁신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 또한 업무협약 후,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스마트 공장을 구축한  ㈜앤디아이(대구 서구, 교직물 염색가공업)를 방문하여, 생산라인을 견학하고 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효과적인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 ㈜앤디아이는 생산현장디지털화 사업참여로 POP시스템을 구축하여, 작업준비 시간이 50% 감소하였고, 전년대비 매출액이 8.8%증가하였다.      ◦ 기정원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조업 혁신 3.0의 일환으로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을 지원하여,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2,600여 중소기업 맞춤형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였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에 전략적 정보화 지원으로 점차 지원대상을 확대하여, 많은 중소기업이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09","atchfileNm":"(2016.04.07)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中企_정보화_전략적으로_지원한다.hwp","viewCnt":"2905","regDate":"2016-04-07 14:33:08"},{"contentId":"41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0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 -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으로 中企 정보화 역량강화 추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박용호)는 4월6일(수),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서울 광화문)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이하 특화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여 창조경제 활성화 및 지역경제 혁신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 이를 통해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클라우드 자원 : 개발을 위한 플랫폼 구축을 할 필요없이 개발 요소들을 빌려 쓸 수 있게 하는 서비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특화 분야 중소기업 지원의 기틀이 마련됐다.”며,      ◦ “앞으로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와 교육 프로그램 등을 연계하여, 우리 중소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혁신센터에 입주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 할 방침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03","atchfileNm":"(2016.04.06)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3231","regDate":"2016-04-06 15:22:55"},{"contentId":"40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고사양·첨단 연구장비를 내것처럼 자유롭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037","contentsKor":"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고사양·첨단 연구장비를 내것처럼 자유롭게! -“자유형 공동활용 지원사업”신규 시행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중소기업에서 연구개발시 대학․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연구장비를 공동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 올해부터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보유한 고사양·첨단 연구장비도 활용할 수 있도록 「자유형 공동활용 지원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 자유형 공동활용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등 6개 기관으로서, 현재 활용할 수 있는 장비는 아래와 같으며, 앞으로 계속 추가될 예정이다.      기관명 주요장비 한국기계연구원 분무입경 측정장치, 투습도 측정기, 축계 비틀림 레이저 진동계 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 신호분석기, 3D 컬러모형 가공기, X-선 회절기 등 한국한의학연구원 분광광도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레이저 혈류계 등 재료연구소 전계방사형 투과전자 현미경, 고온인장시험기, 원소분석장치 등 세계김치연구소 핵산추출용 전자동 원심분리장치, 초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혐기성 배양기 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적외선 열화상 진단시스템, 주사전자현미경,  다목적 진동 만능시험기 등   □ 또한, 동 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수월한 연구장비 활용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의 ZEUS시스템과 중소기업청의 SMTECH시스템과의 연계를 진행하였다.      ◦ 따라서, 동 사업에 대한 안내와 신청 메뉴가 ZEUS시스템에도 마련되어 참여기업이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장비를 ZEUS시스템을 통해 선택 또는 예약 시, SMTECH시스템으로 자동 연결된다.          * ZEUS시스템(http://www.zeus.go.kr) : 연구장비 종합포털          * SMTECH시스템(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동 사업의 참여기업은 장비이용 바우처(쿠폰)방식으로 장비이용료의 60~70%까지 5천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받을 수 있으며,   ◦ 신청기간은 2016년 1월 ~ 2016년 12월까지이며, 예산소진시까지 지원가능하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627","atchfileNm":"(2016.03.31)_기정원_정부출연연구기관의_첨단연구장비_내것처럼_자유롭게_활용_지원.hwp","viewCnt":"3391","regDate":"2016-03-30 13:17:46"},{"contentId":"40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01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 -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으로 특화분야 中企 정보화 역량 강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유기호)는 3월18일(금),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업해 나가기로 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이하 특화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 협약내용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지원 등이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이에 따라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전담인력, 유지보수, 기능개선 등의 부담없이 솔루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두 기관은 이용기업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두 기관의 업무협약을 통해 차별화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97","atchfileNm":"(2016.03.18)_기정원-광주창조센터_업무협약_보도자료.hwp","viewCnt":"2918","regDate":"2016-03-18 16:24:34"},{"contentId":"39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98","contentsKor":"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 - 3월 17일(목)부터 5개 광역별 사업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는「‘16년도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며,      ○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성공하면 수요처에서 일정기간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 동 설명회는 3.17일부터 5대 주요 광역별*로 개최되며,         * 3.17(목) 경기, 3.18(금) 대전, 3.22(화) 서울, 3.24(목) 부산, 3.25(금) 광주      ○ ‘16년 주요 사업내용, 사업계획서 작성 및 SMTECH* 입력방법, 기술임치 등에 대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중소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 한편, 기정원은 제2차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신청(‘16.1월)을 4.1일(금)부터 5.2일(월)까지로 온라인 시스템(SMTECH)을 통해 받을 예정이며,      ○ 산학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5월 중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경영안정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며 “지난해 중소기업 R&D 지원기능을 통합한 기정원도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지속성장 동력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공고문과 중기청 및 기정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77","atchfileNm":"(2016.03.15)_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_찾아가는_사업설명회실시.hwp","viewCnt":"2987","regDate":"2016-03-15 09:08:50"},{"contentId":"39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IPF 공공기관연구센터] 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겠습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83","contentsKor":" 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겠습니다.      금번 [기관장인터뷰(42호)]에서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님과의 인터뷰를 담았습니다. 2013년 취임하신 이래, 경영혁신플랫폼을 구축하여 정보화 환경이 열악한 중소기업에게 기업 경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중소기업청 R&D 사업의 전담기관으로 지정되면서 중소기업 R&D지원 사업을 통합 이관 받았으며, 국내 대표의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으로서 거듭나기 위해서 ‘소통’과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R&D 지원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고 사업화를 위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일시 : 2015.12.18      * 장소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대전 유성구 소재)      * 진행 : 이원희 KIPF 공공기관연구센터 소장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62","atchfileNm":"기관장인터뷰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KIPF_공공센터_20160104.pdf","viewCnt":"2796","regDate":"2016-03-10 09:30:07"},{"contentId":"39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5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 -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박인수)는 2월26일(금),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이하 특화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 이를 통해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이번 업무협약은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물론 인천 지역의 창업기업 정보화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우리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는 혁신센터에 입주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 할 방침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42","atchfileNm":"(2016.02.26)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3445","regDate":"2016-02-29 11:03:25"},{"contentId":"39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월간현대경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관장 인터뷰(2016년 2월호 커버스토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39","contentsKor":"[월간현대경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관장 인터뷰(2016년 2월호 커버스토리)     지난 1월 28일 월간현대경영과 우리원의 원장님과의 인터뷰가 진행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는 현대경영 2월호 커버스토리에  "중소기업 활짝 피어라“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습니다.        “기정원(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아시나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 정보화를 총괄 지원하는 대단히 중요한 기관입니다. 매서운 날씨마저 잠시 주춤했던 지난 1월 28일, 양봉환 기정원 원장을 서울 여의도 집무실에서 만났습니다. 다년간 정부에 몸담았던 양봉환 원장에게는 공직자 특유의 포멀(formal)한 분위기가 났습니다. 학자 같기도 하고 선비 같기도 한 ‘꼿꼿(?) 기관장’의 모습 그대로였습니다. 기정원의 핵심가치 중 하나가 ‘청렴’이라 하더니 과연 양원장의 얼굴이 ‘청렴’을 빼닮았습니다.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및 정보화경영을 지원, 중소기업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전문기관입니다. 창조경제를 측면에서 지원함으로써, 창업 중소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발전을 위한 든든한 ‘R&D(Research and Development) 파트너’ 입니다.           - 2월 커버스토리 :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 - 대담자 : 임래규 전 산업자원부 차관 - 인터뷰 일자 및 장소 : 2016년 1월 28일 (기정원 여의도 사무실) - 자료 사이트: http://www.newmanagement.co.kr/?p=8724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31","atchfileNm":"현대경영_2월호_커버스토리_양봉환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원장님.pdf","viewCnt":"4174","regDate":"2016-02-19 09:18:15"},{"contentId":"39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업무계획 보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30","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업무계획 보고 - ’16년 사업성 우수과제 선별을 통한 사업화 성공기업 확산 중점 추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 업무보고(’15.2.5)를 통해, 중소기업의 시장지향적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2016년 주요 업무계획을 발표하였다.      ◦ 취임사에서 우리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겠다고 밝힌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취임 후 첫 산하 공공기관 업무보고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방문했다.      ◦ 기정원은 이번 업무보고에서 중소기업의 시장지향적 R&D 구현을 위해 사업성 중심으로 평가시스템을 혁신하고, 성과확산 및 관리를 강화하기위한 2016년 업무추진방향을 밝혔다.      □ 기정원은 평가 전문성 강화를 위해 사업성 평가 전문가를 양성하고, 사업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평가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ㅇ 우수 평가위원을 중심으로 기업가치평가․기술가치평가 등 사업성 평가 특화과정을 운영하여 사업성평가 전문가로 양성하고, 이들을 사업성 심층평가에 투입할 예정이다.        ㅇ 또한,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의 사업별 목적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여 차별화된 평가체계를 운용한다.          - 창의적 아이디어 상업화를 위한 R&D초보기업은 1단계 평가로 간소화하여 적시 지원하고,          - 사업화 기술개발과제는 온라인평가 및 현장․대면평가로 진행하며,          - 유망기술 개발 과제는 사업성 중심의 심층평가가 강화된다.             * 중소기업 R&D 유형 구분 : 초보형, 일반형, 전략형      □ 중소기업 R&D 지원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R&D 지원기업의 성과 확산과 사업비 부정사용 방지를 위한 활동도 추진할 예정이다.        ㅇ R&D에 성공한 중소기업이 사업화를 위한 기술금융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은행연합회 등 민간 금융기관에 연계 지원하고,          - 중진공, KOTRA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R&D, 운전자금, 해외판로에 이르는 입체적인 기술사업화 지원도 전개할 계획이다.        ㅇ 특히, 암행점검단을 통해 무작위로 불시 점검하는 한편, 위험징후 수집과 특별점검을 강화하여 R&D사업비 유용 등 부정사례를 원천 차단할 계획이다.      □ 기정원은 R&D 정책연구 및 기술혁신 정보제공 서비스를 강화하여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할 계획이다.        ㅇ 중소기업 기술혁신 포럼을 신설하고 3개의 전문화된 분과*를 운영하여 중소기업 R&D 정책수립을 위한 지식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 3개 분과 : 정책연구분과, 기술전문분과, 성과확산분과        - 중소기업 현장 중심의 정책수요 발굴을 위해 고객자문단 운영 및 중소기업 현장방문을 확대할 계획이다.        ㅇ 기술로드맵을 통해 발굴한 중소기업 적합 미래 유망 기술과 산업․기술동향 정보를 중소기업들에게 서비스할 예정이다.      □ 업무보고를 마친 후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글로벌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현재 모습에 안주하지 않고 경제 발전을 위해 변화와 혁신을 주도”해 줄 것을 당부하였으며,        ㅇ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어려운 경제여건에서 기술개발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중소기업 R&D지원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21","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_RD_지원_업무계획_보고.hwp","viewCnt":"3864","regDate":"2016-02-11 10:57:14"},{"contentId":"39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설명절맞이 지역사회 사랑의 나눔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19","contentsKor":"기정원, 설명절맞이 지역사회 사랑의 나눔 실시 - 2월 4일(목)~5일(금), 대전지역 전통시장 물품구매 및 아동복지시설 위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설명절을 맞이하여, 2월 4일(목)~5일(금)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을 방문하여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위문품을 전달하였다.        □ 이번 사랑의 나눔활동은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과 장애인아동보호시설인 “하늘품 장애인단기보호시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위문물품은 아동복지시설에서 설명절에 필요하다고 요청한 물품(쌀, 과일, 건어물, 생필품 등)이며, 이를 전통시장(중앙시장, 법동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구매하여 전달하였다.         ◦ 기정원은 성심원(2월4일(목))과 하늘품장애인단기보호센터(2월5일(금))를 방문하여 위문물품을 전달할 예정이다.         □ 한편, 기정원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2월 5일(금) 오전 법동시장(대전시 대덕구)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설명절 필요물품을 구매하는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이날 행사에는 기정원 양봉환 원장과 임직원 2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며, 설명절에 직원들이 가정에서 사용할 물건과 설명절 위문물품을 구매한다.      □ 기정원은 ‘13년 대전으로 이전한 이후부터 지역사회 소외계층과 함께하기 위해 아동보육시설, 장애인지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및 외국인지원시설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기정원은 2016년에도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추진하여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사회 만들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18","atchfileNm":"기정원,_설명절맞이_지역사회_사랑의_나눔_실시.hwp","viewCnt":"3232","regDate":"2016-02-04 19:01:49"},{"contentId":"38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전국 28개 창업선도대학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86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전국 28개 창업선도대학 업무협약 체결 - 유망 (예비)창업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지원키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에서 창업선도대학으로 지정한 전국 28개 창업선도대학과 손을 잡고, 유망(예비)창업기업 정보화 도입의 길을 모색한다.      □ 기정원과 21개 대학 창업지원단*은 1월18일(월), 기정원(대전 유성)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경일대, 계명대, 단국대, 부경대, 연세대, 원광대, 전북대, 전주대, 조선대, 충북대, 한국산업기술대     ** 건국대, 경기대, 경성대, 국민대, 동국대, 순천대, 순천향대, 인덕대, 인천대, 제주대 등 10개 대학은 서면협약 진행      ◦ 기정원은 지난 11월26일 7개 대학 창업지원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고, 이번 21개 창업지원단과 협약을 진행하여 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협력체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 강원대, 동아대, 영남이공대, 한국교통대, 한남대, 한밭대, 호서대           ◦ 이번 업무협약은 (예비)창업기업을 위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지원으로 창업기업 정보화, 지역 및 창조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를 통해 (예비)창업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과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 “전국 28개 창업선도대학과의 업무협약으로 유기적인 창업기업 정보화 지원 체계를 마련해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 육성에 기여할 것”이라며 “각 기관에서 보유한 역량을 십분 발휘하여 우리 중소기업의 업무효율성 향상 지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 기정원과 창업지원단은 간담회를 통해 경영혁신플랫폼 지원계획에 대해 논의하여,      ◦ 향후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혁신플랫폼 활용교육을 지원할 계획이며, 상반기에는 창업준비공간에 입주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428","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전국_28개_창업선도대학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2984","regDate":"2016-01-18 15:35:49"},{"contentId":"37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청렴도‘우수’기관으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97","contentsKor":"기정원, 청렴도‘우수’기관으로 선정! - 청렴문화 정착 위한 전사적인 노력으로 3년 연속 등급 상승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실시한 ‘2015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고 12월 23일(수) 밝혔다.   ○ 기정원은 올해 종합청렴도 8.51점으로 전체기관 평균 7.89점 보다 0.62점 높은 점수를 받으면서 2등급을 달성하였다.   ○ 특히, 내부청렴도는 8.77점을 얻어 공직유관단체(V유형) 23개 기관 중 2위를 기록하였다.   □ 그동안 기정원은 부패행위 처벌규정 강화, 익명신고센터 마련, 전직원 청렴서약, 선물 안주고 안받기 운동, 중소기업 대상 청렴문화 확산 설명회 개최 등 청렴문화 정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꾸준히 추진해왔다.   ○ 그 결과, 2013년 4등급(미흡)이었던 종합청렴도가 2014년은 3등급(보통), 2015년에는 2등급(우수)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 양봉환 원장은 “오늘의 성과는 깨끗한 기정원을 만들기 위해 임직원 모두가 마음을 하나로 모아 적극적으로 노력한 결과이다.”라며 “청렴이 곧 능력임을 말해주는 시대인 만큼 앞으로도 청렴도 우수기관으로서 굳건히 자리매김하여 국민들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315","atchfileNm":"기정원,_청렴도‘우수’기관으로_선정!.hwp","viewCnt":"2815","regDate":"2015-12-28 11:55:02"},{"contentId":"37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내 중소기업을 위해 꼭 필요한 파트너 될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95","contentsKor":"국내 중소기업을 위해 꼭 필요한 파트너 될 것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지난 2002년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들이 지식정보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됐다. 특히 올해는 중소기업 R&D 사업화 성공률 향상을 위해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었던 해였다. 양봉환 원장은 인터뷰에서, 기정원이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 '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 등을 통해 꼭 필요한 파트너가 될 것을 약속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313","atchfileNm":"월간_mobile_RnD_5호_원장님_인터뷰.pdf","viewCnt":"2873","regDate":"2015-12-22 13:18:04"},{"contentId":"37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청, 2016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에 9,429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93","contentsKor":"중기청, 2016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에 9,429억원 지원      ① 성장단계별 지원체계 구축 및 기술개발 저변확대 강화(40%→66%) ② 수출․고용기업 기술개발 지원 대폭 확대 및 평가지표 개편 ③ 후속 사업화지원 강화 및 규제개선․기업부담 완화 등                 □ 2016년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단계별 기술혁신 및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9,429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이 지원된다.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2016년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에 대한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통합공고를 통해 주요 지원내용 및 일정 등에 대해 발표하였다.      ◦ 이를 위해 중소기업청에서는 그간 지역별 순회 간담회를 통해 기업 현장의 목소리와 규제개선 과제를 발굴하여 왔으며, 지난 7일 기술혁신추진위원회*를 개최하여 각계 전문가 및 중소기업의 의견을 수렴하여 이번 시행계획을 마련하였다.           *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제6조에 따라 중앙부처 국장급 정부위원 및 민간위원 등 24명으로 구성(기술혁신지원계획 등 심의)      □ 2016년 중소기업청 소관 기술개발지원사업의 규모는 9,429억원으로, 효율성 위주 범부처 기술개발(이하 R&D) 정책방향에 따라 '15년 9,574억원 대비 약 1.5% 감소되었으며,      ◦ 중소기업청에서는 2016년을 중소․중견기업 R&D 성과제고의 원년으로 삼고, 창의․도전적 우수과제 발굴, 사업화성공률 제고 및 수출․고용 활성화, 부정사용 방지 등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311","atchfileNm":"중기청,_2016년_중소·중견기업_기술개발에_9,429억원_지원.hwp","viewCnt":"2813","regDate":"2015-12-21 16:28:30"},{"contentId":"379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청, 7개 조합 4,500여 중소기업에 맞춤형 솔루션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92","contentsKor":"중기청, 7개 조합 4,500여 중소기업에 맞춤형 솔루션 지원 - 2015년 특화솔루션 서비스 시연 행사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함께 12월 16일(수)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서비스 시연 행사를 개최하고 12월 21일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이로 인해 한국공예협동조합연합회, 한국화원협회 등 7개 단체(조합)의 4,500개 회원사는 업무용(주문, 배송, 재고관리 등) 솔루션 서비스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은 중소기업 단체의 회원사가 공동이용 가능한 업무용 소프트웨어(SW)로 개발해서 온라인상에 저장하고, 해당 단체의 회원사들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2015년 특화솔루션 주요기능] 업무용 솔루션 주요 기능 단체 (조합) 공예업종 B2B 솔루션 ▪카탈로그 검색·관리, 판매(견적, 주문, 배송, 재고 등)  관리 ▪경매관리, 입·낙찰관리, 계약내역 등록 한국공예 협동조합 연합회 화원통합중개솔루션 ▪거래처, 화원, 사용자, 상품 관리, 공동구매 ▪발주, 협회 주문서 관리, 리본출력, 수주관리, 회원관리 한국화원 협회 업무협업솔루션 ▪지원정보(정부정책, 기업운영, 교육) 관리 ▪회원사 간 판매·구매 알선, 견적 관리 NK경제인연합회 영업용 운송차량 이력관리 솔루션 ▪운송회원(차량, 보험, 검사정보), 거래처, 회비·수수료 관리 ▪대·폐차, 운송실적 관리, 운전경력 증명·신청 한국물류산업진흥협동조합 품질경영 인증검사 및 원가솔루션 ▪자재·제품품목 관리, 품질검사 및 클레임 관리 ▪자재입·출고, 재고관리, 사업진행 관리 한국전기 공업협동조합 목재 공사/시공 관리 솔루션 ▪공사, 자재소요량 산정, 견적, 계약 관리 ▪표준코드, 작업팀, 공정 관리, 자재입출고 한국목재공업협동조합 가설기자재 안전인증 통합솔루션 ▪서면심사 처리, 신청서 접수, 결과 통보,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심사, 확인 심사, 서면심사, 공장심사, 제품심사 ▪성능시험관리, 기술지원관리 한국가설협회   □ 그간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 정보화지원 사업방향을 개별 중소기업의 시스템 구축 지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기술을 적용한 공동활용 방식으로 전환한 바 있다.      ◦ 이에 따라 2013년부터 서비스를 개시하여 기존 21개 단체 뿐만 아니라 공예협동, 전기공업 등 7개 단체가 업무용 솔루션 서비스를 추가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 (‘13∼’14) 21개 단체 12,000개사 → (‘13∼’15)28개 단체 16,500개사 활용 가능      □ 2013년과 2014년에 참여한 조합에서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을 활용하여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 (쌀가공협동조합 사례) 기존 수기 관리방식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솔루션 활용을 통해 매입 쌀의 재고량, 거래 관리 등이 실시간 전산으로 관리됨에 따라      ◦ 조합 및 회원사의 업무 효율성 향상뿐만 아니라, 익월․익년도 쌀 매입 및 배정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되어 회원사 공동의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하고 있다.      ◦ (가스판매협동조합 사례) LP 가스거래 상황기록 보고 담당기관이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가스판매협동조합로 변경되어 전국의 가스판매 현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도입하였다.      ◦ 경영혁신플랫폼 솔루션을 통해 수기로 처리하던 가스거래 현황이 실시간으로 전산 관리됨에 따라 조합의 생산성 제고 뿐만 아니라 회원사들의 판매활동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 중소기업청 최철안 생산기술국장은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활용을 통해서 조합 및 회원사들의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보다 많은 조합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맞춤형 솔루션 지원을 통해 기업과 기업, 단체와 기업의 협업체계 기반을 마련하고,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310","atchfileNm":"중기청,_7개_조합_4,500여_중소기업에_맞춤형_솔루션_지원.hwp","viewCnt":"2812","regDate":"2015-12-16 17:38:05"},{"contentId":"37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한국경제 TV] 창조경제 INSIGHT 기관장 인터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84","contentsKor":"[한국경제 TV] 창조경제 INSIGHT 기관장 인터뷰 (2015년 12월 4일 방송)      지난 12월 4일 한국경제 TV “창조경제 INSIGHT”에 우리원의 원장님께서 출연해서 "중소기업 성장 발전이 곧 국민의 행복"이라는 주제로 원장님 인터뷰가 방송되었습니다.      R&D 서비스 평가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 중에는 막 창업하여 R&D를 모르는 기업도 있고, 또 창업한지는 오래되었지만, R&D를 해보지 않으면 경험이 없는 기업에게 R&D를 하는 방법, 어떠한 절차로 R&D를 진행 할 것인지 R&D기획 지원사업, 기업 업력과 규모마다 R&D 달라 업체 규모에 맞는 R&D 지원, 국내시장을 넘어서서 세계시장으로 가는 글로벌 R&D, 창업단계 R&D지원, 성장단계에서 도약하는 R&D, 글로벌 R&D 지원 이 세 단계로 지원하고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프로그램 : 창조경제 INSIGHT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 - 방송일자 : 2015년 12월 4일 - 사이트 : http://www.wownet.co.kr/stockTv/liveTv/liveTv.asp?play_url=96291&gubun=vod&dep=P1981&type=2","viewCnt":"3404","regDate":"2015-12-09 10:04:56"},{"contentId":"37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7개 대학 창업지원단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67","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7개 대학 창업지원단 업무협약 체결 - 유망 (예비)창업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7개 대학 창업지원단*은 11월26일(목),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중소기업청에서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한 강원대, 동아대, 영남이공대, 한국교통대, 한남대, 한밭대, 호서대 등 7개 대학 창업지원단      ◦ 이번 업무협약은 (예비)창업기업을 위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지원으로 창업기업 정보화, 지역 및 창조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를 통해 (예비)창업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과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을 이용하여 창업기업 및 예비창업자의 정보화 수준이 향상될 뿐 아니라 청년창업자들의 유망아이디어 사업화에 일조하길 바란다”며 “앞으로 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 경쟁력 있는 창업기업 육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7개 대학 창업지원단은 창업준비공간에 입주해 있는 기업 및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의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87","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7개_대학_창업지원단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2777","regDate":"2015-11-26 15:08:45"},{"contentId":"37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기술정보진흥원, 전국은행연합회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57","contentsKor":"中企기술정보진흥원, 전국은행연합회와 업무협약 체결 - 기술금융 연계를 통한 중기 R&D 기업 사업화 촉진 추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전국은행연합회(회장 하영구, 이하 “은행연”)와 11월 18일 오전 11시 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에서 ‘기술금융 활성화 및 창조경제 성과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      ◦ 금번 업무협약은 기정원이 보유하고 있는 R&D 지원 중소기업에 대한 기업정보를 은행연이 제공받아,         - 기술정보데이터베이스(TDB)의 ‘IR Place'를 통해 사업화를 위한 융자 및 투자유치 지원에 활용할 예정임       * TDB(Tech Data Base) : 금융기관의 여신심사 및 기술신용평가기관(TCB)의 기술신용평가 시 필요한 기술·시장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자체 분석 정보와 다수의 민·관 협약기관으로부터의 수집정보 등 현재 약 1,000만 건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IR Place(기업마트) : 수집된 기술 기업의 IR정보를 기술성숙도(TRL : Technology Readiness Level)에 따라 구분하여, 정보 수요자 맞춤형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 또한, 각 기관이 보유한 기업 및 기술 정보 등을 교류하여 기술 보유 중소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지원에 상호 협력할 계획임       ◦ 이번 협약의 목적은 중소기업 R&D 지원을 통해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기업의 기술금융 자금 접근성을 제고하여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해 추진됨         - 그 동안 범 금융권은 기술금융과 관련하여 융자 및 투자대상 기업에 대한 정보 부족에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중소기업 R&D 지원 기업은 사업화를 위한 자금 부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나,         -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정부가 추진해온 기술금융의 활성화와 정부지원을 통해 발굴된 우수기술기업의 성장을 모두 지원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이와 관련하여 하영구 회장은 “금융기관의 기술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부족 문제 완화 및 수집된 정보를 기업기술력평가에 활용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자금접근성 강화에 힘쓰겠다”고 밝힘      ◦ 양봉환 기정원장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기술금융 활성화 및 창조경제 성과구현을 위한 계기가 마련됨에 따라 중소기업 R&D 지원 기업의 기술사업화에 큰 효과를 낼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힘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80","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전국은행연합회_업무협약(MOU)체결.hwp","viewCnt":"3064","regDate":"2015-11-18 16:55:12"},{"contentId":"37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영혁신플랫폼 스타트업 및 예비창업기업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55","contentsKor":"경영혁신플랫폼 스타트업 및 예비창업기업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임종태)는 11월17일(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스타트업 및  예비 창업기업(이하 스타트업 기업)에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여 우수한 연구개발 역량이 창업과 기업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를 통해 스타트업 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과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을 이용하여 ICT 기반 스타트업 및 예비 창업기업의 정보화 수준이 향상되고,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에 일조하길 바란다”며 “앞으로 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 경쟁력 있는 창업기업 육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는 드림벤처스타*  및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 드림벤처스타 :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10개월 집중 인큐베이팅을 통한 전주기적 사업화 지원 (1기(10개 기업), 2기(10개 기업))","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77","atchfileNm":"경영혁신플랫폼_스타트업_및_예비창업기업_지원.hwp","viewCnt":"2872","regDate":"2015-11-17 11:10:08"},{"contentId":"37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영혁신플랫폼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42","contentsKor":"경영혁신플랫폼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조홍근)는 11월3일(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이하 특화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 이를 통해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가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의 초석이 되길 기대하며, 플랫폼을 활용하여 특화분야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에 입주해 있는 기업 및 15년도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 할 방침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58","atchfileNm":"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_업무협약(151103).hwp","viewCnt":"2774","regDate":"2015-11-04 17:38:46"},{"contentId":"37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전국을 순회하며 찾아가는 R&D컨설팅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26","contentsKor":"기정원, 전국을 순회하며 찾아가는 R&D컨설팅 실시 - 11월 2일(월)부터 12개 지방중소기업청에서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1월 1달 동안 R&D사업에 관심이 있는 전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R&D 컨설팅을 실시한다.      ◦ 이번에 개최하는 R&D 컨설팅은 중소기업 R&D사업에 지원하였으나 선정되지 못했거나, 처음 선정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1:1 맞춤형 컨설팅으로 진행된다.      □ 이번 컨설팅은 11월 2일(월)부터 서울지역을 시작으로 주로 지방중기청을 찾아가서 실시하게 되는데      ◦ 특히, ‘15년 R&D과제 신청후 선정되지 못한 기업에게는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대면평가 발표방법, 과제평가 과정에서의 애로 및 유의사항 등에 대해 기업맞춤형으로 1:1 상담이 진행될 예정이다.      ◦ 또한, ‘15년 선정된 R&D 초보기업 대상으로는 사업관련 규정과 사업비 집행방법, 사업수행 과정에서 생기는 애로사항 및 과제별 특이사항 등에 대한 상담으로 진행되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에 진행되는 R&D컨설팅을 통해 중소기업의 R&D과제 성공률과 사업화 성과가 크게 높아지고, 현장의 애로요인 해소를 통해 고객만족도가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      □  기정원은 현재 컨설팅을 원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고 있으며, 수도권을 제외한 비수도권의 경우 해당지역 순회 컨설팅 전날까지 추가로 신청하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사업담당자에게 이메일 문의 innodpt@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41","atchfileNm":"기정원_전국을순회하며찾아가는RD컨설팅실시(20151030조간보도요청).hwp","viewCnt":"2877","regDate":"2015-10-29 11:33:48"},{"contentId":"37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IPF 공공기관 이슈포커스] 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는 TIPA","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16","contentsKor":" 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는 TIPA     기획재정부가 지난해 12월 23일 중소기업 분야 공공기관 기능조정 결과를 발표한 지 만 6개월이 지났다. 짧은 기간이지만 많은 변화가 있었기에 감회가 남다르다. 기능조정으로 인해 중소기업 지원 분야에서 가장 큰 변화를 겪은 곳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하 기정원)이기 때문이다. 예산은 4,189억 원에서 9,045억 원으로 2배가 늘어났고, 인력도 77명에서 100명으로 3분의 1이 증가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커진 것은 중소기업 R&D 통합 전담기관으로서의 기관의 역할과 책임이 아닐까 한다. 작년까지 기정원을 포함한 3개의 기관이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을 나누어 수행하고 있었던 것을 올해 초 기정원으로 통합한 것이 기능조정의 주요내용이기 때문이다. (중략)   * 실린 곳 : KIPF 공공기관 이슈퍼커스 Vol.13 (2015.10)   * 저자 : 조기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획조정본부장   * 사이트 : http://soe.kipf.re.kr/kor/communication/SceneVoice_View.aspx?serial_no=266&search_type=TITLE&search_word=&page=1&sortType=&sortColumn=&rnum=4","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29","atchfileNm":"현장의_소리(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KIPF_공공센터_201508.pdf","viewCnt":"3447","regDate":"2015-10-19 17:41:32"},{"contentId":"37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기술정보진흥원, 中企학회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15","contentsKor":"中企기술정보진흥원, 中企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손 맞잡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한국중소기업학회(회장 송혁준, 이하 중기학회)와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양 기관은 2015년 10월 16일 12시 30분 더팔래스호텔 서울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 협력 ▲공동 세미나 및 워크샵 등 개최 협력 및 지원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교육·홍보 상호 지원 등이다.      ◦ 이번 협약의 목적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문기관인 기정원이 중기학회와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을 강화하고 경영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협력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 추진되었다.         - 최근 저성장에 따른 내수불황과 중국기업의 위협, 엔저 현상 등으로 중소기업들이 내우외환(內憂外患)을 겪고 있는 가운데         -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R&D를 통한 중소기업들의 혁신 역량 강화가 절실해 짐에 따라,          - 기정원과 중기학회는 창조경제 실현과 미래 국가발전을 주도할 기술혁신 역량을 갖춘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R&D지원을 통한 성장사다리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 이와 관련하여 송혁준 회장은 “한국경제 경쟁력 강화의 핵심은 기술에 있다며, 양 기관이 힘을 모아 중소기업 기술혁신 기반 경쟁력 강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체결함에 따라 양 기관이 중소기업 R&D 혁신에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28","atchfileNm":"中企기술정보진흥원,_中企학회와_업무협약_체결_보도자료_배포(즉시보도요청).hwp","viewCnt":"2604","regDate":"2015-10-16 14:55:48"},{"contentId":"37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노․사가 함께하는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14","contentsKor":"기정원, 노․사가 함께하는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 추진 - 10월 15(목), 대전시 동구 일대 저소득층 대상 연탄나눔 봉사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10월 15일(목) 오후에 대전시 동구 일대에서 “노․사가 함께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을 전개하였다.       □ 이번 봉사활동에는 기정원 임직원 25명이 참여하였으며, 대전시 동구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8개 가구에 2,400장의 연탄을 지원하는 봉사활동으로 추진되었다.      ◦ 대상가구는 (사)따뜻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나눔운동의 추천을 받아 선정하였으며, 가구당 300장씩 연탄을 지원하였다.      ◦ 연탄나눔 기금 재원은 임직원의 성금 및 기정원 방문고객 성금 등을 통해 마련되었다.         □ 이번 연탄나눔 봉사활동은 기정원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나눔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연탄나눔이 지역사회 저소득계층의 따뜻한 겨울나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며, “특히 기정원의 노사가 함께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무이행을 다짐하는 장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 또한 “기정원은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추진하여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사회 만들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13년 대전 이전 이래 지역사회 소외계층과 함께하기 위해 아동보육시설, 장애인지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및 외국인지원시설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 기정원은 지난해에 이어 연말까지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과 함께하는 기부활동 추진”과 “신생아살리기모자뜨기 캠페인 참여”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27","atchfileNm":"기정원-노사가함께하는사랑의연탄나눔봉사활동추진.hwp","viewCnt":"2955","regDate":"2015-10-15 16:27:51"},{"contentId":"37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혁신, 창조경제의 성공 방정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10","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혁신, 창조경제의 성공 방정식 - 10월 16(금),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 세미나” 개최 -   □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중소기업학회 공동주관으로 더팔래스호텔 서울에서 10월 16일(금) 오후 2시30분부터      ◦ “중소기업 R&D 혁신을 통한 창조경제 구현”이라는 주제로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 세미나를 개최한다.      □ 이번 행사는 창업R&D 및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자리로,      ◦ 대학 및 중소기업인 등 기술혁신 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올바른 지원정책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번 정책세미나 행사는 배종태 교수(KAIST테크노경영대학원)의 ‘중소기업! R&D혁신을 통해 미래를 대비하자’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 △황철주 이사장(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의 ‘R&D기반의 중소기업, 지속성장을 위한 기업가정신, △고영하 회장(한국엔젤투자협회)의 ‘기술창업 활성화 및 사업화 제고’의 주제발표 이후, △(주)하이레벤, ㈜코리아스타텍 등 하이테크 기업의 성공사례 발표 순으로 진행된다.      □ 양봉환 원장(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원천이 확대되어 ‘중소기업 기술혁신이 창조경제의 성공 방정식’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 “이를 위해 중소기업학회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중소기업 기술혁신 기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번 정책세미나 행사는 10월 15일(목) 24시까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참가신청 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16","atchfileNm":"중소기업기술혁신_창조경제의성공방정식.hwp","viewCnt":"2844","regDate":"2015-10-14 13:07:00"},{"contentId":"37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한국경제] 경영혁신플랫폼 30만개 보급 중기 업무효율 높일 것(10월 7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06","contentsKor":"경영혁신플랫폼 30만개 보급…중소기업 업무효율 높일 것   지난 10월 7일 한국경제 신문을 통해 보도된  " 경영혁신플랫폼 30만개 보급…중소기업 업무효율 높일 것"에 대한 인터뷰를 했습니다.   원장님께서는  “이 플랫폼을 보급한 지 1년이 채 안 됐지만 벌써 1만개 회사가 이용하고 있다”며 “이를 340만개 중소기업 중 10%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습니다.      - 일자 : 2015년 10월 7일 (한국경제, 지면 A18면 산업) - 사이트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00663351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10","atchfileNm":"경영혁신플랫폼_30만개_보급…중소기업_업무효율_높일_것.jpg","viewCnt":"3372","regDate":"2015-10-12 13:26:45"},{"contentId":"36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초기기업에 투자와 멘토링 연계 R&D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76","contentsKor":"기정원, 창업초기기업에 투자와 멘토링 연계 R&D지원! - 2015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투자연계멘토링 44개 과제 총 80억 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창업기업에 투자와 멘토링이 연계된 기술개발지원을 위해 44개 과제를 선정하여 총 80억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 투자연계멘토링사업은 2012년을 시작으로 2014년까지 총 132개 과제에 235억원이 지원되었다. 2015년에는 1월 공고 이후, 140개 과제가 접수되었으며, 현장·대면평가를 거쳐 총 44개 기업을 선정하였다.   ◦ 신청․접수 이후, 신청기업의 재무현황, 인프라(연구인력, 보유시설 등) 등에 대해 관리기관 및 운영기관에서 현장조사를 실시, 대면평가, 적격투자 이행확인 및 멘토링 협약을 거쳐 최종선정과제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 투자연계멘토링과제는 창업초기기업에게 투자와 멘토링이 연계된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R&D 과제의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창업기업의 지속적인 성장 촉진 및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투자연계멘토링과제는 창업 후 7년 이하이고, 종업원수 50인 이하 또는 매출액 50억원 이하인 중소기업(법인만 해당)이 지원 대상이며, 총 사업비의 90%이내에서 정부출연금 최대 2억원을 최대 1년간 지원한다.      ◦ 또한, 개인투자자, 엔젤클럽 소속 투자자, 개인투자조합, 벤처캐피탈, 기술지주회사 중 하나의 투자자에게 투자계약서 또는 투자의향서를 받은 중소기업(법인만 해당)에 한하며,      ◦ 투자자는 과제당 5천만원 이상을 신주(보통주, 우선주)로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 단, 2015년 중기청 R&D사업 통합공고일 이후 투자계약만 인정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투자연계멘토링  기술개발지원이 창업초기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위한 기반이 되어, 창업초기 기업의 생존율을 제고하고 창조경제 성장동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 더불어 “벤처캐피탈의 투자 참여 및 1:1멘토링을 연계한 정부 R&D지원을 통해 기술창업 성공률을 높이는 기술개발 지원을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68","atchfileNm":"기정원_창업초기기업에투자와멘토링연계RnD지원.hwp","viewCnt":"3095","regDate":"2015-09-18 15:25:03"},{"contentId":"36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全 직원 청렴서약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74","contentsKor":"기정원! 全 직원 청렴서약 실시 - 노·사 함께 청렴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 새롭게 다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9월 16일(수) 대전 본원에서 ‘청렴서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번 청렴서약식에서는 노-사의 대표가 한자리에 모여 기정원의 임직원으로서 직무수행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처리하고, 청렴한 기관 만들기에 앞장 설 것을 결의하였다.   □ ‘청렴서약식’을 시작으로 기정원 전 직원들은 ‘금품·향응 수수 금지’, ‘알선·청탁 근절’, ‘공정한 직무 수행’, ‘부당한 간섭 배제’ 등을 통해 투명·윤리경영에 적극 동참하고, 위반 시에는 어떠한 처벌이나 불이익도 감수하겠다는 ‘청렴서약서’에 서명했다.   □ 양봉환 원장은 “이번 청렴서약식을 통해 직원들의 청렴 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를 새롭게 다짐하였다”며 “국민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청렴문화 정착에 앞장 서는 기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앞으로도 기정원은 ‘기관장 청렴서한 발송’, ‘한가위 선물 안주고 안받기 운동’ 등을 통해 기관의 청렴 의지를 전파하고, 실천에 옮길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64","atchfileNm":"기정원!_全_직원_청렴서약_실시.hwp","viewCnt":"2939","regDate":"2015-09-16 17:24:28"},{"contentId":"36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감설명자료] 「기정원, 中企 R&D지원 부실덩어리」 기사 설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71","contentsKor":"[국감설명자료] 「기정원, 中企 R&D지원 부실덩어리」 기사 설명   □ 국회산업위원회 위원실에서 배포한 보도 자료에 따라 보도된 기사(’15.9.14)에서 기술정보진흥원(약칭 “기정원”)이 수행한 것으로 언급된 사항은 사실과 다르기에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① R&D 과제 기술요약정보 NTIS 부실 등록        ② 창업기획사에 1.6억원 부당 집행        ③ 허위서류 제출로 인해 573백만원 부당 집행        ④ 연구장비․재료비 부당 전용(65백만원)    □ 위 사항은 감사원 감사결과 발표내용*으로서 기정원에 대한 지적사항이 아니라, 타 기관에 대한 지적사항임          * 감사원,「중소기업 R&D지원실태 감사결과」발표(감사원 보도자료, ‘15.8.6)      ① (NTIS 부실 등록)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대한 지적 사항 : 별첨참조 (감사원 보도자료 3p)      ② (창업기획사에 1.6억원 부당 집행)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 대한 지적사항 : 감사원 보도자료 3p 참조      ③ (허위서류 제출로 부당 집행) 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 대한 지적사항 : 감사원 보도자료 3p 참조      ④ (연구장비․재료비 부당 전용) 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 대한 지적사항 : 감사보고서 본문 82p 참조(감사원 홈페이지 게시)    □ 기정원과 산업기술평가관리원(약칭 “산기평”)의 관계      ◦ 기정원과 산기평은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지원사업의 평가관리전문기관이었으나,         -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기능조정(‘14.12.23)에 따라 산기평이 수행하던 R&D사업을 기정원으로 모두 이관('15.2.1. 기능이관 완료)      ◦ 기정원은 위 ③항 및 ④항의 부당집행액에 대해 전액 환수조치 및 해당업체에 대한 향후 R&D사업 참여제한(5년) 조치를 시행했음      □ 기정원은 위와 같은 사례의 재발방지를 위해,   ◦ 업무 담당자 교육 및 과제관리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연구비 부당 전용을 원천 차단하는 등 철저한 사업관리에 만전을 기하겠음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66","atchfileNm":"별첨_(20150806)감사원_보도자료(중소기업RD지원실태).hwp","viewCnt":"3188","regDate":"2015-09-16 11:21:04"},{"contentId":"36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5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70","contentsKor":"기정원,‘2015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운영 - 9월15일(화)부터, R&D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단계별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평가 역량 강화를 위해 “2015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9월15일(화) ~ 10월 3일(토)까지 실시한다.      ◦ 올해로 4번째 평가위원 교육을 진행하는 기정원은 평가위원들의 폭넓은 참여를 위해 지난해보다 세분화된 과정으로 평가위원 교육을 운영할 예정이다.           * 2014년 2단계 과정으로 총 204명의 평가위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음      ◦ 기정원은 평가위원 역량강화를 위해 총 3단계의 교육을 개설·운영하며 각 과정별로 1, 2차에 나누어 총 400명(예정)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다.           * 교육신청․접수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      □ 본 교육과정은 신규평가위원을 위한 기본 강의에서부터 사업성 평가역량 강화를 위한 특화 과정까지 단계별로 구성되어 있다.      ◦ 신규 평가위원을 위한 평가위원 역량강화연수는 신규위원의 평가 실무능력 함양을 통한 평가품질 제고를 위해 진행되며, R&D사업 평가기법, 지표 해설 등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된다.      ◦ 우수평가위원 확충을 위한 평가위원 심층연수는 평가제도 및 평가운영 전반에 대한 이해를 보유한 우수위원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며, 문제과제처리, 평가위원장 역할 등에 대한 심층교육을 운영할 예정이다.      ◦ 마지막 사업성 평가특화연수는 사업성평가가 가능한 평가위원을 양성하기 위한 과정이며, 사업성 평가를 위한 이론, 실무교육, 최신기술트렌드 세미나 및 모의평가를 통해 사업성 평가 중점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2015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 일정 > 과정명 구분 일시 장소 신규 교육 1차 ’15.09.15(화) 13:30 ∼ 17:30 대전 도룡동 본원 2차 ’15.09.22(화) 13:30 ∼ 17:30 대전 도룡동 본원 심층 교육 1차 ’15.9.23(수) 13:30 ∼ 17:30 대전 도룡동 본원 2차 ’15.9.24(목) 09:30 ∼ 15:30 대전 도룡동 본원 특화 교육 1차 ’15.9.17(목) 10:00 ~ ‘15.9.19(토) 16:00 중소기업연수원(안산) 2차 ’15.10.1(목) 10:00 ~‘15.10.3(토) 16:00 중소기업연수원(안산)      * 특화교육은 2박3일 합숙교육으로 진행      □ 기정원은 이번 교육과정을 이수한 평가위원을 ‘15년 하반기부터 선정평가위원 및 사업성 평가위원으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평가위원 역량강화 교육이 평가위원의 사업성평가 역량 강화에 기여하여 기술개발 성공과 사업화 성공간 간극을 해소하고 R&D투자의 효율성 제고하기를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평가위원의 사업성평가 역량을 강화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이번 교육은 9월 23일(수)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접수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61","atchfileNm":"기정원_2015년평가위원등급별맞춤형교육과정운영.hwp","viewCnt":"2893","regDate":"2015-09-15 09:29:24"},{"contentId":"36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5년 1인창조기업과제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56","contentsKor":"기정원, ‘2015년 1인창조기업과제 협약설명회’ 개최 - 9월1일(화), 157개 기업을 대상으로 청렴선언식 및 협약 안내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9월1일(화) 오후 2시 통계교육원 대강당(대전)에서 2015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1인창조기업 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1인창조기업 과제는 신기술·신제품 개발이 가능한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1인 창조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 1월 20일 공고 이후, 4월 17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157개 기업을 선정하여 100억원을 지원한다.      □ 본 설명회에서는 1인창조기업 과제에 선정된 157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이행보증보험증권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자들에게 윤리경영과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미래 국가 경제 발전의 기반이 되길 바란다”며 “기정원도 1인 창조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42","atchfileNm":"기정원_2015년1인창조기업과제협약설명회개최.hwp","viewCnt":"2770","regDate":"2015-08-31 18:23:06"},{"contentId":"36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융․복합형 신제품 개발에 204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34","contentsKor":"기정원, 융․복합형 신제품 개발에 204억원 지원! - 2015년 융복합 기술개발사업 상반기 84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과 연구기관 또는 중소기업 간 공동 기술개발을 통해 융·복합형 신제품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84개 과제를 선정하고 204억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은 2003년 시작하여 2014년까지 총 1,480개 과제에 3,066억원이 지원되었다.         - 2011년 기술환경이 융․복합화 기술로 급변하고, 의료, 에너지, 환경 등이 미래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기술이 부상함에 따라 능동적 대응으로 위해 융복합 기술개발사업으로 개편되었다.      ◦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벤처기업, 기업 부설연구소 보유기업이 지원대상이며, 2015년 3월 공고 후 현장․대면평가를 거쳐 총 84개의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과의 공동기술개발을 통하여 異種기술간 융합기술의 창의적 신기술·신제품·신시장 창출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뉘어 지원하고 있다.      ◦ ‘융합 전략과제’는 지정공모방식으로 기술수요조사, 연구용역 등을 통해 발굴된 융복합 과제에 대해 R&D 협력체간 공동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시장의 기술발전 추이 등을 고려한 중소기업의 기술 융․복합 역량 강화 및 기술력 향상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 ‘현장기획과제’는 자유공모 방식으로 “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를 통해 발굴․기획된 융합기술 분야의 과제를 지원한다. 개발 필요성이 있는 아이디어는 있으나, 기획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역량 및 사업화 촉진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 “노바테크(주)는 2009년 동 사업의 지원을 받아 2011년 친환경 고품질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동 기술개발은 아몰레이드 패널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수요 증가와 더불어 기업을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기반으로 만들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 Glass Slimming 기술을 보유한 “노바테크”와 디스플레이 패널 장비업체인 “엠엠테크”와 공동으로 기존의 슬리밍 방식과 차별화되는 고품질의 생산성이 대폭 향상된 친환경 슬리밍 장비를 국내 최초 개발하였다.   ◦ 첨단 공정 개발을 통해 “노바테크”는 기존대비 10배 이상의 생산성을 확보하였으며, 현재 35건의 특허등록, 30건의 특허출원 중(해외특허 출원 6건 포함)이다. 현재 세계 유일의 AMOLED Panel 제조업체인 S사에 납품중이다.       □ 기정원은 융복합 기술개발 수행 기업들에 대해 사업 수행에 필요한 제반 사항, 투명한 R&D 자금 집행, R&D 추진기업 윤리의식 고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설명회을 개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동 사업을 통해 개발된 융합기술들이 국가경제 발전의 핵심역할을 수행하고, 강소형 중소기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 고 말했다.       ◦ 더불어 “융복합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이 원활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며, 나아가 차세대 동력사업인 융복합 기술개발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21","atchfileNm":"기정원_융복합형신제품개발에_204원지원.hwp","viewCnt":"2972","regDate":"2015-08-27 10:28:43"},{"contentId":"36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33","contentsKor":"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 - 8월 25(화), “중소기업 융복합 정책세미나” 성황리에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은 8월 25일(화) 대전 롯데시티호텔에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이라는 주제로 중소기업 융․복합 정책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해 관심을 끌었다.      ◦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 융복합 R&D 정책 현안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올바른 정책방향과 대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된 자리로, 많은 중소기업인과 대학 및 연구소 전문가들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 기조강연에서 이홍 교수(광운대)는 “융합의 적은 좁은 업(業)의 정의에서 비롯된다”며 “창조경제 시대의 성공적 기술 융복합를 위해서는 시장 니즈 중심적 사고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 제2부 사례발표에는 ㈜셀인바이오의 이동희 대표, ㈜비젼테크의 이호석 대표, ㈜엔트리움의 정세영 대표가 기술융합을 통한 창업 및 사업화 성공전략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 제3부 정책토론에는 홍재범 교수(좌장, 광운대)를 비롯하여, 산학연 전문가 6인의 패널과 함께 중소기업 기술융복합 R&D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 이번 행사를 통해 중기청 관계자는, “융복합 아이템 발굴 및 사업화, 공동기술개발 파트너 연계 등에 기업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 “장벽을 해소하여 융복합 R&D가 활성화 되고, 사업화 성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융합을 통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시장진출은 한국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다”라며,      ◦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을 시장창출 중심으로 전환하여, 창의력을 기반으로 아이디어와 다양한 기술 간의 융합 R&D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보다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할 것이다”고 뜻을 밝혔다.      □ 중기청 최철안 생산기술국장은 “작년 12월 기정원이 중소기업 R&D 지원 전문기관으로 일원화 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도 중소기업 R&D정책에 대해 종합적인 기획력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시점”이라며,      ◦ “앞으로도 오늘과 같은 자리를 통해 많은 산학연 전문가분들과 기업인들을 한 자리에 모시고, 중소기업 R&D 정책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또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자리가 계속해서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20","atchfileNm":"창조경제_실현을_위한_중소기업_융합_비즈니스_전략.hwp","viewCnt":"3175","regDate":"2015-08-26 13:56:24"},{"contentId":"36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3,000여 인쇄조합 회원사에 플랫폼 제공","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30","contentsKor":"기정원, 3,000여 인쇄조합 회원사에 플랫폼 제공 - 인쇄 표준원가관리 서비스 개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8월 24일 대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연합회(회장 고수곤, 이하 인쇄조합)의 회원사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인쇄 표준원가관리 시스템은 인쇄물의 단가에 대한 표준공식 적용을 통해 견적을 산출하는 기능으로,      ◦ 기존에는 회원사에서 견적 계산부터 견적서 발급까지의 업무과정을 직접 수기로 작성하였으나 인쇄 표준원가관리 서비스 제공을 통한 업무 자동화로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 견적을 산출하는 방식도 회원사 마다 차이가 있었으나, 일원화된 견적 기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정한 시장 분위기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지난달 29일 「종이인쇄산업위원회」에서 발표된 종이인쇄산업 동향에 따르면, 국내 인쇄산업의 생산기반 약화 원인으로 산업변화에 대한 대응능력 부재 등을 꼽았다. ◦ 그러나 솔루션 제공으로 회원사 업무의 자동화 및 표준화로 인력생산성이 향상되어 산업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기정원은 이용자의 업무편의 도모를 위해 컨택센터를 통해 문의· 불편사항 접수 및 1:1 원격 사용교육 등을 지원하며,      ◦ 협회 실무자와 회원사를 대상으로 사용 매뉴얼을 배포하고, 활용교육 지원을 통해 사용자의 솔루션 이해도를 제고할 계획이다.      □ 인쇄조합 회원사의 한 관계자는      ◦ “견적서 산출 시 인쇄물의 크기, 용지 등 기준정보에 따른 경우의 수가 많아 산출방식이 복잡하였는데 인쇄 표준원가관리 시스템 이용을 통해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 인쇄 표준원가관리 솔루션 이용을 통해 인쇄산업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이용자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경영혁신플랫폼구축사업은 중소기업 및 단체 회원사가 공동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 2014년 6월 서비스 오픈 이후 21개 단체, 총 10,238개 기업(‘15년 7월말 기준)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으며, 2015년 2월 7개 단체를 선정하여 특화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15","atchfileNm":"기정원,_3,000여_인쇄조합_회원사에_플랫폼_제공.hwp","viewCnt":"2994","regDate":"2015-08-24 14:21:50"},{"contentId":"36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매일경제 TV] 경세제민 촉, 중소기업 기술력 현황 관련 원장님 인터뷰(8월 13일 방송)","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22","contentsKor":"[매일경제TV] 경세제민 촉, 중소기업 기술력 현황 관련 원장님 인터뷰(8월13일 방송)   지난 8월 13일 매일경제 TV를 통해 보도된 “경제제민 촉”에 우리원의 원장님께서 출연해서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력 현황에 대한 인터뷰를 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원장님께서는 “최근 산업기술평가원과 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학인협회가 하나로 통합된 덕분에 중소기업이 쉽게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고 말한다. 또한 국내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 대비 75% 정도며 앞으로 9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라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 프로그램 : 경세제민, 촉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  - 방송일자 : 2015년 8월 13일  - 사이트  : http://mbnmoney.mbn.co.kr/program/vod/?program_no=1000018&menu_no=192  ","viewCnt":"3038","regDate":"2015-08-19 18:27:42"},{"contentId":"36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21","contentsKor":"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 - 8월 25(화), “중소기업 융복합 정책세미나” 개최 -   □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중소기업융합중앙회·중소기업융합학회 공동주관으로 8월 25일(화) 대전 롯데시티호텔에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이라는 주제로 중소기업 융․복합 정책세미나를 개최한다.      ◦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 대학 연구소의 다양한 전문가를 초청하여 중소기업 R&D정책 현안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올바른 정책방향과 대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된 자리이다.      ◦ 이번 정책세미나 행사는 이홍 교수(광운대)의 ‘창조경제 시대의 성공적 융복합을 위한 기술개발 전략’, 이명호 이사(창조경제연구회)의 ‘융합시대의 메타 기술트렌드’ 기조강연(제1부)을 시작으로,      ◦ 기술융합을 통한 창업 및 사업화 기업의 성공사례 발표(제2부), 중소기업 기술융복합 R&D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산학연 전문가 6인의 정책토론(제3부) 순으로 진행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R&D지원의 올바른 정책방향과 대안을 토론함으로써 융복합 R&D를 활성화하고, 중소기업이 창의력을 기반으로 아이디어와 다양한 기술 간의 융합을 통해 보다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현장 중심적인 R&D지원을 위하여 중소기업들이 관심 있어 하는 핵심 이슈를 주제로 중소기업 R&D 정책세미나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번 정책세미나 행사는 8월 24일(월)까지 기정원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참가신청 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07","atchfileNm":"창조경제_실현을_위한_중소기업_융합_비즈니스_전략.hwp","viewCnt":"2594","regDate":"2015-08-19 16:50:15"},{"contentId":"36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이공계 창업 꿈나무 지원에 50억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16","contentsKor":"기정원, 이공계 창업 꿈나무 지원에 50억 지원! - 이공계 창업 꿈나무 창업팀, 청년캠프(8월17일`~19일)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이공계 창업 꿈나무 지원을 위해 108개 과제에 50억을 지원한다고 8월 13일 발표했다.       ◦ 이공계 창업 꿈나무 지원은 창업 생태계 촉진을 위해 2014년부터 시작한 사업으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제시한 예비창업팀인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기술개발 자금 뿐 아니라 기술개발, 창업 및 경영 등에 대한 체계적인 멘토링 등을 지원하는 청년 기술창업 활성화 지원사업이다.           * ‘이공계 창업 꿈나무 과제’는 중소기업청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세부과제임      ◦ ‘이공계 창업 꿈나무 과제’가 여타 정부의 R&D지원사업과 구별되는 특징은 대학에 재학중인 이공계 대학(원)생이 과제책임자가 되어 창업팀(이공계 전공자, 타분야 재학․졸업생 등으로 구성된 2인 이상)을 구성하여 추진한다는 점이다.      ◦ 2015년 5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신청접수를 거쳐, 온라인클린평가를 통해 총 108개의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기정원은 선정된 108개 이공계 창업 꿈나무 지원사업의 창업팀을 대상으로 창업동기 고취를 위해 8월 17일(월)~8월 19일(수)까지 ‘2015년 이공계창업꿈나무 청년캠프’(영종스카이리조트)를 개최할 예정이다.      ◦ 청년캠프는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관련 정부지원제도 안내, 사업계획서 작성, 투자이해 및 유치 교육, 투자자와 1:10상담회 개최, 성공 창업가 및 투자자 특강 등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 한편, 기정원은 7월 27일~28일 이틀간 총 166명이 참여하는 가운데, 2015년 이공계창업꿈나무과제에 선정된 창업팀을 대상으로 한 R&D 교육 및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협약설명회는 청렴한 R&D 선언식을 시작으로 윤리경영교육 및 R&D 교육으로 진행하였으며,      ◦ 사업추진체계,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 설명을 1:1 멘토링으로 진행하였다.      □ 기정원은 선정된 108개 이공계 창업 꿈나무 과제 수행자들이 투명한 R&D자금 집행과 함께 원활히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 사업이 창조경제에 부합하여 지속성장 가능한 청년예비창업자와 스타트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며,      ◦ “기정원도 이공계 창업 꿈나무들의 지속적인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창업생태계 활성화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92","atchfileNm":"기정원,_이공계_창업_꿈나무_지원에_50억_지원!.hwp","viewCnt":"3039","regDate":"2015-08-12 17:55:15"},{"contentId":"36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미래에 드리운 어두운 그림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05","contentsKor":"[경제프리즘] 미래에 드리운 어두운 그림자     얼마 뒤면 우리는 광복 70주년을 맞는다. 지난 세기 초에 우리는 주권을 잃고 식민의 치욕을 겪었다.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난도질당하고, 귀중한 인명과 재산을 빼앗겼다. 꽃 같은 젊음이 강제징병과 전장의 성 노예로 유린당했다.   이러한 암울한 상황에서도 우리 선열들은 희망을 잃지 않고 피나는 투쟁과 노력으로 광복의 기쁨을 이루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한발 나아가 산업화와 민주화의 기적을 만들어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우리와 같은 성취를 이룬 나라를 찾아보기 어려운 점에서 우리는 충분히 자부심을 느껴도 좋다.   이러한 경험과 자부심을 바탕으로 미래로 힘차게 뻗어가야 하는데 우리 사회의 모습은 그렇지 않다. 작은 충격에도 나라가 흔들리고, 지역감정이나 양극화 심화 등 우리 사회가 오랜 문제는 치유되지 않고 있다. 이런 것에 더하여 우리 사회를 위협하고 있고, 시급히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이는 걸림돌을 몇 가지 지적하여 보이고자 한다. 먼저 경제활동의 성과배분이 적정한지를 한번 돌아봐야 할 시점이다. 대부분의 우리 중소기업은 빈사의 상태에 있고, 소수 대기업에 이익이 집중되고 있다. 대기업이 거두는 이익이 모두 그들이 생산해낸 성과일까에 대해 의문이다.   과거 대기업들은 우리 사회에 기술과 인재의 공급원이었고, 시장을 조성하는데 큰 이바지를 했었고, 지금도 일정 부분 그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중소기업이 애써 개발한 기술과 인재를 경력채용과 경영지도라는 허울 좋은 명목으로 탈취해가는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중소기업이 피땀 흘려 일궈놓은 부가가치와 시장을 우월한 자본과 규모의 힘으로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닐지 재고해 보아야 한다. 다음으로 주목해 보아야 할 점은 약간의 향응에 국익을 파는 매국적 행위다. 지난 60년간에 우리가 이룩해온 경제성장은 그야말로 피땀과 눈물로 달성한 것이다. 그렇게 이룩하고 축적해온 가치들을 너무도 허술하게 넘겨주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몇 푼 술값을 받고 선박의 설계도를 넘겨준다 한다.   수천억을 들여 개발한 차량이나 가전제품의 기술을 채용 조건으로 자료들이 유출된다. 국방의 강성이 군사기밀을 누설하고 독립투사의 후손이 손을 보탰다 하니 할 말을 잃게 한다. 이처럼 개인의 이익을 얻으려고 우리 국민 전체의 이익을 외국에 파는 매국행위와 전혀 다르지 않다. 끝으로 우리 사회의 일부 영역에서 일어나는 이익세습과 불로소득에 집착하는 현상이다. 노동자 신분을 세습하겠다고 단체협약으로 자녀의 우선채용을 요구하는 노조가 있다. 가장 도덕적이어야 할 성직이 매매되고 심지어 부자간에 대를 이어 세습한다.   어떤 이들은 건물과 토지등 먼저 차지했다는 점만으로 이익배분의 혜택을 누린다. 이처럼 우리 사회가 개인의 능력과 노력의 결과보다는 부모의 후광으로 사회진출이 정해지고 이익배분의 수혜를 누린다면 신분제 중세사회로 후퇴하는 길을 가는 것이다.   정말로 우리 사회가 그러한 방향으로 간다면 우리의 미래는 점차 희망과 멀어지게 될 것이다. 그래도 우리 국민은 이런 어두운 문제를 해결하고 밝은 미래로 달려갈 것으로 믿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85","atchfileNm":")2015.08.05)_[경기일보]_미래에_드리운_어두운_그림자.pdf","viewCnt":"3037","regDate":"2015-08-05 10:48:58"},{"contentId":"35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4,500여 가스판매기업에 맞춤형 플랫폼 제공","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98","contentsKor":"기정원, 4,500여 가스판매기업에 맞춤형 플랫폼 제공 - 가스판매솔루션 서비스 개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7월29일부터 가스판매솔루션이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 가스판매솔루션은 가스판매기업(4,566개 기업)이 LP가스 거래내역을 한국LP가스판매협회중앙회(회장 김임용, 이하 가스판매중앙회)에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 기존에는 가스판매기업이 한국가스안전공사(사장 박기동) LPG거래상황관리시스템을 통해 거래상황을 보고하고, 판매관리 등 경영관리는  경영혁신플랫폼 가스판매솔루션을 이용하여 업무가 이원화 되어있었으나      ◦ 이번 서비스 오픈으로 가스판매솔루션에서 경영관리와 거래상황 보고를 동시에 할 수 있어 업무처리 일원화의 기반이 마련된다.         *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시행규칙(입법예고) 개정으로 가스판매중앙회가 보고업무 대행      □ 기정원은 경영혁신플랫폼 컨택센터(☎1644-1736)를 통해 보고업무 이관에 따른 사전안내 및 이용방법에 대한 상담을 제공하여 이용자의 업무편의를 도모하고, ◦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이관받아 회원사에서 기존의 보고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으며,      ◦ 서비스 개시 후 협회 실무자와 회원사를 대상으로 사용매뉴얼을 배포하고, 전산실습교육을 진행하여 사용자의 솔루션 이해도를 제고할 계획이다.      □ 가스판매중앙회 회원사의 한 관계자는 . ◦ “그동안 경영혁신플랫폼의 가스판매솔루션을 통해 판매관리를 해왔기 때문에 거래상황기록보고 기능이 추가되면 업무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 “가스판매솔루션의 기존 기능*과 거래상황기록부의 연계를 통해 회원사의 업무효율성이 향상되기를 기대하며, 기정원에서는 솔루션 사용을 위한 운영 및 교육 등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판매관리, 체적관리, 재고관리, 거래처 관리 등      □ 경영혁신플랫폼구축사업은 중소기업 및 단체 회원사가 공동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 2014년 6월 서비스 오픈 이후 21개 단체, 총 10,132개 기업(‘15년 6월말 기준)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7개 단체를 선정하여 특화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67","atchfileNm":"기정원,_4,500여_가스판매기업에_맞춤형_플랫폼_제공.hwp","viewCnt":"2911","regDate":"2015-07-28 15:43:18"},{"contentId":"35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사물인터넷 분야 제품개발에 26억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93","contentsKor":"기정원, 사물인터넷 분야 제품개발에 26억 지원 - 창의적모바일 제품개발사업 21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사물인터넷 분야의 신기술개발을 위해 창의적 모바일 제품개발에 21개 과제를 선정하여 26억원을 지원한다고 7월 22일 발표했다.       ◦ 창의적 모바일 제품개발 지원은 2014년부터 시작한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으로 차세대 성장동력인 모바일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분야의 우위 선점 및 고부가가치형 강소기업 육성을 목표로 한다.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한다.      ◦ 창의적모바일 제품개발 지원사업은 모바일 제품을 개발하는 중소기업이 대상이며, 금년 2월 공고 이후 541개 아이디어 제안서에 대한 심사 및 현장․대면평가를 거쳐 총 21개의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동 사업에서 2014년 지원되어 현재 개발 완료단계에 있는 “애니랙티브”와 “(주)유니온커뮤니티”(2014년 지원과제)의 경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5(MWC 2015)에 출품하여 해외 진출에 성공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 모바일 전자칠판 솔루션 개발사인 “애니랙티브”는 글로벌 휴대폰 제조사에서 샘플 1,000여개(1억원 규모)를 요청받았으며, 5건의 제품설치와 파트너십 체결(가계약), 해외 통신사 및 글로벌 유통사로부터 사업 제휴 요청을 받고 있다.      ◦ 지문인식 전용 스마트폰 케이스 개발사인 “유니온커뮤니티”는 초슬림(Super Slim) 광학설계의 지문인식 기술을 채용해 스마트폰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교체 가능한 케이스를 개발, 국내특허등록 완료 3건, 특허등록 진행중 7건(국제 4건, 국내 3건), 250개 샘플 판매, 40개국과 제품판매 협의가 진행 중이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줄여서 MWC)는 매년 2월에서 3월 중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모바일 산업 및 콘퍼런스를 위한 세계 최대의 박람회이다. MWC 2015는 지난 3월에 개최되었다.        □ 기정원은 협약체결이 완료된 21개 창의적 모바일 제품개발 기업들에 대해 사업 수행에 필요한 제반 사항, 투명한 R&D 자금 집행, R&D 추진기업 윤리의식 고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사업이 신제품·신시장 창출 및 고부가가치화로 모바일 전문기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며,      ◦ 더불어 “창의적 모바일 제품개발 자금을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의 원활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며, 나아가 차세대 성장동력인 모바일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분야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58","atchfileNm":"기정원,_사물인터넷_분야_제품개발에_26억_지원.hwp","viewCnt":"2937","regDate":"2015-07-22 14:24:32"},{"contentId":"35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청렴문화 확산 활동 본격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77","contentsKor":"기정원! 청렴문화 확산 활동 본격 실시 -‘R&D연구비 집행 투명성 강화’위한 설명회를 시작으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7월 10일(금) 대덕테크비즈센터에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에 선정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R&D연구비 집행 투명성 강화’를 위한 설명회를 실시했다.   ○ 이번 설명회는 기정원이 추진하고 있는 청렴문화 확산 활동의 하나로, 국가연구비 부정사용 실제 사례와 이에 대한 제재 규정, 부정행위 신고방법 등을 기업들에게 안내하였으며,   ○ 이를 통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국가 지원금 관련 부정사용에 대한 기업들의 경각심을 높이고, 정부지원금의 집행 투명성을 강화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를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그간, 기정원은 부패행위자 처벌규정 강화, 부조리 익명신고 창구 도입 등 ‘청렴인프라 구축’ 활동부터 직원 및 직무 특성별 맞춤형 청렴교육 등 ‘직원인식 개선’ 활동까지 기관 윤리경영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전사적인 노력을 꾸준히 해왔다.   □ 앞으로도 기정원은 중소기업R&D지원사업에 선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R&D연구비 집행 투명성 강화’ 설명회를 계속하는 한편, 외부 고객에게 청렴의지를 전파하는 ‘청렴거부 안내문 게시’ 및 ‘선물 안주고 안받기 운동’ 등 청렴문화 확산 활동을 실시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29","atchfileNm":"기정원!_청렴문화_확산_활동_본격_실시.hwp","viewCnt":"2919","regDate":"2015-07-10 09:06:36"},{"contentId":"35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R&D 파트너로 재도약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74","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R&D 파트너로 재도약 ! - 新비전 및 경영목표를 제시, 중소기업 R&D지원 전담기관 역할 정립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정부의 중소기업 R&D분야 공공기관 기능조정에 따라 중소기업 R&D지원 전담기관으로서 새로운 비전을 마련 중이라고 발표하였음      ○ 기정원은 중소기업분야의 공공기관 기능조정에 따라 업무 인수인계 절차를 일단락하고, ’15. 3월부터 중소기업 R&D지원 전담기관으로서 이관 받은 사업을 포함하여 안정적으로 업무를 수행중임      ○ 기관의 확대된 기능 및 역할 변화에 맞추어,“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는 R&D 파트너”를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         - 새로운 비전은, 중소기업이 R&D라는 ‘도전’을 통해 기술경쟁력 강화, 사업화 성과라는‘성공’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기정원의 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 중소기업이 R&D를 통해 단계별 성장 사다리를 거쳐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협력’하는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임을 천명한 것임      ○ 기정원은 새로운 비전에 맞추어,         - 중소기업 기술수준 세계최고 대비 90%, R&D 사업화 성공률 60%, 중소기업형 R&D지원 모델 구현, 고객만족 우수등급 획득 등 구체적인 경영목표를 새로이 제시하고    -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혁신수준별 기술경쟁력 강화, 기술사업화 성과 제고, 기술혁신 지원체계 선진화, 지속발전을 위한 성장동력 강화’를 4개 전략목표로 설정하였음           * 경영목표-전략목표-전략과제 등 체계도는 [참고 1] 참조      □ 기정원은 지난 1년 동안 중소기업 R&D지원기관으로써 전문성을 강화하고 중소기업 R&D 지원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전방위 혁신활동을 추진한 결과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성과를 높이고 고객지향적인 R&D 서비스 제공을 위해 ’14년 7월부터 평가서비스 국제품질인증을 추진해왔으며          - 중소기업 R&D지원을 위한 기획·평가·관리 전 부문과 기정원이 제공하는 공공 서비스 전반에 대해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국제인증‘을 ’15년 6월 26일 획득하였음             * ISO 9001 인증개요 및 진행경과는 [참고 2] 참조          -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해 과제 발굴부터 기술사업화 지원에 이르기까지 R&D 평가관리 서비스를 체계화하여 명실상부한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써 전문성을 갖추게 되었음      ◦ ’14년 6월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경영혁신플랫폼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1년 만에 1만개 중소기업이 가입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          - 기정원은 운영인력부족, 유지보수부담으로 정보화에 열악한 중소기업들이 플랫폼 기반의 IT환경을 활용하여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13년부터 사업 추진을 준비하여          - ’15년 6월말 기준, 10,132개 중소기업이 동 서비스를 통해 업종별 특화 업무 및 경영활동에 필요한 업무(금융, 세금, 매출, 영업)에 대해 IT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음          - 향후에 신규 창업한 중소기업에게 적합한 정보시스템을 개발․보급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이며, 장기적으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소상공인 등 정보화 취약계층까지 확대하고자 함      ◦ 이러한 노력의 결과가 반영되어 기획재정부에서 주관한 ‘2014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에서 최근 2년간 등급보다 한 단계 상승한 양호(B) 등급을 달성          - 이 같은 성과는 지난해 R&D 지원업무 분야에서 성과 중심의 사업관리 추진에 따른 경영실적 개선과 공공기관 정상화를 비롯한 정부 정책에 적극 부응한 것이 주효          - 또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및 청렴도 평가에서도 모두 1 등급씩 상승하여 경영활동 전반에 걸쳐 개선이 나타나고 있음           *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 (’13) 보통, 83.5점 → (’14)양호, 86.5점        공공기관 청렴도 : (’13) 4등급 → (’14) 3등급      □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 2015년 하반기 주요 추진방향을 제시      ◦ 중소기업 R&D지원 정책 대안 제시를 위한 기획 및 연구 활동을 적극 추진          - 중소기업 R&D 지원제도 및 평가관리절차 등 제도 전반에 대해 고객 관점에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R&D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대안을 마련하여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며          - 정책수요자의 의견수렴을 통한 내실 있는 중소기업 R&D 지원정책 발굴을 위해 산업, 학계, 연구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책연구회를 운영하고, 기술혁신 세미나 및 포럼을 개최      ◦ R&D 관리 및 평가의 전문성과 역량강화를 위해          - R&D과제의 사업성 평가역량 제고를 위해 사업성 평가기법 중심의 전문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여 R&D과제 평가위원의 전문성과 역량을 강화하고          - 해외 우수사례(이스라엘 R&D 평가방식)을 벤치마킹하여 기술성, 사업성 평가역량이 우수한 전문가를 확보하고 활용함으로써 평가 품질을 지속적으로 제고할 예정          - 중소기업 R&D 사업의 통합으로 평가관리업무가 대폭 확대되고 인력이 증가함에 따라 평가관리 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교육을 강화할 계획      ◦ 기술개발 이후 R&D 사업화 성과제고 및 성과확산을 위해          - 자발적인 사업화 추진을 유도하고 연구자율성 제고를 위해 사업화 성과공유계약제, 성과지향형 후불형 R&D지원, 시장상황을 고려한 무빙타겟제 등 R&D지원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 R&D 성공기업의 사업화지원을 위해 민간 금융기관과의 업무협약을 확대하여 기술개발 이후 사업화자금 연계지원을 강화할 계획임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정부의 중소기업 R&D 전담기관 일원화방침(‘14.12)에 따라 기정원은 ‘15.3월까지 타 기관에서 수행하던 중소기업 R&D 사업의 이관을 완료하고 현재까지 차질 없이 안정적으로 평가관리를 수행해 오고 있다”며   ◦ “기정원은 확대된 조직 기능 및 역할에 걸맞게 비전과 경영목표를 새로이 수립하고,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해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더욱 노력을 경주할 예정이다“고 밝혔음","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32","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_RD_파트너로_재도약_!.hwp","viewCnt":"3197","regDate":"2015-07-08 17:31:20"},{"contentId":"35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메르스’ 사태가 알려준 우리 사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71","contentsKor":"[경제프리즘] ‘메르스’ 사태가 알려준 우리 사회     지난 5월부터 시작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이제 끝나가는 듯싶다. 마치 회오리바람처럼 어느 날 갑자기 우리에게 다가왔다가 서서히 모습을 감추고 있다. 메르스는 물러가면 그만이지만, 메르스가 우리에게 남긴 영향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차분히 돌아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한마음으로 염원해온 선진국에 도달한 듯이 보인다. 민주주의를 성취하고 산업화를 달성하였으며, 소득이나 교육, 의료 등을 비교해보면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그러나 외부와 내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만나면 여지없이 허약한 부분을 드러내곤 한다. 지난해 초 경주의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와 우리 사회를 한없이 슬프게 한 세월호 사태가 그렇고, 이번에 닥친 메르스 사태도 그렇다. 세계 최고층 건물을 지은 우리나라에서 리조트 건물이 붕괴하여 대학생이 죽는 어이없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까? 세계에서 가장 앞선 조선기술을 가진 우리나라에서 낙후된 배의 전복으로 수학여행을 떠난 수많은 어린 학생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사고는 무어라 할 것인가?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체계를 갖추어 수출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는 의료산업이 메르스라는 복병을 만나자 허약한 체질을 여지없이 드러낸 것은 또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모두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들이다. 먼저 이번에 메르스가 우리에게 알려준 것은 우리들의 의식이 허약함이다. 메르스는 알고 보면 매년 우리를 지나치는 독감의 일종에 불과하다. 그런데 마치 전쟁이나 닥친 것처럼 국가 전체가 어찌할 줄을 모르고 허둥대었다. 마스크가 동나고, 방송과 신문은 중계방송하듯 떠들었다. 당국조차 무엇을 먼저 해야 할지 갈피를 잃은 듯했다.   인구 1천만도 안 되는 홍콩에서 독감으로 같은 기간에 60명이 넘게 죽었다 한다. 인구 5천만인 우리는 300명이 아니라 10분의 1도 안 되는 30여 명인데 나라가 어찌 되는 양 이렇게 호들갑을 떠는 것이 당최 이해가 안 된다. 다음 사회적인 측면을 보면 우리 사회가 외부 충격에 얼마나 취약한지 여실히 드러난다. 메르스 독감이 우리 사회에 다가오자 위험을 사회에 알리는 취지로 언론은 연일 대서특필하였다. 그러자 영향은 엉뚱한 곳에서 나타났다.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오는 관광객이 급격히 줄었다. 일본이나 다른 나라도 여행을 취소하였다. 이렇게 되자 항공과 여행, 숙박과 식당 등이 크게 타격을 받았다. 영화, 유통 등 거의 전 분야에 여파가 미쳤다. 끝으로 주목할 점은 경제인 측면이다. 우리 경제가 외국 관광객에 얼마나 의존하는 체질로 바뀌었는지 새삼스럽게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명동과 인사동 거리가 한산하고, 백화점과 대형 유통매장은 손님이 없어 파리를 날리는 상황으로 바뀌었다.   한 달여의 단기 소동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정부에서는 추경을 추진한다고 하니 영향이 컸던 것은 틀림없는가 보다. 이러한 상황이 한 달 정도의 단기로 끝나기에 망정이지, 만약에 수개월 아니 수년으로 확대된다면 어찌 될 것인지는 상상하고 싶지도 않다. 이런 과정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이런 일을 겪으면서 확인된 불합리하고 부족한 것들을 고치고 보완하는 작업이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계속 비싼 수업료를 내면서도 국가발전은 제자리걸음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22","atchfileNm":"‘메르스’_사태가_알려준_우리_사회.pdf","viewCnt":"3056","regDate":"2015-07-08 09:54:16"},{"contentId":"35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내일신문-인터뷰] │⑦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중소기업 미래 여는 밑거름 되겠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70","contentsKor":"[공공기관 CEO와 마음을 나누다│⑦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중소기업 미래 여는 밑거름 되겠다"      연구개발 사업화 성공률 높여 지속성 확보평가품질 높여 국제규격시스템 인증 추진소통으로 내부 갈등 극복, 직원역량 향상      인체처럼 기업에도 생로병사가 있다. 사람이 운동으로 건강을 유지하듯, 기업은 기술혁신 능력을 갖춰야 지속가능성을 보장 받는다. 창업기업 5년차 생존율이 30%에 불과한 현실을 고려하면 중소기업에게 있어 기술혁신 능력 확보는 생존의 문제다.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지원 전담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은 중소기업에게 '생명수'와 같은 존재다. 중소기업 연구개발(R&D)사업 전문기관으로 기술개발과 정보화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기정원의 책임과 역할이 크다.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사업을 평가해 지원하는데 그치지 않고, 연구개발 성과가 사업화로 이어지도록 끝까지 책임지는 자세가 필요하다. 중소기업 성장을 돕는 밑거름이 되겠다."      최근 만난 양봉환 원장은 기정원의 역할을 '거름'으로 규정했다. 거름은 땅이나 식물에 영양을 공급해 작물의 성장을 돕는다. 자금부족, 사업화 실패 등 여러가지 이유로 연구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이 일어설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줘야 한다는 책임감을 표현한 것이다.      ◆노조가 환영 현수막 내걸어 = 양 원장이 기정원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한 데는 사연이 있다.      양 원장은 중소기업청에서 공직 생활을 마치고 2013년 12월 이곳에 부임했다. 이 즈음 기정원은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었다.      서울에서 대전으로 기관을 이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노사갈등의 골이 깊은 상황이었다. 전 기관장이 비리에 연루돼 사퇴하면서 중기청의 특별감사를 받는 등 홍역을 치렀다. 특히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금에 대한 비효율성 문제가 계속 불거졌다.      양 원장 내정 당시 지인들은 걱정했다. 갈등있는 조직으로 가는 게 공직생활에 오점을 남기지 않을까 하는 우려였다.      양 원장 취임이 결정되자 우려는 기대로 변했다. 전임 원장과 갈등을 빚었던 노동조합은 '제5대 양봉환 원장의 취임을 환영한다'는 현수막을 게시한 것. 양 원장은 노조의 지지로 기정원에 '무혈입성' 했다.      양 원장의 취임 후 일성은 '변화와 쇄신'이었다. 양 원장은 소탈한 소통능력으로 우선 노사 갈등의 후유증을 해결하는 데 주력했다. 내부 신뢰를 회복시켜야 지원기관으로 역할을 다 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기정원이 더 이상 흔들려서는 안된다는 양 원장의 절실함이 직원들에게 전달됐다.      이는 1월 창립 12주년 기념 비전선포식에서 확인됐다. 4년만에 새롭게 마련한 비전 선포 과정도 남달랐다. 1박 2일 동안 임직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내용이 정리됐다. 임직원들을 비전의 주체로 세운 것이다.      △고객만족도 90점 이상 △청렴도 우수기관 달성 △중소기업 지원규모 5000억원 달성 △평가관리체계 국제 품질경영 인증 등 4대 경영목표가 이렇게 만들어졌다.      직원간 소통 활성화와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통섭연단(統攝演壇)'도 2월부터 매월 진행되고 있다. 통섭연단은 명사초청 특강, 생일자 축하이벤트, 유머동영상 대회, 이달의 칭찬사원 선물증정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실시된다.      "소통은 직원을 기정원의 주체로 세우는 과정이다. 직원들이 영원히 중소기업 성장의 밑거름이 되려면 조직에 대한 긍지와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양 원장은 직원을 '자신과 함께 가는 동반자'라고 강조했다.      ◆자발적 학습분위기 형성 = 양 원장 취임 2년째. 기정원은 내부 갈등이 사라졌다. 임직원들은 매월 자신이 주제를 잡아 학습하는 분위기도 형성됐다.      이를 두고 중소기업계에서는 "역시 도사는 도사야"라고 말한다. 양 원장이 풍수지리계에서 '도사'로 통하기 때문이다. 풍수지리로 좋은 터(명당)을 잡아 주듯, 중소기업계의 성공을 도와주는 역할을 잘 하고 있다는 평가인 것이다.      양 원장은 내부 결집을 통해 이제 '연구개발 기획과 평가 품질 향상'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개발의 사업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중장기적으로 전문심사역 제도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평가체계 전반에 대한 고도화, 표준화를 추진하면서, 국제규격(ISO9001)에 따른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중소기업 R&D 사업이 기정원으로 통합됨에 따라 평가관리 업무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평가관리 전담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직무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양 원장은 "중소기업 R&D 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창업→혁신기업→중견기업'으로 이어지는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정책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D 사업화를 강화하기 위해 선정 및 평가단계에서 사업화가능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평가하고 있다. 또 R&D 이후 사업화 성과에 따라 해당 기업에 대한 가감점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영원한 동반자로 거듭나고 있다. 내부 역량을 키우고, 평가품질을 향상시켜 중소기업의 건강을 유지 시키겠다. 원장은 '기정원 변화와 쇄신의 성공'에 자신감을 보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21","atchfileNm":"20150707_내일신문원장님인터뷰.jpg","viewCnt":"3653","regDate":"2015-07-08 09:49:04"},{"contentId":"35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ISO 9001 품질경영 인증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6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ISO 9001 품질경영 인증 획득 - 국제수준의 R&D 지원업무 표준화로 고객 만족도를 한층 높일수 있게 되어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 기획·평가·관리 전 부문과 기정원이 제공하는 공공 서비스 전반에 대해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했다고 6월 30일 밝혔다.      ○ ISO 9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 표준으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제품, 서비스 실현 체계가 ISO에서 정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되고 있음을 인증해 주는 국제인증 제도이다.      □ 이번 기정원의 ISO 9001 인증은 중소기업 R&D 사업의 기획, 평가, 사후관리 등 평가관리 체계와 기관의 공공서비스 전반이 품질관리에 관한 국제 표준에 맞게 수행되고 있음을 대외적으로 확인받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의 성과를 높이고 고객지향적인 과제기획, 평가 및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ISO 9001 인증 획득을 2014년 7월부터 추진하였으며,      ○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써 기정원이 제공하는 서비스 전체 영역까지 확대하여 2015년 6월에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다.      ○ 이에 따라, 기정원은 향후 다양한 고객의 요구사항 및 외부환경의 변화를 업무표준화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고객만족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 기정원은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해 과제 발굴부터 기술사업화 지원에 이르기까지 일원화된 전주기 지원체계를 갖추고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강화 및 경쟁력 확보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 또한, 품질경영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과 안정적인 운영을 통해 중소기업 지원 업무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제고하고 중소기업 지원기관으로서의 대외 신뢰도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ISO 9001 인증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업무매뉴얼을 개발했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업무표준화 및 프로세스 개선이 가능하게 됐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04","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ISO_9001_품질경영_인증_획득.hwp","viewCnt":"3642","regDate":"2015-06-30 11:20:15"},{"contentId":"35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개발, 연구년 맞은 이공계 교수들이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58","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개발, 연구년 맞은 이공계 교수들이 나선다! -「연구년 이공계 교수 기술개발 지원단」 발대식 개최, 결의 다져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6월 22일(월) 대전 누보스타호텔에서 「연구년 이공계 교수 기술개발 지원단」을 위촉하고, 성공을 다짐하는 발대식을 가졌다.        ◦ 연구년 이공계 교수 기술개발 지원단(이하 ‘지원단’)은 중소기업이 생산현장에서 직면한 기술개발 및 성능개선 과제를 중소기업에 주기적으로 상주하면서 함께 해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지원단 구성 : 금속공학, 고분자재료, 전자공학, 통신공학, 기계공학, 가상현실 등의 분야의 연구년을 맞이한 이공계 교수 20명으로 구성        ◦ 이날 발대식에는 한정화 중소기업청장, 경북대학교 예병준 교수 등 연구년 이공계 교수 14명을 비롯해, 최철안 생산기술국장,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등이 참석하여 사업 소개, 위촉장 전달, 사례 발표, 간담회 등으로 진행되었다.      □ 중소기업은 이공계 연구인력이 부족하여 생산현장에서 제기되는 기술개발 과제를 적기에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으며, 또한 정부 지원도 단기 컨설팅 방식의 사업이 많아 중소기업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기술애로 해결에는 한계가 있었다.        ◦ 이에 연구년을 맞은 이공계 교수들이 중소기업에 6개월 내지 1년 동안 주기적으로 상주하면서 기술개발과 성능향상을 지원하는 사업을 올해 처음 시행하게 되었다.      □ 이번 지원단은 경북의 에이치디에이치(주), 카보랩, 울산의 제일화성, 제주의 ㈜한국비엠아이 등 20개 중소기업이 제기한 20개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 특히, 지원단은 생산 현장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기술애로 해결은 물론, 기술지도, 직원 교육, 사업화 방안 등 다양한 컨설팅을 통해 중소기업이 한단계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 지원단에 참여한 순천향대학교의 한만덕 교수(미생물면역학)는 “평소 산학 협력을 해오던 ㈜한국비엠아이(제주)와 시간이 없어 현장확인 및 연구개발 등에 어려움이 많았는데, 이번에 연구년을 맞아 기업에 상주하며 머리를 맞대고 공동 연구개발을 할수 있게 되어 연구성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 또한, 이번 사업에 참여한 카보랩(경북) 김우석 대표는 “기술개발 전문인력이 없어 어려움이 많았는데, 우리 회사에 꼭 맞는 인조흑연분야의 금오공대 노재승 교수님과 기술개발을 하게 되어 벌써부터 기운이 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00","atchfileNm":"중소기업_기술개발,_연구년_맞은_이공계_교수들이_나선다!.hwp","viewCnt":"3305","regDate":"2015-06-25 15:42:53"},{"contentId":"35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보도자료]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역대 기관장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5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역대 기관장 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18일 역대 원장 3인(백낙기, 양해진, 윤도근)이 참석한 가운데 비전 제시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 이번 간담회는 정부의 공공기관 기능조정으로 기정원이 단일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이 됨에 따라 기정원을 만들어온 역대 기관장들의 의견을 공유하여 기관이 새로운 비전을 확립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간담회 참석자들은 기정원의 현재를 진단하고 새로운 미래비전을 설정하는 등 공공기관 기능조정을 기정원 재도약의 계기로 다지기 위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기정원이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 위상을 정립하고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해서 국민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뚜렷한  방향 설정이 가장 중요하다” 며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전임 원장님들의 고견을 되새겨 기정원의 미래를 적극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94","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역대_기관장_간담회_개최.hwp","viewCnt":"3060","regDate":"2015-06-18 14:28:07"},{"contentId":"35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우리 경제의 선진화 방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49","contentsKor":" [경제프리즘] 우리 경제의 선진화 방향   우리나라가 지난 1960년대부터 수차에 걸쳐 추진해온 경제개발계획은 성공적으로 추진됐다. 한국의 경제개발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현실에 바탕을 둔 적절한 계획, 국가적으로 전력을 투입한 주도면밀한 추진, 전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 등 여러 가지가 종합적으로 어우러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험을 돌이켜 보면 우리가 미래로 나아갈 방향을 찾는데 좋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먼저 우리나라의 실적과 국민소득의 추이를 살펴보자. 1970년의 수출은 8.4억 달러 수준이고 지난해 수출은 5천726.6억 달러로 약 682배로 급상승했다. 국민소득을 보면 1970년의 1인당 소득은 257달러이고, 지난해 국민소득은 2만8천180 달러로 45년 사이 약 110배 상승했다.   화폐가치나 인구 증가를 고려하지 않은 만큼 단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그 변화만을 주목해 보면 정부가 추진한 수출 주도의 경제개발전략은 적절한 선택이었다. 내수 시장만을 대상으로 정책을 추진했다면 곧바로 치열한 경쟁과 성장 한계에 직면하게 될 상황을 직시한 선택이었기 때문이다. 다음 제조업의 비중과 주요 수출 품목을 보자. 정부는 경제개발 초기부터 한계가 있는 농산품보다는 공산품이 수출에 유리하다는 인식 아래 제조업 육성에 사활을 걸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970년에 18.8%이던 제조업 비중은 2013년 31%로 높아졌다.   또한 1970년 당시 직물의류, 합판, 신발 등 경공업 제품 중심이었던 주요 수출 품목은 지난해 반도체, 석유제품, 자동차 등과 같은 중화학 공업제품으로 바뀌었다. 우리가 추구했던 대로 부가가치가 낮은 경공업 제품에서 고부가제품인 첨단 중화학 공업제품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업 육성→수출증가→소득증가→소비증가→경제성장의 선순환을 이룬 셈이다. 끝으로 주목해서 봐야 할 점은 우리가 수출하는 주요 시장이다. 1970년에는 미국(47.3%), 일본(28.0%)이 우리의 주요 수출시장이었다. 이것이 지난해에는 중국(25.4%), 미국(12.3%), 일본(5.6%)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과거에 경기-부산을 중심으로 배치된 우리의 산업이 최근에는 서해안을 중심으로 재배치되는 경향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기업 활동이 국내에 머물지 않고 수출지역을 중심으로 현지 진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앞에서 본 것처럼 우리가 현재의 경제적 지위에 이른 것은 정부의 정책과 기업ㆍ국민의 노력이 적절히 결합됐기 때문이다. 또한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선택한 제조업 육성 정책이 적절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우리가 무엇을 생각하고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를 시사해 주고 있다. 제조업을 현재보다 부가가치가 높아지도록 정책을 만들고, 제약ㆍ의료 등의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수출 주도적인 전략을 지속하는 것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리고 정부와 기업ㆍ국민의 일치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은 새삼 말할 것이 없다. 우리 국민은 어떤 상황도 극복해갈 충분한 저력과 지혜를 가졌다고 믿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91","atchfileNm":"[경제프리즘]_우리_경제의_선진화_방향.pdf","viewCnt":"2800","regDate":"2015-06-18 14:25:00"},{"contentId":"35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공계 꿈나무, R&D지원으로 청년창업의 날개를 달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18","contentsKor":"이공계 꿈나무, R&D지원으로 청년창업의 날개를 달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이공계 창업꿈나무 R&D 지원 사업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이공계 대학(원)생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구현을 위한 기술개발 과제를 선정하여「‘15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이공계 창업꿈나무 과제」를 지원한다.      ○ 동 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기술개발 자금 뿐 아니라 기술개발, 창업 및 경영 등에 대한 체계적인 멘토링 등을 지원함으로써, 청년창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 기정원에서는 이공계 창업꿈나무 과제의 설명회를 2차례에 걸쳐 코엑스몰((5/27(수), 서울)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대전, (5/28(목))에서 개최하였다.        - 5월 27일(화) 코엑스몰(서울)에서 개최된 설명회에는 대학생, 대학원생 등 예비 청년창업자를 포함하여 총 100여명이 참석하여 높은 관심에 보여줬다.     * 사업설명회 사진은 (붙임 2) 참고      □ 산업기술분류표상의 전체 기술분야에 대하여 개발기간 10개월 이내로, 이공계 대학(원)생들의 창업 생태계 촉진을 위한 청년 기술창업 지원 사업이다.      ○ 과제당 지원금액은 최대 50백만원 이내로, 인건비, 연구장비, 재료비, 시제품 제작비 등 기술개발 자금과 기술․창업 멘토링 비용을 지원한다.      ○ 신청자격으로, 과제책임자는 해당 대학에 재학 중인 이공계 대학(원)생이며, 이공계 전공자, 타분야 재학․졸업생 등으로 구성된 창업팀(2인 이상)이다.      □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 과제의 신청기간은 5월 25일(월)부터 6월 15일(월)까지로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서만 신청받으며, 산학연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의 절차를 거쳐 7월 중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 기정원에서는 과제 선정 평가의 공정성․전문성․투명성․편리성 제고를 위해 정부 최초로 2015년 이공계 창업꿈나무 과제 평가를 「온라인 클린평가 시스템」으로 평가를 전환하여 실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 사업이 창조경제에 부합하는 지속성장 가능한 청년예비창업자와 스타트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며 “기정원도 이공계 창업꿈나무들의 지속적인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창업생태계 활성화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70","atchfileNm":"별첨_이공계창업꿈나무사업설명회사진.zip","viewCnt":"3122","regDate":"2015-05-28 10:13:44"},{"contentId":"35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 기술개발 지원사업, 온라인평가로 신속하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17","contentsKor":"중기 기술개발 지원사업, 온라인평가로 신속하게 -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사업', '기업서비스연구개발 사업' 시행 -   □ 중소기업 기술개발 과제 선정의 '공정성·전문성·투명성·신속성' 제고를 위한 기술개발(R&D) 온라인 클린평가(오아시스: OASYS, Online Assessment System)가 시행된다.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사업', '기업서비스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온라인 평가(오아시스)를 시범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 온라인 평가는 'R&D평가 전문성·공정성 확보전략('14.9)'의 후속조치로 기존 오프라인 방식(대면평가)이 아닌 평가자와 피평가자가 온라인상에서만 질의·응답을 통해 평가가 진행되는 방식이다.      < 온라인 평가의 특징 >      ◦ (공정성) 사전 신청 단계부터 이해관계자 참여(학연, 지연 등)를 배제      ◦ (전문성) 평가위원이 직접 평가 가능한 과제를 자율 선택하고, 질 좋은 평가를 하는 평가위원에 대해 인센티브를 부여      ◦ (투명성) 국민 모두가 평가절차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평가결과를 평가 종료 후 기업에게 즉시 통보      ◦ (신속성·편의성) 평가기간이 2개월에서 1주로 단축되고, 이에 따라 기술변화에 적시 대응할 수 있으며, 재택평가가 가능해져 장거리 이동에 대한 불편함 해소   □ 온라인 평가의 단계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평가위원 매칭단계         -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을 통해 과제개요를 공시하고, 평가위원이 평가과제를 직접 선택하여 평가 전문성을 제고한다.         - 기업명, 참여연구원 현황 등은 제외하여 과제내용만 공시하고 이해관계자 참여(학연, 지연 등)를 사전에 배제하여 평가의 공정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② 평가단계 : 모든 평가과정이 3일내 재택(온라인)평가로 진행된다.         - (1일차) 평가위원이 과제계획서 열람 후 질의사항을 등록하면         - (2일차) 피평가자(중소기업)는 질의사항 확인 후 답변을 등록하고         - (3일차) 평가위원은 피평가자(중소기업)의 답변을 확인하고 평가 결과(점수)를 확정하게 된다.          * 평가위원이 현장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온라인 평가 완료 후 현장점검을 실시      ③ 평가결과 통보         - 3일간의 온라인 평가 진행 후 평가 결과(점수) 및 검토의견을 즉시 송부하여, 평가 결과 및 절차에 대한 투명성을 제고하게 된다.      <온라인 평가 진행 단계별 주요 내용>   □ 더불어,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평가위원 및 중소기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 신청접수, 평가일정, 온라인평가 일정 관리, 추가 질의답변 등의 알림 및 평가결과 확인 등      □ 온라인 평가를 시범 적용하는 사업은 이공계 창업꿈나무, 기업서비스연구개발 사업이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사업 >      □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개발 과제에 10개월간 5천만 원까지 자금을 지원한다.          * 창업팀 구성기준 : 창업팀의 50%이상이 해당대학의 대학원생이며, 대학(원)생의 50%이상이 이공계 출신      ◦ 또한, 기술개발 자금뿐만 아니라 창업·경영 등에 대한 체계적인 상담 및 지도를 병행하여 예비 창업팀의 창업을 촉진한다.      □ 이 과제는 지난 5월 15일 공고되었으며, 신청·접수(5.25.~6.15.), 온라인 평가(6월), 선정(7월) 순으로 진행된다.      < 기업서비스 연구개발 사업 >      □ '기업서비스 연구개발 사업'은 중소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결합을 통한 창의적인 제품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1년간, 2억 원까지 자금을 지원한다.      ◦ 더불어, 사업화 전문기관의 1:1 상담 및 지도를 병행하여 기술개발 지원 성과를 가속화할 계획이며,          * 기술보증기금(기술컨설팅), 벤처캐피탈협회(투자유치 전략 수립), 코트라(KOTRA, 해외진출 마케팅), 케이티(KT, 모바일기반 사업화), 윕스(특허전략) 등      ◦ 사업공고(6월초), 신청접수(6월중순~말), 선정평가-온라인평가(7월)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사업', '기업서비스연구개발 사업' 및 온라인평가와 관련된 사항은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더불어, 온라인 평가 관련 설명회를 5월 27일(수)부터 5월 28일(목)까지 서울, 대전에서 시행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68","atchfileNm":"중기_기술개발_지원사업,_온라인평가로_신속하게.hwp","viewCnt":"3208","regDate":"2015-05-26 13:08:46"},{"contentId":"35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청, 정보화를 통한 제조업의 스마트화 혁신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10","contentsKor":"  중기청, 정보화를 통한 제조업의 스마트화 혁신 추진 -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에 95억 원, 189개사 선정․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중소기업의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조업 혁신 3.0의 일환으로 정보화를 통한 생산현장의 스마트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 정보화지원 사업’은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및 기술유출 방지를 위해 95억 원을 투입하여 189개사를 지원한다.         - 이 사업에 454개 기업이 신청해 현장평가 및 사업수행계획서에 대한 대면평가를 거쳐 최종 189개 기업이 선정되었다.      □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은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과 기술유출방지시스템구축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은 생산현장에 ICT를 접목하여 생산공정의 비효율적 요소 제거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업별 맞춤형 정보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중소기업에 POP*, MES** 등 생산관련 정보시스템을 구축 지원한다. (총 사업비의 50%, 최대 6천만원 이내)          * POP(Point Of Production, 생산시점관리) : 현장의 정보를 발생 즉시 수집‧처리‧분석하여 작업지시‧계획변동 등을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         **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제조실행시스템) : 생산공정 정보의 실시간 모니터링․제어, 물류‧작업관리 등 통합 생산관리를 위한 시스템      ◦ 2014년 지원기업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현장의 정보화를 통해 생산 제품 불량률, 서류작업시간, 제조소요시간이 감소하는 등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이 나타났다. (‘14년 지원기업 성과조사, 기정원)   (단위 : %) 항목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불량률 감소율 41.5 44.9 48.7 53.1 57.4     (주)부강산업(경북 영천, 산업용 고무호스)에 따르면 현장에서 수기로 작성하던 작업을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을 통해 구축한 시스템을 활용해서 3시간에서 1분으로 단축했다고 밝혔다 [첨부2 참조]        ◦ 기술유출방지시스템구축사업은 중소기업의 핵심기술 유출 방지를 위해 중소기업의 보안인프라에 대한 정밀진단을 진행하고,         - 기업환경에 적합한 보안시스템 구축 지원을 하는 사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에 물리적·기술적 대응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총 사업비의 50%, 최대 4천만 원 이내)      □ 올해 정보화지원사업은 선정기업에 대해서도 지원효과 향상을 위해 사업수행능력 및 정보시스템 활용도 제고를 위한 교육을 6월 중 추진 예정이다.      ◦ 특히, 6대 뿌리산업(주조․금형․소성․용접․표면처리․열처리) 기업을 집중 지원(‘15년 지원기업의 55.6%) 하여 뿌리제조기업의 유해·위험 공정 자동화 및 인력난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 보안시스템구축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방지 및 기술보호 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58","atchfileNm":"중기청,_정보화를_통한_제조업의_스마트화_혁신_추진.hwp","viewCnt":"2816","regDate":"2015-05-19 18:47:34"},{"contentId":"35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우리사회의 미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02","contentsKor":"[경제프리즘] 우리사회의 미래   우리는 지난 50년간 사회를 획기적으로 변화시켰다. 그야말로 상전벽해라 할 수 있는 변화였고, 많은 이들은 우리의 변화를 기적이라고 부르고 있다. 1960년대  일자리가 없어서 독일에 광부와  간호사로 갔고, 70년대에  동남아와 중동으로 갔던 기억과 비교해보면 분명 기적이라 부를 만하다.   오늘날 우리는 분명 세계의 선두에 서서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사회가 발딛고 선 기반을 튼튼히 다지면서 미래로 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먼저 우리의 노후는 문제가 없는가 하는 점이 주요 관심사 중 하나다. 요즘 한창 논의되고 있는  공무원  연금이나 국민연금 역시 노후에 대한 논의다.   과거에는 가족에 기반을 두고 개인이 해결했다. 우리 사회에 깊게 뿌리박혀있는 남아선호 사상도 깊이 들여다보면 결국은  노후 대비 방안과 연관돼 있다.   과거와는  달리 이제 우리도 더 이상 자녀에게 노후를 의존해 해결하기 어렵게 변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사회가 제공하는 연금이나 개인이 준비하는 정도가 충분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다음으로 우리 사회가 건전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소득을 가져다줄 산업의 건전한 발전이 이뤄져야 한다.   우리의 이웃인  일본이 과거에 세계를 지배하던 전자산업과  자동차 산업이 우리에게 밀려 쇠락하는 것을 보면, 우리도  중국에게 다 넘겨줄 수 있다는 우려가 널리 퍼지고 있다. 이미 가전 부분의 경우 중국이 가까이 따라왔다는 신호가 여러 경로로 전달되고 있다.   우리의 많은  중소기업들이 중국과 경쟁에서 이미 전의를 상실해가고 있다.  무역에서 경쟁력을 결정하는 것은 임금과 기술인데, 기술적인 차이가 크지 않으면 가격이 상품의 선택을 좌우한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임금격차는 이미 경쟁력을 말할 상황을 넘어섰다. 끝으로 내수시장의 크기다. 하나의 경제가 독립적인 시장으로 작동하려면 보통 인구가 1억은 돼야 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우리는 아직 부족한 점이 있다. 나아가 지난 IMF 이후 우리의 소득분배가 균형에서 점차 멀어지고 있는 점도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월 300만 원 이하의 임금을 받는 사람이 75% 이상이라고 한다.   사회구성원의 상위 10%에 국부의 50%가 집중돼 있다면 시장기능이 정상적으로 원활하게 작동하기 어렵다. 이런 점에서도 우리 사회의 미래에는 불안한 요소가 잠재돼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균형 잡힌 조직도 중요하고, 부가가치도 기여한 바에 따라 분배돼야 하지만 대부분의 우리 중소기업은 겨우 연명하는 상태에 있고 미래에 대한 준비는 엄두를 내지 못하는 기업이 많다.세계적인 기업이던 노키아와 소니가 어느 사이 우리의 기억 저편으로 사라지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 경제를 앞서서 이끌고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역시  치열한 국제경쟁에서 어떤 미래를 맞이하게 될지는 알 수 없다. 또한 우리사회의 가치분배와  노후대비 역시 아직 개선할 부분이 많다.   좀 더 열린 마음으로 세대와 부문이 현재와 미래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뤄 나가야 할 시점이다. 국민과 기업, 지도자와 구성원들이 함께 지혜를 모아 현명한 결정이 이뤄지길 기대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41","atchfileNm":"(2015.05.13)_[경제프리즘]_우리사회의_미래.pdf","viewCnt":"3099","regDate":"2015-05-14 09:13:16"},{"contentId":"34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15년 기정원 청렴실천 추진반 발대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95","contentsKor":"2015년 기정원 청렴실천 추진반 발대식 개최   □ ‘2015년 기정원 청렴실천 추진반’ 발대식 개최        ○ 기정원은 지난 4월 23일, 기관 윤리경영 추진체계를 보완하고 청렴도를 제고하기 위해 현업부서원 중심으로 구성된 청렴실천추진반 발대식을 가졌습니다.      ○ 이날 청렴실천추진반은 기관 윤리경영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청렴 파수꾼으로서의 솔선수범을 결의하였습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38","atchfileNm":"2015년기정원청렴실천추진반발대식개최.hwp","viewCnt":"2950","regDate":"2015-05-07 16:38:51"},{"contentId":"34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사옥 건립 안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9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사옥 건립 안내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R&D 예산 및 인력 증가에 따라 안정적인 R&D 평가장 운영, R&D사업관리 여건 마련을 위해 독립사옥 건립을 추진하고 있음      ◦ 사옥 부지는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동(316-317번지)이며, 15년말 실시설계를 추진하고 ‘16년 공사 시작, ‘17년에 준공할 계획임         ※ 2015년 4월말 부지매입을 완료하였으며, ‘15년말 실시설계, 16년 신축공사, ‘17년 준공 계획임","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35","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사옥_건립안내.hwp","viewCnt":"3013","regDate":"2015-05-07 16:37:30"},{"contentId":"34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전통 제례문화의 산업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67","contentsKor":"[경제프리즘] 전통 제례문화의 산업화   유구한 역사와 문화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는 가장 짧은 기간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룩한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나라다. 반세기 만에 이러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은 우린 국민이 가진 영민할 뿐 아니라 오랜 기간 고도의 문화를 지속해온 경험을 가졌기 때문이다.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환경에서 교육을 중시하고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는 국가의 경쟁력에 플러스로 작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문화가 변화해 온 점을 살펴보고 향후 검토할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민속학에서 쉽게 변하지 않는 풍속으로 출산과 결혼, 상례와 제례의 네 가지를 꼽는다. 먼저 아이를 잉태하고 낳는 출산을 보면, 세계의 모든 민족이 임신과 출산을 신성시하고 신중하게 다뤄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영실’등 임산부가 거처하는 별도의 방을 두고, 출산하면 ‘금줄’을 치는 풍습이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민이 도시에 사는 오늘날에는 이러한 풍습을 보기 어렵게 됐다.   그 대신 임신 초기부터 병원 산부인과를 다니며 임신과 출산을 준비하는 것으로 대체됐다. 현재 전국에는 약 500개 정도의  산후조리원이 있고 시장규모는 4천억 원 수준에 이르고 있다. 다음으로, 결혼에 대해서 살펴보면, 옛날 젊은이의 결혼은 가문과 마을의 경사이자 축제였다. 그러던 것이 오늘날에는 결혼만을 전문으로 다루는 예식이 주요 산업이 됐다.   첫 만남에서부터 결혼식 사진촬영, 혼례식에 이르기까지 전문적으로 컨설팅해주는 영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니 새삼 논할 것이 없다. 전국에 1천 개 정도 예식장이 5조 6천억 원 정도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출산과 결혼은 일찍부터 우리나라에서 변화돼 온 분야다. 이에 비해 상례와 제례 부분은 상대적으로 변화가 늦은 분야다. 다른 국가에서도 상례와 제례는 전통적인 모습이 많이 남아있다. 그러나 상례 역시 최근 20년 사이에 매우 많이 달라져 가정집에서 치르는 상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과거에는 임종 순간이 이르면 병원에 머물다가도 집으로 모셔 객사를 피했는데, 요즘은 도리어 임종이 다가오면 병원으로 옮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죽음에 대한 인식이 확실히 달라졌고, 이 부분 역시 현재는 확실한 산업의 영역으로 자리 잡았다. 전국에 3천 개 정도의 장례식장이 있고, 연간 매출액은 1조 2천억 원 수준이다. 이제 마지막 남은 전통문화의 분야가 제례다. 종교에 따라 일찍이  추모행사로 바뀌기도 했지만 아직도 많은 가문에서 제사와 시제가 중요한 행사로 이어지고 있다. 행사 과정에서 가장 부담되는 부분이 제수준비와 행사시기다. 여전히 많은 가문에서 여성들이 직접 제수 음식을 장만하는 것을 정성으로 보는데 이의가 없지만, 언제까지 이러한 전통이 이어질 것인지는 불확실하다.   어쨌든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하고, 여권 신장이 확대될수록 상대적으로 위축될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 사회가 제례에 관해 진지하게 검토할 시점이 다가왔다고 본다. 출산결혼장례 산업화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고, 해외 수출해도 충분히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본다. 그렇다면 제례의 산업화도 크게 문제 될 것은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 전통을 고집하다가 소멸되는 것보다는 적극적으로 변화를 수용해 이어가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다고 본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11","atchfileNm":"[경제프리즘]_전통_제례문화의_산업화.pdf","viewCnt":"10858","regDate":"2015-04-16 16:24:47"},{"contentId":"34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경영혁신플랫폼으로 中企 정보화 이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66","contentsKor":"기정원, 경영혁신플랫폼으로 中企 정보화 이끈다 - 7개 조합·단체와 특화솔루션 지원 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4월 15일(수) 11시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15년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지원 협약식’을 개최했다.      ◦ 협약대상은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개발과제에 선정된 7개 중소기업 조합·단체* 기관장이며, 특화솔루션 개발과제에 대한 당사자 간의 권리와 의무, 협력 등의 제반사항에 대해 협약을 체결하였다.         - 한국공예협동조합연합회, 한국물류산업진흥협동조합, 한국화원협회, 엔케이경제인연합회,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한국목재공업협동조합, 한국가설협회      ◦ 이날 행사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을 비롯해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조합·단체의 기관장 및 소속 회원사 대표 등 30여 명이 참석하였다.      □ 이번 협약을 통해 공예, 물류산업, 전기공업 등 7개 특화솔루션이 개발되면 조합·단체 및 해당 업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들은 내년부터 플랫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 경영혁신플랫폼 기반 정보화 지원사업은 개발과제에 선정된 업종을 대상으로 특화된 솔루션을 개발하여 중소기업 조합·단체 소속 회원사들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 지난해까지 쌀가공, 가스판매협회 등 21개 특화업종을 선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8,800여개의 중소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을 가입하여 이용하고 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 이용을 통해 운영인력부족, 유지보수 부담 등 정보화에 열악한 중소기업이 정보화 도입의지를 고취하고, 나아가 플랫폼 기반의 IT환경을 구축하여 업무 효율이 극대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협약식에 참석한 중소기업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 “안전관리 강화로 인해 각종 인·허가 사항들이 의무화 되었고, 인·허가 절차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절차를 온라인으로 처리가능하도록 하는 솔루션이 개발되면 업무 생산성이 증대되고, 협회와 회원사 간 협업체계 구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이용하게 될 경영혁신플랫폼에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28","atchfileNm":"기정원,_경영혁신플랫폼으로_中企_정보화_이끈다.hwp","viewCnt":"10907","regDate":"2015-04-16 16:18:05"},{"contentId":"34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노사파트너십 프로그램 지원기관 협정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62","contentsKor":"기정원, 노사파트너십 프로그램 지원기관 협정체결 - 노사 간 상생협력으로 국민에게 신뢰받는 중소기업 R&D전담기관으로 도약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고용노동부와 노사발전재단에서 주관하는 「2015년도 노사파트너십 프로그램 지원사업」 지원대상 기관으로 최종 선정되어, ‘15.4.14일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노사파트너십 지원협정서를 체결하였다고 밝혔음      ◦ 노사파트너십 프로그램 지원사업은 대화와 상생의 노사문화를 구축하고, 일터혁신을 통해 기업 및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05년부터 실시되고 있으며, 대전지역 공공기관 중에는 기정원 등 2개 기관이 지원대상으로 선정됨      □ 기정원 노사는 구성원 모두가 일하고 싶은 훌륭한 직장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사가 함께 만드는 통합 시너지 1+1=3”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노사협력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임       ◦ 특히, 공공기관 기능조정에 따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한국산학연협회의 중소기업 R&D 지원업무가 기정원으로 일원화됨에 따라 통합된 인력이 조직과 융화되어 통합의 시너지가 창출될 수 있도록,      ◦ 구성원의 자긍심 고취 및 노사 간 비전 일체화를 위한 ‘TIPA 리더 워크숍’을 개최하고, 정형화된 형식을 탈피한 ‘화통(和通)’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계층 간, 부서 간 장벽을 허물고 조직 내 소통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예정임           * CEO소통마당, 팀웍데이, 칭찬이벤트, 부서 간 크로스미팅 등      □ 기정원노동조합 김종택 위원장은 “‘불과 2년 전만해도 노동쟁의가 발생하는 등 노사 간의 갈등이 심각한 상황이었음. 지난해부터 싹트기 시작한 노사상생의 씨앗이 금번 노사파트너십 프로그램을 통해 결실 맺어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사측과 적극 협력하여 나갈 계획임”이라고 밝혔으며,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노사화합을 위해서는 기관장부터 권위를 버리고 직원 개개인에게 다가서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함. ‘15년에는 ’전 직원의 자긍심과 의사소통 제고‘를 목표로 노사상생의 소통경영을 중점 추진할 계획임”라고 밝혔음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02","atchfileNm":"기정원_노사파트너십_프로그램_지원기관_협정체결(20150415).hwp","viewCnt":"10786","regDate":"2015-04-14 17:20:47"},{"contentId":"34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재도전 기업, R&D로 재기의 날개를 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58","contentsKor":"재도전 기업, R&D로 재기의 날개를 달다.      - 재창업기업 아이디어신제품 개발사업(R&D)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기술력이 우수한 재창업 기업을 선정하여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15년 재창업기업 R&D개발사업」을 시행한다      ㅇ 동 사업은 사업실패에 따른 신용상의 문제로 각종 기술개발지원사업에서 배제되어, 재기를 위한 신기술 제품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재창업 기업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 과제당 지원금액은 최대 1.5억원(정부지원금 총 사업비의 90%이내), 개발기간은 1년 이내로써, 자금력이 부족한 재창업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사업이다.      ㅇ 신청자격으로, 주관기관은 사업실패 이후 신기술 제품개발을 준비하는 재창업 중소기업(7년 이하) 또는 지원결정 이후, 1개월 이내 법인 설립이 가능한 예비창업자 등의 조건을 충족하는 기업이며,        - 공동개발기관은 재창업기업의 우수 아이디어 기술의 공동연구를 통해 시제품 개발 지원이 가능한 중소기업이다. □ 그간의 사업 지원성과를 분석한 결과, ‘13년 33개 업체, ’14년 20개 업체 등에 48억원을 지원함으로써, 재기기업의 경험과 노하우 등 사회적 자산의 사장을 최소화하고, 이를 우수 신제품개발에 접목하여 성공사례가 나타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 성공사례 > 2001년 국내 처음으로 ‘위성방송수신기’ 제조로 창업했던 A씨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으로 업종전환 뒤 사업부진으로 폐업 이후 신용 등의 문제로 재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후 재기를 모색하던 중,「‘14년 재창업기업 R&D개발사업」에 선정되어, 기존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위성방송수신기 관련 기술개발을 추진중으로, 기존의 중동지역 거래선을 활용하여 전량 수출할 예정으로 현 매출액은 10억이나, ’16년 20억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 특히, 금년부터는 우수기술이나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재창업기업의 사업계획서 작성 및 기술기획의 능력 부족으로, 정부 R&D사업에 접근이 힘든 재창업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ㅇ 전문기관의 멘토를 지원함으로써,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재창업 기업의 R&D사업 지원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 금년도 중소기업 재창업기업 R&D개발사업은 4월2일부터 5월7일까지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을 받고, 선정평가 등의 절차를 거쳐 최종지원대상을 확정할 계획이다.      ㅇ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97","atchfileNm":"재도전_기업,_RD로_재기의_날개를_달다..hwp","viewCnt":"11124","regDate":"2015-04-10 14:18:37"},{"contentId":"34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강의로 쉽고 빠르게 해결하세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52","contentsKor":"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강의로 쉽고 빠르게 해결하세요! -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오픈 29개 강좌 개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한국산학연협회(회장 서동석)(이상 가나다 순)에서는 ‘15년도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중소기업의 R&D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15년 3월 30일 온라인강의 및 모바일버전의 온라인교육 서비스를 개시한다.      □ 본 온라인강의 서비스는 정부 3.0 가치 실현을 위한 국민 중심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기업 맞춤형 온라인 강의 형태로 제공되며, 과정을 세분화하여 사업신청 및 수행에 애로를 겪는 기업이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번, 온라인강의는 총 29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으며,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기업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 개발사업 등 16개 강좌가 개설되었으며, 사업안내 관련 5개, 사업 계획서 작성, 협약변경, 사업 진행 및 최종평가 관련 8개 등 총   13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 본 강좌는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화면의 온라인매뉴얼>동영상강의 메뉴로 이동하면 팝업창 형태의 온라인 동영상 강의를 청취할 수 있고, 디지털북 다운로드 및 모바일동영상 보기를 이용할 수 있다.         - 특히 본 강좌는 단순한 사업별 안내자료 배포형식을 벗어나 사업계획서 작성, 선정평가, 협약체결 및 변경, 사업비 지급 및 집행, 최종평가, 기술료 납부 등 사업신청 및 집행단계별로 멀티미디어 북 학습기능을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원활한 접근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모바일 서비스는 동영상 강의와 디지털북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북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강의를 e-book형태로 다운로드 받아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은 `11년도에 기술혁신개발사업 등 2개 사업에 대해 사업절차 중심으로 서비스를 우선 제공하여 5,865건의 조회가 이루어졌으며, `14년에는 모바일서비스 학습기능을 추가로 제공하여 `11년 대비 21배(125,872건)의 조회 실적을 달성하였다.      □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을 통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시적인 중소기업 R&D사업 교육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업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중소기업의 사업신청이 더욱 원활해지고 중소기업에 한층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92","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RD사업온라인교육오픈보도자료(20150330).hwp","viewCnt":"11258","regDate":"2015-04-07 15:42:21"},{"contentId":"34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영혁신플랫폼, 3,900여개 가스판매기업에 서비스 개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51","contentsKor":"경영혁신플랫폼, 3,900여개 가스판매기업에 서비스 개시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한국가스판매업협동조합연합회(회장 김임용, 이하 연합회)가 회원사를 대상으로 경영혁신플랫폼에 탑재한 가스판매경영관리솔루션의 기능개선을 완료하고, 3,900여 회원사의 가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 가스판매경영관리솔루션은 LP가스 구매/판매와 가스 안전공급을 위한 것으로 당초에는 이용자의 수기작성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개발했으나 연합회의 거래상황 기록부 보고* 기능 요구를 수용하여 추가개발함으로써 회원사의 이용이 활성화되게 되었다.         *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시행규칙 제55조 제1항에 의거한 보고 기능      □ 연합회는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 향상과 업무의 자동화 수준이 20% 상승하였고,      ◦ 회원사의 90%이상이 5인 이하의 소규모 기업으로 전담인력 부족 등 애로사항이 있지만 경영혁신플랫폼 이용을 통해 인력 생산성이 40%*증가하고 이용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면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플랫폼활성화방안연구보고서(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12)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클라우드컴퓨팅기반 공동활용 플랫폼을 통해 가스판매조합과 회원사간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가스판매경영업무 효율을 극대화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하며,      ◦ “중소기업들이 경영혁신플랫폼을 불편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전문상담 창구인 경영혁신플랫폼 컨택센터(☎1644-1736)를 운영 중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경영혁신플랫폼 구축사업은 가스판매업을 비롯 B2B택배, 수출의료기기관리 등 21개 특화업종을 선정하여 협단체 및 소속 회원사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화 지원사업으로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여 인터넷만 있으면 어디서든 업무가 가능하고, 별도의 운영·유지비부담 걱정이 없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2014년 6월 서비스 개시 이후 현재까지 가스판매조합 3,900여 회원사를 포함, 8,700여개의 중소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에 가입하여 특화솔루션과 기본솔루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91","atchfileNm":"경영혁신플랫폼,_3,900여개_가스판매기업에_서비스_개시.hwp","viewCnt":"3038","regDate":"2015-04-07 15:38:43"},{"contentId":"34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디지털 타임즈-인터뷰 ] "R&D 기획·평가품질 향상 사업화 성공률 높이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20","contentsKor":""R&D 기획·평가품질 향상 사업화 성공률 높이겠다"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업무 표준화·지표 개선·전문성 향상 등 평가관리 선진화 중점 추진 '창업→고부가가치→유망기술' 단계별 연계지원 성과창출 확산 노력 경영혁신 플랫폼·생산현장 디지털화 통해 중기 정보화 역량 높일것     ■ 2015 새해 새 비전"R&D사업의 성공 키워드는 '평가 품질'에 있습니다. R&D 평가의 질이 높아지면 그만큼 R&D 사업화 성공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중소기업 R&D사업 평가 전반을 표준화하고 평가위원의 질을 높여 단순히 R&D사업을 집행하는 데 그치지 않고 R&D 사업화까지 책임지는 '중소기업 R&D사업 통합 전담기관'으로 역할을 다하겠습니다."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원장은 중소기업 R&D사업의 평가체계를 질적으로 높이는 길만이 R&D사업 성공과 함께 R&D 성과물의 사업화를 촉진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선 R&D 사업관리와 평가업무를 국제규격에 부합한 시스템으로 표준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높은 수준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평가위원의 질 향상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기정원은 지난해 말 정부의 중소기업 R&D 분야 공공기관 기능 조정에 따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한국산학연협회가 수행하던 중소기업 R&D 사업을 이관받아 명실상부한 '중소기업 R&D사업 통합 전담기관'으로 지정됐다. 기관 위상 강화에 따라 기정원은 R&D 기획부터 평가관리, R&D 사업화에 이르는 전 주기에 걸쳐 역할을 확대해 가고 있다.    양 원장은 "기관 역할 변화에 따라 R&D 기획, 성과 확산,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중소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데 조직의 역량을 모아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기관의 위상과 역할이 커졌는데,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은. "지난해 취임 후 서울에서 대전으로 옮겨오는 과정에서 불거진 노사 갈등의 후유증을 해결하는 데 주력했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는 신뢰를 바탕으로 잘 마무리할 수 있었고, 직원들 역시 많이 치유돼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중소기업 R&D 지원기관으로 역할을 할 수 있었다.올해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할 사안은 평가관리 방법의 선진화다. 이와 관련해 평가관리 업무 표준화와 평가지표 개선, 평가위원 전문성 향상 등에 집중할 생각이다. 그동안 미흡했던 중소기업 R&D 성과의 기술사업화에 주력해 '연구개발&비즈니스(R&BD)' 성공률을 높여 나가겠다. 거기에 멈추지 않고 중소기업 사업전략과 시장성 분석 등을 위한 R&D기획 지원, 연구개발 인력역량 강화 등에도 역량을 모아갈 것이다."- 지난해 중소기업 R&D사업 통합 전담기관으로 지정됐는데 구체적으로 확대되는 기능은.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이 된 만큼 책임이 막중해졌다. 이전과 똑같은 생각과 행동으로는 기관 위상 강화에 따른 가시적 성과를 거둘 수 없다. 그동안 우수한 R&D 과제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선정하기 위한 평가관리에 집중해 왔다면 R&D 통합 전담기관 지정으로 R&D 기획과 성과확산, 사업화 지원 등 역할이 한층 강화됐다. 우선 신규사업과 과제기획 등 R&D 기획기능을 강화해 성과창출 확산에 노력하겠다. 단편적인 자금 지원방식이 아닌 '창업→고부가가치→유망기술'로 이어지는 성장 단계별 연계 지원을 통해 기술사업화 전 주기에 걸친 중소기업 R&D 전담지원 역할을 해나갈 것이다. 기술이전·거래 활성화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애써 개발한 기술이 사장되는 것을 막고, 기술개발 성과를 확산·공유함으로써 개방형 혁신을 통한 사업화 성공률을 높여 나가겠다. 나아가 R&D에 성공한 기업이 사업화를 위한 자금을 받을 수 있도록 협력기관과 연계한 투·융자 지원 등 사업화 지원 기능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R&D에 특화된 전담기관으로 역할을 하는 한편 조직과 인적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도 강화해 나가겠다."- 이관받은 R&D사업 중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은. "중소기업청의 대표사업인 '기술혁신개발사업'과 '구매조건부기술개발사업'이다. 두 사업을 안정적으로 이관받아 중소기업이 R&D사업 수행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기술사업화에 성공해 매출을 키워가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사업별로 봤을 때 기술혁신개발사업의 경우, 미래 성장 유망분야와 자유무역협정(FTA)에 대응한 글로벌 전략품목의 기술 개발 지원을 통해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에 힘을 쏟겠다. 구매조건부개발사업은 기술 개발이 완료된 제품의 구매비율을 높이기 위해 제품을 구매하는 수요처가 구매협약을 충실히 이행하도록 관련 제도를 보완하고 새로운 수요처 발굴에 적극 나서겠다." -R&D 사업화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은. "현재 중소기업 R&D 사업화 강화를 위해 사업화 가능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R&D과제를 선정·평가하고 있다. 또 R&D 이후 사업화 성과에 따라 해당 기업에 가점과 감점을 줘 사업화 효과를 높여가고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기술교류→과제발굴 및 기획→R&D→사업화까지 이어지는 단계별 연계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의 공동 기술 개발을 확대하고, 기정원을 중심으로 자금지원기관과의 협업을 강화해 중소기업의 R&D 사업화율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해 나가겠다."-R&D 사업화나 기술 개발이 성공하려면 R&D 기획이 중요하다. 우리가 안고 있는 R&D 기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기획, R&D, 사업화 등으로 나뉘는 기술개발 세 단계 중 R&D 기획은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고 기술개발 리스크를 줄여 결과적으로 기술개발 성과를 창출·확산하는 핵심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나타난다. R&D 기획 지원을 받은 과제는 그렇지 않은 과제에 비해 사업화 성공률이 7.4%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중소기업은 시장분석과 예측을 통한 R&D과제 선별 역량이 부족해 자체적으로 R&D 기획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응해 R&D 기획지원 예산을 늘리고,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기획역량 강화 교육을 추진할 계획이다."- R&D 관리·평가의 전문성과 공정성 확보 방안은. "평가위원, 평가체계, 전문성 제고 등 세 가지 차원에서 개선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우선 R&D 과제의 사업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평가위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기술평가사 전문교육 제도를 도입할 생각이다. 평가체계 전반에 대한 고도화와 표준화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R&D 사업관리와 평가업무에 대해 국제규격(ISO 9001)에 맞는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고, 올해 중 인증을 획득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소기업 R&D사업이 기정원으로 통합돼 평가관리 업무가 대폭 확대된 만큼 평가관리 전담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직무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정보화 역량을 높이는 데 힘쓰고 있는데.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 경영혁신 플랫폼 사업과 생산현장 디지털화 사업 등을 지원하고 있다. 경영혁신 플랫폼 사업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공동활용 시스템인 경영혁신 플랫폼을 구축·지원해 중소기업의 정보화 경영활동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 경영혁신에 필요한 인프라와 솔루션을 기정원이 구축·운영하고, 중소기업은 전담인력, 유지비용, 기능개선 등의 부담 없이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생산현장 디지털화 사업은 기업별 맞춤형 정보시스템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생산공정에 대한 비효율적 요소를 해소, 생산관리 효율화와 생산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매년 국가승인 통계인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조사를 통해 중소기업이 정보화 경영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정보화 도입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경영혁신 플랫폼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데 기업들의 반응과 성과는. "지난해 7개 특화 솔루션과 8개 기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경영혁신 플랫폼을 만들어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어 지난달에는 14개 특화 솔루션을 추가 개발해 총 21개 특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경영혁신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쌀가공식품, 출판, 플라스틱 등의 협회·단체와 협약을 맺어 7개 특화 업종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8종, 57개 기능에 이르는 전자세금계산서 등 기본형 솔루션도 개발해 일반 중소기업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 1898개사가 가입해 9만여 건의 이용실적을 거두고 있다. 올해는 7개의 특화 솔루션을 추가로 개발하고, 정보화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창업기업과 소상공인에도 서비스를 제공해 보다 많은 기업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나아가 현재의 경영혁신 플랫폼 서비스를 오픈마켓으로 전환해 SW기업과 영세 소기업이 상생하는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중소기업 R&D사업이 투자 대비 효율성과 효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는데 개선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중기청 R&D사업의 궁극적 목표는 R&D를 통해 중소기업이 사업화 단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 이런 점에서 R&D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공률을 단계적으로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의 혁신역량과 성장 단계에 따른 R&D 프로그램을 세분화해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1인 창조기업, 여성기업, 이공계 대학원생의 연구개발과 뿌리기업 공정개선 등 수요자 대상별 맞춤형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아울러 R&D 후 사업화 지원을 위한 컨설팅, R&D 사업화를 위한 시험 및 운영자금 연계, 기술사업화 자금지원, 보증기관 연계 등 사업화 강화를 위한 연계 지원제도를 다양하게 마련할 계획이다.양적 확대에 치중했던 중소기업기술혁신지원제도(KOSBIR)도 실적점검을 통해 부처 사업간 연계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우수 기업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등 질을 높여가는 데 힘쓰겠다."◇ 양봉환 원장은…○ 약력-1977년 정읍고 졸업-1985년 한양대 행정학과 졸업-1986년 행시 30회-1987년 한양대 행정대학원 수료-2002년 6월∼2006년 5월 중소기업청 기술개발과 장, 인력지원과장 금융지원과장, 정책총괄과장-2008년 8월∼2013년 12월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정 책국장,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 기술혁신국장-2013년 12월∼현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수상이력-1998년 9월 고운문화상 -2010년 12월 홍조근정훈장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50","atchfileNm":"양봉환원장님_인터뷰.jpg","viewCnt":"3981","regDate":"2015-03-18 15:54:53"},{"contentId":"33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인터뷰] 양봉환 원장 “중기 기술 경쟁력 강해지면 국민경제도 발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87","contentsKor":"양봉환 원장 “중기 기술 경쟁력 강해지면 국민경제도 발전” 기업 역량 맞춰 프로그램 세분화… 관리체계 수준·성과 높일 것   [창조경제를 이끄는 현장을 가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정원은 올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한 국민경제의 발전'이라는 중소기업 R&D지원의 본질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 관리체계 고도화와 성과제고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사진>은 올해 기정원의 중점 추진 계획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양 원장은 “기정원은 혁신성과 사업성이 우수한 기술개발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평가관리 방법을 선진화할 계획”이라며 “평가관리 업무 전반에 대해 국제 품질경영시스템이 요구하는 수준에 부합하도록 표준화하고, 성과분석 등을 통한 평가지표 개선과 함께 평가위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등의 활동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중소기업분야의 기능조정에 따른 기관 변화 및 역할에 대해서는 성과확산 및 사업화 지원 역량 강화를 꼽았다.   그는 “기술 이전 및 거래 활성화를 통해 개발된 기술이 사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술개발 성과를 확산하고 공유함으로써 개방형 혁신을 통한 사업화 성공률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며 “중소기업 R&D에 특화된 전담기관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 및 인적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기정원은 R&D정책기획, 평가관리의 전문성·효율화, 지원성과 제고를 위한 별도의 조직을 신설하고, R&D전주기에 걸친 중소기업 평가관리 전문조직으로 직제개편을 실시했다.  올해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에 대해서는 “중기청의 대표사업인 기술혁신개발사업과 구매조건부기술개발사업을 안정적으로 이관해, 중소기업이 R&D사업 수행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높이고 기술의 사업화를 통해 기업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며 “기술혁신개발사업의 경우, 미래 성장유망 분야 및 FTA 대응 글로벌 전략품목의 기술개발 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사업화를 촉진해 한국형 히든 챔피언 육성에 주력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R&D 사업화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양 원장은 “중소기업 R&D의 사업화 강화를 위해 선정 및 평가단계에서 사업화가능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선정·평가하고 있다. 더불어 R&D 이후 사업화 성과에 따라 해당 기업에 대한 가감점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획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R&D기획지원사업'을 지원하고 있다”며 “R&D 기획지원의 경우 개발 타당성 분석, 시장성 조사, 성공가능성 평가, 중기 사업전략 수립 등 사업화를 고려한 R&D 기획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R&D 추진 초기에서 사업화가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청 R&D의 주요 추진 목적이 R&D를 통한 사업화 단계 진입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단계적으로 사업화 성공률을 더욱 높여갈 필요가 있다”면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및 성장단계에 따른 R&D 프로그램을 세분화해 지원정책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양봉환 원장은 한양대 행정학과를 졸업했으며,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정책국장,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 중기청 기술혁신국장 등을 거쳐, 지난 2013년 12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으로 취임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21","atchfileNm":"붙임2.[중기기술정보진흥원]RD와_통하면_기업_성장이_통한다..pdf","viewCnt":"3457","regDate":"2015-03-04 11:05:41"},{"contentId":"33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7,000여개 창업기업 확대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86","contentsKor":"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7,000여개 창업기업 확대 지원 창업진흥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업무협약 체결   □ 창업진흥원(원장 강시우)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3월 3일(화) 창업진흥원에서 창업지원사업 참여기업의 경영정보화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경영혁신플랫폼을 활용하여 창업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운영비절감 등을 이루고 창업기업의 성장 발판 마련 및 경영효율성 제고에 그 목적이 있다.      ◦ 본 협약을 통해 창업진흥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 창업진흥원의 창업지원사업 참여기업에게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제공 △ 창업기업 경영정보화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지원 △ 창업 성공사례 발굴 및 관련 정보 개방 등, 양 기관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협력 지원 할 예정이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일반업무 기능   ◦ 창업진흥원 원장은 “이번 업무 협력을 통해 그동안 창업기업이 정보화를 위한 구축 및 유지보수 등의 부담으로 기업경영에 어려운 점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고 창업기업의 성장 및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창업기업의 경영정보화 저변 확대를 위하여 유기적인 업무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창업기업의 성공발판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창업진흥원은 우선, 스마트세계로누림터 입주기업에게 클라우드 서버를 지원하고 ’14년도 창업지원사업 참여기업 및 1인창조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기업을 단계적으로 모집하여 지원할 방침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10","atchfileNm":"경영혁신플랫폼_서비스_7,000여개_창업기업_확대_지원.hwp","viewCnt":"3199","regDate":"2015-03-04 10:52:05"},{"contentId":"33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단일기관으로 본격적인 업무 개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83","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단일기관으로 본격적인 업무 개시 - 중소기업 R&D 기능조정 완료, 조직개편 및 세부 사업추진방안 발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분야의 공공기관 기능조정에 따라 업무 인수인계 절차를 일단락하고, ’15. 3월부터 중소기업 R&D지원 전담기관으로서 본격적인 업무를 개시한다고 밝혔음      ◦ 공공기관 기능조정 후속조치에 따라 기정원은 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업무이관협약을 체결(’15.2.17)하고, 4개 사업*(예산 3,608억) 및 사업인력(10명)을 이관 받았으며, * 기술혁신개발, 구매조건부기술개발, 시장창출형기술개발, 기술로드맵      ◦ 아울러, 산학연협력사업*(2개, 1,685억)도 일정에 따라 이관을 마무리할 예정이며, 기능조정에 따라 중진공으로 이관하는 기술인재양성사업(2개, 571억) 등 비R&D 사업에 대해서도 3월중으로 업무 인계를 완료할 예정 * 산학연협력기술개발(1,520억원), 연구장비 공동활용(165억원)      □ 기정원은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 업무보고(’15.3.2)를 통해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한 2015년 사업 수행방안 및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발표하였음      ◦ R&D 전문기관 일원화에 따라 ’15년 사업추진에 차질 없도록 추진일정 및 인력 운영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며      ◦ 아울러 고객만족도 제고 및 공공기관 정상화, 정부 3.0 등 정부 정책의 이행을 위한 추진계획도 발표하였음   □ 특히, R&D지원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기술 사업화 全주기적에 걸친 중소기업 R&D지원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부처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할 계획    ① 먼저, 창조경제타운 및 이공계 대학생 전용 R&D사업을 활용하여 시장성․창의성․실현가능성이 높은 우수 아이디어 발굴하고  R&D 기획지원을 강화      ② 기술인력 지원 및 R&D교육센터 운영, 이공계 인력 채용 시 지방소재 중소기업 우대 등 R&D 인력난 해소에 노력하고      ③ R&D 성공기업의 사업화자금 지원기관 확대 및 맞춤형 전용상품 개발, 금융기관의 경영전략․재무컨설팅 등과 연계지원할 계획      □ 기정원은 조직 및 인적역량을 강화하여 정부의 R&D 지원성과가 제고될 수 있도록 조직 개편 및 인력 재배치를 단행하였음      ◦ R&D정책기획, 평가관리의 전문성․효율화, 지원성과 제고를 성과확산 기능 강화를 위해 별도의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 R&D전주기(중장기계획→평가→사후관리․성과확산)에 걸친 전문성강화를 위해 조직개편을 실시      * 3본부 7부 2팀 → 4본부 12부 4팀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그 동안 우수한 R&D 과제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선정하기 위한 평가관리에 집중하였다면, 앞으로는 R&D기획, 성과확산 및 기관간 연결을 통한 사업화지원 역할을 더욱 강화하고”      ◦ 이를 위해 중소기업 R&D에 특화된 전담기관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 및 인적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힘","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03","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RD지원단일기관업무본격개시_세부추진방안발표(RnD기능조정완료).hwp","viewCnt":"3283","regDate":"2015-03-02 17:58:09"},{"contentId":"33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기업의 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연계지원 협력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80","contentsKor":"창업기업의 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연계지원 협력 추진 - 기정원, 우리은행과 디딤돌 금융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창업기업 및 유망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하여 우리은행(행장 이광구)과 2월 24일(화) “창업성장기업 디딤돌 금융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금번 협약은 창업․성장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통해 창업․성장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하고 질 높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등 동반성장의 디딤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양 기관은 이를 위해 ▲창업․성장기업 정보제공 및 금융서비스 지원 협력 ▲기업성장에 필요한 맞춤형 종합컨설팅 무료지원 ▲성장 단계별 기업환경 및 사업운용에 필요한 금융상품 연계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기정원은 금번 협약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중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을 “디딤돌 금융지원 업무협약”의 핵심사업으로 추진하고 점진․확대해 갈 예정이다.        ◦ ‘15년도 중소기업청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경영전략컨설팅, 재무컨설팅, 가업승계컨설팅 등 맞춤형 종합컨설팅을 실시하고        ◦ 기업 운영활동에 대한 진단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금융서비스 및 연계상품”을 제공하여 창업․성장기업들이 우량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이번 협약을 통해서 정부 지원으로 개발된 기술에 대한 사업화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중소기업들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15년도 한 해만도 1,100개 이상의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이 기술 사업화에 필요한 금융비용 및 컨설팅 비용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공공과 민간 부분의 협업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성과를 제고함으로써 국정방향인 정부 3.0 실현의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금번 협약이 창업․성장기업의 금융비용 및 컨설팅 비용을 절감하고, 창업․성장기업의 지속적인 성장효과로 인해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 및 창조문화 확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기정원은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과 질 높은 창업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기정원이 선정하는 창업성장기업에 대해 성장단계별(창업/성장/도약단계) 맞춤형 금융서비스(기술금융 및 종합컨설팅 등 단계별 맞춤 금융서비스 지원)를 적극 지원하여, 기정원이 창조경제를 실현하고, 동반성장과 일자리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우리은행이 든든한 금융파트너가 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하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96","atchfileNm":"창업기업의_성장을_위한_기술금융연계지원협약추진.hwp","viewCnt":"3453","regDate":"2015-02-24 17:40:41"},{"contentId":"33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여(女) 보세요! R&D자금을 지원해드립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72","contentsKor":"  여(女) 보세요! R&D자금을 지원해드립니다!   '여성 전용 R&D' 100억원 신설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여성가족부(장관 김희정)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와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해 「여성 전용 R&D」 자금을 신규 지원한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올해 시범사업으로 총 100억원이 지원되며,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성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최근 여성의 활발한 경제활동 참여가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은 국가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OECD 평균치보다 크게 낮은 수준인데, 여성기업의 여성 고용률이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10.6%p 높게 나타나는 등 여성기업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양 기관은 창의적 아이디어 및 기술역량을 보유한 여성기업 육성과 여성 기술개발자 등 고급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해서 이번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간 정부는 여성기업 육성과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중기청은 여성의 창업과 여성기업 육성을 위해 매년 「여성기업 활동촉진 기본계획」을 수립,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여 이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전창업스쿨, 여성전용창업보육센터 등을 통해 창업을 촉진하고, 여성기업 제품 구매 의무화, 해외진출 원스톱 지원 등으로 여성기업의 판로확대를 지원 중이다. 또한, 여성기업이 R&D사업 참여 시 가점(1점)을 부여하고 있다. 여가부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새일센터’)를 통해 임신·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이 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직업훈련, 인턴십, 취업연계 및 취업 후 사후관리 등 종합적인 취업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창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해 창업과정 직업훈련과 창업 전 인큐베이팅을 위한 창업동아리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성기업 비중과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나, 여전히 여성기업은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열악한 상황이며, 특히 가점만으로는 실질적인 R&D참여 확대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어 전용과제 신설 등 보다 적극적인 지원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번 「여성 전용 R&D사업」은 중기청이 R&D자금 지원 및 사업 운영을 담당하고, 여가부가 새일센터를 통해 여성의 창의적 아이디어 및 R&D과제를 발굴하고 홍보를 지원한다. 동 사업은 ① 여성기업 육성 측면에서 "여성기업"과, ② 여성의 고용창출 및 창업촉진 측면에서 "경력단절여성 신규고용(예정) 중소기업" 및 ③ 창업을 희망하는 경력단절여성 또는 여성 과학기술인(2인 이상)"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에게 여성이 겪는 사회문제 해결, 틈새시장 개척, 新성장동력 창출 등 새로운 기회창출이 가능한 R&D과제에 대해 최대 1년 간 1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특히, 원활한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위해 기업이 원하는 경우 기술·사업화 멘토링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여성 연구자 및 CEO는 관련기관의 교육과정을 활용, 교육을 이수할 수 있다. 평가 시에는 다른 R&D과제와 달리 “여성의 경제활동 기회창출 가능성” 평가지표를 신설, 개발기술 활용을 통해 여성이 겪는 사회문제 해결 또는 여성의 기회창출 가능성이 높은지를 평가한다. 또한, 최근 3년 내에 정부·지자체·공공기관 등이 개최한 경진대회 수상경험이 있거나 이를 통해 지원받은 이력이 있는 경우 가점을 부여할 계획이다. 신청기간은 2월 23일(월)부터 3월 20일(금)까지로 온라인 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서만 신청 받으며, 산학연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4~6월) 절차를 거쳐 7월 중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홈페이지(www.smba.go.kr), 여성가족부 홈페이지(www.mogef.go.kr) 또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80","atchfileNm":"150212_여성전용R_D.pdf","viewCnt":"3407","regDate":"2015-02-16 10:24:11"},{"contentId":"33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문화일보] ‘에너지 절감 IT기술’ 개발… 年매출 57억→135억 - 우수기업 사례 : 에코시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9","contentsKor":"‘에너지 절감 IT기술’ 개발… 年매출 57억→135억  <4> 우수기업 사례 : 에코시안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요즘 기업과 국가의 성장에 있어 환경보호는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 과제로 꼽힌다. 그동안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경성장이 대세였다면 이제는 각 국가와 기업들이 기후변화에 얼마나 기민하게 대처하느냐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가 됐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에너지 감축이 어느새 화두가 된 이때 적정한 에너지 감축량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다. 중소기업청과 국내 중소기업이 힘을 모아 개발한 국내 유일의 기술이어서 화제가 되고 있다. 27일 중소업계에 따르면, 이 기술을 개발한 중소기업인 에코시안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컨설팅 활동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지난 2001년에 설립됐다. 특화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환경과 기후변화, 그리고 에너지 분야의 종합 컨설팅, 정보기술(IT) 솔루션 개발을 주 사업 영역으로 하고 있다. 환경과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출발한 에코시안은 환경의 한 축인 에너지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에너지 감축용 IT 솔루션을 개발하고자 했다. 다각화한 사업 목표의 첫 번째 기술 개발 과제가 된 것은 ‘시뮬레이션 기반의 실시간 통합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개발이었다.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가 얼마만큼 에너지를 감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접근을 통해 기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소프트웨어 중심의 에너지 효율성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 기술은 2010년 6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중소기업청이 주관한 융복합 기술개발 과제로 선정·수행돼 세상의 빛을 봤다. 통상 융복합 기술개발 과제의 수행기간이 1년인 데 비해, 고차원적인 기술의 융복합이 필요했던 이번 과제는 완료되는 데에만 2년이 걸렸으며, 이 과정에서 소요된 정부 지원금만 4억3000만 원에 달했다. 은종환 에코시안 대표에게 이 기술의 개발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물어봤다.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건물 운영 관리자가 얼마나 절감하고 있는지, 또 앞으로 얼마나 절감해야 하는지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기본 계획을 세울 수 있는데, 이전까지는 이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었다. 그것이 바로 ‘시뮬레이션 기반의 실시간 통합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핵심이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해 건물 내 모든 공간의 최적 에너지 사용량을 계산해 두면 그 이상의 에너지 사용이 있을 경우 시스템이 알려준다. 예컨대 10만 써도 되는데 50을 쓰고 있다면 에너지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이니 그 원인을 찾으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미리 계산된 값 10이 없다면 50을 쓰는 것이 낭비인지 여부를 알 수 없는 것이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존재하지 않는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건물의 크기, 벽체·창호·문 등의 열적 특성, 조명·발열기기 등 건물 내부 부하, 기상 데이터·일사량·태양 각도 등 기상 조건, 냉난방설비·송풍기·반송설비 등 공조 설비의 운전 특성 등을 대입한다. 그러면 열역학 방식을 이용한 수치 해석을 통해 각 공간의 최적의 효율과 절약을 위한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하게 되는 것이다. ㈜에코시안은 이러한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해 이를 기존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인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에 적용해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이번 기술이 수월하게 개발된 것만은 아니다. 2년에 이르는 과제의 진행기간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기도 했다. 시뮬레이션의 정밀성을 보완하고자 실제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한 보정 단계를 거치는 오랜 과정이 이어졌으며, 지방자치단체별로 새로운 빌딩을 섭외해 직접 시뮬레이션을 해보며 에너지 절감량과 예측을 수행하기도 했다. 그 중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중소기업 구성원들이 당장 손에 잡히지 않는 미지의 기술과 오랜 기간 씨름하는 과정에서 오는 동기부여의 부재였다. 은 대표는 “긴 호흡으로 진행되는 사업이다 보니 직원들이 사업에 대한 회의감을 품을 때가 있었다”며 “지속적으로 회사의 비전과 기술 개발 사업의 목표를 설명하고, 필요한 기술에 대한 육을 하는 것으로 내부적인 어려움을 극복했다”고 말했다.   오랜 산고를 거쳐 2012년 5월 ‘시뮬레이션 기반의 실시간 통합 에너지 관리시스템’은 성공적으로 빛을 봤다. 이를 통해 에코시안은 에너지 관리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으며, 현재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에너지 사업을 펼치는 중이다. 회사 매출도 2010년 57억 원에서 2013년 135억 원으로 껑충 뛰었다. 은 대표는 “에코시안은 단기적으로는 내년에 예측 기법이 5% 내에 들어올 수 있도록 기술적인 발전을 이루고자 한다”며 “한편으로는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진행해 ‘시뮬레이션 기반의 실시간 통합 에너지 관리시스템’ 기술에 대한 다양한 시공 현장을 보유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54","atchfileNm":"에너지_절감_IT기술_개발..._연매출_57억→135억.jpg","viewCnt":"3202","regDate":"2015-02-11 15:38:35"},{"contentId":"33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문화일보] 주름 개선 기능성 新소재 국산화… ‘바이오 강국’ 일본에 逆수출 쾌거 - 우수기업 사례 : 셀인바이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8","contentsKor":"주름 개선 기능성 新소재 국산화… ‘바이오 강국’ 일본에 逆수출 쾌거 <3> 우수기업 사례 : 셀인바이오   2000년대 들어 바이오 열풍이 불면서 우리나라도 바이오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정부는 매년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천문학적인 연구비를 투입해 미래 중추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바이오 산업은 바이오 기술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해 인류가 필요로 하는 물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꾸준한 투자 덕분에 바이오 완제품에 대해선 상당한 경쟁력을 갖췄지만 바이오 소재 관련 원천 기술에 대해서만큼은 유럽과 일본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이 같은 환경에서 기술 융복합을 통해 바이오 강국 대한민국을 선도하고 있는 벤처기업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셀인바이오는 바이오 소재를 연구 개발해 산업화하는 기업으로 지난 2008년 9월 설립됐다. 이 회사의 특이한 점은 기존 바이오 소재 연구 기업들이 화학을 기반으로 우리 몸에 이로운 외부 물질을 발견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데 비해 철저히 생물학적 관점으로 접근해 친환경적이고 부작용 없는 소재 개발 및 제품화에 힘쓰고 있다. 2011년 6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정부 지원금 1억4000만 원을 받아 중소기업청이 주관한 융복합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것이 회사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됐다. 당시에 참여한 연구과제는 ‘주름개선 기능성 생체 유래 디펩타이드 소재 개발 및 제품화’였다. 셀인바이오는 당시 화장품 분야 소재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화장품 소재 시장은 유럽과 일본의 몇몇 회사가 전 세계를 장악하다시피 하고 있었다. 그래서 이와 관련한 보편적인 소재를 국산화할 경우 국내 보급은 물론 해외까지 상당한 파급력을 가질 수 있었다. 이 과제는 바이오와 화학분야의 두 연구기업이 보유한 기술을 융복합해, 안전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생리활성을 확인함으로써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의 신소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셀 소재의 개발은 셀인바이오가 담당했지만 이를 합성하고 정제하는 단계는 화학을 전문적으로 하는 중소기업인 씨트리가 담당했다. 융복합 과정에서 우여곡절도 많았다. 두 기업은 당시 소통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파트너사가 보내준 분석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 기술에 대한 부연설명에만 이틀이 걸린 적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융복합을 위해 투자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양사의 협력관계는 더욱 강화됐고 1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동희 셀인바이오 대표는 “현재 우리 회사가 보유한 3가지 핵심 기반 기술 중 생체 유래 디펩타이드와 줄기세포 배양액을 중소기업청 사업을 통해 확보했다”며 “이 기술을 중심으로 화장품과 의약품 분야와 관련해 다양한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생체 유래 디펩타이드는 현재 바이오 소재 강국인 일본에 역수출되고 있기도 하다.   회사 측에선 이번 사업이 그동안 아이디어에 머물렀던 생물학적 기반의 연구 프로젝트를 실제 사업모델로 완성한 첫 사례라는 점도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그는 “생물학적 피부 노화를 표적으로 하는 디펩타이드 소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시장의 소재 개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게 큰 성과”라며 “이후 피부 노화에 대한 기초 연구와 새로운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에 응용이 가능해지기도 했다”고 기술 융복합의 의미를 설명했다. 셀인바이오는 다양한 바이오 소재를 바탕으로 설립 5년 만인 2013년 20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설립 5년 안에 문을 닫는 벤처기업이 3곳 중 2곳에 이른다는 통계에 비춰보면 이제 막 고비를 넘긴 것이다. 특히 그는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이 없었다면 바이오 이외의 다른 분야 전문가들을 만나기가 매우 힘들었을 것”이라며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서로 다른 분야에서 이뤄지는 사고와 시각이 매우 신선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창업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경험도 부족하고 시행착오가 많을 때 좋은 파트너들을 알게 되면서 회사가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됐다”고 기술 융복합의 성과를 자평했다. 이어 “앞으로 회사를 더욱 발전시켜 연구와 생산을 아우르는 글로벌 바이오 소재 전문 기업이 되고 싶다”는 포부도 함께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53","atchfileNm":"주름_개선_기능성_新소재_국산화_바이오강국_일본에_逆수출_쾌거.jpg","viewCnt":"3361","regDate":"2015-02-11 15:34:53"},{"contentId":"33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문화일보] 원격제어 '복합조리기' 독자 개발 빵굽고 밥짓고 찜 요리까지 '척척' - 우수기업 사례 : 대흥제가제빵기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7","contentsKor":"원격제어 '복합조리기' 독자 개발 빵굽고 밥짓고 찜 요리까지 '척척'  <2> 우수기업 사례 : 대흥 제과제빵기계   “이것이 앞으로 우리 회사의 수출 전략제품인 복합조리기입니다. 기술 융복합으로 회사의 신성장동력을 찾아냈다는 의미가 있네요.” 지난 8일 경기 광주시 초월읍 대흥제과제빵기계 사옥. “기술을 융복합해 제빵기계를 만든 중소기업”이라는 소개를 받고 이 회사를 찾았다. 가슴 왼편에 ‘기술 명장’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흑색 점퍼를 입고 기자를 맞은 김대인 대표는 2011년 정부가 선정한 공조냉동기계 분야의 대한민국 명장이다. 20대 때 서울 중구 충무로의 수도·냉동기기설비회사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해 40년간 공조냉동설비 분야 한우물을 판 결과 얻은 훈장이다. 기술 명장으로 인정받았지만, 중소기업 경영자 처지에서 보면 한 분야에 치우친 사업구조는 썩 바람직하지 않다. 김 대표는 고민을 거듭하다 3년 전인 2012년 강점을 보이던 공조냉동기술에 원격제어기술을 결합한 복합조리기를 개발하면서 회사의 신성장동력을 찾았다고 한다.   복합조리기는 기존 제빵기계들의 맹점을 보완하려는 김 대표의 노력에서 비롯됐다. 기존 제빵기계들은 고가 장비이고 대형 점포에서 넓은 면적을 차지하면서도 빵을 굽는 기능밖에 할 수 없었다. 그때 김 대표의 머리에 스쳐 간 생각이 “제빵기계에서 요리까지 가능하게 하고 수동 대신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들면 어떨까”하는 것이었다.   그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복합조리기 개발’을 중소기업청의 융복합기술개발 과제로 제시했고, 원격제어시스템을 기계에 삽입하기 위해 전자회로 제조 전문업체인 케이에스알앤디도 기술개발에 힘을 보탰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1년에 걸친 기술개발엔 정부 예산 1억500만 원이 지원됐다. 조리기 개발과정에서 그동안 국산화가 미진했던 기술들의 보완도 이뤄졌다. 복합조리기엔 300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고열모터와 베어링이 들어갔고, 기존 제품의 누르는 버튼 대신 PCB(액정과 기판을 연결해 주는 선들을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어 놓은 것)액정이 삽입됐다. 이렇게 복합조리기는 2012년 7월 첫선을 보일 수 있었다.   출시 후 1년 6개월 동안 팔린 복합조리기는 총 30대다. 이 중 2대는 일본, 5대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수출됐다. “고작 30대 팔린 것을 성과라고 말할 수 있느냐”는 지적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복합조리기 전부가 유럽산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고가 수입품을 국산화했다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또 4500만 원인 유럽산 제품의 가격을 2500만 원으로 절반 가까이로 낮췄다는 의미도 있다.   김 대표는 “이 제품을 사용하면 빵뿐만 아니라 밥도 지을 수 있고 고구마나 감자 등을 대량으로 삶을 수도 있다”며 “찜 요리까지 가능하므로 백화점과 대형마트, 대형식당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어 앞으로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복합조리기가 회사의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 복합조리기의 효용성에 대한 입소문이 이제 막 나기 시작한 단계입니다. 2013년 8월 인도네시아에 대리점을 만들었는데 현지에서 주문도 꾸준히 있고요. 지난해 회사 매출 120억 원 중 복합조리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5% 남짓이지만 올해는 10%로, 내후년에는 매출이 더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회사 매출을 400억 원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그는 중소기업청의 융복합기술개발사업에 대해서도 “우리 회사의 경우처럼 중소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호평했다. 김 대표는 “이제 제빵기와 조리기도 작고 간편해져야 한다”며 “아직 활성화되지 못한 기계 간 원격제어기능의 활성화가 또 다른 숙제로 남아 있어 기술개발 아이디어를 보완하는 대로 융복합기술개발사업 과제로 신청할 생각”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52","atchfileNm":"원격제어_복합조리기_독자_개발_빵굽고_밥짓고_찜_요리까지_척척.jpg","viewCnt":"2956","regDate":"2015-02-11 15:30:33"},{"contentId":"33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문화일보] 암반 확공지압형 장비 개발… 작년 매출 100억 ‘고속성장’ - 우수기업 사례 : 세종이엔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6","contentsKor":"                       암반 확공지압형 장비 개발… 작년 매출 100억 ‘고속성장’ <1> 우수기업 사례 - 세종이엔씨   “시공현장에서 알게 된 문제점을 기술 융복합으로 극복해 낸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앞으로 적은 비용으로 친환경적인 굴착 공사가 가능해졌습니다.”지난해 12월 26일 대전 유성구 봉명동 세종이엔씨 사옥에서 만난 이재원 세종이엔씨 상무는 기자에게 ‘확공지압형 앵커체’를 들어보이며 이같이 말했다. 문외한인 기자가 보기에 그저 긴 쇠막대기 같았지만, 녹색기술 인증과 건설신기술 인증, 철도신기술 지정을 받으며 경쟁력을 인정받은 제품이다. 지난 2013년 개발된 이 제품 덕분에 세종이엔씨 매출은 2014년 100억 원을 넘으며 고속성장하고 있다.이 제품이 개발될 수 있었던 계기는 다음과 같다. 2007년 설립된 전문건설업체인 세종이엔씨는 터널과 기초보강을 하는 업체다. 고속도로와 비탈면 보강공사를 많이 하다 보니 기존 장비를 사용하는 데 한계점이 보였다고 한다. 공사를 위해 굴착이 필요할 때 114㎜ 너비로밖에 뚫을 수 없어 그만큼 깊이 땅을 파야 하고, 추가적으로 입구를 넓히는 과정에서 토양 손실과 분진 발생도 많았다고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과 다른 기계장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세종이엔씨는 2013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암반부에서 확장이 가능한 굴착 비트와 확공기술 개발사업’을 제안했다.총 사업비 4억1650만 원 규모로 2012년 12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1년간 진행된 이번 사업엔 지반천공용 ‘함마비트’ 생산기업인 탑드릴과 우송대 산학협력단이 함께 참여해 자신들의 장치 제조 노하우를 세종이엔씨의 건설기술과 결합시켰다. 즉 연구는 우송대 산학협력단이, 장치 제조는 탑드릴이 맡는 한편, 세종이엔씨는 개발된 제품을 활용한 건설을 맡기로 한 것.개발은 성공적이었다. 이번 사업을 통해 개발된 확공지압형 앵커체를 활용하면, 굴착할 때 특정부분만을 확대하는 모양을 만들 수 있어 굴착 후 너비를 넓히기 위해 추가로 땅을 팔 필요가 없고 그만큼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그만큼 땅을 덜 파도 된다는 이야기가 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기도 하다. 건설업계에서도 이 제품 개발로 건설기술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며 환영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암반에서 확공이 가능한 장치의 개발로 복잡하고 변화가 심한 국내의 암반조건에서 현장 적용성이 뛰어날 것으로 기대된다”며 “확공을 활용할 수 있는 지반 보강분야의 원천기술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기자와 동행한 김종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차장도 “암반에서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졌고 현행 장비보다 넓게 팔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연간 1000억 원대로 추산되는 관련 시장에서 선전이 기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확공지압형 앵커체를 앞세운 세종이엔씨는 해외 시장 진출을 타진하는 등 향후 비약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이재원 상무는 “3년 안에 지금보다 2배로 성장한 매출 200억 원을 돌파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 기술을 이용해 베트남과 스리랑카에 시장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상무는 융복합기술개발사업에 대해서도 “어느 한 분야의 기술만 가지고는 기업이 오랫동안 존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앞으로 기술 융복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며 “기술 개발이 완료된 후에도 정부가 시장 개척과 판로까지 신경을 써줬으면 좋겠다”는 희망도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51","atchfileNm":"암반_확공지압형_장비_개발_작년_매출_100억_고속성장.jpg","viewCnt":"3223","regDate":"2015-02-11 15:23:49"},{"contentId":"33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문화일보] '융․복합 기술개발'이 답이다! - 中企 신성장동력찾기 대안으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4","contentsKor":"‘융·복합 기술개발’이 답이다! 中企 신성장동력 찾기 대안으로   단일 업종에서 오랜 기간 사업을 해온 중소기업인들 대다수는 생존에 대한 걱정을 덜 때쯤 신성장동력 발굴에 대한 고민에 빠진다. 복잡하고 다양한 변수가 많은 산업 환경에서 개별 중소기업 차원의 기술혁신이나 경영혁신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기술수명이 짧아지고 연구 개발 비용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생각하면 개별 중소기업 차원의 신성장동력 발굴은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중소기업과 연구기관이 힘을 합해 융·복합형 신기술 및 신제품을 개발하는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개발사업’이 신성장동력 찾기와 경쟁력 강화를 모색하는 중소기업들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30일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이 사업은 중소기업과 연구기관 또는 중소기업 간 공동 기술개발을 통해 융·복합형 신제품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노비즈기업), 벤처기업 또는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기업과 중소기업 지원실적을 보유한 공공연구기관, 대학교 등이 사업 참여신청을 할 수 있으며, 기술수요 조사와 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 등에서 발굴·기획된 첨단 융합기술 분야의 기술개발 과제를 지원한다. 사업은 크게 3가지 형태로 나뉘어 진행된다. 먼저 ‘융·복합과제’는 지정공모 방식으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센터연계형 과제’는 자유공모 방식으로 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를 통해 발굴·기획된 융·복합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이전기술과제’는 중소기업에 이전된 대학이나 공공연구기관의 특허기술 상용화를 지원한다. 정부는 이 세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 또는 연구소에 2년간 최대 6억 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이 사업엔 융·복합기술에서 새로운 동력을 찾으려는 중소기업들이 몰려들면서 올해에만 308개 기술개발 과제에 813억 원의 예산이 지원된 상태다.  중기청 관계자는 “개별 중기 차원에서의 융합기술 연구 개발에 대한 투자여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가 선제적 투자를 한다는 의미가 있다”며 “이 사업을 통해 탄생하는 융합기술들이 앞으로 국가경제 발전의 핵심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49","atchfileNm":"융복합_기술개발이_답이다!.jpg","viewCnt":"2902","regDate":"2015-02-11 14:48:37"},{"contentId":"33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청, 14개 업종 9,000 中企에 맞춤형 솔루션 확대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2","contentsKor":"중기청, 14개 업종 9,000 中企에 맞춤형 솔루션 확대 지원 - 클라우드 기반의 경영혁신플랫폼을 통한 14개 업종별 특화솔루션 구축 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인쇄, 아스콘, 콘크리트 등 14개 업종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월 10일(화)부터 경영혁신플랫폼 및 특화솔루션 서비스를 확대 지원한다.      ◦ 지원대상은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경영혁신플랫폼 기반 정보화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특화솔루션 개발과제에 선정된 14개 중소기업 단체로, 전체 9,000여 중소기업이 회원사로 활동하고 있다.      ◦ 지난해에는 쌀가공식품, 출판, 프라스틱, 조선해양기자재, 도금, 정수기, 가스판매 등의 중기단체들과 협약을 체결하여, 7개 업종의 특화솔루션을 지원한 바 있으며, 현재까지 2,000여개의 중소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에 가입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 경영혁신플랫폼 기반 정보화지원사업은 개발과제에 선정된 업종을 대상으로 특화된 솔루션을 개발하여 중기단체 및 소속 회원사로 활동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 가능 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화지원사업으로,      ◦ 중소기업이 개별적으로 별도의 신청ㆍ지원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협단체의 신청을 통해 지원과제가 선정되면 자유롭게 플랫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 14개 특화솔루션은 2월 10일(화) 개막 행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서비스가 제공된다. 중소기업청 주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주관으로 진행되는 오픈 행사는 11시부터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하였다.      ◦ 이날 행사에는 중소기업청 최철안 국장,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을 비롯해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기관 및 협단체 대표 등 40여 명이 참석하였다.      □ 서비스 이용을 앞둔 중기단체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 “그동안 우리 회사의 업무환경에 맞춰 개발된 시스템이 없어 별도 구축을 하는 방법 밖에 없었으나 자금사정이 좋지 않아 쉽지 않았다”며 앞으로 이용하게 될 경영혁신플랫폼에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은 철저한 보안체계 강화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정보화 환경이 열악한 창업기업 및 소상공인들에게도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는 방안을 강구하여 경영혁신플랫폼을 보다 많은 기업이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47","atchfileNm":"경영혁신플랫폼_14개특화솔루션서비스개시보도자료.hwp","viewCnt":"3012","regDate":"2015-02-11 11:46:19"},{"contentId":"33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새로운 도약을 위한 감성소통의 장 “통섭연단(統攝演壇)”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53","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인문학이 함께하는 감성소통의 장 마련을 통해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중소기업 R&D전문기관 임직원으로서의 기본소양 함양을 위해 2.4(수) 08:00~10:00, 대덕테크비즈센터 대회의실에서 제1회 통섭연단(統攝演壇)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양봉환 원장은 취임 이후 노사상생의 소통경영을 실천하며, 국민에게 신뢰받는 R&D 평가기관으로의 도약을 위해 구성원 간 공감소통을 활성화하고 직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 금번 개최된 통섭연단은 이러한 양봉환 원장의 경영철학을 반영해 전 직원 의견수렴을 실시하고, 주니어보드 등의 검토를 거쳐 명사초청 특강, 생일자 축하이벤트, 유머동영상 대회, 이달의 칭찬사원 선물증정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실시됐으며, 매월 1회 개최예정이다.      ◦ “21세기의 화두, 개척”이란 주제로 특강을 실시한 대덕넷 이석봉 대표는 “시대와 환경을 뛰어 넘는 시대정신으로 창조적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대임을 밝히며, 인생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서 자발적인 개척정신이 발휘될 때 우리의 삶이 보다 행복해 지고 윤택해 질수 있다고 강조”하며, R&D전문기관 임직원으로서 주체적인 개척정신 함양을 당부했다.      □ 양봉환 원장은 “통섭연단 등을 통해 기정원이 국가와 사회, 기업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구성원의 기본 소양을 함양하고, 유쾌하고 행복한 직장 조성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임”을 밝혔다.      □ 이달의 칭찬사원으로 선정된 임규식 연구원은 “통섭연단 및 칭찬사원 제도 등이 조직 내 갈등의 장벽을 허물어 유쾌하고 행복한 직장을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통섭연단 개요 ․개최목적    - 인문학이 함께하는 감성소통의 장 마련을 통해 조직내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 대한민국 중소기업 R&D지원분야 대표 기관 임직원으로서의 자긍심 고취 및 기본소양 함양      ․일시 및 장소 : 매월 첫주 수요일 08:00~10:00, 기정원 회의실 등      ․주요내용 : 명사초청 특강, 이달의 칭찬사원 선정, 이달의 생일자 축하이벤트, 주요 경영현안 설명 등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32","atchfileNm":"통섭연단개최보도자료(20150205배포).hwp","viewCnt":"3086","regDate":"2015-02-04 18:07:59"},{"contentId":"33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각계 의견 수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35","contentsKor":"     기정원,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각계 의견 수렴    - 기정원, 창립 13주년 행사의 일환으로 이해관계자 초청 조찬간담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창립기념일을 맞아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전문기관의 역할에 대한 각계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을 위한 오늘(1/21) 인터시티호텔에서 조찬간담회를 개최하였다.    ◦ 오늘 간담회는 중소기업, 학계 및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중소기업 R&D사업화 성공율 제고를 위해 전문기관의 역할에 대해 다양한 토론이 이루어졌음   * 조찬 간담회 개최 : ‘15.1.21(수), 07:30∼09:30, 인터시티호텔(사파이어홀)   ◦ 또한, 기재부 중기 R&D 기능 통합에 따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의 기능 변화에 대한 설명하였음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및 한국산학연협회에서 수행하던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이 기정원으로 통합하는 절차가 진행될 예정임   □ 오늘 간담회에서 최병선 본부장은 기조발표에서 중소기업 R&D 사업화가 성공하지 못한 주요 원인으로 시장수요의 변화, 양산기술 부족, 추가 사업자금 부족 등을 제시하였다.    ◦ 또한, 중소기업분야 기능조정에 따라 중소기업 R&D지원이 기정원으로 일원화됨에 따라 「기술창업→혁신기업→중견기업」으로 이어지는 성장단계별 지원이 원활해질 것이고,    ◦ 특히, 사업화율 제고를 위해 기정원을 중심으로 자금기관(중진공 ‘정책자금’, 벤처투자, 직접투자)과의 협업·연계 강화를 추진할 계획임을 제시하였음   □ 오늘 간담회 참석자들은 중소기업 R&D의 사업화를 위해 사업별 차별화된 선정평가 지표의 개선, 사업화 이후의 자금 연계 프로그램 및 기술인력의 지속 유치 등을 제시하였음    ◦ 또한 R&D 이후의 사업화를 위한 홍보‧마케팅 비용,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지원 프로그램의 세분화 및 사업화전용 제도 실시 등을 제안하였음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정부의 중소기업 R&D 기능조정에 따라 기정원의 역할과 책임이 더 무거워졌다”면서, “사업화 성공률의 제고가 가장 큰 핵심과제로 대두되었다”고 밝혔다.    ◦ 양원장은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해,   - “R&D 사업의 성격에 따른 평가지표의 다양화, 우수 평가위원의 확보,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지원 프로그램 세분화, R&D 개발 이후 사업화에 대한 컨설팅, 사업화 전용제도 등 참석자들이 제안한 제도개선사항들을 중기청과 협의하여 추진하겠다”고 밝혔다.(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07","atchfileNm":"기정원_개원기념일조찬간담회개최_보도자료(20150122).hwp","viewCnt":"3419","regDate":"2015-01-21 17:48:12"},{"contentId":"33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단일기관으로 효율성·전문성 증대 기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34","contentsKor":"     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단일기관으로 효율성·전문성 증대 기대    - 창립 13주년을 맞이하여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조찬간담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중소기업분야의 기능조정에 따라 중소기업 R&D 지원 전담기관으로 강화될 전망    ◦ 정부 방침에 따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및 한국산학연협회 등에서 수행하던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으로 통합하는 절차가 진행될 예정 * 중소기업 R&D분야 공공기관 기능 조정 현황은 [붙임 1] 자료 참조    ◦ 앞으로 기정원을 통해 모든 중소기업 R&D 지원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정책집행의 효율성·전문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 「기술창업→혁신기업→중견기업」으로 이어지는 성장단계별 지원과 함께 정책기획, 성과확산 역할이 강화됨   □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 2015년 기관 업무방향을 정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하였음    ◦ 기술개발 성공기업의 사업화를 위해 정책자금(중진공), 보증(기보․신보), 융자(시중은행) 등과 협력 지원을 추진   - 상반기 중으로 주요 금융기관과 연계하여 기술개발 사업화자금을 연계 지원하는 신규 서비스 출시를 협의 중임    ◦ R&D 관리 선진화 및 평가위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품질경영시스템 도입 및 평가위원 역량강화를 추진하는 등 평가 시스템을 혁신   - R&D 평가관리업무 전반에 대해 국제 규격에 부합하는 표준화·내재화를 실시하고 품질경영시스템 인증(ISO9001) 획득을 추진   - 과제 평가위원의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우수 평가위원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이를 위해 향후 기술평가 전문교육과정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     ◦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경영활동이 어려운 일반 중소기업의 업무효율성 향상을 제고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 저비용 공동활용시스템(경영혁신플랫폼)의 제공을 확대   - 올해 2월부터 경영활동에 필요한 금융, 매입·매출, 전자세금계산서 등 경영정보시스템(기본형 솔루션)을 일반 중소기업에 확대 제공   * 기본형솔루션 서비스 제공 : (14년) 협·단체 회원사→ (15년)일반 중소기업   - 또한, 금년 중으로 신규로 창업한 중소기업에게 적합한 정보 시스템을 개발․보급할 수 있도록 확대를 추진 중   - 장기적으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소상공인 등 정보화경영 취약계층까지 서비스의 제공을 확대하고자 함   * 2015년도 기정원 주요 업무 계획은 [붙임 2] 자료 참조   □ 기관 기능조정에 따라 성공적으로 조직 통합하고, 국내 대표 중소기업 R&D전문기관으로서의 신뢰기반 구축을 위해 중점 노력예정임    ◦ 유쾌하고 행복한 직장문화 조성을 위해 가족친화기업 인증을 획득하고, 동호회 활성화 및 칭찬릴레이 등 소통활동을 적극 전개할 계획이며,    ◦ 새롭게 출발하는 기정원이 국가와 사회, 기업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우리 기관의 비전과 이미지를 재 정립할 예정임   □ 또한 R&D 예산 및 인력 증가에 따라 안정적인 R&D 평가장 운영, R&D사업관리 여건 마련을 위해 독립사옥 건립을 추진    ◦ 중소기업 R&D 서비스 품질의 제고 및 R&D 관리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독립사옥 건립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음   - 사옥 부지는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동이며, 올해는 실시설계를 추진하고 ‘17년에 준공할 계획   □ 기정원은 창립 13주년을 맞이하여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전문기관의 역할에 대한 각계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위해 1월 21일(수) 조찬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임      ◦ 이날 간담회는 중소기업, 학계 및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중소기업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전문기관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토론이 이루어질 예정임   * 조찬간담회 개최 : ‘15.1.21(수) 07:30∼09:30, 인터시티호텔(사파이어홀)    ◦ 또한 기재부 중기 R&D기능 통합에 따른 기정원의 기능변화에 대해서도 설명할 예정임.(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06","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RnD지원단일기관으로_효율성전문성증대_보도자료(150122).hwp","viewCnt":"3628","regDate":"2015-01-21 17:39:31"},{"contentId":"33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기부활동) 2년째 이어가는 “함께하는 지역 희망의 나눔”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25","contentsKor":"  (기정원 기부활동) 2년째 이어가는 “함께하는 지역 희망의 나눔” 실시   기정원에서는 ‘13년에 이어 작년 연말(’14년 12월)에도 지역사회의 5개 복지관, 보육원 등에 기관 명의로 위문품(403만원 상당)을 전달하는 “2014년 함께하는 지역 희망의 나눔”을 실시하였습니다.   산내종합사회복지관과, 유성구노인복지관(독거어르신 돕기), 대전이주외국인종합복지관에는 온누리 상품권으로 각각 80만원씩 기부하였고, 유성구장애인복지관은 의료기기 기부물품을(님보후방지지워커), 성심보육원은 생활용품(세제, 주방행거)과 청소기, 신발을 기부하였습니다. 연말연시를 맞이해 작은 작성을 모아 우리 주변의 소외도고 어려운 이웃에게 희망을 사랑을 전달하여 따뜻하고 행복한 겨울을 나도록 작은 것도 함께 나눈 기정원과 임직원 여러분께 뜨거운 박수를 보냅니다.","viewCnt":"3036","regDate":"2015-01-13 18:57:41"},{"contentId":"33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기부활동) 나눌수록 커지는 사랑의 마음 '기부' 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24","contentsKor":"  (기정원 기부활동) 나눌수록 커지는 사랑의 마음 '기부' 활동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에서는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과 함께하기 위해 기정원 전 직원과 기관 핵심 분야인 R&D지원 평가위원이 동참하는 자발적 성금 모금활동을 2014년 12월 11일부터 21일까지 하였습니다. 또, 12월 급여에서 만원미만 절사 등 전 직원이 동참할 수 있는 모금 활동을 실시하였습니다.(모금액 : 총 89만원)   모금된 89만원 중 80만원은 평소 성실하고 우수한 성적은 받은 대전공업고등학교 두 명의 학생들에게 각각 40만원씩 장학금을 전달하였습니다. 장학금 수여식은 12월 30일 기정원 원장실에서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9만원으로는 세이브더칠드런 신생아 모자뜨기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신생아 살리기 모자뜨기 캠페인”은 신생아들을 위해 모자를 직접 떠서 아프리카나 아시아 등 체온 조절과 보온이 필요한 28일 미만의 신생아들에게 전달해 주는 참여형 캠페인입니다. 봉사동호회 “봉자살롱”에 구입한 키트를 제공하고 동호회 회원들이 신상아 모자를 떠서 세이브더칠드런 신생아 살리기 모자뜨기 캠페인에 보낼 예정이라고 합니다.   기정원 사회공헌활동의 이찬형 팀장은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나눌수록 커지는 기쁨과 행복을 누려 보시는 건 어떨까요? 연말 성금 모금 활동에 동참해 주신 R&D 지원 평가위원, 원장님, 세 분의 본부장님, 노동조합 집행부, 우리원 임직원 등 모든 분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얘기했습니다.","viewCnt":"3160","regDate":"2015-01-13 18:54:38"},{"contentId":"25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경제프리즘] 기업의 전통과 문화, 강점으로 살려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94","contentsKor":"경기일보 [경제프리즘] 기업의 전통과 문화, 강점으로 살려야 섣달 그믐께를 일컫는 세밑에는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들 역시 지난 한해를 정리하고 다가오는 새해를 준비하기에 여념이 없다.기업들은 일 년간의 성적표를 뒤적이며 실적이 저조한 사업을 정리하기도 하고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해 새로운 사업 분야로 눈을 돌려보기도 한다. 신사업 개척에 있어 기업의 전통과 문화는 그 기업을 지켜준 명예임과 동시에 하나의 걸림돌로 작용하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다.그러나 신사업분야 확장으로 인한 기업의 성장에 있어 기업의 문화와 전통이 과연 진부한 것이라는 이유만으로 굴레라는 오명을 써야만 하는 것인지 몇 가지 국내외 사례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먼저 세계적 성공신화 중 하나로 손꼽히는 스타벅스의 사례를 살펴보자. 스타벅스의 창립자인 하워드 슐츠는 그의 저서 ‘스타벅스,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신화’에서 테이블위나 바 위에 에스프레소 잔을 놓고 담소를 나누는 이탈리아인들의 커피 문화에서 로맨스를 발견했다고 쓰고 있다. 그는 미국으로 돌아와 고급 원두를 사용한 드립 커피류를 저렴하고 편리하게, 대량으로 표준화된 방식으로 제공해 스타벅스의 성공신화를 이루게 됐다.그러나 이탈리아의 커피 문화로부터 영감을 받아 성공한 스타벅스사는 아이러니하게도 이탈리아에 단 한 곳의 점포도 진출하지 못했다. 이탈리아 커피 장인들은 커피에 대한 자부심과 지속적으로 기술을 계승, 발전시켜 글로벌 기업의 공세에도 그 자리를 꿋꿋하게 지켜나가고 있다.스위스의 시계 산업 또한 마찬가지다. 140여 년을 영위해온 스위스의 시계산업은 지난 1970년대 전통적인 태엽 시계와 달리 태엽을 감을 필요도 없고 비교적 관리가 쉬운 쿼츠 시계가 나오면서 시계산업의 규모가 크게 줄었다. 스위스시계산업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1970년 9만 명에 달하던 근로자들은 1984년 3만 명으로 줄어들었으며 업체 수도 1천600개에서 600개로 대폭 감소했다.그러나 스위스 시계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을 도모함과 동시에 기계식 시계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을 고수하며 장인정신에 대한 자부심으로 이 위기를 극복했으며, 이는 스위스 시계 수출량이 지난 10년 연평균 7.2%씩 성장하고 있는 성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이 같은 사례는 우리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전북 군산의 이성당과 대전의 성심당이 바로 그 대표적인 예다. 두 빵집은 패스트푸드와 브랜드 빵집의 공세 속에서도 각각 1920년과 1956년으로부터 100여 년이라는 세월을 살아남고 지금까지도 굳건히 자리 매김하고 있다. 두 기업은 원료에 대한 고집스러움은 물론 고유의 식감 유지를 위해 번거로운 제조과정을 고수하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또한 핵심은 지키되 새로운 시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기술을 연마해 신상품을 제공하는 점도 유사하다. 이처럼 기업의 전통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상품기술개발 결과가 더해져 경쟁력을 강화하고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 사실을 살펴볼 수 있다.살펴본 사례들을 일반화해 무작정 한 우물 파기식의 기업전통과 문화를 고수해야 한다는 말을 하고자 함이 아니다. 세계적 불황기 속에서 중소기업이 생존을 위해 여러 방면의 사업 구상을 고려하는 세밑에, 기업들 자신이 잘 알고 있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강점을 단지 신사업분야로의 확장에 대한 유혹에 밀려 간과하지 않고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잠시나마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8","atchfileNm":"[경제프리즘] 기업의 전통과 문화, 강점으로 살려야.pdf","viewCnt":"3328","regDate":"2014-12-19 10:49:45"},{"contentId":"25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 <4> 우수기업 사례 : 하이레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93","contentsKor":" 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4> 우수기업 사례 : 하이레벤 하이레벤은 태양광 발전의 출력을 높여주는 장비 및 서비스 업체다. 신재생에너지 대표주자로 부상한 태양광발전소는 장시간 외부 노출로 과열, 오염, 적설이 발생해 출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경기도 성남에 있는 하이레벤은 태양광 출력을 높여주는 장비를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임직원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하이레벤이 개발해 판매하고 있는 장비는 냉각수 등을 이용해 이를 해결해준다. 이런 장비를 ‘BOS(Balance Of System)’라고 부르는데 BOS 장비를 설계, 판매하는 곳은 국내에서 하이레벤이 유일하다. 2008년 5월 하이레벤을 설립한 유상필 사장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원과 뉴욕 컬럼비아대학 방문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연료전지와 태양광, 풍력을 이용한 ‘제로 에너지하우스 프로젝트’를 보고 태양광에도 냉각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돼 이를 사업화하기 위해 창업했다”며 “수압을 이용한 제트 분사로 태양광 패널을 냉각 및 세정하는 장비인 ‘썬업(SUNUP)’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용화했다”고 밝혔다. 그는 “태양광 발전은 과열, 오염, 적설 때문에 출력 저하가 일어나는데 ‘썬업’은 이를 한 번에 해결해준다”며 “신규 태양광 발전소는 물론 기존 태양광 발전소에도 설치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하이레벤이 BOS 제품을 개발해 태양광발전 장비 업계 선두주자로 부상한 데는 중소기업청이 시행하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이 큰 도움이 됐다. 이 사업은 기술개발 역량이 뛰어나지만 개발 자금이 부족한 창업 초기 기업과 1인 창조기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창업 기업의 생존율 제고와 초기 기업의 연구개발(R&D)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고, 새로운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1인 창조기업이 기술기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용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 유 사장은 “중기청의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 받아 2011년 6월부터 1년간 전사적 노력을 기울인 끝에 ‘태양광발전 BOS용 펌프스테이션’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며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에 매우 유용한 사업”이라고 밝혔다. 하이레벤의 썬업’은 크게 세 가지 제품으로 이뤄졌다. 우선 대용량 제품인 ‘썬맥스(SUNMAX)’는 1㎿ 이상 대용량 태양광출력시스템에 사용한다. 소용량 제품인 ‘썬맥스 미니(SUNMAX mimi)’는 30~200㎾ 소용량 태양광 출력향상 시스템에 유용하다. 이들 산업용 외에 가정용인 ‘솔라케어(SOLARCARE)’도 있다. 이들 제품은 △발전으로 인해 최대 60℃까지 상승한 태양광 모듈의 온도를 낮춰 과열을 방지하고 △외부 노출로 인한 태양광 모듈 표면의 먼지, 모래, 조류 분비물 등을 씻어주고 △겨울철 제설로 태양광발전의 출력을 높여준다. 하이레벤은 BOS 제품을 활용한 ‘태양광 유지관리 서비스(AOP)’도 국내 처음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인버터·전력배선·구조물 등의 육안 검사 △특수 열화상 촬영을 통한 태양광 모듈 검사 및 열화 분석 △주기적 상시 점검 △최적 발전소 환경 관리 및 이물질 제거 등으로 이뤄져 있다. 최근에는 태양광 출력향상 무상설치 및 운영 프로그램(BLP)도 선보였다. 이 프로그램은 BOS를 무상으로 설치, 임대해 주고 추가 발전 수익이 발생하면 이의 일부를 임대료로 받는 것이다. 녹색기술 분야 대표 기업으로 자리잡은 하이레벤은 국내 130여건, 해외 10여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2011년 11월 올해의 녹색기술 기업에 선정되는 등 여러 상을 받았다. 국가 경제발전과 기술창업 및 청년창업 활성화에 기여한 청년기업인에 주는 ‘2014 청년기업인상’ 국무총리 표창도 유상필 사장이 최근 수상했다. 대기업 등 국내에 약 20곳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고 직원 40%가 연구원일 정도로 기술개발을 중시한다. 올해 매출은 지난해보다 갑절 이상 많은 100억원 돌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수출도 적극 나서고 있다. 연초 일본에 가정용 제품(솔라케어)을 공급하는데 성공한데 이어 미국과 유럽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7","atchfileNm":"기업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4.끝 우수기업 사례-하이레벤.png","viewCnt":"3543","regDate":"2014-12-19 10:47:08"},{"contentId":"259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 <3> 우수기업 사례 : 아미코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92","contentsKor":" 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3> 우수기업 사례 : 아미코젠 아이디어보다는 끈기 있는 연구가 중요하고, 기술 자체의 실패보다는 연구개발 과정의 포기로 인한 실패가 많은 곳이 바이오 업계다. 그 만큼 바이오벤처는 성공하기 어렵고, 일단 성공하면 그 열매 또한 크다. 신용철 아미코젠 사장(맨 왼쪽)과 연구원들이 사내 R&D센터에서 세계 일류 바이오기업으로 성장을 다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신용철 아미코젠 사장(맨 왼쪽)과 연구원들이 사내 R&D센터에서 세계 일류 바이오기업으로 성장을 다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아미코젠(대표 신용철)은 효소기술로 세계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효소 전문 바이오벤처다. 지난해 매출은 231억원, 올해는 280억원 목표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력 품목은 전량 중국에 수출하는 항생제 제조용 특수 효소다. 자체 개발한 유전자 진화기술을 이용해 항생제 원료의 생산 공정에 필요한 효소를 만들어 공급한다. 아미코젠의 효소를 사용하면 기존에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화학적 처리방법을 쓰지 않아도 된다. 항생제 원료 제조 과정을 친환경 방식으로 바꿀 수 있고, 동시에 생산성도 높아진다. “2000년에 회사를 차린다고 했을 때 주변에선 모두 망한다며 말렸습니다. 당시 학자였던 저를 못 믿는 것도 있었지만 분야 자체가 성공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쉽지 않은 분야라고 생각했기에 뛰어들었습니다. 세상은 쉽게 풀릴 것 같은 일일수록 안 풀리고, 잘 안될 것 같은 일일수록 성공 사례가 많습니다.” 신용철 사장은 아미코젠 설립 당시를 이렇게 얘기했다. 핵심 경쟁력인 유전자 진화기술 기반의 효소생산 기술을 사업화하기까지 아미코젠은 수많은 난관에 부딪혔다. R&D 자금 부족은 다반사였고, 이로 인해 외부 투자유치가 기업을 넘겼다는 인수합병으로 오인받기도 했다. 2005년에는 기술성 평가를 통해 코스닥 상장을 시도했지만 실패의 아픔을 겪었다. ‘필요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자’며 정부 지원 R&D 과제를 회피했던 신 사장의 주관 또한 이 어려운 고비 속에서는 불필요한 아집처럼 비쳐졌다. 중소기업청 지원 아래 2011년 수행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신 사장이 고민 끝에 선택한 정부 지원과제 중 하나다. 하지만 결과는 회사 성장의 전환점이 됐다. 이 과제를 통해 아미코젠은 생산원가 절감 방안 등 수출에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점검하고 보완해 완료할 수 있었다. 이듬해인 2012년부터 아미코젠의 중국 수출은 급상승했고, 현재 전체 매출의 70%에 육박한다. 지난해 코스닥 상장은 이 같은 경영 실적으로도 가능했지만 신 사장은 기술벤처의 자존심을 살려 기술성 평가로 재도전해 통과했다. 효소기술 기반의 바이오 신소재는 특수효소에 이은 아미코젠의 주력 사업 분야다. 자체 친환경 발효공법으로 만든 관절건강 및 피부보습용 N-아세틸글루코사민 등 친환경 바이오 소재를 여러 다국적 바이오 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지난 6일에는 미국 FDA GMP 실사에서 식품 수출에 적합한 제조시설을 갖췄다는 점을 인정받았다. GMP 실사 통과는 제조 시설과 안전관리 시스템이 FDA 기준에 적합하다는 의미다. 향후 미국과 해외 수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시장에서는 바이오 신소재를 응용한 각종 건강기능식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아미코젠은 올해 신규 사업으로 ‘u헬스 면역 진단기기 개발’에 착수했다. 내년에는 백신 개발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신용철 사장은 “바이오 분야는 어려운 만큼 성취감도 크고, 어렵기 때문에 오히려 성공 확률이 높을 수도 있다”며 “잘 아는 분야,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일보다는 오랜 시간 열정을 갖고 끈질기게 도전해야 하는 바이오산업에 젊은이들의 창업이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6","atchfileNm":"기업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3. 우수기업 사례-아미코젠.png","viewCnt":"3245","regDate":"2014-12-19 10:43:11"},{"contentId":"259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 <2> 우수기업 사례 : 피앤테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91","contentsKor":" 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2> 우수기업 사례- 피앤테크  “태양광용 퍼니스 장비 분야에서 세계 최고 생산성을 자랑합니다.” 피앤테크(P&TECH)는 태양광과 반도체용 ‘퍼니스(Furnace)’ 장비 전문업체다. ‘퍼니스’는 온도와 가스, 압력 등을 가해 원하는 막질(膜質)을 생성케 하는 열처리 장비다. 피앤테크는 하이닉스(현 SK하이닉스)에 다니던 박종신 사장이 나와 설립했다. 창사 10여년 만에 태양광용 퍼니스 장비 분야에서 국내 독보적업체로 성장했다. 국내 태양광 퍼니스 장비 시장에서 점유율이 50%를 넘고 있다. 박 사장은 “올 5월 튜브 당 웨이퍼를 600장, 총 3000장을 탑재할 수 있는 ‘1시스템(System) 5튜브(Tube)’ 장비 개발에 성공, 생산성만 보면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국내에 태양광 퍼니스 장비 기업이 몇 개 있지만 양산 능력을 갖춘 곳은 우리가 유일하다”고 덧붙였다. 이 회사는 제조뿐 아니라 설계 능력까지 보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객의 에프터서비스(AS)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보통 외산은 AS에 한두 달 걸리지만 이 회사는 하루 만에 할 수 있고, 가격도 외산에 비해 30% 정도 저렴하다. 대기업과 대학 등 40여곳에 태양광 퍼니스 장비를 공급했다. 이 회사 성장에는 중소기업청이 시행하고 있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이 한몫했다. 이 사업은 기술개발 역량이 뛰어나지만 개발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지원해 큰 호응을 받고 있다. 피앤테크는 2011년 6월부터 1년간 이 사업을 수행하면서 고효율 태양광용 퍼니스를 개발했다. 박 사장은 “자금부족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에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가뭄에 단비’ 같은 존재”라며 “정부가 이런 사업을 계속 확대해줬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피앤테크는 태양광뿐만 아니라 반도체용 퍼니스 장비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반도체 관련 학과가 있는 국내 이공계 대학은 대부분은 피앤테크 퍼니스를 사용한다. 해외에서도 큰 활약을 하고 있다. 최근 2년간 대만 시장에서 세계 2위 기업과 일곱 차례 수주 경쟁을 벌였는데 여섯 번이나 승리했다. 이 회사가 이 같은 성과를 거둔 것은 설립 초기부터 반도체용 퍼니스 장비에 주력하는 등 이 분야에서만 10년 넘는 경험과 우수한 기술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특허는 ‘태양전지 웨이퍼용 프로세스 튜브의 배기 노즐’을 비롯해 11건을 보유하고 있다. 직원은 32명이고 80% 이상이 연구개발자와 엔지니어다. 지난 2006년 2월에는 중국 상하이에 제조와 영업을 담당하는 독립법인도 설립했다. 전체 매출의 60% 정도가 태양광용 퍼니스에서 나온다. 이어 반도체용 퍼니스가 30%,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과 재생(리퍼비시) 분야가 10% 정도를 차지한다. 박 사장은 “고객사랑, 기술중시, 인재양성의 경영 이념을 바탕으로 전 직원이 혼연일체가 돼 한국의 태양광 및 반도체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며 “세계최고 수준 첨단 기술과 앞선 품질을 바탕으로 21세기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5","atchfileNm":"기업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2. 우수기업 사례-피앤테크.png","viewCnt":"3425","regDate":"2014-12-19 10:36:44"},{"contentId":"25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1>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90","contentsKor":" 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 <1>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수년 째 고용이 늘지 않는 성장 시대가 계속되고 있다. 정부가 일자리 창출과 고용 확대를 최우선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기술창업이 주목받는 이유다.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적 전문성이 뒷받침된 기술 창업이 창조경제의 대표적인 중소기업 성장 모델로 부각되고 있다. 비록 실패 위험성은 높지만 고용의 질과 성장 속도가 일반 기업에 비해 월등히 높아 고용 없는 성장을 해소할 대안으로 꼽힌다. 중소기업청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기술창업과 1인 창조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종합 프로그램이다. 이에 전자신문은 중소기업청,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공동으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지원 정책과 우수사례를 집중 조명하고, 기술창업 활성화를 도모한다.중소기업청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정부의 대표적인 기술창업 지원 정책이다.기술개발 역량은 뛰어나지만 개발 자금이 부족한 창업 초기 기업과 1인 창조기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창업 기업의 생존율 제고 및 초기 기업의 연구개발(R&D)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고, 새로운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1인 창조기업이 기술기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용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중기청은 3년 전 창업보육기술개발사업을 기존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의 창업·실용과제와 통합해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으로 확대·개편했다.◇ 주요 성과중기청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5년간 지원한 과제는 총 3000여개로, 지원 규모만 무려 3600억원에 달한다.2009년과 2010년 각각 100억원 수준에 머물렀던 지원 예산은 정부의 기술창업 활성화 의지가 강화되면서 2011년 950억원, 2012년 1136억원, 2013년 1314억원으로 급증했다.그간 거둔 성과도 값지다.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종료된 과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과제 지원을 받아 개발한 제품 평균 매출액이 8억원에 달하고, 정부 지원금 1억원당 5억4000만원의 매출액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신규 고용 창출 효과도 뛰어나다.과제당 평균 3.21명의 신규 고용이 창출됐고, 정부 지원금 1억원당 2.1명이 신규 고용된 것으로 조사됐다.기술 수준도 향상됐다. 과제 지원으로 평균 27.1%의 기술 수준 향상 효과가 발생했다. 선진국 대비 기술 격차도 평균 2.2년으로 단축됐다.기술자립도 역시 평균 38.4% 향상됐고, 지원 기업의 95.3%가 기술개발 단축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지원과제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창업과제 부문(창업과제, 투자연계 멘토링)과 1인 창조 기업 과제 부문(1인 창조기업, 이공계꿈나무)으로 나뉘어 지원한다.창업과제는 창업 7년 이하, 종업원 수 50인 이하 또는 매출액 50억원 이하인 중소기업을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1년간 최고 2억원까지 지원한다.투자연계 멘토링 과제는 엔젤투자 및 벤처캐피털의 투자 참여와 함께 일대일 멘토링을 조건으로 지원하며, 1년간 최고 2억원까지 지원한다.1인 창조기업 과제는 1인 창조기업을 대상으로 1년간 최고 1억원, 이공계 꿈나무 과제는 10개월간 최고 5000만원을 각각 지원한다.◇ 올해부터 확 달라진 지원 정책중기청은 올해부터 창업 기업 및 1인 창조기업의 R&D 지원을 통해 성장 단계별 기술 창업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소규모 창업 기업에 특화된 기술 개발 평가 지표를 마련하고, 창업 기업의 성장 단계별 지원 수요를 고려해 지원 내용을 차별화했다. 지원 대상 범위를 창업 지원법에 따라 업력 5년에서 7년으로 확대하고, 지원 대상 및 지원 목적에 따라 지원 내용과 지원 방식도 차별화했다.내년도 사업은 올해보다 규모가 더 커진다. 총 지원 규모가 1624억원으로 올해보다 14.9% 확대될 전망이다. 지원 과제수도 올해(850개)보다 197개 많은 957개로 늘린다.김한식 중기청 기술개발과장은 “창업기업이 창조경제를 이끌어 나가는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 예산 확대와 민간 투자자금 연계 등을 통해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4","atchfileNm":"기업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1.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png","viewCnt":"3382","regDate":"2014-12-19 10:31:11"},{"contentId":"25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정보진흥원, 中企 정보화·SW 지원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9","contentsKor":"“중소기업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활용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개최 - ’14년 11월 12일(수)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 - 오는 11월 12일(수) 14시에 “중소기업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활용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주최 : 이원욱 의원실, 중소기업청, 전자신문, 주관 : 이원욱 의원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가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개최된다. 중소기업의 경영효율성 제고 및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지원을 위한 정책 방안 모색을 위해 이번 토론회는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지원의 필요성과 방향,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지원법안 제정의 필요성이라는 두가지 주제에 대하여 각계 전문가, 유관기관 및 IT기업 등이 발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지원 현황과 방향, 중소기업의 정품 소프트웨어 활용 촉진 방안 등 중소기업 지원방안과 법안 제정을 위한 제언 등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 중소기업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지원에 관심있는 중소기업 및 IT기업 관계자는 누구나 참석 가능하며, 참석자의 다양한 의견을 듣는 자리도 마련되어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중소기업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한 정부의 지원방안 및 법안 제정 등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며, 정부지원 및 법안 제정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원욱 의원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중소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중소기업청과 함께 실효성있는 대안을 마련하겠다.” 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3","atchfileNm":"(141107)정책토론회 보도자료 v.2.hwp","viewCnt":"3310","regDate":"2014-11-25 14:57:13"},{"contentId":"25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진학과 취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8","contentsKor":" [경기일보] 진학과 취업 청명하고 온화하던 가을 날씨가 13일 수능시험일을 전후해 쌀쌀해진다는 기상청의 발표가 나왔다. 과거의 입시 한파에는 못 미치지만 대입 수능시허일이 다가왔음을 차가운 날씨로 실감하게 된다. 수능시험일에 즈음해 필자가 지난해 말에 접햇던 다소 놀라웠던 통계치를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폴리텍대학(이하 폴리텍대학)은 지난해 말 2005 ~ 2013년까지 기능사(1년 직업훈련과정) 과정에 재학하는 학생 중 4년제 대학과정을 경험했거나, 졸업한 고학력자가 다시 입학한 경우가 전체의 41.6%에 달한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폴리텍 대학에 다시 입학하는 이유로 '이전 대학에서 실질적인 직업교육을 받지 못한 것'이 27.2%, '적성에 맞지 않는 학과를 선택한 것'이 26.1%, '취업 실패' 23.3%순으로 대답했다. 학생들의 57.6%가 폴리텍 대학에 원하는 것은 '실질적인 엄무능력 향상'이라고 답했으며, 이전 대학의 입학 동기로 '학문탐구'라고 응답한 하생의 24.9%가 폴리텍대학 입학 동기로 '자격증 취득'을 꼽았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자신의 적성에 따른 진로 설정의 어려움과 직업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막연하게 수능 점수에 맞춰 대학과 학과를 선택한 것이 이후 대학생활의 적응실패, 취업 실패로 이어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졌음을 시하하고 있다. 실제 올해 통계청이 발표한 우리나라 전체 실업률을 보면 2008년 3.2%, 2011년 3.4%, 2014년 5월 3.6%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비해 청년 실업률은 2008년 7.2%, 2011년 7.6%, 2014년 5월 8.7%로 계소해서 악화되고 있으며, 청년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의 두 배를 넘고 있다. 이를 자세히 보면 전문대학과 대학을 아우르는 고등교육기관의 졸업자 취업률은 지난 2005년 74.1%에서 2014년 58.6%까지 하락했다. 세간에서 말하는 이태백(이십대의 태반이 백수)의 이야기를 통계 수치로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한편, 올해 9월 교육부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로 대표되는 비 인문계고등학교 졸업생의 취업률(2014년 4월 1일 기준)은 전년대비 3.3% 증가한 44.2%로 나왔으며, 진학률은 전년 대비 2.9% 감소한 38.7%로 지난 2001년 이후 13년 만에 취업률이 진학률을 앞지르는 현상이 빚어져다. 이는 취업률은 2009년 16.7%에서 44.2%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진학률은 2009년 73.5%를 정점으로 2014년 38.7%까지 급격히 감소한 추세를 보여주는 것으로, 산업계 및 기업이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도 고졸 인재의 능력을 인정하고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노력한 점과 이를 적극 권장한 정부의 노력 등이 종합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중되는 청년실업의 고통 속에서, 대학 재입학생의 증가와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률 증가 드응로 나타는 통계를 '직업에 대한 뚤셔한 이해와 자시느이 적성에 기좇한 진로 선택이 막연한 장래성과 학교 성적에 기초한 진로선택을 대체해 나가는 사회적 변화'로 해석한다면 너무 앞서가는 것일까? 이제 수능시험을 며칠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모든 수험생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를 바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받아든 수험생드이 자신의 적성, 직업의 경계 등 모든 것이 불확실한 현실에서도 합리적이고 신중한 선택을 통해 시행착오를 겪지 않게 되기를 소망한다. 또 우리 사회가 수험생들의 잘못된 선택이 사회적 비용으로 확대되지 않고, 현명한 선택이 가늘할 수 있는 환경으로 진화해 나가길 기원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2","atchfileNm":"[경제프리즘] 진학과 취업.pdf","viewCnt":"3266","regDate":"2014-11-25 14:46:24"},{"contentId":"25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앙일보] 아이디어로 500억대 수익'쿼키'의 비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7","contentsKor":" 아이디어로 500억대 수익'쿼키'의 비결 (양봉환 원장) 구부러지는 멀티탭, 물건 분류를 쉽게 해주는 고리 달린 고무줄, 케이블 선 정리기. 사소하지만 생활의 편리함을 높여주는 이 제품들은 미국의 "퀴키(Quirky)' 라는 스타트업을 통해 탄성한 아이디어 상품이다. 아이디어도 기발하지만, 더 재미있는 거은 이 상품이 만들어지게 된 과정이다. 누군가 홈페이지에 아이디어를 게시하면 회원이 이를 평가하고, 좋은 평가를 받은 아이디어는 사업화로 이어진다. 생산된 제품은 전 세계에 판매된다. 이 과정에서 쿼키의 역할은 '아이디어 공유 플랫폼을 통해 이 회사는 전세계 60만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300개 이상의 제품을 출시해 500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최근 국내외를 막론하고 많은 산업에서 쿼키와 같은 자원공유 플랫폼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 자신의 주거공간을 공유해 숙박공간을 만들어낸 에어비앤비(AirBnB),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시간에 차를 고유하는 집카(Zipcar), 우버(Uber) 등이 대표적인 예다. 플랫폼은 이미 존재하는 자원을 공유해 활용도를 높이고, 비용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창조 경제의 사업모델로도 각과받고 있다. 특히 법률, 회계 등 기업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를 모두 운영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에게는 핵심 역량 집중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도 경영혁신 플랫폼(www.smplatform.go.kr)을 통해 중소기업이 서버 및 네트워크 등 정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플랫폼 공유를 통한 스타트업(초기 창업 기업)이 승승장구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역량 있는 소기업의 육성을 위해 기업이 보유자원을 핵심 사업 분야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정부의 지원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중소기업이 갖추기 어려운 정보화 기반에 대한 지원이 절실하다. 경영혁신 플랫폼과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해 정보 자원을 공유하면 저비용, 고효율의 지원이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1","atchfileNm":"20141114_중앙일보_b10면_140546.jpg","viewCnt":"3970","regDate":"2014-11-25 14:13:47"},{"contentId":"25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예비 기술창업 대학생들의 멘토 역할 수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6","contentsKor":" 기정원, 예비 기술창업 대학생들의 멘토 역할 수행 - 대학생 창업 R&D 지원 멘토링 프로그램 진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대구․경북지역 8개 대학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창업 R&D 지원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11월 21일 오후 대전 본원에서 진행하였다.  이번 행사는 대경벤처창업재단(이사장 송종호)의 대학창업공동아카데미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청의 대학생 창업 R&D 지원 사업에 대한 정책정보 설명과 R&D 과제 신청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다.  이날 오전 중소기업청의 창업정책강의를 수강한 대학생들은 오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방문하여 직접 기술자료를 조사하고 창업 R&D 과제계획서를 작성하는 실습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연구원들이 기술자료 조사방법과 사업계획서 작성에 대한 지도와 조언을 통해 창업 대학생들의 일일 멘토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운영 중인 R&D 평가장을 직접 둘러보며 과제 발표와 평가 절차에 대한 설명을 들음으로써 정부 R&D 과제 신청․평가를 미리 체험해 보는 기회도 가졌다. 행사에 참여한 박대규 학생(대구카톨릭대, 4)은 “준비 중인 창업 아이템이 시장경쟁력을 갖기 위해 필요한 기술조사, 기술과제 기획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고 전했다. 중소기업청 R&D 전문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2014년 한 해 1,024개의 창업 기업에게 1,300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0","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창업대학생 멘토링_보도자료(141121).hwp","viewCnt":"3173","regDate":"2014-11-21 15:39:44"},{"contentId":"25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5","contentsKor":"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3,000개 협동조합에 확대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경영혁신 플랫폼 지원 협약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원장 김재구)과 협동조합 및 사회적협동조합(이하 협동조합)의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11월 20일 오전 11시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업무협약식을 갖고,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과 김재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원장이 각각 협약서에 서명하였다. 주요 협력 사항을 살펴보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현재 운영 중인 클라우드 기반 경영혁신플랫폼(smplatform.go.kr)의 기본적인 경영지원 서비스(기본형솔루션*)를 협동조합이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회적기업진흥원이 이를 위한 예산 확보와 회원모집을 진행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기본형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일반업무 기능 이번 협약은 그동안 구축비용 및 유지보수 등의 부담으로 정보화 경영에서 소외되었던 영세 협동조합 및 사회적기업의 정보화 격차 해소와 효율적인 경영활동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9","atchfileNm":"141120_기정원_사회적기업진흥원 업무협약 보도자료.hwp","viewCnt":"3342","regDate":"2014-11-20 16:32:47"},{"contentId":"25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진흥원, 계족산 자연 정화 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4","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진흥원, 계족산 자연 정화 활동 - 기정원, 지역 사회 일원으로 거듭나고자 노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이하 기정원)은 지난 8일 대전 대덕구 장동에 위치한 계족산 일대에서 가을철 등산객들이 버리고 간 쓰레기를 치우는 자연 정화 활동을 벌였다. 100여명의 임직원들은 자연보호 문구가 적힌 어깨띠를 착용한 채 계족산성에서 공원 관리사무소까지 이르는 등산로 주변에 버려진 쓰레기를 줍느라 구슬땀을 흘렸다. 이 날 행사를 주관한 김현중 경영지원부장은 “기정원이 대전에 정착한 지는 얼마 안 되지만,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거듭나고자 앞으로 지역사회 공헌 활동을 활발히 전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기정원은 2013년 3월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의 접근성을 강화하고자 서울 여의도에서 대전 유성구 도룡동으로 이전한 바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8","atchfileNm":"기정원 계족산 자연보호.hwp","viewCnt":"3046","regDate":"2014-11-12 13:22:41"},{"contentId":"25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경제프리즘] 베이비부머 은퇴와 함께 온 기업승계- 양봉환 원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3","contentsKor":" [경기일보 경제프리즘] 베이비부머 은퇴와 함께 온 기업승계 - 양봉환 원장 요즘 우리 사회에서 베이비부머의 생계형 창업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이들 베이비부머들은 노후대책이 없어 은퇴자 4명 중 3명이 생계형 창업에 뛰어든다고 한다. 그런데 창업한 지 3년 만에 절반이 실패하고, 5년이면 3분의 2가 폐업한다니 심각한 문제인 것은 사실이다. 베이비부머는 한국전쟁 이후 출산율이 급증한 1955년부터 산아제한 정책이 도입되는 1963년 사이에 탄생한 세대를 가리키는 말로, 우리 사회를 산업화와 민주화로 이끈 주역이다. 흔히 ‘58년 개띠’로 대표되는 이들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를 시작한 2010년부터 현재까지 은퇴한 베이비부머는 72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5%에 달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만 문제일까? 올해 상반기 국내 M&A시장에 50억원~1천억원대의 중소ㆍ중견 기업 67건이 매물로 나왔다고 한다. 금액으로만 2조5천억원에 달해 작년 한 해 매각규모에 이르렀다는 소식이다. 우리 경제의 고도성장기(1970~80년대)에 출발한 기업의 창업주 은퇴는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함께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또 하나의 경제 문제임을 반증하는 통계자료다.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가업승계 실태조사에 따르면 가업승계 성공가능성은 2세대가 30%, 3세대는 14%, 4세대에 이르면 4%에 불과하다고 하다. 이에 의하면 우리가 쉽게 이야기하는 ‘100년 기업’의 탄생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조사 결과라 하겠다. 우리 세대가 누리는 지금의 경제적 안정과 자녀세대가 겪을 미래의 취업 기회 등을 고려할 때 창업주의 은퇴에 따른 성공적인 기업승계에 대해 함께 고민해봐야 한다. 기업의 승계 방식에는 내부승계, 유산상속등을 통한 가족승계, 사업 제휴 및 협력, 전문경영인 승계, M&A를 통한 매각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다양한 방법 중 가족승계가 여의치 않으면 매각하는 방법만을 승계의 모범답안으로 생각하는 듯하다. 다양한 승계방법들 사이에 각각 장단점이 존재하고, 기업을 둘러싼 각각의 이해관계 주체(고객, 거래처, 직원 등)에게 끼치는 영향이 상이한 만큼, 성공적인 승계의 열쇠는 다양한 방법들의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포트폴리오 구성과 명확한 승계원칙에 의해 수립이 될 것이다. 에릭슨, 아스트라제네카,스칸디나비아 항공사등을 소유해 스웨덴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40%, GDP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스웨덴 발렌버리 그룹은 150년 넘게 5대에 걸쳐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는데, 그 후계자 선정조건이 자못 흥미로워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혼자 힘으로 명문대를 졸업하고, 해군사관학교 입학하여 정신력을 배양(창업주인 앙드레 오스카 발렌베리가 해군장교 출신)하고, 부모의 도움 없이 선진금융회사에 취업해 실무경험과 국제금융의 흐름을 익히는 것이 기본 자격이라고 한다. 또한 장자상속의 전통을 없애고 2명의 리더를 선정해 독단경영을 차단하며, 승계자는 지주회사를 통해 그룹의 비전전략, 투자 등만을 결정하고, 일상경영은 전문경영인에게 맡기는 방법으로 승계해왔다고 한다. 우리 사회가 산업화와 민주화에는 성공했지만,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건전한 기업가 정신을 배양하는 데는 아직 갈 길이 남은 듯싶다. 고도성장의 시기를 질주하며 우리 경제발전의 주춧돌이 됐던 우량한 기업들이 창업주 세대의 은퇴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승계를 통해 수많은 대한민국의 ‘100년 기업’으로 재탄생하길 소망해 본다.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저작권자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7","atchfileNm":"경기일보 경제프리즘_베이비부머 은퇴와 함께 온 기업승계_141015.png","viewCnt":"3077","regDate":"2014-10-20 16:13:56"},{"contentId":"25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한국경제] 중소기업 정보화, 플랫폼을 통한 공유경제 실현이 핵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2","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플랫폼을 통한 공유경제 실현이 핵심 Let's Master 플랫폼 비즈니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  #중소기업 디지털 공유경제 실현을 위한 플랫폼 비즈니스   ‘소유하지 않고 공유한다’는 아이디어 하나로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둔 에어비앤비(airbnb)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집주인들에게 여행자들을 연결하여 숙소를 중개해주는 에어비앤비(airbnb)는 2초마다 한 건씩 숙박예약이 이루어지고 있을 정도로 전세계 여행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에어비앤비의 기업가치는 하얏트호텔 체인 보다 17억 달러 높은 100억 달러로 창업한지 7년밖에 되지 않은 벤처기업으로는 실로 엄청난 성장이다. 에어비앤비의 성공요인을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단연 공유경제라 할 수 있다. 보유자산을 타인과의 공유를 통해 편익을 늘리거나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욕구는 비단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에게서도 발견할 수 있다. 공동물류센터와 같이 우리에게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기업간 협력 또한 공유경제의 한 형태라 볼 수 있다. 기업 간 공유경제가 진정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어느 기업이 어떤 자원을 가졌는지, 어느 기업이 어떤 자원을 필요로 하는지를 쉽게 확인하고 거래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며 이를 기업간 비즈니스 플랫폼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민간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플랫폼을 통해 공공데이터 개방과 확산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의료정보교류플랫폼 ‘K-헬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사업은 정부 주도로 추진되고 있는 플랫폼 사업들이다. 중소기업을 위한 플랫폼 사업으로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이 구축ㆍ운영하고 있는 경영혁신플랫폼(www.smplatform.go.kr) 사업이 있다. 이 사업은 업종 고유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된 하나의 솔루션을 여러 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함으로써 정보자원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기정원은 사업 1차년도에 선정된 쌀가공식품, 조선해양기자재, 가스판매, 정수기, 부산도금, 플라스틱, 출판 등 7개 업종의 특화형솔루션을 개발하여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중에 있다. 경영혁신플랫폼은 지난 6월 서비스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800여개의 중소기업이 플랫폼 서비스를 가입ㆍ이용하고 있다. 플랫폼을 통한 기업간 공유사례를 살펴보자. 그동안 가공용쌀 매입대상 업체들은 정부로부터 쌀을 매입하여 쌀국수, 누룽지, 쌀과자 등의 쌀가공식품을 제조하여 판매해 왔다. 그러나 제품을 생산하고 남은 쌀을 마땅한 다른 수요처를 찾아 다른 기업에게 양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결국 유통기한이 지나버린 재고쌀을 폐기처분 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그러나 기정원의 경영혁신플랫폼을 이용하고 나서부터는 매월 정부로부터 매입한 쌀의 생산량과 재고량이 정보화 되어있어 재고쌀의 양도 또는 양수를 원하는 기업을 손쉽게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매월 축적된 정보들은 기업과 정부 모두에게 다음년도 매입(또는 배정)계획의 중요한 기초정보로 활용된다. 게다가 정부는 배정된 쌀이 실제 그 목적에 맞는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추적ㆍ이력관리가 가능해 졌다. 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기존 수기로 처리하던 업무를 시스템화하면서 업무처리 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 증가를 화폐가치로 환산할 경우 연간 약5억원 이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중소기업 플랫폼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기대 지난 12년간 정보화지원사업을 통해 정보화를 지원한 중소기업 수는 3,700여개 기업이다. 우리나라 전체 중소기업을 대략 3백만개라고 치면 앞으로 85년을 더 지원해야 전체 중소기업의 1%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예산제약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지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데다가 해마다 정보화 지원예산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기업마다 직접 구축ㆍ설치하는 방식의 정보화 지원율은 더욱 낮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또한 중소기업은 정보화 구축 및 유지에 필요한 자금이나 구축된 시스템을 지속ㆍ관리할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제는 중소기업이 기업간 협업이나 거래를 통해 플랫폼 비즈니스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보화지원사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정부의 새로운 역할 정립이 필요한 시기이다. 앞서 소개한 경영혁신플랫폼과 같이 만약 기업들이 개별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적용해 다수의 기업들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정보자산과 운영경험을 공유 하게 된다면 정부는 효율적으로 자원의 재분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은 적은 비용으로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정보화에 따른 리스크와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아울러 자연스럽게 기업간 정보공유와 협업모델을 유도하여 플랫폼 비즈니스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정부는 중소기업들에게 업무 정보화를 위한 기반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기업들의 플랫폼 활용 경험을 바탕으로 추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이렇게 개발된 어플리케이션들이 기업간에 거래될 수 있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장(오픈마켓)을 마련하여 중소기업이 자생적으로 지속성장 할 수 있도록 시급히 중소기업형 플랫폼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에 아낌없는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6","atchfileNm":"20141010_한국경제_d07면_플랫폼 기고.jpg","viewCnt":"3535","regDate":"2014-10-13 17:05:18"},{"contentId":"25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14년 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1","contentsKor":"  기정원,‘2014 R&D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개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 대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10.2(목) 오후 1시 충남대학교에서 2014년 R&D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한다.  ◦ 이번 설명회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된 168개 기업과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 선정 30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창업초기(업력 7년 이하)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 2월 공고 이후, 총 4차(2,4,6,8월)에 걸쳐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최종 지원기업을 선정했다. -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은 상시근로자수 50인 미만의 소규모 기업을 대상으로 제품경쟁력 및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역시 올 1월 공고 이후 4차(2,4,6,8월)에 걸쳐 선정을 마쳤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중요 사항을 다룰 예정이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아울러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 기술혁신지원본부 최병선 본부장은 “이번 설명회가 선정 기업들의 성실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며 “기정원도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한편, 기정원에서는 이번 설명회에서 중소기업의 구매 편리성과 R&D 사업비 집행 투명성 제고를 위해「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이용 안내 시간을 별도로 마련했다. ◦ R&D 수행기관의 연구기자재 및 시·재료의 구매지원을 위해 구축한「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은 중소기업청의 중기 R&D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이 필요한 연구기자재 및 시·재료를 온라인상에서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  또한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해, 특허청의 2014년 부터 변경된 출원제도에 대한 안내 시간도 마련했다. ◦ 중소기업의 지재권 종사자 등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출원절차 사례 및 중소기업들이 보다 다양한 지식재산권 관련 정책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특허청이 시행하고 있는 지식재산권 관련정책에 대해 안내할 예정이다.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4","atchfileNm":"2014 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_141002.hwp","viewCnt":"3255","regDate":"2014-10-06 10:37:51"},{"contentId":"25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경제프리즘] 한가위와 전통시장 - 양봉환 원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0","contentsKor":" [경기일보 경제프리즘 오피니언] 한가위와 전통시장 (양봉환 원장)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인 한가위가 지나갔다. 대체휴일제 적용으로 5일이라는 긴 연휴동안 3천900만 명 이상이 이동했다고 하니 민족대이동이라는 말이 실감난다. 세시명절인 한가위는 고대 농경시대가 들어서면서 시작되어 신라3대 유리왕 시대에 이르러 하나의 커다란 명절로 자리 잡았음을 기록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처럼 오랜 연원을 가진 추석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설과 함께 민족의 큰 명절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가 급속히 산업화 되면서 전통적인 세시명절로서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가족과 이웃이 함께 모여 음식과 정담을 나누는 날로서의 의미보다는 긴 연휴기간을 이용하여 해외여행을 떠나는 관광객으로 인천국제공항이 붐비는 현상이 뉴스를 장식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처럼 시대의 흐름을 따라 추석명절의 모습이 변해가지만 어머니, 아버지가 시골 장에 다녀오셔서 각종 명절음식을 장만하고 새 옷이나, 새 신발 등을 선물로 받고 기분 좋게 동네 어귀를 뛰어다녔던 어린 시절의 아련한 추억이 떠오르는 것은 필자 세대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추억이다. 또한 명절 대목을 맞아 시끌벅적했던 시장풍경의 모습도 떠오른다. 하지만 백화점, 대형마트 등의 현대화된 대형 유통업체에 고객을 잠식당하여 지난 2001년 40조 원대의 전통시장 매출이 12년이 지난 2013년 20조 원대로 반감했다는 중소기업청의 통계는 이런 아련한 추억과 맞물려 더욱 안타까운 생각이 들게 한다. 이와 같은 어려움 가운데서도 전통시장 활성화의 성공사례를 통해 21만여 개의 점포에서 35만여 명의 상인이 종사하고 있는 시장을 되살릴 수 있는 실마리는 없을까. 전남 장흥 전통시장은 구한말부터 60년대까지 전남 3대 시장으로 명성으로 날렸다. 하지만 교통수단 발달과 농촌인구 감소로 시골장으로 전락, 5일장과 난전으로 명맥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장흥군은 시장 활성화를 위해 75억 원을 투입, 현대화를 진행하고, 전통시장 내에 각종 문화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공연장과 상설 할인매장을 운영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장흥시장은 하루 평균 15마리 분 이상의 한우가 꾸준히 팔리고 있으며, 개장 전에 연간 100억 원에 못 미치던 매출액이 지난해 1천300억 원을 상회하는 등 급성장하고 있다. 위 사례는 전통시장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접근법을 달리한다. 상점 정비, 바닥천장 보수, 주차장 확충 등 시설현대화만으로는 무언가 부족하다. 또한 골목상권을 지켜내자는 명분과 캠페인으로도 전통시장이 활성화되기는 어렵다. 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상품을 개발하고, 그곳에 가면 전통과 문화가 어우러져 장바구니 이외에 무엇인가 더 담아올 수 있는 매력이 분출하는 공간으로 거듭날 때 전통시장이 활성화되는 길이 활짝 열리지 않을까? 변해가는 추석명절의 세태 속에 현대인이 잊고 살기 쉬운 나눔과 배려, 소통의 덕목을 떠올리며, 현대 속에 재해석되고 재창조 되는 전통이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는 것도 부산했던 명절을 마감하며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한 세대가 더 지나가도 현대 속에 아름다운 전통이 살아 숨 쉬어 우리 아랫세대에게도 아련한 추석명절과 전통시장의 아름다운 추억이 공존할 수 있도록 현재의 전통시장이 화루 빨리 활성화되기를 소망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2","atchfileNm":"경기일보 경제프리즘_한가위와 전통시장_140917.png","viewCnt":"3055","regDate":"2014-09-17 11:20:47"},{"contentId":"25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대덕중학교와 지역사회 공헌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대덕중학교와 업무협약 체결 - 지역사회 미래 과학 꿈나무 육성위해 손 맞잡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지역사회 나눔과 미래 과학꿈나무 육성을 위하여 대덕중학교(교장 윤수진)와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양 기관은 9월 16일 대덕중학교에서 “지역사회 공헌 및 미래 과학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협약은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실천적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1사 1교 자매결연 체결을 통한 나눔 및 사회적 책무를 적극적으로 실천하고자 추진되었다.  ◦ 양 기관은 이를 위해 ▲지역사회 공헌 및 나눔과 실천의 봉사활동에 대한 상호 지원 및 협조 ▲미래 과학 꿈나무 인재양성 활동에 대한 유기적 협력 ▲지역사회 교류 활성화를 위한 정보교류 및 상호 협력체계 구축 개발 ▲양 기관이 개최․주관하는 국내외 각종 사회공헌 행사 등에 협조 및 참여를 통해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 이를 위해 기정원에서는 학생들의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개선, 미래 과학 기술의 발전상, 중소기업 성공 스토리, 창업 기업가 정신 등을 주제로 재능기부 특강 프로그램을 추진할 예정이다.  ◦ 기정원은 이번 재능기부 특강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진학과 장래를 고민하는 시기의 중학생들에게 중소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줌으로서 진로 탐색의 폭을 넓히고, 더 나아가 향후 중소기업을 이끄는 예비 인재 육성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 기정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공헌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임직원의 사회공헌활동 동참을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 밀착형 사회공헌활동을 강화해 지역사회 교류와 소통 확산을 통한 상호 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도모해 나가기로 했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다양한 방면에서의 사회공헌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번 대덕중학교와의 업무협약이 장기적으로 대전 지역 우수 인재 육성을 통한 지역 고용창출과 발전에 기여할수 있도록 최선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1","atchfileNm":"기정원, 대덕중학교와 업무협약 체결_0916.hwp","viewCnt":"3048","regDate":"2014-09-17 11:15:30"},{"contentId":"25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 5회 IT&Security 컨퍼런스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8","contentsKor":" “중소기업 IT&Security, 정보공유의 場 마련” - 제1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개최 (기술보호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제1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9.17~9.19, 3일간)에서 중소기업 기술보호 기술동향 공유의 장 마련을 위한 기술보호관과 신정보화 시스템활용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화관을 운영하며 각종 부대행사를 진행한다. ◦ 기술보호관에 마련된 정책홍보관에서는 중소기업 기술보호 정책을 한눈에 살펴 볼 수 있다. 최신 보안시스템과 솔루션 체험, 기술보호관련 애로사항에 대한 현장 전문가상담 등도 진행한다.  ◦ 또한, 정보화관 부스를 별도 운영해, 중소기업들에게 정보화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경영혁신플랫폼에 대한 사업소개와 제공 서비스를 기업들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한다. □ 더불어, 중소기업의 기술보호 및 정보화 관련 정보공유를 위한 ‘제5회 IT&Security컨퍼런스’가 18일 개최된다. ◦ 컨퍼런스 행사는 정부지원시책 설명회 및 특강, 토론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계 전문가의 특강을 통해 중소기업이 나아가야할 발전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 또한, 금년 11월 ‘중소기업기술 보호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기술보호관련 관련업계 및 전문가 토론회를 통해 중소기업의 대응방안과 방향을 제시한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우수 중소기업이 한자리에 모이는 이번 행사를 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와 기술유출 방지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방법을 알지 못해 고민하던 기업들이 해답을 얻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동 행사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당부하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0","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개최-IT Security컨퍼런스.hwp","viewCnt":"2965","regDate":"2014-09-17 11:11:11"},{"contentId":"25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 1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개최 (기술인재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7","contentsKor":" “우수 기술․기능인재의 잠재력을 한눈에” - 제1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개최 (기술인재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등이 주관하고 중소기업청에서 주최하는 제15회 중소기업혁신대전을 오는 9월 17일부터 19일까지 코엑스 1층 Hall A에서 개최한다. □ 기정원은 제1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에서 중소기업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확산과 기술인재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기술인재관을 운영하며 각종 부대행사를 진행한다.  ◦ 기술인재관을 기능인력육성관, 기술인력육성관, 인력공동관리관, 특별전시관으로 구성하여 참관객들이 중소기업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직접 체험하고, 성과물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했다.   ◦ 기술인재관에는 총 12개의 특성화고 및 대학교가 전시에 참여해 체험이 가능한 예비 기술․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시연하며, 특히 특별전시관에서는 수원공고와 신진자동차고의 프로젝트 수업을 참관할 수 있어 기능인력 육성교육의 현장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참여학교 현황> 대전공업고등학교, 영락유헬스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신진자동차고등학교,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영진전문대학, 동서울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 또한, 이번 행사에 참여 및 참관하는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및 부대행사도 개최된다.  ◦ 특성화고 졸업예정자를 현장에서 채용하는 우수 중소기업 취업ㆍ채용행사가 열리며, 이와 연계하여 특성화고생 대상 면접스킬, 화법, 이미지메이킹, 태도 등을 사전 지도하는 취업ㆍ면접 현장학습관도 운영한다. 동 학습관은 취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현장에서 접수 및 참여가 가능하다.  ◦ 부대행사로는 17일 ‘중소기업과 나의 꿈’ 창작공모전이 열려 고등학생들의 중소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UCC, 포스터, 꿈 발표 등을 통해 만나볼 수 있으며, 18일에는 ‘1팀 1기업 프로젝트’ 경진대회를 통해 산학협력 교육의 우수사례를 경험할 수 있다. 부대행사별로 예선을 거쳐 각 10개 팀의 고등학교가 선발되었으며 현장에서 경연을 벌이게 된다.  □ 한편, 17일 개막식에서 중소기업 인력난과 청년실업 해소에 기여한 공로로 창원기계공고와 (주)이우가 대통령 표창을 수상한다. 특성화고 및 산학협력기업 등 총 36개 기업(학교)과 개인 등이 중소기업 취업지원 유공자로 포상받을 예정이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우리나라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ㆍ기능인력 등 기술인재가 대우받는 사회풍토 조성이 중요하다”며 “우수 중소기업과 기술인재가 한자리에 모이는 이번 행사를 통해 중소기업에 더욱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완화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동 행사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당부하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9","atchfileNm":"보도자료_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개최(최종).hwp","viewCnt":"3114","regDate":"2014-09-16 09:07:44"},{"contentId":"25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품질경영시스템 추진 발대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6","contentsKor":" 기정원, 중기 지원서비스 ISO 9001 인증 추진 - 중소기업에게 국제적으로 검증된 R&D 평가관리서비스 제공 예정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9.2(화) 오전 10시 중소기업 지원서비스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기 위해 전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추진 발대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 ISO 9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품질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규격으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제품이나 서비스 실현 체계가 규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있음을 제 3자 인증기관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해 인증해주는 제도다. □ 품질경영시스템 추진 및 ISO 9001 인증 획득은 창조경제의 주역인 중소기업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서 정부 지원서비스부터 국제적으로 검증된 수준까지 선진화되어야 한다는 양봉환 원장의 강력한 추진의지가 반영되었다. ○ 특히,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경영정보화 및 기술인재 양성 등 모든 사업을 대상으로 ISO 인증을 추진함으로써 중소기업의 다양한 지원수요에 부응하는 동시에 지원성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기정원이 수행 중인 중소기업사업은 사업기획, 지원대상 선정, 사후관리 등 모든 지원업무의 품질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및 성장에 직결되기 때문에 사업관리의 전문성ㆍ공정성에 대한 대내외적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다. ○ 이에 기정원은 중소기업 지원서비스가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절차를 밟으면서 중소기업계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는 한편 R&D 성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으로 이번 인증을 추진하고 있다.  □ 이번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해 행정처리시간 단축되어 중소기업이 정부의 기술개발 자금을 필요한 시기에 신속히 지원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 수준의 품질 높은 중소기업 지원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정원은 이번 인증제도 추진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중소기업 지원업무 평가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도 신청-평가-선정과정에서 불필요한 절차와 낭비요인이 해소됨에 따라 업무효율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 양봉환 원장은 "그동안 R&D 평가관리 등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수행하면서 쌓은 전문성과 공정성이 국제품질규격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에서 이번 인증을 추진하게 됐다"며 "이 같은 노력이 중소기업 지원서비스의 선진화로 이어지면 중소기업의 신뢰를 얻는 동시에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확보 등 정부지원성과 극대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품질경영시스템 추진 및 ISO 9001 인증을 위해 현재 외부 전문기관으로부터 컨설팅을 받고 있으며, ‘14년까지 품질경영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여 2015년부터 국제품질규격에 의한 중소기업 지원서비스가 진행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8","atchfileNm":"기정원 품질경영시스템 추진 발대식 보도자료(140902)_최종.hwp","viewCnt":"3303","regDate":"2014-09-02 16:57:38"},{"contentId":"25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전자신문 우수 재능학생 장학금 수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5","contentsKor":"8/21 기정원에서 개최된 2014 정보과학 우수 재능학생  장학금 전달 관련 기사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7","atchfileNm":"기정원, 전자신문 우수 재능학생 장학금 수여_20140821.pdf","viewCnt":"3272","regDate":"2014-08-25 15:43:31"},{"contentId":"25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융합중앙회,융합학회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4","contentsKor":" 기정원, 융합중앙회․융합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 중소기업 융복합기술 역량 강화를 위해 손 맞잡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융복합기술 역량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융합중앙회, 중소기업융합학회와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세 기관은 2014년 8월 25일 기정원 대전 본원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중소기업의 융복합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 협력 ▲학술 및 기술정보의 원활한 교류를 통해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며 학술 및 기술정보의 공동 활용▲공동 워크샵 및 설명회 등 개최 등이다. □ 이번 협약의 목적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문기관인 기정원이 중소기업의 융합 활동을 지원하는 중소기업융합중앙회, 중소기업 융합기반의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는 중소기업융합학회 간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중소기업 융복합기술 역량 강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추진되었다. ○세계경제가 “융합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정부는 융합을 과학기술 기반으로 한 국민행복 구현, 신시장·일자리 창출을 위한 핵심전략으로 제시됨에 따라,  - TIPA와 협약기관은 기술혁신 역량을 갖춘 중소기업의 개방형 융․복합 기술개발 및 사업화 촉진을 주도할 중소기업 육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이와 관련하여 양봉환 TIPA 원장은 “협약 기관들이 힘을 모아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개발 활성화에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6","atchfileNm":"기정원, 융합중앙회,융합학회와 업무협약 체결.hwp","viewCnt":"3451","regDate":"2014-08-25 15:41:15"},{"contentId":"25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연구기자재 민간 공급사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3","contentsKor":"   중기청 R&D 연구기자재 구입, 한방에 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연구기자재 민간 공급사와 업무협약 체결 - “R&D수행기관의 연구기자재 및 시․재료 구매 편의성 기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R&D 수행기관의 연구기자재 및 시·재료의 구매지원을 위해 구축한「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의 구매 편의성 제고를 위해 (주)대한과학, 대정화금(주), 한솔사이언스와 2014년 8월 21일 기정원(대전 소재)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기정원에서 2012년에 구축한「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하여 민간 우수 공급사를 확대하고, 연구기자재 및 시약 전문 판매 민간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구매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 : 중소기업청의 중기 R&D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이 필요한 연구기자재 및 시·재료를 온라인상에서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구축('12년)된 시스템 ○ 협약의 주요 내용은 ▲구매자의 다양한 구매수요에 대한 공동의 대처 ▲시스템 연계를 위한 지원 협조 및 상호협력 ▲시스템 연계를 통한 구매 활성화 방안 수립 등이다. □ 금번 체결된 업무협약으로 수요자인 중소기업은 공급사 확대로 늘어난 다양한 품목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가격비교를 통한 저렴한 제품선택이 가능해졌다.  ○공급자는 손쉽게 구매자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R&D 수행기관의 구매 편리성 제공 및 거래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또한, 기정원은 시스템을 이용하는 중소기업과 공급사의 의견수렴을 통해 구매자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스템 개편 작업을 추진중이다.   ○금번 협약을 통해「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과 민간 공급사 시스템을 연계하여 그동안 견적 거래방식을 통해서만 거래되던 구매방식에서 제품의 스펙을 직접 눈으로 확인 후 바로 구매할 수 있는 직접 구매방식을 더하게 되었다.  □ 기정원은 이번 협약을 통하여 “R&D를 수행하는 중소기업이「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을 통해 구매편의성 및 다양한 R&D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중소기업 구매지원 종합 포털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 기정원에서 2012년 구축한「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은 중소기업 연구개발비 지원금의 재료 및 연구기자재 구매비용에 대한 효율적 구매지원을 위한 시스템으로, ○구매자인 R&D 지원대상 기업과 공급자인 재료 및 연구기자재 공급업체에게 구매와 판매의 편익을 제공하여 국가적으로 지원되는 R&D사업비의 투명성 제고와 다양한 이익에 기여하고자 운영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5","atchfileNm":"연구기자재 구입, 한방에 해결.hwp","viewCnt":"3597","regDate":"2014-08-21 17:48:12"},{"contentId":"25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레드휘슬(반부패 익명신고시스템) 도입으로 윤리경영 실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2","contentsKor":" 레드휘슬(반부패 익명신고시스템) 도입으로 윤리경영 실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조직의 부조리를 익명으로 신고할 수 있는 “레드휘슬(반부패 익명신고시스템)”을 도입했다. ○ 레드휘슬 도입은, 직원으로 구성된 청렴실천추진반 운영, 보직자 대상 청렴사직서 징구 및 간부진 대상 청렴 교육 실시 등 그간 부패척결을 위해 기정원이 추진해왔던 윤리경영 활동 중 하나이다. ○ 이 시스템은 그동안 신고자가 비위사실을 알고도 신분노출로 인한 불이익이 우려되 신고를 꺼려했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적사항 및 IP추적 방지 기술 등을 통해 신고자를 추적할 수 없어 익명성이 철저하게 보장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새로운 시스템 도입은 최근 최근 문제되고 있는 공공기관 소속 국가연구개발사업 담당연구원들의 비리사건과 같이 통상적인 사업관리 체계에서는 발각이 어려운 비리에 대한 대응책으로써 부패징후의 조기 발견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기존에 기정원이 운영하고 있던 부패신고시스템은 제보자가 실명정보를 입력해야만 신고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부정부패에 대한 사전 통제장치로써의 기능이 미흡하여 개선이 시급했다.   □ 신고내용은 철저히 익명으로 처리되며 직무과정에서의 금품수수, 공금횡령, 부당한 업무처리, 과도한 경조 금품 수수 등의 모든 비리에 대해 신고가 가능하다. ○ 제보가 접수되면 신고내용만 기정원 감사팀으로 실시간 전달되며, 감사팀은 신고 내용을 토대로 조사한 뒤 처리결과를 시스템에 등록하면 신고자는 그 처리 결과를 별도의 신분확인 절차 없이 접수번호와 비밀번호만으로 확인 할 수 있다. ○ 신고는 PC 등으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의 “레드휘슬 부패・비리 익명신고센터” 배너를 클릭하거나 레드휘슬 홈페이지(www.redwhistle.org)에 접속 또는 스마트폰용 바코드인 QR코드를 통해 가능하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이번 반부패 신고시스템 도입을 통해 기정원 임직원의 비리에 대한 내・외부 신고 체계를 완성하고, 향후 다양한 반부패 활동 및 윤리경영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을 추진함으로써 기관의 핵심가치인 책임윤리를 확고히하여 고객의 신뢰를 받는 공공기관으로 거듭날 것”이라며 기관의 윤리경영 추진의지를 다시한번 확인했다. ○ 기정원은 앞으로도 직원 대상 “청렴모의고사”, 실제 부패상황에서의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한 “부패대응 모의훈련”, 직무 분야별 “맞춤형 청렴교육” 등 다양한 반부패활동 추진을 통해 전사적 윤리경영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4","atchfileNm":"20140813 레드휘슬 도입 관련 보도자료.hwp","viewCnt":"3373","regDate":"2014-08-14 14:36:27"},{"contentId":"25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노사 화합적 단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노사 화합적 단체협약 체결 기관 미션․비전 달성을 위해 노사 간 혼연일체 노력 다짐 "그간의 노사갈등을 극복하고 조합원 95% 찬성 속에 무교섭 단체협약 체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과 기정원 노동조합(위원장 김종택)은 7.21(월) 대전본원 회의실에서 임직원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창조경제의 주역인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노사 간 혼연일체의 노력을 다할 것을 다짐하는 단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금번 체결된 단체협약은 지난해 12월 취임이후 직원들과 수시로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의견을 경청하는 등 노사 간 신뢰회복을 위해 힘써온 양봉환 원장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기정원은 지난해 기관이전 및 소통의 부재로 인해 노사분규(‘12.12.31~‘13.1.15)가 발생하고,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 및 24회에 걸친 단체교섭에도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하는 등 극심한 노사갈등을 겪은 바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양봉환 원장은 취임 직후 분산된 구성원의 역량 결집을 위해 노사공동의 워크숍 및 경영전략회의를 통해 기관의 미션․비전을 새롭게 수립하고, 노사 간 간담회, 주니어보드, 기관 현안에 대한 경영설명회 등을 수시 개최하며 노사 간 신뢰회복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지난 7.11일에는 “직원이 행복해야 기정원이 발전합니다.”라는 슬로건 속에 전 직원 워크숍을 개최하고, “훌륭한 기정원 만들기, 1사원 1아이디어 경진대회”를 개최 하는 등 직원들의 작은 의견 하나에도 귀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기정원은 정부의 방만경영 정상화 운용지침 이행을 위한 취업규칙 개정, 성과연봉제도입 등 노사 간 민감한 경영현안을 노사합의로 합리적으로 추진했다고 밝혔다.   노동조합 김종택 위원장은 “기관장의 열린경영 실천으로 노사 간 상호신뢰의 전기가 마련돼 지난날의 노사갈등이 무색하게 조합원 95%의 찬성 속에 무교섭으로 단체협약이 체결되었다.”고 밝히며, “기관의 발전을 위해 노사가 하나 되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정원 양봉환 원장도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정부의 방만경영 정상화 방안의 이행 등 기관경영방향에 적극 협조하여준 노동조합에 감사의 뜻을 표하며, “노사 간 상호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활기찬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중소기업 일류 공공기관으로 도약하겠다.”고 전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3","atchfileNm":"기정원_단체협약 보도자료_140722.hwp","viewCnt":"3370","regDate":"2014-07-22 17:20:45"},{"contentId":"25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지식재산전략원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0","contentsKor":"     기정원-지식재산전략원 업무협약 체결 - 우수특허 활성화와 기술혁신을 주도할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손 맞잡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과 한국지식재산전략원(원장 김재홍, 이하 KIPSI)이 중소기업 지원을 위하여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양 기관은 2014년 6월 11일 KIPSI 서울 본원에서 “우수특허 R&D지원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양 기관은 이에 따라 ▲중소기업 특허정보 활용 강화를 위한 협력 ▲공공기관 우수특허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협력 ▲재창업 기업의 개발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 전략 확보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 이번 협약의 목적은 중소기업이 기술혁신을 주도 할 지식재산전략의 확보, R&D역량강화에 큰 힘을 보태어 국가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데 있다.   - 특허의 질적 성장을 위한 지식재산전략을 지원하는 KIPSI와 중소기업이 급변하는 경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개발 사업을 지원하는 TIPA의 협력으로 기술혁신을 주도할 중소기업 육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 이와 관련하여 양봉환 TIPA 원장은 “양 기관이 힘을 모아 중소기업 육성에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재홍 KIPSI 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의 질적 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2","atchfileNm":"기정원_전략원_MOU_보도자료.hwp","viewCnt":"3280","regDate":"2014-06-12 17:52:11"},{"contentId":"25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발간물] 중소기업특성화고인력양성사업 우수사례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9","contentsKor":" 우리원에서는 중소기업청에서 지원하고 있는 특성화고인력양성사업의 우수 사례를 엮은 '학생의 꿈에 중소기업의 열정을 더하다'를 발간했습니다. `특성화고 체제개편',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 `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 `취업역량 강화 및 취업연계'를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사례집 관련 문의사항 :  기정원 기술인재양성부 042-388-0333,6~8    ▶ "중소기업특성화고인력양성사업" 지원현황 안내(클릭)   첨부 : 우수사례집 1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1","atchfileNm":"13년 특성화고인력양성사업우수사례집.pdf","viewCnt":"4017","regDate":"2014-04-14 09:17:18"},{"contentId":"25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우수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8","contentsKor":"학생의 꿈과 중소기업 열정의 시너지 -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우수사례집 발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지난 4월 11일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우수사례집 “학생의 꿈에 중소기업의 열정을 더하다”를 발간했다. □ 본 책자는 사회 전반적으로 고졸취업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중소기업 현장 맞춤형 인력 육성을 위해 진행하고 있는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19개 학교 우수사례를 담고 있다.   □ 특히 ‘특성화고 체제개편’,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 ‘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 ‘취업역량 강화 및 취업연계’를 테마로 구성하여, 특성화 방향에 고민을 안고 있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나아가 학생, 중소기업, 학부모 등의 인터뷰를 통한 현장의 목소리가 담겨있어 생생한 교육현장을 느낄 수 있다. □ 본 책자는 160개 특성화고 및 중소기업, 중소기업 관련 기관 등에 무료로 배포될 예정이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원하는 분야의 공부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어 행복하다는 학생과 중소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특성화된 인재를 만나 다행이라는 기업의 목소리는 인력의 미스매치 해소의 열쇠가 되어줄 것”이라며 고졸 취업문화 확산을 위해 더욱 노력해 나가겠다고 앞으로의 포부를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0","atchfileNm":"[기정원]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 우수사례집 발간.hwp","viewCnt":"3819","regDate":"2014-04-11 16:25:14"},{"contentId":"25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모바일서비스 오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7","contentsKor":" 중소기업 R&D사업, 스마트폰으로 쉽고 빠르게 해결하세요! -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모바일서비스 오픈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원장 이기섭), 한국산학연협회(회장 서동석)(이상 가나다 순)에서는 ‘14년도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중소기업의 쉽고 빠른 접근을 위하여 모바일버전의 온라인교육 서비스를 오픈하였다.  □ 본 모바일 교육 서비스는 국민행복을 추구하는 정부 3.0 가치 실현을 위한 것으로 중소기업이 업무공간을 벗어나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정부 R&D 사업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국민 중심의 서비스 정부”를 구현한 것이 특징으로,  - 지난 ‘13. 12월부터 3개월간 설계하여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14. 3. 4일 오픈한 온라인교육 서비스의 모바일 버전으로 1개월간의 제작과정을 거쳐 구축한 것이다.   □ 이번, 모바일 서비스는 동영상 강의와 디지털북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기업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등 사업안내 15개 강좌 및 사업계획서 작성, 협약변경 등 일반안내 11개 강좌가 개설되었으며,  - 디지털북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강의를 e-book형태로 다운로드 받아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 특히 이번 모바일 교육 서비스는 국가 R&D관리 전문기관 최초로 시행하는 것으로서 단순한 사업안내가 아닌 이러닝(e-learnig) 형태의 동영상 강의 및 디지털북 제공 서비스라는데 의미가 있으며,  - 지난 ‘14. 3. 4일 홈페이지 오픈 이후 현재까지 16,816건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온라인교육에 대한 중소기업의 높은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 □ 본 모바일 서비스는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 접속 후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화면의 온라인매뉴얼>동영상강의 메뉴로 이동하면 디지털북 다운로드 및 모바일동영상 보기를 확인할 수 있다. □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을 통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시적인 중소기업 R&D사업 교육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업에 대한 정보제공 및 중소기업의 사업신청이 더욱 원활해지고 중소기업에 한층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9","atchfileNm":"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모바일서비스오픈.hwp","viewCnt":"3451","regDate":"2014-04-11 16:20:47"},{"contentId":"25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6","contentsKor":"   기정원, 유관기관과의 협업 실천으로 업무 시너지 창출 -유관 업무 서비스 연계 및 정보공유로 서비스질과 성과 높여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는 이번 정부 추진전략 중 하나인 ‘칸막이를 없앤 협업 체계 구축’을 선제적으로 이행하고자 공공기관 협업을 통한 국정과제 수행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 기정원은 4월 1일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INNOBIZ)와 “연구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 이번 협약의 목적은 기술개발 교육 지원 및 일자리 창출 지원을 통해 연구인력을 양성하여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을 제고하기 위한 데 있다. - 양 기관은 이를 위해 ▲기술개발 교육지원 및 미취업자 및 제대군인 일자리 창출 지원 ▲중소기업 및 이노비즈기업의 R&D지원 강화 ▲실무자 협의회 운영을 통한 정보교류 및 지원사업 모델 개발 ▲양 기관이 개최․주관하는 국내외 각종 전시회, 행사 등에 협조 및 참여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 이를 위해, 기정원에서는 R&D지원통합시스템 제공을 통해 중소기업 및 이노비즈기업의 R&D활성화를 위한 업무지원을, 이노비즈 협회에서는 교육프로그램과 우수 이노비즈 업체 정보 제공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 기정원은, 이번 양 기관간의 정보교류를 통한 이번 협업을 통해 우수 중소기업에 취업하고 싶어하는 구직자와 우수 기술개발인력을 채용하고자 하는 기업 사이의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일자리 창출 및 고용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양 부처 및 기관의 협업을 통한 이번 로드쇼는 매년 2회 상‧하반기 개최를 정례화 하여 추진될 계획이어서 앞으로 지속적인 양 기관간 협업이 기대되고 있다.   □ 양봉환 기정원 원장은 “유관 기관과의 다양한 국면의 협업 및 상호 교류를 통해 업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며 “앞으로도 이번 정부에서 추진하는 칸막이 없는 협업 실천을 통해 사각지대없는 고객 관점의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8","atchfileNm":"기정원-이노비즈협회 MOU 보도자료_140401.hwp","viewCnt":"3603","regDate":"2014-04-11 16:16:33"},{"contentId":"25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 교육 오픈 26개 강좌 개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5","contentsKor":" <보도자료>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강의로 쉽고 빠르게 해결하세요!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오픈 26개 강좌 개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원장 이기섭), 한국산학연협회(회장 서동석)(이상 가나다 순)에서는 ‘14년도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중소기업의 R&D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14. 3. 19일 온라인강의를 오픈하였다.     □ 본 온라인강의 서비스는 정부 3.0 가치 실현을 위한 국민 중심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기업맞춤형 온라인 강의 형태로 제공되며, 과정을 세분화하여 사업신청 및 수행에 애로를 겪는 기업이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번, 온라인강의는 총 26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난 ‘14. 3. 4일 1차 과정에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기업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등 15개 강좌가 개설되었으며, 2주 동안 3,441건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중소기업 R&D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였다.    - 이번 2차 과정은 중소기업 R&D기획역량제고 사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 등 사업안내 관련 5개, 사업계획서 작성, 협약변경 등 사업 진행 및 최종평가 관련 6개 등 총 11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  본 강좌는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화면의 온라인매뉴얼>동영상강의 메뉴로 이동하면 팝업창 형태의 온라인 동영상 강의를 들을 수 있다.   - 특히 본 강좌는 단순한 사업별 안내자료 배포형식을 벗어나 사업계획서 작성, 선정평가, 협약체결 및 변경, 사업비 지급 및 집행, 최종평가, 기술료 납부 등 사업신청 및 집행단계별로 멀티미디어 북 학습기능을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원활한 접근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향후 상시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으로 사업설명회에 참석하지 못한 중소기업과 오지에 소재하고 있는 중소기업에 한층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7","atchfileNm":"보도자료_140318.hwp","viewCnt":"3794","regDate":"2014-03-21 13:14:53"},{"contentId":"25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KISTI, 중기 R&D지원을 위한 MOU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4","contentsKor":" 기정원-KISTI 업무협약 체결 - 중소기업 R&D기획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손 맞잡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박영서, 이하 KISTI)이 중소기업 지원을 위하여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양 기관은 2014년 2월 19일 KISTI 대전 본원에서 “중소기업 R&D 기획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중소기업 R&D 기획 지원 및 교육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기술시장분석․예측 및 기술평가․사업화 등에 대한 공동연구 ▲기술시장정보 분석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공동개발 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약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부족한 R&D기획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데 있다. 중소기업들은 인적․물적 자원의 한계로 인하여 사업기회 발굴이나 전략 수립 등 R&D기획 단계에서 큰 애로를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앞으로 양 기관은 유기적인 협력 속에서 중소기업 R&D기획지원 사업을 강화하고 관련 전문가 육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이와 관련하여 양봉환 기정원장은 “중소기업 지원에 앞장섰던 양 기관이 함께 힘을 모으는 계기가 마련됨에 따라 높은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박영서 KISTI 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R&D기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6","atchfileNm":"기정원_KISTI_MOU_체결.hwp","viewCnt":"3949","regDate":"2014-02-19 16:05:20"},{"contentId":"25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비전선포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3","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비전선포식 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1.22(수) 오전 10시 국민에게 신뢰받는 일류 공공기관으로의 도약을 위해 전 임․직원과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회장 등 외부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비전 선포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새롭게 선포된 비전은 창조경제의 주역인 중소기업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통한 국정기조의 실현을 위해 가시적이며 명확한 기관장 경영목표를 설정해 기관의 미션과 비전을 반드시 달성하겠다는 양봉환 원장의 강력한 추진의지가 반영되었다. ※ 기관장 경영목표 - “고객만족도 90점 이상”, “청렴도 우수기관 달성”, “중소기업 지원규모 5천억원 달성”, “평가관리체계 국제 품질경영 인증” 2014년에는 정부의 공공기관 합리화․정상화방안에 적극 부응하고, 기관의 비전·전략을 구현하기 위한 경영효율화를 전사적으로 추진하여 윤리경영체제를 확고히 구축하고, 조직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능력과 전문성 중심의 조직․인사관리체계를 정비하는 등 “변화와 쇄신”에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기정원 관계자는 설명했다. 금번 선포식은 지난 2013.11.1 전 직원이 참여하는 “변화와 쇄신 워크숍” 개최결과 그간의 비전 및 핵심가치에 대한 구성원들의 공감대 부족으로 조직역량이 분산되고 공유가치 형성이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라 ① 비전 및 핵심가치 체계 재정립 방향을 제시하고, ② 1박2일(1.3~4) 간전 직원이 참여하는 "변화와 쇄신 결의 대회“를 개최해 새벽까지 이어진 열띤 토론을 통해 비전․가치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의견을 수렴하였으며, ③ 노사공동의 회의체운영을 통해 제시된 의견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④ 전 직원을 대상으로 비전 및 가치체계 개선(안)에 대한 의견수렴을 실시했다. 또한, ⑤ 기관의 핵심인재들로 구성된 실무추진반 운영을 통해 세부 전략과제를 도출하고, ⑥ 경영진 및 직원대표 등이 참여한 경영전략회의를 통해 비전 및 가치체계를 최종 검토하고 의결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 추진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양봉환 원장은 취임이후 소통의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기관의 미션․ 비전에 대한 공유와 공감을 통해 구성원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개인과 조직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기 위해 워크숍, 설명회 등 직원들과의 소통의 장을 수시로 마련하고 의견을 경청하는 등 열린경영을 실천하며 노사파트너십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정원 노동조합 양국석 위원장은 “지난해 기관이전 및 소통의 부재로 인해 노사분규가 발생하는 등 심각한 어려움을 겪은 바 있으나 신임 기관장의 열린경영 실천으로 노사 간 상호신뢰와 존중의 계기가 마련되는 등 노사상생의 조직문화가 조성되어 가고 있다. 조합에서도 기정원이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함께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봉환 원장은 “이번에 수립된 기정원의 비전은 전 직원의 의견을 담아 일류 공공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정원의 강력한 의지가 담겨있다.”며, 경영목표 달성을 통해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여 갈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기정원은 비전선포식을 마치고 대전 법동시장 상인회와 1사1전통시장 자매결연을 체결하고, 설명절 전통시장 장보기 캠페인 등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기정원은 2002년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에 따라 설립되어 중소기업이 급변하는 경쟁환경에 능등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정보화 및 기술인력 양성 등 혁신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준정부기관으로 연 4천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R&D지원 등을 집행하고 있음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5","atchfileNm":"기정원 비전선포식 보도자료(0122).hwp","viewCnt":"4489","regDate":"2014-01-22 13:26:48"},{"contentId":"25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제5대 양봉환 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2","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5대 양봉환 원장 취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제5대 양봉환 원장 취임식을 12월 11일(수) 11:00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 신임 양봉환 원장은 행시 30회로 중소기업청 행정법무담당관, 인력지원과장, 기술개발과장, 금융지원과장, 정책총괄과장, 부산울산지방청장, 광주전남지방청장, 소상공인정책국장, 생산기술국장 등 중소기업 현장과 정책업무를 두루거친 중소기업 정책전문가이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및 정보화경영 지원업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난 2002년 1월 설립된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 지난 9월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29조에 따라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3개월에 걸친 기관장 선임절차를 거쳐 중소기업 육성 및 기관경영에 뛰어난 경륜과 창의적인 경영이념을 갖춘 양봉환 전 중소기업청 생산기술국장을 제5대 원장으로 선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양봉환 신임원장은 취임사를 통해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기정원의 개혁과 변화를 위한 5가지 실천약속을 제시했다.   ①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인재양성을 전담하는 중심기관으로 거듭나야 한다”며, “각자가 맡은 업무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연구를 바탕으로 고객인 중소기업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음과 업무자세를 새롭게 가다듬고, 기관의 설립목적에 맞게 기관의 비전과 목표를 직원들과 함께 정립해 나겠다”고 밝혔다. ② 또한, “공공기관 직원으로서의 소양을 갖추고 중소기업 관련업무의 전문가로 거듭나기 위해 소질과 적성을 고려한 능력위주의 인사를 제도화하여 개개인의 잠재적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③ 아울러, “직원들이 높은 자긍심과 애착을 가질 수 있는 조직을 만들어가기 위해 기관의 미션과 비전이 직원 개개인의 삶의 비전이 되고, 자기발전의 원동력이 되도록 하겠다”고 조직운영의 비전을 제시했다. ④ 그리고 “우리 사회는 특히 공공기관에 대해 높은 청렴과 윤리를 요구하에 따라 중소기업 지원기관으로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윤리성과 청렴도를 의심받는 경우, 국민으로부터 신뢰와 권위를 잃어 업무수행에 치명적인 상처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모든 것을 법과 원칙에 따라 처리할 것”이라며, 임직원 모두가 중소기업 지원 과정에서 투명성과 객관성, 공정성을 유지해 줄 것을 당부했다. ⑤ 마지막으로, “직원들 모두와 마음을 열고 진심으로 소통하겠다”며 “직원들과 함께 기정원 앞날을 고민하고, 직원 한명한명의 꿈에 대해 경청하고 즐거운 일터가 될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한편, 기정원노동조합은 “제5대 양봉환 원장의 취임을 환영한다”는 현수막을 게시하고, 지난날 노사 간의 갈등을 청산하고, 노사가 함께 기관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노사상생의 의지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4","atchfileNm":"양봉환 원장 취임 보도자료(1211).hwp","viewCnt":"5077","regDate":"2013-12-11 15:21:32"},{"contentId":"25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서울경제(6.20일자) 보도관련 해명자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1","contentsKor":" 보 도 해 명 “중기 이해연수 사업 3년째 같은 회사서 독식” 및 “기정원 예산 몰아주기 의혹”(6.20, 서울경제신문) 기사에 대한 해명 <보도내용(6.20, 서울경제신문)> ① 지난해 선정됐던 3곳이 올해도 고스란히 선정될 것이며, 같은 회사가 3년째 독식할 것이라는 주장 ② “특성화고 대상 연수 운영실적 보유”라는 신청자격 요건으로 인해 민간 중소기업의 이해연수 참여가 어렵다는 이유 ③ 부산의 A공고의 경우 이미 중소기업 이해연수를 위한 입찰공고를 통해 세계인재개발원이 단독으로 응찰해 선정 ④ 충남대 출신인 세계인재개발원장과 동문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출신 관계자들이 밀접한 관계에서 예산 몰아주기 ⑤ 기정원 원내 워크숍을 세계유스호스텔 직영 화양청소년수련원에서 실시 □ 기사 내용에 대한 해명 ① 작년의 3개 업체가 그대로 선정될 것이라는 주장은 향후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를 통해 고득점 순으로 결정될 것이므로 ‘12년 참여업체가 선정될지 여부는 모르는 상황이며,지속적으로 해오던 업체라 하더라도 수준 높은 곳이 선정되는 것은 당연한 것임 ㅇ 특정 업체로 거론된 세계인재개발원은 2년간(‘11~’12년) 이해연수에 참여한 업체는 맞으나, ‘13년 연수기관 선정이 안 된 상태에서 3년째 같은 회사에서 독식이라는 표현은 맞지 않음 ㅇ 이해연수의 핵심은 연수의 품질 수준이며, 이를 위해 ‘11년 이후 경쟁방식을 도입하고 연도별 연수 물량을 고려하여 연수업체 수를 관리하고 있음 ㅇ ‘13년의 경우, 연수인원이 집체연수 기준 171개교 6,840명 상당으로 예상되어 연수기관의 적절한 경쟁체계를 유지하면서, 이해연수의 품질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는 차원에서는 연수기관을 3개 이상 늘리는 것에 대해 신중히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봄 ② “특성화고 대상 연수 운영실적 보유”라는 신청자격 요건 때문에 이해연수 사업에 참여가 어렵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님 ㅇ 사업공고 上 “특성화고 대상 연수 운영실적”은 중소기업 이해연수 실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특성화고 관련 포괄적인 연수실적을 의미 ㅇ 실제로 ‘13년에 접수된 8개 기관의 경우 특성화고의 교원연수, 학부모연수, 취업캠프, 직업진로 체험, 교직원 워크숍 등 다양한 특성화고 관련 연수실적을 인정하도록 하고 있음 ③ 부산의 A공고가 ’13.6.3~6.5일까지 53명의 맞춤반 학생을 대상으로 세계인재개발원과 계약을 체결하고, 이해연수를 추진한 것은 사실로 확인되었으나, 이는 ‘13년 이해연수기관 선정이전에 학교가 단독으로 처리한 사항으로 해당 이해연수 비용은 동 사업비로 인정되지 않을 것임 ④ 충남대 출신인 세계인재개발원장과 동문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전ㆍ현직 직원은 동 사업과 무관 ㅇ 위촉계약직 1명(‘07.4~’08.6, 당시 지식경영부), 인턴 1명(‘13.5~현재, 기술혁신지원본부 근무)으로 이해연수 사업과는 전혀 무관 ㅇ 특정 연수기관에 예산을 몰아준다는 것과 관련하여 사업전담기관인 기정원은 외부전문가 평가를 통해 복수의 이해연수기관만 선정하고, 각 학교가 실정에 맞는 연수기관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므로 기정원이 예산을 몰아주는 말은 적절치 않음 ⑤ 화양청소년수련원에서 실시된 직원 워크숍은 2012년 대폭 개편된 R&D지원체제와 관련하여 주무부처와 원활한 소통과 기관이전 계획에 따른 직원과의 격의 없는 대화 등을 위해 추진되었으며, ㅇ 화양청소년수련원은 주무부처의 참여를 고려한 것으로 편의성 차원에서 선택되었을 뿐 특별한 의도를 갖고 추진한 것이 아님 ※ 자세한 사항은 기술인재양성부 오주환 부장(042-388-0330)/한명수 책임(042-388-0144)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3","atchfileNm":"서울경제_보도해명.hwp","viewCnt":"6317","regDate":"2013-06-21 09:48:45"},{"contentId":"25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대전 시대 개막 - 세계 일류 기관으로 도약 발판 마련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대전 시대 개막 - 세계 일류 기관으로 도약 발판 마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관 이전 안내 ․ 이전일 : 2013. 03. 05(화) ․ 업무개시일 : 2013. 03. 11(월)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386-2, 3번지 대덕테크비즈센터(TBC) 6, 7층 ․ 연락처 : 042-388-0100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오는 3월 5일 대전지역 대덕테크비즈센터(TBC) 건물 6, 7층에 새 둥지를 틀고, 세계 최고 수준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기관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기정원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한 지방이전 대상 공공기관은 아니지만 자발적으로 동참하기로 하고, 기관이전을 준비해왔다. 이전으로 인해 고객인 중소기업의 접근성과 업무 편의성이 크게 개선됨과 동시에 중소기업의 기관 방문을 통해 대전지역 경제 발전 및 지역 경쟁력 강화에도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나아가 주무부처인 중기청을 비롯하여 세종시에 집중되는 관련 부처, 대덕연구개발특구에 밀집된 1,266개의 R&D 기관 및 유관기관과의 효율적인 업무 공조를 통해 중소기업 육성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기정원 또한 정규직 기준으로 연간 근무일수의 12%에 해당하는 대전시 출장이 줄어들어 시간적, 재무적 낭비요인을 제거하는 등 업무 집중도를 높여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아울러 지난 11월 개최된 311회 정기국회에서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개정으로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위한 정책연구 및 중장기기획’ 업무가 기정원의 주요기능으로 추가됨에 따라 기정원의 기능이 보강되었다. 이전과 더불어 이러한 변화는 기정원이 명실상부한 중소기업 기술혁신지원 전담기관으로 거듭날 토대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 윤도근 기정원장은 “중소기업 친화적인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기정원의 기관이전으로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여 중소기업이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최첨병 역할을 다하겠다.”며 기관의 최우선이 중소기업임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 기정원은 2020년까지 중소기업의 혁신역량강화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기술혁신지원 전문기관을 향해 도약해 나갈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2","atchfileNm":"(130228) 기관이전 보도자료(최종).hwp","viewCnt":"6174","regDate":"2013-02-27 17:52:30"},{"contentId":"25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세계 일류 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포부 밝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9","contentsKor":" 기정원 '세계 일류 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포부 밝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노사협의를 통해 오는 3월 5일부터 3월 7일까지 이전을 완료하기로 합의하였다고 밝히면서, 10년여의 여의도 시대를 마감하고 대전에서 유관기관과 공조하여 세계 일류 기술혁신지원기관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지난 2002년 중소기업 정보화지원 전문을 위해 설립된 기정원은 2006년 기술혁신 지원으로 무게중심을 옮겨 2013년에는 4,000억원이 넘는 중소기업 R&D 지원 등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발전해 왔다.    * 정원 : (02) 30명 → (13) 72명(140% 증), 예산 : (02) 350억 → 4,000억(1,043% 증) □ 더욱이 개원 10주년을 앞둔 2011년부터 세계 일류 기술혁신지원이 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고 대대적인 혁신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자체적으로는 2년간 연평균 12억원 상당의 평가관리예산을 절감하여 아깝게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한편, 중소기업에 대하여는 대폭적인 평가기간 단축과 평가부담 완화 등 애로해소 및 R&D 조기착수를 지원한 결과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91.4점을 획득하는 등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또한, 평가위원들의 기술경영분야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각계의 의견 수렴을 거쳐 R&D 평가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R&D 지원기관 최초로 평가위원에 대한 기술경영(MOT) 교육과정을 기정원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평가위원의 평가역량이 향상되었다는 각계의 평가를 받고 있으며,  ◦ 감사원, 국회, 각종 언론에서 지적해 왔던 R&D 분야 정부지원금의 투명한 사용을 위해 역시 국내 최초로 연구개발 과정에 필요한 연구기가재 및 재료의 전자적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구매지원시스템”을 정부지원 없이 기정원 자체예산으로 구축·운영하여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금의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조성에 기여했다는 평이다.  <기정원 주요 혁신 성과> ◈ 고객만족도 : (10) 84.1점 → (11) 86.7점, R&D 지원 만족도 : (10) 82.2점 → (11) 86.2점 ◈ 예산절감 : (11) 12억 절감, 8개 기업 추가지원, (12) 11억 절감, 8개 기업 추가지원 ◈ 공공기관 경영평가 : (10) 90.0점 → (11) 91.4점 ◈ 평가기간 단축 : (11) 139일 → (12) 77일(44.6% 단축) ◈ 평가위원 기술경영(MOT) 교육, 발표자료 작성폐지, 대면평가 기회확대 등 중소기업 부담완화 등을 통한 중소기업 평가만족도 개선 : (개선전) 3.92점 → (개선후) 4.02점 □ 이러한 가운데 기정원은 대전지역으로 기관이전을 추진하면서 노조가 파업까지 하는 등 갈등이 있었으나 최근 노사합의를 이루어 다행이다.  ◦ 윤도근 기정원장이 기관이전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이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성과를 내려고 노력해야 하는데, 연간 정규직 직원 12% 상당이 대전으로 전일 출장을 가야 하는 현재 구조로는 아무리 혁신을 해도 한계가 있으며, 향후 경제 관련부처가 모두 세종시로 이전하게 되면 대전지역 출장수요가 15%가 넘을 것이 확실시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 기정원 노조에서도 기관이전이 불가피하다는데 이의가 없고, 다만, 이전으로 인한 직원들의 불편을 최대한 해소해 달라는 것과 이전시기를 늦추자는 것이었다.  ◦ 기정원 노사 양측은 이전시기 및 직원들의 불편해소 방안에 대한 이견으로 파업까지 겪는 갈등 속에서도, 22차례에 걸친 노사교섭과정을 통해 노사 양측의 이견을 해소하고, 노사 합의를 통해 이전을 추진하게 되었다.  □ 오는 3월초 대덕시대를 맞는 기정원이 약 15%로 전망되는 행정력 낭비요인을 제거하고, 중기청을 비롯하여 세종시에 집중되는 관련부처, 그리고 대덕연구개발특구에 밀집된 1,266개의 R&D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그들이 목표하는 세계 일류 기술혁신지원기관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본다.       * 대덕특구 R&D 기관 현황 : 출연연(30개), 공공기관(8개), 국공립기관(14개), 비영리기관(30개), 교육기관(5개), 기업(1,179개) 등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1","atchfileNm":"★(130116)기관이전확정관련 보도자료_최종.hwp","viewCnt":"5865","regDate":"2013-02-27 17:49:52"},{"contentId":"25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청렴계약 이행 준수를 위한 협력업체 초청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8","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청렴 실천에 앞장서고자 오는 6월 5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청렴계약 이행 준수를 위한 협력업체 초청 간담회’를 개최한다. □ 이번 간담회 초청대상은 청렴 취약분야가 될 수 있는 계약과 관련한 분야로, 최근 2년간 기정원과 계약체결 경험이 있는 40개 업체이다. 특히 윤도근 원장이 직접 간담회에 참석하여 협력업체들과 함께 지속적인 동반성장의 바탕이 되는 윤리경영과 청렴계약제 정착의 중요성을 논의할 예정이다. □ 윤도근 원장은 “선진화된 계약문화를 정착하여 청렴문화를 확산하고자 하며, 이는 상호간의 의지와 노력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 만큼 협력업체들을 초청하는 자리를 마련했다.”며 간담회 취지를 밝혔다. □ 기정원은 이와 관련하여 올해 3월 관련 규정을 개정하여 2천만 원 이상 계약 시 청렴계약이행서약서를 필수적으로 제출하게 하는 등 다양한 부패방지책도 마련하고 있다. □ 이 밖에도 기정원은 ‘청렴제안방’과 ‘반부패신고 및 청탁등록’ 창구를 개설하는 한편, 간부직 청렴리더십 확립을 위한 자율시책 공모, 청렴포인트제 도입, 청렴도 제고를 위한 직급별 간담회 개최 등 지속적인 임직원의 노력을 통해 기관 청렴도를 한 단계 이상 끌어올린다는 각오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청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기술기반 창업 및 성장촉진을 통한 안정적인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는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0","atchfileNm":"보도자료_청렴계약 이행 준수를 위한 간담회_v2.hwp","viewCnt":"6080","regDate":"2012-06-05 09:07:18"},{"contentId":"25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CEO 정보화 특강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7","contentsKor":"  중소기업 CEO 정보화 특강 개최 - 5월 17일 10:00~14:00, 양재동 EL 타워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오는 5월 17일 양재동 EL 타워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중소기업 CEO 정보화 특강’을 무료로 개최한다. □ ‘중소기업 CEO의 경영전략 및 정보화 마인드 고취’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특강은 중소기업의 CEO 및 임원들이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정보화 마인드를 제고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 이번 특강은 수요조사를 거쳐 설문대상자들이 가장 선호한 ‘정보화경영전략’ 분야와 ‘신정보화 트렌드’ 분야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며, 강의에 앞서 윤도근 기정원장이 정보화 마인드 제고를 위해 참석한 CEO들을 대상으로 강연하고 소통하는 시간도 마련되어 있다. □ 특히 중소기업주간을 맞이하여 실시되는 이번 특강은 미리 교육을 신청한 사람 이외에도 현장에서 바로 수강 가능한 공개강좌로 개설되어 더욱 많은 사람들이 정보화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추진된다. □ 윤도근 기정원장은 이번 행사에 앞서 “중소기업의 정보기술의 활용이 기업들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경쟁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CEO의 정보화 마인드는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행사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청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기술기반 창업 및 성장촉진을 통한 안정적인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는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이다.","viewCnt":"6028","regDate":"2012-05-16 11:41:10"},{"contentId":"25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1기 SNS 기자단 출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6","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SNS 기자단이 중소기업의 R&D와 정보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본격적인 활동에 나선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지난 4월 18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1기 SNS 기자단 발대식을 개최했다. 기자단은 대학생 4명, 특성화고교생 1명, 총 5명으로 구성되었다. □ 이날 발대식에서 위촉장을 수여받은 기정원 SNS 기자단은 우수 중소기업/학교 현장취재, 기정원 행사취재, 중소기업 관련 글 기고 및 유용한 정보의 확산 등을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 개선에 앞장서게 된다. □ 기자단은 오는 5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며, 기자단의 활동과 기사는 기정원에서 운영하는 페이스북(www.facebook.com/tipasns) 및 트위터(@tipasns)와 개인 SNS를 통해 만나볼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 윤도근 기정원장은 발대식에서 “SNS 기자단 활동으로 중소기업과 중소기업의 육성의 중요성을 함께 공감하고, 우리 기관이 고객과 더불어 국민 모두와 올바르게 소통하는 밑거름이 되어주길 바란다.”라고 기자단을 격려했다.   ","viewCnt":"6293","regDate":"2012-04-20 16:59:35"},{"contentId":"25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10년사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5","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10년사 발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창립 10주년을 기념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10년사’를 발간했다.   □ 이번 발간된 10년사는 총 290여 쪽 분량으로 기관의 과거와 현재를 담은 역사와 더불어 미래상을 담고 있으며, R&D지원사업, 정보화지원사업, 경영혁신지원사업, 중소기업인력양성사업의 4가지 부문사를 수록하여 10년간의 기관의 성장과정과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 나아가 10년 동안 중소기업을 지원해 온 부문별 통계도 수록하여 보는 이들에게 알찬 정보도 제공하는 한편, 부문별 우수사례, 10년 10대뉴스, CEO 인터뷰, 사진자료 등 재미있는 볼거리 또한 담고 있다. □ 10년사는 중소기업청과 관련기관 등 300여 곳에 배포되며, 기정원홈페이지(www.tipa.or.kr)에서도 무료로 읽어볼 수 있다.   □ 윤도근 기정원장은 발간사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10년사’는 그 동안의 발자취를 기록․관리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발간한 것”이라며 각계 요원들의 많은 이용을 바란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청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기술기반 창업 및 성장촉진을 통한 안정적인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는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9","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 10년사 발간.hwp","viewCnt":"6318","regDate":"2012-03-29 17:54:43"},{"contentId":"25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SNS 기자단 모집(대학생/특성화고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4","contentsKor":"  기정원 SNS 기자단 모집 - 중소기업에 관심 있는 대학생 모여라 ! - 모집 및 활동개요 o 모집대상 : 수도권 소재 대학(원)생(휴학생 포함), 특성화고 재학생 o 우대사항 :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를 활발히 운영하는 사람 o 모집기간 : '12. 03. 20(화)~30(금) 18:00까지 o 활동기간 : '12. 04~12월(9개월) o 모집인원 : 6명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제1기 SNS 기자단을 모집한다. 모집 대상은 수도권 소재 대학(원)생, 특성화고교 재학생으로 총 6명으로 구성한다.  □ 기정원 SNS 기자단은 오는 4월부터 12월까지 기정원에서 운영하는 페이스북과 트위터, 개인 블로그 등을 통해 중소기업/학교 현장취재, 기정원 관련 행사취재, 중소기업 관련 글 기고 등과 더불어 기정원 SNS에 올라오는 글의 RT, 공유, 스크랩 등을 담당하게 된다. □ 지원 희망자는 오는 30일까지 기정원 홈페이지(http://www.tipa.or.kr)공지사항에서 지원서 양식을 내려 받아 작성한 후 전자우편(ysj126@tipa.or.kr)으로 접수하면 된다. □ 기자단으로 선발된 학생에게는 활동확인서 발급 및 소정의 원고료 지급 등 다양한 혜택과 지원이 따를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8","atchfileNm":"붙임_SNS 기자단 모집_지원서_자소서 등.hwp","viewCnt":"5160","regDate":"2012-03-20 14:08:46"},{"contentId":"25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고민 컨설팅으로 풀어보세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3","contentsKor":"  "중소기업의 고민" 컨설팅으로 풀어보세요! - ’11년 125억원, 中企에 최대 1천만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은 중소기업청(청장 송종호)과 함께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사업을 2012년 2월 2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 특히, 금년에는 중소기업의 「건강진단 → 처방 → 치유」의 단계를 거쳐 문제를 해결하는 「중소기업 건강검진 프로그램(별도공고)」이 운영됨에 따라 컨설팅 지원도 “건강진단 연계형”과 “수요자 선택형”으로 구분되어 시행된다.    * 건강진단 연계형 : 중소기업 건강진단 결과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처방된 중소기업에 대한 공정혁신형 컨설팅 지원    * 수요자 선택형 : 중소기업 건강진단에 참여하지 않은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개선 및 기술애로 해소 컨설팅 지원 □ 이렇게 구분된 컨설팅은 다시 지속성장 과제와 창업기업 과제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는 컨설팅이 지원될 예정이다.    * 지속성장 과제 : 생산기술, 공장혁신, 원가개선, 재무, 인사, 사업전환 등 기업이 지속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컨설팅    * 창업기업 과제 : 지속성장을 위한 컨설팅과 함께 창업절차대행, 공장설립 대행 등 창업기업 고유의 애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컨설팅 □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건강진단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중소기업 컨설팅 전용 홈페이지(www.smbacon.go.kr) 및 컨설팅 주관기관인 중소기업진흥공단(www.sbc.or.k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www.tipa.or.kr)의 홈페이지를 통해 세부 사항을 확인하여 신청할 수 있다.    - 중소기업의 컨설팅 신청은 컨설팅 기관(컨설턴트) 등록(2월 27일~3월 16일)이 완료되는 3월 20일(화)부터 가능하다. [붙임] 2012년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 계획 1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6","atchfileNm":"(0224)_중소기업의_고민_컨설팅으로_풀어보세요(기정원_경영정보화).hwp","viewCnt":"5600","regDate":"2012-02-24 16:37:44"},{"contentId":"25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녹색공정기술개발 435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2","contentsKor":" 2012년 2월 17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www.tipa.or.kr  보도자료 ∙문의:녹색성장팀 ∙팀장:이상헌(042-481-4403) ∙연구관:장영능(042-481-4406)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장:조기영(02-3787-0520)∙책임 양국석(02-3787-0530) 중소기업 녹색공정기술개발 435억원 지원 - 중기청,‘12년도「제조현장 녹색화기술개발사업」지원계획 공고 -  □중소기업의 녹색생산성* 제고를 위해 에너지·자원을 절감하고,온실가스·폐기물을 저감함과 동시에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공정기술개발에 필요한 R&D 자금이 지원된다. * 녹색생산성이란? 제조공정 과정에서 에너지 ·자원 등 투입원단위 개선과 동시에온실가스, 환경오염물질 등 배출원단위 개선을 추진하여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은 중소기업청(청장 송종호)와 함께 중소기업의 친환경․고효율 공정기술개발을 위해 2012년도 「제조현장 녹색화기술개발사업」을공고하고 참여 연구기관 및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중소기업 제조현장의 에너지·자원 절감, 온실가스·폐기물 저감 등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공정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중소사업장의 공정구조를 친환경·고효율구조로 전환시켜 온실가스 감축을 촉진하는 사업 중의 하나이다.   □ 435억원(신규 257억원, 계속 178억원) 규모의 자금으로 200개 내외의중소기업을 지원하며,   ◦유사·동종 업종에 파급성이 큰 핵심기반기술 위주로 지원하는 산·연협력과제와 기 개발한 우수과제를 보급·확산하기 위한 보급확산과제 및 기업 맞춤형인 기업제안과제로 구분하여 상․하반기로 나누어 지원한다.   < 과제별 추진일정 > 과제별 추진일정 구 분 공 고 신청․접수 선정평가 협약체결 산연협력과제 (132억원) 산연협력 2.17 2.17∼3.19 4월∼5월 6월 출연(연)전용 보급·확산과제(20억원) 2.17 2.17∼3.19 4월∼5월 6월 기업제안과제 (105억원) 일반과제 6월 7월 8월∼9월 10월 첫걸음R&D   □ 주요사업별 지원내용을 보면   ◦ 상반기에 지원하는 산·연협력과제는 출연(연) 등 전문연구기관과중소기업이 공동개발 형태로 수행하는 과제로서 개발기간 2년 이내에서 최대 6억원까지 지원하며, - 지정공모기술에 대해 중소기업-연구기관이공동개발하는 산연협력과제와   - ‘중소기업지원 전담조직’을 보유한 출연(연)이주관기관이 되어자체 발굴한 기술에 대해 출연(연)-중소기업이 공동개발하는 출연(연)전용과제로 나누어진다.   ☞ ‘출연연 전용과제’(신설)는 연구역량과 인프라가 뛰어난 출연(연)의 중소기업지원 확대를 위해 산연협력과제 지원예산(132억원) 중 60억원을 전용 배정함   ㅇ 보급·확산과제는 사업성과 제고를 위해 연구기관에서 기 개발된우수과제를 유사·동종 업체에 보급하기 위해 추가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과제로서, 1년 이내에서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 ‘보급·확산과제’(신설)는 산연협력과제를 통해 기 개발된 과제 중 파급효과가우수한과제를 동종업종에 보급·확산하기 위한 추가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신설 ◦ 하반기에 지원하는 기업제안과제는 기업현장의 특화된 기술을 기업이 단독으로 개발하는 과제로 개발기간 1년 이내에서 최대 2.5억원까지 지원하고,   - 올해 신규로 추진하는 첫걸음 R&D는 정부 R&D를 한 번도 지원받지 못한 중소기업만을 대상으로, 1년 이내 최대 2억원까지 지원하게 된다. ☞ ‘첫걸음 R&D’(신설)는 중소기업 R&D 진입장벽 완화를 위해 기업제안과제 지원예산의 50%에 해당하는 50억원을 전용 배정   < 과제별 지원조건 > 과제별 지원조건 구 분 개발기간 및 금액 지원방식 정부출연금 비중 산연협력과제 산연협력 최대 2년, 6억원 지정공모 총 사업비의 75% 이내 출연(연)전용 출연(연)자체발굴 기업제안과제 일반과제 최대 1년, 2.5억원 자유응모 첫걸음R&D 최대 1년, 2억원 보급·확산과제 최대 1년, 1억원 기 지원한 산연협력과제 총 사업비의 50% 이내   □ 우리나라는 에너지 97%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면서도 低에너지효율, 에너지 다소비산업 高비중의 경제구조로 외부위험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에, 제조공정 과정의 기술개발지원을 통해 에너지 고효율화와 자원절약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친환경 산업구조로의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오는 2.17부터 3.19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www.smtech.go.kr) 홈페이지에 게시된 신청양식 등을 참조하여 온라인 신청하면 된다.   ◦ 향후 추진과정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및 각 지방 중소기업청이실시하는 “대면평가→현장평가→지원과제 선정”을 거쳐 6월중에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붙임> 제조현장 녹색화기술개발사업 개요 1부.     <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 개요 >       ■ 사업개요   ◦ 중소기업의 녹색경영 촉진과 녹색생산성 제고를 위해 에너지·자원을 절감하고, 온실가스·폐기물을 저감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공정기술개발에 필요한 R&D자금 지원   ■ 지원규모 : 435억원(신규 257억원, 계속* 178억원)   * 계속 178억원은 지난해에 선정된 산연협력과제(2년 과제) 지원예산임.   ■ 지원내용 (신규 257억원)   ①산연협력과제(72억원) : 기술수요조사 등에 의하여 도출된 지정공모기술에 대해 중소기업-연구기관의 공동기술개발(산-연) 형태로 수행하는 기술개발과제   ② 출연(연)전용과제(60억원) : 출연연의 중소기업지원강화를 위해 ‘중소기업지원 전담조직’을 보유한 출연연이 주관기관이 되어 출연연-중소기업간 공동기술개발전용사업으로지원   * 동 사업에 참여하는 출연(연)은 기존 산연협력과제 참여 제한 * 출연(연)전용기술개발사업은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공고(‘12.1.31) 참조 - 대상사업(250억원) : 제조현장녹색화(60), 이전(50), 융복합(50), 연구장비활용(90)   ③ 기업제안과제(105억원) : 중소기업 제조현장의 녹색화 관련 공정기술개발을 위해 기업 단독기술개발 형태의 기업맞춤형 자유응모 과제   - 일반과제(55억원) : 중소기업 단독기술개발 형태의 녹색화 공정기술개발을 지원   - 첫걸음R&D(신설, 50억원) : 정부 R&D를 한 번도 지원받지 못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녹색화 공정기술개발을 지원   ④보급확산과제(20억원) : ‘11년까지 완료된 산연협력과제 중 기술적·경제적파급효과가 우수한 과제를 유사·동종 업종에 보급·확산하기 위한 추가개발 지원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5","atchfileNm":"보도자료_제조현장 녹색화R_D.hwp","viewCnt":"5002","regDate":"2012-02-20 16:50:48"},{"contentId":"25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립 10주년 기념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립 10주년 기념식 개최 - ‘기정원 10년의 회고와 미래 발전방향’ 패널토론도 열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립 10주년 기념식 ㆍ일시 : 2012년 1월 17일(화), 10:30~ ㆍ장소 : 중소기업중앙회관 그랜드홀 ※ 비전선포식 : 11:05~30  - 비전동영상 관람, 비전선포, 직원선서, 타임캡슐 봉인식 ※ 주제발표 및 패널토론 : 13:30~15:00, 2층 대연회실  - 기정원 10년의 회고와 미래 발전방향  - 패널(김익성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 나도성 한성대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장, 김호영 한국경제신문 부소장, 홍지승 산업연구원 중소벤처기업연구실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이 창립 10주년을 맞아 오는 1월 17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중소기업중앙회관 그랜드홀에서 창립 10주년 기념식을 개최한다.   □ 이번 기념식은 기정원이 걸어온 10년을 되돌아보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기념식은 개막식, 비전선포식, 타임캡슐 봉인식, 주제발표 및 패널토론 등을 주요 골자로 하여 진행된다. 특히, 기념식 중 ‘비전동영상 상영’, ‘비전선포’를 통해 향후 ‘세계일류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와 혁신을 실천할 것을 대내외에 알릴 예정이다. □ 아울러 기정원 10년의 발전을 위해 기여해주신 분께 감사패를 증정하는 시간도 갖는다. 초대 임원으로서 기정원의 설립과 발전에 기여한 박삼규 초대이사장, 백낙기 초대원장과 더불어, 기정원이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후원을 아끼지 않은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의 공로에 감사의 의미를 담아 패를 전달할 예정이다. □ 한편, 오후 1시 30분부터 2층 대연회실에서 ‘기정원 10년의 회고와 미래 발전방향’을 주제로 패널토론이 진행된다. 박찬홍 기정원 전략기획실장의 주제발표에 이어, 김익성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 나도성 한성대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장, 김호영 한국경제신문 부소장, 홍지승 산업연구원 중소벤처기업연구실장, 윤도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이 패널로 참가하여 향후 기정원의 위상과 비전을 모색하는 자리를 갖는다. □ 이번 기념식을 통해 기정원은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일류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모든 임직원이 총력을 기울이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청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중소기업이 기술개발, 정보화, 경영컨설팅, 기술인재양성지원 등을 통해 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소기업 성장에 기여하는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4","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 10주년 기념식 개최.hwp","viewCnt":"4500","regDate":"2012-01-25 11:33:26"},{"contentId":"25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마포 공덕시장과 자매결연 협약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마포 공덕시장과 자매결연 협약식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나섰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지난 8월 18일 마포 공덕시장과 자매결연 협약을 체결하고 전통시장 활성화에 앞장서기로 했다. 마포 공덕시장은 기정원과 가까운 위치, 물품공급의 용이성, 먹거리가 발달한 점이 장점으로 부각되어 협약 시장으로 선정됐다. □ 기정원은 이날 협약식에서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을 ‘전통시장 가는 날’로 정하여 임직원의 자발적인 전통시장 이용을 유도하는 한편, 각종 행사시 전통시장 이용하기, 기관 및 임직원의 온누리 상품권 구매를 통해 전통시장 이용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독려하여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기정원 윤도근 원장은 “이번 협약이 품질 좋고 저렴한 가격의 물품을 판매하는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이끄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공공기관 임직원이 사명감을 가지고 전통시장을 앞장서 이용하는 것이 우리 경제 살리기에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전통시장 이용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했다. □ 나아가 기정원 임직원은 협약식 이후 시장에서 저녁식사를 함께하고 직접 장보기에 나서 협약의 의미를 몸소 실천했다. □ 이번 협약은 지난 6월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장․차관 국정 토론회’에서 제시한 경제 활성화 방안의 실천을 위해 중기청이 마련한 ‘전통시장 가는날’ 선포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3","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과 마포공덕시장 협약식 개최.hwp","viewCnt":"4283","regDate":"2011-08-22 16:13:11"},{"contentId":"25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우리은행과 출연협약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우리은행과 출연협약식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사진 오른쪽, 이하 기정원)은 우리은행(은행장 이종휘)과 지난 3월 21일 기정원 3층 대회의실에서 중소기업 R&D 지원을 위한 출연협약식을 개최했다. □ 이번 출연협약으로 우리은행은 기정원에 3억 원의 출연증서를 전달했다. 기정원은 이번 출연금을 중소기업 R&D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반마련에 활용하기로 했다. □ 윤도근 원장은 이날 협약식에서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 R&D에 필요한 5M인 인력(Man), 자금(Money), 장비(Machine), 자재(Material), 수단(Method)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소개한 뒤, “앞서 말한 5M 중 자재(Material)부분 지원이 조금 취약한 부분”으로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우리은행이 중소기업의 R&D 기반강화에 선도적으로 동참해 준데 대하여 감사의 뜻을 전했다. □ 이어 윤 원장은 “출연받은 3억 원을 R&D에 소요되는 원부자재 공급 Market Place 개발 등 R&D 지원기반 확충에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R&D 과정에 어려움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 나아가 “우리나라는 원자재, 부품 등의 일본 의존도가 매우 높아서 일본 대지진 여파로 특히 중소기업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중소기업에 사회 각계 각층의 관심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청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중소기업이 기술개발, 정보화 등을 통해 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R&D중심의 서비스 전문기관”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2","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우리은행 출연협약식 개최_ver4(최종).hwp","viewCnt":"4250","regDate":"2011-08-08 15:34:23"},{"contentId":"25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4대 윤도근 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8","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4대 윤도근 원장 취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제4대 원장에 윤도근 신임원장이 부임해 오는 12월 3일부터 공식 업무에 들어간다. 취임식은 12월 3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9층 R&D 평가장에서 개최한다. □ 윤도근 신임원장은 취임에 앞서 “우리나라 경제 기반을 굳건히 하는 것은 우리 중소기업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강소기업으로 거듭나게 하는 데에 달려있다”며 중소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중소기업 R&D 지원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이와 관련하여 “R&D중심의 서비스 전문기관으로서 기정원의 위상을 재정립해 나가겠다”며 앞으로의 기관 운영과 관련한 포부를 밝혔다. □ 윤도근 신임원장은 1953년생으로 충남대 경영학석사를 취득하였으며, 1981년 공업진흥청에서의 공직생활을 시작으로 중소기업청 기획예산법무담당관, 기업협력과장, 감사담당관, 대구경북중소기업 청장 등을 두루 역임한 중소기업 관련 전문가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1","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4대_윤도근_원장_취임_최종.hwp","viewCnt":"4981","regDate":"2011-08-08 15:32:06"},{"contentId":"25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도약하는 중소기업 세계 속에 우뚝 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7","contentsKor":" 도약하는 중소기업 세계 속에 우뚝 서다! □ 중소기업청(청장 김동선)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박창교)은『‘09년 해외기술도입지원 사업 우수사례집』을 발간하였다.   ○ 이번 우수사례집은 정부지원과제 성과가 우수한 총 6개 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사업 참여 동기와 성과, 사업만족도 및 보완점, 향후 사업 성공의 기대효과 등에 대한 생생한 인터뷰를 통하여 전달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본 사업은 해외기술도입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선정해 기술이전 계약 체결과 사업화 연계지원까지 기술도입 전 과정을 컨설팅 하는 사업이다.    ○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해외 유망기술을 발굴하여 기술도입 전 과정을 컨설팅 지원함으로써, 기술수준을 단기간에 글로벌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이다.    ○ ‘09년 해외기술도입지원 사업은 11개 기업을 선정하여 기업 당 기술도입 지원 소요비용의 80%(3천만 원 한도)를 지원하였다. □ 이번 사업에 참여한 CEO들은 한 목소리로 이번 기회를 통하여 세계 시장 속에서 우리 중소기업이 충분히 경쟁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고 밝혔다.   ○ 일본의 (주)시스템파이오니어로부터 보안 USB기술을 도입하여 독자적인 제품을 출시, 역수출하게 된 (주)라비로소프트 남운성 대표는 “기술을 도입한지 불과 6개월 만에 일본시장에 진출하는 쾌거를 올리게 되었고, 이번 사업의 성과가 글로벌 이메일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는 큰 밑거름이 될 것” 이라며 큰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 (주)시스템파이오니어 : 2006년 10월에 설립된 성장기의 IT기업으로, 이동식메모리 소프트웨어 보안관련 시스템 개발에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   ○ 러시아의 원천기술력을 도입하여 기상관측장비의 국산화를 실현하고자 한 (주)이엔 쓰리환경 김승우 대표는 “기업 단독으로 추진했다면 불가능했던 일들이 정부지원을 통해 쉽게 해결할 수 있었고, 이는 무궁무진한 시장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내었다.  * 붙임 : 기업별 사업추진 성과(요약) 1부  □  해외기술에 대한 정보력 부족과 전문 인력의 부재로 기술도입의 의지는 있으나 기회가 적은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본 사업을 통해 해외 유망기술을 도입 할 수 있는 기술교류의 장(場)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선진기술 도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본 사업을 확대해 나아 갈 계획이다.  □ 향후 세부 일정 및 자세한 문의사항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www.tipa.or.kr) 홈페이지 참조, 기술기획부(Tel.02-3787-0514) 문의하면 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0","atchfileNm":"보도자료_해외기술도입지원사업 우수사례집 발간.hwp","viewCnt":"5781","regDate":"2010-09-17 11:22:33"},{"contentId":"25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에서 성공 DNA를 발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6","contentsKor":"  중소기업, R&D에서 성공 DNA를 발견 □    중소기업청(청장 김동선)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박창교)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한 과제를 대상으로 기술성및 사업화 성과가 우수한 중소기업을 선정하여「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우수사례집」을 발간하였다.  * 제조현장녹색화 지원사업,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 이전기술개발사업 등 3개 사업 대상 □  중소기업청은 지난 ‘02년부터 ’09년까지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 이전기술개발사업 등 3개 사업에서 약 33백억원 규모로 2,700여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 과제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수준이 크게 향상 되었으며 (평균 26.4%향상), 신제품 출시 성공, 매출향상 및 신규고용(평균 12.4명) 등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 2010년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성과분석보고서 기준 - 금년도에는 3개 사업에서 357억원 규모로 205개 과제를 선정하여 지원 중에 있다.   □ 이번 우수사례집은 각 사업별로 우수과제 선정위원회를 거쳐 엄격하게 선정된 58개 기업의 연구개발 성과를 담아 수록하였으며,   - 중소기업이 연구개발을 추진하게 된 동기, 기술개발 추진과정, 난관을 슬기롭게 극복한 사례 등 R&D 사업추진 과정 및 성과 에 대한 에피소드와 CEO의 진솔한 마음이 묻어나는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개발 현장의 모습이 생생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이번 우수사례 발간으로 기업의 성장을 결정짓는 핵심요인인 기술개발의 중요성 인식확산 및 연구개발 투자가 보다 활성화되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 우수사례집을 홈페이지에 게재하여 향후 R&D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게 벤치마킹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8","atchfileNm":"우수사례 보도자료.hwp","viewCnt":"5756","regDate":"2010-09-17 11:18:01"},{"contentId":"25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10년도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회 워크숍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5","contentsKor":" □ 중소기업청과 (청장 김동선)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박창교)은 8월 31일부터 9월 7일까지 서울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240여명의 조합‧협회 및 대학‧국공립연구소의 연구회 책임자 및 기술기획위원, 사업 관계자가 참석하는 ‘2010년도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회 중간평가 워크숍’을 개최한다.   ○ 이번 워크숍에서는 119개 연구회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유사분야 연구회간 정보공유 및 벤치마킹 등의 활동을 통해 중소기업의 미래유망형 R&D 과제 발굴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회는 업종 분야별 조합, 협회 등을 중심으로 R&D 중간조직을 활성화하여, 업계 공통 애로기술 및 향후 유망기술에 대한 기획을 지원하기 위해 ‘09년부터 운영되었다. ○ 연구회는 6인 내외의 전문가로 구성되며 토론, 연구, 기술교류, 자료교환 등을 통해 관련 기술 및 산업 동향을 파악하여 지원이 필요한 기술과제 600여개를 발굴할 예정이다.  ○ '10년에는 녹색성장, 제조기반기술, 레포츠 및 의료기기, 기타 산업 등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보다 약 20%가 증가한 총 119개의 과제발굴연구회를 선정하였으며 연구회당 최대 1,250만원을 지원하였다. ○ 특히, 올해부터는 중소기업 임직원이 연구회 기술기획위원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시장 조사 및 분석과 같은 기술기획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관련 역량을 내재화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이 가능하다.  ○ 각 연구회는 9월 말까지 기획보고서를 제출하고, 11월 기술평가위원회 등의 검증절차를 거쳐 12월에 제안요청서(RFP)가 확정되며, 이 RFP를 토대로 12월 말 중소기업청의 R&D 사업계획이 공고될 예정이다. □ 김기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기획부장은 "R&D의 방향이 선진국 모방형에서 혁신주도형 또는 탈추격형으로 차츰 전환됨에 따라 유망기술에 대한 신속한 기회 포착 및 선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고, 이로 인해 기술기획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대한 과제발굴연구회의 지원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7","atchfileNm":"2010년도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회사업 보도자료.hwp","viewCnt":"6031","regDate":"2010-09-14 12:02:10"},{"contentId":"25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격제고 4대 실천방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4","contentsKor":" 01 끼어들기, 꼬리물기, 갓길운행 음주운전 안하기 02 공공장소에서와 휴대전화할 때 작은 목소리로 하기 03 깨끗한 거리와 간판 만들기 04 사이버 예절 지키기 국민 여러분의 작은 실천이 대한민국의 품격을 높입니다. ","viewCnt":"5912","regDate":"2010-04-22 10:56:58"},{"contentId":"25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블루오션형 신기술사업 고부가가치 틈새시장 공략 성공적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3","contentsKor":" 블루오션형 신기술사업 - 고부가가치 틈새시장 공략 성공적 ! -    선도형 기술혁신개발사업(블루오션지원사업) 완료과제에 대한 평가결과 매출액 성장과 종업원 수 증가 등 지원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청장 홍석우)은 ‘08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선도형 기술혁신개발사업 지원대상 업체로 경기지역 소재 (주)정원주철 등 55개 업체를 선정하고 전년(‘07년 업체당 평균지원금액 : 119백만원)보다 21백만원이 증액된 업체당 평균 140백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선도형 기술혁신개발사업은 첨단연구장비 및 슈퍼컴퓨터 활용을 통한 초정밀제어기술, 융합기술개발, 고난이도 공학해석 및 과학기술의 실용화 등으로 연구기관과 혁신형기업간의 높은 시너지(Synergy) 효과 유도를 위해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금년도에는 전년도에 비해 사업비를 100억원 증액(‘07년 150억원, ’08년 250억원)확보하고 업체당 최대지원금액을 확대(슈퍼컴퓨터 활용과제 1억원/년 →1.5억원/년)한 결과, 업체의 적극적인 관심이 유도됨에 따라 기술력이 우수한 과제가 신청되는 등 질적인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 첨단연구장비 활용과제   - 초정밀제어기술, 생명공학기술, 지능기계장비 등을 활용한 블루오션 창출을 위한 지원 과제(4억원/2년 한도 지원, 개발기간 2년 이내)     * 연구기자재 구입비, 재료비, 시작품제작비, 신규채용연구원 인건비 및 기타 제경비 등 소요비용의 75%까지 지원    ◇ 슈퍼컴퓨터 활용과제   -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제품설계 및 성능개선 과제(1.5억원 한도 지원, 개발기간 1년 이내)      * 슈퍼컴퓨터 사용료, 재료비, 시작품제작비, 신규채용연구원 인건비 및 기타 제경비 등 소요비용의 75%까지 지원    한편, ‘07년 슈퍼컴퓨터활용사업에 참여한 경남 창원시 소재 (주)이엠텍(대표이사 정승규)의 경우, 참여하기전인 ‘06년도 매출액이 255억원에서 ’08년도 예상되는 매출액은 427억원으로 67.5%의 급성장은 물론 종업원수도 81명에서 98명으로 증가하는 등 괄목한 만한 지원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소규모 중소기업인 경기도 성남시 소재 (주)경원테크(대표이사 서광원)의 경우, 반도체 산업의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Plasma 기반기술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여 참여하기전인 ‘06년도 매출액이 15억원에서 ’08년도 예상 매출액은 23억원으로 55.3%의 신장세를 보이는 등 지원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 관계자는 “동 사업을 통해 첨단 연구장비 공동 활용 및 산ㆍ학ㆍ연간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개발 제품의 세계적인 기술 산업화 실현을 위해 노력을 경주 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6","atchfileNm":"08년(상) 블루오션형 신기술사업 보도자료.hwp","viewCnt":"5666","regDate":"2008-06-17 10:18:34"},{"contentId":"25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 INSME 중소기업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2","contentsKor":"      'APEC ․ INSME 중소기업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 중소기업혁신 및 기술이전에 관한 협력 및 정보공유를 통한 中企협력 강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이하 기정원, 원장 朴彰敎)은 기정원내 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와 이탈리아 산업진흥청(IPI)내 중소기업 국제네트워크(INSME)와 비 OECD 회원국과 APEC 역내 개발도상국의 중소기업혁신 및 기술이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공동협력 사업을 추진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 이번 행사는 12월 10일(월)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한 이탈리아 산업진흥청에서 이루어 졌으며, 기정원 원장 및 중소기업국제네트워크(INSME) 회장(Mr. Paolo Anselmo) 등 양국의 관계자가 참석하였다.  ○ 중소기업국제네트워크(INSME)는 중소기업 글로벌 경쟁력을 위하여 중소기업 혁신 및 기술이전 전문중개기관과의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있는 단체로서, 중소기업 혁신 및 기술이전 분야에 있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국가간 협력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이탈리아 산업진흥청내에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다.(2006년 현재 82개 회원 등록) □ 이번 양해각서의 주요 내용은,  ○ 중소기업 관련 행사, 각종 활동 및 교육 프로그램 등에 관한 정보를 확산하고, 아래 분야의 전문자료 및 우수사례에 관한 정보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상호 교환 및 공유 한다         - 중소기업 및 중소기업혁신에 관한 경쟁력, 기술이전 및 기술이전 네트워크, 비 OECD 회원국과 APEC 역내 개발도상국을 위한 지원정책     - 중소기업의 경쟁력 및 혁신을 위한 정책과 중소기업 금융지원 정책     - 중소기업 경쟁력 향상 및 중소기업혁신을 지원하는 공공 및 민간 중개기관 및 네트워크  ○ 타 지역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기업이익에 관한 구체적인 분야의 교육 과정 및 세미나를 실시하여 전문적 지식을 제공하고 이를 활성화 한다 □ 기정원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인해, 국내 및 비 OECD 회원국과 APEC 역내 개발도상국의 중소기업에게 기술이전 관련 전문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해외 선진 기술협력 동향 파악 및 기술협력 능력배양을 달성하고, 나아가 중소기업혁신 및 기술이전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붙 임 : 1. INSME(International Network for SMEs) 개요           2. 양해각서(한글 및 영문)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5","atchfileNm":"18. 보도자료(071210조간) APEC,INSME 중소기업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hwp","viewCnt":"4888","regDate":"2007-12-06 10:02:19"},{"contentId":"25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지역사회맞춤형취업지원 취업캠프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1","contentsKor":"   내‘일(job)’을 위한 도약 - 고학력 미취업 청년여성 취업전략캠프 개최 - ○ 고학력 미취업 여성으로서의 차별화된 취업전략 구축 유도 및 취업의지 고취, 성공적인 면접을 위한 대화법과 프리젠테이션 방법 제시 등 다양한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 여성가족부 지원 사업기관 43개 대학에서 100여명 참석 ❏ 여성가족부(장관 張夏眞)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朴彰敎)은 2007년 지역사회 맞춤형 취업지원사업을 통해 양성한 청년여성 수료생의 취업의지 고취 및 취업역량 강화를 위하여 12월 5일(수)~6(목)까지 1박2일간 대전 호텔스파피아에서 「취업전략캠프」를 개최한다.   지역사회 맞춤형 취업지원사업은 여성가족부가 고학력 미취업 여성들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의욕적으로 추진해 온 사업으로서, 올해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위탁운영기관으로서 사업을 전담하고 있다   금년에는 전국 43개 대학 총52개 과정에서 1,505명이 참가, 1,389명이 수료하여 92.3%의 높은 수료율을 달성하였으며 10월말 현재까지 358명이 취업에 성공하였다.    ※ 취업우수사례 과정 소개      - 청강문화산업대학의 “컬러코디네이터전문가과정” (색채 관련 상품기획, 소비자 조사, 색채관리 등의 색채전문인 양성)은 영우T&F Lead, ㈜시즌, ㈜마니조아 등 5개 업체와 협약 체결을 통해 수료생 30명중 24명이 취업에 성공 (10월말 현재 취업률 : 80%)      - 수원여자대학의 “트리콜로지스트 과정”(건강한 모발과 두피를 다루는 과학적인 학문으로 고부가가치의 미용전문인 양성)은 한국두피건강협회와 산학연계를 통한 취업처 발굴을 통해 수료생 25명중 19명이 취업에 성공 (10월말 현재 취업률 : 76%)   또한 본 사업에서는 교육훈련과정별로 구성되어 있는 취업지원 네트워크인 「여성희망일터지원단」을 활용하고, 취업전략 캠프 등을 통해 미취업상태에 있는 교육수료생들의 취업 지원을 위해 노력을 다할 예정이다.    ※ 여성 희망일터지원단      - 여성 취업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업체 인사부서장, 지방자치단체, 노동부, 공신력 있는 인력뱅크 관계자 등 지역의 유력 인사로 훈련과정별 10명 내외로 구성하여 훈련생에 대한 실질적 취업 정보제공 및 취업연계 등을 지원하는 취업지원 협력망 ❏ 이번 “취업전략캠프”는 하반기 취업에 역점을 두고 있는 100여명의 청년여성 수료생을 대상으로 취업의지 고취 및 취업전략ㆍ실전능력 배양 등을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첫째날, ‘성공적인 면접을 위한 대화법과 프리젠테이션 방법’, ‘특강(경제성장의 동력, 여성)’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참석자의 취업의지를 고취시키고 취업스킬 향상을 도모한다.   둘째날, ‘기업이 요구하는 바람직한 인재상’, ‘최신 취업동향 및 채용 환경 변화에 따른 취업전략’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현업 인사담당자가 얘기하는 취업준비 요령과 최신 취업정보를 습득케 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취업전략을 수립해보는 시간을 갖게 된다. ❏ 청년실업의 문제는 우리사회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이번 캠프를 통하여 미취업 청년여성들이 취업현장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붙임 : 1. 『취업전략캠프』프로그램 개요 1부        2.  2007년도 지역사회 맞춤형 취업지원사업 내용 1부        3.  취업우수사례 과정 개요 1부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4","atchfileNm":"18. 보도자료(071205조간) 지역사회맞춤형취업지원 취업캠프 개최.hwp","viewCnt":"5384","regDate":"2007-12-06 10:01:31"},{"contentId":"25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3대 원장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박창교 원장 취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의 제3대 원장으로 박창교(朴彰敎) 전 중소기업청 정책홍보관리본부장이 12월 3일 취임한다.  ○ 신임 박창교 원장은 중소기업청 창업지원과장, 감사담당관, 금융지원과장, APEC센터 준비기획단장, 호서대학교 창업대학원 교수, 정책홍보관리본부장을 역임했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경영혁신 및 정보화 지원업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지난 2002년 1월 설립된 중소기업청 산하 공공기관으로서,  ○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객인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및 경영혁신역량을 제고하는 것을 기본 사명으로 삼고, 중소기업청의 관련사업을 위탁 집행하는 기관이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 기술․경영혁신 및 정보화 종합지원기관으로 한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 중소기업 육성에 남다른 경험과 열정, 대외적 활동역량을 갖춘 박창교 전 중소기업청 정책홍보본부장을 3대 원장으로 선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신임 박창교 원장은 공직에서 중소기업 정책과 집행업무를 담당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하고,  ○ 정,관,기업계에 폭 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토대로 민간과 정부간의 원활한 교량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기정원이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지원 전문기관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할 적임자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 신임 박창교 원장은 12월 3일(월) 취임식에서 “중소기업의 기술․경영혁신 및 정보화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중소기업이 우리나라 경제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 이라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3","atchfileNm":"17. 보도자료(071203조간) 3대원장취임.hwp","viewCnt":"5573","regDate":"2007-12-06 09:48:45"},{"contentId":"25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담당자 워크샵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9","contentsKor":"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담당자 워크샵」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 이하 “기정원”이라고 함)은 오는 11월 6일부터 15일까지 10일간 APEC 역내 10개국 16명의 중소기업 정책담당자를 초청하여 서울팔래스호텔과 경기중소기업지원센터에서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담당자 워크샵』을 개최한다. 이번 워크샵은 교육 참가자들에게 성공적 기술상용화를 위한 기술협력, 자금지원, 마케팅 정책 등을 제시할 것이며, 국내 혁신기업 및 혁신클러스터(카이스트 창업보육센터, 대덕 이노폴리스 등) 등의 방문을 통하여 참가자들로 하여금 중소기업 기술상용화의 성공적 우수사례를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을 제공해 줄 것이다. 워크샵에는 말레이시아, 멕시코, 베트남, 인도네시아, 중국, 칠레, 태국,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페루 등의 10개국에서 16명의 중소기업기업 정책담당자가 교육생으로 참가하고, 대만과 한국에서 9명의 혁신정책전문가가 강사로 참여하여 강의와 토의를 하게 된다. 특히, 그룹토의 시간에는 교육 참가자들 각자가 자국에 맞는 혁신적 기술 상용화 정책에 관한 행동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2","atchfileNm":"16. 보도자료(071105조간)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담당자 워크샵.hwp","viewCnt":"4346","regDate":"2007-11-02 14:42:24"},{"contentId":"25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제 중소기업혁신컨퍼런스 홍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8","contentsKor":"   「2007 국제 중소기업혁신 컨퍼런스」개최 11월 6일(화) ~ 7일(수), 서울 팔래스 호텔 궁전홀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 이하 “기정원”이라고 함)은『기술혁신의 성공적 상용화』라는 주제를 가지고 오는 11월 6일과 7일 양일간 서울 팔래스 호텔에서 『2007 국제 중소기업혁신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2005 APEC 장관회의에서 채택된 「대구 이니셔티브」의 기치 아래 중소기업혁신관련 세계 동향 및 정책에 대한 정보와 경험의 공유를 통하여, 참가자들로 하여금 APEC역내 공동의 중소기업 혁신촉진방안을 유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2005년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에서 회원국들의 지지를 받아 ‘06년 2월 기정원에 설치된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에서 이번 행사를 주관하며, 컨퍼런스의 구성은 미국, 일본, 대만, 한국, 말레이시아, 멕시코, 태국 등의 APEC 회원국과 EU의 대표자격으로 참가한 이탈리아 등 8개국의 14개 주제발표와 각 주제별 토론으로 되어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원탁회의를 통하여 APEC 역내 중소기업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강구한다. 컨퍼런스의 주제는 중소기업의 혁신기술이 시장에서 상용화하지 못하고 사장되는 현실을 인식하여 『기술혁신의 성공적 상용화』로 선정하였다. 연사들은 이 주제와 관련하여 기술협력, 자금지원, 마케팅 등에 초점을 두고 발표하고 토의하게 된다. 이번 행사는 11월 15일까지 개최되는 『2007 중소기업 혁신리더 워크샵』과 연계하여 진행되며, 컨퍼런스 직후 11개국 워크샵 참가예정자는 주요 중소기업혁신정책 및 성공사례를 배우고 토론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참가자는 사전등록을 실시하며 15개국, 100여명을 예상한다. 컨퍼런스 프로그램 및 온라인 사전등록 등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apec-smeic.org)를 참고하면 된다. ※ 대구 이니셔티브 : 2005 APEC 중소기업장관회의 때 채택된 공동선언문으로 ‘06년부터 ’20년까지 APEC역내회원국이 중소기업혁신실행계획을 자발적으로 작성 및 자체평가하여 중소기업혁신을 촉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1","atchfileNm":"15. 보도자료(071022조간) 국제중소기업혁신컨퍼런스보도자료.hwp","viewCnt":"5231","regDate":"2007-10-23 08:54:28"},{"contentId":"25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CSR 논문 현상공고 홍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7","contentsKor":"   “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CSR) 활성화를 위한 ” “중소기업 사회적 책임경영 논문 현상공모” □ 중소기업청(廳長: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함께 경영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을 위해 일반인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제1회 중소기업 사회적 책임경영 논문 현상공모」를 추진한다고 밝힘. □ 논문 현상공모를 통해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 활성화를 위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향후 정책 발굴에 적극 활용할 계획.  ◦ 금번 현상공모에서는 보다 활발한 참여를 위해 대학(원)생 및 일반인으로 대상을 확대.  ◦ 응모주제는 산업별 중소기업 CSR 평가 기준 등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 활성화 방안과 관련이 있는 것이면 어느 주제나 무방. □ 본 공모의 심사결과에 따라 대상 300만원, 장려상 100만원의 상금을 수여하고 12월 5일 “2007 대한민국 컨설팅 혁신대전”에서 시상. □ 논문 접수기간은 9월 28일부터 11월 16일까지이며, 접수문의 및 상세설명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를 참조하거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지식경영팀(02-3787-0432)으로 문의.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0","atchfileNm":"14. 보도자료(070928조간) CSR현상논문공고보도자료.hwp","viewCnt":"4506","regDate":"2007-10-23 08:52:10"},{"contentId":"25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8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6","contentsKor":"   「제28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7년 9월 14일(금) 저녁(18:00 ~ 20:30) 광주디자인센터 이벤트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중소기업의 글로벌 일류기업 신전략」을 주제로 제28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회로 28회째인 동 포럼은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최신 정보제공 및 이해 당사자간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혁신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수요자인 중소기업 CEO, IT․컨설팅기업 및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통해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02년 말부터 개최되고 있다.   금회(제28회) 포럼은 기업의 장래가치를 높이고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경영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는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에 관한 중소기업청 나도성 차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나도성 차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중소기업의 위상 및 경영환경을 진단하고 새로운 블루오션 전략으로 CSR에 대한 중소기업의 관심과 이해를 촉구할 예정이다.   특히, 국제 표준화기구(ISO)가 기업의 CSR을 인증하는 ISO26000을 2009년부터 도입키로 해 CSR이 또 다른 무역장벽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큼에 따라, 이에 대비해 중소기업청이 추진하고 있는 체계적인 지원방안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청에서는 대기업의 CSR 실천방법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ISO26000 인증 등 국제사회의 압박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형 CSR 경영에 대한 가인드라인’을 개발․보급계획이다.  본 포럼 개최관련 참가신청 및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3787-0606)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를 참고하면 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9","atchfileNm":"13. 보도자료(070913조간) 28회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hwp","viewCnt":"4381","regDate":"2007-10-23 08:51:01"},{"contentId":"25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IMS인증기업금융지원MOU체결보도자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5","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우리은행 정보화경영체제(IMS) 지원을 위한 MOU체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과 우리은행(은행장 박해춘)은 2007년 9월 7일(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기업에 대해 대출금리 및 심사절차우대 등 금융지원을 위하여 MOU를 체결하였다. ※ 정보화경영체제(IMS: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기업이 정보화경영에 관한 표준(규격)을 충족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함으로써 조직의 지식정보화수준을 향상 및 경영의 효율화를 기하는 시스템 □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은 2002년부터 2006년까지 360여명의 전문인력(IMS 심사원)을 양성하여 1,222개 중소기업에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지원하였고 이 중 우수한 성과를 거둔 270개 중소기업이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을 획득하였다. □ 정보화경영체제는 기업의 경영활동을 효율화하고 업무프로세스를 혁신하는데 기여도가 높은 사업으로, 인증을 획득한 기업은 경영진의 의사결정시간 단축, 업무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 재고량 감소 등의 성과가 나타남에 따라 기업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 □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우리은행은 상호협조하여 정보화경영체제인증을 통해 선정된 우수한 중소기업에 대해 금융지원을 우대함으로써 중소기업들이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첨부 : 1. 정보화경영체제 인증제도 안내 1부.          2. 정보화경영체제 지원사업 현황 및 성과 1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8","atchfileNm":"12[1]. IMS인증기업금융지원MOU체결보도자료(070906).hwp","viewCnt":"4520","regDate":"2007-09-10 14:15:18"},{"contentId":"24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7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05","contentsKor":"   「제27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7년 6월 29일(금) 오전(07:00 ~ 09:00) 코엑스인터콘티넨탈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변화와 지원방안」을 주제로 제27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회로 27회째인 동 포럼은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최신 정보제공 및 이해 당사자간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혁신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수요자인 중소기업 CEO, IT?컨설팅기업 및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통해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02년 말부터 개최되고 있다.   금회(제27회) 포럼은 미래 성장 동력인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변화와 신용보증 지원방안에 대해 신용보증기금 김규복 이사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김규복 이사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중소기업 경영환경 변화의 주요이슈를 설명하고 중소기업의 현황 및 발전방향, 정책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논할 예정이다.   또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신용보증기금의 지원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성공 및 실패하는 중소기업의 7가지 특성, 신용등급평가 고득점 전략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본 포럼 개최관련 참가신청 및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3787-0606)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를 참고하면 된다.   붙임 : 제27회 중소기업 혁신포럼 개최 안내 ","viewCnt":"4900","regDate":"2007-06-26 12:06:00"},{"contentId":"24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7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 실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06","contentsKor":"  ’07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 실시 6,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3개월 간(6월18일 ~ 9월14일) 일제 실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정보화지원정책의 수립과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정보화추진방향을 수립하기 위하여 ’07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2007년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6월 18일부터 약 3개월 동안 전국의 6,500여개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되는데, 조사방법은 직접방문 조사와 팩스 및 전화로 동시에 진행되며 제조업을 포함한 5개 업종(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운수업, 정보통신업)에 대해 실시한다. 금번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의 조사항목은 정보화 전략수립, 추진환경, 구축운영현황, 활용수준 및 효과수준 등의 5개 분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한다. 또한, 조사에 참여한 모든 기업에게는 조사를 실시완료한 후 자사의 “정보화수준 진단평가 리포트”와 정부지원사업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 2007년도 중소기업 정보화수준 평가 개요 >     ? 조사기간 : 2007. 6.18 ~ 9.14     ? 조사대상(제조?건설?도?소매업?운수?정보통신 등) : 6,500개사       - 종업원 수 5인 이상 중소기업 : 6,000개사       - 대기업 500개사     ? 조사방법 : 개별업체 방문을 통한 면대면 면접조사       * 자발적 참여기업은 on-line 설문조사 참여 가능     ? 조사기관 : 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 문의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획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1~3) ","viewCnt":"4938","regDate":"2007-06-18 12:06:00"},{"contentId":"24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중소기업 경영혁신리더 교육과정」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07","contentsKor":"  「APEC 중소기업 경영혁신리더 교육과정」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에서는 한국국제협력단의 후원으로 2007년 6월 10일부터 25일까지 16일간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중소기업 경영자 및 정책담당자 16명을 초청하여, 『APEC 중소기업 경영혁신리더 교육과정』 워크샵을 개최한다. APEC 역내의 많은 중소기업들은 우수한 기술력과 재원을 가지고도 경영 Know-how의 부족으로 사업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곧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양극화 심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에서는 이런 문제를 인식하여 APEC 역내 중소기업들의 혁신기반경영을 강화하고자 중소기업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선진 혁신경영기법 전파 및 참가자 서로간의 혁신경험 공유를 위한 『APEC 중소기업 경영혁신리더 교육과정』 워크샵을 기획?실시하게 되었다. 이번 워크샵은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등의 교육 참가자들에게 6시그마, 기업가 정신, 블루오션 전략, CRM, 효과적 기술혁신의 관리체계, PL(Product Liability), e-Manufacturing 등의 우수한 경영혁신기법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국내 혁신기업 및 혁신클러스터(창업보육센터, 대덕연구단지 등) 등의 방문을 통하여 참가자들로 하여금 혁신의 실체를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을 제공해 줄 것이다. 본 워크샵 개최관련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02-3787-0650~4) 및 홈페이지(http://www.apec-smeic.org)를 참고하면 된다.   붙임 : APEC 중소기업 경영혁신리더 교육과정 개최 안내 ","viewCnt":"4970","regDate":"2007-06-13 12:06:00"},{"contentId":"24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6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08","contentsKor":"  「제26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7년 4월 27일(금) 오전(07:00 ~ 09:00) 코엑스인터콘티넨탈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글로벌 경쟁시대-중소기업의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제26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회로 26회째인 동 포럼은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최신 정보제공 및 이해 당사자간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혁신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수요자인 중소기업 CEO, IT 컨설팅기업 및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통해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02년 말부터 개최되고 있다. 금회(제26회) 포럼은 최근 한미FTA 타결 등 한국경제와 중소기업을 둘러싼 혁명적 환경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를 능동적이고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 중 하나인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중소기업연구원 김인호 원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김인호 원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불굴의 기업가정신의 회복이 우리 중소기업의 살길임을 강조하고 글로벌 경쟁시대 중소기업 문제의 본질을 규명하는 한편 세계시장에서 인정받는 글로벌 중소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핵심전략을 기업가정신과 연계하여 설명할 예정이다.    본 포럼 개최관련 참가신청 및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3787-0606)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를 참고하면 된다. ","viewCnt":"4904","regDate":"2007-04-25 12:04:00"},{"contentId":"24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지원사업 워크숍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09","contentsKor":" 정보화지원사업 워크숍 개최 - 성공적인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성공적인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정보화지원사업 워크숍을 4월 26일 대전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개최한다. 본 워크숍은 ‘07년도 정보화지원사업을 통해 지원받는 중소기업의 대표자 또는 담당자 250여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관리방법 및 구축단계별 주요 관리방안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지원중소기업에게 성공적인 정보시스템을 구축을 위한 기회가 될 것이다. 이날 워크숍은 ‘07년 정보화사업의 추진방향 설명을 시작으로, 정보시스템 구축 성공·실패 요인, 프로젝트관리의 개념소개 및 구축 단계별 주요 관리방안, 주요 산출물의 점검 및 관리방안, 정보화경영체제(IMS)개념 및 인증절차 등에 대한 전문가의 발표 및 ’07년 정보화지원사업 운영지침 설명 등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를 통해 중소기업에서 스스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성공적인 정보화 도입을 추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 정보화지원사업은 IT전문가(IT코디네이터)를 중소기업에 파견하여 추진방향 및 추진과제를 도출하고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시스템을 구축·지원하는 사업임 *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은 정보화추진 표준모델(규격)을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 경영품질, 성과체계 등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며, 그 성과가 탁월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서를 부여하여 정보화혁신형 기업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임 * 본 워크숍에 대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기반팀 (02-3787-0451~6) 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4972","regDate":"2007-04-25 12:04:00"},{"contentId":"24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6년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 우수기업 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0","contentsKor":"  - ‘06년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 우수기업 사례집 발간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06년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에 참여하여 사업을 완료한 319개 기업 중 비경시스템(주) 외 7개 우수기업을 선발하여 사례집인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정보화 구축이야기』를 발간하였다. □ 이번에 선정된 우수기업은 ‘06년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의 참여기업 중 사업결과가 우수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사업결과 활용수준’, ‘업무달성도’, ‘벤치마킹 활용가능성’ 등을 평가하여 비경시스템(주) 등 총 8개 우수기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기업들은 정보화 구축 후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가 높고 이를 통한 성과가 탁월한 기업들이다. □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비경시스템(주)의 심이섭 대표이사는 “시장환경이 급변하고 회사 역시 새로운 사업에 진출하게 됨에 따라 회사 경쟁력 유지를 위한 대폭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며 이번 사업을 통하여 도입된 시스템의 성공을 발판으로 현재 정보화에 대한 필요부분을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은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는 정보화 필요과제를 도출·지원하고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기업에 대해서 IMS인증 부여 및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으로 ‘06년 상반기에 668개 참여기업이 신청하여 최종적으로 319개 기업을 지원하였다. 본 우수사례집은 우수기업에 대한 기업일반현황과 구축동기, 정보시스템 구축 및 업무절차의 표준화 과정, 정보화 구축의 성공을 이끌어 낼 수 있었던 우수기업의 노력, 구축후의 성과분석 등을 글 외에도 그림, 도표, 그래프, 사진 등으로 제시하여 정보화 구축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따라서 본 우수사례집을 참고하여 향후 정보화를 추진하려는 기업들에게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확신한다.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는 정보화를 통한 경영혁신을 목적으로 표준화한 정보화혁신 모델로서 정보화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경영성과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 개선시키는 제도임   * 본 우수사례집과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기반팀(02-3787-0451~6)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5120","regDate":"2007-04-16 12:04:00"},{"contentId":"24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7년 생산정보화지원사업 워크숍 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1","contentsKor":"    “e-Manufacturing을 통한 중소제조업의 생산혁신” 2007년 생산정보화지원사업 워크숍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07년도 생산정보화 사업을 통해 지원받는 중소기업 CEO, CIO 및 IT업체 대표 250여명을 대상으로 『e-Manufacturing을 통한 중소제조업의 생산혁신』워크숍을 개최할 예정임   ㅇ  본 워크숍은 생산정보화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실질적인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고 우수사례 등을 통해 ‘07년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도모하고자,   ㅇ 2007. 4. 20(금) 10:30 ~ 16:00 대전 레전드호텔 3층 금강홀에서 개최하기로 함 □ 이날 워크숍은 중소기업맞춤형정책정보 SPi-1357 설명을 시작으로 기지원기업으로 생산정보화사업 우수사례로 선정된 신영금속(주), 네오프린텍(주) 추진사례, 성공적 사업수행을 위한 수요자·공급자 역할, 중소기업을 위한 생산정보시스템개발방법론 교육, 사업운영지침 및 향후 추진일정 안내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할 계획임. □ 특히 동 워크숍의 우수사례 발표기업으로 신영금속(주)울산공장은 생산정보화를 통한 성공사례 및 구축 후 도입효과가 소개될 예정임.  ㅇ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신영금속(주) 울산공장은 프레스와 용접설비에 터치스크린 방식 생산정보관리시스템(POP: Point of Production) 단말기를 설치하여 실시간 생산 실적관리 및 제조정보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가동되지 않았던 생산공정의 가동율은 21%로 향상하였고, 작업준비 및 생산에 필요한 소요시간은 각각 75%, 80% 감소하는 등 생산성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 생산정보화는 「정보기술(IT)을 활용하여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생산공정을 제어/감시하여 경영자 및 작업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생산현장의 정보화」를 의미  ","viewCnt":"5118","regDate":"2007-04-16 12:04:00"},{"contentId":"241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7년도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기업 선정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2","contentsKor":"   ‘07년도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기업 선정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정보화경영체제(IMS) 평가위원회를 개최하여 정보화경영체제(IMS)가 구축된 후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주)창성에이스산업 외 20개 중소기업에 대하여 정보화경영체제 인증을 부여하였다. □ 2006년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을 통해 지원을 받은 319개 기업 중 지원성과가 우수한 32개 기업에 대해서 문서심사와 현장심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추천된 21개 기업에 대하여 평가위원회를 개최하여 인증심의를 거쳐 인증을 부여함  ○ 정보화경영체제 인증은 심사자격을 갖춘 인증심사원이 신청한 기업의 현장을 방문하여 규격 및 인증평가표에 의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심사하며, 그에 따라 기반구축(1단계), 성장(2단계), 성숙(3단계)의 단계로 나눠 인증기업의 정보화 성숙도를 보여줌  ○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은 2000년 시범사업을 거쳐 2002년부터 현재까지 270개 중소기업에게 인증을 부여하였음 □ 인증기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은 정보화혁신 중소기업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그 사례가 자료집으로 발간되었고, 향후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집중 육성될 예정이며,  ○ 인증 기업으로 공신력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사후 및 갱신관리 등을 통하여 유지, 관리되고 정보화추진 표준모델로 제시 육성할 계획임  ○ 향후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은 상시 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정보화경영체제를  구축?운영하는 기업 중 인증을 원하는 기업에 대하여는 시기에 관계없이 심사를 통하여 인증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임 □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상시인증제도의 도입과 함께 중소기업청의 각종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정보화경영체제의 활용범위를 넓혀 갈 예정이며 다양한 지원을 통해 인증기업을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집중 육성 할 계획임   *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21개) 명단       (주)창성에이스산업, (주)오키, (주)아이캔텍, (주)명진기업, 삼환염공(주), 대한메탈코프(주), (주)네오엔시스, (주)피알존, 케이비전선(주), 창신정보통신(주), (주)옥타컴, 케이프라인(주), (주)신흥정기, (주)새부산관광투어, 비경시스템(주), 기술사사무소 조양엔지니어링, (주)엑사이엔씨, (주)시원에프앤비, 세화정공(주), 혜인엔지니어링(주), 자석뱅크(주) (인증순서 순)            * 본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과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기반팀            (02-3787-0451~6)으로 문의      *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인증이란?       정보화경영체제(IMS)에서 제공하는 정보화추진 표준모델(규격)을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 경영품질, 성과체계 등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며, 그 성과가 탁월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서를 부여하여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 ","viewCnt":"5301","regDate":"2007-04-12 12:04:00"},{"contentId":"24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수요자중심의 정보시스템 구축에 87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3","contentsKor":"  수요자중심의 정보시스템 구축에 87억원 지원 - 의지와 능력을 갖춘 230개 기업을 선정, 혁신형 기업 육성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정보화사업 개편계획(‘06년 10월)에 따라 중소기업의 현장을 방문하여 사전진단하고, 기업현실에 적합한 내용을 도출한 후 정보화 과제를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의 전환을 통해 올해부터 본격적인 “정보화혁신형 기업”을 육성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의 정보화 지원방식은 사업별로 중소기업이 신청을 하고, 공급자(IT기업)를 선정하여 정보화과제를 지원함으로써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과제보다는 공급자 위주의 정보시스템 구축이 진행되었기에 중소기업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지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올해부터 정보화사업은 기존의 공급자 위주의 정보시스템 구축에서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One-Stop) 체계로 개편하여 사전진단 및 과제도출, 정보시스템 구축, 성과평가 및 사후관리 등의 순서로 단계별로 추진된다   정보화지원사업은 ‘06년 10월부터 1단계로 정보화전문인력(IT코디네이터)이 중소기업의 사전진단을 통해 중소기업에 필요한 정보화 추진과제를 도출하였고, ’07년 3월부터는 2단계로 도출된 과제를 중심으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3단계로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도 전문인력 부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인해 활용도가 낮은 기업들을 위해 “정보화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중소기업의 정보화애로사항 해결 및 사후관리 등을 상시지원하여정보시스템 운용 효율을 높임으로써 지속적으로 기업성과를 제고 할 예정이다.   정보화지원사업은 IT코디네이터를 중소기업 현장에 파견하여 정보화추진방향 및 추진과제를 도출하고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며, 성공적으로 구축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규격과의 부합성 평가를 통해 IMS 인증서를 발급하여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지난 해 10월부터 1,044개의 중소기업에서 사업신청을 받아 사전진단을 통해 해당기업에 대한 정보화 추진방향 및 추진과제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과제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의지와 능력을 갖춘 230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중소기업에서 필요한 정보시스템을 구축 지원한다.   < 정보화지원사업 선정결과 >   정보화지원사업 선정결과 구분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북 대전 충남 전북 광주 전남 대구 경북 경남 부산 울산 제주 계 선정 기업 40 48 7 2 9 6 5 16 37 32 20 8 230  ","viewCnt":"4854","regDate":"2007-03-29 12:03:00"},{"contentId":"24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비교연구보고서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4","contentsKor":"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비교연구보고서 발간 - APEC 10개국의 중소기업 혁신정책 집대성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APEC 중소기업혁신정책 비교연구」사업을 완료하여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번 보고서는「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가 APEC으로부터 $59,280를 지원받아 ’06.2월부터 수행한 APEC 프로젝트의 결과물로서 APEC 10개국*의 중소기업 혁신정책을 집대성하였다는 점에서 APEC 회원국들의 커다란 관심을 받고 있다. (중략)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1","atchfileNm":"보도자료_070125.hwp","viewCnt":"4941","regDate":"2007-01-25 12:01:00"},{"contentId":"24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수준, 지속적으로 향상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5","contentsKor":"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수준, 지속적으로 향상 - 94.9%('05 64.9%)가 정보화 확대 필요, 96.7%('05 39.6%) 정보화 투자 실시 - 올해 1社당 평균 7,476만원 투자(평균 종업원수 87.9명) - 투자 확대 이유 : 미래 기업환경 대처(32.1%), 생산성 향상 기대(23.5%) 등     투자 저해 요인 : 투자대비 효과 불확실(33.3%), 現 정보화수준에 만족(19.6%) 등 -'07년 정보화투자 다소 확대할 계획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마련 못해 지속되는 경기불안과 내수침체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의 정보화투자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소기업은 내년에도 투자를 다소 확대할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계획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 이하 “기정원”)은 전국 508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현황 및 2007년 전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대다수가 정보화 도입 및 추진 확대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정보화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소기업은 ‘미래 기업경영환경 대처’(32.1%)와 ‘생산성 향상 기대’(23.5%) 등의 이유로 정보화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정보화 투자기준이 점차 중?장기적 관점의 종합적?적극적 자세로 바뀌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과거에는 비용 및 인력절감 등의 단기적 성과와 시스템의 직접적인 효과에 집중하여 투자를 결정하여 왔으나, 최근 들어 정보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및 체질개선 등의 경영목표 하에, 중?장기적으로 정보화 성과를 측정, 평가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올해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규모는 전년수준이거나 다소 확대된 1社당 평균 7,476만원(평균 종업원수 87.9명)정도이며, 투자한 중소기업의 비율은 97.6%로 조사되었다.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은 내년 정보화 투자규모를 ‘올해 수준’(38.2%) 내지 ‘소폭 확대’(36.1%)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에 대한 구체적 계획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내외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경기대응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의 경우 불명확한 투자확대계획은 허수가 될 가능성이 크므로, 효과적인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및 컨설팅 지원에 의하여 정보화 투자성과 및 효과에 대한 확신을 심어줄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중소기업은 대내외적으로 경영여건이 계속 악화(저조)된다면, 최우선적으로 '해외투자‘를 감소시키겠다고 응답했다. 이는 산업공동화가 문제로 제기될 정도로 한때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던 해외투자가 이제 어느 정도 옥석가리기가 되면서 투자수요 또한 줄어드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최근 북핵문제로 인한 개성공단이 이슈화되면서 해외투자에 대한 신중을 기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 본 내용과 관련하여 자세한 문의는 기획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1)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TIPA issue 06-07호,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현황 및 2007년 전망’ ","viewCnt":"5130","regDate":"2006-12-07 12:12:00"},{"contentId":"24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핵심기술 유출실태, 이대로 좋은가?」세미나 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6","contentsKor":"- 중소기업 핵심기술 유출실태 조사결과 발표 및 中企 대응방안 모색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 이하 “기정원”)은 2006년 11월 30일(목) 오후(14:00~16:00) 사학연금회관(여의도 소재) 2층 세미나실에서 각계 전문가 및 관계자등 10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중소기업 핵심기술 유출실태, 이대로 좋은가?」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본 세미나는 갈수록 중요성과 필요성이 부각되는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방지 및 보안대책을 도출하고, 정부가 관련 지원정책을 발굴?시행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마련되었다. 금번 세미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중소기업 핵심기술 유출 실태조사」결과발표를 시작으로, 「중소기업의 보안역량 강화방안」(안철수연구소), 「기술유출방지를 위한 모범사례」(하이게인텔레콤), 중소기업청의 「기술유출방지를 위한 정부 지원정책」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기정원은 「중소기업 핵심기술 유출실태조사」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중소기업의 핵심기술 유출가능성에 대한 체감수준과 기술유출실태, 대응노력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보안업계를 대표하여 안철수 연구소의 조시행 상무는 국내 중소기업의 취약한 보안역량 강화를 위해 정보보호 전략과 정보유출 통제기술에 대해 발표하고, 이어 중소기업 보안관리 우수모범사례로서 (주)하이게인텔레콤의 이진호 차장은 지난해 중소기업청의 불법기술유출방지사업에 참여한 실적과 성과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끝으로 중소기업청 권순재 사무관이 최근 중소기업청에서 역점적으로 지원하여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중소기업 불법기술유출방지사업’을 비롯해,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정부지원정책에 대해 설명, 소개할 예정이다. * 본 세미나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기획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4, 0446)으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 1. 세미나 개최 안내  붙임 2. 주제발표 및 사례발표 자료","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2","atchfileNm":"발표용_2차세미나자료(061129).zip","viewCnt":"5490","regDate":"2006-11-29 12:11:00"},{"contentId":"24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5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7","contentsKor":" 「제25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 11월 23일(목) 오전(07:00 ~ 09:00)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등 20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참여정부의 중소기업정책과 성과」를 주제로 제25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회로 25회째인 동 포럼은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최신 정보제공 및 이해 당사자간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혁신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수요자인 중소기업 CEO, IT기업 및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02년 말부터 개최되고 있다. 금회(제25회) 포럼은 ‘혁신역량 강화 및 자생적 성장기반 확충’을 목표로 추진 중인 참여정부의 중소기업정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중소기업의 관심과 참여를 촉구하기위해「참여정부의 중소기업정책과 성과」를 주제로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염홍철 위원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염홍철 위원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04년 7월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종합대책’ 수립?시행 후 지속적으로 보완대책을 마련하여 추진 중인 참여정부 중소기업정책의 형성과 기존 중소기업정책과의 차별성을 설명하는 한편, 정책의 조정과 관리가 어떠한 프로세스로 이루어지는 지를 살펴볼 예정이다. 또한, 중소기업정책의 통합관리와 정책추진의 일관성ㆍ효율성 증대를 위해 ‘벤처 활성화 대책’,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영세자영업자 대책’, ‘금융지원 체계 개편’등 8대 주요과제에 대해 중소기업특별위원회가 실시한 ‘중소기업 정책혁신 성과점검’ 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과제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다. 본 포럼 개최관련 참가신청 및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2168-0609)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를 참고하면 된다. ","viewCnt":"4947","regDate":"2006-11-20 12:11:00"},{"contentId":"24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 성황리에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8","contentsKor":"■ 문의 : 교육훈련팀장 이영규  연구원 박희정 02-2168-0609 / F 02-2168-0618   「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성황리에 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 10월 26일(목) 오전(07:00 ~ 09:00)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등 25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FTA 시대 중소기업 지원시책」을 주제로 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했다.   금회(제24회) 포럼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한·미 FTA’와 관련해 명확한 인식 없이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부정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FTA 시대 중소기업 지원시책’이라는 주제로 이현재 중소기업청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되었다.   이현재 청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청장은 ‘한·미 FTA’의 추진배경과 경제효과, 그리고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우리 중소기업이 FTA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청장은 1995년 1월 다자간 무역규범인 세계무역기구(WTO) 체제가 출범한 이후 FTA체결이 오히려 급속히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며, 무역의존도가 70%를 넘는 우리로서는 개방화 추세에 적극 동참하지 않을 경우 국가간 경쟁에서 뒤쳐질 우려가 있음을 역설했다. 또한, 정부는 2003년 8월「FTA 추진 로드맵」에 따라 전략적이고 단계적인 FTA 체결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특히 미국은 세계 수입시장의 21.8%를 차지하는 거대시장으로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의 미국 시장점유율은 급감하였으나(1995년 3.3% → 2005년 2.6%), 중국은 급성장하여(1988년 1.9% → 2005년 14.6%)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에서 우리 제품이 위협을 받고 있음을 지적하고, 지난 8월 산업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일각에서 제기하는 우려와 달리 국내 중소기업의 71%는 한·미 FTA 체결이 긍정적이거나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유·의복, 가죽, 음식료, 생활용품 분야는 수혜업종으로 예상되고, 광물, 금속, 기계장비, 화학 등 분야는 다소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청장은 중소기업청내에 「한·미 FTA 중소기업 대책반」을 구성하여 한·미 FTA가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우리 중소기업이 글로벌 환경에 안정적인 성장기반을 확충할 수 있도록 성장단계(창업 - 성장·글로벌화 - 퇴출)별로 체계적인 지원을 실시하고, 대·중소기업간 양극화를 해소하며, 현장밀착형 행정서비스를 적극 실현할 계획임을 강조하였다.","viewCnt":"5123","regDate":"2006-10-26 12:10:00"},{"contentId":"24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9","contentsKor":"■ 문의 : 교육훈련팀장 이영규  연구원 박희정 02-2168-0609 / F 02-2168-0618   「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 10월 26일(목) 오전(07:00 ~ 09:00)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등 20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FTA시대 중소기업 지원시책」을 주제로 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회로 24회째인 동 포럼은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최신 정보제공 및 이해 당사자간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혁신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수요자인 중소기업 CEO, IT기업 및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02년 말부터 개최되고 있다.   금회(제24회) 포럼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한·미 FTA’와 관련해 명확한 인식 없이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부정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FTA시대 중소기업 지원시책’이라는 주제로 이현재 중소기업청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현재 청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한·미 FTA’의 추진배경과 기대효과, 그리고 중소기업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정부의 체계적 지원시책을 제시하여 우리 중소기업이 FTA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포럼 개최관련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2168-0609)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를 참고하면 된다. Ⅰ. 개최목적  ○ 중소기업 CEO, IT 기업, 대학교수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의 상호정보교류 및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해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혁신추진 기반 조성  ○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해 중소기업 관계자들의 의견수렴 및 피드백 기능 수행   Ⅱ. 일시 및 장소  ○  일  시 : ‘06.  10.  26 (목) 07:00 ~ 09:00 ○ 장  소 :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 지하1층 다이아몬드홀   Ⅲ. 행사내용  ○ 초청연사 : 중소기업청 이현재 청장 ○ 강연주제 : FTA시대 중소기업 지원시책 ○ 사    회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정보화추진본부장 ○ 참석대상 : 혁신포럼 회원, 언론사, 중소기업 CEO, IT 기업 및 전문가 그룹 등 약 200여명 예상  ※ 문의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2168-0609)","viewCnt":"5274","regDate":"2006-10-24 12:10:00"},{"contentId":"24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0","contentsKor":"  ■ 문의 : 기술혁신부 기술혁신2팀 장인성 팀장,  연구원 이동한 02-3787-0525~6/F 02-3787-0509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 9월 29일(금) 14:00부터 서울 강남 코엑스 아셈홀 203호에서 제7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의 부대행사 중 하나로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임 □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는 기술혁신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제고할 수 있는 마인드 확산 및 정보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함 □ 올해(‘06년도)는 정부, 산업체, 학계의 관계자를 초빙하여 중소기업기술혁신에 대한 지원정책 및 우수사례 발표와 패널토론으로 진행되며 보다 유용한 정보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에게 제공할 계획임 □ 금번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는 중소기업청 기술경영혁신본부 기술개발팀 이현조 팀장의 『중소기업 기술개발 현황 및 지원정책』에 대한 주제 발표로 시작되며,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각계의 의견이 제시될 예정임 □ 중소기업 종사자,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금번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에 참석할 예정임 □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참가신청 및 문의는 기술혁신부 기술혁신2팀(02-3787-0526)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 참조 ","viewCnt":"5131","regDate":"2006-09-28 12:09:00"},{"contentId":"24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육성전략","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1","contentsKor":"    ■ 문의 : APEC중소기업혁신센터 양훈화 선임연구원 02-2168-0621 / F 02-3787-0490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 커, R&D 중심의 정책지원 강화 필요 - ‘08년까지 고용 27만명, 부가가치 22조원 창출 전망   ? 혁신형 중소기업*의 고용인원은 2005년 40만명에서 2008년 85만명으로 45만명 증가 ? 혁신형 중소기업의 부가가치는 2005년 13조원(GDP 대비 1.8%)에서 2008년 56조원(GDP대비 6.7%)으로 43조원(4.9%P) 증가 ?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정책의 고용창출 효과는 27만명, 부가가치 창출효과는 22조원(GDP 대비 2.6%)으로 전망    * 기술 및 경영 혁신활동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소기업으로서, 벤처기업, 이노비즈 및 경영혁신형 중소기업이 대표적인 모델     ? 참여정부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정책에 힘입어 혁신형 중소기업 증가세가 가속화되어 ‘06. 7월 말 현재 혁신형 중소기업 13,162개(중복제외)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혁신형중소기업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육성전략』연구용역을 통해 혁신형 중소기업 3만개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도출하였다.   □ 이번 연구결과에 의하면, 혁신형 중소기업은 고용창출, 매출액, R&D 투자규모 등에서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3~4배가 높은 경영성과를 보여 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면서 궁극적으로는 GDP 확대효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효과를 기초로 정책당국이 일반 중소기업의 혁신성 제고에가장 효과적인 R&D 예산 지원 등을 통해 혁신형 중소기업 3만개 육성이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할 경우     ○ 혁신형 중소기업의 고용인원은 2005년 40만명에서 2008년 85만명으로 45만명이 증가하고, 부가가치는 2005년 13조원(GDP 비중 1.8%)에서 2008년 56조원(GDP 비중 6.7%)로 43조원(4.9%p) 증가되며,       채용테이블 구  분 업체 수 고용 부가가치 GDP 비중 2005  1만개 40만명 13조원 1.8% 2008 (예상) 3만개 85만명 56조원  6.7%     ○ 과거의 중립적인 정책기조 유지시(혁신형기업수가 과거 ‘01~’05년 평균증가율로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시)와 비교하여, 혁신형 중소기업 집중육성으로 인한 고용창출 효과는 27만명이며, 부가가치 창출효과는 22조(GDP 비중 2.6%)이다.   고용관련테이블 구  분 업체 수 고    용 창출효과 총고용의  비    중 부가가치 창출 효과 GDP  비 중 2006  5,406 6만 9천명 0.30% 5.6조원 0.74% 2007  9,585 14만 9천명 0.63% 12.0조원 1.52% 2008  14,441 26만 7천명 1.12% 21.5조원  2.60%       ※ 혁신형 중소기업 집중육성전략과 기존전략('01~'05년 평균증가율) 수행에 따른 차이로 추정   □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혁신역량 강화와 함께 혁신형 중소기업의 주요 성장비결인 연구개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하다.   붙임: 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육성전략 (요약본) ","viewCnt":"5519","regDate":"2006-09-14 12:09:00"},{"contentId":"24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경영체제(IMS) 워크샵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2","contentsKor":" 2006년 8월 9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 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3787-0490 www.tipa.or.kr ■ 문의 : 정보화사업부장 주석정 정보화사업2팀장    장건오 02-3787-0451 / F 02-3787-0490   정보화경영체제(IMS) 워크샵 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IMS) 구축을 위한 워크샵을 8월 9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중강당에서 개최한다.   본 워크샵은 ‘06년도 정보화경영체제 사업을 통해 지원받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관리방법 및 구축단계별 주요 관리항목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참여기업에게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중기청과 기정원은 「혁신형 중소기업」육성정책에 따라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을 통해 육성된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의 비전과 혁신형 중소기업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날 워크샵은 기정원장의 격려사를 시작으로, ‘06년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의 소개와 필요성, 정보화경영체제 착수, 지도, 완료의 각 구축 단계별 주요활동 및 관리?점검항목과 정보화 추진시 문제점을 진단?개선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방안 중심으로 정보화경영체제 관련 전문가의 강의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이 완료된 이후 참여기업이 인증을 받기 위한 절차와 효과, 인증 혜택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본 워크샵을 통해 정보화경영체제 도입 필요성과 추진전략을 집중적으로 교육함으로써 중소기업 스스로 정보화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06년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에 대한 만족도와 활용도를 제고할 계획이다.   * 정보화경영체제(IMS) 사업은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는 정보화 필요과제를 도출?지원하고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는 기업에 대해서는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 부여 및 정보화혁신형 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임 *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은 정보화추진 표준모델(규격)을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 경영품질, 성과체계 등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며, 그 성과가 탁월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서를 부여하여 정보화혁신형 기업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임 * 본 워크샵에 대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사업2팀 (02-3787-0451~5) 으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  정보화경영체제 워크샵 개최 안내   [붙임]   정보화경영체제(IMS) 워크샵 개최 안내 ???????????????????????????????????????????   1. 목    적 :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위해 참여기업 담당자의 프로젝트 관리능력을 배양하고 IT기업을 선도   2. 일    시 : 2006년 8월 9일(수) 13:00 ~ 18:00   3. 장    소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지하 중강당(서울 강남소재)   4. 참석대상: ‘06년 정보화경영체제 참여기업 담당자 및 최고경영자   5. 행사내용 행사내용 시   간 주   요   내   용 발 표 자 13:00~13:20 ? 참석확인 및 자료배포   13:20~13:30 ? 인사말 기정원장 13:30~13:35 ? 중소기업 도우미 SPi 1357 소개 주석정 부장 (기정원) 13:35~13:50 ? ‘06년도 정보화경영체제사업 및 개념 소개 주석정 부장 (기정원) 13:50~14:30 ?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참여기업의 역할(Ⅰ)   - 프로젝트관리 개념 중심으로 이현철 수석 (에이스솔루션) 14:30~15:50 ?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참여기업의 역할(Ⅱ)   - 구축단계별 주요활동 및 관리항목 중심으로 배용관 사장 (디지털게인) 15:50~16:00 ? 휴  식   16:00~16:40 ?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참여기업의 역할(Ⅲ)   - 인증 절차 중심으로 김종숙 위원 (위즈) 16:40~17:00 ? 정보화경영체제사업 발전방안   - 경영혁신형 중소기업과의 연계방안 중심으로 권순재 사무관 (중소기업청) 17:00~17:30 ? 질의응답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3","atchfileNm":"IMS워크샵보도자료(060807).hwp","viewCnt":"5332","regDate":"2006-08-07 12:08:00"},{"contentId":"24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 작업환경 개선에 10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3","contentsKor":" 2006년 7월 14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 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시 영등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787 - 0400 ㅣ Fax. 3787-0480 www.tipa.or.kr   ■ 문의 : 기술혁신부 부장 이훈희 담당 이찬형      02-3787-0505 / F 02-3787-0480   ‘생산현장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 하반기 사업 착수 - 中企 작업환경 개선 및 인력난 해소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도 하반기 중소기업 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에 100억원을 지원한다.           젊은 구직자들은 돈 보다는 안정성과 복리후생제도 등의 근무환경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실 속에서 일부 중소기업 생산현장은 열악한 근무환경 때문에 외국인 노동자마저도 근무를 기피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작업장의 흄, 스패터 등 유해 부산물 발생, 독성 유해원료 접촉, 고온·고압 소음발생, 고하중 물품의 이송·절단·교환 등 전형적인 직무기피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장비, 시스템, 물질 등의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 작업환경과 근로여건을 개선하여 중소기업 종사자의 이직율을 줄이고, 동시에 중소기업의 이미지를 개선하여 인력유입을 촉진하며, 생산성 향상 도모를 목적으로 동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06년도에는 240억의 예산으로 상반기에 97개 과제를 선정 지원하였으며, 하반기에는 보급확산과제와 중소기업과제로 나누어 약 70여개 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보급확산과제는 ’06년 하반기에 처음 실시하는 과제로서 동 사업을 통해 기 개발된 기술 및 장비를 유사업종 또는 작업장으로 보급하는 과제로써 ‘02~’04년까지 지원한 과제중 선별된 우수과제를 대학 또는 연구소와 중소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참여토록 되어 있으며 약 30여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며,           중소기업과제는 자체 기술개발 능력을 있는 중소기업이 자체 직무기피요인 해소를 위한 장비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약 40여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임.           이번 신청?접수된 과제는 각 지방 중소기업청의 현장평가와 전문기관인 기술정보진흥원에서 기술 및 사업성 평가 등을 통해 9월 중에 지원업체를 최종 선정하여 개발자금을 지원할 계획임.           ☞ 접수기간 : 2006. 7.11(화) ~ 8.10(목) 18:00까지(도착기준)           ☞ 접수방법 : 제출서류를 우편 또는 방문제출           ☞ 접수처 : 주관기관 소재지 관할 지방중소기업청 (사무소)         *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문의처        중소기업청 기술개발팀 : ☏ 042-481-4442, 4445   FAX 042-472-3289 홈페이지(www.smba.go.kr) : 정책마당 → 기술지원 → 생산현장직무기피요인 해소사업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02-3787-0503~0506 FAX02-3787-0480 홈페이지(www.tipa.or.kr) : 사업소개 → 기술사업 → 생산현장직무기피 요인해소사업  ? 해당 지방중소기업청(사무소)       [별첨 1: 하반기 지원과제의 종류]    ? 보급·확산과제     ? 동 사업으로 개발된 기술의 보급·확산을 위하여 연구소·대학, 중소기업(3개 이상)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기 개발된 기술의추가 후속 개발로 필요로 하는 기업에 지원하는 과제 (개발기간 1년이내)       - 과제당 5억원 범위 내에서 총 사업비의 60%이내 지원       - 총 사업비의 40%는 연구소?대학, 참여기업이 부담하며, 현금 부담비율은 12.5%이상(참여기업 부담)       - 지원과제는 정부가 지정·공고하는 지정공모과제로 제한       ※ 개발성공시 정부지원금의 30%를 기술료로 회수       ※ 지정공모과제는 중소기업청 홈페이지(http://www.smba.go.kr)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홈페이지 (http://www.tipa.or.kr)에 게재    ? 중소기업 개발과제     ? 자체 개발 능력이 있는 중소기업이 주관하여 직무기피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개발 과제(개발기간 1년이내)       - 과제당 1.5억원 범위 내에서 총 사업비의 75%이내 지원       - 총 사업비의 25%(현금부담비율 12.5%이상)는 기업이 부담       ※ 개발성공시 정부지원금의 30%를 기술료로 회수       ※ 지원과제는 중소기업 자유응모과제       [별첨 2: 우수 지원사례]     1. 개발개요   한국생산기술연구원(강남현 박사)이 과제를 주관하여 제빙기, 냉동기 등 용접작업을 주로 하는 금성공조플랜트의 직무기피요인인 단순 반복작업과 용접흄 발생 환경을 해소하기 위한 용접장치를 개발한 결과물임   2. 개발목표     ? 용접공정에서 작업자의 시력과 눈과 경험에 의존해 오던 피용접물의 용접선 위치를 공압심축을 이용한 조심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맞추어 주고 고정시켜 준다 (작업자 시력보호).     ? 자동조심장치를 작동하고 텅스텐 전극은 피용접물의 경계선을 따라 회전하며 자동용접을 수행하고, 용접이 끝난 후 이동형 스프링 밸런스에 고정된 자동용접장치의 조심장치를 풀어 다른 튜브에 설치한다 (단순반복적인 용접노동강도 감소).     ? 따라서 기존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용접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자동용접장치와 용접기와의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개인용 소형 튜브-튜브시트 용접장치의 개발   3. 개발 결과     ? 작업현장 전ㆍ후 비교   설 치 전 설 치 후 수용접 반자동 용접       설 치 전 설 치 후 수용접 반자동 용접   4. 개발 성과     ? 작업환경개선       - 개발전 :튜브시트 위에서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로 작업하고 단순반복적인 수용접의 연속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음       - 개발후 : 허리를 심하게 굽히지 않거나 의자에 앉아서 용접헤드를 교체하는 작업만을 하면 되므로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자세가 거의 없어졌음     ? 품질 및 생산성 향상       - 개발전 : 용접자의 유무 혹은 당일 용접자의 컨디션에 따라 용접부의 품질이 불균일함       - 개발후 : 안정된 용접조건의 실현하여 용접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 가능하게 함     ? 인력유입효과       - 개발전 : 대기업의 대형 설비를 제외하고는 3D 환경의 용접장에서 직접 작업을 하므로 젊은 기술자들을 고용하기 힘들고 이주노동자 등을 고용하여 노동력을 충당하는 실정       - 개발후 : 숙련된 용접기술자가 용접 외 다른 작업에도 투입되면서 시각적/근골격계 피로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반자동화 접기술이 최적화 된 후 다른 기술자들도 용접이 가능하게 됨     ? 산업재해감소       - 개발전 : 근골격계 질환 및 시각적 피로를 많이 느꼈음       - 개발후 : 산업재해를 일으킬 수 있는 시각적/근골격계 피로 누적으로 인한 주의력 감소를 일으킬 수 있는 소지를 크게 격감시킴     ? 기타 효과       - 장비의 개발로 인해 용접기사 대신 비 숙련 일반작업자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불량률 감소 및 용적관련 임금의 절감 실현","viewCnt":"6068","regDate":"2006-07-13 12:07:00"},{"contentId":"24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중소기업 혁신포럼 보도자료 및 브리핑 자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4","contentsKor":" 2006년 6월 27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302-701 대전광역시 서구 선사로 139번지ㅣTel. 042-472-3263ㅣ Fax. 042-472-3264 www.smba.go.kr  ■ 문의 : 국제협력팀 팀장 김영태 사무관 박상용 042-481-4366 / F 042-472-3272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포럼」개최 APEC 7개국의 중소기업 정책 공유의 장 마련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은 2005년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를 계기로 설치된 「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의 2006년도 APEC project의 일환으로 6개 APEC 회원국을 초청, 오는 6월 27일과 28일 이틀간 서울 렉싱톤 호텔에서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호주, 싱가포르, 일본, 대만, 중국, 말레이시아에서 중소기업 혁신정책담당자와 전문가 20여명이 참가하여 자국의 중소기업 혁신정책 및 사례에 대해 발표하고 상호 토론하여 서로의 정책을 공유하고 벤치마킹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이번 포럼에는 APEC의 21개 회원국 중에서도 중소기업 부문에서 우수한 성과를 이룩해온 회원국들만을 참여시켜 내실있는 포럼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포럼을 통해 호주의 혁신정책, 중국의 기술혁신 정책, 일본의 경영 혁신 프로그램, 대만의 중소기업 혁신정책을 비롯하여 싱가포르의 혁신정책 평가체제, 말레이시아의 산학연계 프로그램 등 다양하고 우수한 혁신정책들이 소개된다.   각 회원국들도 이번 포럼을 위해 자국의 국?과장급 정책담당자를 파견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작년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를 계기로 중소기업 혁신의 선도 국가로 인식되어 선진국에게는 정책 공유의 대상으로 개발도상국에게는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청은 이번 포럼을 통해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 정책 등을 비롯하여 우리의 우수한 중소기업 정책을 홍보하고 선진국의 정책을습득하여 향후 정책 수립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며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의 기회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는 작년 제20차 APEC 중소기업실무그룹회의에서 우리측이 제안하여 회원국의 승인을 받았고, 제12차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에서 장관들의 지지를 받아서 올해 2월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 설치되었으며, APEC으로부터 $59,280를 지원받아서 APEC project를 수행하고 있다.     <붙임 1>「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포럼」개최 일정 <붙임 2>「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개요     < 붙임 1 >   2006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포럼 2006 Innovation Policy Forum for APEC SMEs   ? 6월 27일(화) 6월27일(화) 시간일정 8:30  등록 9:30 개회사 ○ 환영사: 양해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9:45   세션 I 주제: APEC 역내 회원국의 중소기업 혁신촉진정책   - 중소기업 혁신촉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 중점 부문 및 성과 -  사회자: 최경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 APEC 회원국의 중소기업 혁신촉진정책과 성과 - 1999년 이후 호주 혁신정책의 주안점 주디스 지엘케(Judith Zielke), 호주 상무성(혁신협력위원회) 제너럴 매니저   - 중국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및 촉진정책 황수에(Xue Huang), 중국 중국과학기술원 교수   - 한국의 중소기업 육성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김영태, 한국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정책본부 국제협력팀장 ○ 혁신정책평가체제 및 교육(I-Class)   - 혁신 클래스를 통한 싱가포르의 혁신역량 강화  다샨 싱(Darshan Singh), 싱가포르 표준, 생산성 및 혁신위원회(기업생산성국) 부국장 11:45 패널 토의 12:10 질의응답 및 토의 12:30 오찬 14:00   세션 II 주제: APEC 역내 회원국의 혁신분야별 전략과 사례    - 중소기업의 경영혁신, 기술혁신 및 인프라 촉진정책과 사례  사회자: 김병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 산학연계 프로그램과 사례 - 말레이시아의 산학연계 프로그램 모하마드 이쟘 빈 압둘라(Mohd Izham Bin Abdullah), 말레이시아 중소기업청(자금지원감사부) 시니어 매니저 ○ 중소기업 경영혁신 프로그램과 사례  - 일본의 중소기업 경영혁신 프로그램과 사례 츄카사 츄추이(Tsukasa Tsutsui), 일본 중소기업기반정비기구(벤처기업지원부) 시니어 매니저 ○ 중소기업 기술혁신 프로그램과 사례   - 한국의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기술혁신 지원정책 및 사례 이현조, 한국 중소기업청 기술경영혁신본부 기술개발팀장 ○ 클러스터 및 인큐베이터 프로그램과 사례 - 대만의 중소기업혁신 정책 츄루칭(Ru-Ching Hsu), 대만 중소기업청(정책기획국) 국장 16:00 패널 토의 16:20 질의응답 및 토의 16:40 휴식     6월28일(수) 6월28일(수) 시간일정 17:00   세션 Ⅲ 주제: 중소기업 혁신촉진을 위한 APEC 공동노력    - 기술 및 경영혁신 정책개발과 인력양성 협력    - 중소기업 혁신정책 전문가 네트워크 형성 및 협력  사회자: 이정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특징과 시사점  -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비교연구 중간발표 김주용,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 부장 18:00 휴식 19:00 환영만찬(유니언룸, 15층)    6월28일(수) 6월28일(수) 시간일정 9:00  집합 10:00  현장방문  정통부 유비쿼터스 드림관 (10:00 ~ 10:30) 11:00  문화체험  경복궁 12:00  오찬 (전통한식) 14:00  남산공원 (서울 전망대) 15:30  호텔 및 공항     < 붙임 2 >   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   □ 추진 현황    ‘05.3월 대만에서 개최된 제20차 APEC 중소기업실무그룹회의에서 우리측이 설치를 제안하여 회원국 승인을 획득      - ‘05.9월 대구에서 개최된 제12차 APEC 중소기업장관회의에서는 회원국 장관들이 공동선언문을 통해 지지의사 표명   ‘06.2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국제협력팀을 APEC 혁신지원 사무국으로 개편하여 설치      - ‘APEC 중소기업 혁신지원사업’ 위탁 수행(기술료 3.5억원)      -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비교연구사업’을 APEC으로부터 $59,280를 지원받아 수행   □ 주요 기능 및 역할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과정 운영      - 정책담당자, 혁신전문기관, 중소기업 등 혁신주체별 교육 수요에특화된 교육훈련 과정 운영   APEC 회원국의 중소기업 혁신 정책 및 사례 연구?보급   중소기업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 APEC 중소기업 국제 컨퍼런스 개최, 정기 간행물 발간 및 웹사이트 구축 운영","viewCnt":"5206","regDate":"2006-06-26 12:06:00"},{"contentId":"24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6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평가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5","contentsKor":" 2006년 6월 12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tipa.or.kr   ■ 문의 : 조사연구팀장 김문선  연구원 최영득 02-3787-0443 / F 02-784-0509   ’06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평가 실시 6,000여 개 사를 대상으로 6~8월 중 석 달간 일제 실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정보화지원정책의 수립과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정보화추진방향 제시를 위한 정책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06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2006년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6월 12일부터 약 석 달여 동안 전국의 6,000여개 중소기업?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되는데,   조사방법은 직접방문을 통한 off-line 조사와 on-line으로 동시에 진행되며 제조업 포함 5개 산업(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운수업, 정보통신산업)에대해 실시한다.   금번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정보화 전략수립, 추진환경, 구축운영현황, 활용 및 효과 등의 6개 분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조사에 참여한 모든 기업에게는 자사의 정보화수준 진단결과와 정부지원사업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e-Report’로 제공하여 향후 정보화 추진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 2006년도 중소기업 정보화수준 평가 개요 >   ? 조사기간 : 2006. 6.12 ~ 8.31   ? 조사대상(제조,건설,도소매업,운수,정보통신 등) : 6,000개사     - 종업원 수 5인 이상 중소기업 : 5,600개사     - 대기업 400개사   ? 조사방법 : 개별업체 방문을 통한 면대면 면접조사     * 자발적 참여기업은 on-line 설문조사 참여 가능   ? 조사기관 : 국제통계연구소   ※ 문의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획연구부 (02-3787-0441~3)  ","viewCnt":"5152","regDate":"2006-06-12 12:06:00"},{"contentId":"24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도약을 위한 IT화 전략 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6","contentsKor":" 2006년 5월 18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tipa.or.kr            ■ 문의 : 조사연구팀장 김문선  연구원 최영득                        02-3787-0443 / F 02-784-0509   중소기업의 도약을 위한 IT화 전략 세미나 개최 -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현황 및 성과 발표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 이하 “기정원”이라고 함)은 5월 18일 제18회 중소기업 주간행사의 일환으로 「중소기업의 도약을 위한 IT화 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   본 세미나는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의 성과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각계 전문가들의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의 도약을 위한 효율적인 정보화 지원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기정원은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실적 및 성과」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02년부터 추진 중인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의 성과를 입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할 예정이다.   본 주제발표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성과를 기정원에서 수행한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평가 및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성과평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정보화 도입성과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분석한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본 주제발표 자료에 따르면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이 ‘03년 69.9%에서 ’05년 71.7%로 향상되어 대?중소기업 간 정보화 격차가 감소되었으며, 중소기업의 정보화 활용효과도 ‘03년 56.71점에서 ’05년 57.45점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중소기업 정보화가 내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005년에 추진한 생산정보화 지원사업 및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 등 대표적인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참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원사업 성과평가 조사결과에 따르면 생산정보화 72.1점, TIMPs 70.8점 등 높은 성과점수를 거뒀으며, 특히, 정책적 기여도에 대한 평가결과가 가장 높아 중소기업들이 정부 정책에 대해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본 세미나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기획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1~5) 으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1. 중소기업의 도약을 위한 IT화 전략 세미나 개최 안내 붙임2. 주제발표 관련도표  ","viewCnt":"4841","regDate":"2006-05-18 12:05:00"},{"contentId":"24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경영체제 심사원 합격자 발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7","contentsKor":" 2006년 4월 27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정보화사업2팀장 장건오  연구원 서창훈  02-3787-0452 / F 02-3787-0490     정보화경영체제 심사원 합격자 발표 합격자를 대상으로 자격 심의후 자격증 발급 예정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최근 제9회 정보화경영체제(IMS) 심사원 검정을 위한 필기시험을 실시하여 35명의 합격자를 발표   정보화경영체제 심사원이란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정보화추진모델을 보급 구축하고, 정보화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인증 평가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올해부터는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을 통해 ‘정보화혁신형 기업’을 육성함에 따라 심사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질 것으로 보여, 예년에 비해 약 1.5배 늘어난 132명의 인력이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사원 자격에 대한 높은 관심도와 정보화경영체제 구축과 인증심사 분야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수요가 그만큼 많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심사원은 우선 교육수료 필기시험 자격심의 순의 전형절차를 거쳐 심사원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이론교육은 엔지니어링 사업대가의 기준에 명시된 기술자의 등급 중 정보처리 분야에서의 고급기술자 이상의 자격을 갖춰야만 수강할 수 있다.   필기시험은 정보화경영체제(IMS) 규격, 구축방법론, 인증, IT 일반 위주로 문제가 출제되며, 70점 이상을 획득하면 합격된다. 그리고 필기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자격심의 후 정식 자격을 부여한다.   그간 시범사업을 포함하여 1회부터 8회까지 실시된 시험으로 배출된 316명의 심사원이 있다. 이들은 정보화경영체제 전문기관에 상근 또는 비상근으로 소속되어 중소기업의 정보화혁신을 위한 정보화경영체제 보급 구축,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필기시험 합격자 중 김미정씨(41, 여)가 최고점수를 획득하였고, 직업군 중에는 감리사 5명, 기술사 3명, 교수 3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연령별로는 40세에서 49세가 15명으로 가장 많았다.   한편 기정원에서는 심사원 양성을 위한 이론교육을 지난 3월과 4월, 2차에 걸쳐 실시하였고, 7월과 8월경에 하반기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정보화경영체제(IMS) 심사원은 기정원에서 시행하는 심사원 시험에 합격한 자로서 정보화경영체제(IMS) 구축 또는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정보화경영체제(IMS) 사업은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는 정보화 필요과제를 도출?지원하고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는 기업에 대해서는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 부여 및 정보화혁신형 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 *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은 정보화추진 표준모델(규격)을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 경영품질, 성과체계 등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며, 그 성과가 탁월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서를 부여하여 정보화혁신형 기업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   * 본 정보화경영체제(IMS) 심사원 합격자에 대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사업2팀 (02-3787-0451~5) 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5423","regDate":"2006-04-27 12:04:00"},{"contentId":"24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RFID 상용화를 대비한 ROI 분석기법 개발 필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8","contentsKor":" 2006년 4월 27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조사연구팀장 김문선  연구원 곽후근                        02-3787-0442 / F 02-784-0509   중소기업의 RFID 상용화를 대비한 ROI 분석기법 개발 필요 - 선진국에선 ROI 분석에 기반한 자가진단시스템 개발 활용 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의 RFID 상용화에 대비한 ROI 분석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기업의 RFID 도입률은 3.8%로 도입 초기에 머물러 있으나, 2009년말이면 전산업적으로 도입 및 활용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파급효과도 물류/유통 뿐 아니라 기업활동 전반에 걸쳐 매우 클 것이라고 학계에서는 주장하고 있다.   특히, 세계적으로 RFID 관련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는 EPC- global은 제조업, 도매상 및 소매상별로 RFID 도입에 따른 ROI 분석기법을 개발하여 활용 중에 있다.   제조업은 연간 7백만 달러의 기대효과가 예상되나, 전자태그의 가격부담이 크므로 아이템/케이스/팔레트 등 추적하고자 하는 단위를 기업현황에 맞게 설정하여 단계적인 활용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도매상은 전자태그 및 리더기 관련 소요비용이 적게 들므로 투자 대비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공급망을 구성하는 파트너들과의 전자태그 공동활용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매상은 유통센터 및 점포에서의 기대효과가 크나, 리더기에 소요되는 비용이 매우 크므로 주의 깊은 도입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EPCglobal의 RFID-ROI 분석기법은 RFID를 도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영성과 및 소요비용을 재무적 지표로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들이 RFID 시스템을 도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세계적 규모의 기업을 대상으로 개발되어 국내 중소기업의 경영환경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심도 있는 조사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 현실에 적합한 RFID-ROI 분석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 중소기업의 RFID 도입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중소기업이 세심한 검토 없이 RFID 도입을 추진하기 보다는 업종별 공동활용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장기적인 차원에서 중소기업의 RFID 도입을 촉진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민간협력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는 판단 아래 심도 깊은 연구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 본 자료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기획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1~5)으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  관련자료(TIPA issue 06-02호)","viewCnt":"5253","regDate":"2006-04-26 12:04:00"},{"contentId":"24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 12개사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9","contentsKor":" 2006년 3월 10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정보화사업2팀장 장건오  연구원 서창훈 02-3787-0452 / F 02-3787-0480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 12개사 선정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정보화경영체제(IMS)가 구축된 후 정보화 활용도가 높고 정보화를 통한 경영성과가 나타난 (주)세진전자통신 등 12개 기업을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으로 선정 발표함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 정보화추진 표준모델인 정보화경영체제(IMS)를 구축 완료한 2005년도 117개 기업을 대상으로 인증심사를 실시하여 세진전자통신(주) 등 12개 기업을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으로 선정하였다. 인증기업 12개사 중 정보화경영체제 우수기업에는 (주)세진전자통신(대표 이경자, 서울 소재)이 차지하였다.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은 문서심사와 현장심사를 통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며, 정보화경영체제 성숙도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기반구축단계, 성장단계, 성숙단계의 3단계로 부여된다.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성과를 분석한 결과 해당기업의 정보화 마인드 향상을 통한 정보기술의 운영능력이 체계화되고 업무프로세스 단축 등을 통한 사무비용 절감 등의 성과가 나타났다.     양해진 원장 및 인증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2006년 3월 9일 기정원 대회의실에서 정보화경영체제 인증서와 기념패 수여식이 있었다.   아울러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에게는 구조개선 자금 등 중소기업 지원 정책자금, 기술지원사업, 인력지원, 판로지원, 기술신용등급 평가 시 우대 등 인센티브 부여를 강화함으로써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집중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12개) 명단은 다음과 같음 (주)다스, 대산금속(주), 범한금속공업(주),  삼보판지(주), 세진전자통신(주), (주)세정, (주)세코, (주)엘.씨텍, 일원정밀(주), 주성엔지니어링(주), (주)제이피전자, (주)SH테크 (기업명 가나다순)   *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인증이란?   정보화경영체제(IMS)에서 제공하는 정보화추진 표준모델(규격)을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 경영품질, 성과체계 등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며, 그 성과가 탁월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서를 부여하여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   * 본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과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사업2팀 (02-3787-0451~5) 으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 소개 (첨부화일 참조) ","viewCnt":"5463","regDate":"2006-03-10 12:03:00"},{"contentId":"24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아웃소싱지원사업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0","contentsKor":" 2006년 3월 8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구조개선팀 부장 유연우 담당 김준숙 02-3787-0543 / F 02-3787-0480   ‘정보화아웃소싱지원사업’ 시행 - 中企 정보화지원사업의 내실화 도모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정보시스템 구축 이후, 기술ㆍ인력ㆍ자금 부족 또는 공급자의 문제로 정보화 활용과 운영에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보화아웃소싱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힘.   동 사업에 대한 금년도 추진계획 및 정보화아웃소싱프레임웍에 대한 설명회를 2006년 3월 9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여의도 소재)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동 사업은, 기존의 정보화지원사업이 정보시스템 구축에 역점을 두고 있는 것에 비해 정보시스템 구축 이후, 정보화 활용과 운영에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사후관리 및 애로해결을 지원함으로써중소기업의 정보화시스템 활용률 제고에 기여 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금년도 사업은 2005년 중소기업의 현실에 맞추어 개발한 "정보화아웃소싱프레임웍"에 의하여, 클러스터(지원기업과 전문기관)를 선정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에 따라 중소기업의 정보화 운영애로 해소를 통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정부의 정보화지원사업 내실화 추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정보화 아웃소싱이란 : 기업이 핵심 역량에 집중하기 위하여 기존 또는 신규 정보화 관련 자원 및 관리 전부(또는 일부)를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관리하게 하는 장단기 계약을 의미 ","viewCnt":"4867","regDate":"2006-03-08 12:03:00"},{"contentId":"24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 새롭게 출범 (새 CI 선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1","contentsKor":" 2006년 3월 2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홍보기획예산팀 팀장 최용원, 연구원 조도현 02-3787-0422 / F 02-784-0509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 새롭게 출범 ‘새 CI 선포와 함께 제 2 개원 선언’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기술과 정보화의 융합화 추세에 부응하여 중소기업의 경영혁신 제고를 위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 양해진, 이하 “기정원”)으로 새롭게 출범한다. 기정원은 2006년 2월 28일 여의도 본원에서 명칭 변경에 따른 현판식 및 기업통합이미지(CI) 선포식을 갖고 ‘제2의 개원’을 선언한다. 이에 따라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 환경에 부응해 수요자 중심의 현장밀착형 지원을 강화하여 고객만족을 향상시킴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새 출발을 시작한다. 또한 기정원의 성과제고와 투명성 확보를 위한(Effectiveness & Transparency) 협약식을 수요자, 지원기관, 공급자 및 경영원의 4자 협약으로 추진하여 기관의 혁신 및 반부패 의지를 대내외에 선포할 예정이다. 기관의 확대 개편 기술과 정보의 융합화 추세에 따라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2005년 12월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이 국회에서 개정되었다.  기정원으로의 발족은 혁신적인 신기술 추진전략과 정보화 전략, 이에 적절한 신경영전략까지를 포괄하여 기술?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의 종합적 육성을 추구하는 정부의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 정책과 전략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기정원은 법개정에 따라 기존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 뿐만아니라 “중소기업 기술혁신 기반조성” 및 “기술혁신개발사업 수행” 까지 지원하게 된다.  2006년 기정원은 총245억원 규모로 약 750개사에 대하여 생산정보화,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 정보화혁신클러스터사업 등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사업을 계속 지원하며, 새롭게 생산현장 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 이전기술개발사업, BI창업기업 공동기술 개발사업 등 35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기술혁신사업을 지원하게 된다. 기정원은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2본부 1센터 6부 체제로 조직운영체계를 정비하여 중소기업 경영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적극 뒷받침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었다.  또한 지난 2005년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에서 역내 중소기업의 경영혁신 제고를 위해 설립하기로 결정한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를 기정원 내에 설치하여 우리 중소기업의 국제적 위상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기정원 CI 새로 제정된 기정원의 CI를 구체적으로 보면, 심벌과 서체로고로 구성되어 있다. ‘중소기업과 함께 미래를 여는 TIPA’라는 기치 아래 첨단기술과 정보화, 혁신을 상징하는 ‘청색 바탕’과 기관의 견고함과 신뢰를 나타내는 ‘볼드형 영문 이니셜’, 중소기업의 미래를 향해 열린 가능성을 상징하는 ‘사각의 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청색과 백색으로 분할된 육각형의 공간은 중소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나타내며, 청색으로 채색된 공간이 작지만 강한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발전해 가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새롭게 출발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이 그 한가운데 자리 잡고 중소기업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임직원들의 각오를 담아 새로운 CI를 제작하였다.  기정원 임직원의 각오 한편 기정원의 CI 선포식 행사에는 김성진 중소기업청장 등 주요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기정원내에 설립되는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 현판식이 함께 개최된다. 이날 행사에서 양해진 원장은 “기술정보진흥원이 그동안 정보화사업을 추진하면서 보여준 사업추진태도와 헌신적인 열정을 토대로 앞으로도 주어진 업무에 더욱더 매진할 것이며, 무엇보다 수요자 중심의 과제발굴과 현장 밀착형으로 행정프로세스를 혁신하여 고객 만족을 극대화 하겠다”는 각오를 새롭게 다졌다.  □ 신규 CI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약칭 ‘기정원’)  - 영문 : Korea Technology &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 홈페이지 : www.tipa.or.kr ","viewCnt":"5140","regDate":"2006-03-02 12:03:00"},{"contentId":"24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생산정보화 구축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2","contentsKor":"   2006년 2월 28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정보화기반팀 최진석 팀장, 임형채 연구원 02-3787-0483/F 02-3787-0480 “생산성 향상은 생산공정 디지털화로” 중소기업 생산정보화 구축사례집 발간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05년도 중소기업생산정보화사업에 참여한 187개 중소기업중 구축성과가 우수한 ㈜조일공업 등 10개사의 구축사례를 사례집으로 발간하였다. 이 사례집은 생산정보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이 쉽게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사업추진개요, 추진성과 등을 그림, 도표, 그래프, 사진 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생산정보화사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생산정보화 관련 용어, 생산정보화 제안요청서 및 생산정보화 참조모델 등을 수록 하였다. 이 사례집은 중소기업 생산정보화를 확산하기 위해 정보화사업통합관리시스템(http://i-sme.kimi.or.kr)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소기업청은 금년도에 생산정보화사업비로 8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지원 받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3.3일(금) 18:00까지 온라인[정보화사업 통합관리시스템(http://i-sme.kimi.or.kr)]으로 신청하면 된다. <참고> 생산정보화 우수기업 구축사례 1. 조일공업(주) 울산 효문산업단지에 소재한 조일공업(주)(대표 김수열)은 자동차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로써 17대의 프레스와 30대의 용접설비에 9대의 터치스크린 방식 생산정보관리시스템(POP) 단말기를 설치하였다.POP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 수작업으로 제조보고서와 생산실적을 수기가 필요 없게 되었고, 원자재재고율 46.8%, 완제품재고율 38.5% 및 제품불량률 54.4% 각각 줄이는 성과를 올렸다. 2. (주)아이앤피 대구 노원동에 소재한 (주)아이엔피(대표 권영근)은 칼라명함, 스티커, 앨범 등을 생산하는 업체로써 14대 인쇄기를 POP시스템 구축하였다.POP를 통해 인쇄시간, 생산량과 가동률 현황, 생산성 분석 및 일일 생산실적 등을 실시간 데이터로 분석해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POP 도입 이후 작업 준비시간은 50%, 데이터 도입시간은 86.6%, 서류 작업시간은 80% 이상 감소하게 되었다. 또한 생산실적을 DB화로 실시간 정보처리로 의사결정이 빨라졌고, 작업분배와 인력계획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인쇄공정의 최적화를 실현하였다. 3. 한국수출포장공업(주) 한국수출포장공업(주)(대표 허용삼)은 골판지업계의 선두 주자로써 부서간, 업무간 정보의 일원화로 중복업무를 배제하는 동시에 수작업 업무개선으로 원가절감과 품질향상을 달성하기 위해 POP시스템을 구축하였다.POP시스템을 통해 생산 스케줄링, 작업 지시관리, 작업 실적관리, 원지관리, 생산 출하관리 등을 중앙관리장치실에서 각 접점에 설치한 센서를 통해 실시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이로 인하여 원지투입 오류개선, 여유수량 생산절감, 초과 생산량 감소 등 제품생산 수익률 향상으로 283백만원의 비용절감과 스케줄링 업무, 재고관리 및 작업실적 자동집계 등으로 약 58백만원의 비용절감, 생산리드시간 단축(48시간→36시간) 등으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였다. 4. (주)아성정공 경남 김해에 소재한 (주)아성정공(대표 이가상)은 가전제품용 플라스틱 사출 금형과 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로써 2004년 파인블랭킹 공장을 신축하면서 파인 사업부 전 라인에 POP와 제조실행시스템(MES)을 도입하였다.자체서버와 PDA 시스템을 구축, 기존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RP)과 연동, 기존 보안 IC카드와도 통합해 출퇴근에서 생산관리, 물류관리에 이르는 모든 업무 프로세서를 자동화했다.이로인해 실시간 작업현황 파악 및 물류관리시스템으로 50%의 리드타임 감소, 제고율 31% 감소, 설비부하율 25% 감소 등의 효과를 거두었다. 특히 2004년 150억원에서 2005년에는 180억원, 2006년에는 240억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5. (주)풀무원스프라우트 충북 음성군에 소재한 (주)풀무원스프라우트(대표 김경남)은 건강기능식품 업체로서 콩나물 포장생산공정에 제조실행시스템(MES)과 생산시점관리(POP) 시스템을 도입하여 생산라인 고장원인, 생산량, 생산실적 등 각종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집계 하였다.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생산 현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재택근무를 하면서도 현장상황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으며 각종 생산 데이터에 대한 수기 작업도 필요 없게 되었다시스템 도입 후 서류작업 시간 66.7% 감소, 제조리드타임 35.3% 개선, 불량률 4.5% 감소, 기계 부하율 15.3% 개선하였으며, 매출액이 2004년 보다 약 20%증가 하였다. 6. (주)명성-모화공장 부산시 사하구에 소재한 (주)명성(대표 손무성)은 자동차부품 생산업체로서 장비가동여부, 생산실적 및 계획생산 등을 할 수 없어 POP 시스템을 구축하였다.POP 도입 후 제품제고율 40%, 불량품율 65%, 데이터 도입시간 95%, 서류작업시간 88% 가량 감소하였다. 또한 실시간 생산라인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생산예측이 정확해 졌으며,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여졌다. 7. (주)씬터온 경기 화성에 소재한 (주)씬터온(대표 이병재)은 자동차부품 업체로 최근 수많은 경쟁업체의 증가, 고객사의 높은 품질 및 낮은 납품가격의 요구 등 시장변화 및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POP를 구축하였다.POP 도입으로 제품(원부자재) 재고 22% 감소하, 제조리드타임도 18% 개선뿐만 아니라 서류작업시간은 91% 감소하는 등 업무가 크게 효율화되었다. 생산정보의 실시간 공유로 부서간 협조 및 문제 발생시 대처능력이 향상되게 되었고, 단순기록 업무에 낭비하던 시간을 공정분석 및 개선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공정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데이터 가공 및 분석시간의 대폭적인 감소를 가져왔다. 8. 한국볼트공업(주) 경기도 안산에 소재한 한국볼트공업(주)(대표 송관섭)는 산업용 단조품, 볼트, 너트를 생산하는 업체로써 생산정보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불가능함을 깨닫고 POP시스템을 구축 하였다.POP도입 이후 원자재 제고율 58% 감소, 재공율 23%, 생산주기가 10% 단축 되었다. 열처리 공정의 필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자동 등록하여 현재 데이터를 입력 관리하는 시간에 공정관리를 할 수 있게 되어 실적처리가 정확하게 되었다. 9. (주)새한철강 광주에 소재한 (주)새한철강(대표 남재희)은 철근압연가공을 하는 업체로써 발주처의 주문 물량을 동시에 대량 제작하여 각각의 현장에 출하해야 하는 특성이 있어 생산품목, 재고, 출하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POP시스템을 구축하였다.이로 인해 절단현장에서 공사현장 및 차수별 철근절단공정의 진행상황과 가공달성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납기를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미 가공품의 발생 및 출하납품차질을 줄임으로 공사지연의 클레임이 없게 되었으며, 공사현장의 조립공사중 가공품의 분실로 인한 현장의 잘못을 미 가공품 또는 출하의 잘못으로 클레임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져왔다. 10. 현우포장 인천시 서구에 소재한 현우포장(대표 오창섭)은 칼라 및 인화 박스를 생산하는 업체로써 업종 특성상 제품의 정확한 생산수량, 불량, 생산성 등을 파악 할 수가 없어 POP시스템을 구축하였다.이로 인해 제조리드타임 90%감소, 납기기간이 20% 단축, 서류작업시간은 98% 절감, 제품불량률 33% 감소하여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viewCnt":"6352","regDate":"2006-02-28 12:02:00"},{"contentId":"24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1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3","contentsKor":" 2006년 2월 23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 이영규 팀장,  연구원 박희정 02-3787-0462/F 02-3787-0480 제21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 2월 24일 (금) 07:20부터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삼성동 소재) 하모니볼룸Ⅱ에서 제21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할 예정임 □ 중소기업혁신포럼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혁신과 정보화를 통하여 기업들의 경영혁신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정보 교류의 장으로 마련하고 있음 □ 올해(‘06년도)는 5회 이상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를 목표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에게 제공할 계획임 □ 금번(제21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은 중소기업청 김성진 청장의 『2006년도 중소기업정책방향』에 대한 강연으로 진행되며 2006년도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방향을 제시할 예정임 □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임 □ 중소기업혁신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 문의는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02-3787-0462) 및 포럼 홈페이지(http://forum.kimi.or.kr) 참조 ※ 연락처 :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 박희정 연구원 02-3787-0462  ","viewCnt":"4601","regDate":"2006-02-23 12:02:00"},{"contentId":"24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경영체제사업 IMS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4","contentsKor":" 2006년 2월 22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정보화사업2팀장 장건오  연구원 서창훈 02-3787-0452 / F 02-3787-0480 정보화경영체제사업 IMS기관 선정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정보화경영체제(IMS) 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2월 20일 IMS기관을 선정발표     신청 접수한 IMS기관을 대상으로 지원방안, 사업관리, 정보화방법론, 보유솔루션 및 기술력 대하여 중점적으로 평가하여 (합)대한정보 등 6개 IMS기관을 선정 발표하였다.          * 서울 : 대한정보, 휴먼앤퓨처정보통신, 대전 : 이미리컨설팅, 대구 : 이비즈라인, 광주 : 투루텍, 부산 : 한국표준화컨설팅     선정된 IMS기관은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는 정보화 필요과제를 도출하고 정보화추진 표준모델인 정보화경영체제(IMS)를 구축하여 가시적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해당 중소기업을 지원한다.     앞으로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정보화경영체제가 구축된 후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기업에 대해서 정보화경영체제 인증을 부여하고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사업이란?  IMS심사원 및 IT기업을 연계하여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는 정보화 필요과제를 도출?지원하고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기업에 대해서는 IMS인증 부여 및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임       * 본 IMS기관 선정과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사업2팀 (02-3787-0451~5) 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4676","regDate":"2006-02-22 12:02:00"},{"contentId":"24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컨설팅우수기업 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5","contentsKor":" 2005년 12월 30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컨설팅팀 팀장 장건오, 연구원 임형채 02-3787-0454/F 02-3787-0480    정보화컨설팅우수기업 사례집 발간  정보화경영체제(IMS) 심사원 양성교재도 함께 발간 보급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05년 정보화종합컨설팅 지원사업에 참여한 1,324개 기업 중 (주)대송텍스타일 등 12개 우수기업을 선발하여 우수사례집을 발간하였다. 또 정보화경영체제(IMS) 전문가 육성을 위한 심사원 양성교재인 ‘중소기업 정보화혁신 실천방법론’도 함께 발간하여 보급하였다. 이번 우수사례집에 선정된 12개 우수기업들은 ‘컨설팅 결과 활용 수준’, ‘벤치마킹 활용 가능성’, ‘업무혁신’ 등의 성과를 평가?선정 하였으며 제조, 건설,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의 기업들로 각 산업의 중소기업에 적용이 가능한 규모와 업종의 기업들로 구성되었다. 이들 기업은 정보화컨설팅 결과물을 충실히 활용하여 정보화를 성공적으로 도입한 기업들이며 향후 정보화컨설팅을 추진하는 기업들에게는 정보화 도입 안내자로서의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 정보화혁신모델인 정보화경영체제(IMS)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재인 ‘중소기업 정보화혁신 실천방법론’의 특성은 정보화경영체제(IMS) 지원사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방법론과 서식들을 포함하고 있어 최고경영자, 정보화 담당자 및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이 정보화경영 및 촉진에 좀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정보화경영체제를 통해 기업의 정보화 활용도가 향상되고 경영성과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란?    정보화를 통해 경영혁신을 이루기 위해 표준화된 정보화 추진 모델로서 정보화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경영성과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개선시키기 위한 제도임. * 본 우수사례집 및 교재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경영혁신부 컨설팅사업팀 (02-3787-0451~6) 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5603","regDate":"2005-12-30 12:12:00"},{"contentId":"24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책개발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6","contentsKor":" 2005년 12월 21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생산혁신팀 팀장 최진석, 연구원 박완기 02-3787-0481/F 02-3787-0480     중소기업 정책개발 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 정보화와 기술혁신 추진성과 및 발전방향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12.22일(목) 14:00부터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에서 중소기업 정책개발 간담회를 개최한다.  간담회는 초청강연과 패널토론으로 진행되며, “중소기업이 정보화와 기술혁신을 접목함으로써 생산성 향상등 기업경영의 시너지 효과를 도출”이라는 주제로 서울대학교 박진우 교수의 초청강연과 함께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의 추진성과와 ‘06년도 사업개선 내용, 쿠폰제경영컨설팅사업 추진성과 등에 대한 주제발표와 정보화·경영컨설팅·기술혁신에 대한 패널토론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초청강연 및 토론회에는 중소기업, IT전문기업, 관련전문가 등이 참석하여 정보교류와 의견수렴의 장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4","atchfileNm":"보도자료(6차지역간담회).hwp","viewCnt":"4821","regDate":"2005-12-21 12:12:00"},{"contentId":"24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e-프로세스 혁신 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7","contentsKor":"  2005년 12월 13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국제협력팀 팀장 장인성, 연구원 김종윤 02-3787-0431/F 02-784-0509     중소기업 e-Process 전략 세미나 개최       중소기업 업무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정보화 활용방안 모색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양해진)은「중소기업 e-Process 전략 세미나」를 2005년 12월 15일(목) 13시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2층 중회의실에서 개최한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정보화 활용 우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방문, 면담 등을 통하여 e-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실태조사와 전략 등을 수립하였다.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세미나에서는 중소기업이 자사 업무프로세스별로 정보화 추진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벤치마킹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화 우수사례를 보급하고자 한다. 또한 비아이솔류션 왕진일 대표이사는 「정보화를 활용한 중소기업 업무프로세스 혁신 전략」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중소기업에서의 성공적인 프로세스혁신을 위해 프로세스의 정보화, 프로세스의 지속적인 실행, 성과관리의 중요성을 전략적 차원에서 제시한다. 이어서, 정보화 활용 우수 사례로 "(주)조선선재"와 "(주)진양오일씰"에서는 자사의 정보화 추진과정에 대해 발표를 한다. 세미나 참가비는 무료이며, 온라인 사전등록은 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통해 실시중이고 행사당일 현장등록도 가능하다. * 본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책연구부 국제협력팀 (02-3787-0431~3) 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5690","regDate":"2005-12-13 12:12:00"},{"contentId":"24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블랜디드교육을 적용한 쿠폰제경영 컨설턴트 심화과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8","contentsKor":"  2005년 11월 10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디지털경영센터장 주석정, 연구원 이찬형 02-3787-0462/F 02-3787-0480   블랜디드교육을 적용한 쿠폰제경영 컨설턴트  심화광정 온·오프 통합형 교육과정으로 교육효과성 제고에  역점 “비즈니스 프로세스혁신 사례분석과정” 개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양해진)은 중소기업청(청장:김성진)이 주관하는 『‘05년 컨설턴트 분야별 전문 심화 교육』사업의 주관기관으로 ’05.11월~12월(2개월)동안 “비즈니스 프로세스혁신 사례분석과정”을 서울, 부산, 대전에서 총 4회 개설한다고 밝혔다. 쿠폰제경영컨설팅사업 주관기관인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기존 활동중인 컨설턴트의 역량강화를 위해 중소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비즈니스 프로세스개선 방법론 및 혁신사례를 교육내용으로 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혁신 사례분석과정” 을 11월 14일(월)부터 개설한다. 본 과정의 특징은 일방적인 주입식교육의 단점을 보완하고, 교육참가자의 자발적인 교육참여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교육과 집합교육이 통합된 블랜디드 교육과정이다. 온라인교육(20시간)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혁신 방법론 및 기법을 체계적으로 학습한 이후, 집합교육(16시간)으로 사례분석 및 워크샵 활동으로 선진방법론 및 기법의 활용능력을 배양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지방소재 컨설턴트의 교육기회를 확대하고, 컨설팅업계 현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온·오프라인 통합교육과정을 시도한 점에서 수요자중심적인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쿠폰제컨설팅사업의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교육체계 수립의 획기적인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과정은 중기청에서 시행하는 “쿠폰제경영컨설팅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컨설턴트 및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한 심화과정으로, 과정 수료자는 향후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컨설팅산업발전관련 법·제도 개정과 연계하여 교육이수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고, ’06년 쿠폰제경영컨설팅사업 참여요건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중기청 발표, 10월 28일) 과정내용도 종전에 컨설턴트협회 등에서 실시하던 이론강의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탈피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혁신 분야의 선진컨설팅방법론 및 기법 강의와 정부의 중소기업컨설팅지원사업 수행과정에서 축적된 실제사례의 분석 및 워크샵으로 구성된 전문 컨설턴트 역량강화 교육과정이다. 수강신청은 11월 14일(월)까지이며, 온라인교육기간(11.14일~30일)동안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디지털경영센터 교육사이트(www.edukimi.com)를 통해 온라인학습을 하게 되며, 12월2일부터 총 4회에 걸쳐 집합교육(2일)을 실시한다. *교육과정 참가신청 및 문의는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02-3787-0461~4) 및   디지털경영센터 홈페이지(www.edukimi.com)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5","atchfileNm":"보도자료(컨설턴트교육).hwp","viewCnt":"6112","regDate":"2005-11-11 12:11:00"},{"contentId":"24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9","contentsKor":"  2005년 11월 9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홍보팀  팀장  김기호, 연구원  김준숙  02-3787-0492  /  F 02-784-0509   제2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11월 10일 (목) 07:00부터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 하모니볼룸Ⅲ(삼성동      소재)에서 제2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함  □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도구로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CEO, IT기업대표, 관       련 전문가 및 정부·유관기관 관계자들의 정보교류 및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함  □ 금회(제2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최홍건 위원장의        주제발표로 진행됨   - 「2만불 시대를 향한 중소기업 정책과제」에 대한 주제발표로 중소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최근 동향, 중소기업 정책방향 및 과제       에 대해 논의할 예정임   -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 문의는 기획조정부 홍보팀(02-        3787-0492) 및 중소기업정보화포럼 홈페이지(http://forum.kimi.or.kr) 참조  (연락처 : 기획조정부 홍보팀 김준숙 연구원 02-3787-049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6","atchfileNm":"보도자료(20회포럼).hwp","viewCnt":"5713","regDate":"2005-11-08 12:11:00"},{"contentId":"24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혁신형 중소기업 따라잡기」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0","contentsKor":"  2005년 11월 2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조사연구팀 팀장 김문선  연구원 이정은 02-3787-0443 / F 02-784-0509 「혁신형 중소기업 따라잡기」세미나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11월 3일(목) 14~17시까지 사학연      금재단(여의도 소재) 2층 세미나실에서 「혁신형 중소기업 따라잡기」세미     나 개최함  ○ 이번 세미나에는 중소기업과 IT기업 대표 및 임직원, 학계 인사,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임 □ 이번 세미나는 “혁신형 중소기업 따라잡기”라는 주제로 열리며, 중소기업     의  갈수록 심화되는 대내외 경영환경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이를 통해 재     도약할 수 있는 기회와 계기를 마련하고자 추진함 □ 주제발표는 중소기업청의 김성섭 팀장(혁신형기업육성팀)의 “혁신형 중소기     업이란?”의 발표를 시작으로 해서,    ○ 정대영 대표(㈜인텔릭), 김진화 교수(서강대), 김영춘 팀장(한국관세무        역연구원) 순으로 진행될 예정임 □ 지난 5월부터 10월말까지 진행된 “중소기업의 변화와 혁신 그리고 재도약 :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가는 길”이라는 연구 프로젝트의 결과를 발표하게 되는 이     번 세미나는, 중소기업의 만성적인 문제로 꼽히는 인력ㆍ판로ㆍ수출문제를     정보화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보고, 아울러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 세미나 참가 및 사전등록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http://www.kimi.or.kr) 및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3)으로 문의바람.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이정은 연구원 , 02-3787-0443)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7","atchfileNm":"보도자료(혁신세미나).hwp","viewCnt":"5981","regDate":"2005-11-03 12:11:00"},{"contentId":"24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대전·충남지역간담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1","contentsKor":"  2005년 10월 20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문의: 생산혁신팀 최진석 팀장, 박완기 연구원 02-3787-0481/F 02-3787-0480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대전·충남지역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청(廳長 金成珍)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院長 梁海鎭)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화 지원정책 발굴을 위해 「2005년도 제5차 대전·충남지역간담회」를 2005년 10월 20일(목) 14시부터 충청남도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회의실에서 개최함.   · 동 간담회에서는 지역경제 및 중소기업의 업종별 특성, 경영환경, 정보화 수준 등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며, 지역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과 문제점, 향후 개선방안 등에 대한 논의와 함께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가 있을 예정임. □ 이번 간담회는 수요자인 중소기업과 공급자인 IT기업, 관련분야 학계 교수 등이 질의 및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애로사항을 수렴하고자 마련한 자리로,  · 간담회 순서는 대전·충남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정보화지원현황 및 추진과제 발표, 정보화 구축사례 발표[풀무원스프라우트(주)],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 토의 및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됨.  · 아울러 중소기업청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을 통하여 지원하고 있는 각 사업(정보화종합컨설팅, 생산설비정보화, 정보화혁신전문기업 등)에 대한 소개가 있을 예정임. 붙임 : 지역간담회 진행(안)  ","viewCnt":"5114","regDate":"2005-10-19 12:10:00"},{"contentId":"24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9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2","contentsKor":"  2005년 10월 13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홍보팀  팀장  김기호, 연구원  김준숙  02-3787-0492  /  F 02-784-0509   제19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10월 14일 (금) 15:30부터 광주 신양파크호텔 그랜드볼룸 에서 제19회 중소      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함  □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도구로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CEO, IT기업대표, 관      련전문가 및 정부·유관기관 관계자들의 정보교류 및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함  □ 금회(제19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산업자원부 허범도 차관보의 주제발표로 진행됨   - 「글로벌경제와 CEO의 자세」에 대한 주제발표로 글로벌경제시대에 기업이 넘어야 할 3山을 제시하고 글로벌 환경에서 CEO의 자세와 중소기업 미래에 대해 논의할 예정임   -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 가입   문의는    기획조정부    홍보팀    (    0    2      -   3    7  8  7   -    0   4    9   2    )                            및    중소기업정보화포럼     홈 페이지   (   h    t    t     p     :/   /   f    o     r   u   m   . k      i i .   m     i .      o    r  .   k     r )  (연락처 : 기획조정부 홍보팀 김준숙 연구원 02-3787-049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8","atchfileNm":"보도자료(19회포럼).hwp","viewCnt":"4748","regDate":"2005-10-12 12:10:00"},{"contentId":"24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불법 기술유출 방지 솔루션 구축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3","contentsKor":" 제목 없음     2005년 10월 5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기술혁신팀 팀장 전대성  선임연구원 이영규 02-3787-0512 / F 02-784-0509 불법 기술유출 방지 솔루션 구축 지원 (주)텔레칩스 등 20업체에 보안 시스템 및 설비 구축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우수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주)텔레칩스 등 20개 업체를 선정하여 중소기업의 불법 기술유출 방지솔루션 구축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중기청은 기술 우수기업의 기술유출 방지를 위해 지난 4월부터 INNO-BIZ기업, 벤처기업 등의 첨단 및 우수기술을 보유한 3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유출 취약점 등 정밀진단을 실시하였다. 정밀 진단결과 기술의 중요성, 사업추진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텔레칩스 등 20개 중소기업을 선정, 침입차단, PC보안, 서버보안 등의 시스템과 출입통제, 영상녹화 장비 등의 보안설비 구축비용을 지원하기로 했다.   *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방지 솔루션구축사업의 지원범위는 소요비용의 75%까지이며 정밀진단은 300만원, 솔루션구축은 1,200만원까지 지원 또한 중소기업이 산업보안에 대한 인식제고를 통해 스스로 기술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산업보안 교육 및 세미나, 기술유출 실태조사 및 사례집 발간 등 중소기업의 불법 기술유출 방지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정원에 따르면 기술유출 경로는 전직직원, 현직직원, 외부 전문가 등의 순으로 유출하는 것으로 나타남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9","atchfileNm":"보도자료(불법기술).hwp","viewCnt":"5282","regDate":"2005-10-06 12:10:00"},{"contentId":"24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경기지역간담회」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4","contentsKor":"  2005년 10월 4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생산혁신팀장 최진석 연구원 박완기 02-3787-0481/ F 02-3787-0480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경기지역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2 0 0 5 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경기지역간담회」를 2005. 10. 5(수) 13:30~15:00, 경기지방중소기업청 회의실에서 개최함   ㅇ 동 간담회에서는 지역경제 및 중소기업의 업종 및 특성, 경영환경과 정보화 수준 등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고, 정부의 정보화 정책을 소개하며, 지역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과 문제점 및 향후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함 □ 이번 간담회는 수요자인 중소기업과 공급자인 IT기업, 관련분야 학계 교수 등 관계자들간의 쌍방향 질의 및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애로사항을 수렴하여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함에 있어 성과를 거두고자 마련한 자리로,  ㅇ 간담회 회의 순서는 경기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정보화지원현황 및 추진과제 발표, 정보화구축사례발표[한국수출포장공업(주), 태하메카트로닉스(주)],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 후 토의 및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됨  ㅇ 아울러 정보화경영원이 추진하는 정보화종합컨설팅사업, 생산정보화사업,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등 사업별 지원규모 및 자격요건·신청방법과 추진절차 등 2005년 정보화지원사업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소개할 예정임 □ 특히 동 간담회를 마친 후, ‘03년도 생산정보화사업 참여업체인 (주)세닉스디지컴을 방문하여 정보시스템 구축 성과에 대해 확인할 예정임  ㅇ (주)세닉스디지컴은 생산정보화사업을 통해 적기에 양품  원자재 조달로 품질 경쟁력 향상 및 단 납기 대응, 30% 이상의 재고 회전율 강화 및 부실 재고 방지, 60% 이상의 1인당 매출액 증가의 효과를 가져옴 붙임 : 지역간담회 진행(안)    ","viewCnt":"5085","regDate":"2005-10-04 12:10:00"},{"contentId":"24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e-Manufacturing 구축 우수기업 선정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5","contentsKor":" 제목 없음   2005년 10월 4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생산혁신팀장 최진석 연구원 박완기 02-3787-0481/ F 02-3787-0480   e-Manufacturing 구축 우수기업 선정 중기청, 생산설비정보화사업 지원성과 우수기업 선정 중소기업청(廳長 金成珍)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院長 梁海鎭)은 생산설비정보화(e-Manufacturing)사업 참여 중소기업 중 지원성과가 우수한 (주)조일공업 등 5개사를 선정하였다. e-Manufacturing은 생산현장의 정보(설비상태, 공정의 부하상태 등)를 실시간으로 집계·분석하고 생산공정을 제어하여 작업자 및 경영자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설비의 가동률 향상에 따른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번 선정된 (주)조일공업 등 5개사는 현장의 생산관련 데이터 도입시간이 평균 84.1% 단축되고, 제조 소요시간, 제품출고시기 등의 정확성이 45.8% 향상, 제품(원부자재) 재고율 38.7% 감소되는 등의 성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우수기업의 생산현장을 생산정보화 성공사례 견학의 장으로 활용하고, 성공사례발표회 및 우수사례집발간 등을 통하여 우수사례 중소기업의 홍보와 함께 생산정보화 모델을 보급·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 e-Manufacturing 우수기업의 시스템 도입효과 > 우수기업명 업종 주생산품 도입시스템 도입효과 조일공업(주) 자동차 부품 (금속) 자동차용 브라켓류 POP - 데이터도입시간 95.8% 감소 - 원자재재고 46.8% 감소 - 공정품불량 51.5% 감소 (주)아이앤피 출판인쇄 상업인쇄물 POP - 데이터도입시간 86.6% 감소 - 서류작업시간 80.0% 감소 - 고객납기시간 33.3% 개선 (주)한국수출포장 제지 (판지) 골판지원단, 골판지상자 생산스케쥴링 시스템 - 예측정확도 70% 향상 - 고객납기시간 53.3% 개선 (주)아성정공 자동차 부품 (기계) 금형 및 부품 플라스틱사출금형 POP/MES - 데이터도입시간 84% 감소 - 기계부하 25% 감소 - 제조소요시간 50% 감소 (주)풀무원스프라우트 식품 콩나물, 숙주나물 POP/MES -데이터도입시간 54% 감소 -서류작업시간 66.7% 감소     ","viewCnt":"5530","regDate":"2005-09-21 12:09:00"},{"contentId":"24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6","contentsKor":" 2005년 9월 16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조사연구팀 팀장 김문선  연구원 박성준 02-3787-0442/ F 02-784-0509 2005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실시 지역별 중소제조업 인력실태에 대한 실지조사 실시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9월 20일(화)부터 10월 21일(금)까지 1개월간 2005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를 각 시/군/구 중소기업 지원 담당 공무원들의 협조를 받아 실시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는 중소기업의 인력수급 및 부족인력 현황, 교육, 훈련현황, 외국인 근로자 관련 사항 등 전반적인 중소기업 인력현황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통해 중소기업 인력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인력지원특별법 제7조에 근거하여 실시하는 조사이다.  2005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는 중소기업 일반현황, 인력현황 및 인력수급대책, 인력활용 현황, 정책 이슈 현황(외국인 근로자, 주5일근무제 등) 및 정부 인력정책 활용,효과 등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된 조사지를 통하여 중소제조업체 10,0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는 1개월간(‘05. 9. 20 ~ 10. 21)의 중소기업 인력현황에 대한 현장조사결과를 11월 한달동안 통계처리와 분석작업을 통하여 2005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결과를 도출하게 되며, 올해 12월 조사결과를 공표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0","atchfileNm":"중소기업인력실태조사보도자료(20050914).hwp","viewCnt":"4975","regDate":"2005-09-15 12:09:00"},{"contentId":"24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혁신역량강화교육 과정 개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7","contentsKor":"   2005년 9월9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Tel. 02-3787-0400 ㅣ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디지털경영센터장 주석정  연구원 이찬형 02-3787-0462 / F 02-784-0509          중소기업 혁신역량강화 교육과정 개설   기술혁신 및 신사업추진을 위한 성과지향형 교육과정에 역점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 재직자의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연말까지 30개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디지털경영센터에서는 ’05.9월~12월까지 4개월 동안 직급별기초 2과정, 업무별혁신역량강화 7과정, 전문가양성 1과정 총 10개 전문과정을 개설하며, 집합교육(5과정) 및 온라인교육(5과정)형태로 운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아울러 중소기업 재직자의 IT능력 향상을 위한 20개 기초과정을 온라인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직급별기초과정으로는 중소기업 CEO 및 임원들의 디지털마인드 제고를 위한 『최고경영자디지털리더쉽』, 중소기업 중간관리자의 조직관리 및 사업추진능력을 배양하기 위한『중소기업 혁신형 중간관리자 양성』과정을 운영하며, 본 과정을 통해 최고경영자 및 중간관리자의 역량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업무별혁신역량강화과정으로는 신사업 발굴 및 추진을 위한 전략, 방법론, 실무기법들을 교육하는 『신사업모델개발워크샵』, 『신규사업기획전문가』,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e러닝 도입 및 운영 전략을 교육하는 『중소기업e러닝운영자』과정 등을 개설하여 다양한 중소기업의 교육수요를 충족할 계획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전략과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중소기업기술혁신추진』, 중소기업의 업무프로세스 혁신을 통한 성공전략과 사례를 제공하는 『성과지향BPR실천』, 기타 『경영효율화를 위한 컨설팅 활용과 방법』, 『사례로 풀어보는 조세지원제도』 과정은 금번에 신규로 개설되는 교육과정으로, 본 과정들을 통해 급변하는 경영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혁신역량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부정보화지원사업에 투입되는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IMS심사원양성』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디지털경영센터는 대기업에 비해 체계적인 교육기회가 적은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 직급별 기초과정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술혁신 및 신사업추진 등의 성과지향형 교육과정에 역점을 두고 경영, 기획, 기술, 마케팅 분야에 걸쳐 다양한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디지털경영센터 교육과정 참가신청 및 문의는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 (02-3787-0461~4) 및 디지털경영센터 홈페이지(http://www.edukimi.com)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1","atchfileNm":"보도자료(DMC).hwp","viewCnt":"4960","regDate":"2005-09-08 12:09:00"},{"contentId":"24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위한 정보화 추진전략 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8","contentsKor":"   2005년 9월 1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Tel. 02-3787-0400 ㅣ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국제협력팀 팀장 장인성  연구원 곽후근 02-3787-0432 / F 02-784-0509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위한 정보화 추진전략 세미나 개최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이 주최하고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이 주관하는「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를 2005년 8월 30일(화) 대구 EXCO에서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중소기업들의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혁신하기 위해 필요한 CAD, CAM, CAE, PDM 등 정보시스템의 활용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이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 종사자 등 약 200여명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루었다.   특히,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기술혁신형중소기업 19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여 제품개발 정보화 추진 상의 문제점과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 분석결과 중소제조업의 제품개발 정보화는 3D CAD 채택이 대기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등 매우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품개발 정보화를 전사적인 차원에서의 제품수명주기관리로서 인식하도록 하는 정보화 마인드 확산과,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힘든 공학 해석 등에 대한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및 제품개발 정보화 솔루션 임대서비스 등 제품개발 정보화의 저변 확대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북대학교 문석환 교수는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경영 추진전략」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정보화를 통한 기술혁신전략을 중소기업 기술혁신 실태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어서, 대구지역의 제품개발 정보화 우수중소기업인 (주)모토닉에서는 CAE, PDM 등 정보화를 통한 제품개발 프로세스 혁신사례를 발표하였다.   본 세미나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책연구부 국제협력팀(☎02-3787-0432)으로 문의하면 됩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2","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_050831).hwp","viewCnt":"5435","regDate":"2005-08-31 12:08:00"},{"contentId":"24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 APEC 중소기업정보화 포럼 폐막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9","contentsKor":"  2005년 8월 29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정책연구부 팀장 장인성  연구원 김종윤 02-3787-0431 / F 02-784-0509   2005 APEC 중소기업정보화 포럼 폐막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혁신강화를 위한 APEC 차원의 공동 방안 마련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주관으로 8월 27일(토) 대구에서 개최된 '2005 APEC 중소기업 정보화 포럼'에서는 APEC 회원국 대표들과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혁신강화를 위한 권고문을 채택하고 폐막하였다. 개회식 기조연설에서 배순훈 카이스트 교수는 APEC 회원국의 중소기업들이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부차적인 역량은 아웃소싱을 하고 핵심역량 구축에 주력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본 회의에서는 한양대학교 이 욱 교수는 정보기술(ICT)을 통한 기업경영 혁신의 베스트 프랙티스 사례조사 및 적절한 정부지원정책 도출에 대해 발표하였고 필립 쟝 유럽연합(EU) 기업산업총국 국제과장은 정보기술 도입과 전문적 기술의 향후 개발에 있어서 정부와 중소기업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루어가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안건회의에서는 회원국 정보화 촉진을 위해 “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 설립 추진이 매우 중요하며 혁신센터에서는 정보화 글로벌 연구개발 틀 디자인과 아태 지역 정보인력 교류 활성화에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의 권고문을 채택하여 APEC 중소기업실무회의(SME WG)에 보고한다고 밝혔다.  금번 포럼은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혁신강화를 위해 정책당국, 중소기업, 연구개발기관, 지역사회 간 정보화 중요성 인식 수준 격차의 해소에 기여하였다. ","viewCnt":"5184","regDate":"2005-08-27 12:08:00"},{"contentId":"24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 APEC 중소기업정보화 포럼 개최-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APEC 차원의 공동 방안 모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0","contentsKor":"  2005년 8월 22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 www.kimi.or.kr ■ 문의 : 국제협력팀 팀장 장인성  연구원 김종윤 02-3787-0431 / F 02-784-0509 2005 APEC 중소기업정보화 포럼 개최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APEC 차원의 공동 방안 모색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원장: 양해진)은 ‘2005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기간인 8월 27(토)일에 대구 호텔 인터불고 카멜리아 홀에서 APEC 역내 중소기업들의 정보화 촉진을 위한 공동 협력 방안을 모색코자 ‘2005 APEC 중소기업 정보화 포럼’을 개최한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APEC 중소기업 정보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03년에 21개 회원국에 대한 중소기업정보화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4년에 16개 회원국이 참여한 정책포럼과 11개 회원국이 참여한 교육·훈련 워크샵을 연속적으로 성공리에 실시한바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본 포럼에서는 APEC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협력을 구체화하고 회원국 중소기업 정보화를 본격적으로 촉진하는 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중소기업 정보화 포럼은 개회식, 본회의 및 안건회의로 구성되어 진행하며 개회식에서는 배순훈 전 정보통신부 장관이 ‘세계 시장에서의 중소기업 네트워크 전략’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다. 본 회의에서는 APEC 역내 중소기업의 경영혁신을 위한 정보화 촉진전략, 정보화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훈련정책, EU에서의 중소기업정보화 추진 전략 및 동향 등에 대하여 발표한다. 또한 안건회의에서는 ‘2005 APEC 중소기업장관회의’에 제출할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정책 권고안을 APEC 회원국 대표들과 논의하여 권고문으로 작성한다. 이번 APEC 중소기업 정보화 포럼 개최를 통해 지난 2년간 한국의 주도적인 노력으로 형성된 ‘APEC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 커뮤니티’를 계승˙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 될 것이다. 행사 참가비는 무료이며, 온라인 사전등록이 APEC 홈페이지(www.apec-esme.or.kr)를 통해 실시중이고 행사당일 현장등록도 가능하다. * 본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책연구부 국제협력팀 (02-3787-0431~3) 으로 문의하면 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3","atchfileNm":"APEC포럼보도자료.hwp","viewCnt":"6121","regDate":"2005-08-19 12:08:00"},{"contentId":"24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을 위한 정보화환경 개선 시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1","contentsKor":"   2005년 8월 23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정책연구부 팀장 장인성  연구원 곽후근 02-3787-0432 / F 02-784-0509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을 위한 정보화환경 개선 시급 -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 분석결과 발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 전략연구」를 실시하여, 주요 조사연구 결과를 오는 8월 30(화)일 오후 2시에 대구 EXCO에서 개최되는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에서 발표한다.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 전략연구」는 중소제조업의 제품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인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을 위한 정보화 추진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제품개발 정보화 성숙도 모형을 개발하여, 기술혁신형중소기업 197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 분석결과 중소제조업의 제품개발 정보화는 매우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중소기업의 3D CAD 채택이 대기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등 제품개발 정보화 환경이 열악하여 완벽한 제품정의 및 후속공정과의 원활한 연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둘째로, 표준부품체계를 구축하지 않은 중소기업 비율이 대기업의 6배에 달하여, 신규사양 부품 추가 개발에 따른 원가상승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로, 종이도면에 승인하여 수작업으로 배포하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2배에 달하여 비효율적 업무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설계이력관리의 정보시스템 활용이 대기업과 외국계기업은 80% 수준인데 반해 중소기업은 절반 수준에 불과하여, 생산오류 발생으로 인한 납기 지연, 불용재고 발생 등의 경제적 손실이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품개발 정보화의 질적 수준 제고와 효율적 공동협력체계 구축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제품개발 정보화를 전사적인 차원에서의 제품수명주기관리로서 인식하도록 하는 정보화 마인드 확산과, 불법기술유출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힘든 공학 해석 등에 대한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제품개발 정보화 솔루션 임대서비스 등 제품개발 정보화의 저변 확대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개최를 통해 주요 연구조사결과에 대한 업계 및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 전략 및 정부정책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첨부자료 1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4","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제품개발프로세스혁신전략연구_050812).hwp","viewCnt":"5522","regDate":"2005-08-19 12:08:00"},{"contentId":"24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업- 온라인 업무 시스템 시연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2","contentsKor":"    2005년 8월 11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구조개선팀 팀장 전우소, 연구원 이재형  02-3787-0547/F 02-3787-0480 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업 “온라인 업무시스템 시연회”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도 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업의 지원절차 및 행정처리를 위한 온라인 업무시스템 시연회를 8월 10일 개최하였다. 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업은 쿠폰 지원방식으로 저가에 “경영컨설팅 쿠폰”을 구매한 중소기업에게 보다 많은 선택권 부여를 위한 수요자 중심 맞춤형 컨설팅 추진을 위해 온라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신청? 접수 ? 쿠폰발행부터 완료보고까지 모든 절차를 온라인에서 처리하여 수요자인 중소기업의 시간절약 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주요 개발내용은 업무처리 전과정의 전자문서화, 중소기업의 컨설턴트 선택을 위한 DB구축, 중소기업의 사업 신청?접수?선정?계약, 컨설팅 쿠폰 구입 및 사용 등의 중소기업 업무처리 기능이 있으며, 평가점검단의 선정평가, 중간점검, 완료점검 기능과 주관기관의 컨설턴트 활동상황 조회(수행일지, 중복투입 점검 등), 컨설팅 쿠폰의 발행 및 잔액정산, 컨설팅 결과물 D/B 저장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세액공제증명서 발행 및 각종 통계데이터를 제공하는 등 지원사업 전반의 업무 프로세스를 웹사이트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특히, 중소기업과 컨설팅사의 담합이나 불공정 행위, 사업관리과정의 부실화 등을 예방하여 지원사업의 내실화와 투명한 운영에 중점을 두고 개발하여 지원신청기업의 컨설팅 필요성, 컨설팅 수용능력 등 지원신청의 실제성 확인을 위해 독립된 평가점검단을 구성?운영하여 선정과정의 투명성을 제고한 동시에, 선정평가결과를 웹사이트에서 주관기관, 중소기업청, 평가점검단이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시적인 상호 감독과 견제가 가능케 하였다. 불공정 행위 적발시의 제재사항 등을 홍보하고 점검활동에 대한 안내를 통해 자율적인 불공정 행위 근절을 유도하는 한편, 컨설턴트의 실제 투입 및 활동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불시에 현장을 방문하는 중간점검과 더불어 수행일지의 수시 조회와 컨설턴트 중복투입 현황 검색을 통해 중소기업과 컨설팅사의 담합 등에 의한 부실 컨설팅의 예방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온라인 업무시스템을 통해 효율적 사업관리체계 구축하여 중소기업의 신청내용의 처리상태, 컨설팅사의 컨설팅 진행현황 등 사업에 참여한 각 주체의 사업수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조회하고 정보의 공유를 통한 신속한 업무대응이 가능하며 온라인 업무처리로 대부분의 문서를 전자문서화하여 문서발생을 최소화하고, 서류의 제출 등으로 인한 시간적 낭비요인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지원사업 참여 중소기업 및 컨설팅사, 컨설팅 결과 등 사업수행과정에서 발생한 정보의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컨설팅사 및 컨설턴트 등급화의 기초자료 제공 및 평가등급 등의 정보제공으로 중소기업의 의사결정 지원토록 하였다. 향후, 컨설팅 표준화, 자가진단시스템 개발 등 연구용역 결과를 반영한 추가 개발과 전자문서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지적재산권 관리(DRM) 도입, 안정적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전담 운영인력 배치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5","atchfileNm":"보도자료-쿠폰제컨설팅.hwp","viewCnt":"5489","regDate":"2005-08-11 12:08:00"},{"contentId":"24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3","contentsKor":"  2005년 7월 27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조사연구팀 팀장 김문선  연구원 황순환 02-3787-0442 /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 실시 4,000여개사를 대상으로 8월 중 한달간 일제실시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정보화지원정책의 수립과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정보화추진방향 제시를 위한 정책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2005년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7월 27일부터 약 한 달여 동안 전국의 4,000여개 중소기업/대기업/외국계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되는데, 조사방법은 직접방문을 통한 off-line 조사와 on-line으로 동시에 진행되며 제조업 포함 5개 산업(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운수업, 정보통신산업)에 대해 실시한다. 금번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정보화 전략수립, 추진환경, 구축현황 및 활용효과 등의 4개 분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조사에 참여한 모든 기업에게는 자사의 정보화수준 진단결과와 정부지원사업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e-Report’로 제공하여 향후 정보화 추진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발적으로 자사의 정보화 수준을 진단받고자 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정보화수준평가시스템’(http://infolevel.kimi.or.kr)을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2005년도 중소기업 정보화수준 평가 개요 > 조사기간 : 2005. 7.27 ~ 8.31 조사대상(제조/건설/도소매업/운수/정보통신 등) : 4,000개사       - 종업원수 5인 이상 중소기업 : 3,500개사       - 대기업 300개사와 주한 외국계기업 200개사   조사방법 : 개별업체 방문을 통한 면대면 면접조사       * 자발적 참여기업은 on-line 설문조사 참여 가능 조사기관 : 국제통계연구소 ※ 문의처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책연구부(02-3787-0441~3) ","viewCnt":"6348","regDate":"2005-07-26 12:07:00"},{"contentId":"24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에 대한 정보화 아웃소싱 서비스 보급(보도자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4","contentsKor":" 2005년 7월 20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www.kimi.or.kr ■ 문의 : 기술혁신팀 팀장 전대성 연구원 하병윤 02-3787-0546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화 아웃소싱 서비스 보급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의 구조적 정보화 저해요인 해소를 위한 「중소기업 정보화 아웃소싱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개발한 ‘정보화 아웃소싱 프레임웍’을 중소기업에 현장적용하기 위해 7월 18일부터 8월 5일까지 3주간 약 6개 내외 지원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다.  정보화 아웃소싱 추진 지원기업에 대해서는 소요비용의 최고 60%까지 18백만원 한도에서 지원할 예정이며, 지원 대상 기업은 8월 중에 전문기관 및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간의 3자 협약체결후 사업을 개시할 예정이다.   국내 중소기업은 정보화 활용능력의 부족, 전문인력 확보 의 어려움,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정보화 추진 에 커다란 애로를 겪고 있으며, 정부의 지원사업 참여 이후에도 동일한 이유로 사후관리 미비, 공급자(IT업체)의 전문인력 이직 및 도산 등으로 인해 도입된 시스템의 운용이 중단되거나 정보화 투자에 대한 효율성 및 도입 시스템에 대한 활용율이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정보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화 아웃소싱 서비스의 지원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는 중소기업 정보화 아웃소싱 시범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환경에 적합한 정보화 아웃소싱 서비스 지원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 및 신청기관은 오는 8월 5일 (금)까지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해 참여를 신청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6","atchfileNm":"아웃소싱보도자료(최종)20050719.hwp","viewCnt":"6091","regDate":"2005-07-19 12:07:00"},{"contentId":"24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8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5","contentsKor":"  2005년 7월 13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홍보팀 팀장 김기호  연구원 박성준 02-3787-0492 / F 02-784-0509 제18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청와대 차의환 혁신관리비서관 “정부혁신에 대한 이해와 접근” 강연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7월 14일(목) 07:00부터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제18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도구인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교류의 장으로 마련하고 있다.     올해(‘05년도)는 5회 이상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를 목표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금회(제18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청와대 정책실 차의환 혁신관리비서관의 『정부혁신에 대한 이해와 접근』에 대한 강연으로 진행되며 정부혁신의 필요성과 성공적 혁신을 위한 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그리고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 문의는 기획조정부 홍보팀 (02-3787-0492) 및 중소기업정보화포럼 홈페이지(http://forum.kimi.or.kr)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7","atchfileNm":"18회정보화포럼보도자료(최종).hwp","viewCnt":"5157","regDate":"2005-07-12 12:07:00"},{"contentId":"24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부산.울산 지역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6","contentsKor":"  2005년 7월 11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문의: 생산혁신팀장 최진석 02-3787-0481 / F 02-3787-0480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부산.울산지역간담회」 개최 □ 부산.울산지방중소기업청(청장 윤동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부산.울산지역간담회」를 2005. 7. 12(화) 13:30~15:00, 부산울산지방중소기업청 회의실 회의실에서 개최함   - 동 간담회에서는 지역경제 및 중소기업의 업종 및 특성, 경영환경과 정보화 수준 등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고, 정부의 정보화 정책을 소개하며, 지역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과 문제점 및 향후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함 □ 이번 간담회는 수요자인 중소기업과 공급자인 IT기업, 관련분야 학계 교수 등 관계자들간의 쌍방향 질의 및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애로사항을 수렴하여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함에 있어 성과를 거두고자 마련한 자리로, - 간담회 회의 순서는 부산울산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정보화지원현황 및 추진과제 발표,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 후 토의 및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됨 - 아울러 정보화경영원이 추진하는 정보화종합컨설팅사업, 생산정보화사업,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등 사업별 지원규모 및 자격요건/신청방법과 추진절차 등 2005년 정보화지원사업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소개할 예정임 □ 특히 동 간담회를 마친 후, ‘04년도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참여업체인 참손푸드(주)를 방문하여 정보시스템 구축 성과에 대해 확인할 예정임 - 참손푸드(주)는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을 통해 고객응답기간 35% 감소, 재고보유기간 55% 감소 등 내.외부 고객 서비스 개선 및 생산 정보의 적시성 제공의 효과를 가져옴 ","viewCnt":"5195","regDate":"2005-07-07 12:07:00"},{"contentId":"24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 정보화경영체제 의식혁신교육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7","contentsKor":"  2005년 6월 29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컨설팅사업팀 팀장 장건오  연구원 임형채 02-3787-0454 / 2005년 정보화경영체제 의식혁신교육 개최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의식혁신교육』을 6월 30일 ~ 7월 1일까지 1박2일 일정으로 충남 아산시 도고면에 있는 한국증권연수원에서 개최한다.     정보화경영체제 참여기업 최고경영자 및 실무책임자, 심사원, 컨설팅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정보화경영체제의 효과적인 구축을 위한 정보화경영체제 개념 및 규격 이해, 참여기업의 역할과 사업관리 방법론, 구축사례 등을 주제로 강연과 토론이 이루어진다.     정보화경영체제의 도입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추진의지와 실무자의 이해가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참여기업의 정보화경영체제 마인드 제고 및 추진역량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이번 의식혁신교육에는 정보화경영체제 참여기업 대표, 실무 책임자, 정보화경영체제 심사원, 컨설팅기관, 학계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의식혁신교육을 통해서 참여기업의 정보화경영체제 이해를 돕고 최고경영자 추진의지와 기업 실무담담자의 역할의 중요성을 상기시킴으로써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한다.   ※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는  정보화에 의한 경영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업무처리절차와 방법을 표준화하여 이의 달성을 위해 전사적으로 활동하고 관리하는 체제이다. 즉, 중소기업의 경영방식을 정보화기반의 기업 경영체제로 전환시켜 경영혁신을 통해 경영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말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8","atchfileNm":"보도자료_의식혁신교육.hwp","viewCnt":"5354","regDate":"2005-06-29 12:06:00"},{"contentId":"24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제2차 대구경북지역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8","contentsKor":"      2005년 6월 22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서울특별시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생산혁신팀장 최진석 02-3787-0481 / F 02-3787-0480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대구경북지역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대구경북지역간담회」를 2005. 6. 23(목) 13:30~15:00, 대구경북지방중소기업청 회의실에서 개최함    - 동 간담회에서는 지역경제 및 중소기업의 업종 및 특성, 경영환경과 정보화 수준 등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고, 정부의 정보화 정책을 소개하며, 지역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과 문제점 및 향후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함 □ 이번 간담회는 수요자인 중소기업과 공급자인 IT기업, 관련분야 학계 교수 등 관계자들간의 쌍방향 질의 및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애로사항을 수렴하여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함에 있어 성과를 거두고자 마련한 자리로,      - 간담회 회의 순서는 대구경북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정보화지원현황 및 추진과제 발표,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 후 토의 및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됨     - 아울러 정보화경영원이 추진하는 정보화종합컨설팅사업, 생산정보화사업,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등 사업별 지원규모 및 자격요건, 신청방법과 추진절차 등 2005년 정보화지원사업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소개할 예정임 □ 특히 동 간담회를 마친 후, ‘02년도 및 ’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참여업체인 (주)진양오일씰을    방문하여 정보시스템 구축 성과에 대해 확인할 예정임      - (주)진양오일씰은 생산정보시스템 구축 이전과 비교하여 재공재고 25% 감소, 예측정확도 30% 증대 등 생산현장의 재공정보 파악 가능으로 적정 재고 확보가 가능함.   정량적 효과 정성적 효과 - 재공재고 감소 25% - 예측정확도 증대 30% - 데이터관리 시간감소 50% - 비가동 감소 10% - 불량률 감소 30% - 생산현장의 재공정보가 파악이 가능함으로    적정 재공재고 확보가 가능 - 포장 후 창고 입고시 수불의 신뢰도 향상 - 출하시 PDA 도입으로 인하여 응답속도    향상 - 불량률 30% 감소   도입전 : 0.46% ▶ 도입후 : 0.32% - 데이터관리 시간 50%감소   도입전 : 120분/일 ▶ 도입후 : 30분/일 - 서류작업시간 50%감소   도입전 : 120분 ▶ 도입후 : 30분/일 - 비가동시간 10%감소   도입전 : 3,786시간 ▶ 도입후 : 3,407시간 - 실시간 생산관리를 통한 정확한 생산/납품    예측 - 비가동 분석 및 생산성 분석을 통한 공정    합리화 작업 및 개선 - 자료 신뢰성 및 즉시성을 활용한 의사결정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9","atchfileNm":"2차지역간담회보도자료-0620(수정).hwp","viewCnt":"5426","regDate":"2005-06-20 12:06:00"},{"contentId":"24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7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9","contentsKor":" 2005년 6월 15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홍보팀 팀장 김기호  연구원 박성준 02-3787-0492 / F 02-784-0509 제17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김성진 중소기업청장  “중소기업 정책방향” 강연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6월 16일 (목) 07:20부터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삼성동 소재) 하모니볼룸Ⅲ에서 제17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도구인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교류의 장으로 마련하고 있다.     올해(‘05년도)는 5회 이상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를 목표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금회(제17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청 김성진 청장의 『중소기업 정책방향』에 대한 강연으로 진행되며 글로벌경쟁시대 혁신형 중소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그리고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 문의는 기획조정부 홍보팀 (02-3787-0492) 및 중소기업정보화포럼 홈페이지(http://forum.kimi.or.kr)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0","atchfileNm":"17회정보화포럼보도자료(최종).hwp","viewCnt":"5101","regDate":"2005-06-13 12:06:00"},{"contentId":"24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도「생산정보화지원사업」워크숍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0","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http//www.kimi.or.kr) 보 도자 료 담 당 과 정보화사업부 생산혁신팀 담 당 자 조기영 부  장 최진석 팀  장 전화번호 e-mail 02)3787-0481 (cjs@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5월 31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기청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2005년도「생산정보화지원사업」워크숍 개최 -e-Manufacturing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05년도 생산정보화 사업을 통해 지원받는 중소기업 및 IT업체 대표 250여명을 대상으로 『e-Manufacturing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워크숍을 개최할 예정임. - 본 워크숍은 생산정보화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실질적인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고 우수/실패 사례 등을 통해 ‘05년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도모하고자, - 2005. 6. 2(목) 13:30 ~ 17:30 경기지방중소기업청 대강당에서 개최하기로 함 □ 이날 워크숍은 중소기업청 정준석 차장의 격려사와 정보화사업 지원시책 설명을 시작으로 20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우수사례로 선정된 (주)일지테크, (주)풀무원제일생면의 성공사례, 실패사례분석을 통한 생산정보화 성공전략, 성공적 사업추진을 위한 IT업체의 역할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할 계획임. □ 특히 동 워크숍의 우수사례 발표에서는 (주)일지테크, (주)풀무원제일생면의 생산정보화를 통한 성공사례 및 구축 후 도입효과가 소개될 예정임. - (주)일지테크는 생산시점(POP: Point of Production)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e매뉴팩처링 업체로 거듭나게 되었으며, 비효율적으로 이뤄지던 생산설비의 가동상태와 고장 유무 등 24시간 가동되는 공장의 현황정보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됨.   - 데이터 도입 시간이 시스템 구축 전 180분에서 10분으로 무려 94%나 감소했으며 불량률과 재고율도 각각 50%, 2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주)풀무원제일생면은 국내 식료품 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생면 공정에 제조실행시스템(MES)과 생산시점(POP)관리 시스템을 도입, 생산 정보화를 선도해 나가고 있는 사례임.   - 그동안 수기로 이뤄지던 서류 작업 시간과 데이터 도입 시간은 시스템 구축 후 각각 66.7%, 54.2% 감소했으며 생산리드타임도 19.6%나 감소했고, 제품 포장 후 중량 선별 공정 시 중량에 대한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거뒀음. 【참고】생산정보화사업 워크숍 개최 세부내용 e-Manufacturing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 2005년 생산정보화사업 워크숍 개최 □ 추진목적 -중소기업 생산정보화 지원사업 향후 사업추진일정 설명 및 우수사례발표회 등을 통한 사업의 효율적 추진도모 □ 행사개요 - 주    최 : 중소기업청 - 주    관 : 경기지방중소기업청,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 후    원 : 생산정보화협의회 - 일    시 : 2005. 6. 2(목) 13:30 ~ 17:30 - 장    소 : 경기지방중기청 대강당(경기 수원 영통 소재) - 참석대상 : 200여명    - 지원대상 중소기업 CEO 또는 CIO 130여명, 사업참여 IT업체 대표 50여명, 외부감리인 20여명    - 중소기업청, 정보화경영원 정보화담당자 - 진행순서 시   간 내     용 비  고 13:30~13:50 (20분) 등록 및 안내 정보화경영원 13:50~13:55 (5분) 인사말씀 중소기업청 차장 13:55~14:10 (15분) 중소기업 정보화 사업 지원시책 기업정보화 과장 14:10~15:00 (50분) ‘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성공사례발표 중소기업대표 15:00~15:50 (50분) 실패사례 분석을 통한 생산정보화 성공 전략 지원.감리기관 15:50~16:00 (10분) 휴식   16:00~16:30 (30분) ’05년도 생산정보화사업 향후 추진일정 안내 정보화경영원 16:30~17:00 (30분) 성공적 사업추진을 위한 IT업체의 역할 생산정보화협의회장 17:00~17:30 (30분) 질의.응답 및 토의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1","atchfileNm":"생산정보화워크숍개최보도자료(050527).hwp","viewCnt":"5342","regDate":"2005-05-27 12:05:00"},{"contentId":"24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정책심포지엄 성황리에 끝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1","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경   영   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담 당 자 김문선   팀  장 박주현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44,5 (pjh927@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5월 20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 정책심포지엄 성황리에 끝나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5월 19일 (목) 14:00부터 17:00까지 제17차 중소기업 주간행사의 일환으로 정책심포지엄을 개최(중기협중앙회 중회의실)    -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 □ 이번 심포지엄은 『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선진 각국과 더불어 우리나라도 유비쿼터스 시대에 진입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이 향후 정보화 추진방향과 실행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각계의 폭넓은 의견수렴이 이뤄진 것으로 평가 □ 심포지엄은 본원 정책연구부 김문선 팀장과 서울대 산업공학 박종헌 교수의 주제발표에 이어 김은홍 교수(국민대), 이봉규 교수(연세대), 차석근 전무(ACS)의 패널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 □ 본원 김문선 팀장의 주제발표에서는 중소기업의 실태분석 결과, 상당수 중소기업(조사대상 503개업체중 57.0%인 287개사)이 향후 중소기업 경영환경에서 유비쿼터스가 영향력을 가질 것으로 전망   - 조사대상 중소기업의 42.7%가 유비쿼터스 도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공감하는 가운데, 도입의사를 피력    - 구체적인 도입 필요이유로는 ‘미래의 기업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가 55.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업무처리의 효율성’(23.2%)과 ‘생산성 향상 기대’(13.3%) 순으로 나타남.   - 또한 효과적 . 성공적으로 유비쿼터스를 기업경영에 도입,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재 구축, 활용중인 정보시스템과의 연계 통합 필요    - 현재 중소기업의 기 구축 정보시스템 활용도 수준은 매우 취약       .거의 활용하지 못하는 중소기업 비중 : 그룹웨어(36.6%), 전자상거래(37.6%), 생산공정(40.6%), ERP(48.1%), SCM(60.1%), CRM(57.3%) □ 심포지엄에서는 다음의 시사점 및 정책제언을 도출하는 성과를 거둠   - 대기업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중소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 추진 필요    - 현재 중소기업은 유비쿼터스에 대한 관심과 도입의지에 비해 아직 종합적인 이해와 추진력이 부족한 상황   -  정보에 취약한 중소기업을 위해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홍보정책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    - 유비쿼터스에 대한 인지도 제고 및 활용방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홍보 및 교육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요구됨.  - 유비쿼터스에 대한 관심을 중소기업 현장에서의 투자와 도입의지로 유도하기 위한 실천적 프로그램 필요    - 현재 유비쿼터스에 대한 중소기업의 관심과 태도는 긍정적인 수준으로, 이제는 이러한 관심과 태도를 직접적인 투자와 도입의지로 전환하기 위한 실천적 중소기업을 위한 action plan 개발이 필요   - 기존의 정보화정책과 연계, 통합된 개념으로 유비쿼터스 정책 제안     - 그동안 정부가 의욕적으로 주도, 상당부분 그 가시적 성과를 이루었던 정보화정책과 연계선상에서 그리고 이를 통합하는 종합적 관점에서 유비쿼터스 정책을 개발하고 제안하는 것이 필요함.     - 기도입 구축된 정보시스템의 활용과 활용능력에 보다 충실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유비쿼터스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함   -  급변하는 IT기술에 대한 이해와 도입 . 활용이 용이하도록 정부차원의 유비쿼터스 KMS시스템 구축 필요     - 정부차원의 유비쿼터스 KMS시스템을 구축하여 정보(지식)와 세계적 추세(흐름, trend)에 어두운 중소기업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 실천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함. □ 심포지엄에서는 새로운 정보통신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 시대에 중소기업의 발빠른 대응과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는데 공감하고 중소기업 중심의 유비쿼터스 정책을 요청하는 등 다양한 의견수렴이 이뤄짐 □ 위와 관련된 문의는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3787-0444~5)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2","atchfileNm":"보도자료(정책심포지엄)20050518.hwp","viewCnt":"5428","regDate":"2005-05-19 12:05:00"},{"contentId":"24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 정책심포지엄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2","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경  영  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담 당 자 김문선 팀  장 박주현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44~5 (pjh927@kimi.or.kr) 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 정책심포지엄 개최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5월 19일 (목) 14:00부터 17:00까지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여의도 소재) 2층 중회의실에서 제17차 중소기업 주간행사의 하나로 정책심포지엄을 개최 □이번 심포지엄은 『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선진 각국과 더불어 우리나라도 유비쿼터스 시대에 진입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이 향후 정보화 추진방향과 실행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주제발표와 패널토론 등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 □심포지엄은 본원 정책연구부 김문선 팀장과 서울대 박종헌 교수의 주제발표에 이어 김은홍 교수(국민대), 이봉규 교수(연세대), 차석근 전무(ACS)의 패널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   -주제발표에서 유비쿼터스 시대 중소기업의 실태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등 대응과 혁신을 위한 전략을 제시할 예정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 □심포지엄 참가 및 사전등록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http://www.kimi.or.kr) 및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4~5) 으로 문의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박주현 연구원 02-3787-0444~5)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3","atchfileNm":"보도자료-정책심포지엄.hwp","viewCnt":"6106","regDate":"2005-05-10 12:05:00"},{"contentId":"24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 제1차 광주전남지역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3","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http//www.kimi.or.kr) 보 도자 료 담 당 과 정보화사업부 생산혁신팀 담 당 자 조기영 부  장 최진석 팀  장 전화번호 e-mail 02)3787-0481 (cjs@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4월  27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광주.전남지역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광주.전남지역간담회」를 2005. 4. 28(목) 13:30~15:00,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 회의실에서 개최함   - 동 간담회에서는 지역경제 및 중소기업의 업종 및 특성, 경영환경과 정보화 수준 등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고, 정부의 정보화 정책을 소개하며, 지역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과 문제점 및 향후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함 □ 이번 간담회는 수요자인 중소기업과 공급자인 IT기업, 관련분야 학계 교수 등 관계자들간의 쌍방향 질의 및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애로사항을 수렴하여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함에 있어 성과를 거두고자 마련한 자리로, - 간담회 회의 순서는 광주?전남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정보화지원현황 및 추진과제 발표,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 후 토의 및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됨 ㅇ 아울러 정보화경영원이 추진하는 정보화종합컨설팅사업, 생산정보화사업,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등 사업별 지원규모 및 자격요건, 신청방법과 추진절차 등 2005년 정보화지원사업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소개할 예정임 □ 특히 동 간담회를 마친 후, ‘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참여업체중 우수사례로 선정된 (주)캠스, (주)호원 등 2개사를 방문하여 정보시스템 구축 성과에 대해 확인할 예정임 - (주)호원은 생산정보시스템 구축 이전과 비교하여 가동률이 80%에서 90%이상으로 향상되었고, 재고감축은 월 12억원에서 9억으로 25% 감소됨   정량적 효과 정성적 효과 1. 가동률 향상   - 평균 가동율 10% 향상   - 약 80%→ 90% 이상 유지   - 라인 중단시 신속 대응 1. 현상 파악 오류에 의한 조직간 혼란   사라짐 2. 완제품 재고회전율 향상(65% 향상)   - 구축 이전 : 9.5 회전   - 구축 이후 : 15.8회전 2. 사전 예측에 의한 밸런스 조정 가능   3. 생산성 부진 공정 개선대책 신속 추진   가능(특히 신제품 초기 안정화 단계) - (주)캠스는 종이문서가 55% 감소되고 생산 총소요시간 및 데이터 입력시간은 각각 35% 단축됨   정량적 효과 정성적 효과 1. 리드타임 단축(22%) 2. 재공재고 감소(32%) 3. 생산 총소요시간 단축(35%) 4. 종이문서 감소(55%) 5. 데이터 입력시간 단축(35%) 1. 신기술 적용에 따른 업무 효율성 증대 2. 대 고객 불만처리 지원기능의 향상 3. 생산 물류 품질 관리의 합리화 4. 현장 정보의 신속한 제공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4","atchfileNm":"지역간담회보도자료.hwp","viewCnt":"5027","regDate":"2005-04-26 12:04:00"},{"contentId":"24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쿠폰제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컨설팅의 정책성과 제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4","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http//www.kimi.or.kr) 보 도자 료 담 당 과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담 당 자 김문선 팀  장 황순환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42 (josa@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4월  26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쿠폰제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컨설팅의 정책성과 제고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 경영컨설팅 성과 제고를 위한 쿠폰제 시행」이라는 제목으로 KIMI Issue 05-01호(통권 27호)를 발행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은 2005년부터 중소기업 경영컨설팅 지원을 위한 정책을 쿠폰제를 통해 실시하기로 함    - 필요성과 수요는 높은 반면 중소기업의 비용부담으로 수행하기 어려웠던 경영컨설팅에 대해 정부가 정책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쿠폰제를 도입하여 실시    - 이는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비용만큼 쿠폰을 구입하되 이에 대해 정부가 각종 혜택을 부여하고, 쿠폰을 여러 분야에 걸쳐 활용하거나 시기를 달리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    - 지원분야는 총 5개 분야로 경영과 관련된 전 분야에 걸쳐 시행 □ 쿠폰제는 정책수혜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고 해당 정책이 의도하는 성과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제도임    - 미국에서 빈곤층을 대상으로 실시 중인 바우처(Voucher) 역시 쿠폰제의 한 형태로 생활필수품 및 교육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시행중이며, 직접적인 현금보조 방식에 비해 그 성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남    - 한국에서도 2004년부터 교육부문에서 학교보증(School Voucher)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 필요성이 제기됨 □ 상기 제도는 경영컨설팅을 통한 중소기업 경영 안정화 뿐 아니라 지식기반서비스업 중 하나인 컨설팅 업계의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    - 쿠폰을 구입하는 중소기업에게 세제혜택과 정책자금 지원을 통해 부담을 줄여줌과 동시에 컨설팅 산업의 중흥을 꾀할 수도 있음    - 단, 정책성과가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쿠폰을 활용하는 기업들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할 수 있는 보완장치가 수반되어야 함    - 이와 더불어 경영 컨설팅 결과를 적극적인 자세로 수용하려는 중소기업의 노력 또한 필수적임 □ 위와 관련된 문의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3787-0441~3)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viewCnt":"5256","regDate":"2005-04-22 12:04:00"},{"contentId":"24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5년도 생산정보화사업 124개사 지원 착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5","contentsKor":"    '05년도 생산정보화사업 124개사 지원 착수 □ 중소기업청(廳長 : 金成珍)은 생산현장에 정보기술(IT)을 접목시켜 중소제조공장을 디지털화 하는 2005년도『중소기업 생산정보화(e-Manufacturing) 사업』을 본격 실시함   ○ 금년도 생산정보화 사업은 85억원을 투입하여 180여개 중소기업을 지원할 계획으로     - 1차로 124개 중소기업을 선정했으며(신청 221개 기업) 기업당 5천만원 한도, 총 소요비용의 50% 이내에서 생산정보화에 소요되는 정보시스템 구축비용을 지원     ※ 2차 신청·접수 : '05. 4. 13∼4. 26(2주)  □ 동 사업은 지난 2002년부터 3년간, 208억원을 투입하여 412개 중소기업을 지원한 생산정보화 사업은 2008년까지 1,500개 중소기업의 생산정보화 지원을 목표로 추진중에 있음   ※ ('02) 116개사 → ('03) 140개사 → ('04) 156개사 → ('05) 180개사  □ 생산정보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 공급자(IT기업) 중심에서 수요자(중소기업) 중심의 추진체계로 전면 개편하였고   ○ 인터넷 접수 및 절차간소화, 사업추진일정단축 등 제도를 개선하고, 동 사업에 수요자의 참여기회 확대를 위해 신청기한을 년 1회에서 년 2회로 확대하였음   ○ 또한 기 지원기업 중 시스템 활용이 우수한 기업 20곳을 업그레이드 지원기업으로 선정하여 집중 지원할 계획임  □ e-Manufacturing 사업의 발전·확대와 유비쿼터스 시대대비 생산현장에 정보화 조기 접목을 위해   ○ 업종별 e-Manufacturing 표준모델개발 및 중소기업형 u-Manufacturing 모델을 개발 할 예정임   ※ 첨부파일 : 보도자료 원문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5","atchfileNm":"보도자료원문.hwp","viewCnt":"5189","regDate":"2005-04-19 12:04:00"},{"contentId":"24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e-클린 정보화경영원 실현을 위한 협약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6","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경  영  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기획조정부 홍  보  팀 담 당 자 김기호 팀  장 박성준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92 (psj@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4월 15일 (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e-클린 정보화경영원 실현을 위한 협약식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4월 18일 (월) 14:00부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여의도 한섬빌딩 6층 소재)에서 e-클린 정보화경영원 실현을 위한 협약식을 개최 □ 투명하고 신뢰받는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 추진을 통하여 중소기업 활력기반을 조성하고자 함   - 지난 3월 정부의 “투명사회협약 체결식”과 민간부문 투명경영 확산 등에 따라 투명한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 추진을 다짐하는 기회 마련   - 투명한 업무수행을 통한 정보화지원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다짐하는 협약체결식인 본 행사는 정부 유관기관 가운데 최초로 개최 □ 이날 협약식에는 중소기업 대표, 지원기관(IT기업) 대표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   - 중소기업 대표((주)선광염직 엄광빈 대표이사), 지원기관 대표((주)영림원소프트랩 권영범 대표이사) 및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장이 “e-클린 정보화경영원 실현을 위한 헌장”에 서명하는 협약식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고위관리자들의 “윗물맑기운동 실천결의문” 서명식 등이 진행될 예정 (연락처 : 기획조정부 홍보팀 박성준 연구원  02-3787-049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6","atchfileNm":"이클린정보화경영원협약식보도자료.hwp","viewCnt":"4876","regDate":"2005-04-13 12:04:00"},{"contentId":"24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7","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경  영  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기획조정부 홍  보  팀 담 당 자 김기호 팀  장 박성준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92 (psj@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4월 14일 (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제1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4월 15일 (금) 07:00부터 코엑스 인터컨티넨털 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제1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도구인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견수렴의 장으로 마련 □ 올해(‘05년도)는 5회 이상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정보화 우수사례 발표 등을 통하여 보다 현장감 있는 정보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에게 제공할 예정 □ 금회(제1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곽수일 교수의 주제발표로 진행   -「디지털정보시대 중소기업경영모델」에 대한 주제발표로 디지털정보시대 중소기업 경영혁신을 위한 전략 및 모델을 제시할 예정   -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 문의는 기획조정부 홍보팀 (02-3787-0492) 및 중소기업정보화포럼 홈페이지(http://forum.kimi.or.kr) 참조 (연락처 : 기획조정부 홍보팀 박성준 연구원 02-3787-049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7","atchfileNm":"제16회정보화포럼보도자료.hwp","viewCnt":"5099","regDate":"2005-04-12 12:04:00"},{"contentId":"24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 활용도 제고를 위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개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8","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디지털경영센터 담 당 자 주석정 센터장 박희정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64 (phj2005@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3월 17일 (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정보화 활용도 제고를 위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개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梁海鎭)은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개발하여 2005년 3월 17일부터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임. ○ 2004년부터 6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중소기업 재직자의 IT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20개 과정과 2개의 전문가 과정을 개발하였음. ○ IT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개설한 ‘재직자 IT활용 과정’은 OA, 홈페이지 제작, 프로그래밍, 자격증 대비 등 5개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음.     - OA과정은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 쉬트 등 5개 과목     - 홈페이지 제작 과정은 HTML, Flash 등 6개 과목     - 프로그래밍 과정은 ASP, JAVA등 6개 과목     - 자격증 대비 과정은 네트워크관리자, 전자상거래관리자 2개 과목     - 기타과정으로는 ‘정보보호 전략’ 과목 ○ 전문과정으로는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른 기업의 유연성 확보를 위하여 새로운 사업을 기획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신규사업기획전문가 과정’을 개설하였으며, 중소기업의 e-러닝을 활성화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중소기업 e-러닝 운영자 과정’을 개설하였음. □ 한편, 2004년에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실시한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에 의하면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이 낮은 이유로 인력부족, 기술 및 노하우 부족의 순으로 나타났음. ○ 기업의 IT활용수준을 보면 개인 업무 부문에서 활용도는 60%대로, 사내 네트워크를 이용한 부문에서는 50% 내외로 조사되는 등 전반적으로 저조한 실태를 보이고 있음. ○ 정보시스템의 활용도가 낮은 이유로는 정보화 교육기회 부족, 정보화 추진 전문인력 부족 등의 순으로 나타나 중소기업의 IT활용수준 제고와 정보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는 정보화 교육과 전문인력의 양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음. □ 따라서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는 정보화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적자원 확보와 오프라인 교육 기회를 활용하기 어려운 중소기업 여건을 감안하여 온라인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서비스하고자 함. ○ 2005년 3월 17일부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디지털경영센터에서 운영하는 교육전문사이트(http://www.edukimi.com)를 통하여 시범서비스를 2005년 6월 30일까지 실시하고 금년 하반기부터는 유료화 할 계획임. ○ 온라인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방송형태의 실시간 강의 기능을 금년도 상반기에 개발하여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서비스할 예정임. ○ 또한 중소기업의 교육 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를 위한 교육 과정을 추가 개발 및 서비스할 계획임. (연락처 :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 박희정 연구원 02-3787-0464) ","viewCnt":"5234","regDate":"2005-04-11 12:04:00"},{"contentId":"24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금융기관의 중소기업 신용 평가모형에 정보화수준을 중요변수로 고려해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9","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2월 27일 (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금융기관의 중소기업 신용평가모형에   정보화 수준을 중요 변수로 고려해야     □   경기침체로 인해 중소기업의 자금난이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의 대출조건 강화로 중소기업은 이중고를 겪고 있음   ○ 판매대금어음 회수일의 장기화, 중소기업 대출연체금비중의 증가 등 중소기업의 자금상황이 극히 어려움   ○ 직접금융시장은 물론 간접금융시장에서조차 중소기업의 비중이 낮아지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 신용도 평가과정의 어려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조건 강화 등으로 자금조달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음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 양해진)이 지난 11월 종업원 5인 이상 중소기업 50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기술, 정보화 및 신용수준간 관계에 대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금융기관이 중소기업에 대출시 부동산 등 물적담보를 요구하는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담보능력이 작은 영세, 지방기업의 자금조달이 쉽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 중소기업의 자금 규모는 매출액 감소로 줄어든 상황인데 대부분의 금융기관들이 정책자금 지원 및 운영자금 대출시 물적담보를 요구하고 있어 여신거래도 쉽지 않은 상황임     ○ 중소기업에게 재무제표 변수 외에 기업신용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를 찾아내어 물적담보를 보완하여 기업신용평가에 활용하게 하는 것이 최선의 대안임   □   기술수준과 더불어 정보화 수준 향상이 기업 신용도를 높이는데 일조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기업신용평가에 이들 두 변수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임   ○ 기술수준은 미래의 기업가치를 향상시킨다는 인식이 확대되어 최근에는 기업이 보유한 기술수준을 담보로 활용하기 위한 많은 제도가 시행되고 있음   ○ 정보화 수준도 기업생산성 증대뿐 아니라 기업투명성 제고를 가져와 기업신용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금융기관이 중소기업을 여신고객화하기 위해서라도 신용평가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기술수준 못지않게 정보화 수준도 고려하는 것이 최선의 대안이 될 수 있음   ○ 이러한 비재무적요인을 고려한 신용평가모형은 금융기관의 효율성 제고와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측면에서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음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황순환 연구원 02-3787-0443)     ","viewCnt":"6620","regDate":"2004-12-27 12:12:00"},{"contentId":"24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OECD내 한국 중소기업의 정보화 현주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0","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2월 15일 (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OECD내 한국 중소기업의 정보화 현주소  ㅁ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양해진)이 영국 통상산업부에서 발간한  「International Benchmarking Study 2003」(英 DTI, 2004.2)을 분석한 바에 의하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은 IT인프라 측면은 여전히 우세하지만, 이의 활용수준 및 경영성과와의 연계 수준, 정보화 성과관리 수준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O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정보화 점수는 0.50점(6위)으로 OECD 주요 11개국 중 보통수준임. O 정보화 마인드는 가장 높은 수준인 반면, 정보화를 통한 기업성과와의 연계효과는 낮은 수준임. O 우리나라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보화 드라이브 정책에 힘입어 매우 우수한 인프라 수준을 자랑하고 있으나, 정보화를 통한 성과나 효과, IT 활용능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ㅁ 일본의 약진으로 IT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추월당할 우려가 있음. O 일본은 최근 10Mbps이상의 차세대 인터넷을 도입, 구축하는 등 적극적인 IT투자 진행중임. 또한 생산부문 정보화 및 통합시스템 도입, 구축률이 매우 높음. O 반면 우리 중소기업의 경우 IT활용능력이나 이의 경영성과와의 연계 미흡 등 IT강국으로서의 위상이 위협받고 있음.   ㅁ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체계적인 성과관리시스템이 없다는 특징을 보임. O 정보화 성과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더러, 이에 대한 관심조차 미진하여 향후 정보화 추진상의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됨. O 또한 국내 정보화 추진이 ‘수익(원) 창출”등의 수요측면보다는 “비용감소”의 비용측면에 치우쳐 있어 미래지향적 정보화 추진이 요구됨.   ㅁ 따라서 장점은 살리고, 단점과 약점은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해 나가는 ‘선택과 집중’의 정보화 추진 방법론이 요구됨. O 우리나라의 장점은 높은 IT인프라, 높은 정보화 마인드, 높은 정보시스템 구축율 등이며, 약점은 낮은 정보화 효과, 경영성과와 연계부족, IT활용능력 부족, 취약한 정보화 성과관리체계 등으로 볼 수 있음. O 국내 중소기업은 세계적 수준의 IT인프라를 활용하거나 경영성과와 효율적·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이를 기업경쟁력으로까지 이어나가야 할 것임.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형준호 연구원 02-3787-0442) ","viewCnt":"6187","regDate":"2004-12-15 12:12:00"},{"contentId":"24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2대 원장에 양해진씨 선임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1","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기  획  부 기획예산팀 담 당 자  오주환  팀   장  조도현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22 (cdhyun@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2월 3일 (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2대 원장에 양해진씨 선임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사장 이우영, 이하 “경영원”)은 이사회에서 2대 원장으로 양해진(梁海鎭) 전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을 선임하여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o 신임 양해진 원장은 중소기업청 판로지원과장, 총무과장,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을 역임한 바 있다   □ 경영원은 290만 중소기업의 정보화 경영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지난 2002년 1월22일 발족된 중소기업청 산하 특수법인으로서,     o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IT(정보기술)의 보급 및 확산, 정보화 전문인력양성, 정보화경영표준모델 개발 및 보급, 정부의 정보화 위탁업무 수행 등 중소기업의 정보화 촉진 업무를 전담지원하는 기관임   □ 경영원은 중소기업 정보화 종합지원기관으로서의 발전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중소기업 육성에 남다른 경험과 열정, 대외적 활동역량을 갖춘 양해진 전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을 선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o 신임 양해진 원장은 공직에서 중소기업 정책과 집행업무를 담당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하고,     o 정,관,기업계에 폭 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토대로 민간과 정부간의 원활한 교량역할 수행뿐 아니라, 경영원이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지원 전문기관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할 적임자로 평가된다고 밝혔음   □ 신임 양해진 원장은 “지속적인 정보화지원을 통해 기업의 실질적 경영혁신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며, 정보기술을 바탕으로 2만불 시대를 선도할 혁신형 중소기업을 육성해 나갈 계획” 이라고 취임 소감을 밝혔음   <참고> 신임 정보화경영원 원장 약력 1부.  ","viewCnt":"6536","regDate":"2004-12-03 12:12:00"},{"contentId":"24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 2004』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2","contentsKor":"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보 도자 료 담 당 과 기술지원국 기업정보화과 담 당 자 이종대과장 박상준사무관 전화번호 e-mail 042-481-4400 (sjpark@smba.go.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1월 22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  목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 2004』개최 □ 정보통신부(장관 진대제)와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이 주최하고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 한국전산원(원장 서삼영),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주관으로 2004. 11. 25(목) 서울 COEX 그랜드볼룸 (101호~105호)에서『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 2004』를 개최함  o 중소기업 정보화 성공사례 발표 및 전시회와 소기업 및 자영업을 위해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시스템의 소개 및 우수사례 발표 등을 통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자발적인 정보화 추진 의지를 고취하고자 마련하였음  o 또한, 청년 실업 문제 해결과 IT 중소기업의 정보화 전문 인력난을 해소를 위해 ‘IT인력 취업박람회’를 개최함  o 부대행사로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제작한 2003년 중소기업 정보화 우수사례, 업종별 표준 업무프로세서 모델, 중소기업정보화백서 등 각종 자료집과 CD 자료 등을 배포함 □ 동행사 중 「중소기업 정보화 성공사례 발표 및 전문강좌」에서는  o 자동차부품의 ERP 시스템과 연계한 생산정보화 시스템의 구축으로 경영혁신에 성공한 (주)일지테크와 식품업체로 ERP 시스템과 연계한 생산정보화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주)풀무원 제일생면의 정보화 추진 실무책임자가 구축 과정, 현황 및 성과를 직접 발표할 예정임  o 전문강좌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유비쿼터스와 IT아웃소싱에 대한 중소기업의 대응전략과 전략적기업경영(SEM:Stratagy Enterprise Management)의 표준모델과 적용사례를 소개하는 전문강좌가 있을 예정임 □ 동 행사 동안 IT인력 취업박람회 및 우수 솔루션 보유 IT업체들과 소기업 네트워크화 사업 관련 전시회가 있을 예정임  o 정보화 우수 솔루션 보유 IT기업이 참여한 솔루션전시회는 28개 부스에서 ERP, SCM, 등에 관한 전시와 상담이 진행됨  o 중소기업의 정보화 인력부족 및 청년실업의 연계해결방안을 모색코자 'IT 취업박람회‘를 동시개최하여 채용 계획이 있는 IT기업 등 15개사가 참여 하여 채용 상담이 이루어질 예정임. □ 동 행사 중 「소기업?자영업을 위한 정보시스템 발표회 및 전시회」에서는  o 동 행사에서는 개발된 솔루션들의 전시회 및 사용자 중심의 사례발표와 자영업 정보화와 관련하여 전문강사의 강연이 동시에 진행됨  o 전시회는 지금까지 개발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ASP 관련 솔루션들과 우수사례 중심으로 20개 부스를 통해 전시 및 상담이 진행됨  o 정보통신부와 중소기업청은 2001년부터 소기업 네트워크화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여 왔으며 업종별 협회 및 단체 중심의 12개 커뮤니티형 비즈니스 모델과 동종 및 이종 업체간 전자거래?협업 등을 지원하는 39개의 허브형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 시행하고 있음 □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정보화 추진의 성과에 대한 의문점을 풀고 그  성공방법을 전파하고 기업 정보화의 다양한 전략과 최신동향을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정보화추진을 유도할 것으로 생각됨  o 특히, 같은 지역 기업의 성공사례를 추진 실무담당자가 직접 발표함으로써 참석한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실제적인 벤치마킹의 정보를 전달하여 지역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의욕을 고조시킬 것으로 예상됨  o 또한 , 정보화의 지원이 절실한 소기업, 자영업들이 좀 더 저렴한 비용과 손쉬운 방법으로 정보화를 추진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 및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됨  o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 (http://www.kimi.or.kr) 에서 확인할 수 있음. (붙임)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 2004」 행사개요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8","atchfileNm":"행사개요.hwp","viewCnt":"5357","regDate":"2004-11-22 12:11:00"},{"contentId":"24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e-러닝, 중소기업의 직무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치 높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3","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1월 12일 (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e-러닝, 중소기업의 직무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치 높아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백낙기)에 의하면, 국내 기업 e러닝시장은 2000년대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 IDC의 2003년 조사에 의하면, 기업 e러닝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연평균 35%의 급성장을 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미주지역의 성장이 가장 크고,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성장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됨.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99년 “인터넷통신훈련제도”도입 이후 인터넷 교육훈련이 급격히 증가하여 `전체 훈련의 36.0%를 차지함. □ 대기업 중심의 e러닝 활성화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생산성 격차가 심화될 우려가 존재함.   ○ 국내시장의 경우 대기업의 35.5%, 중소기업의 9.4%가 e러닝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 위주의 기업 e러닝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e러닝 활용은 부진한 것으로 조사됨.   ○ 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노동 숙련격차로 나타나게 되고, 기업 규모간 생산성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 기업 e러닝의 주요대상은 일반사무직이고, 생산직을 위한 기술교육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중소기업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욱 심각한 수준임. □ 중소기업의 e러닝이 오프라인 교육에 비해 직무능력 향상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 대상 오프라인교육은 현업의 바쁜 특수성으로 인해 높은 교육효과에도 불구하고 교육 참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반면에, e러닝의 성과로 직무능력이 향상된다는 응답은 조사대상의 90%에 해당하였으며, 특히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e러닝이 직무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형 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은 중소기업 e러닝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과제임.   ○ 우수한 중소기업형 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은 중소기업 e러닝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최우선적인 과제임.   ○ 중소기업을 위한 ASP방식의 e러닝 시스템 지원사업, 중소기업형 e러닝 콘텐츠 개발 지원, 중소기업 e러닝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발 등의 종합적인 정부 정책이 필요함. □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디지털경영부 지식서비스팀 이찬형 연구원 02-3787-0456) ","viewCnt":"6176","regDate":"2004-11-12 12:11:00"},{"contentId":"24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소규모 기업에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4","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0월 20일 (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소규모 기업에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나   - 사업 참여기업 만족도 조사 결과 -   ㅁ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만족도조사(2004.4~7)를 수행하였음. o 성과물 중심의 사업 평가가 아닌 참여기업을 고객으로 생각하는 측면에서 만족도를 평가하여 향후 사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함.  o 2003년 사업에 참여했던 모든 기업(총 2,757개사)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통해 실시되었으며, 그중 1,467개 기업이 응답함.  o 평가부문은 크게 4부문(참여동기, 기술 활용성, 주관기관의 지원, 운영과정), 22항목에 걸쳐 조사함.    ㅁ 조사기업의 평균 만족도는 79.3점(100점 만점)으로 나타남. o 조사기업의 평균 만족도는 79.3점이며, 만족도가 90점 이상인 기업도 전체의 16%를 차지함. o 소기업의 만족도는 평균 79.7점, 중기업은 76.0점, 300인 이상 기업은 75.6점으로 기업규모에 따른 만족도차이를 보이고 있음. o 지역별로는 대전(82.5점), 전남(81.8점), 전북(81.2점)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o 창업초기인 기업의 기술개발 만족도가 창업 업력이 오래된 기업보다 더 큰 것으로 조사됨.   ㅁ 산학연 컨소시엄사업 만족도 조사에 의하면, 사업에 참여한 가장 큰 성과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의욕 고취와 기업 내 기술축적 등을 꼽을 수 있음. o 기술개발이 매출액 증가에 기여하는 정도는 소기업이 평균 42.5%, 중기업이 17.5%, 대규모기업이 7.1%로 조사됨. o 기술개발 후 매출액 증가까지 평균 9.6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됨. o 기술적인 애로사항은 평균 66.4% 정도 해소되었으며, 소기업의 경우 과반수 이상이 70% 이상 해소되었다고 응답함.   ㅁ 참여기업들은 정부의 자금지원 확대와 상업화를 위한 추가지원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응답함. o 기업들은 자금지원 규모 확대와 더불어 개발된 기술을 상업화하기 위한 추가 지원 및 사업의 확대 등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음. o 참여기업 만족도 향상과 사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사업의 다각화, 주관기관의 다양화, 기업 특성별렙泰씌 특성화전략 및 철저한 사후관리 및 지원이 필요함.    ㅁ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황순환 연구원 02-3787-0443) ","viewCnt":"6564","regDate":"2004-10-20 12:10:00"},{"contentId":"24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 정보화 저해요인 해소와 활용성 제고를 위한 IT 아웃소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5","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0월 13일 (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기, 정보화 저해요인 해소와 활용성 제고를 위한   IT 아웃소싱    ㅁ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에 의하면,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시 자금 및 인력 부족의 애로사항을 IT 아웃소싱을 통해 해결 가능함.   o  중소기업 정보화에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은 ‘전문인력 부족(44.2%)’, ‘도입비용의 과다 및 운영비용 증가 부담(35.0%)’인 것으로 조사됨.   o   비용부담과 IT 전문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IT 아웃소싱은 단기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정보화의 추진이 가능한 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   o  그룹사 기업들은 이미 10여년 전부터 그룹내 전산자원을 별도의 전문회사에 이관시키는 아웃소싱을 단행, 그룹의 핵심역량 강화에 주력하고 있음.     ㅁ 우리나라의 경우 중소기업일수록 IT 아웃소싱에 관한 선호는 높게 나타났으나, IT 아웃소싱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 등의 부족으로 인해 선진국에 비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o  Gartner 2003년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100인 미만 규모 기업은 43%, 500인 이상 규모 기업은 25%가 아웃소싱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IT 아웃소싱에 대한 수요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됨.   o  유럽, 일본, 미국 등의 선진기업들은 자체적으로 효율적인 정보시스템 부서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IT 아웃소싱을 기업의 생존전략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은 IT 아웃소싱에 대한 인식 및 신뢰성 등의 부족으로 적극적 대처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ㅁ 기업이 IT 아웃소싱을 도입하는 이유는 기업의 역량을 좀더 핵심적인 부문에 집중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자 하는 경영전략의 일환임.  o   IT 아웃소싱을 활용하는 주요 이유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핵심역량에 집중이 4.28(5점 척도)로 가장 높게 나타났음(Gartner 2003년 보고서).  o   특히 자체적 정보화 추진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IT 아웃소싱을 통해 인력과 자금 등의 정보화의 구조적 저해요인을 단기간에 해소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정보화를 추진할 수 있음.  o   산업구조의 전문화와 아웃소싱 확산 추세에 적응하지 못하면 중소기업 사업기반의 침하가 불가피하므로, 중소기업은 IT 아웃소싱을 통하여 자신의 부족한 부문을 보완하고 전문화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     ㅁ IT 아웃소싱은 정부의 정보화 지원사업의 내실화를 위한 효과적 대안이 될 수 있음.  o   IT 아웃소싱은 다양한 형태와 범위의 H/W와 S/W의 적용이 가능하여 개별기업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 정보화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    ㅁ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디지털경영부 유연우 부장 02-3787-0450)","viewCnt":"6316","regDate":"2004-10-13 12:10:00"},{"contentId":"24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회원국간 중소기업 정보화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6","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0월 8일 (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APEC 회원국간   중소기업 정보화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   ㅁ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의 APEC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 실태조사(2003)에 의하면, APEC 역내 정보화 상위그룹 회원국과 하위그룹 회원국간 국가 정보화 격차가 크게 나타남.     o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의 이용 현황(2002 기준)을 살펴보면, 정보화 상위그룹은 전체 인구의 50% 이상, 정보화 하위그룹은 30% 내외가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o  총거래에서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율(2002년 기준)을 보면, 상위그룹의 경우 0.6% 내외이고, 하위그룹의 경우 0.2% 내외로 두 그룹간 격차는 3배 이상임.     o  국가 정보화 격차의 심화는 회원국간 정보화로 인한 부의 편재를 더욱 심화시키고, 특히 하위그룹의 중소기업과 여성이 정보화에서 소외되는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 ㅁ APEC 회원국 중 10개국의 방문조사에 따르면, 정보화 상위그룹과 하위그룹 간의 중소기업의 정보화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됨.     o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중소기업 종업원 1인당 컴퓨터 보유 대수의 격차는 2배 이상이고, 정보화 응용 프로그림 활용 격차는 4배 이상임.      o  IT 도입 성과로서 재무적 효과는 5배, 고객서비스는 4배 이상의 격차가 존재함.     o  반면에, 중소기업의 IT 도입을 위한 변화 수용과 표준화는 정보화수준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중소기업 정보화의 공통적인 애로사항으로 작용하고 있음. ㅁ APEC 역내 회원국의 중소기업 정보화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과 전략적 대응이 요구됨.     o  회원국의 정부는 우선 유·무선 통신망과 브로드밴드 등 국가적 IT 인프라를 확충하여 중소기업이 저가에 IT 인프라에 접근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함.     o  하위그룹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APEC 차원의 컴퓨터 재활용 프로그램 운영 및 저가의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중소기업의 PC 및 응용 소프트웨어 접근성을 높여야 함.     o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주로 최고경영진의 강력한 의지를 바탕으로 수행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최고경영진의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     o  특히, 우리나라는 APEC 차원의 중소기업 정보화 논의(포럼, 워크샵, 교육, 의제개발 등)를 주도하고 우리 중소기업의 경험을 하위그룹의 회원국에 전파하고 우리기업의 해외진출의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   ㅁ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양훈화 연구원 02-3787-0434)  ","viewCnt":"6158","regDate":"2004-10-08 12:10:00"},{"contentId":"24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기업, 자영업을 위한 정보시스템 발표회 및 전시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7","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보화사업부정보화기반팀 담 당 자 장인성 팀   장 이민영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75 (lmy@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9월 20일 (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소기업.자영업을 위한   정보시스템 발표회 및 전시회 개최   □ 정보화의 지원이 절실한 소기업,자영업들이 좀더 저렴한 비용과 손쉬운 방법으로 정보화를 추진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 및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마련되었다.     o 정보통신부(장관 : 진대제)와 중소기업청(청장 : 김성진)이 주최하고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 백낙기)과 한국전산원(원장 : 서삼영)이 주관하는『소기업.자영업을 위한 정보시스템 발표회 및 전시회』 가 개최된다.     o 금번 행사는 지금까지 개발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솔루션들과 우수이용사례를 한자리에 모아 전시 및 발표함으로써 소기업.자영업들의 정보화 마인드제고 및 정보화 확산을 위해 마련되었다.     o 정보통신부와 중소기업청은 2001년부터 소기업 네트워크화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여 왔으며, 업종별 협회 및 단체 중심의 12개 커뮤니티형 비즈니스 모델과 동종 및 이종 업체간 전자거래?협업 등을 지원하는 39개의 허브형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시행하고 있다.   □ 동 행사에서는 기 개발된 솔루션들의 전시회 및 사용자 중심의 사례발표 뿐만 아니라, 소기업, 자영업 정보화와 관련된 전문강사의 흥미 있는 강연도 동시에 진행된다.   o 이번 발표회 및 전시회는 부산, 대전, 대구, 서울 등 전국 4개 주요도시에서 개최된다. 지  역 일  시 장 소 부산 ‘04. 9. 21(화) 13:00 ~ 18:00 벡스코(2층, 회의실) 대전 ‘04. 10. 6(수) 13:00 ~ 18:00 유성관광호텔(8층, 스타볼룸) 대구 ‘04. 10. 25(월) 13:00 ~ 18:00 엑스코(3층, 회의실) 서울 ‘04. 11. 15(월) 13:00 ~ 18:00 코엑스(1층, 그랜드볼룸)   o 행사 참가비는 무료이며, 온라인 사전등록(www.asp-kimi.or.kr, www.kimi.or.kr) 및 현장등록을 한 참관객에게는 행사와 관련된 자료집 및 브로셔 등을 배포할 예정이다.   o 본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보화사업부 정보화기반팀(☎02-3787-0475)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6429","regDate":"2004-09-20 12:09:00"},{"contentId":"24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를 통한 정보화 구축성과 만족한 것으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8","contentsKor":"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를 통한 정보화 구축성과 만족한 것으로 - 업무효율성 증가, 원가절감, 납기단축, 품질향상 등 - □ 중소기업청(청장 金成珍))은 중소기업의 정보화구축을 지원하는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를 통해 정보화 구축을 완료한 4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화 구축성과를 조사한 결과,   - 평균 7%의 원가절감, 20%의 납기단축 및 업무효율성 증가가 큰 것으로 나타남  □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은 정보화 투자성과에 확신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대신하여 지원능력을 갖춘 전문기업(TIMPs)이 정보화계획에서 시스템구축 및 사후관리까지 일괄지원하고 중소기업이 성공적으로 정보화를 활용하는 시점에서 전문기업이 투자비를 회수하는 사업임.   ○ 동 사업은 '02년도에 4개 업종 6개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지원하였으며, '03년에는 7개 업종으로 확대하여 80개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지원하였음.(46개 기업은 진행 중)   ○ '04년도 현재 8개 업종(기계/전기·전자/화학/금속·비금속/섬유/식품/물류/건설 등)을 대상으로 신청기업 243개 중 105개를 선정하여 추진 중에 있음.  □ 조사대상 중소기업들은 정보화 구축비용으로 평균 2억여원을 투자하였으며, 정부지원금으로 평균 4,825만원을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남.   ○ 조사대상 중소기업 업종현황을 살펴보면, 기계 업종의 중소기업이 가장 많았으며, 전기·전자와 화학업종 순이었음.   ○ 또한, 자본금 규모로는 1~9억원의 중소기업들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0~49억원 범위의 중소기업으로 나타났음.  □ 정보화 구축성과를 분석한 결과, 정보화 도입이 기업경영혁신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정량적 성과 측면에서는 정보화 구축전후 대비 평균적으로 7% 정도의 원가절감과 20.8% 정도의 납기단축을 보였으며,   ○ 기업경영의 중요한 절차인 의사결정에 있어서는 38% 정도 시간단축이 이루어졌으며, 의사결정 정밀도는 90.8%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 정성적 성과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에게 업무프로세스 자동화를 통한 업무효율성 증가가 가장 높은 성과로 조사되었으며,   ○ 회계/생산/물류 등의 실시간적 현황 파악, 업무관심도 및 대외 경쟁력 향상 등에도 높은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 향후 중소기업청은 지원대상 업종 및 지원업체 수의 확대 지원업체에 대한 사후관리 강화 등을 통해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을 정보화선도기업을 육성하는 시책으로 발전시킬 것임을 밝혔다.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홈페이지(http://www.smba.go.kr)를 참조하시기 바람         < 첨 부 >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의 정보화 구축성과 분석결과","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0","atchfileNm":"01AA_20040909a(app).hwp","viewCnt":"5499","regDate":"2004-09-10 12:09:00"},{"contentId":"24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9","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2 (forum@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9월 8일 (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개최 -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방안 -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2004년 9월 7일(화) 코엑스 컨퍼런스 센터에서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방안」이라는 주제로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를 개최하였음   □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는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이 주최한 제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의 일환으로 마련된 행사로서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및 성공사례의 발표를 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 및 기술혁신 마인드를 제고하기 위한 행사임   o 본 행사에서는 중소기업 CEO, 민.관.학 정보화 전문가 80여명이 참석하여 주제발표에 이은 참석자들간의 열띤 토론이 이루어졌음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정보화」라는 주제로 진행된 첫 번째 주제발표에서 충남대학교 문희철 교수는 디지털 시대 중소기업 경영환경의 변화는 기존의 순차적 대량생산 환경에서 동시공학 환경을 넘어서 가상기업 환경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고 진단하였음   o 이러한 가상기업 환경의 특징은 크게 기업간 경쟁의 글로벌화와 고객 요구의 다양화, 제품복잡도의 증가 및 수명주기의 단축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정보화는 중소기업의 경영혁신과 기술혁신을 위한 유용한 도구(Tool)로서 활용할 수 있다고 역설하였음   o 기업의 혁신을 경영혁신과 기술혁신으로 구분할 때, 정보화를 통한 경영혁신의 성공사례인 GE의 e-경매 시스템인 GE Power System의 경우, 웹 게시판의 구매물품에 대해 공급업체가 판매가를 제시하는 역경매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초기 6개월간의 활용만으로도 4억 8,000만 달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음   o 정보화를 통한 기술혁신의 성공사례로는 Sony의 신설계 생산체제인 EMCS를 들 수 있으며, 개별 사업부문은 전략 및 상품 기획, 브랜드 구축 등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기타 업무는 EMCS에 위탁, 전문적인 생산/설계 업체로 자리매김하도록 함으로써 공장의 경쟁력을 높이고, 간접 부문 공유화를 통한 비용 절감을 이루어낼 수 있었음   o 이러한 중소기업의 정보화에 의한 경영 및 기술혁신은 중소기업의 21세기 생존을 위한 환골탈태 전략으로서 기업간,산업간 정보의 통합 및 협업 강화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임   □ 「정보화를 활용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성공사례」라는 주제로 진행된 두 번째 주제발표에는 PDM의 도입을 통하여 기술혁신에 성공한 (주)파세코의 박상욱 책임연구원이 PDM 구축의 필요성과 도입효과에 대한 기술혁신 현장의 생생한 성공사례를 발표하였음   o PDM의 도입 필요성은 무엇보다도 제품 종류, 부품 및 설계 변경의 증가 등 관리 대상 업무의 증가와 이에 따른 관리 오류의 증가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비용을 절감시키는데 있었음   o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3년 여에 걸친 PDM 구축을 통하여 (주)파세코는 제품 분류 체계의 정립, 도면,문서,BOM,설계변경,개발일정,설계 자원 관리의 시스템화를 이루어냈음   o 이러한 PDM의 구축을 통해 종전 BOM 대표모델 1개를 구성하였던 것에 비하여 구축 후 전 모델의 BOM을 구성함으로써 연 약 2천만원의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정량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음 <(주)파세코의 PDM 구축효과> 항목 구축전 구축후 효과 도면 관리 개인들의 컴퓨터 보관 - 중복, 오류가 많음 원도, 복사도 관리 용이 도면 관리 LOSS 제거 BOM 구성 1인 2일 소요 1인 4시간 소요 1,500,000원/년 절감 BOM 대표모델 1개 전 모델 BOM 구성 20,000,000원/년 절감 BOM 품질 정확도 미지수 정확도 99.7%/월(평균) MRP운용, 자재관리 - 금액 5천만원(이자) 설계 변경 설계변경 통계? 통계가능 설계변경은 죄악(분위기) 문제점을 알 수 있음 개발과정에 주력 설계변경 진척 사항? 부서별, 개인별 업무 관리 업무 추적 가능 품질사고 방지 개발 지표 개발지표가 없음 개발일정 준수율, 품질지표 개발 지표 관리(평가 가능) 업의 개념 개발만 잘하면… 표준화, 공용화, MODULE화, 지식경영(연구개발 지식화), TO BE 설정… 부품 최적화 자료 DATA BANK 관리 효율 증가 FILE관리 - 문서 찾기 10분~2시간 손쉬운 검색, 정확한 정보 조회, 배포 이력, 업무 진행 상황 조회 공간활용, 화일장 감소, 서랍 없는 책상     □ 주제발표에 이어 서울대학교 박진우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전문가들의 패널토론에서는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정부의 정책과제에 대한 각계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음   o 정보화는 기술혁신의 결과물을 디지털화하여 저장하고 유통?확산시킴으로써 새로운 기술혁신을 재생산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매우 유용한 도구이며,   o 03년 중소제조업의 2%(2,400개)에 불과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2008년까지 중소제조업의 10% 수준인 1만개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지역 혁신 클러스터의 활성화 등 정보화를 기술혁신으로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범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의 마련이 필요함   □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위해 필요한 관련 IT기술의 동향과 성공사례에 대한 발표를 통해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기술혁신 및 정보화 추진의지를 제고하는 동시에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과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것임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행사개요   o 일      시 : 2004년 9월 7일(화) 15:00~18:00 o 장      소 :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센터 320호 o 주      제 :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방안 o 참가대상 : 중소기업 CEO 및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민.관.학계 전문가 o 주      최 : 중소기업청 o 주      관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o 행사 프로그램   시  간 행 사 내 용 14:40 ~ 15:00   등    록 15:00 ~ 15:05   인 사 말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백낙기 원장 15:05 ~ 15:30   주제발표 Ⅰ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정보화 -   발표자 : 충남대학교 문희철 교수 15:30 ~ 15:50   주제발표 Ⅱ   - 정보화를 활용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성공사례 -   발표자 : (주)파세코 박상욱 책임연구원 15:50 ~ 16:10   Coffee Break 16:10 ~ 17:30   패널토론   - 디지털 환경이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o 사 회 자 :       서울대학교 박진우 교수     o 토 론 자 :       산업연구원 양현봉 중기벤처실장                             CIES 이기훈 대표이사                             제주대학교 이동철 교수                             한양대학교 한창희 교수                            주제발표자 2인 17:30 ~ 18:00   질의응답 및 폐회      ","viewCnt":"6420","regDate":"2004-09-08 12:09:00"},{"contentId":"24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교육, 중소기업의 IT 업무활용도 제고에 크게 기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0","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9월 7일 (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정보화교육, 중소기업의 IT 업무활용도 제고에 크게 기여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정보화 격차해소 및 정보화 인력 양성을 통해 정보화 추진효과를 높임으로써 기업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중소기업 재직자 정보화 교육’을 실시해 오고 있음.  ○ 교육과정은 중소기업 CEO, CIO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 등 총 4개의 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최근 3년간 전 교육과정을 통해 26,836명을 교육함.  ○ 교육내용은 경영혁신을 위한 정보화 성공사례 및 디지털경영기법, 정보화 추진의지 제고, 정보기술 활용 능력 배양을 위한 스프레트 쉬트 실무, 네트워크 운영, IT 자격증 취득 과정과 업종특화시스템 교육 등으로 구성됨.  ○ 교육방법은 각 지역별 대학 및 전문교육기관의 우수시설과 인력을 활용한 집합교육과 민간 및 학계 IT 전문가를 통한 현장방문교육으로 운영됨.   □ 본 교육은 지역별 산?학연계 활성화를 통한 현장밀착형교육, 기업규모별?업종별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으로 특징됨.  ○ 정보화교육은 산업수요 중심의 교육 실시를 위해 지역별로 대학 및 전문교육기관을 지정하여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산학협력단 및 산업단지 입주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함.  ○ 또한 현장방문교육과 업종특화교육 과정을 통해 개별기업 및 동일업종 재직자를 교육시킴으로써 산업현장의 요구를 실질적으로 반영하여 인력양성의 효율성을 제고해 옴.   □ ‘03년 교육수료생 9,7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이해도 및 만족도 설문조사에 따르면 정보화교육을 통해 업무활용도 부분에 있어 크게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됨.  ○ 2004년에 발표한 OECD의 ‘한국 기업정보화 정책 검토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정보화 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나, 기업의 인터넷 접속 및 전자상거래 이용률 등 IT 활용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정보화 교육 과정별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업무활용도 향상’에 대한 응답이 ‘업종별 특화교육’ 75%, ‘정보화 산학연계교육’ 72%,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 70%, ‘현장방문교육’ 63% 등 정보화 교육이 기업의 IT 활용도 제고에 많은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됨.  ○ 따라서, 교육생 사후관리시스템 구축과 온라인 교육을 통해 교육의 연속성과 전문성을 높여 중소기업의 교육참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 IT 활용도 제고를 위해 필요함.     (연락처 : 디지털경영부 지식서비스팀 김준숙 연구원 02-3787-0457)      ","viewCnt":"6193","regDate":"2004-09-07 12:09:00"},{"contentId":"24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4년『제3차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1","contentsKor":" 2004년『제3차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개최- 유비쿼터스(Ubiquitous)와 중소기업 정보화 전략 -   □ 중소기업청(김성진 청장)은 2004. 9. 9(목) 14:00 광주 KT전남본부 3층에서 『3차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을 개최함   ○ 금번 행사는 정보통신부와 공동으로 인천 및 수원에 이어 광주에서 세 번째로 개최하는 행사로 정보화를 통해 경영혁신에 성공한 사례와 기업정보화와 관련된 전문강좌 및 최신 동향을 소개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 정보화 추진의지를 고취하기 위하여 마련하였음.  □ 동 행사에서는 최근 중소기업 정보화의 기본요소인 ERP(전사적자원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ning)와 POP(Point Of Production) 구축을 통해 경영혁신에 성공한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성공사례 발표와 유비쿼터스에 대한 중소기업의 정보화 전략과 기업정보화와 재무공시의 방향에 대한 전문강좌로 진행될 예정임.   ○ POP 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을 통해 경영혁신을 달성한 (주)호원과 ERP 시스템 구축 성공사례인 풍기산업(주)의 정보화 추진 과정과 구축을 통한 현황 및 성과를 직접 발표할 예정이며,   ○ 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소기업 네트워크화 사업의 성과와 성공사례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고가의 S/W를 빌려 쓸 수 있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을 소개하고,   ○ 전문강좌로 최근 현실화 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개념을 도입한 정보화의 흐름과 중소기업의 활용전략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며,   ○ 기업정보화와 관련한 기업공시 제도의 추세와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경영투명성 확보 방안 등 재무공시 측면의 정보화 활용에 대한 전문가의 발표가 있을 예정임   ○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http://kj.smba.go.kr) 및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 확인할 수 있음.         < 붙 임 >         제3차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 행사개요  ▶ 행사명 : 유비쿼터스(Ubiquitous)와 중소기업 정보화 전략 ▶ 일  시 : 2004. 9. 9(목) 14:00 ~ 17:30 ▶ 장  소 : KT 전남본부 3층 ▶ 주  최 : 정보통신부, 중소기업청 ▶ 주  관 :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 후  원 : 광주상공회의소, (재)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광주·전남지회, (사)한국산학협동연구원, 한국전산원 ▶ 협  찬 : 한국HP, KT 전남분부, (사)한국커머스넷 ▶ 참관대상 : 중소기업 CEO, CIO 및 정보화 담당인력 ▶ 행사일정   시   간 내   용 비   고 14:00 ~ 14:30 참가자 등록/접수 및 지원사업 상담   14:30 ~ 14:35 개회사(정보화경영원장)   14:35 ~ 14:40 격려사(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   14:40 ~ 15:10 (주)호원(지역기업 정보화 경영혁신 성공사례) 질의응답 15:10 ~ 15:40 중소기업 정보화와 재무공시의 방향 질의응답 15:40 ~ 16:05 소기업네트워크화사업 성공사례 발표 질의응답 16:05 ~ 16:15 휴식   16:15 ~ 16:45 풍기산업(주)(자동차부품업종 성공사례) 질의응답 16:45 ~ 17:15 유비쿼터스와 중소기업경영 질의응답 17:15 ~ 17:20 폐회 경품추첨 ▶ 주요 행사내용   구분 세  부  내  용 정보화 우수사례발표 ○ 우수사례 1 : 지역기업 경영혁신 성공사례   - 발표자 : (주)호원 정대의 전무 ○ 우수사례 2 : 업종별 경영혁신 성공사례   - 발표자 : 풍기산업(주) 전문 강좌 ○ 중소기업 정보화와 재무공시의 방향   - 발표자 : 전남대 정용기 교수 ○ 유비쿼터스와 기업경영   - 발표자 : (주)선텔레콤 최창선 대표이사 ○ 소기업네트워크화사업 성과 및 성공사례   - 발표자 : 한국전산원 백종현 박사   - 발표내용     * 소기업 네트워크화 사업 추진 성과 발표     * 마주인터내셔널(의류제조/판매), 아이캔텍(IT제조/개발), 큰마당정비센터(자동차부분정비) 기타 ○ 2003년 중소기업 정보화 우수사례집 CD 배포 ○ 업종별 표준 업무프로세서 모델 CD 배포 ○ 중소기업 정보화 백서 CD 배포 경품 추첨 ○ 협찬사 제공 경품 추첨    ","viewCnt":"6105","regDate":"2004-09-06 12:09:00"},{"contentId":"24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IT 활용전략에 따라 정보화 성과에 큰 차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2","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 담당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4 (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8월 26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IT 활용전략에 따라 정보화 성과에 큰 차이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이 최근 실시한 “중소기업의 IT 활용실태에 관한 조사”(2004. 4~ 5)에 의하면 IT 활용도 제고를 위한 지속적 정보화 투자와 의사결정 도구로서의 정보시스템 활용도에서 기업간 규모에 따라 큰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됨.   ○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약 30%가 정보화 도입 후 사후 투자를 하지 않는 반면, 대규모기업은 꾸준히 시스템 업그레이드나 프로세스 정착화에 투자하는 것으로 조사됨.   ○ 최고경영진이 정보시스템을 의사결정지원 도구로 활용하는 비율을 보면, 중소기업은 15%, 대규모기업은 50% 이상으로 조사됨.   ○ 중소기업은 비용절감 위주로 IT 활용목표를 설정하는 반면, 대규모기업은 생산성 제고나 기업가치 위주의 IT 활용목표를 설정하는 것으로 조사됨.  □ 정보시스템 활용 수준과 IT 도입 이후 매출 증가에서 대규모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RP) 관련 활용 수준에서, 중소기업의 대다수가 ERP 시스템이 없이 단위업무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수준이거나 ERP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기초적인 사내업무에 활용하는 수준인 반면,   ○ 대규모기업은 ERP시스템이 있으며, 기업내 업무가 통합되어 활용되는 수준임.   ○ IT 도입 이후 매출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의 경우, 대규모기업은 78%, 중소기업은 34%로 대규모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두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됨. □ IT 활용목표에 따라 분석해 볼 때, 생산성 제고나 기업가치 증대를 목표로 추진하는 기업이 비용절감을 목표로 하는 기업보다 정보시스템 활용 수준과 IT 도입 이후 매출 증가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됨.   ○ 비용절감을 목표로 하는 기업의 75%가 ERP 시스템이 없이 단위업무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수준이거나 ERP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기초적인 사내업무에 활용하는 수준인 반면,   ○ 생산성 제고를 목표로 하는 기업의 35%, 기업가치 증대를 목표로 하는 기업의 60%가 ERP시스템이 있으며, 기업내 업무가 통합되어 활용되는 수준인 것으로 조사됨.   ○ IT 도입 이후 매출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의 경우, 생산성 제고는 55%, 기업가치 증대는 67%, 비용 절감은 28%로 생산성 제고와 기업가치 증대를 목표로 하는 기업이 IT 도입 이후 매출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 □ 따라서 대.중소기업간 정보화 격차 해소와 중소기업의 IT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은 원가절감을 뛰어넘어 생산성 제고나 기업가치 증대를 IT 활용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사업중심형 정보화 (Business-driven IT)전략의 추진이 요구됨(연락처 : 정책연구부 전략연구팀 양훈화 연구원 02-3787-0434)  ","viewCnt":"6383","regDate":"2004-08-25 12:08:00"},{"contentId":"24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보호 협력체계 구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3","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기획관리본부기획부 담당자 오주환 팀   장 전화번호E-mail 02)3787-0421(eujinn@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8월 4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 정보보호 협력체계 구축(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한국정보보호진흥원 중소기업 정보보호 협력 MOU 체결)  ○ 중소기업 정보보호와 관련하여 정부 유관기관간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중소기업 정보보호 수준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중소기업 정보화촉진을 종합적, 전문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 KIMI)은 국내 정보보호 전문기관인 한국정보보호진흥원(원장 이홍섭, KISA)과 지난 3일 있었던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단 출범식 행사에서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과 관련하여 상호 교류와 협력을 규정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KIMI와 KISA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 정보보호 인식제고 △ 정보보호 기술습득 △ 침해사고 예방 활동 △ 정보보호 관련 자료 공유 △ 정보보호 실태조사 및 수준평가 △ 침해사고 대응 및 복구 △ 기타 양 기관에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분야에서 폭넓은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백낙기 KIMI 원장은“세계 최고의 정보보호 전문기관을 지향하고 있는 KISA와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 촉진을 위한 커다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KIMI는 중소기업 정보화와 관련이 있는 기관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협력체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본 자료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전략정보화팀(02-3787-0487)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viewCnt":"6369","regDate":"2004-08-04 12:08:00"},{"contentId":"24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성공조건부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4","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 담당자 주석정 연구위원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4(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8월 6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성공조건부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 불안감 해소에 기여  □ 정보화혁신전문기업제도는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이 선 투자하고 사업 성공시점에서 중소기업이 투자비를 지불하는 제도로서 TIMPs-중소기업이 사업추진 협상시 중소기업의 정보화 및 경영환경을 고려하여 지원규모가 다양하게 결정됨.  ○ 동사업 참여중소기업의 50%가 과거 정보화 도입에 실패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점에서 알수 있듯이 동 사업은 정보화투자에 확신을 갖지 못한 기업의 투자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 동 사업의 또 다른 특징은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솔루션 및 지원영역을 공급자(IT업체)와 수요자(중소기업)가 협의하여 결정함으로써, 각 기업에 적합한 맞춤형 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임.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지원대상 중소기업은 대체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TIMPs의 책임감 있는 일괄 지원과 2년 이상 사후관리를 의무화하는 점에 대해 만족을 표시하고 있음.  ○ 02’, 03’년도 전체 지원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 지원사업의 성과측정, 사후관리 및 지원정책의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응답율 82.6%), 정보화혁신전문기업제도가 타 정보화지원사업과 갖는 차이점은“TIMPs의 책임지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8.2%로 가장 높았음.  ○ TIMPs가 제안한 시스템의 적정성 여부에 대해서는 98.6%가 “자사의 수준에 필요한 내용“이라고 응답함.   ○ 또한, TIMPs에 대한 만족도는(성실성, 책임감, 전문성,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 4.4 점 이상(5점척도)으로 높게 나타났음.  ○ TIMPs 제도가 갖는 강점은 “타 정보시스템과의 연계 용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0.4%로 가장 높았음.□ 정보화혁신전문기업제도의 발전방향으로는 “중소기업 비용부담의 최소화”가 25%로 나타나 비용부담을 줄이는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남.  ○ TIMPs 사업을 신청한 기업 중 37%가 투자비용의 부담으로 사업을 취소한 것으로 나타나 투자부담이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또한 지원대상업체 선정시 신축성 있는 적용을 통해 정부의 정보화 지원사업을 기지원받았던 기업에 관한 고려와 지속적인 사후관리제도 마련이 요구됨□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정보화사업부 정보화기반팀 장인성 선임연구원 02-3787-0471)","viewCnt":"6416","regDate":"2004-08-04 12:08:00"},{"contentId":"24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 금융지원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5","contentsKor":"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보도자료 담당과 기술지원국 기업정보화과 담당자 이종대 과장 박상준 사무관 전화번호 042-481-4400 E-mail sjpark@ smba.go.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29(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기청 인터넷 홈페이지(www.smba.go.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 금융지원 실시 - 전문기업,중소기업에 최대 10억까지 보증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金成珍)은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에 참여하여 정보화를 추진하는 중소기업에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지원만으로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고 발표함   o 또한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일괄 추진 지원하는 IT전문기업(TIMPs)들에게도 금융지원이 적용됨으로써 수요자(중소기업)측면 뿐만 아니라 공급자(TIMPs)측면도 고려한 지원으로 보다 내실 있는 지원이 기대됨. □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이란 중기청이 지정한 TIMPs(IT기업)가 자체인력 및 자금으로 중소기업에 정보화계획 수립부터 시스템 구축과 사후관리까지 선투자 일괄지원하고 정보화가 성공한 후 중소기업으로부터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사업으로   o 정부가 사업비의 50% 범위내에서 50백만원 까지 출연(보조)지원하고 있으나, 자금여력이 없는 중소기업은 기업부담금(50백만원에서 1억원 수준)의 부족 등 조달문제가 사업 참여를 주저하던 애로요인이었으나 금번 조치로 이 같은 자금부담(조달문제)이 해소된 것임. □ 금번 자금지원 방안은 중소기업의 경영정보화를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청, 기술신용보증기금,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업은행, 우리은행과 업무협조를 통해 금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지원할 방침임. □ 자금지원 규모는 정보화혁신전문기업의 경우는 지원 중소기업들과의 협약금액 50% 이내 10억까지 운전자금으로 지원하고, 정보화를 구축하는 중소기업은 전문기업과의 총 협약금액의 100% 이내에서 3억원까지 시설자금으로 지원할 계획임.  o 지원대상 및 지원조건을 살펴보면,    - 지원대상 : 전문기업(TIMPs) 및 지원대상 중소기업    - 지원조건 구   분 내        역 비   고 지원기간 5년이내(거치기간 포함)   자금용도 전문기업 : 운전자금으로 사업수행 필요자금   중소기업 : 시설자금으로 H/W, S/W, 컨설팅 및 부대비용   지원비율 및 한도 전문기업 : 협약금액의 50% 이내 10억원 한도   중소기업 : 소요자금의 100% 이내 3억원 한도   지원금리 정책자금 : 정책자금 금리기준적용, 중진공 직대를 통한 금리우대   자체자금 : 타 대출금리보다 우대   재원 정책자금 : 구조개선자금, 지식기반서비스육성자금,            산업기반자금   자체자금 : 기업은행, 우리은행    o 자금지원 절차는,    - 전문기업의 경우는 전문기업 확인서 발급(정보화경영원)→대출신청(전문기업)→신용보증 추천(금융기관)→보증서 발급(기술신보)→자금대출(금융기관)의 순이며,    - 중소기업의 경우는 사업성공 확인서 발급(경영원)→대출신청(중소기업)→신용보증 추천(금융기관)→보증서 발급(기술신보)→자금대출(금융기관)의 순이다. □ 금번 금융지원방안으로 인하여 중소기업의 정보화수준 향상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업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됨.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홈페이지(http://www.smba.go.kr)를 참조하시기 바람 ","viewCnt":"5302","regDate":"2004-07-29 12:07:00"},{"contentId":"24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포럼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APEC 차원의 공동 방안 모색-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6","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혁신연구팀 담당자 전대성 팀   장김종윤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3(yavis7@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15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포럼-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APEC 차원의 공동 방안 모색 - □ 중소기업청(廳長: 柳昌茂)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院長: 白洛基)은 7월 15일과 16일에 서울 강남 노보텔 앰버서더에서「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포럼」을 개최함□ 개최 배경  ○ 2005년 APEC 정상회의, 중소기업 장관회의 등의 한국 개최를 계기로 APEC 역내에서 향후 회원국 간 중소기업 정보화 분야의 협력체제를 구축  ○ 한국은 ‘03년부터 2개년 계획으로 APEC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으며,    - 2003년 실시한 APEC 역내 21개 회원국의 중소기업정보화 실태조사는 회원국들의 정보화 정책, 지원체계,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 장애요인 등을 비교분석하였음    - 이 결과를 토대로 회원국의 중소기업 정보화추진 관련 실제적인 경험과 주요 이슈를 공유할 수 있는 APEC 차원의 장을 이번에 마련하게 되었음  ○또한 2004년 포럼과 워크숍의 개최결과를 2005년 중소기업 장관회의에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한국이 IT 강국으로서의 위상제고와 더불어 국내 IT기업의 AEPC 역내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한 것임□ 개최 목적  ○ APEC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포럼은 정책 입안자와 중소기업 정보화 유관기관에게 각국의 지원정책, 베스트 프랙티스, 정보화 성과 등을 제시함으로써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의 촉진을 도모하고 APEC 차원의 공동 협력방안 모색    - 각국의 지원정책 및 우수사례를 논의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국내외 정책입안자 등 11개 회원국 (미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중국, 대만, 홍콩, 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멕시코) 중소기업 정보화 담당 공무원, 유관기관 추진책임자, 협회 회장, 대학교수 등을 비롯하여 APEC 조직인 기업인자문위원회(ABAC), 정보통신실무그룹(TELWG)과 전자상거래실무그룹(ECSG) 및 APEC 옵저버 회원인 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PECC)에서 전문가들이 참가  ○ 정책포럼의 성과는 향후 개최할 e-비즈니스 관련 교육 워크숍에 반영하고 포럼성과와 권고안을 전자상거래실무그룹, 정보통신실무그룹 및 인력자원실무그룹 등 관련 APEC 조직에 보고함으로써, APEC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및 전략을 수립?추진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주요내용  ○ 본 포럼은 크게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비교’, ‘부문별 정보화촉진전략’,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성공) 사례’ 등의 3개의 세션과 종합토론, 그리고 솔루션 전시회 방문으로 구성됨    - [세션 1]에서는 APEC 주요국가들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소개를 통해 회원국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 촉진노력을 고취하고자 마련된 순서로 APEC 회원국 대표들이 자국 정부의 정보화 지원정책을 설명함    - [세션 2]에서는 부문별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전략을 논의하는 순서로, 주요 주제는 정보화를 활용한 수출촉진전략, 소상공인 ASP 구축, 제조업 정보화, 대기업과 연계한 중소기업 정보화 등으로 구성됨    - [세션 3]에서는 구체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의 추진사례가 발표되는 순서로 지역 클러스터 중심의 정보화 추진사례, 중소기업 정보화 교육과 훈련사례 등의 성공사례가 소개됨    - [종합토론]에서는 상기 세션에서 논의된 이슈와 베스트 프랙티스를 재 요약하고 1단계 정보화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중소기업 정보화가 APEC 전역에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을 권고하는 순서로, 특히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APEC 공동 노력에 대한 합의안 도출이 기대됨  ○ 미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대만, 한국, 멕시코 등 주요 국가의 발표자의 발표내용을 함축하면 다음과 같음(요약문 별첨 자료)  ○ 한국 무역협회 전자무역추진 위원회 서정욱 위원장이 기조연설에서 ‘중소기업 경쟁력 증진을 위한 정보통신기술’을 주제로 발표     - 과학기술부 장관을 역임한 서 위원장은 중소기업의 IT를 활용한 수출경쟁력 향상에의 해법을 제시하였는데,   * 첫째 중소업체의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해 IT 기반 전략에 관해서 인지도 제고를 지원하고,    * 둘째 정부기관과 민간기관이 공동으로 추진정책과 사업모델 및 사례 개발에 앞장 서야 하며,    * 셋째 글로벌 가치사슬 안에서 중소기업의 위치와 대응 방안을 분석하여 제시하여야 하며    * 넷째 중소기업이 인터넷을 활용한 수출전략 수립 지원 등을 포함하되 각 산업별 특성을 고려할 것을 제안    - 특히 정부기관의 전략과 민간기관의 실무기능의 상호 보완에 의해 중소기업은 전자무역의 성공적인 도입과 수출경쟁력 확보를 강조  ○ 3 세션으로 나뉘어 발표된 미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대만, 한국, 멕시코, 홍콩,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11국에서 추진하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은 정보화 인프라 구축, 정보화 인력 교육 및 훈련, 정보화 자금지원, 컨설팅 및 상담 지원, 중소기업 네트워크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국이 수준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복합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을 실시    -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의 비교 부문에서 국가정보화가 높은 일본과 한국, 그리고 미국과 싱가포르가 대비되고 국가정보화가 낮은 멕시코는 정보화 공급정책과 수요정책을 양립하여 정책을 발표   * 일본과 한국은 정부가 주도해서 중소기업 정보화를 효과적으로 확산시키는 정책을 수립하고 실시하는 반면에 미국과 싱가포르는 정보화에 필요한 정보 제공과 교육 및 훈련을 수준별로 차별화하여 제공하고 사후 관리하는 정책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지며 멕시코는 소프트웨어 산업 육성과 소비시장인 디지털커뮤니케이션센터의 설립에 의하여 정보화인프라를 보급 및 확산   * 일본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종전의 정보화 마인드 확산 차원에서 추진하던 업무 효율화 목적의 정보화 사업을 중소기업이 투자효과를 보도록 정보화에 의한 경영혁신 방향으로 정부가 주도하며 (2004년 42억6천만엔 예산), 특히 대기업인 후지제록스와 국내 공급업체 205개 중소기업과의 e-비즈니스에 의한 협업 환경 구축을 끝내고 해외 공급업체와의 협업 환경 구축에 착수한 성공 사례를 소개   * 한국은 중소기업의 다양성에 적합한 정보화 정책 및 전략을 개발 및 추진하며 대표적인 지원사업은 중소기업 정보화 컨설팅 지원사업, 생산정보화 지원사업, 대기업과의 협업적 정보화 지원사업, 소상공인 대상의 ASP 방식 지원사업 및 TIMPs (정보화혁신전문기업)지원사업 등이 있고 이 중 TIMPs 사업은 정보화 투자효과에 확신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이 투자 부담을 덜고 IT 회사로 구성된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은 마케팅 기회를 확보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의 정보화 실태파악에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을 거쳐 시스템 구축까지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지원   * 미국은 정부규제의 최소화와 민간부문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중소기업이 e-비즈니스를 추진함에 필요한 정보제공 지원사업인 e비즈니스의 훈련 사이트, 보안인프라 진단 사이트, 전자상거래 준비도 평가 및 비용대비효과 온라인 사이트 구축과 수출증대를 위한 전자 무역 컨퍼런스 개최를 통한 오프라인 교육을 실시   * 싱가포르는 2010년 완료 예정의 10년 사업인 SME21을 통해 소매업의 생산성 배가,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전자상거래 참여 중소기업의 3배 증가를 목표로 기업 레벨, 부문별 레벨, 브로드밴드 기반의 3축으로 접근하는 종합적인 지원사업을 전개하고 기업으로부터 조성된 기술개발기금을 종업원 교육 때 보조하여 주는 훈련프로그램 프레임워크에 의해 정보화 수준별 훈련을 실시   * 멕시코는 PROSOFT 프로그램 (Program for the Local Development Industry)에 의해 2013년까지 거래액 50억불을 목표로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하며 전국의 40개 사업개발센터 운영에 의해 컨텐츠 개발과 정보화 리더 과정 등을 제공하며 2,500개 디지털커뮤니티센터에서는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설치하는 등 정보화 공급과 수요의 균형 정책을 실시    - 중소기업의 부문별 정보화 촉진전략 부문은 APEC 중소기업의 수출촉진 전략, 소상공인 정보화 부문의 ASP 전략, 제조부문의 정보화 전략, 대기업과의 협업 부문의 정보화전략을 발표   * APEC 중소기업의 수출촉진 전략 부문에서 PECC(아시아 태평양 경제협의회)에서 중소기업 네트워크 리더로 활약하는 호주의 크리스 홀 박사는 APEC 전체 수출액의 30%인 3조 달러를 중소기업이 차지하는데 ICT(정보통신기술)를 제대로 활용하면 수출액의 50%를 중소기업이 차지할 수 있으며 이는 금액으로 약 1조 달러가 증가되어 수출액이 4조 달러에 이를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대안으로 전자정부 촉진, ICT 훈련의 성공사례 발굴, OECD와 협력에 의한 정보화 장애물에 대처 방안 등을 제시   * 소상공인 정보화 부문의 ASP 부문에서 한국 정보통신부 인터넷정책과의 백기훈 과장은 ‘소기업형 ASP 기반 e-비즈니스 사업’을 전개하여 2003년11월 투자효과 평균 740% 달성, ASP 가입자가 2004년 5월 23만개이며, 2008년까지 가입 소기업 일백만개 예상하고 ‘ASP 산업 촉진을 위한 시범 사업’을 전개하여 1,319 중규모 기업에게 ASP 솔루션을 제공하고 투자효과가 1100% 내지 1700% 달성하였으며 ‘실업학교 ASP 훈련프로그램’을 통하여 ERP 모듈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2002년도 40개 학교 1600명, 2003년도 60개 학교 2400명 훈련을 완료하였다고 발표   * 제조부문의 정보화 전략 부문에서 말레이시아 국제통상산업부의 산하기관인 SMIDEC에서 정보기술부문에 근무하는 모드모타르 과장은 CAD/CAM/CAE, ERP, ASP, 로젯타넷 표준 등의 다양한 정보기술 채택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네트워킹 장비 구입을 지원하는 자금 지원과 융자 정책, 온/오프 라인의 중소기업 정보 및 상담 지원센터 (SME Information & Advisory Center) , 커뮤니티 오브 프랙티스 (CoP)를 위한 벤치마킹 웹사이트 등을 소개   * 대기업과의 협업 부문의 정보화전략 부문에서 대만 중소기업청 정보부의 리우 연구원은 ‘플랜 ABCDE'라는 정책을 통하여 3개의 세계적인 컴퓨터 OEM 업체, 국내 15개 대기업, 1800개 중소기업 및 대금 지급을 위한 금융기관과의 협업을 위한 마켓트 중심의 정보화 추진 전략을 소개    -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 사례 부문에서는 로컬 클러스터에 의한 사례, 중소기업 클러스터 사례, 정보화에 의한 여성기업 경쟁력 강화, 중소기업 온라인 정책에 의한 정보화 촉진, 중소기업 기술 훈련 프로그램 사례 등을 발표   * 로컬 클러스터에 의한 사례에서 홍콩은 인터넷전문가협회의 쿼트 회장은 홍콩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전자상거래를 도입 촉진하는 전자무역시스템, 입찰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정보화된 중소기업에게 입찰을 자동으로 통보하는 전자입찰시스템 등의 추진을 설명하면서 중소기업의 정보화에 있어 정부의 주도가 긴요함을 강조   * 중소기업 클러스터 사례에서 인도네시아 중소기업부의 소에트리시노 차관은 클러스터 전문기관을 설립하여 2001년 92개, 2002년 332개, 2003년 375개, 2004년 200개(계획)의 클러스터에 3년간 자금, 기술, 마케팅, 정보화를 통합적으로 지원한 정책 사례를 소개   * 정보화에 의한 여성기업 경쟁력 강화 사례에서는 한국 숙명여대의 아시아태평양 여성정보네트워크 센터장인 김교정 교수가 여성 인력의 정보화 인지도를 고양하는 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여성 인력의 정보화 실태 조사 등을 실시한 내용을 소개하면서 ‘APEC 여성 e-비즈니스 네트워크 센터’ 설립을 제안하여 여성기업인이 정보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   * 중소기업 온라인 정책에 의한 정보화 촉진 사례에서는 중국 과학아카데미 컴퓨터 기술연구소 교수인 탕 박사가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중소기업부로부터 위탁받은 ‘중국 중소기업 온라인’ 사업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각 시 등으로 연결되는 정부 지원의 웹사이트를 통해 중소기업이 웹사이트 자동구축 시스템과 인터넷에서의 구인구직, 정보화 사례, 정보기술 훈련, 제품정보 전시 등의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중소기업 정보화를 촉진한 사례를 소개   * 중소기업 기술 훈련 프로그램 사례에서 호주 교육부 직업훈련그룹의 저드 국장은 5년간 약 미화 6천만불 (한화 700억원) 예산으로 2004년 말에 종료하는 ‘호주의 유연한 교육 프레임워크’에 초점을 두고 성공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 훈련 자격증 제도와 품질 보증 및 인센티브 제도와 함께 e-러닝의 도입 실태를 소개    - 종합적으로 APEC 회원경제체의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의 시사점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음   * 체계적인 정보화 교육 및 훈련 체제와 정보화지원툴 제공 정책 (호주, 미국, 싱가포르)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에 의한 중소기업의 정보화 촉진정책 (대만, 일본)   * 중소기업의 다양성에 적합한 정보화 정책 및 전략을 개발 및 추진한 정책 (한국)   * 전자정부의 발전으로 중소기업이 정보화 되는 정책 (홍콩)   * 정책의 효과성 측면에서 벤치마킹 사이트 개설과 커뮤니티 육성의 CoP 정책 (말레이시아)   * 정보화 수요와 공급을 균형 있게 제공하고자 하는 정책 (멕시코","viewCnt":"6160","regDate":"2004-07-23 12:07:00"},{"contentId":"24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0회「중소기업정보화포럼」개최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육성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역할 -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7","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혁신연구팀 담당자 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forum@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8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단 신>제1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육성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역할 -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2004년 7월 8일(목) 산은캐피탈(여의도 소재) 대강당에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육성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제1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하였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국내외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현황 및 동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대안을 발굴하기 위한 전문가 및 중소기업인들의 논의의 장으로서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주관하여 월 1회 개최하고 있는 행사임   · 금번 포럼은 기술신용보증기금 박봉수 이사장의 주제발표를 통해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정부시책 및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주요사업 추진현황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 및 기술혁신 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하여 마련됨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문의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 참조 (연락처 : 정책연구부 02-3787-0431~3)","viewCnt":"5188","regDate":"2004-07-14 12:07:00"},{"contentId":"24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회원국가의 정보화 수준과 특징 - APEC 중소기업 정보화실태 회원국가별 격차 심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8","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http//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 혁신연구팀 담당자 전대성 팀  장 김종윤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3 (yavis7@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14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APEC 회원국가의 정보화 수준과 특징 - APEC 중소기업 정보화실태 회원국가별 격차 심각 - □ 중소기업청(廳長: 柳昌茂)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院長: 白洛基)은 7월15일과 16일에 서울 강남 노보텔 앰버서더에서 개최하는 ‘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포럼?에서 2003년에 실시한 ’APEC 회원국가의 중소기업 정보화 실태조사‘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함 □ 중소기업의 정보화 지원정책을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의 특성과 그룹에 속하는 회원국가를 식별함으로써 그룹별 정책을 비교 분석   ○ 그룹1 은 아래와 같은 중소기업정보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국가로서 미국, 일본, 대만 및 한국이 포함됨    - 중소기업 정보화 성공사례와 정보화 필요성 및 혜택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제공    - 중소기업이 전자상거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인력 양성과 인프라 정비 노력을 전개    - 중소기업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자금지원    -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현장기술지원 및 컨설팅 활동    - 중소기업 e-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지원정책 실시 등   ○ 그룹2는 중소기업의 정보화만을 위한 정책적 틀은 수립되어 있지 않고 각 기관들이 개별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에 부분적으로 기여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국가로서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홍콩, 싱가포르가 포함됨    - 이들 국가는 정보제공과 IT 인력 양성 등 인프라 제고에 정책의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홍콩은 현장기술지원 정책, 호주는 중소기업의 e-비즈니스 네트워크 지원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특징적임   ○ 그룹3은 국가정보화 수준이 낮고 중소기업의 정보화에 대한 정책적 틀이 없는 경우로 그룹1, 2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들임.  이 그룹에 속하는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음    - 중국은 중소기업에게 유용한 정보 제공과 중소기업의 정보 집적 및 공유 등을 위해 웹사이트 구축작업을 추진    - 말레이시아는 중소기업지원 공공기관인 SMIDEC(Small & Medium Industries Development Corporation)을 설립하여 중소기업의 ICT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훈련, 자금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 태국은 중소기업 촉진 기관인 OSMEP(Office of Small & Medium Enterprises Promotion)가 중소기업의 정보화 요구에 대한 지원사업을 구상 중    - 인도네시아는 BDS(Business Development Services) 및 CD-SME (Center for the Development of SME) 등의 기관을 통해 클러스터 방식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활동을 전개 □ 각국의 비정부기관은 중소기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이 구현되며 다양한 형태의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 다음은 지원 프로그램 사례     - 캐나다의 e-Business Initiative : 중소기업의 사내 정보화 또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도입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     - 홍콩의 Vocational Training Council : 중소기업의 IT 전문인력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실시     - 일본의 IT Coordinators Association :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컨설팅을 통해서 현장에서 지원활동 전개     - 미국의 e-Business Institute : 중소기업을 상대로 온라인 교육 및 각종 기술지원과 컨설팅업무를 기업의 필요에 맞게 제공     - 호주의 ITOL (Information Technology Online) : 중소기업 e-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에 지원되는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수의 중소기업이 자발적인 참여에 의하여 민간 중개기관을 형성     - 대만의 Information Service Industry Association (CISA) 및 Taipei Computer Association (TCA) :  정부와 계약하여 자금을 지원받아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화 교육훈련 및 e-비즈니스 능력배양을 위한 컨설팅 사업을 전개함 □ 국가 인프라와 사업환경 측면의 분석은 각 그룹의 중소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APEC 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 활용실태 조사를 실시   ○ 조사는 10개 회원국가를 정보화 상위그룹(미국, 호주, 일본, 대만, 한국)과 하위그룹(중국, 멕시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으로 분류     - 분석기준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인터넷 활용 분석과 정보화 도입 준비도, 도입효과, 정보화촉진 영향요소를 포함   ○ 하드웨어 중 종업원 1인당 PC 대수는 정보화 상위그룹이 하위그룹보다 2배 이상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하위그룹에서의 PC 절대가격이 대단히 비싸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됨     - 컴퓨터 보유 격차를 줄이기 위해 하위그룹 정부는 저가격의 국민 PC(Internet PC) 개발 및 보급, 컴퓨터 구입 자금 지원, 컴퓨터 구입시 세제 혜택 지원, 컴퓨터 수입 관세 인하 등의 정책과 중고 PC를 재활용하기 위한 APEC 영역 내 소기업간 제휴 프로그램 운영 등을 고려해야 할 것임   ○ 소프트웨어 중 응용프로그램은 정보화 상위그룹이 평균 8개인 반면에 하위그룹은 1-2개에 그침     - 하위그룹 중 멕시코는 정부입찰에서 ERP 도입 기업이 유리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하고, 중국은 세무서에서 납세 신고를 받을 때 컴퓨터로 처리된 문서만 허용하는 정책을 추진   ○ 인터넷 활용도를 e-mail, 웹, 홈페이지 부문에서 분석하면 하위그룹은 웹 컨텐츠와 언어의 제약 및 통신 인프라의 미비와 고가의 사용료로 인하여 활용 수준이 낮음   ○ 역내 중소기업에서의 정보화 도입 준비도는 상위?하위그룹 구분 없이 활용인지도는 높으나 변화수용과 표준화는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도입효과를 BSC 모델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 학습효과는 높으나 고객만족 부문에서 하위그룹은 내부정보화에 치중한 결과 정보화 도입효과가 매우 낮게 나타남   ○ 정보화촉진 영향요인으로 상위그룹은 대상 기업 모두가 브로드밴드를 사용하고 있고 사업파트너로부터 정보화 압력을 받아 구매시스템을 활용하며 협회와 같은 민간기관에 의하여 정보화 지원을 받고 있는 반면,     - 하위그룹은 브로드밴드 사용이 60%에 그치고 사용료도 상당히 고가이며 구매시스템의 활용도 매우 낮은 상태이고 지원기관의 역할도 미약한 것으로 조사됨 □ 본 조사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APEC 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실태 개선 및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공동노력을 제안함   ○ APEC 레벨에서의 정기적인 협력 관계 증진의 일환으로 ’e-APEC Readiness'와 같은 공동 프로젝트와 APEC 중소기업실무그룹에 정보화 서브 그룹 신설할 것을 제안     - 유럽위원회가 실시하고 있는 ‘유럽 e-비즈니스 보고서’나 영국 통상산업부(DTI)가 매년 발행하는 ‘정보시대의 비즈니스: 국제 벤치마킹’은 다수 국가들의 정보화 관련 공동연구 결과임. 이와 유사하게 한국을 비롯한 관심 있는 APEC 회원국이 모여 'e-APEC Readiness' 사업을 전개할 것을 제안     - 또한 상호 학습과 APEC 역내의 협력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금번 ‘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정책포럼’과 같은 모임을 정기적으로 개최할 것을 제안     - 한편, 포럼과 같이 한정된 시간에 발표되는 각 APEC 회원국의 성공적인 정책들을 효과적으로 역내에 전파하기 위하여 정부나 비정부 지원기관 리더들에게 e-리더 과정을 교육할 것을 제안 ","viewCnt":"5928","regDate":"2004-07-13 12:07:00"},{"contentId":"24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생산정보화, 지원기업 당 평균22%의 업무능률 향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9","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경영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8일 (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생산정보화(e-Manufacturing), 지원기업당 평균 22%의 업무능률 향상 효과 □ 생산자원, 생산공정 및 수요자 요구가 다양화, 복잡화됨에 따라 생산현장의 정보화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국내 제조업의 생산정보화 수준은 초보적인 단계임.   - “생산정보화(e-Mnaufacturing)"는 생산자 주도에서 소비자 주도로,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의 전환 등 급변하는 생산형태에 적극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음.   - 원?부자재, 기계설비, 작업방법 등이 점차 복합화 되어가는 생산현장의 투명성 및 생산성 제고에 필수요소로 부각. □ 중소기업청(청장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이 시행한 2003년 생산정보화 지원사업의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축된 생산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효과에 대해서도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데이터 입력시간 감소는 업체당 평균 39.7%의 향상효과를 나타냈으며, 서류작업 시간 감소 39.0%, 정보분석 비용 감소 38.0% 등 생산성 및 업무능률에서 업체당 평균 22%의 향상효과가 나타남.   - 사전진단 및 외부감리제도의 도입으로 사업수행과 구축시스템의 질적 향상부문에서도 만족도가 크게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이같은 긍정적인 시스템 구축효과에도 불구하고 생산정보시스템 구축시 애로사항으로 전담인력 부족(32.2%), 업무표준화 미비(26.8%), 예산부족(20.8%), 임직원마인드 부족(10.7%)등의 순으로 응답하여 전담인력 확보와 업무표준화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또한, 지원기간 및 규모 확대 지원, 연계시스템 구축시 추가 지원등을 희망함.   - 조사대상기업들이 계획하고 있는 향후에 필요로 하는 정보화 분야는 SCM이 48.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SEM(31.8%), PDM(16.4%)의 순으로 나타남. □ 따라서, 지원범위 및 내용을 생산현장 밖과의 연계까지 확대하고 기 지원기업 중 시스템 활용이 우수한 기업을 대상으로 생산정보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위한 확대 지원이 긴요한 것으로 평가됨. □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정보화사업부 생산정보화팀 최진석 선임연구원 02-3787-0481) ","viewCnt":"4962","regDate":"2004-07-07 12:07:00"},{"contentId":"24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163개사 지원 착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0","contentsKor":" 제 목 ‘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163개사 지원 착수 □ 중소기업청(廳長 : 柳昌茂)은 생산현장에 정보기술(IT)을 접목시켜 중소제조생산공장을 디지털화하는 2004년도『중소기업 생산정보화(e-Manufacturing) 사업』을 본격 실시함 ㅇ 금년도 사업규모는 작년 67억원 보다 18억원(26.9%)이 늘어난 85억원 규모로서, (주)한창 등 163개 중소기업을 선정하고 6월 28일부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힘 ㅇ 지난 2002년부터 2년간, 123억원을 투입하여 256개 중소기업을 지원한 생산정보화 사업은 2008년까지 1,500개 중소기업의 생산정보화 지원을 목표로 추진중에 있음      ※ (‘02) 116개사 → (’03) 140개사 → (‘04) 163개사 → (’05) 180개사 □ 선정된 중소기업은 기업당 5천만원 한도, 총사업비의 50% 이내에서 생산정보화에 소요되는 정보시스템 구축비용을 지원 받으며, ㅇ 생산현장(공장)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생산설비와 컴퓨터간을 연계하여 컴퓨터를 통해 생산설비를 제어·지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실질적인 원가절감과 생산성 제고 효과를 거둘 수 있음 □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 환경에 맞는 시스템 구축 및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ㆍ 올 해 부터는 중소기업의 지원과제를 우선 선정한 후, 선정된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적격 IT업체를 공개경쟁방식으로 선정하였음 □ 또한 기 지원기업 중 시스템 활용이 우수한 기업 5곳을 업그레이드 시범기업으로 선정하였으며, ㆍ 선정된 기업은 생산정보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시범적으로 지원 받으며, 이를 통해 제품설계분야부터 사후단계인 PL대응분야까지 완전한 생산현장의 정보화를 지원 받을 예정임 ㆍ 업그레이드 지원은 ’05년부터 예산을 확보하여 확대 추진할 예정이며, 동 지원기업을「e-Manufacturing」선도기업으로 육성할 계획임   * 업그레이드 시범기업으로 선정된 5개사는 기 구축된 생산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업내부의 업무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생산의 투명성과 유연성 증대, 품질관리 측면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기업 ","viewCnt":"5255","regDate":"2004-06-29 12:06:00"},{"contentId":"249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IT 활용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심포지엄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1","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조사연구팀 담당자 김문선 팀장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4(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5월 18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IT 활용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심포지엄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5월 17일(월)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2층 대회의실(14:00~16:30)에서 제16회 중소기업 주간행사 관련 정보화 정책심포지엄 「IT 활용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이란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음 □ 이번 심포지엄은 중소기업청이 후원하는 가운데, ○ 김상훈교수 (광운대 경영정보학과)의 사회로 김주용 정책연구부장(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중소기업의 IT활용 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조민준 이사(아이마켓코리아)가 “정보화를 통한 기업의 경영혁신: e-Transformation”을 주제 발표하고 ○ 이어, 노성호교수(산업기술대 e비즈니스학과), 안현실 논설위원(한국경제신문), 이준기교수(연세대 정보대학원)가 패널 토론자로 참석하여 중소기업 정보화의 특성과 추진전략과, 정보화를 통한 경영혁신 및 효율적인 정부의 정보화 지원 방안 등에 관해 열띤 토론을 벌였음□ 이날 주제발표는 중소기업의 IT 활용에 관한 특성 분석과 기업의 IT 활용을 통한 경영혁신 사례로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먼저, 「중소기업의 IT 활용 특성 및 활성화 방안」과 관련하여서는 “사업추진형 정보화(Business-drvien IT)”를 지향하는 기업이 “업무추진형 정보화(IT-supported Business)” 추구하는 기업에 비해 IT 활용 수준이 높고, 상대적으로 더 높은 매출 증대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함.- 이 같은 결과와 관련, 정보화경영원은 정보화 추진계획 및 전략 추진시 “사업추진형 정보화” 모델을 추구하는 것이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효과 극대화에 크게 기여하는 방안이라고 설명하고, IT 활용 목표 및 비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봄.○ 아이마켓코리아의 조민준 이사는 주제발표에서 당사의 사례를 통해 IT 활용을 통해 경영혁신을 이룬 과정과 성과를 제시하고 IT 활용을 통한 경영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음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이번 심포지엄의 논의를 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가 업무 지원 차원을 넘어서 경쟁력 강화의 측면까지 고려하는 계기가 되고,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보화에 관한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진행될 것을 기대하고 있음□ 자세한 정보화 정책심포지엄에 관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조사연구팀 양훈화 연구원 02-3787-0441~3, 0434)","viewCnt":"5351","regDate":"2004-06-22 12:06:00"},{"contentId":"249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협업체계 구축사례 소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2","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혁신연구팀 담당자 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forum@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5월 19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협업체계 구축사례 소개- 중국 협력기업과의 화상회의 시연 예정 - □ 2004년 5월 20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이 주관하는 제8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에서는 현대모비스(주) 한규환 대표이사의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협업체계 구축사례」에 대한 발표와 중소기업 CEO 및 관련 전문가들이 토론의 자리가 마련될 예정임□ 행사 개요  ㅁ 일시 : 2004년 5월 20일 07:10~09:00  ㅁ 장소 :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 지하1층 알레그로룸□ 현대모비스(주) 한규환 대표이사는 구매웹포탈, Vaats 등 협력기업과의 협업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구축현황 및 향후 협업방향에 대한 소개에 이어 중국에 진출한 국내 협력기업과의 화상회의를 시연할 예정임□ 자동차산업의 경쟁환경이 단독기업 간의 경쟁에서 Supply Chain 간의 경쟁으로 변화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자동차 부품제조기업은 협력기업과의 정보화를 통한 협업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조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ㅁ 특히, 공급체인의 최적화를 위하여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매지원시스템과 함께, 협력사에 대한 공인신용평가정보 제공, 구매업무현황에 대한 정보공유기능 등 구매업무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행사 프로그램 시 간 비 고 07:00 ~ 07:10  등 록 07:10 ~ 07:50  조 찬 07:50 ~ 07:55  인 사 말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백낙기 원장 07:55 ~ 08:45  사 회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곽수일 교수    발 표 - 현대모비스(주) 한규환 대표이사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협업체계 구축사례 08:45 ~ 09:00  질의응답   ㅁ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문의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 참조 (연락처 : 정책연구부 02-3787-0431~3)","viewCnt":"5713","regDate":"2004-06-22 12:06:00"},{"contentId":"24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SCM 구현의 성과와 바람직한 7가지 추진원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3","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담당자 김문선 팀장 형준호 선임 전화번호 E-mail 02)3787-0442 (josa@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6월 17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SCM 구현의 성과와 바람직한 7가지 추진원칙“ -「해외 선진기업들의 최근 SCM(Supply Chain Management) 추진동향」세미나 개최 -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6월 17일(목) 전경련회관 대회의실(14:00~16:00)에서 「해외 선진 기업들의 최근 SCM 추진 동향」라는 주제로 정보화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임. - 본 세미나는 글로벌 무한경쟁 환경속에서 공급망 전체의 통합 또는 협업을 통해 상생(Win-Win)하고자 하는 선도기업들의 SCM 성공사례를 통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했음. □ 다음은 주요 발표내용임. 1. 김주용 정책연구부장(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 구미 선진기업의 경우, SCM은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한 경영혁신으로 자리잡았으며, SCM에 대한 투자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SCM의 운영성과는 기업의 재무성과와도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선진기업의 경우, SCM의 주요 추진목적은 ‘원가절감’이 가장 크며, 이외에도 ‘고객만족도 개선’ 및 ‘매출신장’에 상당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 정대영 박사(Intellic)   ○  구미 선진기업은 가시적 성과를 조기에 얻을 수 있는 과제와 IT시스템 도입에 앞서 프로세스 개선에 많은 비중을 두고 SCM을 추진하고 있음.    - S&OP(Sales & Operations Planning, 판매 및 운영계획)는 기업이 탁월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즈니스가 더 잘 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는 의사결정 프로세스로서 모든 업종의 기업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이를 추진한 기업들의 성과는 매우 큼.    - 우리가 처한 경영환경은 구미 선진국과 다르지 않으며, 글로벌 경쟁 하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S&OP를 중심으로 운영 최적화가 필요함. 3. 유지석 서기관(중소기업청 기업정보화과)   ○  한편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IT 인프라 강국임에도 불구하고, IT 활용도와 기업혁신 및 기업간 협업효과가 미흡한 실정임.    -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난, 인력난, 기술난 등의 태생적 한계와 더불어 대내외 경영환경의 경쟁 심화, 경기침체 등의 이유로 최근 그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음. □ 이에 중소기업청에서는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대ㆍ중소기업간 협업기반 마련을 위해 지난 2002년부터 ‘중소기업의 생산정보화 사업’을 시행해오고 있으며, 실제로 이 사업은 상당한 정량적ㆍ정성적 효과를 보이고 있음. 4. 김쾌남 박사(Intellic)   ○ 이처럼 갈수록 심화되는 대내외 경영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보화를 활용해 대ㆍ중소기업 협업을 통한 상생(Win-Win)의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는 295만 중소기업에게 SCM 전략은 매우 유용한 전략임.    - 다만, 고객 서비스 수요 증가와 기업의 이익/성장 수요의 균형을 위해서 “바람직한 SCM 구현을 위한 7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한 SCM 추진전략 수립이 선행되어야 할 것임. <참 고> □ 행사개요   。 주 최 : 중소기업청   。주 관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Intellic Inc.   。후 원 : 대한상공회의소, 매일경제신문, 전자신문, 구우정보기술(주)   。협 찬 : (주)코리아리쿠르트, 엠플래닝   。행사일정 구 분 내 용 발 표 주제1 경쟁국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동향 분석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김주용 부장 주제2 선진기업의 S&OP 추진동향 및 사례 Intellic Inc. 정대영 박사 주제3 국내외 선도기업들의 생산정보화 사례 중소기업청 유지석 서기관 주제4 선진기업들의 최근 SCE 추진동향 및 사례 Intellic Inc. 김쾌남 박사 □ 본 자료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3787-0442)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viewCnt":"5869","regDate":"2004-06-22 12:06:00"},{"contentId":"24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 통합형 정보시스템에 대한 수요 증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4","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 담당자 주석정 연구위원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4(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6월 23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中企, 통합형 정보시스템에 대한 수요 증대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실시한 “중소기업 정보시스템 수요조사”에 의하면, 중소기업은 ERP와 POP/MES를 가장 많이 운용중인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정부의 적극적인 정보화 지원사업의 추진이 나름대로의 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정보시스템 도입순위는 ERP를 가장 우선적으로 도입하며, 그 다음으로 생산정보화, 그룹웨어 등을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정보시스템의 평균 구축기간은 20.8개월이 소요되며, 주요 기능을 우선적으로 구축하는 단계적인 구축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많은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 사전준비 또는 도입 후 성과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의 51.7%는 ISP, BPR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실시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아직도 48.3%의 중소기업은 사전계획 수립없이 정보시스템 구축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시행착오에 따른 투자비 증대가 우려됨.  - 또한 정보시스템 도입 후 도입성과 및 정보화투자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있는 기업도 49.5%에 불과하여 정보화투자의 효과를 저해하고 있음.□ 중소기업이 향후 가장 우선적으로 도입을 희망하는 정보시스템은 고객관리부문(CRM) 및 전략적기업경영부문(SEM) 등의 정보시스템으로 조사됨.  - 이는 기업내적으로는 기업정보를 통합하고, 기업외적으로는 수익성과 연계되는 통합형 정보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또한 정보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부문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향후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방법과 적절한 구축, 합리적 구축기간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임.  -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 스스로 정보화투자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ISP 수립 및 도입성과 측정에 적극적이어야 하며, 정부 또한 체계적인 정보시스템 분류와 합리적인 구축기간 등을 고려한 정보화지원체계의 개선을 검토해야 할 것임.□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형준호 연구원 02-3787-0442) ","viewCnt":"5212","regDate":"2004-06-22 12:06:00"},{"contentId":"24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보호 사업, 본격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5","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보화사업부전략정보화팀 담당자 권민순 팀장이영규 선임 전화번호E-mail 02)3787-0487(yklee@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6월 10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 정보보호 사업, 본격 추진 ○ 최근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급변하고 있는 사회적 · 경제적 환경에 생존하기 위해 정보화에 보다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를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커다란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 그러나 지난 2003년도 1월 25일 발생했던 “인터넷 대란”의 악몽 이후 금년에만 해도 마이둠, 베이글, 소빅, 사서 등과 같은 웜바이러스 들이 급속하게 전 세계로 전파되어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임○ 향후 해킹 · 바이러스 공격은 에이전트화, 분산화, 자동화, 은닉화 등 더욱더 지능화 및 악성화 됨으로써 정보보호의 사각지대에 있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기업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측됨○ 이러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전담기관인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지난 5월부터 정보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보호 취약점 진단 및 예방대책 수립을 지원해주는 ‘사전진단’과 해킹 · 바이러스 등의 정보화역기능 피해로부터의 중요 자료복구를 지원하는‘사후복구’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사전진단 사업은 정보보호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그동안 정보보호컨설팅은 주로 자금력이 풍부한 대기업이나 금융권 위주로 수행되어 왔을 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행한 실적은 거의 전무한 실정임   - 사업의 본격적인 착수를 위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는 지난 5월초 시큐어소프트, 퓨처시스템, 인포섹, A3시큐리티, 시큐아이닷컴 등 5개의 정보통신부 지정 정보보호컨설팅전문업체를 중소기업 지원업체로 선정하였음  - 기업당 지원금액은 발생비용의 80%로 최대 275만원임  - 지원내용으로는    ①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 그리고 보안장비 등에 대한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진단은 물론이고,   ② 전산실 취약점 진단 등 물리적 · 환경적인 부분에 대한 진단과 관리적 부분에 대한 진단도 병행함   ③ 이러한 진단을 통해 식별된 문제점들에 대해 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나갈 수 있도록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여 제공함   ④ 또한, 진단과정에서 나타나는 치명적인 취약점에 대해서는 긴급조치(Hot-Fix)를 지원하며   ⑤ 정보보호 정책이나 지침의 수립 및 운용이 중요해 짐에 따라 기업이 자체적으로 이를 수립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함   ⑥ 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보보호컨설팅 업체에서 자사에서 개발한 정보보호 솔루션을 대폭 할인하여 판매함- 본 사업은 향후 지원기업과 지원금액을 대폭 확대하여 방화벽이나 침입탐지시스템, 백업시스템 등의 정보보호솔루션 구축까지 일괄적으로 지원할 예정임○ 사후복구 지원은 해킹 · 바이러스 등 정보화역기능으로 기업의 중요자료를 소실하여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문업체를 선정하여 지원하는 사업임  - 사업의 본격적인 착수를 위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는 지난 5월초 00개사의 복구 전문업체 풀을 구성하였으며,  - 지원범위는 10개 내외의 중소기업이며, 기업당 지원금액은 발생비용의 50%로 최대 150만원임○ 본 자료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전략정보화팀(02-3787-0487)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viewCnt":"5128","regDate":"2004-06-22 12:06:00"},{"contentId":"24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ㆍ보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6","contentsKor":" 내 용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ㆍ보급   □ 중소기업청(청장 : 유창무)은 전통산업의 e-Manufacturing 및 e-Industry를 촉진하기 위하여 업종별로 생산방식 및 경영형태가 유사한 분야의 업무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보급·확산해 나아가고 있다.   ○ 2001년도부터 3개년 간 한국생산성본부(1차년도)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2, 3차년도)을 통해 국내 산업분야에서 생산비중이 높고,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되는 총 20개 업종(붙임 참조)을 선정하고,   ○ 해당 업종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경영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경영업무중 동일한 업무 프로세스를 추출하여 업종별 표준모델 및 적용방법, 통합 활용 전자메뉴얼 등을 개발하고,   ○ 개발된 내용의 중소기업 현장 적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업종별로 구분되어 개발된 표준업무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3개년 간 산출물을 통합화하여 『자재관리, 구매관리, 영업관리, 생산관리, 재무/회계관리, 인사/급여관리』로 구분 개발하였다.  □ 개발된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은 중소기업에 적용 및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실용성 위주로 추진 개발하였고   ○ 개발된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의 이해 및 활용을 위한 표준모델 교육교재를 개발하여 전체 표준모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 나아가 적용방법론(사전진단방법, 업무프로세스 개선, 사후진단방법)과의 연계를 통해 표준모델의 효용성을 확보하여,   ○ 중소기업이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및 생산정보화사업 등 정보화 추진시 효율적인 정보화업무 컨설팅 및 진단을 위한 지침서로 보급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청은 이번에 개발 완료된 결과물을 중소기업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을 통해 On-Line 보급 및 중소기업정보화 지원사업과 연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중소기업, IT업체가 상시 활용 가능토록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에서 표준모델, 교육교재, 적용방법론 등 개발결과물을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 놓았으며,   ○ 정보화종합컨설팅지원사업에 보급하여 중소기업에 적합한 정보화 솔루션 개발 및 컨설팅을 유도하고, 지방중소기업청, 연구소, 유관기관 등의 중소기업 IT화 지원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토록 보급할 계획임.     ※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에 관심있는 중소기업 및 IT업체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아 참고하시면 됩니다.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  사이버컨설팅정보센터(www.ccic.or.kr)         < 별첨 >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 업종         번호 업 종 세 부  업 종 1 통신기기/방송장비 - 통신기기 및 방송장비- 방송수신기 및 기타 영상, 음향기기 2 반도체/전자부품 - 반도체 및 기타 전자부품 3 전기기계 - 전동기, 발전기 및 전기변환장치- 전기공급 및 전기제어기- 절연선 및 케이블 4 의약품/화학제품 - 의약품- 기타 화학제품- 화학섬유 5 자동차부품 - 자동차 부품 6 식품가공 - 고기, 과실, 체소 및 유지가공- 낙농제품 및 아이스크림- 곡물 가공품, 전분 및 사료 7 특수기계 - 기타 특수목적용 기계 8 제1차 금속산업 - 제1차 금속산업 9 조립금속 - 조립금속 10 일반기계 - 일반목적용 기계 11 고무 및 플라스틱 -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12 컴퓨터/사무용기기 - 컴퓨터 및 사무용기기 13 선박 및 보트 - 선박 및 보트 14 기초 화합물 - 기초 화합물 15 석유정제품 - 코크스 및 관련제품- 석유정제품 16 봉제의복 - 봉제의복 17 제과 - 기타 식품 18 골판지/종이 - 펄프, 종이 및 판지- 골판지, 종이용기 19 유통 - 유통 전 부문 20 물류 - 물류 전 부문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1","atchfileNm":"업무프로세스개발보급-20040423.hwp","viewCnt":"7488","regDate":"2004-04-27 12:04:00"},{"contentId":"24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Business-driven IT」","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7","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혁신연구팀 담당자 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forum@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4월 9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정보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Business-driven IT」‘업무지원형 정보화’에서 ‘사업추진형 정보화’로 □ 2004년 4월 8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이 주관한 제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에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이준기 교수는 우리나라 기업에서 추구해야 할 정보화의 방향을 업무지원형(IT Supported Business)에서 사업추진형(Business-driven IT)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역설하였음.□ 정보화를 지금까지 이야기하는 회계정보시스템, 공장자동화, 사무자동화 등을 통한 업무의 효율성 증가 또는 원가절감이라고 이해하는 관점은 '업무지원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나타내는 흔한 표현중의 하나가 “현재의 정보시스템이 현재의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얼마나 유용한가?”라는 질문이라고 볼 수 있음.   ○ 이러한 관점은 정보화 평가 방법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보기술을 경영에서 분리하여 그 자체로 평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PC보급대수, ERP, SCM, CRM의 도입자체를 정보화의 중요한 지표로 간주한 것임.□ 반면 정보기술 자체를 새로운 비즈니스의 동력(Enabler)으로 보는 관점, 즉 정보기술을 사업과 연계된 전략적 관점에서 봄으로써 정보기술을 통하여 기존사업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여 핵심사업으로 진출하는 기회를 포착하는 것을 '사업추진형' 정보화라고 볼 수 있음.  ○ 지난해 IBM에서 글로벌 CEO 450여명을 대상으로 향후 기업경영에서 무엇이 중요한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CEO의 80%가 매출신장이라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과거에 원가절감이 항상 1위를 차지했던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 정보화의 방향도 매출신장을 위한 새로운 시장,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됨을 시사하는 것임.  ○ 반면에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정보화 실태를 보면 상당수(66.2%)가 정보화 투자의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으나, 투자 시 고려하는 기대효과로는 업무처리의 효율성 제고(33%), 생산성 향상(26%)으로써 시장지향적 투자보다는 원가지향적 투자를 정보화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사업추진형 정보화로써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재래시장인 남대문시장에서 개발된 e-남대문의 예를 들 수 있음. 남대문시장이 기존의 오프라인 도매상을 주고객으로 정보화를 도입하였다면 좀 더 나은 재고관리시스템, 공급업자와의 원활한 자재공급시스템, 또는 고객관리시스템 등을 구축하였겠지만, e-남대문은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개체를 통하여 새로운 고객층인 일반소비자를 주요 목표시장으로 하려는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   ○ 해외에서는 Dell컴퓨터, Ebay, Priceline.com의 예에서 보듯이 미리 정해진 회사의 기존 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화라는 소극적 관점에서 벗어나, 사업전반에 스며들어간 새로운 정보화의 관점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경쟁우위를 점하였음. 이준기 교수는 이에 대하여 “이러한 성공사례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맞추어 새로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구성하고 거기에 맞는 SCM, 제품설계, 유통 등이 함께 이루어진 결과”라고 말하였음.  ○ 물론 기존의 관점에서 본 정보화가 전혀 성과 없다는 것은 아님. 정보기술을 도입함으로써 경영효율을 제고하고 원가절감을 기 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나, 이런 정보화는 성과에 한계가 있으며 다른 기업과의 차별화를 통한 경쟁우위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임.  ○ 이렇게 볼 때 새로운 관점에서의 정보화, 즉 ‘사업추진형 정보화’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포착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기 때문임.     □ 따라서 정보화에 대한 발상의 전환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경영자를 대상으로 정보기술과 그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육과 그들이 정보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법의 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임.   ○ 이와 함께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성공사례를 발굴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기업의 발전단계 및 산업유형별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기업이 발달된 정보인프라를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조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할 것임. ","viewCnt":"5574","regDate":"2004-04-20 12:04:00"},{"contentId":"24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세계 100대 IT리더가 말하는 21세기 인재상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8","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혁신연구팀 담당자 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forum@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3월 19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세계 100대 IT리더가 말하는 21세기 인재상- ‘T’자형 인간에서 ‘+’자형 인간의 시대로 -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2004년 3월 18일 07:20~09:00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60여명의 관련분야 전문가를 모시고 제5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하였음  ° 제5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에서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곽수일 교수의 사회로 「글로벌 시대, 디지털 인재의 조건」이라는 주제에 대해 삼성SDS(주) 김홍기 고문의 발표에 이어 다양한 정책이슈에 대하여 참석자들의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음□ 삼성SDS(주) 김홍기 고문이 제시하는 글로벌 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디지털 인재상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스페셜리스트(Specialist), 제너럴리스트(Generalist), 휴머니스트(Humanist)” 의 3박자를 골고루 갖추어야 한다는 것임  ° 과거에는 전문가(Specialist)로서의 깊이를 의미하는 ‘|'과 다방면에 대한 폭넓은 지식(Generalist)을 의미하는 ’―‘가 통합된 ‘T'자형 인재가 주목을 받았으나,   ° 디지털 융합현상이 도처에서 벌어지고, 모든 것의 경계가 무너지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도태되지 않으려면 다방면에 걸친 지식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하고 있음  ° 따라서, ‘T'자형 인재로도 미흡하며, 다방면에 대한 반(半)전문가(Semi-professional) 수준의 지식을 보유한 ‘+’자형 인재로 거듭나야 함 - ‘+'자형 인재의 가로(―)는 ‘T'자형 인재의 가로와 다르게 절반 정도 내려와 있으며, 이는 ‘T'자형 인재의 가로보다 더 깊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박 겉핥기식이 아닌 반전문가 수준의 지식을 요구하고 있음을 의미함  ° 또한 디지털 시대에 성공하려면 언제든 상대로부터 흔쾌히 협력을 얻어낼 수 있는 밝고 고운 심성과 폭넓은 휴먼 네트워크를 가진 휴머니스트가 되어야 함□ 주제발표에 이어 이루어진 포럼 참가자들의 토론에서는 디지털 인재의 양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방안이 논의되었음  ° 선문대학교 노규성 교수는 “디지털 인재의 양성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며, e-Learning 보급 및 활성화를 통하여 중소기업 인재양성을 위한 적극적인 정부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으며,  ° 새암소프트 양희종 전무이사는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고 그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업문화 혁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기업문화 혁신의 키워드는 무엇인가”라고 질문하였으며, 이에 김홍기 고문은 “디지털 인재의 양성 및 발휘를 위한 기업문화의 혁신은 젊은 조직으로의 변화에 있으며 우리 기업들은 시대변화에 걸맞는 기업문화를 창조하기 위해 보다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답변하였음□ 서울대학교 곽수일 교수는 이번 포럼에 대한 총평에서 “중소기업이 당면한 과제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시대변화를 리드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이 가장 중요하며, 다음 포럼에서 발표예정인 ‘정보화의 Paradigm Shift 「Business-driven IT」’라는 주제를 다루면서 보다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음□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백낙기 원장은 “이번 포럼에서 나온 다양한 정책과제를 적극 수렴하고, 앞으로도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매달 정기적으로 개최함으로써 중소기업 정보화를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및 대안제시의 장으로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의 운영방향을 제시함  <참고> 2004년 4월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안내   제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 일 시 : 2004년 4월 8일(목) 07:10~09:00         ○ 장 소 :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 지하1층 알레그로룸         ○ 주 제 : 정보화의 Paradigm Shift 「Business-driven IT」         ○ 발표자 :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이준기 교수    제7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 일 시 : 2004년 4월 22일(목) 07:10~09:00         ○ 장 소 :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 지하1층 알레그로룸         ○ 주 제 :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정부정책방향         ○ 발표자 : 중소기업청 유창무 청장   ","viewCnt":"5568","regDate":"2004-03-18 12:03:00"},{"contentId":"24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생산현장의 정보화 이렇게 추진하세요- 중소기업 생산정보화 구축사례집 발간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9","contentsKor":" 생산현장의 정보화 이렇게 추진하세요.- 중소기업 생산정보화 구축사례집 발간 - □ 중소기업청(廳長: 柳昌茂)은 지난 2002년부터 2년간, 123억원을 투입하여 256개 중소기업을 지원한『중소기업 생산정보화 사업(e-Manufacturing)』의 우수 구축사례 40개를 업종별로 발굴하여「중소기업 생산정보화 구축사례집」을 발간함   ○ 또한, 중소기업의 생산정보화를 지원할 수 있는 관련 기술 및 솔루션을 보유한 52개 IT업체의 현황이 자세하게 수록된 「생산정보화 IT업체편람」을 동시 발간함  □ 동 구축사례집과 IT업체 편람은 금번에 처음으로 발간하였으며,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 금형제조업체인 (주)신흥산업은 금형제작 납기 및 일정관리, 효과적인 금형현장관리 등을 위해 제조실행시스템(MES)을 도입하여 제품진도와 현장부하의 투명성을 확보하였음     ※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제조실행시스템)   ○ 염색제조업체인 (주)선광염직은 생산설비효율의 극대화 및 생산주기 감소 등 생산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지능형 생산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생산계획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고객서비스를  크게 향상시킨바 있음  □ 한편 정부는 동 구축사례집과 IT업체편람을 널리 보급하여, 중소기업의 생산현장 정보화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임   ○ 구축사례의 주요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재하여 유사 업종의 중소기업이 상시적으로 벤치마킹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kimi.or.kr   ○ 언론매체 및 전문지를 통한 홍보, 성공사례 발표회 등을 통하여 우수사례 중소기업의 홍보와 함께 중소제조업의 디지털화를 촉진할 계획임   ○ 또한 IT업체편람을 수정·보완하여 중소기업이 자사 환경과 적합한 IT업체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임  □ 중소기업청은 제조현장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생산정보화 유형을 다양화하고, 주요 업종별로「e-Manufacturing 추진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선도기업으로 육성할 계획임   ○ '04년도 사업규모는 작년 67억원 보다 18억원(26.9%)이 늘어난 85억원 규모로서 160여개 중소기업을 지원할 계획임         【첨부】업종별 정보화 구축사례         <(주)장원산업(식품가공업 구축사례)>  ○ 종업원 74명 규모의 녹차 생산·가공업체로 생산공정 실시간 네트웍 정보화 및 자재관리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생산효율의 극대화 및 수입자재에 대한 비용 감소를 위해 생산정보화를 추진   - 이를 통해 생산설비 이력 관리 자료의 자동 수집과 실시간 분석에 의한 효율증대 및 비용을 절감하고,   - 생자재 및 부품에 관한 정확한 정보 확보를 통해 불필요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기존 대비 30%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 <(주)신흥산업(금형제조업종 구축사례)>  ○ 종업원 300명 규모의 금형제조업체로 금형제조를 담당하고 있는 제조기술부를 대상으로 일정관리 중심의 제조실행시스템(MES)구축을 위해 추진   - 효율적인 금형제작 납기 및 일정관리, 금형현장관리 등을 통해 제품진도와 현장부하의 투명성을 확보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     ▶ 납기단축 : 프레스 금형(30~45일   20~30일), 납기예측 정확도 (10% 향상)     ▶ 생산성 향상 : 가동율 증대(월 35Set 제작   월 45Set 제작), 유실시간 감소(년 1500시간   년 500시간)     ▶ 원가절감 : 외주가공비 절감(약 30%절감), 가공불량 감소(2.5~4%   1.0~1.5%) <율곡테크엔지니어링(항공기 부품 제조업종 구축사례)>  ○ 종업원 34명 규모의 항공기 부품 제조업체로 항공기 및 진공펌프부품 생산   - 생산현장의 정보 파악, 체계적인 공정관리, 정확한 설비생산능력 파악을 위해 생산정보화를 추진   - 이를 통해 생산설비 가동률 향상, 체계적인 원가관리 및 예측, 고객만족도 감소, 서류작업시간 감소, 현장 작업자의 자기관리 능력 개선 등 효과 달성 <(주)선광염직(염색제조업 구축사례)>  ○ 종업원 104명 규모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직물을 염색·가공하는 업체로 생산현장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생산성 및 고객서비스를 향상하기 위해 생산시점관리(POP)를 추   - 지능형 생산정보화의 구축으로 생산설비 효율의 극대화, 생산주기 감소, 생산리드타임 감소, 서류작업 감소, 품질향상 운용비용 절감, 기술변경 소요시간 단축 등 생산성을 향상,   - 고객 주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생산계획의 유연성 확보 등을 통해 고객서비스를 향상 <금아인터내셔날(자동차부품제조업종 구축사례)>  ○ 종업원 150명 규모의 스워스티어링 호스, 부품 및 어셈블리 생산하는 자동차부품제조업체   - 유연한 생산계획 수립, 생산 및 품질의 실시간 관리, 효율적인 설비 관리를 위해 생산정보화를 추진     - 이를 통해 실시간 설비 가동 현황 파악 및 설비 장애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 정보 수집과 분석 비용의 절감, 설비 보전 예방 관리 효과를 달성   <(주)칩트론(전기·전자제조업종 구축사례)>  ○ 종업원 140명 규모로 반도체 리드프레임을 생산하는 전자제조업체   - 다품종 소량생산의 생산형태에 대한 대응, 해외 신규고객 창출 및 현 고객의 요구에 의해 제조실행시스템(MES)을 추진   - 이를 통해 실시간 정보 처리 및 공유 등을 통한 업무의 효율성 증대, 제조원가 및 투자비용 절감, 고객서비스 지원 강화 등의 효과를 달성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2","atchfileNm":"우수사례집보도자료.hwp","viewCnt":"6182","regDate":"2004-01-31 12:01:00"},{"contentId":"25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OECD 주요국과 비교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정보화 실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0","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조사연구팀 담당자 김문선 팀장형준호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psyche13@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3년 12월 19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OECD 주요국과 비교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정보화 실태- 마케팅, 생산 등 기업성과와의 연계성 강화해야 -   □ 기업경쟁력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 확보 차원에서도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세계 각국은 자국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 향상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실태를 파악하고 있음.□ 이와 관련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실시한 「2003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와 영국 통상산업부(DTI)의 「Business in the Information Age - International Benchmarking Study 2002」를 비교?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됨.   ○ 인터넷 이용과 관련하여 독일, 이탈리아를 제외한 OECD 주요국들은 초고속인터넷(ADSL/XDSL, 전용선) 사용율이 4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경우 88%가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 통신망을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줌.  ○ 그러나 OECD 주요국은 정보통신기술(ICT) 환경변화에 따른 비즈니스 계획에의 반영률이 50%내외로 높지만,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는 동 비율이 22%에 불과해 정보기술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 이와 관련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웹사이트 구축율은 58%로 독일(85%), 영국(80%) 등과 비교해 크게 뒤져 있으며, 여타 OECD 주요국과 비교해서도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향후 e-비즈니스 수행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 우려됨. <그림 1> 웹사이트 구축율(%)  ○ 또한 OECD 주요국들은 온라인 마케팅 활용비율이 50%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12%만이 온라인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2> 온라인 마케팅 활용   ○ 한편 생산부문에의 온라인 기술 활용측면에 있어서는 OECD 주요국들도 아직은 미흡한 수준인 가운데 미국(17%), 캐나다(16%), 독일(16%) 등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고, 일본(7%), 프랑스(8%), 스웨덴(8%) 등이 낮은 수준이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중간 수준(9.5%)에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3> 생산부문에의 온라인 기술 사용비중 □ 종합적으로 국내 중소기업은 인터넷 연결속도 등 정보인프라 측면은 세계적 수준이지만, 이를 활용하여 경영성과를 제고시키는 데에는 미흡한 것으로 분석됨.  ○ 따라서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정보화전략을 수립ㆍ이행하고, 성과연계형 정보화 추진 등 정보화를 통한 경영혁신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정보화 사업이 전개되어져야 할 것임.□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발행하는 ‘KIMI issue 제3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본 자료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로 접속하시거나,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3787-0442~3)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viewCnt":"5532","regDate":"2004-01-28 12:01:00"},{"contentId":"250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50% 이상이 정보화역기능으로 인한 피해 경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1","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보화사업부생산정보화팀 담당자 최진석 팀장이영규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80(yklee@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3년 12월 17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의 50% 이상이 정보화역기능으로 인한 피해 경험   ○ 지난 1년간 서버 다운과 컴퓨터 바이러스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중소기업은 각각 50.4%와 51.2%로 중소기업의 절반이 피해를 당한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나타남.○ 중소기업청(청장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이 수행하는 중소기업 정보화역기능 방지사업 중 정보화역기능 실태조사의 결과로, 10월부터 약 2개월간 전국의 서버급 컴퓨터를 1대이상 보유하고 있는 50인 이상의 1,261개 중소기업과 66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정보화역기능 실태를 방문 면접 조사하였음○ 이번 실태조사는 국내 정보보호관리체계 표준인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의 15개 항목을 참조하여 이중 국내 중소기업에 적용이 가능한 10개 항목을 추출하여 조사가 이루어짐. ○ 실태조사결과 해킹사고를 경험한 중소기업은 13.2%, 대기업은 3.0%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정보보호 전문 조사기관인 산스(www.sans.org)의 한 조사결과에 의하면, 해킹의 경유지로 이용되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해킹의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나 실제 중소기업의 해킹률은 훨씬 높을 것으로 보인다. ○ 특히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 대다수가 서버가 다운된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으며, 해킹에 의한 직접적인 침해보다는 인터넷 접속회선 이상 등의 간접적인 원인에 의한 것으로 인식하는 등 기본적인 인지도 자체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 이렇듯 정보화 역기능의 위협에 크게 노출되어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 자체 정보보호에도 비중을 두지 않아 그 위험성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체 정보보호 지침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16.0%에 불과했고(대기업은 57.6%), 35.8%의 중소기업만이 사내 임직원을 대상으로 정보보호 교육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정보보호 담당 조직이 전혀 없는 중소기업도 38.4%나 되는 등 정보보호 정책 운영 및 인력투자에 있어 중소기업의 준비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조사됨. ○ 정보보호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경우에도, '바이러스 백신'만을 구축한 기업이 82.2%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그 이외에는 '침입차단시스템(Firewall)?41.7%과 ‘네트워크 보안도구?22.4% 등의 순으로 나타나 바이러스 백신 이외의 정보보호시스템의 구축 ? 운용 비중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 정보보호 추진의 장해요인에 대한 조사에서는, ‘정보보호시스템 도입 비용의 부족(30.5%)’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혔으며, 정보보호대책을 강력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층의 확고한 의지’(61.1%)와 ‘체계적인 내부방침 마련 및 적극 시행’(49.8%)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중소기업청은 이러한 정보화 역기능으로부터 중소기업들을 보호하기 위한 시범사업으로 “중소기업 정보화역기능 방지사업”을 실시하였으며, 각 지방청에 “정보화역기능방지센터”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 “정보화역기능방지기술지원센터”를 구축하여 정보화역기능 관련 사전진단, 사후복구, 홈페이지(http://www.smesecu.or.kr) 구축, 실태조사 등의 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 중소기업청은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정보화역기능 실태조사로, 이를 통해 향후 중소기업에 대해 현실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여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viewCnt":"5464","regDate":"2004-01-28 12:01:00"},{"contentId":"25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돈이 되는 정보화, 돈만 쓰는 정보화」정보화 가이드북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2","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조사연구팀 담당자 김문선 팀장형준호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42(josa@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월 26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돈이 되는 정보화, 돈만 쓰는 정보화」  정보화 가이드북 발간 □ 중소기업청(청장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방향모색의 나침반인 정보화 가이드북 「돈이 되는 정보화, 돈만 쓰는 정보화」를 발간함.●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 및 성과에 대한 성공 사례별 정보를 공유하여 효과적인 정보화 추진토록 구성함.  □ 본 책자는 정보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한 중소기업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Chapter)별로 정보화 전문가들이 조언을 추가하여 단순한 사례소개가 아닌 사례를 통한 실 접목 가능방향 제시함.  ● 제1장(“철저하게 경영자가 터득해야”)은 최고경영자의 정보화에 대한 마인드, 의사결정에 따라 기업이 크게 변화할 수 있는 사례로    - (주)태원식품은 ERP도입과 업무매뉴얼화를 통한 신속한 의사결정과 품질관리에 성공하여 생산성을 증대에 따른 매출액 증대까지 이루어냄.   - (주)케이알은 기업자체업무방식에 따른 전략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그룹웨어를 도입함으로써 진정한 Paperless를 실현하여 높은 업무개선 및 생산성 제고효과를 거둠.  ● 제2장(“고객보다 앞서나가야”)은 보다 발빠른 대응으로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정보화 전략으로서    - 진영산업주식회사는 생산정보화시스템(POP)을 도입함으로써 생산공정을 자동화하고 품질을 제고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거두었으며 향후 ERP를 도입하여 POP와의 연계를 도모하고 있음.- 이레전자산업(주)은 다섯평 창고에서 시작하여 14년동안 일궈온 기적을 지속하기 위해 ERP시스템을 자체개발하고 꾸준한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미래를 준비하고 있음.? 제3장(“벤치마킹은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은 오랜 기간동안 성공/실패사례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해 자사에 적합한 정보화를 추진해온 기업사례를 소개함.- 정보화추진을 ‘블랙박스’에 비유하고 있는 (주)신흥산업은 전체 공정과 생산시스템을 MES를 통해 투명하게 하고 지속적인 버전업을 통해 정보화를 추진해옴.- 영신금속공업(주)은 실패없는 성공은 없다는 신념하에 해외의 선진사례와 국내의 성공/실패사례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정보화를 추진해 업무효율성을 증대시킴.? 제4장(“제2,3의 고객을 찾아서”)은 정보화를 통해 비즈니스영역을 확대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를 발굴한 사례로- 정보기술과 정보화를 통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 (주)코맥스 - 한번 고객으로 끝나리라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CRM을 통해 지속적인 고객화를 추구하고 있는 웨딩플렉스,- CRM도입에 따른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고자 하는 (주)뉴호라이즌 코리아의 정보화 추진사례가 소개됨.  ● 각 기업들의 정보화 추진사례에 따라 정보화 추진전/후의 성과 및 ERP, POP, MES, Groupware, CRM 등 정보시스템의 구축 성공요인 및 체크포인트들이 포함되어 있음.□ 본 책자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http://www.kimi.or.kr)와 e-SME웹진(http://www.e-sme.or.kr)에서 온라인으로 보실 수 있으며, 문의사항이 있으면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3787-0442~3)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viewCnt":"5455","regDate":"2004-01-28 12:01:00"},{"contentId":"25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4년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규모, 작년 수준 유지 또는 다소 확대 예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3","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조사연구팀 담당자 김문선 팀장형준호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42(josa@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월 9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2004년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규모, 작년 수준 유지 또는 다소 확대 예상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중소기업의 정보화투자 현황과 2004년 전망에 대해 지난해말 국내 5인 이상 중소제조업 1,500개사(응답업체 519개사, 응답률 34.6%)의 최고경영자 및 정보화 담당 실무책임자급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환경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음.□ 상당수의 중소기업이 정보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이러한 필요성이 실제 기업현장의 정보화투자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음.   ― 64.9%의 중소기업이 정보화 도입 및 추진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2003년의 경우 정보화투자를 한 중소기업은 39.4%에 불과  □ 금번 조사결과를 통하여 나타난 2003년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투자 실태 및 특징은 다음과 같음.   ―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수준은 2003년에 비해 다소 개선된 가운데, 업체당 평균 5,512만원 투자함.   ― ‘정보시스템 교체 및 업그레이드’(67.8%)와 ‘업무처리 효율성 향상’(67.3%) 등의 이유로 투자를 확대한 반면, ‘비용부담’(108개사, 33.8%)과 ‘낮은 필요성’(105개사, 32.8%)등의 이유로 투자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남.   ― 현재는 ‘사무관리’(55.5%)와 ‘거래관리’(45.3%) 중심으로 투자를 하고 있으나, 향후 ‘생산공정관리’ 및 ‘설계관리’, ‘데이터관리’ 등 다양한 부문의 종합적 투자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됨.   ― 시설투자(3,271만원 ; H/W 1,627만원, S/W 1,644만원)에 가장 많이 투자하였고, 다음으로 개발비(2,241만원), 유지?보수(1,738만원) 순으로 투자하였음.   ― 중소기업은 경기가 나빠지면 ‘인력→설비→정보화’ 순으로 투자를 줄이고, 경기가 회복되면 ‘설비→연구개발→정보화’ 순으로 투자를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이 느끼는 정보화관련 적정 투자수준은 총매출액 대비 1~1.5% 수준이고, 적정 투자규모는 6,989만원으로, 정부가 3,785만원(54.1%) 지원해주고, 기업 스스로 3,205만원(45.9%) 부담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남.  □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은 2004년에 정보화투자를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다소 확대할 예정이나 구체적인 계획은 없어, 향후 이러한 투자확대계획이 허수가 될 우려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임.   ― 2004년에는 지난해보다 H/W와 S/W의 시설투자(3,741만원)는 늘리고, 개발비(2,194만원)나 유지?보수비(1,635만원)는 다소 축소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됨.  □ 종합적으로 중소기업은 기업경쟁력 제고와 급변하는 대내외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수단으로 정보화를 생각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준비와 노력은 다소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남.※ 세부자료는 별첨의 「중소기업의 정보화투자 현황과 2004년 전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문의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3","atchfileNm":"중소기업정보화투자규모(040107).hwp","viewCnt":"5276","regDate":"2004-01-28 12:01:00"},{"contentId":"25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정보화백서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4","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전략연구팀 담당자 오준환 팀장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psyche13@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월 12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정보화백서 발간- 중소기업 정보화의 주요이슈에 대한 연구조사결과 집대성 - □ 중소기업청(청장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중소기업 정보화 전반에 대한 전문가들의 연구결과 및 자체 조사한 각종 통계조사결과를 집대성하여 「중소기업정보화백서」를 발간하였음○ 2001년부터 중소기업의 정보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어 중소기업청, 산업자원부 및 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별로 다양한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들을 활발하게 추진하였으나, 중소기업 정보화 전반의 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각종 자료의 체계적인 분석과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비전의 제시가 시급하다는 인식 하에 중소기업 정보화의 의의, 현황, 정책 및 발전방향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들의 연구결과물들과 각종 통계자료를 망라하여 「중소기업정보화백서」를 발간하게 되었음□ 「중소기업정보화백서」는 편집위원장인 경북대학교 이동만 교수를 비롯하여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편집위원회가 세부목차 결정 및 집필원고의 감수를 담당하였으며, 이병태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 등 총 21명의 집필진들이 전문분야별로 원고를 집필하였음※ 편집위원 및 집필진 명단은 별첨 1 참조□ 「중소기업정보화백서」는 총 5편 14장 2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중소기업 정보화의 현황과 전망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표와 그림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구성하였음○ 특히, 국?내외 중소기업 정보화 현황을 관련 각종 통계조사자료들을 활용하여 수치를 토대로 설명하고 있으며, 각 부처별 주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정보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중소기업들이 정부정책을 쉽게 이해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음○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을 연구?개발하는 정책입안자 및 연구자들에게 기존의 연구결과를 총망라하여 제공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정책 수립과 연구가 이루어지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함※ 중소기업정보화백서의 주요목차는 별첨 2 참조□ 「중소기업정보화백서」의 全文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 pdf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정책연구부 전략연구팀(☎ 02-3787-0431~4)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4","atchfileNm":"정보화백서(040107).hwp","viewCnt":"6515","regDate":"2004-01-28 12:01:00"},{"contentId":"25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사업정보를 한 눈에 - 지방 중소기업을 위한 정보화지원사업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5","contentsKor":"   제 목 중소기업 정보화 사업정보를 한 눈에 - 지방 중소기업을 위한 정보화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 수도권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보화 도입ㆍ활용이 미미한 지방 중소기업이 정부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 사업 및 활용사례 대해 일목요연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마련되었다. ○ 중소기업청(청장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수도권에 비해 정보화 추진 속도 및 내용 등에서 뒤떨어지는 지방 중소기업들에게 중소기업청의 정보화 지원사업과 지원제도 소개 및 정보화우수사례를 전파하는 행사를 개최한다. ○ 이번 설명회는 광주 하남산단(12월 8일), 대구 성서 및 염색공단(9일), 창원 국가산단(10일), 인천 서부지방산업단지(12일) 등 모두 4개 지역의 중소기업 밀집지역에서 개최된다. ○ 특히 이번 설명회에서는 중소기업정보화 전담 추진기관으로서의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소개와 각 지역별 정보화 우수지원 및 성공사례 발표도 있을 예정이며, 정보화시대의 중소기업에 꼭 필요한 “정보화시대의 원활한 Communication" 이라는 주제로  전문강사의 흥미 있는 강연도 동시에 진행된다. ○ 또한 금번 설명회는 지난 ‘01년도부터 3개년 동안 수행해온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사업”의 최종 산출물 총 20개 업종에 대한 표준모델의 개발?보급 설명회도 겸하고 있어 해당 업종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표준 템플릿을 소개하며, ○ 세미나 참석자 전원에게 개발된 『표준 프로세스 통합 활용 전자메뉴얼(CD)를 무료로  보급』할 예정이다. ○ 본 설명회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나 경영원 기획부 (☎02-3787-0421~3)    로 문의하면 된다.   『정보화지원사업 설명회 행사 개요』 □ 추진배경   o 정부 추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에 대한 『현장 홍보』를 통해 지원대상 중소기업의 자발적 참여 기회 확대 □ 주요내용  ㆍ공단지역 사업설명회 개최    - 중소기업 정보화 전담기구로서의 정보화경영원 역할 소개    - 중소기업 정보화 우수 지원 및 접목 사례 소개    -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 경쟁력 제고 마인드확산을 위해 전문      강사 초빙강연 □ 장소 및 일정    - 광주 : 서구 센트럴호텔 10층 연회장(12월 8일 월, 14:00 - 17:00)    - 대구 : 그랜드호텔 본관 2층(12월 9일 화, 14:00 - 17:00)    - 창원 : 인터내셔널 호텔 5층(12월 10일 수, 14:00 - 17:00)    - 인천 : 서해 관광호텔 2층(12월 12일 금, 14:00 - 17:00) □ 프로그램 - 14:00~14:50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소개 및 지원사업 안내                ㆍ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소개(경영원)                ㆍ중소기업 정보화 우수사례 소개(소프트파워外) - 15:00~16:00  정보화 강연                ㆍ정보화시대의 원활한 의사소통(전수아 강사) - 16:00~17:00  업종별 업무프로세스 설명회(정보화혁신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5","atchfileNm":"공단지역보도자료(최종본).hwp","viewCnt":"5755","regDate":"2003-12-04 12:12:00"},{"contentId":"25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업종별 업무프로세스 표준모델 보급ㆍ확산 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6","contentsKor":" 제 목 업종별 업무프로세스 표준모델 보급ㆍ확산 세미나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백낙기)은 중소기업의 정보화마인드 확산 및 효과적인 정보화 추진을 위해 『업종별 업무프로세스 표준모델 보급ㆍ확산 세미나』를 개최한다.   ㆍ 금번 세미나는 ‘01년도부터 3개년 동안 수행해온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사업의 최종 산출물로써, 총 20개 업종에 대한 표준모델 개발함에 따라 해당 업종 정보화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표준 템플릿 제공을 위해 마련되었다.   ㆍ 올해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은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경영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생산방식과 경영형태가 유사한 업무 프로세스를 업종별로 표준화한 것으로 대우정보시스템(주)과 (주)포윈스정보기술, (주)포네트, (주)아이브레닉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개발하였다.        * 해당 업종 : 총 20개 업종에 대한 표준모델 개발 추진 구분 업종수 업  종  명 1차년도 (‘01) 6개 통신기기/방송장비, 반도체/전자부품, 의약품/화학제품, 자동차 부품,  식품가공, 전기기계 2차년도 (‘02) 5개 고무 및 플라스틱, 제1차 금속산업, 조립금속, 일반기계, 특수기계 3차년도 (‘03) 9개 컴퓨터/사무용기기, 선박, 기초화합물, 석유 정제품, 봉제의복, 제과, 골판지/종이, 유통, 물류 □ 동 세미나에서는 총 20개 업종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발표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청 정보화 지원사업 및 정보화 정책 소개 등 지원대상 중소기업의 자발적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공단지역 사업설명회』와 병행하여 개최된다.    ㆍ 전국 주요도시에서 12월 8일(월)부터 12월 18일(목)까지 개최되는 이 세미나에는 유관 중소기업 조합 및 단체, 중소기업 경영자, 학계와 IT업체가 참여하고, 지  역 일  시 장 소 광주?전남,전북 ‘03. 12. 8(월) 16:00 ~ 17:00  그랜드호텔(광주 소재) 대구?경북,강원 ‘03. 12. 9(화) 16:00 ~ 17:00  호텔대구(대구 소재) 부산?울산,경남 ‘03. 12.10(수) 16:00 ~ 17:00  인터네셔널호텔(창원 소재) 서울,경기,인천 ‘03. 12.12(금) 16:00 ~ 17:00  서해관광호텔(인천 소재) 제주도 ‘03. 12.16(화) 14:00 ~ 15:00  제주지방중소기업청 대회의실 대전/충남?충북 ‘03. 12.18(목) 14:00 ~ 15:00  중소기업청 대전/충남지방사무소  2층 대강당  ㆍ 세미나 참석자 전원에게 개발된 총 20개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통합 활용 전자메뉴얼(CD)를 배포하며, 3차년도 개발 업종(9개) 해당 중소기업 참석시 표준 업무 프로세스 자료집(책자)을 무료로   보급할 예정이다. □ 정보화경영원은 향후 중소기업이 업종별로 분류되고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 가이드라인의 제시 및 제공을 위해  ㆍ 3개년에 걸친 총 20개 업종에 대한 표준모델 개발결과의 중소  기업 실제적용 방안 및 확산을 위한 전략을 연구 중에 있으며,  ㆍ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정보화 추진을 위해 ‘02년도 부터 추진한 『중소기업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과 연계하여 확대 보급함으로써 활용도를 극대화 할 방침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6","atchfileNm":"보급확산(보도자료)v1.hwp","viewCnt":"6123","regDate":"2003-12-04 12:12:00"},{"contentId":"25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 지름길 성공사례에서 찾는다 심포지엄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7","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10월 15일(수) 전경련 특2회의실에서 100여명의 청중이 참석한 가운데 "정보화 지름길, 성공사례에서 찾는다"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음.   이날 행사는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이 후원한 가운데 김성근 교수(중앙대학교)의 사회로 김문선 조사연구팀장(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중소기업의 e-biz 성공전략'을, 박기한 컨설턴트(LG CNS)가 '전통기업의 e-biz성공사례'를, 양희동 교수(이화여대)가 'e-biz를 통한 신사업모델'에 대해 발표하고 김낙훈 부장(한국경제신문)과 정의석 대표(태원식품)의 토론이 이루어짐.   * 관련 보도자료 첨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7","atchfileNm":"보도자료(1015).hwp","viewCnt":"5705","regDate":"2003-10-16 12:10:00"},{"contentId":"25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불황극복에 일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8","contentsKor":"  □ 국내 경기부진 지속과 소비심리 위축으로 창업열기가 가라앉고 부도율이 증가하는 등 중소기업 경기가 하락하고 있는 추세   □ 전반적인 경기침체 속에서 중소기업의 가동률, 생산지수는 정보화 수준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미국, 일본 등의 선행연구에서도 정보화는 경제전체 생산성 향상 및 노동생산성 향상에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됨.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분석에서도 정보화 수준은 기업성과지표에 유의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그러므로 중소기업의 경기변동 대응력을 높여주고, 생산성 향상을 통해 경기 침체기를 빠른시일 내에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화 투자가 시급함       상세한 내용은 첨부한 보도자료를 참조.","viewCnt":"5505","regDate":"2003-09-26 12:09:00"},{"contentId":"25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첫걸음은 교육으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9","contentsKor":"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보 도 자 료 담 당 과 경영지원국 정보화지원과 담 당 자 이종대과장 조경원 사무관 전화번호 042-481-4406 e-Mail trumany@smba.go.kr 이 보도자료는 2003년 7월 30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기청 인터넷 홈페이지(www.smba.go.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 정보화, 첫걸음은 교육으로 - 6,000여명을 대상으로 수요자중심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제공 - □ 중소기업을 위한 하반기 정보화교육이 8월부터 수요자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정보화에 목말라하는 중소기업에 무료로 제공 될 예정임 ? 중소기업 최고경영자 및 CIO(Chief Information Officer)는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 과정을, 재직자들은 수준에 맞는 산학연계정보화 과정을, 바쁜 중소기업인들은 방문교육프로그램 등을 입맛에 맞게 선택 가능해짐 □ 중소기업청(廳長: 柳昌茂)은 8월부터 전국 78개 대학 및 민간 교육기관에서 중소기업 임직원 6,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 교육과정은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과정, 산학연계정보화과정, 방문 교육과정, 업종별정보화과정 등 4개 과정으로 운영됨   ① 정보화전략수립등 경영자 및 CIO를 대상으로 한 정보화리더스아카데미과정 ② 재직자 대상의 사내정보화 추진 위한 실무 위주 교육인 산학연계과정   ③ 현장애로지원을 목적으로 주문형 방문교육과정   ④ 업종별 정보화 마인드제고 및 활용능력 배양을 위한 업종별 정보화과정 ? 금번 정보화교육은 상반기 정보화교육(2,100명 수료) 현장점검을 바탕으로 교육의 실수요자인 중소기업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교육대상자의 수준과 상황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의 비중을 높임으로써 고객중심의 정보화교육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함 □ 교육 과정별, 지역별 교육기관 안내 등 세부사항은 첨부자료 및 중소기업청(www.smba.go.kr) 또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고 문의사항은 중소기업청 정보화지원과(042-481-4406) 또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02-3787-0473)에 문의하면 됨 <첨부> 하반기 교육과정별 교육기관 일정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 지역별 교육기관 및 교육신청 문의처 지역 교육기관 교육기간 담당자 전화번.호 서울 한성대학교 10/28 - 10/31 정진택 02-760-4086/4448 서울산업대학교 10/15 - 10/16 김영하 02-970-6138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8/27~8/29 9/18~9/19 10/8~10/10 전대성 02-3787-0462 부산 울산 한국무역협회 9/1-9/4 서욱태 051-993-3306 부경대학교 8/25-8/28 홍순구 051-620-6114 대구 경북 경북테크노파크 9/24 - 9/26 박창률 053-819-3062 광주 전남 순천대학교 9/23 - 9/25 황태연 061-751-3624 강원 상지영서대학 8/23 - 9/13 진상두 033-730-0717 대전 충남 공주영상정보대학 8/19 - 8/20 김종철 041-850-9027 대덕대학 9/16 - 9/23 김영훈 042-866-0501 경기 한국산업기술대학교 9/2 - 9/23 류옥현 031-496-8423 대진대학교 9/2 - 9/4 김동관 031-539-1276 인천 인하대학교 9/22 - 9/24 서창수 032-860-8733 충북 청주대학교 10/23 - 10/24 오상열 043-286-0072 경남 마산대학 8/21- 8/23 조민근 055-230-1251 진주상공회의소 8/26 - 8/29 이미열 055-753-0411 창원상공회의소 10/14 - 10/16 이기종 055-263-6185/6   산학연계 정보화 교육 지역별 교육기관  및 교육신청 문의처 지역 교육기관 교육과정 교육일시 담당자 연락처 서울 명지전문대학 ASP프로그래밍 8/4-8/12 김익선 02-300-1344 한성대학교 웹구축및프로그래밍 10/6-10/15 이상임 02-941-6639 부산 울산 동명대학 Mobile Java 프로그래밍 7/14-8/4 이준희 051-620-3606 춘해대학 전자상거래시스템구축실무 8/18-9/1 박재홍 052-270-0490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제품설계 10/6-10/20 대구 경북 경북과학대학 Java Script 활용 10/6-10/14 김기형 054-979-9124 경북전문대학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9/16-9/24 최윤철 054-630-5024 구미1대학 데이터베이스 Access 2000 8/4-8/12 신광식 054-440-1462 대경대학 엑셀고급/파워포인트 9/15-9/23 류시훈 053-850-1328 전자상거래 실무자과정 9/15-10/6 동국대학교 SCM실무 8/11-8/26 윤수진 054-770-2476 안동정보대학 멀티미디어 홈페이지제작 9/1-9/18 신승욱 054-820-8027 Shopping-mall 구축 및 운영 9/1-10/2 ㈜경북티피 웹프로그래밍과정 10/6-10/14 조희진 053-428-2093 네트워크운영과정 10/6-10/14 KT대구본부 information Sec 8/18-9/2 김영건 053-477-5056 경기 경원대학교 Web Master과정 9/1-9/24 신종덕 031-750-5341 ASP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사이트 구축 9/29-10/17 대진대학교 PowerPoint/Excel마스터과정 8/18-8/24 박상호 031-539-1276 e-business와 전자상거래 8/18-9/5 부천대학사회 교육원 웹컨텐츠 제작(고급) 10/6-10/24 반재룡 032-610-0151,3 성남기능대학 인터넷 검색 과정 10/6-10/17 윤성민 031-739-4021,3 AUTO CAD과정 10/6-10/24 안산1대학 Archicad 8.0실무활용 8/6-8/14 최은경 031-400-6994 홈페이지 제작 8/25-9/2 Office프로그램 활용 8/18-9/5 한국항공대학교 기본적인 서버 운영과정 커리큐럼 구성 10/13-10/24 이상훈 02-300-0394 웹구축 및 웹 프로그래밍 9/15-9/29   지역 교육기관 교육과정 교육일시 담당자 연락처 광주 전남 대불대학교 ERP활용 9/15-9/25 허동현 061-464-0050 동강대학 ERP 운영 11/3-11/11 윤일수 062-520-2202 전산세무회계3급과정 8/19-9/25 대전 충남 대덕대학 3차원 모델링(CAD) 9/22-10/23 김영훈 042-866-0501 Minitab 실무과정 9/15-10/17 e-Business 실무강좌 10/6-11/7 순천향대학교 PHP를 이용한 쇼핑몰 구축 10/7-11/25 이성렬 041-548-8960 천안공업대학 웹정보디자인 9/22-9/30 김태언 041-550-0162 인천 대한상의인천 인력개발원 리눅스 서버구축 및 웹호스팅 9/22-9/30 장인창 032-810-6594,6 웹 프로그래밍 10/13-10/21 강릉 춘천기능대학 멀티미디어 컨텐츠 과정 9/22-10/13 김 강 033-240-7625 충북 청주상공회의소 웹고급   최상천 043-252-0021 충북대학교 ERP 실무 교육(중급) 9/22-9/30 김영렬 043-261-2358 ERP 실무 교육(고급) 9/1-10/24 충북전산인협회 데이터베이스(파워빌더) 10/13-10/25 장진미 043-272-1515 경남 경남대학교 Window2003 Network Infrastructure 8/18-9/5 권부용 055-249-1833 삼성SDS㈜멀티캠퍼스 창원센터 자바프로그래밍 8/18-9/5 배진우 055-267-5447 진주상공회의소 홈페이지 제작 8/5-8/14 이미열 055-753-0411 전북 전주상공회의소 ASP프로그래밍 활용과정 8/25-9/26 서주원 063-288-3016 익산상공회의소 Windows 2000 Server 10/6-10/18 김희성 063-857-3535 벽성대학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제작 9/22-10/4 김상진 063-540-2363 전북과학대학 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 9/15-9/26 박상희 063-530-9216 제주 제주관광대학 웹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8/4-8/12 김은삼 064-740-8838 제주한라대학교 홈페이지 제작 및 웹서버 구축과정 8/18-9/5 김신남 064-741-7514 방문교육 지역별 교육기관 및 교육신청 문의처 지역 교육기관 담당자 연락처 서울 동양공업전문대학 정광석 02-2610-1921 서울산업대학교 김영하 02-970-6138 부산 부산정보대학 박정란 051-330-7083 대구 경북 영진전문대학 박희환 053-940-5188 안동정보대학 신승욱 054)820-8027 경북티피 박명진 053-428-2093 경북과학대학 김기형 054-979-9124 광주 전남 동강대학 윤일수 062-520-2202 대불대학교 허동현 061-464-0050 대전 충남 우송대학교 이성준 042-630-9771 청운대학 권미선 041-630-3129 천안대학교 김성환 041-550-0762 대덕대학 김영훈 042-866-0501 천안공업대학 김태언 041-550-0162 경기 동서울대학 송정태 031-720-2078 전문대학중소기업정보화협력회 박지웅 031-259-6491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이재광 031-4968-420 김포대학 최원호 031-999-4714 경원대학교 신종덕 031-750-5341 두원공과대학 신동필 031-670-7060 인천 재능대학 김원일 032-890-7040,1 대한상공회의소 인천인력개발원 장인창 032-810-6594,6 강원 춘천기능대학 김강 033-240-7625 상지영서대학 한호영 033-730-0821 충북 충북과학대학 임재민 043-730-6263 충북대학교 김영렬 043-261-2358 청주상공회의소 최상천 043-252-0021(+304) 경남 창신대학 전태건 055-250-3141 경남대학교 현상엽 055-249-2980 마산대학교 김승현 055-230-1255 진주상공회의소 이미열 055-753-0411 전북 전주공업대학 김기배 063-220-3981 제주 제주대학교 강순철 064-754-3590 제주관광대학 김은삼 064-740-8838 업종별 정보화 교육 지역별 교육기관 및 교육신청 문의처 지역 교육기관 교육과정명 교육기간 담당자 전화번호 서울 한국PL센터 PL 대응 SW정보화교육과정 8월 ~ 11월 김대현 02-765-8806 중소기업 정보화 경영원 PL 정보화 기초과정 8월 ~ 11월 전대성 02-3787-0462 한국공예협동 조합 공예 정보화 교육과정 10월 김진호 02-2698-0003 서울화훼조합 flower정보화 교육과정 8월 ~ 11월 이윤희 02-780-2202 한국슈퍼마켓 협동조합연합회 슈퍼마켓 정보화 교육과정 8월 ~ 11월 이철환 02-523-1541 대구 경북 (주)경북티피 인터넷활용실무능력정보화교육 8월 ~ 9월 조희진 053-428-2093 섬유업종의 e-비즈니스도입 및 활성화전략 9월 광주 전남 전남대 ECRC 소기업 정보화 활용과정 9월 ~ 11월 정재국 062-530-0427","viewCnt":"5743","regDate":"2003-07-30 12:07:00"},{"contentId":"25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인력 수급불균형 대책 시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0","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http//www.kimi.or.kr) 보 도자 료 담 당 과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담 당 자 김문선 팀  장   형준호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42 (josa@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3년 5월 20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 중소기업 정보화인력 수급 불균형 대책 시급   □ 중소기업의 만성적 인력부족사태와는 달리, 최근 들어 청년실업률은 급증하고 있는 등 중소기업의 인력수급 불균형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절실함. ㆍ 중소기업은 인력부족을, 구직자들은 취업난을 호소 ※ 4월중 실업률은 3.3%(실업자 75만 6천명), 이 중 청년실업률은 7.3%(실업자 36만 1천명)로 전체의 47.8% 차지(통계청) ※ 중소제조업의 인력부족률은 8.98%로 부족인력 19만 7천명으로 추산(중소기업청) □ 이에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 白洛基)은 날로 심화되고 있는 중소기업 정보화인력의 수급 불균형 현상을 진단하고 이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오는 20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대회의실에서 ‘중소기업 정보화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방안’이라는 주제로 정보화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함. □ 제15회 중소기업주간행사의 일환으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김장호 교수(숙명여대 경제학과)의 사회하에 김문선 조사연구팀장(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중소기업 정보화인력의 수급 불균형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주제발표를 하고, ㆍ 고상원 연구위원(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박시룡 논설위원(서울경제신문),  박흥석((주)금성정공), 이정주 대표이사(리쿠르트), 임석원 대학생(서울대 N-CEO 회원) 등이 패널로 참석, 중소기업의 정보화인력 수급 불균형 실태와 이의 해소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임. □ 행사개요 ㆍ 개최일시 : 2003년 5월 20일(화) 오전 9시 30분 ~ 12시 ㆍ 개최장소 : 서울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2층 대회의실 ㆍ 주    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ㆍ 문    의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조사연구팀 02-3787-0442~4 □ 이날 『중소기업 정보화인력 수급 불균형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주제발표 내용을 살펴보면, ㆍ 현재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화인력은 2.33명(응답기업 평균종업원수 56명)이고, 필요경력은 2.86년(응답기업 평균종업원수 53명)으로 조사됨. ㆍ 중소기업 정보화인력의 부족률이 25.7%로 조사된 가운데, 유지보수를 포함한 운용부문의 부족률이 43.8%로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남. □ 과반수 중소기업의 올 상반기 인력채용률이 10% 미만인 수준에서 향후 채용계획조차 없어, 당분간 중소기업의 인력(정보화인력 포함) 부족사태 및 취업난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 ㆍ 정보화인력의 경우 필요인력 모두 채용한 기업은 5.6% 수준에 그친 반면, 일부만 채용하거나(38.3%), 채용하지 않고 있는 기업은 56.1%로 조사됨. □ 구직을 희망하는 정보화인력의 주요 취업결정요인으로는 '연봉수준'(32.8%)과 ‘근무환경’(20.1%)인 것으로 조사돼, 상대적으로 임금수준과 근무환경에서 열위적 위치에 있는 중소기업의 인력채용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됨. ㆍ 특히 부족인력 발생시 '근로시간 연장'(68.0%), '기존인력 배치'(29.9%) 방법을 주로 이용하는 중소기업으로서는 근로조건 및 업무환경 개선이 시급하지만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되고 있음. □ 구직자가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이유는 ‘불안정한 미래’(37.1%)와 ‘저임금’(27.9%)인데 반해, 중소기업이 인력채용시 느끼는 어려움은 ‘중소기업에 대한 왜곡된 인식’(29.8%)과 ‘근로자 부족’(27.4%)인 것으로 나타나 둘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정부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인력지원정책이 인지도나 참여,활용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돼, 향후 보다 적극적인 홍보와 참여유도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ㆍ 그러나 일단 인력지원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구직자들은 중소기업의 업무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중활의 경우 91.7%, 청소년 비즈쿨의 90%)하는 것으로 조사됨.    ㆍ 또한 구직을 희망하는 정보화인력이 가장 선호하는 실업정책으로는 '직장체험 프로그램'(44.3%)인 것으로 나타남. □ 향후 바람직한 정부의 인력지원시책으로 중소기업은 ‘임금보조 및 복리후생 지원’(54.8%)과 ‘산업기능요원 배정 확대’(27.0%)를, 구직을 희망하는 정보화인력은 ‘임금보조 및 복리후생 지원’(40.4%)과 ‘구인,구직 정보제공 강화’(25.6%)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됨. □ 그러므로 중소기업의 정보화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향후 안정되고 원활한 인력수급을 위해서는, ㆍ 중소기업에 대한 편견과 왜곡된 인식을 일소시킬 수 있는 민,관 합동의 대국민 이미지 개선 노력과, ㆍ중소기업의 인력부족현상을 완화,개선하고, 구직자의 중소기업 체험기회를 확대,보장할 수 있는 인턴쉽 제도와 산업기능요원제도, IT인력의 중소기업 해외시장 개척요원제도 활용 등의 확대 실시, ㆍ 최신기술(hot skill) 습득과 중소기업 현장지향의 수준높은 정보화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 그리고 정보화관련 교육기관의 확대가 필요할 것임.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9","atchfileNm":"정보화인력수급불균형해소.pdf","viewCnt":"5705","regDate":"2003-05-19 12:05:00"},{"contentId":"25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CIO 및 재직자』에 대한 정보화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1","contentsKor":"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보 도 자 료 담 당 과 경영지원국 정보화지원과 담 당 자 홍용웅과장 김 정 일 전화번호 042-481-4508 이 보도자  료는 2003년 월 일 (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기청 인터넷 홈페이지(www.smba.go.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 『CIO 및 재직자』에 대한 정보화교육 실시 - 6,000여명을 IT인력으로 양성 - □ 중소기업청(廳長: 柳昌茂)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KIMI) 주관아래 금년중 중소기업 CIO, 정보화책임자 및 재직자 등 6,000여명을 대상으로 정보화 교육을 실시함 ? 4월 중순부터 전국의 158개교육기관에서 시작되는 동 교육은 중소기업 정보화 리더를 위한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산학연계 정보화 교육』과『방문교육』으로 나누어 무료로 실시됨(수강생은 교재비 일부만 부담)   □ 이번 교육은 중소기업의 IT인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31%에 달하는 정보화 추진 인력 부족 해소 및 중소기업의 자율적인 정보화 촉진 여건을 조성하고, (중소기업정보화수준평가, ‘02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 ? IT화 성공에 대한 확신 부족, 자금 부족 등으로 정보화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대하여 지역별, 수준별, 업종별로 특화된 정보화 교육을 실시하려는 것임   □ 교육과정별로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는 5월부터 전국 30개 교육기관에서 1,020명 규모로 중소기업 정보화리더의 현장수요에 맞춘 IT전문교육이 실시되며    - 급격히 변화하는 디지털 경제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화 관련 책임자로서의 관리능력과 정보화경영에 필요한 실무능력 제고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      (정보화컨설팅의 효과적인 활용, 전자상거래와 e-BIZ, 인터넷 비즈니스 동향과 기업 정보화 등)   ? 산학연계 정보화교육은 4월 말부터 11월 말까지 전국 83개 교육기관에서 중소기업 재직자 4,25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 주요 교육내용으로는 네트워크 운영실무 및 웹마스터 과정, 웹컨텐츠 제작, 자격증 취득과정 등으로 구성되어 운영될 계획임   ? 주문식 현장 방문교육은 집체교육이 힘든 중소기업 20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지원되며 중소기업이 희망하는 교육과정을 신청하면 강사가 기업현장을 방문하여 교육하는 직장 사내 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될 계획임   □ 수강 희망자는 교육실시 전일까지 해당 교육기관에 교육신청서를 제출하면 됨   ※ 문의처 : 중소기업청 홈페이지(www.smba.go.k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고하거나 중소기업청 정보화지원과(042-481-4508) 또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보화기반팀(02-2168-0246)   중소기업 정보화교육 교육기관 현황 □ 산학연계정보화교육   지방청 교육과정 및 교육기관 계 고급과정 중급과정 담당자 문의처 계 기관명 계 기관명 전화 팩스 서울 24 1 동양공업전문대학 4 동양공업전문대학 정광석 02-2610-1921 02-2610-1919 1 단국대학교 1 단국대학교 김정미 02-709-2941 02-709-2867     1 서울산업진흥재단 김석범 02-6283-1032 02-6283-1005 1 연세대학교 1 연세대학교 박소영 02-2123-4318 02-362-3263 5 동국대학교     강영민 02-2260-8781 02-2260-3764 1 경영기술개발원 2 경영기술개발원 송정민 02-857-6300 02-856-1094 1 한양여자대학 1 한양여자대학 문영숙 02-2290-2053 02-2290-2065     1 경희대학교 장세윤 02-961-9330 02-961-9333     1 서일대학교 김진수 02-490-7344 02-433-6583     1 한성대학교 이상임 02-941-6639 02-941-6638     1 명지전문대학 김익선 02-300-1344 02-300-3777 부산·울산 12   1 부경대학교 2 부경대학교 정영오 051-620-6784 051-627-4614 1 부산상공회의소 1 부산상공회의소 김승희 051-645-3289 051-647-2705 2 경남정보대학     여승훈 051-320-2085~6 051-328-9553     1 울산과학대학 김흥균 052-279-3237 052-279-3238 2 춘해대학     박재홍 052-270-0490 052-270-0491 1 동명대학 1   이준희 051-620-3606 051-621-7714 대구·경북 27     1 경북전문대학 최윤철 054-630-5024 054-630-5025 1 서라벌대학     손성화 054-770-3526 054-749-9985 1 안동정보대학 1 안동정보대학 김형일 054-820-8076 054-822-7709 2 계명문화대학 1 계명문화대학 정군표 053-589-7717 053-589-7575 1 KT대구본부 1 KT대구본부 김영건 053-477-5056 053-477-5051 3 (주)경북티피 2 (주)경북티피 조희진 053-428-2093 053-428-2095 1 대구기능대학 1 대구기능대학 손동욱 053-560-3175 053-552-2098 1 대경대학 1 대경대학 류시훈 053-850-1328 053-850-1325 1 경북과학대학 1 경북과학대학 김기형 054-979-9124 054-979-9120 1 구미1대학 2 구미1대학 신광식 054-440-1462 054-440-1468 1 동국대학교 2 동국대학교 윤수진 054-770-2476 054-770-2476 광주·전남 12 1 광주보건대학     임철진 062-958-7841 062-958-7840 1 동강대학 1 동강대학 윤일수 062-520-2202 062-520-2427 1 조선이공대학 1 조선이공대학 이종권 062-230-8888 062-230-8125 1 대불대학교     허동현 061-464-0050 061-464-0052 1 동신대학교     류갑상 061-330-3356 061-330-3492     2 송원대학 방상원 062-360-5933 062-360-5820 1 순천제일대학 1 순천제일대학 최영길 061-740-1388 061-740-1384 1 여수한영대학     문광진 061-650-4015 061-650-4016 대전·충남 12 2 대덕대학 1 대덕대학 김영훈 042-866-0501 042-866-0503 1 대전보건대학     안상한 042-670-9114 042-670-9564 1 순천향대학교 1 순천향대학교 이성렬 041-548-8960 041-548-8963 1 천안대학교     김성환 041-550-0762 041-550-9107 1 대전기능대학 1 대전기능대학 이기중 042-670-0589 042-633-2098     1 한밭대학교 이규명 042-821-1601 042-821-1671     2 천안공업대학 김태언 041-550-0162 041-562-8080   지방청 교육과정 및 교육기관 계 고급과정 중급과정 담당자 문의처 계 기관명 계 기관명 전화 팩스 경기 36 1 부천대학사회교육원 1 부천대학사회교육원 반재룡 032-610-0151 032-610-3222 1 안산1대학 2 안산1대학 조정현 031-400-6994 031-400-6995     1 경원전문대학 김진회 031-750-8597 031-750-8528     2 김포대학 최원호 031-999-4714 031-999-4264     2 경기공업대학 박지숙 031-496-4641 031-496-4640 3 서울보건대학     박형준 031-740-7283 031-740-7296     3 오산대학 민영애 031-370-2553 031-370-2882     1 대림대학 이종만 031-467-4707 031-467-4784 1 대진대학교 1 대진대학교 김동관 031-539-1276 031-539-1279     1 한경대학교 박상희 031-670-5127 031-670-5189 2 경원대학교     신종덕 031-750-5341 031-750-5579     5 경문대학 임영웅 031-610-8726 031-610-8714     2 한국항공대학교 이상훈 02-300-0394 02-300-0495 1 성남기능대학 1 성남기능대학 윤성민 031-739-4020 031-735-2098 5 용인송담대학     이경달 031-330-9181 031-330-9189 인천 10 1 인천전문대학 1 인천전문대학 김강일 032-760-8614 032-760-8411 1 재능대학 3 재능대학 박창해 032-890-7040,1 032-890-7049 1 인천기능대학 1 인천기능대학 이화동 032-510-2142 032-510-2146     2 대한상공회의소 인천인력개발원 장인창 032-810-6594,6 032-810-6593 강원 4 2 춘천기능대학     김강 033-240-7625 033-240-7629 1 강릉영동대학 1 강릉영동대학 김상호 033-610-0132 033-610-0343 충북 8     1 충북과학대학 임재민 043-730-6263 043-730-6269 1 충북대학교 1 충북대학교 김영렬 043-261-2358 043-273-2355     1 대원과학대학 조미희 043-649-3526 043-645-9170 1 청주상공회의소 1 청주상공회의소   043-252-0021 043-254-4280 2 충북전산인협회       043-272-1515 043-262-1414 경남 12 1 삼성SDS(주)멀티캠퍼스창원센터     배진우 055-267-5447 055-267-5455 1 창신대학 1 창신대학 전태건 055-250-3141 055-252-8901 1 남해전문대학 1 남해전문대학 이상우 055-860-5261 055-863-4614 1 경남대학교     권부용 055-249-1833 055-249-1834     1 진주산업대학 강기홍 055-751-3164 055-751-3499     1 인제대학교 김지은 055-320-3586 055-334-5349 2 진주상공회의소 2 진주상공회의소 이미엽 055-753-0411 055-755-8220 전북 7 2 전주상공회의소 1 전주상공회의소 서주원 063-288-3016 063-288-3056 1 익산상공회의소 1 익산상공회의소 김희성 063-857-3535 063-857-3539     1 벽성대학 김상진 063-540-2363 063-540-2345     1 전북과학대학 박상희 063-530-9216 063-537-0225 제주 4 2 제주한라대학     김신남 064-741-7514 064-747-3989     1 제주관광대학 김은삼 064-740-8838 064-748-8818     1 제주대학교 강순철 064-754-3590 064-725-2579 계 168               □ 방문교육   지방청 교육기관 현황 계 기관명 담당자 전화 팩스 서울 4 동양공업전문대학 정광석 02-2610-1921 02-2610-1910 인덕대학 김학수 02-901-6860 02-901-6893 서울산업대학교 김영하 02-970-6138 02-977-6213 한양여자대학 문영숙 02-2290-2053 02-2290-2065 부산·울산 2 동의공업대학 안순오 051-860-3050 051-860-3273 부산정보대학 박정란 051-330-7322 051-330-7083 대구·경북 5 영진전문대학 박희환 053-940-5188 053-940-5185 안동정보대학 김형일 054-820-8076 054-822-7709 경북티피 박명진 053-428-2093 053-428-2095 대경대학 류시훈 053-850-1328 053-850-1325 경북과학대학 김기형 054-979-9124 054-979-9120 광주·전남 3 동강대학 윤일수 062-520-2202 062-520-2427 조선이공대학 이종권 062-230-8888 062-230-8125 대불대학교 허동현 061-464-0050 061-464-0052 대전·충남 7 우송대학교 이성준 042-630-9771 042-630-9779 공주영상정보대학 김종철 041-850-9034 041-850-9198 청운대학 권미선 041-630-3129 041-634-8740 대전기능대학 이기중 042-670-0589 042-633-2098 천안대학교 김성환 041-550-0762 041-550-9107 대덕대학 김영훈 042-866-0501 042-866-0503 천안공업대학 김태언 041-550-0162 041-562-8080 경기 7 동서울대학 송정태 031-720-2078 031-720-2228 전문대학 중소기업 정보화협력회 박지웅 031-259-6491 031-259-6492 한국산업기술대학교   031-4968-420 031-4968-429 김포대학 최원호 031-999-4714 031-999-4264 경원대학 신종덕 031-750-5341 031-750-5579 두원공과대학 신동필 031-670-7060 031-670-7105 경원전문대학 김진희 031-750-8597 031-750-8528 인천 2 재능대학 박창해 032-890-7040 032-890-7049 대한상공회의소 인천인력개발원 장인창 032-810-6594,6 032-810-6593 강원 2 춘천기능대학 김강 033-240-7625 033-240-7629 상지영서대학 한호형 033-730-0821 033-730-0751 충북 5 충북과학대학 임재민 043-730-6263 043-730-6269 충북대학교 김영렬 043-261-2358 043-273-2355 청주대학교 오상영 043-291-0050 043-291-8085 충청대학 이기찬 043-230-2564 043-230-2569 청주상공회의소 최상천 043-252-0021 043-254-4280 경남 4 창신대학 전태건 055-250-3141 055-252-8901 경남대학교 권부용 055-249-1833 055-249-1834 마산대학교 조민근 055-230-1251 055-231-3532 진주상공회의소 이미엽 055-753-0411 055-755-8220 전북 1 전주공업대학 김기배 063-220-3981 063-220-3989 제주 3 제주대학교 강순철 064-754-3590 064-725-2579 제주관광대학 강은삼 064-740-8838 064-748-8818 제주한라대학 김신남 064-741-7514 064-747-3989 계 45         ","viewCnt":"6639","regDate":"2003-04-23 12:04:00"},{"contentId":"251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2년 중기 생산정보화사업 支援成果 매우 높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2","contentsKor":"  ‘02년 중기 생산정보화사업 支援成果 매우 높다!- 지원기업당 평균 27%의 업무능률 향상 -     □ 중소기업청(廳長 : 柳昌茂)은 ‘02년도 실시한『중소기업 생산정보화 사업』의 지원성과를  조사한 결과, 지원기업당 평균 27%의 업무능률이 향상되었다″고 밝혔음     ㅇ 생산현장에 정보기술(IT) 접목을 통해 불합리한 요소의 제거와 생산관리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2002년에 처음 시행된「중소기업생산정보화사업」은        - 생산정보화 S/W를 보유한 IT기업 68개사를 통해 중소기업 116개사를 선정하여  생산공정의 정보화를 지원하였음     □ 『중소기업 생산정보화 사업』에 참여한 116개 업체를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 결과      ㅇ 지원기업의 89%가 생산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응답하였는 바,     ㅇ 특히 생산정보시스템 도입에 따라 서류작업시간 감소(38.8%), 고객만족도 개선(31.0%),  수요예측정확도향상(30%), 불량품 감소(19.4%) 등 평균 27%의 업무능률향상 성과가  나타났으며       - 실시간 정보처리기능, 생산공정 최적화, 업무수행능력개선 등 정성적인 성과도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아직도 중소기업들이 생산정보화 추진과정에서 전담인력 부족(32.7%),  업무표준화미비(29.5%), 임직원의 정보화마인드 부족(10.3%) 등의 애로를 겪는 것으로 드러나     ㅇ 중소기업의 애로요인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ㅇ 동 사업의 실질적인 효과달성을 위해서는 추가시스템 구축시 계속지원(26.6%),  사후관리 지원(23.8%), 자금/세제지원(14.8%) 등이 요구사항으로 제시되었음     □ 이에 따라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이 생산현장의 정보화를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ㅇ 사업범위 확대, 사후관리체계 구축, 전담인력에 대한 전문교육 등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활용도를 더욱 높여나가기로 했으며     ㅇ 사업관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고, 수요자 중심의 정보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생산정보화 전용 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계획임     □ 금년도 생산정보화사업예산은 작년(56억원)보다 19.6% 증가된 67억원으로     ㅇ 금년말까지 약 130여개 중소기업을 공장혁신형(Inno-Manufacturing) 중소기업으로         적극 육성할 계획임","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0","atchfileNm":"성과분석결과(요약).hwp","viewCnt":"5318","regDate":"2003-03-24 12:03:00"},{"contentId":"25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3","contentsKor":"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보 도 자 료 담 당 과 경영지원국 정보화지원과 담 당 자 정윤모과장 김위정사무관 전화번호 042-481-4406 이 보도자료는 2003년 2월 5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기청 인터넷 홈페이지(www.smba.go.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개최 - 조합 중심의 커뮤니티형 전자거래 시스템 개발 완료 -   □ 중소기업청(廳長:李錫瑛)은 2003. 2. 7일 (금),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국제회의장에서 이석영 중기청장, 김영수 중기협회장, 백낙기 정보화경영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를 개최함   ㆍ 금번 시연회는 작년 5개 조합(염색, 공예, 장류, 철망, 조명)을 선정하여 추진한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사업 성과를 알리고 타 조합에 e-비즈니스 모델을 보급ㆍ확산하기 위하여 마련하였음   □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사업의 주요 내용은 포탈사이트, e-마켓플레이스, 조합 ERP, 인트라넷 등 조합 및 회원사의 전자거래 인프라 구축 및 시스템 활용 교육 지원이며 세부 구축 내용은 다음과 같음   ㆍ 포탈사이트는 회원사 정보, 제품/부품정보, 전자카달로그, 업계정보 등 조합의 특화 정보 15,000여건의 DB를 구축하였으며, ㆍ e-마켓플레이스는 공동구ㆍ판매, 단체수의계약, 전자인증/지불 시스템 등을 구축하여 주문에서 결제까지 일괄지원 가능토록 하였고, ㆍ 조합 ERP 시스템은 e-마켓플레이스, 포탈사이트 등과 인트라넷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구축함으로써 단체수의계약 등 일련의 거래과정을 투명하게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ㆍ 이외에도 부가서비스로 SMS, e-mailing시스템, 웹진위저드 기능 등을 추가하여 조합과 회원사의 커뮤니티 활성화 시스템을 구축하였음   □ 중기청은 2001년 3개 조합, 2002년 5개 조합 등 총 8개조합의 전자거래 시스템 구축 및 회원사 1,200여 업체를 방문하여 활용교육을 지원하였음   ㆍ 2001년 구축한 3개 조합(전선, 기계, 소방기구)은 단체수의계약 340억원, 공동구매 7억원 등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등 동 사업이 조합 및 회원사의 정보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 2005년까지 50개 조합을 지원하여 전자거래의 허브 사이트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 참여를 희망하는 조합 관계자나 중소기업은 행사당일 등록하면 됨   ㆍ 시연회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중기청(http://www.smba.go.kr), 중앙회(http://www.kfsb.or.kr),경영원(http://www.kimi.or.kr)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음      ※ 붙임 :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일정 1부.   【붙임】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 일정 (2003. 2. 7) ==========================   時   間 行    事 備    考 Ⅰ부 14:00∼14:05 개  회 중앙회장 14:05∼14:10 축  사   중기청장 14:10∼14:15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사업 경과보고 경영원장 14:15∼14:20 시스템 개통식 및 기념촬영     - 14:20∼14:40 시스템 시연회 개발사업자   14:40∼14:50 Break Time     - Ⅱ부 14:50∼15:40 시스템 세부소개 개발사업자   15:40∼15:50 Break Time   Ⅲ부 15:50∼16:10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사업 설명 중기청 16:10∼16:50 협동조합 임직원 간담회 중기청 16:50∼17:00 질의응답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1","atchfileNm":"조합정보화기반구축시연회개최보도자료.hwp","viewCnt":"5310","regDate":"2003-02-05 12:02:00"},{"contentId":"25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내 중소기업, 내년 정보화투자 다소 확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4","contentsKor":"국내 중소기업, 내년 정보화투자 다소 확대 - 적정 정보화 투자수준은 매출액 대비 0.5~1.0% 수준 - - 현재 정보화수준은 48.2점, 향후 2005년까지 65.5점 기대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현황 및 2003년도 정보화투자전망에 대해 조사?분석하여 업계의 정보화투자 계획 수립과 정부의 중소기업 정보화투자 지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2002년 11월 1일부터 20일에 걸쳐 20일간 국내 5인 이상 중소제조업 1,500개사의 최고경영자 및 정보화 담당 실무책임자급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환경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중소기업은 최근 2년 동안 경영실적을 현수준 유지 정도의 ‘보통수준’으로 자체 평가했으나, 2003년 경영실적은 다소 호전될 것으로 전망 ■ 중소기업들은 현재 자사의 정보화 투자수준이 낮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정보화 투자비중을 확대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고 실제로 내년 정보화 투자를 다소 확대할 것으로 조사됨. ■ 중소기업이 생각하는 정보화관련 적정 투자수준은 총매출액 대비 0.5%~1.0%로, 이는 현재의 0.5% 미만 투자수준의 배 이상을 증가시킨 수치임. ■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수준은 48.2점으로 향후 2005년까지는 65.5점의 정보화수준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현재 분산?중복되어 있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창구 일원화는 ‘중소기업청’(69.2%)에서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됨. ○ 2003년 중소기업 경영환경은 다소 호전될 것    ― 중소기업계가 자체 평가한 최근 2년 동안의 국내 중소기업의 경영실적은 현수준을 유지하는 정도의 ‘보통수준’    ― 수출과 투자가 다소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새로이 출범하는 새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책에 대한 낙관적 기대감에 기인하여 2003년 중소기업 경영환경은 ‘다소 호전’될 것으로 전망됨. ○ 효율적 기업경영 위해 66.2%가 정보화 투자의 필요성 인식    ― 상당수(66.2%) 중소기업들은 효율적인 기업경영을 위하여 정보화 투자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업체도 33.8%에 달하고 있어 정보화 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적 홍보가 여전히 필요한 것으로 조사됨.       ? 정보화 투자가 필요한 이유로는 ‘생산성 향상 기대’(38.6%)와 ‘미래 기업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37.7%)인 것으로 나타남.    ― 그리고 중소기업에서 정보화 투자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업무처리 효율성 향상’(33.2%)과 ‘생산성 향상’(26.2%)인 것으로 나타남. ○ 2003년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는 다소 확대될 전망    ― 중소기업들이 향후 투자하고 싶어하는 정보화부문은 ‘ERP'(87.0%)이고, ’CRM'(73.9%) 및 SCM'(70.2%)에 대한 투자희망도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이들 분야에 대한 지원책이 강화되어야 할 것임.    ― 반도체 및 정보통신산업의 경기 호조세가 지속되고 내년의 국내 경기전망도 5%대 중반의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중소기업계도 2003년 정보화 투자비중을 다소 확대할 것으로 조사됨. ○ 적정 정보화 투자수준은 매출액 대비 0.5~1.0%로 현재의 두 배 이상    ― 중소기업들 스스로는 현재의 정보화 투자수준이 낮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따라서 향후 정보화 투자비중을 확대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과반수(62.8%)의 중소기업들이 현재 자사의 정보화 투자수준이 낮다고 응답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의 매출액 대비 정보화 투자현황은 적극적이지 못한 실정임.    ― 이러한 소극적인 투자환경 속에서도 국내 중소기업들이 생각하는 정보화관련 적정 투자수준은 총매출액 대비 0.5%~1.0%인 것으로 조사됨. ○ 중소기업이 목표로 하는 기업의 정보화수준은 ‘조직정보화 단계’    ― 국내 중소기업은 사내정보화를 통한 업무효율화가 가시화되고 단위업무가 통합되는 ‘조직내 정보화’ 및 정보화의 활용범위가 조직외부로 확대되고 경영전략과의 연계성이 증대되는 ‘조직간 정보화’를 아우르는 「조직정보화」수준의 정보화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조사됨.    ― 그리고 중소기업은 48.2점의 현재 수준으로부터 2005년에는 65.5점으로 ‘조직정보화’ 단계 진입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창구 일원화는 ‘중소기업청’이 바람직   ―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만족도는 52.4점(100점 기준) 수준이며, 올해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을 가장 잘한 정부부처로는 63.6%가 ‘중소기업청’을 선정함.    ― 현재 각기 분산?중복되어 있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창구에 대해서 중소기업들은 통합과 일원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만약 일원화한다면 이를 담당할 정부부처로는 ‘중소기업청’(69.3%)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됨. ※ 세부자료는 별첨의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 현황과 2003년 전망」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처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2168-0224,5)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2","atchfileNm":"보도자료(1230).hwp","viewCnt":"5338","regDate":"2003-01-07 12:01:00"},{"contentId":"25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3년도 중소기업정책 방향에 관한 중소기업의 견해조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5","contentsKor":"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의 조사에 의하면 중소기업들은 2003년도에 중점을 두어     추진하여야 할 정책으로 인력난 해소(28.2%), 원활한 자금조달기반구축(21.4%),    제품의 안정적 수요기반구축(20.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내년도 중소기업의 부문별 중소기업정책방향에 대한 견해로는    인력난 해소를 위해서는 외국인산업연수생제도 확충 및 관리강화(27.5%)와     생산현장 직무기피요인해소(17.1%)를 위한 정책지원을      자금조달기반구축을 위해서는 자금지원조건과 절차개선(33.7%) 그리고 특화된     자금공급 및 자금방법의 다양화(22.6%)를 요구하였으며      수요기반 확충을 위해서는 수출역량에 대한 지원강화(25.9%)와 중소기업제품의      내수기반확충(21.4%) 정책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벤처기업 재도약기반마련을 위해서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하여야 할 정책과제는     벤처기업의 건전성 강화 및 관련제도의 개선(35.1%)과 벤처창업지원제도의    내실화(16.5%)를 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술개발 및 기술혁신역량제고를 위해서는 지원사업의 지속 확대(23.2%)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집중육성(20.7%) 추진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정책방향으로는 소상공인지원센터의 설치확대 및     운영내실화(29.3%) 그리고 소상공인 창업 및 경영개선 지원강화(28.6%)를 요구하고      정보화 및 E-Business 촉진을 위한 중점정책방향으로는 전문인력양성 등     정보화 저변의 확충(21.6%)과 중소기업 IT화 지원확대(20.6%)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조사 대상 : 중소기업 306개사, 조사 기간 : '02.10.16∼10.26    <붙임> :「2003년도 중소기업정책 방향 및 과제에 관한 중소기업의 견해조사」보고서  <첨부파일>   중기정책조사보도(01AA656_2.hwp)                      조사결과보도첨부(01AA656_3.hwp)","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4","atchfileNm":"01AA656_3.hwp","viewCnt":"5222","regDate":"2002-11-15 12:11:00"},{"contentId":"25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컨퍼런스 2002 개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6","contentsKor":" 중소기업 정보화컨퍼런스 2002  중소기업 정보화 성공모델과 방향을 제시한다.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KIMI·원장 백낙기)이 주관하는 ‘중소기업 정보화 콘퍼런스 2002’가 30일 COEX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다. 우수중소기업 정보화성공사례 발표, 중소기업 전용의 IT 솔루션 전시회, 정보화 추진전략 강연, IT기업의 시스템 구축사례 발표 등 크게 4개 분야로 진행되는 이 행사는 산업 전분야에 걸친 IT 접목의 보틀넥이 되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벤치마킹할 수 있는 정보화 추진 모델을 제시하고 정보화 투자를 기업경쟁력으로 승화할 수 있는 방향을 함께 모색한다. 이번 콘퍼런스는 산업자원부·중소기업특별위원회·중소기업진흥공단·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벤처기업협회·한국여성벤처협회·한국인터넷기업협회·한국정보산업연합회·한국IT중소벤처기업연합회·전자신문사가 후원하고 다산기술·미래넷·한국휴렛팩커드가 협찬한다.    <백낙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장>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21세기를 영위하는 기업들은 이제 싫든 좋든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에 의해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에 적응해야 합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백낙기 원장은 ‘IT화’와 ‘e비즈니스화’로 요약되는 정보화가 21세기 개인·기업·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의 행태변화, 글로벌 경쟁시대의 도래, 경쟁자에 대한 예측 곤란, 지속적 혁신의 필요성 등의 변화는 우리사회가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사회로 이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증거입니다.”  백 원장은 그러나 우리 중소기업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사회에서 도태될 위험에 처해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정보화에 대한 인식과 투자여력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이 때문에 이제는 기업·정부·학계·연구소 모두가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해 내고 경쟁력을 갖춰 나갈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정보화경영원이 자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중소제조업의 정보화 수준은 평균 48.6점으로 대기업(평균 66점)에 비해 크게 낮았고 가시적인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이었습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효율적인 중소기업 정보화 모델을 제시하고 정보화시대의 디지털경제패러다임에 적합한 중소기업(e-SME)을 육성한다는 과제를 안고 지난해 출범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중소기업 정보화의 성공모델과 방향을 제시할 것입니다. 경영원은 이번 제1회 콘퍼런스를 시작으로 내년부터 매년 정례화해 지식정보시대의 중소기업 성공 파트너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입니다.”     <중소기업정보화성공사례>    △정보화 우수기업 사례: 신한정밀공업주식회사    신한정밀공업(대표 박승희)은 국내 기간산업 및 기초산업인 수도미터·가스미터·난방용온수미터·적산열량계 등을 생산하는 업체다. 이 제품은 전국의 상하수도 사업소·도시가스·건설업체에 판매되고 있으며 선진국 및 동남아 시장에도 수출되고 있다.  신한정밀은 정보화경영체제의 지속적 확장으로 경영의 효율화, 지식관리의 통합화를 실현하기 위해 올해 초 정보화경영방침을 수립하고 정보화시스템 도입을 결정했다.  정보화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영업관리 프로세스에서 각종 정보가 DB화돼 부서간의 정보가 공유되고 신속한 현황파악이 가능해졌다. 또 영업사원의 감각에 의존하던 납기계획 및 진도관리부분도 시스템을 활용하면서 합리적인 납기계획이 수립되고 납기일 준수가 용이해졌다.  이를 바탕으로 개별·수주별 진행현황 관리와 신속한 상황파악 및 스케줄 관리 기준이 마련됐고 생산관리 측면에서는 공장분리에 따른 관리인력 손실이 LAN 구축을 통한 전산화관리로 관리인력이 절감됐다. 자재관리 측면에서는 자동발주 체계화와 시스템화에 따른 안정 재고관리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졌고 재고관리 표준화로 원가가 절감됐다.  신한정밀은 ERP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설비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해 생산정보가 ERP 시스템의 입력자료로 활용되는 진정한 통합경영을 실현하고 이를 업무 전반에 확산시키기 위해 SCM, CRM 도입을 포함하는 IT 중장기 추진계획을 가지고 있다.     △ERP 구축사례: 한국하이네트    한국하이네트(대표 김현봉)는 2000년 7월 ERP업계 최초로 코스닥 등록을 마친 유망 중소정보통신기업으로 기업용 SW·SI·인터넷·유통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산자부와 중기청이 추진하는 3만개 중소기업 IT화 사업을 수행하는 ERP업체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하이네트는 CRM·SCM·SEM 등과 연동해 기업 내외부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통합으로 확장하는 확장형 ERP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세계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ERP 솔루션을 개발해 이미 중국 및 베트남 현지업체와 해외판매 계약을 체결, 기업용 소프트웨어·아웃소싱 등 기업전산화에 관한 토털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개별 중소기업은 의사결정 자원부족, 재고비용절감 필요성, 생산 리드와 품절방지 요구증대, 예산통제 기능 부족, 원가절감 요구증대, 각 부서간 커뮤니케이션 부족, 비합리적 업무프로세스, 수작업 위주 업무처리 등을 이유로 정보시스템을 재구축해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한국하이네트가 정보화시스템 구축을 대행한 J사의 경우 정보화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기업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목표 아래 사장이 중심이 돼 정보인프라 구축, 전산 마인드 향상, 업무 프로세스 표준화, 정보시스템 활용 등을 독려했다. 그 결과 정보공유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와 기업의 경영상태에 대한 정확한 파악,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지는 무형의 시스템 구축효과가 발생했다.       △생산정보 구축사례: 새암소프트    새암소프트(대표 윤형노)는 18년간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노하우와 최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수준높은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생산정보화는 생산정보를 수집·감시·제어하는 정보통제시스템을 기반으로 실시간 정보 제공, 주요 데이터의 이력관리, 각종 현장 관련 정보들을 통합서비스하는 토털 매뉴팩처링 서비스를 목적으로 한다.  생산정보시스템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검증된 사업관리 기법의 적용, 고객사와의 협조체계 강화, 적극적 사업현황 보고, 철저한 품질보증 등이 선행돼야 한다.  기업은 시스템 도입을 통해 업무간소화, 정보공유, 현장정보 신속제공, 실시간 정보처리, 정보인프라 기반구축, 업무효율성 증대, 생산자재 구매관리 합리화, 생산성 제고, 원가절감, 서비스 지원 강화, 정보채널 확대 등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성적 효과 측면에서 생산실적 실시간 추적을 통해 생산사이클타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현장정보의 실시간 관리 및 분석을 통해 신속하고 유연한 현장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재고의 실시간 파악을 통해 재고를 줄일 수 있으며 품질정보 및 불량률 분석을 통해 품질향상을 꾀할 수 있다. 생산성 향상부문의 정량적 효과는 리드타임의 25% 감소, 22%의 품질개선 효과가 가능한 것으로 추산되며 설비가동률 향상 측면에서는 데이터 입력시간 38% 감소, 의사결정 지원측면에서 사이클타임의 35% 감소, 문서분실 감소 부문에서는 페이퍼워크 55%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전시회 참가업체 리스트>     기업명 / 대표자 성명 전시품목 (주) 갈렙 ABC / 한윤 활용기준원가계산패키지 CalebABC (주) 골드로드21 /  장금용 Web 통관 EDI 솔루션 TRADEWARE V2 (주) 뉴소프트기술 / 김정훈 기업간 전자상거래 실시간 가능 솔루션 B2B ERP (주) 다산기술 / 강철구 시스템연계솔루션 TagFree Messaging Server (주)더존디지털웨어 / 김택진 ERP NEO-X Series 리테일네트워킹 (주) / 이부경 네트워크 POS 시스템 소매본부시스템(MAGWIN) (주) 삼보정보기술 / 정규동 ERP-One (주) 새암소프트 / 윤형노 SI비즈니스 및 e비즈니스 솔루션 (주) 아시아유니파이정보 / 이성원 인쇄관련업계 통합솔루션 관리(ERP+생산공정 IT) (주) 아이비젠 / 김진우 e비즈니스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주) 에스아이코리아 / 김우호 P&P-ERP 패키지, SiKP-ERP 패키지 SiK-POP시스템 (주) 에이시에스 / 김상하 중소 중견 기업용 생산공정관리시스템 iVisualizer (주) 영림원소프트랩 / 권영범 통합경영혁신솔루션 K 시스템 Prime (주) 위저드정보시스템 / 엄광빈 생산관리시스템 MRP Plus (주) 인컴아이엔씨 / 임민수 XML 및 모바링 관련 제품 중앙정보처리 (주) / 박상식 50인이상 중소기업용 IsERP 시스템 (주) 코아정보시스템 / 이승준 출입통제솔루션 스마트패스(Smartpass) (주) 파라테크놀러지 / 김종완 통합경영정보관리시스템 para MIS (주) 파이언소프트 / 이상성 전자상거래솔루션 Pionic시리즈 (주) 파텍21 / 김재하 전자상거래 카탈로그솔루션 eBia4U 한국썬마이크로시스템즈(주) /  유원식 Sun Fire V480 Server 운용 실현 및 내부구조 소개 (주) 한국정보마스타 / 장명섭 중소기업 표준업무 프로세스모듈화 Power B2B ERP (주) 한국하이네트 / 김현봉 제약업종 mediERP, 화학업종 ChemERP (주) 케이티 / 이용경 기업간 협업솔루션 SCC(Supply Chain Collaboration) ○ 신문게재일자 : 2002/10/30 ","viewCnt":"5445","regDate":"2002-11-01 12:11:00"},{"contentId":"25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 CIO등 정보화리더를 위한 전문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7","contentsKor":" 중기 CIO등 정보화리더를 위한 전문교육 실시 - 중기청, 10월중 산학연계 정보화리더스아카데미 개설 - □ 중소기업 CIO, 정보화 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기업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실무 및    사례중심의 『정보화리더스아카데미』가 실시됨 ㆍ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은 중소기업 정보화 전문기관인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을     주관기관으로 하여     - 10월 중순부터 전국 16개 교육기관에서 900명 규모로 중소기업 정보화리더의      현장수요에 맞춘 IT전문교육을 무료로 실시한다고 밝힘 □ 그간 정부의 중소기업IT화 사업 등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마인드는 확산되고는   있으나 경영진의 높아진 관심이 아직 추진의지와 정보화투자로 충분히 연계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ㆍ 보다 체계적인 전문교육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번 교육과정이 마련된   것으로서    - 최신 정보기술과 중소기업의 정보화 성공사례 확산 등을 통해 중소기업      경영자의 정보화관련 의사결정 및 현장지향적인 정보화능력 배양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취지임 □ 금번 교육과정은 전국적으로 대학등 총 16개 교육기관을 지정하여 강좌당    5과목 총 16시간으로 개설하여 운영할 예정임   ㆍ 주요 교육내용은 정보화 환경과 정책의 이해, 경영의 정보화 혁신, 전자상거래와     e-비즈니스, 경영혁신과 정보기술 활용, 정보화 전략과 성공사례연구등으로서    - 급격히 변화하는 디지털 경제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화 관련 책임자로서의      관리능력과 정보화경영에 필요한 실무능력 제고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   ㆍ 이번 교육의 강사진은 IT 실무경험, 지명도, 전문성 등을 고려한 전문가     위주로 구성되며      - 교육기관이 교육장소 및 기자재 등을 제공하고 정부가 교육과정 개발 및      소요비용을 지원함으로써 무료로 교육받는 기회가 제공되는 것임 □ 교육대상자는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지역 입주기업, 중소기업 IT화 추진기업,    정보화 경영체제 인증기업중에서 우선선발되며    ㆍ 교육과정 수강을 희망하는 경우 지역별 해당 교육기관(붙임참조)에서 신청을     접수함    * 세부내용은 중소기업청 홈페이지(http://www.smba.go.k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http://www.kimi.or.kr)를 참고하거나 중소기업청 정보화 지원과     (042-481-4406)또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인력개발팀(02-2168-0214)에 문의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5","atchfileNm":"보도자료(리더스)[최종].hwp","viewCnt":"5257","regDate":"2002-09-30 12:09:00"},{"contentId":"25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성공조건부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 유도”-「중소기업정보화혁신전문기업」도입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8","contentsKor":" “ 성공조건부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 유도” -「중소기업정보화혁신전문기업」도입 - □ 중소기업이 정보화 투자로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얻는 경우에만 투자비를    부담하는 새로운 지원사업이 등장함. □ 중소기업청(청장 : 이석영)은 정보화 투자성과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대신하여 ㆍ 전문기업이 정보화 전략수립에서 시스템 구축 및 운영관리까지 자체 자금˚기술    ˚인력으로 책임지고 일괄지원하고 ㆍ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성공적으로 활용하는 시점에서 투자비를 회수하는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를 도입˚운영할 계획임    * TIMPs : Total Information Management Providers □ 중소기업청은 정보화혁신전문기업제도의 본격적인 도입에 앞서 ㆍ 금년에 3~5개 전문기업을 선정하여 1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8.27일부터 정보화혁신전문기업을 모집함. ㆍ 정보화혁신전문기업으로부터 지원받는 중소기업은 정보화진단 및 감리비용,    컨설팅˚S/W구입비용(총 투자비용의 20%범위내, 2,500만원 한도) 등 업체당    약 3,000만원의 지원을 받게 됨 □ 그동안 정부의 3만개 IT화 사업추진 등으로 전반적인 중소기업 정보화 확산    분위기는 조성되고 있으나, ㆍ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은 대기업의 74%에 불과하는 등 아직 정보화 투자성과가    미흡하고,    - 정보화 투자효과에 대한 신뢰결여, 투자비 조달한계, 전문인력부족 등이      중소기업 정보화를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음 ㆍ 이러한 정보화 투자의 저해요인을 해소 할 수 있는 일괄지원체계를 마련하자는    것이 금번 중기청의 전문기업제 도입의 취지이며,    - 특히, 전문기업은 단순히 정보시스템만을 구축해 주는 것이 아니라,구축후      운영단계에 있어서도 아웃소싱 방식을 통한 지속적인 운영관리도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 중소기업 전문 정보화 종합지원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것임.     * On-Site(전문인력 파견), Remote(원격 관리), Co-location(전문기관 외부관리) 등 □ 중소기업정보화혁신 전문기업은 ㆍ 주요 업종별로 중소기업정보화지원수준, 정보화 모델의 적합성, 재무건전성,    지원역량, 중소기업지원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선정할 계획이며, ㆍ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전문기업에 대하여는 자체역량으로 수요    중소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임 □ 동 사업에 대한 사업설명회는 IT업체, 정보화컨설팅업체 등을 대상으로   ‘02.8.30(금) 15:00 과천 중소기업청 중강당에서 개최할 예정임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6","atchfileNm":"중소기업정보화혁신전문기업.hwp","viewCnt":"5223","regDate":"2002-08-26 12:08:00"},{"contentId":"25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국 12개 중소기업 밀집지역, 정보화기반구축 지원 신청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9","contentsKor":"전국 12개 중소기업 밀집지역, 정보화기반구축 지원 신청","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7","atchfileNm":"보도자료(촉진지역신청)_2002072016_2.hwp","viewCnt":"5340","regDate":"2002-07-23 12:07:00"},{"contentId":"25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대기업의 74% 수준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0","contentsKor":"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대기업의 74% 수준 - 2002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조사 결과 - □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아직 가시적인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기에 미흡한 수준이며, 대기업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 의뢰하여 지난 4 월부터 3개월간 1,500여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ㆍ 중소기업 정보화(100점 기준)는 지난해(47.8점)보다 향상된 48.6점으 로, 단순 개인업무에서 고객업무 등으로 확대되는 “업무효율화 단계”이 며,    - 정보화 추진의지가 높고, 시스템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으나, 정보화 조직,인력 등의 여건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남    - 또한, 대기업(37개사 조사결과)과 비교시 중소기업 정보화는 74%수준 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ㆍ 정보화 투자효과는 규모의 경제가 작용한다는 점에서 대-중소기업간 정 보화 격차 해소를 위해    - 중소기업 부문에 대한 정보화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투자여건 개 선 등 정부 차원의 지원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 금번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정보화 의지, 환경(인력, 조직, 투 자), 시스템 구축, 활용수준 등 4개 분야로 구분하여 조사되었음 ㆍ 정보화 추진의지는 지난해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으나,    - 아직도 정보화 추진계획 수립(22.4%), 투자 타당성 분석(14.3%) 등의 실천은 미약하며    - 특히, 정보화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대기업에 비해 현격히 저조 한 실정임 ㆍ 다음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 환경은 매우 취약한 편임     - 정보화 전담부서를 두고있는 기업은 ⅓에 불과하며, 필요인력의 30% 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됨    - 정보화 투자는 정보화 마인드 제고 등으로 확대(매출액 대비 1.98%)되 고는 있으나, 절대 규모는 부족한 것으로 보임 ㆍ 한편, 네트워크 등 전반적 시스템 구축은 양호한 편이나    - 아직, 회계,인사,판매 등 단위업무 위주로 이용되고 있어, 생산,설 계,ERP 등 통합업무에의 활용도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ㆍ 정보시스템의 활용 수준에 있어서는 PC를 활용한 업무처리 시간 단축, 기술,시장 정보 검색 등 네트워크 활용이 가시화되고 있으나    - EC, CALS 등 기업간 네트워크 활용은 극히 저조함 ㆍ 위와 같이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활용이 저조한 것은 매출증대에 대 한 신뢰부족(49.7%), 정보화 기반구축 미흡(24.1%) 등에 기인한 것이나,     - 많은 기업들이 향후 3년 내 전자상거래를 추진할 계획(43.5%)인 것으 로 조사됨 □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의 가장 큰 저해요인으로는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26.7%)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ㆍ 정부지원이 필요한 사항으로 자금지원(36.4%), S/W 및 기술 보급 지원 (24.0%), 전문인력 지원(14.4%), 교육지원(10.3%), 세제 지원(10%) 등을 희 망함 □ 그간 정부의「3만개 중소기업 IT화 사업」등 적극적인 지원시책에 힘입 어 기초S/W보급/확산 등으로 전반적인 정보화 의지는 높아지고 있으나, ㆍ 정보화 투자효과에 대한 불확실성, 자금,인력 부족 등으로 중소기업 부문의 정보화가 획기적으로 진전되지 못하고 있음    - 특히, IT기업 등을 제외한 전통제조업 영위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 은 더욱 미흡한 실정임 ㆍ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의 정보화의지가 고양되고 있는 만큼, 금번 조사 결과 나타난 정보화추진 저해요인 해소를 위한 지원시책을 지속적으로 전개 해 나갈 계획임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8","atchfileNm":"중소기업정보화수준평가요약(2002).hwp","viewCnt":"5446","regDate":"2002-07-11 12:07:00"},{"contentId":"25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e-컨설팅 지원사업을 수행할 30개 중소기업 정보화혁신컨소시엄 선정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1","contentsKor":" 중소기업 e-컨설팅 지원사업을 수행할 30개 중소기업 정보화혁신컨소시엄 선정 출처 :중소기업청 작성일 : document.write("20020528000000".substring(0,4)+"-"+"20020528000000".substring(4,6)+"-"+"20020528000000".substring(6,8)) 2002-05-28  조회수 : 273 □ 한국생산성본부, 연세대학교 등 전국의 주요 대학 및 유관 기관이      중소기업의 정보화 경영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e-컨설팅에 6월부터     적극 나설 계획임   □ 중소기업청(청장 : 이석영)은 지역별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혁신을     주도할 정보화혁신컨소시엄신청접수를 받은 결과 99개 컨소시엄이     신청하여 이중 30개 컨소시엄을 선정하였다고 밝힘      ㅇ 중소기업청은 지난 4.2∼5.2일까지 지방청을 통해 신청을 받은       결과 99개 컨소시엄(540개 기관)이 신청하였음      ㅇ 이들을 대상으로 지방청별로 전문가 7인이내로 "지역별 컨소       시엄추천위원회"를 구성하여 사업수행계획, 컨소시엄평가,        컨설팅수행능력, 사업추진전략 등을 종합평가하고 지역별로        2배수를 추천받아,      ㅇ 정보화경영원에 설치된 "컨소시엄사업추진위원회"에서 30개        컨소시엄을 최종 확정하였음.  □ 중소기업 정보화혁신컨소시엄사업은      ㅇ 중소기업의 부족한 전문인력과 활용능력을 보완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화 경영혁신 추진을 위해 지원역량을       갖춘 유관 기관, 대학, IT컨설팅 업체 등으로 정보화혁신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 관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화 수준을 진단하고 정보화          추진전략 수립에서부터 정보화 구현까지 일련의 정보화           추진과정을 현장에서 해결해 주는 경영혁신 사업으로,      ㅇ 선정된 개별 컨소시엄은 약 3억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아 약 30개       내외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e-종합컨설팅이나 과제별 e-프로       젝트 컨설팅을 지원하고, - e-컨설팅을 받은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총 소요비용의 80%범위내에서 과제에 따라 최고 1,200만원 한도에서 무상지원           하게 됨      ㅇ e-컨설팅을 받아 정보화 경영혁신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관내소재 정보화혁신컨소시엄 주관기관에 신청하면 됨   □ 중소기업청은 지역별로 유능한 전문인력을 확보한 기관(기업)이     컨소시엄에 다수 참여함에 따라 중소기업 정보화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인프라가 전국 주요지역에 구축하였다고 보고      ㅇ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정보화혁신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내부시스템의 혁신을 추진토록 한 후 이들 기업에 정책자금 등을       우선 지원하는 등 일괄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기업 정보화 도입의       성공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할 계획임.      ㅇ 중소기업청은 금년의 성공모델을 토대로 향후 2005년까지 100개       컨소시엄으로 확대하여 중소기업의 정보화 초기단계에서부터        자금과 기술 등을 일괄적으로 지원토록 하는 중소기업 정보화       확산거점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임","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9","atchfileNm":"보도자료2_3.hwp","viewCnt":"5595","regDate":"2002-05-28 12:05:00"},{"contentId":"25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e-컨설팅 지원사업 본격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2","contentsKor":" 중소기업 e-컨설팅 지원사업 보도자료","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0","atchfileNm":"보도자료(20020402)_1.hwp","viewCnt":"6019","regDate":"2002-04-02 12:04:00"},{"contentId":"25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벤처기업 해외유통망 진출지원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3","contentsKor":"□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은 중소·벤처기업들이 Wal-Mart, Costco등      해외소매유통체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대책을 마련·시행      ㅇ 해외유통망 진출은 공급 가능한 해외소매유통체인 선정 및 상품         리스트 입수, 구매창구와 접촉, 광고 및 프로모션 등이 어려워         해외유통망 진출까지는 많은 시간과 비용의 소요로 중소· 벤처        기업들이 직접 진출하기에 애로 산재      ㅇ 이에 따라, 중소기업청은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Wal-Mart, Costco 등 해외소매유통체인에 진출할 수 있도록          - 우리 수출상품의 진출이 유망한 해외유통체인 선정, 유망상품            발굴 및 공급 가능성 조사, 해외유통망 진출단 파견 및 한국           상품전 개최지원 등을 주요골자로 하는 "해외유통망진출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금년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임   □ 신속하고 효율적인 "해외유통망 진출 루트"를 구축하고 "해외유통망      진출정보" 실시간 제공체계 구축      ㅇ 우선 시장조사 전문컨설팅 GA/IESC社를 통해 우리나라 수출상품의         공급이 유통체인 20여개를 선정하고, 금년도에는 Wal-Mart,         Costco, Home Depot 등 2~3곳을 집중 공략할 방침      ㅇ 해외소매유통체인 한국지사(Wal-Mart Global Procurement社 등)와         협의, 소매유통체인별로 공급 가능한 상품리스트를 작성하고         상품별 유망 중소기업을 선정          - 해외 현지에 파견하여 해외소매유통체인과의 구매상담회를            지원하고, NRF(미국소매연합회) 등 관련단체와 공동으로           한국상품전을 개최      ㅇ 또한, 해외소매유통체인의 구매정책, 구매기준 및 구매절차 등         "해외유통망 진출정보"의 실시간 제공체계를 구축하고,          - 해외소매유통체인 구매담당자를 초청하여 유통체인별 구매기준            등 구매전략 설명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한편,          - 창신금속(대표 박창수) , (주)에스엠아로마(대표 최병태) 등            해외유통망 진출 선도기업의 경영자를 초청하여 해외유통진출            애로 및 성공사례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임             * 에스엠아로마(2001.9) : 향기 나는 금속제품 미국 월마트에                                      US$ 3,300만불 공급             * 창신금속(2001.10) : 가정용 뷔페용기 코스트코홀세일에                                   US$ 1,000만불 공급   □ 해외유통망 진출기업에 대하여 기업별 최대 2천만원한도 내에서 시장     조사, 공장 Inspection 및 현지유통법인 설립 등을 지원      ㅇ 중기적으로 해외소매유통체인의 O/A 결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O/A 거래 신용보증제도 도입, 수출금융 및 외화 CBO 발행지원         등을 적극 추진할 예정임      ㅇ 또한, 중소기업진흥공단에 KOTRA, 해외유통체인 한국지사 등이         참여하는 "해외유통진출 지원단"을 설치하여 해외유통망         진출기업의 애로사항을 신속히 해소 지원할 계획임   □ 해외유통망 진출은 자기상표 수출뿐만 아니라 바이어에 대한 의존도     를 줄여 수출의 안정성과 유통과정상의 높은 부가가치를 획득할 수      있어 중소·벤처기업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viewCnt":"5559","regDate":"2002-03-19 12:03:00"},{"contentId":"25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아세안+3 중소기업 통합사이트 등장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4","contentsKor":"□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은 중소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확대를      위해 『ASEAN+3 중소기업 통합 사이트」가 금년 10월에 구축된다고      밝혔음      ㅇ 지난해 11월 5일~6일, 브루나이에서 개최된「제5차 아세안+3 정상        회의」시 김대중 대통령께서 "아세안과 한국·중국·일본 등         13개국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역내 중소기업들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위해 신규 협력사업으로 제안하신 『아세안+3 중소        기업 통합정보 검색사이트 구축사업』의 후속조치로 「ASEAN+3         SMEs Network」구축된다.      ㅇ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진흥공단과 공동으로 "아세안+3 회원국의         기 구축된 기업 및 상품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아세안+3         중소기업 통합 검색시스템과 바이어 매칭시스템 구축 등을 주요골자로 하는『아세안+3 SMEs Network』구축계획을 마련하고,          - 외교통상부를 통하여 아세안 및 중국,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제안하는 사업계획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협의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아세안+3 SMEs Network」는 역내 국가의 기업 및 상품 통합검색,      바이어 매칭시스템, Buy 및 Sell정보 등을 서비스 ㅇ 동 사이트는 기업들간 거래를 위한 e-Marketplace형태로 구축될         것이며 특히, 회원국의 기 구축된 기업 및 상품 DB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통합검색시스템을 구축에 주력하여 바이어들이 아세안+3         회원국 중소기업의 상품을 쉽게 비교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주요 서비스 내용은 다음과 같음             ① 아세안+3 회원국의 기업 및 상품정보 비교 검색             ② 해외 바이어 매칭시스템을 이용하여 적격의 바이어 발굴             ③ 백화점, 할인점 구매정보 제공 등 해외유통시장 진출 지원             ④ Buy·Sell 정보 등록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             ⑤ 각 국의 조달관련 입찰 정보를 제공하여 조달시장에 진출                지원   □ 중기청은「아세안+3 SMEs Network」구축 Project Team을 지난 1월초      중진공에 설치하고 각 국의 실무작업반과 협력 추진      ㅇ 참여국가와 능동적이고 조직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동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역내 중소기업들에게 새로운 교역 기회         제공 확대 등 상호간의 Win-Win 전략을 추진하는 한편,      ㅇ「아세안+3 SMEs Network」구축을 계기로 Korean Marketplace        (인터넷 중소기업관)을 글로벌 사이트로 육성하여 국내 중소기업들        의 사이버 무역을 촉진할 계획 <첨부> 「ASEAN+3 SMEs Network」구축계획(안)<보도참고>『ASEAN+3 SMEs Network』구축계획(안)Ⅰ. 개 요  □ 사업목적     o 아세안(10개국)과 한·중·일 등 13개국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중소       기업들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확대     o 아세안+3 SMEs Network 구축과 함께 인터넷 중소기업관을 Global        사이트로 육성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사이버수출 촉진   □ 추진경위     o 2001.  9 : 아세안+3 중소기업 수출상품 거래알선시스템 구축계획       을 제안(중기청 → 외교부)     o 2001. 10 : 아세안+3 정상회의에 제안할 신규 협력사업의 타당성 등       을 협의(외교부 → 일본·중국)     o 2001. 11 : 대통령께서 『아세안+3 중소기업 통합 정보검색 사이트        구축사업』을 신규 협력사업으로 제안* 제5차 아세안+3 정상회의(2001. 11. 5~6, 브루나이)      o 2002.  1 : ASEAN+3 SMEs Network 구축 실무전담반 설치(중진공)     o 2002.  3 : ASEAN+3 SMEs Network 구축 사업계획(안) 제출               (중진공 → 중기청) Ⅱ. 추진계획  기본방향   ◇ 동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 ASEAN+3 회원국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 회원국간의 능동적이고 조직적인 협력체제 구축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제공으로 상호간의 Win-Win 전략 추진    ◇ 중소기업관(Korean Marketplace) 위주로 "ASEAN+3 통합 허브포탈      사이트" 구축        ☞ 중소기업관의 인지도 제고를 통한 중소기업의 사이버 수출확대    □ 추진내용     o 아세안+3 회원국의 기구축된 기업 및 상품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ASEAN+3 중소기업 통합 검색사이트" 구축          - 아세안+3 회원국의 기구축된 기업 및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            연계          - 바이어, 조달, 유통망 및 OEM/ODM 정보 제공 등    ASEAN+3 SMEs Network                 회원국 대표웹사이트    --------------------                 -------------------   - 통합검색시스템            →         - 기업 및 상품정보     (기업 및 상품)           ←         - 바이어 정보  - 바이어 연결시스템                    - 유통시장 정보  - Buy 및 Sell 정보제공 등              - 조달시장 정보               ↑↓          사용자(User)  ----------------------·각 국의 상품정보 통합 검색이용·바이어 연결시스템을 이용한 바이어 발굴·Buy·Sell 등록 및 유통·조달 정보획득  ※ ASEAN+3 SME Network는    다국어(韓,英,日,中)로    구축하여 운영   □ 추진체계     o『ASEAN+3 SMs Network』구축 Project Team 설치·운영         - 구성 : 각 회원국의 실무작업반 대표 13명         - 기능 : 아세안+3 Network의 표준 설계, 구축 등을 협의·조정            * 간사국인 우리나라(중진공)에 Project Team 설치     o『실무작업반(Focal Point)』구성·운영(각 회원국에 설치)         - 기능 : 아세안+3 Network에 연계된 국가 대표 웹사이트 구축·                  운영 및 프로젝트팀 의결사항 수행   □ 추진일정     o 2002. 3, 「아세안+3 SMEs Network」구축계획 확정     o 2002. 3, 회원국에 제안서 송부 및 (Project Team) 추천 요청     o 2002. 4, 참여국가의 대표로「Project Team」구성·운영     o 2002. 4, 실무작업반이 참여하는「Project Team」회의 개최     o 2002. 6, 「아세안+3 SMEs Network」표준 D/B 및 디자인 확정     o 2002. 10, 「아세안+3 SMEs Network」서비스 실시 및 유지보수","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1","atchfileNm":"보도자료(아세안+3)_5.hwp","viewCnt":"5711","regDate":"2002-03-19 12:03:00"},{"contentId":"25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벤처기업CEO 2,000명에 경영혁신 교육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5","contentsKor":" "중소·벤처기업CEO 2,000명에 「경영혁신」 교육" ­ 중기청, 전국 21개 대학·단체에 강좌 개설 ­ □ 중소·벤처기업CEO들의 경영능력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CEO 경영혁신 아카데미』가 전국 18개 대학 및 3개 단체 등 21개 기관을 통해 개최된다. □ 중소기업청(청장 李錫瑛)은 중소기업의 CEO들이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과 전문경영지식을 높이고 이를 통해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효과 제고 및 기업 부실화 등을 예방하기 위해 작년에 이어 총 2,000여명의 중소·벤처기업CEO에 대한 경영혁신 교육을 실시한다. o 이번 교육은 2002년 4월 2일부터 2주간에 걸쳐 일과시간 이후 야간 과정으로 실시하게 되며, 강좌신청 및 접수는 3월 19일부터 3월 28 일까지 해당지역 연수기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교육비는 무료이다. <강좌 주요내용> o 과 정 명 : 중소기업CEO를 위한 경영혁신 아카데미 o 교육기간 : 2002년 4월 2일 - 4월 12일(주2회씩 총4회) o 교육시간 : 16시간 (1일 4시간) o 대 상 : 경영자, 임원, 자금관리책임자 o 주요과목 : 경영환경의 이해, 기업경영윤리, 기술의 사업화전략, 재무전략, 구조조정 사례, 기업부실징후진단, 환율관리, 컨설팅 활용전략 등 8과목 □ 이번 강좌는 각 지역 대학에 개설되는 18개 일반과정 이외에 여성 및 벤처기업을 위해 한국여성경제인협회,한국여성벤처협회,벤처기업협회 등 3개 단체에 특별과정을 개설하며 강좌비용은 정부가 전액 지원 한다. o 또한 한국여성벤처협회와 벤처기업협회는 회원 벤처기업을 대상 으로 1박2일 동안 합숙교육을 실시하며, 한국여성경제인협회는 최초로 부산지역에서 여성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특별 경영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o 수료자에게는 지방중소기업청장 및 단체장 명의의 수료증을 수여 하며 각종 시책지원시 경영자평가에서 우대하는 방안을 검토중 이다. □ 중소기업청은 작년의 성공적인 시범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금년에도 중소·벤처기업 경영자들에게 국내 최고 수준의 민간인 위주 강사를 통해 현장감 있는 강의와 모범사례 등을 제공할 예정이며 o 동강좌에 참가를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자는 중소기업청이 지정한 지역별 연수기관에 전화로 신청할 수 있으며, 각 강좌당 모집인원은 선착순 100명이다. < 지역별 연수기관 > * 1, 2, 5번의 3개단체 강좌는 회원사만 신청·접수 ============================================================================== 번호 지역 연수기관명 교육주관 담당자 직위 성명 연락처------------------------------------------------------------------------------ 1 서울 벤처기업협회 - 운영팀장 고명섭 02-562-5914 2 한국여성벤처협회 - 사무국장 한은숙 02-551-7090 3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과장 김계현 02-2260-3602∼3 4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과장 임용래 02-820-0262∼4 직원 황미선 5 부산 한국여성경제인협회 - 사무국장 최금자 051-803-0754 6 동서대학교 대학원 직원 이선근 051-320-2036∼7 7 울산 울산대학교 중소기업종합 행정실장 박재윤 052-259-2591∼2 연구소 8 대구 경북대학교 경영대학원 행정주사 구자열 053-950-5403,6133 9 경북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부원장 김기수 053-655-2151 실장 이재원 10 광주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직원 강성배 062-230-7037,6474 전남 11 대전 충남대학교 경영대학원 행정실장 김영호 042-821-5207∼9 12 충남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과장 이택호 041-540-5241∼2 13 경기 대진대학교(포천) 경영대학원 과장 전택원 031-539-2102∼8 14 한양대학교(안산) 산업경영대학원 교학부장 송수근 031-400-5103∼4 교육부장 김우승 15 성균관대학교(수원) 경영대학원 학무팀장 신기창 031-290-5060,5078 16 인천 인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팀장 박정운 032-770-8857∼8 17 강원 상지대학교 산학연구협력센터 교수 박노국 033-730-0461,0583 18 충북 충북대학교 경영대학원 직원 이정범 043-261-2326∼7 19 전북 전주대학교 국제대학원 교학과장 소재중 063-220-2180 20 경남 인제대학교 산학기술연구원 직원 김지은 055-320-3586 21 제주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행정실장 고기택 064-754-2171∼3","viewCnt":"5443","regDate":"2002-03-15 12:03:00"},{"contentId":"25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617개 중소기업의 IT화 추진실태 조사 결과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6","contentsKor":" "중소기업 IT화 지원,성공적으로 추진중"- 617개 중소기업의 IT화 추진실태 조사 결과 -□『중소기업 IT화 지원사업』에 참여한 대다수 중소기업은 업무처리시간 단축, 업무처리비용 감소, 1인당 생산성 증가 등 성공적으로 추진중인 것으로 나타났음□ 중소기업청(청장 이석영)은 지난해 12월 『중소기업 IT화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기초정보S/W 또는 ERP 시스템을 구축중 또는 구축완료한 617개 중소기업에 대한 조사를 거쳐 발표한 「중소기업 IT화 사업 활용실태」 자료에 따르면- ERP 추진기업의 경우 업무처리시간 29.5% 단축, 고객 서비스 23.3% 개선, 업무처리비용 20.9% 감소, 1인당 생산성 증가 20.9% 향상 등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기초정보S/W 추진기업의 경우 업무처리시간 단축, 업무처리비용 감소, 인력감축 및 인건비 절감, 1인당생산성 향상, 고객 서비스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향후 구축된 IT화 업무의 유지관리에 대해서는 응답업체의 61.7%가 지원받은 IT업체를 통해 위탁관리할 계획이라고 나타났으며, 적정한 유지보수 금액에 대해서는 ERP 추진기업의 경우 259천원/월, 기초정보S/W 추진기업의 경우 88천원/월이라고 나타났음 IT화 추진시 애로사항은 응답업체의 51.1%가 예산부족 및 기술인력부족이라고 나타났음□ 중소기업청은 IT화 지원사업의 성공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활용능력 제고 등 지속적인 사후관리 노력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IT화 지원에 대한 불만족 기업과 미활용 기업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여 지원대책을 보완하고- IT화 추진 이후 단계별 정보화 발전을 기할 수 있도록 기존의 지원제도와 연계하는 지원체제를 마련할 계획이며- 자체관리 전문인력 및 마인드 제고를 위한 상시 정보화 교육체제를 구축하고, 업종별 특성에 맞는 S/W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할 계획임첨부자료:IT조사결과","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2","atchfileNm":"it조사결과_4.hwp","viewCnt":"5449","regDate":"2002-03-05 12:03:00"},{"contentId":"25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기업형 e-Business 모델 개발 4개 시범 업종 컨소시엄 선정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7","contentsKor":"□ 앞으로는 비제조업종 소기업이 업종별 특화된 e-Business모델을 활용하여 off-line 기반을 바탕으로 on-line상에서 수익 창출이 가능한 새로운 비즈니스를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은 정보통신부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소기업형 e-Business모델 개발을 수행할 4개 시범 업종 단체 컨소시엄을 선정하였다고 밝혔음 □ 총26개 업종별 단체 컨소시엄이 참여한 가운데 경합을 벌인 금번 사업에서 (사)한국프랜차이즈협회,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한국자동차부분정비조합연합회, 서울화훼소매업협동조합 등 4개 컨소시엄의 모델이 우수하다고 심사되어 시범 모델 개발 업종단체로 최종 선정되었음 □ 선정된 4개 컨소시엄별 e-Business 추진 모델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음 □ (사)한국프랜차이즈협회 컨소시엄은 10만 가맹점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e-POS 서비스와 ARS 수발주&VMS를 기반으로 판매/재고관리, 수발주, CRM서비스, 매장관리 서비스, 웹경비 서비스, WEB EDI 전표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임 □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컨소시엄은 Web-POS, 네트워크 구축, 지역거점을 활용한 부가사업을 기반으로 물류유통, 영업지원, 회계장부관리, CRM, 데이터 뱅크, B2B공동구매, B2C쇼핑몰 구축, 동영상 광고, 택배대행 등을 제공할 예정임 □ 한국자동차부분정비조합연합회 컨소시엄은 자동차 부분 정비업 전문 ASP서비스, 전자상거래 서비스, Billing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회계관리, 정비/부품관리, 고객관리, 계약/주문관리, 결제/정산관리, 청구/입금 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임 □ 서울화훼소매업협동조합 컨소시엄은 418개의 화원이 출자의사를 표명하고 FLOWER(가칭)라는 e-Business모델을 기반으로 전자결제 서비스, 플로리스트 컨텐츠, (해외)꽃배달 매칭시스템, 쇼핑몰 분양, SMS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임 □ 중소기업청은 선정된 4개 업종별 단체 컨소시엄 당 최대 5억원 이내로 e-Business모델 개발 및 교육비를 지원하고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와 공동으로 소기업의 참여를 제고하고 타업종으로 자발적인 확산을 유도할 계획임 □ 개발되는 비즈니스 모델의 기본서비스와 부가서비스는 소기업에 적합한 ASP 방식으로 제공되며, H/W, PDA, N/W 인프라 등을 포함하여 월 무료∼10만원 안팎으로 책정하여 보급·확산시켜 나갈 방침임 □ e-Business모델 개발은 2002. 3∼8월까지 완료하고 업종당 500업체를 대상으로 업무프로세스 개선, 정보화마인드 제고, 소기업의 e-Business 추진전략 및 활용방법을 교육시켜 나갈 계획임 □금번 사업을 통해 서비스 산업 등 비제조업 소기업의 e-Business 보급·확산이 가속화 될 예정이며 주요 업종별 소기업의 정보화가 활성화 될 수 있는 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함 -첨부자료: 별첨자료 및 전문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3","atchfileNm":"보도자료_2.hwp","viewCnt":"5607","regDate":"2002-02-26 12:02:00"},{"contentId":"25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회 중소기업 정보화경영원 포럼 개최계획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8","contentsKor":"1. 일시 : 2002. 1. 25(금) 13:00∼16:002. 장소 :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국제회의장(여의도)3. 주최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4. 주관 : 한국능률협회인증원,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한국표준협회, 한국품질보증원, 한국품질재단 한국품질인증센터5. 행사개요 및 진행순서o '99. 8월부터 도입을 준비해온 중소기업 정보화경영체제 부합화 지원 시범사업에 대한 현장적용 결과의 발표와 2001년도 지도사업의 종합결산을 위한 행사임[제1부] 인증수여식o 경과보고o 평가증서 수여식o 축사(중소기업청장)[제2부] 사례발표o 정보화경영 시책 및 인증운용요령 설명o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전략o 추진사례 및 지도사례발표o 질의응답6. 문의처o 중소기업청 정보화지원과(042-481-4508, 4403)e-mail : skpark@smba.go.kr , sandwatch@smba.go.kr ※ 2002년도 정보화경영체제 지도신청을 현장에서 접수하오니 중소기업 여러분께서는 많은 참여 바랍니다. ","viewCnt":"5699","regDate":"2002-01-16 12:01:00"},{"contentId":"25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Magnet School 개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9","contentsKor":" - 약 7,000명 중소기업 재직자 IT 인력화 추진 -□ 중소기업 7,000명 재직자를 IT인력화 하기 위한 대규모의 주문식 방문 IT교육(Magnet School)이 전면 실시됨 □ 중소기업청(廳長: 崔棟圭)은 2월 4일부터 IT 전문 교육기관인 한국생산성본부를 주관기관으로 하여 약 18억원을 투입, 중소기업 재직자를 IT인력화 하기 위한 IT전문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힘 □ 이번 교육은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정보화 수준을 진단하고 정보화 비전을 수립·추진할 수 있는 중급수준 이상의 정보화 인력을 양성하여 전통기업의 e-Transformation을 촉진하고자 o 전국 주요 지역별 지방공단 등 중소기업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공통과정에 대해서는 기업소재 최인접 교육장에서 집합교육을 실시하고 o 구체적인 전문화 특성과정은 중소기업 사내에서 기업이 원하는 방식에 따라 맞춤식의 눈높이 교육으로 진행됨 □ 중소기업 재직자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집체교육은 IT 활용 분야, IT 실무분야, IT 전략화분야 등 3개 분야 20개 과정(총109회)을 개설하여 운영할 예정임 o IT활용분야는 인터넷, 엑셀, 엑세스, IT실무분야는 Web Server구축, 네트워크 운영실무, 프로그래밍, Minitab, Web Contents기획, 사내 IT컨설턴트 자격 획득, IT전략화 분야는 인터넷 마케팅, 인터넷 무역실무 등임 - 교육과정은 상반기 교육결과를 토대로 설문조사, 만족도 조사 등을 실시한 후 하반기 교육과정에 적극 반영하는 피드백 시스템으로 추진됨 o 중소기업 재직자는 교육비의 5%내외의 최소비용을 부담하고 정부는 강사비, 교재비, 교육 기자재 등을 제공하여 참여도를 제고시킬 방침임 □ 중소기업 400업체(약 4,000명 내외)를 대상으로 하는 주문식 현장방문 교육은 중소기업이 희망하는 교육과정을 신청하면 강사가 기업현장을 방문하여 교육하는 방식으로 직장교육의 일환으로 실시할 예정임 o 집체교육에 참가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이 5인 이상의 중소기업이면 누구든지 업종별, 직무별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신청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이 지정한 장소로 강사가 직접 방문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중소기업은 교육인원에 무관하게 교육비 25,000원/일을 부담하고 정부가 강사비, 교재개발비 등을 부담하며 교육 기자재도 제공할 예정임 □ 교육신청은 중소기업 또는 재직자가 '중소기업 IT화 교육관리 시스템 (http://smbit.kpc.or.kr )' 에 접속하여 신청하거나 한국생산성본부로 FAX(02-724-1225) 신청 가능하며 직장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우선지원 할 예정임 o 세부내용은 교육 온라인 관리시스템(http://smbit.kpc.or.kr ) 한국생산성본부 중소기업 IT지원센터 (02-724-1212) 또는 중소기업청 정보화지원과(042-481-4406)에 문의하면 됨 □ (사)디지털밸리에서 조사한 결과(2001. 8)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관심있는 인력은 IT경력자(71.6%)였으며, 응답자의 65.7%가 전문인력 부족에 애로를 느낀다고 응답하여 재직자의 IT화가 비용절감, 정보화 인력해소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o 이번 맞춤식 중소기업 재직자 IT화 교육이 인력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매우 효과적인 교육방식이 될 것으로 기대됨. ","viewCnt":"6129","regDate":"2002-01-16 12:01:00"},{"contentId":"25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서울지역 중소기업 정보화 현장애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0","contentsKor":"- 정보화지원단을 활용한 홈닥터식 밀착지원오는 2월부터 서울의 중소기업은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정보화 애로 해결에 필요한 기술지도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서울지방중소기업청(청장 丁奎昶)은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해 50인 이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화 마인드 향상, 인터넷 활용, PC기술, 홈페이지 제작, 전산 시스템 구성, 시스템 H/W, 멀티미디어, 정보보안 등 애로기술을 해결해 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지원되는 기술지도는 관련분야의 정보화 전문가가 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15일간 애로기술을 현장에서 해결해 주는 사업이다. o 중소기업 현장애로 기술지도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15일부터 신청하면 된다. o 기술지도에 필요한 비용은 80%는 정부가 부담하고 해당업체는 20%만 부담하면 된다. <접수 및 문의처 >서울지방중소기업청 벤처기업과 황현배(전화:02-502-6132, 팩스:02-502-9847)홈페이지 : http://seoul.smba.go.kr(각종지원제도 → 벤처·창업·정보화)","viewCnt":"5801","regDate":"2002-01-15 12:01:00"},{"contentId":"25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IT화 지원사업」2001년도 사업계획 추가 공고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1","contentsKor":" 2003년까지 3만개 중소기업의 IT화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의 2001년도 사업계획 추가 공고하니 관련 중소기업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하단의 서식내용 참조) 문의 및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digitalsme.com/smdb/menu.jsp?/smdb/it30000/intro.html문의 : 중소기업청 정보화지원과 유지석(jsyou@smba.go.kr / 042-481-4507)","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4","atchfileNm":"사업공고.zip","viewCnt":"6122","regDate":"2001-09-21 12:09:00"},{"contentId":"25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사단법인 전문대학 중소기업 정보화 협력회 설립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2","contentsKor":"* 첨부화일을 down받으시면 전문을 보실수 있습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5","atchfileNm":"010514.htm","viewCnt":"6460","regDate":"2001-05-14 12:05:00"},{"contentId":"25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 수준평가 우수 중소기업 선정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3","contentsKor":"* 첨부화일을 down받으시면 전문을 보실수 있습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6","atchfileNm":"010412.htm","viewCnt":"6552","regDate":"2001-04-12 12:04:00"},{"contentId":"25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지원 IT업체 선정 결과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4","contentsKor":"* 첨부화일을 down 받으시면 전문을 보실수 있습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7","atchfileNm":"010403_2.htm","viewCnt":"6563","regDate":"2001-04-03 12:04:00"},{"contentId":"159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VKIST, 베트남 스마트공장 ODA 사업 협업 기반을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93","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VKIST, 베트남 스마트공장 ODA 사업 협업 기반을 마련하다  - 한·베트남 간 제조혁신 교류협력을 위한 간담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2월 3일(월) ‘베트남 VKIST 교류협력 간담회’를 개최했다. ◦ 이번 간담회는 베트남 대사관과 베트남 과학기술연구원(이하 VKIST)을 비롯해 베트남 기업 Xuan Cau Holdings, IGD 등 총 8인으로 구성된 베트남 대표단을 초청하여 스마트공장 ODA 사업과 양국 교류 증진 및 상호협력을 논의했다. ◦ 안광현 단장은 이번 간담회에서 통해 “그간의 한국 디지털전환 정부 지원 정책 경험과 노하우를 베트남과 공유하고 협력 기반을 마련하여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환영사를 전했다. □ 베트남의 디지털전환 성공적 수행 지원을 위해 한국의 스마트 제조혁신 정책을 소개하고 한·베트남 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 간담회는 ▲ 베트남 스마트공장 ODA 사업 추진현황 ▲ 국내 스마트공장 적용 및 성과 사례 ▲ 한국-베트남 간 스마트제조 분야 협력방안 논의 순서로 진행됐다. □ 그간 추진단은 VKIST와 협의하여 스마트공장 ODA 사업의 지원모델 중 하나인 베트남 데모실증센터 구축을 VKIST 부지를 활용하여 추진하기로 합의했으며, ◦ 올해 베트남 스마트공장 ODA 사업의 세부계획 수립을 구체화하고 이번 간담회를 통해 베트남 데모실증센터 구축을 위한 의사결정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아울러 추진단은 ODA 사업을 위한 현지실사단을 구성하여 2월 말 베트남 방문을 통해 관계기관(베트남 MOST, SATI, 대사관 등) 협의, 현지 조사(기술 및 인프라), 사업설명회(수요발굴)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 추진단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베트남 스마트공장 ODA 사업과 후속 협력 활동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126","atchfileNm":"250204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VKIST,_베트남_스마트공장_ODA_사업_협업_기반을_마련하다.pdf","viewCnt":"23","regDate":"2025-02-04 09:35:24"},{"contentId":"159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김영신 원장, 설 명절 맞아 중소기업에 ‘청렴 서한문’ 발송","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71","contentsKor":"기정원 김영신 원장, 설 명절 맞아 중소기업에 ‘청렴 서한문’ 발송  - 농축수산물 소비 장려 및 선물 신고센터 운영 등 ‘청렴한 명절 보내기’ 캠페인 진행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기정원)은 1월 21일(화), 설 명절을 맞아 지원 중소기업 등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원장 명의의 ‘청렴 서한문’을 일제히 발송하고, ‘청렴한 명절 보내기 운동’ 전개를 통해 공직윤리 실천을 공고히 할 것을 밝혔다. □ 기정원이 추진하는 ‘청렴한 명절 보내기 운동’은 최근 경제심리 위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축어업인들을 위한 우리 농축수산물 소비를 장려하는 운동으로,◦ 동시에 ‘청탁금지법’ 및 ‘임직원 행동강령’을 준수하며 이를 위반하는 경우 신고할 수 있도록 설 명절 동안 ‘선물 신고센터 운영’을 한다는 내용의 기정원 청렴 캠페인이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청렴 서한을 통해 “청렴 실천 의지가 충실히 실현될 수 있도록 지원 기업들의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며◦ “공정하고 투명한 기정원이 되고자 노력하겠다”고 청렴 의지를 강조했다. □ 한편, 기정원은 지난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으로는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지난해 12월에는 사후심사를 통해 동 인증 갱신을 승인받는 등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103","atchfileNm":"250122_보도자료_기정원_김영신_원장,_설_명절_맞아_중소기업에_청렴_서한문_발송.pdf","viewCnt":"76","regDate":"2025-01-22 10:16:22"},{"contentId":"159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하나은행과 설 명절맞이 행복상자 나눔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70","contentsKor":"기정원, 하나은행과 설 명절맞이 행복상자 나눔활동 나서!  - 생활필수품 및 장기 보관 물품으로 구성된 행복상자 200개, 세종시사회복지협의회에 전달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기정원) 김영신 원장을 포함한 기정원 임직원이 을사년 새해를 맞아, 1월 21일(화) 세종 본원에서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행복상자 만들기 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활동은 하나은행 오세진 대전세종영업본부 지역대표와 임직원이 함께 하였으며, 생활필수품과 장기 보관이 가능한 식품으로 구성된 물품 꾸러미를 만드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 이날 행사에서 기정원과 하나은행 임직원은 행복상자를 조립하고, 하나은행과 함께 준비한 즉석식품, 라면, 겨울 담요 등 15종의 생활 필수품을 담아 지역 취약계층의 남은 겨울나기를 위한 행복상자 200개를 완성하였다.◦ 200개의 행복상자는 설 명절을 맞이하여 지역사회 취약계층을 위한 좋은 이웃들, 푸드뱅크사업 등을 운영하는 세종시사회복지협의회에 전달되었으며, 세종시 곳곳 이웃들에게 나눠질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중소기업을 뒷받침하는 R&D 전문기관으로 성장하며,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공공기관의 역할을 잊지 않고 실천하는 한 해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소감을 전했다. □ 한편, 하나은행은 작년 기정원과 함께한 ESG 활동 이후 지속적인 상생가치 실현을 위해 이번 2025년 새해에도 기정원과 나눔 활동을 함께 하며,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금융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100","atchfileNm":"250121_보도자료_기정원,_하나은행과_설_명절맞이_행복상자_나눔활동_나서!.pdf","viewCnt":"89","regDate":"2025-01-21 14:21:58"},{"contentId":"159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김영신 기정원장, 국립대전현충원 참배... “중소벤처기업 혁신 지원에 총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50","contentsKor":"김영신 기정원장, 국립대전현충원 참배...“중소벤처기업 혁신 지원에 총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 및 간부진, 국립대전현충원 참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기정원)은 1월 6일(월) 김영신 원장을 비롯한 간부진들과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순국선열과 호국 영령의 넋을 기리기 위해 참배했다.◦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유일한 R&D 전문기관으로 중소벤처기업의 R&D, 디지털전환, 지역기업육성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진흥기관이다. □ 김영신 원장은 간부진들과 함께 참배한 이후“대내외 불안정성에 대응하기 위해서 더욱 적극적이고 신속한 재정 지원으로 중소벤처기업의 혁신 성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 기정원은 올해 중소벤처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R&D 분야 1조 4,722억원, 비 R&D 분야 3,328억원을 지원하는 등 혁신・네트워크 기술개발 및 제조현장 디지털화 지원에 총력을 다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070","atchfileNm":"250106_보도자료_김영신_기정원장,_국립대전현충원_참배...중소벤처기업_혁신_지원에_총력.pdf","viewCnt":"184","regDate":"2025-01-06 14:07:24"},{"contentId":"159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백년가게와 함께 사랑의 따뜻한 한끼나눔 행사 진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25","contentsKor":"TIPA, 백년가게와 함께 사랑의 따뜻한 한끼나눔 행사 진행  - 중소벤처기업부 동행축제와 연계, 세종시 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해 취약계층에 백년가게 식사권 기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12월 20일(금) 세종시 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해 ‘사랑의 따뜻한 한끼나눔’ 행사를 전개했다고 밝혔다.◦ 사랑의 따뜻한 한끼나눔 행사는 지역의 백년가게 및 착한가게의 식사권을 취약계층에게 기부하는 행사로,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진행하는 12월 동행축제와 연계해 추진된다. □ 이번 행사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TIPA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TIPA는 동행축제 기간동안 임직원과 함께 헌혈 활동을 진행하고, 취약계층이 동절기를 잘 보낼 수 있도록 우수 중소기업 동행제품 (찜질팩, 삼계탕 등)을 기부하는 등 꾸준한 온기 나눔을 실천했다. □ 김영신 원장은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과 연계된 다양한 ESG 실천활동을 지속하겠다”며◦ “이러한 TIPA의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따뜻한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014","atchfileNm":"241220_보도자료_TIPA,_백년가게와_함께_사랑의_따뜻한_한끼나눔_행사_진행.pdf","viewCnt":"232","regDate":"2024-12-20 14:27:14"},{"contentId":"159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5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승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924","contentsKor":"TIPA, 5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승인  - 지역상생활동과 중소기업 제품 기부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 인정받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공동 시행하는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으로 5년 연속 승인 받았다고 19일 밝혔다.◦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는 꾸준히 지역사회 공헌활동을 펼친 기관의 공로를 인정하는 제도이다. □ TIPA는 지역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우수 중소기업 제품을 기부하고, TIPA 임직원과 방문객이 모은 병뚜껑으로 자원순환제품을 만들어 기부하는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TIPA는 최근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진행하는 12월 동행축제와 연계하여 임직원 헌혈 및 동절기 겨울나기 제품 기부 등의 활동도 추진했다. □ 김영신 원장은 “그동안 기관에서 진행한 사회공헌활동으로 5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승인이라는 결과를 받아 뿌듯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ESG 활동을 진행하여 지역과 상생하는 TIPA가 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9012","atchfileNm":"241219_보도자료_TIPA,_5년_연속_지역사회공헌_인정기관_승인.pdf","viewCnt":"210","regDate":"2024-12-20 14:24:27"},{"contentId":"158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7년 유지 성과 달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95","contentsKor":"TIPA,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7년 유지 성과 달성!  - 국내 R&D 전문기관 최초 인증 이후 7년 연속 인증 유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국내 R&D 전문기관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국제표준 인증 획득(‘17.12.26) 이후 2024년 12월 인증 심사를 통해 7년 연속 ISO 37001 인증을 유지하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 ISO 37001은 세계 162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표준으로, 2016년 10월에 조직 내 부패 발생 가능성을 시스템으로 방지하기 위해 제정되었고, 국내에서는 2017년 4월부터 인증제도가 시행됐다.◦ 또한, ISO 37001은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부패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조직의 방침, 절차 및 관리에 의한 실행으로 명시함으로써 조직이 부패와 관련된 조치를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 ISO 37001 인증의 지속 유지는 TIPA가 중소기업 R&D 지원의 기획, 평가, 사업지원 등 평가관리 체계와 기관의 공공서비스 전반이 부패방지경영에 관한 국제표준에 맞게 수행되고 있음을 대외적으로 확인받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이번 ISO 37001 인증 지속 유지를 기반으로 청렴하고 투명한 중소기업 지원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와 청렴문화 확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75","atchfileNm":"241218_보도자료_TIPA,_RD_전문기관_최초_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_37001_인증_7년_유지_성과_달성.pdf","viewCnt":"219","regDate":"2024-12-18 09:43:54"},{"contentId":"158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국-페루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의 장을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89","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국-페루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의 장을 마련하다  - 한·페루 간 제조혁신 교류협력을 위한 세미나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12월 10일(화) ‘한국-페루 제조혁신 교류협력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페루 생산부를 비롯해 총리실,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Peru 관계자 및 차차포야스도 도지사, 리마시 산 루이스 구청장 등 8인으로 구성된 페루 정부대표단이 UNDP 서울정책센터의 초청으로 방한하면서 주요 일정 중 하나로 열렸다.◦ 안광현 단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그 간의 한국 디지털전환 정부지원 정책 경험과 노하우를 페루와 공유하고 협력기반을 마련하여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환영사를 전했다. < 한-페루 제조혁신 교류협력 세미나 개요 > (일시/장소) ‘24. 12. 10.(화) 15:00~17:00, 신성이엔지 대회의실 및 공장 (참석자) 페루 생산부 및 지자체, 중기부, 추진단 등 23인 내외 (주요내용) ①한국 지원정책 소개 및 양국 간 교류협력 논의, ②스마트공장 현장 시찰 □ 추진단은 페루의 디지털전환 성공적 수행 지원을 위해 한국의 스마트 제조혁신 정책을 소개하고 한·페루 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협력방안 주요주제는 ▲ 스마트공장 ODA 사업 ▲ 국제협력포럼 ▲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기술교류회에 대한 내용을 다뤘다.◦ 이어서, 디지털 전환으로 모범사례를 창출한 스마트공장(신성이엔지, 용인)의 공장을 시찰하여 한국기업의 제조환경 및 스마트화 수준을 소개했다.□ 추진단은 그간 페루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4년 APEC 장관회의(의장국 : 페루)에 참석하고 페루국립공과대학교(UNI)와 MOU를 체결하여기술세미나 및 포럼을 추진하는 등 협력 활동을 진행했으며, ◦ 이번 세미나를 통해 이러한 협력 활동을 후속적으로 더욱 활성화 할 수 있는 계기로 마련하고자 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63","atchfileNm":"241211_보도자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한국-페루_스마트_제조혁신_교류협력의_장을_마련하다.pdf","viewCnt":"287","regDate":"2024-12-11 10:09:21"},{"contentId":"158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사랑의 헌혈단’ 캠페인 진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57","contentsKor":"TIPA, ‘사랑의 헌혈단’ 캠페인 진행  - 동행축제 기간동안 헌혈 참여 및 기부 활동을 통해 온기 나눠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12월 6일(금) 세종 본원에서 창업진흥원,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사랑의 헌혈단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사랑의 헌혈단 캠페인은 임직원들이 자발적으로 헌혈에 참여하고 헌혈증을 기부하는 대표적인 사회공헌 행사로서, 매년 전 직원이 생명나눔 실천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 특히 동절기에는 휴가, 방학 등의 이유로 안정적인 혈액 공급이 더 어렵기 때문에, 헌혈자 수 감소를 고려하여 매년 겨울에 헌혈 행사를 추진하고 있다. □ 이번 행사는 2024년 동행축제에 맞춰 온 국민과 온기를 나누기 위해 TIPA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TIPA는 동행축제 기간동안 우수 중소기업 제품을 활용한 기부, 백년가게와 상생하는 기부 등의 활동을 통해 온기 나눔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임직원들의 헌혈 참여를 통해 혈액 부족 해결 및 수급 안정화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 “TIPA 임직원의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따뜻한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66","atchfileNm":"241206_보도자료_TIPA,_‘사랑의_헌혈단’_캠페인_진행.pdf","viewCnt":"195","regDate":"2024-12-06 09:00:02"},{"contentId":"158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관계기관 워크숍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53","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관계기관 워크숍 개최  -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 방안」공유 등 ‘25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관계기관 워크숍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12월 5~6일 이틀간 경기도 광주 곤지암 리조트에서 스마트제조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실무자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스마트제조 관련 기관 간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실무자의 업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됐다. < 스마트제조혁신 관계기관 실무 워크숍 개요 >  (장소·일시) 곤지암 리조트, ‘24.12.5(목)~12.6(금) (참석자) 중기부, 추진단, 전국 TP, 지자체, 유관기관 등 (주요내용) 주제 특강, 우수사례 발표, 정책 공유 등① (특강) 스마트제조혁신 성과 및 주요전략, LG생산기술연구원 제조혁신사례② (우수사례 발표) 제조AI센터 구축 및 지역제조혁신센터 우수사례③ (정책 공유) ‘25년 스마트제조혁신 추진방향④ (소통) 애로 및 건의사항 □ 행사는 제조혁신유공자 포상을 시작으로 전문가 특강, 우수사례 발표 세션이 차례로 진행됐다. ◦ 첫 번째 세션인 전문가 특강은 안광현 단장이 ‘新디지털 제조혁신 추진전략’ 및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 방안‘ 등 정부의 스마트제조혁신 주요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서 LG전자 생산기술원의 송시용 상무가 대기업의 제조혁신 사례를 설명했다.◦ 두 번째 세션으로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과 경북 및 전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의 우수사례 발표가 진행되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송병훈 센터장은 지역특화 제조AI 센터 사례 및 제조업의 AI기반 고도화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이어서, 경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송정훈 센터장은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공장 우수 지원사례와 ODA 사업을 발표했다. 전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장승규 센터장은 기초단계 기업 사후조사,기술혁신협의회 운영 등 센터 중점 추진 사업에 대해 발표했다. □ 마지막으로 중기부는 ‘25년 스마트제조혁신 추진방향을 공유하고 애로 및 건의사항 등을 청취·수렴하는 발전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25년도에는 대·내외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중소상생형, 부처 협업형 및 탄소중립형 공장 등 고도화된 스마트공장 구축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기술 공급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클라우드 종합 솔루션과 공급기업 역량진단 사업을 확대하고,◦ 국가 표준정책 연구와 제조데이터 표준화 분야는 올해 대비 100% 이상 지원을 늘려 표준 기반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촉진하고 스마트 제조 생태계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 중기부 김우중 국장은 이번 워크숍에서 “내년에는 고도화 및 표준 기반의 스마트공장과 기술 공급기업의 전략적 육성에 중점을 둘 것”이며,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함께하는 디지털 전환 정책 추진을 위해 관계기관의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20","atchfileNm":"241205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_관계기관_워크숍_개최.pdf","viewCnt":"236","regDate":"2024-12-05 15:26:08"},{"contentId":"158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KBSI 연구 협력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49","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KBSI 연구 협력을 위한 MOU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사업추진단)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양성광, 이하 KBSI)과 12월 4일 (수) KBSI에서 글로벌 의약바이오 스타트업 육성과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 협력 MOU를 체결했다. □ 이번 협약은 의약바이오 분야 창업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후보 물질 발굴에서 사업화까지 아우르는 특화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신약 개발8대 분야에서 연구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주요 협약 내용은 ▲연구장비 공동활용을 통한 연구자 및 기업 지원 확대 ▲연구장비 분석서비스 경험 공유 및 상호 교류 ▲창업기업의 기술 개발과 사업화 지원 협력을 위한 데이터 교류 및 공동연구를 위한 신약 개발 가속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 이번 협약으로 KBSI의 최첨단 연구인프라와 전문성을 활용하여 K-바이오랩허브의 혁신 창업기업 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바이오 창업기업의 기술 혁신과 글로벌 시장 진출이 더욱 촉진될 것으로 기대되며, 양 기관의 협력이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새로운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 한인석 단장은 “이번 협약은 국내 바이오 창업기업들이 글로벌 무대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KBSI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의약바이오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KBSI 양성광 원장은 “KBSI의 세계적 수준의 연구인프라와 기술력, 오랜기간 쌓아온 기업 지원의 경험을 바탕으로 K-바이오랩허브와 협력을 통해 의약바이오 신약 개발 등 창업기업의 기술 혁신과 글보벌 시장 진출을 위하여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10","atchfileNm":"241204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_KBSI_연구_협력을_위한_MOU_체결.pdf","viewCnt":"154","regDate":"2024-12-04 13:26:31"},{"contentId":"158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네트워킹데이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48","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네트워킹데이 성료  - 의약·바이오 분야 스타트업 및 관계기관 다수 참여한 소통의 장 마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사업추진단)은 12월 3일(화), 서울 왕십리 디노체컨벤션웨딩홀에서 「K-바이오랩허브 Networking Day」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의 ‘25년 시범사업 추진을 앞두고, 의약·바이오 스타트업과 관계기관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발전과 협업을 위한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위해 추진됐다.◦ 또한, 한국머크(Merck),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를 비롯하여 90여 개, 150여 명의 스타트업과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등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상호 간 네트워킹, 사업 안내를 통한 의약·바이오 스타트업 중심의 역동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자 진행됐다. □ 사업추진단은 지난 11월 28일(목), 인천 송도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K-바이오랩허브 송도 Networking Day」를 공동 개최하는 등 본 행사의 정례화를 통한 지속적인 협력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인석 단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여러 방면의 협력 기회가 확대된만큼, 앞으로도 K-바이오랩허브가 의약·바이오 분야의 발전을 위한 자리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머크사 김용석 대표는 “K-바이오랩허브와 함께 한국 바이오기업의 성장을 공동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KIMCo 허경화 대표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K-바이오랩허브가 2025년 시범사업을 통해 선발할 바이오벤처사가 국내 제약회사와 공동으로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오픈이노베이션을 구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07","atchfileNm":"241204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네트워킹데이_성료.pdf","viewCnt":"137","regDate":"2024-12-04 10:07:50"},{"contentId":"158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데이터 품질인증 우수 등급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47","contentsKor":"TIPA, 공공데이터 품질인증 우수 등급 획득  - 데이터베이스 품질개선을 통한 양질의 공공데이터 제공 노력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지난 11월 28일(목)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서울 반포동)에서 개최한 「2024년 공공데이터 품질인증 수여식」에서 “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공공데이터 품질인증’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역량 강화 노력, 데이터 오류율, 데이터 개방 활성화 노력 등 13개 항목 심사에서 일정한 기준을 충족한 기관에게 행정안전부가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로 ‘2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 총 679개 공공기관 중 63개 기관이 공공데이터 품질인증을 신청했고, TIPA는 데이터 품질관리 노력을 인정받아 ’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TIPA는 예방적 품질관리 수행, 데이터 표준 적용률 95% 이상, 데이터구조 현행화율 90% 이상, 품질진단 규칙 20개 설정 및 적용, 데이터 오류 0.001% 미만 등 품질개선을 통한 양질의 공공데이터 제공을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 TIPA 사업기반본부 정선욱 본부장은 “국민이 신뢰하고 국민의수요에 부합하는 공공데이터 제공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공공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기관이 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904","atchfileNm":"241203_보도자료_TIPA,_공공데이터_품질인증_우수_등급_획득.pdf","viewCnt":"97","regDate":"2024-12-03 09:37:32"},{"contentId":"158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제2회 한국공공브랜드 최우수상′수상 영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43","contentsKor":"기정원, ‵제2회 한국공공브랜드 최우수상′수상 영예   - 한국공공브랜드진흥원 주관,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분야 공공기관/국가도시지역브랜드 부문 ‘최우수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기정원)은 11월 29일(금) 서울 잠실 광고문화회관에서 개최된‘제2회 한국공공브랜드 대상’시상식에서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분야 공공기관/국가도시지역브랜드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한국공공브랜드 대상은 한국공공브랜드진흥원이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공모전으로, 공공의 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공공브랜드를 개발, 집행, 관리하는 정부 및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 수여하고 있다. □ 기정원은 ‘향기로운 기적, 향기’라는 웹드라마를 제작하여, 주인공이 가족의 사랑과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삶의 역경을 극복하는 이야기를 그려냈다.◦ 해당 영상은 잠재고객들에게 중소기업 R&D사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TIPA의 역할과 가치를 알기 쉽게 감동적으로 전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영상은 TIPA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기정원은 인플루언서와 협업한 웹예능, 우수성과 기업을 홍보하는 똑톡TIPA, 뉴스레터, 국민참여기자단 등 다양한 홍보 콘텐츠를 통해 기관 브랜드 제고와 우수성과 확산을 꾀하였다. □ 기정원 김영신 원장은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아 기쁘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에게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지원 사업들을 다채롭고 쉽게 전달하기 위해 대국민 소통 채널 확대에 힘쓰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99","atchfileNm":"241129_보도자료_기정원,_‵제2회_한국공공브랜드_최우수상′수상_영예.hwp","viewCnt":"134","regDate":"2024-12-02 13:40:03"},{"contentId":"158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38","contentsKor":"TIPA,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  - 지속적인 지역사회공헌 인정 및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11월 27일(수) 서울 드레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2024년 지역사회공헌 인정의 날’ 행사에서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보건복지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는 지역사회의 비영리단체와 협업을 통해 꾸준하게 지역 사회활동을 펼친 기관을 발굴해 그 공로를 인정해주는 제도로, TIPA는 지역사회에 기여 공로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장관상을 수상했다. □ TIPA는 ESG경영을 기반으로한 지역과의 상생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5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을 받기도 했다.◦ 특히, TIPA는 지역의 취약계층 지원을 통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데 앞장섰으며, 우수 중소기업 제품을 활용한 기부활동 등 기관의 고유한 업(業)과 연계한 사회공헌활동을 진행했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수상을 통해 앞으로도 지역과 상생하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TIPA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노력하겠다”며 소감을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89","atchfileNm":"241128_보도자료_TIPA,_‘지역사회공헌_인정제’_보건복지부장관상_수상.pdf","viewCnt":"106","regDate":"2024-11-28 10:50:50"},{"contentId":"158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기술협력 페어 행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37","contentsKor":"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기술협력 페어 행사 개최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R&D)사업을 통한 상생협력 우수성과 공유· 확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과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사무총장 김영환, 이하 상생협력재단)은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R&D)사업을 통한 대·중소기업 간 기술협력 활성화 및 성과 공유·확산을 위해 27일 서울 양재aT센터에서 ‘2024 대·중소기업 상생 기술협력 페어’ 행사를 공동 개최했다.◦ 2022년부터 시작하여 올해 세 번째인 본 행사는 ‘함께하는 기술, 함께가는 미래’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대·중견·중소기업 등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우수사례 발표와 대·중소기업 1:1 연계(매칭)를 통한 구매상담회, 대기업에서 관심갖고 있는 협력 기술 개발 아이템에 대한 설명회 등으로 진행됐다. □ 투자기업 인천국제공항공사, 중소기업 울트라브이는 기술협력으로 우수한 성과를 달성한 공적을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여받은 10개 기업 중 대표로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두 기업은 우수사례 발표를 통해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을 위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R&D)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또한 상생기술 매칭 상담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협력 방안에 대한 밀착 상담을 통해 신규 협력사를 발굴하고 새로운 수요처를 확보하는 등 신규 동반관계(파트너십)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만남의 장으로 진행됐다.◦ 먼저 상생기술 구매 상담에서는 대기업, 중견기업 및 공공기관 35개 사와 중소기업 100여 개 사가 심도 있는 1:1 개별상담을 통해 중소기업 제품의 구매 및 기술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이어서 진행된 ‘대·중소기업 만남의 장’에서는 대한항공, 현대중공업 등 대기업 8개 사가 내년(2025년) 중소기업과 협력을 희망하는 기술개발 아이템에 대해 설명하고, 관심있는 중소기업과 네트워킹을 진행하면서 많은 호응을 얻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R&D사업본부 김현중 본부장은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대·중견·중소기업간 수요에 기반한 기술개발을 통해 동반성장이 가능한 R&D사업”이라면서,◦ “동 사업을 통해 기술개발 역량이 우수한 중소기업이 대기업 등과 파트너십을 통해 미래성장동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부, 상생협력재단과 함께 지원해나가겠다 ”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86","atchfileNm":"241127_보도자료_대·중소기업_상생을_위한_기술협력_페어_행사_개최.pdf","viewCnt":"142","regDate":"2024-11-27 17:55:21"},{"contentId":"158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기술마켓 공공기관-혁신조달기업 매칭데이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35","contentsKor":"TIPA, 중소기업기술마켓 공공기관-혁신조달기업 매칭데이 성료  - 33개 공공기관과 혁신제품 지정기업 등 120개 사가 참가하는 구매 상담회, 우수제품 전시·홍보 등 혁신제품의 공공시장 진출 도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중소벤처기업부 혁신제품 지정기업의 공공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기술마켓 공공기관-혁신제품 매칭데이’를 11월 26일(화) 서울 양재 aT센터 제2전시장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TIPA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기술개발·제조혁신 수행 전문기관으로 중소기업 연구개발(R&D) 결과물의 사업화 성과 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특히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기술개발 중소기업의 공공시장 초기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중소기업기술마켓 참여 공공기관과 연구개발에 성공한 중소기업의 만남의 장인 ‘매칭데이’ 행사는 2021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금년도에는 33개 공공기관과 120여 개사의 중소기업이 적극 참여하여 1:1 구매상담이 이루어졌고, 43개 사의 우수제품 전시·홍보와 16개 사의 혁신제품 피칭이 진행되어 참가자의 이목을 끌었다. □ 사업기반본부 정선욱 본부장은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사업화 성과 창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이번 행사가 우수한 혁신제품을 보유한 중소기업이 공공 조달시장에 진출하고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81","atchfileNm":"241126_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기술마켓_공공기관-혁신조달기업_매칭데이_성료.pdf","viewCnt":"133","regDate":"2024-11-26 14:19:39"},{"contentId":"158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공유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33","contentsKor":"TIPA,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공유회 개최  -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50선’ 포상, 전담은행-우수기업 협약식, 우수성과 사례발표, 혁신제품 전시 등 중소기업 R&D 성과 공유·확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11월 25일(월) aT센터(서울 양재동)에서 「2024년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공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선정기업을 격려하고, 우수성과를 대내외에 알리기 위한 성과공유의 장으로서, ‘23년 행사를 시작으로 올해 두 번째를 맞이했다.□ 올해 선정된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기업 포상에는 중소벤처기업부 김우순 기술혁신정책관이 참석해, 우수성과 50선 선정기업과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유공 기업·개인에게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여했다.◦ 또한, 중소기업 R&D 전담은행인 기업은행·하나은행이 투자를 확정한 올해의 대표 투자 유치기업과의 업무협약식도 진행했다. □ 업무협약식에는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인 TIPA, 중소기업 R&D 전담은행인 기업은행·하나은행, 올해의 대표 투자 유치 기업인 ㈜바질컴퍼니, ㈜인피닉이 함께 앞으로 중소기업 경쟁력 및 금융지원 강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TIPA 김영신 원장은 “우수성과 사례발표, 혁신제품 전시 등을 통해 중소기업 R&D 창출성과를 공유함으로써,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와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73","atchfileNm":"241125_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_RD_우수성과_공유회_개최.pdf","viewCnt":"211","regDate":"2024-11-26 09:10:32"},{"contentId":"158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산·학 협력 네트워킹 자리 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32","contentsKor":"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산·학 협력 네트워킹 자리 마련  - 스마트제조 분야 최신 연구·기술 동향 공유 및 공급기업-학생 간 인적 교류 기회 제공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가천대학교(총장 이길여, 이하 가천대)와 함께 22일(금) 가천대학교 AI공학관에서 『스마트팩토리 네트워킹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본 행사는 스마트제조산업의 최신 연구와 기술 정보를 공유하고, 학생들과 산업계 전문가 간 교류를 통해 산·학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고자 기획됐다. □ 본 행사에 가천대 학생들과 한국자율제조플랫폼협회(KAMPA) 회원사, 산업 관계자 등 약 150여 명이 참석했으며, 특히 학생들은 기업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인턴십 참여 의사를 밝히는 등 산업계 진출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는 지속 가능한 제조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난 10월에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 방안』을 발표하며, 지능형 제조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궁극적으로 중소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는 미래 방향을 제시했다.◦ 이에 본 세미나에서는 가천대 스마트팩토리학과 교수와 학부 연구생들이 주도적으로 수행한 연구 성과들을 선보였으며,◦ 산업계 전문가들은 각 기업에서 보유한 기술과 스마트공장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스마트제조산업 주요 제품·서비스 4대 분류*를 대표할 수 있는 최신 기술들을 소개했다.* ①자동화기기, ②연결화기기, ③정보화솔루션, ④지능화서비스 □ 또한 산·학 인적 네트워킹을 위한 취업 상담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술 공급기업과 우수 인재 간의 연결을 주선하며, 스마트제조 분야의 산·학 협력 네트워킹 초석을 마련했다.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본 세미나를 시작으로 전국의 스마트제조 관련 학과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적이고 확장 가능한 네트워크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향후 비전을 제시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69","atchfileNm":"241122_보도자료_추진단,_스마트제조혁신_생태계_고도화를_위한_산·학_협력_네트워킹_자리_마련.pdf","viewCnt":"144","regDate":"2024-11-25 11:16:25"},{"contentId":"158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2024 한-덴 의약바이오 & CMC 혁신 기술포럼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29","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2024 한-덴 의약바이오 & CMC 혁신 기술포럼 성료  - 전문가 포럼 발표 및 토론을 통한 양국의 협력 방안 제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덴마크 바이오협회(사무총장 요르겐 올슨, 이하 Dansk Bio),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대표 허경화, 이하 KIMCo)과 공동 주관으로 20일(수)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 한-덴 의약바이오 & CMC 혁신 기술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과 덴마크 양국의 협력을 통해 CMC 분야 기술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양국 기업 간 글로벌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컨퍼런스 형식 회의로 진행되었다. □ ‘제약바이오 혁신 및 의약품 개발·제조를 위한 글로벌 협력 CMC(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양국의 CMC 전문가, 바이오 기업 대표 및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본 행사는 각 주관사 대표와 주한 덴마크대사 대리의 환영 인사로 이어졌다. 기조연설자로 주한 덴마크대사관 이노베이션 센터(ICDK) 디테 바이스(Ditte Rønde Veise) 센터장이 ‘덴마크 바이오텍 생태계와 글로벌 협력’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 이어 양국의 전문가 포럼발표에서는 덴마크 전문가대표로 요르겐 올슨(Jørgen Godt Olsen), Dansk Bio 사무총장 겸 NCK A/S 부회장의 ‘합성의약품에서 아웃소싱의 비결’, 프레드릭 레만(Fredrik Lehmann), Sound Bioventures EIR의 ‘바이오제약 부문의 초기 투자 준비 방법’, 바비 소니(Bobby Soni), BioInnovation Institute(BII) CIO의 ‘덴마크 바이오텍의 투자 혁신‘, 헨릭 블로우(Henrik Blou), Gubra CEO의 ’전임상 설계의 중요성‘ 등의 주제 강연이 이어졌다.◦ 또한 한국 전문가대표로는 김종훈, 앱클론 CTO 겸 부회장의 ’품질과 규정 준수를 위한 자동화 제조 방법을 활용한 CAR-T 치료제 개발‘, 황유경 CTX 대표의 ’Off-The Shelf Product : CAR-NK 개발 시 고려사항‘ 주제 강연이 이어졌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한국과 덴마크 기업 간 CMC와 바이오제약의 글로벌 협력 가능성’에 대한 패널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됐다. 양국의 CMC 전문가, 바이오제약 리더, 규제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하여,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CMC 문제 해결 및 새로운 기회 창출 방안’을 주제로 노하우와 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 추진단 한인석 단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CMC 관련 최신 동향 공유 및 토론을 통해 다양한 전략들을 마련하고, 이번 협력을 통해 양국의 의약바이오 기업 간 긴밀한 협업 촉진 및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KIMCo 허경화 대표는 “덴마크는 글로벌 신약개발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파트너 국가인만큼 향후 양국 기업 간 CMC는 물론 신약 연구개발, 투자 등 다각적 분야로 실질적인 파트너십 기회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62","atchfileNm":"241121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2024_한-덴_의약바이오_CMC_혁신_기술포럼_성료.pdf","viewCnt":"188","regDate":"2024-11-21 09:07:29"},{"contentId":"158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육·공군과 중소기업 간 협력을 위한 ‘기술교류회’ 성황리에 마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28","contentsKor":"TIPA, 육·공군과 중소기업 간 협력을 위한 ‘기술교류회’성황리에 마쳐  - 中企-육·공군 간 수요기술 세미나·기술매칭・네트워킹 등 협력의 場마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이 11월 15일(금) 서울 AI허브에서 개최한 ‘민·군 협력 R&D 기술교류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TIPA는 중소기업의 국방분야 진출과 국군의 민간 신기술 적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행사를 마련했으며, 민·군 협력을 강화하고 상호 간의 이해를 위한 수요기술 세미나, 기술 매칭상담 등이 진행되었다.◦ 육군(본부, 교육사령부, 군수사령부 등)과 공군(본부, 군수사령부 등) 및 150여 개의 중소기업 등 300여 명이 참여하여 위상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는 K-국방과 민·군 협력에 대한 관심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 이번 행사 환영사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박성호 실장)은 국방기술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민·군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공군본부(장재만 대령)는 “다양한 군의 수요를 함께 해결해 나갈 중소기업을 만날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되어 기쁘고 민·군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한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172개 중소기업과 육·공군 간 1:1 매칭상담을 진행했으며, 21개 육·공군의 기술수요 세미나를 통해 민·군 기술협력의 방향을 정립하고 상호 간 수요와 공급 기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59","atchfileNm":"241119_TIPA,_육·공군과_중소기업_간_협력을_위한_‘기술교류회’성황리에_마쳐.pdf","viewCnt":"113","regDate":"2024-11-20 10:48:49"},{"contentId":"158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국내 스마트 제조업의 미래를 조명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25","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국내 스마트 제조업의 미래를 조명하다!  - 스마트공장지원사업 우수사례 성과공유 및 시상식 개최 -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11월 15일(금)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2024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우수사례 성과공유 및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ㅇ 이번 행사는 2023년까지 구축 완료된 스마트공장 지원과제 중에 우수사례를 포상하고 홍보함으로써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성과를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성과공유 및 시상식은 '2024 중소기업 기술경영 혁신대전'의 부대행사로 개최되었으며, 중소벤처기업부, 추진단, 우수사례 선정기업, 스마트제조혁신전문가, 유관기관 및 일반참가자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ㅇ 이번 행사는 우수사례 참여기업 및 스마트제조혁신전문가 시상, 사례발표, 정책강연, 네트워킹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스마트공장 구축 관련 최신 기술과 사례, 정부의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에 대해 심도 있는 정보를 접할 수 있다.ㅇ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스마트공장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기업들의 사례발표로, 금년 선정된 기업들의 데이터 관리, 인공지능(AI) 기술 활용, 스마트 자동화 설비를 이용한 제조공정 혁신 등 다양한 사례 발표가 세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있다. 2024년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1 : 중소기업형 AI 가상공장 구축 ㈜태정기공은 자동차 핵심부품 제조 기업으로, 다양한 제조 설비를 보유함. 이로 인해 설비 데이터의 통합·수집·관리에 어려움을 겪어왔음.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인 주식회사 디엠테크컨설팅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을 구축.구축 결과, 부품제조 공정에 AI기반 생산관리 체계를 도입하고, 제품 검사설비에 품질예측 AI모델을 적용하여 생산량이 36.3% 증가하고, 불량률이 약 91% 감소하는 공정개선성과 창출. 2024년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2 : 반도체 부품 공장의 스마트 제조 혁신 ㈜에스와이텍은 반도체 부품제조 기업으로, 2020년 반도체 부품 시장 호황과 대폭 증가한 수요를 소화하고 제조 효율성·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추진하였음. 이 과정에서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인 ㈜더모모스와 협력하여 최신 데이터 관리 시스템과 자동화 설비를 도입. 구축 결과, 시간당 생산량이 약 40% 증가하고, 불량률은 80% 감소하여 수주 출하 리드타임이 기존 7일에서 약 5일로 감소하는 등의 안정적인 생산관리 체계를 갖추게됨. 또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FEMS)을 구축해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하여, ESG 경영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둠. 2024년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3 : 뿌리산업 클러스터의 디지털 전환㈜미보는 자동차 A/S 부품 도장 및 포장을 전문기업으로, 기존 수작업 중심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의 개선과 뿌리산업 클러스터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인 ㈜유플렉스소프트와 스마트공장 디지털클러스터 고도화 사업을 수행.구축 결과, MES 시스템 고도화와 전착도장공정·포장공정 설비 자동화를 통해 제품 생산량이 시간당 550개에서 1,303개로 약 136.9% 증가하였고, 불량률은 92.3% 감소하는 등 유의미한 성과 달성.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 성과공유를 통해 참여기업들의 성과를 널리 알리고, 다른 기업들과의 정보교환과 네트워킹을 통해 추가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ㅇ “추진단은 스마트공장 보급을 통해 중소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고, 스마트공장 도입기업들의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시장에서의경쟁력 확보를 위해 후속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50","atchfileNm":"241115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국내_스마트_제조업의_미래를_조명하다!.pdf","viewCnt":"526","regDate":"2024-11-15 15:24:44"},{"contentId":"158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R&D 과제수행 지원을 위한 기업 맞춤형 교육 및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23","contentsKor":"TIPA, 중소기업R&D 과제수행 지원을 위한 기업 맞춤형 교육 및 설명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수행기업 대상 맞춤형 프로그램 진행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11월 14일(목)~15(금) 대전 KT 인재개발원에서 2024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과제수행 관련 교육 및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하반기 394개 선정과제 수행기관(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통해 Scale-Up 할 수 있도록 수출지향형‧시장확대형‧시장대응형 형태의 혁신역량 단계별로 기업주도형 R&D를 지원한다. □ 설명회는 수행기관의 규정 및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 제고와 효율적인 과제 수행을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 및 1:1 상담부스로 구성되어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R&D 사업 수행 절차, 협약변경 등 과제수행 관련 안내, IRIS 시스템 활용법, 연구비 관리, 과제수행 시 주의사항, 사후관리(정산, 기술료 등) 절차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과제 수행 중 겪는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1:1 상담부스도 교육프로그램과 함께 지원과제 특성을 고려하여 양일간 진행된다. ◦ 또한, 설명회의 마지막 날인 15일에는 제조안전, 해외진출, 후불형 수행기관을 대상으로 각 사업별 특성을 반영한 유관기관과의 사업연계, 해외진출 전략수립 등 특화교육이 추가로 진행된다. □ 김영신 TIPA 원장은 “이번 설명회는 R&D 과제 수행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마련한 자리로, 참여한 기업들이 과제 수행에 필요한 절차와 시스템을 익히고, 궁금한 사항들을 바로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 “앞으로도 이러한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하여, 중소기업들이 연구개발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47","atchfileNm":"보도자료_이미지.png","viewCnt":"180","regDate":"2024-11-14 16:46:12"},{"contentId":"158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제2회 지역혁신대전」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16","contentsKor":"TIPA,「제2회 지역혁신대전」성료!  - 정부·지자체·중소기업이 함께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성과 공유 및 발전방향 제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 송암스포츠타운에서 11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3일간, 중소벤처기업부, 지자체, 전국 테크노파크와 지역 중소기업인 등과 함께 「제2회 지역혁신대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번 「제2회 지역혁신대전」은 ‘혁신성장, 힘차게 도약하는 지역 중소기업’이라는 슬로건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정책지원 성과를 알리고,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목적으로 진행했다. ◦ 첫날 「기념식」행사에서는 중기부, 지자체, 테크노파크, 중소기업 대표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지역 성장에 크게 기여한 유공자 46명에게 그간의 공적을 알리는 포상 수여식과 지역 우수 중소기업의 혁신제품 개발 사례발표를 통해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 또한, 「전시관」에서는 각 지역의 중소기업 혁신제품을 전시하고 체험할 수 있는 지역혁신기업관과 지역혁신생태계 구축, 글로벌화 촉진,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 인력난 해소 등 중소벤처기업부의 주요 정책을 소개하는 정책홍보관을 운영하여 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성과를 대국민에게 홍보했다. ◦ 그 외에도 「지역혁신 컨퍼런스」운영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의 투자활성화를 위한 ‘IR 피칭’, 각 지역의 혁신사례를 공유하는 ‘지역혁신 우수성과 공유회’ 그리고 지역기업 성장전략의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로컬전문가의 명사 특강’ 등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기회의 장을 제공하고, 정책성과 공유와 대안을제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지역의 성장과 지방소멸 대응의 가장 중요한 대응책은 결국 지역 중소기업의 성장에 있다”며, “계속해서 중기부, 지자체, 지역혁신기관들과 협업을 통해 지역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이뤄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34","atchfileNm":"241108_보도자료_TIPA,「제2회_지역혁신대전」성료!.pdf","viewCnt":"130","regDate":"2024-11-11 09:39:16"},{"contentId":"158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 공모전”시상식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810","contentsKor":"“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 공모전”시상식 성료 ESG·중소기업 R&D 성과확산 주제로 총 15작품 포상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세종지역 공공기관 4곳이 공동 주관한 ‘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공모전’시상식이 세종시청자미디어센터 다목적홀에서 성료됐다고 밝혔다. ◦ 이번 시상식은 시청자미디어재단이 주최하고 TIPA를 포함한 △세종경찰청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세종시청자미디어센터 등 세종지역 4개 공공기관이 공동 주관하며 세종특별자치시청과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이 후원했다. 이번 공모전은 특별주제인 △저출산 극복을위한 행복한 일터와 가정 아이디어 △ 17개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를 반영한 ESG경영 및 중소기업 R&D 성과확산 관련 2가지 주제로 작품을 모집했다. ◦ 이번 공모전은 대한민국 국민을 대상으로, 일반부와 학생부(2006년생 이하 출생자)로 나누어 지난 8월 1일부터 9월 20일 자정까지 접수를 받았다. 공모전에는 총 70작품이 접수되었으며 최우수상 3팀, 우수상6팀, 장려상 6팀으로 총 15개 팀이 수상했다. ◦ 이번 공모전 일반부 최우수상은 결혼이주여성 숲해설가의 이야기를담은 ‘무지개숲 재능나눔단’이 수상했다. 학생부 최우수상은 환경보호활동 실천 사례를 잘 담아낸 김도윤 학생이 수상했고, 저출산 극복을 위한 행복한 일터와 가정 아이디어 특별 주제의 최우수상은 박세원님이 수상했다. □ 이번 시상식에는 TIPA 정선욱 본부장을 비롯해 △이승원 세종시경제부시장 △천범산 세종시교육청부교육감 △최철호 시청자미디어재단 이사장 △한원호 세종경찰청장 △심상택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이사장 등이 참석해 우수작에 대한 포상과 격려의 시간을 가졌다. □ TIPA 정선욱 본부장은 “이번 55초 영상 공모전을 통해 실질적인 공공기관 ESG 경영 및 중소기업 R&D 성과확산 아이디어들이 다수 접수돼 향후 기관 운영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히며, “앞으로 TIPA도 ESG 경영과 대국민 소통 채널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소감을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823","atchfileNm":"241107_보도자료_오래오래_지속가능한_세상_55초_영상_공모전_시상식_성료.pdf","viewCnt":"154","regDate":"2024-11-07 19:01:01"},{"contentId":"157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글로벌 진출 돕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786","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글로벌 진출 돕는다!  -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수출입 거래 역량 향상을 위한 2024 수출입 아카데미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10월 30일(수) 서울 하나은행 을지로 본점에서 하나은행과 공동주관으로 '2024 스마트공장 맞춤형 수출입 아카데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행사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총 49개 기업의 임직원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 추진단은 스마트공장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수출입 거래 역량 강화를 목표로 동 행사를 마련하였다. ㅇ 행사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성과확산의 일환으로, 해외 진출을 목표로하는 기업들이 수출입 거래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외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다. □ 아카데미는 ①수출입의 이해 ②수출입 관련 외환거래 ③딜링룸 견학 ④외환시장의 이해와 전망 등의 강연으로 구성된다. ㅇ 본 행사를 통해 참여기업의 수출입 거래 효율성 제고와 외환 리스크 관리 지식 습득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이번 아카데미를 통해 스마트공장 지원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한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이며,ㅇ “앞으로도 수출입과 관련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기업들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759","atchfileNm":"241030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공장_참여기업의_글로벌_진출_돕는다!.pdf","viewCnt":"199","regDate":"2024-10-30 10:17:34"},{"contentId":"157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783","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 정부일반형 등 주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신청접수(~‘25.1.6(월)) 중 - - 통합공고 및 세부사업 안내, 사업별 기업 상담 부스 운영 - < 2025>◇ 행 사 명 : 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 사업설명회◇ 장 소 : 호텔 ICC, 1층 크리스탈볼룸 * 대전 유성구 엑스포로 123번길 55(도룡동 4-29)◇ 일 시 : ‘24. 10. 30.(수), 14:00~◇ 참석대상 : 도입기업 및 공급기업 관계자◇ 주요내용- ‘25년 통합공고 및 세부사업 안내- ‘25년 사업별 상세 지원내용 및 사업절차 변경사항 등 안내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오는 10월 30일(수) 대전 ICC 호텔에서 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의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ㅇ 해당 사업은 제조현장에 적합한 고도화된 수준의 스마트공장을 지원하여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제조혁신을 촉진하는 사업으로, ㅇ 추진단은 사업설명회를 통해 세부 사업내용과 지원방식, 신청방법, 전년 대비 주요변경사항 등을 안내할 예정이며, 질의응답과 사업별 부스를 통한 상담도 진행할 예정이다. ㅇ 또한 추진단은 이번 사업설명회를 시작으로 전국 19개 테크노파크의 제조혁신센터에서 지역별 사업설명회를 개최하여 지역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정부일반형 스마트공장 사업 등에 대한 안내를 진행할 예정이다. □ 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은 신속한 지원을 위해 예년보다 3개월 앞당겨 10월 7일에 통합공고 되었다. ㅇ 통합공고된 사업 중 정부일반형 스마트공장 등 4개 사업은 ‘25년 1월 6일(월)까지 접수 예정이며 나머지 사업들도 순차적으로 공고 예정이다.* 접수 중인 사업 : 정부일반형, 자율형공장, 디지털협업공장 및 탄소중립형 스마트공장 ㅇ 한편, ’25년도 사업부터는 사업 신청 시 도입·공급기업이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하는 등 사업절차가 개선됨에 따라 신청을 희망하는 기업은 세부사업 공고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사업공고 확인 : 사업관리시스템(www.smart-factory.kr)-사업안내-사업공고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기업에 대한 신속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기에 사업 공고를 하였고, 주요 선정·관리 절차를 개선”했으며,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변화에서 국내 제조기업들이 대처할 수 있도록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이번 사업설명회는 온라인 유튜브 중계를 병행하여 현장 참석이 어려운 기업인들의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며,◦ ’25년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설명회 발표자료’는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www.smart-factory.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750","atchfileNm":"241029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2025년_스마트_제조혁신_지원사업_설명회_개최.pdf","viewCnt":"976","regDate":"2024-10-29 09:11:15"},{"contentId":"157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독일과의 기술교류를 위한 2024 한-독 미래차 포럼 및 매칭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733","contentsKor":"TIPA, 독일과의 기술교류를 위한 2024 한-독 미래차 포럼 및 매칭상담회 개최  - 미래차 분야 선도국 독일과 국내 중소벤처기업과의 글로벌 R&D협력 창출 기회 마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I) 스마트카미래포럼과 함께 10월 23일 대구 EXCO에서 「2024 한-독 미래차 포럼 및 매칭상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4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내 DIFA 세션으로 개최 □ TIPA는 국내 자동차·부품 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미래차 분야 기술 선진국인 독일과 기술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동 행사를 마련하였다. ◦ 행사는 한독기업지원협의체 주요 논의 안건 중 한-독 협력 포럼 정례화 추진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고, 상호 간 높은 협력 의지와 함께 3년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행사는 ‘친환경 에너지 대전환을 위한 미래 수소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 전략’를 주제로 한 기술세미나와 B2B 매칭상담회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 기술세미나는 한국교통연구원 박지영 연구위원의 기조연설과 함께, 양국 수소기술 전문가의 주제발표 및 현장 질의응답 세션으로 구성된다.※ 연사: 독일 전문가 2인(대학1, 연구소1), 한국 전문가 3인(대학1, 연구원2) ◦ 매칭상담회에서는 사전 모집 및 매칭된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폭스바겐, 콘티넨탈 등 독일 미래차분야 대기업과 온·오프라인 1:1 상담을 통해 기업 간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 본 행사를 통해 향후 국내 중소기업과 독일의 협력을 통한 국내 수소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 유럽 시장 진출 발판 마련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한-독 간 미래차 분야 기술교류 및 협력의 장을 구축하고, 우수한 기술을 지닌 국내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글로벌 진출 및 기술협력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며, ◦ “스마트카미래포럼과 협력해 미래차 분야의 민관 협력과 소통 역할도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편, 「2024 한-독 미래차 포럼」의 발표자료는 DIFA 홈페이지(https://difa-forum.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676","atchfileNm":"241022_보도자료_TIPA,_독일과의_기술교류를_위한_2024_한-독_미래차_포럼_및_매칭상담회_개최.pdf","viewCnt":"227","regDate":"2024-10-22 13:44:26"},{"contentId":"156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독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의 장을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99","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독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의 장을 마련하다  -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을 위한 세미나 개최 - □ 한국-독일 양국 간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 강화를 위해, 독일대표단 방한에 맞춰 중소벤처기업부, 독일연방경제기후보호부 등이 참석하는 ‘한·독 스마트 제조혁신 교류협력 세미나’가 10월 15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개최되었다. ◦ 이번 세미나는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이하 BMWK)를 비롯해 독일 대사관 및 IM-X*, LNI4.0**, VDMA*** 등 협회·단체 소속의 18인으로 구성된 독일대표단이 방한하면서 주요 일정 중 하나로 열렸다.* IM-X : 국제 메뉴펙처링 X 협회(International Manufacturing-X Council)** LNI 4.0 : Labs Network Industrie 4.0*** VDMA : 독일 기계공업협회(Verband Deutscher Maschinen- und Anlagenbau)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하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이번 세미나가 양국 간 스마트 제조혁신 관련 정책과 데이터 생태계에 관한 추진현황을 공유하는 등 양국 간 교류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 이번 세미나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추진단이 최근 발표한 ▲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방안 ▲ 제조데이터 표준화 추진현황을 독일 측에 공유했으며, ◦ BMWK의 Markus Hess 국장이 ▲ 독일 데이터 생태계에 대한 정책 범위 및 목표를 공유하는 순서로 양국 정책에 관한 소통이 이뤄졌다. □ 이외에도 추진단-LNI4.0 MOU 후속 실행과제인 한·독 간 협력교류 활동을 알리기 위한 백서 제작, IM-X 국제회의, 합동 포럼 등에 대한 추진계획 공유 및 논의 등 실무협의도 진행됐다. ◦ 추가 안건으로 글래스돔 코리아 윤양진 팀장의 ▲ 자동차 분야 공급망 연계 실데이터 기반 PCF 산출 및 Catena-X 연동 시연과 ▲ 한국-독일의 협력 우수사례 및 사업협력 확장 계획 발표도 이어졌다. □ 추진단은 다가오는 11월 IMX 국제회의(미국) 참석과 ‘25년 합동포럼 등 글로벌 교류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지속 추진할 계획이며, ◦ 이번 교류협력 세미나를 통해 양국 간 스마트 제조혁신 정책과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국내기업의 글로벌 진출 및 원활한 환경규제 대응을 기대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615","atchfileNm":"241016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한-독_스마트_제조혁신_교류협력의_장을_마련하다.pdf","viewCnt":"268","regDate":"2024-10-16 11:19:15"},{"contentId":"156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빅웨이브 프라이빗IR’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90","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빅웨이브 프라이빗IR’성료  - 제약바이오 스타트업에 투자 기회 제공 - □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 인천광역시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함께하는 '빅웨이브 프라이빗IR’(이하 프라이빗IR)이 8일(화) 서울롯데월드타워 SKY31 컨벤션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 이번 행사에서는 제약바이오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투자사와 셀트리온 등 50여 명의 국내 투자사 및 제약사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투자유치를 위한 발표를 진행했다. □ 11: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스타트업들은 이날 행사에서 발표를 통해 제약바이오 분야의 최첨단 기술과 혁신적인 의약품 연구개발 성과를 선보였으며, 투자사 및 제약사 관계자들과의 1:1 미팅을 통해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 한인석 단장은 “미래 성장 가능성과 고용 파급효과가 큰 바이오 분야에서 혁신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맞춤형 투자유치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 추진단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앞으로도 제약바이오 스타트업의 지속적인 투자연계를 위한 후속지원을 이어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88","atchfileNm":"241008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빅웨이브_프라이빗IR’성료.pdf","viewCnt":"274","regDate":"2024-10-08 14:05:27"},{"contentId":"156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국 스마트제조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진출 교두보를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86","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국 스마트제조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진출 교두보를 마련하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베트남 기술혁신청, 스마트 기술교류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과 베트남 기술혁신청(이하 SATI)은 9월 30일(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력의 주요 내용에는 베트남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화실증센터 구축과 현지 전문인력 육성 등 관련 지원 사업의 공동 추진이 포함되어 있으며, 자세한 세부사항은 향후 구체화할 계획이다. < MOU> (협약기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KOSMO) - 베트남 기술혁신청(SATI) (협약기간) 2024. 09. 30. ~ 2027. 09. 29. (3년간) (협약내용) 양국의 스마트화 및 제조혁신 지원을 위한 주요 분야 협력① 양국 기업 간의 기술이전 지원 및 산업기술과 혁신 확산 촉진 ② 스마트공장 분야 양국 기업의 국제 연구개발 협력 및 혁신활동 촉진③ 스마트공장 분야 산업, 기술, 인적지원 및 기술상용화 기회에 관한 정보교환 ④ 베트남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공장 실증센터 및 스마트화 지원 관련 ODA 프로젝트 공동추진 ⑤ 기타 상호 합의한 협력분야□ 이는 국내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의 베트남 진출 촉진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8월에 SATI와 추진단 간에 체결한 협력의향서(LOI, Letter of Intent)의 후속조치이다. ◦ 추진단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 외에도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육성 방안을 준비 중에 있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추진단은 국내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스마트공장 구축시장 진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SATI와 스마트 제조혁신에 대한 한·베트남 스마트제조 기술교류 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이 외, 추진단은 베트남 총리가 참석하는 2024년 베트남 Techconnect & Innovation 행사에 참석하여 베트남 기업을 대상으로 한국 스마트공장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베트남의 스마트공장 저변확대를 위한 활동을하였다. □ 또한, SATI와 추진단이 주관하여, 한국의 스마트제조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진출 견인을 위해 한-베트남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교류 협력회의를 개최하여 양국 간의 협력 기반을 마련하였다. ◦ 협력 회의에서는 베트남 측(SATI 부청장, 베트남 ICT기업 5개), 한국 측(추진단장, 한국 기술 공급기업 3개)이 참여하여 베트남 스마트공장 수요현황, 스마트공장 필요 기술,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 안광현 단장은 “추진단은 앞으로 지난 10여년 간 한국에서 스마트공장 정책 추진 및 지원사업을 통해 축척된 경험과 노하우를 베트남 정부 기관에 전수하고 스마트공장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78","atchfileNm":"241001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한국_스마트제조_기술_공급기업의_베트남_진출_교두보를_마련하다.pdf","viewCnt":"437","regDate":"2024-10-04 16:06:13"},{"contentId":"156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베트남에서 국제 협력의 장을 열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67","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베트남에서 국제 협력의 장을 열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베카멕스 IDC, 스마트 기술교류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및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 행사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과 베카멕스 IDC(베트남 산업단지 및 신도시 개발공사)는 9월 26일(목) 베트남 빈증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력의 주요 내용에는 한국-베트남 간 스마트공장 프로젝트를 촉진하기 위한 협력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번 협약식에는 베트남 팜민찐 총리, 빈증성 정부 관계자 등이 참석하였다. < MOU> (협약기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KOSMO) - 베카멕스 IDC(Becamex IDC) (협약기간) 2024. 09. 26. ~ 2029. 09. 25. (5년간) (협약내용) 양국의 스마트화 및 제조혁신 지원을 위한 주요 분야 협력① 한국-베트남 양국 국제행사를 상호 지원을 위한 협력② 한국-베트남 간 기술, 정보, 인적 교류 활성화를 위한 협력③ 한국-베트남 간 스마트공장 프로젝트를 촉진하기 위한 협력□ 업무협약 체결식과 더불어, 추진단은 베트남 빈증에서 스마트공장 엑스포(‘24.9.25~9.27) 행사를 진행한다. ◦ 스마트공장 엑스포에서는 한-베트남 디지털 제조혁신 포럼, K-스마트제조혁신센터, 한국 기술 공급기업관 등을 운영한다. ◦ 이는 국내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의 베트남 진출 촉진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8월에 SATI와 추진단 간에 체결한 협력의향서(LOI, Letter of Intent)의 후속조치이다. □ 추진단은 한국 스마트공장의 정책·선도 기술·한-베트남 협력 우수사례 홍보를 위해 한-베트남 디지털 제조혁신 포럼을 25일 개최했다. ◦ 주요 연사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 한국의 대표 기술 공급기업인 ㈜에이비에이치 대표, ㈜조앤소프트 대표, ㈜임픽스 연구소장 등이 참여했다. □ 또한 추진단은 한국의 스마트공장 정책 및 사업을 홍보하기 위해 K-스마트제조 혁신센터를 구성하여 베트남의 스마트제조 추진을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 그 외에도 국내 혁신 기술 공급기업의 글로벌 진출 촉진 및 인지도 확보를 위해 37개의 공급기업이 부스 형태로 전시회에 참여하였으며, 현지기업과 수출상담회 등을 진행한다. ◦ 이는 한국의 스마트공장 최신 기술과 솔루션이 한 자리에 모이는 현장으로, 베트남 현지 산업에 매우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할 전망이다. □ 안광현 단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한-베트남 양국 간 스마트공장 프로젝트 촉진을 목적으로 상호 협력할 것”이며, “국내 우수한 기술 공급 기업이 베트남 시장에 진출하여 글로벌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하고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46","atchfileNm":"240927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베트남에서_국제_협력의_장을_열다!.pdf","viewCnt":"480","regDate":"2024-09-27 09:21:16"},{"contentId":"156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 백신·신약 개발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63","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 백신·신약 개발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23일(월) (재)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이사장 설대우, 이하 백신사업단)과 혁신 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MOU는 △백신ㆍ신약 개발 지원을 위한 정책 및 신규 사업 발굴 협력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백신·신약 개발사 및 연구자 교류 협력 △보유시설, 인적자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협력을 골자로 한다. ◦ 이번 협약으로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혁신 네트워크 구축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 한인석 추진단장은 “혁신 바이오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려면 관련 기관 간 협력 방안이 탄탄해야 하며 그 교류와 소통으로 의약바이오 산업의 발전을 앞당길 것”이라고 전했다. □ 백신사업단 설대우 이사장은 “재단은 글로벌 수준의 GMP(우수 제조관리 기준) 시설을 기반으로 바이오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양 기관의 협력을 통해 바이오기업이 신속히 백신과 신약을 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37","atchfileNm":"240924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_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_혁신_창업기업_발굴·육성을_위한_업무협약(MOU)_체결.pdf","viewCnt":"308","regDate":"2024-09-24 10:54:56"},{"contentId":"156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복지사각지대 해소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61","contentsKor":"TIPA,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복지사각지대 해소 나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과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위원장 임준오·신미경)가 9월 23일 반곡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지역사회 복지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복지자원 연계 및 지원,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등 지역 내 소외계층을 지원하고 지역과 상생하기 위한 복지사업을 추진하는데 힘을 모을 계획이다. ◦ 이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김영신 원장과 임직원들이 지역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생활필수품 등을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전달하는 기탁식도 함께 진행하였으며,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이를 취약계층 25가구에 전달할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앞으로 지역사회와 상생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해나가겠다“며 소감을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30","atchfileNm":"240923_보도자료_TIPA,_반곡동_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_복지사각지대_해소_나서!.pdf","viewCnt":"272","regDate":"2024-09-23 15:49:54"},{"contentId":"156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내 공급기업 해외진출 견인을 위한 한-페루 간 국제협력의 장을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52","contentsKor":"국내 공급기업 해외진출 견인을 위한 한-페루 간 국제협력의 장을 마련하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페루국립공대, 스마트 기술교류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및 기술교류 세미나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과 페루국립공과대학교(이하 UNI)는 9월 11일(수) UNI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양국 간의 스마트 기술교류 세미나를 개최했다. ◦ 안광현 단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한-페루 스마트팩토리 협력 로드맵을 설정하고 제조혁신 지원을 위한 스마트공장 ODA 사업과 양국 간 기술교류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상호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 협력의 주요 내용에는 페루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화 실증센터 구축과 현지 전문인력 육성 등 관련 지원 사업의 공동 추진이 포함되어 있으며, 자세한 세부사항은 향후 구체화할 계획이다. ◦ 이외에도 이번 협약식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이대희 실장의 축사와 페루 생산부 Cesar Manuel Qusipe Lujan 차관, UNI Pablo Alfonso Lopez Chau Nava 총장의 축사도 진행됐다. < MOU> (협약기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KOSMO) - 페루국립공과대학교(UNI) (협약기간) 2024. 09. 11. ~ 2029. 09. 10. (5년간) (협약내용) 양국의 스마트화 및 제조혁신 지원을 위해 주요분야 협력① 중장기 페루 스마트팩토리 로드맵 구축 ② 페루 맞춤형 스마트화 실증센터 구축 ③ 페루 기업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적용 지원 ④ 스마트팩토리 전문인력 양성교육 지원 ⑤ 페루의 스마트제조혁신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지원 등 □ 업무협약 체결식에 이어 한-페루 양국 간 공급·수요기술 현황공유 및 교류·협력 확대방안 모색을 위한 스마트 기술교류 세미나도 진행됐다. ◦ 이번 세미나는 ▲ 한국 스마트 제조혁신 조건, 발전 방향 및 기업현황 ▲ 페루 스마트 제조혁신 현황, 이슈 및 기업현황 등 양국의 전문가 발표로 이뤄졌다. ◦ 한국 전문가 발표는 한국자율제조플랫폼협회 이상호 협회장, 조현철 부회장 등 3인이 진행하고, 페루 전문가 발표는 UNI Arturo Talledo 부총장 등 8인이 진행했다. □ 이번 협력을 통해 추진단은 스마트 제조혁신 정책의 추진현황과 성과를 페루와 공유하고 국내 기술 공급기업의 페루 스마트공장 구축시장 진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UNI와 스마트 제조혁신에 대한 기술교류 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500","atchfileNm":"240913_보도자료_국내_공급기업_해외진출_견인을_위한_한-페루_간_국제협력의_장을_마련하다.hwp","viewCnt":"267","regDate":"2024-09-13 13:51:05"},{"contentId":"156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추석맞이 ‘살맛나는 전통시장 가는 날’ 캠페인 펼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49","contentsKor":"TIPA, 추석맞이 ‘살맛나는 전통시장 가는 날’ 캠페인 펼쳐! - 한과세트, 견과류와 한파 대비 이불 25개 세트, 반곡동 소외계층에 전달 - □ 추석 명절을 맞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 김영신 원장을 포함한 TIPA 임직원은 9월 11일(수)에 조치원 세종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 이날 TIPA 김영신 원장과 신입직원들은 명절 음식과 생활필수품, 장기 보관이 가능한 식품으로 구성된 물품들을 온누리 상품권으로 직접 구매한 후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전달한다. □ 또한, 전통시장 내 맛집을 찾아 신입직원들에게 지역 맛집을 소개하고 나누는 활동을 병행하여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의 의의를 더했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추석 명절을 맞아 지역 소외계층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게 되어 뜻깊게 생각하고, 앞으로 지역사회와 상생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해나가겠다“며 소감을 전했다. □ 한편, TIPA는 매년 전통시장을 찾아 활성화 캠페인을 펼치고 있으며, 이번 2024년 추석 명절에는 세종시 반곡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해 지역 소외계층에 물품을 전달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482","atchfileNm":"240912_TIPA,_추석맞이_‘살맛나는_전통시장_가는_날’_캠페인_펼쳐!.hwp","viewCnt":"243","regDate":"2024-09-12 10:41:21"},{"contentId":"156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의약바이오스타트업 정책 포럼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44","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의약바이오스타트업 정책 포럼 성료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와 MOU 체결을 통해 바이오벤처의 글로벌화 견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추진단)은 10일(화)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 의약바이오스타트업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 먼저 노형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가 ‘글로벌 허브로서 송도바이오클러스터와 K-바이오랩허브의 역할 및 글로벌 전략’을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 이어 조남훈 케이그라운드벤처스 대표가 ‘글로벌 바이오기업을 위한 정부 및 민간 자금조달정책’, 이원근 한국과학커뮤니케이션연구원 원장이 ‘글로벌화를 위한 의약바이오 정책 분석 및 개선방안’, 한균희 연세대학교 교육부 대학내 산학연협력단지 조성사업 부단장이 ‘글로벌 바이오특구로서의 인천시 강점 및 향후 전략 및 정책’을 각각 발표했다. ◦ 이어진 토론 시간에는 주영섭 서울대학교 특임교수를 좌장으로 의약바이오 종사자 등이 참여하여 바이오벤처의 글로벌화를 위한 정책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 포럼에 이어 추진단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는 의약바이오스타트업지원 프로그램 공동 개발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을 위한 상호 협력을 주제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MOU는 의약바이오 분야의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한 협업체계 구축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공동 개발 및 운영 △정보 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 △전문가컨설팅 그룹 공유 및 연계 지원을 골자로 한다. □ 한인석 단장은 “인천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여 스타트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함께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이한섭 센터장은 "인천은 이미 글로벌 바이오허브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인천이 세계적인 바이오 스타트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스타트업들이 성장하는 데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473","atchfileNm":"240911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의약바이오스타트업_정책_포럼_성료.pdf","viewCnt":"357","regDate":"2024-09-11 09:18:49"},{"contentId":"156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하나은행과 추석맞이 지역 행복더하기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43","contentsKor":"TIPA, 하나은행과 추석맞이 지역 행복더하기활동 나서! - 15종의 생활필수품이 담긴 행복상자 200개, 세종시사회복지협의회에 전달 - □ 민족 대명절 추석을 맞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TIPA) 김영신 원장을 포함한 TIPA 임직원은 9월 9일(월) 세종 본원에서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행복상자 만들기 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 이번 활동은 하나은행 이동열 충청영업그룹 부행장을 포함하여 하나은행 임직원이 함께 하였으며, 생활필수품과 장기 보관이 가능한 식품으로 구성된 물품 꾸러미를 만드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 이날 행사에서 TIPA와 하나은행 임직원은 즉석식품, 라면, 생필품 등 15종의 생활필수품을 담아 지역 취약계층의 행복한 명절나기를 위한 행복더하기상자 200개를 완성하였다. ◦ 완성된 200개의 행복더하기 상자는 TIPA 임직원의 마음을 담아 지역사회 취약계층을 위한 좋은 이웃들, 푸드뱅크사업 등을 운영하는 세종시사회복지협의회에 전달되었으며, 세종시 곳곳 이웃에 나눠질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추석 명절을 맞아 지역 소외계층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며 앞으로도 기관의 ESG실천과 지역상생을 위해 노력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되겠다“며 소감을 전했다. □ 한편, 하나은행은 작년 TIPA와 함께한 ESG 활동 이후 지속적인 상생가치 실현을 위해 이번 2024년 추석 명절에도 TIPA와 마음을 모은 활동을 함께하며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금융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469","atchfileNm":"240909_보도자료_TIPA,_하나은행과_추석맞이_지역_행복더하기활동_나서!.hwp","viewCnt":"194","regDate":"2024-09-10 13:37:33"},{"contentId":"156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유공자 포상 접수 개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36","contentsKor":"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유공자 포상 접수 개시 - 중기부 장관 표창 10점으로, 오는 9월 30일까지 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오는 9월 30일까지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유공자 포상” 신청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 TIPA는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에 대한 중소기업 및 수요처의 관심을 촉진하고,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2022년부터 포상을 시행해 왔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2002년부터 시행되어온 중소벤처기업부 대표 중소기업R&D지원사업으로서, 수요처 및 투자기업의 구매, 투자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포상의 훈격과 규모는 중기부 장관 표창으로 총 10점이다. 신청 분야는 ▲구매연계형 ▲공동투자형 2개 부문으로 진행되며,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은 물론 수요처 및 투자기업도 신청이 가능하다. □ 신청·접수는 공고문에 게시된 제출서류를 준비해 이메일(711@tipa.or.kr)로 접수하고,자세한 신청요건 및 절차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 또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알림마당에서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457","atchfileNm":"240904_보도자료_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_유공자_포상_접수_개시.pdf","viewCnt":"526","regDate":"2024-09-06 09:27:16"},{"contentId":"156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충청·강원권 소재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11","contentsKor":"TIPA, 충청·강원권 소재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 중소기업 R&D 자금예치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충청·강원권 소재 R&D 수행기업의 투자 유치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 중 충청·대전·세종, 강원 지역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자금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업을 다음 달 23일(월)까지 모집한다. ◦ 프로그램 참여 대상은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을 수행 중이거나 완료(성공)한 기업 중 충청·강원지역에 소재한 기업이다.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홈페이지 중소기업 기술 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TIPA는 9월 23일(월)까지 신청 기업 접수 후 요건 검토 절차를 거쳐 중소기업 R&D 전담은행인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에 추천할 예정이다. 이 후 전담은행은 추천 기업 서면 검토 후 약 20개 사 를 선발하여 11월 중 투자 설명회를 진행, 투자 관심 기업을 선 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투자 관심 기업 후속 미팅 및 별도의 투자심사 등을 거쳐 투자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 TIPA는 지난 2021년부터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R&D 수행기업 전용투자자금 마련 등 사업화를 위한 투자 유치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운영하고 있다. 특히, 기술력이 우수하지만 투자시장에서 소외되기 쉬운 비수도권 중소벤처기업 투자 촉진을 위한 투자 유망기업 발굴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TIPA는 올 한 해 4차례에 걸쳐 우수기업 및 비수도권 기업을대상으로 투자 유치 희망기업을 모집하고 지원하였으며, 이번에 모집하는 제5차 투자자금 지원 프로그램이 금년도 마지막 차수이다. □ 김영신 TIPA 원장은 “지난 4차례의 투자자금 지원 프로그램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심에 감사드린다”며, “TIPA는 내년에도 중소기업의 동반자로서 R&D를 수행한 기업에게투자자금 지원을 비롯하여 다양한 사업화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404","atchfileNm":"240828_보도자료_TIPA,_충청·강원권_소재_투자_유망_중소기업_발굴한다.hwpx","viewCnt":"312","regDate":"2024-08-28 09:52:09"},{"contentId":"156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KIMCo, 제약바이오 스타트업 발굴·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606","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 KIMCo, 제약바이오 스타트업 발굴·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20일(화) (재)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대표 허경화, 이하 KIMCo)와 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MOU는 △혁신 바이오기업 발굴 및 육성 △바이오헬스 융합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협력 △글로벌 컨퍼런스 및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한 프로그램 구축 △스타트업 바이오기업 혁신 촉진을 위한 공동의 R&D 연구 협력을 골자로 한다. ◦ 이번 협약으로 바이오 스타트업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생태계 혁신 주도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 한인석 추진단장은 “한국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여 창업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 KIMCo 허경화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혁신적인 바이오 창업기업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며, 바이오헬스 분야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385","atchfileNm":"240820_보도자료_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_–_KIMCo,_제약바이오_스타트업_발굴·육성을_위한_업무협약(MOU)_체결.pdf","viewCnt":"251","regDate":"2024-08-20 16:35:32"},{"contentId":"155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일·가정 양립 우수사례 수기공모전」 우수상 수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554","contentsKor":"TIPA, 「일·가정 양립 우수사례 수기공모전」 우수상 수상 임신, 출산, 양육으로 이어지는 생애주기별 가족친화 지원제도 운영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8월 6일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개최된 「2024년 일·가정 양립 제도 우수사례 수기공모전 시상식」에서 기업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금번 공모전은 출산·육아기에 활용할 수 있는 육아지원제도와 다양한유연근무 활용사례를 발굴·공유하여 일하는 부모의 양육부담을 완화하고 가정친화적 기업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에서 개최하였다. □ TIPA는 이번 공모전에 임직원의 임신, 출산 및 양육으로 이어지는 가족친화 생애주기별 지원제도 운영과 유연근무제도, ‘가족사랑의 날’ 운영 등으로 일‧가정 균형을 위한 기관의 노력을 담은 수기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 세부적으로 TIPA는 ▲난임치료가 필요한 직원에게 ‘난임휴가’, ▲임신 직원 대상 ‘모성보호휴가’, ▲출산 이후 ‘자동 육아휴직’ 등을 통해 생애주기별 지원으로 직원의 일․가정 양립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 ◦ 또한 정시퇴근 문화 안착을 위해 정시퇴근 독려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매주 수요일을 가족사랑의 날로 지정해 가족사랑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으며, 유연근무제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이 외에도 TIPA는 출산의 기쁨을 나누고자 ‘TIPA 베이비키트’(육아용품)를 제공하며, 부모의 건강증진이나 자녀양육에 필요한 물품 구매가 가능한 ‘출산 축하 복지포인트 제도’ 역시 좋은 평가를 받았다. □ 이번 수기에는 TIPA가 지난 6월 21일, 기관 최초로 임직원들의 자녀를 초대하는 ‘TIPA 패밀리데이’ 사례도 담겼다. 사례에는, 이 행사를 통해 TIPA 임직원 자녀가 부모님 일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유대감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는 참여 직원 후기도 포함됐다. ◦ 패밀리데이에 참여한 한 직원은 “기관이 다양한 방법으로 가족친화적직장문화 조성과 일‧가정 양립을 위해서 노력 중이라는 것을 몸소 느끼고 있다”라며 일․가정 양립 문화 조성을 위한 기관 차원의 노력을 체감함을 알렸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성별 구분 없이 자연스럽게 쓰는 육아휴직, 임신 직원이 눈치 보지 않고 쓸 수 있는 모성보호휴가 등 일‧가정 양립제도의 자연스러운 안착은 모두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인식개선의 결과”라며, ◦ “이번 수상은 일‧가정 양립 제도를 서로 이해해주는 우리임직원 모두의 노력이 인정받은 것이고, 앞으로도 다양한 일‧가정 양립 제도의 추진과 가정친화 문화 조성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2016년부터 가족친화기업인증을 받은 TIPA는 일‧가정 양립문화조성을 위해 이번 우수상 수상을 발판으로 제도 고도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322","atchfileNm":"240806_보도자료_TIPA,_일_가정_양립_우수사례_수기_공모전_우수상_수상.pdf","viewCnt":"348","regDate":"2024-08-06 20:04:25"},{"contentId":"155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 공모전 공동주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547","contentsKor":"TIPA, 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 공모전 공동주관 ESG 경영, 중소기업 R&D 성과확산을 위한 세종지역 4개 공공기관 힘 합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8월 1일부터 시작하는 ‘오래오래 지속가능한 세상, 55초 영상공모전’의 접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 이번 공모전은 시청자미디어재단이 주최하고 TIPA를 포함한 △세종경찰청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세종시청자미디어센터, 세종지역 4개 공공기관이 공동주관하며 △세종특별자치시청과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이 후원에 참가한다. 이번 공모전은 특별주제인 △저출산 극복을 위한 행복한 일터와 가정 아이디어 △ 17개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를 반영한 ESG경영 및 중소기업 R&D 성과확산 관련 2가지 주제로 운영된다. ◦ 공모전 참여 방법은 55초 내외의 관련 영상을 제작한 뒤 개인 유튜브채널에 업로드 하고, 주최기관 홈페이지 공고문에 게시된 신청서류를 작성한 후 참가 접수 링크를 통해 제출하면 된다. ◦ 이번 공모전은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일반부와 청소년부(2006년생 이하 출생자)로 나누어 9월 20일 자정까지 접수를 받는다. 응모작에 대해서는 최우수상 3작품*을 포함한 총 15 작품을 상을 시상할 예정이며 총 상금은 780만원 상당이다. □ 공모전에 선정된 작품에 대해서는 별도 시상식과 상영회가 진행될 예정이며, 이번 공모전 공동주관 기관 홍보채널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공유될 계획이다. 공모전 참가 관련 세부 문의는 세종시청자미디어센터 홈페이지(www.kcmf.or.kr/sejong) 또는 전화 ☎044) 860-8614 로 하면 된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이번 55초 영상 공모전을 통해 TIPA와 참여 기관의 ESG 경영 관련 아이디어 접수와 중소기업 R&D 성과 확산 채널 확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히며, 성공적인 공모전 운영과 우수작 선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316","atchfileNm":"240801_보도자료_TIPA,_오래오래_지속가능한_세상,_55초_영상_공모전_공동주관.pdf","viewCnt":"325","regDate":"2024-08-01 17:40:10"},{"contentId":"155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영남권 소재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515","contentsKor":"TIPA, 영남권 소재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 중소기업 R&D 자금예치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영남권 소재R&D 수행기업의 투자 유치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수행기업 중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지역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자금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업을 다음 달 2일(금)까지 모집한다. ◦ 프로그램 참여 대상은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수행 중이거나 완료(성공)한 기업 중 영남지역에 소재한기업이다.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홈페이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TIPA는 8월 2일(금)까지 신청 기업 접수 후 요건 검토 절차를 거쳐 중소기업 R&D 전담은행인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에 추천할예정이다. 이 후 전담은행은 추천 기업 서면 검토 후 약 20개 사를 선발하여 9월 중 투자 설명회를 진행, 투자 관심 기업을 선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투자 관심 기업 후속 미팅 및 별도의 투자심사 등을 거쳐 투자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 TIPA는 지난 2021년부터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R&D 수행기업 전용투자자금 마련 등 사업화를 위한 투자 유치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기술력이 우수하지만 투자시장에서소외되기 쉬운 비수도권 중소벤처기업 투자 촉진을 위한 투자 유망기업 발굴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동 프로그램을 통해 2023년 중소기업 R&D 전담은행(IBK기업·하나)은중소기업 R&D 수행기업에게 총 602억 원을 투자하였고, 그 중 영남권 소재 기업 7개 사에게 109.9억 원의 투자가 지원됐다. □ 김영신 TIPA 원장은 “위축된 투자시장 상황에서도 2024년 상반기에R&D 수행기업 중 32개 사가 약 665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라며, “TIPA는 올해 말까지 전담은행과협력하여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중소기업에게 800억 원 이상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271","atchfileNm":"240717_보도자료_TIPA,_영남권_소재_투자_유망_중소기업_발굴한다.pdf","viewCnt":"385","regDate":"2024-07-18 12:59:12"},{"contentId":"154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직원 가족 초청 프로그램 ‘TIPA 패밀리데이’ 열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43","contentsKor":"기정원, 직원 가족 초청 프로그램 ‘TIPA 패밀리데이’ 열어 직원과 가족, 지역어린이집 아동 등 총 221명 참여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6월 21일(금) 세종 본원에서 직원 및 가족 221명이 참여한 「2024년 TIPA 패밀리데이」 행사를 개최하였다. ◦ TIPA 패밀리데이는 직원들이 가족에게 본인의 일터를 소개하며 일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직원들은 사기 진작으로 소속감을 강화하는 차원으로 올해 최초로 개최된 행사이다. ◦ 이번 행사에는 직원들의 가족 외에도 자녀가 다니는 지역 어린이집아동과 선생님까지 참가하여 가족애를 높이는 동시에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기회도 마련하였다. □ 이번 행사 참가자들은 포토존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TIPA에서의 하루를 그림으로 그리는 등 모두가 다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 특히, TIPA 직원들의 자녀들에게는 엄마아빠의 사원증과 똑같이 생긴 명예사원증도 제공하여 참가자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 TIPA는 자녀가 있는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외에도 1인 가구, 비친족가구 등 임직원의 다양한 가족 형태를 존중 및 참여율 제고를 위해 해설이 있는 클래식 음악 교육도 개최하였다. 해당 프로그램 덕분에 기혼여부 및 자녀 유무에 상관 없이 패밀리 데이에 많은 직원이 참가할 수 있었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이번 행사는 임직원과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에감사한 마음을 전달하고 함께 소통하는 기회로써 마련하였다.”라며, “참여한 모든 직원과 그 가족, 지역사회 아동들에게 소중한 경험이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또한“무엇보다 TIPA는 일과 가정의 조화를 이루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가족 참여형 행사를 다양하게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 2016년부터 가족친화기업인증을 받은 TIPA는 앞으로도 다양한 가족친화적인 제도 운영을 통해 일‧가정 양립문화를 조성해나가고자 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70","atchfileNm":"240624_보도자료_기정원,_직원_가족_초청_프로그램_TIPA_패밀리데이_열어.pdf","viewCnt":"515","regDate":"2024-06-27 11:12:03"},{"contentId":"154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中企 R&D 수행 우수기업을 위한 투자유치 역량강화 프로그램 참여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42","contentsKor":"TIPA, 中企 R&D 수행 우수기업을 위한 투자유치 역량강화 프로그램 참여기업 모집 TIPA ValueUP 프로그램 16기 참여기업 모집 공고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 수행 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투자역량 강화 프로그램인 TIPA ValueUP 프로그램의 16기 참여기업을 7월 5일(금)까지 모집한다. ◦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의 민간 투자유치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지원하고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 이번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수행 중이거나 최근 5년 내에 완료(성공)한 기업은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며, 7월 5일(금) 14시까지 인터넷 홈페이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 TIPA ValueUP 16기는 투자전문가들의 평가를 통해 30개 내외 투자 유망기업을 선별할 예정이다. 올해에는 중소기업 R&D 우수 성과 50선 선정기업과 혁신성이 검증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에게는 서면평가를 면제해줌으로써, TIPA의 사업화지원 프로그램 간 연계 및 정책적 지원을 강화한다. □ TIPA ValueUP은 투자 및 기술사업화 전문가가 참여 기업의 내부 역량, 기술성, 시장성, 경영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는 투자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현직 투자심사역의 1:1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도 병행된다. 또한, 각 참여기업의 수요와 투자단계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큐레이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 이 외에도 IR자료 고도화, 피칭스킬 향상 교육, 희망 VC와의 심층 미팅, 월별 정기 투자설명회, 데모데이 및 투자자 네트워킹 등의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 TIPA는 ValueUP 프로그램 통해 2018년부터 현재까지 총 470개의 투자 유망기업을 발굴·육성하였으며, 특히 2023년 한 해 총 14개 기업이 196.5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 김영신 TIPA 원장은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사업화 성공을 위해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본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투자역량을 키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65","atchfileNm":"240621_보도자료_TIPA,_中企_RD_수행_우수기업을_위한_투자유치_역량강화_프로그램_참여기업_모집.pdf","viewCnt":"1618","regDate":"2024-06-24 14:28:19"},{"contentId":"154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호남·제주권역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37","contentsKor":"TIPA, 호남·제주권역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 중소기업 R&D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비수도권 소재 R&D 수행기업의 투자 유치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수행기업 중 전북·전남·광주·제주 지역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자금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업을 이번 달 28일(금)까지 모집한다. ◦ 프로그램 참여 대상은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 중이거나 완료(성공)한 기업 중 호남·제주지역에 소재한 기업이다.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홈페이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TIPA는 6월 28일(금)까지 신청 기업 접수 후 요건 검토 절차를 거쳐 중소기업 R&D 전담은행인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에 추천할 예정이다. 이후 전담은행은 자체 서면 검토 후 약 20개 사를 선발해 8월 중 투자설명회를 진행한다. 투자설명회를 통해 전담은행은 관심 기업을 선별할 계획이며, 후속 미팅 및 별도의 투자심사 등을 거쳐 투자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 TIPA는 지난 2021년부터 전담은행과 협력하여 R&D 수행기업 전용 투자자금 마련 등 사업화를 위한 투자 유치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기술력이 우수하지만 투자시장에서 소외되기 쉬운 비수도권 중소벤처기업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투자 유망기업 발굴도 나서고 있다. ◦ 동 프로그램을 통해 2023년 중소기업 R&D 전담은행(IBK기업·하나)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에게 총 602억 원을 투자하였다. 그 중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에게 140억 원을 지원하였고, 이번 프로그램 대상 지역 기업에는 10억 원을 투자 완료 했다. □ 김영신 TIPA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넘어, R&D 수행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라며, “특히, 지역균형 발전 및 원자력 발전, 탄소저감 등 핵심 기술분야 기업의 발굴·지원에 힘쓰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62","atchfileNm":"240620_보도자료_TIPA,_호남·제주권역_투자_유망_중소기업_발굴한다.pdf","viewCnt":"463","regDate":"2024-06-21 16:17:11"},{"contentId":"154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민이 제안하고, TIPA가 실천하는 2024년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34","contentsKor":"국민이 제안하고, TIPA가 실천하는 2024년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 개최 혁신·ESG·열린 경영 관련 아이디어 총 300만원 규모 시상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오는 7월 19 일 금요일까지 ‘2024년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한다. ◦ TIPA는 2020년도부터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기관 경영과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지원에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혁신에 앞장서고 있다. ◦ 올해, 5회를 맞는 이번 공모전은 기관의 경영전략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국민의 목소리가 경영에 직접 반영될 수 있도록 △혁신 경영 △ESG 경영 △열린 경영 총 3개 분야의 대국민 아이디어를 모집한다. ◦ 기관 경영에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TIPA홈페이지 및 상생누리 사이트에서 참가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성한 후, 상생누리 사이트(www.winwinnuri.or.kr)로 제출하면 된다. * 사이트 회원가입 후 로그인(개인 또는 기업) → [동반성장 프로그램] → [프로그램 검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검색 → ‘공모전’ 신청 버튼 □ 접수된 아이디어는 구체성, 업무부합성, 창의성, 실행가능성, 국민체감 성과창출 가능성 등의 기준으로 심사하며, 1차 전문가심사 및 2차 대국민 투표를 통한 최종 9작(대상 분야별 1작, 우수 3작, 장려 3작)의 혁신아이디어를 선정한다. 대상에는 50만원 상당 온누리상품권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 이번 공모전에서 선정된 우수 혁신아이디어는 내부 구체화 단계를 거쳐 경영혁신과제 반영 등 체계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고객의 경험에서 오는 참신한 아이디어는 기관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고객중심 서비스 혁신에 중요한 요소” 라며 “TIPA가 실천해주었으면 하는 다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58","atchfileNm":"240619_보도자료_국민이_제안하고,_TIPA가_실천하는_2024년_대국민_혁신아이디어_공모_개최.pdf","viewCnt":"455","regDate":"2024-06-19 15:51:13"},{"contentId":"154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 청렴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32","contentsKor":"TIPA, 윤리경영 청렴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 청렴자율 실천과제 38개 선도적으로 발굴해 연내 추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사적 차원의 ‘청렴자율 실천과제’를 발굴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 ‘24년도 ‘청렴자율 실천과제’로 4개 분야* 38개 과제가 발굴됐으며, TIPA 전체 부서가 참여해 연내 1개 이상의 실천과제를 전담하게 된다. *① 청렴교육(27건), ② 정보공개(4건), ③ 홍보활동(2건), ④ 기타활동(5건) ◦ 대표적으로 △중소기업 R&D사업 수행기관 및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담당자 청렴교육 실시, △법인카드 사용규정 준수를 통한 청렴실현, △청렴한 정보화 용역 사업 진행을 위한 평가위원 POOL 구성, △제재조치위원회 평가위원 청렴서약서 작성 등이 실천과제로 발굴됐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올해 청렴자율 실천과제 추진을 통해, 취약분야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정부패가 발생할 수 있는 제도나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TIPA는 2017년 국내 R&D전문기관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 ISO 37001 인증’을 획득하고, 지난 해 12월에는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운영지침에 따른 내부 심사 및 인증심사 절차를 통해 인증을 갱신하여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54","atchfileNm":"240617_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청렴실천_프로그램_전사적_가동.pdf","viewCnt":"415","regDate":"2024-06-18 15:12:16"},{"contentId":"154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테크노파크 역할 강화를 위한 간담회 성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24","contentsKor":"TIPA, 테크노파크 역할 강화를 위한 간담회 성료 TIPA, 순회 현장간담회를 통해 TP·중소기업 현장 목소리 청취-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지역혁신 거점기관인 테크노파크(이하 TP) 역할 강화를 위해 전국 19개 TP를 대상으로‘권역별 순회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 이번 간담회는 TIPA 김영신 원장 취임 이후 TP와의 첫 소통행보로, 지역혁신기관·중소기업 현장의 목소리 청취를 통해 지역특화산업 관련 제도와 정책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 김영신 원장은 지난 △3월 26일 영남권 TP 6곳(경남, 경북, 대구, 부산, 울산, 포항)을 시작으로 △4월 11일 충청·강원권 5곳(충남, 충북, 대전, 세종, 강원) △4월 23일 호남·제주권 4곳(전북, 전남, 광주, 제주) △6 월 11일 수도권 4곳(인천, 서울, 경기, 경기대진) 등 총 4개 권역, 19개 TP 원장단 간담회 및 현장 방문을 진행했다. ◦ TIPA는 그간 인구소멸 등 비수도권 지역 현안에 집중 대응해왔으나, 수도권 내 중소기업 지원 정책 마련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던 점을 고려하여 수도권 TP 간담회도 추진했다. □ 김영신 원장은 이번 TP원장단 간담회를 통해, 지역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지원을 위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책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 전국 TP의 공통적인 건의사항은 TP의 지역중소기업 지원기능 및 역할 강화를 위한 신규사업기획 및 예산확대였다. ‘23년 대비 R&D국비 예산축소에 따라, 지역별 주축산업 관련 기업 육성 및 성장 동력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책 구현을 요구했다. ◦ 또한,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시·도내 위기지역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역차별도 완화하여 수도권TP의 기능과 역할도 강화할 것을 요청했다. ◦ 이 외에도 △TP경영실적평가 절차의 효율화,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체계 개선, △중소기업연구인력지원사업 확대, △스마트공장구축사업 고도화, △글로벌 거점역할 강화 등의 건의가 이어졌다. ◦ 이번 간담회의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TIPA는 전국 TP와 지속적 협업체계를 마련하여, 그간 건의된 내용들을 종합 검토하여 실질적 대책 마련을 수립할 예정이다. □ 김영신 원장은 “지역 주력산업 혁신 및 일자리 창출기반 강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중소기업 혁신생태계 조성이 필수”라며, “지역산업육성의 거점기관인 TP가 지역성장의 중심축으로서, 지역혁신기관들의 역량을 결집하고 민관협업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42","atchfileNm":"240613_보도자료_TIPA,_테크노파크_역할_강화를_위한_간담회_성료(배포).pdf","viewCnt":"491","regDate":"2024-06-13 16:03:15"},{"contentId":"154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공영홈쇼핑 입점 돕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22","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공영홈쇼핑 입점 돕는다!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판매 촉진을 위해 공영홈쇼핑 입점 코칭 상담회(6.11~12)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공영홈쇼핑(대표이사 조성호)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참여한 41개 기업을 대상으로 '공영홈쇼핑 입점 코칭상담회'를 2024년 6월 11일부터 이틀간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담회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이 공영홈쇼핑에 입점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판매 촉진을 돕기 위해 마련되었다. □ 추진단은 이번 상담회를 통해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의 판로지원을 통해매출성과를 제고하고자 한다. 상담회는 공영홈쇼핑의 입점 절차와 요건을 이해하고, 전문가의 코칭을 통해 성공적인 입점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공영홈쇼핑 입점 절차와 요건에 대한 설명, 전문가와 1:1 맞춤형 상담을 통해 입점 전략을 수립하는 코칭 세션, 그리고 실제 입점 심사와 유사한 상황을 재현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실전 피칭 등이 포함된다.  ◦ 이번 상담회를 통해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참여기업들은 공영홈쇼핑에성공적으로 입점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 판매 촉진을 통해 사업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업 간의 정보 교류와 네트워킹을 통해 상호 협력과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전문가코칭 상담을 통해 소비시장 내 제품의 경쟁력을 파악하고 판로 확보를 위한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우수혁신제품을 발굴하여 방송매체 및 온라인 판로 진입을 위한 추가적인 지원도 제공될 예정이다.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이번 상담회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참여기업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공영홈쇼핑과의 협력을 통해 더 많은 중소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입점하여 판매를 확대하고, 나아가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추진단은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상담회는 그 일환으로,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여 공영홈쇼핑 입점을 통해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37","atchfileNm":"240611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공장_참여기업_공영홈쇼핑_입점_돕는다!.pdf","viewCnt":"512","regDate":"2024-06-12 09:46:10"},{"contentId":"154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전 직원 대상 ‘이해충돌방지법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19","contentsKor":"TIPA, 전 직원 대상‘이해충돌방지법 교육’실시 이해충돌방지법, 청탁금지법, 공직자 행동강령 등 중심으로 강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6월 4일(화) 본원 대회의실과 컨퍼런스홀에서 기관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2024년 이해충돌방지법」교육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번 교육은 TIPA 간부직 및 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공직자의 이해충돌 상황을 인식하는 민감성을 높이고, 갑질 행위 를 방지하며 청렴하고 공정한 직무수행을 위해 마련되었다. □ 이날 교육은 청렴인권연구소 김효광 청렴 전문 강사의 강의로 진 행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직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 해충돌 방지를 위한 10가지 행위기준 △이해충돌방지법 및 청탁금 지법 위반행위 △갑질 방지를 위한 공직자 행동강령 등이다. □ TIPA 김영신 원장은 “직원들의 청렴에 대한 의식과 감수성을 함양 할 수 있는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 교육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청탁금지법 및 이 해충돌방지법을 준수하며 사회적 책임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TIPA는 2017년 국내 R&D전문기관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 ISO 37001 인증’을 획득하고, 지난 해 12월에는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운영지침에 따른 내부 심사 및 인증심사 절차를 통해 인증을 갱신하여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129","atchfileNm":"240605_보도자료_TIPA,_전_직원_대상_이해충돌방지법_교육_실시.pdf","viewCnt":"404","regDate":"2024-06-10 17:36:10"},{"contentId":"154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성공모델 확산을 위해 공유의 장 열기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403","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성공모델 확산을 위해 공유의 장 열기로! 스마트공장 도입·공급기업 대상 우수사례 콘테스트 7월 3일까지 접수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참여한 도입기업(제조기업)과 공급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우수사례 콘테스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콘테스트는 스마트공장 도입 및 운영 사례를 공유하고 우수한 사례를 발굴하여 스마트 제조혁신의 성공모델을 확산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 추진단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의 성과를 홍보하고 기업 간 교류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이번 콘테스트를 기획했다. 선정된 기업에게는 포상 등을 부여하여 경영개선 성과를 확산시키고자 한다. 모집 대상은 2021년도 이후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서 성공 판정을 받은 과제의 참가기업으로, 도입기업과 공급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참여할 수 있다. ◦ 이번 콘테스트의 주된 목적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의 성과를 보다 널리 알리고, 기업 간의 성공적인 도입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상호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 제조혁신의성공 모델을 확산시키고, 다른 기업들이 이를 벤치마킹하여 더욱 효과적인 스마트공장 도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 ◦ 신청을 희망하는 기업은 6월 3일부터 7월 3일까지 접수 가능하며,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사이트(www.smart-factory.kr)을 통해 공고를 확인할 수 있다. 서류심사, 서면 평가 등을 통해 우수사례 공유 대상을 선정하고, 11월 중에 우수사례 공유의 장을 개최할예정이다. 해당일에는 우수사례 시상 및 발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최신 스마트팩토리 트렌드와 성공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 우수사례로 선정된 기업들에게는 해외 전시회 참여와 TIPAValue-up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선정기업들은 해외 전시회에 참가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또한, 투자 IR, VC 매칭, 멘토링, 네트워킹 등 다양한 TIPA Value-up 프로그램을통해 기업의 투자 역량을 강화하고, 스마트공장 전담은행(하나은행)의펀드 투자를 통해 추가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 추진단 안광현 단장은 "스마트공장 구축기업들이 이번 콘테스트를 통해 서로의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며, 스마트 제조혁신의 성공 모델을확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우수사례로 선정된 기업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혜택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스마트제조 혁신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추진단은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공장 도입기업 및 공급기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콘테스트를 통해 공급기업은 투자유치 및 해외 판로개척 기회 등을 지원받아 신기술 개발 등 기업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093","atchfileNm":"240603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제조혁신_성공_모델_확산을_위해_공유의_장_열기로!.pdf","viewCnt":"501","regDate":"2024-06-04 17:02:28"},{"contentId":"153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전담은행과 함께 중소벤처기업 투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341","contentsKor":"TIPA, R&D 전담은행과 함께 중소벤처기업 투자 지원 전략기술 분야 중소기업 대상 투자설명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5월 29일, 30일 양일간 서울 여의도 소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수도권평가실에서 ‘2024년 제2차 중소기업R&D 전담은행 투자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번 투자설명회는 TIPA가 중소기업 R&D 자금예치 전담은행인 IBK기업은행·하나은행과 함께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전담은행 투자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3년간(‘22~’24년) 총 2,600억원 투자 예정 ◦ 특히 이번 투자설명회는 12대 국가전략기술 및 중소벤처기업부 중점 지원 기술* 보유 기업 중 16개 유망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해당 기업들은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 투자담당자를 대상으로 대면 투자설명(IR)을 진행한다. 이후 투자담당자 관심 기업에 대해서는 후속 미팅 등을 통해 최종 투자 여부가 결정된다. *12대 국가전략기술 : ①반도체‧디스플레이, ②이차전지, ③ 첨단 모빌리티, ④차세대 원자력, ⑤첨단 바이오, ⑥우주항공‧해양, ⑦수소, ⑧사이버 보안, ⑨인공지능, ⑩차세대 통신, ⑪첨단 로봇 제조, ⑫양자 중소벤처기업부 중점 지원 기술 : 탄소저감 □ 김영신 원장은 “R&D를 수행한 우수 중소기업의 투자 유치를 위한 프로그램을 지속 운영하고 있으며, 전략기술을 보유한 우수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국가 R&D 경쟁력 향상이 기대된다.”고 말하며, “R&D 중소기업을 위한 전담은행의 노력에도 깊은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8030","atchfileNm":"240530_보도자료_TIPA,_RD_전담은행과_함께_중소벤처기업_투자_지원.pdf","viewCnt":"525","regDate":"2024-05-31 16:38:31"},{"contentId":"153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회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에서 대한민국 스마트공장 우수 성과 알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322","contentsKor":"제1회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에서 대한민국 스마트공장 우수 성과 알린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코엑스 업무 협약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과 코엑스는 5월 22일(수) 코엑스 스튜디오 159에서 ’제1회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 개최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 양 기관은 오는 9월 25일부터 3일 간 베트남 빈증무역센터 전시장 에서 열리는 ’제1회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의 성공적인 개최를 통한 우리나라 스마트공장 지원정책 사례 및 성과 공유, 스마트공장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진출을 견인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하였다. □ 제1회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에는 베트남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중소·중견 스마트공장 기술 공급기업 약 55개 기업이 추진단 지원을 통해 참가해, 기술 공급기업의 해외진출 교두보 마련에 나선다. ◦ 추진단은 베트남 진출을 희망하는 스마트공장 기술 공급기업을 대상으로 부스설치, 물류, 통역비 등 전시회 참가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 전시회 참여 기업 모집 기간은 오는 5월 22일부터 6월 28일까지이며,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automationworld.co.kr/fairDash.do)에서 공고 확인 및 지원할 수 있다. □ 추진단은 이번 엑스포에서 국내 중소·중견 기술 공급기업이 참여하는 ’K-스마트제조혁신 기술 공급기업관‘을 설치하고 스마트공장 구축 사례, 솔루션 소개 및 시연 등을 진행하여 국내 기술 공급기업의 베트남 스마트공장 구축시장 진출을 위한 토대를 지원한다. ◦ 그 외, 이번 엑스포에는 삼성, LG 등 유수의 현지 진출 대기업 협력사와 전시회 참여 기업 간의 1:1 비즈매칭을 포함한 수출상담회와 스마트제조혁신 포럼 등 다채로운 비즈니스 행사가 열려 국내외 업계 전문가들이 활발히 교류하는 네트워킹의 장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된다. □ 안광현 추진단장은 ’’베트남 시장에 진출하여 성과창출이 기대되는 국내 스마트공장 기술 공급기업을 선발하여 글로벌 비즈니스 영역을확장하고 성장을 지원할 것‘‘이며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스마트공장 추진에도 크게 기여할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 이동기 코엑스 사장은 “글로벌 생산 거점인 베트남의 적극적인 제조업 디지털화에 발맞춰 올해부터 베트남 스마트공장 엑스포를 개최하게 되었다”며 “코엑스의 해외 전시회 개최 노하우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의 베트남 진출을 위한 수출플랫폼으로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985","atchfileNm":"240522_보도자료_제1회_베트남_스마트공장_엑스포에서_대한민국_스마트공장_우수_성과_알린다(최종).pdf","viewCnt":"608","regDate":"2024-05-22 13:25:57"},{"contentId":"153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의약‧바이오 분야 미래 혁신 기업 육성을 위해 3개 기관 뭉쳤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305","contentsKor":"의약‧바이오 분야 미래 혁신 기업 육성을 위해 3개 기관 뭉쳤다.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ㆍ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ㆍ서울바이오허브, MOU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10일(금)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서울바이오허브와 우수 연구자‧ 전문가 활용 촉진 및 K-바이오랩허브의 안정적 추진과 상호 발전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MOU는 △글로벌 미래 혁신기업 육성을 위한 연계 △혁신 기술 보유 기업 연계에 관한 협력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한 의약‧바이오 혁신 생태계 구축 및 사업화 촉진 △바이오 기술창업 활성화 정책 발굴 및 스타트업 프로그램 협력 △의약‧바이오 벤처기업 지원프로그램 활용 및 개발 상호협력을 골자로 한다.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서울바이오허브는 의약‧바이오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하는 기관으로 이번 MOU를 통해 관련 분야 우수 연구자‧전문가 활용 등 다방면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 한인석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장은 “이번 MOU로 의약‧바이오산업 인프라 확대뿐만이 아닌 의약‧바이오 스타트업의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발판이 될것이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 이날 MOU에 참가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제진수 미래성장 이사는 “바이오산업체와 인력이 50%이상 밀집되어 있는 수도권이 협력하여 글로벌 혁신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해 적극 협력하면 대한민국 바이오 스타트업의 글로벌 혁신기업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말했다. □ MOU 협약 기관인 서울바이오허브 김현우 단장은 “세계 시장서 경쟁력 있는 스타트업을 지원하려면 바이오클러스터 스스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번 협력이 유니콘 바이오 스타트업을 길러내는 개방형 혁신 클러스터를 향한 첫걸음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945","atchfileNm":"240510_보도자료_의약ㆍ바이오_분야_미래_혁신_기업_육성을_위해_3개_기관_뭉쳤다_배포_(최종).hwp","viewCnt":"610","regDate":"2024-05-10 15:31:37"},{"contentId":"152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도 앞장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97","contentsKor":"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도 앞장서다 -김영신 원장,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 참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 김영신 원장은 5월 2일(목),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류광수 이사장님의 지명을 받아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은 2023년 8월 환경부가 시작한 캠페인으로 ‘일상에서의 플라스틱 사용 절감을 위한 범국민 실천 운동 제고’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은 중소벤처기업부 오영주 장관, 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 등이 동참했으며, 플라스틱 사용 절감의 중요성을 환기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 TIPA 김영신 원장도 이러한 취지에 적극 공감하며, 이번 캠페인에 참가했다. 김영신 원장은 “플라스틱 사용 절감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시대다.”라고 밝히며, “기관의 대내외 행사 및 업무에 플라스틱 줄이기에 적극적으로 나서, 공공기관으로서의 ESG경영을 실천하는 TIPA임직원이 되겠다.”고 말하며 이번 캠페인 소감을 밝혔다. ◦ 김영신 원장은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 후속 주자로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이상훈 회장과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박승기 원장을 지목해 캠페인을 이어 나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920","atchfileNm":"240503_보도자료_플라스틱_줄이기,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도_앞장서다.pdf","viewCnt":"551","regDate":"2024-05-03 16:17:07"},{"contentId":"152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혁신센터 4곳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94","contentsKor":"중소기업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혁신센터 4곳 선정 ‘24년도 「중소기업 연구인력 현장맞춤형 양성지원사업」 연구인력혁신센터(R&D Brain Care Center) 4곳 최종 선정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기정원)은 지난 4월 중소기업 연구인력 현장맞춤형 양성을 위해 올해 48.3억 원을 시작으로 최대 3 년간 총 144.9억 원을 지원하는 연구인력혁신센터(R&D Brain Care Center) 4개 기관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연구인력 현장맞춤형 양성지원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기정원이 전담하는 사업으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연구인력을 핵심R&D인력으로 양성하여 기업과 인력이 ‘함께 성장’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이다. 선정된 전북대학교, 호서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는 중소기업의 연구인력 양성 및 공급을 위하여 기술애로 해결 및 연구인력 수요를 기반으로 중소기업과 연구인력을 매칭하고, 현장맞춤형 단계별프로그램 운영, 채용연계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또 연구인력혁신센터(R&D Brain Care Center)는 매년 400여명의 예비연구자와 160여명의 신진연구자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연구장비, 입주시설, 기술지도 등 센터만의 특화된 연구 인프라와 연계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제고에 기여할 계획이다. 기정원 오주환 본부장은 ”디지털 경제 전환 등 기업의 기술‧경영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기술혁신의 핵심은 전문 연구인력“이라며, ”이 사업을 통해 연구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기술혁신의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915","atchfileNm":"240430_중소기업_연구인력_양성을_위한_혁신센터_4곳_선정_지역정책기획실.pdf","viewCnt":"665","regDate":"2024-05-02 19:25:29"},{"contentId":"152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바이오헬스 연구 강원 지역 거점 마련을 위한 노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69","contentsKor":"바이오헬스 연구 강원 지역 거점 마련을 위한 노력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한림대학교 업무협약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지난 17일(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한림대학교 산학협력관에서 한림대학교와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 일 발표했다. ◦ 이번 한림대학교와 업무협약은 광역을 아우르는 전국적 네트워크 구축과 한국형 K-바이오랩허브사업 안착을 위한 성장과 발전의 발판 마련을 위해 추진됐다. □ 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K-바이오랩허브 사업의 추진 및 기획 사항 △바이오 분야의 교과과정 개발과 취업 및 기술 정보 교환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협의했다. □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한인석 단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의과대학을 포함해 생명과학분야의 우수한 인력과 인프라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한림대와 산·학·연·병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성과 창출에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한림대 최양희 총장은 “한림대는 K-바이오랩허브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지-산-학을 연계한 공유 협업에 강점을 활용, 바이오, 신약, 의료 등 관련 분야에서 한림대가 강원지역 거점으로 발전하는 좋은 계기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856","atchfileNm":"240419_보도자료_바이오헬스_연구_강원_지역_거점_마련을_위한_노력.pdf","viewCnt":"589","regDate":"2024-04-19 14:42:33"},{"contentId":"152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스마트공장 교육협력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66","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스마트공장 교육협력을 위한 MOU 체결 - 중소·중견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운영 협업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18일 세종에 소재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본원에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과 스마트공장 교육과정 운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이번 추진단-중진공 간의 교육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은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문성을 갖춘 기업을 육성하여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체결 됐다. ◦ 주요 협약 내용으로 추진단은 제조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경쟁력 제고 목적의 사업기획 및 우수기업 발굴 등을 지원하고, 중진공은 스마트공장 사업에 선정된 기업에 대해 체계적인 사업운영교육과 기술교육 진행 등이 포함됐다. ◦ 이날 협약식에는 추진단 안광현 단장, 중진공 조한교 인력성장 이사 등 관계자 10명이 참석하여,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이해도 향상과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심도있는 논의도 함께 진행되었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추진되는 스마트공장 교육과정은 사업관리교육, 기술교육, 전문가교육의 3가지 과정으로 진행된다. ◦ 사업관리교육은 스마트공장 선정기업 대상으로 진행되며, 사업 전반의 수행방법과 지침, 규정, 유의사항 등을 교육 예정이다. ◦ 기술교육은 스마트공장에 대한 전문적 기술역량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으로 스마트공장의 운영관리와 현장적용방법 등을 구축 수준별로 맞춤 교육을 진행한다. ◦ 전문가교육은 스마트공장 전문가가 구축기업의 활용현황 진단, 애로사항 해결, 고도화 기획지원 등 수요 맞춤형 컨설팅을 위한 전문가 역량강화 교육이다. □ 한편, 추진단은 ’14년부터 ’22년까지 3만개 스마트공장의 구축 하였으며, 지역·민간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27년까지 디지털 제조혁신기업 2.5만개 육성을 추진 중에 있다. ◦ 올해에는 AI·디지털트윈 기반의 ‘자율형공장’과 데이터 상호연결을 통한 시너지를 창출하는 ‘디지털협업공장’ 등 선도모델을 제시하는고도화 기업 육성을 중점 추진 중이다. □ 안광현 추진단장은 “스마트공장의 성공적 구축을 위해서는 ‘스마트공장에 대한 이해’, ‘기술역량을 갖춘 전문인력’, ‘기업에 맞는 전문가컨설팅’ 3가지 요소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며 “스마트공장 사업의 내실화와 제조업의 역량강화를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853","atchfileNm":"240418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_스마트공장_교육협업을_위한_MOU_체결.pdf","viewCnt":"618","regDate":"2024-04-18 15:52:09"},{"contentId":"152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 '최우수 등급' 달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65","contentsKor":"TIPA, ‘ ’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 최우수 등급 달성 -다각적인 동반성장 활동 작년 대비 단계 상승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 김영신 이하 TIPA) 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3년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 에서 최우수 등급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2023년도 평가 기관은 총 134개로 기관별 동반성장 추진 실적 및 협력 업체 대상 체감도 조사결과를 합산하여 5가지 등급 으로 평가됐다. TIPA는 지난 2020년부터 동반성장 평가 기관으로 지정 4년 만에 최우수 등급을 달성했다. 지난해 양호 등급에서 2단계 상승했다. TIPA는 동반성장 관련 주요 활동으로 협력사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사업화 자금 지원, 협력사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부처 협업형 스마트공장 사업 추진, 공정거래질서 확립을 위한 납품 대금 연동제 동행기업 신청 및 상생결제 이용 활성화 노력 등 다 방면으로 동반성장 생태계 확대에 주력했다. TIPA 김영신 원장은 이번 최우수 등급 달성은 우리 원의 지속적인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력과 중소기업과의 협력에 대한 성과 라고 밝히며 앞으로도 는 중소벤처기업의 동반성장 파트너로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공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 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851","atchfileNm":"240417_보도자료_TIPA,_공공기관_동반성장_평가_최우수_등급_달성.pdf","viewCnt":"575","regDate":"2024-04-18 15:48:16"},{"contentId":"152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한-독 디지털 제조혁신 컨퍼런스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37","contentsKor":"한-독 디지털 제조혁신 컨퍼런스 개최 - 글로벌 제조데이터 표준화 동향 및 환경 규제 대응 등 사례 공유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추진단)은 3월 27일(수) ‘한-독 디지털 제조혁신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 ’한-독 디지털 제조혁신 컨퍼런스‘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한 ’2024년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제 8회)‘에 추진단이 공동 주관사로 참여하면서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로 열렸다. ◦ 안광현 단장은 이번 컨퍼런스가 “한국과 독일 전문가가 참여해 제조업의기업환경 변화와 디지털 제조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글로벌 제조데이터 표준화 동향 및 환경규제 대응 사례 공유 및 확산”을 목적으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 한-독 디지털 제조혁신 컨퍼런스 개요 >  (일시/장소) ‘24. 3. 27(수) 14:30~17:30,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 300호  (참석자) 독일 제조혁신 협단체, 중기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및 산학연 등 100인내외  (주요내용) 글로벌 제조데이터 표준화 동향 및 환경규제 대응 등 사례 공유 □ 이번 컨퍼런스는 ▲ 디지털 제조혁신 트렌드, ▲ 글로벌 제조데이터 표준화, ▲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등 3개 분야 관련 전문가 발표로 이뤄졌다. ◦ 독일 전문가로는 IM-X*의 Thomas Hahn 의장, LNI4.0**의 DominikRohmus 연구소장, VDMA***의 Reinhard Heister 전무이사 등 3인이 발표를 진행했다. 한국 전문가는 안광현 추진단장을 비롯해 KPC 이정철팀장, 경남대 유남현 교수, KAIST 장영재 교수 등 7인이 관련 주제 발표에 나섰다. *IM-X : 국제 메뉴펙처링 X 협회(International Manufacturing-X Council) ** LNI 4.0 : Labs Network Industrie 4.0 *** VDMA : 독일 기계공업협회(Verband Deutscher Maschinen- und Anlagenbau) ◦ 이외에도 이번 컨퍼런스에는 중소벤처기업부 김우중 국장의 환영사와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BMWK)의 Markus Hess 국장의 비대면(영상) 축사가 진행됐다. □ 추진단은 이번 포럼 전에도 2020년부터 한국과 독일 전문가가 참여하는 제조혁신 및 제조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관련 주제로 총 3회 진행된 포럼은 제조데이터 표준 등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 창출에 밑거름이됐다. ◦ 앞으로도 추진단은 디지털 제조혁신에 대한 글로벌 협력사업과 활동을지속적으로 강화하고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KOSMO)은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제조혁신 지원과제조데이터 활용 촉진 등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제조혁신 추진·전문기관입니다. 한·독 민간 차원의 스마트제조 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과 LNI4.0은 ‘20년 12월 MOU 체결 및 ’23년 11월 MOU 갱신을 통해 국제표준(AAS) 개발, 디지털전환 플랫폼 협력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781","atchfileNm":"240327_보도자료_한-독_디지털_제조혁신_컨퍼런스_개최_배포.pdf","viewCnt":"757","regDate":"2024-03-27 12:53:21"},{"contentId":"152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인하공업전문대학 업무협약(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222","contentsKor":"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인하공업전문대학 업무협약(MOU)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단장 한인석, 이하 추진단)은 15일(금) 인하공업전문대학과의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발표했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추진단은 인하공업전문대학과 한국형 K-바이오랩허브 사업 안착 및 인력 양성을 위한 사업 추진 및 학생의 취업 정보 교환 및 교육 등에 관한 상생 협력을 추진한다. □ 협약식에는 K-바이오랩허브 추진단 한인석 단장, 인하공업전문대학 김성찬 총장을 비롯한 관계자 13명이 참석하여, 상생협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도 함께 진행했다. □ 추진단 한인석 단장은 이번 인하공업전문대학과의 협약으로 “미래 핵심 분야인 의약 바이오 산업의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산·학·연·병 협력 네트워크 및 인프라 구축의 선순환적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746","atchfileNm":"240319_보도자료_K-바이오_랩허브_사업추진단x인하공업전문대학_업무_협약_체결.pdf","viewCnt":"620","regDate":"2024-03-19 20:09:38"},{"contentId":"151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 5년 연속‘우수’등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190","contentsKor":"TIPA,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 5년 연속‘우수’등급 -99.47점으로 전체기관 평균 63.1점 대비 탁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김영신, 이하 TIPA)은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23년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에서 5년 연속으로 최고 등급인 ’우수‘ 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점검 평가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행정기관,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등 총 696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관리체계, △개방, △활용, △품질 등 네 가지 영역을 평가한다. □ TIPA는 대국민 대상 고품질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을 위해 △공공데이터 관리체계 마련, △직원 대상 공공데이터 교육 확대, △대국민 데이터 개방수요 발굴, △체계적 데이터 품질관리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 사용자의 공공데이터 활용 편의성을 위해 제공 데이터의 오픈 포맷 비중을 99%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공공데이터 담당자 지정을 통해 최신화 및 오류 신고에 대해 적기 처리를 준수하고 있다. ◦ 또한, 품질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관리체계와 데이터 값 관리 평가지표에서도 우수한 점수를 달성했다.  □ 80점 이상이면 ’우수‘ 등급을 받는 이번 평가에서 TIPA는 99.47점을 획득했으며, 이는 전체 696개 기관의 평균 점수 63.1점을 월등히 상회하는 점수이다. □ 김영신 원장은 "공공데이터의 적극적 개방과 활용을 통해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을 선도하고,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고품질의 데이터를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사회와 경제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 또한 "우리 기관은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품질 관리에 더욱 집중해, 데이터를 통한 신규 가치 창출과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682","atchfileNm":"240308_보도자료_TIPA,_공공데이터_제공운영_실태평가_5년_연속‘우수’등급.pdf","viewCnt":"760","regDate":"2024-03-07 18:33:30"},{"contentId":"151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LG전자 디지털전환 지원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189","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LG전자 디지털전환 지원 위한 MOU 체결 - 상생협력기반 제조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DX)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추진단)은 6일 추진단에서 LG전자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추진단은 중소·중견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상생협력 기반의 사업기획·실행계획 수립 등을 지원하고, LG전자는 중소·중견기업의 제조현장 기술지원을 통해 산업전반의 제조경쟁력향상과 협력사 참여확대를 통한 상생협력을 추진한다. □ 협약식에는 추진단 안광현 단장, LG전자 김병수 동반성장담당 등 관계자 10명이 참석하여, 지역 산업기술 고도화 및 신성장산업 육성등의 지원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도 함께 진행되었다. ◦ LG전자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에참여하여, ‘19년~’22년까지 100억원을 출연하여 186개사 중소기업의디지털 제조혁신을 지원하였으며 ’23년도부터 ’27년까지 125억을 추가로 출연하여 상생협업기반의 제조생태계 구축을 선도하고 있다.  □ 안광현 단장은 “제조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DX)을 위해서는 대·중소기업 간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대기업의 제조기술노하우 전수뿐만 아니라 네트워킹을 활용하여 판로개척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680","atchfileNm":"240306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LG전자_디지털전환_지원을_위한_MOU_체결_배포.pdf","viewCnt":"665","regDate":"2024-03-07 18:29:44"},{"contentId":"151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평가 2년 연속 ‘우수’ 등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149","contentsKor":"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평가에서  평가 최고 등급인 우수등급을 획득한 TIPA 평가 결과에 대한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608","atchfileNm":"240220_보도자료_TIPA,_데이터기반행정_실태점검_평가_2년_연속_‘우수’_등급.pdf","viewCnt":"663","regDate":"2024-02-20 10:01:37"},{"contentId":"151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벤처기업 IP역량 강화를 위해 KIPRO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15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한국특허기술진흥원의 업무협약에 대한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610","atchfileNm":"240219_보도자료_기정원,_중소벤처기업_IP역량_강화를_위해_KIPRO와_업무협약_체결★.pdf","viewCnt":"570","regDate":"2024-02-19 10:03:34"},{"contentId":"151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K-바이오랩허브사업추진단 한인석 단장 임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118","contentsKor":"TIPA의 한시 조직으로 출범한 K-바이오 랩허브 사업추진단 초대 단장 임명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553","atchfileNm":"240205_보도자료__TIPA,_K-바이오_랩허브_사업추진단_한인석_단장_임명.pdf","viewCnt":"811","regDate":"2024-02-05 09:34:37"},{"contentId":"150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하나은행과 함께 한파를 이겨낼 지역상생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98","contentsKor":"TIPA에서 하나은행과 함께 진행한 지역상생활동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507","atchfileNm":"240129_보도자료_TIPA,_하나은행과_함께_한파를_이겨낼_지역상생활동_나서!★.pdf","viewCnt":"825","regDate":"2024-01-29 13:03:32"},{"contentId":"150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전문기관 최초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갱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99","contentsKor":"R&D 전문기관 최초, TIPA의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갱신 내용의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509","atchfileNm":"240116_보도자료_TIPA,_RD_전문기관_최초_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_37001_인증_갱신★★.pdf","viewCnt":"786","regDate":"2024-01-16 13:04:41"},{"contentId":"150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국립대전현충원 참배...“현장의 목소리 경청할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7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현충원 참배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56","atchfileNm":"240104_보도자료_TIPA,_국립대전현충원_참배...“현장의_목소리_경청할_것”★★.pdf","viewCnt":"753","regDate":"2024-01-04 16:07:04"},{"contentId":"150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EIT-IITP, 국제협력 활성화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7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58","atchfileNm":"231228_보도자료_TIPA-KEIT-IITP,_국제협력_활성화_위한_다자간_업무협약_체결★.pdf","viewCnt":"755","regDate":"2023-12-28 16:09:16"},{"contentId":"150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지역사회와 동행하는 TIPA, 따뜻한 식사 나눔 실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7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지역소외계층 대상 식사권 기부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60","atchfileNm":"231226_보도자료_지역사회와_동행하는_TIPA,_따뜻한_식사_나눔_실천.pdf","viewCnt":"611","regDate":"2023-12-26 16:10:08"},{"contentId":"150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의 따뜻한 동행, 4년 연속 지역사회로부터 인정받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59","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4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승인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34","atchfileNm":"231221_보도자료_TIPA의_따뜻한_동행,_4년_연속_지역사회로부터_인정받아.pdf","viewCnt":"598","regDate":"2023-12-21 15:35:28"},{"contentId":"150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눈꽃 동행축제와 함께 40℃ 온기나눔 온열기구 기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5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진행한 기부행사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32","atchfileNm":"231218_TIPA,_눈꽃_동행축제와_함께_40℃_온기나눔_온열기구_기부.hwp","viewCnt":"556","regDate":"2023-12-18 11:34:49"},{"contentId":"150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하나은행,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지원 위해 하나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57","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에서 하나은행과 체결한 전담은행 업무협약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30","atchfileNm":"231215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하나은행,_중소기업_스마트제조혁신_지원_위해_하나로!★.hwp","viewCnt":"594","regDate":"2023-12-15 12:33:49"},{"contentId":"150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온 국민과 온기를 나누기 위한 헌혈 캠페인 동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53","contentsKor":"TIPA에서 개최한 '헌혈 캠페인'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24","atchfileNm":"231211_보도자료_TIPA,_온_국민과_온기를_나누기_위한_헌혈_캠페인_동참.hwp","viewCnt":"536","regDate":"2023-12-11 11:16:09"},{"contentId":"150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판소리와 샌드아트 공연으로 청렴 의식을 함양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51","contentsKor":"TIPA에서 개최한 청렴 교육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22","atchfileNm":"20231204_(보도자료)_TIPA,_판소리와_샌드아트_공연으로_청렴_의식을_함양하다.hwpx","viewCnt":"533","regDate":"2023-12-04 10:15:36"},{"contentId":"150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기관 혁신은 국민의 아이디어로부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43","contentsKor":"TIPA에서 개최한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 결과'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406","atchfileNm":"231128_보도자료_TIPA,_기관_혁신은_국민의_아이디어로부터.hwp","viewCnt":"677","regDate":"2023-11-28 09:48:34"},{"contentId":"150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트렌드코리아2024 특강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40","contentsKor":"TIPA에서 개최한 트렌드코리아 2024 특강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98","atchfileNm":"보도자료_TIPA_지역주민과_함께하는_트렌드코리아2024_특강개최_231123.pdf","viewCnt":"686","regDate":"2023-11-23 11:18:24"},{"contentId":"150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 정착 위해 전직원 동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39","contentsKor":"TIPA의 윤리경영 정착 위해 전직원이 동참하여 추진하는 청렴자율 실천과제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96","atchfileNm":"231116_(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정착_위해_전직원_동참★.hwp","viewCnt":"511","regDate":"2023-11-16 08:17:07"},{"contentId":"150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제5회 스마트공장·생산자동화전 행사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5017","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기관으로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고도화를 지원하는 기관입니다. 추진단에서 참가하는 제5회 스마트공장·생산자동화전 행사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69","atchfileNm":"231108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제5회_스마트공장·생산자동화전_행사_참가★.pdf","viewCnt":"638","regDate":"2023-11-08 11:31:00"},{"contentId":"149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민이 제안하고, TIPA가 실천하는 2023 TIPA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62","contentsKor":"TIPA에서 진행 중인 2023 TIPA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관련 보도자료입니다.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TIPA 혁신아이디어 공모 내용으로 신청, 접수는 10월 31일까지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45","atchfileNm":"보도자료_국민이_제안하고,_TIPA가_실천하는_2023_TIPA_대국민_혁신아이디어_공모전_개최_231006(배포).pdf","viewCnt":"794","regDate":"2023-10-06 09:50:51"},{"contentId":"149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대기업 상생 협력을 위한 연구개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64","contentsKor":"TIPA에서 진행한 2023년 구매조건부 상생협력기반 혁신형 도전과제 공고 관련 보도자료입니다.수요처의 기술개발 제안과제를 중소기업이 개발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신청, 접수는 9월 27일부터 10월 26일까지 진행 중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4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대기업_상생_협력을_위한_연구개발_지원_231004.pdf","viewCnt":"1059","regDate":"2023-10-05 09:32:24"},{"contentId":"149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추석 선물 행복상자 기부로 지역사회와 동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43","contentsKor":"TIPA에서 진행한  TIPA*하나은행 행복상자 나눔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TIPA와 하나은행은 추석 명절 맞이 이웃 돕기 활동 일환으로  TIPA R&D 지원사업 참여 우수제품, 전통시장 구매 물품을 활용해 명절 선물상자를 만들어 기부했습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00","atchfileNm":"보도자료_TIPA_추석_선물_행복상자_기부로_지역사회와_동행_230926(배포).pdf","viewCnt":"718","regDate":"2023-09-26 09:55:58"},{"contentId":"149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임직원 전통시장 氣 살리기 동행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40","contentsKor":"TIPA에서 진행한 전통시장 氣 살리기 동행 캠페인 행사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세종 대표 전통시장인 조치원 시장을 통해 추석맞이 이웃나눔 활동 물품을 구매하는 등  전통시장 활용과 기업의 사회적 가치 나눔 활동을 결합한 캠페인 이었습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95","atchfileNm":"230920_(보도자료)_TIPA_임직원_전통시장_氣_살리기_동행.pdf","viewCnt":"755","regDate":"2023-09-20 18:48:17"},{"contentId":"149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UN산업개발기구 및 인도, 필리핀 정부 관계자에게 스마트공장 선진사례 선보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39","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TIPA 부설기관으로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고도화를 지원하는 기관입니다.  추진단에서 진행한 개발도상국 정부 관계자 대상 스마트공장 현장 방문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93","atchfileNm":"230914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UN산업개발기구_및_인도,_필리핀_정부_관계자에게_스마트공장_선진사례_선보여.pdf","viewCnt":"733","regDate":"2023-09-14 17:46:27"},{"contentId":"149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혁신 선도기업 역량 강화 아카데미 성황리에 마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29","contentsKor":"TIPA에서 진행한   지역혁신 선도기업 역량 강화 아카데미 행사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지역 대표기업의 자긍심 고취 등을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맞춤형 강연을 제공한 올해 마지막 행사였습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75","atchfileNm":"230914_(보도자료)_TIPA,_지역혁신_선도기업_역량_강화_아카데미_성황리에_마쳐.pdf","viewCnt":"651","regDate":"2023-09-14 15:13:07"},{"contentId":"149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8대 김영신 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92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8대 김영신 원장 취임 관련 보도자료를 공유드립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50","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제8대_김영신_원장_취임_230901.pdf","viewCnt":"1032","regDate":"2023-09-01 15:12:48"},{"contentId":"148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中企R&D사업비 집행 애로 해결에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74","contentsKor":"TIPA는 중소기업 R&D지원사업 수행기관(기업)을 위해 `20년부터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2023년 하반기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 관련 보도자료를 공유드립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98","atchfileNm":"보도자료_TIPA,中企RD사업비_집행_애로_해결에_나선다_230821..pdf","viewCnt":"993","regDate":"2023-08-21 11:08:26"},{"contentId":"148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동남·대경권 소재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73","contentsKor":"TIPA는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지원을 위해 `21년부터 3년 간 1,300억원의 투자 자금을 마련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올해 마지막 투자 유망기업 모집  관련 보도자료를 공유드립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96","atchfileNm":"20230816_(보도자료)_TIPA,_동남·대경권_소재_투자_유망_중소기업_발굴.pdf","viewCnt":"711","regDate":"2023-08-16 11:06:48"},{"contentId":"148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기R&D 수행 우수기업을 위한 투자역량 강화 프로그램 참여기업 올해 마지막 선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64","contentsKor":"'TIPA ValueUP 프로그램 14기 참여기업 모집'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87","atchfileNm":"20230808_(보도자료)_TIPA,_중기RD_수행_우수기업을_위한_투자역량_강화_프로그램_참여기업_올해_마지막_선발.pdf","viewCnt":"830","regDate":"2023-08-08 10:53:14"},{"contentId":"148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핵심미션을 통한 도전적 R&D 확산에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59","contentsKor":"'`23년 기술혁신개발사업 후불형 R&D 추진'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77","atchfileNm":"20230807_(보도자료)_TIPA,_핵심미션을_통한_도전적_RD_확산에_나선다.hwp","viewCnt":"951","regDate":"2023-08-07 09:36:01"},{"contentId":"148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사우디 NIPST Team, 중소기업 R&D지원정책 벤치마킹을 위해 TIPA에 방문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58","contentsKor":" '사우디 NIPST Team의 중소기업 R&D지원정책 벤치마킹 위한 TIPA 방문' 관련 보도자료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75","atchfileNm":"20230803_(보도자료)_사우디_NIPST_Team,_중소기업_RD지원정책_벤치마킹을_위해_TIPA에_방문하다!.hwp","viewCnt":"726","regDate":"2023-08-03 09:34:32"},{"contentId":"148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상공인 디지털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및 실증 지원, 소상공인 스마트기술 육성 R&D 사업 공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807","contentsKor":" '소상공인 디지털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및 실증 지원, 소상공인 스마트기술 육성 R&D 사업 공모'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21","atchfileNm":"20230724_(보도자료)_소상공인_디지털전환을_위한_기술개발_및_실증_지원,_소상공인_스마트기술_육성_RD_사업_공모.pdf","viewCnt":"927","regDate":"2023-07-24 17:28:46"},{"contentId":"147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공장 구축자금대출 총 5,000억원으로 확대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97","contentsKor":" '스마트공장 구축자금대출 총 5,000억원으로 확대 운영'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01","atchfileNm":"20230719_(보도자료)_스마트공장_구축자금대출_총_5,000억원으로_확대_운영(배포★).pdf","viewCnt":"1050","regDate":"2023-07-19 13:44:43"},{"contentId":"147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민 체감 분야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해 5개 부처가 뭉쳤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95","contentsKor":" '국민 체감 분야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해 5개 부처가 뭉쳤다'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97","atchfileNm":"20230717_(보도자료)_국민_체감_분야_중소기업_디지털_전환을_위해_5개_부처가_뭉쳤다(배포).pdf","viewCnt":"849","regDate":"2023-07-18 09:08:44"},{"contentId":"147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혁신 선도기업에 수출, 경영전략 등 노하우 전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90","contentsKor":" 'TIPA, 지역혁신 선도기업에 수출, 경영전략 등 노하우 전수'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92","atchfileNm":"(보도_참고사진)_행사_포스터.jpeg","viewCnt":"794","regDate":"2023-07-13 13:59:07"},{"contentId":"147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기술혁신 중소벤처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89","contentsKor":" 'TIPA, 기술혁신 중소벤처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 지원'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89","atchfileNm":"20230713_(보도자료)_TIPA,_기술혁신_중소벤처기업의_인도네시아_진출_지원(배포).pdf","viewCnt":"788","regDate":"2023-07-13 10:49:50"},{"contentId":"147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통합정보시스템 오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78","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통합정보시스템 오픈'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70","atchfileNm":"20230706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공장_통합정보시스템_오픈(배포).pdf","viewCnt":"1161","regDate":"2023-07-06 17:33:06"},{"contentId":"147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지정회계법인 제도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77","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지정회계법인 제도 운영'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68","atchfileNm":"20230629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지정회계법인_제도_운영(배포).pdf","viewCnt":"852","regDate":"2023-06-29 17:30:59"},{"contentId":"147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제12회 스마트테크코리아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76","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제12회 스마트테크코리아 참가'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66","atchfileNm":"20230627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제12회_스마트테크코리아_참가(배포).pdf","viewCnt":"705","regDate":"2023-06-28 17:30:02"},{"contentId":"147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3년 제조데이터 AI 문제해결 솔루션 실증사업 본격 추진 위한 사업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60","contentsKor":" '2023년 제조데이터 AI 문제해결 솔루션 실증사업 본격 추진 위한 사업설명회 개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39","atchfileNm":"20230621_(보도자료)_2023년도_제조데이터_AI_문제해결_솔루션_실증사업_본격_추진_위한_사업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806","regDate":"2023-06-22 17:42:59"},{"contentId":"147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미래 제조현장 혁신의 중심 '메타버스팩토리' 시범사업 착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43","contentsKor":" '미래 제조현장 혁신의 중심 '메타버스팩토리' 시범사업 착수'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04","atchfileNm":"20230613_(보도자료)_미래_제조현장_혁신의_중심_메타버스팩토리_시범사업_착수(배포)(★).pdf","viewCnt":"847","regDate":"2023-06-13 10:33:52"},{"contentId":"147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호남, 제주권역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37","contentsKor":" 'TIPA, 호남, 제주권역 투자 유망 중소기업 발굴한다'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96","atchfileNm":"20230608_(보도자료)_TIPA,_호남,_제주권역_투자_유망_중소기업_발굴한다(배포).pdf","viewCnt":"824","regDate":"2023-06-08 09:33:11"},{"contentId":"147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환경부 주관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참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36","contentsKor":" 'TIPA, 환경부 주관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참여'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94","atchfileNm":"20230607_(보도자료)_TIPA,_환경부_주관_일회용품_제로_챌린지_참여(배포).pdf","viewCnt":"859","regDate":"2023-06-07 09:32:20"},{"contentId":"147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35","contentsKor":" 'TIPA,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92","atchfileNm":"20230601_(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실천_프로그램_전사적_가동(배포).pdf","viewCnt":"704","regDate":"2023-06-01 09:31:11"},{"contentId":"147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3년 제2차 중소기업R&D 전담은행 투자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34","contentsKor":" 'TIPA, 2023년 제2차 중소기업R&D 전담은행 투자설명회 개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90","atchfileNm":"20230531_(보도자료)_TIPA,_2023년_제2차_중소기업RD_전담은행_투자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973","regDate":"2023-05-31 09:30:10"},{"contentId":"147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한-태국 기술교류 상담회 성황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21","contentsKor":" 'TIPA,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한-태국 기술교류 상담회 성황리 개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55","atchfileNm":"230526_(보도자료)_TIPA,_중소벤처기업_해외진출_지원을_위한_한-태국_기술교류_상담회_성황리_개최(배포).pdf","viewCnt":"941","regDate":"2023-05-26 09:03:45"},{"contentId":"147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우수 R&D 수행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투자유망 중소벤처기업 선발 육성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20","contentsKor":" 'TIPA, 우수 R&D 수행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투자유망 중소벤처기업 선발 육성한다'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53","atchfileNm":"20230525_(보도자료)_TIPA,_우수_RD_수행기업의_투자_활성화를_위해_투자유망_중소벤처기업_선발_육성한다(배포).pdf","viewCnt":"779","regDate":"2023-05-25 09:02:22"},{"contentId":"147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ESG 경영 실천, 임직원 플로깅 봉사활동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16","contentsKor":" 'TIPA, ESG 경영 실천, 임직원 플로깅 봉사활동 시행'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49","atchfileNm":"20230524_(보도자료)_TIPA,_ESG_경영_실천,_임직원_플로깅_봉사활동_시행(배포).pdf","viewCnt":"925","regDate":"2023-05-24 14:46:51"},{"contentId":"147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세계은행, 5개국과 스마트공장 현장방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15","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세계은행, 5개국과 스마트공장 현장방문'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47","atchfileNm":"20230522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세계은행_5개국_대표단과_스마트공장_현장방문(배포).pdf","viewCnt":"846","regDate":"2023-05-22 14:45:23"},{"contentId":"147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3년도 R&D멘토링 참여 중소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04","contentsKor":" 'TIPA, 2023년도 R&D멘토링 참여 중소기업 모집'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27","atchfileNm":"20230518_(보도자료)_TIPA,_2023년도_RD멘토링_참여_중소기업_모집(배포).pdf","viewCnt":"979","regDate":"2023-05-18 10:11:00"},{"contentId":"147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국민 목소리로 ESG 확산 방안 찾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700","contentsKor":" 'TIPA, 국민 목소리로 ESG 확산 방안 찾는다'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22","atchfileNm":"20230517_(보도자료)_TIPA,_국민_목소리로_ESG_확산_방안_찾는다!(배포).pdf","viewCnt":"793","regDate":"2023-05-17 10:42:15"},{"contentId":"146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3년 지역별 1대1 R&D 사업비 맞춤상담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99","contentsKor":" 'TIPA, 2023년 지역별 1대1 R&D 사업비 맞춤상담회 실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20","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3년_지역별_1대1_RD_사업비_맞춤상담회_실시(배포).pdf","viewCnt":"823","regDate":"2023-05-16 20:52:40"},{"contentId":"146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한-베트남 기술교류 상담회 성황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80","contentsKor":" 'TIPA,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한-베트남 기술교류 상담회 성황리 개최'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94","atchfileNm":"230511_(보도자료)_TIPA,_중소벤처기업_해외진출_지원을_위한_한-베트남_기술교류_상담회_성황리_개최(배포).pdf","viewCnt":"838","regDate":"2023-05-11 14:47:39"},{"contentId":"146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소상공인 스마트기술 육성 R&D사업 공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27","contentsKor":" 'TIPA, 소상공인 스마트기술 육성 R&D사업 공모'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18","atchfileNm":"20230421_(보도자료)_소상공인_스마트기술_육성_RD사업_공모(배포).pdf","viewCnt":"1205","regDate":"2023-04-21 10:48:43"},{"contentId":"146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 R&D 전담은행 투자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23","contentsKor":" 'TIPA, 중소기업 R&D 전담은행 투자설명회 개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04","atchfileNm":"20230418_(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_RD_전담은행_투자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1131","regDate":"2023-04-18 09:29:43"},{"contentId":"146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사업, 경기도와 2차년도 사업 추진 협약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17","contentsKor":" '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사업, 경기도와 2차년도 사업 추진 협약식 개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94","atchfileNm":"20230412_(보도자료)_2023년_지역특화_제조데이터_활성화_경기_2차년도_협약식_개최(배포).pdf","viewCnt":"1192","regDate":"2023-04-12 17:53:07"},{"contentId":"146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일회용컵 없는 커피차 운영으로 친환경경영 의지 다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616","contentsKor":" 'TIPA, 일회용컵 없는 커피차 운영으로 친환경경영 의지 다져'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83","atchfileNm":"20230411_(보도자료)_TIPA,_일회용컵_없는_커피차_운영으로_친환경경영_의지_다져(배포).hwp","viewCnt":"985","regDate":"2023-04-11 13:59:29"},{"contentId":"145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인증 6년 유지 성과 달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68","contentsKor":" 'TIPA,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인증 6년 유지 성과 달성'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80","atchfileNm":"20230307_(보도자료)_TIPA,_부패방지경영시스템_인증_6년_유지_성과_달성(배포).pdf","viewCnt":"1193","regDate":"2023-03-07 16:12:19"},{"contentId":"145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자동화 산업전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67","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자동화 산업전 참가'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78","atchfileNm":"20230307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공장_자동화_산업전_참가(배포).pdf","viewCnt":"1244","regDate":"2023-03-07 16:11:16"},{"contentId":"145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3년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참여기업(기관)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37","contentsKor":" 'TIPA, 2023년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참여기업(기관) 모집'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45","atchfileNm":"20230302_(보도자료)_TIPA,_2023년_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_참여기업(기관)_모집(배포).pdf","viewCnt":"1280","regDate":"2023-03-02 16:12:41"},{"contentId":"145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판로 지원을 위한 우수 R&D 혁신제품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35","contentsKor":" 'TIPA, 공공판로 지원을 위한 우수 R&D 혁신제품 모집'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41","atchfileNm":"20230224_(보도자료)_TIPA,_공공판로_지원을_위한_우수_RD_혁신제품_모집(배포).pdf","viewCnt":"1321","regDate":"2023-02-24 10:04:07"},{"contentId":"145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3년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역량진단 사업 운영기관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22","contentsKor":" '2023년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역량진단 사업 운영기관 모집'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13","atchfileNm":"(☆)20230220_(보도자료)_2023년_스마트공장_공급기업_역량진단_사업_운영기관_모집(배포).pdf","viewCnt":"1320","regDate":"2023-02-20 09:40:33"},{"contentId":"145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3년도 핵심미션' 발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502","contentsKor":" 2.6(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3년도 핵심미션' 발표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63","atchfileNm":"20230206_(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2023년도_핵심미션_발표(배포).pdf","viewCnt":"1464","regDate":"2023-02-06 17:19:46"},{"contentId":"144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하나은행과 신년맞이 지역상생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83","contentsKor":"    'TIPA, 하나은행과 신년맞이 지역상생활동 나서'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45","atchfileNm":"보도자료_사진.jpg","viewCnt":"1144","regDate":"2023-01-26 14:32:20"},{"contentId":"144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비상임이사 및 노동이사 신규 선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74","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비상임이사 및 노동이사 신규 선임'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24","atchfileNm":"20230117_(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비상임이사_및_노동이사_신규_선임(배포).pdf","viewCnt":"1265","regDate":"2023-01-17 11:20:08"},{"contentId":"144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기 R&D 수행 중소기업 투자유치를 위한 2023 TIPA ValueUP 본격 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72","contentsKor":" TIPA, 중기 R&D 수행 중소기업 투자유치를 위한 2023 TIPA ValueUP 본격 시동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20","atchfileNm":"20230113_(보도자료)_TIPA,_중기_RD_수행_중소기업_투자유치를_위한_2023_TIPA_ValueUP_본격_시동(배포).pdf","viewCnt":"1199","regDate":"2023-01-16 14:40:41"},{"contentId":"144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국립대전현충원 참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64","contentsKor":" 1.4, '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국립대전현충원 참배'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04","atchfileNm":"★20230104_(보도자료)_이재홍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_국립대전현충원_참배(배포)_(1).hwp","viewCnt":"1193","regDate":"2023-01-04 14:03:18"},{"contentId":"144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3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에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58","contentsKor":" 'TIPA, 3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에 선정'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93","atchfileNm":"20221228_(보도자료)_TIPA,_3년_연속_지역사회공헌_인정기관에_선정(배포).pdf","viewCnt":"1108","regDate":"2022-12-28 14:49:01"},{"contentId":"144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부문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활용 우수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57","contentsKor":" 'TIPA, 공공부문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활용 우수기관 선정' 관련 보도자료 입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91","atchfileNm":"★20221227_(보도자료)_TIPA,_공공부문_개방형_클라우드_플랫폼_구축_활용_우수기관_선정(배포).pdf","viewCnt":"1382","regDate":"2022-12-28 14:47:40"},{"contentId":"144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기술혁신센터 개소 6주년 맞아 첫 성과공유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51","contentsKor":" TIPA, 기술혁신센터 개소 6주년 맞아 첫 성과공유회 개최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84","atchfileNm":"20221220_(보도자료)_TIPA,_기술혁신센터_개소_6주년_맞아_첫_성과공유회_개최(배포).pdf","viewCnt":"1160","regDate":"2022-12-23 15:16:58"},{"contentId":"144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2년 올해의 광고PR상 수상 영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26","contentsKor":" 2022.12.05 보도자료 TIPA, 2022년 올해의 광고PR상 수상 영예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54","atchfileNm":"20221205_(보도자료)_TIPA,_2022년_올해의_광고PR상_수상_영예(배포).hwp","viewCnt":"1295","regDate":"2022-12-07 17:54:17"},{"contentId":"144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CL 중소벤처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및 기술규제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25","contentsKor":" 2022.12.02 보도자료 TIPA-KCL 중소벤처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및 기술규제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53","atchfileNm":"20221202_(보도자료)_TIPA-KCL_중소벤처기업_기술경쟁력_강화_및_기술규제_대응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배포).hwp","viewCnt":"1182","regDate":"2022-12-07 17:53:34"},{"contentId":"144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UAE 식량안보 및 ICT 기술 웨비나 및 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24","contentsKor":" 2022.11.30 보도자료 TIPA, 한-UAE 식량안보 및 ICT 기술 웨비나 및 상담회 개최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52","atchfileNm":"20221130_(보도자료)_TIPA,_한-UAE_식량안보_및_ICT_기술_웨비나_및_상담회_개최(배포).hwp","viewCnt":"1168","regDate":"2022-12-07 17:51:56"},{"contentId":"144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 고강도 실천프로그램 연내 적극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22","contentsKor":" 2022.11.29 보도자료 TIPA, 윤리경영 고강도 실천프로그램 연내 적극 추진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47","atchfileNm":"20221129_(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고강도_실천프로그램_연내_적극_추진(배포).hwp","viewCnt":"1183","regDate":"2022-12-07 17:48:18"},{"contentId":"144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안전한 출근길 만들기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21","contentsKor":" 2022.11.17 보도자료 TIPA, 안전한 출근길 만들기 나서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50","atchfileNm":"20221117_(보도자료)_TIPA,_안전한_출근길_만들기_나서(배포).hwp","viewCnt":"1122","regDate":"2022-12-07 17:45:09"},{"contentId":"1440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사랑의 헌혈 캠페인으로 동절기 혈액 수급 돕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401","contentsKor":" 11.14(월) 보도자료 ㅇ TIPA, 사랑의 헌혈 캠페인으로 동절기 혈액 수급 돕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94","atchfileNm":"20221114_(보도자료)_TIPA,_사랑의_헌혈_캠페인으로_동절기_혈액_수급_돕는다(배포).pdf","viewCnt":"1194","regDate":"2022-11-14 10:57:56"},{"contentId":"143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비수도권 지역 중소기업 육성에 참여할 지자체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364","contentsKor":" 11.2(수), 비수도권 지역 중소기업 육성에 참여할 지자체 모집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44","atchfileNm":"20221102_(보도자료)_비수도권_지역_중소기업_육성에_참여할_지자체_모집(배포).pdf","viewCnt":"1185","regDate":"2022-11-02 09:32:25"},{"contentId":"143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 중소기업에 2년 연속 안전패키지서비스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353","contentsKor":"2022.10.27, TIPA, 지역 중소기업에 2년 연속 안전패키지서비스 지원","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23","atchfileNm":"20221027_(보도자료)_TIPA,_지역_중소기업에_2년_연속_안전패키지서비스_지원(배포).pdf","viewCnt":"1324","regDate":"2022-10-27 13:01:03"},{"contentId":"143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2년 K-인공지능(AI)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332","contentsKor":"“2022년 K-인공지능(AI)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개최” 중소기업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인공지능으로 해결  10월 11일부터 KAMP포털을 통한 온라인 참여, 총 8개 팀 선발·수상 □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과학기술원 주관으로 메타버스 상에서 제조 인공지능 모델 개발 능력을 겨루는「2022년 K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ㅇ「2022년 K-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는 중소 제조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해 중소 제조기업이 직면할 수 있는 공통문제*를 인공지능 분석모델 개발을 통해 해결하고자 개최하는 대회이며,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이하 ‘KAMP’)을 통해 진행한다. * (예) 장비이상 조기탐지, 품질 이상탐지/진단, 공정운영 최적화 등 ㅇ KAMP는 중소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한국과학기술원-NHN 등과 협업하여 구축한 민-관 합동 중소제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이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스마트공장에필요한컴퓨팅인프라, 분석·개발도구, 인공지능데이터셋, 우수사례, 교육자료등□ 본 대회는 KAMP 포털 알림마당을 통해 참가규모, 시상규모 및 진행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ㅇ 이번달 11일부터 21일까지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이하 ‘KAMP’)에서참가팀을 모집하며, AI 알고리즘 개발과 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개인 또는 3인 이하의 팀을 구성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ㅇ 과제는 KAMP 포털 내 등재된 제조AI데이터셋 24종 중 무작위로 선정하여 출제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1차 서면평가 후, 2차 발표평가를 메타버스 상에서 진행한다. ㅇ 또한 우수한 결과를 도출한 8개 팀을 선발하여 총 상금 2,900만원 규모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상, 한국과학기술원총장상 등을 시상할 예정이며, 시상식은 `22.12.6. 개최될 제조혁신대회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ㅇ 한편 이번 경진대회는 작년에 이어 2회째 개최되며, 지난해에는 사출성형기 제조AI데이터셋 기반의 출제문제에 대해 153개 팀 355명이 참가하여 기량을 거두었다. ㅇ 본 대회의 구체적인 사항은 KAMP 포털(kamp-ai.kr) 알림마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177","atchfileNm":"20221014_(보도자료)_2022년_K-인공지능_제조데이터_분석_경진대회_개최(배포).pdf","viewCnt":"1501","regDate":"2022-10-13 19:09:35"},{"contentId":"143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조 중소기업 비즈니스 혁신 아이디어 공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331","contentsKor":"제조 중소기업 비즈니스 혁신 아이디어 공모 ⃟ 제조데이터 활용・분석을 기반으로 제조 중소기업 제품의 서비스화 위한‘제1회 서비타이제이션* 아이디어 발굴 공모전 개최’, 내달 31일까지 접수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 전통 제조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융합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가 가능한 사업화 모델을 발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KOSMO’)이 9월 30일(금)부터 10월 31까지 전통 제조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융합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가 가능한 서비스 사업화(Servitization) 모델 발굴을 위한「제조데이터*를 활용한 서비타이제이션 아이디어 발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제조데이터를 활용한 서비타이제이션 아이디어’ 공모를 원하는 참가자는 10월 31일까지 신청서를 작성하여 이메일(servitization@tipa.or.kr)로제출하면 된다. 서면심사를 거쳐 대면 심사(순위 결정) 과제를 선정하며 대면 심사는 오는 12월 6일 제조혁신대회 당일 발표를 통해 시상 순위를 결정할 예정이다. 참가 자격은 제조데이터 분석 기반의 서비타이제이션에 대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만 19세 이상 국민(팀장 포함 3인 이하, 개인, 중소(중견)기업의 팀 단위 참여 가능)으로 대상(1천만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 1명(팀), 최우수상(5백만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상) 1명(팀), 우수상(3백만원) 2명(팀)에게 상과 상금을 수여한다. 또한, 시상자가 중소기업인 경우 2023년도 스마트서비스화 사업에 가점 연계를 통해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공모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 (www.tip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부경로 : 홈페이지(www.tipa.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 KOSMO 박한구 단장은 “본 공모전에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있는 국민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리며, 제안해 주신 아이디어를 기반으로중소 제조기업이 성장하고 혁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175","atchfileNm":"20220930_(보도자료)_제조_중소기업_비즈니스_혁신_아이디어_공모(배포).pdf","viewCnt":"1340","regDate":"2022-10-13 19:07:12"},{"contentId":"142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문가, 일반인이 참여하는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재밍) 열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210","contentsKor":" 전문가, 일반인이 참여하는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재밍) 열린다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930","atchfileNm":"20220809_(보도자료)_전문가_일반인이_참여하는_온라인_브레인스토밍(재밍)_열린다(배포).pdf","viewCnt":"1931","regDate":"2022-08-10 14:02:47"},{"contentId":"142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조데이터 촉진자 양성과정 교육생(2차)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208","contentsKor":" 제조데이터 촉진자 양성과정 교육생(2차) 모집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928","atchfileNm":"20220809_(보도자료)_제조데이터_촉진자_양성과정_교육생(2차)_모집(배포).pdf","viewCnt":"1805","regDate":"2022-08-10 14:02:15"},{"contentId":"142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대표 우수사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207","contentsKor":" TIPA,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대표 우수사례 선정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927","atchfileNm":"20220728_(보도자료)_TIPA,_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_대표_우수사례_선정(배포).pdf","viewCnt":"1962","regDate":"2022-08-10 14:01:34"},{"contentId":"142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연구개발 초기 중소기업 멘토링 프로그램 본격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206","contentsKor":" TIPA, 연구개발 초기 중소기업 멘토링 프로그램 본격 시행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926","atchfileNm":"20220728_(보도자료)_TIPA,_연구개발_초기_중소기업_멘토링_프로그램_본격_시행(배포)(★).pdf","viewCnt":"1877","regDate":"2022-08-10 14:00:51"},{"contentId":"142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AR 분야 혁신제품 지원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205","contentsKor":" TIPA, AR 분야 혁신제품 지원나서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925","atchfileNm":"★_20220725_(보도자료)_TIPA_AR분야_혁신제품_지원나서(배포).pdf","viewCnt":"1897","regDate":"2022-08-10 13:59:56"},{"contentId":"141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산학연 플랫폼기관과 혁신 중소기업 R&D 지원 본격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4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올해 ‘산학연플랫폼 협력기술개발’ 과제를 수행할 180개 중소기업을 최종 선정하고, 본격 적인 연구개발 지원에 나선다. ‘산학연플랫폼 협력기술개발’ 사업은 5개 대학과 4개 연구기관을 ‵산학연 플랫폼기관′으로 지정하고, 각 플랫폼 기관이 보유한 특화 분야에서 잠재력을 갖춘 혁신역량 초기 중소기업을 발굴해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신규 선정된 혁신 중소기업은 이달부터 매칭된 산학연 플랫폼기관과 함께 총 20개의 공동연구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금오공대(스마트제조), 조선대(바이오·헬스), 창원대(스마트제조), 한국공대(기계·소재), 한서대(미래교통), 안전성평가연(바이오·헬스), 한국기계연(기계·소재), 한국재료연(기계·소재), 한국전자기술연(전기·전자) 주요 선정 과제에는 최근 확대되고 있는 무인카페 시장 대응 관련, ‵1억 개의 레시피에 따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로봇솔루션 개발’ 및 ‵치과 원격진료 플랫폼’, ‵단백뇨 진단기기’, ‵자율 환기조절 시스템’ 등 IT와 바이오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생활의 질 개선 과제까지 국민생활 밀착형 연구과제가 다수 선정되어 더욱 더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맞춤 밀키트 제조, 홈 뷰티케어 디바이스, 테라퓨틱스 펫하우스 등과 같은 최근의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한 신시장 창출을 목표로 하는 연구과제와 IoT센서모듈용 에너지 하베스팅 전원, 소형 모듈원자로(SMR) 소재 등의 첨단산업기술 및 천식치료제, 난소암 치 료제, 뇌신경 치료제 등 차세대 바이오기술을 활용한 연구과제도 다 수 포함되어 있어 연구성과에 대한 기대도 크다. 본 사업은 다른 국가R&D과제와는 달리 산학연 공동연구뿐 아니라, TIPA와 협약된 플랫폼기관이 연구지원, 컨설팅, 성과확산, 타사업 연 계지원 등 다양한 협력모델을 지원하게 된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의 성공률을 높이고, 기술사업화 등 성과확산을 통해 후속연구 기획의 선순환 사이클의 전주기를 중소기업과 플랫폼 기관이 협업을 하게 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올해 지정된 9개 산학연플랫폼을 통해 우수 한 신규과제를 선정할 수 있었으며, 플랫폼에 자율성과 책임성을 부 여하는 한편 TIPA와의 협력체계도 구축·운영할 계획이다.”라며, “연 구활동과 협력모델의 시너지로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플랫폼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여 사업을 확대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852","atchfileNm":"★_220722_(보도자료)_산학연_플랫폼기관과_혁신_중소기업_RD_지원_본격화(배포).pdf","viewCnt":"2168","regDate":"2022-07-22 09:11:22"},{"contentId":"141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 연고산업 경쟁력 키운 우수 과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39","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시군구 연고사업을 수 행 중인 33개 연구과제를 대상으로 연차평가를 실시하고, 최우수 과 제를 선정해 발표했다. 이번에 선정된 최우수 과제는 충남 청양지역의 ‘구기자 경쟁력 강화 사업화 지원’ 과제로써, 이는 청양지역 특화자원인 구기자 관련 기업의 열매를 활용한 분말, 차, 주류 등 단순 원물 제품 제조 방식을 탈피하여 제품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품질경쟁력 강화, ICT 첨단화 지원 등 기존 한계 극복을 위해 추진 중에 있다. 지난 1년간 청양군 지원기업에서 13명의 고용창출 및 매출액 11억 원 증가, 창업 2건, 제품개발 5건의 성과가 창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제품의 표준화, 식약처 기준에 맞춘 규격화, 첨가제로의 활용성 향상 등 지역 구기자 산업 활성화 및 인식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 동 사업에 지원받은 함지박(주) 장창순 대표는 “이번 사업 지원으로 판로개척과 제품포장 디자인 개발 지원을 받아 판매매장 23개 증가 및 중국 수출 재개와 코로나 19로 감소되었던 매출의 회복에 크게 도움이 되 었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청양구기자원예농업협동조합의 복영수 조합장은 “해당 사업 으로 제품 디자인을 트렌드에 맞추어 개선하여 젊은층을 타겟으로 한 구기자 제품 인식 개선에 성공하였다.”라고 밝혔다. 한편 시군구연고사업은 ‘19년부터 3년 동안 56개 시군구 기초지자체에 410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해당 지역의 특화자원 활용 및 자생적으로 발생된 산업군 영위 기업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목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시군구연고사업을 통해 광역지자체뿐만 아니라 기초지자체의 특산자원 및 특화된 기술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영위하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850","atchfileNm":"20220720_(보도자료)_TIPA,_지역_연고산업_경쟁력_키운_우수_과제_선정(배포)(최종).pdf","viewCnt":"1789","regDate":"2022-07-20 13:53:59"},{"contentId":"141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테크노파크 장비 고도화로 지역 주력산업 성장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3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테크노파크가 보유 중인 노후 생산장비를 고도화하여 지역주력산업 중소기업의 실질적 기술사업화를 위해 “테크노파크 생산장비 고도화사업”의 장비구축 완료를 앞두고 있다. 테크노파크 생산장비 고도화사업은 지역 중소기업에 필요한 기업 지원 서비스(시제품제작, 제품고급화 등)를 위하여 노후화된 장비의 성능향상 또는 신규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5개 시・도 지역(부산, 대전, 대구, 울산, 충 북) 대상 총 54.5억원 규모로 추진 중인 사업이다. 이번에 구축되는 장비는 총 18종(신규 14종, 수리 4종)으로 각 지역 주 력산업별 특성에 맞는 장비로 구축 중이다. 더불어 △장비코디네이 터를 지원하여 기업지원 서비스 질 향상을 목적으로 장비운영의 오퍼레 이터의 전문 역량 강화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대전테크노파크 지능형로봇센터 이재영 센터장은 “테크노파크 생산 장비 고도화사업을 통해 4차 산업 핵심 분야 중 하나인 3D프린팅 장비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이를 바탕으로 로봇기업 수요 부품들의 디지털 제조 및 지역주력산업 전·후방 중소기업의 실질적인 기술 사업화 애로 해소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지역 중소기업이 개발제품을 생산하는데 장비는 필수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번에 구축 되는 장비로 주력산업 기업의 사업화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지역의 중소기업은 테크노파크에 장비 구축이 완료되면 늦어도 내달부터는 장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구축된 생산 장비 활용 방법은 각 지역별 테크노파크를 통해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822","atchfileNm":"20220715_(보도자료)_TIPA,_테크노파크_장비_고도화로_지역_주력산업_성장_지원(배포).pdf","viewCnt":"1877","regDate":"2022-07-15 09:28:35"},{"contentId":"141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2년 수출지원프로그램 공고...수출초보기업 역량 강화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34","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기 R&D 수행기업의 수출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2022년도 수출지원프로그램 공고’를 통해 7월 7일(목)부터 8월 8일(월)까지 참가기업 모집에 나선다. ◦ 수출지원프로그램은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수출초보 R&D 수행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TIPA와 한국무역보험공사가 협업하여 수출역량 강화를 위한 수출리스크 관리, 수출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 동 프로그램은 ’19.11월 TIPA와 한국무역보험공사의 업무협약(MOU)을 기반으로 2020년부터 시행했으며, 지난 ’21년에는 총 2회에 걸쳐 총 86개 중소기업을 지원했다. □ 올해는 2회에 걸쳐 총 100개사 내외의 기업 지원을 계획하고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현재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거나, 3년 이내에 R&D “성공(완료)” 판정을 받은 기업으로 향후 1년 내 수출계획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 TIPA는 한국무역보험공사(무보)와 협력하여 △수출대금 미회수 위험감소를 위한 단체보험 지원, △수출기업을 위한 1:1 수출컨설팅, △해외기업 신용조사에 대한 보고서 제공 △수출이행자금 확보 및 수출채권 유동화를 위한 보증 지원 등 개별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다양한 세부지원 프로그램을 기업 맞춤형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 단, 수출실적 보유 여부 등에 따라 기업별 지원내용이 결정되며, 보험·보증 심사 과정에서 결격 사유 발견 시 지원이 제한될 수 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글로벌 시대에 맞춰 해외 시장 진출을 희망 하는 중소기업이 늘고 있지만 수출대금 확보 및 현지 시장 정보 부족 등의 애로사항으로 인해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많다.”며 “TIPA는 동 프로그램을 통해 R&D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기업들의 수출역량을 제고함으로써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참가신청은 8월 8일(월) 18시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의 모집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확인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820","atchfileNm":"20220714_(보도자료)_TIPA,_22년_수출지원프로그램_공고...수출초보기업_역량_강화_지원(배포).pdf","viewCnt":"1975","regDate":"2022-07-14 09:27:29"},{"contentId":"141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AIST GCC, 中企 글로벌기술사업화 지원 파트너쉽 강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17","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한국과학기술원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센터장 최문기, 이하 KAIST GCC)와 12일(화), KAIST 문지캠퍼스 수펙스홀에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기술수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 글로벌 협력사업과 공동행사 추진, △ 국내외 인프라 및 인적자원 교류, △ 글로벌 시장 및 기술 동 향정보 공유, △ 주요 사업의 대외홍보 지원 등 협업을 점차 강화 해나갈 예정이다. ◦ 우수한 기술력을 개발하고도 해외판로 확대와 성과확산에 어려움 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에게 해외 협력 네트워크 발굴 및 필수정보 확보를 위한 지원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양 기관은 협약식에 이어 2022년 1차 한-중 기술사업화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중국국제금융유한회사(CICC), 중한 산업기술창신연구원(ITIRI) 등이 참여했으며, 양 국의 바이오, 신소재 분야 총 12개 기업 간 보유기술 발표 및 저명인사들의 주제별 특강이 진행되었다. ◦ 컨퍼런스 이후에는 한-중 참가기업 간 기술협력 및 기술사업화 관련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온라인 기술교류 상담회를 실시했다. 양 기관은 오는 11월에 2차 한-중 컨퍼런스도 개최할 예정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해외기술사업화 지원 전문역량을 갖춘 KAIST GCC와 공식적인 협약을 체결하여 양 기관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게 되어 기쁘다”며, ◦ “양 기관이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한-중 B2B 기술협력 행사를 점차 확대하여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기술사업화와 글로벌 기술협력 활성화를 위해 더욱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 KAIST GCC 최문기 센터장은 “KAIST GCC의 8년간 글로벌 기술 사업화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에 적극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고 있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협력하여 다양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사진 1 : TIPA 이재홍 원장(왼쪽)과 KAIST GCC 최문기 센터장(오른쪽)이 12일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기술수출 촉진'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2 : TIPA 송재철 PM이 12일 '한중 기술사업화 컨퍼런스'에서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797","atchfileNm":"20220712_(보도자료)_TIPA-KAIST_GCC,_中企_글로벌기술사업화_지원_파트너쉽_강화(배포)(★).pdf","viewCnt":"2247","regDate":"2022-07-13 11:10:54"},{"contentId":"141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해외진출 준비 中企에 기술사업화 역량 강화 지원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02","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회장 박희재, 이하 KAITS)이 지난 6일(수) 코엑스에서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기술역량 강화 관련 전문컨설팅 프로그램을 개최하였다. □ 이번 프로그램은 국내 중소벤처기업에서 보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판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TIPA 해외기술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 컨설팅은 △특허전략, △시험·인증, △기술사업화(일반), △기술 보호 등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기술사업화를 위한 주요 4대 분야로 나누어 진행되었고, 변리사, 교수 등 각 분야 전문가로 자문그룹을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 행사에 앞서 해외기술교류사업 참가기업 등을 대상으로 컨설팅 희망기업을 모집하였으며, 7: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총 10개 기업은 분야별 컨설턴트와의 상담을 통해 자사의 취약사항 점검, 애로사항에 대한 해결방법, 중·장기적인 전략 수립 등 해외진출 준비 및 진행과 관련하여 자문을 받았다. □ 또한 사후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컨설팅에 참가한 기업에서 희망 하는 경우, TIPA 하반기 해외기술교류 상담회 참가 및 KAITS 기술 보호 솔루션 제공 등 각 기관의 지원프로그램을 연계지원할 예정이며, 오는 9월에도 컨설팅 프로그램을 추가로 개최할 계획이다. □ 한편, TIPA는 2020년부터 “해외기술교류사업”을 통해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해외 현지 기업과의 기술협력이나 기술수출을 희망 하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이 보유한 기술에 대해 수요가 있는 해외 기업을 직접 발굴하여 매칭하고, 1:1 상담에 필요한 사전준비 및 기타 제반 사항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또한, 국제기구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국가별 진출전략 세미나, 온라인 교육 이수 등 중소벤처기업의 기초역량 및 정보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글로벌 경제생태계가 악화되고 팬데믹이 지속 되면서, 기업별로 직면하는 다양한 상황을 정밀 진단하고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컨설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 “TIPA와 KAITS는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우수한 기술력이 글로벌 시장으로 확산되고 글로벌 기술협력을 통해 강소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더욱 긴밀히 협력하며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사진 : '해외진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컨설팅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소벤처기업 관계자가 컨설턴트와의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739","atchfileNm":"기술보호_컨설턴트(왼)-기업(오).jpg","viewCnt":"1892","regDate":"2022-07-06 15:04:53"},{"contentId":"141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그린오피스 만들기 캠페인 전개...ESG 실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10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ESG경영 선포 2년차를 맞아 전 직원 참여형 그린오피스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번 그린오피스 캠페인은 지난 3월 최장기간 이어진 울진-삼척 산불 피해로 인해 대두된 기후변화의 영향,산림보호의 중요성에 따라 ‘희망의 숲 가꾸기’라는 부제로 진행되었으며,직원들이 반려나무를 한 달 간 양육 후 기부하는 콘텐츠로 꾸려졌다. ○ 지난 5월부터 TIPA 직원들은 트리플래닛이라는 환경 소셜벤처로부터 3가지 종류의 30개 반려나무를 분양받아 양육해왔다. 반려나무 구매 비용이 강원도 민둥산 산림회복 프로젝트에 기부되는 트리플래닛 플랫폼과의 협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양육한 반려나무는 미세먼지 취약 계층 건강보호를 위해 기부할 예정이다. ○이번 반려나무 양육 활동을 통해 직원들은 사무실 내 에코힐링 기회를 가질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정보 공유를 통해 인지한 환경피해와 대기 문제 해소에 기여할 수 있었다는 소감을 전했다. □ 한편, 그린오피스 캠페인은 ‘국민 삶에 가치를 더하는 지속가능 혁신 기관’이라는 TIPA의 ESG 비전 실현을 위해 매년 다른 콘텐츠로 추진하고 있는 전 직원 대상 캠페인이다. 21년 1차 캠페인은 플라 스틱컵 ZERO화를 위한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 이번 캠페인은 지난 4월 추진한 울진지역 산불피해 이재민 구호를 위 한 간편식 식품꾸러미 지원에 이어, 올해로 두 번째 추진되는 캠페 인으로써 강원도 산불피해 극복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729","atchfileNm":"20220705_(보도자료)_TIPA,_그린오피스_만들기_캠페인_전개...ESG_실천(배포).pdf","viewCnt":"1805","regDate":"2022-07-05 14:20:56"},{"contentId":"140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안전경영 박차, 긴급 재난상황 대응 모의훈련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89","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 6월 30일 세종 본원 근무자(협력업체 포함)를 대상으로 화재 등 긴급 재난상황 발생 시 안전사고 및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피난동선에 따른 대피, 심폐소생교육 등 모의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세종 신청사 입주 후 최초로 실시하는 집체훈련으로, TIPA전 직원 및 협력업체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함양하고, 코로나19 완화에 따라 증가 될 하반기 중소기업 R&D평가 내방객 안전과 긴급 상황에 대한 초기대응 역량을 강화한다는 취지에서 실시되었다. 훈련은 화재경보 발생 시 계단을 통한 신속한 이동 및 집결지로의 대피 후 인원파악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집결 이후 자위소방 대 내 구조구급반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과 소화기 사용법 교육 을 진행하였다. 추가로 임직원의 긴급상황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1층 로비에 소화기 사용과 심폐소생술을 실습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설치하였다. 훈련을 진행한 황대용 소방안전관리자는 “본 훈련을 통해 임직원의 안전의식을 제고하였으며, 교육을 통한 내방객의 안전과 긴급상황 초기대응체계를 확립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청사 안전을 위해 긴장 을 늦추지 않고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703","atchfileNm":"(보도자료)_TIPA,_안전경영_박차,_긴급_재난상황_대응_모의훈련_실시.pdf","viewCnt":"1376","regDate":"2022-07-04 09:17:56"},{"contentId":"140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위기의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기술개발사업 전통시장 상점가 R&D 공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8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전통시장·상점가의 경쟁력을 회복하고,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스마트전통시 장·상점가 R&D 지원사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지난 3월 공고 후, 3개월 여에 걸쳐 평가를 진행하였으나, ‘전통시장·상점가 R&D’라는 사업특성을 반영한 과제가 발굴되지 아니 하였다. 따라서, 재공고를 통하여 사업취지에 부합하고, 전통시장·상점가를 찾는 고객과 소상공인에게 더 많은 가치(Value)를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과제를 선발하기로 하였다. 그간, 전통시장은 COVID-19로 인한 디지털·비대면 경제의 촉발과 대형 마트와의 경쟁으로 그 입지가 점점 약화되어, 지역경제의 활력을 제고 측면 에서 지원이 절실하였다. 이에, 동 사업은 혁신역량을 보유한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이 전통 시장 및 상점가의 수요와 특성을 분석하여, 해당 시장에 필요한 ‘종합 맞춤형 서비스’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것을 지원하고자 한다. 지원 규모는 총 40억 원으로 2개 내외 과제를 선정하며, 2년간 과제 당 최대 20억 원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시장·상점가의 수익 창출에 직접 기여하는 운영/관리, 물류/유통 분야, 소비자 불편 사항 개선 및 환경 공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편의/안전 등의 분야에 ICT를 접목한 「종합 맞춤형 서비스」의 개발·구축이 지원 대상이다. 기술의 ‘개발’에서 그치지 않고, ‘실증’까지 연결되는 것이 사업의 특징 으로, 신청 기업은 연구개발계획서에 개발과 실증에 대한 계획(할당 기간, 예산, 전략 등)을 각각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중소기업(주관연구개발기관)은 반드시 대학 또는 연구기관(위탁연구개발 기관)과 함께 신청해야하며, 각 중소기업·대학·연구기관은 과제 1개에 한하여 신청 가능하다. 또한 신청 시 스마트 전통시장·상점가의 실증모델이 될 시장·상점가 (상인회 60% 이상) 동의서를 필수 제출해야하며, 연구개발결과물이 해 당 시장·상점가에 가장 먼저 도입될 수 있도록 하여 협조에 따른 혜 택을 제공한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되는 중소기업은 협약 기간 종료일 로부터 1년간 시범 도입된 결과물이 현장(시장·상점가)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사후관리를 이행하고, 이행보증보험증권 발행해야 한다. 더불어 시장·상점가 소재지의 지방자치단체가 일정 비율 이상의 지방 비를 지원한다는 확약서를 제출할 시 가점을 부여한다. 스마트전통시장‧상점가R&D 지원은 6월 29일 공고부터 7월 29일까지 접수 예정이며, 선정평가를 거쳐 최종 2개 내외 과제를 지원한다. 본 사업은 일반 연구개발사업과 달리, 기술 분야별 산·학·연 전문가 뿐만 아니라 시장 전문가를 포함하여 연구개발과제평가단을 구성하고, 개발 과제가 적용될 현장을 직접 방문한 뒤 현장 수요와 실증 가능성 등을 점검하여 현장 대면평가*를 실시한다.* 1차 공고 시, 旣 방문 시장은 현장방문 제외 이재홍 기정원장은 “스마트전통시장·상점가 R&D 지원을 통해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경쟁력이 강화된다면, 위축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지원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 문의가 가 능하며, 6월 29일부터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을 통 해 사업의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기업기술정보 진흥원 수도권업무지원실 윤경순 책임(☎02-2280-040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690","atchfileNm":"20220630_(보도자료)_위기의_소상공인_지원을_위한_기술개발사업_전통시장_상점가_RD_공모(배포).pdf","viewCnt":"1561","regDate":"2022-06-30 09:37:56"},{"contentId":"140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메타버스에서 지역 중소기업 수출 판로 개척 역량 키운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7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역 주력산업 중소 기업에 메타버스 환경을 기반으로 해외 판로 개척을 지원할 2개 지역을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역주력 수출기업 Biz 플랫폼 구축 지원사업』은 TIPA가 ‘22년 부터 신규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2년간 2개 지역에 국비 86억 원을 투입 한다. 이는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 가상화된 기업 수출 희망 제품의 전시와 시연을 통해 해외 바이어와 시간 및 장소의 제약 없이 수출 비즈니스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은 충청북도와 대구광역시로 각 지역의 테크노파크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하여 맞춤형 기업지원과 수출에 축적된 노하우 및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기업의 수출무역 활성화에 이바지할 예정이다. 충북 지역은 IT 부품, 바이오헬스, 수송기계분야를, 대구광역시는 디지털 헬스 케어, 고효율 에너지, 수송기계 분야의 수출확대를 중점 수행한다. 본 사업을 통해 △지역별 독자적인 수출 비즈니스 메타버스 플랫폼 설계 및 운용, △주력산업 수출기업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업의 메타 버스 활용 교육 및 컨설팅 등 메타버스 기반 해외 판로개척에 200개 내외의 지역 주력산업 영위기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본 사업이 전통 수출 마케팅의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무역으로 탈바꿈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지역 주력기업의 수출 저변을 넓혀나가는데 일조하길 바라며, 중소기업의 무역, 투자 미래를 선도하는 플랫폼으로 거듭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한편, 오는 7~8월 중 지역별 수출 서비스를 지원받을 중소기업 모집 공고를 추진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충북 및 대구 테크노파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679","atchfileNm":"20220627_(보도자료)_메타버스에서_지역_중소기업_수출_판로_개척_역량_키운다(배포)★.pdf","viewCnt":"1706","regDate":"2022-06-24 09:00:05"},{"contentId":"140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상반기 지역별 1대1 R&D 사업비 맞춤상담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7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 기업을 대상으로「2022년도 상반기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를 실시*한다. *대면상담(’22.7.4~6(1차), 7.11~12(2차) / 5일간), 온라인 상담(6.27~7.8 / 2주간) TIPA는 지난해* 상반기 수도권 지역, 하반기 4개 지역 맞춤상담회를 실시한 결과, R&D 수행기업들의 높은 만족도 및 재개최 수요가 많아, 이번 상담회 역시 R&D 사업비 상담요청이 많은 지역 중심으로, 지정 회계법인**의 담당회계사와 함께 1:1 맞춤형 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다. *반기별 : (’21.상) 수도권(서울, 경기) / (‘21.하) 수도권(서울, 경기), 대구, 대전 ** 중소기업R&D지원사업 사업비 정산을 위해 TIPA가 지정·운영하는 회계법인 이번 맞춤상담회는 대면상담 외에 온라인 상담을 시범 도입할 예정으로 R&D 수행기업이 집중된 수도권(서울, 경기 등) 지역 기업은 대면상담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대면 참석이 어렵거나 그 외 지역소재 기업 등은 신청을 받아 회계법인 담당회계사가 온라인 상담으로 1:1 맞춤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다. 온·오프라인 상담을 병행하여 R&D 수행기업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1:1 방식의 면밀한 상담을 실시함으로써, 中企 R&D 사업비 집행 규정 이해도 향상, 지정회계법인 상시점검 후속조치, 사업비 정산결과 주요 불인정 사례 등 사업비 집행 전반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 상담회를 통해 R&D수행기업들의 사업비 집행과정에서의 불인정 사례를 최소화하고 더불어 국가 R&D 자금의 부정사용 방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사업비 집행에 궁금한 점이 있는 R&D수행기업은 과제 진행 시 배정된 담당 지정회계법인을 통해 문의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이번 맞춤상담회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R&D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671","atchfileNm":"20220624_(보도자료)_TIPA,_상반기_지역별_1대1_RD_사업비_맞춤상담회_실시(배포)★★.pdf","viewCnt":"1651","regDate":"2022-06-23 09:02:08"},{"contentId":"140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비수도권 R&D 기업 투자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6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벤처캐피탈 협회(회장 지성배, 이하 KVCA), 한국벤처투자(대표 이영민, 이하 KVIC)가 비수도권 소재 R&D기업의 벤처투자유치를 위한 투자설명회를 6월 17일(금) 팁스타운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TIPA, KVCA, KVIC은 지난해 6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추진했다. ㅇ 이번 행사는 비수도권 소재 R&D 기업과 지역뉴딜 모태펀드를 연계 하여 지역소재 우수기업들이 벤처투자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세 기관이 힘을 합쳐 추진하는 행사이다. □ 최근 벤처투자 시장의 현황을 보면, 바이오·ICT 등 특정 분야와 함께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에 투자가 편중되는 경향이 많아 지역 소재 중소기업들은 벤처투자를 받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ㅇ 모태펀드에서는 이러한 투자소외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지역뉴딜 펀드가 결성되었고, 세 기관은 비수도권 R&D기업과 해당 펀드를 연결하기 위해 힘을 합쳐 이번 투자설명회를 준비했다. □ ’비수도권 R&D 수행기업 투자설명회‘는 지역 소재 투자유망기업 8개사와 지역뉴딜 펀드 등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에 관심있는 10명 내외의 투자심사역들이 참여한다. ㅇ 이번 투자설명회에는 모나일렉트릭 주식회사, ㈜씨엘, ㈜인터텍, ㈜우주라컴퍼니 등 8개 기업이 참여하며, 15분 간 기업의 기술력과 장점을 집중 설명하는 발표와 투자심사역(VC)의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을 어필할 수 있게 된다. ㅇ 행사에 참여하는 기업은 VC 대상 IR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시 및 네트워킹 공간을 활용하여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여러 투자사와의 만남을 통해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 모나일렉트릭 주식회사 장익황 대표는 “자사는 지역투자에 기반한 모태펀드를 통해 투자를 유치하길 원하지만 지방기업들은 개별적 으로 모태펀드를 운영하는 투자자를 만나기가 어렵다.” 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모태펀드 운영 투자사에게 자사의 성장가능성을 어필 하고,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 이재홍 TIPA원장은 “최근 벤처투자가 수도권기업에 편중되는 현 상이 지속되고 있다.”며, “TIPA는 투자시장에서 소외되고 있는 비 수도권 소재 기업과 전통제조기업 등의 투자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고민하겠다.”고 전했다. ㅇ 본 행사는 오프라인 투자설명회 뿐아니라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행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VC들도 실시간으로 발표기업의 IR피칭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664","atchfileNm":"20220617_(보도자료)_TIPA,_비수도권_RD_기업_투자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1693","regDate":"2022-06-17 13:34:32"},{"contentId":"140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테크코리아에서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 및 정책 소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33","contentsKor":"□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은 8일부터 10일까 지 3일 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 11회 ’스마트테크코리아‘에 참가한다. ◦ 엑스포럼, KOTRA 등이 주최하는 ’스마트테크코리아‘는 스마트제조, 인공지능, 로봇, 클라우드, 디지털 유통, 메타버스 등 디지털시대 최첨단 기술과 세계적인 기술 트렌드를 볼 수 있는 기술 향연의 장이다. □ 중소·중견 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지원해온 추진단은 본 행사에 스마트제조혁신 부문에 참여, 참관객들에게 중소․제조기업의 스마트공 장 구축 우수사례, 스마트제조혁신 성과 및 정책을 소개할 계획이다.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조 현장에 ICT 기술을 융합하여 제조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을 개선하거나 제어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추진단은 올해 말까지 스마트공장 3만 개 보급을 목표로 삼고, 중점 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작년 말까지 약 2.5만 개가 보급되었고 올해는 5 천 개 이상을 보급할 계획이다. □ 박한구 추진단장은 “이번 스마트테크코리아 행사의 5개 부문 중 스 마트 기술 산업전에서 스마트제조, 스마트센서 등 스마트공장과 관련된기술들을 심층적으로 관람할 수 있는 기회”라고 덧붙였다. ◦ 이 밖에도 ‘스마트테크코리아’는 다양한 부대행사 또한 마련되어 있 다. ‘온·오프라인 비즈니스 상담회’를 비롯해 첨단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Smart Daily Life Zone‘ 등을 통해 기업 고객들에게 탁월한 비 즈니스 기회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22년에 11회를 맞는 이번 전시회는 '미래를 연결하다'라는 주제로 ’스마트테크 쇼(Smart Tech Show)‘, ’인공지능&빅데이터 쇼(AI&Big Data Show‘, ’리테일 테크 쇼(Retail Tech Show)‘, ’로봇 테크 쇼(Robot Tech Show)‘, ’메타버스 쇼(Metaverse Show)‘ 등 5개 전시회로 구성되 며, 약 250개사가 참여하여 제조혁신 기술력을 선보인다. ◦본 행사는 진행 기간 내 10시부터 17시까지 서울 코엑스 3층 전관에 서 만나 볼 수 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등록*이 가능하다. *사전등록(홈페이지) : http://www.smarttechshow.co.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625","atchfileNm":"220608_(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테크코리아에서_스마트공장_구축_우수사례_및_정책_소개TIPA.pdf","viewCnt":"2079","regDate":"2022-06-08 15:32:47"},{"contentId":"140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2년 일반직·전문위원·청년인턴 등 42명 공개 채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1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 지원의 주역으로 성장할 창의적인 인재 42명을 채용한다. TIPA는 5월 24일(화) 채용 공고를 게시하고, 채용 자격요건에 해당 하는 입사지원 희망자를 대상으로 오는 6월 8일(수) 18시까지 온라인 입사지원시스템(https://tipa.scout.co.kr/)을 통해 신청・접수받을 예 정이다. 모집 분야 및 규모는 일반직 17명(▲사업관리(일반직 4급 16명), ▲ 정보시스템관리(일반직 4급 1명)), 무기계약직 6명(▲R&D평가관리(연 구지원직) 국가유공자 3명, 장애 3명), 휴직대체 3명(R&D평가관리(연 구지원직)), 전문위원 1명(회계/세무), 체험형 청년인턴 15명으로 구분 되며, 각 전형단계를 거쳐 7월 및 8월에 임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TIPA는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가치 실현에 앞장서기 위해, R&D평가관리 분야(연구지원직)를 각각 국가유공자 3명 및 장애인 3명 제한경쟁으로 모집한다. 또한 사업관리 분야(일반직 4급)의 경우 이전 지역인재(대전·세종·충청) 채용목표제를 실시하여 지역 내 청년고용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금번 채용은 직무역량이 높은 우수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일반직 및 연구지원직에 한해 서류전형 평가 신규 도입하고 역량면접 시 직무 평가 요소를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전 채용 과정은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각 분야 직무별 자격요건 등 자세한 내용은 TIPA 홈페이지(www.tipa.or.kr) 및 입사 지원 홈페이지(https://tipa.scout.co.kr/)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신정부의 국정과제인 성과창출형 혁신성장에 따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및 스마트 제조혁신이 중요성이 더해 지고 있다”면서,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역동적인 인재를 채용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96","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2년_일반직·전문위원·청년인턴_등_42명_공개_채용.hwp","viewCnt":"2060","regDate":"2022-05-25 13:02:44"},{"contentId":"140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 추진.. 윤리경영 확산 가속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400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22년도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는 자발적 반부패 의지 노력으로 다양한 청렴활동에 참여한 직원에게 청렴포인트 점수를 부여해 청렴 우수자 에게 포상을 실시하는 TIPA의 청렴 인센티브 제도이다. 이 제도는 크게 △행동강령 규정 준수와 관련된 행동강령 분야, △청렴 교육과 청렴제안이 포함된 반부패 청렴활동 분야, △청렴자율실천과 제 추진과 관련된 윤리경영실천추진반 분야로 구분되어 운영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 추진을 통해, 직원들의 청렴의식을 높이고 기관 윤리경영 문화가 정착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고 청렴실천 의지를 전했다. 한편, TIPA는 지속적인 부패방지 모니터링 및 청렴활동을 추진한 결과,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패방지 시책평가 에서 1등급을 획득하여 청렴활동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92","atchfileNm":"20220524_(보도자료)_TIPA,_청렴활동_우수자_포상제도_추진.._윤리경영_확산_가속화(배포).hwp","viewCnt":"1557","regDate":"2022-05-25 09:23:33"},{"contentId":"139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2년 한・독 中企 기술교류 웨비나 및 매칭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94","contentsKor":"‘22년 한・독 中企 기술교류 웨비나 및 매칭상담회 개최 ◇ TIPA-WFS(독일 작센주 경제개발공사) 간 중소기업 기술교류 협력 MOU 체결 ◇ 양국 간 중소기업 기술교류 활성화 및 中企 기술개발 애로 해결에 앞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원장 이재홍, 이하 TIPA) 독일 작센주 경제개발공사와 ‘22년도 한·독 기술교류 웨비나를 개최하고 양국 중소기업 육성 및 주력산업 분야 협력을 약속했다. < 행사 개요 > ◾행 사 명 : ‘22년도 한·독 기술교류* 웨비나 및 매칭상담회 *기술분야 : 기계공학·ICT융합(디지털트윈,AR/VR), 미래차(E-모빌리티 경량화 소재 및 수소기술) (영문) Virtual business event and workshop with cooperation opportunities to Korea and Germany ◾ 일 시 : ‘22년 5월 17일(화) ~ 18일(수) 15:30 ~ 18:00 * 1일차 : 한·독 기술교류 웨비나(오프라인), 2일차 : 1:1 기업 매칭 상담회(온라인) ◾ 장 소 :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17일), 온라인플랫폼(18일) ◾ 진행방식 :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 내 용 : ① (개회식) 양 기관 대표인사의 개회사, 환영사 ② (LOI체결) TIPA-독일 작센주 경제개발공사 간 업무협약③ (기술세미나) 양국 기술동향 및 기업·연구소 보유기술 소개④ (매칭상담회) 기업 간 기술개발 애로사항 해결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독일 작센주 경제개발공사(대표 토마스 호른, 이하 WFS)는 17일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22년도 한·독 기술 웨비나 행사에서 한독 간 중소기업 기술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LOI)을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체결했다. ○ 독일과의 정보, 기술 교류를 바탕으로 양국 중소기업 육성 및 주력산업 분야 협력을 위해 양 기관은 상호 홍보 및 협력을 약속했다. ○ 첨단 기술 추천, 도입 및 양 기관 간 인프라 활용을 통한 상호 산학연 연계 지원 및 기술 이전 및 기술 정보 교환 촉진을 위한 합동세미나 개최도 협약 내용에 포함됐다. □ 이번 업무협약은 앞서 2020년 9월 한-독일 기술교류 업무 1차 협의에서 열린 TIPA와 작센주경제개발공사의 비대면 회의를 시작으로 올해 3월 TIPA-WFS 업무협약(LOI) 체결 관련 온라인 회의에서 논의를 거쳐 체결하게 되었다. ○ 2022년 초 작센주 경제개발공사와 독일 현지에서의 업무협약식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팬데믹 상황으로 연기되고,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종내에는 업무협약을 맺고,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행사를 개최하게 되었다. ○ 독일 작센주 정부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이번 행사에는 BBA 프로젝트 예산이 투입되었다. ○ 오늘 LOI가 체결됨에 따라 독일 소부장, 제조혁신 및 ICT 연구 특화지역인 작센주 경제개발공사와 양국기업 기술교류 협력이 본격 추진된다. □ 행사 목적은 한-독일 간 협업 상승 효과가 큰 ICT‧기계 융합 및 자동차 분야(E-모빌리티, 경량화 소재 및 수소기술)의 우수한 연구소 및 기관의 기술 사례 발표를 통한 양국 기술교류 활성화다. □ 협약 체결식 후 양국의 ▲디지털트윈 ▲시뮬레이션 ▲디지털화 ▲AR/VR을 포함한 기계공학산업에서의 게이밍 기술과 ▲자동주행 ▲e-모빌리티 ▲경량화 소재를 포함한 미래차 기술에 대한 전문가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술세미나가 열렸다. ○ 기조연설로 나선 작센자동차공급업체네트워크 Dirk Vogel 네트워크 매니저는 “이동성 미래와 자동차 산업”에 대해 발표했다. ○ 주식회사 아이투 이순열 대표이사는 “국내 제조산업에서의 AR/VR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사례”에 대해 설명했고, ○ 드레스덴 응용과학대학(Fachhochshule Dresden(FHD))의 Marius Brade 교수는 “VR을 이용한 노하우 전수”에 관해 발표했다. ○ 이어 수소융합얼라이언스 권낙현 센터장이 연사로 나서 “국내 수소산업과 모빌리티 현황”에 대해 발표해 이목을 끌었다. ○ 다음 발표자로 주식회사 FDTech 창업자이자 CTO인 Bert Auerbach는 “프로토타입의 개념부터 준비-생산의 통합과정에 이르는 모빌리티 솔루션을 위한 자동화된 구동 기능”에 대해 설명했다. ○ 마지막으로 주식회사 Tracetronic의 CEO인 Rocco Deutschmann는 “자동차산업에서의 자동화와 디지털화”와 “소프트웨어로 정의되는 미래자동차에 대한 Tracetronic의 나아갈 방향과 한국과의 관계”를 주제로 발표했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TIPA는 한국과 독일 간의 지속가능한 협력을 위해 작센경제개발공사와의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양 국가 간 성장 잠재력이 있는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협력 및 미래 먹거리를 발굴 - 4 - 하는 데 있어서 연계방안을 모색하고, 국내 중소기업의 유럽시장 진출을 위해 꾸준히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 Thomas Richter WFS 부대표는 “한·독 기술 웨비나에 참여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소감을 전한 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인해 국제적 위기에 직면한 지금, 아시아와 독일 간의 교류의 중요성은 매우 커졌다. 양국 간 무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협력에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 □ Stephan Brauckmann 작센주 경제부 국장은 “작센주에서 대외무역을 담당한 이래 한국과 많은 교류를 진행했다. 이러한 성공적인 협업은 모든 분야 전문가가 함께 이뤄낸 것”이라며, “이번 행사로 양국 간 협력이 확대될 것이며, 자동화와 미래차 등 여러 산업 분야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 Peter Winkler 주한독일대사관 부대사는 “두 국가 모두 원자재가 부족한 국가이기 때문에 혁신 능력과 지식은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이번 행사로 미래 산업분야에 대한 양국 간 교류가 더욱 긴밀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한편, 행사 둘째 날인 오늘, 온라인 상으로 1:1 기업 매칭 상담회가 열린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수행 경험, 계획이 있는 기업 중 독일과 상담회를 희망하는 중소기업들은 이번 상담회를 통해 기업 간 기술개발 관련 애로사항 해결을 지원받을 수 있고, 공동 시장 진출 기회도 제공 받을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46","atchfileNm":"행사사진2.JPG","viewCnt":"1691","regDate":"2022-05-18 14:21:43"},{"contentId":"139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 고강도 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9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사적 차원의 ‘청렴자율 실천과제’를 발굴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22년도 ‘청렴자율 실천과제’로 4개 분야* 48개 과제가 발굴됐으며, TIPA 전체 부서가 참여해 연내 1개 이상의 실천과제를 전담하게 된다.* ① 청렴교육(39건), ② 정보공개(3건), ③ 제도개선(1건), ④ 기타 활동(5건) 대표적으로 △중소기업 R&D사업 수행기관 및 사업담당자 청렴교육 실시, △채용 과정에서의 투명성・신뢰성 제고를 위한 채용 현황정보 공개, △법인카드 사용규정 준수를 통한 청렴실현, △보조금 지원 관리 투명성 확보 등이 실천과제로 발굴됐다. 한편, TIPA는 지난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으로는 최초로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지난 해 12월에는 동 인증 갱신을 승인받는 등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올해 청렴자율 실천과제 추진을 통해, 취약분야 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정부패가 발생할 수 있는 제도 나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42","atchfileNm":"20220516_(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고강도_실천_프로그램_전사적_가동(배포).pdf","viewCnt":"1530","regDate":"2022-05-18 11:22:13"},{"contentId":"139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아마존 코리아 협업으로 글로벌 e-커머스 입점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84","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아마존코리아와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을 위한 “글로벌 e-커머스 플랫폼(아마존) 입점설명회”를 5월 12일(목)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ㅇ 그 간 TIPA는 중소기업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위해 자금, 판로, 수출, 인력 등 다양한 방식의 사업화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ㅇ 특히, 아마존 입점 설명회는 평소 해외시장 진출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입점과정 및 방법, 해외 물류배송 등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업들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이다. ㅇ 동 프로그램은 매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추진하고 있으며, ’20년 이후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 중 9개사가 아마존 코리아에 입점 하였으며, 약 18만 달러(약 2.3억원)의 매출이 발생하였다. □ 이번 ’22년 상반기 글로벌 e-커머스 플랫폼(아마존) 입점설명회는 온라인 설명회(웨비나)로 예정되어 있으며, 전자상거래 최근 트랜드 및 입점 절차 안내 등을 포함한 기본과정으로 진행된다. ㅇ 기본과정 종료 후 참여기업 수요에 따라 아마존 제품 등록 방법 및 주문처리, 제품 배송 방법 안내 등에 관한 심화과정을 5월 말~6월 중 온라인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아마존 입점 온라인설명회 참여신청은 5월 12일 12시까지 온라인 으로 접수가 가능하며, 아마존 웨비나 시스템(http://amzn.to/tipa22)을 통해 참여신청과 설명회 참여가 가능하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설명회가 온라인 커머스를 통해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 된다.”라며 “앞으로도 R&D 기업의 사업화 애로해소를 위해 다양한 사업화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24","atchfileNm":"20220511_(보도자료)_TIPA,_아마존_코리아_협업으로_글로벌_e-커머스_입점_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1590","regDate":"2022-05-11 15:26:13"},{"contentId":"139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11일 글로벌 밸류업라운드 열어 中企 해외 사업화 돕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8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TIPA ValueUP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1일 글로벌 투자설명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초기창업 중소벤처기업들이 개발한 우수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지원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난 ’18년도부터 운영 중에 있으며, ㅇ 매년 100개사의 투자유망기업을 선정하고, 참여기업들에게 투자 유치를 위한 교육과 투자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프로 그램을 통해 투자유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ㅇ 또한, TIPA는 참여기업을 산업별·투자단계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고, 개별기업 맞춤형 교육과 펀드연계를 통해 ’18년부터 ’22년 3월까지 총 46개 기업이 약 471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TIPA는 참여기업에게 보다 많은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투자 뿐만 아니라 해외 투자에 관심을 가지는 참여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해외 VC대상 글로벌 투자설명회를 마련했다. □ TIPA는 이번 글로벌 IR 추진을 위해 다양한 해외투자자와 접촉하 였고, 미국(Mind the bridge), 룩셈부르크(Foundry Europe), 스위스 (ETH Zurich), 중국(Make021 Hacker Space), 싱가포르(Quest Venture), 필리핀(Tech Shake) 등 6개국의 해외 벤처캐피탈 소속 현지 심사역이 온라인으로 참가할 예정이다. ㅇ 글로벌 IR 참여기업은 총 7개사로 ㈜지비에스커먼웰스(의료기기, Spinal instruments), 주식회사 딥센트(후각자극 융복합 디지털치료 솔루션), 모빌리오(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활용 자율 배달 서비스), 드라이브텍㈜ (가변형 물류차량의 개조식 자율주행 플랫폼) 등이며,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여 IR 피칭을 진행하게 된다. □ ㈜지비에스커먼웰스 안경기 대표이사는 “자사는 제품 특성상 미국 시장 진출을 목표로 기업을 설립했다.”라며, “TIPA ValueUP 프로 그램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고 있으며, 이번 글로벌 IR을 통해 해외 자본 유입과 함께 자사의 검증된 기술력과 성장성을 투자사들에게 보여 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참여기업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라며 “동 프로그램을 통해 발굴한 우수기업들이 국내 벤처투자 뿐만 아니라 해외 투자 유치를 통한 해외진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20","atchfileNm":"20220510_(보도자료)_TIPA,_11일_글로벌_밸류업라운드_열어_中企_해외_사업화_돕는다(배포).pdf","viewCnt":"1947","regDate":"2022-05-10 10:55:16"},{"contentId":"139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청렴 및 반부패 활동 강화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7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청렴 및 반부패 활동에 중점을 둔 윤리경영 추진 계획을 수립했다고 28일 밝혔다. TIPA의 윤리경영 추진계획은 ‘부패 유발요인 선제적 대응’ 및 ‘부패 방지경영시스템 운영 공고화’ 등 5개의 추진전략과 15개의 추진과제 를 담고 있다. 구체적인 전략 이행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내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TIPA는 다음달 정부의 이해충돌방지법 시행을 앞두고 내부 운영 지침을 마련하였다. TIPA의 이해충돌방지제도 운영지침은 4월 19일 제정 및 배포되었으며, 이 지침은 이해충돌방지 및 신고를 위한 세부 절차와 징계양정기준, 이해충돌방지 담당관 지정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한편, TIPA는 지난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으로는 최초로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지난 해 12월에는 동 인증을 지속 유지하여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올해 반부패 활동 중심의 윤리경영 추진계획 수립을 통해, 취약분야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정부패가 발생할 수 있는 제도나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공 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07","atchfileNm":"20220428_(보도자료)_TIPA,_청렴_및_반부패_활동_강화_나선다(배포)★.pdf","viewCnt":"1497","regDate":"2022-05-02 09:31:07"},{"contentId":"139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비수도권 R&D기업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2022 TIPA ValueUP 데모데이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6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2022년 상반기 “TIPA ValueUP 데모데이”를 28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들이 개발한 우수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지원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난 ’18년도부터 운영 중에 있으며, ㅇ 매년 100개사의 투자유망기업을 선정하고, 기업맞춤형 IR교육과 함께 보다 많은 투자유치 기회제공을 위해 국내·외 VC를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ㅇ 그 결과, ’21년 한 해 총 24개 기업이 242.6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 ’18년~’21년 누적 41개사, 388억원 투자유치 ㅇ 특히, ’20년 선정된 ㈜이00의 경우 동 프로그램을 통해 ’21년 한해 20억원의 투자자금을 유치하고, 타 부처 사업연계 및 해외진출 등 다양한 사업화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 이번에 개최되는 “TIPA ValueUP 데모데이”는 비수도권 소재 중소 기업 9개사를 포함하여 총 12개 R&D기업과 10명의 벤처투자자들이 참여하며,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진행된다. ㅇ 참여기업은 셀라이온바이오메드(난치성 섬유화 질환 치료제), 주식회사 딥센트(향기와 기술을 융합한 디지털 후각솔루션), ㈜파인나노(디스플레 이용 금속나노 전도성잉크) 등이며, 행사당일 투자자를 대상으로 현장 에서 IR 피칭을 진행하게 된다. ㅇ “2022 TIPA ValueUP 데모데이”에 참가하는 투자유망기업은 VC 대상 IR 뿐만 아니라 네트워킹 시간을 별도로 마련하여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다양한 투자기관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이재홍 TIPA 원장은 “TIPA ValueUP프로그램을 통해 좋은 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라며 “특히 올해는 비수도권에 소재한 중소벤처기업이 투자유치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500","atchfileNm":"보도자료_TIPA,_비수도권_RD기업_투자유치_활성화를_위한_2022_TIPA_ValueUP_데모데이_개최.pdf","viewCnt":"2122","regDate":"2022-04-28 15:43:38"},{"contentId":"139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주력 산업별 中企 지원할 혁신기관 82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6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2년 지역특화산업육성 사업의 주력산업 기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82개 지역혁신기관을 선정 했다고 26일 밝혔다.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주력산업기업지원)은 지역혁신기관을 통해 비수도권 14개 시·도의 주력산업 영위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지원(시제품제작, 특허 지원 등), △사업화 지원(마케팅, 컨설팅 지원 등), △역량강화(전문인력 양성 등)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1월 TIPA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KIAT)로부터 사업을 이관받아 수행 중인 사업이다. TIPA는 올해 1월 지역주력 산업별 중소기업을 지원할 지역혁신기관 모집 공고를 실시한 결과, 122개 기관이 신청・접수되었으며, 각 지역별 지역사업평가단의 선정 평가과정을 거쳐 82개 기관이 선정됐다. 앞으로 지역혁신기관이 보유한 자원을 활용해 기업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올해 1,500개 내외의 지역 중소기업을 지원할 예정이며, 지역혁신기관의 역량에 따라 지원분야 및 내용은 상이할 수 있다. *지역혁신기관 : 대학, 연구소, 특화센터, 협회 등 중소기업에 사업화 지원 및 역량 강화 등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 또는 기업유형 이번에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재)영월산업진흥원의 소재융합사업팀의 배병서 선임은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노력, 디지털 전환 시대 등 산업환경 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서는 R&D 전문인력 및 경험이 부족한 강원 지역 기업에 대한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진흥원이 보유한 장비 및 인프라를 활용하여 기업이 필요한 시제품 제작 등을 직접 지원하여, 강원 지역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금년도부터 TIPA가 지역사업 지원기능을 전담 하는 만큼 지역의 주력산업과 관련 기업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지역 기업의 사업화 및 판로개척을 지원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일조 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오는 5~6월 중 지역혁신기관의 기업 서비스를 지원받을 중소기업 모집 통합공고를 추진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각 지역별 테크노 파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498","atchfileNm":"20220426_(보도자료)_TIPA,_지역주력_산업별_中企_지원할_혁신기관_82개_선정(배포)(★★).pdf","viewCnt":"2093","regDate":"2022-04-26 14:02:35"},{"contentId":"139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2년 지역R&D 온라인 협약설명회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94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2년 지역산업육성 사업(R&D) 선정과제를 대상으로 과제 수행절차 및 올바른 사업비 사용방법 등 R&D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도 고취를 위해 2022년 4월 21일(목) 온라인 협약설명회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설명회는 선정기업의 입지 및 수요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전문기관(TIPA) 및 관리기관(지역사업평가단)을 비롯해 회계사, 실시간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이하 RCMS) 담당자, ‘22년 신규 선정기업 책임자 및 참여연구자 등 약 600여명이 참 여할 예정이다. □ 2022년 지역R&D는 「지역특화산업육성+(R&D)」와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R&D」사업으로 지원한다. ㅇ 지역특화산업육성+(R&D)는 14개 시·도, 48개 지역주력산업분야 및 지역스타기업의 글로벌 강소기업 성장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 원하며,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R&D는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 의 혁신성장 및 협업 촉진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ㅇ ’22년도 1월 지역산업육성사업(R&D) 신규과제를 지원하기 위한 공고 후, 지난 3월 지역별 선정평가 단계를 거쳐 지원과제를 선정 하였다. □ 본 설명회는 유튜브 중계 플랫폼을 통해 LIVE로 진행되며, 실시간 댓글기능을 활용한 질의응답이 진행된다. ㅇ TIPA는 사업수행 체계, SMTECH(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전자협약 체결 방법, 중소기업 R&D 사업화지원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R&D사업 전반에 대해 안내한다. ㅇ 이어서,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관련 규정 및 불인정 사례와 RCMS를 통한 사업비 집행, 정산금 및 기술료 납부 등 사 후관리 안내가 이뤄진다. ㅇ 마지막으로, 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자를 위한 청탁금지법 이해 및 행동강령 위반사례를 소개하며 청렴교육을 시행한다. □ 본 설명회를 통해 지원 중소기업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협약체결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기관)은 아래 링크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b4RClzD8GelAl_fEJ6lF-Q/featured","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470","atchfileNm":"20220420_(보도자료)_TIPA,_2022년_지역RD_온라인_협약설명회_추진(배포).pdf","viewCnt":"1635","regDate":"2022-04-21 10:48:21"},{"contentId":"138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그린뉴딜 성과, 한국판 뉴딜 정부 포상 받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95","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획재정부로부터 ‘한국판 뉴딜 추진 유공자 정부포상’ 관련 ‘경제부총리 표창장’을 받았다고 밝혔다. □ ‘한국판 뉴딜 추진 유공자 정부포상’은 지난해 11월, 한국판 뉴딜 추진에 기여한 유공자 및 기관을 대상으로 심사가 진행되었으며, ◦ TIPA는 3년간 총 사업비 3,000억 규모의 프로젝트인「그린유망벤처 기업100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표창을 수상했다. ◦「그린유망벤처기업100 프로젝트」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환경부가 협업하여 환경문제 관련기술을 개발하는 중소벤처기업을 육성· 발굴하고 사업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서, ◦ 해당 사업은 약 12:1 이상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 환경 문제 해결 및 탄소중립 실현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 중소벤처기업의 높은 참여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선정 단계에서는 지원 기업의 성장 및 사업화 가능성을 고려한 평가를 진행하여 아기유니콘 등 우수기업이 다수 선정되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업성과에 대한 기대를 높이게 하였다. ◦ TIPA는 지속적인 그린뉴딜 선정기업 관련 행사 및 홍보를 통하여 대국민 관심도 제고와 해당기업의 투자유치 지원을 위해 노력하 였으며 특히, 기관장이 직접 선정 기업 현장 방문하여 사업관련 애로 및 건의 사항을 직접 청취·해소하는 활동을 펼친 바 있다. □ 이재홍 원장은“TIPA의 한국판 뉴딜의 성공적 이행과 노력을 인정 받아 영광”이라고 밝히면서“대한민국 중소벤처기업이 탄소중립 2050을 비롯한 환경관련 난제를 기술개발을 통해 극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425","atchfileNm":"20220415_(보도자료)_TIPA_그린뉴딜_성과,_한국판_뉴딜_정부_포상_받아(배포).pdf","viewCnt":"1643","regDate":"2022-04-15 13:34:55"},{"contentId":"138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수요처간 상생 발전 R&D과제 정부가 최대 12억 원까지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83","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수요 및 투자 기반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022년 구매조건부신제품 개발사업 자유공모 2차 과제를 모집 공고한다고 밝혔다.□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2002년도부터 중소기업 R&D를 지원한 대표 사업으로,◦ 중소기업-수요처(투자기업) 간의 R&D를 통한 상생협력 활동을 촉진 하여 가치(공급)사슬의 경쟁력 확보 및 자립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수요처 및 투자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의사를 밝히고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에 대해 해당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본 사업은 중소기업이 자체 아이디어와 개발기술을 수요처에 제안 하여 ‘구매동의서’ 또는 ‘구매계약서’를 받아 과제를 신청하는 구매연계형과 중소기업이 투자기업에 과제를 제안하여 ‘투자 동의서’를 받아 과제를 신청하는 공동투자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공동투자형은 투자기업과 중소기업이 신시장 개척 및 새로운 사업 진출을 위한 도전적 R&D과제를 함께 추진할 수 있도록 구매 계약을 면제하고 지원 규모도 최대 3년에 24억 원까지 지원한다.□ 이번 2차 사업 공고는 구매연계형 과제 총 241개 과제에 대하여 296억 원, 공동투자형 총 36개 과제, 54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며, 세부 지원분야로는 일반 R&D, 조달혁신, 소재·부품·장비, BIG3 등으로 나누어 지원한다.□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자유공모 1차에서는 227개, 430억 원 지원을 목표로 평가를 완료하였으며, 과제를 선정하여 4월중 지원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본 사업은 중소기업과 수요처가 힘을 합쳐 기술개발을 통해 value chain의 경쟁력 확보 및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형성할 수 있어, 사업 주체간 상생 협력의 원동력이 되는 사업”이라 평가하면서 “앞으로도 우리 중소기업이 대기업이나 공공기관과 가치 있는 동행을 할 수 있는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TIPA가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을 약속하였다.□ 구매조건부신제품기술개발사업은 하반기 지원을 위한 2차 자유공모 과제를 5월 10일까지 모집 중에 있으며, 이후 2차 지정공모 과제 모집을 계획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로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417","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수요처간_상생_발전_RD과제_정부가_최대_12억_원까지_지원.pdf","viewCnt":"1680","regDate":"2022-04-12 11:31:17"},{"contentId":"138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데이터 제공 활용 평가 3년 연속 최고 등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6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가 행정안전부 ‘2021년 공공데이터 제공‧운영실태 평가’에서 3년 연속 최고등급인 우수를 획득했다. ○ 평가는 대국민 고수요‧고활용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노력을 △관 리체계 △개방 △활용 △품질 △기타(가감점) 영역으로 나누어 중앙행정기관, 지차체, 공공기관 등 총 548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 TIPA는 全영역에서 타 공공기관 대비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데이터 관리체계 영역에서 만점을 획득하였다. 특히, 데이터 품질 분야는 98.69점을 획득해 공공기관 평균 점수인 56.32점을 크게 상 회하여 기관 데이터 관리의 수준 높은 역량을 증명했다. □ 평가 의견에 따르면 △일자리, 안전 등 사회현안과 밀접한 데이터 개방 △개방완료 데이터의 활용성 제고 노력 면에서 긍정적인 평 가를 받았다.○ TIPA는 대국민 공모전, 상시 의견수렴 창구 신규운영 등의 노력을 통해 20년도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던 데이터 개방 의 적극성 부문에서 만점을 획득하였다. ○ 특히, 영세 중소제조기업이 자체역량으로 구하기 어려운 AI기반 제 조데이터셋을 원천데이터 형태로 개방 등 노력을 통해 중소제조 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 및 신규 비즈니스 창출에 기여하였다. □ 이러한 성과의 배경으론 기관의 선제적인 데이터 품질관리 노력이 있다. TIPA에서 운영 중인 종합관리시스템(SMTECH)은 중소벤처기업 R&D관련 방대한 데이터를 담은 대표 시스템으로 작년 데이터 품질인 증(DQC-V) 최고품질(플래티넘) 획득을 통해 오류율 0.0227% 달성했다. □ TIPA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대국민 소통을 위한 대국민 공 모전‧경진대회 등을 진행하고 적극적인 타기관 협업과 선제적인 데이터 품질관리 등 대국민의 공공데이터 편의성 향상을 위한 아낌없는 지원을 할 예정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TIPA의 데이터경제 활성화 및 디지털 플랫폼 구현에 앞장서기 위한 공공데이터 관리 노력을 인정받아 기쁘다”며 “올해는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기관 공공데이터의 질적 제고에 더욱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78","atchfileNm":"(보도자료)_TIPA,_공공데이터_제공_활용_평가_3년_연속_최고_등급.pdf","viewCnt":"1527","regDate":"2022-04-05 16:17:24"},{"contentId":"138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육·해·공군, 국방 협력체계 추진을 위한 정례협의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6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는 지난 3월 31일 TIPA 세종 본원 대회의실에서 ‘2022년 제1차 국방 협력기관 정례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TIPA는 지난 2월까지 육·해·공군과 각각 MOU를 체결하고,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와 각 군의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였다. ○ TIPA의 국방 협력기관 정례협의회는 각 군과의 협력현황을 점검 하고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자 정기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 이날 협의회에는 육·해·공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등 각 기관 관계자 15명이 참석하였으며,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세를 고려하여 철저한 방역수칙 준수 하에 진행되었다. □ 정례협의회는 ▲2021년 협력체계를 통한 주요 실적 및 성과 보고, ▲민-군 협력R&D 지원체계 추진현안 검토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 특히, 육·공군에서 자체적으로 발굴한 기술·제품 수요를 기반으로 최근 2년 간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이하 구매조건부사업) 구매연계형 과제에 선정되어 정부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받는 총 36개 민-군 협력R&D과제의 진행현황을 점검하였다. - 향후 기술개발이 완료되면 각 군에서 해당 기술·제품을 구매하고, TIPA와 함께 민-군 기술사업화 성과 확산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 또한, 2023년 구매조건부사업 구매연계형 과제 발굴을 목표로 각 군의 기술수요를 선제적으로 공개하고,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협력 아이디어를 수집하고자 기술교류회 등을 통해 민-군 협업을 희망 하는 기업을 모집하고 사전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 민-군 원활한 협의를 위해 필요시 군의 테스트베드 인프라를 개방 하여 기술실증 환경을 제공하거나, TIPA의 멘토링 프로그램 연계를 검토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 TIPA와 육·해·공군은 앞으로도 정례협의회와 상시 실무회의를 통해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지원과 각 군의 민간 우수기술 도입 확대를 위해 적극 협력하고, ○ 구매조건부사업 구매연계형 과제의 경우, 국방 분야 과제를 대상 으로 올해부터 개발기간 최대 3년, 개발비 10억원 이내의 조건으로 지원범위가 확대된 만큼 향후 민-군 협력 기술개발 활성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정례협의회는 민-군 상생발전과 기술협력 촉진을 위한 각 기관의 협력의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 “TIPA와 육·해·공 전군(全軍) 간 협력 생태계를 더욱 활성화시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국군의 기술력 강화를 위해 의미 있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해나가겠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51","atchfileNm":"(보도자료)TIPA-육·해·공군,_국방_협력체계_추진을_위한_정례협의회_개최.pdf","viewCnt":"1743","regDate":"2022-03-31 16:25:56"},{"contentId":"138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상반기 해외 기술교류 상담회 참가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59","contentsKor":"□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오는 6월 24일까지 해외진출 및 기술 사업화를 희망하는 중소벤처 기업을 대상으로 상반기 4개국 해외기술교류 상담회 참가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 해외기술교류 대상국은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말레 이시아 등 총 4개국으로, 국내기업과 현지 바이어를 매칭하여 온·오프라인 상담회를 진행하고 해외 기술이전 등을 지원한다. ○ 각 국에서 국내기업의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기 때문에, 해당국을 대상으로 판로개척과 기술수출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에게 있어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이번에 참가기업으로 선정되면 상담회 뿐만 아니라 해외진출을 위한 맞춤형 기술역량 강화 및 대외홍보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 먼저, 상담회 참가시 상담통역사 지원, 국내기업 보유기술에 대한 전문가 현장진단, 기술 소개자료 번역, 계약서 법률자문·통번역, 맞춤형 후속지원 등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받게 된다. ○ 또한, 상담회 이외에도 IP, 기술보호, 시험·인증 등 분야별 전문가 와의 전략컨설팅 프로그램 초청, 비대면 교육 상시수강 환경 지원, 기술유출방지 솔루션 무료 지원, 국제기구 기술DB 등재를 통한 보유기술 홍보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모집규모는 최종 선정기업 기준 총 30개 내외로 선착순 지원하며, 교류국은 기업당 최대 2개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 신청기간 중에는 상시 접수가 가능하지만 해외 현지상황과 접수 현황에 따라 조기마감될 수 있으며, 신청기업은 정기·수시 평가를 통해 선정여부를 별도로 안내받게 된다. □ 오는 5월 말에 가장 먼저 상담회를 개최하는 중국(쑤저우) 상담회는 4월 초까지 신청마감되는 점을 유의해야 하며, 인도네시아(반둥) 상담회는 현지 대면교류회로 진행될 예정이다. ○ 그 외 국가별 상담회는 국내기업과 현지 바이어가 매칭완료되는 대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한편, TIPA는 2020년부터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통한 국가 간 기술협력 및 기술수출 활성화를 위해 ‘해외기술교류 사업’을 운영 중이며,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한국특허전략개발원(KISTA), 한국 과학기술원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KAIST GCC) 등 다양한 협력 기관을 통해 국내기업의 해외 기술교류 상담회와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여 지원하고 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글로벌 팬데믹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해외 판로확보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뛰어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해외진출을 도모하고 있다”며, ◦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최고의 R&D파트너로써, 우리 기업의 해외교류 활성화와 기술역량 강화를 통해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을 지원하고자 더욱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자세한 내용은 ‘해외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g-tep.or.kr)’과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 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47","atchfileNm":"(보도자료)TIPA,_상반기_해외_기술교류_상담회_참가기업_모집.pdf","viewCnt":"2026","regDate":"2022-03-30 15:38:05"},{"contentId":"138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OSMO, 영세기업을 위한 저비용의 공동활용 솔루션 구축 성과 발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58","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은 3월 29일(화) 오후, 세종 본원에서 2021년도 ‘클라우드기반 솔루션개발사업’의 공동활용 솔루션 구축 지원과제에 대한 성과발표회를 개최하였다. 성과발표회는 동 사업의 지원을 받은 기관에서 참여해 솔루션별 구축 지원 성과와 확산방안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로써 솔루션 관리 협·단체 (회원사) 및 공급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추진단은 동 사업을 통해 협·단체 및 영세기업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 저비용의 공동활용 솔루션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클라우 드 인프라(HW, SW, NW)와 운영관리를 제공해 다수의 중소기업들이 손쉽게 데이터를 관리 할 수 있도록 도우며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촉진에 기여 하고 있다. 솔루션 지원과제는 도축업 회원사의 도축가공 데이터 관리를 위한 ‘①도축장 스마트HACCP 솔루션’, 공기압축기 사용업무에 대한 모바일 연동과 실시간 관리를 지원하는 ‘②공기압축기 유지관리 공동활용 솔루 션’, 디지털 인공치아보철물 제작 및 공정관리를 위한 ‘③치아보철물 제작관리 솔루션’, 금속산업의 도면 및 견적 관리를 위한 ‘④금속가공업종 주문관리·공유 솔루션’, 중소기업의 구매발주 자동화를 위한 ‘⑤중소기업협업 ERP 솔루션’, 반월표면처리사업협동조합 업무의 통합 관리를 위한 ‘⑥반월표면처리공단 통합정보 솔루션’ 으로 총 6개의 업종별 공동활용 솔루션을 구축했다. 특히 추진단은 영세기업들이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식육포 장처리(‘19), 떡 가공(’20), 축산·도축(’21) 등 업종별 스마트HACCP 공동활용 솔루션 개발을 지원했으며, 적은 비용으로 HACCP 데이터를 쉽게 관리 할 수 있게 되어 업무 개선, 생산성 증대 등의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동 사업을 통해 다수의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활용 가능한 업무용 솔루션 개발과 운영관리를 지원해 중소 기업 경영·생산 효율화 및 디지털 경영 저변 확산을 지원하였으며, 앞 으로도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45","atchfileNm":"220325_보도자료_KOSMO,_영세기업을_위한_저비용의_공동활용_솔루션_구축_성과_발표.pdf","viewCnt":"1813","regDate":"2022-03-30 15:36:48"},{"contentId":"138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중소기업중앙회 R&D 사업화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 협력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5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중소기업중앙회는 우수 연구개발 및 사업화 성공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ㅇ 양 기관은 25일(금) 11시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이재홍 중소기업기 술정보진흥원 원장, △정윤모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ㅇ 양 기관은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한 중소기업 해외 진출 협력, △ 해외 정부 등의 기술 및 기업진출 수요에 대한 공동협력 및 대응 등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 정윤모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은 “지난해 중소기업의 수출은 무역 역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 등 해외에서 우리 중소기업을 찾는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양 기관 간 협력을 통해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기회가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은 “팬데믹 상황의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19 관련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 실적은 유래 없는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며, “이는 중소기업이 R&D 지원을 통해 꾸준한 연구개발에 매진한 결과로, 기정원은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과 예측 불가능한 상황의 출현으로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의 빠른 회복과 도약을 위해 중기중앙회와 협력하여 ➀R&D→➁상용화 →③해외시장 진출이라는 성공 사례를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34","atchfileNm":"20220325_(보도자료)_TIPA-중소기업중앙회_RD_사업화_중소기업_해외진출_지원_협력_추진.pdf","viewCnt":"1705","regDate":"2022-03-25 15:00:27"},{"contentId":"138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산림바이오 및 정원기반 분야 중소기업 육성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40","contentsKor":"산림바이오 및 정원기반 분야 중소기업 육성 업무협약 체결 ○ 3.22(화), TIPA-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업무협약(MOU) 체결 ○ 산림바이오, 정원기반 분야 중소벤처기업 발굴을 통해 한국판 그린뉴딜 정책에 앞장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수목원정원 관리원(이사장 류장수, 이하 한수정)이 산림바이오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육성과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 TIPA와 한수정은 3월 22일(화) 국립세종수목원에서 산림바이오관련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역량 강화와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우수 기술을 보유한 관련 분야 중소벤처기업 발굴 및 협업 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 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양 기관 간 국내외 보유 인프라와 인적자원 교류, ▲ 기술동향 정보 공유 및 홍보 등을 지원하는데 협력하기로 하였다. ○ 특히, 이번 협약을 통하여 임․농업 분야 창업기업을 발굴해낼 뿐만 아니라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해 ESG 경영활동을 함께 진행하는 등 지역복지 사회공헌 활동에 앞장설 예정이다. ○ TIPA와 한수정은 관련분야 중소벤처기업의 R&D지원사업 참여 지원을 통해 우수 기업 발굴과 기술사업화 확산을 위해 함께 노력할 예정이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임․농업, 정원기반, 산림생물 등 관련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판로를 개척 등을 통하여, 신재생 에너지, 자원순환 등 그린뉴딜 분야의 기술사업화를 위해 협력할 것으로 기대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TIPA는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력 강화를 위해 앞장서고, 미래가치 분야의 사업을 지원하고 있 다”며, “한수정이 보유한 산림정원기반 자원과 인프라 까지 더해진다면 중소벤처기업이 생물자원을 활용한 산림바이오, 친환경, 등 정부의 그 린뉴딜 정책에 앞장서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23","atchfileNm":"20220323_(보도자료)_TIPA-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_산림바이오_및_정원기반_분야_중소기업_육성_MOU_체결(배포).pdf","viewCnt":"1810","regDate":"2022-03-22 15:03:04"},{"contentId":"138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2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현장형R&D 2차 모집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37","contentsKor":"2022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현장형R&D 2차 공고□ 제조 중소기업 공장의 생산성 향상(불량률 감소・원가 절감 등)을 위해 제조 공정 자동화・지능화・효율화 등 공정개선 기술개발 및 실증지원□ 현장형R&D(과제당 1년, 5천만원 이내 지원) 참여 중소기업 모집(공고기간 : 3. 15.(화) ~ 4. 13.(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자금력이 부족한 국내 제조 중소기업 공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3월 22일(화)부터 4월 13일(수)까지 2022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현장형R&D 2차 참여 중 소기업을 모집한다.(사업공고 : 3월 15일(화)) 중소기업 공장의 단기 애로기술 해결 수준의 공정개선 기술개발 및 실증 지원을 통해 제조 중소기업의 생산성향상(불량률감소, 원가절감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중 직접생산확인증명서 또는 공장등록증을 보유한 최근 3년 평균 매출액 120억 이하 중소기업이다. ‘22년 동 사업 2차 신규과제 지원규모는 38.8억원, 155개 과제이며, 과제당 정부출연금 80% 이내에서 지원한다. 동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의 기관부담 연구개발비(현금+현물) 비중을 완화(10%)하고, 이 중 현금부담 비중(10%)으로 낮추었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종합관리 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사업공고] → [2022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현장형R&D 2차 시행계획 공고] ‘22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현장형R&D 사업 개요 □ 사업목적◦국내 중소기업 공장의 생산성 향상(불량률 감소・원가 절감 등)을 위해 제조 공정 자동화・지능화・효율화 등 공정개선 기술개발 지원 □ 지원규모(2차) : 38.8억원, 155개 과제 □ 지원유형 : 자유공모 □ 지원대상◦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중 직접생산확인증명서 또는 공장등록증을 보유한 최근 3년 평균 매출액 120억 이하 중소기업 □2차 공고기간 : 2022. 3. 15.(화) ~ 2022. 4. 13.(수)※ 접수기간 : 2022. 3. 22.(화) ~ 2021. 4. 13.(수) 18:00까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21","atchfileNm":"20220322_(보도자료)_2022년_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_현장형RD_2차_모집_공고(배포).pdf","viewCnt":"2034","regDate":"2022-03-22 13:40:04"},{"contentId":"138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위기지역 중소기업 스케일업 R&D 모집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25","contentsKor":"2022년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R&D 사업 공고(2차) □ 위기지역 및 위기업종 중소기업의 현장맞춤형 기술애로 솔루션 지 원 및 Scale-up R&D 연계지원을 통한 기업의 지속성장 지원 □ 현장수요형 R&D(1단계) 과제(과제당 2개월, 4백만원 이내), Scale-up R&D(2단계)과제(과제당 1년,1억원 이내)참여 중소기업 모집(2차 공고기간 : 3. 10.(목) ~ 4. 21.(목), 2단계 접수기간 : 4. 7.(목) ~ 4. 21.(목))* 현장수요형 R&D(1단계) 진행 일정에 따라 향후 Scale-up R&D(2단계) 접수일정 변경 가능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위기지역 및 위기업종의 중소벤처기업의 지원을 위해, 2022년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2차 공 고를 지난 3월 10일(목) 실시하고, 4월 21일(목)까지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R&D 사업은 현장수요형 R&D(1단계)에서 Scale-up R&D(2단계)사업으로 연계하여 지원한다.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R&D 사업은 위기지역 및 위기업종 중소기 업의 현장맞춤형 기술애로 솔루션 지원 및 Scale-up R&D 연계지원을 통한 기업의 신제품 개발, 제품고도화 등 지속성장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대상은 아래 내용 중 하나에 해당하는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이다. ①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소재 시·도(4개, 전북, 전남, 경남, 울산) 내 위기업종(조선·자동차) 중소기업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6개) : 전북 군산시, 전남 목포시·영암군·해남군, 경남 거 제시, 경남 통영시·고성군, 창원시 진해구, 울산 동구 ② 특별지원지역 :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소재 중소기업 - 강원(북평국가, 북평일반)- 전북(김제지평선일반, 정읍첨단)- 전남(나주일반, 장흥바이오식품, 강진환경일반, 나주혁신, 담양일반, 영광대마 전기자동차일반, 동함평일반산단, 세풍일반산단, 목포대양산단)- 충남(보령 주포제2농공단지) ‘22년 동 사업 신규과제 지원규모는 54억(1단계 4억, 2단계 50억), 150개 과 제이며, 1단계는 정부출연금 100% 지원, 2단계는 총사업비(정부출연금+ 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90%이내에서 지원한다. (1단계) 현장수요형 R&D → (2단계) Scale-up R&D 연계지원 (1단계) 현장수요형 R&D는 산학연 전문가 및 관련 기관(업) 매칭을 통한 맞춤형 지원합니다.* 기업이 요구하는 특허분석, 시장분석, 수요처 발굴·분석(수요처 연계 제품개발), 사업다각화 타당성 조사, BM모델 개발, 기술개발 사전기획 타당성 진단 등(2단계) Scale-up R&D는 지역 중소기업의 위기 극복 및 자생력 강화 를 위한 신제품 개발, 제품고도화 관련 기술개발을 지원합니다. 코로나-19 등 위기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 부담완화 동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의 기관부담 연구개발비(현금+현물)  비중을 완화(10%)하고,  이 중 현금부담 비중(10%)으로 낮추었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업 신청 경로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 [사업정보] → [사업공지] → [사업공고]","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306","atchfileNm":"(보도자료)_위기지역_중소기업_스케일업_RD_모집_공고_최종v2.pdf","viewCnt":"2415","regDate":"2022-03-14 10:17:54"},{"contentId":"138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년 연속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1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한국능률협회컨설팅 (KMAC)이 발표한 2022년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 조사 결과 ’중소기업 진흥‘ 부문 우수기관으로 2년 연속 선정됐다고 밝혔다. TIPA는 2022년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 공공 부문 중소기업 진 흥 산업에서 혁신능력, 주주차기, 직원가치, 고객가치, 사회가치, 이미지 가치 등 6대 가치 항목에 좋은 평가를 받아 2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얻 었다. 올해로 출범 20주년을 맞이하는 TIPA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R&D 지원 및 스마트 공장 보급 확산 전문기관으로 중소벤처기업의 R&D 를 통한 혁신 성장과 기술 경쟁력 강화, 제조 경쟁력 제고를 지원하 는 준정부기관이다. 또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다양한 국가 및 협력기관과 공동 프로그램을 마련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 로 성장하도록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TIPA 관계자는 “TIPA 임직원은 기관의 중소벤처기업 지원 정책이 단순 일회성 지원에 끝나는 것이 아닌, 기업 성장의 전주기에 자양분 역할 수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공공기관으로서 지역 내 취약 계층 지원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도 꾸준히 추진해오는 등 기관의 ESG 경영 노력이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으로 선정되는데 기 여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올해로 19회째를 맞이한 KMAC의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 조사는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산업계 종사자, 일반 소비자 등 총 1만 2천여명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해 선정됐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272","atchfileNm":"(보도자료)_TIPA,_2년_연속_한국에서_가장_존경받는_기관_선정.pdf","viewCnt":"2290","regDate":"2022-03-04 09:07:24"},{"contentId":"138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TP, 지역중소기업 육성 및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1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 1월 25일(화)부터 2월 11일(금)까지 지역중소기업 육성 및 협력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 테크노파크(이하 TP) 대상으로 ‘권역별 순회 간담회’를 개최했다.  「산업기술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 개정(‘22.2.28.)으로, 중기부의 TP 관리 업무 등을 위탁 수행하는 기관이 TIPA로 변경 이번 간담회는 금년부터 TIPA가 중기부의 지역사업 전담기관으로 변경 지정됨에 따라, TIPA-TP간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나가는 정기 협의체 운영을 위한 첫 상견례 겸 Kick-off 회의로서 마련됐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영남권, 충청·강원권, 수도권, 호남·제주권 총 4개 권역별로 직접 TP 원장단을 찾아가, △TIPA・TP 간 협력 모델 발굴, △TP별 주요현안 공유 및 대응방안 마련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TIPA는 지역 생태계 조성을 위한 R&D 및 스마트공장사업 확대 필요성, 지역사업 운영방안, TP 장비 고도화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으며, 3월 중 TP의 정책기획단장 및 실무자 간담회 등을 추진하여 후속 조치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양 기관은 한국판 뉴딜을 뒷받침할 ‘지역 중소기업 육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인 협업체계를 가동하여 지역별 현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내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는 등 실효성 있는 지원사업을 함께 만들어갈 계획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금년도 지역사업을 포함하여 예산이 약 2조원 가량 확대됨에 따라, 위기를 혁신으로 바꾸는 강한 중소·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TIPA의 역할이 강화됐다“며, ”TP는 지역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중요한 파트너로서,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정보교류 및 협력을 강화해 주요 현안들에 대해 발 빠르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269","atchfileNm":"(보도자료)_TIPA-TP,_지역중소기업_육성_및_협력체계_강화를_위한_간담회_개최.pdf","viewCnt":"2351","regDate":"2022-03-02 10:27:49"},{"contentId":"138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해군,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803","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대한민국 해군(이하 해군)이 2월 21일(월)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와 해군의 4차 산업혁명 지능정보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TIPA 세종 본원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TIPA 이재홍 원장, 해군 정보화기획참모부장 유근종 소장, 중소벤처기업부 원영준 기술혁신 정책관 등 관계자 10명이 참석했다. □ 이번 협약은 ① 民·軍 협력기술개발 과제발굴·지원, ② 중소벤처 기업의 기술실증을 위한 해군 테스트베드 개방, ③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관련 행사 참여·협력 등을 주요 골자로 한다. ① 해군의 해양전 수행능력 향상 및 첨단과학기술군 도약을 위해 필요한 기술과 제품의 개발수요를 자체적으로 발굴하고, TIPA는 이를 수행할 중소벤처기업을 모집·평가하여 선정된 기업에게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 기술개발자금은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의 구매조건부신제품 개발 구매연계형 과제를 통해 제공되며, 특히 국방 분야 과제의 경우 올해부터 개발기간은 최대 3년, 개발비는 10억원 이내의 조건 으로 지원범위가 확대되었다. - 기술개발이 완료되면 해군에서 해당 기술·제품을 구매하고, TIPA와 함께 民·軍 기술사업화 성과 확산을 지원하는 등 양 기관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 전주기 지원을 위한 협력을 추진한다. ② 또한, 기술실증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을 돕고, 국방 분야 民·軍 협력기술개발 과제 발굴 등을 위해, 해군이 보유한 테스트 베드 인프라를 민간에 개방하고 기술실증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③ 더불어, 해군 지능정보화정책발전 세미나 등 양 기관에서 중소벤처 기업의 기술혁신과 관련하여 개최하는 주요 행사의 운영 및 홍보를 위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한편, TIPA는 이번 협약에 앞서 공군본부(’20.5월), 육군본부(’21.5월)와도 중소벤처기업 지원 협력 및 국군의 신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였으며, 이번 해군과의 협약을 계기로 대한민국 육·해·공 전군(全軍)과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지원 협력체계를 구축하였다. ○ 이를 통해 기술 실증 및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어온 중소벤처기업이 국군의 실증환경을 활용하여 국방 수요에 연계한 아이디어를 창출 하고, 개방형 혁신 기술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등 民·軍 협력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국방 조달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던 중소벤처 기업의 판로확대 및 혁신성장을 지원하고, 동시에 영해를 수호하는 대한민국 해군의 민간 우수기술 도입을 확대하기 위한 뜻깊은 계기가 마련되었다”며, ○ “TIPA는 육·해·공군과의 긴밀한 협력모델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우리나라의 국방력 강화를 위해 유의미한 성과를 창출 하고자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해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유근종 소장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원하는 우수 중소·벤처기업이 해군력 발전에 참여하고, 기술혁신과 성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추진함으로써 민·관·군 상생의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235","atchfileNm":"220221_TIPA-해군,_국방_분야_중소벤처기업_육성_활성화를_위한_업무협약_체결.pdf","viewCnt":"2795","regDate":"2022-02-22 10:17:48"},{"contentId":"137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원장,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 생태계 강화할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776","contentsKor":"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유일한 R&D 전담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2월 16일(수) 서울 수도권업무지원실에서 20주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 기관 핵심추진과제와 성과,  2022년 신규 사업,  지역 R&D 등 그간의 발자취와 올해 기관이 중점 추진할 정책 지원내용을 발표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술혁신(R&D) 및 스마트공장 보급・확산・고도화 지원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신산업 창출을 중점 지원하는 기관‘으로, 올해로 기관 출범 20주년, 직원은 300명, 예산 2조원 시대를 열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기관이 그동안 외형적으로 많이 성장했다.”라며, “앞으로 내부적으로는 시스템을 외부적으로는 네트워크 역량들을 키워 내적・외적으로 성숙한 기관으로 성장하여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든든한 혁신성장 동반자로 발돋움 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올해 8개 신규 사업에 대한 소개도 병행됐다. 먼저, 기후위기대응과 미래 유망 그린기업 육성을 위해 ❶넷 제로(Net-zero) 기술혁신개발사업, ❷탄소중립선도모델 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지원한다. 또한, 스마트대한민국 실현과 프로젝트형 지원으로 ❸건강기능식품개발과 ❹리빙랩 활용 기술개발, ❺스마트 전통시장상점가R&D를 신규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인프라를 활용한 기술개발 촉진과 제조혁신 지원을 위해 ❻성과공유형 공통기술개발, ❼산학연플랫폼협력기술개발, ❽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도 신규로 지원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지역혁신과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을 위한 지역특화 산업육성, 산업단지대개조지역기업 지원, 위기대응지역기업 지원 등 지역산업 R&D 기획・평가・관리 기능을 TIPA가 전담 운영하게 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등 중소벤처기업을 둘러싼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의 불확실성이 크고, 코로나19로 4차 산업혁명이 더 가속화되면서 과거의 ’Big fish‘(덩치가 큰 기업)보다는 빠르고, 민첩한 ’Fast fish’(변화의 흐름을 읽고 빠르게 대처하는 기업)의 중요성이 커졌다.”라며, “올해는 이러한 중소벤처기업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먹거리 선점을 위한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적극 발굴해 혁신생태계 중심의 지원을 강화하는 데 업무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으로부터 △신뢰받고 소통을 중시하는 TIPA,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TIPA, △외부와의 협력 브릿지 역할을 통해 상생・ 협력・발전하는 TIPA, △업무 전문성을 키우고, 공정성을 실천하는 TIPA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195","atchfileNm":"(보도자료)_이재홍_원장,_중소벤처기업의_혁신성장_생태계_강화할_것.pdf","viewCnt":"2900","regDate":"2022-02-16 18:06:57"},{"contentId":"137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 성장기반 기술분야의 창업기업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77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는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중 성장 기반 분야의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1차 (상반기) 전략형(성장동력) 시행계획‘ 재공고를 통해, 지난 2월 14(월) 부터 3월4일(금)까지 약 3주간 참여 중소기업을 추가로 모집한다고 밝혔다. 지원분야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이정표를 제시하는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중 ’성장기반 분야‘로 ①유기소재, ②세라믹, ③금속, ④복합 소재, ⑤섬유, ⑥전기전자부품, ⑦반도체·디스플레이장비, ⑧정밀기계, ⑨일반기계 등 총 9개 분야 및 46개 품목([참고2])이며 유망기술 성장의 기초가 되는 분야이다. ’코로나-19 특별지침‘*으로 총 연구개발비의 90%를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최대 2년간 3억원을 지원하며, 대상은 창업 7년 이하 및 최근 년도 매출 20억원 미만에 해당하는 창업기업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중소기업 R&D 부담완화를 위한 특별지침 사업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제출해야하는 필수 서류 중 창업기업확인서의 경우, 발급을 받기 위해선 최소 10일정도 소요되어 미리 준비해야 한다. 창업기업확인서의신청및발급은’창업기업확인시스템(cert.k-startup.go.kr)‘에서 가능하며,기타 제출 서류는 공고문에 안내되어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성장기반 분야 R&D 지원을 통해 미래유망기술의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동력이 확보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업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 (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종합관리시스템*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193","atchfileNm":"220216_보도자료_성장동력_재공고_관련.pdf","viewCnt":"2652","regDate":"2022-02-16 18:03:54"},{"contentId":"137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기 R&D 수행 중소기업 투자유치를 위한 2022 TIPA ValueUP 본격 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774","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투자역량 강화 프로그램인 “TIPA ValueUP” 프로그램의 ’22년 1차 참여기업을 다음달 8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ㅇ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들이 개발한 우수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지원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난 ’18년도부터 운영 중에 있으며, ㅇ ’21년 한 해 총 24개 기업이 242.6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R&D 수행 중소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 TIPA는 R&D 수행기업의 투자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100개사 내외의 투자유망기업을 발굴·육성하고 있으며, ’22년 현재까지 240 여개 기업이 TIPA ValueUP을 통해 투자 관련 지원을 받았다. ㅇ 특히, ’21년에는 총 28회의 국내·외 투자설명회와 함께 유관기관 투자지원 프로그램과 연계를 통해 다양한 방식의 투자유치를 지원 하여 다수의 기업이 VC 등을 통한 투자유치 성과를 이루었다. □ ‘22년도 1차 TIPA ValueUP 프로그램(9기)은 30개사 내외의 투자유망 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며, 특히 투자시장에서 실질적인 투자유치를 받기가 어려운 비수도권 소재 중소벤처기업을 우대하여 선발한다. ㅇ 선발된 기업은 개별기업 현황분석을 위한 진단컨설팅과 IR자료의 고도화를 위한 1:1 VC 투자컨설팅 등의 교육과 함께 매월 진행 되는 분야별 투자유치 설명회 등의 프로그램을 지원받게 된다. ㅇ 더불어 TIPA ValueUP 프로그램 참여기업은 추천을 통해 민간은행 자금을 통한 투자유치 기회와 TIPA-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모태펀드 연계 투자설명회 등의 참여기회도 부여받을 수 있게 된다. □이재홍 TIPA 원장은 “TIPA ValueUP프로그램을 통해 좋은 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라며 “특히 올해는 비수도권에 소재한 중소벤처기업이 투자유치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참가 신청은 3월 8일(화) 18시 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 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확인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 관련 공지사항]","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191","atchfileNm":"20220209_(보도자료)_TIPA,_중기_RD_수행_중소기업_투자유치를_위한_2022_TIPA_ValueUP_본격_시동.pdf","viewCnt":"2340","regDate":"2022-02-09 18:01:09"},{"contentId":"137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한 혁신제품 지원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71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 1월 25일(화),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에 방문하여 현장을 둘러보고 기업과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다. *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 중소기업 : R&D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 중 기술혁신성과 공공성이 우수한 제품을 지정하여 공공부문과 수의계약을 지원하는 제도 코로나-19 특별 방역대책에 따라, 방역당국의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최소한의 인원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진행됐다. 이번 현장방문은 중소기업 R&D를 통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 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노고를 격려하고자 마련되었다.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혁신제품 지정기업인 什네트워크코리아는 중소기업 R&D지원사업(산학연R&D)을 통해 전통시장 사업장 등 소상공인의 전기 안전 사각지대 해소가 가능한 전력수집 장치 및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최근 화재에 취약한 전통시장, 소상공인 상점가는 안전한 시장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노후 설비, 전문가의 상시방문 및 측정 등의 한계로 전기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특히 복잡한 구조와 좁은 통로 등으로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진압이 어려운 만큼 사전에 다양한 전기안전 문제를 진단하고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다. 이에 什네트워크코리아에서 개발한 혁신제품은 전문가 없이도 과부하, 누전 등 이상전력을 분석?탐지하여 알리고 부하조절, 전력통제 등을 통 해 돌발 상황을 예방하는 기능을 갖추었다. 또한 설비별 에너지 효율, 낭비전력, 사용전력 분석을 통해 적정한 계약 전력을 추천하여 사용자 측면에서는 전기요금 절약, 환경 측면에서는 에너지 절약을 통한 탄소중립 실천이 가능한 셈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전기안전,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의 관심 부족 등으로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 R&D를 통한 혁신제품이 전통시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공부문에 널리 적용되어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의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전통시장 등 실사용자의 인식제고를 통해 혁신제품의 필요성을 인지 하고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혁신제품 지정제도와 제품을 지속 적으로 홍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설명] TIPA 이재홍 원장(오른쪽)이 (주)네트워크코리아 대표의 혁신제품 설명을 듣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095","atchfileNm":"사진자료_TIPA,_소상공인_디지털_전환_위한_혁신제품_지원_나서.jpg","viewCnt":"2642","regDate":"2022-01-28 11:16:16"},{"contentId":"136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ISTI, 데이터 기반 지원역량 강화를 위해 손잡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87","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장 김재수, 이하 KISTI)는 1월 20일(목), TIPA 세종 본원에서 업무협약 (MoU)을 체결하고 상호 협력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디뎠다. 중소기업 R&D 대표 전문기관인 TIPA와 국가과학기술 지식정보 대표 출연(연)인 KISTI가 전략적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효과적 으로 지원하는 데에 이번 MOU의 목적이 있다. TIPA는 그간에 축적된 중소기업 R&D지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능형 스마트평가시스템을 구축 중이며,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있 다. KISTI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 기반 기 술사업화 지원플랫폼(Smart K2C)’, ‘지능형 산업·시장분석 시스템(K-MAPs)’ 등 다양한 기술·시장 분석 시스템을 구축·운영 중이다. TIPA와 KISTI는 업무협약을 통해 미래유망 품목·기술 분석, 중소기업 데이터 분석, 지능형 사업화 분석·예측모델 개발 등의 분야에서 양 기 관의 경험을 공유하고 협업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주요사업의 홍보 및 협업 활동, 신규사업 발굴 등에서도 협조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데이터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TIPA와 KISTI가 협업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사업 화와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056","atchfileNm":"20220120_(보도자료)_TIPA-KISTI_데이터를_기반으로_중소기업_지원_역량을_강화하기_위해_손잡다.pdf","viewCnt":"2225","regDate":"2022-01-20 17:47:17"},{"contentId":"136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데이터 품질인증(DQC-V) 최고등급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7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한 ‘2021 데이터 품질인증 심사’에서 중소기업 R&D데이터 품질 관리의 공로를 인정받아 최고등급인 ‘플래티넘’을 획득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데이터 품질인증(DQC-V, Data Quality Certification-Value)은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구축ㆍ활용 중인 데이터의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이다. 심사 결과에 따라 플래티넘, 골드, 실버 3개 등급으로 나눠지며, 최고등급인 플래티넘 등급은 정합률이 99.977% 이상인 경우 획득이 가능하다. 이번에 최고등급을 획득한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SMTECH)는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지원사업의 효율적인 과제관리를 위한 온라인 종합 사업관리시스템으로 ▲사업공고 ▲과제접수 ▲전자평가 ▲전자협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SMTECH는 이번 심사에서 49억건의 데이터 중 정합률 99.977%를 확보했다. 이재홍 TIPA 원장은 “지속적인 데이터 품질향상 활동을 통해 우리나라 경제와 산업의 근간인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에 기여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036","atchfileNm":"20220111_(보도자료)_TIPA,_데이터_품질인증_최고등급_획득.pdf","viewCnt":"2307","regDate":"2022-01-13 16:04:00"},{"contentId":"136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국립대전현충원 참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6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이 1월 4일(화) 이재홍 원장을 비롯한 간부진들과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현충탑에 참배하며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넋을 기렸다. 이어 이재홍 원장은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을 힘껏 지원하겠습니다.”라고 방명록을 남겼다.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최소한의 인원만 참여해 진행됐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유일한 R&D 전담기관으로서 2022년 임인년 새해를 시작으로 기관 설립 20주년을 맞이했다. 특히, 올해는 디지털 전환 등 중소벤처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혁신(R&D) 및 스마트공장 보급・고도화 분야에 2조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벤처 기업의 혁신생태계 조성과 성장동력 확보 지원에 총력을 다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024","atchfileNm":"20220104_(보도자료)_이재홍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_국립대전현충원_참배(배포).pdf","viewCnt":"2151","regDate":"2022-01-04 17:16:37"},{"contentId":"136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연말 각계각층 희망나눔으로 지역사회 온정 나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5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연말 지역 사회의 취약계층 및 취약지 근무자들과 마음 나누기 활동을 이어갔다. 이번 활동은 지난 12월 16일부터 약 일주일에 걸쳐 소수의 담당자가 필요 계층에 직접 물품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 12월 16일에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과부하가 걸린 대전과 세종 선별진료소의 의료진, 자원봉사자 대상 핫팩, 생수, 간식거리로 이루어진 위문물품을 전달했다. 이번 위문물품은 환경보전에 기여 하기 위해 종이팩 생수, 친환경 대나무 빨대 등으로 구성됐다. 또한, 12월 23일에는 지역 독거노인가정 지원 사업을 운영하는 대전 유성구 노인복지관과 지역 취약계층을 위한 푸드뱅크 등을 운영하고 있는 세종시 사회복지협의회에 총 400만원 상당의 온누리상품권을 전달했다. TIPA가 전달한 온누리상품권은 대전 독거노인가정의 겨울나기 지원 및 세종시 전역의 취약계층 가정을 위한 지원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의 급격한 재확산으로 인해 일상 회복을 잠시 미루고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지역 사회와의 마음 나누기 활동이 멈춰서는 안된다.”며, “새해에는 공공기관으로서 더 다양한 곳의 취약계층에 더 세심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소회를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5000","atchfileNm":"20211228_(보도자료)_TIPA,_연말_각계각층_희망나눔으로_지역사회_온정_나눠(배포).pdf","viewCnt":"2240","regDate":"2021-12-28 09:23:31"},{"contentId":"136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년 인사혁신 이끈 우수 공공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2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인사혁신을 이끈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9일 인사혁신처가 주관한 ‘2021 인사혁신 우수 사례 경진대회’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TIPA는 여성근로자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장기근속 환경을 조성코자 기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TIPA 생애주기별 맞춤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해 일과 가정의 균형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한 공로를 인정받았다.동 프로그램은 여성근로자가 임신부터 출산, 육아까지 생애주기별로 근무 과정에서 맞춤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임신기 근로자에게는 근로시간을 단축(8시간→6시간)하고, 태아 검진을 위한 월 1일 유급 휴가를 부여한다. 출산한 직원에게는 체온계, 모빌, 아기띠 등 육아에 필요한 베이비 키트를 제공하고, 복지 포인트를 부여 함으로써 출산의 기쁨을 기관이 함께 나누는 문화를 조성했다. 또한, 육아기 휴직 중인 직원들이 공백감을 느끼지 않도록 기관의 소식을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TIPA 소통채널’도 운영하고 있다.아울러, 실효성 있는 제도 운영을 위해 제도 개선도 함께 추진했다. 모성보호 목적의 근태처리 권한을 획기적으로 하향 조정하여 본인이 기안에서 결재까지 처리하는 자동결재 시스템을 구축했고, 일・가정 양립을 위해 업무시간을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시차출퇴근 신청기준(최소 1개월 → 1주일)도 개편했다.그밖에, 지난해 조직 내 능력 있는 핵심인재를 발굴하고, 직원의 사기 진작을 위해 기관 운영 이래 최초로 ‘특별승진 제도’를 도입・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장기휴직자 및 파견 복귀자가 변화된 기관 제도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으며, 자기계발 지원을 위한 어학 및 자격증 교육 강좌 지원, 근로자의 스트레스 관리를 지원하는 전문 심리상담사와의 1:1 심리상담 프로그램 운영 등 인사 행정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인사혁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한편, 지난 2006년 이래 올해로 16회째를 맞은 ‘인사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는 국민이 체감하는 인사제도와 공직문화 개선 성과를 공유 하고, 공직사회 전반에 확산코자 개최됐으며, TIPA는 기관 운영 이래 최초로 우수기관 선정의 영예를 안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76","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1년_인사혁신_이끈_우수_공공기관_선정(배포).pdf","viewCnt":"2285","regDate":"2021-12-14 14:35:17"},{"contentId":"136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22","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산업기술보호 협회(회장 박희재, 이하 KAITS)이 지난 3일(금) KAITS 본관에서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개발 및 기술보호 종합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 중소벤처기업 신규 지원사업 기획 및 운영, △ 기관 간 중소벤처기업 지원사업 연계 및 협력, △ 중소벤처 기업 기술개발 및 기술보호 관련 동향, 정보 공유 등이다.◦ 이에 따라 핵심기술 보호에 어려움을 겪는 많은 중소벤처기업이 자체적인 보안시스템과 전문역량을 갖추고, 기술개발 결과물을 성공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한 다양한 맞춤형 지원정책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양 기관은 협약내용 세부이행을 위한 실무논의를 거쳐 중소 벤처기업의 국내외 판로확보 및 기술거래 촉진을 위한 수요 중심의 핵심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발굴하고 추진할 예정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혁신성장을 위해선 연구역량 뿐만 아니라 충분한 기술보호 역량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양 기관이 더욱 긴밀히 협력하여, 중소 벤처기업 R&D 지원 생태계 조성과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신기술 개발 및 고도화를 위해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KAITS 우한곤 상임부회장은 “TIPA와의 상호협력을 통해 우리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유출을 사전에 차단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기술보호 지원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73","atchfileNm":"211203_(보도자료)_TIPA,_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와_중소벤처기업의_기술혁신_촉진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pdf","viewCnt":"2054","regDate":"2021-12-03 16:40:50"},{"contentId":"136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산학연 간 기술교류 협력 매칭데이 성황리 마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2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지난 11월 29일(월) 부터 3일간 개최한 ‘산학연 매칭데이’ 행사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TIPA는 중소기업의 R&D역량을 강화하고, 산학연 간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행사를 마련했다. 사전에 발굴된 중소 기업의 수요기술과 대학・연구소 등 기술혁신기관의 수요기술 263개 기술을 대상으로 기술 세미나, 기술 매칭 상담 지원 등이 진행됐다.행사기간 내 기술 분야별로 35번의 기술 세미나를 통해 기술혁신기관이 보유한 기술과 공동R&D 희망기술이 소개됐고, 기술 매칭・상담을 통해 중소기업과 대학, 연구소 간 200여개의 기술매칭이 진행됐다.행사 개막식에서 이재홍 TIPA 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산학연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중소벤처 기업부가 추진하는 협력형 R&D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설명했다.또한, 내년에는 참여 중소기업과 대학, 연구소 대상을 확대·개편하여 지역 권역별 행사 개최를 추진해 산학연 매칭데이가 산학연 공동연구와 협력을 통한 개방형 혁신의 시작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72","atchfileNm":"211203_(보도자료)_TIPA,_산학연_간_기술교류_협력_매칭데이_성황리_마쳐(배포).pdf","viewCnt":"1901","regDate":"2021-12-03 16:38:45"},{"contentId":"136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이해충돌방지법 시행 앞두고 선제적 모의신고훈련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1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지난 22일부터 26일 까지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의 안정적인 시행과 조직 전반의 윤리문화 확산을 위한 ‘이해충돌방지 모의신고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은 공직자의 부정한 사익 추구 행위를 막고 직 무수행의 공정성을 담보하고자 이해충돌상황을 적절히 관리·통제함으로써 부패를 사전에 예방할 목적으로 제정된 법령이다.TIPA ‘이해충돌방지 모의신고훈련’은 임직원의 청렴의식을 제고하고 이해 충돌방지법의 이해도를 높여 공공기관의 윤리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실시됐다.모의훈련은 부서별 윤리경영실천추진반(24명)에게 이해충돌상황을 전파하여 △훈련 상황전파 △개별 위반사례 상담 및 신고(이해충돌 확인·조치내역서) △신고 사무처리 △훈련 평가 및 환류 △전파교육의 순서로 진행됐다.또한, TIPA는 내년 이해충돌방지법 시행(2022.5.19.)을 앞두고 이해충돌방지 대응 추진체계를 구성하고, 전 직원 대상 이해충돌방지법 온·오프라인 교육 실시 및 ‘이해충돌방지 서약서’를 징구하는 등 이해충돌상황에 대한 선제 적 대응방안을 마련하였다.이재홍 원장은 “내년 5월부터 이해충돌방지법이 시행되는 만큼, TIPA 는 전 직원이 이해충돌 상황을 선제적으로 관리․통제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든 공공기관의 모범이 되겠다.” 고 청렴실천 의지를 강조했다. 한편, TIPA는 지속적인 부패방지 모니터링 및 청렴활동을 추진한 결과금 년도 10월 말,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패방지 시 책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하여 청렴활동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또한, TIPA는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이후 윤리경영과 준법경영 을 위해 꾸준히 노력한 결과 지난해 ISO 37001 인증 갱신에 성공하였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70","atchfileNm":"211130_(보도자료)_TIPA,_이해충돌방지법_시행_앞두고_선제적_모의신고훈련_실시★.pdf","viewCnt":"3924","regDate":"2021-11-30 16:35:38"},{"contentId":"136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VC 투자 받기 어려운 비수도권 혁신기업 투자설명회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1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벤처투자를 받기 어려운 비수도권에 소재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지원을 위한 ’비수도권 R&D 수행기업 투자설명회‘를 12월 2일부터 3일까지 이틀간 진행한다고 밝혔다.ㅇ 올해 초 TIPA는 우수한 기술력과 혁신적인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유망기업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중기 R&D 자금을 전담하여 예치하는 전담은행인 기업은행, 하나은행과 협력하여 R&D 수행기업 대상 투자자금 1,300억원을 마련했다.ㅇ 이번 설명회는 지난 5월, 8월에 이어 R&D 전담은행의 투자자금을 투자유망기업에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는 세 번째 투자설명회다.□ 최근 벤처투자 현황을 보면, 바이오·ICT 등 특정 분야와 수도권 기업에 투자가 편중되는 경향이 많아 비수도권에 소재한 제조기업들은 벤처투자를 받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ㅇ TIPA와 전담은행은 실무협의회를 통해 비수도권에 소재한 투자 유망기업을 발굴하여 투자자금을 지원하기로 계획하고,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R&D기업을 발굴하여 전담은행 사전검토를 통해 투자설명회 대상기업을 선발했다.□ 참여기업은 ㈜파인나노, ㈜제라브리드, ㈜네이처모빌리티 등 32개사이며, 20분 동안 발표·질의응답을 통해 자신들의 기술력과 장점을 집중 설명해 투자심사역(VC)에게 기업을 어필한다.ㅇ 투자설명회 이후 참여기업은 전담은행의 별도 투자심사 등을 통해 투자자금의 지원여부가 최종적으로 결정되며, 투자된 자금은 개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 자금으로 활용하게 된다.□ ㈜제라브리드 송승원 대표는 “자사는 다수의 고객사들이 해외에 있어 코로나로 인해 수출실적 등 투자사들의 관심을 끌만한 실적 창출이 늦어진 상황이었다.” 라며 “이번 비수도권 기업들을 위해 마련된 투자설명회가 자사의 검증된 기술력과 성장성을 투자사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재홍 TIPA원장은 “투자시장에서 비수도권에 소재한 기업이나 전통제조기업들은 상대적 약자이다.”며, “TIPA는 앞으로도 이러한 투자소외 분야에 속하는 중소벤처기업들이 투자유치를 통해 성장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9","atchfileNm":"211130_(보도자료)_TIPA,_VC_투자_받기_어려운_비수도권_혁신기업_투자설명회_추진★.pdf","viewCnt":"2049","regDate":"2021-11-30 16:33:04"},{"contentId":"136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신산업 분야 中企 지원 위한 기술교류의 장 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0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29일(월), ‘한-독 경량화 기술 및 복합소재 디자인 온라인 세미나’를 한독상공회의소 (KGCCI)와 공동 개최했다.< 행사 개요 >◾ 행 사 명 : 한-독 경량화 기술 및 복합소재 디자인 온라인 세미나◾ 일 시 : 2021. 11. 29(월), 16:00~18:30◾ 장 소 : 온라인 (동시통역 제공)◾ 주 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독상공회의소◾ 진행방식 : 온라인 세미나 (Zoom 프로그램 활용)◾ 규 모 : 100개사(한국기업 50개사, 독일기업 50개사)□ ‘한-독 경량화 기술 및 복합소재 디자인 온라인 세미나’는 세계 각국 환경규제 강화와 에너지효율성 제고로 자동차 산업, 항공 산업 등 경량화 기술과 복합소재 사용량이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한국과 독일 양국 간 기술교류에 대한 수요와 각 기업의 기술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마련되었다.□ 앞서 TIPA는 한독상공회의소와 2020년 1월 6일 다자간 업무협약을 맺고 지난해 9월, 올해 2월 한독일 기술교류 업무 협의를 가졌다. 이후 지난 9월부터 한독 세미나 공동개최에 대한 세부 논의를 거쳐 이번 행사를 개최하게 되었다.□ 행사 목적은 한국과 독일 간 경량화 시스템 및 복합소재 디자인 분야의 연구소 및 기업의 우수한 기술정보를 제공하여 양국 기술교류 활성화 및 국내 중소기업의 관련 기술개발 애로사항 해결 지원이다.□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양국의 산·학·연 소속으로 국내 중소기업과 독일 기업을 대상으로 경량화 기술과 복합소재 디자인에 대한 최신 기술에 대해 발표했다.○ 먼저 독일의 CU(Composite United)는 섬유 기반 복합재료 경량 구성을 위한 세계 최대 네트워크 중 하나로, CU의 집행위원회 대변인이자, 인데코(InDeKo)의 대표이며 독일 드레스덴공대 교수인 후버트 예거(Hubert Jäger)가 “경량화가 기술이 글로벌 에너지 시나리오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 방안”에 대해 발표 했고,○ 복합소재와 적층 가공의 획기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혁신 중심의 엔지니어링 기업인 치코니(CIKONI GmbH)의 파보드 네자미 박사(Dr. Farbod Nezami)가 “독일의 선도적인 복합소재 솔루션 공급업체의 수소 저장 및 구조적 CFRP 디자인 사례를 중점으로 발표 했다.○ 다음으로 한국측에서는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융복합연구본부의 문민석 박사가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신호등 프레임 개발”에 대해 발표 하고,○ 마지막으로 대한항공 신도훈 부장으로부터 “항공기용 복합재 부품 적용 공정 개발 현황”에 대해 듣고 발표세션이 마무리되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애로사항에 대해 전문가들이 직접 심도 있는 답변을 하는 소통의 자리도 마련됐다.□ 이번 온라인 세미나를 통하여 참여기업들이 세계 경량화 기술 및 복합 소재 디자인 시장의 현황과 성장 가능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적용 사례 등을 확인할 수 있어 각 기업의 역량강화가 기대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한-독 경량화 기술 및 복합소재 디자인 온라인 세미나」를 계기로, 경량화기술과 복합소재 디자인 등 신산업 분야에서의 한국과 독일의 활발한 기술교류의 발판을 마련하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중소 기업이 경량화기술 및 복합소재 분야의 핵심 기업으로서 산업분야를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하겠다.” 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58","atchfileNm":"211130_(보도자료)_TIPA,_신산업_분야_中企_지원_위한_기술교류의_장_마련.pdf","viewCnt":"1758","regDate":"2021-11-30 16:18:47"},{"contentId":"136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 벤처 소상공인 서비스 향상 위한 아이디어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1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11월 25일(목)부터 12일간 중소벤처기업 및 소상공인들이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지능형 분석서비스 발굴을 위한「중소벤처24 지능형 분석서비스 모델 발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중소벤처24'(www.smes.go.kr)는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처리할 수 있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TIPA는 중소벤처24 운영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TIPA는 △중소벤처24 데이터 활용 지능형 분석서비스 모델 제안, △공공데이터 활용 지능형 분석서비스 모델 제안, △중기부 관련사이트 서비스 활용 지능형 분석서비스 모델 제안, 총 3가지 주제분야로 아이디어를 공모해 지능형 분석서비스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중소벤처24 지능형 분석서비스 모델 발굴’ 공모를 원하는 참가자는 12월 6일까지 신청서를 작성하여 이메일(smeshelp@tipa.or.kr)로 제출하면 된다. 서면평가와 선정과제 검증을 거쳐 심사결과는 12월말에 중소벤처24(www.smes.go.kr)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개인 또는 팀으로 참가 가능하며 최우수상(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 1명(팀), 우수상(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상) 2명(팀), 장려상(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상) 5명(팀)에 상을 수여한다.본 공모전을 통해 참가자가 받을 수 있는 혜택도 다양하다. 최우수상에는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과 상금 500만원을 1명(팀)에게 수여하며, 우수상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상과 상금 200만원을 2명(팀)에게 수여하며, 장려상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상과 상금 50만원을 5명(팀)에게 수여한다.선정된 아이디어는 중소벤처24 지능형 분석 서비스에 반영되어 ‘22년도에 시범서비스로 구현될 계획이다. 공모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벤처24(www.sme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TIPA 이재홍 원장은 “지능형 분석 서비스 모델 공모전에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있는 일반 국민께서 많이 참여해 주시기 바라며, 제안해주신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중소벤처24를 이용하는 중소벤처기업 및 소상공인들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8","atchfileNm":"20211125_(보도자료)_TIPA,_중소_벤처_소상공인_서비스_향상_위한_아이디어_모집(배포).pdf","viewCnt":"1608","regDate":"2021-11-25 16:30:49"},{"contentId":"136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KAIST GCC 중국 강소성 과학기술청과 한중 바이오 기술사업화 컨퍼런스 성황리에 마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05","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KAIST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센터장 최문기, 이하 GCC), 중국 강소성 과학기술청(JSTD)등과 마련한 “한-중 바이오 기술사업화 컨퍼런스”가 11월 23일(화),KAIST 문지캠퍼스 수펙스홀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TIPA와 GCC는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에 따라 바이오헬스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는 상황에서, 국내 바이오 분야 중소벤처기업이 중국 기업과의 협력관계를 모색하고, 중국 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본 행사를 마련했으며,◦ 세계 바이오산업 규모를 갖춘 중국 강소성의 과학기술청, 창삼각 국가기술혁신중심, 강소성 국제기술이전센터, 산동성 옌타이하이테크 산업개발구와 중한산업기술창신연구원 등 현지 유관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환영사 및 축사, △한-중 바이오 분야 주요 국가 정책 및 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Special Talk(발제), △한-중 바이오 기술협력 증진을 위한 전문가 심층토론, △양국 바이오 우수기업의 기술발표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GCC 최문기 센터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TIPA 장현성 협력사업 본부장, 중국 강소성 과학기술청 쨔오 양웨이 대외협력처장, SIP(Suzhou Industrial Park) 쒸 원칭 서기가 축사자로 나서 한·중 기업 및 유관기관 간 지속적인 협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전했다.□ 컨퍼런스 발제자로 나선 대전대학교 현병환 교수는 △한국 바이오 산업의 동향, △한국 바이오 기업 현황, △정부의 바이오 산업 및 기업 지원정책 등의 순서로 발표하였으며, 이어 강소성 과학기술청 사회 발전 및 기초연구처 쮸 비윈 실장이 △강소성의 바이오 산업과 기업 현황 △중국 정부와 강소성의 바이오 산업 및 기업 지원정책, 등을 주제로 발제하였다.□ 이후 한·중 바이오 분야 전문가 7인이 양 국의 바이오 산업의 세부적인 현안에 대해 토론하고, 기업의 자체적인 협력과 더불어 정부 주도로 국가 바이오 클러스터 간 교류를 확대하는 등 바이오 분야 중소벤처 기업 간 글로벌 협력생태계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하였다.◦ 특히 양국 정부에서 바이오 산업에 대한 육성 의지가 강하고 민 간 차원에서의 투자와 기업의 R&D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바탕으로, 현재 선진국이 점유하고 있는 전 세계 바이오 시장에서 각 국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상호 적극적인 네트워킹과 협업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마지막으로 진행된 기업별 기술발표 세션에서는 의약품, 의료기기, 진단기기 등 주요 분야별 양국 기업 총 20개社가 참가해 핵심기술 을 소개했다. 이후, 사전 매칭된 한·중 바이오 분야 기업 간 참가 기업 간 기술협력 및 기술사업화 관련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온라 인 비즈니스 미팅이 진행됐다.□ 한편, TIPA는 2020년부터 “해외기술교류사업”을 통해 러시아, 베트남, 중국 등 해외기업과의 기술협력이나 기술수출을 희망하는 국내 중소 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 GCC에서도 2015년부터 해외 40여개국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 현지 수요에 대응되는 국내 우수기업 및 기술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행사에 참석한 TIPA 장현성 본부장은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을 주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중국 기업과의 기술협력을 도모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GCC를 비롯한 유관기관과 더 긴밀히 협력하여,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기술사업화와 글로벌 기술협력 생태계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2","atchfileNm":"211125_(보도자료)_TIPA,_KAIST_GCC_중국_강소성_과학기술청과_한중_바이오_기술사업화_컨퍼런스_성황리에_마쳐(배포).pdf","viewCnt":"1832","regDate":"2021-11-25 16:13:43"},{"contentId":"1361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년 산학연 간 기술교류 협력 매칭데이 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12","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29일(월)부터 12월 1일(수)까지 3일간, 대전 호텔 인터시티에서 산학연 협력 활성화를 위해 TIPA 주관으로 ’산학연 매칭데이’를 연다.ㅇ 산학연 매칭데이는 중소기업의 R&D역량 강화와 산학연 간 공동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으며, 행사 기간동안 기술 분야에 따라 기술 매칭상담, 기술세미나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ㅇ 특히, 참여 대학 및 연구소로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정한 산학협력 거점대학 5곳(금오공대, 전북대, 창원대, 한국산업기술대, 한밭대)과 중소기업 지원 선도연구기관 5곳(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전자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이며, 중소기업과의 기술 상담과 미래유망 기술세미나를 진행한다.□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산학연 매칭데이를 계기로 산학연 공동 연구와 협력이 활성화되어 중소기업의 R&D 역량 강화와 개방형 혁신의 기폭제 역할이 되길 바란다.“며, ”더 나아가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내년에는 참여 중소기업과 대학, 연구소를 더욱 확대해 지역・권역별로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산학연 협력이 더욱 확대되어 중소기업의 기술수요가 실제 공동R&D로 연결될 수 있도록 중간 매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상호 교류와 기술 매칭을 위해 대면 방식으로 회의를 개최하는 만큼, 방역당국의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 안전하게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ㅇ 먼저, 방역수칙에 따른 인원 분산을 위해 기술 분야별로 개최일을 구분해 운영한다. 11월 29일은 ‘기계·소재, 바이오·의료’, 11월 30일은 ‘정보통신, 지식서비스’, 12월 1일은 ‘에너지·자원, 전기·전자, 화학’을 중심으로 기술매칭과 상담 및 기술세미나를 진행한다.ㅇ 또한, 사전 신청을 하지 않은 현장 참석자의 기술 상담과 매칭도 가능하며, 기술매칭에 관심이 있으나 현장 참여가 어려운 중소 기업을 위해 행사 이후에도 온라인으로 별도의 기술 상담과 매칭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산학연 매칭데이 행사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과 기술보증기금 테크브릿지 홈페이지(tb.kibo.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공동연구 매칭신청, 기술 수요조사 참여, 기술세미나 참석 신청도 진행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6","atchfileNm":"20211124_(보도자료)_TIPA,_2021년_산학연_간_기술교류_협력_매칭데이_연다.pdf","viewCnt":"1549","regDate":"2021-11-24 16:28:54"},{"contentId":"136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탄소중립 기술혁신 협력 위해 4개 R&D 유관기관과 MOU","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1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23일(화) 서울 코엑스에서 탄소중립의 공동 목표 실현을 위해, 기업부설연구소 대표기관, 출연연구소 대표기관, 주요부처 R&D 전문 기관과 산학연 공동 R&D지원 및 정보교류 등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에 나섰다.□ 이날 TIPA는 민관 R&D 혁신 포럼에 참가하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이하 산기협),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연구회), 한국연구재단(이하 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하 평가원)과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기술혁신 협력 MOU’를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TIPA 이훈희 전략기획 본부장과 산기협 구자균 회장, 과기회 김태우 경영본부장, 연구재단 김영철 사무총장, 평가원 한종석 산업기술전략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TIPA는 협약을 통해 기업의 수요와 의견을 반영해 고탄소 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의 탄소배출 저감에 필요한 각종 연구개발지원에 적극 협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IPA 이훈희 본부장은 “이번 부처간 협업으로 고탄소 산업의 탄소배출 저감 기술개발에 필요한 지식, 정보, 노하우 등의 상호 교류를 촉진하고, 인적·물적 네트워크 공휴 협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4","atchfileNm":"20211123_(보도자료)_TIPA,_탄소중립_기술혁신_협력_위해_4개_RD_유관기관과_MOU(배포).pdf","viewCnt":"1546","regDate":"2021-11-23 16:26:54"},{"contentId":"136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KAIST GCC와 한중 바이오기업 위한 기술사업화 컨퍼런스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608","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에서 KAIST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센터장 최문기, 이하 GCC)와 함께 오는 11월 23일(화) 오전 10시부터 한-중 바이오 기술사업화 컨퍼런스를 KAIST 대전 문지캠퍼스 수펙스홀에서 공동으로 개최한다.□ 본 행사는 전 세계적인 팬데믹 위기로 인해 바이오헬스 분야의 기술 수요와 R&D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우수 기술을 보유한 국내 바이오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중국 시장 개척을 돕고, 혁신성장을 위한 기반 구축을 지원하고자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TIPA와 GCC는 중국 과학기술부를 비롯하여, 행사를 공동 주관하는 ITIRI(한중산업기술창신연구원) 등 현지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업하여 컨퍼런스를 준비하였으며, 본 행사를 계기로 향후에도 한-중 B2B 기술교류를 통한 네트워크 발굴 및 기술협력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컨퍼런스는 △한-중 바이오 분야 주요 국가정책 및 기업 지원 정책에 대한 Special Talk(발제), △한-중 바이오 기술협력 증진을 위한 전문가 심층토론, △양국 바이오 우수기업의 기술발표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특히 기업별 기술발표 세션에서는 의약품, 의료기기, 진단기기 등 주요 분야별 양국 기업 총 20개社가 참가하여 기술 및 역량을 소개하고, 행사 이후에는 사전에 매칭된 한-중 기업 간 온라인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상호 교류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개별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TIPA와 GCC는 위드코로나 방침에 따라 오프라인 참가자를 100명 미만으로 11월 22일(월)까지 선착순 모집하되, 방역절차를 철저히 준수하여 안전한 행사가 되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본 행사는 Zoom을 활용해 온라인으로도 실시간 중계될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GCCW 사전등록 페이지(https://www.gccw.co.kr)를 참고하면 된다.□ 지난 7월에 개최한 한-중 바이오 컨퍼런스에도 양 국의 총 17개 기업이 참가하였으며, 이후 GCC를 통해 기술이전 등을 위한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구체적인 성과창출을 목표로 후속지원을 제공받고 있다.□ 한편, TIPA는 2020년부터 “해외기술교류사업”을 통해 러시아, 베트남, 중국 등 해외기업과의 기술협력이나 기술수출을 희망하는 국내 중소 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 GCC에서도 2015년부터 해외 40여개국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 현지 수요에 대응되는 국내 우수기업 및 기술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및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양 기관이 협력하여, 중국의 유관기관과 함께 바이오 분야 글로벌 기술협력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였다”며,◦ “한-중 바이오 기술의 발전과 기업 간 협력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에, 많은 중소벤처기업 및 관계자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960","atchfileNm":"20211118_(보도자료)_TIPA,_KAIST_GCC와_한중_바이오기업_위한_기술사업화_컨퍼런스_개최.pdf","viewCnt":"1414","regDate":"2021-11-18 16:23:40"},{"contentId":"135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한국교통안전공단(TS),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9","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한국교통안전공단(TS),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내년 상반기,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참여 중소기업 대상 R&D 연계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16일 (화),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권용복 , 이하 ‘TS’)과 TS 본원에서 ’한국교통안전공단 수요기반 중소기업 기술개발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이슈 발굴 및 개선, ▲중소기업 기술사업화를 위한 판로지원 강화, ▲개발기술 실증을 위한 시험시공(Test-bed) 활용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의 발전과, 기술경쟁력의 강화를 위한 공동이슈를 발굴하고 협력이 필요한 영역을 서로 보완 및 강화추진 하는 등 이번 협약으로인해 첨단 미래교통 – 중소기업의 새로운 분야의 판로를 개척함에 따라 동반성장이 기대되는 바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공공기관의 혁신조달구매 및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구매조건부 R&D 사업공고를 통해, 신제품개발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 연계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구매조건부 R&D사업은 수요처가 협력의사를 밝히고 개발을 제안한 과제에 대해 자금을 지원하는 맞춤형 기술개발로 중소기업에게는 기술 경쟁력 확보와 안정적인 판로수익을 얻는다는 것에 큰 장점이 있다. 이번 양 기관의 업무협약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개척과 첨단 미래교통 환경 구축 등에 협력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선정된 수요기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판로지원, ▲개발기술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Test-bed) 시공 등의 기술개발 지원 사업의 발전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아낌없는 상호협력 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안전한 도로교통의 중심인 TS와의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수요에 기반하여 기술경쟁력을 가진 우리나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 사업연계 및 새로운 기술 발굴, 나아가 기술사업화 판로를 개척함으로써 혁신적 미래교통의 발달과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를 기대한다. 앞으로도 다양한 업무협업을 통해 TIPA의 중소기업 지원정책과 기술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 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60","atchfileNm":"2021116_(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한국교통안전공단_업무협약_체결(배포).pdf","viewCnt":"2104","regDate":"2021-11-17 09:08:53"},{"contentId":"135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기술혁신 기반 중소벤처기업 지식재산 경쟁력 높인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8","contentsKor":"TIPA, 기술혁신 기반 중소벤처기업 지식재산 경쟁력 높인다 TIPA・한국발명진흥회간 中企 기술혁신 촉진 및 역량강화 MOU 체결(11.15)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발명진흥회(상근부 회장 고준호, 이하 KIPA)는 11월 15일(월), TIPA 본원 대회의실에서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촉진과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중 소벤처기업 R&D지원사업 발전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특별 방역지침에 따라 진행된 이번 MOU는 TIPA의 중소벤 처기업 R&D지원 사업과 KIPA의 IP전주기 교육프로그램 컨텐츠를 공 유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체결되었다.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중소벤처기업의 지식재산권 기반 연구개발(IP-R&D) 확대′를 위해, R&D지원사업 참여 중소벤처기업과 예비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KIPA가 보유한 IP창출부터 보호・활용까지 총 179개 과정의 IP전주기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실있는 업무 교류· 협력 활성화 방안 마련하기 위하여, ▲ 중소벤처기업 R&D 지식재산 역량 강화 방안 기획 및 발굴 ▲중소벤 처기업 R&D 수행기업 및 연구자 대상 지식재산 교육 ▲중소벤처기업 및 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상호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하여 양 기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은 중소벤처기업이 R&D 수행과정 에서 IP-R&D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KIPA와 공고한 협조로 전주기 IP-R&D 교육지원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IP역량을 강화시키는데 의의가 있다며 특히, KIPA의 다양한 IP 관련 교육 컨텐츠를 토대로 중소벤처 기업들이 IP-R&D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더 효율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58","atchfileNm":"211116_(보도자료)_TIPA,_기술혁신_기반_중소벤처기업_지식재산_경쟁력_높인다(배포)(★).pdf","viewCnt":"2183","regDate":"2021-11-16 20:46:01"},{"contentId":"135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ESG경영위원회 출범...지속가능한 中企지원 강화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7","contentsKor":"TIPA, ESG경영위원회 출범...지속가능한 中企지원 강화한다 출범식 및 1차 회의 개최해 ESG기반 경영체계 추진전략 논의(11.11)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지난 11월 11일(목), ESG경영위원회 출범식을 가지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TIPA는 ESG기반 경영체계를 강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창출 체계를 구축하는 등 ESG 경영을 본격화하고자 ESG경영위원회를 신설했다. ESG경영위원회는 ESG전략 방향 설정 및 계획에 대한 심의・ 의결과 추진과제 이행 결과에 대한 성과 평가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날 진행된 회의에서는 지난 10월 내부에서 수립한 ESG경영전략을 심의했다. ESG경영 전략체계는 E(환경경영), S(사회적책임경영), G(거버넌스・ 투명경영) 3개 분야에 대한 3대 추진방향, 10대 추진과제로 이루어졌다. 대표적으로 ‘환경부문’에서는 녹색 R&D지원을 통한 그린벤처 육성, ‘사회적가치 부문’에서는 선제적 안전기술 R&D 지원과 유망 기술 분야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한 사회안전망 강화, ‘거버넌스 부문’에서는 국민 소통 활성화를 통한 혁신역량 강화 등이 전략과제로써 추진된다. TIPA ESG경영위원회 외부위원으로는 서강대 문성욱 교수, 명지대 김재구 교수, 신한대 이현 교수, 코드게이트보안포럼 조현숙 이사장이 위촉됐고, 내년 12월 31일까지 TIPA의 ESG경영체계의 주요 현안 검토와 발전방향 제시 등 내부 위원들과 함께 활동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ESG경영은 TIPA와 같은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全 사회에 확산되어야 하는 글로벌 어젠다이지만, 우리나라 산업 생태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ESG경영은 버거운 목표인 것이 현실”이라며, “이번 ESG경영위원회 신설을 통해 중소기업의 ESG경영 역량강화를 지원하고, TIPA도 ESG경영을 본격화 하여 사회적가치를 실현하는 책임경영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56","atchfileNm":"20211115_(보도자료)_TIPA,_ESG경영위원회_출범...지속가능한_中企지원_강화한다(배포).pdf","viewCnt":"2307","regDate":"2021-11-15 20:24:24"},{"contentId":"135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 R&D 연계 지식재산 전략 수립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6","contentsKor":"TIPA, 중소벤처기업 R&D 연계 지식재산 전략 수립 지원 TIPA・한국특허전략개발원, 中企 기술혁신 지원 위한 MOU 체결(11.11)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특허전략개발원 (김태만 원장, 이하 KISTA)이 11월 11일(목) KISTA 본원에서 ‵중소벤처 기업의 기술혁신 촉진과 역량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R&D)지원사업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TIPA의 R&D지원사업과 KISTA의 IP-R&D 연계 지원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공고히 했다. 그간 TIPA와 KISTA는 R&D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기술혁신개발사업 등 R&D사업과 연계하여 IP 전략수립을 지원해왔다. 양 기관은 체계적인 업무 교류와 협력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앞으로 ▲중소벤처기업 R&D 사업 연계 지식재산 전략(활용·창출 등) 수립 지원 ▲중소벤처기업 R&D 인력 지식재산 역량 강화 교육 공동 기획·운영 ▲중소벤처기업 수출경쟁력 및 해외 기술 교류 협력 지원 ▲기타 중소벤처기업 및 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상호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하여 양 기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MOU 체결은 IP-R&D 전략수립 지원을 통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촉진과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KISTA와 협조 체계를 공고히 하는데 의의가 있다"라며, "특히, KISTA의 IP-R&D지원 경험과 역량들을 토대로 중소벤처기업들이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54","atchfileNm":"211112_(보도자료)_TIPA,_중소벤처기업_RD_연계_지식재산_전략_수립_지원(배포).pdf","viewCnt":"2092","regDate":"2021-11-15 20:22:59"},{"contentId":"135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상호존중 캠페인 일환 ‵장애인 인식개선 콘서트′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5","contentsKor":"TIPA, 상호존중 캠페인 일환 ‵장애인 인식개선 콘서트′개최 시각장애인 연주단 한빛예술단 초청 공연 등 문화체험형 인식개선 교육(11.11)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11일(수) 세종 본원 컨퍼런스홀(B1)에서 직장 내 상호존중 캠페인 활동의 일환으로 ‵장애인 인식개선 콘서트′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TIPA는 올해부터 직장 내 구성원 간의 상호 존중 및 배려하는 조직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전 직원이 참여하는 ‵상호존중 캠페인′을 신규로 구성하고, 상호 존중 실천과제 10개를 선정해 운영하고 있다. 이번 장애인 인식개선 콘서트는 상호 존중 실천과제 중 ‘차별 없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기’, ‘내부직원 상호 보호하기’ 과제를 실천하기 위한 노력으로써, 시각장애인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과 더불어 시각장애인 전문연주단인 ‘한빛예술단’을 초청하여 시각 장애인과 자연스럽게 직‧간접적으로 소통・교류하는 기회를 마련하고, 문화체험 활동을 통해 장애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한빛예술단의 공연을 계기로, 직장 내에서도 장애라는 이유로 차별 받지 않고, 조직 내 구성원으로서 행복한 직장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세계 유일, 시각장애인 전문연주단 ‘한빛예술단’은 장애를 극복한 삶과 연주를 통해 장애인식개선 뿐 아니라 존중과 배려, 나눔의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일더하기WE’ 문화체험형 교육을 펼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52","atchfileNm":"20211111_(보도자료)_TIPA,_상호존중_캠페인_일환_장애인_인식개선_콘서트_개최(배포).pdf","viewCnt":"2122","regDate":"2021-11-15 20:21:42"},{"contentId":"135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전남 中企조선업계 혁신 생태계 조성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2","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전남 中企조선업계 혁신 생태계 조성 나선다 전남유틸리티자원공유센터 구축하여 中企 조선소에 첨단 장비지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은 전남유틸리티자원공유센터(이하 전남공유센터) 구축을 통해 전남 지역의 중소조선업계 지원에 나섰다.중소벤처기업부, 산업위기대응 지역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유틸리티성 자원공유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총사업비 198억원(국비, 지방비 포함)이 투입되는 가운데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고용·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된 전남 목포, 울산 지역 내에 중소기업 스마트화 혁신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개별적으로 구축하기 어려운 고가의 유틸리티성 공유장비 및 교육시스템 도입 등 지역 공유센터(2개소)를 조성하여 공유 인프라 장비 제공, 기술지원, 현장 맞춤형 교육 등 다양한 지원사업 추진 추진단은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함께 지난 ‘19년부터 전남 목포에99억원을 투자해 전남공유센터를 조성했다. 조선·해양 관련 ▲조선 설계 SW ▲3차원 로봇형상가공기 ▲레이저절단기 및 용접기 ▲CNC 절곡기 등 설계부터 가공까지 모두 가능한 생산설비를 도입하여 지역 내 기업이 자유롭게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중소형 조선소·조선부품 기업 22개사는 전남공유센터를 통해 지난 1월부터 공동활용 생산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있다. 향후 다양한 중소조선업체에서 선박 및 조선 부품 시제품 제작과 긴급물량에 대한 제품생산이 가능해져 조선·해양 분야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특히 지난 4월부터 공유센터의 3차원 로봇형상가공기 및 절단기 등 공유센터 장비를 활용하고 있는 중소조선업체 박정현 ㈜미주산업 대표는 “긴급 생산물량 처리로 매월 약 1,000만원 이상 매출이 증가했으며, 업무 생산성이 향상되어 생산 및 물류 관리를 위한 신규인력을 채용할 수있었다”라며, “시제품 제작과 긴급물량 작업관리에 큰 도움이 됐다” 고 말했다. 또한, 전남공유센터는 채용연계형 조선 설계(AM CAD 활용 등) 교육프 로그램을 운영하여 교육 수료자 중 3명이 인근 조선업계에 고용되는 연계 효과도 창출했다.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유틸리티성 공유자원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기 힘들었던 고가의 시스템 및 장비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원가 절감뿐만 아니라 신규 고용을 창출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위기 지역 중소업체의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기타 공유장비 이용관련 자세한 사항은 전남공유센터 홈페이지(www.jciautillity.or.kr)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47","atchfileNm":"(보도자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전남_중소조선업계_도약_지원(배포).pdf","viewCnt":"1819","regDate":"2021-11-15 09:32:58"},{"contentId":"135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신청 中企에 온라인 증빙서류 제출 서비스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41","contentsKor":"TIPA, R&D 신청 中企에 온라인 증빙서류 제출 서비스 시행 사업 신청에 필요한 기본 증빙서류 발급부터 제출까지 One-stop 제공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R&D지원 사업에 신청하는 중소기업의 기본 증빙서류* 제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온라인 증빙서류 제출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등 사업 신청에 필요한 기본 증빙서류 이번 서비스는 ㈜한국기업데이터(KED)와 협업하여 중소기업이 R&D 사업 신청과정에서 필요한 증빙서류를 온라인 서류 발급부터 제출까지 One-stop으로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현됐다. 이로써, 그간 사업에 신청하는 중소기업들이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등 기본 서류를 스캔해 시스템에 업로드하는 방식의 행정 불편사항을 해소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또한, 제출한 재무정보의 DB화로 효율성과 신뢰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종이가 아닌 DATA로 자료를 관리하게 되어 탄소배출량을 감축하고 환경보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앞으로도 중소기업 지원 정책 집행과정에서 중소기업들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서비스 이용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 시스템(smtec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확인경로 : [smtech]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사업 관련 공지사항]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45","atchfileNm":"(보도자료)_TIPA,_RD_신청_中企에_온라인_증빙서류_제출_서비스_시행(배포).pdf","viewCnt":"1848","regDate":"2021-11-09 18:39:39"},{"contentId":"135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년 하반기 2차 신입・개방형직위・전문위원・ 체험형 청년인턴 등 44명 공개 채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30","contentsKor":"TIPA, 2021년 하반기 2차 신입・개방형직위・전문위원・체험형 청년인턴 등 44명 공개 채용 국가유공자, 고졸전형 등 사회형평성 고려한 채용 공고(11.4.), 19일까지 모집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 지원의 주역으로 성장할 창의적인 인재 44명을 채용한다.TIPA는 11월 4일(목) 채용 공고를 게시하고, 채용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입사지원 희망자를 대상으로 오는 11월 19일(금) 18시까지 온라인 입사지원시스템(tipa.recruiter.co.kr)을 통해 신청・접수받을 예정이다. 모집 분야 및 규모는 일반직 19명(▲지역사업운영 총괄(2급 1명),▲지역사업관리(3급 2명), ▲사업관리(4급 16명), 무기직 6명(▲R&D평가관리(연구지원직 3명), ▲사무원(공무직 3명)), 개방형직위 1명(법무TF팀장), 전문위원 3명(▲사업기획 및 운영(1명), 회계/세무(2명)), 체험형 청년인턴 15명으로 구분되며, 각 전형단계를 거쳐 12월 또는 ‘22년 1월 임용할 예정이다. 특히, ’22년 예정되어 있는 기관별 기능조정을 통해 지역사업 업무를 TIPA에서 관리하면서 지역사업관리 관련 경력직원을 모집하는 것이 눈에 띈다. 일반직 2급 지역사업운영 총괄, 3급 지역사업관리 부문은 지역산업 및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과 관련한 업무 경력자에 한해서만 신청할 수 있다.아울러, TIPA는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가치 실현에 앞장서기 위해, 무기직 중 R&D평가관리 분야(연구지원직) 3명을 국가유공자 제한경쟁 으로 모집하고, 사무원 분야(공무직)를 고졸인재에 할당하여 3명을 모집한다. 또한 사업관리 분야(일반직 4급)의 경우 이전지역인재(대전·세종·충청) 채용목표제를 실시하여 지역 내 청년고용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전 채용 과정은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각 분야 직무별 자격요건 등 자세한 내용은 TIPA 홈페이지(www.tipa.or.kr) 및 입사 지원 홈페이지(tipa.recruiter.co.kr)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신규채용을 통해 2022년 예정되어 있는 지역사업 이관 절차에 차질이 없도록 할 것”이며 “풍부한 경험과 창의적 인재 채용을 통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연구관리 전문기관으로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산업을 이끌어갈 핵심 인재로 육성할계획이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26","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1년_하반기_2차_신입_개방형직위_전문위원_체험형_청년인턴_등_44명_공개_채용.pdf","viewCnt":"1955","regDate":"2021-11-05 13:50:21"},{"contentId":"135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수소연료전지 분야 혁신 中企 현장 애로 발굴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29","contentsKor":"TIPA, 수소연료전지 분야 혁신 中企 현장 애로 발굴 나서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기업 현장 찾아 中企지원방안 점검(11.3~4)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3일(수)부터 4일 (목)까지 양일간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에 소재한 ‵수소 연료전지 분야′혁신 중소기업인 ㈜에스아이에스(11.3)와 ㈜윈테크(11.4)에 방문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5일 밝혔다. 울산은 전국 수소 생산량의 50% 수준(82톤)에 달하는 국내 최대 부생 수소 생산량과 120km가 넘는 수소 배관망이 구축된 수소 유통지로, 수소 이용과 관련한 전・후방 연계 산업이 발달돼 있고, 사업화 검증 단계인 실증 여건이 우수해 ‘19.12월 ‘수소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 TIPA는 이날 울산 규제자유특구 사업 주관기관인 울산 테크노파크 수소연료전지 실증화센터에 방문해 수소 분야 중소기업의 실증지원 현황을 점검했다. ‘18년 10월 완공된 센터는 대용량 수소연료전지 실증이 가능한 수소배관 공급방식(수소 자체를 배관망을 통해 직접 공급) 특화시설로, 현재 중소기업에서 중견・대기업에 이르기까지 20여개 수소연료전지 기업이 협력해 신제품에 대한 평가와 실증을 진행 중이다. 특히, 참여 중소기업 중 ‘수소연료전지 실내물류 운반기계 개발’ 분야 ㈜에스아이에스(SIS)와 ‘수소연료전지용 개질기 개발’ 분야 ㈜윈테크를 차례로 방문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책 지원방안을 점검했다. 현재 ㈜에스아이에스(SIS)는 지게차, 무인운반차 등에 수소연료전지를 장착한 산업용 무인 실내물류 운반기계 운행 실증을 진행 중에 있으며, ㈜윈테크는 도시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을 수소로 전환시켜 스택(수소와 공기 중 산소를 결합해 전기를 만드는 장치)에 공급하는 장치를 개발 중이다. 현장 간담회에서 기업 관계자는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통한 신제품의 실증이 완료된 이후 실제 사업화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계 지원방안이 절실하다”며, “신뢰성을 검증받은 실증 결과물에 대해 기업 현실에 맞는 다양한 판로 지원 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건의했다. 특히, “지방 중소기업의 경우, 참여 연구인력에 대한 미스매칭 현상과 인력 이탈 문제가 심각하다”며, “현재 정부 차원의 인력 지원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추가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수소는 미래 신산업을 대표할 에너지원으로써 수소 분야 혁신 중소기업이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수요자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 정책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라며, “생태계적 측면에서 진단부터 R&D, 기술사업화까지 패키지형 지원 방식을 계속 확대해 현장에서 실증에 대한 성과가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수요자 맞춤형 지원 정책 발굴에 역량을 집중 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24","atchfileNm":"(보도자료)TIPA,_수소연료전지_분야_혁신_中企_현장_애로_발굴_나서.pdf","viewCnt":"2419","regDate":"2021-11-05 13:49:10"},{"contentId":"135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해외기술교류 희망 中企 대상 온라인 맞춤형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27","contentsKor":"TIPA, 해외기술교류 희망 中企 대상 온라인 맞춤형 교육 실시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기술교류 위한 全주기 핵심노하우 무료 전수(11.5)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에서 오는 11월 5일(금) 오후 2시부터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과 기술수출을 위한 온라인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 전세계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면서 해외 현지방문을 통한 기존의 기업 간 대면협상 방식이 제한되고, 이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해외 시장 공략과 기술교류 추진전략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TIPA는 해외진출 시 비대면 방식을 활용해야 하는 새로운 트렌드에 발맞춰, 이번 행사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이 해외기술교류 전주기 과정에서 필요한 핵심정보와 실제사례를 전달할 예정이다. □ 이를 위해 지원기업의 실제 애로사항을 반영하여 해외 기술수출과 기술사업화 관련 교육 컨텐츠를 구성하였으며, ①사전 준비와 온라인 기술상담 방법, ②B2B 정보교류 및 해외 기술탈취 예방 전략, ③기술거래 및 계약 실무, ④ 실제 해외기술교류 참가 경험 및 노하우 등의 순서로 분야별 전문가 강연을 진행한다. ○ 본 강연은 유튜브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Live Streaming” 채널에서 온라인 실시간 중계되며,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의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사전 등록한 기업에 한하여 중계 현장에서 전문가와의 개별상담도 진행된다. □ 한편, TIPA는 2020년부터 “해외기술교류사업”을 통해 러시아, 베트남, 중국 등 외국 기업과의 기술협력이나 기술수출을 희망하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이 보유한 기술에 대해 수요가 있는 외국 기업을 직접 발굴하여 매칭하고, 1:1 상담에 필요한 사전준비 및 기타 제반사항은 물론,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전 세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해외 바이어 섭외와 기술수출을 위한 협의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현장에서 꼭 필요한 필수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의미있는 행사를 준비하였다”며, ○ “앞으로도 TIPA는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을 적극 개척하고 글로벌 협력을 통해 혁신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822","atchfileNm":"(보도자료)_TIPA,_해외기술교류_희망_中企_대상_온라인_맞춤형_교육_실시(배포).pdf","viewCnt":"2172","regDate":"2021-11-05 09:03:30"},{"contentId":"135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 혁신성과 알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13","contentsKor":" 中企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 혁신성과 알린다 11.3(수)부터 10일간 ‘2021 정부혁신박람회 참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중소벤처기업 혁신제품의 초기 판로시장 지원을 위해 운영 중인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가 2021년 정부혁신박람회 '혁신사례'로 선정되어 온라인 박람회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2021 정부혁신박람회'(부제:같이 하는 혁신, 함께 여는 미래)는 국민과 약속한 그간의 정부성과를 전시, 영상, 부대행사 등 다양한 국민 참여프로그램을 통해 공유하고 새로운 목표를 제시하는 등 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박람회이다. 특히, 現 정부 출범 이후 세 번째로 열리는 행사로 지난 4년 반 정부의 혁신성과를 종합하고 혁신사례를 국민과 함께 공유하며 정부혁신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이번 행사는 11월3일(수)에 시작하여 11월12(금) 10일 간 운영되며 코로나 19 상황을 고려하여 웹페이지 온라인 전시관과 가상공간에 3차원(3D) 그래픽으로 구현한 메타버스* 전시관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메타’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의 합성어로 현실 세계와 같은 사회ㆍ경제ㆍ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 중기부와 TIPA는 '혁신제품 도입을 통한 공공서비스 품질 향상'이라는 주제로 전시에 참여하여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를 소개한다.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란 중소기업 R&D사업을 바탕으로 개발된 혁신제품을 공공부문이 구매ㆍ적용함으로써 혁신적인 공공서비스개선과 중소기업의 성장 및 상생을 지원하는 제도로 작년에 도입되었다. 제도 도입 이후 의료, 안전, 에너지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162개의 혁신제품이 선정되었고 약 551억원('21. 9월말 기준)의 공공매출을 기록하였으며 124개 지자체, 26개 중앙기관, 69개 공공기관에 적용되어 공공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하였다. 해당 전시관에는 혁신제품에 대한 국민들의 공감과 이해력을 높이고 자 스토리 중심의 혁신제품 제도소개 영상을 비롯하여 실제 공공분야에 적용된 혁신제품 사례영상(①전기전자생성솔루션, ②스마트 횡단보도 철주)을 만나 볼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내 전시관에서는 실시간 상담 기능이 구현되어 혁신제품 담당자와 가상세계에서 일대일 대면하여 언제든지 채팅 상담ㆍ문의가 가능하다. TIPA 이재홍 원장은“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중소벤처기업에게 초기 시장확보의 기회를 제공하는 좋은 제도이다”라며 "이번 2021 혁신박람회 참여를 통해 해당 제도를 국민에게 알리고, 우수한 혁신제품을 지속해서 선정하여 다양한 공공서비스 분야에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2021정부혁신박람회는 총 5개의 전시관으로 운영되며 그 중 혁신제품은 '함께하는 한국' 전시관에 위치해있다. 행사 참여는 2021정부혁신박람회 홈페이지*를 통해 접속 가능하며, 메타버스 전시관의 경우 회원가입과 메타버스 프로그램 다운로드의 절차가 필요하다.* 전시관 URL : www.innoexpo.co.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98","atchfileNm":"(보도자료)_中企_우수연구개발_혁신제품_지정제도_혁신성과_알린다(배포).pdf","viewCnt":"1796","regDate":"2021-11-03 17:57:03"},{"contentId":"135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사업비 집행 中企현장 애로 해결에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11","contentsKor":"TIPA, R&D 사업비 집행 中企현장 애로 해결에 나선다 11.8(월) 시작으로 4개 지역(서울, 경기, 대전, 대구) 찾아가는 순회 상담회 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오는 11월 8일(월)을 시작으로 중소기업 R&D 수행기업 대상「2021년도 하반기 지역별* 1:1 R&D 사업비 집행 맞춤 상담회」를 실시한다.* 서울(11.8~9), 경기(11.16~17), 대전(11.23), 대구(11.25) TIPA는 지난해 하반기 6개 지역*, 올해 상반기 2개 지역* 맞춤 상담회를 실시한 결과, R&D 수행기업들의 높은 만족도와 수요가 많아, 이번 상담회 역시 R&D 사업비 상담요청이 많은 지역 중심으로, 지정회계법인**의 담당회계사와 함께 1:1 맞춤형 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다. * (‘20.하) 부산, 대구, 수원, 광주, 대전, 수도권 / (’21.상) 서울, 경기** 중소기업R&D지원사업 사업비 정산을 위해 TIPA가 지정·운영하는 회계법인 코로나19로 인하여 R&D과제 수행 관련 각종 설명회 등이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이번 상담회는 정부방역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여 R&D 수행기업 정산담당자를 대상으로, 정해진 상담 시간대별 개별 기업 1:1 대면상담 방식을 통해 진행된다. 특히, 금년부터 시행된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른 中企R&D 사업비 집행 규정 이해도 향상, 지정회계법인 상시모니터링 후속조치 등을 통해 R&D 수행기업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금번 상담회를 통해 사업비 오집행을 미연에 방지해 사업비 집행과정에서의 불인정 사례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정부 R&D 자금 부정사용 방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사업비 집행에 궁금한 점이 있는 R&D수행기업은 과제 진행 시 배정된 담당 지정회계법인을 통해 문의할 수 있다.TIPA 이재홍 원장은“금번 맞춤상담회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 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하여 R&D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중소기업이 한층 더 성장할 수 있은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93","atchfileNm":"(보도자료)_TIPA,_RD_사업비_집행_中企현장_애로_해결에_나선다(배포).pdf","viewCnt":"1852","regDate":"2021-11-03 14:15:17"},{"contentId":"135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VCA·KVIC, 친환경 R&D기업 투자설명회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08","contentsKor":"TIPA·KVCA·KVIC, 친환경 R&D기업 투자설명회 추진 친환경 분야 R&D기업과 그린뉴딜 펀드 매칭을 위한 만남의 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벤처캐피탈 협회(회장 지성배, 이하 KVCA), 한국벤처투자(대표 이영민, 이하 KVIC)가 친환경·에너지 분야 R&D기업의 벤처투자유치를 위한 투자설명회를 10월 29일(금) 팁스타운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TIPA, KVCA, KVIC은 지난 6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추진했다. ㅇ 이번 행사는 R&D를 수행한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이 벤처투자를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세 기관이 힘을 합쳐 본격 적으로 추진하는 첫 번째 행사이다. □ 최근 벤처투자 현황을 보면, 수도권 소재기업이나 바이오·ICT 등 특정 분야에 투자가 편중되는 경향이 많아 제조업이 다수인 친환경 분야의 R&D기업들은 벤처투자를 받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ㅇ 모태펀드에서는 이러한 투자소외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그린뉴딜 펀드가 결성되었고, 세 기관은 친환경분야 R&D기업과 해당 펀드를 연결하기 위해 힘을 합쳐 이번 투자설명회를 준비했다. □ ’친환경 분야 R&D 수행기업 투자설명회‘는 탄소저감 및 에너지 분야의 투자유망기업 10개사와 그린뉴딜 펀드 등 친환경 분야에 관심있는 5인 내외의 투자심사역들이 참여한다. ㅇ 참여기업은 소무나 주식회사, ㈜킴스테크, ㈜에프엠에스코리아 등 10개사이며, 15분 동안 발표·질의응답을 통해 자신들의 기술력과 장점을 집중 설명해 투자심사역(VC)에게 기업을 어필한다. ㅇ 행사에 참여하는 기업은 VC 대상 IR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시 및 네트워킹 공간을 활용하여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여러 투자자와 의 만남을 통해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 ㈜킴스테크 김진규 대표는 “최근 대부분의 투자사들은 제조기업에 대한 관심이 적어 자사와 같은 지방 제조기업들은 벤처투자를 받기 힘든 상황이다.” 라며 “개별적으로 투자자를 만나기가 너무 어려운 친환경 관련 업체들을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가 자사의 검증된 기 술력을 투자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 이재홍 TIPA원장은 “최근 벤처투자가 수도권과 ICT, 바이오 등 특정분야로 편중되는 경향이 유지되고 있다.”며, “TIPA는 앞으로 도 비수도권 소재기업과 전통제조기업 등 투자소외 분야에 속하 는 중소벤처기업들도 투자유치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지원방안 을 지속적으로 고민하겠다.”고 전했다. ㅇ 본 행사는 오프라인 투자설명회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기술정보진 흥원 라이브 유튜브 생중계(https://url.kr/yovim9)를 통해 행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VC들도 실시간으로 발표기업의 IR피칭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88","atchfileNm":"(보도자료)_TIPA,_KVCA,_KVIC_친환경_RD기업_투자설명회_추진.pdf","viewCnt":"1918","regDate":"2021-11-01 19:41:24"},{"contentId":"135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507","contentsKor":"“K-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개최” 인공지능과 제조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소 제조기업이 직면하는 공통문제 해결  10월 26일부터 KAMP포털을 통한 온라인 참여, 총 8개 팀 선발·수상 □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과학기술원 주관으로 온라인상에서 제조 인공지능 모델 개발 능력을 겨루는 「K-인공지능 (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ㅇ 「K-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는 중소 제조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해 중소 제조기업이 직면할 수 있는 공통문제*를 인공지능 분석모델 개발을 통해 해결하고자 개최하는 대회이며,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이하 ‘KAMP’)을 통해 진행한다. * (예) 장비이상 조기탐지, 품질 이상탐지/진단, 공정운영 최적화 등 ㅇ KAMP는 중소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한국과학기술원-NHN 등과 협업하여 구축한 민-관 합동 중소제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이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스마트공장에필요한컴퓨팅인프라, 분석·개발도구, 인공지능데이터셋, 우수사례, 교육자료등 ㅇ 이번 경진대회 개최를 통해 선정될 우수 분석모델들도 KAMP 포털 (kamp-ai.kr)에 업로드하여 중소 제조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 대회는 KAMP 포털을 통해 공지되며 여기서 참가규모, 시상규모 및 진행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ㅇ 주제는 KAMP의 제조 AI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제조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의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사항은 참가자 모집 이후에 공개할 예정이다. ㅇ 서면평가와 모델 구축과정 발표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8개 팀을 선정하여 총상금 2,900만원 규모로 포상할 예정이다. ㅇ 시상식은 12월중 메타버스 공간에서 진행하며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한국과학기술원총장상,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상 등을 수여할 예정이다. ㅇ 대회는 제조데이터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 참가를 희망한다면 10월 26일부터 11월 09일까지 ‘KAMP 포털 (kamp-ai.kr)’에 공지된 담당자의 이메일로 참가신청서 등을 제출하면 된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박한구 단장은 “이번 경진대회를 통해 제조관련 인공지능 기술 인력의 저변을 확대하고, 나아가 제조업의 인공지능 제조혁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86","atchfileNm":"(보도자료)_K-인공지능_제조데이터_분석_경진대회_개최(배포).pdf","viewCnt":"1873","regDate":"2021-11-01 19:38:45"},{"contentId":"134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中企-연구기관간 협력 우수연구개발 사례 공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98","contentsKor":"TIPA, 中企-연구기관간 협력 우수연구개발 사례 공개 ‘21년 선도연구기관 운영 통한 산・연 협력R&D사업 성과공유회 개최(10.28)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오는 10월 28일(목), 서울 강남구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SETEC)에서 ‘중소기업 지원 선도연구기관 협력R&D사업’의 그간 운영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성과공유회)를 마련한다. TIPA는 ‘선도연구기관 협력R&D사업’의 전문기관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과 혁신역량 제고를 위해 ‘19년부터 사업을 운영 중이며, 중소기업 지원 전담조직을 보유하고, 연구역량이 우수한 출연연·전문연 중 5개 기관*을 선도연구기관으로 지정・협력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R&D) 전 주기(기업진단→기술개발→기술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특히, 선도연구기관은 △연구기관이 보유한 우수 인력, 연구 장비 등 인프라를 활용한 기업 진단부터 △중소기업과 선도연구기관간 협력을 통한 가치창출형 기술개발(R&VD) 지원, △시장맞춤형 기술 사업화 지원까지 단계별 패키지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전주기를 지원한다. 아울러, 산·연 협력 기술개발의 활성화와 성과창출, 정책수립을 위한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선도연구기관 협의체도 활발히 가동 중이다. 이번 성과공유회는 그간 선도연구기관의 중소기업 지원 노력과 협력 우수 사례에 대해 대외적으로 알림으로써, 산·연 협력 기반 조성과 성과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열간전단 공정에서 신뢰성 확보를 통한 기술고도화, △증강현실 기반 스마트공장 관리/작업 지원 서비스 플랫폼 개발, △ 대기용 활성탄 재생을 위한 기술개발, △SoC를 적용한 PTC 히터용 제어기 개발, △선형 이온빔 표면처리 기술이전을 통한 이종소재간 융합부품 개발 등 각 연구기관의 특성에 맞는 협력사례를 엿볼 수 있다. 선도연구기관 한 관계자는 “각 기관 담당자들의 열정과 의욕이 대단 하다. 특히 고용창출, 매출증대 등 협력의 성과가 이제야 가시적으로 드러나고 있는데 내년 사업 종료를 앞두고 있어 아쉬움이 크다.”라며, 산·연 협력을 통한 괄목할만한 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정부 지원을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보유 인프라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에게 협력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우수한 기술력과 연구 환경을 보유한 연구기관 등과의 협력을 지속 촉진하기 위해 기획하고 있는 신규 사업을 반드시 통과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성과공유회 시청을 원하는 경우, 오는 28일(목) 누구나 ITS 2021 홈페이지 (https://www.innotech.or.kr/main/)를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행사 당일 우수 산·연 협력 기여자에 대한 TIPA 원장상 포상식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75","atchfileNm":"(보도자료)_TIPA,_中企-연구기관간_협력_우수연구개발_사례_공개(배포).pdf","viewCnt":"1981","regDate":"2021-10-28 08:59:06"},{"contentId":"134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 융복합 기술협력 세미나로 중소벤처기업의 개방형 혁신 성과 공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97","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산업 혁신 주체 간 협력 성과를 공유하는 ‘2021 융복합 기술협력 세미나’를 제22회 중소기업 기술혁신대전(ITS2021)에서 오는 28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SETEC 제2전시관 특설무대 □ TIPA는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으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및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위해 연구기관의 전문 연구인력 등을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의 공동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선도연구기관 협력기술개발사업’과 대·중소기업, 대학·연구소 등 혁신주체 간 협력 네트워크(i-CON) 구축을 통해 창의·혁신과제 발굴, 투자연계 등 성과창출을 지원하는 ‘융복합기술교류촉진사업’을 지원 중이다. □ 이번 세미나에서는 두 사업의 목적인 산·학·연 등 산업혁신 주체 간 협력을 통해 달성한 개방형 혁신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선도연구기관 협력기술개발사업’을 통해 도출된 우수 기술개발 사례와 ‘융복합기술교류촉진사업’을 통해 지원한 스마트제조·서비스 및 바이오·헬스,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기술융합 주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또한, 가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메타버스 시대가 가속화됨에 따라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 및 중소벤처기업 지원 전략과 개방형 혁신 활성화를 위한 지역혁신 생태계 강화 방안에 대한 기조 강연도 있을 예정이다. □ 이번 ITS2021에서는 소재·부품·장비, 디지털뉴딜, 그린뉴딜 등 기술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되거나 혁신성이 우수한 2백여 기업의 기술 및 제품이 온라인을 통해 전시 예정으로, TIPA의 R&D 프로그램을 지원받은 중소 벤처기업이 다수 참여할 계획이다. □ TIPA 관계자는 “코로나19 이전과 동일한 일상으로 돌아가기는 어렵겠지만 ‘위드 코로나’로 지속 가능한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개방형 혁신 지원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73","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1_융복합_기술협력_세미나로_중소벤처기업의_개방형_혁신_성과_공유(배포).pdf","viewCnt":"2287","regDate":"2021-10-27 09:06:49"},{"contentId":"134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 중소기업 대상‘안전패키지서비스’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88","contentsKor":"TIPA, 지역 중소기업 대상‘안전패키지서비스’지원 대전‧세종 소재 공공기관과 혁신네트워크 구성해 안전점검・교육・물품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10월 18일(월) 지역 중소기업의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공공기관과 협업하여 ‘안전패키지서비스’ 지원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 안전패키지서비스는 안전사고에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안전 점검 지원 대상 수요 발굴부터 안전점검‧교육‧안전물품 기부까지 한 번에 지원하는 사업으로, 대전‧세종 소재 지역 공공기관과 ‘혁신네트워크’를 구성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 TIPA는 금번 지원업체로 대전시 소재 지역 중소기업인 ㈜지엘테크에 방문했다. ㈜지엘테크(대표 김호환)는 반도체 측정장비 제조업체로 TIPA가 지원하는 시장친화형기능개선R&D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 TIPA는 금번 안전패키지서비스를 통해 산업안전보건법 시행 적용이 임박한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현장 방문을 통해 제조업 근로종사자를위한 산업용 구급상자를 기부하였다. ○ 또한, 한전원자력연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함께 ㈜지엘테크를 방문해 현장 안전점검과 종사자 대상 응급처치‧심폐소생술 교육을 진행했다. 아울러 ‘안전패키지서비스’에 참여하는 혁신네트워크 협업기관*과 함께 소화기, KF94마스크, 손소독제 등 산업안전‧소방‧방역 관련 물품 기부를 통해 안전문화 확산에 동참했다.* 안전패키지 참여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원자력연료(주), 연구개발특구 진흥재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연구재단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수혜업체 대다수가 안전에 취약한 중소제조업체로써, 앞으로도 ‘아차사고’ 예방 및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 공공기관과 협업하여 지원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라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55","atchfileNm":"(보도자료)_TIPA,_지역_중소기업_대상_안전패키지서비스_지원.pdf","viewCnt":"2318","regDate":"2021-10-21 09:05:22"},{"contentId":"134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온라인 주니어보드 첫 회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86","contentsKor":"TIPA,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온라인 주니어보드 첫 회의 개최 -20명 규모 젊은 리더들이 기관의 정책 결정에 참여, 수평적 조직문화 확산 기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청년들로 구성된 주니어보드를 출범하여 15일 첫 회의를 개최했다.TIPA에 따르면 주니어보드는 MZ세대 젊은 직원들을 주축으로 20명 규모의 위원회를 통하여 운영되었다.TIPA 주니어보드는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원장과 직접 소통한다. 특히, 15일 첫 회의부터 특별승진, 사내벤처 등 기관 주요 이슈를 논의하면서 기관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들은 ▲기관정책, ▲근무환경 개선, ▲조직문화 혁신 등 기관운영 전반에 걸친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여 원장의 주요 의사결정 파트너로서 자리매김해 나갈 예정이다.또한 TIPA는 금번 첫 회의를 메타버스 플랫폼(Ifland)을 활용하여 개최했다고 밝혔다. TIPA는 차세대 리더들이 가상세계에서의 자유로운 소통문화와 메타버스라는 기술의 메가트렌드를 경험하여 수평적인 조직 문화를 조성하고, 기관의 혁신을 이끌어 나갈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관의 새로운 제도가 메타버스 플랫폼과 성공적으로 결합되어 안착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주니어보드 제도를 도입하여 급변하는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젊은 리더들을 양성하여 중장기적으로 기관이 더욱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48","atchfileNm":"(보도자료)TIPA,_메타버스_플랫폼_활용_온라인_주니어보드_첫_회의_개최.pdf","viewCnt":"2266","regDate":"2021-10-19 16:48:33"},{"contentId":"134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온라인 채용관 열어 中企 기술인재 채용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56","contentsKor":"TIPA, 온라인 채용관 열어 中企 기술인재 채용 지원 사람인 채용시스템 내 전용공간 마련해 ‘22년 7월까지 참여 중소기업 상시모집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R&D 및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 중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인재 채용 지원에 나선다. 기술인재 채용관 참여 신청 시점 기준 R&D 및 스마트공장 사업 수행 중인 기업 TIPA는 청년들이 취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반면 중소벤처기업은 우수 기술인력 구인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지난 8일 ‵기술인재 채용관′을 열었다. 동 채용관은 사람인 채용시스템과 연계해 ‵19년도부터 매년 지속적으로 운영 중이며, ‵21년 9월 현재 1,002개 중소기업이 참여해 채용공고 무료 등록 등의 혜택을 지원받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어려움에도 지난해 1,197명의 기술인재 채용을 지원했고, 올해도 685 명의 인재 채용을 지원함으로써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다. 기술인재 채용관에 가입 및 입점한 중소기업은 기술인재 채용 공고를 ‵사람인′홈페이지 첫 화면 ‵기술인재 채용관′에 상시 노출하는 것은 물론, 채용공고 건수 제한 없이 전액 무료로 채용공고를 등록할 수 있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채용 지원자의 적합성을 선별해 주는 유료 서비스인 ‵MUST′를 무료로 지원할 예정이며 기업이 원하는 입사 지원자가 없더라도 전체 구직자 중에서 기업에게 적합한 인재를 추천해주는 ‵인재 Pool′서비스 지원도 확대해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작년 9월부터 채용관을 이용하여 기술인재 20명을 채용한 에이텍에이 피의 박응민 대표는 “기술인재 채용관으로 많은 구직자에게 기업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자사에서 원하는 기술인재을 채용 할 수 있게 되어 자사에 큰 도움이 되었다. 특히 유료로 이용하던 채용 공고 등록을 제한 없이 무료로 등록 할 수 있어 채용에 소요되는 많 은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었다.”고 전하였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는 우리나라 중 소기업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며 “R&D 수행기업 의 인재 채용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 위해 온라인 채용관을 지속 적으로 확대·운영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기술인재 채용관은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수행중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현재 참여기업을 모집 중으로 ‵22년 7월까지 수시 모집을 할 계획이다. 기술인재 채용관 입점을 희망하는 중소기업들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www.smtech.go.kr)*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SMTECH)]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기타 공지사항]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1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온라인_채용관_열어_中企_기술인재_채용_지원(배포).pdf","viewCnt":"2585","regDate":"2021-10-13 09:00:37"},{"contentId":"134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청렴 버킷챌린지로 윤리경영 문화 확산에 앞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51","contentsKor":"TIPA, 청렴 버킷챌린지로 윤리경영 문화 확산에 앞장 청렴직원 2호 선정, 매월 1명씩 릴레이 방식 선정해 전직원 반부패 의지 제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청렴 버킷챌린지’를 통해 전사적 윤리경영 문화 정착과 전직원 반부패 의지 제고에 앞장서고 있다. ‘청렴 버킷챌린지’는 2021년도 중소벤처기업부 청렴사회실천협의회 청렴 확산 활동의 일환으로, 직원들의 청렴 의식 제고를 위해 TIPA가 마련한 사내 캠페인이다. TIPA는 지난 8월 ‘청렴 버킷챌린지’ 캠페인을 신규 도입한 이래, 청렴직원 2호 주인공을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매달 1 명씩 ‘이달의 청렴직원’을 릴레이 형식으로 선정해 기념패와 청렴인센 티브를 제공하는 등 즐겁고 유익한 청렴 문화 확산 활동을 펼치고 있다. 청렴직원 2호 주인공은 TIPA 기획조정본부 사회적가치혁신실 이수지 주임으로 선정됐다. 이 주임은 대내외적으로 기관 포상 및 공모전 추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상호 업무처리에 있어 투명하고 공정하게 업무처리를 하여 기관 청렴도 제고에 기여한 점 등을 인정받았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청렴 버킷 챌린지의 지속적인 운영을 통해, 즐겁고 유익하게 내부 청렴의식을 높이고, 윤리경영 문화가 정착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고 청렴실천 의지를 강조했다. 한편, TIPA는 지속적인 부패방지 모니터링 및 청렴활동을 추진한 결과,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패방지 시책평가 에서 1등급을 획득하여 청렴활동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710","atchfileNm":"(보도자료)_TIPA,_청렴_버킷챌린지로_윤리경영_문화_확산에_앞장(배포).pdf","viewCnt":"2345","regDate":"2021-10-07 09:04:36"},{"contentId":"134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혁신조달 중소기업 10개사에 미주 조달시장 개척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42","contentsKor":"TIPA, 혁신조달 중소기업 10개사에 미주 조달시장 개척 지원 조달청과‘혁신조달기업의 온라인 미주 조달시장 개척단’공동 개최(9.13~17)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13일(월)부터 9월 17일(금)까지 5일간, TIPA 판교 기술혁신센터 온택트홀에서 ‘혁신조달 기업 온라인 미주 조달시장 개척단’ 행사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 행사 개요 > ◾ 행 사 명 : 혁신조달기업 온라인 미주 조달시장 개척단 ◾ 일 시 : 2021. 9. 13(월) ~ 9. 17(금) (5일간) ◾ 장 소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혁신센터(판교) ◾ 개최방식 : 코로나 19 재확산에 따른 온라인 포럼 개최 미주 조달시장 개척단은 정부조달협정 회원국이면서 구매력이 높은 미국, 캐나다를 중심으로 한 미주 지역(인근 중남미 국가 포함)의 조달 벤더와 국내 혁신조달기업 간에 1:1 매칭 주선을 통해 해외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부터 처음 가동됐다. 이번 행사는 올해 4월 TIPA와 조달청간 체결한 업무협약(MOU) 이후 후속 협력 사업으로써, TIPA의 R&D 지원을 받아 기술개발에 성공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 5개사와 조달청이 선정한 5개사 등 혁신조달기업 10개사 대상으로 해외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조달청과 공동으로 추진했다.  본 행사는 북미 캐나다, 미국의 해외조달시장 진출 설명회와 함께 각 해당국 조달관과 조달벤더와의 매칭 상담회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설명회에 참여한 ㈜알파오 이영환 대표는 “이번 행사를 통해, 미주 조달시장의 트렌드, 각 해당국의 개방 조건 등 진출 전략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혁신조달 중소기업이 해외 조달시장을 무대로 판로를 개척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행사 2일차부터는 혁신 조달기업 10개사를 대상으로 각 기업별 3개 이상의 바이어를 매칭해 총 30건 이상의 미주 지역 조달수출상담이 이루어졌으며, 이중 4개사는 미정부조달 프라임벤더바이어인 Luceque Global LLC의 요청으로, 미국과 멕시코, 파나마에 정부기관 납품 테스트용 샘플 수출과 미 규격제품의 인증 공동 진행으로 해외 공공 조달을 위한 우선 초기 납품실적을 확보하는 성과도 있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혁신조달기업의 온라인 미주 조달시장 개척단 행사를 계기로, 국내의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 및 혁신 조달기업이 국내 조달시장 진출에 이어, 10조 달러 규모의 초거대 시장인 해외조달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수출이 촉진 될 수 있도록 행사 이후 후속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688","atchfileNm":"(보도자료)_TIPA,_혁신조달_중소기업_10개사에_미주_조달시장_개척_지원(배포).hwp","viewCnt":"2588","regDate":"2021-09-28 17:10:29"},{"contentId":"134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년 하반기 신입・개방형직위 등 26명 공개 채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41","contentsKor":"TIPA, 2021년 하반기 신입・개방형직위 등 26명 공개 채용 장애인・고졸전형 등 사회형평성 고려한 채용 공고(9.17), 내달 5일까지 모집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 지원의 주역으로 성장할 창의적인 인재 26명을 채용한다. TIPA는 지난 9월 17일(금) 채용 공고를 게시하고, 채용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입사지원 희망자를 대상으로 오는 10월 5일(화) 18시까지 온라인 입사지원시스템(tipa.recruiter.co.kr)을 통해 신청・접수받고 있다.  모집 분야 및 규모는 일반직 17명(▲지역사업관리(5명), ▲경영일반(기록물 관리, 1명), ▲경영지원(회계, 2명), ▲R&D 및 스마트 사업관리(9명)), 무기직 8명(▲R&D평가관리(4명), ▲시설원(1명), ▲사무원(3명)), 개방형직위 1명 (법무TF팀장)으로 구분되며, 각 전형단계를 거쳐 11월 임용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기관별 기능조정을 통해 내년부터 지역사업 업무를 TIPA에서 관리하면서 지역사업관리 관련 경력직원을 모집하는 것이 눈에 띈다. 지역사업관리 부문은 지역산업 및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과 관련한 업무 경력이 1년 이상인 지원자에 한해서만 신청할 수 있다.  아울러, TIPA는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가치 실현에 앞장서기 위해, 무기직 중 연구지원직(R&D평가관리 분야) 4명을 국가유공자 제한경쟁 으로 모집하고, 공무직(사무원 분야)을 장애 인재 1명, 고졸 인재 2명 으로 할당하여 모집한다. 전 채용 과정은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각 분야 직무별 자격요건 등 자세한 내용은 TIPA 홈페이지(tipa.or.kr) 및 입사지원 홈페이지(tipa.recruiter.co.kr)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채용과정에서 무엇보다 정부의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지원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할 것”이며 “더불어 사회적으로 배려가 필요한 대상자를 우대하여 다양한 계층의 능력 있는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TIPA는 기존의 R&D 및 스마트공장 보급・고도화 사업 외 내년에는 지역사업 이관을 통해 사업 지원 예산이 2조원(예정)에 육박하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연구관리 전문기관으로서 각 분야 경험이 풍부 하고 열정있는 인력을 채용해 기관의 전문성을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686","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1년_하반기_신입,_개방형직위_등_26명_공개_채용(배포).hwp","viewCnt":"2536","regDate":"2021-09-28 17:07:38"},{"contentId":"134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이재홍 원장, 추석 맞아 중소기업에‘청렴서한문’발송","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30","contentsKor":"TIPA 이재홍 원장, 추석 맞아 중소기업에‘청렴서한문’발송 지원 중소기업 대상 추석 명절 맞이 기관장 청렴 서한문 발송 추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6일 추석 명절을 맞아 지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원장 명의의 ‘청렴서한문’을 일제히 발송하고, ‘청렴한 명절 보내기 운동’ 전개를 통해 공직윤리 실천을 공고히 할 것을 밝혔다. TIPA가 추진하는 ‘청렴한 명절 보내기 운동’은 최근 가뭄, 폭염, 홍수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축 어업인들을 위한 우리 농축 수산물 소비를 장려하는 운동임과 동시에 ‘청탁금지법’ 및 ‘임직원 행동강령’을 준수하며 이를 위반하는 경우 신고할 수 있도록 추석 명절 기간동안 ‘선물 신고센터 운영’을 한다는 내용의 TIPA 청렴 캠페인이다. 이번 청렴 서한을 통해 TIPA 이재홍 원장은 “청렴 실천 의지가 충실히 실현될 수 있도록 지원 기업들의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투명하고 공정한 TIPA가 되고자 노력하겠다”고 청렴 의지를 강조했다. 한편, TIPA는 지난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으로는 최초로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지난 해 12월에는 동 인증 갱신을 승인받는 등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668","atchfileNm":"(보도자료)_TIPA,_추석_맞아_중소기업에_청렴서한문_발송(배포).pdf","viewCnt":"2538","regDate":"2021-09-17 17:57:15"},{"contentId":"134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도전적 R&D지원 강화해 혁신성장 이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21","contentsKor":"중소기업의 도전적 R&D지원 강화해 혁신성장 이끈다 TIPA, ‘21년 2차 후불형R&D 사업 공고(9.13), 내달 12일까지 접수(기업당 최대 6억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2021년 2차 ‘후불형 R&D’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 동 사업은 R&D 수행기업에게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기술개발을 독려하고, 과제 수행의 책임감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도입돼 시행 중인 ‘후불형 방식의 중소기업 R&D 지원 프로그램’이다. 후불형 방식은 기존의 R&D 지원 방식과는 다르게 정부가 R&D 수행 기업에게 총 연구개발비의 25%를 우선 지급하고, 나머지 75%는 사업 수행 이후, 최종평가 결과에 따라 지급하는 ‘先수행 後지원’ 방식이다. R&D 수행기간 기업은 자체 재원을 활용하여 R&D를 수행하게 된다. 이로써, 중소벤처기업이 자율적으로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과제 수행과정에서 사업비 오집행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시 점검과 컨설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후불형 R&D 우수기업에 대해서는 기술료 면제 혜택을 부여하고,기술보증 및 후속과제 연계지원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부여된다. 지원 분야는 4차 산업혁명(4IR), BIG3(미래자동차, 시스템반도체, 바이오 헬스), 비대면·서비스 분야이며, 신속한 R&D지원을 위해 선정평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대면평가를 거쳐 최종 지원과제를 선정하게 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우수한 기술력과 연구 환경을 갖춘 중소·벤처 기업들의 혁신적이고 과감한 연구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지원방식이 필요하다."라며, ”후불형 R&D 지원이 시장을 주도하는 혁신기업 성장의 마중물로써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업 신청은 10월 12일(수) 18시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 누리집(www.smtech.go.kr)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651","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의_도전적_RD지원_강화해_혁신성장_이끈다최종★.pdf","viewCnt":"2850","regDate":"2021-09-15 19:29:36"},{"contentId":"134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진천군 아프간인 수용에 따른‘희망마스크’기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420","contentsKor":"TIPA, 진천군 아프간인 수용에 따른‘희망마스크’기탁 아동‧노인 등 방역취약계층에 KF94 마스크 2,600장 기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0일 진천군 덕산읍에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수용에 따른 희망마스크 2,600매를 기탁했다.○ 진천 국가인재개발원에 수용중인 아프간 특별기여자 383명의 자가격리가 지난 10월 해제되었다. 이에 발맞춰 TIPA는 특별기여자및 진천군민 대다수가 방역 취약계층인 아동‧노인인 점을 고려해 아동용 1,600매, 성인용 1,000매 총 2,600매의 KF94 보건용 마스크를 전달하였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특별기여자들의 지역사회에 희망적인 정착을 응원함과 동시에 지역 사회의 방역 증진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전했다.□ 한편, TIPA는 중소기업R&D지원 전문기관으로 이번 기탁품을 대중소기업 동반상생 플랫폼인 동반성장몰에 입점한 중소기업 제품으로 구매함으로써 지역 중소기업의 판로확대와 지역사회 나눔활동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649","atchfileNm":"(보도자료)TIPA,_진천군_아프간인_수용에_따른_희망마스크_기탁.pdf","viewCnt":"2399","regDate":"2021-09-15 19:28:33"},{"contentId":"133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투자형 R&D(스케일업 팁스) 운영사 모집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82","contentsKor":"TIPA, 투자형 R&D(스케일업 팁스) 운영사 모집 설명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13일(월)에 서울 역삼동 TIPS타운 홀에서, 투자형 R&D 전용트랙(스케일업 팁스* )에 참여 하는 운영사를 모집하기 위한 설명회를 개최한다. * 스케일업 팁스 (TIPS, Tech Investor Program for Scale-up)와 스타트업 팁스 (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는 구분 □ TIPA 이재홍 원장은 설명회를 통해, “투자기반의 기술개발(R&D) 혁신 생태계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많은 운영사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길 바라며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에 대한 혁신·도전형 투자가 확대 될 수 있도록 TIPA가 더욱 노력 할 것” 이라고 밝혔다. □ 투자형 R&D 전용트랙“스케일업 팁스”는 벤처캐피털(VC), 연구 개발서비스 기업 등 민간전문역량을 활용하여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하고 민간투자와 연계한 정부 매칭 투자 및 R&D 지원을 통해 스케일업 육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으로, ◦ 그간의 경직된 출연 위주의 R&D를 탈피하여 스케일업 단계에 있는 하드웨어·제조분야 유망 중소벤처에 집중해 투자방식의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 TIPA에서 진행하는 금일 운영사 모집 설명회는 코로나19 방역 수칙을 준수해 온라인(유튜브), 오프라인으로 병행하여 실시한다. □ 설명회는 중소벤처기업부와 TIPA 담당자가 정책방향, 개편내용 등 투자형 R&D 확대 방안에 대한 설명과 운영사 모집에 대한 자세한 가이드를 제시 한 후,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 한다. ◦ 설명회 내용과 진행하며 나온 모든 질문과 그에 따른 답변은 TIPA 공식 유튜브를 통해 언제라도 다시 보기가 가능하다. □ 운영사는 2021년 9월 6일(월) 부터 10월 1일(금) 까지 공고하여 신청·접수 받으며, 연구개발서비스기업 등 기술역량 민간회사와 투자 안목을 갖춘 벤처캐피탈로 구성된 5개 내외 운영사를 10월 중에 우선 선정하고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 할 계획이다. □ 기타 설명회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 문의하거나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94","atchfileNm":"(보도자료)_TIPA,_투자형_RD_운영사_모집_설명회_개최(배포).pdf","viewCnt":"2524","regDate":"2021-09-13 14:16:10"},{"contentId":"133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가위 앞두고 지역사회 희망 나눔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81","contentsKor":"TIPA, 한가위 앞두고 지역사회 희망 나눔 나서 지역 전통시장과 업무협약 체결(9.9) 후 장보기 행사 열어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지난 9일 추석 명절을 앞두고 지역 전통시장을 응원하기 위해 나섰다. 이번 활동은 TIPA가 5월 이전해 온 세종시 조치원에 위치한 세종 전통시장에서 진행됐다. 이번 전통시장 방문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소상공인을 격려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되기 위해 개최됐다. TIPA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방역 수칙을 준수하며 명절 준비에 필요한 지역사회 농산물을 구매하는 장보기 활동을 진행했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유기적인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세종전통시장 상인회와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지역사회와의 상생가치 실현이 중요해지면서 소상공인에 대한 다양한 지원활동들이 있지만, 지원 유무만큼 중요한 것이 지속성과 신뢰 관계라고 생각한다”라며, "이번 MOU를 TIPA가 지역사회와 창출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가치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로 삼겠다”며, 소감을 밝혔다. 한편, 이번 장보기 행사로 구매한 과일, 건어물 등의 물품은 세종지역 내 취약계층 지원을 지원하고 있는 세종시 사회복지협의회의 푸드마켓에 기탁했으며, 추석을 앞두고 도움이 필요한 가정에 전달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92","atchfileNm":"(보도자료)_TIPA,_한가위_앞두고_지역사회_희망_나눔_나서(배포).pdf","viewCnt":"2407","regDate":"2021-09-13 14:14:57"},{"contentId":"133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기업이 주도하는 사회문제해결형R&D 사업 신규 지원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79","contentsKor":"창업기업이 주도하는 사회문제해결형R&D 사업 신규 지원 나선다 □ 환경‧재난안전 등 국민적 수요가 큰 9개 분야 사회문제를 해결해나갈 20개 창업기업 선정(9.7), ‘22년까지 총 24억원 지원(기업당 최대 1.5억원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올해 신규 도입한 ‘사회문제해결형 기술개발사업(R&D)’ 지원을 통해, 환경・재난안전 등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 9개 분야 사회문제를 발굴해 해결해나갈 20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사회문제해결형 기술개발사업(R&D)는 사회가 직면한 각종 문제해결*에 창업기업이 직접적으로 기여하는데 앞장설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올해 신규 지원하는 사업으로, 설립 7년 미만 전년도 매출액 20억 이하의「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한다. 예시 : 코로나맵, 코로나 마스크 제고 알리미 등 어플리케이션 개발 등  특히, 동 사업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중 올해 최초 지원하는 분야로, 그간 정부는 국가 R&D 투자에 있어 사회 문제해결 비중을 점차 확대*해왔으며, 선진국 추격형 R&D 구조에서 탈피해 국민 실생활을 개선하는데 R&D가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투자·성과 검 증 체계를 혁신해왔다. 사회문제해결R&D 중앙행정기관 투자 예산 증가 추이(‘2021.7, KISTEP) : 2018년, 1조2,258억원 / 2019년 1조3,141억원 / 20202년 1조 4,572억/ 2021년 1조 6,000억)  또한, 타 부처에서 추진 중인 ’사회문제해결 R&D‘ 지원과 차별화 될 수 있도록 ’중소(창업)기업 전용R&D 후보품목‘을 개설하는 등 창업기업이 해결해야하는 R&D 지원 방향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❶기획단계부터 일반시민(국민평가단) 참여를 통한 사회문제(품목) 결정·평가 ❷중소(창업)기업 전용 R&D품목 개설, ❸사회 문제해결도 성과 측정(자체미션)  금번 지원되는 사회문제 분야로 ▲사회통합 8개(의료격차 6, 정보격차 2) ▲환경 8개(생활폐기물 4, 실내공기오염 2, 미세플라스틱 2) 분야가 주를 이루 었으며, ▲생활안전 2개(사이버범죄 2), ▲주거/교통 2개(교통안전 및 교통 혼잡 2)의 20개 과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22년까지 지원된다.  주요 과제 중에서는 배달음식 증가에 따른 일회용 플라스틱 배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포장 용기와 처리되는 이력 관리 까지 가능한 개발 등이 진행되며, 사이버범죄 증가에 따른 대표적인 사 회문제로 불법 동영상 유포 차단, 불법 촬영 카메라 탐지 개발이 있다.  이와 함께 사회적으로 대두되는 횡단보도(건널목) 어린이 보행자 교통안 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는 운전자의 속도안내 판 연계 장치, 횡단보도 보행자 감지 시스템 개발이 지원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최근 코로나 이후 사회가 직면한 각종 문제해결을 위한 R&D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국가연구개발(R&D) 지원도 사회 문제 영역을 대상으로 강화해나가야 한다.”라며, “R&D의 초점을 ’ 기술 공급과 산업 혁신‘ 뿐만 아니라 ’국민 삶의 질 문제 관련 현안 을 해결하는 기술개발 형태‘로 적극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90","atchfileNm":"(보도자료)_창업기업이_주도하는_사회문제해결형RD_사업_신규_지원_나선다(배포★).pdf","viewCnt":"2588","regDate":"2021-09-13 10:57:16"},{"contentId":"133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중소기업 정책 포럼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74","contentsKor":"TIPA,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중소기업 정책 포럼 참가 APEC 회원국 간 국제협력 확대로 중소기업 지원 정책 발굴에 역할 강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7일(화)부터 9일 (목)까지 3일간, APEC 중소기업워킹그룹(SMEWG)에서 후원하고, 말레이시아기업협력개발부(MEDAC)의 산하기관인 SME Corp에서 주관 하는 온라인 방식의 ‘APEC 중소기업 정책 포럼*’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APEC 경제협력체가 채택할 포괄적인 △중소기업과 기업가 정신 관련 정책 발굴, △APEC 경제 의제 지원을 위한 기업가 정책 개발 및 프로그램 역할 조정・조화, △APEC 경제협력체 간 중소기업 및 기업가 정신 관련 생태계 조성 등을 목적으로 마련됐다. 본 행사는 포럼(1일차), 소그룹 세션(2일차), 라운드테이블 회의(3일차)로 구성돼 진행됐으며, △혁신과 기술 채택, △인적자본 개발, △금융에 대한 접근, △시장 접근, △법률 및 규제환경, △사회기반시설 등 APEC 경제협력체 및 기업이 직면한 6가지 과제를 중심으로 논의됐다. 특히, 포럼 1일차 ‘혁신과 기술 채택’ 세션에서는 TIPA 이재홍 원장이 연사로 참여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응 전략으로써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관한 주제로 직접 발표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의 개념 및 사례 소개, 우리 정부의 중소기업 디지털 가속화를 위한 스마트팩토리 관련 지원 정책 등을 알림으로써 한국의 대응 전략 방안에 대해 APEC 경제협력체에 공유했다. 또한, 발표에 이어 Q&A 세션에 참여하여 중소기업의 디지털화 가속화 방안과 기술채택의 필요성, 정부정책 방향과 중소기업 수용 간의 차이, 기술도입에 관한 효과적인 재정 전략 등에 대해 의견을 전달했다. 그밖에, 소그룹 세션과 라운드테이블 회의에는 TIPA 글로벌협력팀이 참여해 중소기업과 기업가정신 관련 정책 아이디어 발굴에 동참했다.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APEC 중소기업 및 기업가 정신 프레임 워크에 대한 정책 대담을 계기로, APEC 회원국 간 협력을 통한 경험과 사례 공유가 활발해지고 더 나아가 중소기업을 위한 지속적인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APEC 국제포럼 참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82","atchfileNm":"(보도자료)_TIPA,_APEC(아시아_태평양_경제협력체)_중소기업_정책_포럼_참가.pdf","viewCnt":"2066","regDate":"2021-09-10 10:39:45"},{"contentId":"133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즐거운 청렴 문화 확산 위해 ‵청렴 버킷 챌린지′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50","contentsKor":"TIPA, 즐거운 청렴 문화 확산 위해 ‵청렴 버킷 챌린지′운영 매월 릴레이 형식으로 ‘이달의 청렴 직원’ 선정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즐겁고 유익한 청렴 문화 확산과 기관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21년도 ‘청렴 버킷 챌린지’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청렴 버킷 챌린지’는 2021년도 중소벤처기업부 청렴사회실천협의회 청렴 확산 활동의 일환이며, 직원들의 청렴 의식 제고를 위해 운영하는 TIPA 청렴 캠페인이다. TIPA는 매월 둘째 주 월요일에 ‘이달의 청렴 직원’을 한명씩 선정해 릴레이 형식으로 기념패와 청렴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즐겁고 유익한 청렴 문화 확산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제1호 ’이달의 청렴 직원‘으로 TIPA 부설기관인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이상윤 주임연구원이 선정됐다. 이상윤 주임은 작년 한해 청렴실천추진반원으로 참여하며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37001) 내부 심사원으로 활동하는 등 기관의 청렴문화 확산과 부패방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 점 등을 인정받았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청렴 버킷 챌린지 운영을 통해, 즐겁고 유익하게 내부 청렴의식을 높이고, 윤리경영 문화가 정착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고 청렴실천 의지를 강조했다. 한편, TIPA는 지속적인 부패방지 모니터링 및 청렴활동을 추진한 결과,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패방지 시책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하여 청렴활동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50","atchfileNm":"(보도자료)_TIPA,_즐거운_청렴_문화_확산_위해_청렴_버킷_챌린지_운영(배포).pdf","viewCnt":"2261","regDate":"2021-08-31 17:28:41"},{"contentId":"133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매립지 가스를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는 힘...그린뉴딜 유망기업으로 주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49","contentsKor":"매립지 가스를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는 힘...그린뉴딜 유망기업으로 주목 -‵20년 그린뉴딜 유망기업 선정, 세계 최초 플라즈마를 활용한 수소 생산 시스템 개발 박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 8월 19일(목) 대전광역시 소재 ‵그린뉴딜유망기업*′ ㈜인투코어테크놀로지를 방문하여 기업의 애로 및 건의사항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그린뉴딜유망기업 :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그린벤처프로그램의 선정기업으로 중기부와 환경부는 22년까지 100개의 그린뉴딜 유망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인투코어테크놀로지는 KAIST 박사 출신의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플라즈마 전문기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독자적인 플라즈마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반도체는 물론 환경에너지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제조하고 있다. 특히, ㈜인투코어테크놀지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플라즈마 기술은 단위 모듈당 4Nm3/h의 가스를 처리할 수 있고, 에너지 전환효율이 70%에 달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대용량 고효율 플라즈마 제조기술로 GTL(Gasto Liquid) 기술 혹은 수소를 정제하는 기술과 연계를 통해 메탄올, 항공유, 수소 등과 같은 다양한 에너지원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플랫폼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인투코어테크놀로지는 ‵20년 그린뉴딜유망기업에 선정되어 플라즈마를 이용해 매립가스로 다양한 에너지원을 만들어내는 기술로 사업화를 구상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그린벤처프로그램 사업을 통해 탄소중립 분야의 한축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는 유망기업들을 격려하고,현장의 애로와 건의사항을 청취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날 기업 관계자는 “그린뉴딜유망기업 선정 후 그린벤처사업화 과제와 관련 많은 곳에서 관심을 받고 있어 기쁘다”라며, “하지만 성공적인 그린뉴딜사업화를 위해 관련 기업, 기관 등과의 네트워크가 필요한데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네트워크 형성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애로사항을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러한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비대면 네트워크 행사 개최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그린뉴딜유망기업이 R&D 및 사업화 과제를통해 그린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도 올바른 정책은 현장과 소통에서 나온다는 신념으로 현장 방문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 기업 현장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애로・건의사항에 대해 소통을 확대해, 그린뉴딜유망기업의 혁신을 적극 지원해나가 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중소벤처기업부와 TIPA는 지난 해 그린뉴딜 유망기업 20개사를 선정한 데 이어, 올해 5월에는 15개사가 추가 선정됐고, 지난 7월 9일 그린벤처 유망기업 선정서 수여식을 마쳤다. 2022년까지 환경부와 함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개사를 선정하고, 그린분야 R&D 및 사업화 지원을 계속 이어나갈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48","atchfileNm":"(보도자료)_매립지_가스를_친환경_에너지로_전환하는_힘...그린뉴딜_유망기업으로_주목(배포).pdf","viewCnt":"2316","regDate":"2021-08-31 17:27:03"},{"contentId":"133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R&D 기획의 나침반, R&D PM제도 1주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35","contentsKor":"중기부 R&D 기획의 나침반, R&D PM제도 1주년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 R&D PM 간담회 개최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8월 23일(월) TIPA 세종 본원에서 중소기업 R&D PM(Project Manager)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중소기업 R&D PM제도 도입 1주년을 맞아, 그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중소벤처 기업부 권칠승 장관이 참석하였다.  중소기업 R&D PM제도는 중소기업 R&D 기획 기능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민간 전문가를 활용하는 제도로 2020년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현재 중소기업 R&D PM은 총 6명으로, 6대 기술 분야*별로 한 명씩 담당하고 있다. 기술분야 : 혁신서비스, 전자부품·장비, 바이오헬스, 환경·에너지, 화학·전자소재, 그린뉴딜  지난 1년여 간 중소기업 R&D PM은 △예타사업과 같은 중장기 사업 기획, △단기 신규사업 기획,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기획, △소재· 부품·장비 과제 기획 및 검증 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특히, ‘K-Bio Lab-Hub’ 구축 사업 등을 포함하여 현재 5개의 예타 사업을 기획 중에 있으며, 총 5개*의 ‘22년 신규 사업을 기획하여 182.5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총 18개 단기 신규 사업을 기획하여 그 중 5개 사업(182.5억) 과기부 심의 통과  또한 ’21년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기획과정에 참여하여 기술·시장 정보 분석, 전략품목 검증, 동영상 강의 제작 등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날 간담회에서는 이재홍 TIPA 원장의 “PM 제도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계획” 발표를 시작으로, PM 제도 개선 및 향후 기획 방향이 논의됐다.  PM들은 1년간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기획하며 민간에 서의 풍부한 현장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R&D 사업을 기획하는 데에 보람을 느꼈다고 답하였다. 다만 현행 6대 분야만으로 다양한 기술 분야의 업무대응이 어려우며, 최대 3년의 임용기간으로는 본격적 업무수행을 위한 적응 기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중기부-TIPA-PM그룹 간 원활한 소통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권칠승 중기부 장관은 “PM이 민간에서의 경험을 마음껏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고, 체계적으로 제도 개선점을 보완하여 중소기업 R&D 발전에 토대를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재홍 TIPA 원장은 “PM 인원 확충, 협업체계 강화 등을 통해 PM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고, 보다 전문적인 기획을 통해 R&D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35","atchfileNm":"20210825_(보도자료)_중기부_RD_기획의_나침반_RD_PM제도_1주년(배포).pdf","viewCnt":"2624","regDate":"2021-08-26 09:16:39"},{"contentId":"133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기업 투자유치 지원을 위한 ‵TIPA ValueUP 데모데이′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32","contentsKor":"TIPA, R&D기업 투자유치 지원을 위한 ‵TIPA ValueUP 데모데이′개최 탄소저감·에너지 등 투자유망기업과 VC가 참여하는 온라인 투자설명회 추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 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2021년 하반기‵TIPA ValueUP 데모데이′를 오는25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TIPA ValueUP 데모데이는 탄소저감 및 에너지, 제조 분야 등 투자유망기업 9개사와 10인 내외의 투자자들이 참하며, 코로나19 재확산 상황을 고려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참여기업은 ㈜이유씨엔씨(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하는 친환경 수성 단차열 도료), 주식회사 조에(에너지 소비제품으로 새로운 에너지를 생산하는 제품), ㈜리오에너지 (흘려버리는 물을 이용한 유속 증속형 소수력 발전장치), ㈜포어시스(스마트 해양 쓰레기 수집/수거 서비스) 등이며, 행사당일 온라인 스트리밍을 활용하여 투자자 대상 IR 피칭을 진행한다. TIPA ValueUP 데모데이에 참여하는 기업은 VC 대상 IR 뿐만 아니라 온라인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여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다양한 투자자와의 네트워킹 시간을 갖는다. 또한, 행사 당일 웨비나플랫폼(https://gabinlive.com/2021tipavalueup)에 접속 하면 누구나 실시간으로 발표기업의 IR피칭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투자기관에게는 기업 IR자료를 제공한다. 주식회사 이유씨엔씨 최장식 대표는 “녹색건축법 개정으로 에너지절감 재료 분야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라며 “다양한 투자자와의 만남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시장에 선도적으로 진출해있는 우리 기업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재홍 TIPA 원장은 “R&D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방식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를 통한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TIPA ValueUP은 중소벤처기업들이 R&D를 통해 개발한 혁신제품과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투자유치 역량강화 지원 프로그램으로 ’18년도부터 현재까지 총 159개 기업을 발굴해 육성하고 있다. TIPA ValueUP 참여기업에게 보다 많은 투자유치 기회제공을 위해 국내 VC를 대상으로 한 투자설명회인 ‵밸류업라운드′와 해외투자자 대상 ‵글로벌 투자설명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TIPA는 이처럼 다양한 노력을 통해 ’18년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총 34개 기업이 약 3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521","atchfileNm":"(보도자료)_TIPA,_RD기업_투자유치_지원을_위한_TIPA_ValueUP_데모데이_개최(★).pdf","viewCnt":"2434","regDate":"2021-08-24 10:46:03"},{"contentId":"133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OSMO, 떡 제조中企 대상 국내 최초 ‵스마트HACCP′인증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304","contentsKor":"KOSMO, 떡 제조中企 대상 국내 최초 ‵스마트HACCP′인증 지원 클라우드기반 솔루션개발사업 통해 11개 영세 떡 제조中企 디지털화 지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이 국내 최초로 떡 제조 중소기업의 스마트HACCP* 인증을 지원하는 성과를 냈다. 스마트HACCP : 식품제조공정에 사물인터넷(IoT)기술과 스마트공장을 적용해 기존 HACCP 운영관리 중요 관리항목을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자동 기록관리를 통한 식품안전관리 인증 추진단은 ‵클라우드기반 솔루션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떡 제조 HACCP 솔루션′에 대해 11개 영세 떡 제조 중소기업 현장에 보급을 마쳤다. 특히, 이 중 ‵농업회사법인 마음이가(주)′는 떡 제조 업계 에서는 국내 1호로 스마트HACCP 인증을 등록하는 성과를 냈다. ‵떡 제조 HACCP 솔루션′은 ICT장비 및 온도센서를 도입해 제조공정 내 금속검출, 온도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관리자에게 전송이가능하며, 또한 보고서 자동 출력서비스를 통해 태블릿 PC등을 이용해 언제 어디서든 공정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 가능한 기능을 제공한다. 동 솔루션 도입기업 ‵농업회사법인 마음이가(주)′ 박현철 대표는 ‶시스템 도입 후, HACCP 관리를 위한 수많은 서류작성을 전자문서로 대체되고, 실시간으로 공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공정의 정확성이 높아졌고, 이를 통해 업무 생산성이 향상되어 솔루션 도입 전 대비 매출액이 37% 상승했다″며, ‶퇴근 후에도 냉동보관창고 작동 여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공정상태 관리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한편, 추진단은 지난해부터 클라우드기반 솔루션개발사업을 통해 다수의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활용 가능한 클라우드형 업무솔루션 구축을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도 ‵도축장 스마트HACCP 솔루션 구축′ 등 6개 분야의 과제를 지원하고 있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영세 식품제조가공업체들이 복잡하고 어려운 HACCP인증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으며, 국내 식품제조 및 가공업 영세기업도 스마트화에 가속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487","atchfileNm":"KOSMO,_떡_제조中企_대상_국내_최초_스마트HACCP_인증_지원(배포★).pdf","viewCnt":"2084","regDate":"2021-08-17 10:42:02"},{"contentId":"132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재부품장비 전략협력 기술개발사업 참여 중소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253","contentsKor":"소재부품장비 전략협력 기술개발사업 참여 중소기업 모집 □ 소부장 전략협력 기술개발사업 ‘R&D 공동기획’ 참여 중소기업 모집ㅇ 운영기관·소부장기업 협력 R&D 과제에 최대 2개월간 15백만원(1단계), 최대 3년간 12억원(2단계) 지원(공고 및 접수기간 : 8.4(수) ∼ 8.23(월) 18시까지 접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1년 소재부품장비 전략협력 기술개발사업(이하 전략협력R&D) 중 1단계 과정인 ‵R&D 공동기획′ 과제를 수행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 동 사업은 소재·부품·장비 분야(이하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이 대학・연구 기관들이 보유한 기술・인프라・인력을 기업의 기술개발 과정에 자유롭게 활용하고, 상호 간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금년도에 신설된 사업이다. 1단계‵R&D 공동기획′과제를 수행할 중소기업은 30개 내외로 선정할 예정이며, 선정된 기업은 2개월간 운영기관*과 공동으로 2단계(전략협력 R&D) 과정에 지원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기획하게 된다.* 전략협력R&D 사업 운영기관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중소기업・운영기관 간 ’R&D 공동기획‘이 완료되면 기술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전략협력R&D(최대 3년, 12억원)를 수행할 중소기업 20개 사를 최종 선정하게 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산・학・연 협력체계를 견고하게 다져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 소부장 산업의 신속한 기술자립 실현을 위한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청은 8월 4일(화)부터 8월 23일(월) 18시까지 20일간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www.smtech.go.kr)을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426","atchfileNm":"(보도자료)_소부장_전략협력_기술개발사업_참여_중소기업_모집(배포).pdf","viewCnt":"2451","regDate":"2021-08-10 15:52:09"},{"contentId":"132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지역사회 에너지 취약계층에 냉방용품 기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252","contentsKor":"TIPA, 지역사회 에너지 취약계층에 냉방용품 기부 여름철 무더위로 어려움 겪는 대전지역 30개 가정에 서큘레이터 전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 8월 6일(금) 대전 유성구 노인복지관을 방문해 지역사회 에너지 취약계층의 여름나기 지원에 나섰다. 이번 활동은 최근 급격한 코로나 확산세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되어 복지기관의 지원 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대전지역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TIPA는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오랫동안 교류 해왔던 동 노인복지관과 협력해 에너지 취약계층 30개 가정에 서큘레 이터와 오는 10일 말복을 맞아 즉석조리가 가능한 삼계탕을 전달했다. 대전 유성구 노인복지관 관계자는 “그간 코로나로 인해 기관을 폐쇄 하였다가 제한적으로 개관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다시 폐쇄하며, 지역 내 취약계층을 지원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작년 인견 이불에 이어 올해의 지원물품 역시 지역 어르신들이 무더위를 견디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며 소회를 전했다. 한편, TIPA는 매년 지역 내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해, 하절기·동절기 냉방용품 전달과 연탄 배달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왔으며, 코로나 발생 이후 다중집합시설 방역물품 전달, 피해지역 구호물자 지원 등 지역 사회의 회복을 위한 활동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활동을 추진하며, ‶지난 5월 세종 청사로 이전하기 전까지 9년여의 시간을 대전에서 보냈다″며, ‶기관 이전 이후에도 세종시는 물론 대전시와의 소통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과 상생을 위해 더 큰 노력을 이어 나가겠다″며 소감을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424","atchfileNm":"(보도자료)_TIPA,_지역사회_에너지_취약계층에_냉방용품_기부(배포).pdf","viewCnt":"2121","regDate":"2021-08-10 15:43:25"},{"contentId":"132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대학 간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251","contentsKor":"TIPA, 중소기업・대학 간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8월 5일(목) TIPA 본원에서 전국 대학 산학협력단장・연구처장 협의회 임원진과 산학협력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동 간담회는 TIPA와 대학 간에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나가는 정기 협의체 운영을 위한 첫 Kick-off 회의로서, 5개 대학 산학협력단장*이 참여해 전국 대학 네트워크를 활용한 △중소기업・대학 간 협력 모델 발굴, △신규 R&D 지원사업 발굴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 단국대, 동의대, 전남대, 부산대, 이화여대 산학협력단장(전국 대학 산단장・연구처장협의회 임원진)  양 기관은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공동 워크숍 개최 등 교류・협력 네트워킹 기반을 구축하고 또한, 지역중소기업 혁신, 기술이전, 인력양성 등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 방안 마련을 위해, 권역별 ‵중소기업・대학 간 협력사업′공동 발굴 등 지속적인 협업 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대학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중요한 파트너로서,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중소기업 지원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앞으로 대학과 정보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42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_대학간_협력체계_강화를_위한_간담회_개최(배포).hwp","viewCnt":"2139","regDate":"2021-08-10 15:41:57"},{"contentId":"131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부장 분야 40개 우수 공공 특허기술 중소기업에 대공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99","contentsKor":"소부장 분야 40개 우수 공공 특허기술 중소기업에 대공개 Tech-Bridge활용 상용화 R&D지원사업과 연계해 ‵공공기술 이전 → R&D → 사업화 자금′까지 패키지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과 협력해, 기술 이전에 관심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대학·출연연 등에서 개발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 우수 공공기술′을 온라인을 통해 공개한다고 30일 밝혔다. TIPA는 기보에서 운영 중인 기술이전 플랫폼 ‵Tech-Bridge′를 통해 소부장 분야 공공기술 중 우수한 특허기술 약 40개를 발굴했으며, 각각의 기술 소개 영상을 제작해 SNS 홍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공공기술 이전에 관심있는 중소기업에서는 TIPA 공식 유튜브 채널 (https://bit.ly/2QOMRIu)과 기보의 테크브릿지 홈페이지(https://tb.kibo.or.kr)를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오는 7월 30일부터 순차적으로 공개*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앞으로 TIPA는 우수한 공공기술과 그 기술을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하고, 또한, 소부장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기술이전부터 R&D, 사업화′까지 지속적인 R&D지원에 더욱 힘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TIPA는 지난 해부터 대학·연구소의 소부장 분야 핵심기술을 이전받은 중소기업이 이전기술의 후속 상용화 성공할 수 있도록 R&D 자금과 금융지원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Tech-Bridge* 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소부장 분야 조기 국산화를 지원해 오고 있다. TIPA는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에서부터 디스플레이, 신재생에너지,기초화학 분야 등 소부장 전 분야에 걸쳐 산업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올해 238억원 규모로‵Tech-Bridge 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27년까지 총 2,525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61","atchfileNm":"(보도자료)_소부장_분야_40개_우수_공공_특허기술_중소기업에_대공개(배포)(★).hwp","viewCnt":"2657","regDate":"2021-07-30 17:25:45"},{"contentId":"131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가동...공공기관 윤리경영 가속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98","contentsKor":"TIPA,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가동...공공기관 윤리경영 가속화 자발적 윤리 실천의 일환으로 전직원 참여, 청렴 우수자에게 최대 100만원 상당 포상 지급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21년도‘청렴활동 우수자 포상 제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는 자발적 반부패 의지 노력으로 다양한 청렴활동에 참여한 직원에게 청렴포인트 점수를 부여해 청렴 우수자 에게 포상을 실시하는 TIPA의 청렴 인센티브 제도이다. 이 제도는 크게 △행동강령 규정 준수와 관련된 행동강령 분야, △청렴교육과 청렴제안이 포함된 반부패 청렴활동 분야, △청렴자율실천과제 추진과 관련된 청렴실천추진반 분야로 구분되어 운영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청렴활동 우수자 포상제도 추진을 통해, 직원들의 청렴의식을 높이고 기관 윤리경영 문화가 정착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고 청렴실천 의지를 전했다. 한편, TIPA는 지속적인 부패방지 모니터링 및 청렴활동을 추진한 결과,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패방지 시책평가 에서 1등급을 획득하여 청렴활동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5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청렴활동_우수자_포상제도_가동..공공기관_윤리경영_가속화(배포).hwp","viewCnt":"2353","regDate":"2021-07-30 17:16:48"},{"contentId":"131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KAIST 총장 초정 강연 열어... 21세기는 기정학이 대세될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97","contentsKor":"TIPA, KAIST 이광형 총장 초청 강연 열어...21세기는 기정학이 대세 될 것 과학기술이 선도하는 대전환 시대 맞아, 中企R&D지원 조직원의 직무역량 강화 도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7월 27일(화) TIPA 본원에서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 이광형 총장을 초청해 조직원의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명사 초청강연 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TIPA는 직원들이 업무 수행과정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망기술, △핵심기반기술, △디지털 경제 등 ‘일하면서 공부하는 학습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기술 분야별 교육 훈련과정을 개설해 운영 중이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한 펜데믹 시대를 극복하고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의 직원으로써 갖춰야할 직무 역량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인 KAIST 이광형 총장을 모셨다. 이 총장은 이번 강연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속에 인류 사회는 과학 기술이 선도하는 대전환의 시대를 맞았다”며 “과거 국제질서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영향을 받는 지정학(地政學)에 따랐지만, 21세기는 과학 기술에 바탕을 둔 기정학(技政學)이 대세가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감염병, △인구절벽,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국제정치 등 국제적으로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선도적 역할을 담은 미래전략을 제시하였다.TIPA 이재홍 원장은 이번 강연을 통해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라 업무침체에 대한 불안감과 다양한 고민이 있겠지만 ‘대전환의 시대’를 이해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업무를 살펴보기 바란다”며, “중소기업 R&D전문기관의 직원으로써 우리 중소기업이 전 세계적으로 선도적 역할을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앞으로 개인의 역량을 마음껏표출하고 도전하라”고 직원들을 위한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한편, TIPA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정부의 방역수칙을 적용하여 오프라인 참여인원을 50명 이내로 제한하였으며, 직원들의 청강 수요 충족을 위해 온라인으로 동시진행 하였다.더불어, 오프라인 참여인원은 강연장 입장 전 발열체크, 손 소독 의무화 등을 통해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키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지정 좌석제로 안전하게 진행됐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57","atchfileNm":"(보도자료)TIPA,_KAIST_이광형_총장_초청_강연_열어...21세기는_기정학이_대세_될_것(배포).hwp","viewCnt":"2293","regDate":"2021-07-30 17:15:38"},{"contentId":"131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개최...5개 과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96","contentsKor":"TIPA,“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개최...5개 과제 선정 ‘中企R&D 실패사례 대상 공공데이터 제공’ 아이디어가 최우수상 영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국민이 함께하는혁신과제 발굴과 혁신성과 창출을 위해 실행한 “2021년 TIPA 대국민 혁신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을 발표했다. 올해의 공모주제는 정부의 공공기관 3대 혁신방향을 반영한 ▲사회적가치를 실현하는 TIPA, ▲중소기업 혁신성장 파트너 TIPA, ▲국민 신뢰를 받는 TIPA로써, 지난 6월 8일부터 6월 22일까지 약 2주의 공모 기간 동안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국민 아이디어 총 57건이 접수됐다. 시민참여혁신단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블라인드 심사를 통해 제안 내용의 창의성·실행가능성·부합성·시의성·국민체감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최종 5건을 선정했다. 부상으로 최우수상 수상자 1명에게는 100만원, 우수상 2명에게는 각각 50만원, 장려상 2명은 각각 10만원의 온누리상품권과 상장이 수여된다. 대표적인 수상작으로는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실패사례 공공 데이터 제공, ▲스마트공장 DB기반의 자원공유플랫폼 구성, ▲R&D성과 창출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기업발굴 및 네비게이션 서비스 등이 있다. 과제 선정평가위원회 위원단은 총평을 통해, “올해는 코로나상황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고민을 담아 중소벤처기업 및 스마트공장 지원에 관한 참신한 아이디어가 많았다”고 밝혔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한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에 관심을 갖고 소중한 의견을 주신 많은 분들에게 진심어린 감사를 드린다“며, ”앞으로도 국민 누구나 TIPA의 기관운영 전반에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열린)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TIPA는 이번에 선정된 혁신아이디어의 이행을 위해, 세부적인 계획 수립 후 중·장기적인 기관 혁신과제로 실행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55","atchfileNm":"(보도자료)_TIPA,_대국민_혁신아이디어_공모전_개최..최종_5개_과제_선정(배포)(★).pdf","viewCnt":"2200","regDate":"2021-07-30 17:13:43"},{"contentId":"131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소부장 분야 中企 기술개발 전 주기 지원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73","contentsKor":"TIPA, 소부장 분야 中企 기술개발 전 주기 지원 나서 TIPA-KAIST-KETI,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 촉진 위한 운영기관 협약 체결 (7.27)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7월 27일(화) 오전 10시 20분부터 TIPA 세종 본원에서 2021년도 ‘소·부·장 전략협력 R&D’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하 ‘KETI’)과 함께 ‘소재·부품·장비분야 기술개발 전주기 지원의 상호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소·부·장 전략협력 R&D’는 소부장 분야의 기술‧인프라‧인력을 보유한 대학‧연구기관을 운영기관으로 선정(플랫폼화)하여, 소부장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수요에 맞는 맞춤형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올해 신규 도입해 시범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KAIST와 KETI는 운영기관으로서 시장에 필요한 기술을 직접 발굴하여 기술제안요청서(RFP)를 기획하고, 소부장 분야 중소벤처기업과 공동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등 R&D 민간 플랫폼으로써 기술개발 수요에 따라 기업별 맞춤형 지원을 수행할 예정이다. 본 지원사업이 기존의 산학연협력 R&D지원사업과 차별화되는 점은 플랫폼으로 선정된 운영기관(대학·출연연)을 중심으로 자율과 책임성을 최대한 부여하는 ‘민간주도적 사업’이라는 점이다. 또한, 기술개발과정에서 현장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해 시장 수요기술을 발굴(Bottom→Up)하고, 중소벤처기업이 인적ㆍ물적ㆍ지적 인프라*등 대학ㆍ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개발 인프라를 자유롭게 활용하고, 공동으로 협력하는 환경이 조성되어 시너지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인적 인프라) 기술전문가, 협력 전문인력 등 / (물적 인프라) 연구시설, 연구장비, 연구공간, 특허 등 / (지적 인프라) 지식재산권, 교육과정 등 인력양성 Track 등 TIPA 이재홍 원장은 “금일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개발 인프라를 중소·벤처기업이 자유롭게 활용하고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앞으로 좋은 시너지가 기대된다“라며,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세계적인 소·부·장 기술력을 확보하고 자립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26","atchfileNm":"(보도자료)_TIPA,_소부장_분야_中企_기술개발_전_주기_지원_나서(배포)(★).pdf","viewCnt":"2155","regDate":"2021-07-27 20:00:34"},{"contentId":"131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윤리경영′고강도 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72","contentsKor":"TIPA, ‵윤리경영′고강도 실천 프로그램 전사적 가동 청렴서한 발송 등 청렴자율 실천과제 41개 선도적으로 발굴해 연내 추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청렴문화 확산과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사적 차원의 ‘청렴자율 실천과제’를 발굴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상반기까지 ‘청렴자율 실천과제’로 4개 분야* 41개 과제가 발굴됐으며, TIPA 전체 부서가 참여해 연내 1개 이상의 실천과제를 전담하게 된다.* ① 청렴교육(23건), ② 정보공개(6건), ③ 제도개선(2건), ④ 기타 활동(10건) 대표적으로 △부패방지를 위한 TIPA 익명신고시스템 운영・홍보, △채용 과정에서의 투명성・신뢰성 제고를 위한 채용 현황정보 공개, △임직원 출장 관련 제도 개선을 통한 가이드라인 마련 및 출장비 과다수령 방지, △선정평가 공정성 제고 등이 실천과제로 발굴됐다. 한편, TIPA는 지난 2017년 국내 R&D 전문기관으로는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지난 해 12월에는 동 인증 갱신을 승인받는 등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올해 청렴자율 실천과제 추진을 통해, 취약분야 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정부패가 발생할 수 있는 제도나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24","atchfileNm":"(보도자료)_TIPA,_윤리경영_고강도_실천_프로그램_전사적_가동(배포).hwp","viewCnt":"1959","regDate":"2021-07-27 19:58:52"},{"contentId":"131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국판뉴딜′이끌 27개 창업기업 발굴...2년간 10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68","contentsKor":"TIPA, ‵한국판뉴딜′이끌 27개 창업기업 발굴...2년간 100억원 지원 그린뉴딜 분야(8社, 29억원), 디지털뉴딜 분야(19社, 71억원) 지원 나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7월 14일(수) 한국판 뉴딜 분야 혁신역량이 우수한 기술창업기업 27개社를 발굴하고, 지원에 나선다.’21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전략형“ 과제모집을 통해 발굴된 동 27개社는 최대 2년간 총 100억원 규모*의 R&D 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그린뉴딜 분야 : 8社, 29억원 / 디지털뉴딜 분야 : 19社, 71억원* 기업당 지원규모는 최대 2년간 최대 4억원 이내 (연 최대 2억원 이내) TIPA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에 대응해, 지난 해부터 기술 기반의 창업기업이 ‘녹색기술분야 혁신’과 ‘디지털 新제품·서비스 창출’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동 사업을 신설해 지원하고 있다. 특히, 그린뉴딜 분야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화두인 탄소중립과 같은 환경문제를 대응하는 데 밑거름이 될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소재, △자원순환 등 녹색산업 분야를 영위하는 기업이 주로 선정됐다. 현재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경우, △옥외조망이 가능하도록 투과율조정이 가능한 창호형 투명 태양광 모듈 기술개발, △친환경 자원순환용 지능형 플라스틱선별 로봇시스템 개발, △전자제어식 분산형 에어튜브 구조를 갖는 Bladeless 소형 풍력발전기 등의 R&D 과제가 진행 중이다. 친환경 소재 및 자원순환 분야의 경우, △친환경 자원순환용 지능형 플라스틱선별 로봇시스템 개발, △알루미늄파우치포장재를 신재생에너지 용도로 오일화하는 기술 개발, △폐지를 재활용하여 입체무늬가 있는 자원순환형 종이 직물벽지 개발, △굴패각 생분해성 소재 기반 인조패각 조성물 및 채묘연 자동조립장치 개발 등의 R&D 과제가 진행 중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친환경·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녹색기반을 마련하는데 그린뉴딜 유망기업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번에 선정된 기술창업기업이 그린 분야 글로벌 기후대응을 선도하는 핵심 주체가 되도록 적극 지원에 나설 것이며, 하반기에도 그린뉴딜 분야 유망기업 추가 모집을 통해 기술개발 지원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동 사업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 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 통합콜센터 (국번없이 1357) 또는 TIPA 창업성장사업실을 통해 문의가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14","atchfileNm":"(보도자료)_TIPA,_한국판뉴딜_이끌_27개_창업기업_발굴...2년간_100억원_지원(배포).pdf","viewCnt":"2697","regDate":"2021-07-23 10:47:42"},{"contentId":"131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수출유망中企′역량강화 지원 나선다...내달 17일까지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65","contentsKor":"TIPA, ‵수출유망中企′역량강화 지원 나선다...내달 17일까지 모집 무보와 협력해 R&D 수행기업 대상 ‘2021년 수출지원프로그램’ 공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R&D 수행기업의 수출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21년도 수출지원프로그램 공고‘를 7월 20일(화) 시행하고, 7월 29일(목)부터 8월 17일(화)까지 참가기업 모집에 나선다. 동 프로그램은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나 글로벌 역량이 부족한 수출 유망기업을 발굴·지원하여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됐다. 특히, 선정된 기업은 해외 수출 시에 발생될 수 있는 △수출대금 미회수 위험, △수출이행자금 부족 문제, △바이어 신용도 검증 어려움 등 개별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지원받을 수 있다. 지난 해 동 프로그램을 통해, 169개사를 발굴해 ①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 (단체보험 가입, 보험료 할인), ② 신용조사 지원(해외수입자 신용조사 보고서 지원), ③ 수출컨설팅 ④ 수출이행자금 및 수출대금 조기 현금화를 위한 보증지원 등 다양한 방식의 수출지원이 진행됐다. 올해는 지원규모를 확대해 총 200개사 내외의 기업 지원을 계획하고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현재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수행중이거나, 2016년 1월 1일 이후 R&D “성공”판정을 받은 기업으로 향후 1년 내 수출계획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프로그램에 선정된 기업은 한국무역보험공사(무보)와 협력하여 △수출에 따른 대금미회수 위험 경감을 위한 단체보험, △수출초보기업을 위한 1:1 수출컨설팅, △해외기업 신용조사에 대한 보고서 제공 등 다양한 세부지원 프로그램을 기업 맞춤형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단, 수출실적 보유 여부 등에 따라 기업별 지원내용이 결정되며, 보험·보증 심사 과정에서 결격 사유 발견 시 지원이 제한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R&D 수행기업이 수출을 시작할 때 정보와 전문성 부족으로 어려운 상황을 겪지만, 동 프로그램 지원으로 수출 역량 제고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참가신청은 8월 17일(화) 18시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 누리집(www.smtech.go.kr)의 모집 공고문을 통해 볼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1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수출유망中企_역량강화_지원_나선다...내달_17일까지_모집(배포).hwp","viewCnt":"2424","regDate":"2021-07-20 20:57:32"},{"contentId":"131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우수 R&D 수행기업 투자유치 역량강화 프로그램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62","contentsKor":"TIPA, 우수 R&D 수행기업 투자유치 역량강화 프로그램 공고 TIPA ValueUP 프로그램(7기)을 통해 투자유망 중소벤처기업 발굴ㆍ육성  □ 7월 30일(금)까지 ‘21년 2차 참가 중소기업 모집, 40개사 내외 선정 예정 □ ESG 경영 문화 확산을 위해 친환경 분야 중소벤처기업 우대 선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인 “TIPA ValueUP” 프로그램의 ‘21년도 2차 참가기업을 이번달 13일부터 30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ㅇ TIPA ValueUP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들이 개발한 우수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지원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난 ’18년도부터 운영 중에 있으며, ㅇ 중소벤처기업이 동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는 TIPA ValueUP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운영한다. □ TIPA는 R&D 수행기업의 투자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부터는 매년 100개사 내외 투자유망기업을 발굴·육성하고 있으며, 현재 약 160여개 기업이 TIPA ValueUP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ㅇ 또한, ‘21년 6월까지 34개 기업이 3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R&D 수행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 ‘21년도 2차 TIPA ValueUP 프로그램(7기)은 40개사 내외의 투자유망 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며, 특히 현재 글로벌 경영 화두인 ESG 경영 문화 확산을 위해 친환경 분야 중소벤처기업을 우대하여 선발한다.ㅇ 선발된 기업은 개별기업 현황분석을 위한 진단컨설팅과 IR자료의 고도화를 위한 1:1 VC 투자컨설팅 등의 교육과 함께 매월 진행되는 분야별 투자유치 설명회 등의 프로그램을 지원받게 된다.ㅇ 더불어 TIPA ValueUP 프로그램 선발기업은 추천을 통해 민간은행 자금을 통한 투자유치 기회와 TIPA-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모태펀드연계 투자설명회 등의 참가기회도 부여받을 수 있게 된다. □ TIPA ValueUP 6기 참가기업인 ㈜큐프럼 서종현 대표는 “TIPA ValueUP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IR자료 를 보다 고도화 할 수 있었고, 참여기업 간 네트워킹을 통해 혁신적인 아이템의 발굴과정과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어 투자유치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TIPA ValueUP프로그램을 통해 좋은 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라며 “보다 실질적인 투자유치 지원을 위해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발굴하여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성장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참가 신청은 7월 30일(금) 18시 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0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우수_RD_수행기업_투자유치_역량강화_프로그램_공고(배포).pdf","viewCnt":"2623","regDate":"2021-07-16 17:58:43"},{"contentId":"131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中企 R&D 연계 특허전략 수립 지원에 박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61","contentsKor":"TIPA, 中企 R&D 연계 특허전략 수립 지원에 박차 TIPA-KISTA와 공동으로 R&D연계 IP 전략수립 수행기관 간담회 개최(7.8)  □ R&D연계 IP 전략수립 연계지원 성과 공유, 수행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 추진 등 IP-R&D연계 정책 지원 제도 개선방안 논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특허전략개발원(원장 김태만, 이하 KISTA)은 지난 7월 8일(목) 오후 3시부터 콘래드 서울(여의도 소재)에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R&D 연계 ‶지식재산(IP) 전략수립 지원 사업”에 참여한 4개社와 공동으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TIPA는 `20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수출지향형ㆍ시장확대형ㆍ시장대응형)에 선정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특허환경 분석, △IP 포트폴리오 수립, △IP 확보방안 수립 등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최적의 R&D 방향 제시, △특허확보 및 회피전략 등 R&D 정교화를 통한 기술적 성과창출 강화를 위해, 동 사업을 ‘전주기IP형’과 ‘IP패키지형’으로 구분하고, 연계되는 R&D 사업 또한 확대(3개→6개*)해 지원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동 사업의 그간 운영 성과와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기업이 요구하는 현장의 목소리를 심도 깊이 청취하여 향후 사업계획 수립 시, 이를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가한 기업 관계자들은 ‘글로벌 경쟁 기업들의 특허 공세가 점점 거세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동 사업은 IP(지적재산권) 개념이 부족한 중소벤처기업에게 매우 유효한 지원 정책이며, 추가적인 사업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지원기간이 2~3개월 내외로 짧은 점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라며 향후 제도 개선을 건의하였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이 핵심·원천 특허를 선점할 수 있도록 R&D연계를 통한 IP 전략수립을 지원해 강한 특허로 무장한 글로벌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라며, “이를 통해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도록 기업의 니즈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맞춤 프로그램 운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국특허전략개발원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방면으로 연계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307","atchfileNm":"(보도자료)_TIPA,_中企_RD_연계_특허전략_수립_지원에_박차(배포).hwp","viewCnt":"2269","regDate":"2021-07-16 17:55:39"},{"contentId":"131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하반기(2차) 신청·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35","contentsKor":"TIPA,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하반기(2차) 신청·접수 공공부문 수의계약 자격부여로 공공조달 마중물 역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R&D 혁신제품에 대한 공공판로 지원을 위해 지난 7월 8일(목)부터 8월 9일(월)까지 ‘2021년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이하 혁신제품) 하반기(2차) 모집’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동 제도는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 중 기술혁신성과 공공성이 우수한 제품을 혁신제품으로 지정하여 공공부문과 수의계약을 지원함으로써 초기 공공시장 진입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TIPA는 지난 ‘20년부터 동 제도를 통해 상·하반기 연 2회에 걸쳐 혁신제품을 지속 발굴하고 있으며, ‘21년 6월, 상반기(1차) 운영을 통해 64개의 혁신제품을 신규 지정하여 현재까지 총 159개의 혁신제품 지정을 완료하였다. 지정사례로는 ㈜에이피소프트의 시각장애인에게 편리하게 홈페이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점자 생성 솔루션’, 주식회사 유핏의 스마트 펜과 종이를 이용하여 스마트 스쿨 및 오피스 구축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습장치’가 있다. 이외에도 국민편의 증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혁신성과 사회적 필요성이 우수한 혁신제품들이 지정된 바 있다. 한편, TIPA는 하반기(2차) 혁신제품 발굴을 위해 오는 8월 중, 신청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의 혁신성, 시장성, 사회적 필요성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12월까지 지원대상을 최종 선별할 예정이다.* 신청접수(7.8~8.9) → 기술혁신성 평가(8월) → 조달적합성 검토 및 심의예정공고 (9~10월) → 종합심사(11월) → 혁신제품 최종지정(11~12월) 신청자격은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최근 5년 내 완료(성공)하고 그 기술을 사업화한 제품을 대상으로 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아울러, 혁신제품 지정 이후에는 혁신장터(ppi.g2b.go.kr) 물품등록을 통해 수의계약이 가능하며, 공공부문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정제도 및 혁신제품의 소개자료를 배포하여 공공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홍보할 계획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동 제도가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였음에도 초기 시장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에게 공공조달의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양질의 혁신제품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중소벤처기업의 공공시장 진입 지원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77","atchfileNm":"(보도자료)_TIPA,_우수연구개발_혁신제품_하반기(2차)_신청_접수(배포).pdf","viewCnt":"2148","regDate":"2021-07-13 17:50:10"},{"contentId":"131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R&D 수행 우수 中企 발굴...3년간 최대 1,300억원 규모 투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27","contentsKor":"TIPA, R&D 수행 우수 中企 발굴...3년간 최대 1,300억원 규모 투자 지원 R&D 자금예치 전담기관 기업은행ㆍ하나은행과 협력해 투자자금 최초 조성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기 R&D 자금을 전담하여 예치하는 전담은행인 기업은행, 하나은행과 협력하여 중소 기업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 TIPA는 R&D 수행기업의 사업화지원을 위해 저리 융자지원, 수출 및 판로, 기술인재 채용 등 다양한 사업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사업화를 위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초기 중소벤처기 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했다. ○ 올해부터 TIPA는 R&D 기반 중소벤처기업의 자금조달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투자활성화를 핵심정책으로 설정하고, ○ 우수한 기술력과 혁신적인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안정적이지 못한 재무상태로 인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은행, 하나은행과 협력하여 향후 3년간 R&D 수행기업 대상 투자자금 1,300억원을 마련했다. □ TIPA와 기업은행, 하나은행은 올해부터 성장가능성이 높은 투자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하고 투자자금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투자를 희망하는 R&D 수행기업을 발굴·선별하여 투자설명회(IR)로 연계한다. ○ 이를 위해 각 기관 실무진으로 구성된 투자자금운영협의회를 구성· 운영하여 투자지원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 지난 5월 1차 투자설명회를 시작으로 중기R&D를 수행한 투자유망 기업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투자설명회를 추진하여 7월 중순에 2차 투자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 투자설명회를 통해 발굴된 투자유망기업은 민간은행의 별도 투자 심사를 거쳐 투자자금을 지원받아 R&D를 통해 개발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 자금으로 활용하게 된다. □ 1차 투자설명회에 참여한 ㈜웰스케어 이성원 대표이사는 “자사와 같은 스타트업은 기업의 성장가능성과 비즈니스 모델의 우수성을 벤처투자를 통해 나타낼 수 있기를 원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 에서 민간은행을 통한 투자유치 기회는 스타트업의 성장에 많은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기업은행, 하나은행의 도움으로 R&D를 수 행한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자금 조달을 위한 투자자금을 직접적 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중소벤처기업의 신산업 창출을 통한 성장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사업화를 위한 지 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59","atchfileNm":"(보도자료)_TIPA,_RD_수행_中企_발굴...3년간_최대_1,300억원_규모_투자_지원.pdf","viewCnt":"2478","regDate":"2021-07-09 18:24:49"},{"contentId":"131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 소부장 분야 51개 창업기업 선정, 2년간 189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26","contentsKor":"TIPA , 소부장 분야 51개 창업기업 선정, 2년간 189억원 지원 ‘21년 창업성장R&D(전략형 소부장 과제) 선정 (기업당 평균 3.7억원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립화, 미래 신산업 지원을 위해 7월 7일(수) 51개 창업기업이 기술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ㅇ 이번에 선정된 51개사는 최대 2년간의 협약기간동안 총 189억원을 지원받아 기술개발을 진행한다.ㅇ 또한, 하반기 접수된 창업기업 중 25개사를 선정하여 기술개발자금을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중 소재·부품·장비 분야를 전략적으로 지원 하는 전략형(소부장) 사업은 창업 7년이 지나지 아니하고 직전년도 매출 20억원 미만인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중소벤처기업부 대표 사업으로, 전년대비 2배 이상 지원규모를 확대하여 ’21년 총 285억 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ㅇ 지원분야는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통해 도출된 기계·금속 등 9개 전략분야의 99개 품목으로, 상반기 8개 전략분야의 40개 품목에서 51개 과제가 최종선정 되었다. □ 기술 분야별로 전기·전자 23.6%(12개), 기계·금속 19.6%(10개), 기초화학 17.7%(9개), 반도체 9.8%(5개), 환경 7.8%(4개), 자동차 7.8%(4개), 디스플레이 7.8%(4개), 바이오 5.9%(3개) 순으로 선정되었으며, 전기·전자, 기계·금속, 기초화학 분야에 우수한 과제가 많이 선정되었다. □ 선정된 과제 중, 전기·전자분야에선 6W/mK급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실리콘 기반 방열 갭필러 개발과제는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시장성을 고려할 때 사업화 성공률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ㅇ 기계·금속분야 선정과제 중, 스마트 수압기반 전기-액압 액추에이터 EHA개발과제는 정교함과 정밀성을 요하는 액추에이터 시장에서 내구성과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성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ㅇ 기초화학분야 선정과제 중, 탄소섬유 토우프리프레그 적용을 위한 고내열(Tg 150℃), 고강도(인장강도 60MPa) 에폭시 수지 시스템 개발과제는 기존 섬유기술의 해외의존도를 낮추고 시장경쟁력을 높이는 기술 중의 하나로 전망된다. □ TIPA에서 ’20년도 지원한 117개 창업기업에 대해 자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20년도부터 ’21년도 5월말까지 관련 매출 18억원, 투자 48억, 고용 132명, 특허출원 54건이 발생하였다고 밝히며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기술지원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리스크는 크지만 신시장 창출 및 고성장이 기대되는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기술개발(R&D) 지원을 창업기업에도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며 창업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1357) 또는 TIPA 창업성장사업실을 통해 안내가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57","atchfileNm":"(보도자료)_TIPA,_소부장_분야_51개_창업기업_선정...2년간_189억원_지원(배포).pdf","viewCnt":"2269","regDate":"2021-07-09 18:22:40"},{"contentId":"131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위기술 전략품목 기술개발, 기업당 최대 6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25","contentsKor":"중위기술 전략품목 기술개발, 기업당 최대 6억원 지원 □ 제조중소기업 글로벌 역량강화(R&D) 하반기 품목지정 과제(2년간 최대 6억, 총 15개 과제)에 참여할 중소기업 모집 (접수 : 7.19(월) ~ 8.2(월))□ 중위기술 업종 제조중소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진입을 위한 주력제품 고도화 및 신제품 개발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7월 2일(금) ‘2021년 제조중소기업 글로벌 역량강화(R&D)사업’ 하반기 품목지정 과제의 시행 계획을 공고하고, 오는 7월 19일(월)부터 8월 2일(월)까지 모집에 나선다. 동 사업은 최근 코로나-19로 글로벌 공급라인(Supply chain)이 급변하고 중위기술 분야 기술경쟁이 가속화 되는 가운데 국내 제조 중소기업의 주력제품 고도화 및 신제품 개발을 위해 2021년 신설된 사업으로, 중위기술 전략품목 기술개발, 기업당 최대 6억원 지원 중위기술 업종*의 중소기업이 자유롭게 기획한 관련분야 과제를 지원하는 “자유공모 과제(상반기, 20개 내외)”와, 전문적 분석을 통해 발굴된 전략품목을 중점 지원하는 “품목지정 과제(하반기, 15개 내외)”로 구분 하여 운영된다. 중위기술 분야 업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이 자유롭게 과제를 기획하여 참여할 수 있는 ’자유공모 과제‘는 지원목표 19개 과제 대비 101개 중소기업이 지원하여 5.32:1의 경쟁률을 보이며, 중위기술 관련 제조중소기업들의 각별한 관심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번에 모집하는 ‘품목지정 과제*’도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중위기술 업종 생산품목의 전업률**이 50%이상인 기업은 규모나 업력에 관계없이 지원 가능하나, 전략품목(106개) 관련 기술개발에 대해서만 지원한다는 점이 다르다. 전략품목의 지원은 중위기술 분야 품목(HSK기준) 가운데, 수입의존도가 높거나 GVC(글로벌벨류체인) 경쟁력이 저조한 중위기술 위기 품목을 제시하고, 전략적 R&D 추진을 통한 글로별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제는 더 이상 과거의 제조업 체제에 머물지 않는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며, 중위기술 전용R&D인 제조중소기업 글로벌 역량강화사업을 통해 한국경제의 근간인 중소기업이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희망 한다“고 밝혔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www.mss.go.kr) 및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7.19(월)부터 8.2(월) 18시까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로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55","atchfileNm":"(보도자료)_중위기술_전략품목_기술개발,_기업당_최대_6억원_지원(배포).pdf","viewCnt":"2053","regDate":"2021-07-09 18:20:16"},{"contentId":"131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 현장 소통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20","contentsKor":"TIPA,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 현장 소통 나서  금융사기 탐지 AI 솔루션, 스마트스쿨 구축 장치 등 AI분야 혁신기업 방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올해 6월초 신규로 혁신 제품으로 지정된 기업의 현장을 방문하여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원활한 공공판로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TIPA는 지난 2월 혁신제품 모집을 시작으로 접수된 178개 제품에 대해 기술혁신성 및 공공성 평가, 조달적합성 검토 등을 추진하여 6월 초 중기부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64개 제품이 지정된 바 있다. 이번에 현장방문한 기업은 스마트 스쿨 구축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습 장치를 개발한 주식회사 유핏, 딥러닝 모형 및 룰과 AI 기술을 접목한 금융사기 관련 이상징후 탐지 솔루션을 개발한 인피니그루 등 2개 기업으로 연구·생산현장을 둘러보고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그간 중소기업은 우수기술 기반 혁신제품을 개발하여도, 공공기관이 시장에서 이미 검증된 제품 위주로 구매하여 초기시장 창출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나,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중기부등 정부에서 마련한 제도로, 지정된 혁신제품에 대해서는 수의계약 허용, 일정 금액이상 물품구매시 공공기관 가점 적용 등으로 공공기관에 대한 초기판로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제도이다. 중기부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은 ‘20년~’21년 상반기까지 총 159개 제품이 지정되어, 올해 5월말 기준 48개 제품이 공공조달 진입에 성공하여 약 316억원의 공공매출 성과가 발생하는 등 정책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현장방문 기업 중 주식회사 유핏 안동철 대표는 “종이와 펜만으로 60명의 학생들과 교사가 실시간 쌍방향으로 수업할 수 있는 멀티미티어 학습 장치를 만들었으나, 조달등록 과정에서 기존에 없던 제품군의 신규 등록으로 인하여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며 “이번 혁신제품 지정을 통해서 공공시장에 남품이 가능함으로써, 그동안 구매를 기다리셨던 학교에 마음껏 공급할 수 있어서 기업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피니그루 유경식 대표는 “딥러닝 모형 및 룰과 AI기술을 접목하여 이상징후 탐지 솔루션을 개발한 스타트업 회사로써 그동안은 제품 및 서비스 연구개발 중심이었지만 혁신제품 지정을 계기로 판로개척 및 영업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해외수출에도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 R&D 지원을 통해 개발된 혁신제품이 국내·외 민간시장 진출에 어려움이 많았지만 혁신제품 지정제도를 통해 공공기관의 초기 구매시장 마중물 역할이 기대된다.”며 “혁신제품의 공공기관 구매확대를 적극 지원하고 지속적인 간담회, 현장방문 등을 통해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4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우수연구개발_혁신제품_지정기업_현장_소통_나서(배포).pdf","viewCnt":"2288","regDate":"2021-07-05 21:21:48"},{"contentId":"131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중심의 방역물품 기기 R&D 지원 이어간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19","contentsKor":"중소기업 중심의 방역물품 기기 R&D 지원 이어간다 2021년 현장수요맞춤형 방역물품기술개발사업 하반기 사업 공고  □ 현장수요맞춤형 방역물품기술개발사업(36억원, 26개 과제) 하반기 과제에 참여할 중소기업 모집 (접수기간 : 7.14(수) ~ 8.2(월)) □ 중소기업 중심의 방역물품‧기기 R&D를 통해 대한민국 K-방역 성과 확산 및 중소기업의 방역물품 및 기기 기술혁신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021년 현장수요맞춤형방역물품기술개발사업 하반기 지원 과제 모집을 위해, 6월 30일(수) 사업공고를 시행하고, 오는 7월 14일(수)부터 8월 2일(월)까지 모집에 나선다. 본 사업은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을 대비하기 위해 ‘감염병 대응 현장의 애로사항을 중소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로 해결하는 방역물품 및 기기 기술개발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방역물품·기기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제고와 K-방역 성과의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021년 현장수요맞춤형방역물품기술개발사업 하반기 지원 과제 모집을 위해, 6월 30일(수) 사업 공고를 시행하고, 오는 7월 14일(수)부터 8월 2일(월)까지 모집에 나선다. 본 사업은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을 대비하기 위해 ‘감염병 대응 현장의 애로사항을 중소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로 해결하는 방역물품 및 기기 기술개발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방역물품·기기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제고와 K-방역 성과의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며, “방역물품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우수한 중소기업의 방역물품이 K-방역체계 중심 역할뿐만 아니라, 글로벌 방역체계의 중심이 되도록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인 TIPA가 든든한 지원군이 되겠다”고 밝혔다.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7월 14일(수)부터 8월 2일(월)까지 신청·접수가 가능하며, 6월 30일(수)부터 관련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로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47","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중심의_방역물품기기_RD_지원_이어간다(배포).pdf","viewCnt":"1963","regDate":"2021-07-05 21:19:45"},{"contentId":"131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출범 2주년, "제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앞장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18","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출범 2주년, "제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앞장선다" 2만개 스마트공장 구축 발판으로 데이터·AI 기반 고도화 사업 집중 추진  “2만개 이상의 국내 제조기업이 참여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바탕으로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고도화 사업을 성공리에 추진해 제조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앞장서겠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박한구 단장, 이하 추진단 KOSMO)은 2일 출범 2주년을 맞아 그 간의 성과와 향후 전략에 대해 밝혔다. 추진단은 지난 19년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으로 공식 출범한 이후 국내 스마트공장 저변을 크게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추진단은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해까지 총 19,799개의 보급을 진행한바 있다. 이는 지난해 누적 목표 건수(17,880개)를 훌쩍 넘어서는 숫자다.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했던 이유는 주변 기업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목격하면서 ‘스마트공장 효과’를 체감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최근 5년간(‘14~’18년)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7903개 기업의 변화를 수치로 살펴보면 평균적으로 생산성 28.5% 증가, 품질 42.5% 향상, 원가 15.5% 절감, 납기 준수율 16.4% 향상 등의 성과를 보였다. 게다가 스마트공장에서 산업재해율이 감소(6.2%↓)하고 고용은 증가(2.6명↑)했다는 사실을 주목할 만하다. 이는 중소 제조기업 취업을 꺼리는 요인 중 하나인 기존 단순·반복 작업이 디지털로 전환되며 긍정적인 근로 문화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저변 확대를 넘어서 스마트공장 고도화율도 높아지고 있다. 추진단에 따르면 누적 고도화율 역시 지난해 22.1%까지 올라 산업 전반에서 스마트공장 도입의 보편화 및 활성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올해 사업 평균 경쟁률을 살펴봤을 때, 고도화2 사업의 평균 경쟁률이 4.88:1(K-스마트등대공장 포함)로 구축수준이 높을수록 경쟁률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제조기업 뿐 아니라 공급기업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도 돋보인다. 지난해 11월 추진단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선정되면서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으로 4,341억원을 확보했다. 공급기술 고도화 촉진을 위한 제조혁신 전용 R&D예산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추진단은 이와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특징을 가진 고도화 기 업을 발굴, 지원해 선도 사례를 확산할 방침이다. 특히 중기부와 함께 진행 중인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 과 ▲디지털 클러스터** ▲K-스마트등대공장***을 중점 사업으로 지정, 제조업이 사물인터넷(IoT)과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지난 2년여를 돌아봤을 때 수치로 드러난 성과도 있지만, 무엇보다 스마트공장에 대한 제조업계의 인식이 달라진 점을 가장 기쁘게 생각한다”며 “제조업계의 현장 목소리를 담아 실효성 높은 중장기 계획으로 보답하겠다.”고 강조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45","atchfileNm":"(보도자료)_KOSMO_출범_2주년,_제조업_디지털_트랜스포메이션_앞장선다(배포).pdf","viewCnt":"1977","regDate":"2021-07-05 21:16:59"},{"contentId":"131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신재생에너지 혁신제품 기업 애로해결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111","contentsKor":"TIPA, 신재생에너지 혁신제품 기업 애로해결 나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기업(5개) 간담회 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신재생에너지 혁신제품 지정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간담회를 30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중기부 및 TIPA가 개최한 “에너지 공공기관 – 혁신제품 매칭데이”에 참여하는 중소기업 중 에너지 관련 혁신제품을 개발한 기업과 함께 하였다. 최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P4G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는 등 친환경 및 탈탄소 등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R&D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에너지 혁신제품이 공공기관에 활발하게 적용되어 공공기관이 선도적으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도록 공공판로 확대 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였다. 혁신제품 지정절차 및 일정지연 등의 애로사항 뿐아니라 향후 공공기관과 혁신제품 기업의 접점을 확대하여 공공조달에 진입하는 방안 등 이 활발하게 토론하는 자리가 되었다.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지능형 태양광발전장치 개발업체 이에스테크주식회사 김희문 대표는 “올해 6월초 혁신제품 지정이 확정되어 향후 공공기관의 판로 확대가 기대된다”며 “이번 매칭데이와 같이 공공기관이 혁신제품에 관심을 가질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TIPA의 역할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ESG, 그린뉴딜, 탄소중립 등 에너지·환경에 대한 공공현안의 적극적인 해결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며 “에너지 공공기관의 능동적인 혁신제품 도입을 통해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34","atchfileNm":"(보도자료)_에너지_공공기관_혁신제품_매칭데이_간담회.pdf","viewCnt":"1987","regDate":"2021-07-01 19:44:39"},{"contentId":"130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中企 R&D 초기단계 ‵인증․시험․성능분석′지원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90","contentsKor":"TIPA, 中企 R&D 초기단계 ‵인증․시험․성능분석′지원 나서 TIPA-KTL간 협업을 통해 5개월간 20개사 대상 中企R&D 인증연계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원장 김세종, 이하 KTL)과 ‵중소기업 R&D 수행기업 인증연계프로그램′을 가동해 20개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화 지원에 나섰다. 동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이 제품개발 과정에서 기술규제 및 인증 등의 인허가 사항을 고려하지 못해 기술개발 완료 이후에도 신제품의 시장 출시가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됐다. TIPA는 지난 해 6월 KTL과 ‘중소기업의 R&D 초기부터 기술규제 해결 및 인증지원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지난 해 말부터 약 5개월간 20개 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매칭해 신제품 출시를 위해 필수사항인 △국내․외 인증획득 컨설팅, △시험․분석․성능평가, △신기술․신제품 인증 프로세스 개발 지원 등을 R&D 시작 단계부터 컨설팅해주는 동 프로그램을 기획해 지원해왔다. 그 결과, 국내 인증획득 컨설팅 14개 제품, 해외 인증획득 컨설팅 2개 제품, 시험분석 프로세스 개발 16개 제품 등을 지원하는 성과를 냈다. KTL이 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인증에 관한 이해도 수준을 조사ㆍ분석한 결과, 동 프로그램 운영 이전과 대비해 ‘인증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는 수준은 25% 상승’했고, ‘인증에 대해 일부 인지하는 수준은 4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식회사 모아기술 장예지 대표는 “입자성 미세먼지 촉매 결합 방식의 하이브리드 싸이클론 집진 시스템 개발을 하였으나, 인증에 대한 전문가 부재로 성능평가에 어려움을 겪다가이번 인증연계 프로그램을 알게됐다“라며, “개발 제품의 사업화를 위해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성능 시험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받을 수 있어 좋았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에너파이브 김은태 대표는 “그간 홈 IoT 기반 전력 원격제어용 스마트 분전반 시스템을 개발하여 인증을 준비했으나 개발 제품이 융복합 기술 및 새로운 규격 등에 대한 인증 절차가 없어 시험설비, 측정방법, 데이터 분석 등과 같은 자체적인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라며, “동 프로그램을 통해 모의시험, 전자파 인증 등 필요한 인증 준비를 함께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이 초기 개발단계부터 인증의 중요성을 알고, 미리 준비한다면 사업화 준비에 큰 힘이 될 것” 이라면서, “앞으로도 중소기업이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한 층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 마련을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TIPA는 올해에도 계속해서 동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이어나갈 계획이며, 자세한 사항은 추후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 누리집(www.smtech.go.kr)을 통해 참가기업을 모집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207","atchfileNm":"(보도자료)_TIPA,_中企_RD_초기단계_‵인증․시험․성능분석′_지원_나서.hwp","viewCnt":"2353","regDate":"2021-06-25 17:57:17"},{"contentId":"130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1 참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85","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1 참여 - AI·데이터 기반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 집중 소개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 KOSMO)은 23일(수)부터 25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1’에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스마트제조혁신관을 운영하는 추진단은 중소·중견 기업 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적극 지원해온 사례를 바탕으로 스마트제조 1.0의 성과를 알림과 동시에 우수 구축 기업을 소개하고, AI·데이터 기반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을 안내할 계획이다. 특히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제조기업의 고도화 및 업종 별 선도적인 스마트공장을 발굴, 확산하기 위해 진행 중인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 과 ▲디지털클러스터** ▲K-스마트등대공장*** 지원사업을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추진단은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해까지 총 19,799개의 보급을 진행하며 기업의 제조혁신 저변을 크게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지난해 누적 목표 건수(17,880개)를 넘어서는 숫자다. 저변 확대를 넘어서 스마트공장 고도화율도 높아지고 있다. 추진단에 따르면 누적 고도화율 역시 지난해 22.1%까지 올라 산업 전반에서 스마트공장 도입의 보편화 및 활성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국내 제조산업에서 스마트제조가 보편화되고 이를 통해 생산성 증가를 넘어 신규 사업 진출 등 다양한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더욱 다양한 고도화 정책을 발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이번 행사는 스마트기술산업전, 지능정보 산업전, 디지털 유통 산업전, 비주얼 테크쇼로 구성해 미래 핵심 스마트 기술과 산업 트렌드를 소개할 예정이다. 온라인 사전 등록자는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199","atchfileNm":"(보도자료)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스마트테크_코리아_2021_참여.hwp","viewCnt":"2608","regDate":"2021-06-23 08:51:27"},{"contentId":"130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우수 국방기술을 활용한 中企 기술혁신 지원에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67","contentsKor":"TIPA, 우수 국방기술을 활용한 中企 기술혁신 지원에 나서 TIPA-ADD-기보-창진원, 중소벤처기업의 국방기술 활용 혁신성장 지원 MOU체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6월 15일(화), 대전 국방과학연구소(이하 ‘ADD’)에서 중소벤처기업부 권칠승 장관과 방위사업청 강은호 청장이 참여한 가운데 ADD,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 창업진흥원(이하 ‘창진원’) 4자간 ‘중소벤처기업의 국방기술 활용 혁신성장지원’의 상호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의 국방 관련 기술이전 및 기술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국방 분야 기술의 원천인 국방과학연구소, ▲중소기업 기술이전 플랫폼(Tech-Bridge) 운영기관인 기술보증기금, ▲창업 지원 전문기관인 창업진흥원이 협약 당사자로 참여하였다. 이번 협약을 통해, ▲TIPA는 ADD가 추천한 우수 과제를 대상으로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R&D) 가점 부여 및 ADD 우수 인력을 중소기업 R&D 사업 평가위원으로 참여, ▲ADD는 우수 국방기술의 민간 기술이전, 국방 R&BD 후속 지원 및 ADD 보유 기술을 활용한 창업지원, ▲기보는 온라인 기술거래 플랫폼인 Tech-Bridge에 ADD 보유 특허를 연계하여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전국 68개의 영업점을 통해 기술이전 수요 발굴, 기술거래중개 및 후속 R&D를 지원, ▲창진원은 ADD 창업경진대회 수상 기업을 부처 합동 창업경진대회(도전! K-스타트업) 본선으로 연계하고, ADD의 추천을 받은 국방 분야 전문가의창업 멘토링을 제공하기로 하였다. 동 행사에는 아이쓰리시스템(주) 정한 대표이사의 국방 관련 기술이전ㆍ사업화 성공사례 발표도 있었다. 아이쓰리시스템(주)는 국방과학연구소로부터 비냉각 적외선 검출 기술*등을 이전받아 적외선검출기, 열상 탐색기, 적외선 카메라 등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이다. 정한 대표는 、14년 이후 기술이전과 연계된 누적(、14년~、20년) 매출총액이 527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참여한 기관장들은 “국내 국방과학 기술은 세계 방산시장에서도 우수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는 만큼,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성장에도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입을 모았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금일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이 그동안 접근이 어려웠던 우수 국방기술을 손쉽게 살펴보고,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중소벤처기업이 국방기술을 활용한 R&D를 통해 성장해 나가는 데 적극 지원에 나서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16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우수_국방기술을_활용한_中企_기술혁신_지원에_나서(배포)(★).pdf","viewCnt":"2156","regDate":"2021-06-16 18:35:26"},{"contentId":"130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ESG 실행 과제 발굴해 실천에 옮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66","contentsKor":"TIPA, ESG 실행 과제 발굴해 실천에 옮겨 그린 오피스 만들기 캠페인 전개, 생활 ESG 실천으로 지속가능경영 강화 다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2021년을 ESG 경영 추진 원년으로 선포하고, 6월 10일 TIPA 본원에서 내부 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기 위한 ESG 실천 캠페인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TIPA ESG 실천 캠페인은 E(그린 오피스 캠페인), S(상호존중캠페인), G(청렴실천 추진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번 캠페인은 6월 환경의 달을 맞아 그린 오피스 캠페인으로 진행되었다. ○ 이번 캠페인은 일회용품 사용을 절감하고, 다회용품 사용 분위기를조성하고자, ‘일회용 컵 없는 커피차’ 콘셉트로 진행되었고, 이재홍 원장은 아침부터 직원들에게 직접 음료를 전달하며 다회용품 사용을 독려하였다.○ TIPA는 이 외에도 그린 오피스 캠페인을 위해 6가지 실행 과제를 발굴하였다. 해당 과제는 다회용품 사용하기, 미사용 전력 차단하기, 에코폰트 사용하기, 업무 추진 시 Less waste 실천하기 등이다. □ TIPA는 내부 친환경 경영 실천과 함께 환경위기와 기후변화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인 노력을 추진해왔다.○ 친환경 기술을 보유한 유망 그린벤처 지원 사업 신설을 통해 정부의 그린뉴딜정책 이행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했으며, 기후 위기에 대한 선제적 문제 인식으로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사업을 신설하여 20년도 71개의 미세먼지저감 R&D를 지원하였다. □ 이와 더불어 외부 이해관계자들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행 및 기관의 선제적인 ESG·지속가능경영 성과 확산을 위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차주 내 외부 공개를 앞두고 있다. □ 이재홍 원장은 오늘 행사를 마무리하며, “ESG·지속가능경영은 공공기관으로서 적극적으로 끌고 가야 할 가치”라면서, “직원들의 작은 실천과 기관이 보유한 역량을 충실히 활용하여 ESG 성과 창출에 노력할 것이며 나아가 중소기업의 ESG경영 실현을 위한 지원 방안에도 힘쓰겠다”며 소감을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167","atchfileNm":"(보도자료)_TIPA,_ESG_실행_과제_발굴해_실천에_옮겨(배포)(★).pdf","viewCnt":"2653","regDate":"2021-06-16 18:32:57"},{"contentId":"130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신임 비상임이사 공개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60","contentsKor":"TIPA, 신임 비상임이사 공개 모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관 최고의사 결정 기구인 이사회 비상임이사를 6월 11일부터 18일까지 공개 모집 한다고 밝혔다. ◦ 공공기관의 비상임이사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24조 에서 정한 임원으로서 경영목표, 예·결산, 내규 등 주요 경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한다. ◦ 또한, 비상임이사가 보유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기관 경영 뿐만 아니라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진흥 및 제조혁신을 위한 각종 지원사업에서도 자문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 TIPA는 “ESG 경영, 고객만족 경영 등을 통해 국민에게 신뢰받는 공공기관으로 이끌어 가실 많은 분들의 참여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 신청 방법, 지원서류 양식 등은 TIPA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15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신임_비상임이사_공개_모집(배포).pdf","viewCnt":"2392","regDate":"2021-06-14 19:24:08"},{"contentId":"130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中企 R&D 지원을 넘어 사업화 성공까지 지원 확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3054","contentsKor":"TIPA, 中企 R&D 지원을 넘어 사업화 성공까지 지원 확대 TIPA-KVIC-KVCA,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 위한 MOU 체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벤처투자(대표이영민, 이하 KVIC), 한국벤처캐피탈협회(회장 지성배, 이하 KVCA)가 중소기업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6월 9일(수) TIPA 세종 본원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중소벤처기업은 우수한 기술력과 좋은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에 관한 정보부족과 자금조달의 어려움으로 인해 R&D 이후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간 TIPA는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지원을 위해 민간은행과 협력을 통한 융자지원, 수출 및 판로, 기술인재 채용 등 다양한 사업화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올해 사업화지원의 핵심정책은‘투자활성화’로 설정하여 1분기에  「R&D 수행기업 투자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고, 벤처투자에 전문성을 보유한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R&D 수행기업의 투자유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이번 업무협약을 추진하게 되었다. 디지털전환, ESG, 탄소저감 등 그린뉴딜 분야와 소재·부품·장비, 4차 산업혁명 등 연간 5,000여개사 이상 다양한 분야의 중소벤처기업 R&D를 지원하는 TIPA와 모태펀드를 운영하고 있는 KVIC, 우리나라 VC들을 대표하는 KVCA의 협력은 우수한 중소벤처기업이 투자유치를 통해 Scale-up하여 유니콘기업으로의 성장을 견인하는 가교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세 기관은 투자유망기업과 민간펀드에 대한 정보를 상호 활용하고, 투자시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의 투자 유치 관련 정보부족 해소와 함께 R&D기업의 벤처투자를 통한 사업화 성공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투자와 관련한 전문성을 보유한 KVIC, KVCA의 축적된 지원역량과 힘을 합친다면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중소벤처기업의 신산업 창출을 통한 성장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사업화를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140","atchfileNm":"(보도자료)_TIPA,_中企_RD_지원을_넘어_사업화_성공까지_지원_확대(배포).pdf","viewCnt":"2351","regDate":"2021-06-10 10:37:01"},{"contentId":"129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기업 대상 ‵R&D 사업계획서 코칭프로그램′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79","contentsKor":"창업기업 대상 ‵R&D 사업계획서 코칭프로그램′운영 창업성장R&D(‘21년 1차 첫걸음) 선정평가 탈락기업 대상 1:1코칭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초기 창업기업이 R&D 과제 기획 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사업계획서 작성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R&D 사업계획서 코칭프로그램’을 시범 도입한다. 지난 2월에 시작한 ’21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1차 첫걸음)의 경우 예상을 뛰어넘어 2,678개 기업이 신청하여 약 15:1이라는 목표 경쟁률을 기록, 많은 창업기업이 아쉽게 사업 참여에 제외되어 향후 여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참여 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동 프로 그램을 기획하게 되었다. ‘R&D사업계획서 코칭프로그램’이란, 창업기업에게 R&D기획 서비스를 제공하여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참여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 R&D 역량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TIPA가 주관하는 ‘21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1차 첫걸음) 기업 중 평가에서 탈락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모집하며, 이 중 무작위 추첨*을 통해 50개社를 지원한다.* 추진목적, 형평성, 신청수요 등을 고려하여 무작위 추천방식을 적용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060","atchfileNm":"(TIPA)_창업기업_대상_RD_사업계획서_코칭프로그램_운영(배포).pdf","viewCnt":"2586","regDate":"2021-06-03 10:53:43"},{"contentId":"129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독일 우수기술 도입 촉진을 위한 온라인 기술협력 세미나 및 매칭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78","contentsKor":"TIPA, 독일 우수기술 도입 촉진을 위한 온라인 기술협력 세미나 및 매칭상담회 개최 -소재·부품·장비 분야 선도국과 국내 중소·벤처기업와의 글로벌 R&D협력 창출 기회 마련-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독일 프라운호퍼 한국대표사무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오는 6월 7일에서 8일까지 온라인 기술 설명회 및 1:1 기술 매칭 상담회를 더케이호텔에서 개최하고 TIPA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중계한다. □ TIPA는 전 세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협력이 어려운 상황에서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기술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동 행사를 마련하였다. ◦ 독일 산업기술협력 저명인사인 권문식 한독동문네트워크 이사장의 기조강연과 함께, 프라운호퍼 연구소 기술 세미나 및 기술-기업 간 1:1 매칭 상담회로 구성되었다. ◦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우수원천기술을 보유한 유럽최대의 응용과학연구소로, 동 행사에서는 프라운호퍼 한국대표사무소에서 참여하였다. ◦ 특히, 이번 행사에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을 고려 하여 행사 전반은 온라인으로 실시간 송출될 예정이며, 양국 협력 촉진을 위해 동시통역으로 진행된다. □ 공동 주관하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프라운호퍼 한국대표 사무소에서는 우리 중소기업에 이전이 가능한 소재·부품분야 우수 기술을 발굴하고, 기술협력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사전 매칭하였다. ◦ 행사 1~2일차에 거쳐 양국 간 구체적인 기술협력 방안을 협의할 수 있도록 1:1 개별심층상담을 지원하며, ◦ 행사 2일차에는 우리 중소기업의 협력수요가 많은 우수기술(11개)을 프라운호퍼 연구자가 직접 발표한다. 이에 관심있는 중소기업은 자유롭게 참관할 수 있도록 동시통역, 온라인 송출이 진행된다. □ 행사 참관 신청은 6월 6일까지이며, 신청링크와 프라운호퍼 연구자의 기술개요서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전 세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협력이 어려운 상황에서 본 행사를 추진하여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기술협력을 촉진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며,  ◦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이하며, 다방면으로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해외 R&D 협력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058","atchfileNm":"(보도자료)TIPA,_독일_우수기술_도입_촉진을_위한_온라인_기술협력_세미나_및_매칭상담회_개최-최종.pdf","viewCnt":"2250","regDate":"2021-06-03 10:51:06"},{"contentId":"129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 미래 위해 산학연 전문가 머리 맞댄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77","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 미래 위해 산학연 전문가 머리 맞댄다 KOSMO, 한국IT서비스학회 춘계학술대회 특별세션 운영  □ 스마트제조혁신사업 현황점검 및 방향성 논의□ 스마트공장 사례 및 KAMP기반 제조기술 트렌드 발표□ “저변확대에서 고도화로 가는 중요한 시점, 전문가 의견 모아 성과 낼 것” 국내에서 진행 중인 스마트제조혁신사업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방향성을 논의해보는 특별한 행사가 개최된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 KOSMO)은 2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에 관한 미래 방향성 모색’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한국IT서비스학회에서 진행하는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의 특별 세션으로 마련됐다. 전 세계적으로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이 주목을 받고 있는 만큼, 학회 측에서 특별히 주제 발표 및 토론을 기획한 것.* 춘계학술대회 : ‘글로벌 리스크 극복을 위한 디지털 서비스 혁신’을 주제로 IT협력 생태계 조성 및 발전을 논의하기 위한 학술행사 이번 행사에서 추진단은 현재 진행 중인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진행 현황을 공유하고 인공지능·데이터 중심의 고도화 사업 추진에 대해 설명한다. 이후 사업 참여기업이자 공급기업으로도 활동 중인 텔스타-홈멜에서 스마트공장을 통한 기업성과 및 향후 전략에 대해 발표한다.현재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Korea AI ManufacturingPlatform)* 운영기관을 맡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도 KAMP 소개 및 AI·빅데이터 기반 제조기술 트렌드에 대한 연구 발표를 진행한다.  발표자와 산학연 전문가들이 함께 진행하는 질의응답 시간도 마련돼 있다. 발표 내용을 중심으로 중소 제조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 방향과 기업의 자립을 위한 기술력 확보에 관해 공통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모든 행사는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참여 가능하다. 사전등록 신청(koreasi.nayana.kr/2021/conferrence_0602.html) 시 온라인 생중계 접속코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국내 스마트제조혁신사업이 저변확대를 넘어 인공지능·데이터를 활용한 고도화로 나아가는 중요한 시점에 전문가들과 함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됐다“며, ”행사에서 나온 의견을 검토해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에 더욱 성과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056","atchfileNm":"KOSMO_스마트제조혁신_미래_위해_산학연_전문가_머리_맞댄다(배포).pdf","viewCnt":"2280","regDate":"2021-06-03 10:43:42"},{"contentId":"129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육군,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68","contentsKor":"TIPA-육군,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육군의 수요기반 民·軍 협력기술개발, 실증, 공공구매 지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육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이하 육군)이 지난 28일(금) 계룡 육군본부에서 중소벤처기업의 육성 활성화와 육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① 民·軍 협력기술개발 과제발굴·지원, ② 중소벤처기업의 육군 테스트베드 활용수요 발굴·지원, ③ 상호주관하는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행사 홍보 및 정보 공유 등이다. ① 육군이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개발수요를 발굴하면 기정원은 이를 수행할 중소벤처기업을 모집 및 선정하여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기술개발자금은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의 구매조건부신제품 개발 조달혁신 과제에 연계하여 최대 2년, 5억원 이내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며, 육군은 기술개발이 완료된 제품의 구매 및 확산에 도움을 주는 등 양 기관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 전주기 지원을 위한 협력을 약속하였다. ② 또한,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民·軍 협력기술개발 과제 발굴 및 원활한 과제수행을 위해 육군의 테스트베드를 개방하여 기술 실증환경 및 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이다. ③ 아울러, 육군 디지털 문화혁신 발전 세미나 등 양 기관에서 상호 주관하는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관련 세미나, 포럼 등 행사의 홍보와 기타 정보 교류를 위한 협력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그간 기술 실증과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어온 중소벤처기업이 육군의 실증환경을 활용하여 국방 수요에 연계한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개방형 혁신 기술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등 民·軍 협력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양 기관은 협약내용 세부이행을 위한 실무논의를 거쳐 기업 지원 방법 및 절차를 연내 구체화할 계획이다. 한편, TIPA는 작년 5월 공군과도 중소벤처기업 및 공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으며, 공군이 보유한 실험환경을 활용하여 「과제발굴-기술개발-사업화-공공구매」에 이르는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 전주기 지원 협력체계를 연내 본격 실시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이 접근에 어려움을 토로해온 국방조달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육군이 기술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의미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며, “양 기관의 협력 모델이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의 마중물이 되어 국가 과학기술과 국방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육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 이경일 소장은 “이번 TIPA와 업무협약을 계기로 민간의 신기술을 군에 조기 도입하고 육군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확대하여 민·군 상생을 통한 과학기술발전과 육군이 첨단과학 기술군으로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민간 신기술을 軍에 지속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각종 법규·규제 개선과 예산 지원, R&D 기술개발 등 관련 民·官·産·學·硏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추동력을 유지하고 첨단 과학기술군 구축의 목표를 조기에 실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041","atchfileNm":"(보도자료)TIPA-육군,_국방_분야_중소벤처기업_육성_활성화를_위한_업무협약_체결(배포).pdf","viewCnt":"2217","regDate":"2021-05-31 17:07:41"},{"contentId":"129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친환경 캠페인 동참으로 ESG 경영 실천 의지 다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39","contentsKor":"TIPA, 친환경 캠페인 동참으로 ESG 경영 실천 의지 다져 탈(脫) 플라스틱 릴레이 캠페인 ‵고고챌린지′동참 (5.24(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은 이재홍 원장이 5월 24일(월) TIPA 세종 본원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릴레이 캠페인인 ’고고챌린지‘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이재홍 원장은 조봉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의 지명을 받아 이번 캠페인 주자로 나섰다. ’고고챌린지‘는 실생활 속에서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기관에서 정한 ’하지 말아야할 1가지 행동‘과 ’할 수 있는 1가지 행동‘ 슬로건*이 담긴푯말을 들고, 챌린지 인증 사진을 촬영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게시하고, 다음 참여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일회용품 사용 멀리하고(하지 말아야할 행동), ESG경영 앞당기고(할 수 있는 행동) TIPA는 그간에 미세먼지 저감 실용화 기술개발 지원 등을 통해 미래기후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인 노력을 이어왔다. 이와 함께, 지난해 12월에는 전사적 녹색경영 추진을 위한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을 도입했으며, 현재 환경의 주간을 맞아 그린오피스 구현을 위한 실천 캠페인을 앞두고 있다. 이재홍 원장은 “TIPA는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을 통해 친환경 기술을 보유한 유망 그린벤처 육성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부터는소상공인ㆍ자영업자 생활혁신형 기술개발사업 내 친환경 포장재 개발 보급 과제를 신설해 소상공인도 플라스틱 저감 정책에 동참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라며, “이번 캠페인을 계기로 전사적인 환경보전 활동과 함께 ESG 경영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재홍 원장은 다음 주자로 창업진흥원 김용문 원장, 이노비즈협회임병훈 회장을 지명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4035","atchfileNm":"(보도자료)TIPA,_친환경_캠페인_동참으로_ESG_경영_실천_의지_다져(★).pdf","viewCnt":"2913","regDate":"2021-05-27 19:22:36"},{"contentId":"129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뿌리산업 제조 중소기업 현장의 목소리 청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08","contentsKor":"TIPA 뿌리산업 제조 중소기업 현장의 목소리 청취  R&D 및 스마트공장 우수 강소기업 새한㈜ 현장 방문 (5.11 (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5월 11일(화) 충북 충주 소재 ‵금속단조 제품 제조업 분야′뿌리기업*인 새한㈜를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애로 및 건의사항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13일 밝혔다. *뿌리기업 : 주조, 금형, 용접, 소성가공, 표면처리, 열처리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새한㈜ 정순일 대표는 지난 45년간 성형사출과 단조(프레스 공정), 전ㆍ단조(스크류 공정) 등 부품 제조 산업의 기반이 되는 전통 뿌리 산업을 이끌어 왔으며, 동 기업은 지난 2019년에는 뿌리기술 전문 기업으로 지정됐다. (핵심기술 : 무(無)열처리 고강도 소재 성형기술) 또한, 그간 지속적인 R&D를 통해 축적해온 자사만의 뿌리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위기를 기회로 극복해왔으며, 2020년에는 스마트공장 시범공장으로 선정된 이후 현재 고도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방문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이 급격히변화하는 상황에서 자금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는 뿌리기업을 격려하고,현장의 애로와 건의사항을 청취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날 기업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우수인력 수급, 자금 확보 등 뿌리기업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전통 제조 기업이 연구개발을 통해 우수한 기술역량을 확보해나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우리나라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 중소기업이 기술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라며, “앞으로도 올바른 정책은 현장과 소통에서 나온다는 신념으로 현장 방문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 기업 현장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애로・건의사항에 대해 소통을 확대해, 전통 중소기업과 지역 중소기업의혁신을 적극 지원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TIPA는 올해부터 제조업의 허리, 중위기술 분야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제조중소기업 글로벌 역량강화사업′을 신규 지원하고 있으며, 5월 중(예정) 하반기 사업 공고를 시행할 계획이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 (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지원 자격 등을 확인한 후,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90","atchfileNm":"(보도자료)_TIPA,_뿌리산업_제조_중소기업_현장의_목소리_청취.pdf","viewCnt":"2445","regDate":"2021-05-14 10:28:04"},{"contentId":"129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중진공,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 및 기술수출 촉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907","contentsKor":"TIPA·중진공,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 및 기술수출 촉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맞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사장 김학도, 이하 중진공)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와 기술수출 촉진 등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 TIPA와 중진공은 5월 13일(목) TIPA 세종 본원에서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사업화와 기술수출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우수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촉진을 위한 협업 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정책지원 성과의향상을 위한 국내외 보유 인프라와 인적자원 교류, 글로벌 시장 및 국내외 기술동향 정보 공유 등을 지원하는 데 협력키로 했다. ○ 특히, 기술 수출 촉진을 위해 중진공 해외 거점 및 기술교류센터와 협력하고, Pre-BI* 추천 권한을 부여하는 등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강화하기 힘쓸 예정이다.* 수출인큐베이터(BI) 입주 전 3개월 간 바이어 매칭, O2O상담회, 제품 홍보 기회 제공 등 수출 및 현지 진출 준비를 지원하는 사업 ○ TIPA 역시 중진공 해외기술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한 우수기업에 R&D지원사업 참여 시 우대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맞춤형 상담을 지원하는 등 성과 연계와 확산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 그간 중소벤처기업은 우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네트워크 및 기술과 시장 정보 부족 등으로 기술사업화와 해외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에서 발행하는 해외 기술정보 및 글로벌 시장 동향 자료 등을 상호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의 정보 부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협력할 계획이며, 기술개발 지원과 정책자금 지원 사업이 보다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우수 기업에 대한 우대 혜택도 점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작년부터 전담부서 신설 및 글로벌 사업 신규기획 등을 추진하고 있다”며, “중진공이 보유한 해외 지원 역량과 인프라까지 더해진다면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사업화를 위한 새로운 협력모델을 만드는데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89","atchfileNm":"(보도자료)TIPAㆍ중진공,_중소벤처기업의_기술사업화_및_기술수출_촉진_지원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pdf","viewCnt":"2367","regDate":"2021-05-14 10:24:32"},{"contentId":"128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세종시대′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9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세종시대′연다   5월 3일부터 업무 시작,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 포부 밝혀 -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유일한 R&D 전담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5월 3일부터 세종 신청사에 새둥지를 트고 업무를 시작한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기술혁신(R&D) 및 스마트공장 보급・고도화 지원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벤처기업의 신산업 창출을 중점 지원하는 준정부기관‘으로, 올해로 19년째 중소벤처기업 정책 집행의 최일선에서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TIPA 신청사는 세종시 4-2생활권 집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하 1층, 지상 7층으로 업무공간과 평가공간으로 구성돼있다. 5월 1일부터 2일까지 이전이 진행되며, 입주 규모는 TIPA 본원 직원 200여명과 2019년 산하 조직으로 출범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직원 48명 등 약 260명 규모다.   그동안 부족했던 업무공간과 기업 평가 공간 등의 확충으로 업무 효율성 증대와 중소벤처기업 대상 서비스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또한, TIPA 인근에 먼저 자리 잡은 창업진흥원 등 유관기관과 지식산업센터 입주 기업들과의 교류・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그간 TIPA는 우리나라 경제와 산업의 근간인 중소벤처기업이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혁신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왔다.   올해 기준 TIPA가 전담하는 전체 예산은 약 1조 8천억원 수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담당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인력 규모가 약 40% 증가하는 등 명실상부한 중소벤처기업 지원 공공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세종에서의 새로운 시작은 TIPA가 새롭게 도약하는 기회이다.”라며, “앞으로도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생태계적 중심의 지원 체계 강화에 업무 역량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으로부터 △신뢰받고 소통을 중시하는 TIPA,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TIPA, △외부와의 협력 브릿지 역할을 통해 상생・협력・발전하는 TIPA, △업무 전문성을 키우고, 공정성을 실천하는 TIPA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72","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_세종시대_개막(★).pdf","viewCnt":"3390","regDate":"2021-04-30 11:02:29"},{"contentId":"128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상반기 지역별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69","contentsKor":"TIPA, 상반기 지역별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오는 4월 22일(목)부터 23일(금)까지 서울지역에서, 5월 11일(화)부터 22일(수)까지 경기지역에서, 각각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을 대상으로「2021년도 상반기 지역별 1:1 R&D사업비 맞춤상담회」를 실시한다.   ◦ TIPA에서 진행하는 금번 맞춤상담회는 지난해에 부산 등 5개 지역에서 실시한데 이어 두 번째로 실시하는 상담회로서 R&D 수행기업들의 수요도 많고 상담회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이번에는 R&D 수행기업이 많은 서울, 경기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지정회계법인*의 담당회계사가 1:1 맞춤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며, 하반기에는 상담회 수요를 감안하여 11월 중 실시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R&D지원사업 사업비 집행 안내 및 정산을 위해 TIPA가 지정·운영하는 회계법인   □ 특히 코로나19로 인하여 R&D 수행 관련 설명회 등이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있어, 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이 있는 신규 R&D 수행기업의 정산담당자를 대상으로 1:1 대면상담을 추진함으로써,   ◦ 中企 R&D 사업비 집행 규정 이해도 향상, 지정회계법인 상시점검 후속조치, 사업비 정산결과 주요 불인정 사례 등 사업비 집행 전반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아울러 금번 상담회를 통해 사업비 오집행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업비 집행과정에서의 불인정 사례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국가 R&D 자금의 부정사용 방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사업비 집행에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행기업은 담당 지정회계법인을 통해 신청이 가능하며, 시간별로 개별기업 상담을 실시함으로써 밀집도를 최소화하는 등 정부방역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여 실시할 예정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금번 맞춤상담회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R&D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2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상반기_지역별_1대1_RD사업비_맞춤상담회_실시(배포)(★).pdf","viewCnt":"3016","regDate":"2021-04-21 13:10:43"},{"contentId":"128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사회적경제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첫발 내딛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61","contentsKor":"TIPA, 사회적경제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첫발 내딛어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KoSEA) MOU 체결 -   □ 올해 하반기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기관추천 트랙) 과제 공고(5월 예정)를 통해 R&D 자금 연계 지원 (기업당 최대 1년, 1.5억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4월 15일 (목), TIPA 본원에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원장 김인선, 이하 KoSEA)과 ’사회적경제기업의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네트워크 및 정보 공동 활용, ▲우수 사회적경제기업 대상 R&D 지원사업 연계, ▲공공부문 사회적가치 실현 정책 수행 등 사회적기업 및 소셜벤처 기업의 지속 성장 지원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 과제(기관추천 트랙)‘ 공고(5월 공고 예정)를 통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R&D사업 경험이 부족한 사회적경제기업 전용 R&D 연계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 과제(기관추천 트랙)는 TIPA가 지정한 연계 추천기관이 별도의 사전 평가를 시행한 후, 추천하면 TIPA가 평가 절차를 거쳐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사회적경제기업을 선정 및 연속적인 R&D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또한, 선정된 사회적경제기업을 대상으로 ▲수출지원,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 등의 후속 지원 정책과도 연계하여 기술개발제품의 사업화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사회적기업 전문기관인 KoSEA와의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사회적경제기업을 대상으로 R&D 연계 및 후속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경제기업의 기술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방면으로의 업무협업을 통해 TIPA의 사회적경제기업 지원 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 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06","atchfileNm":"(보도자료)_TIPA,_사회적경제기업의_경쟁력_강화를_위한_첫발_내딛어(배포)(★).pdf","viewCnt":"2949","regDate":"2021-04-19 13:20:47"},{"contentId":"128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인공지능 제조플랫폼(KAMP) 고도화를 위한 킥오프 회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60","contentsKor":"인공지능 제조플랫폼(KAMP) 고도화를 위한 킥오프 회의 개최 - KOSMO, 인공지능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한 KAMP 2차년도 추진계획 논의 -   □ 1차 년도 주요성과 공유, 기관별 2차년도 계획 논의 및 현황점검 진행 중소 제조기업의 인공지능 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 사업이 2차년도 추진의 닻을 올렸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 KOSMO)은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 고도화를 위한 킥오프 회의‘를 14일 오전 10시 30분 대전 본원에서 개최했다.   이날 개최된 회의에는 주무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와 추진단을 비롯해, 지난 12월 발족한 한국인공지능제조이니셔티브(KAMP.AI)와 NHN, 한국과학기술원(KAIST),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자리를 함께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플랫폼(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 이하 ‘KAMP’)의 1차년도 주요성과를 공유하고, 기관별 2차년도 추진계획 논의 및 현황점검을 하였다.   KAMP는 중소제조기업의 데이터 수집·분석부터 AI솔루션 개발까지 지원하는 민간 클라우드 기반 제조AI 특화 플랫폼으로 지난해 12월 오픈했다. 현재 KAMP는 포털(www.kamp-ai.kr)을 통해 GPU등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뿌리, 식품 분야 중심의 핵심설비별 제조 데이터셋* 12종을 제공하고 있다.   * 제조 데이터셋: AI 분석을 목적으로 제조 현장에서 실제 설비·공정 데이터를 수집·정제한 데이터 집합체   이와 더불어 데이터 분석 체험, 분석 교육을 위한 동영상 강의 그리고 AI 솔루션을 도입한 제조기업의 우수 사례들을 제공하여 제조AI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   KAMP에서는 2차년도부터 본격적인 ‘솔루션스토어’ 구축에 나선다. 제조 기업이 다양한 공급기업의 AI 솔루션을 직접 한 곳에서 비교해보고 구매할 수 있도록 만들어 제조업의 인공지능 도입을 확산시킬 예정이다.   동시에 서비스포털 고도화를 통해 정밀공정에 특화된 데이터셋 10종, 분석 알고리즘, 교육 동영상 추가 등 사용자 편의성도 강화할 예정이다.   박한구 추진단장은 ”인공지능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중소제조기업의 우수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홍보하고, KAMP의 고도화·확대를 통해 인공지능을 통한 중소제조기업의 혁신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904","atchfileNm":"(보도자료)_KOSMO,_인공지능_제조플랫폼(KAMP)_고도화를_위한_킥오프_회의_개최(배포).pdf","viewCnt":"2833","regDate":"2021-04-19 13:19:54"},{"contentId":"128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조달청-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혁신 조달 기업의 해외 조달 시장 진출 위한 업무 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53","contentsKor":"조달청-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혁신조달기업의 해외조달시장 진출 위한 업무협약 체결 혁신조달기업 지패스 확대, 해외인증규격 적합제품 개발 지원, 해외 수요처 발굴 등 상호 협력  □ 조달청(청장 김정우)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13일 ‘혁신조달기업의 해외조달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혁신조달기업의 국내조달시장 진출 지원에 이어 해외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해 ‘기술개발(R&D)→국내조달→해외수출’로 이어지는 성공사례를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 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혁신조달기업의 조달청 지패스(G-PASS)* 지정 확대, ▲해외인증·규격 적합 제품 개발 지원, ▲해외 수요처 발굴 등 해외조달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 지패스(G-PASS, Government Performance ASSured)기업은 조달물품의 품질, 기술력 등이 우수한 조달기업 중 조달청이 해외조달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지정한 중소·중견기업이다.   ○ 올해 하반기에는 ‘혁신조달기업의 해외조달 시장 개척단 파견과 수출상담회 행사’를 공동 개최하기로 했다.   □ 김정우 조달청장은 “기업의 혁신기술이 사장되지 않게 도입한 혁신조달 제도가 해외조달시장까지 뚫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 “특히 해외 진출 선결요건인 인증·규격 적합성 문제를 기정원과 협력해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이재홍 기정원장은 “코로나 상황 장기화로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의 빠른 회복과 도약을 위해 조달청과 협력하여 해외조달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 “조달청이 보유한 해외 네트워크와 해외조달시장 진출 지원 노하우를 활용하여 혁신 조달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조달시장 진출 성공사례를 공동으로 만들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879","atchfileNm":"(보도자료)_혁신조달기업의_해외조달시장_진출_위한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2944","regDate":"2021-04-13 13:21:56"},{"contentId":"128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상호존중 선언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47","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상호존중 선언식 개최 - 건전한 상호존중 문화 조성을 위해 노·사 함께 노력할 것을 대내외 선포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4월 8일(목) 「TIPA 상호존중 선언식」을 개최하고, 존중과 배려의 조직문화 정착을 위한 실천의지를 다짐했다.   노·사 공동으로 진행된 이 날 선언식은 TIPA 이재홍 원장과 장상민 노조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상호존중 선언문을 낭독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10대 실천과제를 대내외에 선포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상호존중 선언문에는 ▲차별 없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기 ▲부당하고 사적인 업무를 지시하지 않기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친절히 응대하기 등의 내용을 담았다.   또한 앞으로 매월 11일을 상호존중의 날로 지정하고 상호존중 우수사례 발굴 등 상호존중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다.   이재홍 원장은 “직원간에 업무수행은 물론 고객응대에 있어서도 상호존중과 배려를 통해 국민에게 사랑받고 신뢰받는 기관으로 더욱 거듭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872","atchfileNm":"보도자료_2021년_TIPA_상호존중_선언식_개최..pdf","viewCnt":"3053","regDate":"2021-04-09 11:41:38"},{"contentId":"128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R&D멘토링’ 제1기 수료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3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R&D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한 41개 기업들에 대해 4월 1일(목) 비대면 수료식을 진행하고 우수사례 공유 및 시상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 ‘R&D멘토링’은 중소기업 R&D과제 기획을 밀착 지원할 목적으로, 연구개발 초기단계에 있는 중소기업과 고경력 기술전문가(멘토)가 분야 별로 소모임을 구성하여 R&D 과제 기획 및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산․학․연 멘토링 프로그램이다.   ◦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수료기업들 대표와 R&D 멘토들, 우수사례 기업 등 60여 명이 온라인으로 참여했다.   □ TIPA 산하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이하 ‘기술혁신센터’)는 지난 해 7월 R&D 과제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_업들 152개 기업을 모집하여 6개월동안 사업계획서 작성실습, 기술애로 맞춤형상담, 네트워킹, 모의대면평가 등 다양한 산학연 연계 멘토링 활동을 실시했다.   ◦ 기술혁신센터 양훈화 센터장은 “2019년 시범사업에서 R&D과제를 도출한 16개 기업 중에 지난 해 중기부 R&D지원사업에 선정된 기업이 8개(15개 과제)나 된다”며, “R&D멘토링과 정부 R&D사업 선정 간의 연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아울러, 멘토링 우수사례 소개, 우수 기업 및 멘토에 대한 시상 등도 진행되어 그간의 활동 성과를 공유했다.   ◦ 이날 행사에는 ‘R&D멘토링’을 통해 R&D과제 도출을 완료한 41개 기업이 최종 수료기업으로 선정되었고, ㈜페로카는 최우수기업상을, 황경현 멘토가 최우수멘토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누렸다.   ◦ 제3의청춘㈜, 비케이엠㈜, 리얼룩앤컴퍼니㈜ 등 우수사례로 소개된 4개 기업은 공통적으로 “기술상담과 네트워킹을 활용하여 자체 해결이 어려운 기술애로를 해소하고, R&D의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됐다”, “대면평가 등 정부 R&D사업 프로세스를 사전에 경험하여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TIPA 협력사업본부 장현성 본부장은 “끊임없이 문제해결과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다양한 시각과 기술역량을 가진 산․학․연 구성원들이 협업하여 R&D 협력과 애로기술을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R&D멘토링과 같은 기술협력 플랫폼을 적극 활용한다면 더 빠르고 더 효과적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한편, 이번 수료기업에게는 중기부 R&D사업에서 서면평가 면제나 기관추천 과제로 추천되는 ‘기술혁신센터 기술교류 연계과제’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고, 하반기 공고되는 ‘네트워크형 R&BD과제’ 신청 시 우대가점이 부여된다. ◦ 제2기 ‘R&D멘토링’은 올해 6월에 참여기업을 모집할 계획이다. R&D 초보기업이나, R&D 애로를 겪고 있는 연구개발형 기업들은 누구나 지원할 수 있고, 세부사항은 오는 6월에 TIPA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847","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_RD멘토링_제1기_수료식_개최(배포).pdf","viewCnt":"3429","regDate":"2021-04-02 10:41:12"},{"contentId":"128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도전적 R&D 과제 정부와 투자기업이 최대 24억원 공동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17","contentsKor":"중소기업의 도전적 R&D 과제 정부와 투자기업이 최대 24억원 공동지원 100억 원 규모, 구매조건부사업 공동투자형R&D, 5월 7일까지 과제 모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021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공동투자형(구,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 자유응모 과제를 4월 1일부터 모집 공고한다고 밝혔다.   □ 공동투자형 사업은 투자기업이 필요한 혁신제품을 정부와 공동으로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여 중소기업이 개발하는 사업으로 투자기업과 중소기업간 가치사슬의 경쟁력 확보 및 장기적인 파트너십 형성에 목적을 두고 있다. * 투자기업 : 중소기업 R&D 지원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투자협약을 체결한 대·중견기업, 공공기업/기관 등(투자기업 관리기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 02-368-8750)   □ 기존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은 과제 신청 시 투자기업과 반드시 구매계약을 체결해야 했으며 지원 규모도 최대 2년에 10억 원까지 지원하였다. 2020년 공동투자형으로 개편하면서 보다 도전적 과제를 지원하고자 구매계약을 면제하고 지원 규모도 최대 3년에 24억 원까지 확대 지원하여, 투자기관과 중소기업이 R&D를 중심으로 상생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올해 공동투자형사업은 신규 과제를 선정하여 예산 100.5억 원을 지원할 예정으로, 중소기업이 투자기업에게 과제를 제안하는 형식인 자유응모 형식과 투자기업이 제안한 과제의 R&D를 수행할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지정공모 형식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 공동투자형 사업은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 사업으로도 큰 의의가 있지만, 실제 시장에서도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그중 주목할 만한 중소기업으로 ㈜필옵틱스(대표이사 한기수)가 있다. ㈜필옵틱스는 인쇄회로기판 공정의 필수 장비인 노광기를 국산화 하는데 성공한 기업으로, 2012년 총 5.4억 원의 R&D 자금을 정부와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지원받아, OLED 디스플레이 레이저 가공설비 개발을 본격화하였고, 2014년 세계최초로 Flexible OLED laser cutting 장비를 출시하였다.   ○ 이를 기반으로 5년 동안 약 3,800여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고, 이는 최초 투자기업 구매예상액인 630억 원 대비 600%, 투자금액 대비 70,000% 이상 초과하는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 이후 ㈜필옵틱스는 2017년 KOSDAQ에 상장되었으며 그해 12월 7천만불 수출의탑 수상, 일자리창출유공 산업포상 대통령상 수상, 2019년 중소기업인대회 대통령 표창 수상,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대통령 인증 수상 등 첨단 장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본 사업은 정부와 투자기업이 힘을 합쳐 중소기업 R&D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사업 주체간 상생 협력의 원동력이 되는 사업”이라 평가하면서 “앞으로 우리 중소기업이 대기업이나 공공기업과 R&D의 동등한 동반자로 발전할 수 있도록 TIPA가 전심전력을 다해 지원할 것”을 약속하였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기술개발사업 공동투자형 R&D지원은 지정공모 과제는 4월 15일까지 모집 중에 있으며 이후 지정공모(7월 예정) 및 자유응모(9월 예정) 과제 모집 공고가 추가로 예정되어 있다.   ○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로 문의하면 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829","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의_도전적_RD_과제,_정부와_투자기업이_최대_24억원_공동지원.hwp","viewCnt":"3099","regDate":"2021-03-31 17:11:48"},{"contentId":"128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 지원방안 모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802","contentsKor":"TIPA,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 지원방안 모색 - R&D 수행기업 4개社 관계자들과 현장 간담회 개최 -   □ 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 방향을 모색하고,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 지원방안 마련을 위해 현장의 목소리 청취, 정책 수요 발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 창업과제 내 소셜벤처 전용 R&D 과제”에 선정된 4개 기업 대표자와 함께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본 간담회는 공공기관으로서 TIPA의 사회적 가치 실현 방향을 모색하고,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 지원방안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TIPA는 2019년부터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 창업과제 내 소셜벤처 전용 R&D 과제를 신설하여, 창업 7년 이내의 소셜벤처 및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R&D 및 사업화 자금(1년, 최대 1.5억원)을 지원해 왔다.   특히, 올해부터는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의 신속한 R&D 연계지원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기술보증기금,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을 추천기관으로 하는 ‘기관추천 트랙’을 신설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확대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 (19년) 7개 과제(6억) → (20년) 41개 과제(29억) → (21년 계획) 26개(3:1 경쟁률 기준)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4개社 관계자는 소셜벤처 및 사회적 기업 지원을 위한 TIPA의 역할과 함께 현장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 등 다양한 정책적 의견을 제시하였다.   < 간담회 주요 의견 > 참여 기업 주요 의견 ❶ 해양오염처리 로봇개발기업 A社 사회적 가치 보다는 경제적 가치에 비중이 큰 중기부 R&D지원사업에 사회적 가치가 큰 기업들에 대해 가점사항 추가 등 우대지원정책 방안 마련이 필요함. ❷ 사회복지정보화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B社 지역 내 사회적 현안을 해결하는 사회적 기업의 경우, 민간업체 단독으로 사업화를 하기 어렵고, 시장규모가 타 창업기업과는 다르기 때문에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중 사업화 부분을 다르게 적용해야 함. ❸ 점자 디지털 인프라 구축 솔루션 개발기업 C社 소셜벤처 및 사회적 기업이 창업 후 가장 많은 정보를 얻는 곳이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교육 사업이므로, 해당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유기적인 R&D 연계 지원이 필요함 ❹ 시각장애인용 태블릿 PC개발 D社 디딤돌 과제에만 세부 유형으로 지원되는 소셜벤처 유형을 전략형, TIPS 과제에도 추가 신설하여 소셜벤처 및 사회적 기업의 연속적인 R&D지원이 필요함.   TIPA 이재홍 원장은 위 의견에 대해, “추후 진행될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소셜벤처·사회적기업 우대 방안 및 연구개발계획서 양식의 다양화에 대한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면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의 MOU(4월 예정)를 통해 다수의 사회적 창업기업에 교육, R&D, 사업화 등 다양한 방면으로 연계 지원할 예정이며, 사업간 연계·묶음 지원방식을 통해 연속적 R&D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고 안내했다.   이 밖에도, TIPA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 성과 창출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적극 추진해오고 있다.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대기업과의 협력형 기술개발 지원, △R&D 지원을 통해 산업위기 지역의 성장 지원, △공공분야 자원 공유를 통해 기술개발 지원 등이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809","atchfileNm":"보도자료_TIPA,_소셜벤처_및_사회적기업_지원방안_모색(배포).pdf","viewCnt":"3060","regDate":"2021-03-24 09:18:52"},{"contentId":"127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위한 AI·데이터 공동 활용 플랫폼 솔루션 개발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75","contentsKor":"中企위한 AI·데이터 공동 활용 플랫폼 솔루션 개발 추진   - KOSMO, 中企 ‘제조데이터 공동활용 플랫폼 R&D’ 올해 신규 지원 -   (기업당 최대 21억원까지 지원, 접수기간 : 3.26(금) ~ 4.9(금), 18시까지)   □ 제조현장에서 다수 사용 가능한 AI 공동활용 모델 확보를 위해 연구소・대학의 전문 인력과 중소기업의 공동 R&D 추진   □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인프라 활용 지원 국내 중소 제조현장에서도 인공지능(AI)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수가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공동 활용 플랫폼* 및 솔루션 개발 지원이 본격 추진된다.   * 공동활용플랫폼 : AI공동활용모델들의 개발·제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공통·공용의 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틀이 되는 기술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KOSMO)은 다음 달 9일(금)까지 제조데이터 공동활용 플랫폼 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할 컨소시엄을 모집한다.   이번 사업은 연구소·대학의 전문 인력(주관 연구개발 기관)과 중소기업(공동 연구개발 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할 수 있으며, 올해 지원 예산은 44.51억원 규모이다. KOSMO는 기술수요조사 및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과제기획위원회의 기획을 거쳐 사업성·기술성 측면에서 파급력이 큰 기술 품목을 도출했다.   참여를 희망하는 컨소시엄은 사업 공고에서 제시된 품목 내에서 자유롭게 과제를 선정(품목 지정형)*해 공모할 수 있다.   * 품목 지정형 : 품목을 지정하되 제시된 품목 내에서 자유응모 방식으로 과제를 선정하는 방식   특히 이번 사업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특별지침에 따라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 비율이 75%에서 80%로 상향됐으며, 중소기업의 현금 부담 비중을 40%에서 10%로 낮췄다. 과제 당 개발 기간은 최대 21개월 이내, 지원한도는 21억원이다. 또한, 현재 중소벤처기업부와 KOSMO는 스마트공장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분석·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스마트공장화를 지원하는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을 구축하여 운영 중이다.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컨소시엄은 KAMP 플랫폼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개발된 시스템 또한 KAMP를 통해 확산할 예정이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4.9(금)까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다.   박한구 KOSMO 단장은 “AI 기술을 사용해 파급 효과가 큰 뿌리업종, 기계부품, 정밀가공 등의 분야에 관련 기술을 적용하여 해당 분야의 스마트공장 AI 공정 솔루션을 확산하고 고도화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58","atchfileNm":"(보도자료)_KOSMO,_中企_위한_AI·데이터_공동_활용_플랫폼_솔루션_개발_추진.pdf","viewCnt":"3456","regDate":"2021-03-15 09:00:58"},{"contentId":"127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2021 TIPA 국민기자단」 발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73","contentsKor":"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2021 TIPA 국민기자단」 발족 SNS 리포팅 분야 6명, 영상 크리에이터 분야 4명으로 구성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3월 11일(목) SNS 리포팅 분야(6명)과 영상 크리에이터(4명)로 구성된 TIPA 국민 기자단인 ‵더 브릿지(The Bridge)′* 1기 발대식을 개최하였다.   * 더 브릿지(The Bridge) : TIPA가 추진하는 사업 및 정책 등 역할을 보다 더 국민의 시선에서 쉽고, 객관적으로 알린다는 의지를 담고 있음   기자단은 지난달 1일(월)부터 약 3주간의 공개모집을 통해 총 10명을 선발했으며, 20대부터 40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됐다.   특히, 선발 과정에서 SNS 기자단의 경우, 약 7: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중소벤처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를 가늠할 수 있었다.   기자단은 페이스북・블로그・카카오플러스 등 다양한 공식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TIPA의 주요 정책 등을 국민의 시선에서 쉽게 알리고, 또한, 국민이 알고 싶은 콘텐츠를 발굴하는 등 국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 TIPA의 정책에 반영하는 가교 역할을 하게 된다.   세부적으로는 △TIPA가 추진하는 정책 소개, △우수기업 성과 홍보 등을 통해 홍보 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만족도를 높이고, 정책 고객 대상으로 쉽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목표로 운영할 계획이다.   TIPA 관계자는 “발대식 이후, 기자단 활동이 본격 가동될 예정이며, 국민 참여 기자단을 통해 홍보 품질 향상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향후 기자단 활동 사항, TIPA 홍보 소식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공식 누리소통망(S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기관 운영 이래 최초로 도입하는 국민 기자단을 통해 TIPA가 중소벤처기업의 No.1 정보 알림이로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TIPA는 대국민 홍보 서비스 품질을 더욱 높이고, 실효성 있는 정보 전달을 위해 전사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발대식 행사는 방역당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 준수를 위해 온라인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발대식 행사 진행과정과 발대식에서 밝힌 기자단 10명의 활동 포부를 담은 영상을 별도 제작해 3월 중 SNS채널에 공개할 예정이다.","viewCnt":"2895","regDate":"2021-03-12 11:25:55"},{"contentId":"127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1년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72","contentsKor":"TIPA, 2021년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선정 한국능률협회 컨설팅 조사, 공공 부문에서 ‘중소기업 진흥’ 역할 톡톡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발표한 2021년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 조사 결과 ’중소기업 진흥‘ 부문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TIPA는 혁신능력, 경영진의 경영능력, 고객서비스 품질, 사회공헌 활동 등 12개 세부평가항목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기관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항목에서 상위 4개 기관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기관으로서 ’20년에는 R&D 및 스마트공장 보급・고도화 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사업화 지원을 강화해, 사업화하고자 하는 기업이 인증・수출・판로・투자・자금연계 등 다양한 방식의 패키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해왔다.   또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국가 및 협력기관과 공동 프로그램을 마련해나가는 등 파트너쉽을 구축하여, 우수한 기술과 사업화 역량을 보유한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계속 강화해나가고 있다.   TIPA 관계자는 “TIPA 임직원들이 지원하는 중소벤처기업 지원 정책 하나하나가 일회성 정책이 되지 않고, 지속적이면서 현장에서 기업이 실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혁신하고 있으며,   또한, 공공기관으로서 지역 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도 꾸준히 추진해오는 등 기관의 노력이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으로 선정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은 매년 끊임없는 혁신활동을 통해 다져온 우수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혁신능력, 주주가치, 직원가치, 고객가치, 사회가치, 이미지 가치 등 6대 가치를 증대해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존경을 받고 있는 기관을 ‘가장 존경받는 기관’으로 선정해왔다.   동 조사는 올해로 18회째를 맞이했으며,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해당 산업에 근무하는 기업의 임원진 및 증권사 애널리스트,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문면접 등을 실시하여 평가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54","atchfileNm":"(보도자료)_2021년_한국에서_가장_존경받는_기관_조사(★).pdf","viewCnt":"3136","regDate":"2021-03-12 11:23:51"},{"contentId":"127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세계 수준의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64","contentsKor":"TIPA, 세계 수준의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 나선다 2021년 글로벌 창업기업 기술개발사업 신규 추진   (접수기간 : 3.12(금) ~ 3.25(목), 18시 까지 접수)   □ 창업 초기단계 수출가능성 높은 우수기업 중점 지원, 해외시장 진출 목표 기반의 미션 지향형 사업관리, 수출 연계프로그램 후속 지원   □ 2021년 글로벌 창업기업 신규과제 모집 공고(기업당 최대 2년, 4억원 이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세계시장에 도전하는 글로벌 창업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2021년도 글로벌 창업기업 기술개발사업’을 신규 지원한다.   글로벌 창업기업 기술개발사업은 해외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창업 1년 미만의 초기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수준의 R&D 지원을 통해 수출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출 유망 기술을 보유한 「한국형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을 목표로 지원한다.   동 사업은 올해부터 최초로 지원하는 사업으로써, 그 동안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창업하는 본 글로벌(Born Global)* 기업에 대한 지원 필요성은 계속 강조 되어왔다.     * 본 글로벌 기업(Born Global, 태생적 글로벌) :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는 부가가치 높은 기업 시사(맥킨지 그룹, 1993)   특히, 올해부터는 동 사업을 신규 지원함으로써, 그 동안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과 더불어 우수 창업기업의 정부 R&D 지원 폭을 한층 넓혔다. * 정량적 목표성과 : ❶해외 매출계약 또는 국내・해외 투자유치, ❷해외 특허 출원 또는 등록 2건 이상, ❸해외 2개국 이상 수출 실적 달성, ❹해외 현지법인 및 사무소 설립 등 일정 비율 이상 제시한 성과목표 달성 시 사업 완료(미션 달성제)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개발(R&D) 자금 지원 ▲지원기업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수출 전문가 컨설팅 ▲향후 중기부內 수출 지원프로그램 후속 연계* 등에 대해서 후속지원 한다.     * 코리아스타트업센터(KSC), 수출바우처, 전자상거래활용수출사업 등 가점 부여   사업 신청은 3월 12일(금)부터 3월 25일(목)까지 신청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글로벌 창업기업 기술개발사업은 수출 유망한 초기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을 중점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라며, “2030년 4대 수출 강국 도약의 핵심이 될 글로벌 강소기업 발굴 및 예비 유니콘기업 육성을 목표로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출발 단계부터 패스트 트랙 형태로 기술개발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44","atchfileNm":"(보도자료)_TIPA,_세계_수준의_글로벌_창업기업_육성_나선다(★).pdf","viewCnt":"3016","regDate":"2021-03-10 09:20:03"},{"contentId":"127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1 한국-캐나다 R&D 네트워킹 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59","contentsKor":"2021 한국-캐나다 R&D 네트워킹 상담회 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주한캐나다대사관 공동 주관  ◈ [포럼-정책발표] 캐나다 국가 연구위원회(NRC) 및 한국 TIPA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에서 스마트제조 분야 주요 중소기업 지원정책 소개 ◈ (포럼-기업홍보) 캐나다 13개사, 한국 22개사에서 기업정보 및 보유기술 소개 ◈ (B2B 상담회) 캐나다 현지기업과 한국 중소기업 간 1:1 비대면 상담회 진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3월 9일(화)부터 11일(목)까지 3일 간, 서울 양재 엘타워와 TIPA 수도권 스마트워크오피스에서 ‘한국-캐나다 R&D 네트워킹 상담회-첨단제조 및 스마트팩토리’ (Korea-Canada R&D Networking Conference – Advanced Manufacturing & Smart Factory)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행사는 TIPA와 주한 캐나다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을 위한 한국-캐나다 간 첨단제조 및 스마트 팩토리 분야 공동 R&D 및 발전방향 모색’을 주제로 진행되며,   ㅇ 첨단제조 및 스마트팩토리 기술에 대한 한국, 캐나다의 국가 정책, 지원체계 및 현황과 한‧캐나다 양국 중소기업의 최신 스마트팩토리 기술 사례의 상호 교류를 통한 기술 수준 및 공동 R&D 분야를 제고할 수 있는 논의의 장으로 마련된다.   □ 특히, 코로나 19로 인하여 대면행사 진행이 어려운 만큼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운영되고,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 할 예정이다. 캐나다와의 시차를 고려하여 비대면 온라인 전용 사이트를 구축하여 일정기간 동안 오픈하여 많은 캐나다 중소기업 및 유관기관이 참관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ㅇ 현장 참여가 어려운 해외연사의 강연은 사전 녹화를 통하여 당일에 송출하게 되며 기업발표를 할 캐나다 중소기업들은 사전 녹화 영상 또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이원중계로 발표에 참여하게 된다.   □ 본 행사는 크게 포럼과 B2B상담회로 구성되어 진행되며, 한국과 캐나다 양 국의 정책 소개, 기업 홍보 및 기업 간 해외기술교류 상담회 등 다양한 논의의 장을 제공한다.   ㅇ 먼저 3월 9일(화)에 진행하는 포럼에서는, 캐나다 국가연구위원회(NRC)에서 ‘Advanced and Smart Manufacturing Sector in Canada’이라는 주제로 캐나다의 첨단제조 및 스마트 팩토리 분야 정책에 대해 소개하고,   ㅇ 이어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이 ‘한국 스마트제조혁신 추진전략 및 현황’이라는 주제로 한국의 첨단제조 및 스마트 팩토리 분야 동향 및 정책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ㅇ 또한, 첨단제조 및 스마트팩토리 기술과 관련한 13개의 캐나다 기업과 한국 중소기업 22개사가 각 기업정보 및 보유기술을 소개하여 양 국의 기술협력을 위한 정보를 공유한다.   ㅇ 이후 3월 10일(수)부터 11일(목)까지 이틀간 진행되는 한-캐나다 B2B 온라인 기술교류회에서는, 사전에 매칭된 양 국의 기업이 1:1 비대면 상담회를 진행하며, 스마트 제조혁신을 위한 연구·실증 사례 및 우수 성과 공유, 공동 R&D협의 등 기술협력을 위한 심층논의를 실시할 예정이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한-캐나다 R&D 네트워킹 상담회를 계기로 한국과 캐나다 간 관련 기술교류 및 협력을 통한 경험과 사례 공유가 활발해지길 바란다”며, “더 나아가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포럼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준 중소기업 간 협력이 향후 성과로 이루어지고 국가 간 비대면 스마트 제조혁신 회의를 개최하여 스마트 제조혁신이 미래 지향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중간 매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35","atchfileNm":"(보도자료)_2021_한국-캐나다_RD_네트워킹_상담회_개최(★).pdf","viewCnt":"2882","regDate":"2021-03-08 10:17:53"},{"contentId":"127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재홍 원장 ‘고맙습니다 필수노동자’릴레이 응원 캠페인 동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5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재홍 원장 ‘고맙습니다 필수노동자’릴레이 응원 캠페인 동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은 이재홍 원장이 ’고맙습니다 필수노동자‘ 릴레이 응원 캠페인에 동참했다고 5일 밝혔다.   ’고맙습니다 필수노동자‘ 릴레이 응원 캠페인은 코로나19 감염의 위험을 무릅쓰고 대면 노동을 펼치고 있는 보건의료, 사회복지, 돌봄서비스, 환경미화 종사자들을 격려하고 응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동 캠페인은 지명을 받은 참가자가 ’필수노동자 공식 이미지‘에 손글씨로 ’고맙습니다. 필수노동자 여러분!‘이라는 응원의 메시지를 담아 소셜미디어 채널에 게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재홍 원장은 류찬수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원장의 지명을 받아 이번 캠페인 주자로 나섰다.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사회 기능 유지를 위해 이바지하는 필수노동자분들의 노고에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라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도 정부의 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당국의 방역지침을 철저하게 준수함으로써,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최일선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고 말했다.   이재홍 원장은 다음 주자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조봉환 이사장, 창업진흥원 김광현 원장을 지명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33","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이재홍_원장,_고맙습니다_필수노동자_릴레이_응원_캠페인_동참.pdf","viewCnt":"2514","regDate":"2021-03-08 10:15:32"},{"contentId":"127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선정방식에 전문성・공정성 강화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45","contentsKor":"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선정방식에 전문성・공정성 강화한다   □ 기관추천 방식 확대, 원스톱 평가 도입 등 선정과정에서 전문성을 강화하고, 여성기업, 소셜벤처 등 참여 유형 확대하여 공정성 강화   □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內 디딤돌 사업 中 기관추천 과제 신규 공고   (‘21년 상반기 전체 지원 규모 : 80개, 96억원, 기업당 : 최대 1년, 1.5억원 이내)   (공고기간 : 2.26(금) ∼ 4.5(월), 접수기간 : 3.22(월) ~ 4.5(월), 18시 까지 접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1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 사업 中 기관추천 과제* 모집을 위한, 신규 공고를 2월 26일(금) 실시하고, 오는 3월 22일(월) 부터 4월 5일(월)까지 약 40일간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 기관추천 과제 : 세부 공고에서 정하는 연계유형별 추천기관으로부터 추천받은 창업기업   기관추천을 통한 과제 선정 방식은 작년 대비 올해 확대(5개 → 7개) 시행되며, TIPA가 지정한 연계유형별 추천기관*이 별도의 사전 평가를 시행하고, 추천기관이 추천한 우수 기업에 대해서 R&D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 연계유형별 추천기관 현황 및 추천기준은 [3P 참고 자료] 참조   TIPA는 그간 연계유형별 추천기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추천된 우수 기업을 대상으로, △서면평가 면제, △가점 부여 등 우대 지원해왔다. 그 결과, 추천기관에서 추천한 우수 기업 446개 중 119개 기업(27%)이 최종 선정되어 약 165억원 규모의 R&D 자금을 지원받는 성과를 냈다.   올해부터는 디딤돌 사업 선정방식에 전문성・공정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연계유형별 추천기관을 확대(5개 → 7개) 운영하고, 추천기준도 다양화해 다양한 유형의 우수 창업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폭을 넓혔다.   이를 통해 다양한 추천기관의 우수기업 선별 기능을 활용, 민간에서 기술성과 시장성을 한차례 검증받은 우수 창업기업을 발굴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또한, 기존 선정평가 방식으로 활용되던 단계별 평가(2단계(서면+대면))방식에서 원스톱 평가 방식(1단계)으로 변경하여, 추천된 선별 기업이 보다 신속한 R&D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평가 절차를 개선했다.   사업 신청은 3월 22일(월)부터 4월 5일(월) 18시 까지 추천기관으로부터 추천 받은 기업에 한해 신청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719","atchfileNm":"보도자료_창업성장_기술개발사업_선정방식에_전문성_공정성_강화한다.pdf","viewCnt":"2618","regDate":"2021-03-02 15:18:52"},{"contentId":"127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KTR, 코로나 이후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41","contentsKor":"TIPA·KTR, 코로나 이후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규제정보 제공, 기술성능 인증, 해외 네트워크 공동 활용 등 상호 협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권오정, 이하 KTR)이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코로나 이후 급증할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수요에 선제대응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 TIPA와 KTR은 2월 26일(금) KTR 과천 본원에서 중소벤처기업 R&D 지원과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협업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에 지원 가능한 신규 R&D 사업을 공동으로 기획하고, R&D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수출 희망국의 인증·인허가 등 규제관련 통합 정보제공과 R&D 성능인증, 시험검증, 기술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데 협력키로 했다.   ○ 또한, 양 기관은 KTR의 독일, 베트남, 중국지사 등 해외거점을 공동 활용해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신시장 진출 및 기술수출 촉진을 위한 현지 기술·산업 동향 조사 및 기술교류회 운영 등도 협력하기로 했다.     □ 그간 중소벤처기업은 개발된 제품의 판로 확보 과정에서 해외 기술규제 및 인증 정보 부족 등으로 R&D 성과물의 사업화와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R&D에서 인증‧규제 극복까지 중소벤처기업 해외진출에 필요한 제반 업무를 ‘원스톱’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에 따라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은 양 기관의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시간과 비용 부담을 줄이는 등 보다 효율적인 해외진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 상황 장기화로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의 빠른 회복과 도약을 위해 KTR과 협력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며, “KTR이 보유한 해외 네트워크와 인증·규제 대응역량은 중소벤처기업 R&D 사업화와 해외 시장 개척을 한층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이어서, KTR 권오정 원장은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중소벤처기업들이 하루빨리 활기를 되찾을 수 있도록 TIPA와 함께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특히 TIPA가 추진중인 산학연플랫폼 기술개발사업 등에도 적극 참여해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을 더욱 도울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99","atchfileNm":"210226_(보도자료)_TIPA-KTR_코로나_이후_중소벤처기업_해외진출_지원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배포용).hwp","viewCnt":"2635","regDate":"2021-03-02 09:41:24"},{"contentId":"127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15명 신규채용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40","contentsKor":"TIPA, 15명 신규채용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 □ 코로나 등 채용한파 속에서 공공기관의 사회적인 책임 이행   □ 상반기 15명 채용 시작으로 올해 정규직 신입 총 26명 채용 예정   □ 2월 26(금)부터 원서접수 시작, 5월 중 최종 합격자 발표 예정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월 26일(금) 상반기 채용공고를 시행하고, 오는 3월 5일(금)부터 3월 12일(금) 18시까지 공개 모집을 통해 신규직원 15명을 채용한다고 밝혔다.   TIPA(‘21년 5월 세종이전)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의 준정부기관으로 이번 신규채용을 통해, 공공기관으로서 청년 구직난을 해소하는 데 동참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올해는 정규직 신규 채용인원을 기관 정원(262명)의 10%인 26명을 계획하고 있으며, 상반기 1차 공고를 통해 15명을 우선 채용한다.   모집분야는 △R&D 정책기획, △데이터 분석, △R&D 평가관리 등 3개 분야이며, 채용 규모는 일반직 13명, 연구지원직(무기직) 2명이다.   채용절차는 2월 26일(금) 채용공고를 시작으로 3월 5일(금)부터 3월 12일(금) 18시까지 응시원서를 접수(온라인)하고 ❶서류전형, ❷필기전형, ❸역량면접, ❹최종면접 등 4단계를 거쳐 5월 중 최종 임용할 계획이다.   모든 채용과정은 NCS기반 블라인드 채용기준을 준수하며,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 및 공공성 확보를 위해 이전지역인재(대전, 세종, 충청)에 선발 할당제를 적용하고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등 취약계층에 대한 우대배점을 적용하며, 연구지원직은 장애인 제한경쟁으로 진행한다.   아울러, 코로나19 감염 위험 방지를 위해 방역당국의 방역수칙을 엄수하여 면접자 대상 손소독제, 마스크, 가림막을 구비하고, 발열자 발생에 대비하여 화상면접도 준비할 예정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상반기 채용공고를 시작으로 공무직, PM, 전문위원 등 다양한 분야의 직원 채용을 통해 분야별 전문성과 조직 역량을 강화하고, 청년인턴 채용도 확대하여 코로나19 장기화로 침체된 고용시장에 활력을 보태고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신청 방법, 채용 일정 등 상세내용은 TIPA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TIPA는 중소벤처기업의 R&D 및 스마트공장 지원을 전담하는 공공기관으로서, 올해는 역대 최대규모인 1.8조원 규모로 지원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97","atchfileNm":"20210226_(보도자료)_TIPA,_15명_신규채용으로_청년_일자리_창출(★).hwp","viewCnt":"2157","regDate":"2021-03-02 09:38:56"},{"contentId":"127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 R&D 사업화 성공사례 발굴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39","contentsKor":"TIPA, 중소벤처기업 R&D 사업화 성공사례 발굴 나선다   □ R&D 사업화 성공요인 탐색을 위해, 6개 중소벤처기업 관계자들과 온라인 비대면 간담회 추진   □ 사업화 성공 사례, 사업화 추진과정, 애로사항, 건의사항 등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향후 R&D 사업화 지원 제도 개선에 활용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월 25일(목), 4차 산업혁명 분야* R&D 성공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R&D 사업화 성공요인 탐색을 위한, 온라인 비대면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 : 빅데이터, AI, 사물인터넷(IoT), 머신러닝, 핀테크 등   이번 간담회는 R&D 수행 이후, 실제로 사업화에 성공한 기업을 대상으로 성공 사례를 발굴하고,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었던 노하우 등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여 향후, 정부 R&D 사업화 지원 제도 개선에 활용하고, 향후 ‵사업화 성과 제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R&D 사업화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애로사항, 정책적 건의사항 등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고, 준비된 안건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함으로써, 신속히 정책에 반영・개선하고자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R&D를 통해, 비정형 데이터 수집・분석 등 알고리즘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 재고를 자동으로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사업화에 성공한 ㈜소나클로의 최우인 대표 등 4차 산업혁명 분야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화까지 성공한 6개 중소벤처기업이 참여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중소벤처기업 관계자들은 △사업화 자금 확보 문제, △기업 내 사업화 전문 인력 수급 문제, △판로 및 시장 개척 문제 등을 사업화 추진과정에서 겪는 대표적인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또한, △사업화 자금 확보를 위한 민간투자 유치 연계지원, △시장분석, 사업성조사와 같은 컨설팅 지원 등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화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여건이 불리한 중소벤처기업의 자금 및 판로 지원 강화를 위해, 정부에서 실질적인 지원제도를 강구해줄 것을 요청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간담회에서 ”TIPA는 현재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를 통해 우수한 중소벤처기업이 공공판로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해외 인증・규격 적합제품 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는 등 R&D 성과를 통해 사업화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인증・수출・판로・투자・자금연계 등 다양한 방안으로 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TIPA는 R&D를 통해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사업화 성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생태계적 관점에서의 지원 체계 마련을 더욱 강화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95","atchfileNm":"20210225_(보도자료)_TIPA,_중소벤처기업_RD_사업화_성공사례_발굴_나선다(★★).hwp","viewCnt":"2370","regDate":"2021-03-02 09:31:08"},{"contentId":"127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1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38","contentsKor":"TIPA, `21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추진 - 미세먼지저감 실용화 기술개발사업(75억원, 30개 과제) 공고 -   국민 건강에 밀접한 미세먼지 배출 및 노출 저감분야의 실용화 R&D 지원(최대 1년, 2.5억원 이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미세먼지 저감 실용화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5일부터 3월 29일까지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의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사회적 문제해결 및 대기환경산업분야의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20년에 신설되어 최대 1년, 2억 5천만원 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20년에는 오염물질 배출량이 연간 10톤 미만*인 중소제조사업장과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적용받는 25개 다중이용시설, 학교, 음식점 등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총 43개 과제, 103억원을 지원하고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에 따른 업종별 사업장 분류 기준   특히, 코로나19에 따른 실내생활 확산에 따라 다중 이용 밀접공간 등 실내 공기정화 및 환기를 위한 과제* 등을 지원하였다.   * 요양원, 병원 등 다중 생활 공간의 미세먼지, 바이러스,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기술 개발   아울러, 개발된 과제가 국민이 실생활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국민 눈높이가 반영된 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국민평가단제도*를 도입하여 국민이 공감하는 과제 위주로 선정한 바 있다.   * R&D사업의 공감대 확산 및 국민눈높이를 반영한 국민생활 밀접 과제 선정을 위해 국민이 직접 평가에 참여   올해 `21년은 코로나19 장기화,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화 등에 따라 3밀(밀접·밀폐·밀집) 공간의 공기질 개선 및 코로나19 등 공기를 통한 감염병 전파 예방 등을 위한 과제를 우대 지원하고,   이동오염원 및 비산먼지 분야 등 미세먼지(PM10) 및 초미세먼지(PM2.5) 배출 비중이 높은 분야 등 세부 기술분야를 기존 6개에서 12개로 확대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민간부담 비율을 기존 25% 이상에서 20% 이상으로 낮춰 중소기업 부담을 완화를 추진한다.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다음달 29일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TIPA 이재홍 원장은 “미세먼지 배출 및 노출 저감분야의 실용화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대기환경분야 중소기업 육성과 함께 국민생활 및 건강 증진에 기여하길 바라며,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R&D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기획하겠다.” 라고 밝혔다.   ‘미세먼지저감 실용화 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93","atchfileNm":"20210225_(보도자료)_TIPA,_21년_미세먼지_저감을_위한_기술개발_지원_추진(★).hwp","viewCnt":"2121","regDate":"2021-03-02 09:29:26"},{"contentId":"127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지원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37","contentsKor":"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지원을 위한 MOU 체결 - TIPA・KEPCO・KPX・KORAD 4자간 업무협약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지원을 위해, 한국전력(대표이사 김종갑, 이하 KEPCO), 전력거래소(이사장 조영탁, 이하 ‘KPX’),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사장 차성수, 이하 ‘KORAD’)과 손을 맞잡았다.   ◦ TIPA와 KEPCO 등 3개 에너지 공공기관은 2월 25일(목),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전력연구원에서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중소기업 에너지 기술마켓」의 효율적 운영과 참여기관간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이번 MOU는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 혁신제품의 공공조달 진입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 한국판 뉴딜 이행과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의 성공적인 이행과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 혁신제품의 공공조달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 TIPA가 보유한 인적, 물적 자원과 우수한 평가시스템 등을 적극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 한편 ‘중소기업 에너지 기술마켓’은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우수 기술·제품의 조기 상품화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2020년 10월, 한국전력을 주관기관으로 14개 에너지 관련 공공기관의 참여로 출범하였으며,   ◦ 이번 MOU를 통해서 TIPA는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의 우수기술 및 제품 추천, △우수기업 - 에너지 공공기관과의 매칭데이 개최 등을 통해, 해당 기술 및 제품이 에너지 공공기관의 공공조달 진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할 계획이다.   □ TIPA 장인성 기획조정본부장은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들의 우수한 혁신기술 및 제품이 공공조달로 이어질 수 있도록 KEPCO, KPX, KORAD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에너지 분야 혁신 제품의 공공조달 확대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91","atchfileNm":"20210225_(보도자료)_에너지_분야_중소기업의_혁신성장_지원을_위한_MOU_체결(★).hwp","viewCnt":"2053","regDate":"2021-03-02 09:27:31"},{"contentId":"127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 전문위원회′발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36","contentsKor":"TIPA,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 전문위원회′발족   □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 협력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 전반 자문부터 ODA 사업 자문까지 정책 씽크탱크로서 역할 수행 기대   □ 사업 전반을 자문하는 ‘사업 자문단’과 ODA 사업 추진에 대해서 자문하는 ‘ODA 자문단’ 2개 분과로 구성하여 운영   □ 글로벌 기술 협력 관계분야 전문가 9명으로 구성, 2년 임기제로 운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 협력 지원을 촉진하기 위해, 2월 24일(수), TIPA 기술혁신센터에서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 전문위원회‘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동 위원회는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의 체계적이고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사업 기본계획 수립 자문, △생태계 중심의 해외기술개발협력사업 지원 체계 마련 등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 전반에 대한 정책을 자문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IPA는 동 위원회를 통해 △다양한 국가와의 글로벌 기술 협력 네트워크를 조성하고, △글로벌 R&D 사업 추진 근거 마련, △사업 추진 타당성 검증 등 글로벌 기술 협력 사업 추진체로서의 역할을 견고히 하여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동 위원회 內 분과위원회로써 ’ODA 자문단‘을 추가 운영하여 R&D 기반 국내 우수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해외 공공판로 개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ODA 사업 자문 기능도 수행할 계획이다.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이나 국제기관에 하는 원조   또한, 동 위원회는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ICA(국제협력단) 등 글로벌 협력 기관에서 활동하거나 관련 분야에 참여 경험이 많은 유관 공공기관, 학계, 출연연 등 각 분야의 전문가 9명이 위원으로 위촉돼 격월 단위(1년에 6회 예정)로 활동하며, 전문위원회 격인 ’사업 자문단‘과 분과위원회 격인 ’ODA 자문단’ 2개 분과로 구성해 수시 운영할 계획이다.   TIPA 이재홍 원장은 ”TIPA는 지난 해부터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협력기관 발굴 및 협력을 강화해왔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기술협력 사업 전문위원회를 통해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역량 증대 및 해외 신시장 진출 지원을 적극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89","atchfileNm":"20210225_(보도자료)_TIPA,_글로벌_기술_협력사업_전문위원회_발족(배포)(★).hwp","viewCnt":"1960","regDate":"2021-03-02 09:21:57"},{"contentId":"127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한국도로공사,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26","contentsKor":"TIPA·한국도로공사,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 MOU 체결 - R&D 구매연계 강화 및 성과확산 협조체계 구축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한국도로공사(사장 김진숙, 이하 도공)는 중소기업과 상생의 길을 열고 동반성장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겠다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손을 맞잡았다.   ◦ TIPA와 도공은 2월 23일(화) 경상북도 김천시에 위치한 한국도로공사 본사에서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상호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특별 방역대책에 따라 진행된 이번 MOU는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TIPA R&D지원 사업과 도공의 도공 기술마켓 간 관련 이슈를 공유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체결되었다.   ◦ TIPA는 2002년부터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공공기관, 대기업 등 수요처와 구매협약을 기반으로 개발하는 혁신 기술과제에 대해 R&D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 도공은 2011년부터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도공 기술마켓*” 제도를 만들고 ‘19년부터 기술심사처를 통해 본격적으로 지원한 결과, 최근 2년간 22건, 134억원에 해당하는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하여 기술제안, 공모, R&D 등을 지원하는 한국도로공사의 온라인 플랫폼   □ 양 기관은 단순 지원사업 참여를 넘어서, 상호협력을 더욱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이슈의 발굴 및 개선, ▲중소기업 기술사업화를 위한 판로지원 강화, ▲개발기술 실증을 위한 시험시공(Test-bed) 확대, ▲기술개발 지원사업 발전을 위한 정기적인 실무협의체 운영 등을 추진하여 양 기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MOU 체결은 코로나-19의 어려운 경제상황을 혁신적인 기술개발로 극복하려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도로공사와 협조 체계를 공고히 하는데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 “특히, 기술개발을 성공한 중소기업이 한국도로공사 같은 공공기관에 납품한 실적을 바탕으로 판로를 더욱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viewCnt":"2166","regDate":"2021-02-24 09:10:56"},{"contentId":"127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공장 고도화 위한 R&D 기술수요조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25","contentsKor":"스마트공장 고도화 위한 R&D 기술수요조사 실시 -KOSMO, 『스마트제조혁신 R&D』(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상세기획 착수 -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KOSMO)은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한 범부처 R&D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을 위해, 기술수요조사를 실시한다.   ㅇ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 총 사업비 4,341.25억원(국비 3,287.93억원 등) 규모로 추진*된다고 밝혔다. □ KOSMO는 올해 말 국회에서 ‘22년도 예산이 확정됨과 동시에 동 사업의 원활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내년도 지원과제 상세기획을 위해 기술수요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ㅇ 특히 이번 수요조사의 항목 중 세부기술품목 발굴을 위해 제안 기술명, 키워드, 스마트제조 핵심기술분야, 개발필요성, 개발목표와 내용, 기대효과 등으로 상세히 구분해 실질적인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ㅇ 스마트 제조혁신 R&D 사업에 관심이 있고 참여의사가 있는 기업, 대학 및 연구소, 학회/협회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ㅇ 수요조사를 통해 취합된 자료는 스마트제조 핵심기술인 △첨단제조 △유연생산 △현장적용기술의 세부품목기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ㅇ 조사는 오는 2월 24일(수)부터 4월 20일(화)까지 진행되며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 박한구 KOSMO 단장은 “이번 예타 통과 및 ‵22년 사업 착수로 인공지능·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제조 2.0 전략′을 제조업 전반에 확산, 전격 실행하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라며, “본 수요조사를 통해 제조현장 맞춤형 기술품목 지정 및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65","atchfileNm":"보도자료_KOSMO,_스마트_제조혁신_기술개발사업_예타통과_및_기술수요조사_실시(★).pdf","viewCnt":"2332","regDate":"2021-02-23 16:14:05"},{"contentId":"127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OSMO, 스마트센서 선도프로젝트 기술개발사업 참여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07","contentsKor":"KOSMO, 스마트센서 선도프로젝트 기술개발사업 참여기업 모집 (접수기간 : 2. 15. (월) ~ 3. 18. (목), 18시) 스마트공장 공급기술 고도화를 위한 스마트센서 R&D사업 추진  □ 국내 제조현장에 적합한 맞춤형 스마트센서 기술 개발 사업이 시작된다.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KOSMO)은 ‘스마트센서 선도 프로젝트 기술개발 사업’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 스마트 센서 : 기존 센서에 데이터 처리, 자동보정, 자가진단, 의사결정기능이 결합된 고기능, 고정밀, 고편의성의 고부가가치 센서   ㅇ 스마트센서 선도프로젝트 기술개발사업은 스마트공장의 제조환경에 적합한 ‘제조현장 맞춤형 스마트센서 개발’을 목표로 하며 올해 지원 예산은 109.98억원이다.   ㅇ 예산 내에서 25개 과제 내외를 선정평가를 통해 선발할 예정이며 개발기간은 최대 2년 이내다.   ㅇ 이번 사업은 주관연구개발기관(공급기업)과 공동연구개발기관(도입기업)이 컨소시엄 형태로 신청 할 수 있으며 공동연구개발기관인 도입기업의 공장보유확인(공장등록증 또는 직접생산증명서 등 제출)을 통해 중소기업을 확인받아야 신청 할 수 있다.    □ 이번 사업은 스마트공장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스마트센서 기술을 개발해 스마트제조혁신의 핵심 부품과 솔루션의 경쟁력을 키우고자 추진된다. ㅇ 1차 평가는 신청 기업의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2장 내외 분량의 개념기술서를 통해 서면 평가로 진행되며, 선정기업에 한해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는다. 사업기간 내 기술개발 결과물의 검증 및 현장 적용이 반드시 수행돼야 한다. 관련 실증 비용은 사업비로 계상 가능하며, 정부지원연구개발비는 최대 80%(최대 6억원)까지 지원된다.   - 연구개발(R&D) 사업 신청 시 제출하는 비목별 소요명세서의 경우, 기존의 집행 상세(예정)내역까지 작성하던 방식을 인건비, 시설‧장비비 등 비목별 총액만 작성하도록 변경했다.   ㅇ 사업 신청은 3월 18일까지 진행된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www.smtech.go.kr)에서 확인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40","atchfileNm":"보도자료_KOSMO,_스마트센서_선도프로젝트_참여기업모집(최종).hwp","viewCnt":"1881","regDate":"2021-02-17 15:58:32"},{"contentId":"127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스마트한 기술인재 채용관’ 운영을 통해 위축된 고용시장에서 584명 채용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03","contentsKor":"TIPA,‘스마트한 기술인재 채용관’운영을 통해 위축된 고용시장에서 584명 채용 지원 -온라인 채용관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인재 채용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지난해 9월 중소벤처기업의 구인애로해소 지원을 위해 구축한 “스마트한 기술인재 채용관”이 성황리에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 해당 채용관은 청년들이 취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동시에 우수기술인력 구인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 완화를 위한 온라인 전용 채용관으로,   ○ 채용관 입점, 프리미엄 공고비용 등을 전액 무료로 지원하여 중소벤처기업에서 개별적으로 취업사이트를 통해 구인활동을 할 때 발생하는 약 300만원 상당(1회 공고당)의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 또한, 청년인력 채용이 의무화 되어있는 4억원 이상 고액 R&D 과제를 수행하는 중소벤처기업이 채용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했다,   □ 특히,‘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경영에 어려움을 겪은 다수의 기업이 채용을 미루거나 인원을 감축하는 등 위축된 고용시장 속에서 584명이 취업에 성공하며 성황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 지난해 9월 1일 런칭 이후 12월 말까지 단 4개월 만에 809개사가 참여해 6,421건의 채용공고를 게재하여 101,000여건의 입사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약 350만 건에 달하는 조회 수를 기록했다.   □ 채용관 입점 이후 무려 26명의 인재를 채용한 ㈜드림아이디어소프트의 이제환 대표는 “무료 채용공고 등록 건수의 제한이 없어 활발한 구인활동을 추진할 수 있었다”며 “스마트한 기술인재 채용관 덕분에 기업 이미지 제고와 인지도 개선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전했다.   □ 해당 채용관에 대한 입점기업의 만족도가 높고 상당한 활용 효과에 힘입어 TIPA는 올해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 밝혔다.   ○ 또한, 기업과 구직자에게 정보를 양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재 Pool을 제공하여 구인·구직자의 원활한 매칭 환경을 조성하는 등 채용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추가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고용시장이 위축되며 구인기업과 구직자 모두가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며 “앞으로도 온라인 채용관의 지속적인 운영을 통해 R&D과제를 수행하는 중소벤처기업이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채용할 수 있도록 도와 우수인력을 적극 활용해 사업화 성공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36","atchfileNm":"보도자료_TIPA,_스마트한_기술인재_채용관_운영을_통해_위축된_고용시장에서_584명_채용_지원.pdf","viewCnt":"2095","regDate":"2021-02-16 20:14:18"},{"contentId":"127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재홍 원장 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캠페인 동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70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재홍 원장 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캠페인 동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은 이재홍 원장이 ’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캠페인‘에 동참했다고 17일 밝혔다.   ’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캠페인‘은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어린이 보호를 최우선 문화로 확산하기 위해 정부-지자체-공공기관이 앞장서자는 취지로 행정안전부가 주관해 마련됐다.   캠페인은 행정안전부에서 진행한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선정된 ’1단 멈춤! 2쪽 저쪽! 3초 동안 4고 예방‘ 슬로건*이 담긴 푯말을 든 인증 사진을 SNS에 게시한 후 다음 주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어린이는 횡단보도를 건너기 전 일단 멈춰서 도로 양쪽을 살펴보고, 잠깐 대기한 후 건너는 방어보행 습관을, 운전자는 횡단보도 앞 정지선에서 무조건 멈춰서고, 주위를 살핀 뒤 조금 늦게 출발하는 안전운전 습관을 생활화하자는 뜻이 담겨 있음.   이재홍 원장은 조봉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의 지명을 받아 이번 캠페인 주자로 나섰다.   이재홍 원장은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교통문화 정착을 위해 TIPA도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확산돼 우리나라의 미래인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등하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재홍 원장은 다음 주자로 창업진흥원 김광현 원장, 중소기업유통센터 정진수 대표이사를 지명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34","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이재홍_원장,_어린이_교통안전_릴레이_캠페인_동참.pdf","viewCnt":"1943","regDate":"2021-02-16 20:13:13"},{"contentId":"126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국민과 함께한다, ‵국민 참여 기자단(1기)′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88","contentsKor":"TIPA, 국민과 함께한다, ‵국민 참여 기자단(1기)′모집 □ 2월 19일(금)까지 이메일 접수, 활동 기간은 3월 2일(화)부터 약 10개월간   □ 참여자에 대해서는 TIPA 명예기자증 및 명함 지급 등 활동 혜택까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오는 2월 19일(금)까지 2021년 제1기 국민 참여 기자단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TIPA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키우고,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과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전담하고 있다.   이번 기자단 모집 명칭은 ‵더 브릿지(The Bridge)′로, 앞으로 기자단 운영을 통해, TIPA가 추진하는 사업 및 정책 등 역할을 보다 더 국민의 시선에서 쉽고, 객관적으로 알린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기자단이 본격 가동되면 보다 더 국민의 입장에서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만드는 데 반영하고, 수요자 중심의 홍보 품질 향상이 기대된다.   모집 인원은 총 10명 규모이며, △블로그 등 글쓰기에 관심 있는 리포팅 분야 6명, △유튜브 등 영상 촬영과 편집에 관심 있는 영상 제작 분야 4명으로 구성된다.   활동 내용은 △TIPA가 지원하고 있는 사업 소개, △우수기업 성과 홍보 등으로, TIPA가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 상승과 정책 고객 대상 쉽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류 접수가 완료 되면, 서류 통과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화상면접을 실시하고, 최종 합격자는 2월 26일(금)에 발표할 계획이다. 활동 기간은 3월 2일(화)부터 12월 1일(수)까지 약 10개월이다.   활동 혜택은 TIPA 명예기자증 및 명함이 지급되며, 활동 종료 이후 수료증 수여 및 우수 기자 시상이 예정돼 있다. 매달 소정의 원고료가 지급되며, 활동 우수자를 대상으로 기관장 포상도 준비 중이다.   기자단 모집 공고 등 자세한 내용은 TIPA 홈페이지(www.tipa.or.kr) 및 공식 블로그(https://blog.naver.com/tipa_on)에서 확인할 수 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기관 운영 이래 최초로 도입하는 국민 참여 기자단 모집을 통해 TIPA가 중소벤처기업의 No.1 정보 알림이로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TIPA는 대국민 소통 채널을 더욱 강화하고, 수요자 입장에서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21","atchfileNm":"(보도자료)_TIPA,_국민과_함께한다,_국민_참여_기자단(1기)_모집(최종)(★★).hwp","viewCnt":"2039","regDate":"2021-02-16 11:40:27"},{"contentId":"126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설 명절 맞아 지역 전통시장 희망 나눔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83","contentsKor":"TIPA, 설 명절 맞아 지역 전통시장 희망 나눔 나서! 소상공인 매출 회복 지원을 위해 장보기 진행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2월 9일(수) 대전 한민시장에 방문해 설 명절을 앞두고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에 나섰다.   코로나-19 특별 방역대책에 따라, 방역당국의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최소한의 인원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진행됐다.   이번 방문은 한민시장 상인회와의 간담회를 통해 애로사항을 점검하고, 그 간에 위축된 소상공인 매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 이후, TIPA 임직원들은 온누리 상품권을 활용해 지역 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장보기에 나섰다. 구매 물품은 유성구 노인복지관, 성심보육원 등 지역 독거노인 가정과 소외아동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통시장의 방역관리 지원을 위해, △마스크 1,000장, △휴대용 손소독제 100개 등 방역물품을 기부하기도 했다.   TIPA 이재홍 원장은 이 날 행사 후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전통시장 상인들은 물론 지역 취약계층의 부담이 가중되는 시기이지만, 이번 활동을 통해 조금이나마 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라며, “앞으로도 철저히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지역사회 활력 제고를 위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16","atchfileNm":"(보도자료)_TIPA,_설_명절_맞아_지역_전통시장_희망나눔_나서.hwp","viewCnt":"2297","regDate":"2021-02-09 20:12:56"},{"contentId":"126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 및 스마트공장 사업 정보도 ‵중소벤처24′에서 손쉽게 확인 하세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82","contentsKor":"중소기업 R&D 및 스마트공장 사업 정보도 ‵중소벤처24′에서 손쉽게 확인 하세요   -R&D, 스마트공장 사업공고 조회부터 신청까지 한 번에 해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벤처24(www.smes.go.kr)를 통해, ‵2021년 중소기업 R&D 및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에 대한 공고 조회부터 신청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소벤처24에서 지원사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선, 회원가입 절차가 필요하며, 홈페이지 내 ‘회원가입*’ 메뉴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참고로, 한 번의 회원가입(하나의 아이디)으로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25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 세부 경로 : [중소벤처24 소개] → [이용방법 안내] → [회원 서비스] 또는 상단의 회원가입 메뉴   홈페이지 상단의 「지원사업 신청」메뉴에서 「사업공고 조회·신청」메뉴를 선택하고, 사업유형 하위 메뉴에서 ‘기술개발지원’ 또는 ‘스마트공장 지원’으로 조회하면 사업 정보 확인 및 신청까지 가능하다.   지원사업 신청 시 가점을 받기 위해서 필요한 여성기업 확인서, 벤처기업인증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인증서, 경영혁신형(MAIN-BIZ)인증서, 장애인기업 확인서 등은 기업회원으로 가입 후「증명서 발급」 메뉴에서 바로 발급 받을 수 있다.   한편, TIPA*는 ‵중소벤처24′서비스 전담 운영기관으로써 지난해 8월에 정식으로 서비스를 개시한 후,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이 정부의 지원 정책을 이용하는 데 수월성 관점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중소벤처24의 주요 서비스 내용 및 이용방법은「중소벤처24 소개」메뉴에서「이용방법 안내」를 선택하면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 그 밖의 궁금한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중소벤처24 고객상담 창구인 ‘중소기업통합콜센터(☎1357)’ 혹은 ‘카카오톡플러스 친구(1357 중소기업통합콜센터 채널)’을 통해 문의 가능   TIPA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들이 정책지원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함으로써, 경영안정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서비스 개선에 대한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현장에서 필요한 서비스 수요를 적극 발굴해 서비스 이용 편의성과 품질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14","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RD_및_스마트공장_사업_정보도_중소벤처24에서_손쉽게_확인_하세요_최종본_-_복사본.hwp","viewCnt":"2301","regDate":"2021-02-09 20:11:40"},{"contentId":"126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1년 산학연 Collabo R&D 사업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81","contentsKor":"2021년 산학연 Collabo R&D 사업 공고 □ 산학연 협력R&D 활성화를 통한 중소기업 혁신성장 지원   □ 1단계(예비연구) 과제(8개월, 50백만원 이내), 2단계(사업화R&D) 과제(2년, 4억원 이내) 참여 중소기업 모집 (공고기간 : 1.28(목) ∼3.15(월), 1단계(예비연구) 접수기간 : 2.15(월) ~ 3.15(월)까지, 2단계(사업화R&D) 접수기간 : 3.2(화) ~ 3.10(수)까지 접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벤처기업의 산학연 협력R&D 지원을 위해, 2021년 산학연 Collabo R&D 사업 공고를 지난 1월 28일(목) 실시하고, 오는 2월 15일(월)부터 3월 15일(월)까지 참여 중소기업 및 대학・연구기관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산학연 Collabo R&D 사업은 산학협력 과제(1단계 예비연구・2단계 사업화R&D) 및 산연협력 과제(1단계 예비연구・2단계 사업화R&D) 등 2개의 내역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산학연 Collabo R&D 사업은 기술개발 인력 및 장비가 부족한 중소기업에 대학 또는 연구기관의 전문가 및 연구 인프라를 활용하여 협력R&D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21년 동 사업 신규과제 지원규모는 215억(1단계(예비연구) 72억, 2단계(사업화R&D) 143억), 290개 과제이며, 총사업비(정부출연금+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80%이내에서 지원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12","atchfileNm":"(보도자료)_산학연_Collabo_RD_사업_공고(최종)(★).hwp","viewCnt":"2411","regDate":"2021-02-09 20:09:52"},{"contentId":"126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신청 더 쉽고 빨라진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80","contentsKor":"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신청 더 쉽고 빨라진다. □ 신청서류 간소화, 선정평가 시 비대면 원스톱 평가 최초 도입   □ 디딤돌(첫걸음) 과제(기업당 최대 1년, 1.5억원), 전략형(4IR・소부장) 과제(기업당 최대 2년, 4억원) 규모로 지원 (접수기간 : 2.9(화) ∼ 2.25(목))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의 성장 촉진을 지원하기 위해, ‘21년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1차 공고를 지난 1월 26일(화) 실시하고, 오는 2월 9일(화)부터 2월 25일(목)까지 약 20일간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은 디딤돌(첫걸음) 과제 및 전략형(4IR*・소부장**) 과제 등 2개의 내역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 4IR : 4차 산업혁명 분야 / ** 소부장 : 소재・부품・장비 분야   동 사업은 업력 7년 이하, 전년도 매출액이 20억원 미만인 창업기업 중 과제별 자격기준을 충족하는 중소기업이면 신청할 수 있다. 올해부터는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을 신청하는 중소기업의 행정 부담을 대폭 완화하기 위해 △신청서류 간소화, △비대면 원스톱 평가 최초 도입 등 평가의 효율성・공정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R&D 사업 신청 시 제출하는 비목별 소요명세서의 경우, 기존의 집행 상세(예정)내역까지 작성하던 방식을 인건비, 시설・장비비 등 비목별 총액만 작성하도록 변경하는 등 기업의 신청 부담을 개선했다.   특히, 기존의 선정평가 방식인 단계별 평가 (2단계(서면+대면평가))에서 제출된 서류에 대한 서면(온라인) 검토 후 필요한 정보에 대해 비대면으로 발표를 진행하는 원스톱 평가 (1단계)로 개선한다.   신청기업은 단계별 서류제출의 부담이 줄고 단계별 결과를 기다릴 필요 없이 한 번에 평가를 받아 편리해지며, 코로나 시대에 부합하는 비대면방식 평가를 통해 예년 대비 빠른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스톱 평가 방식은 초기 창업기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디딤돌과제(첫걸음)에 우선 도입되며, 추후 수요에 따라 세부과제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사업 신청은 2월 9일(화)부터 2월 25일(목)까지 신청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610","atchfileNm":"(보도자료)_창업성장_기술개발사업_신청_더_쉽고_빨라진다(최종)(★).hwp","viewCnt":"2167","regDate":"2021-02-09 19:38:17"},{"contentId":"126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1년 연구기반 활용플러스 사업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74","contentsKor":"2021년 연구기반 활용플러스 사업 공고   □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연구개발 기반조성을 위하여 대학·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연구시설·장비 및 서비스의 공동활용 촉진   □ 기업선도형 과제(기업당 최대 1년, 10백만원), 기반플러스형(기업당 최대 1년, 50백만원) 참여 중소기업 모집 (공고기간 : 1.28(목) ∼11.30(화), 주관 연구개발기관 접수기간 : 2.24(수) ~ 11.30(화), 운영기관 접수기간 : 2.10(수)부터 상시 접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개발 기반 조성을 위해, 2월 24일(수)부터 11월 30일(화)까지 2021년 연구기반 활용플러스사업공고를 시행한다 밝혔다.   동 사업은 ’21년 신규사업으로 총 지원 예산은 83억원(기업선도형 20억원, 기반플러스형 63억원)이며, 바우처 형태로 이용료를 지원한다. 그간 중소기업 연구시설·장비 공동활용 지원을 통해 경제적·기술적 성과 등 다양한 우수성과를 창출해 왔다.   ㅇ ㈜테토스는 ’19년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집속이온빔장비(FIB-SEM), X선광전자분광기(XPS) 등의 공동활용 연구장비를 활용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기술을 확보하였으며, 매출액 증가 및 고용창출 성과를 거두었다.   * 매출액 : (´18) 64억원 → (´19) 100억원, 고용창출 : (´19) 6명(직접 2명, 간접 4명)   ㅇ ㈜옵토레인은 ’19년 한국나노기술원의 자동 자외선 노광기(8inch) 등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공동활용 연구장비를 활용하여 체외진단기기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실시간유전자증폭(PCR) 검사기기를 국산화하는데 성공하였다.       2021년 연구기반활용플러스 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소기업 선택 폭 확대를 위한 연구시설·장비 서비스 강화   ➊ 중소기업이 원하는 연구시설·장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구장비관리시스템(ZEUS, 과기부)에 등록된 모든 공동활용 연구장비*를 바우처와 연계하여 활용한다.   * 연구장비관리시스템(ZEUS) 등록 연구장비 : 33,745점 (‘20.10 기준)   ➋ 중소기업은 첨단기술개발을 위해 첨단연구장비(슈퍼컴퓨터, 방사선가속기 등)를 보유하고 있는 대학·연구기관과 연계하여 첨단 인프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첨단연구장비 보유 기관 현황 - 슈퍼컴퓨터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동명대학교 - 방사선가속기 : 포항가속기연구소   연구장비 접근성 확대 및 효율적인 바우처 사용 지원   ➊ 연구장비 공동활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중소기업을 위해 ‘R&D 인프라 연계 지원단’을 구성하여 중소기업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공동활용 연구장비 발굴 및 사용 등 애로사항을 해소한다.   * R&D 인프라 연계 지원단은 연구시설·장비를 보유한 운영기관의 사업 및 장비 담당자로 구성되며, R&D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보 중소기업 발굴 및 사업 홍보, 장비 보유기관추천, 연구장비 사용(시험·분석 등)에 관한 컨설팅 등을 지원   ➋ 실수요가 있는 중소기업이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 유효기간을 45일로 조정하고, 바우처를 50% 이상 환불한 기업은 차년도 사업 참여 제한을 통해 바우처 순환을 촉진한다.   ➌ 중소기업이 필요한 시기에 바우처를 활용할 수 있도록 상·하반기에 분할 발행*하여 바우처 조기소진을 방지하고 하반기 중소기업 수요를 충족한다.   (상반기) 총 예산의 70%, (하반기) 총 예산의 30% 사업 신청은 2월 24일(수)부터 11월 30일(화)까지 신청 가능(신청 기간 내 예산 소진 시 지원 종료)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및 연구기반공유시스템(https://rss.auri.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96","atchfileNm":"(보도자료)_2021년_연구기반_활용플러스_사업_공고(최종)(★).pdf","viewCnt":"2823","regDate":"2021-02-08 15:34:20"},{"contentId":"126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0년 공군을 빛낸 단체상' 수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7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0년 공군을 빛낸 단체상’수상   공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와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 등 상호협력 활동에 대한 공로 인정받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2020년 공군을 빛낸 단체로 선정되어 공군 참모총장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 공군은 2001년부터 매년 공군 발전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선정하고 있으며, TIPA는 부문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하였다.   ◦ 당초 공군에서 대면시상식을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지난 8일 공군 진영승 정보화기획참모부장이 직접 TIPA를 방문하여 상을 전달하였다.   □ TIPA는 지난 2020년 5월, 공군과 상호협력 합의서를 체결한 이후 공군에 정책자문을 제공하고 중소기업 기술개발 관련 공동 지원체계를 수립하는 등 공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와 중소벤처기업 육성 활성화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   ◦ 특히,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과 공군 간 협력기술개발을 위한 「과제발굴-기술개발-사업화-구매」, 전주기 지원을 위한 공동 협력체계를 수립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 이를 위해 중소벤처기업이 보유기술의 실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공군의 실험환경을 개방하여, 기술개발 아이디어 창출 및 개발제품의 신뢰성 제고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 이날 시상식에서 TIPA 이재홍 원장은 “공군과의 협력과 교류를 통해 큰 상을 받게 되어 영광이다”며, “중소벤처기업이 국방 분야 협력기술개발을 통해 많은 성과를 창출하고, 공군이 스마트국방을 목표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94","atchfileNm":"(보도자료)_공군을_빛낸_단체상_수상.pdf","viewCnt":"1951","regDate":"2021-02-08 15:33:09"},{"contentId":"126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이 해외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신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국제협력 R&D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72","contentsKor":"TIPA,  중소기업이 해외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신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국제협력 R&D 지원  - 러시아 원천기술 활용 R&D 과제 신청·접수 - (공고기간 : 1.27(수) ∼4.21(수), 접수기간 : 3.8(월) ~ 4.21(수), 18시까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원천기술 확보 및 신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21년 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사업 공고를 실시하고, 오는 3월 8일(월)부터 4월 21일(수)까지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 해당 사업은 정부의 신북방 정책에 따라 지난 해 신규 추진된 사업이며,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러시아의 수요·공급기술을 활용하여 사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기술개발 지원 사업이다.   ㅇ 러시아의 원천기술을 이전받아 국내 중소기업이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는 공급기술 개발형과 러시아 현지의 수요에 따른 맞춤형 기술을 개발하는 수요기술 개발형으로 유형이 구분되어 있다.   ㅇ 지원 자격은 공고문과 함께 공지된 수요·공급기술을 보유한 러시아 기업으로부터 기술협력의향서*를 확보한 중소벤처기업으로, 선정평가 절차를 거처, 최종 선정된 기업은 최대 2년간 4억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 국내 중소기업과 러시아의 기관(기업) 간에 기술이전, 도입 및 제품·기술의 구매 등을 위한 의지를 표명한 문서   ㅇ아울러 중소벤처기업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되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특별지침」에 따라, 민간 부담금이 총 사업비의 35%에서 20% 이내로 축소되었다.   □ 또한, 올해는 러시아 수요·공급기술 개요서를 영/국문으로 동시 제공하여 원활한 기술 탐색을 지원하고 있으며, 한-러 간 언어장벽에 따른 기술협력 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상용화지원기관(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러혁신센터)을 통한 의사소통도 지원할 예정이다.   □ 뿐만 아니라 COVID-19 상황과 국제협력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소기업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한 달 내외의 공고기간을 약 12주로 확대하였다.   ㅇ 사업 관계자는 한-러 간 기업문화 차이에 따라 협의기간이 예상보다 오래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서는 조속히 수요·공급기술을 탐색하고 세부 기술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하기를 권장하였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10월에 개최한 러시아 현지 과학기술 행사인 오픈이노베이션 포럼에서 지원기업의 기술이전 계약을 비대면으로 지원하기도 했다”며,   ㅇ “COVID-19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경제 활동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중소벤처기업의 새로운 도전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만드시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TIPA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의 수요 기반의 국제협력 사업 확대를 위한 수요조사도 함께 진행 중이며,   ㅇ 동 사업에 대한 안내자료 및 수요조사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수요조사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R&D사업 관련 공지사항] → [(3013번 게시글) ‘중소기업 글로벌 기술협력 R&D사업 기획을 위한 수요조사, ~2.26까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9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이_해외원천기술을_확보하고_신시장에_진출할_수_있도록_국제협력_RD_지원(최종)(★).pdf","viewCnt":"2130","regDate":"2021-02-08 10:08:57"},{"contentId":"126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1년 중소기업 Tech-Bridge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 상반기 과제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67","contentsKor":"’21년 중소기업 Tech-Bridge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 상반기 과제 공고 □ Tech-Bridge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95억원, 20개 과제)상반기 과제에 참여할 중소기업 모집 (접수기간 : 2.16(화) ~ 3.2(화))   □ 소재‧부품‧장비의 조기 국산화를 위해 대학·연구소에서 보유한 핵심기술의 중소기업 기술이전 및 상용화 기술개발 지원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자립과 조기 국산화를 위해 소부장 전용 기술이전 및 후속 상용화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1월 29일(금)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21년 상반기 중소기업 Tech-Bridge*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을 1월 29일(금)부터 3월 2일(화)까지 공고한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및 조기 국산화를 위해 ‘19년 8월 국무회의에서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된 사업이다.   ’27년까지 총사업비 2,525억원(정부 1,912억원, 민간 613억원)으로 240개 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며, ‘20년에는 50개 과제를 발굴하여 125억원을 지원하였고, ’21년에는 상·하반기 모두 40개 과제, 9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상반기 지원대상 과제는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발굴된 과제 중 산·학·연 전문가 검토를 통해 확정한 202개 공모과제(RFP, Request For Proposal)이다. 중소기업이 공모과제에 대해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평가하여 20개 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의 상용화 기술개발 과정에는 기술을 이전한 대학·연구소가 반드시 참여함으로써 이전기술 노하우를 전수하고 기술개발을 신속하게 추진하도록 한다.   기술개발 자금지원 외에도 기술보증기금에서 운영 중인 IP인수 보증* 및 사업화 보증**과 연계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이전 부담을 완화하고 사업화 성공률을 높일 예정이다.   * (IP인수 보증) IP 인수 추진 기업에게 IP인수를 위한 자금(착수금, 기술료 등) 보증 ** (사업화 보증) R&D 완료 후 양산에 소요되는 운전, 시설자금 보증   또한, 코로나19에 따른 기업의 부담경감을 위해 중소기업 기술개발(R&D)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의 민간부담금 비중과 현금부담 비중을 낮추고 기술료 납부를 연장(최대 2년)한다.   사업 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2.16일부터 3.2일까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84","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1년_Tech-Bridge활용상용화기술개발사업.pdf","viewCnt":"2121","regDate":"2021-02-05 09:49:18"},{"contentId":"126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1년 1차 중소기업 공정ㆍ품질 기술개발사업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63","contentsKor":"‵21년 1차 중소기업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 공고   □ 혁신형R&D 일반과제(40억원, 54개 과제), 현장형R&D(107억원, 215개 과제) 참여 중소기업 모집 (공고기간 : 1.29(금) ∼3.2(화), 접수기간 : 2.15(월) ~ 3.2(화))   □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을 감안해 연구비 부담비율 대폭 완화 - 총 사업비 중 민간부담금 : (기존) 25~35% → (개선) 20% 수준 민간부담금 중 현금 비중 : (기존) 50% → (개선) 10% 수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의 제조 경쟁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2021년 제1차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공고를 실시하고, 오는 2월 15일(월)부터 3월 2일(화)까지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은 혁신형R&D 일반과제 및 현장형R&D 등 2개의 내역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혁신형R&D 일반과제는 스마트공장을 구축하였거나 구축예정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산・학・연 기관과의 협업 지원을 통한 공정혁신 R&D를 지원하며, 기업당 최대 2년간 2억원 이내의 규모로 지원한다.   현장형R&D는 자금력이 부족한 제조 소기업을 대상으로 △불량률 감소, △원가절감 등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현장 맞춤형 공정 R&D를 지원하며, 기업당 최대 1년간 5천만원 이내의 규모로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에 따른 중소기업의 자금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동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총 사업비 중 민간부담금 비중 완화(25~35% → 20%로 개선), 민간부담금 중 현금 비중 완화(50% → 10%로 개선) 등 연구비 부담을 대폭 완화했다. 한편, 올해 1월 1일부터 시행된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라 자율적이고 책임 있는 연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연구자의 행정 부담을 대폭 개선한다. 사업 신청 시 제출하는 비목별 소요명세서 등 구비서류 및 절차를 대폭 간소화했다.   아울러, 동 사업은 제조 현장의 공정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등 제조 중소기업의 성장에 지속적으로 기여해 왔다.   동 사업에 참여했던 A社의 경우, 제조공정 혁신을 통해 제품 생산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여 기술개발 기간 종료 이후, △고용은 24명 증가(34명→58명), △제품 매출은 약 200억원 달성(연평균 매출 14.6% 성장), △원가절감은 11억원을 달성하는 등 실효적 성과를 얻기도 하였다.   사업 신청은 2월 15일(월)부터 3월 2일(화)까지 신청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사업 신청 경로 : [종합관리시스템] → [정보마당] → [알림마당] → [R&D 사업공고]","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90","atchfileNm":"(보도자료)_21년_1차_중소기업_공정_품질_기술개발사업_공고(최종)(★★).pdf","viewCnt":"2239","regDate":"2021-02-04 11:49:01"},{"contentId":"126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1년 중소기업이 주목해야할 39개 핵심기술분야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661","contentsKor":"2021년 중소기업이 주목해야할 39개 핵심기술분야 선정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공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대기업에 비해 연구개발 여건이 불리한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매년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을 수립해 발표하고 있다.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은 미래유망 기술 분야 및 전략제품을 선정하여 공표함으로써, 중소기업이 미래 신산업을 발굴하고, 신비즈니스로 연결하는 통찰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타 부처 기술로드맵과는 달리,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기술의 미래성장 방향성을 고려하여 중소기업에 맞춤화된 단기(3년 단위) 중심의 상용화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즉시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기술로드맵에서는 ’21년부터 ‘23년까지 3년간 향후, 중소기업의 기술개발(R&D) 역량을 촉진할 39대 분야, 296개 전략제품을 신규 발굴*해 공개했다.   * 4차 산업혁명분야 (20대 분야, 138개 전략제품), 중소기업성장분야 (10대 분야, 59개 전략제품), 소재·부품·장비 분야 (9대 분야, 99개 전략제품) 으로 구성 (붙임 참조)   특히, TIPA는 `20년부터 전략기술로드맵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기업 현장의 수요를 정확하고, 적시성 있게 반영하기 위한 노력으로, 일부 품목에 R&D 수요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국민 참여형 방식’을 도입했다.   이는 그동안 소위 ‘위원회’ 중심의 소수 전문가 의견을 기반으로 도출되던 방식을 개선하여, 여러 이해관계자(전문가, 국민 등)의 다양한 기술 수요를 종합적으로 수렴 및 분석하여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작년부터 비대면 방식의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재밍, Jamming) 방식을 통해, 인공지능 분야에 시범 적용하였으며, 현장 니즈를 반영한 유망한 기술과 제품을 발굴하는 데 적용했다. 또한, 온라인 기술수요조사를 상시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 밖에, 심사 과정에 있어서도, 시장성 검증이 필요한 분야에 대해서는 국민평가단, VC(투자심사역) 등 100명으로 구성된 ‘전략제품 시장성 검증위원회’를 통해 국민이 제안한 유망기술의 시장성 평가 결과를 전략제품 선정과정에 반영했다.   각 분야별 분석보고서, 소개 영상 등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홈페이지(smroadmap.smtech.go.kr)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유튜브 채널(https://url.kr/hyzwok)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   아울러,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을 통해 발굴된 △4차 산업혁명 분야, △중소기업 성장분야, △소재・부품・장비 분야 전략제품을 ‘21년 R&D 과제 공모 시 품목지정 연계사업을 통해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사업별 공고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올해 2월부터 로드맵 기획 과정에서 국민 참여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재밍, Jamming) 적용 분야를 확대하고, 위키피디아(온라인 사전)*와의 연계 등을 통해 수요자 중심으로 제작해나갈 계획이다.   * 위키피디아 방식 : 다양한 민간전문가의 집단지성을 활용하는 인터넷 백과사전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은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중소벤처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전략적인 나침반 같은 역할을 할 것“이라며, ”중소기업이 올바른 방향으로 R&D를 수행해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72","atchfileNm":"(보도자료)_2021년_중소기업이_주목해야할_39개_핵심기술분야_선정(★).pdf","viewCnt":"3580","regDate":"2021-02-03 19:45:16"},{"contentId":"125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1년 중소기업 기술혁신·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상반기 과제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596","contentsKor":"’21년 중소기업 기술혁신·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 상반기 과제 공고   □ 기술혁신(527억원, 248개 과제), 창업성장(620억원, 443개 과제) 사업상반기 과제에 참여할 중소기업 모집 (접수기간 : 2.9(화) ~ 2.25(목))   □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을 감안해 민간부담금 경감, 행정지원을 위한 전담 상담자 연결 등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부담완화 2021년 중소기업 기술혁신·창업성장 기술개발 사업의 자세한 내용은 붙임 자료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04","atchfileNm":"2021년_창업성장_기술혁신_기술개발지원사업_공고.hwp","viewCnt":"2228","regDate":"2021-01-26 14:23:59"},{"contentId":"125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0년 중소기업 R&D 지원사업 우수기업 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595","contentsKor":"TIPA, ‘2020년 중소기업 R&D지원사업 우수기업 사례집’ 발간 -50개社의 생생한 성장스토리를 전달하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50개 기업의 생생한 성장과정을 담은 사례집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 본 사례집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15,800여개 기업 중 기술적, 사업적 성과가 탁월한 기업의 사례와 미래기술을 준비하는 중소기업의 사례를 발굴하여 추진되었다.   □ 이번 우수사례로 선정된 50개 기업은 세계시장 선도, 고도화‧원가절감, 국산화‧수입대체 등의 기술적 우수성을 갖춘 중소기업 및 친환경 기술, 정보통신 기술융합, K-의료산업‧비대면 등 미래유망 기술을 개발하는 중소기업으로,   ◦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기술혁신으로 기업성장을 이룩한 과정을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담아내어 사례집을 구성하였다.   ◦ 이를 위해 중소기업 사전 설문조사, 대표이사 인터뷰 등을 추진하고, 사례집에는 회사 및 기술개발 제품 소개, 기업 성장과정 및 성공요인, 사업화 성과 등 기업의 성장스토리를 비롯한 기업 현장사진까지 수록하여 생생함을 더했다.   □ 특히, ㈜화인은 기존 협력하던 고객사의 경쟁력 하락으로 관련 사업 부문의 존폐 기로에서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바꾸어 짧은 기간에 회사를 안정화하고 30억원 매출증대라는 긍정적 효과를 이끌어냈다.   ◦ 또한, ㈜디알젬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2012년 당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모바일 DR시스템* 개발에 뛰어들었다. 성공적인 개발로 국산화에 성공하여 `15~16년 터키 보건성 1,000만달러 입찰 수주를 발판으로 해외시장을 적극 개척하고 `20년도 도미니카공화국, 영국에도 수십억 원 상당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쾌거를 이루었다. *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포터블 고화질 X-Ray 촬영기술   □ '2020년 중소기업 R&D지원사업 우수기업 성장스토리’는 사례집 책자 외에도 E-Book, 카드뉴스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TIPA의 SNS채널(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블로그)과 웹진, 뉴스레터를 통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대국민 접근성을 높였다.   ◦ 또한, TIPA 기관 대표 홈페이지(www.tipa.or.kr)와 함께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www.smtech.go.kr)에도 우수사례집을 등록해 상시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발간한 우수기업 성장스토리 사례집을 통해 그간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의 역할과 참여가 생소하다고 느끼셨을 국민과 중소기업인에게 많이 알려지기를 바란다”고 밝히고,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된 R&D 지원을 통해 더 많은 우수성과가 지속 발굴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502","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0년_중소기업_우수_기업_사례집_발간.pdf","viewCnt":"2883","regDate":"2021-01-25 17:39:41"},{"contentId":"125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과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전력을 다하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561","contentsKor":"TIPA,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과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전력을 다하겠다.” -이재홍 원장, 주요 간부진과 함께 대전현충원 참배하며 새해 각오 다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재홍 원장을 비롯한 임직원 대표 10여명은 1월 5일(화)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현충탑에 참배하며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넋을 기렸다.   □ 이재홍 원장은 방명록에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과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전력을 다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2021년 기준 중소기업 기술혁신 R&D 예산 1조 3,600억원, 스마트공장 예산 4,400억원 규모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명실상부한 중소벤처기업 지원 핵심기관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 이날 현충원 참배는 코로나 19 확산세에 따라 참여인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요 임직원만 동행했으며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진행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431","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벤처기업_기술혁신과_스마트공장_고도화에_전력을_다하겠다_수정.pdf","viewCnt":"2429","regDate":"2021-01-08 20:34:20"},{"contentId":"124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소상공인R&D(BM개발)사업 지원기업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95","contentsKor":"TIPA, 소상공인R&D(BM개발)사업 지원기업 간담회 개최 -소상공인 디지털화 지원제도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제도 개선 의견을 반영하여 후속 지원 활동에 적극 반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이 18일(금) 판교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에서 “소상공인생활혁신형R&D사업(이하 소상공인R&D사업) BM개발과제”에 선정된 10개 기업 대표자와 함께 그간의 사업추진 주요경과를 공유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비대면 화상 간담회를 개최했다.   □ ”소상공인R&D사업 BM개발과제“는 최근 온라인 쇼핑의 증가,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따른 소비․유통트렌드 변화에 소상공인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서비스 혁신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소상공인 서비스 혁신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을 발굴하여 BM기획 과정(7~11월)을 거친 후에 10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였고, 향후 2년 동안 최대 4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한다.   □ 이번 비대면 화상 간담회를 통해 소상공인R&D사업의 활성화 및 현장 보급 확산을 위한 중소기업들의 건의와 개선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 (마케팅 플랫폼 관련 A대표) 소상공인 매장들간의 협업 사례와 대표적인 우수 성과를 정부 차원에서 발굴하여 홍보함으로써 다른 소상공인 업종으로 파급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   ◦ (AI 무인판매 관련 B대표) 개발 완료된 기술과 서비스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소상공인들의 초기 도입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필요한데 정부 차원의 후속 지원 사업이 중요할 것임   ◦ (스마트 POS 관련 C대표) 지역화폐, 상거래, 결제 등 유통 관련 디지털 인프라를 활용한 사업모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자체나 정부 기관의 관심과 협조가 필수적임   □ 본 사업으로 개발된 제품과 서비스가 소상공인들에게 성공적으로 보급 확산되기 위해서는 관련 공공 기관들의 협조, 사업화자금 추가 지원 등 후속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   ◦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 등 다양한 소상공인 지원사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부와 협의하여 우수한 기술개발 결과물이 소상공인 현장에 보급되도록 노력하고   ◦ 기술보증기금과 협력하여 추가 기술개발비 및 기술개발이 끝난 후 사업화자금을 보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내년부터 도입하고, 보증 심사 과정에서 우대조건*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대출금리 인하(1~2%p), 보증료 감면(0.3%p), 보증금액 상향 등   □ 기정원과 간담회 참여 중소기업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최하는 ’2020 크리스마스 마켓‘ 행사에 적극 동참하여 어려움에 처한 소상공인을 돕고, 소상공인 디지털화 전환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 이번 행사는 성탄 소비 주간을 겨냥해 온라인플랫폼 30여개, 전통시장 300개 및 동네슈퍼 2500여개, 소상공인․중소기업 1만21천개 등이 참여하는 대대적 할인 판촉행사로, 올해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가치삽시다 플랫폼, 네이버, 카카오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라이브 마켓으로 진행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이재홍 원장은 “본 지원사업은 어려운 소상공인이 새로운 미래 먹거리가 될 가능성이 높은 비즈니스모델을 발굴하는 중요한 사업” 이라고 강조하면서, ”아이디어와 R&D지원만으로 끝나지 않고 실제 소상공인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기정원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337","atchfileNm":"보도자료소상공인RD지원기업_비대면_간담회.pdf","viewCnt":"2662","regDate":"2020-12-22 21:43:12"},{"contentId":"124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20 ‘기술창업기업 IR데모데이’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60","contentsKor":"2020 ‘기술창업기업 IR데모데이’ 개최 - 10명의 투자자와 함께 기술창업기업 12개사의 IR데모데이 진행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사)한국엔젤투자협회가 기술창업기업의 투자유치 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12월 16일(수) 서울 역삼동 강남스타트업센터에서 ‘2020 기술창업기업 IR데모데이’를 공동 개최한다.   * 일시 : 2020년 12월 16일(수) 14:00 ~ 17:30 장소 : 강남스타트업센터 5층 이벤트홀 (강남구 역삼로 177 소현빌딩)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기술개발에 성공한 경험이 있는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R&D 이후 투자유치 등 사업화 지원을 위해 추진하는 대회이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 창업기업(7년 이내, 매출액 20억 미만)을 대상으로 1~2년 동안 1.5~5억 원을 지원하는 국내 기술창업R&D 지원의 대표 사업   □ 본 대회에 참여하는 기술창업기업 12개 사는 11월부터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통해 투자 기초교육 및 상담회, 집중 컨설팅을 진행하여 최종 무대인 IR데모데이에 오르게 된다.   * 투자유치대회 참가기업(발표 순) : △고려생활과학(전성훈 대표), △(주)리츠(강경욱 대표), △주식회사 에이엘에이엔(류동하 대표), △길재소프트 주식회사(이상림 대표), △(주)세이프인(박종민 대표), △(주)천년미인(박인주 대표), △엑사비스 주식회사(이시영 대표), △(주)라온에이엔씨(조연수 대표), △주식회사 마스터비디(이태완 대표), △㈜엘스텍엔바이런먼트(박승일 대표), △비단바이오테크(김금성 대표), △(주)리플레이(이도엽 대표) □ 심사위원 전원을 팁스 운영사로 배치하여 참여기업들이 향후 팁스 창업기업에 선발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특강으로는 ‘기술벤처 동향 및 투자유치 전략’이라는 주제로 인라이트벤처스 김용민 대표가 기술창업기업에게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 IR데모데이 심사 결과 우수기업 3개 팀에게는 총 이백만원 상당의 상품이 지급되며, 본 대회 참가기업 12개사의 IR자료는 팁스 운영사와 공유하여 투자유치 검토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이재홍 원장은 “이번 2020 기술창업기업 IR데모데이가 기술창업기업과 투자자간의 네트워킹 및 적극적인 투자유치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창업기업을 위해 지속적이고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행사 참가신청은 온오프믹스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며 본 행사 한국엔젤투자협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 생중계 진행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오프라인 참관객 모집은 받지 않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313","atchfileNm":"보도자료2020_기술창업기업_IR데모데이_개최.hwp","viewCnt":"2579","regDate":"2020-12-16 09:11:35"},{"contentId":"124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기부 산하기관 최초 인권경영시스템 인증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5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12월 14일,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 최초로 인권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인권경영시스템 인증제도는 조직의 인권경영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우수성을 평가 후 적합한 기관에게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 TIPA는 지난 9월부터 12월 초까지 이어진 한국경영인증원의 인권경영시스템 인증심사를 거친 후 최종 승인되었다.   □ TIPA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경영매뉴얼에 따라 2019년도 시스템 본격 도입 후 올 한 해 동안 시스템 고도화 및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인권존중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해왔다.   ◦ 특히 협력업체의 인권의식 내재화 노력을 위한 인권존중서약서 도입, 공정한 계약제도의 운영, 외부 인권조사관 선임을 통한 인권구제절차제도 운영 성과 등을 인정받았다.   ◦ 이 밖에도 기관운영 및 주요사업에 대한 정기적인 인권영향평가 실시와 인권경영위원회를 통한 개선과제 이행 실적 점검, 내부 인권경영지수의 고도화 등 지속적인 환류체계 고도화 노력을 높게 평가받았다.   □ 이재홍 원장은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권경영체계의 안정적인 운영이 선결되어야한다”며, “앞으로도 내‧외부 이해관계자의 인권증진을 위한 노력을 거듭하여 인권경영 선도기관으로 나아가겠다”며 소감을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312","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기부_산하기관_최초_인권경영시스템_인증_획득.hwp","viewCnt":"2658","regDate":"2020-12-16 09:10:07"},{"contentId":"124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지원사업, 코로나 위기 속 글로벌 도약의 원동력이 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52","contentsKor":"중소기업 R&D지원사업, 코로나 위기 속 글로벌 도약의 원동력이 되다. -TIPA,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한 코로나19 체외진단기기 제조·수출기업의 `20년 매출이 2조원을 넘을 것으로 밝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코로나19 체외진단기기 제조 및 수출기업(이하 체외진단기업)”*중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한 기업의 성과를 조사한 결과, 2020년 매출(추정)이 2조 314억원(평균 423.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출처)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 제조 및 수출기업 정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산업종합정보시스템(KHIDI), ’20.7.03 기준   ◦ 이 결과는 체외진단기업(66개사, `20.7.03) 중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한 52개사(78.8%, 52/66개)를 대상으로 한 성과조사(응답률 92.3%)에서 확인되었다.   ◦ 이 조사에서는 체외진단기업이 매출, 수출, 일자리 측면 모두에서 괄목할만한 성과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매출) ’20년 매출액 합계(추정)는 2조 314억원(평균 423.2억원)으로 ’19년 매출액 합계 7,198억원(평균 149.9억원) 대비 2.8배 증가 되었으며, - (수출) ’20년 수출액 합계(추정)는 1조 4,391억원(평균 299.8억원)으로 ’19년 수출액 합계 3,470억원(평균 72.3억원) 대비 4.1배 증가 하였다. - (일자리) 일자리 부분에서도 전년대비 약 18.4%(768명)의 인력을 추가 고용하여 일자리창출에도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 ’19년 4,159명(평균 86.6명) → ’20년 4,927명(평균 102.6명) 채용, 18.4% 증가   □ 이러한 중소기업의 도약에는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체외진단기업 48개에게(응답기업) 평균 3.8개 과제, 평균 10억원의 R&D자금을 지원하였으며, 선제적으로 연구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코로나19 위기를 맞아 민첩하게 대응 할 수 있었다.   ◦ 특히, 기술혁신개발사업과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수행하여 면역진단키트 개발기술을 확보한 A사는 코로나19 간편진단키트를 개발하여 `19년 매출액 0.3억원에서 `20년 1,000억 매출 달성(약 3,300배 증가)을 기대하고 있다.   - 또한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검체채취키트 생산성을 향상시킨 B사는 수출액이 `19년 3억원에서 `20년 700억원(약 230배 증가) 달성이 예상되는 등 다수의 기업이 코로나19라는 위기를 기회삼아 도약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체외진단기업에게 코로나19 체외진단 제품개발에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이 도움되었는지 문의한 결과 응답기업의 81.3%(39/48개)가 체외진단제품 출시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 지원된 R&D예산은 ①연구개발비 활용(43.3%), ②연구인력 채용(28.9%), ③기술전문가 활용(13.3%), ④연구장비·시설 구축(12.2%) 등에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K-방역의 핵심인 체외진단기기의 79%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선제적으로 개발되고 탁월한 성과를 거둔 것은 중소벤처기업 R&D지원 방향이 미래사회의 변화를 고려한 결과라면서   ◦ “앞으로 닥쳐올 예측 불가한 미래에 중소벤처기업이 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R&D지원 뿐만 아니라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300","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RD지원사업,_코로나19_위기_속_글로벌_도약의_원동력이_되다.pdf","viewCnt":"3061","regDate":"2020-12-07 18:18:53"},{"contentId":"124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그린벤처 프로그램 지원기업 비대면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5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그린벤처 프로그램 지원기업 비대면 간담회 개최   4일(금) 판교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에서 그린벤처 프로그램 지원기업 20개사 대상으로 향후 개선방향 논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이 4일(금) 판교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세미나실에서 `20년 그린벤처 프로그램에 선정된 20개 기업 대표자와 함께 그간의 주요경과 공유 및 향후 사업 개선방향 논의를 위해 비대면 간담회를 개최했다.   □ ”그린벤처 프로그램 지원사업“은 미래 기후변화 및 환경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환경부가 협업하여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선별해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프로그램으로,   ◦ 올해 3차 추경예산(205억원)으로 20개사를 선정하여 기술개발과 사업화 자금을 최대 3년에 30억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 사업 상세내용은 붙임(사업소개) 참조   □ 이날 간담회에서는 그린벤처 프로그램 지원사업의 추진경과 공유와 지원기업 대표자에게 그린뉴딜의 정책적 이해도 제고를 위해 ”그린뉴딜 정책동향과 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비대면 강의(녹색전환연구소 이유진 이사)도 함께 진행하였다.   ◦ 이유진 이사는 정책적 제언으로, “탄소중립사회기반 구축 법 제도 마련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한 투명하고 참여적인 방법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지원기업과의 간담회를 통해 그린벤처 프로그램 활성화 및 유망기업 발굴·육성을 위한 건의, 개선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였으며 사업의 만족도 제고 및 지원을 강화해나가는데 활용할 계획이다.   ◦ (냉난방기기개발 관련 A대표) 그린벤처 R&D 및 사업화 결과물에 대한 판로개척을 위해 정부기관 또는 투자자 등 교류의 장이 마련되면 좋을 것으로 생각   ◦ (농업관련 B대표) 그린벤처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력의 국·내외 지식재산권 확보를 위한 컨설팅 지원 필요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이재홍 원장은 “향후 2050 탄소중립의 시대를 선도적으로 개척해 나가기 위해 그린뉴딜 유망 기업의 육성과 지원이 중요하며, 앞으로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정부의 목표에 맞춰 그린 분야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선도하고 혁신 창업·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94","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그린벤처_프로그램_지원기업_비대면_간담회_개최.hwp","viewCnt":"2752","regDate":"2020-12-07 10:24:18"},{"contentId":"124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창업진흥원 등 중기부 산하기관 안전문화 확산 공동협약","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4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진흥원 등 중기부 산하기관 안전문화 확산 공동협약 -공공기관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문화 확산에 발벗고 나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과 창업진흥원(원장 김광현)은 12.1(화)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인 중소기업연구원, 신용보증재단중앙회, 한국벤처투자, 중소기업유통센터,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와 공동협약을 체결하고,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발벗고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창업e-음시스템을 활용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체결된 이번 공동협약은 7개 중기부 산하기관이 지역사회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공동 캠페인을 전개하고, 안전사고 취약계층에 대한 물품지원 등 사회적 안전가치 실천에 적극 협력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협약에 참여한 기관들은 안전관리자 협의체를 구성해 안전문화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우수기관 벤치마킹 등을 통해 공공기관의 안전문화를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이재홍 원장은 “사람 존중의 가치가 전 사회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 경영의 제1 원칙이 생명과 안전이 되어야 한다.”고 사회적 안전가치 실천의지를 피력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90","atchfileNm":"보도자료안전문화_확산_온라인_공동협약.pdf","viewCnt":"2359","regDate":"2020-12-02 11:24:41"},{"contentId":"124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BIG 3(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중기부 R&D 847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43","contentsKor":"BIG 3(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중기부 R&D 847억원 지원   □ 기술혁신개발사업 등 3개 사업을 통해 642개 과제, 847억원 지원   * 바이오헬스 432개(67.3%), 미래자동차 144개(22.4%), 시스템반도체 66개(10.3%) 순   □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치료제, 구간 자율주행(L4)을 위한 위험상황 인지기술 및 SoC(System on Chip) 저전력 설계 기술 등 지원   □ BIG3분야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지원규모 지속·확대   기업당 3년 간 최대 12억원 R&D 지원, ‘21년 1,949억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혁신성장 3대 신산업(BIG3)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가속화를 위해 ’20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등 3개* 사업에서 642개 과제를 선정, 총 847억원을 지원하였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창업성장기술개발,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중기부는 ‘20년부터 바이오헬스, 미래자동차, 시스템반도체 등 신산업 3대 분야 중소기업을 중점 지원하기 위한 ’BIG3 전용‘ R&D 과제를 편성하였으며, 선정기업에는 최대 3년간 12억원까지 지원하게 된다.   `20년 R&D 선정결과   BIG3 과제는 중소기업이 자율적으로 과제를 제시하여 평가받는 일반공모 방식과 중기부에서 정책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과제를 지정하여 지원하는 정책지정방식을 통해 선정되었다. 중기부에서는 BIG3 기업 250개사*는 선정평가 당시 기술개발 필요성 등을 이미 평가받은 기업이며, 3:1 이상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기업인 만큼 기술개발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만 추가 점검하여 즉시 지원하였다.   * “BIG3분야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 지원전략”을 통해 선정한 혁신성장 지원기업 : (참고 1)   이는 중기부에서 정책지정 방식을 첫 도입한 사례로, 역량을 검증받은 유망기업은 불필요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즉시 지원하여 기업이 신속하게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야별로는 바이오헬스 432개(67.3%), 미래자동차 144개(22.4%), 시스템반도체 66개(10.3%) 과제 순으로 선정됐다.   【`20년 BIG3 분야별 R&D 지원현황】   (단위 : 개, 백만원) 사업 바이오헬스 미래자동차 시스템반도체 합계 과제 출연금 과제 출연금 과제 출연금 과제 출연금 기술혁신 189 28,704 78 11,487 37 5,635 304 45,826 창업성장 179 20,095 46 4,713 25 2,754 250 27,562 상용화 64 7,604 20 3,260 4 422 88 11,286 합계 432 56,403 144 19,460 66 8,811 642 84,674   BIG3 분야별 과제 선정사례 (참고 2)   바이오헬스분야는 3개 분야 중 중소기업 지원수요가 가장 높으며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유틸렉스), 항암제((주)바이로큐어), 호흡기질환 치료물질(MD헬스케어), 분자진단(제노헬릭스) 등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과제를 중점 지원한다.   미래자동차분야는, 국내 최초 자율주행 서틀 서비스를 시작한 스프링클라우드社 등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 지능형 운전자 보조시스템(ADAS) 등 친환경 및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과제들을 선정하였고,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고가의 설계·검증도구, 반도체 설계자산(IP)확보 등이 필요한 SoC(System on Chip)을 중심으로 반도체 저전력 설계, 후공정 기술개발 등 다양한 영역의 기술개발 과제가 선정됐다.   이중 3개 기업*은 Arm(英)과 협업하여 CPU·GPU 등 IP 무료이용 및 기술지원을 받고 있어 기술개발 결과 글로벌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주)딥엑스, 주식회사 모빌린트, 지앨애스(주)   `21년 지원계획   중기부는 BIG3분야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소재부품장비, 한국판뉴딜, 4차 산업혁명분야 등 중점 전략 지원분야와 함께 BIG3분야*의 지원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기업당 3년간 최대 12억원 R&D 지원, ‘21년 1,949억원   또한 보증, 인증, 인력지원 등 사업화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투자설명회(IR) 등을 개최하여 민간투자 유치기회를 제공하는 등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전주기 맞춤형 지원을 신속하게 제공할 예정이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리스크가 크지만 신시장 창출 및 고성장이 기대되는 BIG3 분야에 R&D 지원을 통해 성장잠재력을 가진 중소벤처기업이 기술개발에 매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앞으로 중소벤처기업부는 BIG3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이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84","atchfileNm":"보도자료_BIG3분야_중소벤처기업_RD_847억원_지원(최종안).pdf","viewCnt":"2690","regDate":"2020-12-01 16:50:09"},{"contentId":"124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20년 지역 사회공헌 인정기업 승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3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11월 30일, 2020년도 보건복지부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으로 최종 승인됐다고 밝혔다.   ◦ TIPA는 9월부터 11월 초까지 이어진 1‧2차 지역, 중앙심사를 거친 뒤 인정심사위원회 심의를 통해 인정기업으로 선정되었다.   □ TIPA는 심사 과정에서 지역기업, 소상공인, 지자체 등 다양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과 지속적인 공헌활동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았다.   ◦ 특히, 올해 코로나 극복활동에 대한 가점이 적용된 만큼 연초부터 지속적으로 시행한 마스크 기부, 착한 소비캠페인, 임직원 성금모금 활동 등 코로나-19 피해를 위한 노력이 빛을 발했다.   □ 이재홍 원장은 “지역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기반으로 수혜자 맞춤형 활동을 위해 노력해 온 덕분”이라며, “지역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소통으로 신뢰받는 기관으로 성장하겠다”며 소감을 밝혔다.   □ 한편,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는 비영리단체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을 위해 지속적인 공헌활동을 펼친 기업과 기관의 공로를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공동으로 인정해 주는 제도이다.   ◦ 2019년 처음 시행되었으며, 사회적가치 실현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로 변화한 사회공헌 패러다임에 맞춰 민간‧공공부문에 지역기반 공유가치 창출을 촉진 시키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77","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20년_지역_사회공헌_인정기업_승인.pdf","viewCnt":"2434","regDate":"2020-11-30 17:26:06"},{"contentId":"124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연탄 기탁으로 지역사회 겨울나기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35","contentsKor":"TIPA, 연탄 기탁으로 지역사회 겨울나기 지원 □ 11월 25일(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에서 기탁한 연탄이 대전 동구에 전달되었다.   ◦ 이번 연탄기부활동은 TIPA에서 매년 이어오던 나눔 활동으로 지역사회 이웃의 동절기 대비를 지원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 이 날 활동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직접 배달이 아닌 기탁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TIPA는 이 날 대전 동구청 협조로 연탄 지원이 필요한 4개 가구에 필요한 연탄 1,200장을 기부하였다.   ◦ 이재홍 원장은 “강화된 방역조치로 인해 직접 이웃들을 살피고 연탄을 전달할 수 없어서 아쉬웠다”며, “이번 작은 나눔이 이웃들의 겨울을 따뜻하게 만들 수 있는 마음이었길 바란다.”며 소감을 전했다.   □ 한편, TIPA는 지난 여름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냉방용품 지원, 코로나-19 피해 극복을 위한 성금기탁 등 지역사회 상생협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67","atchfileNm":"보도자료_TIPA,_연탄_기탁으로_지역사회_겨울나기_지원.pdf","viewCnt":"2212","regDate":"2020-11-27 18:31:52"},{"contentId":"124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세계적 기술강국으로의 도약,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출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34","contentsKor":"세계적 기술강국으로의 도약,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출범   □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 출범식 개최, ‘21년 지원계획 발표   ㅇ 강소기업 전용 기술개발 사업 신설,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추천 등   □ 강소기업 100 협의회 발족, 소부장 엔젤투자기금* 조성 업무협약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기업생태계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   ’21.1분기까지 20억원 조성, ‘22년말까지 100억원 규모로 점진적 확대 추진 그간 국민적 관심 속에 치열한 심사를 거쳐 17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선발된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대표들이 온・오프라인으로 모두 모였다.*   * 대면 참여 50개사, 비대면 참여 50개사 (유튜브 실시간 중계) https://youtube.com/user/bizinfo1357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11월 26일(목) 서울 강남구 소재의 팁스타운 팁스홀에서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 대표와 유관기관이 모여 ’강소기업 100 출범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강소기업 100은 글로벌 밸류체인의 급변에 대응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분야 전문 중소벤처기업을 집중 육성하는 프로젝트로 ‘19년 1차 선정에 이에 지난 10월에 2차로 46개사를 추가 선정했다. (총 100개사) 한편, 말미에 진행된 강소기업 100 간담회에서는 대표들이 지난 1년간 강소기업 프로젝트를 경험하면서 현장에서 느낀 개선사항을 건의했으며 즉석에서 전담지원단을 통한 맞춤형 안내도 병행됐다.   이번 행사는 지난 24일부터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참석인원 최소화, 참석자 간 거리유지 등 철저한 방역 관리 속에서 개최됐다   코로나19 등으로 참석하지 못한 강소기업과 참관을 희망하는 국민들을 위해 비대면 방식도 병행해 중기부와 케이티브이(KTV)방송의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중계됐다. 중기부 박영선 장관은 ”한국을 대표하는 소·부·장 강소기업들이 기술독립을 선도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앞으로 물심양면으로 뒷받침해 갈 것”이라고 하면서,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성과를 공유하며 함께 성장해가는 문화는 앞으로 우리의 기업 생태계가 건강하게 발전해 가는데 소중한 경험으로 중기부도 이를 적극 응원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65","atchfileNm":"중소벤처기업부_보도자료소재부품장비_강소기업_100개사_본격_출범.pdf","viewCnt":"2557","regDate":"2020-11-27 18:29:32"},{"contentId":"124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2020 APEC 중소벤처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포럼』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28","contentsKor":"『2020 APEC 중소벤처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포럼』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24일 1일 간 서울 글래드 호텔 블룸에서 ‘2020 APEC 중소벤처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포럼’(2020 APEC SMEs Smart Factory Forum)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포럼 행사는 중소벤처기업부와 APEC에서 주최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중보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공동으로 주관하여 진행된다.   ㅇ APEC 회원국 중소기업의 스마트 제조혁신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도를 제고하고, 스마트공장의 보급‧확산을 도모하며, 우수 구축기업과 공급기업 사례 공유를 목적으로 개최된다.   □ 이번 포럼은 방역수칙 준수를 위해 대면‧비대면 통합방식으로 운영되어 서울에서 진행되는 행사를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APEC 역내 회원 국가들뿐만 비회원 국가에도 생중계 할 예정이다.   ㅇ 적정 수준의 인원을 고려하여 포럼 장소에 50인 미만의 관계자를 참가대상으로 한정하여 당일 현장행사를 진행하게 된다.   ㅇ 현장 참여가 어려운 해외연사의 강연은 사전 녹화하여 당일에 송출하게 되며 해외 토론참석자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이원중계로 토론에 참여하게 된다.   □ 이번 포럼은 스마트 제조혁신을 주제로 관련 기술과 동향, 국내외 정책분석, 우수기업 사례 공유 등으로 분야를 세분화하여 논의의 장을 마련한다.   ㅇ 지멘스 카를로스 알베스 이사는 기조연설을 통해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을 위한 디지털 변환’이라는 주제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전과 기회에 대해 강조할 예정이다.   ㅇ 기술 분야에서는 카이스트 장영재 교수가 스마트 공장과 인공지능에 대한 강연을, SK인포섹 문병기 그룹장은 OT/ICS 기술동향 및 보안강화 방안 강연을 펼친다. 또한, UNIST 김동섭 대학장이 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사례를 전달하고, 독일 드레스덴 공대의 스테펜 교수는 가상-물리적 시스템을 통한 새로운 생산체계라는 주제로 특별 강연에 참여한다.   ㅇ 정책 분야에서는 스마트 제조혁신추진단 박한구 단장이 한국 스마트제조혁신 추진전략 및 추진현황을 설명하고, 베트남 국립 바코드센터의 칵 트란 박사가 베트남 스마트공장 추진정책에 대해 전달한다. 캐나다 윈저대학 Azab 박사와 Baki 박사는 캐나다의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소개한다.   ㅇ 사례 분야에서는 국내기업인 ㈜파버나인, ㈜아주화장품, ㈜화신정공의 기업소개 영상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단계별 우수 스마트공장 구축 사례를 공유하며, APEC 회원국 기업으로 캐나다 i50社, 베트남 TH Milk Food Joint Stock Company社, 중국 Sunwoda Electronic社의 우수 구축 사례 및 공급사례를 소개한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이번 2020 APEC 중소벤처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포럼을 계기로 APEC 회원국 간 관련 기술교류, 국제협력을 통한 경험과 사례 공유가 활발해지고 더 나아가 일회성 포럼으로만 그치지 않고 포럼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준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브루나이, 태국 등의 APEC 회원국과 스페셜 국가로 참가한 독일 등의 비회원국과도 추후 포럼 교류 협력을 통해 국가 간 비대면 스마트 제조혁신 회의를 개최하여 스마트 제조혁신이 미래 지향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중간 매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54","atchfileNm":"보도자료2020_APEC_중소벤처기업_스마트_제조혁신_포럼_개최.pdf","viewCnt":"2620","regDate":"2020-11-24 15:35:07"},{"contentId":"124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0 부산·울산·경남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 엑스포’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14","contentsKor":"TIPA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0 부산·울산·경남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 엑스포’ 참가 - 스마트제조 1.0 성과 및 스마트제조 2.0 고도화 전략 소개 -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이 18일(수)부터 20일(금)까지 3일 간 부산 벡스코(BEXCO) 제2전시장에서 개최되는 ‘2020 부산·울산·경남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 엑스포’에 참가한다.   ◦ 한국스마트팩토리CEO협의회가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국내 스마트공장 최신 트렌드 및 구축 사례를 공유함과 동시에 참관객과 공급기업 간 실무적인 상담회를 개최하는 등 중소기업의 고도화 및 글로벌화를 위한 정보 공유의 장이 될 전망이다. □ 본 행사에서 스마트제조혁신관을 운영하는 추진단은 중소·중견 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적극 지원해온 사례를 바탕으로 스마트제조 1.0의 성과를 알림과 동시에 우수 구축 기업을 소개하고, 지난 7월 정부에서 발표했던 AI·데이터 기반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을 안내할 계획이다.   ◦ 추진단은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해까지 총 12,660개의 보급을 진행하며 기업의 제조혁신 저변을 크게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스마트제조 2.0에서는 스마트제조 고도화 정책을 소개한다. 이 정책의 가장 핵심이 되는 KAMP(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는 국내 최초 인공지능(AI) 제조 플랫폼이다. 중소 제조기업이 갖추기 어려운 데이터 저장·분석 인프라, 인공지능(AI) 전문가, 실증 서비스 등을 한 곳에 모아, 인공지능(AI)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정책으로 지난 9월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로 NHN, KT 컨소시업*이 선정된 바 있다.   * NHN, KT(인프라), T3Q, 아이브랩(플랫폼), 스코인포(소프트웨어), 경남TP(기업 지원) □ 아울러 박한구 추진단장의 강연도 진행된다. 행사 첫째 날인 18일(수) 오후 2시 10분에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제조혁신 전략과 AI’를 주제로 발표가 준비돼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제조혁신 전략과 더불어 추진단의 지향점을 소개할 예정이다.   □ 본 행사는 3일간(18일~20일) 10시부터 17시까지 부산 벡스코(BEXCO) 제2전시장에서 관람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 참관 사전등록*이 가능하다. 코로나19 방역 대책의 일환으로 전시 및 콘퍼런스 참관 인원은 선착순 제한된다. 체온측정 및 자가진단 설문지 작성, 전자출입명부 작성과 마스크·비닐장갑 착용까지 4단계 확인을 걸쳐야 출입할 수 있다.   * 사전등록: https://www.smartfactorykorea.com   □ 한편 이번 행사에는 제조공장 및 스마트팩토리 관련 담당자 1만 명 이상이 참관할 예정이다. 머신비전 전문가, 3D 프린팅 전문가, 스마트 ICT 전문가, 스마트센서 전문가가 강연하는 ‘2020 스마트팩토리 전문가 과정’과 함께 ‘2020 대한민국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제품 전시회’ 및 ‘장비 시연회’ 등을 주요 프로그램으로 만나볼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18","atchfileNm":"보도자료_TIPA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2020_부산·울산·경남_스마트팩토리_컨퍼런스_엑스포_참가.pdf","viewCnt":"2412","regDate":"2020-11-17 17:32:23"},{"contentId":"124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선도연구기관, 중소기업 가치창출형 기술개발 성과공유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0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선도연구기관, 중소기업 가치창출형 기술개발 성과공유회 개최  - 19일(목)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중소기업과 선도연구기관의 산연협력기술개발 우수사례 등 소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이 5개 출연연·전문연 기관들로 구성된 “중소기업 지원 선도연구기관 협의회”(이하 ‘협의회’)와 함께 ‘가치창출형 기술개발(R&VD) 성과공유회’를 오는 2020년 11월 19일(목) 14시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개최ㅅ한다.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지원 선도연구기관 협력기술개발사업(이하 ‘선도연구기관 사업’)”은 산·연 협력기술개발 전주기(기업진단→기술개발→기술사업화)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사업 상세내용은 붙임(사업소개) 참조   ◦ 이를 위해 ‘19년부터 총 5개의 선도연구기관*이 지정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전문기관으로써 기획·평가·관리 등 해당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재료연구소   ◦ 또한, 선도연구기관 사업의 활성화를 통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제고를 위해 선도연구기관의 관계자로 구성된 협의회가 운영되고 있다.   □ 이번 성과공유회는 앞서 진행된 ‘19년 선도연구기관 사업의 가치창출형 기술개발 결과 소개와 더불어, ’20년 선도연구기관 사업의 신규 참여기업을 위한 교육 및 상담도 진행되며,   ◦ 행사 당일에는 ‘20년 선도연구기관 사업의 가치창출형 기술개발 선정과제 연구책임자 및 기업 관계자 등 총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특히, ’19년 지정된 선도연구기관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 3개 연구소가 지난 1년 간 중소기업과 진행한 산연협력 기술개발 우수사례 등을 소개한다.   ◦ 이후 연구노트 작성법, 사업비 집행·정산 관련 실무교육, 범부처 연구비통합관리시스템(RCMS) 활용법 소개 등 중소기업이 선도연구기관 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필수 정보를 안내한다.   ◦ 이 밖에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각 선도연구기관이 행사장에 설치된 상담부스를 통해 참석자들을 위한 실시간 상담 및 질의응답을 진행한다.   □ 이번 성과공유회는 올해 신규과제 참여자들을 위한 참고사례 및 지침을 제공하고, 중소기업과 선도연구기관 간 소통 및 협력을 더욱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협의회는 급변하는 대내외 경쟁환경 속에서 개방형 혁신 기술개발 생태계 조성을 통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및 경쟁력 제고를 적극적으로 지원해나갈 예정이며,   ◦ 특히, 산연협력 가치창출형 기술개발 성과물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한 시장 맞춤형 사업화전략 수립, 제품·기술홍보 등 중소기업의 수요에 부합하는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이재홍 원장은 “우수한 연구인력 및 기반을 갖춘 선도연구기관과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창출한 기술개발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선도연구기관과 함께 중소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을 강화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하고자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13","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선도연구기관,_중소기업_가치창출형_기술개발_성과공유회_개최.pdf","viewCnt":"2432","regDate":"2020-11-17 08:40:51"},{"contentId":"124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언론보도] 세계가 극찬 'K 방역', 든든한 지원군 있었다.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407","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211","atchfileNm":"20201112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세계가_극찬_K-방역,_든든한_지원군_있었다_아시아경제_지면.jpg","viewCnt":"2450","regDate":"2020-11-16 15:00:00"},{"contentId":"123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 단계별 이행안(로드맵)」 전략제품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93","contentsKor":"□ 중소기업, 국민 등의 기술개발 수요를 반영하여 ‘30개 분야, 197개 전략제품’ 선정   □ 중기부는 전략제품별 요소기술 도출, 개발목표설정 등 「중소기업 기술 단계별 이행안」을 수립하고 기술개발사업 연계지원(연간 1,500억원 이상)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중소기업의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21~’23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단계별 이행안(이하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으로 ‘30개 분야, 197개 전략제품’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10년부터 중소기업, 대기업(수요처)의 기술수요를 기반으로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등의 전략 기술개발 과제로 지정하고 있으며, 선정된 과제에 대하여 연간 약 1,50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일반 국민 대상의 ‘대국민 기술수요조사’, ‘온라인 자유토의’ 등을 추가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일반 국민 의견 1,326건을 포함한 8,563건*의 기술개발 의견을 받았다.   * 일반 국민 1,326건, 중소기업 7,183건, 대기업 54건, 총 8,563건   기업대표, 교수, 벤처투자자 등으로 구성된 산·학·연 전문가(96명) 위원회에서 제안 받은 기술개발 제품에 대해 ‘중소기업 기술개발 적합성, 시장성, 수입 의존성’ 등을 중점 평가하고 기존 전략제품과의 조정·통합 과정을 거쳐 ‘30개 분야, 197개 전략제품’을 최종 선정하였다.   이번 선정된 전략제품의 주요 특징은 올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의료기기’분야가 추가되고, 자연재난, 그린뉴딜 정책 등으로 ‘재난·안전’, ‘전기·수소차’, ‘친환경·자원순환’,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등 5개 분야가 신규로 선정되었다.   < ‘21~’23년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 * 밑줄 : 신규 4차 산업혁명(20개) 중소기업 성장기반(10개) ①빅데이터 ②블록체인 ③5G+ ④인공지능 ⑤서비스플랫폼 ⑥실감형콘텐츠 ⑦드론 ⑧지능형로봇 ⑨스마트제조 ⑩자율주행차 ⑪시스템반도체 ⑫재난·안전 ⑬스마트시티 ⑭IoT ⑮바이오 ⑯의료기기 전기·수소차 이차전지 신재생에너지 친환경·자원순환 ①유기화학 ②무기화학 ③금속 ④전기전자부품 ⑤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⑥정밀기계 ⑦일반기계 ⑧조선 ⑨식품 ⑩섬유   향후, 중기부는 선정된 197개 전략제품에 대해 국내외 기술시장·특허 등 분석을 통해 요소기술을 도출하고 요소기술별 3개년(‘21~’23) 개발목표를 설정하여, 중소기업의 전략적 기술개발 투자를 위한 나침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최종 수립된 기술로드맵은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누리집*’을 통해 제공할 예정(’21.1월)이며, 현재 선정된 ‘30개 분야, 197개 전략제품’의 상세한 목록은 동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누리집(smroadmap.smtech.go.kr)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올해 시범으로 운영한 ‘국민 수요조사’에서 생활에 밀접한 기술 아이디어를 많이 발굴하여 앞으로 기술로드맵 수립과정에 국민 참여 기회를 늘려갈 것”이며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투자를 뒷받침하고자, 연계지원하고 있는 기술개발 과제의 사업규모(약 1,500억원)도 확대 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93","atchfileNm":"21~23년도_기술로드맵_전략제품_목록.hwp","viewCnt":"2589","regDate":"2020-11-11 15:11:55"},{"contentId":"1239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0 사랑받는 공공기관 장관상 수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9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0 사랑받는 공공기관 장관상 수상 -경영혁신・사회공헌 등 5개 全 분야 성과 창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11월 11일(수) 아시아경제 주최로 열린 ‘2020 사랑받는 공공기관 대상 시상식’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 2018년 시작하여 올해로 3회를 맞은 ‘사랑받는 공공기관 대상’은 국민의 편익 및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공기업・공공기관을 선정하여 시상하기 위해 기획됐다.   ○ 올해는 269개(146개 공기업, 123개 공공기관) 공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경영혁신・사회공헌 등 총 5개 분야에 기관 공적조서를 접수받아 교수, 각 부처 과장, 아시아경제 부장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심사를 거쳐 최종 5개 공공기관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 각 부처 장관상(3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중소벤처기업부), 한국가스공사(산업통상자원부), 한국해양진흥공사(해양수산부) / 5개 全 분야 * 아시아경제사장상(2점) : 한국지역난방공사(경영혁신분야), 한국산업인력공단(사회공헌분야)   □ TIPA는 심사대상 분야 총 5개 全 분야(경영혁신・사회공헌・리더십・일자리창출・경제기여도)에 걸쳐 높은 성과를 인정받았다.   ○ 경영혁신 분야에서는 코로나19 사태로 급변하는 기술・시장 환경에 중소기업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정책 대안을 마련해 나가기 위해, 올해 7월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을 출범하는 등 새로운 방식의 경영혁신을 통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데 TIPA의 역할을 더욱 강화해왔으며,   ○ 사회공헌 분야에서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노・사 간 협력 과정을 거쳐 TIPA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경영평가성과급 일부 온누리상품권 지급」캠페인을 통해 지역경제 위기극복에 적극 동참했다.   ○ 리더십 분야(윤리・책임경영)에서는 올해 7월 기관 경영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이사회에 근로자 대표가 참관하는 「근로자 이사회 참관제」를 선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공공기관으로써 기관 경영 상에 투명성과 공익성을 확보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 일자리 창출 분야에서는 올해 8월 중소기업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 중인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기술인재 채용관」을 오픈하여 중소벤처기업이 우수인력을 확보하는 창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 경제기여도 분야에서 TIPA는 중소기업 R&D 지원을 통해 K-방역을 선도하는 등 예측 불가한 미래에 중소벤처기업이 위기를 기회로 삼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데 일조했다.   *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 제조・수출 기업 66개 社(82개 제품) 중 52개 社(65개 제품), 약 80%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R&D 지원 자금을 통해 기술력을 키움   □ 이재홍 원장은 이번 수상을 계기로,   ○ ”TIPA가 국민에게 신뢰받는 공공기관으로써 모범적인 선례로 오래 기억될 수 있도록 국민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며,   ○ 또한, ”앞으로도, 대국민 업무 수행 과정에서 공공성과 경영효율성을 높이는 등 대국민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써, 중소기업 대상 R&D 및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등을 지원하고 있다.   ○ 이번 수상 이외에도, 2019년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 부패방지 시책평가 1등급 기관 선정, 2020년에는 공공기관 통합공시 우수공시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공공기관으로써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89","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2020_사랑받는_공공기관_장관상_수상(★).pdf","viewCnt":"2446","regDate":"2020-11-10 15:43:18"},{"contentId":"123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한국-우크라이나 기술협력 비대면 교류회·상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8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한국-우크라이나 기술협력 비대면 교류회·상담회 개최 -양국 간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협력 방안 모색하는 발판 마련-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 이하 산기협)와 오는 11월 5일 서울 엘타워에서 한국과 우크라이나 간 기술협력 웨비나 및 1:1 기술 매칭 상담회를 개최한다.   ◦ 특히, 행사를 공동주관하는 우크라이나 “프란체비치 소재문제 연구소(이하 ‘프란체비치 연구소’)”와 “파톤 전기용접 연구소(이하 ‘파톤 연구소’)”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우수 원천기술을 보유한 국립 과학 아카데미 산하 기관이다.   ◦ 우크라이나는 항공, 우주 등 기초분야의 우수한 과학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사업화 역량이 뛰어난 국내 기업과 기술 협력을 통해 다양한 사업화 성과를 창출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행사에는 120여 개 기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하고, 특히 16개 기업은 구체적인 기술협력을 위한 1:1 기술 매칭 상담회를 현장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 기술협력 웨비나에서는 프란체비치 연구소가 티타늄 합금 시스템, 경량 고온 복합재 설계 기술 등 7개 보유 기술을, 파톤 연구소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플라즈마 및 전기물리 기술, 부품 용접 관련 응용제어 기술 등 4개 기술을 소개한다.   ◦ 또한, 1:1 기술매칭 상담회에는 LS전선,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 등 대기업을 비롯하여 소재·부품·장비 분야 16개 기업이 사전 실시된 기술 검토 결과를 토대로 우크라이나 연구소와의 구체적인 기술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 전 세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협력이 어려운 상황에서 기술교류가 활성화 되지 않은 우크라이나와 비대면 방식의 기술세미나 및 실시간 상담회를 선도적으로 개최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 한편, 양 기관은 같은 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및 기술협력 촉진을 위해 사업 연계·협력, 정보 공유 및 성과 확산 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으로,   ◦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R&D 협력 기회를 새롭게 창출하고, 기업의 혁신역량 강화 및 질적 성장 제고에 기여하기 위해 상호 협력을 통해 본격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우크라이나는 우수한 원천기술을 다수 보유한 신북방정책의 주요 대상국으로, 이번 행사가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역량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TIPA는 산기협과 함께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해외 기술교류를 통해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갖춘 강소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69","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_한국-우크라이나_기술협력_비대면_교류회·상담회_개최.pdf","viewCnt":"2314","regDate":"2020-11-04 17:15:40"},{"contentId":"123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맞춤형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공학컨설팅센터」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79","contentsKor":"맞춤형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공학컨설팅센터」 모집    □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애로 해결을 위하여 지원역량이 우수한 대학 및 출연연을 공학컨설팅센터로 모집   ㅇ 선정된 공학컨설팅센터는 2021년부터 2년간 운영되며, 기술전문가 매칭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맞춤형 기술개발 및 기술역량 강화를 지원   □ 공학컨설팅센터를 통해 산학연협력 생태계 활성화 기반 마련 및 지역균형발전에 기여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벤처기업 지원역량이 우수한 ‘공학컨설팅센터’ 모집을 진행 한다고 밝혔다.   ○ 이번 모집 공고를 통해 5개 권역별 9개 대학 및 2개 출연연을 ’공학컨설팅센터’로 선정할 계획이다.   * ①서울·경인·강원(3개), ②대구·경북(2개), ③부산·울산·경남(1개), ④대전·충청·세종(1개), ⑤호남·제주(2개) ⑥출연연(권역에 관계없이 2개)   □ 맞춤형기술파트너지원사업은 공학컨설팅센터의 기술전문가를 활용하여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TIPA는 2017년부터 사업을 운영하는 공학컨설팅센터를 지정하여 중소벤처기업의 맞춤형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 2019년에는 공학컨설팅센터 수를 확대하고 출연연을 추가 지정하여 중소벤처기업의 다양한 기술수요에 대응해 나가고 있으며,   ○ 이번 공고를 통해, 2021년 공학센터 수를 더욱 확대하여 중소벤처기업의 보다 다양한 전문기술에 대한 수요 충족을 통해 기술애로 해소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공학컨설팅센터 지정현황 : (‘17~’18) 6개 대학 → (’19) 8개 대학 및 1개 출연연 → (‘21 계획) 9개 대학 및 2개 출연연 선정예정    □ 신청기관에 대한 선정절차는 현장조사와 대면평가를 통해 진행되며, 대면평가 시 운영계획서와 발표내용을 토대로 권역별 선정규모에 따라 선정할 계획이다.   □ 선정된 공학컨설팅센터는 2021년부터 2년간 운영되며,   ○ 권역별 신청‧접수, 전문가 매칭, 기술애로 해결계획서 제출, 과제 추천 및 관리 등 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한다.   ○ 또한, 공학컨설팅센터의 다양한 인프라(연구인력, 연구장비 등) 및 비R&D지원사업(기술상담‧지도, 교육, 특허지원 등)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 성과제고에 기여해 나갈 것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다양한 수요에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혁신 R&D 생태계 구축이 필수적” 이라고 밝히며,   ○ “이를 위해 공학컨설팅센터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앞으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애로 해소와 권역별 공학컨설팅센터 확대지정을 통해 지역균형발전에 기여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60","atchfileNm":"보도자료맞춤형_기술애로_해결을_위한_공학컨설팅센터_모집_공고.pdf","viewCnt":"2457","regDate":"2020-11-04 09:52:35"},{"contentId":"123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해외 인증/규격 취득에 특화된 중소기업 R&D 자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78","contentsKor":"TIPA, 해외 인증/규격 취득에 특화된 중소기업 R&D 자금 지원 - 해외 인증/규격적합제품기술개발사업을 통한 과제지원 시작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해외 수출 및 인증취득을 위해 기술개발이 필요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해외 인증규격 적합제품 기술개발사업(이하 ‘해외인증규격사업’)에 93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고, 총 139.5억 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본 사업은 해외진출의 보이지 않는 장벽 역할을 하고 있는 각국의 인증 및 규격을 극복하고자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부터 시작된 사업으로,   ○ 중소기업이면 누구나 지원가능하며, 기업 당 최대 1년, 1.5억 원 이내로 R&D 자금을 지원한다.   □ 이번에 선정된 기술과제는 전기·전자 분야(30.1%, 28개)가 가장 많고 기계·소재, 바이오의료 순으로 선정과제수의 비율이 높았으며,   ○ 이중 바이오인식 시스템 및 솔루션 판매가 주력인 ㈜슈프리마는 미국의 FCC 인증 취득을 통해 무선통신 적합성 규격을 만족시키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신청하였다. 본 과제를 통해 기술경쟁력 우위를 선점하여 유럽, 미국 등 글로벌 매출 확장을 기대하고 있다. ※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미연방통신위원회   ○ 에이비메디컬(주)의 경우 혈액을 채취하고 보관하는데 필요한 진공채혈관을 개발하여 FDA 인증을 취득할 예정이며, 원가경쟁력을 확보하여 미국 시장의 독점공급사들과 치열한 경쟁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미식품의약국   □ TIPA 이재홍 원장은 “본 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수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특히, 수출을 목표로 하는 국가의 해외인증/규격을 제품 기획단계에서 인지하고, 맞춤형 기술개발을 통해 사업화 성공률을 향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라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 혹은 TIPA 기업협력사업실로 문의하면 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58","atchfileNm":"보도자료TIPA,_해외_인증규격_취득에_특화된_중소기업_RD_자금_지원.pdf","viewCnt":"2257","regDate":"2020-11-04 09:45:40"},{"contentId":"123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0 그린뉴딜 엑스포’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59","contentsKor":"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0 그린뉴딜 엑스포’ 참가 - 한국형뉴딜 핵심인 디지털뉴딜 분야 대표로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소개 -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이 28일(수)부터 30일(금)까지 3일 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되는 ‘2020 그린뉴딜 엑스포’에 참가한다.   ◦ 국회수소경제포럼이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경제 부흥을 이끌 한국형 뉴딜 정책의 한 축인 그린뉴딜 정책 및 사업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수소 생태계 구축과 그린에너지의 미래 가능성을 제시한다. □ ‘그린뉴딜’과 함께 한국형 뉴딜의 핵심 축으로 인정받는 ‘디지털뉴딜’의 중심에서 중소·중견 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지원해온 추진단은 이번 행사에 참여해 한국형 뉴딜을 향한 뜻을 함께한다.   ◦ 추진단은 스마트제조 1.0의 성과, 스마트제조 2.0으로의 도약 및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사례 기업을 소개할 계획이다.   ◦ 스마트제조 1.0은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에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목표로 기업 맞춤형 스마트공장을 보급하는 전략이다. 추진단은 2019년까지 총 12,660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했으며 이를 통해 제조 디지털화의 저변을 크게 확장했다. ◦ 스마트제조 2.0에서는 스마트제조 고도화 정책을 소개한다. 이 정책의 가장 핵심이 되는 KAMP(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는 국내 최초 인공지능(AI) 제조 플랫폼이다. 중소 제조기업이 갖추기 어려운 데이터 저장·분석 인프라, 인공지능(AI) 전문가, 실증 서비스 등을 한 곳에 모아, 인공지능(AI)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정책으로 지난 9월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로 NHN, KT 컨소시업*이 선정된 바 있다.   * NHN, KT(인프라), T3Q, 아이브랩(플랫폼), 스코인포(소프트웨어), 경남TP(기업 지원)   □ 본 행사는 진행 기간 내 10시부터 17시까지 서울 DDP 지하 2층 알림터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 참관 사전등록*이 가능하다. 코로나19 방역 대책의 일환으로 전시 및 콘퍼런스 참관 인원은 선착순 제한된다.   * 사전등록: https://www.khexpo.co.kr/page/?pid=khe_d4   □ 박한구 추진단장은 “그린뉴딜과 디지털뉴딜은 한국형뉴딜 정책의 핵심이자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정책”이라며 “디지털뉴딜의 중심에 있는 스마트공장이 ‘2020 그린뉴딜 엑스포’를 통해 참관객들에게 더욱 관심받길 바란다.”고 전했다.   □ 한편, ‘2020 그린뉴딜 엑스포’는 민관학 핵심 주체에게 혁신기술 정보 공유의 장을 제공함과 더불어 친환경 등 그린뉴딜 핵심 내용으로 구성한 콘퍼런스를 운영해 한국 경제의 새로운 미래를 선보인다. 또 과학 및 환경 관련 크리에이터도 행사장을 직접 방문해 전시관 소개 및 체험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38","atchfileNm":"보도자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_‘2020_그린뉴딜_엑스포’_참가.pdf","viewCnt":"2688","regDate":"2020-10-27 15:28:25"},{"contentId":"123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IITP, R&D사업 연계·협력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57","contentsKor":"TIPA·ITP, R&D사업 연계·협력을 위한 MOU 체결 -ICT-중소기업 R&D 협력체계 구축 등 한국판 뉴딜 이행과 중소벤처기업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 공동 협력하기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석제범, 이하 IITP)은 ICT·중소기업 R&D사업 연계·협력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 TIPA와 IITP는 10월 27일(화)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한 IITP 본관 대회의실에서 ICT·중소기업 R&D사업 연계·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한국판 뉴딜 이행과 중소벤처기업 디지털 전환 촉진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이번 MOU는 IITP의 정보통신기술(ICT) R&D 사업과 TIPA의 중소기업 R&D 사업 간 관련 이슈를 공유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기 위해 추진되었으며,   ◦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양 기관이 보유한 인적, 물적 자원과 우수 평가위원 풀 등을 적극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 이를 위해, 양 기관은 ▲중소기업 R&D와 ICT R&D 간 기획 및 수행과정에서의 협력과제 발굴, ▲제도 및 규제 개선 방안 공동 마련, ▲인프라 공유 및 인력교류 등의 연계·협력을 통하여 R&D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한국형 뉴딜에서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IITP와 함께 하는 뜻깊은 자리로, 각 기관의 ICT-중소기업 R&D 지원 역량과 노하우를 긴밀하게 연결하는 계기가 되었다.”면서 “양 기관이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중소기업의 기술 역량을 한 단계 높이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 이어서, IITP 석제범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은 ICT R&D와 중소기업 R&D간 융합 R&D의 본격적인 시작점이 될 것이며, 디지털 뉴딜과 중소벤처기업 디지털 전환 관련 융합 R&D사업 추진이 실질적인 성과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호 노력 하겠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33","atchfileNm":"보도자료TIPA-IITP_RND사업_연계_협력을_위한_MOU_체결_IITP공동.pdf","viewCnt":"2548","regDate":"2020-10-27 14:54:06"},{"contentId":"123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R&D인증 패키지 지원으로 제품출시 걸림돌 최소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55","contentsKor":"R&D인증 패키지 지원으로 제품출시 걸림돌 최소화 - 중소기업R&D 인증패키지 지원프로그램 신청접수 개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기업R&D 인증패키지 지원프로그램 신청기업을 10월 28일(수)부터 11월 18일(수)까지 약 20일간 모집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R&D 인증패키지 지원은 중소기업이 제품개발 과정에서 기술규제 및 인증 등의 인허가 사항을 고려하지 못해 제품개발 완료 후에도 신제품의 시장출시에 발생하는 애로 해소를 위해,   ◦ 제품출시를 위해 필수사항인 성능분석, 인증획득 등을 R&D수행 초기부터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지난 6월 TIPA는 중소기업이 사업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성능분석, 인증획득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산업기술시험원(원장 정동희,이하 KTL)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 중소기업R&D 인증패키지 지원은 업무협약의 첫 번째 결과로서 중소기업들은 R&D수행 초기부터 시험·분석·성능평가·인증획득 컨설팅을 지원받아 R&D의 효율성 제고와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 중소기업 R&D지원프로그램의 세부 지원내용은 ① 국내·외 인증획득 컨설팅 ② R&D성과물 시험·분석·성능평가 ③ 신기술·신제품 인증 프로세스 개발 지원으로 구성된다. ① 국내외 인증획득 컨설팅   - (국내) KC, KCs, GS, 고효율기자재, 항공보안장비 성능인증 등 국내 인증 획득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 (국외) IECEE-CB, CE, UL, CCC 등 북미, 유럽 및 아시아 국가 해외인증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② R&D 성과물 시험·분석·성능평가   - 소재·재료분석, 기계 및 부품 역학·인장·내환경·신뢰성시험, 이차전지 성능평가, EMC, 의료용품 성능시험 및 열효율 시험 등 시험평가 컨설팅   ③ 신기술·신제품 인증 프로세스 개발 지원   - 신기술·신제품에 대한 시험규격 개발 등 인증 프로세스 개발 지원   □ 중소기업R&D 인증패키지 지원은 `20년 하반기 20개사 지원을 계획하고 있으며,   ◦ 프로그램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신청접수 마감일을 기준으로 중소기업 R&D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어야 하며, 잔여 과제기간이 반기 이상 남아있어야 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기업이 제품판매를 위해 필수로 취득해야 하는 안전·성능·환경 관련 인증들을 기술개발 단계부터 고려하여 향후 기술규제로 인한 제품화 지연, 시장진입 지연 등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었다”며,   ◦ “R&D인증 패키지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와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한층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29","atchfileNm":"RD인증_패키지_지원으로_제품출시_걸림돌_최소화.pdf","viewCnt":"2661","regDate":"2020-10-26 18:40:00"},{"contentId":"123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수교 30주년 기념 “2020 한-러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성황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50","contentsKor":"TIPA, 수교 30주년 기념 “2020 한-러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성황리 개최 -양국 간 기술이전 계약 등 실효적 성과 창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2020 한-러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Open Innovation Forum)”을 개최하였다.   ㅇ TIPA는 관계 기관과 함께 한-러 혁신 협력의 성과를 조명하고, 한-러 혁신플랫폼에 기반하여 양국의 기술협력, 스타트업 교류 및 현지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행사를 러시아와 이원 중계로 운영하였다.   ※ 동 행사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장내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 및 양국 간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비대면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이번 행사를 통해 한-러 기업 간 기술교류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매칭, 기술이전 계약 체결 등 러시아 현지 기술협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상호 협력을 위해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ㅇ 먼저, 19일에는 국내 중소기업 보유 우수 기술의 현지 수출 등 기술무역 활성화를 위한 한-러 온라인 기술교류회가 개최되었으며, 총 14건의 상담을 통해 구매의향 및 계약 체결 2건이 발생했다.   ㅇ 개회식이 개최된 20일에는 이재홍 TIPA 원장의 환영사가 이루어졌으며, 중소벤처기업부 “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 사업 지원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정보통신, 첨단소재, 인공지능 분야의 양국 기업 간 기술협력을 통한 실시간 온라인 기술이전 계약 3건이 체결되었다.   ㅇ 또한 양국 간 혁신 협력을 논의하는 “제4차 한-러 기술의 날”에 오창석 책임연구원이 연사로 참가하여 ‘한-러 중소기업 간 기술협력을 위한 정부 지원 방안’을 발표하였으며, 상호 호혜적 협력을 위한 단일화된 소통채널 구축을 제안하였다.   ㅇ 마지막 날은 국내 중소기업의 러시아 원천 기술 도입 및 등 한-러 양국 기업 간 개방형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 기술 수요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업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였다.   ㅇ 아울러, 러시아와 기술협력 및 시장진출 희망 기업들의 홍보자료를 “온라인 한국관”을 통해 전시하고, 러시아 현지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 행사의 실황 중계를 3일간 진행하였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금번 “2020 한러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 개최를 발판으로 중소기업 중심의 양국 간 국제협력 기술개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신북방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120","atchfileNm":"보도자료TIPA_수교_30주년_기념_2020_한러_오픈_이노베이션_포럼_성황리_개최.hwp","viewCnt":"2389","regDate":"2020-10-23 16:22:59"},{"contentId":"123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찾아가는 1:1 R&D 사업비 집행·정산 상담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31","contentsKor":"TIPA, 찾아가는 1:1 R&D 사업비 집행·정산 상담회 실시 -5개 지역(부산, 대구, 수원, 광주, 대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오는 10월 20일(화)부터 11월 25일(수)까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2020년 지역별 1:1 R&D 사업비 집행·정산 맞춤상담회」를 실시한다.   ◦ 금번 맞춤상담회는 지정회계법인*의 과제별 담당회계사가 사업비 집행에 애로사항이 있는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해당 수행기업이 소재한 지역에서 1:1 상담 및 맞춤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R&D지원사업 사업비 정산을 위해 TIPA가 지정·운영하는 회계법인   □ 특히 이번 상담회는 그간 대면 방식으로 진행되던 사업비 집행 관련 교육이 코로나-19로 인하여 온라인 설명회 및 동영상 교육으로 대체 됨에 따라, 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이 있는 신규 R&D 수행기업의 정산담당자를 대상으로 1:1 상담을 추진함으로써,   ◦ 中企 R&D 사업비 집행 규정 이해 및 적용, 지정회계법인 상시점검 조치 및 활용, 사업비 정산 결과 주요 불인정 사례 등 사업비 집행 전반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상담회 일정은 부산·울산 등 5개 지역*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지역별 2일씩 진행할 예정으로, 관심이 있거나 사업비 집행에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행기업은 담당 지정회계법인을 통해 신청이 가능하며, 감염예방 수칙사항 준수 및 밀집도를 최소화하는 등 안전에 유의하여 개최할 예정이다.   * 부산·울산(10.20.~21.), 대구·경북(11.3.~4.), 경기(11.10.~11.), 광주·전남(11.17.~18.), 대전·충청(11.24.~25.)   □ TIPA 이재홍 원장은 “이러한 상담회의 지속적인 개최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여 사업비 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함으로써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76","atchfileNm":"201019_TIPA_찾아가는_일대일_RD_사업비_집행_정산_상담회_실시.pdf","viewCnt":"2647","regDate":"2020-10-19 08:31:11"},{"contentId":"123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2020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에 주빈국 자격으로 참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30","contentsKor":"TIPA,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2020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에 주빈국 자격으로 참가 ◈ [주빈국 참여] 주빈국 수석대표 국무총리 기조연설 ◈ (기술협력) 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사업 기술이전 계약식 ◈ (시장진출) 융복합기술교류촉진사업(해외기술교류) 비대면 B2B 상담회 ◈ (네트워킹) 한-러 기술의 날 연사 발표 및 온라인 한국관 운영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개최되는 러시아 최대 혁신 행사,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Open Innovation Forum)에 주빈국 자격으로 참석한다고 밝혔다.   ㅇ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은 신기술 개발 및 상용화, 혁신 기술의 홍보, 혁신 분야 국제협력 방안의 논의를 위해 러시아 연방 정부 주도로 개최되는 러시아 최대 혁신 행사로써, 주빈국 초청을 통해 해당국 정상급 인사와 기업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ㅇ 정세균 국무총리는 온라인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의 코로나-19 방역과 디지털 뉴딜 정책을 소개하고, 코로나-19로 가속화된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양국의 혁신 협력을 강조할 예정이다.   □ TIPA는 관계 기관*과 함께 한-러 혁신 협력의 성과를 조명하고, 한-러 혁신플랫폼에 기반하여 양국의 기술협력, 스타트업 교류 및 투자 유치 그리고 현지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별도 국내 행사를 러시아와 이원 중계로 운영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한-러혁신센터), 한국연구재단(한-러과학기술협력센터),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창업진흥원, 이노비즈협회   ㅇ 먼저, 19일에는 우리 중소기업 보유 우수 기술의 현지 수출 등 기술무역 활성화를 위한 한-러 온라인 기술교류회가 개최한다. 또한 양국 혁신 기업과 투자사가 참여하는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하고, 한-러 스타트업 간 혁신 기술 공유와 기업설명회(IR 피칭)를 통해 투자 유치 및 네트워킹 등 현지 사업화를 지원한다.   ㅇ 20일에는 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 사업 지원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인 정보통신, 첨단소재, 인공지능 분야의 양국 기업 간 기술협력을 위한 온라인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한-러 기술의 날 연사 발표와 관계 기관 협력을 통한 양해각서 체결(MoU) 및 공동 투자협약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ㅇ 마지막 날은 한-러 양국 기업 간 상호 호혜적 기술협력을 위한 현장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러시아 혁신 기술 도입 등 국제협력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한편, 민간 부분 협력을 위한 한-러 민간협의체를 개최하여 양국 간 개방형 혁신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ㅇ 아울러, 러시아와 기술협력 및 시장진출을 희망하는 30개 기업의 홍보자료를 “온라인 한국관”을 통해 전시하고, 러시아 현지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 행사의 실황 중계를 3일간 진행한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금번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 참가를 발판으로 중소기업 중심의 양국 간 국제협력 기술개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신북방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74","atchfileNm":"201019_TIPA_한러_수교_30주년을_기념하여_2020_오픈_이노베이션_포럼에_주빈국_자격으로_참가.pdf","viewCnt":"2292","regDate":"2020-10-19 08:27:48"},{"contentId":"123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제조 표준 선점을 위한 한독 공동 온라인 포럼 성황리에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29","contentsKor":"스마트제조 표준 선점을 위한 한독 공동 온라인 포럼 성황리에 개최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독일과 AAS 표준 현황 공유 및 정책 협력 다짐 - □ 한국과 독일이 스마트제조 분야 국제 표준을 선점하기 위한 양국의 견고한 협력을 다짐했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은 2020년 10월 13일(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한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한-독 공동 AAS* 표준 기반 스마트 제조 데이터 수집/저장 포럼」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 AAS(자산관리쉘, Asset Administration Shell) : 장비/설비 정보를 디지털로 표현하기 위한 표준방식으로 기기 간 소통·상호 운용·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데이터 표준 체계(안)   ◦ 이번 포럼은 AAS 표준 기반 제조, 시험, 활용에 대한 한국 및 독일의 현황 공유를 위해 마련됐다.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된 포럼에서 양국의 전문가 및 관련 분야 담당자 약 300명이 참석해 스마트제조분야 국제 표준에 대한 국내외 뜨거운 관심을 실감케 했다.   □ 이번 포럼에서는 국제 표준이란 주요 논의 사항에 걸맞게 양국의 정책을 수립하는 부처의 담당자들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 한국의 이홍열 중소벤처기업부 사무관은 인사말에서 “한국 정부는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장비와 데이터의 상호 호환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독일과 함께 논의 중인 AAS 기술이 스마트공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 이에 대해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의 프리드리히 그뢰테케 박사(Dr. Friedrich Gröeteke)는 “현재 유럽에서 GAIA-X 프로젝트가 진행 중으로 AAS는 GAIA-X*와 연계할 수 있는 좋은 아키텍처 모델이 될 것으로 생각하기에 매우 중요한 기술로 생각한다”며 “오늘 포럼에 참석해주신 양국 전문가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 GAIA-X: 개방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유연한 데이터의 교환 및 처리를 지원하는 기반기술 개발 프로젝트   □ 이후 진행된 포럼에서는 박한구 추진단장의 △한국 스마트제조 기술 보급·확산 전략 및 실행계획을 필두로 △AAS 기반 클라우드 데이터 수집/저장 파일럿 프로젝트 소개 △국내 시범 공장 AAS 모델 구현 및 적용 사례 △한·독 스마트 제조 상호 운용성 테스트베드 구축 제안이 차례로 발표됐다.   ◦ 국내 중소기업의 AAS 기반 클라우드 데이터 수집/저장 파일럿 프로젝트를 소개한 김유철 네스트필드 대표는 4차 산업의 최종 목표인 자율생산 구현을 위해 기반이 될 기술로 AAS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으며 국내 시범공장의 AAS 모델 적용 사례를 소개한 이주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AAS 실증 진행 시 구현 과정에 대해 말했다. 독일의 연사로 참석한 LNI4.0 CTO 도미니크 로무스 박사(Dr. Dominik Rohrmus)와 SCI4.0 CEO 젠스 가이코 박사(Dr. Jens Gayko)는 독일의 AAS 테스트베드에 관하여 소개하고 4차 산업혁명 구현에 있어 양국의 협조를 강조했다.   □ 박한구 추진단장은 “현재 양국이 스마트공장에서 발생한 제조데이터의 활용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표준 기반 제조데이터 수집/저장을 위한 정책 마련에 협력하는 중”이라며 “국내에서는 관련 실증 결과를 향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에 연계하여 제조기업 데이터 활용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하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72","atchfileNm":"201015_스마트_제조_표준_선점을_위한_한독_공동_온라인_포럼_성황리에_개최.pdf","viewCnt":"2617","regDate":"2020-10-19 08:26:06"},{"contentId":"12326","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내 유일 민수분야 항공기 체계수준의 전자파 시험기관, 항공전자기술센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2326","contentsKor":" 웹진 바로가기","viewCnt":"292","regDate":"2020-10-14 17:19:10"},{"contentId":"123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공공조달로 날개 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16","contentsKor":"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지난 7월 21일 1차로 지정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에서 1개월여* 만에 18억원의 공공조달 성과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 ‘20년 8월초 혁신장터 등록 후~ 9월 17일까지 공공조달 성과 발생 금액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중기부의 기술개발(R&D) 지원을 받아 기술개발에 성공한 제품 중에서 혁신성과 공공성이 우수한 제품을 별도로 지정해 공공기관과의 수의계약을 통해 초기시장 확보를 지원하는 제도로 올해 처음 도입됐다.   【 공공조달을 통한 도약 기회 제공 】   중기부는 1차로 지정된 44개 혁신제품이 공공조달을 기반으로 본격 성장할 수 있도록 제품 홍보와 수요 공공기관과의 매칭을 지원 중으로 지정된 지 한 달 보름이라는 짧은 기간에도 9개 제품에서 18억원의 공공조달 성과가 나타난 것이다.   주식회사 제브라앤시퀀스는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과 실종자 얼굴인식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 횡단보도‘를 한국공항공사와 경기도 시흥시에 8억원 규모로, ㈜프로컴시스템은 ’전력계통의 고장 진단 및 자동 통보 시스템‘을 한국수자원공사에 1억3,000만원에 공급하는 계약을 각각 체결했다.   이밖에도 리셋컴퍼니㈜는 ’태양광패널 무인청소로봇‘을 인천국제공항공사에, ㈜제이오텍은 ’인화성 물질 보관함‘을 한국가스기술공사에, ㈜이오렉스는 ’부식억제장비‘를 전주시청에 각각 공급했고,   ㈜솔지는 ’사용유의 수분 오염물을 제거하는 정유기‘를 한국남부발전에, ㈜포웰은 ’소형화 경량화된 아크 용접기‘를 해군 군수사령부에, 달마시안 제충국은 ’해충방제 친환경 살충제‘를 농촌진흥청에 공급하는 등 잇따라 성과가 확인됐다.   【 2차 혁신제품 지정 추진 】   9월 14일 접수 마감된 제2차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모집에는 1차에 비해 50% 증가한 총 156개 중소벤처기업이 신청을 해 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야별로 보면 기계소재 28.8%(45개), 정보통신 23.7%(37개), 전기전자 20.5%(32개), 바이오의료 10.8%(17개), 화학 8.9%(14개) 등 다양한 분야의 중소벤처기업들이 지원했다.   중기부는 서면평가, 현장평가 등을 거쳐 기술혁신성과 공공 활용성을 심사해 11월 중 혁신제품 지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 모집공고(’20.8.13~9.14) → 기술혁신성・공공성평가(서면평가(9월)▶현장평가(10월)▶조달적합성평가(10월)▶종합심의(11월) → 지정예정 공고(11월) → 혁신제품 지정(11월)   【 성과 확산을 위한 정보공유 네트워킹 활성화】   앞으로 중기부는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이 수요 공공기관을 찾아 원활하게 공급돼 구매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의 수요제품 조사, 공공기관 구매 담당자와의 매칭데이 추진 등 혁신제품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20년부터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에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제품 구매실적이 가점으로 적용돼 동 제도에 대한 기대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우수한 기술 성과를 달성했음에도 판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의 초기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혁신제품 지정제도가 공공기관의 협력 속에서 빠르게 성과를 확산해 나가고 있다”며,   “이러한 성장의 모멘텀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공공부문의 서비스 품질 향상으로 선순환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중기부는 다각적인 지원을 지속해 가겠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58","atchfileNm":"보도자료우수연구개발_혁신제품_공공조달로_날개를_달다(기술개발과).hwp","viewCnt":"2808","regDate":"2020-10-05 14:37:14"},{"contentId":"123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공공기관 산업 현장 탐방 프로그램 발굴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9","contentsKor":"TIPA, 공공기관 산업 현장 탐방 프로그램 발굴 추진 - 全 과정 영상 지원하여 비대면 시청 가능하도록 구성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28일(월) TIPA 본원에서 공공기관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TIPA 공공기관 산업 현장 탐방 프로그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 본 프로그램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일상에 큰 변화가 닥치면서, 소위 코로나 블루(코로나19와 우울감이 합쳐진 신조어) 등 공공기관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의 떨어진 사기를 진작하고,   ○ 공공기관으로써, ‘일자리 창출’을 실천하는 차원에서 취업 노하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하였다.   □ 주요 커리큘럼으로는 △TIPA 및 공공기관 소개, △취업 토크 콘서트, △선・후배간의 1:1 취업 상담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제한된 인원이 참석한 만큼 프로그램 全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본 프로그램이 끝난 이후에도,   ○ 참석 인원 외 취업준비생들이 비대면으로 프로그램을 경험하고, 취업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 본 프로그램에 참가한 한민엽 가톨릭대학교 경영대학 학생회장은,   ○ ‘공공기관 현장에 직접 찾아와 실무 환경을 경험하고, 토크 콘서트를 통해 궁금증을 바로 해결할 수 있어서 좋았다며,   ○ 향후, 학교 동료들에게 영상 촬영본을 전파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 이재홍 원장은 앞으로도, 코로나-19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보건당국의 방역 지침을 준수하는 수준 하에서,   ○ ‘본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51","atchfileNm":"(보도자료)_TIPA,_공공기관_산업_현장_탐방_프로그램_발굴_추진(★).pdf","viewCnt":"2455","regDate":"2020-09-29 08:56:34"},{"contentId":"123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기업 지원체계 혁신을 위한 산․학․연 협력 기반 조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8","contentsKor":"TIPA, 중소기업 지원체계 혁신을 위한 산․학․연 협력 기반 조성 -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MOU협력기관 온라인 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24일(목),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의 25개 MOU협력기관과 온라인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확산으로 전방위 산업의 온라인 플렛폼화, 언텍트‧온텍트, 4차 산업혁명의 가속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중소기업 지원체계 혁신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 각 기관 간 협력업무 진행현황을 공유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여 중소기업 지원전략 및 TIPA와의 협력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 TIPA는 2017년부터 판교지역에 산‧학‧연 기술인력 간 인적교류 거점인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R&D기획역량강화 및 우수과제 발굴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오픈오피스(사무공간, 회의실, 캐비닛 등), 기술‧전문상담, 기술전문교육, 기술교류회, R&D멘토링캠프, 기술교류 연계과제 등   ◦ 그간의 협력활동으로 기술상담(2,078건) 후속 매칭으로 이어지는 우수 연구인력과의 네트워크 구축 195건, 중소기업 기술‧기획역량 강화를 위한 공동교육 프로그램 운영 78회, 우수기술 소개 및 거래를 위한 기술교류회 37회 개최, 기술교류를 통한 협력형R&D과제 발굴 73건(74억 원), 기술이전 13건(3.8억원) 등의 협력성과를 이루었다. □ 이번 간담회 역시, TIPA의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와 함께 힘을 합쳐 국내 기업들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적극 지원하기로 약속한 25개 MOU협력기관과 함께 아이디어와 전략을 공유할 예정이다.   ◦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20년 3월 서면으로 협약식을 진행한 이후, 비대면 방식으로 의견을 교환하고자 온라인 간담회를 준비하였고 처음으로 25개 협력기관이 모두 한 자리에 모인다.   ◦ 그간 기관 별 업무 담당자간 개별연락을 통해 협력업무를 조율해 왔으나, 온라인으로나마 25개 협력기관의 의사결정자가 한자리에 모여 중소기업 지원에 대한 고민과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는 데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MOU협력기관(25개) ▪ 공공연구기관(14개) :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국가핵융합연구소, 안전성평가연구소, 전자기술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광기술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니노기술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 대학(8개) : 가천대학교, 강남대학교, 경기대학교, 국민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명지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 기타공공기관(3개) : 한국발명진흥회, 부산테크노파크,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TIPA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로 디지털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산업구조가 급격하게 재편되는 혼란 속에서 중소기업이 중심을 잃지 않고 그 속의 보물과 같은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연구 역량을 갖춘 기관 간 협력과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 “이번 간담회는 그 협력 기반과 생태계를 견고히 하는 데에 의미가 아주 크며 향후에도 비약적인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며,   ◦ “TIPA는 향후에도 중소기업이 대학‧공공연구기관의 우수한 인적자원과 기술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상생협력 기반조성을 위해 역량 있는 기관들과 협력을 확대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47","atchfileNm":"(보도자료)_TIPA,_중소기업_지원체계_혁신을_위한_산학연_협력_기반_조성.pdf","viewCnt":"2552","regDate":"2020-09-25 14:56:09"},{"contentId":"123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산학 협력R&D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7","contentsKor":"TIPA,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산학 협력R&D 추진 - 권역별 거점대학 선정을 통해 중소기업 밀착·종합지원 환경 조성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23일(수),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권역별 거점 5개 대학*으로 구성된 ‘20년 산・학협력 거점형플랫폼(R&D) 운영기관’과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금오공과대학교, 전북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밭대학교   ○ 산・학협력 거점형플랫폼(R&D) 사업은 지역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권역별 거점 5개 대학을 지정하고, 대학 內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산학협력 거점으로 개방・활용하도록 지원해주는 사업으로,   산학협력 거점형 플랫폼(R&D) 사업 개요   □ (개요) 대학에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지역중소기업에 개방, 산학협력 거점으로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의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기술 수준 향상 지원 □ (예산) ’20년 62억원 □ (지원내용) 기술역량 분석→맞춤형 R&D지원의 총 2단계 지원 - 1단계(중소기업 기술역량 분석) : 전문가 매칭, 컨설팅을 수행하고, 중소기업-전문가 공동으로 중소기업별 맞춤형 지원전략 기획 (1개월, 2백만원) - 2단계(맞춤형 R&D지원 프로그램) : 1단계에 수립된 맞춤형 지원계획을 파견 인력과 대학 과제책임자를 중심으로 종합 지원 (2년, 3억원)   ○ 이번 간담회를 통해, △운영기관 역할 논의, △개방형 혁신 R&D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① (운영기관 역할 논의) 거점대학에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지역 중소벤처기업에 개방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 및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산학협력 거점으로서 운영기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② (R&D 생태계 조성방안) R&D 지원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방안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와 다양한 주체 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정보교류 활성화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 이번 간담회를 통해 개방형 R&D를 위해서는 지역 거점대학 중심의 플랫폼 조성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향후 이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 향후 중기부-대학-기업-TIPA 등 기관들 간 긴밀한 협의를 통해 소통채널을 강화하여 개방형 협력 R&D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다양한 수요에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 및 기술 기반의 거점(플랫폼) 중심의 개방형 혁신 R&D 생태계 구축이 필수적” 이라고 밝히며,   ◦ “이를 위해 지역의 거점이 되는 운영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앞으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역량이 강화될 수 있는 산학연간 협업 파트너 네트워킹 조성에 박차가 가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붙 임 산학협력 거점형 플랫폼(R&D) 사업 개요   □ 사업목적 : 거점대학*에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혁신역량이 부족한 지역 중소벤처기업에 산학협력 거점으로 개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향상   * ‘20년 선정 운영기관(거점대학) : 금오공과대학교, 전북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밭대학교   □ 지원규모 : ‘20년 62억원   □ 지원대상 : 사업기간 동안 연구실에 연구인력을 1인 이상 파견이 가능한 기업부설연구소 미보유 중소기업   □ 지원내용   ◦ 기업은 사업수행 기간 대학 연구실에 1인 이상을 파견하고, 대학은 실험실·연구인력·장비·기술이전·교육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    - 1단계(중소기업 기술역량 분석) : 전문가 매칭, 컨설팅을 수행하고, 중소기업-전문가 공동으로 중소기업별 맞춤형 지원전략을 기획   - 2단계(맞춤형 R&D지원 프로그램) : 1단계에 수립된 맞춤형 지원계획을 파견 인력과 대학 과제책임자를 중심으로 종합 지원   □ 지원조건 : 사업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단계별로 지원한도를 차등하고, 2단계 정부출연금은 총 사업비의 75% 이내   < 단계별 지원대상 및 지원규모> 구 분 지원대상 지원과제수 지원기간 및 지원한도 (1단계) 중소기업 기술역량분석 대학에 1인 이상 파견 가능한 기업부설연구소가 없는 중소기업 200개 내외 1개월, 2백만원 (2단계) 맞춤형 R&D지원 프로그램 1단계 기술역량분석을 받은 중소기업 중 종합지원이 필요한 기업을 선별 75개 내외 2년, 3억원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45","atchfileNm":"(보도자료_배포)_TIPA,_개방형_혁신_생태계_조성을_위한_산학_협력RD_추진.pdf","viewCnt":"2653","regDate":"2020-09-25 14:52:51"},{"contentId":"123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한가위 앞두고 전통시장 장보기 캠페인 전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6","contentsKor":"TIPA, 한가위 앞두고 전통시장 장보기 캠페인 전개 -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마스크 나눔으로 안전 선물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이 9월 23일(수), 추석 명절을 앞두고 기관 자매결연 시장인 한민시장 활성화 캠페인에 나섰다.   ◦ 이번 활동은 추석 명절을 맞아 지역경제 활성화와 전통시장 이용을 독려하기 위한 장보기 행사로 이루어졌다.   □ TIPA 이재홍 원장과 직원들은 2개 조로 나뉘어 한민시장 곳곳에서 온누리상품권을 활용하여 지역 나눔활동을 통해 기부할 물품들을 구매하였다.   □ TIPA는 장보기 행사와 함께 정부의‘추석 특별 방역기간’운영에 맞춰 시장 방역체계 구축과 주민 안전을 위해 시장 상인들에게 마스크 1,800장을 전달하기도 하였다.   ◦ 이 날 행사에 앞장 선 이재홍 원장은 마스크 전달 후 “코로나-19, 폭우 등으로 명절을 앞두고도 시장 상인들의 어려움이 많은 시기일 것”이라며, “그 어느 때보다 안전과 지역 상생을 위한 노력을 다하겠다”며, 소회를 밝혔다.   □ 한편, TIPA는 지역 복지기관이 추석 명절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였으며, 이를 유성구 노인복지관과 성심보육원에 전달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43","atchfileNm":"보도자료TIPA,_한가위_앞두고_전통시장_장보기_캠페인_전개.pdf","viewCnt":"2617","regDate":"2020-09-25 14:48:04"},{"contentId":"123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퇴직과학기술인과 합심해 R&D과제기획 본격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5","contentsKor":"중소기업, 퇴직과학기술인과 합심해 R&D과제기획 본격 추진! -TIPA, R&D멘토링 온라인 오픈데이 행사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R&D과제기획을 밀착 코칭하는 ‘중소기업 R&D멘토링’의 본격 추진을 위해, 오는 9월 22일에 ‘온라인 오픈데이(Orientation)’ 행사를 개최한다.   ◦ ‘R&D멘토링’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를 통해 추천받은 퇴직과학기술인 총 12인이 R&D멘토가 되어 R&D과제기획 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해 마련되었으며,   ◦ 기술분야별로 총 12개의 소분과(분과당 20개사 이내)를 구성하여, ‘사업계획서 작성실습’, ‘모의대면평가’, ‘기술애로 맞춤형상담’, ‘네트워킹’ 등을 지원한다.   □ 9월 22일에 진행되는 오픈데이’ 행사는 TIPA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를 통해 참여기업으로 선정된 152개사를 대상으로   ◦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오리엔테이션’으로서,   ◦ ‘R&D멘토링 세부 지원내용 및 절차’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주요 지원사업’과 ‘기술교류연계과제’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 ‘R&D멘토링’은 풍부한 R&D경험을 갖춘 고경력 퇴직과학기술인에게는 중소벤처기업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사회공헌 기회를 제공하며, ◦ 중소벤처기업에게는 새로운 신사업 창출에 도전할 수 있는 R&D기획역량을 강화하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금번 오픈데이 행사를 통해 R&D멘토링이 중소벤처기업의 협력과 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하며, 중소기업이 보다 나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첫 단추가 되길 바란다”며, ◦ ”앞으로도 TIPA는 우수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신시장 개척을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41","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퇴직과학기술인과-합심해-RnD과제기획본격추진.pdf","viewCnt":"2329","regDate":"2020-09-25 14:28:57"},{"contentId":"123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엔젤투자협회 기술창업기업 성과확산 협력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304","contentsKor":"TIPA – 엔젤투자협회 기술창업기업 성과확산 협력 MOU 체결 - 기술창업기업 R&D후속지원 강화 및 성과확산 도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사단법인 한국엔젤투자협회(회장 고영하, 이하 ‘엔젤투자협회’)는 기술창업기업의 R&D 후속지원을 강화하고, 성과확산 도모를 위해 손을 맞잡았다.   ◦ TIPA와 엔젤투자협회는 18일(금)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팁스 타운에서 ‘기술창업기업의 성과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상호 유기적인 기술창업기업의 성과확산을 지원하는데 협력키로 했다고 밝혔다.   □ “팁스”는 성공 벤처인, 선도 벤처 등 민간이 주도하는 액셀러레이터(엔젤투자‧보육 전문회사)를 통해 유망 기술창업팀을 선별하고 엔젤투자와 연계한 정부 R&D 등 지원을 집중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향하는 창업팀을 육성하고,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으로,   * 팁스(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프로그램)   ◦ ’13년부터 현재(‘20.8월)까지 총 1,044개 창업팀에 대해 민간 엔젤투자 2,253억원에 매칭하여 R&D 4,464억원, 사업화 및 해외마케팅 1,014억원을 지원하였으며, ’22년에는 년 500개의 신규 창업팀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외연의 확대와 함께 괄목한 만한 성과창출을 통해 중기부의 대표 초기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으로 자리 매김하였다. □ 정부와 민간의 체계적 지원을 통하여 팁스 창업팀은 민간투자 유치, 신규 고용창출, 고급기술인력의 도전적 창업 지원 등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ㅇ 팁스 창업팀은 초기 엔젤투자 유치(2,253억원)와 더불어 팁스 선정 후 2조 8,280억원의 민간 후속투자 유치를 통하여 정부지원금 대비 약 5.6배의 민간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달성하였고,   ㅇ 또한, 팁스 과제 기간(R&D기준, 최대 2년) 동안 기업 당 평균 약 14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하는 등 질좋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ㅇ 팁스 창업팀의 주요 창업자 중, 석‧박사 58%, 국내외 대기업 출신 29%, 전문직 11%로 고급기술인력의 도전적 창업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뿐만 아니라, 팁스 창업팀 중 약 25%가 해외법인을 설립하였으며, 기업공개(IPO) 2개팀, M&A 19개 팀이나 되는 등 팁스 선정 당시 업력이 평균 2년 미만인 것을 감안할 때, 괄목한 만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 그간, 팁스(R&D)에 TIPA-엔젤투자협회로 추진 체계가 분리 운영되어 창성R&D사업 內성과공유가 미흡했던 부분이 있었으나,   ◦ 금일 업무협약식을 시작으로 미흡한 부분을 해소하고, 고급기술 인력의 기술창업 도전과 창업 활성화를 위해 상호 교류하기로 하였다.   □ 업무협약서의 주요 합의 내용을 보면,   ◦ TIPA는 ▲TIPS 수행기업의 사업화성공 지원을 위한 자금융자 연계 ▲수출이행자금 확보 지원 등 수출연계 프로그램 제공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인증 ▲수요처 및 투자처가 있는 기업의 상용화R&D 사업으로의 후속지원을 유도 하고,   ◦ 엔젤투자협회에서는 중소기업 R&D 성공기업을 대상으로 ▲IR역량 강화 교육 ▲투자유치 VC초청 및 네트워킹 등을 추진하여 양 기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 이재홍 TIPA 원장은 “COVID-19로 더욱 어려운 경제상황이지만, 잠재력 높은 기술창업기업의 R&D 후속지원, 투자, 판로개척 등 성과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엔젤투자협회와 함께 하는 뜻 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 “또한,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 측면에서는 창업기업이 개발된 기술을 통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수 년간의 기업 엑셀레이터 노하우와 투자심사 역량을 보유한 엔젤투자협회와 함께 만들어 갈수 있어서 더욱 의미가 깊다”라고 밝혔다.   □ 고영하 엔젤투자협회 회장은 “이번 협약은 엔젤협회의 벤처투자연계 네트워크와 TIPA의 R&D지원 역량이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계기가 됐다”면서 “양 기관의 장점을 융합한 성과확산 협력모델을 구축해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39","atchfileNm":"보도자료TIPA-엔젤투자협회_기술창업기업_성과확산_협력_MOU_체결.pdf","viewCnt":"2853","regDate":"2020-09-25 14:27:02"},{"contentId":"122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투자형・후불형R&D(금년에 신규 도입) 본격 활성화 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96","contentsKor":"□ 투자형・후불형R&D(금년에 신규 도입) 본격 활성화 된다.   ◦ 투자형・후불형R&D 운영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벤처투자, 기술보증기금) 선정평가 및 지원사업 연계 강화 위해 업무협약 체결 □ 투자형R&D와 후불형R&D 사업 추진이 본궤도에 오른다. 동 사업 운영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벤처투자, 기술보증기금, 이하 3개 기관)은 원활한 R&D 선정 평가 및 성과 확산을 위해 상호 전문 역량을 공유하고 지원사업 연계를 강화한다.   ◦ 3개 기관은 기존 출연방식 위주 중소벤처기업 R&D지원 환경을 개선하여 중소벤처기업의 도전적이고 과감한 기술혁신 시도를 뒷받침하도록 중기부가 지난 7월 새로 도입한 투자형・후불형R&D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하였다. □ 먼저, 3개 기관은 투자형R&D 대상 선정에 기관별 전문역량을 활용하기 위해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9월 18일 체결하였다.   ◦ 한국벤처투자는 투자형R&D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 평가와 지원 사업을 총괄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TIPA)과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은 R&D 지원 및 기술평가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투자 대상기업의 기술성, 사업성, 시장성을 평가한다.   □ 투자형R&D*는 민간 벤처캐피탈이 선별해 미리 투자한 기업에 대해 정부가 매칭투자 방식으로 지원하는 새로운 R&D사업으로 올해 7월 신규 도입되었다. 1차 접수(9.1~9.10)에서 10개 기업이 총 108억원의 매칭 투자를 신청하였다.   * 투자형R&D 개요(‘20.7월 신규 도입) :  편드규모 165억원 (존속기간 8년, 투자기간 3년)→ ’21년초까지 335억원 추가   - 지원대상은 소재부품장비분야, 비대면분야로 한정되며, 투자건당 최대 1배수, 20억원 지원(강소기업100은 최대 2배수, 30억원 한도)   - 투자금액 50%까지 R&D사용 의무화, 나머지는 양산자금, 판로, 운영비 등 허용 성과우수기업에게 콜옵션 부여, VC 손실발생 시 정부가 10%까지 우선손실충당   ◦ 앞으로 3개 기관의 평가를 종합하여 오는 10월중 최종 투자 지원 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며, 2차 접수(11.1~10)도 진행할 예정이다. □ TIPA와 기보는 그간 先지급 출연방식에서 탈피하여 기업이 자체 자금으로 R&D를 먼저 수행하고 R&D 성공 시 출연금을 나중에 돌려받는 후불형 R&D*도 협력을 강화한다.   * 후불형R&D 개요 기업이 先 지급된 25%의 출연금과 자체 재원으로 먼저 R&D를 진행하고 성공 판정 후 정부로부터 출연금의 나머지(75%)를 지원받는 방식   - (참여기업 인센티브) 사업화 우수기업에 ➊기술료 면제, ➋연구개발 자금 및 사업화 자금 보증연계, ➌후속과제 필요 시 즉시 지원, ➍졸업제 등 적용 제외   ◦ 후불형 R&D는 지원기업의 책임성을 대폭 강화하는 대신, R&D 우수 성과 기업에 대해서는 TIPA와 기보가 협업하여 기술료 면제, 후속 R&D 지원 및 전용 사업화자금을 보증하는 인센티브를 주며, 서면평가로 지원대상을 원스탑(One-stop) 선정한다.   ◦ 8월말 후불형R&D 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122개 과제가 접수(경쟁률 5:1) 되어 기업 현장의 높은 관심이 확인되었다.   BIG3 분야 28개(바이오헬스 19, 미래자동차 5, 시스템반도체 4), 소재·부품·장비분야 94개(전기전자 37, 기계금속 27, 기초화학 11, 자동차 10)   □ 3개 기관은 이번 상호 협업을 통해 동 R&D사업 지원절차가 더욱 원활하게 되고 사업화 성과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상호간 전문성을 공유하여 협업 범위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25","atchfileNm":"보도자료투자형_후불형RD_본격_활성화_된다.hwp","viewCnt":"3063","regDate":"2020-09-18 16:30:14"},{"contentId":"122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해외기술교류 온라인 상담회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95","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수출 기반 조성과 기술교류 지원을 통한 해외시장 진출 촉진을 위하여 ‘해외기술교류 사업’을 진행 중 이라고 밝혔다.   ◦ 해외기술교류 사업은 대상국 현지 수요기업과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 중소기업의 기술교류와 협력을 통해 기술이전, 기술수출 등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와 함께 추진 중이다.   □ 본 사업은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은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며, 보유 기술의 이전 가능여부에 대한 진단 및 해외 현지 수요기술조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원기업을 선정한다.   ◦ 선정기업은 현지기업과의 1:1 비대면 온라인 기술교류 상담회를 원하는 장소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TIPA는 현지어 통역 및 온라인 상담을 위한 인프라 제공, 기술 소개자료 번역 교정 등 상담회 운영 및 기술협력 및 수출 등을 위한 제반사항을 지원한다. □ TIPA는 올해 베트남, 말레이시아, 독일, 러시아 국가와의 기술교류를 희망하는 참여기업을 모집 완료하였으며, 중국은 이달 21일까지 해외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G-TEP)을 통해 모집 중이다.   * 베트남(36개사), 말레이시아(5개사), 독일(5개사), 러시아(15개사) 지원 예정   ◦ 특히, 말레이시아와의 기술교류 상담회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5개사 모집에 37개사가 지원하여 7.4:1의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수요-공급 매칭을 통해 순차적으로 온라인 상담회를 진행 중이다.   □ 금년에는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온라인 상담회로 운영되고 있지만, 국내외 여건이 개선되는 대로 현지국을 방문하여 기업이 직접 교류할 수 있도록 추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또한, 기술교류 상담회 이후에도 참여기업의 성과 창출을 위해 후속 모니터링 및 사후지원에도 힘쓸 계획이다.   □ 이 밖에도 TIPA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우수기술을 보유한 해외 국가와의 기술교류 및 협력 기회 확대를 위해 노력해오고 있으며,   ◦ 항공우주, 소재 분야의 우수기술을 보유한 우크라이나 국립과학 아카데미 산하 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해 온라인 기술세미나 및 심층 상담회를 오는 11월 초 개최할 예정이다.   * 프란체비치 소재문제 연구소, 파톤 전기용접 연구소   ◦ 이를 위해, 지난 8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해당 연구소와의 협력 희망 기술 수요조사를 완료하였으며, 수요를 기반으로 현지와 기술협력 가능 여부를 지속 논의 중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우수기술을 보유했지만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에게 TIPA가 훌륭한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대내외 악조건 속에서도 우리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약속하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24","atchfileNm":"보도자료TIPA,_해외기술교류_온라인_상담회로_중소벤처기업의_해외시장_진출을_적극_지원한다.hwp","viewCnt":"2439","regDate":"2020-09-17 09:12:24"},{"contentId":"122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공군, 국방 분야 중소기업의 R&D 전주기 지원 공동 협력체계 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87","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과 공군이 국방분야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R&D) 및 사업화 지원을 위한 공동 협력체계를 수립하여 추진한다고 밝혔다.   □ 협력체계의 기본방향은 공군이 보유한 실험환경(Test Bed)을 중소벤처기업에 개방하여, R&D과제 발굴 및 지원을 통해 사업화, 공공구매에 이르는 전주기 지원을 골자로 한다.   ◦ 공군은 항공작전, 항공기 정비, 기지방호, 작전지원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실험환경을 제공하며, 중소벤처기업은 이를 활용하여 신규 기술개발 과제 도출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업화를 위한 실전데이터를 확보를 통해 개발제품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다. ◦ 이로써, 중소벤처기업이 공군에서 제공하는 실험환경 및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하여, 국방 수요에 연계한 아이디어 창출 및 개방형 혁신 R&D 과제 발굴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TIPA는 지난 5월 26일 공군과『국방 분야 중소기업 및 공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으며,   ◦ 업무협약 이후 공군과 협업을 통해 발굴된 총 6건의 협력 R&D 과제를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 사업을 통해 연내 지원할 계획이며, 향후 지원 규모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조달혁신과제 신규지원 예산(’20년 155억원, → ‘21년 197억원)   □ TIPA는 앞으로 공군과의 협력이 공공혁신조달의 우수사례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며, 대국민 인식제고 및 확산을 위한 홍보활동을 추진 할 예정이다.   ◦ 또한, 향후 타 기관 등이 보유한 인프라 활용을 통해 맞춤형 중소벤처기업 지원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COVID-19로 인해 중소기업의 경제 활동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 스마트 국방을 추구하는 공군과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의 협력 R&D 활성화와 공공구매 연계를 통한 성과창출을 위한 계기가 마련되어 기쁘다”라고 밝혔다.   □ 공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이영수 소장은 “우수한 ICT 인프라를 구비한 공군의 실험환경을 중소벤처기업에 제공하여 혁신기술 개발과 판로 개척에 기여하고, 공군에 신기술·체계 도입을 확대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와 Spin-Up 정책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발전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3009","atchfileNm":"보도자료TIPA·공군,_국방_분야_중소기업의_RD_전주기_지원_공동_협력체계_마련.hwp","viewCnt":"2363","regDate":"2020-09-11 09:17:58"},{"contentId":"122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중소벤처기업의 신북방 시장 진출을 위해 국제협력 기술개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77","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중소벤처기업의 신북방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협력 기술개발 사업을 신설했다.   ㅇ 금년 초부터 지원중인 ‘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 사업’은 러시아 공공기관·기업 등이 보유한 핵심기술의 국내 도입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중심의 후속 기술개발 및 전문가와 기술협력에 기반한 기술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사전기획을 통해 러시아 공공기관·기업 등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양국 기술협력 수요·공급기술 및 원천·핵심기술을 보유한 전문가를 발굴하였으며, 이에 기반하여 ‘20년 총 38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ㅇ 지난 8월, 러시아가 보유한 핵심 기술의 도입 등을 통한 후속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상용화기술개발’ 과제 13개를 선정 완료 하였으며, 9월중 협약을 통해 과제당 최대 2년간 4억 원을 지원한다.   ㅇ 또한 러시아 전문가를 활용하여 기술개발·제조공정 관련 애로해결 등을 위한 ‘기술진단·기획’ 과제는 총 25개를 선정하고 과제당 최대 3천만 원을 지원할 예정으로, 이달 14일까지 신청·접수를 진행한다.   □ 특히,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협력 애로를 고려하여 비대면 방식의 과제를 지원한다.   ㅇ 러시아 전문가와의 원활한 비대면 회의 운영을 위해 관련 절차 및 인프라 활용이 가능하도록 사업관리지침 등을 개정하였다.   ㅇ 향후, 지속적인 현장 의견 청취를 통해 코로나-19에 따른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과제 수행 관련 불편사항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 동 사업을 통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단기 상용화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기술협력 대상국의 수입 대체산업을 선제적으로 공략하여 해외시장 진출을 견인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기술협력 체계 구축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ㅇ 또한, 4차 산업혁명의 글로벌 확산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기술 선도국 등으로 신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향후 기술협력 대상 국가를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TIPA는 기술협력 대상국 및 신규 수요·공급기술 발굴을 위한 사전 수요조사를 연내(9~11월) 실시할 계획으로, 사업관련 자세한 정보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87","atchfileNm":"보도자료TIPA,_중소벤처기업의_신북방_시장_진출을_위해_국제협력_기술개발_지원.hwp","viewCnt":"2394","regDate":"2020-09-07 08:20:33"},{"contentId":"122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벤처기업 연구개발 혁신제품 ‘20년도 수출촉진지원 프로그램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7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연구개발과제 수행 기업 혁신제품의 수출역량 강화를 위해 금년도에 신설한 “수출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제2차 지원기업 모집을 완료하여 9월 중순부터 지원할 예정이다.   ㅇ 동 프로그램은 지난해 11월 기정원과 한국무역보험공사간 협업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연구개발(R&D) 혁신제품이 해외시장 개척 등을 통한 글로벌 기업화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하였으며,   ㅇ 연구개발 과제 수행 중소벤처기업 중에서 해외시장 개척 경험이 없거나 초기인 기업이 많으며,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출대금 회수 위험, 수출이행자금 부족 문제, 바이어 신용도 검증 어려움 등 개별기업 차원에서는 해소하기 어려운 부문에 대해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 이번 2차 신청을 통해 66개 기업을 선정하였으며, 금년 2월 1차 선정된 39개 기업 포함시 총 105개 기업을 선정하였고, 향후 11월경에도 추가로 신청을 받아 지원할 예정이다.   ㅇ 선정된 기업은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제공하는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 등 다양한 세부지원 프로그램을 맞춤형 우대조건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ㅇ 세부 지원 프로그램은 ①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단체보험 지원, 보험료 할인), ② 수출이행자금 및 수출대금 조기 현금화를 위한 보증지원, ③ 신용조사 및 판로 지원(해외수입자 신용조사보고서 지원, 우량수입자 상담기회 제공), ④ 수출컨설팅 및 무역보험아카데미 지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금번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는 (주)릴리커버 안선희 대표는 “해외 바이어의 신용사기, 수출대금 미송금, 연락 두절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금번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바이어 신용조사 지원을 받으면 진성바이어 선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ㅇ 에이스기계(주) 이철 대표는 “해외 매출이 대부분 미국에 집중되고 있어 수출다변화가 시급하지만, 인력 부족 및 정보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상황에서 수출컨설팅 등의 지원을 받아 해외 거래선 다변화가 가능할 것“ 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코로라19로 인해 우리나라 수출이 감소되고 있는 어려운 여건이지만, 정부지원 연구개발사업 참여를 통해 개발된 혁신제품이 국내시장 보다는 해외시장 개척에 과감하게 나설 수 있도록 무역보험 등 기업별 맞춤형 지원을 함으로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85","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중소벤처기업_연구개발_혁신제품_‘20년도_수출촉진지원_프로그램_시행.hwp","viewCnt":"2360","regDate":"2020-09-04 10:21:44"},{"contentId":"122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소상공인 스마트화 지원을 위한 BM모델 발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74","contentsKor":"기정원, 소상공인 스마트화 지원을 위한 BM모델 발굴 -비즈니스모델 20개 기획에 3.3억원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소상공인ㆍ자영업자를 위한 비즈니스모델 개발지원을 위해 1단계 비즈니스모델기획(BM기획)과제 20개가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 지난 5.28일 사업공고 이후 6.11~6.30 동안 과제 접수 과정을 거쳐 총 213개가 신청되어 10.7: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 이번엔 선정된 과제들은 3개월 동안 과제당 약 1,500만원(총 예산3.3억원)을 지원받아 소상공인 서비스혁신을 위한 비즈니스모델기획을 진행할 예정이다.   ○ BM기획이 완료된 과제 중 소상공인의 4차 산업혁명 시장변화 대응력 및 보급·확산에 파급효과가 높은 우수한 10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여 2년 동안 최대 4억원의 R&D 자금이 지원된다.   □ 비즈니스모델 과제는 최근 온라인 쇼핑의 증가,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따른 소비․유통트렌드 변화에 소상공인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서비스 혁신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이번 ‘BM기획과제’는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생활혁신형 기술개발사업’ 중 하나인 ‘BM개발과제’의 기술개발 비용을 지원하기 전 우수한 과제를 발굴하는 것이 목적이다.   ○ 선정된 20개 과제*는 무인상점, 고객 마케팅, 주문ㆍ결제ㆍ거래지원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비즈니스모델로 실제 소상공인 현장에 적용되어 소상공인 스마트화, 서비스 혁신을 통한 매출 향상이 기대된다. * AI기반의 무인판매 시스템, 비대면 패션 미디어숍, 영수증 기반 집객 유도, 광고 공유 마케팅 플랫폼, 홍보 컨텐츠 제작, 스마트상점용 경량화 보안플랫폼, 스마트매장 플랫폼, 포토 중개 플랫폼 등   □ 이번 1단계 BM기획 과정을 통해 소상공인의 이익창출 및 서비스혁신이 가능하도록 사업화 추진계획을 구체화하고, 실제 소상공인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보완할 계획이다.   ○ 소상공인은 적은 인력과 자본력 부족 등으로 비즈니스모델을 직접 기획해 개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관련 전문성을 갖춘 중소기업 및 기획기관이 참여하여 추진하게 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본 지원사업을 통해 소상공인·자영업자의 4차 산업혁명 스마트화 혁신 동력 확보의 시발점이 될 것이며 특히, 소상공인에게 더욱 가혹한 대내외적 악재를 극복할 수 있는데 힘을 보태줄 수 있도록 기정원이 최선을 다해 지원 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84","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소상공인_스마트화_지원을_위한_BM모델_발굴.hwp","viewCnt":"2385","regDate":"2020-09-03 15:55:24"},{"contentId":"122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기정원장, 스마트 R&D평가로 비대면 스타트업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73","contentsKor":"[편집자] 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은 포스트 코로나는 '비대면 시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온라인 비대면 생태계에 신속하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적극적인 투자와 중소기업의 공격적인 기술 개발이 융합돼야 한다고 바라봤다. 그 중심에서 기술과 정보를 진흥하겠다고 공언한 이재홍 원장을 가 만났다. [서울=뉴스핌] 박영암 이서영 기자 = "코로나19로 예상보다 빠르게 비대면 경제 생태계로 전환되고 있다. 이 시기 대기업 역할은 적극적인 투자이고, 중소기업은 도전적인 기술개발에 뛰어드는 것이다." 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원장은 최근 서울 여의도 사무실에서 월간 ANDA와 만났다. 이 원장은 제조 생태계의 밑단이 성장하지 않으면 결국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도 힘들어진다며 협업체제에 기반한 중소기업의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개발(R&D)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재홍 원장은 지난 2월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에서 기정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에서 R&D 관련 직무를 두루 경험했다. 공직에 입문하기 전 현대자동차에서 다년간 일하기도 했다. 이 원장은 코로나19로 비대면 시대가 한 발짝 빨리 다가왔다고 보고 있다. 다가올 비대면 경제를 주도하기 위해서는 기술 기반 중소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도전적 R&D를 이끌어내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도전적 R&D는 한 단계가 아니라 서너 단계를 뛰어넘는 도전적인 연구개발을 말한다"며 "비대면 생태계 조성을 위해 '스마트 서비스 보급사업' 관련 R&D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이 기술기반 중소기업 육성과 함께 주요 과제로 꼽은 것은 민간 투자 활성화다. 특히 그는 "대기업의 역할은 투자"라고 언급할 만큼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Corporate Venture Capital) 등을 통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강조했다. 그는 "오늘날 대기업은 혁신벤처와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것이 곧 스스로(대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길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며 "때문에 아무리 규제가 있어도 국내 기업 중 투자를 잘하는 곳은 이미 잘한다"고 말했다.1962년 전남 진도에 출생한 이 원장은 서강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했다. 영국 맨체스터대학 경영대학원에서 과학기술정책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술고시 27회에 합격한 후 1992년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 "'스마트 R&D평가체계'로 비대면 생태계 전환" Q.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잘 모르는 국민이 많다. 주요 역할을 소개해 달라. A. 기정원은 중기부 내의 유일한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이다. 비유하자면, 중소기업이 클 수 있도록 씨앗을 뿌리는 역할부터 잉태시키고 이후 더 큰 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곳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스마트 대한민국'이라는 비대면 시대의 생태계 전환을 이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실제로 코로나19라는 생각지 못한 역경을 겪고 있지만, 그 안에서 한국 정부 대응이 모범 사례로 세계의 주목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탄탄한 중소기업의 기술력 덕분이다.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와 제조수출 기업 41개사 중 75%에 이르는 31개사가 기정원의 중소기업 R&D를 지원받았다. 앞으로 기정원은 코로나19로 촉발된 비대면 시대를 대비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즉 중소기업 R&D와 스마트 공장 보급 및 고도화 등을 지원해 중소기업 제조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 Q. 올해 중기부 R&D 예산 1조4000억 원 중 1조2000억원이 기정원을 통해 집행되고 있다. 국민 세금이 '눈먼 돈'이 안 되도록 검증장치가 필요할 것 같다.A. 그 같은 우려를 잘 알고 있다. 지금까지는 개별 기업을 중심으로 지원해 왔다. 이를테면 공고를 내고, 기업체에서 신청을 하면 평가 후 선정하고 줄 세워서 지원금을 주는 식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코로나19로 급부상한 '비대면 경제' 환경 속에서 R&D 및 스마트 공장 지원 분야도 생태계를 육성하고 지원하는 정책으로 바꿀 계획이다. 비대면 생태계 전환을 이끌기 위해 기정원에 꼭 필요한 장치가 바로 '스마트 R&D평가체제'다. 한마디로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평가체계다. 스마트 R&D평가체계를 도입하게 된 배경은 두 가지다. 첫째가 대기업은 장기간의 R&D 투자가 가능한 반면 중소기업은 시장에 민감하고 분야가 다양해 특정 사업에 매칭이 어렵다. 특히 단기간에 사업화가 가능한 연구개발 자금이 필요한데 공고된 사업에 맞추다 보니 여러 어려움이 따랐던 것이 사실이다. 둘째는 기술이 점점 다각화되고 고도화되면서 이를 커버할 수 있는 전문가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그간 R&D 평가의 공정성과 수월성 그리고 신뢰성 문제가 종종 지적돼 왔다. 스마트 R&D평가체계를 도입해 중소기업을 세계적 기술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사업화에 성공토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평가자원의 데이터화부터 평가모델 구축" Q. 스마트 R&D평가체계를 도입해서 기대하는 성과는 무엇인가. A. 지원자들의 '도전적 R&D'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진행돼 온 '기업중심 지원방식'은 개별 중소기업에 씨를 쫙 뿌린다는 자체는 의미가 있을지 모르지만 전체적인 산업 성장 환경을 조성하지는 못한다. 개별 기업의 도전적인 R&D를 이끌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도전적 R&D는 단순히 한 단계 수준의 성장이 아니라 서너 단계를 뛰어넘는 도전을 의미한다. 기존 방식으로는 이미 기술 개발을 마친 기업이 이를 숨기고 신청해서 지원금을 타가더라도 적발할 수가 없었다. 이런 기업이 많으면 국민의 세금이 정작 필요한 곳에 가지 못하게 되는 악순환이 되기 때문에 고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스마트 R&D평가체계는 중소기업의 R&D 연구과제에 대해 ▲사업화 ▲기술수준 ▲기업역량 중심으로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제시하고 빅데이터, AI 기반 지능형 평가모델로 과제평가를 자동화해 R&D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개별 기업이 '도전적 R&D'에 뛰어들려는 의지가 있는지를 확실히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물론 아직 한계는 있다. 해당 평가체계를 가동하기 위해 현재로서 가장 필요한 것은 '평가자원의 데이터화'다. 평가자원은 사업계획서,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 연구노트 등 평가와 관련된 모든 것을 의미한다. 현재는 평가자원이 데이터화돼 있지 않아 분석도 어렵고 지능형 평가모델을 구축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내년부터 시범 기능을 구축해 3년째인 2022년에는 전체적인 기능을 완성할 예정이다.덧붙여서 설명하자면, 내년 3월 세종시로 청사를 이전하면 평가장에 AI 기반 녹음 시스템을 도입할 구상이다. 녹음을 하면 바로 텍스트로 전환해 데이터화하고, 알고리즘을 통해 주요 데이터를 요약하는 기능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Q. 기정원장 취임 후 정부 R&D 정책에 민간 전문가를 참여시키는 프로젝트매니저(PM) 제도를 새로 도입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A. PM(Project manager) 제도는 민간 전문가들이 중소·벤처기업 R&D 정책 수립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제도다. 연간 1조원이 넘는 중소·벤처기업 R&D 예산을 집행하는 정책 기획 및 수립 과정에 민간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R&D 투자성과를 높이자는 취지다.앞으로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 혁신서비스, 전자부품장비 등 정부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 중인 4대 분야에서 7월부터 PM 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미 4개 분야의 민간 전문가를 채용했다. 이들은 관련 분야 경험과 역량이 풍부하고 중소·벤처기업 R&D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앞으로 PM들은 중소·벤처기업 R&D 사업의 전략 방향 제시 등 정책 수립 지원과 유망 신사업 발굴 등 사업기획, 예산 전략 등을 담당하게 된다. 민간 전문가의 현장 경험과 안목을 활용해 중소·벤처기업 R&D 정책을 보완·개선할 뿐만 아니라 성과 제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그린 뉴딜 및 스마트공장 분야에서도 기술전문가를 채용할 계획도 있다. Q.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술보증기금과 제휴를 통해 R&D를 지원한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A. 지난 6월 기술보증기금과 중소기업 R&D평가시스템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맺었다.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소·부·장 분야의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스마트 R&D평가시스템' 혁신에 대해서도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기보에서 운영 중인 '온라인 기술유통 플랫폼'인 Tech-Bridge를 활용해 대학이나 연구기관이 보유한 우수 기술을 중소기업에 이전하고 상용화 기술 개발을 지원해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의 자립을 도울 방침이다. 양 기관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받을 중소기업을 제대로 발탁하기 위해 기정원의 스마트 R&D평가시스템과 함께 기보의 기술평가시스템도 활용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R&D평가시스템 측면에서 4차산업혁명에 걸맞게 빅데이터, AI 등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평가 혁신'을 기보와 함께 만들어 갈 수 있어 의미가 깊다고 생각한다. ◆ R&D 사업화 위해 CVC 도입 고려해야 Q. 도전적 R&D로 혁신기술을 기진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이를 대기업에 적기에 매각하는 것도 비대면 생태계 조성에 필요하다. 최근 정부와 정치권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규제완화 흐름에 대해 평가해 달라.A.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CVC는 허용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CVC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펀드를 조성해 기술 기반 스타트업에 전략적으로 투자한 후 인수합병(M&A)을 통해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추구한다. 때문에 벤처기업가 입장에서도 코스닥 상장 등을 거치지 않으면서 M&A를 통해 회사를 자유로이 매각할 수 있다. 실제로 세계 벤처투자의 30%가량이 CVC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구글도 대표적인 글로벌 CVC다. 이처럼 한국도 대기업들의 투자 활로를 뚫어주는 차원에서 CVC는 검토해 봐야 한다고 본다. 사실 이미 대기업들은 지난해 일본의 수출 규제 당시 한국에 바로 대체 가능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업이 없었다는 점에서, 소·부·장같이 제조업 밑단이 힘들면 결국 대기업이 어려워진다는 것을 학습했다. 이미 혁신 기업 중에서 네이버 같은 IT 기업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기술 기반 기업들을 대상으로 투자를 하고 있지만, 투자가 한 곳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체로 흐르게 할 필요성이 있다.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 등에 관한 규제를 푸는 것을 고려해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Q. 기정원의 핵심 사업인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이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얼마나 기여했나. 지원하는 예산에 비해 생산성 향상 등 성과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A . 국민들이 알고 있는 스마트공장은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스마트공장이 한 번에 고도화되는 것이 아니라, 낮은 수준인 1~2단계를 거쳐 궁극적으로는 5단계로까지 점진적으로 성장한다는 점이다. 레벨5가 되기까지는 최소 5~6년 정도가 걸린다.지난해 말까지 스마트공장은 총 1만2660개가 보급됐다. 올해 목표는 5600개 증설이다. 이 중 3800개는 스마트공장 추진단이 맡고 나머지 1800개는 삼성 같은 대기업이 주도한다. 하지만 현재 기정원의 최대 관심은 스마트공장 고도화다. 우선은 20% 수준에 머물러 있는 레벨3 이상 공장을 25%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그리고 레벨3 공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 형태로 함께 수준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본다. 쉽게 설명해서 전기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부품공장과 제조공장 등 여러 기업의 협력이 필요하다. 때문에 전기자동차 생산 공장만 스마트공장화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부품 업체들도 함께 커넥트돼야 한다. 그래야 높은 수준의 스마트공장을 기대할 수있다. Q. 실리콘밸리 파견근무 경험을 토대로 출간한 '4차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의 기회'란 책이 공무원은 물론 기업, 일반 독자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됐는데 얼마나 팔렸나. A. 지난 2015년 실리콘밸리에 1년간 국장급 파견을 다녀왔다. 처음부터 책을 쓰려고 한 것이 아니라, 짧은 기간에 여러 사람을 만나고 많은 것을 경험하다 보니 정리를 해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년 동안 작업을 했는데, 당시 4차산업혁명이 화두로 떠올랐고 '혁명'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책을 써보자는 결심을 하게 됐다. 한국에 돌아온 뒤 출판사와 연이 닿아 출간하게 됐다.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된 것은 시점과 타이밍이 잘 맞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책을 출간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겨냥해 써야 하는데, 나 자신이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스스로가 알아들을 수 있는 수준에서 알기 쉽게 쓰기 위해 노력했다. 누구나 알아듣기 쉽게 4차산업혁명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앞으로 다가올 문제와 해결책 등을 제시했다. 결국 쉽기 때문에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됐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현재 2500권 정도가 고등학교 도서관에 보내졌고, 고등학생들에게 이 책이 4차산업혁명 종합 텍스트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83","atchfileNm":"200902_이재홍_기정원장,_스마트_RD평가로_비대면_스타트업_지원_뉴스핌(★).pdf","viewCnt":"2843","regDate":"2020-09-02 12:14:50"},{"contentId":"122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 국민과 함께 만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64","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 국민과 함께 만든다 박영선 줃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의료·바이오분야 혁신기업 온라인 IR'을 진행하고 있다(구루미 영상플랫폼 갈무리)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R&D) 전략을 세우는데 국민들의 의견을 듣는다. 중기부는 2일 매년 수립해 오고 있는 ‘중소기업 기술 로드맵’에 온라인 자유 토론 시스템(jamming)을 구축하고 오는 4일부터 6일까지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온라인 자유토론 시스템을 뜻하는 재밍(jamming)은 IBM에서 미래기술예측을 위해 활용하는 방법이다. 유망기술과 관련된 문제들을 자유롭게 토의하여 해결책을 찾아가는 개방형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의 한 형태이다.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최신 기술개발 트렌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중소기업 기술개발(R&D)의 투자 전략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지난해 기술 로드맵에서는 인공지능 등 27대 분야의 216개 전략제품이 제시됐고 중기부는 이들 분야에 연간 약 150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연계해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기업과 전문가 중심으로 시장 동향을 분석해 오던 방식에서 벗어나 시범적으로 업계와 대중의 관심도가 높은 ‘인공지능(AI)’ 등 2개 분야에 수요자인 일반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온라인 토의는 ‘중소기업기술로드맵’ 누리집의 ‘재밍’ 메뉴에서 관련 분야 전문가의 진행으로 운영되며,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 중기부 관계자는 “국민이 참여하는 ‘재밍’을 도입함으로써 수요자 의견이 반영된 기술개발 사업화로 중소기업의 매출 증대 등 성과가 신속히 도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이번 시범 운영 결과를 분석하여 확대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60","atchfileNm":"20200803_중소기업_기술,_국민과_함께_만든다.pdf","viewCnt":"2629","regDate":"2020-08-28 15:40:19"},{"contentId":"122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집중육성 품목에 국민 참여형 제도 도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63","contentsKor":"중기부, 집중육성 품목에 '국민 참여형 제도' 도입 중소벤처기업부는 R&D 기획 단계부터 국민의 아이디어가 반영될 수 있는 길을 확대한다고 17일 밝혔다. 중기부는 기술로드맵 집중육성 품목의 기획과정을 R&D 수요자 중심에서 ‘국민참여형 도출방식’으로 개선한다. ‘대국민 기술수요조사’, ‘재밍(Jamming·온라인 브레인스토밍)’, ‘사업성 평가단’ 제도가 신규 도입된다. 우선 국민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신기술 및 제품개발에 대한 아이디어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국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술수요조사가 기술로드맵 누리집(smroadmap.smtech.go.kr)을 통해 4월30일까지 실시된다. 실생활에 필요한 제품 아이디어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개발기술에  관심 있는 국민은 누구나 자유롭게 제안이 가능하다. 또 IBM이 미래기술예측과 기술로드맵 수립에 활용해 온 재밍(Jamming)을 도입한다. 재밍은 온라인 으로 진행되는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유망기술과 관련된 문제들을 일반인이 자유롭게 토론해 해결책을 찾아가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기술로드맵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어 국민이 제안한 유망기술은 R&D 국민평가단, VC(투자심사역) 등 10여명으로 구성된 ‘집중육성 품목 사업성 평가단’을 통해 실용성, 시장성 등을 평가받는다. 사업성이 우수한 과제는 2021년 중소기업 R&D 지원품목 후보로 추천된다. 기술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위원회에서 집중육성 품목으로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또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을 통해 발굴된 4차 산업혁명 분야 및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집중육성 품목과 전략기술에 대해 중기부는 2021년 R&D과제 공모 시 품목지정 방식으로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61","atchfileNm":"20200317_중기부,_집중육성_품목에_국민_참여형_제도_도입.pdf","viewCnt":"2363","regDate":"2020-08-28 15:39:02"},{"contentId":"122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수립에 국민 기술 1,300여건 제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62","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수립에 국민 기술 130여건 제안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기술전략 품목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국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올해 첫 도입한 ‘국민 수요 조사’에 130여건의 기술 제안이 이뤄졌다고 21일 밝혔다. 중기부는 지난 2010년부터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통해 중소기업에게 적합한 기술개발 집중육성 품목을 지정하고, 중소기업이 이들 품목을 개발할 수 있게 연간 150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연계 지원하고 있다.그동안 중소기업 집중육성 품목 지정 시 개발기업의 기술개발 수요를 중점적으로 반영해 왔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기술개발 지원 효과의 국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국민참여 방식의  ‘온라인 설문’과 ‘재밍’을 시범 도입했다. 이번 ‘온라인 수요 조사’에는 일반 국민은 51건의 기술을 제안했다. 온라인 자유 토론 시스템인 ‘재밍’에는 625명이 참여해 815건의 기술 제안과 7370건의 토의가 이뤄졌다. 기술 제안만 총 1326건이 접수됐다.중기부 관계자는 “수요 조사에 참여한 중소기업은 보안기술, 자율주행 로봇 등 산업 현장에 접목이 가능한 기술을 많이 제안했다”며 “일반 국민들은 치매·독거 노인을 위한 지원기술, 지능형 디지털 범죄 예방 등 실생활과 밀접한 기술을 주로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질병 진단 플랫폼 기술 등 원격진료와 관련된 생명건강관리(바이오헬스케어) 분야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중기부는 이번 국민 기술 수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집중육성 품목을 선정하고 기술성, 시장성 등을 면밀히 분석해 ‘2021년~2023년도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오는 12월에 발표할 예정이다. 조희수 중기부 기술정책과장은 “최종 수요자인 국민의 기술수요가 중소기업 기술개발 제품에 반영됨에 따라 신속한 사업화가 기대된다”며 “올해 시범 도입한 국민 참여방식의 정책 수립에 일반 국민의 호응이 높아 이를 정책화하고 국민 생활과 밀접한 다른 분야의 정책수립 과정에도 적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59","atchfileNm":"20200821_중소기업_기술로드맵_수립에_국민_기술_1,300여건_제안.pdf","viewCnt":"2419","regDate":"2020-08-28 14:46:48"},{"contentId":"122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스테이 스트롱 릴레이 캠페인 참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6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8월 28일(금) 기정원 본원에서 이재홍 원장, 장상민 노조위원장 및 임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스테이 스트롱’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 스테이 스트롱(Stay Strong) 캠페인은 지난 3월 외교부를 시작으로, 코로나19 극복 및 조기 종식을 응원하는 캠페인으로,   ○ 공식 로고에 담긴 메시지(철저한 개인위생 관리를 통한 코로나19 극복)를 든 인증 사진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전파하는 것을 의미한다.   ○ 기정원은 노(勞)・사(使)가 협력하여, 캠페인 공식 로고와 더불어 ‘기정원도 코로나19 극복에 함께합니다’ 라는 메시지와 함께 응원의 메시지를 전했다.   □ 기정원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사회공헌 활동도 지속해왔다.   ○ 지난 3월에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지역희망 나눔활동’을 통해 지역 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재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전통시장 마스크 기부, △노사공동 성금전달 등 위기 극복에 적극 동참해왔다.   □ 이재홍 원장은 스테이 스트롱 캠페인 참여를 통해,   ○ 앞으로도, 대국민 업무 수행 과정에서, ‘코로나19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보건당국의 방역 지침 준수에 만전을 기할 것’이며,   ○ ‘지금 이 시간에도 코로나19에 고군분투하고 있는 현장의 의료진분들과 더불어, 경영 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 관계자 여러분께 깊은 위로와 격려의 말씀을 드린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58","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스테이_스트롱_릴레이_캠페인_참여.hwp","viewCnt":"2424","regDate":"2020-08-28 14:02:32"},{"contentId":"122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벤처기업 우수기술인재 채용지원을 위한 "온라인 채용관" 오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6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중인 중소벤처기업 대상으로 기술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기술인재 채용관’을 지난해에 이어 오는 9월부터 오픈하여 내년 7월까지 운영할 계획임을 밝혔다.   ◦ 기정원은 현재 청년들이‘코로나19’ 등으로 인하여 취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중소벤처 기업들은 역으로 우수기술 인력 구인난을 겪고있는 실정이어서, 이러한 구인·구직 미스매칭 해소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동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 ‘기술인재 채용관’운영사로 국내 최대 리크루팅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사람인에이치알’을 지난 7월 선정하였으며, 동 채용관은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 플랫폼 내에 구축하여 1,000개 내외 우수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채용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 ‘사람인’은 인공지능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인별 맞춤형 일자리와 최적의 인재를 찾아주는 선도 취업 플랫폼으로, ‘기술인재 채용관’을 통해 인력 채용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에게 무료로 채용공고 등록 지원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 참고로‘기술인재 채용관’을 통해 우수기술 인력 채용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들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 (www.smtech.go.kr)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특히, 금년에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청년들이 취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금번에 개설한 ‘사람인 포털내 기술인재 채용관’플랫폼을 통하여 취업난 해소 지원과 더불어,   ◦ 중소벤처기업들은 우수인력 확보 창구로서 적극 활용되어 기업의 국내외 경쟁력 제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57","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중소벤처기업_우수기술인재_채용지원을_위한_온라인_채용관_오픈.hwp","viewCnt":"2394","regDate":"2020-08-28 13:54:00"},{"contentId":"122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연말까지 '스마트공장 표준' 만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51","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50","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연말까지_스마트공장_표준_만든다.jpg","viewCnt":"2219","regDate":"2020-08-25 08:23:36"},{"contentId":"122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우수 연구개발 지정혁신제품 공공기관 구매 지원을 위해 현장 방문 나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5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중소기업 연구개발사업 과제를 통해 개발된 제품 중 혁신성과 공공성이 뛰어난 제품의 공공기관 판로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 8월 중순 현장방문에 나섰다.   ㅇ 현장 방문 대상 업체는 금년에 신설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이하 혁신제품 지정제도)’를 통해 지정된 44개 제품(‘20.7월 선정) 중 당뇨로 인해 매일 주사바늘 채혈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 등을 위해 통증 없는 ‘레이저 채혈기’ 제품을 제조하는 ㈜라메디텍 등 3개 업체를 방문하여 생산현장을 둘러보고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그간 중소기업은 우수기술 기반 혁신제품을 개발하여도, 공공기관이 시장에서 이미 검증된 제품 위주로 구매하여 초기시장 창출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나,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를 위해 중기부 등 정부에서 마련한 제도로서,   ㅇ 지정된 혁신제품에 대해서는 수의계약 허용, 일정 금액이상 물품구매시 공공기관 가점 적용 등으로 공공기관에 대한 초기판로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현장방문 업체 중 ㈜라메디텍 최종석 대표는 “지난 ‘2012년 창업이래 오랜 기간 연구개발을 통해 통증 없는 채혈기인 ’레이저 채혈기‘를 개발하였지만 공공기관 납품실적이 없어 해외시장 개척에 어려움이 많았는데, 금번 혁신제품 지정제도 활용을 통해 공공시장에 납품하게 됨으로써,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으며,   ㅇ ㈜코위드원 윤상조 대표는 “’2011년 창업 이래 연구개발을 통해 지하 매설배관 안전관리시스템인 싱크볼(실시간 감지센서) 및 원격감시장치로 구성된 ’Sink Tree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나, 주 수요처인 지방자치단체 구매실적 저조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지만 금번 제도로 인해 구매 확대가 기대되고 해외진출에도 탄력을 받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ㅇ ㈜제이오텍 김상용 공동대표는 “연구실험실 및 산업현장 등에서 인화성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외부 화염에 90분이상 견디는 고내화 성능을 보유한 보관함을 국내최초로 개발하여 수입대체 등을 하였으나, 인화성 물질 취급 공공기관의 구매가 미미하였지만, 동 제도를 통한 공공기관 납품확대가 기대되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의 사전예방이 크게 개선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그간 “중소기업 R&D 지원을 통해 우수한 혁신제품을 개발하고도 국내시장과 글로벌시장 진출에 어려움이 많았지만, 금번 제도를 통해 공공기관이 초기 구매시장 마중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구매확대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현장방문을 통해 소통을 강화해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49","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중소기업_우수_연구개발_지정혁신제품_공공기관_구매_지원을_위해_현장_방문_나섰다.hwp","viewCnt":"2144","regDate":"2020-08-24 17:14:27"},{"contentId":"122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통한 중소기업 R&D 자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4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2020년 상반기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의 구매연계형 및 공동투자형 자유응모 에 총 408개 과제가 신청되었고, 이중 165개 과제가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 이번엔 선정된 과제들은 과제기간동안 정부출연금 총 635억 원, 과제당 평균 3.8억 원을 지원받아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올해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국내외 수요처 협약을 기반으로 하는 ‘구매연계형사업’(최대 2년, 5억 원)과, 정부와 투자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는 ‘공동투자형사업’(최대 3년, 12억 원)으로 지원 규모를 확대하여 중소기업을 지원한다.   ○ 지원분야도 ‘일반과제’ 뿐만 아니라 수요처가 국내 공공수요처(정부·지자체·공공기관)인 ‘조달혁신’, 일본 수출 규제 극복을 위한 ‘소·부·장’,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형자동차 분야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BIG3’ 등으로 세분화하여 지원한다. □ 기술분야별 선정률은 기계·소재 37.6%(62개), 전기·전자 20.6%(34개), 정보통신 15.2%(25개), 화학 12.1%(20개), 바이오의료 9.1%(15개), 지식서비스 3.6%(6개), 에너지자원 1.8%(3개)의 순으로 기계·소재, 전기·전자, 정보통신 분야가 강세를 나타냈다.   □ 선정된 과제 중, 조달혁신분야에선 천연기념물(동물)의 효율적 생태 연구를 위한 초소형·초경량 위치추적장치 개발과제는 그동안 연구가 어려웠던 조류와 같은 소형 동물의 위치추적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소·부·장 분야 선정과제 중, 동합금 분말야금법과 이종소재 접합 기술을 적용한 건설기계 유압모터용 고성능 밸브 플레이트 개발과제는 기존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과 내구성 향상이 기대된다.   ○ BIG3 분야 과제 중, 스마트 헬스케어 허브 및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멀티센서 상황인식 기반 Smart Medical Alert System 개발과제는 노인 등 복지 취약 계층의 위기상황 발생 시 보호자 및 복지기관에 즉각 알림을 주어 발빠르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본 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과 수요처 모두 Win-Win할 수 있는 최적의 장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특히, 중소기업에게 더욱 가혹한 대내외적 악재를 극복할 수 있는데 힘을 보태줄 수 있도록 기정원이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추가적으로 하반기 신청이 완료되었으며, 8월 20일부터 평가를 통해 35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 혹은 기정원 기업협력사업실로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48","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_통한_중소기업_RD_자금_지원.hwp","viewCnt":"2300","regDate":"2020-08-24 11:12:16"},{"contentId":"122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경영평가성과급 일부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 “지역경제 위기극복 참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48","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지원 방안의 일환으로, 경영평가성과급 10% 내외를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하는데 노․사간 합의하였다.   - 기정원은 지난 10일 전년도 경영평가성과급 지급과 관련하여 노․사 합의를 진행하였으며, 경영평가성과급의 일부를 개인별 참여 의사에 따라 최소 5만원에서 최대 30만원까지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할 계획이다.   - 직원들의 자발적 참여로 지급되는 온누리상품권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전통시장 및 지역사회 등에서 사용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 및 자연재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사회의 고통을 분담하고,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앞서 이재홍 원장은 최근 4개월간 매월 급여의 30%를 대한적십자사에 기부함으로써 코로나19 극복에 동참한 바 있으며, 기정원은 지역 농산물 및 전통시장 물품 구매를 통한 기부활동 등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노력을 기울여 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47","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경영평가성과급_일부_온누리상품권으로_지급_“지역경제_위기극복_참여”.hwp","viewCnt":"2018","regDate":"2020-08-24 08:41:54"},{"contentId":"122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테크브릿지 활용 상용화 R&D사업 1차 모집에 31개 소부장 과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47","contentsKor":"테크브릿지 활용 상용화 R&D사업 1차 모집에 31개 소부장 과제 선정 -대학·연구소 기술이전 中企에 2년간 최대 8억 지원-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의 기술 이전부터 상용화까지 일괄 지원하는 '테크브릿지 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 지원과제 1차 모집에 31개 과제를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이 사업은 소재·부품·장비의 조기 국산화를 위해 대학과 연구소가 보유한 핵심 기술을 이전받은 중소기업에 2년간 최대 8억원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기술보증기금이 협력해 기술평가시스템(KTRS) 연계평가, 토론식 대면평가, 전문가와 일반 국민 78명이 참여하는 국민평가단 심사를 거쳐 사업화 역량이 높은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선정된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게 될 대학과 연구소는 공동개발기관으로서 기술개발에 참여해 노하우를 전수하고 함께 기술개발을 하게 된다. 또 기술개발 자금지원 외에도 기술보증기금이 운영하는 지적재산권(IP) 인수 보증과 사업화 보증을 연계해 중소기업의 기술이전 부담을 덜고 사업화 성공률을 높일 예정이다.선정 기업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전기전자 15개, 화학 7개, 기계소재 7개, 바이오의료 1개, 에너지자원 1개 등이다. 공동개발기관으로는 12개 대학과 19개 연구소가 참여한다.선정 기업 중 지투파워는 특허 67건 등 전력 개폐장치 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기술이전 후 태양광 발전 분야와 에너지 저장장치(ESS) 분야 등에서 신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제엠제코는 파워반도체 핵심부품 중 하나인 '클립'(Clip)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기업이다. 향후 수입 의존도가 큰 국내 파워반도체 산업의 기술자립과 국산화에 기여하고, 전기자동차·로봇·스마트공장 등 다양한 산업으로의 시장 확대도 예상된다. 출저 : 뉴스원(https://www.news1.kr/articles/?4033588)","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46","atchfileNm":"보도자료테크브릿지_활용_상용화_RD사업_1차_모집에_31개_소부장_과제_선정.pdf","viewCnt":"2954","regDate":"2020-08-24 08:38:12"},{"contentId":"12220","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 현안을 논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2220","contentsKor":" ","viewCnt":"466","regDate":"2020-08-18 16:34:57"},{"contentId":"1221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AI로 차세대 보안을 주도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2219","contentsKor":" ","viewCnt":"359","regDate":"2020-08-18 16:34:13"},{"contentId":"122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그린벤처 프로그램'에 290개사 지원…경쟁률 14.5:1","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08","contentsKor":"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을 선도할 '그린벤처' 프로그램이 14.5: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아울러 신청기업들은 서면평과 통과 이후 토론식 심층평가를 거쳐 최종 선발될 예정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0일 접수를 마감한 '2020년도 그린벤처 프로그램'에 중소벤처기업 290개 사가 접수해 14.5: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중기부 기술개발 사업의 평균경쟁률인 4.4:1(2019년 기준)의 3배를 훌쩍 넘기는 수치로, 그린뉴딜 정책에 대한 기업의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프로그램은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미래 기후변화와 환경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선별해 집중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중기부는 그린벤처를 지원하기 위해 2020년도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 205억원의 예산을 반영한 바 있다. 이번 프로그램에 선정된 기업은 전용사업을 통해 기술개발(R&D)과 사업화 자금을 최대 3년에 걸쳐 30억원 가량 지원받을 수 있다. 현재 그린벤처 신청현황을 살펴보면 환경보호・보전이 23.8%(69개), 그린 정보통신기술(IT)이 23.1%(67개), 신재생에너지가 10.7%(31개) 순으로 지원이 많았다. 업력별로는 신청기업의 절반 정도가 창업 7년 미만의 스타트업이었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20억원 미만 기업이 49.7%에 해당했다. 해당 기업들은 향후 서면평가 이후 토론식 심층평가를 거쳐 최종 선발에 이른다. 선정평가는 신청당시 기업들이 제출한 성장전략서를 바탕으로 서면평가를 진행하고, 통과기업에 대해 기술개발(R&D)과 사업화 계획을 보완해 토론식 심층평가를 통해 최종 선정한다. 토론식 심층평가는 산학연 전문가, 사업화 전문가가 참여하며, 국민평가단도 참여해 평가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의견도 제시하는 등 국민이 실생활에서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과제가 선정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그린벤처 국민평가다는 오는 19일부터 중소기업종합관리시스템에서 신청을 받는다. 관심있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중기부 윤세명 기술개발과장은 "이번에 선정되는 그린벤처 기업이 미래의 신성장동력인 '그린뉴딜'을 이끌어 갈 주역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추경예산으로 긴급 추진하는 만큼 신속하게 선정절차를 마무리해 9월중에 최종 선정기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출저 : 뉴스핌(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818000056)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31","atchfileNm":"스크랩중기부_그린벤처_프로그램에_290개사_지원...경쟁률_14.5대1.pdf","viewCnt":"3174","regDate":"2020-08-18 14:13:56"},{"contentId":"122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산학연 손잡고 공정 자동화 통한 스마트 리쇼어링 추진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200","contentsKor":"산학연 손잡고 공정 자동화 통한 스마트 리쇼어링 추진한다   - 산․학․연 중심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 출범 -   □ 산업․기업․공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말까지 공정개선 시 유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유턴 아이템’ 30개 이상 발굴   □ ‘공정혁신 기술개발(R&D)’을 활용해 노동집약적 공정의 자동화·스마트화를 지원하고 시급한 3개 분야는 올해 시범 추진   ※ 복잡한 공정도 자동화할 수 있도록 과제당 지원금 대폭 상향(2억원→10억원) ------------------------------------------------------------------------------------------------- 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유턴 활성화를 위해 산․학․연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8월 13일(목) 서울 중구 소재의 LW컨벤션에서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를 출범하고, 공정 자동화를 통한 스마트 리쇼어링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는 지난 7월 발표한 ‘소부장 2.0 전략‘과 ’인공지능(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의 후속으로 출범했으며 민간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과 맹수석 충남대학교 교수 중심의 민간 공동팀장 체제로 운영된다.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는 산하에 테스크포스(TF) 실무 지원하는 3대 분야(자동차, 전기전자, 뿌리․생활 등)의 ‘분과위원회’를 둔다. ‘분과위원회’가 ‘예비 유턴 아이템’ 리스트를 발굴하면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는 리스트 중에서 우선 순위에 따라 ‘유턴 아이템’을 확정하는 방식으로 역할을 분담한다.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와 ‘분과위원회’는 산업․기업․공정 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협․단체, 연구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유턴 아이템 발굴 성과를 높이기 위해 협․단체는 분야별 대․중소기업과 접촉하면서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산업연구원 등은 업종․산업 현황을 분석하며 분야별 전문 연구원은 공정별 자동화․스마트화 가능성을 분석하는 등 분업적 협업을 수행한다.   ‘공정혁신 테스크포스(TF)’는 유턴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올해 말까지 기업 수요 등을 고려해 ‘유턴 아이템’ 30개 이상을 발굴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유턴 아이템’의 노동집약적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전환하는 ‘공정혁신 기술개발(R&D)’을 연계 지원하고 이를 토대로 유턴기업 등에 대해 스마트공장과 제조로봇을 후속 지원하는 등 스마트 리쇼어링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특히 성공사례를 신속히 창출하기 위해 자동화공정 구현이 시급한 3개 분야 과제를 선정해 하반기부터 기술개발을 시범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와이어링 하네스’ 등 수작업 위주의 복잡한 공정도 개선할 수 있도록 기존 2억원 수준인 과제당 지원금을 10억원까지 대폭 상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오는 9월 공고 예정인 ‘공정·품질기술개발(혁신형 R&D)’ 사업 공고문을 참고하면 된다.   중기부 차정훈 창업벤처혁신실장은 “코로나19로 신흥국 공장이 멈추면서 글로벌 분업구조가 흔들리고 있다”면서, ”민간과 힘을 모아 기존 수작업 공정을 첨단 자동화․스마트 공정으로 전환해 나간다면 유턴이 활성화 되면서 대한민국이 ‘세계공장’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차 실장은 ”유턴 기업의 신규 공장 증설 등 설비투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스마트공장’과 ‘제조 로봇’을 연계 지원하는 등 스마트 리쇼어링을 활성화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공정 개선 가능성을 타진해보고 기술개발 성과물이 조기에 확산될 수 있도록 업계와 면밀히 소통할 계획“이라며, ”36년간 민간에서 얻은 공정 자동화․스마트화 경험을 살려 성공사례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27","atchfileNm":"보도자료산학연_손잡고_공정_자동화_통한_스마트_리쇼어링_추진한다(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hwp","viewCnt":"2462","regDate":"2020-08-13 17:07:38"},{"contentId":"121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혁신제품에 공공조달 연결 본격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96","contentsKor":" 중기부, 혁신제품에 공공조달 연결 본격화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2차 접수 시작(8.13~9.14) -   □ ’20년 상반기 지정(1차)된 44개 혁신제품에 대해 기업과 공공기관 구매담당자간 피칭데이 추진 (9월 예정)   □ 중기부 R&D 지원 제품 중 혁신성・공공성이 인정되는 제품을 혁신제품으로 지정해 3년간 공공기관과 수의계약 허용 등 초기 시장진출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혁신적인 기술개발 제품에 대한 공공조달 연계 확대를 위해 지난 7월 1차로 44개 혁신제품을 지정한데 이어, 제2차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을 위한 신청기업을 8월 13일(목)부터 9월 14일(목)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중기부의 연구개발(R&D) 지원에 성공 판정을 받은 제품 중 혁신성과 공공성이 뛰어난 제품을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이하 혁신제품)‘으로 지정해 초기 판로를 지원하는 것이다. : (참고1)   중기부의 R&D 지원을 통해 우수한 기술적 성과를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판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과 혁신제품에 대해 구매 수요가 있는 공공부문을 연계하여 지원한다. 혁신제품에 대한 정보는 조달청 전자조달시스템에 등록되며, 지정 후 3년간 공공기관과의 수의계약을 통한 공공조달 참여가 가능하다.   * (공공부문 평가) 기관별 물품구매액의 1%를 혁신제품 구매에 활용, 달성도 평가 □ '20년 상반기(1차) 지정 결과   중기부는 2020년 상반기 1차로 기술개발(R&D)지원 기업을 대상으로 103개 제품(1,007개 품목)을 접수 받아 평가를 거쳐 이 중 44개 제품을 우수 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지정*했다.: (참고2)   * 모집공고(2.26~4.8) → 선정 평가(혁신성평가▶현장실태조사▶조달적합성평가▶ 종합심의, 4~6월) → 지정예정 공고(7월) → 혁신제품 지정(7.21)   지정된 제품의 기술분야별로는 기계·소재 14개, 전기·전자 11개, 정보·통신 9개, 화학 4개, 바이오·의료 3개, 에너지·자원 분야 3개 순으로 선정됐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가능성을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의료 분야에서는 감염환자 이송용 음압캐리어를 개발한 ㈜웃샘, 2차 감염방지와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레이저 채혈기를 개발한 라메디텍, 환자 병상의 시스템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멀티미디어와 치료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아이티아이테크놀로지 등 창의적 아이디어 제품이 지정됐다.   지반침하 초기감지로 싱크홀 예방시스템을 개발한 ㈜코위드원, 상하수도 배관 내부의 부식 억제장치를 개발한 ㈜이지스솔루션, 산업현장 추락사고 시 인명피해를 줄이는 산업용 추락 보호 에어백을 개발한 세이프웨어㈜ 등 기술력과 공공 현안 해결을 위해 사회적 필요성을 갖춘 다양한 중소벤처 혁신제품이 지정됐다. □ '20년 하반기(2차) 추진 계획 중기부는 올해 상반기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지정 제도 운영을 본격화하기 위해 2차로 혁신제품을 모집한다. 중기부의 기술개발(R&D) 지원사업에 참여해 최근 5년 이내 성공 판정을 받은 제품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신청대상으로, 기술의 혁신성, 시장성, 사회적 필요성 등 3개 분야에 대해 7개 항목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지원기업을 선정한다. : (참고3)   * 기술혁신성 30점 (제품의 신규성, 제품의 탁월성) 시장성 30점 (시장규모 및 점유율 확보 가능성, 공공·민간시장 파급효과) 사회적 필요성 40점 (공공현안 해결 및 사회적 가치 창출, 현안의 시급성, 공공구매 필요성)   이와 함께 지정된 혁신제품 수요 공공기관을 찾아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해당 기업과 공공기관의 혁신제품 구매담당자와의 피칭데이를 개최하고 우수 기업에 대한 홍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20.9월 예정)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기부는 중소벤처의 기술개발이 공공 서비스의 혁신을 창출하고 제품구매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시장진출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공공부문의 혁신제품에 대한 수요가 초기 판로 확대를 넘어 혁신에 대한 근본적인 동기 유발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혁신제품 지정은 8월 13일부터 9월 14일까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세부내용을 확인 및 접수할 수 있으며,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로 문의도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24","atchfileNm":"보도자료중기부,혁신제품에_공공조달_연결_본격화.hwp","viewCnt":"2297","regDate":"2020-08-13 11:26:30"},{"contentId":"121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벤처기업 산학연협력 기반조성을 위한 '코디네이터 양성' 교육 프로그램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88","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 협력 R&D의 지원기반을 확립하고자 ‘산학연협력 코디네이터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8월부터 본격 운영할 계획임을 밝혔다.   □ 이를 위해, 지난달(7월) ‘한국산학연협회’를 교육기관으로 선정하고, 기술혁신기관 및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중소기업 지원 전담인력에 대한 역량강화 교육 및 코디네이터 자격제도를 운영할 계획이다.   □‘코디네이터’는 대학․연구기관의 중소기업 지원 전담조직에 상주하며 중소벤처기업과 대학ㆍ연구기관의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 특히, 산학연협력사업은 협력 주체들의 소통과 신뢰를 바탕으로 혁신을 창출하는 사업으로 협력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코디네이터의 역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 올해 ‘산학연협력 코디네이터 양성 교육’은 기술혁신 지원기관 및 중소벤처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지원하여, 대학·연구기관, 중소벤처기업 내 협력R&D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 기술혁신 지원기관 : 대학, 연구기관, 기술전문기업 등   ◦ 교육 지원내용으로는 코디네이터 자격 취득을 희망하는 기술혁신기관 및 중소벤처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종합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자격시험을 통해 코디네이터 자격부여 및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기술혁신 기관 및 중소벤처기업의 협력R&D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한 개방형 협력R&D의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19","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중소벤처기업_산학연협력_기반조성을_위한_코디네이터_양성_교육_프로그램_운영.hwp","viewCnt":"2423","regDate":"2020-08-11 17:27:12"},{"contentId":"121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에 기생하는 'R&D 불법브로커' 솎아낸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78","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13","atchfileNm":"보도자료中企에_기생하는_RD_불법브로커_솎아낸다.jpg","viewCnt":"2710","regDate":"2020-08-07 09:11:56"},{"contentId":"121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中企 R&D 지원 제품으로 성심원 놀이치료실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6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8월 4일(화), 대전시 동구에 위치한 아동보육시설인 성심원 원생들을 위한 놀이 치료실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성심원 놀이치료실’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더욱 악화된 지역 취약계층 아동의 놀이권․발달권 보장 지원을 위해 성심원 원생들이 다양한 교구를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해준 사회공헌활동이다.   ◦ 성심원은 약 40여명의 아동과 청소년을 양육하고 있는 복지 시설로, 보호가 필요한 아동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건전한 성인으로 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이번 성심원 놀이치료실은 기정원의 R&D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의 제품을 활용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기정원은 아동심리 미술교육을 기반으로 교구를 제작하는 해당 중소기업의 모래놀이세트, 블록 등을 비치하였다.   ◦ 성심원 원장은 “놀이치료 활동을 위한 교구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방문강사님의 것을 활용하고 있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놀이치료 강사님의 방문이 몇 달째 중단된 상태였다”면서, “아이들이 집에서도 안전하고 자유롭게 창의적인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해주셔서 감사하다”며 소감을 전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지역사회 곳곳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지속적인 협력과 우리 중소기업 R&D 제품의 우수성을 홍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0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中企_RD_지원_제품으로_성심원_놀이치료실_지원.hwp","viewCnt":"2734","regDate":"2020-08-05 13:19:41"},{"contentId":"121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스마트공장, 아태 국가 '제조표준' 노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66","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05","atchfileNm":"보도자료K-스마트공장_아태국가_제조표준_노린다.jpg","viewCnt":"2653","regDate":"2020-08-04 10:50:13"},{"contentId":"121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청년 신규 채용하는 중소기업에 1만1,700명 인건비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64","contentsKor":"청년 신규 채용하는 중소기업에 1만1,700명 인건비 지원-청년 디지털 일자리 및 일경험 지원 사업 신청・접수 중 -□ 8월부터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인공기능(AI), 소프트웨어, 스마트 서비스 등 분야의 중소기업에 인건비 등 월 최대 190만원을 최대 6개월까지 지원 □ 참여희망 기업은 7월 30일부터 온라인(www.work.go.kr/youthjob) 으로 중기부 특화분야 담당 운영기관에 신청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고용노동부와 협업해 지난 7월 30일부터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과 ‘청년 일경험 지원 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과 ‘청년 일 경험 지원 사업’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청년층 고용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 중기부가 추천한 특화분야 운영기관을 통해 총 1만1,700명의 청년 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두 사업은 청년에게는 경력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회를 제공해 정보기술(IT)분야 실무경험을 쌓아 관련 분야에 취업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중소기업에는 일하고 싶은 청년을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하여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은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직무에 청년을 채용한 기업에 대해 월 최대 180만원의 인건비와 간접노무비 10만원을 최대 6개월까지 지원한다. ‘청년 일경험 지원 사업’은 청년에게 일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기업에 대해 월 최대 80만원의 인건비와 관리비를 8만원 한도 내에서 6개월까지 지원한다. 사업별 상세내용은 워크넷 누리집 (www.work.go.kr/youthjob)과 운영기관별 사업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이 두 사업을 통해 중기부는 청년을 신규로 채용하는 5인 이상 중소기업 중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스마트 서비스 등 분야의 기업, 창업·벤처기업, 이노비즈 기업, 스마트공장 도입기업 등을 특화분야로서 중점 지원한다. * 5인 미만 기업은 벤처기업, 청년창업기업, 지식서비스산업, 문화콘텐츠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분야 관련 업종, 성장유망업종 등에 해당하면 참여할 수 있다. 중기부가 추천한 특화분야 운영기관은 창업진흥원, 벤처기업협회, 지능정보산업협회 등 총 10개 기관으로 13개 분야(붙임자료 참조)에 총 11,700명의 청년 채용을 지원할 계획으로 이는 부처별 특화분야 중 가장 큰 규모*이다. * 11개 부처, 43개 특화분야・25,152명 중 중기부는 13개 특화분야・11,700명 지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워크넷 누리집(www.work.go.kr/youthjob)에서 특화분야 운영기관을 지정하여 신청해야 하며, 운영기관은 신청기업의 자격을 심사해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 중기부의 특화분야에 해당하는 중소기업은 우선 해당 특화분야 운영기관에 문의하여 관련 내용에 대해 안내받을 수 있다. 중기부 최원영 일자리정책과장은 “최근 취업절벽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청년층의 고용상황이 좋지 않은데 이번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등 유망 기술 분야의 벤처·스타트업과 제조 중소기업 등이 청년 채용 여력을 확보해 디지털 전환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관련 직무에 적합한 청년 채용을 위한 기업의 구인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청년들도 구인 사이트 등 기업의 채용정보를 관심있게 찾아볼 것을 권한다”라고 강조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904","atchfileNm":"보도자료특화분야_청년_일자리사업(일자리정책과).hwp","viewCnt":"2701","regDate":"2020-08-04 08:48:49"},{"contentId":"121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 전략 방향, 국민과 함께 만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60","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 전략 방향, 국민과 함께 만든다    - ‘중소기업 기술개발(R&D) 투자 전략’에 일반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온라인 자유 토론 시스템(jamming)’ 추진(8.4~6)-    - 수요자 중심의 전략제품 개발로 신속한 성과 창출 기대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중소기업의 전략적 기술개발을 위해 매년 수립해 오고 있는 ‘중소기업 기술 로드맵’에 일반 국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온라인 자유 토론 시스템(jamming)을 구축하고 8월 4일(화)부터 8월 6일(목)까지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최신 기술개발 트렌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기술개발 필요성이 높은 유망기술과 전략제품을 선정함으로써 중소기업 기술개발(R&D)의 투자 전략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19년 기술 로드맵에서는 인공지능 등 27대 분야의 216개 전략제품이 제시됐고 중기부는 이들 분야에 연간 약 1,500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연계해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기업과 전문가 중심으로 시장 동향을 분석해 오던 방식에서 벗어나 시범적으로 업계와 대중의 관심도가 높은 ‘인공지능’과 분산된 정보의 연결 기술인 ‘그리드 컴퓨팅’ 2개 분야에 수요자인 일반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온라인 토의는 ‘중소기업기술로드맵’ 누리집의 ‘재밍’ 메뉴를 통해 8월 4일(화)부터 6일(목)까지 3일간(24시간 운영), 관련 분야 전문가의 진행으로 운영되며,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   총 3일의 토의 기간 중 1~2일차는 관련 주제에 대한 자유토의를 실시하고, 3일차에는 중소기업 유망기술과 제품에 대한 집중 토의를 실시한 후 빅데이터 분석(키워드, 연관성 등)을 통해 전략제품의 후보군으로 선정된다. 중기부 관계자는 “국민이 참여하는 ‘재밍’을 도입함으로써 수요자 의견이 반영된 기술개발 사업화로 중소기업의 매출 증대 등 성과가 신속히 도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이번 시범 운영 결과를 분석하여 확대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99","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_기술로드맵_수립을_위한_국민_수요_발굴(기술정책과).hwp","viewCnt":"2480","regDate":"2020-08-03 09:08:04"},{"contentId":"121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기 R&D 수행기업을 위한‘연구보안 컨설팅’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49","contentsKor":"기정원, 중기 R&D 수행기업을 위한‘연구보안 컨설팅’추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R&D 성과물 보호 및 유출 예방을 위한 연구보안 컨설팅을 8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 연구보안 컨설팅은 R&D 기획, 수행, 성과창출 단계 등 R&D 全 주기에서 발생된 연구 성과물의 보호 및 유출 예방을 위해 중소기업의 취약한 보안기능을 사전에 점검하고 조치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ㅇ 기정원은 2018년도에 R&D지원 사업의 고객정보 보호를 위해 정보보호 경영체계 국제표준인 ISO27001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ㅇ 기정원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중소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보안조치 사항을 이행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의 취약점 발굴, 연구보안 매뉴얼 제작 지원, 캠페인 자료 배포, 연구보안 교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연구보안의 인식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ㅇ 신청자격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 하였거나 수행 중이어야 하고,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의 정보마당-기타공지사항-‘연구보안 컨설팅 기업모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중기 R&D 수행기업에게 연구보안 지원체계를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지능화․고도화되는 정보위협 등에서 안전하게 R&D성과물을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84","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중기_RD_수행기업을_위한‘연구보안_컨설팅’추진.hwp","viewCnt":"2794","regDate":"2020-07-30 13:15:07"},{"contentId":"121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하반기 구매연계형 공공조달 부문 중소기업 R&D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30","contentsKor":"기정원, 하반기 구매연계형 공공조달 부문 중소기업 R&D 지원 -8월 14일까지 과제제안서(RFP) 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이 개발한 신기술・신제품의 초기시장 진출 및 시장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20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구매연계형 3차 과제제안서(RFP)」를 오는 8월 14일까지 접수받는다고 밝혔다.   □ 특히, 이번 3차 과제제안서(RFP) 모집공고는 공공수요처(정부, 지자체, 공공기관)로 한정하여 접수하며, 이를 토대로 하반기 기술개발 중소기업을 모집・선정하여 지원할 계획이다.   ○ ’20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공공수요처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의 중소기업 R&D를 지원하기 위해 「공공부문 조달혁신」분야에 대해 과제 당 최대 2년, 5억원(연간 2.5억원) 이내로 지원한다.   □ 올해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공공부문 조달혁신」분야에는 총 286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며, 상반기 공공수요처로서 지자체 6곳, 공공기관 19곳의 과제가 선정되거나, 평가 중에 있다.   ○ ’20년 1차 모집에는 19개 과제가 선정되었으며, 2차 모집에는 51개 과제에 대해 선정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 대표적인 상반기 선정 과제로는 “천연기념물의 위치 추적 장치 개발”,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개발”, “누수탐사장비 국산화 개발” 등 공공수요처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술개발분야를 지원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본 지원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R&D 결과가 즉시 공공부문 혁신조달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공공부문 수요처 확보와 판로지원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중소기업들이 사업화 성공의 기회로 활용하셨으면 하며, 기정원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 혹은 기정원 기업협력사업실로 문의하면 된다.   ※ 과제제안서(RFP)는 아래의 경로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 과제신청 → 과제기획 → 온라인수요조사신청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66","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하반기_구매연계형_공공조달_부문_중소기업_RD_지원.hwp","viewCnt":"2633","regDate":"2020-07-29 09:01:45"},{"contentId":"121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공장 고도화에 3년간 총 3천억원 저리 대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113","contentsKor":"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7월 28일(화) 서울 을지로 소재 하나은행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 테크노파크진흥회(회장 안완기), 하나은행(은행장 지성규)과 함께 스마트공장의 제조혁신과 고도화를 지원하기 위한 금융지원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협약식 행사 개요 >◈ (일시‧장소) ’20. 7. 28(화) 15:00, 하나은행 본점(서울 중구 을지로)◈ (협약 기관) 중기부-기정원-TP진흥회-하나은행◈ (주요 참석자) 조주현 중기부 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장, 이재홍 기정원장 및 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 안완기 TP진흥회장, 지성규 하나은행장 등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중기부의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의 자금(연 4,000여억원 규모)을 집중 예치할 전담은행으로 민간의 하나은행을 선정하고 전담은행은 스마트공장 등을 위한 전용 대출자금을 신설해 저리로 융자한다는 것이다. *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은 생산성 30.0% 향상, 불량률 43.5% 감소, 원가 15.9% 절감, 납기 준수율 15.5% 향상, 산업재해도18.3% 감소(’19년 5,003개사 조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즉, 전담은행은 향후 3년간 총 3,000억원(연간 1,000억원) 규모로 스마트공장 등을 지원하는 저리의 대출 우대상품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관련기업은 일반기업보다 1.8%p 낮은 우대금리로 최대 40억원의 시설·운전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다. 지원대상은 스마트공장을 도입했거나 구축 중에 있는 기업 등 총 1만6,594개사가 해당된다. 또한, 스마트 리쇼어링을 위한 ‘공정혁신 R&D*’에 참여하는 기업도 포함할 예정이다. * 저렴한 인건비를 찾아 해외로 떠난 기업들의 유턴을 가속화하기 위해 노동집약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9월 공고 예정 < 스마트공장 저리 자금대출 지원개요 >◈ (우대상품명)  하나은행 스마트공장 지원 자금대출◈ (금리우대)  기업당 은행 산출금리 기준 1.8%p 이상 감면◈ (대출한도)  기업당 운전자금 10억원, 시설자금 30억원 등 최대 40억원 이내(은행이 산정한 범위내)(총 규모는 연간 1,000억원, 3개년 총 3,000억 한도내)◈ (대출기간)  운전자금 1년 이내(최장 3년 범위내 1년 단위 연장 가능), 시설자금 3년 이내◈ (상환방법)  만기 일시상환 또는 분할상환◈ (신청방법)  전국 하나은행 영업점 방문신청(‘20.8.1~) 또한, 전담은행은 저리 대출뿐만 아니라 은행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인력, 금융 인프라를 활용해 스마트공장 제품의 홍보, 판로, 수출입, 투자유치 등 다양한 기업경영 컨설팅 지원을 비롯해 각종 수수료* 감면도 지원한다. * 수입신용장 발행수수료 0.4%p 감면, 수출환어음 매입수수료 0.5%p 감면 등 이날 행사에서 중기부 조주현 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장은 “정부는 한국판 뉴딜의 후속 조치로 데이터 기반 플랫폼을 마련해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하겠다는 청사진인「인공지능(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을 최근에 발표했다”고 밝히면서, “민간 차원에서 이러한 정부 정책에 동참해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관련한 자금을 저금리로 지원함으로써 기업의 투자부담 완화 등에 단비와 같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재홍 기정원장은 “우리 중소·중견기업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제조기업의 스마트 리쇼어링과 스마트공장 제조혁신·고도화 촉진을 위해서는 적기에 자금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이 스마트 리쇼어링과 고도화에 이어 수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54","atchfileNm":"MOU_행사_사진2.jpeg","viewCnt":"3084","regDate":"2020-07-28 17:23:53"},{"contentId":"1209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에너지 취약계층 여름나기 지원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91","contentsKor":"기정원, 지역 에너지 취약계층 여름나기 지원 나서 - 지역 독거노인 가정에 냉방용품 전달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이 7월 27일(월), 하절기 폭염 취약계층의 여름나기를 위한 지역 희망 나눔 활동에 나섰다.   □ 이번 활동은 지난 6월부터 발생한 코로나-19 지역감염으로 인해 기존 폭염 대비책 중 하나인 실내 무더위 쉼터 운영이 중단됨에 따라 무더위 취약계층 집중 보호를 위한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 특히 이번 활동은 실내 쉼터를 운영하는 노인복지기관의 휴관으로 혹서기에 더욱 취약한 노인층의 온열질환을 예방하고자 독거노인 가정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 앞서 기정원은 복지기관을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했으며, 그 결과 인견이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기정원은 유성구 노인복지관을 통해 이 날 대전 중앙시장에서 구매한 인견이불을 35개 독거노인가정에 전달하였다.   ◦ 전달식에 참여한 유성구 노인복지관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복지기관이 재개관하더라도 무더위 쉼터와 같은 밀집 가능성이 높은 시설은 제한적으로 운영될 전망이다”라며, “지역 어르신들이 댁에서도 더위를 잘 이겨내실 수 있도록 함께 해주셔서 감사하다”고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활동을 비롯하여 소상공인 마스크 기부, 성금모금, 지역 농산품 소비 활동, 소상공인 활성화 캠페인 등 코로나-19 극복과 지역 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38","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에너지_취약계층_여름나기_지원_나서.hwp","viewCnt":"2483","regDate":"2020-07-28 10:21:06"},{"contentId":"120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겸「제1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89","contentsKor":"□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7.23.(목) 08:00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1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였음 ㅇ 금번 회의에서는 ①‘20.2/4분기 경제상황 평가 및 대응 방향, ②한국판 뉴딜 사업 등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 ③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 ④한국판 뉴딜 추진체계 및 운영방안 안건이 논의되었음","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37","atchfileNm":"(별첨3)_AI_데이터_기반_중소기업_제조혁신_고도화_전략☆.hwp","viewCnt":"2588","regDate":"2020-07-27 18:54:08"},{"contentId":"120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인공지능(AI)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제조 2.0 시대를 열어갑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81","contentsKor":"정부가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 구축을 통해 마이제조데이터 시대를 열게 되었다.   7월 23일(목) 「제1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1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인공지능(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한국판 디지털 뉴딜의 제조업 디지털화 핵심 후속조치로서 중소벤처기업부가 기존 디지털 저변 확대 차원에서 추진해 오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한 차원 높이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번 전략은 공장 내에 머물러 오던 스마트공장의 데이터를 마이데이터로 전환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 데이터가 수익을 창출하는 ‘마이제조데이터’ 시대를 열겠다는 계획을 담고 있어 한층 주목된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은 스마트공장에서 생성되고 있는 제조데이터를 활용하고, 그 이익을 데이터 생산 제조기업에 환원하는 ‘마이제조데이터’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히면서 본 전략에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전략은 인공지능(AI)·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제조를 더욱 고도화하고, 이를 뒷받침할 공급기업을 육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추진 방향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31","atchfileNm":"AI데이터기반제조혁신고도화전략(보도자료)최종.hwp","viewCnt":"2814","regDate":"2020-07-24 11:01:32"},{"contentId":"120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새로운 R&D방식 도입해 혁신과 도전 이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79","contentsKor":"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앞으로 중소벤처기업 R&D 지원을 그간 출연방식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신개념 방식인 투자형 및 후불형 R&D 사업을 도입한다고 7월 24일 밝혔다.   출연방식은 자금과 기술력이 취약한 중소벤처기업의 성장과 기술력기반 구축에 기여하였으나, 엄격한 선정절차와 경직된 집행구조로 인해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서 시장의 R&D 수요를 신속하게 반영하고 중소벤처기업의 능동적 혁신을 이끌어내는 도전적 모험적 기술개발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중소벤처기업이 자율적으로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과감하게 도전하도록 새로운 지원 방식인 투자형 R&D, 후불형 R&D를 도입한다.   특히 경제적 효과가 높을 것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투자와 장시간이 소요되는 위험성으로 인해 그간 투자 시장에서 외면받아 온 소재․부품․장비분야 등에 기업과 투자자의 과감한 R&D 참여를 유도한다. (참고1)   먼저 민간 벤처캐피탈이 선별해 先 투자한 기업에 대해 정부가 後 매칭으로 투자하는 지원방식인 투자형 R&D를 도입한다. 기업 선별 및 보육역량, 자본력 등 시장의 장점에 투자방식의 유연성을 결합하여 R&D를 지원하는 것으로 금년에 165억원 규모로 우선 시작한다.   민간 벤처캐피탈이 투자한 기업에 정부가 1배수, 20억원까지 매칭 투자하며, 소재・부품・장비* 및 비대면 분야 중소벤처기업이 지원대상이다.   * 강소기업 100 선정기업에는 최대 2배수, 30억원까지 투자   민간투자자의 보수적인 투자를 방지하고 과감한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도전적인 R&D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한 경우 정부투자의 최대 10%까지 우선손실충당을 허용한다. 우수 성과 중소벤처기업에게 정부 투자 지분의 최대 60%까지 매입권한(콜옵션)을 인센티브로 부여한다.   정부 지원금액은 50%이상 R&D에 사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시제품 제작 등까지 지출범위를 확대하여 자율성을 부여하고,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양산자금 등으로 사용을 허용하여,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일관 방식으로 지원한다.   (참고2)   아울러 R&D 참여기업의 자발적 책임성을 높일 수 있는 후불형 R&D도 시작한다. 기업은 자체 재원으로 먼저 R&D를 진행하고 성공 판정 후 정부로부터 출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4차 산업혁명분야, 소재․부품․장비, BIG3* 분야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기업이 자체 재원을 먼저 투입하여 R&D를 수행하는 만큼 기본요건 검토와 서면평가만으로 선정되도록 절차를 간소화 (기존, 선정평가에 3개월 소요 → 1개월 이내)하여 원스톱 평가를 진행한다.   *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 선정된 기업에게는 정부 지원금 25%를 우선 지급하며, R&D 성공판정 후 나머지를 지원받을 수 있다. 후불형 R&D 우수 기업에는 기술료 면제, 사업화 자금 보증 연계(기술보증기금), 필요시 후속 R&D 지원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부여된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기부는 중소벤처기업이 과감하게 혁신에 도전할 수 있도록 금년부터 R&D 체계를 혁신하여 기존 단기・소액위주에서 벗어나 4년, 최대 20억까지 지원규모를 확대했다”며, “이번 투자형, 후불형 R&D 도입으로 보다 시장친화적인 방식으로 기업들의 혁신 수요를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투자형 R&D는 7월 27일부터, 후불형 R&D는 7월 24일 공고를 시작하며 앞으로 성과를 점검하여 새로운 방식의 R&D 지원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은 중기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사업별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로 문의가 가능하다. 투자형 R&D에 대한 세부내용은 7월 27일부터 한국벤처투자(www.k-vic.co.kr)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30","atchfileNm":"200722__보도자료(투자형_후불형R_D_사업공고)_최종본.hwp","viewCnt":"2311","regDate":"2020-07-24 10:59:40"},{"contentId":"120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TIPA), 민간전문가(PM) 추가 채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4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포스트코로나 및 디지털경제 시대를 대비한 중소기업 지원전략 수립을 담당할 프로젝트매니저(PM:Project Manager)를 추가 모집한다고 7월 21일(화) 밝혔다.   이번에 추가로 공모를 추진하는 민간전문가는 중소기업 R&D PM 4개 분야(미래자동차, 화학ㆍ전자소재, 환경에너지, 지능정보) 및 스마트제조혁신 PM 2개 분야(데이터ㆍAI, 제조혁신 R&D) 등 총 6개 분야이다.   중소기업 R&D PM은 기술분야별로 중소기업에 적합한 신산업 및 고부가가치 분야에 대한 R&D 사업기획을 전담하게 되고,   스마트제조혁신 PM은 데이터․AI 기반 플랫폼 로드맵 수립 및 제조혁신 투자전략 기획을 전담할 예정이다.   이재홍 원장은 “신규 6개 분야의 민간전문가(PM) 추가 채용을 통해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R&D 및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코로나이후의 디지털, 그린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추진되는 한국판 뉴딜의 성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선정절차는 서류전형과 면접전형으로 구성되며, 서류전형을 통해 후보자 4배수를 선발하고, 대상자에 대한 면접전형(2단계)을 통해 직무수행계획, 조직적응력, 의사소통능력, 전문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선정한다.   지원서 접수는 7월 21일부터 8월 3일까지이며, 8월 18일 역량면접, 8월 27일 최종면접을 거쳐 8월 31일 최종합격자가 발표 될 예정이다.   채용일정, 지원서접수 방법 등 상세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에서 조회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80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TIPA),_민간전문가(PM)_추가_채용.hwp","viewCnt":"2734","regDate":"2020-07-22 14:13:38"},{"contentId":"120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구난방 정부 지원사업 통합한 '중소벤처 24' 22일 시범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20","contentsKor":"정부가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여러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한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포털 사이트를 시범 운영한다.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30여개 웹사이트에서 나눠서 제공하던 정보와 서비스를 모은 통합창구 ‘중소벤처24(www.smes.go.kr)’ 서비스를 오픈해 22일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중기부는 지원 업무 특성상 정책 영역과 지원 대상이 넓어 창업, 연구개발(R&D), 정책자금, 스마트공장, 판로개척·소상공인 등 분야별 지원을 위해 30여개 웹사이트를 별도로 운영했다. 이 때문에 기업이나 소상공인은 사업정보를 얻거나 지원사업을 신청할 때 개별 사이트에 일일이 회원가입하고 로그인 해야 하는 불편을 겪어야 했다.◇63개 지원사업 신청, 8종 증명·확인서 발급을 한 곳에서중기부는 이런 애로사항을 해소하고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함께 개별시스템을 통합 운영하는 중소벤처 24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중소벤처 24는 그간 개별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던 63개 지원사업 신청과 8종의 증명·확인서 발급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게 된다.이와 함께 그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재단중앙회 등 기관별로 제공하던 각종 정책자금 관련 융자와 보증 등에 대한 정보도 중소벤처24에서 한 번에 찾아볼 수 있게 된다. 궁금한 사항은 해당기관 전문가에게 온라인으로 상담 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중기부는 “코로나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로 이용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출처 : 조선일보(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1/2020072101566.html)","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81","atchfileNm":"보도자료중구난방_정부_지원사업_통합한_중소벤처_24_22일_시범운영.pdf","viewCnt":"2752","regDate":"2020-07-21 14:55:30"},{"contentId":"120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노사 간 협력적 소통문화 형성과 포용적 경영을 위해 ‘근로자 이사회 참관제’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10","contentsKor":"기정원, 노사 간 협력적 소통문화 형성과 포용적 경영을 위해 ‘근로자 이사회 참관제’ 시행□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과 노동조합(위원장 장상민)은 기관 경영의 최고의사결정 기구인 이사회를 근로자 대표가 참관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 기정원이 도입한 ‘근로자 이사회 참관제’는 이사회에서 의결되는 안건을 사전에 근로자가 확인할 수 있고, 비록 의결권은 없지만 발언권을 얻어 근로자 입장에서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 기정원과 노동조합은 지난 6월 노사협의회에서 참관제 도입을 논의하였고, 논의를 시작한지 1개월 만에 근로자와 함께하는 이사회를 개최하였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경영 패러다임을 근로자와 함께 소통하고 고민하여 상생과 협력의 문화로 전환하고자 근로자 이사회 참관제를 도입하였고, 기관의 발전과 문제해결을 위해 제도적으로 적극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아울러, 기정원 노동조합 장상민 위원장은 “참관제를 통해 기관은 경영의 투명성과 공익성을 확보하게 되고, 기정원 근로자는 지금보다 더 강한 소속감을 갖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viewCnt":"2369","regDate":"2020-07-20 08:58:17"},{"contentId":"120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환경부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개 육성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2006","contentsKor":"중소벤처기업부와 환경부는 미래 기후변화와 환경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선정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프로젝트는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2022년까지 100개사를 선정해 육성할 계획이다.두 부처는 이번 공고를 통해 그린뉴딜 유망기업 40개사를 우선 선정할 계획으로, 7월 20일부터 8월 10일까지 참여 희망기업의 접수를 받은 후 평가를 거쳐 9월 중 최종 선정한다.선정기업에는 향후 3년간 기술개발과 사업화 자금으로 최대 30억원을 지원하며, 이를 위해 두 부처는 올해 제3차 추경으로 총 407억원의 예산을 반영했다.중소벤처기업부는 연구개발(R&D) 지원 중심의 `그린벤처 프로그램`을 통해 녹색기술 분야 혁신형 중소기업을 중점 지원하고 환경부는 사업화 지원 중심의 `녹색혁신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녹색산업 5대 선도 분야(①청정대기, ②자원순환(포스트 플라스틱 포함), ③생물, ④스마트 물, ⑤수열에너지 등 기타분야) 중소기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두 부처의 이번 프로그램은 그린 뉴딜 3대 분야 중 하나인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추진되는 과제이다.출저 : 매일경제(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7/737361/)","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73","atchfileNm":"보도자료중기부-환경부_그린뉴딜_유망기업_100개_육성한다.pdf","viewCnt":"3035","regDate":"2020-07-20 08:55:31"},{"contentId":"119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공계 연구인력 채용시 인건비 50% 지원..."중소기업 R&D 강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96","contentsKor":"정부가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공계 연구인력 채용을 지원하고 나섰다. 이공계 연구인력 채용시 인건비의 50%까지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2020년 하반기 연구인력 지원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내달 10일부터 28일까지 모집한다고 13일 밝혔다. 이공계 학사이상 연구인력을 채용하거나 공공연구기관에서 연구인력을 파견받을 경우 인건비의 50%를 최대 6년간 지원한다. 하반기 지원규모는 270명이다.  먼저 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이 최근 5년안에 학사 이상 학위를 취득한 연구인력을 신규채용할 경우 기준연봉의 50%를 지원한다. 기업당 최대 2명까지 3년간 가능하다. 올해 하반기 지원규모는 190명이다. 경력자 채용때도 인건비의 최대 50%를 지원한다. 학사학위 취득후 10년, 석사 7년이상, 박사 3년이상 경력자를 채용할 경우에도 기업별 1명까지 최대 3년간 지원한다. 업체당 5000만원 한도이며 하반기 지원규모는 80명이다.  공공기관 재직 연구원이 중소기업에서 파견근무할 때도 업체당 1명씩, 최대 6년 이내에서 기준연봉의 50%를 지원한다.  중기부는 특히 강소기업100 선정기업과 협력·상생모델 승인기업에 대해 신진 및 고경력 연구인력 채용지원사업에 동시에 참여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연구인력 파견사업도 지원인력 한도를 1명에서 2명으로 확대해 우대 지원하기로 했다. 자세한 정보는 중기부 홈페이지(www.mss.go.kr) 또는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출저 : 뉴스핌(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713000446)","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46","atchfileNm":"보도자료이공계_연구인력_채용시_인건비_50%_지원...중소기업_RD_강화.pdf","viewCnt":"3218","regDate":"2020-07-17 08:41:36"},{"contentId":"119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TIPA), 신규직원 24명 채용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76","contentsKor":" 기정원(TIPA), 신규직원 24명 채용 공고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2020년 1차 채용공고를 통해 신규직원을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ㅇ 기정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침체된 고용시장에 활력을 보태고자 하반기 시작과 함께 신규직원 채용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 스마트제조혁신(정책연구, 사업관리), R&D평가관리, 홍보전략, 안전관리, 운전원 등 총 6개 분야에 걸쳐 24명을 채용하며, 7월 6일(월)부터 16일(목)까지 응시원서를 접수하고 서류전형, 필기전형, 면접전형 등을 거쳐 최종 선발한다.   □ 이재홍 원장은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의무를 다하기 위해 채용인원의 일정부분을 사회취약계층(장애인재) 및 지역인재(대전‧세종‧충청)로 선발할 예정이며, 신종코로나 확산방지를 위해 철저한 대비를 하여 채용전형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ㅇ 접수방법, 채용일정 등 상세내용은 기정원 홈페이지(www.tipa.or.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17","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TIPA)_신규직원_24명_채용_공고.hwp","viewCnt":"2777","regDate":"2020-07-06 09:03:51"},{"contentId":"119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 출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75","contentsKor":"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이 출범했다. 2일 중기부는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제1회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포럼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지원을 위해 기업, 대학, 연구소, 협단체, 정부 등 다양한 혁신주체를 연결하고 협업을 촉진하는 역할 수행한다. 이번 포럼에는 포럼 공동 의장인 신성철 카이스트 총장, 이장섭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이정동 대통령비서실 경제과학특별보좌관, 중소기업 유관 기관장 및 관련 협회장, 스타트업 대표 등 80여명이 참석했다.이날 열린 포럼의 주제는 최근의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고 ‘비대면, 플랫폼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이며, 2건의 주제발표와 전문가 패널토론이 진행됐다.먼저, 첫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이정동 대통령비서실 경제과학특별보좌관은 ‘비대면 제품·서비스 분야에서 혁신 구매자로서의 정부 역할’을 주제로 혁신조달 정책의 성공을 위한 정부와 기업의 역할을 강조했다.두 번째로는 바이오의료 분야에서 AI 소프트웨어 개발 스타트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주)뷰노의 김현준 대표가 ‘혁신 서비스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플랫폼화 전략’을 자사 비즈니스 경험을 토대로 설명했다.이어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이정원 STEPI 선임연구위원, 김재현 (주)살린 대표, 서울대 강진아 교수, 박종흥 ETRI 본부장, 박희재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회장, 차정훈 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장 등 산·학·연·협회·정부 소속 전문가가 참여해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경제에서 플랫폼 비즈니스 전략의 성공요건과 이를 뒷받침하는 정부의 생태계 조성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이번 행사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 참석자 간 거리유지 등 철저한 방역 관리 속에서 진행됐다. 현장에 참석하지 못한 국민들을 위해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중계하는 등 비대면 방식을 적극 동원했다.한편,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은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와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통한 대응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출범하게 됐다.포럼의 의장은 중기부 장관과 민간 의장이 공동수행하며, 중기부 유관기관, 연구기관, 관련 협회 등이 운영위원회 기관으로 참여한다. 운영위원회 아래에는 전문분과(기술, 생태계, 사회현안, 글로벌화)를 두고 산학연 소속의 분과위원들이 정책 의제 발굴과 정책 대안 도출 등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벌일 예정이다.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포럼이 출범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중기부의 대표적인 정책 싱크탱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출처 : 산학뉴스(http://www.sanhak.co.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11","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_혁신_네트워크_포럼_출범.pdf","viewCnt":"3084","regDate":"2020-07-03 10:37:04"},{"contentId":"119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무보와 협력으로 중기 R&D 수행기업을 위한 수출지원 프로그램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73","contentsKor":"기정원, 무보와 협력으로 중기 R&D 수행기업을 위한 수출지원 프로그램 시행 -2020년 하반기 수출지원프로그램 신청기업 모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수출역량 강화를 위한 수출지원 프로그램 하반기 신청기업 모집을 7월 2일(목)부터 7월 31일(금)까지 약 한달 간 시행한다고 밝혔다.   ㅇ 수출지원 프로그램은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나 글로벌 역량이 부족한 수출기업을 발굴·지원하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 지난해 11월 기정원은 해외진출이 필요하지만 수출대금 미회수에 대한 위험, 해외바이어 발굴 및 전문인력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무역보험공사(사장 이인호, 이하 무보)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ㅇ 기정원-무보 간 협무협약의 일환으로 마련된 수출지원 프로그램은 중소기업 R&D를 수행한 글로벌 진출 희망기업이 일반 중소기업보다 나은 우대조건으로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상반기에 1차 공고를 통해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다.   □ 수출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지원내용은,   ①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단체보험 가입, 보험료 할인), ② 신용조사 및 판로지원(해외수입자 신용조사보고서 지원, 우량수입자 상담기회 제공), ③ 수출컨설팅, 무역보험아카데미, 거시 경제 세미나 ④ 수출이행자금 및 수출대금 조기 현금화를 위한 보증지원 등으로 구성된다.   ㅇ 단, 수출실적 보유 여부 등에 따라 업체별 지원내용이 결정되며, 보험·보증 심사 과정에서 결격 사유가 발견될 경우에는 지원이 제한될 수 있다.   □ 수출지원 프로그램은 ’20년 총 300개사의 지원을 계획하고 있으며,   ㅇ 해당 프로그램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현재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수행중이거나, 접수마감일 기준 최근 3년 이내에 R&D “성공”판정을 받은 기업이 향후 1년 내 수출계획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중기 R&D 수행기업에 R&D부터 해외진출 지원까지 일괄지원이 가능하게 되어,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공고문 1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70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무보와_협력으로_중기_RD_수행기업을_위한_수출지원_프로그램_시행.hwp","viewCnt":"2908","regDate":"2020-07-03 10:30:36"},{"contentId":"119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데이터·인공지능 활용 스마트공장으로 중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62","contentsKor":"데이터·인공지능 활용 스마트공장으로 중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나선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출범 1주년 기념 성과 공유 및 비전 밝혀 - □ “정부의 중점과제인 3만개 스마트공장 보급과 더불어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고도화 사업에도 매진해 국내 중소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는데 앞장서겠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하 추진단)이 2일 출범 1주년을 맞아 감사 인사를 전하고 그 간의 성과 공유와 함께 비전을 밝혔다.   ◦ 추진단은 지난해 7월 2일, 스마트공장 구축 등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내 부설기관으로 공식 출범했다.   □ (지원체계 단일화) 기존 재단법인 민관합동 스마트공장추진단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내 스마트기업지원실로 이원화 돼 운영되던 스마트공장 사업은 추진단의 설립으로 단일화 됐다.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과 함께 정책기획·연구, 스마트공장 R&D, 표준화 등 스마트공장 관련 다양한 사업을 총괄해 수행 중이다.   □ (지역 확산 기반 구축) 추진단 출범 후 전국 19개 테크노파크(TP)내 스마트제조혁신센터 구축을 지원해 지역 중심의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 체계도 마련됐다. □ (민간 참여 확대)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도 크게 확대 됐다. 지난 2018년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4개 기업의 참여로 시작됐던 사업은 대기업의 참여가 2배 이상 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대표적인 상생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 (’18) 4개사(총 117.1억원, 597개 보급) → (’19) 10개사(총 213.2억원, 1,023개 보급)   □ (보급·확산) 이와 같은 노력 끝에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참여도 더욱 확대 됐다. 지난해 추진단을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받은 공장은 총 4,757개로 지금까지 누적 1만2260여개 지원을 달성했다. 올해는 5,600개 공장의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 (보급사업 다변화) 보급모델도 다변화 한다. 이를 위해 유사 제조공정·업종 등을 가진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공통 솔루션 구축을 지원 하고 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공장을 시범 추진 중이다.   □ (고도화 강화) 특히 추진단은 올해 지금까지의 보급사업을 발판으로 한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추진단은 정부와 협업해 중소기업들도 대기업 수준으로 데이터를 분석, 활용하고 인공지능(AI) 중심의 스마트공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는 인프라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밀리지 않는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 박한구 추진단장은 출범 1주년 기념 뉴스레터를 통해 “스마트공장은 국제 무역 분쟁 및 코로나19를 통해 부각된 리쇼어링(제조업의 본국 회귀) 문제의 유일한 대안이자 제조 환경의 개선을 통한 청년 근로자 유입 및 일자리 창출의 해법이다”며 “코로나19라는 큰 어려움 속에서도 경영을 유지하기 위해 애쓰고 계신 많은 기업인 및 근로자 분들이 스마트공장을 통해 역경을 해쳐나갈 수 있도록 조력자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79","atchfileNm":"보도자료데이터인공지능_활용_스마트공장으로_중기_글로벌_경쟁력_강화_나선다.hwp","viewCnt":"3031","regDate":"2020-07-02 09:44:48"},{"contentId":"119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성과 제고를 위한 생태계 조성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54","contentsKor":"□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한 개방형 협력R&D 생태계 조성에 박차가 가해질 것으로 보인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5개 출연연·전문연 기관들과 지난 6월 26일(금) LW컨벤션(서울)에서 “선도연구기관 협의회”(이하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날 협의회에는 기정원 이재홍 원장을 비롯하여 올해 6월 선도연구기관으로 지정된 5개 연구기관*의 기관장 등이 참석하였으며,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재료연구소, 한국자동차연구원   ◦ R&D 지원성과 제고를 위한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방안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와 이를 위한 향후 선도연구기관들의 역할 등에 대해 논의했다.   □ 4차 산업혁명 도래와 소재부품장비 R&D 중요성의 증대, 포스트코로나로 인한 수요기술변화 등으로 인해 기업경쟁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개별 기업단위의 지원보다 대학·연구기관과의 협력R&D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 이에 발맞춰 기정원은 2019년부터 4개의 협력모델을 적용한 4개 사업(‘20년 521억원)*을 마련하여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 산학연CollaboR&D(329억), 지역중소기업공동수요기술개발R&D(65억), 중소기업지원선도연구기관협력기술개발(65억), 산학협력거점형플랫폼R&D(62억)   ◦ 이중 “중소기업 지원 선도연구기관협력기술개발사업”은 선도연구기관을 지정·운영하며, 기업진단·R&VD·시장맞춤형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기술중심의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으로, ◦ 2019년 3개 선도연구기관에서 소재·부품·장비 분야 지원을 위해 관련 전문 연구기관인 2개 기관을 추가 지정, 총 5개 선도연구기관을 통해 협력R&D를 지원하고 있다.   □ 협의회는 개방형 R&D를 위해서는 지역·기술 기반의 거점(플랫폼)생태계 조성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향후 위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 지역·기술 기반 거점플랫폼은 각 지역의 우수대학으로 구성된 지역중심의 플랫폼과, 분야별 전문 연구기관 중심의 플랫폼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수요·역량 등에 맞춤형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을 위한 모델이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다양한 수요에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 및 기술 기반의 거점(플랫폼) 중심의 개방형 혁신 R&D 생태계 구축이 필수적” 이라고 밝히며,   ◦ “이를 위해 선도연구기관 협의회를 운영하게 된 것은 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다방면의 고민과 연구를 진행하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역량이 강화될 수 있는 생태계가 하루빨리 조성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55","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RD성과_제고를_위한_생태계_조성_나선다.hwp","viewCnt":"3098","regDate":"2020-06-29 11:34:55"},{"contentId":"119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사회 활력 제고 위한 희망나눔 이어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53","contentsKor":"기정원, 지역사회 활력 제고 위한 희망나눔 이어가 - 코로나-19 지역감염으로 위축된 전통시장·복지기관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이 6월 26일(금),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희망 나눔 활동에 나섰다.   □ 이번 활동은 지난 16일부터 발생한 코로나-19 지역감염 확산으로 방문객이 급감한 기관 자매결연 시장인 한민시장(대전 서구)의 소상공인들에게 힘을 보태기 위한 장보기 행사로 진행되었다.   ◦ 이번 소비 캠페인은 빠른 시일 내에 소비되어야 하는 식품점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 기정원은 유성구 노인복지관을 통해 이 날 구매한 식품으로 도시락을 구성하여 복지기관 장기휴관으로 식사 지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50개 독거노인가정에 전달하였다.   ◦ 전달식에 참여한 유성구 노인복지관 관계자는 “갑작스러운 지역감염으로 휴관이 무기한 연장되고 있어 어르신들 돌봄 활동에 어려움이 있었다. 기정원이 모아준 마음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활동과 더불어 내수 진작을 위해 기획된“대한민국 동행세일”홍보와 참여에 힘쓰는 등 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53","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사회_활력_제고_위한_희망나눔_이어가.hwp","viewCnt":"2780","regDate":"2020-06-26 15:42:15"},{"contentId":"119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코로나 19 극복기원 캠페인 동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5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코로나 19 극복기원 캠페인 동참 - 의료진과 사회적경제기업인들을 응원하기 위해 ‘덕분에’, ‘핸드인핸드’캠페인 참여-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지난 23일에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의료진과 사회적경제기업을 격려하고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덕분에 챌린지’와 ‘핸드인핸드’ 캠페인에 참여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과 임직원들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최일선에서 활약하고 있는 의료진과 선제적 기술개발로 대응하고 있는 중소기업인들에 존경과 감사의 뜻을 담은 수어를 하고 ‘덕분에 챌린지’에 동참했다.   ◦ 동시에 사회적경제기업의 상품을 릴레이식으로 구입하는 소셜릴레이 ‘핸드인핸드’캠페인에 참여했다.   □ 캠페인 메시지는 기정원 대표 SNS를 통해 공유하고 이어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연구원,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를 지목했다.   □ 이재홍 기정원장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고생하는 의료진에게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기정원도 본연의 업무인 중소기업 R&D 역량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52","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코로나_19_극복기원_캠페인_동참200623.hwp","viewCnt":"2751","regDate":"2020-06-26 15:40:43"},{"contentId":"119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 PM(Project Manager)제도 본격 가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50","contentsKor":"□ 중소벤처기업 R&D사업의 성과제고를 위해 민간의 기술전문가가 정책 수립 과정에 직접 참여하고 기획하는 PM 제도가 운영에 들어간다.   ㅇ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4대 기술분야에 채용된 PM이 7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고 발표했다.   □ PM(Project Manager) 제도는 R&D 전략수립, 사업기획, 성과관리・확산 등 R&D 전 과정에 민간의 기술전문가 참여하는 제도로서,   ㅇ 미국 NSF, DARPA 등 해외기관 뿐만 아니라 국내 연구관리전문기관에서도 활용 중인 제도이나, 기정원에서는 이번에 최초로 도입하였다.   ㅇ 기정원은 지난 4월 PM 채용공모를 시작으로, 전문성 등 역량검증을 거쳐 혁신서비스,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 전자부품장비 등 정부의 미래성장동력 분야 기술전문가 4명의 채용을 확정했다.   ㅇ 높은 경쟁(평균 경쟁률 12:1)을 통해 선발된 PM들은 관련분야 경험과 역량이 풍부하고 중소벤처기업 R&D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분들로 구성되었다. □ 이번에 채용된 R&D PM은 중소벤처기업 R&D 사업의 전략 방향 제시 등 정책 수립 지원과 유망 신사업 발굴 등 사업기획, 예산 전략 등을 중점 담당할 예정이다.   ㅇ 우선, 4차 산업혁명 확산, 코로나19의 발발, 소재부품장비 수출 규제, 한국판 뉴딜 등 복잡하고 급박하게 변하는 글로벌 산업 환경 속에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방향을 제시하고 신사업 발굴・기획에 착수한다.   ㅇ 아울러, 중소벤처기업 R&D 지원방향이 개별기업의 요소기술 지원에서 생태계 조성으로 전환됨에 따라, 생태계 육성 전략도 마련할 계획이다. 기정원이 역점사항으로 추진하려는 글로벌비즈니스 플랫폼 생태계 창출, 밸류체인 관련 기술생태계의 보완, 전문인력 등 생태계 인프라 구축 등이 해당된다. 이를 위해 우수 대학 및 선도출연연구기관 등과 코디네이팅하고, 기술사업화와 해외 진출을 위해 프라운호퍼 등 해외기관과의 네트워킹도 확대한다.   □ PM의 임기는 2년을 기본으로 보장하되 1년 연임이 가능토록 하여 정책수립의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PM제도 운영을 통해 민간전문가의 현장 경험과 안목을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의 R&D 정책을 보완・개선함으로써, R&D 사업의 성과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ㅇ 또한, 이미 채용한 4개 기술분야 외에도 현재 정부에서 중점 추진하는 그린 뉴딜 및 스마트공장 등의 유망분야로 전문가 채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임을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50","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RND_PM제도_본격_가동_최종.hwp","viewCnt":"3208","regDate":"2020-06-25 17:05:00"},{"contentId":"119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벤처기업 R&D에 모태펀드 투자한다...'최대 2년간 30억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37","contentsKor":"모태펀드에서 중소기업 기술개발(R&D)사업에 투자할수 있게됐다.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R&D 과제에 최대 2년간 6억원을 지원한다. 정부지원을 받는 R&D사업에 대한 기업부담도 대폭 줄어든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1800억원 규모의 '2020년 하반기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을 23일 공고했다. 이번 하반기 R&D사업은 ▲기술혁신 ▲창업성장 ▲투자형 ▲예비가젤형 등 총 11개 사업에 1643개 신규 과제를 선정해서 1800억원을 지원한다.  올해 하반기 R&D사업은 기술자립화를 앞당길 소재·부품·장비 분야와 포스트코로나를 이끌 비대면 미래혁신분야를 집중 지원한다. 지원금액은 ▲소재·부품·장비분야 260억원 ▲바이오헬스 등 BIG3(바이오헬스·미래형 자동차·시스템 반도체) 분야 203억원 ▲AI분야 75억원 등이다. 중기부는 특히 이번 하반기 R&D사업을 통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보유한 국내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터 '누리온'을 활용한 신산업 분야의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대상은 창업 7년이상인 중소·벤처기업이고 최대 2년간 6억원을 지원한다. 또한 3년 연속 매출액이 10%이상 증가하는 고성장 기업 일명 '가젤형 R&D사업'도 새로 지원한다. 최대 2년간 6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R&D 지원방식에 변화를 꾀했다. 기존의 단순 출연·보조방식에서 벗어나 '투자형 R&D'와 '후불형 R&D'를 새로 도입한다. 투자형 R&D 지원방식은 민간 벤처캐피탈(VC)이 먼저 투자한 중소·벤처기업에 정부가 운용하는 모태펀드에서 최대 2배수, 30억원까지 후매칭방식으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R&D 성과 우수기업에 대해서는 모태펀드 투자지분에 대해 최대 60%까지 매수할 수 있는 콜옵션을 부여할 계획이다. 후불형 R&D는 기업이 R&D 재원의 일부를 선투입하여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성공판정 후 나머지 출연금을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후불형 R&D를 통해 창출된 사업화 성과에 따라 ▲기술료 감면 ▲후속 사업화 자금 ▲R&D지원을 연계한 인센티브 등을 추가로 제공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하반기 R&D사업을 공고하면서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의 부담을 덜어줬다. 기존 R&D 사업 부담비율을 최대 35%에서 20%로 낮췄다. 여기다 기업부담금중 현금비율을 최대 60%에서 10%까지 대폭 하향조정했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소·벤처기업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이 많지만 기술혁신을 통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선투자·후불형 등 새로운 방식의 R&D 지원을 통해 현장의 다양한 R&D 수요를 반영하고 사업화 성과도 높이겠다"고 밝혔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은 중기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사업별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청기간은 이달 24일부터 내달 31일까지다.  출저 : 뉴스핌(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62300016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47","atchfileNm":"보도자료중소벤처기업_RD에_모태펀드_투자한다_최대_2년간_30억원.pdf","viewCnt":"3519","regDate":"2020-06-24 10:40:45"},{"contentId":"119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1800억원 규모 하반기 중소·벤처 R&D지원 모집… 7월 31일까지 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36","contentsKor":"중기부가 올해 하반기 중소·벤처 R&D지원을 24일부터 7월 31일까지 모집한다. 예산은 총 1800억원 규모로 기술혁신, 창업성장에 총 11개 R&D사업 1643개 신규과제를 지원한다.과제에는 소재·부품·장비분야 260억원, 바이오헬스·미래형자동차·시스템반도체(이하 ‘BIG3’) 203억원, AI분야 75억원 등 유망기술 분야도 포함됐다. ■기술혁신 생태계 지원=최근 코로나19 위기상황에 대응하고자 주요 선진국들은 신속한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을 위해 자국이 보유 중인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후보물질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집중 지원하고 있다.중기부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협업을 통해 국내 보유 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터 누리온을 활용한 신산업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한다.KISTI에서 발굴한 유망 중소벤처에 R&D 서면평가를 면제하고, KISTI는 중기부 지원과제에 슈퍼컴퓨터 수수료 면제, 전문가를 통한 맞춤형 활용을 지원해 치료제, 백신 등 기술개발 뒷받침할 계획이다.또한 3년 연속 매출액 10%이상 성장한 성장잠재력이 높은 후보기업군을 대상으로 유망품목을 발굴해 R&D를 지원하는 ‘예비 가젤형 기술개발사업’도 신규로 지원한다.R&D 초보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시장분석, 기술개발·사업화 전략 수립, 특허전략 수립 등 기술개발 기획을 지원하는 기획지원사업과 기업애로 사항을 공과대학 교수들이 직접 원포인트 지원하는 맞춤형 기술파트너 사업도 함께 신청을 받는다.■R&D지원방식 다양화=중기부는 도전·혁신형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R&D 참여기업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방식을 다양화한 ‘투자형 R&D’와 ‘후불형 R&D’가 신설되며 내달 2주에 별도 공고될 예정이다.우선 소재·부품·장비 및 언택트 등 분야의 과감하고 도전적인 기술개발을 뒷받침하기 위해 단순 출연·보조방식에서 벗어나 투자방식의 R&D를 신규로 지원한다.민간 VC가 선별하여 선투자한 기업에 대해 정부가 최대 2배수, 30억원까지 후매칭 투자하고 성과 우수기업에 대해서는 정부의 투자지분에 대해 최대 60%까지 콜옵션도 부여한다.후불형 R&D는 출연금의 25% 선지급, 성공판정 후 잔액 지급을 하며. 기업이 R&D 재원의 일부를 선 투입하여,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성공판정 후 나머지 출연금을 정부로부터 지급받게 된다. 후불형 R&D를 통해 창출된 사업화 성과에 따라 기술료 감면, 후속 사업화 자금, R&D지원을 연계한 인센티브도 추가로 제공된다.■기업 R&D부담 완화 지속 추진=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고자 시행하고 있는 R&D 참여기업의 민간부담 및 현금부담 비율에 대한 완화 조치는 하반기 지원사업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하반기 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하는 중소·벤처기업은 민간부담 비율을 최대 35%에서 20%까지*, 현금부담 비율을 최대 60%에서 10%까지 하향하여 적용 받을 수 있으며,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은 10%까지 추가 완화된다.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소·벤처기업이 코로나19로 움츠린 시기를 극복하고 기술혁신을 통해 새로운 힘을 응집해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특히 새로운 방식의 R&D 지원을 통해 현장의 다양한 R&D 수요를 반영하고 사업화 성과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출처 : 산학뉴스(http://www.sanhak.co.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45","atchfileNm":"보도자료중기부_1800억원_규모_하반기_중소벤처RD지원모집...7월31일까지접수.pdf","viewCnt":"3965","regDate":"2020-06-24 10:33:51"},{"contentId":"119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 기보 소‧부‧장 중소기업 지원 협력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34","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과 기술보증기금(이사장 정윤모, 이하 ‘기보’)이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중소기업 R&D 평가시스템 혁신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 기정원과 기보는 지난 22일(월)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한 기정원 본원에서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 사업화 촉진 및 평가시스템 혁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중소기업 R&D지원을 강화하는데 협력키로 했다고 밝혔다.   □ 우선, ‘Tech-Bridge 활용 상용화 R&D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Tech-Bridge 활용 상용화 R&D사업’은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우수기술을 중소기업으로 이전하고 후속 상용화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의 자립기술 확보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기보는 Tech-Bridge플랫폼*을 통해 소·부·장 분야 기술을 기업에 이전 및 양산자금을 지원하고, 기정원은 기술이전 받은 중소기업에 후속 상용화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한다.   *기보에서 운영 중인 온라인 기술유통 플랫폼으로 기술의 수요·공급 정보를 기업에게 맞춤형으로 제공   □ 그리고 소부장 강소기업 100 기업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과 사업화를 위한 금융 보증 등에 대해 협력하기로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차세대 R&D 평가시스템의 혁신을 위하여 기보의 기술평가시스템 활용 등에 대해서 상호 교류하기로 하였다.   □ 주요합의 내용을 보면 ▲소·부·장 분야 이전기술 과제 발굴 ▲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보 교류 ▲R&D지원 및 선정기업의 인수보증·사업화자금 지원 ▲소부장 강소기업 100 기업 지원 ▲스마트R&D 평가시스템의 혁신 등에 대해서도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 이재홍 기정원 원장은 “일본 수출규제에 이어 COVID-19로 더욱 어려운 경제상황이지만, 우리의 약한 부분을 보완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소부장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기보와 함께 하는 뜻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 “또한, 중소기업 R&D평가 시스템 측면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걸맞게 빅데이터, AI 등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평가 혁신을 기보와 함께 만들어 갈수 있어서 더욱 의미가 깊다”라고 밝혔다.   □ 정윤모 기보 이사장은 “이번 협약은 기보의 기술이전, 기술금융, 기술평가시스템과 기정원의 R&D지원 역량이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계기가 됐다”면서 “양 기관의 장점을 융합한 스마트 협력모델을 구축해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44","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기보_소부장_중소기업_지원_협력_MOU_체결_20200623_최종.hwp","viewCnt":"2644","regDate":"2020-06-23 09:30:39"},{"contentId":"119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 지원하니 수출액 5배 ‘껑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33","contentsKo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42","atchfileNm":"20200622아주경제(중소기업RD지원성과...수출액5배껑충).jpg","viewCnt":"2415","regDate":"2020-06-23 09:25:22"},{"contentId":"119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AI기업 50곳 선정 3억원내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932","contentsKor":"AI기반 고부가 신제품 기술개발 사업 시행...7월 17일까지 접수 #사례1: 장애물이 없는 외벽에만 그림을 그릴 수 있던 로봇에 AI 기술을 입혀 유리창 같은 장애물이 있는 곳도 자동으로 도장할 수 있도록 개발(제품금액 1840만원 → 4200만원, 128% 상승 기대) #사례2: 식품 등의 이물질 검출을 위해 엑스레이(X-ray)를 육안으로 검사하는 방식에서 영상자료를 딥러닝으로 자동 판독하는 검사시스템 개발(제품금액 6000만원 → 1억원, 67% 상승 기대) 중기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한 신제품 개발에 중소기업 50곳을 선정, 과제당 1년간 최대 3억원 이내를 지원한다. 중기부는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해 올해 신규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AI기반 고부가신제품 기술개발사업‘의 하반기 과제를 6월 22일부터 7월 17일까지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중소기업이 이미 판매하고 있는 제품이나 개발 완료 단계 시제품에 AI기술을 접목시켜 고부가가치 신제품으로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하반기 공고에서는 특히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BIG3 분야(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과제를 우대 지원한다. 오는 9월 중 최종 50개 과제를 선정해 과제당 3억원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상반기에는 26개 과제가 뽑혔다. 경쟁률이 12:1에 달했다. 상반기 선정 과제를 보면, 헬스케어와 의료진단기기 등에 AI를 접목시켜 기존제품을 스마트화하거나 제조공정 등에 사용되는 검사장비 또는 제어장비에 AI 기술을 입혀 위험성은 낮추고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과제가 주를 이뤘다. 하반기 과제 신청기업은 이달 29일부터 7월 17일까지 기술개발사업종합관리시스템(smtech.go.kr)에 접수하면 된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코로나19로 더욱 빠르게 진행하는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에서 중소기업들이 AI기술을 활용해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AI 대중화도 한발 빨라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출저 : ZDNet Korea(https://www.zdnet.co.kr/view/?no=20200621123825)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41","atchfileNm":"보도자료중기부_ai기업_50곳_선정_3억원내_지원.pdf","viewCnt":"3312","regDate":"2020-06-23 09:20:46"},{"contentId":"118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KTL R&D 초기부터 기술규제 해결 및 인증지원 협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85","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이 R&D 수행 단계부터 인증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국산업기술시험원(원장 정동희, 이하 KTL)과 협력하기로 하였다.   ◦ 기정원은 6월 17일(수) 기정원 대전본원에서 중소기업 R&D제품의 인증 연계지원을 위해 기정원-KTL간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번 협력은 중소기업이 제품개발 과정에서 기술규제와 인증 등의 인허가 사항을 고려하지 못해 제품개발 완료 후에도 신제품의 시장출시에 많은 애로가 있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중소기업 제품개발과정에서 기술규제 애로사항 조사’(‵19. 12, 기정원) 결과 인증·시험·검사 등 마케팅 기술규제(41.3%) > 제품생산 기술규제(27.6%) > 기술개발 규제(17.4%) 順 으로 조사   ◦ 이를 위해 중소기업 R&D 수행 초기부터 전 주기에 걸친 인증컨설팅·시험·분석 등 R&D인증 패키지 지원을 협력하여 추진하고   ◦ 향후 중소기업이 제품개발 및 사업화시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는 기술규제와 인증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중소기업 R&D 지원 신규사업을 공동기획하기로 하였다.   ◦ 또한 개발된 제품의 수출지원을 위해 KTL에서 구축 중인 해외 인증 정보를 R&D 중소기업에게 제공하여 수출활성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해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을 약속하였다.   □ 이로써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R&D인증 패키지 지원, 혁신기술 규제 해결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와 사업화 성공을 지원하게 되며,   ◦ 중소기업은 제품판매를 위해 필수로 취득해야 하는 안전·성능·환경 관련 인증들을 기술개발 단계부터 고려할 수 있게 되어 향후 기술규제로 인한 제품화 지연, 시장진입 지연 등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기정원과 KTL 간 협업으로 신제품을 개발하는 중소기업이 R&D 초기부터 기술규제와 국내·외 인증정보를 고려 할 수 있어 제품 사업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 ‶앞으로도 중소기업이 규제·인증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도록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15","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KTL_RD_초기부터_기술규제_해결_및_인증지원_협력.hwp","viewCnt":"2332","regDate":"2020-06-18 09:28:05"},{"contentId":"118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진공·기보·기정원, 소부장 강소기업 지원 늘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30","contentsKor":"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강소기업 성장을 뒷받침할 추가 지원계획을 발표했다.중소벤처기업부는 15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강소기업 전담지원단, 소재·부품·장비 분야 강소기업100, 한국거래소와 '강소기업 100 함께성장 마중물 선언식'을 가졌다. 강소기업 전담지원단에는 중진공, 기보, 기정원 등 8개 유관기관이 있다.이 자리에서 기정원은 오는 6월부터 강소기업이 연구개발(R&D) 사업 참여 때 별도 가점 5점을 부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오는 7월부터는 투자형 R&D를 지원한다.강소기업에는 최대 2배수 이내 30억원까지 매칭투자 한다. 일반기업은 최대 1배수 이내 20억원까지다. 콜옵션 부여와 우선손실충당 등도 허용한다. 내년에는 강소기업 전용 R&D를 신설하기로 했다기보는 올해 3월부터 강소기업 보증 우대 한도를 30억원으로 상향했다. 일반기업은 15억원이다. 또 예외적으로 강소기업이 신보와 기보의 보증을 중복으로 받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 강소기업 기술혁신지원단도 운영하기로 했다.중진공은 강소기업 전용자금 운용, 수출지원사업 참여 우대 등을 지원한다.이날 행사에서 기보는 한국거래소와 비상장 강소기업 38개사의 상장지원을 위해 업무협약을 맺었다.한국거래소는 비상장 강소기업에 성장 단계별 1:1 맞춤형 상장 컨설팅·상장설명회, 기업설명회(IR) 등을 제공해 증권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다.강소기업 대표들은 정부 지원으로 얻은 성과를 후배 기업 기술자문, 지역사회 공헌, 고용 창출 등을 통해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공동 선언하기도 했다.이날 행사에는 '소부장 분야 강소기업100' 55개사 대표들이 온·오프라인을 통해서 모였다. 37개사는 대면, 18개사는 중기부와 KTV 방송의 유튜브 라이브 중계를 통한 비대면 참여를 했다.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소부장 분야 강소기업들이 기술독립을 선도하고 글로벌 명장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전폭적인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news.einfomax.co.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09","atchfileNm":"보도자료중진공-기보-기정원_소부장_강소기업_지원_늘린다.pdf","viewCnt":"2582","regDate":"2020-06-15 15:49:11"},{"contentId":"118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스마트 R&D 평가체계로 中企 혁신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29","contentsKor":"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연구개발(R&D)도 이제는 비대면(언택트) 시대에 맞게 완전히 바뀌어야 합니다. 중소기업이 기술혁신과 R&D를 통한 혁신을 가장 가까이에서 돕는 역할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하겠습니다.”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은 지난 2월 취임했다. 지난 2일 취임 100일을 맞았다. 취임 이후 100일간 이 원장이 가장 공을 들인 분야는 기존 R&D 평가체계의 대대적 개편이다. 기존 R&D 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빅데이터와 AI 등을 적용한 데이터 기반 '스마트 R&D 평가체계'를 도입한다.이 원장은 임기 3년간 핵심 과제로 스마트 R&D 평가체계로의 안정적인 전환을 비롯한 스마트공장 고도화, 국내 제조업체의 리쇼어링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이를 위해 최근 기정원은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R&D 생태계 조성을 담당할 프로젝트매니저(PM) 그룹을 신설하고,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R&D 평가체계 도입을 위한 전담 부서도 만들었다. 핵심 과제 추진을 위한 준비 작업이 모두 마무리된 셈이다.이 원장은 “중소기업 R&D 지원의 선두에서 중소기업의 혁신성장과 스마트공장의 보급·확산 및 고도화를 지원해 디지털 경제 전환과 스마트 대한민국 구현이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대담=김승규 벤처유통부장-기정원장에 취임한지 100일 정도 됐는데, 소회는.▲공무원 경력을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거쳤다. 특히 기술혁신, 연구개발(R&D) 분야에 집중했던 것 같다. 기정원을 이전과는 차별화할 수 있으면서도 세상의 트렌드와 변화에 맞춰 중소기업이 경쟁력 가질 수 있는 혁신 분야에 대한 노력을 많이 해야겠다고 생각했다.기정원이 2002년 중소기업경영정보원으로 개원한 이래 20년 조금 안되는 시간 동안 팽창을 많이 했다. 예산도 올해 약 1조6500억원을 집행하며 규모로는 R&D 전문기관 중 4번째에 위치하는 등 압축적인 성장을 이뤄냈다. 몸집은 많이 커졌지만 아직 부족하다. 기정원을 성숙한 어른으로 만들기 위해 부족한 부분을 메꾸는 기관장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중소기업 예산이 계속 늘고 있다. 기정원 위상도 커지고 있다. 가장 중점을 두는 분야는.▲중소기업 R&D 중요성은 갈수록 더 커질 수밖에 없다. 대기업 위주 성장은 이제 한계가 왔다. 혁신 벤처·스타트업 포함한 중소기업의 역할이 우리 경제에서 더욱 커지고 있다. 이들이 우리 경제를 이끌어가는 큰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정부와 공공기관 역할이다.R&D도 과거와는 다르게 생태계 중심으로 움직여야 한다. 과거 개별 기업 단위로 R&D를 지원 했다면 이제는 전체적 생태계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성장해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있다.혁신 주체가 참여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생태계를 창출해 내는 것이 역시 첫 번째 과제다. 두 번째 과제는 기존 생태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물론 이미 정부가 하던 정책이 많다. 하지만 분절됐거나 산재되어 있는 정책이 많아서 연결하고 부족하고 그런 부분을 메꾸는 것이 필요하다.마지막으로 정부가 생태계 측면에서 채워줘야 하는 것이 바로 인프라다. 개별 지원에서 생태계 중심 전환을 위해 필요한 것이 인프라 조성이다.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사회 변화 예측과 스타트업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스마트 서비스를 집중 지원하고,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디지털 경제를 뒷받침하겠다. 제조기업의 리쇼어링을 위한 스마트공장 및 R&D 지원 방안도 같이 모색할 계획이다.-최우선으로 생태계와 인프라 조성을 강조했다. R&D 체계 개편과 연결되는 구상으로 보인다.▲변화가 빠르다.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미래는 더욱 빠르게 변할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경제가 무척 중요해졌다. 위기이자 기회다. 어쩌면 우리에게는 위기보다는 기회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비대면 경제 시대에 중소벤처기업이 제대로 혁신할 수 있는 R&D를 지원하자는 목표로 지원 체계를 바꾸려 하고 있다. 과거에도 그런 생각은 있었지만 개선이 어려웠다. 10~20년전 평가 체계를 그대로 이어왔다. 하지만 이제는 기술발전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시기가 왔다.이제는 AI나 빅데이터가 상용화돼 쓰이고 있는 시대다. 새로운 기술을 중소기업 R&D에도 접목해야 하는 시기다. 이제는 기술력이 부족하진 않다. 어떻게 체계를 만드느냐가 숙제다.차세대 스마트 R&D 평가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기존 R&D 체계의 문제 가운데 하나가 평가 위원에 대한 문제였다. 평가 위원이 굉장히 많은 기술을 평가하는데 그걸 전부 알고 있는 평가 전문가는 없다. 이런 측면에서 공정성과 수월성, 신뢰성 등을 과연 믿을 수 있느냐는 우려도 있었다.그래서 데이터 기반으로 R&D를 평가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취임 이후 3개월간 의논해가면서 기초를 닦았다. 단순한 정보시스템 도입이 아니라 중소기업 R&D 사업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과 새로운 개념의 평가방식, 스마트하게 일하는 방법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융합된 결과물이다.지능형 평가모델, 빅데이터 기반 포트폴리오, 스케줄러 기반 협업관리 등 7가지의 연계된 핵심 기능을 설계했다. 차세대 평가체계는 시장에서 중소기업이 제시한 과제를 통해 실시간으로 시장과 기술에 대해 업데이트해 판단과 예측이 가능한 포트폴리오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객관적 평가 지표와 평과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중소기업 R&D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평가체계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이 화두다. 스마트공장 관련 고도화 업무 등도 기정원이 실무를 맡고 있다.▲스마트공장을 비판적 시각에서 보는 사람도 있다. 스마트공장 도입이 너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지 않느냐는 지적이다. 하지만 이것은 스마트공장이 한 번에 되는 것이 아니라 단계별로 구축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한 부분이다.스마트공장 수준이 단번에 5단계로 가는 것이 아니다. 레벨1을 거쳐 2~4를 지나 레벨5가 되는 것이다. 레벨5까지 완성하는 데 5~6년이 걸린다.정부에서는 스마트공장의 확산과 고도화라는 두 가지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총 12660개가 보급됐다. 양적 확산이 하나의 목표다. 2022년까지 3만개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또 다른 하나는 고도화 정책이다. 3만개의 스마트공장 가운데 25%를 수준 3단계 이상으로 올리기 위해 제조 과정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기업의 질적 성장을 돕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레벨1~2단계가 의미가 없는 것이 아니다. 레벨1~2가 있어야지만 레벨3도 레벨4도 갈 수 있다.10억원 매출하던 기업이 갑자기 1000억원까지 오르는 것은 불가능하다. 단계도 거쳐야 한다. 스마트공장 기업 가운데 소기업도 있고 수백억짜리도 있다. 저는 특히 소기업이나 매출 10억원 안팎의 기업에서 스마트공장을 통한 제조혁신을 이룰 때 성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고 여긴다. 식품공장과 같이 해외로 나가지 않고서는 인건비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던 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많은 도움을 받는 것을 볼 수 있었다.선도형 스마트공장도 하루 빨리 늘어나야 한다. 대표 사례가 포스코의 스마트공장이다. 1호 등대공장으로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뽑혔다. 등대처럼 선도적 역할을 한다는 의미다. 중소기업 가운데서도 등대공장을 만들어 내는 것이 목표다. 다른 중소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공장의 기준을 만들고 싶다.스마트공장 역시 생태계가 필요하다. 공급사슬가치가 연결되는 생태계적 측면에서 스마트공장을 한꺼번에 함께 가려고 하는 것이다. 이런 방식의 시스템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도화 역시 레벨을 하나씩 올리는 것과 동시에 등대공장도 만들고 기업 단위의 공급사슬을 묶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이 코로나19로 인해 주춤했다는 평가도 있다. 중소기업에게 4차 산업혁명은 어떻게 다가오고 있나.▲코로나19는 오히려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시켰다고 본다. 비대면 전환은 더욱 빨라져 플랫폼 비즈니스로 가게 돼 있다. 여기에 적응하지 못하면 문을 닫아야 하는데, 소상공인이 가장 충격이 빠르다.양극화가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본다. 누군가는 자신이 했던 일을 뺏기고 누군가는 더욱 돈을 잘 벌게 될 것이다. 또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일자리도 탄생하게 될 것이고, 그러면 정부는 일자리를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기술혁신 역시 마찬가지다.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서로 경계를 허문 산업과 기술이 융합하고 변화해서 전에 없던 새로운 것이 태어나는 시대라는 점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언택트 경제 등 새로운 비즈니스가 출현할 것이다. 이러한 비대면 경제의 특징은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AI, 빅데이터, 스마트 서비스 관련 분야가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차세대 R&D 평가체계 마련도 코로나19 이후 빠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측면으로 해석된다.▲이전에는 나눠주기 방식으로 R&D를 실시했다. 물론 나눠주기 방식도 필요하다. 많이 뿌리면 잘하는 기업도 있고 못하는 기업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개별 기업 중심으로 가는 것은 문제라고 본거다.창업단계에 필요한 R&D와 성장 단계에 필요한 지원이 따로 있다. 성장 단계에 따라 다양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과거에는 과제를 모아보면 다들 성공 가능성 큰 과제를 들고 왔다. 중소기업이라면 도전적인 과제를 해야 하는데 정작 도전적인 과제를 하다 실패하면 R&D 지원에 페널티를 줬다.소재·부품·장비 분야가 대표 사례다. 일본과 문제가 생기기 이전에는 R&D로 만들어 봐야 수요기업이 사주질 않았다. 제품 신뢰성이 중요하니까. 조금이라도 문제 생길 가능성이 있으면 수입했다.산업부에서 소재부품 관련 사무관을 하면서 느낀 것이 있다. 처음에는 믿을 수 없지만 10년을 계속하니 믿을만해졌다. 국산화되는 성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부·장 관련 강소기업100, 스타트업100과 같은 사업을 R&D와 연계해 추진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다. 우리가 급소인 부분을 특화해 지원하고, 미래에 준비할 수 있는 기술도 확인하고 그러는 것이 필요했다.스마트 R&D 평가체계도 거기에 맞춰 움직일 예정이다. 평가위원의 주관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데이터를 빅데이터와 AI로 추려 제공할 계획이다. 예컨대 사업화, 기술수준, 기업역량 수준 3가지를 데이터화해서 보여주는 식이다.취임 기간 장기과제로 스마트 R&D 평가체계를 3년간 고도화할 계획이다. 데이터를 많이 축적해 다른 R&D 기관과도 공유하는 것이 목표다. -제조업 분야 리쇼어링 화두다. 스마트 제조혁신과 연계한 아이디어가 있나.▲주요 선진국은 자국 기업의 리쇼어링을 위한, 민관합동 차원의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유턴 지원확대 방안 발표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기정원에서는 특히 유턴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 공장 우선지원 및 지원 규모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로봇 보급사업과도 연계 지원해 설비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노동 집약적인 공정을 기술 집약적인 공정으로 스마트화해 유턴을 유도하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전기전자, 기계금속, 자동차 등 주력산업 중심의 제조 공정을 대상으로 유턴아이템을 발굴할 예정이다. 관련 분야 산학연 전문가의 의견수렴과 검토 절차를 거쳐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리쇼어링을 이끌기 위해서는 강력한 지원이 필요하다. 기업 대 기업 차원으로 어려움을 접근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 역시 중요한 과제다.-기정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한말씀 달라. 원장의 경영철학이 있다면.▲그간 기정원이 공급자 시각에서 R&D를 지원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직원에게 많이 이야기 한다. 우리가 중소기업 연구자라고 생각하고 기정원의 과제와 절차, 방식을 들여다보면 불편하고 불친절했던 점이 많았다.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연구원은 출연연이나 대학처럼 연구만 하는 것이 아니다. 여력이 없다. 앞으로는 더욱 친절하게 컨설팅하듯 직원들이 중소기업 직원이라고 생각하고 과제와 프로젝트를 밀착 관리하자는 것이 첫 번째 철학이다.두 번째는 중기부의 비전인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 스마트 대한민국'을 적극 지원하는 것이다.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의 트랙에 빠르게 올라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우리가 먼저 전략을 갖춰 중소기업을 돕겠다.세 번째는 기정원이 아직까지 모두가 R&D 평가기관이라고 여긴다. 이제는 단순히 선정하고 관리하는 기관으로만 머물러서는 안된다. 산업부에는 관리원 따로 진흥원 따로 평가원이 따로 있다. 3개 기관이 종합적으로 모두 함께 모여 전체 혁신 정책을 새롭게 만들어 낸다.기정원도 그런 역할을 차차 갖춰 나가야 한다. 언제까지 평가관리만 할 수 없다. R&D 기획 기능을 강화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창의성과 전문성이 강한 기관이 되자고 늘 이야기 한다. 창의적인 마인드 없이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 ○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은...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은 서강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기술고시 27회로 공직 입문했다. 산업자원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해 산업혁신과장, 지식경제부 기계항공시스템과장, 원자력산업과장, 산업기술정책과장을 거쳐 미래창조과학부 우정사업정보센터장을 지냈다. 2017년 중소벤처기업부 승격 이후 벤처혁신정책관으로 합류해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과 소상공인정책실장 등을 맡았다.실리콘밸리 파견 시절 쓴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의 기회'라는 책은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돼 전국 고등학교에 보급되기도 했다.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전문성을 갖춘 정통 기술 관료로 꼽힌다. 그는 지난 2월 제7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으로 취임했다. 출저 :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00611000154)","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08","atchfileNm":"보도자료이재홍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__스마트_RD_평가체계로_中企_혁신_지원__-_전자신문.pdf","viewCnt":"5087","regDate":"2020-06-12 10:52:16"},{"contentId":"118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대한적십자사 대전세종지사, 선별진료소에 응원 물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28","contentsKor":"대한적십자사 대전세종지사는 코로나19로 고군분투하는 의료진과 방역 종사자를 위한 응원용 생수와 빵 등을 전달했다고 10일 밝혔다.생수 1만 4000병과 ‘적십자 든든 한끼 Bread’ 420세트가 지원됐으며 지난 4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임직원과 노조원들이 기탁한 성금으로 마련됐다.구호성금은 선별진료소 지원 활동 외에 관내 취약계층 등을 위한 각종 인도주의 활동에도 사용될 예정이다.박경용 대전시 서구보건소장은 “비말 감염 등이 우려되어 정수기나 공용식수대를 사용하기가 꺼려져 생수를 구입하고 있었는데 적절한 때에 적십자를 통해 생수를 공급받게 돼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출처 : 충청투데이(http://www.cctoday.co.kr)","viewCnt":"2532","regDate":"2020-06-11 18:04:00"},{"contentId":"118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주요 관리직 민간에 개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2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주요 관리직 민간에 개방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통계분석팀장 등 주요 관리직 3개를 개방형직위로 지정하고, 공개모집을 통해 민간전문가를 선발한다고 8일 밝혔다.   ◦ 기정원은 지난 8일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으로서 기획 기능을 강화하고 통계분석, 글로벌협력, 홍보기능 등 분야별 전문성 제고를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한 바 있으며, 이번 개방형 직위 모집은 그에 따른 후속조치로 추진된다.   □ 이번에 신규로 채용하려는 민간전문가는 통계분석팀장, 글로벌협력팀장,홍보전략팀장 3개 직위이다.   ◦ 홍보전략팀장은 미디어를 통한 성과확산, 代언론대응, 방송·인터뷰·기고, 보도자료 배포 등 기관의 성과 홍보 업무를 총괄하게 되고,   ◦ 통계분석팀장은 중소기업R&D 사업성과 조사·분석, 데이터 관리 및 분석 등 기관의 사업통계 및 현황분석 업무를 총괄하게 되며,   ◦ 글로벌협력팀장은 국외 정부기관, 대학, 연구소 등 협력 네트워크 구축, 해외사무소 구축, 국제기구 연계 ODA 추진 등 기관의 글로벌협력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우수한 민간전문가 초빙을 위해 이번에 선발되는 개방형 관리자들에게 선발예정직급 기본급의 최대 120%의 보수를 지급할 계획이며, 향후 민간 출신의 전문성과 경험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는 민간전문가 전담직위를 점차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지원서 접수는 6월 9일부터 6월 19일까지이며, 서류전형과 면접전형을 통해 직무수행계획, 조직적응력, 의사소통능력, 전문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여 최종 선발한다.   ◦ 채용일정, 입사지원서 양식 등 상세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604","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주요_관리직_민간에_개방.hwp","viewCnt":"2780","regDate":"2020-06-11 18:00:00"},{"contentId":"118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략적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조직개편 단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22","contentsKor":"기정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략적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조직개편 단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전략적이고 민첩하게 중소기업 R&D를 지원할 수 있도록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 우선, 중소벤처기업의 내외부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술혁신 전략 수립, R&D 생태계 조성, 유망기술 발굴 등을 전담할 PM*그룹을 신설하였다.   * PM(Project Manager) :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의 정책수립, 조사연구, 기술발굴, 대외협력, 성과확산 등 중소기업 기술혁신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기획하는 전문가 집단   ◦ 아울러, 코로나-19로 변화되고 있는 산업 구조, 비즈니스 생태계를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주도할 수 있도록 국내외 다양한 주체와의 협력을 지원할 ‘대외협력기획실’과 ‘글로벌협력팀’을 가동한다.   ◦ 특히, R&D 지원대상 선별을 평가위원 역량에만 의존하던 방식에서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R&D평가체계로의 전환, 데이터 기반의 투자계획 수립 등 전반적인 평가와 관리역량 향상을 위해 ‘평가총괄기획실’과 ‘통계분석팀’도 신설하였다.   ◦ 반면,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국민의 잣대가 엄격해 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부정사용 방지대책 수립 및 점검, 불법 브로커 방지를 전담할 ‘부정사용신고센터’를 R&D전문기관 중에서는 최초로 조직하였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혁신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밸류체인, 한국형 뉴딜에서 주역이 될 수 있도록 가장 가까이에서 항상 살펴보고 지원하는 중소기업 R&D전문기관이 되겠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90","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포스트_코로나_시대_전략적_중소기업_지원을_위해_조직개편_단행200609.hwp","viewCnt":"3010","regDate":"2020-06-09 17:17:44"},{"contentId":"118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재홍 기정원장의 꿈…"中企에서도 등대공장 나오도록 도울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20","contentsKor":"◇ "中企에서도 등대공장"…기정원 3개년 계획 핵심, '생태계'·'스마트'·''시스템'·'사후관리'이재홍 원장의 3개년 계획은 '생태계·스마트·시스템·사후관리' 4가지 단어(키워드)로 요약된다.  이 원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부각되고 있는 언택트(비대면) 시대에 '중소기업들이 생존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 중소기업들의 스마트 공장·스마트 서비스를 지금보다 한 층 더 고도화하겠다는 구상이다.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중소기업들이 연구개발(R&D) 자금 지원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 R&D평가 시스템'(가칭)을 도입하고, R&D 자금을 지원받은 기업들이 계속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지 A/S(에프터 서비스)까지 도입하겠다는 계획이다.특히 이 원장은 임기 중에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도 '등대공장'이 탄생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역설했다.그는 "원장이 되고 보니까 현재 정부의 R&D관리 평가 관리 체계가 과거와 큰 변화가 없다. 그렇지만 세상은 빠르게 바뀌고 있다"며 "(변화한 세상에 알맞게) 새로운 '차세대 스마트 R&D평가 시스템'(가칭)을 임기 중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정부와 기업이 열심히 예산과 노력을 들여서 스마트 공장을 구축해 놓고 잘 운영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며 "특히 사후 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쓰겠다"고 설명했다. 또 "전 세계에서도 대부분 대기업에서 등대공장이 탄생하고 있다"며 "하지만 앞으로 경제 생태계에서는 대기업과 함께 중소기업들도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고,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도 '등대공장'을 탄생할 수 있도록 해보고 싶다"고 강조했다. ◇ "中企에서도 등대공장"…기정원 3개년 계획 핵심, '생태계'·'스마트'·''시스템'·'사후관리'이재홍 원장의 3개년 계획은 '생태계·스마트·시스템·사후관리' 4가지 단어(키워드)로 요약된다.  이 원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부각되고 있는 언택트(비대면) 시대에 '중소기업들이 생존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 중소기업들의 스마트 공장·스마트 서비스를 지금보다 한 층 더 고도화하겠다는 구상이다.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중소기업들이 연구개발(R&D) 자금 지원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 R&D평가 시스템'(가칭)을 도입하고, R&D 자금을 지원받은 기업들이 계속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지 A/S(에프터 서비스)까지 도입하겠다는 계획이다.특히 이 원장은 임기 중에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도 '등대공장'이 탄생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역설했다.그는 "원장이 되고 보니까 현재 정부의 R&D관리 평가 관리 체계가 과거와 큰 변화가 없다. 그렇지만 세상은 빠르게 바뀌고 있다"며 "(변화한 세상에 알맞게) 새로운 '차세대 스마트 R&D평가 시스템'(가칭)을 임기 중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정부와 기업이 열심히 예산과 노력을 들여서 스마트 공장을 구축해 놓고 잘 운영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며 "특히 사후 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쓰겠다"고 설명했다. 또 "전 세계에서도 대부분 대기업에서 등대공장이 탄생하고 있다"며 "하지만 앞으로 경제 생태계에서는 대기업과 함께 중소기업들도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고,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도 '등대공장'을 탄생할 수 있도록 해보고 싶다"고 강조했다.. ◇ 스마트공장·서비스 성공 위해 필요한 3단계…'CEO교육→성공 사례 발굴→테스트 베드'이재홍 원장은 스마트공장·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선 최고경영자가 스마트공장과 스마트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확고해야 한다고 역설했다.또 이 원장은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성공한 기업들을 발굴하고 다른 기업들이 그 기업에 가서 직접 보고 경험할 수 있도록 테스트 베드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렇게 된다면 중소기업들이 스마트공장과 스마트서비스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도전할 것이라고 진단했다.이 원장은 "많은 기업들이 스마트공장, 스마트서비스가 중요한지는 인식하지만, 문제는 '어떻게'(HOW) 도입해야 할 지 모르는 것"이라며 "우선적으로 한 기업의 최고경영자(CEO)가 스마트공장과 스마트 서비스에 대해 인지하는 것이 첫 출발점"이라고 말했다.이어 "성공한 스마트공장을 보면 대부분 CEO들의 의지가 굉장히 강하다"며 "어떤 한 기업이 스마트공장을 성공하기 위해선 정부에서 지원하니까 한 번 해봐야지가 아니라 정말 생존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봐야겠단 생각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이재홍 원장은 이같은 CEO의 의지가 확고히 선 후에는 성공 사례를 직접 볼 수 있는 환경, 직접 도전해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 원장은 "스마트 공장과 스마트 서비스가 좋으니까 한 번 해보라고 말로만 하는 정책으로 가면 안 된다"며 "등대공장, 선도적인 스마트공장 등을 직접 보여주면서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또 "(테스트 베드 조성을 통해) 스마트공장·스마트서비스를 도입하는 중소기업이 직접 본인의 공장과 사업 공간에 소화하고 받아들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준비된' 기정원장, 4차 산업혁명 저서도이 원장은 제27회 기술고시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했다. 이후 △산업자원부 산업혁신과장 △지식경제부 산업기술정책과장 △중기부 벤처혁신정책관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지난 2017년 공직생활을 통해 쌓인 지식과 경험을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의 기회'라는 저서에 녹여냈다. 중기부는 물론 기정원 안팎에서 '준비된' 기정원장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그동안 기정원장은 국장급이 임명됐지만 실장급은 그가 처음이다. 이 원장은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으로 변화를 하고 싶거나, 스마트 서비스 등을 도입하고 싶을 때 우리 기관을 두드리면 된다"며 "기정원은 중소기업이 변화를 통해 미래 먹거리를 준비할 때 찾는 기관"이라고 강조했다.기정원은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자금 및 관련 사업을 실질적으로 집행 곳으로 중소기업과 업계에서 이미 많이 알려졌다. 하지만 일반 국민들 가운데는 제대로 아는 경우가 드물다. 그는 "일부 국민들 중에서는 기정원이 국정원과 이름이 유사해서 정보 기관으로 알고 계신 분도 있다"며 웃었다. 이 원장은 2시간에 가까운 긴 인터뷰를 마치며 "스마트공장, 스마트서비스를 고민하고 있다면 언제든 기정원으로 오세요"라고 재차 강조한 이유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86","atchfileNm":"이재홍_기정원장의_꿈…中企에서도_등대공장_나오도록_도울_것.pdf","viewCnt":"2989","regDate":"2020-06-08 16:51:31"},{"contentId":"1180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에서 해답을 찾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809","contentsKor":"  ","viewCnt":"640","regDate":"2020-06-03 14:33:51"},{"contentId":"118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4인4색 중기 산하기관장, 협업 확대로 유니콘 키우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06","contentsKor":"4인4색 중기 산하기관장, 협업 확대로 유니콘 키우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의 기관장 자리가 전부 채워졌다. 각기 다른 부처에서 경력을 보냈던 고위 관료들로 산하 주요 공공기관의 수장 진용이 꾸려지면서 중기부의 정책 집행에도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1일 중기부에 따르면 지난달 김학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 취임을 끝으로 11개 산하 공공기관의 기관장 자리가 모두 채워졌다. 특히 중진공을 필두로 기보, 소진공, 기정원 등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의 예산을 집행하는 4개 기관장은 산업부·기재부·과기부 등 저마다 각기 다른 부처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한 고위급 관료로 채워져 향후 운영 방향에도 기대가 커지고 있다.김 이사장의 최우선 과제는 중기부 정책과 중진공 현장 지원을 긴밀하게 연결하는 역할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이사장은 “초기단계 정책자금, 창업, 마케팅, 수출 등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모든 도구를 갖췄음에도 분절적으로 지원되고 연결이 되지 않았다”면서 “각각의 성장단계와 기능별 연결이 될 수 있게 패키지로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개편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실제 중진공은 김학도 이사장 취임 이후 총 경영혁신·사업혁신·금융혁신 등 4개의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기존 업무를 대대적으로 개편한다는 계획이다. TF를 통해 주요 과제를 선별해 취임 100일 안팎으로 발표할 혁신 방안에 반영하는 것이 목표다.이 과정에서 신산업 육성, 포스트코로나, 지역정책 지원 등을 다양한 부처와 연계해 체계화하는 것이 중진공의 주요 과제다.직전까지 중기부 차관으로서 중기부 정책을 직접 챙겼을 뿐만 아니라 산업부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만큼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개별 산업과 중소기업 간 협업도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실제 기정원의 경우 연초 신임 기관장 취임 이후 본격적인 신규 업무 발굴에 들어갔다. 지난 2월 취임한 이재홍 기정원장은 직전까지 중기부에서 소상공인정책실장을 역임했고 이전에는 미래창조과학부, 지식경제부 등에서 주요 보직을 거쳤다.중소기업 연구개발(R&D)을 총괄하고 있는 기정원의 업무 특성상 4차산업혁명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에 대한 이 원장의 높은 이해도가 상승 작용을 내고 있다는 평가가 적잖다. 실제 기정원은 기존 중소기업 R&D 관련 업무 외에도 스마트공장 제조혁신, 제조업체 리쇼어링387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무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기술보증기금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 여타 기관도 관료 출신 이사장이 임기가 1년을 훌쩍 넘긴 만큼 신규 업무가 제 궤도를 찾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특히 기보는 중기부 승격과 함께 금융위원회에서 중기부로 이관된 이후 신규 업무가 급증하고 있다. 예비유니콘431 특별보증부터 특허평가시스템에 기반한 연계보증과 투자까지 다양한 업무를 신규 추진하고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정윤모 기보 이사장이 중기청 차장부터 중기부 기획조정실장까지 중기부의 주요 정책을 사실상 모두 파악하고 있는 만큼 산하 기관 차원에서 중기부 정책에 어떤 점이 부족한지에 대한 사항을 모두 알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소진공 역시도 코로나19로 인해 개시한 소상공인 직접대출이 비교적 초기에 안정세를 찾을 수 있었던 이유를 기재부에서 관련 업무를 다년간 수행해 온 조봉환 이사장의 안정적인 경영이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중기부 관계자는 “중기부가 청에서 부로 승격된 이후 중기부 본부 차원에서는 상당 부분 승격에 걸맞은 보완이 이뤄졌지만 산하기관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면서 “무게감 있는 기관장이 자리를 채운 만큼 각 공공기관도 업무 중복을 줄이고 정책과 연계할 수 있는 체계를 꾸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70","atchfileNm":"4인4색_중기_산하기관장,_협업_확대로_유니콘_키우자.pdf","viewCnt":"2951","regDate":"2020-06-01 14:04:34"},{"contentId":"118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42개 중소기업 지역특화 R&D사업 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805","contentsKor":"42개 중소기업 지역특화 R&D사업 뜬다 지역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지역 중소기업과 조합, 대학·연구기관이 공동 개발·보급한다.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병해충 진단 챗봇, 가상현실409(VR409) 기반 헬스케어 기기 등 지역 중소기업에 공동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보급될 예정이다.31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최근 '2020년 지역중소기업 공동수요 R&D' 사업의 과제기획 지원 과제에 참여할 컨소시엄 42개를 선정했다.지원 대상에 선정된 42개 컨소시엄은 6개월 동안 수요기술 개발 과제를 기획해서 연말께 최종 심사를 받게 된다. 여기서 뽑힌 총 21개 컨소시엄은 2년 일정으로 최종 연구개발(R&D)에 착수하게 된다. 도출된 결과물은 2023년부터 사업화 R&D 등을 거쳐 보급 확산에 들어간다.이 사업은 중소기업과 조합, 대학·연구기관이 협업을 통해 수요기술을 개발하는 첫 시도다. 그동안 중소기업 R&D 사업에서 주된 문제점으로 지적된 수요 중소기업과 공급 연구기관 간 기술 미스매칭을 줄이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실제 과제기획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42개 컨소시엄은 각 지역 및 업종 특성에 맞는 수요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예컨대 특장차 산업을 지역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전북에서는 전북특장차산업발전협의회가 전자부품연구원과 함께 '전기전장 및 센서 데이터 기반의 특장차 지능제어 기술'을 개발한다. 대형 특장차에 전기구동 제어 기술, 경로 탐색 리프트 제어와 같은 기술을 지역 중소기업에 공동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대구·경북 역시 지역 기계 산업 발전을 위해 대구경북기계공업협동조합과 대구기계부품연구원이 공동으로 '공작기계의 핵심 유닛 복합 다기능 주축시스템' 개발을 추진한다. 지역 금속절삭가공기계를 비롯한 유닛 모듈을 만드는 중소기업의 기술을 단기간에 집중 지원,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R&D다.지역별로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8개, 강원 2개, 광주·전남·제주 5개, 대구·경북 11개, 대전·세종·충남 3개, 부산·울산·경남 4개, 전북 8개, 충북 1개 등 42개 컨소시엄이 6개월 기간의 공동수요 R&D 과제기획 대상에 선정됐다.중소기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R&D 지원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지역 특화 산업에 대한 지원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중기부 관계자는 “지역기업에 대한 R&D부터 투자까지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라면서 “온라인 기업설명회(IR)도 활성화되고 있는 만큼 R&D뿐만 아니라 지역기업에 대한 투자 역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69","atchfileNm":"42개_중소기업_지역특화_RD사업_뜬다.pdf","viewCnt":"3038","regDate":"2020-06-01 14:02:25"},{"contentId":"117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상공인의 서비스 혁신을 통해 스마트화 앞당긴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98","contentsKor":"소상공인의 서비스 혁신을 통해 스마트화 앞당긴다   - 소상공인의 경영·서비스 혁신을 위한 비즈니스모델 20개를 발굴해 우수한 10개 과제는 2년간 최대 4억원의 개발비용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은 소상공인의 경영과 서비스 혁신으로 매출을 높이기 위한 비즈니스모델(BM) 기획과제를 6월 11일부터 6월 25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비지니스모델 기획과제는 소상공인의 자생력 강화와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처음 시작되는 ‘20년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생활혁신형 기술개발사업’ 중 하나인 BM개발과제의 기술개발 비용을 지원하기 전 우수과제 발굴을 위한 기획단계이다.   지난 3월에 진행한 소상공인 현장의 수요조사를 통해 선정된 24시간 영업지원이 가능한 인공지능 판매시스템 등 14개 지정 공모과제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플랫폼 등 3개 분야의 자유공모 과제로 진행되며 최종 20개 과제를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선정된 20개 과제는 3개월간 최대 1,660만원 한도의 기획비용이 지원되고, BM기획이 완료된 과제 중 소상공인 수요가 많고 보급·확산에 파급효과가 높은 우수한 10개 과제는 10월말 최종 선정돼 2년 동안 최대 4억원의 R&D 비용이 지원된다.   다만, 소상공인은 적은 인력과 자본력 부족 등으로 비즈니스모델을 직접 기획해 개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관련 전문성을 갖춘 중소기업 등이 주관해 기획하고 개발을 추진한다.   개발에 성공한 과제는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기술보급 사업’ 등과 연계해 소상공인에게 보급하고 코로나19 이후 급격한 소비유통 환경의 비대면과 디지털화에 대응해 소상공인이 혁신동력 확보의 기회로 삼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업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http://www.smtech.go.kr)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오는 6월 11일(목)부터 25일(목) 18시까지 동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과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우수한 비즈니스모델 발굴하겠으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의 스마트화를 통한 비용 부담 완화, 서비스 혁신을 통한 매출 향상 등 자생력을 키울 수 있는 정책개발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80","atchfileNm":"200528_소상공인을_위한_비지니스모델_개발_지원(스마트소상공인육성과).hwp","viewCnt":"3157","regDate":"2020-05-28 11:15:09"},{"contentId":"117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하나은행, 코로나19 위기 극복 위한 중소기업 금융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60","contentsKor":"하나은행, 코로나19 위기 극복 위한 중소기업 금융 지원 하나은행(은행장 지성규)은 5월 17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과 함께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수행 기업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특별 금융 지원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2017년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R&D 사업화 전담은행’으로 선정한 하나은행은 중소기업 R&D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업체를 대상으로 신기술·신제품 사업화를 위한 저금리 금융 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R&D 수행 기업에게 하나은행은 총 1100억 원 한도로 업체당 5억 원 이내 경영안정 특별자금을 새로 지원하고, 최대 1.83%의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하나은행은 중소기업 R&D 사업화 전담은행으로서 참여 기업의 안정적인 경영환경을 위해 특별자금을 지원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긴밀히 협력해 중소기업이 기술 개발에 매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영안정 특별자금 신청을 희망하는 중소기업 R&D 수행 기업은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직접 신청할 수 있으며, 지원 한도 소진 시까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수시로 접수해 지원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18","atchfileNm":"하나은행,_코로나19_위기_극복_위한_중소기업_금융_지원.pdf","viewCnt":"3101","regDate":"2020-05-27 11:22:51"},{"contentId":"117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 서‘우수’등급 받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59","contentsKor":"기정원,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 서‘우수’등급 받아   - 공공데이터 개방으로 국민 신뢰 제고와 함께 데이터 경제 활성화에 기여-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이 5월 26일(화),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한 `2019년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이하 공공데이터 평가)‘ 결과, ’우수‘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 공공데이터 평가는 행정안전부에서 총 520개 중앙행정·지자체·공공기관의 공공데이터 관리체계, 개방정도, 활용도, 품질수준 등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 이번 평가에서 우수 등급을 받은 기관은 120개(23.1%), 보통 등급은 175개(33.6%), 미흡 등급은 225개(43.3%)이다.   □ 기정원은 공공데이터 조직/예산/인력 등 관리체계 운영, 신규 데이터 발굴 및 개방 노력, 공개된 데이터에 대한 품질관리 노력이 우수함을 인정 받아, 대부분의 세부 지표에서 1등급을 받았다.   ◦ 기정원은 작년 공공데이터 실수요자들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민이 원하는 데이터 수요와 품질 개선 분야를 발굴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데이터 개방 활동 노력을 전개해 왔다.   ◦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통해 공개한 기정원의 데이터를 국민들이 이용한 건수가 전년대비 300%이상 증가하는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났다.   □ 기정원 관계자는 ‘현재는 미래 산업의 원유가 될 데이터를 축적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앞으로도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가치 있는 데이터를 지속 발굴 및 민간에 개방함으로써 데이터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1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공공데이터_제공·운영_실태평가_서_‘우수’등급_받아.hwp","viewCnt":"2600","regDate":"2020-05-26 10:40:57"},{"contentId":"117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공군, 국방분야 中企 혁신성장 위해 맞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58","contentsKor":"기정원·공군, 국방분야 中企 혁신성장 위해 맞손   - 공군의 스마트비행단 구축 수요기반 기술개발, 실증, 초기구매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과 공군이 국방분야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 기정원은 5월 26일(화) 계룡시에 위치한 공군본부에서 중소기업 및 공군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기정원-공군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이번 협력은 양 기관이 스마트 국방 실현을 뒷받침할 방위산업을 육성하고 국방분야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 이날 체결식에는 기정원장(이재홍), 공군참모총장(원인철), 창업진흥원장(김광현) 및 이하 관계자 총 14명이 참석하였다.   □ 주요합의 내용은 공군의 스마트비행단 구축 수요를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실증, 초기구매 등을 지원한다.   ◦ 이를 위해, ① 스마트비행단 구축 과제 발굴·R&D지원, ② 中企의 공군 납품수요 발굴 및 테스트베드 지원을 추진한다.   ① 공군이 스마트 비행단 구축을 위한 개발수요를 발굴하면 기정원은 기술개발 과제의 구현 가능성을 검토하고, 수행할 중소기업을 공모하여 R&D 자금을 지원한다.   - 기정원은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조달혁신 과제로 최대 2년, 5억원 이내로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며,   * 동 사업을 통하여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과제를 성공할 경우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 26조 1항 3호 의거하여 수의계약이 가능   - 공군은 실험환경 및 데이터를 제공하고, 개발 완료제품의 실증테스트 및 구매로 이어지는 전 방위적인 협력을 약속하였다.   ② 아울러, 기정원은 공군의 실증용 테스트베드 활용 및 납품을 희망하는 中企의 수요를 발굴하여 공군과 연결될 수 있는 사업화 브릿지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 “COVID-19로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스마트 국방으로의 선제적 전환을 시도하는 공군과 디지털경제의 주역인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는 기정원과 처음으로 협력하는 매우 뜻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 “국방 시장특성상 독자적으로 中企이 참여하는데 걸림돌이 있었다는 점에서 이번 협약이 국방 조달시장에 中企의 문턱을 낮추고 4차 산업 혁신역량 강화와 함께 국방 스마트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51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공군,_국방분야_中企_혁신성장_위해_맞손.hwp","viewCnt":"2635","regDate":"2020-05-26 10:20:30"},{"contentId":"117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에서 해답을 찾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39","contentsKor":"[기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에서 해답을 찾다 생각지 못한 코로나19가 겨우내 우리 모두를 얼어붙게 만들었지만 따뜻한 봄이 완연해진 지금에는 우리 정부의 대응이 모범 사례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같은 주목엔 신속한 검진과 대응 체계 마련을 뒷받침한 진단키트, 진단시약, 워크스루 장비 등의 공헌을 빼놓곤 논할 수 없다. 국내 기업에서 개발한 '작은 영웅'은 글로벌 무대 곳곳에서 환영받으며 대한민국 중소기업 기술의 저력을 만방에 떨쳤다. 필자가 몸담고 있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은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지원의 선두에서 디지털 경제 전환과 스마트 대한민국 구현에 힘을 쏟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가운데 유일한 R&D 전담 기관으로, 중소기업의 혁신 성장과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및 고도화를 지원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서 공개한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 제조·수출 기업 41개사 가운데 75%인 31개사가 기정원의 중소기업 R&D 수혜 기업이다.여기서 만족할 수 없다. 코로나19 여파 이후 세상이 전과 전혀 다른 기준으로 돌아가기 시작하면서 바야흐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서막이 오르고 있다. 인터넷 기반 온라인 비즈니스와 비대면 경제가 인류의 삶과 공동체 영역 전반을 뒤바꿀 것으로 전망되는 현 시점에서 중소기업은 혁신 기술을 디딤돌 삼아 도약할 준비에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 R&D 역시 혁신이 필요하다.첫째 개별 기업 중심에서 생태계 중심 R&D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미래 산업 육성과 주력 산업의 밸류체인 강화를 위해서는 밸류체인 상의 키플레이어 과제를 공동 기획하고 협업을 통한 컨소시엄 R&D를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 또 4차 산업혁명, 혁신 성장동력 등 산업 생태계 분석을 통해 분야별로 취약한 요소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 생태계 전반에 걸쳐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둘째 기술 혁신의 사업화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기술 규제나 인증을 R&D 단계부터 지원해 나가고, R&D 지원 자금 이외에 금융이나 투자펀드와 연계한 지원이 필요하다. 대기업의 수요를 전제로 하는 구매조건부 R&D는 효율 높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R&D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와 연계해서 지원할 예정이다.셋째 스마트 공장 고도화와 제조기업의 리쇼어링387은 스마트 대한민국에 이르는 지름길이다. 와이어링 하네스 부품 하나로 국내 자동차 공장이 멈추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노동집약형 업종의 스마트화, 공급기업의 얼라이언스463, 스마트공장 R&D, 표준화, 데이터센터 구축 등을 통한 스마트공장 고도화 등이 필요하다. 또 리쇼어링 기업을 위한 스마트 공장, R&D 등 전반에 걸친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넷째 스마트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상용화된 기술·솔루션 보급 중심에서 벗어나 정보통신기술(ICT) 솔루션 기술 개발, 인력 양성 교육, 데이터 활용과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한 신시장·신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개발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마지막으로 빅데이터78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포스트 코로나 뉴딜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의 신속한 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해 데이터 관리 체계 전반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단기로는 교육 및 컨설팅을 통해 기업의 인식 전환을 유도하고,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스타트업 R&D를 지원해야 한다. 나아가 기업 수준을 고려한 AI 솔루션 도입 및 활용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탄탄한 지반에 뿌리 내린 나무는 거센 태풍에 흔들리지 않는 법이다. 중소기업 또한 마찬가지다. 정책과 제도가 중소기업을 튼튼하게 성장할 수 있게 지지하면 올해 코로나19라는 역경을 이겨낼 희망의 증거를 중소기업이 보여 줬듯이 종래엔 무성한 가지를 드리워서 한여름에 쏟아지는 햇빛을 가려 주는 시원한 그늘을 마련해 줄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88","atchfileNm":"기고_포스트_코로나_시대,_중소기업에서_해답을_찾다.pdf","viewCnt":"3008","regDate":"2020-05-22 13:07:24"},{"contentId":"117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평가위원에 의존하던 中企 R&D 평가, '빅데이터-AI-RPA'로 대전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36","contentsKor":"평가위원에 의존하던 中企 R&D 평가, '빅데이터-AI-RPA'로 대전환 중소기업 연구개발(R&D) 평가체계 대개편이 이뤄진다. 평가위원 중심의 기존 R&D 평가체계가 빅데이터78·인공지능(AI)·로봇처리자동화(RPA) 기반으로 바뀌는 게 핵심이다. 현행 중소기업 R&D 평가의 고질병으로 지적받고 있는 평가위원의 전문성 부족과 부진한 사업화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다. 내년 시범 사업을 거쳐 2022년까지 중소기업 R&D 전체 사업에 확산하는 것이 목표다.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한 '차세대 스마트R&D평가체계 프로토타입 추진' 방안을 최근 중기부 장관에게 보고했다.기정원이 추진하는 스마트R&D평가체계는 기존 평가위원이 수작업으로 실시하던 R&D 평가를 빅데이터, AI, RPA 등에 기반을 둔 평가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이를 위해 우선 내년 2월까지 지능형 평가 모델을 구축해 중소기업 R&D 사업계획의 비즈니스 영역별 사업화 모델과 기술분류별 기술 수준, 기업 역량 등을 자동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중기부 관계자는 “중소기업 R&D의 가장 큰 문제는 평가위원의 전문성 부족과 혁신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이라면서 “기존 R&D 사업과는 다른 관점에서 중소기업 R&D 평가 방식을 수립해 보겠다”고 말했다.그동안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은 줄곧 투자에 비해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실제 중기부의 R&D 예산은 1997년도 381억원에서 올해 1조원 이상으로 30배 가까이 늘었지만 뾰족한 성과물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018년 기준으로 중소기업 R&D 기술개발 성공률은 90.7%에 이르는 반면에 사업화 성공률은 50.5%에 그쳤다. 주로 평가위원 판단에 의존하고 있는 평가 방식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문제도 중소기업 R&D 지원의 단골 지적 사항으로 꼽힌다.중기부에서는 이번 빅데이터 중심 평가체계 개편으로 중소기업 R&D 전반에 대한 지원 효과 역시 전략 성격을 띠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과거 소액다수 방식으로 많은 중소기업을 지원한 결과가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기존 사업계획서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타깃이 더 명확한 지원 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차정훈 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초연구, 산업통상자원부는 큰 산업 고도화를 위한 R&D에 집중하는 것과 달리 중소기업 R&D는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면서 “기술보증기금의 AI를 활용한 특허가치평가시스템(KPAS)은 물론 스마트제조혁신센터의 데이터와도 연계, 중소기업 R&D의 효율성을 더 높여 가겠다”고 말했다.중기부는 내년 중으로 지능형 평가모델 등을 우선 구축한 후에는 빅데이터 기반 포트폴리오, 과제 이상관리 시스템 구축 등으로 범위를 넓혀 나갈 방침이다. 기정원의 대표 R&D 지원 사업에 새로운 평가체계를 우선 시범 도입하고 추가 예산을 확보, 전 사업으로 적용을 확산하는 것이 목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83","atchfileNm":"평가위원에_의존하던_中企_RD_평가,_빅데이터-AI-RPA로_대전환.jpeg","viewCnt":"3059","regDate":"2020-05-21 09:48:23"},{"contentId":"117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데이터 기반 中企 R&D 정착되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35","contentsKor":"데이터 기반 中企 R&D 정착되길   중소기업 연구개발(R&D) 평가가 빅데이터78·인공지능(AI)·로봇처리자동화(RPA) 기반으로 바뀐다. 평가위원의 전문성 부족과 부진한 사업 성과를 높이기 위해 데이터와 정보통신기술(ICT)이 사용된다.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이 스마트 R&D 평가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그동안 중소기업 R&D 평가가 있을 때마다 평가위원의 전문성 부족에 대한 지적이 높았다. 주로 평가위원 판단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말미암아 신뢰도는 점점 하락했다. 평가 인력 전문성이 부족하고 특정 분야에 편중됐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학계 출신이 많아 현업 이해가 부족하다는 불만도 컸다. 또 평가단이 자주 교체되면서 전문성과 책임감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사업 성과도 낮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됐다.기정원이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차세대 스마트R&D 평가체계 프로토타입 추진' 방안을 중소벤처기업부에 보고했다. 기정원은 내년 2월까지 지능형 평가 모델을 구축해 중소기업 R&D 사업계획의 비즈니스 영역별 사업화 모델과 기술 분류별 기술 수준, 기업 역량 등을 자동 평가할 계획이다.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은 투자에 비해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실제 중기부의 R&D 예산은 1997년도 381억원에서 올해 1조원 이상으로 30배 가까이 늘었지만 뚜렷한 성과물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중기부는 데이터 기반 평가체계로 개편해 중소기업 R&D 지원효과 개선을 노린다. 중소기업이 낸 사업계획서를 분석해 효율성 있는 지원 전략을 짤 계획이다. 중기부는 내년에 지능형 평가모델을 만든 후 과제 이상관리 시스템 등으로까지 확대할 방침이다.정부가 데이터 기반의 R&D 지원 사업 효율화를 꾀하는 것을 환영한다. 평가위원의 전문성과 신뢰성 문제를 잠재우고 중소기업 R&D 장기 방향을 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게 된다. 중소기업은 이제 이에 맞춘 R&D 평가를 준비해야 한다. 체계적인 R&D 계획안을 세우지 못하고 심사위원의 입맛에 맞는 내용만 담던 것에서 탈피해야 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81","atchfileNm":"데이터_기반_中企_RD_정착되길.hwp","viewCnt":"2652","regDate":"2020-05-21 09:44:44"},{"contentId":"117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정책 수요기업을 위한 범부처 중소기업지원사업 종합 정보서비스 개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3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R&D정책 수요기업을 위한 범부처(중앙부처, 지자체)  중소기업지원사업 종합 정보서비스 개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R&D정책 수요자인 중소벤처기업을 위해 중앙부처, 지자체가 시행하는 중소기업지원사업 정보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ㅇ 중소기업지원사업은 중앙부처, 지자체 등에서 다양하게 시행 중이나, 이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없어 정보획득의 불균형 문제가 있었다.   ㅇ 특히, R&D를 수행한 중소벤처기업은 기술개발 이후 안정적인 사업화를 위해서 시설 및 운전자금, 판로, 인력지원 등이 적시에 연계되어야 하나, 지원사업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기 어려워 계획 수립이 원활하지 못한 실정이였다.   ㅇ 기정원은 이러한 현장의 문제에서 착안하여 중소기업지원사업 종합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 본 정보서비스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관리시스템(www.smtech.go.kr)’ 정보마당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현재 1,719건(중앙부처 564건, 지자체 1,155건)의 지원사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ㅇ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이 지원사업을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고, 언제 지원사업을 신청할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 경영활동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ㅇ 아울러, “지원사업은 연중 변경 또는 신설될 수 있으므로 계속 정보를 갱신할 것이며, 사용자 이용량 및 만족도 측정, 개선의견 수렴 등을 통해 서비스 편의성도 향상시킨다.”는 계획도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69","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범부처_중소기업지원사업_정보서비스_개시.hwp","viewCnt":"3043","regDate":"2020-05-19 09:38:15"},{"contentId":"117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코로나 시대 中企 생존법]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 “스마트공장 도입 리쇼어링 기업, 지원 늘릴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27","contentsKor":"[코로나 시대 中企 생존법]박한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 “스마트공장 도입 리쇼어링 기업, 지원 늘릴 것” “스마트공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조업 위기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더 많은 관심을 받을 것입니다. 정부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외 진출 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을 통해 국내 복귀가 가능하도록 지원을 늘릴 예정입니다.”국내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총괄하는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박한구 단장은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원격·재택근무가 보편화되는 만큼, 이와 같은 근무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설비 스마트화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박 단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세계 각국의 제조기업은 생산·자재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스마트공장이 리쇼어링(제조업의 본국 회귀)의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생산 차질을 빚은 많은 제조업체들이 위기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스마트공장 시스템 도입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다.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과 스마트제조 R&D까지 국내 스마트제조 관련 지원사업을 총괄 실행하는 기관으로 지난해 7월 출범했다.기업이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면 원가와 산업재해는 각각 15.9%, 18.3% 감소하고, △생산성(30%) △품질(43.5%) △납기준수율(15.5%) 등이 증가해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 목표를 세우고,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특히, 최근 코로나19 이후 제조업이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에 대처하고 기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열쇠로 스마트공장이 제시되면서 각국에서 도입·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다음은 박 단장과의 일문일답.Q. 코로나19 사태로 타격을 입은 국내 중소 제조기업의 위기극복 대안으로 스마트공장이 주목받고 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전 세계 제조업에서 생산 및 자재 조달 등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스마트공장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제조업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더욱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우선, 이번 사태를 통해 부각된 리쇼어링(제조업의 본국 회귀) 문제의 해법이 될 수 있다. 생산 단가와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 해외로 진출한 기업들이 코로나19와 같은 각종 전염병으로 위기를 겪는 데다, 최근엔 외자기업의 혜택 감소 및 인건비 증가로 진퇴양난에 빠진 경우가 많다. 정부에서도 스마트공장 도입기업의 평균 생산성이 30%나 늘어나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외 진출 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을 통해 국내 복귀가 가능하도록 지원을 늘릴 예정이다.또한 예기치 못한 상황을 통해 생산의 차질을 빚은 많은 제조업체들이 위와 같은 위기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스마트공장 시스템 도입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원격·재택근무가 보편화되는 만큼 이와 같은 근무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설비 스마트화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이다. 생산현장에 직접 나가지 않아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면서 필요 시 원격으로 조작하고 생산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많은 가정과 기업, 공장에 클라우드, AI(인공지능), 5G, 빅데이터 등의 보급이 활성화되면 제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도 더욱 보편화 될 것이다.”Q.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무엇을 하는 기관인가.“독일을 선두로 미국, 일본, 중국 등 제조 선도 국가들마다 각국의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만들기 시작했고 우리나라 역시 이에 발 맞춰 다양한 정책이 기획됐다. 정부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을 총괄하는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2019년 7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과 스마트제조 R&D까지 국내 스마트제조 관련 지원사업을 총괄 실행하는 기관으로써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을 만들었다.현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진행하고 있는 사업은 크게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스마트제조 R&D사업 △스마트제조 기반구축 사업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사업인 스마트공장 신규구축 및 고도화 사업은 정부의 국정과제인 ‘2022년까지 국내 제조기업 3만개 스마트화’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으며 2019년까지 누적 1만2660개를 지원한 상태다.이와 더불어 스마트공장 수준 5단계 중 3단계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고도화 사업도 집중 지원해 스마트공장 기초단계부터 고도화 단계까지 질적 성장을 기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다.” Q. 추진단 출범 이후 성과는.“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가장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추진단 출범 전(2014년~2018년)까지 중소·중견기업 7903개사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했다. 추진단 출범 이후 2019년에는 신규구축 2122개, 고도화 사업 663개, 시범공장 35개, 대중소상생형 사업 1023개, 업종별 특화사업 440개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4757개사의 스마트공장을 지원해 총 1만2660개사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했다.또한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의 성과를 살펴보면, 생산성은 30% 증가와 불량감소로 인한 품질이 43.5%로 향상됐고, 원가는 15.9% 감소, 납기 준수율은 15.5% 향상, 산업재해도 18.3% 감소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확인했다. 단순 반복적인 업무가 데이터 중심의 업무로 바뀌면서 업무 환경에도 조금씩 변화가 생겼다.추진단 출범 이후 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 이원화돼 추진됐던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이 통합 관리된다는 점도 주요 성과라 할 수 있다. 추진단을 통해 모든 스마트공장 사업을 신청할 수 있다.”Q. 올해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 및 역점사업은.“추진단은 올해 국내 스마트공장 양적 확대와 더불어 질적 성장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우선, 올해 5600개의 스마트공장 보급을 통한 국내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혁신을 위해 보급·확산 사업 모델 다변화 및 민간의 자발적 참여 활성화를 확대한다.이를 위해 전자, 기계, 부품소재, 식품 등 유사 업종·제조공정을 가진 기업들의 업종별 공통 스마트 솔루션 구축을 지원하며, 제조현장에서 양질의 데이터 수집하고 이를 통해 제조공정, 공장운영, 제품개발에 대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도록 AI·빅데이터 등 제조데이터 분석 솔루션 도입 및 자동화 정비·제어기·센서 구축을 지원한다.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육성 및 국제기관과의 제조데이터 표준화 방안 도모도 주요 목표 중 하나다. 독일의 관련 기관과 협업해 생산현장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데 있어 장치별 데이터 속성 및 수집 저장 체계를 국제표준 기반으로 표준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또한,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스마트센서 선도프로젝트 기술개발 등을 통해 스마트공장 고도화 촉진을 위한 공급기술 확보에 힘쓸 예정이다. 스마트제조 관련 글로벌 기구와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민관합동 기술교류 및 협력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등 정책 연구도 추진하겠다.마지막으로 스마트공장을 통해 생성된 제조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해 중소기업의 공정·품질 개선, 제품개발 등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데이터 센터와 플랫폼 구축을 통해 분석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Q. 제조데이터 센터와 플랫폼 구축 계획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해 달라.“현재 자금,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스마트공장을 도입 후 생성·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활용하기 위한 IT 전문 인력, 데이터과학자(Data Scientist) 채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스마트공장 구축 이후 제조데이터 활용성 제고를 위해 중소벤처기업 전용 제조데이터 플랫폼 센터를 올해부터 구축해 기업을 지원하고자 한다.이를 통해 공장 내 보유한 데이터를 중소기업이 활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도록 정제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불량 원인분석과 품질 최적화 등 수요자 맞춤형 분석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중소 제조기업에 솔루션을 공급하고 개발하는 스타트업을 위해서는 제조데이터 플랫폼에서 빅데이터, AI, AR/VR 등을 활용해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처리, 각종 알고리즘, 모델링, 시뮬레이션, 시각화 등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개발 업체에서 이미 검증된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제조현장에 검증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를 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하고자 한다. 현재 관련 내용을 계획 중이다.”Q. 스마트공장 확산에 가장 큰 어려움·걸림돌은.“우선, 중소기업들이 스마트공장 구축에 대한 망설임 혹은 두려움을 갖지 않는 것 중요하다. 기업을 경영하는 수많은 대표께서는 스마트공장 구축 투자를 통해 그만큼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 많은 고민을 할 것이다. 그러나 정부와 추진단은 지금까지 스마트공장 구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생산성 30% 향상, 불량률 43.5% 감소, 원가 15.9% 절감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확인했다.또한, 전국 19개 테크노파크 내 스마트 제조혁신센터를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에 대한 교육/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기업의 역량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려는 도전의식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기업과 맞서야 한다.둘째는 스마트공장을 추진하기 위한 투자 자금과 전문가 인력 부족 문제를 들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추진단에서는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해 정부 지원 외에도 지자체 협력을 통한 지방비 예산 확보 및 대기업과의 상생 예산 매칭 등을 통해 기업 부담금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 중이며 금융지원 프로그램 또한 운영 중이다.그 외에도 스마트공장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한 기업을 위해 스마트화 역량강화 및 스마트 마이스터 지원사업을 통해 스마트 마이스터가 기업의 역량 및 수준 등을 고려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앞으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많은 기업들이 좀 더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필요한 솔루션을 이용하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도 마련 중이다.처음부터 고도화 단계를 고민할 필요는 없다. 기업의 환경과 역량에 따라 단계별로 구축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공장 구축을 망설이거나 상담을 원한다면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또는 지역 내 있는 스마트제조혁신센터로 연락해 달라. 언제든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중소기업에 대한 도움을 아끼지 않겠다.”Q. 정부의 방침이 스마트공장의 양적 확대에만 집중한다는 지적이 있다.“스마트공장은 목표가 아닌 수단으로써 기업이 원하는 생산성과 영업이익을 창출하고 새로운 제품가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우리 중소기업의 작업환경, 업무방식, 시스템을 바꿔 새로운 제조업 패러다임으로 가는 연결고리로서 국내 중소기업들이 제조업 전쟁에서 살아남게 하는 필수적인 수단인 것이다. 더 많은 국내 중소 제조기업이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하고 기업의 수준에 맞게 단계적으로 시작해나가야 그 기반을 바탕으로 고도화로도 나갈 수 있다.정부에서는 국내 스마트공장의 보급 및 고도화를 위해 투 트랙의 정책을 마련해 운영 중이다. 첫 번째가 2022년까지 3만개 스마트공장 구축이며 두 번째가 바로 고도화 정책이다. 3만개 스마트공장 중 25% 기업을 스마트공장 수준 3단계 이상의 고도화 수준으로 올리기 위해 제조 과정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 기업의 질적 성장을 돕기 위한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있다.우선, 제조현장에서 양질의 데이터 수집하고 이를 통해 제조공정, 공장운영, 제품개발에 대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도록 AI·빅데이터 등 제조데이터 분석 솔루션 도입 및 자동화 정비·제어기·센서 구축 등을 지원하고 있다.아울러 현재까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제조데이터 수집 기반이 마련됐다면 이를 활용해 더 많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생성된 제조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해 중소기업의 공정·품질 개선, 제품개발 등을 지원하는 제조데이터 센터와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Q. 스마트공장 도입에 따른 제조업 인력 변화에 일각에선 우려의 목소리를 낸다.“스마트공장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의 생산 과정을 컨트롤하고, 개선해 나가는 지능형 공장을 말한다. 즉 최소 비용·시간으로 최적의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으로의 전환을 지향하기 때문에 단순 반복적인 작업을 하던 근로자들을 지식근로자로 전환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 맞는 인재로 탈바꿈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 할 수 있다.우리나라 젊은 층이 중소기업을 기피 하는 근본 원인은 적은 급여만큼이나 3D(Dirty, Dangerous, Difficult)로 대변되는 생산 환경 및 단순 작업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으로 전환된다면 그만큼 근무 환경 및 근로자의 품격이 높아진단 것으로 젊은 인재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스마트공장을 통해 산업 재해율이 줄어들면서 고령의 직원들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는 것도 큰 장점일 것이다.스마트공장을 도입한 한 기업은 단순 반복 업무를 담당하던 외국인 근로자들 대신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로봇 운영 등이 가능한 국내 지식 근로자를 채용했다. 경북의 한 기업은 스마트공장 도입 후 단순 반복 작업이 줄어들고 일하기 편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고령의 직원들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고 청년들이 다시 찾는 직장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이 제조업의 인력 및 근무환경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64","atchfileNm":"보도자료_코로나_시대_中企_생존법박한구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_“스마트공장_도입_리쇼어링_기업,_지원_늘릴_것”.pdf","viewCnt":"3241","regDate":"2020-05-18 13:37:36"},{"contentId":"117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코리아스타트업포럼, 생체 데이터 활용 AI 경진대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21","contentsKor":"코리아스타트업포럼, 생체 데이터 활용 AI 경진대회 개최 사단법인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의장 김슬아 안성우 이승건)은 데이터 사이언스 플랫폼 기업 '데이콘'과 함께 '생체 광학 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코스포는 중소벤처기업부의 개방형 혁신 네트워크 사업 i-CON의 AI 분야 운영기관으로 선정돼 네트워크 구축 및 기술교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번 경진대회 역시 'AI i-CON' 사업 일환으로 추진된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바이오 분야 우수한 알고리즘을 발굴하기 위해 기획됐다. 신체를 투과한 빛을 포집하면 피부 상처 없이 체성분 검사가 가능하다는 아이디어로부터 시작됐다.대회는 5월 15일부터 6월 26일까지 온라인 AI 대회 플랫폼을 통해 진행된다. AI와 생체 광학 데이터에 관심 있는 일반인, 학생, 기업 등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데이콘이 제공하는 가상의 생체 광학 데이터를 활용해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개발 아이디어를 공모하는 방식이다.참가자들이 개발한 AI분석 알고리즘은 모의 데이터 분석 및 성능 비교를 통해 순위가 결정된다. 우수한 진단 알고리즘을 도출한 10개 팀을 선발해 상금을 수여한다. 총 360만원 상당 상금이 걸려 있다. 경진대회에 참가 및 자세한 사항은 데이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최성진 코스포 대표는 “올해 운영 2년차에 접어든 AI i-CON을 'AI활용 사례 및 우수과제 발굴', '글로벌 협력 확대', '정책과제 제안' 중심으로 운영할 계획”이라며 “이번 대회를 통해 AI기술 활용의 우수 사례가 발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김국진 데이콘 대표는 “피부 상처 없이 체성분 검사가 가능한 방법은 안전하고 고무적인 기술로 평가된다”며 “이번 대회를 통해 광학 데이터로 체성분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알고리즘이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53","atchfileNm":"코리아스타트업포럼,_생체_데이터_활용_AI_경진대회_개최.pdf","viewCnt":"2411","regDate":"2020-05-14 09:44:48"},{"contentId":"117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스마트화’ 원하는 중소ㆍ벤처기업 150개사에 6000만 원씩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20","contentsKor":"중기부, ‘스마트화’ 원하는 중소ㆍ벤처기업 150개사에 6000만 원씩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빅데이터ㆍAI 등 첨단 ICT를 활용해 서비스의 스마트화를 지원하는 ‘중소기업 스마트서비스 지원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 중기부는 이달 21일부터 내달 12일까지 스마트화를 지원하는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3일 밝혔다. 스마트서비스는 2005년 미국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처음 제시된 용어다. 빅데이터·AI 등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예측적 서비스이며, A/S와는 대비되는 개념이다. 이 사업은 중기부가 스마트공장, 스마트상점과 함께 ‘스마트 대한민국’의 구현을 위해 올해 신규로 선보이는 사업이다. 중소·벤처기업이 스마트서비스 창출에 필요한 빅데이터·AI 등 첨단 ICT 솔루션을 도입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기업당 사업비의 50% 이내에 최대 6000만 원까지 지원한다. <iframe width="100%" height="100%" data-mce-fragment="1" hspace="0" vspace="0" class="ip-engine" scrolling="no" marginheight="0" marginwidth="0" frameborder="0"></iframe> 지원 대상 기업은 총 150개 이상이며, 지원 총 규모는 93억 원이다. 지원 분야는 기업 혁신 서비스, 온라인 경제 서비스, 공공서비스 등 총 3개 분야다. 우선, 기업 혁신 서비스 분야는 비대면 고객 응대를 위한 챗봇, 단순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는 프로세스 자동화(RPA), 비대면 업무 솔루션 등을 활용해 서비스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는 분야이다. 온라인 경제 서비스 분야는 첨단 ICT를 활용해 신선식품 새벽 배송 등 온라인 식품 배달, 원격의료 및 온라인 교육 등의 서비스와 같이 온라인화로 고부가가치화 및 신규 BM 창출을 지원하는 분야이다. 마지막으로 공공서비스 분야는 코로나맵·마스크맵과 같이 사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거나 협동조합 등 동일 업종의 기업들이 업종 특화 플랫폼을 공동으로 도입하는 것이다. 다수의 기업, 국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분야이다. 사업 신청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은 솔루션 공급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거나 단독으로 신청할 수 있다. 사업 신청 뒤에는 사업 수행기관의 서면 및 현장 평가와 전담기관의 최종 평가로 지원과제를 최종 선정한다. 전담 기관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며 수행기관은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스마트컨설팅협회, 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 등이다. 사업계획서 양식 등 상세 내용은 중기부 홈페이지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개발사업 관리시스템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52","atchfileNm":"중기부,_‘스마트화’_원하는_중소ㆍ벤처기업_150개사에_6000만_원씩_지원.pdf","viewCnt":"2847","regDate":"2020-05-14 09:39:49"},{"contentId":"117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복대, 코로나19 예방용품 기증한 이글루시스템즈에 감사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19","contentsKor":"경복대, 코로나19 예방용품 기증한 이글루시스템즈에 감사패 경복대학교는 지난 7일 남양주캠퍼스에서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인 ㈜이글루시스템즈(대표이사 최승일)에 감사패를 증정했다.     ㈜이글루시스템즈는 지난 3월 10일 코로나19에 대응한 학교차원의 마스크 구매에 어려움을 알고 미국 거래처를 통해 미국산 마스크를 구매해 교직원의 보건위생과 건강관리를 위하여 마스크를 기증한바 있다.   변상석 경복대 창업보육센터장은 “미국 협력사를 통해 교직원 건강을 염려한 최승일 대표의 마스크 기증에 깊이 감사드린다”며,“앞으로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과 상호 상생협력을 통해 윈윈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글루시스템즈는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스타트업 기업으로 2015년 경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해 센터의 사업화지원과 네트워크 활동 등 밀착된 맞춤형지원으로 성장하고 있는 벤처기업이다.     이글루시스템즈는 2017년 벤처기업인증과 정부지원사업인 한국지식재산보호원의 국제지재권분쟁예방컨설팅 업체에 선정됐고, 2018년에는 수출성공패키지사업에 선정되어 미주지역에 S/W 1만불 수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되어 R&D자금을 유치, 소프트웨어 개발로 국산화 보급률을 높이고 해외로열티를 절감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공로로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상을 수상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51","atchfileNm":"경복대,_코로나19_예방용품_기증한_이글루시스템즈에_감사패.pdf","viewCnt":"2280","regDate":"2020-05-13 17:07:37"},{"contentId":"117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방역의 힘 중소기업 R&D지원으로 시작되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18","contentsKor":"K-방역의 힘 중소기업 R&D지원으로 시작되었다.  - 기정원, 코로나19 체외진단기기 수출기업의 75%가 중기부 R&D지원사업 수행기업임을 밝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 제조 및 수출기업”* 45개社 중 34개社가(75.6%)가 중소벤처기업부 R&D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임을 밝혔다. * (출처) “코로나19 관련 체외진단기기 제조 및 수출기업 정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산업종합정보시스템(KHIDI), ’20.4.29 기준   ◦ 개발제품은 검체채취키트, PCR장비, 진단시약 등으로 개발업체들은 사스, 메르스 등 감염성 호흡기질환을 경험한 후 중기부 R&D지원을 통해 연구개발에 매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식약처의 긴급사용승인(PCR)을 받은 5개 기업 중 4개 기업(㈜씨젠, 솔젠트㈜, ㈜코젠바이오텍, ㈜바이오세움)이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한 이력이 있으며,   - 검체채취키트를 판매하는 ㈜노블바이오는 ’17년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으로 검체배지의 생산성을 높이는 연구를 성공하여 코로나19로 인한 검체채취키트의 폭발적인 글로벌 수요를 대비할 수 있었다.   ◦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수행한 체외진단기기 제조·수출기업 34개는 평균 902백만원의 중기부 R&D자금이 지원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감염병에 대비 할 수 있었다.   □ 식약처의 수출용허가를 받은 45개 기업은 유럽과 미국시장 진출을 위해 CE인증, FDA 인증을 승인받거나 승인대기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현재 승인받은 기업은 25개사(CE인증 20개, FDA인증 5개)이며, 이외에도 UN조달기구 공급업체로 등록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K-방역으로 코리아프리미엄을 높이고 있는 진단장비의 75%가 중소기업R&D지원을 통해 선제적으로 개발된 것은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R&D지원 방향이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필요에 부응한 결과라면서   ◦ “앞으로도 예측 불가한 미래에 중소벤처기업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힘을 갖출 수 있도록 R&D지원과 성과확산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50","atchfileNm":"보도자료_K-방역의_힘_중소기업_RD지원으로_시작되었다..hwp","viewCnt":"2645","regDate":"2020-05-13 16:56:02"},{"contentId":"117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특화 AI기반 신기술 R&D에, 500억원 이상 지원...AI 고도화 예타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13","contentsKor":"중소기업 특화 AI기반 신기술 R&D에, 500억원 이상 지원...AI 고도화 예타 추진 정부가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신제품 고도화를 위한 500억원 이상 규모의 대형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한다. 내년부터 시범 사업을 반영하는 동시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늦어도 2022년부터는 본 사업에 착수하는 것이 목표다. AI를 비롯한 4차산업혁명 전략 기술분야에 대한 예산 투입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6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중소기업기술정보원(이하 기정원)은 AI기반 신제품 R&D 고도화 및 예비타당성조사 연구 수행을 위한 사업자 모집에 들어갔다. 기정원은 연구용역을 통해 AI R&D사업 대상 중소기업군의 기업 현황을 조사하고 발굴 기업의 기술수요와 예산 규모를 파악해 예비타당성조사에 대비한다는 계획이다.중기부가 이번 예타를 추진하는 이유는 앞으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AI R&D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서다. 중기부는 올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AI기반 고부가 신제품 기술개발사업 R&D 사업을 총 149억원 규모로 실시하고 있다. 지난 3월 75억원을 투입해 25개 기업을 선정했고, 7월부터 나머지 74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중기부 관계자는 “앞서 중소기업 R&D 지원체계 혁신방안에서 밝힌 대로 AI는 모든 산업과 연결되는 범용기술이고 산업 전반 혁신을 좌우하는 핵심 수단인 만큼 R&D 수요를 충분히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중기부는 이번 용역을 통해 중소기업의 AI기반 신제품 R&D가 시급한 분야와 수요 등을 파악하고 장기 차원에서 정책 지원이 필요한 분야를 파악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AI 관련 핵심기술 보유현황, 기업규모, 수출액 특성 등 수요 중소기업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한 파악도 이뤄질 예정이다.실제 통상 예타 추진 과정에서는 사업 추진에 필요한 예산 규모와 상위 정책과의 연계성, 관련 사업의 차별성·연계·협력 방안 등을 들여다본다. 50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지원에 따른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다.중기부 관계자는 “사업 예산 규모와 범위는 추가 연구를 통해 정하게 될 것”이라면서 “시범사업을 우선 개시한 이후 본 사업을 시작할지 여부 등은 연구 과정에서 조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이번 예타 조사를 시작으로 중기부 차원의 R&D 지원도 대형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중기부는 AI 고도화 예타 외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동으로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 관련 예타를 진행 중이다.중소기업계 관계자는 “그간 중소기업 분야에 대한 정부의 R&D 지원은 소액 살포식으로 이뤄진 경향이 있었다”면서 “중소기업·스타트업 혁신을 위해 필요한 분야를 선정해 집중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44","atchfileNm":"중소기업_특화_AI기반_신기술_RD에,_500억원_이상_지원...AI_고도화_예타_추진.pdf","viewCnt":"3009","regDate":"2020-05-07 10:13:15"},{"contentId":"117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小기업까지 자금지원… R&D기업 최대 5억 1%p 우대금리 대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700","contentsKor":"小기업까지 자금지원… R&D기업 최대 5억 1%p 우대금리 대출 IBK기업은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물론이고 소기업까지 지원하고 있다. 가장 먼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손길을 내밀었다. 중소벤처기업부·신용보증재단중앙회와 업무협약을 통해 초저금리특별대출 간편보증에도 적극 나섰다. 중소기업중앙회를 통해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한 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도 금융권에서 유일하다. 윤종원 행장은 코로나19로 직접적인 어려움을 겪은 거래 중소기업을 방문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도 했다.IBK기업은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물론이고 소기업까지 지원하고 있다. 가장 먼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손길을 내밀었다. 중소벤처기업부·신용보증재단중앙회와 업무협약을 통해 초저금리특별대출 간편보증에도 적극 나섰다. 중소기업중앙회를 통해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한 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도 금융권에서 유일하다. 윤종원 행장은 코로나19로 직접적인 어려움을 겪은 거래 중소기업을 방문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도 했다.기업은행은 올해 중소기업 대출공급 목표를 당초 49조원에서 59조원으로 10조원 확대하고, 소상공인 초저금리 특별대출 지원 한도도 1.2조원에서 5.8조원으로 대폭 증액했다.기업은행은 코로나19 발발 초기인 2월4일부터 피해기업의 금융애로 상담과 해소를 위해 전국 영업점에 '금융애로 상담창구'를 운영했다.2월7일부터는 코로나19로 영업, 매출 등에 피해를 입거나 중국 대상 수출입 지연으로 생산차질, 결제지연 등의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특별지원자금, 대출 만기연장 등 특별금융지원을 실시했다.총 1000억원, 한 기업당 5억원 한도로 피해 기업의 신규 유동성 지원을 위해 신규 특별지원자금을 지원하고 만기가 돌아오는 대출이나 할부금은 상환 없이 연장해줬다. 최대 1.0%포인트 대출금리도 감면했다. 수출입금융 특례운용을 통해 수출환어음 매입대급 입금 지연이자를 감면해주고, 수입신용장 결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게는 이자를 감면해주고 만기도 연장해줬다.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협력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연구개발(R&D) 수행기업에 특별자금을 지원하기도 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추천한 R&D 기업을 대상으로 총 한도 1400억원, 한 기업당 5억원을 1.0%포인트 우대금리로 지원한다. 윤종원 기업은행장은 중소기업의 파트너로서 현장을 직접 방문해 힘을 보탰다.윤종원 행장은 3월17일 시화공단에 있는 금속절삭기계 제조업체 휴텍엔지니어링(대표자 유재규)을 찾았다. 휴텍엔지니어링은 중국이 주요 수출거래국이다 보니 코로나19로 납품대금 결제가 지연되면서 자금 흐름이 원활하지 않았다.기업은행은 일시적인 유동성 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해 특별지원자금 8억원을 지원했다. 덕분에 휴텍엔지니어링은 저금리 특별자금을 지원받아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4월 들어서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신속 지원을 위해 상담 홀짝제, 간편서류 발급 등을 위한 총력 지원 체제를 구축했다.4월2일부터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초저금리특별대출' 신속지원을 위해 '상담 홀짝제', '대상여부 사전확인 비대면 서비스'를 실시했다. '상담 홀짝제'는 대표자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상담·방문일자를 분산하는 2부제다. 기업은행은 대표자의 생년 끝자리가 홀수면 홀수일, 짝수면 짝수일에 방문을 유도해 고객 대기와 혼잡을 줄인다. 또 경영지원 플랫폼 박스(BOX)를 활용해 '대상여부 사전확인 비대면 서비스'를 시행했다. 시행 첫날인 4월1일에만 BOX 대출 대상 조회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이 7700여명에 이를 정도로 영업점 방문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실질적 도움을 제공했다.BOX 비회원, 기업은행 미거래 고객도 간편보증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대출 대상으로 확인되면 필요 서류는 기관 방문 없이 BOX에서 발급 가능하다.4월6일부터는 신속한 금융지원을 위해 15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상담, 서류접수, 현장실사 업무 대항, 보증서 심사·발급, 대출을 은행에서 원스톱으로 진행하는 '초저금리특별대출 간편보증 업무'를 도입했다. 상담 수요 증가로 인한 창구 쏠림을 방지하고 신속한 상담 진행을 위한 지원 제도다.기업은행은 업무협약을 통해 지역신보의 보증서 심사·발급을 대행하고, 고객 제출서류를 최대 10여개에서 4개로 축소한다. 또 현장실사를 생략해 보증서 발급을 위한 프로세스를 간소화한다. 보증업무 위탁에 따른 초기 업무 쏠림에 대비해 신청 예약제를 도입하고, 임금피크 직원 143명을 영업점에 배치하고 본부 직원 368명을 추가 배치해 지원이 절박한 소상공인이 신속하게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보증업무 위탁만이 아니다. 4월말에는 중소기업중앙회와 손잡고 소상공인 금융지원을 위한 협약대출에도 나섰다.기업은행은 4월21일 중소기업중앙회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기업은행은 중소기업중앙회가 위탁한 1000억원을 재원으로 1500억원 규모의 협약대출을 지원한다.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한 소기업·소상공인 중에서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기업을 대상으로 자금을 지원한다. 최대 1억원을 한도로 0.75%포인트 대출금리를 자동감면하고, 거래기여도와 신용등급에 따라 추가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기업은행은 코로나19로 직접적인 어려움을 겪은 대구·경북 지역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금융지원에 나서기도 했다. IBK기업은행은 지난 4월24일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에서 한국가스공사(사장 채희봉)와 '코로나19 극복 및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동반성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기업은행은 한국가스공사가 예탁한 200억원을 재원으로 400억원 규모의 저금리 동반성장 협력대출을 지원한다. 대출대상은 대구·경북 지역에 소재한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이나 일자리 창출 기업이다. 대출한도는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은 최대 2억원, 일자리 창출 기업은 최대 5억원이다. 기업은행은 이들 기업에 0.92%포인트 대출 금리를 자동 감면하고, 거래기여도와 신용등급에 따라 추가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기업은행은 민간 기업과도 협력해 코로나19 극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업무협력에 나서기도 했다. 기업은행은 3월12일 롯데GRS(대표이사 남익우)와 '코로나19 극복 및 일자리창출을 위한 동반성장 협력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롯데GRS는 기업은행에 100억원을 무이자 예탁하고, 기업은행은 이를 재원으로 100억 규모의 저금리 '동반성장협력대출'을 지원하는 방식이다.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롯데GRS 가맹점 소상공인과 중소·중견기업에 자금을 지원했다. 대출기업은 대출금리 1.75%포인트를 자동 감면받고, 신용도에 따라 최대 3.15%포인트를 감면받을 수 있다. 앞서 2월에는 예금보험공사와 업무협약을 맺고 코로나19 피해기업 지원과 동반성장 지원에 나섰다.금융지원 외에 임대료 인하, 생활치료센터로 연수원 제공, 소상공인 방역용품 제공, 피해기업 등 근로자 자녀 장학금 수여 등 상생을 위한 비금융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2월23일부터 '착한 임대인 운동'에 동참해 기업은행이 보유한 건물의 임대료를 6개월간 30%(대구·경북지역 50%) 인하하고 있다.3월4일에는 전국 영업점을 통해 코로나 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중소기업에 손세정제·살균소독제를 무료로 제공했다. 총 지원량은 손세정제, 살균소독제 약 6만 4300개(4.7억원)다. 피해가 심각한 대구·경북 지역에는 약 9000개를 배부했다.졸업· 입학식 축소로 어려움을 겪은 화원과 화훼농가를 돕기 위한 '꽃 드림(Dream) 행사'를 통해 화훼농가, 화원에서 꽃, 화분 2억원어치를 구입해 전국 영업점을 통해 고객에게 증정했다. 또 기업은행에서 사용하는 고객용 사은품, 사무용품 등의 구매 시기를 앞당겨 올 2분기 이후 집행 예정인 구매 예산을 3월부터 조기 집행했다. 고객용 사은품은 소상공인을 통해 판매 중인 중소기업 제품만 구입하기도 했다.또한 IBK연수원을 생활치료센터 및 해외입국자 임시격리시설로 제공했다.어려운 형편에도 학업성적이 우수한 중소기업 근로자 자녀 402명에게는 장학금(9억원)도 전달했다. 특히 올 상반기엔 대구·경북 지역을 포함해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국 영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근로자 자녀를 우선 선발했다. 기업은행은 지난 2006년 이후 '중소기업 근로자 가족 장학금 지원을 통한 미래인재 양성'을 목표로 총 8500여명에게 145억원의 장학금을 후원했다. 장학생으로 선발된 대학생들은 소외계층 아동들에게 학습지도 봉사활동을 하는 'IBK멘토링'에도 참여한다. 장학금을 받은 학생들이 혜택을 받은 것에 그치지 않고 기부 릴레이에 참여하는 것이다. 기업은행은 IBK행복나눔재단을 통해 희귀·난치성 질환자 2500여명에게 112억원의 치료비를 후원하는 등 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이 외에도 기업은행은 코로나19 발생 초기인 2월5일 IBK중국법인을 통해 중국 우한적십자회에 200만 위안을 기부하고, 국내 지방자치단체에 이재민용 구호키트 400개를 지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25","atchfileNm":"小기업까지_자금지원…_RD기업_최대_5억_1%p_우대금리_대출.pdf","viewCnt":"2793","regDate":"2020-05-06 10:28:59"},{"contentId":"116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조혁신 나선 中企]②'제조업 4강' 보급보다 고도화로 달성해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99","contentsKor":"[제조혁신 나선 中企]②'제조업 4강' 보급보다 고도화로 달성해야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모든 공정과정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수집·활용해 생산성 향상과 불량률 감소를 이뤘습니다. 그 덕분에 이전에 망설였던 알리바바 입점 기회도 다시 잡았습니다.”강원도 춘천시에 있는 침구 제조업체 도아드림. 이 회사는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 삼성전자가 지원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가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시작했다. 약 1억원을 들여 자동화 설비와 MES(제조실행시스템) 등을 도입하자 제품 불량률이 4.5%에서 0.7%로 개선됐다. 제조 리드타임(발주부터 납품까지 시간)은 38시간에서 35시간으로 줄었다. 이를 바탕으로 올 초 도아드림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 입점에도 성공했다. 현재는 미국 진출도 준비하고 있다. 전영환 도아드림 대표는 “중소기업에게 스마트공장 구축 비용은 당장 부담이겠지만, 그럴수록 멀리 봐야 한다”며 “향후 SCM(공급망관리) 도입 등 스마트공장 수준을 고도화할 준비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2030년까지 제조업 4대 강국 진입”정부의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에 힘입어 국내 중소기업들의 ‘스마트화’가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보급률 100%를 달성하고 제조업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8년 12월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을 발표했다. 2022년까지 국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도입을 기존 2만 개에서 3만 개로 늘리고, 스마트공장 전문 인력 10만 명을 육성하기로 했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세계 국가들이 벌이고 있는 제조업 혁신 경쟁의 열쇠는 스마트공장”이라며 “제조혁신의 관건은 중소기업”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6월에는 2030년까지 ‘제조업 4대 강국’ 달성을 목표로 하는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도 내놨다.   주무 부처인 중기부는 안정적인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을 위한 조직 개편에 착수했다. 지난해 7월 산하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을 통합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을 발족했다. 지난 1월에는 중기부 차관 직속으로 ‘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을 설치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도입 사업에 필요한 예산과 기획 업무를 담당하는 ‘컨트롤타워’도 역할을 맡겼다. 지속적인 정책 추진을 위해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연구용역도 발주, 법제화도 추진 중이다. 정부의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은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중기부 조사에 따르면 정부 지원 사업으로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의 평균 생산성은 약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생산 원가는 15.9% 감소했고, 납기 준수율은 15.5% 늘었다. 기업당 고용도 평균 3명이 증가했고, 산업 재해는 17.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 中企 스마트공장 초기 단계…고도화·전문화 필요다만 문제는 여전히 국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정부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한 3611개 중소·중견기업의 평균 스마트공장 수준은 전체 5단계에서 평균 1.21단계로 나타났다. 이 단계에서는 실시간으로 생산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제조데이터를 분석, 불량률을 낮추거나 납기 시간을 줄이는 등 생산 효율화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품 기술력 향상이나 품목 다변화, 수요 맞춤형 유연 생산 방식으로의 진전은 어렵다. 즉, ‘제품 기획부터 생산, 판매까지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첨단 지능형 공장’이라는 본래 스마트공장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는 뜻이다.한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대표는 “제조데이터를 생성하고 분석, 활용해 공장을 시장의 요구에 맞춰 최적화하는 것이 진정한 스마트공장의 개념”이라며 “국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은 생산량을 늘리고 불량률을 낮추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스마트공장 성과를 좌우하는 제조데이터 신뢰도 역시 매우 낮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스마트공장 구축에 드는 비용도 영세 중소기업에게는 부담이다. 중기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비용은 평균 1억5100만원으로 나타났다. 현재 정부는 스마트공장 구축 비용 50%를 최대 1억원(고도화 1억5000만원) 한도로 지원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중소기업들은 투자 비용을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84.4%는 스마트공장 도입 의사가 있다고 답했으나, 이 중 77.8%는 ‘시설투자 비용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사업 예산을 확대하고, 고도화를 위한 유인책 및 인프라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지적한다.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에 연구개발(R&D)이나 마케팅, 판로 지원책을 연계하고, PLM(제품수명주기관리)·SCM(공급망관리) 등 보다 고도화한 솔루션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스마트공장 제조데이터 수집·활용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데이터센터 및 플랫폼 구축도 시급한 과제다. 박정수 성균관대 스마트팩토리 융합학과 겸임교수는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이 1만개 이상 보급되면서 제조업 혁신을 위한 기초는 마련했다고 본다”면서도 “스마트공장을 통해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이라는 산업 구조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업종별 전문화, 고도화에 초점을 맞춘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24","atchfileNm":"제조혁신_나선_中企②제조업_4강_보급보다_고도화로_달성해야.pdf","viewCnt":"3454","regDate":"2020-05-06 10:08:05"},{"contentId":"116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망 기술벤처가 이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98","contentsKor":"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망 기술벤처가 이끈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5.4(月) 오후 2시, 팁스타운(서울 역삼동 소재)에서 중소벤처 대표들을 만나 코로나 이후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른 중소벤처의 역할과 대응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애로사항을 청취하였다.   이 자리에는 그간 중기부 R&D를 통해 기술역량을 축적한 유망 중소벤처기업으로, 코로나 위기극복에 앞장서고 있는 방역・진단분야 5개사와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선도할 언택트분야 3개사가 참석하였다. :   간담회는 바이오 진단분야 전문가인 ㈜진매트릭스 김수옥대표가 “POST 코로나 전망과 중소벤처의 대응방향” 발제 후, 성과 공유 및 제품 시연, 애로사항 청취 해소방안 논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축적된 기술력으로 신속한 대응을 통해 방역물품분야에서 코로나 위기 극복을 주도하고 있는 유망 중소벤처들이 함께 했다. 세계적으로 공급이 부족한 인공호흡기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개발 생산하며 20년간 외길을 걸어 온 ㈜멕아이씨에스 김종철 대표는 故이민화 회장이 창업한 ㈜메디슨에서 연구수석을 역임한 의료기기 개발통이다.   지난달 미국 FDA의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으며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외국 정부와 수백억원 규모의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등 그간 연구로 축적된 기술력을 전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또,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개발에 착수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음압캐리어의 국산화에 성공한 ㈜웃샘 이명식 대표는 최근 지자체, 소방방재청, 일선 보건소에 음압캐리어 500여대를 공급하는 등 전략물자로서 방역물품 개발 생산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정확도가 높은 디지털 기반 바이러스 정량검출기(리얼타임 PCR)를 개발하여 유럽 인증(CE-IVD)을 획득한 ㈜옵토레인 이도영 대표, 플라즈마 바이오 살균기를 개발하여 의료기관과 구급차량에 공급한 ㈜다우코리아 배준형 대표, 대기업에서의 백신개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 백신 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인테라 최덕영 대표가 참석하여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였다.     또한 코로나로 인한 사회환경 변화의 급랑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가고 있는 언택트분야 유망 중소벤처들도 함께 했다.   ㈜링크플로우 김용국 대표는 360도 VR 전송이 가능한 웨어러블 카메라를 개발하여 중국 우한의 코로나 병상에서 의료진이 원격환자 회진에 사용하여 비대면 솔루션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살린 김재현 대표는 VR을 이용한 교육용 증강현실 플랫폼을 개발하여 일본 소프트뱅크의 Innovation Program VR 부분에 선정되었다. 테크하임㈜ 이원용 대표는 진단장치로 촬영한 영상을 디지털로 전송하여 원거리에서 신속하게 판독·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전국 의료기관에 공급 중이다.   한편 참석자들은 이 자리에서 기술개발 제품에 대한 설명과 함께 직접 시연*을 해보면서 제품의 기술 및 성과를 확인하였다. :   * ㈜멕아이씨에스 (인공호흡기), ㈜링크플로우 (360도 VR카메라), ㈜살린 (VR가상 강의실), ㈜웃샘 (음압 캐리어), ㈜옵토레인 (코로나 진단기기), ㈜다우코리아 (플라즈마살균기)   이어, 참여기업 대표들은 중소벤처 혁신제품이 사업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후속 R&D, 스마트공장, 양산자금, 수출 등* 정책 지원과 질병관리본부 등 공공부문의 적극적 비축 및 제품 구매를 요청하였다.   * 일선 교육현장에서 비대면방식을 실제 교과과정에 적용하는 시범 서비스 추진   박영선 장관은 “금년부터 중기부는 기술개발 우수제품을 혁신제품으로 지정하여 공공기관이 수의계약하는 제도를 시행 중이며, K바이오, 브랜드-K 등을 적극 활용해 국내외 마케팅을 대폭 강화하는 등, 유망한 R&D기업이 스케일업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며,   “코로나 위기로 인한 디지털경제로의 급격한 변화는 도전정신과 신속한 적응력을 DNA로 탑재한 우리 중소벤처들이 글로벌 주인공으로 도약하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23","atchfileNm":"20200504_141951.jpg","viewCnt":"3729","regDate":"2020-05-04 15:47:34"},{"contentId":"116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11개 산하기관과 836개 음식점에 2억 5000만 원 선결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96","contentsKor":"중기부, 11개 산하기관과 836개 음식점에 2억 5000만 원 선결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도움이 되고자 진행하고 있는 ‘착한 선결제 대국민 캠페인’이 민간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선결제 캠페인에 국민·신한은행 등 시중은행에서도 참여가 확산되고 있으며, 영화배우 안성기·유준상에 이어 개그맨 조문식 등 연예인들도 다수 참여하고 있고, 공무원 노조와 업무협약을 통해 공무원 사회에서도 선결제 참여확산을 촉진하고 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 지원 주무부처로서 정부부처 최초로 적극행정위원회를 통해 결제방법 및 이용방식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했고 산하 공공기관과 함께 836개 식당에 약 2억5,000만원의 선결제를 완료했다.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진흥원, (재)중소기업연구원, 신용보증재단중앙회, 한국벤처투자㈜, ㈜중소기업유통센터, ㈜공영홈쇼핑,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함께 참여했다.박영선 장관은 “선결제가 민간에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세제지원과 경품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고, 다양한 온오프라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 하겠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19","atchfileNm":"중기부,_11개_산하기관과_836개_음식점에_2억_5000만_원_선결제.pdf","viewCnt":"2866","regDate":"2020-05-04 11:31:26"},{"contentId":"116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로 개발·판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81","contentsKor":"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로 개발·판로 지원   대전·세종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수요처의 구매 수요가 있는 구매연계형 R&D와 투자기업의 구매 수요가 있는 공동투자형 R&D를 지원하는 ‘2020년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내달 4일까지 신청받는다고 26일 밝혔다.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국내·대·중견기업, 공공수요처(정부·지자체·공공기관) 등의 구매 수요가 있는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기술개발 성공 후 조기에 기업 매출이 실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번 사업의 ‘구매연계형’은 중소기업이 자체 아이디어와 기술개발을 수요처에 제안해 ‘구매동의서’ 또는 ‘구매계약서’를 받아야 과제 신청이 가능하며 지원 규모는 567억 원으로 총 사업비의 65% 한도 내에서 최대 2년, 5억 원(연 2.5억 원) 이내로 지원된다.공동투자형’도 중소기업이 투자기업에 과제를 제안해 ‘투자동의서’를 받아야 과제 신청이 가능하며, 지원 규모 297억 원으로 총 사업비의 65% 한도 내에서 최대 3년, 12억 원 이내로 지원한다.자세한 내용은 사업 공고문과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종합통합콜센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업협력기술평가실)에 문의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01","atchfileNm":"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로_개발·판로_지원.pdf","viewCnt":"3762","regDate":"2020-04-26 15:03:30"},{"contentId":"116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대전·세종중기청, 코로나19 대비 중소기업 R&D 부담금 완화 특별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82","contentsKor":"대전·세종중기청, 코로나19 대비 중소기업 R&D 부담금 완화 특별지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중소벤처기업의 R&D 어려움을 경감하고 기술개발을 지속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합동 지원방안 마련으로 중소기업 R&D사업 특별지침을 제정했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 R&D사업 특별지침(중기부고시 제2020-38호)   이번 대책은 코로나19로 인한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에서 기업이 안정적으로 연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금년도 중기부 R&D 신규과제를 수행하는 중소벤처기업 또는 계속과제 중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까지 민간부담금 납부 의무가 발생하는 R&D 과제를 수행하는 중소벤처기업이 적용 대상이다. 지원내용에는 중기부R&D에 참여하는 기업이 부담해야 하는 연구비 민간 부담금 비율을 축소하고, 민간부담금 중 현금비중도 대폭 완화한다. * 총 사업비중 민간부담금 비중 : 35%→20%, 민간부담금 중 현금비중 : 60%→10% R&D사업 중 창업 7년 이하의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R&D,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위한 생활혁신형 기술개발사업의 경우 민간부담금 비중을 10%까지 추가 완화한다. 현재 신규채용 외 기존인력 인건비는 기업부담(현물) 원칙이나, 기존 연구인력 인건비도 정부지원금 사용을 허용했다. 중소기업 R&D지원 사업으로 매출이 발생할 경우 납부하는 정부납부기술료의 납부기간을 최대 2년간까지 유예한다. R&D사업의 출연금 지급시기를 당겨서 R&D 자금을 최대 3개월까지 조기 집행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신규과제에 대해 정부출연금을 협약 즉시 선지급(최대 50%)하고, 계속과제에 대해서도 진도점검 전이라도 출연금 조속 지급 민간 부담 경감 대상기업에 대해서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별도 안내가 진행되고 있으며,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신청절차 및 상세한 내용에 대해 문의가 가능하다. 대전·세종중기청 유환철 청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R&D를 수행하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급격한 매출감소 등 경영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히며, 이번 특별지침에 따라 즉시 R&D참여기업들이 지원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02","atchfileNm":"대전·세종중기청,_코로나19_대비_중소기업_RD_부담금_완화_특별지원.pdf","viewCnt":"3904","regDate":"2020-04-24 15:06:36"},{"contentId":"116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사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84","contentsKor":"해외원천기술 상용화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러시아의 원천‧혁신기술과 우리나라의 ICT‧생산기술을 결합해 후속 상용화 제품 및 해외 신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이 사업은 러시아 수요‧공급기관과 공동으로 연구하는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이 아닌, 주관기관이 러시아로부터 기술 도입 후 후속 기술개발을 하거나, 러시아 수요기술에 대한 맞춤형 기술개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내 중소기업 주도의 기술개발 사업이다. 사업은 최대 2년 이내로 진행되며 총 사업비는 정부출연금 65% 이내, 민간부담금 35% 이상으로 구성된다.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은 6월 24일까지 온라인(www.smtech.go.kr)으로 접수하면 된다.   문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전화 : 042-388-0171 메일 : global@tipa.or.kr 홈페이지 : www.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05","atchfileNm":"해외원천기술상용화기술개발사업.pdf","viewCnt":"3590","regDate":"2020-04-23 15:12:19"},{"contentId":"116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시각장애인의 민원 정보 이용 실태와 요구 조사 발표.. 전자점자 솔루션 필요성 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83","contentsKor":"시각장애인의 민원 정보 이용 실태와 요구 조사 발표.. 전자점자 솔루션 필요성 커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21권 제1호에 순천향대학교 박순희 교수와 김정훈(박사과정) 연구원의 논문이 게재됐다. 해당 논문은 <시각장애인의 민원 정보 이용 실태와 요구 조사>를 주제로 실시한 조사지의 문항별 기술통계를 분석한 내용이다. 시청각장애인이 공공기관에서 민원문서를 발급 받을 시 접근성이 떨어지고 개인정보 노출의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장애인차별금지및권리보장에 관한 법률을 보면, 장애인의 정보접근과 의사소통을 위한 정당한 편의제공 수단 중 하나로 점자가 명시되어 있다. 또 장애인이 요구할 경우 모든 법인이 그 편의수단을 제공토록 해야 한다. 또한 점자법에서는 ‘공공기관 등은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사용하여 모든 정보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책을 수립 및 시행하여야 하고, 시각장애인이 요구하는 경우 일반 활자 문서를 동일한 내용의 점자(전자점자) 문서로 제공하여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시각장애인의 민원 정보 이용 실태와 요구 조사>의 상세 내용을 보면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민원 문서로 가장 많은 것은 은행 통장 내역?거래 내역서와 장애인증명서?주민등록 등초본?납세증명원 등 민원24 증명서(89명, 7.3%)였으며 ▲발급된 문서의 정보접근과 처리 방법으로 ‘가족이나 친지를 통한 대독’이 절반 이상(73명, 54.5%)을 차지하였다.▲‘타인 대독 시 개인정보 누출에 대한 염려가 되지만 어쩔 수 없다’라는 대답은 87명(80.6%)에 이르렀고 ▲이 중 실제로 ‘개인정보 누출로 인한 피해의 경험이 있다’고 28명(25.9%)이 답하였다. 이에 대해 순천향대학교 박순희 교수는 “중증시각장애인, 시청각장애인이 민원문서 발급 시 가족이나 친지의 음성을 통해 문서의 정보를 접근하고 처리하는 비중이 높았다. 개인정보 누출 및 사생활 노출이 생길 수 있는 것”이라면서 “전자적 형태의 발급과 제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시각장애인 스스로 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자점자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보 접근 시 활용하는 매체로는 음성(69명, 63.9%), 점자(20명, 18.5%), 화면 확대(18명, 16.7%)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점자 활용 가능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가능하다’는 답이 92명(85.2%), ‘불가능하다’는 답이 16명(14,8%)으로 대부분 점자 활용이 가능했고 ▲‘점자정보단말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비중은 70명(64.8%)에 이르러 중증시각장애인의 점자와 점자정보단말기 활용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공기관 등에 점자 자료 요청을 한 적 있는 사람은 87명(80.6%)이었고 ▲전자점자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92명(85.2%)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 전자점자로 제공된다면 배울 의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64명(59.3%)이 긍정 답변했다. 연구의 주저자인 김정훈(순천향대학교 박사과정)은 “편리한 민원 해결 및 개인정보 누출 방지를 위해 기관의 전자점자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며, 새로운 전자점자 솔루션에 대한 기대감도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설명하면서 “다만 시각장애인들이 전자점자 솔루션에 대해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에 대한 요구도 많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 민원문서의 정보를 실시간 점자로 변환해주는 솔루션이 없었던 탓에 민원문서가 점자로 제공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던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자점자가 제공된다면 점자를 배울 의사가 있다는 답변이 많았는데, 문서를 정확히 읽고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자점자 사용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전자점자는 점자정보단말기에 저장하고 검색하여 다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민원문서 전자점자 생성 솔루션 ‘이닷익스프레스’ 등이 개발되어 이 같은 문제의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각장애인의 민원 정보 이용 실태와 요구 조사> 역시 이닷익스프레스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닷익스프레스는 2019년 중소벤처기업부 청년창업사관학교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에이티소프트가 ㈜엠투소프트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한 것으로, 제7회 공공데이터활용 창업경진대회 대통령상을 수상한 바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04","atchfileNm":"시각장애인의_민원_정보_이용_실태와_요구_조사_발표.._전자점자_솔루션_필요성_커.pdf","viewCnt":"3250","regDate":"2020-04-23 15:10:31"},{"contentId":"116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I 신제품 · 빅데이터 서비스 R&D 신청 열기 후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68","contentsKor":"AI 신제품 · 빅데이터 서비스 R&D 신청 열기 후끈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올해 신규로 도입한 ‘AI기반 고부가 신제품 R&D사업’(이하 AI 신제품 개발사업)과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개발 R&D사업‘(이하 빅데이터 서비스 개발사업)의 4월 10일까지 접수 결과 각각 경쟁률이 12:1과 10:1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두 사업은 중기부가 올해 역점 추진 중인 ‘스마트 대한민국 구현’을 위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DNA(데이터, 네트워크, AI)분야 기술개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새롭게 선보인 사업이다.   ‘AI 신제품 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이 생산하고 있는 기존 제품에 AI 기술을 적용해 기존 제품과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신제품으로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고 ‘빅데이터 서비스 사업’은 중소기업이 민간과 공공의 다양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새롭게 도입된 두 사업의 경쟁률은 ’19년도 중기부 R&D사업 평균 경쟁률인 4.4:1과 비교해 볼 때 2배가 훌쩍 뛰어 넘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코로나19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신청 열기가 뜨거웠던 걸로 나타났다.   또한, 접수된 과제 중에는 ‘미세먼지 등 환경개선 과제’, ‘인공지능 로봇 개발’, ‘질병을 예측하고 진단하는 과제’, ‘언택트(비대면) 서비스 과제’ 등의 신청과제가 접수돼 코로나19 이후 펼쳐질 경제 변화에 중소기업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기부도 이들 사업을 통해 개발된 과제가 국민이 실생활에서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국민 눈높이가 반영된 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R&D 국민평가단’ 제도를 도입해 전문가 평가와 함께 ‘국민평가단’이 평가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신청 과제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게 할 계획이다.   한편, 중기부는 지난 8일에 발표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정부R&D 기업부담 경감조치’에 따라,   두 사업에 대해도 기업부담금을 30%에서 20%로 인하하고 기업부담금 중 현금비중을 40%에서 10%로 대폭 하향하기로 해 중소기업의 부담이 크게 줄여질 것으로 기대된다.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상을 비롯한 직장생활의 변화가 이미 시작되었고 AI·빅데이터 산업을 활성화하는 계기로 작용했다”며,   “AI·빅데이터 기반 R&D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 수준이 높아지고 국민이 직면한 사회문제들이 많이 해결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I 신제품 개발사업’은 올해 하반기에도 과제를 접수할 예정이며, 두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87","atchfileNm":"200420_AI_신제품_및_빅데이터_서비스_RD_사업_신청_결과(기술정책과).hwp","viewCnt":"4054","regDate":"2020-04-20 15:09:47"},{"contentId":"116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충북중기청, 5월 4일까지 혁신형R&D 과제 추가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86","contentsKor":"충북중기청, 5월 4일까지 혁신형R&D 과제 추가모집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오는 5월 4일까지 공정·품질개선 기술개발사업 혁신형R&D 지원과제를 추가로 모집한다고 밝혔다.혁신형 R&D는 총사업비 중 최대 65%(2억 원 한도)를 2년간 정부출연금의 형태로 스마트공장의 공정개선을 위해 지원하는 사업이다.스마트공장을 구축했거나 스마트공장 수준확인서를 보유한 기업이라면 최대 2억 원을 지원받아 획기적인 공정개선을 진행할 수 있다.상반기 추가모집 공고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신청 접수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042-388-0763)에 문의하면 된다.박선국 충북중기청장은 "코로나19로 얼어붙은 중소기업 현장이 중소벤처기업부의 R&D 사업으로써 조금이나마 해소되기를 희망한다"며 "충북 지역 중소기업의 많은 관심과 신청을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406","atchfileNm":"충북중기청,_5월_4일까지_혁신형RD_과제_추가모집.pdf","viewCnt":"3022","regDate":"2020-04-19 15:16:02"},{"contentId":"116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 농가 위한 착한 소비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67","contentsKor":"기정원, 지역 농가 위한 착한 소비활동 나서   - 지역농산물 구매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소외계층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이 4월 17일(금), 지역 농산물 소비 촉진 활동으로 다시 한 번 지역사회의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나섰다고 밝혔다.   □ 이번 활동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대책의 일환으로 어린이집과 사립 유치원의 휴원이 연장됨에 따라 납품이 불가능해진 지역 농가들의 농산물을 구매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 해당 농산물은 패키지 형태로, 대전지역 농가에서 재배된 오이, 쌈채소, 버섯, 아욱, 딸기로 구성되었다.   □ 또한, 기정원은 구매한 농산물 꾸러미 100개를 유성구 노인복지관에 전달하여, 독거 어르신들에게 원활한 도시락 공급이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했다.   ◦ 이 날 전달식에 함께 한 유성구 노인복지관 관계자는 “지역 복지관의 휴관도 길어짐에 따라 지역 어르신들의 식사 문제가 큰 걱정거리”라며, “보내주신 마음이 어르신들께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지난 3월부터 소상공인 마스크 기부, 대구지역 구호물자 지원과 노사공동 성금 전달 등 코로나19의 조기 극복을 위한 나눔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8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_농가_위한_착한_소비활동_나서.hwp","viewCnt":"3240","regDate":"2020-04-17 15:08:30"},{"contentId":"116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 분야별 책임자가 전주기 관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42","contentsKor":"중소기업 R&D, 분야별 책임자가 전주기 관리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사업의 전략성을 강화하기 위해 분야별 프로젝트매니저(PM:Project Manager)을 4월 10일(금) 공모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R&D 분야에 특화된 PM 도입은 최초이며, 선발된 PM은 기업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전략 수립 및 신기술의 출현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기술 기반의 사업관리 기능을 보강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   이번에 신규로 채용하려는 PM은 크게 기업성장, 상생협력, 기술기획 3개 유형의 7개 분야로 구분된다.   우선, 기업성장 유형은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투자 중소기업의 스케일업을 지원하고 투자연계 및 글로벌 진출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생협력 유형은 기업 간, 산학연 간 협력을 위한 상생협력 프로그램 및 기술협력 플랫폼을 기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기술기획 유형는 혁신서비스,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 전자부품장비, 화학전자소재 등 총 5개 기술 분야별 중소기업에 적합한 신산업 및 고부가가치 분야에 대한 R&D 사업기획을 담당한다.   그간 과기부, 산업부 등에서 기술분야에 국한해 민간전문가 제도를 운영 중인 것과 달리 이번에 모집하는 중소기업 R&D PM은 ‘기업’과 ‘기술’을 아울러 창업-중소-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기업생태계 관점에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차별화 된 점이다.   기정원은 이번에 선발된 PM을 원장 직속 조직으로 별도 운영해 중기부-기정원-PM간 유기적이고 즉각적인 정책대응 및 사업기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원서 접수는 4월 17일부터 4월 24일까지이며, 서류전형과 면접전형을 통해 직무수행계획, 조직적응력, 의사소통능력, 전문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여 최종 선발한다. 채용일정, 입사지원서 양식 등 상세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59","atchfileNm":"중소기업_RD,_분야별_책임자가_전주기_관리.hwp","viewCnt":"3771","regDate":"2020-04-13 15:16:37"},{"contentId":"116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19년도 공공기관 통합공시 우수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4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19년도 공공기관 통합공시 우수기관 선정  - 3년 연속 벌점 감소를 통한 무결점 공시 이뤄내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이 기획재정부에서 실시한 2019년도 공공기관 통합공시 점검 결과 우수공시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 경영정보 통합공시는 공공기관의 경영정보를 국민들에게 공개하고 이를 통해 투명성 있고 신뢰성 높은 공공운영을 지속하도록 하는 제도로써, 매년 상ㆍ하반기 2회에 나누어 각 기관이 얼마나 투명하고 성실하게 정보를 공시하는지 점검하고 있다.   ○ 이번 점검은 총 331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이 중 22개 기관이 우수공시기관으로 선정되었다.   □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 중 유일하게 2019년도에 무결점 공시를 이뤄내 우수공시기관으로 선정되었다.   ○ 이재홍 원장은 “통합공시를 통해 국민들이 공공기관을 알아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정원은 앞으로도 투명하고 정확한 경영정보 제공을 통해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5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9년도_공공기관_통합공시_우수기관_선정.hwp","viewCnt":"3537","regDate":"2020-04-03 15:10:11"},{"contentId":"11623","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4차 산업혁명을 이끌 미래성장동력, 의료기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623","contentsKor":"  ","viewCnt":"639","regDate":"2020-04-01 09:14:37"},{"contentId":"116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희망 나눔활동 이어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08","contentsKor":"기정원,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희망 나눔활동 이어가  - 마스크·구호물품 이어 노사공동 성금 기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3월 31일(화),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된 지역사회의 어려움을 나누고, 조기 극복을 지원하기 위한 노사공동 성금 전달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 기정원 임직원 및 노조원들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역사회의 위기가 지속됨에 따라 자발적으로 성금 모금에 나섰으며, 이번 활동으로 인해 총 6,570,000원의 성금이 모금되었다. 기정원 노동조합에서는 노동조합비 한 달치 금액 전액을 기부하였으며, 이재홍 원장과 부설기관(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박한구 단장(임원급) 역시 4개월간 각각 급여의 30%, 10%를 지역사회 어려운 이웃을 위해 기탁하기로 했다.   ◦ 이번 모금활동에 참여한 노조원은 “모두가 어렵고 힘든 때에 나눌 수 있어 다행이다. 작은 희망들이 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발판이 되길 희망한다”며 소감을 전했다.   □ 기정원의 원장, 임원 및 노사 공동 성금은 코로나19 피해 극복을 위해 지역소외계층 지원 및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사용될 예정이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활동에 앞서 지난 3월 13일 대전 한민시장에 마스크 1,550장, 대구 의료시설과 생활치료시설에 구호물품을 전달하는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나눔 활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 이재홍 원장은“주변 이웃을 위해 기꺼이 마음을 나눈 노동조합과 직원들 모두 감사드리고, 어려운 이웃이 하루 빨리 일상을 회복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0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코로나19_극복을_위한_희망_나눔활동_이어가.hwp","viewCnt":"4193","regDate":"2020-03-31 11:09:43"},{"contentId":"116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1만2660개 중소기업의 제조 공장 스마트화 선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04","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02","atchfileNm":"★최종파일_v1.jpg","viewCnt":"4042","regDate":"2020-03-30 14:38:55"},{"contentId":"116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 R&D 애로 맡기세요"…기정원 '기술혁신센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643","contentsKor":""中企 R&D 애로 맡기세요"…기정원 '기술혁신센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이 운영하는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가 연구개발(R&D) 기술협력과 현장애로를 해소하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중소기업을 위한 상시 기술상담 체계 구축과 기술교류 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26일 기정원에 따르면 기술혁신센터 개소 이후 지난해까지 중소기업 기술상담건수는 1726건(3년 누계)으로 집계됐다. 개소 첫 해인 2017년 310건에서 2018년 642건, 지난해 774건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기술상담은 기술전문가와 기업의 기술적 애로 및 사업화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면서 해답을 찾는 역할을 한다. 기술혁신센터는 2017년 1월 경기 성남 삼평동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내에 문을 열었다.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 간의 교류 협력 인프라를 조성해 연구개발(R&D) 및 인적교류 기반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었다. 그동안 기술혁신센터의 교육·세미나, 기술마켓, 기술교류회, 기술커뮤니티 등 프로그램 운영 횟수는 135회로 총 6384명이 참석했다. 기술혁신센터 기술교류 관련 프로그램 운영 횟수와 참석자 수는 2017년 45회·1914명, 2018년 29회·1490명, 지난해 61회·2980명으로 늘고 있다. 참석자들은 기술 및 사업분야에 대한 세미나를 통해 사업아이템 발굴 기회를 제공받고 있다. 또 기술마켓을 통해 대학·연구기관·기업의 보유기술 소개와 상담을 통해 기술거래에 참여했다. 기정원은 기술혁신센터 프로그램을 통해 발굴·기획된 산학연 우수과제에 대해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등 R&D 지원을 연계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기술혁신센터 추천과제 중 협약이 완료돼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은 건수는 총 63건이다. 지난해는 R&D 사업 연계를 통해 총 18개 과제, R&D 협약금액으로 18억2000만원의 지원 성과를 냈다. 이러한 성과 속에 '멤버십기업' 신청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기술혁신센터 멤버십기업 수는 2017년 874개, 2018년 989개, 지난해 1165개로 해마다 늘어 누적 3028개가 참여했다. 멤버십기업에 가입한 중소기업은 기술혁신센터가 운영하는 교육과 세미나 R&D 멘토링 캠프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우선 참여할 수 있는 지원 혜택을 받는다. 기정원은 앞으로도 기술혁신센터를 통해 중소기업 기술애로 해소 지원과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협력기반 구축과 지원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기정원은 올해 대학과 공공기관, 공공연구기관 등 25개 협력기관과 기술혁신센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기관들은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및 기술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포괄적 협력관계를 2년간 구축한다. 이재홍 기정원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벤처기업의 신산업 창출을 중점 지원하는 전문기관이 되도록 정책 현안 대응 및 전략 기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협력기관들과의 기술이전, 기술애로 상담, 협력 R&D 발굴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360","atchfileNm":"中企_RD_애로_맡기세요…기정원_기술혁신센터.pdf","viewCnt":"3528","regDate":"2020-03-26 15:24:14"},{"contentId":"115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코로나19 극복 위한 희망나눔활동 전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598","contentsKor":"기정원, 코로나19 극복 위한 희망나눔활동 전개   - 대전지역 소상공인에 마크스, 대구지역에 구호물품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3월 12일(목),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지역사회를 지원하기 위한 나눔활동에 나섰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최근 모든 대면평가를 온라인평가로 전환함에 따라 코로나 초기 중소기업 평가 대응을 위해 구비한 마스크 1,500개를 마스크 품귀현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전 한민시장에 전달했다.   ◦ 한민시장 관계자는“한민시장에서 근무하는 상인이 400여 명에 달하는데, 확보한 마스크는 100여 장에 불과했다”며, “힘들고 어려운 시기에 보태어 준 따뜻한 마음이 코로나19를 극복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과 실무자는 침체된 지역경제에 보탬이 되고자 이 날 한민시장에서 대구지역에 전달할 긴급구호물품을 직접 구매하기도 했다.   ◦ 구호물품은 대구지역 의료진에 전달될 생활필수품과 자가 격리 중인 생활치료가정에 전달될 즉석밥, 라면 등 장기보존식품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대한적십자사 대구지사를 통해 필요 시설에 전달될 예정이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구호물품 전달 후“그 어느 때보다 공공기관의 선제적 나눔 문화가 실천되어야 하는 때”라며, “지역 현안을 함께 해결하는 상생협력에 더욱 더 동참하겠다”고 소회를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289","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코로나19_극복을_위한_희망나눔활동_전개.hwp","viewCnt":"4185","regDate":"2020-03-25 13:28:36"},{"contentId":"115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5개 협력기관과 함께 중소기업기술경쟁력 강화에 앞장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597","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5개 협력기관과 함께 중소기업기술경쟁력 강화에 앞장서  -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와 25개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과 대학· 및 연구기관간 기술교류 협력체 구축을 위해 25개 협력기관과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업무협약(MOU)을 3월 20일(금) 체결한다.   <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협력기관 명단 > - 대학(8개) : 국민대학교, 가천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명지대학교, 경기대학교, 강남대학교   - 공공연구기관(14개)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핵융합연구소,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광기술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 공공기관(3개) : 한국발명진흥회, 부산테크노파크,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금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 기정원과 협력기관은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및 기술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포괄적인 협력관계를 2년간 구축하게 된다.   ○ 구체적인 협력내용은 ①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지원, ② 협력기관과 중소기업간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 지원, ③ 중소기업 재직자에 대한 기술교육 및 기술동향 정보제공, ④ 중소기업 R&D과제 발굴 및 기획 지원 등이다. □ 기정원은 협력기관의 모집을 위해,   ㅇ 지난 1월 22일부터 2월 11일까지 기정원 홈페이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 등을 통해 공지하였으며, 총 25개 기관(대학 8개, 공공연 10개, 기타 공공기관 3개)이 신청하였다.   ㅇ 기관별 세부 협력내용은 신청기관과의 1대1 협의*(면담, 전화 등)를 통해 확정하였으며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예방을 위해 협약식은 서면으로 대체하였다.   *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위기경보가 ’심각‘으로 격상됨에 따라, 당초 대면협의에서 유선협의로 추진(대구·경북지역의 경우 유선협의로 추진)   □ 그간 기정원은 2017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의 ’국내기술교류사업‘을 활용해 우수한 연구인력을 보유한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 등과 중소기업간의 기술교류·협력을 지원하는 교두보 역할로써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ㅇ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협력기관과의 기술이전, 기술애로 상담, 전문기술교육, R&D역량 강화 및 협력R&D 발굴 등을 통해 우리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ㅇ “향후에도 기정원은 4차 산업 혁명시대의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제고 및 신성장동력 확보에 기여하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28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5개_협력기관과_함께_중소기업기술경쟁력_강화에_앞장서.hwp","viewCnt":"4795","regDate":"2020-03-24 17:31:16"},{"contentId":"115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기R&D 수행기업의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해 경영안정 특별자금 2,50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596","contentsKor":"기정원, 중기R&D 수행기업의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해 경영안정 특별자금 2,500억원 지원  - 중기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 통해 ’20.3.17(화) ∼ 한도 소진 시 까지 모집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기정원)은 중기R&D 수행기업의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경영안정 특별자금 2,50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이는 중기부 사업화전담은행(기업은행, 하나은행)의 협조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중인 기업의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위해 마련되었다.   □ 중소기업 R&D를 수행하고 있는 기업은 경영안정을 위한 운전자금이 필요할 경우, 기업은행과 하나은행을 통해 최대 1.83%의 우대금리가 적용되어 평균금리 2.2%(’19년 기준) 수준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신용보증, 기술보증 등 보증서 발급이 없이도 타 긴급경영안정자금 수준의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어 긴급 자금수혈이 필요한 R&D수행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별 대출 한도는 최대 5억원 이내에서 신규대출이 가능하며, 민간은행의 대출심사에 따라 기업별로 적용금리 및 대출가능 금액이 달라질 수 있다. □ 그간 기정원은 중기 R&D 지원사업 종료(성공)기업을 대상으로 신기술, 신제품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연간 6,700억원의 저리 자금융자를 지원하고 있었으나, 그간 지원대상에서 제외된 중기 R&D지원사업을 수행 중인 기업에게도 한시적으로 2,500억원을 특별 지원함으로써 코로나19 위기에서도 원활한 R&D 수행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 이로써 기정원은 ‘20년도에 중기 R&D 지원사업 참여 중소기업에게 전체적으로 9,200억원의 사업화 및 경영안정 자금을 저리 융자 지원할 예정이다.   □ 신청을 희망하는 중기 R&D 수행기업은 중기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3월 17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지원 한도금 소진시 까지 수시 접수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 사업화전담은행(기업은행, 하나은행) : 신용, 담보 평가 등 대출심사 후 자금융자 실행   □ 기정원 이재홍 원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중기 R&D 수행기업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자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키로 결정하였다”며, “앞으로도 기정원과 사업화전담은행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R&D에 매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28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기RD_수행기업의_코로나19_위기극복을_위해_경영안정_특별자금_2,500억원_지원.hwp","viewCnt":"4345","regDate":"2020-03-24 17:29:14"},{"contentId":"11513","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소음·진동연구, 인공지능을 더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513","contentsKor":"  ","viewCnt":"452","regDate":"2020-03-03 15:14:20"},{"contentId":"11512","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인공지능을 가장 잘 활용하는 국가가 되는 길:AI+X","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512","contentsKor":"  ","viewCnt":"406","regDate":"2020-03-03 15:13:25"},{"contentId":"11511","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세상을 바꾸는 과학기술, 사람을 생각하는 정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511","contentsKor":"  ","viewCnt":"396","regDate":"2020-03-03 15:12:35"},{"contentId":"11510","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업부설연구소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연구실 안전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510","contentsKor":"  ","viewCnt":"404","regDate":"2020-03-03 15:11:21"},{"contentId":"1150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시티,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접목하여 도시 집중화 문제를 해결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1509","contentsKor":"  ","viewCnt":"396","regDate":"2020-03-03 15:10:18"},{"contentId":"114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 7대 이재홍 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48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7대 이재홍 원장 취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제 7대 원장에 이재홍(59세) 前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이 취임하였다.   □ 이재홍 원장은 기술고시 27회로 1992년 공직에 입문, 2006년 산업자원부 산업혁신과장, 산업기술개발과장, 지식경제부 기계항공시스템과장, 산업기술정책과장, 미래창조과학부 국제협력관을 거쳐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혁신정책관, 광주전남지방중기청장과 소상공인정책실장 등 주요 보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 이재홍 원장은 취임사를 통해,   ◦ “기정원을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키우는 R&D 및 스마트공장 지원 전문기관으로 육성하여, 중소벤처기업부가 구상하는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을 통한 스마트 대한민국 실현에 앞장서는 기관이 되도록 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벤처기업의 신산업 창출을 중점 지원하는 전문기관으로서 기정원의 정책현안 대응 및 전략기능을 강화하고, R&D평가관리체계도 보다 과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전문성 향상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직원들에게는 “대한민국의 경제와 고용의 중추인 중소벤처기업이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되길 원하고, 어떤 결과가 이루어지길 바라는지 같이 고민하고 함께 일할 수 있도록 임할 것”을 주문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103","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제7대_이재홍_원장_취임.hwp","viewCnt":"6901","regDate":"2020-02-24 15:23:42"},{"contentId":"114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설 명절 맞아 지역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열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445","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월 21일(화), 설 명절을 앞두고 대전시 서구에 위치한 한민시장에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을 개최했다.   ◦ 이번 시장은 설 명절을 맞아 지역경제 활성화와 전통시장 이용 독려를 위해 장보기 행사와 먹거리 투어로 진행되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직원들은 2개 조로 나뉘어 한민시장 곳곳에서 온누리 상품권으로 지역 복지기관에 전달할 물품들을 구매하였다.   ◦ 최철안 원장은 “지역사회와 협력하고 상생하기 위한 노력은 사회적 책임의 기본이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해나가겠다”며 소감을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지역 복지기관이 설 연휴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였으며, 이를 유성구 노인복지관과 성심보육원에 전달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202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설_명절_맞아_지역_전통시장_활성화_캠페인_열어.hwp","viewCnt":"5943","regDate":"2020-01-30 15:07:50"},{"contentId":"113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협력업체와 함께하는 안전경영위원회 출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388","contentsKor":"기정원, 협력업체와 함께하는 안전경영위원회 출범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국제표준 인증 획득으로 전사적 안전 관리체계 구축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12월 26일(목) 협력업체 및 안전전문가가 참여하는 안전경영위원회를 출범하고, 안전보건분야 최고 수준의 국제표준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ISO45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ISO45001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최적의 작업환경을 조성·유지할 수 있도록 모든 직원과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전사적으로 관리하는 경영시스템으로 세계 유수의 표준화 기구 및 인증기관이 참여해 제정한 국제인증이다.   □ 기정원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난 9월부터 노사공동으로 11명의 안전담당자를 지정해 TF를 운영해 왔다.   ◦ 특히, 안전에 취약한 여직원을 중심으로 TF를 운영하여 사업장 내 위험요소를 진단하고, 안전보건경영방침을 수립하는 등 안전이 경영의 최우선가치가 될 수 있도록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 이러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정원은 소방안전분야 최고의 전문가인 우송정보대 허만성 교수를 위원장으로 위촉하고, 근로자 대표, 협력사 근로자, 외부전문가 등 10명으로 구성된 안전경영위원회를 본격적으로 출범시켰다.   ◦ 위원회는 앞으로 기정원의 안전기본계획을 비롯해 중대 재해 발생 시 원인분석 및 재발방지대책 등 안전경영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할 계획이다.   □ 기정원 안전관리책임자 장인성 본부장은 “안전에는 노사가 따로 없고, 원하청이 따로 없는 사람 존중의 가치를 실현시키는 일”이라고 밝히고, “국제수준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구축되고 안전경영위원회가 출범함에 따라 본격적으로 중소기업의 안전문화를 선도하는 안전하고 건강한 R&D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924","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협력업체와_함께하는_안전경영위원회_출범.hwp","viewCnt":"8132","regDate":"2019-12-27 14:06:55"},{"contentId":"113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 내 비인가 경로당에 소화기 기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387","contentsKor":"기정원, 지역 내 비인가 경로당에 소화기 기부  - 12월 20일(금), 동구 노인 복지시설에 소화기 기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2월 20일 대전광역시 동구와 유성구에서 연말을 맞아 지역희망나눔활동을 펼쳤다.   □ 기정원은 이번 지역공헌 활동에서 대전 동구청의 도움으로 안전장비 등이 부족한 비인가 경로당을 포함한 20개의 지역 복지시설에 소화기를 기부했다.   ◦ 동구 복지정책과 관계자는 “비인가 경로당 뿐 아니라 등록 경로당도 일정 부분의 연료비만 지원될 뿐이라 소화기같은 기본 안전 장비들이 많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이번 활동으로 여러 시설들의 안전 관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소화기 기부와 함께 유성구노인복지관과 성심보육원에 온누리상품권을 전달함으로써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923","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_내_비인가경로당에_소화기_기부.hwp","viewCnt":"7923","regDate":"2019-12-20 14:05:51"},{"contentId":"113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2019 가족친화인증’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386","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2019 가족친화인증’획득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최근 여성가족부가 주관하는 2019년 가족친화인증 심사에 통과하여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가족친화 인증제도는 자녀출산, 양육지원, 유연근무제도 등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 기정원은 2016년 가족친화인증을 최초 취득했으며, 금번 취득으로 인해 인증 유효기간이 2021년까지 연장된다.   ◦ 특히, 기정원은 가족친화 직장문화 조성을 위해 모성 보호휴가 및 유연근무제를 확대하고 정시퇴근의 날, 가족과 함께하는 날 등을 지정하여 직원들의 저녁 있는 삶을 지향하는 등 일․가정 양립문화를 조성하고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앞으로도 직원들이 일․생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유연근무제 및 모성보호 휴가 사용을 적극 장려하고 가족친화제도를 확대 운영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922","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9_가족친화인증_획득.hwp","viewCnt":"7919","regDate":"2019-12-18 14:04:26"},{"contentId":"113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1:1 사업계획서 작성법 및 멘토링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385","contentsKor":"기정원,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1:1 사업계획서 작성법 및 멘토링 교육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탈락과제 150여개 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2019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사업계획서 작성법 및 멘토링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 금번 교육은 신청기업의 입지와 수요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도권 및 비수도권역별로 1회씩 진행되어, 대전 KW컨벤션(12.05), 서울 와우파 강의실(12.06)에서 각각 개최되었다.   □ 공정품질기술개발 사업은 중소기업의 제조공정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여 기존 제품의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제조공정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멘토링 프로그램은 탈락과제의 맞춤형 멘토링을 통해 우수 기술과제를 발굴하고, R&D기획 역량 제고를 위한 시간으로 진행 되었다.   ○ 멘토링 교육은 신청기업을 멘토링 분야별로 구분하여 맞춤형 전문가를 매칭하고, 현장평가 위원 교육을 수료한 전문가를 선정하여 평가 시 중요 포인트를 잡아 컨설팅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 교육은 체계적인 R&D 멘토링을 통해 탈락 요소에 대한 보완 및 R&D 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 개선과제 도출 부분에서는 연구개발이 필요한 연구주제에 대해 성능과 기능의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도출된 기술개발 내용 및 방법 등에 대한 유기적인 내용을 보완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또한, SMTECH시스템의 이용방법 및 관리지침에 적합한 사업계획서 작성법 교육에서는, 기업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사업비 소요명세서 부분의 R&D사업비 비목 구성 및 계상 기준에 부합하는 사업비 산정방법에 대해 멘토링 교육을 진행하였다.   □ 기정원 장현성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금번 교육을 통해 R&D 사업 신청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돕고, 더 많은 기업들이 국가 R&D 지원을 원활하게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한편, 교육 종료 후 참석한 기업 대표들은 “이번 교육을 통해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을 비롯한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에 지원할 수 있는 R&D 사업 지원역량을 제고할 수 있었다.”며 만족스러워 하였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921","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_1대1_사업계획서_작성법_및_멘토링_교육_실시.hwp","viewCnt":"7233","regDate":"2019-12-09 14:03:18"},{"contentId":"113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재정정보원, 사이버위협 대응 협력 및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384","contentsKor":"기정원-재정정보원, 사이버위협 대응 협력 및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한국재정정보원(원장 김재훈, 이하 ‘재정정보원‘)은 12월 3일(화) 사이버위협 대응 기술협력과 중소기업 정보보안 지원 등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ㅇ 주요 협력 사항은 정보보안 침해 대응 기술공유와 이전, 사이버위협 탐지·분석·대응을 위한 정보 공유, R&D 수행 중소기업에 대한 보안컨설팅 등이다.   ㅇ 이번 협약을 계기로 기정원과 재정정보원간 사이버 위협 대응 기술과 노하우 등에 대한 공유체계가 구축됨으로써 양 기관의 정보보안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이번 협약은 보안업무 협력과 함께 정보보안 수준과 인식이 부족한 R&D 수행 중소기업에게 보안컨설팅 등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ㅇ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침해대응센터에 따르면 사이버 침해사고 신고·조사건의 97%가 영세·중소기업에서 발생한다. 또한, ‘중소기업 기술보호 수준 실태조사’에 의하면 해킹 공격으로 인한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피해금액은 2015~2017년 3년간 3,021억원에 달한다.   ㅇ 이런 점에서 양 기관이 보유한 정보보안 역량과 자원을 중소기업에게 지원하게 되면 산업기술 유출 예방과 보안인식 개선 등에 효과가 있을 거라 예상된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재정정보원과 긴밀히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지능화되는 사이버 위협을 보다 전문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라고 밝혔다.   ㅇ 아울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소재·부품·장비와 제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중소기업에게 다양한 정보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확대할 예정이다.” 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92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재정정보원,_사이버위협_대응_협력_및_사회적_가치_실현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7154","regDate":"2019-12-03 14:02:18"},{"contentId":"112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R&D 유공기업 포상식 및 협의회 출범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69","contentsKor":"중소기업R&D 유공기업 포상식 및 협의회 출범식   - 기정원, R&D 우수성과 기업 포상 및 기업 간 개방형 혁신을 위한 우수기업협동협의회 출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11월 28일(목) 오후 2시 서울 중소기업 DMC타워에서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기업을 대상으로 ‘2019년도 중소기업 R&D 우수기업 유공자 포상 및 협의회 출범식’을 개최하였다.   □ 이날 1부 행사에서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한 연구개발 및 사업화 성과를 창출하여 중소기업의 발전에 기여한 기업 19개사를 대상으로 포상 수여식을 진행하였다.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표창은 ㈜천보 등 5개사가, 기정원장 표창은 ㈜서우테크놀로지 등 9개사가, KEB하나은행장 표창은 ㈜코웰 등 5개사가 각각 수상하였다.   ◦ 장관 표창을 수상한 종합정밀화학 소재기업인 ㈜천보는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을 통해 ‘2차전지 유기전해질 주요 첨가제 개발, 2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개발’등에 힘입어 창업 12년만인 지난 2018년도에 매출 1,000억 원을 달성하였고 금년에는 코스닥에 상장하는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소재기업으로 성장하였다.   ◦ 또한, 애드테크 마케팅 플랫폼업체인 ㈜텐핑은 지난 2015년도에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당해연도에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자금을 지원받아‘가상 URL과 알고리즘을 이용한 모바일 메신저 및 SNS 최적화 광고 기술’을 개발하여 2016년도에 매출 16억 원에서 2018년도에 130억 원으로 대폭 증가하는 등의 우수한 성과로 장관표창을 수상하였다.   □ 2부 행사에서는 우수 중소기업 간 기술교류 활성화 등을 통한 혁신성장을 도모하기 위해‘R&D 우수 중소기업 협동협의회(가칭)’출범식을 개최하였다.   ◦ 협의회의 주요 역할은 중소기업 R&D사업 개선 및 사업화율 제고를 위한 정책자문, 규제・애로 사항 등 대정부 건의, R&D 우수기업 브랜드 구축 및 홍보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회원사는 ㈜영광YKMC, ㈜제이엠테크 등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성과를 창출한 63개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매년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 등이 지속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창의적 혁신과 도전적 연구개발 지원하는 중소기업의 성장 파트너로서, R&D 우수성과로 표창을 수상한 기업들처럼 앞으로 많은 기업들이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을 통해 성장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60","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RD_유공기업_포상식_및_협의회_출범식.hwp","viewCnt":"8049","regDate":"2019-11-28 15:52:06"},{"contentId":"112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독거노인 사랑의 연탄 나눔활동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49","contentsKor":"기정원, 독거노인 사랑의 연탄 나눔활동 실시  -11월 21일(목), 노사합동으로 대전 원도심지역 사회공헌 활동 진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1월 21일 대전광역시 동구 중동 일대에서 “노사합동 사랑의 연탄나눔활동”을 진행했다.   ◦ 기정원 임직원은 대전시 동구 중앙동 주민센터의 도움을 받아 중동 일대 독거노인 가정에 겨울나기용 연탄을 기부하는 활동을 벌였다. 이번 행사에는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노동조합 장상민 위원장이 함께 참여한 노사공동 행사로 진행되었다.   □ 기정원 임직원 20여명은 4개 가정에 총 1,000장의 연탄을 직접 전달하면서 추운 날씨 속에서 굵은 땀방울을 흘렸다.   ◦ “흔히 연탄을 여전히 가장 싼 난방 수단으로 생각하지만 매년 가격이 올라 이제는 연탄도 부담스러워 지고 있다. 이번 행사로 지원 가정 입장에서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민센터 관계자는 전했다. 2019년 11월 기준 대전 지역 연탄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00원이 오른 760원이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지역사회 참여 또한 공정사회 구현에 앞장서야 할 공공기관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고 말하며, “지역사회 이웃 모두가 따뜻한 겨울을 나시기를 기원한다”라는 말을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연탄나눔 외에도 지역내 보육원과 복지관 후원활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대전사회혁신플랫폼에 참여하여 대전시, 시민사회와 함께 지역 청년 고민 해결, 학교밖 청소년 돕기 등 지역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39","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독거노인_사랑의_연탄_나눔활동_실시.hwp","viewCnt":"7780","regDate":"2019-11-25 11:19:19"},{"contentId":"112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9년 3차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협약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48","contentsKor":"기정원, 2019년 3차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협약 설명회 개최  - 373개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에 98.5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2019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 3차 협약설명회”를 11월 21일(목), 22일(금) 양일간 개최하였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선정기업의 입지 및 수요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도권 및 비수도권역별로 1회씩 진행되어, 서울역 우리센터(11.21), 대전통계교육원(11.22)에서 각각 개최되었다.   □ 공정품질기술개발 사업은 중소기업 생산제품의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존 제품의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제조공정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제품공정개선 336개 과제(81억원), 뿌리기업공정 37개 과제(17.5억원)를 각각 지원할 계획이며, 선정 기업은 1년이내 5,000만원(제품공정개선)에서 1억원(뿌리기업공정)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 받을 수 있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 대표자와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방법 등 설명과 연구개발(R&D)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청렴교육을 진행하였다.   ○ 협약변경 방법 및 사후관리, 청렴문화 확산 교육 등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기업의 궁금증 해소를 위해 기정원 담당자 상담부스를 마련해 관련 일대일 상담시간도 가졌다.   □ 기정원의 장현성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동 사업을 통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소재·부품·장비 개발을 돕고, 지원 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 물결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3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9년_3차_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_협약설명회_개최.hwp","viewCnt":"7962","regDate":"2019-11-25 11:17:59"},{"contentId":"112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中企 R&D 사업비 집행 지역별 순회 현장컨설팅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47","contentsKor":"기정원, 中企 R&D 사업비 집행 지역별 순회 현장컨설팅 실시   - 중소기업 소재지역으로 직접 찾아가 면대면 컨설팅 진행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오는 11월 18일(월)부터 11월 20일(수)까지 3일간, 中企 R&D 수행기업 중 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2019년 사업비 집행 관련 지역별 순회* 현장컨설팅」을 실시하였다.   * 인천(11.18.월), 강원(11.19.화), 경남(11.20.수) 지역   ◦ 현장컨설팅 진행 방식은 전문기관(기정원) 및 지정회계기관* 정산 담당 회계사가 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 소재 지역으로 직접 찾아가 컨설팅을 실시했으며, 대상기업 선별은 상시점검**을 수행하는 회계법인에서 평소 질의가 많은 기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거쳐 선정하였다.   * 사업비의 효율적 회계감사를 위해 전문기관이 지정한 회계법인 ** 회계법인에서 담당 과제의 사업비 집행내역, 관련증빙 등을 시스템을 통해 상시적으로 점검하고, 점검 의견을 수행기업에 제공   ◦ 특히, 이번 현장컨설팅은 정산 업무 과정에서 평소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중소기업의 정산담당자를 대상으로 △ 中企 R&D 사업비 집행 규정, △ 지정회계기관 상시모니터링 기능 활용 방법, △ 사업비 정산 결과 불인정 사례 안내 등을 주제로 하여 사업비 집행 전반에 대하여 면대면 컨설팅을 진행하였으며,   ◦ 공식 일정 이후에는 사업비 집행 전반의 궁금증에 대해 자유롭게 질의하고, 응답하는 1:1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으로써, 이번 기회를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어려움과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참고로, 이번 현장컨설팅은 지난 9월 4개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장컨설팅 이외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 광주・전남(9.17.화), 전북(9.18.수)), 대구·경북(9.25.수), 부산·울산(9.26.목) 지역   ◦ 기정원 사업지원본부 정영훈 본부장은 “지난 9월 실시한 현장컨설팅 이후, 사업비 오집행에 따른 불인정금액 발생이 감소하는 등 중소기업 입장에서 정산 부담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어,   ◦ 향후에도 中企 R&D 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현장컨설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3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中企_rD사업비_집행_지역별_순회_현장컨설팅_실시.hwp","viewCnt":"6652","regDate":"2019-11-21 11:17:04"},{"contentId":"112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중기R&D수행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46","contentsKor":"기정원,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중기R&D수행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MOU 체결!  - 글로벌 진출 희망기업을 위한 수출지원 프로그램 도입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1월19일(화),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의 사업화성공률 제고와 수출지원을 위해 한국무역보험공사(사장 이인호, 이하 무보)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그간 중소기업은 해외진출이 필요하나 수출에 따른 대금 미회수에 대한 위험, 해외바이어 발굴, 자금 및 무역 전문인력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 이에 따라 기정원은 무보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중소기업 R&D 수행기업에 대한 해외진출 촉진을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기로 했다.   □ 협약에 따른 주요지원 내용은,   ①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단체보험 가입, 보험료 할인), ② 수출이행자금 및 수출대금 조기 현금화를 위한 보증지원, ③ 신용조사 및 판로지원(해외수입자 신용조사보고서 지원, 우량수입자 상담기회 제공), ④ 수출컨설팅, 무역보험아카데미, 거시 경제 세미나 등으로 구성된다. ◦ 이와 같은 기정원-무보 업무협약에 따라 중소기업 R&D를 수행한 글로벌 진출 희망기업은 일반 중소기업보다 나은 우대조건으로 한국무역보험공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기정원과 무보의 협업으로 해외경쟁력을 갖춘 신제품개발(R&D)부터 해외진출 지원(판로 개척, 생산자금 확보, 수출리스크 관리)까지 연계하여 일괄지원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진출 희망기업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보다 많은 중소기업이 우수한 신제품을 개발하여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확대하여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3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무보와_중기RD수행기업의_글로벌_진출을_위한_MOU체결.hwp","viewCnt":"5953","regDate":"2019-11-19 11:15:44"},{"contentId":"112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대전지역사회와 함께 「퇴퇴캠프」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50","contentsKor":"기정원, 대전지역사회와 함께 「퇴퇴캠프」* 운영 (* 퇴퇴캠프 : 퇴근과 퇴사를 고민하는 청년들을 위한 힐링캠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11월 16일, 17일 양일간 대전 인근의 동학사에서 퇴근과 퇴사 사이를 고민하는 지역사회 청년들을 위한 마음건강 챙기기 프로그램인 ‘퇴퇴캠프 in 대전’ 행사를 처음으로 개최했다.   ◦ 직장 내 갑질, 스트레스로 인한 청년들의 퇴사 고민 해결은 대전 시민들에 의해 ‘다음세대와의 지속가능성 과제’ 2위로 선정될 만큼 관심이 크다.   ◦ 기정원은 대전광역시가 주관하는 대전사회혁신플랫폼에 지난 6월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퇴퇴캠프는 기정원의 첫 번째 대전사회혁신플랫폼 참여 과제이다. 이번 ‘퇴퇴캠프 in 대전’ 행사는 기정원이 혁신청, C-Lab 등 대전 지역 사회적협동조합과 공공기관인 한국가스기술공사와 협업하여 5개월여간의 준비 끝에 마련하였다.   □ ‘퇴퇴캠프 in 대전’은 마음치유를 위한 상담과 함께 새로운 내일을 설계하기 위한 적성검사, 진로탐색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 ‘나 돌봄 워크숍’ 시간은 명상을 통해 마음 다스리는 법을 배우고, 참여자간 대화카드를 통해 서로의 마음을 공감했다.   ◦ ‘경험 속의 나’ 시간에서는 자신의 성격과 적성을 탐색해보고, 더 나은 미래를 설계했다. ‘노무사와의 대화’에는 회사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민과 문제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 캠프에 참여했던 20여명의 청년들은 이번 캠프가 신선한 마음의 위안이 되었다면서, 앞으로도 퇴사에 대한 고민과 두려움을 갖고 있는 많은 청년들이 참여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퇴퇴캠프’ 외에도 학교 밖 청소년 등 그간 관심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사회적 약자들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꾸준히 실행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4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대전지역사회와_함께_「퇴퇴캠프」_운영.hwp","viewCnt":"4166","regDate":"2019-11-18 11:20:24"},{"contentId":"112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우수 R&D 제품 아마존 입점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245","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우수 R&D 제품 아마존 입점설명회 개최  - 11.7~11.12 서울, 부산, 광주 등 권역별 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우수한 R&D 성공기업들에게 아마존 플랫폼을 통해 해외 진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우수 R&D 제품 아마존 입점설명회`를 11.7(목)~11.12(화)까지 서울(2회), 부산(1회), 광주(1회) 등 권역별로 총 4회* 개최한다고 밝혔다. * 서울(11.7(목)~8(금) 10:00~, 서울 아마존코리아 본사), 부산(11.11(월) 13:00~, 부산 창조경제혁신센터), 광주(11.12(목)13:00~, 광주 송정역 내 무등산실) ◦ 기정원은 평소 해외 시장 진출에 관심은 많지만 입점과정 및 방법, 해외 물류배송 등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업들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아마존*코리아와 협업하여 진행되는 금번 행사를 통해 R&D 수행기업들의 해외 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아마존 플랫폼) 18개국에서 Market place(웹사이트) 운영, 180개 이상 국가, 3억명 이상의 사용자 사용 중 ◦ 상반기에 이미 1차례 설명회가 개최 되었고, 보다 많은 중소기업들이 미국 온라인 플랫폼 시장에 도전할 수 있도록 4회로 확대하여 개최 할 예정이다.   □ 이번 설명회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최근 트랜드, 아마존 소개 및 아마존을 통한 해외 진출 전략, 아마존 입점방법 등을 소개하여 온라인커머스를 통해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73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_우수_RD제품_아마존_입점설명회_개최.hwp","viewCnt":"4125","regDate":"2019-11-07 11:13:16"},{"contentId":"111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개발 중소기업을 위한 ‘R&D 생생 캠퍼스’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15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개발 중소기업을 위한 ‘R&D 생생 캠퍼스’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0월 30일(수) 대전 본원에서 중소기업 R&D 지원사업 참여기업들의 원활한 과제 수행을 위한 교육·상담 프로그램인 ‘R&D 생생 캠퍼스’ 행사를 개최했다.   ◦ 생생한 R&D 정보들을 직접 전달한다는 목적으로 올해 처음 개최된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인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띈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 ‘R&D 생생캠퍼스’는 1부 ‘R&D 수행단계별 전문교육’, 2부 ‘기술개발 과정에서의 애로사항 상담’ 순서로 진행됐다.   ◦ 1부는 그간 중소기업인들이 과제를 수행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사업비 집행 및 정산 ▲협약 변경 ▲최종평가 및 사후관리에 대한 절차 및 방법을 기정원 담당자가 직접 교육했다.   ◦ 2부에서는 기술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소기업 현장의 애로사항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기정원 담당자들과 일대일 면담했다.   □ 행사에 참여한 중소기업 연구책임자는“중소기업 R&D지원사업에 처음 참여해봐서 모든 게 어려웠는데 이번 R&D 생생 캠퍼스가 큰 도움이 됐다. 앞으로도 이런 기회가 자주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한편, ‘R&D 생생캠퍼스’는 매분기마다 개최하고, 이번 행사 참여자들의 개선의견을 수렴하여 프로그램들을 추가해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630","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기술개발_중소기업을_위한_‘RD_생생_캠퍼스’개최.hwp","viewCnt":"5571","regDate":"2019-10-30 13:40:45"},{"contentId":"111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제1차 인권경영위원 위촉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153","contentsKor":"기정원, 제1차 인권경영위원 위촉식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0월 14일, 대전 본원에서 인권경영위원 위촉식과 1차 인권경영위원회 회의를 개최하였다.   ◦ 인권경영위원회는 기획조정본부장을 위원장으로 내부위원 3명, 외부위원 4명으로 꾸려졌으며, 외부위원은 인권전문가·노무사·환경단체 활동가·기업인으로 구성되었다.   □ 이번 인권경영위원회에서는 기정원 경영관리 전반의 인권 사항에 대한 인권영향평가 심의와 평가 결과를 반영한 개선과제 도출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 인권영향평가는 ▲인권경영체제의 구축 ▲고용상의 비차별 ▲책임있는 공급망 관리 등 기관 경영 활동 전반의 10개 분야에 대해 진행되었다.   □ 첫 회의 진행 후 인권경영위원장인 장인성 본부장은“이번 위원회를 시작으로 내부 직원은 물론 외부 고객과 지역주민의 인권 보호까지 인권경영 성과가 확산될 수 있도록 여러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고 노력하겠다”며 소감을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629","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제1차_인권경영위원회_위촉식_개최.hwp","viewCnt":"5056","regDate":"2019-10-16 13:40:05"},{"contentId":"111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9 행안부 정보공개 평가 ‘최우수’등급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1152","contentsKor":"기정원, 2019 행안부 정보공개 평가 ‘최우수’등급 획득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한 ‘2019 정보공개 종합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 올해 처음으로 실시된 2019년 정보공개 종합평가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공기업 등 577개 주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 평가는 사전정보공표, 원문정보공개, 정보공개 청구처리, 고객관리 등 4개 분야에서 8개 세부지표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 기정원은 전문가와 일반 국민이 함께 참여한 ‘2019 정보공개 종합평가’에서 공공기관 평균(81.9점)을 넘는 90.4점을 받아 최우수등급을 획득했다.   ◦ 특히 기정원은 종합평가에서 사전정보 등록건수, 고객수요분석 및 반영 실적에서 만점을 받았다.   □ 기정원 관계자는“정보공개는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국민의 국정참여와 국정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제도로 앞으로도 적극적인 정보공개와 사전정보공표 등을 통해 투명하고 청렴한 기관운영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62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9_행안부_정보공개_평가_최우수등급_획득.hwp","viewCnt":"5325","regDate":"2019-10-08 13:39:14"},{"contentId":"1098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융복합 혁신기술은 미래농업을 어떻게 바꾸는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984","contentsKor":" ","viewCnt":"798","regDate":"2019-10-02 14:55:08"},{"contentId":"109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베트남 진출 파트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952","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베트남 진출 파트너!  - 제2차 한-베트남 중소기업 기술 상담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권오정, 이하 KTR)은 9월 24일(화)/26일(목) 이틀간 베트남에서 한국과 베트남 양국 기업 간 기술 교류와 국내 중소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 지원을 위한 “제2차 한-베트남 기술 상담회”를 개최하였다.   * 제1차 한-베트남 기술 상담회는 9월 4일(하노이) / 6일(호치민) 개최   ㅇ 기정원이 주최한 이번 기술 상담회에서는 국내 화장품 및 뷰티케어 분야 중소기업 10개사*와 베트남 100여개 기업이 참여하여 상호 교류하는 기회를 가졌다.   * 기정원은 융복합기술교류사업을 통해 국내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   ㅇ 기술 상담회에 앞서 열린 기술 세미나에서는 영남이공대학교 이수비 교수가 ‘한국 코스메틱과 SPA 사업의 최신 트렌드’를 주제로, K-Beauty에 대한 국내외 수요 및 베트남 현지 진출 전략 등에 대해 소개하였다.   □ 이번 행사를 통해 한-베 기업 간 기술교류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매칭, 계약 체결 등 베트남 현지 판로 개척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상호 협력을 위해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ㅇ 특히 제1차 기술상담회에 이어 이번 행사에서도 한국-베트남 기업 간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기술이전 및 수출계약이 다수 체결되는 등 높은 성과를 달성하였다.   □ 한-베트남 양국 간 정상회담(‘18.03)의 결과로 2020년까지 베트남과의 총 교역액 1,000억달러 달성을 위한 액션플랜이 실시되는 등 양국 경제협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중소기업 기술 상담회를 통해 중소기업의 베트남 진출이 더욱 탄력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기술 상담회는 한국 코스메틱 산업에 대한 베트남 현지의 높은 관심을 확인하고, 우리 중소기업의 현지 진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중요한 행사였다“면서, “기정원은 앞으로도 우리 중소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유의미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392","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_베트남_진출_파트너!.hwp","viewCnt":"5733","regDate":"2019-09-27 11:27:53"},{"contentId":"109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시장성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에 7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944","contentsKor":"기정원, 시장성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에 70억원 지원!  - 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9월 26일(목) 오후 1시,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2019년 창업성장기술 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 2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는 민간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기업 중 연계기관*의 추천을 받은 창업 7년 이하 기업의 기술창업 활성화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과제이며, * 창조경제혁신센터, (사)한국엔젤투자협회, D.CAMP, IBK기업은행   ○ 기존 1차 공고에서는 2개 연계기관(창조경제혁신센터, (사)한국엔젤투자협회)으로부터 창업기업을 추천받았으나, 2차 공고에는 기관 업무협약을 통해 2개 기관(D.CAMP, IBK기업은행)을 추가, 창업기업이 추천받을 수 있는 연계기관을 4개로 확대하여 우수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사업 참여도를 높였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지난 6월 21일 공고를 통해 사업계획서 등을 제출한 후 서면평가․현장조사․대면평가를 거쳐 협약대상 과제로 최종 선정된 74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 기정원 사업 담당자는 원활한 과제 추진을 위한 사업수행 주요사항, 온라인 전자협약 체결방법, 기술임치제도 등 제반사항을 설명할 예정이다.   ○ 또한, 기존 SMTECH 사업비 포인트제에서 산업부의 RCMS로 연구비 사용이 통합되어 연구비 집행 및 관리가 통합RCMS를 통해 진행됨에 따라 이에 관련한 변경 사항과 사용 방법 및 연구노트 관련 규정을안내함으로써 주관기관의 기술개발 진행과정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시간과,   ○ 지정회계법인의 정산 담당 회계사를 초빙하여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기업들에게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는 시간을 마련한다.   □ 더불어 협약 대상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담당자와 기정원 사업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 추진 중 발생하는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 본 설명회 이후 창업과제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최대 2년간 4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4차 산업혁명 분야*를 중심으로 고기술·유망기술에 해당하는 신제품․신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     ○ 이번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의 지원을 통하여 시장성이 검증된 기술우수 창업기업에게 기술개발에 필요한 R&D자금 지원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성과 사업성이 모두 검증된 창업기업의 육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381","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시장성_검증된_기술창업기업에_70억원_지원!.hwp","viewCnt":"5633","regDate":"2019-09-25 11:16:46"},{"contentId":"109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추석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위한 캠페인 펼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943","contentsKor":"기정원, 추석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위한 캠페인 펼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9월 9일(월), 추석 명절을 앞두고 대전시 서구에 위치한 한민시장에서 전통시장 활성화와 지역사회 나눔을 위한 행사를 개최하였다.   ◦ 이번 캠페인은 전통시장 이용 독려 외에도 추석 명절을 앞두고 발생한 태풍으로 인한 피해 여부 확인을 위한 사후 시설 점검 및 환경 정화 활동을 위해 진행되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 및 직원 20여 명은 2개 조로 나뉘어 한민시장 곳곳에서 시장 이용객들의 편의성 제고를 위한 시설 점검과 환경 정화 활동을 진행한 후, 온누리 상품권으로 지역 복지기관에 기부할 물품을 구매하였다.   ○ 이날 활동에 함께한 최철안 원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을 실천할 것이며,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더욱 노력 하겠다”며 소감을 밝혔다.     □ 한편, 기정원은 이날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추석 명절 위문품을 유성구 노인복지관과 성심보육원에 전달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38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추석맞이_전통시장_활성화_위한_캠페인_펼쳐.hwp","viewCnt":"5322","regDate":"2019-09-10 11:15:35"},{"contentId":"1084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실버케어,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떠오르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849","contentsKor":" ","viewCnt":"784","regDate":"2019-09-09 12:03:46"},{"contentId":"109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베트남 신시장 개척, 기정원이 함께 합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942","contentsKor":"중소기업 베트남 신시장 개척, 기정원이 함께 합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베트남에서 중소기업 기술 상담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권오정, 이하 KTR)은 9월 4일(수)/6일(금) 이틀 간 베트남에서 한국과 베트남 양국 기업 간 기술 교류와 국내 중소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 지원을 위한 한-베트남 기술 상담회를 개최하였다.   ※ 한-베트남 기술상담회는 2회에 걸쳐서 시행되며, 다음 기술 상담회는 9월 24일(화, 하노이) / 26일(목, 호치민) 개최 예정   ㅇ 기정원과 베트남 과학기술부의 주최가 되어 개최한 이번 기술 상담회에서는 국내 중소기업 10개사*와 베트남 100여개 기업이 참여하여 상호 교류하는 기회를 가졌다.   * 2019년 국내 융복합기술교류사업 참여기업 모집 공고를 통해 선정된 기업임   □ 이번 행사를 통해 한-베 기업 간 기술교류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매칭, 계약 체결, 판로 개척까지 제품 전주기를 상호 협력해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ㅇ 현장에서는 한국-베트남 기업 간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기술이전 및 수출계약이 체결되는 등 높은 성과를 달성하였으며, 특히 본 행사를 통해 ㈜엠케어코리아(한국)와 ㈜헝탄(HUNGTHANH, 베트남)은 기술 이전을 통한 공장 설립 및 현지 생산을 추진하기 위해 약 30만불의 계약을 체결했다.   ㅇ 베트남 세무제도 소개(베트남 재무부), 한-베 의료기기 시장 동향 소개(베트남 보건부) 등 기업 대상 교육을 실시하고, 베트남 진출기업을 위한 금융컨설팅(하나은행) 등 현지 전문가 상담과 지원 서비스를 함께 제공해 기업 간 교류 성공을 지원하였다.   ㅇ 특히 한-베트남 양국 간 정상회담(‘18.03)의 결과로 2020년까지 베트남과의 총 교역액 1,000억달러 달성을 위한 액션플랜이 실시되는 등 양국 경제협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중소기업 기술 상담회를 통해 한-베 경제 협력 관계가 더욱 강화될 것을 기대되고 있다.   □ 함께 6일(금) 오전, 기정원과 베트남 중소기업지원센터(SMEDEC2)*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베트남 과학기술부(MOST) 산하기관으로 베트남 내 중소기업의 진흥을 목표로 설립됨   ㅇ 양 기관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한국-베트남 중소기업의 시장 개척을 위한 상호 협력과 수요기술 발굴 및 정보공유, 기술교류 지원, 공동세미나 개최 등을 약정하였다.   ㅇ 그간 국내 중소기업의 對베트남 수출은 원자재 또는 제품이 대부분이었으나, 기업 간 기술 교류를 활성화하여 베트남 시장 진출의 확대와 다각화를 이끌어 내고자 하며,   ㅇ 기술판매, 기술실시권 라이센싱, 기술이전협상 등의 자문과 해외규격인증획득 및 관련 컨설팅을 지원하는 등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위한 사후관리를 지원할 예정이다.   □ 이날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한류 등에 힘입어 화장품, 식품, 의료기기 등 한국 제품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우리기업의 베트남 진출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한-베 중소기업의 기술 교류를 통해 우리 중소기업이 베트남 시장 진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협력체계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379","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베트남_신시장_개척,_기정원이_함께_합니다.hwp","viewCnt":"5412","regDate":"2019-09-09 11:14:40"},{"contentId":"108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제품 판로 확대에 앞장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825","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제품 판로 확대에 앞장서다!    - 중소기업유통센터·대중소농어업협력재단과 업무협약을 맺고, ‘동반성장몰’본격 도입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우수한 제품들을 구매하여 중소기업 판로 확대를 지원할 수 있도록 “동반성장몰”을 도입한다.   ◦ 기정원은 동반성장몰 도입을 위해 중소기업유통센터(대표이사 정진수) 및 대중소농어업협력재단(사무총장 김순철)과 23일(금) 대전 도룡동 소재 기정원 본원에서‘중소벤처기업 판로확대 및 동반성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30일(금)부터 사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동반성장몰의 활성화를 통한 중소기업 판로지원 강화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 “동반성장몰”은 우수 중소기업 제품들을 온라인에서 판매하기 위해 유통센터에서 구축한 폐쇄형 온라인쇼핑몰로서 공공기관‧기업 등의 직원들이 복지포인트 등을 통해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 협약에 따라 기정원은 소속 임직원이 자율적으로 동반성장몰 내 중소기업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내부 전산망에 동반성장몰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기정원을 통해 추천받은 중소기업 상품의 입점 및 판매를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판로확대를 통한 동반성장에 기여하기로 했다.   ◦ 최철안 기정원장은 “중소기업 지원 기관으로서 임직원들이 중소기업 제품 구매에 앞장서게 된 점을 뜻깊게 생각하고, 그간 기정원이 힘써 온 중소기업 기술개발 제품 판로지원 또한 이번 협약을 계기로 탄력을 받게 되리라 기대한다”라고 전하며, “앞으로도 중소기업이 개발한 우수제품들의 판로가 확대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25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_제품_판로_확대에_앞장서다!.hwp","viewCnt":"7095","regDate":"2019-08-30 10:40:46"},{"contentId":"108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공장 구축부터 금융지원까지 원스톱 상담 부스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810","contentsKor":"스마트공장 구축부터 금융지원까지 원스톱 상담 부스 운영”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참여 -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박한구, 이하 추진단)은 8월 26일(월)부터 28일(수)까지 코엑스 C홀에서 열리는 제 20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에서 스마트공장 구축 및 금융지원 상담을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스마트제조혁신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 추진단은 지난 5월, 스마트공장 보급 및 구축 등 대한민국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민관합동 스마트공장추진단과의 통합을 통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기관으로 설립됐다.   □ 스마트제조혁신관은 △정책소개 △우수사례 △구축상담 △자금상담 등 총 4개의 테마로 구성돼 있으며 정부의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및 정책 안내뿐만 아니라 행사장에서 사업 참여를 위한 구축 상담과 자금 상담까지 one-stop으로 문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 특히 자금상담존의 경우, 스마트공장 도입기업과 공급기업 대상 융자․투자 상품을 운영 중인 7개의 금융 기관 담당자가 직접 참여하여 관람객이라면 누구든 각 기관별 금융 상품 내용을 한자리에서 비교해 볼 수 있다.  * 참여 기업: 기술보증기금,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신한은행, 이엔벤처파트너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코리아에셋투자증권   □ 박한구 추진단장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총 7,903개의 기업이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에 참여했지만 아직도 어떻게 구축해야할지 감을 잡지 못하는 중소기업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우수구축 사례를 확인하고 구축부터 자금까지 one-stop 상담을 받아 스마트공장 도입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한편, 이번 행사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R&D 수행기업이 사업화를 위한 투자자금을 유치할 수 있도록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는‘중소기업 투자유치 로드쇼(26일, 월)’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따른 대응책 마련을 위한‘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자립화 세미나(27일, 화)’를 개최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241","atchfileNm":"보도자료_스마트공장_구축부터_금융지원까지_one-stop_상담_부스_운영.hwp","viewCnt":"7085","regDate":"2019-08-26 13:46:18"},{"contentId":"108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Tech up ! 2019 ”IR 행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808","contentsKor":"“ Tech up ! 2019 ”IR 행사 개최   - 8월 26일, 제20회 중소기업 기술혁신대전 IR행사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기술혁신대전에서 중소기업의 투자 유치를 통한 사업화를 지원하고자 8월 26일 “Tech up! 2019”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2019년 8월 26일(월) 14시, COEX(서울 삼성동 소재) 3층, Hall C 세미나실 ◦ 기정원은 “Tech up! 2019”를 통해 성장가능성이 높은 중소기업의 투자 자금 유치를 위한 IR 행사를 개최한다. ◦ “Tech up! 2019”는 중소기업 R&D를 통해 신기술, 신제품을 개발한 투자 유망 중소기업을 VC 등 투자자에게 소개하여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 VC 등 투자자 약 100여명 참석 예정 - 중소기업 R&D를 수행한 기업 중 55개 기업이 신청하였으며 기업역량 및 제품의 혁신성 등을 평가하여 18개 기업을 1차적으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기업은 IR 소양교육, 피칭 스킬 세미나, 원포인트 레슨, 투자심사역 1:1 멘토링 등 IR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역량을 다졌다. - IR 역량 강화 교육을 수료한 기업 중 기술성 및 투자 유치 가능성 등을 평가하여 투자 유망 우수기업 10개사*를 최종 선별하였고, 선별된 기업은 본 행사에서 투자 유치를 위한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 기계소재, 바이오의료, 정보통신, 전기전자 분야로 구성 ◦ 향후에는 하반기 Tech up프로그램을 통해 투자 유망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239","atchfileNm":"별첨_투자_유망기업_소개자료.pdf","viewCnt":"6620","regDate":"2019-08-23 13:36:37"},{"contentId":"108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퇴직과학기술인과 손잡고 R&D기획역량강화 쑥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809","contentsKor":"중소기업, 퇴직과학기술인과 손잡고 R&D기획역량강화 쑥쑥! - 기정원, 국내기술교류 커뮤니티 오픈데이 행사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기획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8월 22일(목) 14시에 판교 제2 테크노밸리에서 “2019 기술커뮤니티 오픈데이(Open Day)” 행사를 개최한다.   ◦ 기술커뮤니티란, 기정원 기술혁신센터가 정부R&D사업에 관심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일회성 지원’이 아닌 ‘지속적인 교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으로,   ◦ 중소기업은 퇴직과학기술인과 소규모 학습그룹을 구성하여, 과제기획 및 발굴을 위한 기술상담, 세미나, 모의평가 등 다양한 R&D기획역량강화 활동을 지원받는다.   □ 이번 행사는 현재 상시 모집 중인 커뮤니티 운영계획을 안내하고, 중소기업과 퇴직과학기술인(PM)간의 네트워킹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중소기업은 퇴직과학기술인과의 1:1 상담을 사전에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여 커뮤니티 가입 및 활동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으며, 향후 프로그램 운영방향에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혁신성장을 위해서는 협업이 해답이다”며, “산업과 학계, 연구기관간 국내외 기술교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혁신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240","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퇴직과학기술인과_손잡고_RD기획역량강화_쑥쑥!_(기술혁신센터).hwp","viewCnt":"5128","regDate":"2019-08-20 13:43:29"},{"contentId":"108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대전지역 공공기관과 손잡고 전통시장 활성화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807","contentsKor":"기정원, 대전지역 공공기관과 손잡고 전통시장 활성화 나서   - 대전지역 6개 공공기관,‘전통시장 찾기 캠페인’가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이 지역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8일(목) 오전, 대전 공공기관 전통시장 찾기 캠페인을 대전 중앙시장 활성화 구역에서 진행했다.   ◦ 이 날 캠페인은 기정원을 포함한 6개 기관 임직원 100여 명이 참석하였으며, 환경 정화 활동과 장보기 행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장보기 행사 후에는 시장 내 먹거리 골목에서의 점심 식사가 이어졌다.   □ 기정원은 매년 자매결연을 맺은 대전 지역 전통시장에서 명절 장보기 행사, 겨울철 소화기 기부 등 지역시장을 위한 지원 활동을 활발히 이어왔다. 이번 행사는 공공기관 전반에 이 같은 “1기관 – 1시장 지원”확산을 위해 기획되었으며, 기정원 역시 대전 지역 공공기관들과 함께 힘을 모았다.   □ 행사에 참여한 기정원 장인성 본부장은 “기정원은 다가오는 추석에도 자매결연을 맺은 한민시장에서 활성화 캠페인을 이어 가겠다”며, “앞으로도 지역 시장 대상의 공헌 활동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23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대전지역_공공기관과_손잡고_전통시장_활성화_나서.hwp","viewCnt":"5209","regDate":"2019-08-08 13:33:15"},{"contentId":"1073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기업의 핵심시스템을 운영하는 컴퓨팅으로 대변혁을 일으키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735","contentsKor":" ","viewCnt":"834","regDate":"2019-08-02 13:41:23"},{"contentId":"1073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공장화, 중소기업 제조혁신의 초석이 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734","contentsKor":"  ","viewCnt":"756","regDate":"2019-08-02 10:12:57"},{"contentId":"107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포용적 혁신성장 위해 국민과 머리 맞댄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718","contentsKor":"기정원, 포용적 혁신성장 위해 국민과 머리 맞댄다  - 국민과 함께하는 혁신을 위한 시민참여혁신단 2기 출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22일 대전 본원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시민참여혁신단 2기’ 첫 회의를 진행했다.   ○ 지난해 7월, 1기 출범 이후 새롭게 구성된 이번 ‘시민참여혁신단 2기’는 그간 서비스 사각지대에 있었던 국민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기 위해 여성 기업인, 재도전 기업인, 환경운동가, 지역시민단체 등 다양한 분야의 국민들로 새롭게 구성했다.   ○ 앞으로 ‘시민참여혁신단’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지원과 포용적 공공서비스 강화 방안을 함께 발굴하고 실행 과정에도 직접 참여할 예정이다.   □ 이날 시민참여혁신단 회의는 ▲위촉장 수여식 ▲그간의 기정원 혁신 추진성과 공유 ▲기정원 중장기 혁신계획 발표 및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 회의에 참석한 위원들은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중소기업 혁신성장 지원’ 등 기정원의 8대 혁신과제에 대해서 경제성과 공공성을 균형 있게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앞으로 시민참여혁신단을 통해 국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국민 삶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혁신 성과를 창출하고 ‘혁신적 포용국가’ 달성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11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포용적_혁신성장_위해_국민과_머리_맞댄다.hwp","viewCnt":"6949","regDate":"2019-07-25 10:00:13"},{"contentId":"107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을 위한 ‘포용적 혁신성장’ 지원 결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717","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을 위한 ‘포용적 혁신성장’ 지원 결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경영혁신 워크숍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지난 11일 중소기업 R&D 지원 및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과 관련하여 혁신성장 선도와 포용적 서비스 강화를 위한 과제를 발굴하는 워크숍을 개최했다.   ○ 이번 워크숍은 그간 기정원의 혁신성과를 분석하고, 올해 정부정책 방향에 발맞춰 임직원간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의 포용적 혁신성장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실행과제를 발굴하고자 마련됐다.   ○ 이날 워크숍은 최철안 원장을 비롯한 본부장, 실장 등 핵심인력 50여 명이 참석했으며, 그간의 혁신성과 발표, 전문가 특강, 분임토의 순으로 진행됐다.   □ 밤 늦게까지 이어진 분임토의에서는 ‘혁신성장 지원’, ‘사회적가치’, ‘일자리 창출’, ‘업무효율 및 서비스 개선’ 등 4개의 핵심 테마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행과제를 도출했다.   ○ 특히, 사업 실패를 딛고 재도전하는 중소기업이나 경력단절여성, 청년미취업자 등을 포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 이외에도 공공기관 혁신 전문가를 초청하여, 정부의 포용적 혁신성장 정책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기관 경영전략에 내재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 이날 토의한 내용은 국민 의견 수렴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8월말 경영개선 100대 혁신과제로 공표할 예정이다.   □ 최철안 원장은 “포용성은 서로 다름을 이해하고 감싸준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중소기업인에게 기정원은 든든한 R&D 파트너로서 포용적 혁신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11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을_위한_‘포용적_혁신성장’_지원_결의.hwp","viewCnt":"5099","regDate":"2019-07-15 09:59:05"},{"contentId":"107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현장 중심 중소기업 R&D 정책 지원을 위한 제2기 정책자문위원회 자문단 위촉식 및 1차 회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715","contentsKor":"현장 중심 중소기업 R&D 정책 지원을 위한  - 제2기 정책자문위원회 자문단 위촉식 및 1차 회의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정책의 수립 및 서비스 개선과정에서 민간의 역량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제2기 정책자문위원단을 구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 정책자문위원회는 중소기업 등 민간의 시각에서 기정원의 중소기업 R&D 지원정책을 검토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 위원은 기정원장을 포함하여 총 12명이며, 현장에서 통하는 정책 자문을 위해 산업계 위원 위주로 구성*하였다.   * 당연직(기정원장 1명), 민간위원(산업계 5명, 학계 3명, 연구계 2명, 시민단체 1명) ◦ 자문회의는 분기별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시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며, 위원임기는 1년 6개월로 하되 연임이 가능하다.   <제2기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현황>   □ 본 회의는 위촉식과 안건 토의로 이루어졌다.   ◦ 위촉식에서는 기정원장이 민간위원 11명 중 회의에 참석한 9명의 위원에게 위촉장을 전달하였다.   ◦ 위촉식 직후 진행된 1차 회의에서는 안건 총 2건의 안건을 보고하고, 위원간에 집중토론이 진행되었다.   * 논의안건 : ①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추진방향, ② 기정원 고객만족도 제고방안   □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점에서 각계 전문가들과 중소기업 R&D 정책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하는 자리가 되었다”고 하면서,   ◦ “민간 전문가들의 경험과 시장의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중소기업 R&D 지원정책을 개선하고, 고객인 중소기업이 만족하는 정책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11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전략적_RD_지원을_위한_정책자문위원회_개최.hwp","viewCnt":"5015","regDate":"2019-07-08 09:52:25"},{"contentId":"107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스마트공장 제품으로 성심원 책쉼터 만들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716","contentsKor":"기정원, 스마트공장 제품으로 성심원 책쉼터 만들어  - 7월 4일(목), 성심원 책쉼터 개소식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7월 4일 대전시 동구에 위치한 아동보육시설인 성심원 원생들을 위한 책쉼터를 개소했다.   ◦ ‘성심원 책쉼터 만들기’는 도심 지역과 떨어져 있어 다양한 공공시설을 누리기 어려운 성심원 원생들이 방과 후에도 책을 가까이 할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해준 사회공헌활동이다.   ◦ 성심원은 약 40여명의 아동과 청소년을 양육하고 있는 보호 시설로, 원생들이 자신의 권리를 존중받고, 건전한 성인으로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이번 성심원 책쉼터는 기정원의 지원을 통해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기업인 ㈜크로바가구의 테이블, 의자, 책장 등을 구매하여 배치하였다. 또한, 책쉼터 책꽂이의 빈자리는 기정원 임직원들이 기부한 도서들로 채웠다.   ◦ 성심원 원장은“지난 해 희망의 공부방부터 책쉼터까지 꾸준한 지원으로 아이들이 책을 가까이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감사하다”고 전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기정원이 지원한 중소기업들의 제품을 활용한 지속적인 사회공헌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상생과 우리 중소기업 제품의 우수성을 홍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 기정원은 책쉼터 개소식 이외에도 지속적으로 지역 내 사회공헌활동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11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스마트공장_제품으로_성심원_책쉼터_만들어.hwp","viewCnt":"5002","regDate":"2019-07-05 09:57:52"},{"contentId":"107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기술개발사업 본격 착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714","contentsKor":"기정원,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기술개발사업 본격 착수 - 현장수요 중심의 스마트공장 R&D 전방위 밀착 지원, ‘스마트공장 기술전문가 그룹’발족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현장수요 중심의 스마트공장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하는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에 착수했다.   ◦ 기정원은 6월 27일(목) 인터시티 호텔(대전 유성구 소재)에서「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착수 보고회를 갖고 최종 선정된 15개 과제에 대한 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 한다고 밝혔다.   □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은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주관기관)과 제조공장을 보유한 중소기업(참여기업)이 컨소시엄을 이루어 진행하는 기술개발사업으로, 최대 2년간 6억원 이내(총 사업비의 65%)의 정부출연금을 지원한다.   ◦ 금번 착수하는 기술개발 과제는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솔루션들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의 편리성과 비용절감 효과가 우수한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 기술개발은 물론 IoT(사물인터넷) 및 빅데이터, 디지털트윈, AR·VR 등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개발이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가능해진 것이다.   □ 청년들의 제조업기피로 인해 기술단절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기술이 개발되게 되면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작업환경이 구현되고, 가상공장에서 제조현장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관리 및 원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 또한 동 사업을 통해 개발된 솔루션은 사업 기간 중 참여기업의 제조라인에 적용시켜 상용화 가능여부를 직접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된 솔루션은 동종업계 및 지역으로 확대되어 높은 파급효과 및 제조현장의 혁신적 변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 된다.   □ 한편, 이날 착수보고회에는「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의 기술개발 전주기를 모니터링 하고 지원하는 ‘스마트공장 기술 전문가 그룹*’이 발족 하였다. * 스마트공장 전문가 그룹 : 단순 자금지원 R&D에서 벗어나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전주기를 모니터링 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제조혁신 전문가 그룹(총 11명)   ◦ 제조혁신 전문가로 구성된 ‘스마트공장 기술 전문가 그룹’은 동 사업 선정과제를 대상으로 R&D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사업화 애로를 전방위 밀착 지원하게 된다.   □ AI․빅테이터 및 AR․VR 등 요소기술 전문가 외에도 보안, 공정개선, 표준화, 특허 관련 전문가를 위촉하여 기술개발 전주기를 모니터링 하고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적 열위를 상쇄할 예정이다. 이는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최초로 맞춤형 기술지원이 도입된 사례로 보다 혁신적인 성과창출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 아울러 최근 랜섬웨어를 비롯한 스마트공장 사이버 위협이 현실화 되고 있는 만큼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1114","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현장수요형_스마트공장기술개발사업_본격_착수.hwp","viewCnt":"5886","regDate":"2019-06-27 09:49:59"},{"contentId":"106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을 키워드립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33","contentsKor":"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을 키워드립니다.   - 기정원,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탈락과제 대상 멘토링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9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 탈락기업을 대상으로 6월 27일(목) 대전 KW컨벤션센터와 28일(금) 서울 이룸센터 누리홀에서 R&D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멘토링 및 교육을 진행한다.   ◦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생산제품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존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제조공정의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여러 차수*를 통해 올해 약 757개 과제(327억원)를 지원할 계획이며,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간, 1억원**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 제품공정개선(1차 2월, 2차 4월, 3차 7월), 뿌리기업공정개선(1차 2월, 2차 7월) ** 제품공정개선(최대 1년, 5천만원), 뿌리기업공정개선(최대 1년, 1억원)   □ 동 사업 모집공고를 통해 제품․공정개선과제 1~2차 및 뿌리기업공정개선 1차 신청․접수를 진행한 결과, 중소기업의 높은 수요로 지원예산 대비 2.9: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였으며,   ◦ 이로 인해 R&D 기획 및 사업계획서 작성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기업들은 지원기회를 놓칠 수 밖에 없었다. □ 기정원은 이와 같은 탈락기업의 R&D 기획역량 강화 및 적극적인 기술개발 참여․유도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멘토링을 신청한 70여개 기업 대상으로   ◦ R&D기획의 주요 요소별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및 노하우 등을 교육하는 집체교육과 함께,   ◦ 신청 시 제출했던 사업계획서와 해당 사업계획서에 대한 평가의견을 중심으로 보완사항 도출 및 보완방법 등을 지도하는 맞춤형 컨설팅 프로그램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 기정원 조기영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탈락기업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사업 참여기회를 놓친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기술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51","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의_RD기획역량을_키워드립니다..hwp","viewCnt":"5734","regDate":"2019-06-26 10:48:12"},{"contentId":"106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 업무협약(MOU)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3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 업무협약(MOU)체결 -“한-러 혁신플랫폼”협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 글로벌 기술경쟁력 강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와 한국과 러시아 양국 기업간 기술협력 협업제공, 대학 및 연구기관과 체계적 협력 지원 등을 강화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ㅇ 협약식은 한-러 혁신 플랫폼을 활성화를 위한 “한-러 혁신센터 개소식”에서 진행되었으며, 개소식은 6.21일(금) 14시 송도 G타워에서 개최되었다.   ㅇ 이날 개소식에는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기정원 등 우리정부 기관 및 산하기관과 러시아대사관, 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 러시아 국립광공업환경안전연구센터, 유라시아금융협회 상임이사 등 양국 협력기관 관계자 총 20여명이 참석하였다.   ㅇ 개소식에 이어 기정원과 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한 양기관과 관련 기업의 상호협력 의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러시아 협력주체와의 네트워킹 기회를 확대하여 ①기술협력 성과가 유망한 기업간 협력을 위해 러시아의 다양한 기술공급·수요기업의 발굴, 정보제공, 교류기회 제공 등 논의 ②지속가능한 기업간 협력을 위해 러시아 기업에 대한 최소 수준의 검증(재무여건 등) 요청 ③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협력 관계 구축이 어려운 대학 및 연구기관과 체계적 협력 지원 등에서 포괄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였다.   □ 이날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유라시아 통합경제연구소와 업무협약을 통해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러시아 원천기술 발굴, 수요기업 매칭, 기술이전, 시제품 지원 등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제고가 기대되며,   ㅇ 현 정부의 핵심 대외정책인 신북방정책의 활성화 및 한반도·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에 기여하고, 우리 기업의 시장다변화, 4차 산업혁명 기술협력, 에너지·물류망 구축 등 신성장동력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고 밝혔다.   ㅇ 아울러, 한국과 러시아 양국의 기술협업을 통해 기술교류·수출을 활성화 할 방침이다.   □ 한편, 오를로프 키릴(Kirill A Orlov) 유라시아 통합연구센터 상임대표는 ”러시아는 언어장벽, 열악한 비즈니스 환경, 서방의 대러 제재 등 투자리스크가 높아 해외 기술교류가 활발하지 않았으나,   ㅇ 최근 급속한 기업환경 개선추세와 북방지역 국가의 수입대체 산업육성 정책 등을 통해 시장변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기정원과 업무협약 기점으로 양국의 활발한 기술협력(협업) 및 가시적 성과를 위해 지속적인 협력과 관심을 부탁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5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유라시아_통합연구센터_업무협약(MOU)_체결.hwp","viewCnt":"5672","regDate":"2019-06-24 10:45:59"},{"contentId":"106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혁신성장을 선도할 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하반기 기술수요조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31","contentsKor":"혁신성장을 선도할 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하반기 기술수요조사 실시 - 8대 혁신성장 분야 및 311개 핵심요소기술에 대한 과제 제안서 발굴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19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內 선도형 창업과제(지정공모) 지원을 위한 기술수요조사를 7월 2(화)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 기술수요조사는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이 성과창출 및 창업진출이 유리한 분야의 기술개발과제가 기획되어 기술창업 활성화와 성과창출이 극대화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 관련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과제기획위원회의 검토를 통해 ‘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하반기 선도형 창업 과제의 기술개발 지정공모과제로 공고될 예정이다.   □ 금번 시행하는 기술수요조사는 8대 혁신성장분야 중 창업기업에 적합한 311개의 핵심요소 기술을 기반으로 실시하며,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8대 혁신성장 분야 : 초연결 지능화, 정밀의료, 고기능 무인기, 스마트 농림수산, 지능형 로봇, 자율주행차, 신재생 에너지, 스마트 시티   ◦ 제안된 수요조사서는 기 개발 여부, 개발목표의 적정성 등에 대한 산·학·연 전문가의 검토 및 과제기획 절차를 통해 ‘19년 7~8월부터 본 사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 접수기간은 7월 2일(화) 18시까지이며, 중소기업 기술개발에 관심 있는 기관(기업) 및 개인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9","atchfileNm":"보도자료_혁신성장을_선도할_창업기업_지원을_위한_하반기_기술수요조사_실시.hwp","viewCnt":"5615","regDate":"2019-06-24 10:44:31"},{"contentId":"106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 제조기업 경쟁력 향상 및 고도화를 위한 제품·공정기술개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30","contentsKor":"중기부·기정원, 제조기업 경쟁력 향상 및 고도화를 위한 제품·공정기술개발 지원  - 중기부·기정원,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 2차 선정기업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벤처기업부(박영선 장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9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 제품·공정개선과제(2차) 140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6월 24일 대전 KW컨벤션센터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제품·공정개선 기술개발과제는 중소기업의 생산제품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존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제조공정의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총 3차*에 걸쳐 올해 약 660개 과제(249억원)를 지원할 계획이며,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간, 5천만원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 제품공정개선 모집시기 : 1차 2월, 2차 4월, 3차 7월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및 전자협약 방법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의 설명과 함게, R&D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청렴교육이 진행되며,   ○ 기업의 추가적인 궁금증 해소를 위해 기정원 담당자 상담부스가 마련될 예정으로, 기업은 협약체결 및 사업수행 관련 1:1 상담시간을 가질 수 있다.   □ 기정원 조기영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동 사업을 통해 최근 핵심 화두인 중소 제조기업의 제조혁신 및 4차 산업혁명 물결에 대응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8","atchfileNm":"보도자료_제조기업_경쟁력_향상_및_고도화를_위한_제품공정기술개발_지원.hwp","viewCnt":"5703","regDate":"2019-06-20 10:43:16"},{"contentId":"106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4개 창업기업에 374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29","contentsKor":"기정원, 204개 창업기업에 374억원 지원!  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6월 20일(목) 오후 1시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2019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디딤돌 창업과제(2차) 및 선도형 창업과제(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디딤돌 창업과제는 자유공모를 통해 최대 1.5억 원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며,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나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 후 7년 이하 중소기업의 성장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본 과제는 디딤돌 창업과제(1차)를 통해 지난 5월 말, 213개 기업에 300억 원을 지원하였고, 이번 디딤돌 창업과제(2차)에서는 133개 기업에 188억 원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 선도형 창업과제는 4차 산업혁명 분야 중 성과창출 및 창업기업 진출이 유리한 틈새 분야를 발굴하여 지원하기 위해 올해 신설한 사업이다.   본 과제는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발굴된 분야에 대해 지정공모 방식으로 최대 3억원 이내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며, 기술사업화 평가를 통해 창업기업의 기술성과 사업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71개 기업에 186억 원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 이번 협약설명회에는 선정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된 204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가 참석하였으며, 과제수행에 대한 제반사항을 안내하였다.   ○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체결, 사업비 사용, 연구노트 작성, 기술임치제도,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 등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한 주요 내용을 안내하며, 사업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 본 설명회에서 안내된 내용을 토대로 전자협약체결이 실시될 예정이며, 선정기업들은 제안한 사업계획서를 기반으로 최대 1년간 기술개발 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4개_창업기업에_374억원_지원!.hwp","viewCnt":"5455","regDate":"2019-06-20 10:40:40"},{"contentId":"106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스마트공장 솔루션 기술에 81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28","contentsKor":"기정원, 스마트공장 솔루션 기술에 81억원 지원!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6월 4일(화)〜5일(수) 양일간 대전 인터시티호텔 라벤다홀에서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15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했다.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 현장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으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플랫폼 개발사업(7개 과제)” 과 “K-앱시스트 기술개발사업(8개 과제)”으로 나누어 지원한다.   ◦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플랫폼 개발사업”은 국내 제조 중소기업 현장에 적합한 클라우드 기반의 특화솔루션(SW)을 개발하는 사업이며, “K-앱시스트 기술개발사업”은 생산현장 노하우를 디지털화하고 스마트 공장 정보를 연계한 보조·지원 솔루션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 금년에는 2월 21일 공고이후 3월 25일까지 사업 신청·접수를 통해 15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선정기업은 2년간 최대 6억원 이내(총 사업비의 65%)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기술개발에 착수한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스마트공장의 확산이 기초단계의 생산정보 디지털화, 생산 이력관리에 머무르지 않고 생산성향상과 더불어 근로환경이 개선되는 ‘사람중심’의 4차혁명으로 진화하고 있는 만큼, AI·VR,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현장수요형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사업」이 스마트공장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 강조 했다.   □ 본 협약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약절차, 규정 등을 안내하고, 실무담당자와 기정원 사업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추진과 관련된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또한 사업계획서를 현장에서 수정·보완 할 수 있도록 전문가 자문이 이루어져 기업의 큰 호응이 있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스마트공장_솔루션_기술에_81억원_지원!.hwp","viewCnt":"3674","regDate":"2019-06-05 10:24:46"},{"contentId":"106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사업화 자금 민간투자유치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27","contentsKor":"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사업화 자금 민간투자유치 지원 - 기정원,“Tech UP 프로그램”사업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6월 4일 오후 2시 대전 대덕테크비즈센터에서 R&D 수행 중소기업을 대상으로‘2019년 Tech Up 프로그램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 Tech Up 프로그램은 R&D 수행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 자금 투자 유치를 위해 VC 투자유치 교육, 1:1 멘토링, 데모데이 등을 무료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 본 사업설명회에서는 에트리홀딩스(주) 조병식 대표의 투자유치 특강과 함께 2019년도 운영 계획을 안내할 예정이다.   □ 작년도 동일 프로그램에서 19개의 참여기업 중 3개 사에서 51.7억 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에 기정원은 올해부터 참여기업 규모를 2배로 확대하고 후속지원을 강화하는 등 노력을 진행할 예정이다.   □ ‘2019년 Tech Up 프로그램’은 2차에 나눠 참여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다. 2019년 5월 27일(월)부터 2019년 6월 14일(금)까지 1차 참여기업을 모집하며, 2019년 8월 1일(목)부터 당월 16일(금)까지 2차 참여기업을 모집한다.   □ ‘2019년 Tech Up 프로그램’은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 사업을 수행 중이거나 최근 3년 이내 성공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 공지사항(https://www.smtech.go.kr)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5","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연구개발-사업화_자금_민간투자유치_지원.hwp","viewCnt":"3775","regDate":"2019-06-03 10:23:28"},{"contentId":"10543","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자율주행, '교통사고 제로' 궁극의 기술에 도전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543","contentsKor":"  ","viewCnt":"856","regDate":"2019-05-31 16:46:37"},{"contentId":"106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시장성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에 33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626","contentsKor":"시장성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에 33억원 지원! -기정원, 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 협약설명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5월 31일(금) 오후 1시, 대전 대덕테크비즈센터(1층 콜라보홀)에서 2019년 창업성장기술 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 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했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는 민간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기업 중 연계기관*의 추천을 받은 창업 7년 이하 기업의 기술창업 활성화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과제이다. * 연계기관 : 창조경제혁신센터, (사)한국엔젤투자협회   □ 금번 협약설명회는 지난 2월 28일 공고를 통해 사업계획서 등을 제출한 후 서면평가․현장조사․대면평가를 거쳐 협약대상 과제로 최종 선정된 23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 특히 기존 SMTECH 사업비 포인트제에서 산업부의 RCMS로 연구비 사용이 통합되어 연구비 집행 및 관리가 통합RCMS를 통해 진행됨에 따라 이에 관련한 변경 사항 및 사용 방법을 기업에게 안내하고,   ○ 지정회계법인의 정산 담당 회계사가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기업들에게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 본 설명회 이후 창업과제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최대 2년간 4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4차 산업혁명 분야*를 중심으로 고기술·유망기술에 해당하는 신제품․신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     ○ 이번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의 지원을 통하여 시장성이 검증된 기술우수 창업기업에게 기술개발에 필요한 R&D자금 지원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성과 사업성이 모두 검증된 창업기업의 육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944","atchfileNm":"보도자료_시장성_검증된_기술창업기업에_33억원_지원!.hwp","viewCnt":"3813","regDate":"2019-05-31 15:02:25"},{"contentId":"105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532","contentsKor":"기정원, 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창업과제 선정된 213개 기업에 300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5월 29일(수) 오후 1시 서울 전문건설회관에서 2019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디딤돌 창업과제(1차) 및 여성참여소셜벤처과제(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 후 7년 이하의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지난 1월 31일 공고를 통해 사업계획서 등을 제출한 후 서면평가․대면평가․현장평가를 거쳐 협약대상 과제로 최종 선정된 213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 아울러 본 설명회에서는 원활한 과제 추진을 위한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체결,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연구노트 작성, 기술임치제도 등 제반사항을 안내하고,   ○ 정산 담당 회계사를 초빙하여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기업들에게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는 시간을 가진다. □ 또한 협약 대상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담당자와 기정원 사업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 추진 중 발생하는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 본 설명회 이후 창업과제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최대 1년간 1.5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신제품․신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76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9년_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_협약설명회_개최.hwp","viewCnt":"5404","regDate":"2019-05-30 15:13:25"},{"contentId":"105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정책에 당신의 아이디어를 제안하세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517","contentsKor":"- 중소기업 R&D정책에 당신의 아이디어를 제안하세요 - R&D 아이디어 제안 ‧ 참여 포털‘R&D 1번가’오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는 중소기업 기술개발(R&D) 정책 온라인 포털인 ’R&D 1번가‘(1st.tipa.or.kr)를 구축하고 운영을 시작한다.   □ ’R&D 1번가‘는 정부와 기업을 개하는 중소기업 R&D 정책 관련 개방형 소통 플랫폼으로, 기업은 1번가를 통해 본인이 가지고 있는 정책의견을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다.   □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인 기정원은 중소기업 현장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고 기업이 원하는 제도를 수립하기 위하여 이번에 ’R&D 1번가‘를 개설하게 되었다   □ 중소기업은 ’R&D 1번가‘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R&D 정책수립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 우선, 아직 시행되지는 않고 있으나 정책효과가 클 것으로 보이는 신규 정책 아이디어나 제도개선 사항을 제안할 수 있다.   ◦ 다음으로, 이미 시행중에 있는 정책과 관련하여 시행 과정에서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이나 보완 사항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 또한, 국가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중소기업 R&D 관련 현안사항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의견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발굴해 내는 토론의 장에 참여할 수 있다.     ① (제안하기) · 중소기업 R&D정책 아이디어(제도개선, 건의사항 등) 제안 · 기술개발과제 수요 제안 등   ② (열린토론) · 정책 현안에 대한 토론 및 시사점 발굴   ③ (정보마당) · 각 그룹별(정책제안, 과제제안 등) 참여자간 소통 · R&D정책정보 제공   □ 기정원 이훈희 R&D전략본부장은 기정원이 ‘R&D 1번가’를 통해 기업과의 상시 소통체계를 운영함으로써,   ◦ 기업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적기에 제공하고 현장의 애로를 신속하게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아울러, 1번가 운영과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하였다.   □ ‘R&D 1번가’ 사이트는 기정원 홈페이지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 등을 통해서도 접속이 가능하다.   * R&D 1번가 ☞ http://1st.tipa.or.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 중소기업 R&D사업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749","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RD정책에_당신의_아이디어를_제안하세요.hwp","viewCnt":"5768","regDate":"2019-05-27 14:43:37"},{"contentId":"105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 강화를 위한 R&D기획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516","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 강화를 위한 R&D기획 지원  -5월 14일(화), 2019년 R&D기획지원사업 1차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5월 14일(화) 오후 2시 대전 KW컨벤션센터에서 2019년도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해 개발 타당성 분석, 시장성 조사, 성공 가능성 평가 등의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금년에는 2월 8일 1차 공고 이후 3월 11일까지 사업 신청·접수를 통해 141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21억원을 지원한다.   □ 특히, 금년에는 정부R&D사업 참여 경험이 없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과제와 1~2개 분야에 대해 집중적인 기획지원을 진행하는 멘토링 과제로 지원분야를 이원화 하는 등 R&D 지원이력에 따른 맞춤형 기획을 지원한다.   ◦ 최종 선정기업은 기획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2~4개월간 R&D기획지원을 수행하며, 정부출연금은 최대 2,550만원(총 사업비의 75%)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 과제 종료 후 연계지원 평가위원회에서 선정된 우수과제(전략과제)에 대해 R&D사업 신청 시 사업별로 1회에 한하여 우대할(서면평가 면제 또는 가점 적용)* 예정이다. * 창업성장기술개발 및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일부   ◦ R&D기획지원 2차 사업은 지난 4월 24일(수)부터 5월 23일(목)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신청·접수가 가능하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8월 중에 과제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사업에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협약체결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아울러 기술보증기금 등 10개 기획기관이 참여하여 기관소개 및 상담을 제공하고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된 내용을 전달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R&D기획지원사업을 통하여 기술력 있는 R&D 초보기업이 R&D기획역량을 강화하여 성공적인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사업화까지 실현하길 기대한다.”며,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기업에게 궁금증을 해소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74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의_RD기획역량_강화를_위한_RD기획_지원.hwp","viewCnt":"3790","regDate":"2019-05-27 14:41:35"},{"contentId":"105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기술로드맵(`20-`22) 기술수요조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515","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기술로드맵(`20-`22) 기술수요조사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이 ‘2020~2022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수립을 위해 5월 17일(금)까지 ‘R&D 1번가’를 통해 기술수요조사를 실시한다.   ◦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은 중소기업 맞춤형 유망기술에 대한 단기(3년) 로드맵 수립과 중소기업 R&D사업의 전략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 중소기업에게는 유망기술의 국내외 정책, 시장․기술 환경, 주요 기업의 동향 등 생태계 분석 정보를 제공하고, 핵심요소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전략을 제공하며,   -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R&D투자 방향성 수립에 활용되는 중요 정책자료로, 중소기업 R&D사업 공고시 전략분야 및 기술개발 테마가 활용되는 등 전략적 R&D 투자에 활용된다.   ◦ 이번 기술수요조사는 중소기업 R&D 소통플랫폼인 ‘R&D 1번가’ (https://1st.tipa.or.kr, 제안하기>기술수요조사)를 통해 5월 17(금)까지 참여할 수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이 중소기업 R&D의 투자전략인 만큼, 중소기업에게 적합한 유망기술이 도출될 수 있도록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74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중소기업_기술로드맵(20-22)_기술수요조사_실시.hwp","viewCnt":"4230","regDate":"2019-05-27 14:40:20"},{"contentId":"105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디캠프와 손잡고 기술우수 창업기업 성장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514","contentsKor":"기정원, 디캠프와 손잡고 기술우수 창업기업 성장지원! 기술우수 창업기업 성장지원을 위한『기정원-D.CAMP 업무협약』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재단법인 은행권청년창업재단(이하 D.CAMP)은 5월 13일(월), 시장성이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의 R&D 지원 활성화를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협약을 통하여 기술우수 창업기업 중 D.CAMP 추천 기업에게 기정원 R&D지원사업이 연계가능하게 됨으로써, 창업기업에 대한 R&D자금 지원 혜택을 증진할 수 있게 됐다.  □ 협약의 주요내용은,  ① D.CAMP가 기술우수 창업기업을 기정원의 중소기업 R&D지원 대상에 추천하며,   ② 기정원은 위 추천기업 중 평가를 거쳐 선정된 기업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로 지원한다.   ③ 또한, 우수 기술창업기업 대상 설명회 지원, 기타 정보 교류·홍보 등 각 기관의 필요사항을 협력하게 된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는 민간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기업 중 연계기관*의 추천을 받은 창업 7년 이하 기업의 기술창업 활성화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과제이며, * 창조경제혁신센터, (사)한국엔젤투자협회, D.CAMP 등   ○ 혁신형 창업과제(민간투자연계형)에 선정되면 중소기업은 최대 4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고,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된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www.mss.go.kr)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www.tipa.or.kr)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D.CAMP와의 협업을 통하여 시장성이 검증된 창업기업에 정부 R&D 지원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시장성과 기술성을 모두 검증받은 창업 기업을 육성하고자 하며, 인지도 높은 민간기관과의 업무 연계지원을 확대함으로써 시장이 先 검증한 혁신적 기술창업기업에게 보다 많은 R&D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74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디캠프와_손잡고_기술우수_창업기업_성장지원!.hwp","viewCnt":"3860","regDate":"2019-05-27 14:33:15"},{"contentId":"10497","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한국 조선해양산업, 부활의 뱃고동을 울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497","contentsKor":"  ","viewCnt":"675","regDate":"2019-05-16 14:19:12"},{"contentId":"104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정부지원사업 5,000명 일자리 잡코리아에서 잡아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462","contentsKor":"중기부 정부지원사업 5,000명 일자리 잡코리아에서 잡아라!!!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잡코리아, 스마트한 R&D 우수기업채용관 오픈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중소기업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의 해결을 위해 ‘2019년 스마트한 R&D 우수기업채용관’을 4월 29일 오픈한다.   - 중소기업 일자리 홍보와 중소기업에 대한 올바른 정보 확산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중소기업R&D지원사업과 스마트공장지원사업의 구직자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기정원이 1년 전부터 야심차게 준비했다.   - 채용관은 청년구직자의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중소기업 일자리를 제공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상세한 정보제공으로 중소기업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를 해결하며, 청년과 함께 미래비전을 공유한다. 기정원의 ‘2019년 스마트한 R&D 우수기업채용관’이 그 해결을 위해 출사표를 던졌다.   □ 기정원은 최대한 많은 청년구직자에게 우수중소기업들의 채용정보를 노출하기 위해 잡코리아와 공동으로 채용관을 구축하였다. 특히 잡코리아, 알바몬의 최상단 배너광고를 통하여 채용공고를 지속적으로 노출해서 입사지원의 효과를 상승시키겠다는 전략이다.   - 참여기업에게는 ▲잡코리아 內 기업채용공고 등록 ▲전국 대학별 취업지원센터 메일링 ▲잡코리아, 알바몬을 통한 온라인 광고 ▲구직자 수요가 높은 취업사이트 타겟광고 등이 전액 무료로 지원될 예정이다.   □‘2019년 스마트한 R&D 우수기업채용관’(URL: http://www.jobkorea.co.kr/Theme/tech)은 2019년 4월 29일 오픈을 시작으로 2020년 4월 28일까지 1년간 운영되며 4차에 나눠서 대상기업을 모집한다.   - ▲1차 모집(~ ‘19.4.25), ▲2차 모집( ‘19.5.27 ~ 6.27), ▲3차모집( ‘19.8.26 ~ 9.26), ▲4차모집( ‘19.11.26 ~ 12.26)   □ 이번 ‘2019년 스마트한 R&D 우수기업채용관’은 중기 R&D지원사업 및 스마트공장지원사업 정보화지원사업을 수행 및 성공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 (https://www.smtech.go.kr)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665","atchfileNm":"붙임_중기부_정부지원사업_5,000명_일자리_잡코리아에서_잡아라!.hwp","viewCnt":"5234","regDate":"2019-04-29 17:27:11"},{"contentId":"10333","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항공산업, 미래 블루오션의 상승기류를 타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333","contentsKor":" ","viewCnt":"734","regDate":"2019-04-16 22:23:38"},{"contentId":"1033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금속과 세라믹 소재 산업의 좌표를 묻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335","contentsKor":"  ","viewCnt":"687","regDate":"2019-03-29 22:26:36"},{"contentId":"101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18년도 공공기관 협업과제 최우수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10199","contentsKor":"기정원, 18년도 공공기관 협업과제 최우수기관 선정  - 기획재정부‘공공기관 협업과제 평가’최우수(1등) 달성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기획재정부에서 주최한「2018년 공공기관 협업과제 최종평가」에서 “창업기업의 기술을 지키는 R&D+특허패키지” 과제를 추진하여 협업분야 최우수기관으로 선정 되었다.   ○ 그동안 창업기업이 어렵게 개발한 기술이 기술탈취, 특허분쟁으로 시장에 출시되기도 전에 사장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여 문제로 지적되고 있었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정원은 지난 해 한국특허전략개발원과 협업하여 기술개발 중인 기업에게 특허전략 수립 컨설팅을 동시에 진행하여 창업기업의 기술을 보호하는 과제를 추진하였다.   □ 본 과제는 양 협업기관이 각기 전문성을 발휘하여 창업기업의 ‘기술개발과 기술보호문제 해결’을 동시에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 창업기업이 한번만 신청하여 선정되면 R&D지원과 합께 연계 정책지원(IP전략수립)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설계되어있고,   ○ 기술개발 중인 창업기업이 지식재산권 전략수립을 위한 컨설팅과 함께 R&D지원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 또한, 기술 창업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전문 분야가 각기 다른 2개의 공공기관(기정원, 특허전략개발원)이 협업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 기정원은 창업기업의 R&D를 위한 과제발굴, 평가 및 과제관리의 다년간의 경험을 토대로 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주도하였고,   ○ 협업기관인 한국특허전략개발원은 지식재산권 전략 수립을 위한 전문인력과 실무 경험을 갖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협업성과 제고에 기여하였다.   □ 18년 한해 본 과제를 통해 40개 창업기업이 선정되어 R&D연구비를 지원받고 기업의 기술보호 역량이 제고되는 성과가 있었다.   ○ 창업기업은 개발 기술에 대한 특허 침해를 사전에 예측하여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재산권 대응전략(260건)을 수립하였고,   ○ 기술개발 시작단계부터 기존의 특허와 충돌되지 않도록 기술을 개발하여 국내외 27건의 신규 특허를 출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아울러 기업 눈높이에서 신청 및 평가절차를 간소화하여 정부예산과 기업의 부담을 줄인 성과를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예산절감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 공공기관 협업과제 평가란 공공기관 협업을 통해 경영혁신과 사회적 책임성이 우수한 과제를 선정하는 제도로, 기정원은 이번 평가 결과로 2018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가점이 부여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038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18년도_공공기관_협업과제_최우수기관_선정.hwp","viewCnt":"6220","regDate":"2019-03-28 14:54:35"},{"contentId":"1033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화학·섬유소재 산업의 新 실크로드를 개척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10334","contentsKor":"    ","viewCnt":"735","regDate":"2019-02-28 22:25:18"},{"contentId":"76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혁신성장을 선도할 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기술수요조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656","contentsKor":"혁신성장을 선도할 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기술수요조사 실시 - 8대 혁신성장 분야 및 311개 핵심요소기술에 대한 과제 제안서 발굴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19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內 선도형 창업과제(지정공모) 지원을 위한 기술수요조사를 2월 25(월)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 기술수요조사는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의 성과창출 및 창업진출이 유리한 분야의 기술개발과제가 기획되어 기술창업 활성화와 성과창출이 극대화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 관련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과제기획위원회의 검토를 통해 ‘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선도형 창업 과제의 기술개발 지정공모과제로 공고될 예정이다.   □ 이번에 실시되는 기술수요조사는 8대 혁신성장분야 중 창업기업에 적합한 311개의 핵심요소 기술을 기반으로 실시하며,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8대 혁신성장 분야 : 초연결 지능화, 정밀의료, 고기능 무인기, 스마트 농림수산, 지능형 로봇, 자율주행차, 신재생 에너지, 스마트 시티   ◦ 제안된 수요조사서는 기 개발 여부, 개발목표의 적정성 등을 산·학·연 전문가의 검토 및 과제기획 절차를 통해 ‘19년 3월부터 본 사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 접수기간은 2월 1일(금)부터 2월 25일(월)까지이며, 중소기업 기술개발에 관심 있는 기관(기업) 및 개인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217","atchfileNm":"[보도자료]_혁신성장을_선도할_창업기업_지원을_위한_기술수요조사_실시.hwp","viewCnt":"6907","regDate":"2019-02-13 15:46:18"},{"contentId":"75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R&D·정보화 지원사업 우수사례 선정기업 세계로 비상할 준비 완료”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551","contentsKor":"중기R&D·정보화 지원사업 우수사례 선정기업 세계로 비상할 준비 완료” - 2018년 중기R&D·정보화 우수사례 선정기업 수상식 - 중소기업 R&D·정보화 지원사업 우수기업 25개 선정(최우수 3건, 우수 22건)   □ 최철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이하 기정원)은 27일 중소기업R&D·정보화 우수사례 선정기업 수상식에서 최우수 기업(영광YKMC, 만나CEA, 라파스)과 우수기업(22개)*을 표창하고 R&D·정보화 우수기업 현판을 전달했다.   *㈜동광, 명성티엔에스㈜, ㈜비앤디네트웍스, 새한용사엔지니어링, ㈜셀젠텍, ㈜애니젠, ㈜진성테크템, 한국공예협동조합연합회, ㈜현대프로스, 아람휴비스㈜, ㈜아스플로, ㈜시지바이오, ㈜더블에이치, 에리슨제약㈜, 이노진, ㈜마린테크노, ㈜뉴로메카, ㈜앤앤에스피, ㈜오믹시스, ㈜플렉센스, 로보프린트, 베트올㈜   ◦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정보화역량 강화를 위해 매년 7,000여개 기업의 R&D·정보화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기업 중 4차 산업혁명, 일자리창출, 사회적기업 등 5개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창출한 기업을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표창과 함께 성과확산 프로그램(자금조달, 판로개척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 금번에 선정된 기업의 기술수준은 세계 유수의 기업과 비교해도 결코 손색이 없고,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진출에 성공하여 우리나라 중소기업도 할 수 있다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최철안 원장은 “기정원이 대한민국 중소기업의 R&D·정보화 지원을 통해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양질의 일자리창출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우수한 중소기업을 발굴·지원하는데 최선을 다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131","atchfileNm":"[보도자료]_중기RD·정보화_지원사업_우수사례_선정기업_서계로_비상할_준비_완료.hwp","viewCnt":"6661","regDate":"2018-12-27 10:40:29"},{"contentId":"75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국제표준 정보보호경영체계(ISO 27001) 인증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55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국제표준 정보보호경영체계(ISO 27001) 인증 획득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관리하는 R&D전문기관 최초로 정보보호경영체계 ISO 27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ISO 27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제정한 정보보안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표준 인증이다.   ○ 보안정책, 물리적 보안, 접근통제, 통신 및 정보시스템 보안 등 총 114개 통제항목을 만족해야 인증이 부여되므로 정보보호 관리체계의 적정성과 기술적 안전성에 대해 국제 공인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연간 약 6천여개 R&D과제를 지원하는 공공기관으로 업무 과정에서 수집, 관리되는 개인 및 기업정보와 각종 행정정보의 체계적인 보호를 주요 경영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 이에, 정보보안에 대한 강력하고 지속적인 추진 동력과 세밀한 관리기준을 확립하기 위해 ISO 27001 도입을 결정하였으며, 약 6개월에 거쳐 실무 TFT 운영, 표준 통제항목과의 부합성 검증, 각종 보안규격서 수립, 내부감사 등을 수행하여 인증을 획득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기관 정보보안 거버넌스로써 ISO 27001을 모든 업무에 정착시킬 예정이며, 고객이 우리에게 맡긴 소중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기정원은 2015년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을 시작으로 2017년 ISO 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 2018년 ISO 27001(정보보호경영체계)까지 경영전반에 국제 표준체계를 적용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13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국제표준_정보보호경영체계_인증_획득.hwp","viewCnt":"6738","regDate":"2018-12-27 10:38:56"},{"contentId":"754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건설기계 기술혁신의 거멀못이 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7545","contentsKor":" ","viewCnt":"754","regDate":"2018-12-17 13:38:23"},{"contentId":"74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기 R&D정책세미나 및 스마트공장 네트워킹 행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424","contentsKor":"기정원, 중기 R&D정책세미나 및 스마트공장 네트워킹 행사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12월 19일(수) 서울 엘타워에서 ‘중소기업 R&D 정책세미나와 스마트공장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한다.   ◦ 주요 내용은 중소기업 R&D의 효과적 지원을 위한 정책연구결과 발표와 스마트공장 수요-공급기업 간 협업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킹 지원이다.   □ 1부에서는 중소기업에 적합한 미래 유망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방향을 안내하는 2019년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의 방향을 발표하고,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사회적경제 R&D 지원사업의 타당성 분석, 중소기업 R&D지원 기업의 경제적 성과 분석, 중소기업 R&D의 효과적 지원을 위한 투·융자방식 R&D 프로그램 연구 등으로 구성된 정책연구회 연구내용을 중점적으로 발표한다.   □ 2부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스마트공장의 국내외 기술동향을 발표하여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고도화 및 업그레이드를 도모하고,   ◦ 공급기업의 구축솔루션 발표와 수요기업의 우수 성과를 공유하여 3부에서 이어지는 중소기업과 솔루션 공급기업 간 네트워킹을 지원한다.   □ 본 행사는 12월 17일(월) 18시까지 진행되는 사전등록을 통해 무료로 참석 가능하며,   ◦ 신청 방법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과 기정원 홈페이지 내 공지사항을 참조하면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410","atchfileNm":"창성_설명회.jpg","viewCnt":"5585","regDate":"2018-12-17 10:30:54"},{"contentId":"74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한 계약제도 개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423","contentsKor":"기정원,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한 계약제도 개선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12월 4일(화) 사회적약자기업 관계자들과 계약제도 개선 간담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이번 간담회는 사회·경제적 약자의 경제활동 지원 및 공정경제 실현을 뒷받침 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 구매·계약제도 전반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사회적 책무를 충실히 이행하고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등을 위해 주요내용을 검토하였다.   □ 준비기간을 거쳐 `19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계약제도 개선의 주요내용으로는,   ○ 사회적기업, 여성·장애인기업 등에 대한 가점을 입찰 참여시 제공하고, 선금지급 확대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금 흐름을 지원하며,   ○ 입찰 참가에 필요한 실적과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소기업 등에 대한 진입장벽을 완화하기 위한 실적제한 기준을 개선한다.   ○ 또한, 고시금액 이하의 입찰계약은 실적요청을 금지하고, 고시금액 이상의 실적기간은 현행 3~5년에서 7년으로 확대하여 실적일몰 등의 평가 불이익을 최소화한다.   □ 기정원은 3년전부터 거래 업체에 대한 결제방식을 신용카드에서 거래업체의 은행계좌이체 방식과 체크카드로 모두 변경하여 운영하는 등   ○ 영세 중소업체에 대한 수수료 경감을 선도적으로 시행하여 지역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 최철안 원장은 “계약제도 개선을 통해 사회 소외계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면서,   ○ 본 제도가 ”사회 전체로 확산되어 지역민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제도로 발전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 한편 기정원은 대전시에서 주최하는 ‘1사 1사회적경제기업 결연’(`18.12.12)을 통하여 사회적기업의 성장촉진 및 지역의 사회적경제 활성화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409","atchfileNm":"34통섭연단2.jpg","viewCnt":"4645","regDate":"2018-12-05 10:29:01"},{"contentId":"73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NTIS 데이터 품질평가 최우수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368","contentsKor":"기정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NTIS 데이터 품질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내 17개 R&D대표전문기관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2018년도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이하 NTIS) 데이터 품질평가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서 서비스하는 지식포털(www.ntis.go.kr)   ○ 데이터 품질평가는 2018년 기준 19.7조원에 이르는 정부R&D예산의 범부처 정보 공유 및 활용, 국민개방을 위해 NTIS에 제공하는 데이터의 표준 준수 상태를 측정하는 평가이다.   ○ 기정원은 데이터 연계 상태에 대한 정량평가와 품질향상 노력에 대한 정성평가에서 모두 만점을 받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 기정원은 연간 약 1조원 규모의 중소벤처기업부 R&D지원사업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으며, 보다 우수한 품질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전담 품질관리팀을 운영하고 업무과정에서 발생하는 휴먼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상시점검을 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정부 R&D예산의 투자효율성과 연구생산성 향상을 위해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품질제고에 적극 노력하겠다.” 라고 밝혔다.   □ 기정원은 2016년에 이어 올해에도 품질평가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고, 2018년 코리아 빅데이터 어워드에서도 공공기관부문에서 수상함으로써 데이터 품질관리 역량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354","atchfileNm":"신생아_모자뜨기_기부활동-2.JPG","viewCnt":"5063","regDate":"2018-12-04 14:53:59"},{"contentId":"73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연탄나눔활동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367","contentsKor":"기정원,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연탄나눔활동 실시  - 11월 21일(수), 노사합동으로 대전지역 저소득층 가정에 연탄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11월 21일 대전광역시 동구 효동 일대에서 “노사합동 사랑의 연탄나눔활동”을 진행했다.   ◦ 대전시 동구 주민센터에서 추천받은 저소득층, 독거노인 등 소외된 이웃에 겨울나기용 연탄을 무료로 지원하는 이번 활동은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노동조합 장상민 위원장 등 임직원 20여명이 참여했다.   □ 올해 들어 가장 추웠던 날씨에도 불구하고 기정원 임직원들은 4개 가정에 총 1,000장의 연탄을 직접 전달하면서 굵은 땀방울을 흘렸다.   ◦ 연탄을 지원받은 한 가정은 올해 연탄 가격이 개당 105원 가량 크게 올라 부담됐는데 이렇게 지원받은 덕분에 걱정을 한시름 덜었다면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지역사회와의 상생은 공공기관으로서 기본적인 책임”이라면서 “연탄나눔을 통해서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올겨울을 따뜻하게 보내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지역사회와 상생을 위하여 매년 연탄나눔활동 외에도 지역 관광명소 환경정화, 방과 후 소외아동을 위한 공부방 만들기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353","atchfileNm":"신생아_모자뜨기_기부활동-1.JPG","viewCnt":"4895","regDate":"2018-11-23 14:52:49"},{"contentId":"73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제품경쟁력 강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품질 R&D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366","contentsKor":"중소기업의 제품경쟁력 강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품질 R&D지원 - 선정 309개 과제에 149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8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의 제품공정개선과제(3차) 309개 기업을 선정하고, 기술개발을 위한 149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제품공정개선과제는 기존 제품의 성능 및 품질 향상 등의 제품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 제품개선과제와 제조현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제품생산 시간·비용 절감 및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공정개선과제로,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 이내, 5천만 원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는다.   □ 기정원은 선정된 기업 대상으로 11월 23일에 대전정부청사 후생동 대강당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여, ① R&D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청렴교육 ② 사업추진체계 이해를 위한 추진절차 및 규정 설명 ③ 과제 수행을 위한 수정사업계획서 작성법 교육 ④ 전자협약을 위한 SMTECH 업로드 및 협약사항 안내 ⑤ 수행 과제 관리를 위한 SMTECH 및 포인트시스템 소개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교육하였다.   ◦ 또한, 협약변경, 연구노트 작성 및 최종보고서 제출, 연구비 사용 등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 진행 관련 궁금한 사항을 해소하였다.   □ 기정원 조기영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이번 제품 및 공정 개선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기존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개발공정을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352","atchfileNm":"지역희망나눔사진-2.JPG","viewCnt":"5052","regDate":"2018-11-23 14:50:56"},{"contentId":"73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8년 산학연협력R&D를 통한 중소기업 본격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365","contentsKor":"기정원, 2018년 산학연협력R&D를 통한 중소기업 본격 지원  - 첫걸음·도약과제(2차) 542개 과제 467억원 지원 -   □ 중소벤처기업부(홍종학 장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2018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의 첫걸음·도약과제(2차) 542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11월 20일(화) 정부대전청사 후생관 대강당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의 협력 R&D를 지원해온 사업으로,   ◦ 국가 R&D 사업에 처음 참여하거나 기업부설연구소를 신규설치하려는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첫걸음R&D와 기술적 우위 선점 또는 기술보완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도약R&D로 구성되어 있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 대표자, 과제책임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와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협약변경, 사후관리 등 사업 추진 시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질의응답 등을 통해 사업추진 시 실수가 없도록 상세히 안내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기술기반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산학연협력 R&D를 통해 탄탄한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를 바라며, 정부지원금이 올바르게 사용될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갖고 사업수행 및 연구비집행에 만전을 다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351","atchfileNm":"지역희망나눔사진-3.JPG","viewCnt":"3162","regDate":"2018-11-21 14:49:28"},{"contentId":"754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의료기기 산업, 글로벌진출을 위한 닻을 올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7544","contentsKor":" ","viewCnt":"413","regDate":"2018-11-19 13:36:19"},{"contentId":"72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공공연구기관과 함께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선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244","contentsKor":"기정원-공공연구기관과 함께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선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테크노파크와 함께 부산지역과 대구지역 유망 중소기업의 성장·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11월 12일(월)과 14일(수) 이틀간 부산과 대구에서 공공연구기관-지역 중소기업 기술교류회를 개최한다.   ○ 부산지역 기술교류회는 부산테크노파크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12개 공공연구기관이 참여하며, 대구지역 기술교류회는 대구테크노파크와 한국기계연구원 등 10개 공공연구기관이 참여한다.   ○ 본 행사는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상담과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중소기업이 상용화할 수 있도록 기술이전 발표와 개별상담을 진행하며,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 간 오픈이노베이션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인적 네트워킹 교류도 함께 진행한다.     □ 기정원은 금년에만 총 4차례의 지역 기술교류 행사를 진행하여 왔으며, 이번 행사는 특히 해당 지역산업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는 지역 테크노파크와 협업하여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수요를 찾아내 사전에 매칭하는 등 맞춤형 기술교류회로 추진하여 성과가 많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기술 교류회를 통해 부산 및 대구 지역 경제가 자동차, 조선, 섬유 등 주력 산업의 성장 둔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 “지역 중소기업의 매출이 더욱 증대되고 일자리 창출로 연결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요한 행사가 될 것”이라 말하고, “내년에는 더욱 많은 권역으로 확대하여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번 행사는 11월 12일(월) 오후 1시 부산서면롯데호텔과 14일(수) 오후 1시에 대구 노보텔엠베서더에서 개최하며, 사전신청은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 홈페이지(http://bridge.smtech.go.kr) 공지사항을 통해 접수받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230","atchfileNm":"제5차_통섭연단-4.jpg","viewCnt":"3558","regDate":"2018-11-07 10:56:25"},{"contentId":"72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 뿌리기술 경쟁력 향상 및 고도화를 위한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243","contentsKor":"중기부·기정원, 뿌리기술 경쟁력 향상 및 고도화를 위한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 지원 - 57개 뿌리기업에 53억원 지원 -   □ 중소벤처기업부(홍종학 장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8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의 뿌리기업공정과제(2차) 57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10월 30일 대덕테크비즈센터 콜라보홀(대전 도룡동 소재)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뿌리기업공정과제는 뿌리기술의 적용범위 확대를 위한 제품 적용기술 및 뿌리기술 고도화를 위한 공정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 이내, 1억 원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및 전자협약 방법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협약변경 방법 및 사후관리, 청렴문화 확산 교육 등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질의응답을 통해 사업을 문제없이 완료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 기정원 협력기술평가본부 최광문 본부장은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높은 핵심 뿌리기술을 보유한 뿌리기업의 생산성·부가가치 향상 및 제품경쟁력 강화 등 뿌리기업공정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229","atchfileNm":"제5차_통섭연단-3.jpg","viewCnt":"2798","regDate":"2018-10-31 10:54:12"},{"contentId":"72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 2018년 중소기업 성장동력 발판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242","contentsKor":"중기부·기정원, 2018년 중소기업 성장동력 발판마련  - 산연전용·연구마을 148개 중소기업에 87억원 지원 -   □ 중소벤처기업부(홍종학 장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2018년도 하반기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산연전용·연구마을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148개 중소기업에 87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전략협력’ 지원사업은 특정 산업·기술분야의 R&D 거점의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유망 중소기업을 고성장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으로서,   - 연구기관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산연전용(1년, 1.5억원 이내 지원)과,   - 중소기업의 연구기능(기업부설연구소)을 대학 내 공간에 집적화하여 상시 기술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연구마을(2년, 2억원 이내 지원)로 구성되어 있다.     □ 기정원은 포항공대, ETRI 등 21개 운영기관을 통해 자체 모집된 313개 과제 중, 선정평가를 거쳐 148개 중소기업을 최종 선정하고, 지난 10월 25일 정부청사 후생동에서 중소기업과 공동개발기관(대학·연구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기정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사업에 선정된 모든 중소기업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주관기관 및 공동개발기관과 조속한 협약체결을 통해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원활히 착수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228","atchfileNm":"제5차_통섭연단-2.jpg","viewCnt":"2501","regDate":"2018-10-29 10:52:27"},{"contentId":"716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바이오산업의 생태계 안에 집을 짓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7169","contentsKor":" ","viewCnt":"561","regDate":"2018-10-22 21:38:17"},{"contentId":"71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강원도 원주로 찾아가 中企 R&D 사업비 집행·정산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164","contentsKor":"기정원, 강원도 원주로 찾아가 中企 R&D 사업비 집행·정산 설명회 개최 강원 지역 R&D 수행기업 기술개발 측면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오는 10월 25일(목) 오후 1시에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강원도경제진흥원에서 강원지역 중소기업 R&D 지원기업 대상으로 「중소기업R&D 사업비 집행·정산 설명회」를 개최하여,   ㅇ 강원지역 유망 중소기업의 신제품·신기술 기술개발을 측면 지원할 계획이다.   □ 동 설명회에서는 `17년~`18년 중소기업 R&D 과제 수행 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R&D 사업비 집행 규정, 자금 집행·관리시스템 이용법, 정부출연금 부정사용 사례 등 사업비 집행 전반에 대하여 기업 실무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할 계획이며,   ㅇ 설명회 종료 후에는 강원지역의 중소기업 R&D 사업비 정산을 담당하는 공인회계사가 기업들의 사업비 집행 관련 궁금증을 1 : 1로 해결해 주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 참석 대상 :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R&D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강원도 소재 중소기업·대학·연구소     □ 기정원 사업지원본부 정영훈 본부장은 “그 간 사업비 설명회는 주로 수도권, 대전권 지역 중심으로 개최하여 강원지역 기업들이 원거리로 인해 참석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지만,   ㅇ 이번 기회를 통해 강원지역 중소기업 R&D 수행기업들이 사업비 집행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여 사업비 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함으로써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770","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강원도_원주로_찾아가_中企_RD_사업비_집행정산_설명회_개최.hwp","viewCnt":"2736","regDate":"2018-10-22 13:41:38"},{"contentId":"71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혁신센터, 실리콘밸리의 4차 산업혁명 분야 현지 중계 강의로 생생한 기술 트렌드를 전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16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혁신센터, 실리콘밸리의 4차 산업혁명 분야 현지 중계 강의로생생한 기술 트렌드를 전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혁신센터는 한국표준협회와 함께 오는 10월 24일부터 매주 수요일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에서 ‘살아있는 실리콘밸리 미국 현지 실황중계 교육’을 총 8회 실시한다.   ○ 이번 교육은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의 관장과 실무담당자들이 전하는 생생한 현지 이야기와 실리콘밸리 내 기업 전문가를 통해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동향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교육 내용은 실리콘밸리 현황, 인공지능·블록체인·자율주행·가상현실(AR/VR)·로봇 등 4차 산업혁명 최신 기술동향에 관심있는 중소기업의 CEO, CTO 및 임직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에서는 실리콘밸리의 중심 기지로서의 역할과 마케팅, 스타트업 투자유치 사례, 한국기업 지원사업 등을 통해 실리콘밸리의 현황 및 진출 전략 등을 소개하며,   ○ 실리콘밸리 내 4차 산업혁명 분야 기술창업기업 대표 등이 직접 인공지능·블록체인·자율주행·가상현실(AR/VR)·로봇 등 해당 산업에 대한 기술 현황과 미래 전망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공유경제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 또한, 강연 후 국내 전문가의 심층 질의응답을 통한 코칭프로그램 및 교육 참가자들 간의 네트워킹 기회도 제공할 예정이다.   ○ 이번 교육은 오는 10월 24일부터 12월 19일까지 매주 수요일 오전 9시 판교 기업지원허브 6층에서 진행되며, 기술혁신센터 멤버십기업에게는 회차별 선착순 무료 강의 수강을 지원한다.   ○ 최철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4차산업 관련 분야의 기업을 경영하는 CEO 등의 생생한 경험담을 통해 기술동향 파악은 물론 해외진출과 비즈니스 아이디어 등을 얻을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교육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 홈페이지(bridge.smtech.go.kr) 또는 한국표준협회 교육홈페이지(www.oks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7148","atchfileNm":"(2016.10_.25)_중소기업과_기정원_담당자_애로사항_간담회__.jpg","viewCnt":"2952","regDate":"2018-10-19 10:30:48"},{"contentId":"70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TIPA, 2018년도 신입직원 15명 임용장 수여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025","contentsKor":"TIPA, 2018년도 신입직원 15명 임용장 수여식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9월 21일 2018년도 1차 채용을 통한 신입직원 15명의 임용장 수여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번에 임용된 신입직원은 R&D정책연구분야 3명, R&D평가관리 분야 5명, 중소기업스마트화지원분야 2명, 경영일반 및 지원 분야 4명, 정보시스템지원분야 1명이다.   □ 기정원의 이번 채용은 차별 없는 채용문화 정착을 위해 성별, 출신학교 등의 차별적 요소를 전면 베재한 ‘블라인드 채용’으로 진행되었으며,   ○ 각 채용분야별 직무능력증심(NCS) 기반의 서류전형, 필기전형, 면접전형 등 총 3단계로 진행되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높은 경쟁률을 뚫고 합격한 신입직원 모두를 격려하며, 기관의 새로운 활력이 되어주길 기대한다”고 하며 “준정부기관 직원으로서의 청렴하고 공정한 근무자세와 중소기벤처기업부 산하 R&D전문기관으로서 업무 전문성 함양에 노력할 것”을 당부했다.   ○ 한편, 기정원은 지난 1차 채용에 이어 2차 채용(‘18.8.29 공고)을 통해 10명의 신입직원(R&D평가관리 9명, 중소기업스마트화지원 1명)을 추가로 선발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646","atchfileNm":"[보도자료]_TIPA,_2018년도_신입직원_15명_임용장_수여식_개최.hwp","viewCnt":"3383","regDate":"2018-09-21 15:05:15"},{"contentId":"70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 청년일자리 문제 해결 위해 적극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7024","contentsKor":"기정원, 지역 청년일자리 문제 해결 위해 적극 나선다  -기정원-대전지역 3개 대학교 청년일자리 연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맺어-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9월 19일 대전 본원에서 대전 지역 3개 대학교(배재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밭대학교)와 업무협약식을 갖고, 대전·충청지역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동 협업하기로 뜻을 모았다.   ◦ 이날 협약식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획조정본부 조기영 본부장과 배재대학교 대학일자리본부 이채현 본부장을 비롯한 3개 대학의 대학 일자리본부장이 참석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올해 6월 기준 대전지역 청년고용률*이 37.0%로 전국 평균인 42.5%보다 5%p 가량 낮은 수치를 보임에 따라, 대전에 위치한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추진됐다.   * 청년고용률 측정 기준: 15∼29세의 청년 취업자,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주요 협력분야는 △청년 취업지원 프로그램 공동운영 △채용여력이 있는 우수 중소기업 정보 공유 △기타 협업방안 발굴 등이다.   ◦ 기정원은 연간 약 6,000여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들 중소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인력 정보를 지역 대학교의 청년구직자들에게 소개하고 취업연계를 추진하여 중소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기정원과 3개 대학은 우선 「청년인재와 함께하는 중소기업 현장탐방」프로그램을 공동 운영 및 확대해나가기로 합의했다.   ◦ 「청년인재와 함께하는 중소기업 현장탐방」은 청년구직자와 함께 기정원이 지원하고 있는 기술개발 우수 중소기업을 찾아가서 기술개발 현장 견학 및 채용면담을 연계하는 프로그램으로,   ◦ 참여한 청년구직자의 70% 이상이 “중소기업 채용에 지원하겠다”고 응답하였으며, 90% 이상이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고 응답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내고 있다.   □ 이날 협약식에 참가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조기영 기획조정본부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지역사회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 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적 문제들을 지역사회와 함께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발굴해나가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64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_청년일자리_문제_해결_위해_적극_나선다(즉시_배포_요청).hwp","viewCnt":"3312","regDate":"2018-09-21 15:04:28"},{"contentId":"7166","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에너지 백년대계, 중소기업의 역할을 묻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7166","contentsKor":" ","viewCnt":"436","regDate":"2018-09-17 17:13:43"},{"contentId":"69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부산시·공공연구기관과 함께 부산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선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965","contentsKor":"기정원·부산시·공공연구기관과 함 께부산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선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6개 공공연구기관이 부산지역 우수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선도를 통한 성장과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함께 나섰다.   ○ 기정원은 지난 9월 14일(금) 부산롯데호텔에서 부산시와 공동으로 ‘중소기업-공공연구기관 부산지역 기술교류회’를 개최했다.   ○ 이번 기술교류회는 부산소재 우수 중소기업의 신기술·신제품 개발 혁신역량 강화와 기술협력 교류 지원을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광기술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6개 공공연구기관이 참여하여,   ○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중소기업에 이전하여 신제품 개발 등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이전 분야에 대한 발표와 개별 상담을 진행하였으며,   ○ 아울러, 이들 기관과 참여 중소기업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기술혁신협력 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네크워킹 행사도 병행해서 추진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부산지역 기술교류회 행사를 통하여 지역 우수 중소기업과 우수한 기술, 인력, 장비 등을 보유한 공공연구기관과의 기술혁신 협력 활동이 보다 활발해지길 바란다”며,   ○ “기업성장의 디딤돌이 되어,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산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창출에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 또한, 향후에도 동 기술교류 행사가 지역 중소기업 기술혁신 활동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만큼, 비수도권 지역 위주로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58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부산시·공공연구기관과_함께_부산지역_중소기업의_기술혁신_선도.hwp","viewCnt":"3415","regDate":"2018-09-14 09:14:37"},{"contentId":"69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스마트산단 조성에 적극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96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스마트산단 조성에 적극 나선다 - 반월·시화 스마트산업 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체결 -   □ 첨단 제조업 중심의 스마트산단 조성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한국산업단지공단(이사장 황규연, 이하 산단공), 민관합동 스마트공장추진단(단장 배경한, 이하 추진단), 반월‧시화 스마트허브 경영자협회(회장 배오수, 이하 경영자협회), 포스코 ICT 컨소시엄(포스코 ICT, KT, 한국전력공사, 장우기계, 이하 컨소시엄)과 함께 9월 12일(수) 반월‧시화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생산‧경영‧에너지 효율화를 지원하는 '민간 선투자방식의 스마트산업단지 상생협력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번 협약은 민간 대기업의 생산효율화 기술을 중소·중견기업에 적용하여 자생적 스마트공장 확산모델을 처음으로 구현함으로써 산단 스마트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지난 6월 산단공에서는 반월·시화산단 대상 스마트 생산‧경영‧에너지 효율화를 추진하는 시범사업 사업자로 국내 분야별 최고 전문기업인 포스코 ICT, KT, 한국전력, 장우기계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선정하여 2천만원 상당의 무료 컨설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22년까지 총 600억 규모의 민간투자를 통해 반월‧시화산단 입주기업의 스마트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 기정원은 ‘민관 상생협력형 지원모델’을 만들어 시너지 효과를 제고할 예정이다.   ◦ 이번 지원모델은 산단 내 중소·중견기업에 민간 대기업이 선투자하고, 투자기업에게 정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연계하는 새로운 모델로 지원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운영모델이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 기정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중소기업 최대 집적지인 반월‧시화단지에 민간 대기업의 혁신기술과 자금, 정부의 지원, 공단의 플랫폼이 결합하여 산업단지 중소기업 스마트화를 활성화하면 현재 침체되고 있는 우리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역량 제고와 스마트산업단지로의 전환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585","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스마트산단_조성에_적극_나선다.hwp","viewCnt":"3397","regDate":"2018-09-12 18:32:52"},{"contentId":"69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지역 스마트팩토리 활성화 견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96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지역 스마트팩토리 활성화 견인 -『2018 경남창원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엑스포』개최 -   지역중심의 스마트팩토리 보급·확산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FA저널, 경남테크노파크 등 유관기관과 함께 “2018 경남 창원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엑스포”를 공동 주관한다.   □ 이번 행사는 스마트팩토리 산업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행사로 9월 5일(수) ~ 9월 7일(금) 3일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며, 창원·구미·포항·울산 등 경남지역에 소재한 제조기업 3,000여명의 참관객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 세부적인 행사내용을 살펴보면, 정밀기기‧자동차부품‧석유화학 등 다양한 업종의 스마트팩토리 최신 트렌드와 구축 사례가 소개되는 컨퍼런스가 열리고,   ◦ 참가기업의 전시부스와 바이어상담회 등을 통해 스마트팩토리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 질 것으로 보인다.   □ 또한, 기정원은 중소기업이 스마트팩토리 관련 정부 지원사업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홍보관”을 3일간 운영한다.   ◦ 이번 홍보관을 통해 올해 중소기업들이 지원받을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 관련 다양한 지원사업에 대해 안내하고,   ◦ 스마트팩토리 ’전문가 상담존‘을 운영하여 중소기업들이 현장에서 고민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관련 애로사항 해결을 지원한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과거부터 제조기업 성장의 중심이었던 경남지역에서 이번 행사를 개최하게 된 것은 큰 의미가 있으며, 이번 행사를 계기로 많은 중소기업들이 상호교류와 다양한 정보수집을 통해 4차 산업혁명 대응역량이 강화되길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지원정책 방향에 맞추어, 지역중심의 스마트팩토리 보급·확산과 중소기업 현장여건을 반영한 스마트공장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583","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_스마트팩토리_활성화_견인.hwp","viewCnt":"3064","regDate":"2018-09-07 18:30:10"},{"contentId":"69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 內 기술전문서비스파크 입주기업 모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963","contentsKor":"기정원,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 內 기술전문서비스파크 입주기업 모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18년 8월 20일(월)부터 9월 14일(금)까지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 내 기술전문서비스파크에 입주할 기술전문기업(K-ESP)을 모집한다.   ○ 기술전문기업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정한 설계·해석, 시험·분석 등 기술분야별 전문역량을 보유한 기업으로, 중소기업에게 R&D 단계별 전문 기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일컫는다.   ○ 기술전문서비스파크는 현재 11개 기술전문기업 및 예비기술전문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기업지원허브 내 중소(창업)기업 뿐만 아니라 인근 테크노밸리의 다양한 산업, 기술 간 협력을 통해, 기업의 개방형 혁신을 촉진하는 R&D 허브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 이번 모집 대상은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기술전문기업으로 지정된 기업(166개사)과 일정 기준을 충족하고 향후 기술전문기업 신청 예정인 예비기술전문기업으로, 총 9개 기업을 모집한다.   ○ 예비기술전문기업은 총 매출 중 기술전문서비스로 발생한 매출액이 1억원 이상 또는 비중이 50% 이상(직전연도 또는 3개 사업연도 평균)이어야 하고, 이공계 전문인력을 2인 이상 보유해야 한다. ○ 신청기업에 대해서는 10월 중 기술 전문성, 창업(중소)기업 지원역량 및 성장 가능성 등을 심사해 선정하며, 최종 선정된 기업은 11월 경 입주하게 된다.   □ 기술전문서비스파크에 입주하면 입주기업과 창업(중소)기업 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기술커뮤니티, 네트워킹 등 다양한 교류협력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 기업지원허브 창업존 내 조성된 3D 제작보육실, 시제품 제작터, 통번역센터, 미팅룸 등 기업 지원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   □ 신청방법 및 향후 일정 등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584","atchfileNm":"[보도자료]_판교_제2테크노밸리_기업지원허브_내_기술전문서비스파크_입주기업_모집.hwp","viewCnt":"3416","regDate":"2018-08-21 18:31:33"},{"contentId":"6956","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홈, 인공지능 플랫폼 타고 훨훨 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956","contentsKor":"  ","viewCnt":"579","regDate":"2018-08-21 14:25:35"},{"contentId":"679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SNS채널 확대 오픈!“다양한 중소기업 R&D 정보를 실시간으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792","contentsKor":"기정원, SNS채널 확대 오픈! “다양한 중소기업 R&D 정보를 실시간으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R&D에 관심 있는 국민 누구에게나 중소기업 R&D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채널을 확대 오픈한다.   ○ 기정원은 기존에 서비스하던 ‘TIPA 웹진’에 더해 고객과의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고 국민들의 활용도가 높은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등 4개의 SNS채널을 추가 오픈하여 국민과의 접점을 늘렸다.   □ 신규 오픈한 SNS채널에서는 지원설명회 등 행사스케치 영상, 카드뉴스, 인포그래픽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춘 R&D 정보를 제공한다.   ○ 또한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려주기 위해 실제 R&D 지원사업에 참여한 우수기업 인터뷰 및 탐방 영상도 제공하고,   ○ R&D 퀴즈, 좋아요 이벤트 등을 통해 고객과의 소통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 ‘TIPA웹진’은 개편을 통해 사용자 관점으로 웹진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모바일 환경에서도 불편함 없이 웹진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TIPA웹진은 매주 중소기업 R&D지원사업 지원일정 및 방법 등을 안내하고, 다양한 기술분야의 정보들도 제공하고 있어서 중소기업의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으며 기술개발에 관심 있는 중소기업인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 TIPA 웹진은 전용 홈페이지(http://webzine.tipa.or.kr)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를 통해서도 손쉽게 구독신청이 가능하며,   ○ SNS 채널에서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또는 ‘기정원’으로 검색하면 만나볼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447","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SNS채널_확대_오픈,_“중소기업_RD_정보를_실시간으로”.hwp","viewCnt":"3149","regDate":"2018-08-01 14:28:55"},{"contentId":"679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혁신의 방향타, 국민과 함께 쥐고 나간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791","contentsKor":"기정원 혁신의 방향타, 국민과 함께 쥐고 나간다. - 국민과 함께하는 혁신을 위한 시민참여혁신단 출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R&D 지원을 비롯한 고유업무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시민참여혁신단’을 공식 출범했다.   ○ 기정원은 7월 27일 대전 본원에서 ‘시민참여혁신단’ 위촉식을 갖고 시민참여혁신단 단장으로 목원대학교 신열 교수를 임명하고, 중소기업인, 시민단체 대표, R&D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시민 7명을 시민참여혁신단 위원으로 임명했다.   □ ‘시민참여혁신단’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기정원의 고유업무에 대한 혁신의 방향을 정하고, 이를 국민과 함께 추진해 나가고자 구성하였다.   ○ 시민참여혁신단은 앞으로 ‘R&D지원을 통한 중소기업 혁신성장 뒷받침’, ‘대·중소기업간 공정경제 기반 구축’ 등 기정원 7대 혁신과제를 중심으로 고유업무의 공공성을 보다 강화해 나가는 혁신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 ‘시민참여혁신단’은 위촉식 직후 가진 첫 공식회의에서 기정원의 올바른 혁신 추진방향 설정을 위한 토론을 진행했다.   ○ 토론을 통해서 기정원은 앞으로 국민과의 소통과 참여를 통해 자율적이고 지속가능한 혁신을 추진해야한다는 것에 의견을 같이 했다.   ○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에 시작될 온라인 정책제안 플랫폼 ‘중소기업 R&D 1번가’를 통해 중소기업 R&D에 대한 국민 아이디어를 적극 수렴하고,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서 실제 정책 개선으로 이어 나가기로 했다.   ○ 또한 자체적인 혁신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혁신동아리를 운영하여 혁신성과를 낸 직원에게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자율적인 혁신 문화 확산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시민참여혁신단과 함께 국민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자율적인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R&D 지원의 고유기능과 공공성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44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혁신의_방향타_국민과_함께_쥐고_나간다.hwp","viewCnt":"2941","regDate":"2018-07-31 14:24:05"},{"contentId":"67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기술개발지원 중소기업과 함께 희망의 공부방 만들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790","contentsKor":"기정원, 기술개발지원 중소기업과 함께 희망의 공부방 만들어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7월 25일, 대전시 동구에 위치한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에서 지역 소외아동들을 위한 학습공간인 ‘희망의 공부방’ 개소식을 가졌다.   ○ ‘희망의 공부방’은 지역 소외아동들의 열악한 교육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공간을 조성해주는 활동으로, 기정원 임직원들의 매월 급여 중 일정금액을 모금하여 진행됐다.   ○ 성심원은 가정이 해체되어 보호가 필요한 약 40여명의 아동들을 양육하고 있으며, 그간 도심지와 떨어진 위치 탓에 방과 후 아동들의 교육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 ‘희망의 공부방’은 기정원이 기술 개발을 지원했던 중소기업들이 생산한 제품들로 꾸몄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로보로보의 아동용 창의력 학습도구인 ‘로봇 키트’와 ㈜모두시스의 국산 노트북 ‘트윙글’, ㈜대영전자의 공기청정기 ‘빈트(VVINT)’가 대표적이다.   ○ 이날 아이들은 로봇키트를 직접 조립해보고 노트북도 만져보면서 기정원과 중소기업이 함께 만들어 준 선물에 즐거워했다.   □ 또한 기정원 직원들은 직접 아이들이 맨발로 다닐 수 있는 바닥재를 설치하고, 책상·도서·학용품 등도 함께 지원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학습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 이날 개소식에 참여한 기정원의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기정원이 기술개발을 지원한 중소기업이 다시 아이들에게 꿈을 심어주는 선순환을 만들었다.”면서, “희망의 공부방에서 아이들이 소중한 꿈을 키워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이번 희망의 공부방 만들기를 비롯해 청년구직자와 중소기업간 채용연계, 지역 관광명소 환경정화활동 등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을 계속해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445","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기술개발지원_중소기업과_함께_희망의_공부방_만들어.hwp","viewCnt":"2974","regDate":"2018-07-27 14:22:11"},{"contentId":"695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로봇은 4차 산업혁명의 실현 주체입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955","contentsKor":"  ","viewCnt":"477","regDate":"2018-07-20 13:55:49"},{"contentId":"65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경제 돕기 위해 대전지역 관광명소 환경정화활동 나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96","contentsKor":"기정원, 지역경제 돕기 위해 대전지역 관광명소 환경정화활동 나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18일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대표적 관광명소인 장태산 자연휴양림을 찾아 환경정화활동을 실시했다.   ○ 대전시 서구 장안로에 위치한 장태산 자연휴양림은 국내 유일의 메타세콰이아 숲이 울창하게 형성되어 이국적인 경관과 더불어 가족단위의 이용객이 산림욕을 즐길 수 있어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 기정원과 대전광역시 공원관리사업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이번 활동은 본격적인 여름휴가철을 맞아 휴양림을 찾는 방문객들이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휴양을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취지로 진행됐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 및 임직원 20명은 30도가 넘는 폭염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정문 안내소에서부터 메타세콰이아 산림욕장까지 1km가 넘는 산책로를 청소하고 안내팻말을 정비하는 등 구슬땀을 흘렸다.   ○ 이날 환경정화활동에 참여한 기정원 직원은 “날씨가 많이 무더워 힘들었지만 깨끗해진 휴양림을 보니 몸과 마음도 깨끗해지는 것 같다”면서, “앞으로 여름휴가 기간에 국민들이 장태산 자연휴양림을 비롯한 대전지역 관광명소를 많이 찾아 지역 경제에도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223","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지역경제_돕기_위해_대전지역_관광명소_환경정화활동_나서.hwp","viewCnt":"3485","regDate":"2018-07-19 09:48:59"},{"contentId":"65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끝장토론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88","contentsKor":"기정원,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끝장토론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지원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방안을 마련하고자 임직원 끝장토론(해커톤)을 개최하였다.   ○ 7월 12일 대전 유성구 삼성화재연수원에서 개최된 이번 토론회에는 최철안 원장을 비롯한 본부장, 실장 등 핵심인력 40명이 참석하였다.   ○ 참석자들은 기정원의 고유업무인 중소기업 R&D 지원 업무 수행을 통해 창출해 낼 수 있는 사회적 가치를 발굴하고 중소기업과 시민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나가는 토론을 진행하였다.   □ 밤 10시가 넘도록 늦게까지 이어진 토론을 통해 R&D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제적 불균형 해소, R&D 지원 과정의 투명성․공정성 강화 방안 등 7대 혁신 과제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안을 도출하였다.   ○ 중소기업의 경제적 불균형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중소기업 개발 기술 보호를 위한 유관기관과의 협력, 재창업기업 등 취약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였으며,   ○ 투명하고 공정한 R&D 지원을 위해서는 특정 중소기업에 대한 편중 방지를 위한 관리 강화, 평가위원 질적 수준 제고, 연구비 정산 인력의 역량 강화 방안 마련 등의 토론을 지속해 나갔다.   ○ 이외에도 기정원과 협력기업간의 상생을 위한 선금 지급률 확대, 표준계약서 활용 등을 내용으로 하는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계약제도 개선 방안‘ 등도 논의하였다.   □ 이 날 토론은 중소기업과 시민들이 제안한 아이디어 풀을 근간으로 진행되었으며, 토론의 주제인 혁신방향에 대한 전문가 진단 결과도 함께 발표하였다.   ○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소속의 공공기관 혁신 전문가를 초빙하여 실시한 진단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연결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권고 받고, 향후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협력 방안’에 대하여 추가적인 토론을 진행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앞으로 기정원은 중소기업에 대한 R&D, 정보화 지원이라는 본연의 임무를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을 강화해 나갈 것이며, 이 과정에 중소기업, 시민, 전문가 참여를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 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214","atchfileNm":"[붙임]_기정원,_사회적_가치_창출을_위한_끝장토론_개최.hwp","viewCnt":"3160","regDate":"2018-07-18 14:51:09"},{"contentId":"65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능력중심의 경력 및 신입사원 블라인드 채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65","contentsKor":"기정원, “능력중심의 경력 및 신입사원 블라인드 채용” - R&D정책연구 등 총 6개 직무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중소기업 R&D평가관리와 스마트화를 이끌어 갈 경력 및 신입사원을 채용한다.   ○ 2002년 개원 이래,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R&D 및 정보화사업 전문기관(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서 역할해온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스마트화를 촉진하고 나아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모집한다.   ○ 금회 채용은 2018년 7월 11일(수) ~ 26(목), 18시까지 접수를 진행하고 서류, 필기, 면접 전형을 거쳐 9월 이내에 채용절차를 마무리 한다.   ○ 총 6개 직무(R&D정책연구(3), R&D평가관리(7), 중소기업스마트화지원(3), 경영일반(3), 경영지원(1), 정보시스템관리(1))에 걸쳐 학력과 스펙에서 벗어나 기정원에 가장 필요한 최적의 인재 18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 ( )안의 숫자는 직무별 채용예정 인원   ○ 응시자격 및 직무설명서 등 상세한 내용은 기정원 홈페이지(www.tipa.or.kr)에서 확인 가능하다.   □ 기정원은 금년 채용을 앞두고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이라는 정부 정책기조에 발 맞춰 블라인드 채용방식을 본격 도입하였다. 동시에 기존에 시행해 온 NCS 제도를 고도화 하는 등 채용제도를 재정비 하였다.   ○ 재정비 된 채용절차, 일정, 직무 등에 대해 응시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오는 7월 17일, 19일 양일간 설명회를 개최한다.   ○ 설명회는 7월 17일 서울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진행 후 지방 거주 취업준비생의 편의를 고려하여 7월 19일 대전 통계교육원에서도 진행한다. 현재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참석자 신청을 받고 있다.   ○ 설명회 관련 자세한 세부사항은 신청자에 한해 개별 안내(SMS) 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93","atchfileNm":"[붙임]_기정원,_“능력중심의_경력_및_신입사원_블라인드_채용”.hwp","viewCnt":"3918","regDate":"2018-07-17 14:55:15"},{"contentId":"65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뿌리기술 고도화를 위한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 신청․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62","contentsKor":"기정원, 뿌리기술 고도화를 위한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 신청․접수 - 2018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 뿌리기업공정 사업설명회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2018년도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중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업설명회를 7월 12일(목) ~ 13일(금) 양일간 진행하고, 오는 7월 23일(월)까지 사업 신청․접수를 받는다.  ○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사업은 뿌리기술의 적용범위 확대를 위한 제품 적용기술 및 뿌리기술 고도화를 위한 공정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 본 사업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중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제15조에 의거, 지정된 뿌리기술 전문기업 또는 뿌리기업 확인서 발급기업*을 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에 1년 이내, 최대 1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뿌리기술 전문기업 또는 뿌리기업 확인서 발급여부는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에서 확인 가능하며,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정보마당-사업공고)에서 사업 신청․접수가 가능하다   □ 7월 12일(목) ~ 13일(금) 양일간 진행되는 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 사업설명회는 뿌리산업 입지 및 수요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 수도권 및 비수도권역별로 1회씩 진행되고, 수도권은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7.12, 경기도 수원), 비수도권은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7.13, 부산 강서구)에서 각각 개최된다.  ○ 설명회에서는 신청접수 및 지원내용, 선정절차 등에 대해 안내할 예정이며, R&D 사업계획서 작성법 교육과 개별 상담도 진행된다. □ 기정원 담당자는 “뿌리산업은 공정혁신 부가가치를 비롯하여,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만큼 많은 기업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91","atchfileNm":"[붙임]_기정원,_뿌리기술_고도화를_위한_뿌리기업공정기술개발_신청접수.hwp","viewCnt":"3198","regDate":"2018-07-10 10:30:36"},{"contentId":"65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정책의 나침반, 정책자문위원회의 시작을 알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59","contentsKor":"중소기업 R&D정책의 나침반, 정책자문위원회의 시작을 알리다   □ 중소기업 R&D지원 정책 수립 시, 각계 각층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에서 「정책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 정책자문위원회는 중소기업 R&D지원의 성과를 제고하고자 현장 중심의 사업 개선, 사업화 지원 방향, 평가전문성 강화 등에 대한 정책 수립과 추진방향을 자문한다.   ◦ 위원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을 포함하여 총 13명이며,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 가치를 중점으로 위원회를 운영하고자 시민단체 대표를 포함한 각계 전문가로 구성했다.   * 당연직(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1명, 민간위원(산업계 4명, 학계 4명, 연구계 2명, 시민단체 2명) 12명 * 학계, 연구계, 산업계, 시민단체 구분(가나다순)   ◦ 자문단 회의는 분기별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시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며, 위원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이 가능하다.   □ 회의에서는 위촉식과 함께 안건 토의가 함께 이루어졌다.   ◦ 위촉식 직후 진행된 1차 회의에서는 기정원의 주요 추진 업무계획을 보고하고, 중소기업과의 소통 활성화 방안, 중기R&D 투자방향, 사업성 평가 강화 방안, 사업화 성과 제고 방안 등 R&D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자유토론이 진행되었다.   ◦ 최철안 기정원장은“각계각층의 전문가분들과 토론을 하며 소통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다”면서, “중소기업의 목소리에도 더 귀기울일 수 있는 다양한 소통창구를 만들어가겠다”고 했으며,   - “정부의 중소기업 R&D지원 목적을 되짚어보며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중소기업 R&D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개선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88","atchfileNm":"[붙임]_중소기업_RD정책의_나침반,_정책자문위원회의_시작을_알리다.hwp","viewCnt":"2691","regDate":"2018-07-06 10:10:35"},{"contentId":"65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일자리를 위해 지역 청년인재와 강소기업간의 만남의 자리 만들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57","contentsKor":"기정원, 일자리를 위해 지역 청년인재와 강소기업간의 만남의 자리 만들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이 대전․충남지역의 청년 구직자와 우수 중소기업과의 매칭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선다.   ○ 기정원은 지난 28일 청년 구직자 및 대학생 10여명과 함께 ‘청년인재와 함께하는 중소기업 현장탐방’을 실시했다고 29일 밝혔다.   ○ 이날 탐방 업체는 ㈜코렌텍으로 인공고관절 제조시장 점유율 1위의 대표적인 강소기업이다. 또한 기정원의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에도 다수 참여할만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 이번 매칭 행사는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코렌텍 본사에서 이뤄졌으며, 행사에 참여한 청년들은 기업의 실제 생산현장을 체험하고 인사담당자와의 채용면담을 가졌다.   ○ 기술 기반의 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현장방문을 통해 청년구직자에게 양질의 일자리와의 매칭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중소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기정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중소기업 현장탐방을 비롯해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활동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86","atchfileNm":"[붙임]_기정원,_일자리를_위해_지역_청년인재와_강소기업간의_만남의_자리_만든다.hwp","viewCnt":"2573","regDate":"2018-06-29 10:07:45"},{"contentId":"65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EV용 배터리·ESS·연료전지 분야 글로벌 종합 에너지 기업, 신흥에스이씨㈜ ’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56","contentsKor":"EV용 배터리·ESS·연료전지 분야 글로벌 종합 에너지 기업, 신흥에스이씨㈜ ’ “xEV용 원통형 리튬이온배터리 일체형 CID 개발” 신흥에스이씨㈜, EV용 원통형 리튬이온배터리(LIB) 일체형 CID 국산화 일본 기업들이 선점한 EV용 원통형 LIB의 글로벌 수출 발판 마련   □ 세계 전기차 시장은 오는 2025년이면 전체 자동차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R&D)로 전기차용 리튬이온배터리(LIB)의 안전을 책임지는 핵심 부품을 국산화해 수출 및 수입대체를 꾀하고 나선 우리 중소기업이 있어 주목된다.   □ 경기도 오산시 소재 신흥에스이씨㈜(공동대표 황만용·김기린)는 최근 전기차(EV) 등 미래 친환경차(xEV)에 빠른 적용 확대가 예상되는 ‘EV용 원통형 리튬이온배터리(LIB) 일체형 CID’의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고 이르면 올해 안에 상용 공급에 나설 계획이다.   ◦ 전기차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xEV용 이차전지 가운데 70% 수준인 것으로 추산되는 LIB는 비수계 전해질을 사용하므로 수분과 접촉을 거의 완벽하게 막을 수 있는 콘테이너(Container)와 캡 어셈블리(Cap Ass'y) 등의 셀 패키지, 터미널(terminal) 부품이 필요하다.   ◦ LIB는 과충전 및 과전류가 유입되면 셀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누액, 폭발 발화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부품 내에 다수의 보호장치 장착이 필요하다.   ◦ ‘CID(current interupt device)’는 리튬이온전지 셀에 장착되는 대표적인 보호장치로, 과충전시 압력을 감지해 셀내부 압력을 제거하는 세이프티 벤트(Safety Vent)와 함께 전류흐름의 차단과 셀내부 압력 감소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부품이다.   □ 신흥에스이씨㈜는 해당 기술개발을 위해 지난 2015년부터 2년여에 걸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R&D 지원사업(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된 「차세대 xEV용 원통형 LIB 18650/21700 일체형 CID 개발」과제를 수행했다. ◦ 앞서 신흥에스이씨(주)는 「원통형 2600mAh LIB 보호소자 Top Cap 일체형 폴리머 PTC 캡어셈블리 소자 개발」(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2011), 「ESS용 이차전지 캡커버 어셈블리 고효율 자동화 제조기술 개발」(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 2012), 「미래 혁신형 xEV용 차세대 캡어셈블리 기술개발」(WC300 R&D, 2014) 등의 정부 R&D 과제를 수행하며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국내 대표 중소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 xEV에 채용되는 LIB는 패키지에 따라 크게 △파우치를 적용한 리튬이온폴리머배터리(LIPB) △원통형 18650·21700 셀 △캔을 적용한 각형 대용량 LIB 등 3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 일본 닛산, 미국 GM, 국내 현대·기아 등의 자동차 메이커들은 파우치 방식의 전지를 채용중이며 유럽의 폭스바겐·BMW, 일본 토요타, 미국 포드 등은 각형 LIB 적용을 선호하고 있다.   ◦ 하지만 최근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원통형 18650 방식을 채용하면서 향후 원통형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실제로 북미 EV시장에서는 원형 방식이 가장 많다. 전기차 1대에 필요한 원통형 18650 셀은 7,000~8,000개 정도로 수요가 매우 크다. 원통형 21700은 이보다 용량이 더 크다.   ◦ 전체 xEV(BEV·PHEV·HEV 등)에 적용되는 LIB 시장에서 원통형 18650 방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5%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그동안 테슬라에는 일본 기업이 LIB와 부품을 전량 독점 공급해 왔다.   □ 신흥에스이씨㈜는 향후 5년 뒤 전체 xEV용 LIB 캡 어셈블리(CID 포함) 부품 시장이 3조 원 이상 규모로 급성장이 예상되는만큼 이번 원통형 CID 개발을 계기로 글로벌 고성능 전지 분야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간다는 계획이다.   ◦ 향후 글로벌 시장 공급이 본격화하면 2023년께 연간 3,000억 원 이상의 수출증대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32조 원 이상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LIB 전방산업에서 국내 전지 업계의 원가 및 시장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 지난 2009년 설립된 신흥에스이씨㈜는 지난해 매출액 1000억 원 선을 돌파한데 이어 올해 약 1700억 원을 내다 보는 등 가파른 성장세에 있다. 620여 명의 임직원이 연구개발(R&D) 부문과 생산라인을 갖춘 오산 본사와 양산 공장으로 나뉘어 제품 개발 및 생산에 나서고 있다.   ◦ 창업 초기 브라운관 TV 부품으로 성장해온 이 회사는 2차 전지 분야 부품을 중심으로 한‘에너지’분야를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 소형 리튬이온배터리 및 리튬이온폴리머전지를 축으로 성장해 왔으며 전기 자동차용 대형 리튬배터리를 중심으로 신규 제품 개발 및 시장공급에 매진중이다. EV용 배터리와 함께 신재생에너지(ESS)와 연료전지 분야에도 진출, 글로벌 종합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을 꿈꾸고 있다.   황만용 대표는 “미래가 불투명한 전기자동차 시장에 아무도 투자를 하지 않으려고 하던 8년 전 신흥에스이씨는 과감한 투자와 민관 R&D 협력을 통해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해 왔다”며 “향후 새로운 연구와 혁신을 지속해 산학연 저변 기술 및 관련 인력 확대, 시장 점유율 확대를 실현하는 한편 고용창출,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85","atchfileNm":"[붙임]_EV용_배터리·ESS·연료전지_분야_글로벌_종합_에너지_기업,_신흥에스이씨(주).hwp","viewCnt":"4316","regDate":"2018-06-29 10:06:23"},{"contentId":"65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위해 기정원-출연연 발벗고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60","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위해 기정원-출연연 발벗고 나선다.   □ 기술개발의 한계점에 봉착한 중소기업을 위해 기정원과 국가 출연연구원들이 발벗고 나섰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기술의 애로사항을 해결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출연연과 협력해 TIPA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한다.   ○ 이 행사는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상담, 출연연과의 협업, 기술이전을 위해 참가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중점 연구분야, 보유기술 등을 소개하고 중소기업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목적으로 개최한다.   □ 특히 이번 행사에 참여하는 출연연은 각 기관에서 중점기술을 개발한 연구원들이 직접 참석하여 발표와 상담을 통해 기업의 이해를 돕고   ○ 사업화 지원과 기술이전 담당자들이 참석해 기술전문가 매칭 및 사후 미팅 등 실질적인 교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준비했다.   ○ 기정원은 올해 다양한 출연연과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며, 이 행사를 통해 평소 교류하기 힘들었던 출연연과 중소기업의 기술교류를 통해 기술신장과 애로기술 해결의 좋은 모델이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 본 행사는 6월 26일(화) 서울 반포에 위치한 반포원 하모니홀에서 13시부터 개최되며 참가를 원하는 기업은 별도의 참가신청이나 비용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89","atchfileNm":"[붙임]_중소기업_기술애로_해결을_위해_기정원-출연연_발벗고_나선다.hwp","viewCnt":"2807","regDate":"2018-06-25 10:13:19"},{"contentId":"65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초고층 외벽 청소용 로봇 시스템 개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61","contentsKor":"‘ 캔버스의 제약을 뛰어 넘은 로봇 페인팅 기술 기업, ㈜로보프린트 ’ “초고층 외벽 청소용 로봇 시스템 개발” ㈜로보프린트, 정부 연구개발(R&D) 지원사업 통한 고층건물 외벽 청소용 로봇 시스템 개발 완료 로봇 페인팅 시스템 토대로 완성...건물 외 전기전자·조선 등 적용분야 확대와 해외진출 추진   □ 로봇 및 프린팅 기술, 그리고 IT를 접목한 혁신적 시스템과 디자인, 스토리로 우리 주변 건물 외벽과 길거리의 문화적 재탄생을 이끌고 있는 국내 한 중소기업이 화제가 되고 있다.   □ 대구광역시 소재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로봇혁신센터에 자리잡은 ㈜로보프린트(대표 박정규)는 최근 초고층 빌딩, 아파트 등 대형 건축물의 외벽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청소할 수 있는 자동화 로봇 시스템을 개발했다.   ◦ 이번에 개발된 외벽 청소 로봇 시스템은 로봇과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신기술 및 서비스로 건축 분야를 중심으로 한 `로봇페인팅`이라는 신시장을 개척해 온 ㈜로보프린트의 연구개발(R&D)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미리 입력한 데이터 값과 4웨이(way) 노즐 (물)분사 체계를 토대로 극세사 브러시가 건물 유리외벽 등을 3축(X, Y, Z축)으로 오가며 청소 작업을 진행한다.   ◦ 그동안 초고층 빌딩의 유리창 청소는 생명선에 의지해 숙련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외에도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는 부담이 있었다.   □ ㈜로보프린트는 해당 시스템의 연구개발을 위해 지난 2016년부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R&D 지원사업으로 선정된 「3축 제어 위치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 청소용 로봇 시스템 개발」과제를 수행했다.   ◦ 2개년에 걸친 R&D를 거쳐 ㈜로보프린트는 최근 고층빌딩의 유리 외벽 등의 청소를 위한 제품개발을 완료했으며 이르면 내년부터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설 예정이다.   ◦ 앞서 이 회사는「원격으로 제어하는 벽화로봇 이동매커니즘의 통합 콘트롤 시스템 개발」(도약기술개발사업, 2016),「아트봇의 고층건물 외벽 대형실사 작업을 위한 수평구조물 및 안정화 장치 개발」(재창업전용기술개발사업, 2015),「고층 작업용 도장 로봇을 위한 MCU 기반 통합 콘트롤 전자제어기 개발」(첫걸음기술개발사업, 2014) 등 지원과제를 수행하며 외벽 청소용 로봇 시스템 개발의 근간을 마련했다.   □ ㈜로보프린트는 2010년 설립(법인전환) 당시부터 건축물 로봇 페인팅 시스템 및 서비스로 두각을 나타내며 건설 업계는 물론이고 로봇, IT 등 테크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 ‘아트봇(ARTBOT)’으로 불리는 이 시스템은 대형 건축물이나 아파트 외벽, 길거리 담벼락 등에 다양한 이미지를 프린트하듯 도색할 수 있는 자동화 로봇 시스템으로 무인 원격제어가 가능해 수작업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도 안전하고 정교하게 도색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한번에 최대 4.5×2.7미터(m) 너비의 구간 도색을 수행할 수 있고 다중분할 이미지 결합 시스템을 활용해 여러 구간을 결합하면서 아파트 외벽 등의 초대형 도색을 완성한다. 더욱이 X, Y 축은 물론 Z축 페인팅까지 가능해 곡면이나 요철면도 정교하게 도색할 수 있는게 특징이다.   ◦ 아파트 외벽 벽화 제작시 통상 10일이 소요된다면 아트봇 활용시 2~3일로 단축하고 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무엇보다 수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도료 날림 방지, 정교한 도색 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 로봇페인팅 서비스는 관급자재 등록, 건축도장 분야 최초 건설 신기술 등록으로 품질과 혁신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 회사는 각종 경관사업, 도시재생사업 등의 벽화 페인팅에 단순 시공을 넘어 디자인과 스토리까지 제공하는 등 토털 콘텐츠 및 디자인 기업으로 비전을 확대하고 있다.   ◦ 지난해 경북 경산 부적리 벽화마을에 시공된 골목벽화에는 마녀를 물리치고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간다는 스토리를 모티브로 삼은 범죄예방환경디자인(CPTED)을 구현, 관심을 모았다.   ◦ 아트봇은 또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개폐회식장, 슬라이딩센터, 조직위사무소 등 경기장 시설 곳곳에 정교한 벽화 작업을 진행해 관람객들의 발걸음을 붙들어 세웠다.   ◦ 이 밖에 이육사, 이상화 등 인물의 초상과 시구를 반영한 대구 수성구 소재 아파트 외벽, 경산 부적리 벽화마을, 청도군청 인근 환경개선 프로젝트, 대구 내서초등학교 옹벽 등 골목 벽화 시공을 통한 환경개선 사업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 최근 미국 현지법인(LEO D)을 세우며 해외시장 공략을 본격화한 ㈜로보프린트는 해외 아파트 페인팅과 건물외벽 광고 시장 수요 흡수를 꾀하고 있다.   ◦ 이미 지난 5월 캘리포니아 소재 자동차공장 외벽에 아트봇을 성공적으로 시연한 ㈜로보프린트는 이를 계기로 외벽·광고 페인팅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 싱가포르도 타깃 시장으로 주목하고 있다. 아파트 중심의 라이프스타일이 일반적인 싱가포르는 법적으로 7년 이내 아파트의 재도색이 규정돼 있기 때문이다. 로보프린트는 하반기에 현지 아파트에서 시험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 2004년 현수막 출력 1인 기업을 모태로 설립된 ㈜로보프린트는 지난해 19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데 이어 올해는 두배 이상인 40억 원을 기대하고 있다. 오는 2020년에는 200억 원 달성을 목표하고 있다.   박정규 대표는“어느날 건물 외벽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위태롭게 진행되는 도색작업을 보고 이를 자동화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 사업을 구상했다”며“경영에 어려움도 겪었지만 정부 지원과제 등을 통해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기술개발에 나선 것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인정받은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90","atchfileNm":"[붙임]_초고층_외벽_청소용_로봇_시스템_개발.hwp","viewCnt":"2993","regDate":"2018-06-22 10:28:03"},{"contentId":"65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기업의 데스밸리(Death Valley) 극복을 위해 패키지 방식의 R&D지원 프로그램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558","contentsKor":"기정원, 창업기업의 데스밸리(Death Valley) 극복을 위해 패키지 방식의 R&D지원 프로그램 실시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8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R&D+창업도약패키지과제’(1차)」의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6월 15일(금) 오후 1시 30분 대전 무역회관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혁신R&D+창업도약패키지과제」는 창업 후 3년 이상 7년 이하의 창업 도약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개발 비용과 사업화 자금을 창업진흥원과 함께 동시에 지원하는 패키지 방식의 사업이다.  ○ 이와 같은 패키지 방식의 과제를 통해 창업기업은 한 번의 신청․접수 및 통합 평가로 최대 2.5억 원의 기술개발자금 및 창업도약패키지사업을 지원받을 수 있다. □ 본 설명회에는 40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가 참석하였으며, 총 69억 원의 기술개발비를 지원받아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중점 투자분야’*를 중심으로 신제품․신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 AI/빅데이터, AR/VR, 바이오, 안전 등  ○ 기술개발비 지원과 더불어 중기부 창업도약패키지 사업을 통해 최대 5천만 원 이내를 지원받아 기술이전 교육‧멘토링 및 공정구축 등의 사업화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기술기반의 창업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 위와 같이, 중기부의 기술개발사업을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기정원은 특허청, 창업진흥원 등 국내 창업 지원기관과 협업하여 창업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효율적인 방식으로 지원하기 위한 패키지 과제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창업기업의 기술을 지키는‘혁신R&D+IP전략과제’   - 기술탈취 및 특허분쟁에 취약한 창업 후 7년 이하의 중소기업을 위해 R&D지원과 IP* 전략 컨설팅을 한국특허전략개발원과 함께 패키지 형태로 지원한다.    * R&D 초기부터 특허전담팀(특허전략전문가(PM) + 특허정보분석기관)이 특허정보를 분석하여 해외기업 핵심특허 대응, 공백기술에 대한 우수특허 확보 등 기업 맞춤형 특허전략을 지원   - 기술개발 단계에서부터 지적재산권 전문가(PM)와 특허정보분석기관이 팀을 구성하여 경쟁사 핵심특허 대응, 우수특허 창출,  R&D 방향 제시등의 전략수립 및 지원을 동시에 지원받을 수 있어 기술변화의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② 창업기업의 사업화까지 지원하는‘혁신R&D+창업도약패키지’   - 창업 후 3년 이상 7년 이하의 창업 도약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 비용 및 성과창출을 위한 사업화 자금을 창업진흥원과 함께 동시에 지원한다.   - 연구개발과 동시에 창업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사업모델(BM)개선, 사업아이템 검증 등을 위한 사업화자금을 지원하고, 핵심 분야의 사업성 검증 및 교육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여 기술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 패키지 과제는 연간 298억원의 예산으로 ‘혁신R&D+IP전략과제’에 40개 내외의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며, ‘혁신R&D+창업도약패키지과제’는 100개 내외의 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 사업공고 시기는 연 2회(2월, 5월)로 하고, 평가절차로 3단계(서면→대면→현장조사)를 2단계(대면→현장조사)로 단축하여 선정절차도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 ‘혁신R&D+IP전략과제’와 ‘혁신R&D+창업도약패키지과제’는 6.18.(목)부터 7.2.(월)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2차 신청‧접수를 한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www.mss.go.kr)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187","atchfileNm":"[붙임]_기정원,창업기업_데스밸리_극복을_위해_패키지방식의_RnD지원_프로그램_실시.hwp","viewCnt":"2847","regDate":"2018-06-18 10:08:49"},{"contentId":"695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혁신 기술 담은 화장품, 14억 중국시장을 매혹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954","contentsKor":" ","viewCnt":"433","regDate":"2018-06-15 13:42:35"},{"contentId":"63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개인화된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플랫폼, 잡플래닛 ’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397","contentsKor":"‘ 개인화된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플랫폼, 잡플래닛 ’ - “국가와 지역을 넘어 당신의 천직(天職)을 찾아 드립니다.” -     □ 창의적인 인재확보가 필요한 중소기업과 양질의 일자리를 찾는 전현직 직장인과 취업 준비생의 구인·구직 활동은 각 주체들에게‘영속적 기업의 생존과 성장’,‘풍요로운 삶의 영위’라는 목표를 향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 하지만 우수 인재확보를 위한 지원자 모집과 평가는 중소기업에 녹록치 않은 과제이며 구직자들에게도 관심기업에 대한 정보 부재가 취업의 걸림돌이 되는게 현실이다.   □ 지난 2012년 8월 설립된 ㈜브레인커머스(대표 황희승·윤신근)는 구인구직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정보의 비대칭을 해소하고 유망기업과 우수 인재가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업정보 및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플랫폼‘잡플래닛’으로 주목받고 있다.   ◦ 잡플래닛은 2014년 4월 기업내 전현직 임직원들이 작성하는 익명기반 기업평가, 연봉정보, 면접정보 등을 제공하는 기업정보 소셜미디어로 시작됐다.   ◦ 실제로 해당 기업을 다녀본 사람들이 남기는 구체적 정보와 소감은 취업과 이직을 희망하는 사람들의 갈증을 해소하며 인기를 모았다. 서비스 개시 한달여 만에 8,000개 이상의 기업정보와 약 2만 개의 리뷰가 올라 왔고 페이지뷰는 700만회에 달했다. □ 잡플래닛은 서비스 개시 6개월만에 또 한차례 진화를 모색했다. 기업정보 소셜 미디어를 넘어 최적의 커리어 매칭이 이뤄지는 기업 및 구직자간 가교로 영토 확장에 나섰다.   ◦ 확장된 서비스의 키워드는‘개인화’에 맞춰졌다. 기업 규모·업종·직종·연봉 등을 단순 범주화해 제공하는 필터링 수준을 넘어 각 개인과 기업에 가장 걸맞는 옷을 찾아 매칭하는 것이 구인구직 서비스의 핵심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 이 같은 전략을 충족하기 위해 보다 정교한 데이터 관리·분석 등 기능을 포함한 시스템 연구개발(R&D)이 필요해진 잡플래닛은 2014년 11월 중소기업벤처부의‘글로벌시장형 창업사업화기술개발사업(TIPS)’에 지원, 선정됐다. * 팁스(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글로벌시장형 창업사업화R&D사업 또는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프로그램을 일컫는다. 성공 벤처인, 기술 대기업 주도로 유망 창업팀을 선별하고 엔젤 투자에 연계하는 정부 R&D 지원사업이다.   ◦ 총 5억원의 R&D자금을 지원받아 2개년에 걸쳐 진행한「개인화된 구인구직 플랫폼‘잡플래닛’」과제로 오늘의 대표적인 기업정보 및 구인구직 서비스 플랫폼으로 안착한 잡플래닛의 근간이 완성됐다.   ◦ 잡플래닛은 과제수행으로 개발된‘자비스(Xarvis)’를 통해“모든 국가, 모든 지역에서 천직을 찾아 주다”라는 비전을 구체화했다. 기존의 기업정보와 리뷰에 구직·이직 희망자(회원)의 관심사, 경(이)력, 전공, 희망직종 관련 기업의 채용정보, 다른 기업 및 회원 그룹과의 유사도 등 축적된 데이터에 대한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 분석을 적용, 더욱 정교한 개인화된 매칭 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했다. 자비스의 가동으로 평균 2개월 이상 소요되던 이력서 추천 프로세스는 1~2일 이내로 단축됐다.   ◦ 이와 함께 ∆기업문화 ∆의료비·학비·기숙사 지원 등과 같은 복지제도 ∆자기계발 ∆경영진 등 급여 외 정보까지 제공하는 기업분석 정보 서비스도 제공해 특정 조건이 비슷한 기업들간 보이지 않는 차이도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서비스 확장 및 고도화를 위한 잡플래닛의 노력은 후속 투자로도 이어졌다. 2014년 본엔젤스, 더벤처스 등으로부터 23억 원의 초기 투자를 유치한 브레인커머스는 이듬해 초 퀄컴벤처스, 알토스벤처스, 본엔젤스 등 3개 투자사로부터 90억 원의 투자를 받았다. 그리고 중소벤처기업부 R&D 과제가 종료된 직후인 2016년 말 80억 원의 후속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 잡플래닛은 또 2017년 상반기부터 헤드헌팅 서비스 분야에도 진출해 서비스 차별화와 수익화를 꾀하고 있다. 내부 전담조직 및 헤드헌팅 자회사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기업의 구인 요구와 최적의 매칭이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 이와 함께 기본적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며 인재를 흡수할 수 있는‘좋은 회사’가 많아져야 한다는 판단에 기업을 대상으로 인사, 기업문화, 평판 등 분야를 아우르는‘좋은 회사 만들기(HR LABS)’컨설팅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50명 가까운 임직원들이 회원과 기업의 천직찾기와 인재확보를 돕고 있는 잡플래닛은 올해 처음으로 손익분기점(BEP) 달성을 내다보고 있다.   ◦ 윤신근 대표는 “서비스 오픈 이후 지속적인 R&D로 기업 리뷰에서 개인화된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로 진화한 잡플래닛은 앞으로도 국가와 지역을 넘어 좋은 회사와 좋은 인재가 만나 모두가 성장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035","atchfileNm":"[붙임]우수사례3._잡플래닛.hwp","viewCnt":"3420","regDate":"2018-06-11 15:47:55"},{"contentId":"63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8년 산학연협력R&D지원 본격 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398","contentsKor":"기정원, 2018년 산학연협력R&D지원 본격 시동  -첫걸음·도약과제(1차) 331개 과제 252억원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가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주최한 「2018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의 첫걸음·도약과제(1차) 협약설명회를 5월 31일(목) 정부대전청사 후생관 대강당에서 331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개최하였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 협력 R&D를 지원해온 사업이다.   ◦ 정부 R&D 사업에 신규로 참여하거나 기업부설연구소를 신규설치하려는 기술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동R&D를 지원하고,   ◦ 기술적 우위 선점 또는 기술보완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의 공동 R&D도 함께 지원한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 대표자, 과제책임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기술개발을 위한 사업추진체계와 절차 등의 제반사항을 설명하였다.   □ 기정원 협력기술평가본부 최광문 본부장은 “산학연협력 R&D를 통해 기술기반이 취약한 중소기업이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소기업이 대학·연구기관의 우수한 연구 인프라와 기술을 잘 활용하여 튼튼한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6036","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2018년_산학연협력RD지원_본격_시동.hwp","viewCnt":"2704","regDate":"2018-06-01 15:50:42"},{"contentId":"63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천연소재 연구개발(R&D)로 인체 유해성 제로 겨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396","contentsKor":"천연소재 연구개발(R&D)로 인체 유해성 제로 겨냥 - “천연·한방 소재로 K뷰티, 또다른 비상을 꿈꾸다.” -       □ 천연 및 건강 친화적인 제품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천연 한방 소재 및 화장품에 대한 꾸준한 연구개발(R&D)로 ‘K뷰티’의 잠재력을 키워가는 중소기업이 있어 화제다.   □ 천연·한방 화장품 전문 기업 ㈜사임당화장품(대표 이형규)은 최근 동의보감에 기록된‘신효탁리산(神效托裏散)’처방을 활용한 다기능 안티에이징(anti-aging) 항노화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 신효탁리산 : 조선시대 최고 의서인‘동의보감’과 중국 송나라 때 발행된‘태평혜민화제국방’등에 기록된 처방으로 외과적 상처를 치료하고 기혈을 돋우고 새살을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다.   ◦ 이번에 개발된 항노화 소재는 황기·당귀·금은화·감초 등 4종의 약재 추출물로 구성된 한방복합체 ‘ST-M Complex’로 주름개선, 미백, 혈행개선 등 안티에이징에 효과가 기대된다.   ◦ ST-M Complex’는 사임당화장품이 지난 2년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기술혁신개발사업에 선정된 「신효탁리산 처방을 활용한 다기능 안티에이징 글로벌 소재 개발 및 화장품 사업화」(2016. 6~2018. 6) 과제 수행을 통해 개발됐다.   ◦ ㈜사임당화장품은 사로매 등 자사 화장품 브랜드는 물론 OEM/ODM 등을 통한 소재(원료) 공급에도 나서는 등 보급 확산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또 신효탁리산이 동양인에게는 친숙한 처방이 될 것으로 보고 내수는 물론 중국, 일본 등 해외 시장을 겨냥한 다기능 글로벌 화장품 소재로 포지셔닝해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 ㈜사임당화장품 측은“올해 2분기부터 해당 소재가 적용된 헤어 샴푸가 일본 홈쇼핑을 통해 공급되기 시작했다”며“두피의 혈행을 개선함으로써 피부 세포 및 모유두 세포에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사임당화장품은 또 최근 들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항균제 ‘트리클로산’을 대체할 천연 소재인 ‘NAC(Natural Antimicrobial Complex)’개발에도 성공했다.   * 트리클로산 : 화장품·샴푸·치약 등 인체 세정용 제품류에 사용돼 온 항균제(방부제) 성분의 하나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사용 후 씻어 내는 인체세정용 제품류에 한해 트리클로산의 최대 허용치를 0.3%로 규정하고 있으며 화장품 등 다른 제품과의 누적 노출을 고려해 사용제한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해외에서도 트리클로산의 환경오염, 인체 유해성(발암, 생체 축적, 환경호르몬 작용, 알레르기 유발, 항생제 내성 유발 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이 같은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사임당화장품은 「트리클로산 대체 천연 항균제 개발 및 한방 화장품 개선」을 위한 정부 R&D 과제를 통해 천연물로 구성된 항균 한방복합체‘NAC’를 개발, 트리클로산의 대체에 나섰다.   ◦ 1년여 R&D를 거쳐 대황·오배자·자단향·정향·지유 등 천연물의 배합으로 완성된 NAC는 사임당화장품의 ‘사임당 크린싱젤’, ‘사임당 신윤바디폼’, ‘사임당 신윤아쿠아샤워’ 등 세정 제품에 적용돼 상용화에 이르렀다.   ◦ 김창용 사임당화장품 전무는“사임당화장품은 한국에 특화된 자연·한방 재료 기반 화장품 원료화 사업 확대를 위해 정부의 R&D 지원사업을 통한 소재개발을 지속해 왔다”며“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동남아 등에서 불고 있는 K뷰티 붐을 겨냥한 해외시장 공략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앞서 ㈜사임당화장품은 「피지테라피를 이용한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 개발」(2016년), 「글루코시데이즈 저해효과를 갖는 천연물 미백제 개발 및 제품화」(2011~2013년), 「천연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소재 개발」(2010~2011년) 등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R&D 과제를 수행하며 꾸준히 기술 및 제품 혁신을 모색해 왔다.   □ 지난 1995년 설립된 사임당화장품은 한방·천연 소재를 활용한 기초 한방 화장품 전문 기업으로 방문판매 방식을 중심으로 한 밀착 유통으로 성장을 거듭해 왔다. 최근에는 원료사업과 온라인 연계판매, 해외시장 공략 등으로 시장전략을 다변화하고 있다. ◦ 월 100만개 제품 생산력의 충북 오창과학산업단지 내 본사 공장(약 1만7000m2 규모), 약 60종의 특허, 청정 소재 개발을 위한 제주연구소 등을 갖춘 ㈜사임당화장품은 지난해 12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올해 15~20%의 성장세를 기대하고 있다.","viewCnt":"3268","regDate":"2018-05-31 15:45:59"},{"contentId":"6347","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미래형 자동차의 혁신, 중소기업의 두손에 달렸습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7","contentsKor":" ","viewCnt":"840","regDate":"2018-05-18 13:57:05"},{"contentId":"63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더 얇게 , 더 가볍게 ...” 디스플레이 혁신, 우리가 책임집니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306","contentsKor":"“ 더 얇게 , 더 가볍게 ...”  디스플레이 혁신, 우리가 책임집니다.   - 경기 부천 소재 은성산업㈜, 0.4mm 피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국내 기업 첫 개발 -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지원사업 수행 통한 역량 확보와 투자로 TV 등 전자제품 경량화, 소형화, 슬림화에 기여     “디스플레이 슬림화, 소형화를 향한 부품의 한 길로...”   □ 반도체와 함께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오늘날 국내 TV산업의 위상에는 삼성과 LG 등 대기업과 상생 협력하며 기술혁신과 생산성 제고를 실현한 수많은 중소기업들의 땀과 노력이 베어 있다.   □ 지난 1994년 설립된 은성산업㈜(대표 윤상보 www.eunsung-ind.com)은 디스플레이 산업현장에서 묵묵히 TV강국 코리아의 명성에 기여해 온‘작지만 강한’중소기업이다.   경기도 부천시 소재 본사와 중국 현지(텐진) 공장을 통해 TV 등 디스플레이용 부품을 생산, 공급하며 지난해 약 44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2012년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거두고 있다.   □ 은성산업㈜은 지난 1997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이하 FFC)’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이래 해당 분야에서 국내 중소기업 가운데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FFC는 주로 TV 등 디스플레이 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박막형 절연 케이블로 납작하게 가공된 연질 동선이 0.5/1.0/1.25 mm의 폭(피치)으로 일정하게 절연체 필름 사이에 배열된 뒤 라이네이팅이라는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 특히, 이 회사는 지난 2011년부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지원하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양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기술혁신개발사업(LED 패널용 분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수행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통한 신제품 개발을 마치고 LG 등 대기업의 제품 개발을 위한 납품을 진행하는 등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타깃시장의 기술혁신과 연계해 실매출로 이어가는 성과를 거두고 있어 주목된다.   □ 지난해부터 수행한 ‘0.4mm 피치 부분압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개발’과제(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의 성과는 이 회사에 ‘국내 유일’의 타이틀을 안겼다.     ◦ 과제수행을 통해 개발된 FFC의 0.4mm 피치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은성산업이 구현한 너비이다. 은성산업㈜은 이 제품이 적용된 제품이 오는 2020년께 출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앞서 2013년 ‘LED패널용 분핀(절개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제 수행으로 개발한 FFC도 은성산업의 특허자산으로 자리 잡으며 효자 품목이 되고 있다.   ◦ LED 패널용 분핀 FFC는 기존의 박형 FFC를 여러 가닥으로 나눠 한 묶음으로 배열함으로써 TV내 부품을 더욱 공간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했다. 이를 통해 TV 제조사들은 TV모델마다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을 새 모델에도 자유롭게 배치, 활용함으로써 부품 활용도와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됐다.   윤상보 대표는 "IMF 직전 FFC 사업에 뛰어 들어 2000년 초부터 PDP·LCD TV 등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연구개발과 공급에 나서 TV 슬림화에 나름의 기여를 했다”며 “FFC는 생산인력의 수작업이 필수적인만큼 기술개발과 자동화 시스템, 작업자 환경간 조화가 전사적 생산성 제고와 품질 안정화로 이어지도록 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은성산업㈜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기술혁신개발사업~구매조건부사업 등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을 핵심사업에 결합, 수행하며 최근 3개년 매출액에서 약 37%의 신장세(약 120억원)를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의 사다리를 딛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82","atchfileNm":"[붙임]_우수성과사례2._더_얇게,_더_가볍게..디스플레이_혁신,_우리가_책임집니다..hwp","viewCnt":"4110","regDate":"2018-05-17 10:10:02"},{"contentId":"63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 엔진으로 세계‘선박평형수처리장치(BWTS)’시장을 향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300","contentsKor":"중소기업 R&D 엔진으로 세계‘선박평형수처리장치(BWTS)’시장을 향하다  - 청주산업단지 내 ㈜테크윈, 선박평형수처리장치로 세계시장 노크  - IMO 선박평형수관리협약 발효에 따른 처리장치 특수 조준  - 연구개발(R&D) 지원사업 수행 통한 역량 확보와 투자로 기술 차별화 및 사업다변화 지속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원장 최철안)은 2002년부터 대-중견-중소기업 협력에 기반한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 및 동반성장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 사업은 국내·외 수요처(공공기관, 대·중견기업 등) 및 투자기업으로부터 기술개발 요청을 받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지난 1999년 설립된 중소기업 테크윈은 해당 사업을 통해 △기술개발과제의 초기시장 확보 △일정규모 이상의 구매 담보를 통한 기술개발 위험 최소화 △매출액 증대 등을 꾀하며 새로운 도약에 나서고 있다.   □ 지난해 9월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평형수관리 협약이 발효됨에 따라 이를 충족하기 위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시장이 전세계 조선 업계의 새로운 화두로 부상했다.   * 선박 평형수(Ballast Water) ; 배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화물을 탑재하지 않을 때 채워 넣는 물. 반대로 배에 화물이 적재되면 배출된다.   ◦ 다른 해양의 평형수 속에 담겼던 미생물 등 바닷속 환경이 고스란히 목적지 항구에 옮겨 지면서 해양 생태계의 교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자 국제사회가 이 문제에 주목하게 됐다. IMO는 2004년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을 발표하고 선박의 선박평형수처리장치(BWTS) 의무설치를 규정했다.   * BWTS(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 선박 평형수가 배출되기 전 그 속에 담겨 있던 유기물을 제거 또는 소독하는 설비 또는 시스템.   ◦ 이 협약의 발효로 신규 건조 선박은 즉시, 기존 선박은 향후 5년 이내에 관련 설비를 갖춰야 한다.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수십 조 원 규모에 달하는 BWTS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추산되며 이 시장을 겨냥한 국가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 BWTS 분야는 국내 업체들의 기술력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꼽힌다. 이 시장에 국내 중소기업이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한 신제품으로 출사표를 던져 관심을 모으고 있다.   ◦ 충북 청주산업단지에 자리잡은 ㈜테크윈(대표 정붕익 www.techwin.co.kr)은 지난 1999년 LG화학의 설비 유지보수 관리하는 공무 부서의 기술인력 60여명이 분사해 설립돼 토털 엔지니어링 기업을 표방하고 있는 유망 중소기업이다.   ◦ 특히 전극 소재와 전기 분해 분야에서 보유한 기술은 도금·제련 분야, 소독·정화 분야에서 탄탄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력과 경험이 IMO가 규정한 BWTS 탑재 의무화로 또 다른 도약의 전기를 맞았다. 테크윈이 보유한 정수처리 기술이 BWTS에서도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테크윈은 정수시설에서 염소를 이용해 소독하는 방식과 달리 소금물을 전기분해해 발생하는 액체 상태의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생성 기술과 장치를 공급하고 있다. 이 기술과 장치를 이용하면 기체 상태의 염소 사용에 따른 누출과 오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이러한 기술이 선박의 평형수 정화에 활용되면 비용과 공정 효율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보고 테크윈은 이 시장의 수요에 주목했다. 테크윈의 연구팀 관계자는 “기존 방식이 오존이나 자외선, 약품, 필터 등을 활용한다면 테크윈은 해수의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평형수 내 유기물을 소독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인 솔루션이 된다”고 강조했다. 테크윈은 이 같은 특장점을 부각해 IMO 협약 발효에 따른 해외시장 수요를 적극 흡수해 간다는 목표다.   □ BWTS 시장 개척을 위한 테크윈의 노력은 전해 시스템 및 전해공정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축적한 기술과 경험 외에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사업도 밑거름이 됐다.   ◦ 이 회사는 지난 2006년 이후 10여 차례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의 R&D 지원과제를 수행하며 성장의 사다리를 한 단계씩 높여가고 있다.   ◦ 지난 2015년부터 중기부 구매조건부사업을 통해 ‘원수 열원을 이용한 물대물 방식의 히트펌프 시스템 개발’ 과제(구매조건부사업) △아연 생성 및 제련시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는 성과를 낳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련 시스템 및 스마트 전극 개발 과제’(〃) △ 수입대체 효과를 겨냥한 ‘동 도금용 불용성 전극 소재의 핵심 기술 개발’ 과제(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 △ ‘선박 평형수를 이용한 풀브리지 절연형 컨버터 연구개발’ 과제(연구장비공동활용) 등을 수행한 바 있다.   □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태양광 분야에서도 테크윈의 연구개발과 시장 창출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 테크윈은 수년 전부터 물 위에 태양광 모듈을 지탱할 수 있는 부력재 기술을 확보하고 수상 태양광 분야에 진출했다. 수상 태양광은 육상에 비해 발전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오창 저수지 등 10개 사이트에 관련 설비를 공급했으며 올해 말까지 생산설비의 완전 자동화 체계 구축을 추진중이다.   □ 테크윈의 이 같은 성장은 중소기업임에도 불구하고 꾸준하게 R&D 역량을 확대하며 지속적인 신규사업 발굴에 나서온 데 기인한다.   ◦ 이 회사는 자녀 학자금 지원 등 대기업 수준의 복지수준을 지향하며 인재영입에 매진해 왔다. 전 직원 가운데 R&D 인력의 비중이 25%에 달하며 이들 인력의 대부분(약 40명)은 석사 이상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다.   ◦ 2015년 매출액 638억 원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 1000억 원 선을 돌파한 테크윈은 올해에는 상반기에만 1000억 원이 넘는 매출고를 기대하고 있다. 정붕익 테크윈 대표는 “R&D 투자가 탄력을 받으며 성과로 나타나기까지는 오랜 시간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10년 전에 2020년 매출 목표로 5000억원을 삼은 것도 R&D의 가치에 대한 확신과 믿음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5","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_성과우수사례(테크윈).hwp","viewCnt":"4329","regDate":"2018-05-10 15:03:28"},{"contentId":"62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개방형 혁신의 시작점, 제4차 TIPA 네트워킹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299","contentsKor":"중소기업 개방형 혁신의 시작점, 제4차 TIPA 네트워킹 - 中企간 동반협력을 위한 매칭데이(협력R&D편)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과 기술전문기업의 동반협력을 위한 ‘4차 TIPA 네트워킹 행사(협력R&D편)’를 오는 5월 10일 서울 반포원에서 개최한다.   ㅇ ‘TIPA 네트워킹’은 기정원(TIPA)이 주관하는 산학연간 교류 프로그램으로 금번에는 중소기업과 기술전문기업간 협력기술 탐색 및 과제발굴을 위한 자리로 마련하였다.   □ 그동안의 중소기업간 R&D협력은 상호간 정보 및 신뢰부족, 공급과 수요의 불일치 등으로 인해 자발적 형성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었다.   ㅇ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가 함께 발간한 '2017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은 외부와의 협력 장애요인으로 관련정보 및 적합 파트너 부족(28%), 의사소통 어려움(13%)을 손꼽았다.   □ 이번 행사에서는 사전접수를 통하여 1분 토크, 중소기업간 매칭 및 1:1 상담, 지원사업 소개 등 심층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ㅇ 더욱이, ‘기술전문기업(K-ESP) 협력기술개발사업 사업소개’ 및 ‘사업계획서 작성법 안내’는 K-ESP협력 R&D사업 과제신청을 준비하는 기업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 기정원 기업협력기술평가실 함정우 실장은 “이번 행사가 혁신성장의 첨병인 중소기업과 기술전문기업간 자발적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 고 밝혔다.   □ 기정원은 연구수행 주체간 교류활성화를 위하여 중소기업 중심의 TIPA 네트워킹 행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4","atchfileNm":"[붙임]_중소기업_개방형_혁신의_시작점,_제4차_TIPA_네트워킹.hwp","viewCnt":"3165","regDate":"2018-05-09 14:59:42"},{"contentId":"62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기 제품 품질향상 및 공정개선을 위한 공정품질R&D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298","contentsKor":"기정원, 중기 제품 품질향상 및 공정개선을 위한 공정품질R&D 지원 - 215개 제품공정개선과제 선정기업에 102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8년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의 제품·공정개선과제(1차) 215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5월 4일 대전 충남대 백마홀과 서울 IBK파이낸스타워 두군데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제품·공정개선과제는 기존 제품의 성능 및 품질 향상 등의 제품경쟁력 강화, 제품생산 시간 및 비용 절감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 이내, 5천만원까지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협약변경 방법, 사후관리 등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과 질의응답을 통해 사업을 문제없이 완료할 수 있도록 상세히 안내하였다.   □ 기정원 협력기술평가본부 최광문 본부장은 “금번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제품경쟁력 강화 및 생산성 향상 등 제품·공정개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3","atchfileNm":"[붙임]_기정원,_중기_제품_품질향상_및_공정개선을_위한_공정품질RD_지원.hwp","viewCnt":"3208","regDate":"2018-05-09 14:57:37"},{"contentId":"62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공공연구기관의 협력 네트워크 기회를 마련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297","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공공연구기관의 협력 네트워크 기회를 마련하다! 4월 25일(수), “제3차 TIPA 네트워킹 행사” 성황리에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TIPA))은 4월 25일(수) 쉐라톤 서울 팔래스에서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과의 협업 과제 발굴을 위한 제3차 TIPA 네트워킹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 사전 신청을 통해 공공연구기관과 매칭된 중소기업과 현장 상담을 희망하는 중소기업,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자, 사업화 지원 관련 기관등 180여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 1부는 중소기업 R&D 지원 방향에 대한 안내와 중소기업, 공공연구기관의 협력 필요성을 제시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마련된 시간으로,   ◦ 중소벤처기업부 이창연 사무관이 중소기업 R&D 지원의 효율성을 제고하는“중소기업 R&D 혁신방안”을 발표하고, 한국기계연구원 김학준 박사가 “정전기학 공기청정 기술을 적용한 실내공기질과 배기가스 정화 기술”을 소개했다.   ◦ 이어서 중소기업 대표로 지트로닉스㈜의 박지황 대표, 비클시스템㈜의 조범연 연구소장, ㈜인지네트워크의 신오섭 연구자가 공공연구기관과의 협력 필요성과 협력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 2부는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광기술원, 자동차부품연구원 등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와 중소기업이 기술자문, 기술이전, 협력과제 상담 등을 진행했다.   ◦ 사전에 매칭된 중소기업은 정해진 부스에서 연구자와 상담하였으며, 현장에서 상담을 희망한 기업도 추가 매칭을 통해 상담을 할 수 있었다.   □ 기정원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리스트를 추가 확보하고 이와 같은 네트워킹 행사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2","atchfileNm":"[보도자료]_제3차_TIPA_네트워킹_행사_보도자료.hwp","viewCnt":"3427","regDate":"2018-04-27 14:55:26"},{"contentId":"62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지역 소외아동을 위한 텃밭 일군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296","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지역 소외아동을 위한 텃밭 일군다 - 4월 26일(목), 성심원을 찾아 각종 모종심기 사회공헌활동 진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4월 26일(목) 대전지역 아동복지시설 ’성심원‘을 방문하여 먹거리 모종심기 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 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로에 위치한 성심원은 가정이 해체되어 보호가 필요한 약 40여명의 아동들을 양육하고 있으며,   ◦ 기정원은 2014년부터 매년 성심원을 찾아 지속적으로 봉사 및 기부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 이날 행사에는 최철안 원장과 임직원 15명이 참여하였으며, 성심원 마당에 텃밭을 조성하고 토마토, 오이, 상추, 가지 등 10여종의 모종을 심는 시간을 가졌다.   ◦ 또한 시설 곳곳에 패랭이꽃 등 꽃모종들도 함께 심고 주변 환경정비를 하며 모자란 일손을 도왔다.   ◦ 이번에 심은 모종은 성심원 아동들이 직접 가꾸며 자연을 배우고, 향후 수확해서 아동들을 위한 건강한 식재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봉사활동은 봄을 맞이하여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것에 의미가 있었다.”라고 말하면서, “2018년에도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한 봉사활동을 추진하며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무를 적극적으로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1","atchfileNm":"[붙임]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지역_소외아동을_위한_텃밭_일군다.hwp","viewCnt":"2957","regDate":"2018-04-27 14:53:20"},{"contentId":"62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산업단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대폭 확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295","contentsKor":"산업단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대폭 확대 - 기정원, 한국산업단지공단과 MOU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한국산업단지공단(이사장 황규연, 이하 “산단공”)과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4월 24일(화) 산단공 본사에서 체결하였다.   □ 양 기관은 MOU를 통해 산단 입주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보급·확산과 R&D지원사업의 홍보, 스마트공장 저변 확대를 위한 교육 및 컨설팅, 정보교류 및 네트워크 활동 활성화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다양한 공동협력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하여 산단 내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 구축 등 4차 산업혁명 대응역량이 강화되기를 희망”하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보급 및 고도화에 더욱 많은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 또, 황규연 산단공 이사장은 “금년을 산업단지 스마트공장 확산 구축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이를 위해 전담부서를 신설하였으며, 협력사업 다원화를 위해 ① 기존 발전사와의 대중소협력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을 확대하고, ②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을 산업단지내 적극 유치하며, ③ 공동네트워크를 활용한 차별화된 스마트공장 구축 모델을 추진 하겠다”고 강조했다.   □ 향후 양 기관은 스마트 공장 보급‧확산 사업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인 상호협력을 추진하여,   ◦ 산업단지를 우리나라 4차 산업혁명의 전초기지로 적극 육성하는 등 정부 국정과제인 「2022년 스마트공장 2만개 보급」, 「스마트 산업단지 구축」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970","atchfileNm":"[붙임]_산업단지_스마트공장_구축_지원_대폭_확대.hwp","viewCnt":"2963","regDate":"2018-04-24 14:49:57"},{"contentId":"6346","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과 손잡고 일궈나가는 스마트 사전의 빛나는 미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6","contentsKor":" ","viewCnt":"667","regDate":"2018-04-20 13:55:39"},{"contentId":"61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의 Open Innovation을 위해 공공연구기관과 함께 네트워킹 행사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171","contentsKor":"  기정원, 중소기업의 Open Innovation을 위해 공공연구기관과 함께 네트워킹 행사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TIPA))은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과의 협업 과제 발굴을 위해 4월 25일(목) 오후 2시부터 쉐라톤 서울 팔래스에서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한다.   □ 본 행사는 공공연구기관과 중소기업이 협업하여 수행할 수 있는 과제를 발굴하고, 나아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개최된다.   □ 기정원은 공공연구기관과의 정기 간담회를 통해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한 기술리스트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공공연구기관과의 네트워킹 행사는 4월 25일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정기적으로 개최할 계획이다.   □ 이번 행사에서는 현재까지 확보된 한국기계연구원(164개), 한국광기술원(76개), 자동차부품연구원(13개), 화학연구원(10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53개) 등의 기술리스트 316개가 공개되었다.   ◦ 해당 기술리스트를 기준으로 중소기업의 참여 신청을 받고 있으며, 기술 상담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자와 매칭하여 1:1 상담도 지원한다.   □ 1부에서는 중소기업 R&D 지원방향 안내와 한국기계연구원의 주요 기술 설명, 중소기업이 제시한 협업 과제 소개가 예정되어 있으며,   ◦ 2부에서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술 상담 부스와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 안내를 위한 기정원 부스, 사업화 지원 상담을 위한 하나은행 부스가 별도 마련되어 자유로운 상호 교류 활동이 예정되어 있다.   □ 이번 행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선착순 100명을 연구자와 우선 매칭하여 상담 시간을 부여하며, 신청·접수는 4월 13일(금) 24시까지이다.   ◦ 신청 방법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 내 공지사항을 참조(http://www.smtech.go.kr)하면 된다.   □ 기정원 관계자는 네트워킹 활동을 통해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을 기대한다며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 간 협업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고,   ◦ 향후 개최되는 TIPA 네트워킹 행사에서는 더 많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리스트를 확보하여 매칭을 진행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865","atchfileNm":"보도자료_20180412.hwp","viewCnt":"3901","regDate":"2018-04-12 18:13:45"},{"contentId":"61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뭉치면 강한 중소기업’육성에 본격 박차를 가하는 기정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170","contentsKor":"‘뭉치면 강한 중소기업’육성에 본격 박차를 가하는 기정원  - 中企간 교류와 협력의 장, 2018 기술전문기업 네트워킹 행사(K-ESP편)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과 기술전문기업의 동반협력을 위한 ‘기술전문기업 네트워킹 행사’를 오는 4월 5일 서울 팔레스 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기술전문기업 네트워킹 행사’는 기술전문기업과 중소기업이 상호 기업 정보교류 및 협력기술 탐색 등을 통해, 기술개발 아이템 발굴과 신규 사업 기회를 마련할 수 있는 교류와 협력의 장(場)이다.   ㅇ 기술전문기업(K-ESP; Korea Engineering Service Provider)은 설계·해석, 시험·분석 등 기술 분야별 전문역량을 보유하고, 중소기업에게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 기정원은 금년 60개 기업을 추가하여, 서비스 제공기관을 167개로 대폭 확대하였다.   ㅇ 이번 행사에는 기업간 매칭상담과 더불어, 금년에 선정된 기술전문기업 지정서 수여 및 협력 R&D 우수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ㅇ 또한, 기술전문기업이 ‘기업소개, 연구개발 영역, 보유 기술’등에 대하여 소개할 수 있는 참여자 중심 ‘1분 토크’를 진행한다.    ㅇ 기술전문기업과 매칭된 중소기업은 기술전문기업 협력 R&D 지원 대상이 되며, 4월 중순 공고 예정인 사업설명 및 1:1 맞춤형 상담도 진행한다.   □ 기정원 기업협력평가실 함정우 실장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술전문기업과 기술개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이 뭉쳐서 강한 경쟁력을 갖는 스몰 자이언츠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ㅇ 아울러, 다가오는 5월에는 기술전문기업과 협력R&D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이 기술전문기업을 찾는 수요자 중심의 네트워킹 행사를 추가로 개최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864","atchfileNm":"보도자료_20180404.hwp","viewCnt":"3816","regDate":"2018-04-04 18:06:54"},{"contentId":"61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4차 산업혁명 대응하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위한 교류의 장 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169","contentsKor":"제4차 산업혁명 대응하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위한 교류의 장 마련! -기정원, 3월29일(목), 2018 스마트제조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대한 수요‧공급기업의 협업관계 구축 지원을 위하여 3월 29일 오후 2시 서울 코엑스에서『2018 스마트제조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를 개최했다.   ◦ 올해 2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상한 스마트제조 우수기업인 ㈜세창, ㈜미트뱅크, ㈜유플렉스소프트를 비롯해 스마트공장 수요‧공급기업 200여 업체가 참석하는 등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 이번 행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기업들의 스마트공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 수상 기업의 지원 성과와 우수사례들을 공유하여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에 대한 중소 제조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 스마트공장 고도화 및 업그레이드 중심으로 개편된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 개요와 지원 절차에 대해 안내하였다.   □ 설명회 이후에는 수요‧공급기업의 원활한 상호 교류가 진행될 수 있도록 참여 기업소개, 공급기업의 상담석, 전문가 자문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수요기업이 스마트공장 구축 시 겪는 애로사항을 전문가와 공급기업과의 컨설팅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 수요‧공급기업간 사후 교류를 위해 기업 현황 및 필요 시스템과 구축 가능 시스템 등의 내용이 수록된 기업소개집을 제작하여 온·오프라인으로 배포하였다.   □ 기정원의 최철안 원장은 이번 매칭데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수준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실행 방안에 대한 정보를 얻기를 희망하며”   ◦ “중소 제조기업 스마트공장 고도화 및 보급 활성화를 위해 기업, 정부, 학계 각 분야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863","atchfileNm":"[보도자료]_2018_스마트제조_수요_공급기업_매칭데이_개최.hwp","viewCnt":"3736","regDate":"2018-03-29 18:04:57"},{"contentId":"61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임직원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공공상생연대기금 출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16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임직원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공공상생연대기금 출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노동조합(이하 노동조합)은 상생과 협력의 정신을 바탕으로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반납한 ‘성과연봉제 조기 이행 인센티브’를 29일 공공상생연대기금에 전액 출연했다.       □ 기정원 노사는 성과연봉제 조기이행 인센티브 반납 방법과 시기에 대한 충분한 합의 과정을 거쳐 비정규직 직원의 처우 개선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공익목적에 활용하는 것으로 공공상생연대기금 재단에 출연했다고 밝혔다.   □ 이번 출연금은 앞으로 △비정규직 처우개선 △양질의 일자리 창출 △청년 취업난 해소 등 사회적 가치 실현 및 공공부문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연대를 위한 지원 사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 최철안 기정원 원장은 “비정규직이나 일자리 문제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서는 노사의 상생과 협력이 가장 중요하다”며 “기정원 임직원의 한 뜻을 모아 공공상생연대기금 출연에 동참한 만큼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성실히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장상민 노조위원장은 “이번 기부한 출연금이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겪는 차별을 해소하고 노동자들의 권익을 위해 쓰이게 되어 뜻깊다”며 “앞으로도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노사가 함께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 또한 기정원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관련 지난해 12월 31일부로 기간제 및 파견직 근로자 20명 전원에 대해 정규직 전환을 완료하는 등 공공기관으로서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사회 양극화 완화, 비정규직 고용관행 해소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862","atchfileNm":"보도자료_20180329.hwp","viewCnt":"3778","regDate":"2018-03-29 18:01:29"},{"contentId":"61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운영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6167","contentsKor":"기정원,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운영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   - 13개 조합‧단체와의 소통간담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3개 협회‧단체와 3월 20일(화) 오후 14시 팔래스 강남 호텔에서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소통 간담회를 가졌다.   □ 이번 간담회는 13개 협‧단체 대표가 참석하여 클라우드 기반 경영혁신플랫폼의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및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협조방안 등을 모색하고 우수사례 공유 및 협‧단체의 책임성 강화 방안 등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 간담회에 참석한 한국쌀가공식품협회 이성주 전무이사는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은 솔루션 운영 역량이 현저히 부족하여, 시스템 보완 및 업그레이드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이에 따라 기정원에서는 특화솔루션 이용 협·단체간 권리와 의무 범위를 규정한 운영협약을 체결하여 솔루션 운영 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을 활용하여 업무처리시간 단축 등 업무효율성이 향상되고 기업 운영분담을 최소화하는 등 클라우드 기반 시장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또한 “향후에도 교육지원 및 전담인력과의 만남을 위한 정기적인 간담회를 통해 사업 참여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것”이라며 솔루션 활성화 및 소통경영 행보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861","atchfileNm":"[붙임]_보도자료_20180322.hwp","viewCnt":"3802","regDate":"2018-03-22 17:59:12"},{"contentId":"634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4차 산업으로 강화한 콘텐츠디자인의 지평, 중소기업이 열어야 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5","contentsKor":" ","viewCnt":"797","regDate":"2018-03-16 13:54:29"},{"contentId":"634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우수 기술로 가득 채운 지식 발전소를 꿈꾼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4","contentsKor":" ","viewCnt":"705","regDate":"2018-02-09 13:52:16"},{"contentId":"59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포항지역 중소기업과의 간담회 및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78","contentsKor":"기정원, 포항지역 중소기업과의 간담회 및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19(금) ‘포항지역 중소기업들과의 간담회 및 찾아가는 사업설명회’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 포항 파인비치 호텔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오전에는 포항지역 중소기업들과의 간담회를 오후에는 사업설명회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중소기업 대표자 등 40여명이 참석하였다.   □ 오전에 실시된 중소기업과의 간담회에서는 기술개발과제 수행중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술개발 추진 방향 및 최근 이슈사항 등에 대해 안내하고 상호소통하며 건의사항 등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 간담회 주요내용은 자유공모 확대, 평가프로세스 개선, 선정평가 결과 공개, 사업비 집행, 최종평가 및 포항지역 기업경영 환경 및 애로사항 청취 였다.   □ 오후에 실시된 사업설명회는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사업 안내와 사업계획서 작성 및 온라인 신청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 2018년도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방향, 기술개발사업 및 기술로드맵을 설명하였다.   ○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추진체계, 사업계획서 작성 및 온라인 신청방법을 설명하였다.   ○ 그리고 질의응답 및 별도의 상담창구를 마련하여 중소기업들의 궁금한 사항들을 해소해 주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들에게 제도개선에 대한 의견을 주기적으로 수렴하고 이를 반영하여 중소기업들이 기술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고 하면서, “포항지역 중소기업들을 위해 기술개발사업 및 사업계획서 작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시간을 마련하였으니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기정원을 활용하여 해결해 주시기 바랍니다.” 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77","atchfileNm":"[보도자료]_-_포항지역_중소기업과의_간담회_및_찾아가는_설명회실시.hwp","viewCnt":"3851","regDate":"2018-02-08 15:54:30"},{"contentId":"6343","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스마트팩토리, 중소기업의 미래를 이야기하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3","contentsKor":"  ","viewCnt":"729","regDate":"2018-01-19 13:50:30"},{"contentId":"59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 혁신창업 활성화를 위한 R&D 자금 2,727억 지원!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9","contentsKor":"중기부, 혁신창업 활성화를 위한 R&D 자금 2,727억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1.15(월) 1차 신청·접수를 시작으로 『2018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기술개발활동을 촉진하여 기술창업 활성화 및 창업기업 성장 촉진을 위한 R&D사업으로,   - 2009년부터 10년간 1조 502억원의 R&D자금으로 7,911개의 과제를 지원하였다.   □ 2018년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전년대비 751억원 증액된 2,727억원(38%↑) 예산을 지원한다.   ○ 아울러, 평가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평가기간을 단축하고, 신청서류 및 제출방법 간소화를 통해 중소기업의 신청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 2018년 주요 변경 및 개선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4차 산업혁명분야 및 일자리 창출기업 지원 강화   - 창업기업의 혁신성장 및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22년까지 4차 산업혁명분야의 R&D지원 비중을 50%까지 단계별로 확대할 계획이다. - 또한, 기술창업 활성화 및 성과제고를 위해 창업기업내에 혁신창업과제(붙임 참조)를 신설한다.   - 이와 함께 R&D 지원을 통한 고용성과 제고를 위해 대면평가 시 고용친화도 평가비중을 확대(10%→15%)한다.   ② 수요자 중심으로 R&D제도 선진화   - 수요자 중심의 신속한 R&D 과제수행을 위해 ‘①접수시기 확대(연4회→연5회) ②선정평가절차 개선에 따른 평가기간 단축 (4개월→2.5개월) ③신청서류 및 제출방법 간소화*’ 등 평가 절차 및 방법을 개선하였다   * 신청서류 분량을 10페이지 내외로 축소, 가점확인 증빙서류는 온라인으로 접수   ③ 기술·사업화 기획지원 제도 도입   - 중기부 R&D에 처음 참여하고 업력이 1년 이하인 창업기업을 주요 지원대상으로 R&D역량에 대한 애로해결과 R&D 및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기술·사업화 기획지원 제도 도입하며,   - R&D기획역량강화교육 → 기술․사업화 기획지원을 통해 R&D 전과정(기획-R&D-사업화)에서 창업기업의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④ TIPS과제 바이오 분야 지원한도 상향 및 과제 관리·점검 강화   - 많은 시간과 투자가 필요한 신약‧의료기기 등 바이오분야에 대해 TIPS과제의 정부지원금 한도를 상향(5억원→7억원)하고 바이오분야 운영사 및 창업팀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 아울러, 도덕적 해이 방지를 위해 운영사․창업팀의 관리 및 점검을 강화할 계획이다.   - 운영사는 정기점검(매년) 결과를 중간 및 최종평가에 반영하고, 부실운영사의 경우 조기퇴출체계를 신설한다. - 창업팀은 과제 종료 후 실시되는 사업비 정산은 연차별로 확대하며, 기술개발 목표를 도입하여 최종평가 시 반영할 계획이다.   □ 2018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1차 시행계획 공고를 통해 창업기업과제 내에 디딤돌 창업과제를 2.1(목) ~ 2.12(월)까지 신청·접수를 진행한다.   ○ 346억원의 예산으로 250개 내외의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며,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창업 후 7년 이하인 기업이다.   ○ 이번 1차 공고를 시작으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과 관련한 사업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www.mss.go.kr) 및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기정원 이훈희 R&D전략본부장은 “그 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창업기업의 R&D 저변확대 기여에 큰 역할을 해왔으나,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R&D 혁신역량이 우수한 기술기반 창업기업으로 지원확대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기술인력의 창업 활성화를 통해 혁신창업을 촉진하고 일자리창출에 기여하는 사업으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12","atchfileNm":"보도자료_20180116.hwp","viewCnt":"5418","regDate":"2018-01-16 13:54:14"},{"contentId":"59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 R&D 전략기획 기능 강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8","contentsKor":"“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 R&D 전략기획 기능 강화”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직제 개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연구관리 전문기관으로서의 책임성을 제고하고 중소기업 R&D전략 및 사업기획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5본부 18실 1센터로 직제를 개편했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 R&D 전략 및 대외협력과 사업별 기획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R&D전략본부’을 신설하여,   ◦ 중소기업 R&D 기획을 총괄하는 ‘R&D기획실’, 정책연구 등 중장기 기획을 담당하는 ‘정책연구실’, 개별 사업의 기획 및 신규사업 발굴을 담당하는 ‘성장기술기획실’과 ‘협력기술기획실’을 설치하였다.   □ 한편, R&D 성공과제의 사업화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R&D 결과물의 사업화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전담부서로 ‘사업화성과혁신실’을 사업지원본부에 신설하였다.   □ 또한, 정부의 스마트공장 지원정책 강화 등의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종전의 정보화사업 담당부서를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고도화사업을 전담하는 ‘스마트기업지원실’로 재편하였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직제개편을 토대로 중소기업 R&D 전략기획 기능을 강화하여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과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11","atchfileNm":"보도자료_20180111.hwp","viewCnt":"4350","regDate":"2018-01-11 13:51:49"},{"contentId":"59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7","contentsKor":"기정원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획득!  -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 최초 부패방지경영 국제표준 인증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국내 R&D 전문기관 최초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받았다.   ◦ 인증서 전달식은 2018년 1월 9일 기정원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6층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 ISO 37001은 세계 162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표준으로, 조직 내 부패 발생 가능성을 시스템으로 방지하기 위해 2016년 10월 제정되었고, 국내에서는 2017년 4월부터 인증제도가 시행되었다.   ◦ ISO 37001은 모든 조직에서 뇌물수수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조직의 방침, 절차를 명시함으로써 조직이 뇌물수수와 관련된 조치를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지원 전문기관으로써 국제수준의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전담 추진조직 구성과 직원교육을 진행하였으며, 2단계에 걸친 인증심사를 거쳐 ISO 37001 인증을 획득하였다.   □ 이번 기정원의 ISO 37001 인증은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 중 최초의 사례이며, ◦ 중소기업 R&D지원의 기획, 평가, 사업지원 등 평가관리 체계와 기관의 공공서비스 전반이 부패방지경영에 관한 국제표준에 맞게 수행되고 있음을 대외적으로 확인받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ISO 37001 인증 획득으로 고객인 국민과 중소기업이 만족하는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 R&D 전문기관으로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고 앞으로도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10","atchfileNm":"보도자료_20180110.hwp","viewCnt":"4208","regDate":"2018-01-10 13:48:47"},{"contentId":"59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정규직 전환대상자 20명 전환 완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6","contentsKor":"기정원, 정규직 전환대상자 20명 전환 완료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전환 가이드라인’에 따라 지난 1일자로 비정규직 근로자 20명에 대한 정규직(무기계약직) 전환을 완료했다.   ○ 기정원은 지난해 7월 정부 정규직전환 가이드라인 발표 직후부터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 및 ‘노·사·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해 투명하고 합리적인 정규직전환을 추진해왔다.   □ 이번 정규직전환 과정에는 노동조합, 파견근로자 대표 및 외부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고 인사위원회의 최종심의 절차를 통해 확정하였으며,   ○ 직무수행능력평가, 면접 등 합리적인 전환평가 절차를 통해 비정규직 20명(기간제근로자 2명, 파견근로자 18명) 전원을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였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노사의 충분한 합의과정을 거쳐 정규직 전환절차를 진행한 것은 기존 정규직 직원과의 원만한 통합에 원동력이 될 것”이며, “공공기관으로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사회 양극화 완화, 비정규직 고용관행 해소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09","atchfileNm":"보도자료_20180105.hwp","viewCnt":"4103","regDate":"2018-01-05 13:47:29"},{"contentId":"59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이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한 해가 되도록 하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5","contentsKor":"“중소기업이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한 해가 되도록 하겠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 대전 현충원 참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4일 오전 간부 직원 20여명과 함께 국립대전현충원을 방문해 현충탑에 헌화 분향을 하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참배했다.   □ 최철안 원장은 분향 후 방명록에 “2018년에도 국민과 중소기업이 더 행복해지도록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라고 적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2018년도에 중소기업이 R&D를 통한 기술혁신과 기술경쟁력 확보로 성장의 기반을 갖출 수 있도록 여러 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수요에 대한 적기 대응과 신속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수요자·현장 중심으로 평가관리 방식을 개편하고,   ◦ 중소기업 현장과의 소통을 활성화하여 지원의 효율성 및 실효성을 제고하고, 기술혁신 성과의 사업화 지원을 강화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08","atchfileNm":"보도자료_20180104.hwp","viewCnt":"3061","regDate":"2018-01-04 13:46:10"},{"contentId":"59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R&D사업비 집행 가이드 북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4","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R&D사업비 집행 가이드 북 발간  사업비 집행 부담은 낮추고, 기술개발 집중도는 높이고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2월 29일(금), 중소기업R&D사업비 집행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을 위한 사업비 집행 가이드 북(원제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비 집행 가이드 북’)을 발간하였다.   □ 이번에 발간된 가이드 북은 그간 별개로 제공되던 사업비 산정 기준, 불인정 사례, Q&A, 사업비 집행 시스템(www.smtech.go.kr) 이용 방법 등을 한 권으로 묶었다. 이로 인해 사업비 집행을 위해 번거롭게 여러 자료들을 확인해야 했던 연구자들의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 특히, 내부 회계서식이 구비되지 않아 사업비 증빙서식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을 위해 다양한 예시 서식을 수록하였다.   ○ 또한, 장별로 측면 인덱스를 추가하여 필요한 부분을 곧바로 찾을 수 있게 하는 등 사소한 부분까지 사용자들의 입장에서 제작하였다.   □ 기정원 R&D혁신본부 김성태 본부장은“본 가이드 북이 중소기업인들이 사업비를 집행하는 데 들이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키고, 기술개발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이번 가이드 북은 중소기업R&D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온라인으로 배포하게 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07","atchfileNm":"보도자료_20171229.hwp","viewCnt":"4295","regDate":"2017-12-29 13:44:30"},{"contentId":"59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간 시장지향형 협력R&D 본격 궤도 진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903","contentsKor":"중소기업 간 시장지향형 협력R&D 본격 궤도 진입 - 과제기획에서 사업화까지, 시장 지향형 기술개발사업 34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간 수평적 협력을 통해 공동기술개발과 사업화 지원을 병행하는 「중소기업 네트워크형 기술개발사업」으로 34개 과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은 혁신형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간 수평적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중소기업이 단독으로 기술개발을 할 때 우려되는 위험 및 개발비 부담을 완화하고,    - 상호협력표준계약서를 마련하여, 공동개발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술유출 우려, R&D 성과물 배분 및 활용에 대한 합의 등 다양한 갈등 요인을 사전에 조율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기술개발 위주의 기존 기술개발사업과는 달리, 기술개발과정에 수출, 마케팅, 디자인 등을 담당하는 사업화 지원기업을 필수적으로 참여하게하여 시장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써    - 혁신형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의 주체가 되고, 공동기술개발을 수행하는 중소기업과 사업화 기업 등 3개 이상의 기업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공동으로 기술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벤처기업, 기업 부설연구소 등록기업  ◦ 동 사업은 사전기획을 지원하는 ① 네트워크 기획지원과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② R&BD지원으로 구성되며,    ① 네트워크 기획지원은 혁신형 중소기업이 제시한 우수 아이디어를 고도화하여 기술개발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     - 혁신형 기업의 협력파트너 매칭, 사전특허분석, 기술성 및 경제성 분석, 해외시장조사, 사업화 전략 수립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② R&BD지원은 네트워크 기획지원을 완료한 과제 중 우수과제를 대상으로 2년간 6억원(연간 지원한도 없음) 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한다. □ 기정원 협력기술평가본부 최광문 본부장은 ‘네트워크형기술개발사업’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여 중소기업 주도의 협력생태계 조성을 촉진하고, 중소기업간 우수역량의 결집으로 협력 시너지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특히, 중소기업 주도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시도하는 점과 공동기술개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오던 수익배분 등의 문제를 사전에 조율하는 형태가 더욱 건전하고 효과적인 네트워크 조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18년도 신규사업에 153억원의 예산이 배정 되었으며, 과제신청은 ’18.2월중 온라인 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서만 신청 가능하다.  ◦ 예산규모 및 지원내용 등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2017. 12. 26일 ‘2018년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 공고'에서 확인 가능하며, 해당사업의 세부 공고는 2018. 2월중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 또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606","atchfileNm":"보도자료_20171227.hwp","viewCnt":"3367","regDate":"2017-12-27 13:43:12"},{"contentId":"6342","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열어갈 빛의 신세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2","contentsKor":" ","viewCnt":"588","regDate":"2017-12-15 13:47:17"},{"contentId":"57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 수행기업에 맞춤형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76","contentsKor":"기정원, R&D 수행기업에 맞춤형 교육 실시! - 12월 15일(금), 중기 R&D수행기업 대상 사업관리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12월 15일(금)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2017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제품서비스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담당자를 대상으로「R&D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 ‘R&D 맞춤형 교육’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을 진행 중인 기업들의 성공적인 R&D수행과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마련되었다.   □ 이번 교육에서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지침, 사업관리 시스템(SMTECH) 사용방법, 연구노트 작성법, 과제진행 절차 등 사업 수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명할 예정이다.   ◦ 특히, 전문회계사를 통해 중소기업이 사업수행에 있어 가장 어려움을 겪는 ‘사업비 정산 및 집행’ 교육시간을 마련하였다.   ◦ 또한, 중소기업 R&D 궁금증 해결을 위한 1:1 상담부스를 마련하여, 사업 수행 과정에서 생기는 애로사항, 사업별 특이사항 상담을 통해 R&D수행 과정에서 발생했던 궁금증을 해결에 나선다.   □ 이번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전화나 이메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사전신청을 하지 못한 기업의 경우 현장신청*도 가능하다. * 단, 현장신청은 상황에 따라 수용 인원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문의 및 교육신청 : (전화) 042-388-0323 (E-mail) 311@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86","atchfileNm":"보도자료_20171215_2.hwp","viewCnt":"3763","regDate":"2017-12-15 12:36:09"},{"contentId":"57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구매조건부 1:1 맞춤형 협약컨설팅 서비스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72","contentsKor":"구매조건부 1:1 맞춤형 협약컨설팅 서비스 실시  -12월 12일(화), 3차 수요조사 26개 선정기업 대상 1:1 협약컨설팅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2017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3차 수요조사 선정 26개 기업을 대상으로 「1:1 맞춤형 협약컨설팅 서비스」를 12월 12일(화) 실시한다고 밝혔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 이번 컨설팅 설명회는 중소기업이 작성한 협약서류를 담당자가 사전 검토 후, 협약서류 보완사항 전달, 협약 체결 유의사항 뿐 아니라, 과제 수행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기업별로 40분동안 자유롭게 질문하고 답변하는 컨설팅 형태로 진행된다.   □ 기정원은 기존 강의식 협약설명회와는 달리, 협약담당 직원과 선정기업간 1:1로 협약서류 작성 및 제출 서류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을 통해,   ◦ 중소기업의 애로사항 및 궁금증을 즉시 해결하여 협약기간을 대폭 단축 할 수 있으며, 과제수행에 대한 전반적 컨설팅을 병행하여 중소기업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으며,   ◦ 이번 1:1 맞춤형 협약컨설팅에 대한 효과 분석,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제도 개선 및 확대 실시 등을 검토 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81","atchfileNm":"보도자료_20171212.hwp","viewCnt":"3498","regDate":"2017-12-12 10:43:52"},{"contentId":"57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산학연R&D 3차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71","contentsKor":"기정원, 2017년 산학연R&D 3차 협약설명회 개최  - 11월 29일(수), 412개 첫걸음·도약과제 선정기업에 410억원 지원! -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가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첫걸음·도약과제 3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11월 29일(수) 오후 1시 대전 한남대학교 56주년 기념관 서의필홀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 협력 R&D를 지원해온 사업으로,   ◦ 주요 지원내용은 정부 R&D 사업에 신규로 참여하거나 기업부설연구소를 신규설치하려는 기술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동R&D를 지원하며, 기술적 우위 선점 또는 기술보완을 희망하는 기술력이 있는 중소기업의 공동 R&D도 함께 지원한다.   □ 이번 설명회는 선정기업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와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며,   ◦ 협약변경, 사후관리 등 사업 추진 시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질의응답 등을 통해 사업추진 시 실수가 없도록 상세히 안내한다.   ◦ 특히, 차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의 다양한 의견도 수렴할 예정이다. □ 3차 첫걸음·도약과제 선정기업은 1년의 사업기간 동안 총 1억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대학·연구기관과 공동 기술개발을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7월말부터 8월 중순까지 신청한 1,700개 과제를 대상으로 서면, 현장, 대면평가 등 선정절차를 통해 412개를 최종 선정하여 41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오주환 산학연기술평가부장은“산학연협력 R&D를 통해 기술기반이 취약하거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소기업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한 공동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80","atchfileNm":"보도자료_20171129.hwp","viewCnt":"3253","regDate":"2017-11-29 10:40:52"},{"contentId":"57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참여 저조지역 찾아가는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70","contentsKor":"기정원, R&D참여 저조지역 찾아가는 설명회 개최 - 참여율 저조지역 4개 권역 찾아가는 설명회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지난 1년간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신청현황을 분석하여 참여저조지역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설명회를 실시한다.   ◦ 이번 설명회는 총 4개 지역(광주, 경남, 강원, 전북)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정부과제의 정보가 부족한 지역 중소기업에 중소기업 R&D사업을 알려 참여를 독려함을 목적으로 한다.   □ 기정원은 23일 광주광역시를 시작으로 경남(27일), 강원(29일), 전북지역(12/5일)에 총 4회에 걸쳐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으며, 본 설명회는 사전 신청없이 누구나 참여하여 설명회를 들을 수 있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각 지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사업 소개 및 지원방법 외 기업에서 궁금해하는 각종 R&D사업 정보를 전달한다.   ◦ 본 설명회를 통해 참석한 지역 중소기업 관계자는 해당 지역에서 이러한 설명회가 개최되어 참여의 편의성과 중소기업 R&D사업의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음에 만족감을 표시했다 또한 이러한 설명회가 지역에서도 자주 개최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 기정원 담당자는 참여율이 저조한 지역을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 분포가 많음에도 신청률이 낮은 것은 본 사업을 모르는 중소기업이 많다고 판단되어 이러한 찾아가는 설명회를 실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또한 소외된 지역의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설명회를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계속해서 참여저조 지역을 분석하여 균등한 기회제공을 위해 본 기관의 R&D사업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9","atchfileNm":"보도자료_20171127_2.hwp","viewCnt":"3596","regDate":"2017-11-27 10:39:42"},{"contentId":"57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 중소기업 수출 경쟁력 강화의 징검다리를 놓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69","contentsKor":"'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 중소기업 수출 경쟁력 강화의 징검다리를 놓다 !  -수출초보, 수출유망, 글로벌강소 267개사, 1,240억원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을 위해 수출역량 단계별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올해 총 267개사, 1,240억원을 지원 하였다.   ◦ 본 사업은 글로벌 시장의 유망분야에 대한 선도적 투자를 통해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기술개발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수출유망 품목 468개를 대상으로 자유공모 방식으로 지원하였다.   □ 이번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의 선정된 대표적인 과제들을 살펴보면,   ◦‘글로벌 정보보안 기술개발과제’로 지원한 소○○社 는 글로벌 수준의 솔루션 개발 및 개선으로 국가별 차별화 전략을 통해 기존 시장인 미국을 넘어 중남미, 동남아 등으로 수출 가능성이 높아 수출초보기업 과제로 선정되었으며,   ◦‘치과 및 산업용 실시간 3D 스캔 모듈 개발과제’를 지원한 메○○社는 3D스캐너의 데이터 획득 및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고, 경쟁업체 대비 저가의 고품질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시장 점유율 상승과 파급효과가 높아 글로벌강소기업 과제로 선정되었다.   □ 기정원 담당자는 이번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지원을 통해 수출초보기업은 수출역량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한 발판을 확보하고,   ◦ 수출유망 및 글로벌 강소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기술 개발을 통해 수출시장 확대 및 수출역량 강화 계기로 작용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8","atchfileNm":"보도자료_20171127.hwp","viewCnt":"3424","regDate":"2017-11-27 10:34:24"},{"contentId":"57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68","contentsKor":"기정원,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협약설명회 개최 - 3차 기업제안 155개 선정기업에 547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최철안 원장)은 11월21일(화) 오후 2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대강당에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이하 ’구매조건부‘)」기업제안과제(3차) 155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성공하면 수요처에서 일정기간 개발제품을 구매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본 설명회에서는 3차 기업제안과제 선정 155개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약절차, 규정 등 과제 진행과 관련된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자주 발생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과 관련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본 설명회 이후 구매조건부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기술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7","atchfileNm":"보도자료_20171122.hwp","viewCnt":"3475","regDate":"2017-11-22 10:32:59"},{"contentId":"57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에 다양한 R&D정보 제공을 위한 웹진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67","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에 다양한 R&D정보 제공을 위한 웹진 발간  - 중소기업 R&D사업 안내 및 R&D수행기업 소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에 R&D관련 정보를 보다 손쉽게 받아 볼 수 있도록 웹진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 지난 ‘17년 9월 첫 발간된 웹진은 R&D사업공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포럼, 설명회 등 각종 행사 및 실제 R&D사업 수행기업의 현장사례 등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 또한, 기술분야별 전문가의 자문을 통하여 해당기술의 소개와 설명 및 R&D 방향성을 제시하는 커버스토리를 운영하여 새로운 지식의 장도 제공한다.   □ 기정원 웹진은 웹진 홈페이지(http://webzine.tipa.or.kr)와 기정원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서도 구독이 가능하며 구독신청을 하게 되면 매주 R&D지원사업 뉴스레터와, 매달 발간되는 웹진을 신청한 메일로도 받아볼 수 있다.   ○ 또한 기정원 웹진은 기존의 뉴스레터 형식에서 구독자의 편의를 위해 모바일 환경에서도 구독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에 도움이 되는 R&D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기업이 다양한 기회를 접하고 성장하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6","atchfileNm":"보도자료_20171120.hwp","viewCnt":"2922","regDate":"2017-11-20 10:30:01"},{"contentId":"6341","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재난,사고, 범죄로부터 인류를 구할 신기술이 온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6341","contentsKor":" ","viewCnt":"585","regDate":"2017-11-17 13:45:28"},{"contentId":"57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열린혁신으로 사회적가치 실현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2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열린혁신으로 사회적가치 실현 나선다 - “중소기업 R&D 1번가”개설, 국민 참여 혁신과제 공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국민과 함께 하겠다”는 정부의 국정철학에 발 맞추어 국민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및 사회적 가치 실현에 앞장서고자 ‘TIPA 열린혁신 추진단’을 구성했다.   ○ ‘열린혁신’이란 기관 중심의 일방향적 서비스 제공에서 벗어나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디자인하는 서비스 혁신 패러다임을 의미하며,   ○ 사회문제를 시민의 힘으로 해결하는 ‘사회혁신’ 및 기관의 공공서비스를 개선하는 ‘정부혁신’으로 구성되어있다.   □ ‘TIPA 열린혁신 추진단’은 혁신 책임관인 기획조정본부장을 중심으로 혁신총괄부서 및 5개의 혁신과제 실행부서로 구성되었으며, 앞으로 다양한 혁신과제 발굴 및 추진활동을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 이를 위해, 다양한 시민사회와 유관 공공기관과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시민이 직접 사회혁신 및 기관혁신 과제를 발굴하고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 ‘TIPA 열린혁신 추진단’은 첫 번째 활동으로 국민 참여창구인 ‘중소기업 R&D 1번가’를 개설하고, 오는 26일까지 국민들에게 직접 열린혁신 아이디어를 공모 받는다.   ○ 공모내용은 기정원의 중소기업 R&D 및 정보화 지원 서비스의 혁신 및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한 아이디어이며,   ○ 국민 누구나 기정원 홈페이지(www.tipa.or.kr) 및 기정원 웹진(http://webzine.tipa.or.kr)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 기정원은 우수 아이디어 제안자에 대해서는 소정의 상금을 수여하고 실제 정책 수립 및 서비스 개선활동을 함께할 예정이다.   □ 기정원의 최철안 원장은 “기정원은 앞으로 시민사회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열린혁신 활동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32","atchfileNm":"보도자료_20171117.hwp","viewCnt":"3660","regDate":"2017-11-17 13:09:42"},{"contentId":"57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155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66","contentsKor":"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155억원 지원!  - 팁스 프로그램(7차), 31개 창업팀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7년도 팁스 프로그램* 7차에 31개** 창업팀을 선정하고 2년간 155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기술분류 : 정보통신(16), 바이오의료(7), 지식서비스(3), 기계소재(2), 전기전자(2), 화학(1)   □ 팁스는 민간의 투자가치 판단능력을 활용하여 유망기술 창업팀을 육성하고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엔젤투자자 및 초기전문 VC 등으로 구성된 민간 운영사가 발굴한 창업팀에 정부의 R&D 지원을 연계한다.   ◦ 선정된 창업팀은 운영사로부터 1억 원 내외의 투자금과 정부 R&D 자금 5억 원, 후속지원 4억 원* 등 최대 10억 원을 지원받으며,   - 운영사로부터 체계적인 창업 노하우와 보육공간을 제공받는다.   * 창업사업화자금 1억 원, 해외마케팅자금 1억 원, 엔젤매칭펀드 투자금 2억 원 □ 이와 함께 기정원과 한국엔젤투자협회는 선정된 31개 창업팀과 운영사를 대상으로 11월 17일(금) 오후 3시 팁스타운(역삼)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본 설명회는 선정된 기업의 과제책임자 및 운영사 코디네이터의 원활한 협약체결 및 과제수행을 돕기 위해 개최되며,   ◦ 협약에 필요한 제반사항 및 협약변경의 절차, 최종평가 및 사업비 집행 및 정산 방법 안내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 한편 팁스 프로그램은 현재 진행 중인 8차(11월) 평가를 통해 2017년 창업팀 지원을 마감할 계획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5","atchfileNm":"보도자료_20171117_2.hwp","viewCnt":"3042","regDate":"2017-11-17 10:27:15"},{"contentId":"57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지역사회 소외된 이웃들에게 연탄나눔활동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765","contentsKor":"기정원, 지역사회 소외된 이웃들에게 연탄나눔활동 실시  - 11월 16일(목), 대전지역 저소득층에 노사합동으로 연탄나눔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1월 16일 목요일 대전지역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노사합동 사랑의 연탄나눔활동을 진행하였다.   ◦ 이날 사회공헌활동은 대전 동구청의 추천을 받아 선정한 저소득층 10가정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노동조합 장상민 위원장 등 임직원 30여명이 참여하였다.   □ 기정원은 이날 대전시 동구 판암동 일대에 총 3,000장의 연탄을 전달하였으며 지원받은 가정은 대부분 독거노인, 저소득층 등 소외된 이웃들이었다.   ◦ 이번 사회공헌활동은 연탄가격이 작년 550원에서 660원으로 크게 오른 상황에서 소외된 이웃들의 겨울나기에 도움을 주고자 노사가 합동으로 추진하게되었다.   □ 기정원의 최철안 원장은 “소외계층과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면서 이번 활동으로 지역사회 이웃들이 추운 겨울을 조금이나마 따뜻하게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 또한 “소외계층과 지역사회에 적재적소에 도움을 주는 기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기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474","atchfileNm":"보도자료_20171117.hwp","viewCnt":"3011","regDate":"2017-11-17 10:25:20"},{"contentId":"56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혁신형 중소기업을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시킨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90","contentsKor":"혁신형 중소기업을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시킨다!!   # 창업초기부터 중기부의 R&D 지원을 통해 기술개발 역량을 키워 온 무선통신단말기 전문 벤처기업 알OO社는 IOT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하고 Wave 통신기술의 국산화 기술개발을 통해 해외시장 개척과 수출기반을 마련할 계획을 가지고, `16년에 이어 `17년 혁신형기업 기술개발사업에 신청하여 선정되었다.   - 알OO社가 이번 과제에 성공할 경우 이 분야의 새로운 시장창출은 물론 기술수준의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 ‘혁신형기업기술개발사업’은 ICT, 빅데이터, 3D 프린팅 등 新 시장 창출 및 기존 제조업 기반의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해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기업의 핵심기술역량을 키워 글로벌시장의 전문기업으로 성장을 유도하는 사업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올해 혁신형기업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총 304개사를 선정하여 526억원 지원을 완료하여 선정된 중소기업은 최대 2년간, 정부출연금 최대 5억원(총 사업비의 65%)을 지원받아 R&D를 수행한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올해도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선정평가를 진행했으며, `17년 선정된 과제의 특징을 살펴보면,   ◦ 정보통신 및 전기전자 등 ICT 분야가 51.9%(158개)지원 되었으며, 지원대상 품목 중 60.4%에 해당하는 183개 과제가 4차 산업혁명과 관련성이 높은 신성장 동력분야에 집중 지원되었다. * 신성장 동력분야 : 데이터인텔리전스, 스마트홈/비즈니스, 차세대 방송통신, 스마트 미디어기기, 로봇, 차세대 자동차, 스마트 팩토리 등   ◦ 지원과제의 39.5%(120개)가 업력 8년 내외의 ICT 관련* 벤처기업으로, 창업 후 3~7년의 데스벨리를 지나 본격적인 성장의 기로에 놓인 상태이며, 후속 제품의 연구개발, 시장진입을 위한 마케팅 비용 등 외부 투자가 절실한 시기에 금번 R&D 자금이 지원되었다. * ICT 관련업종 : S/W 개발 및 자문업, 전자기기 제조업, 통신기기 제조업 등   ◦ 선정된 기업의 총 고용인원 9,158명 中 571명(6.23%)이 신규 고용예정인 참여연구원으로, 중소기업의 평균 고용증가율*이 2.73%인 것을 감안했을 때 고용창출 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 e-나라지표「중소기업 일반현황」참고   □ 이번 혁신형기업기술개발과제의 대표적인 선정된 과제는,   ◦ ‘차세대 RSE 기술개발과제(알OO社로)’로 국제표준(IEEE)를 적용한 통신기술 개발로 향후 철도간 통신, 로봇간 그룹 통신에 활용이 가능해 IoT 등 4차 산업혁명에 꼭 필요한 기술로 평가되어 높은 점수로 지원과제로 선정되었다.   □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은 `97년 지원을 시작하여, 많은 중소기업에게 힘이 되어왔다. 특히, 창업 이후 성장기를 거쳐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하기 위한 과정에서 중요한 발판 역할을 해왔다.   ◦ `13년 본 사업을 수행한 ㈜미라지웍스는 악성코드의 다양화와 국내 백신시장의 포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던 시기에 R&D과제를 통해 차별화된 보안솔루션을 개발하게 되었고,   - 품질인증(GS) 및 국제공통평가기준(CC)인증을 획득은 물론 총 14건의 관련기술의 특허를 인정받아, 매출로 이어지게 되었다. 현재 과제 수행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통해 국내뿐 만 아니라, 해외시장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미라지웍스의 남승우 대표는 ‘기술혁신이 필요한 시기에 R&D를 지원받게 되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면서, 앞으로도 기술혁신을 필요로 하는 벤처기업에게 큰 힘이 되어달라고 당부했다.   □ 기정원은 이번 지원결과를 바탕으로 신청이 저조한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 등 홍보활동을 통해 신청기업을 확대하는데 노력하고,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지원을 통해 4차 산업혁명 대응에 적극적으로 앞장서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9","atchfileNm":"보도자료_20171103.hwp","viewCnt":"3492","regDate":"2017-11-13 10:39:57"},{"contentId":"56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R&D수행기업 교육」으로 기술개발 성공률 높인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89","contentsKor":"기정원,「R&D수행기업 교육」으로 기술개발 성공률 높인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0월 31일(화) 오후 2시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대덕테크비즈센터(1층 콜라보홀)에서 「20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수행기업 교육」을 실시했다.   ○ 이번 교육은 ‘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되어 현재 사업을 추진 중인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 6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수행기업 교육은 창업 초기 기업들이 과제 수행 중 공통적으로 어려워하는 ▲협약변경 시스템 사용법, ▲사업비 집행 시 주의사항 등을 중점 설명하는 자리이다.   □ 이번 교육은 총 5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협약변경 시스템 사용법을 안내하고, 두 번째 세션에는 성공적인 기술개발을 위한 협약변경 사례를 설명하였다.   ○ 세 번째 세션에는 바우처* 활용방법 및 사용 시 유의사항을 전달하였으며, 네 번째 세션에는 업체들이 질의한 내용들을 토대로 상담하였다. *연구전문기관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2016년도부터 도입된 제도 ○ 마지막 세션에는 정산 담당 회계사를 초빙하여 사업비 집행 시 유의사항 및 사업비 정산 시 주요 환수사례들을 설명하였다.   □ 또한 이번 교육에는 사업담당자와 1:1 상담부스도 마련하여 사업 추진 중 발생한 궁금한 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담당자는 “창업기업들이 과제 수행 중 발생하는 어려움을 교육을 통해 해소함으로써, 자신들의 역량을 기술개발에 몰입하고, 이를 통해 기술개발을 성공적으로 마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8","atchfileNm":"보도자료_20171101.hwp","viewCnt":"2942","regDate":"2017-11-01 10:38:08"},{"contentId":"56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국을 순회하며 찾아가는 컨설팅 서비스 신청·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88","contentsKor":"전국을 순회하며 찾아가는 컨설팅 서비스 신청·접수  -11월 10일(금)까지 11개 지역에서 진행하는 맞춤형 1:1컨설팅 사전 접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원 원장, 이하 기정원)은 전국 11개 지역에서 지방중소벤처기업청과 함께 실시하는「2017 찾아가는 R&D 컨설팅 서비스」를 10월 30일(월)부터 11월 10(금)까지 사전 신청·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R&D 관심기업(선정탈락 및 과제종료, 과제신청 예정기업 등)을 대상으로 현장 애로요인을 해소하고 맟춤형 서비스를 위해 본 컨설팅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 이번 컨설팅은 중소기업과 기정원 담당자 간의 1:1방식으로, 기업의 사전 문의사항에 대해 40분간 질의·응답을 갖는다.   ☞ 대상사업 : 기술혁신기술개발사업, 제품서비스기술개발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중소중견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파트너십사업, 창조혁신형 재도전 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상용화 기술개발사업   ◦ 과제를 수행 중인 기업은 사업관련 규정 및 사업비 집행방법, 협약변경 시 발생하는 문의사항 등에 관한 맞춤상담이 진행되며,   ◦ 과제신청 후 탈락한 기업을 대상으로는 제출한 사업계획서 및 발표자료 등의 보완사항 및 대면평가 발표 방법 등을 집중적으로 안내한다.   □ 컨설팅 서비스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11월 10일(금)까지 아래 사업별 담당자 이메일로 신청하면 참석이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7","atchfileNm":"보도자료_20171031.hwp","viewCnt":"3228","regDate":"2017-10-31 10:36:46"},{"contentId":"56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의 R&D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85","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의 R&D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실시! - 11월 6일까지, 11월 교육 신청․접수 중 -   □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11월 ’R&D기획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한다.   ◦ 동 과정은 R&D기획 전 주기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위한 내용으로, 사업계획서 작성준비부터 기술개발, 사업화에 이르는 전 과정을 아우르고 있다.   □ ’R&D기획역량강화 교육‘은 온/오프라인 무료교육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을 높임으로써 자발적이고 자생적인 기획활동을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11월 교육은 올해 마지막 오프라인 교육으로 전주(4~5일)와 대전(9~10일)에서 2일 과정으로 운영되며, 현재 신청․접수를 받고 있다.   * 교육신청 : 한국산학연협회 홈페이지 http://plus.auri.or.kr → 교육 → 수강신청   ◦ 온라인 교육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 온라인 교육 : http://www.smtech.go.kr → 고객지원 → 온라인 매뉴얼 → 동영상 강의 → R&D기획역량강화 교육 □ 기정원의 양국석 부장은 “본 교육이 R&D 기획역량을 제고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며, “향후에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중소기업의 기획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5","atchfileNm":"보도자료_20171026.hwp","viewCnt":"3186","regDate":"2017-10-26 10:32:29"},{"contentId":"56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재창업기업 심화 R&D지원 설명회 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87","contentsKor":"기정원, 재창업기업 심화 R&D지원 설명회 개최  - 창조혁신형 재도전 기술개발사업 완료기업 당 최대 5천만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0월 25일(수) 오후 1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중앙로캠퍼스에서 창조혁신형 재도전 기술개발사업 심화 R&D지원 설명회를 개최한다.   □ 금번 설명회는 창조혁신형 재도전 기술개발사업(‘13~’16년)의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심화 R&D 지원내용, 사업 계획서 작성법 등 사업 개요와 사업 설명 및 질의응답이 진행될 예정이다.   ○ 지원 대상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담당자는 기정원 사업담당자 간의 개별상담을 통해 과제 추진 시 발생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 동 사업은 성장 잠재력이 우수하여 사업화 등 성공 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지원하여 재도전 기업의 추가 도약을 제고하는 사업으로서   ○ 선정된 기업들은 최대 5천만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기존 제품‧기술을 중심으로 사업화 수요에 부합하는 성능 및 고도화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6","atchfileNm":"보도자료_20171025.hwp","viewCnt":"3108","regDate":"2017-10-25 10:35:03"},{"contentId":"5680","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인공지능의 시대, 에듀테크가 지식 서비스 분야의 만능열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680","contentsKor":" ","viewCnt":"1711","regDate":"2017-10-20 13:32:37"},{"contentId":"56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재창업기업 추가도약을 위해 R&D 자금 지원”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84","contentsKor":"기정원,“재창업기업 추가도약을 위해 R&D 자금 지원”시행 - 11월 2일까지, 심화 R&D지원 신청·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13~’16년 재창업 전용 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재창업 전용 기술개발사업 심화 R&D지원 신청·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 동 사업은 재창업전용 기술개발사업(‘13~’16년) 완료기업 중 사업화 등 성공 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지원하여 재도전 기업의 추가 도약을 제고하는 사업이다.   □ 신청·접수기간은 2017년 10월 18일(수)부터 11월 2일(목)까지 이며, 지원대상은 기정원에서 실시한 재창업 전용 R&D(‘13~’16년)를 수행하여 성공한 과제를 대상으로 한다.   ◦ 선정기업은 정부출연금 최대 5천만원을 지원받아 기존 제품‧기술의 사업화, 고도화에 필요한 후속 R&D, 교육, 전문가 멘토링 등의 추가지원을 받게 된다.   □ 기정원의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금번 창조혁신형 재도전 기술개발사업 심화 R&D지원을 통해 우수한 기술력‧경영노하우 를 보유한 재창업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산업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정보마당-사업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94","atchfileNm":"보도자료_20171019.hwp","viewCnt":"2742","regDate":"2017-10-19 10:30:41"},{"contentId":"56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기업 금융지원을 위한『기정원-국민은행 업무협약』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39","contentsKor":"창업기업 금융지원을 위한『기정원-국민은행 업무협약』체결 - 창업성장 R&D 성공기업을 대상으로 금융상품 연계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과 KB국민은행(은행장 윤종규)은 9월 28일(목) 창업성장R&D를 수행하는 창업기업에 금융지원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 이번 협약으로 ‘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된 760여개의 창업기업(’17년 9월말 기준)은 KB국민은행 여신심사를 통해 금융 지원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① 기정원이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KB국민은행에 금융지원 후보기업으로 추천하게 되며,   ② KB국민은행은 추천받은 대상기업에 대한 심사과정을 거쳐 여신지원, 종합컨설팅, 지분투자 등 대상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금융상품을 연계지원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우수 창업기업의 원활한 사업화를 위해 금융지원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 민간 금융기관과의 업무 연계지원을 확대함으로써 금융지원이 필요한 창업기업에게 보다 많은 R&D참여를 도모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51","atchfileNm":"보도자료_20171013.hwp","viewCnt":"4072","regDate":"2017-10-13 09:28:58"},{"contentId":"56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4차) 55개 과제 6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40","contentsKor":" -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4차) 55개 과제 6억원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의 4차 총 55개 과제를 선정하고 6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은 국‧공립대학의 고급인력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애로해결 및 R&D역량 제고,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한다.   ◦ 본 사업은 2017년 총 4회차에 걸쳐 신청·접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지난 6월 중순에 신청·접수된 124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55개 과제 6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지원을 위해 대학의 우수한 교수를 매칭하여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기술애로해결 및 신기술 사업화 자문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한다.   □ 중소벤처기업부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통해 전국 5개* 권역에 6개** 국‧공립대학을 공학컨설팅센터로 선정하고 다양한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 (5개 권역) ①서울․경인․강원, ②대구․경북, ③부산․울산․경남, ④대전․충청, ⑤호남․제주   ** (6개 기관) 서울․경인․강원 2개, 그 외 4개 권역은 1개   - 공학컨설팅센터란 권역별 과제 신청·접수, 전문가 매칭, 기술애로 해결계획서 제출, 지원과제 추천(심의조정위원회)등 과제를관리하는 국·공립 공과대학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협력기술평가본부장 최광문 본부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과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52","atchfileNm":"보도자료_20171012.hwp","viewCnt":"4882","regDate":"2017-10-12 09:30:49"},{"contentId":"56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여성인력 경제참여 확대 위해 R&D 자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38","contentsKor":"기정원, 여성인력 경제참여 확대 위해 R&D 자금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10월 13일(금) 오후 1시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대덕테크비즈센터(1층 콜라보홀)에서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여성참여활성화과제(2차)에 선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여성창업기업 , ▲경력단절여성채용창업기업, ▲예비창업팀(창업팀의 50%이상 경력단절여성 및 여성과학기술인)의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제고시키고자 하는 사업으로, 2017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111개의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총 4개 세션으로 구성하여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여성참여활성화과제 협약설명회가 진행된다.   ○ 첫 번째 세션에는 R&D 청렴문화 확산 교육을 하고,   ○ 두 번째 세션에는 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수정사업계획서 및 연구노트 작성, 협약변경 방법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 세 번째 세션에는 SMTECH(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담당자가 연구비관리시스템 활용방법을 전달하며,   ○ 마지막 세션에는 정산 담당 회계사를 초빙하여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기업들에게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유도한다.   □ 본 설명회 이후 여성참여활성화과제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최대 1년간 1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50","atchfileNm":"보도자료_20171012.hwp","viewCnt":"3989","regDate":"2017-10-12 09:26:27"},{"contentId":"56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기정원-산내종합사회복지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37","contentsKor":"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기정원-산내종합사회복지관 업무협약』 체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 업무협약-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과 산내종합사회복지관(관장 이강현)은 9월 27일 대전 산내종합사회복지관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산내종합사회복지관(이하 복지관)”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본 협약을 통해 기정원은 따뜻한 지역 만들기의 일환으로 취약계층에 대한 후원 나눔활동과 재능 기부를 통한 봉사활동 등 지속적인 상호협력을 통한 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하게 된다.   ◦ 업무협약을 체결한 산내종합사회복지관은 대전지역 최초로 세워진 3개의 사회복지관 중 하나로서 저소득층의 자립능력 배양과 사회의 제반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아동부터 노인까지 종합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취약계층을 위한 후원 나눔활동 지원   ② 재능 기부를 위한 봉사활동 지원   ③ 기타 관내지역의 어려움 발생 시 문제해결을 위한 상호 협력   □ 기정원의 최철안 원장은 “지속적인 사회공헌과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은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임을 강조하며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부터 시작”이라고 말하며   ◦ 또한 향후 다양한 활동모습으로 지역사회와 사회적 약자를 위해 헌신하는 기관으로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49","atchfileNm":"보도자료_20170928.hwp","viewCnt":"4433","regDate":"2017-09-28 09:24:55"},{"contentId":"56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추석명절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36","contentsKor":"기정원, 추석명절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실시  - 9월 26일(화), 대전지역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및 사회복지시설 위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추석 명절을 맞이하여 노사공동으로 9월 26일(화) 오전 법동시장(대전시 대덕구)에서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 이날 행사에는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임직원 20여명이 참여하였으며, 임직원들은 추석명절을 맞아 전통시장 이용 활성화를 위해 장바구니를 나눠주며 캠페인을 진행했다.   □ 또한, 기정원은 이날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추석명절 위문품을 지역 소외계층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복지시설 2곳에 전달하였다.   ◦ 대상기관은 종합복지시설인 “산내종합사회복지관”과 노인복지시설인 “유성구 노인복지관”이며, 해당 기관에 필요한 위문물품을 전달하였다.   □ 기정원의 최철안 원장은 “소상공인, 중소기업이 살아야 국가 경제가 활성화됨을 강조하면서 이번 캠페인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에 작은 기여가 되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 또한 “소외계층과 사회적 약자에 지속적인 관심과 후원은 공공기관으로써 당연한 사회적 책임으로 앞으로도 애정과 도움을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다양한 모습으로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48","atchfileNm":"보도자료_20170927.hwp","viewCnt":"4029","regDate":"2017-09-27 09:22:14"},{"contentId":"56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성장 R&D에 성공하고 투자도 받자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635","contentsKor":"창업성장 R&D에 성공하고 투자도 받자 ! - 기정원, 창업R&D성공기업에 엔젤, VC참가하는 매칭데이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9월 26일(화) 오전 10시 팁스타운(역삼 명우빌딩 B1)에서 창업R&D 성공기업과 VC 및 TIPS 프로그램* 운영사가 참가하는 매칭데이를 개최하였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이번 행사는 창업R&D 과제를 우수하게 수행한 초기 창업기업의 후속투자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었으며,   - 중소기업의 IR과 엔젤투자자 및 초기전문 VC와의 1:1 투자상담을 통해 정부 R&D과제 성공기업들의 사업화 성공의 기틀을 마련했다.   □ 이번 매칭데이 IR에 참가하는 창업R&D성공기업들은 17개 업체로,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전략 우수 유망기술에 대해 소개하였고   ◦ 창업팀 발굴과 투자에 앞장서는 KB인베스트먼트, 마그나 인베스트먼트, 코맥스벤처러스 등의 TIPS 프로그램의 신규 운영사도 대거 참가하여   ◦ 우수 기업들의 투자가능성을 심도 있게 검토하였다.   □ 참가기업들의 IR 행사 종료 후, 사전매칭을 통해 연결된 중소기업과 투자자의 1:1 투자상담회를 개최하여 업체와 투자자간의 본격적인 네트워크 장을 마련하였다.   ◦ 이를 통해 정부R&D 과제 성공 후에 창업팀들이 겪는 투자자와의 접근성 문제가 대폭 해소될 것으로 보여진다.   □ 기정원은 앞으로도 걸음마 단계의 창업기업들의 R&D 지원을 통한 도약과 더불어 사업화 성공을 도와, 기술개발과제 성공과 사업화를 위한 후속투자가 연계되러 선순환이 구축되는 중소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347","atchfileNm":"보도자료_20170926.hwp","viewCnt":"3408","regDate":"2017-09-26 09:20:24"},{"contentId":"55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청렴도 향상을 위한 청탁금지법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73","contentsKor":"기정원 청렴도 향상을 위한 청탁금지법 교육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9월 20일(수) 오후 4시 대전 본원에서 전직원을 대상으로 ‘청렴도 향상을 위한 청탁금지법 교육’을 실시하였다.   ○ 기정원은 청탁금지법 시행 1년을 맞이하여 청탁금지법 바로알기 교육 실시를 통해 기정원 임직원의 청렴도 향상 및 청렴한 추석명절 보내기 운동의 일환으로 실시하였다.   ○ 이번 교육은 사단법인 한국청렴운동본부 이지문 본부장을 강사로 초청하여 청탁금지법의 취지와 오해하기 쉬운 사례를 중심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청렴이 실천되어질 수 있도록 교육이 진행되었다.   □ 기정원 임직원은 이번 교육를 통하여 청탁금지법의 취지와 내용에 대하여 자세히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교육으로 청탁금지법의 취지를 바로 이해하고 준수하여 기정원이 최고의 청렴 R&D 전문기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아울러, 기정원 임직원은 추석 명절을 맞이하여 청탁금지법 준수 범위 내에서 올해 가뭄, 홍수, AI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축어업인들을 위한 우리 농축산물 위주의 선물을 준비하는 “청렴한 명절 보내기 운동”을 전개 할 것을 다짐하였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80","atchfileNm":"보도자료_20170921.hwp","viewCnt":"3426","regDate":"2017-09-21 14:10:17"},{"contentId":"55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 수행기업에 맞춤형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72","contentsKor":"기정원, R&D 수행기업에 맞춤형 교육 실시!  - 9월 28일(목), 중기 R&D수행기업 대상 사업관리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9월 28일(목) 정부대전청사 후생동 대강당에서 ‘2017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제품서비스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담당자를 대상으로「R&D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 ‘R&D 맞춤형 교육’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을 진행 중인 기업들의 성공적인 R&D수행과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마련되었다.   □ 이번 교육에서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지침, SMTECH 사용방법, 연구노트 작성법, 과제진행 절차 등 사업 수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명할 예정이다.   ◦ 특히, 중소기업이 사업수행에 있어 가장 어려움을 겪는 ‘사업비 정산 및 집행’과 관련하여 전문회계사를 통한 교육시간을 마련하였다.   □ 또한, 중소기업 R&D 궁금증 해결을 위한 1:1 상담부스를 마련하여,   ◦ 사업 수행 과정에서 생기는 애로사항, 사업별 특이사항 상담을 통해 R&D수행 과정에서 발생했던 궁금증을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 멘토링 기관도 1:1상담 부스를 마련하여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해 기업별 상담을 진행한다. □ 이번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9월 22일(금)까지 전화나 이메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사전신청을 하지 못한 기업의 경우 현장신청*도 가능하다. * 단, 현장신청은 상황에 따라 수용 인원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또한, 기정원에서는 2차 교육(‘17년 11월)도 실시할 예정으로, 이번 교육에 참여가 어려운 기업은 2차 교육에 참여하면 된다.   ※ 문의 및 교육신청 ◦ (전화) 042-388-0323 (E-mail) 311@tipa.or.kr ◦ (신청 URL) https://goo.gl/forms/o5V6jtn5VTiPgCIx2","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79","atchfileNm":"보도자료_20170920.hwp","viewCnt":"3835","regDate":"2017-09-20 14:08:57"},{"contentId":"55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4차 산업혁명 관련 468개 전략제품 후보군 발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52","contentsKor":"기정원, 4차 산업혁명 관련 468개 전략제품 후보군 발표 -「2017년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공청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9월 15일에 코엑스 Hall A 전시장에서 "2017년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 이번 공청회는 전략제품 후보군을 발표하고, 중소기업, 연구기관 및 대학 등 각계 각층의 의견 수렴을 통해 전략제품 선정(안)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은 중소기업이 제4차 산업혁명, 일자리 창출, 글로벌화 등 환경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R&D 투자 유망 품목을 매년 제시하고 있다.   ◦ 기정원은 제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27개 분야 및 고용유망분야 6개 등 총 33개의 전략분야를 도출하였으며,   - 총 네 차례의 기술수요조사와 `16년 기술로드맵 전략제품에 대한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468개의 전략제품 후보군을 선정하였다.   ◦ 기정원은 이번 공청회를 통해 수렴한 중소기업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전략제품 후보군을 추가, 조정, 삭제하고, 중소기업 현장에 적합한 전략제품을 도출할 계획이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이 창의적 혁신과 도전적 연구개발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여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 ”이번 공청회를 통해 보다 실효성 높은 중소기업 현장 중심의 기술로드맵을 구축하여,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선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59","atchfileNm":"보도자료_20170915_2.hwp","viewCnt":"4191","regDate":"2017-09-15 14:06:00"},{"contentId":"55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에 21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51","contentsKor":"기정원,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에 210억원 지원 - 산연전용, 연구마을 137개 중소기업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벤처기업부(차관 최수규, 이하 중기부)에서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이 시행하는 2017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전략협력(산연전용, 연구마을) 하반기 과제 137개가 최종 선정되어 사업수행에 들어간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전략협력’은 특정 산업·기술분야의 전략적 산학연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고성장기업으로 육성지원하는 사업으로   ◦ 연구기관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산연전용과(1년, 1.5억원 이내 지원),   ◦ 중소기업의 연구기능(부설연구소)을 대학 내 공간에 집적화하여 상시 기술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연구마을(2년, 2억원 이내 지원)로 구성되어 있다.   □ 기정원은 하반기 산연전용, 연구마을사업에 신청한 기업(299개)을 대상으로 우수과제 선정을 위하여 2단계의 심층평가 과정(운영기관 자체평가, 기정원 대면평가)을 거쳐 137개 과제, 210억원 지원을 결정하였다.   □ 한편, 기정원은 상반기 산연전용·연구마을 과제에 선정된 주관기관(중소기업)과 공동개발기관(대학·연구기관)을 대상으로 9월 15일(금)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1층 동해홀(과천 본원)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한다.   ◦ 또한 R&D청렴수행, 연구비 관리방법 등 주의사항 안내와 사업담당자와의 질의응답을 통해 사업추진 시 혼선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 기정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상반기에 산연전용과 연구마을사업에 참여하는 모든 중소기업이 대학·연구기관의 전략적 지원프로그램을 잘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 산연전용, 연구마을은 2017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300여개에 달하는 지원과제를 선정하였으며, 하반기 과제 선정을 끝으로 금년도 지원 사업을 마무리 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58","atchfileNm":"보도자료_20170915.hwp","viewCnt":"3642","regDate":"2017-09-15 14:00:03"},{"contentId":"567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는 연구개발(R&D) 파트너가 되겠습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679","contentsKor":" ","viewCnt":"1175","regDate":"2017-09-15 13:31:41"},{"contentId":"55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역량강화 사업”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45","contentsKor":"중기부-기정원,“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역량강화 사업”시행 - 9월 26일까지, 시장친화형 기능개선(R&D) 추천과제 신청·접수 -   □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기정원’)은 R&D 성공 후 사업화되지 않은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 대상 기술사업화 역량강화사업일환으로 2017년도 시장친화형 기능개선(R&D) 추천과제 신청·접수를 9월 26일(화)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동 사업은 R&D 성공과제 중 기술․사업화 역량 및 시장성이 높은 과제를 중심으로 상용화 후속 R&D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금번 공고를 통하여 정부출연금 약 30억원(30개 과제 내외)이 지원될 예정이다.   □ 신청·접수기간은 2017년 9월 11일(월)부터 9월 26일(화) 18시까지이며,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중소기업진흥공단으로부터 R&D 성공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진단을 통해 “기술성 보완 필요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이다.   ◦ 선정기업은 최대 1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기 개발된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필요한 성능향상 및 기능개선 후속 R&D를 1년 동안 추진하게 된다.   □ 기정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금번 시장친화형 기능개선(R&D) 과제를 통해 창의·도전적으로 이룩한 기술혁신이 사업화에 성공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 및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정보마당-사업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52","atchfileNm":"보도자료(20170914).hwp","viewCnt":"3960","regDate":"2017-09-14 14:38:19"},{"contentId":"55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 중소기업정보화역량강화사업 3차 공고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31","contentsKor":"□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의 생산현장 스마트화 및 경영혁신 등을 위해서 2017년도 중소기업정보화역량강화사업 3차 공고를 시행(‘17. 9. 6)하였다.   ◦ 정보화역량강화사업은 중소기업의 경영·생산현장에 ICT를 접목하여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고 스마트공장 통합시스템 구축․개발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이다.(참고1)   □ 이번 3차 공고에서는, 클라우드기반솔루션개발사업 기존 특화솔루션 추가 지원과 함께, 전략솔루션을 신규 발굴하여 추진한다.   ◦ 전략솔루션은 협·단체들의 공통 업무에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솔루션으로서, 금년도 사업을 통해 협·단체 오프라인 행사지원 솔루션을 지원할 예정이다.(참고2)   □ 또한,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의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Pool을 추가 모집하여 수요기업의 보다 다양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의 경우, 신청기회를 놓치는 중소기업 의견을 반영하여 수시모집 방식으로 예산소진시까지 신청 접수를 진행 중이다.   □ 중소기업정보화역량강화사업은 온라인(it.smplatform.go.kr)으로 신청가능하며 사업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위해 지역별 설명회에 대한 사전수요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사업에 대한 문의 및 지역별 설명회 일정(잠정)은 참고 2. 참조","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32","atchfileNm":"보도자료_20170908.hwp","viewCnt":"3264","regDate":"2017-09-08 14:12:25"},{"contentId":"55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24","contentsKor":"기정원, 20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창업과제 선정된 159개 기업에 289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8월 31일(목)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2층 강당)에서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3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 후 7년 이하의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지난 4월 19일 공고를 통해 사업계획서 등을 제출한 후 서면평가․현장평가․대면평가를 거쳐 협약대상 과제로 최종 선정된 159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 아울러 본 설명회에서는 원활한 과제 추진을 위한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체결,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연구노트 작성, 기술임치제도 등 제반사항을 안내하고,   ○ 정산 담당 회계사를 초빙하여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기업들에게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는 시간이 마련될 예정이다. □ 또한 협약 대상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담당자와 기정원 사업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 추진 중 발생하는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 본 설명회 이후 창업과제에 선정된 기업들은 기정원과 전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기업들은 최대 1년간 2억 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신산업 및 주력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창업유망품목에 해당하는 신제품․신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데이터 인텔리전스, 스마트홈/비즈니스, 로봇, 스마트팩토리 등","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28","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_2017년_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_협약설명회_개최.hwp","viewCnt":"3240","regDate":"2017-08-31 13:15:47"},{"contentId":"5510","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넓고 깊은 정보 보안의 세계, 가능성을 안고 도전하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510","contentsKor":"","viewCnt":"1275","regDate":"2017-08-25 16:13:07"},{"contentId":"55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17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2차 첫걸음 및 도약협력 362개 선정기업에 341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08","contentsKor":"2017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2차 첫걸음 및 도약협력 362개 선정기업에 341억원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의 2차 첫걸음·도약협력 총 362개 중소기업을 선정하고 341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 ‘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 협력 R&D를 지원해온 사업으로,   ◦ 대학․연구기관과의 공동 R&D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최대 1년간 총 사업비의 75%(1억원 한도)를 지원하고 있다.   ◦ 주요 지원내용은 정부 R&D 사업에 신규로 참여하거나 기업부설연구소를 신규설치하려는 기술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동R&D를 지원하며, 기술적 우위 선점 또는 기술보완을 희망하는 기술력이 있는 중소기업의 공동 R&D도 함께 지원한다.   ◦ 특히, 올해는 중소기업이 원하는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할 최적의 기술전문가를 매칭하는 복수의 전문기관을 운영하여 비매칭 신청과제 중소기업에게 복수의 전문인력을 추천하고 중소기업은 추천된 전문인력 중 신청과제 기술개발에 최적의 전문가를 선택하여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이번 수혜기업은 지난 4월에 신청한 1,105개 기업 중에 서면, 현장, 대면평가 등을 선정절차를 통해 최종 선정되어 341억원을 지원받을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오주환 산학연기술평가부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인적·물적인프라를 활용한 공동연구를 통한 중소기업의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13","atchfileNm":"보도자료-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2차_첫걸음_도약)_선정과제.hwp","viewCnt":"4641","regDate":"2017-08-25 13:11:41"},{"contentId":"55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3차 65개 과제 13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07","contentsKor":"-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3차 65개 과제 13억원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의 3차 총 65개 과제를 선정하고 13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은 국‧공립대학의 고급인력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애로해결 및 R&D역량 제고,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한다.   ◦ 본 사업은 2017년 총 4회차에 걸쳐 신청·접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지난 5월 중순에 신청·접수된 132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65개 13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지원을 위해 대학의 우수한 교수를 매칭하여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기술애로해결 및 신기술 사업화 자문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한다.   □ 중소벤처기업부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통해 전국 5개* 권역에 6개** 국‧공립대학을 공학컨설팅센터로 선정하고 다양한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 (5개 권역) ①서울․경인․강원, ②대구․경북, ③부산․울산․경남, ④대전․충청, ⑤호남․제주   ** (6개 기관) 서울․경인․강원 2개, 그 외 4개 권역은 1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오주환 담당부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필요한 지원을 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12","atchfileNm":"보도자료-맞춤형_기술파트너_지원사업_3차과제_선정.hwp","viewCnt":"4300","regDate":"2017-08-25 13:08:47"},{"contentId":"55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 초보기업의 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자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03","contentsKor":"기정원, R&D 초보기업의 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자금 지원! - 2차 R&D기획지원사업, 89개사 선정 23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최철안원장)은 2017년도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으로 지난 4월(1차)에 이어 89개사를 선정하고 8월 24일(목) 협약을 체결한다.   ◦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해 개발 타당성 분석, 시장성 조사, 성공 가능성 평가 등의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이다.   ◦ 동 사업에 선정된 기업은 기획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4개월간 R&D기획을 수행하며, 정부출연금은 최대 2,550만원(총 사업비의 75%)까지 지원된다.   □ R&D기획지원사업은 R&D기획지원 종료 후 최종평가와는 별도로 연계지원 평가를 실시하며, 우수과제는 중소벤처기업부의 R&D사업에 연계지원 대상과제로 추천된다.   ◦ 추천과제는 연계되는 R&D사업별로 각 1회에 한하여 우대된다(서면평가 면제 또는 가점 적용)*.   * 서면평가 면제 : 창업성장기술개발 및 기술혁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일부(첫걸음협력, 도약협력), 상용화기술개발사업 일부(기술전문가협력)   * 현장평가 가점 :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일부(제품개선)   □ 한편, 기정원은 R&D 초보 중소기업의 재직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R&D기획역량강화교육도 매월 운영하고 있는데,   ◦ 이 교육은 온·오프라인 교육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에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http://plus.auri.or.kr 에서 신청하며 된다.   * 온라인교육 : http://plus.auri.or.kr , “R&D기획역량강화 교육”   * 오프라인교육 : http://plus.auri.or.kr , “교육-수강신청”   □ 기정원의 양국석부장은 ”기술력 있는 R&D 초보기업이 “R&D기획지원 사업을 통하여 성공적인 기술개발과 사업화가 실현되길 기대한다”며, “향후에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R&D초보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07","atchfileNm":"보도자료-RnD초보중소기업의_기획역량_강화에_23억원지원.hwp","viewCnt":"5097","regDate":"2017-08-24 10:03:24"},{"contentId":"55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02","contentsKor":"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0억원 지원! - 팁스 프로그램(5차), 18개 창업팀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7년도 팁스 프로그램* 5차에 18개** 창업팀을 선정하고 2년간 90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한다고 8월 23일(수) 밝혔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바이오의료(5), 정보통신(8), 전기전자(3), 지식서비스(1), 화학(1) 포함 총 18개 창업팀   □ 팁스는 민간의 투자가치 판단능력을 활용하여 유망기술 창업팀을 육성하고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엔젤투자자 및 초기전문 VC 등으로 구성된 민간 운영사가 발굴한 창업팀에 정부의 R&D 지원을 연계한다.   ◦ 선정된 창업팀은 운영사로부터 1억 원 내외의 투자금과 정부 R&D 자금 5억 원, 후속지원 4억 원* 등 최대 10억 원을 지원받으며,   - 운영사로부터 체계적인 창업 노하우와 보육공간을 제공받는다.   * 창업사업화자금 1억 원, 해외마케팅자금 1억 원, 엔젤매칭펀드 투자금 2억 원   □ 이와 함께 기정원과 한국엔젤투자협회는 선정된 18개 창업팀과 운영사를 대상으로 8월 23일(수) 오후 3시 팁스타운(역삼)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본 설명회는 선정된 기업의 과제책임자 및 운영사 코디네이터의 원활한 협약체결 및 과제수행을 돕기 위해 개최되며,   ◦ 협약에 필요한 제반사항 및 협약변경의 절차, 최종평가 및 사업비 집행 및 정산 방법 안내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 팁스 프로그램은 지난 8월 4일 공고를 시작으로 상시 접수 중이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06","atchfileNm":"보도자료-기정원,_민간투자주도형_기술창업과제에_90억원_지원_20170823.hwp","viewCnt":"3980","regDate":"2017-08-23 10:01:26"},{"contentId":"550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501","contentsKor":"기정원, 2017년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8월 21일(월), 글로벌강소과제 33개 기업 대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은 8월 21일(월) 13시 30분 대전 서구에 소재한 통계교육원(1강의실)에서 2017년도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글로벌강소과제(2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수출역량이 우수한 “글로벌강소기업 육성사업(중기부)” 선정기업의 글로벌 유망 R&D를 지원하여 한국형 히든챔피언으로 성장을 촉진하는 사업이다.   ◦ 금번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 글로벌강소과제(2차) 협약대상 선정기업은 33개 이며, 2년간 최대 6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는다.   □ 본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사업 관리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 아울러,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공유하고,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담당자는 “이번 설명회가 선정과제의 원활한 사업수행에 도움이 되고,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붙임 : 2017년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협약설명회(2차)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205","atchfileNm":"보도자료_20170816.hwp","viewCnt":"3536","regDate":"2017-08-16 09:55:13"},{"contentId":"548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더 선명하게, 더 실감 나게! 현실을 능가하는 실감미디어가 온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489","contentsKor":"","viewCnt":"1227","regDate":"2017-08-11 16:33:55"},{"contentId":"54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부·기정원, 중소기업 107개 기업 정보시스템 구축지원 시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466","contentsKor":"중기부·기정원, 중소기업 107개 기업 정보시스템 구축지원 시작 -중소기업 정보화역량강화사업 1차 협약완료 및 2차 수시 모집 진행-   □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17년 중소기업 정보화역량강화사업 1차 선정기업 대상으로 온라인 협약체결을 완료했다.   ◦ 협약기업은 총 107개 기업이며,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 77개사와 기술유출방지시스템구축사업 30개사이다.   -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은 제조기업 스마트化를 위한 생산정보시스템(POP, MES)과 원산지증명시스템을 구축·지원하는 사업이며   - 기술유출방지시스템구축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유출방지 및 핵심기술 보호를 위한 기술유출방지시스템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협약 완료된 과제는 시스템구축을 수행하는 IT공급기업과 함께 최대 6개월간 해당 시스템 구축을 진행한다.   □ 또한 중기부와 기정원은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 2차 사업공고부터 모집방식을 수시모집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 이는 사업신청기간을 놓친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선정프로세스 소요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안이다.   ◦ 나아가 지난 7월 21일 ’스마트제조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를 개최하는 등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의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매칭데이는 스마트제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수요-공급기업의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요-공급기업 177여명이 참석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 관련기사 링크 :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197828&thread=10r03   □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 2차 모집은 각 과제별 예산소요시까지 수시로 진행되며, 정보화사업종합관리시스템(it.smplatform.go.kr)에서 간단한 사업계획서와 함께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168","atchfileNm":"[붙임]보도자료(2017.08.02).hwp","viewCnt":"3735","regDate":"2017-08-02 09:54:21"},{"contentId":"54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뿌리기술 전문기업”전용 기술개발사업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465","contentsKor":"“뿌리기술 전문기업”전용 기술개발사업 시행! - 8월 21일까지, 뿌리기업공정 기술개발사업 3차 신청·접수 -   □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뿌리기술전문기업의 기술개발지원을 위해 2017년도 뿌리기업공정 기술개발사업 3차 신청·접수를 8월 21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이 사업은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높은 핵심 뿌리기술을 보유한 뿌리기술 전문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뿌리기업 공정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금번 3차 공고를 통하여 40개 내외 과제(27억원)를 선정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2017년 총 75개 과제, 62.4억원 지원 예정)   □ 3차 신청·접수기간은 2017년 8월 1일(화)부터 8월 21일(월)까지 이며,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뿌리기술 전문기업’으로 지정받은 기업이다.   ◦ 3차 선정기업은 최대 1억 원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뿌리기술의 적용범위 확대를 위한 제품적용기술 및 공정기술 고도화 개발을 1년의 기간 동안 추진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금번 뿌리공정 과제를 통해 생산리드타임 단축, 불량률 저감 등 뿌리기술 전문기업이 제품·공정혁신 기술개발에 더욱 집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 및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정보마당-사업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166","atchfileNm":"[붙임]보도자료(2017.08.01).hwp","viewCnt":"3827","regDate":"2017-08-01 13:47:08"},{"contentId":"545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글로벌 콘텐츠 시장의 문, 중소기업에 열려 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454","contentsKor":"","viewCnt":"1030","regDate":"2017-07-28 14:42:19"},{"contentId":"54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제조스마트化 수요-공급기업 협업관계 구축과 공급시장 활성화 견인","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449","contentsKor":"기정원, 제조스마트化 수요-공급기업 협업관계 구축과 공급시장 활성화 견인 -7월21일(금), 스마트제조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 제조 스마트화 수요-공급기업의 협업관계 구축 지원과 공급시장 활성화 견인을 위하여 7월 21일 오후 1시30분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스마트제조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를 개최했다.   ◦ 이번 행사는 시스템 구축을 해주는 공급기업과 이를 필요로 하는 수요기업이 교류할 수 있는 만남의 장을 제공했으며,   - 수요, 공급기업 110여개 기업, 160여명이 참석하여 제조현장 스마트화를 위한 교류시간을 가졌다.   ◦ 기정원은 원활한 상호 교류가 될 수 있도록   - 1분 기업소개, 공급기업 상담테이블 지원, 전문가 자문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으며,   ◦ 스마트제조 수요-공급시장 활성화를 위해   - 기업 및 제품소개, 구축 시스템 범위 등의 내용이 수록된 기업소개집을 제작하여 온·오프라인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 최철안 기정원장은 이번 매칭데이를 통해,   ◦“자기 기업에게 어떤 시스템이 필요한지, 또 어디서 이런 시스템 구축을 해줄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중소제조기업의 애로사항이 해결되기를 희망”하며,   -“앞으로도 제조 스마트화를 위한 제조기업 스마트공장 지원과 관련 공급시장이 활성화 될 수 있는 최선의 지원을 다할것”이라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167","atchfileNm":"20170724_매칭데이_행사_보도자료.hwp","viewCnt":"3643","regDate":"2017-07-26 10:37:55"},{"contentId":"54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2차과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448","contentsKor":"-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2차 83개 과제 17억원 지원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의 2차 총 83개 과제를 선정하고 17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은 국‧공립대학의 고급인력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애로해결 및 R&D역량 제고,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한다.   ◦ 본 사업은 2017년 총 4회차에 걸쳐 신청·접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지난 4월 중순에 신청·접수된 170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83개 17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지원을 위해 대학의 우수한 교수를 매칭하여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기술애로해결 및 신기술 사업화 자문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한다.   □ 중소기업청은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통해 전국 5개* 권역에 6개** 국‧공립대학을 공학컨설팅센터로 선정하고 다양한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 (5개 권역) ①서울․경인․강원, ②대구․경북, ③부산․울산․경남, ④대전․충청, ⑤호남․제주   ** (6개 기관) 서울․경인․강원 2개, 그 외 4개 권역은 1개   - 공학컨설팅센터란 권역별 과제 신청·접수, 전문가 매칭, 기술애로 해결계획서 제출, 지원과제 추천(심의조정위원회)등 과제를관리하는 국·공립 공과대학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필요한 지원을 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141","atchfileNm":"맞춤형_기술파트너_지원사업_2차과제_선정(2017.07.21보도요청).hwp","viewCnt":"4086","regDate":"2017-07-21 10:14:46"},{"contentId":"542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세계를 놀라게 할 차세대 로봇 산업 발전 중소기업에 달렸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425","contentsKor":"","viewCnt":"1216","regDate":"2017-07-14 13:26:47"},{"contentId":"5387","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에 더욱 집중해야 할 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387","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203\/file_down\/id\/5077","atchfileNm":"TIPA커버스토리_64호.jpg","viewCnt":"1221","regDate":"2017-06-28 17:55:56"},{"contentId":"53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성장잠재력 보유한 中企 대상‘창업과제’신청·접수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8","contentsKor":"                                      기정원, 성장잠재력 보유한 中企 대상‘창업과제’신청·접수                                   - 7월 13일까지, 창업과제 및 여성참여활성화과제 온라인 접수 가능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4차)’와 ‘여성참여활성화과제(2차)’ 신청·접수를 오는 6월 28일부터 7월 13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창업과제는 성장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성장을 촉진하는 사업이며,   ○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여성창업기업 및 여성과학기술인 50% 이상으로 구성된 예비창업팀 등의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사업이다.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창업 후 7년 이하인 기업이라면 신청가능하며, 기정원은 금번 공고를 통해 27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하여 248억 원(여성참여활성화과제 포함)을 지원할 예정이다.   ○ 단,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여성창업기업 ▲경력단절여성채용기업 ▲예비창업팀으로 유형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사업 신청 전 유형별 신청자격을 확인해야 한다.    □ 아울러 ‘창업과제 및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공급자 중심의 지원정책이 아닌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16년도부터 ‘바우처 제도’를 적용하여 추진되며,   ○ 본 과제에 선정된 중소기업은 자체개발 위주의 폐쇄형 R&D에서 나아가, 바우처를 활용함으로써 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의 역량을 활용하여 연구개발을 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올해 상반기 창업과제 1·2차 378개 및 여성참여활성화과제 1차 46개를 지원하였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9","atchfileNm":"기정원,_성장잠재력_보유한_中企_대상‘창업과제’신청·접수(2017.06.22보도요청).hwp","viewCnt":"4307","regDate":"2017-06-22 10:50:35"},{"contentId":"53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7","contentsKor":"        기정원, 2017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6월 21일(수), 혁신형 및 수출기업기술개발 279개 기업 대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최철안 원장)은 6월 21일(수) 13시 대전 서구에 소재한 KT인재개발원(1연수관)에서 2017년도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은 수출․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미래 성장유망 분야 기술개발(R&D) 지원으로 한국형 히든챔피언으로 성장을 촉진하는 사업이다.   ◦ 금번 협약대상은 혁신형기업기술개발(2차) 및 글로벌 스타벤처 육성 기술개발, 수출기업기술개발(2차) 선정 279개 기업이며,   ◦ 선정기업은 2년간 최대 6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혁신형 및 글로벌스타벤처는 최대 5억원)   □ 본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사업 관리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 아울러,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공유하고,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정진원 성장기술평가본부장은 “이번 설명회가 선정과제의 원활한 사업수행에 도움이 되고,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붙임 : 2017년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협약설명회(2차)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8","atchfileNm":"기정원,2017년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협약설명회개최(2017.06.20조간보도요청).hwp","viewCnt":"3798","regDate":"2017-06-20 10:47:34"},{"contentId":"53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3","contentsKor":"                                         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0억원 지원!                                      - 팁스 프로그램(3차), 18개 창업팀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7년도 팁스 프로그램* 2차에 18**개 창업팀을 선정하고 2년간 90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한다고 6월 15일(목) 밝혔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의약바이오(9), 정보통신(5), 전기전자(2), 지식서비스(2) 등 총 18개 창업팀 지원   □ 팁스는 민간의 투자가치 판단능력을 활용하여 유망기술 창업팀을 선별해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으로,   ◦ 엔젤투자자 및 초기전문 VC 등으로 구성된 민간 운영사는 발굴한 창업팀에 체계적인 창업 노하우와 보육공간을 제공하고, 정부는 R&D자금을 지원한다.   ◦ 작년에는 85개 창업팀에 총 470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했으며, 올해는 7차에 걸쳐 약 200여개 창업팀에 59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선정된 창업팀은 1억 원 내외의 운영사 투자금과 정부 R&D자금 5억 원, 후속지원 4억 원*을 통해 최대 10억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 창업사업화자금 1억 원, 해외마케팅자금 1억 원, 엔젤매칭펀드 투자금 2억 원 □ 한편, 기정원 및 한국엔젤투자협회는 선정된 18개 창업팀과 13개의 운영사를 대상으로 6월 16일(금) 오후 13시 30분 팁스타운(역삼)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본 설명회는 선정된 기업의 과제책임자 및 운영사 코디네이터의 원활한 협약체결 및 과제수행을 돕기 위해 개최되며,   ◦ 협약에 필요한 제반사항 및 협약변경의 절차, 최종평가 및 사업비 집행 및 정산 방법 안내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 팁스 프로그램은 지난 1월 19일 공고를 시작으로 상시 접수 중이며, 현재 3차과제의 선정평가를 앞두고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 임 : 1. TIPS 사업개요. 2. 2017년 팁스(TIPS) 프로그램 창업팀 지원계획 공고 1부. 3. ‘17년 팁스선정 창업팀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안)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6","atchfileNm":"기정원,민간투자주도형기술창업과제에90억원지원(6월16일조간보도요청).hwp","viewCnt":"3950","regDate":"2017-06-16 11:03:18"},{"contentId":"53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여성경제인협회,「중소중견기업 R&D 설명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2","contentsKor":"                                       기정원-여성경제인협회,「중소중견기업 R&D 설명회」개최                                                     - 6.14(수)부터 서울 등 5개 권역에서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과 한국여성경제인협회(회장 한무경) 는 공동으로 6월 14(수)부터 6.29(목)까지 5개 권역에서 「여성기업을 위한 중소·중견기업 R&D 설명회」를 개최한다.   ◦ 이번 설명회는 여성기업 R&D 참여확대와 R&D기획력 제고를 위해 마련되었으며 상담창구도 같이 마련되어 맞춤형 소통의 장으로 운영된다.   □ 6.14(수) 서울을 시작으로 충북(6.15(목)), 전남(6.21(수)), 경남(6.22(목)), 대구·경북(6.29(목)) 등 5개 권역에서 사업설명회를 실시한다.   ◦ 사업설명회 세부일정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www.tipa.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다.     □ 사업설명회에서는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는 R&D사업설명, 사업계획서 작성 및 온라인 신청요령, 정보화역량강화사업 및 지식재산활용전략지원사업을 설명한다.   ◦ 중소기업들이 어려워하는 사업계획서 작성에 대한 상세설명 및 상담으로 R&D 기획력을 높이는 자리이다.   ◦ 기술개발 뿐만 아니라 정보화 및 지식재산활용을 위한 지원 등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알려 참여하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자리이다.   □ 참고로 이번 사업설명회에 참석하지 못한 여성기업인은 관련 자료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www.tipa.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김성태 R&D혁신본부장은 “중소기업의 한 축인 여성기업인들이 많이 참여하여 기술개발에 대한 기획력 강화 및 지원확대의 기회가 되었으면 하며 여성기업들의 활동 촉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참고 : 여성기업을 위한 중소중견기업 R&D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계획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4","atchfileNm":"기정원-여성경제인협회중소중견기업RD설명회개최(2017.06.15조간보도요청).hwp","viewCnt":"3946","regDate":"2017-06-15 11:00:46"},{"contentId":"53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사업 신청·수행시 궁금증 해결을 위한 동영상 서비스 오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1","contentsKor":"                             기정원, R&D사업 신청·수행시 궁금증 해결을 위한 동영상 서비스 오픈                                             - R&D지원사업 소개 등 온라인 강의 39개 강좌 개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중소기업 R&D지원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시간‧장소 제한 없이 상시 접근하여 사업신청 및 수행시 궁금한 부분을 해결할 수 있도록 온라인과 모바일로 동영상 강의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온라인강의는 중소기업이 R&D사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참여를 돕기 위해 크게 3가지 강좌, 총 39개 세부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ㅇ 첫째, R&D지원사업의 개요, 신청자격, 주요 Q&A등을 설명하는 17개 강좌, ㅇ 둘째, 신청기업 및 사업수행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사업계획서 작성, 온라인과제신청, 사업비 집행, 협약변경, 최종평가 등을 설명하는 13개 강좌, ㅇ 셋째, R&D 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R&D기획의 방법·프로세스, R&D 과제수행 기획 등을 설명하는 9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 본 강의는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화면의 고객지원>온라인매뉴얼>동영상강의로 이동하면 온라인 동영상 강의를 청취할 수 있고, 디지털북 다운로드 및 모바일동영상 보기를 이용할 수 있다.   - 특히 본 강의는 단순한 사업별 안내자료 배포형식을 벗어나 개정된 사업별 규정내용을 반영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대면평가 준비방법, 협약체결 및 변경, 사업비지급 및 집행, 최종평가 등 사업신청 및 집행 단계별로 다양한 Q&A를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사업신청 및 수행시 궁금한 부분을 해결 가능하도록 하였다.   □ 또한 과제신청, 협약체결, 보고서 제출, 연구비 집행 등, 이용자가 어려워하는 업무에 대해서는 실제 진행하기 전에 미리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김성태 R&D혁신본부장은 “R&D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제작한 동영상 강의 서비스를 많은 중소기업들이 활용하여 기술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고 밝혔다.     참고 :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프로그램 추진계획 및 온라인강좌 현황.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3","atchfileNm":"기정원,RD사업신청_수행시궁금증해결을위한동영상서비스오픈(2017.06.15조간보도요청).hwp","viewCnt":"3827","regDate":"2017-06-15 10:59:02"},{"contentId":"53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기업의 R&D개발에 25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30","contentsKor":"                                            기정원, 창업기업의 R&D개발에 250억원 지원!                                  -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2차)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06월 15일(목) 오후 1시 대전 유성구에 소재한 대전교통문화연수원 다목적홀에서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2차에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를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창업과제 2차는 지난 1월 16일 공고이후 서면평가, 현장조사, 대면평가를 거쳐 141개 과제를 최종 선정했으며, 창업과제에 선정된 기업은 최대 1년 간 2억 원이내의 R&D 자금을 지원받는다.   ◦ 이를 통해 창업기업에 유망한 빅데이터·인공지능기반 등의 소프트웨어, 가상/증강 현실 등의 콘텐츠, 바이오·의료기기 등 신산업 및 주력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을 하게 된다.   □ 금번 협약설명회는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명할 예정이며,   ◦ 과제 수행 시 자주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기업인들과 기정원 담당자 간의 질의응답을 통해 과제 수행의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 또한, 본 설명회에서는 연구비 부정사용 등을 사례별로 공유하고 R&D 청렴문화 및 윤리경영을 교육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고자 한다.   □ 기정원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담당자는 “과제수행에 앞서 열리는 이번 협약설명회가 수행기관에게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유의미한 장이 되길 바란다”며   ◦ “앞으로도 우리 원은 창업기업이 성장유망 분야에 대한 선도적인 기술 및 제품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든든한 지원군이 되고자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붙임 1. 20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2차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2","atchfileNm":"기정원,창업기업의RD개발에250억원지원(2017.06.15조간보도요청).hwp","viewCnt":"2870","regDate":"2017-06-15 10:56:21"},{"contentId":"53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술개발 애로 해소를 위한 사무공간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329","contentsKor":"          기술개발 애로 해소를 위한 사무공간 지원                                          -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센터 개방형 사무공간 활용기업 모집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과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이하 기술혁신센터)는 R&D 과제를 해결하려는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개방형 사무공간 활용기업을 모집한다고 6월 12일(월) 밝혔다.   ◦ 기술혁신센터는 중소․중견기업과 대학․연구기관 간 교류․협력의 거점을 마련하여, 산업생태계 중심 R&D 및 인적교류 기반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판교 테크노밸리에 설립된 기관이다.   * 주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45번길 12   □ 신청자격은 종사자수 5인 이상이거나, 매출액 5억원 이상인 중소․중견기업이며, 선정기업은 개방형 사무공간 외에 공용 사무용품(복사기, 프린터 등), 센터 영상회의실 및 상담실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 또한, 대학‧연구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기술애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정부출연 연구기관과의 기술 수요 매칭지원 및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도약협력 R&D 지원시 서면평가 면제 혜택을 지원받을 수 있다.   * 선정규모 : 44개 이내 선정 / 제공기간 : 6개월(최대 2년까지 연장 가능)   □ 지원대상 선정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통해 평가가 이뤄지며, 선정기업은 내달 1일부터 센터에 입주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업선정시 순위제를 적용하여 타 신청기업과 공통적인 기술 수요가 있는 기업, 대학․연구기관과 협력하여 R&D과제를 기획․수행하는 등 기술애로를 해소코자 하는 기업 순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 개방형 사무공간 활용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은 홈페이지(www.smtech.go.kr)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뒤 6월 23일(금)까지 이메일(rndcenter@tipa.or.kr)로 제출하면 된다.   ◦ 모집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센터 전화(031-739-6911) 또는 홈페이지(www.smtech.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임 :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센터」 개방형 사무공간 활용기업 모집 공고문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5021","atchfileNm":"기술개발애로해소를위한사무공간지원(2017.06.14조간보도요청).hwp","viewCnt":"3158","regDate":"2017-06-14 10:53:39"},{"contentId":"52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2017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협약설명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95","contentsKor":"                                    기정원,‘2017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협약설명회’개최                                         - 6월 2일(금), 173개 기업 대상, 중소기업중앙회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최철안 원장)은 6월2일(금) 오후 2시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2017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1차 기업제안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 2월말 까지 1차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173개 기업을 선정하여 607억 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한편, 1차와 더불어 지난 4월말에 마감한 2차 접수에서도 많은 신청을 받아 7월 중 지원 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며, 3차 접수는 6~7월 말까지 모집할 계획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1차 기업제안 과제에 선정된 173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사업 관리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자들에게 윤리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이 국가 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길 바란다”며 “특히 처음으로 R&D를 수행하는 중소기업들이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이 되길 바란다” 고 밝혔다. (끝)     별첨 : 2017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협약설명회(1차 기업제안과제) 개최 계획 1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988","atchfileNm":"기정원,2017년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협약설명회개최_(20170602조간보도요청).hwp","viewCnt":"3396","regDate":"2017-06-02 19:05:38"},{"contentId":"529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새 정부의 스타트업 강화정책에서 희망을 보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299","contentsKo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203\/file_down\/id\/4991","atchfileNm":"cover_170602.jpg","viewCnt":"1329","regDate":"2017-06-02 16:46:13"},{"contentId":"52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에 247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94","contentsKor":"                                        기정원,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에 247억원 지원                                      - 산연전용, 연구마을 161개 중소기업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 이하 중기청)에서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이 시행하는 2017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전략협력(산연전용, 연구마을) 상반기 과제 161개가 최종 선정되어 사업수행에 들어간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전략협력’은 특정 산업·기술분야의 전략적 산학연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고성장기업으로 육성 지원하는 사업으로,   ◦ 연구기관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산연전용과(1년, 1.5억원 이내 지원),   ◦ 중소기업의 연구기능(부설연구소)을 대학 내 공간에 집적화하여 상시 기술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연구마을(2년, 2억원 이내 지원)로 구성되어 있다.   □ 기정원은 상반기 산연전용, 연구마을사업에 신청한 기업(346개)을 대상으로 우수과제 선정을 위하여 2단계의 심층평가 과정(운영기관 자체평가, 기정원 대면평가)을 거쳐 161개 과제, 247억원 지원을 결정하였다.   □ 한편, 기정원은 상반기 산연전용, 연구마을 과제에 선정된 주관기관(중소기업)과 공동개발기관(대학·연구기관)을 대상으로 6월 1일(목) 충북대학교 개신문화관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협약변경, 사후관리 등 사업 추진 시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질의응답 등을 통해 사업추진 시 실수가 없도록 상세히 안내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광문 협력기술평가본부장은 “상반기에 산연전용과 연구마을사업에 참여하는 모든 중소기업이 대학·연구기관의 전략적 지원프로그램을 잘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 산연전용, 연구마을은 2017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지원과제를 선정하고 있으며, 하반기 과제모집은 6월 중 산연전용, 연구마을 운영기관`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붙임> 1.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 운영기관 목록 2.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 상반기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 1부 3. 2017년 산연전용, 연구마을 시행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987","atchfileNm":"기정원,2017년산연전용연구마을에247억원지원(2017.06.01조간부터보도요청).hwp","viewCnt":"3676","regDate":"2017-06-01 19:03:59"},{"contentId":"52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산학연R&D 1차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93","contentsKor":"기정원, 2017년 산학연R&D 1차 협약설명회 개최                                - 5월 31일(수), 446개 첫걸음·도약과제 선정기업에 400억원 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에서 시행하는 2017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 첫걸음·도약과제 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5월 31일(수) 오후 2시 대전 정부청사 내에 후생관 대강당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및 공동개발기관인 대학·연구기관의 공동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협약변경, 사후관리 등 사업 추진 시 주의해야 할 관리사항 안내와 질의응답 등을 통해 사업추진 시 실수가 없도록 상세히 안내한다.   ◦ 특히, 산학연협력기술개발지원사업의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에 대한 다양한 의견도 청취할 예정이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의 첫걸음, 도약과제 선정기업은 사업기간 1년 동안 1억원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대학·연구기관과 협력하여 공동 기술개발을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1월 신청한 1,115개 과제를 대상으로 서면, 현장, 대면평가 등을 통해 446개를 최종 선정하여 400억 원을 신규 지원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광문 본부장은 “산학연협력 R&D를 통해 기술기반이 취약한 중소기업이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소기업이 대학·연구기관의 우수한 연구 인프라와 기술을 잘 활용하여 튼튼한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986","atchfileNm":"기정원,2017년산학연RD1차협약설명회개최(2017.05.31조간보도요청).hwp","viewCnt":"3252","regDate":"2017-05-31 18:56:15"},{"contentId":"52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초석 마련을 위한 R&D자금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81","contentsKor":"          기정원,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초석 마련을 위한 R&D자금 지원!                                    - 2017년도 창업과제와 여성참여활성화과제 선정기업에 461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은 05월 25일(목) 오후 1시 서울 상암동 소재한 누리꿈스퀘어(3층 국제회의실)에서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및 여성참여활성화과제 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창업과제는 창업 후 7년 이하인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며,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여성기업 및 경력단절여성 연구인력 채용기업, 여성예비창업팀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과제이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안내하며,   ◦ 과제 수행 시 발생하는 문제점 및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이다.   ◦ 특히, 사업비 정산 및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한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도모하고자 마련하였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1차)와 여성참여활성화 과제의 선정기업은 지난 1월 16일 공고를 이후 서면평가, 현장평가, 대면평가를 거쳤으며,   ◦ 창업과제에 선정된 233개 기업은 총 418억 원을 지원받고, 여성참여활성화과제에 선정된 46개의 기업은 총 42.6억 원을 지원받아 신제품·신기술 개발을 최대 1년 동안 진행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본 과제의 지원을 통해서 창업기업들이 기술개발을 원활히 수행하고, 나아가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까지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우리나라 창업기업들이 글로벌강소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붙임 1. 2017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1차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972","atchfileNm":"기정원,창업기업의기술개발초석마련을위한RD자금지원(20170525조간보도요청).hwp","viewCnt":"3387","regDate":"2017-05-25 10:15:45"},{"contentId":"52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자신문(5.16일자) 보도관련 해명자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46","contentsKor":"                     중기기술정보진훙원, 독립사옥 건립 ‘제동’ 기재부, 예산승인 불허에 대한 해명   □ 보도내용(5.16, 전자신문)   ① 기정원은 6월에 착공하려던 사옥건립계획을 전면 철회   ② 정부가 경제사정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비가 당초 계획안을 초과, 자칫 호화사옥논란에 휩싸일 것을 경계해 사옥건립 예산승인 불허   □ 기사내용에 대한 해명   ① 기정원은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시책에 동참하여 ’13.3월 서울(여의도)에서 대전으로 이전하였으며,   ㅇ 서울사옥 매각금 등의 재원을 활용하여 이전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 수립 지침을 준수해 ‘14년 말부터 대전지역에 독립사옥건립을 추진함   ㅇ 사옥건립 추진 과정에서 정부의 공공기관 기능조정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한국산학연협회의 중소기업 R&D지원업무가 기정원으로 일원화되어 사업규모가 (기능조정 전) 4,200억원 → (기능조정 후) 9,000억원으로 크게 증가함에 따라,   ㅇ 확대된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사무공간 및 R&D평가장을 확대하고, 평가에 참여하는 평가위원 및 중소기업의 편의를 위해 주차시설의 확대설치가 불가피한 상황임   ㅇ 이에, 당초 계획된 건축계획을 변경해 건축규모 확대 또는 외부 R&D평가장 추가확보, 대체부지 확보 등 원활한 R&D지원업무 수행을 위해 다각도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중으로 사옥건립계획의 전면 취소는 사실과 다름   ② 기정원 사옥건립계획의 단위면적당 건축비는 143만원/m2으로 정부의 이전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 수립지침에 따른 건축비 기준 230만원/m2의 62% 수준에 불과해 기사내용과 같이 호화사옥 논란에 휩싸일 것을 경계했다는 부분은 사실과 다름    ※ 자세한 사항은 재무회계팀 한명수 팀장(042-388-0144)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898","atchfileNm":"전자신문_보도해명(2017.05.16).hwp","viewCnt":"3377","regDate":"2017-05-16 13:47:41"},{"contentId":"52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5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72","contentsKor":"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95억원 지원!                                           - 팁스 프로그램(2차), 19개 창업팀 선정 및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7년도 팁스 프로그램* 2차에 19**개 창업팀을 선정하고 2년간 95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한다고 5월 11일(목) 밝혔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정보통신(9), 의약바이오(9), 로봇(1) 등 총 19개 창업팀 지원   □ 팁스는 민간의 투자가치 판단능력을 활용하여 유망기술 창업팀을 선별해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으로,   ◦ 엔젤투자자 및 초기전문 VC 등으로 구성된 민간 운영사는 발굴한 창업팀에 체계적인 창업 노하우와 보육공간을 제공하고, 정부는 R&D자금을 지원한다.   ◦ 작년에는 85개 창업팀에 총 470억 원의 R&D자금을 지원했으며, 올해는 6차에 걸쳐 약 200여개 창업팀에 59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선정된 창업팀은 1억 원 내외의 운영사 투자금과 정부 R&D자금 5억 원, 후속지원 4억 원*을 통해 최대 10억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 창업사업화자금 1억 원, 해외마케팅자금 1억 원, 엔젤매칭펀드 투자금 2억 원 □ 한편, 기정원 및 한국엔젤투자협회는 선정된 19개 창업팀과 11개의 운영사를 대상으로 5월 12일(금) 오후 3시 팁스타운(역삼)에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본 설명회는 선정된 기업의 과제책임자 및 운영사 코디네이터의 원활한 협약체결 및 과제수행을 돕기 위해 개최되며,   ◦ 협약에 필요한 제반사항 및 협약변경의 절차, 최종평가 및 사업비 집행 및 정산 방법 안내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 팁스 프로그램은 지난 1월 19일 공고를 시작으로 상시 접수 중이며, 현재 3차과제의 선정평가를 앞두고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 임 : 1. TIPS 사업개요. 2. 2017년 팁스(TIPS) 프로그램 창업팀 지원계획 공고 1부. 3. ‘17년 팁스선정 창업팀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안)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944","atchfileNm":"기정원,_민간투자주도형기술창업과제에_95억원지원(17.05.12조간보도요청).hwp","viewCnt":"3544","regDate":"2017-05-12 17:31:21"},{"contentId":"52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매일경제TV 경세제민 촉] 최철안 원장님 인터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71","contentsKor":"국내 각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경제현안을 짚어보는 프로그램인 매일경제TV ‘경세제민 촉’과 최철안 원장님과의 대담이 지난 5월 7일 방송되었습니다.   이번 대담에서는 기정원의 기능과 역할, 재임기간 중점을 두는 부분과 지원 대상자 선정시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또한, 다가올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기정원은 R&D지원, 정보화 지원을 통하여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끝으로 최철안 원장님은 중소기업들이 중소기업 기술개발 자금을 사명감을 갖고 활용해줄 것을 당부하고, 현재의 경제위기를 기회로 삼아 적극적으로 나아가기를 강조하며 대담을 마쳤습니다.   - 프로그램명 : 매일경제TV 경세제민 촉 - 방영날짜 : 2017년 5월 7일 방송 - 사이트 : 바로보기  ","viewCnt":"3839","regDate":"2017-05-07 16:08:25"},{"contentId":"522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수출 지원, 사각지대 없앤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224","contentsKor":"","viewCnt":"1353","regDate":"2017-04-27 20:13:23"},{"contentId":"52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봄맞이 아동복지시설 꽃모종심기 봉사활동 추진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31","contentsKor":"                                                                                  기정원, 봄맞이 아동복지시설 꽃모종심기 봉사활동 추진                                           - 4월 27(목), “성심원” 꽃모종심기 사회공헌활동 추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봄을 맞이하여, 4월 27일(목)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을 방문하여 꽃모종심기 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 이번 꽃모종심기 봉사활동은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이날 행사는 최철안 원장과 임직원 12명이 참여하였으며, 성심원 앞마당에 꽃길 조성을 위해 다양한 꽃모종을 심는 봉사활동으로 추진되었다.   ◦ 성심원(대전시 동구)은 기정원이 ‘13년 대전으로 이전한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봉사 및 기부활동을 펼쳐온 단체이며, 올 초에도 설명절을 맞이하여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이웃희망나눔 기부물품을 전달한 바 있다.   ◦ 이외에도 기정원은 지역사회 소외계층과 함께 하기 위해 아동보육시설, 장애인지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및 외국인지원시설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2017년에도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무이행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 기정원 봄맞이 성심원 꽃모종심기 봉사활동 사진.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882","atchfileNm":"기정원,_아동복지시설_꽃모종심기_봉사활동추진(2017.04.28조간보도요청).hwp","viewCnt":"3197","regDate":"2017-04-27 14:40:11"},{"contentId":"52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기업의 신성장동력분야 기술개발에 15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10","contentsKor":"                         기정원, 창업기업의 신성장동력분야 기술개발에 150억원 지원!             - 5월 25일까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창업과제’3차 신청·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창업기업의 아이디어 발굴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 3차 신청·접수를 5월 25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번 3차 공고를 통해 19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하여 15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3차 신청·접수기간은 2017년 5월 10일(수)부터 5월 25일(목)까지이며,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창업 후 7년 이하인 기업이다.   □ 3차 공고는 2차 공고와 마찬가지로,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에 기반한 신산업 및 주력산업 40대 전략분야 중 창업기업에게 유망한 전략품목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 이는 창업기업의 다양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헬스케어 및 차세대자동차 등 40대 전략분야의 국가 신성장동력 분야를 확대시키고자 하는 취지이다.   □ 창업과제 3차 선정기업은 최대 2억 원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수익창출이 가능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1년 동안 추진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금번 창업과제를 통해 창업기업이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에 더욱 집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장기적으로 창업기업이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845","atchfileNm":"기정원,창업기업의_신성장동력분야_기술개발에_150억원_지원!(20170420보도요청).hwp","viewCnt":"3244","regDate":"2017-04-20 16:22:33"},{"contentId":"52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2017년 R&D기획지원사업 1차 협약설명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209","contentsKor":"  기정원,‘2017년 R&D기획지원사업 1차 협약설명회’개최 - 4월 20일(목), 90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 안내 및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4월 20일(목) 오후 2시 서울 중소기업DMC타워(상암) DMC홀에서 2017년도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1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해 개발 타당성 분석, 시장성 조사, 성공 가능성 평가 등의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금년에는 1월 11일 1차 공고 이후 2월 21일까지 사업 신청·접수를 통해 90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23억원을 지원한다.   □ 특히, 금년에는 창업초기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자 총 정부지원금의 60%를 창업과제에 배정하였다.   ◦ 최종 선정기업은 기획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4개월간 R&D기획지원을 수행하며, 정부출연금은 최대 2,550만원(총 사업비의 75%)까지 지원된다.   ◦ 특히, 금년부터는 종료 후 연계지원 평가위원회에서 선정된 우수과제에 대해 R&D사업 신청 시 사업별로 1회에 한해서 우대할(서면평가 면제 또는 가점 적용)* 예정이다.   * 창업성장기술개발 및 기술혁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일부, 상용화기술개발사업 일부,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일부   ◦ 한편, R&D기획지원사업 2차 공고는 4월말에 진행되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8월 중에 1차 90개를 포함하여 180개 내외의 과제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사업에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협약체결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기획기관 소개, R&D기획역량강화교육 운영 등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된 내용을 전달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R&D기획지원 사업을 통하여 기술력 있는 R&D 초보기업이 성공적인 기술개발 및 이를 통한 사업화가 실현되길 기대한다.”며,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기업에게 궁금증을 해소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기획기관과 중소기업의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붙 임 : 2017년 R&D기획지원사업 협약설명회(1차)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843","atchfileNm":"2017년_RD기획지원사업_1차_협약설명회_개최_보도자료(20170420즉시보도요청).hwp","viewCnt":"3251","regDate":"2017-04-20 16:19:03"},{"contentId":"51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술개발 우수기업 지원을 위한 『기정원-KEB하나은행-기업데이터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63","contentsKor":"기술개발 우수기업 지원을 위한 『기정원-KEB하나은행-기업데이터 업무협약』 체결 -R&D우수기업에 대한 기술신용평가 후 여신 심사를 통해 금융지원 제공-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KEB하나은행(은행장 함영주), 한국기업데이터(대표이사 조병제)는 4월 4일 서울 하나은행에서 “기정원-하나은행-기업데이터”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본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은 신용평가 전담기관인 기업데이터에 의한 기술신용평가를 받고, 하나은행 여신심사를 통해 지원기업으로 최종 선정되면 자금 대출을 받게 된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기정원은 중기청 R&D지원사업에 참여한 기업 중 우수기업을 분기별로 선정*하여 KEB하나은행에 지원 후보기업 추천하며     * 개발된 R&D과제의 우수성 및 육성 필요성, R&D투자활동 등을 기준으로 선정    ② 기업데이터는 KEB하나은행의 의뢰에 따라 R&D우수기업에 대한 기술신용평가* 전담하고,     *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력 및 신용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므로 기술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    ③ 하나은행은 추천받은 기업에 대한 여신 심사를 통해 지원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자금 대출 실시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우수 중소기업의 R&D사업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사업화 자금을 공급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 “민간 금융기관 및 기술평가기관과 협약을 통해 연계지원 활성화를 실시하여 4차 산업혁명 선도의 마중물 역할을 함으로써    ◦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 아이디어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이 탄생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752","atchfileNm":"기정원_KEB하나은행_기업데이터업무협약체결(2017.04.06조간보도요청).hwp","viewCnt":"3795","regDate":"2017-04-06 18:45:19"},{"contentId":"51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데일리TV 이데일리초대석] 최철안 원장님 인터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72","contentsKor":"지난 3월 28일 최철안 원장님이 이데일리TV 이데일리 초대석과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최철안 원장은 취임 소감과 함께 현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지원하고 있는 사업과 지원 분야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2017년 기정원은 R&D 지원, 정보화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지원할 계획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기업들을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끝으로, 현재의 어려운 경제상황을 기회로 삼고 글로벌시장으로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정원과 중소기업이 다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의지를 피력하였습니다.   - 프로그램명 : 이데일리TV 이데일리 초대석   - 방영날짜 : 2017년 4월 3일(월) 오후 5시 30분   - 사이트 : 바로보기 ","viewCnt":"4011","regDate":"2017-04-03 14:15:45"},{"contentId":"51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임직원 청렴실천 서약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21","contentsKor":"  기정원 임직원 청렴실천 서약 실시 - 노·사가 함께 청렴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 새롭게 다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3월 30일(목) 기정원 대전 본원에서 ‘2017년 청렴실천 서약식’을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이번 청렴 서약식에서는 노·사의 대표가 한자리에 모여 기정원의 임직원으로서 중소·중견기업지원을 위한 투명하고 공정한 행정서비스 제공과 청렴한 기관 만들기에 앞장 설 것을 결의하였다.   □ ‘청렴 서약식’을 시작으로 기정원 전 직원들은 ‘청탁금지법 준수’, ‘공정한 직무 수행’ 등을 통해 기관의 청렴·윤리경영에 적극 동참하고, 위반 시에는 어떠한 처벌이나 불이익도 감수하겠다는 ‘청렴실천 서약서’에 서명하였다.   □ 최철안 원장은 “이번 청렴 서약식을 통해 직원들의 청렴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를 새롭게 다짐하였다”며 “고객인 국민과 중소·중견기업이 만족하는 청렴 R&D지원 전문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앞으로도 기정원은 ‘기관장 청렴서한 발송’, ‘청렴 자율실천 과제 발굴’ 등을 통해 기관의 청렴의지를 전파하고, 청렴문화 확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90","atchfileNm":"기정원,임직원청렴실천서약실시(2017.03.31조간보도요청).hwp","viewCnt":"3336","regDate":"2017-03-31 17:39:23"},{"contentId":"51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20","contentsKor":"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    - 4.3일(월)부터 5개 광역별 사업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는「‘17년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며,   ○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성공하면 수요처에서 일정기간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 동 설명회는 4.3일 천안의 충남스마트워크센터를 시작으로 4.7일 까지 5개 지역에서 순회 설명회를 개최*   * 4.3(월) 천안, 4.4(화) 나주, 4.5(수) 춘천, 4.6(목) 인천, 4.7(금) 창원   ○ ‘17년 주요 사업내용, 사업계획서 작성 및 SMTECH* 입력방법, 기술임치 등에 대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중소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 한편, 기정원은 제2차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신청을 3.20일(월)부터 4.28일(금)까지 온라인 시스템(SMTECH)을 통해 받을 예정이며,   ○ 산학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7월 중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는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통해 기술개발 제품의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우수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중소기업의 지속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및 기정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 임 1. 2017년도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사업설명회 계획 1부 2. 2017년도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공고문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88","atchfileNm":"붙임2.17년도_구매조건부신제품기술개발사업_시행계획_공고.hwp","viewCnt":"3597","regDate":"2017-03-30 17:33:43"},{"contentId":"51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105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17","contentsKor":"             기정원,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과제에 105억원 지원!                                                       - 팁스 프로그램(1차), 21개 창업팀 선정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이하 기정원)은 2017년도 팁스 프로그램* 1차에 21**개 창업팀을 선정하고 2년간 105억원의 R&D자금을 지원한다고 3월 29일(수) 밝혔다.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S/W솔루션(12), 의약바이오(6), 반도체소재(3) 등 총 21개 창업팀 지원 (단위 : 개) 분야 S/W 솔루션 의약바이오 반도체소자 플랫폼구축 시스템개발 치료제개발 시스템개발 소재개발 기업수 6 6 2 4 3   □ 팁스는 민간의 투자가치 판단능력을 활용하여 유망기술 창업팀을 육성하는 사업으로, 엔젤투자 및 초기전문 VC 등으로 구성된 운영사가 발굴한 창업팀에 정부의 R&D 지원을 연계하여 글로벌 창업팀 육성과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이다.   ◦ 작년에는 85개 창업팀에 총 470억원의 R&D자금을 지원했으며, 올해는 6차에 걸쳐 약 200여개 창업팀에 59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선정된 창업팀은 기술개발자금 5억원과 추가 연계지원 5억원(창업자금 1억원, 엔젤투자매칭펀드 2억원 및 해외마케팅 1억원)을 통해 최대 10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운영사로부터 체계적인 창업 노하우와 보육공간 등을 제공받는다. □ 올해는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은 기술창업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역량 심사를 강화하고,   ◦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통해 도출된 40대 전략분야에 해당될 경우 가점을 부여하고, 바이오분야에 특화된 신규운영사를 확충하여 고부가가치의 바이오의료 창업팀 발굴을 유도하는 등 전략적으로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지원으로 유망 기술을 보유한 창업팀들에 체계적인 보육서비스와 R&D자금을 지원함으로써 중소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팁스 프로그램은 지난 1월 19일 공고를 시작으로 상시 접수 중이며, 현재 2차과제 선정평가를 앞두고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 임 : 1. TIPS 사업개요 2. 2017년 팁스(TIPS) 프로그램 창업팀 지원계획 공고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84","atchfileNm":"기정원,민간투자주도형_기술창업과제에_105억원_지원(2017.03.31조간보도요청).hwp","viewCnt":"3330","regDate":"2017-03-30 17:22:16"},{"contentId":"51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정부 3.0 우수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113","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정부3.0 우수기관 선정                                  -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노력을 인정 받아 행자부 장관 표창 수상-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이 지난 3월 28일 행정자치부가 발표한 ‘2016년도 공공기관 정부3.0 실적평가 결과’에서 최고 수준인 우수등급을 획득했다.   ○ ‘공공기관 정부3.0 실적평가’는 행정자치부가 지난 한 해 동안 전국 119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정부3.0 추진실적을 종합 평가하는 것으로써 기정원을 비롯한 31개 공공기관이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 그중에서도 기정원은 상위 16개 기관에게만 수여하는 행정자치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다.   □ 기정원은 지난 2014년 12월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 통합된 이래, 중소기업 R&D지원 강화를 위하여 맞춤서비스 발굴, 기관간 협업, 데이터 개방 등 정부3.0 분야별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 먼저 맞춤서비스의 일환으로 R&D 과제에 지원하는 중소기업이 사업규모및 목적에 따라서 맞춤 평가방식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 이를 통해 R&D 지원 사각지대에 놓였던 창업초기기업의 유입이 크게 늘어났으며 고객 서비스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 그리고 가스판매업, 쌀가공식품업 등 28개 중소기업 업종별로 정보화 업무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그 결과 총 15,257개의 중소기업이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 또한, 정책금융기관 및 민간금융기관에게 R&D 성공 중소기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사업화 자금 융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협업체계를 구축하였다.   ○ 이를 통해 중소기업이 직접 자금지원기관을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나, 원스톱서비스로 자금을 지원받아 기술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 뿐만 아니라, 기술시장동향 및 성장성을 분석한 기술로드맵 데이터를 개방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특히, 기술로드맵 데이터에서 도출된 유망기술을 실제로 개발할 수 있도록 총 358개 중소기업에게 655여억원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였다.   □ 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성과는 그간 기정원 전 직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고객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면서, “앞으로도 모든 업무에 정부3.0 가치를 접목하여 중소기업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R&D 지원 서비스를 제공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2016년도 공공기관 정부3.0 평가 결과.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78","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정부3.0우수기관선정(2017.03.30조간보도요청).hwp","viewCnt":"3228","regDate":"2017-03-29 16:46:21"},{"contentId":"50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17년 산연전용 운영기관 신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98","contentsKor":"  2017년 산연전용 운영기관 신규 선정                                - 14개 운영기관 신규선정, 1년간(최대 1.5억원) 298억원 지원 예정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최철안 원장, 이하 기정원)이 시행하는 ‘2017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산연전용’의 운영기관으로 14개 연구기관이 최종 선정되어 사업수행에 들어갔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의 산연전용과제는 중소기업의 기술능력 제고 등을 위해 산연협력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을 선정하여 각 기관이 중소기업 R&D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사업으로,   - 중소기업들은 산연전용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연구기관들과 협력하여, 공동기술개발을 통한 기술혁신역량 강화와 사업화를 수행하게 된다.   - 이번에 선정된 산연전용 운영기관은 2016년 12월 공고, 2월 신청접수 후 심층평가 과정을 거쳐 14개의 운영기관이 선정되었다.   □ 선정된 산연전용 운영기관은 기관마다 지정된 특화기술분야*에 맞추어 지원과제를 모집하고 자체평가를 통해 상·하반기(5월, 8월) 2회에 걸쳐 전문기관(기정원)에 추천하며,   * 특화기술분야 : 전략적 산학연협력을 위한 품목지정(신산업 20개, 주력산업 20개)에 따라 산연전용 운영기관이 고유의 기술분야를 고려하여 지정   ◦ 전문기관은 추천받은 과제를 대상으로 대면평가 후 최종지원과제를 선정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산연전용을 통해 중소기업-연구기관 간 전략적 협력의 활성화 및 산연협력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더불어 “산연협력을 통해 유망중소기업이 고성장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2017년 산연전용 지원과제 모집은 3월, 6월 2회에 걸쳐 운영기관*을 통해 진행하게 된다. 동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특화기술분야와 지원자격 등을 확인 후 운영기관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 운영기관 목록, 특화기술분야 및 연락처는 SMTECH 공지사항 참조     (관련문의 : 기술정보진흥원 042-481-0742, 0743)   <붙임> 1. 산연전용 운영기관별 특화기술분야 및 문의처 1부.            2. 2017년 산연전용 시행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58","atchfileNm":"기정원_2017년산연전용운영기관신규선정(2017.03.23조간보도요청).hwp","viewCnt":"3557","regDate":"2017-03-23 15:30:06"},{"contentId":"50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산업방송 채널i]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 소개 관련 장건오 센터장 인터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88","contentsKor":"지난 2월 28일 장건오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장이 센터 소개를 위해 산업방송 채널i 산업뉴스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판교에 위치한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는 지난 1월 23일 개소하여, 많은 관심 아래 기술애로를 겪는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협력을 위한 거점으로 자리 매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9개 상주기업 중 하나인 ㈜디앤씨 대표의 인터뷰를 통해 실제 중소기업이 겪는 어려움과 기술혁신센터에 거는 기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끝으로, 장건오 센터장은 중소·중견기업기술혁신센터가 협력 R&D 과제 발굴에 그치지 않고, 중소·중견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고 성공적인 사업화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든든한 지원군이 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 프로그램명 : 산업방송 채널i 산업뉴스 - 방영날짜 : 2017년 2월 28일 화요일 - 사이트 : 바로보기","viewCnt":"4428","regDate":"2017-02-28 17:27:26"},{"contentId":"5059","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을 위한 정부 R&D자금 정산 노하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059","contentsKor":"","viewCnt":"1926","regDate":"2017-02-28 15:37:49"},{"contentId":"50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술개발을 공동수행할 기술전문가를 찾아준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57","contentsKor":"                                              기술개발을 공동수행할 기술전문가를 찾아준다!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기술전문가 매칭기관 운영-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이 시행하는 2017년도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의 기술전문가 매칭기관에 2개 기관이 최종 선정되어 운영에 들어간다.   * 기술전문가 매칭기관은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신청 과제 중 중소기업과 기술개발을 공동개발할 전문인력을 비매칭하여 신청한 과제에 대해서 최적의 기술전문가를 매칭시켜주는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 ‘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 협력 R&D를 지원해 온 사업이다.   □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에 신청하였지만,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협력하여 수행할 공동개발기관을 찾지 못해 사업 추진에 애로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었다.   □ 이에, 2017년부터 중소기업이 원하는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할 최적의 기술전문가를 매칭하는 전문기관을 선정·운영하여 기업의 매칭부담을 덜고 중소기업 중심의 연구수행 문화 확산 및 기술개발 결과물을 활용한 사업화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첫걸음·도약협력 과제에 적용․운영되며, 기술매칭 전문기관은 비매칭 신청과제 중소기업에 복수의 전문인력을 추천하고 중소기업은 추천된 전문인력 중 신청과제 기술개발에 최적의 전문가를 선택하여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면 된다.   □ 올해 선정된 기술매칭 전문기관은 산학연R&D에 참여 가능한 대학 및 연구기관의 기술전문가 정보와 적시에 매칭업무 수행이 가능한 인력과 인프라를 보유한 기관을 평가를 통해 2개 기관을 선정하였다.   * 기술매칭기관 : (사)한국산학연협회, (사)대학산업기술지원단 등 2개 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에 최적의 기술전문가 매칭을 수행하는 기술전문가 매칭기관을 도입하여 중소기업의 매칭 부담을 덜고 기술개발에 전념하여 기업의 기술개발 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아울러 “중소기업 기술개발에 우수전문인력이 매칭될 수 있도록 매칭서비스 향상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붙임> 2017년도 첫걸음·도약협력과제 시행계획. 1부.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25","atchfileNm":"기정원_기술개발을공동수행할기술전문가를찾아준다(2017.02.23조간보도요청).hwp","viewCnt":"4145","regDate":"2017-02-23 10:43:57"},{"contentId":"50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한 첨단 연구장비를 한층 편리하게 활용하세요!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48","contentsKor":"                                                 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한 첨단 연구장비를                                                                한층 편리하게 활용하세요!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이 시행하는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이 수요자가 보다 편리하게 대학․연구기관 등의 연구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개편되어 시행된다.   ◦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은 2007년부터 중소기업의 장비부족 문제해소와 국가R&D재원이 투입된 대학·연구기관 등의 연구장비 공동활용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 지원규모는 153억원으로 중소기업이 170여개 대학․연구기관 등의 연구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경우, 장비이용 바우처(쿠폰)를 통해 장비이용료의 60~70% 이내로 최대 7천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 2017년도에는 사업 신청 간소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조기 장비 지원을 위하여 정부출연금 5백만원 이하의 신청기업은 FAST-TRACK으로 진행한다.   ◦ 기존 2단계 참여기업 선정절차를 1단계로 간소화하여 긴급한 장비이용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이 적시에 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또한, 권역별로 우수한 인프라를 보유한 대학·연구기관을 “선도형 공동활용 지원기관”으로 선정하여 운영한다.   ◦ 선도형 공동활용 지원기관은 중소기업의 장비지원 뿐만 아니라 장비 운영 인력 교육, 장비이용 애로 기업 발굴·추천 등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수행한다.   * 선도형주관기관 : 한국나노기술원,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재)충북테크노파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재)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나노종합기술원, 공주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재)부산테크노파크,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등 11개 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이 대학․연구기관의 연구장비를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의 기술개발 역량이 강화 뿐만 아니라 대학·연구기관 등의 연구장비 공동활용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아울러 “선도형기관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장비활용지원 등 연구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수혜를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붙임> 2017년도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17","atchfileNm":"기정원_대학_및_연구기관이_보유한_첨단연구장비를_한층_편리하게_활용하세요(20170221조간보도요청).hwp","viewCnt":"3315","regDate":"2017-02-21 13:12:57"},{"contentId":"5045","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2월 인터뷰)기정원 신임 최철안 원장에게 듣는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5045","contentsKor":" ","viewCnt":"1208","regDate":"2017-02-17 09:33:49"},{"contentId":"50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공학컨설팅센터 선정, 15일부터 기업신청 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44","contentsKor":"  -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      공학컨설팅센터 선정, 15일부터 기업신청 접수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이 주관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이 시행하는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의 권역별 사업 수행 전담 6개 공학컨설팅센터가 최종 선정되어 운영에 들어갔다.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은 국‧공립대학의 고급인력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R&D역량 제고 및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한다.   ◦ 지원규모는 50억원 300개 과제이며 지원조건은 업력에 따라 총 사 업비의 50~75% 이내, 사업기간은 9개월 이내, 자유공모 방식이다.   ◦ 중소기업이 지역적인 한계로 참여를 못하거나 기술전문가 매칭에 실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국 5개* 권역에 6개** 국‧공립대학을 공학컨설팅센터로 선정하여 다양한 분야의 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 (5개 권역) ①서울․경인․강원, ②대구․경북, ③부산․울산․경남, ④대전․충청, ⑤호남․제주   ** (6개 기관) 서울․경인․강원 2개, 그 외 4개 권역은 1개   - 공학컨설팅센터란 권역별 과제 신청·접수, 전문가 매칭, 기술애로 해결계획서 제출, 지원과제 추천(심의조정위원회) 및 관리 등 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국·공립 공과대학   □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에 따라 공학컨설팅센터를 통해 2월 15일부터 신청과제를 접수하며 총 4회차(2월, 4월, 6월, 7월)에 걸쳐 신청·접수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50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애로 지원을 위해 대학의 우수한 교수를 매칭하여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기술애로해결, 신기술 사업화 자문, 기술교육, 특수감정 등의 다양한 분야의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국‧공립 대학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인프라를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더불어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의 자금을 지원받는 기업들의 원활한 사업수행 및 체계적인 사업관리를 위해 공학컨설팅센터를 활용, 중소기업의 지속적 지원에 노력 하겠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붙임> 2017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616","atchfileNm":"맞춤형_기술파트너_지원사업_공학컨설팅센터_선정보도자료(20160216조간보도요청).hwp","viewCnt":"4026","regDate":"2017-02-16 10:23:00"},{"contentId":"50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7년 TIPS프로그램 사업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32","contentsKor":"                                                              기정원, 2017년 TIPS 프로그램 사업설명회 개최!                                        -2월 10일(금), 창업팀․운영사간 네트워크 기회 마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2월 10일(금) 오후 1시 30분 서울 역삼동 해성빌딩 팁스 홀에서 팁스(TIPS*) 프로그램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 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본 설명회는 팁스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예비)창업팀에게 사업 안내와 더불어 운영사와 창업팀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목적으로 개최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및 한국엔젤투자협회는 ‘17년 지원계획에 따른 주요 사업내용 및 지원자격 등을 설명하고, 운영사는 자사의 주요 투자분야 및 창업팀 보육방안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는다.   - 특히 이번 사업설명회는 최근 선정된 6개의 신규 운영사(‘16.11월)를 포함해 역대 최다인 17개의 운영사가 참가할 예정이다.   □ 팁스 프로그램은 성공벤처(운영사)와 같은 민간이 주도하여 유망 기술창업팀을 선별하고 여기에 정부의 R&D 지원을 연계하여, 글로벌 창업팀 육성과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이다.   ◦ 올해부터는 대폭 확대된 예산으로 200개 과제를 선정해 총 740억원을 지원하며, 창업팀 선정 절차는 아래와 같다. ①신청‧접수 ▶ ②투자심사 ▶ ③창업팀 추천 (1.5배수 이내) ▶ ④사전검토 (투자계약, 신청자격 등) 창업팀→운영사 운영사 운영사→관리기관 전문/관리, 연계기관             ▼ ⑧추가연계 (해외마케팅 등) ◀ ⑦협약 ◀ ⑥심의조정위원회 ◀ ⑤서면/대면평가 관리/연계기관 (R&D) 창업팀-운영사-전문/관리기관 (창업사업화) 창업팀-관리/연계기관 전문기관 (R&D) 전문/관리기관(창업사업화)연계기관     * (관리기관) 한국엔젤투자협회, 창업진흥원 (전문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연계기관) 창업진흥원(창업사업화, 해외마케팅), 한국벤처투자(엔젤투자매칭펀드)     ◦ 선정된 창업팀은 운영사로부터 엔젤투자, 보육, 멘토링을 제공 받으며, 기술개발자금과 추가 연계지원을 통해 최대 10억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이번 사업설명회를 통해 팁스 프로그램의 도입 취지인 시장의 역동성과 참여주체의 책임성을 확인할 수 있는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 팁스가 ‘글로벌 No.1 기술창업 육성 플랫폼’으로 도약하여 선순환적 창업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기를 기대해 본다”고 밝혔다.   □ 팁스 프로그램은 1월 19일 공고를 시작으로 현재 상시 접수 중이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or.kr) 및 한국엔젤협회 TIPS 홈페이지(www.jointip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 임 : 2017년 TIPS 사업설명회 개최 계획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98","atchfileNm":"(기정원보도자료)2017년TIPS프로그램사업설명회개최(20170210조간보도요청).hwp","viewCnt":"3533","regDate":"2017-02-10 13:32:57"},{"contentId":"50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창업초기 기업의 R&D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5016","contentsKor":"                                    -------------------------------------------------------------------------                                                  기정원, 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창업초기 기업의 R&D 지원!                                - 2월 28일까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2차 신청․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은 창업초기 기업의 아이디어 발굴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 2차 신청·접수를 2월 28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번 2차 공고를 통해 15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하여 25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2차 신청·접수기간은 2017년 2월 13일(월)부터 2월 28일(화)까지이며,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창업 후 7년 이하인 기업이다.   ○ 특히 금번 2차 공고는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에 기반한 신산업 및 주력산업 40대 전략분야 중 창업기업에게 유망한 전략품목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 이는 창업기업의 다양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첨단신소재부품 및 에너지산업 등 40대 전략분야의 국가 신성장동력 분야를 확대시키고자 하는 취지이다.     ○ 창업과제 2차 선정기업은 최대 2억 원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수익창출이 가능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1년 동안 추진하게 된다.   ○ 아울러 ‘창업과제’는 공급자 중심의 지원정책이 아닌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16년도부터 ‘바우처 제도’를 적용하여 추진되며,   - 본 과제에 선정된 중소기업은 바우처를 활용하여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 추진절차도 >      신청․접수 (주관기관/온라인) 신청․접수 (주관기관/온라인) 신청․접수 (주관기관/온라인) 대면평가 (전문기관) 최종평가/ 사후관리 (전문기관) 과제관리/ 최종점검 (관리기관) 협약·자금지원 (주관/전문기관) 지원과제 선정 (심의조정위원회)   * (주관기관) 과제신청기업, (관리기관)지방중소기업청, (전문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과제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77","atchfileNm":"기정원,성장잠재력이_우수한_창업초기기업의_RD지원(20170203조간보도요청).hwp","viewCnt":"3220","regDate":"2017-02-03 10:18:57"},{"contentId":"49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6대 최철안 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990","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6대 최철안 원장 취임                                                    - 취임 첫 외부행사로, 설명절맞이 전통시장 물품구매 및 아동복지시설 위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제6대 원장에 최철안(崔哲安) 전(前) 중소기업청 생산기술국장이 취임했다.   ◦ 최철안 신임 원장은 1월 25일(수) 대전 본원에서 취임식을 갖고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임기는 2020년 1월까지 3년이다.   □ 최철안 원장은 취임후 첫 외부행사로, 법동시장(대전시 대덕구)에서 온누리 상품권으로 설명절 필요물품을 구매하는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 이날 행사에는 기정원 최철안 원장과 직원 등 33여명이 참여하였으며, 설명절 직원들이 가정에서 사용할 물건과 설명절 위문물품을 구매하였다.   ◦ 기정원은 이날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설명절 위문품을 지역 소외계층인 장애인 보호시설인 “하늘품장애인단기보호시설”에 1월 25일 오후에 전달하고,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에는 1월 26일 전달할 예정이다.   ◦ 최철안 원장은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넉넉하고 풍요로운 설명절을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며,   - “앞으로도 지속적인 애정과 따뜻한 손길을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기부 및 봉사활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최철안 원장은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에 앞서 취임사를 통해,   ◦ “기정원이 단순한 R&D 지원기관이 아닌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키우는 R&D 전담기관으로 육성하여, 향후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기관이 되도록 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 또한, “기정원의 필수 기능인 평가관리체계도 보다 과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전문성 향상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직원들에게는 “대한민국의 경제와 고용의 중추인 중소기업이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되길 원하고, 어떤 결과가 이루어지길 바라는지 항상 염두에 두고 일할 것”을 주문했다.   □ 최철안 신임 원장은 부산대에서 기계공학, 기술사업정책학을 전공한 국가과학기술정책 분야 전문가이다.   ◦ 중소기업청에서 생산기술국장, 부산울산지방청장, 지식서비스과장 등의 경력을 보유하여 중소기업의 경영환경과 연구개발 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조직운영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 특히, 중소기업 R&D지원정책분야에서는 「중소기업 기술혁신 5개년 계획」, 「중소․중견기업 R&D정책 패러다임 전환」, 대기업 등과 약 7,500억원 규모의 R&D협력펀드 조성 등 실무 중심의 실효성 높은 R&D정책을 총괄한 경험을 갖고 있다.     붙임. 취임식 및 설명절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사진 1부.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49","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제6대_최철안원장_취임수정안(2017.01.26조간보도요청).hwp","viewCnt":"3232","regDate":"2017-01-25 14:29:54"},{"contentId":"49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인사동정) 기정원, 최철안 신임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988","contentsKor":"                                                        ------------------------------------------------------------------------------------------------                                                           (인사동정) 기정원, 최철안 신임원장 취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의 제6대 원장으로 최철안(崔哲安, 56세) 전 중소기업청 생산기술국장이 취임한다.   ◦ 최철안 신임 기정원장은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29조에 따라 임원추천위원회를 통해 선발된 복수의 후보자 중에 선임되었으며, 임기는 2017년 1월 25일부터 2020년 1월 24일까지(3년)이다.   * 최철안 신임 기정원장의 취임식은 2017년 1월 25일(수) 10시에 개최할 예정임   □ 최철안 기정원장은 제 27회 기술고시에 합격한 후, 중소기업청 경남지방청장(2009.02~2010.07), 미국 SBDC NEC SBDC 연구자(2010.07~2012.01), 중소기업청 지식서비스과장(2012.01~06), 중소기업청 부산울산지방청장(2012.06~2014.03), 중소기업청 생산기술국장(2014.03~2017.01)을 역임하였다.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38","atchfileNm":"(인사동정)기정원장_최철안_신임원장_취임(수정).hwp","viewCnt":"3190","regDate":"2017-01-25 14:19:25"},{"contentId":"49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다음달 9일까지 접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951","contentsKor":"               ------------------------------------------------------------------------------------------------                                    기정원,‘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다음달 9일까지 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오는 2월 9일까지 ‘중소기업R&D기획지원사업(1차)’을 신청접수 받는다.   ◦ 이 사업은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신제품에 대해 기획단계에서 필요한 기술성․시장성․경제성 분석, 진단후 기술개발 및 사업화 전략 수립 등의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으로,   ◦ 올해는 총 2차에 걸쳐 46억원, 180개 과제 내외를 선정․지원할 계획이며, 1차에서는 23억원, 90개 과제 내외를 선정할 예정이다.   ◦ 선정된 기업은 기획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4개월간 R&D기획을 수행하며, 정부출연금은 최대 2,550만원(총 사업비의 75%)까지 지원된다.   □ 특히, 그동안 창업기업(창업과제)과 혁신형기업(벤처, 이노비즈기업)만 이사업에 신청할 수 있었지만, 금년에는 일반 중소기업(일반과제)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기획지원이 필요한 중소기업이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해졌으며,   < 과제별 연계 R&D사업 >   ’16년(2개사업, 2개내역) 창업과제   창업성장R&D (내역 1개) 혁신과제   기술혁신R&D (내역 1개)   ’17년(5개사업, 8개내역) 창업과제 창업성장R&D 전체 기술혁신R&D 전체 산학연협력R&D(내역 2개) 상용화R&D(내역 1개) 공정품질R&D(내내역 1개) 일반과제   ◦ 기획지원 후 우수한 과제는 중소기업청 R&D사업 신청(해당 사업별로 1회에 한함)시 서면평가를 면제하거나 가점 부여 등의 우대를 통해,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도모하도록 하였다.   ① 서면평가 면제 : 창업성장기술개발 및 기술혁신개발사업 전체,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일부(첫걸음, 도약협력), 상용화기술개발사업 일부(기술전문기업협력) ② 현장평가 가점 :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 일부(제품개선)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담당자는 “R&D기획은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시 실패와 위험을 줄여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매우 중요한 만큼, 동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기술개발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자체 R&D기획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 기술개발수행 중소기업의 R&D 성공요인(’16.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보고서) : 관련 기술정보 확보, 충분한 사전탐색 및 기획(43.2%), 자체 기술개발 관리능력(18.7%), 기술개발 인적자원 (17.3%), 충분한 자금 지원(8.9%) 순   ◦ 과제 신청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기정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 사업 관련한 궁금한 사항은 국번없이 1357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별첨): 공고문 1부.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35","atchfileNm":"붙임_(공고문)2017년도_중소기업_RnD기획지원사업_1차_시행계획_재공고.hwp","viewCnt":"3031","regDate":"2017-01-24 18:38:54"},{"contentId":"4946","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1월 인터뷰)탄탄한 성장사다리 만드는 2017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4946","contentsKor":" ","viewCnt":"1185","regDate":"2017-01-20 17:11:27"},{"contentId":"49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립 15주년 맞아 중장기 발전방향 토론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947","contentsKor":"---------------------------------------------------------------------------------------------------------------------------------------------------------------                                          기정원 창립 15주년 맞아 중장기 발전방향 토론회 개최                                               - 중소기업R&D 전담기관 위상강화를 위한 전략과제 제시                                                   - 창립 15주년 기념식 대신 여수 수산시장 피해복구 성금 전달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창립 15주년을 맞아 ’중소기업R&D 전담기관으로서의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18일 직원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본 연구는 2016년 8월부터 약 5개월간 기정원과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이 공동으로 수행하였다.   ◦ 연구내용은 국가과학기술정책과 국내외 유사기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중소기업이 기정원에 바라는 역할 및 가치 등을 반영한 전략적 추진과제 발굴로 구성되었다.   □ 기정원이 추진할 주요과제로는 중소기업R&D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개발, 기술가치평가모델 도입 및 사업화연계, KOSBIR* 성과관리 플랫폼 구축, 설립근거법인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개정 등이 제시되었다.   * KOSBIR(Korea 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rch Program, 중소기업기술혁신지원제도) :연간 300억원 이상의 R&D예산을 운영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은 일정비율 이상을 중소기업에게 의무지원(미국 SBIR 제도를 벤치마킹하여 1998년 도입)   ◦ 특히, 빅데이터를 활용한 선정평가지표 변별력 및 평가위원 역량 측정, 현재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없었던 KOSBIR 성과정보 제공 등은 향후 기정원만의 차별성 확보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여러 부처에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R&D지원사업을 다양하게 수행한다. 지원성과 및 수요자 편의성 제고 측면에서 이제는 단일정책과 관리기준이 필요하며, 그 역할을 중소기업청과 기정원이 주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현재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어려운 여건을 감안하여 당초 계획했던 15주년 기념식을 직원 토론회로 간소화하고, 대구 서문시장에 이어 여수 수산시장 피해복구에도 성금을 지원함으로써 기념식 의미를 대신했다.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532","atchfileNm":"기정원창립15주년맞아중장기발전방향토론회개최(수령즉시보도요청).hwp","viewCnt":"2822","regDate":"2017-01-18 18:22:00"},{"contentId":"48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중기청보도자료) 중소중견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기청-kEB하나은행-기정원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885","contentsKor":"      ===============================================================  중소・중견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기청-KEB하나은행-기정원 업무협약" 체결  - 'R&D기업 사업화 자금 대출' 신설하여 3년간 6,000억원 공급 및 외국환 수수료 우대 등 금융지원 -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 KEB하나은행(은행장 함영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1월 11일 서울 하나은행에서 “중기청-하나은행-기정원”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본 협약을 통해 하나은행은 중기청의 연구개발(R&D)자금을 예치·운용하며 R&D사업화 과정 중 가장 큰 장애물인 ‘자금애로’를 해소하고, 컨설팅 등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게 된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중기청과 중기청 R&D전담기관인 기정원은 3년간 약 2조 7,000억원(‘17년 기준 9,158억원)의 연구개발(R&D)자금을 하나은행에 예치하고 하나은행은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② 하나은행은 예치금을 활용하여 R&D 성공기업(3년 이내)을 대상으로, 3년간 총 6,000억원(연간 2,000억원)의 ‘중소기업청 R&D기업 사업화 자금 대출’을 신설한다.   - 특히 이번 대출상품은 하나은행의 신용대출 평균금리보다 약 1~2%까지 낮은 금리로 운용되어 기업의 금융비용이 크게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 신용대출 : 1~6등급 평균금리 2.89%(기존 하나은행 4.88% 대비 1.99%p 인하)   ③ R&D 성공기업의 사업화지원을 위해 외국환 수수료를 감면하고, 외환컨설팅·환리스크 관리 등 3천만원 상당의 1:1 해외진출 맞춤컨설팅을 무료로 제공하는 등 우대지원한다. * 수입신용장 발행수수료 0.4%p 감면, 수출환어음 매입수수료 1%p 감면   - 또한,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화 및 수출증대를 위해 수출 중소·중견기업*도 동일하게 우대지원한다. * 한국형 히든챔피언 후보군, 글로벌 강소기업 참여기업, 차이나하이웨이 참여기업     □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R&D사업화와 글로벌 진출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적재적소에 자금을 공급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 “이번 협약은 재정 효율성 개선 및 성과 창출 등을 위한 민간은행과의 17년 첫 업무협약으로써,   ◦ 우리 중소·중견기업들의 R&D투자 → 사업화 → 수출로 이어지는 성장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며, 올해에도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468","atchfileNm":"중기청-하나은행-기정원_MOU_보도자료(17.1.12).hwp","viewCnt":"3071","regDate":"2017-01-12 14:19:14"},{"contentId":"4807","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기회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4807","contentsKor":" ","viewCnt":"1066","regDate":"2017-01-05 14:50:57"},{"contentId":"47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공공기관 창업지원 안내집」에서 창업 희망을 얻어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98","contentsKor":"==================================================================================                                                    「공공기관 창업지원 안내집」에서 창업 희망을 얻어요!                             -17개 공공기관의 창업지원 프로그램 정보를 담은 안내집 발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 17개 기관이 참여하는 ‘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는 지난해 12월 29일 각 기관별 창업지원 프로그램 정보를 담은 ‘공공기관 창업지원 안내집’을 발간했다.   ○ ‘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는 산업·R&D·관광·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공공기관이 참여했으며, 기관 간 협업을 통한 대국민 창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9월 결성됐다.   □ 이번 ‘공공기관 창업지원 안내집’은 신용보증기금의 ‘창업 액셀러레이팅’ 및 유망기술 정보를 담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기술로드맵 데이터 개방’ 등 각 기관의 대표적인 창업지원 프로그램 정보를 담고 있다.   ○ 뿐만 아니라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지원내용, 신청자격 및 선정기준 등 자세한 지원정보와 함께 창업지원 우수 사례까지 담음으로써,   ○ 다양한 분야의 창업을 희망하는 국민들에게 좋은 창업 길라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정부3.0 공공기관 창업지원 안내집은 ‘정부3.0 서비스 알리미’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협의회 간사기관인 기정원 관계자는 “앞으로 창업지원 협의회를 통하여 안내집 발간은 물론 창업 관련 설명회 공동 개최 및 공공데이터 연계 등 창업 지원에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붙임] ‘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 참여 기관 명단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기술보증기금, 산업단지공단, 신용보증기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한국관광공사,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상 총 17개 기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456","atchfileNm":"[참고]_정부3.0_공공기관_창업지원_안내집_제1호.pdf","viewCnt":"3121","regDate":"2017-01-04 15:32:37"},{"contentId":"4791","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특별인터뷰)2016년 기정원, 밝게 빛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4791","contentsKor":" ","viewCnt":"1153","regDate":"2016-12-29 16:18:57"},{"contentId":"47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중소기업기술개발 사업비 부정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90","contentsKor":"=============================================== 기정원,「중소기업기술개발 사업비 부정사례집」발간! - 기술개발의 첫걸음, 올바른 사업비 사용’부터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12월 30일(목),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사업비 부정사용 방지를 위한 부정사례집(원제 ‘기술개발의 첫걸음 정정당당 R&D')을 발간하였다.   □ 이번에 발간된 부정사례집은 그간 적발된 대표적인 부정사례 8가지와이에 대한 불이익 조치 및 올바른 사업비 사용방법을수록하였다.   ○ 특히, 사례집은 일반 중소기업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화형식으로 제작되어 정부지원자금의 부정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부정사례집은 신규로 지원받는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이미 기술개발을 수행 중인 중소기업에도 배포할 예정이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를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국민의 혈세로 지원되는 기술개발지원금이 보다 투명하게 집행되기 위해서는사전 예방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앞으로도 중소기업들이 정부지원금 부정사용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다양한 사전예방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423","atchfileNm":"기정원,「중소기업기술개발_사업비_부정사례집」_발간.hwp","viewCnt":"3140","regDate":"2016-12-29 15:57:12"},{"contentId":"47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청보도자료) 2017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통합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62","contentsKor":"=============================================== 2017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공고 - 중소기업청, 중소・중견기업 R&D에 9,517억 원 지원 - =========================================================       □ 2017년 중소・중견기업의 성장단계별 기술혁신 및 글로벌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9,517억 원의 기술개발(이하 R&D) 자금이 지원된다.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은 2017년도 중소・중견기업 R&D 지원사업의 내용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통합공고를 통해 주요 지원내용 및 일정 등을 발표하였다.   ◦ 이번 공고에서 안내하는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은 총 21개(내역사업 기준)이며, 예산규모는 9,517억 원으로 2016년의 9,429억 원 대비 0.9% 증가하였다.     □ 2017년 중소기업청 소관 기술개발 지원사업은 기존에 발표한 「중소・중견기업 R&D 정책 개편방안(‘16.3)」의 방향성을 유지한다.   ◦ 우선, R&D 사업 포트폴리오를 ‘기업성장 촉진’과 ‘산업생태계 활성화’의 양대 축으로 재편하였다.   ◦ 각 포트폴리오 내에서 성과 중심의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성장동력과 수출 분야에 중점을 두고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경쟁력 견고화, 시장 확대를 도모하였다.   ◦ 수시 R&D 지원, 평가 전문성 강화 등 기업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사업신청 횟수를 연 1~2회 신청에서 연 2~4회 또는 수시 신청으로 확대하고, 산업계 평가위원의 비율을 대폭 확대하였다.     □ 내년도 중소・중견기업 R&D 사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성과 중심의 기업지원 강화   - (글로벌 역량) 수출실적 유무보다는 글로벌화 가능성, 수입대체 효과 등을 고려하여 글로벌 역량을 보유한 기업을 우대   - (고용성과) 신규고용・고용유지 등 고용성과를 지속 창출하는 기업 및 R&D 성과를 근로자와 공유*하는 기업 우대   * 성과공유 제도 보유, 스톡옵션, 직무보상발명제도, 성과보상기금 가입 등   - (신성장동력) 주력산업의 고도화・신시장 창출 등 유망품목 범위 內 기업이 R&D 과제를 자유롭게 제안하는 ‘전략적 자유응모’ 사업 확대  * 2016년 혁신형기업, 시장창출형 사업 → 2017년 창업과제, TIPS 등 10개 사업   ② 사업계획서 간소화   - 사업계획서 작성 항목을 축소하고 작성 분량을 한정(5~10페이지)하되, 성장단계별 체계를 고려하여 차등화 운영   ③ 신청횟수 확대, 총량제 완화 등 제도개선   - 신청횟수를 연 1~2회 신청에서 연 2~4회 또는 수시 신청으로 전환하여 시장이 필요로 하는 시기에 R&D 지원   - 과제접수시기 확대에 따라 동일사업(내역 또는 내내역 기준)에 대한 연간 과제신청 횟수를 1회에서 2회로 확대   - 연간 동시수행 과제수를 2개로 제한하는 ‘총량제’ 적용 예외사업을 2개에서 6개로 증가시켜 R&D 역량강화 참여기회 확대   - 총량제가 적용되는 사업의 진행과제라도 종료기한이 6개월이내(기존 4개월 이내)인 과제는 총량제 계산시 제외     □ 중소기업청은 이번 통합공고를 시작으로 내역사업별 공고를 통해 지원대상, 지원내용, 지원조건 등을 상세히 발표할 예정이며,   ◦ 2017년 1월부터 미래창조과학부 주관의 관계부처 합동설명회 및 지방중소기업청을 통한 지역순회 설명회, 온라인 설명회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 통합공고 및 후속 세부사업 공고 등의 내용은 중소기업청 홈페이지(www.smba.go.kr), 기업마당(www.bizinfo.go.kr),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에도 문의가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405","atchfileNm":"2017년도중소중견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통합공고.hwp","viewCnt":"3527","regDate":"2016-12-12 21:56:50"},{"contentId":"47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융복합기술개발사업’25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57","contentsKor":"======================================================================                                                     기정원,‘융복합기술개발사업’250억원 지원                                     - 12월 13일(화), 184개 기관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 개최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12월13일(화) 오후 2시 호텔 ICC(대전)에서 2016년도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이하 융복합’) 184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구성한 개방형 R&D 협력체(산·연, 산·학, 산·산)의 융합R&D를 통하여 창의적 신기술·신제품 창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금번 협약대상인, ‘현장기획과제’는 전국 118개 ‘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를 통해 발굴·기획된 융합기술분야 과제를 대상으로 92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여 250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6억원 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본 설명회에서는 융복합 선정 184개(주관기관, 공동개발기관)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약절차, 규정 등 과제 진행과 관련된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자주 발생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과 관련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의 신기술, 신제품 창출을 활성화하고, 사업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끝)         별 첨 : 2016년 융복합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계획 1부.","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400","atchfileNm":"기정원_융복합기술개발사업_250억원_지원(2016.12.13조간보도요청).hwp","viewCnt":"2793","regDate":"2016-12-12 14:18:41"},{"contentId":"47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청렴도 ‘우수’ 기관으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55","contentsKor":"=========================================================================================                                                                          기정원 청렴도 ‘우수’ 기관으로 선정                                               -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전사적인 노력으로 2년 연속 우수등급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실시한 ‘2016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2등급(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고 12월 7일(수) 밝혔다.   ○ 기정원은 올해 종합청렴도 8.46점으로 공직유관기관 평균 8.17점 보다 0.29점 높은 점수를 받으면서 2등급(우수)을 달성하였다.   □ 그동안 기정원은 부패행위 처벌규정 강화, 익명신고센터 마련, 전직원 청렴서약, 선물 안주고 안받기 운동, 중소기업 대상 청렴문화 확산 설명회 개최 등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꾸준히 추진해왔다.   ○ 그 결과, 2014년은 3등급(보통), 2015년 2등급(우수), 2016년 2등급(우수)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우수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 양봉환 원장은 “오늘의 성과는 깨끗한 기정원을 만들기 위해 임직원 모두가 마음을 하나로 모아 적극적으로 노력한 결과이다.”라며 “중소기업 R&D지원 전문기관으로서 청렴문화 정착 및 확산에 앞장 설 것”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98","atchfileNm":"기정원,_청렴도_‘우수’_기관으로_선정(배포즉시보도요청).hwp","viewCnt":"2793","regDate":"2016-12-09 15:48:53"},{"contentId":"47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안내 및 수행관리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56","contentsKor":"===========================================================================                            기정원,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안내 및 수행관리 설명회 개최                                    - 12월 9일(금), 상용화 및 융복합기술개발사업 수행기업 대상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2월 9일(금) 오후 12시 30분 서울 역삼동 GS타워 아모리스홀에서 상용화 및 융복합기술개발사업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안내 및 수행관리 설명회」를 개최한다.   □ 설명회 대상 사업은 중소기업 R&D “상용화기술개발사업” 및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이며,   ◦ ‘16년 이전에 협약하여 과제 수행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 기업 관계자라면 누구나 사전신청 후 설명회에 참석할 수 있다.   □ 본 설명회는 R&D수행 중소기업들이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최종평가 준비사항 및 차년도 R&D 사업 등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할 계획이다.   ◦ 설명회 참석 기업들에게는 사업관련 규정 및 사업비 집행방법, 협약변경 시 발생하는 문의사항 등에 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 특히, 과제 최종평가를 앞둔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최종 보고서 작성요령 및 최종평가 일정, 최종점검 시 기업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한 설명도 있을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기업들이 기술개발과제를 진행하면서 생기게 되는 어려움이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없어 애로사항을 토로해 왔는데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안내 및 수행관리 설명회」가 기업들의 원활한 기술개발 수행을 위한 정보교류 및 궁금증 해소의 장이 되길 바란다”며,   □ “향후에도 R&D사업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설명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중소기업들이 R&D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사업안내 및 수행관리 설명회 개최개요 1부. 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99","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_사업안내_및_수행관리_설명회_개최(20161209조간보도요청).hwp","viewCnt":"2808","regDate":"2016-12-09 14:13:13"},{"contentId":"4754","useYn":"Y","policyType":"G00303","brmCode":"J03","brmTrans":"1","subject":"우리나라 LED 조명 산업, 긴 호흡이 필요하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웹진","originUrl":"http:\/\/www.tipa.or.kr\/s040203\/view\/id\/4754","contentsKor":" ","viewCnt":"1268","regDate":"2016-12-09 11:16:42"},{"contentId":"47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정부3.0으로 중소기업 맞춤 서비스 추진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46","contentsKor":"=========================================================================================                                            기정원, 정부3.0으로 중소기업 맞춤 서비스 추진한다                                                  - 전 직원을 대상으로 맞춤 서비스 분야 전문가 초청 교육 실시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지난 11월 30일, 대전 본원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정부3.0 교육을 실시했다.   ○ 이번 교육은 직원들이 정부3.0의 의미와 가치를 습득하고, 이를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 서비스 구축으로 연계시키기 위해서 마련됐다.   □ 이날 교육은 행정자치부 정부3.0 전문강사단 겸 맞춤서비스 분야 전문강사인 박진섭 대전대학교 교수를 초빙하여 △정부3.0의 의미와 비전 △맞춤서비스의 목표 △주요 우수사례 공유 등의 내용으로 진행됐다.   ○ 박 교수는 강연에서 중소기업 중심의 R&D 지원 맞춤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요자의 참여를 확대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제적이고 능동적인 서비스를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 기정원은 정부3.0 맞춤 서비스의 일환으로, R&D 과제에 지원하는 중소기업이 사업규모 및 목적에 따라서 맞춤 평가방식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가령 단기·소형과제의 경우 평가방식을 간소화하고, 유망기술개발이 목적인 과제는 사업성을 심층적으로 평가하는 등 신속하고 공정한 평가를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의 요구에 부응하였으며,   ○ 연초에 집중되었던 R&D 과제 모집을 상시 접수 방식으로 확대함으로써 R&D 수요가 많은 중소기업들의 큰 만족을 얻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85","atchfileNm":"기정원,_정부3.0으로_중소기업_맞춤_서비스_추진한다(배포즉시보도요청).hwp","viewCnt":"2724","regDate":"2016-12-02 14:14:16"},{"contentId":"47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조선기자재 중심의 전략형 연구마을 31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745","contentsKor":"=========================================================================================   조선기자재 중심의 전략형 연구마을 31억원 지원!                                                    - 2016년 조선기자재 전용 연구마을 31개 과제 지원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조선기자재 관련 기술분야의 R&D 지원을 위해 조선기자재 중심의 전략형 연구마을 3개를 선정하고 31개 관련 과제에 31억원을 지원한다고 12월 2일 발표했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연구마을 과제는 지역별로 거점형 기관(대학·출연연 등)을 선정하여 각 기관이 중소기업 R&D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사업으로,   - 조선기자재 중심의 전략형 연구마을은 올해, 조선업 침체에 따른 국가주력산업의 위기상황 극복에 도움을 주고자 관련 기술분야 과제를 집중지원하기 위해 추진되었으며,   - 조선기자재 관련 중소기업이 밀집된 지역에 위치한 조선기자재 중심의 전략형 연구마을 3개 기관* 23개 중소기업과제와 기존 연구마을을 운영하고 있는 4개 기관 8개 과제를 포함하여 총 31개의 중소기업 과제를 선정하고 지원하기로 하였다.   * 조선기자재 전략형 연구마을 선정기관 : 부산대, 경성대,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기정원은 금번 선정된 31개 조선기자재 전용 연구마을 지원과제가 투명한 R&D 자금 집행과 함께 원활히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조선기자재 연구마을 지원이 조선업 침체를 극복하고 세계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강소형 중소기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 고 말했다.   ◦ 더불어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자금을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이 원활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며, 나아가 중소기업을 위한 산학연협력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84","atchfileNm":"기정원_조선기자재_중심의_전략형_연구마을_31억원_지원(20161202보도요청).hwp","viewCnt":"2993","regDate":"2016-12-01 17:06:01"},{"contentId":"46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공공기관간 정부3.0 협업으로 창업지원 활성화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98","contentsKor":"========================================================= 공공기관간 정부3.0 협업으로 창업지원 활성화 나선다 -17개 공공기관이 참여하는‘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결성-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술보증기금·한국정보화진흥원 등 17개 공공기관은 협업을 통한 대국민 창업지원 활성화를 위하여 지난 9월, ‘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를 조직하였다.   ○ ‘창업지원 공공기관 정부3.0 협의회’는 산업·R&D·관광·금융 등 창업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17개 공공기관이 참여했으며,   ○ 각 기관이 추진 중인 창업지원 프로그램·데이터를 공유·개방함으로써 대국민 창업지원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성됐다.     □ 협의회 활동의 일환으로 지난 11월 18일에는 기정원을 비롯한 8개 기관이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운영하는 ‘청년 창업샘터’를 직접 방문하고, 이를 각 기관에 적용할 수 있도록 벤치마킹하는 시간을 가졌다.   ○ 이날 벤치마킹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비롯해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8개 기관이 참여하였으며,   ○ ‘청년 창업샘터’는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청년 소셜벤처기업에게 업무공간을 제공하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의 대표적인 창업지원 사업이다.     □ 이어진 협의회 정기회의에서는 창업을 희망하는 국민들에게 길라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각 기관의 창업지원 사업 정보를 담은 안내집을 발간하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 또한, 창업 지원 설명회와 경진대회를 공동으로 개최하고 창업관련 공공데이터를 연계하는 등 기관 간 협업 활동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 협의회 간사기관인 기정원 관계자는 “앞으로 공공기관간 협업을 통하여 창업을 희망하는 국민들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창업지원 활동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65","atchfileNm":"공공기관간_정부3.0_협업으로_창업지원_활성화_나선다(16.11.24_조간보도요청).hwp","viewCnt":"3181","regDate":"2016-11-23 16:17:08"},{"contentId":"46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혁신, 창조경제의 성공 패러다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97","contentsKor":"================================================ 중소기업 기술혁신, 창조경제의 성공 패러다임 - 11월 22(화),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 세미나” 개최 - ================================================   □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중소기업학회 공동주관으로 엘타워 그랜드홀에서 11월 22일(화) 오후 2시30분부터   ◦ “중소기업 R&D 혁신을 통한 창조경제 구현”이라는 주제로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 세미나를 개최한다.     □ 이번 행사는 정책연구회 운영을 통해 도출된 중소기업 R&D 전략적 지원을 위한 포지셔닝 분석, 사업성 심층평가 연구 등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 중소기업 및 대학 등 기술혁신 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올바른 지원정책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번 정책세미나 행사는 김기찬 교수(카톨릭대학교)의 ‘중소기업 지속성장을 위한 기업가정신 3.0’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 △김선하 이사(크리액티브)의 ‘중소기업 R&D 전략적 지원을 위한 포지셔닝 분석’의 발표 이후, △경종수 교수(선문대학교)의 ‘전략기술분야 R&D투자 우선순위 분석’, △성웅현 교수(선문대학교)의 ‘사업성 심층평가제도 방안’ 순으로 진행된다.     □ 양봉환 원장(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원천이 확대되어 ‘중소기업 기술혁신이 창조경제의 성공 패러다임’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 “이를 위해 중소기업학회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중소기업 기술혁신 기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64","atchfileNm":"중소기업기술혁신_창조경제의성공패러다임_중소기업기술혁신정책세미나개최(배포즉시보도요청).hwp","viewCnt":"2764","regDate":"2016-11-22 16:03:14"},{"contentId":"46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노사가 함께하는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96","contentsKor":"============================================================== 기정원, 노․사가 함께하는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 추진! - 11월 18(금), 대전시 동구 일대 저소득층 대상 연탄나눔 봉사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11월 18일(금) 오후에 대전시 동구 일대에서 “노․사가 함께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을 전개하였다.     □ 이번 봉사활동에는 기정원 임직원 16명이 참여하였으며, 대전시 동구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10개 가구에 3,000장의 연탄을 지원하는 봉사활동으로 추진되었다.   ◦ 대상가구는 대전시 동구노인종합복지관의 연탄나눔운동의 추천을 받아 선정하였으며, 가구당 300장씩 연탄을 지원하였다.   ◦ 연탄나눔 기금 재원은 임직원의 성금 및 기정원 방문고객 성금 등을 통해 마련되었다.     □ 이번 연탄나눔 봉사활동은 기정원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나눔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연탄나눔이 지역사회 저소득계층의 따뜻한 겨울나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며, “특히 기정원은 2015년 이래 노사가 함께 연탄나눔 봉사활동을 추진하며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무이행을 다짐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더 크다”고 밝혔다.   ◦ 또한 “기정원은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추진하여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사회 만들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13년 대전 이전 이래 지역사회 소외계층과 함께하기 위해 아동보육시설, 장애인지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및 외국인지원시설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 기정원은 지난해에 이어 연말까지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과 함께하는 기부활동 추진”과 “신생아살리기모자뜨기 캠페인 참여”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63","atchfileNm":"기정원-노사가함께하는사랑의연탄나눔봉사활동추진(20161121조간보도요청).hwp","viewCnt":"2653","regDate":"2016-11-18 15:54:07"},{"contentId":"46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찾아가는 R&D컨설팅으로 사업성공률을 높인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5","contentsKor":"    ====================================================================== 기정원, "찾아가는 R&D컨설팅"으로 사업성공률 높인다! - 11월 23일(수)까지 11개 지역에서 R&D 중소기업 맞춤형 1:1 컨설팅 진행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1월 9일(수), 서울을 시작으로 23일(수)까지 전국 11개 지역에서 각 지방중소기업청과 함께 「2016 찾아가는 R&D컨설팅」을 실시하고 있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들이 R&D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보고서 작성요령 및 최종평가 시 준비사항 등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시키고자 ‘15년도부터 「찾아가는 R&D컨설팅」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이번 컨설팅은 ‘기업맞춤형 1:1방식’으로, R&D수행 중소기업과 기정원 평가담당간사들이 기업의 사전 문의사항에 30분씩 질의·응답을 갖는다.  ☞ 컨설팅 대상사업 : 기술혁신개발사업 및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 특히, 컨설팅에 참여한 중소기업들은 ‘R&D과제 추진단계별’로 생기는 어려운 점을 상담을 통해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과제를 수행 중인 기업은 사업관련 규정 및 사업비 집행방법, 협약변경 시 발생하는 문의사항 등에 관한 맞춤상담이 진행되며,   ◦ 과제 최종평가를 앞둔 기업에게는 최종 보고서 작성요령 및 최종평가 일정, 최종점검 시 업체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한 설명이 제공된다.   ◦ 또한, ‘16년도 과제신청 후 탈락한 기업을 대상으로는 제출한 사업계획서 및 발표자료 등의 보완사항 및 대면평가 발표 방법 등을 집중적으로 안내한다.     □ 9일 서울에서 진행된 컨설팅에 참여한 ㈜디오시스엠엔엠의 실무담당자는 “올해 R&D사업에 지원했지만 대면평가 단계에서 아쉽게 떨어졌다”며, “1:1상담을 통해 대면평가 요령을 얻을 수 있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전했다.     □ 10일 경기에서 진행된 컨설팅에 참여한 에드론(Adrone)의 대표는 “R&D사업 수행이 처음이다 보니 어려움이 많았다”며, “이번 컨설팅에서 목표달성도 및 평가지표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어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전했다.     □ 「2016 찾아가는 R&D컨설팅」은 서울·경기를 제외한 9개 지역의 경우 해당지역 순회 컨설팅 전날까지 추가 신청*하면 참석 가능하다.  *추가 신청 및 관련 내용은 사업담당자에게 이메일로 문의 jhw2342@tipa.or.kr(기술혁신), hank@tipa.or.kr(창업성장)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21","atchfileNm":"기정원_찾아가는RnD컨설팅으로사업성공률높인다(2016.11.14조간부터보도요청).hwp","viewCnt":"3056","regDate":"2016-11-11 19:58:56"},{"contentId":"46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 방산업체의 기술보호를 위한 시스템 구축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4","contentsKor":"    =========================================================  중소 방산업체의 기술보호를 위해 시스템구축 지원!  - 11월 10일(목), 기정원 방사청간 중소 방위산업기술 보호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방위사업청(청장 장명진, 이하 “방사청”)과 11월 10일 오후 15시 기정원에서 ‘방위산업 기술보호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   ◦ 금번 업무협약은 방산관련 중소기업의 기술보호를 위해,   - 기정원의 중소기업 기술유출방지시스템 구축 지원의 노하우를 방사청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추진할 예정임   * 기정원 2005년부터 중소기업기술 보호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256개(2016년 10월 기준) 업체의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였음     □ 기정원과 방사청은 이번 협약을 통해   ◦ 방위산업 기술유출방지시스템 구축 사업의 지원업체 선정을 위한 전문가 지원, 평가 관리 등 선정에 대한 노하우를 지원하며,   ◦ IT지원기관 및 원가계산․감리기관 지원을 통해, 원활한 시스템 구축·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임     □ 금번 협약은 방산관련 중소기업의 기술보호체계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방산관련 중소기업의 기술보호 역량이 강화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희망”하며,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중소 방산업체의 기술보호 체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힘   ◦ 신양재 방산기술 통제관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보호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을 위하여 지속적인 논의가 시작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희망”하며, 방사청은 ”중소기업 지원사업 추진시 방산 관련 기업의 참여 확대를 위해 중소기업청․기정원과 지속적으로 협력체계를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힘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18","atchfileNm":"(2016.11.10)중소방산업체의기술보호를위한시스템구축지원(배포즉시보도요청).hwp","viewCnt":"2754","regDate":"2016-11-11 19:44:12"},{"contentId":"46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기청 주관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장려상 수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3","contentsKor":"============================================================= 기정원, 중기청 주관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장려상 수상 - 중소기업 맞춤형 정보화 지원을 통한 고객 편의성 증대를 인정받아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지난 11월 3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중소기업청 주관 ‘2016년도 정부3.0 및 정상화과제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클라우드 기반 맞춤형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 성과를 인정받아 정부3.0 부문 장려상을 수상했다.   ○ 이번 대회는 중소기업청 및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서면심사를 거쳐 본선에 오른 8개의 우수사례에 대해 외부전문가 등 현장평가단 100여명의 평가를 거쳐 순위를 결정했다.     □ “클라우드 기반 맞춤형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인터넷 접속만으로 중소기업이 필요한 업종별 정보화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 서비스를 의미한다.   ○ 기존의 예산·인력의 한계로 소수만 가능했던 서비스 수혜 중소기업 수를 클라우드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14,752개 중소기업(’16년 10월말 기준)으로 크게 확대 했으며,   ○ 특히 28개의 업종별 정보시스템을 맞춤 서비스하여 중소기업이 별도의 비용 부담 없이 업무생산성을 크게 증가시킨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수상은 어떻게 하면 고객이 더욱 만족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지 고민한 결과물”이라면서 “앞으로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부3.0 성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17","atchfileNm":"(2016.11.10)기정원_중기청주관정부3.0_우수사례경진대회장려상수상(16.11.10조간보도요청).hwp","viewCnt":"2644","regDate":"2016-11-10 19:38:29"},{"contentId":"46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융복합 신개발 의료기기 신속제품화 지원 범부처 공동워크숍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2","contentsKor":"=========================================================================== 기정원, 융․복합 신개발 의료기기 신속제품화 지원 범부처 공동워크숍 개최 - 11월 10일(목), 의료기기 제품화 사례 및 R&D지원방향 설명 6개 기관 공동으로 추진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11월 10일(목) 오후 2시 한국기술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융․복합 신개발 의료기기 신속제품화 지원 범부처 공동워크숍’(이하 범부처 공동워크숍)이 개최한다고 밝혔다.     □ 범부처 공동 워크숍은 융복합 신개발의료기기가 시장에서 신속하게 제품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R&D정책 및 정부3.0에 발맞추어 전방위 협조체계를 구축하고자,   ○ 각 부처(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술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공동으로 준비하였다.     □ Session 1에서는 ‘체외진단 의료기기 제품의 개발 및 제품화’ 발표를 시작으로 특허전문가의 ‘중소기업 IP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특강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의료기기 개발 및 IP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 Session 2에서는 각 기관 별로 부처별 2017년 R&D 지원방향 및 지원사업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으로 진행되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보건복지부 R&D 지원방향 및 지원사업을 발표하고,   ○ 이후에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산업통상자원부 R&D 지원방향 및 지원사업 발표를, 한국연구재단에서 미래창조과학부 R&D 지원방향 및 지원사업 발표를,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중소기업청 R&D 지원방향 및 지원사업 발표를 통해 각 부처의 의료기기 기술개발의 지원방향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 Session 3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3D 프린팅 의료기기의 허가심사 방안’에 대해서 마지막으로는 의료기기정보기술센터에서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의 전주기 지원 사업에 대해 소개를 통해 3D 프린팅으로 변화되는 의료기기분야 대응방안 및 의료기기 업체들을 지원사업들을 알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16","atchfileNm":"기정원_융복합_의료기기_신속제품화지원_범부처_공동워크샵개최(2016.11.10조간보도요청).hwp","viewCnt":"2654","regDate":"2016-11-10 19:29:34"},{"contentId":"46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6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6","contentsKor":"====================================================================== 기정원, '2016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 10/25(화) ~ 11/19(금), R&D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 실시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평가 역량 강화를 위해 “2016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10월25일(화)부터 ~ 11월 19일(토)까지 운영하고 있다.   ◦ 기정원은 올해로 7번째* 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평가위원들의 폭넓은 참여를 위해 지난해보다 세분화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기정원은 2012년 이래 평가위원 교육을 추진하였으며, 2015년부터 단계별 과정으로 확대․개편하여 추진하고 있음   ◦ 2016년 평가위원 역량강화 교육은 총 4단계의 교육과정이며, 각 과정별로 2~3차에 나누어 총 600여명을 교육한다.    * 교육신청․접수, 운영은 중소기업연수원과의 협업을 통해 진행     □ 본 교육과정은 신규평가위원을 위한 기본 강의에서부터 사업성 심층평가 전문가과정까지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금년에는 사업성심층평가 과정을 세분화하여,   ◦ 사업성 심층평가위원 과정은 사업성평가 전문성을 보유한 평가위원을 양성을 위해 사업성 심층평가 제도 및 사례, 기술가치 및 기업가치 평가방법 등을 교육하고 중소기업 R&D지원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분임토의(3개 분과)를 운영하고 있다.   ◦ 사업성 심층평가전문가 과정은 투자전문성을 보유한 R&D 평가위원 양성에 목적이 있으며, 중소기업 R&D 정책, 평가윤리, 사업성 심층평가 제도 등을 교육한다.   ◦ ‘사업성 심층평가위원 과정’에 참여한 이장성((주)루트파트너스 대표) 위원은 “사업성 심층평가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며, “본 교육을 통해 사업성 심층평가의 절차 및 평가 노하우를 배울 수 있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고 전했다.     □ 전년도와 동일한 과정으로,   ◦ 신규위원 과정은 신규위원의 평가 실무능력 함양을 통한 평가품질 제고에 목적이 있으며, 중소기업 R&D 정책에 대한 이해, 평가윤리, 평가위원의 역할 및 평가의견서 작성 방법 등을 교육한다.   ◦ 평가위원장 과정은 평가제도 및 평가운영 전반에 대한 이해를 보유한 우수위원 확보에 목적이 있으며, 평가윤리, 평가위원장 역할 및 문제과제처리 등을 교육하고 중소기업 R&D지원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분임토의(3개 분과)를 운영하고 있다.     □ 기정원은 이번 교육과정을 이수한 평가위원을 ‘16년 하반기부터 선정평가위원 및 사업성 평가위원으로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평가위원 역량강화 교육이 평가위원의 사업성평가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개발 성공과 사업화 성공간 간극을 해소하는 등 R&D투자의 효율성 제고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평가위원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22","atchfileNm":"기정원_2016년평가위원등급별맞춤형교육과정운영(2016.11.09조간홍보요청_수정).hwp","viewCnt":"3083","regDate":"2016-11-09 21:12:10"},{"contentId":"46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하반기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366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41","contentsKor":"  ============================================================  기정원, 하반기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366억원 지원!  - 첫걸음, 기업부설 및 도약 과제(2차) 441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2016년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첫걸음, 기업부설 및 도약과제(2차) 총 441개 과제를 선정하고 366억원을 지원한다고 11월 8일(화) 밝혔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R&D 저변확대를 위하여 ‘93년부터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간 협력 R&D를 지원해온 사업으로,   ◦ 정부 R&D에 처음 참여하는 중소기업 등 대학․연구기관과의 공동 R&D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최대 1년간 총 사업비의 75%(1억원 한도)를 지원하고 있다.     □ 이번 하반기 지원사업은 “2016년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공고”에 따라 총 3회 걸친 과제 신청·접수 중 2차 신청 1,374개 과제로, 선정평가 과정을 거쳐 총 441개 366억원을 지원한다.     □ 특히, 이번 지원과제는 주관기관을 기존 대학·연구기관에서 중소기업으로 변경하여 중소기업이 원하는 실용기술 개발이 촉진하고자 `16년 하반기 시행계획 변경공고(`16.6월)한 내용을 적용한 과제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인적·물적인프라를 활용한 공동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 기술인정보시스템 : http://techin.sanhak.net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80","atchfileNm":"기정원_하반기산학연협력기술개발366억원지원결정(20161108조간보도요청).hwp","viewCnt":"3269","regDate":"2016-11-07 12:58:00"},{"contentId":"46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어려운 시기에 기술혁신기업에 R&D자금 단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39","contentsKor":" ========================================================= 어려운 시기에 기술혁신기업에 R&D자금 단비! - 11월 7일(월), 기정원 하반기 R&D자금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1월 7일(월) ‘2016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 하반기 혁신형기업과제’와 ‘2016년도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협약설명회 : KT인재개발원(대전 서구), 오후 1시 30분 개최     □ 이번 설명회는 2016년도 하반기 혁신형기업과제와 수출유망과제에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이 대상이며,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명할 예정이다.   □ 설명회에서는 특히 자주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이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으며,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을 사례별로 공유하고 R&D 청렴문화 및 윤리경영을 교육할 예정이다.     □ 기술혁신개발사업의 하반기 혁신형기업과제 선정기업은 최대 5억원(연 2.5억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빅데이터, IoT(사물인터넷) 등 미래 성장 유망 전략분야의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7월 18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과제를 현장평가, 대면평가 등을 통해 58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2년 간 243억 원을 지원하게 된다.     □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의 하반기 수출유망과제 선정기업은 최대 6억원(연 3억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수출유망 전략분야의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되는데,   ◦ 수출유망과제는 지난 7월 14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과제를 현장조사,사업성심층평가, 대면평가 등을 통해 13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2년 간 59억 원을 지원하게 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들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미래 성장유망 분야에 대한 선도적인 기술개발을 도모하고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78","atchfileNm":"어려운시기에_기술혁신기업에_RD자금_단비(20161107조간보도요청).hwp","viewCnt":"2462","regDate":"2016-11-07 08:27:34"},{"contentId":"46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 기업에게 맞춤교육과 1:1상담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71","contentsKor":"============================================================= 기정원, R&D기업에게 맞춤교육과 1:1상담 실시! - 11월 8일(화), 중기 R&D수행기업 대상 하반기 교육 대전에서 실시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1월 8일(화) 대전 동구에 위치한 선샤인호텔에서 ‘2016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과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R&D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 ‘R&D 맞춤형 교육’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을 진행 중인 기업들의 성공적인 R&D수행과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마련되었으며, 지난 6월 상반기 교육에 이어 하반기 협약과제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교육이다.     □ 이번 교육에서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지침, SMTECH 사용방법, 연구노트 작성법, 과제진행절차 등 사업 수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명할 예정이다.   ◦ 특히, 중소기업이 사업수행에 있어 가장 어려움을 겪는 ‘사업비 정산 및 집행’과 관련하여 전문회계사를 통한 교육시간을 마련하였다.     □ 또한 중소기업 R&D과제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멘토링 기관과 기업의 1:1상담 부스를 마련하여 진행하는 한편,   ◦ 기정원 담당자와 기업별 맞춤형 상담시간도 마련하여, R&D수행 과정에서 발생했던 어려움을 질의응답을 통해 해소하도록 하였다.     □ 이번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11월 4일(금)까지 접수 가능하며, 사전신청을 하지 못한 기업의 경우 현장신청*도 가능하다.   * 현장신청은 상황에 따라 업체별 접수 인원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선착순 마감될 수 있음.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중소기업은 과제수행 중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사업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사전신청 및 교육관련 내용은 이메일로 문의 say09321@tipa.or.kr(기술혁신), rnd19@tipa.or.kr(창업성장)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315","atchfileNm":"(20161104보도요청)기정원,RD기업에게_맞춤교육과_상담_실시(수정본).hwp","viewCnt":"2514","regDate":"2016-11-04 19:15:43"},{"contentId":"46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기업 R&D 촉진을 위한 381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38","contentsKor":"========================================================= 기정원, 창업 기업 R&D 촉진을 위해 381억원 지원! - 11월 4일(금)/7일(월), 248개 창업과제 2차 선정기업 대상 협약설명회 개최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2차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한 협약설명회를 11월 4일(금)과, 7일(월)에 서울과 대전에서 각각 개최한다고 밝혔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성장 잠재력이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에게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지난 6월 1차로 251개 379억을 지원한데 이어, 금번 2차에는 1,623개 신청기업을 대상으로 서면, 현장, 대면평가 등을 통해 248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381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된 중소기업은 평가결과에 따라 최대 2억원까지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사업화 수익창출을 위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사업 기간 동안(최대1년) 추진하게 된다.    ◦ 아울러 금번 협약설명회는 선정된 중소기업의 지역별 분포를 고려한 접근편의성을 위해 서울(상암동 누리꿈스퀘어)과 대전(괴정동 KT인재개발원)에서 각각 개최할 예정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 관련자를 대상으로, 협약체결 및 사업 추진에 필요한 전반적인 사항을 안내한다.    ◦ 전자협약 체결과 연구노트 작성 및 사업비 사용방법, 협약변경신청 방법, 최종평가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R&D 청렴문화 확산 및 윤리경영 교육 등을 실시한다.    ◦ 또한, 기술개발의 효율성과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해 금년 도입된 ‘바우처 제도’의 주요내용 및 개선사항도 설명한다.      ※ R&D 바우처 제도란?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있어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인력, 시설․장비 등을 활용하여 신제품, 공정,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기업에게 제공하는 소규모 신용한도(쿠폰)를 의미함.     □ 한편, 이번 2차 지원을 끝으로 금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지원은 마감되었으며, 향후 동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오는 12월 공고 예정인 2017년도 지원계획을 참조하면 된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이번 협약설명회가 창업 초기기업의 원활한 기술개발수행을 위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길 바란다”며,   ◦ “기정원은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성장 촉진 및 기술창업활성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77","atchfileNm":"기정원_창업기업_RnD촉진을_위해_381억원지원(20161104보도요청).hwp","viewCnt":"2696","regDate":"2016-11-04 18:54:19"},{"contentId":"46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기정원, 이공계전문가가 중소․중견기업 생산현장의 기술애로를 해결할 수 있도록 12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632","contentsKor":"=========================================================================    기정원, 이공계전문가가 중소․중견기업 생산현장의 기술애로를 해결할 수 있도록 12억원 지원! -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 해결과제(3차), 70개 기업 지원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해결과제(3차) 총 70개 과제를 선정하고 12억원을 지원한다고 11월 3일(목) 밝혔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이 생산현장에서 직면하는 기술애로를 단기에 해결할 수 있도록 최적의 기술파트너(이공계전문가)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기점으로 총 3회차에 걸쳐 해결과제 신청·접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지난 8월 초에 신청·접수된 181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70개 12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개발 중심으로 발생하는 생산공정 또는 제품성능 개선, 제품표준화 또는 시제품의 제품화 추진 시 발생하는 기술애로 개선, 융·복합 기술애로 해결 및 기타 기술애로 해결 등이다.     □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필요한 지원을 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인프라를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 기술인정보시스템 : http://techin.sanhak.net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67","atchfileNm":"기정원_이공계전문가RnD사업해결과제_12억원_지원(2016.11.03조간보도요청).hwp","viewCnt":"3770","regDate":"2016-11-02 14:30:26"},{"contentId":"45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수행기업 대상으로 지역별 현장 컨설팅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587","contentsKor":"기정원, R&D수행기업 대상으로 지역별 현장 컨설팅 개최! - 11월 9일(수)부터 23일(수)까지 각 지방중소기업청과 함께 업체별 1:1컨설팅 진행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1월 9일(수)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 11개 지역에서 각 지방중소기업청과 함께 「2016 찾아가는 R&D컨설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R&D수행 중소기업들이 기술개발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보고서 작성요령 및 최종평가 시 준비사항 등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15년도부터 「찾아가는 R&D컨설팅」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컨설팅 대상 사업은 중소기업 R&D “기술혁신개발사업” 및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이며,      ◦ ‘16년 신규 선정된 기업과 과제 수행 중인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 업체 관계자라면 누구나 사전신청 후 컨설팅에 참석할 수 있다.      □ 본 컨설팅은 “기업맞춤형 1:1”방식으로, R&D수행 중소기업과 기정원 평가담당간사들이 업체의 사전 문의사항을 기반해서 30분씩 질의·응답을 갖는 자리이다.      ◦ 컨설팅 참여기업들에게는 사업관련 규정 및 사업비 집행방법, 협약변경 시 발생하는 문의사항 등에 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 특히, 과제 최종평가를 앞둔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최종 보고서 작성요령 및 최종평가 일정, 최종점검 시 업체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한 설명도 있을 예정이다.      □ 「2016 찾아가는 R&D컨설팅」은 10월 28일(금)까지 사전 신청접수를 받으며, 서울지역을 제외한 10개 지역의 경우 해당지역 순회 컨설팅 전날까지 추가 신청*하면 참석 가능하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2016 찾아가는 R&D컨설팅」에 참석한 업체들이 과제 수행 중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소함으로써 과제성공률 및 성과를 향상시키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며,      ◦ “향후에도 R&D사업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개최하여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이를 R&D정책 및 정부3.0 맞춤 서비스에 반영하고자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추가 신청 및 관련 내용은 사업담당자에게 이메일로 문의 jhw2342@tipa.or.kr(기술혁신), hank@tipa.or.kr(창업성장)","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39","atchfileNm":"(2016.10.26)기정원,RD수행기업_대상으로_지역별_현장_컨설팅_개최(붙임수정).hwp","viewCnt":"3181","regDate":"2016-10-25 11:10:39"},{"contentId":"45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6년 글로벌 강소기업과제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582","contentsKor":"기정원, 2016년 글로벌 강소기업과제 협약설명회 개최 - 10월 21일(금), 40개 글로벌강소기업과제 선정기업에 88억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0월 21일(금) 오후 2시 대전 유성구에 소재한 대덕테크비즈센터(1층 콜라보홀)에서 2016년도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중 글로벌강소기업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 특히,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에 대해 사례별로 유의사항 등을 공유하고 R&D 청렴문화 및 윤리경영을 교육한다.      □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의 글로벌강소기업과제 선정기업은 최대 6억원(연 3억 이내)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5월 26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104개 과제를 대상으로 사업성심층평가, 대면평가를 통해 40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88억 원을 신규 지원하게 되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글로벌 강소기업과제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글로벌강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32","atchfileNm":"(2016.10.21)_기정원_2016년_글로벌강소기업과제_협약설명회_개최.hwp","viewCnt":"3252","regDate":"2016-10-20 09:17:24"},{"contentId":"45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정보화 활용전략 교육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576","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정보화 활용전략 교육실시 - ‘클라우드 컴퓨팅’전문가특강 및 사례발표로 新기술 배운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10월 12일(수), 서울 aT센터(서초구 강남대로)에서「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중소기업 비즈니스 전략교육」을 실시한다.      ○ 이는 8대 핵심 스마트 기반기술로 선정된 ‘클라우드 컴퓨팅’관련 교육을 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 인식제고 및 역량을 강화하기 위함이며,      ○ 중소기업 대표 및 담당자 등 50여명이 교육에 사전신청하였다.      □ 교육은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전략 관련 전문가 특강과 비즈니스 사례발표로 이루어진다.      ○ (전문가 특강) 심재훈 BSA한국대표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도입의 장점과 각국의 클라우드 컴퓨팅 정책 및 S/W자산관리에 대한 강연에 이어,      ○ (비즈니스 사례발표) ㈜자이오넥스 류동식 대표이사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을 통해서 유연하고 신속한 IT시스템으로 글로벌 경영 경쟁력 확보’라는 주제의 사례발표가 있다. □ 기정원은 정부3.0 맞춤형 서비스 일환으로 업종별 공동활용이 가능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중소기업에 제공하고 있으며,      ◦ 2014년 6월 서비스 오픈 이후 28개 단체, 총 14,665개 기업(‘15년 9월말 기준)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4개 단체를 선정하여 특화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新IT기술을 중심으로 융합되는 컨버젼스 시대를 맞아, 우리 중소기업들은 이를 활용한 성공전략을 모색하야 할 때”라며,      ○ “기정원은 교육 및 지원사업 등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를 위한 파트너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225","atchfileNm":"(2016.10.12)_기정원__중소기업_정보화_활용전략_교육실시.hwp","viewCnt":"3054","regDate":"2016-10-13 09:11:51"},{"contentId":"44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추석명절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94","contentsKor":"기정원, 추석명절맞이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실시! - 9월 8일(목)~9일(금), 대전지역 전통시장 물품구매 및 아동복지시설 위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추석 명절을 맞이하여,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9월 8일(목) 오전 법동시장(대전시 대덕구)에서 온누리 상품권으로 추석명절 필요물품을 구매하는 행사를 진행하였다.      ◦ 이날 행사에는 기정원 양봉환 원장과 임직원 30여명이 참여하였으며, 추석 명절 직원들이 가정에서 사용할 물건과 추석 명절 위문물품을 구매하였다.      □ 또한, 기정원은 이날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추석명절 위문품을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에 9월 8일(목)~9일(금)에 전달하였다.         ◦ 대상기관은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9월8일(목))과 장애인아동보호시설인 “하늘품장애인단기보호시설”(9월9일(금))이며,       ◦ 위문품은 아동복지시설에서 추석명절에 필요하다고 요청한 물품 (쌀, 과일, 건어물, 생필품 등)이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넉넉하고 풍요로운 추석을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며,      ◦ “앞으로도 지속적인 애정과 따뜻한 손길을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기부 및 봉사활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141","atchfileNm":"기정원_추석명절맞이_전통시장_활성화_캠페인_실시_(20160909_보도요청).hwp","viewCnt":"3074","regDate":"2016-09-08 18:53:07"},{"contentId":"44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고성장기업 기술개발에 6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93","contentsKor":"기정원, 고성장기업 기술개발에 60억원 지원! - 9월 8일(목), 34개 고성장기업과제 선정기업 대상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9월 8일(목) 오후 2시 대전 유성구에 소재한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대덕홀)에서 2016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의 고성장기업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 특히,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에 대해 사례별로 유의사항 등을 공유하고 R&D 청렴문화 및 윤리경영을 교육한다.      □ 기술혁신개발사업의 고성장기업과제 선정기업은 최대 5억원(연 2.5억)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글로벌진출 토대 마련을 위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5월 16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92개 과제를 대상으로 현장평가, 토론식 대면평가를 통해 34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60억원을 지원하게 되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고성장기업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고성장 유지 및 신규고용창출, 글로벌진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140","atchfileNm":"(2016.09.08)_기정원_고성장기업의_기술개발에_60억원_지원.hwp","viewCnt":"3088","regDate":"2016-09-08 08:53:59"},{"contentId":"44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긴급R&D 22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81","contentsKor":"기정원,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긴급R&D 22억원 지원!     - '16년 4개 연구기관 보유기술을 중소기업과 연계하는 R&D에 21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출연연, 전문연의 기술과 중소기업의 긴급 기술수요를 연계하여 기술사업화 성공을 지 원하고자 긴급R&D과제 21개를 선정하고 22억원을 지원한다고 9월 1일 발표했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긴급R&D 과제는 사업화 성공을 위해 출연연, 전문연의 보유기술을 중소기업과 연계하는 사업으로 금년에 시범사업으로 추진하였다.        - 지원대상은 시장요구에 긴급히 대응하고자 연구기관과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사업화 추진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이며,        - 2016년 1월 공고, 7월 신청접수 후 평가를 거쳐 21개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16년 긴급R&D에 참여하는 연구기관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광기술원, 전자부품연구원 4개 기관으로,        - 중소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기술이전, 공동기술개발, 마케팅 지원을 하며, 자체비용으로 민간부담금의 50%를 분담하는 등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공을 위해 적극 참여하고 있다.      □ 기정원은 금번 선정된 21개 긴급R&D 수행기업들이 기술사업화를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긴급R&D는 중소기업과 연구기관 간 상호협력을 통한 기술사업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이를통해 세계기술을 선도하는 강소형 중소기업 육성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다.” 고 말했다.      ◦ 더불어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자금을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이 원활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을 위해 노력할 것이며, 나아가 중소기업을 위한 산학연협력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122","atchfileNm":"(2016.09.01)_기정원_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긴급RnD22억원_지원.hwp","viewCnt":"3352","regDate":"2016-08-31 13:21:54"},{"contentId":"44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기부활동) 나눌수록 커져가는 ‘사랑의 국수 나눔’ 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72","contentsKor":"(기정원 기부활동) 나눌수록 커져가는 ‘사랑의 국수 나눔’ 활동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은 2016년 8월 26일 세종 사랑의 국수나눔터에서 국수 나눔 사회공헌을 실시하였습니다.      오늘 행사는 기정원 임직원의 지역 소재 어르신들에 대한 공경과 나눔 활동을 기관 차원에서 추진하였습니다.      20kg의 밀가루가 밑반죽 되어 있는 것을 600g씩 자르고, 기계에 넣어 반죽을 펴고, 국수가 나오면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국수 나눔 봉사활동에는 2016년 신입직원들이 주축이 되어 추진되었습니다.      포장한 생면 국수는 대한적십자사 대전∙세종∙충남 지사를 봉사회를 통해 세종시 장군면, 연서면 경로당에 나눠드렸습니다.      기정원은 앞으로도 지역사회의 어려운 이웃들과 함께하는 나눔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입니다.      사랑의 국수 나눔에 참여해 주신 연구원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viewCnt":"3253","regDate":"2016-08-26 17:47:20"},{"contentId":"44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기술혁신기업 기술개발에 55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67","contentsKor":"기정원, 기술혁신기업 기술개발에 550억원 지원! - 8월 24일(수), 129개 혁신기업과제 선정기업 대상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8월 24일(수) 오후 2시 대전 서구에 소재한 통계교육원 대강당에서 2016년도 기술혁신개발사업의 혁신형기업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 특히,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에 대해 사례별로 유의사항 등을 공유하고 R&D 청렴문화 및 윤리경영을 교육한다.      □ 기술혁신개발사업의 혁신형기업과제 선정기업은 최대 5억원(연 2.5억)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사업화 수익창출을 위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최대 2년 동안 추진하게 되는데,      ◦ 지난 3월 30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623개 과제를 대상으로 서면평가, 현장평가, 대면평가를 통해 129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550억원(1차년 281억원, 2차년 269억원)을 지원하게 되었다.      □ 한편, 지난 7월 18일에 기술혁신개발사업 혁신형기업과제 하반기 공고가 있었으며, 8월 17일까지 신청․접수를 받아 서면 및 대면평가 등을 거쳐 11월 중 지원과제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100","atchfileNm":"(2016.08.24)_기정원,_기술혁신기업기술개발에550억원지원.hwp","viewCnt":"3173","regDate":"2016-08-23 11:35:42"},{"contentId":"44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초기기업 R&D추진 위해 268개사에 203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61","contentsKor":"기정원, 창업초기기업 R&D추진 위해 268개사에 203억원 지원! - 8월 19일(금),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 대상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8월 19일(금) 오후 1시 30분, 대전에 소재한 충남대학교 백마홀에서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성장 잠재력이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에게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금번 협약설명회 대상기업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1인 창조기업과제(1차) 및 창조경제연계과제 등에 최종 선정된 중소기업이다.      ◦ ‘1인 창조기업과제’는 신기술 또는 신제품 개발이 가능한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1인 창조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과제로 금년에는 2회에 걸쳐 지원될 예정이며,         - 이번 협약대상은 1차 지원 대상과제로, 지난 3월 공고를 통해 접수된 527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평가를 통해 총 157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약 94억원을 지원한다.      ◦ ‘창조경제연계과제‘는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창조경제타운을 통해 추천된 177개 과제를 대상으로, 온라인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된 총 103개 과제에 대해 약 97억원을 지원한다. ◦ ‘전문엔젤 주도형 고급기술 창업프로그램‘은 전문엔젤 투자자에게 투자액을 받은 19개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된 8개 기업에게 총 12억원을 지원한다.      □ 본 설명회에서는 선정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사업수행 견인을 위해 협약체결 및 사업 추진에 필요한 전반적인 사항을 안내한다.      ◦ 전자협약 체결과 연구노트 작성 및 사업비 사용방법, 최종평가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R&D 청렴문화 확산 및 윤리경영 교육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이번 협약설명회를 통해 창업초기기업의 윤리 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여, 이를 기반으로 투명하고 원활한 과제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 아울러 “기정원은 창업초기기업의 성공적인 R&D 수행과 이를 통한 사업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096","atchfileNm":"(2016.08.19)_기정원_창업초기업기업RnD추진위해268개사에203억원지원.hwp","viewCnt":"3202","regDate":"2016-08-18 14:03:08"},{"contentId":"44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R&D사업 성공률 제고를 위한 최종평가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445","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R&D사업 성공률 제고를 위한 최종평가 설명회 개최! - 8월 11일(목), 최종 및 단계평가 실시 대상 41개 기업을 대상으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적합업종기업 R&D 지원사업 및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 최종 및 단계평가 기업을 대상으로 8월 11일(목) 오후 여의도소재 금융투자교육원에서 최종평가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설명회 참석자는 “적합업종기업 R&D 지원사업” 최종평가 대상 21개 기업과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 단계평가 등 대상 20개 기업의 51명이며,          ○ 보고서 작성 요령, 사업비 정산, 최종점검 등에 관해 R&D 수행 중소기업에게 설명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동 설명회에서는 질의․응답을 통해 R&D수행 중소기업들이 기술개발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사항 등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기회도 제공되었다.        ○ 또한, 최종(단계) 보고서 작성 요령과, 투명한 R&D 사업 수행의 사업비정산 사례, 연구비 부정사용방지 청렴교육, 평가일정, 최종점검 시 업체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해 해당 분야 전문가가 직접 설명하였다.    ○ 설명회에 참여한 넥썸 기업은(기계소재) “최종점검 및 최종평가를 준비하는 데 심적으로 부담이 있었다”며, “특히 최종보고서 작성 시 유의사항에 대해 안내를 받을 수 있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고 전했다.      □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적합업종기업 R&D지원사업과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으로 한해에 80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최종평가 및 단계평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최종평가 설명회를 개최하여, 중소기업들이 R&D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079","atchfileNm":"(2016.08.12)_기정원,_중소기업_RD사업_성공률_제고를_위한_최종평가_설명회_개최!.hwp","viewCnt":"3111","regDate":"2016-08-12 16:01:12"},{"contentId":"43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70","contentsKor":"기정원,「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 - 7월 25일(월) ~ 7월 29일(금), 5개 광역별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는「‘16년도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며,      ○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성공하면 수요처에서 일정기간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 동 설명회는 7.25일부터 5대 주요 광역별*로 개최되며,         * 7.25(월) 대구, 7.26(화) 대전, 7.27(수) 광주, 7.28(목) 부산, 7.29(금) 서울      ○ ‘16년 주요 사업내용, 사업계획서 작성 및 SMTECH* 입력방법, 기술임치 등에 대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중소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 한편, 기정원은 제2차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하반기 신청을 7.8일(금)부터 9월까지 수시로 온라인 시스템(SMTECH)을 통해 접수 중이며,      ○ 산학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경영안정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며,      ○ “지난해 중소기업 R&D 지원기능을 통합한 기정원도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지속성장 동력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공고문과 중기청 및 기정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005","atchfileNm":"(2016.07.26)_기정원,상용화기술개발사업_찾아가는사업설명회_개최.hwp","viewCnt":"3360","regDate":"2016-07-26 09:55:23"},{"contentId":"43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아이비케이(IBK) 기업은행, 중소․중견기업 성장사다리 구축에 힘 보태기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72","contentsKor":"아이비케이(IBK) 기업은행, 중소․중견기업 성장사다리 구축에 힘 보태기로!!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및 IBK기업은행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및 IBK기업은행(행장 권선주, 이하 기업은행)은 7.22(금)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이하 R&D) 자금 수탁 관리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협약식 행사 개요 >   ◦ (일시) ‘16. 7. 22(금) 10:00      ◦ (장소) IBK기업은행 본점(서울 중구 을지로) 9층 대회의실      ◦ (주요 참석자) 주영섭 중소기업청장,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권선주 IBK기업은행장      ◦ (협약 주요내용) R&D자금관리시스템 고도화, R&D 성공기업 사업화 촉진, 영세 수출기업에 대한 수출금융 지원   ◦ 기업은행은 ’09년부터 중소기업청 R&D 자금을 수탁관리하면서, 정부 최초로 중소기업청 R&D 사업에 “실시간 R&D 자금 관리 시스템*”을 도입·운영 중이다.           * 중소기업청 R&D 사업에 선정된 기관에게 R&D 사업비를 일괄지급하지 않고, 사업비 사용건별로 실시간 집행하는 시스템 ◦ 금번 협약을 계기로 기업은행은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정부정책 흐름에 본격 합류하게 되었고, 중소기업청 R&D 자금 수탁 기간도 ’19.7월까지 연장*하기로 하였다.           * 기존 R&D 자금 수탁은행 협약(’13.6월 체결)은 ’16.6월 만료         - 특히, 그간 기업들이 제기하였던 불편사항* 개선 등을 위해서 “실시간 R&D 자금 관리시스템”을 고도화(∼’16.12)하고           * 단일 은행 및 카드 사용, 모바일 서비스기능 미흡 등         - 중소기업의 고용 및 사업화 부담 완화를 위한 금융 혜택과 함께 수출 중소기업 우대 방안도 신규 추진하기로 하였다.      □ 중소기업청과 기업은행간 주요 협업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실시간 R&D자금 관리시스템 고도화      ◦ 먼저,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수렴하여 R&D 수행기관(기업, 대학, 연구기관) 편의를 제고하기 위한 시스템 개선을 추진한다.         - 기업이 R&D사업비 집행시 이용 가능한 은행(카드)를 전면 확대하고           * (현행) 기업은행/BC 카드 → (개선) 모든 은행/카드사         - 중소기업청의 “실시간 R&D 자금관리시스템”과 자체 회계시스템을 연계한 대학·연구기관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현행) 18개 기관 → (개선) 100개 기관      * 기관 자체 회계시스템에 자금소요내역 입력 시 R&D자금관리시스템에 자동 등록         - 아울러, 모바일 서비스를 통한 정보 제공기능 신설한다.           * 실시간 연구비 집행현황(과제별, 비목별), 환원‧정산‧환수금 및 기술료 납부현황 등에 대한 모바일 조회 기능 신설   ◦ 다음으로, R&D 자금 부정사용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 R&D 자금 집행증빙 검증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할 것이다.           * 전자세금계산서 중복사용 검증, R&D 사업비 정산 회계법인(중기청이 지정)을 통한 연구비 집행내역 상시 점검 기능 등 구현      < R&D 자금관리시스템 고도화 기능개선 >   ② R&D수행 기업의 고용‧사업화 지원 강화      ◦ 고용창출에 기여한 R&D수행 기업에게 이자 부담을 완화*하고, R&D 이후 사업화 성공을 위한 무료 컨설팅**도 지원한다.           * 정규직 1인 채용(6개월 이상 계속고용)시 이자비용 50만원 감액(기업당 최대 1억원)     ** 자체 보유 전문가를 기업별 1개월간 투입, 종합 컨설팅 서비스 제공(연 최대 10개사)      ◦ 아울러, R&D기업 중 근로자(가족)의 질환 치료비 및 장학금 지원할 예정이다.           * 중증‧희귀‧난치질환 치료비(연 1천만원 한도), 장학금(대학생 2백만원, 고교생 1백만원)      ③ 영세 중소기업의 수출 촉진      ◦ 수출 활로를 모색하는 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위해 지역신보 특례보증을 7월부터 저금리(1년:2.6%, 5년:2.8%) 조건으로 지원하고, 보증업체에 대해 보증서 담보외에 10~20% 수준에서 추가 신용대출할 계획이다.      ◦ 외국환 거래비용도 우대(60%~70%)하고, 기업은행 지점망을 통해 수출중소기업 육성정책 홍보도 함께 할 예정이다.           * 기업은행의 전국 지점 기업 상담창구에 정부 수출지원정책 안내 자료(브로셔, 정책자료집 등) 비치 등      □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우리경제 도약을 위해서는 중소·중견기업의 경제주역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화와 기술혁신에 전념할 수 있는 경영여건 조성이 필수”라고 하면서,      ◦ “이번 협약을 통한 실시간 R&D 자금관리 시스템 개선은 중소·중견기업이 R&D 자금 집행 시 신경써야할 행정절차 부담을 줄여줘, R&D에만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강화해 줄 것“이고,      ◦ “기업은행의 사업화 및 수출 금융 지원은 R&D 이후 사업화 과정을 든든하게 받쳐주어, 중소·중견기업의 도전적 경영환경도 더 굳건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4008","atchfileNm":"(2016.07.22)_아이비케이(IBK)_기업은행,_중소․중견기업_성장사다리_구축에_힘_보태기로.hwp","viewCnt":"3930","regDate":"2016-07-22 16:43:36"},{"contentId":"43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이공계 전문가가 중소․중견기업에 상주하면서 현장의 기술 애로를 해결할 수 있도록 9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62","contentsKor":"기정원, 이공계 전문가가 중소․중견기업에 상주하면서 현장의 기술 애로를 해결할 수 있도록 9억원 지원! - 이공계전문가기술개발 서포터즈 전담과제, 33개 기업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전담과제 총 33개 과제를 선정하고 9억원을 지원한다고 7월 21일(목) 밝혔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이 생산현장에서 직면하는 기술애로를 단기에 해결할 수 있도록 최적의 기술파트너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전담과제는 연구년으로 지정받은 이공계분야 전임교원이 중소·중견기업에 상주하면서 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는 점이 특징이다.      □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기점으로 지난 5월 초에 신청·접수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33개 9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개발 중심으로 발생하는 기술애로 해결, 사업화지원(제품화 추진, 시제품 제작, 신기술 적용 검토 등), 교육지원(기술교육, 정보 및 자료 제공, 신규사업 아이템 기획 등) 등이다.      □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필요한 지원을 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인프라를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98","atchfileNm":"(2016.07.21)_기정원_이공계전문가_중소중견기업상주_현장기술애로해결_9억원지원.hwp","viewCnt":"3074","regDate":"2016-07-20 17:34:34"},{"contentId":"43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경력단절여성 채용 창업기업 등에 대한 R&D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34","contentsKor":"기정원, 경력단절여성 채용 창업기업 등에 대한 R&D지원! - 2016년도 창업성장 여성참여활성화과제 2차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여성참여활성화’ 2차 과제 신청·접수를 8월초까지 받고 있다고 밝혔다.      ○ ‘여성참여활성화 과제’는 여성의 창조적인 아이디어 발굴 및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사업화 기회 창출 및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에는 102억원의 예산으로 100개 내외의 기업을 지원할 예정으로 총 2회에 걸쳐 추진한다.         - 1차 과제는 5월말에 완료되었으며, 2차 과제의 신청․접수는 오는 8월 4일까지 진행된다.      < 추진절차도 > 사업공고 (중기청) → 신청․접수 (주관기관/온라인)   →   온라인 평가 (전문기관) → 지원과제 선정 (심의조정위원회) ↓ 사후관리 (전문기관)  ←    최종평가(전문기관)  ←       과제관리 (관리기관)  ←    협약. 자금지원 (전문기관) * (주관기관) 과제신청업체, (관리기관)지방중기청, (전문기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여성참여활성화과제는 금년부터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일자리창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용창출 계획에 대한 작성 내용을 추가하였으며,         - 신청자격 조건도 ‘여성기업’에서 ‘신규R&D인력 고용(예정) 여성기업‘으로 강화하였다.           - ’경력단절여성을 고용(예정)한 창업기업‘ 또는 ’경력단절여성 등이 포함된 예비창업팀(2인이상)‘에 대한 지원은 전년도와 동일하다.      ○ 과제선정은 1차 공고와 동일하게 ‘온라인 클린평가 시스템’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 온라인 클린평가 시스템이란 선정평가의 전문성, 공정성, 투명성,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현행 오프라인 평가(폐쇄형)를 온라인(개방형)으로 전환하여 평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 동 사업은 기술개발의 효율성과 중소기업의 주도적인 R&D지원을 위해 ‘R&D 바우처 제도’를 적용하여 추진하고 있다.         - 바우처는 정부가 중소기업 R&D사업 등을 위해 기업에 지급한 자금 중에서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을 이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에게 제공하는 신용한도(포인트, 쿠폰)를 의미한다.         - 다만, 산업기술분류 7대 분야 중 인력을 활용한 기술개발 비중이 높은 기술분야의 개발과제에 한하여 바우처 의무사용이 제외된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본 사업을 통해 여성 창업기업이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성공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경력단절여성 채용기업 등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과제 신청은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72","atchfileNm":"(2016.07.20)_기정원,_경력단절여성_채용_창업기업_등에_대한_RD지원!.hwp","viewCnt":"3182","regDate":"2016-07-19 10:14:05"},{"contentId":"43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정부3.0 협업으로 중소기업 R&D 지원 강화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28","contentsKor":"기정원, 정부3.0 협업으로 중소기업 R&D 지원 강화 나선다! - 7월 13일, 전 직원을 대상으로 정부3.0 협업 관련 전문가 초청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지난 7월 13일, 대전 본원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정부3.0 교육을 실시했다.   ○ 이번 교육은 직원들의 정부3.0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과 동시에, 유능한 정부 및 협업을 통해 기정원이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R&D 지원 서비스의 개선점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 이날 교육은 행정자치부 정부3.0 전문강사단 겸 유능한 정부 분야 전문강사인 곽현근 대전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를 초빙하여 △정부3.0의 이해 △유능한 정부와 협업 △주요 성과 사례 공유 등의 내용으로 진행됐다.   ○ 김 교수는 강연에서 중소기업 R&D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공공정보를 적극 개방하여 국민과 공유하고, 부서간·기관간 소통을 통한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한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기술 개발에 성공한 중소기업 정보를 공유하여 민간금융기관 및 유관 공공기관으로부터 기술 사업화 자금 지원 등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기관간 협업 체계를 구축하여 시행 중에 있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교육을 바탕으로 정부3.0의 가치를 중소기업 R&D 지원 서비스와 접목하여, 보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67","atchfileNm":"(2016.07.15)_기정원,_정부3.0협업으로중소기RnD업지원강화나선다.hwp","viewCnt":"2855","regDate":"2016-07-14 10:18:56"},{"contentId":"43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16년 노사문화우수기업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15","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16년 노사문화우수기업 선정 - 협력적 노사관계로 상생의 노사문화를 모범적으로 실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기정원)은 고용노동부로부터 2016년 노사문화우수기업에 선정되었다고 7월 11일 밝혔다.        * 고용노동부는 상생협력의 우수한 노사문화를 사회저변에 확산시키기 위해 ‘96년부터 노사문화우수기업을 선정하고 있으며, ’16년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 공공기관 7개, 중소기업 32개, 대기업 21개 등 60개 사업장을 노사문화우수기업으로 선정함      □ 기정원은 지난 ‘13.12월 제5대 양봉환 원장 취임이후 지방이전으로 야기된 노사갈등을 치유하고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위해 열린경영을 실천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 양봉환 원장은 취임 시 노사상생의 소통경영 의지를 밝히고 분산된 구성원의 역량 결집을 위해 기관의 미션․비전을 노사공동의 노력으로 재정립하고, “훌륭한 기정원 만들기, 1사원 1아이디어 경진대회”, “부탁드립니다. 건의함” 등 직원들의 작은 의견 하나에도 귀 기울여 왔다.      ◦ 특히, 지난 2년간 양봉환 원장은 직접 직원들과 50회가 넘는 소통의장을 마련하여, 식사, 영화관람 등을 함께하며 고민을 나누고, 직원 생일축하 이벤트를 개최하였으며, 칭찬릴레이, 부서 간 크로스미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왔다.         ◦ 또한, 매월 통섭연단을 개최하여 명사초청 강연을 통해 직원들에게 자기개발 및 교양함양의 기회를 제공하고, 칭찬사원 포상, 기관 및 직원 개인소식 공유, 다양한 이벤트 개최 등을 실시하고 있다.      □ 이러한 노력으로 기정원은 정부의 방만경영 정상화 운용지침, 공공기관 기능조정, 임금피크제, 성과연봉제 등 노사 간 민감한 경영현안을 노사합의로 합리적으로 추진하여 왔으며, 지난달 발표된 2015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우수등급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직원이 행복해야 기관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12년 공공기관 경영평가 C등급에서 3년만에 A등급을 획득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노사화합에 있다”며      ◦ “기정원은 앞으로도 노사상생의 조직문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열린경영을 적극 실천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기정원노동조합 장상민 위원장은 “‘12년 말 노동쟁의가 발생하는 등 노사 간의 갈등이 심각한 상황이었다. 기관발전을 위해 노사가 하나가되어 추진했던 3년 간의 노력이 결실을 맺게 되어 기쁘다”며,      ◦ “노동조합도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정원이 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52","atchfileNm":"(2016.07.11)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2016년_노사문화우수기업_선정.hwp","viewCnt":"3022","regDate":"2016-07-08 17:53:48"},{"contentId":"43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융복합 및 상용화 기술개발에 294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05","contentsKor":"기정원, 융복합 및 상용화 기술개발에 294억원 지원! - 6월 24일(금), 212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6월24일(금) 오후 2시 충남대학교 백마홀에서 2016년도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이하 융복합’) 및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이하 상용화’) 212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구성한 개방형 R&D 협력체(산·연, 산·학, 산·산)의 융합R&D를 통하여 창의적 신기술·신제품 창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융합전략과제’는 기술수요조사 등을 통해 발굴된 과제를 대상으로 융복합(산-연, 산-학, 산-산 등) 공동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1월 29일 공고 이후 3월 3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63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여 172억원을 지원한다.      ◦ ‘현장기획과제’는 전국 63개 ‘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를 통해 발굴·기획된 융합기술분야 과제를 대상으로 33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여 88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6억원 이내의 기술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받는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은 수요처(공공기관, 대기업)의 구매를 조건으로 중소기업의 국산화 제품개발 및 신기술 제품개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여 34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 과제는 2년, 10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받는다.       □ 본 설명회에서는 융복합 선정 192개(주관기관, 공동개발기관) 및 상용화 선정 20개 기업의 대표자,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약절차, 규정 등 과제 진행과 관련된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자주 발생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과 관련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융복합 및 상용화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의 신기술, 신제품 창출을 활성화하고, 사업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32","atchfileNm":"(2016.06.24)_기정원,_융복합_및_상용화_기술개발에_294억원_지원!.hwp","viewCnt":"3126","regDate":"2016-06-24 14:14:56"},{"contentId":"43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거점형 연구과제 322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04","contentsKor":"기정원,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거점형 연구과제 322억원 지원!     - 2016년 산연전용, 연구마을 277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개발 인프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능력 제고 및 혁신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산연전용 및 연구마을 지원과제에 277개 과제를 선정하고 322억원을 지원한다고 6월 23일(목) 발표했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산연전용 과제와 연구마을 과제는 지역별로 거점형 기관(대학·출연연 등)을 선정하여 각 기관이 중소기업 R&D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사업으로,        - 지원대상은 대학·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연구개발을 수행하여 기술혁신, 사업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이며,        - 2016년 1월 공고, 4월 신청접수 후 대면평가를 거쳐 산연전용 183개, 연구마을 94개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기정원은 금번 선정된 277개 산연전용 및 연구마을 과제 수행자들이 투명한 R&D 자금 집행과 함께 원활히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각 지역의 거점형 연구기관이 중소기업 R&D의 전진기지가 되어 세계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강소형 중소기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 고 말했다.       ◦ 더불어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자금을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이 원활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며, 나아가 중소기업을 위한 산학연협력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29","atchfileNm":"(2016.06.23)_기정원,_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_거점형_연구기관에_322억원_지원.hwp","viewCnt":"2950","regDate":"2016-06-23 17:18:01"},{"contentId":"42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이공계전문가 R&D사업 해결과제 1차 11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62","contentsKor":"기정원, 이공계전문가 R&D사업 해결과제 1차 11억원 지원! - 이공계전문가기술개발 서포터즈 해결과제(1차) 63개 기업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해결과제(1차) 총 63개 과제를 선정하고 11억원을 지원한다고 6월 24일(금) 밝혔다.      □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이 생산현장에서 직면하는 기술애로를 단기에 해결할 수 있도록 최적의 기술파트너(이공계전문가)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 “2016년도 이공계전문가 기술개발 서포터즈사업 시행계획 공고”를 기점으로 총 3회차에 걸쳐 해결과제 신청·접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지난 4월 초에 신청·접수된 196개 과제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쳐 총 63개 11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 주요 지원내용은 기술개발 중심으로 발생하는 생산공정 또는 제품성능 개선, 제품표준화 또는 시제품의 제품화 추진 시 발생하는 기술애로 개선, 융·복합 기술애로 해결 및 기타 기술애로 해결 등이다.      □ 이번 지원을 통해 기술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실시간으로 필요한 지원을 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기술개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을 통해 대학·연구소 등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인프라를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강화되고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    * 기술인정보시스템 : http://techin.sanhak.net","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73","atchfileNm":"(2016.06.23)_기정원_이공계전문_RnD사업_해결과제_11억원_지원_발표.hwp","viewCnt":"3516","regDate":"2016-06-23 13:52:57"},{"contentId":"42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사업, 언제 어디서나 궁금증 해결하세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60","contentsKor":"중소기업 R&D사업, 언제 어디서나 궁금증 해결하세요! - 기정원,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 강의 34개 강좌 개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시간‧장소 제한 없이 상시 접근하여 사업신청 및 수행시 궁금한 부분을 해결할 수 있도록 온라인과 모바일로 동영상 강의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6월 23일(목) 밝혔다.      □ 온라인강의는 중소기업이 R&D사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참여를 돕기위해 크게 3가지 강좌, 총 34개 세부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ㅇ 첫째, R&D지원사업의 개요, 신청자격, 추진절차 등을 설명하는 16개 강좌,      ㅇ 둘째, 신청기업 및 사업수행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사업계획서 작성, 온라인과제신청, 사업비 집행, 협약변경, 최종평가 등을 설명하는 12개 강좌,      ㅇ 셋째, R&D 기획 역량강화를 위한 R&D기획의 방법·프로세스, R&D 과제수행 기획 등을 설명하는 6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 본 강의는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화면의 온라인매뉴얼>동영상강의로 이동하면 온라인 동영상 강의를 청취할 수 있고, 디지털북 다운로드 및 모바일동영상 보기를 이용할 수 있다.      ㅇ 특히, 본 강의는 단순한 사업별 안내자료 배포형식을 벗어나 개정된 규정내용을 반영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협약 및 사업비집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ㅇ 중소기업의 사업신청 및 수행시 궁금한 부분을 해결 가능하도록 사업신청 및 수행단계별로 멀티미디어 북 학습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 모바일 서비스는 동영상 강의와 디지털북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북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강의를 e-book형태로 다운로드 받아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 온라인 강의 콘텐츠 기능 강화를 위해 ‘15년도부터 모바일 서비스기능을 추가제공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이용자수가 전년대비 15% 증가하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86","atchfileNm":"(2016.06.23)_중소기업_RnD사업,_언제_어디서나_궁금증_해결하세요.hwp","viewCnt":"3091","regDate":"2016-06-22 13:36:05"},{"contentId":"42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설립 이래 최초 경영평가 A등급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58","contentsKor":"기정원, 설립 이래 최초 경영평가 A등급 획득 - 사업성과 제고, 경영혁신을 통해 최근 3년간 매년 1등급씩 상승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6월 16일 발표된 ‘2015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에서 강소형 준정부기관 최고 수준인 우수등급(A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ㅇ 이번 평가 결과는 중소기업 R&D 지원 기능 통합 이후 R&D 지원체계 혁신과 임금피크제 등 정부정책에 적극 부응한 노력이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ㅇ 기정원은 기획재정부 주관 경영평가를 받게 된 2009년 이후 2015년 처음으로 A등급을 받게 되었다.      □ 2014년 12월 기획재정부의 중소기업 분야 기능조정에 의해 중소기업 R&D 지원 기능이 기정원으로 통합되었다. 통합 이후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지원 기능 전주기에 걸쳐 혁신을 단행하였다.      ㅇ 먼저, 기술성 중심의 R&D 지원사업 선정 평가를 사업성과 조화를 이루도록 평가체계를 혁신하였다. 이를 위해 사업성 평가 전문가 양성과정을 개발하고, 222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였다.      ㅇ 그리고, R&D 완료 기업이 기술사업화 자금 융자를 받을 수 있도록 금융기관과 협업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100개 이상의 중소기업이 기술금융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ㅇ 그 외에도 온라인 평가 시스템을 신규로 도입하고, 평가서비스 전반에 대한 품질경영 체제 인증을 획득하는 등 업무 전반에 대한 품질수준을 제고하였다.      □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에 있어서도 경영혁신 플랫폼 서비스를 정착시켜, 이용기업 수가 ’14년 1,898개에서 ’15년 12,727개로 대폭 증가하였다.      ㅇ 기정원은 이를 위해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들과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서비스 솔루션도 7개에서 28개로 확대하였다.      ㅇ 특히, 경영혁신 플랫폼 도입을 통해 정보화 자원과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IT 시스템을 개별 구축해 주는 방식 대신 중소기업이 적은 노력으로 IT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전환하고자 한 노력이 평가단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 방만경영 해소, 임금피크제 도입 등 경영혁신 부문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ㅇ 방만경영 정상화를 조기 완료(’14.6)하였고, 중소기업청 산하 기관 최초로 임금피크제(’15.7) 도입과 성과연봉제 확대(’16.4)에 노사가 합의하였다.      ㅇ 또한, 경영효율화를 통해 노동생산성을 3년 연속 향상시켰으며, 관리업무비는 전년 대비 10% 절감하는 성과를 보였다.      □ 이러한 노력들이 성과를 거두어 경영평가 등급이 (’13) C등급 → (’14) B등급 → (’15) A등급으로 매년 한 등급씩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기관장이 주도한 경영혁신 노력이 대내외적으로 인정받는 것으로 평가된다.      □ 양봉환 원장은 이번 경영평가에 대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임직원들이 한마음으로 R&D 지원체계를 혁신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 기정원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85","atchfileNm":"(20160622)기정원_설립이래최초경영평가_A등급_획득.hwp","viewCnt":"2974","regDate":"2016-06-21 13:13:15"},{"contentId":"42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 초기기업의 기술개발에 38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56","contentsKor":"기정원, 창업 초기기업의 기술개발에 380억원 지원! - 6월 21일(화), 254개 창업과제 1차 선정기업 대상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6월 21일(화) 오후 1시 서울 상암동에 소재한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1차 창업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성장 잠재력이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에게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창업과제 선정기업은 평가결과에 따라 최대 2억원까지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사업화 수익창출을 위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사업 기간 동안(최대1년) 추진하게 된다.      ◦ 동 사업은 2회에 걸쳐 창업과제를 지원하는데, 이번 1차 지원은 지난 1월 25일 공고를 통해 신청한 1,754개 과제를 대상으로 서면, 현장평가, 대면평가를 통해 254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380억원을 지원한다.      □ 본 설명회에서는 원활한 사업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협약체결 및 사업 추진에 필요한 전반적인 사항을 안내한다.       ◦ 특히, 본 설명회에서는 기술개발의 효율성과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금년부터 도입된 ‘바우처 제도’의 수행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 R&D 바우처 제도란?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있어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인력, 시설․장비 등을 활용하여 신제품, 공정,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기업에게 제공하는 소규모 신용한도(쿠폰)를 의미한다.   ◦ 아울러, 전자협약 체결, 연구노트 작성 및 사업비 사용방법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R&D 청렴문화 확산교육 및 윤리경영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 한편, 금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과제 2차 신청․접수는 지난 6월 1일에 공고되었으며, 6월 30일까지 신청․접수를 받아 서면 및 대면평가 등을 통해 10월 중 지원과제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협약설명회가 창업 초기기업에게 윤리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원활한 기술개발 수행을 위한 정보교류 및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장이 되길 바란다”며,      ◦ “기정원은 창업 초기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기술개발과 이를 통한 사업화 수익창출의 계기가 마련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77","atchfileNm":"(2016.06.21)_기정원,_창업_초기기업의_기술개발에_380억원_지원.hwp","viewCnt":"2843","regDate":"2016-06-20 10:51:03"},{"contentId":"42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스타트업 기업에 필요한 업무관리 솔루션 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54","contentsKor":"기정원, 스타트업 기업에 필요한 업무관리 솔루션 교육 실시 - 6월, 호남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혁신플랫폼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6월 20일(월)전북과 6월 23일(목) 광주, 2회에 걸쳐 호남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활용교육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금번 교육대상은 호남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 창업지원단 지원기업 및 광주 지역 조합·단체 회원사*이다.       * 교육대상 :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순천대·원광대·전북대·전주대·조선대 창업지원단, 광주광역시식자재공급업협동조합 지원기업      ◦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경영혁신플랫폼 활용교육은 지난 1월 대전을 시작으로, 인천(4월), 서울(4월), 대구(5월)에서 실시하였으며, 연말까지 전국에서 순차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 금번 교육은 창조경제 활성화 및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기정원과 대학 창업지원단,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맺은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업무협약”의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실시하고 있다.        * 기정원은 15년 1월 “28개 대학 창업지원단과의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16년 4월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음      □ 교육 내용은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사업의 소개, 매출 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등 경영혁신플랫폼 기본솔루션* 활용방법에 대한 시연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경영혁신플랫폼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저비용·고효율의 공동활용시스템(플랫폼)으로 정부에서 구축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전담인력, 유지보수, 기능개선 등의 부담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 경영경영혁신플랫폼 기본솔루션 서비스는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 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을 제공한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경영혁신플랫폼 교육을 통해 스타트업 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 “경영혁신플랫폼 상담센터(☎1644-1736)을 통해서도 언제든지 이용방법 안내 및 원격교육을 지원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74","atchfileNm":"(2016.06.20)_기정원_스타트업기업에_필요한_업무관리솔루션_교육_실시.hwp","viewCnt":"2966","regDate":"2016-06-17 16:46:51"},{"contentId":"42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맞춤형 교육으로 R&D 궁금증 풀어준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53","contentsKor":"기정원, ‘맞춤형 교육으로 R&D 궁금증 풀어준다' - 6월 21일(화), 중기 R&D수행기업 대상 상반기 교육 대전에서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올해 상반기 중기 R&D에 선정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R&D 수행과정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사업비 집행방법을 설명하고, 애로사항에 대해 1:1 상담하는 맞춤형 교육을 6월 21일(화) 대전 통계교육원에서 실시한다.      ◦ 이번 교육은 R&D 수행 중 꼭 필요한 사항인 ‘사업 관리지침, 시스템 사용방법 등에 대한 맞춤형 교육으로, 중소기업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사업비 집행 방법과 정산방법에 대한 교육도 전문회계사를 통해 진행된다.   ◦ 특히, 금번 교육에서는 R&D과제 수행 중소기업의 궁금증, 애로사항, 유의사항 및 과제별 특이사항 등에 대한 맞춤형 상담을 위한 1:1 상담부스도 운영할 예정이다.   ◦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중기 R&D 수행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담당자(042-388-0324)에게 신청하면 된다.       ※ 교육신청은 6월 7일부터 담당부서에서 접수를 받고 있음   □ 기정원은 하반기(‘16년 11월)에도 R&D 과제 수행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 기정원의 장인성 부장은 “이번 교육이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R&D 추진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73","atchfileNm":"(20160620)_기정원_맞춤형_교육으로_RD_궁금증_풀어준다.hwp","viewCnt":"2855","regDate":"2016-06-17 14:42:44"},{"contentId":"42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중견기업 R&D 지원 전주기적 혁신 본격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45","contentsKor":"기정원, 중소․중견기업 R&D 지원 전주기적 혁신 본격 추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중소기업청의 글로벌 기업 “육성” 전략으로 전환하는 중소·중견기업 R&D 정책개편에 따라 기획․평가․사업화 등 R&D 지원 전주기에 대한 혁신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청은 그간 씨뿌리기 차원의 저변확대 “지원”에서 글로벌 기업 “육성” 전략으로 혁신하는 중소·중견기업 R&D 정책 개편 방안을 발표(‘16.3.31)하였다.           * 중소․중견기업 R&D 정책개편방안 주요내용 : 참고 1 참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중소․중견기업 현장에서 R&D 정책 개편결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세부계획을 수립하였다.      □ 이번 세부계획은 중소기업청의 R&D 정책 패러다임 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1. 신성장동력 분야 집중을 위한 기술로드맵-사업간 연계 강화   ◦ 중소·중견기업 R&D 투자 포트폴리오가 신성장동력 등 성과 창출 분야를 중심으로 개편됨에 따라, 기정원은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의 전략성 및 R&D 사업과의 연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먼저,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개발시 산업부 R&BD 전략 등 타부처 정책과의 일관성을 강화하고, 기술로드맵을 통해 도출된 신성장동력 분야의 전략품목을 집중 투자하는 품목지정형 사업을 기존 2개 → ’17년 8개 사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2. 수출초보기업 전용 R&D 등 맞춤형 신규사업 발굴      ◦ 수출초보기업 전용 R&D 등 중소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신규사업을 추진하고, 디자인, 시험․평가 등 분야별 기술전문기업을 발굴․육성함으로써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3. 기술사업화를 위한 정책자금, 판로 연계 지원      ◦ R&D 성공기업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중진공, 은행연합회, 민간은행 등에 R&D 성공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정책자금 우선 지원, 전용대출상품 신설 등을 추진한다.      ◦ 또한, 성공기업 중 B2C 기업은 창조혁신제품통합유통플랫폼 등록('16년 250개 목표)시켜 판로개척을 지원할 계획이다.      4. 민간 주도형 R&D 기획 및 수시 시행체계 도입      ◦ 중소․중견기업 R&D 정책연구 결과 검증 및 정책이행 효율화를 위해 기정원에 ‘전략연구단‘ 구성․운영하고, 적기에 R&D 지원하기 위해 연중 수시접수․평가하는 수시 시행체계를 ‘16년 시범운영 후 ’17년부터 본격 도입할 예정이다.      5. 산업계 등 민간 평가역량 활용을 통한 평가 전문성 제고      ◦ 기존 28% 수준에 불과한 산업계 평가위원을 최소 50% 이상 활용하여 평가위원회를 전문성․사업성 중심으로 대폭 개편하고, 평가위원장은 우수위원 중에 사전 지정함으로써 평가 품질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      ◦ 또한, R&D 과제평가시 TCB 등 민간의 기술금융평가결과를 반영하고, 사업 특성에 따라 사업계획서 간소화(제품공정개선과제), 토론식 평가(고성장기업과제) 등 평가절차를 차별화하여 평가결과에 대한 중소기업의 신뢰도를 제고해나갈 계획이다.      6. 평가 집중도 제고를 위한 평가 분위기 혁신      ◦ 평가시간을 기존 과제당 40분(발표 20분, 질의응답 20분) → 과제당 60분(발표 30분, 질의응답 30분)으로 확대하여, 심층적인 과제 검토가 가능토록 개선하였으며, 평가위원에게 청렴윤리서약서를 징구하고, 불공정행위자에 대해서는 즉시 퇴출하는 등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 또한, R&D 패러다임의 주요내용을 전파 및 공유하기 위해 6월 9일 우수 평가위원 대상으로 R&D 평가혁신 워크샵을 개최하였으며, 모든 평가위원회 개최시 평가위원에게 안내함으로써 R&D 패러다임 혁신방안이 조속히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정부 R&D 서비스에 대한 중소기업의 눈높이가 매우 높아졌다”면서, “금번 R&D 패러다임 혁신을 계기로 기획․평가․사업화 등 R&D 지원 전주기를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하여 중소기업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 양원장은 R&D 지원 전주기적 혁신을 위해,         - “기술로드맵, 사업기획 등 정책적인 분야 뿐 아니라, 우수 평가위원 확충, 선진 R&D평가체계 도입 등 제도적 개선을 중기청과 협의하여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54","atchfileNm":"(2016.06.17)_기정원,_중소중견기업_RnD지원_전주기적_혁신_본격추진.hwp","viewCnt":"2991","regDate":"2016-06-16 16:44:31"},{"contentId":"43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16년 하반기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공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303","contentsKor":"‘16년 하반기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공고 - 중소기업 중심으로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개편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은 6월 13일(월), 우수한 연구개발 인프라를 보유한 대학․연구기관과 중소기업간 공동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의 2016년 하반기 시행계획을 공고하고, 2차례(7월,  9월)에 걸쳐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 정부 R&D에 처음 참여하는 중소기업 등 대학․연구기관과의 공동 R&D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최대 1년간 총 사업비의 75%(1억원 한도)를 지원하며,      ◦ 부설연구소를 처음 설치하는 중소기업중 대학·연구기관 내에 기업부설연구소를 설치하여 대학․연구기관과 공동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기업에게는 최대 2년간 총 사업비의 75%(2억원 한도)를 지원한다.          * ‘16년 하반기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지원액 : 370억원      □ 특히, ‘16년 하반기 지원과제부터는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의 주관기관을 기존 대학․연구기관에서 중소기업으로 변경하여, 중소기업이 원하는 실용기술 개발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의 기술개발 범위에 따라 당사자간 합의로 사업비를 자율 배분토록 하여, 기술개발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 (현행) 중소기업에 배분되는 사업비는 총 직접비의 40% 이내로 제한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수요에 대해 적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사업 신청기회를 연 2회에서 3회로 확대하였다.         * `16년 신청기간 : (당초) 2월, 6월 → (변경) 2월, 7월, 9월      □ 중소기업청은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의 전문기관(中企기술정보진흥원) 및 관리기관을 통해 5개 권역별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중소기업 R&D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및 중기청 홈페이지(www.smba.go.kr)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안내할 예정이다.      ◦ 사업에 참가하고자 하는 기업은 7.1(금)~7.13(수) 또는 9.1(목)~9.12(월) 중에 온라인(http://smtech.go.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28","atchfileNm":"(2016.06.13)_2016년_하반기_산학연협력_기술개발사업_공고.hwp","viewCnt":"2784","regDate":"2016-06-13 18:35:31"},{"contentId":"42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지원사업 수행기관 청렴윤리 실천 협약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38","contentsKor":"중소기업 지원사업 수행기관 청렴윤리 실천 협약 실시 - 6월 10일(금), 기정원·관리기관 청렴윤리 실천 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6월 10일(금) 서울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기업 지원사업 수행기관 청렴윤리 실천 협약식’을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이번 청렴 협약식에는 중소기업 지원사업 전문기관인 기정원과 업무협력관계에 있는 6개 관리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중소기업 지원분야의 공정한 행정서비스 제공과 청렴한 기관 만들기에 앞장 설 것을 협약하였다.   □ ‘청렴윤리 실천 협약식’을 시작으로 기정원과 관리기관은 중소기업 지원과정에 청렴과 윤리를 최우선 순위에 두고 업무를 추진하며, 주무부처인 중소기업청과 함께 ‘중소기업 청렴문화 확산’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아갈 것을 다짐하였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R&D 협력기관의 공동된 노력으로 우리나라 R&D 지원 분야에서 고객인 중소기업과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앞으로 기정원을 비롯한 중소기업 지원사업 수행기관은 청렴한 업무수행으로 중소기업 청렴문화 확산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22","atchfileNm":"(2016.06.13)_중소기업_지원사업_수행기관_청렴윤리_실천_협약_실시.hwp","viewCnt":"2643","regDate":"2016-06-13 09:15:38"},{"contentId":"42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中企 R&D 민간 전문가 확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37","contentsKor":"기정원, 中企 R&D 민간 전문가 확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6월 10일(금), 중진공, 한국벤처투자, 중기유통센터와의 협업 추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진흥공단(이사장 임채운, 이하 “중진공”), 한국벤처투자(주)(대표이사 조강래, 이하 “한국벤처투자”) 및 중소기업유통센터(대표이사직무대행 이해영, 이하 “유통센터”)와 6월 10일 오전 9시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중소․중견기업 R&D 평가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      ◦ 금번 업무협약은 중소기업청의 중소・중견 R&D 혁신방안의 후속조치로서, 기정원은 중진공 등이 보유하고 있는 분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 중소・중견기업 R&D 사업의 평가위원단에 등록 및 활동할 수 있도록 공동홍보 등 상호 협업을 추진할 예정임      ◦ 기정원은 중소・중견기업 R&D 사업의 평가를 위해 1만 9천여명의 전문가로 평가위원단을 구성․운영하여 왔으나,         - 기술 분야 전문가를 중심으로 운영되어, 수출, 투자, 마케팅 등 개발기술의 사업화에 필요한 전문가가 부족한 실정이었음         - 이번 협약을 계기로 수출(중진공), 투자(한국벤처투자), 마케팅(유통센터) 등 기관별로 보유한 전문가를 중소・중견기업 R&D 사업의 평가위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업화 가능성 중심의 R&D 평가 및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임      □ 이번 업무협약은 중소기업 지원 전문성 제고를 통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라는 정부3.0 가치 실현을 위해 중소기업청 소관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협력하여 추진하는 것으로,      ◦ 기관별로 보유한 전문가 정보를 공동 활용하는 협업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이와 관련하여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중소기업청 산하 공공기관들이 보유한 민간 전문가를 활용하기 위한 계기가 마련됨에 따라 중소․중견기업 R&D 지원사업의 평가체계 혁신 및 개발기술의 사업화 지원에 큰 효과를 낼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힘","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947","atchfileNm":"(2016.06.13)_기정원,_中企_RD_민간_전문가_확충을_위한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2663","regDate":"2016-06-13 09:11:09"},{"contentId":"42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평가위원 대상 ‘R&D 평가혁신 워크샵’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31","contentsKor":"기정원, 평가위원 대상‘R&D 평가혁신 워크샵’개최 - 6월 9일(목), 우수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평가혁신방안 전파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R&D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중소・중견 R&D 혁신방안에 따른 주요 평가체계 개편내용을 안내하고, 평가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워크샵을 6월 9일(목) 오전 서울 L타워에서 개최하였다.       ◦ 본 교육과정은 평가위원장 등 우수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청이 발표한 중소・중견 R&D 혁신방안의 주요내용을 전파하여,       ◦ 중소기업 R&D사업 평가 현장에서 사업성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워크샵은 중소ㆍ중견기업 R&D 정책 개편 방안 안내, 기정원의 R&D 평가체계 개편 및 평가분위기 혁신방안, 주요사업별 개선사항 분임토의 등 3부로 진행되었다.      ◦ 1부에서는 중소ㆍ중견기업 R&D 정책 개편 방안의 주요내용을 소개하고, 국내외 R&D 평가체계 동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함으로써 평가위원들의 중소ㆍ중견기업 R&D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2부는 기정원의 R&D 평가체계 개편 및 평가분위기 혁신방안과, 사업화 가능성 중심의 선정평가를 위해 도입한 사업성 심층평가기법에 대한 실무적인 사항을 교육하였다.      ◦ 마지막 3부에서는 워크샵에 참석한 평가위원들이 기술혁신, 상용화, 창업성장 등 대표적인 R&D 지원사업의 제도개선방향에 대해서 자유롭게 토의하는 분임토의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R&D 평가혁신 워크샵을 통해 평가위원들이 좀더 정부의 정책방향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사업성 중심의 평가가 실현되기 위한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평가위원의 사업성평가 역량을 강화하고, 평가위원의 의견을 수렴하여 중소․중견기업 R&D사업의 평가체계를 개선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41","atchfileNm":"(2016.06.10)_기정원_평가위원대상_RnD_혁신워크샵개최.hwp","viewCnt":"3246","regDate":"2016-06-09 09:33:50"},{"contentId":"42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사업화 성공을 높이기 위한 中企 R&D기획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28","contentsKor":"기정원, 사업화 성공을 높이기 위한 中企 R&D기획 지원! - 2016년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 시행계획 2차 공고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R&D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을 지난 1월 1차 공고에 이어 2차 신청·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 R&D 기획은 중소기업이 기술을 사업화하는 全단계(기획→개발→사업화)에서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기술개발 지원과 더불어 정책적 지원이 중요한 단계이다.      ◦ ‘R&D기획지원사업’은 기획 전문기관이 중소기업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한 기술성․사업성 등을 분석하고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며, 우수과제를 선정하여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사업에 연계․지원한다.        - 지난해에는 240개 과제의 R&D기획을 지원하였으며, 2014년도에 기획지원 받은 우수과제 92개를 선정하여 2015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등에 연계하였다.      □ 기정원은 이번 2차 시행계획 공고를 통해 9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하여 창업과제와 혁신과제에 2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창업과제는 총 사업비의 80%이내에서 최대 2,720만원까지 지원하며,         - 벤처·이노비즈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하는 혁신과제는 총 사업비의 70% 이내에서 최대 2,380만원까지 기획기관을 통해 지원한다.      < ’16년도 R&D기획지원사업 신청자격 및 지원조건 > 구분 신청자격 지원내용 수행기간 및 지원한도 창업 과제 창업 후 7년 이하이고, 상시근로자수 50인 이하 또는 매출액 50억원 이하인 중소기업 사업화 실현 가능성 및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제품 개발 기술 최대 4개월, 2,720만원 이내 혁신 과제 벤처기업, 이노비즈기업, 기업부설연구소 보유기업 중 하나에 해당하는 기업 미래 성장유망 20대 전략분야의 시장초기기술 또는 고위험․고수익이 기대되는 기술 최대 4개월, 2,380만원 이내   ◦ 과제 신청·접수 기간은 5월 30일(월)부터 6월 23일(목)까지이며, 과제 신청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기정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R&D기획지원 사업이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의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R&D기획역량제고를 통한 사업화 성공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37","atchfileNm":"(2016.06.09)_기정원_사업화성공을높이기위한중기RnD기획지원.hwp","viewCnt":"2702","regDate":"2016-06-08 13:20:49"},{"contentId":"42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초기기업을 위한 R&D사업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2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초기기업을 위한 R&D사업 지원! -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창업과제’2차 신청․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창업초기 기업의 아이디어 발굴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016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의 ‘창업과제’ 2차 신청·접수를 6월 30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창업과제’는 성장 잠재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 능력 및 경험이 부족한 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번 2차 공고를 통해 250개 내외의 기업을 선정하여 38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2차 신청·접수기간은 2016년 6월 7일(화)부터 6월 30일(목)까지이며, 지원대상은 창업 후 7년 이하인 중소기업으로서, 상시근로자 수 50인 이하 또는 매출액 50억원 이하인 중소기업이다.       < 추진절차도 >   신청․접수 (주관기관/온라인) → 서면/대면평가 (전문기관) → 현장조사 (관리기관) → 지원과제 선정 (심의조정위원회)                                      ↓ 사후관리 (전문기관) ← 최종평가 (전문기관) ← 과제관리 (관리기관) ← 협약·자금지원 (전문기관)   * (주관기관) 과제신청업체, (관리기관)지방중소기업청, (전문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특히 ‘창업과제’는 공급자 중심의 지원정책이 아닌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금년부터 ‘바우처 제도’를 적용하여 추진된다.        - 바우처는 정부가 중소기업 R&D사업 등을 위해 기업에 지급한 자금 중에서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을 이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에게 제공하는 신용한도(포인트, 쿠폰)를 의미한다.         - 다만, 산업기술분류 7대 분야 중 인력을 활용한 기술개발 비중이 높은 기술분야*의 개발과제에 한하여 바우처 의무사용이 제외된다.     * 산업기술분류 상 대분류가 ‘지식서비스’ 분야 및 소분류가 ‘S/W․설계기술 등’ 분야      ○ 아울러 금년부터는 현장조사를 대면평가 이후에 실시하여 평가기간을 단축하였으며, 사업계획서 작성서식을 간소화 하여 신청기업의 부담을 완화하는 등 수요자 중심으로 사업을 개편하였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창업 수요에 부응하여 잠재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창업 초기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R&D지원을 통해 창업기업의 사업화성공률 제고 및 성장기반 강화를 기대해본다”며 “앞으로도 창업초기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을 통한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해 우리 원에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과제 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34","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창업초기기업을_위한_RD사업_지원!(20160607보도요청.hwp","viewCnt":"2823","regDate":"2016-06-03 13:19:22"},{"contentId":"42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도전적 R&D 수행을 통한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 55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21","contentsKor":"기정원, 도전적 R&D 수행을 통한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 55억원 지원 - ‘16년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으로 19개사 대상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창의·도전적인 과제를 지원하고 실패를 용인함으로써 신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개발을 지원·육성하기 위해 ‘16년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에 19개 기업(신규 5개, 계속 14개), 55억 원을 지원한다고 6월 3일(금) 밝혔다.       ◦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은 실패 위험성은 높으나, 창의·도전적인 기술혁신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R&D 성공시 고수익 창출이 가능한 미래유망 기술개발 과제를 지원·육성하는 사업이다.      ◦ 동 사업은 2월 23일 공고 이후, 3월 24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받아사업성 심층평가, 대면평가를 통해 신규 5개 기업을 선정하여 13.5억원을 지원하며, 계속과제 14개에 대해서는 41.5억원을 지원한다.   □ 동 사업은 특히 R&D 역량 우수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율이 3% 이상인 기술혁신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 신청자격을 강화하였고,       ◦ 시장확보 가능성, 수출·고용촉진 등 경제적 성과를 중점적으로 검토하여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우수과제를 선별하기 위해 기존 서면평가 대신 사업성 심층평가를 실시한 바 있다.      □ 기정원은 동 사업의 ‘16년 5개 신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는 협약설명회를 6월 3일(금) 오후 2시 해성빌딩 팁스홀(서울)에서 개최한다.      ◦ 특히, 본 설명회에서는 올해부터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과 더불어 1년 이상 수행되는 모든 사업으로 확대 적용되는 무빙타겟제에 대해서도 안내한다.       * 무빙타겟제(연구목표 변경)란? ◦ 연구개발사업은 협약 당시의 사업계획서를 기준으로, 진행 후 시장 및 트렌드 변화에 따른 Risk 존재(블루오션 등의 이동) ◦ 이에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도전적 연구의 지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무빙타겟제’(연구목표 변경) 도입 필요   * '15년 1개 사업(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사업) → '16년 개발기간 1년 이상 全 사업 확대   ◦ 아울러 사업을 진행하며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할 예정이다.      □ 양봉환 원장은 “동 사업을 통해 선정된 기업이 신시장 개척과 고수익 창출로 신시장을 선도해 나가길 바란다”며 “기정원도 중소기업이 창의·도전적으로 기술개발에 나설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71","atchfileNm":"(20160603)_기정원_도전RnD적수행을통한시장창조원창조기술개발55억지원.hwp","viewCnt":"3043","regDate":"2016-06-02 10:30:15"},{"contentId":"42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적합업종 기업 R&D지원에 21.5억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20","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적합업종 기업 R&D지원에 21.5억 지원 - 6월 3일, 17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6월3일(금) 오후 2시 해성빌딩 팁스홀(서울)에서 2016년 적합업종기업 R&D 지원사업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동 사업은 중소기업 적합업종*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 중소기업 적합업종은 대기업의 무분별한 진출로 인해 중소기업이 경영 악화 등을 겪게 되는 경우 사회적인 합의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이다.(2016년 108개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 동 사업은 금년 2월 15일 공고 이후, 3월 15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서면, 현장조사, 대면평가를 통해 17개 기업을 선정하여 21.5억원을 지원 육성한다.   □ 본 설명회에서는 적합업종기업 R&D에 선정된 17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양봉환 원장은 “이번 설명회가 적합업종 영위기업에 대한 기술개발의 집중적인 지원을 통하여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의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며, “기정원도 R&D를 수행하는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개발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31","atchfileNm":"(2016.06.03)_기정원_중소기업적합업종기RnD기업지원에21억지원.hwp","viewCnt":"2684","regDate":"2016-06-02 10:25:48"},{"contentId":"42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全 직원 청렴R&D 실천 서약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211","contentsKor":"기정원 全 직원 청렴R&D 실천 서약 실시 - 노·사 함께 청렴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 새롭게 다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5월 27일(금) 천안 재능교육연수원에서 ‘TIPA 청렴R&D 실천다짐 청렴 서약식’을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이번 청렴 서약식에서는 노-사의 대표가 한자리에 모여 기정원의 임직원으로서 중소기업지원을 위한 투명하고 공정한 행정서비스 제공과 청렴한 기관 만들기에 앞장 설 것을 결의하였다.   □ ‘청렴 서약식’을 시작으로 기정원 전 직원들은 ‘금품·향응 수수 금지’,  ‘공정한 직무 수행’,  ‘고객만족’  등을 통해 청렴·윤리경영에 적극 동참하고, 위반 시에는 어떠한 처벌이나 불이익도 감수하겠다는 ‘청렴실천 서약서’에 서명하였다.   □ 양봉환 원장은 “이번 청렴 서약식을 통해 직원들의 청렴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를 새롭게 다짐하였다”며 “고객인 국민과 중소기업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청렴문화 정착에 앞장 서는 기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앞으로도 기정원은 ‘기관장 청렴서한 발송’,  ‘중소기업 R&D지원 운영기관들과의 청렴협약’ 등을 통해 기관의 청렴의지를 전파하고, 청렴문화 확산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29","atchfileNm":"(2016.05.27)_기정원_전_직원_청렴서약_실시(.hwp","viewCnt":"2679","regDate":"2016-05-26 19:10:54"},{"contentId":"419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히든챔피언 : 특허가 경쟁력이다] 중소기업 기술사업화(특허전략) 지원 기관장 인터뷰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92","contentsKor":"[YTN](히든챔피언 : 특허가 경쟁력이다) 반도체 패키징 전문업체 관련 기관장 인터뷰      지난 5월 11일 YTN TV “히든챔피언-특허가 경쟁력이다” 반도체 패키징 전문업체 편에 원장님께서 출연해서 "우리원의 중소기업 기술사업화(특허전략) 지원“에 대한 기관장 인터뷰 내용이 방송되었습니다.      이달 방송된  반도체 패키킨 전문업에인 “넷피스”는 우리원에서 한국지식재산전략원를 통해 지원한 2015년 기술혁신형 IP통합솔루션 지원사업 통해 지원한 업체이다.   기술혁신형 IP통합솔루션 지원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선제적 IP 분쟁 대응력 강화 및 미래 신사업 발굴을 위한 지식재산 관점의 통합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1세기 성장 동력이자 우리나라 수출 품목 1위인 반도체 산업!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70%에 달하는 비메모리 분야에 뛰어들어 세계에 우뚝 선 '히든챔피언'이 있다! 반도체 패키징 전문업체, 네패스. 특허받은 공정으로 매출 4천억의 글로벌 회사로 성장한 반도체 패키징의 IP 리더! 히든챔피언, 특허가 경쟁력이다! 그 성공전략을 함께 확인해보자.          - 프로그램 : [YTN]히든챔피언 특허가 경쟁력이다(1회 : 반도체 패키징 전문업체(넷피스))     - 방송일자 : 2016년 5월 11일     - 사이트 :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46&s_hcd=&key=201605111537027587","viewCnt":"3802","regDate":"2016-05-26 13:09:23"},{"contentId":"41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데이터 개방","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9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데이터 개방 - 공공데이터 적극 개방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 수립에 활용-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정부3.0 추진 활동의 일환으로 중소기업기술로드맵 데이터를 개방했다고 5월 27일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로드맵은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기술시장동향 및 기술성장성 등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미래기술개발 가이드라인으로,      ○ 대기업에 비해 연구개발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2010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      □ 기정원은 공공기관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개방하여 민간의 활용을 추진하는 정부3.0의 취지에 따라, 중소기업의 활용도가 높은 “2015년 중소기업기술로드맵 데이터”를 우선 개방하였다.      ○ 금번에 개방하는 중소기업기술로드맵 데이터는 20대 전략기술 분야별 세계시장, 국내시장, 유망시장 규모 현황을 2013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분석한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 중소기업은 이 데이터를 통해 파급효과가 큰 기술 분야에 전략적으로 집중할 수 있고, 진출하고자 하는 기술 시장을 분석하여 기술개발 방향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또한, 올해 상반기 내에 기술로드맵 데이터 중 “무역규모 현황” 및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자료” 등도 추가로 개방할 계획이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향후에도 국민의 수요와 활용도가 높은 양질의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정부3.0가치 확산에 기여하고 중소기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공개된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털(www.data.go.kr) 또는 기정원(www.tipa.or.kr)에서도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문의처         - 데이터 관련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로드맵 사업담당자(042-388-0241)    - 개방 관련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공공데이터 실무담당자(042-388-0134)","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807","atchfileNm":"(2016.05.27)_기정원_중소기업기술로드맵_공공데이터_개방.hwp","viewCnt":"3809","regDate":"2016-05-25 18:14:40"},{"contentId":"41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中企 맞춤형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63","contentsKor":"기정원, 中企 맞춤형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업무협약 체결 - 4개 조합·협회 중소기업에 특화솔루션 지원하기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5월 17일(화) 오전, 중소기업중앙회(서울 여의도)에서 ‘2016년도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지원 협약식’을 개최했다.      ◦ 협약대상은 기정원과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개발과제에 선정된 광주광역시식자재공급업협동조합, 서울특별시마을버스운송사업협동조합,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한국수입협회 등 4개 중소기업 조합·협회이며,      ◦ 특화솔루션 개발과제에 대한 당사자 간의 권리와 의무 등의 제반사항과 상호 협력관계를 구축하는데 뜻을 같이 하면서 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날 행사에는 기정원 양봉환 원장을 비롯해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조합·협회의 기관장 및 소속 회원사 대표 등 20여 명이 참석하였다.      □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맞춤형 4개 특화솔루션이 개발되면, 조합·협회 및 해당 업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은 내년부터 플랫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 경영혁신플랫폼 기반 정보화 지원사업은 개발과제에 선정된 업종을 대상으로 특화된 솔루션을 개발하여 중소기업 조합·단체 소속 회원사들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 가스판매협회, 쌀가공식품협회 등 28개 특화업종을 선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13,091개(‘16. 5. 15일 기준) 중소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을 가입하여 이용하고 있다.      ◦ 가스판매협회의 경우, 4,853개사가 플랫폼을 이용중에 있으며, 서비스 이용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 향상과 업무의 자동화 수준이 20%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플랫폼활성화방안연구보고서(한국경영정보학회, '14. 12)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이날 협약식에서      ◦ “운영인력부족, 유지보수 부담 등의 이유로 정보화 환경구축에 부담을 느꼈던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을 제공하여,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하며,      ◦ “중소기업의 정보화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협약식에 참석한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소속 중소기업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 “그동안 통계자료를 수기로 입력·보고하였는데, 플랫폼이 제공되면 보고가 수월해 질 뿐 아니라 공작기계 수출·입 동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사업을 체계적으로 구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78","atchfileNm":"(2016.05.17)_기정원,_中企_맞춤형_경영혁신플랫폼_지원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2756","regDate":"2016-05-17 14:42:06"},{"contentId":"41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52","contentsKor":"기정원, ‘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5월 9일(월), 40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 안내 및 교육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5월9일(월) 오후 2시 대전인터시티호텔 3층 파인A홀에서 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해외수요처과제 선정기업 및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이관 공공구매조건부 기술사업화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해외수요처과제’는 해외수요처로부터 신제품개발을 요청받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 1월 15일 공고 이후 2월 25일까지 1차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34개 기업을 선정하여 93억원을 지원한다.          * 해외수요처 범위 : 외국정부, 국제기구, 외국기업, 해외 도·소매 유통 체인 등 해외 현지법인(신청 주관기관과 상호 출자지분이 없는 경우)      ◦ ‘공공구매조건부 기술사업화’ 과제는 국토부에서 수행하던 사업을 정부 R&D 유사·중복 조정에 따라 ‘16년부터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에 통합되어 추진하며, 금번에는 6개 계속과제를 선정하여 13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본 설명회에서는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해외수요처 과제에 선정된 34개 기업 및 공공구매조건부 기술사업화과제 수행 6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해외수요처과제는 2차 사업계획서 접수시부터 수시접수 방식으로 변경(기존 4월과 8월 접수)하여 진행 중이며(2016년 4월~8월), 산·학·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5월 중 2차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해외수요처과제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의 수출을 촉진하고,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길 바란다”며 “특히 처음으로 R&D를 수행하는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79","atchfileNm":"(2016.05.06)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_협약설명회개최.hwp","viewCnt":"2790","regDate":"2016-05-04 16:50:57"},{"contentId":"41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가정의 달 맞이 아동복지시설 꽃길 조성 봉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46","contentsKor":"기정원, 가정의 달 맞이 아동복지시설 꽃길 조성 봉사 실시 - 4월 28(목), “성심원” 꽃모종심기 봉사활동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4월 28일(목)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을 방문하여 꽃모종심기 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 이번 꽃모종심기 봉사활동은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이날 행사는 기정원 양봉환 원장과 임직원이 참여하였으며, 성심원 앞마당에 꽃길 조성을 위해 패랑이꽃 모종을 심는 봉사활동으로 추진하였다.       ◦ 성심원(대전시 동구)은 기정원이 ‘13년 대전으로 이전한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봉사 및 기부활동을 펼쳐온 단체이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2016년에도 지역사회 소외계층과 함께하기 위해 아동보육시설, 장애인지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및 외국인지원시설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67","atchfileNm":"(20160429)기정원-가정의달맞이아동복지시설꽃길조성봉사실시.hwp","viewCnt":"2890","regDate":"2016-04-29 09:55:46"},{"contentId":"41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2016년 R&D기획지원사업 협약설명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43","contentsKor":"기정원, ‘2016년 R&D기획지원사업 협약설명회’ 개최 - 4월 28일(목), 97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 안내 및 교육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4월28일(목) 오후 2시 대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컨퍼런스홀에서 2016년도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 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해 개발 타당성 분석, 시장성 조사, 성공 가능성 평가 등의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는 사업으로,      ◦ 금년에는 1월 20일 1차 공고 이후 2월 22일까지 사업 신청·접수를 통해 97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24.9억원을 지원한다.      ◦ 최종 선정기업은 기획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4개월간 R&D기획지원을 수행하며, 정부출연금은 창업과제의 경우 최대 2,720만원(총 사업비의 80%), 혁신과제는 최대 2,380만원(총 사업비의 70%)까지 지원된다.      ◦ 한편, 금년도 R&D기획지원사업 2차 공고는 5월 중에 진행되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7월 중에 90개 내외의 과제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사업에 선정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기획기관 소개, R&D기획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된 내용을 전달할 예정이다      ◦ 사업개요 및 추진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사용 등 협약체결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아울러, 중소기업의 재직자에 대한 R&D기획역량 내재화 및 자발적 R&D기획 활동 촉진을 위한 R&D기획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운영과 세부일정 등도 안내한다.      □ 2016년에는 지원과제에 대한 기획품질 향상 및 일부 분야의 기술전문가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 기획기관에 대한 수행능력 평가 및 신규 기획기관 모집을 통해 전년보다 2개 기획기관이 추가된 6개 기획기관으로 운영한다.      <2016년도 기획기관 지정현황> 기 관 명 연락처 비고 기술보증기금 02-2155-377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02-3299-6037      특허법인 프렌즈드림 02-563-4593      특허법인 다나 02-556-5548 신규 기획기관 ㈜윕스 02-726-9844 신규 기획기관 ㈜이지펙스 02-565-9930 신규 기획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R&D기획지원 사업을 통하여 기술력 있는 R&D초보기업이 성공적인 기술개발 및 이를 통한 사업화가 실현되길 기대한다.”며,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기업에게 궁금증을 해소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기획기관과 중소기업의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80","atchfileNm":"(2016.04.28)_기정원_2016년RnD기획지원사업_협약설명회개최.hwp","viewCnt":"3193","regDate":"2016-04-27 11:04:07"},{"contentId":"41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초기기업을 위한 R&D사업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2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초기기업을 위한 R&D사업 지원! - 2016년도 1인 창조기업 및 여성참여활성화 과제 1차 신청․접수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2016년도 ‘1인 창조기업’ 및 ‘여성참여활성화’ 과제의 기술개발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이에 따라 창업초기기업의 아이디어 발굴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과제의 1차 신청·접수를 5월초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 ‘1인 창조기업 과제’는 신기술 또는 신제품 개발이 가능한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1인 창조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196억원의 예산으로 300개 내외의 기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 특히, 금년에는 시장 수요의 적기 대응 및 과제신청의 편의성을 위하여 2회에 걸쳐 신청․접수를 받는다. 1차 접수기한은 5월 2일(월)까지이며, 2차는 6월 15일에서 7월 22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 1차 접수기간 : 2016.3.28~2016.5.2, 2차 접수기간 : 2016.6.15~7.22(예정)      - 금년부터는 R&D사업을 통한 고용창출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여성창업기업 등에 대한 고용창출 요건이 추가되었으며, 선정평가의 공정성 및 기업의 편리성 제고를 위해 과제 평가를 ‘온라인 클린평가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실시할 예정이다.     * 신청자격 : (기존) 여성기업 → (현행) 신규 R&D인력 고용(예정)+여성기업   ○ 아울러 ‘1인 창조기업’ 및 ‘여성참여활성화’ 과제는 공급자 중심의 지원정책이 아닌 중소기업 주도의 R&D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금년부터 ‘바우처 제도’를 적용하여 추진된다.     - 바우처 제도는 정부가 중소기업 R&D사업 등을 위해 지급한 자금 중에서 연구전문기관(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인력·시설·장비 등을 이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에게 제공하는 신용한도(포인트, 쿠폰)를 의미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사업이 1인 창조기업 및 여성창업기업 등에게 성공적인 R&D 수행을 위한 디딤돌이 되었으면 한다”며 “앞으로도 창업초기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을 통한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해 우리 원에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과제 신청은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37","atchfileNm":"(2016.04.20)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창업초기기업을위한RnD사업_지원.hwp","viewCnt":"3174","regDate":"2016-04-20 14:06:10"},{"contentId":"41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17","contentsKor":"기정원,‘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개최 - 4월 15일(금), 35개 기업을 대상으로 협약 안내 및 교육 실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4월15일(금) 오후 2시 대전역(KTX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5층 인경실에서 2016년 상용화기술개발사업 국내수요처 및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 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 1월 15일 공고 이후 2월 15일까지 1차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35개 기업을 선정하여 73억원을 지원한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한편, 동 사업에서는 2차 사업계획서를 현재 접수 중이며(2016년 4월4일~5월 3일), 산학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5월 중 최종 지원과제를 2차 확정할 계획이다.      □ 본 설명회에서는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국내수요처 및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 과제에 선정된 35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자들에게 윤리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미래 국가 경제 발전의 기반이 되길 바란다”며 “특히 처음으로 R&D를 수행하는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만남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12","atchfileNm":"(2016.04.15)기정원_2016년_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_협약설명회개최.hwp","viewCnt":"3053","regDate":"2016-04-15 10:44:59"},{"contentId":"41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中企 정보화 전략적으로 지원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1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中企 정보화 전략적으로 지원한다. -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업무협약 체결 - - 2,600여 중소기업에 맞춤형 생산현장 스마트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기업 정보화를 위해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업 맞춤형 스마트 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등 전략적 중소기업 육성에 나선다.      □ 기정원(원장 양봉환)과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센터장 대표 김선일)는 4월7일(목),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대구 동구)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업해 나가기로 했다.         * 부산(‘15.3.18), 대전(‘15.11.17), 인천(‘16.2.26), 광주(‘16.3.18), 서울(‘16.4.6) 협약체결         ** 강원, 경기, 경남, 경북, 대구, 세종, 울산,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 포항센터와 금일 협약체결      □ 이번 업무협약은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이하 특화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여 창조경제 활성화 및 지역경제 혁신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 이를 통해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클라우드 자원 : 개발을 위한 플랫폼 구축을 할 필요없이 개발 요소들을 빌려 쓸 수 있게 하는 서비스      □ 기정원과 창조경제혁신센터는 특화분야 중소기업이 편리하게 경영혁신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 또한 업무협약 후,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스마트 공장을 구축한  ㈜앤디아이(대구 서구, 교직물 염색가공업)를 방문하여, 생산라인을 견학하고 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효과적인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 ㈜앤디아이는 생산현장디지털화 사업참여로 POP시스템을 구축하여, 작업준비 시간이 50% 감소하였고, 전년대비 매출액이 8.8%증가하였다.      ◦ 기정원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조업 혁신 3.0의 일환으로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을 지원하여,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2,600여 중소기업 맞춤형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였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에 전략적 정보화 지원으로 점차 지원대상을 확대하여, 많은 중소기업이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09","atchfileNm":"(2016.04.07)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中企_정보화_전략적으로_지원한다.hwp","viewCnt":"2905","regDate":"2016-04-07 14:33:08"},{"contentId":"41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108","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 -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으로 中企 정보화 역량강화 추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박용호)는 4월6일(수),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서울 광화문)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이하 특화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여 창조경제 활성화 및 지역경제 혁신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 이를 통해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클라우드 자원 : 개발을 위한 플랫폼 구축을 할 필요없이 개발 요소들을 빌려 쓸 수 있게 하는 서비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특화 분야 중소기업 지원의 기틀이 마련됐다.”며,      ◦ “앞으로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와 교육 프로그램 등을 연계하여, 우리 중소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혁신센터에 입주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 할 방침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703","atchfileNm":"(2016.04.06)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3231","regDate":"2016-04-06 15:22:55"},{"contentId":"40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고사양·첨단 연구장비를 내것처럼 자유롭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037","contentsKor":"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고사양·첨단 연구장비를 내것처럼 자유롭게! -“자유형 공동활용 지원사업”신규 시행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중소기업에서 연구개발시 대학․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연구장비를 공동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 올해부터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보유한 고사양·첨단 연구장비도 활용할 수 있도록 「자유형 공동활용 지원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 자유형 공동활용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등 6개 기관으로서, 현재 활용할 수 있는 장비는 아래와 같으며, 앞으로 계속 추가될 예정이다.      기관명 주요장비 한국기계연구원 분무입경 측정장치, 투습도 측정기, 축계 비틀림 레이저 진동계 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 신호분석기, 3D 컬러모형 가공기, X-선 회절기 등 한국한의학연구원 분광광도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레이저 혈류계 등 재료연구소 전계방사형 투과전자 현미경, 고온인장시험기, 원소분석장치 등 세계김치연구소 핵산추출용 전자동 원심분리장치, 초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혐기성 배양기 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적외선 열화상 진단시스템, 주사전자현미경,  다목적 진동 만능시험기 등   □ 또한, 동 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수월한 연구장비 활용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의 ZEUS시스템과 중소기업청의 SMTECH시스템과의 연계를 진행하였다.      ◦ 따라서, 동 사업에 대한 안내와 신청 메뉴가 ZEUS시스템에도 마련되어 참여기업이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장비를 ZEUS시스템을 통해 선택 또는 예약 시, SMTECH시스템으로 자동 연결된다.          * ZEUS시스템(http://www.zeus.go.kr) : 연구장비 종합포털          * SMTECH시스템(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동 사업의 참여기업은 장비이용 바우처(쿠폰)방식으로 장비이용료의 60~70%까지 5천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받을 수 있으며,   ◦ 신청기간은 2016년 1월 ~ 2016년 12월까지이며, 예산소진시까지 지원가능하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사업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http://www.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627","atchfileNm":"(2016.03.31)_기정원_정부출연연구기관의_첨단연구장비_내것처럼_자유롭게_활용_지원.hwp","viewCnt":"3391","regDate":"2016-03-30 13:17:46"},{"contentId":"40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4013","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 -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으로 특화분야 中企 정보화 역량 강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유기호)는 3월18일(금),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업해 나가기로 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이하 특화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 협약내용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지원 등이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이에 따라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전담인력, 유지보수, 기능개선 등의 부담없이 솔루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두 기관은 이용기업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두 기관의 업무협약을 통해 차별화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97","atchfileNm":"(2016.03.18)_기정원-광주창조센터_업무협약_보도자료.hwp","viewCnt":"2918","regDate":"2016-03-18 16:24:34"},{"contentId":"39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98","contentsKor":"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실시 - 3월 17일(목)부터 5개 광역별 사업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는「‘16년도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외국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에서 구매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를 지원하며,      ○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성공하면 수요처에서 일정기간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 동 설명회는 3.17일부터 5대 주요 광역별*로 개최되며,         * 3.17(목) 경기, 3.18(금) 대전, 3.22(화) 서울, 3.24(목) 부산, 3.25(금) 광주      ○ ‘16년 주요 사업내용, 사업계획서 작성 및 SMTECH* 입력방법, 기술임치 등에 대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중소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 한편, 기정원은 제2차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신청(‘16.1월)을 4.1일(금)부터 5.2일(월)까지로 온라인 시스템(SMTECH)을 통해 받을 예정이며,      ○ 산학연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등을 거쳐 5월 중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 선정기업은 2년간 5억원 이내의 개발자금을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판로를 동시에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경영안정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며 “지난해 중소기업 R&D 지원기능을 통합한 기정원도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지속성장 동력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공고문과 중기청 및 기정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77","atchfileNm":"(2016.03.15)_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_찾아가는_사업설명회실시.hwp","viewCnt":"2987","regDate":"2016-03-15 09:08:50"},{"contentId":"39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IPF 공공기관연구센터] 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겠습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83","contentsKor":" 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겠습니다.      금번 [기관장인터뷰(42호)]에서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님과의 인터뷰를 담았습니다. 2013년 취임하신 이래, 경영혁신플랫폼을 구축하여 정보화 환경이 열악한 중소기업에게 기업 경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중소기업청 R&D 사업의 전담기관으로 지정되면서 중소기업 R&D지원 사업을 통합 이관 받았으며, 국내 대표의 중소기업 R&D 전문기관으로서 거듭나기 위해서 ‘소통’과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R&D 지원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고 사업화를 위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일시 : 2015.12.18      * 장소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대전 유성구 소재)      * 진행 : 이원희 KIPF 공공기관연구센터 소장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62","atchfileNm":"기관장인터뷰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KIPF_공공센터_20160104.pdf","viewCnt":"2796","regDate":"2016-03-10 09:30:07"},{"contentId":"39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5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 -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박인수)는 2월26일(금),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이하 특화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 이를 통해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이번 업무협약은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물론 인천 지역의 창업기업 정보화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우리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는 혁신센터에 입주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 할 방침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42","atchfileNm":"(2016.02.26)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3445","regDate":"2016-02-29 11:03:25"},{"contentId":"39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월간현대경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관장 인터뷰(2016년 2월호 커버스토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39","contentsKor":"[월간현대경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관장 인터뷰(2016년 2월호 커버스토리)     지난 1월 28일 월간현대경영과 우리원의 원장님과의 인터뷰가 진행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는 현대경영 2월호 커버스토리에  "중소기업 활짝 피어라“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습니다.        “기정원(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아시나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 정보화를 총괄 지원하는 대단히 중요한 기관입니다. 매서운 날씨마저 잠시 주춤했던 지난 1월 28일, 양봉환 기정원 원장을 서울 여의도 집무실에서 만났습니다. 다년간 정부에 몸담았던 양봉환 원장에게는 공직자 특유의 포멀(formal)한 분위기가 났습니다. 학자 같기도 하고 선비 같기도 한 ‘꼿꼿(?) 기관장’의 모습 그대로였습니다. 기정원의 핵심가치 중 하나가 ‘청렴’이라 하더니 과연 양원장의 얼굴이 ‘청렴’을 빼닮았습니다.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및 정보화경영을 지원, 중소기업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전문기관입니다. 창조경제를 측면에서 지원함으로써, 창업 중소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발전을 위한 든든한 ‘R&D(Research and Development) 파트너’ 입니다.           - 2월 커버스토리 :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 - 대담자 : 임래규 전 산업자원부 차관 - 인터뷰 일자 및 장소 : 2016년 1월 28일 (기정원 여의도 사무실) - 자료 사이트: http://www.newmanagement.co.kr/?p=8724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31","atchfileNm":"현대경영_2월호_커버스토리_양봉환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원장님.pdf","viewCnt":"4174","regDate":"2016-02-19 09:18:15"},{"contentId":"39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업무계획 보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30","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업무계획 보고 - ’16년 사업성 우수과제 선별을 통한 사업화 성공기업 확산 중점 추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 업무보고(’15.2.5)를 통해, 중소기업의 시장지향적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2016년 주요 업무계획을 발표하였다.      ◦ 취임사에서 우리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겠다고 밝힌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취임 후 첫 산하 공공기관 업무보고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방문했다.      ◦ 기정원은 이번 업무보고에서 중소기업의 시장지향적 R&D 구현을 위해 사업성 중심으로 평가시스템을 혁신하고, 성과확산 및 관리를 강화하기위한 2016년 업무추진방향을 밝혔다.      □ 기정원은 평가 전문성 강화를 위해 사업성 평가 전문가를 양성하고, 사업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평가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ㅇ 우수 평가위원을 중심으로 기업가치평가․기술가치평가 등 사업성 평가 특화과정을 운영하여 사업성평가 전문가로 양성하고, 이들을 사업성 심층평가에 투입할 예정이다.        ㅇ 또한,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의 사업별 목적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여 차별화된 평가체계를 운용한다.          - 창의적 아이디어 상업화를 위한 R&D초보기업은 1단계 평가로 간소화하여 적시 지원하고,          - 사업화 기술개발과제는 온라인평가 및 현장․대면평가로 진행하며,          - 유망기술 개발 과제는 사업성 중심의 심층평가가 강화된다.             * 중소기업 R&D 유형 구분 : 초보형, 일반형, 전략형      □ 중소기업 R&D 지원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R&D 지원기업의 성과 확산과 사업비 부정사용 방지를 위한 활동도 추진할 예정이다.        ㅇ R&D에 성공한 중소기업이 사업화를 위한 기술금융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은행연합회 등 민간 금융기관에 연계 지원하고,          - 중진공, KOTRA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R&D, 운전자금, 해외판로에 이르는 입체적인 기술사업화 지원도 전개할 계획이다.        ㅇ 특히, 암행점검단을 통해 무작위로 불시 점검하는 한편, 위험징후 수집과 특별점검을 강화하여 R&D사업비 유용 등 부정사례를 원천 차단할 계획이다.      □ 기정원은 R&D 정책연구 및 기술혁신 정보제공 서비스를 강화하여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할 계획이다.        ㅇ 중소기업 기술혁신 포럼을 신설하고 3개의 전문화된 분과*를 운영하여 중소기업 R&D 정책수립을 위한 지식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 3개 분과 : 정책연구분과, 기술전문분과, 성과확산분과        - 중소기업 현장 중심의 정책수요 발굴을 위해 고객자문단 운영 및 중소기업 현장방문을 확대할 계획이다.        ㅇ 기술로드맵을 통해 발굴한 중소기업 적합 미래 유망 기술과 산업․기술동향 정보를 중소기업들에게 서비스할 예정이다.      □ 업무보고를 마친 후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글로벌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현재 모습에 안주하지 않고 경제 발전을 위해 변화와 혁신을 주도”해 줄 것을 당부하였으며,        ㅇ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어려운 경제여건에서 기술개발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중소기업 R&D지원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21","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_RD_지원_업무계획_보고.hwp","viewCnt":"3864","regDate":"2016-02-11 10:57:14"},{"contentId":"39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설명절맞이 지역사회 사랑의 나눔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919","contentsKor":"기정원, 설명절맞이 지역사회 사랑의 나눔 실시 - 2월 4일(목)~5일(금), 대전지역 전통시장 물품구매 및 아동복지시설 위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설명절을 맞이하여, 2월 4일(목)~5일(금) 지역 소외계층인 아동복지시설을 방문하여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위문품을 전달하였다.        □ 이번 사랑의 나눔활동은 아동복지시설인 “성심원”과 장애인아동보호시설인 “하늘품 장애인단기보호시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위문물품은 아동복지시설에서 설명절에 필요하다고 요청한 물품(쌀, 과일, 건어물, 생필품 등)이며, 이를 전통시장(중앙시장, 법동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구매하여 전달하였다.         ◦ 기정원은 성심원(2월4일(목))과 하늘품장애인단기보호센터(2월5일(금))를 방문하여 위문물품을 전달할 예정이다.         □ 한편, 기정원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2월 5일(금) 오전 법동시장(대전시 대덕구)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설명절 필요물품을 구매하는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이날 행사에는 기정원 양봉환 원장과 임직원 2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며, 설명절에 직원들이 가정에서 사용할 물건과 설명절 위문물품을 구매한다.      □ 기정원은 ‘13년 대전으로 이전한 이후부터 지역사회 소외계층과 함께하기 위해 아동보육시설, 장애인지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및 외국인지원시설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기정원은 2016년에도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추진하여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사회 만들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518","atchfileNm":"기정원,_설명절맞이_지역사회_사랑의_나눔_실시.hwp","viewCnt":"3232","regDate":"2016-02-04 19:01:49"},{"contentId":"38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전국 28개 창업선도대학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862","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전국 28개 창업선도대학 업무협약 체결 - 유망 (예비)창업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지원키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에서 창업선도대학으로 지정한 전국 28개 창업선도대학과 손을 잡고, 유망(예비)창업기업 정보화 도입의 길을 모색한다.      □ 기정원과 21개 대학 창업지원단*은 1월18일(월), 기정원(대전 유성)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경일대, 계명대, 단국대, 부경대, 연세대, 원광대, 전북대, 전주대, 조선대, 충북대, 한국산업기술대     ** 건국대, 경기대, 경성대, 국민대, 동국대, 순천대, 순천향대, 인덕대, 인천대, 제주대 등 10개 대학은 서면협약 진행      ◦ 기정원은 지난 11월26일 7개 대학 창업지원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고, 이번 21개 창업지원단과 협약을 진행하여 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협력체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 강원대, 동아대, 영남이공대, 한국교통대, 한남대, 한밭대, 호서대           ◦ 이번 업무협약은 (예비)창업기업을 위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지원으로 창업기업 정보화, 지역 및 창조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를 통해 (예비)창업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과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 “전국 28개 창업선도대학과의 업무협약으로 유기적인 창업기업 정보화 지원 체계를 마련해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 육성에 기여할 것”이라며 “각 기관에서 보유한 역량을 십분 발휘하여 우리 중소기업의 업무효율성 향상 지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 기정원과 창업지원단은 간담회를 통해 경영혁신플랫폼 지원계획에 대해 논의하여,      ◦ 향후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혁신플랫폼 활용교육을 지원할 계획이며, 상반기에는 창업준비공간에 입주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428","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전국_28개_창업선도대학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2984","regDate":"2016-01-18 15:35:49"},{"contentId":"37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청렴도‘우수’기관으로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97","contentsKor":"기정원, 청렴도‘우수’기관으로 선정! - 청렴문화 정착 위한 전사적인 노력으로 3년 연속 등급 상승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실시한 ‘2015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고 12월 23일(수) 밝혔다.   ○ 기정원은 올해 종합청렴도 8.51점으로 전체기관 평균 7.89점 보다 0.62점 높은 점수를 받으면서 2등급을 달성하였다.   ○ 특히, 내부청렴도는 8.77점을 얻어 공직유관단체(V유형) 23개 기관 중 2위를 기록하였다.   □ 그동안 기정원은 부패행위 처벌규정 강화, 익명신고센터 마련, 전직원 청렴서약, 선물 안주고 안받기 운동, 중소기업 대상 청렴문화 확산 설명회 개최 등 청렴문화 정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꾸준히 추진해왔다.   ○ 그 결과, 2013년 4등급(미흡)이었던 종합청렴도가 2014년은 3등급(보통), 2015년에는 2등급(우수)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 양봉환 원장은 “오늘의 성과는 깨끗한 기정원을 만들기 위해 임직원 모두가 마음을 하나로 모아 적극적으로 노력한 결과이다.”라며 “청렴이 곧 능력임을 말해주는 시대인 만큼 앞으로도 청렴도 우수기관으로서 굳건히 자리매김하여 국민들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315","atchfileNm":"기정원,_청렴도‘우수’기관으로_선정!.hwp","viewCnt":"2815","regDate":"2015-12-28 11:55:02"},{"contentId":"37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내 중소기업을 위해 꼭 필요한 파트너 될 것","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95","contentsKor":"국내 중소기업을 위해 꼭 필요한 파트너 될 것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지난 2002년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들이 지식정보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됐다. 특히 올해는 중소기업 R&D 사업화 성공률 향상을 위해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었던 해였다. 양봉환 원장은 인터뷰에서, 기정원이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 '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 등을 통해 꼭 필요한 파트너가 될 것을 약속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313","atchfileNm":"월간_mobile_RnD_5호_원장님_인터뷰.pdf","viewCnt":"2873","regDate":"2015-12-22 13:18:04"},{"contentId":"37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청, 2016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에 9,429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93","contentsKor":"중기청, 2016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에 9,429억원 지원      ① 성장단계별 지원체계 구축 및 기술개발 저변확대 강화(40%→66%) ② 수출․고용기업 기술개발 지원 대폭 확대 및 평가지표 개편 ③ 후속 사업화지원 강화 및 규제개선․기업부담 완화 등                 □ 2016년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단계별 기술혁신 및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9,429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이 지원된다.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2016년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에 대한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통합공고를 통해 주요 지원내용 및 일정 등에 대해 발표하였다.      ◦ 이를 위해 중소기업청에서는 그간 지역별 순회 간담회를 통해 기업 현장의 목소리와 규제개선 과제를 발굴하여 왔으며, 지난 7일 기술혁신추진위원회*를 개최하여 각계 전문가 및 중소기업의 의견을 수렴하여 이번 시행계획을 마련하였다.           *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제6조에 따라 중앙부처 국장급 정부위원 및 민간위원 등 24명으로 구성(기술혁신지원계획 등 심의)      □ 2016년 중소기업청 소관 기술개발지원사업의 규모는 9,429억원으로, 효율성 위주 범부처 기술개발(이하 R&D) 정책방향에 따라 '15년 9,574억원 대비 약 1.5% 감소되었으며,      ◦ 중소기업청에서는 2016년을 중소․중견기업 R&D 성과제고의 원년으로 삼고, 창의․도전적 우수과제 발굴, 사업화성공률 제고 및 수출․고용 활성화, 부정사용 방지 등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311","atchfileNm":"중기청,_2016년_중소·중견기업_기술개발에_9,429억원_지원.hwp","viewCnt":"2813","regDate":"2015-12-21 16:28:30"},{"contentId":"379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청, 7개 조합 4,500여 중소기업에 맞춤형 솔루션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92","contentsKor":"중기청, 7개 조합 4,500여 중소기업에 맞춤형 솔루션 지원 - 2015년 특화솔루션 서비스 시연 행사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함께 12월 16일(수)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서비스 시연 행사를 개최하고 12월 21일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이로 인해 한국공예협동조합연합회, 한국화원협회 등 7개 단체(조합)의 4,500개 회원사는 업무용(주문, 배송, 재고관리 등) 솔루션 서비스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은 중소기업 단체의 회원사가 공동이용 가능한 업무용 소프트웨어(SW)로 개발해서 온라인상에 저장하고, 해당 단체의 회원사들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2015년 특화솔루션 주요기능] 업무용 솔루션 주요 기능 단체 (조합) 공예업종 B2B 솔루션 ▪카탈로그 검색·관리, 판매(견적, 주문, 배송, 재고 등)  관리 ▪경매관리, 입·낙찰관리, 계약내역 등록 한국공예 협동조합 연합회 화원통합중개솔루션 ▪거래처, 화원, 사용자, 상품 관리, 공동구매 ▪발주, 협회 주문서 관리, 리본출력, 수주관리, 회원관리 한국화원 협회 업무협업솔루션 ▪지원정보(정부정책, 기업운영, 교육) 관리 ▪회원사 간 판매·구매 알선, 견적 관리 NK경제인연합회 영업용 운송차량 이력관리 솔루션 ▪운송회원(차량, 보험, 검사정보), 거래처, 회비·수수료 관리 ▪대·폐차, 운송실적 관리, 운전경력 증명·신청 한국물류산업진흥협동조합 품질경영 인증검사 및 원가솔루션 ▪자재·제품품목 관리, 품질검사 및 클레임 관리 ▪자재입·출고, 재고관리, 사업진행 관리 한국전기 공업협동조합 목재 공사/시공 관리 솔루션 ▪공사, 자재소요량 산정, 견적, 계약 관리 ▪표준코드, 작업팀, 공정 관리, 자재입출고 한국목재공업협동조합 가설기자재 안전인증 통합솔루션 ▪서면심사 처리, 신청서 접수, 결과 통보,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심사, 확인 심사, 서면심사, 공장심사, 제품심사 ▪성능시험관리, 기술지원관리 한국가설협회   □ 그간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 정보화지원 사업방향을 개별 중소기업의 시스템 구축 지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기술을 적용한 공동활용 방식으로 전환한 바 있다.      ◦ 이에 따라 2013년부터 서비스를 개시하여 기존 21개 단체 뿐만 아니라 공예협동, 전기공업 등 7개 단체가 업무용 솔루션 서비스를 추가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 (‘13∼’14) 21개 단체 12,000개사 → (‘13∼’15)28개 단체 16,500개사 활용 가능      □ 2013년과 2014년에 참여한 조합에서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을 활용하여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 (쌀가공협동조합 사례) 기존 수기 관리방식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솔루션 활용을 통해 매입 쌀의 재고량, 거래 관리 등이 실시간 전산으로 관리됨에 따라      ◦ 조합 및 회원사의 업무 효율성 향상뿐만 아니라, 익월․익년도 쌀 매입 및 배정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되어 회원사 공동의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하고 있다.      ◦ (가스판매협동조합 사례) LP 가스거래 상황기록 보고 담당기관이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가스판매협동조합로 변경되어 전국의 가스판매 현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도입하였다.      ◦ 경영혁신플랫폼 솔루션을 통해 수기로 처리하던 가스거래 현황이 실시간으로 전산 관리됨에 따라 조합의 생산성 제고 뿐만 아니라 회원사들의 판매활동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 중소기업청 최철안 생산기술국장은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활용을 통해서 조합 및 회원사들의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보다 많은 조합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맞춤형 솔루션 지원을 통해 기업과 기업, 단체와 기업의 협업체계 기반을 마련하고,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310","atchfileNm":"중기청,_7개_조합_4,500여_중소기업에_맞춤형_솔루션_지원.hwp","viewCnt":"2812","regDate":"2015-12-16 17:38:05"},{"contentId":"37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한국경제 TV] 창조경제 INSIGHT 기관장 인터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84","contentsKor":"[한국경제 TV] 창조경제 INSIGHT 기관장 인터뷰 (2015년 12월 4일 방송)      지난 12월 4일 한국경제 TV “창조경제 INSIGHT”에 우리원의 원장님께서 출연해서 "중소기업 성장 발전이 곧 국민의 행복"이라는 주제로 원장님 인터뷰가 방송되었습니다.      R&D 서비스 평가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 중에는 막 창업하여 R&D를 모르는 기업도 있고, 또 창업한지는 오래되었지만, R&D를 해보지 않으면 경험이 없는 기업에게 R&D를 하는 방법, 어떠한 절차로 R&D를 진행 할 것인지 R&D기획 지원사업, 기업 업력과 규모마다 R&D 달라 업체 규모에 맞는 R&D 지원, 국내시장을 넘어서서 세계시장으로 가는 글로벌 R&D, 창업단계 R&D지원, 성장단계에서 도약하는 R&D, 글로벌 R&D 지원 이 세 단계로 지원하고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프로그램 : 창조경제 INSIGHT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 - 방송일자 : 2015년 12월 4일 - 사이트 : http://www.wownet.co.kr/stockTv/liveTv/liveTv.asp?play_url=96291&gubun=vod&dep=P1981&type=2","viewCnt":"3404","regDate":"2015-12-09 10:04:56"},{"contentId":"37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7개 대학 창업지원단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67","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7개 대학 창업지원단 업무협약 체결 - 유망 (예비)창업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7개 대학 창업지원단*은 11월26일(목),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중소기업청에서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한 강원대, 동아대, 영남이공대, 한국교통대, 한남대, 한밭대, 호서대 등 7개 대학 창업지원단      ◦ 이번 업무협약은 (예비)창업기업을 위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지원으로 창업기업 정보화, 지역 및 창조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를 통해 (예비)창업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과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을 이용하여 창업기업 및 예비창업자의 정보화 수준이 향상될 뿐 아니라 청년창업자들의 유망아이디어 사업화에 일조하길 바란다”며 “앞으로 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 경쟁력 있는 창업기업 육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7개 대학 창업지원단은 창업준비공간에 입주해 있는 기업 및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의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87","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7개_대학_창업지원단_업무협약_체결.hwp","viewCnt":"2777","regDate":"2015-11-26 15:08:45"},{"contentId":"37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기술정보진흥원, 전국은행연합회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57","contentsKor":"中企기술정보진흥원, 전국은행연합회와 업무협약 체결 - 기술금융 연계를 통한 중기 R&D 기업 사업화 촉진 추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전국은행연합회(회장 하영구, 이하 “은행연”)와 11월 18일 오전 11시 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에서 ‘기술금융 활성화 및 창조경제 성과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      ◦ 금번 업무협약은 기정원이 보유하고 있는 R&D 지원 중소기업에 대한 기업정보를 은행연이 제공받아,         - 기술정보데이터베이스(TDB)의 ‘IR Place'를 통해 사업화를 위한 융자 및 투자유치 지원에 활용할 예정임       * TDB(Tech Data Base) : 금융기관의 여신심사 및 기술신용평가기관(TCB)의 기술신용평가 시 필요한 기술·시장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자체 분석 정보와 다수의 민·관 협약기관으로부터의 수집정보 등 현재 약 1,000만 건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IR Place(기업마트) : 수집된 기술 기업의 IR정보를 기술성숙도(TRL : Technology Readiness Level)에 따라 구분하여, 정보 수요자 맞춤형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 또한, 각 기관이 보유한 기업 및 기술 정보 등을 교류하여 기술 보유 중소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지원에 상호 협력할 계획임       ◦ 이번 협약의 목적은 중소기업 R&D 지원을 통해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기업의 기술금융 자금 접근성을 제고하여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해 추진됨         - 그 동안 범 금융권은 기술금융과 관련하여 융자 및 투자대상 기업에 대한 정보 부족에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중소기업 R&D 지원 기업은 사업화를 위한 자금 부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나,         -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정부가 추진해온 기술금융의 활성화와 정부지원을 통해 발굴된 우수기술기업의 성장을 모두 지원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이와 관련하여 하영구 회장은 “금융기관의 기술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부족 문제 완화 및 수집된 정보를 기업기술력평가에 활용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자금접근성 강화에 힘쓰겠다”고 밝힘      ◦ 양봉환 기정원장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기술금융 활성화 및 창조경제 성과구현을 위한 계기가 마련됨에 따라 중소기업 R&D 지원 기업의 기술사업화에 큰 효과를 낼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힘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80","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전국은행연합회_업무협약(MOU)체결.hwp","viewCnt":"3064","regDate":"2015-11-18 16:55:12"},{"contentId":"37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영혁신플랫폼 스타트업 및 예비창업기업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55","contentsKor":"경영혁신플랫폼 스타트업 및 예비창업기업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임종태)는 11월17일(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스타트업 및  예비 창업기업(이하 스타트업 기업)에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여 우수한 연구개발 역량이 창업과 기업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를 통해 스타트업 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과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을 이용하여 ICT 기반 스타트업 및 예비 창업기업의 정보화 수준이 향상되고,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에 일조하길 바란다”며 “앞으로 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 경쟁력 있는 창업기업 육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는 드림벤처스타*  및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 드림벤처스타 :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10개월 집중 인큐베이팅을 통한 전주기적 사업화 지원 (1기(10개 기업), 2기(10개 기업))","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77","atchfileNm":"경영혁신플랫폼_스타트업_및_예비창업기업_지원.hwp","viewCnt":"2872","regDate":"2015-11-17 11:10:08"},{"contentId":"37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영혁신플랫폼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42","contentsKor":"경영혁신플랫폼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과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조홍근)는 11월3일(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는 특화 전략산업 분야 중소기업(이하 특화분야 중소기업)에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 이를 통해 특화분야 중소기업은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크워크, 스토리지 등) △이용기업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업무관리, FTA원산지연계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일반업무 기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가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의 초석이 되길 기대하며, 플랫폼을 활용하여 특화분야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에 입주해 있는 기업 및 15년도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희망기업을 모집하여 단계적으로 지원 할 방침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58","atchfileNm":"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_업무협약(151103).hwp","viewCnt":"2774","regDate":"2015-11-04 17:38:46"},{"contentId":"37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전국을 순회하며 찾아가는 R&D컨설팅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26","contentsKor":"기정원, 전국을 순회하며 찾아가는 R&D컨설팅 실시 - 11월 2일(월)부터 12개 지방중소기업청에서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11월 1달 동안 R&D사업에 관심이 있는 전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R&D 컨설팅을 실시한다.      ◦ 이번에 개최하는 R&D 컨설팅은 중소기업 R&D사업에 지원하였으나 선정되지 못했거나, 처음 선정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1:1 맞춤형 컨설팅으로 진행된다.      □ 이번 컨설팅은 11월 2일(월)부터 서울지역을 시작으로 주로 지방중기청을 찾아가서 실시하게 되는데      ◦ 특히, ‘15년 R&D과제 신청후 선정되지 못한 기업에게는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대면평가 발표방법, 과제평가 과정에서의 애로 및 유의사항 등에 대해 기업맞춤형으로 1:1 상담이 진행될 예정이다.      ◦ 또한, ‘15년 선정된 R&D 초보기업 대상으로는 사업관련 규정과 사업비 집행방법, 사업수행 과정에서 생기는 애로사항 및 과제별 특이사항 등에 대한 상담으로 진행되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에 진행되는 R&D컨설팅을 통해 중소기업의 R&D과제 성공률과 사업화 성과가 크게 높아지고, 현장의 애로요인 해소를 통해 고객만족도가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      □  기정원은 현재 컨설팅을 원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고 있으며, 수도권을 제외한 비수도권의 경우 해당지역 순회 컨설팅 전날까지 추가로 신청하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사업담당자에게 이메일 문의 innodpt@tipa.or.kr)","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41","atchfileNm":"기정원_전국을순회하며찾아가는RD컨설팅실시(20151030조간보도요청).hwp","viewCnt":"2877","regDate":"2015-10-29 11:33:48"},{"contentId":"37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KIPF 공공기관 이슈포커스] 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는 TIPA","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16","contentsKor":" 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는 TIPA     기획재정부가 지난해 12월 23일 중소기업 분야 공공기관 기능조정 결과를 발표한 지 만 6개월이 지났다. 짧은 기간이지만 많은 변화가 있었기에 감회가 남다르다. 기능조정으로 인해 중소기업 지원 분야에서 가장 큰 변화를 겪은 곳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이하 기정원)이기 때문이다. 예산은 4,189억 원에서 9,045억 원으로 2배가 늘어났고, 인력도 77명에서 100명으로 3분의 1이 증가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커진 것은 중소기업 R&D 통합 전담기관으로서의 기관의 역할과 책임이 아닐까 한다. 작년까지 기정원을 포함한 3개의 기관이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을 나누어 수행하고 있었던 것을 올해 초 기정원으로 통합한 것이 기능조정의 주요내용이기 때문이다. (중략)   * 실린 곳 : KIPF 공공기관 이슈퍼커스 Vol.13 (2015.10)   * 저자 : 조기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획조정본부장   * 사이트 : http://soe.kipf.re.kr/kor/communication/SceneVoice_View.aspx?serial_no=266&search_type=TITLE&search_word=&page=1&sortType=&sortColumn=&rnum=4","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29","atchfileNm":"현장의_소리(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KIPF_공공센터_201508.pdf","viewCnt":"3447","regDate":"2015-10-19 17:41:32"},{"contentId":"37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기술정보진흥원, 中企학회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15","contentsKor":"中企기술정보진흥원, 中企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손 맞잡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한국중소기업학회(회장 송혁준, 이하 중기학회)와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양 기관은 2015년 10월 16일 12시 30분 더팔래스호텔 서울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 협력 ▲공동 세미나 및 워크샵 등 개최 협력 및 지원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교육·홍보 상호 지원 등이다.      ◦ 이번 협약의 목적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문기관인 기정원이 중기학회와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을 강화하고 경영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협력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 추진되었다.         - 최근 저성장에 따른 내수불황과 중국기업의 위협, 엔저 현상 등으로 중소기업들이 내우외환(內憂外患)을 겪고 있는 가운데         -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R&D를 통한 중소기업들의 혁신 역량 강화가 절실해 짐에 따라,          - 기정원과 중기학회는 창조경제 실현과 미래 국가발전을 주도할 기술혁신 역량을 갖춘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R&D지원을 통한 성장사다리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 이와 관련하여 송혁준 회장은 “한국경제 경쟁력 강화의 핵심은 기술에 있다며, 양 기관이 힘을 모아 중소기업 기술혁신 기반 경쟁력 강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체결함에 따라 양 기관이 중소기업 R&D 혁신에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28","atchfileNm":"中企기술정보진흥원,_中企학회와_업무협약_체결_보도자료_배포(즉시보도요청).hwp","viewCnt":"2604","regDate":"2015-10-16 14:55:48"},{"contentId":"37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노․사가 함께하는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14","contentsKor":"기정원, 노․사가 함께하는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 추진 - 10월 15(목), 대전시 동구 일대 저소득층 대상 연탄나눔 봉사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10월 15일(목) 오후에 대전시 동구 일대에서 “노․사가 함께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을 전개하였다.       □ 이번 봉사활동에는 기정원 임직원 25명이 참여하였으며, 대전시 동구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8개 가구에 2,400장의 연탄을 지원하는 봉사활동으로 추진되었다.      ◦ 대상가구는 (사)따뜻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나눔운동의 추천을 받아 선정하였으며, 가구당 300장씩 연탄을 지원하였다.      ◦ 연탄나눔 기금 재원은 임직원의 성금 및 기정원 방문고객 성금 등을 통해 마련되었다.         □ 이번 연탄나눔 봉사활동은 기정원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나눔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연탄나눔이 지역사회 저소득계층의 따뜻한 겨울나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며, “특히 기정원의 노사가 함께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무이행을 다짐하는 장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 또한 “기정원은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대해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추진하여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사회 만들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기정원은 ‘13년 대전 이전 이래 지역사회 소외계층과 함께하기 위해 아동보육시설, 장애인지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및 외국인지원시설에 대한 봉사 및 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 기정원은 지난해에 이어 연말까지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과 함께하는 기부활동 추진”과 “신생아살리기모자뜨기 캠페인 참여”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27","atchfileNm":"기정원-노사가함께하는사랑의연탄나눔봉사활동추진.hwp","viewCnt":"2955","regDate":"2015-10-15 16:27:51"},{"contentId":"37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혁신, 창조경제의 성공 방정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10","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혁신, 창조경제의 성공 방정식 - 10월 16(금),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 세미나” 개최 -   □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중소기업학회 공동주관으로 더팔래스호텔 서울에서 10월 16일(금) 오후 2시30분부터      ◦ “중소기업 R&D 혁신을 통한 창조경제 구현”이라는 주제로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 세미나를 개최한다.      □ 이번 행사는 창업R&D 및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자리로,      ◦ 대학 및 중소기업인 등 기술혁신 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올바른 지원정책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번 정책세미나 행사는 배종태 교수(KAIST테크노경영대학원)의 ‘중소기업! R&D혁신을 통해 미래를 대비하자’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 △황철주 이사장(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의 ‘R&D기반의 중소기업, 지속성장을 위한 기업가정신, △고영하 회장(한국엔젤투자협회)의 ‘기술창업 활성화 및 사업화 제고’의 주제발표 이후, △(주)하이레벤, ㈜코리아스타텍 등 하이테크 기업의 성공사례 발표 순으로 진행된다.      □ 양봉환 원장(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원천이 확대되어 ‘중소기업 기술혁신이 창조경제의 성공 방정식’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 “이를 위해 중소기업학회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중소기업 기술혁신 기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번 정책세미나 행사는 10월 15일(목) 24시까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참가신청 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16","atchfileNm":"중소기업기술혁신_창조경제의성공방정식.hwp","viewCnt":"2844","regDate":"2015-10-14 13:07:00"},{"contentId":"37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한국경제] 경영혁신플랫폼 30만개 보급 중기 업무효율 높일 것(10월 7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706","contentsKor":"경영혁신플랫폼 30만개 보급…중소기업 업무효율 높일 것   지난 10월 7일 한국경제 신문을 통해 보도된  " 경영혁신플랫폼 30만개 보급…중소기업 업무효율 높일 것"에 대한 인터뷰를 했습니다.   원장님께서는  “이 플랫폼을 보급한 지 1년이 채 안 됐지만 벌써 1만개 회사가 이용하고 있다”며 “이를 340만개 중소기업 중 10%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습니다.      - 일자 : 2015년 10월 7일 (한국경제, 지면 A18면 산업) - 사이트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00663351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210","atchfileNm":"경영혁신플랫폼_30만개_보급…중소기업_업무효율_높일_것.jpg","viewCnt":"3372","regDate":"2015-10-12 13:26:45"},{"contentId":"36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창업초기기업에 투자와 멘토링 연계 R&D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76","contentsKor":"기정원, 창업초기기업에 투자와 멘토링 연계 R&D지원! - 2015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투자연계멘토링 44개 과제 총 80억 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창업기업에 투자와 멘토링이 연계된 기술개발지원을 위해 44개 과제를 선정하여 총 80억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 투자연계멘토링사업은 2012년을 시작으로 2014년까지 총 132개 과제에 235억원이 지원되었다. 2015년에는 1월 공고 이후, 140개 과제가 접수되었으며, 현장·대면평가를 거쳐 총 44개 기업을 선정하였다.   ◦ 신청․접수 이후, 신청기업의 재무현황, 인프라(연구인력, 보유시설 등) 등에 대해 관리기관 및 운영기관에서 현장조사를 실시, 대면평가, 적격투자 이행확인 및 멘토링 협약을 거쳐 최종선정과제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 투자연계멘토링과제는 창업초기기업에게 투자와 멘토링이 연계된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R&D 과제의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창업기업의 지속적인 성장 촉진 및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투자연계멘토링과제는 창업 후 7년 이하이고, 종업원수 50인 이하 또는 매출액 50억원 이하인 중소기업(법인만 해당)이 지원 대상이며, 총 사업비의 90%이내에서 정부출연금 최대 2억원을 최대 1년간 지원한다.      ◦ 또한, 개인투자자, 엔젤클럽 소속 투자자, 개인투자조합, 벤처캐피탈, 기술지주회사 중 하나의 투자자에게 투자계약서 또는 투자의향서를 받은 중소기업(법인만 해당)에 한하며,      ◦ 투자자는 과제당 5천만원 이상을 신주(보통주, 우선주)로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 단, 2015년 중기청 R&D사업 통합공고일 이후 투자계약만 인정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투자연계멘토링  기술개발지원이 창업초기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R&D 수행을 위한 기반이 되어, 창업초기 기업의 생존율을 제고하고 창조경제 성장동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 더불어 “벤처캐피탈의 투자 참여 및 1:1멘토링을 연계한 정부 R&D지원을 통해 기술창업 성공률을 높이는 기술개발 지원을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68","atchfileNm":"기정원_창업초기기업에투자와멘토링연계RnD지원.hwp","viewCnt":"3095","regDate":"2015-09-18 15:25:03"},{"contentId":"36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全 직원 청렴서약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74","contentsKor":"기정원! 全 직원 청렴서약 실시 - 노·사 함께 청렴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 새롭게 다져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9월 16일(수) 대전 본원에서 ‘청렴서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이번 청렴서약식에서는 노-사의 대표가 한자리에 모여 기정원의 임직원으로서 직무수행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처리하고, 청렴한 기관 만들기에 앞장 설 것을 결의하였다.   □ ‘청렴서약식’을 시작으로 기정원 전 직원들은 ‘금품·향응 수수 금지’, ‘알선·청탁 근절’, ‘공정한 직무 수행’, ‘부당한 간섭 배제’ 등을 통해 투명·윤리경영에 적극 동참하고, 위반 시에는 어떠한 처벌이나 불이익도 감수하겠다는 ‘청렴서약서’에 서명했다.   □ 양봉환 원장은 “이번 청렴서약식을 통해 직원들의 청렴 실천에 대한 각오와 결의를 새롭게 다짐하였다”며 “국민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청렴문화 정착에 앞장 서는 기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앞으로도 기정원은 ‘기관장 청렴서한 발송’, ‘한가위 선물 안주고 안받기 운동’ 등을 통해 기관의 청렴 의지를 전파하고, 실천에 옮길 예정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64","atchfileNm":"기정원!_全_직원_청렴서약_실시.hwp","viewCnt":"2939","regDate":"2015-09-16 17:24:28"},{"contentId":"36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감설명자료] 「기정원, 中企 R&D지원 부실덩어리」 기사 설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71","contentsKor":"[국감설명자료] 「기정원, 中企 R&D지원 부실덩어리」 기사 설명   □ 국회산업위원회 위원실에서 배포한 보도 자료에 따라 보도된 기사(’15.9.14)에서 기술정보진흥원(약칭 “기정원”)이 수행한 것으로 언급된 사항은 사실과 다르기에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① R&D 과제 기술요약정보 NTIS 부실 등록        ② 창업기획사에 1.6억원 부당 집행        ③ 허위서류 제출로 인해 573백만원 부당 집행        ④ 연구장비․재료비 부당 전용(65백만원)    □ 위 사항은 감사원 감사결과 발표내용*으로서 기정원에 대한 지적사항이 아니라, 타 기관에 대한 지적사항임          * 감사원,「중소기업 R&D지원실태 감사결과」발표(감사원 보도자료, ‘15.8.6)      ① (NTIS 부실 등록)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대한 지적 사항 : 별첨참조 (감사원 보도자료 3p)      ② (창업기획사에 1.6억원 부당 집행)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 대한 지적사항 : 감사원 보도자료 3p 참조      ③ (허위서류 제출로 부당 집행) 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 대한 지적사항 : 감사원 보도자료 3p 참조      ④ (연구장비․재료비 부당 전용) 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 대한 지적사항 : 감사보고서 본문 82p 참조(감사원 홈페이지 게시)    □ 기정원과 산업기술평가관리원(약칭 “산기평”)의 관계      ◦ 기정원과 산기평은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지원사업의 평가관리전문기관이었으나,         -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기능조정(‘14.12.23)에 따라 산기평이 수행하던 R&D사업을 기정원으로 모두 이관('15.2.1. 기능이관 완료)      ◦ 기정원은 위 ③항 및 ④항의 부당집행액에 대해 전액 환수조치 및 해당업체에 대한 향후 R&D사업 참여제한(5년) 조치를 시행했음      □ 기정원은 위와 같은 사례의 재발방지를 위해,   ◦ 업무 담당자 교육 및 과제관리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연구비 부당 전용을 원천 차단하는 등 철저한 사업관리에 만전을 기하겠음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66","atchfileNm":"별첨_(20150806)감사원_보도자료(중소기업RD지원실태).hwp","viewCnt":"3188","regDate":"2015-09-16 11:21:04"},{"contentId":"36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5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70","contentsKor":"기정원,‘2015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운영 - 9월15일(화)부터, R&D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단계별 교육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평가 역량 강화를 위해 “2015년 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9월15일(화) ~ 10월 3일(토)까지 실시한다.      ◦ 올해로 4번째 평가위원 교육을 진행하는 기정원은 평가위원들의 폭넓은 참여를 위해 지난해보다 세분화된 과정으로 평가위원 교육을 운영할 예정이다.           * 2014년 2단계 과정으로 총 204명의 평가위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음      ◦ 기정원은 평가위원 역량강화를 위해 총 3단계의 교육을 개설·운영하며 각 과정별로 1, 2차에 나누어 총 400명(예정)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다.           * 교육신청․접수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      □ 본 교육과정은 신규평가위원을 위한 기본 강의에서부터 사업성 평가역량 강화를 위한 특화 과정까지 단계별로 구성되어 있다.      ◦ 신규 평가위원을 위한 평가위원 역량강화연수는 신규위원의 평가 실무능력 함양을 통한 평가품질 제고를 위해 진행되며, R&D사업 평가기법, 지표 해설 등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된다.      ◦ 우수평가위원 확충을 위한 평가위원 심층연수는 평가제도 및 평가운영 전반에 대한 이해를 보유한 우수위원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며, 문제과제처리, 평가위원장 역할 등에 대한 심층교육을 운영할 예정이다.      ◦ 마지막 사업성 평가특화연수는 사업성평가가 가능한 평가위원을 양성하기 위한 과정이며, 사업성 평가를 위한 이론, 실무교육, 최신기술트렌드 세미나 및 모의평가를 통해 사업성 평가 중점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2015평가위원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 일정 > 과정명 구분 일시 장소 신규 교육 1차 ’15.09.15(화) 13:30 ∼ 17:30 대전 도룡동 본원 2차 ’15.09.22(화) 13:30 ∼ 17:30 대전 도룡동 본원 심층 교육 1차 ’15.9.23(수) 13:30 ∼ 17:30 대전 도룡동 본원 2차 ’15.9.24(목) 09:30 ∼ 15:30 대전 도룡동 본원 특화 교육 1차 ’15.9.17(목) 10:00 ~ ‘15.9.19(토) 16:00 중소기업연수원(안산) 2차 ’15.10.1(목) 10:00 ~‘15.10.3(토) 16:00 중소기업연수원(안산)      * 특화교육은 2박3일 합숙교육으로 진행      □ 기정원은 이번 교육과정을 이수한 평가위원을 ‘15년 하반기부터 선정평가위원 및 사업성 평가위원으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평가위원 역량강화 교육이 평가위원의 사업성평가 역량 강화에 기여하여 기술개발 성공과 사업화 성공간 간극을 해소하고 R&D투자의 효율성 제고하기를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기정원은 지속적으로 평가위원의 사업성평가 역량을 강화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이번 교육은 9월 23일(수)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접수할 수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61","atchfileNm":"기정원_2015년평가위원등급별맞춤형교육과정운영.hwp","viewCnt":"2893","regDate":"2015-09-15 09:29:24"},{"contentId":"36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2015년 1인창조기업과제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56","contentsKor":"기정원, ‘2015년 1인창조기업과제 협약설명회’ 개최 - 9월1일(화), 157개 기업을 대상으로 청렴선언식 및 협약 안내 실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9월1일(화) 오후 2시 통계교육원 대강당(대전)에서 2015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1인창조기업 과제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한다.      ◦ 1인창조기업 과제는 신기술·신제품 개발이 가능한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1인 창조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 1월 20일 공고 이후, 4월 17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157개 기업을 선정하여 100억원을 지원한다.      □ 본 설명회에서는 1인창조기업 과제에 선정된 157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안내 사항을 다룬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이행보증보험증권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투명한 R&D사업 수행을 위해 연구비 부정사용 등 실패사례를 포함한 청렴 선언식 및 윤리경영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울러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여 과제수행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설명회가 과제 수행자들에게 윤리경영과 성공적인 R&D 수행을 통해 미래 국가 경제 발전의 기반이 되길 바란다”며 “기정원도 1인 창조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42","atchfileNm":"기정원_2015년1인창조기업과제협약설명회개최.hwp","viewCnt":"2770","regDate":"2015-08-31 18:23:06"},{"contentId":"36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융․복합형 신제품 개발에 204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34","contentsKor":"기정원, 융․복합형 신제품 개발에 204억원 지원! - 2015년 융복합 기술개발사업 상반기 84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과 연구기관 또는 중소기업 간 공동 기술개발을 통해 융·복합형 신제품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84개 과제를 선정하고 204억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은 2003년 시작하여 2014년까지 총 1,480개 과제에 3,066억원이 지원되었다.         - 2011년 기술환경이 융․복합화 기술로 급변하고, 의료, 에너지, 환경 등이 미래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기술이 부상함에 따라 능동적 대응으로 위해 융복합 기술개발사업으로 개편되었다.      ◦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벤처기업, 기업 부설연구소 보유기업이 지원대상이며, 2015년 3월 공고 후 현장․대면평가를 거쳐 총 84개의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과의 공동기술개발을 통하여 異種기술간 융합기술의 창의적 신기술·신제품·신시장 창출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뉘어 지원하고 있다.      ◦ ‘융합 전략과제’는 지정공모방식으로 기술수요조사, 연구용역 등을 통해 발굴된 융복합 과제에 대해 R&D 협력체간 공동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시장의 기술발전 추이 등을 고려한 중소기업의 기술 융․복합 역량 강화 및 기술력 향상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 ‘현장기획과제’는 자유공모 방식으로 “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를 통해 발굴․기획된 융합기술 분야의 과제를 지원한다. 개발 필요성이 있는 아이디어는 있으나, 기획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역량 및 사업화 촉진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 “노바테크(주)는 2009년 동 사업의 지원을 받아 2011년 친환경 고품질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동 기술개발은 아몰레이드 패널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수요 증가와 더불어 기업을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기반으로 만들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 Glass Slimming 기술을 보유한 “노바테크”와 디스플레이 패널 장비업체인 “엠엠테크”와 공동으로 기존의 슬리밍 방식과 차별화되는 고품질의 생산성이 대폭 향상된 친환경 슬리밍 장비를 국내 최초 개발하였다.   ◦ 첨단 공정 개발을 통해 “노바테크”는 기존대비 10배 이상의 생산성을 확보하였으며, 현재 35건의 특허등록, 30건의 특허출원 중(해외특허 출원 6건 포함)이다. 현재 세계 유일의 AMOLED Panel 제조업체인 S사에 납품중이다.       □ 기정원은 융복합 기술개발 수행 기업들에 대해 사업 수행에 필요한 제반 사항, 투명한 R&D 자금 집행, R&D 추진기업 윤리의식 고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설명회을 개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동 사업을 통해 개발된 융합기술들이 국가경제 발전의 핵심역할을 수행하고, 강소형 중소기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 고 말했다.       ◦ 더불어 “융복합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이 원활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며, 나아가 차세대 동력사업인 융복합 기술개발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21","atchfileNm":"기정원_융복합형신제품개발에_204원지원.hwp","viewCnt":"2972","regDate":"2015-08-27 10:28:43"},{"contentId":"36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33","contentsKor":"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 - 8월 25(화), “중소기업 융복합 정책세미나” 성황리에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은 8월 25일(화) 대전 롯데시티호텔에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이라는 주제로 중소기업 융․복합 정책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해 관심을 끌었다.      ◦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 융복합 R&D 정책 현안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올바른 정책방향과 대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된 자리로, 많은 중소기업인과 대학 및 연구소 전문가들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 기조강연에서 이홍 교수(광운대)는 “융합의 적은 좁은 업(業)의 정의에서 비롯된다”며 “창조경제 시대의 성공적 기술 융복합를 위해서는 시장 니즈 중심적 사고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 제2부 사례발표에는 ㈜셀인바이오의 이동희 대표, ㈜비젼테크의 이호석 대표, ㈜엔트리움의 정세영 대표가 기술융합을 통한 창업 및 사업화 성공전략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 제3부 정책토론에는 홍재범 교수(좌장, 광운대)를 비롯하여, 산학연 전문가 6인의 패널과 함께 중소기업 기술융복합 R&D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 이번 행사를 통해 중기청 관계자는, “융복합 아이템 발굴 및 사업화, 공동기술개발 파트너 연계 등에 기업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 “장벽을 해소하여 융복합 R&D가 활성화 되고, 사업화 성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융합을 통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시장진출은 한국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다”라며,      ◦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을 시장창출 중심으로 전환하여, 창의력을 기반으로 아이디어와 다양한 기술 간의 융합 R&D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보다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할 것이다”고 뜻을 밝혔다.      □ 중기청 최철안 생산기술국장은 “작년 12월 기정원이 중소기업 R&D 지원 전문기관으로 일원화 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도 중소기업 R&D정책에 대해 종합적인 기획력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시점”이라며,      ◦ “앞으로도 오늘과 같은 자리를 통해 많은 산학연 전문가분들과 기업인들을 한 자리에 모시고, 중소기업 R&D 정책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또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자리가 계속해서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라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20","atchfileNm":"창조경제_실현을_위한_중소기업_융합_비즈니스_전략.hwp","viewCnt":"3175","regDate":"2015-08-26 13:56:24"},{"contentId":"36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3,000여 인쇄조합 회원사에 플랫폼 제공","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30","contentsKor":"기정원, 3,000여 인쇄조합 회원사에 플랫폼 제공 - 인쇄 표준원가관리 서비스 개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8월 24일 대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연합회(회장 고수곤, 이하 인쇄조합)의 회원사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인쇄 표준원가관리 시스템은 인쇄물의 단가에 대한 표준공식 적용을 통해 견적을 산출하는 기능으로,      ◦ 기존에는 회원사에서 견적 계산부터 견적서 발급까지의 업무과정을 직접 수기로 작성하였으나 인쇄 표준원가관리 서비스 제공을 통한 업무 자동화로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 견적을 산출하는 방식도 회원사 마다 차이가 있었으나, 일원화된 견적 기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정한 시장 분위기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지난달 29일 「종이인쇄산업위원회」에서 발표된 종이인쇄산업 동향에 따르면, 국내 인쇄산업의 생산기반 약화 원인으로 산업변화에 대한 대응능력 부재 등을 꼽았다. ◦ 그러나 솔루션 제공으로 회원사 업무의 자동화 및 표준화로 인력생산성이 향상되어 산업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기정원은 이용자의 업무편의 도모를 위해 컨택센터를 통해 문의· 불편사항 접수 및 1:1 원격 사용교육 등을 지원하며,      ◦ 협회 실무자와 회원사를 대상으로 사용 매뉴얼을 배포하고, 활용교육 지원을 통해 사용자의 솔루션 이해도를 제고할 계획이다.      □ 인쇄조합 회원사의 한 관계자는      ◦ “견적서 산출 시 인쇄물의 크기, 용지 등 기준정보에 따른 경우의 수가 많아 산출방식이 복잡하였는데 인쇄 표준원가관리 시스템 이용을 통해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 인쇄 표준원가관리 솔루션 이용을 통해 인쇄산업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이용자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경영혁신플랫폼구축사업은 중소기업 및 단체 회원사가 공동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 2014년 6월 서비스 오픈 이후 21개 단체, 총 10,238개 기업(‘15년 7월말 기준)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으며, 2015년 2월 7개 단체를 선정하여 특화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15","atchfileNm":"기정원,_3,000여_인쇄조합_회원사에_플랫폼_제공.hwp","viewCnt":"2994","regDate":"2015-08-24 14:21:50"},{"contentId":"36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매일경제 TV] 경세제민 촉, 중소기업 기술력 현황 관련 원장님 인터뷰(8월 13일 방송)","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22","contentsKor":"[매일경제TV] 경세제민 촉, 중소기업 기술력 현황 관련 원장님 인터뷰(8월13일 방송)   지난 8월 13일 매일경제 TV를 통해 보도된 “경제제민 촉”에 우리원의 원장님께서 출연해서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력 현황에 대한 인터뷰를 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원장님께서는 “최근 산업기술평가원과 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학인협회가 하나로 통합된 덕분에 중소기업이 쉽게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고 말한다. 또한 국내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 대비 75% 정도며 앞으로 9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라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 프로그램 : 경세제민, 촉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  - 방송일자 : 2015년 8월 13일  - 사이트  : http://mbnmoney.mbn.co.kr/program/vod/?program_no=1000018&menu_no=192  ","viewCnt":"3038","regDate":"2015-08-19 18:27:42"},{"contentId":"36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21","contentsKor":"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 - 8월 25(화), “중소기업 융복합 정책세미나” 개최 -   □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중소기업융합중앙회·중소기업융합학회 공동주관으로 8월 25일(화) 대전 롯데시티호텔에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중소기업 융합 비즈니스 전략”이라는 주제로 중소기업 융․복합 정책세미나를 개최한다.      ◦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 대학 연구소의 다양한 전문가를 초청하여 중소기업 R&D정책 현안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올바른 정책방향과 대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된 자리이다.      ◦ 이번 정책세미나 행사는 이홍 교수(광운대)의 ‘창조경제 시대의 성공적 융복합을 위한 기술개발 전략’, 이명호 이사(창조경제연구회)의 ‘융합시대의 메타 기술트렌드’ 기조강연(제1부)을 시작으로,      ◦ 기술융합을 통한 창업 및 사업화 기업의 성공사례 발표(제2부), 중소기업 기술융복합 R&D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산학연 전문가 6인의 정책토론(제3부) 순으로 진행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R&D지원의 올바른 정책방향과 대안을 토론함으로써 융복합 R&D를 활성화하고, 중소기업이 창의력을 기반으로 아이디어와 다양한 기술 간의 융합을 통해 보다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 “앞으로도 현장 중심적인 R&D지원을 위하여 중소기업들이 관심 있어 하는 핵심 이슈를 주제로 중소기업 R&D 정책세미나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번 정책세미나 행사는 8월 24일(월)까지 기정원 홈페이지(www.tipa.or.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참가신청 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107","atchfileNm":"창조경제_실현을_위한_중소기업_융합_비즈니스_전략.hwp","viewCnt":"2594","regDate":"2015-08-19 16:50:15"},{"contentId":"36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이공계 창업 꿈나무 지원에 50억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16","contentsKor":"기정원, 이공계 창업 꿈나무 지원에 50억 지원! - 이공계 창업 꿈나무 창업팀, 청년캠프(8월17일`~19일)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이공계 창업 꿈나무 지원을 위해 108개 과제에 50억을 지원한다고 8월 13일 발표했다.       ◦ 이공계 창업 꿈나무 지원은 창업 생태계 촉진을 위해 2014년부터 시작한 사업으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제시한 예비창업팀인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기술개발 자금 뿐 아니라 기술개발, 창업 및 경영 등에 대한 체계적인 멘토링 등을 지원하는 청년 기술창업 활성화 지원사업이다.           * ‘이공계 창업 꿈나무 과제’는 중소기업청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세부과제임      ◦ ‘이공계 창업 꿈나무 과제’가 여타 정부의 R&D지원사업과 구별되는 특징은 대학에 재학중인 이공계 대학(원)생이 과제책임자가 되어 창업팀(이공계 전공자, 타분야 재학․졸업생 등으로 구성된 2인 이상)을 구성하여 추진한다는 점이다.      ◦ 2015년 5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신청접수를 거쳐, 온라인클린평가를 통해 총 108개의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기정원은 선정된 108개 이공계 창업 꿈나무 지원사업의 창업팀을 대상으로 창업동기 고취를 위해 8월 17일(월)~8월 19일(수)까지 ‘2015년 이공계창업꿈나무 청년캠프’(영종스카이리조트)를 개최할 예정이다.      ◦ 청년캠프는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관련 정부지원제도 안내, 사업계획서 작성, 투자이해 및 유치 교육, 투자자와 1:10상담회 개최, 성공 창업가 및 투자자 특강 등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 한편, 기정원은 7월 27일~28일 이틀간 총 166명이 참여하는 가운데, 2015년 이공계창업꿈나무과제에 선정된 창업팀을 대상으로 한 R&D 교육 및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협약설명회는 청렴한 R&D 선언식을 시작으로 윤리경영교육 및 R&D 교육으로 진행하였으며,      ◦ 사업추진체계,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사용 등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 설명을 1:1 멘토링으로 진행하였다.      □ 기정원은 선정된 108개 이공계 창업 꿈나무 과제 수행자들이 투명한 R&D자금 집행과 함께 원활히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 사업이 창조경제에 부합하여 지속성장 가능한 청년예비창업자와 스타트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며,      ◦ “기정원도 이공계 창업 꿈나무들의 지속적인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창업생태계 활성화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92","atchfileNm":"기정원,_이공계_창업_꿈나무_지원에_50억_지원!.hwp","viewCnt":"3039","regDate":"2015-08-12 17:55:15"},{"contentId":"36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미래에 드리운 어두운 그림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605","contentsKor":"[경제프리즘] 미래에 드리운 어두운 그림자     얼마 뒤면 우리는 광복 70주년을 맞는다. 지난 세기 초에 우리는 주권을 잃고 식민의 치욕을 겪었다.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난도질당하고, 귀중한 인명과 재산을 빼앗겼다. 꽃 같은 젊음이 강제징병과 전장의 성 노예로 유린당했다.   이러한 암울한 상황에서도 우리 선열들은 희망을 잃지 않고 피나는 투쟁과 노력으로 광복의 기쁨을 이루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한발 나아가 산업화와 민주화의 기적을 만들어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우리와 같은 성취를 이룬 나라를 찾아보기 어려운 점에서 우리는 충분히 자부심을 느껴도 좋다.   이러한 경험과 자부심을 바탕으로 미래로 힘차게 뻗어가야 하는데 우리 사회의 모습은 그렇지 않다. 작은 충격에도 나라가 흔들리고, 지역감정이나 양극화 심화 등 우리 사회가 오랜 문제는 치유되지 않고 있다. 이런 것에 더하여 우리 사회를 위협하고 있고, 시급히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이는 걸림돌을 몇 가지 지적하여 보이고자 한다. 먼저 경제활동의 성과배분이 적정한지를 한번 돌아봐야 할 시점이다. 대부분의 우리 중소기업은 빈사의 상태에 있고, 소수 대기업에 이익이 집중되고 있다. 대기업이 거두는 이익이 모두 그들이 생산해낸 성과일까에 대해 의문이다.   과거 대기업들은 우리 사회에 기술과 인재의 공급원이었고, 시장을 조성하는데 큰 이바지를 했었고, 지금도 일정 부분 그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중소기업이 애써 개발한 기술과 인재를 경력채용과 경영지도라는 허울 좋은 명목으로 탈취해가는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중소기업이 피땀 흘려 일궈놓은 부가가치와 시장을 우월한 자본과 규모의 힘으로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닐지 재고해 보아야 한다. 다음으로 주목해 보아야 할 점은 약간의 향응에 국익을 파는 매국적 행위다. 지난 60년간에 우리가 이룩해온 경제성장은 그야말로 피땀과 눈물로 달성한 것이다. 그렇게 이룩하고 축적해온 가치들을 너무도 허술하게 넘겨주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몇 푼 술값을 받고 선박의 설계도를 넘겨준다 한다.   수천억을 들여 개발한 차량이나 가전제품의 기술을 채용 조건으로 자료들이 유출된다. 국방의 강성이 군사기밀을 누설하고 독립투사의 후손이 손을 보탰다 하니 할 말을 잃게 한다. 이처럼 개인의 이익을 얻으려고 우리 국민 전체의 이익을 외국에 파는 매국행위와 전혀 다르지 않다. 끝으로 우리 사회의 일부 영역에서 일어나는 이익세습과 불로소득에 집착하는 현상이다. 노동자 신분을 세습하겠다고 단체협약으로 자녀의 우선채용을 요구하는 노조가 있다. 가장 도덕적이어야 할 성직이 매매되고 심지어 부자간에 대를 이어 세습한다.   어떤 이들은 건물과 토지등 먼저 차지했다는 점만으로 이익배분의 혜택을 누린다. 이처럼 우리 사회가 개인의 능력과 노력의 결과보다는 부모의 후광으로 사회진출이 정해지고 이익배분의 수혜를 누린다면 신분제 중세사회로 후퇴하는 길을 가는 것이다.   정말로 우리 사회가 그러한 방향으로 간다면 우리의 미래는 점차 희망과 멀어지게 될 것이다. 그래도 우리 국민은 이런 어두운 문제를 해결하고 밝은 미래로 달려갈 것으로 믿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85","atchfileNm":")2015.08.05)_[경기일보]_미래에_드리운_어두운_그림자.pdf","viewCnt":"3037","regDate":"2015-08-05 10:48:58"},{"contentId":"35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4,500여 가스판매기업에 맞춤형 플랫폼 제공","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98","contentsKor":"기정원, 4,500여 가스판매기업에 맞춤형 플랫폼 제공 - 가스판매솔루션 서비스 개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7월29일부터 가스판매솔루션이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 가스판매솔루션은 가스판매기업(4,566개 기업)이 LP가스 거래내역을 한국LP가스판매협회중앙회(회장 김임용, 이하 가스판매중앙회)에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 기존에는 가스판매기업이 한국가스안전공사(사장 박기동) LPG거래상황관리시스템을 통해 거래상황을 보고하고, 판매관리 등 경영관리는  경영혁신플랫폼 가스판매솔루션을 이용하여 업무가 이원화 되어있었으나      ◦ 이번 서비스 오픈으로 가스판매솔루션에서 경영관리와 거래상황 보고를 동시에 할 수 있어 업무처리 일원화의 기반이 마련된다.         *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시행규칙(입법예고) 개정으로 가스판매중앙회가 보고업무 대행      □ 기정원은 경영혁신플랫폼 컨택센터(☎1644-1736)를 통해 보고업무 이관에 따른 사전안내 및 이용방법에 대한 상담을 제공하여 이용자의 업무편의를 도모하고, ◦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이관받아 회원사에서 기존의 보고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으며,      ◦ 서비스 개시 후 협회 실무자와 회원사를 대상으로 사용매뉴얼을 배포하고, 전산실습교육을 진행하여 사용자의 솔루션 이해도를 제고할 계획이다.      □ 가스판매중앙회 회원사의 한 관계자는 . ◦ “그동안 경영혁신플랫폼의 가스판매솔루션을 통해 판매관리를 해왔기 때문에 거래상황기록보고 기능이 추가되면 업무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 “가스판매솔루션의 기존 기능*과 거래상황기록부의 연계를 통해 회원사의 업무효율성이 향상되기를 기대하며, 기정원에서는 솔루션 사용을 위한 운영 및 교육 등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판매관리, 체적관리, 재고관리, 거래처 관리 등      □ 경영혁신플랫폼구축사업은 중소기업 및 단체 회원사가 공동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 2014년 6월 서비스 오픈 이후 21개 단체, 총 10,132개 기업(‘15년 6월말 기준)에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7개 단체를 선정하여 특화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67","atchfileNm":"기정원,_4,500여_가스판매기업에_맞춤형_플랫폼_제공.hwp","viewCnt":"2911","regDate":"2015-07-28 15:43:18"},{"contentId":"35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사물인터넷 분야 제품개발에 26억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93","contentsKor":"기정원, 사물인터넷 분야 제품개발에 26억 지원 - 창의적모바일 제품개발사업 21개 과제 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양봉환 원장, 이하 기정원)은 사물인터넷 분야의 신기술개발을 위해 창의적 모바일 제품개발에 21개 과제를 선정하여 26억원을 지원한다고 7월 22일 발표했다.       ◦ 창의적 모바일 제품개발 지원은 2014년부터 시작한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으로 차세대 성장동력인 모바일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분야의 우위 선점 및 고부가가치형 강소기업 육성을 목표로 한다.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한다.      ◦ 창의적모바일 제품개발 지원사업은 모바일 제품을 개발하는 중소기업이 대상이며, 금년 2월 공고 이후 541개 아이디어 제안서에 대한 심사 및 현장․대면평가를 거쳐 총 21개의 지원과제를 선정하였다.      □ 동 사업에서 2014년 지원되어 현재 개발 완료단계에 있는 “애니랙티브”와 “(주)유니온커뮤니티”(2014년 지원과제)의 경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5(MWC 2015)에 출품하여 해외 진출에 성공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 모바일 전자칠판 솔루션 개발사인 “애니랙티브”는 글로벌 휴대폰 제조사에서 샘플 1,000여개(1억원 규모)를 요청받았으며, 5건의 제품설치와 파트너십 체결(가계약), 해외 통신사 및 글로벌 유통사로부터 사업 제휴 요청을 받고 있다.      ◦ 지문인식 전용 스마트폰 케이스 개발사인 “유니온커뮤니티”는 초슬림(Super Slim) 광학설계의 지문인식 기술을 채용해 스마트폰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교체 가능한 케이스를 개발, 국내특허등록 완료 3건, 특허등록 진행중 7건(국제 4건, 국내 3건), 250개 샘플 판매, 40개국과 제품판매 협의가 진행 중이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줄여서 MWC)는 매년 2월에서 3월 중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모바일 산업 및 콘퍼런스를 위한 세계 최대의 박람회이다. MWC 2015는 지난 3월에 개최되었다.        □ 기정원은 협약체결이 완료된 21개 창의적 모바일 제품개발 기업들에 대해 사업 수행에 필요한 제반 사항, 투명한 R&D 자금 집행, R&D 추진기업 윤리의식 고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사업이 신제품·신시장 창출 및 고부가가치화로 모바일 전문기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며,      ◦ 더불어 “창의적 모바일 제품개발 자금을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의 원활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며, 나아가 차세대 성장동력인 모바일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분야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58","atchfileNm":"기정원,_사물인터넷_분야_제품개발에_26억_지원.hwp","viewCnt":"2937","regDate":"2015-07-22 14:24:32"},{"contentId":"35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청렴문화 확산 활동 본격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77","contentsKor":"기정원! 청렴문화 확산 활동 본격 실시 -‘R&D연구비 집행 투명성 강화’위한 설명회를 시작으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7월 10일(금) 대덕테크비즈센터에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에 선정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R&D연구비 집행 투명성 강화’를 위한 설명회를 실시했다.   ○ 이번 설명회는 기정원이 추진하고 있는 청렴문화 확산 활동의 하나로, 국가연구비 부정사용 실제 사례와 이에 대한 제재 규정, 부정행위 신고방법 등을 기업들에게 안내하였으며,   ○ 이를 통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국가 지원금 관련 부정사용에 대한 기업들의 경각심을 높이고, 정부지원금의 집행 투명성을 강화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를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그간, 기정원은 부패행위자 처벌규정 강화, 부조리 익명신고 창구 도입 등 ‘청렴인프라 구축’ 활동부터 직원 및 직무 특성별 맞춤형 청렴교육 등 ‘직원인식 개선’ 활동까지 기관 윤리경영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전사적인 노력을 꾸준히 해왔다.   □ 앞으로도 기정원은 중소기업R&D지원사업에 선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R&D연구비 집행 투명성 강화’ 설명회를 계속하는 한편, 외부 고객에게 청렴의지를 전파하는 ‘청렴거부 안내문 게시’ 및 ‘선물 안주고 안받기 운동’ 등 청렴문화 확산 활동을 실시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29","atchfileNm":"기정원!_청렴문화_확산_활동_본격_실시.hwp","viewCnt":"2919","regDate":"2015-07-10 09:06:36"},{"contentId":"35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R&D 파트너로 재도약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74","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R&D 파트너로 재도약 ! - 新비전 및 경영목표를 제시, 중소기업 R&D지원 전담기관 역할 정립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정부의 중소기업 R&D분야 공공기관 기능조정에 따라 중소기업 R&D지원 전담기관으로서 새로운 비전을 마련 중이라고 발표하였음      ○ 기정원은 중소기업분야의 공공기관 기능조정에 따라 업무 인수인계 절차를 일단락하고, ’15. 3월부터 중소기업 R&D지원 전담기관으로서 이관 받은 사업을 포함하여 안정적으로 업무를 수행중임      ○ 기관의 확대된 기능 및 역할 변화에 맞추어,“중소기업의 도전을 성공으로 연결하는 R&D 파트너”를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         - 새로운 비전은, 중소기업이 R&D라는 ‘도전’을 통해 기술경쟁력 강화, 사업화 성과라는‘성공’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기정원의 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 중소기업이 R&D를 통해 단계별 성장 사다리를 거쳐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협력’하는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임을 천명한 것임      ○ 기정원은 새로운 비전에 맞추어,         - 중소기업 기술수준 세계최고 대비 90%, R&D 사업화 성공률 60%, 중소기업형 R&D지원 모델 구현, 고객만족 우수등급 획득 등 구체적인 경영목표를 새로이 제시하고    -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혁신수준별 기술경쟁력 강화, 기술사업화 성과 제고, 기술혁신 지원체계 선진화, 지속발전을 위한 성장동력 강화’를 4개 전략목표로 설정하였음           * 경영목표-전략목표-전략과제 등 체계도는 [참고 1] 참조      □ 기정원은 지난 1년 동안 중소기업 R&D지원기관으로써 전문성을 강화하고 중소기업 R&D 지원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전방위 혁신활동을 추진한 결과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성과를 높이고 고객지향적인 R&D 서비스 제공을 위해 ’14년 7월부터 평가서비스 국제품질인증을 추진해왔으며          - 중소기업 R&D지원을 위한 기획·평가·관리 전 부문과 기정원이 제공하는 공공 서비스 전반에 대해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국제인증‘을 ’15년 6월 26일 획득하였음             * ISO 9001 인증개요 및 진행경과는 [참고 2] 참조          -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해 과제 발굴부터 기술사업화 지원에 이르기까지 R&D 평가관리 서비스를 체계화하여 명실상부한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써 전문성을 갖추게 되었음      ◦ ’14년 6월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경영혁신플랫폼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1년 만에 1만개 중소기업이 가입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          - 기정원은 운영인력부족, 유지보수부담으로 정보화에 열악한 중소기업들이 플랫폼 기반의 IT환경을 활용하여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13년부터 사업 추진을 준비하여          - ’15년 6월말 기준, 10,132개 중소기업이 동 서비스를 통해 업종별 특화 업무 및 경영활동에 필요한 업무(금융, 세금, 매출, 영업)에 대해 IT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음          - 향후에 신규 창업한 중소기업에게 적합한 정보시스템을 개발․보급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이며, 장기적으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소상공인 등 정보화 취약계층까지 확대하고자 함      ◦ 이러한 노력의 결과가 반영되어 기획재정부에서 주관한 ‘2014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에서 최근 2년간 등급보다 한 단계 상승한 양호(B) 등급을 달성          - 이 같은 성과는 지난해 R&D 지원업무 분야에서 성과 중심의 사업관리 추진에 따른 경영실적 개선과 공공기관 정상화를 비롯한 정부 정책에 적극 부응한 것이 주효          - 또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및 청렴도 평가에서도 모두 1 등급씩 상승하여 경영활동 전반에 걸쳐 개선이 나타나고 있음           *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 (’13) 보통, 83.5점 → (’14)양호, 86.5점        공공기관 청렴도 : (’13) 4등급 → (’14) 3등급      □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 2015년 하반기 주요 추진방향을 제시      ◦ 중소기업 R&D지원 정책 대안 제시를 위한 기획 및 연구 활동을 적극 추진          - 중소기업 R&D 지원제도 및 평가관리절차 등 제도 전반에 대해 고객 관점에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R&D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대안을 마련하여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며          - 정책수요자의 의견수렴을 통한 내실 있는 중소기업 R&D 지원정책 발굴을 위해 산업, 학계, 연구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책연구회를 운영하고, 기술혁신 세미나 및 포럼을 개최      ◦ R&D 관리 및 평가의 전문성과 역량강화를 위해          - R&D과제의 사업성 평가역량 제고를 위해 사업성 평가기법 중심의 전문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여 R&D과제 평가위원의 전문성과 역량을 강화하고          - 해외 우수사례(이스라엘 R&D 평가방식)을 벤치마킹하여 기술성, 사업성 평가역량이 우수한 전문가를 확보하고 활용함으로써 평가 품질을 지속적으로 제고할 예정          - 중소기업 R&D 사업의 통합으로 평가관리업무가 대폭 확대되고 인력이 증가함에 따라 평가관리 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교육을 강화할 계획      ◦ 기술개발 이후 R&D 사업화 성과제고 및 성과확산을 위해          - 자발적인 사업화 추진을 유도하고 연구자율성 제고를 위해 사업화 성과공유계약제, 성과지향형 후불형 R&D지원, 시장상황을 고려한 무빙타겟제 등 R&D지원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 R&D 성공기업의 사업화지원을 위해 민간 금융기관과의 업무협약을 확대하여 기술개발 이후 사업화자금 연계지원을 강화할 계획임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정부의 중소기업 R&D 전담기관 일원화방침(‘14.12)에 따라 기정원은 ‘15.3월까지 타 기관에서 수행하던 중소기업 R&D 사업의 이관을 완료하고 현재까지 차질 없이 안정적으로 평가관리를 수행해 오고 있다”며   ◦ “기정원은 확대된 조직 기능 및 역할에 걸맞게 비전과 경영목표를 새로이 수립하고,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해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더욱 노력을 경주할 예정이다“고 밝혔음","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32","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_RD_파트너로_재도약_!.hwp","viewCnt":"3197","regDate":"2015-07-08 17:31:20"},{"contentId":"35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메르스’ 사태가 알려준 우리 사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71","contentsKor":"[경제프리즘] ‘메르스’ 사태가 알려준 우리 사회     지난 5월부터 시작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이제 끝나가는 듯싶다. 마치 회오리바람처럼 어느 날 갑자기 우리에게 다가왔다가 서서히 모습을 감추고 있다. 메르스는 물러가면 그만이지만, 메르스가 우리에게 남긴 영향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차분히 돌아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한마음으로 염원해온 선진국에 도달한 듯이 보인다. 민주주의를 성취하고 산업화를 달성하였으며, 소득이나 교육, 의료 등을 비교해보면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그러나 외부와 내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만나면 여지없이 허약한 부분을 드러내곤 한다. 지난해 초 경주의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와 우리 사회를 한없이 슬프게 한 세월호 사태가 그렇고, 이번에 닥친 메르스 사태도 그렇다. 세계 최고층 건물을 지은 우리나라에서 리조트 건물이 붕괴하여 대학생이 죽는 어이없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까? 세계에서 가장 앞선 조선기술을 가진 우리나라에서 낙후된 배의 전복으로 수학여행을 떠난 수많은 어린 학생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사고는 무어라 할 것인가?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체계를 갖추어 수출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는 의료산업이 메르스라는 복병을 만나자 허약한 체질을 여지없이 드러낸 것은 또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모두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들이다. 먼저 이번에 메르스가 우리에게 알려준 것은 우리들의 의식이 허약함이다. 메르스는 알고 보면 매년 우리를 지나치는 독감의 일종에 불과하다. 그런데 마치 전쟁이나 닥친 것처럼 국가 전체가 어찌할 줄을 모르고 허둥대었다. 마스크가 동나고, 방송과 신문은 중계방송하듯 떠들었다. 당국조차 무엇을 먼저 해야 할지 갈피를 잃은 듯했다.   인구 1천만도 안 되는 홍콩에서 독감으로 같은 기간에 60명이 넘게 죽었다 한다. 인구 5천만인 우리는 300명이 아니라 10분의 1도 안 되는 30여 명인데 나라가 어찌 되는 양 이렇게 호들갑을 떠는 것이 당최 이해가 안 된다. 다음 사회적인 측면을 보면 우리 사회가 외부 충격에 얼마나 취약한지 여실히 드러난다. 메르스 독감이 우리 사회에 다가오자 위험을 사회에 알리는 취지로 언론은 연일 대서특필하였다. 그러자 영향은 엉뚱한 곳에서 나타났다.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오는 관광객이 급격히 줄었다. 일본이나 다른 나라도 여행을 취소하였다. 이렇게 되자 항공과 여행, 숙박과 식당 등이 크게 타격을 받았다. 영화, 유통 등 거의 전 분야에 여파가 미쳤다. 끝으로 주목할 점은 경제인 측면이다. 우리 경제가 외국 관광객에 얼마나 의존하는 체질로 바뀌었는지 새삼스럽게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명동과 인사동 거리가 한산하고, 백화점과 대형 유통매장은 손님이 없어 파리를 날리는 상황으로 바뀌었다.   한 달여의 단기 소동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정부에서는 추경을 추진한다고 하니 영향이 컸던 것은 틀림없는가 보다. 이러한 상황이 한 달 정도의 단기로 끝나기에 망정이지, 만약에 수개월 아니 수년으로 확대된다면 어찌 될 것인지는 상상하고 싶지도 않다. 이런 과정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이런 일을 겪으면서 확인된 불합리하고 부족한 것들을 고치고 보완하는 작업이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계속 비싼 수업료를 내면서도 국가발전은 제자리걸음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22","atchfileNm":"‘메르스’_사태가_알려준_우리_사회.pdf","viewCnt":"3056","regDate":"2015-07-08 09:54:16"},{"contentId":"35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내일신문-인터뷰] │⑦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중소기업 미래 여는 밑거름 되겠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70","contentsKor":"[공공기관 CEO와 마음을 나누다│⑦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중소기업 미래 여는 밑거름 되겠다"      연구개발 사업화 성공률 높여 지속성 확보평가품질 높여 국제규격시스템 인증 추진소통으로 내부 갈등 극복, 직원역량 향상      인체처럼 기업에도 생로병사가 있다. 사람이 운동으로 건강을 유지하듯, 기업은 기술혁신 능력을 갖춰야 지속가능성을 보장 받는다. 창업기업 5년차 생존율이 30%에 불과한 현실을 고려하면 중소기업에게 있어 기술혁신 능력 확보는 생존의 문제다.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지원 전담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은 중소기업에게 '생명수'와 같은 존재다. 중소기업 연구개발(R&D)사업 전문기관으로 기술개발과 정보화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기정원의 책임과 역할이 크다.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사업을 평가해 지원하는데 그치지 않고, 연구개발 성과가 사업화로 이어지도록 끝까지 책임지는 자세가 필요하다. 중소기업 성장을 돕는 밑거름이 되겠다."      최근 만난 양봉환 원장은 기정원의 역할을 '거름'으로 규정했다. 거름은 땅이나 식물에 영양을 공급해 작물의 성장을 돕는다. 자금부족, 사업화 실패 등 여러가지 이유로 연구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이 일어설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줘야 한다는 책임감을 표현한 것이다.      ◆노조가 환영 현수막 내걸어 = 양 원장이 기정원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한 데는 사연이 있다.      양 원장은 중소기업청에서 공직 생활을 마치고 2013년 12월 이곳에 부임했다. 이 즈음 기정원은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었다.      서울에서 대전으로 기관을 이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노사갈등의 골이 깊은 상황이었다. 전 기관장이 비리에 연루돼 사퇴하면서 중기청의 특별감사를 받는 등 홍역을 치렀다. 특히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금에 대한 비효율성 문제가 계속 불거졌다.      양 원장 내정 당시 지인들은 걱정했다. 갈등있는 조직으로 가는 게 공직생활에 오점을 남기지 않을까 하는 우려였다.      양 원장 취임이 결정되자 우려는 기대로 변했다. 전임 원장과 갈등을 빚었던 노동조합은 '제5대 양봉환 원장의 취임을 환영한다'는 현수막을 게시한 것. 양 원장은 노조의 지지로 기정원에 '무혈입성' 했다.      양 원장의 취임 후 일성은 '변화와 쇄신'이었다. 양 원장은 소탈한 소통능력으로 우선 노사 갈등의 후유증을 해결하는 데 주력했다. 내부 신뢰를 회복시켜야 지원기관으로 역할을 다 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기정원이 더 이상 흔들려서는 안된다는 양 원장의 절실함이 직원들에게 전달됐다.      이는 1월 창립 12주년 기념 비전선포식에서 확인됐다. 4년만에 새롭게 마련한 비전 선포 과정도 남달랐다. 1박 2일 동안 임직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내용이 정리됐다. 임직원들을 비전의 주체로 세운 것이다.      △고객만족도 90점 이상 △청렴도 우수기관 달성 △중소기업 지원규모 5000억원 달성 △평가관리체계 국제 품질경영 인증 등 4대 경영목표가 이렇게 만들어졌다.      직원간 소통 활성화와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통섭연단(統攝演壇)'도 2월부터 매월 진행되고 있다. 통섭연단은 명사초청 특강, 생일자 축하이벤트, 유머동영상 대회, 이달의 칭찬사원 선물증정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실시된다.      "소통은 직원을 기정원의 주체로 세우는 과정이다. 직원들이 영원히 중소기업 성장의 밑거름이 되려면 조직에 대한 긍지와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양 원장은 직원을 '자신과 함께 가는 동반자'라고 강조했다.      ◆자발적 학습분위기 형성 = 양 원장 취임 2년째. 기정원은 내부 갈등이 사라졌다. 임직원들은 매월 자신이 주제를 잡아 학습하는 분위기도 형성됐다.      이를 두고 중소기업계에서는 "역시 도사는 도사야"라고 말한다. 양 원장이 풍수지리계에서 '도사'로 통하기 때문이다. 풍수지리로 좋은 터(명당)을 잡아 주듯, 중소기업계의 성공을 도와주는 역할을 잘 하고 있다는 평가인 것이다.      양 원장은 내부 결집을 통해 이제 '연구개발 기획과 평가 품질 향상'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개발의 사업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중장기적으로 전문심사역 제도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평가체계 전반에 대한 고도화, 표준화를 추진하면서, 국제규격(ISO9001)에 따른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중소기업 R&D 사업이 기정원으로 통합됨에 따라 평가관리 업무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평가관리 전담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직무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양 원장은 "중소기업 R&D 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창업→혁신기업→중견기업'으로 이어지는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정책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D 사업화를 강화하기 위해 선정 및 평가단계에서 사업화가능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평가하고 있다. 또 R&D 이후 사업화 성과에 따라 해당 기업에 대한 가감점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영원한 동반자로 거듭나고 있다. 내부 역량을 키우고, 평가품질을 향상시켜 중소기업의 건강을 유지 시키겠다. 원장은 '기정원 변화와 쇄신의 성공'에 자신감을 보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21","atchfileNm":"20150707_내일신문원장님인터뷰.jpg","viewCnt":"3653","regDate":"2015-07-08 09:49:04"},{"contentId":"35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ISO 9001 품질경영 인증 획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61","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ISO 9001 품질경영 인증 획득 - 국제수준의 R&D 지원업무 표준화로 고객 만족도를 한층 높일수 있게 되어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 기획·평가·관리 전 부문과 기정원이 제공하는 공공 서비스 전반에 대해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했다고 6월 30일 밝혔다.      ○ ISO 9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 표준으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제품, 서비스 실현 체계가 ISO에서 정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되고 있음을 인증해 주는 국제인증 제도이다.      □ 이번 기정원의 ISO 9001 인증은 중소기업 R&D 사업의 기획, 평가, 사후관리 등 평가관리 체계와 기관의 공공서비스 전반이 품질관리에 관한 국제 표준에 맞게 수행되고 있음을 대외적으로 확인받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의 성과를 높이고 고객지향적인 과제기획, 평가 및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ISO 9001 인증 획득을 2014년 7월부터 추진하였으며,      ○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써 기정원이 제공하는 서비스 전체 영역까지 확대하여 2015년 6월에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다.      ○ 이에 따라, 기정원은 향후 다양한 고객의 요구사항 및 외부환경의 변화를 업무표준화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고객만족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 기정원은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해 과제 발굴부터 기술사업화 지원에 이르기까지 일원화된 전주기 지원체계를 갖추고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강화 및 경쟁력 확보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 또한, 품질경영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과 안정적인 운영을 통해 중소기업 지원 업무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제고하고 중소기업 지원기관으로서의 대외 신뢰도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ISO 9001 인증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업무매뉴얼을 개발했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업무표준화 및 프로세스 개선이 가능하게 됐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04","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ISO_9001_품질경영_인증_획득.hwp","viewCnt":"3642","regDate":"2015-06-30 11:20:15"},{"contentId":"35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개발, 연구년 맞은 이공계 교수들이 나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58","contentsKor":"중소기업 기술개발, 연구년 맞은 이공계 교수들이 나선다! -「연구년 이공계 교수 기술개발 지원단」 발대식 개최, 결의 다져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6월 22일(월) 대전 누보스타호텔에서 「연구년 이공계 교수 기술개발 지원단」을 위촉하고, 성공을 다짐하는 발대식을 가졌다.        ◦ 연구년 이공계 교수 기술개발 지원단(이하 ‘지원단’)은 중소기업이 생산현장에서 직면한 기술개발 및 성능개선 과제를 중소기업에 주기적으로 상주하면서 함께 해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지원단 구성 : 금속공학, 고분자재료, 전자공학, 통신공학, 기계공학, 가상현실 등의 분야의 연구년을 맞이한 이공계 교수 20명으로 구성        ◦ 이날 발대식에는 한정화 중소기업청장, 경북대학교 예병준 교수 등 연구년 이공계 교수 14명을 비롯해, 최철안 생산기술국장,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등이 참석하여 사업 소개, 위촉장 전달, 사례 발표, 간담회 등으로 진행되었다.      □ 중소기업은 이공계 연구인력이 부족하여 생산현장에서 제기되는 기술개발 과제를 적기에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으며, 또한 정부 지원도 단기 컨설팅 방식의 사업이 많아 중소기업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기술애로 해결에는 한계가 있었다.        ◦ 이에 연구년을 맞은 이공계 교수들이 중소기업에 6개월 내지 1년 동안 주기적으로 상주하면서 기술개발과 성능향상을 지원하는 사업을 올해 처음 시행하게 되었다.      □ 이번 지원단은 경북의 에이치디에이치(주), 카보랩, 울산의 제일화성, 제주의 ㈜한국비엠아이 등 20개 중소기업이 제기한 20개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 특히, 지원단은 생산 현장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기술애로 해결은 물론, 기술지도, 직원 교육, 사업화 방안 등 다양한 컨설팅을 통해 중소기업이 한단계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 지원단에 참여한 순천향대학교의 한만덕 교수(미생물면역학)는 “평소 산학 협력을 해오던 ㈜한국비엠아이(제주)와 시간이 없어 현장확인 및 연구개발 등에 어려움이 많았는데, 이번에 연구년을 맞아 기업에 상주하며 머리를 맞대고 공동 연구개발을 할수 있게 되어 연구성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 또한, 이번 사업에 참여한 카보랩(경북) 김우석 대표는 “기술개발 전문인력이 없어 어려움이 많았는데, 우리 회사에 꼭 맞는 인조흑연분야의 금오공대 노재승 교수님과 기술개발을 하게 되어 벌써부터 기운이 난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3000","atchfileNm":"중소기업_기술개발,_연구년_맞은_이공계_교수들이_나선다!.hwp","viewCnt":"3305","regDate":"2015-06-25 15:42:53"},{"contentId":"35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보도자료]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역대 기관장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50","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역대 기관장 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18일 역대 원장 3인(백낙기, 양해진, 윤도근)이 참석한 가운데 비전 제시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 이번 간담회는 정부의 공공기관 기능조정으로 기정원이 단일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이 됨에 따라 기정원을 만들어온 역대 기관장들의 의견을 공유하여 기관이 새로운 비전을 확립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간담회 참석자들은 기정원의 현재를 진단하고 새로운 미래비전을 설정하는 등 공공기관 기능조정을 기정원 재도약의 계기로 다지기 위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기정원이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 위상을 정립하고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해서 국민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뚜렷한  방향 설정이 가장 중요하다” 며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전임 원장님들의 고견을 되새겨 기정원의 미래를 적극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94","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역대_기관장_간담회_개최.hwp","viewCnt":"3060","regDate":"2015-06-18 14:28:07"},{"contentId":"35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우리 경제의 선진화 방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49","contentsKor":" [경제프리즘] 우리 경제의 선진화 방향   우리나라가 지난 1960년대부터 수차에 걸쳐 추진해온 경제개발계획은 성공적으로 추진됐다. 한국의 경제개발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현실에 바탕을 둔 적절한 계획, 국가적으로 전력을 투입한 주도면밀한 추진, 전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 등 여러 가지가 종합적으로 어우러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험을 돌이켜 보면 우리가 미래로 나아갈 방향을 찾는데 좋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먼저 우리나라의 실적과 국민소득의 추이를 살펴보자. 1970년의 수출은 8.4억 달러 수준이고 지난해 수출은 5천726.6억 달러로 약 682배로 급상승했다. 국민소득을 보면 1970년의 1인당 소득은 257달러이고, 지난해 국민소득은 2만8천180 달러로 45년 사이 약 110배 상승했다.   화폐가치나 인구 증가를 고려하지 않은 만큼 단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그 변화만을 주목해 보면 정부가 추진한 수출 주도의 경제개발전략은 적절한 선택이었다. 내수 시장만을 대상으로 정책을 추진했다면 곧바로 치열한 경쟁과 성장 한계에 직면하게 될 상황을 직시한 선택이었기 때문이다. 다음 제조업의 비중과 주요 수출 품목을 보자. 정부는 경제개발 초기부터 한계가 있는 농산품보다는 공산품이 수출에 유리하다는 인식 아래 제조업 육성에 사활을 걸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970년에 18.8%이던 제조업 비중은 2013년 31%로 높아졌다.   또한 1970년 당시 직물의류, 합판, 신발 등 경공업 제품 중심이었던 주요 수출 품목은 지난해 반도체, 석유제품, 자동차 등과 같은 중화학 공업제품으로 바뀌었다. 우리가 추구했던 대로 부가가치가 낮은 경공업 제품에서 고부가제품인 첨단 중화학 공업제품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업 육성→수출증가→소득증가→소비증가→경제성장의 선순환을 이룬 셈이다. 끝으로 주목해서 봐야 할 점은 우리가 수출하는 주요 시장이다. 1970년에는 미국(47.3%), 일본(28.0%)이 우리의 주요 수출시장이었다. 이것이 지난해에는 중국(25.4%), 미국(12.3%), 일본(5.6%)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과거에 경기-부산을 중심으로 배치된 우리의 산업이 최근에는 서해안을 중심으로 재배치되는 경향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기업 활동이 국내에 머물지 않고 수출지역을 중심으로 현지 진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앞에서 본 것처럼 우리가 현재의 경제적 지위에 이른 것은 정부의 정책과 기업ㆍ국민의 노력이 적절히 결합됐기 때문이다. 또한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선택한 제조업 육성 정책이 적절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우리가 무엇을 생각하고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를 시사해 주고 있다. 제조업을 현재보다 부가가치가 높아지도록 정책을 만들고, 제약ㆍ의료 등의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수출 주도적인 전략을 지속하는 것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리고 정부와 기업ㆍ국민의 일치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은 새삼 말할 것이 없다. 우리 국민은 어떤 상황도 극복해갈 충분한 저력과 지혜를 가졌다고 믿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91","atchfileNm":"[경제프리즘]_우리_경제의_선진화_방향.pdf","viewCnt":"2800","regDate":"2015-06-18 14:25:00"},{"contentId":"35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이공계 꿈나무, R&D지원으로 청년창업의 날개를 달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18","contentsKor":"이공계 꿈나무, R&D지원으로 청년창업의 날개를 달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이공계 창업꿈나무 R&D 지원 사업설명회 개최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이공계 대학(원)생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구현을 위한 기술개발 과제를 선정하여「‘15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이공계 창업꿈나무 과제」를 지원한다.      ○ 동 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기술개발 자금 뿐 아니라 기술개발, 창업 및 경영 등에 대한 체계적인 멘토링 등을 지원함으로써, 청년창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 기정원에서는 이공계 창업꿈나무 과제의 설명회를 2차례에 걸쳐 코엑스몰((5/27(수), 서울)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대전, (5/28(목))에서 개최하였다.        - 5월 27일(화) 코엑스몰(서울)에서 개최된 설명회에는 대학생, 대학원생 등 예비 청년창업자를 포함하여 총 100여명이 참석하여 높은 관심에 보여줬다.     * 사업설명회 사진은 (붙임 2) 참고      □ 산업기술분류표상의 전체 기술분야에 대하여 개발기간 10개월 이내로, 이공계 대학(원)생들의 창업 생태계 촉진을 위한 청년 기술창업 지원 사업이다.      ○ 과제당 지원금액은 최대 50백만원 이내로, 인건비, 연구장비, 재료비, 시제품 제작비 등 기술개발 자금과 기술․창업 멘토링 비용을 지원한다.      ○ 신청자격으로, 과제책임자는 해당 대학에 재학 중인 이공계 대학(원)생이며, 이공계 전공자, 타분야 재학․졸업생 등으로 구성된 창업팀(2인 이상)이다.      □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 과제의 신청기간은 5월 25일(월)부터 6월 15일(월)까지로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서만 신청받으며, 산학연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의 절차를 거쳐 7월 중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 기정원에서는 과제 선정 평가의 공정성․전문성․투명성․편리성 제고를 위해 정부 최초로 2015년 이공계 창업꿈나무 과제 평가를 「온라인 클린평가 시스템」으로 평가를 전환하여 실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양봉환 원장은 “이번 지원 사업이 창조경제에 부합하는 지속성장 가능한 청년예비창업자와 스타트업 육성에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며 “기정원도 이공계 창업꿈나무들의 지속적인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창업생태계 활성화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70","atchfileNm":"별첨_이공계창업꿈나무사업설명회사진.zip","viewCnt":"3122","regDate":"2015-05-28 10:13:44"},{"contentId":"35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 기술개발 지원사업, 온라인평가로 신속하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17","contentsKor":"중기 기술개발 지원사업, 온라인평가로 신속하게 -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사업', '기업서비스연구개발 사업' 시행 -   □ 중소기업 기술개발 과제 선정의 '공정성·전문성·투명성·신속성' 제고를 위한 기술개발(R&D) 온라인 클린평가(오아시스: OASYS, Online Assessment System)가 시행된다.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사업', '기업서비스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온라인 평가(오아시스)를 시범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 온라인 평가는 'R&D평가 전문성·공정성 확보전략('14.9)'의 후속조치로 기존 오프라인 방식(대면평가)이 아닌 평가자와 피평가자가 온라인상에서만 질의·응답을 통해 평가가 진행되는 방식이다.      < 온라인 평가의 특징 >      ◦ (공정성) 사전 신청 단계부터 이해관계자 참여(학연, 지연 등)를 배제      ◦ (전문성) 평가위원이 직접 평가 가능한 과제를 자율 선택하고, 질 좋은 평가를 하는 평가위원에 대해 인센티브를 부여      ◦ (투명성) 국민 모두가 평가절차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평가결과를 평가 종료 후 기업에게 즉시 통보      ◦ (신속성·편의성) 평가기간이 2개월에서 1주로 단축되고, 이에 따라 기술변화에 적시 대응할 수 있으며, 재택평가가 가능해져 장거리 이동에 대한 불편함 해소   □ 온라인 평가의 단계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평가위원 매칭단계         -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을 통해 과제개요를 공시하고, 평가위원이 평가과제를 직접 선택하여 평가 전문성을 제고한다.         - 기업명, 참여연구원 현황 등은 제외하여 과제내용만 공시하고 이해관계자 참여(학연, 지연 등)를 사전에 배제하여 평가의 공정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② 평가단계 : 모든 평가과정이 3일내 재택(온라인)평가로 진행된다.         - (1일차) 평가위원이 과제계획서 열람 후 질의사항을 등록하면         - (2일차) 피평가자(중소기업)는 질의사항 확인 후 답변을 등록하고         - (3일차) 평가위원은 피평가자(중소기업)의 답변을 확인하고 평가 결과(점수)를 확정하게 된다.          * 평가위원이 현장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온라인 평가 완료 후 현장점검을 실시      ③ 평가결과 통보         - 3일간의 온라인 평가 진행 후 평가 결과(점수) 및 검토의견을 즉시 송부하여, 평가 결과 및 절차에 대한 투명성을 제고하게 된다.      <온라인 평가 진행 단계별 주요 내용>   □ 더불어,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평가위원 및 중소기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 신청접수, 평가일정, 온라인평가 일정 관리, 추가 질의답변 등의 알림 및 평가결과 확인 등      □ 온라인 평가를 시범 적용하는 사업은 이공계 창업꿈나무, 기업서비스연구개발 사업이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사업 >      □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개발 과제에 10개월간 5천만 원까지 자금을 지원한다.          * 창업팀 구성기준 : 창업팀의 50%이상이 해당대학의 대학원생이며, 대학(원)생의 50%이상이 이공계 출신      ◦ 또한, 기술개발 자금뿐만 아니라 창업·경영 등에 대한 체계적인 상담 및 지도를 병행하여 예비 창업팀의 창업을 촉진한다.      □ 이 과제는 지난 5월 15일 공고되었으며, 신청·접수(5.25.~6.15.), 온라인 평가(6월), 선정(7월) 순으로 진행된다.      < 기업서비스 연구개발 사업 >      □ '기업서비스 연구개발 사업'은 중소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결합을 통한 창의적인 제품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1년간, 2억 원까지 자금을 지원한다.      ◦ 더불어, 사업화 전문기관의 1:1 상담 및 지도를 병행하여 기술개발 지원 성과를 가속화할 계획이며,          * 기술보증기금(기술컨설팅), 벤처캐피탈협회(투자유치 전략 수립), 코트라(KOTRA, 해외진출 마케팅), 케이티(KT, 모바일기반 사업화), 윕스(특허전략) 등      ◦ 사업공고(6월초), 신청접수(6월중순~말), 선정평가-온라인평가(7월)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이공계 창업꿈나무 지원사업', '기업서비스연구개발 사업' 및 온라인평가와 관련된 사항은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더불어, 온라인 평가 관련 설명회를 5월 27일(수)부터 5월 28일(목)까지 서울, 대전에서 시행할 계획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68","atchfileNm":"중기_기술개발_지원사업,_온라인평가로_신속하게.hwp","viewCnt":"3208","regDate":"2015-05-26 13:08:46"},{"contentId":"35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청, 정보화를 통한 제조업의 스마트화 혁신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10","contentsKor":"  중기청, 정보화를 통한 제조업의 스마트화 혁신 추진 -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에 95억 원, 189개사 선정․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중소기업의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조업 혁신 3.0의 일환으로 정보화를 통한 생산현장의 스마트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 정보화지원 사업’은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및 기술유출 방지를 위해 95억 원을 투입하여 189개사를 지원한다.         - 이 사업에 454개 기업이 신청해 현장평가 및 사업수행계획서에 대한 대면평가를 거쳐 최종 189개 기업이 선정되었다.      □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은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과 기술유출방지시스템구축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은 생산현장에 ICT를 접목하여 생산공정의 비효율적 요소 제거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업별 맞춤형 정보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중소기업에 POP*, MES** 등 생산관련 정보시스템을 구축 지원한다. (총 사업비의 50%, 최대 6천만원 이내)          * POP(Point Of Production, 생산시점관리) : 현장의 정보를 발생 즉시 수집‧처리‧분석하여 작업지시‧계획변동 등을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         **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제조실행시스템) : 생산공정 정보의 실시간 모니터링․제어, 물류‧작업관리 등 통합 생산관리를 위한 시스템      ◦ 2014년 지원기업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현장의 정보화를 통해 생산 제품 불량률, 서류작업시간, 제조소요시간이 감소하는 등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이 나타났다. (‘14년 지원기업 성과조사, 기정원)   (단위 : %) 항목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불량률 감소율 41.5 44.9 48.7 53.1 57.4     (주)부강산업(경북 영천, 산업용 고무호스)에 따르면 현장에서 수기로 작성하던 작업을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을 통해 구축한 시스템을 활용해서 3시간에서 1분으로 단축했다고 밝혔다 [첨부2 참조]        ◦ 기술유출방지시스템구축사업은 중소기업의 핵심기술 유출 방지를 위해 중소기업의 보안인프라에 대한 정밀진단을 진행하고,         - 기업환경에 적합한 보안시스템 구축 지원을 하는 사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에 물리적·기술적 대응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총 사업비의 50%, 최대 4천만 원 이내)      □ 올해 정보화지원사업은 선정기업에 대해서도 지원효과 향상을 위해 사업수행능력 및 정보시스템 활용도 제고를 위한 교육을 6월 중 추진 예정이다.      ◦ 특히, 6대 뿌리산업(주조․금형․소성․용접․표면처리․열처리) 기업을 집중 지원(‘15년 지원기업의 55.6%) 하여 뿌리제조기업의 유해·위험 공정 자동화 및 인력난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 보안시스템구축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방지 및 기술보호 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58","atchfileNm":"중기청,_정보화를_통한_제조업의_스마트화_혁신_추진.hwp","viewCnt":"2816","regDate":"2015-05-19 18:47:34"},{"contentId":"35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우리사회의 미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502","contentsKor":"[경제프리즘] 우리사회의 미래   우리는 지난 50년간 사회를 획기적으로 변화시켰다. 그야말로 상전벽해라 할 수 있는 변화였고, 많은 이들은 우리의 변화를 기적이라고 부르고 있다. 1960년대  일자리가 없어서 독일에 광부와  간호사로 갔고, 70년대에  동남아와 중동으로 갔던 기억과 비교해보면 분명 기적이라 부를 만하다.   오늘날 우리는 분명 세계의 선두에 서서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사회가 발딛고 선 기반을 튼튼히 다지면서 미래로 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먼저 우리의 노후는 문제가 없는가 하는 점이 주요 관심사 중 하나다. 요즘 한창 논의되고 있는  공무원  연금이나 국민연금 역시 노후에 대한 논의다.   과거에는 가족에 기반을 두고 개인이 해결했다. 우리 사회에 깊게 뿌리박혀있는 남아선호 사상도 깊이 들여다보면 결국은  노후 대비 방안과 연관돼 있다.   과거와는  달리 이제 우리도 더 이상 자녀에게 노후를 의존해 해결하기 어렵게 변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사회가 제공하는 연금이나 개인이 준비하는 정도가 충분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다음으로 우리 사회가 건전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소득을 가져다줄 산업의 건전한 발전이 이뤄져야 한다.   우리의 이웃인  일본이 과거에 세계를 지배하던 전자산업과  자동차 산업이 우리에게 밀려 쇠락하는 것을 보면, 우리도  중국에게 다 넘겨줄 수 있다는 우려가 널리 퍼지고 있다. 이미 가전 부분의 경우 중국이 가까이 따라왔다는 신호가 여러 경로로 전달되고 있다.   우리의 많은  중소기업들이 중국과 경쟁에서 이미 전의를 상실해가고 있다.  무역에서 경쟁력을 결정하는 것은 임금과 기술인데, 기술적인 차이가 크지 않으면 가격이 상품의 선택을 좌우한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임금격차는 이미 경쟁력을 말할 상황을 넘어섰다. 끝으로 내수시장의 크기다. 하나의 경제가 독립적인 시장으로 작동하려면 보통 인구가 1억은 돼야 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우리는 아직 부족한 점이 있다. 나아가 지난 IMF 이후 우리의 소득분배가 균형에서 점차 멀어지고 있는 점도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월 300만 원 이하의 임금을 받는 사람이 75% 이상이라고 한다.   사회구성원의 상위 10%에 국부의 50%가 집중돼 있다면 시장기능이 정상적으로 원활하게 작동하기 어렵다. 이런 점에서도 우리 사회의 미래에는 불안한 요소가 잠재돼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균형 잡힌 조직도 중요하고, 부가가치도 기여한 바에 따라 분배돼야 하지만 대부분의 우리 중소기업은 겨우 연명하는 상태에 있고 미래에 대한 준비는 엄두를 내지 못하는 기업이 많다.세계적인 기업이던 노키아와 소니가 어느 사이 우리의 기억 저편으로 사라지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 경제를 앞서서 이끌고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역시  치열한 국제경쟁에서 어떤 미래를 맞이하게 될지는 알 수 없다. 또한 우리사회의 가치분배와  노후대비 역시 아직 개선할 부분이 많다.   좀 더 열린 마음으로 세대와 부문이 현재와 미래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뤄 나가야 할 시점이다. 국민과 기업, 지도자와 구성원들이 함께 지혜를 모아 현명한 결정이 이뤄지길 기대한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41","atchfileNm":"(2015.05.13)_[경제프리즘]_우리사회의_미래.pdf","viewCnt":"3099","regDate":"2015-05-14 09:13:16"},{"contentId":"34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15년 기정원 청렴실천 추진반 발대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95","contentsKor":"2015년 기정원 청렴실천 추진반 발대식 개최   □ ‘2015년 기정원 청렴실천 추진반’ 발대식 개최        ○ 기정원은 지난 4월 23일, 기관 윤리경영 추진체계를 보완하고 청렴도를 제고하기 위해 현업부서원 중심으로 구성된 청렴실천추진반 발대식을 가졌습니다.      ○ 이날 청렴실천추진반은 기관 윤리경영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청렴 파수꾼으로서의 솔선수범을 결의하였습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38","atchfileNm":"2015년기정원청렴실천추진반발대식개최.hwp","viewCnt":"2950","regDate":"2015-05-07 16:38:51"},{"contentId":"34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사옥 건립 안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94","contentsKor":"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사옥 건립 안내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R&D 예산 및 인력 증가에 따라 안정적인 R&D 평가장 운영, R&D사업관리 여건 마련을 위해 독립사옥 건립을 추진하고 있음      ◦ 사옥 부지는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동(316-317번지)이며, 15년말 실시설계를 추진하고 ‘16년 공사 시작, ‘17년에 준공할 계획임         ※ 2015년 4월말 부지매입을 완료하였으며, ‘15년말 실시설계, 16년 신축공사, ‘17년 준공 계획임","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35","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사옥_건립안내.hwp","viewCnt":"3013","regDate":"2015-05-07 16:37:30"},{"contentId":"34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전통 제례문화의 산업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67","contentsKor":"[경제프리즘] 전통 제례문화의 산업화   유구한 역사와 문화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는 가장 짧은 기간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룩한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나라다. 반세기 만에 이러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은 우린 국민이 가진 영민할 뿐 아니라 오랜 기간 고도의 문화를 지속해온 경험을 가졌기 때문이다.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환경에서 교육을 중시하고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는 국가의 경쟁력에 플러스로 작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문화가 변화해 온 점을 살펴보고 향후 검토할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민속학에서 쉽게 변하지 않는 풍속으로 출산과 결혼, 상례와 제례의 네 가지를 꼽는다. 먼저 아이를 잉태하고 낳는 출산을 보면, 세계의 모든 민족이 임신과 출산을 신성시하고 신중하게 다뤄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영실’등 임산부가 거처하는 별도의 방을 두고, 출산하면 ‘금줄’을 치는 풍습이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민이 도시에 사는 오늘날에는 이러한 풍습을 보기 어렵게 됐다.   그 대신 임신 초기부터 병원 산부인과를 다니며 임신과 출산을 준비하는 것으로 대체됐다. 현재 전국에는 약 500개 정도의  산후조리원이 있고 시장규모는 4천억 원 수준에 이르고 있다. 다음으로, 결혼에 대해서 살펴보면, 옛날 젊은이의 결혼은 가문과 마을의 경사이자 축제였다. 그러던 것이 오늘날에는 결혼만을 전문으로 다루는 예식이 주요 산업이 됐다.   첫 만남에서부터 결혼식 사진촬영, 혼례식에 이르기까지 전문적으로 컨설팅해주는 영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니 새삼 논할 것이 없다. 전국에 1천 개 정도 예식장이 5조 6천억 원 정도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출산과 결혼은 일찍부터 우리나라에서 변화돼 온 분야다. 이에 비해 상례와 제례 부분은 상대적으로 변화가 늦은 분야다. 다른 국가에서도 상례와 제례는 전통적인 모습이 많이 남아있다. 그러나 상례 역시 최근 20년 사이에 매우 많이 달라져 가정집에서 치르는 상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과거에는 임종 순간이 이르면 병원에 머물다가도 집으로 모셔 객사를 피했는데, 요즘은 도리어 임종이 다가오면 병원으로 옮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죽음에 대한 인식이 확실히 달라졌고, 이 부분 역시 현재는 확실한 산업의 영역으로 자리 잡았다. 전국에 3천 개 정도의 장례식장이 있고, 연간 매출액은 1조 2천억 원 수준이다. 이제 마지막 남은 전통문화의 분야가 제례다. 종교에 따라 일찍이  추모행사로 바뀌기도 했지만 아직도 많은 가문에서 제사와 시제가 중요한 행사로 이어지고 있다. 행사 과정에서 가장 부담되는 부분이 제수준비와 행사시기다. 여전히 많은 가문에서 여성들이 직접 제수 음식을 장만하는 것을 정성으로 보는데 이의가 없지만, 언제까지 이러한 전통이 이어질 것인지는 불확실하다.   어쨌든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하고, 여권 신장이 확대될수록 상대적으로 위축될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 사회가 제례에 관해 진지하게 검토할 시점이 다가왔다고 본다. 출산결혼장례 산업화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고, 해외 수출해도 충분히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본다. 그렇다면 제례의 산업화도 크게 문제 될 것은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 전통을 고집하다가 소멸되는 것보다는 적극적으로 변화를 수용해 이어가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다고 본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11","atchfileNm":"[경제프리즘]_전통_제례문화의_산업화.pdf","viewCnt":"10858","regDate":"2015-04-16 16:24:47"},{"contentId":"34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경영혁신플랫폼으로 中企 정보화 이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66","contentsKor":"기정원, 경영혁신플랫폼으로 中企 정보화 이끈다 - 7개 조합·단체와 특화솔루션 지원 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4월 15일(수) 11시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15년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지원 협약식’을 개최했다.      ◦ 협약대상은 경영혁신플랫폼 특화솔루션 개발과제에 선정된 7개 중소기업 조합·단체* 기관장이며, 특화솔루션 개발과제에 대한 당사자 간의 권리와 의무, 협력 등의 제반사항에 대해 협약을 체결하였다.         - 한국공예협동조합연합회, 한국물류산업진흥협동조합, 한국화원협회, 엔케이경제인연합회,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한국목재공업협동조합, 한국가설협회      ◦ 이날 행사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을 비롯해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조합·단체의 기관장 및 소속 회원사 대표 등 30여 명이 참석하였다.      □ 이번 협약을 통해 공예, 물류산업, 전기공업 등 7개 특화솔루션이 개발되면 조합·단체 및 해당 업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들은 내년부터 플랫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 경영혁신플랫폼 기반 정보화 지원사업은 개발과제에 선정된 업종을 대상으로 특화된 솔루션을 개발하여 중소기업 조합·단체 소속 회원사들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 지난해까지 쌀가공, 가스판매협회 등 21개 특화업종을 선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8,800여개의 중소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을 가입하여 이용하고 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 이용을 통해 운영인력부족, 유지보수 부담 등 정보화에 열악한 중소기업이 정보화 도입의지를 고취하고, 나아가 플랫폼 기반의 IT환경을 구축하여 업무 효율이 극대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협약식에 참석한 중소기업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 “안전관리 강화로 인해 각종 인·허가 사항들이 의무화 되었고, 인·허가 절차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절차를 온라인으로 처리가능하도록 하는 솔루션이 개발되면 업무 생산성이 증대되고, 협회와 회원사 간 협업체계 구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이용하게 될 경영혁신플랫폼에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28","atchfileNm":"기정원,_경영혁신플랫폼으로_中企_정보화_이끈다.hwp","viewCnt":"10907","regDate":"2015-04-16 16:18:05"},{"contentId":"34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노사파트너십 프로그램 지원기관 협정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62","contentsKor":"기정원, 노사파트너십 프로그램 지원기관 협정체결 - 노사 간 상생협력으로 국민에게 신뢰받는 중소기업 R&D전담기관으로 도약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고용노동부와 노사발전재단에서 주관하는 「2015년도 노사파트너십 프로그램 지원사업」 지원대상 기관으로 최종 선정되어, ‘15.4.14일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노사파트너십 지원협정서를 체결하였다고 밝혔음      ◦ 노사파트너십 프로그램 지원사업은 대화와 상생의 노사문화를 구축하고, 일터혁신을 통해 기업 및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05년부터 실시되고 있으며, 대전지역 공공기관 중에는 기정원 등 2개 기관이 지원대상으로 선정됨      □ 기정원 노사는 구성원 모두가 일하고 싶은 훌륭한 직장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사가 함께 만드는 통합 시너지 1+1=3”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노사협력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임       ◦ 특히, 공공기관 기능조정에 따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한국산학연협회의 중소기업 R&D 지원업무가 기정원으로 일원화됨에 따라 통합된 인력이 조직과 융화되어 통합의 시너지가 창출될 수 있도록,      ◦ 구성원의 자긍심 고취 및 노사 간 비전 일체화를 위한 ‘TIPA 리더 워크숍’을 개최하고, 정형화된 형식을 탈피한 ‘화통(和通)’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계층 간, 부서 간 장벽을 허물고 조직 내 소통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예정임           * CEO소통마당, 팀웍데이, 칭찬이벤트, 부서 간 크로스미팅 등      □ 기정원노동조합 김종택 위원장은 “‘불과 2년 전만해도 노동쟁의가 발생하는 등 노사 간의 갈등이 심각한 상황이었음. 지난해부터 싹트기 시작한 노사상생의 씨앗이 금번 노사파트너십 프로그램을 통해 결실 맺어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사측과 적극 협력하여 나갈 계획임”이라고 밝혔으며,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노사화합을 위해서는 기관장부터 권위를 버리고 직원 개개인에게 다가서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함. ‘15년에는 ’전 직원의 자긍심과 의사소통 제고‘를 목표로 노사상생의 소통경영을 중점 추진할 계획임”라고 밝혔음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902","atchfileNm":"기정원_노사파트너십_프로그램_지원기관_협정체결(20150415).hwp","viewCnt":"10786","regDate":"2015-04-14 17:20:47"},{"contentId":"34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재도전 기업, R&D로 재기의 날개를 달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58","contentsKor":"재도전 기업, R&D로 재기의 날개를 달다.      - 재창업기업 아이디어신제품 개발사업(R&D)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기술력이 우수한 재창업 기업을 선정하여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15년 재창업기업 R&D개발사업」을 시행한다      ㅇ 동 사업은 사업실패에 따른 신용상의 문제로 각종 기술개발지원사업에서 배제되어, 재기를 위한 신기술 제품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재창업 기업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 과제당 지원금액은 최대 1.5억원(정부지원금 총 사업비의 90%이내), 개발기간은 1년 이내로써, 자금력이 부족한 재창업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사업이다.      ㅇ 신청자격으로, 주관기관은 사업실패 이후 신기술 제품개발을 준비하는 재창업 중소기업(7년 이하) 또는 지원결정 이후, 1개월 이내 법인 설립이 가능한 예비창업자 등의 조건을 충족하는 기업이며,        - 공동개발기관은 재창업기업의 우수 아이디어 기술의 공동연구를 통해 시제품 개발 지원이 가능한 중소기업이다. □ 그간의 사업 지원성과를 분석한 결과, ‘13년 33개 업체, ’14년 20개 업체 등에 48억원을 지원함으로써, 재기기업의 경험과 노하우 등 사회적 자산의 사장을 최소화하고, 이를 우수 신제품개발에 접목하여 성공사례가 나타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 성공사례 > 2001년 국내 처음으로 ‘위성방송수신기’ 제조로 창업했던 A씨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으로 업종전환 뒤 사업부진으로 폐업 이후 신용 등의 문제로 재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후 재기를 모색하던 중,「‘14년 재창업기업 R&D개발사업」에 선정되어, 기존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위성방송수신기 관련 기술개발을 추진중으로, 기존의 중동지역 거래선을 활용하여 전량 수출할 예정으로 현 매출액은 10억이나, ’16년 20억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 특히, 금년부터는 우수기술이나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재창업기업의 사업계획서 작성 및 기술기획의 능력 부족으로, 정부 R&D사업에 접근이 힘든 재창업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ㅇ 전문기관의 멘토를 지원함으로써,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재창업 기업의 R&D사업 지원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 금년도 중소기업 재창업기업 R&D개발사업은 4월2일부터 5월7일까지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을 받고, 선정평가 등의 절차를 거쳐 최종지원대상을 확정할 계획이다.      ㅇ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97","atchfileNm":"재도전_기업,_RD로_재기의_날개를_달다..hwp","viewCnt":"11124","regDate":"2015-04-10 14:18:37"},{"contentId":"34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강의로 쉽고 빠르게 해결하세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52","contentsKor":"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강의로 쉽고 빠르게 해결하세요! -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오픈 29개 강좌 개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한국산학연협회(회장 서동석)(이상 가나다 순)에서는 ‘15년도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중소기업의 R&D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15년 3월 30일 온라인강의 및 모바일버전의 온라인교육 서비스를 개시한다.      □ 본 온라인강의 서비스는 정부 3.0 가치 실현을 위한 국민 중심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기업 맞춤형 온라인 강의 형태로 제공되며, 과정을 세분화하여 사업신청 및 수행에 애로를 겪는 기업이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번, 온라인강의는 총 29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으며,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기업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 개발사업 등 16개 강좌가 개설되었으며, 사업안내 관련 5개, 사업 계획서 작성, 협약변경, 사업 진행 및 최종평가 관련 8개 등 총   13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 본 강좌는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화면의 온라인매뉴얼>동영상강의 메뉴로 이동하면 팝업창 형태의 온라인 동영상 강의를 청취할 수 있고, 디지털북 다운로드 및 모바일동영상 보기를 이용할 수 있다.         - 특히 본 강좌는 단순한 사업별 안내자료 배포형식을 벗어나 사업계획서 작성, 선정평가, 협약체결 및 변경, 사업비 지급 및 집행, 최종평가, 기술료 납부 등 사업신청 및 집행단계별로 멀티미디어 북 학습기능을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원활한 접근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모바일 서비스는 동영상 강의와 디지털북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북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강의를 e-book형태로 다운로드 받아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은 `11년도에 기술혁신개발사업 등 2개 사업에 대해 사업절차 중심으로 서비스를 우선 제공하여 5,865건의 조회가 이루어졌으며, `14년에는 모바일서비스 학습기능을 추가로 제공하여 `11년 대비 21배(125,872건)의 조회 실적을 달성하였다.      □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을 통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시적인 중소기업 R&D사업 교육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업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중소기업의 사업신청이 더욱 원활해지고 중소기업에 한층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92","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RD사업온라인교육오픈보도자료(20150330).hwp","viewCnt":"11258","regDate":"2015-04-07 15:42:21"},{"contentId":"34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영혁신플랫폼, 3,900여개 가스판매기업에 서비스 개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51","contentsKor":"경영혁신플랫폼, 3,900여개 가스판매기업에 서비스 개시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한국가스판매업협동조합연합회(회장 김임용, 이하 연합회)가 회원사를 대상으로 경영혁신플랫폼에 탑재한 가스판매경영관리솔루션의 기능개선을 완료하고, 3,900여 회원사의 가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 가스판매경영관리솔루션은 LP가스 구매/판매와 가스 안전공급을 위한 것으로 당초에는 이용자의 수기작성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개발했으나 연합회의 거래상황 기록부 보고* 기능 요구를 수용하여 추가개발함으로써 회원사의 이용이 활성화되게 되었다.         *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시행규칙 제55조 제1항에 의거한 보고 기능      □ 연합회는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 향상과 업무의 자동화 수준이 20% 상승하였고,      ◦ 회원사의 90%이상이 5인 이하의 소규모 기업으로 전담인력 부족 등 애로사항이 있지만 경영혁신플랫폼 이용을 통해 인력 생산성이 40%*증가하고 이용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면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플랫폼활성화방안연구보고서(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12)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클라우드컴퓨팅기반 공동활용 플랫폼을 통해 가스판매조합과 회원사간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가스판매경영업무 효율을 극대화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하며,      ◦ “중소기업들이 경영혁신플랫폼을 불편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전문상담 창구인 경영혁신플랫폼 컨택센터(☎1644-1736)를 운영 중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경영혁신플랫폼 구축사업은 가스판매업을 비롯 B2B택배, 수출의료기기관리 등 21개 특화업종을 선정하여 협단체 및 소속 회원사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화 지원사업으로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여 인터넷만 있으면 어디서든 업무가 가능하고, 별도의 운영·유지비부담 걱정이 없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2014년 6월 서비스 개시 이후 현재까지 가스판매조합 3,900여 회원사를 포함, 8,700여개의 중소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에 가입하여 특화솔루션과 기본솔루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91","atchfileNm":"경영혁신플랫폼,_3,900여개_가스판매기업에_서비스_개시.hwp","viewCnt":"3038","regDate":"2015-04-07 15:38:43"},{"contentId":"34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디지털 타임즈-인터뷰 ] "R&D 기획·평가품질 향상 사업화 성공률 높이겠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420","contentsKor":""R&D 기획·평가품질 향상 사업화 성공률 높이겠다"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업무 표준화·지표 개선·전문성 향상 등 평가관리 선진화 중점 추진 '창업→고부가가치→유망기술' 단계별 연계지원 성과창출 확산 노력 경영혁신 플랫폼·생산현장 디지털화 통해 중기 정보화 역량 높일것     ■ 2015 새해 새 비전"R&D사업의 성공 키워드는 '평가 품질'에 있습니다. R&D 평가의 질이 높아지면 그만큼 R&D 사업화 성공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중소기업 R&D사업 평가 전반을 표준화하고 평가위원의 질을 높여 단순히 R&D사업을 집행하는 데 그치지 않고 R&D 사업화까지 책임지는 '중소기업 R&D사업 통합 전담기관'으로 역할을 다하겠습니다."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원장은 중소기업 R&D사업의 평가체계를 질적으로 높이는 길만이 R&D사업 성공과 함께 R&D 성과물의 사업화를 촉진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선 R&D 사업관리와 평가업무를 국제규격에 부합한 시스템으로 표준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높은 수준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평가위원의 질 향상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기정원은 지난해 말 정부의 중소기업 R&D 분야 공공기관 기능 조정에 따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한국산학연협회가 수행하던 중소기업 R&D 사업을 이관받아 명실상부한 '중소기업 R&D사업 통합 전담기관'으로 지정됐다. 기관 위상 강화에 따라 기정원은 R&D 기획부터 평가관리, R&D 사업화에 이르는 전 주기에 걸쳐 역할을 확대해 가고 있다.    양 원장은 "기관 역할 변화에 따라 R&D 기획, 성과 확산,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중소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데 조직의 역량을 모아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기관의 위상과 역할이 커졌는데,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은. "지난해 취임 후 서울에서 대전으로 옮겨오는 과정에서 불거진 노사 갈등의 후유증을 해결하는 데 주력했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는 신뢰를 바탕으로 잘 마무리할 수 있었고, 직원들 역시 많이 치유돼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중소기업 R&D 지원기관으로 역할을 할 수 있었다.올해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할 사안은 평가관리 방법의 선진화다. 이와 관련해 평가관리 업무 표준화와 평가지표 개선, 평가위원 전문성 향상 등에 집중할 생각이다. 그동안 미흡했던 중소기업 R&D 성과의 기술사업화에 주력해 '연구개발&비즈니스(R&BD)' 성공률을 높여 나가겠다. 거기에 멈추지 않고 중소기업 사업전략과 시장성 분석 등을 위한 R&D기획 지원, 연구개발 인력역량 강화 등에도 역량을 모아갈 것이다."- 지난해 중소기업 R&D사업 통합 전담기관으로 지정됐는데 구체적으로 확대되는 기능은.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이 된 만큼 책임이 막중해졌다. 이전과 똑같은 생각과 행동으로는 기관 위상 강화에 따른 가시적 성과를 거둘 수 없다. 그동안 우수한 R&D 과제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선정하기 위한 평가관리에 집중해 왔다면 R&D 통합 전담기관 지정으로 R&D 기획과 성과확산, 사업화 지원 등 역할이 한층 강화됐다. 우선 신규사업과 과제기획 등 R&D 기획기능을 강화해 성과창출 확산에 노력하겠다. 단편적인 자금 지원방식이 아닌 '창업→고부가가치→유망기술'로 이어지는 성장 단계별 연계 지원을 통해 기술사업화 전 주기에 걸친 중소기업 R&D 전담지원 역할을 해나갈 것이다. 기술이전·거래 활성화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애써 개발한 기술이 사장되는 것을 막고, 기술개발 성과를 확산·공유함으로써 개방형 혁신을 통한 사업화 성공률을 높여 나가겠다. 나아가 R&D에 성공한 기업이 사업화를 위한 자금을 받을 수 있도록 협력기관과 연계한 투·융자 지원 등 사업화 지원 기능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R&D에 특화된 전담기관으로 역할을 하는 한편 조직과 인적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도 강화해 나가겠다."- 이관받은 R&D사업 중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은. "중소기업청의 대표사업인 '기술혁신개발사업'과 '구매조건부기술개발사업'이다. 두 사업을 안정적으로 이관받아 중소기업이 R&D사업 수행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기술사업화에 성공해 매출을 키워가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사업별로 봤을 때 기술혁신개발사업의 경우, 미래 성장 유망분야와 자유무역협정(FTA)에 대응한 글로벌 전략품목의 기술 개발 지원을 통해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에 힘을 쏟겠다. 구매조건부개발사업은 기술 개발이 완료된 제품의 구매비율을 높이기 위해 제품을 구매하는 수요처가 구매협약을 충실히 이행하도록 관련 제도를 보완하고 새로운 수요처 발굴에 적극 나서겠다." -R&D 사업화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은. "현재 중소기업 R&D 사업화 강화를 위해 사업화 가능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R&D과제를 선정·평가하고 있다. 또 R&D 이후 사업화 성과에 따라 해당 기업에 가점과 감점을 줘 사업화 효과를 높여가고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기술교류→과제발굴 및 기획→R&D→사업화까지 이어지는 단계별 연계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의 공동 기술 개발을 확대하고, 기정원을 중심으로 자금지원기관과의 협업을 강화해 중소기업의 R&D 사업화율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해 나가겠다."-R&D 사업화나 기술 개발이 성공하려면 R&D 기획이 중요하다. 우리가 안고 있는 R&D 기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기획, R&D, 사업화 등으로 나뉘는 기술개발 세 단계 중 R&D 기획은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고 기술개발 리스크를 줄여 결과적으로 기술개발 성과를 창출·확산하는 핵심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나타난다. R&D 기획 지원을 받은 과제는 그렇지 않은 과제에 비해 사업화 성공률이 7.4%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중소기업은 시장분석과 예측을 통한 R&D과제 선별 역량이 부족해 자체적으로 R&D 기획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응해 R&D 기획지원 예산을 늘리고,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기획역량 강화 교육을 추진할 계획이다."- R&D 관리·평가의 전문성과 공정성 확보 방안은. "평가위원, 평가체계, 전문성 제고 등 세 가지 차원에서 개선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우선 R&D 과제의 사업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평가위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기술평가사 전문교육 제도를 도입할 생각이다. 평가체계 전반에 대한 고도화와 표준화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R&D 사업관리와 평가업무에 대해 국제규격(ISO 9001)에 맞는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고, 올해 중 인증을 획득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소기업 R&D사업이 기정원으로 통합돼 평가관리 업무가 대폭 확대된 만큼 평가관리 전담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직무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정보화 역량을 높이는 데 힘쓰고 있는데.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 경영혁신 플랫폼 사업과 생산현장 디지털화 사업 등을 지원하고 있다. 경영혁신 플랫폼 사업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공동활용 시스템인 경영혁신 플랫폼을 구축·지원해 중소기업의 정보화 경영활동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 경영혁신에 필요한 인프라와 솔루션을 기정원이 구축·운영하고, 중소기업은 전담인력, 유지비용, 기능개선 등의 부담 없이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생산현장 디지털화 사업은 기업별 맞춤형 정보시스템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생산공정에 대한 비효율적 요소를 해소, 생산관리 효율화와 생산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매년 국가승인 통계인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조사를 통해 중소기업이 정보화 경영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정보화 도입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경영혁신 플랫폼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데 기업들의 반응과 성과는. "지난해 7개 특화 솔루션과 8개 기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경영혁신 플랫폼을 만들어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어 지난달에는 14개 특화 솔루션을 추가 개발해 총 21개 특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경영혁신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쌀가공식품, 출판, 플라스틱 등의 협회·단체와 협약을 맺어 7개 특화 업종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8종, 57개 기능에 이르는 전자세금계산서 등 기본형 솔루션도 개발해 일반 중소기업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 1898개사가 가입해 9만여 건의 이용실적을 거두고 있다. 올해는 7개의 특화 솔루션을 추가로 개발하고, 정보화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창업기업과 소상공인에도 서비스를 제공해 보다 많은 기업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나아가 현재의 경영혁신 플랫폼 서비스를 오픈마켓으로 전환해 SW기업과 영세 소기업이 상생하는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중소기업 R&D사업이 투자 대비 효율성과 효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는데 개선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중기청 R&D사업의 궁극적 목표는 R&D를 통해 중소기업이 사업화 단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 이런 점에서 R&D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공률을 단계적으로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의 혁신역량과 성장 단계에 따른 R&D 프로그램을 세분화해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1인 창조기업, 여성기업, 이공계 대학원생의 연구개발과 뿌리기업 공정개선 등 수요자 대상별 맞춤형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아울러 R&D 후 사업화 지원을 위한 컨설팅, R&D 사업화를 위한 시험 및 운영자금 연계, 기술사업화 자금지원, 보증기관 연계 등 사업화 강화를 위한 연계 지원제도를 다양하게 마련할 계획이다.양적 확대에 치중했던 중소기업기술혁신지원제도(KOSBIR)도 실적점검을 통해 부처 사업간 연계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우수 기업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등 질을 높여가는 데 힘쓰겠다."◇ 양봉환 원장은…○ 약력-1977년 정읍고 졸업-1985년 한양대 행정학과 졸업-1986년 행시 30회-1987년 한양대 행정대학원 수료-2002년 6월∼2006년 5월 중소기업청 기술개발과 장, 인력지원과장 금융지원과장, 정책총괄과장-2008년 8월∼2013년 12월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정 책국장,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 기술혁신국장-2013년 12월∼현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수상이력-1998년 9월 고운문화상 -2010년 12월 홍조근정훈장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50","atchfileNm":"양봉환원장님_인터뷰.jpg","viewCnt":"3981","regDate":"2015-03-18 15:54:53"},{"contentId":"33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인터뷰] 양봉환 원장 “중기 기술 경쟁력 강해지면 국민경제도 발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87","contentsKor":"양봉환 원장 “중기 기술 경쟁력 강해지면 국민경제도 발전” 기업 역량 맞춰 프로그램 세분화… 관리체계 수준·성과 높일 것   [창조경제를 이끄는 현장을 가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정원은 올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한 국민경제의 발전'이라는 중소기업 R&D지원의 본질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 관리체계 고도화와 성과제고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사진>은 올해 기정원의 중점 추진 계획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양 원장은 “기정원은 혁신성과 사업성이 우수한 기술개발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평가관리 방법을 선진화할 계획”이라며 “평가관리 업무 전반에 대해 국제 품질경영시스템이 요구하는 수준에 부합하도록 표준화하고, 성과분석 등을 통한 평가지표 개선과 함께 평가위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등의 활동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중소기업분야의 기능조정에 따른 기관 변화 및 역할에 대해서는 성과확산 및 사업화 지원 역량 강화를 꼽았다.   그는 “기술 이전 및 거래 활성화를 통해 개발된 기술이 사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술개발 성과를 확산하고 공유함으로써 개방형 혁신을 통한 사업화 성공률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며 “중소기업 R&D에 특화된 전담기관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 및 인적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기정원은 R&D정책기획, 평가관리의 전문성·효율화, 지원성과 제고를 위한 별도의 조직을 신설하고, R&D전주기에 걸친 중소기업 평가관리 전문조직으로 직제개편을 실시했다.  올해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에 대해서는 “중기청의 대표사업인 기술혁신개발사업과 구매조건부기술개발사업을 안정적으로 이관해, 중소기업이 R&D사업 수행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높이고 기술의 사업화를 통해 기업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며 “기술혁신개발사업의 경우, 미래 성장유망 분야 및 FTA 대응 글로벌 전략품목의 기술개발 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사업화를 촉진해 한국형 히든 챔피언 육성에 주력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R&D 사업화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양 원장은 “중소기업 R&D의 사업화 강화를 위해 선정 및 평가단계에서 사업화가능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선정·평가하고 있다. 더불어 R&D 이후 사업화 성과에 따라 해당 기업에 대한 가감점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획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R&D기획지원사업'을 지원하고 있다”며 “R&D 기획지원의 경우 개발 타당성 분석, 시장성 조사, 성공가능성 평가, 중기 사업전략 수립 등 사업화를 고려한 R&D 기획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R&D 추진 초기에서 사업화가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양봉환 원장은 “중소기업청 R&D의 주요 추진 목적이 R&D를 통한 사업화 단계 진입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단계적으로 사업화 성공률을 더욱 높여갈 필요가 있다”면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및 성장단계에 따른 R&D 프로그램을 세분화해 지원정책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양봉환 원장은 한양대 행정학과를 졸업했으며,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정책국장,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 중기청 기술혁신국장 등을 거쳐, 지난 2013년 12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으로 취임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21","atchfileNm":"붙임2.[중기기술정보진흥원]RD와_통하면_기업_성장이_통한다..pdf","viewCnt":"3457","regDate":"2015-03-04 11:05:41"},{"contentId":"33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7,000여개 창업기업 확대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86","contentsKor":"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7,000여개 창업기업 확대 지원 창업진흥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업무협약 체결   □ 창업진흥원(원장 강시우)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3월 3일(화) 창업진흥원에서 창업지원사업 참여기업의 경영정보화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경영혁신플랫폼을 활용하여 창업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운영비절감 등을 이루고 창업기업의 성장 발판 마련 및 경영효율성 제고에 그 목적이 있다.      ◦ 본 협약을 통해 창업진흥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 창업진흥원의 창업지원사업 참여기업에게 경영혁신플랫폼(기본솔루션*) 및 클라우드 자원(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제공 △ 창업기업 경영정보화를 위한 서비스 이용 상담 및 교육 지원 △ 창업 성공사례 발굴 및 관련 정보 개방 등, 양 기관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협력 지원 할 예정이다.           * 기본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일반업무 기능   ◦ 창업진흥원 원장은 “이번 업무 협력을 통해 그동안 창업기업이 정보화를 위한 구축 및 유지보수 등의 부담으로 기업경영에 어려운 점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고 창업기업의 성장 및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창업기업의 경영정보화 저변 확대를 위하여 유기적인 업무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창업기업의 성공발판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창업진흥원은 우선, 스마트세계로누림터 입주기업에게 클라우드 서버를 지원하고 ’14년도 창업지원사업 참여기업 및 1인창조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기업을 단계적으로 모집하여 지원할 방침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10","atchfileNm":"경영혁신플랫폼_서비스_7,000여개_창업기업_확대_지원.hwp","viewCnt":"3199","regDate":"2015-03-04 10:52:05"},{"contentId":"33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단일기관으로 본격적인 업무 개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83","contentsKor":"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단일기관으로 본격적인 업무 개시 - 중소기업 R&D 기능조정 완료, 조직개편 및 세부 사업추진방안 발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분야의 공공기관 기능조정에 따라 업무 인수인계 절차를 일단락하고, ’15. 3월부터 중소기업 R&D지원 전담기관으로서 본격적인 업무를 개시한다고 밝혔음      ◦ 공공기관 기능조정 후속조치에 따라 기정원은 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업무이관협약을 체결(’15.2.17)하고, 4개 사업*(예산 3,608억) 및 사업인력(10명)을 이관 받았으며, * 기술혁신개발, 구매조건부기술개발, 시장창출형기술개발, 기술로드맵      ◦ 아울러, 산학연협력사업*(2개, 1,685억)도 일정에 따라 이관을 마무리할 예정이며, 기능조정에 따라 중진공으로 이관하는 기술인재양성사업(2개, 571억) 등 비R&D 사업에 대해서도 3월중으로 업무 인계를 완료할 예정 * 산학연협력기술개발(1,520억원), 연구장비 공동활용(165억원)      □ 기정원은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 업무보고(’15.3.2)를 통해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한 2015년 사업 수행방안 및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발표하였음      ◦ R&D 전문기관 일원화에 따라 ’15년 사업추진에 차질 없도록 추진일정 및 인력 운영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며      ◦ 아울러 고객만족도 제고 및 공공기관 정상화, 정부 3.0 등 정부 정책의 이행을 위한 추진계획도 발표하였음   □ 특히, R&D지원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기술 사업화 全주기적에 걸친 중소기업 R&D지원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부처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할 계획    ① 먼저, 창조경제타운 및 이공계 대학생 전용 R&D사업을 활용하여 시장성․창의성․실현가능성이 높은 우수 아이디어 발굴하고  R&D 기획지원을 강화      ② 기술인력 지원 및 R&D교육센터 운영, 이공계 인력 채용 시 지방소재 중소기업 우대 등 R&D 인력난 해소에 노력하고      ③ R&D 성공기업의 사업화자금 지원기관 확대 및 맞춤형 전용상품 개발, 금융기관의 경영전략․재무컨설팅 등과 연계지원할 계획      □ 기정원은 조직 및 인적역량을 강화하여 정부의 R&D 지원성과가 제고될 수 있도록 조직 개편 및 인력 재배치를 단행하였음      ◦ R&D정책기획, 평가관리의 전문성․효율화, 지원성과 제고를 성과확산 기능 강화를 위해 별도의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 R&D전주기(중장기계획→평가→사후관리․성과확산)에 걸친 전문성강화를 위해 조직개편을 실시      * 3본부 7부 2팀 → 4본부 12부 4팀      □ 기정원 양봉환 원장은 “그 동안 우수한 R&D 과제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선정하기 위한 평가관리에 집중하였다면, 앞으로는 R&D기획, 성과확산 및 기관간 연결을 통한 사업화지원 역할을 더욱 강화하고”      ◦ 이를 위해 중소기업 R&D에 특화된 전담기관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 및 인적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힘","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803","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RD지원단일기관업무본격개시_세부추진방안발표(RnD기능조정완료).hwp","viewCnt":"3283","regDate":"2015-03-02 17:58:09"},{"contentId":"33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창업기업의 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연계지원 협력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80","contentsKor":"창업기업의 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연계지원 협력 추진 - 기정원, 우리은행과 디딤돌 금융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창업기업 및 유망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하여 우리은행(행장 이광구)과 2월 24일(화) “창업성장기업 디딤돌 금융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금번 협약은 창업․성장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통해 창업․성장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하고 질 높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등 동반성장의 디딤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양 기관은 이를 위해 ▲창업․성장기업 정보제공 및 금융서비스 지원 협력 ▲기업성장에 필요한 맞춤형 종합컨설팅 무료지원 ▲성장 단계별 기업환경 및 사업운용에 필요한 금융상품 연계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기정원은 금번 협약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중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을 “디딤돌 금융지원 업무협약”의 핵심사업으로 추진하고 점진․확대해 갈 예정이다.        ◦ ‘15년도 중소기업청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경영전략컨설팅, 재무컨설팅, 가업승계컨설팅 등 맞춤형 종합컨설팅을 실시하고        ◦ 기업 운영활동에 대한 진단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금융서비스 및 연계상품”을 제공하여 창업․성장기업들이 우량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이번 협약을 통해서 정부 지원으로 개발된 기술에 대한 사업화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중소기업들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15년도 한 해만도 1,100개 이상의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이 기술 사업화에 필요한 금융비용 및 컨설팅 비용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공공과 민간 부분의 협업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성과를 제고함으로써 국정방향인 정부 3.0 실현의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금번 협약이 창업․성장기업의 금융비용 및 컨설팅 비용을 절감하고, 창업․성장기업의 지속적인 성장효과로 인해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 및 창조문화 확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기정원은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과 질 높은 창업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기정원이 선정하는 창업성장기업에 대해 성장단계별(창업/성장/도약단계) 맞춤형 금융서비스(기술금융 및 종합컨설팅 등 단계별 맞춤 금융서비스 지원)를 적극 지원하여, 기정원이 창조경제를 실현하고, 동반성장과 일자리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우리은행이 든든한 금융파트너가 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하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96","atchfileNm":"창업기업의_성장을_위한_기술금융연계지원협약추진.hwp","viewCnt":"3453","regDate":"2015-02-24 17:40:41"},{"contentId":"33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여(女) 보세요! R&D자금을 지원해드립니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72","contentsKor":"  여(女) 보세요! R&D자금을 지원해드립니다!   '여성 전용 R&D' 100억원 신설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여성가족부(장관 김희정)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와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해 「여성 전용 R&D」 자금을 신규 지원한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올해 시범사업으로 총 100억원이 지원되며,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성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최근 여성의 활발한 경제활동 참여가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은 국가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OECD 평균치보다 크게 낮은 수준인데, 여성기업의 여성 고용률이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10.6%p 높게 나타나는 등 여성기업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양 기관은 창의적 아이디어 및 기술역량을 보유한 여성기업 육성과 여성 기술개발자 등 고급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해서 이번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간 정부는 여성기업 육성과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중기청은 여성의 창업과 여성기업 육성을 위해 매년 「여성기업 활동촉진 기본계획」을 수립,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여 이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전창업스쿨, 여성전용창업보육센터 등을 통해 창업을 촉진하고, 여성기업 제품 구매 의무화, 해외진출 원스톱 지원 등으로 여성기업의 판로확대를 지원 중이다. 또한, 여성기업이 R&D사업 참여 시 가점(1점)을 부여하고 있다. 여가부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새일센터’)를 통해 임신·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이 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직업훈련, 인턴십, 취업연계 및 취업 후 사후관리 등 종합적인 취업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창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해 창업과정 직업훈련과 창업 전 인큐베이팅을 위한 창업동아리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성기업 비중과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나, 여전히 여성기업은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열악한 상황이며, 특히 가점만으로는 실질적인 R&D참여 확대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어 전용과제 신설 등 보다 적극적인 지원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번 「여성 전용 R&D사업」은 중기청이 R&D자금 지원 및 사업 운영을 담당하고, 여가부가 새일센터를 통해 여성의 창의적 아이디어 및 R&D과제를 발굴하고 홍보를 지원한다. 동 사업은 ① 여성기업 육성 측면에서 "여성기업"과, ② 여성의 고용창출 및 창업촉진 측면에서 "경력단절여성 신규고용(예정) 중소기업" 및 ③ 창업을 희망하는 경력단절여성 또는 여성 과학기술인(2인 이상)"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에게 여성이 겪는 사회문제 해결, 틈새시장 개척, 新성장동력 창출 등 새로운 기회창출이 가능한 R&D과제에 대해 최대 1년 간 1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특히, 원활한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위해 기업이 원하는 경우 기술·사업화 멘토링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여성 연구자 및 CEO는 관련기관의 교육과정을 활용, 교육을 이수할 수 있다. 평가 시에는 다른 R&D과제와 달리 “여성의 경제활동 기회창출 가능성” 평가지표를 신설, 개발기술 활용을 통해 여성이 겪는 사회문제 해결 또는 여성의 기회창출 가능성이 높은지를 평가한다. 또한, 최근 3년 내에 정부·지자체·공공기관 등이 개최한 경진대회 수상경험이 있거나 이를 통해 지원받은 이력이 있는 경우 가점을 부여할 계획이다. 신청기간은 2월 23일(월)부터 3월 20일(금)까지로 온라인 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서만 신청 받으며, 산학연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4~6월) 절차를 거쳐 7월 중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공고문과 중소기업청 홈페이지(www.smba.go.kr), 여성가족부 홈페이지(www.mogef.go.kr) 또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80","atchfileNm":"150212_여성전용R_D.pdf","viewCnt":"3407","regDate":"2015-02-16 10:24:11"},{"contentId":"33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문화일보] ‘에너지 절감 IT기술’ 개발… 年매출 57억→135억 - 우수기업 사례 : 에코시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9","contentsKor":"‘에너지 절감 IT기술’ 개발… 年매출 57억→135억  <4> 우수기업 사례 : 에코시안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요즘 기업과 국가의 성장에 있어 환경보호는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 과제로 꼽힌다. 그동안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경성장이 대세였다면 이제는 각 국가와 기업들이 기후변화에 얼마나 기민하게 대처하느냐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가 됐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에너지 감축이 어느새 화두가 된 이때 적정한 에너지 감축량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다. 중소기업청과 국내 중소기업이 힘을 모아 개발한 국내 유일의 기술이어서 화제가 되고 있다. 27일 중소업계에 따르면, 이 기술을 개발한 중소기업인 에코시안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컨설팅 활동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지난 2001년에 설립됐다. 특화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환경과 기후변화, 그리고 에너지 분야의 종합 컨설팅, 정보기술(IT) 솔루션 개발을 주 사업 영역으로 하고 있다. 환경과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출발한 에코시안은 환경의 한 축인 에너지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에너지 감축용 IT 솔루션을 개발하고자 했다. 다각화한 사업 목표의 첫 번째 기술 개발 과제가 된 것은 ‘시뮬레이션 기반의 실시간 통합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개발이었다.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가 얼마만큼 에너지를 감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접근을 통해 기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소프트웨어 중심의 에너지 효율성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 기술은 2010년 6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중소기업청이 주관한 융복합 기술개발 과제로 선정·수행돼 세상의 빛을 봤다. 통상 융복합 기술개발 과제의 수행기간이 1년인 데 비해, 고차원적인 기술의 융복합이 필요했던 이번 과제는 완료되는 데에만 2년이 걸렸으며, 이 과정에서 소요된 정부 지원금만 4억3000만 원에 달했다. 은종환 에코시안 대표에게 이 기술의 개발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물어봤다.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건물 운영 관리자가 얼마나 절감하고 있는지, 또 앞으로 얼마나 절감해야 하는지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기본 계획을 세울 수 있는데, 이전까지는 이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었다. 그것이 바로 ‘시뮬레이션 기반의 실시간 통합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핵심이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해 건물 내 모든 공간의 최적 에너지 사용량을 계산해 두면 그 이상의 에너지 사용이 있을 경우 시스템이 알려준다. 예컨대 10만 써도 되는데 50을 쓰고 있다면 에너지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이니 그 원인을 찾으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미리 계산된 값 10이 없다면 50을 쓰는 것이 낭비인지 여부를 알 수 없는 것이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존재하지 않는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건물의 크기, 벽체·창호·문 등의 열적 특성, 조명·발열기기 등 건물 내부 부하, 기상 데이터·일사량·태양 각도 등 기상 조건, 냉난방설비·송풍기·반송설비 등 공조 설비의 운전 특성 등을 대입한다. 그러면 열역학 방식을 이용한 수치 해석을 통해 각 공간의 최적의 효율과 절약을 위한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하게 되는 것이다. ㈜에코시안은 이러한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해 이를 기존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인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에 적용해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이번 기술이 수월하게 개발된 것만은 아니다. 2년에 이르는 과제의 진행기간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기도 했다. 시뮬레이션의 정밀성을 보완하고자 실제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한 보정 단계를 거치는 오랜 과정이 이어졌으며, 지방자치단체별로 새로운 빌딩을 섭외해 직접 시뮬레이션을 해보며 에너지 절감량과 예측을 수행하기도 했다. 그 중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중소기업 구성원들이 당장 손에 잡히지 않는 미지의 기술과 오랜 기간 씨름하는 과정에서 오는 동기부여의 부재였다. 은 대표는 “긴 호흡으로 진행되는 사업이다 보니 직원들이 사업에 대한 회의감을 품을 때가 있었다”며 “지속적으로 회사의 비전과 기술 개발 사업의 목표를 설명하고, 필요한 기술에 대한 육을 하는 것으로 내부적인 어려움을 극복했다”고 말했다.   오랜 산고를 거쳐 2012년 5월 ‘시뮬레이션 기반의 실시간 통합 에너지 관리시스템’은 성공적으로 빛을 봤다. 이를 통해 에코시안은 에너지 관리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으며, 현재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에너지 사업을 펼치는 중이다. 회사 매출도 2010년 57억 원에서 2013년 135억 원으로 껑충 뛰었다. 은 대표는 “에코시안은 단기적으로는 내년에 예측 기법이 5% 내에 들어올 수 있도록 기술적인 발전을 이루고자 한다”며 “한편으로는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진행해 ‘시뮬레이션 기반의 실시간 통합 에너지 관리시스템’ 기술에 대한 다양한 시공 현장을 보유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54","atchfileNm":"에너지_절감_IT기술_개발..._연매출_57억→135억.jpg","viewCnt":"3202","regDate":"2015-02-11 15:38:35"},{"contentId":"33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문화일보] 주름 개선 기능성 新소재 국산화… ‘바이오 강국’ 일본에 逆수출 쾌거 - 우수기업 사례 : 셀인바이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8","contentsKor":"주름 개선 기능성 新소재 국산화… ‘바이오 강국’ 일본에 逆수출 쾌거 <3> 우수기업 사례 : 셀인바이오   2000년대 들어 바이오 열풍이 불면서 우리나라도 바이오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정부는 매년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천문학적인 연구비를 투입해 미래 중추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바이오 산업은 바이오 기술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해 인류가 필요로 하는 물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꾸준한 투자 덕분에 바이오 완제품에 대해선 상당한 경쟁력을 갖췄지만 바이오 소재 관련 원천 기술에 대해서만큼은 유럽과 일본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이 같은 환경에서 기술 융복합을 통해 바이오 강국 대한민국을 선도하고 있는 벤처기업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셀인바이오는 바이오 소재를 연구 개발해 산업화하는 기업으로 지난 2008년 9월 설립됐다. 이 회사의 특이한 점은 기존 바이오 소재 연구 기업들이 화학을 기반으로 우리 몸에 이로운 외부 물질을 발견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데 비해 철저히 생물학적 관점으로 접근해 친환경적이고 부작용 없는 소재 개발 및 제품화에 힘쓰고 있다. 2011년 6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정부 지원금 1억4000만 원을 받아 중소기업청이 주관한 융복합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것이 회사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됐다. 당시에 참여한 연구과제는 ‘주름개선 기능성 생체 유래 디펩타이드 소재 개발 및 제품화’였다. 셀인바이오는 당시 화장품 분야 소재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화장품 소재 시장은 유럽과 일본의 몇몇 회사가 전 세계를 장악하다시피 하고 있었다. 그래서 이와 관련한 보편적인 소재를 국산화할 경우 국내 보급은 물론 해외까지 상당한 파급력을 가질 수 있었다. 이 과제는 바이오와 화학분야의 두 연구기업이 보유한 기술을 융복합해, 안전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생리활성을 확인함으로써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의 신소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셀 소재의 개발은 셀인바이오가 담당했지만 이를 합성하고 정제하는 단계는 화학을 전문적으로 하는 중소기업인 씨트리가 담당했다. 융복합 과정에서 우여곡절도 많았다. 두 기업은 당시 소통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파트너사가 보내준 분석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 기술에 대한 부연설명에만 이틀이 걸린 적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융복합을 위해 투자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양사의 협력관계는 더욱 강화됐고 1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동희 셀인바이오 대표는 “현재 우리 회사가 보유한 3가지 핵심 기반 기술 중 생체 유래 디펩타이드와 줄기세포 배양액을 중소기업청 사업을 통해 확보했다”며 “이 기술을 중심으로 화장품과 의약품 분야와 관련해 다양한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생체 유래 디펩타이드는 현재 바이오 소재 강국인 일본에 역수출되고 있기도 하다.   회사 측에선 이번 사업이 그동안 아이디어에 머물렀던 생물학적 기반의 연구 프로젝트를 실제 사업모델로 완성한 첫 사례라는 점도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그는 “생물학적 피부 노화를 표적으로 하는 디펩타이드 소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시장의 소재 개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게 큰 성과”라며 “이후 피부 노화에 대한 기초 연구와 새로운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에 응용이 가능해지기도 했다”고 기술 융복합의 의미를 설명했다. 셀인바이오는 다양한 바이오 소재를 바탕으로 설립 5년 만인 2013년 20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설립 5년 안에 문을 닫는 벤처기업이 3곳 중 2곳에 이른다는 통계에 비춰보면 이제 막 고비를 넘긴 것이다. 특히 그는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이 없었다면 바이오 이외의 다른 분야 전문가들을 만나기가 매우 힘들었을 것”이라며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서로 다른 분야에서 이뤄지는 사고와 시각이 매우 신선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창업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경험도 부족하고 시행착오가 많을 때 좋은 파트너들을 알게 되면서 회사가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됐다”고 기술 융복합의 성과를 자평했다. 이어 “앞으로 회사를 더욱 발전시켜 연구와 생산을 아우르는 글로벌 바이오 소재 전문 기업이 되고 싶다”는 포부도 함께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53","atchfileNm":"주름_개선_기능성_新소재_국산화_바이오강국_일본에_逆수출_쾌거.jpg","viewCnt":"3361","regDate":"2015-02-11 15:34:53"},{"contentId":"33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문화일보] 원격제어 '복합조리기' 독자 개발 빵굽고 밥짓고 찜 요리까지 '척척' - 우수기업 사례 : 대흥제가제빵기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7","contentsKor":"원격제어 '복합조리기' 독자 개발 빵굽고 밥짓고 찜 요리까지 '척척'  <2> 우수기업 사례 : 대흥 제과제빵기계   “이것이 앞으로 우리 회사의 수출 전략제품인 복합조리기입니다. 기술 융복합으로 회사의 신성장동력을 찾아냈다는 의미가 있네요.” 지난 8일 경기 광주시 초월읍 대흥제과제빵기계 사옥. “기술을 융복합해 제빵기계를 만든 중소기업”이라는 소개를 받고 이 회사를 찾았다. 가슴 왼편에 ‘기술 명장’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흑색 점퍼를 입고 기자를 맞은 김대인 대표는 2011년 정부가 선정한 공조냉동기계 분야의 대한민국 명장이다. 20대 때 서울 중구 충무로의 수도·냉동기기설비회사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해 40년간 공조냉동설비 분야 한우물을 판 결과 얻은 훈장이다. 기술 명장으로 인정받았지만, 중소기업 경영자 처지에서 보면 한 분야에 치우친 사업구조는 썩 바람직하지 않다. 김 대표는 고민을 거듭하다 3년 전인 2012년 강점을 보이던 공조냉동기술에 원격제어기술을 결합한 복합조리기를 개발하면서 회사의 신성장동력을 찾았다고 한다.   복합조리기는 기존 제빵기계들의 맹점을 보완하려는 김 대표의 노력에서 비롯됐다. 기존 제빵기계들은 고가 장비이고 대형 점포에서 넓은 면적을 차지하면서도 빵을 굽는 기능밖에 할 수 없었다. 그때 김 대표의 머리에 스쳐 간 생각이 “제빵기계에서 요리까지 가능하게 하고 수동 대신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들면 어떨까”하는 것이었다.   그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복합조리기 개발’을 중소기업청의 융복합기술개발 과제로 제시했고, 원격제어시스템을 기계에 삽입하기 위해 전자회로 제조 전문업체인 케이에스알앤디도 기술개발에 힘을 보탰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1년에 걸친 기술개발엔 정부 예산 1억500만 원이 지원됐다. 조리기 개발과정에서 그동안 국산화가 미진했던 기술들의 보완도 이뤄졌다. 복합조리기엔 300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고열모터와 베어링이 들어갔고, 기존 제품의 누르는 버튼 대신 PCB(액정과 기판을 연결해 주는 선들을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어 놓은 것)액정이 삽입됐다. 이렇게 복합조리기는 2012년 7월 첫선을 보일 수 있었다.   출시 후 1년 6개월 동안 팔린 복합조리기는 총 30대다. 이 중 2대는 일본, 5대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수출됐다. “고작 30대 팔린 것을 성과라고 말할 수 있느냐”는 지적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복합조리기 전부가 유럽산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고가 수입품을 국산화했다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또 4500만 원인 유럽산 제품의 가격을 2500만 원으로 절반 가까이로 낮췄다는 의미도 있다.   김 대표는 “이 제품을 사용하면 빵뿐만 아니라 밥도 지을 수 있고 고구마나 감자 등을 대량으로 삶을 수도 있다”며 “찜 요리까지 가능하므로 백화점과 대형마트, 대형식당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어 앞으로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복합조리기가 회사의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 복합조리기의 효용성에 대한 입소문이 이제 막 나기 시작한 단계입니다. 2013년 8월 인도네시아에 대리점을 만들었는데 현지에서 주문도 꾸준히 있고요. 지난해 회사 매출 120억 원 중 복합조리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5% 남짓이지만 올해는 10%로, 내후년에는 매출이 더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회사 매출을 400억 원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그는 중소기업청의 융복합기술개발사업에 대해서도 “우리 회사의 경우처럼 중소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호평했다. 김 대표는 “이제 제빵기와 조리기도 작고 간편해져야 한다”며 “아직 활성화되지 못한 기계 간 원격제어기능의 활성화가 또 다른 숙제로 남아 있어 기술개발 아이디어를 보완하는 대로 융복합기술개발사업 과제로 신청할 생각”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52","atchfileNm":"원격제어_복합조리기_독자_개발_빵굽고_밥짓고_찜_요리까지_척척.jpg","viewCnt":"2956","regDate":"2015-02-11 15:30:33"},{"contentId":"33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문화일보] 암반 확공지압형 장비 개발… 작년 매출 100억 ‘고속성장’ - 우수기업 사례 : 세종이엔씨","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6","contentsKor":"                       암반 확공지압형 장비 개발… 작년 매출 100억 ‘고속성장’ <1> 우수기업 사례 - 세종이엔씨   “시공현장에서 알게 된 문제점을 기술 융복합으로 극복해 낸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앞으로 적은 비용으로 친환경적인 굴착 공사가 가능해졌습니다.”지난해 12월 26일 대전 유성구 봉명동 세종이엔씨 사옥에서 만난 이재원 세종이엔씨 상무는 기자에게 ‘확공지압형 앵커체’를 들어보이며 이같이 말했다. 문외한인 기자가 보기에 그저 긴 쇠막대기 같았지만, 녹색기술 인증과 건설신기술 인증, 철도신기술 지정을 받으며 경쟁력을 인정받은 제품이다. 지난 2013년 개발된 이 제품 덕분에 세종이엔씨 매출은 2014년 100억 원을 넘으며 고속성장하고 있다.이 제품이 개발될 수 있었던 계기는 다음과 같다. 2007년 설립된 전문건설업체인 세종이엔씨는 터널과 기초보강을 하는 업체다. 고속도로와 비탈면 보강공사를 많이 하다 보니 기존 장비를 사용하는 데 한계점이 보였다고 한다. 공사를 위해 굴착이 필요할 때 114㎜ 너비로밖에 뚫을 수 없어 그만큼 깊이 땅을 파야 하고, 추가적으로 입구를 넓히는 과정에서 토양 손실과 분진 발생도 많았다고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과 다른 기계장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세종이엔씨는 2013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암반부에서 확장이 가능한 굴착 비트와 확공기술 개발사업’을 제안했다.총 사업비 4억1650만 원 규모로 2012년 12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1년간 진행된 이번 사업엔 지반천공용 ‘함마비트’ 생산기업인 탑드릴과 우송대 산학협력단이 함께 참여해 자신들의 장치 제조 노하우를 세종이엔씨의 건설기술과 결합시켰다. 즉 연구는 우송대 산학협력단이, 장치 제조는 탑드릴이 맡는 한편, 세종이엔씨는 개발된 제품을 활용한 건설을 맡기로 한 것.개발은 성공적이었다. 이번 사업을 통해 개발된 확공지압형 앵커체를 활용하면, 굴착할 때 특정부분만을 확대하는 모양을 만들 수 있어 굴착 후 너비를 넓히기 위해 추가로 땅을 팔 필요가 없고 그만큼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그만큼 땅을 덜 파도 된다는 이야기가 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기도 하다. 건설업계에서도 이 제품 개발로 건설기술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며 환영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암반에서 확공이 가능한 장치의 개발로 복잡하고 변화가 심한 국내의 암반조건에서 현장 적용성이 뛰어날 것으로 기대된다”며 “확공을 활용할 수 있는 지반 보강분야의 원천기술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기자와 동행한 김종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차장도 “암반에서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졌고 현행 장비보다 넓게 팔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연간 1000억 원대로 추산되는 관련 시장에서 선전이 기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확공지압형 앵커체를 앞세운 세종이엔씨는 해외 시장 진출을 타진하는 등 향후 비약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이재원 상무는 “3년 안에 지금보다 2배로 성장한 매출 200억 원을 돌파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 기술을 이용해 베트남과 스리랑카에 시장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상무는 융복합기술개발사업에 대해서도 “어느 한 분야의 기술만 가지고는 기업이 오랫동안 존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앞으로 기술 융복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며 “기술 개발이 완료된 후에도 정부가 시장 개척과 판로까지 신경을 써줬으면 좋겠다”는 희망도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51","atchfileNm":"암반_확공지압형_장비_개발_작년_매출_100억_고속성장.jpg","viewCnt":"3223","regDate":"2015-02-11 15:23:49"},{"contentId":"33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문화일보] '융․복합 기술개발'이 답이다! - 中企 신성장동력찾기 대안으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4","contentsKor":"‘융·복합 기술개발’이 답이다! 中企 신성장동력 찾기 대안으로   단일 업종에서 오랜 기간 사업을 해온 중소기업인들 대다수는 생존에 대한 걱정을 덜 때쯤 신성장동력 발굴에 대한 고민에 빠진다. 복잡하고 다양한 변수가 많은 산업 환경에서 개별 중소기업 차원의 기술혁신이나 경영혁신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기술수명이 짧아지고 연구 개발 비용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생각하면 개별 중소기업 차원의 신성장동력 발굴은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중소기업과 연구기관이 힘을 합해 융·복합형 신기술 및 신제품을 개발하는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개발사업’이 신성장동력 찾기와 경쟁력 강화를 모색하는 중소기업들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30일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이 사업은 중소기업과 연구기관 또는 중소기업 간 공동 기술개발을 통해 융·복합형 신제품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노비즈기업), 벤처기업 또는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기업과 중소기업 지원실적을 보유한 공공연구기관, 대학교 등이 사업 참여신청을 할 수 있으며, 기술수요 조사와 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 등에서 발굴·기획된 첨단 융합기술 분야의 기술개발 과제를 지원한다. 사업은 크게 3가지 형태로 나뉘어 진행된다. 먼저 ‘융·복합과제’는 지정공모 방식으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센터연계형 과제’는 자유공모 방식으로 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를 통해 발굴·기획된 융·복합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이전기술과제’는 중소기업에 이전된 대학이나 공공연구기관의 특허기술 상용화를 지원한다. 정부는 이 세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 또는 연구소에 2년간 최대 6억 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이 사업엔 융·복합기술에서 새로운 동력을 찾으려는 중소기업들이 몰려들면서 올해에만 308개 기술개발 과제에 813억 원의 예산이 지원된 상태다.  중기청 관계자는 “개별 중기 차원에서의 융합기술 연구 개발에 대한 투자여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가 선제적 투자를 한다는 의미가 있다”며 “이 사업을 통해 탄생하는 융합기술들이 앞으로 국가경제 발전의 핵심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49","atchfileNm":"융복합_기술개발이_답이다!.jpg","viewCnt":"2902","regDate":"2015-02-11 14:48:37"},{"contentId":"33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청, 14개 업종 9,000 中企에 맞춤형 솔루션 확대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62","contentsKor":"중기청, 14개 업종 9,000 中企에 맞춤형 솔루션 확대 지원 - 클라우드 기반의 경영혁신플랫폼을 통한 14개 업종별 특화솔루션 구축 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인쇄, 아스콘, 콘크리트 등 14개 업종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월 10일(화)부터 경영혁신플랫폼 및 특화솔루션 서비스를 확대 지원한다.      ◦ 지원대상은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경영혁신플랫폼 기반 정보화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특화솔루션 개발과제에 선정된 14개 중소기업 단체로, 전체 9,000여 중소기업이 회원사로 활동하고 있다.      ◦ 지난해에는 쌀가공식품, 출판, 프라스틱, 조선해양기자재, 도금, 정수기, 가스판매 등의 중기단체들과 협약을 체결하여, 7개 업종의 특화솔루션을 지원한 바 있으며, 현재까지 2,000여개의 중소기업이 경영혁신플랫폼에 가입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 경영혁신플랫폼 기반 정보화지원사업은 개발과제에 선정된 업종을 대상으로 특화된 솔루션을 개발하여 중기단체 및 소속 회원사로 활동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 가능 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화지원사업으로,      ◦ 중소기업이 개별적으로 별도의 신청ㆍ지원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협단체의 신청을 통해 지원과제가 선정되면 자유롭게 플랫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 14개 특화솔루션은 2월 10일(화) 개막 행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서비스가 제공된다. 중소기업청 주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주관으로 진행되는 오픈 행사는 11시부터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하였다.      ◦ 이날 행사에는 중소기업청 최철안 국장,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을 비롯해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기관 및 협단체 대표 등 40여 명이 참석하였다.      □ 서비스 이용을 앞둔 중기단체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 “그동안 우리 회사의 업무환경에 맞춰 개발된 시스템이 없어 별도 구축을 하는 방법 밖에 없었으나 자금사정이 좋지 않아 쉽지 않았다”며 앞으로 이용하게 될 경영혁신플랫폼에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은,      ◦ “경영혁신플랫폼은 철저한 보안체계 강화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정보화 환경이 열악한 창업기업 및 소상공인들에게도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는 방안을 강구하여 경영혁신플랫폼을 보다 많은 기업이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47","atchfileNm":"경영혁신플랫폼_14개특화솔루션서비스개시보도자료.hwp","viewCnt":"3012","regDate":"2015-02-11 11:46:19"},{"contentId":"33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새로운 도약을 위한 감성소통의 장 “통섭연단(統攝演壇)”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53","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인문학이 함께하는 감성소통의 장 마련을 통해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중소기업 R&D전문기관 임직원으로서의 기본소양 함양을 위해 2.4(수) 08:00~10:00, 대덕테크비즈센터 대회의실에서 제1회 통섭연단(統攝演壇)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양봉환 원장은 취임 이후 노사상생의 소통경영을 실천하며, 국민에게 신뢰받는 R&D 평가기관으로의 도약을 위해 구성원 간 공감소통을 활성화하고 직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 금번 개최된 통섭연단은 이러한 양봉환 원장의 경영철학을 반영해 전 직원 의견수렴을 실시하고, 주니어보드 등의 검토를 거쳐 명사초청 특강, 생일자 축하이벤트, 유머동영상 대회, 이달의 칭찬사원 선물증정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실시됐으며, 매월 1회 개최예정이다.      ◦ “21세기의 화두, 개척”이란 주제로 특강을 실시한 대덕넷 이석봉 대표는 “시대와 환경을 뛰어 넘는 시대정신으로 창조적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대임을 밝히며, 인생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서 자발적인 개척정신이 발휘될 때 우리의 삶이 보다 행복해 지고 윤택해 질수 있다고 강조”하며, R&D전문기관 임직원으로서 주체적인 개척정신 함양을 당부했다.      □ 양봉환 원장은 “통섭연단 등을 통해 기정원이 국가와 사회, 기업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구성원의 기본 소양을 함양하고, 유쾌하고 행복한 직장 조성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임”을 밝혔다.      □ 이달의 칭찬사원으로 선정된 임규식 연구원은 “통섭연단 및 칭찬사원 제도 등이 조직 내 갈등의 장벽을 허물어 유쾌하고 행복한 직장을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통섭연단 개요 ․개최목적    - 인문학이 함께하는 감성소통의 장 마련을 통해 조직내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 대한민국 중소기업 R&D지원분야 대표 기관 임직원으로서의 자긍심 고취 및 기본소양 함양      ․일시 및 장소 : 매월 첫주 수요일 08:00~10:00, 기정원 회의실 등      ․주요내용 : 명사초청 특강, 이달의 칭찬사원 선정, 이달의 생일자 축하이벤트, 주요 경영현안 설명 등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32","atchfileNm":"통섭연단개최보도자료(20150205배포).hwp","viewCnt":"3086","regDate":"2015-02-04 18:07:59"},{"contentId":"33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각계 의견 수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35","contentsKor":"     기정원,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각계 의견 수렴    - 기정원, 창립 13주년 행사의 일환으로 이해관계자 초청 조찬간담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창립기념일을 맞아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전문기관의 역할에 대한 각계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을 위한 오늘(1/21) 인터시티호텔에서 조찬간담회를 개최하였다.    ◦ 오늘 간담회는 중소기업, 학계 및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중소기업 R&D사업화 성공율 제고를 위해 전문기관의 역할에 대해 다양한 토론이 이루어졌음   * 조찬 간담회 개최 : ‘15.1.21(수), 07:30∼09:30, 인터시티호텔(사파이어홀)   ◦ 또한, 기재부 중기 R&D 기능 통합에 따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의 기능 변화에 대한 설명하였음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및 한국산학연협회에서 수행하던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이 기정원으로 통합하는 절차가 진행될 예정임   □ 오늘 간담회에서 최병선 본부장은 기조발표에서 중소기업 R&D 사업화가 성공하지 못한 주요 원인으로 시장수요의 변화, 양산기술 부족, 추가 사업자금 부족 등을 제시하였다.    ◦ 또한, 중소기업분야 기능조정에 따라 중소기업 R&D지원이 기정원으로 일원화됨에 따라 「기술창업→혁신기업→중견기업」으로 이어지는 성장단계별 지원이 원활해질 것이고,    ◦ 특히, 사업화율 제고를 위해 기정원을 중심으로 자금기관(중진공 ‘정책자금’, 벤처투자, 직접투자)과의 협업·연계 강화를 추진할 계획임을 제시하였음   □ 오늘 간담회 참석자들은 중소기업 R&D의 사업화를 위해 사업별 차별화된 선정평가 지표의 개선, 사업화 이후의 자금 연계 프로그램 및 기술인력의 지속 유치 등을 제시하였음    ◦ 또한 R&D 이후의 사업화를 위한 홍보‧마케팅 비용,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지원 프로그램의 세분화 및 사업화전용 제도 실시 등을 제안하였음   □ 기정원의 양봉환 원장은 “정부의 중소기업 R&D 기능조정에 따라 기정원의 역할과 책임이 더 무거워졌다”면서, “사업화 성공률의 제고가 가장 큰 핵심과제로 대두되었다”고 밝혔다.    ◦ 양원장은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해,   - “R&D 사업의 성격에 따른 평가지표의 다양화, 우수 평가위원의 확보,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지원 프로그램 세분화, R&D 개발 이후 사업화에 대한 컨설팅, 사업화 전용제도 등 참석자들이 제안한 제도개선사항들을 중기청과 협의하여 추진하겠다”고 밝혔다.(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07","atchfileNm":"기정원_개원기념일조찬간담회개최_보도자료(20150122).hwp","viewCnt":"3419","regDate":"2015-01-21 17:48:12"},{"contentId":"33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단일기관으로 효율성·전문성 증대 기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34","contentsKor":"     기정원, 중소기업 R&D 지원 단일기관으로 효율성·전문성 증대 기대    - 창립 13주년을 맞이하여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조찬간담회 개최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중소기업분야의 기능조정에 따라 중소기업 R&D 지원 전담기관으로 강화될 전망    ◦ 정부 방침에 따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및 한국산학연협회 등에서 수행하던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으로 통합하는 절차가 진행될 예정 * 중소기업 R&D분야 공공기관 기능 조정 현황은 [붙임 1] 자료 참조    ◦ 앞으로 기정원을 통해 모든 중소기업 R&D 지원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정책집행의 효율성·전문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 「기술창업→혁신기업→중견기업」으로 이어지는 성장단계별 지원과 함께 정책기획, 성과확산 역할이 강화됨   □ 기정원은 중소기업 R&D 전담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 2015년 기관 업무방향을 정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하였음    ◦ 기술개발 성공기업의 사업화를 위해 정책자금(중진공), 보증(기보․신보), 융자(시중은행) 등과 협력 지원을 추진   - 상반기 중으로 주요 금융기관과 연계하여 기술개발 사업화자금을 연계 지원하는 신규 서비스 출시를 협의 중임    ◦ R&D 관리 선진화 및 평가위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품질경영시스템 도입 및 평가위원 역량강화를 추진하는 등 평가 시스템을 혁신   - R&D 평가관리업무 전반에 대해 국제 규격에 부합하는 표준화·내재화를 실시하고 품질경영시스템 인증(ISO9001) 획득을 추진   - 과제 평가위원의 등급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우수 평가위원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이를 위해 향후 기술평가 전문교육과정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     ◦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경영활동이 어려운 일반 중소기업의 업무효율성 향상을 제고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 저비용 공동활용시스템(경영혁신플랫폼)의 제공을 확대   - 올해 2월부터 경영활동에 필요한 금융, 매입·매출, 전자세금계산서 등 경영정보시스템(기본형 솔루션)을 일반 중소기업에 확대 제공   * 기본형솔루션 서비스 제공 : (14년) 협·단체 회원사→ (15년)일반 중소기업   - 또한, 금년 중으로 신규로 창업한 중소기업에게 적합한 정보 시스템을 개발․보급할 수 있도록 확대를 추진 중   - 장기적으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소상공인 등 정보화경영 취약계층까지 서비스의 제공을 확대하고자 함   * 2015년도 기정원 주요 업무 계획은 [붙임 2] 자료 참조   □ 기관 기능조정에 따라 성공적으로 조직 통합하고, 국내 대표 중소기업 R&D전문기관으로서의 신뢰기반 구축을 위해 중점 노력예정임    ◦ 유쾌하고 행복한 직장문화 조성을 위해 가족친화기업 인증을 획득하고, 동호회 활성화 및 칭찬릴레이 등 소통활동을 적극 전개할 계획이며,    ◦ 새롭게 출발하는 기정원이 국가와 사회, 기업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우리 기관의 비전과 이미지를 재 정립할 예정임   □ 또한 R&D 예산 및 인력 증가에 따라 안정적인 R&D 평가장 운영, R&D사업관리 여건 마련을 위해 독립사옥 건립을 추진    ◦ 중소기업 R&D 서비스 품질의 제고 및 R&D 관리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독립사옥 건립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음   - 사옥 부지는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동이며, 올해는 실시설계를 추진하고 ‘17년에 준공할 계획   □ 기정원은 창립 13주년을 맞이하여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전문기관의 역할에 대한 각계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위해 1월 21일(수) 조찬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임      ◦ 이날 간담회는 중소기업, 학계 및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중소기업 R&D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전문기관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토론이 이루어질 예정임   * 조찬간담회 개최 : ‘15.1.21(수) 07:30∼09:30, 인터시티호텔(사파이어홀)    ◦ 또한 기재부 중기 R&D기능 통합에 따른 기정원의 기능변화에 대해서도 설명할 예정임.(끝)","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2706","atchfileNm":"기정원_중소기업RnD지원단일기관으로_효율성전문성증대_보도자료(150122).hwp","viewCnt":"3628","regDate":"2015-01-21 17:39:31"},{"contentId":"33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기부활동) 2년째 이어가는 “함께하는 지역 희망의 나눔”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25","contentsKor":"  (기정원 기부활동) 2년째 이어가는 “함께하는 지역 희망의 나눔” 실시   기정원에서는 ‘13년에 이어 작년 연말(’14년 12월)에도 지역사회의 5개 복지관, 보육원 등에 기관 명의로 위문품(403만원 상당)을 전달하는 “2014년 함께하는 지역 희망의 나눔”을 실시하였습니다.   산내종합사회복지관과, 유성구노인복지관(독거어르신 돕기), 대전이주외국인종합복지관에는 온누리 상품권으로 각각 80만원씩 기부하였고, 유성구장애인복지관은 의료기기 기부물품을(님보후방지지워커), 성심보육원은 생활용품(세제, 주방행거)과 청소기, 신발을 기부하였습니다. 연말연시를 맞이해 작은 작성을 모아 우리 주변의 소외도고 어려운 이웃에게 희망을 사랑을 전달하여 따뜻하고 행복한 겨울을 나도록 작은 것도 함께 나눈 기정원과 임직원 여러분께 뜨거운 박수를 보냅니다.","viewCnt":"3036","regDate":"2015-01-13 18:57:41"},{"contentId":"33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기부활동) 나눌수록 커지는 사랑의 마음 '기부' 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3324","contentsKor":"  (기정원 기부활동) 나눌수록 커지는 사랑의 마음 '기부' 활동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에서는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과 함께하기 위해 기정원 전 직원과 기관 핵심 분야인 R&D지원 평가위원이 동참하는 자발적 성금 모금활동을 2014년 12월 11일부터 21일까지 하였습니다. 또, 12월 급여에서 만원미만 절사 등 전 직원이 동참할 수 있는 모금 활동을 실시하였습니다.(모금액 : 총 89만원)   모금된 89만원 중 80만원은 평소 성실하고 우수한 성적은 받은 대전공업고등학교 두 명의 학생들에게 각각 40만원씩 장학금을 전달하였습니다. 장학금 수여식은 12월 30일 기정원 원장실에서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9만원으로는 세이브더칠드런 신생아 모자뜨기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신생아 살리기 모자뜨기 캠페인”은 신생아들을 위해 모자를 직접 떠서 아프리카나 아시아 등 체온 조절과 보온이 필요한 28일 미만의 신생아들에게 전달해 주는 참여형 캠페인입니다. 봉사동호회 “봉자살롱”에 구입한 키트를 제공하고 동호회 회원들이 신상아 모자를 떠서 세이브더칠드런 신생아 살리기 모자뜨기 캠페인에 보낼 예정이라고 합니다.   기정원 사회공헌활동의 이찬형 팀장은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나눌수록 커지는 기쁨과 행복을 누려 보시는 건 어떨까요? 연말 성금 모금 활동에 동참해 주신 R&D 지원 평가위원, 원장님, 세 분의 본부장님, 노동조합 집행부, 우리원 임직원 등 모든 분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얘기했습니다.","viewCnt":"3160","regDate":"2015-01-13 18:54:38"},{"contentId":"25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경제프리즘] 기업의 전통과 문화, 강점으로 살려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94","contentsKor":"경기일보 [경제프리즘] 기업의 전통과 문화, 강점으로 살려야 섣달 그믐께를 일컫는 세밑에는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들 역시 지난 한해를 정리하고 다가오는 새해를 준비하기에 여념이 없다.기업들은 일 년간의 성적표를 뒤적이며 실적이 저조한 사업을 정리하기도 하고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해 새로운 사업 분야로 눈을 돌려보기도 한다. 신사업 개척에 있어 기업의 전통과 문화는 그 기업을 지켜준 명예임과 동시에 하나의 걸림돌로 작용하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다.그러나 신사업분야 확장으로 인한 기업의 성장에 있어 기업의 문화와 전통이 과연 진부한 것이라는 이유만으로 굴레라는 오명을 써야만 하는 것인지 몇 가지 국내외 사례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먼저 세계적 성공신화 중 하나로 손꼽히는 스타벅스의 사례를 살펴보자. 스타벅스의 창립자인 하워드 슐츠는 그의 저서 ‘스타벅스,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신화’에서 테이블위나 바 위에 에스프레소 잔을 놓고 담소를 나누는 이탈리아인들의 커피 문화에서 로맨스를 발견했다고 쓰고 있다. 그는 미국으로 돌아와 고급 원두를 사용한 드립 커피류를 저렴하고 편리하게, 대량으로 표준화된 방식으로 제공해 스타벅스의 성공신화를 이루게 됐다.그러나 이탈리아의 커피 문화로부터 영감을 받아 성공한 스타벅스사는 아이러니하게도 이탈리아에 단 한 곳의 점포도 진출하지 못했다. 이탈리아 커피 장인들은 커피에 대한 자부심과 지속적으로 기술을 계승, 발전시켜 글로벌 기업의 공세에도 그 자리를 꿋꿋하게 지켜나가고 있다.스위스의 시계 산업 또한 마찬가지다. 140여 년을 영위해온 스위스의 시계산업은 지난 1970년대 전통적인 태엽 시계와 달리 태엽을 감을 필요도 없고 비교적 관리가 쉬운 쿼츠 시계가 나오면서 시계산업의 규모가 크게 줄었다. 스위스시계산업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1970년 9만 명에 달하던 근로자들은 1984년 3만 명으로 줄어들었으며 업체 수도 1천600개에서 600개로 대폭 감소했다.그러나 스위스 시계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을 도모함과 동시에 기계식 시계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을 고수하며 장인정신에 대한 자부심으로 이 위기를 극복했으며, 이는 스위스 시계 수출량이 지난 10년 연평균 7.2%씩 성장하고 있는 성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이 같은 사례는 우리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전북 군산의 이성당과 대전의 성심당이 바로 그 대표적인 예다. 두 빵집은 패스트푸드와 브랜드 빵집의 공세 속에서도 각각 1920년과 1956년으로부터 100여 년이라는 세월을 살아남고 지금까지도 굳건히 자리 매김하고 있다. 두 기업은 원료에 대한 고집스러움은 물론 고유의 식감 유지를 위해 번거로운 제조과정을 고수하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또한 핵심은 지키되 새로운 시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기술을 연마해 신상품을 제공하는 점도 유사하다. 이처럼 기업의 전통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상품기술개발 결과가 더해져 경쟁력을 강화하고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 사실을 살펴볼 수 있다.살펴본 사례들을 일반화해 무작정 한 우물 파기식의 기업전통과 문화를 고수해야 한다는 말을 하고자 함이 아니다. 세계적 불황기 속에서 중소기업이 생존을 위해 여러 방면의 사업 구상을 고려하는 세밑에, 기업들 자신이 잘 알고 있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강점을 단지 신사업분야로의 확장에 대한 유혹에 밀려 간과하지 않고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잠시나마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8","atchfileNm":"[경제프리즘] 기업의 전통과 문화, 강점으로 살려야.pdf","viewCnt":"3328","regDate":"2014-12-19 10:49:45"},{"contentId":"25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 <4> 우수기업 사례 : 하이레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93","contentsKor":" 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4> 우수기업 사례 : 하이레벤 하이레벤은 태양광 발전의 출력을 높여주는 장비 및 서비스 업체다. 신재생에너지 대표주자로 부상한 태양광발전소는 장시간 외부 노출로 과열, 오염, 적설이 발생해 출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경기도 성남에 있는 하이레벤은 태양광 출력을 높여주는 장비를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임직원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하이레벤이 개발해 판매하고 있는 장비는 냉각수 등을 이용해 이를 해결해준다. 이런 장비를 ‘BOS(Balance Of System)’라고 부르는데 BOS 장비를 설계, 판매하는 곳은 국내에서 하이레벤이 유일하다. 2008년 5월 하이레벤을 설립한 유상필 사장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원과 뉴욕 컬럼비아대학 방문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연료전지와 태양광, 풍력을 이용한 ‘제로 에너지하우스 프로젝트’를 보고 태양광에도 냉각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돼 이를 사업화하기 위해 창업했다”며 “수압을 이용한 제트 분사로 태양광 패널을 냉각 및 세정하는 장비인 ‘썬업(SUNUP)’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용화했다”고 밝혔다. 그는 “태양광 발전은 과열, 오염, 적설 때문에 출력 저하가 일어나는데 ‘썬업’은 이를 한 번에 해결해준다”며 “신규 태양광 발전소는 물론 기존 태양광 발전소에도 설치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하이레벤이 BOS 제품을 개발해 태양광발전 장비 업계 선두주자로 부상한 데는 중소기업청이 시행하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이 큰 도움이 됐다. 이 사업은 기술개발 역량이 뛰어나지만 개발 자금이 부족한 창업 초기 기업과 1인 창조기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창업 기업의 생존율 제고와 초기 기업의 연구개발(R&D)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고, 새로운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1인 창조기업이 기술기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용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 유 사장은 “중기청의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 받아 2011년 6월부터 1년간 전사적 노력을 기울인 끝에 ‘태양광발전 BOS용 펌프스테이션’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며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에 매우 유용한 사업”이라고 밝혔다. 하이레벤의 썬업’은 크게 세 가지 제품으로 이뤄졌다. 우선 대용량 제품인 ‘썬맥스(SUNMAX)’는 1㎿ 이상 대용량 태양광출력시스템에 사용한다. 소용량 제품인 ‘썬맥스 미니(SUNMAX mimi)’는 30~200㎾ 소용량 태양광 출력향상 시스템에 유용하다. 이들 산업용 외에 가정용인 ‘솔라케어(SOLARCARE)’도 있다. 이들 제품은 △발전으로 인해 최대 60℃까지 상승한 태양광 모듈의 온도를 낮춰 과열을 방지하고 △외부 노출로 인한 태양광 모듈 표면의 먼지, 모래, 조류 분비물 등을 씻어주고 △겨울철 제설로 태양광발전의 출력을 높여준다. 하이레벤은 BOS 제품을 활용한 ‘태양광 유지관리 서비스(AOP)’도 국내 처음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인버터·전력배선·구조물 등의 육안 검사 △특수 열화상 촬영을 통한 태양광 모듈 검사 및 열화 분석 △주기적 상시 점검 △최적 발전소 환경 관리 및 이물질 제거 등으로 이뤄져 있다. 최근에는 태양광 출력향상 무상설치 및 운영 프로그램(BLP)도 선보였다. 이 프로그램은 BOS를 무상으로 설치, 임대해 주고 추가 발전 수익이 발생하면 이의 일부를 임대료로 받는 것이다. 녹색기술 분야 대표 기업으로 자리잡은 하이레벤은 국내 130여건, 해외 10여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2011년 11월 올해의 녹색기술 기업에 선정되는 등 여러 상을 받았다. 국가 경제발전과 기술창업 및 청년창업 활성화에 기여한 청년기업인에 주는 ‘2014 청년기업인상’ 국무총리 표창도 유상필 사장이 최근 수상했다. 대기업 등 국내에 약 20곳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고 직원 40%가 연구원일 정도로 기술개발을 중시한다. 올해 매출은 지난해보다 갑절 이상 많은 100억원 돌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수출도 적극 나서고 있다. 연초 일본에 가정용 제품(솔라케어)을 공급하는데 성공한데 이어 미국과 유럽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7","atchfileNm":"기업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4.끝 우수기업 사례-하이레벤.png","viewCnt":"3543","regDate":"2014-12-19 10:47:08"},{"contentId":"259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 <3> 우수기업 사례 : 아미코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92","contentsKor":" 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3> 우수기업 사례 : 아미코젠 아이디어보다는 끈기 있는 연구가 중요하고, 기술 자체의 실패보다는 연구개발 과정의 포기로 인한 실패가 많은 곳이 바이오 업계다. 그 만큼 바이오벤처는 성공하기 어렵고, 일단 성공하면 그 열매 또한 크다. 신용철 아미코젠 사장(맨 왼쪽)과 연구원들이 사내 R&D센터에서 세계 일류 바이오기업으로 성장을 다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신용철 아미코젠 사장(맨 왼쪽)과 연구원들이 사내 R&D센터에서 세계 일류 바이오기업으로 성장을 다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아미코젠(대표 신용철)은 효소기술로 세계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효소 전문 바이오벤처다. 지난해 매출은 231억원, 올해는 280억원 목표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력 품목은 전량 중국에 수출하는 항생제 제조용 특수 효소다. 자체 개발한 유전자 진화기술을 이용해 항생제 원료의 생산 공정에 필요한 효소를 만들어 공급한다. 아미코젠의 효소를 사용하면 기존에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화학적 처리방법을 쓰지 않아도 된다. 항생제 원료 제조 과정을 친환경 방식으로 바꿀 수 있고, 동시에 생산성도 높아진다. “2000년에 회사를 차린다고 했을 때 주변에선 모두 망한다며 말렸습니다. 당시 학자였던 저를 못 믿는 것도 있었지만 분야 자체가 성공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쉽지 않은 분야라고 생각했기에 뛰어들었습니다. 세상은 쉽게 풀릴 것 같은 일일수록 안 풀리고, 잘 안될 것 같은 일일수록 성공 사례가 많습니다.” 신용철 사장은 아미코젠 설립 당시를 이렇게 얘기했다. 핵심 경쟁력인 유전자 진화기술 기반의 효소생산 기술을 사업화하기까지 아미코젠은 수많은 난관에 부딪혔다. R&D 자금 부족은 다반사였고, 이로 인해 외부 투자유치가 기업을 넘겼다는 인수합병으로 오인받기도 했다. 2005년에는 기술성 평가를 통해 코스닥 상장을 시도했지만 실패의 아픔을 겪었다. ‘필요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자’며 정부 지원 R&D 과제를 회피했던 신 사장의 주관 또한 이 어려운 고비 속에서는 불필요한 아집처럼 비쳐졌다. 중소기업청 지원 아래 2011년 수행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신 사장이 고민 끝에 선택한 정부 지원과제 중 하나다. 하지만 결과는 회사 성장의 전환점이 됐다. 이 과제를 통해 아미코젠은 생산원가 절감 방안 등 수출에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점검하고 보완해 완료할 수 있었다. 이듬해인 2012년부터 아미코젠의 중국 수출은 급상승했고, 현재 전체 매출의 70%에 육박한다. 지난해 코스닥 상장은 이 같은 경영 실적으로도 가능했지만 신 사장은 기술벤처의 자존심을 살려 기술성 평가로 재도전해 통과했다. 효소기술 기반의 바이오 신소재는 특수효소에 이은 아미코젠의 주력 사업 분야다. 자체 친환경 발효공법으로 만든 관절건강 및 피부보습용 N-아세틸글루코사민 등 친환경 바이오 소재를 여러 다국적 바이오 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지난 6일에는 미국 FDA GMP 실사에서 식품 수출에 적합한 제조시설을 갖췄다는 점을 인정받았다. GMP 실사 통과는 제조 시설과 안전관리 시스템이 FDA 기준에 적합하다는 의미다. 향후 미국과 해외 수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시장에서는 바이오 신소재를 응용한 각종 건강기능식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아미코젠은 올해 신규 사업으로 ‘u헬스 면역 진단기기 개발’에 착수했다. 내년에는 백신 개발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신용철 사장은 “바이오 분야는 어려운 만큼 성취감도 크고, 어렵기 때문에 오히려 성공 확률이 높을 수도 있다”며 “잘 아는 분야,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일보다는 오랜 시간 열정을 갖고 끈질기게 도전해야 하는 바이오산업에 젊은이들의 창업이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6","atchfileNm":"기업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3. 우수기업 사례-아미코젠.png","viewCnt":"3245","regDate":"2014-12-19 10:43:11"},{"contentId":"259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 <2> 우수기업 사례 : 피앤테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91","contentsKor":" 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2> 우수기업 사례- 피앤테크  “태양광용 퍼니스 장비 분야에서 세계 최고 생산성을 자랑합니다.” 피앤테크(P&TECH)는 태양광과 반도체용 ‘퍼니스(Furnace)’ 장비 전문업체다. ‘퍼니스’는 온도와 가스, 압력 등을 가해 원하는 막질(膜質)을 생성케 하는 열처리 장비다. 피앤테크는 하이닉스(현 SK하이닉스)에 다니던 박종신 사장이 나와 설립했다. 창사 10여년 만에 태양광용 퍼니스 장비 분야에서 국내 독보적업체로 성장했다. 국내 태양광 퍼니스 장비 시장에서 점유율이 50%를 넘고 있다. 박 사장은 “올 5월 튜브 당 웨이퍼를 600장, 총 3000장을 탑재할 수 있는 ‘1시스템(System) 5튜브(Tube)’ 장비 개발에 성공, 생산성만 보면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국내에 태양광 퍼니스 장비 기업이 몇 개 있지만 양산 능력을 갖춘 곳은 우리가 유일하다”고 덧붙였다. 이 회사는 제조뿐 아니라 설계 능력까지 보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객의 에프터서비스(AS)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보통 외산은 AS에 한두 달 걸리지만 이 회사는 하루 만에 할 수 있고, 가격도 외산에 비해 30% 정도 저렴하다. 대기업과 대학 등 40여곳에 태양광 퍼니스 장비를 공급했다. 이 회사 성장에는 중소기업청이 시행하고 있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이 한몫했다. 이 사업은 기술개발 역량이 뛰어나지만 개발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지원해 큰 호응을 받고 있다. 피앤테크는 2011년 6월부터 1년간 이 사업을 수행하면서 고효율 태양광용 퍼니스를 개발했다. 박 사장은 “자금부족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에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가뭄에 단비’ 같은 존재”라며 “정부가 이런 사업을 계속 확대해줬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피앤테크는 태양광뿐만 아니라 반도체용 퍼니스 장비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반도체 관련 학과가 있는 국내 이공계 대학은 대부분은 피앤테크 퍼니스를 사용한다. 해외에서도 큰 활약을 하고 있다. 최근 2년간 대만 시장에서 세계 2위 기업과 일곱 차례 수주 경쟁을 벌였는데 여섯 번이나 승리했다. 이 회사가 이 같은 성과를 거둔 것은 설립 초기부터 반도체용 퍼니스 장비에 주력하는 등 이 분야에서만 10년 넘는 경험과 우수한 기술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특허는 ‘태양전지 웨이퍼용 프로세스 튜브의 배기 노즐’을 비롯해 11건을 보유하고 있다. 직원은 32명이고 80% 이상이 연구개발자와 엔지니어다. 지난 2006년 2월에는 중국 상하이에 제조와 영업을 담당하는 독립법인도 설립했다. 전체 매출의 60% 정도가 태양광용 퍼니스에서 나온다. 이어 반도체용 퍼니스가 30%,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과 재생(리퍼비시) 분야가 10% 정도를 차지한다. 박 사장은 “고객사랑, 기술중시, 인재양성의 경영 이념을 바탕으로 전 직원이 혼연일체가 돼 한국의 태양광 및 반도체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며 “세계최고 수준 첨단 기술과 앞선 품질을 바탕으로 21세기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5","atchfileNm":"기업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2. 우수기업 사례-피앤테크.png","viewCnt":"3425","regDate":"2014-12-19 10:36:44"},{"contentId":"25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1>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90","contentsKor":" 전자신문 [기술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 <1>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수년 째 고용이 늘지 않는 성장 시대가 계속되고 있다. 정부가 일자리 창출과 고용 확대를 최우선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기술창업이 주목받는 이유다.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적 전문성이 뒷받침된 기술 창업이 창조경제의 대표적인 중소기업 성장 모델로 부각되고 있다. 비록 실패 위험성은 높지만 고용의 질과 성장 속도가 일반 기업에 비해 월등히 높아 고용 없는 성장을 해소할 대안으로 꼽힌다. 중소기업청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기술창업과 1인 창조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종합 프로그램이다. 이에 전자신문은 중소기업청,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공동으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지원 정책과 우수사례를 집중 조명하고, 기술창업 활성화를 도모한다.중소기업청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정부의 대표적인 기술창업 지원 정책이다.기술개발 역량은 뛰어나지만 개발 자금이 부족한 창업 초기 기업과 1인 창조기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창업 기업의 생존율 제고 및 초기 기업의 연구개발(R&D)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고, 새로운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1인 창조기업이 기술기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용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중기청은 3년 전 창업보육기술개발사업을 기존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의 창업·실용과제와 통합해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으로 확대·개편했다.◇ 주요 성과중기청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5년간 지원한 과제는 총 3000여개로, 지원 규모만 무려 3600억원에 달한다.2009년과 2010년 각각 100억원 수준에 머물렀던 지원 예산은 정부의 기술창업 활성화 의지가 강화되면서 2011년 950억원, 2012년 1136억원, 2013년 1314억원으로 급증했다.그간 거둔 성과도 값지다.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종료된 과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과제 지원을 받아 개발한 제품 평균 매출액이 8억원에 달하고, 정부 지원금 1억원당 5억4000만원의 매출액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신규 고용 창출 효과도 뛰어나다.과제당 평균 3.21명의 신규 고용이 창출됐고, 정부 지원금 1억원당 2.1명이 신규 고용된 것으로 조사됐다.기술 수준도 향상됐다. 과제 지원으로 평균 27.1%의 기술 수준 향상 효과가 발생했다. 선진국 대비 기술 격차도 평균 2.2년으로 단축됐다.기술자립도 역시 평균 38.4% 향상됐고, 지원 기업의 95.3%가 기술개발 단축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지원과제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창업과제 부문(창업과제, 투자연계 멘토링)과 1인 창조 기업 과제 부문(1인 창조기업, 이공계꿈나무)으로 나뉘어 지원한다.창업과제는 창업 7년 이하, 종업원 수 50인 이하 또는 매출액 50억원 이하인 중소기업을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1년간 최고 2억원까지 지원한다.투자연계 멘토링 과제는 엔젤투자 및 벤처캐피털의 투자 참여와 함께 일대일 멘토링을 조건으로 지원하며, 1년간 최고 2억원까지 지원한다.1인 창조기업 과제는 1인 창조기업을 대상으로 1년간 최고 1억원, 이공계 꿈나무 과제는 10개월간 최고 5000만원을 각각 지원한다.◇ 올해부터 확 달라진 지원 정책중기청은 올해부터 창업 기업 및 1인 창조기업의 R&D 지원을 통해 성장 단계별 기술 창업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소규모 창업 기업에 특화된 기술 개발 평가 지표를 마련하고, 창업 기업의 성장 단계별 지원 수요를 고려해 지원 내용을 차별화했다. 지원 대상 범위를 창업 지원법에 따라 업력 5년에서 7년으로 확대하고, 지원 대상 및 지원 목적에 따라 지원 내용과 지원 방식도 차별화했다.내년도 사업은 올해보다 규모가 더 커진다. 총 지원 규모가 1624억원으로 올해보다 14.9% 확대될 전망이다. 지원 과제수도 올해(850개)보다 197개 많은 957개로 늘린다.김한식 중기청 기술개발과장은 “창업기업이 창조경제를 이끌어 나가는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 예산 확대와 민간 투자자금 연계 등을 통해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4","atchfileNm":"기업창업이 창조경제 이끈다. 1.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png","viewCnt":"3382","regDate":"2014-12-19 10:31:11"},{"contentId":"25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정보진흥원, 中企 정보화·SW 지원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9","contentsKor":"“중소기업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활용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개최 - ’14년 11월 12일(수)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 - 오는 11월 12일(수) 14시에 “중소기업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활용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주최 : 이원욱 의원실, 중소기업청, 전자신문, 주관 : 이원욱 의원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가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개최된다. 중소기업의 경영효율성 제고 및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지원을 위한 정책 방안 모색을 위해 이번 토론회는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지원의 필요성과 방향,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지원법안 제정의 필요성이라는 두가지 주제에 대하여 각계 전문가, 유관기관 및 IT기업 등이 발표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지원 현황과 방향, 중소기업의 정품 소프트웨어 활용 촉진 방안 등 중소기업 지원방안과 법안 제정을 위한 제언 등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 중소기업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지원에 관심있는 중소기업 및 IT기업 관계자는 누구나 참석 가능하며, 참석자의 다양한 의견을 듣는 자리도 마련되어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중소기업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한 정부의 지원방안 및 법안 제정 등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며, 정부지원 및 법안 제정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원욱 의원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중소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중소기업청과 함께 실효성있는 대안을 마련하겠다.” 라고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3","atchfileNm":"(141107)정책토론회 보도자료 v.2.hwp","viewCnt":"3310","regDate":"2014-11-25 14:57:13"},{"contentId":"25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진학과 취업","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8","contentsKor":" [경기일보] 진학과 취업 청명하고 온화하던 가을 날씨가 13일 수능시험일을 전후해 쌀쌀해진다는 기상청의 발표가 나왔다. 과거의 입시 한파에는 못 미치지만 대입 수능시허일이 다가왔음을 차가운 날씨로 실감하게 된다. 수능시험일에 즈음해 필자가 지난해 말에 접햇던 다소 놀라웠던 통계치를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폴리텍대학(이하 폴리텍대학)은 지난해 말 2005 ~ 2013년까지 기능사(1년 직업훈련과정) 과정에 재학하는 학생 중 4년제 대학과정을 경험했거나, 졸업한 고학력자가 다시 입학한 경우가 전체의 41.6%에 달한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폴리텍 대학에 다시 입학하는 이유로 '이전 대학에서 실질적인 직업교육을 받지 못한 것'이 27.2%, '적성에 맞지 않는 학과를 선택한 것'이 26.1%, '취업 실패' 23.3%순으로 대답했다. 학생들의 57.6%가 폴리텍 대학에 원하는 것은 '실질적인 엄무능력 향상'이라고 답했으며, 이전 대학의 입학 동기로 '학문탐구'라고 응답한 하생의 24.9%가 폴리텍대학 입학 동기로 '자격증 취득'을 꼽았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자신의 적성에 따른 진로 설정의 어려움과 직업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막연하게 수능 점수에 맞춰 대학과 학과를 선택한 것이 이후 대학생활의 적응실패, 취업 실패로 이어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졌음을 시하하고 있다. 실제 올해 통계청이 발표한 우리나라 전체 실업률을 보면 2008년 3.2%, 2011년 3.4%, 2014년 5월 3.6%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비해 청년 실업률은 2008년 7.2%, 2011년 7.6%, 2014년 5월 8.7%로 계소해서 악화되고 있으며, 청년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의 두 배를 넘고 있다. 이를 자세히 보면 전문대학과 대학을 아우르는 고등교육기관의 졸업자 취업률은 지난 2005년 74.1%에서 2014년 58.6%까지 하락했다. 세간에서 말하는 이태백(이십대의 태반이 백수)의 이야기를 통계 수치로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한편, 올해 9월 교육부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로 대표되는 비 인문계고등학교 졸업생의 취업률(2014년 4월 1일 기준)은 전년대비 3.3% 증가한 44.2%로 나왔으며, 진학률은 전년 대비 2.9% 감소한 38.7%로 지난 2001년 이후 13년 만에 취업률이 진학률을 앞지르는 현상이 빚어져다. 이는 취업률은 2009년 16.7%에서 44.2%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진학률은 2009년 73.5%를 정점으로 2014년 38.7%까지 급격히 감소한 추세를 보여주는 것으로, 산업계 및 기업이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도 고졸 인재의 능력을 인정하고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노력한 점과 이를 적극 권장한 정부의 노력 등이 종합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중되는 청년실업의 고통 속에서, 대학 재입학생의 증가와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률 증가 드응로 나타는 통계를 '직업에 대한 뚤셔한 이해와 자시느이 적성에 기좇한 진로 선택이 막연한 장래성과 학교 성적에 기초한 진로선택을 대체해 나가는 사회적 변화'로 해석한다면 너무 앞서가는 것일까? 이제 수능시험을 며칠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모든 수험생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를 바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받아든 수험생드이 자신의 적성, 직업의 경계 등 모든 것이 불확실한 현실에서도 합리적이고 신중한 선택을 통해 시행착오를 겪지 않게 되기를 소망한다. 또 우리 사회가 수험생들의 잘못된 선택이 사회적 비용으로 확대되지 않고, 현명한 선택이 가늘할 수 있는 환경으로 진화해 나가길 기원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2","atchfileNm":"[경제프리즘] 진학과 취업.pdf","viewCnt":"3266","regDate":"2014-11-25 14:46:24"},{"contentId":"25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앙일보] 아이디어로 500억대 수익'쿼키'의 비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7","contentsKor":" 아이디어로 500억대 수익'쿼키'의 비결 (양봉환 원장) 구부러지는 멀티탭, 물건 분류를 쉽게 해주는 고리 달린 고무줄, 케이블 선 정리기. 사소하지만 생활의 편리함을 높여주는 이 제품들은 미국의 "퀴키(Quirky)' 라는 스타트업을 통해 탄성한 아이디어 상품이다. 아이디어도 기발하지만, 더 재미있는 거은 이 상품이 만들어지게 된 과정이다. 누군가 홈페이지에 아이디어를 게시하면 회원이 이를 평가하고, 좋은 평가를 받은 아이디어는 사업화로 이어진다. 생산된 제품은 전 세계에 판매된다. 이 과정에서 쿼키의 역할은 '아이디어 공유 플랫폼을 통해 이 회사는 전세계 60만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300개 이상의 제품을 출시해 500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최근 국내외를 막론하고 많은 산업에서 쿼키와 같은 자원공유 플랫폼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 자신의 주거공간을 공유해 숙박공간을 만들어낸 에어비앤비(AirBnB),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시간에 차를 고유하는 집카(Zipcar), 우버(Uber) 등이 대표적인 예다. 플랫폼은 이미 존재하는 자원을 공유해 활용도를 높이고, 비용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창조 경제의 사업모델로도 각과받고 있다. 특히 법률, 회계 등 기업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를 모두 운영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에게는 핵심 역량 집중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도 경영혁신 플랫폼(www.smplatform.go.kr)을 통해 중소기업이 서버 및 네트워크 등 정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플랫폼 공유를 통한 스타트업(초기 창업 기업)이 승승장구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역량 있는 소기업의 육성을 위해 기업이 보유자원을 핵심 사업 분야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정부의 지원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중소기업이 갖추기 어려운 정보화 기반에 대한 지원이 절실하다. 경영혁신 플랫폼과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해 정보 자원을 공유하면 저비용, 고효율의 지원이 가능하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1","atchfileNm":"20141114_중앙일보_b10면_140546.jpg","viewCnt":"3970","regDate":"2014-11-25 14:13:47"},{"contentId":"25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예비 기술창업 대학생들의 멘토 역할 수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6","contentsKor":" 기정원, 예비 기술창업 대학생들의 멘토 역할 수행 - 대학생 창업 R&D 지원 멘토링 프로그램 진행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대구․경북지역 8개 대학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창업 R&D 지원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11월 21일 오후 대전 본원에서 진행하였다.  이번 행사는 대경벤처창업재단(이사장 송종호)의 대학창업공동아카데미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청의 대학생 창업 R&D 지원 사업에 대한 정책정보 설명과 R&D 과제 신청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다.  이날 오전 중소기업청의 창업정책강의를 수강한 대학생들은 오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방문하여 직접 기술자료를 조사하고 창업 R&D 과제계획서를 작성하는 실습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연구원들이 기술자료 조사방법과 사업계획서 작성에 대한 지도와 조언을 통해 창업 대학생들의 일일 멘토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운영 중인 R&D 평가장을 직접 둘러보며 과제 발표와 평가 절차에 대한 설명을 들음으로써 정부 R&D 과제 신청․평가를 미리 체험해 보는 기회도 가졌다. 행사에 참여한 박대규 학생(대구카톨릭대, 4)은 “준비 중인 창업 아이템이 시장경쟁력을 갖기 위해 필요한 기술조사, 기술과제 기획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고 전했다. 중소기업청 R&D 전문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2014년 한 해 1,024개의 창업 기업에게 1,300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30","atchfileNm":"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창업대학생 멘토링_보도자료(141121).hwp","viewCnt":"3173","regDate":"2014-11-21 15:39:44"},{"contentId":"25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경영혁신플랫폼 지원 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5","contentsKor":"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3,000개 협동조합에 확대 지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경영혁신 플랫폼 지원 협약 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원장 김재구)과 협동조합 및 사회적협동조합(이하 협동조합)의 경영혁신플랫폼 서비스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11월 20일 오전 11시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업무협약식을 갖고,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원장과 김재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원장이 각각 협약서에 서명하였다. 주요 협력 사항을 살펴보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현재 운영 중인 클라우드 기반 경영혁신플랫폼(smplatform.go.kr)의 기본적인 경영지원 서비스(기본형솔루션*)를 협동조합이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회적기업진흥원이 이를 위한 예산 확보와 회원모집을 진행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기본형솔루션(8종) : 금융관리, 매입매출관리,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부가세관리, 영업관리 등 경영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일반업무 기능 이번 협약은 그동안 구축비용 및 유지보수 등의 부담으로 정보화 경영에서 소외되었던 영세 협동조합 및 사회적기업의 정보화 격차 해소와 효율적인 경영활동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9","atchfileNm":"141120_기정원_사회적기업진흥원 업무협약 보도자료.hwp","viewCnt":"3342","regDate":"2014-11-20 16:32:47"},{"contentId":"25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진흥원, 계족산 자연 정화 활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4","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진흥원, 계족산 자연 정화 활동 - 기정원, 지역 사회 일원으로 거듭나고자 노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이하 기정원)은 지난 8일 대전 대덕구 장동에 위치한 계족산 일대에서 가을철 등산객들이 버리고 간 쓰레기를 치우는 자연 정화 활동을 벌였다. 100여명의 임직원들은 자연보호 문구가 적힌 어깨띠를 착용한 채 계족산성에서 공원 관리사무소까지 이르는 등산로 주변에 버려진 쓰레기를 줍느라 구슬땀을 흘렸다. 이 날 행사를 주관한 김현중 경영지원부장은 “기정원이 대전에 정착한 지는 얼마 안 되지만,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거듭나고자 앞으로 지역사회 공헌 활동을 활발히 전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기정원은 2013년 3월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의 접근성을 강화하고자 서울 여의도에서 대전 유성구 도룡동으로 이전한 바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8","atchfileNm":"기정원 계족산 자연보호.hwp","viewCnt":"3046","regDate":"2014-11-12 13:22:41"},{"contentId":"25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경제프리즘] 베이비부머 은퇴와 함께 온 기업승계- 양봉환 원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3","contentsKor":" [경기일보 경제프리즘] 베이비부머 은퇴와 함께 온 기업승계 - 양봉환 원장 요즘 우리 사회에서 베이비부머의 생계형 창업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이들 베이비부머들은 노후대책이 없어 은퇴자 4명 중 3명이 생계형 창업에 뛰어든다고 한다. 그런데 창업한 지 3년 만에 절반이 실패하고, 5년이면 3분의 2가 폐업한다니 심각한 문제인 것은 사실이다. 베이비부머는 한국전쟁 이후 출산율이 급증한 1955년부터 산아제한 정책이 도입되는 1963년 사이에 탄생한 세대를 가리키는 말로, 우리 사회를 산업화와 민주화로 이끈 주역이다. 흔히 ‘58년 개띠’로 대표되는 이들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를 시작한 2010년부터 현재까지 은퇴한 베이비부머는 72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5%에 달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만 문제일까? 올해 상반기 국내 M&A시장에 50억원~1천억원대의 중소ㆍ중견 기업 67건이 매물로 나왔다고 한다. 금액으로만 2조5천억원에 달해 작년 한 해 매각규모에 이르렀다는 소식이다. 우리 경제의 고도성장기(1970~80년대)에 출발한 기업의 창업주 은퇴는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함께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또 하나의 경제 문제임을 반증하는 통계자료다.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가업승계 실태조사에 따르면 가업승계 성공가능성은 2세대가 30%, 3세대는 14%, 4세대에 이르면 4%에 불과하다고 하다. 이에 의하면 우리가 쉽게 이야기하는 ‘100년 기업’의 탄생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조사 결과라 하겠다. 우리 세대가 누리는 지금의 경제적 안정과 자녀세대가 겪을 미래의 취업 기회 등을 고려할 때 창업주의 은퇴에 따른 성공적인 기업승계에 대해 함께 고민해봐야 한다. 기업의 승계 방식에는 내부승계, 유산상속등을 통한 가족승계, 사업 제휴 및 협력, 전문경영인 승계, M&A를 통한 매각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다양한 방법 중 가족승계가 여의치 않으면 매각하는 방법만을 승계의 모범답안으로 생각하는 듯하다. 다양한 승계방법들 사이에 각각 장단점이 존재하고, 기업을 둘러싼 각각의 이해관계 주체(고객, 거래처, 직원 등)에게 끼치는 영향이 상이한 만큼, 성공적인 승계의 열쇠는 다양한 방법들의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포트폴리오 구성과 명확한 승계원칙에 의해 수립이 될 것이다. 에릭슨, 아스트라제네카,스칸디나비아 항공사등을 소유해 스웨덴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40%, GDP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스웨덴 발렌버리 그룹은 150년 넘게 5대에 걸쳐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는데, 그 후계자 선정조건이 자못 흥미로워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혼자 힘으로 명문대를 졸업하고, 해군사관학교 입학하여 정신력을 배양(창업주인 앙드레 오스카 발렌베리가 해군장교 출신)하고, 부모의 도움 없이 선진금융회사에 취업해 실무경험과 국제금융의 흐름을 익히는 것이 기본 자격이라고 한다. 또한 장자상속의 전통을 없애고 2명의 리더를 선정해 독단경영을 차단하며, 승계자는 지주회사를 통해 그룹의 비전전략, 투자 등만을 결정하고, 일상경영은 전문경영인에게 맡기는 방법으로 승계해왔다고 한다. 우리 사회가 산업화와 민주화에는 성공했지만,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건전한 기업가 정신을 배양하는 데는 아직 갈 길이 남은 듯싶다. 고도성장의 시기를 질주하며 우리 경제발전의 주춧돌이 됐던 우량한 기업들이 창업주 세대의 은퇴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승계를 통해 수많은 대한민국의 ‘100년 기업’으로 재탄생하길 소망해 본다.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저작권자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7","atchfileNm":"경기일보 경제프리즘_베이비부머 은퇴와 함께 온 기업승계_141015.png","viewCnt":"3077","regDate":"2014-10-20 16:13:56"},{"contentId":"25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한국경제] 중소기업 정보화, 플랫폼을 통한 공유경제 실현이 핵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2","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플랫폼을 통한 공유경제 실현이 핵심 Let's Master 플랫폼 비즈니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양봉환 원장  #중소기업 디지털 공유경제 실현을 위한 플랫폼 비즈니스   ‘소유하지 않고 공유한다’는 아이디어 하나로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둔 에어비앤비(airbnb)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집주인들에게 여행자들을 연결하여 숙소를 중개해주는 에어비앤비(airbnb)는 2초마다 한 건씩 숙박예약이 이루어지고 있을 정도로 전세계 여행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에어비앤비의 기업가치는 하얏트호텔 체인 보다 17억 달러 높은 100억 달러로 창업한지 7년밖에 되지 않은 벤처기업으로는 실로 엄청난 성장이다. 에어비앤비의 성공요인을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단연 공유경제라 할 수 있다. 보유자산을 타인과의 공유를 통해 편익을 늘리거나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욕구는 비단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에게서도 발견할 수 있다. 공동물류센터와 같이 우리에게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기업간 협력 또한 공유경제의 한 형태라 볼 수 있다. 기업 간 공유경제가 진정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어느 기업이 어떤 자원을 가졌는지, 어느 기업이 어떤 자원을 필요로 하는지를 쉽게 확인하고 거래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며 이를 기업간 비즈니스 플랫폼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민간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플랫폼을 통해 공공데이터 개방과 확산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의료정보교류플랫폼 ‘K-헬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사업은 정부 주도로 추진되고 있는 플랫폼 사업들이다. 중소기업을 위한 플랫폼 사업으로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이 구축ㆍ운영하고 있는 경영혁신플랫폼(www.smplatform.go.kr) 사업이 있다. 이 사업은 업종 고유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된 하나의 솔루션을 여러 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함으로써 정보자원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기정원은 사업 1차년도에 선정된 쌀가공식품, 조선해양기자재, 가스판매, 정수기, 부산도금, 플라스틱, 출판 등 7개 업종의 특화형솔루션을 개발하여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중에 있다. 경영혁신플랫폼은 지난 6월 서비스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800여개의 중소기업이 플랫폼 서비스를 가입ㆍ이용하고 있다. 플랫폼을 통한 기업간 공유사례를 살펴보자. 그동안 가공용쌀 매입대상 업체들은 정부로부터 쌀을 매입하여 쌀국수, 누룽지, 쌀과자 등의 쌀가공식품을 제조하여 판매해 왔다. 그러나 제품을 생산하고 남은 쌀을 마땅한 다른 수요처를 찾아 다른 기업에게 양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결국 유통기한이 지나버린 재고쌀을 폐기처분 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그러나 기정원의 경영혁신플랫폼을 이용하고 나서부터는 매월 정부로부터 매입한 쌀의 생산량과 재고량이 정보화 되어있어 재고쌀의 양도 또는 양수를 원하는 기업을 손쉽게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매월 축적된 정보들은 기업과 정부 모두에게 다음년도 매입(또는 배정)계획의 중요한 기초정보로 활용된다. 게다가 정부는 배정된 쌀이 실제 그 목적에 맞는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추적ㆍ이력관리가 가능해 졌다. 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기존 수기로 처리하던 업무를 시스템화하면서 업무처리 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 증가를 화폐가치로 환산할 경우 연간 약5억원 이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중소기업 플랫폼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기대 지난 12년간 정보화지원사업을 통해 정보화를 지원한 중소기업 수는 3,700여개 기업이다. 우리나라 전체 중소기업을 대략 3백만개라고 치면 앞으로 85년을 더 지원해야 전체 중소기업의 1%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예산제약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지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데다가 해마다 정보화 지원예산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기업마다 직접 구축ㆍ설치하는 방식의 정보화 지원율은 더욱 낮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또한 중소기업은 정보화 구축 및 유지에 필요한 자금이나 구축된 시스템을 지속ㆍ관리할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제는 중소기업이 기업간 협업이나 거래를 통해 플랫폼 비즈니스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보화지원사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정부의 새로운 역할 정립이 필요한 시기이다. 앞서 소개한 경영혁신플랫폼과 같이 만약 기업들이 개별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적용해 다수의 기업들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정보자산과 운영경험을 공유 하게 된다면 정부는 효율적으로 자원의 재분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은 적은 비용으로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정보화에 따른 리스크와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아울러 자연스럽게 기업간 정보공유와 협업모델을 유도하여 플랫폼 비즈니스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정부는 중소기업들에게 업무 정보화를 위한 기반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기업들의 플랫폼 활용 경험을 바탕으로 추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이렇게 개발된 어플리케이션들이 기업간에 거래될 수 있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장(오픈마켓)을 마련하여 중소기업이 자생적으로 지속성장 할 수 있도록 시급히 중소기업형 플랫폼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에 아낌없는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6","atchfileNm":"20141010_한국경제_d07면_플랫폼 기고.jpg","viewCnt":"3535","regDate":"2014-10-13 17:05:18"},{"contentId":"25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14년 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1","contentsKor":"  기정원,‘2014 R&D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개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 대상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양봉환 원장)은 10.2(목) 오후 1시 충남대학교에서 2014년 R&D기술개발사업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한다.  ◦ 이번 설명회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된 168개 기업과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 선정 30개 기업의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창업초기(업력 7년 이하)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금년 2월 공고 이후, 총 4차(2,4,6,8월)에 걸쳐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최종 지원기업을 선정했다. -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은 상시근로자수 50인 미만의 소규모 기업을 대상으로 제품경쟁력 및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역시 올 1월 공고 이후 4차(2,4,6,8월)에 걸쳐 선정을 마쳤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지원기업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중요 사항을 다룰 예정이다.  ◦ 사업추진체계 및 절차, 수정사업계획서 작성, 전자협약 및 사업비 포인트제 사용, 기술임치제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설명하고, ◦ 아울러 자주 발생하는 실수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 및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 담당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 기술혁신지원본부 최병선 본부장은 “이번 설명회가 선정 기업들의 성실한 사업수행과 투명한 R&D자금 집행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며 “기정원도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한편, 기정원에서는 이번 설명회에서 중소기업의 구매 편리성과 R&D 사업비 집행 투명성 제고를 위해「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이용 안내 시간을 별도로 마련했다. ◦ R&D 수행기관의 연구기자재 및 시·재료의 구매지원을 위해 구축한「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은 중소기업청의 중기 R&D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이 필요한 연구기자재 및 시·재료를 온라인상에서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  또한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해, 특허청의 2014년 부터 변경된 출원제도에 대한 안내 시간도 마련했다. ◦ 중소기업의 지재권 종사자 등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출원절차 사례 및 중소기업들이 보다 다양한 지식재산권 관련 정책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특허청이 시행하고 있는 지식재산권 관련정책에 대해 안내할 예정이다.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4","atchfileNm":"2014 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 개최_141002.hwp","viewCnt":"3255","regDate":"2014-10-06 10:37:51"},{"contentId":"25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경기일보 경제프리즘] 한가위와 전통시장 - 양봉환 원장","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80","contentsKor":" [경기일보 경제프리즘 오피니언] 한가위와 전통시장 (양봉환 원장)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인 한가위가 지나갔다. 대체휴일제 적용으로 5일이라는 긴 연휴동안 3천900만 명 이상이 이동했다고 하니 민족대이동이라는 말이 실감난다. 세시명절인 한가위는 고대 농경시대가 들어서면서 시작되어 신라3대 유리왕 시대에 이르러 하나의 커다란 명절로 자리 잡았음을 기록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처럼 오랜 연원을 가진 추석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설과 함께 민족의 큰 명절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가 급속히 산업화 되면서 전통적인 세시명절로서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가족과 이웃이 함께 모여 음식과 정담을 나누는 날로서의 의미보다는 긴 연휴기간을 이용하여 해외여행을 떠나는 관광객으로 인천국제공항이 붐비는 현상이 뉴스를 장식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처럼 시대의 흐름을 따라 추석명절의 모습이 변해가지만 어머니, 아버지가 시골 장에 다녀오셔서 각종 명절음식을 장만하고 새 옷이나, 새 신발 등을 선물로 받고 기분 좋게 동네 어귀를 뛰어다녔던 어린 시절의 아련한 추억이 떠오르는 것은 필자 세대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추억이다. 또한 명절 대목을 맞아 시끌벅적했던 시장풍경의 모습도 떠오른다. 하지만 백화점, 대형마트 등의 현대화된 대형 유통업체에 고객을 잠식당하여 지난 2001년 40조 원대의 전통시장 매출이 12년이 지난 2013년 20조 원대로 반감했다는 중소기업청의 통계는 이런 아련한 추억과 맞물려 더욱 안타까운 생각이 들게 한다. 이와 같은 어려움 가운데서도 전통시장 활성화의 성공사례를 통해 21만여 개의 점포에서 35만여 명의 상인이 종사하고 있는 시장을 되살릴 수 있는 실마리는 없을까. 전남 장흥 전통시장은 구한말부터 60년대까지 전남 3대 시장으로 명성으로 날렸다. 하지만 교통수단 발달과 농촌인구 감소로 시골장으로 전락, 5일장과 난전으로 명맥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장흥군은 시장 활성화를 위해 75억 원을 투입, 현대화를 진행하고, 전통시장 내에 각종 문화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공연장과 상설 할인매장을 운영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장흥시장은 하루 평균 15마리 분 이상의 한우가 꾸준히 팔리고 있으며, 개장 전에 연간 100억 원에 못 미치던 매출액이 지난해 1천300억 원을 상회하는 등 급성장하고 있다. 위 사례는 전통시장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접근법을 달리한다. 상점 정비, 바닥천장 보수, 주차장 확충 등 시설현대화만으로는 무언가 부족하다. 또한 골목상권을 지켜내자는 명분과 캠페인으로도 전통시장이 활성화되기는 어렵다. 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상품을 개발하고, 그곳에 가면 전통과 문화가 어우러져 장바구니 이외에 무엇인가 더 담아올 수 있는 매력이 분출하는 공간으로 거듭날 때 전통시장이 활성화되는 길이 활짝 열리지 않을까? 변해가는 추석명절의 세태 속에 현대인이 잊고 살기 쉬운 나눔과 배려, 소통의 덕목을 떠올리며, 현대 속에 재해석되고 재창조 되는 전통이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는 것도 부산했던 명절을 마감하며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한 세대가 더 지나가도 현대 속에 아름다운 전통이 살아 숨 쉬어 우리 아랫세대에게도 아련한 추석명절과 전통시장의 아름다운 추억이 공존할 수 있도록 현재의 전통시장이 화루 빨리 활성화되기를 소망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2","atchfileNm":"경기일보 경제프리즘_한가위와 전통시장_140917.png","viewCnt":"3055","regDate":"2014-09-17 11:20:47"},{"contentId":"25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대덕중학교와 지역사회 공헌 위한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대덕중학교와 업무협약 체결 - 지역사회 미래 과학 꿈나무 육성위해 손 맞잡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지역사회 나눔과 미래 과학꿈나무 육성을 위하여 대덕중학교(교장 윤수진)와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양 기관은 9월 16일 대덕중학교에서 “지역사회 공헌 및 미래 과학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협약은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실천적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1사 1교 자매결연 체결을 통한 나눔 및 사회적 책무를 적극적으로 실천하고자 추진되었다.  ◦ 양 기관은 이를 위해 ▲지역사회 공헌 및 나눔과 실천의 봉사활동에 대한 상호 지원 및 협조 ▲미래 과학 꿈나무 인재양성 활동에 대한 유기적 협력 ▲지역사회 교류 활성화를 위한 정보교류 및 상호 협력체계 구축 개발 ▲양 기관이 개최․주관하는 국내외 각종 사회공헌 행사 등에 협조 및 참여를 통해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 이를 위해 기정원에서는 학생들의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개선, 미래 과학 기술의 발전상, 중소기업 성공 스토리, 창업 기업가 정신 등을 주제로 재능기부 특강 프로그램을 추진할 예정이다.  ◦ 기정원은 이번 재능기부 특강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진학과 장래를 고민하는 시기의 중학생들에게 중소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줌으로서 진로 탐색의 폭을 넓히고, 더 나아가 향후 중소기업을 이끄는 예비 인재 육성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 기정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공헌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임직원의 사회공헌활동 동참을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 밀착형 사회공헌활동을 강화해 지역사회 교류와 소통 확산을 통한 상호 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도모해 나가기로 했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다양한 방면에서의 사회공헌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번 대덕중학교와의 업무협약이 장기적으로 대전 지역 우수 인재 육성을 통한 지역 고용창출과 발전에 기여할수 있도록 최선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1","atchfileNm":"기정원, 대덕중학교와 업무협약 체결_0916.hwp","viewCnt":"3048","regDate":"2014-09-17 11:15:30"},{"contentId":"25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 5회 IT&Security 컨퍼런스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8","contentsKor":" “중소기업 IT&Security, 정보공유의 場 마련” - 제1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개최 (기술보호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제1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9.17~9.19, 3일간)에서 중소기업 기술보호 기술동향 공유의 장 마련을 위한 기술보호관과 신정보화 시스템활용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화관을 운영하며 각종 부대행사를 진행한다. ◦ 기술보호관에 마련된 정책홍보관에서는 중소기업 기술보호 정책을 한눈에 살펴 볼 수 있다. 최신 보안시스템과 솔루션 체험, 기술보호관련 애로사항에 대한 현장 전문가상담 등도 진행한다.  ◦ 또한, 정보화관 부스를 별도 운영해, 중소기업들에게 정보화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경영혁신플랫폼에 대한 사업소개와 제공 서비스를 기업들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한다. □ 더불어, 중소기업의 기술보호 및 정보화 관련 정보공유를 위한 ‘제5회 IT&Security컨퍼런스’가 18일 개최된다. ◦ 컨퍼런스 행사는 정부지원시책 설명회 및 특강, 토론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계 전문가의 특강을 통해 중소기업이 나아가야할 발전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 또한, 금년 11월 ‘중소기업기술 보호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기술보호관련 관련업계 및 전문가 토론회를 통해 중소기업의 대응방안과 방향을 제시한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우수 중소기업이 한자리에 모이는 이번 행사를 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와 기술유출 방지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방법을 알지 못해 고민하던 기업들이 해답을 얻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동 행사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당부하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20","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개최-IT Security컨퍼런스.hwp","viewCnt":"2965","regDate":"2014-09-17 11:11:11"},{"contentId":"25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 1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개최 (기술인재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7","contentsKor":" “우수 기술․기능인재의 잠재력을 한눈에” - 제1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개최 (기술인재관)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등이 주관하고 중소기업청에서 주최하는 제15회 중소기업혁신대전을 오는 9월 17일부터 19일까지 코엑스 1층 Hall A에서 개최한다. □ 기정원은 제1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에서 중소기업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확산과 기술인재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기술인재관을 운영하며 각종 부대행사를 진행한다.  ◦ 기술인재관을 기능인력육성관, 기술인력육성관, 인력공동관리관, 특별전시관으로 구성하여 참관객들이 중소기업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직접 체험하고, 성과물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했다.   ◦ 기술인재관에는 총 12개의 특성화고 및 대학교가 전시에 참여해 체험이 가능한 예비 기술․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시연하며, 특히 특별전시관에서는 수원공고와 신진자동차고의 프로젝트 수업을 참관할 수 있어 기능인력 육성교육의 현장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참여학교 현황> 대전공업고등학교, 영락유헬스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신진자동차고등학교,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영진전문대학, 동서울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 또한, 이번 행사에 참여 및 참관하는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및 부대행사도 개최된다.  ◦ 특성화고 졸업예정자를 현장에서 채용하는 우수 중소기업 취업ㆍ채용행사가 열리며, 이와 연계하여 특성화고생 대상 면접스킬, 화법, 이미지메이킹, 태도 등을 사전 지도하는 취업ㆍ면접 현장학습관도 운영한다. 동 학습관은 취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현장에서 접수 및 참여가 가능하다.  ◦ 부대행사로는 17일 ‘중소기업과 나의 꿈’ 창작공모전이 열려 고등학생들의 중소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UCC, 포스터, 꿈 발표 등을 통해 만나볼 수 있으며, 18일에는 ‘1팀 1기업 프로젝트’ 경진대회를 통해 산학협력 교육의 우수사례를 경험할 수 있다. 부대행사별로 예선을 거쳐 각 10개 팀의 고등학교가 선발되었으며 현장에서 경연을 벌이게 된다.  □ 한편, 17일 개막식에서 중소기업 인력난과 청년실업 해소에 기여한 공로로 창원기계공고와 (주)이우가 대통령 표창을 수상한다. 특성화고 및 산학협력기업 등 총 36개 기업(학교)과 개인 등이 중소기업 취업지원 유공자로 포상받을 예정이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우리나라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ㆍ기능인력 등 기술인재가 대우받는 사회풍토 조성이 중요하다”며 “우수 중소기업과 기술인재가 한자리에 모이는 이번 행사를 통해 중소기업에 더욱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완화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동 행사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당부하였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9","atchfileNm":"보도자료_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개최(최종).hwp","viewCnt":"3114","regDate":"2014-09-16 09:07:44"},{"contentId":"25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품질경영시스템 추진 발대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6","contentsKor":" 기정원, 중기 지원서비스 ISO 9001 인증 추진 - 중소기업에게 국제적으로 검증된 R&D 평가관리서비스 제공 예정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9.2(화) 오전 10시 중소기업 지원서비스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기 위해 전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추진 발대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 ISO 9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품질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규격으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제품이나 서비스 실현 체계가 규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있음을 제 3자 인증기관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해 인증해주는 제도다. □ 품질경영시스템 추진 및 ISO 9001 인증 획득은 창조경제의 주역인 중소기업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서 정부 지원서비스부터 국제적으로 검증된 수준까지 선진화되어야 한다는 양봉환 원장의 강력한 추진의지가 반영되었다. ○ 특히,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경영정보화 및 기술인재 양성 등 모든 사업을 대상으로 ISO 인증을 추진함으로써 중소기업의 다양한 지원수요에 부응하는 동시에 지원성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기정원이 수행 중인 중소기업사업은 사업기획, 지원대상 선정, 사후관리 등 모든 지원업무의 품질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및 성장에 직결되기 때문에 사업관리의 전문성ㆍ공정성에 대한 대내외적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다. ○ 이에 기정원은 중소기업 지원서비스가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절차를 밟으면서 중소기업계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는 한편 R&D 성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으로 이번 인증을 추진하고 있다.  □ 이번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해 행정처리시간 단축되어 중소기업이 정부의 기술개발 자금을 필요한 시기에 신속히 지원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 수준의 품질 높은 중소기업 지원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정원은 이번 인증제도 추진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중소기업 지원업무 평가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도 신청-평가-선정과정에서 불필요한 절차와 낭비요인이 해소됨에 따라 업무효율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 양봉환 원장은 "그동안 R&D 평가관리 등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수행하면서 쌓은 전문성과 공정성이 국제품질규격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에서 이번 인증을 추진하게 됐다"며 "이 같은 노력이 중소기업 지원서비스의 선진화로 이어지면 중소기업의 신뢰를 얻는 동시에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확보 등 정부지원성과 극대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한편, 기정원은 품질경영시스템 추진 및 ISO 9001 인증을 위해 현재 외부 전문기관으로부터 컨설팅을 받고 있으며, ‘14년까지 품질경영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여 2015년부터 국제품질규격에 의한 중소기업 지원서비스가 진행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8","atchfileNm":"기정원 품질경영시스템 추진 발대식 보도자료(140902)_최종.hwp","viewCnt":"3303","regDate":"2014-09-02 16:57:38"},{"contentId":"25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전자신문 우수 재능학생 장학금 수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5","contentsKor":"8/21 기정원에서 개최된 2014 정보과학 우수 재능학생  장학금 전달 관련 기사입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7","atchfileNm":"기정원, 전자신문 우수 재능학생 장학금 수여_20140821.pdf","viewCnt":"3272","regDate":"2014-08-25 15:43:31"},{"contentId":"25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융합중앙회,융합학회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4","contentsKor":" 기정원, 융합중앙회․융합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 중소기업 융복합기술 역량 강화를 위해 손 맞잡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중소기업 융복합기술 역량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융합중앙회, 중소기업융합학회와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세 기관은 2014년 8월 25일 기정원 대전 본원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중소기업의 융복합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 협력 ▲학술 및 기술정보의 원활한 교류를 통해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며 학술 및 기술정보의 공동 활용▲공동 워크샵 및 설명회 등 개최 등이다. □ 이번 협약의 목적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문기관인 기정원이 중소기업의 융합 활동을 지원하는 중소기업융합중앙회, 중소기업 융합기반의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는 중소기업융합학회 간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중소기업 융복합기술 역량 강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추진되었다. ○세계경제가 “융합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정부는 융합을 과학기술 기반으로 한 국민행복 구현, 신시장·일자리 창출을 위한 핵심전략으로 제시됨에 따라,  - TIPA와 협약기관은 기술혁신 역량을 갖춘 중소기업의 개방형 융․복합 기술개발 및 사업화 촉진을 주도할 중소기업 육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이와 관련하여 양봉환 TIPA 원장은 “협약 기관들이 힘을 모아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개발 활성화에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6","atchfileNm":"기정원, 융합중앙회,융합학회와 업무협약 체결.hwp","viewCnt":"3451","regDate":"2014-08-25 15:41:15"},{"contentId":"25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연구기자재 민간 공급사와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3","contentsKor":"   중기청 R&D 연구기자재 구입, 한방에 해결!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연구기자재 민간 공급사와 업무협약 체결 - “R&D수행기관의 연구기자재 및 시․재료 구매 편의성 기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R&D 수행기관의 연구기자재 및 시·재료의 구매지원을 위해 구축한「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의 구매 편의성 제고를 위해 (주)대한과학, 대정화금(주), 한솔사이언스와 2014년 8월 21일 기정원(대전 소재)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기정원에서 2012년에 구축한「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하여 민간 우수 공급사를 확대하고, 연구기자재 및 시약 전문 판매 민간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구매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 : 중소기업청의 중기 R&D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이 필요한 연구기자재 및 시·재료를 온라인상에서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구축('12년)된 시스템 ○ 협약의 주요 내용은 ▲구매자의 다양한 구매수요에 대한 공동의 대처 ▲시스템 연계를 위한 지원 협조 및 상호협력 ▲시스템 연계를 통한 구매 활성화 방안 수립 등이다. □ 금번 체결된 업무협약으로 수요자인 중소기업은 공급사 확대로 늘어난 다양한 품목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가격비교를 통한 저렴한 제품선택이 가능해졌다.  ○공급자는 손쉽게 구매자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R&D 수행기관의 구매 편리성 제공 및 거래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또한, 기정원은 시스템을 이용하는 중소기업과 공급사의 의견수렴을 통해 구매자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스템 개편 작업을 추진중이다.   ○금번 협약을 통해「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과 민간 공급사 시스템을 연계하여 그동안 견적 거래방식을 통해서만 거래되던 구매방식에서 제품의 스펙을 직접 눈으로 확인 후 바로 구매할 수 있는 직접 구매방식을 더하게 되었다.  □ 기정원은 이번 협약을 통하여 “R&D를 수행하는 중소기업이「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을 통해 구매편의성 및 다양한 R&D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중소기업 구매지원 종합 포털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 기정원에서 2012년 구축한「온라인구매지원시스템」은 중소기업 연구개발비 지원금의 재료 및 연구기자재 구매비용에 대한 효율적 구매지원을 위한 시스템으로, ○구매자인 R&D 지원대상 기업과 공급자인 재료 및 연구기자재 공급업체에게 구매와 판매의 편익을 제공하여 국가적으로 지원되는 R&D사업비의 투명성 제고와 다양한 이익에 기여하고자 운영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5","atchfileNm":"연구기자재 구입, 한방에 해결.hwp","viewCnt":"3597","regDate":"2014-08-21 17:48:12"},{"contentId":"25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레드휘슬(반부패 익명신고시스템) 도입으로 윤리경영 실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2","contentsKor":" 레드휘슬(반부패 익명신고시스템) 도입으로 윤리경영 실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조직의 부조리를 익명으로 신고할 수 있는 “레드휘슬(반부패 익명신고시스템)”을 도입했다. ○ 레드휘슬 도입은, 직원으로 구성된 청렴실천추진반 운영, 보직자 대상 청렴사직서 징구 및 간부진 대상 청렴 교육 실시 등 그간 부패척결을 위해 기정원이 추진해왔던 윤리경영 활동 중 하나이다. ○ 이 시스템은 그동안 신고자가 비위사실을 알고도 신분노출로 인한 불이익이 우려되 신고를 꺼려했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적사항 및 IP추적 방지 기술 등을 통해 신고자를 추적할 수 없어 익명성이 철저하게 보장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새로운 시스템 도입은 최근 최근 문제되고 있는 공공기관 소속 국가연구개발사업 담당연구원들의 비리사건과 같이 통상적인 사업관리 체계에서는 발각이 어려운 비리에 대한 대응책으로써 부패징후의 조기 발견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기존에 기정원이 운영하고 있던 부패신고시스템은 제보자가 실명정보를 입력해야만 신고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부정부패에 대한 사전 통제장치로써의 기능이 미흡하여 개선이 시급했다.   □ 신고내용은 철저히 익명으로 처리되며 직무과정에서의 금품수수, 공금횡령, 부당한 업무처리, 과도한 경조 금품 수수 등의 모든 비리에 대해 신고가 가능하다. ○ 제보가 접수되면 신고내용만 기정원 감사팀으로 실시간 전달되며, 감사팀은 신고 내용을 토대로 조사한 뒤 처리결과를 시스템에 등록하면 신고자는 그 처리 결과를 별도의 신분확인 절차 없이 접수번호와 비밀번호만으로 확인 할 수 있다. ○ 신고는 PC 등으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의 “레드휘슬 부패・비리 익명신고센터” 배너를 클릭하거나 레드휘슬 홈페이지(www.redwhistle.org)에 접속 또는 스마트폰용 바코드인 QR코드를 통해 가능하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이번 반부패 신고시스템 도입을 통해 기정원 임직원의 비리에 대한 내・외부 신고 체계를 완성하고, 향후 다양한 반부패 활동 및 윤리경영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을 추진함으로써 기관의 핵심가치인 책임윤리를 확고히하여 고객의 신뢰를 받는 공공기관으로 거듭날 것”이라며 기관의 윤리경영 추진의지를 다시한번 확인했다. ○ 기정원은 앞으로도 직원 대상 “청렴모의고사”, 실제 부패상황에서의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한 “부패대응 모의훈련”, 직무 분야별 “맞춤형 청렴교육” 등 다양한 반부패활동 추진을 통해 전사적 윤리경영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4","atchfileNm":"20140813 레드휘슬 도입 관련 보도자료.hwp","viewCnt":"3373","regDate":"2014-08-14 14:36:27"},{"contentId":"25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노사 화합적 단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노사 화합적 단체협약 체결 기관 미션․비전 달성을 위해 노사 간 혼연일체 노력 다짐 "그간의 노사갈등을 극복하고 조합원 95% 찬성 속에 무교섭 단체협약 체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과 기정원 노동조합(위원장 김종택)은 7.21(월) 대전본원 회의실에서 임직원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창조경제의 주역인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노사 간 혼연일체의 노력을 다할 것을 다짐하는 단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금번 체결된 단체협약은 지난해 12월 취임이후 직원들과 수시로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의견을 경청하는 등 노사 간 신뢰회복을 위해 힘써온 양봉환 원장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기정원은 지난해 기관이전 및 소통의 부재로 인해 노사분규(‘12.12.31~‘13.1.15)가 발생하고,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 및 24회에 걸친 단체교섭에도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하는 등 극심한 노사갈등을 겪은 바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양봉환 원장은 취임 직후 분산된 구성원의 역량 결집을 위해 노사공동의 워크숍 및 경영전략회의를 통해 기관의 미션․비전을 새롭게 수립하고, 노사 간 간담회, 주니어보드, 기관 현안에 대한 경영설명회 등을 수시 개최하며 노사 간 신뢰회복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지난 7.11일에는 “직원이 행복해야 기정원이 발전합니다.”라는 슬로건 속에 전 직원 워크숍을 개최하고, “훌륭한 기정원 만들기, 1사원 1아이디어 경진대회”를 개최 하는 등 직원들의 작은 의견 하나에도 귀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기정원은 정부의 방만경영 정상화 운용지침 이행을 위한 취업규칙 개정, 성과연봉제도입 등 노사 간 민감한 경영현안을 노사합의로 합리적으로 추진했다고 밝혔다.   노동조합 김종택 위원장은 “기관장의 열린경영 실천으로 노사 간 상호신뢰의 전기가 마련돼 지난날의 노사갈등이 무색하게 조합원 95%의 찬성 속에 무교섭으로 단체협약이 체결되었다.”고 밝히며, “기관의 발전을 위해 노사가 하나 되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정원 양봉환 원장도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정부의 방만경영 정상화 방안의 이행 등 기관경영방향에 적극 협조하여준 노동조합에 감사의 뜻을 표하며, “노사 간 상호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활기찬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중소기업 일류 공공기관으로 도약하겠다.”고 전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3","atchfileNm":"기정원_단체협약 보도자료_140722.hwp","viewCnt":"3370","regDate":"2014-07-22 17:20:45"},{"contentId":"25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지식재산전략원 업무협약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70","contentsKor":"     기정원-지식재산전략원 업무협약 체결 - 우수특허 활성화와 기술혁신을 주도할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손 맞잡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과 한국지식재산전략원(원장 김재홍, 이하 KIPSI)이 중소기업 지원을 위하여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양 기관은 2014년 6월 11일 KIPSI 서울 본원에서 “우수특허 R&D지원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양 기관은 이에 따라 ▲중소기업 특허정보 활용 강화를 위한 협력 ▲공공기관 우수특허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협력 ▲재창업 기업의 개발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 전략 확보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 이번 협약의 목적은 중소기업이 기술혁신을 주도 할 지식재산전략의 확보, R&D역량강화에 큰 힘을 보태어 국가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데 있다.   - 특허의 질적 성장을 위한 지식재산전략을 지원하는 KIPSI와 중소기업이 급변하는 경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개발 사업을 지원하는 TIPA의 협력으로 기술혁신을 주도할 중소기업 육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 이와 관련하여 양봉환 TIPA 원장은 “양 기관이 힘을 모아 중소기업 육성에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재홍 KIPSI 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의 질적 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2","atchfileNm":"기정원_전략원_MOU_보도자료.hwp","viewCnt":"3280","regDate":"2014-06-12 17:52:11"},{"contentId":"25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발간물] 중소기업특성화고인력양성사업 우수사례집","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9","contentsKor":" 우리원에서는 중소기업청에서 지원하고 있는 특성화고인력양성사업의 우수 사례를 엮은 '학생의 꿈에 중소기업의 열정을 더하다'를 발간했습니다. `특성화고 체제개편',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 `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 `취업역량 강화 및 취업연계'를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사례집 관련 문의사항 :  기정원 기술인재양성부 042-388-0333,6~8    ▶ "중소기업특성화고인력양성사업" 지원현황 안내(클릭)   첨부 : 우수사례집 1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1","atchfileNm":"13년 특성화고인력양성사업우수사례집.pdf","viewCnt":"4017","regDate":"2014-04-14 09:17:18"},{"contentId":"25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우수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8","contentsKor":"학생의 꿈과 중소기업 열정의 시너지 -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우수사례집 발간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은 지난 4월 11일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우수사례집 “학생의 꿈에 중소기업의 열정을 더하다”를 발간했다. □ 본 책자는 사회 전반적으로 고졸취업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중소기업 현장 맞춤형 인력 육성을 위해 진행하고 있는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19개 학교 우수사례를 담고 있다.   □ 특히 ‘특성화고 체제개편’,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 ‘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 ‘취업역량 강화 및 취업연계’를 테마로 구성하여, 특성화 방향에 고민을 안고 있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나아가 학생, 중소기업, 학부모 등의 인터뷰를 통한 현장의 목소리가 담겨있어 생생한 교육현장을 느낄 수 있다. □ 본 책자는 160개 특성화고 및 중소기업, 중소기업 관련 기관 등에 무료로 배포될 예정이다.   □ 양봉환 기정원장은 “원하는 분야의 공부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어 행복하다는 학생과 중소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특성화된 인재를 만나 다행이라는 기업의 목소리는 인력의 미스매치 해소의 열쇠가 되어줄 것”이라며 고졸 취업문화 확산을 위해 더욱 노력해 나가겠다고 앞으로의 포부를 밝혔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10","atchfileNm":"[기정원]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 우수사례집 발간.hwp","viewCnt":"3819","regDate":"2014-04-11 16:25:14"},{"contentId":"25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모바일서비스 오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7","contentsKor":" 중소기업 R&D사업, 스마트폰으로 쉽고 빠르게 해결하세요! -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모바일서비스 오픈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원장 이기섭), 한국산학연협회(회장 서동석)(이상 가나다 순)에서는 ‘14년도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중소기업의 쉽고 빠른 접근을 위하여 모바일버전의 온라인교육 서비스를 오픈하였다.  □ 본 모바일 교육 서비스는 국민행복을 추구하는 정부 3.0 가치 실현을 위한 것으로 중소기업이 업무공간을 벗어나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정부 R&D 사업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국민 중심의 서비스 정부”를 구현한 것이 특징으로,  - 지난 ‘13. 12월부터 3개월간 설계하여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14. 3. 4일 오픈한 온라인교육 서비스의 모바일 버전으로 1개월간의 제작과정을 거쳐 구축한 것이다.   □ 이번, 모바일 서비스는 동영상 강의와 디지털북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기업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등 사업안내 15개 강좌 및 사업계획서 작성, 협약변경 등 일반안내 11개 강좌가 개설되었으며,  - 디지털북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강의를 e-book형태로 다운로드 받아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 특히 이번 모바일 교육 서비스는 국가 R&D관리 전문기관 최초로 시행하는 것으로서 단순한 사업안내가 아닌 이러닝(e-learnig) 형태의 동영상 강의 및 디지털북 제공 서비스라는데 의미가 있으며,  - 지난 ‘14. 3. 4일 홈페이지 오픈 이후 현재까지 16,816건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온라인교육에 대한 중소기업의 높은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 □ 본 모바일 서비스는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 접속 후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화면의 온라인매뉴얼>동영상강의 메뉴로 이동하면 디지털북 다운로드 및 모바일동영상 보기를 확인할 수 있다. □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을 통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시적인 중소기업 R&D사업 교육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업에 대한 정보제공 및 중소기업의 사업신청이 더욱 원활해지고 중소기업에 한층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9","atchfileNm":"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모바일서비스오픈.hwp","viewCnt":"3451","regDate":"2014-04-11 16:20:47"},{"contentId":"25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MOU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6","contentsKor":"   기정원, 유관기관과의 협업 실천으로 업무 시너지 창출 -유관 업무 서비스 연계 및 정보공유로 서비스질과 성과 높여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는 이번 정부 추진전략 중 하나인 ‘칸막이를 없앤 협업 체계 구축’을 선제적으로 이행하고자 공공기관 협업을 통한 국정과제 수행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 기정원은 4월 1일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INNOBIZ)와 “연구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 이번 협약의 목적은 기술개발 교육 지원 및 일자리 창출 지원을 통해 연구인력을 양성하여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을 제고하기 위한 데 있다. - 양 기관은 이를 위해 ▲기술개발 교육지원 및 미취업자 및 제대군인 일자리 창출 지원 ▲중소기업 및 이노비즈기업의 R&D지원 강화 ▲실무자 협의회 운영을 통한 정보교류 및 지원사업 모델 개발 ▲양 기관이 개최․주관하는 국내외 각종 전시회, 행사 등에 협조 및 참여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 이를 위해, 기정원에서는 R&D지원통합시스템 제공을 통해 중소기업 및 이노비즈기업의 R&D활성화를 위한 업무지원을, 이노비즈 협회에서는 교육프로그램과 우수 이노비즈 업체 정보 제공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 기정원은, 이번 양 기관간의 정보교류를 통한 이번 협업을 통해 우수 중소기업에 취업하고 싶어하는 구직자와 우수 기술개발인력을 채용하고자 하는 기업 사이의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일자리 창출 및 고용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양 부처 및 기관의 협업을 통한 이번 로드쇼는 매년 2회 상‧하반기 개최를 정례화 하여 추진될 계획이어서 앞으로 지속적인 양 기관간 협업이 기대되고 있다.   □ 양봉환 기정원 원장은 “유관 기관과의 다양한 국면의 협업 및 상호 교류를 통해 업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며 “앞으로도 이번 정부에서 추진하는 칸막이 없는 협업 실천을 통해 사각지대없는 고객 관점의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8","atchfileNm":"기정원-이노비즈협회 MOU 보도자료_140401.hwp","viewCnt":"3603","regDate":"2014-04-11 16:16:33"},{"contentId":"25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 교육 오픈 26개 강좌 개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5","contentsKor":" <보도자료>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강의로 쉽고 빠르게 해결하세요! -중소기업 R&D사업 온라인교육 오픈 26개 강좌 개설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원장 이기섭), 한국산학연협회(회장 서동석)(이상 가나다 순)에서는 ‘14년도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중소기업의 R&D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14. 3. 19일 온라인강의를 오픈하였다.     □ 본 온라인강의 서비스는 정부 3.0 가치 실현을 위한 국민 중심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기업맞춤형 온라인 강의 형태로 제공되며, 과정을 세분화하여 사업신청 및 수행에 애로를 겪는 기업이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번, 온라인강의는 총 26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난 ‘14. 3. 4일 1차 과정에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혁신기업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등 15개 강좌가 개설되었으며, 2주 동안 3,441건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중소기업 R&D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였다.    - 이번 2차 과정은 중소기업 R&D기획역량제고 사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 등 사업안내 관련 5개, 사업계획서 작성, 협약변경 등 사업 진행 및 최종평가 관련 6개 등 총 11개 강좌로 구성되어 있다. □  본 강좌는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화면의 온라인매뉴얼>동영상강의 메뉴로 이동하면 팝업창 형태의 온라인 동영상 강의를 들을 수 있다.   - 특히 본 강좌는 단순한 사업별 안내자료 배포형식을 벗어나 사업계획서 작성, 선정평가, 협약체결 및 변경, 사업비 지급 및 집행, 최종평가, 기술료 납부 등 사업신청 및 집행단계별로 멀티미디어 북 학습기능을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원활한 접근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향후 상시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으로 사업설명회에 참석하지 못한 중소기업과 오지에 소재하고 있는 중소기업에 한층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7","atchfileNm":"보도자료_140318.hwp","viewCnt":"3794","regDate":"2014-03-21 13:14:53"},{"contentId":"25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KISTI, 중기 R&D지원을 위한 MOU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4","contentsKor":" 기정원-KISTI 업무협약 체결 - 중소기업 R&D기획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손 맞잡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 이하 기정원)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박영서, 이하 KISTI)이 중소기업 지원을 위하여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양 기관은 2014년 2월 19일 KISTI 대전 본원에서 “중소기업 R&D 기획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중소기업 R&D 기획 지원 및 교육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기술시장분석․예측 및 기술평가․사업화 등에 대한 공동연구 ▲기술시장정보 분석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공동개발 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약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부족한 R&D기획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데 있다. 중소기업들은 인적․물적 자원의 한계로 인하여 사업기회 발굴이나 전략 수립 등 R&D기획 단계에서 큰 애로를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앞으로 양 기관은 유기적인 협력 속에서 중소기업 R&D기획지원 사업을 강화하고 관련 전문가 육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이와 관련하여 양봉환 기정원장은 “중소기업 지원에 앞장섰던 양 기관이 함께 힘을 모으는 계기가 마련됨에 따라 높은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박영서 KISTI 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R&D기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6","atchfileNm":"기정원_KISTI_MOU_체결.hwp","viewCnt":"3949","regDate":"2014-02-19 16:05:20"},{"contentId":"25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비전선포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3","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비전선포식 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봉환)은 1.22(수) 오전 10시 국민에게 신뢰받는 일류 공공기관으로의 도약을 위해 전 임․직원과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회장 등 외부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비전 선포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새롭게 선포된 비전은 창조경제의 주역인 중소기업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통한 국정기조의 실현을 위해 가시적이며 명확한 기관장 경영목표를 설정해 기관의 미션과 비전을 반드시 달성하겠다는 양봉환 원장의 강력한 추진의지가 반영되었다. ※ 기관장 경영목표 - “고객만족도 90점 이상”, “청렴도 우수기관 달성”, “중소기업 지원규모 5천억원 달성”, “평가관리체계 국제 품질경영 인증” 2014년에는 정부의 공공기관 합리화․정상화방안에 적극 부응하고, 기관의 비전·전략을 구현하기 위한 경영효율화를 전사적으로 추진하여 윤리경영체제를 확고히 구축하고, 조직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능력과 전문성 중심의 조직․인사관리체계를 정비하는 등 “변화와 쇄신”에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기정원 관계자는 설명했다. 금번 선포식은 지난 2013.11.1 전 직원이 참여하는 “변화와 쇄신 워크숍” 개최결과 그간의 비전 및 핵심가치에 대한 구성원들의 공감대 부족으로 조직역량이 분산되고 공유가치 형성이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라 ① 비전 및 핵심가치 체계 재정립 방향을 제시하고, ② 1박2일(1.3~4) 간전 직원이 참여하는 "변화와 쇄신 결의 대회“를 개최해 새벽까지 이어진 열띤 토론을 통해 비전․가치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의견을 수렴하였으며, ③ 노사공동의 회의체운영을 통해 제시된 의견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④ 전 직원을 대상으로 비전 및 가치체계 개선(안)에 대한 의견수렴을 실시했다. 또한, ⑤ 기관의 핵심인재들로 구성된 실무추진반 운영을 통해 세부 전략과제를 도출하고, ⑥ 경영진 및 직원대표 등이 참여한 경영전략회의를 통해 비전 및 가치체계를 최종 검토하고 의결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 추진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양봉환 원장은 취임이후 소통의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기관의 미션․ 비전에 대한 공유와 공감을 통해 구성원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개인과 조직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기 위해 워크숍, 설명회 등 직원들과의 소통의 장을 수시로 마련하고 의견을 경청하는 등 열린경영을 실천하며 노사파트너십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정원 노동조합 양국석 위원장은 “지난해 기관이전 및 소통의 부재로 인해 노사분규가 발생하는 등 심각한 어려움을 겪은 바 있으나 신임 기관장의 열린경영 실천으로 노사 간 상호신뢰와 존중의 계기가 마련되는 등 노사상생의 조직문화가 조성되어 가고 있다. 조합에서도 기정원이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함께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봉환 원장은 “이번에 수립된 기정원의 비전은 전 직원의 의견을 담아 일류 공공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정원의 강력한 의지가 담겨있다.”며, 경영목표 달성을 통해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여 갈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기정원은 비전선포식을 마치고 대전 법동시장 상인회와 1사1전통시장 자매결연을 체결하고, 설명절 전통시장 장보기 캠페인 등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기정원은 2002년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에 따라 설립되어 중소기업이 급변하는 경쟁환경에 능등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정보화 및 기술인력 양성 등 혁신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준정부기관으로 연 4천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R&D지원 등을 집행하고 있음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5","atchfileNm":"기정원 비전선포식 보도자료(0122).hwp","viewCnt":"4489","regDate":"2014-01-22 13:26:48"},{"contentId":"25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제5대 양봉환 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2","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5대 양봉환 원장 취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제5대 양봉환 원장 취임식을 12월 11일(수) 11:00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 신임 양봉환 원장은 행시 30회로 중소기업청 행정법무담당관, 인력지원과장, 기술개발과장, 금융지원과장, 정책총괄과장, 부산울산지방청장, 광주전남지방청장, 소상공인정책국장, 생산기술국장 등 중소기업 현장과 정책업무를 두루거친 중소기업 정책전문가이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및 정보화경영 지원업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난 2002년 1월 설립된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 지난 9월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29조에 따라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3개월에 걸친 기관장 선임절차를 거쳐 중소기업 육성 및 기관경영에 뛰어난 경륜과 창의적인 경영이념을 갖춘 양봉환 전 중소기업청 생산기술국장을 제5대 원장으로 선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양봉환 신임원장은 취임사를 통해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기정원의 개혁과 변화를 위한 5가지 실천약속을 제시했다.   ①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인재양성을 전담하는 중심기관으로 거듭나야 한다”며, “각자가 맡은 업무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연구를 바탕으로 고객인 중소기업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음과 업무자세를 새롭게 가다듬고, 기관의 설립목적에 맞게 기관의 비전과 목표를 직원들과 함께 정립해 나겠다”고 밝혔다. ② 또한, “공공기관 직원으로서의 소양을 갖추고 중소기업 관련업무의 전문가로 거듭나기 위해 소질과 적성을 고려한 능력위주의 인사를 제도화하여 개개인의 잠재적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③ 아울러, “직원들이 높은 자긍심과 애착을 가질 수 있는 조직을 만들어가기 위해 기관의 미션과 비전이 직원 개개인의 삶의 비전이 되고, 자기발전의 원동력이 되도록 하겠다”고 조직운영의 비전을 제시했다. ④ 그리고 “우리 사회는 특히 공공기관에 대해 높은 청렴과 윤리를 요구하에 따라 중소기업 지원기관으로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윤리성과 청렴도를 의심받는 경우, 국민으로부터 신뢰와 권위를 잃어 업무수행에 치명적인 상처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모든 것을 법과 원칙에 따라 처리할 것”이라며, 임직원 모두가 중소기업 지원 과정에서 투명성과 객관성, 공정성을 유지해 줄 것을 당부했다. ⑤ 마지막으로, “직원들 모두와 마음을 열고 진심으로 소통하겠다”며 “직원들과 함께 기정원 앞날을 고민하고, 직원 한명한명의 꿈에 대해 경청하고 즐거운 일터가 될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한편, 기정원노동조합은 “제5대 양봉환 원장의 취임을 환영한다”는 현수막을 게시하고, 지난날 노사 간의 갈등을 청산하고, 노사가 함께 기관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노사상생의 의지를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4","atchfileNm":"양봉환 원장 취임 보도자료(1211).hwp","viewCnt":"5077","regDate":"2013-12-11 15:21:32"},{"contentId":"25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서울경제(6.20일자) 보도관련 해명자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1","contentsKor":" 보 도 해 명 “중기 이해연수 사업 3년째 같은 회사서 독식” 및 “기정원 예산 몰아주기 의혹”(6.20, 서울경제신문) 기사에 대한 해명 <보도내용(6.20, 서울경제신문)> ① 지난해 선정됐던 3곳이 올해도 고스란히 선정될 것이며, 같은 회사가 3년째 독식할 것이라는 주장 ② “특성화고 대상 연수 운영실적 보유”라는 신청자격 요건으로 인해 민간 중소기업의 이해연수 참여가 어렵다는 이유 ③ 부산의 A공고의 경우 이미 중소기업 이해연수를 위한 입찰공고를 통해 세계인재개발원이 단독으로 응찰해 선정 ④ 충남대 출신인 세계인재개발원장과 동문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출신 관계자들이 밀접한 관계에서 예산 몰아주기 ⑤ 기정원 원내 워크숍을 세계유스호스텔 직영 화양청소년수련원에서 실시 □ 기사 내용에 대한 해명 ① 작년의 3개 업체가 그대로 선정될 것이라는 주장은 향후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를 통해 고득점 순으로 결정될 것이므로 ‘12년 참여업체가 선정될지 여부는 모르는 상황이며,지속적으로 해오던 업체라 하더라도 수준 높은 곳이 선정되는 것은 당연한 것임 ㅇ 특정 업체로 거론된 세계인재개발원은 2년간(‘11~’12년) 이해연수에 참여한 업체는 맞으나, ‘13년 연수기관 선정이 안 된 상태에서 3년째 같은 회사에서 독식이라는 표현은 맞지 않음 ㅇ 이해연수의 핵심은 연수의 품질 수준이며, 이를 위해 ‘11년 이후 경쟁방식을 도입하고 연도별 연수 물량을 고려하여 연수업체 수를 관리하고 있음 ㅇ ‘13년의 경우, 연수인원이 집체연수 기준 171개교 6,840명 상당으로 예상되어 연수기관의 적절한 경쟁체계를 유지하면서, 이해연수의 품질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는 차원에서는 연수기관을 3개 이상 늘리는 것에 대해 신중히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봄 ② “특성화고 대상 연수 운영실적 보유”라는 신청자격 요건 때문에 이해연수 사업에 참여가 어렵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님 ㅇ 사업공고 上 “특성화고 대상 연수 운영실적”은 중소기업 이해연수 실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특성화고 관련 포괄적인 연수실적을 의미 ㅇ 실제로 ‘13년에 접수된 8개 기관의 경우 특성화고의 교원연수, 학부모연수, 취업캠프, 직업진로 체험, 교직원 워크숍 등 다양한 특성화고 관련 연수실적을 인정하도록 하고 있음 ③ 부산의 A공고가 ’13.6.3~6.5일까지 53명의 맞춤반 학생을 대상으로 세계인재개발원과 계약을 체결하고, 이해연수를 추진한 것은 사실로 확인되었으나, 이는 ‘13년 이해연수기관 선정이전에 학교가 단독으로 처리한 사항으로 해당 이해연수 비용은 동 사업비로 인정되지 않을 것임 ④ 충남대 출신인 세계인재개발원장과 동문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전ㆍ현직 직원은 동 사업과 무관 ㅇ 위촉계약직 1명(‘07.4~’08.6, 당시 지식경영부), 인턴 1명(‘13.5~현재, 기술혁신지원본부 근무)으로 이해연수 사업과는 전혀 무관 ㅇ 특정 연수기관에 예산을 몰아준다는 것과 관련하여 사업전담기관인 기정원은 외부전문가 평가를 통해 복수의 이해연수기관만 선정하고, 각 학교가 실정에 맞는 연수기관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므로 기정원이 예산을 몰아주는 말은 적절치 않음 ⑤ 화양청소년수련원에서 실시된 직원 워크숍은 2012년 대폭 개편된 R&D지원체제와 관련하여 주무부처와 원활한 소통과 기관이전 계획에 따른 직원과의 격의 없는 대화 등을 위해 추진되었으며, ㅇ 화양청소년수련원은 주무부처의 참여를 고려한 것으로 편의성 차원에서 선택되었을 뿐 특별한 의도를 갖고 추진한 것이 아님 ※ 자세한 사항은 기술인재양성부 오주환 부장(042-388-0330)/한명수 책임(042-388-0144)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3","atchfileNm":"서울경제_보도해명.hwp","viewCnt":"6317","regDate":"2013-06-21 09:48:45"},{"contentId":"25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대전 시대 개막 - 세계 일류 기관으로 도약 발판 마련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6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대전 시대 개막 - 세계 일류 기관으로 도약 발판 마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관 이전 안내 ․ 이전일 : 2013. 03. 05(화) ․ 업무개시일 : 2013. 03. 11(월)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386-2, 3번지 대덕테크비즈센터(TBC) 6, 7층 ․ 연락처 : 042-388-0100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은 오는 3월 5일 대전지역 대덕테크비즈센터(TBC) 건물 6, 7층에 새 둥지를 틀고, 세계 최고 수준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기관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기정원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한 지방이전 대상 공공기관은 아니지만 자발적으로 동참하기로 하고, 기관이전을 준비해왔다. 이전으로 인해 고객인 중소기업의 접근성과 업무 편의성이 크게 개선됨과 동시에 중소기업의 기관 방문을 통해 대전지역 경제 발전 및 지역 경쟁력 강화에도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나아가 주무부처인 중기청을 비롯하여 세종시에 집중되는 관련 부처, 대덕연구개발특구에 밀집된 1,266개의 R&D 기관 및 유관기관과의 효율적인 업무 공조를 통해 중소기업 육성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기정원 또한 정규직 기준으로 연간 근무일수의 12%에 해당하는 대전시 출장이 줄어들어 시간적, 재무적 낭비요인을 제거하는 등 업무 집중도를 높여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아울러 지난 11월 개최된 311회 정기국회에서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개정으로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위한 정책연구 및 중장기기획’ 업무가 기정원의 주요기능으로 추가됨에 따라 기정원의 기능이 보강되었다. 이전과 더불어 이러한 변화는 기정원이 명실상부한 중소기업 기술혁신지원 전담기관으로 거듭날 토대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 윤도근 기정원장은 “중소기업 친화적인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기정원의 기관이전으로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여 중소기업이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최첨병 역할을 다하겠다.”며 기관의 최우선이 중소기업임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 기정원은 2020년까지 중소기업의 혁신역량강화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기술혁신지원 전문기관을 향해 도약해 나갈 것이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2","atchfileNm":"(130228) 기관이전 보도자료(최종).hwp","viewCnt":"6174","regDate":"2013-02-27 17:52:30"},{"contentId":"25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기정원 '세계 일류 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포부 밝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9","contentsKor":" 기정원 '세계 일류 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포부 밝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노사협의를 통해 오는 3월 5일부터 3월 7일까지 이전을 완료하기로 합의하였다고 밝히면서, 10년여의 여의도 시대를 마감하고 대전에서 유관기관과 공조하여 세계 일류 기술혁신지원기관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지난 2002년 중소기업 정보화지원 전문을 위해 설립된 기정원은 2006년 기술혁신 지원으로 무게중심을 옮겨 2013년에는 4,000억원이 넘는 중소기업 R&D 지원 등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발전해 왔다.    * 정원 : (02) 30명 → (13) 72명(140% 증), 예산 : (02) 350억 → 4,000억(1,043% 증) □ 더욱이 개원 10주년을 앞둔 2011년부터 세계 일류 기술혁신지원이 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고 대대적인 혁신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자체적으로는 2년간 연평균 12억원 상당의 평가관리예산을 절감하여 아깝게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한편, 중소기업에 대하여는 대폭적인 평가기간 단축과 평가부담 완화 등 애로해소 및 R&D 조기착수를 지원한 결과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91.4점을 획득하는 등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또한, 평가위원들의 기술경영분야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각계의 의견 수렴을 거쳐 R&D 평가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R&D 지원기관 최초로 평가위원에 대한 기술경영(MOT) 교육과정을 기정원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평가위원의 평가역량이 향상되었다는 각계의 평가를 받고 있으며,  ◦ 감사원, 국회, 각종 언론에서 지적해 왔던 R&D 분야 정부지원금의 투명한 사용을 위해 역시 국내 최초로 연구개발 과정에 필요한 연구기가재 및 재료의 전자적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구매지원시스템”을 정부지원 없이 기정원 자체예산으로 구축·운영하여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금의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조성에 기여했다는 평이다.  <기정원 주요 혁신 성과> ◈ 고객만족도 : (10) 84.1점 → (11) 86.7점, R&D 지원 만족도 : (10) 82.2점 → (11) 86.2점 ◈ 예산절감 : (11) 12억 절감, 8개 기업 추가지원, (12) 11억 절감, 8개 기업 추가지원 ◈ 공공기관 경영평가 : (10) 90.0점 → (11) 91.4점 ◈ 평가기간 단축 : (11) 139일 → (12) 77일(44.6% 단축) ◈ 평가위원 기술경영(MOT) 교육, 발표자료 작성폐지, 대면평가 기회확대 등 중소기업 부담완화 등을 통한 중소기업 평가만족도 개선 : (개선전) 3.92점 → (개선후) 4.02점 □ 이러한 가운데 기정원은 대전지역으로 기관이전을 추진하면서 노조가 파업까지 하는 등 갈등이 있었으나 최근 노사합의를 이루어 다행이다.  ◦ 윤도근 기정원장이 기관이전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이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성과를 내려고 노력해야 하는데, 연간 정규직 직원 12% 상당이 대전으로 전일 출장을 가야 하는 현재 구조로는 아무리 혁신을 해도 한계가 있으며, 향후 경제 관련부처가 모두 세종시로 이전하게 되면 대전지역 출장수요가 15%가 넘을 것이 확실시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 기정원 노조에서도 기관이전이 불가피하다는데 이의가 없고, 다만, 이전으로 인한 직원들의 불편을 최대한 해소해 달라는 것과 이전시기를 늦추자는 것이었다.  ◦ 기정원 노사 양측은 이전시기 및 직원들의 불편해소 방안에 대한 이견으로 파업까지 겪는 갈등 속에서도, 22차례에 걸친 노사교섭과정을 통해 노사 양측의 이견을 해소하고, 노사 합의를 통해 이전을 추진하게 되었다.  □ 오는 3월초 대덕시대를 맞는 기정원이 약 15%로 전망되는 행정력 낭비요인을 제거하고, 중기청을 비롯하여 세종시에 집중되는 관련부처, 그리고 대덕연구개발특구에 밀집된 1,266개의 R&D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그들이 목표하는 세계 일류 기술혁신지원기관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본다.       * 대덕특구 R&D 기관 현황 : 출연연(30개), 공공기관(8개), 국공립기관(14개), 비영리기관(30개), 교육기관(5개), 기업(1,179개) 등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1","atchfileNm":"★(130116)기관이전확정관련 보도자료_최종.hwp","viewCnt":"5865","regDate":"2013-02-27 17:49:52"},{"contentId":"25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청렴계약 이행 준수를 위한 협력업체 초청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8","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청렴 실천에 앞장서고자 오는 6월 5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청렴계약 이행 준수를 위한 협력업체 초청 간담회’를 개최한다. □ 이번 간담회 초청대상은 청렴 취약분야가 될 수 있는 계약과 관련한 분야로, 최근 2년간 기정원과 계약체결 경험이 있는 40개 업체이다. 특히 윤도근 원장이 직접 간담회에 참석하여 협력업체들과 함께 지속적인 동반성장의 바탕이 되는 윤리경영과 청렴계약제 정착의 중요성을 논의할 예정이다. □ 윤도근 원장은 “선진화된 계약문화를 정착하여 청렴문화를 확산하고자 하며, 이는 상호간의 의지와 노력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 만큼 협력업체들을 초청하는 자리를 마련했다.”며 간담회 취지를 밝혔다. □ 기정원은 이와 관련하여 올해 3월 관련 규정을 개정하여 2천만 원 이상 계약 시 청렴계약이행서약서를 필수적으로 제출하게 하는 등 다양한 부패방지책도 마련하고 있다. □ 이 밖에도 기정원은 ‘청렴제안방’과 ‘반부패신고 및 청탁등록’ 창구를 개설하는 한편, 간부직 청렴리더십 확립을 위한 자율시책 공모, 청렴포인트제 도입, 청렴도 제고를 위한 직급별 간담회 개최 등 지속적인 임직원의 노력을 통해 기관 청렴도를 한 단계 이상 끌어올린다는 각오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청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기술기반 창업 및 성장촉진을 통한 안정적인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는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700","atchfileNm":"보도자료_청렴계약 이행 준수를 위한 간담회_v2.hwp","viewCnt":"6080","regDate":"2012-06-05 09:07:18"},{"contentId":"25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CEO 정보화 특강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7","contentsKor":"  중소기업 CEO 정보화 특강 개최 - 5월 17일 10:00~14:00, 양재동 EL 타워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오는 5월 17일 양재동 EL 타워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중소기업 CEO 정보화 특강’을 무료로 개최한다. □ ‘중소기업 CEO의 경영전략 및 정보화 마인드 고취’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특강은 중소기업의 CEO 및 임원들이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정보화 마인드를 제고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 이번 특강은 수요조사를 거쳐 설문대상자들이 가장 선호한 ‘정보화경영전략’ 분야와 ‘신정보화 트렌드’ 분야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며, 강의에 앞서 윤도근 기정원장이 정보화 마인드 제고를 위해 참석한 CEO들을 대상으로 강연하고 소통하는 시간도 마련되어 있다. □ 특히 중소기업주간을 맞이하여 실시되는 이번 특강은 미리 교육을 신청한 사람 이외에도 현장에서 바로 수강 가능한 공개강좌로 개설되어 더욱 많은 사람들이 정보화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추진된다. □ 윤도근 기정원장은 이번 행사에 앞서 “중소기업의 정보기술의 활용이 기업들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경쟁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CEO의 정보화 마인드는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행사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청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기술기반 창업 및 성장촉진을 통한 안정적인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는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이다.","viewCnt":"6028","regDate":"2012-05-16 11:41:10"},{"contentId":"25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1기 SNS 기자단 출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6","contentsKor":"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SNS 기자단이 중소기업의 R&D와 정보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본격적인 활동에 나선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지난 4월 18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1기 SNS 기자단 발대식을 개최했다. 기자단은 대학생 4명, 특성화고교생 1명, 총 5명으로 구성되었다. □ 이날 발대식에서 위촉장을 수여받은 기정원 SNS 기자단은 우수 중소기업/학교 현장취재, 기정원 행사취재, 중소기업 관련 글 기고 및 유용한 정보의 확산 등을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 개선에 앞장서게 된다. □ 기자단은 오는 5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며, 기자단의 활동과 기사는 기정원에서 운영하는 페이스북(www.facebook.com/tipasns) 및 트위터(@tipasns)와 개인 SNS를 통해 만나볼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 윤도근 기정원장은 발대식에서 “SNS 기자단 활동으로 중소기업과 중소기업의 육성의 중요성을 함께 공감하고, 우리 기관이 고객과 더불어 국민 모두와 올바르게 소통하는 밑거름이 되어주길 바란다.”라고 기자단을 격려했다.   ","viewCnt":"6293","regDate":"2012-04-20 16:59:35"},{"contentId":"25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10년사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5","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10년사 발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창립 10주년을 기념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10년사’를 발간했다.   □ 이번 발간된 10년사는 총 290여 쪽 분량으로 기관의 과거와 현재를 담은 역사와 더불어 미래상을 담고 있으며, R&D지원사업, 정보화지원사업, 경영혁신지원사업, 중소기업인력양성사업의 4가지 부문사를 수록하여 10년간의 기관의 성장과정과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 나아가 10년 동안 중소기업을 지원해 온 부문별 통계도 수록하여 보는 이들에게 알찬 정보도 제공하는 한편, 부문별 우수사례, 10년 10대뉴스, CEO 인터뷰, 사진자료 등 재미있는 볼거리 또한 담고 있다. □ 10년사는 중소기업청과 관련기관 등 300여 곳에 배포되며, 기정원홈페이지(www.tipa.or.kr)에서도 무료로 읽어볼 수 있다.   □ 윤도근 기정원장은 발간사에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10년사’는 그 동안의 발자취를 기록․관리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발간한 것”이라며 각계 요원들의 많은 이용을 바란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청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기술기반 창업 및 성장촉진을 통한 안정적인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는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9","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 10년사 발간.hwp","viewCnt":"6318","regDate":"2012-03-29 17:54:43"},{"contentId":"25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SNS 기자단 모집(대학생/특성화고생)","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4","contentsKor":"  기정원 SNS 기자단 모집 - 중소기업에 관심 있는 대학생 모여라 ! - 모집 및 활동개요 o 모집대상 : 수도권 소재 대학(원)생(휴학생 포함), 특성화고 재학생 o 우대사항 :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를 활발히 운영하는 사람 o 모집기간 : '12. 03. 20(화)~30(금) 18:00까지 o 활동기간 : '12. 04~12월(9개월) o 모집인원 : 6명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제1기 SNS 기자단을 모집한다. 모집 대상은 수도권 소재 대학(원)생, 특성화고교 재학생으로 총 6명으로 구성한다.  □ 기정원 SNS 기자단은 오는 4월부터 12월까지 기정원에서 운영하는 페이스북과 트위터, 개인 블로그 등을 통해 중소기업/학교 현장취재, 기정원 관련 행사취재, 중소기업 관련 글 기고 등과 더불어 기정원 SNS에 올라오는 글의 RT, 공유, 스크랩 등을 담당하게 된다. □ 지원 희망자는 오는 30일까지 기정원 홈페이지(http://www.tipa.or.kr)공지사항에서 지원서 양식을 내려 받아 작성한 후 전자우편(ysj126@tipa.or.kr)으로 접수하면 된다. □ 기자단으로 선발된 학생에게는 활동확인서 발급 및 소정의 원고료 지급 등 다양한 혜택과 지원이 따를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8","atchfileNm":"붙임_SNS 기자단 모집_지원서_자소서 등.hwp","viewCnt":"5160","regDate":"2012-03-20 14:08:46"},{"contentId":"25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고민 컨설팅으로 풀어보세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3","contentsKor":"  "중소기업의 고민" 컨설팅으로 풀어보세요! - ’11년 125억원, 中企에 최대 1천만원 지원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은 중소기업청(청장 송종호)과 함께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사업을 2012년 2월 2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 특히, 금년에는 중소기업의 「건강진단 → 처방 → 치유」의 단계를 거쳐 문제를 해결하는 「중소기업 건강검진 프로그램(별도공고)」이 운영됨에 따라 컨설팅 지원도 “건강진단 연계형”과 “수요자 선택형”으로 구분되어 시행된다.    * 건강진단 연계형 : 중소기업 건강진단 결과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처방된 중소기업에 대한 공정혁신형 컨설팅 지원    * 수요자 선택형 : 중소기업 건강진단에 참여하지 않은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개선 및 기술애로 해소 컨설팅 지원 □ 이렇게 구분된 컨설팅은 다시 지속성장 과제와 창업기업 과제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는 컨설팅이 지원될 예정이다.    * 지속성장 과제 : 생산기술, 공장혁신, 원가개선, 재무, 인사, 사업전환 등 기업이 지속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컨설팅    * 창업기업 과제 : 지속성장을 위한 컨설팅과 함께 창업절차대행, 공장설립 대행 등 창업기업 고유의 애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컨설팅 □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건강진단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중소기업 컨설팅 전용 홈페이지(www.smbacon.go.kr) 및 컨설팅 주관기관인 중소기업진흥공단(www.sbc.or.k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www.tipa.or.kr)의 홈페이지를 통해 세부 사항을 확인하여 신청할 수 있다.    - 중소기업의 컨설팅 신청은 컨설팅 기관(컨설턴트) 등록(2월 27일~3월 16일)이 완료되는 3월 20일(화)부터 가능하다. [붙임] 2012년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 계획 1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6","atchfileNm":"(0224)_중소기업의_고민_컨설팅으로_풀어보세요(기정원_경영정보화).hwp","viewCnt":"5600","regDate":"2012-02-24 16:37:44"},{"contentId":"25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녹색공정기술개발 435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2","contentsKor":" 2012년 2월 17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www.tipa.or.kr  보도자료 ∙문의:녹색성장팀 ∙팀장:이상헌(042-481-4403) ∙연구관:장영능(042-481-4406)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장:조기영(02-3787-0520)∙책임 양국석(02-3787-0530) 중소기업 녹색공정기술개발 435억원 지원 - 중기청,‘12년도「제조현장 녹색화기술개발사업」지원계획 공고 -  □중소기업의 녹색생산성* 제고를 위해 에너지·자원을 절감하고,온실가스·폐기물을 저감함과 동시에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공정기술개발에 필요한 R&D 자금이 지원된다. * 녹색생산성이란? 제조공정 과정에서 에너지 ·자원 등 투입원단위 개선과 동시에온실가스, 환경오염물질 등 배출원단위 개선을 추진하여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은 중소기업청(청장 송종호)와 함께 중소기업의 친환경․고효율 공정기술개발을 위해 2012년도 「제조현장 녹색화기술개발사업」을공고하고 참여 연구기관 및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중소기업 제조현장의 에너지·자원 절감, 온실가스·폐기물 저감 등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공정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중소사업장의 공정구조를 친환경·고효율구조로 전환시켜 온실가스 감축을 촉진하는 사업 중의 하나이다.   □ 435억원(신규 257억원, 계속 178억원) 규모의 자금으로 200개 내외의중소기업을 지원하며,   ◦유사·동종 업종에 파급성이 큰 핵심기반기술 위주로 지원하는 산·연협력과제와 기 개발한 우수과제를 보급·확산하기 위한 보급확산과제 및 기업 맞춤형인 기업제안과제로 구분하여 상․하반기로 나누어 지원한다.   < 과제별 추진일정 > 과제별 추진일정 구 분 공 고 신청․접수 선정평가 협약체결 산연협력과제 (132억원) 산연협력 2.17 2.17∼3.19 4월∼5월 6월 출연(연)전용 보급·확산과제(20억원) 2.17 2.17∼3.19 4월∼5월 6월 기업제안과제 (105억원) 일반과제 6월 7월 8월∼9월 10월 첫걸음R&D   □ 주요사업별 지원내용을 보면   ◦ 상반기에 지원하는 산·연협력과제는 출연(연) 등 전문연구기관과중소기업이 공동개발 형태로 수행하는 과제로서 개발기간 2년 이내에서 최대 6억원까지 지원하며, - 지정공모기술에 대해 중소기업-연구기관이공동개발하는 산연협력과제와   - ‘중소기업지원 전담조직’을 보유한 출연(연)이주관기관이 되어자체 발굴한 기술에 대해 출연(연)-중소기업이 공동개발하는 출연(연)전용과제로 나누어진다.   ☞ ‘출연연 전용과제’(신설)는 연구역량과 인프라가 뛰어난 출연(연)의 중소기업지원 확대를 위해 산연협력과제 지원예산(132억원) 중 60억원을 전용 배정함   ㅇ 보급·확산과제는 사업성과 제고를 위해 연구기관에서 기 개발된우수과제를 유사·동종 업체에 보급하기 위해 추가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과제로서, 1년 이내에서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 ‘보급·확산과제’(신설)는 산연협력과제를 통해 기 개발된 과제 중 파급효과가우수한과제를 동종업종에 보급·확산하기 위한 추가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신설 ◦ 하반기에 지원하는 기업제안과제는 기업현장의 특화된 기술을 기업이 단독으로 개발하는 과제로 개발기간 1년 이내에서 최대 2.5억원까지 지원하고,   - 올해 신규로 추진하는 첫걸음 R&D는 정부 R&D를 한 번도 지원받지 못한 중소기업만을 대상으로, 1년 이내 최대 2억원까지 지원하게 된다. ☞ ‘첫걸음 R&D’(신설)는 중소기업 R&D 진입장벽 완화를 위해 기업제안과제 지원예산의 50%에 해당하는 50억원을 전용 배정   < 과제별 지원조건 > 과제별 지원조건 구 분 개발기간 및 금액 지원방식 정부출연금 비중 산연협력과제 산연협력 최대 2년, 6억원 지정공모 총 사업비의 75% 이내 출연(연)전용 출연(연)자체발굴 기업제안과제 일반과제 최대 1년, 2.5억원 자유응모 첫걸음R&D 최대 1년, 2억원 보급·확산과제 최대 1년, 1억원 기 지원한 산연협력과제 총 사업비의 50% 이내   □ 우리나라는 에너지 97%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면서도 低에너지효율, 에너지 다소비산업 高비중의 경제구조로 외부위험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에, 제조공정 과정의 기술개발지원을 통해 에너지 고효율화와 자원절약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친환경 산업구조로의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오는 2.17부터 3.19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과제관리시스템(www.smtech.go.kr) 홈페이지에 게시된 신청양식 등을 참조하여 온라인 신청하면 된다.   ◦ 향후 추진과정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및 각 지방 중소기업청이실시하는 “대면평가→현장평가→지원과제 선정”을 거쳐 6월중에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붙임> 제조현장 녹색화기술개발사업 개요 1부.     <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 개요 >       ■ 사업개요   ◦ 중소기업의 녹색경영 촉진과 녹색생산성 제고를 위해 에너지·자원을 절감하고, 온실가스·폐기물을 저감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공정기술개발에 필요한 R&D자금 지원   ■ 지원규모 : 435억원(신규 257억원, 계속* 178억원)   * 계속 178억원은 지난해에 선정된 산연협력과제(2년 과제) 지원예산임.   ■ 지원내용 (신규 257억원)   ①산연협력과제(72억원) : 기술수요조사 등에 의하여 도출된 지정공모기술에 대해 중소기업-연구기관의 공동기술개발(산-연) 형태로 수행하는 기술개발과제   ② 출연(연)전용과제(60억원) : 출연연의 중소기업지원강화를 위해 ‘중소기업지원 전담조직’을 보유한 출연연이 주관기관이 되어 출연연-중소기업간 공동기술개발전용사업으로지원   * 동 사업에 참여하는 출연(연)은 기존 산연협력과제 참여 제한 * 출연(연)전용기술개발사업은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공고(‘12.1.31) 참조 - 대상사업(250억원) : 제조현장녹색화(60), 이전(50), 융복합(50), 연구장비활용(90)   ③ 기업제안과제(105억원) : 중소기업 제조현장의 녹색화 관련 공정기술개발을 위해 기업 단독기술개발 형태의 기업맞춤형 자유응모 과제   - 일반과제(55억원) : 중소기업 단독기술개발 형태의 녹색화 공정기술개발을 지원   - 첫걸음R&D(신설, 50억원) : 정부 R&D를 한 번도 지원받지 못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녹색화 공정기술개발을 지원   ④보급확산과제(20억원) : ‘11년까지 완료된 산연협력과제 중 기술적·경제적파급효과가 우수한 과제를 유사·동종 업종에 보급·확산하기 위한 추가개발 지원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5","atchfileNm":"보도자료_제조현장 녹색화R_D.hwp","viewCnt":"5002","regDate":"2012-02-20 16:50:48"},{"contentId":"25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립 10주년 기념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1","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립 10주년 기념식 개최 - ‘기정원 10년의 회고와 미래 발전방향’ 패널토론도 열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립 10주년 기념식 ㆍ일시 : 2012년 1월 17일(화), 10:30~ ㆍ장소 : 중소기업중앙회관 그랜드홀 ※ 비전선포식 : 11:05~30  - 비전동영상 관람, 비전선포, 직원선서, 타임캡슐 봉인식 ※ 주제발표 및 패널토론 : 13:30~15:00, 2층 대연회실  - 기정원 10년의 회고와 미래 발전방향  - 패널(김익성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 나도성 한성대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장, 김호영 한국경제신문 부소장, 홍지승 산업연구원 중소벤처기업연구실장)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이 창립 10주년을 맞아 오는 1월 17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중소기업중앙회관 그랜드홀에서 창립 10주년 기념식을 개최한다.   □ 이번 기념식은 기정원이 걸어온 10년을 되돌아보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기념식은 개막식, 비전선포식, 타임캡슐 봉인식, 주제발표 및 패널토론 등을 주요 골자로 하여 진행된다. 특히, 기념식 중 ‘비전동영상 상영’, ‘비전선포’를 통해 향후 ‘세계일류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와 혁신을 실천할 것을 대내외에 알릴 예정이다. □ 아울러 기정원 10년의 발전을 위해 기여해주신 분께 감사패를 증정하는 시간도 갖는다. 초대 임원으로서 기정원의 설립과 발전에 기여한 박삼규 초대이사장, 백낙기 초대원장과 더불어, 기정원이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후원을 아끼지 않은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의 공로에 감사의 의미를 담아 패를 전달할 예정이다. □ 한편, 오후 1시 30분부터 2층 대연회실에서 ‘기정원 10년의 회고와 미래 발전방향’을 주제로 패널토론이 진행된다. 박찬홍 기정원 전략기획실장의 주제발표에 이어, 김익성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 나도성 한성대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장, 김호영 한국경제신문 부소장, 홍지승 산업연구원 중소벤처기업연구실장, 윤도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이 패널로 참가하여 향후 기정원의 위상과 비전을 모색하는 자리를 갖는다. □ 이번 기념식을 통해 기정원은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일류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모든 임직원이 총력을 기울이고자 한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청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중소기업이 기술개발, 정보화, 경영컨설팅, 기술인재양성지원 등을 통해 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소기업 성장에 기여하는 기술혁신 지원 전문기관”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4","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 10주년 기념식 개최.hwp","viewCnt":"4500","regDate":"2012-01-25 11:33:26"},{"contentId":"25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마포 공덕시장과 자매결연 협약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5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마포 공덕시장과 자매결연 협약식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나섰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이하 기정원)은 지난 8월 18일 마포 공덕시장과 자매결연 협약을 체결하고 전통시장 활성화에 앞장서기로 했다. 마포 공덕시장은 기정원과 가까운 위치, 물품공급의 용이성, 먹거리가 발달한 점이 장점으로 부각되어 협약 시장으로 선정됐다. □ 기정원은 이날 협약식에서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을 ‘전통시장 가는 날’로 정하여 임직원의 자발적인 전통시장 이용을 유도하는 한편, 각종 행사시 전통시장 이용하기, 기관 및 임직원의 온누리 상품권 구매를 통해 전통시장 이용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독려하여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기정원 윤도근 원장은 “이번 협약이 품질 좋고 저렴한 가격의 물품을 판매하는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이끄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공공기관 임직원이 사명감을 가지고 전통시장을 앞장서 이용하는 것이 우리 경제 살리기에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전통시장 이용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했다. □ 나아가 기정원 임직원은 협약식 이후 시장에서 저녁식사를 함께하고 직접 장보기에 나서 협약의 의미를 몸소 실천했다. □ 이번 협약은 지난 6월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장․차관 국정 토론회’에서 제시한 경제 활성화 방안의 실천을 위해 중기청이 마련한 ‘전통시장 가는날’ 선포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3","atchfileNm":"보도자료_기정원과 마포공덕시장 협약식 개최.hwp","viewCnt":"4283","regDate":"2011-08-22 16:13:11"},{"contentId":"25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우리은행과 출연협약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9","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우리은행과 출연협약식 개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윤도근, 사진 오른쪽, 이하 기정원)은 우리은행(은행장 이종휘)과 지난 3월 21일 기정원 3층 대회의실에서 중소기업 R&D 지원을 위한 출연협약식을 개최했다. □ 이번 출연협약으로 우리은행은 기정원에 3억 원의 출연증서를 전달했다. 기정원은 이번 출연금을 중소기업 R&D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반마련에 활용하기로 했다. □ 윤도근 원장은 이날 협약식에서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 R&D에 필요한 5M인 인력(Man), 자금(Money), 장비(Machine), 자재(Material), 수단(Method)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소개한 뒤, “앞서 말한 5M 중 자재(Material)부분 지원이 조금 취약한 부분”으로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우리은행이 중소기업의 R&D 기반강화에 선도적으로 동참해 준데 대하여 감사의 뜻을 전했다. □ 이어 윤 원장은 “출연받은 3억 원을 R&D에 소요되는 원부자재 공급 Market Place 개발 등 R&D 지원기반 확충에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R&D 과정에 어려움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 나아가 “우리나라는 원자재, 부품 등의 일본 의존도가 매우 높아서 일본 대지진 여파로 특히 중소기업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중소기업에 사회 각계 각층의 관심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청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중소기업이 기술개발, 정보화 등을 통해 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R&D중심의 서비스 전문기관”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2","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우리은행 출연협약식 개최_ver4(최종).hwp","viewCnt":"4250","regDate":"2011-08-08 15:34:23"},{"contentId":"25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4대 윤도근 원장 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8","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제4대 윤도근 원장 취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제4대 원장에 윤도근 신임원장이 부임해 오는 12월 3일부터 공식 업무에 들어간다. 취임식은 12월 3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9층 R&D 평가장에서 개최한다. □ 윤도근 신임원장은 취임에 앞서 “우리나라 경제 기반을 굳건히 하는 것은 우리 중소기업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강소기업으로 거듭나게 하는 데에 달려있다”며 중소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중소기업 R&D 지원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이와 관련하여 “R&D중심의 서비스 전문기관으로서 기정원의 위상을 재정립해 나가겠다”며 앞으로의 기관 운영과 관련한 포부를 밝혔다. □ 윤도근 신임원장은 1953년생으로 충남대 경영학석사를 취득하였으며, 1981년 공업진흥청에서의 공직생활을 시작으로 중소기업청 기획예산법무담당관, 기업협력과장, 감사담당관, 대구경북중소기업 청장 등을 두루 역임한 중소기업 관련 전문가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1","atchfileNm":"보도자료_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_4대_윤도근_원장_취임_최종.hwp","viewCnt":"4981","regDate":"2011-08-08 15:32:06"},{"contentId":"25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도약하는 중소기업 세계 속에 우뚝 서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7","contentsKor":" 도약하는 중소기업 세계 속에 우뚝 서다! □ 중소기업청(청장 김동선)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박창교)은『‘09년 해외기술도입지원 사업 우수사례집』을 발간하였다.   ○ 이번 우수사례집은 정부지원과제 성과가 우수한 총 6개 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사업 참여 동기와 성과, 사업만족도 및 보완점, 향후 사업 성공의 기대효과 등에 대한 생생한 인터뷰를 통하여 전달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본 사업은 해외기술도입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선정해 기술이전 계약 체결과 사업화 연계지원까지 기술도입 전 과정을 컨설팅 하는 사업이다.    ○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해외 유망기술을 발굴하여 기술도입 전 과정을 컨설팅 지원함으로써, 기술수준을 단기간에 글로벌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이다.    ○ ‘09년 해외기술도입지원 사업은 11개 기업을 선정하여 기업 당 기술도입 지원 소요비용의 80%(3천만 원 한도)를 지원하였다. □ 이번 사업에 참여한 CEO들은 한 목소리로 이번 기회를 통하여 세계 시장 속에서 우리 중소기업이 충분히 경쟁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고 밝혔다.   ○ 일본의 (주)시스템파이오니어로부터 보안 USB기술을 도입하여 독자적인 제품을 출시, 역수출하게 된 (주)라비로소프트 남운성 대표는 “기술을 도입한지 불과 6개월 만에 일본시장에 진출하는 쾌거를 올리게 되었고, 이번 사업의 성과가 글로벌 이메일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는 큰 밑거름이 될 것” 이라며 큰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 (주)시스템파이오니어 : 2006년 10월에 설립된 성장기의 IT기업으로, 이동식메모리 소프트웨어 보안관련 시스템 개발에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   ○ 러시아의 원천기술력을 도입하여 기상관측장비의 국산화를 실현하고자 한 (주)이엔 쓰리환경 김승우 대표는 “기업 단독으로 추진했다면 불가능했던 일들이 정부지원을 통해 쉽게 해결할 수 있었고, 이는 무궁무진한 시장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내었다.  * 붙임 : 기업별 사업추진 성과(요약) 1부  □  해외기술에 대한 정보력 부족과 전문 인력의 부재로 기술도입의 의지는 있으나 기회가 적은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본 사업을 통해 해외 유망기술을 도입 할 수 있는 기술교류의 장(場)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선진기술 도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본 사업을 확대해 나아 갈 계획이다.  □ 향후 세부 일정 및 자세한 문의사항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www.tipa.or.kr) 홈페이지 참조, 기술기획부(Tel.02-3787-0514) 문의하면 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90","atchfileNm":"보도자료_해외기술도입지원사업 우수사례집 발간.hwp","viewCnt":"5781","regDate":"2010-09-17 11:22:33"},{"contentId":"25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R&D에서 성공 DNA를 발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6","contentsKor":"  중소기업, R&D에서 성공 DNA를 발견 □    중소기업청(청장 김동선)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박창교)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한 과제를 대상으로 기술성및 사업화 성과가 우수한 중소기업을 선정하여「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우수사례집」을 발간하였다.  * 제조현장녹색화 지원사업,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 이전기술개발사업 등 3개 사업 대상 □  중소기업청은 지난 ‘02년부터 ’09년까지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 이전기술개발사업 등 3개 사업에서 약 33백억원 규모로 2,700여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 과제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수준이 크게 향상 되었으며 (평균 26.4%향상), 신제품 출시 성공, 매출향상 및 신규고용(평균 12.4명) 등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 2010년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성과분석보고서 기준 - 금년도에는 3개 사업에서 357억원 규모로 205개 과제를 선정하여 지원 중에 있다.   □ 이번 우수사례집은 각 사업별로 우수과제 선정위원회를 거쳐 엄격하게 선정된 58개 기업의 연구개발 성과를 담아 수록하였으며,   - 중소기업이 연구개발을 추진하게 된 동기, 기술개발 추진과정, 난관을 슬기롭게 극복한 사례 등 R&D 사업추진 과정 및 성과 에 대한 에피소드와 CEO의 진솔한 마음이 묻어나는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개발 현장의 모습이 생생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이번 우수사례 발간으로 기업의 성장을 결정짓는 핵심요인인 기술개발의 중요성 인식확산 및 연구개발 투자가 보다 활성화되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 우수사례집을 홈페이지에 게재하여 향후 R&D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게 벤치마킹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8","atchfileNm":"우수사례 보도자료.hwp","viewCnt":"5756","regDate":"2010-09-17 11:18:01"},{"contentId":"25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10년도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회 워크숍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5","contentsKor":" □ 중소기업청과 (청장 김동선)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박창교)은 8월 31일부터 9월 7일까지 서울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240여명의 조합‧협회 및 대학‧국공립연구소의 연구회 책임자 및 기술기획위원, 사업 관계자가 참석하는 ‘2010년도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회 중간평가 워크숍’을 개최한다.   ○ 이번 워크숍에서는 119개 연구회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유사분야 연구회간 정보공유 및 벤치마킹 등의 활동을 통해 중소기업의 미래유망형 R&D 과제 발굴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회는 업종 분야별 조합, 협회 등을 중심으로 R&D 중간조직을 활성화하여, 업계 공통 애로기술 및 향후 유망기술에 대한 기획을 지원하기 위해 ‘09년부터 운영되었다. ○ 연구회는 6인 내외의 전문가로 구성되며 토론, 연구, 기술교류, 자료교환 등을 통해 관련 기술 및 산업 동향을 파악하여 지원이 필요한 기술과제 600여개를 발굴할 예정이다.  ○ '10년에는 녹색성장, 제조기반기술, 레포츠 및 의료기기, 기타 산업 등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보다 약 20%가 증가한 총 119개의 과제발굴연구회를 선정하였으며 연구회당 최대 1,250만원을 지원하였다. ○ 특히, 올해부터는 중소기업 임직원이 연구회 기술기획위원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시장 조사 및 분석과 같은 기술기획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관련 역량을 내재화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이 가능하다.  ○ 각 연구회는 9월 말까지 기획보고서를 제출하고, 11월 기술평가위원회 등의 검증절차를 거쳐 12월에 제안요청서(RFP)가 확정되며, 이 RFP를 토대로 12월 말 중소기업청의 R&D 사업계획이 공고될 예정이다. □ 김기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술기획부장은 "R&D의 방향이 선진국 모방형에서 혁신주도형 또는 탈추격형으로 차츰 전환됨에 따라 유망기술에 대한 신속한 기회 포착 및 선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고, 이로 인해 기술기획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대한 과제발굴연구회의 지원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7","atchfileNm":"2010년도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회사업 보도자료.hwp","viewCnt":"6031","regDate":"2010-09-14 12:02:10"},{"contentId":"25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격제고 4대 실천방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4","contentsKor":" 01 끼어들기, 꼬리물기, 갓길운행 음주운전 안하기 02 공공장소에서와 휴대전화할 때 작은 목소리로 하기 03 깨끗한 거리와 간판 만들기 04 사이버 예절 지키기 국민 여러분의 작은 실천이 대한민국의 품격을 높입니다. ","viewCnt":"5912","regDate":"2010-04-22 10:56:58"},{"contentId":"25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블루오션형 신기술사업 고부가가치 틈새시장 공략 성공적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3","contentsKor":" 블루오션형 신기술사업 - 고부가가치 틈새시장 공략 성공적 ! -    선도형 기술혁신개발사업(블루오션지원사업) 완료과제에 대한 평가결과 매출액 성장과 종업원 수 증가 등 지원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청장 홍석우)은 ‘08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선도형 기술혁신개발사업 지원대상 업체로 경기지역 소재 (주)정원주철 등 55개 업체를 선정하고 전년(‘07년 업체당 평균지원금액 : 119백만원)보다 21백만원이 증액된 업체당 평균 140백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선도형 기술혁신개발사업은 첨단연구장비 및 슈퍼컴퓨터 활용을 통한 초정밀제어기술, 융합기술개발, 고난이도 공학해석 및 과학기술의 실용화 등으로 연구기관과 혁신형기업간의 높은 시너지(Synergy) 효과 유도를 위해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금년도에는 전년도에 비해 사업비를 100억원 증액(‘07년 150억원, ’08년 250억원)확보하고 업체당 최대지원금액을 확대(슈퍼컴퓨터 활용과제 1억원/년 →1.5억원/년)한 결과, 업체의 적극적인 관심이 유도됨에 따라 기술력이 우수한 과제가 신청되는 등 질적인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 첨단연구장비 활용과제   - 초정밀제어기술, 생명공학기술, 지능기계장비 등을 활용한 블루오션 창출을 위한 지원 과제(4억원/2년 한도 지원, 개발기간 2년 이내)     * 연구기자재 구입비, 재료비, 시작품제작비, 신규채용연구원 인건비 및 기타 제경비 등 소요비용의 75%까지 지원    ◇ 슈퍼컴퓨터 활용과제   -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제품설계 및 성능개선 과제(1.5억원 한도 지원, 개발기간 1년 이내)      * 슈퍼컴퓨터 사용료, 재료비, 시작품제작비, 신규채용연구원 인건비 및 기타 제경비 등 소요비용의 75%까지 지원    한편, ‘07년 슈퍼컴퓨터활용사업에 참여한 경남 창원시 소재 (주)이엠텍(대표이사 정승규)의 경우, 참여하기전인 ‘06년도 매출액이 255억원에서 ’08년도 예상되는 매출액은 427억원으로 67.5%의 급성장은 물론 종업원수도 81명에서 98명으로 증가하는 등 괄목한 만한 지원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소규모 중소기업인 경기도 성남시 소재 (주)경원테크(대표이사 서광원)의 경우, 반도체 산업의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Plasma 기반기술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여 참여하기전인 ‘06년도 매출액이 15억원에서 ’08년도 예상 매출액은 23억원으로 55.3%의 신장세를 보이는 등 지원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 관계자는 “동 사업을 통해 첨단 연구장비 공동 활용 및 산ㆍ학ㆍ연간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개발 제품의 세계적인 기술 산업화 실현을 위해 노력을 경주 하겠다”고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6","atchfileNm":"08년(상) 블루오션형 신기술사업 보도자료.hwp","viewCnt":"5666","regDate":"2008-06-17 10:18:34"},{"contentId":"25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 INSME 중소기업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2","contentsKor":"      'APEC ․ INSME 중소기업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 중소기업혁신 및 기술이전에 관한 협력 및 정보공유를 통한 中企협력 강화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이하 기정원, 원장 朴彰敎)은 기정원내 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와 이탈리아 산업진흥청(IPI)내 중소기업 국제네트워크(INSME)와 비 OECD 회원국과 APEC 역내 개발도상국의 중소기업혁신 및 기술이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공동협력 사업을 추진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 이번 행사는 12월 10일(월)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한 이탈리아 산업진흥청에서 이루어 졌으며, 기정원 원장 및 중소기업국제네트워크(INSME) 회장(Mr. Paolo Anselmo) 등 양국의 관계자가 참석하였다.  ○ 중소기업국제네트워크(INSME)는 중소기업 글로벌 경쟁력을 위하여 중소기업 혁신 및 기술이전 전문중개기관과의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있는 단체로서, 중소기업 혁신 및 기술이전 분야에 있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국가간 협력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이탈리아 산업진흥청내에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다.(2006년 현재 82개 회원 등록) □ 이번 양해각서의 주요 내용은,  ○ 중소기업 관련 행사, 각종 활동 및 교육 프로그램 등에 관한 정보를 확산하고, 아래 분야의 전문자료 및 우수사례에 관한 정보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상호 교환 및 공유 한다         - 중소기업 및 중소기업혁신에 관한 경쟁력, 기술이전 및 기술이전 네트워크, 비 OECD 회원국과 APEC 역내 개발도상국을 위한 지원정책     - 중소기업의 경쟁력 및 혁신을 위한 정책과 중소기업 금융지원 정책     - 중소기업 경쟁력 향상 및 중소기업혁신을 지원하는 공공 및 민간 중개기관 및 네트워크  ○ 타 지역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기업이익에 관한 구체적인 분야의 교육 과정 및 세미나를 실시하여 전문적 지식을 제공하고 이를 활성화 한다 □ 기정원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인해, 국내 및 비 OECD 회원국과 APEC 역내 개발도상국의 중소기업에게 기술이전 관련 전문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해외 선진 기술협력 동향 파악 및 기술협력 능력배양을 달성하고, 나아가 중소기업혁신 및 기술이전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붙 임 : 1. INSME(International Network for SMEs) 개요           2. 양해각서(한글 및 영문)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5","atchfileNm":"18. 보도자료(071210조간) APEC,INSME 중소기업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hwp","viewCnt":"4888","regDate":"2007-12-06 10:02:19"},{"contentId":"25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지역사회맞춤형취업지원 취업캠프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1","contentsKor":"   내‘일(job)’을 위한 도약 - 고학력 미취업 청년여성 취업전략캠프 개최 - ○ 고학력 미취업 여성으로서의 차별화된 취업전략 구축 유도 및 취업의지 고취, 성공적인 면접을 위한 대화법과 프리젠테이션 방법 제시 등 다양한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 여성가족부 지원 사업기관 43개 대학에서 100여명 참석 ❏ 여성가족부(장관 張夏眞)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朴彰敎)은 2007년 지역사회 맞춤형 취업지원사업을 통해 양성한 청년여성 수료생의 취업의지 고취 및 취업역량 강화를 위하여 12월 5일(수)~6(목)까지 1박2일간 대전 호텔스파피아에서 「취업전략캠프」를 개최한다.   지역사회 맞춤형 취업지원사업은 여성가족부가 고학력 미취업 여성들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의욕적으로 추진해 온 사업으로서, 올해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위탁운영기관으로서 사업을 전담하고 있다   금년에는 전국 43개 대학 총52개 과정에서 1,505명이 참가, 1,389명이 수료하여 92.3%의 높은 수료율을 달성하였으며 10월말 현재까지 358명이 취업에 성공하였다.    ※ 취업우수사례 과정 소개      - 청강문화산업대학의 “컬러코디네이터전문가과정” (색채 관련 상품기획, 소비자 조사, 색채관리 등의 색채전문인 양성)은 영우T&F Lead, ㈜시즌, ㈜마니조아 등 5개 업체와 협약 체결을 통해 수료생 30명중 24명이 취업에 성공 (10월말 현재 취업률 : 80%)      - 수원여자대학의 “트리콜로지스트 과정”(건강한 모발과 두피를 다루는 과학적인 학문으로 고부가가치의 미용전문인 양성)은 한국두피건강협회와 산학연계를 통한 취업처 발굴을 통해 수료생 25명중 19명이 취업에 성공 (10월말 현재 취업률 : 76%)   또한 본 사업에서는 교육훈련과정별로 구성되어 있는 취업지원 네트워크인 「여성희망일터지원단」을 활용하고, 취업전략 캠프 등을 통해 미취업상태에 있는 교육수료생들의 취업 지원을 위해 노력을 다할 예정이다.    ※ 여성 희망일터지원단      - 여성 취업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업체 인사부서장, 지방자치단체, 노동부, 공신력 있는 인력뱅크 관계자 등 지역의 유력 인사로 훈련과정별 10명 내외로 구성하여 훈련생에 대한 실질적 취업 정보제공 및 취업연계 등을 지원하는 취업지원 협력망 ❏ 이번 “취업전략캠프”는 하반기 취업에 역점을 두고 있는 100여명의 청년여성 수료생을 대상으로 취업의지 고취 및 취업전략ㆍ실전능력 배양 등을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첫째날, ‘성공적인 면접을 위한 대화법과 프리젠테이션 방법’, ‘특강(경제성장의 동력, 여성)’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참석자의 취업의지를 고취시키고 취업스킬 향상을 도모한다.   둘째날, ‘기업이 요구하는 바람직한 인재상’, ‘최신 취업동향 및 채용 환경 변화에 따른 취업전략’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현업 인사담당자가 얘기하는 취업준비 요령과 최신 취업정보를 습득케 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취업전략을 수립해보는 시간을 갖게 된다. ❏ 청년실업의 문제는 우리사회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이번 캠프를 통하여 미취업 청년여성들이 취업현장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붙임 : 1. 『취업전략캠프』프로그램 개요 1부        2.  2007년도 지역사회 맞춤형 취업지원사업 내용 1부        3.  취업우수사례 과정 개요 1부 끝.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4","atchfileNm":"18. 보도자료(071205조간) 지역사회맞춤형취업지원 취업캠프 개최.hwp","viewCnt":"5384","regDate":"2007-12-06 10:01:31"},{"contentId":"25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3대 원장취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40","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박창교 원장 취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의 제3대 원장으로 박창교(朴彰敎) 전 중소기업청 정책홍보관리본부장이 12월 3일 취임한다.  ○ 신임 박창교 원장은 중소기업청 창업지원과장, 감사담당관, 금융지원과장, APEC센터 준비기획단장, 호서대학교 창업대학원 교수, 정책홍보관리본부장을 역임했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경영혁신 및 정보화 지원업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지난 2002년 1월 설립된 중소기업청 산하 공공기관으로서,  ○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객인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및 경영혁신역량을 제고하는 것을 기본 사명으로 삼고, 중소기업청의 관련사업을 위탁 집행하는 기관이다. □ 기정원은 중소기업 기술․경영혁신 및 정보화 종합지원기관으로 한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 중소기업 육성에 남다른 경험과 열정, 대외적 활동역량을 갖춘 박창교 전 중소기업청 정책홍보본부장을 3대 원장으로 선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신임 박창교 원장은 공직에서 중소기업 정책과 집행업무를 담당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하고,  ○ 정,관,기업계에 폭 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토대로 민간과 정부간의 원활한 교량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기정원이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지원 전문기관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할 적임자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 신임 박창교 원장은 12월 3일(월) 취임식에서 “중소기업의 기술․경영혁신 및 정보화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중소기업이 우리나라 경제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 이라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3","atchfileNm":"17. 보도자료(071203조간) 3대원장취임.hwp","viewCnt":"5573","regDate":"2007-12-06 09:48:45"},{"contentId":"25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담당자 워크샵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9","contentsKor":"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담당자 워크샵」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 이하 “기정원”이라고 함)은 오는 11월 6일부터 15일까지 10일간 APEC 역내 10개국 16명의 중소기업 정책담당자를 초청하여 서울팔래스호텔과 경기중소기업지원센터에서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담당자 워크샵』을 개최한다. 이번 워크샵은 교육 참가자들에게 성공적 기술상용화를 위한 기술협력, 자금지원, 마케팅 정책 등을 제시할 것이며, 국내 혁신기업 및 혁신클러스터(카이스트 창업보육센터, 대덕 이노폴리스 등) 등의 방문을 통하여 참가자들로 하여금 중소기업 기술상용화의 성공적 우수사례를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을 제공해 줄 것이다. 워크샵에는 말레이시아, 멕시코, 베트남, 인도네시아, 중국, 칠레, 태국,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페루 등의 10개국에서 16명의 중소기업기업 정책담당자가 교육생으로 참가하고, 대만과 한국에서 9명의 혁신정책전문가가 강사로 참여하여 강의와 토의를 하게 된다. 특히, 그룹토의 시간에는 교육 참가자들 각자가 자국에 맞는 혁신적 기술 상용화 정책에 관한 행동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2","atchfileNm":"16. 보도자료(071105조간)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담당자 워크샵.hwp","viewCnt":"4346","regDate":"2007-11-02 14:42:24"},{"contentId":"25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제 중소기업혁신컨퍼런스 홍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8","contentsKor":"   「2007 국제 중소기업혁신 컨퍼런스」개최 11월 6일(화) ~ 7일(수), 서울 팔래스 호텔 궁전홀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 이하 “기정원”이라고 함)은『기술혁신의 성공적 상용화』라는 주제를 가지고 오는 11월 6일과 7일 양일간 서울 팔래스 호텔에서 『2007 국제 중소기업혁신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2005 APEC 장관회의에서 채택된 「대구 이니셔티브」의 기치 아래 중소기업혁신관련 세계 동향 및 정책에 대한 정보와 경험의 공유를 통하여, 참가자들로 하여금 APEC역내 공동의 중소기업 혁신촉진방안을 유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2005년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에서 회원국들의 지지를 받아 ‘06년 2월 기정원에 설치된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에서 이번 행사를 주관하며, 컨퍼런스의 구성은 미국, 일본, 대만, 한국, 말레이시아, 멕시코, 태국 등의 APEC 회원국과 EU의 대표자격으로 참가한 이탈리아 등 8개국의 14개 주제발표와 각 주제별 토론으로 되어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원탁회의를 통하여 APEC 역내 중소기업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강구한다. 컨퍼런스의 주제는 중소기업의 혁신기술이 시장에서 상용화하지 못하고 사장되는 현실을 인식하여 『기술혁신의 성공적 상용화』로 선정하였다. 연사들은 이 주제와 관련하여 기술협력, 자금지원, 마케팅 등에 초점을 두고 발표하고 토의하게 된다. 이번 행사는 11월 15일까지 개최되는 『2007 중소기업 혁신리더 워크샵』과 연계하여 진행되며, 컨퍼런스 직후 11개국 워크샵 참가예정자는 주요 중소기업혁신정책 및 성공사례를 배우고 토론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참가자는 사전등록을 실시하며 15개국, 100여명을 예상한다. 컨퍼런스 프로그램 및 온라인 사전등록 등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apec-smeic.org)를 참고하면 된다. ※ 대구 이니셔티브 : 2005 APEC 중소기업장관회의 때 채택된 공동선언문으로 ‘06년부터 ’20년까지 APEC역내회원국이 중소기업혁신실행계획을 자발적으로 작성 및 자체평가하여 중소기업혁신을 촉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1","atchfileNm":"15. 보도자료(071022조간) 국제중소기업혁신컨퍼런스보도자료.hwp","viewCnt":"5231","regDate":"2007-10-23 08:54:28"},{"contentId":"25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CSR 논문 현상공고 홍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7","contentsKor":"   “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CSR) 활성화를 위한 ” “중소기업 사회적 책임경영 논문 현상공모” □ 중소기업청(廳長: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함께 경영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을 위해 일반인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제1회 중소기업 사회적 책임경영 논문 현상공모」를 추진한다고 밝힘. □ 논문 현상공모를 통해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 활성화를 위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향후 정책 발굴에 적극 활용할 계획.  ◦ 금번 현상공모에서는 보다 활발한 참여를 위해 대학(원)생 및 일반인으로 대상을 확대.  ◦ 응모주제는 산업별 중소기업 CSR 평가 기준 등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 활성화 방안과 관련이 있는 것이면 어느 주제나 무방. □ 본 공모의 심사결과에 따라 대상 300만원, 장려상 100만원의 상금을 수여하고 12월 5일 “2007 대한민국 컨설팅 혁신대전”에서 시상. □ 논문 접수기간은 9월 28일부터 11월 16일까지이며, 접수문의 및 상세설명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www.tipa.or.kr)를 참조하거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지식경영팀(02-3787-0432)으로 문의.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80","atchfileNm":"14. 보도자료(070928조간) CSR현상논문공고보도자료.hwp","viewCnt":"4506","regDate":"2007-10-23 08:52:10"},{"contentId":"25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8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6","contentsKor":"   「제28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7년 9월 14일(금) 저녁(18:00 ~ 20:30) 광주디자인센터 이벤트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중소기업의 글로벌 일류기업 신전략」을 주제로 제28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회로 28회째인 동 포럼은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최신 정보제공 및 이해 당사자간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혁신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수요자인 중소기업 CEO, IT․컨설팅기업 및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통해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02년 말부터 개최되고 있다.   금회(제28회) 포럼은 기업의 장래가치를 높이고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경영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는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에 관한 중소기업청 나도성 차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나도성 차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중소기업의 위상 및 경영환경을 진단하고 새로운 블루오션 전략으로 CSR에 대한 중소기업의 관심과 이해를 촉구할 예정이다.   특히, 국제 표준화기구(ISO)가 기업의 CSR을 인증하는 ISO26000을 2009년부터 도입키로 해 CSR이 또 다른 무역장벽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큼에 따라, 이에 대비해 중소기업청이 추진하고 있는 체계적인 지원방안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청에서는 대기업의 CSR 실천방법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ISO26000 인증 등 국제사회의 압박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형 CSR 경영에 대한 가인드라인’을 개발․보급계획이다.  본 포럼 개최관련 참가신청 및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3787-0606)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를 참고하면 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9","atchfileNm":"13. 보도자료(070913조간) 28회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hwp","viewCnt":"4381","regDate":"2007-10-23 08:51:01"},{"contentId":"25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IMS인증기업금융지원MOU체결보도자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5","contentsKo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우리은행 정보화경영체제(IMS) 지원을 위한 MOU체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과 우리은행(은행장 박해춘)은 2007년 9월 7일(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기업에 대해 대출금리 및 심사절차우대 등 금융지원을 위하여 MOU를 체결하였다. ※ 정보화경영체제(IMS: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기업이 정보화경영에 관한 표준(규격)을 충족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함으로써 조직의 지식정보화수준을 향상 및 경영의 효율화를 기하는 시스템 □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은 2002년부터 2006년까지 360여명의 전문인력(IMS 심사원)을 양성하여 1,222개 중소기업에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지원하였고 이 중 우수한 성과를 거둔 270개 중소기업이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을 획득하였다. □ 정보화경영체제는 기업의 경영활동을 효율화하고 업무프로세스를 혁신하는데 기여도가 높은 사업으로, 인증을 획득한 기업은 경영진의 의사결정시간 단축, 업무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 재고량 감소 등의 성과가 나타남에 따라 기업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 □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우리은행은 상호협조하여 정보화경영체제인증을 통해 선정된 우수한 중소기업에 대해 금융지원을 우대함으로써 중소기업들이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첨부 : 1. 정보화경영체제 인증제도 안내 1부.          2. 정보화경영체제 지원사업 현황 및 성과 1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8","atchfileNm":"12[1]. IMS인증기업금융지원MOU체결보도자료(070906).hwp","viewCnt":"4520","regDate":"2007-09-10 14:15:18"},{"contentId":"24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7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05","contentsKor":"   「제27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7년 6월 29일(금) 오전(07:00 ~ 09:00) 코엑스인터콘티넨탈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변화와 지원방안」을 주제로 제27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회로 27회째인 동 포럼은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최신 정보제공 및 이해 당사자간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혁신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수요자인 중소기업 CEO, IT?컨설팅기업 및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통해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02년 말부터 개최되고 있다.   금회(제27회) 포럼은 미래 성장 동력인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변화와 신용보증 지원방안에 대해 신용보증기금 김규복 이사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김규복 이사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중소기업 경영환경 변화의 주요이슈를 설명하고 중소기업의 현황 및 발전방향, 정책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논할 예정이다.   또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신용보증기금의 지원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성공 및 실패하는 중소기업의 7가지 특성, 신용등급평가 고득점 전략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본 포럼 개최관련 참가신청 및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3787-0606)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를 참고하면 된다.   붙임 : 제27회 중소기업 혁신포럼 개최 안내 ","viewCnt":"4900","regDate":"2007-06-26 12:06:00"},{"contentId":"24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7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 실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06","contentsKor":"  ’07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 실시 6,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3개월 간(6월18일 ~ 9월14일) 일제 실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정보화지원정책의 수립과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정보화추진방향을 수립하기 위하여 ’07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2007년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6월 18일부터 약 3개월 동안 전국의 6,500여개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되는데, 조사방법은 직접방문 조사와 팩스 및 전화로 동시에 진행되며 제조업을 포함한 5개 업종(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운수업, 정보통신업)에 대해 실시한다. 금번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의 조사항목은 정보화 전략수립, 추진환경, 구축운영현황, 활용수준 및 효과수준 등의 5개 분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한다. 또한, 조사에 참여한 모든 기업에게는 조사를 실시완료한 후 자사의 “정보화수준 진단평가 리포트”와 정부지원사업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 2007년도 중소기업 정보화수준 평가 개요 >     ? 조사기간 : 2007. 6.18 ~ 9.14     ? 조사대상(제조?건설?도?소매업?운수?정보통신 등) : 6,500개사       - 종업원 수 5인 이상 중소기업 : 6,000개사       - 대기업 500개사     ? 조사방법 : 개별업체 방문을 통한 면대면 면접조사       * 자발적 참여기업은 on-line 설문조사 참여 가능     ? 조사기관 : 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 문의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획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1~3) ","viewCnt":"4938","regDate":"2007-06-18 12:06:00"},{"contentId":"24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중소기업 경영혁신리더 교육과정」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07","contentsKor":"  「APEC 중소기업 경영혁신리더 교육과정」개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에서는 한국국제협력단의 후원으로 2007년 6월 10일부터 25일까지 16일간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중소기업 경영자 및 정책담당자 16명을 초청하여, 『APEC 중소기업 경영혁신리더 교육과정』 워크샵을 개최한다. APEC 역내의 많은 중소기업들은 우수한 기술력과 재원을 가지고도 경영 Know-how의 부족으로 사업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곧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양극화 심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에서는 이런 문제를 인식하여 APEC 역내 중소기업들의 혁신기반경영을 강화하고자 중소기업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선진 혁신경영기법 전파 및 참가자 서로간의 혁신경험 공유를 위한 『APEC 중소기업 경영혁신리더 교육과정』 워크샵을 기획?실시하게 되었다. 이번 워크샵은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등의 교육 참가자들에게 6시그마, 기업가 정신, 블루오션 전략, CRM, 효과적 기술혁신의 관리체계, PL(Product Liability), e-Manufacturing 등의 우수한 경영혁신기법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국내 혁신기업 및 혁신클러스터(창업보육센터, 대덕연구단지 등) 등의 방문을 통하여 참가자들로 하여금 혁신의 실체를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을 제공해 줄 것이다. 본 워크샵 개최관련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02-3787-0650~4) 및 홈페이지(http://www.apec-smeic.org)를 참고하면 된다.   붙임 : APEC 중소기업 경영혁신리더 교육과정 개최 안내 ","viewCnt":"4970","regDate":"2007-06-13 12:06:00"},{"contentId":"24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6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08","contentsKor":"  「제26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7년 4월 27일(금) 오전(07:00 ~ 09:00) 코엑스인터콘티넨탈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글로벌 경쟁시대-중소기업의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제26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회로 26회째인 동 포럼은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최신 정보제공 및 이해 당사자간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혁신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수요자인 중소기업 CEO, IT 컨설팅기업 및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통해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02년 말부터 개최되고 있다. 금회(제26회) 포럼은 최근 한미FTA 타결 등 한국경제와 중소기업을 둘러싼 혁명적 환경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를 능동적이고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 중 하나인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중소기업연구원 김인호 원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김인호 원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불굴의 기업가정신의 회복이 우리 중소기업의 살길임을 강조하고 글로벌 경쟁시대 중소기업 문제의 본질을 규명하는 한편 세계시장에서 인정받는 글로벌 중소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핵심전략을 기업가정신과 연계하여 설명할 예정이다.    본 포럼 개최관련 참가신청 및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3787-0606)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를 참고하면 된다. ","viewCnt":"4904","regDate":"2007-04-25 12:04:00"},{"contentId":"24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지원사업 워크숍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09","contentsKor":" 정보화지원사업 워크숍 개최 - 성공적인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성공적인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정보화지원사업 워크숍을 4월 26일 대전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개최한다. 본 워크숍은 ‘07년도 정보화지원사업을 통해 지원받는 중소기업의 대표자 또는 담당자 250여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관리방법 및 구축단계별 주요 관리방안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지원중소기업에게 성공적인 정보시스템을 구축을 위한 기회가 될 것이다. 이날 워크숍은 ‘07년 정보화사업의 추진방향 설명을 시작으로, 정보시스템 구축 성공·실패 요인, 프로젝트관리의 개념소개 및 구축 단계별 주요 관리방안, 주요 산출물의 점검 및 관리방안, 정보화경영체제(IMS)개념 및 인증절차 등에 대한 전문가의 발표 및 ’07년 정보화지원사업 운영지침 설명 등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를 통해 중소기업에서 스스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성공적인 정보화 도입을 추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 정보화지원사업은 IT전문가(IT코디네이터)를 중소기업에 파견하여 추진방향 및 추진과제를 도출하고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시스템을 구축·지원하는 사업임 *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은 정보화추진 표준모델(규격)을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 경영품질, 성과체계 등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며, 그 성과가 탁월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서를 부여하여 정보화혁신형 기업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임 * 본 워크숍에 대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기반팀 (02-3787-0451~6) 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4972","regDate":"2007-04-25 12:04:00"},{"contentId":"24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6년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 우수기업 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0","contentsKor":"  - ‘06년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 우수기업 사례집 발간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06년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에 참여하여 사업을 완료한 319개 기업 중 비경시스템(주) 외 7개 우수기업을 선발하여 사례집인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정보화 구축이야기』를 발간하였다. □ 이번에 선정된 우수기업은 ‘06년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의 참여기업 중 사업결과가 우수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사업결과 활용수준’, ‘업무달성도’, ‘벤치마킹 활용가능성’ 등을 평가하여 비경시스템(주) 등 총 8개 우수기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기업들은 정보화 구축 후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가 높고 이를 통한 성과가 탁월한 기업들이다. □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비경시스템(주)의 심이섭 대표이사는 “시장환경이 급변하고 회사 역시 새로운 사업에 진출하게 됨에 따라 회사 경쟁력 유지를 위한 대폭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며 이번 사업을 통하여 도입된 시스템의 성공을 발판으로 현재 정보화에 대한 필요부분을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은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는 정보화 필요과제를 도출·지원하고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기업에 대해서 IMS인증 부여 및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으로 ‘06년 상반기에 668개 참여기업이 신청하여 최종적으로 319개 기업을 지원하였다. 본 우수사례집은 우수기업에 대한 기업일반현황과 구축동기, 정보시스템 구축 및 업무절차의 표준화 과정, 정보화 구축의 성공을 이끌어 낼 수 있었던 우수기업의 노력, 구축후의 성과분석 등을 글 외에도 그림, 도표, 그래프, 사진 등으로 제시하여 정보화 구축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따라서 본 우수사례집을 참고하여 향후 정보화를 추진하려는 기업들에게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확신한다.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는 정보화를 통한 경영혁신을 목적으로 표준화한 정보화혁신 모델로서 정보화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경영성과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 개선시키는 제도임   * 본 우수사례집과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기반팀(02-3787-0451~6)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5120","regDate":"2007-04-16 12:04:00"},{"contentId":"24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7년 생산정보화지원사업 워크숍 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1","contentsKor":"    “e-Manufacturing을 통한 중소제조업의 생산혁신” 2007년 생산정보화지원사업 워크숍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07년도 생산정보화 사업을 통해 지원받는 중소기업 CEO, CIO 및 IT업체 대표 250여명을 대상으로 『e-Manufacturing을 통한 중소제조업의 생산혁신』워크숍을 개최할 예정임   ㅇ  본 워크숍은 생산정보화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실질적인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고 우수사례 등을 통해 ‘07년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도모하고자,   ㅇ 2007. 4. 20(금) 10:30 ~ 16:00 대전 레전드호텔 3층 금강홀에서 개최하기로 함 □ 이날 워크숍은 중소기업맞춤형정책정보 SPi-1357 설명을 시작으로 기지원기업으로 생산정보화사업 우수사례로 선정된 신영금속(주), 네오프린텍(주) 추진사례, 성공적 사업수행을 위한 수요자·공급자 역할, 중소기업을 위한 생산정보시스템개발방법론 교육, 사업운영지침 및 향후 추진일정 안내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할 계획임. □ 특히 동 워크숍의 우수사례 발표기업으로 신영금속(주)울산공장은 생산정보화를 통한 성공사례 및 구축 후 도입효과가 소개될 예정임.  ㅇ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신영금속(주) 울산공장은 프레스와 용접설비에 터치스크린 방식 생산정보관리시스템(POP: Point of Production) 단말기를 설치하여 실시간 생산 실적관리 및 제조정보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가동되지 않았던 생산공정의 가동율은 21%로 향상하였고, 작업준비 및 생산에 필요한 소요시간은 각각 75%, 80% 감소하는 등 생산성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 생산정보화는 「정보기술(IT)을 활용하여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생산공정을 제어/감시하여 경영자 및 작업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생산현장의 정보화」를 의미  ","viewCnt":"5118","regDate":"2007-04-16 12:04:00"},{"contentId":"241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7년도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기업 선정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2","contentsKor":"   ‘07년도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기업 선정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정보화경영체제(IMS) 평가위원회를 개최하여 정보화경영체제(IMS)가 구축된 후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주)창성에이스산업 외 20개 중소기업에 대하여 정보화경영체제 인증을 부여하였다. □ 2006년 정보화경영체제(IMS)사업을 통해 지원을 받은 319개 기업 중 지원성과가 우수한 32개 기업에 대해서 문서심사와 현장심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추천된 21개 기업에 대하여 평가위원회를 개최하여 인증심의를 거쳐 인증을 부여함  ○ 정보화경영체제 인증은 심사자격을 갖춘 인증심사원이 신청한 기업의 현장을 방문하여 규격 및 인증평가표에 의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심사하며, 그에 따라 기반구축(1단계), 성장(2단계), 성숙(3단계)의 단계로 나눠 인증기업의 정보화 성숙도를 보여줌  ○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은 2000년 시범사업을 거쳐 2002년부터 현재까지 270개 중소기업에게 인증을 부여하였음 □ 인증기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은 정보화혁신 중소기업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그 사례가 자료집으로 발간되었고, 향후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집중 육성될 예정이며,  ○ 인증 기업으로 공신력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사후 및 갱신관리 등을 통하여 유지, 관리되고 정보화추진 표준모델로 제시 육성할 계획임  ○ 향후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은 상시 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정보화경영체제를  구축?운영하는 기업 중 인증을 원하는 기업에 대하여는 시기에 관계없이 심사를 통하여 인증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임 □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상시인증제도의 도입과 함께 중소기업청의 각종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정보화경영체제의 활용범위를 넓혀 갈 예정이며 다양한 지원을 통해 인증기업을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집중 육성 할 계획임   *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21개) 명단       (주)창성에이스산업, (주)오키, (주)아이캔텍, (주)명진기업, 삼환염공(주), 대한메탈코프(주), (주)네오엔시스, (주)피알존, 케이비전선(주), 창신정보통신(주), (주)옥타컴, 케이프라인(주), (주)신흥정기, (주)새부산관광투어, 비경시스템(주), 기술사사무소 조양엔지니어링, (주)엑사이엔씨, (주)시원에프앤비, 세화정공(주), 혜인엔지니어링(주), 자석뱅크(주) (인증순서 순)            * 본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과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기반팀            (02-3787-0451~6)으로 문의      *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인증이란?       정보화경영체제(IMS)에서 제공하는 정보화추진 표준모델(규격)을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 경영품질, 성과체계 등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며, 그 성과가 탁월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서를 부여하여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 ","viewCnt":"5301","regDate":"2007-04-12 12:04:00"},{"contentId":"24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수요자중심의 정보시스템 구축에 87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3","contentsKor":"  수요자중심의 정보시스템 구축에 87억원 지원 - 의지와 능력을 갖춘 230개 기업을 선정, 혁신형 기업 육성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정보화사업 개편계획(‘06년 10월)에 따라 중소기업의 현장을 방문하여 사전진단하고, 기업현실에 적합한 내용을 도출한 후 정보화 과제를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의 전환을 통해 올해부터 본격적인 “정보화혁신형 기업”을 육성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의 정보화 지원방식은 사업별로 중소기업이 신청을 하고, 공급자(IT기업)를 선정하여 정보화과제를 지원함으로써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과제보다는 공급자 위주의 정보시스템 구축이 진행되었기에 중소기업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지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올해부터 정보화사업은 기존의 공급자 위주의 정보시스템 구축에서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One-Stop) 체계로 개편하여 사전진단 및 과제도출, 정보시스템 구축, 성과평가 및 사후관리 등의 순서로 단계별로 추진된다   정보화지원사업은 ‘06년 10월부터 1단계로 정보화전문인력(IT코디네이터)이 중소기업의 사전진단을 통해 중소기업에 필요한 정보화 추진과제를 도출하였고, ’07년 3월부터는 2단계로 도출된 과제를 중심으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3단계로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도 전문인력 부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인해 활용도가 낮은 기업들을 위해 “정보화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중소기업의 정보화애로사항 해결 및 사후관리 등을 상시지원하여정보시스템 운용 효율을 높임으로써 지속적으로 기업성과를 제고 할 예정이다.   정보화지원사업은 IT코디네이터를 중소기업 현장에 파견하여 정보화추진방향 및 추진과제를 도출하고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며, 성공적으로 구축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규격과의 부합성 평가를 통해 IMS 인증서를 발급하여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지난 해 10월부터 1,044개의 중소기업에서 사업신청을 받아 사전진단을 통해 해당기업에 대한 정보화 추진방향 및 추진과제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과제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의지와 능력을 갖춘 230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여 중소기업에서 필요한 정보시스템을 구축 지원한다.   < 정보화지원사업 선정결과 >   정보화지원사업 선정결과 구분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북 대전 충남 전북 광주 전남 대구 경북 경남 부산 울산 제주 계 선정 기업 40 48 7 2 9 6 5 16 37 32 20 8 230  ","viewCnt":"4854","regDate":"2007-03-29 12:03:00"},{"contentId":"24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비교연구보고서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4","contentsKor":"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비교연구보고서 발간 - APEC 10개국의 중소기업 혁신정책 집대성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APEC 중소기업혁신정책 비교연구」사업을 완료하여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번 보고서는「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가 APEC으로부터 $59,280를 지원받아 ’06.2월부터 수행한 APEC 프로젝트의 결과물로서 APEC 10개국*의 중소기업 혁신정책을 집대성하였다는 점에서 APEC 회원국들의 커다란 관심을 받고 있다. (중략)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1","atchfileNm":"보도자료_070125.hwp","viewCnt":"4941","regDate":"2007-01-25 12:01:00"},{"contentId":"24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수준, 지속적으로 향상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5","contentsKor":"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수준, 지속적으로 향상 - 94.9%('05 64.9%)가 정보화 확대 필요, 96.7%('05 39.6%) 정보화 투자 실시 - 올해 1社당 평균 7,476만원 투자(평균 종업원수 87.9명) - 투자 확대 이유 : 미래 기업환경 대처(32.1%), 생산성 향상 기대(23.5%) 등     투자 저해 요인 : 투자대비 효과 불확실(33.3%), 現 정보화수준에 만족(19.6%) 등 -'07년 정보화투자 다소 확대할 계획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마련 못해 지속되는 경기불안과 내수침체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의 정보화투자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소기업은 내년에도 투자를 다소 확대할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계획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 이하 “기정원”)은 전국 508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현황 및 2007년 전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대다수가 정보화 도입 및 추진 확대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정보화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소기업은 ‘미래 기업경영환경 대처’(32.1%)와 ‘생산성 향상 기대’(23.5%) 등의 이유로 정보화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정보화 투자기준이 점차 중?장기적 관점의 종합적?적극적 자세로 바뀌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과거에는 비용 및 인력절감 등의 단기적 성과와 시스템의 직접적인 효과에 집중하여 투자를 결정하여 왔으나, 최근 들어 정보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및 체질개선 등의 경영목표 하에, 중?장기적으로 정보화 성과를 측정, 평가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올해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규모는 전년수준이거나 다소 확대된 1社당 평균 7,476만원(평균 종업원수 87.9명)정도이며, 투자한 중소기업의 비율은 97.6%로 조사되었다.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은 내년 정보화 투자규모를 ‘올해 수준’(38.2%) 내지 ‘소폭 확대’(36.1%)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에 대한 구체적 계획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내외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경기대응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의 경우 불명확한 투자확대계획은 허수가 될 가능성이 크므로, 효과적인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및 컨설팅 지원에 의하여 정보화 투자성과 및 효과에 대한 확신을 심어줄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중소기업은 대내외적으로 경영여건이 계속 악화(저조)된다면, 최우선적으로 '해외투자‘를 감소시키겠다고 응답했다. 이는 산업공동화가 문제로 제기될 정도로 한때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던 해외투자가 이제 어느 정도 옥석가리기가 되면서 투자수요 또한 줄어드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최근 북핵문제로 인한 개성공단이 이슈화되면서 해외투자에 대한 신중을 기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 본 내용과 관련하여 자세한 문의는 기획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1)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TIPA issue 06-07호,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현황 및 2007년 전망’ ","viewCnt":"5130","regDate":"2006-12-07 12:12:00"},{"contentId":"24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핵심기술 유출실태, 이대로 좋은가?」세미나 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6","contentsKor":"- 중소기업 핵심기술 유출실태 조사결과 발표 및 中企 대응방안 모색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 이하 “기정원”)은 2006년 11월 30일(목) 오후(14:00~16:00) 사학연금회관(여의도 소재) 2층 세미나실에서 각계 전문가 및 관계자등 10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중소기업 핵심기술 유출실태, 이대로 좋은가?」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본 세미나는 갈수록 중요성과 필요성이 부각되는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방지 및 보안대책을 도출하고, 정부가 관련 지원정책을 발굴?시행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마련되었다. 금번 세미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중소기업 핵심기술 유출 실태조사」결과발표를 시작으로, 「중소기업의 보안역량 강화방안」(안철수연구소), 「기술유출방지를 위한 모범사례」(하이게인텔레콤), 중소기업청의 「기술유출방지를 위한 정부 지원정책」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기정원은 「중소기업 핵심기술 유출실태조사」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중소기업의 핵심기술 유출가능성에 대한 체감수준과 기술유출실태, 대응노력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보안업계를 대표하여 안철수 연구소의 조시행 상무는 국내 중소기업의 취약한 보안역량 강화를 위해 정보보호 전략과 정보유출 통제기술에 대해 발표하고, 이어 중소기업 보안관리 우수모범사례로서 (주)하이게인텔레콤의 이진호 차장은 지난해 중소기업청의 불법기술유출방지사업에 참여한 실적과 성과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끝으로 중소기업청 권순재 사무관이 최근 중소기업청에서 역점적으로 지원하여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중소기업 불법기술유출방지사업’을 비롯해,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정부지원정책에 대해 설명, 소개할 예정이다. * 본 세미나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기획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4, 0446)으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 1. 세미나 개최 안내  붙임 2. 주제발표 및 사례발표 자료","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2","atchfileNm":"발표용_2차세미나자료(061129).zip","viewCnt":"5490","regDate":"2006-11-29 12:11:00"},{"contentId":"24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5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7","contentsKor":" 「제25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 11월 23일(목) 오전(07:00 ~ 09:00)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등 20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참여정부의 중소기업정책과 성과」를 주제로 제25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회로 25회째인 동 포럼은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최신 정보제공 및 이해 당사자간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혁신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수요자인 중소기업 CEO, IT기업 및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02년 말부터 개최되고 있다. 금회(제25회) 포럼은 ‘혁신역량 강화 및 자생적 성장기반 확충’을 목표로 추진 중인 참여정부의 중소기업정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중소기업의 관심과 참여를 촉구하기위해「참여정부의 중소기업정책과 성과」를 주제로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염홍철 위원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염홍철 위원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04년 7월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종합대책’ 수립?시행 후 지속적으로 보완대책을 마련하여 추진 중인 참여정부 중소기업정책의 형성과 기존 중소기업정책과의 차별성을 설명하는 한편, 정책의 조정과 관리가 어떠한 프로세스로 이루어지는 지를 살펴볼 예정이다. 또한, 중소기업정책의 통합관리와 정책추진의 일관성ㆍ효율성 증대를 위해 ‘벤처 활성화 대책’,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영세자영업자 대책’, ‘금융지원 체계 개편’등 8대 주요과제에 대해 중소기업특별위원회가 실시한 ‘중소기업 정책혁신 성과점검’ 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과제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다. 본 포럼 개최관련 참가신청 및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2168-0609)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를 참고하면 된다. ","viewCnt":"4947","regDate":"2006-11-20 12:11:00"},{"contentId":"24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 성황리에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8","contentsKor":"■ 문의 : 교육훈련팀장 이영규  연구원 박희정 02-2168-0609 / F 02-2168-0618   「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성황리에 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 10월 26일(목) 오전(07:00 ~ 09:00)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등 25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FTA 시대 중소기업 지원시책」을 주제로 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했다.   금회(제24회) 포럼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한·미 FTA’와 관련해 명확한 인식 없이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부정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FTA 시대 중소기업 지원시책’이라는 주제로 이현재 중소기업청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되었다.   이현재 청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청장은 ‘한·미 FTA’의 추진배경과 경제효과, 그리고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우리 중소기업이 FTA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청장은 1995년 1월 다자간 무역규범인 세계무역기구(WTO) 체제가 출범한 이후 FTA체결이 오히려 급속히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며, 무역의존도가 70%를 넘는 우리로서는 개방화 추세에 적극 동참하지 않을 경우 국가간 경쟁에서 뒤쳐질 우려가 있음을 역설했다. 또한, 정부는 2003년 8월「FTA 추진 로드맵」에 따라 전략적이고 단계적인 FTA 체결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특히 미국은 세계 수입시장의 21.8%를 차지하는 거대시장으로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의 미국 시장점유율은 급감하였으나(1995년 3.3% → 2005년 2.6%), 중국은 급성장하여(1988년 1.9% → 2005년 14.6%)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에서 우리 제품이 위협을 받고 있음을 지적하고, 지난 8월 산업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일각에서 제기하는 우려와 달리 국내 중소기업의 71%는 한·미 FTA 체결이 긍정적이거나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유·의복, 가죽, 음식료, 생활용품 분야는 수혜업종으로 예상되고, 광물, 금속, 기계장비, 화학 등 분야는 다소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청장은 중소기업청내에 「한·미 FTA 중소기업 대책반」을 구성하여 한·미 FTA가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우리 중소기업이 글로벌 환경에 안정적인 성장기반을 확충할 수 있도록 성장단계(창업 - 성장·글로벌화 - 퇴출)별로 체계적인 지원을 실시하고, 대·중소기업간 양극화를 해소하며, 현장밀착형 행정서비스를 적극 실현할 계획임을 강조하였다.","viewCnt":"5123","regDate":"2006-10-26 12:10:00"},{"contentId":"24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19","contentsKor":"■ 문의 : 교육훈련팀장 이영규  연구원 박희정 02-2168-0609 / F 02-2168-0618   「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 10월 26일(목) 오전(07:00 ~ 09:00)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중소기업CEO, 유관기관 관계자등 200여명이 참석예정인 가운데 「FTA시대 중소기업 지원시책」을 주제로 제24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회로 24회째인 동 포럼은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최신 정보제공 및 이해 당사자간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혁신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수요자인 중소기업 CEO, IT기업 및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02년 말부터 개최되고 있다.   금회(제24회) 포럼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한·미 FTA’와 관련해 명확한 인식 없이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부정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FTA시대 중소기업 지원시책’이라는 주제로 이현재 중소기업청장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현재 청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한·미 FTA’의 추진배경과 기대효과, 그리고 중소기업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정부의 체계적 지원시책을 제시하여 우리 중소기업이 FTA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포럼 개최관련 내용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2168-0609)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를 참고하면 된다. Ⅰ. 개최목적  ○ 중소기업 CEO, IT 기업, 대학교수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의 상호정보교류 및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해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혁신추진 기반 조성  ○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해 중소기업 관계자들의 의견수렴 및 피드백 기능 수행   Ⅱ. 일시 및 장소  ○  일  시 : ‘06.  10.  26 (목) 07:00 ~ 09:00 ○ 장  소 :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 지하1층 다이아몬드홀   Ⅲ. 행사내용  ○ 초청연사 : 중소기업청 이현재 청장 ○ 강연주제 : FTA시대 중소기업 지원시책 ○ 사    회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정보화추진본부장 ○ 참석대상 : 혁신포럼 회원, 언론사, 중소기업 CEO, IT 기업 및 전문가 그룹 등 약 200여명 예상  ※ 문의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02-2168-0609)","viewCnt":"5274","regDate":"2006-10-24 12:10:00"},{"contentId":"24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0","contentsKor":"  ■ 문의 : 기술혁신부 기술혁신2팀 장인성 팀장,  연구원 이동한 02-3787-0525~6/F 02-3787-0509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 9월 29일(금) 14:00부터 서울 강남 코엑스 아셈홀 203호에서 제7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의 부대행사 중 하나로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임 □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는 기술혁신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제고할 수 있는 마인드 확산 및 정보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함 □ 올해(‘06년도)는 정부, 산업체, 학계의 관계자를 초빙하여 중소기업기술혁신에 대한 지원정책 및 우수사례 발표와 패널토론으로 진행되며 보다 유용한 정보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에게 제공할 계획임 □ 금번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는 중소기업청 기술경영혁신본부 기술개발팀 이현조 팀장의 『중소기업 기술개발 현황 및 지원정책』에 대한 주제 발표로 시작되며,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각계의 의견이 제시될 예정임 □ 중소기업 종사자,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금번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에 참석할 예정임 □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참가신청 및 문의는 기술혁신부 기술혁신2팀(02-3787-0526) 및 홈페이지(http://www.tipa.or.kr) 참조 ","viewCnt":"5131","regDate":"2006-09-28 12:09:00"},{"contentId":"24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육성전략","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1","contentsKor":"    ■ 문의 : APEC중소기업혁신센터 양훈화 선임연구원 02-2168-0621 / F 02-3787-0490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 커, R&D 중심의 정책지원 강화 필요 - ‘08년까지 고용 27만명, 부가가치 22조원 창출 전망   ? 혁신형 중소기업*의 고용인원은 2005년 40만명에서 2008년 85만명으로 45만명 증가 ? 혁신형 중소기업의 부가가치는 2005년 13조원(GDP 대비 1.8%)에서 2008년 56조원(GDP대비 6.7%)으로 43조원(4.9%P) 증가 ?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정책의 고용창출 효과는 27만명, 부가가치 창출효과는 22조원(GDP 대비 2.6%)으로 전망    * 기술 및 경영 혁신활동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소기업으로서, 벤처기업, 이노비즈 및 경영혁신형 중소기업이 대표적인 모델     ? 참여정부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정책에 힘입어 혁신형 중소기업 증가세가 가속화되어 ‘06. 7월 말 현재 혁신형 중소기업 13,162개(중복제외)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혁신형중소기업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육성전략』연구용역을 통해 혁신형 중소기업 3만개 육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도출하였다.   □ 이번 연구결과에 의하면, 혁신형 중소기업은 고용창출, 매출액, R&D 투자규모 등에서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3~4배가 높은 경영성과를 보여 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면서 궁극적으로는 GDP 확대효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효과를 기초로 정책당국이 일반 중소기업의 혁신성 제고에가장 효과적인 R&D 예산 지원 등을 통해 혁신형 중소기업 3만개 육성이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할 경우     ○ 혁신형 중소기업의 고용인원은 2005년 40만명에서 2008년 85만명으로 45만명이 증가하고, 부가가치는 2005년 13조원(GDP 비중 1.8%)에서 2008년 56조원(GDP 비중 6.7%)로 43조원(4.9%p) 증가되며,       채용테이블 구  분 업체 수 고용 부가가치 GDP 비중 2005  1만개 40만명 13조원 1.8% 2008 (예상) 3만개 85만명 56조원  6.7%     ○ 과거의 중립적인 정책기조 유지시(혁신형기업수가 과거 ‘01~’05년 평균증가율로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시)와 비교하여, 혁신형 중소기업 집중육성으로 인한 고용창출 효과는 27만명이며, 부가가치 창출효과는 22조(GDP 비중 2.6%)이다.   고용관련테이블 구  분 업체 수 고    용 창출효과 총고용의  비    중 부가가치 창출 효과 GDP  비 중 2006  5,406 6만 9천명 0.30% 5.6조원 0.74% 2007  9,585 14만 9천명 0.63% 12.0조원 1.52% 2008  14,441 26만 7천명 1.12% 21.5조원  2.60%       ※ 혁신형 중소기업 집중육성전략과 기존전략('01~'05년 평균증가율) 수행에 따른 차이로 추정   □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혁신역량 강화와 함께 혁신형 중소기업의 주요 성장비결인 연구개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하다.   붙임: 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육성전략 (요약본) ","viewCnt":"5519","regDate":"2006-09-14 12:09:00"},{"contentId":"24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경영체제(IMS) 워크샵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2","contentsKor":" 2006년 8월 9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 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3787-0490 www.tipa.or.kr ■ 문의 : 정보화사업부장 주석정 정보화사업2팀장    장건오 02-3787-0451 / F 02-3787-0490   정보화경영체제(IMS) 워크샵 개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IMS) 구축을 위한 워크샵을 8월 9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중강당에서 개최한다.   본 워크샵은 ‘06년도 정보화경영체제 사업을 통해 지원받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관리방법 및 구축단계별 주요 관리항목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참여기업에게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중기청과 기정원은 「혁신형 중소기업」육성정책에 따라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을 통해 육성된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의 비전과 혁신형 중소기업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날 워크샵은 기정원장의 격려사를 시작으로, ‘06년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의 소개와 필요성, 정보화경영체제 착수, 지도, 완료의 각 구축 단계별 주요활동 및 관리?점검항목과 정보화 추진시 문제점을 진단?개선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방안 중심으로 정보화경영체제 관련 전문가의 강의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이 완료된 이후 참여기업이 인증을 받기 위한 절차와 효과, 인증 혜택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본 워크샵을 통해 정보화경영체제 도입 필요성과 추진전략을 집중적으로 교육함으로써 중소기업 스스로 정보화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06년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에 대한 만족도와 활용도를 제고할 계획이다.   * 정보화경영체제(IMS) 사업은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는 정보화 필요과제를 도출?지원하고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는 기업에 대해서는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 부여 및 정보화혁신형 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임 *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은 정보화추진 표준모델(규격)을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 경영품질, 성과체계 등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며, 그 성과가 탁월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서를 부여하여 정보화혁신형 기업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임 * 본 워크샵에 대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사업2팀 (02-3787-0451~5) 으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  정보화경영체제 워크샵 개최 안내   [붙임]   정보화경영체제(IMS) 워크샵 개최 안내 ???????????????????????????????????????????   1. 목    적 :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위해 참여기업 담당자의 프로젝트 관리능력을 배양하고 IT기업을 선도   2. 일    시 : 2006년 8월 9일(수) 13:00 ~ 18:00   3. 장    소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지하 중강당(서울 강남소재)   4. 참석대상: ‘06년 정보화경영체제 참여기업 담당자 및 최고경영자   5. 행사내용 행사내용 시   간 주   요   내   용 발 표 자 13:00~13:20 ? 참석확인 및 자료배포   13:20~13:30 ? 인사말 기정원장 13:30~13:35 ? 중소기업 도우미 SPi 1357 소개 주석정 부장 (기정원) 13:35~13:50 ? ‘06년도 정보화경영체제사업 및 개념 소개 주석정 부장 (기정원) 13:50~14:30 ?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참여기업의 역할(Ⅰ)   - 프로젝트관리 개념 중심으로 이현철 수석 (에이스솔루션) 14:30~15:50 ?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참여기업의 역할(Ⅱ)   - 구축단계별 주요활동 및 관리항목 중심으로 배용관 사장 (디지털게인) 15:50~16:00 ? 휴  식   16:00~16:40 ?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참여기업의 역할(Ⅲ)   - 인증 절차 중심으로 김종숙 위원 (위즈) 16:40~17:00 ? 정보화경영체제사업 발전방안   - 경영혁신형 중소기업과의 연계방안 중심으로 권순재 사무관 (중소기업청) 17:00~17:30 ? 질의응답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3","atchfileNm":"IMS워크샵보도자료(060807).hwp","viewCnt":"5332","regDate":"2006-08-07 12:08:00"},{"contentId":"24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 작업환경 개선에 100억원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3","contentsKor":" 2006년 7월 14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 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시 영등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787 - 0400 ㅣ Fax. 3787-0480 www.tipa.or.kr   ■ 문의 : 기술혁신부 부장 이훈희 담당 이찬형      02-3787-0505 / F 02-3787-0480   ‘생산현장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 하반기 사업 착수 - 中企 작업환경 개선 및 인력난 해소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도 하반기 중소기업 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에 100억원을 지원한다.           젊은 구직자들은 돈 보다는 안정성과 복리후생제도 등의 근무환경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실 속에서 일부 중소기업 생산현장은 열악한 근무환경 때문에 외국인 노동자마저도 근무를 기피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작업장의 흄, 스패터 등 유해 부산물 발생, 독성 유해원료 접촉, 고온·고압 소음발생, 고하중 물품의 이송·절단·교환 등 전형적인 직무기피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장비, 시스템, 물질 등의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 작업환경과 근로여건을 개선하여 중소기업 종사자의 이직율을 줄이고, 동시에 중소기업의 이미지를 개선하여 인력유입을 촉진하며, 생산성 향상 도모를 목적으로 동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06년도에는 240억의 예산으로 상반기에 97개 과제를 선정 지원하였으며, 하반기에는 보급확산과제와 중소기업과제로 나누어 약 70여개 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보급확산과제는 ’06년 하반기에 처음 실시하는 과제로서 동 사업을 통해 기 개발된 기술 및 장비를 유사업종 또는 작업장으로 보급하는 과제로써 ‘02~’04년까지 지원한 과제중 선별된 우수과제를 대학 또는 연구소와 중소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참여토록 되어 있으며 약 30여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며,           중소기업과제는 자체 기술개발 능력을 있는 중소기업이 자체 직무기피요인 해소를 위한 장비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약 40여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임.           이번 신청?접수된 과제는 각 지방 중소기업청의 현장평가와 전문기관인 기술정보진흥원에서 기술 및 사업성 평가 등을 통해 9월 중에 지원업체를 최종 선정하여 개발자금을 지원할 계획임.           ☞ 접수기간 : 2006. 7.11(화) ~ 8.10(목) 18:00까지(도착기준)           ☞ 접수방법 : 제출서류를 우편 또는 방문제출           ☞ 접수처 : 주관기관 소재지 관할 지방중소기업청 (사무소)         *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문의처        중소기업청 기술개발팀 : ☏ 042-481-4442, 4445   FAX 042-472-3289 홈페이지(www.smba.go.kr) : 정책마당 → 기술지원 → 생산현장직무기피요인 해소사업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02-3787-0503~0506 FAX02-3787-0480 홈페이지(www.tipa.or.kr) : 사업소개 → 기술사업 → 생산현장직무기피 요인해소사업  ? 해당 지방중소기업청(사무소)       [별첨 1: 하반기 지원과제의 종류]    ? 보급·확산과제     ? 동 사업으로 개발된 기술의 보급·확산을 위하여 연구소·대학, 중소기업(3개 이상)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기 개발된 기술의추가 후속 개발로 필요로 하는 기업에 지원하는 과제 (개발기간 1년이내)       - 과제당 5억원 범위 내에서 총 사업비의 60%이내 지원       - 총 사업비의 40%는 연구소?대학, 참여기업이 부담하며, 현금 부담비율은 12.5%이상(참여기업 부담)       - 지원과제는 정부가 지정·공고하는 지정공모과제로 제한       ※ 개발성공시 정부지원금의 30%를 기술료로 회수       ※ 지정공모과제는 중소기업청 홈페이지(http://www.smba.go.kr)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홈페이지 (http://www.tipa.or.kr)에 게재    ? 중소기업 개발과제     ? 자체 개발 능력이 있는 중소기업이 주관하여 직무기피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개발 과제(개발기간 1년이내)       - 과제당 1.5억원 범위 내에서 총 사업비의 75%이내 지원       - 총 사업비의 25%(현금부담비율 12.5%이상)는 기업이 부담       ※ 개발성공시 정부지원금의 30%를 기술료로 회수       ※ 지원과제는 중소기업 자유응모과제       [별첨 2: 우수 지원사례]     1. 개발개요   한국생산기술연구원(강남현 박사)이 과제를 주관하여 제빙기, 냉동기 등 용접작업을 주로 하는 금성공조플랜트의 직무기피요인인 단순 반복작업과 용접흄 발생 환경을 해소하기 위한 용접장치를 개발한 결과물임   2. 개발목표     ? 용접공정에서 작업자의 시력과 눈과 경험에 의존해 오던 피용접물의 용접선 위치를 공압심축을 이용한 조심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맞추어 주고 고정시켜 준다 (작업자 시력보호).     ? 자동조심장치를 작동하고 텅스텐 전극은 피용접물의 경계선을 따라 회전하며 자동용접을 수행하고, 용접이 끝난 후 이동형 스프링 밸런스에 고정된 자동용접장치의 조심장치를 풀어 다른 튜브에 설치한다 (단순반복적인 용접노동강도 감소).     ? 따라서 기존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용접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자동용접장치와 용접기와의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개인용 소형 튜브-튜브시트 용접장치의 개발   3. 개발 결과     ? 작업현장 전ㆍ후 비교   설 치 전 설 치 후 수용접 반자동 용접       설 치 전 설 치 후 수용접 반자동 용접   4. 개발 성과     ? 작업환경개선       - 개발전 :튜브시트 위에서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로 작업하고 단순반복적인 수용접의 연속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음       - 개발후 : 허리를 심하게 굽히지 않거나 의자에 앉아서 용접헤드를 교체하는 작업만을 하면 되므로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자세가 거의 없어졌음     ? 품질 및 생산성 향상       - 개발전 : 용접자의 유무 혹은 당일 용접자의 컨디션에 따라 용접부의 품질이 불균일함       - 개발후 : 안정된 용접조건의 실현하여 용접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 가능하게 함     ? 인력유입효과       - 개발전 : 대기업의 대형 설비를 제외하고는 3D 환경의 용접장에서 직접 작업을 하므로 젊은 기술자들을 고용하기 힘들고 이주노동자 등을 고용하여 노동력을 충당하는 실정       - 개발후 : 숙련된 용접기술자가 용접 외 다른 작업에도 투입되면서 시각적/근골격계 피로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반자동화 접기술이 최적화 된 후 다른 기술자들도 용접이 가능하게 됨     ? 산업재해감소       - 개발전 : 근골격계 질환 및 시각적 피로를 많이 느꼈음       - 개발후 : 산업재해를 일으킬 수 있는 시각적/근골격계 피로 누적으로 인한 주의력 감소를 일으킬 수 있는 소지를 크게 격감시킴     ? 기타 효과       - 장비의 개발로 인해 용접기사 대신 비 숙련 일반작업자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불량률 감소 및 용적관련 임금의 절감 실현","viewCnt":"6068","regDate":"2006-07-13 12:07:00"},{"contentId":"24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중소기업 혁신포럼 보도자료 및 브리핑 자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4","contentsKor":" 2006년 6월 27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302-701 대전광역시 서구 선사로 139번지ㅣTel. 042-472-3263ㅣ Fax. 042-472-3264 www.smba.go.kr  ■ 문의 : 국제협력팀 팀장 김영태 사무관 박상용 042-481-4366 / F 042-472-3272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포럼」개최 APEC 7개국의 중소기업 정책 공유의 장 마련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은 2005년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를 계기로 설치된 「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의 2006년도 APEC project의 일환으로 6개 APEC 회원국을 초청, 오는 6월 27일과 28일 이틀간 서울 렉싱톤 호텔에서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호주, 싱가포르, 일본, 대만, 중국, 말레이시아에서 중소기업 혁신정책담당자와 전문가 20여명이 참가하여 자국의 중소기업 혁신정책 및 사례에 대해 발표하고 상호 토론하여 서로의 정책을 공유하고 벤치마킹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이번 포럼에는 APEC의 21개 회원국 중에서도 중소기업 부문에서 우수한 성과를 이룩해온 회원국들만을 참여시켜 내실있는 포럼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포럼을 통해 호주의 혁신정책, 중국의 기술혁신 정책, 일본의 경영 혁신 프로그램, 대만의 중소기업 혁신정책을 비롯하여 싱가포르의 혁신정책 평가체제, 말레이시아의 산학연계 프로그램 등 다양하고 우수한 혁신정책들이 소개된다.   각 회원국들도 이번 포럼을 위해 자국의 국?과장급 정책담당자를 파견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작년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를 계기로 중소기업 혁신의 선도 국가로 인식되어 선진국에게는 정책 공유의 대상으로 개발도상국에게는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청은 이번 포럼을 통해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 정책 등을 비롯하여 우리의 우수한 중소기업 정책을 홍보하고 선진국의 정책을습득하여 향후 정책 수립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며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의 기회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는 작년 제20차 APEC 중소기업실무그룹회의에서 우리측이 제안하여 회원국의 승인을 받았고, 제12차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에서 장관들의 지지를 받아서 올해 2월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 설치되었으며, APEC으로부터 $59,280를 지원받아서 APEC project를 수행하고 있다.     <붙임 1>「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포럼」개최 일정 <붙임 2>「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개요     < 붙임 1 >   2006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포럼 2006 Innovation Policy Forum for APEC SMEs   ? 6월 27일(화) 6월27일(화) 시간일정 8:30  등록 9:30 개회사 ○ 환영사: 양해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9:45   세션 I 주제: APEC 역내 회원국의 중소기업 혁신촉진정책   - 중소기업 혁신촉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 중점 부문 및 성과 -  사회자: 최경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 APEC 회원국의 중소기업 혁신촉진정책과 성과 - 1999년 이후 호주 혁신정책의 주안점 주디스 지엘케(Judith Zielke), 호주 상무성(혁신협력위원회) 제너럴 매니저   - 중국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및 촉진정책 황수에(Xue Huang), 중국 중국과학기술원 교수   - 한국의 중소기업 육성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김영태, 한국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정책본부 국제협력팀장 ○ 혁신정책평가체제 및 교육(I-Class)   - 혁신 클래스를 통한 싱가포르의 혁신역량 강화  다샨 싱(Darshan Singh), 싱가포르 표준, 생산성 및 혁신위원회(기업생산성국) 부국장 11:45 패널 토의 12:10 질의응답 및 토의 12:30 오찬 14:00   세션 II 주제: APEC 역내 회원국의 혁신분야별 전략과 사례    - 중소기업의 경영혁신, 기술혁신 및 인프라 촉진정책과 사례  사회자: 김병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 산학연계 프로그램과 사례 - 말레이시아의 산학연계 프로그램 모하마드 이쟘 빈 압둘라(Mohd Izham Bin Abdullah), 말레이시아 중소기업청(자금지원감사부) 시니어 매니저 ○ 중소기업 경영혁신 프로그램과 사례  - 일본의 중소기업 경영혁신 프로그램과 사례 츄카사 츄추이(Tsukasa Tsutsui), 일본 중소기업기반정비기구(벤처기업지원부) 시니어 매니저 ○ 중소기업 기술혁신 프로그램과 사례   - 한국의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기술혁신 지원정책 및 사례 이현조, 한국 중소기업청 기술경영혁신본부 기술개발팀장 ○ 클러스터 및 인큐베이터 프로그램과 사례 - 대만의 중소기업혁신 정책 츄루칭(Ru-Ching Hsu), 대만 중소기업청(정책기획국) 국장 16:00 패널 토의 16:20 질의응답 및 토의 16:40 휴식     6월28일(수) 6월28일(수) 시간일정 17:00   세션 Ⅲ 주제: 중소기업 혁신촉진을 위한 APEC 공동노력    - 기술 및 경영혁신 정책개발과 인력양성 협력    - 중소기업 혁신정책 전문가 네트워크 형성 및 협력  사회자: 이정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특징과 시사점  -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비교연구 중간발표 김주용,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 부장 18:00 휴식 19:00 환영만찬(유니언룸, 15층)    6월28일(수) 6월28일(수) 시간일정 9:00  집합 10:00  현장방문  정통부 유비쿼터스 드림관 (10:00 ~ 10:30) 11:00  문화체험  경복궁 12:00  오찬 (전통한식) 14:00  남산공원 (서울 전망대) 15:30  호텔 및 공항     < 붙임 2 >   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   □ 추진 현황    ‘05.3월 대만에서 개최된 제20차 APEC 중소기업실무그룹회의에서 우리측이 설치를 제안하여 회원국 승인을 획득      - ‘05.9월 대구에서 개최된 제12차 APEC 중소기업장관회의에서는 회원국 장관들이 공동선언문을 통해 지지의사 표명   ‘06.2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국제협력팀을 APEC 혁신지원 사무국으로 개편하여 설치      - ‘APEC 중소기업 혁신지원사업’ 위탁 수행(기술료 3.5억원)      - ‘APEC 중소기업 혁신정책 비교연구사업’을 APEC으로부터 $59,280를 지원받아 수행   □ 주요 기능 및 역할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과정 운영      - 정책담당자, 혁신전문기관, 중소기업 등 혁신주체별 교육 수요에특화된 교육훈련 과정 운영   APEC 회원국의 중소기업 혁신 정책 및 사례 연구?보급   중소기업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 APEC 중소기업 국제 컨퍼런스 개최, 정기 간행물 발간 및 웹사이트 구축 운영","viewCnt":"5206","regDate":"2006-06-26 12:06:00"},{"contentId":"24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6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평가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5","contentsKor":" 2006년 6월 12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tipa.or.kr   ■ 문의 : 조사연구팀장 김문선  연구원 최영득 02-3787-0443 / F 02-784-0509   ’06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평가 실시 6,000여 개 사를 대상으로 6~8월 중 석 달간 일제 실시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정보화지원정책의 수립과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정보화추진방향 제시를 위한 정책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06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2006년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6월 12일부터 약 석 달여 동안 전국의 6,000여개 중소기업?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되는데,   조사방법은 직접방문을 통한 off-line 조사와 on-line으로 동시에 진행되며 제조업 포함 5개 산업(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운수업, 정보통신산업)에대해 실시한다.   금번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정보화 전략수립, 추진환경, 구축운영현황, 활용 및 효과 등의 6개 분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조사에 참여한 모든 기업에게는 자사의 정보화수준 진단결과와 정부지원사업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e-Report’로 제공하여 향후 정보화 추진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 2006년도 중소기업 정보화수준 평가 개요 >   ? 조사기간 : 2006. 6.12 ~ 8.31   ? 조사대상(제조,건설,도소매업,운수,정보통신 등) : 6,000개사     - 종업원 수 5인 이상 중소기업 : 5,600개사     - 대기업 400개사   ? 조사방법 : 개별업체 방문을 통한 면대면 면접조사     * 자발적 참여기업은 on-line 설문조사 참여 가능   ? 조사기관 : 국제통계연구소   ※ 문의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기획연구부 (02-3787-0441~3)  ","viewCnt":"5152","regDate":"2006-06-12 12:06:00"},{"contentId":"24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도약을 위한 IT화 전략 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6","contentsKor":" 2006년 5월 18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tipa.or.kr            ■ 문의 : 조사연구팀장 김문선  연구원 최영득                        02-3787-0443 / F 02-784-0509   중소기업의 도약을 위한 IT화 전략 세미나 개최 -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현황 및 성과 발표 -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 이하 “기정원”이라고 함)은 5월 18일 제18회 중소기업 주간행사의 일환으로 「중소기업의 도약을 위한 IT화 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   본 세미나는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의 성과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각계 전문가들의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의 도약을 위한 효율적인 정보화 지원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기정원은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실적 및 성과」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02년부터 추진 중인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의 성과를 입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할 예정이다.   본 주제발표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성과를 기정원에서 수행한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평가 및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성과평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정보화 도입성과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분석한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본 주제발표 자료에 따르면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이 ‘03년 69.9%에서 ’05년 71.7%로 향상되어 대?중소기업 간 정보화 격차가 감소되었으며, 중소기업의 정보화 활용효과도 ‘03년 56.71점에서 ’05년 57.45점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중소기업 정보화가 내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005년에 추진한 생산정보화 지원사업 및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 등 대표적인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참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원사업 성과평가 조사결과에 따르면 생산정보화 72.1점, TIMPs 70.8점 등 높은 성과점수를 거뒀으며, 특히, 정책적 기여도에 대한 평가결과가 가장 높아 중소기업들이 정부 정책에 대해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본 세미나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기획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1~5) 으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1. 중소기업의 도약을 위한 IT화 전략 세미나 개최 안내 붙임2. 주제발표 관련도표  ","viewCnt":"4841","regDate":"2006-05-18 12:05:00"},{"contentId":"24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경영체제 심사원 합격자 발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7","contentsKor":" 2006년 4월 27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정보화사업2팀장 장건오  연구원 서창훈  02-3787-0452 / F 02-3787-0490     정보화경영체제 심사원 합격자 발표 합격자를 대상으로 자격 심의후 자격증 발급 예정   중소기업청(청장 이현재)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최근 제9회 정보화경영체제(IMS) 심사원 검정을 위한 필기시험을 실시하여 35명의 합격자를 발표   정보화경영체제 심사원이란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정보화추진모델을 보급 구축하고, 정보화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인증 평가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올해부터는 정보화경영체제사업을 통해 ‘정보화혁신형 기업’을 육성함에 따라 심사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질 것으로 보여, 예년에 비해 약 1.5배 늘어난 132명의 인력이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사원 자격에 대한 높은 관심도와 정보화경영체제 구축과 인증심사 분야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수요가 그만큼 많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심사원은 우선 교육수료 필기시험 자격심의 순의 전형절차를 거쳐 심사원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이론교육은 엔지니어링 사업대가의 기준에 명시된 기술자의 등급 중 정보처리 분야에서의 고급기술자 이상의 자격을 갖춰야만 수강할 수 있다.   필기시험은 정보화경영체제(IMS) 규격, 구축방법론, 인증, IT 일반 위주로 문제가 출제되며, 70점 이상을 획득하면 합격된다. 그리고 필기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자격심의 후 정식 자격을 부여한다.   그간 시범사업을 포함하여 1회부터 8회까지 실시된 시험으로 배출된 316명의 심사원이 있다. 이들은 정보화경영체제 전문기관에 상근 또는 비상근으로 소속되어 중소기업의 정보화혁신을 위한 정보화경영체제 보급 구축,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필기시험 합격자 중 김미정씨(41, 여)가 최고점수를 획득하였고, 직업군 중에는 감리사 5명, 기술사 3명, 교수 3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연령별로는 40세에서 49세가 15명으로 가장 많았다.   한편 기정원에서는 심사원 양성을 위한 이론교육을 지난 3월과 4월, 2차에 걸쳐 실시하였고, 7월과 8월경에 하반기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정보화경영체제(IMS) 심사원은 기정원에서 시행하는 심사원 시험에 합격한 자로서 정보화경영체제(IMS) 구축 또는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정보화경영체제(IMS) 사업은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는 정보화 필요과제를 도출?지원하고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는 기업에 대해서는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 부여 및 정보화혁신형 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 *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은 정보화추진 표준모델(규격)을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 경영품질, 성과체계 등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며, 그 성과가 탁월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서를 부여하여 정보화혁신형 기업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   * 본 정보화경영체제(IMS) 심사원 합격자에 대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사업2팀 (02-3787-0451~5) 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5423","regDate":"2006-04-27 12:04:00"},{"contentId":"24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RFID 상용화를 대비한 ROI 분석기법 개발 필요","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8","contentsKor":" 2006년 4월 27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조사연구팀장 김문선  연구원 곽후근                        02-3787-0442 / F 02-784-0509   중소기업의 RFID 상용화를 대비한 ROI 분석기법 개발 필요 - 선진국에선 ROI 분석에 기반한 자가진단시스템 개발 활용 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의 RFID 상용화에 대비한 ROI 분석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기업의 RFID 도입률은 3.8%로 도입 초기에 머물러 있으나, 2009년말이면 전산업적으로 도입 및 활용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파급효과도 물류/유통 뿐 아니라 기업활동 전반에 걸쳐 매우 클 것이라고 학계에서는 주장하고 있다.   특히, 세계적으로 RFID 관련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는 EPC- global은 제조업, 도매상 및 소매상별로 RFID 도입에 따른 ROI 분석기법을 개발하여 활용 중에 있다.   제조업은 연간 7백만 달러의 기대효과가 예상되나, 전자태그의 가격부담이 크므로 아이템/케이스/팔레트 등 추적하고자 하는 단위를 기업현황에 맞게 설정하여 단계적인 활용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도매상은 전자태그 및 리더기 관련 소요비용이 적게 들므로 투자 대비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공급망을 구성하는 파트너들과의 전자태그 공동활용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매상은 유통센터 및 점포에서의 기대효과가 크나, 리더기에 소요되는 비용이 매우 크므로 주의 깊은 도입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EPCglobal의 RFID-ROI 분석기법은 RFID를 도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영성과 및 소요비용을 재무적 지표로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들이 RFID 시스템을 도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세계적 규모의 기업을 대상으로 개발되어 국내 중소기업의 경영환경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심도 있는 조사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 현실에 적합한 RFID-ROI 분석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 중소기업의 RFID 도입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중소기업이 세심한 검토 없이 RFID 도입을 추진하기 보다는 업종별 공동활용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장기적인 차원에서 중소기업의 RFID 도입을 촉진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민간협력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는 판단 아래 심도 깊은 연구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 본 자료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기획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1~5)으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  관련자료(TIPA issue 06-02호)","viewCnt":"5253","regDate":"2006-04-26 12:04:00"},{"contentId":"24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 12개사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29","contentsKor":" 2006년 3월 10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정보화사업2팀장 장건오  연구원 서창훈 02-3787-0452 / F 02-3787-0480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 12개사 선정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정보화경영체제(IMS)가 구축된 후 정보화 활용도가 높고 정보화를 통한 경영성과가 나타난 (주)세진전자통신 등 12개 기업을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으로 선정 발표함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 정보화추진 표준모델인 정보화경영체제(IMS)를 구축 완료한 2005년도 117개 기업을 대상으로 인증심사를 실시하여 세진전자통신(주) 등 12개 기업을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으로 선정하였다. 인증기업 12개사 중 정보화경영체제 우수기업에는 (주)세진전자통신(대표 이경자, 서울 소재)이 차지하였다.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은 문서심사와 현장심사를 통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며, 정보화경영체제 성숙도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기반구축단계, 성장단계, 성숙단계의 3단계로 부여된다.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성과를 분석한 결과 해당기업의 정보화 마인드 향상을 통한 정보기술의 운영능력이 체계화되고 업무프로세스 단축 등을 통한 사무비용 절감 등의 성과가 나타났다.     양해진 원장 및 인증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2006년 3월 9일 기정원 대회의실에서 정보화경영체제 인증서와 기념패 수여식이 있었다.   아울러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에게는 구조개선 자금 등 중소기업 지원 정책자금, 기술지원사업, 인력지원, 판로지원, 기술신용등급 평가 시 우대 등 인센티브 부여를 강화함으로써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집중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12개) 명단은 다음과 같음 (주)다스, 대산금속(주), 범한금속공업(주),  삼보판지(주), 세진전자통신(주), (주)세정, (주)세코, (주)엘.씨텍, 일원정밀(주), 주성엔지니어링(주), (주)제이피전자, (주)SH테크 (기업명 가나다순)   *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인증이란?   정보화경영체제(IMS)에서 제공하는 정보화추진 표준모델(규격)을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전반적인 정보화 활용도, 경영품질, 성과체계 등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며, 그 성과가 탁월한 기업에게 정보화경영체제(IMS) 인증서를 부여하여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   * 본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과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사업2팀 (02-3787-0451~5) 으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  정보화경영체제 인증기업 소개 (첨부화일 참조) ","viewCnt":"5463","regDate":"2006-03-10 12:03:00"},{"contentId":"24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아웃소싱지원사업 시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0","contentsKor":" 2006년 3월 8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보도자료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구조개선팀 부장 유연우 담당 김준숙 02-3787-0543 / F 02-3787-0480   ‘정보화아웃소싱지원사업’ 시행 - 中企 정보화지원사업의 내실화 도모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양해진)은 정보시스템 구축 이후, 기술ㆍ인력ㆍ자금 부족 또는 공급자의 문제로 정보화 활용과 운영에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보화아웃소싱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힘.   동 사업에 대한 금년도 추진계획 및 정보화아웃소싱프레임웍에 대한 설명회를 2006년 3월 9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디지털경영센터(여의도 소재)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동 사업은, 기존의 정보화지원사업이 정보시스템 구축에 역점을 두고 있는 것에 비해 정보시스템 구축 이후, 정보화 활용과 운영에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사후관리 및 애로해결을 지원함으로써중소기업의 정보화시스템 활용률 제고에 기여 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금년도 사업은 2005년 중소기업의 현실에 맞추어 개발한 "정보화아웃소싱프레임웍"에 의하여, 클러스터(지원기업과 전문기관)를 선정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에 따라 중소기업의 정보화 운영애로 해소를 통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정부의 정보화지원사업 내실화 추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정보화 아웃소싱이란 : 기업이 핵심 역량에 집중하기 위하여 기존 또는 신규 정보화 관련 자원 및 관리 전부(또는 일부)를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관리하게 하는 장단기 계약을 의미 ","viewCnt":"4867","regDate":"2006-03-08 12:03:00"},{"contentId":"24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 새롭게 출범 (새 CI 선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1","contentsKor":" 2006년 3월 2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홍보기획예산팀 팀장 최용원, 연구원 조도현 02-3787-0422 / F 02-784-0509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 새롭게 출범 ‘새 CI 선포와 함께 제 2 개원 선언’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기술과 정보화의 융합화 추세에 부응하여 중소기업의 경영혁신 제고를 위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 양해진, 이하 “기정원”)으로 새롭게 출범한다. 기정원은 2006년 2월 28일 여의도 본원에서 명칭 변경에 따른 현판식 및 기업통합이미지(CI) 선포식을 갖고 ‘제2의 개원’을 선언한다. 이에 따라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 환경에 부응해 수요자 중심의 현장밀착형 지원을 강화하여 고객만족을 향상시킴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새 출발을 시작한다. 또한 기정원의 성과제고와 투명성 확보를 위한(Effectiveness & Transparency) 협약식을 수요자, 지원기관, 공급자 및 경영원의 4자 협약으로 추진하여 기관의 혁신 및 반부패 의지를 대내외에 선포할 예정이다. 기관의 확대 개편 기술과 정보의 융합화 추세에 따라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2005년 12월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이 국회에서 개정되었다.  기정원으로의 발족은 혁신적인 신기술 추진전략과 정보화 전략, 이에 적절한 신경영전략까지를 포괄하여 기술?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의 종합적 육성을 추구하는 정부의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 정책과 전략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기정원은 법개정에 따라 기존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 뿐만아니라 “중소기업 기술혁신 기반조성” 및 “기술혁신개발사업 수행” 까지 지원하게 된다.  2006년 기정원은 총245억원 규모로 약 750개사에 대하여 생산정보화,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 정보화혁신클러스터사업 등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사업을 계속 지원하며, 새롭게 생산현장 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 이전기술개발사업, BI창업기업 공동기술 개발사업 등 35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기술혁신사업을 지원하게 된다. 기정원은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2본부 1센터 6부 체제로 조직운영체계를 정비하여 중소기업 경영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적극 뒷받침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었다.  또한 지난 2005년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에서 역내 중소기업의 경영혁신 제고를 위해 설립하기로 결정한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를 기정원 내에 설치하여 우리 중소기업의 국제적 위상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기정원 CI 새로 제정된 기정원의 CI를 구체적으로 보면, 심벌과 서체로고로 구성되어 있다. ‘중소기업과 함께 미래를 여는 TIPA’라는 기치 아래 첨단기술과 정보화, 혁신을 상징하는 ‘청색 바탕’과 기관의 견고함과 신뢰를 나타내는 ‘볼드형 영문 이니셜’, 중소기업의 미래를 향해 열린 가능성을 상징하는 ‘사각의 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청색과 백색으로 분할된 육각형의 공간은 중소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나타내며, 청색으로 채색된 공간이 작지만 강한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발전해 가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새롭게 출발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이 그 한가운데 자리 잡고 중소기업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임직원들의 각오를 담아 새로운 CI를 제작하였다.  기정원 임직원의 각오 한편 기정원의 CI 선포식 행사에는 김성진 중소기업청장 등 주요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기정원내에 설립되는 APEC 중소기업혁신센터 현판식이 함께 개최된다. 이날 행사에서 양해진 원장은 “기술정보진흥원이 그동안 정보화사업을 추진하면서 보여준 사업추진태도와 헌신적인 열정을 토대로 앞으로도 주어진 업무에 더욱더 매진할 것이며, 무엇보다 수요자 중심의 과제발굴과 현장 밀착형으로 행정프로세스를 혁신하여 고객 만족을 극대화 하겠다”는 각오를 새롭게 다졌다.  □ 신규 CI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약칭 ‘기정원’)  - 영문 : Korea Technology &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Es  - 홈페이지 : www.tipa.or.kr ","viewCnt":"5140","regDate":"2006-03-02 12:03:00"},{"contentId":"24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생산정보화 구축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2","contentsKor":"   2006년 2월 28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정보화기반팀 최진석 팀장, 임형채 연구원 02-3787-0483/F 02-3787-0480 “생산성 향상은 생산공정 디지털화로” 중소기업 생산정보화 구축사례집 발간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05년도 중소기업생산정보화사업에 참여한 187개 중소기업중 구축성과가 우수한 ㈜조일공업 등 10개사의 구축사례를 사례집으로 발간하였다. 이 사례집은 생산정보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이 쉽게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사업추진개요, 추진성과 등을 그림, 도표, 그래프, 사진 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생산정보화사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생산정보화 관련 용어, 생산정보화 제안요청서 및 생산정보화 참조모델 등을 수록 하였다. 이 사례집은 중소기업 생산정보화를 확산하기 위해 정보화사업통합관리시스템(http://i-sme.kimi.or.kr)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소기업청은 금년도에 생산정보화사업비로 8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지원 받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3.3일(금) 18:00까지 온라인[정보화사업 통합관리시스템(http://i-sme.kimi.or.kr)]으로 신청하면 된다. <참고> 생산정보화 우수기업 구축사례 1. 조일공업(주) 울산 효문산업단지에 소재한 조일공업(주)(대표 김수열)은 자동차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로써 17대의 프레스와 30대의 용접설비에 9대의 터치스크린 방식 생산정보관리시스템(POP) 단말기를 설치하였다.POP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 수작업으로 제조보고서와 생산실적을 수기가 필요 없게 되었고, 원자재재고율 46.8%, 완제품재고율 38.5% 및 제품불량률 54.4% 각각 줄이는 성과를 올렸다. 2. (주)아이앤피 대구 노원동에 소재한 (주)아이엔피(대표 권영근)은 칼라명함, 스티커, 앨범 등을 생산하는 업체로써 14대 인쇄기를 POP시스템 구축하였다.POP를 통해 인쇄시간, 생산량과 가동률 현황, 생산성 분석 및 일일 생산실적 등을 실시간 데이터로 분석해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POP 도입 이후 작업 준비시간은 50%, 데이터 도입시간은 86.6%, 서류 작업시간은 80% 이상 감소하게 되었다. 또한 생산실적을 DB화로 실시간 정보처리로 의사결정이 빨라졌고, 작업분배와 인력계획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인쇄공정의 최적화를 실현하였다. 3. 한국수출포장공업(주) 한국수출포장공업(주)(대표 허용삼)은 골판지업계의 선두 주자로써 부서간, 업무간 정보의 일원화로 중복업무를 배제하는 동시에 수작업 업무개선으로 원가절감과 품질향상을 달성하기 위해 POP시스템을 구축하였다.POP시스템을 통해 생산 스케줄링, 작업 지시관리, 작업 실적관리, 원지관리, 생산 출하관리 등을 중앙관리장치실에서 각 접점에 설치한 센서를 통해 실시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이로 인하여 원지투입 오류개선, 여유수량 생산절감, 초과 생산량 감소 등 제품생산 수익률 향상으로 283백만원의 비용절감과 스케줄링 업무, 재고관리 및 작업실적 자동집계 등으로 약 58백만원의 비용절감, 생산리드시간 단축(48시간→36시간) 등으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였다. 4. (주)아성정공 경남 김해에 소재한 (주)아성정공(대표 이가상)은 가전제품용 플라스틱 사출 금형과 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로써 2004년 파인블랭킹 공장을 신축하면서 파인 사업부 전 라인에 POP와 제조실행시스템(MES)을 도입하였다.자체서버와 PDA 시스템을 구축, 기존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RP)과 연동, 기존 보안 IC카드와도 통합해 출퇴근에서 생산관리, 물류관리에 이르는 모든 업무 프로세서를 자동화했다.이로인해 실시간 작업현황 파악 및 물류관리시스템으로 50%의 리드타임 감소, 제고율 31% 감소, 설비부하율 25% 감소 등의 효과를 거두었다. 특히 2004년 150억원에서 2005년에는 180억원, 2006년에는 240억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5. (주)풀무원스프라우트 충북 음성군에 소재한 (주)풀무원스프라우트(대표 김경남)은 건강기능식품 업체로서 콩나물 포장생산공정에 제조실행시스템(MES)과 생산시점관리(POP) 시스템을 도입하여 생산라인 고장원인, 생산량, 생산실적 등 각종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집계 하였다.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생산 현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재택근무를 하면서도 현장상황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으며 각종 생산 데이터에 대한 수기 작업도 필요 없게 되었다시스템 도입 후 서류작업 시간 66.7% 감소, 제조리드타임 35.3% 개선, 불량률 4.5% 감소, 기계 부하율 15.3% 개선하였으며, 매출액이 2004년 보다 약 20%증가 하였다. 6. (주)명성-모화공장 부산시 사하구에 소재한 (주)명성(대표 손무성)은 자동차부품 생산업체로서 장비가동여부, 생산실적 및 계획생산 등을 할 수 없어 POP 시스템을 구축하였다.POP 도입 후 제품제고율 40%, 불량품율 65%, 데이터 도입시간 95%, 서류작업시간 88% 가량 감소하였다. 또한 실시간 생산라인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생산예측이 정확해 졌으며,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여졌다. 7. (주)씬터온 경기 화성에 소재한 (주)씬터온(대표 이병재)은 자동차부품 업체로 최근 수많은 경쟁업체의 증가, 고객사의 높은 품질 및 낮은 납품가격의 요구 등 시장변화 및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POP를 구축하였다.POP 도입으로 제품(원부자재) 재고 22% 감소하, 제조리드타임도 18% 개선뿐만 아니라 서류작업시간은 91% 감소하는 등 업무가 크게 효율화되었다. 생산정보의 실시간 공유로 부서간 협조 및 문제 발생시 대처능력이 향상되게 되었고, 단순기록 업무에 낭비하던 시간을 공정분석 및 개선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공정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데이터 가공 및 분석시간의 대폭적인 감소를 가져왔다. 8. 한국볼트공업(주) 경기도 안산에 소재한 한국볼트공업(주)(대표 송관섭)는 산업용 단조품, 볼트, 너트를 생산하는 업체로써 생산정보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불가능함을 깨닫고 POP시스템을 구축 하였다.POP도입 이후 원자재 제고율 58% 감소, 재공율 23%, 생산주기가 10% 단축 되었다. 열처리 공정의 필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자동 등록하여 현재 데이터를 입력 관리하는 시간에 공정관리를 할 수 있게 되어 실적처리가 정확하게 되었다. 9. (주)새한철강 광주에 소재한 (주)새한철강(대표 남재희)은 철근압연가공을 하는 업체로써 발주처의 주문 물량을 동시에 대량 제작하여 각각의 현장에 출하해야 하는 특성이 있어 생산품목, 재고, 출하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POP시스템을 구축하였다.이로 인해 절단현장에서 공사현장 및 차수별 철근절단공정의 진행상황과 가공달성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납기를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미 가공품의 발생 및 출하납품차질을 줄임으로 공사지연의 클레임이 없게 되었으며, 공사현장의 조립공사중 가공품의 분실로 인한 현장의 잘못을 미 가공품 또는 출하의 잘못으로 클레임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져왔다. 10. 현우포장 인천시 서구에 소재한 현우포장(대표 오창섭)은 칼라 및 인화 박스를 생산하는 업체로써 업종 특성상 제품의 정확한 생산수량, 불량, 생산성 등을 파악 할 수가 없어 POP시스템을 구축하였다.이로 인해 제조리드타임 90%감소, 납기기간이 20% 단축, 서류작업시간은 98% 절감, 제품불량률 33% 감소하여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viewCnt":"6352","regDate":"2006-02-28 12:02:00"},{"contentId":"24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1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3","contentsKor":" 2006년 2월 23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 이영규 팀장,  연구원 박희정 02-3787-0462/F 02-3787-0480 제21회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6년 2월 24일 (금) 07:20부터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삼성동 소재) 하모니볼룸Ⅱ에서 제21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을 개최할 예정임 □ 중소기업혁신포럼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혁신과 정보화를 통하여 기업들의 경영혁신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정보 교류의 장으로 마련하고 있음 □ 올해(‘06년도)는 5회 이상 중소기업혁신포럼 개최를 목표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에게 제공할 계획임 □ 금번(제21회) 중소기업혁신포럼은 중소기업청 김성진 청장의 『2006년도 중소기업정책방향』에 대한 강연으로 진행되며 2006년도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방향을 제시할 예정임 □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임 □ 중소기업혁신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 문의는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02-3787-0462) 및 포럼 홈페이지(http://forum.kimi.or.kr) 참조 ※ 연락처 :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 박희정 연구원 02-3787-0462  ","viewCnt":"4601","regDate":"2006-02-23 12:02:00"},{"contentId":"24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경영체제사업 IMS기관 선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4","contentsKor":" 2006년 2월 22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정보화사업2팀장 장건오  연구원 서창훈 02-3787-0452 / F 02-3787-0480 정보화경영체제사업 IMS기관 선정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정보화경영체제(IMS) 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2월 20일 IMS기관을 선정발표     신청 접수한 IMS기관을 대상으로 지원방안, 사업관리, 정보화방법론, 보유솔루션 및 기술력 대하여 중점적으로 평가하여 (합)대한정보 등 6개 IMS기관을 선정 발표하였다.          * 서울 : 대한정보, 휴먼앤퓨처정보통신, 대전 : 이미리컨설팅, 대구 : 이비즈라인, 광주 : 투루텍, 부산 : 한국표준화컨설팅     선정된 IMS기관은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는 정보화 필요과제를 도출하고 정보화추진 표준모델인 정보화경영체제(IMS)를 구축하여 가시적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해당 중소기업을 지원한다.     앞으로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정보화경영체제가 구축된 후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기업에 대해서 정보화경영체제 인증을 부여하고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사업이란?  IMS심사원 및 IT기업을 연계하여 중소기업 눈높이에 맞는 정보화 필요과제를 도출?지원하고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기업에 대해서는 IMS인증 부여 및 정보화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임       * 본 IMS기관 선정과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보화사업부 정보화사업2팀 (02-3787-0451~5) 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4676","regDate":"2006-02-22 12:02:00"},{"contentId":"243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컨설팅우수기업 사례집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5","contentsKor":" 2005년 12월 30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컨설팅팀 팀장 장건오, 연구원 임형채 02-3787-0454/F 02-3787-0480    정보화컨설팅우수기업 사례집 발간  정보화경영체제(IMS) 심사원 양성교재도 함께 발간 보급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05년 정보화종합컨설팅 지원사업에 참여한 1,324개 기업 중 (주)대송텍스타일 등 12개 우수기업을 선발하여 우수사례집을 발간하였다. 또 정보화경영체제(IMS) 전문가 육성을 위한 심사원 양성교재인 ‘중소기업 정보화혁신 실천방법론’도 함께 발간하여 보급하였다. 이번 우수사례집에 선정된 12개 우수기업들은 ‘컨설팅 결과 활용 수준’, ‘벤치마킹 활용 가능성’, ‘업무혁신’ 등의 성과를 평가?선정 하였으며 제조, 건설,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의 기업들로 각 산업의 중소기업에 적용이 가능한 규모와 업종의 기업들로 구성되었다. 이들 기업은 정보화컨설팅 결과물을 충실히 활용하여 정보화를 성공적으로 도입한 기업들이며 향후 정보화컨설팅을 추진하는 기업들에게는 정보화 도입 안내자로서의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 정보화혁신모델인 정보화경영체제(IMS)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재인 ‘중소기업 정보화혁신 실천방법론’의 특성은 정보화경영체제(IMS) 지원사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방법론과 서식들을 포함하고 있어 최고경영자, 정보화 담당자 및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이 정보화경영 및 촉진에 좀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정보화경영체제를 통해 기업의 정보화 활용도가 향상되고 경영성과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란?    정보화를 통해 경영혁신을 이루기 위해 표준화된 정보화 추진 모델로서 정보화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경영성과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개선시키기 위한 제도임. * 본 우수사례집 및 교재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경영혁신부 컨설팅사업팀 (02-3787-0451~6) 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5603","regDate":"2005-12-30 12:12:00"},{"contentId":"243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책개발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6","contentsKor":" 2005년 12월 21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생산혁신팀 팀장 최진석, 연구원 박완기 02-3787-0481/F 02-3787-0480     중소기업 정책개발 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 정보화와 기술혁신 추진성과 및 발전방향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12.22일(목) 14:00부터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에서 중소기업 정책개발 간담회를 개최한다.  간담회는 초청강연과 패널토론으로 진행되며, “중소기업이 정보화와 기술혁신을 접목함으로써 생산성 향상등 기업경영의 시너지 효과를 도출”이라는 주제로 서울대학교 박진우 교수의 초청강연과 함께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의 추진성과와 ‘06년도 사업개선 내용, 쿠폰제경영컨설팅사업 추진성과 등에 대한 주제발표와 정보화·경영컨설팅·기술혁신에 대한 패널토론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초청강연 및 토론회에는 중소기업, IT전문기업, 관련전문가 등이 참석하여 정보교류와 의견수렴의 장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4","atchfileNm":"보도자료(6차지역간담회).hwp","viewCnt":"4821","regDate":"2005-12-21 12:12:00"},{"contentId":"243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e-프로세스 혁신 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7","contentsKor":"  2005년 12월 13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국제협력팀 팀장 장인성, 연구원 김종윤 02-3787-0431/F 02-784-0509     중소기업 e-Process 전략 세미나 개최       중소기업 업무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정보화 활용방안 모색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양해진)은「중소기업 e-Process 전략 세미나」를 2005년 12월 15일(목) 13시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2층 중회의실에서 개최한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정보화 활용 우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방문, 면담 등을 통하여 e-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실태조사와 전략 등을 수립하였다.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세미나에서는 중소기업이 자사 업무프로세스별로 정보화 추진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벤치마킹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화 우수사례를 보급하고자 한다. 또한 비아이솔류션 왕진일 대표이사는 「정보화를 활용한 중소기업 업무프로세스 혁신 전략」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중소기업에서의 성공적인 프로세스혁신을 위해 프로세스의 정보화, 프로세스의 지속적인 실행, 성과관리의 중요성을 전략적 차원에서 제시한다. 이어서, 정보화 활용 우수 사례로 "(주)조선선재"와 "(주)진양오일씰"에서는 자사의 정보화 추진과정에 대해 발표를 한다. 세미나 참가비는 무료이며, 온라인 사전등록은 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통해 실시중이고 행사당일 현장등록도 가능하다. * 본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책연구부 국제협력팀 (02-3787-0431~3) 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5690","regDate":"2005-12-13 12:12:00"},{"contentId":"243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블랜디드교육을 적용한 쿠폰제경영 컨설턴트 심화과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8","contentsKor":"  2005년 11월 10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디지털경영센터장 주석정, 연구원 이찬형 02-3787-0462/F 02-3787-0480   블랜디드교육을 적용한 쿠폰제경영 컨설턴트  심화광정 온·오프 통합형 교육과정으로 교육효과성 제고에  역점 “비즈니스 프로세스혁신 사례분석과정” 개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양해진)은 중소기업청(청장:김성진)이 주관하는 『‘05년 컨설턴트 분야별 전문 심화 교육』사업의 주관기관으로 ’05.11월~12월(2개월)동안 “비즈니스 프로세스혁신 사례분석과정”을 서울, 부산, 대전에서 총 4회 개설한다고 밝혔다. 쿠폰제경영컨설팅사업 주관기관인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기존 활동중인 컨설턴트의 역량강화를 위해 중소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비즈니스 프로세스개선 방법론 및 혁신사례를 교육내용으로 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혁신 사례분석과정” 을 11월 14일(월)부터 개설한다. 본 과정의 특징은 일방적인 주입식교육의 단점을 보완하고, 교육참가자의 자발적인 교육참여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교육과 집합교육이 통합된 블랜디드 교육과정이다. 온라인교육(20시간)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혁신 방법론 및 기법을 체계적으로 학습한 이후, 집합교육(16시간)으로 사례분석 및 워크샵 활동으로 선진방법론 및 기법의 활용능력을 배양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지방소재 컨설턴트의 교육기회를 확대하고, 컨설팅업계 현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온·오프라인 통합교육과정을 시도한 점에서 수요자중심적인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쿠폰제컨설팅사업의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교육체계 수립의 획기적인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과정은 중기청에서 시행하는 “쿠폰제경영컨설팅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컨설턴트 및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한 심화과정으로, 과정 수료자는 향후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컨설팅산업발전관련 법·제도 개정과 연계하여 교육이수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고, ’06년 쿠폰제경영컨설팅사업 참여요건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중기청 발표, 10월 28일) 과정내용도 종전에 컨설턴트협회 등에서 실시하던 이론강의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탈피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혁신 분야의 선진컨설팅방법론 및 기법 강의와 정부의 중소기업컨설팅지원사업 수행과정에서 축적된 실제사례의 분석 및 워크샵으로 구성된 전문 컨설턴트 역량강화 교육과정이다. 수강신청은 11월 14일(월)까지이며, 온라인교육기간(11.14일~30일)동안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디지털경영센터 교육사이트(www.edukimi.com)를 통해 온라인학습을 하게 되며, 12월2일부터 총 4회에 걸쳐 집합교육(2일)을 실시한다. *교육과정 참가신청 및 문의는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02-3787-0461~4) 및   디지털경영센터 홈페이지(www.edukimi.com)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5","atchfileNm":"보도자료(컨설턴트교육).hwp","viewCnt":"6112","regDate":"2005-11-11 12:11:00"},{"contentId":"243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39","contentsKor":"  2005년 11월 9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홍보팀  팀장  김기호, 연구원  김준숙  02-3787-0492  /  F 02-784-0509   제2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11월 10일 (목) 07:00부터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 하모니볼룸Ⅲ(삼성동      소재)에서 제2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함  □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도구로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CEO, IT기업대표, 관       련 전문가 및 정부·유관기관 관계자들의 정보교류 및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함  □ 금회(제2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최홍건 위원장의        주제발표로 진행됨   - 「2만불 시대를 향한 중소기업 정책과제」에 대한 주제발표로 중소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최근 동향, 중소기업 정책방향 및 과제       에 대해 논의할 예정임   -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 문의는 기획조정부 홍보팀(02-        3787-0492) 및 중소기업정보화포럼 홈페이지(http://forum.kimi.or.kr) 참조  (연락처 : 기획조정부 홍보팀 김준숙 연구원 02-3787-049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6","atchfileNm":"보도자료(20회포럼).hwp","viewCnt":"5713","regDate":"2005-11-08 12:11:00"},{"contentId":"244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혁신형 중소기업 따라잡기」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0","contentsKor":"  2005년 11월 2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조사연구팀 팀장 김문선  연구원 이정은 02-3787-0443 / F 02-784-0509 「혁신형 중소기업 따라잡기」세미나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11월 3일(목) 14~17시까지 사학연      금재단(여의도 소재) 2층 세미나실에서 「혁신형 중소기업 따라잡기」세미     나 개최함  ○ 이번 세미나에는 중소기업과 IT기업 대표 및 임직원, 학계 인사,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임 □ 이번 세미나는 “혁신형 중소기업 따라잡기”라는 주제로 열리며, 중소기업     의  갈수록 심화되는 대내외 경영환경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이를 통해 재     도약할 수 있는 기회와 계기를 마련하고자 추진함 □ 주제발표는 중소기업청의 김성섭 팀장(혁신형기업육성팀)의 “혁신형 중소기     업이란?”의 발표를 시작으로 해서,    ○ 정대영 대표(㈜인텔릭), 김진화 교수(서강대), 김영춘 팀장(한국관세무        역연구원) 순으로 진행될 예정임 □ 지난 5월부터 10월말까지 진행된 “중소기업의 변화와 혁신 그리고 재도약 :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가는 길”이라는 연구 프로젝트의 결과를 발표하게 되는 이     번 세미나는, 중소기업의 만성적인 문제로 꼽히는 인력ㆍ판로ㆍ수출문제를     정보화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보고, 아울러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 세미나 참가 및 사전등록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http://www.kimi.or.kr) 및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3)으로 문의바람.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이정은 연구원 , 02-3787-0443)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7","atchfileNm":"보도자료(혁신세미나).hwp","viewCnt":"5981","regDate":"2005-11-03 12:11:00"},{"contentId":"244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대전·충남지역간담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1","contentsKor":"  2005년 10월 20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문의: 생산혁신팀 최진석 팀장, 박완기 연구원 02-3787-0481/F 02-3787-0480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대전·충남지역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청(廳長 金成珍)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院長 梁海鎭)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화 지원정책 발굴을 위해 「2005년도 제5차 대전·충남지역간담회」를 2005년 10월 20일(목) 14시부터 충청남도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회의실에서 개최함.   · 동 간담회에서는 지역경제 및 중소기업의 업종별 특성, 경영환경, 정보화 수준 등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며, 지역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과 문제점, 향후 개선방안 등에 대한 논의와 함께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가 있을 예정임. □ 이번 간담회는 수요자인 중소기업과 공급자인 IT기업, 관련분야 학계 교수 등이 질의 및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애로사항을 수렴하고자 마련한 자리로,  · 간담회 순서는 대전·충남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정보화지원현황 및 추진과제 발표, 정보화 구축사례 발표[풀무원스프라우트(주)],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 토의 및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됨.  · 아울러 중소기업청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을 통하여 지원하고 있는 각 사업(정보화종합컨설팅, 생산설비정보화, 정보화혁신전문기업 등)에 대한 소개가 있을 예정임. 붙임 : 지역간담회 진행(안)  ","viewCnt":"5114","regDate":"2005-10-19 12:10:00"},{"contentId":"244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9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2","contentsKor":"  2005년 10월 13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홍보팀  팀장  김기호, 연구원  김준숙  02-3787-0492  /  F 02-784-0509   제19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10월 14일 (금) 15:30부터 광주 신양파크호텔 그랜드볼룸 에서 제19회 중소      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함  □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도구로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CEO, IT기업대표, 관      련전문가 및 정부·유관기관 관계자들의 정보교류 및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함  □ 금회(제19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산업자원부 허범도 차관보의 주제발표로 진행됨   - 「글로벌경제와 CEO의 자세」에 대한 주제발표로 글로벌경제시대에 기업이 넘어야 할 3山을 제시하고 글로벌 환경에서 CEO의 자세와 중소기업 미래에 대해 논의할 예정임   -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 가입   문의는    기획조정부    홍보팀    (    0    2      -   3    7  8  7   -    0   4    9   2    )                            및    중소기업정보화포럼     홈 페이지   (   h    t    t     p     :/   /   f    o     r   u   m   . k      i i .   m     i .      o    r  .   k     r )  (연락처 : 기획조정부 홍보팀 김준숙 연구원 02-3787-049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8","atchfileNm":"보도자료(19회포럼).hwp","viewCnt":"4748","regDate":"2005-10-12 12:10:00"},{"contentId":"244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불법 기술유출 방지 솔루션 구축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3","contentsKor":" 제목 없음     2005년 10월 5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기술혁신팀 팀장 전대성  선임연구원 이영규 02-3787-0512 / F 02-784-0509 불법 기술유출 방지 솔루션 구축 지원 (주)텔레칩스 등 20업체에 보안 시스템 및 설비 구축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우수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주)텔레칩스 등 20개 업체를 선정하여 중소기업의 불법 기술유출 방지솔루션 구축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중기청은 기술 우수기업의 기술유출 방지를 위해 지난 4월부터 INNO-BIZ기업, 벤처기업 등의 첨단 및 우수기술을 보유한 3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유출 취약점 등 정밀진단을 실시하였다. 정밀 진단결과 기술의 중요성, 사업추진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텔레칩스 등 20개 중소기업을 선정, 침입차단, PC보안, 서버보안 등의 시스템과 출입통제, 영상녹화 장비 등의 보안설비 구축비용을 지원하기로 했다.   *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방지 솔루션구축사업의 지원범위는 소요비용의 75%까지이며 정밀진단은 300만원, 솔루션구축은 1,200만원까지 지원 또한 중소기업이 산업보안에 대한 인식제고를 통해 스스로 기술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산업보안 교육 및 세미나, 기술유출 실태조사 및 사례집 발간 등 중소기업의 불법 기술유출 방지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정원에 따르면 기술유출 경로는 전직직원, 현직직원, 외부 전문가 등의 순으로 유출하는 것으로 나타남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29","atchfileNm":"보도자료(불법기술).hwp","viewCnt":"5282","regDate":"2005-10-06 12:10:00"},{"contentId":"244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경기지역간담회」개최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4","contentsKor":"  2005년 10월 4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생산혁신팀장 최진석 연구원 박완기 02-3787-0481/ F 02-3787-0480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경기지역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2 0 0 5 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경기지역간담회」를 2005. 10. 5(수) 13:30~15:00, 경기지방중소기업청 회의실에서 개최함   ㅇ 동 간담회에서는 지역경제 및 중소기업의 업종 및 특성, 경영환경과 정보화 수준 등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고, 정부의 정보화 정책을 소개하며, 지역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과 문제점 및 향후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함 □ 이번 간담회는 수요자인 중소기업과 공급자인 IT기업, 관련분야 학계 교수 등 관계자들간의 쌍방향 질의 및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애로사항을 수렴하여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함에 있어 성과를 거두고자 마련한 자리로,  ㅇ 간담회 회의 순서는 경기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정보화지원현황 및 추진과제 발표, 정보화구축사례발표[한국수출포장공업(주), 태하메카트로닉스(주)],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 후 토의 및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됨  ㅇ 아울러 정보화경영원이 추진하는 정보화종합컨설팅사업, 생산정보화사업,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등 사업별 지원규모 및 자격요건·신청방법과 추진절차 등 2005년 정보화지원사업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소개할 예정임 □ 특히 동 간담회를 마친 후, ‘03년도 생산정보화사업 참여업체인 (주)세닉스디지컴을 방문하여 정보시스템 구축 성과에 대해 확인할 예정임  ㅇ (주)세닉스디지컴은 생산정보화사업을 통해 적기에 양품  원자재 조달로 품질 경쟁력 향상 및 단 납기 대응, 30% 이상의 재고 회전율 강화 및 부실 재고 방지, 60% 이상의 1인당 매출액 증가의 효과를 가져옴 붙임 : 지역간담회 진행(안)    ","viewCnt":"5085","regDate":"2005-10-04 12:10:00"},{"contentId":"244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e-Manufacturing 구축 우수기업 선정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5","contentsKor":" 제목 없음   2005년 10월 4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Tel.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생산혁신팀장 최진석 연구원 박완기 02-3787-0481/ F 02-3787-0480   e-Manufacturing 구축 우수기업 선정 중기청, 생산설비정보화사업 지원성과 우수기업 선정 중소기업청(廳長 金成珍)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院長 梁海鎭)은 생산설비정보화(e-Manufacturing)사업 참여 중소기업 중 지원성과가 우수한 (주)조일공업 등 5개사를 선정하였다. e-Manufacturing은 생산현장의 정보(설비상태, 공정의 부하상태 등)를 실시간으로 집계·분석하고 생산공정을 제어하여 작업자 및 경영자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설비의 가동률 향상에 따른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번 선정된 (주)조일공업 등 5개사는 현장의 생산관련 데이터 도입시간이 평균 84.1% 단축되고, 제조 소요시간, 제품출고시기 등의 정확성이 45.8% 향상, 제품(원부자재) 재고율 38.7% 감소되는 등의 성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우수기업의 생산현장을 생산정보화 성공사례 견학의 장으로 활용하고, 성공사례발표회 및 우수사례집발간 등을 통하여 우수사례 중소기업의 홍보와 함께 생산정보화 모델을 보급·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 e-Manufacturing 우수기업의 시스템 도입효과 > 우수기업명 업종 주생산품 도입시스템 도입효과 조일공업(주) 자동차 부품 (금속) 자동차용 브라켓류 POP - 데이터도입시간 95.8% 감소 - 원자재재고 46.8% 감소 - 공정품불량 51.5% 감소 (주)아이앤피 출판인쇄 상업인쇄물 POP - 데이터도입시간 86.6% 감소 - 서류작업시간 80.0% 감소 - 고객납기시간 33.3% 개선 (주)한국수출포장 제지 (판지) 골판지원단, 골판지상자 생산스케쥴링 시스템 - 예측정확도 70% 향상 - 고객납기시간 53.3% 개선 (주)아성정공 자동차 부품 (기계) 금형 및 부품 플라스틱사출금형 POP/MES - 데이터도입시간 84% 감소 - 기계부하 25% 감소 - 제조소요시간 50% 감소 (주)풀무원스프라우트 식품 콩나물, 숙주나물 POP/MES -데이터도입시간 54% 감소 -서류작업시간 66.7% 감소     ","viewCnt":"5530","regDate":"2005-09-21 12:09:00"},{"contentId":"244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6","contentsKor":" 2005년 9월 16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조사연구팀 팀장 김문선  연구원 박성준 02-3787-0442/ F 02-784-0509 2005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실시 지역별 중소제조업 인력실태에 대한 실지조사 실시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9월 20일(화)부터 10월 21일(금)까지 1개월간 2005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를 각 시/군/구 중소기업 지원 담당 공무원들의 협조를 받아 실시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는 중소기업의 인력수급 및 부족인력 현황, 교육, 훈련현황, 외국인 근로자 관련 사항 등 전반적인 중소기업 인력현황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통해 중소기업 인력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인력지원특별법 제7조에 근거하여 실시하는 조사이다.  2005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는 중소기업 일반현황, 인력현황 및 인력수급대책, 인력활용 현황, 정책 이슈 현황(외국인 근로자, 주5일근무제 등) 및 정부 인력정책 활용,효과 등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된 조사지를 통하여 중소제조업체 10,0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는 1개월간(‘05. 9. 20 ~ 10. 21)의 중소기업 인력현황에 대한 현장조사결과를 11월 한달동안 통계처리와 분석작업을 통하여 2005 중소기업 인력실태조사 결과를 도출하게 되며, 올해 12월 조사결과를 공표할 예정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0","atchfileNm":"중소기업인력실태조사보도자료(20050914).hwp","viewCnt":"4975","regDate":"2005-09-15 12:09:00"},{"contentId":"244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혁신역량강화교육 과정 개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7","contentsKor":"   2005년 9월9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Tel. 02-3787-0400 ㅣ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디지털경영센터장 주석정  연구원 이찬형 02-3787-0462 / F 02-784-0509          중소기업 혁신역량강화 교육과정 개설   기술혁신 및 신사업추진을 위한 성과지향형 교육과정에 역점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 재직자의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연말까지 30개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디지털경영센터에서는 ’05.9월~12월까지 4개월 동안 직급별기초 2과정, 업무별혁신역량강화 7과정, 전문가양성 1과정 총 10개 전문과정을 개설하며, 집합교육(5과정) 및 온라인교육(5과정)형태로 운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아울러 중소기업 재직자의 IT능력 향상을 위한 20개 기초과정을 온라인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직급별기초과정으로는 중소기업 CEO 및 임원들의 디지털마인드 제고를 위한 『최고경영자디지털리더쉽』, 중소기업 중간관리자의 조직관리 및 사업추진능력을 배양하기 위한『중소기업 혁신형 중간관리자 양성』과정을 운영하며, 본 과정을 통해 최고경영자 및 중간관리자의 역량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업무별혁신역량강화과정으로는 신사업 발굴 및 추진을 위한 전략, 방법론, 실무기법들을 교육하는 『신사업모델개발워크샵』, 『신규사업기획전문가』,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e러닝 도입 및 운영 전략을 교육하는 『중소기업e러닝운영자』과정 등을 개설하여 다양한 중소기업의 교육수요를 충족할 계획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전략과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중소기업기술혁신추진』, 중소기업의 업무프로세스 혁신을 통한 성공전략과 사례를 제공하는 『성과지향BPR실천』, 기타 『경영효율화를 위한 컨설팅 활용과 방법』, 『사례로 풀어보는 조세지원제도』 과정은 금번에 신규로 개설되는 교육과정으로, 본 과정들을 통해 급변하는 경영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혁신역량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부정보화지원사업에 투입되는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IMS심사원양성』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디지털경영센터는 대기업에 비해 체계적인 교육기회가 적은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 직급별 기초과정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술혁신 및 신사업추진 등의 성과지향형 교육과정에 역점을 두고 경영, 기획, 기술, 마케팅 분야에 걸쳐 다양한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디지털경영센터 교육과정 참가신청 및 문의는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 (02-3787-0461~4) 및 디지털경영센터 홈페이지(http://www.edukimi.com)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1","atchfileNm":"보도자료(DMC).hwp","viewCnt":"4960","regDate":"2005-09-08 12:09:00"},{"contentId":"244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위한 정보화 추진전략 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8","contentsKor":"   2005년 9월 1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Tel. 02-3787-0400 ㅣ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국제협력팀 팀장 장인성  연구원 곽후근 02-3787-0432 / F 02-784-0509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위한 정보화 추진전략 세미나 개최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이 주최하고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이 주관하는「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를 2005년 8월 30일(화) 대구 EXCO에서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중소기업들의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혁신하기 위해 필요한 CAD, CAM, CAE, PDM 등 정보시스템의 활용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이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 종사자 등 약 200여명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루었다.   특히,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기술혁신형중소기업 19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여 제품개발 정보화 추진 상의 문제점과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 분석결과 중소제조업의 제품개발 정보화는 3D CAD 채택이 대기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등 매우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품개발 정보화를 전사적인 차원에서의 제품수명주기관리로서 인식하도록 하는 정보화 마인드 확산과,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힘든 공학 해석 등에 대한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및 제품개발 정보화 솔루션 임대서비스 등 제품개발 정보화의 저변 확대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북대학교 문석환 교수는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경영 추진전략」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정보화를 통한 기술혁신전략을 중소기업 기술혁신 실태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어서, 대구지역의 제품개발 정보화 우수중소기업인 (주)모토닉에서는 CAE, PDM 등 정보화를 통한 제품개발 프로세스 혁신사례를 발표하였다.   본 세미나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책연구부 국제협력팀(☎02-3787-0432)으로 문의하면 됩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2","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_050831).hwp","viewCnt":"5435","regDate":"2005-08-31 12:08:00"},{"contentId":"244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 APEC 중소기업정보화 포럼 폐막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49","contentsKor":"  2005년 8월 29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정책연구부 팀장 장인성  연구원 김종윤 02-3787-0431 / F 02-784-0509   2005 APEC 중소기업정보화 포럼 폐막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혁신강화를 위한 APEC 차원의 공동 방안 마련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주관으로 8월 27일(토) 대구에서 개최된 '2005 APEC 중소기업 정보화 포럼'에서는 APEC 회원국 대표들과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혁신강화를 위한 권고문을 채택하고 폐막하였다. 개회식 기조연설에서 배순훈 카이스트 교수는 APEC 회원국의 중소기업들이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부차적인 역량은 아웃소싱을 하고 핵심역량 구축에 주력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본 회의에서는 한양대학교 이 욱 교수는 정보기술(ICT)을 통한 기업경영 혁신의 베스트 프랙티스 사례조사 및 적절한 정부지원정책 도출에 대해 발표하였고 필립 쟝 유럽연합(EU) 기업산업총국 국제과장은 정보기술 도입과 전문적 기술의 향후 개발에 있어서 정부와 중소기업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루어가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안건회의에서는 회원국 정보화 촉진을 위해 “APEC 중소기업 혁신센터” 설립 추진이 매우 중요하며 혁신센터에서는 정보화 글로벌 연구개발 틀 디자인과 아태 지역 정보인력 교류 활성화에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의 권고문을 채택하여 APEC 중소기업실무회의(SME WG)에 보고한다고 밝혔다.  금번 포럼은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혁신강화를 위해 정책당국, 중소기업, 연구개발기관, 지역사회 간 정보화 중요성 인식 수준 격차의 해소에 기여하였다. ","viewCnt":"5184","regDate":"2005-08-27 12:08:00"},{"contentId":"245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 APEC 중소기업정보화 포럼 개최-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APEC 차원의 공동 방안 모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0","contentsKor":"  2005년 8월 22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 www.kimi.or.kr ■ 문의 : 국제협력팀 팀장 장인성  연구원 김종윤 02-3787-0431 / F 02-784-0509 2005 APEC 중소기업정보화 포럼 개최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APEC 차원의 공동 방안 모색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원장: 양해진)은 ‘2005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기간인 8월 27(토)일에 대구 호텔 인터불고 카멜리아 홀에서 APEC 역내 중소기업들의 정보화 촉진을 위한 공동 협력 방안을 모색코자 ‘2005 APEC 중소기업 정보화 포럼’을 개최한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APEC 중소기업 정보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03년에 21개 회원국에 대한 중소기업정보화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4년에 16개 회원국이 참여한 정책포럼과 11개 회원국이 참여한 교육·훈련 워크샵을 연속적으로 성공리에 실시한바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본 포럼에서는 APEC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협력을 구체화하고 회원국 중소기업 정보화를 본격적으로 촉진하는 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중소기업 정보화 포럼은 개회식, 본회의 및 안건회의로 구성되어 진행하며 개회식에서는 배순훈 전 정보통신부 장관이 ‘세계 시장에서의 중소기업 네트워크 전략’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다. 본 회의에서는 APEC 역내 중소기업의 경영혁신을 위한 정보화 촉진전략, 정보화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훈련정책, EU에서의 중소기업정보화 추진 전략 및 동향 등에 대하여 발표한다. 또한 안건회의에서는 ‘2005 APEC 중소기업장관회의’에 제출할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정책 권고안을 APEC 회원국 대표들과 논의하여 권고문으로 작성한다. 이번 APEC 중소기업 정보화 포럼 개최를 통해 지난 2년간 한국의 주도적인 노력으로 형성된 ‘APEC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 커뮤니티’를 계승˙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 될 것이다. 행사 참가비는 무료이며, 온라인 사전등록이 APEC 홈페이지(www.apec-esme.or.kr)를 통해 실시중이고 행사당일 현장등록도 가능하다. * 본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정책연구부 국제협력팀 (02-3787-0431~3) 으로 문의하면 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3","atchfileNm":"APEC포럼보도자료.hwp","viewCnt":"6121","regDate":"2005-08-19 12:08:00"},{"contentId":"245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을 위한 정보화환경 개선 시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1","contentsKor":"   2005년 8월 23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문의 : 정책연구부 팀장 장인성  연구원 곽후근 02-3787-0432 / F 02-784-0509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을 위한 정보화환경 개선 시급 -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 분석결과 발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 전략연구」를 실시하여, 주요 조사연구 결과를 오는 8월 30(화)일 오후 2시에 대구 EXCO에서 개최되는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에서 발표한다.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 전략연구」는 중소제조업의 제품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인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을 위한 정보화 추진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제품개발 정보화 성숙도 모형을 개발하여, 기술혁신형중소기업 197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 분석결과 중소제조업의 제품개발 정보화는 매우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중소기업의 3D CAD 채택이 대기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등 제품개발 정보화 환경이 열악하여 완벽한 제품정의 및 후속공정과의 원활한 연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둘째로, 표준부품체계를 구축하지 않은 중소기업 비율이 대기업의 6배에 달하여, 신규사양 부품 추가 개발에 따른 원가상승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로, 종이도면에 승인하여 수작업으로 배포하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2배에 달하여 비효율적 업무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설계이력관리의 정보시스템 활용이 대기업과 외국계기업은 80% 수준인데 반해 중소기업은 절반 수준에 불과하여, 생산오류 발생으로 인한 납기 지연, 불용재고 발생 등의 경제적 손실이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품개발 정보화의 질적 수준 제고와 효율적 공동협력체계 구축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제품개발 정보화를 전사적인 차원에서의 제품수명주기관리로서 인식하도록 하는 정보화 마인드 확산과, 불법기술유출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힘든 공학 해석 등에 대한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제품개발 정보화 솔루션 임대서비스 등 제품개발 정보화의 저변 확대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개최를 통해 주요 연구조사결과에 대한 업계 및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 전략 및 정부정책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첨부자료 1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4","atchfileNm":"보도자료(중소기업제품개발프로세스혁신전략연구_050812).hwp","viewCnt":"5522","regDate":"2005-08-19 12:08:00"},{"contentId":"245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업- 온라인 업무 시스템 시연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2","contentsKor":"    2005년 8월 11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구조개선팀 팀장 전우소, 연구원 이재형  02-3787-0547/F 02-3787-0480 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업 “온라인 업무시스템 시연회”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도 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업의 지원절차 및 행정처리를 위한 온라인 업무시스템 시연회를 8월 10일 개최하였다. 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업은 쿠폰 지원방식으로 저가에 “경영컨설팅 쿠폰”을 구매한 중소기업에게 보다 많은 선택권 부여를 위한 수요자 중심 맞춤형 컨설팅 추진을 위해 온라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신청? 접수 ? 쿠폰발행부터 완료보고까지 모든 절차를 온라인에서 처리하여 수요자인 중소기업의 시간절약 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주요 개발내용은 업무처리 전과정의 전자문서화, 중소기업의 컨설턴트 선택을 위한 DB구축, 중소기업의 사업 신청?접수?선정?계약, 컨설팅 쿠폰 구입 및 사용 등의 중소기업 업무처리 기능이 있으며, 평가점검단의 선정평가, 중간점검, 완료점검 기능과 주관기관의 컨설턴트 활동상황 조회(수행일지, 중복투입 점검 등), 컨설팅 쿠폰의 발행 및 잔액정산, 컨설팅 결과물 D/B 저장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세액공제증명서 발행 및 각종 통계데이터를 제공하는 등 지원사업 전반의 업무 프로세스를 웹사이트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특히, 중소기업과 컨설팅사의 담합이나 불공정 행위, 사업관리과정의 부실화 등을 예방하여 지원사업의 내실화와 투명한 운영에 중점을 두고 개발하여 지원신청기업의 컨설팅 필요성, 컨설팅 수용능력 등 지원신청의 실제성 확인을 위해 독립된 평가점검단을 구성?운영하여 선정과정의 투명성을 제고한 동시에, 선정평가결과를 웹사이트에서 주관기관, 중소기업청, 평가점검단이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시적인 상호 감독과 견제가 가능케 하였다. 불공정 행위 적발시의 제재사항 등을 홍보하고 점검활동에 대한 안내를 통해 자율적인 불공정 행위 근절을 유도하는 한편, 컨설턴트의 실제 투입 및 활동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불시에 현장을 방문하는 중간점검과 더불어 수행일지의 수시 조회와 컨설턴트 중복투입 현황 검색을 통해 중소기업과 컨설팅사의 담합 등에 의한 부실 컨설팅의 예방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온라인 업무시스템을 통해 효율적 사업관리체계 구축하여 중소기업의 신청내용의 처리상태, 컨설팅사의 컨설팅 진행현황 등 사업에 참여한 각 주체의 사업수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조회하고 정보의 공유를 통한 신속한 업무대응이 가능하며 온라인 업무처리로 대부분의 문서를 전자문서화하여 문서발생을 최소화하고, 서류의 제출 등으로 인한 시간적 낭비요인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지원사업 참여 중소기업 및 컨설팅사, 컨설팅 결과 등 사업수행과정에서 발생한 정보의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컨설팅사 및 컨설턴트 등급화의 기초자료 제공 및 평가등급 등의 정보제공으로 중소기업의 의사결정 지원토록 하였다. 향후, 컨설팅 표준화, 자가진단시스템 개발 등 연구용역 결과를 반영한 추가 개발과 전자문서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지적재산권 관리(DRM) 도입, 안정적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전담 운영인력 배치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5","atchfileNm":"보도자료-쿠폰제컨설팅.hwp","viewCnt":"5489","regDate":"2005-08-11 12:08:00"},{"contentId":"245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3","contentsKor":"  2005년 7월 27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조사연구팀 팀장 김문선  연구원 황순환 02-3787-0442 /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 실시 4,000여개사를 대상으로 8월 중 한달간 일제실시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정보화지원정책의 수립과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정보화추진방향 제시를 위한 정책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2005년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7월 27일부터 약 한 달여 동안 전국의 4,000여개 중소기업/대기업/외국계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되는데, 조사방법은 직접방문을 통한 off-line 조사와 on-line으로 동시에 진행되며 제조업 포함 5개 산업(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운수업, 정보통신산업)에 대해 실시한다. 금번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정보화 전략수립, 추진환경, 구축현황 및 활용효과 등의 4개 분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조사에 참여한 모든 기업에게는 자사의 정보화수준 진단결과와 정부지원사업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e-Report’로 제공하여 향후 정보화 추진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발적으로 자사의 정보화 수준을 진단받고자 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정보화수준평가시스템’(http://infolevel.kimi.or.kr)을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2005년도 중소기업 정보화수준 평가 개요 > 조사기간 : 2005. 7.27 ~ 8.31 조사대상(제조/건설/도소매업/운수/정보통신 등) : 4,000개사       - 종업원수 5인 이상 중소기업 : 3,500개사       - 대기업 300개사와 주한 외국계기업 200개사   조사방법 : 개별업체 방문을 통한 면대면 면접조사       * 자발적 참여기업은 on-line 설문조사 참여 가능 조사기관 : 국제통계연구소 ※ 문의처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책연구부(02-3787-0441~3) ","viewCnt":"6348","regDate":"2005-07-26 12:07:00"},{"contentId":"245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에 대한 정보화 아웃소싱 서비스 보급(보도자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4","contentsKor":" 2005년 7월 20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www.kimi.or.kr ■ 문의 : 기술혁신팀 팀장 전대성 연구원 하병윤 02-3787-0546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화 아웃소싱 서비스 보급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의 구조적 정보화 저해요인 해소를 위한 「중소기업 정보화 아웃소싱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개발한 ‘정보화 아웃소싱 프레임웍’을 중소기업에 현장적용하기 위해 7월 18일부터 8월 5일까지 3주간 약 6개 내외 지원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다.  정보화 아웃소싱 추진 지원기업에 대해서는 소요비용의 최고 60%까지 18백만원 한도에서 지원할 예정이며, 지원 대상 기업은 8월 중에 전문기관 및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간의 3자 협약체결후 사업을 개시할 예정이다.   국내 중소기업은 정보화 활용능력의 부족, 전문인력 확보 의 어려움,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정보화 추진 에 커다란 애로를 겪고 있으며, 정부의 지원사업 참여 이후에도 동일한 이유로 사후관리 미비, 공급자(IT업체)의 전문인력 이직 및 도산 등으로 인해 도입된 시스템의 운용이 중단되거나 정보화 투자에 대한 효율성 및 도입 시스템에 대한 활용율이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정보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화 아웃소싱 서비스의 지원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는 중소기업 정보화 아웃소싱 시범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환경에 적합한 정보화 아웃소싱 서비스 지원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 및 신청기관은 오는 8월 5일 (금)까지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해 참여를 신청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6","atchfileNm":"아웃소싱보도자료(최종)20050719.hwp","viewCnt":"6091","regDate":"2005-07-19 12:07:00"},{"contentId":"245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8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5","contentsKor":"  2005년 7월 13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홍보팀 팀장 김기호  연구원 박성준 02-3787-0492 / F 02-784-0509 제18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청와대 차의환 혁신관리비서관 “정부혁신에 대한 이해와 접근” 강연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7월 14일(목) 07:00부터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제18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도구인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교류의 장으로 마련하고 있다.     올해(‘05년도)는 5회 이상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를 목표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금회(제18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청와대 정책실 차의환 혁신관리비서관의 『정부혁신에 대한 이해와 접근』에 대한 강연으로 진행되며 정부혁신의 필요성과 성공적 혁신을 위한 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그리고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 문의는 기획조정부 홍보팀 (02-3787-0492) 및 중소기업정보화포럼 홈페이지(http://forum.kimi.or.kr)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7","atchfileNm":"18회정보화포럼보도자료(최종).hwp","viewCnt":"5157","regDate":"2005-07-12 12:07:00"},{"contentId":"245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부산.울산 지역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6","contentsKor":"  2005년 7월 11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문의: 생산혁신팀장 최진석 02-3787-0481 / F 02-3787-0480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부산.울산지역간담회」 개최 □ 부산.울산지방중소기업청(청장 윤동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부산.울산지역간담회」를 2005. 7. 12(화) 13:30~15:00, 부산울산지방중소기업청 회의실 회의실에서 개최함   - 동 간담회에서는 지역경제 및 중소기업의 업종 및 특성, 경영환경과 정보화 수준 등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고, 정부의 정보화 정책을 소개하며, 지역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과 문제점 및 향후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함 □ 이번 간담회는 수요자인 중소기업과 공급자인 IT기업, 관련분야 학계 교수 등 관계자들간의 쌍방향 질의 및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애로사항을 수렴하여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함에 있어 성과를 거두고자 마련한 자리로, - 간담회 회의 순서는 부산울산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정보화지원현황 및 추진과제 발표,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 후 토의 및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됨 - 아울러 정보화경영원이 추진하는 정보화종합컨설팅사업, 생산정보화사업,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등 사업별 지원규모 및 자격요건/신청방법과 추진절차 등 2005년 정보화지원사업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소개할 예정임 □ 특히 동 간담회를 마친 후, ‘04년도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참여업체인 참손푸드(주)를 방문하여 정보시스템 구축 성과에 대해 확인할 예정임 - 참손푸드(주)는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을 통해 고객응답기간 35% 감소, 재고보유기간 55% 감소 등 내.외부 고객 서비스 개선 및 생산 정보의 적시성 제공의 효과를 가져옴 ","viewCnt":"5195","regDate":"2005-07-07 12:07:00"},{"contentId":"245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 정보화경영체제 의식혁신교육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7","contentsKor":"  2005년 6월 29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컨설팅사업팀 팀장 장건오  연구원 임형채 02-3787-0454 / 2005년 정보화경영체제 의식혁신교육 개최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의식혁신교육』을 6월 30일 ~ 7월 1일까지 1박2일 일정으로 충남 아산시 도고면에 있는 한국증권연수원에서 개최한다.     정보화경영체제 참여기업 최고경영자 및 실무책임자, 심사원, 컨설팅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정보화경영체제의 효과적인 구축을 위한 정보화경영체제 개념 및 규격 이해, 참여기업의 역할과 사업관리 방법론, 구축사례 등을 주제로 강연과 토론이 이루어진다.     정보화경영체제의 도입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추진의지와 실무자의 이해가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참여기업의 정보화경영체제 마인드 제고 및 추진역량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이번 의식혁신교육에는 정보화경영체제 참여기업 대표, 실무 책임자, 정보화경영체제 심사원, 컨설팅기관, 학계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의식혁신교육을 통해서 참여기업의 정보화경영체제 이해를 돕고 최고경영자 추진의지와 기업 실무담담자의 역할의 중요성을 상기시킴으로써 성공적인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한다.   ※ 정보화경영체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는  정보화에 의한 경영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업무처리절차와 방법을 표준화하여 이의 달성을 위해 전사적으로 활동하고 관리하는 체제이다. 즉, 중소기업의 경영방식을 정보화기반의 기업 경영체제로 전환시켜 경영혁신을 통해 경영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말한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8","atchfileNm":"보도자료_의식혁신교육.hwp","viewCnt":"5354","regDate":"2005-06-29 12:06:00"},{"contentId":"245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제2차 대구경북지역 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8","contentsKor":"      2005년 6월 22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서울특별시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생산혁신팀장 최진석 02-3787-0481 / F 02-3787-0480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대구경북지역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대구경북지역간담회」를 2005. 6. 23(목) 13:30~15:00, 대구경북지방중소기업청 회의실에서 개최함    - 동 간담회에서는 지역경제 및 중소기업의 업종 및 특성, 경영환경과 정보화 수준 등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고, 정부의 정보화 정책을 소개하며, 지역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과 문제점 및 향후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함 □ 이번 간담회는 수요자인 중소기업과 공급자인 IT기업, 관련분야 학계 교수 등 관계자들간의 쌍방향 질의 및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애로사항을 수렴하여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함에 있어 성과를 거두고자 마련한 자리로,      - 간담회 회의 순서는 대구경북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정보화지원현황 및 추진과제 발표,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 후 토의 및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됨     - 아울러 정보화경영원이 추진하는 정보화종합컨설팅사업, 생산정보화사업,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등 사업별 지원규모 및 자격요건, 신청방법과 추진절차 등 2005년 정보화지원사업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소개할 예정임 □ 특히 동 간담회를 마친 후, ‘02년도 및 ’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참여업체인 (주)진양오일씰을    방문하여 정보시스템 구축 성과에 대해 확인할 예정임      - (주)진양오일씰은 생산정보시스템 구축 이전과 비교하여 재공재고 25% 감소, 예측정확도 30% 증대 등 생산현장의 재공정보 파악 가능으로 적정 재고 확보가 가능함.   정량적 효과 정성적 효과 - 재공재고 감소 25% - 예측정확도 증대 30% - 데이터관리 시간감소 50% - 비가동 감소 10% - 불량률 감소 30% - 생산현장의 재공정보가 파악이 가능함으로    적정 재공재고 확보가 가능 - 포장 후 창고 입고시 수불의 신뢰도 향상 - 출하시 PDA 도입으로 인하여 응답속도    향상 - 불량률 30% 감소   도입전 : 0.46% ▶ 도입후 : 0.32% - 데이터관리 시간 50%감소   도입전 : 120분/일 ▶ 도입후 : 30분/일 - 서류작업시간 50%감소   도입전 : 120분 ▶ 도입후 : 30분/일 - 비가동시간 10%감소   도입전 : 3,786시간 ▶ 도입후 : 3,407시간 - 실시간 생산관리를 통한 정확한 생산/납품    예측 - 비가동 분석 및 생산성 분석을 통한 공정    합리화 작업 및 개선 - 자료 신뢰성 및 즉시성을 활용한 의사결정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39","atchfileNm":"2차지역간담회보도자료-0620(수정).hwp","viewCnt":"5426","regDate":"2005-06-20 12:06:00"},{"contentId":"245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7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59","contentsKor":" 2005년 6월 15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보도자료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 www.kimi.or.kr ■ 문의 : 홍보팀 팀장 김기호  연구원 박성준 02-3787-0492 / F 02-784-0509 제17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김성진 중소기업청장  “중소기업 정책방향” 강연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6월 16일 (목) 07:20부터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삼성동 소재) 하모니볼룸Ⅲ에서 제17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도구인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교류의 장으로 마련하고 있다.     올해(‘05년도)는 5회 이상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를 목표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금회(제17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청 김성진 청장의 『중소기업 정책방향』에 대한 강연으로 진행되며 글로벌경쟁시대 혁신형 중소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그리고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 문의는 기획조정부 홍보팀 (02-3787-0492) 및 중소기업정보화포럼 홈페이지(http://forum.kimi.or.kr) 참조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0","atchfileNm":"17회정보화포럼보도자료(최종).hwp","viewCnt":"5101","regDate":"2005-06-13 12:06:00"},{"contentId":"246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도「생산정보화지원사업」워크숍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0","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http//www.kimi.or.kr) 보 도자 료 담 당 과 정보화사업부 생산혁신팀 담 당 자 조기영 부  장 최진석 팀  장 전화번호 e-mail 02)3787-0481 (cjs@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5월 31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기청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2005년도「생산정보화지원사업」워크숍 개최 -e-Manufacturing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05년도 생산정보화 사업을 통해 지원받는 중소기업 및 IT업체 대표 250여명을 대상으로 『e-Manufacturing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워크숍을 개최할 예정임. - 본 워크숍은 생산정보화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실질적인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고 우수/실패 사례 등을 통해 ‘05년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도모하고자, - 2005. 6. 2(목) 13:30 ~ 17:30 경기지방중소기업청 대강당에서 개최하기로 함 □ 이날 워크숍은 중소기업청 정준석 차장의 격려사와 정보화사업 지원시책 설명을 시작으로 20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우수사례로 선정된 (주)일지테크, (주)풀무원제일생면의 성공사례, 실패사례분석을 통한 생산정보화 성공전략, 성공적 사업추진을 위한 IT업체의 역할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할 계획임. □ 특히 동 워크숍의 우수사례 발표에서는 (주)일지테크, (주)풀무원제일생면의 생산정보화를 통한 성공사례 및 구축 후 도입효과가 소개될 예정임. - (주)일지테크는 생산시점(POP: Point of Production)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e매뉴팩처링 업체로 거듭나게 되었으며, 비효율적으로 이뤄지던 생산설비의 가동상태와 고장 유무 등 24시간 가동되는 공장의 현황정보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됨.   - 데이터 도입 시간이 시스템 구축 전 180분에서 10분으로 무려 94%나 감소했으며 불량률과 재고율도 각각 50%, 2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주)풀무원제일생면은 국내 식료품 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생면 공정에 제조실행시스템(MES)과 생산시점(POP)관리 시스템을 도입, 생산 정보화를 선도해 나가고 있는 사례임.   - 그동안 수기로 이뤄지던 서류 작업 시간과 데이터 도입 시간은 시스템 구축 후 각각 66.7%, 54.2% 감소했으며 생산리드타임도 19.6%나 감소했고, 제품 포장 후 중량 선별 공정 시 중량에 대한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거뒀음. 【참고】생산정보화사업 워크숍 개최 세부내용 e-Manufacturing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 2005년 생산정보화사업 워크숍 개최 □ 추진목적 -중소기업 생산정보화 지원사업 향후 사업추진일정 설명 및 우수사례발표회 등을 통한 사업의 효율적 추진도모 □ 행사개요 - 주    최 : 중소기업청 - 주    관 : 경기지방중소기업청,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 후    원 : 생산정보화협의회 - 일    시 : 2005. 6. 2(목) 13:30 ~ 17:30 - 장    소 : 경기지방중기청 대강당(경기 수원 영통 소재) - 참석대상 : 200여명    - 지원대상 중소기업 CEO 또는 CIO 130여명, 사업참여 IT업체 대표 50여명, 외부감리인 20여명    - 중소기업청, 정보화경영원 정보화담당자 - 진행순서 시   간 내     용 비  고 13:30~13:50 (20분) 등록 및 안내 정보화경영원 13:50~13:55 (5분) 인사말씀 중소기업청 차장 13:55~14:10 (15분) 중소기업 정보화 사업 지원시책 기업정보화 과장 14:10~15:00 (50분) ‘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성공사례발표 중소기업대표 15:00~15:50 (50분) 실패사례 분석을 통한 생산정보화 성공 전략 지원.감리기관 15:50~16:00 (10분) 휴식   16:00~16:30 (30분) ’05년도 생산정보화사업 향후 추진일정 안내 정보화경영원 16:30~17:00 (30분) 성공적 사업추진을 위한 IT업체의 역할 생산정보화협의회장 17:00~17:30 (30분) 질의.응답 및 토의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1","atchfileNm":"생산정보화워크숍개최보도자료(050527).hwp","viewCnt":"5342","regDate":"2005-05-27 12:05:00"},{"contentId":"246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정책심포지엄 성황리에 끝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1","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경   영   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담 당 자 김문선   팀  장 박주현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44,5 (pjh927@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5월 20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 정책심포지엄 성황리에 끝나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5월 19일 (목) 14:00부터 17:00까지 제17차 중소기업 주간행사의 일환으로 정책심포지엄을 개최(중기협중앙회 중회의실)    -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 □ 이번 심포지엄은 『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선진 각국과 더불어 우리나라도 유비쿼터스 시대에 진입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이 향후 정보화 추진방향과 실행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각계의 폭넓은 의견수렴이 이뤄진 것으로 평가 □ 심포지엄은 본원 정책연구부 김문선 팀장과 서울대 산업공학 박종헌 교수의 주제발표에 이어 김은홍 교수(국민대), 이봉규 교수(연세대), 차석근 전무(ACS)의 패널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 □ 본원 김문선 팀장의 주제발표에서는 중소기업의 실태분석 결과, 상당수 중소기업(조사대상 503개업체중 57.0%인 287개사)이 향후 중소기업 경영환경에서 유비쿼터스가 영향력을 가질 것으로 전망   - 조사대상 중소기업의 42.7%가 유비쿼터스 도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공감하는 가운데, 도입의사를 피력    - 구체적인 도입 필요이유로는 ‘미래의 기업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가 55.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업무처리의 효율성’(23.2%)과 ‘생산성 향상 기대’(13.3%) 순으로 나타남.   - 또한 효과적 . 성공적으로 유비쿼터스를 기업경영에 도입,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재 구축, 활용중인 정보시스템과의 연계 통합 필요    - 현재 중소기업의 기 구축 정보시스템 활용도 수준은 매우 취약       .거의 활용하지 못하는 중소기업 비중 : 그룹웨어(36.6%), 전자상거래(37.6%), 생산공정(40.6%), ERP(48.1%), SCM(60.1%), CRM(57.3%) □ 심포지엄에서는 다음의 시사점 및 정책제언을 도출하는 성과를 거둠   - 대기업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중소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 추진 필요    - 현재 중소기업은 유비쿼터스에 대한 관심과 도입의지에 비해 아직 종합적인 이해와 추진력이 부족한 상황   -  정보에 취약한 중소기업을 위해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홍보정책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    - 유비쿼터스에 대한 인지도 제고 및 활용방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홍보 및 교육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요구됨.  - 유비쿼터스에 대한 관심을 중소기업 현장에서의 투자와 도입의지로 유도하기 위한 실천적 프로그램 필요    - 현재 유비쿼터스에 대한 중소기업의 관심과 태도는 긍정적인 수준으로, 이제는 이러한 관심과 태도를 직접적인 투자와 도입의지로 전환하기 위한 실천적 중소기업을 위한 action plan 개발이 필요   - 기존의 정보화정책과 연계, 통합된 개념으로 유비쿼터스 정책 제안     - 그동안 정부가 의욕적으로 주도, 상당부분 그 가시적 성과를 이루었던 정보화정책과 연계선상에서 그리고 이를 통합하는 종합적 관점에서 유비쿼터스 정책을 개발하고 제안하는 것이 필요함.     - 기도입 구축된 정보시스템의 활용과 활용능력에 보다 충실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유비쿼터스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함   -  급변하는 IT기술에 대한 이해와 도입 . 활용이 용이하도록 정부차원의 유비쿼터스 KMS시스템 구축 필요     - 정부차원의 유비쿼터스 KMS시스템을 구축하여 정보(지식)와 세계적 추세(흐름, trend)에 어두운 중소기업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 실천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함. □ 심포지엄에서는 새로운 정보통신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 시대에 중소기업의 발빠른 대응과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는데 공감하고 중소기업 중심의 유비쿼터스 정책을 요청하는 등 다양한 의견수렴이 이뤄짐 □ 위와 관련된 문의는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3787-0444~5)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2","atchfileNm":"보도자료(정책심포지엄)20050518.hwp","viewCnt":"5428","regDate":"2005-05-19 12:05:00"},{"contentId":"246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 정책심포지엄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2","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경  영  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담 당 자 김문선 팀  장 박주현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44~5 (pjh927@kimi.or.kr) 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 정책심포지엄 개최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5월 19일 (목) 14:00부터 17:00까지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여의도 소재) 2층 중회의실에서 제17차 중소기업 주간행사의 하나로 정책심포지엄을 개최 □이번 심포지엄은 『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소기업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선진 각국과 더불어 우리나라도 유비쿼터스 시대에 진입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이 향후 정보화 추진방향과 실행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주제발표와 패널토론 등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 □심포지엄은 본원 정책연구부 김문선 팀장과 서울대 박종헌 교수의 주제발표에 이어 김은홍 교수(국민대), 이봉규 교수(연세대), 차석근 전무(ACS)의 패널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   -주제발표에서 유비쿼터스 시대 중소기업의 실태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등 대응과 혁신을 위한 전략을 제시할 예정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 □심포지엄 참가 및 사전등록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http://www.kimi.or.kr) 및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4~5) 으로 문의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박주현 연구원 02-3787-0444~5)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3","atchfileNm":"보도자료-정책심포지엄.hwp","viewCnt":"6106","regDate":"2005-05-10 12:05:00"},{"contentId":"246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5년 제1차 광주전남지역간담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3","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http//www.kimi.or.kr) 보 도자 료 담 당 과 정보화사업부 생산혁신팀 담 당 자 조기영 부  장 최진석 팀  장 전화번호 e-mail 02)3787-0481 (cjs@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4월  27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광주.전남지역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2005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광주.전남지역간담회」를 2005. 4. 28(목) 13:30~15:00,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 회의실에서 개최함   - 동 간담회에서는 지역경제 및 중소기업의 업종 및 특성, 경영환경과 정보화 수준 등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고, 정부의 정보화 정책을 소개하며, 지역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과 문제점 및 향후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함 □ 이번 간담회는 수요자인 중소기업과 공급자인 IT기업, 관련분야 학계 교수 등 관계자들간의 쌍방향 질의 및 토론을 통해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애로사항을 수렴하여 정보화 지원정책을 발굴함에 있어 성과를 거두고자 마련한 자리로, - 간담회 회의 순서는 광주?전남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정보화지원현황 및 추진과제 발표, 정부의 정보화 정책 소개 후 토의 및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됨 ㅇ 아울러 정보화경영원이 추진하는 정보화종합컨설팅사업, 생산정보화사업,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등 사업별 지원규모 및 자격요건, 신청방법과 추진절차 등 2005년 정보화지원사업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소개할 예정임 □ 특히 동 간담회를 마친 후, ‘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참여업체중 우수사례로 선정된 (주)캠스, (주)호원 등 2개사를 방문하여 정보시스템 구축 성과에 대해 확인할 예정임 - (주)호원은 생산정보시스템 구축 이전과 비교하여 가동률이 80%에서 90%이상으로 향상되었고, 재고감축은 월 12억원에서 9억으로 25% 감소됨   정량적 효과 정성적 효과 1. 가동률 향상   - 평균 가동율 10% 향상   - 약 80%→ 90% 이상 유지   - 라인 중단시 신속 대응 1. 현상 파악 오류에 의한 조직간 혼란   사라짐 2. 완제품 재고회전율 향상(65% 향상)   - 구축 이전 : 9.5 회전   - 구축 이후 : 15.8회전 2. 사전 예측에 의한 밸런스 조정 가능   3. 생산성 부진 공정 개선대책 신속 추진   가능(특히 신제품 초기 안정화 단계) - (주)캠스는 종이문서가 55% 감소되고 생산 총소요시간 및 데이터 입력시간은 각각 35% 단축됨   정량적 효과 정성적 효과 1. 리드타임 단축(22%) 2. 재공재고 감소(32%) 3. 생산 총소요시간 단축(35%) 4. 종이문서 감소(55%) 5. 데이터 입력시간 단축(35%) 1. 신기술 적용에 따른 업무 효율성 증대 2. 대 고객 불만처리 지원기능의 향상 3. 생산 물류 품질 관리의 합리화 4. 현장 정보의 신속한 제공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4","atchfileNm":"지역간담회보도자료.hwp","viewCnt":"5027","regDate":"2005-04-26 12:04:00"},{"contentId":"246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쿠폰제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컨설팅의 정책성과 제고","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4","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http//www.kimi.or.kr) 보 도자 료 담 당 과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담 당 자 김문선 팀  장 황순환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42 (josa@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4월  26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쿠폰제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컨설팅의 정책성과 제고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중소기업 경영컨설팅 성과 제고를 위한 쿠폰제 시행」이라는 제목으로 KIMI Issue 05-01호(통권 27호)를 발행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은 2005년부터 중소기업 경영컨설팅 지원을 위한 정책을 쿠폰제를 통해 실시하기로 함    - 필요성과 수요는 높은 반면 중소기업의 비용부담으로 수행하기 어려웠던 경영컨설팅에 대해 정부가 정책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쿠폰제를 도입하여 실시    - 이는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비용만큼 쿠폰을 구입하되 이에 대해 정부가 각종 혜택을 부여하고, 쿠폰을 여러 분야에 걸쳐 활용하거나 시기를 달리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    - 지원분야는 총 5개 분야로 경영과 관련된 전 분야에 걸쳐 시행 □ 쿠폰제는 정책수혜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고 해당 정책이 의도하는 성과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제도임    - 미국에서 빈곤층을 대상으로 실시 중인 바우처(Voucher) 역시 쿠폰제의 한 형태로 생활필수품 및 교육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시행중이며, 직접적인 현금보조 방식에 비해 그 성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남    - 한국에서도 2004년부터 교육부문에서 학교보증(School Voucher)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 필요성이 제기됨 □ 상기 제도는 경영컨설팅을 통한 중소기업 경영 안정화 뿐 아니라 지식기반서비스업 중 하나인 컨설팅 업계의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    - 쿠폰을 구입하는 중소기업에게 세제혜택과 정책자금 지원을 통해 부담을 줄여줌과 동시에 컨설팅 산업의 중흥을 꾀할 수도 있음    - 단, 정책성과가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쿠폰을 활용하는 기업들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할 수 있는 보완장치가 수반되어야 함    - 이와 더불어 경영 컨설팅 결과를 적극적인 자세로 수용하려는 중소기업의 노력 또한 필수적임 □ 위와 관련된 문의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3787-0441~3)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viewCnt":"5256","regDate":"2005-04-22 12:04:00"},{"contentId":"246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5년도 생산정보화사업 124개사 지원 착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5","contentsKor":"    '05년도 생산정보화사업 124개사 지원 착수 □ 중소기업청(廳長 : 金成珍)은 생산현장에 정보기술(IT)을 접목시켜 중소제조공장을 디지털화 하는 2005년도『중소기업 생산정보화(e-Manufacturing) 사업』을 본격 실시함   ○ 금년도 생산정보화 사업은 85억원을 투입하여 180여개 중소기업을 지원할 계획으로     - 1차로 124개 중소기업을 선정했으며(신청 221개 기업) 기업당 5천만원 한도, 총 소요비용의 50% 이내에서 생산정보화에 소요되는 정보시스템 구축비용을 지원     ※ 2차 신청·접수 : '05. 4. 13∼4. 26(2주)  □ 동 사업은 지난 2002년부터 3년간, 208억원을 투입하여 412개 중소기업을 지원한 생산정보화 사업은 2008년까지 1,500개 중소기업의 생산정보화 지원을 목표로 추진중에 있음   ※ ('02) 116개사 → ('03) 140개사 → ('04) 156개사 → ('05) 180개사  □ 생산정보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 공급자(IT기업) 중심에서 수요자(중소기업) 중심의 추진체계로 전면 개편하였고   ○ 인터넷 접수 및 절차간소화, 사업추진일정단축 등 제도를 개선하고, 동 사업에 수요자의 참여기회 확대를 위해 신청기한을 년 1회에서 년 2회로 확대하였음   ○ 또한 기 지원기업 중 시스템 활용이 우수한 기업 20곳을 업그레이드 지원기업으로 선정하여 집중 지원할 계획임  □ e-Manufacturing 사업의 발전·확대와 유비쿼터스 시대대비 생산현장에 정보화 조기 접목을 위해   ○ 업종별 e-Manufacturing 표준모델개발 및 중소기업형 u-Manufacturing 모델을 개발 할 예정임   ※ 첨부파일 : 보도자료 원문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5","atchfileNm":"보도자료원문.hwp","viewCnt":"5189","regDate":"2005-04-19 12:04:00"},{"contentId":"246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e-클린 정보화경영원 실현을 위한 협약식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6","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경  영  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기획조정부 홍  보  팀 담 당 자 김기호 팀  장 박성준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92 (psj@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4월 15일 (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e-클린 정보화경영원 실현을 위한 협약식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4월 18일 (월) 14:00부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여의도 한섬빌딩 6층 소재)에서 e-클린 정보화경영원 실현을 위한 협약식을 개최 □ 투명하고 신뢰받는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 추진을 통하여 중소기업 활력기반을 조성하고자 함   - 지난 3월 정부의 “투명사회협약 체결식”과 민간부문 투명경영 확산 등에 따라 투명한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 추진을 다짐하는 기회 마련   - 투명한 업무수행을 통한 정보화지원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다짐하는 협약체결식인 본 행사는 정부 유관기관 가운데 최초로 개최 □ 이날 협약식에는 중소기업 대표, 지원기관(IT기업) 대표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   - 중소기업 대표((주)선광염직 엄광빈 대표이사), 지원기관 대표((주)영림원소프트랩 권영범 대표이사) 및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장이 “e-클린 정보화경영원 실현을 위한 헌장”에 서명하는 협약식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고위관리자들의 “윗물맑기운동 실천결의문” 서명식 등이 진행될 예정 (연락처 : 기획조정부 홍보팀 박성준 연구원  02-3787-049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6","atchfileNm":"이클린정보화경영원협약식보도자료.hwp","viewCnt":"4876","regDate":"2005-04-13 12:04:00"},{"contentId":"246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7","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경  영  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기획조정부 홍  보  팀 담 당 자 김기호 팀  장 박성준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92 (psj@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4월 14일 (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제1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2005년 4월 15일 (금) 07:00부터 코엑스 인터컨티넨털 호텔(삼성동 소재) 다이아몬드홀에서 제1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도구인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견수렴의 장으로 마련 □ 올해(‘05년도)는 5회 이상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정보화 우수사례 발표 등을 통하여 보다 현장감 있는 정보를 수요자인 중소기업에게 제공할 예정 □ 금회(제1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곽수일 교수의 주제발표로 진행   -「디지털정보시대 중소기업경영모델」에 대한 주제발표로 디지털정보시대 중소기업 경영혁신을 위한 전략 및 모델을 제시할 예정   - 중소기업 대표, IT기업 대표, 학계, 정부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할 예정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 문의는 기획조정부 홍보팀 (02-3787-0492) 및 중소기업정보화포럼 홈페이지(http://forum.kimi.or.kr) 참조 (연락처 : 기획조정부 홍보팀 박성준 연구원 02-3787-049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7","atchfileNm":"제16회정보화포럼보도자료.hwp","viewCnt":"5099","regDate":"2005-04-12 12:04:00"},{"contentId":"246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 활용도 제고를 위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개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8","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디지털경영센터 담 당 자 주석정 센터장 박희정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64 (phj2005@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5년 3월 17일 (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정보화 활용도 제고를 위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개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梁海鎭)은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개발하여 2005년 3월 17일부터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임. ○ 2004년부터 6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중소기업 재직자의 IT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20개 과정과 2개의 전문가 과정을 개발하였음. ○ IT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개설한 ‘재직자 IT활용 과정’은 OA, 홈페이지 제작, 프로그래밍, 자격증 대비 등 5개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음.     - OA과정은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 쉬트 등 5개 과목     - 홈페이지 제작 과정은 HTML, Flash 등 6개 과목     - 프로그래밍 과정은 ASP, JAVA등 6개 과목     - 자격증 대비 과정은 네트워크관리자, 전자상거래관리자 2개 과목     - 기타과정으로는 ‘정보보호 전략’ 과목 ○ 전문과정으로는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른 기업의 유연성 확보를 위하여 새로운 사업을 기획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신규사업기획전문가 과정’을 개설하였으며, 중소기업의 e-러닝을 활성화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중소기업 e-러닝 운영자 과정’을 개설하였음. □ 한편, 2004년에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실시한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에 의하면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이 낮은 이유로 인력부족, 기술 및 노하우 부족의 순으로 나타났음. ○ 기업의 IT활용수준을 보면 개인 업무 부문에서 활용도는 60%대로, 사내 네트워크를 이용한 부문에서는 50% 내외로 조사되는 등 전반적으로 저조한 실태를 보이고 있음. ○ 정보시스템의 활용도가 낮은 이유로는 정보화 교육기회 부족, 정보화 추진 전문인력 부족 등의 순으로 나타나 중소기업의 IT활용수준 제고와 정보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는 정보화 교육과 전문인력의 양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음. □ 따라서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는 정보화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적자원 확보와 오프라인 교육 기회를 활용하기 어려운 중소기업 여건을 감안하여 온라인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서비스하고자 함. ○ 2005년 3월 17일부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디지털경영센터에서 운영하는 교육전문사이트(http://www.edukimi.com)를 통하여 시범서비스를 2005년 6월 30일까지 실시하고 금년 하반기부터는 유료화 할 계획임. ○ 온라인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방송형태의 실시간 강의 기능을 금년도 상반기에 개발하여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서비스할 예정임. ○ 또한 중소기업의 교육 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를 위한 교육 과정을 추가 개발 및 서비스할 계획임. (연락처 : 디지털경영센터 교육훈련팀 박희정 연구원 02-3787-0464) ","viewCnt":"5234","regDate":"2005-04-11 12:04:00"},{"contentId":"246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금융기관의 중소기업 신용 평가모형에 정보화수준을 중요변수로 고려해야","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69","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2월 27일 (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금융기관의 중소기업 신용평가모형에   정보화 수준을 중요 변수로 고려해야     □   경기침체로 인해 중소기업의 자금난이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의 대출조건 강화로 중소기업은 이중고를 겪고 있음   ○ 판매대금어음 회수일의 장기화, 중소기업 대출연체금비중의 증가 등 중소기업의 자금상황이 극히 어려움   ○ 직접금융시장은 물론 간접금융시장에서조차 중소기업의 비중이 낮아지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 신용도 평가과정의 어려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조건 강화 등으로 자금조달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음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 양해진)이 지난 11월 종업원 5인 이상 중소기업 50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기술, 정보화 및 신용수준간 관계에 대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금융기관이 중소기업에 대출시 부동산 등 물적담보를 요구하는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담보능력이 작은 영세, 지방기업의 자금조달이 쉽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 중소기업의 자금 규모는 매출액 감소로 줄어든 상황인데 대부분의 금융기관들이 정책자금 지원 및 운영자금 대출시 물적담보를 요구하고 있어 여신거래도 쉽지 않은 상황임     ○ 중소기업에게 재무제표 변수 외에 기업신용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를 찾아내어 물적담보를 보완하여 기업신용평가에 활용하게 하는 것이 최선의 대안임   □   기술수준과 더불어 정보화 수준 향상이 기업 신용도를 높이는데 일조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기업신용평가에 이들 두 변수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임   ○ 기술수준은 미래의 기업가치를 향상시킨다는 인식이 확대되어 최근에는 기업이 보유한 기술수준을 담보로 활용하기 위한 많은 제도가 시행되고 있음   ○ 정보화 수준도 기업생산성 증대뿐 아니라 기업투명성 제고를 가져와 기업신용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금융기관이 중소기업을 여신고객화하기 위해서라도 신용평가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기술수준 못지않게 정보화 수준도 고려하는 것이 최선의 대안이 될 수 있음   ○ 이러한 비재무적요인을 고려한 신용평가모형은 금융기관의 효율성 제고와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측면에서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음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황순환 연구원 02-3787-0443)     ","viewCnt":"6620","regDate":"2004-12-27 12:12:00"},{"contentId":"247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OECD내 한국 중소기업의 정보화 현주소","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0","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2월 15일 (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OECD내 한국 중소기업의 정보화 현주소  ㅁ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양해진)이 영국 통상산업부에서 발간한  「International Benchmarking Study 2003」(英 DTI, 2004.2)을 분석한 바에 의하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은 IT인프라 측면은 여전히 우세하지만, 이의 활용수준 및 경영성과와의 연계 수준, 정보화 성과관리 수준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O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정보화 점수는 0.50점(6위)으로 OECD 주요 11개국 중 보통수준임. O 정보화 마인드는 가장 높은 수준인 반면, 정보화를 통한 기업성과와의 연계효과는 낮은 수준임. O 우리나라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보화 드라이브 정책에 힘입어 매우 우수한 인프라 수준을 자랑하고 있으나, 정보화를 통한 성과나 효과, IT 활용능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ㅁ 일본의 약진으로 IT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추월당할 우려가 있음. O 일본은 최근 10Mbps이상의 차세대 인터넷을 도입, 구축하는 등 적극적인 IT투자 진행중임. 또한 생산부문 정보화 및 통합시스템 도입, 구축률이 매우 높음. O 반면 우리 중소기업의 경우 IT활용능력이나 이의 경영성과와의 연계 미흡 등 IT강국으로서의 위상이 위협받고 있음.   ㅁ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체계적인 성과관리시스템이 없다는 특징을 보임. O 정보화 성과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더러, 이에 대한 관심조차 미진하여 향후 정보화 추진상의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됨. O 또한 국내 정보화 추진이 ‘수익(원) 창출”등의 수요측면보다는 “비용감소”의 비용측면에 치우쳐 있어 미래지향적 정보화 추진이 요구됨.   ㅁ 따라서 장점은 살리고, 단점과 약점은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해 나가는 ‘선택과 집중’의 정보화 추진 방법론이 요구됨. O 우리나라의 장점은 높은 IT인프라, 높은 정보화 마인드, 높은 정보시스템 구축율 등이며, 약점은 낮은 정보화 효과, 경영성과와 연계부족, IT활용능력 부족, 취약한 정보화 성과관리체계 등으로 볼 수 있음. O 국내 중소기업은 세계적 수준의 IT인프라를 활용하거나 경영성과와 효율적·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이를 기업경쟁력으로까지 이어나가야 할 것임.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형준호 연구원 02-3787-0442) ","viewCnt":"6187","regDate":"2004-12-15 12:12:00"},{"contentId":"247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2대 원장에 양해진씨 선임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1","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기  획  부 기획예산팀 담 당 자  오주환  팀   장  조도현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22 (cdhyun@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2월 3일 (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2대 원장에 양해진씨 선임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사장 이우영, 이하 “경영원”)은 이사회에서 2대 원장으로 양해진(梁海鎭) 전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을 선임하여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o 신임 양해진 원장은 중소기업청 판로지원과장, 총무과장,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을 역임한 바 있다   □ 경영원은 290만 중소기업의 정보화 경영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지난 2002년 1월22일 발족된 중소기업청 산하 특수법인으로서,     o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IT(정보기술)의 보급 및 확산, 정보화 전문인력양성, 정보화경영표준모델 개발 및 보급, 정부의 정보화 위탁업무 수행 등 중소기업의 정보화 촉진 업무를 전담지원하는 기관임   □ 경영원은 중소기업 정보화 종합지원기관으로서의 발전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중소기업 육성에 남다른 경험과 열정, 대외적 활동역량을 갖춘 양해진 전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을 선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o 신임 양해진 원장은 공직에서 중소기업 정책과 집행업무를 담당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하고,     o 정,관,기업계에 폭 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토대로 민간과 정부간의 원활한 교량역할 수행뿐 아니라, 경영원이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지원 전문기관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할 적임자로 평가된다고 밝혔음   □ 신임 양해진 원장은 “지속적인 정보화지원을 통해 기업의 실질적 경영혁신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며, 정보기술을 바탕으로 2만불 시대를 선도할 혁신형 중소기업을 육성해 나갈 계획” 이라고 취임 소감을 밝혔음   <참고> 신임 정보화경영원 원장 약력 1부.  ","viewCnt":"6536","regDate":"2004-12-03 12:12:00"},{"contentId":"247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 2004』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2","contentsKor":"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보 도자 료 담 당 과 기술지원국 기업정보화과 담 당 자 이종대과장 박상준사무관 전화번호 e-mail 042-481-4400 (sjpark@smba.go.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1월 22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  목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 2004』개최 □ 정보통신부(장관 진대제)와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이 주최하고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 한국전산원(원장 서삼영),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주관으로 2004. 11. 25(목) 서울 COEX 그랜드볼룸 (101호~105호)에서『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 2004』를 개최함  o 중소기업 정보화 성공사례 발표 및 전시회와 소기업 및 자영업을 위해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시스템의 소개 및 우수사례 발표 등을 통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자발적인 정보화 추진 의지를 고취하고자 마련하였음  o 또한, 청년 실업 문제 해결과 IT 중소기업의 정보화 전문 인력난을 해소를 위해 ‘IT인력 취업박람회’를 개최함  o 부대행사로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제작한 2003년 중소기업 정보화 우수사례, 업종별 표준 업무프로세서 모델, 중소기업정보화백서 등 각종 자료집과 CD 자료 등을 배포함 □ 동행사 중 「중소기업 정보화 성공사례 발표 및 전문강좌」에서는  o 자동차부품의 ERP 시스템과 연계한 생산정보화 시스템의 구축으로 경영혁신에 성공한 (주)일지테크와 식품업체로 ERP 시스템과 연계한 생산정보화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주)풀무원 제일생면의 정보화 추진 실무책임자가 구축 과정, 현황 및 성과를 직접 발표할 예정임  o 전문강좌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유비쿼터스와 IT아웃소싱에 대한 중소기업의 대응전략과 전략적기업경영(SEM:Stratagy Enterprise Management)의 표준모델과 적용사례를 소개하는 전문강좌가 있을 예정임 □ 동 행사 동안 IT인력 취업박람회 및 우수 솔루션 보유 IT업체들과 소기업 네트워크화 사업 관련 전시회가 있을 예정임  o 정보화 우수 솔루션 보유 IT기업이 참여한 솔루션전시회는 28개 부스에서 ERP, SCM, 등에 관한 전시와 상담이 진행됨  o 중소기업의 정보화 인력부족 및 청년실업의 연계해결방안을 모색코자 'IT 취업박람회‘를 동시개최하여 채용 계획이 있는 IT기업 등 15개사가 참여 하여 채용 상담이 이루어질 예정임. □ 동 행사 중 「소기업?자영업을 위한 정보시스템 발표회 및 전시회」에서는  o 동 행사에서는 개발된 솔루션들의 전시회 및 사용자 중심의 사례발표와 자영업 정보화와 관련하여 전문강사의 강연이 동시에 진행됨  o 전시회는 지금까지 개발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ASP 관련 솔루션들과 우수사례 중심으로 20개 부스를 통해 전시 및 상담이 진행됨  o 정보통신부와 중소기업청은 2001년부터 소기업 네트워크화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여 왔으며 업종별 협회 및 단체 중심의 12개 커뮤니티형 비즈니스 모델과 동종 및 이종 업체간 전자거래?협업 등을 지원하는 39개의 허브형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 시행하고 있음 □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정보화 추진의 성과에 대한 의문점을 풀고 그  성공방법을 전파하고 기업 정보화의 다양한 전략과 최신동향을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정보화추진을 유도할 것으로 생각됨  o 특히, 같은 지역 기업의 성공사례를 추진 실무담당자가 직접 발표함으로써 참석한 중소기업 관계자들에게 실제적인 벤치마킹의 정보를 전달하여 지역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의욕을 고조시킬 것으로 예상됨  o 또한 , 정보화의 지원이 절실한 소기업, 자영업들이 좀 더 저렴한 비용과 손쉬운 방법으로 정보화를 추진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 및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됨  o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 (http://www.kimi.or.kr) 에서 확인할 수 있음. (붙임)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 2004」 행사개요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48","atchfileNm":"행사개요.hwp","viewCnt":"5357","regDate":"2004-11-22 12:11:00"},{"contentId":"247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e-러닝, 중소기업의 직무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치 높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3","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1월 12일 (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e-러닝, 중소기업의 직무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치 높아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백낙기)에 의하면, 국내 기업 e러닝시장은 2000년대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 IDC의 2003년 조사에 의하면, 기업 e러닝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연평균 35%의 급성장을 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미주지역의 성장이 가장 크고,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성장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됨.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99년 “인터넷통신훈련제도”도입 이후 인터넷 교육훈련이 급격히 증가하여 `전체 훈련의 36.0%를 차지함. □ 대기업 중심의 e러닝 활성화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생산성 격차가 심화될 우려가 존재함.   ○ 국내시장의 경우 대기업의 35.5%, 중소기업의 9.4%가 e러닝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 위주의 기업 e러닝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e러닝 활용은 부진한 것으로 조사됨.   ○ 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노동 숙련격차로 나타나게 되고, 기업 규모간 생산성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 기업 e러닝의 주요대상은 일반사무직이고, 생산직을 위한 기술교육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중소기업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욱 심각한 수준임. □ 중소기업의 e러닝이 오프라인 교육에 비해 직무능력 향상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 대상 오프라인교육은 현업의 바쁜 특수성으로 인해 높은 교육효과에도 불구하고 교육 참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반면에, e러닝의 성과로 직무능력이 향상된다는 응답은 조사대상의 90%에 해당하였으며, 특히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e러닝이 직무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형 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은 중소기업 e러닝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과제임.   ○ 우수한 중소기업형 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은 중소기업 e러닝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최우선적인 과제임.   ○ 중소기업을 위한 ASP방식의 e러닝 시스템 지원사업, 중소기업형 e러닝 콘텐츠 개발 지원, 중소기업 e러닝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발 등의 종합적인 정부 정책이 필요함. □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디지털경영부 지식서비스팀 이찬형 연구원 02-3787-0456) ","viewCnt":"6176","regDate":"2004-11-12 12:11:00"},{"contentId":"247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소규모 기업에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4","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0월 20일 (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소규모 기업에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나   - 사업 참여기업 만족도 조사 결과 -   ㅁ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만족도조사(2004.4~7)를 수행하였음. o 성과물 중심의 사업 평가가 아닌 참여기업을 고객으로 생각하는 측면에서 만족도를 평가하여 향후 사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함.  o 2003년 사업에 참여했던 모든 기업(총 2,757개사)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통해 실시되었으며, 그중 1,467개 기업이 응답함.  o 평가부문은 크게 4부문(참여동기, 기술 활용성, 주관기관의 지원, 운영과정), 22항목에 걸쳐 조사함.    ㅁ 조사기업의 평균 만족도는 79.3점(100점 만점)으로 나타남. o 조사기업의 평균 만족도는 79.3점이며, 만족도가 90점 이상인 기업도 전체의 16%를 차지함. o 소기업의 만족도는 평균 79.7점, 중기업은 76.0점, 300인 이상 기업은 75.6점으로 기업규모에 따른 만족도차이를 보이고 있음. o 지역별로는 대전(82.5점), 전남(81.8점), 전북(81.2점)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o 창업초기인 기업의 기술개발 만족도가 창업 업력이 오래된 기업보다 더 큰 것으로 조사됨.   ㅁ 산학연 컨소시엄사업 만족도 조사에 의하면, 사업에 참여한 가장 큰 성과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의욕 고취와 기업 내 기술축적 등을 꼽을 수 있음. o 기술개발이 매출액 증가에 기여하는 정도는 소기업이 평균 42.5%, 중기업이 17.5%, 대규모기업이 7.1%로 조사됨. o 기술개발 후 매출액 증가까지 평균 9.6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됨. o 기술적인 애로사항은 평균 66.4% 정도 해소되었으며, 소기업의 경우 과반수 이상이 70% 이상 해소되었다고 응답함.   ㅁ 참여기업들은 정부의 자금지원 확대와 상업화를 위한 추가지원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응답함. o 기업들은 자금지원 규모 확대와 더불어 개발된 기술을 상업화하기 위한 추가 지원 및 사업의 확대 등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음. o 참여기업 만족도 향상과 사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사업의 다각화, 주관기관의 다양화, 기업 특성별렙泰씌 특성화전략 및 철저한 사후관리 및 지원이 필요함.    ㅁ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황순환 연구원 02-3787-0443) ","viewCnt":"6564","regDate":"2004-10-20 12:10:00"},{"contentId":"247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 정보화 저해요인 해소와 활용성 제고를 위한 IT 아웃소싱","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5","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0월 13일 (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기, 정보화 저해요인 해소와 활용성 제고를 위한   IT 아웃소싱    ㅁ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에 의하면,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시 자금 및 인력 부족의 애로사항을 IT 아웃소싱을 통해 해결 가능함.   o  중소기업 정보화에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은 ‘전문인력 부족(44.2%)’, ‘도입비용의 과다 및 운영비용 증가 부담(35.0%)’인 것으로 조사됨.   o   비용부담과 IT 전문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IT 아웃소싱은 단기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정보화의 추진이 가능한 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   o  그룹사 기업들은 이미 10여년 전부터 그룹내 전산자원을 별도의 전문회사에 이관시키는 아웃소싱을 단행, 그룹의 핵심역량 강화에 주력하고 있음.     ㅁ 우리나라의 경우 중소기업일수록 IT 아웃소싱에 관한 선호는 높게 나타났으나, IT 아웃소싱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 등의 부족으로 인해 선진국에 비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o  Gartner 2003년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100인 미만 규모 기업은 43%, 500인 이상 규모 기업은 25%가 아웃소싱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IT 아웃소싱에 대한 수요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됨.   o  유럽, 일본, 미국 등의 선진기업들은 자체적으로 효율적인 정보시스템 부서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IT 아웃소싱을 기업의 생존전략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은 IT 아웃소싱에 대한 인식 및 신뢰성 등의 부족으로 적극적 대처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ㅁ 기업이 IT 아웃소싱을 도입하는 이유는 기업의 역량을 좀더 핵심적인 부문에 집중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자 하는 경영전략의 일환임.  o   IT 아웃소싱을 활용하는 주요 이유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핵심역량에 집중이 4.28(5점 척도)로 가장 높게 나타났음(Gartner 2003년 보고서).  o   특히 자체적 정보화 추진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IT 아웃소싱을 통해 인력과 자금 등의 정보화의 구조적 저해요인을 단기간에 해소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정보화를 추진할 수 있음.  o   산업구조의 전문화와 아웃소싱 확산 추세에 적응하지 못하면 중소기업 사업기반의 침하가 불가피하므로, 중소기업은 IT 아웃소싱을 통하여 자신의 부족한 부문을 보완하고 전문화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     ㅁ IT 아웃소싱은 정부의 정보화 지원사업의 내실화를 위한 효과적 대안이 될 수 있음.  o   IT 아웃소싱은 다양한 형태와 범위의 H/W와 S/W의 적용이 가능하여 개별기업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 정보화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    ㅁ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디지털경영부 유연우 부장 02-3787-0450)","viewCnt":"6316","regDate":"2004-10-13 12:10:00"},{"contentId":"247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회원국간 중소기업 정보화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6","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0월 8일 (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APEC 회원국간   중소기업 정보화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   ㅁ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의 APEC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 실태조사(2003)에 의하면, APEC 역내 정보화 상위그룹 회원국과 하위그룹 회원국간 국가 정보화 격차가 크게 나타남.     o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의 이용 현황(2002 기준)을 살펴보면, 정보화 상위그룹은 전체 인구의 50% 이상, 정보화 하위그룹은 30% 내외가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o  총거래에서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율(2002년 기준)을 보면, 상위그룹의 경우 0.6% 내외이고, 하위그룹의 경우 0.2% 내외로 두 그룹간 격차는 3배 이상임.     o  국가 정보화 격차의 심화는 회원국간 정보화로 인한 부의 편재를 더욱 심화시키고, 특히 하위그룹의 중소기업과 여성이 정보화에서 소외되는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 ㅁ APEC 회원국 중 10개국의 방문조사에 따르면, 정보화 상위그룹과 하위그룹 간의 중소기업의 정보화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됨.     o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중소기업 종업원 1인당 컴퓨터 보유 대수의 격차는 2배 이상이고, 정보화 응용 프로그림 활용 격차는 4배 이상임.      o  IT 도입 성과로서 재무적 효과는 5배, 고객서비스는 4배 이상의 격차가 존재함.     o  반면에, 중소기업의 IT 도입을 위한 변화 수용과 표준화는 정보화수준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중소기업 정보화의 공통적인 애로사항으로 작용하고 있음. ㅁ APEC 역내 회원국의 중소기업 정보화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과 전략적 대응이 요구됨.     o  회원국의 정부는 우선 유·무선 통신망과 브로드밴드 등 국가적 IT 인프라를 확충하여 중소기업이 저가에 IT 인프라에 접근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함.     o  하위그룹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APEC 차원의 컴퓨터 재활용 프로그램 운영 및 저가의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중소기업의 PC 및 응용 소프트웨어 접근성을 높여야 함.     o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주로 최고경영진의 강력한 의지를 바탕으로 수행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최고경영진의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     o  특히, 우리나라는 APEC 차원의 중소기업 정보화 논의(포럼, 워크샵, 교육, 의제개발 등)를 주도하고 우리 중소기업의 경험을 하위그룹의 회원국에 전파하고 우리기업의 해외진출의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   ㅁ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양훈화 연구원 02-3787-0434)  ","viewCnt":"6158","regDate":"2004-10-08 12:10:00"},{"contentId":"247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기업, 자영업을 위한 정보시스템 발표회 및 전시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7","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보화사업부정보화기반팀 담 당 자 장인성 팀   장 이민영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75 (lmy@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9월 20일 (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소기업.자영업을 위한   정보시스템 발표회 및 전시회 개최   □ 정보화의 지원이 절실한 소기업,자영업들이 좀더 저렴한 비용과 손쉬운 방법으로 정보화를 추진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 및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마련되었다.     o 정보통신부(장관 : 진대제)와 중소기업청(청장 : 김성진)이 주최하고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 백낙기)과 한국전산원(원장 : 서삼영)이 주관하는『소기업.자영업을 위한 정보시스템 발표회 및 전시회』 가 개최된다.     o 금번 행사는 지금까지 개발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솔루션들과 우수이용사례를 한자리에 모아 전시 및 발표함으로써 소기업.자영업들의 정보화 마인드제고 및 정보화 확산을 위해 마련되었다.     o 정보통신부와 중소기업청은 2001년부터 소기업 네트워크화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여 왔으며, 업종별 협회 및 단체 중심의 12개 커뮤니티형 비즈니스 모델과 동종 및 이종 업체간 전자거래?협업 등을 지원하는 39개의 허브형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시행하고 있다.   □ 동 행사에서는 기 개발된 솔루션들의 전시회 및 사용자 중심의 사례발표 뿐만 아니라, 소기업, 자영업 정보화와 관련된 전문강사의 흥미 있는 강연도 동시에 진행된다.   o 이번 발표회 및 전시회는 부산, 대전, 대구, 서울 등 전국 4개 주요도시에서 개최된다. 지  역 일  시 장 소 부산 ‘04. 9. 21(화) 13:00 ~ 18:00 벡스코(2층, 회의실) 대전 ‘04. 10. 6(수) 13:00 ~ 18:00 유성관광호텔(8층, 스타볼룸) 대구 ‘04. 10. 25(월) 13:00 ~ 18:00 엑스코(3층, 회의실) 서울 ‘04. 11. 15(월) 13:00 ~ 18:00 코엑스(1층, 그랜드볼룸)   o 행사 참가비는 무료이며, 온라인 사전등록(www.asp-kimi.or.kr, www.kimi.or.kr) 및 현장등록을 한 참관객에게는 행사와 관련된 자료집 및 브로셔 등을 배포할 예정이다.   o 본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보화사업부 정보화기반팀(☎02-3787-0475)으로 문의하면 된다. ","viewCnt":"6429","regDate":"2004-09-20 12:09:00"},{"contentId":"247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를 통한 정보화 구축성과 만족한 것으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8","contentsKor":"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를 통한 정보화 구축성과 만족한 것으로 - 업무효율성 증가, 원가절감, 납기단축, 품질향상 등 - □ 중소기업청(청장 金成珍))은 중소기업의 정보화구축을 지원하는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를 통해 정보화 구축을 완료한 4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화 구축성과를 조사한 결과,   - 평균 7%의 원가절감, 20%의 납기단축 및 업무효율성 증가가 큰 것으로 나타남  □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은 정보화 투자성과에 확신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대신하여 지원능력을 갖춘 전문기업(TIMPs)이 정보화계획에서 시스템구축 및 사후관리까지 일괄지원하고 중소기업이 성공적으로 정보화를 활용하는 시점에서 전문기업이 투자비를 회수하는 사업임.   ○ 동 사업은 '02년도에 4개 업종 6개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지원하였으며, '03년에는 7개 업종으로 확대하여 80개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지원하였음.(46개 기업은 진행 중)   ○ '04년도 현재 8개 업종(기계/전기·전자/화학/금속·비금속/섬유/식품/물류/건설 등)을 대상으로 신청기업 243개 중 105개를 선정하여 추진 중에 있음.  □ 조사대상 중소기업들은 정보화 구축비용으로 평균 2억여원을 투자하였으며, 정부지원금으로 평균 4,825만원을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남.   ○ 조사대상 중소기업 업종현황을 살펴보면, 기계 업종의 중소기업이 가장 많았으며, 전기·전자와 화학업종 순이었음.   ○ 또한, 자본금 규모로는 1~9억원의 중소기업들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0~49억원 범위의 중소기업으로 나타났음.  □ 정보화 구축성과를 분석한 결과, 정보화 도입이 기업경영혁신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정량적 성과 측면에서는 정보화 구축전후 대비 평균적으로 7% 정도의 원가절감과 20.8% 정도의 납기단축을 보였으며,   ○ 기업경영의 중요한 절차인 의사결정에 있어서는 38% 정도 시간단축이 이루어졌으며, 의사결정 정밀도는 90.8%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 정성적 성과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에게 업무프로세스 자동화를 통한 업무효율성 증가가 가장 높은 성과로 조사되었으며,   ○ 회계/생산/물류 등의 실시간적 현황 파악, 업무관심도 및 대외 경쟁력 향상 등에도 높은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 향후 중소기업청은 지원대상 업종 및 지원업체 수의 확대 지원업체에 대한 사후관리 강화 등을 통해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을 정보화선도기업을 육성하는 시책으로 발전시킬 것임을 밝혔다.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홈페이지(http://www.smba.go.kr)를 참조하시기 바람         < 첨 부 >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의 정보화 구축성과 분석결과","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0","atchfileNm":"01AA_20040909a(app).hwp","viewCnt":"5499","regDate":"2004-09-10 12:09:00"},{"contentId":"247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79","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2 (forum@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9월 8일 (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개최 -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방안 -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2004년 9월 7일(화) 코엑스 컨퍼런스 센터에서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방안」이라는 주제로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를 개최하였음   □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는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이 주최한 제5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의 일환으로 마련된 행사로서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및 성공사례의 발표를 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 및 기술혁신 마인드를 제고하기 위한 행사임   o 본 행사에서는 중소기업 CEO, 민.관.학 정보화 전문가 80여명이 참석하여 주제발표에 이은 참석자들간의 열띤 토론이 이루어졌음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정보화」라는 주제로 진행된 첫 번째 주제발표에서 충남대학교 문희철 교수는 디지털 시대 중소기업 경영환경의 변화는 기존의 순차적 대량생산 환경에서 동시공학 환경을 넘어서 가상기업 환경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고 진단하였음   o 이러한 가상기업 환경의 특징은 크게 기업간 경쟁의 글로벌화와 고객 요구의 다양화, 제품복잡도의 증가 및 수명주기의 단축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정보화는 중소기업의 경영혁신과 기술혁신을 위한 유용한 도구(Tool)로서 활용할 수 있다고 역설하였음   o 기업의 혁신을 경영혁신과 기술혁신으로 구분할 때, 정보화를 통한 경영혁신의 성공사례인 GE의 e-경매 시스템인 GE Power System의 경우, 웹 게시판의 구매물품에 대해 공급업체가 판매가를 제시하는 역경매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초기 6개월간의 활용만으로도 4억 8,000만 달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음   o 정보화를 통한 기술혁신의 성공사례로는 Sony의 신설계 생산체제인 EMCS를 들 수 있으며, 개별 사업부문은 전략 및 상품 기획, 브랜드 구축 등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기타 업무는 EMCS에 위탁, 전문적인 생산/설계 업체로 자리매김하도록 함으로써 공장의 경쟁력을 높이고, 간접 부문 공유화를 통한 비용 절감을 이루어낼 수 있었음   o 이러한 중소기업의 정보화에 의한 경영 및 기술혁신은 중소기업의 21세기 생존을 위한 환골탈태 전략으로서 기업간,산업간 정보의 통합 및 협업 강화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임   □ 「정보화를 활용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성공사례」라는 주제로 진행된 두 번째 주제발표에는 PDM의 도입을 통하여 기술혁신에 성공한 (주)파세코의 박상욱 책임연구원이 PDM 구축의 필요성과 도입효과에 대한 기술혁신 현장의 생생한 성공사례를 발표하였음   o PDM의 도입 필요성은 무엇보다도 제품 종류, 부품 및 설계 변경의 증가 등 관리 대상 업무의 증가와 이에 따른 관리 오류의 증가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비용을 절감시키는데 있었음   o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3년 여에 걸친 PDM 구축을 통하여 (주)파세코는 제품 분류 체계의 정립, 도면,문서,BOM,설계변경,개발일정,설계 자원 관리의 시스템화를 이루어냈음   o 이러한 PDM의 구축을 통해 종전 BOM 대표모델 1개를 구성하였던 것에 비하여 구축 후 전 모델의 BOM을 구성함으로써 연 약 2천만원의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정량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음 <(주)파세코의 PDM 구축효과> 항목 구축전 구축후 효과 도면 관리 개인들의 컴퓨터 보관 - 중복, 오류가 많음 원도, 복사도 관리 용이 도면 관리 LOSS 제거 BOM 구성 1인 2일 소요 1인 4시간 소요 1,500,000원/년 절감 BOM 대표모델 1개 전 모델 BOM 구성 20,000,000원/년 절감 BOM 품질 정확도 미지수 정확도 99.7%/월(평균) MRP운용, 자재관리 - 금액 5천만원(이자) 설계 변경 설계변경 통계? 통계가능 설계변경은 죄악(분위기) 문제점을 알 수 있음 개발과정에 주력 설계변경 진척 사항? 부서별, 개인별 업무 관리 업무 추적 가능 품질사고 방지 개발 지표 개발지표가 없음 개발일정 준수율, 품질지표 개발 지표 관리(평가 가능) 업의 개념 개발만 잘하면… 표준화, 공용화, MODULE화, 지식경영(연구개발 지식화), TO BE 설정… 부품 최적화 자료 DATA BANK 관리 효율 증가 FILE관리 - 문서 찾기 10분~2시간 손쉬운 검색, 정확한 정보 조회, 배포 이력, 업무 진행 상황 조회 공간활용, 화일장 감소, 서랍 없는 책상     □ 주제발표에 이어 서울대학교 박진우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전문가들의 패널토론에서는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정부의 정책과제에 대한 각계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음   o 정보화는 기술혁신의 결과물을 디지털화하여 저장하고 유통?확산시킴으로써 새로운 기술혁신을 재생산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매우 유용한 도구이며,   o 03년 중소제조업의 2%(2,400개)에 불과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2008년까지 중소제조업의 10% 수준인 1만개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지역 혁신 클러스터의 활성화 등 정보화를 기술혁신으로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범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의 마련이 필요함   □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위해 필요한 관련 IT기술의 동향과 성공사례에 대한 발표를 통해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기술혁신 및 정보화 추진의지를 제고하는 동시에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과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것임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행사개요   o 일      시 : 2004년 9월 7일(화) 15:00~18:00 o 장      소 :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센터 320호 o 주      제 :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방안 o 참가대상 : 중소기업 CEO 및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민.관.학계 전문가 o 주      최 : 중소기업청 o 주      관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o 행사 프로그램   시  간 행 사 내 용 14:40 ~ 15:00   등    록 15:00 ~ 15:05   인 사 말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백낙기 원장 15:05 ~ 15:30   주제발표 Ⅰ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정보화 -   발표자 : 충남대학교 문희철 교수 15:30 ~ 15:50   주제발표 Ⅱ   - 정보화를 활용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성공사례 -   발표자 : (주)파세코 박상욱 책임연구원 15:50 ~ 16:10   Coffee Break 16:10 ~ 17:30   패널토론   - 디지털 환경이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o 사 회 자 :       서울대학교 박진우 교수     o 토 론 자 :       산업연구원 양현봉 중기벤처실장                             CIES 이기훈 대표이사                             제주대학교 이동철 교수                             한양대학교 한창희 교수                            주제발표자 2인 17:30 ~ 18:00   질의응답 및 폐회      ","viewCnt":"6420","regDate":"2004-09-08 12:09:00"},{"contentId":"248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교육, 중소기업의 IT 업무활용도 제고에 크게 기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0","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9월 7일 (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정보화교육, 중소기업의 IT 업무활용도 제고에 크게 기여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정보화 격차해소 및 정보화 인력 양성을 통해 정보화 추진효과를 높임으로써 기업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중소기업 재직자 정보화 교육’을 실시해 오고 있음.  ○ 교육과정은 중소기업 CEO, CIO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 등 총 4개의 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최근 3년간 전 교육과정을 통해 26,836명을 교육함.  ○ 교육내용은 경영혁신을 위한 정보화 성공사례 및 디지털경영기법, 정보화 추진의지 제고, 정보기술 활용 능력 배양을 위한 스프레트 쉬트 실무, 네트워크 운영, IT 자격증 취득 과정과 업종특화시스템 교육 등으로 구성됨.  ○ 교육방법은 각 지역별 대학 및 전문교육기관의 우수시설과 인력을 활용한 집합교육과 민간 및 학계 IT 전문가를 통한 현장방문교육으로 운영됨.   □ 본 교육은 지역별 산?학연계 활성화를 통한 현장밀착형교육, 기업규모별?업종별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으로 특징됨.  ○ 정보화교육은 산업수요 중심의 교육 실시를 위해 지역별로 대학 및 전문교육기관을 지정하여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산학협력단 및 산업단지 입주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함.  ○ 또한 현장방문교육과 업종특화교육 과정을 통해 개별기업 및 동일업종 재직자를 교육시킴으로써 산업현장의 요구를 실질적으로 반영하여 인력양성의 효율성을 제고해 옴.   □ ‘03년 교육수료생 9,7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이해도 및 만족도 설문조사에 따르면 정보화교육을 통해 업무활용도 부분에 있어 크게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됨.  ○ 2004년에 발표한 OECD의 ‘한국 기업정보화 정책 검토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정보화 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나, 기업의 인터넷 접속 및 전자상거래 이용률 등 IT 활용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정보화 교육 과정별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업무활용도 향상’에 대한 응답이 ‘업종별 특화교육’ 75%, ‘정보화 산학연계교육’ 72%,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 70%, ‘현장방문교육’ 63% 등 정보화 교육이 기업의 IT 활용도 제고에 많은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됨.  ○ 따라서, 교육생 사후관리시스템 구축과 온라인 교육을 통해 교육의 연속성과 전문성을 높여 중소기업의 교육참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 IT 활용도 제고를 위해 필요함.     (연락처 : 디지털경영부 지식서비스팀 김준숙 연구원 02-3787-0457)      ","viewCnt":"6193","regDate":"2004-09-07 12:09:00"},{"contentId":"248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4년『제3차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1","contentsKor":" 2004년『제3차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개최- 유비쿼터스(Ubiquitous)와 중소기업 정보화 전략 -   □ 중소기업청(김성진 청장)은 2004. 9. 9(목) 14:00 광주 KT전남본부 3층에서 『3차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을 개최함   ○ 금번 행사는 정보통신부와 공동으로 인천 및 수원에 이어 광주에서 세 번째로 개최하는 행사로 정보화를 통해 경영혁신에 성공한 사례와 기업정보화와 관련된 전문강좌 및 최신 동향을 소개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 정보화 추진의지를 고취하기 위하여 마련하였음.  □ 동 행사에서는 최근 중소기업 정보화의 기본요소인 ERP(전사적자원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ning)와 POP(Point Of Production) 구축을 통해 경영혁신에 성공한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성공사례 발표와 유비쿼터스에 대한 중소기업의 정보화 전략과 기업정보화와 재무공시의 방향에 대한 전문강좌로 진행될 예정임.   ○ POP 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을 통해 경영혁신을 달성한 (주)호원과 ERP 시스템 구축 성공사례인 풍기산업(주)의 정보화 추진 과정과 구축을 통한 현황 및 성과를 직접 발표할 예정이며,   ○ 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소기업 네트워크화 사업의 성과와 성공사례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고가의 S/W를 빌려 쓸 수 있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을 소개하고,   ○ 전문강좌로 최근 현실화 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개념을 도입한 정보화의 흐름과 중소기업의 활용전략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며,   ○ 기업정보화와 관련한 기업공시 제도의 추세와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경영투명성 확보 방안 등 재무공시 측면의 정보화 활용에 대한 전문가의 발표가 있을 예정임   ○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http://kj.smba.go.kr) 및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 확인할 수 있음.         < 붙 임 >         제3차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캠페인 행사개요  ▶ 행사명 : 유비쿼터스(Ubiquitous)와 중소기업 정보화 전략 ▶ 일  시 : 2004. 9. 9(목) 14:00 ~ 17:30 ▶ 장  소 : KT 전남본부 3층 ▶ 주  최 : 정보통신부, 중소기업청 ▶ 주  관 :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 후  원 : 광주상공회의소, (재)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광주·전남지회, (사)한국산학협동연구원, 한국전산원 ▶ 협  찬 : 한국HP, KT 전남분부, (사)한국커머스넷 ▶ 참관대상 : 중소기업 CEO, CIO 및 정보화 담당인력 ▶ 행사일정   시   간 내   용 비   고 14:00 ~ 14:30 참가자 등록/접수 및 지원사업 상담   14:30 ~ 14:35 개회사(정보화경영원장)   14:35 ~ 14:40 격려사(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   14:40 ~ 15:10 (주)호원(지역기업 정보화 경영혁신 성공사례) 질의응답 15:10 ~ 15:40 중소기업 정보화와 재무공시의 방향 질의응답 15:40 ~ 16:05 소기업네트워크화사업 성공사례 발표 질의응답 16:05 ~ 16:15 휴식   16:15 ~ 16:45 풍기산업(주)(자동차부품업종 성공사례) 질의응답 16:45 ~ 17:15 유비쿼터스와 중소기업경영 질의응답 17:15 ~ 17:20 폐회 경품추첨 ▶ 주요 행사내용   구분 세  부  내  용 정보화 우수사례발표 ○ 우수사례 1 : 지역기업 경영혁신 성공사례   - 발표자 : (주)호원 정대의 전무 ○ 우수사례 2 : 업종별 경영혁신 성공사례   - 발표자 : 풍기산업(주) 전문 강좌 ○ 중소기업 정보화와 재무공시의 방향   - 발표자 : 전남대 정용기 교수 ○ 유비쿼터스와 기업경영   - 발표자 : (주)선텔레콤 최창선 대표이사 ○ 소기업네트워크화사업 성과 및 성공사례   - 발표자 : 한국전산원 백종현 박사   - 발표내용     * 소기업 네트워크화 사업 추진 성과 발표     * 마주인터내셔널(의류제조/판매), 아이캔텍(IT제조/개발), 큰마당정비센터(자동차부분정비) 기타 ○ 2003년 중소기업 정보화 우수사례집 CD 배포 ○ 업종별 표준 업무프로세서 모델 CD 배포 ○ 중소기업 정보화 백서 CD 배포 경품 추첨 ○ 협찬사 제공 경품 추첨    ","viewCnt":"6105","regDate":"2004-09-06 12:09:00"},{"contentId":"248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IT 활용전략에 따라 정보화 성과에 큰 차이","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2","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 담당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4 (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8월 26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IT 활용전략에 따라 정보화 성과에 큰 차이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이 최근 실시한 “중소기업의 IT 활용실태에 관한 조사”(2004. 4~ 5)에 의하면 IT 활용도 제고를 위한 지속적 정보화 투자와 의사결정 도구로서의 정보시스템 활용도에서 기업간 규모에 따라 큰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됨.   ○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약 30%가 정보화 도입 후 사후 투자를 하지 않는 반면, 대규모기업은 꾸준히 시스템 업그레이드나 프로세스 정착화에 투자하는 것으로 조사됨.   ○ 최고경영진이 정보시스템을 의사결정지원 도구로 활용하는 비율을 보면, 중소기업은 15%, 대규모기업은 50% 이상으로 조사됨.   ○ 중소기업은 비용절감 위주로 IT 활용목표를 설정하는 반면, 대규모기업은 생산성 제고나 기업가치 위주의 IT 활용목표를 설정하는 것으로 조사됨.  □ 정보시스템 활용 수준과 IT 도입 이후 매출 증가에서 대규모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RP) 관련 활용 수준에서, 중소기업의 대다수가 ERP 시스템이 없이 단위업무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수준이거나 ERP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기초적인 사내업무에 활용하는 수준인 반면,   ○ 대규모기업은 ERP시스템이 있으며, 기업내 업무가 통합되어 활용되는 수준임.   ○ IT 도입 이후 매출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의 경우, 대규모기업은 78%, 중소기업은 34%로 대규모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두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됨. □ IT 활용목표에 따라 분석해 볼 때, 생산성 제고나 기업가치 증대를 목표로 추진하는 기업이 비용절감을 목표로 하는 기업보다 정보시스템 활용 수준과 IT 도입 이후 매출 증가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됨.   ○ 비용절감을 목표로 하는 기업의 75%가 ERP 시스템이 없이 단위업무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수준이거나 ERP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기초적인 사내업무에 활용하는 수준인 반면,   ○ 생산성 제고를 목표로 하는 기업의 35%, 기업가치 증대를 목표로 하는 기업의 60%가 ERP시스템이 있으며, 기업내 업무가 통합되어 활용되는 수준인 것으로 조사됨.   ○ IT 도입 이후 매출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의 경우, 생산성 제고는 55%, 기업가치 증대는 67%, 비용 절감은 28%로 생산성 제고와 기업가치 증대를 목표로 하는 기업이 IT 도입 이후 매출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 □ 따라서 대.중소기업간 정보화 격차 해소와 중소기업의 IT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은 원가절감을 뛰어넘어 생산성 제고나 기업가치 증대를 IT 활용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사업중심형 정보화 (Business-driven IT)전략의 추진이 요구됨(연락처 : 정책연구부 전략연구팀 양훈화 연구원 02-3787-0434)  ","viewCnt":"6383","regDate":"2004-08-25 12:08:00"},{"contentId":"248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보호 협력체계 구축","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3","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기획관리본부기획부 담당자 오주환 팀   장 전화번호E-mail 02)3787-0421(eujinn@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8월 4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 정보보호 협력체계 구축(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한국정보보호진흥원 중소기업 정보보호 협력 MOU 체결)  ○ 중소기업 정보보호와 관련하여 정부 유관기관간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중소기업 정보보호 수준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중소기업 정보화촉진을 종합적, 전문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 KIMI)은 국내 정보보호 전문기관인 한국정보보호진흥원(원장 이홍섭, KISA)과 지난 3일 있었던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단 출범식 행사에서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과 관련하여 상호 교류와 협력을 규정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KIMI와 KISA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 정보보호 인식제고 △ 정보보호 기술습득 △ 침해사고 예방 활동 △ 정보보호 관련 자료 공유 △ 정보보호 실태조사 및 수준평가 △ 침해사고 대응 및 복구 △ 기타 양 기관에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분야에서 폭넓은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백낙기 KIMI 원장은“세계 최고의 정보보호 전문기관을 지향하고 있는 KISA와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 촉진을 위한 커다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KIMI는 중소기업 정보화와 관련이 있는 기관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협력체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본 자료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전략정보화팀(02-3787-0487)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viewCnt":"6369","regDate":"2004-08-04 12:08:00"},{"contentId":"248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성공조건부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4","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 담당자 주석정 연구위원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4(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8월 6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성공조건부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 불안감 해소에 기여  □ 정보화혁신전문기업제도는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이 선 투자하고 사업 성공시점에서 중소기업이 투자비를 지불하는 제도로서 TIMPs-중소기업이 사업추진 협상시 중소기업의 정보화 및 경영환경을 고려하여 지원규모가 다양하게 결정됨.  ○ 동사업 참여중소기업의 50%가 과거 정보화 도입에 실패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점에서 알수 있듯이 동 사업은 정보화투자에 확신을 갖지 못한 기업의 투자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 동 사업의 또 다른 특징은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솔루션 및 지원영역을 공급자(IT업체)와 수요자(중소기업)가 협의하여 결정함으로써, 각 기업에 적합한 맞춤형 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임.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지원대상 중소기업은 대체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TIMPs의 책임감 있는 일괄 지원과 2년 이상 사후관리를 의무화하는 점에 대해 만족을 표시하고 있음.  ○ 02’, 03’년도 전체 지원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 지원사업의 성과측정, 사후관리 및 지원정책의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응답율 82.6%), 정보화혁신전문기업제도가 타 정보화지원사업과 갖는 차이점은“TIMPs의 책임지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8.2%로 가장 높았음.  ○ TIMPs가 제안한 시스템의 적정성 여부에 대해서는 98.6%가 “자사의 수준에 필요한 내용“이라고 응답함.   ○ 또한, TIMPs에 대한 만족도는(성실성, 책임감, 전문성,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 4.4 점 이상(5점척도)으로 높게 나타났음.  ○ TIMPs 제도가 갖는 강점은 “타 정보시스템과의 연계 용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0.4%로 가장 높았음.□ 정보화혁신전문기업제도의 발전방향으로는 “중소기업 비용부담의 최소화”가 25%로 나타나 비용부담을 줄이는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남.  ○ TIMPs 사업을 신청한 기업 중 37%가 투자비용의 부담으로 사업을 취소한 것으로 나타나 투자부담이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에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또한 지원대상업체 선정시 신축성 있는 적용을 통해 정부의 정보화 지원사업을 기지원받았던 기업에 관한 고려와 지속적인 사후관리제도 마련이 요구됨□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정보화사업부 정보화기반팀 장인성 선임연구원 02-3787-0471)","viewCnt":"6416","regDate":"2004-08-04 12:08:00"},{"contentId":"248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 금융지원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5","contentsKor":"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보도자료 담당과 기술지원국 기업정보화과 담당자 이종대 과장 박상준 사무관 전화번호 042-481-4400 E-mail sjpark@ smba.go.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29(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기청 인터넷 홈페이지(www.smba.go.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도 금융지원 실시 - 전문기업,중소기업에 최대 10억까지 보증지원 - □ 중소기업청(청장 金成珍)은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에 참여하여 정보화를 추진하는 중소기업에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지원만으로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고 발표함   o 또한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일괄 추진 지원하는 IT전문기업(TIMPs)들에게도 금융지원이 적용됨으로써 수요자(중소기업)측면 뿐만 아니라 공급자(TIMPs)측면도 고려한 지원으로 보다 내실 있는 지원이 기대됨. □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이란 중기청이 지정한 TIMPs(IT기업)가 자체인력 및 자금으로 중소기업에 정보화계획 수립부터 시스템 구축과 사후관리까지 선투자 일괄지원하고 정보화가 성공한 후 중소기업으로부터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사업으로   o 정부가 사업비의 50% 범위내에서 50백만원 까지 출연(보조)지원하고 있으나, 자금여력이 없는 중소기업은 기업부담금(50백만원에서 1억원 수준)의 부족 등 조달문제가 사업 참여를 주저하던 애로요인이었으나 금번 조치로 이 같은 자금부담(조달문제)이 해소된 것임. □ 금번 자금지원 방안은 중소기업의 경영정보화를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청, 기술신용보증기금,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업은행, 우리은행과 업무협조를 통해 금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지원할 방침임. □ 자금지원 규모는 정보화혁신전문기업의 경우는 지원 중소기업들과의 협약금액 50% 이내 10억까지 운전자금으로 지원하고, 정보화를 구축하는 중소기업은 전문기업과의 총 협약금액의 100% 이내에서 3억원까지 시설자금으로 지원할 계획임.  o 지원대상 및 지원조건을 살펴보면,    - 지원대상 : 전문기업(TIMPs) 및 지원대상 중소기업    - 지원조건 구   분 내        역 비   고 지원기간 5년이내(거치기간 포함)   자금용도 전문기업 : 운전자금으로 사업수행 필요자금   중소기업 : 시설자금으로 H/W, S/W, 컨설팅 및 부대비용   지원비율 및 한도 전문기업 : 협약금액의 50% 이내 10억원 한도   중소기업 : 소요자금의 100% 이내 3억원 한도   지원금리 정책자금 : 정책자금 금리기준적용, 중진공 직대를 통한 금리우대   자체자금 : 타 대출금리보다 우대   재원 정책자금 : 구조개선자금, 지식기반서비스육성자금,            산업기반자금   자체자금 : 기업은행, 우리은행    o 자금지원 절차는,    - 전문기업의 경우는 전문기업 확인서 발급(정보화경영원)→대출신청(전문기업)→신용보증 추천(금융기관)→보증서 발급(기술신보)→자금대출(금융기관)의 순이며,    - 중소기업의 경우는 사업성공 확인서 발급(경영원)→대출신청(중소기업)→신용보증 추천(금융기관)→보증서 발급(기술신보)→자금대출(금융기관)의 순이다. □ 금번 금융지원방안으로 인하여 중소기업의 정보화수준 향상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업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됨.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 홈페이지(http://www.smba.go.kr)를 참조하시기 바람 ","viewCnt":"5302","regDate":"2004-07-29 12:07:00"},{"contentId":"248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포럼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APEC 차원의 공동 방안 모색-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6","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혁신연구팀 담당자 전대성 팀   장김종윤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3(yavis7@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15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포럼-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APEC 차원의 공동 방안 모색 - □ 중소기업청(廳長: 柳昌茂)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院長: 白洛基)은 7월 15일과 16일에 서울 강남 노보텔 앰버서더에서「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포럼」을 개최함□ 개최 배경  ○ 2005년 APEC 정상회의, 중소기업 장관회의 등의 한국 개최를 계기로 APEC 역내에서 향후 회원국 간 중소기업 정보화 분야의 협력체제를 구축  ○ 한국은 ‘03년부터 2개년 계획으로 APEC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으며,    - 2003년 실시한 APEC 역내 21개 회원국의 중소기업정보화 실태조사는 회원국들의 정보화 정책, 지원체계,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 장애요인 등을 비교분석하였음    - 이 결과를 토대로 회원국의 중소기업 정보화추진 관련 실제적인 경험과 주요 이슈를 공유할 수 있는 APEC 차원의 장을 이번에 마련하게 되었음  ○또한 2004년 포럼과 워크숍의 개최결과를 2005년 중소기업 장관회의에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한국이 IT 강국으로서의 위상제고와 더불어 국내 IT기업의 AEPC 역내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한 것임□ 개최 목적  ○ APEC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포럼은 정책 입안자와 중소기업 정보화 유관기관에게 각국의 지원정책, 베스트 프랙티스, 정보화 성과 등을 제시함으로써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의 촉진을 도모하고 APEC 차원의 공동 협력방안 모색    - 각국의 지원정책 및 우수사례를 논의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국내외 정책입안자 등 11개 회원국 (미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중국, 대만, 홍콩, 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멕시코) 중소기업 정보화 담당 공무원, 유관기관 추진책임자, 협회 회장, 대학교수 등을 비롯하여 APEC 조직인 기업인자문위원회(ABAC), 정보통신실무그룹(TELWG)과 전자상거래실무그룹(ECSG) 및 APEC 옵저버 회원인 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PECC)에서 전문가들이 참가  ○ 정책포럼의 성과는 향후 개최할 e-비즈니스 관련 교육 워크숍에 반영하고 포럼성과와 권고안을 전자상거래실무그룹, 정보통신실무그룹 및 인력자원실무그룹 등 관련 APEC 조직에 보고함으로써, APEC 역내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및 전략을 수립?추진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주요내용  ○ 본 포럼은 크게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비교’, ‘부문별 정보화촉진전략’,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성공) 사례’ 등의 3개의 세션과 종합토론, 그리고 솔루션 전시회 방문으로 구성됨    - [세션 1]에서는 APEC 주요국가들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 소개를 통해 회원국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 촉진노력을 고취하고자 마련된 순서로 APEC 회원국 대표들이 자국 정부의 정보화 지원정책을 설명함    - [세션 2]에서는 부문별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전략을 논의하는 순서로, 주요 주제는 정보화를 활용한 수출촉진전략, 소상공인 ASP 구축, 제조업 정보화, 대기업과 연계한 중소기업 정보화 등으로 구성됨    - [세션 3]에서는 구체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의 추진사례가 발표되는 순서로 지역 클러스터 중심의 정보화 추진사례, 중소기업 정보화 교육과 훈련사례 등의 성공사례가 소개됨    - [종합토론]에서는 상기 세션에서 논의된 이슈와 베스트 프랙티스를 재 요약하고 1단계 정보화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중소기업 정보화가 APEC 전역에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을 권고하는 순서로, 특히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을 위한 APEC 공동 노력에 대한 합의안 도출이 기대됨  ○ 미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대만, 한국, 멕시코 등 주요 국가의 발표자의 발표내용을 함축하면 다음과 같음(요약문 별첨 자료)  ○ 한국 무역협회 전자무역추진 위원회 서정욱 위원장이 기조연설에서 ‘중소기업 경쟁력 증진을 위한 정보통신기술’을 주제로 발표     - 과학기술부 장관을 역임한 서 위원장은 중소기업의 IT를 활용한 수출경쟁력 향상에의 해법을 제시하였는데,   * 첫째 중소업체의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해 IT 기반 전략에 관해서 인지도 제고를 지원하고,    * 둘째 정부기관과 민간기관이 공동으로 추진정책과 사업모델 및 사례 개발에 앞장 서야 하며,    * 셋째 글로벌 가치사슬 안에서 중소기업의 위치와 대응 방안을 분석하여 제시하여야 하며    * 넷째 중소기업이 인터넷을 활용한 수출전략 수립 지원 등을 포함하되 각 산업별 특성을 고려할 것을 제안    - 특히 정부기관의 전략과 민간기관의 실무기능의 상호 보완에 의해 중소기업은 전자무역의 성공적인 도입과 수출경쟁력 확보를 강조  ○ 3 세션으로 나뉘어 발표된 미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대만, 한국, 멕시코, 홍콩,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11국에서 추진하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은 정보화 인프라 구축, 정보화 인력 교육 및 훈련, 정보화 자금지원, 컨설팅 및 상담 지원, 중소기업 네트워크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국이 수준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복합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을 실시    -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정책의 비교 부문에서 국가정보화가 높은 일본과 한국, 그리고 미국과 싱가포르가 대비되고 국가정보화가 낮은 멕시코는 정보화 공급정책과 수요정책을 양립하여 정책을 발표   * 일본과 한국은 정부가 주도해서 중소기업 정보화를 효과적으로 확산시키는 정책을 수립하고 실시하는 반면에 미국과 싱가포르는 정보화에 필요한 정보 제공과 교육 및 훈련을 수준별로 차별화하여 제공하고 사후 관리하는 정책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지며 멕시코는 소프트웨어 산업 육성과 소비시장인 디지털커뮤니케이션센터의 설립에 의하여 정보화인프라를 보급 및 확산   * 일본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종전의 정보화 마인드 확산 차원에서 추진하던 업무 효율화 목적의 정보화 사업을 중소기업이 투자효과를 보도록 정보화에 의한 경영혁신 방향으로 정부가 주도하며 (2004년 42억6천만엔 예산), 특히 대기업인 후지제록스와 국내 공급업체 205개 중소기업과의 e-비즈니스에 의한 협업 환경 구축을 끝내고 해외 공급업체와의 협업 환경 구축에 착수한 성공 사례를 소개   * 한국은 중소기업의 다양성에 적합한 정보화 정책 및 전략을 개발 및 추진하며 대표적인 지원사업은 중소기업 정보화 컨설팅 지원사업, 생산정보화 지원사업, 대기업과의 협업적 정보화 지원사업, 소상공인 대상의 ASP 방식 지원사업 및 TIMPs (정보화혁신전문기업)지원사업 등이 있고 이 중 TIMPs 사업은 정보화 투자효과에 확신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이 투자 부담을 덜고 IT 회사로 구성된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은 마케팅 기회를 확보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의 정보화 실태파악에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을 거쳐 시스템 구축까지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지원   * 미국은 정부규제의 최소화와 민간부문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중소기업이 e-비즈니스를 추진함에 필요한 정보제공 지원사업인 e비즈니스의 훈련 사이트, 보안인프라 진단 사이트, 전자상거래 준비도 평가 및 비용대비효과 온라인 사이트 구축과 수출증대를 위한 전자 무역 컨퍼런스 개최를 통한 오프라인 교육을 실시   * 싱가포르는 2010년 완료 예정의 10년 사업인 SME21을 통해 소매업의 생산성 배가,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전자상거래 참여 중소기업의 3배 증가를 목표로 기업 레벨, 부문별 레벨, 브로드밴드 기반의 3축으로 접근하는 종합적인 지원사업을 전개하고 기업으로부터 조성된 기술개발기금을 종업원 교육 때 보조하여 주는 훈련프로그램 프레임워크에 의해 정보화 수준별 훈련을 실시   * 멕시코는 PROSOFT 프로그램 (Program for the Local Development Industry)에 의해 2013년까지 거래액 50억불을 목표로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하며 전국의 40개 사업개발센터 운영에 의해 컨텐츠 개발과 정보화 리더 과정 등을 제공하며 2,500개 디지털커뮤니티센터에서는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설치하는 등 정보화 공급과 수요의 균형 정책을 실시    - 중소기업의 부문별 정보화 촉진전략 부문은 APEC 중소기업의 수출촉진 전략, 소상공인 정보화 부문의 ASP 전략, 제조부문의 정보화 전략, 대기업과의 협업 부문의 정보화전략을 발표   * APEC 중소기업의 수출촉진 전략 부문에서 PECC(아시아 태평양 경제협의회)에서 중소기업 네트워크 리더로 활약하는 호주의 크리스 홀 박사는 APEC 전체 수출액의 30%인 3조 달러를 중소기업이 차지하는데 ICT(정보통신기술)를 제대로 활용하면 수출액의 50%를 중소기업이 차지할 수 있으며 이는 금액으로 약 1조 달러가 증가되어 수출액이 4조 달러에 이를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대안으로 전자정부 촉진, ICT 훈련의 성공사례 발굴, OECD와 협력에 의한 정보화 장애물에 대처 방안 등을 제시   * 소상공인 정보화 부문의 ASP 부문에서 한국 정보통신부 인터넷정책과의 백기훈 과장은 ‘소기업형 ASP 기반 e-비즈니스 사업’을 전개하여 2003년11월 투자효과 평균 740% 달성, ASP 가입자가 2004년 5월 23만개이며, 2008년까지 가입 소기업 일백만개 예상하고 ‘ASP 산업 촉진을 위한 시범 사업’을 전개하여 1,319 중규모 기업에게 ASP 솔루션을 제공하고 투자효과가 1100% 내지 1700% 달성하였으며 ‘실업학교 ASP 훈련프로그램’을 통하여 ERP 모듈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2002년도 40개 학교 1600명, 2003년도 60개 학교 2400명 훈련을 완료하였다고 발표   * 제조부문의 정보화 전략 부문에서 말레이시아 국제통상산업부의 산하기관인 SMIDEC에서 정보기술부문에 근무하는 모드모타르 과장은 CAD/CAM/CAE, ERP, ASP, 로젯타넷 표준 등의 다양한 정보기술 채택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네트워킹 장비 구입을 지원하는 자금 지원과 융자 정책, 온/오프 라인의 중소기업 정보 및 상담 지원센터 (SME Information & Advisory Center) , 커뮤니티 오브 프랙티스 (CoP)를 위한 벤치마킹 웹사이트 등을 소개   * 대기업과의 협업 부문의 정보화전략 부문에서 대만 중소기업청 정보부의 리우 연구원은 ‘플랜 ABCDE'라는 정책을 통하여 3개의 세계적인 컴퓨터 OEM 업체, 국내 15개 대기업, 1800개 중소기업 및 대금 지급을 위한 금융기관과의 협업을 위한 마켓트 중심의 정보화 추진 전략을 소개    -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 사례 부문에서는 로컬 클러스터에 의한 사례, 중소기업 클러스터 사례, 정보화에 의한 여성기업 경쟁력 강화, 중소기업 온라인 정책에 의한 정보화 촉진, 중소기업 기술 훈련 프로그램 사례 등을 발표   * 로컬 클러스터에 의한 사례에서 홍콩은 인터넷전문가협회의 쿼트 회장은 홍콩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전자상거래를 도입 촉진하는 전자무역시스템, 입찰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정보화된 중소기업에게 입찰을 자동으로 통보하는 전자입찰시스템 등의 추진을 설명하면서 중소기업의 정보화에 있어 정부의 주도가 긴요함을 강조   * 중소기업 클러스터 사례에서 인도네시아 중소기업부의 소에트리시노 차관은 클러스터 전문기관을 설립하여 2001년 92개, 2002년 332개, 2003년 375개, 2004년 200개(계획)의 클러스터에 3년간 자금, 기술, 마케팅, 정보화를 통합적으로 지원한 정책 사례를 소개   * 정보화에 의한 여성기업 경쟁력 강화 사례에서는 한국 숙명여대의 아시아태평양 여성정보네트워크 센터장인 김교정 교수가 여성 인력의 정보화 인지도를 고양하는 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여성 인력의 정보화 실태 조사 등을 실시한 내용을 소개하면서 ‘APEC 여성 e-비즈니스 네트워크 센터’ 설립을 제안하여 여성기업인이 정보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   * 중소기업 온라인 정책에 의한 정보화 촉진 사례에서는 중국 과학아카데미 컴퓨터 기술연구소 교수인 탕 박사가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중소기업부로부터 위탁받은 ‘중국 중소기업 온라인’ 사업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각 시 등으로 연결되는 정부 지원의 웹사이트를 통해 중소기업이 웹사이트 자동구축 시스템과 인터넷에서의 구인구직, 정보화 사례, 정보기술 훈련, 제품정보 전시 등의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중소기업 정보화를 촉진한 사례를 소개   * 중소기업 기술 훈련 프로그램 사례에서 호주 교육부 직업훈련그룹의 저드 국장은 5년간 약 미화 6천만불 (한화 700억원) 예산으로 2004년 말에 종료하는 ‘호주의 유연한 교육 프레임워크’에 초점을 두고 성공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 훈련 자격증 제도와 품질 보증 및 인센티브 제도와 함께 e-러닝의 도입 실태를 소개    - 종합적으로 APEC 회원경제체의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의 시사점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음   * 체계적인 정보화 교육 및 훈련 체제와 정보화지원툴 제공 정책 (호주, 미국, 싱가포르)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에 의한 중소기업의 정보화 촉진정책 (대만, 일본)   * 중소기업의 다양성에 적합한 정보화 정책 및 전략을 개발 및 추진한 정책 (한국)   * 전자정부의 발전으로 중소기업이 정보화 되는 정책 (홍콩)   * 정책의 효과성 측면에서 벤치마킹 사이트 개설과 커뮤니티 육성의 CoP 정책 (말레이시아)   * 정보화 수요와 공급을 균형 있게 제공하고자 하는 정책 (멕시코","viewCnt":"6160","regDate":"2004-07-23 12:07:00"},{"contentId":"248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10회「중소기업정보화포럼」개최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육성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역할 -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7","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혁신연구팀 담당자 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forum@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8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단 신>제1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육성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역할 -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2004년 7월 8일(목) 산은캐피탈(여의도 소재) 대강당에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육성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제10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하였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은 국내외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현황 및 동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대안을 발굴하기 위한 전문가 및 중소기업인들의 논의의 장으로서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주관하여 월 1회 개최하고 있는 행사임   · 금번 포럼은 기술신용보증기금 박봉수 이사장의 주제발표를 통해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정부시책 및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주요사업 추진현황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 및 기술혁신 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하여 마련됨   · 중소기업정보화포럼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문의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 참조 (연락처 : 정책연구부 02-3787-0431~3)","viewCnt":"5188","regDate":"2004-07-14 12:07:00"},{"contentId":"248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APEC 회원국가의 정보화 수준과 특징 - APEC 중소기업 정보화실태 회원국가별 격차 심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8","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http//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 혁신연구팀 담당자 전대성 팀  장 김종윤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3 (yavis7@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14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APEC 회원국가의 정보화 수준과 특징 - APEC 중소기업 정보화실태 회원국가별 격차 심각 - □ 중소기업청(廳長: 柳昌茂)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院長: 白洛基)은 7월15일과 16일에 서울 강남 노보텔 앰버서더에서 개최하는 ‘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포럼?에서 2003년에 실시한 ’APEC 회원국가의 중소기업 정보화 실태조사‘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함 □ 중소기업의 정보화 지원정책을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의 특성과 그룹에 속하는 회원국가를 식별함으로써 그룹별 정책을 비교 분석   ○ 그룹1 은 아래와 같은 중소기업정보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국가로서 미국, 일본, 대만 및 한국이 포함됨    - 중소기업 정보화 성공사례와 정보화 필요성 및 혜택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제공    - 중소기업이 전자상거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인력 양성과 인프라 정비 노력을 전개    - 중소기업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자금지원    -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현장기술지원 및 컨설팅 활동    - 중소기업 e-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지원정책 실시 등   ○ 그룹2는 중소기업의 정보화만을 위한 정책적 틀은 수립되어 있지 않고 각 기관들이 개별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에 부분적으로 기여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국가로서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홍콩, 싱가포르가 포함됨    - 이들 국가는 정보제공과 IT 인력 양성 등 인프라 제고에 정책의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홍콩은 현장기술지원 정책, 호주는 중소기업의 e-비즈니스 네트워크 지원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특징적임   ○ 그룹3은 국가정보화 수준이 낮고 중소기업의 정보화에 대한 정책적 틀이 없는 경우로 그룹1, 2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들임.  이 그룹에 속하는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음    - 중국은 중소기업에게 유용한 정보 제공과 중소기업의 정보 집적 및 공유 등을 위해 웹사이트 구축작업을 추진    - 말레이시아는 중소기업지원 공공기관인 SMIDEC(Small & Medium Industries Development Corporation)을 설립하여 중소기업의 ICT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훈련, 자금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 태국은 중소기업 촉진 기관인 OSMEP(Office of Small & Medium Enterprises Promotion)가 중소기업의 정보화 요구에 대한 지원사업을 구상 중    - 인도네시아는 BDS(Business Development Services) 및 CD-SME (Center for the Development of SME) 등의 기관을 통해 클러스터 방식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활동을 전개 □ 각국의 비정부기관은 중소기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이 구현되며 다양한 형태의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 다음은 지원 프로그램 사례     - 캐나다의 e-Business Initiative : 중소기업의 사내 정보화 또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도입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     - 홍콩의 Vocational Training Council : 중소기업의 IT 전문인력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실시     - 일본의 IT Coordinators Association :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컨설팅을 통해서 현장에서 지원활동 전개     - 미국의 e-Business Institute : 중소기업을 상대로 온라인 교육 및 각종 기술지원과 컨설팅업무를 기업의 필요에 맞게 제공     - 호주의 ITOL (Information Technology Online) : 중소기업 e-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에 지원되는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수의 중소기업이 자발적인 참여에 의하여 민간 중개기관을 형성     - 대만의 Information Service Industry Association (CISA) 및 Taipei Computer Association (TCA) :  정부와 계약하여 자금을 지원받아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화 교육훈련 및 e-비즈니스 능력배양을 위한 컨설팅 사업을 전개함 □ 국가 인프라와 사업환경 측면의 분석은 각 그룹의 중소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APEC 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 활용실태 조사를 실시   ○ 조사는 10개 회원국가를 정보화 상위그룹(미국, 호주, 일본, 대만, 한국)과 하위그룹(중국, 멕시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으로 분류     - 분석기준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인터넷 활용 분석과 정보화 도입 준비도, 도입효과, 정보화촉진 영향요소를 포함   ○ 하드웨어 중 종업원 1인당 PC 대수는 정보화 상위그룹이 하위그룹보다 2배 이상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하위그룹에서의 PC 절대가격이 대단히 비싸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됨     - 컴퓨터 보유 격차를 줄이기 위해 하위그룹 정부는 저가격의 국민 PC(Internet PC) 개발 및 보급, 컴퓨터 구입 자금 지원, 컴퓨터 구입시 세제 혜택 지원, 컴퓨터 수입 관세 인하 등의 정책과 중고 PC를 재활용하기 위한 APEC 영역 내 소기업간 제휴 프로그램 운영 등을 고려해야 할 것임   ○ 소프트웨어 중 응용프로그램은 정보화 상위그룹이 평균 8개인 반면에 하위그룹은 1-2개에 그침     - 하위그룹 중 멕시코는 정부입찰에서 ERP 도입 기업이 유리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하고, 중국은 세무서에서 납세 신고를 받을 때 컴퓨터로 처리된 문서만 허용하는 정책을 추진   ○ 인터넷 활용도를 e-mail, 웹, 홈페이지 부문에서 분석하면 하위그룹은 웹 컨텐츠와 언어의 제약 및 통신 인프라의 미비와 고가의 사용료로 인하여 활용 수준이 낮음   ○ 역내 중소기업에서의 정보화 도입 준비도는 상위?하위그룹 구분 없이 활용인지도는 높으나 변화수용과 표준화는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도입효과를 BSC 모델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 학습효과는 높으나 고객만족 부문에서 하위그룹은 내부정보화에 치중한 결과 정보화 도입효과가 매우 낮게 나타남   ○ 정보화촉진 영향요인으로 상위그룹은 대상 기업 모두가 브로드밴드를 사용하고 있고 사업파트너로부터 정보화 압력을 받아 구매시스템을 활용하며 협회와 같은 민간기관에 의하여 정보화 지원을 받고 있는 반면,     - 하위그룹은 브로드밴드 사용이 60%에 그치고 사용료도 상당히 고가이며 구매시스템의 활용도 매우 낮은 상태이고 지원기관의 역할도 미약한 것으로 조사됨 □ 본 조사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APEC 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실태 개선 및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공동노력을 제안함   ○ APEC 레벨에서의 정기적인 협력 관계 증진의 일환으로 ’e-APEC Readiness'와 같은 공동 프로젝트와 APEC 중소기업실무그룹에 정보화 서브 그룹 신설할 것을 제안     - 유럽위원회가 실시하고 있는 ‘유럽 e-비즈니스 보고서’나 영국 통상산업부(DTI)가 매년 발행하는 ‘정보시대의 비즈니스: 국제 벤치마킹’은 다수 국가들의 정보화 관련 공동연구 결과임. 이와 유사하게 한국을 비롯한 관심 있는 APEC 회원국이 모여 'e-APEC Readiness' 사업을 전개할 것을 제안     - 또한 상호 학습과 APEC 역내의 협력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금번 ‘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정책포럼’과 같은 모임을 정기적으로 개최할 것을 제안     - 한편, 포럼과 같이 한정된 시간에 발표되는 각 APEC 회원국의 성공적인 정책들을 효과적으로 역내에 전파하기 위하여 정부나 비정부 지원기관 리더들에게 e-리더 과정을 교육할 것을 제안 ","viewCnt":"5928","regDate":"2004-07-13 12:07:00"},{"contentId":"248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생산정보화, 지원기업 당 평균22%의 업무능률 향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89","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 경영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8일 (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생산정보화(e-Manufacturing), 지원기업당 평균 22%의 업무능률 향상 효과 □ 생산자원, 생산공정 및 수요자 요구가 다양화, 복잡화됨에 따라 생산현장의 정보화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국내 제조업의 생산정보화 수준은 초보적인 단계임.   - “생산정보화(e-Mnaufacturing)"는 생산자 주도에서 소비자 주도로,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의 전환 등 급변하는 생산형태에 적극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음.   - 원?부자재, 기계설비, 작업방법 등이 점차 복합화 되어가는 생산현장의 투명성 및 생산성 제고에 필수요소로 부각. □ 중소기업청(청장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이 시행한 2003년 생산정보화 지원사업의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축된 생산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효과에 대해서도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데이터 입력시간 감소는 업체당 평균 39.7%의 향상효과를 나타냈으며, 서류작업 시간 감소 39.0%, 정보분석 비용 감소 38.0% 등 생산성 및 업무능률에서 업체당 평균 22%의 향상효과가 나타남.   - 사전진단 및 외부감리제도의 도입으로 사업수행과 구축시스템의 질적 향상부문에서도 만족도가 크게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이같은 긍정적인 시스템 구축효과에도 불구하고 생산정보시스템 구축시 애로사항으로 전담인력 부족(32.2%), 업무표준화 미비(26.8%), 예산부족(20.8%), 임직원마인드 부족(10.7%)등의 순으로 응답하여 전담인력 확보와 업무표준화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또한, 지원기간 및 규모 확대 지원, 연계시스템 구축시 추가 지원등을 희망함.   - 조사대상기업들이 계획하고 있는 향후에 필요로 하는 정보화 분야는 SCM이 48.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SEM(31.8%), PDM(16.4%)의 순으로 나타남. □ 따라서, 지원범위 및 내용을 생산현장 밖과의 연계까지 확대하고 기 지원기업 중 시스템 활용이 우수한 기업을 대상으로 생산정보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위한 확대 지원이 긴요한 것으로 평가됨. □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정보화사업부 생산정보화팀 최진석 선임연구원 02-3787-0481) ","viewCnt":"4962","regDate":"2004-07-07 12:07:00"},{"contentId":"249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163개사 지원 착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0","contentsKor":" 제 목 ‘04년도 생산정보화사업 163개사 지원 착수 □ 중소기업청(廳長 : 柳昌茂)은 생산현장에 정보기술(IT)을 접목시켜 중소제조생산공장을 디지털화하는 2004년도『중소기업 생산정보화(e-Manufacturing) 사업』을 본격 실시함 ㅇ 금년도 사업규모는 작년 67억원 보다 18억원(26.9%)이 늘어난 85억원 규모로서, (주)한창 등 163개 중소기업을 선정하고 6월 28일부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힘 ㅇ 지난 2002년부터 2년간, 123억원을 투입하여 256개 중소기업을 지원한 생산정보화 사업은 2008년까지 1,500개 중소기업의 생산정보화 지원을 목표로 추진중에 있음      ※ (‘02) 116개사 → (’03) 140개사 → (‘04) 163개사 → (’05) 180개사 □ 선정된 중소기업은 기업당 5천만원 한도, 총사업비의 50% 이내에서 생산정보화에 소요되는 정보시스템 구축비용을 지원 받으며, ㅇ 생산현장(공장)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생산설비와 컴퓨터간을 연계하여 컴퓨터를 통해 생산설비를 제어·지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실질적인 원가절감과 생산성 제고 효과를 거둘 수 있음 □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 환경에 맞는 시스템 구축 및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ㆍ 올 해 부터는 중소기업의 지원과제를 우선 선정한 후, 선정된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적격 IT업체를 공개경쟁방식으로 선정하였음 □ 또한 기 지원기업 중 시스템 활용이 우수한 기업 5곳을 업그레이드 시범기업으로 선정하였으며, ㆍ 선정된 기업은 생산정보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시범적으로 지원 받으며, 이를 통해 제품설계분야부터 사후단계인 PL대응분야까지 완전한 생산현장의 정보화를 지원 받을 예정임 ㆍ 업그레이드 지원은 ’05년부터 예산을 확보하여 확대 추진할 예정이며, 동 지원기업을「e-Manufacturing」선도기업으로 육성할 계획임   * 업그레이드 시범기업으로 선정된 5개사는 기 구축된 생산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업내부의 업무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생산의 투명성과 유연성 증대, 품질관리 측면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기업 ","viewCnt":"5255","regDate":"2004-06-29 12:06:00"},{"contentId":"249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IT 활용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심포지엄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1","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조사연구팀 담당자 김문선 팀장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4(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5월 18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IT 활용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심포지엄 개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5월 17일(월)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2층 대회의실(14:00~16:30)에서 제16회 중소기업 주간행사 관련 정보화 정책심포지엄 「IT 활용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이란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음 □ 이번 심포지엄은 중소기업청이 후원하는 가운데, ○ 김상훈교수 (광운대 경영정보학과)의 사회로 김주용 정책연구부장(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중소기업의 IT활용 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조민준 이사(아이마켓코리아)가 “정보화를 통한 기업의 경영혁신: e-Transformation”을 주제 발표하고 ○ 이어, 노성호교수(산업기술대 e비즈니스학과), 안현실 논설위원(한국경제신문), 이준기교수(연세대 정보대학원)가 패널 토론자로 참석하여 중소기업 정보화의 특성과 추진전략과, 정보화를 통한 경영혁신 및 효율적인 정부의 정보화 지원 방안 등에 관해 열띤 토론을 벌였음□ 이날 주제발표는 중소기업의 IT 활용에 관한 특성 분석과 기업의 IT 활용을 통한 경영혁신 사례로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먼저, 「중소기업의 IT 활용 특성 및 활성화 방안」과 관련하여서는 “사업추진형 정보화(Business-drvien IT)”를 지향하는 기업이 “업무추진형 정보화(IT-supported Business)” 추구하는 기업에 비해 IT 활용 수준이 높고, 상대적으로 더 높은 매출 증대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함.- 이 같은 결과와 관련, 정보화경영원은 정보화 추진계획 및 전략 추진시 “사업추진형 정보화” 모델을 추구하는 것이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효과 극대화에 크게 기여하는 방안이라고 설명하고, IT 활용 목표 및 비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봄.○ 아이마켓코리아의 조민준 이사는 주제발표에서 당사의 사례를 통해 IT 활용을 통해 경영혁신을 이룬 과정과 성과를 제시하고 IT 활용을 통한 경영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음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이번 심포지엄의 논의를 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가 업무 지원 차원을 넘어서 경쟁력 강화의 측면까지 고려하는 계기가 되고,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보화에 관한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진행될 것을 기대하고 있음□ 자세한 정보화 정책심포지엄에 관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조사연구팀 양훈화 연구원 02-3787-0441~3, 0434)","viewCnt":"5351","regDate":"2004-06-22 12:06:00"},{"contentId":"249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협업체계 구축사례 소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2","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혁신연구팀 담당자 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forum@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5월 19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협업체계 구축사례 소개- 중국 협력기업과의 화상회의 시연 예정 - □ 2004년 5월 20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이 주관하는 제8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에서는 현대모비스(주) 한규환 대표이사의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협업체계 구축사례」에 대한 발표와 중소기업 CEO 및 관련 전문가들이 토론의 자리가 마련될 예정임□ 행사 개요  ㅁ 일시 : 2004년 5월 20일 07:10~09:00  ㅁ 장소 :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 지하1층 알레그로룸□ 현대모비스(주) 한규환 대표이사는 구매웹포탈, Vaats 등 협력기업과의 협업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구축현황 및 향후 협업방향에 대한 소개에 이어 중국에 진출한 국내 협력기업과의 화상회의를 시연할 예정임□ 자동차산업의 경쟁환경이 단독기업 간의 경쟁에서 Supply Chain 간의 경쟁으로 변화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자동차 부품제조기업은 협력기업과의 정보화를 통한 협업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조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ㅁ 특히, 공급체인의 최적화를 위하여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매지원시스템과 함께, 협력사에 대한 공인신용평가정보 제공, 구매업무현황에 대한 정보공유기능 등 구매업무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행사 프로그램 시 간 비 고 07:00 ~ 07:10  등 록 07:10 ~ 07:50  조 찬 07:50 ~ 07:55  인 사 말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백낙기 원장 07:55 ~ 08:45  사 회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곽수일 교수    발 표 - 현대모비스(주) 한규환 대표이사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협업체계 구축사례 08:45 ~ 09:00  질의응답   ㅁ 참가신청 및 회원가입문의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 참조 (연락처 : 정책연구부 02-3787-0431~3)","viewCnt":"5713","regDate":"2004-06-22 12:06:00"},{"contentId":"249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SCM 구현의 성과와 바람직한 7가지 추진원칙","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3","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담당자 김문선 팀장 형준호 선임 전화번호 E-mail 02)3787-0442 (josa@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6월 17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SCM 구현의 성과와 바람직한 7가지 추진원칙“ -「해외 선진기업들의 최근 SCM(Supply Chain Management) 추진동향」세미나 개최 -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6월 17일(목) 전경련회관 대회의실(14:00~16:00)에서 「해외 선진 기업들의 최근 SCM 추진 동향」라는 주제로 정보화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임. - 본 세미나는 글로벌 무한경쟁 환경속에서 공급망 전체의 통합 또는 협업을 통해 상생(Win-Win)하고자 하는 선도기업들의 SCM 성공사례를 통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했음. □ 다음은 주요 발표내용임. 1. 김주용 정책연구부장(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 구미 선진기업의 경우, SCM은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한 경영혁신으로 자리잡았으며, SCM에 대한 투자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SCM의 운영성과는 기업의 재무성과와도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선진기업의 경우, SCM의 주요 추진목적은 ‘원가절감’이 가장 크며, 이외에도 ‘고객만족도 개선’ 및 ‘매출신장’에 상당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 정대영 박사(Intellic)   ○  구미 선진기업은 가시적 성과를 조기에 얻을 수 있는 과제와 IT시스템 도입에 앞서 프로세스 개선에 많은 비중을 두고 SCM을 추진하고 있음.    - S&OP(Sales & Operations Planning, 판매 및 운영계획)는 기업이 탁월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즈니스가 더 잘 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는 의사결정 프로세스로서 모든 업종의 기업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이를 추진한 기업들의 성과는 매우 큼.    - 우리가 처한 경영환경은 구미 선진국과 다르지 않으며, 글로벌 경쟁 하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S&OP를 중심으로 운영 최적화가 필요함. 3. 유지석 서기관(중소기업청 기업정보화과)   ○  한편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IT 인프라 강국임에도 불구하고, IT 활용도와 기업혁신 및 기업간 협업효과가 미흡한 실정임.    -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난, 인력난, 기술난 등의 태생적 한계와 더불어 대내외 경영환경의 경쟁 심화, 경기침체 등의 이유로 최근 그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음. □ 이에 중소기업청에서는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대ㆍ중소기업간 협업기반 마련을 위해 지난 2002년부터 ‘중소기업의 생산정보화 사업’을 시행해오고 있으며, 실제로 이 사업은 상당한 정량적ㆍ정성적 효과를 보이고 있음. 4. 김쾌남 박사(Intellic)   ○ 이처럼 갈수록 심화되는 대내외 경영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보화를 활용해 대ㆍ중소기업 협업을 통한 상생(Win-Win)의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는 295만 중소기업에게 SCM 전략은 매우 유용한 전략임.    - 다만, 고객 서비스 수요 증가와 기업의 이익/성장 수요의 균형을 위해서 “바람직한 SCM 구현을 위한 7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한 SCM 추진전략 수립이 선행되어야 할 것임. <참 고> □ 행사개요   。 주 최 : 중소기업청   。주 관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Intellic Inc.   。후 원 : 대한상공회의소, 매일경제신문, 전자신문, 구우정보기술(주)   。협 찬 : (주)코리아리쿠르트, 엠플래닝   。행사일정 구 분 내 용 발 표 주제1 경쟁국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동향 분석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김주용 부장 주제2 선진기업의 S&OP 추진동향 및 사례 Intellic Inc. 정대영 박사 주제3 국내외 선도기업들의 생산정보화 사례 중소기업청 유지석 서기관 주제4 선진기업들의 최근 SCE 추진동향 및 사례 Intellic Inc. 김쾌남 박사 □ 본 자료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3787-0442)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viewCnt":"5869","regDate":"2004-06-22 12:06:00"},{"contentId":"249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中企, 통합형 정보시스템에 대한 수요 증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4","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 담당자 주석정 연구위원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4(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6월 23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中企, 통합형 정보시스템에 대한 수요 증대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실시한 “중소기업 정보시스템 수요조사”에 의하면, 중소기업은 ERP와 POP/MES를 가장 많이 운용중인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정부의 적극적인 정보화 지원사업의 추진이 나름대로의 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정보시스템 도입순위는 ERP를 가장 우선적으로 도입하며, 그 다음으로 생산정보화, 그룹웨어 등을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정보시스템의 평균 구축기간은 20.8개월이 소요되며, 주요 기능을 우선적으로 구축하는 단계적인 구축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많은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 사전준비 또는 도입 후 성과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의 51.7%는 ISP, BPR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실시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아직도 48.3%의 중소기업은 사전계획 수립없이 정보시스템 구축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시행착오에 따른 투자비 증대가 우려됨.  - 또한 정보시스템 도입 후 도입성과 및 정보화투자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있는 기업도 49.5%에 불과하여 정보화투자의 효과를 저해하고 있음.□ 중소기업이 향후 가장 우선적으로 도입을 희망하는 정보시스템은 고객관리부문(CRM) 및 전략적기업경영부문(SEM) 등의 정보시스템으로 조사됨.  - 이는 기업내적으로는 기업정보를 통합하고, 기업외적으로는 수익성과 연계되는 통합형 정보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또한 정보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부문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향후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방법과 적절한 구축, 합리적 구축기간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임.  -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 스스로 정보화투자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ISP 수립 및 도입성과 측정에 적극적이어야 하며, 정부 또한 체계적인 정보시스템 분류와 합리적인 구축기간 등을 고려한 정보화지원체계의 개선을 검토해야 할 것임.□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형준호 연구원 02-3787-0442) ","viewCnt":"5212","regDate":"2004-06-22 12:06:00"},{"contentId":"249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보호 사업, 본격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5","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보화사업부전략정보화팀 담당자 권민순 팀장이영규 선임 전화번호E-mail 02)3787-0487(yklee@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6월 10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 정보보호 사업, 본격 추진 ○ 최근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급변하고 있는 사회적 · 경제적 환경에 생존하기 위해 정보화에 보다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를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커다란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 그러나 지난 2003년도 1월 25일 발생했던 “인터넷 대란”의 악몽 이후 금년에만 해도 마이둠, 베이글, 소빅, 사서 등과 같은 웜바이러스 들이 급속하게 전 세계로 전파되어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임○ 향후 해킹 · 바이러스 공격은 에이전트화, 분산화, 자동화, 은닉화 등 더욱더 지능화 및 악성화 됨으로써 정보보호의 사각지대에 있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기업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측됨○ 이러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전담기관인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지난 5월부터 정보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보호 취약점 진단 및 예방대책 수립을 지원해주는 ‘사전진단’과 해킹 · 바이러스 등의 정보화역기능 피해로부터의 중요 자료복구를 지원하는‘사후복구’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사전진단 사업은 정보보호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그동안 정보보호컨설팅은 주로 자금력이 풍부한 대기업이나 금융권 위주로 수행되어 왔을 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행한 실적은 거의 전무한 실정임   - 사업의 본격적인 착수를 위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는 지난 5월초 시큐어소프트, 퓨처시스템, 인포섹, A3시큐리티, 시큐아이닷컴 등 5개의 정보통신부 지정 정보보호컨설팅전문업체를 중소기업 지원업체로 선정하였음  - 기업당 지원금액은 발생비용의 80%로 최대 275만원임  - 지원내용으로는    ①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 그리고 보안장비 등에 대한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진단은 물론이고,   ② 전산실 취약점 진단 등 물리적 · 환경적인 부분에 대한 진단과 관리적 부분에 대한 진단도 병행함   ③ 이러한 진단을 통해 식별된 문제점들에 대해 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나갈 수 있도록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여 제공함   ④ 또한, 진단과정에서 나타나는 치명적인 취약점에 대해서는 긴급조치(Hot-Fix)를 지원하며   ⑤ 정보보호 정책이나 지침의 수립 및 운용이 중요해 짐에 따라 기업이 자체적으로 이를 수립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함   ⑥ 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보보호컨설팅 업체에서 자사에서 개발한 정보보호 솔루션을 대폭 할인하여 판매함- 본 사업은 향후 지원기업과 지원금액을 대폭 확대하여 방화벽이나 침입탐지시스템, 백업시스템 등의 정보보호솔루션 구축까지 일괄적으로 지원할 예정임○ 사후복구 지원은 해킹 · 바이러스 등 정보화역기능으로 기업의 중요자료를 소실하여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문업체를 선정하여 지원하는 사업임  - 사업의 본격적인 착수를 위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는 지난 5월초 00개사의 복구 전문업체 풀을 구성하였으며,  - 지원범위는 10개 내외의 중소기업이며, 기업당 지원금액은 발생비용의 50%로 최대 150만원임○ 본 자료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전략정보화팀(02-3787-0487)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viewCnt":"5128","regDate":"2004-06-22 12:06:00"},{"contentId":"249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ㆍ보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6","contentsKor":" 내 용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ㆍ보급   □ 중소기업청(청장 : 유창무)은 전통산업의 e-Manufacturing 및 e-Industry를 촉진하기 위하여 업종별로 생산방식 및 경영형태가 유사한 분야의 업무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보급·확산해 나아가고 있다.   ○ 2001년도부터 3개년 간 한국생산성본부(1차년도)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2, 3차년도)을 통해 국내 산업분야에서 생산비중이 높고,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되는 총 20개 업종(붙임 참조)을 선정하고,   ○ 해당 업종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경영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경영업무중 동일한 업무 프로세스를 추출하여 업종별 표준모델 및 적용방법, 통합 활용 전자메뉴얼 등을 개발하고,   ○ 개발된 내용의 중소기업 현장 적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업종별로 구분되어 개발된 표준업무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3개년 간 산출물을 통합화하여 『자재관리, 구매관리, 영업관리, 생산관리, 재무/회계관리, 인사/급여관리』로 구분 개발하였다.  □ 개발된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은 중소기업에 적용 및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실용성 위주로 추진 개발하였고   ○ 개발된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의 이해 및 활용을 위한 표준모델 교육교재를 개발하여 전체 표준모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 나아가 적용방법론(사전진단방법, 업무프로세스 개선, 사후진단방법)과의 연계를 통해 표준모델의 효용성을 확보하여,   ○ 중소기업이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 및 생산정보화사업 등 정보화 추진시 효율적인 정보화업무 컨설팅 및 진단을 위한 지침서로 보급할 예정이다.  □ 중소기업청은 이번에 개발 완료된 결과물을 중소기업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을 통해 On-Line 보급 및 중소기업정보화 지원사업과 연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중소기업, IT업체가 상시 활용 가능토록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에서 표준모델, 교육교재, 적용방법론 등 개발결과물을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 놓았으며,   ○ 정보화종합컨설팅지원사업에 보급하여 중소기업에 적합한 정보화 솔루션 개발 및 컨설팅을 유도하고, 지방중소기업청, 연구소, 유관기관 등의 중소기업 IT화 지원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토록 보급할 계획임.     ※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에 관심있는 중소기업 및 IT업체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아 참고하시면 됩니다.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  사이버컨설팅정보센터(www.ccic.or.kr)         < 별첨 >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 업종         번호 업 종 세 부  업 종 1 통신기기/방송장비 - 통신기기 및 방송장비- 방송수신기 및 기타 영상, 음향기기 2 반도체/전자부품 - 반도체 및 기타 전자부품 3 전기기계 - 전동기, 발전기 및 전기변환장치- 전기공급 및 전기제어기- 절연선 및 케이블 4 의약품/화학제품 - 의약품- 기타 화학제품- 화학섬유 5 자동차부품 - 자동차 부품 6 식품가공 - 고기, 과실, 체소 및 유지가공- 낙농제품 및 아이스크림- 곡물 가공품, 전분 및 사료 7 특수기계 - 기타 특수목적용 기계 8 제1차 금속산업 - 제1차 금속산업 9 조립금속 - 조립금속 10 일반기계 - 일반목적용 기계 11 고무 및 플라스틱 -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12 컴퓨터/사무용기기 - 컴퓨터 및 사무용기기 13 선박 및 보트 - 선박 및 보트 14 기초 화합물 - 기초 화합물 15 석유정제품 - 코크스 및 관련제품- 석유정제품 16 봉제의복 - 봉제의복 17 제과 - 기타 식품 18 골판지/종이 - 펄프, 종이 및 판지- 골판지, 종이용기 19 유통 - 유통 전 부문 20 물류 - 물류 전 부문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1","atchfileNm":"업무프로세스개발보급-20040423.hwp","viewCnt":"7488","regDate":"2004-04-27 12:04:00"},{"contentId":"249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Business-driven IT」","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7","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혁신연구팀 담당자 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forum@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4월 9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정보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Business-driven IT」‘업무지원형 정보화’에서 ‘사업추진형 정보화’로 □ 2004년 4월 8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이 주관한 제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에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이준기 교수는 우리나라 기업에서 추구해야 할 정보화의 방향을 업무지원형(IT Supported Business)에서 사업추진형(Business-driven IT)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역설하였음.□ 정보화를 지금까지 이야기하는 회계정보시스템, 공장자동화, 사무자동화 등을 통한 업무의 효율성 증가 또는 원가절감이라고 이해하는 관점은 '업무지원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나타내는 흔한 표현중의 하나가 “현재의 정보시스템이 현재의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얼마나 유용한가?”라는 질문이라고 볼 수 있음.   ○ 이러한 관점은 정보화 평가 방법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보기술을 경영에서 분리하여 그 자체로 평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PC보급대수, ERP, SCM, CRM의 도입자체를 정보화의 중요한 지표로 간주한 것임.□ 반면 정보기술 자체를 새로운 비즈니스의 동력(Enabler)으로 보는 관점, 즉 정보기술을 사업과 연계된 전략적 관점에서 봄으로써 정보기술을 통하여 기존사업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여 핵심사업으로 진출하는 기회를 포착하는 것을 '사업추진형' 정보화라고 볼 수 있음.  ○ 지난해 IBM에서 글로벌 CEO 450여명을 대상으로 향후 기업경영에서 무엇이 중요한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CEO의 80%가 매출신장이라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과거에 원가절감이 항상 1위를 차지했던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 정보화의 방향도 매출신장을 위한 새로운 시장,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됨을 시사하는 것임.  ○ 반면에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정보화 실태를 보면 상당수(66.2%)가 정보화 투자의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으나, 투자 시 고려하는 기대효과로는 업무처리의 효율성 제고(33%), 생산성 향상(26%)으로써 시장지향적 투자보다는 원가지향적 투자를 정보화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사업추진형 정보화로써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재래시장인 남대문시장에서 개발된 e-남대문의 예를 들 수 있음. 남대문시장이 기존의 오프라인 도매상을 주고객으로 정보화를 도입하였다면 좀 더 나은 재고관리시스템, 공급업자와의 원활한 자재공급시스템, 또는 고객관리시스템 등을 구축하였겠지만, e-남대문은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개체를 통하여 새로운 고객층인 일반소비자를 주요 목표시장으로 하려는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   ○ 해외에서는 Dell컴퓨터, Ebay, Priceline.com의 예에서 보듯이 미리 정해진 회사의 기존 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화라는 소극적 관점에서 벗어나, 사업전반에 스며들어간 새로운 정보화의 관점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경쟁우위를 점하였음. 이준기 교수는 이에 대하여 “이러한 성공사례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맞추어 새로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구성하고 거기에 맞는 SCM, 제품설계, 유통 등이 함께 이루어진 결과”라고 말하였음.  ○ 물론 기존의 관점에서 본 정보화가 전혀 성과 없다는 것은 아님. 정보기술을 도입함으로써 경영효율을 제고하고 원가절감을 기 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나, 이런 정보화는 성과에 한계가 있으며 다른 기업과의 차별화를 통한 경쟁우위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임.  ○ 이렇게 볼 때 새로운 관점에서의 정보화, 즉 ‘사업추진형 정보화’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포착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기 때문임.     □ 따라서 정보화에 대한 발상의 전환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경영자를 대상으로 정보기술과 그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육과 그들이 정보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법의 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임.   ○ 이와 함께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성공사례를 발굴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기업의 발전단계 및 산업유형별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기업이 발달된 정보인프라를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조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할 것임. ","viewCnt":"5574","regDate":"2004-04-20 12:04:00"},{"contentId":"249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세계 100대 IT리더가 말하는 21세기 인재상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8","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혁신연구팀 담당자 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forum@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3월 19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세계 100대 IT리더가 말하는 21세기 인재상- ‘T’자형 인간에서 ‘+’자형 인간의 시대로 -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2004년 3월 18일 07:20~09:00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60여명의 관련분야 전문가를 모시고 제5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개최하였음  ° 제5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에서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곽수일 교수의 사회로 「글로벌 시대, 디지털 인재의 조건」이라는 주제에 대해 삼성SDS(주) 김홍기 고문의 발표에 이어 다양한 정책이슈에 대하여 참석자들의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음□ 삼성SDS(주) 김홍기 고문이 제시하는 글로벌 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디지털 인재상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스페셜리스트(Specialist), 제너럴리스트(Generalist), 휴머니스트(Humanist)” 의 3박자를 골고루 갖추어야 한다는 것임  ° 과거에는 전문가(Specialist)로서의 깊이를 의미하는 ‘|'과 다방면에 대한 폭넓은 지식(Generalist)을 의미하는 ’―‘가 통합된 ‘T'자형 인재가 주목을 받았으나,   ° 디지털 융합현상이 도처에서 벌어지고, 모든 것의 경계가 무너지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도태되지 않으려면 다방면에 걸친 지식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하고 있음  ° 따라서, ‘T'자형 인재로도 미흡하며, 다방면에 대한 반(半)전문가(Semi-professional) 수준의 지식을 보유한 ‘+’자형 인재로 거듭나야 함 - ‘+'자형 인재의 가로(―)는 ‘T'자형 인재의 가로와 다르게 절반 정도 내려와 있으며, 이는 ‘T'자형 인재의 가로보다 더 깊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박 겉핥기식이 아닌 반전문가 수준의 지식을 요구하고 있음을 의미함  ° 또한 디지털 시대에 성공하려면 언제든 상대로부터 흔쾌히 협력을 얻어낼 수 있는 밝고 고운 심성과 폭넓은 휴먼 네트워크를 가진 휴머니스트가 되어야 함□ 주제발표에 이어 이루어진 포럼 참가자들의 토론에서는 디지털 인재의 양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방안이 논의되었음  ° 선문대학교 노규성 교수는 “디지털 인재의 양성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며, e-Learning 보급 및 활성화를 통하여 중소기업 인재양성을 위한 적극적인 정부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으며,  ° 새암소프트 양희종 전무이사는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고 그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업문화 혁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기업문화 혁신의 키워드는 무엇인가”라고 질문하였으며, 이에 김홍기 고문은 “디지털 인재의 양성 및 발휘를 위한 기업문화의 혁신은 젊은 조직으로의 변화에 있으며 우리 기업들은 시대변화에 걸맞는 기업문화를 창조하기 위해 보다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답변하였음□ 서울대학교 곽수일 교수는 이번 포럼에 대한 총평에서 “중소기업이 당면한 과제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시대변화를 리드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이 가장 중요하며, 다음 포럼에서 발표예정인 ‘정보화의 Paradigm Shift 「Business-driven IT」’라는 주제를 다루면서 보다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음□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백낙기 원장은 “이번 포럼에서 나온 다양한 정책과제를 적극 수렴하고, 앞으로도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을 매달 정기적으로 개최함으로써 중소기업 정보화를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및 대안제시의 장으로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중소기업정보화포럼의 운영방향을 제시함  <참고> 2004년 4월 중소기업정보화포럼 개최안내   제6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 일 시 : 2004년 4월 8일(목) 07:10~09:00         ○ 장 소 :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 지하1층 알레그로룸         ○ 주 제 : 정보화의 Paradigm Shift 「Business-driven IT」         ○ 발표자 :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이준기 교수    제7회 중소기업정보화포럼          ○ 일 시 : 2004년 4월 22일(목) 07:10~09:00         ○ 장 소 :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 지하1층 알레그로룸         ○ 주 제 :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정부정책방향         ○ 발표자 : 중소기업청 유창무 청장   ","viewCnt":"5568","regDate":"2004-03-18 12:03:00"},{"contentId":"249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생산현장의 정보화 이렇게 추진하세요- 중소기업 생산정보화 구축사례집 발간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499","contentsKor":" 생산현장의 정보화 이렇게 추진하세요.- 중소기업 생산정보화 구축사례집 발간 - □ 중소기업청(廳長: 柳昌茂)은 지난 2002년부터 2년간, 123억원을 투입하여 256개 중소기업을 지원한『중소기업 생산정보화 사업(e-Manufacturing)』의 우수 구축사례 40개를 업종별로 발굴하여「중소기업 생산정보화 구축사례집」을 발간함   ○ 또한, 중소기업의 생산정보화를 지원할 수 있는 관련 기술 및 솔루션을 보유한 52개 IT업체의 현황이 자세하게 수록된 「생산정보화 IT업체편람」을 동시 발간함  □ 동 구축사례집과 IT업체 편람은 금번에 처음으로 발간하였으며,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 금형제조업체인 (주)신흥산업은 금형제작 납기 및 일정관리, 효과적인 금형현장관리 등을 위해 제조실행시스템(MES)을 도입하여 제품진도와 현장부하의 투명성을 확보하였음     ※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제조실행시스템)   ○ 염색제조업체인 (주)선광염직은 생산설비효율의 극대화 및 생산주기 감소 등 생산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지능형 생산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생산계획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고객서비스를  크게 향상시킨바 있음  □ 한편 정부는 동 구축사례집과 IT업체편람을 널리 보급하여, 중소기업의 생산현장 정보화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임   ○ 구축사례의 주요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재하여 유사 업종의 중소기업이 상시적으로 벤치마킹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kimi.or.kr   ○ 언론매체 및 전문지를 통한 홍보, 성공사례 발표회 등을 통하여 우수사례 중소기업의 홍보와 함께 중소제조업의 디지털화를 촉진할 계획임   ○ 또한 IT업체편람을 수정·보완하여 중소기업이 자사 환경과 적합한 IT업체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임  □ 중소기업청은 제조현장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생산정보화 유형을 다양화하고, 주요 업종별로「e-Manufacturing 추진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선도기업으로 육성할 계획임   ○ '04년도 사업규모는 작년 67억원 보다 18억원(26.9%)이 늘어난 85억원 규모로서 160여개 중소기업을 지원할 계획임         【첨부】업종별 정보화 구축사례         <(주)장원산업(식품가공업 구축사례)>  ○ 종업원 74명 규모의 녹차 생산·가공업체로 생산공정 실시간 네트웍 정보화 및 자재관리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생산효율의 극대화 및 수입자재에 대한 비용 감소를 위해 생산정보화를 추진   - 이를 통해 생산설비 이력 관리 자료의 자동 수집과 실시간 분석에 의한 효율증대 및 비용을 절감하고,   - 생자재 및 부품에 관한 정확한 정보 확보를 통해 불필요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기존 대비 30%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 <(주)신흥산업(금형제조업종 구축사례)>  ○ 종업원 300명 규모의 금형제조업체로 금형제조를 담당하고 있는 제조기술부를 대상으로 일정관리 중심의 제조실행시스템(MES)구축을 위해 추진   - 효율적인 금형제작 납기 및 일정관리, 금형현장관리 등을 통해 제품진도와 현장부하의 투명성을 확보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     ▶ 납기단축 : 프레스 금형(30~45일   20~30일), 납기예측 정확도 (10% 향상)     ▶ 생산성 향상 : 가동율 증대(월 35Set 제작   월 45Set 제작), 유실시간 감소(년 1500시간   년 500시간)     ▶ 원가절감 : 외주가공비 절감(약 30%절감), 가공불량 감소(2.5~4%   1.0~1.5%) <율곡테크엔지니어링(항공기 부품 제조업종 구축사례)>  ○ 종업원 34명 규모의 항공기 부품 제조업체로 항공기 및 진공펌프부품 생산   - 생산현장의 정보 파악, 체계적인 공정관리, 정확한 설비생산능력 파악을 위해 생산정보화를 추진   - 이를 통해 생산설비 가동률 향상, 체계적인 원가관리 및 예측, 고객만족도 감소, 서류작업시간 감소, 현장 작업자의 자기관리 능력 개선 등 효과 달성 <(주)선광염직(염색제조업 구축사례)>  ○ 종업원 104명 규모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직물을 염색·가공하는 업체로 생산현장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생산성 및 고객서비스를 향상하기 위해 생산시점관리(POP)를 추   - 지능형 생산정보화의 구축으로 생산설비 효율의 극대화, 생산주기 감소, 생산리드타임 감소, 서류작업 감소, 품질향상 운용비용 절감, 기술변경 소요시간 단축 등 생산성을 향상,   - 고객 주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생산계획의 유연성 확보 등을 통해 고객서비스를 향상 <금아인터내셔날(자동차부품제조업종 구축사례)>  ○ 종업원 150명 규모의 스워스티어링 호스, 부품 및 어셈블리 생산하는 자동차부품제조업체   - 유연한 생산계획 수립, 생산 및 품질의 실시간 관리, 효율적인 설비 관리를 위해 생산정보화를 추진     - 이를 통해 실시간 설비 가동 현황 파악 및 설비 장애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 정보 수집과 분석 비용의 절감, 설비 보전 예방 관리 효과를 달성   <(주)칩트론(전기·전자제조업종 구축사례)>  ○ 종업원 140명 규모로 반도체 리드프레임을 생산하는 전자제조업체   - 다품종 소량생산의 생산형태에 대한 대응, 해외 신규고객 창출 및 현 고객의 요구에 의해 제조실행시스템(MES)을 추진   - 이를 통해 실시간 정보 처리 및 공유 등을 통한 업무의 효율성 증대, 제조원가 및 투자비용 절감, 고객서비스 지원 강화 등의 효과를 달성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2","atchfileNm":"우수사례집보도자료.hwp","viewCnt":"6182","regDate":"2004-01-31 12:01:00"},{"contentId":"250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OECD 주요국과 비교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정보화 실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0","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조사연구팀 담당자 김문선 팀장형준호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psyche13@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3년 12월 19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OECD 주요국과 비교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정보화 실태- 마케팅, 생산 등 기업성과와의 연계성 강화해야 -   □ 기업경쟁력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 확보 차원에서도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세계 각국은 자국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 향상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실태를 파악하고 있음.□ 이와 관련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실시한 「2003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와 영국 통상산업부(DTI)의 「Business in the Information Age - International Benchmarking Study 2002」를 비교?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됨.   ○ 인터넷 이용과 관련하여 독일, 이탈리아를 제외한 OECD 주요국들은 초고속인터넷(ADSL/XDSL, 전용선) 사용율이 4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경우 88%가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 통신망을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줌.  ○ 그러나 OECD 주요국은 정보통신기술(ICT) 환경변화에 따른 비즈니스 계획에의 반영률이 50%내외로 높지만,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는 동 비율이 22%에 불과해 정보기술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 이와 관련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웹사이트 구축율은 58%로 독일(85%), 영국(80%) 등과 비교해 크게 뒤져 있으며, 여타 OECD 주요국과 비교해서도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향후 e-비즈니스 수행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 우려됨. <그림 1> 웹사이트 구축율(%)  ○ 또한 OECD 주요국들은 온라인 마케팅 활용비율이 50%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12%만이 온라인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2> 온라인 마케팅 활용   ○ 한편 생산부문에의 온라인 기술 활용측면에 있어서는 OECD 주요국들도 아직은 미흡한 수준인 가운데 미국(17%), 캐나다(16%), 독일(16%) 등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고, 일본(7%), 프랑스(8%), 스웨덴(8%) 등이 낮은 수준이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중간 수준(9.5%)에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3> 생산부문에의 온라인 기술 사용비중 □ 종합적으로 국내 중소기업은 인터넷 연결속도 등 정보인프라 측면은 세계적 수준이지만, 이를 활용하여 경영성과를 제고시키는 데에는 미흡한 것으로 분석됨.  ○ 따라서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정보화전략을 수립ㆍ이행하고, 성과연계형 정보화 추진 등 정보화를 통한 경영혁신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정보화 사업이 전개되어져야 할 것임.□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발행하는 ‘KIMI issue 제3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본 자료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로 접속하시거나,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3787-0442~3)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viewCnt":"5532","regDate":"2004-01-28 12:01:00"},{"contentId":"250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의 50% 이상이 정보화역기능으로 인한 피해 경험","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1","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보화사업부생산정보화팀 담당자 최진석 팀장이영규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80(yklee@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3년 12월 17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의 50% 이상이 정보화역기능으로 인한 피해 경험   ○ 지난 1년간 서버 다운과 컴퓨터 바이러스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중소기업은 각각 50.4%와 51.2%로 중소기업의 절반이 피해를 당한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나타남.○ 중소기업청(청장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이 수행하는 중소기업 정보화역기능 방지사업 중 정보화역기능 실태조사의 결과로, 10월부터 약 2개월간 전국의 서버급 컴퓨터를 1대이상 보유하고 있는 50인 이상의 1,261개 중소기업과 66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정보화역기능 실태를 방문 면접 조사하였음○ 이번 실태조사는 국내 정보보호관리체계 표준인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의 15개 항목을 참조하여 이중 국내 중소기업에 적용이 가능한 10개 항목을 추출하여 조사가 이루어짐. ○ 실태조사결과 해킹사고를 경험한 중소기업은 13.2%, 대기업은 3.0%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정보보호 전문 조사기관인 산스(www.sans.org)의 한 조사결과에 의하면, 해킹의 경유지로 이용되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해킹의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나 실제 중소기업의 해킹률은 훨씬 높을 것으로 보인다. ○ 특히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 대다수가 서버가 다운된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으며, 해킹에 의한 직접적인 침해보다는 인터넷 접속회선 이상 등의 간접적인 원인에 의한 것으로 인식하는 등 기본적인 인지도 자체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 이렇듯 정보화 역기능의 위협에 크게 노출되어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 자체 정보보호에도 비중을 두지 않아 그 위험성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체 정보보호 지침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16.0%에 불과했고(대기업은 57.6%), 35.8%의 중소기업만이 사내 임직원을 대상으로 정보보호 교육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정보보호 담당 조직이 전혀 없는 중소기업도 38.4%나 되는 등 정보보호 정책 운영 및 인력투자에 있어 중소기업의 준비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조사됨. ○ 정보보호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경우에도, '바이러스 백신'만을 구축한 기업이 82.2%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그 이외에는 '침입차단시스템(Firewall)?41.7%과 ‘네트워크 보안도구?22.4% 등의 순으로 나타나 바이러스 백신 이외의 정보보호시스템의 구축 ? 운용 비중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 정보보호 추진의 장해요인에 대한 조사에서는, ‘정보보호시스템 도입 비용의 부족(30.5%)’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혔으며, 정보보호대책을 강력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층의 확고한 의지’(61.1%)와 ‘체계적인 내부방침 마련 및 적극 시행’(49.8%)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중소기업청은 이러한 정보화 역기능으로부터 중소기업들을 보호하기 위한 시범사업으로 “중소기업 정보화역기능 방지사업”을 실시하였으며, 각 지방청에 “정보화역기능방지센터”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 “정보화역기능방지기술지원센터”를 구축하여 정보화역기능 관련 사전진단, 사후복구, 홈페이지(http://www.smesecu.or.kr) 구축, 실태조사 등의 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 중소기업청은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정보화역기능 실태조사로, 이를 통해 향후 중소기업에 대해 현실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여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viewCnt":"5464","regDate":"2004-01-28 12:01:00"},{"contentId":"250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돈이 되는 정보화, 돈만 쓰는 정보화」정보화 가이드북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2","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조사연구팀 담당자 김문선 팀장형준호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42(josa@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월 26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돈이 되는 정보화, 돈만 쓰는 정보화」  정보화 가이드북 발간 □ 중소기업청(청장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방향모색의 나침반인 정보화 가이드북 「돈이 되는 정보화, 돈만 쓰는 정보화」를 발간함.●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 및 성과에 대한 성공 사례별 정보를 공유하여 효과적인 정보화 추진토록 구성함.  □ 본 책자는 정보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한 중소기업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Chapter)별로 정보화 전문가들이 조언을 추가하여 단순한 사례소개가 아닌 사례를 통한 실 접목 가능방향 제시함.  ● 제1장(“철저하게 경영자가 터득해야”)은 최고경영자의 정보화에 대한 마인드, 의사결정에 따라 기업이 크게 변화할 수 있는 사례로    - (주)태원식품은 ERP도입과 업무매뉴얼화를 통한 신속한 의사결정과 품질관리에 성공하여 생산성을 증대에 따른 매출액 증대까지 이루어냄.   - (주)케이알은 기업자체업무방식에 따른 전략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그룹웨어를 도입함으로써 진정한 Paperless를 실현하여 높은 업무개선 및 생산성 제고효과를 거둠.  ● 제2장(“고객보다 앞서나가야”)은 보다 발빠른 대응으로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정보화 전략으로서    - 진영산업주식회사는 생산정보화시스템(POP)을 도입함으로써 생산공정을 자동화하고 품질을 제고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거두었으며 향후 ERP를 도입하여 POP와의 연계를 도모하고 있음.- 이레전자산업(주)은 다섯평 창고에서 시작하여 14년동안 일궈온 기적을 지속하기 위해 ERP시스템을 자체개발하고 꾸준한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미래를 준비하고 있음.? 제3장(“벤치마킹은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은 오랜 기간동안 성공/실패사례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해 자사에 적합한 정보화를 추진해온 기업사례를 소개함.- 정보화추진을 ‘블랙박스’에 비유하고 있는 (주)신흥산업은 전체 공정과 생산시스템을 MES를 통해 투명하게 하고 지속적인 버전업을 통해 정보화를 추진해옴.- 영신금속공업(주)은 실패없는 성공은 없다는 신념하에 해외의 선진사례와 국내의 성공/실패사례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정보화를 추진해 업무효율성을 증대시킴.? 제4장(“제2,3의 고객을 찾아서”)은 정보화를 통해 비즈니스영역을 확대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를 발굴한 사례로- 정보기술과 정보화를 통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 (주)코맥스 - 한번 고객으로 끝나리라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CRM을 통해 지속적인 고객화를 추구하고 있는 웨딩플렉스,- CRM도입에 따른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고자 하는 (주)뉴호라이즌 코리아의 정보화 추진사례가 소개됨.  ● 각 기업들의 정보화 추진사례에 따라 정보화 추진전/후의 성과 및 ERP, POP, MES, Groupware, CRM 등 정보시스템의 구축 성공요인 및 체크포인트들이 포함되어 있음.□ 본 책자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http://www.kimi.or.kr)와 e-SME웹진(http://www.e-sme.or.kr)에서 온라인으로 보실 수 있으며, 문의사항이 있으면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3787-0442~3)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viewCnt":"5455","regDate":"2004-01-28 12:01:00"},{"contentId":"250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4년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규모, 작년 수준 유지 또는 다소 확대 예상","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3","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조사연구팀 담당자 김문선 팀장형준호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42(josa@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월 9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2004년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규모, 작년 수준 유지 또는 다소 확대 예상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중소기업의 정보화투자 현황과 2004년 전망에 대해 지난해말 국내 5인 이상 중소제조업 1,500개사(응답업체 519개사, 응답률 34.6%)의 최고경영자 및 정보화 담당 실무책임자급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환경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음.□ 상당수의 중소기업이 정보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이러한 필요성이 실제 기업현장의 정보화투자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음.   ― 64.9%의 중소기업이 정보화 도입 및 추진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2003년의 경우 정보화투자를 한 중소기업은 39.4%에 불과  □ 금번 조사결과를 통하여 나타난 2003년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투자 실태 및 특징은 다음과 같음.   ―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수준은 2003년에 비해 다소 개선된 가운데, 업체당 평균 5,512만원 투자함.   ― ‘정보시스템 교체 및 업그레이드’(67.8%)와 ‘업무처리 효율성 향상’(67.3%) 등의 이유로 투자를 확대한 반면, ‘비용부담’(108개사, 33.8%)과 ‘낮은 필요성’(105개사, 32.8%)등의 이유로 투자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남.   ― 현재는 ‘사무관리’(55.5%)와 ‘거래관리’(45.3%) 중심으로 투자를 하고 있으나, 향후 ‘생산공정관리’ 및 ‘설계관리’, ‘데이터관리’ 등 다양한 부문의 종합적 투자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됨.   ― 시설투자(3,271만원 ; H/W 1,627만원, S/W 1,644만원)에 가장 많이 투자하였고, 다음으로 개발비(2,241만원), 유지?보수(1,738만원) 순으로 투자하였음.   ― 중소기업은 경기가 나빠지면 ‘인력→설비→정보화’ 순으로 투자를 줄이고, 경기가 회복되면 ‘설비→연구개발→정보화’ 순으로 투자를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이 느끼는 정보화관련 적정 투자수준은 총매출액 대비 1~1.5% 수준이고, 적정 투자규모는 6,989만원으로, 정부가 3,785만원(54.1%) 지원해주고, 기업 스스로 3,205만원(45.9%) 부담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남.  □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은 2004년에 정보화투자를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다소 확대할 예정이나 구체적인 계획은 없어, 향후 이러한 투자확대계획이 허수가 될 우려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임.   ― 2004년에는 지난해보다 H/W와 S/W의 시설투자(3,741만원)는 늘리고, 개발비(2,194만원)나 유지?보수비(1,635만원)는 다소 축소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됨.  □ 종합적으로 중소기업은 기업경쟁력 제고와 급변하는 대내외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수단으로 정보화를 생각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준비와 노력은 다소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남.※ 세부자료는 별첨의 「중소기업의 정보화투자 현황과 2004년 전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문의처 :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02-3787-0442)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3","atchfileNm":"중소기업정보화투자규모(040107).hwp","viewCnt":"5276","regDate":"2004-01-28 12:01:00"},{"contentId":"250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정보화백서 발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4","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보도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전략연구팀 담당자 오준환 팀장곽후근 연구원 전화번호E-mail 02)3787-0432(psyche13@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1월 12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정보화백서 발간- 중소기업 정보화의 주요이슈에 대한 연구조사결과 집대성 - □ 중소기업청(청장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중소기업 정보화 전반에 대한 전문가들의 연구결과 및 자체 조사한 각종 통계조사결과를 집대성하여 「중소기업정보화백서」를 발간하였음○ 2001년부터 중소기업의 정보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어 중소기업청, 산업자원부 및 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별로 다양한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들을 활발하게 추진하였으나, 중소기업 정보화 전반의 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각종 자료의 체계적인 분석과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비전의 제시가 시급하다는 인식 하에 중소기업 정보화의 의의, 현황, 정책 및 발전방향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들의 연구결과물들과 각종 통계자료를 망라하여 「중소기업정보화백서」를 발간하게 되었음□ 「중소기업정보화백서」는 편집위원장인 경북대학교 이동만 교수를 비롯하여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편집위원회가 세부목차 결정 및 집필원고의 감수를 담당하였으며, 이병태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 등 총 21명의 집필진들이 전문분야별로 원고를 집필하였음※ 편집위원 및 집필진 명단은 별첨 1 참조□ 「중소기업정보화백서」는 총 5편 14장 2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중소기업 정보화의 현황과 전망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표와 그림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구성하였음○ 특히, 국?내외 중소기업 정보화 현황을 관련 각종 통계조사자료들을 활용하여 수치를 토대로 설명하고 있으며, 각 부처별 주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정보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중소기업들이 정부정책을 쉽게 이해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음○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을 연구?개발하는 정책입안자 및 연구자들에게 기존의 연구결과를 총망라하여 제공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정책 수립과 연구가 이루어지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함※ 중소기업정보화백서의 주요목차는 별첨 2 참조□ 「중소기업정보화백서」의 全文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 pdf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정책연구부 전략연구팀(☎ 02-3787-0431~4)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4","atchfileNm":"정보화백서(040107).hwp","viewCnt":"6515","regDate":"2004-01-28 12:01:00"},{"contentId":"250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사업정보를 한 눈에 - 지방 중소기업을 위한 정보화지원사업 설명회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5","contentsKor":"   제 목 중소기업 정보화 사업정보를 한 눈에 - 지방 중소기업을 위한 정보화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 수도권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보화 도입ㆍ활용이 미미한 지방 중소기업이 정부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 사업 및 활용사례 대해 일목요연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마련되었다. ○ 중소기업청(청장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수도권에 비해 정보화 추진 속도 및 내용 등에서 뒤떨어지는 지방 중소기업들에게 중소기업청의 정보화 지원사업과 지원제도 소개 및 정보화우수사례를 전파하는 행사를 개최한다. ○ 이번 설명회는 광주 하남산단(12월 8일), 대구 성서 및 염색공단(9일), 창원 국가산단(10일), 인천 서부지방산업단지(12일) 등 모두 4개 지역의 중소기업 밀집지역에서 개최된다. ○ 특히 이번 설명회에서는 중소기업정보화 전담 추진기관으로서의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소개와 각 지역별 정보화 우수지원 및 성공사례 발표도 있을 예정이며, 정보화시대의 중소기업에 꼭 필요한 “정보화시대의 원활한 Communication" 이라는 주제로  전문강사의 흥미 있는 강연도 동시에 진행된다. ○ 또한 금번 설명회는 지난 ‘01년도부터 3개년 동안 수행해온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사업”의 최종 산출물 총 20개 업종에 대한 표준모델의 개발?보급 설명회도 겸하고 있어 해당 업종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표준 템플릿을 소개하며, ○ 세미나 참석자 전원에게 개발된 『표준 프로세스 통합 활용 전자메뉴얼(CD)를 무료로  보급』할 예정이다. ○ 본 설명회와 관련된 자세한 문의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나 경영원 기획부 (☎02-3787-0421~3)    로 문의하면 된다.   『정보화지원사업 설명회 행사 개요』 □ 추진배경   o 정부 추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에 대한 『현장 홍보』를 통해 지원대상 중소기업의 자발적 참여 기회 확대 □ 주요내용  ㆍ공단지역 사업설명회 개최    - 중소기업 정보화 전담기구로서의 정보화경영원 역할 소개    - 중소기업 정보화 우수 지원 및 접목 사례 소개    - 정보화를 통한 중소기업 경쟁력 제고 마인드확산을 위해 전문      강사 초빙강연 □ 장소 및 일정    - 광주 : 서구 센트럴호텔 10층 연회장(12월 8일 월, 14:00 - 17:00)    - 대구 : 그랜드호텔 본관 2층(12월 9일 화, 14:00 - 17:00)    - 창원 : 인터내셔널 호텔 5층(12월 10일 수, 14:00 - 17:00)    - 인천 : 서해 관광호텔 2층(12월 12일 금, 14:00 - 17:00) □ 프로그램 - 14:00~14:50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소개 및 지원사업 안내                ㆍ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소개(경영원)                ㆍ중소기업 정보화 우수사례 소개(소프트파워外) - 15:00~16:00  정보화 강연                ㆍ정보화시대의 원활한 의사소통(전수아 강사) - 16:00~17:00  업종별 업무프로세스 설명회(정보화혁신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5","atchfileNm":"공단지역보도자료(최종본).hwp","viewCnt":"5755","regDate":"2003-12-04 12:12:00"},{"contentId":"250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업종별 업무프로세스 표준모델 보급ㆍ확산 세미나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6","contentsKor":" 제 목 업종별 업무프로세스 표준모델 보급ㆍ확산 세미나 개최 □ 중소기업청(청장 :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백낙기)은 중소기업의 정보화마인드 확산 및 효과적인 정보화 추진을 위해 『업종별 업무프로세스 표준모델 보급ㆍ확산 세미나』를 개최한다.   ㆍ 금번 세미나는 ‘01년도부터 3개년 동안 수행해온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사업의 최종 산출물로써, 총 20개 업종에 대한 표준모델 개발함에 따라 해당 업종 정보화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표준 템플릿 제공을 위해 마련되었다.   ㆍ 올해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개발은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경영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생산방식과 경영형태가 유사한 업무 프로세스를 업종별로 표준화한 것으로 대우정보시스템(주)과 (주)포윈스정보기술, (주)포네트, (주)아이브레닉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개발하였다.        * 해당 업종 : 총 20개 업종에 대한 표준모델 개발 추진 구분 업종수 업  종  명 1차년도 (‘01) 6개 통신기기/방송장비, 반도체/전자부품, 의약품/화학제품, 자동차 부품,  식품가공, 전기기계 2차년도 (‘02) 5개 고무 및 플라스틱, 제1차 금속산업, 조립금속, 일반기계, 특수기계 3차년도 (‘03) 9개 컴퓨터/사무용기기, 선박, 기초화합물, 석유 정제품, 봉제의복, 제과, 골판지/종이, 유통, 물류 □ 동 세미나에서는 총 20개 업종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발표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청 정보화 지원사업 및 정보화 정책 소개 등 지원대상 중소기업의 자발적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공단지역 사업설명회』와 병행하여 개최된다.    ㆍ 전국 주요도시에서 12월 8일(월)부터 12월 18일(목)까지 개최되는 이 세미나에는 유관 중소기업 조합 및 단체, 중소기업 경영자, 학계와 IT업체가 참여하고, 지  역 일  시 장 소 광주?전남,전북 ‘03. 12. 8(월) 16:00 ~ 17:00  그랜드호텔(광주 소재) 대구?경북,강원 ‘03. 12. 9(화) 16:00 ~ 17:00  호텔대구(대구 소재) 부산?울산,경남 ‘03. 12.10(수) 16:00 ~ 17:00  인터네셔널호텔(창원 소재) 서울,경기,인천 ‘03. 12.12(금) 16:00 ~ 17:00  서해관광호텔(인천 소재) 제주도 ‘03. 12.16(화) 14:00 ~ 15:00  제주지방중소기업청 대회의실 대전/충남?충북 ‘03. 12.18(목) 14:00 ~ 15:00  중소기업청 대전/충남지방사무소  2층 대강당  ㆍ 세미나 참석자 전원에게 개발된 총 20개 업종별 업무 프로세스 표준모델 통합 활용 전자메뉴얼(CD)를 배포하며, 3차년도 개발 업종(9개) 해당 중소기업 참석시 표준 업무 프로세스 자료집(책자)을 무료로   보급할 예정이다. □ 정보화경영원은 향후 중소기업이 업종별로 분류되고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 가이드라인의 제시 및 제공을 위해  ㆍ 3개년에 걸친 총 20개 업종에 대한 표준모델 개발결과의 중소  기업 실제적용 방안 및 확산을 위한 전략을 연구 중에 있으며,  ㆍ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정보화 추진을 위해 ‘02년도 부터 추진한 『중소기업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사업』과 연계하여 확대 보급함으로써 활용도를 극대화 할 방침이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6","atchfileNm":"보급확산(보도자료)v1.hwp","viewCnt":"6123","regDate":"2003-12-04 12:12:00"},{"contentId":"250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 지름길 성공사례에서 찾는다 심포지엄 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7","contentsKo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10월 15일(수) 전경련 특2회의실에서 100여명의 청중이 참석한 가운데 "정보화 지름길, 성공사례에서 찾는다"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음.   이날 행사는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이 후원한 가운데 김성근 교수(중앙대학교)의 사회로 김문선 조사연구팀장(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중소기업의 e-biz 성공전략'을, 박기한 컨설턴트(LG CNS)가 '전통기업의 e-biz성공사례'를, 양희동 교수(이화여대)가 'e-biz를 통한 신사업모델'에 대해 발표하고 김낙훈 부장(한국경제신문)과 정의석 대표(태원식품)의 토론이 이루어짐.   * 관련 보도자료 첨부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7","atchfileNm":"보도자료(1015).hwp","viewCnt":"5705","regDate":"2003-10-16 12:10:00"},{"contentId":"250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불황극복에 일조","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8","contentsKor":"  □ 국내 경기부진 지속과 소비심리 위축으로 창업열기가 가라앉고 부도율이 증가하는 등 중소기업 경기가 하락하고 있는 추세   □ 전반적인 경기침체 속에서 중소기업의 가동률, 생산지수는 정보화 수준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미국, 일본 등의 선행연구에서도 정보화는 경제전체 생산성 향상 및 노동생산성 향상에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됨.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분석에서도 정보화 수준은 기업성과지표에 유의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그러므로 중소기업의 경기변동 대응력을 높여주고, 생산성 향상을 통해 경기 침체기를 빠른시일 내에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화 투자가 시급함       상세한 내용은 첨부한 보도자료를 참조.","viewCnt":"5505","regDate":"2003-09-26 12:09:00"},{"contentId":"250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첫걸음은 교육으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09","contentsKor":"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보 도 자 료 담 당 과 경영지원국 정보화지원과 담 당 자 이종대과장 조경원 사무관 전화번호 042-481-4406 e-Mail trumany@smba.go.kr 이 보도자료는 2003년 7월 30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기청 인터넷 홈페이지(www.smba.go.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 정보화, 첫걸음은 교육으로 - 6,000여명을 대상으로 수요자중심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제공 - □ 중소기업을 위한 하반기 정보화교육이 8월부터 수요자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정보화에 목말라하는 중소기업에 무료로 제공 될 예정임 ? 중소기업 최고경영자 및 CIO(Chief Information Officer)는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 과정을, 재직자들은 수준에 맞는 산학연계정보화 과정을, 바쁜 중소기업인들은 방문교육프로그램 등을 입맛에 맞게 선택 가능해짐 □ 중소기업청(廳長: 柳昌茂)은 8월부터 전국 78개 대학 및 민간 교육기관에서 중소기업 임직원 6,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 교육과정은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과정, 산학연계정보화과정, 방문 교육과정, 업종별정보화과정 등 4개 과정으로 운영됨   ① 정보화전략수립등 경영자 및 CIO를 대상으로 한 정보화리더스아카데미과정 ② 재직자 대상의 사내정보화 추진 위한 실무 위주 교육인 산학연계과정   ③ 현장애로지원을 목적으로 주문형 방문교육과정   ④ 업종별 정보화 마인드제고 및 활용능력 배양을 위한 업종별 정보화과정 ? 금번 정보화교육은 상반기 정보화교육(2,100명 수료) 현장점검을 바탕으로 교육의 실수요자인 중소기업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교육대상자의 수준과 상황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의 비중을 높임으로써 고객중심의 정보화교육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함 □ 교육 과정별, 지역별 교육기관 안내 등 세부사항은 첨부자료 및 중소기업청(www.smba.go.kr) 또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www.kimi.or.kr)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고 문의사항은 중소기업청 정보화지원과(042-481-4406) 또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02-3787-0473)에 문의하면 됨 <첨부> 하반기 교육과정별 교육기관 일정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 지역별 교육기관 및 교육신청 문의처 지역 교육기관 교육기간 담당자 전화번.호 서울 한성대학교 10/28 - 10/31 정진택 02-760-4086/4448 서울산업대학교 10/15 - 10/16 김영하 02-970-6138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8/27~8/29 9/18~9/19 10/8~10/10 전대성 02-3787-0462 부산 울산 한국무역협회 9/1-9/4 서욱태 051-993-3306 부경대학교 8/25-8/28 홍순구 051-620-6114 대구 경북 경북테크노파크 9/24 - 9/26 박창률 053-819-3062 광주 전남 순천대학교 9/23 - 9/25 황태연 061-751-3624 강원 상지영서대학 8/23 - 9/13 진상두 033-730-0717 대전 충남 공주영상정보대학 8/19 - 8/20 김종철 041-850-9027 대덕대학 9/16 - 9/23 김영훈 042-866-0501 경기 한국산업기술대학교 9/2 - 9/23 류옥현 031-496-8423 대진대학교 9/2 - 9/4 김동관 031-539-1276 인천 인하대학교 9/22 - 9/24 서창수 032-860-8733 충북 청주대학교 10/23 - 10/24 오상열 043-286-0072 경남 마산대학 8/21- 8/23 조민근 055-230-1251 진주상공회의소 8/26 - 8/29 이미열 055-753-0411 창원상공회의소 10/14 - 10/16 이기종 055-263-6185/6   산학연계 정보화 교육 지역별 교육기관  및 교육신청 문의처 지역 교육기관 교육과정 교육일시 담당자 연락처 서울 명지전문대학 ASP프로그래밍 8/4-8/12 김익선 02-300-1344 한성대학교 웹구축및프로그래밍 10/6-10/15 이상임 02-941-6639 부산 울산 동명대학 Mobile Java 프로그래밍 7/14-8/4 이준희 051-620-3606 춘해대학 전자상거래시스템구축실무 8/18-9/1 박재홍 052-270-0490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제품설계 10/6-10/20 대구 경북 경북과학대학 Java Script 활용 10/6-10/14 김기형 054-979-9124 경북전문대학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9/16-9/24 최윤철 054-630-5024 구미1대학 데이터베이스 Access 2000 8/4-8/12 신광식 054-440-1462 대경대학 엑셀고급/파워포인트 9/15-9/23 류시훈 053-850-1328 전자상거래 실무자과정 9/15-10/6 동국대학교 SCM실무 8/11-8/26 윤수진 054-770-2476 안동정보대학 멀티미디어 홈페이지제작 9/1-9/18 신승욱 054-820-8027 Shopping-mall 구축 및 운영 9/1-10/2 ㈜경북티피 웹프로그래밍과정 10/6-10/14 조희진 053-428-2093 네트워크운영과정 10/6-10/14 KT대구본부 information Sec 8/18-9/2 김영건 053-477-5056 경기 경원대학교 Web Master과정 9/1-9/24 신종덕 031-750-5341 ASP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사이트 구축 9/29-10/17 대진대학교 PowerPoint/Excel마스터과정 8/18-8/24 박상호 031-539-1276 e-business와 전자상거래 8/18-9/5 부천대학사회 교육원 웹컨텐츠 제작(고급) 10/6-10/24 반재룡 032-610-0151,3 성남기능대학 인터넷 검색 과정 10/6-10/17 윤성민 031-739-4021,3 AUTO CAD과정 10/6-10/24 안산1대학 Archicad 8.0실무활용 8/6-8/14 최은경 031-400-6994 홈페이지 제작 8/25-9/2 Office프로그램 활용 8/18-9/5 한국항공대학교 기본적인 서버 운영과정 커리큐럼 구성 10/13-10/24 이상훈 02-300-0394 웹구축 및 웹 프로그래밍 9/15-9/29   지역 교육기관 교육과정 교육일시 담당자 연락처 광주 전남 대불대학교 ERP활용 9/15-9/25 허동현 061-464-0050 동강대학 ERP 운영 11/3-11/11 윤일수 062-520-2202 전산세무회계3급과정 8/19-9/25 대전 충남 대덕대학 3차원 모델링(CAD) 9/22-10/23 김영훈 042-866-0501 Minitab 실무과정 9/15-10/17 e-Business 실무강좌 10/6-11/7 순천향대학교 PHP를 이용한 쇼핑몰 구축 10/7-11/25 이성렬 041-548-8960 천안공업대학 웹정보디자인 9/22-9/30 김태언 041-550-0162 인천 대한상의인천 인력개발원 리눅스 서버구축 및 웹호스팅 9/22-9/30 장인창 032-810-6594,6 웹 프로그래밍 10/13-10/21 강릉 춘천기능대학 멀티미디어 컨텐츠 과정 9/22-10/13 김 강 033-240-7625 충북 청주상공회의소 웹고급   최상천 043-252-0021 충북대학교 ERP 실무 교육(중급) 9/22-9/30 김영렬 043-261-2358 ERP 실무 교육(고급) 9/1-10/24 충북전산인협회 데이터베이스(파워빌더) 10/13-10/25 장진미 043-272-1515 경남 경남대학교 Window2003 Network Infrastructure 8/18-9/5 권부용 055-249-1833 삼성SDS㈜멀티캠퍼스 창원센터 자바프로그래밍 8/18-9/5 배진우 055-267-5447 진주상공회의소 홈페이지 제작 8/5-8/14 이미열 055-753-0411 전북 전주상공회의소 ASP프로그래밍 활용과정 8/25-9/26 서주원 063-288-3016 익산상공회의소 Windows 2000 Server 10/6-10/18 김희성 063-857-3535 벽성대학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제작 9/22-10/4 김상진 063-540-2363 전북과학대학 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 9/15-9/26 박상희 063-530-9216 제주 제주관광대학 웹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8/4-8/12 김은삼 064-740-8838 제주한라대학교 홈페이지 제작 및 웹서버 구축과정 8/18-9/5 김신남 064-741-7514 방문교육 지역별 교육기관 및 교육신청 문의처 지역 교육기관 담당자 연락처 서울 동양공업전문대학 정광석 02-2610-1921 서울산업대학교 김영하 02-970-6138 부산 부산정보대학 박정란 051-330-7083 대구 경북 영진전문대학 박희환 053-940-5188 안동정보대학 신승욱 054)820-8027 경북티피 박명진 053-428-2093 경북과학대학 김기형 054-979-9124 광주 전남 동강대학 윤일수 062-520-2202 대불대학교 허동현 061-464-0050 대전 충남 우송대학교 이성준 042-630-9771 청운대학 권미선 041-630-3129 천안대학교 김성환 041-550-0762 대덕대학 김영훈 042-866-0501 천안공업대학 김태언 041-550-0162 경기 동서울대학 송정태 031-720-2078 전문대학중소기업정보화협력회 박지웅 031-259-6491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이재광 031-4968-420 김포대학 최원호 031-999-4714 경원대학교 신종덕 031-750-5341 두원공과대학 신동필 031-670-7060 인천 재능대학 김원일 032-890-7040,1 대한상공회의소 인천인력개발원 장인창 032-810-6594,6 강원 춘천기능대학 김강 033-240-7625 상지영서대학 한호영 033-730-0821 충북 충북과학대학 임재민 043-730-6263 충북대학교 김영렬 043-261-2358 청주상공회의소 최상천 043-252-0021(+304) 경남 창신대학 전태건 055-250-3141 경남대학교 현상엽 055-249-2980 마산대학교 김승현 055-230-1255 진주상공회의소 이미열 055-753-0411 전북 전주공업대학 김기배 063-220-3981 제주 제주대학교 강순철 064-754-3590 제주관광대학 김은삼 064-740-8838 업종별 정보화 교육 지역별 교육기관 및 교육신청 문의처 지역 교육기관 교육과정명 교육기간 담당자 전화번호 서울 한국PL센터 PL 대응 SW정보화교육과정 8월 ~ 11월 김대현 02-765-8806 중소기업 정보화 경영원 PL 정보화 기초과정 8월 ~ 11월 전대성 02-3787-0462 한국공예협동 조합 공예 정보화 교육과정 10월 김진호 02-2698-0003 서울화훼조합 flower정보화 교육과정 8월 ~ 11월 이윤희 02-780-2202 한국슈퍼마켓 협동조합연합회 슈퍼마켓 정보화 교육과정 8월 ~ 11월 이철환 02-523-1541 대구 경북 (주)경북티피 인터넷활용실무능력정보화교육 8월 ~ 9월 조희진 053-428-2093 섬유업종의 e-비즈니스도입 및 활성화전략 9월 광주 전남 전남대 ECRC 소기업 정보화 활용과정 9월 ~ 11월 정재국 062-530-0427","viewCnt":"5743","regDate":"2003-07-30 12:07:00"},{"contentId":"251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인력 수급불균형 대책 시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0","contentsKor":"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http//www.kimi.or.kr) 보 도자 료 담 당 과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담 당 자 김문선 팀  장   형준호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42 (josa@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3년 5월 20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 중소기업 정보화인력 수급 불균형 대책 시급   □ 중소기업의 만성적 인력부족사태와는 달리, 최근 들어 청년실업률은 급증하고 있는 등 중소기업의 인력수급 불균형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절실함. ㆍ 중소기업은 인력부족을, 구직자들은 취업난을 호소 ※ 4월중 실업률은 3.3%(실업자 75만 6천명), 이 중 청년실업률은 7.3%(실업자 36만 1천명)로 전체의 47.8% 차지(통계청) ※ 중소제조업의 인력부족률은 8.98%로 부족인력 19만 7천명으로 추산(중소기업청) □ 이에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 白洛基)은 날로 심화되고 있는 중소기업 정보화인력의 수급 불균형 현상을 진단하고 이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오는 20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대회의실에서 ‘중소기업 정보화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방안’이라는 주제로 정보화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함. □ 제15회 중소기업주간행사의 일환으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김장호 교수(숙명여대 경제학과)의 사회하에 김문선 조사연구팀장(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이 ‘중소기업 정보화인력의 수급 불균형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주제발표를 하고, ㆍ 고상원 연구위원(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박시룡 논설위원(서울경제신문),  박흥석((주)금성정공), 이정주 대표이사(리쿠르트), 임석원 대학생(서울대 N-CEO 회원) 등이 패널로 참석, 중소기업의 정보화인력 수급 불균형 실태와 이의 해소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임. □ 행사개요 ㆍ 개최일시 : 2003년 5월 20일(화) 오전 9시 30분 ~ 12시 ㆍ 개최장소 : 서울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2층 대회의실 ㆍ 주    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ㆍ 문    의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조사연구팀 02-3787-0442~4 □ 이날 『중소기업 정보화인력 수급 불균형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주제발표 내용을 살펴보면, ㆍ 현재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화인력은 2.33명(응답기업 평균종업원수 56명)이고, 필요경력은 2.86년(응답기업 평균종업원수 53명)으로 조사됨. ㆍ 중소기업 정보화인력의 부족률이 25.7%로 조사된 가운데, 유지보수를 포함한 운용부문의 부족률이 43.8%로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남. □ 과반수 중소기업의 올 상반기 인력채용률이 10% 미만인 수준에서 향후 채용계획조차 없어, 당분간 중소기업의 인력(정보화인력 포함) 부족사태 및 취업난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 ㆍ 정보화인력의 경우 필요인력 모두 채용한 기업은 5.6% 수준에 그친 반면, 일부만 채용하거나(38.3%), 채용하지 않고 있는 기업은 56.1%로 조사됨. □ 구직을 희망하는 정보화인력의 주요 취업결정요인으로는 '연봉수준'(32.8%)과 ‘근무환경’(20.1%)인 것으로 조사돼, 상대적으로 임금수준과 근무환경에서 열위적 위치에 있는 중소기업의 인력채용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됨. ㆍ 특히 부족인력 발생시 '근로시간 연장'(68.0%), '기존인력 배치'(29.9%) 방법을 주로 이용하는 중소기업으로서는 근로조건 및 업무환경 개선이 시급하지만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되고 있음. □ 구직자가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이유는 ‘불안정한 미래’(37.1%)와 ‘저임금’(27.9%)인데 반해, 중소기업이 인력채용시 느끼는 어려움은 ‘중소기업에 대한 왜곡된 인식’(29.8%)과 ‘근로자 부족’(27.4%)인 것으로 나타나 둘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정부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인력지원정책이 인지도나 참여,활용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돼, 향후 보다 적극적인 홍보와 참여유도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ㆍ 그러나 일단 인력지원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구직자들은 중소기업의 업무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중활의 경우 91.7%, 청소년 비즈쿨의 90%)하는 것으로 조사됨.    ㆍ 또한 구직을 희망하는 정보화인력이 가장 선호하는 실업정책으로는 '직장체험 프로그램'(44.3%)인 것으로 나타남. □ 향후 바람직한 정부의 인력지원시책으로 중소기업은 ‘임금보조 및 복리후생 지원’(54.8%)과 ‘산업기능요원 배정 확대’(27.0%)를, 구직을 희망하는 정보화인력은 ‘임금보조 및 복리후생 지원’(40.4%)과 ‘구인,구직 정보제공 강화’(25.6%)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됨. □ 그러므로 중소기업의 정보화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향후 안정되고 원활한 인력수급을 위해서는, ㆍ 중소기업에 대한 편견과 왜곡된 인식을 일소시킬 수 있는 민,관 합동의 대국민 이미지 개선 노력과, ㆍ중소기업의 인력부족현상을 완화,개선하고, 구직자의 중소기업 체험기회를 확대,보장할 수 있는 인턴쉽 제도와 산업기능요원제도, IT인력의 중소기업 해외시장 개척요원제도 활용 등의 확대 실시, ㆍ 최신기술(hot skill) 습득과 중소기업 현장지향의 수준높은 정보화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 그리고 정보화관련 교육기관의 확대가 필요할 것임.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59","atchfileNm":"정보화인력수급불균형해소.pdf","viewCnt":"5705","regDate":"2003-05-19 12:05:00"},{"contentId":"251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CIO 및 재직자』에 대한 정보화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1","contentsKor":"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보 도 자 료 담 당 과 경영지원국 정보화지원과 담 당 자 홍용웅과장 김 정 일 전화번호 042-481-4508 이 보도자  료는 2003년 월 일 (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기청 인터넷 홈페이지(www.smba.go.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중소기업 『CIO 및 재직자』에 대한 정보화교육 실시 - 6,000여명을 IT인력으로 양성 - □ 중소기업청(廳長: 柳昌茂)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KIMI) 주관아래 금년중 중소기업 CIO, 정보화책임자 및 재직자 등 6,000여명을 대상으로 정보화 교육을 실시함 ? 4월 중순부터 전국의 158개교육기관에서 시작되는 동 교육은 중소기업 정보화 리더를 위한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산학연계 정보화 교육』과『방문교육』으로 나누어 무료로 실시됨(수강생은 교재비 일부만 부담)   □ 이번 교육은 중소기업의 IT인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31%에 달하는 정보화 추진 인력 부족 해소 및 중소기업의 자율적인 정보화 촉진 여건을 조성하고, (중소기업정보화수준평가, ‘02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 ? IT화 성공에 대한 확신 부족, 자금 부족 등으로 정보화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대하여 지역별, 수준별, 업종별로 특화된 정보화 교육을 실시하려는 것임   □ 교육과정별로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정보화 리더스 아카데미』는 5월부터 전국 30개 교육기관에서 1,020명 규모로 중소기업 정보화리더의 현장수요에 맞춘 IT전문교육이 실시되며    - 급격히 변화하는 디지털 경제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화 관련 책임자로서의 관리능력과 정보화경영에 필요한 실무능력 제고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      (정보화컨설팅의 효과적인 활용, 전자상거래와 e-BIZ, 인터넷 비즈니스 동향과 기업 정보화 등)   ? 산학연계 정보화교육은 4월 말부터 11월 말까지 전국 83개 교육기관에서 중소기업 재직자 4,25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 주요 교육내용으로는 네트워크 운영실무 및 웹마스터 과정, 웹컨텐츠 제작, 자격증 취득과정 등으로 구성되어 운영될 계획임   ? 주문식 현장 방문교육은 집체교육이 힘든 중소기업 20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지원되며 중소기업이 희망하는 교육과정을 신청하면 강사가 기업현장을 방문하여 교육하는 직장 사내 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될 계획임   □ 수강 희망자는 교육실시 전일까지 해당 교육기관에 교육신청서를 제출하면 됨   ※ 문의처 : 중소기업청 홈페이지(www.smba.go.k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고하거나 중소기업청 정보화지원과(042-481-4508) 또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보화기반팀(02-2168-0246)   중소기업 정보화교육 교육기관 현황 □ 산학연계정보화교육   지방청 교육과정 및 교육기관 계 고급과정 중급과정 담당자 문의처 계 기관명 계 기관명 전화 팩스 서울 24 1 동양공업전문대학 4 동양공업전문대학 정광석 02-2610-1921 02-2610-1919 1 단국대학교 1 단국대학교 김정미 02-709-2941 02-709-2867     1 서울산업진흥재단 김석범 02-6283-1032 02-6283-1005 1 연세대학교 1 연세대학교 박소영 02-2123-4318 02-362-3263 5 동국대학교     강영민 02-2260-8781 02-2260-3764 1 경영기술개발원 2 경영기술개발원 송정민 02-857-6300 02-856-1094 1 한양여자대학 1 한양여자대학 문영숙 02-2290-2053 02-2290-2065     1 경희대학교 장세윤 02-961-9330 02-961-9333     1 서일대학교 김진수 02-490-7344 02-433-6583     1 한성대학교 이상임 02-941-6639 02-941-6638     1 명지전문대학 김익선 02-300-1344 02-300-3777 부산·울산 12   1 부경대학교 2 부경대학교 정영오 051-620-6784 051-627-4614 1 부산상공회의소 1 부산상공회의소 김승희 051-645-3289 051-647-2705 2 경남정보대학     여승훈 051-320-2085~6 051-328-9553     1 울산과학대학 김흥균 052-279-3237 052-279-3238 2 춘해대학     박재홍 052-270-0490 052-270-0491 1 동명대학 1   이준희 051-620-3606 051-621-7714 대구·경북 27     1 경북전문대학 최윤철 054-630-5024 054-630-5025 1 서라벌대학     손성화 054-770-3526 054-749-9985 1 안동정보대학 1 안동정보대학 김형일 054-820-8076 054-822-7709 2 계명문화대학 1 계명문화대학 정군표 053-589-7717 053-589-7575 1 KT대구본부 1 KT대구본부 김영건 053-477-5056 053-477-5051 3 (주)경북티피 2 (주)경북티피 조희진 053-428-2093 053-428-2095 1 대구기능대학 1 대구기능대학 손동욱 053-560-3175 053-552-2098 1 대경대학 1 대경대학 류시훈 053-850-1328 053-850-1325 1 경북과학대학 1 경북과학대학 김기형 054-979-9124 054-979-9120 1 구미1대학 2 구미1대학 신광식 054-440-1462 054-440-1468 1 동국대학교 2 동국대학교 윤수진 054-770-2476 054-770-2476 광주·전남 12 1 광주보건대학     임철진 062-958-7841 062-958-7840 1 동강대학 1 동강대학 윤일수 062-520-2202 062-520-2427 1 조선이공대학 1 조선이공대학 이종권 062-230-8888 062-230-8125 1 대불대학교     허동현 061-464-0050 061-464-0052 1 동신대학교     류갑상 061-330-3356 061-330-3492     2 송원대학 방상원 062-360-5933 062-360-5820 1 순천제일대학 1 순천제일대학 최영길 061-740-1388 061-740-1384 1 여수한영대학     문광진 061-650-4015 061-650-4016 대전·충남 12 2 대덕대학 1 대덕대학 김영훈 042-866-0501 042-866-0503 1 대전보건대학     안상한 042-670-9114 042-670-9564 1 순천향대학교 1 순천향대학교 이성렬 041-548-8960 041-548-8963 1 천안대학교     김성환 041-550-0762 041-550-9107 1 대전기능대학 1 대전기능대학 이기중 042-670-0589 042-633-2098     1 한밭대학교 이규명 042-821-1601 042-821-1671     2 천안공업대학 김태언 041-550-0162 041-562-8080   지방청 교육과정 및 교육기관 계 고급과정 중급과정 담당자 문의처 계 기관명 계 기관명 전화 팩스 경기 36 1 부천대학사회교육원 1 부천대학사회교육원 반재룡 032-610-0151 032-610-3222 1 안산1대학 2 안산1대학 조정현 031-400-6994 031-400-6995     1 경원전문대학 김진회 031-750-8597 031-750-8528     2 김포대학 최원호 031-999-4714 031-999-4264     2 경기공업대학 박지숙 031-496-4641 031-496-4640 3 서울보건대학     박형준 031-740-7283 031-740-7296     3 오산대학 민영애 031-370-2553 031-370-2882     1 대림대학 이종만 031-467-4707 031-467-4784 1 대진대학교 1 대진대학교 김동관 031-539-1276 031-539-1279     1 한경대학교 박상희 031-670-5127 031-670-5189 2 경원대학교     신종덕 031-750-5341 031-750-5579     5 경문대학 임영웅 031-610-8726 031-610-8714     2 한국항공대학교 이상훈 02-300-0394 02-300-0495 1 성남기능대학 1 성남기능대학 윤성민 031-739-4020 031-735-2098 5 용인송담대학     이경달 031-330-9181 031-330-9189 인천 10 1 인천전문대학 1 인천전문대학 김강일 032-760-8614 032-760-8411 1 재능대학 3 재능대학 박창해 032-890-7040,1 032-890-7049 1 인천기능대학 1 인천기능대학 이화동 032-510-2142 032-510-2146     2 대한상공회의소 인천인력개발원 장인창 032-810-6594,6 032-810-6593 강원 4 2 춘천기능대학     김강 033-240-7625 033-240-7629 1 강릉영동대학 1 강릉영동대학 김상호 033-610-0132 033-610-0343 충북 8     1 충북과학대학 임재민 043-730-6263 043-730-6269 1 충북대학교 1 충북대학교 김영렬 043-261-2358 043-273-2355     1 대원과학대학 조미희 043-649-3526 043-645-9170 1 청주상공회의소 1 청주상공회의소   043-252-0021 043-254-4280 2 충북전산인협회       043-272-1515 043-262-1414 경남 12 1 삼성SDS(주)멀티캠퍼스창원센터     배진우 055-267-5447 055-267-5455 1 창신대학 1 창신대학 전태건 055-250-3141 055-252-8901 1 남해전문대학 1 남해전문대학 이상우 055-860-5261 055-863-4614 1 경남대학교     권부용 055-249-1833 055-249-1834     1 진주산업대학 강기홍 055-751-3164 055-751-3499     1 인제대학교 김지은 055-320-3586 055-334-5349 2 진주상공회의소 2 진주상공회의소 이미엽 055-753-0411 055-755-8220 전북 7 2 전주상공회의소 1 전주상공회의소 서주원 063-288-3016 063-288-3056 1 익산상공회의소 1 익산상공회의소 김희성 063-857-3535 063-857-3539     1 벽성대학 김상진 063-540-2363 063-540-2345     1 전북과학대학 박상희 063-530-9216 063-537-0225 제주 4 2 제주한라대학     김신남 064-741-7514 064-747-3989     1 제주관광대학 김은삼 064-740-8838 064-748-8818     1 제주대학교 강순철 064-754-3590 064-725-2579 계 168               □ 방문교육   지방청 교육기관 현황 계 기관명 담당자 전화 팩스 서울 4 동양공업전문대학 정광석 02-2610-1921 02-2610-1910 인덕대학 김학수 02-901-6860 02-901-6893 서울산업대학교 김영하 02-970-6138 02-977-6213 한양여자대학 문영숙 02-2290-2053 02-2290-2065 부산·울산 2 동의공업대학 안순오 051-860-3050 051-860-3273 부산정보대학 박정란 051-330-7322 051-330-7083 대구·경북 5 영진전문대학 박희환 053-940-5188 053-940-5185 안동정보대학 김형일 054-820-8076 054-822-7709 경북티피 박명진 053-428-2093 053-428-2095 대경대학 류시훈 053-850-1328 053-850-1325 경북과학대학 김기형 054-979-9124 054-979-9120 광주·전남 3 동강대학 윤일수 062-520-2202 062-520-2427 조선이공대학 이종권 062-230-8888 062-230-8125 대불대학교 허동현 061-464-0050 061-464-0052 대전·충남 7 우송대학교 이성준 042-630-9771 042-630-9779 공주영상정보대학 김종철 041-850-9034 041-850-9198 청운대학 권미선 041-630-3129 041-634-8740 대전기능대학 이기중 042-670-0589 042-633-2098 천안대학교 김성환 041-550-0762 041-550-9107 대덕대학 김영훈 042-866-0501 042-866-0503 천안공업대학 김태언 041-550-0162 041-562-8080 경기 7 동서울대학 송정태 031-720-2078 031-720-2228 전문대학 중소기업 정보화협력회 박지웅 031-259-6491 031-259-6492 한국산업기술대학교   031-4968-420 031-4968-429 김포대학 최원호 031-999-4714 031-999-4264 경원대학 신종덕 031-750-5341 031-750-5579 두원공과대학 신동필 031-670-7060 031-670-7105 경원전문대학 김진희 031-750-8597 031-750-8528 인천 2 재능대학 박창해 032-890-7040 032-890-7049 대한상공회의소 인천인력개발원 장인창 032-810-6594,6 032-810-6593 강원 2 춘천기능대학 김강 033-240-7625 033-240-7629 상지영서대학 한호형 033-730-0821 033-730-0751 충북 5 충북과학대학 임재민 043-730-6263 043-730-6269 충북대학교 김영렬 043-261-2358 043-273-2355 청주대학교 오상영 043-291-0050 043-291-8085 충청대학 이기찬 043-230-2564 043-230-2569 청주상공회의소 최상천 043-252-0021 043-254-4280 경남 4 창신대학 전태건 055-250-3141 055-252-8901 경남대학교 권부용 055-249-1833 055-249-1834 마산대학교 조민근 055-230-1251 055-231-3532 진주상공회의소 이미엽 055-753-0411 055-755-8220 전북 1 전주공업대학 김기배 063-220-3981 063-220-3989 제주 3 제주대학교 강순철 064-754-3590 064-725-2579 제주관광대학 강은삼 064-740-8838 064-748-8818 제주한라대학 김신남 064-741-7514 064-747-3989 계 45         ","viewCnt":"6639","regDate":"2003-04-23 12:04:00"},{"contentId":"251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02년 중기 생산정보화사업 支援成果 매우 높다!","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2","contentsKor":"  ‘02년 중기 생산정보화사업 支援成果 매우 높다!- 지원기업당 평균 27%의 업무능률 향상 -     □ 중소기업청(廳長 : 柳昌茂)은 ‘02년도 실시한『중소기업 생산정보화 사업』의 지원성과를  조사한 결과, 지원기업당 평균 27%의 업무능률이 향상되었다″고 밝혔음     ㅇ 생산현장에 정보기술(IT) 접목을 통해 불합리한 요소의 제거와 생산관리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2002년에 처음 시행된「중소기업생산정보화사업」은        - 생산정보화 S/W를 보유한 IT기업 68개사를 통해 중소기업 116개사를 선정하여  생산공정의 정보화를 지원하였음     □ 『중소기업 생산정보화 사업』에 참여한 116개 업체를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 결과      ㅇ 지원기업의 89%가 생산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응답하였는 바,     ㅇ 특히 생산정보시스템 도입에 따라 서류작업시간 감소(38.8%), 고객만족도 개선(31.0%),  수요예측정확도향상(30%), 불량품 감소(19.4%) 등 평균 27%의 업무능률향상 성과가  나타났으며       - 실시간 정보처리기능, 생산공정 최적화, 업무수행능력개선 등 정성적인 성과도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아직도 중소기업들이 생산정보화 추진과정에서 전담인력 부족(32.7%),  업무표준화미비(29.5%), 임직원의 정보화마인드 부족(10.3%) 등의 애로를 겪는 것으로 드러나     ㅇ 중소기업의 애로요인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ㅇ 동 사업의 실질적인 효과달성을 위해서는 추가시스템 구축시 계속지원(26.6%),  사후관리 지원(23.8%), 자금/세제지원(14.8%) 등이 요구사항으로 제시되었음     □ 이에 따라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이 생산현장의 정보화를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ㅇ 사업범위 확대, 사후관리체계 구축, 전담인력에 대한 전문교육 등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활용도를 더욱 높여나가기로 했으며     ㅇ 사업관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고, 수요자 중심의 정보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생산정보화 전용 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계획임     □ 금년도 생산정보화사업예산은 작년(56억원)보다 19.6% 증가된 67억원으로     ㅇ 금년말까지 약 130여개 중소기업을 공장혁신형(Inno-Manufacturing) 중소기업으로         적극 육성할 계획임","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0","atchfileNm":"성과분석결과(요약).hwp","viewCnt":"5318","regDate":"2003-03-24 12:03:00"},{"contentId":"251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개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3","contentsKor":"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보 도 자 료 담 당 과 경영지원국 정보화지원과 담 당 자 정윤모과장 김위정사무관 전화번호 042-481-4406 이 보도자료는 2003년 2월 5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기청 인터넷 홈페이지(www.smba.go.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개최 - 조합 중심의 커뮤니티형 전자거래 시스템 개발 완료 -   □ 중소기업청(廳長:李錫瑛)은 2003. 2. 7일 (금),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국제회의장에서 이석영 중기청장, 김영수 중기협회장, 백낙기 정보화경영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를 개최함   ㆍ 금번 시연회는 작년 5개 조합(염색, 공예, 장류, 철망, 조명)을 선정하여 추진한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사업 성과를 알리고 타 조합에 e-비즈니스 모델을 보급ㆍ확산하기 위하여 마련하였음   □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사업의 주요 내용은 포탈사이트, e-마켓플레이스, 조합 ERP, 인트라넷 등 조합 및 회원사의 전자거래 인프라 구축 및 시스템 활용 교육 지원이며 세부 구축 내용은 다음과 같음   ㆍ 포탈사이트는 회원사 정보, 제품/부품정보, 전자카달로그, 업계정보 등 조합의 특화 정보 15,000여건의 DB를 구축하였으며, ㆍ e-마켓플레이스는 공동구ㆍ판매, 단체수의계약, 전자인증/지불 시스템 등을 구축하여 주문에서 결제까지 일괄지원 가능토록 하였고, ㆍ 조합 ERP 시스템은 e-마켓플레이스, 포탈사이트 등과 인트라넷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구축함으로써 단체수의계약 등 일련의 거래과정을 투명하게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ㆍ 이외에도 부가서비스로 SMS, e-mailing시스템, 웹진위저드 기능 등을 추가하여 조합과 회원사의 커뮤니티 활성화 시스템을 구축하였음   □ 중기청은 2001년 3개 조합, 2002년 5개 조합 등 총 8개조합의 전자거래 시스템 구축 및 회원사 1,200여 업체를 방문하여 활용교육을 지원하였음   ㆍ 2001년 구축한 3개 조합(전선, 기계, 소방기구)은 단체수의계약 340억원, 공동구매 7억원 등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등 동 사업이 조합 및 회원사의 정보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 2005년까지 50개 조합을 지원하여 전자거래의 허브 사이트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 참여를 희망하는 조합 관계자나 중소기업은 행사당일 등록하면 됨   ㆍ 시연회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중기청(http://www.smba.go.kr), 중앙회(http://www.kfsb.or.kr),경영원(http://www.kimi.or.kr)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음      ※ 붙임 :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일정 1부.   【붙임】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시연회 일정 (2003. 2. 7) ==========================   時   間 行    事 備    考 Ⅰ부 14:00∼14:05 개  회 중앙회장 14:05∼14:10 축  사   중기청장 14:10∼14:15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사업 경과보고 경영원장 14:15∼14:20 시스템 개통식 및 기념촬영     - 14:20∼14:40 시스템 시연회 개발사업자   14:40∼14:50 Break Time     - Ⅱ부 14:50∼15:40 시스템 세부소개 개발사업자   15:40∼15:50 Break Time   Ⅲ부 15:50∼16:10 조합 정보화 기반구축 사업 설명 중기청 16:10∼16:50 협동조합 임직원 간담회 중기청 16:50∼17:00 질의응답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1","atchfileNm":"조합정보화기반구축시연회개최보도자료.hwp","viewCnt":"5310","regDate":"2003-02-05 12:02:00"},{"contentId":"251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국내 중소기업, 내년 정보화투자 다소 확대","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4","contentsKor":"국내 중소기업, 내년 정보화투자 다소 확대 - 적정 정보화 투자수준은 매출액 대비 0.5~1.0% 수준 - - 현재 정보화수준은 48.2점, 향후 2005년까지 65.5점 기대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은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현황 및 2003년도 정보화투자전망에 대해 조사?분석하여 업계의 정보화투자 계획 수립과 정부의 중소기업 정보화투자 지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2002년 11월 1일부터 20일에 걸쳐 20일간 국내 5인 이상 중소제조업 1,500개사의 최고경영자 및 정보화 담당 실무책임자급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환경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중소기업은 최근 2년 동안 경영실적을 현수준 유지 정도의 ‘보통수준’으로 자체 평가했으나, 2003년 경영실적은 다소 호전될 것으로 전망 ■ 중소기업들은 현재 자사의 정보화 투자수준이 낮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정보화 투자비중을 확대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고 실제로 내년 정보화 투자를 다소 확대할 것으로 조사됨. ■ 중소기업이 생각하는 정보화관련 적정 투자수준은 총매출액 대비 0.5%~1.0%로, 이는 현재의 0.5% 미만 투자수준의 배 이상을 증가시킨 수치임. ■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수준은 48.2점으로 향후 2005년까지는 65.5점의 정보화수준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현재 분산?중복되어 있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창구 일원화는 ‘중소기업청’(69.2%)에서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됨. ○ 2003년 중소기업 경영환경은 다소 호전될 것    ― 중소기업계가 자체 평가한 최근 2년 동안의 국내 중소기업의 경영실적은 현수준을 유지하는 정도의 ‘보통수준’    ― 수출과 투자가 다소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새로이 출범하는 새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책에 대한 낙관적 기대감에 기인하여 2003년 중소기업 경영환경은 ‘다소 호전’될 것으로 전망됨. ○ 효율적 기업경영 위해 66.2%가 정보화 투자의 필요성 인식    ― 상당수(66.2%) 중소기업들은 효율적인 기업경영을 위하여 정보화 투자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업체도 33.8%에 달하고 있어 정보화 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적 홍보가 여전히 필요한 것으로 조사됨.       ? 정보화 투자가 필요한 이유로는 ‘생산성 향상 기대’(38.6%)와 ‘미래 기업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37.7%)인 것으로 나타남.    ― 그리고 중소기업에서 정보화 투자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업무처리 효율성 향상’(33.2%)과 ‘생산성 향상’(26.2%)인 것으로 나타남. ○ 2003년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는 다소 확대될 전망    ― 중소기업들이 향후 투자하고 싶어하는 정보화부문은 ‘ERP'(87.0%)이고, ’CRM'(73.9%) 및 SCM'(70.2%)에 대한 투자희망도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이들 분야에 대한 지원책이 강화되어야 할 것임.    ― 반도체 및 정보통신산업의 경기 호조세가 지속되고 내년의 국내 경기전망도 5%대 중반의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중소기업계도 2003년 정보화 투자비중을 다소 확대할 것으로 조사됨. ○ 적정 정보화 투자수준은 매출액 대비 0.5~1.0%로 현재의 두 배 이상    ― 중소기업들 스스로는 현재의 정보화 투자수준이 낮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따라서 향후 정보화 투자비중을 확대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과반수(62.8%)의 중소기업들이 현재 자사의 정보화 투자수준이 낮다고 응답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의 매출액 대비 정보화 투자현황은 적극적이지 못한 실정임.    ― 이러한 소극적인 투자환경 속에서도 국내 중소기업들이 생각하는 정보화관련 적정 투자수준은 총매출액 대비 0.5%~1.0%인 것으로 조사됨. ○ 중소기업이 목표로 하는 기업의 정보화수준은 ‘조직정보화 단계’    ― 국내 중소기업은 사내정보화를 통한 업무효율화가 가시화되고 단위업무가 통합되는 ‘조직내 정보화’ 및 정보화의 활용범위가 조직외부로 확대되고 경영전략과의 연계성이 증대되는 ‘조직간 정보화’를 아우르는 「조직정보화」수준의 정보화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조사됨.    ― 그리고 중소기업은 48.2점의 현재 수준으로부터 2005년에는 65.5점으로 ‘조직정보화’ 단계 진입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창구 일원화는 ‘중소기업청’이 바람직   ―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만족도는 52.4점(100점 기준) 수준이며, 올해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을 가장 잘한 정부부처로는 63.6%가 ‘중소기업청’을 선정함.    ― 현재 각기 분산?중복되어 있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창구에 대해서 중소기업들은 통합과 일원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만약 일원화한다면 이를 담당할 정부부처로는 ‘중소기업청’(69.3%)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됨. ※ 세부자료는 별첨의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 현황과 2003년 전망」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처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정책연구부 조사연구팀 (02-2168-0224,5)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2","atchfileNm":"보도자료(1230).hwp","viewCnt":"5338","regDate":"2003-01-07 12:01:00"},{"contentId":"251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2003년도 중소기업정책 방향에 관한 중소기업의 견해조사","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5","contentsKor":"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의 조사에 의하면 중소기업들은 2003년도에 중점을 두어     추진하여야 할 정책으로 인력난 해소(28.2%), 원활한 자금조달기반구축(21.4%),    제품의 안정적 수요기반구축(20.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내년도 중소기업의 부문별 중소기업정책방향에 대한 견해로는    인력난 해소를 위해서는 외국인산업연수생제도 확충 및 관리강화(27.5%)와     생산현장 직무기피요인해소(17.1%)를 위한 정책지원을      자금조달기반구축을 위해서는 자금지원조건과 절차개선(33.7%) 그리고 특화된     자금공급 및 자금방법의 다양화(22.6%)를 요구하였으며      수요기반 확충을 위해서는 수출역량에 대한 지원강화(25.9%)와 중소기업제품의      내수기반확충(21.4%) 정책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벤처기업 재도약기반마련을 위해서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하여야 할 정책과제는     벤처기업의 건전성 강화 및 관련제도의 개선(35.1%)과 벤처창업지원제도의    내실화(16.5%)를 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술개발 및 기술혁신역량제고를 위해서는 지원사업의 지속 확대(23.2%)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집중육성(20.7%) 추진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정책방향으로는 소상공인지원센터의 설치확대 및     운영내실화(29.3%) 그리고 소상공인 창업 및 경영개선 지원강화(28.6%)를 요구하고      정보화 및 E-Business 촉진을 위한 중점정책방향으로는 전문인력양성 등     정보화 저변의 확충(21.6%)과 중소기업 IT화 지원확대(20.6%)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조사 대상 : 중소기업 306개사, 조사 기간 : '02.10.16∼10.26    <붙임> :「2003년도 중소기업정책 방향 및 과제에 관한 중소기업의 견해조사」보고서  <첨부파일>   중기정책조사보도(01AA656_2.hwp)                      조사결과보도첨부(01AA656_3.hwp)","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4","atchfileNm":"01AA656_3.hwp","viewCnt":"5222","regDate":"2002-11-15 12:11:00"},{"contentId":"251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컨퍼런스 2002 개막","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6","contentsKor":" 중소기업 정보화컨퍼런스 2002  중소기업 정보화 성공모델과 방향을 제시한다.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KIMI·원장 백낙기)이 주관하는 ‘중소기업 정보화 콘퍼런스 2002’가 30일 COEX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다. 우수중소기업 정보화성공사례 발표, 중소기업 전용의 IT 솔루션 전시회, 정보화 추진전략 강연, IT기업의 시스템 구축사례 발표 등 크게 4개 분야로 진행되는 이 행사는 산업 전분야에 걸친 IT 접목의 보틀넥이 되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벤치마킹할 수 있는 정보화 추진 모델을 제시하고 정보화 투자를 기업경쟁력으로 승화할 수 있는 방향을 함께 모색한다. 이번 콘퍼런스는 산업자원부·중소기업특별위원회·중소기업진흥공단·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벤처기업협회·한국여성벤처협회·한국인터넷기업협회·한국정보산업연합회·한국IT중소벤처기업연합회·전자신문사가 후원하고 다산기술·미래넷·한국휴렛팩커드가 협찬한다.    <백낙기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장>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21세기를 영위하는 기업들은 이제 싫든 좋든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에 의해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에 적응해야 합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백낙기 원장은 ‘IT화’와 ‘e비즈니스화’로 요약되는 정보화가 21세기 개인·기업·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의 행태변화, 글로벌 경쟁시대의 도래, 경쟁자에 대한 예측 곤란, 지속적 혁신의 필요성 등의 변화는 우리사회가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사회로 이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증거입니다.”  백 원장은 그러나 우리 중소기업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사회에서 도태될 위험에 처해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정보화에 대한 인식과 투자여력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이 때문에 이제는 기업·정부·학계·연구소 모두가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해 내고 경쟁력을 갖춰 나갈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정보화경영원이 자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중소제조업의 정보화 수준은 평균 48.6점으로 대기업(평균 66점)에 비해 크게 낮았고 가시적인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이었습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효율적인 중소기업 정보화 모델을 제시하고 정보화시대의 디지털경제패러다임에 적합한 중소기업(e-SME)을 육성한다는 과제를 안고 지난해 출범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중소기업 정보화의 성공모델과 방향을 제시할 것입니다. 경영원은 이번 제1회 콘퍼런스를 시작으로 내년부터 매년 정례화해 지식정보시대의 중소기업 성공 파트너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입니다.”     <중소기업정보화성공사례>    △정보화 우수기업 사례: 신한정밀공업주식회사    신한정밀공업(대표 박승희)은 국내 기간산업 및 기초산업인 수도미터·가스미터·난방용온수미터·적산열량계 등을 생산하는 업체다. 이 제품은 전국의 상하수도 사업소·도시가스·건설업체에 판매되고 있으며 선진국 및 동남아 시장에도 수출되고 있다.  신한정밀은 정보화경영체제의 지속적 확장으로 경영의 효율화, 지식관리의 통합화를 실현하기 위해 올해 초 정보화경영방침을 수립하고 정보화시스템 도입을 결정했다.  정보화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영업관리 프로세스에서 각종 정보가 DB화돼 부서간의 정보가 공유되고 신속한 현황파악이 가능해졌다. 또 영업사원의 감각에 의존하던 납기계획 및 진도관리부분도 시스템을 활용하면서 합리적인 납기계획이 수립되고 납기일 준수가 용이해졌다.  이를 바탕으로 개별·수주별 진행현황 관리와 신속한 상황파악 및 스케줄 관리 기준이 마련됐고 생산관리 측면에서는 공장분리에 따른 관리인력 손실이 LAN 구축을 통한 전산화관리로 관리인력이 절감됐다. 자재관리 측면에서는 자동발주 체계화와 시스템화에 따른 안정 재고관리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졌고 재고관리 표준화로 원가가 절감됐다.  신한정밀은 ERP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설비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해 생산정보가 ERP 시스템의 입력자료로 활용되는 진정한 통합경영을 실현하고 이를 업무 전반에 확산시키기 위해 SCM, CRM 도입을 포함하는 IT 중장기 추진계획을 가지고 있다.     △ERP 구축사례: 한국하이네트    한국하이네트(대표 김현봉)는 2000년 7월 ERP업계 최초로 코스닥 등록을 마친 유망 중소정보통신기업으로 기업용 SW·SI·인터넷·유통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산자부와 중기청이 추진하는 3만개 중소기업 IT화 사업을 수행하는 ERP업체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하이네트는 CRM·SCM·SEM 등과 연동해 기업 내외부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통합으로 확장하는 확장형 ERP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세계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ERP 솔루션을 개발해 이미 중국 및 베트남 현지업체와 해외판매 계약을 체결, 기업용 소프트웨어·아웃소싱 등 기업전산화에 관한 토털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개별 중소기업은 의사결정 자원부족, 재고비용절감 필요성, 생산 리드와 품절방지 요구증대, 예산통제 기능 부족, 원가절감 요구증대, 각 부서간 커뮤니케이션 부족, 비합리적 업무프로세스, 수작업 위주 업무처리 등을 이유로 정보시스템을 재구축해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한국하이네트가 정보화시스템 구축을 대행한 J사의 경우 정보화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기업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목표 아래 사장이 중심이 돼 정보인프라 구축, 전산 마인드 향상, 업무 프로세스 표준화, 정보시스템 활용 등을 독려했다. 그 결과 정보공유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와 기업의 경영상태에 대한 정확한 파악,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지는 무형의 시스템 구축효과가 발생했다.       △생산정보 구축사례: 새암소프트    새암소프트(대표 윤형노)는 18년간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노하우와 최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수준높은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생산정보화는 생산정보를 수집·감시·제어하는 정보통제시스템을 기반으로 실시간 정보 제공, 주요 데이터의 이력관리, 각종 현장 관련 정보들을 통합서비스하는 토털 매뉴팩처링 서비스를 목적으로 한다.  생산정보시스템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검증된 사업관리 기법의 적용, 고객사와의 협조체계 강화, 적극적 사업현황 보고, 철저한 품질보증 등이 선행돼야 한다.  기업은 시스템 도입을 통해 업무간소화, 정보공유, 현장정보 신속제공, 실시간 정보처리, 정보인프라 기반구축, 업무효율성 증대, 생산자재 구매관리 합리화, 생산성 제고, 원가절감, 서비스 지원 강화, 정보채널 확대 등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성적 효과 측면에서 생산실적 실시간 추적을 통해 생산사이클타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현장정보의 실시간 관리 및 분석을 통해 신속하고 유연한 현장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재고의 실시간 파악을 통해 재고를 줄일 수 있으며 품질정보 및 불량률 분석을 통해 품질향상을 꾀할 수 있다. 생산성 향상부문의 정량적 효과는 리드타임의 25% 감소, 22%의 품질개선 효과가 가능한 것으로 추산되며 설비가동률 향상 측면에서는 데이터 입력시간 38% 감소, 의사결정 지원측면에서 사이클타임의 35% 감소, 문서분실 감소 부문에서는 페이퍼워크 55%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전시회 참가업체 리스트>     기업명 / 대표자 성명 전시품목 (주) 갈렙 ABC / 한윤 활용기준원가계산패키지 CalebABC (주) 골드로드21 /  장금용 Web 통관 EDI 솔루션 TRADEWARE V2 (주) 뉴소프트기술 / 김정훈 기업간 전자상거래 실시간 가능 솔루션 B2B ERP (주) 다산기술 / 강철구 시스템연계솔루션 TagFree Messaging Server (주)더존디지털웨어 / 김택진 ERP NEO-X Series 리테일네트워킹 (주) / 이부경 네트워크 POS 시스템 소매본부시스템(MAGWIN) (주) 삼보정보기술 / 정규동 ERP-One (주) 새암소프트 / 윤형노 SI비즈니스 및 e비즈니스 솔루션 (주) 아시아유니파이정보 / 이성원 인쇄관련업계 통합솔루션 관리(ERP+생산공정 IT) (주) 아이비젠 / 김진우 e비즈니스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주) 에스아이코리아 / 김우호 P&P-ERP 패키지, SiKP-ERP 패키지 SiK-POP시스템 (주) 에이시에스 / 김상하 중소 중견 기업용 생산공정관리시스템 iVisualizer (주) 영림원소프트랩 / 권영범 통합경영혁신솔루션 K 시스템 Prime (주) 위저드정보시스템 / 엄광빈 생산관리시스템 MRP Plus (주) 인컴아이엔씨 / 임민수 XML 및 모바링 관련 제품 중앙정보처리 (주) / 박상식 50인이상 중소기업용 IsERP 시스템 (주) 코아정보시스템 / 이승준 출입통제솔루션 스마트패스(Smartpass) (주) 파라테크놀러지 / 김종완 통합경영정보관리시스템 para MIS (주) 파이언소프트 / 이상성 전자상거래솔루션 Pionic시리즈 (주) 파텍21 / 김재하 전자상거래 카탈로그솔루션 eBia4U 한국썬마이크로시스템즈(주) /  유원식 Sun Fire V480 Server 운용 실현 및 내부구조 소개 (주) 한국정보마스타 / 장명섭 중소기업 표준업무 프로세스모듈화 Power B2B ERP (주) 한국하이네트 / 김현봉 제약업종 mediERP, 화학업종 ChemERP (주) 케이티 / 이용경 기업간 협업솔루션 SCC(Supply Chain Collaboration) ○ 신문게재일자 : 2002/10/30 ","viewCnt":"5445","regDate":"2002-11-01 12:11:00"},{"contentId":"251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기 CIO등 정보화리더를 위한 전문교육 실시","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7","contentsKor":" 중기 CIO등 정보화리더를 위한 전문교육 실시 - 중기청, 10월중 산학연계 정보화리더스아카데미 개설 - □ 중소기업 CIO, 정보화 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기업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실무 및    사례중심의 『정보화리더스아카데미』가 실시됨 ㆍ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은 중소기업 정보화 전문기관인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을     주관기관으로 하여     - 10월 중순부터 전국 16개 교육기관에서 900명 규모로 중소기업 정보화리더의      현장수요에 맞춘 IT전문교육을 무료로 실시한다고 밝힘 □ 그간 정부의 중소기업IT화 사업 등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마인드는 확산되고는   있으나 경영진의 높아진 관심이 아직 추진의지와 정보화투자로 충분히 연계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ㆍ 보다 체계적인 전문교육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번 교육과정이 마련된   것으로서    - 최신 정보기술과 중소기업의 정보화 성공사례 확산 등을 통해 중소기업      경영자의 정보화관련 의사결정 및 현장지향적인 정보화능력 배양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취지임 □ 금번 교육과정은 전국적으로 대학등 총 16개 교육기관을 지정하여 강좌당    5과목 총 16시간으로 개설하여 운영할 예정임   ㆍ 주요 교육내용은 정보화 환경과 정책의 이해, 경영의 정보화 혁신, 전자상거래와     e-비즈니스, 경영혁신과 정보기술 활용, 정보화 전략과 성공사례연구등으로서    - 급격히 변화하는 디지털 경제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화 관련 책임자로서의      관리능력과 정보화경영에 필요한 실무능력 제고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   ㆍ 이번 교육의 강사진은 IT 실무경험, 지명도, 전문성 등을 고려한 전문가     위주로 구성되며      - 교육기관이 교육장소 및 기자재 등을 제공하고 정부가 교육과정 개발 및      소요비용을 지원함으로써 무료로 교육받는 기회가 제공되는 것임 □ 교육대상자는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지역 입주기업, 중소기업 IT화 추진기업,    정보화 경영체제 인증기업중에서 우선선발되며    ㆍ 교육과정 수강을 희망하는 경우 지역별 해당 교육기관(붙임참조)에서 신청을     접수함    * 세부내용은 중소기업청 홈페이지(http://www.smba.go.kr),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http://www.kimi.or.kr)를 참고하거나 중소기업청 정보화 지원과     (042-481-4406)또는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인력개발팀(02-2168-0214)에 문의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5","atchfileNm":"보도자료(리더스)[최종].hwp","viewCnt":"5257","regDate":"2002-09-30 12:09:00"},{"contentId":"251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 성공조건부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 유도”-「중소기업정보화혁신전문기업」도입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8","contentsKor":" “ 성공조건부 중소기업 정보화 투자 유도” -「중소기업정보화혁신전문기업」도입 - □ 중소기업이 정보화 투자로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얻는 경우에만 투자비를    부담하는 새로운 지원사업이 등장함. □ 중소기업청(청장 : 이석영)은 정보화 투자성과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대신하여 ㆍ 전문기업이 정보화 전략수립에서 시스템 구축 및 운영관리까지 자체 자금˚기술    ˚인력으로 책임지고 일괄지원하고 ㆍ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성공적으로 활용하는 시점에서 투자비를 회수하는   「정보화혁신전문기업(TIMPs)」제를 도입˚운영할 계획임    * TIMPs : Total Information Management Providers □ 중소기업청은 정보화혁신전문기업제도의 본격적인 도입에 앞서 ㆍ 금년에 3~5개 전문기업을 선정하여 1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8.27일부터 정보화혁신전문기업을 모집함. ㆍ 정보화혁신전문기업으로부터 지원받는 중소기업은 정보화진단 및 감리비용,    컨설팅˚S/W구입비용(총 투자비용의 20%범위내, 2,500만원 한도) 등 업체당    약 3,000만원의 지원을 받게 됨 □ 그동안 정부의 3만개 IT화 사업추진 등으로 전반적인 중소기업 정보화 확산    분위기는 조성되고 있으나, ㆍ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은 대기업의 74%에 불과하는 등 아직 정보화 투자성과가    미흡하고,    - 정보화 투자효과에 대한 신뢰결여, 투자비 조달한계, 전문인력부족 등이      중소기업 정보화를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음 ㆍ 이러한 정보화 투자의 저해요인을 해소 할 수 있는 일괄지원체계를 마련하자는    것이 금번 중기청의 전문기업제 도입의 취지이며,    - 특히, 전문기업은 단순히 정보시스템만을 구축해 주는 것이 아니라,구축후      운영단계에 있어서도 아웃소싱 방식을 통한 지속적인 운영관리도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 중소기업 전문 정보화 종합지원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것임.     * On-Site(전문인력 파견), Remote(원격 관리), Co-location(전문기관 외부관리) 등 □ 중소기업정보화혁신 전문기업은 ㆍ 주요 업종별로 중소기업정보화지원수준, 정보화 모델의 적합성, 재무건전성,    지원역량, 중소기업지원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선정할 계획이며, ㆍ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전문기업에 대하여는 자체역량으로 수요    중소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임 □ 동 사업에 대한 사업설명회는 IT업체, 정보화컨설팅업체 등을 대상으로   ‘02.8.30(금) 15:00 과천 중소기업청 중강당에서 개최할 예정임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6","atchfileNm":"중소기업정보화혁신전문기업.hwp","viewCnt":"5223","regDate":"2002-08-26 12:08:00"},{"contentId":"251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전국 12개 중소기업 밀집지역, 정보화기반구축 지원 신청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19","contentsKor":"전국 12개 중소기업 밀집지역, 정보화기반구축 지원 신청","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7","atchfileNm":"보도자료(촉진지역신청)_2002072016_2.hwp","viewCnt":"5340","regDate":"2002-07-23 12:07:00"},{"contentId":"252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대기업의 74% 수준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0","contentsKor":"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대기업의 74% 수준 - 2002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조사 결과 - □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아직 가시적인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기에 미흡한 수준이며, 대기업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 의뢰하여 지난 4 월부터 3개월간 1,500여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ㆍ 중소기업 정보화(100점 기준)는 지난해(47.8점)보다 향상된 48.6점으 로, 단순 개인업무에서 고객업무 등으로 확대되는 “업무효율화 단계”이 며,    - 정보화 추진의지가 높고, 시스템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으나, 정보화 조직,인력 등의 여건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남    - 또한, 대기업(37개사 조사결과)과 비교시 중소기업 정보화는 74%수준 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ㆍ 정보화 투자효과는 규모의 경제가 작용한다는 점에서 대-중소기업간 정 보화 격차 해소를 위해    - 중소기업 부문에 대한 정보화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투자여건 개 선 등 정부 차원의 지원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 금번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정보화 의지, 환경(인력, 조직, 투 자), 시스템 구축, 활용수준 등 4개 분야로 구분하여 조사되었음 ㆍ 정보화 추진의지는 지난해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으나,    - 아직도 정보화 추진계획 수립(22.4%), 투자 타당성 분석(14.3%) 등의 실천은 미약하며    - 특히, 정보화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대기업에 비해 현격히 저조 한 실정임 ㆍ 다음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 환경은 매우 취약한 편임     - 정보화 전담부서를 두고있는 기업은 ⅓에 불과하며, 필요인력의 30% 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됨    - 정보화 투자는 정보화 마인드 제고 등으로 확대(매출액 대비 1.98%)되 고는 있으나, 절대 규모는 부족한 것으로 보임 ㆍ 한편, 네트워크 등 전반적 시스템 구축은 양호한 편이나    - 아직, 회계,인사,판매 등 단위업무 위주로 이용되고 있어, 생산,설 계,ERP 등 통합업무에의 활용도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ㆍ 정보시스템의 활용 수준에 있어서는 PC를 활용한 업무처리 시간 단축, 기술,시장 정보 검색 등 네트워크 활용이 가시화되고 있으나    - EC, CALS 등 기업간 네트워크 활용은 극히 저조함 ㆍ 위와 같이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활용이 저조한 것은 매출증대에 대 한 신뢰부족(49.7%), 정보화 기반구축 미흡(24.1%) 등에 기인한 것이나,     - 많은 기업들이 향후 3년 내 전자상거래를 추진할 계획(43.5%)인 것으 로 조사됨 □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의 가장 큰 저해요인으로는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26.7%)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ㆍ 정부지원이 필요한 사항으로 자금지원(36.4%), S/W 및 기술 보급 지원 (24.0%), 전문인력 지원(14.4%), 교육지원(10.3%), 세제 지원(10%) 등을 희 망함 □ 그간 정부의「3만개 중소기업 IT화 사업」등 적극적인 지원시책에 힘입 어 기초S/W보급/확산 등으로 전반적인 정보화 의지는 높아지고 있으나, ㆍ 정보화 투자효과에 대한 불확실성, 자금,인력 부족 등으로 중소기업 부문의 정보화가 획기적으로 진전되지 못하고 있음    - 특히, IT기업 등을 제외한 전통제조업 영위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 은 더욱 미흡한 실정임 ㆍ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의 정보화의지가 고양되고 있는 만큼, 금번 조사 결과 나타난 정보화추진 저해요인 해소를 위한 지원시책을 지속적으로 전개 해 나갈 계획임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8","atchfileNm":"중소기업정보화수준평가요약(2002).hwp","viewCnt":"5446","regDate":"2002-07-11 12:07:00"},{"contentId":"252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e-컨설팅 지원사업을 수행할 30개 중소기업 정보화혁신컨소시엄 선정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1","contentsKor":" 중소기업 e-컨설팅 지원사업을 수행할 30개 중소기업 정보화혁신컨소시엄 선정 출처 :중소기업청 작성일 : document.write("20020528000000".substring(0,4)+"-"+"20020528000000".substring(4,6)+"-"+"20020528000000".substring(6,8)) 2002-05-28  조회수 : 273 □ 한국생산성본부, 연세대학교 등 전국의 주요 대학 및 유관 기관이      중소기업의 정보화 경영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e-컨설팅에 6월부터     적극 나설 계획임   □ 중소기업청(청장 : 이석영)은 지역별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혁신을     주도할 정보화혁신컨소시엄신청접수를 받은 결과 99개 컨소시엄이     신청하여 이중 30개 컨소시엄을 선정하였다고 밝힘      ㅇ 중소기업청은 지난 4.2∼5.2일까지 지방청을 통해 신청을 받은       결과 99개 컨소시엄(540개 기관)이 신청하였음      ㅇ 이들을 대상으로 지방청별로 전문가 7인이내로 "지역별 컨소       시엄추천위원회"를 구성하여 사업수행계획, 컨소시엄평가,        컨설팅수행능력, 사업추진전략 등을 종합평가하고 지역별로        2배수를 추천받아,      ㅇ 정보화경영원에 설치된 "컨소시엄사업추진위원회"에서 30개        컨소시엄을 최종 확정하였음.  □ 중소기업 정보화혁신컨소시엄사업은      ㅇ 중소기업의 부족한 전문인력과 활용능력을 보완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화 경영혁신 추진을 위해 지원역량을       갖춘 유관 기관, 대학, IT컨설팅 업체 등으로 정보화혁신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 관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화 수준을 진단하고 정보화          추진전략 수립에서부터 정보화 구현까지 일련의 정보화           추진과정을 현장에서 해결해 주는 경영혁신 사업으로,      ㅇ 선정된 개별 컨소시엄은 약 3억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아 약 30개       내외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e-종합컨설팅이나 과제별 e-프로       젝트 컨설팅을 지원하고, - e-컨설팅을 받은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총 소요비용의 80%범위내에서 과제에 따라 최고 1,200만원 한도에서 무상지원           하게 됨      ㅇ e-컨설팅을 받아 정보화 경영혁신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관내소재 정보화혁신컨소시엄 주관기관에 신청하면 됨   □ 중소기업청은 지역별로 유능한 전문인력을 확보한 기관(기업)이     컨소시엄에 다수 참여함에 따라 중소기업 정보화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인프라가 전국 주요지역에 구축하였다고 보고      ㅇ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정보화혁신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내부시스템의 혁신을 추진토록 한 후 이들 기업에 정책자금 등을       우선 지원하는 등 일괄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기업 정보화 도입의       성공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할 계획임.      ㅇ 중소기업청은 금년의 성공모델을 토대로 향후 2005년까지 100개       컨소시엄으로 확대하여 중소기업의 정보화 초기단계에서부터        자금과 기술 등을 일괄적으로 지원토록 하는 중소기업 정보화       확산거점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임","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69","atchfileNm":"보도자료2_3.hwp","viewCnt":"5595","regDate":"2002-05-28 12:05:00"},{"contentId":"252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e-컨설팅 지원사업 본격 추진","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2","contentsKor":" 중소기업 e-컨설팅 지원사업 보도자료","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0","atchfileNm":"보도자료(20020402)_1.hwp","viewCnt":"6019","regDate":"2002-04-02 12:04:00"},{"contentId":"252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벤처기업 해외유통망 진출지원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3","contentsKor":"□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은 중소·벤처기업들이 Wal-Mart, Costco등      해외소매유통체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대책을 마련·시행      ㅇ 해외유통망 진출은 공급 가능한 해외소매유통체인 선정 및 상품         리스트 입수, 구매창구와 접촉, 광고 및 프로모션 등이 어려워         해외유통망 진출까지는 많은 시간과 비용의 소요로 중소· 벤처        기업들이 직접 진출하기에 애로 산재      ㅇ 이에 따라, 중소기업청은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Wal-Mart, Costco 등 해외소매유통체인에 진출할 수 있도록          - 우리 수출상품의 진출이 유망한 해외유통체인 선정, 유망상품            발굴 및 공급 가능성 조사, 해외유통망 진출단 파견 및 한국           상품전 개최지원 등을 주요골자로 하는 "해외유통망진출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금년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임   □ 신속하고 효율적인 "해외유통망 진출 루트"를 구축하고 "해외유통망      진출정보" 실시간 제공체계 구축      ㅇ 우선 시장조사 전문컨설팅 GA/IESC社를 통해 우리나라 수출상품의         공급이 유통체인 20여개를 선정하고, 금년도에는 Wal-Mart,         Costco, Home Depot 등 2~3곳을 집중 공략할 방침      ㅇ 해외소매유통체인 한국지사(Wal-Mart Global Procurement社 등)와         협의, 소매유통체인별로 공급 가능한 상품리스트를 작성하고         상품별 유망 중소기업을 선정          - 해외 현지에 파견하여 해외소매유통체인과의 구매상담회를            지원하고, NRF(미국소매연합회) 등 관련단체와 공동으로           한국상품전을 개최      ㅇ 또한, 해외소매유통체인의 구매정책, 구매기준 및 구매절차 등         "해외유통망 진출정보"의 실시간 제공체계를 구축하고,          - 해외소매유통체인 구매담당자를 초청하여 유통체인별 구매기준            등 구매전략 설명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한편,          - 창신금속(대표 박창수) , (주)에스엠아로마(대표 최병태) 등            해외유통망 진출 선도기업의 경영자를 초청하여 해외유통진출            애로 및 성공사례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임             * 에스엠아로마(2001.9) : 향기 나는 금속제품 미국 월마트에                                      US$ 3,300만불 공급             * 창신금속(2001.10) : 가정용 뷔페용기 코스트코홀세일에                                   US$ 1,000만불 공급   □ 해외유통망 진출기업에 대하여 기업별 최대 2천만원한도 내에서 시장     조사, 공장 Inspection 및 현지유통법인 설립 등을 지원      ㅇ 중기적으로 해외소매유통체인의 O/A 결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O/A 거래 신용보증제도 도입, 수출금융 및 외화 CBO 발행지원         등을 적극 추진할 예정임      ㅇ 또한, 중소기업진흥공단에 KOTRA, 해외유통체인 한국지사 등이         참여하는 "해외유통진출 지원단"을 설치하여 해외유통망         진출기업의 애로사항을 신속히 해소 지원할 계획임   □ 해외유통망 진출은 자기상표 수출뿐만 아니라 바이어에 대한 의존도     를 줄여 수출의 안정성과 유통과정상의 높은 부가가치를 획득할 수      있어 중소·벤처기업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viewCnt":"5559","regDate":"2002-03-19 12:03:00"},{"contentId":"252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아세안+3 중소기업 통합사이트 등장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4","contentsKor":"□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은 중소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확대를      위해 『ASEAN+3 중소기업 통합 사이트」가 금년 10월에 구축된다고      밝혔음      ㅇ 지난해 11월 5일~6일, 브루나이에서 개최된「제5차 아세안+3 정상        회의」시 김대중 대통령께서 "아세안과 한국·중국·일본 등         13개국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역내 중소기업들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위해 신규 협력사업으로 제안하신 『아세안+3 중소        기업 통합정보 검색사이트 구축사업』의 후속조치로 「ASEAN+3         SMEs Network」구축된다.      ㅇ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진흥공단과 공동으로 "아세안+3 회원국의         기 구축된 기업 및 상품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아세안+3         중소기업 통합 검색시스템과 바이어 매칭시스템 구축 등을 주요골자로 하는『아세안+3 SMEs Network』구축계획을 마련하고,          - 외교통상부를 통하여 아세안 및 중국,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제안하는 사업계획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협의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아세안+3 SMEs Network」는 역내 국가의 기업 및 상품 통합검색,      바이어 매칭시스템, Buy 및 Sell정보 등을 서비스 ㅇ 동 사이트는 기업들간 거래를 위한 e-Marketplace형태로 구축될         것이며 특히, 회원국의 기 구축된 기업 및 상품 DB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통합검색시스템을 구축에 주력하여 바이어들이 아세안+3         회원국 중소기업의 상품을 쉽게 비교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주요 서비스 내용은 다음과 같음             ① 아세안+3 회원국의 기업 및 상품정보 비교 검색             ② 해외 바이어 매칭시스템을 이용하여 적격의 바이어 발굴             ③ 백화점, 할인점 구매정보 제공 등 해외유통시장 진출 지원             ④ Buy·Sell 정보 등록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             ⑤ 각 국의 조달관련 입찰 정보를 제공하여 조달시장에 진출                지원   □ 중기청은「아세안+3 SMEs Network」구축 Project Team을 지난 1월초      중진공에 설치하고 각 국의 실무작업반과 협력 추진      ㅇ 참여국가와 능동적이고 조직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동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역내 중소기업들에게 새로운 교역 기회         제공 확대 등 상호간의 Win-Win 전략을 추진하는 한편,      ㅇ「아세안+3 SMEs Network」구축을 계기로 Korean Marketplace        (인터넷 중소기업관)을 글로벌 사이트로 육성하여 국내 중소기업들        의 사이버 무역을 촉진할 계획 <첨부> 「ASEAN+3 SMEs Network」구축계획(안)<보도참고>『ASEAN+3 SMEs Network』구축계획(안)Ⅰ. 개 요  □ 사업목적     o 아세안(10개국)과 한·중·일 등 13개국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중소       기업들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확대     o 아세안+3 SMEs Network 구축과 함께 인터넷 중소기업관을 Global        사이트로 육성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사이버수출 촉진   □ 추진경위     o 2001.  9 : 아세안+3 중소기업 수출상품 거래알선시스템 구축계획       을 제안(중기청 → 외교부)     o 2001. 10 : 아세안+3 정상회의에 제안할 신규 협력사업의 타당성 등       을 협의(외교부 → 일본·중국)     o 2001. 11 : 대통령께서 『아세안+3 중소기업 통합 정보검색 사이트        구축사업』을 신규 협력사업으로 제안* 제5차 아세안+3 정상회의(2001. 11. 5~6, 브루나이)      o 2002.  1 : ASEAN+3 SMEs Network 구축 실무전담반 설치(중진공)     o 2002.  3 : ASEAN+3 SMEs Network 구축 사업계획(안) 제출               (중진공 → 중기청) Ⅱ. 추진계획  기본방향   ◇ 동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 ASEAN+3 회원국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 회원국간의 능동적이고 조직적인 협력체제 구축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제공으로 상호간의 Win-Win 전략 추진    ◇ 중소기업관(Korean Marketplace) 위주로 "ASEAN+3 통합 허브포탈      사이트" 구축        ☞ 중소기업관의 인지도 제고를 통한 중소기업의 사이버 수출확대    □ 추진내용     o 아세안+3 회원국의 기구축된 기업 및 상품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ASEAN+3 중소기업 통합 검색사이트" 구축          - 아세안+3 회원국의 기구축된 기업 및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            연계          - 바이어, 조달, 유통망 및 OEM/ODM 정보 제공 등    ASEAN+3 SMEs Network                 회원국 대표웹사이트    --------------------                 -------------------   - 통합검색시스템            →         - 기업 및 상품정보     (기업 및 상품)           ←         - 바이어 정보  - 바이어 연결시스템                    - 유통시장 정보  - Buy 및 Sell 정보제공 등              - 조달시장 정보               ↑↓          사용자(User)  ----------------------·각 국의 상품정보 통합 검색이용·바이어 연결시스템을 이용한 바이어 발굴·Buy·Sell 등록 및 유통·조달 정보획득  ※ ASEAN+3 SME Network는    다국어(韓,英,日,中)로    구축하여 운영   □ 추진체계     o『ASEAN+3 SMs Network』구축 Project Team 설치·운영         - 구성 : 각 회원국의 실무작업반 대표 13명         - 기능 : 아세안+3 Network의 표준 설계, 구축 등을 협의·조정            * 간사국인 우리나라(중진공)에 Project Team 설치     o『실무작업반(Focal Point)』구성·운영(각 회원국에 설치)         - 기능 : 아세안+3 Network에 연계된 국가 대표 웹사이트 구축·                  운영 및 프로젝트팀 의결사항 수행   □ 추진일정     o 2002. 3, 「아세안+3 SMEs Network」구축계획 확정     o 2002. 3, 회원국에 제안서 송부 및 (Project Team) 추천 요청     o 2002. 4, 참여국가의 대표로「Project Team」구성·운영     o 2002. 4, 실무작업반이 참여하는「Project Team」회의 개최     o 2002. 6, 「아세안+3 SMEs Network」표준 D/B 및 디자인 확정     o 2002. 10, 「아세안+3 SMEs Network」서비스 실시 및 유지보수","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1","atchfileNm":"보도자료(아세안+3)_5.hwp","viewCnt":"5711","regDate":"2002-03-19 12:03:00"},{"contentId":"2525","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벤처기업CEO 2,000명에 경영혁신 교육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5","contentsKor":" "중소·벤처기업CEO 2,000명에 「경영혁신」 교육" ­ 중기청, 전국 21개 대학·단체에 강좌 개설 ­ □ 중소·벤처기업CEO들의 경영능력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CEO 경영혁신 아카데미』가 전국 18개 대학 및 3개 단체 등 21개 기관을 통해 개최된다. □ 중소기업청(청장 李錫瑛)은 중소기업의 CEO들이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과 전문경영지식을 높이고 이를 통해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효과 제고 및 기업 부실화 등을 예방하기 위해 작년에 이어 총 2,000여명의 중소·벤처기업CEO에 대한 경영혁신 교육을 실시한다. o 이번 교육은 2002년 4월 2일부터 2주간에 걸쳐 일과시간 이후 야간 과정으로 실시하게 되며, 강좌신청 및 접수는 3월 19일부터 3월 28 일까지 해당지역 연수기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교육비는 무료이다. <강좌 주요내용> o 과 정 명 : 중소기업CEO를 위한 경영혁신 아카데미 o 교육기간 : 2002년 4월 2일 - 4월 12일(주2회씩 총4회) o 교육시간 : 16시간 (1일 4시간) o 대 상 : 경영자, 임원, 자금관리책임자 o 주요과목 : 경영환경의 이해, 기업경영윤리, 기술의 사업화전략, 재무전략, 구조조정 사례, 기업부실징후진단, 환율관리, 컨설팅 활용전략 등 8과목 □ 이번 강좌는 각 지역 대학에 개설되는 18개 일반과정 이외에 여성 및 벤처기업을 위해 한국여성경제인협회,한국여성벤처협회,벤처기업협회 등 3개 단체에 특별과정을 개설하며 강좌비용은 정부가 전액 지원 한다. o 또한 한국여성벤처협회와 벤처기업협회는 회원 벤처기업을 대상 으로 1박2일 동안 합숙교육을 실시하며, 한국여성경제인협회는 최초로 부산지역에서 여성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특별 경영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o 수료자에게는 지방중소기업청장 및 단체장 명의의 수료증을 수여 하며 각종 시책지원시 경영자평가에서 우대하는 방안을 검토중 이다. □ 중소기업청은 작년의 성공적인 시범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금년에도 중소·벤처기업 경영자들에게 국내 최고 수준의 민간인 위주 강사를 통해 현장감 있는 강의와 모범사례 등을 제공할 예정이며 o 동강좌에 참가를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자는 중소기업청이 지정한 지역별 연수기관에 전화로 신청할 수 있으며, 각 강좌당 모집인원은 선착순 100명이다. < 지역별 연수기관 > * 1, 2, 5번의 3개단체 강좌는 회원사만 신청·접수 ============================================================================== 번호 지역 연수기관명 교육주관 담당자 직위 성명 연락처------------------------------------------------------------------------------ 1 서울 벤처기업협회 - 운영팀장 고명섭 02-562-5914 2 한국여성벤처협회 - 사무국장 한은숙 02-551-7090 3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과장 김계현 02-2260-3602∼3 4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과장 임용래 02-820-0262∼4 직원 황미선 5 부산 한국여성경제인협회 - 사무국장 최금자 051-803-0754 6 동서대학교 대학원 직원 이선근 051-320-2036∼7 7 울산 울산대학교 중소기업종합 행정실장 박재윤 052-259-2591∼2 연구소 8 대구 경북대학교 경영대학원 행정주사 구자열 053-950-5403,6133 9 경북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부원장 김기수 053-655-2151 실장 이재원 10 광주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직원 강성배 062-230-7037,6474 전남 11 대전 충남대학교 경영대학원 행정실장 김영호 042-821-5207∼9 12 충남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과장 이택호 041-540-5241∼2 13 경기 대진대학교(포천) 경영대학원 과장 전택원 031-539-2102∼8 14 한양대학교(안산) 산업경영대학원 교학부장 송수근 031-400-5103∼4 교육부장 김우승 15 성균관대학교(수원) 경영대학원 학무팀장 신기창 031-290-5060,5078 16 인천 인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팀장 박정운 032-770-8857∼8 17 강원 상지대학교 산학연구협력센터 교수 박노국 033-730-0461,0583 18 충북 충북대학교 경영대학원 직원 이정범 043-261-2326∼7 19 전북 전주대학교 국제대학원 교학과장 소재중 063-220-2180 20 경남 인제대학교 산학기술연구원 직원 김지은 055-320-3586 21 제주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행정실장 고기택 064-754-2171∼3","viewCnt":"5443","regDate":"2002-03-15 12:03:00"},{"contentId":"2526","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617개 중소기업의 IT화 추진실태 조사 결과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6","contentsKor":" "중소기업 IT화 지원,성공적으로 추진중"- 617개 중소기업의 IT화 추진실태 조사 결과 -□『중소기업 IT화 지원사업』에 참여한 대다수 중소기업은 업무처리시간 단축, 업무처리비용 감소, 1인당 생산성 증가 등 성공적으로 추진중인 것으로 나타났음□ 중소기업청(청장 이석영)은 지난해 12월 『중소기업 IT화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기초정보S/W 또는 ERP 시스템을 구축중 또는 구축완료한 617개 중소기업에 대한 조사를 거쳐 발표한 「중소기업 IT화 사업 활용실태」 자료에 따르면- ERP 추진기업의 경우 업무처리시간 29.5% 단축, 고객 서비스 23.3% 개선, 업무처리비용 20.9% 감소, 1인당 생산성 증가 20.9% 향상 등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기초정보S/W 추진기업의 경우 업무처리시간 단축, 업무처리비용 감소, 인력감축 및 인건비 절감, 1인당생산성 향상, 고객 서비스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향후 구축된 IT화 업무의 유지관리에 대해서는 응답업체의 61.7%가 지원받은 IT업체를 통해 위탁관리할 계획이라고 나타났으며, 적정한 유지보수 금액에 대해서는 ERP 추진기업의 경우 259천원/월, 기초정보S/W 추진기업의 경우 88천원/월이라고 나타났음 IT화 추진시 애로사항은 응답업체의 51.1%가 예산부족 및 기술인력부족이라고 나타났음□ 중소기업청은 IT화 지원사업의 성공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활용능력 제고 등 지속적인 사후관리 노력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IT화 지원에 대한 불만족 기업과 미활용 기업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여 지원대책을 보완하고- IT화 추진 이후 단계별 정보화 발전을 기할 수 있도록 기존의 지원제도와 연계하는 지원체제를 마련할 계획이며- 자체관리 전문인력 및 마인드 제고를 위한 상시 정보화 교육체제를 구축하고, 업종별 특성에 맞는 S/W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할 계획임첨부자료:IT조사결과","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2","atchfileNm":"it조사결과_4.hwp","viewCnt":"5449","regDate":"2002-03-05 12:03:00"},{"contentId":"2527","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소기업형 e-Business 모델 개발 4개 시범 업종 컨소시엄 선정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7","contentsKor":"□ 앞으로는 비제조업종 소기업이 업종별 특화된 e-Business모델을 활용하여 off-line 기반을 바탕으로 on-line상에서 수익 창출이 가능한 새로운 비즈니스를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은 정보통신부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소기업형 e-Business모델 개발을 수행할 4개 시범 업종 단체 컨소시엄을 선정하였다고 밝혔음 □ 총26개 업종별 단체 컨소시엄이 참여한 가운데 경합을 벌인 금번 사업에서 (사)한국프랜차이즈협회,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한국자동차부분정비조합연합회, 서울화훼소매업협동조합 등 4개 컨소시엄의 모델이 우수하다고 심사되어 시범 모델 개발 업종단체로 최종 선정되었음 □ 선정된 4개 컨소시엄별 e-Business 추진 모델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음 □ (사)한국프랜차이즈협회 컨소시엄은 10만 가맹점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e-POS 서비스와 ARS 수발주&VMS를 기반으로 판매/재고관리, 수발주, CRM서비스, 매장관리 서비스, 웹경비 서비스, WEB EDI 전표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임 □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컨소시엄은 Web-POS, 네트워크 구축, 지역거점을 활용한 부가사업을 기반으로 물류유통, 영업지원, 회계장부관리, CRM, 데이터 뱅크, B2B공동구매, B2C쇼핑몰 구축, 동영상 광고, 택배대행 등을 제공할 예정임 □ 한국자동차부분정비조합연합회 컨소시엄은 자동차 부분 정비업 전문 ASP서비스, 전자상거래 서비스, Billing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회계관리, 정비/부품관리, 고객관리, 계약/주문관리, 결제/정산관리, 청구/입금 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임 □ 서울화훼소매업협동조합 컨소시엄은 418개의 화원이 출자의사를 표명하고 FLOWER(가칭)라는 e-Business모델을 기반으로 전자결제 서비스, 플로리스트 컨텐츠, (해외)꽃배달 매칭시스템, 쇼핑몰 분양, SMS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임 □ 중소기업청은 선정된 4개 업종별 단체 컨소시엄 당 최대 5억원 이내로 e-Business모델 개발 및 교육비를 지원하고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와 공동으로 소기업의 참여를 제고하고 타업종으로 자발적인 확산을 유도할 계획임 □ 개발되는 비즈니스 모델의 기본서비스와 부가서비스는 소기업에 적합한 ASP 방식으로 제공되며, H/W, PDA, N/W 인프라 등을 포함하여 월 무료∼10만원 안팎으로 책정하여 보급·확산시켜 나갈 방침임 □ e-Business모델 개발은 2002. 3∼8월까지 완료하고 업종당 500업체를 대상으로 업무프로세스 개선, 정보화마인드 제고, 소기업의 e-Business 추진전략 및 활용방법을 교육시켜 나갈 계획임 □금번 사업을 통해 서비스 산업 등 비제조업 소기업의 e-Business 보급·확산이 가속화 될 예정이며 주요 업종별 소기업의 정보화가 활성화 될 수 있는 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함 -첨부자료: 별첨자료 및 전문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3","atchfileNm":"보도자료_2.hwp","viewCnt":"5607","regDate":"2002-02-26 12:02:00"},{"contentId":"2528","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제2회 중소기업 정보화경영원 포럼 개최계획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8","contentsKor":"1. 일시 : 2002. 1. 25(금) 13:00∼16:002. 장소 :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국제회의장(여의도)3. 주최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4. 주관 : 한국능률협회인증원,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한국표준협회, 한국품질보증원, 한국품질재단 한국품질인증센터5. 행사개요 및 진행순서o '99. 8월부터 도입을 준비해온 중소기업 정보화경영체제 부합화 지원 시범사업에 대한 현장적용 결과의 발표와 2001년도 지도사업의 종합결산을 위한 행사임[제1부] 인증수여식o 경과보고o 평가증서 수여식o 축사(중소기업청장)[제2부] 사례발표o 정보화경영 시책 및 인증운용요령 설명o 정보화경영체제 구축전략o 추진사례 및 지도사례발표o 질의응답6. 문의처o 중소기업청 정보화지원과(042-481-4508, 4403)e-mail : skpark@smba.go.kr , sandwatch@smba.go.kr ※ 2002년도 정보화경영체제 지도신청을 현장에서 접수하오니 중소기업 여러분께서는 많은 참여 바랍니다. ","viewCnt":"5699","regDate":"2002-01-16 12:01:00"},{"contentId":"2529","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 Magnet School 개설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29","contentsKor":" - 약 7,000명 중소기업 재직자 IT 인력화 추진 -□ 중소기업 7,000명 재직자를 IT인력화 하기 위한 대규모의 주문식 방문 IT교육(Magnet School)이 전면 실시됨 □ 중소기업청(廳長: 崔棟圭)은 2월 4일부터 IT 전문 교육기관인 한국생산성본부를 주관기관으로 하여 약 18억원을 투입, 중소기업 재직자를 IT인력화 하기 위한 IT전문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힘 □ 이번 교육은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정보화 수준을 진단하고 정보화 비전을 수립·추진할 수 있는 중급수준 이상의 정보화 인력을 양성하여 전통기업의 e-Transformation을 촉진하고자 o 전국 주요 지역별 지방공단 등 중소기업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공통과정에 대해서는 기업소재 최인접 교육장에서 집합교육을 실시하고 o 구체적인 전문화 특성과정은 중소기업 사내에서 기업이 원하는 방식에 따라 맞춤식의 눈높이 교육으로 진행됨 □ 중소기업 재직자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집체교육은 IT 활용 분야, IT 실무분야, IT 전략화분야 등 3개 분야 20개 과정(총109회)을 개설하여 운영할 예정임 o IT활용분야는 인터넷, 엑셀, 엑세스, IT실무분야는 Web Server구축, 네트워크 운영실무, 프로그래밍, Minitab, Web Contents기획, 사내 IT컨설턴트 자격 획득, IT전략화 분야는 인터넷 마케팅, 인터넷 무역실무 등임 - 교육과정은 상반기 교육결과를 토대로 설문조사, 만족도 조사 등을 실시한 후 하반기 교육과정에 적극 반영하는 피드백 시스템으로 추진됨 o 중소기업 재직자는 교육비의 5%내외의 최소비용을 부담하고 정부는 강사비, 교재비, 교육 기자재 등을 제공하여 참여도를 제고시킬 방침임 □ 중소기업 400업체(약 4,000명 내외)를 대상으로 하는 주문식 현장방문 교육은 중소기업이 희망하는 교육과정을 신청하면 강사가 기업현장을 방문하여 교육하는 방식으로 직장교육의 일환으로 실시할 예정임 o 집체교육에 참가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이 5인 이상의 중소기업이면 누구든지 업종별, 직무별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신청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이 지정한 장소로 강사가 직접 방문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중소기업은 교육인원에 무관하게 교육비 25,000원/일을 부담하고 정부가 강사비, 교재개발비 등을 부담하며 교육 기자재도 제공할 예정임 □ 교육신청은 중소기업 또는 재직자가 '중소기업 IT화 교육관리 시스템 (http://smbit.kpc.or.kr )' 에 접속하여 신청하거나 한국생산성본부로 FAX(02-724-1225) 신청 가능하며 직장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우선지원 할 예정임 o 세부내용은 교육 온라인 관리시스템(http://smbit.kpc.or.kr ) 한국생산성본부 중소기업 IT지원센터 (02-724-1212) 또는 중소기업청 정보화지원과(042-481-4406)에 문의하면 됨 □ (사)디지털밸리에서 조사한 결과(2001. 8)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관심있는 인력은 IT경력자(71.6%)였으며, 응답자의 65.7%가 전문인력 부족에 애로를 느낀다고 응답하여 재직자의 IT화가 비용절감, 정보화 인력해소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o 이번 맞춤식 중소기업 재직자 IT화 교육이 인력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매우 효과적인 교육방식이 될 것으로 기대됨. ","viewCnt":"6129","regDate":"2002-01-16 12:01:00"},{"contentId":"2530","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서울지역 중소기업 정보화 현장애로 지원","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0","contentsKor":"- 정보화지원단을 활용한 홈닥터식 밀착지원오는 2월부터 서울의 중소기업은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정보화 애로 해결에 필요한 기술지도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서울지방중소기업청(청장 丁奎昶)은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해 50인 이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화 마인드 향상, 인터넷 활용, PC기술, 홈페이지 제작, 전산 시스템 구성, 시스템 H/W, 멀티미디어, 정보보안 등 애로기술을 해결해 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지원되는 기술지도는 관련분야의 정보화 전문가가 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15일간 애로기술을 현장에서 해결해 주는 사업이다. o 중소기업 현장애로 기술지도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15일부터 신청하면 된다. o 기술지도에 필요한 비용은 80%는 정부가 부담하고 해당업체는 20%만 부담하면 된다. <접수 및 문의처 >서울지방중소기업청 벤처기업과 황현배(전화:02-502-6132, 팩스:02-502-9847)홈페이지 : http://seoul.smba.go.kr(각종지원제도 → 벤처·창업·정보화)","viewCnt":"5801","regDate":"2002-01-15 12:01:00"},{"contentId":"2531","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IT화 지원사업」2001년도 사업계획 추가 공고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1","contentsKor":" 2003년까지 3만개 중소기업의 IT화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의 2001년도 사업계획 추가 공고하니 관련 중소기업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하단의 서식내용 참조) 문의 및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digitalsme.com/smdb/menu.jsp?/smdb/it30000/intro.html문의 : 중소기업청 정보화지원과 유지석(jsyou@smba.go.kr / 042-481-4507)","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4","atchfileNm":"사업공고.zip","viewCnt":"6122","regDate":"2001-09-21 12:09:00"},{"contentId":"2532","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사단법인 전문대학 중소기업 정보화 협력회 설립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2","contentsKor":"* 첨부화일을 down받으시면 전문을 보실수 있습니다.","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5","atchfileNm":"010514.htm","viewCnt":"6460","regDate":"2001-05-14 12:05:00"},{"contentId":"2533","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정보화 수준평가 우수 중소기업 선정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3","contentsKor":"* 첨부화일을 down받으시면 전문을 보실수 있습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6","atchfileNm":"010412.htm","viewCnt":"6552","regDate":"2001-04-12 12:04:00"},{"contentId":"2534","useYn":"Y","policyType":"G00301","brmCode":"J03","brmTrans":"1","subject":"중소기업 정보화지원 IT업체 선정 결과 ","publishOrg":"중소기업정보진흥원","repcategory":"보도자료","originUrl":"http:\/\/www.tipa.or.kr\/s040102\/view\/id\/2534","contentsKor":"* 첨부화일을 down 받으시면 전문을 보실수 있습니다 ","atchfileUrl":"http:\/\/www.tipa.or.kr\/s040102\/file_down\/id\/1677","atchfileNm":"010403_2.htm","viewCnt":"6563","regDate":"2001-04-03 12:04:00"}]}}